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전문 용어와 국어생활 전문 용어의 표준화 -남북 표준에서 시맨틱 웹까지- 최기선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 교수 1. 전문 용어 표준화가 사회 문화를 향상시키는가? 전문 용어 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이 질문은 매일 마시는 공기 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느냐고 묻는 것과 같다. 있을 때에는 없 는 듯하지만, 없으면 곧 있어야 함을 아는 것이 공기이다. 사람이 무엇인 가 하려면 생각을 하고, 생각을 하려면 언어가 있어야 한다. 언어는 단어 를 나열하여 놓은 것인데, 그 단어 중에 중요한 개념은 전문 용어로 표현 된다. 전문 용어는 생각을 표현하는 수단이다. 일상생활에서도 우리는 자동차를 타고 운전을 하려면, 시동을 건 다음 곧 핸드브레이크를 풀고 액셀 페달을 밟아야 자동차가 굴러 가기 시작한 다 고 알고 있다. 자동차라는 생활 문맥 속에서 핸드브레이크, 액셀 과 같은 단어가 등장한다. 그런데 누구나 알고 있는 단어를 쓰고 있지만 그 렇게 개운하지가 않다. 가속기 는 액셀, 액셀러레이터 와 같은 여러 가 지 표현으로 나타난다. 소음기 가 머플러, 마후라 와 같은 여러 표현으 로 쓰이고 있다. 한 뜻이 여러 가지 용어로 표현되는 것이다. 인터넷 검색 특집ㆍ전문 용어와 국어생활 11
을 할 때, 결국 여러 가지 단어를 넣어서 모두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 러나 가능한 모든 용어 표현을 상상하기가 쉽지 않고, 또 모두 찾기도 어 렵다. 용어를 표준화하여 한 가지 표현만 쓰도록 하여야 한다고 하지만, 말은 쉬워도 모든 표준화된 용어를 일일이 외우기는 쉽지 않다. 컴퓨터가 이것 을 도와줄 수는 없을까? 여기서 컴퓨터 과학이 적용되는 접점이 나온다. 1세기 이전 일본은 전문 용어의 표준화를 시작하였다. 용어의 표준화 사업이라는 것은 새로운 개념이 많이 생겨 나와서 한 가지 표현으로 써야 만 할 때에 발생한다. 의사소통도 하고 토론을 잘할 수 있게 되어야 한다 는 신호이다. 메이지 유신 직후나 제2차 세계 대전 전후의 시점에서 일본 은 전문 용어 집성에 대한 시간표를 마련하였다. 그 후 1980년대 초반, 일본에서는 언어 장벽의 극복이라는 사회 문화적 목표가 있어, 컴퓨터로 외국어를 번역하려는 연구 개발이 국가적 과제가 된 적이 있었다. 국가의 기반으로서 개념을 대표하는 용어의 정리는 장기적인 사회 문화적 목표를 달성함은 물론, 기술 발전을 통하여 국민의 전문 의식 수준의 향상, 국가 관리의 효율화와 더불어 자생적 학문의 발전과 잉태를 낳는 원동력이 되 는 것이다. 2. 전문 용어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인가? 프로그램을 돌리다, 선반을 돌리다 를 번역하기 위하여 찾아본 돌리 다 에 대한 관련 한영 대역 사전 항목은 다음과 같다. [가동 운영하다] work; operate; run; drive; set [put] in motion. 기계를 set a machine in motion/work [operate] a machine. 공장을 operate a plant. 그러나 실제 전문 용어는 각 용례에 따라 사전의 일반적 용례와는 다른 번역을 보임을 알 수 있다. 12 새국어생활 제17권 제1호(2007년 봄)
프로그램을 돌리다 run the program 문서를 돌리다 pass the handout 다이얼을 돌리다 dial 전문 용어의 표준화나 연구가 전문 용어라는 명사에 국한하지 않으며 전문 분야의 글 쓰임새 전체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하여야 함을 알 수 있 다. 이와 같이 각각의 명사의 속성에 따라 다양한 의미가 존재한다. 전문 용어의 다의성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이를 문형으로 표현하여, 세분화 된 한영 전문 용어 사전이 잘 만들어져야 하겠다. 3. 전문 용어 표준에 원칙이 있는가? 영어 용어에 대해 가능한 한국어 대역어 후보들 가운데서 적절한 대역 어를 선정하기 위한 심의 원칙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국제표준기구인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Standards)의 표준규격집인 ISO 704 가 있다.(여기서 704는 ISO의 문서 일련번호임.) 또 하나는 2002년도 남 북 용어 통일 표준화 원칙 이 있다. 