...........-1TF..



Similar documents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놀이. 스포츠의 관점에서 본 화랑과 기사의 신체활동

70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5권 제1호 (2013) 의 수준에 이를 것이다. 하지만,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을 비 롯한 국학연구 기관들과 국립과천과학관, 한국천문연구원 등에 소장되어 있 는 조선시대 역서들의 숫자들을 모두 합하더라도 불과 수백 책의 수준을 넘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歯kjmh2004v13n1.PDF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DBPIA-NURIMEDIA

03이경미(237~248)ok

DBPIA-NURIMEDIA

<C0A7B7C9B0F8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September 1st (Thu) 5th (Mon) ~ 7th(Wed) 19th (Mon) 20th (Tue) ~ 22th (Thu) Fall Semester Begins Add/Drop Courses Finalize Fall Semester Attendance Sh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IKC43_06.hwp

<4D F736F F D D B27BA6E6A6D2BBCDA8EEABD72DBEC7BEA7A558AAA9AAC02E646F63>

DBPIA-NURIMEDIA

<B1B9BEC7BFF8B3EDB9AEC1FD5FC1A63234C1FD5FBFCF2E687770>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untitled

¾Æµ¿ÇÐ´ë º»¹®.hwp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3630C1FD28BCF6C1A4292E687770>

step 1-1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완치란 일반인들과 같이 식이조절과 생활관리를 하지 않아도 다시 통풍이 하지 않는 것입니다. 당신의 통풍이 몇 년이나 되었는지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로릭과 진통 소염제로 버텼는지 이제 저한테 하소연 하시고 완치의 길로 가면 다. 어렵지 않습니다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B1E2C8B9BEC828BFCFBCBAC1F7C0FC29322E687770>

민속지_이건욱T 최종

<BFACBCBCC0C7BBE7C7D E687770>

아태연구(송석원) hwp

<652DB7AFB4D720BFECBCF6B1E2BEF720BAB8B5B5C0DAB7E E687770>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433대지05박창용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C7D1B9CEC1B7BEEEB9AEC7D C3D6C1BE295F31392EB9E8C8A3B3B22E687770>

- 2 -

DBPIA-NURIMEDIA

<BABBB9AE2E687770>

356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釜 山 口 設 海 底 電 線 條 欵 / 海 底 電 線 設 置 ニ 關 スル 日 韓 條 約 漢 日 在 朝 鮮 國 日 本 人 民 通 商 章 程 / 朝 鮮 國 ニ 於 テ 日 本 人 民 貿 易 ノ

歯M PDF

國 史 館 論 叢 第 93 輯 法 의 실시, 良 役 變 通 의 논의 등 사회 경제적 변화가 추진되는 양상도 그같은 맥락에서 이해되는 것이라고 하겠다. 2) 그렇다면 조선왕조의 체제구축과 성리학의 이기심성론은 어 떠한 관계가 있는 것이며, 그것을 둘러싼 논쟁

Lumbar spine

03¹ü¼±±Ô

DBPIA-NURIMEDIA

목차 ⅰ ⅲ ⅳ Abstract v Ⅰ Ⅱ Ⅲ i

<313120B9DABFB5B1B82E687770>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03-ÀÌÁ¦Çö

<313020C1A4BFECBAC034332E687770>

2011´ëÇпø2µµ 24p_0628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30342DB9E6BAB4BCB134392D312E687770>

012임수진

#Ȳ¿ë¼®

歯1.PDF

328 退溪學과 韓國文化 第43號 다음과 같은 3가지 측면을 주목하여 서술하였다. 우선 정도전은 ꡔ주례ꡕ에서 정치의 공공성 측면을 주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국가, 정치, 권력과 같은 것이 사적인 소유물이 아니라 공적인 것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조선에서 표방하는 유

139~144 ¿À°ø¾àħ

<3035B1E8BFECC7FC2E687770>

실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공동기획전 달력, 시간의 자취 contents 주최 기간 장소 실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2014년 11월 21일~2015년 2월 28일 실학박물관 총괄 김시업 실학박물관장 기 량 국립민속박물관 전시운영과장 발간사 04 전시기획 정성희 실학박물관

선초 정재연구\(수정 및 첨가\)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아니라 일본 지리지, 수로지 5, 지도 6 등을 함께 검토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근대기 일본이 편찬한 조선 지리지와 부속지도만으로 연구대상을 한정하 기로 한다. Ⅱ. 1876~1905년 울릉도 독도 서술의 추이 1. 울릉도 독도 호칭의 혼란과 지도상의 불일치 일본이 조선

untitled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泰 東 古 典 硏 究 第 24 輯 이상적인 정치 사회의 구현 이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따라서 천인 합일론은 가장 적극적인 경세의 이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권근은 경서의 내용 중에서 현실 정치의 귀감으로 삼을 만한 천인합일의 원칙과 사례들을 발견하고, 이를 연구하여


피해자식별PDF용 0502

(JH)

국악원 논문집 다. 거운고짧-의 統 對 的 年 代 )1댐의 分 類 는 樂 5앞에 年 代 가 明 記 되지 않은 것이 있어서 困 維 하지만, 그 樂 렘에 실린 짧 l111 의 內 容 에 依 히.0,1 相 對 的 年 代 JI\N의 分 쨌는 퍼 能 할 것드로 생 각한다. 年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03-서연옥.hwp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11¹Ú´ö±Ô

2013국제학술대회-내지-최종.cdr

<31325F FB1E8B9CCC1A42CBFF8C0B1B0E62CB1E8B9CCC7F62E687770>

본문01

(

<B0EDBCBA20C0B2B4EB20B3F3B0F8B4DCC1F6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8C3DFB0A1BCF6C1A4BABB292E687770>


pdf 16..

<C1A4BDC537355F30365FDFEFD9A4EBECC0C720BBFDBED6BFCD20B1D4C0E5B0A220C8B0B5BF5FB1E8B9AEBDC42E485750>

신계내과학(1).indd

<28C3D6C1BE29312DC0CCBDC2BEC62E687770>

212 영상기술연구 세대라고 할 수 있다. 이 뉴 뉴웨이브 세대란 60년대 일본의 영화사에서 과거세대와는 단 절된 뉴웨이브 의 흐름이 있었는데 오늘날의 뉴웨이브 세대를 뛰어넘는다는 의미에서 뉴 뉴웨이브 세대로 불린다. 뉴 뉴웨이브 세대 감독들의 경향은 개인적이고 자유분

12이문규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2009;21(1): (1777) 49 (1800 ),.,,.,, ( ) ( ) 1782., ( ). ( ) 1,... 2,3,4,5.,,, ( ), ( ),. 6,,, ( ), ( ),....,.. (, ) (, )

디지털포렌식학회 논문양식

hwp

DBPIA-NURIMEDIA

<BBFDB8EDBFACB1B83232C1FD2D E687770>

현대영화연구

[맹자] 맹자( 孟 子 )가 말하였다. 본심( 本 心 )을 기르는 데는 욕심을 적게 하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없다. [맹자] 우산( 牛 山 )의 나무들이 아름다웠었는데, 큰 나라의 교외에 있어서 도끼로 남벌하였다. 그러니 그 산이 아름다울 수 있겠는가? 이것은 밤낮

Transcription: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pissn 1225-1534 29: 001 ~ 016, 2014 March eissn 2287-6936 c 2014.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 http://dx.doi.org/10.5303/pkas.2014.29.1.001 한국의 삼복 일자 분석 ANALYSIS OF SAMBOK IN KOREA 민병희 1,2, 이기원 3, 안영숙 1, 안상현 1, 이용삼 2 1 한국천문연구원, 2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 3 대구가톨릭대학교 기초교양교육원 BYEONG-HEE MIHN 1,2, KI-WON LEE 3, YOUNG SOOK AHN 1, SANG-HYEON AHN 1, AND YONG SAM LEE 2 1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Daejeon 305-348, Korea 2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361-763, Korea 3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Gyeongsan 712-702, Korea E-mail: bhmin@kasi.re.kr (Received November 19, 2013; Accepted December 13, 2013) ABSTRACT Sambok ( 三 伏, Three Hottest Days) is the common designation of Chobok ( 初 伏, Early Hot Day), Jungbok ( 中 伏, Middle Hot Day), and Malbok ( 末 伏, Late Hot Day), and widely known to be one of the Korean folk customs. Hence, Sambok is notated in Manseryeok (Ten Thousand-Year Almanac) and in the annual astronomical almanac published by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changes of Sambok in Korea based on various documents such as Joseonwangjosilok ( 朝 鮮 王 朝 實 錄,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Jeungbo-Jakryeoksik ( 增 補 作 曆 式, The Supplement of Manual for Calendar Making), astronomical almanacs, and so forth. According to Jeungbo-Jakryeoksik preserved in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Chobok and Jungbok are defined as the third and fourth Gyeongil ( 庚 日, The Day Starting with the Seventh Heavenly Stems in Sexagenary Cycles Assigned to Each Day) after the summer solstice, respectively, and Malbok is the first Gyeongil after Ipchu (Enthronement of Autumn). However, if the summer solstice is Gyeongil, then the third Gyeongil counting from the solstice becomes Chobok. Malbok depends on the time of Ipchu. Ipchu itself becomes Malbok if the time of Ipchu is in the morning, or next Gyeongil becomes Malbok if it is the afternoon. On the other hand, Malbok is defined as Ipchu itself regardless of its time according to Chiljeongbobeob ( 七 政 步 法, Calculating Method for Sun, Moon, and Five Planets), Chubocheobryeo ( 推 步 捷 例, Quick Examples for Calendrical Calculations), and so on. To verify the methods used to determine Sambok, we examined the record in the extant almanacs during the period of 1392 to 2100 for which the summer solstice or Ipchu is Gyeongil. As a result, we found a periodicity that if the time of Ipchu is in the morning, in general, the time is in the afternoon after two years and then is back into in the morning after nineteen years, i.e., the 2 + 19 years periodicity. However, we found the 2 + 17 years periodicity in some years. We also found that the Chobok method of Jeungbo-Jakryeoksik has been used since 1712, the thirty-eighth reign of King Sukjong ( 肅 宗 ). In addition, we supposed that Malbok had been determined by the method like Chubocheobryeo since either 1846, the twelfth reign of King Heonjong ( 憲 宗 ), or 1867, the fourth reign of King Gojong ( 高 宗 ). At present, these methods of Sambok are customarily used without any legal basis. We, therefore, think that this study will help conventionalize the method defining Sambok in the future. Key words: Sambok ( 三 伏 ): Chobok ( 初 伏 ), Jungbok ( 中 伏 ), Malbok ( 末 伏 ); 氣 ): summer solstice, Ipchu ( 立 秋 ); sexagenary cycles: Gyeongil ( 庚 日 ) seasonal subdivisions ( 節 http://pkas.kas.org 1

