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광주 성인지 통계 브리프 - 안전 및 환경 Safety and Environment -
광주여성 사회안전에 대한 불안감 2012년 46.8% 2014년 59.1% 전반적 사회안전도 는 여성과 남성 모두 전국 최하위 사회안전에 대한 인식 - 2014년 광주여성의 사회안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범죄위험 으로부터 불안하 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76.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해킹 등의 정보 보안(66.2%), 건축물 및 시설물(63.9%), 교통사고(62.2%), 신종 전염병 (61.7%) 등의 순으로 불안하다는 비율이 높게 나타남 - 2012년 대비 불안감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부분은 건축물 및 시설물 에 대한 불안으로 12년 대비 39.6%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국가안보 (20.3%p), 자연재해(18.9%p) 순으로 증가함 주 : 불안감= 매우불안 과 비교적 불안 의 합. 자료 : 통계청, 사회조사(2014). 그림 1 광주여성의 사회 안전에 대한 불안감 시 도별 전반적 사회안전도에 대한 인식 - 전반적인 사회안전도에 대한 인식을 시 도별로 살펴보면, 경북이 15.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대전(12.1%), 충북(11.9%), 인천(11.7%), 전남 (11.5%), 강원(11.5%), 부산(10.5%), 서울(9.9%), 경남(8.5%), 대구(8.3%), 경기(8.2%), 충남(8.1%), 울산(7.8%), 전북(5.4%), 광주(4.7%) 순으로 나타남 - 광주여성의 경우 3.4%로 전국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전국평균(7.4%) 보다 4.0%p 낮고, 가장 높게 나타난 경북(11.8%)보다 8.4%p 낮게 나타남
- 광주남성의 경우 6.0%로 전국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전국평균(11.7%) 보다 5.7%p 낮고, 가장 높게 나타난 경북(18.5%)보다 12.5%p 낮게 나타남 주 : 안전도= 매우안전 과 비교적 안전 의 합. 자료 : 통계청, 사회조사(2014). 그림 2 시 도별 전반적 사회안전도에 대한 인식 야간 보행에 대한 두려움 - 야간 보행에 대한 두려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여성의 경우 52.9%가 두려운 곳 이 있다 고 응답하였고, 남성의 경우 27.0%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보다 야간 보행 시 두려움을 더 높게(25.9%p) 느낌. 야간 보행이 두려운 이유는 인적이 드물고, 가로등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남 자료 : 통계청, 사회조사(2014). 그림 3 야간보행에 대한 두려움
범죄자 수 꾸준히 증가 : 2005년 79,427명 2014년 86,468명 여성 범죄자 비율은 2005년 15.5%에서 16.1%로 0.6%p 증가 범죄자 수 및 여성비율 - 2005년~2014년 광주광역시 총 범죄자 수를 살펴보면 05년 79,427명에서 감소와 증 가를 반복하다가 14년 현재 86,468명으로 2005년 이후 가장 많은 범죄자 수를 기록함 - 2005년 79,427명을 기준(100.0)으로 할 때, 2014년도 범죄지수는 108.9로 8.9p 증가하였음(기 제시된 범죄위험 으로부터 불안하다는 비율이 76.2%로 가장 높게 나타난 통계수치 참고) - 여성 범죄자 수 역시 05년 12,329명에서 14년 13,946명으로 증가하였고, 전체 범 죄자에서 차지하는 여성비율은 15.5%에서 16.1%로 0.6%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자료 : 대검찰청, 내부자료. 그림 4 광주광역시 범죄자 수 및 여성비율 - 형법범과 특별법범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재산 폭력 강력범죄 등의 형법범은 2006년 33,246명을 기준(100.0)으로 할 때, 2014년 범죄지수는 124.0으로 24p 증가하였고, 도로교통법 식품위생법 조세법 등의 특별법범은 2006년 37,360 명을 기준(100.0)으로 할 때, 2014년 범죄지수는 121.1으로 21.1p 증가하여 형 법범의 증가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이를 다시 성별로 구분하여 여성비율을 살펴보면, 형법범의 경우 06년 19.6%에서 14년 16.1%로 3.5%p 감소한 반면, 특별법범의 경우 06년 12.5%에서 14년 16.2%로 3.7%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자료 : 대검찰청, 내부자료. 