이들을 소개하고, 그다음에 한국어 전 문 용어의 실정에 알맞게 수정 보완한 내용을 설명하고자 한다. 3.1. ISO 704에서 제시하는 용어 표준화 원칙: 국제 규격의 권장안 ISO 704에서는 언어에 상관없이 적용되는 용어의 개념 체계에 대해서 는 규범적 규격안을 제시하지만, 용어의 형성 원칙은 해당 언어의 상이한 어휘, 형태 통사 구조 및 음운 구조가 영향을 미치므로 국제 규격보다는 국가 규격에서 정할 것을 권장한다. 기존 용어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경우 만족스럽지 못하더라도 절실한 이유가 없는 한 그냥 사용하는 경우 를 허용하되, 가능하면 일반 원칙들을 가장 잘 만족하는 용어를 표준어로 정할 것을 권장한다. 여기서 권장하는 일반 원칙들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 다. 특집ㆍ전문 용어와 국어생활 13
(1) 투명성(transparency) 용어는 사전적 정의를 보지 않더라도 그것이 나타내는 개념이 (적어도 부분 적으로) 유추될 수 있을 때 투명성이 높다고 말할 수 있다. 예) torgue wrench와 monkey wrench 중에서 torgue wrench가 선호됨. (2) 일관성(consistency) 어떤 분야의 용어든지 그 분야 개념 체계에 상응하는 응집된 용어 체계를 유지해야 한다. 예) 합성 섬유: nylon, orlon, dacron, rayon, 에서처럼 새로운 합성 섬유 명칭은 일관되게 -on 을 붙여서, 개념 체계에서 등장하는 기존의 방식 을 준수하는 것이 좋음. (3) 적합성(appropriateness) 제안된 새 용어는 그 언어 공동체 안에서 친숙하게 통용되는 패턴을 따라야 한다. 예) atomic energy와 nuclear energy 중에서 보다 과학적인 정밀성 면에서 보면, nuclear energy가 적합한 용어임. (4) 언어적 경제성(linguistic economy) 용어는 가능하면 간략해야 한다. 과도하게 긴 용어는 결정적인 단점이 된 다. 즉, 언어적 경제성 원리를 위반하게 되면 그 용어의 완전 형태 대신에 흔히 생략 표현을 사용하게 된다. 예) terminological data bank보다 term bank가 경제적인 표현임. (5) 파생력(derivability) 파생어를 허용하는 생산적인 용어 형성 방식을 가능하면 받아들여야 한다. 예) herb와 medicinal plant 중에서 herb는 많은 파생어, 즉 herbaceous, herbal, herbalist, herby를 수반하므로 선호되는 용어임. (6) 언어학적 정확성(linguistic correctness) 용어는 해당 언어의 단어 형태론이나 음운 규칙에 관련된 규범을 따라야 한다. 14 새국어생활 제17권 제1호(2007년 봄)
(7) 모국어에 대한 선호도(preference for native language) 다른 언어로부터 도입된 차용어가 용어 형성의 한 방법이기는 하지만, 토착 어 표현이 직접적인 외국어 차용어보다 우선적으로 선택되도록 한다. (8) 용어 선택 여러 동의어가 있을 때, 오직 한 용어만을 우선어(preferred term) 혹은 표 준어로 선정하기를 권장한다. 사실 위 원칙들은 상호 모순적인 면이 있다. 예를 들어, 어떤 한자 용어 는 투명성과 파생력에 있어서는 뛰어나지만, 모국어에 대한 선호도 면에 서는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위 원칙들을 어떻게 객관성과 균형성을 유 지하면서 적용할 것인지는 쉽지 않다. 3.2. 2002년도 남북 용어 통일안 표준화 원칙 앞에서 논의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ISO 704의 위 원칙들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정량적 평가 기준을 북한의 리수락 박사가 제안한 바 있다. (1) 개념표현의 정확성(총 10점) - 개념의 가장 주된 특징을 반영하고 있는가?(4점) - 애매성 없이 개념을 표현하고 있는가?(4점) - 개념 변화에 적응력을 가지도록 만들어져 있는가?(2점) (2) 학술적 체계성 및 원어와의 대응관계(총 10점) - 개념 간의 계층 구조, 연관 관계를 잘 반영하고 있는가?(3점) - 유의어들을 명백히 구분할 수 있는가?(3점) - 대응되는 원어를 정확히 알 수 있는가?(2점) - 원어와 우리말 간의 대응 관계가 정확한가?(2점) (3) 우리말 다듬기 정도(총 10점) - 고유어(10점)> 굳어진 쉬운 한자말(8점) > 어려운 한자말(4점) > 외 특집ㆍ전문 용어와 국어생활 15
