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청년 일자리 창출 방안 연구



Similar documents
ºñÁ¤±ÔħÇغ¸°í¼�.hwp

ºñÁ¤±Ô±Ù·ÎÀÇ ½ÇÅÂ¿Í °úÁ¦.hwp

발간등록번호대한민국의새로운중심 행복도시세종 2015 년기준 사업체조사보고서 Report of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출산전후근로및임금동학에관한연구 첫자녀출산과연계된경력단절및복귀를중심으로 I. 서론

MRIO (25..,..).hwp

hwp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 2 -

hwp

< B0E6C3D12D4A424620BBF3C8A3B1B3B7F9C7C1B7CEB1D7B7A520C8B8C0C720C0DAB7E12028C3BBB3E2BDC7BEF72928BCADBFB5C1F8292E687770>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유형간중복을제거한비정규직규모는 < 참고 2> 를참조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 ii - - iii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 김 현 아 연구위원 허 윤 경 연구원 엄 근 용

<C0CEB1C7C0A7C3D6C1BEBAB8B0EDBCAD28BCF6C1A4BABB E687770>

이연구내용은집필자의개인의견이며한국은행의공식견해 와는무관합니다. 따라서본논문의내용을보도하거나인용 할경우에는집필자명을반드시명시하여주시기바랍니다.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과장 ( 전화 : , *

서울 노동시장구조와 동향

09³»Áö

년 6 월 3 일공보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

나하나로 5호

2006

<322EC6AFC1FD315F B3E220B3EBB5BFBDC3C0E5C6F2B0A1B9D B3E220C0FCB8C15FB5BFC7E2BAD0BCAEC6C02E687770>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³»Áö_10-6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untitled

< B3E220C1F6BFAABCD2B5E62028C0E1C1A42920BAB8B5B5C0DAB7E12E687770>

hwp

순 서 고용부문잠정결과 종사자동향월말기준 노동이동월중 입직 이직 근로실태부문 월급여계산기간기준 임금 근로시간 월누계근로실태 시계열자료 사업체노동력조사개요

<33BFF9B0EDBFEBB5BFC7E22E687770>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목차 Ⅰ Ⅱ (2013)

ÁÖ5Àϱٹ«Á¦Á¶»ç(03).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3Â÷ ³»Áö »ý¸íº¸ÇèÇùȸ-¼ºÇâÁ¶»çº¸°í¼Ł-14Â÷ 2015³â.PDF

Çʸ§-¾÷¹«Æí¶÷.hwp.hwp

성인지통계

2015 년도연구용역보고서 혁신형중소기업지원정책의 현황및개선방안연구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연구책임자 경기대학교경제학과교수

_1.hwp

¿¹»ê»ç¾÷Æò°¡(±âŸ)-¼öÁ¤.hwp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분석 123 다.세부 분석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남성과 여성 모두 대면채널을 통한 가입이 90% 이상으로 월등히 높음. <표 Ⅱ-2>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구 분 남성 여성 대면 직판 은행 0.2 1

<BFA9BCBAC0C720C1F7BEF7B4C9B7C220B0B3B9DFB0FA20C3EBBEF7C1F6BFF820C1A4C3A5B0FAC1A62E687770>

º»ÀÛ¾÷-1

[KDI]토론회자료_최종[1].hwp

2003report hwp

¿©¼ººÎÃÖÁ¾¼öÁ¤(0108).hwp

Contents iii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이슈분석 최근 고용추이와 2016년 고용전망 박진희*, 이시균** <요 약> 201년 1~6세 핵심 연령계층의 고용률은 여성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고용사정이 나아져 통계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취업자 증가는 천 명 증가하여 전년에 비해 둔화되었다. 최근 취

<C1A4C3A5B8AEC6F7C6AE C8A3202D20BCF6C1A4322E687770>

지역 고용동향 브리프 대구경북의 고용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49 <그림 1> 대구경북 취업자 및 취업자 증감률 대구경북 취업자 추이 (단위: 천명) 취업자 증감률 (%) 1450 대구취업자 경북취업자 15.0 전국 대구 경북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제4395호 편집.hwp



