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Similar documents
untitled

A 617

untitled

폐쇄성폐질환 (Obstructive Lung Disease) Volume 5, Number 2, July, 2017 I Update GOLD 평가및안정시치료 이진국 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호흡기내과 New GOLD document has been revise


페링야간뇨소책자-내지-16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Treatment and Role of Hormaonal Replaement Therapy

황지웅

Lim SY et al. Treatment and prevention of acute exacerbation of COPD 급성악화의예방과적절한치료는 COPD에서무엇보다도중요한것으로사료되며, 2018년도개정된국내 COPD 진료지침을중심으로급성악화의치료와예방에관련된내용을

<5B31362E30332E31315D20C5EBC7D5B0C7B0ADC1F5C1F8BBE7BEF720BEC8B3BB2DB1DDBFAC2E687770>

<30312EC6AFC1FD30362DBFC0BFACB8F12E687770>

레이아웃 1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Lumbar spine

( )Kju269.hwp

목 차 I. 천식치료에서 LAMA 의역할 1 구현경 ( 인제대학교의과대학일산백병원호흡기내과 ) II. COPD 의임상적표현형및 Endotype (Clinical Phenotype and Endotype of COPD) 5 김유일 ( 전남대학교병원호흡기내과 ) III.

<31312DC0B1C8A3C0CF2DC6EDC1FD2D4F4B2E687770>


( )Jkstro011.hwp

제 9 도는 6제어항목의 세팅목표의 보기가 표시된 레이더 챠트(radar chart). 제 10 도는 제 6 도의 함수블럭(1C)에서 사용되는 각종 개성화 함수의 보기를 표시하는 테이블. 제 11a 도 제 11c 도까지는 각종 조건에 따라 제공되는 개성화함수의 변화의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hwp

< C0D3BBF3B0C7B0AD20C3E1B0E8C7D0BCFAB4EBC8B82DBFACBCF6B0ADC1C22E687770>

untitled

3 x =2y x =-16y 1 4 {0 ;4!;} y=-;4!; y x =y 1 5 5'2 2 (0 0) 4 (3-2) 3 3 x=0 y=0 x=2 y=1 :: 1 4 O x 1 1 -:: y=-:: 4 4 {0 -;2!;} y=;2!; l A y 1

< B3E220C1F6BFAABBE7C8B820C5EBC7D5B0C7C1F5C1F8BBE7BEF720BEC8B3BB28C3D6C1BEC0CEBCE2292E687770>

576호(01-13)

Trd022.hwp

untitled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B1DDBFACC5ACB8AEB4D02DC6EDC1FD28C3D6C1BE292DB1B3C1A4BFCFB7E128BABCB5E5BBE8C1A6292E687770>

¼Û±âÇõ

<392E5FB8B8BCBAC6F3BCE2BCBAC6F3C1FAC8AF5FC4A1B7E1C1A65FB0B3B9DFC0C75FC7F6C8B25FB9D75FB1D8BAB9B9E6BEC85F F332E302E687770>

The Window of Multiple Sclerosis

<BAF1B8B8C3DFB0E8C7D0BCFAB9D7BFACBCF62D E E687770>

00약제부봄호c03逞풚

°ø±â¾Ð±â±â

Vol. 20, December 2014 Tobacco Control Issue Report Contents Infographic 년 전 세계 FCTC 주요 이행현황 Updates 04 이 달의 정책 06 이 달의 연구 Highlights 09 담배규제기본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A 001~A 036

2.대상 및 범위(계속) 하천 하천 등급 하천명 연장 (km) 연장 (km) 시점 금회수립현황 종점 지방 하천 함안천 경남 함안군 여항면 내곡리 경남 함안군 함안면 함안천(국가)기점 검단천 경남 함안군 칠북면 검단리 칠원천 6.70

원위부요척골관절질환에서의초음파 유도하스테로이드주사치료의효과 - 후향적 1 년경과관찰연구 - 연세대학교대학원 의학과 남상현

보건사회연구-25일수정

139~144 ¿À°ø¾àħ

충북의대학술지 Chungbuk Med. J. Vol. 27. No. 1. 1~ Charcot-Marie-Tooth Disease 환자의마취 : 증례보고 신일동 1, 이진희 1, 박상희 1,2 * 책임저자 : 박상희, 충북청주시서원구충대로 1 번지, 충북대학교