2 MIHN ET AL. 1. 서론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삼복( 三 伏 : 초복, 중복, 말복) 에 더위를 이길 수 있는 음식을 먹는 세시풍습이 있었 으며, 오늘날에도 이어져 오고 있다. 삼복의 기원에 대 한 가장 초기의 기록은 사마천(BCE 145? - 86?)의 사 기( 史 記 ) 로 알려져 있다(Lee, 1985). 기록에 의하면 진덕공( 秦 德 公, BCE 709-676) 2년(679년)에 처음으로 복사( 伏 祠 )를 짓고 사문( 四 門 )에서 개를 찢어 죽여 충재 ( 蟲 災 )을 막았다 1 라고 하여 액을 물리치는 벽사( 辟 邪 ) 의 기능이 강했음을 알 수 있다. 과거 고려나 조선의 관청에서는 삼복에 더위를 피하 는 조치가 있었다. 고려사( 高 麗 史 ) 관리급가( 官 吏 給 暇 )에는 삼복에는 관리에게 3일의 휴가를 준다 2 라는 기록이 있고, 문종 31년(1077년)에는 삼복 안에 공사를 금하게 하였다 3 라는 금령( 禁 令 )이 있었다(Choi, 2003). 또한 조선왕조실록에는 삼복 기간 동안에 공역( 公 役 )을 금지하거나 4 임금의 경연( 經 筵 ), 세자의 서연( 書 筵 )을 미 루기도 하였다. 5 1886년(고종 28년)에는 내무부에서 육 영공원( 育 英 公 院 )이라는 신학교를 설립하였는데, 학칙에 는 방학의 시기를 초복부터 말복까지 무더위 때 로 한 다 6 고 규정되어 있다. 현재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매년 발표하는 월력요항, 역서(만세력) 뿐만 아니라 민간 달 력에도 삼복이 표기되어 있다. 1896년 태양력으로 개력되기 이전 조선에서는 태음 태양력의 역서를 간행하였다. 이 역서는 매일의 역 자 료를 수록하고 있어 일과력( 日 課 曆 )이라고 하는데(Kim, 2002), 조선전기는 대통력을, 후기는 시헌력을 사용하였 다. 이 역서들에는 합삭, 상현, 하현 등과 더불어 관습 적 기념일의 일종인 절일( 節 日 )들이 두주( 頭 註 ) 7 로 표기 1 사기( 史 記 ) 권28, 秦 德 公 二 年 初 作 伏 祠 磔 狗 四 門 以 御 蟲 災. 2 고려사 권84 지38, 형법 공식( 公 式 ) 관리급가. 3 고려사 권85 지39, 형법 금령( 禁 令 ). 4 태종실록 권33, 태종 17년(정유, 1417년) 윤5월 12일(정묘), 세종실록 권8, 세종 2년(경자, 1420년) 5월 16일(계미). 5 단종실록 권14, 단종 3년(을해, 1455년) 윤6월 5일(기유), 중종실록 권3, 중종 2년(정묘, 1507년) 5월 28일(경오), 중종실록 권42, 중종 16년(신사, 1521년) 6월 5일(을유), 중종실록 권42, 중종 16년(신사, 1521년) 6월 10일(경인), 중종실록 권45, 중종 17년(임오, 1522년) 6월 2일(정축), 중종실록 권45, 중종 17년(임오, 1522년) 6월 9일(갑신), 중종실록 권50, 중종 19년(갑신, 1524년) 5월 29일(계사), 중종실록 권62, 중종 23년(무자, 1528년) 7월 14일(계미), 등. 6 고종실록 권23, 고종23년(병술, 1886년) 8월 1일(신유). 7 조선시대 역서는 월력장( 月 曆 張 ), 연신방위도( 年 神 方 位 圖 ), 매월의 일과장( 日 課 張 )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Lee et al., 2011). 역서의 일과장에는 각 월의 일자, 일진, 오행, 12직( 直 )을 적고 그 아래 역주( 曆 註 ), 그 위에는 두주( 頭 註 )를 적는다. 이 두주에 삭( 朔 ) 현 되어 있다. 이 절일들은 명절( 名 節 )과 구분하여 오늘날 잡절( 雜 節 )이라고 부른다(Lee, 1985). 조선시대에는 이사 ( 二 社 ), 한식( 寒 食 ), 삼복, 납( 臘 ), 토왕용사( 圡 王 用 事 )의 다섯 가지 대표적인 절일이 있었으며, 조선말에는 한식 을 정월대보름, 추석과 함께 3대 명절로 하였다. 8 잡절은 특정 절기를 기점으로 수 일 간격이나 일진 ( 日 辰, 일자에 붙이는 간지)을 기준으로 일정한 원칙에 해당하는 날로 정해진다. 현재 삼복의 경우 하지( 夏 至 ) 로부터 세 번째 경일( 庚 日 ) 9 이 초복이고, 네 번째 경일 이 중복이며, 입추( 立 秋 )로부터 첫 번째 경일이 말복이 다. 초복과 중복은 10일 간격이나 중복과 말복은 10일 또는 20일 간격이며, 이 간격이 10일이면 평복( 平 伏 ), 20일이면 월복( 越 伏 )이라고 한다(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2011). 삼복은 삼경( 三 庚 ), 경복 ( 庚 伏 ) 등이라고도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잡절 중 하나인 삼복의 변천과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조선시대 삼복 결정방법과 관 련된 문헌 내용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당시 역서 자 료와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입추가 경일이 되는 해의 주기와 삼복의 결정방법에 따른 말복의 월복률에 대해 도 살펴보았다. 2. 실록에 기록된 삼복 기사 2.1. 세조실록 삼복 결정법과 관련된 사서 기록은 세조실록 세조 3 년(1457년) 3월 22일 기사에서 처음 접할 수 있다. 서운관에서 아뢰기를, 지금 정축년의 당력 ( 唐 曆 )과 향력( 鄕 曆 )을 자세히 살펴보건대, 당 력은 7월 19일이 말복이고,... 향력은 7월 9일 이 말복이 되고,... 서로 어긋난 것이 이와 같 은 까닭에 다시 역요책( 曆 要 冊 ) 을 상고해 보니, 이르기를, 입추 후 일경이 말복이 된 다 고 했으니, 만약 입추일이 제1 경일이면 입추일로서 말복으로 삼게 되는 것이다. 금년 7월 9일 경오( 庚 午 ) 자정( 子 正 ) 1각( 刻 )이 입추 인 까닭에 이 날로써 말복으로 정해야 된다.... 하니, 예조에 명하여 참고해서 아뢰도록 하 였다. 10 ( 弦 ) 망( 望 )과 함께 절일( 節 日 )을 기입한다. 8 고종실록 권23, 고종23년(병술, 1886년) 8월 1일(신유). 9 일진에서 경( 庚 )자 들어간 날로 경오( 庚 午 ), 경진( 庚 辰 ), 경인( 庚 寅 ), 경자( 庚 子 ), 경술( 庚 戌 ), 경신( 庚 申 )일이 있다. 10 세조실록 권7, 세조 3년(정축, 1457년) 3월 22일(을유). 書 雲 觀 啓 今 詳 丁 丑 年 唐 曆 及 鄕 曆, 唐 則 七 月 十 九 日 爲 末 伏,... 鄕 曆 則 七 月 九 日 爲 末 伏,... 相 違 如 此, 故 更 考 曆 要 冊 云, 立 秋 後

한국의 삼복 일자 분석 3 Table 1. Summary of the literature related to Jakryeoksik in the late Joseon dynasty Literature Holdings 1 /Printed type Contents Remark Jeungbo- Jakryeoksik Kyujanggak /woodblock calendar making ( 作 曆 式 ) ambiguous publication year; 庚 寅 仲 冬 增 補 開 刊 ( 增 補 作 曆 式 ) Jeungbo- National Library calendar making ( 作 曆 式 ) epilogue by Yoon, Du Su Jakryeoksik /manuscript astronomical phenomena of sun, ( 尹 斗 壽 ) in 1593 ( 增 補 作 曆 式 ) moon, and five planets ( 七 曜 段 目 ) title : Jakryeoksik (with the addition of astronomical phenomena of sun, moon, and five planets) Jakryeoksik Kyujanggak calendar making ( 作 曆 式 ) annotation written around 1848 ( 作 曆 式 ) /manuscript solar and lunar eclipses ( 日 月 食 ) Chiljeongbobeob Kyujanggak calendrical methods for sun, moon, title : Chubocheobryeo ( 七 政 步 法 ) /manuscript and five planets ( 七 政 推 算 ) annotation written around 1848 astronomical phenomena of sun, moon, and five planets ( 七 曜 段 目 ) calendar making ( 作 曆 式 ) solar and lunar eclipses ( 日 月 食 ) Chubocheobryeo Kyujanggak [vol.i] calendrical methods for published by Royal Astronomical ( 推 步 捷 例 ) /wooden type sun, moon, and five planets Office ( 觀 象 監 ) in 1861 ( 七 政 推 算 ) preface by Nam, Byeong Gil astronomical phenomena annotation written around 1848 of sun, moon, and five planets( 七 曜 段 目 ) [vol.ii] calendar making ( 作 曆 式 ) lunar eclipse ( 月 食 ) solar eclipse ( 日 食 ) 1 Kyujanggak: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National Librar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이어 4월 18일 기록에는 예조에서 상고( 相 考 )한 결과를 살펴볼 수 있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당력( 唐 曆 )과 향력( 鄕 曆 )의 서로 틀린 곳을 음양학 제조와 더불어 여러 글을 참고했더니 말하기를,... 경( 庚 )이 란 것은 금기( 金 氣 )이니, 그날은 하지 후의 제 3 경일이 초복이 되고, 제4 경일이 중복이 되 고, 입추후의 초경일이 말복이 되는 것이다. 입추일이 경일( 庚 日 )이면 입추일이 말복이다 라는 말은 없는데, 지금 서운관에서는 역요 (책) 에 의거하여 입추일 경일로써 말복을 一 庚 爲 末 伏. 若 立 秋 日 庚, 則 以 立 秋 日 爲 末 伏. 今 年 七 月 九 日 庚 午 子 正 一 刻 立 秋, 故 以 是 日 定 爲 末 伏.... 命 禮 曹 參 考 以 聞. 삼으려고 하고 있지마는, 그러나 역요(책) 은 곧 서운관이 전해 받은 사사로운 기록으로 틀린 것이 많이 있기에, 일찍이 교지를 내려 서 사용하지 못하게 했는데도 서운관에서는 이에 의거하여 참고하여 결정하였으니 죄를 다스려야 할 것이지만, 일이 사유( 赦 宥 ) 전에 있으므로, 우선 내버려두고 논죄하지 말도록 하였다.... 청컨대... 복일( 伏 日 )은 당력에 의 거하여 19일로써 정하여 중외( 中 外 )에 반포 시행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11 11 세조실록 권7, 세조 3년(정축, 1457년) 4월 18일(신해). 禮 曹 啓 : 唐 曆 及 鄕 曆 相 違 處, 與 陰 陽 學 提 調 參 考 諸 書 云,... 庚 者 金 也, 其 日 夏 至 後 第 三 庚 爲 初 伏, 第 四 庚 爲 中 伏, 立 秋 後 初 庚 爲 末 伏. 無 立 秋 日 庚 則 以 立 秋 日 爲 末 伏 之 語, 今 書 雲 觀 依 曆 要, 以 立 秋 日 庚 爲 末 伏. 然 曆 要 乃 書 雲 觀 傳 授 私 記, 多 有 舛 錯, 曾 下 旨 勿 用, 而 書 雲