<355FC0CCBDB4BAD0BCAE5FBCBAC0E7B9CE E687770>

+ 최근 전력소비 증가세 둔화의 원인과 전망 경제성장률 총전력 증가률 총전력 추세 그림 1 경제성장률과 총 전력 증가율 계절변동 2 전력소비 추세 둔화 현상과 주요 원인 전력수요의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계절의 변 화에 따른 변동치를 따로 떼어놓고 보아야 한다. 그

....pdf..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µ¿ºÎ°æ¿µÀÚ-6¿ùÈ£ 8È£š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예 ) 일정수준임금이하또는이상의근로자를기준으로저 ( 최저 ) 임금근로자규모 ( 비중 ) 또는고임금근로자규모 ( 비중 ) 등을산출하는경우

Y Z X Y Z X () () 1. 3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hwp

중증장애인의 현황과 정책방향 (4) 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활동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 3년을 맞이하여, 전국에 있는 활동지원 서비스 제공기관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고, 이 를 통해 향후 활동지원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제공기관 측면에서의 과제를 살펴보

ÃѼŁ1-ÃÖÁ¾Ãâ·Â¿ë2

2-6ÀÏ-»ý»ê¼º±¹Á¦ºñ±³.PDF

<B8C5BFF9B0EDBFEBB5BFC7E2BAD0BCAE2036BFF9C8A32E687770>

2013 년도연구용역보고서 중소기업정책자금지원의경기대응효과분석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연구책임자 한남대학교경제학과교수황진영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CR hwp


일러두기 지역경제동향 은지역경제에대한이해와지역정책수립및 연구에필요한기초자료제공을목적으로매분기 (2, 5, 8, 11 월 ) 에 발간하고있습니다. 이보도자료는통계청이작성하고있는생산, 소비, 투자 ( 건설 수주 ), 무역 ( 관세청의통관자료 ), 물가, 고용및국내인구이동을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경북지역일자리공시제내실화방안

공무원복지내지82p-2009하

육계자조금29호편집

수정보고서(인쇄용).hwp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 2 -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차 례

사 창업진흥원

<C0CCBCF8BFE42DB1B3C1A4BFCFB7E12DB1E8B9CCBCB12DC0DBBCBAC0DAB0CBC1F5BFCFB7E12DB8D3B8AEB8BBB3BBBACEC0DAB0CBC1F52E687770>

목차 제1절서론 1 1. 연구배경및목적 1 2. 이론적고찰 2 3. 연구내용및방법 10 제 2 절인구이동의요인분석 전국총이동규모의변동요인 지역별인구이동요인분석 22 제 3 절결론 요약 연구의한계 42 < 부록 > 45

hwp

Transcription:

Jthink 2010-PR-04 전라북도 청년 일자리 창출 방안 연구 2010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시도서목록(CIP) 전라북도 청년 일자리 창출 방안 연구 / 김성민, 홍성효, 유태우. -- 전주 : 전북발전연구원, 2010 p. ; cm. -- (전발연 ; 2010-PR-04) 참고문헌 수록 ISBN 978-89-92471-96-1 93330 : 비매품 고용 정책[ 雇 用 政 策 ] 일자리 창출[-- 創 出 ] 321.524-KDC5 331.12-DDC21 CIP2010003908

연 구 진 연 구 책 임 김 성 민 전북발전연구원 부연구위원 연 구 원 홍 성 효 전북발전연구원 부연구위원 유 태 우 전북발전연구원 연 구 원 자 문 위 원 강 영 숙 군 산대학교 교 수 정 수 진 원 광대학교 교 최 창 곤 전 북대학교 교 수 수 연구관리 코드 : 10JU04 이 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진의 견해로서 전라북도의 정책과는 다를 수도 있습니다.