<B0A3C3DFB0E828C0DBBEF7292E687770>

001-학회지소개(영)

untitled

폐쇄성폐질환 (Obstructive Lung Disease) Volume 6, Number 1, January, 2018 IV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심부전증과관상동맥질환 김유일 전남대학교의과대학내과학교실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Sheu HM, et al., British J Dermatol 1997; 136: Kao JS, et al., J Invest Dermatol 2003; 120:

untitled

세란봄호(2010).qxd

(Microsoft PowerPoint - S13-3_\261\350\273\363\307\366 [\310\243\310\257 \270\360\265\345])

김범수

(Microsoft PowerPoint - CXBTUEOAPVQY.ppt [\310\243\310\257 \270\360\265\345])

_ p

16(1)-3(국문)(p.40-45).fm

<30382EC0C7C7D0B0ADC1C22E687770>

심장2.PDF

< FC1F8B9E6B1B3C0B02E687770>

untitled

Microsoft Word - PIV Korean CORRECT.txt

894_902.특집_이종명

폐쇄성폐질환 (Obstructive Lung Disease) Volume 4, Number 1, January, 2016 X COPD 의치료 : 새로운치료제와병합요법 오연목 울산대학교의과대학서울아산병원호흡기내과 An inhaled long-acting bronchodi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슬라이드 1

한국만성기도질환유병률 한국 COPD 유병률 40세이상인구의 14.6% 65세이상인구의 30.2% (2012년국민건강영양조사기준 ) 2010년국내 40세이상인구 2,400만명 Prevalence of airflow obstruction 이중 COPD 환자 : 330 To

7.ƯÁýb71ÎÀ¯È« š

< D31312D313428C0B1C3A2C8A32DBCD5C0BAB0E D E687770>

ZNMMZTUCJDUV.hwp

untitled

untitled

590호(01-11)

May 10~ Hotel Inter-Burgo Exco, Daegu Plenary lectures From metabolic syndrome to diabetes Meta-inflammation responsible for the progression fr

2014


012임수진

<B0E6C8F1B4EBB3BBB0FAC0D3BBF3B0ADC1C E687770>

DBPIA-NURIMEDIA

untitled

untitled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앵커(20)를 이용한 옹벽 시공에 사용되는 옹벽패널에 있어서, 단위패널형태의 판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 중앙부가 후방 하부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전면이 오 목하게 들어가고 후면이 돌출된 결속부(11)를 형성하되, 이 결속부(11

hwp

행당중학교 감사 7급 ~ 성동구 왕십리로 189-2호선 한양대역 4번출구에서 도보로 3-4분 6721 윤중중학교 감사 7급 ~ 영등포구 여의동로 3길3 용강중학교 일반행정 9급 ~ 1300

untitled

PHI Report 시민건강이슈 Ⅱ 모두가건강한사회를만들어가는시민건강증진연구소 People's Health Institute

???? 1

<30342DC6AFC1FD20B3B2BFB5C8F12E687770>

천식환자의 흡입치료


<3034C0D3BBF3C3E1B0E8C7D0BCFABCBCB9CCB3AA2E687770>

歯1.PDF

<30312EC6AFC1FD30352DC1A4B1E2BCAE2E687770>

목 차 I. COPD 환자종합평가에 FEV 1 은꼭필요한가? 1 엄수정 ( 동아대학교의과대학호흡기내과학교실 ) II. COPD 종합평가에 FEV 1 역할필요하다 7 김기욱 ( 부산대학교의과대학내과학교실, 부산대학교병원호흡기알레르기내과 ) III. COPD 와동반된기관지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조언과교육이필요하다. 3. 약물치료 한국진료지침과 GOLD rept 는모두 COPD 의치료에사용할수있는약물에대해서비교적자세히소개하고있다. 한국진료지침에서는기관지확장제, 스테로이드, Phosphodiesterase 4 (PDE4) 억제제, 백신 ( 인플루엔자, 폐렴구균

되어만성염증을유발한다. 점액분비세포의증가와증식으로점액이과다분비되고섬모의운동이원활치않아만성기관지염이발생한다. 기관지의만성적인염증과부종으로인하여기도폐쇄가발생한다. 또한흡연이나 α 1-antitrypsin 결핍등의원인으로 proteinases와 antiproteinases의