4 MIHN ET AL. Figure 1. A part of Jeungbo-Jakryeoksik showing the headnote (fifteen columns in the margin) for Sambok (Three Hottest Days) (Courtes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세조 3년(1457년)의 위 두 기사에서 하지 후의 제3 경일이 초복이 되고, 제4 경일이 중복이 되고, 입추 후 의 초경일이 말복이 되는 것이다. 라고 하여 삼복결정 법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당시 문제가 되었던 것은 입 추가 경일이었고, 이러한 경우 말복의 날짜를 정하는 것이었다. 논의 끝에 중국의 달력을 따라 입추가 경일 이면 다음 경일을 말복으로 정하였다. 2.2. 영조실록 이와 유사한 논쟁이 조선 후기에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 다. 영조실록 영조 21년(1745년) 1월 18일 기록에 말복 논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관상감 관원을 그 관청으로 하여금 단죄하 게 하라고 명하였는데, 이때에 역서( 曆 書 )의 말복( 末 伏 )이 청력( 淸 曆 )과 서로 틀렸기 때문 에 이런 명이 있게 되었다( 命 觀 象 監 官 員, 令 攸 司 科 治, 時 曆 書 末 伏, 與 淸 曆 相 左, 故 有 是 命 ). 12 같은 날의 승정원일기 에는 탑전하교( 榻 前 下 敎, 임금이 즉석에서 명령한 것)라고 인용하면서 당시의 정 황을 기술하고 있다. 정석오( 鄭 錫 五 )가 이르기를 올해 역서를 觀 據 以 參 定, 可 以 治 罪, 事 在 赦 前, 姑 置 勿 論.... 請... 伏 則 依 唐 曆 以 十 九 日 爲 定, 頒 行 中 外. 從 之. 12 영조실록 권61, 영조 21년(을축, 1745년) 1월 18일(경인). 청력과 비교해보니, 말복이 청력은 7월 20일 이 고, 향력은 7월 10일입니다. 중대한 복일이 이와 같은 차이가 나니, 담당관원을 그 관청 으로 하여금 단죄하게 청하였습니다.... 삼복 에는 치러야할 일이 많으니, 한결같이 청력에 의거해 20일로써 거행하십시오. 13 승정원일기 에는 1745년 말복도 청의 역서와 같 이 입추가 경일이면 다음 경일을 말복으로 하여 7월 20 일로 정했음을 알 수 있다. 3. 작력식( 作 曆 式 ) 에 기록된 삼복 기사 사서의 기록 이외에도 각종 역일을 정하는 방법을 설명 해 놓은 작력식 이 있다. 작력식 의 앞부분에는 삼복을 구하는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조선후기에 남아 있는 작력식 은 Table 1과 같이 5가지가 조사되었 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는 증보작력식( 增 補 作 曆 式 ) ( 古 7300-25), 작력식( 作 曆 式 ) ( 奎 12506), 칠정보법( 七 政 步 法 ) ( 奎 12618) 작력식 과 추보첩례( 推 步 捷 例 ) ( 古 7300-8-v.1-2) 작력식 이 있다[이후 순서대로 (규)증보 작력식, (규)작력식, (칠)작력식, (추)작력식으로 칭함]. 국립중앙도서관에는 증보작력식( 增 補 作 曆 式 ) ( 古 734-3) [이후 (도)증보작력식]이 있다. 특히 (규)증보작력식은 경인년 11월( 庚 寅 仲 冬 ) 이라 13 승정원일기 982책, 영조 21년 1월 18일(경인). 鄭 錫 五 曰, 今 年 曆 書, 與 淸 曆 考 准, 則 末 伏, 淸 曆, 七 月 二 十 日, 鄕 曆, 七 月 初 十 日. 莫 重 伏 日, 如 是 相 差, 當 該 官, 請 令 攸 司 科 罪 矣.... 而 三 伏, 多 有 擧 行 之 事, 一 依 淸 曆, 以 二 十 日 擧 行. 當 該 官, 自 本 監 雖 已 汰 去,...

한국의 삼복 일자 분석 5 고 증보된 일자가 기록되어 있고, (도)증보작력식은 윤 두수(1533년 - 1601년)의 발문이 있다. 위 5가지 작력식 에 삼복의 기록은 본문과 할주 ( 割 註 )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문은 복날을 정하는 방법 을 설명하였고, 할주는 복날의 음양오행적인 의미를 설 명하고 있다. 다만 (규)작력식, (칠)작력식, (추)작력식에 는 할주에 도광무신( 道 光 戊 申 ) 의 기사가 추가되어 있 다. 3.1. (규)증보작력식 (규)증보작력식에는 삼복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괄호안의 내용은 할주이다). 하지 후 제3 경일이 초복, 제4 경일이 중복이 며, 입추 후 제1 경일이 말복이다. 하지일이 경일이면 하지로부터 3 경( 庚 )의 수가 초복이 다. 입추일이 경일이고 (입절시각이) 오전에 들면 그날이 말복이고, (입절시각이) 오후에 들면 다음 경일[ 次 庚 ]이 말복이다. <사계절의 대사는 상생에 의한 것이나, 여름과 가을에 이르러서는 서로 상극( 相 克 )으로 전해진다. 그 러므로 경금( 庚 金 )이 화( 火 )를 두려워하여 잠 복하는 것이 도리이다>. 14 (규)증보작력식의 삼복을 구하는 방법은 세조실 록 에 기록된 방법과 비교해 볼만하다. 세조실록 에서는 입추가 경일이면(이후 입추경일 ) 다음 경일이 말복이었다. 그러나 (규)증보작력식 에서는 입추경일 을 다시 나누어 입절시각이 오전인 경우(이후 오전경 일 )는 입추를 말복, 입절시각이 오후인 경우(이후 오 후경일 )는 입추 다음 경일을 말복으로 하였다. 할주에는 1 여름과 가을에 이르러서는 서로 상극 으로 전해진다 와 2 경금( 庚 金 )이 화( 火 )를 두려워하여 잠복한다 라고 하였는데, 그 내용을 풀이하면 다음과 같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오행은 각각 목, 화, 금, 수인데, 여름과 가을은 화극금( 火 克 金 ) 이라는 상극의 관계를 가진다. 또한 천간( 天 干 )에서 경( 庚 )은 양( 陽 )이 자 금( 金 )이므로, 경일( 庚 日 )에 몸을 사리고 더위를 피 하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3.2. (도)증보작력식 (도)증보작력식의 삼복에 대한 계산법과 할주는 (규)증 보작력식의 것과 일치한다. (규)증보작력식이 활자본인 14 求 三 伏 : 夏 至 後 第 三 庚 爲 初 伏, 第 四 庚 爲 中 伏. 立 秋 後 第 一 庚 爲 末 伏. 夏 至 日 値 庚, 則 自 夏 至 爲 三 庚 之 數. 立 秋 日 値 庚, 時 在 午 前, 則 其 日 爲 末 伏, 時 在 午 後, 則 次 庚 爲 末 伏. < 四 時 之 代 謝, 以 其 相 生, 而 至 於 夏 秋, 傳 相 克. 故 庚 金 有 畏 火, 潛 伏 之 義 >. 데 비해 (도)증보작력식은 필사본인 것이 차이가 있다. 추가적으로 (도)증보작력식에는 삼복을 구하는 방법( 求 三 伏 ) 위에 주석이 달려있다. 이를 두주라고 하는데, 이 두주에는 을축년(1745년), 갑신년(1764년), 무신년(1848 년) 말복에 대해 논하고 있다. 가. 을축년(1745년) 을축년 입추가 경일 해시( 亥 時 )인데, 말복으로 향력 은 그날에 두었는데, 청력( 淸 曆 )은 다음 경일[ 後 庚 ]로 하였다. 입추 시각이 오전이면 그 날에 두고, 오후면 월 복한다. 그러므로 삼복을 구하는 방법은 평복(입추 = 말복)이지만, 분명히 월복으로 했다. 15 나. 갑신년(1764년) 갑신년 입추가 경일 오정에 있어 청력은 말복을 그 날에 두고, 향력은 이후 경일[ 後 庚 ]에 두었다. (청이) 이 렇게 기록한 것으로 보아 오전은 오후의 오기이라 생각 되는데, (청의 것은) 가히 믿을 수 없을 것 같다. 16 다. 무신년(1848년) 을축년(1745년) 입추와 같이, 해시( 亥 時 )를 일몰 후 로 삼았기 때문에 다음 경일[ 後 庚 ]에 두어야 했으나 월 복하지 않았다. 무신년 입추가 경일 술정( 戌 正 )에 있어 말복인데, 청은 그 날에 두었으니, 곧 일입후의 것을 잘 못한 것이니 가히 따를 수 없다. 17 위 두주에서 영조 21년, 을축년(1745년)의 경우는 2.2절의 영조실록 과 승정원일기 의 내용과 맞닿아 있다. 을축년(1745년) 역서(향력)에서는 입추 경일이므 로 그 날을 말복으로 결정했었다. 그러나 영조실록 과 승정원일기 의 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당시에 평 복이 잘못된 것임을 알고 조선에서도 청력(중국력)에 따라 말복을 월복으로 수정하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규)증보작력식 [또는 (도)증보작력식]의 말복 결정법 과 일치한다. 그리고 영조 40년, 갑신년(1764년)의 경우, 청력은 입추를 말복으로 하는데, 이는 입절시각이 오후인 것을 오전으로 오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임자 백중력 ( 壬 子 百 中 曆 ) 18 에 의하면, 당시 입절시각은 오정2각 이며(시태양시로 12시 30분 - 45분 사이), 1773년 중국 15 乙 丑 年, 立 秋 在 庚 日 亥 時, 而 末 伏. 鄕 置 其 日. 淸 曆 後 庚 似 是. 立 秋 時 刻 在 午 前, 則 置 其 日, 午 後, 則 越 伏. 故 求 三 伏 坪, 申 明 之 越. 여기서 故 求 三 伏 坪, 申 明 之 越. 의 번역이 완전하지 못하다. 16 甲 申 年, 立 秋 在 庚 日 午 正, 而 末 伏, 淸 置 其 日, 鄕 置 後 庚. 以 此 記 之, 午 前 後 之 誤, 恐 未 可 信 也. 17 若 乙 丑 年 立 秋, 以 亥 時 爲 日 入 後, 故 置 之 後 庚, 不 越. 戊 申 年, 立 秋 在 庚 日 戌 正, 而 末 伏. 淸 置 其 日, 則 日 入 後 之 訛, 亦 未 可 準 也.