연구의 요약 2000년대 초반에 35%에서 40% 정도에 머물던 전라북도 청년 인구의 고용률은 2008년 이후 급속도로 감소하고 있으며 실업률 지표에서도 2008년 이후 전라북도 청년 계층의 실업률은 큰 변동폭 속에서 8%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청년 계층의 낮은 고용률이나 높은 실업률은 비단 전라북도만의 문제는 아니다. 청년들을 위한 고용시장은 그들의 직업과 관련된 경험 부족이나 적성이나 직업에 대한 정보 부 족으로 인해서 외부 여건에 가장 민감하게 작용하는 곳으로써 이들 계층의 실업 문제는 지역을 떠나 국가 전체의 중요한 문제로 자리잡고 있다. 지속적으로 높은 청년 실업률은 청년들이 제 시기에 받아야 할 직업훈련을 제 대로 받지 못하면서 현재에서 미래로 이어지는 노동시장의 인적 자본 투입에 공 백을 만들어 노동 시장의 인력 구성을 고령화시킴으로써 노동시장의 효율성을 저 하시키고 경쟁력을 약화시킨다. 또한 학교를 졸업한 이후 일자리라는 벽에 부딪히 게 되는 청년들의 상실감은 장기적인 사회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보고서는 전라북도 지역에 초점을 맞추어 전라북도 청년 계층을 위한 고용 정책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 기존의 연구들이 유독 청년 계층의 실업률이 다른 계층에 비해 높은 원인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다 뤘다면 본 연구에서는 청년 계층의 높은 실업률과 관련된 원인 분석보다는 현재 전라북도 경제 및 산업 구조의 특성을 파악하고, 더불어 전라북도 청년 고용정책 의 수혜자인 청년들의 직업에 관한 의식 구조를 조사한 이후에 가장 전라북도에 적합하면서도 현재 필요한 정책 방안들을 제안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해외 청년 계층을 위한 정책 사례 및 중앙 정부와 타 지역의 고용 정책 사례들을 벤치마킹하 고 이러한 정책들을 최근 전라북도가 실시한 정책 방안들과 함께 검토하였다. 이러한 기초 연구들을 바탕으로 전라북도 청년 계층을 위한 고용 정책을 취업 준비를 위한 정책 방안과 정보 지원을 위한 방안, 그리고 현재 시장에서 가장 고 질적인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중소기업의 구인구직 미스매치 해소 방안과 관련된 정책들을 먼저 제안하고 다음으로 실질적인 청년 계층의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 해서 청년 창업과 함께 전라북도형 사회적 기업 육성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 i -

목 차 제 1 장 서 론 3 제 1 절 연구배경 및 목적 3 제 2 절 연구 범위 및 방법 5 제 2 장 전라북도 지역 노동시장의 특성 9 제 1 절 전라북도 경제 및 산업구조 9 1. 전라북도 지역내 총생산 현황 9 2. 전라북도의 산업 집중도 분석 13 3. 전라북도의 산업 특화도 분석 17 4. 전라북도와 전국의 산업별 취업계수 비교 분석 18 제 2 절 전라북도 고용시장의 특성 21 1. 전라북도 전체 노동시장의 현황 21 2. 전라북도 청년 노동시장의 특성 분석 30 제 3 장 전라북도 청년 일자리를 위한 기존 사업 57 제 1 절 전라북도 기존 사업: 2006년 ~ 2010년 57 1. 2006년도 추진 사업 57 2. 2007년도 추진 사업 59 3. 2008년도 추진 사업 63 4. 2009년도 추진 사업 69 5. 2010년도 추진 사업 75 제 2 절 전라북도 기존 사업의 특성 분석 80 1. 일자리 관련 사업 80 2. 중소기업 육성 관련 사업 82 제 3 절 지역 청년 노동시장의 특성과 기존 사업간 관계 분석 84 1. 전라북도 청년 계층의 직업 선호도 및 취업 관련 의식 조사 84 2. 전라북도 사업체 현황 및 특징 99 3. 전라북도 지역적 특성과 기존 사업간 관계 분석 108