<C8DEB0A1C0CCBFEB20BDC7C5C2C1B6BBE720B9D720C8DEB0A1B9AEC8AD20B0B3BCB12DC6EDC1FD2E687770>

08_¹Úö¼øöKš

Transcription:

IV COPD에서 흡입스테로이드(Inhaled Corticosteroid, ICS)의 역할-Pro 김은경 CHA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호흡기내과학교실 Key Word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nhaled corticosteroid Corresponding author: Eun Kyung Kim, M.D., Ph.D. Division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A Bundang Medical Center, CHA University, 59, Yatap-ro, Bundang-gu, Seongnam 463-712, Korea Tel: +82-31-780-5205, Fax: +82-31-780-6143, E-mail: imekkim@cha.ac.kr 1. 서론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은 만성 염증에 의한 기도와 폐실질의 손상과 비가역적인 기류제한이 특징이며 1, 기도와 더불어 전신의 염증으로 인해 여러 가지 동반질환이 연관되어 있으며, 이러한 동반질환이 COPD의 예후와 중증도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2. COPD의 치료의 목표는 증상의 완화, 운동능력 향상, 삶의 질 향상, 급성악화 감소, 질병의 진행을 예방하고 사망률 을 감소시키는 것에 있다 1. COPD의 치료에는 호흡재활치료, 산소치료, 예방접종, 수술 등과 더불어 기관지확장제, 스테로이드, Phosphodiesterase4 (PDE4) 억제제, 항생제 등의 약물 치료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치료 중 현재까지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치료는 금연 및 산소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다 3-5. 흡입스테로이드(inhaled corticosteroid, ICS) 치료는 염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6-9, 천식 환자에서 ICS 치료는 가장 근간이 되는 치료이다. 그러나 COPD의 경우에는 천식환자에 비해 ICS의 치료 효과가 현저하지 않으며, 안정 시 COPD 환자에서는 ICS의 적응증이 제한되어 있다. 또한 최근의 임상 시험은 COPD의 치료에 있어 ICS의 역할에 논란을 추가하고 있다 10,11. 그럼에도 불구하고, ICS 치료가 COPD의 임상 양상을 호전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고, 실제로 COPD의 치료에 있어 ICS가 호의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COPD의 치료에 있어 ICS가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임상적 효과 COPD 환자를 대상으로 폐기능, 호흡기 증상, 급성 악화, 사망률, 폐암 및 기도 염증에 미치는 ICS의 효과를 확인한 다수의 연구가 있으며 이들 연구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COPD 환자에서 ICS 치료는 폐기능의 호전 및 사망률의 감소에는 그 효과가 뚜렷하지 않으나, 호흡기 증상의 진행을 느리게 하며, 급성악화를 감소시킴을 보여주고 있다. 1) 폐기능 ICS 치료가 질병의 진행 특히, 연간 FEV 1 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몇 개의 무작위 임상시험과 세 개의 메타분석에서 그 효과를 보고하고 있다. 몇몇 임상 시험과 메타분석에서 ICS 치료는 폐기능의 감소에 큰 영향을 93