6 MIHN ET AL. 역서와 같은 해 조선시대 역서의 입절시각을 비교해보 면 정확히 42분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조선 에서는 입추 시각이 오후(오정2각)이지만 당시 중국은 오전일 개연성이 크다. 그리고 헌종 14년, 무신년(1848년, 도광 28년)의 경 우, 조선과 청의 말복이 서로 달랐음을 보여주고 있다. 당시 입추경일이 오후경일로서 조선의 역서는 입추 다 음 경일을 말복으로 하였는데, 청이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입추 당일을 말복으로 하였다. 즉, 입추경일이면서 오후경일이었음에도 말복을 입추 다음의 경일로 하지 않은 것이다. 3.3. (규)작력식, (칠)작력식, (추)작력식 (규)작력식, (칠)작력식, (추)작력식에도 (규)증보작력 식 에 기록된 삼복에 대한 내용은 (규)증보작력식, (도)증보작력식과 거의 같으나 할주에 다음과 같은 새 로운 내용들이 추가되어 있다. 도광 무신년(1848년)에 입추가 경일이고 그 시각이 술정( 戌 正 )이나 청은 그날에 말복을 두고, 우리는 다음 경일에 말복을 두어 서로 다르다. 그래서 지금 이후부터 입추가 경일이 면 시각이 오전 오후에 무관하게 그날이 말복 이다. 19 (규)작력식, (칠)작력식과 (추)작력식의 도광 무신년 은 (도)증보작력식의 두주에서 언급되었던 무신년과 같 다. 헌종 14년 무신년(1848년)이후부터는 입추경일의 경 우 입절시각이 오전, 오후에 무관하게 입추를 말복으로 변경하였음을 알 수 있다. 세조 3년(1457년)에 조선에서 는 역요책 을 따라 입추경일이면 그날을 말복으로 하 였다가 당시 중국력과 달라 변경했었다(2.1절 참조). 무 신년(1848)의 말복 결정법의 변경내용은 이보다 약 400 년 전인 세조 3년(1457년) 당시의 역요책 에 따라 처 음 입추경일에 정했던 말복 결정법으로 회귀한 것이었 다. 3.4. 삼복 결정법의 변천내용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조선시대에 삼복을 정하는 기 본 원칙은 초복은 하지 후 제3 경일, 중복은 제4 경일 18 임자 백중력( 壬 子 百 中 曆 )은 강희 32년(1693년) 계유( 癸 酉 )년부터 건륭 57년(1792년) 임자년까지의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백중력 은 과거 100년, 천세력( 千 歲 歷 )은 미래 100년의 월력자료를 편 집한 것이므로(Hu, 2000), 본 연구에서는 기준년을 앞에 써서 백중력이나 천세력의 판본을 구분하였다. 19 道 光 戊 申 立 秋 値 庚 時 刻 在 戌 正 而 淸 置 末 伏 於 其 日 鄕 置 末 伏 於 次 庚 以 爲 相 左. 故 自 今 以 後 立 秋 値 庚 則 時 刻 勿 拘 午 前 午 後 其 日 置 末 伏. 이며, 말복은 입추 후 제1 경일이다. 위 원칙에 따르면 대부분의 삼복을 결정할 수 있지만, 하지나 입추가 경 일인 경우에는 복날을 정하는 방법이 시대에 따라 변화 되었다. 다시 말해 하지가 경일인 날(이후 하지경일 )이나 입추경일은 삼복 결정법에 있어서 경계조건과 같은 의 미를 가진다. 앞 절에서 기술한 입추경일에 대한 기록 만으로 말복 결정법의 변천사만 정리할 수 있다. 이해 의 편의를 돕고자 본 연구에서는 입추경일에서 경( 庚 ) 일의 수 는 입추 당일은 1 경일의 수로, 그 다음 경일 은 2 경일의 수라고 표현한다. 하지경일에 대해서도 마 찬가지로 적용한다. l l l 세조 3년(1457년) 20 : 입추경일이면 다음 경일이 말복 이다. (해석) 입추 후 제1 경일을 말복이라고 하였을 때, 입추 후 는 입추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해석 할 수 있다. 따라서 입추경일인 경우에도 입 추를 경일로 포함하지 않으므로, 입추 후 제1 경일은 입추 다음 경일(입추로부터 2 경일의 수)을 의미한다. 영조 21년(1745년, 을축): 입추가 오전경일이면 그날 이 말복이고, 오후경일이면 다음 경일이 말복이다. (해석) 입추가 오전경일이면 그 날(입추로부터 1 경 일의 수)이 말복이고, 오후경일이면 다음 경 일(입추로부터 2 경일의 수)이 말복이다. 헌종 14년(1848년, 무신): 입추 경일이면 그날이 말 복이다. (해석) 입추경일이면 그 날(입추로부터 1 경일의 수) 이 말복이다. 하지경일에서의 초복 결정법의 변천 과정은 입추경 일의 말복 결정법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l (규)증보작력식 이전시기: 하지경일이면 하지로부터 4 경일의 수가 초복이다 로 추정할 수 있다. (추정) 세조 3년(1457년)의 입추경일의 사례처럼, 하 지 후 는 하지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하지경일인 경우, 하지를 포 함하지 않고, 제3 경일이 초복이고, 하지로부 터 4 경일의 수에 해당한다. 20 칠정산내편의 간행 시기는 세종 26년(1444년)이다. 1444년 이후 로 가장 먼저 발생하는 입추경일의 해가 1457년이다.

한국의 삼복 일자 분석 7 Table 2. Year The dates of Haji (Summer Solstice) and Chobok (Early Hot Day) in case that the former is the day starting with the seventh Heavenly Stem in Iljin 1. Haji Chobok Date 2 Iljin 1 Time 3 Date 2 O.N. 4 Ref. 5 1399 V 10 17 07:00 L 1401 V 2 27 18:44 L 1420 V 3 7 09:15 L 1422 V 24 17 20:58 L 1441 V 25 57 11:29 L 1443 V 16 7 23:00 L 1460 V 25 37 02:00 L 1462 V 16 47 13:44 L 1481 V 16 27 04:15 L 1483 V 9 37 15:58 L 1502 V 9 17 06:29 L 1504 V 1 27 18:00 L 1523 V 1 7 08:44 L 1525 V 22 17 20:15 L 1544 V 23 57 11:00 L 1546 V 15 7 22:29 L 1563 V 23 37 01:29 L 1565 V 15 47 13:00 L 1584 V 15 27 03:44 L 1586 V 6 37 15:15 L 1605 V 7 17 06:00 VI 07 4 L,H 1607 V 28 27 17:29 V* 29 4 L,J 1626 V 29 7 08:15 L 1628 V 20 17 19:44 L 1647 V 20 57 10:15 VI 21 4 L,P3 1649 V 12 7 22:00 L 1668 V 13 47 12:29 VI 13 4 L,P1 1670 V 5 57 16:15 VI 5 4 P1 1689 V 5 37 06:15 VI 5 4 G,P1 1691 V 25 47 18:00 VI 26 4 P1 1710 V 26 27 07:45 VI 26 4 P1 1712 V 18 37 19:15 VI 8 3 P1 1731 V 18 17 09:15 VI 9 3 S,P2 1733 V 10 27 21:00 VI 1 3 K,S 1750 V 19 57 00:15 VI 9 3 P2 1752 V 10 7 12:00 VI 1 3 C 1754 V 2 17 23:30 V 22 3 P2 1771 V 10 47 02:00 VI 1 3 J 1773 V 2 57 13:45 V 22 3 C 1792 V 3 37 04:00 V 23 3 G 1794 V 24 47 15:30 VI 15 3 G 1813 V 24 27 05:45 VI 15 3 G 1815 V 16 37 17:30 VI 6 3 G 1834 V 16 17 07:45 VI 6 3 G Year Haji Chobok Date 2 Iljin 1 Time 3 Date 2 O.N. 4 Ref. 5 1836 V 8 27 19:30 V 28 3 G 1855 V 9 7 09:30 V 29 3 G 1857 V 30 17 21:00 V* 20 3 C 1876 V 30 57 11:15 V* 20 3 C 1878 V 21 7 23:00 VI 12 3 C 1895 V 30 37 01:30 V* 20 3 C 1897 V 22 47 13:15 VI 12 3 C 1916 Jun. 22 27 03:24 Jul. 12 3 M 1918 Jun. 22 37 15:00 Jul. 12 3 M 1937 Jun. 22 17 05:12 Jul. 12 3 M 1939 Jun. 22 27 16:40 Jul. 12 3 M 1958 Jun. 22 7 06:27 Jul. 12 3 C 1960 Jun. 21 17 18:13 Jul. 11 3 C 1979 Jun. 22 57 08:56 Jul. 12 3 C 1981 Jun. 21 7 20:45 Jul. 11 3 C 2000 Jun. 21 47 10:48 Jul. 11 3 M 2002 Jun. 21 57 22:24 Jul. 11 3 M 2019 Jun. 22 27 00:54 Jul. 12 3 M 2021 Jun. 21 37 12:32 Jul. 11 3 M 2023 Jun. 21 47 23:58 Jul. 11 3 M 2040 Jun. 21 17 02:45 Jul. 11 3 M 2042 Jun. 21 27 14:14 Jul. 11 3 M 2061 Jun. 21 7 04:31 Jul. 11 3 M 2063 Jun. 21 17 16:00 Jul. 11 3 M 2082 Jun. 21 57 06:02 Jul. 11 3 M 2084 Jun. 20 7 17:39 Jul. 10 3 M 1 2 3 4 5 Sexagenary cycle assigned to each day. The cycle is the combination of ten Heavenly Stems and twelve Earth Branches. In the table, we express Iljin using Arabic numbers (refer to Appendix B of Lee et al., 2012). Date in the luni-solar calendar before the year 1911; Its month is expressed a roman number. The symbol * represents the lunar leap month (intercalary month). Time by Datongli (or Chiljeongsannaepyeon) for the years 1392 ~ 1653 and 1667 ~ 1669 and by Shixianli for the years 1654 ~ 1667 and 1670 ~ 1910 (refer to Lee et al., 2011). Ordinal number of the day starting with the seventh Heavenly Stem counting from the summer solstice. The number 1 represents the summer solstice itself. L: see the Lee et al. (2009), H: Korean Mental Culture Research Institute (1994), J: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http://www.koreastudy.or.kr), P1, P2 and P3: private collections, G: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C: Korean Astronomical Almanac Database (refer to Lee et al., 2011), M: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2004), K: Keimyung University, S: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the Joseon Dynasty( 承 政 院 日 記 )