제 4 장 청년 일자리를 위한 해외 정책 및 사례 검토 117 제 1 절 해외지역의 청년 실업 해소를 위한 정책 117 1. 미국의 청년 계층 고용 정책 119 2. 영국의 청년 계층 고용 정책 121 3. 프랑스의 청년 계층 고용 정책 125 4. 독일의 청년 고용 정책 128 5. 호주의 청년 계층 고용 정책 130 6. 벨기에의 청년 계층 고용 정책 131 7. 기타 국가들의 고용 정책 134 제 2 절 중앙정부의 청년 고용률 제고 방안 136 1. 일자리 중개 시스템 정비 137 2. 중소기업 고용 촉진 방안 138 제 3 절 타 지역의 청년 고용을 위한 사례 검토 140 1. 서울지역의 사례 140 2. 부산지역의 사례 143 3. 대구지역과 경상북도의 사례 148 제 5 장 전라북도 청년일자리 창출 방안 159 제 1 절 청년 계층을 위한 취업 및 고용지원 사업 159 1. 취업 준비 지원 사업 159 2. 청년 고용률 제고를 위한 정보 지원 사업 164 3. 중소기업 미스매치 해소 관련 사업 166 제 2 절 전라북도 청년 일자리 창출 사업 175 1. 청년 창업을 통한 신규 일자리 창출 사업 175 2. 전라북도형 사회적 기업 설립을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 방안 176 제 6 장 결 론 185 1. 청년 계층을 위한 취업 및 고용 지원 사업 186 2. 전라북도 청년 계층을 위한 신규 일자리 창출 사업 187 참고문헌 191

표 목 차 <표 2-1> 전라북도와 전국 연도별 총생산 추이 및 비교 9 <표 2-2> 전라북도 산업별 지역내 총생산 변화: 2007년 10 <표 2-3> 전라북도 산업별 지역내 총생산 변화: 2008년 11 <표 2-4> 전라북도 산업별 지역내 총생산 증감률 변화: 2004년-2008년 12 <표 2-5> 전국 총생산 산업별 증감률 변화: 2004년 - 2008년 13 <표 2-6> 전국과 전라북도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 비교(전산업) 14 <표 2-7> 전라북도와 전국 산업별 사업체 수 비교: 2008년 15 <표 2-8> 전라북도와 전국 산업별 종사자 수 비교: 2008년 16 <표 2-9> 전라북도 산업별 입지계수 분석: 2007-2008 18 <표 2-10> 전국과 전라북도 산업별 취업자 수 비교: 2008 19 <표 2-11> 전국과 전라북도 산업별 취업계수 비교: 2008 20 <표 3-1> 전라북도의 일자리 관련 교육 훈련사업 81

그 림 목 차 <그림 2-1> 전국 대비 전라북도 15세 이상 총인구비율과 청년 인구 비율 21 <그림 2-2> 전국과 전라북도 전체 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 22 <그림 2-3> 전국과 전라북도 청년 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 22 <그림 2-4> 전국과 전라북도의 전체 인구 고용률 23 <그림 2-5> 전국과 전라북도의 청년인구 고용률 24 <그림 2-6> 전국과 전라북도의 전체 인구 실업률 비교 25 <그림 2-7> 전국과 전라북도의 청년 인구 실업률 비교 25 <그림 2-8> 전국과 전라북도의 순일자리 창출 개수 비교 26 <그림 2-9> 전국 대비 서울과 전라북도의 순일자리 창출 비율 27 <그림 2-10> 전국의 전체 인구 실업률과 전국 순일자리 창출 비교 28 <그림 2-11> 전라북도의 전체 인구 실업률과 전라북도 순일자리 창출 비교 29 <그림 2-12> 전국 청년 인구 실업률과 전국 순일자리 창출 비교 29 <그림 2-13> 전라북도 청년 인구 실업률과 전라북도 순일자리 창출 비교 30 <그림 2-14> 2009 전문대학 졸업자의 취업률과 미취업자 비중 31 <그림 2-15> 2009 대학교 졸업자의 취업률과 미취업자 비중 31 <그림 2-16> 2009 대학원 졸업자의 취업률과 미취업자 비중 32 <그림 2-17> 졸업자의 취업률 현황: 전국과 전라북도 비교 33 <그림 2-18> 대학교 졸업자의 취업률 현황: 전국과 전라북도 비교 34 <그림 2-19> 대학원 졸업자의 취업률 현황: 전국과 전라북도 비교 35 <그림 2-20> 전문대학 졸업자의 취업회사 규모: 2007-2009 36 <그림 2-21> 대학교 졸업자의 취업회사 규모: 2007-2009 37 <그림 2-22> 대학원 졸업자의 취업회사 규모: 2007-2009 38 <그림 2-23> 전문대학 졸업자의 근무지 비율: 2006-2009 40 <그림 2-24> 대학교 졸업자의 근무지 비율: 2006-2009 42 <그림 2-25> 대학원 졸업자의 근무지 비율: 2006-2009 43 <그림 2-26> 전국과 전라북도 전문대학 졸업자의 전공일치 비율 비교 44 <그림 2-27> 전국과 전라북도 대학교 졸업자의 전공일치 비율 비교 45 <그림 2-28> 전국과 전라북도 대학원 졸업자의 전공일치 비율 비교 45 <그림 2-29> 2006 전문대학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46