래어(0점) 순으로 평가 - 어휘 구성이 문법 규범에 맞는가? (4) 언어적인 완성도(총 10점) - 발음하기 쉽고 귀로 듣는 느낌이 좋은가?(2점) - 듣고 혼동되는 일이 없는가?(2점) - 파생어를 만드는 능력이 높은가?(2점) - 문장 안에서 다른 단어들과의 결합이 자연스러운가?(2점) (5) 문화적인 측면(총 10점) - 전문가들만이 아니라 일반 상식으로 알기 쉬운 말로 구성되어 있는 가?(4점) - 지금까지 쓰여 온 용어들과의 계승성이 있는가?(2점) - 다른 학술 분야의 용어들과 통일성이 보장되고 있는가?(2점) - 문화성이 없는 말들을 쓰고 있지 않은가?(2점) 위 제안은 ISO 704의 권장안을 세부적 항목으로 나누어 정량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위 평가 항목들은 크게 분류하면, 개념 표현의 정확 성 과 학술적 체계성 항목이 과학성을 평가한다면, 다른 항목들은 수월 성을 평가하고 있다. 이들 항목들 간의 평가 비중을 어떻게 정량화할 것 인지를 조정하는 것이 합리적인 용어의 표준화에 있어서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2002년 남북한 정보 기술 용어 통일안 마련 사업에서는 경쟁적인 용어 들에 대해 위와 같은 용어 평가안을 토대로 용어의 통일안을 만들고자 했 다. 그 결과물을 용어집으로 출판하는 데 있어서, 현실적으로 당장의 통일 안이 마련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어서 다음과 같은 지침을 도출하였다. 원칙적으로 남북한 표기 없이 용어의 단일안을 제시하기로 한다. 예) conjunction: 논리곱, knowledge base: 지식기지 외래어를 비롯한 음운 규칙의 적용에 대해서는 남북한 각 지역의 독자 16 새국어생활 제17권 제1호(2007년 봄)
성을 인정하기로 하였다. 예) error: 오류-오유, zero: 영-령, soft: 소프트-쏘프트 남북한 합의안 도출이 어려울 경우에는 각 지역 용어를 모두 허용하여 복수안을 제시하기로 하였다. 예) procedure call: 수속호출, 절차호출, database: 자료기지, 데이터베이스 외래어가 사용되고 있을 때에는 가능하면 고유어 혹은 한자어 표현도 덧붙여 복수안을 허용하기로 하였다. 예) diskette: 디스켓, 소원판, pulse: 펄스, 맥동(파) 복수안일 경우에는 보다 빈번하게 사용되는 용어를 우선적으로 제시하 기로 하였다. 예) relative entropy: 상대엔트로피, 상대평균 정보량 일부 생산력이 큰 원어의 용어 성분에 대해서는 우리말 표현을 찾아 쓰 도록 노력하기로 하였다. 예) ware: hardware, firmware, middleware, software 등등 상대방 지역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에 대해서는 그 차이를 인정하여, 각 지역마다 상이한 용어를 허용하기로 하였다. 예) terminal: 단말-말단, mutual: 상호-호상, stack indicator: 스택표시자-탄 창지시기 위와 같은 지침은 임의 통일 방법을 채택하되 처음부터 한 가지만 채택 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하다면 현재 쓰고 있는 복수안을 제시하여 시간이 지나면서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용어로 서서히 통일시켜 가는 단계적인 전 략을 반영하고 있다. 특집ㆍ전문 용어와 국어생활 17
3.3. 전문 용어 영한 대역 표준화에 대한 지침안 이와 같은 ISO 704 및 2002년도 남북통일 표준화 원칙 은 용어 심 의의 절대적인 원칙은 아니지만 전문가의 용어 심의에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고, 전문가 심의에 있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원칙을 존중하면서 한국어 전문 용어의 실정에 알맞게 수정 보완 하여 아래 7가지 기준을 영어 용어 한국어 대역어 심의의 지침으로 제시 되었다. 정보 기술 분야의 용어에 국한되어 예시를 하고 있는데, 더 수정 하여야 할 부분이 많을 것으로 생각한다. [제1조: 원어와 대역어의 수준 일치화] 용어는 되도록 쉬운 어휘를 사용하 여 구성한다. 영어 용어가 쉬운 용어이면 대역어로서 한국어 용어도 쉽게 하여야 한 다. 새로운 전문 용어를 만드는 방법은 이미 쓰고 있는 전문 용어들을 합 성하기도 하고 일상생활 용어나 다른 분야의 전문 용어를 빌려 쓰기도 한 다. 예를 들어, 합성 전문 용어로 information retrieval 은 정보검색 으로 한다. 컴퓨터 window 는 윈도 가 현재 마이크로소프트 업체의 표준어로 되 어 있어서 그대로 쓰지만, 일상생활 용어에서 창 으로 쓰이므로 그대로 창 으로 한다. 