미치지 못한다고 보고하였으나 11-13,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 임상 시험 14 과 메타분석 15 에서 ICS 치료는 폐기능의 감소를 약간 호전시킨다고 보고하였다. TORCH 연구 14 는 중등도 혹은 중증 COPD 환자(평균 FEV 1 : 예측치의 44%)를 대상으로 3년간 salmeterol 단독(50 mcg bid), fluticasone 단독(500 mcg bid), 병용투여 군(combination therapy, salmeterol plus fluticasone)과 위약 군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병용투여 군이 위약 군에 비해 유의하게 FEV 1 의 감소 속도를 늦추었 으며( 39 ml/year vs. 55 ml/year; p<0.001), fluticasone 단독 군 역시 위약 군에 비해 FEV 1 의 감소 속도를 늦추었다( 42 ml/year vs. 55 ml/year; p<0.003). FEV 1 의 감소 속도에 ICS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메타분석에 서는 beclomethasone dipropionate>1,000 mcg에 해당하는 고용량을 투여한 연구에서는 유의하게 FEV 1 의 감소 속도 완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mean difference between ICS and placebo; 11.6 ml/year) 15. 폐기능의 감소에 미치는 ICS의 효과가 일치되지 않게 나타나는 이유로는 ICS의 다양한 용량 및 제형, 연구 기간의 다양성, 그리고 다른 교란 인자들이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2) 증상 여러 임상시험과 메타분석에서 ICS 치료의 이차 결과(secondary outcome)로 임상 증상을 평가하였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ICS 치료가 호흡기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보고하였다 10,11,13,15. COSMIC 연구에서는 COPD 환자에서 ICS의 중단은 호흡곤란 및 야간 불편함을 증가시킴을 보고하여 ICS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16. 중증 COPD 환자를 대상으로 beclomethasone/formoterol를 투여한 연구에서는 formoterol 단독에 비해 증상 및 삶의 질을 호전시켰다 17. 또한 최근의 메타분석에서 ICS 치료는 위약과 비교하여 삶의 질의 감소 속도를 늦췄다 15. 3) 급성악화 COPD의 급성악화는 치료약제의 변경을 필요로 하는 갑작스런 호흡기 증상의 악화로 심한 경우 입원을 필요로 한다 1. 이러한 급성악화는 환자의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며, 증상과 폐기능이 원상태로 회복하기까지 수 주 이상의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18-20. 또한 폐기능 감소를 가속화시키며,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21,22. 따라서 급성악화 를 예방하고 악화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COPD 치료에 있어 중요하다. 급성악화의 시작과 중증도에 스테로이 드와 연관이 있는 염증 반응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ICS가 COPD 급성악화를 예방하고 그 중증도를 감소시킬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여러 연구들이 이를 지지하고 있다. ISOLDE 연구는 중등도 혹은 중증 COPD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 ICS 치료 효과를 연구하였으며, fluticasone (500 mcg bid)이 급성악화를 의미 있게 감소시켰다 11. 이 연구의 사후비교분석에서 이러한 효과는 FEV 1 <50%의 심한 COPD 환자에서 그 효과가 두드러졌다. 55개의 임상 연구를 분석한 메타 분석에서(대상; 16,154 명의 COPD) ICS는 위약에 비해 연간 환자당 급성악화의 빈도를 감소시켰다( 0.26; 95% CI, 0.37 to 0.14) 15. 다른 3개의 메타분석에서도 비슷한 연구결과를 보여주었다 23-25. TORCH 연구에서 ICS 치료는 중등도 혹은 중증 급성악화를 감소 시켰으며, 전신스테로이드의 사용을 요하는 악화의 빈도도 감소시켰다 10. ICS 치료는 급성악화를 감소시켰으며 특히, 흡입 지속성베타작용제(long acting beta-agonist, LABA)와 병용 투여하였을 때 그 효과가 더 좋았다 10,26. 따라서 ICS 치료로 급성악화의 감소 효과를 크게 볼 수 있는 환자 군에 대해서는 이의 사용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4) 사망 ICS 치료는 COPD 환자의 사망률을 감소시키지는 못하였다 10,15,27. TORCH 연구를 포함하는 11개의 임상연구를 대상으로 한 메타분석에서도 장기간의 ICS 치료가 사망률의 감소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27. 그러나 최근 66세 이상의 COPD 환자를 대상으로 한 코호트(cohort)연구에서 ICS와 흡입 지속성베타작용제(long acting beta-agonist, LABA)의 병합투여가 LABA 단독 사용에 비해 사망의 위험을 감소시켰다(HR, 0.92; 95% CI, 0.87 0.97) 28. 94