<그림 2-30> 2007 전문대학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47 <그림 2-31> 2008 전문대학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48 <그림 2-32> 2009 전문대학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48 <그림 2-33> 2006 대학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49 <그림 2-34> 2007 대학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50 <그림 2-35> 2008 대학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50 <그림 2-36> 2009 대학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51 <그림 2-37> 2006 대학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52 <그림 2-38> 2007 대학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52 <그림 2-39> 2008 대학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53 <그림 2-40> 2009 대학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53 <그림 3-1> 전라북도 대학생들의 직업 선호도 85 <그림 3-2> 대기업 취업 준비 가능기간 86 <그림 3-3> 공무원 취업 준비 가능기간 87 <그림 3-4> 전라북도 대학생들의 취업 희망 지역 88 <그림 3-5> 취업 희망 지역 선택의 주요 결정 요인 89 <그림 3-6> 전라북도 대학생들의 취업 결정시 가장 중요한 선택 요인 90 <그림 3-7> 전라북도 대학생들의 희망 월평균 소득 91 <그림 3-8> 전라북도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심각한 청년 노동시장의 이유 93 <그림 3-9>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구직이 어려운 이유 94 <그림 3-10> 전라북도 대학생들이 원하는 청년 고용정책 95 <그림 3-11> 전라북도 대학생들의 구직 경로 96 <그림 3-12> 전라북도 대학생들의 중소기업 취업 의향 97 <그림 3-13> 중소기업을 회피하는 가장 큰 원인 99 <그림 3-14> 전라북도 사업체의 중소기업 비중 100 <그림 3-15> 중소제조업 이직 사유: 전국과 전라북도 비교 101 <그림 3-16> 중소제조업에서 부족인원 확보시 애로 요인(전문직) 103 <그림 3-17> 중소제조업에서 부족인원 확보시 애로 요인(기술직 및 준전문직) 104 <그림 3-18> 중소제조업에서 부족인원 확보시 애로 요인(기능직) 105 <그림 3-19> 중소제조업에서 부족인원 확보시 애로 요인(단순노무직) 106 <그림 3-20> 5인 이상 기업체의 인력 부족률 107 <그림 3-21>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인력 부족률 107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배경 및 목적 청년층의 고용률이나 실업률은 경기 변동과 같은 경제 상황에 가장 민감하게 움직이며 이들 계층의 특성인 직업 경험의 부족이나 관련 기술의 부족과 같은 다른 여건 역시 고용률과 실업률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학교 교육과 산업에서 청년들에게 요구하는 능력간의 차이가 증가하면서 학교 교육을 마치고 난 이후에도 취업을 못하는 청년들의 비중은 증가하고 있고, 이들 계층의 실업 문제 는 지역 차원을 떠나 국가적인 문제로 대두될 정도로 사회적인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전라북도의 청년 계층의 고용률과 실업률을 전국 수준과 비교해보면, 2000년대 초반이후 증가세를 보이며 45% 정도까지 증가하던 전국 수준의 청년 인구 고용률은 2005년 이후에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전체적으로 2000년대 초반에 35%에서 40% 미만에 머물던 전라북도의 청년 인구 고용률 역시 2008년 이후 급속도로 감소하고 있다. 또한 청년 인구를 기준으로 전라북도와 전국 수준의 실업률에 관한 분석에서 도 청년 계층의 실업률에 관한 심각성은 지적되고 있다. 전국 수준에서의 청년 실 업률은 2000년대 이후로 6%에서 10% 정도의 실업률을 보이고 있으나, 전라북도의 경우 실업률 변동 폭이 매우 커서 낮은 경우에는 5%를 기록하기도 하지만, 실업 률이 높은 경우에는 12%에 달하기도 한다. 높은 청년 실업률은 미래의 한국을 이끌어 나갈 세대들에게 사회의 진입 초기 단계부터 일자리라는 높은 벽으로부터 자신감을 상실하게 만들고 이로 인해서 사 회 부적응 인구의 증가와 함께 신진 인력의 부족으로 노동 시장을 둔화시키고 사 회 내 인력 구성을 중 장년화 시킴으로써 노동시장 자체의 효율성을 저하시킨다. 더불어 장기적으로는 이러한 인력들이 제 시기에 받아야 할 인적 투자를 제대로 받지 못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인적 자원 부분에 있어서 노동시장의 경쟁력 약화 가 가속화 된다. - 3 -