어린이가 윈도 라고 하면 전문 용어로서 새롭게 인식하지 만, 창 이라고 하면 마음의 창 이 마음을 들여다보는 창으로서 사람의 눈 을 지칭하듯이, 컴퓨터를 들여다보는 창 이라는 개념을 쉽게 하여 좀 더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게 한다. 컴퓨터 윈도 라고 하면 그냥 외워 서 해야 하는 것일 뿐이다. 용어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 성분 어휘들은 가능하면 일상적인 어휘 표 현인 기초 어휘를 선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쉬운 용어를 대역어로 택한 다. 이러한 배경에는 용어를 학습하는 사람들의 단계별 수준에 용어의 난 이도가 부응해야 한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 교재에 등장하는 용어는 초등학생 어휘력 수준에서 개념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단, 영어 용어의 어휘 자체가 매우 어려운 수준일 경우에 18 새국어생활 제17권 제1호(2007년 봄)
는 무리하게 쉬운 용어로 바꾸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parameter 의 우리말 대역어는 매개 변수, 가인수 모두 가능하지만 매개 변수 의 등급이 가인수 의 등급보다 낮은 쉬운 어휘이 기 때문에, parameter 는 매개 변수 로 대역된다. 이때, KAIST 전문용어 연구센터의 어휘 등급표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제2조: 순 우리말화] 외국어 음차 표기보다는 순 우리말 용어를 받아들인 다. 외국어 단어를 모국어로 옮길 때, 발음을 빌려 모국어 글자로 적는 음 차 표기는 가장 쉽지만 가장 게으른 방법이다. 이런 방법을 이용할 경우 모국어의 자연스러운 언어 환경과 단절되어 발전성이 없다. 단순히 음차 표기 방식을 빌린 외국어의 한글 표기를 우리 용어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다른 용어의 성분으로 포함되어 많이 사용 되는 기본 용어까지도 외국어 음차 표기를 하면서 외국어 음차 표기가 범 람하게 되고, 용어에 대한 개념적 이해가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급적이면 이미 고착화된 외래어 용어들에 대해서도 순 우리말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미 보편적으로 많이 쓰여 굳어진 외래어 용어에 대해서도 고유어 혹 은 쉬운 한자 용어를 만들어 복수 표준안을 제시함으로써 경쟁을 시키도 록 유도한다. 고유어를 우선적으로 받아들이되, 표현에 있어서 파생력에 문제가 있거나 다른 어휘와 결합하여 새로운 용어를 만드는 데 어색함이 있을 경우에는 한자어를 사용한다. 한자어를 사용할 경우에는 가급적이면 쉬운 한자어를 사용하도록 한다. 예) checkpoint 는 체크포인트, 검사점 모두 가능하지만, 고유어 또 는 쉬운 한자어 우선 원칙에 따라 검사점 으로 한다. 예) icon 은 아이콘 으로 굳어져 버렸기 때문에, 고유어/쉬운 한자어인 그림 기호 를 아이콘(=그림기호) 에 복수 표준안으로 추가하여 경쟁하도 록 한다. 특집ㆍ전문 용어와 국어생활 19
[제3조: 일관성] 용어 및 용어 내 성분 어휘는 일관성을 갖도록 한다. 개념상 동일한 원어 성분 어휘에 대해서 일관되게 우리말 대역어를 선 택하도록 한다. 이들 기본 어휘들은 반복적으로 많은 용어에 성분 어휘로 사용되기 때문에 용어의 일관성을 획득하는 데 파급 효과가 크다. 기본 어휘들의 단일화를 통해서 영어 원어에 대한 우리말 용어의 일관성을 유 지하도록 한다. 반대로 우리말 용어에 대한 영어 원어도 일관성을 유지하 도록 한다. 예) assignment 는 대입, 할당, 지정 등이 가능하지만, 배정 으로 선 택하였다고 하자. 그렇다면 의미상 문제가 없을 경우에 한하여 assignment 가 들어간 모든 용어에서 배정 으로 번역되도록 한다. 즉, assignment by name 은 이름 방식 배정, assignment statement 는 배정문, credit/blame assignment 는 신용/책임 배정 으로 한다. [제4조: 정확한 개념 표현] 용어의 개념을 가장 잘 표현하는 용어를 선택하 도록 한다. 용어의 정의문 정보를 참조하여 용어의 개념을 잘 드러낼 수 있는 표현 을 선택하도록 한다. 다만, 용어의 개념적 정의를 그대로 번역하여 우리말 대역어를 제시하는 방법을 택하기보다는 용어를 확장적으로 해석함으로 써 해당 개념을 유추할 수 있는지를 주요한 기준으로 삼는다. 