5) 폐암 COPD와 폐암 모두 흡연이 그 위험인자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데, 흡연의 양과 무관하게 COPD 환자에서 COPD가 없는 흡연자보다 폐암의 위험성이 높다 29. 흡연은 전신 및 국소적 염증을 일으키며 이 염증반응이 폐암과 COPD 모두에서 그 발병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전의 연구에서 ICS 치료는 COPD 환자에서 염증 반응을 감소시키고 8,30, 동물 모델에서 스테로이드가 폐암세포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것이 증명된 바 있다 31. ICS가 폐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Parimon 등 32 이 보고하였다. 10,474명의 COPD 환자를 대상으로 약 4년간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1,200 mcg/day 혹은 그 이상의 ICS 사용이 폐암의 발생 빈도를 감소시켰다(HR, 0.39; 95% CI, 0.16 0.96). 향후 전향적인 연구에 의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아직까지는 COPD 환자에서 폐암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ICS의 사용은 권고되고 있지는 않다. 6) 기도 염증(Airway inflammation) 기도 염증에 대한 ICS의 효과는 아직까지는 정립되지 않았다. 30명의 만성기관지염 환자를 대상으로 흡입 beclomethasone과 위약을 투여한 후, 투여 전과 투여 6개월 후에 폐기능 검사와 기관지폐포세척액 검사를 비교하였을 때 ICS 사용이 폐기능을 호전시켰으며 기도 염증을 감소시켰다 33. 또한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적이 없는 114명의 COPD 환자를 대상으로 6개월간 fluticasone (500 mcg bid)을 투여한 후 객담의 염증세포와 기관지 조직검사를 비교 하였을 때, ICS 치료는 CD3 +, CD4 +, CD8 + 세포 및 비만세포를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효과는 30개월 후에도 유지되 었다 30. 최근의 메타분석에서도 ICS 사용 후 기관지 조직검사와 폐포세척액에서의 염증세포를 비교하였을 때, ICS는 기관지 조직검사에서 CD4 +, CD8 + 세포를 감소시켰으며, 폐포세척액에서 중성구와 임파구의 수를 감소시켰다 34. 그러나 다른 연구에서는 흡입 budesonide (800 mcg bid) 2주간의 투여가 유도객담으로 확인한 기도 염증을 호전시 키지 못하였다. 또한 폐기능과 증상에서도 호전을 보이지 못하였다 35. Bourbeau 등 36 의 연구에서도 fluticasone과 salmeterol 병합 치료 군에서는 CD8 세포 및 대식세포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ICS 단독 투여 군에서는 항염증 효과를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일부 COPD 환자군, 특히 호산구성 기도 염증과 잦은 악화를 보이는 군에서는 ICS의 사용이 효과가 있다 9,18. 3. 부작용 ICS 투여시 부작용도 같이 고려해야 하는데, 흔히 구강 진균증, 쉰 목소리, 피부에 멍이 드는 것과 감염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부작용의 빈도는 1 10%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대부분 큰 후유증을 남기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7. 그러나 COPD 환자의 연령이 대부분 고령인 점을 감안하면 부작용이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ICS 사용시 반드시 부작용도 같이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이들 중 중요한 몇 가지 부작용에 대해 살펴보겠다. 1) 폐렴 몇몇 임상연구에서 ICS의 사용이 폐렴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다 10,38,39.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부작용으로서 폐렴 의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제안된 연구들이 아니다. 또한 폐렴의 정의도 연구마다 차이가 있었으며 폐렴의 진단 또한 주로 임상 증상에 근거하였다. 7개의 대규모 임상연구를 대상으로 한 메타분석에 의하면, 안정 시 COPD 환자를 대상으로 한 흡입 bedusonide의 투여는 부작용으로서 폐렴의 발생을 증가시키지 않았다(3% vs. 3%; adjusted HR, 1.05; 95% CI, 0.81 1.37) 40. TORCH 연구에서 ICS의 투여가 폐렴의 발생을 증가시키기는 하였으나, 폐렴으로 인한 사망에는 영향이 없었으며, 오히려 급성악화는 감소시켰고, 사망률 또한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10,41. 몇몇 관찰연구들은 이러한 결과를 지지하고 있는데, Malo de Molina 등 42 은 폐렴으로 입원한 COPD 환자를 대상으 95