8 MIHN ET AL. l (규)증보작력식 적용시기: 하지경일이면 하지로부터 3 경일의 수가 초복이 될 수 있다. (해석) 하지경일인 경우에 하지 후 의 의미가 하지 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 다. 이는 입추경일의 경우 입추시각이 오전 또는 오후에 따라 입추 후 의 해석을 달리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에서 추정한 하지경일인 경우의 초복 결정법은 당 시의 역서자료를 통해 그 변천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4. 삼복의 변천과정 검증 삼복의 변천에 대한 문헌 기록을 검증하기 위해 먼저 Lee et al.(2009)의 대통력법 연구 결과자료, 한국천문연 구원 역서 데이터베이스 구축자료(Lee et al., 2011), 1910년에서 2100년까지의 만세력 자료(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2004), 그리고 국내에 산재하는 역서 자료를 이용하여 하지와 입추가 경일인 해를 조사하였다. 특히 조선에서 대통력 사용기간(1392 년 - 1653년, 1667년 - 1669년)에 대해서는 Lee et al.(2009)의 연구결과, 시헌력 사용기간은 임신(1752년) 백중력, 임자(1792년) 백중력, 임술(1802년) 백중 력, 1910년 이후는 만세력 자료를 기본으로 활용하 였다. 4.1. 초복의 변천 Table 2에는 1392년부터 2100년까지 기간 중에서 하지 가 경일인 해를 정리한 것이다. Table 2에서 1910년 이 전의 모든 날짜는 태음태양력(줄여서 음력 )이고 이후 에는 그레고리력(이후 양력 )으로 나타내었다(굵은선 으로 구분). 음력에서 윤달은 그 월에 *로 나타내었다. 또한 표에서 당시 초복일자 확인이 가능한 경우에는 일 자, 경일의 수( 庚 수), 출처 등을 표기하였다. 그리고 1649년과 1668년 사이에는 이중선으로 표시하였는데, 이는 대통력에서 시헌력으로 전환(1654년)되는 시점이 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조선시대에는 1667년부터 1669 년까지 3년 동안 시헌력 대신에 대통력으로 회귀하여 시행하였다. 따라서 Table 2에서 1668년은 대통력 역서 이므로 1668년과 1670년 사이에도 이중선을 표시하였 다. Table 2에서 숙종 36년(1710년)까지는 초복이 하지로 부터 경일의 수가 4이다. 3.4절에서 추론했던 하지경일 의 초복은 하지를 뺀 다음의 3째 경일(하지로부터 4 경 일 수) 로 하지 후 제3 경일 을 해석한 것과 잘 일치한 다. 반면 숙종 38년(1712년)부터는 하지경일의 초복은 하지로부터 3 경일의 수를 적용하고, 이는 (규)증보작력 식 [또는 (도)증보작력식]의 삼복 구하는 법 의 내용과 일치한다. Table 2에서 하지경일이 발생하는 주기는 원년(기준 년)에 대해서 2년 + 19년이 계속 반복되는 (2 + 19)의 쌍주기 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쌍주기 에 대해서는 부록 A1 참조). 일예로, 하지경일의 해인 1605년의 2년 후인 1607년과 1607년의 19년 후인 1626년도 하지가 경일임 을 알 수 있다. 그러나 1876년, 1878년, 1895년의 경우 처럼 (2 + 17)의 쌍주기가 나타나기도 함을 알 수 있다. Table 2에서 연도에 표시된 네모 윤곽선(실선)은 (2 + 17)의 쌍주기를 나타낸 것(마지막 17년에 해당하는 연 도에 표시)이고, 1895년 이외에도 (2 + 17)의 쌍주기는 1460년, 1563년, 1771년, 2019년, 그리고 2040년에 있다. 1750년-1752년-1754년과 2019년-2021년-2023년에는 하지 경일이 2년 주기로 연이어 2회 발생하는 특이한 사례도 나타난다[네모 윤곽선(점선)으로 표시]. 4.2. 말복의 변천 Table 3에는 1392년부터 2100년까지 기간 중에서 입추 가 경일인 해를 정리한 것이다. 4.1절과 마찬가지로 Table 3에서 1910년 이전의 모든 날짜는 음력이고 이후 에는 양력으로 나타내었다(굵은선으로 구분). 표에서 당 시 말복일자 확인이 가능한 경우에는 일자, 경일의 수 ( 庚 수), 출처 등을 표기하였다. 그리고 1646년과 1659 년 사이에는 이중선으로 표시하였는데, 이는 대통력에 서 시헌력으로 전환되는 시점이며, 대통력 재시행 기간 인 1667년 - 1669년에는 입추경일이 없었다. 초복과 달리, 말복은 한국천문연구원 역서 데이터베 이스에 포함된 백중력 자료를 활용하였다. 백중력 은 간행연도를 기준으로 지난 100년의 월력( 月 曆 )을 기 록한 것으로 10년 단위로 간행하였다(Hu, 2000). 백중 력 은 매월의 절기의 절기일자와 입절시각을 수록하였 는데, 입추는 7월 절기이므로 백중력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반면 5월의 중기인 하지는 백중력 에 기록되지 않는다. Table 3에서 시대별 입추경일인 해의 말복 결정법의 변화 과정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세조실록 에서 처럼 세조 3년(1457년)에 입추경일은 입추로부터 2 경 일 수를 말복으로 한 이래로 18세기 초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보인다. Table 3에 따르면, 영조실록 영조 21년(1745년)이 나 (국)증보작력식의 을축년(1745년) 두주( 頭 註 )의 내용 은 실제로는 경종 2년(1722년)과 경종 4년(1724년)이래 발생했던 변화의 연장선상에서 있었던 사건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당시 책력의 자료만 고려해 보았을 때, 경종 2 년(1722년)부터 입추가 경일일 때 오전경일이면 그 날 (입추로부터 1 경일의 수)이 말복이고, 오후경일이면 다

한국의 삼복 일자 분석 9 Table 3. Year The dates of Ipchu (Enthronement of Autumn) and Malbok (Late Hot Day) in case that the former is the day starting with the seventh Heavenly Stem in Iljin 1. Ipchu Malbok Date 1 Iljin 1 Time 1 Date 1 O.N. 2 Ref. 3 1396 VI 24 47 05:15 L 1398 VI 16 57 17:00 L 1417 VI 16 37 07:29 L 1419 VII 7 47 19:00 L 1438 VII 8 27 09:44 L 1440 VI 30 37 21:15 L 1457 VII 9 7 00:15 (K) VII 9 1 L,A (C) VII 19 2 L,A 1459 VII 1 17 12:00 L 1461 VI 21 27 23:29 L 1478 VII 1 57 02:29 L 1480 VI 21 7 14:15 L 1499 VI 22 47 04:44 L 1501 VII 14 57 16:15 L 1520 VII 14 37 07:00 L 1522 VII 6 47 18:29 L 1541 VII 6 27 09:15 L 1543 VI 27 37 20:44 L,B 1562 VI 28 17 11:29 L,B 1564 VI 20 27 23:00 L,B 1581 VI 28 57 02:00 L,B 1583 VI 20 7 13:29 L,B 1602 VI 20 47 04:15 L,B 1604 VII 11 57 15:44 L,B 1623 VII 12 37 06:29 L,B 1625 VII 4 47 18:00 L,B 1644 VII 5 27 08:44 VII 15 2 L,P3 1646 VI 25 37 20:15 VII 6 2 L,P3 1659 VI 21 47 05:15 VII 1 2 C 1661 VII 13 57 17:00 VII 23 2 C 1680 VII 13 37 07:15 VII 23 2 P1 1682 VII 5 47 18:45 VII 15 2 P1 1701 VII 5 27 09:00 VII 15 2 P1 1703 VI 26 37 20:45 VII 6 2 P1 1722 VI 27 17 10:30 VI 27 1 B,P2 1724 VI 19 27 22:15 VI 29 2 G 1743 VI 19 7 10:45 VI 19 1 B 1745 VII 10 17 22:15 (K) VII 10 1 B,P2 (C) VII 20 2 B,S 1762 VI 19 47 01:00 VI 19 1 B,K 1764 VII 10 57 12:30 VII 20 2 B 1 2 3 Year Ipchu Malbok Date 1 Iljin 1 Time 1 Date 1 O.N. 2 Ref. 3 1783 VII 11 37 03:00 VII 11 1 B,G 1785 VII 3 47 14:30 VII 13 2 G 1804 VII 4 27 04:45 VII 4 1 G 1806 VI 24 37 16:30 VII 5 2 C,G 1825 VI 24 17 06:45 VI 24 1 G 1827 VI 16 27 18:15 VI 26 2 C,G 1846 VI 17 7 08:30 VI 17 1 C,G 1848 VII 9 17 20:15 (K) VII 19 2 C,G (C) VII 9 1 1867 VII 9 57 10:30 VII 9 1 C,G 1869 VI 30 7 22:00 VI 30 1 C,G 1886 VII 9 37 00:45 VII 9 1 C,G 1888 VI 30 47 12:15 VI 30 1 C,G 1907 VII 1 27 02:30 VII 1 1 C,G 1909 VII 23 37 14:21 VII 23 1 C 1928 Aug. 8 57 04:28 Aug. 8 1 M 1930 Aug. 8 27 15:57 Aug. 8 1 M 1949 Aug. 8 7 06:15 Aug. 8 1 C 1951 Aug. 8 57 17:37 Aug. 8 1 C 1970 Aug. 8 57 07:54 Aug. 8 1 C 1972 Aug. 7 7 19:29 Aug. 7 1 C 1991 Aug. 8 47 09:37 Aug. 8 1 C 1993 Aug. 7 57 21:18 Aug. 7 1 C 2012 Aug. 7 37 11:30 Aug. 7 1 M 2014 Aug. 7 47 23:02 Aug. 7 1 M 2031 Aug. 8 17 01:42 Aug. 8 1 M 2033 Aug. 7 27 13:14 Aug. 7 1 M 2052 Aug. 7 7 03:32 Aug. 7 1 M 2054 Aug. 7 17 15:05 Aug. 7 1 M 2073 Aug. 7 57 05:19 Aug. 7 1 M 2075 Aug. 7 7 17:07 Aug. 7 1 M 2094 Aug. 7 47 07:10 Aug. 7 1 M 2096 Aug. 6 57 18:52 Aug. 6 1 M See footnotes in Table 2. Ordinal number of the day starting with the seventh Heavenly Stem counting from Ipchu. The number 1 represents Ipchu itself. The symbols K and C represent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A: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 朝 鮮 王 朝 實 錄 ), B: Baekjungryeok (One Hundred-year Almanac). For the rest, see footnotes in Table 2.