그림 5 형법범과 특별법범 범죄자 수 - 연령별로 살펴보면, 40대가 19,11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50대 (16,761명), 30대(16,094명), 20대(11,971명), 60대(5,233명), 10대(4,174 명), 70대(1,806명) 순으로 나타남 - 이를 다시 성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여성의 경우 50대가 3,11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30대(2,791명), 20대(2,077명), 40대(1,987명), 60대 (891명), 10대(655명), 70대(277명) 순으로 나타남. 남성은 40대가 17,129 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50대(13,645명), 30대(13,303명), 20대 (9,984명), 60대(4,342명), 10대(3,519명), 70대(1,529명) 순으로 나타남 주 : 미상제외. 자료 : 대검찰청, 내부자료. 그림 6 범죄자의 연령별 분포
강력범죄 피해자 976명 중 여성비율 86.0%(839명), 성평등 점수는 19.9점으로 전국 최하위로 나타나 시 도별 강력범죄 피해자 수 및 성평등 수준 - 2013년 광주광역시 강력범죄 피해자 현황을 살펴보면, 976명 중 여성은 839명 으로 피해자의 86.0%가 여성으로 나타남 - 강력범죄 피해자 성비에 대한 성평등 수준(점수)을 살펴보면, 경남과 울산이 69.3점 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경북(69.2점), 전남(67.7점), 충북(64.7점), 전북(63.9 점), 강원(63.4점), 대전(62.4점), 경기(59.9점), 대구(56.4점), 부산(55.8점), 충남 (55.6점), 인천(53.4점), 제주(46.6점), 서울(45.2점), 광주(19.9점) 순으로 나타남 - 광주광역시의 경우 19.9점으로 전국평균(57.5점)보다 37.6점 낮고, 점수가 가장 높 게 나타난 경남 울산(69.3)보다 49.4점 낮아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남 자료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지역별 성평등 수준 분석 연구(2014). 그림 7 시 도별 강력범죄 피해자 수 및 성평등 점수 여성긴급전화(1366) 상담의 54.1%가 가정폭력 2011년 28.1% 2014년 54.1%, 26.0%p 증가 여성긴급전화(1366) 상담 종류 - 광주여성의 긴급전화 상담 이용현황을 살펴보면, 2001년 3,823건에서 2014년 11,841건으로 약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2014년 상담 종류를 살펴보면, 총 11,841건 중 가정폭력 관련 상담이 54.1%(6,401건)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11년 28.1% 대비 26.0%p 증가함
주 : 복수응답. 자료 : 광주광역시여성발전센터, 내부자료. 그림 8 여성긴급전화(1366) 상담 현황 가정폭력 피해유형 - 가정폭력 피해유형을 살펴보면, 2014년 한해 총 6,401건 중 신체적 폭력 이 5,063건(79.1%)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정서적 폭력 1,205건(18.8%), 기타 90건(1.4%), 경제적 폭력 32건(0.5%), 성적 폭력 11건(0.2%)으로 나타남 주 : 복수응답. 자료 : 광주광역시여성발전센터, 내부자료. 그림 9 가정폭력 피해유형(2014) 가정폭력 가해자 유형 - 가정폭력 가해자 유형을 살펴보면, 2014년 총 6,406건 중 배우자 에 의한 폭력 이 5,428건(84.7%)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직계비속 508건(7.9%), 기타 233건(3.6%), 직계존속 113건(1.8%), 前 )배우자 88건(1.4%), 계부모 36건 (0.6%) 순으로 나타남
주 : 복수응답. 자료 : 광주광역시여성발전센터, 내부자료. 그림 10 가정폭력 가해자 유형(2014) 광주광역시 거주환경 만족도 : 12.8%가 불만족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자치구별로는 광산구가 불만족도 높아 거주환경 만족도 - 2014년 광주광역시 거주환경 만족도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12.8%가 불만족 이 라고 응답하였음. 성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여성(13.4%)이 남성(12.2%)보다 불만족 비율이 다소 높게 나타남 - 자치구별로는 광산구가 16.9%로 불만족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 로 서구/남구(13.4%), 동구(12.2%), 북구(10.8%) 순으로 나타남 자료 : 광주광역시, 광주사회조사(2014). 그림 11 거주환경 만족도