로 외래에서 ICS 치료 기왕력과 폐렴으로 인한 사망과의 연관성에 대해 보고하였다. 폐렴으로 입원한 6,353명의 COPD 환자 중 38%가 이전에 ICS 치료를 받았고, 30일 사망률은 9%, 90일 사망률은 16%였다. 회귀분석상 외래에서의 ICS 치료는 30일 사망률(OR, 0.76; 95% CI, 0.70 0.83) 및 90일 사망률(OR, 0.80; 95% CI, 0.75 0.86)을 감소시켰 다. 또한 Chen 등 43 의 15,768명의 폐렴으로 입원한 COPD 환자의 후향적 코호트연구에서는 이전 ICS의 사용은 다른 인자와 독립적으로 단기사망률(30일, OR, 0.80; 95% CI, 0.72 0.89. 90일, OR, 0.78; 95% CI, 0.72 0.85) 및 인공호 흡기 사용의 위험(OR, 0.83; 95% CI, 0.72 0.94)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ICS 사용의 부작용으로 폐렴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 판단하기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평가는 흉부방사선 사진 등 좀 더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폐렴의 지표를 사용하고, 폐렴 발생을 1차 연구결과로 보는 전향적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결핵 천식과 COPD 환자 약 40만 명을 대상으로 한 대조군 연구에 의하면 ICS의 사용은 결핵의 위험을 증가시켰으며(RR, 1.26; 95% CI, 1.18 1.56) 특히, fluticasone 1,000 mcg 이상을 사용하는 환자에서는 그 위험이 더욱 증가하였다(RR, 1.97; 95% CI, 1.18 3.3) 44. 그러나 이러한 결과가 흡연, 사회경제적 상태 및 ICS의 대사를 저해시키는 다른 약제와의 병용 등에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COPD 환자를 대상으로 한 코호트연구에서 흉부사진상 과거 결핵의 흔적이 있는 경우 ICS의 사용은 독립적으로 결핵의 발생을 증가시켰다(HR, 24.94; 95% CI, 3.09 201.36) 45. 그러나 이 연구는 소수의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에 그 해석에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3) 골다공증, 골절 장기간의 ICS의 사용은 골다공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그러나 ICS의 사용과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과 연관된 골절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아직 불분명하다. Lung Health Study에서는 triamcinolone을 3년간 투여하였을 때 요추와 대퇴골에서 골밀도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13. 그러나 EUROSCOPE 연구나 ISOLDE 연구에서는 골밀도의 감소 및 골절의 위험 증가가 보이지 않았다 11,12. 이러한 연구결과는 TORCH 연구 및 TORCH 하위 그룹 분석에서도 확인되었다 10,46. 몇몇 메타분석에서도 ICS의 사용과 골절과의 연관성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47. 최근 시행된 코크랜 분석에서도 1년 이상의 ICS 단독 사용은 골절의 위험과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15. 4. 결론 COPD 환자에서 ICS 치료는 기도 염증, 폐기능의 호전, 사망률의 감소에 대해서는 효과가 뚜렷하지 않으나, 호흡기 증상 및 삶의 질의 호전, 증등도 이상의 COPD 환자에서는 급성악화를 감소시켰다. COPD 급성악화는 폐기능 감소를 악화시키며 사망률을 증가시키기에 COPD 치료에 있어 이를 예방하고 중증도를 경감시키는 것은 중요하며, ICS 치료로 급성악화의 감소 효과를 크게 볼 수 있는 환자군에 대해서는 이의 사용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ICS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은 대부분의 경우 큰 후유증을 남기지 않지만, COPD 환자들이 고령인 점을 감안하여 ICS 치료 시 부작용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향후 추가적인 대규모 임상 연구와 ICS의 종류 및 용량이 세분화된 연구가 시행되어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좀 더 정확한 결론을 내릴 것으로 기대한다. References 1. Vestbo J, Hurd SS, Agustí AG, Jones PW, Vogelmeier C, Anzueto A, et al.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GOLD executive summary. Am J Respir Crit Care Med 2013;187:347-65. 96