예) gray scale 의 정의는 흰색과 검은색 사이의 농도의 범위 이다. 농도 계조, 명암 단계, 그레이 스케일 등으로 번역이 가능하며, scale 을 등급 으로 하는 것이 농도의 범위 라는 개념을 가장 잘 나타낸다. 그 래서 gray scale 의 대역어로 회색 등급 을 선택한다. [제5조: 고빈도 선호] 말뭉치상의 빈도수가 높은 용어를 우선적으로 선택 한다. 이 기준은 위 상위 4개([제1조], [제2조], [제3조], [제4조])의 원칙에 의 해 생성된 용어 후보들이 경쟁적일 때 사용하는 보조적인 원칙이다. 이 기준은 용어의 생명력과 관련이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용 어를 표준으로 선정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여러 가지 후보 대역어 중 가 20 새국어생활 제17권 제1호(2007년 봄)
장 많이 나타나는 용어를 선정한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빈도수를 구하 기 어려운 경우에는 웹 검색 엔진에서의 빈도수를 이용할 수 있다. 예) associative learning 의 우리말 대역어로 상관 학습, 연관 학습 등이 가능하지만 웹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연관 학습 을 대역어로 선정한다. [제6조: 사전 등록 용어 선호] 기존 용어 사전에 등재된 용어를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기존의 정보 통신 분야 사전에 등재 여부를 이용하여 표준 용어를 선정 한다. 기존의 사전에 등재된 경우는 그 용어가 널리 통용되고 있다는 사 실을 의미하기 때문에 기존 사전에 등재 여부를 표준 용어의 기준으로 삼 는다. [제5조: 고빈도 선호]의 원칙과 마찬가지로 이 기준도 역시 후보들 이 경쟁적일 때에 적용하는 보조적 원칙이다. 예) interoperability 는 상호 운용성, 호환성, 상호 연동성 으로 번역될 수 있지만 상호 운용성 이 다수의 사전에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상호 운용성 을 대역어로 선정한다. [제7조: 기능어 삭제] 기능어는 되도록 삭제한다. 용어의 언어적 경제성의 원칙에 따르면 용어는 가능하면 간략하여야 한다. 따라서 용어가 내포하는 개념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경우에는 용어에 사용되는 기능어를 삭제한다. 용어에서 많이 사용되는 기능어는 관형격 조사 -적, -의 등이 있다. 예) logical ring 은 논리적 고리, 논리 고리 로 번역될 수 있지만 의미 전 달에 애매성이 없기 때문에 용어의 경제성 원칙에 따라 논리 고리 를 대역어로 선정한다. 4. 전문 용어와 우리말 띄어쓰기 전문 용어가 잘 쓰이려면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꼭 지켜야 하는지에 대 한 문제가 있다. 전문적인 용어일수록 단어 길이가 길어져서 복합 단어가 특집ㆍ전문 용어와 국어생활 21
되므로 띄어쓰기가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한 개의 개념은 하나의 붙 여 쓴 단어이어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가 않다. 여기서는 전자공학 용어 와 전산학 용어에 대해 맞춤법에서 벗어난 것과 띄어쓰기를 하지 않아 이 해가 어려운 용어, 외래어 표기법에 어긋난 용어들을 열거하여 보고자 한 다. 현행 맞춤법의 띄어쓰기 규정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며 붙여 씀을 허 용하고 있으므로 맞춤법 규정에 틀렸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용어의 가시 성과 의미 파악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적당한 띄어쓰기는 필요하다는 것 이 국어학적 관점이다. (통사적) 구를 붙여 써서 의미 파악이 어려운 경우 <전자공학 용어의 예> additive complementary colors 가법혼색의보색 가법 혼색의 보색 algebraic semantics 대수적의미론 대수적 의미론 biased induction 바이어스된자속밀도 바이어스된 자속 밀도 building up of exciting field 여자계의확립 여자계의 확립 Joule s law 줄의법칙 줄의 법칙 <전산학 용어의 예> dynamic chain 동적체인 동적 체인 physical delivery access unit 