기존의 연구에서도 청년 계층이 다른 연령 계층에 비해서 유독 높은 실업률을 보이는 이유에 대해서 많은 분석들이 존재한다. 일단 청년들의 경우는 일자리를 찾는 경험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장년층의 경우 이미 직업 경험을 통해서 자신 의 능력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는 상태이며 또한 다른 기업이나 일자리 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구직이나 이직이 가능하지만, 청년 계층은 일자리에 대한 정보 부족 이외에도 자신의 역량이나 소질에 대한 탐 구조차 정확하게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자리를 구하기가 더욱 어려우며, 이미 일자리를 구한 이후에도 자신의 적성과 맞지 않아 포기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노동시장의 공급자인 청년 계층 측면에서 실업 원인을 분석하는 방법 이외에 도 청년 실업률이 전체 실업률보다 높게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노동시장의 수요 자인 기업 측면에서도 설명이 가능하다. 기업 측면에서 신규 고용은 기업에게 직 업 훈련이라는 비용을 투자하게 하므로 경기가 호황인 경우에는 이러한 인적 개 발 비용을 투자하여 새로 고용한 인력 자원을 기업에 적절하게 활용하고자 하지 만 경제적인 상황이 그다지 좋지 못한 경우에는 이러한 추가 비용을 요구하는 신 규 고용보다는 이미 훈련이 되어 있는 경력직의 고용을 더욱 선호하게 된다. 또한 경기 침체의 가속화로 인해서 기업이 기존의 일자리를 감소해야 할 때에도 기업 은 기업에 맞는 숙련된 지식과 기술을 보유한 중 장년층 직원보다는 신규 직원을 더 먼저 해고하게 된다. 따라서 현상적으로도 청년 계층의 고용은 경기 변동에 매 우 민감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청년 실업의 증가는 결과적으로 실업 급여과 같은 사회 보장 비용의 증가와 여러 제반 비용을 통한 재정 부담과 함께 경제의 성장 속도 둔화 및 여러 사회적인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들 청년 실업을 해소하기 위한 보다 근 본적이고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취지 속에서 이번 연구에서는 전라북도의 지역적 특성과 전라북도 청년 노동시장의 특성에 근거하 여 전라북도 청년 계층의 고용률을 증가시키고 청년 실업을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생각해 볼 것이다. - 4 -

제 2 절 연구 범위 및 방법 본 과제는 전라북도의 높은 청년 실업률을 해소하기 위한 청년 일자리 창출 방안에 대한 연구로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먼저 각 기관에서 발표된 경제활동참가인구, 실업률, 고용률, 일자리 창출률과 같은 전라북도 노동시 장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전라북도 노동시장의 현황을 분석하고, 또한 전 라북도 지역의 청년 노동시장의 특수성을 보다 자세히 분석하기 위해서 교육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전라북도 대학생들의 졸업 현황과 취업 현황 등을 파악하고, 더 불어 청년 계층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대한 전라북도 노동 시장의 특성을 분석할 것이다. 다음으로 기존에 전라북도가 실시한 사업들을 분석함으로써 이를 현재 전라북 도 노동시장의 특성과 함께 고려하여 현실과 기존 실시 사업 간의 틈을 줄이고 보 다 실질적인 고용정책을 찾고자 노력할 것이다. 또한 청년 일자리 창출이나 청년 고용정책과 관련하여 해외의 사례나 중앙 정부의 추진 방안, 그리고 타 지방자치 단체에서 실시하는 방안들을 검토함으로써 전라북도가 벤치마킹할 수 있는 효과 적인 정책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라북도 청년을 위해 보다 많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전라북도 고용정책으로서 먼저 기존에 실시한 고용관련 사업을 보완할 수 있는 정책 제안과 함께 새로운 사업을 함께 제안할 계 획이다. - 5 -