2. Barnes PJ, Celli BR. Systemic manifestations and comorbidities of COPD. Eur Respir J 2009;33:1165-85. 3. Anthonisen NR, Skeans MA, Wise RA, Manfreda J, Kanner RE, Connett JE; Lung Health Study Research Group. The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on 14.5-year mortality: a randomized clinical trial. Ann Intern Med 2005;142:233-9. 4. Continuous or nocturnal oxygen therapy in hypoxemic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a clinical trial. Nocturnal Oxygen Therapy Trial Group. Ann Intern Med 1980;93:391-8. 5. Long term domiciliary oxygen therapy in chronic hypoxic cor pulmonale complicating chronic bronchitis and emphysema. Report of the Medical Research Council Working Party. Lancet 1981;1:681-6. 6. Pinto-Plata VM, Müllerova H, Toso JF, Feudjo-Tepie M, Soriano JB, Vessey RS, et al. C-reactive protein in patients with COPD, control smokers and non-smokers. Thorax 2006;61:23-8. 7. Gan WQ, Man SF, Sin DD. Effects of inhaled corticosteroids on sputum cell counts in stabl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a meta-analysis. BMC Pulm Med 2005;5:3. 8. Sin DD, Lacy P, York E, Man SF. Effects of fluticasone on systemic markers of inflammat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4;170:760-5. 9. Siva R, Green RH, Brightling CE, Shelley M, Hargadon B, McKenna S, et al. Eosinophilic airway inflammation and exacerbations of COPD: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Eur Respir J 2007;29:906-13. 10. Calverley PM, Anderson JA, Celli B, Ferguson GT, Jenkins C, Jones PW, et al; TORCH investigators. Salmeterol and fluticasone propionate and survival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N Engl J Med 2007;356:775-89. 11. Burge PS, Calverley PM, Jones PW, Spencer S, Anderson JA, Maslen TK. Randomised,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study of fluticasone propionate in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e ISOLDE trial. BMJ 2000;320:1297-303. 12. Pauwels RA, Löfdahl CG, Laitinen LA, Schouten JP, Postma DS, Pride NB, et al. Long-term treatment with inhaled budesonide in persons with mil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who continue smoking. European Respiratory Society Study o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N Engl J Med 1999;340:1948-53. 13. Lung Health Study Research Group. Effect of inhaled triamcinolone on the decline in pulmonary funct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N Engl J Med 2000;343:1902-9. 14. Celli BR, Thomas NE, Anderson JA, Ferguson GT, Jenkins CR, Jones PW, et al. Effect of pharmacotherapy on rate of decline of lung funct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results from the TORCH study.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8;178:332-8. 15. Yang IA, Clarke MS, Sim EH, Fong KM. Inhaled corticosteroids for stabl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2;7:CD002991. 16. Wouters EF, Postma DS, Fokkens B, Hop WC, Prins J, Kuipers AF, et al; COSMIC (COPD and Seretide: a Multi-Center Intervention and Characterization) Study Group. Withdrawal of fluticasone propionate from combined salmeterol/fluticaso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COPD causes immediate and sustained disease deterioration: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orax 2005;60:480-7. 17. Calverley PM, Kuna P, Monsó E, Costantini M, Petruzzelli S, Sergio F, et al. Beclomethasone/formoterol in the management of COPD: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Respir Med 2010;104:1858-68. 18. Seemungal TA, Hurst JR, Wedzicha JA. Exacerbation rate, health status and mortality in COPD--a review of potential interventions. Int J Chron Obstruct Pulmon Dis 2009;4:203-23. 19. Kessler R, Ståhl E, Vogelmeier C, Haughney J, Trudeau E, Löfdahl CG, et al. Patient understanding, detection, and experience of COPD exacerbations: an observational, interview-based study. Chest 2006;130:133-42. 20. Spencer S, Calverley PM, Burge PS, Jones PW. Impact of preventing exacerbations on deterioration of health status in COPD. Eur Respir J 2004;23:698-702. 21. Soler-Cataluña JJ, Martínez-García MA, Román Sánchez P, Salcedo E, Navarro M, Ochando R. Severe acute exacerbations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orax 2005;60:925-31. 22. Donaldson GC, Seemungal TA, Bhowmik A, Wedzicha JA. Relationship between exacerbation frequency and lung function decline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orax 2002;57:847-52. 23. Alsaeedi A, Sin DD, McAlister FA. The effects of inhaled corticosteroids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s. Am J Med 2002;113:59-65. 97