물리적배포접근요소 물리적 배포 접근 요소 긴 명사구를 붙여 써서 의미 파악이 어려운 경우 <전자공학 용어의 예> beginning of life weight 궤도상수명초기무게 궤도상 수명 초기 무게 basic mode date transmission control procedure basic series ferroresonant voltage regulator basic switching impulse insulation level 기본모드데이터전송제어절 차 기본직렬철공진전압조정기 기초스위칭충격절연강도 기본 모드 데이터 전송 제 어 절차 기본 직렬 철공진 전압 조 정기 기초 스위칭 충격 절연 강 도 22 새국어생활 제17권 제1호(2007년 봄)
<전산학 용어의 예> gas discharge display 가스방전표시장치 가스 방전 표시 장치 gas filled cable 가스봉입케이블 가스 봉입 케이블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간이전자우편전송프로토콜 간이 전자 우편 전송 프로 토콜 forced priority 강제실행우선순위 강제 실행 우선순위 붙여 쓰기로 인해 조어 구의 파악이 어려운 경우 향후 전자화된 자료에서 정보검색을 실시할 경우, 아래의 예들은 띄어 쓰기를 함으로써 전체 검색뿐만 아니라 부분 검색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자공학 용어와 전산학 용어에서 단측 파대 의 경우, 띄어쓰기를 함으로써 파대 의 한 유형으로 파악될 수 있고, 검색의 용이성을 위해서 도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자공학 용어의 예> asymmetrical side-band transmission 비대칭측파대전송 비대칭측 파대 전송 both side-band transmission 양측파대 전송 양측 파대 전송 lower sideband 하측파대 하측 파대 silent zone 무전파대 무전 파대 single side-band 단측파대 단측 파대 single-sideband modulation 단측파대 변조 단측 파대 변조 <전산학 용어의 예> programmable calculator 프로그램가능한 계산기 프로그램 가능한 계산기 program-sensitive fault 프로그램민감형 결함 프로그램 민감형 결함 non-programmable calculator 프로그램작성불가 계산기 프로그램작성불가 계산기 programming system 프로그램작성 체계 프로그램 작성 체계 beginning-of-file label 파일시작 레이블 파일 시작 레이블 file identification 파일식별 파일 식별 band printer 파대인쇄기 파대 인쇄기 single side band modulation 단측파대 변조 단측 파대 변조 특집ㆍ전문 용어와 국어생활 23
5. 전문 용어 표준화는 공학인가? 전문 용어는 언어공학적으로 전산학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가? 언어 공학의 목표는 우리가 쓰는 자연 언어를 기계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언어의 쓰임이 일상생활보다는, 각 전문 분야에서 더 많이 이루어 지므로 각 전문 분야마다 사전과 알고리즘을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전문 분야의 개수가 매우 많으므로, 한 분야의 언어 지식에서 다른 분야의 지 식으로 원활히 이전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이론을 추구하여야 한다는 패 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각 분야 지식의 대표로 인식되는 전문용어가 언어공학적인 중요성을 갖게 된다. 앞으로 다음 세대의 웹인 시맨틱 웹에서는 컴퓨터가 모든 언어의 뜻을 이해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 므로, 공학적 관점에서 전문용어학을 생각하여야 할 시점에 와 있다. 유럽에서 다국어 언어 사회를 지탱하기 위하여 전문용어를 중요시하여 국제기구로서 Infoterm이 역할을 하고 있고, 동아시아에서는 Eafterm이라 는 조직이 있다. 우리 한국 내에서도 이와 같은 조직화와 국가적 표준이 학술적 연구와 더불어 좀 더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겠다. 대한민국은 남 북통일과 국제적 리더십의 명제를 가지고 있지 아니한가? 24 새국어생활 제17권 제1호(2007년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