10 MIHN ET AL. 음 경일(입추로부터 2 경일의 수)이 말복이 되었다. 1745년의 시헌서 역면( 曆 面 ) 상에서는 7월 10일(1 경일 의 수)이 말복으로 표기되어 있다. 그러나 2.2절의 영 조실록 이나 승정원일기 에 따르면, 당시 말복을 7 월 20일로 변경하여 입추로부터 2 경일의 수에서 지냈 음이 분명해 보인다. 입추가 오전경일과 오후경일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정 하던 말복은 헌종 14년, 도광( 道 光 ) 무신년(1848년)에 변경된다. Table 3의 경일( 庚 日 )의 수(O.N.) 는 1848년 역서의 역면( 曆 面 )에 기록된 것을 적용한 것이다. 그러 나 (규)작력식등에는 지금 이후부터... ( 自 今 以 後...) 라고 했으므로 1848년 당시부터 말복을 7월 9일(1경일의 수) 로 시행했을 수 있다. 따라서 오전경일이나 오후경일 에 관계없이 입추가 경일이면 그 날을 말복으로 한다 는 방법은 헌종 12년(1846년)부터이거나 늦어도 고종 4 년(1867년)부터 적용되었다. Table 3의 입추가 경일인 해도 4.1절 Table 2처럼 대 체로 (2 + 19)의 쌍주기 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더불 어 (2 + 17) 쌍주기도 나타나는데, 마지막 17년에 해당 하는 연도인 1457년, 1478년, 1581년, 1762년, 1886년, 2031년에 네모 윤곽선(실선)으로 표시하였다. 1457년 -1459년-1461년에는 입추경일이 2년 주기로 연이어 2회 발생하는 특이한 사례이다. 1646년과 1659년은 13년 차이인데, 대통력에서 시헌 력으로 전환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24기를 결정함에 있어 대통력은 평기법을, 시헌력은 정기법을 사용하였다. 평기법이 회기년을 단순히 24등분하여 날 짜를 계산하는 방법인데 비해, 정기법은 평기법으로 구 한 24기에 보정값을 가감해 천체의 실제 위치를 반영한 날짜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시헌력 개력 전후로 입추가 경일인 해가 드는 시점이 변화한 것으로 보인 다. 평기법에서 정기법으로 전환될 때 두 방법 간의 절 일이나 입절시각 차이는 분점과 지점이 상대적으로 적 고, 이 이분이지( 二 分 二 至 )를 벗어날수록 차이가 커진 다. 5. 토의 5.1. 간행연대 작력식 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도)증보작력식에는 그 마지막 페이지에 <역식발 ( 曆 式 跋 )>이라는 비교적 짧은 발문이 있다. 이 역식( 曆 式 )을 보면 가히 끝까지 다했다 고 말할 수 있다. 이 방법 그대로 하면 비록 100세가 지나더라도 가히 (책력 만드는 법을) 알 수 있다. 계사년 8월 정미일 해평 윤두수 21 윤두수는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정계에 재기 용되어 선조를 곁에서 모시면서[ 扈 從 ] 22, 어영대장 23, 우 의정(선조 25년 5월 1일) 24 을 거쳐 좌의정 25 에까지 올랐 다. <역식발>의 계사년 8월 정미일 해평 윤두수 의 문구로부터, 계사년은 선조 26년(1593년), 8월 정미일은 26일(Han, 2001; Ahn et al., 2009)로 추정할 수 있다. 이 발문으로 보아 1593년 8월에 간행된 역식( 曆 式 ) 이라는 저본( 底 本 )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현존 하지 않는 이 책이 작력식 의 시작인지는 알 수 없지 만, 당시 정황으로 미루어볼 때, 이 역식 은 전쟁 중 에 긴급히 역서를 만들거나 그 만드는 법을 보존하기 위해 작성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도)증보작력식이 1593년 당시의 역식 이 라고는 볼 수 없다. 필사본인 이 책의 필체가 발문의 필체와 일치하지 않는 이유도 있지만, 본문에 있는 두 주( 頭 註 )에는 1800년대의 기록이 덧붙여 있어 1593년의 기록으로 단정할 수 없다(Figure 1 참조). 3.4절의 말복 결정법에 대한 변천 과정으로부터 (규) 증보작력식의 간행 연도를 추정할 수 있다. (규)증보작 력식은 최소 역식발( 曆 式 跋 ) 이 쓰였던 1593년 8월 이후에 간행되었고, (도)증보작력식의 삼복 관련 두주에 언급된 을축년(1745년) 후부터 무신년(1848년) 전 사이 에 간행되었을 것이다. (규)증보작력식의 마지막장에 있 는 경인년 11월에 증보판을 처음으로 간행하였다( 庚 寅 仲 冬 增 補 開 刊 ). 라는 기록에서 경인년은 영조 46년 (1770년)이나 순조 30년(1830년)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Table 2에서 숙종 38년(1712년)부터 초복 결정법이, Table 3에서 경종 2년(1722년)의 말복 결정법이 (규)증 보작력식과 일치한다. 따라서 (규)증보작력식이 간행된 경인년이 영조 46년(1770년)도 가능하다. (규)증보작력식의 간행시기가 (도)증보작력식의 필사 시기보다 빠른 것으로 보인다. (도)증보작력식에는 (규) 증보작력식의 모든 내용과 함께 칠요단목( 七 曜 段 目 ) 이 부록으로 부가되어 있고, 두주의 기록에서 헌종 14 년(1848년)의 설명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Table 1에 나타난 편제나 삼복 구하는 법[ 求 三 伏 ]의 할 주로부터 간행본 (규)증보작력식이 (규)작력식, (칠)작력 식, (추)작력식의 저본일 수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21 觀 此 曆 式, 可 謂 至 矣, 盡 矣. 一 如 此 規, 雖 百 世, 可 知 矣. 癸 巳 八 月 丁 未. 海 平 尹 斗 壽. 22 선조실록 권26, 선조 25년(1592년) 4월 29일(무오). 23 선조수정실록 권26, 선조 25년(1592년) 5월 1일(경신). 24 선조실록 권26, 선조 25년(1592년) 5월 3일(임술), 선조수정실록 권 26, 선조 25년(1592년) 5월 1일(경신). 25 선조실록 권27, 선조 25년(1592년) 6월 2일(경인), 선조수정실록 권 26, 선조 25년(1592년) 6월 1일(기축).

한국의 삼복 일자 분석 11 Table 4. Case (Day No.) Case I (47 days) Case II (48 days) The distribution of the day number between Haji (Summer Solstice) and Ipchu (Enthronement of Autumn) during the period of 1900 2100. 5.2. 월복률 Haji Jun. 20 Jun. 21 Jun. 22 Jun. 23 Jun. 20 Jun. 21 Jun. 22 Date Ipchu Aug. 6 Aug. 7 Aug. 8 Aug. 9 No. of Year (Ratio) 7 91 74 Sub-total 173 (83.1%) Aug. 7 Aug. 8 Aug. 9 1 8 17 Sub-total 28 (13.9%) 3 Total 201 (100%) 초복과 중복의 간격은 10일 차이를 가진다. 앞서 언급 한 것처럼, 중복과 말복 사이가 10일이면 평복이고, 20 일이면 월복이라고 한다. 삼복에서 월복이 될 가능성을 나타낸 것이 월복률이다. 즉 일정기간 동안의 삼복 중 에서 월복이 차지하는 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Lee(1985)에 따르면, 하지 전 1, 2, 3일(하지일 제외) 이 각각 경일이거나 입추일, 그 다음날, 그 다음다음날 이 각각 경일일 때는 월복하는 일이 없고, 그 밖의 경 우는 모두 월복한다 고 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만세력 을 이용하여 1900년 - 2100년까지 201년 동안의 하지 - 입추 기간의 일수 분 포를 조사하였다(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2004). 이 기간 동안 하지는 6월 20일 - 21일에 서 22일 - 23일로 변화하였고, 입추는 8월 6일 - 7일에 서 8일 - 9일로 변화하였다. 그리고 하지 - 입추 기간의 일수는 47일과 48일인데, 그 비율은 Table 4에 나타내 었다. Table 5는 하지에서 입추까지의 일자 간격이 47일인 경우에 대해, Table 6은 하지에서 입추까지 48일인 경 우에 대해 평복과 월복의 경우 수를 각각 조사하였다. Table 5와 Table 6에서 일진의 천간 중 굵은 글씨로 표 시되어 있는 것이 평복이고 나머지가 월복이다. 조사 결과 Table 5의 경우는 Lee(1985)의 설명과 일치하지만, Table 6은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Table 5와 Table 6을 보면 월복이 평복보다 많다. 하지에서 입추까지의 길이가 47일인 경우에는 월복률이 70%이고, 48일인 경우에는 80%이다. 따라서, 1900년 - 2100년까지 하지 - 입추 기간의 일수와 오늘날 삼복 결 Table 5. Heavenly Stems Haji 7th 6th 5th 4th 3rd 2nd 1st 10th 9th 8th Ipchu 4th 3rd 2nd 1st 10th 9th 8th 7th 6th 5th Jungbok (Jul.) Malbok (Oct.) Duration between Jungbok (Middle Hot Day) and Malbok (Late Hot Day) in Case I of Table 4. Date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10 11 12 13 14 15 16 07 08 09 Duration 20 20 20 20 20 20 20 10 10 10 Table 6. Duration between Jungbok (Middle Hot Day) and Malbok (Late Hot Day) in Case II of Table 4. Heavenly Stems Haji 7th 6th 5th 4th 3rd 2nd 1st 10th 9th 8th Ipchu 5th 4th 3rd 2nd 1st 10th 9th 8th 7th 6th Jungbok (Jul.) Malbok (Oct.) Date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10 11 12 13 14 15 16 17 08 09 Duration 20 20 20 20 20 20 20 20 10 10 정법을 이용한 월복률은 대략 71.39%(=0.7 86.07% + 0.8 13.93%)가 됨을 알 수 있다. 만약 세조 3년(1547년)에서 숙종38년(1712년) 동안의 삼복 결정법에 따라 Table 6의 통계를 적용하여 월복률 을 구하면 약 71.39%가 나오고, 영조 19년(1743년)에서 순조 27년(1827년) [혹은 고종 4년(1867년)] 동안의 월복 률은 76.39%으로 계산된다. 6. 결론 조선시대에는 이사( 二 社 ), 한식( 寒 食 ), 삼복, 납( 臘 ), 토왕 용사( 圡 王 用 事 )의 다섯 가지 대표적인 절일이 있었다. 이 절일은 망, 합삭, 상현, 하현 등과 더불어 당시의 역 서에 기록되었고, 현대에도 한식( 寒 食 ), 삼복, 토왕용사 가 역서나 달력에 남아 민간에서 좋은 풍속으로 전해져 오고 있다. 그 중 삼복은 춘추시대(BCE 770 BCE 221) 즈음부터 전해 내려오는 동아시아의 잡절로 초복, 중복, 말복으로 이어지는 혹서의 시기이다. 이 삼복의 기간은 20일 또는 30일이다.