98 24. Gartlehner G, Hansen RA, Carson SS, Lohr KN. Efficacy and safety of inhaled corticosteroids in patients with COP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health outcomes. Ann Fam Med 2006;4:253-62. 25. Agarwal R, Aggarwal AN, Gupta D, Jindal SK. Inhaled corticosteroids vs placebo for preventing COPD exacerbation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regression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hest 2010;137:318-25. 26. Calverley PM, Boonsawat W, Cseke Z, Zhong N, Peterson S, Olsson H. Maintenance therapy with budesonide and formoterol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Eur Respir J 2003;22:912-9. 27. Drummond MB, Dasenbrook EC, Pitz MW, Murphy DJ, Fan E. Inhaled corticosteroids in patients with stabl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2008;300:2407-16. 28. Gershon AS, Campitelli MA, Croxford R, Stanbrook MB, To T, Upshur R, et al. Combination long-acting β-agonists and inhaled corticosteroids compared with long-acting β-agonists alone in older adul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AMA 2014;312:1114-21. 29. Wasswa-Kintu S, Gan WQ, Man SF, Pare PD, Sin DD. Relationship between reduce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and the risk of lung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orax 2005;60:570-5. 30. Lapperre TS, Snoeck-Stroband JB, Gosman MM, Jansen DF, van Schadewijk A, Thiadens HA, et al; Groningen Leiden Universities Corticosteroids in Obstructive Lung Disease Study Group. Effect of fluticasone with and without salmeterol on pulmonary outcomes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randomized trial. Ann Intern Med 2009;151:517-27. 31. Yao R, Wang Y, Lemon WJ, Lubet RA, You M. Budesonide exerts its chemopreventive efficacy during mouse lung tumorigenesis by modulating gene expressions. Oncogene 2004;23:7746-52. 32. Parimon T, Chien JW, Bryson CL, McDonell MB, Udris EM, Au DH. Inhaled corticosteroids and risk of lung cancer among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7;175:712-9. 33. Thompson AB, Mueller MB, Heires AJ, Bohling TL, Daughton D, Yancey SW, et al. Aerosolized beclomethasone in chronic bronchitis. Improved pulmonary function and diminished airway inflammation. Am Rev Respir Dis 1992;146:389-95. 34. Jen R, Rennard SI, Sin DD. Effects of inhaled corticosteroids on airway inflammat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 J Chron Obstruct Pulmon Dis 2012;7:587-95. 35. Keatings VM, Jatakanon A, Worsdell YM, Barnes PJ. Effects of inhaled and oral glucocorticoids on inflammatory indices in asthma and COPD.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7;155:542-8. 36. Bourbeau J, Christodoulopoulos P, Maltais F, Yamauchi Y, Olivenstein R, Hamid Q. Effect of salmeterol/fluticasone propionate on airway inflammation in COPD: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orax 2007;62:938-43. 37. Telenga ED, Kerstjens HA, Postma DS, Ten Hacken NH, van den Berge M. Inhaled corticosteroids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review. Expert Opin Pharmacother 2010;11:405-21. 38. Kardos P, Wencker M, Glaab T, Vogelmeier C. Impact of salmeterol/fluticasone propionate versus salmeterol on exacerbations in sever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7;175:144-9. 39. Sharafkhaneh A, Southard JG, Goldman M, Uryniak T, Martin UJ. Effect of budesonide/formoterol pmdi on COPD exacerbations: a double-blind, randomized study. Respir Med 2012;106:257-68. 40. Sin DD, Tashkin D, Zhang X, Radner F, Sjöbring U, Thorén A, et al. Budesonide and the risk of pneumonia: a meta-analysis of individual patient data. Lancet 2009;374:712-9. 41. Crim C, Calverley PM, Anderson JA, Celli B, Ferguson GT, Jenkins C, et al. Pneumonia risk in COPD patients receiving inhaled corticosteroids alone or in combination: TORCH study results. Eur Respir J 2009;34:641-7. 42. Malo de Molina R, Mortensen EM, Restrepo MI, Copeland LA, Pugh MJ, Anzueto A. Inhaled corticosteroid use is associated with lower mortality for subjects with COPD and hospitalised with pneumonia. Eur Respir J 2010;36:751-7. 43. Chen D, Restrepo MI, Fine MJ, Pugh MJ, Anzueto A, Metersky ML, et al. Observational study of inhaled corticosteroids on outcomes for COPD patients with pneumoni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11;184:312-6. 44. Brassard P, Suissa S, Kezouh A, Ernst P. Inhaled corticosteroids and risk of tuberculosis in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11;183:675-8. 45. Kim JH, Park JS, Kim KH, Jeong HC, Kim EK, Lee JH. Inhaled corticosteroid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TB in patients with COPD. Chest 2013;143:1018-24. 46. Ferguson GT, Calverley PM, Anderson JA, Jenkins CR, Jones PW, Willits LR, et al. Prevalence and progression of

osteoporosis in patients with COPD: results from the TOwards a Revolution in COPD Health study. Chest 2009;136:1456-65. 47. Etminan M, Sadatsafavi M, Ganjizadeh Zavareh S, Takkouche B, FitzGerald JM. Inhaled corticosteroids and the risk of fractures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rug Saf 2008;31:409-14.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