거주환경 불만족 사유 - 거주환경에 대해 불만족 하는 사유로는 대기오염 이 36.6%로 가장 높게 나타 났으며, 다음으로 교통불편(33.8%), 주차시설 부족(32.8%), 편의시설 부족 (20.7%), 교육여건 불리(17.7%), 유흥업소(12.2%) 등의 순으로 나타남 -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의 경우 대기오염 이 37.7%로 가장 높았고, 교통불편 (35.2%), 주차시설 부족(28.3%), 편의시설 부족(21.1%) 등의 순이었음. 남성 은 주차시설 부족 이 37.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대기오염(35.3%), 교통불 편(32.3%), 편의시설 부족(20.4%) 등의 순으로 나타남 -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동구 는 교통불편/대기오염(24.6%) > 주차시설 부족 (20.2%), 서구 는 주차시설 부족(36.4%) > 대기오염(27.6%) > 편의시설 부족 (10.3%), 남구 는 교통불편(40.0%) > 편의시설 부족(19.4%) > 주차시설 부족 (16.8%), 북구 는 교통불편(30.1%) > 편의시설 부족(19.2%) > 대기오염 (17.6%), 광산구 는 대기오염(49.4%) > 교통불편(18.9%) > 주차시설 부족 (9.9%) 등의 순으로 나타남 자료 : 광주광역시, 광주사회조사(2014). 그림 12 거주환경 불만족 사유
희망하는 거주형태 : 아파트(42.2%) > 전원주택(32.3%) > 단독주택(21.3%) 주택정책 방향에 대한 견해 : 공공임대 아파트 건설 을 희망 희망하는 거주형태 - 희망하는 거주형태에 대하여 살펴보면, 여성과 남성 모두 아파트 를 가장 선호하 는 것으로 나타남. 여성은 아파트(49.2%), 전원주택(26.5%), 단독주택(20.3%) 순으로 선호하였고, 남성 역시 아파트(39.5%), 전원주택(34.5%), 단독주택 (21.7%) 순으로 선호함 - 상대적 비율의 차이는 있지만 여성은 남성보다 아파트 선호도가 9.7%p 더 높게 나타났고, 남성은 여성보다 전원주택 선호도가 8.0%p 더 높게 나타남 자료 : 광주광역시, 광주사회조사(2014). 그림 13 희망하는 거주형태 주택정책 방향에 대한 견해 - 광주광역시의 주택정책 방향에 대한 견해로는 공공임대 아파트 건설(32.1%), 도심재개발(29.1%), 전원주택 빌라 공급(16.1%) 등의 순으로 나타남 -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은 공공임대 아파트 건설 이 37.4%로 가장 높았고, 도심 재개발(27.7%), 전원주택 빌라 공급(14.3%) 등의 순이었음. 남성 역시 상대적 비율의 차이는 있지만, 공공임대 아파트 건설(30.0%), 도심재개발(29.6%), 전원 주택 빌라 공급(16.9%) 등의 순으로 나타남 -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동구(44.5%)와 남구(33.5%)는 도심재개발 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서구(38.2%), 북구(31.0%), 광산구(35.1%)는 공공임대 아파트 건설 이 가장 높게 나타남
자료 : 광주광역시, 광주사회조사(2014). 그림 14 광주광역시 주택정책 방향에 대한 견해 환경문제에 대한 불안감 : 여성이 남성보다 더 느껴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여성이 남성보다 더 노력하고 있음 환경문제에 대한 불안감 - 환경문제에 대한 불안감에 대해 살펴본 결과, 기후변화, 유해 화학물질, 황사 미 세먼지, 농약사용 등의 모든 영역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불안하다 고 느끼는 비 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 자료 : 통계청, 사회조사(2014). 그림 15 환경문제에 대한 불안
환경오염 방지 노력 -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대중교통 이용, 분리수거,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합성세 제 사용 줄이기, 일회용품 줄이기, 에너지 절약형 제품 구입, 환경보호 운동 참 여 등 모든 영역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에너지 절약형 제품 구입, 환경보호 운동 참여 영역에서 노력하지 않음 의 비율 이 노력함 의 비율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나, 그 외 모든 영역에서는 여성과 남성 모두 노력함 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남 자료 : 통계청, 사회조사(2014). 그림 16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