12 MIHN ET AL. 삼복을 결정하는 방법은 하지 후 제3 경일이 초복이 고, 제4 경일이 중복이며, 입추 후 제1 경일이 말복이 다. 보통 두 복일 사이의 간격은 10일 차이를 가지지만, 중복과 말복은 절기의 기준이 달라 20일 차이가 나는 월복이 자주 발생한다. 하지가 경일인 날에 초복을 결정하거나 입추가 경일 인 날의 말복을 결정하는 방법은 조선 500여 년 동안 변화해왔다. 하지가 경일인 경우는 하지로부터 4 경일의 수(하지 후 제3 경일)를 초복으로 하는 방법이 조선 초기에 정 해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조선시대 역서 상으로 는 숙종 38년(1712년)부터는 하지가 경일이면 하지로부 터 3 경일의 수를 초복으로 하였고, 이는 규장각의 증 보작력식 이나 국립중앙도서관의 증보작력식 에 기 록된 삼복 구하는 법 의 내용과 일치한다. 이후로 변함 없이 오늘날까지 하지경일이면 하지로부터 3 경일의 수 를 초복으로 결정하고 있다. 세조 3년(1457년)부터는 입추가 경일이면 다음 경일 이 말복이었다. 경종 2년(1722년)부터 입추가 경일일 때 오전경일이면 그 날(입추로부터 1 경일의 수)이 말복이 고, 오후경일이면 다음 경일(입추로부터 2 경일의 수)이 말복이 되었다. 규장각의 증보작력식 이나 국립중앙 도서관의 증보작력식 에 남아있는 삼복을 구하는 법 은 늦어도 경종 2년(1722년) 이후의 방법을 기록한 것이다. 약 120년 뒤인 헌종 12년(1846년) [또는 늦어도 고종 4년(1867년)]부터는 오전경일이나 오후경일에 관계 없이 입추가 경일이면 그 날을 말복으로 하였고, 이러 한 말복 결정방법이 원칙이 되어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작력식 의 저본은 1593년 8월에 간행된 역식 으 로 추정된다. 이는 임진왜란 중에 긴급히 역서를 만들 거나 그 만드는 법을 보존하기 위해 작성한 것으로 보 인다. 작력식 류 중 현존하는 최고본은 규장각의 증 보작력식 으로 보이는데, 이 책의 간행연도는 영조 46 년(1770년)까지로 추정할 수 있다. 오늘날 삼복 구하는 법 에 의해 월복이 나타나는 비율을 구하면 약 71.39%로 30일의 삼복기간이 20일의 삼복기간보다 약 2.5배 이상 많은 것으로 계산되었다. 오늘날 삼복의 결정법은 작력식 의 변천을 이어받 아 관습적으로 정하고 있다. 본 연구가 음력 역법에서 의 잡절의 규정을 만드는데 역사적 근거가 되기를 기대 한다. 감사의 글 이 연구를 위해 귀중한 자료를 열람할 수 있도록 도 와주신 경북대학교, 계명대학교 도서관 관계자 및 개인 소장자께 감사드립니다. 이기원은 2013년 정부(교육부) 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 받아서 연구를 수행 하였습니다(2013R1A1A2013747). REFERENCES Korean Mental Culture Research Institute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1994, Old Literature Collection Vol. 18, Yueseong Press (Seongnam), pp.662-666 Ahn, Y. S., Han, B. S., Sim K. J., & Song, D. J., 2009, Arrangement of Chronological Tables on Joseon Dynasty (조선시대 연력표), Korean Studies Information Co. Ltd. (Paju), p.81 Choi, S. G., 2003, Collection of Materials for Korean Seasonal Customs - Three Kingdom Period Goryeo Period,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국립민속 박물관), Graphic siseon (Seoul), pp.229-236 Han, B. S., 2001, Arrangement of Chronological Tables on Korea (Vol. II) [한국연력대전 (하)], Yeungnam University Press (Gyeongsan), pp.1457-1593 Hu, Y. S., 2000,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nd Works of the Astronomical Section of Gwan-sang-gam in the Late Chosŏn Dynasty Focusing on the period since the late 18th century, Msc.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Jeong, S. M., 2007, Almanac of Seasonal Customs of Joseon III,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Minsokwon (Seoul), pp.89-240 Kim, J. T., 2002, A Look at the Kyeongjinnyeon Daetongryeok, The Review of Folk Life and Culture, 7, 69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한국천문 연구원), 2004, Manseryeok (Ten-Thousand-Year Almanacs, 한국천문대 만세력), Myeongmundang (Seoul), pp.20-413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2011, Korean Astronomical Almanac for the Year 2012, Namsandang (Seoul), p.212 Lee, E. S., 1985, Fundamental Analysis of the Astronomical Calendar (역법의 원리분석), Jeongeumsa (Seoul), p.37 Lee, C. H. & Choi, S. G., 2003, Almanac of Seasonal Customs of Joseon I,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Minsokwon (Seoul), pp. 54-347 Lee, K. -W., Ahn, Y. S., Mihn, B. -H., & Lim, Y. -R., 2009, Study on the Period of the Use of Datong-li in Korea, JASS, 27, 1 Lee, K. -W., Ahn, Y. S., Mihn, B. H., & Shin, J. S., 2011, Database Construction and Textual Analysis of Korean Astronomical Almanacs, PKAS, 26, 1

Lee K. -W., Ahn, Y. S., & Mihn, B. -H., 2012, Verification of the Calendar Days of the Joseon Dynasty, JKAS, 39, 1125 한국의 삼복 일자 분석 13

14 MIHN ET AL. 부 록 A1. 하지경일 또는 입추경일의 주기 하지경일과 입추경일인 해에서 보이는 주기성을 이해하 기 위해, 입추가 경일인 해의 주기를 다음과 같이 계산 할 수 있다. 입추는 24기 중의 하나로서 1년(356.2422일)의 주기 를 갖는다. 반면 경일( 庚 日 )은 일진( 日 辰 ) 중에 천간( 天 干 )이 경( 庚 )이 들어간 날로 10일마다 나타난다. 하지경 일 또는 입추경일의 주기를 계산하기 위해 회귀년과 천 간의 공배수를 얻어야 한다. 회귀년을 10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회귀년 천간의 수 일 일 여기서 정수 36은 1년 동안 반복된 천간의 회수를 의미한다. 다시 표현하면 365.2422일에서 360일은 천간 이 반복되므로 이를 제외하고 나면, 5.2422일을 10으로 나눈 값이 주기를 구하는데 필요하다. 0.52422일을 번분 수로 표현하면 로 주어지며, 이를 연분수로 고쳐 쓰면 다음과 같다. 위 연분수의 매 항까지의 합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2항까지의 합: 3항까지의 합: 4항까지의 합: 5항까지의 합: 6항까지의 합: 7항까지의 합: 각 항의 수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2항: 5.2422 2(년) = 10.4844 = 10 1(회)+0.4844 3항: 5.2422 19(년) = 99.6018 = 10 10(회) 0.3982 4항: 5.2422 21(년) = 110.0862 = 10 11(회)+0.0862 5항: 5.2422 103(년) = 539.9466 = 10 54(회) 0.0534 6항: 5.2422 124(년) = 650.0328 = 10 65(회)+0.0328 7항: 5.2422 227(년) =1189.9794 = 10 119(회) 0.0206 위 식의 우변 마지막 항을 24시각 또는 12시진( 時 辰 )으 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2항의 +0.4844(일) = +11.63(시) = +5.81(시진) 3항의 0.3982(일) = 9.56(시) = 4.78(시진) 4항의 +0.0862(일) = +2.07(시) = +1.03(시진) 5항의 0.0534(일) = 1.28(시) = 0.64(시진) 6항의 +0.0328(일) = +0.79(시) = +0.39(시진) 7항의 0.0206(일) = 0.49(시) = 0.25(시진) 이는 근사적으로 2년, 19년, 21년, 103년, 124년, 227 년마다 천간이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입추가 경일인 어떤 해를 기준으로 2년, 19년, 21년(2년 + 19 년), 103년, 124년(= 21년 + 103년), 227년(= 103년 + 124년) 등이 되는 해도 입추가 경일이 된다. 이 주기를 도식으로 나타내면 Figure A1과 같다. 2년, 19년, 21년 주기는 (원년 2년) 쌍과 19년 뒤 인 (19년 21년) 쌍의 주기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2년 후에는 입절시각 차이가 약 +5.8시진이 되며, 따라서 0년의 입절시각이 오전이면, 2년 후에는 오후가 된다. 그러나 19년 주기의 경우에는 약 -4.78시진이 되 며, 실제로는 2년 + 19년(이후 (2 + 19)의 쌍주기 )의, 다시 말해서 21년 이후의 입절시각과 비슷하게 된다. 즉 어떤 해의 입절시각이 오전(오후)이면 21년 후에도 오전(오후)이 된다. 또한 (원년 2년) 묶음이 원년으로 부터 21년 후에 (21년 23년)의 묶음으로 반복해서 나 타난다. 다시 말해 입추가 경일인 해는 (원년 2년) (19년 2년) (19년 2년) (19년 2년)의 식으로 반복 되게 된다. 한편 103년, 124년, 227년의 주기를 분석해 보면, (원년 2년) 쌍주기가 원년으로부터 19년 후인 (19년 21년) 쌍주기로 발생하기도 한다(이후 (2 + 17)의 쌍주 기 ). 103 = 0+(2+17)+(2+19)+(2+19)+(2+19)+(2+19)

한국의 삼복 일자 분석 15 Figure A1. Occurence cycle of years when Haji (Summer Solstice) or Ipchu (Enthronement of Autumn) is the day starting with the seventh Heavenly Stem in Ilji. 124 = 0+(2+17)+(2+19)+(2+19)+(2+19)+(2+19)+(2+19) 227 = 0+(2+17)+(2+19)+(2+19)+(2+19)+(2+19)+(2+19) +(2+19)+(2+19)+(2+19)+(2+19)+(2+17) 위의 등식에서 괄호는 쌍주기를 의미하는데, (2 + 19)의 쌍주기 가 원년(0년) 이후 (21년 23년) 쌍주기에 해당하고, (2 + 17)의 쌍주기 가 원년 이후 (19년 21 년) 쌍주기를 나타낸다. 103년 주기는 5번의 쌍주기 중 에 (2 + 17) 쌍주기 가 1차례 있고, 124년 주기는 6번 의 쌍주기 중 역시 (2 + 17)의 쌍주기 가 1차례 있다. 또한 227년 주기에서는 11번의 쌍주기 중 (2 + 17) 쌍 주기 가 2차례 있다. (2 + 17) 쌍주기 는 최소 5번 만에 최대 10번 만에 다시 나타날 수 있다. 계산에 의하면 (2 + 17) 쌍주기 의 경우, 2년째 입 추(오후경일)의 입절시각은 주로 해정( 亥 正 ) - 자초( 子 初 ), 즉 22시 - 24시에 해당하고, 17년째 입추(오전경일) 의 입절시각은 자정( 子 正 ) - 축정( 丑 正 ), 즉 0시 - 3시에 해당한다. 2년 주기에서 절입시각의 차이가 +0.4844(일) = +11.63(시) (약 11시 38분) = +5.81(시진)이다. 만약 하지 경일의 원년의 절입시각이 12시 00분 = 오정초각 (6.00 시진) 전후 이면, 원년 후 2년과 원년 전 2년에도 하지 경일이 올 수 있다. Table A1은 Table 2의 하지경일인 해의 서기연수를 정리한 것이고, Table A2는 Table 3의 입추경일인 해의 서기연수를 정리한 표이다. Table A1과 Table A2에서 행단위로 서기연수를 비교해 보면 하지경일 또는 입추 경일인 해의 103년 주기의 형태를 살펴볼 수 있다. 일 례로 1654년 대통력에서 시헌력 개력된 영향이 1600년 대와 1700년대 사이에서의 103년 주기가 어긋나게 하고 있다. 하지경일이 2년 주기로 연속 2회 발생하는데, Table A1에서는 1750년-1752년-1754년과 2019년-2021년 -2013년이 있고, Table A2의 입추경일에서는 1457년 -1459년-1461년이 있었다. A2. 삼복의 세시풍속 Choi(2003), Lee & Choi(2003)과 Jeong(2007)에는 사회풍 속을 기록한 조선후기의 다양한 세시기를 소개하고 있 다. 유득공( 柳 得 恭, 1748년 - 1807년)의 경도잡지( 京 都 雜 志 ), 김매순( 金 邁 淳, 1776년 - 1840년)의 열양세시기( 洌 陽 歲 時 記 ), 홍석모( 洪 錫 謨, 1781년 - 1857년)의 동국세 시기( 東 國 歲 時 記 ), 조운종( 趙 雲 從, 1783년 - 1820년)의 세시기속( 歲 時 記 俗 ), 권용정( 權 用 正, 1801년 -?)의 한 양세시기( 漢 陽 歲 時 記 ), 조수삼( 趙 秀 三, 1762년 - 1849년) 의 세시기( 歲 時 記 ), 최영년( 崔 永 年, 1856년 - 1935년)의 해동죽지( 海 東 竹 枝 ), 그밖에 이색( 李 穡, 1328년 - 1396 년)의 목은선생집( 牧 隱 先 生 集 ) 에는 삼복의 세시풍속이 기술되어 있다. 복( 伏 )은 음양오행적으로 더위에 굴복한다 는 의미 를 가지고 있었다. 세시기속( 歲 時 記 俗 ) 면암집( 勉 庵 集 ) 에는 경금( 庚 金 )의 기운이 화( 火 )의 기운을 만나 굴복했으니 이때를 복날이라고 한다 고 하였고, 최남선 ( 崔 南 善, 1890년 - 1957년)의 조선상식( 朝 鮮 常 識 ) 에는 더운 기운[ 火 ]이 가을의 서늘한 기운[ 金 ]을 제압하여 굴복시켰다 고 해석하고 있다(Lee & Choi, 2003). 삼복은 여름 중 매우 더운 시기이므로 충재, 곧 전 염병에서 보호받고자 하는 관습적 행위가 세시풍속으로 전해져왔다. 즉 삼복의 음양오행적인 해석과 결부되어,

16 MIHN ET AL. Table A1. Summary of the year when Haji (Summer Solstice) is the day starting with the seventh Heavenly Stem in Iljin. B Year = A + C C 00 10 20 30 40 50 60 70 80 90 A 1300 99, 1400 01 20,22 41,43 60,62 81,83 1500 02,04 23,25 44,46 63,65 84,86 1600 05,07 26,28 47,49 68,70 89,91 1700 10,12 31,33 50,52,54 71,73 92,94 1800 13,15 34,36 55,57 76,78 95,97 1900 16,18 37,39 58,60 79,81 2000 00,02 19,21,23 40,42 61,63 82,84 A: century, B: decade, C: year of decade Table A2. Summary of the year when Ipchu (Enthronement of Autumn) is the day starting with the seventh Heavenly Stem in Iljin. B Year = A + C C A 0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300 96,98 1400 17,19 38,40 57,59,61 78,80 99, 1500 01 20,22 41,43 62,64 81,83 1600 02,04 23,25 44,46 59,61 80,82 1700 01,03 22,24 43,45 62,64 83,85 1800 04,06 25,27 46,48 67,69 86,88 1900 07,09 28,30 49,51 70,72 91,93 2000 12,14 31,33 52,54 73,75 96,94 A: century, B: decade, C: year of decade 더위를 피하고 보양식을 먹음으로서 건강을 보충하는 풍속이 발생하였다. 대표적인 보양식은 개장국과 팥죽 이었다. 가. 개장국 개장국은 구장( 狗 醬 ), 구갱( 狗 羮 ), 구학( 狗 臛 )이라고도 하 였다. - 경도잡지( 京 都 雜 志 ) : 개고기를 삶을 때 파뿌리를 같이 넣으며 닭고기나 죽순을 추 가하면 맛이 더 좋아지는데, 이것을 개장( 狗 醬 )이라고 한다(Jeong, 2007). - 열양세시기( 洌 陽 歲 時 記 ) : 개를 삶아 국을 해먹는 것은 양기를 돕기 위한 것이다 (Jeong, 2007). - 동국세시기( 東 國 歲 時 記 ) : 개고기를 파와 함께 푹 삶은 것을 개장( 狗 醬 )이라고 하는 데, 거기에 닭고기와 죽순을 넣으면 더욱 좋다. 또 개장국을 만들어서 산초가루를 치 고 흰밥을 말면 시절 음식이 된다. 저자 거리에서도 이것을 많이 판다(Jeong, 2007). - 한양세시기( 漢 陽 歲 時 記 ) : 삼복에는 개장 국이나 팥죽을 먹으니 더위를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Lee & Choi, 2003). - 세시기속 면암집 : 복날이 되면 사람들 이 모여 개를 삶아 국을 만들어 먹었으며, 중복( 中 伏 )이나 말복에도 마찬가지이다(Lee & Choi, 2003). - 세시기( 歲 時 記 ) 추재집( 秋 濟 集 ) : 삼복 의 풍속은 유두날과 같이 척양( 滌 暘 )하는데 사람들이 모두 닭을 잡고, 개를 삶아서 시 냇가에서 목욕하고, 하루 종일 술을 마시며 노래한다(Lee & Choi, 2003).. - 해동죽지( 海 東 竹 枝 ) : 복날 개장국을 먹으 니 이를 복놀이라고 한다(Lee & Choi, 2003). 나. 팥죽 팥죽은 두죽( 豆 粥 ), 적두죽( 赤 豆 粥 )이라고 하였다. - 이색( 李 穡, 1328년 - 1396년)의 목은선생집 ( 牧 隱 先 生 集 ) : 푸른 사발의 팥죽에 벌꿀 을 타서 마시니, 바로 서늘한 기운이 살 속 에 스며드는 듯 했네 (Choi, 2003). - 동국세시기( 東 國 歲 時 記 ) : 붉은 팥으로 죽 을 쑤어 먹는데 삼복에 다 그렇게 한다 (Jeong, 2007). - 열양세시기 : 팥죽을 쑤는 것은 여역 귀신 을 물리치기 위한 것이다(Jeong, 2007). 팥죽은 벽사( 辟 邪 )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유행병 을 막는 벽사( 辟 邪 )의 속신( 俗 信 )으로, 삼복에는 개를 잡아 문에 매달기도 했는데, 경기도에서는 개를 잡아 그 피를 문 앞에 뿌리고, 그 고기를 먹으면 장티푸스 병마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고 믿었고, 황해도에서는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1월 15일 개를 잡아 그 고기를 먹고 피를 벽에 바른다고 하였다(Lee & Choi,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