제2장 전라북도 지역 노동시장의 특성 제1절 전라북도 경제 및 산업구조 제2절 전라북도 고용시장의 특성

제 2 장 전라북도 지역 노동시장의 특성 제 1 절 전라북도 경제 및 산업구조 OECD는 일괄적인 중앙 집중형 노동시장 정책보다는 고유한 성격을 가진 지역 단위별 노동시장 정책이 한 지역의 고용을 증진시키고 산업 및 경제를 성장시키 는데 더욱 효과적임을 발표하였으며(OECD, 2000), 따라서 지역 노동시장의 특색 에 기초한 노동시장 정책 수립이 현재 정부나 여러 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적극 적인 정부의 노동시장 정책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한국 전체의 노동시장은 동질적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지역별 고용의 구조적인 측면이나 정책 입안으로 인한 고용 창출 효과 등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 으므로 지역 단위의 노동시장 정책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전라북도 역시 지역 노동시장만의 특수성을 기반으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고용정책을 만들기 위 해서는 먼저 전라북도 지역 노동시장의 특수성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 그 선결 조건이 될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이번 장에서는 전라북도 경제 현황 및 산 업구조 분석과 함께 청년 계층에 초점을 둔 전라북도 노동시장의 특성을 분석하고 있다. 1. 전라북도 지역내 총생산 현황 <표 2-1> 전라북도와 전국 연도별 총생산 추이 및 비교 (단위 : 백만원) 구분 전라북도 전국 전국대비 지역내총생산 증가율 총생산 증가율 비중 2000 21,772,991 5.13% 691,467,810 8.01% 0.0315 2001 22,267,828 2.25% 718,652,029 3.86% 0.0310 2002 23,079,665 3.58% 778,485,333 8.00% 0.0296 2003 24,245,359 4.93% 806,524,079 3.54% 0.0301 2004 24,764,793 2.12% 834,771,320 3.44% 0.0297 2005 25,221,161 1.83% 869,304,594 4.05% 0.0290 2006 26,366,427 4.44% 914,018,451 5.02% 0.0288 2007 27,850,680 5.48% 965,297,715 5.46% 0.0289 2008 28,146,964 1.06% 987,632,798 2.29% 0.0285 자료: 국가통계포털, 원자료 (http://kosis.kr/nsportal) - 9 -

2007년 전라북도의 지역내 총생산 비중이 가장 큰 산업은 제조업으로 전라북도 전체 규모에 21.4%를 차지하며 다음으로 농림어업과 건설업, 행정 관련 산업이나 교육 서비스 사업이 8-9% 내외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국 규모와 비교해 볼 때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산업 분야는 농림어업으로서 전국 규모 대비 10.37%를 차지하고 있으며, 광업과 건설업, 행정 관련 산업 및 교육 서비스 산업 등이 전국 규모 대비 약 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표 2-2> 전라북도 산업별 지역내 총생산 변화: 2007년 (단위 : 백만원) 구분 지역내 총생산 전라북도 지역내 GRDP비중 총생산 전국 GRDP비중 전국대비 비중 농업, 임업 및 어업 2,737,652 0.0983 26,404,052 0.0274 0.1037 광업 77,884 0.0028 1,944,130 0.0020 0.0401 제조업 5,960,479 0.2140 248,690,756 0.2576 0.0240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사업 385,344 0.0138 19,034,085 0.0197 0.0202 건설업 2,398,786 0.0861 62,823,817 0.0651 0.0382 도매 및 소매업 1,755,148 0.0630 77,767,771 0.0806 0.0226 운수업 956,104 0.0343 39,716,647 0.0411 0.0241 숙박 및 음식점업 483,877 0.0174 19,623,701 0.0203 0.0247 정보 및 통신업 576,135 0.0207 38,900,839 0.0403 0.0148 금융 및 보험업 1,344,435 0.0483 61,982,344 0.0642 0.0217 부동산업 및 임대업 1,453,158 0.0522 66,392,630 0.0688 0.0219 사업서비스업 513,124 0.0184 41,013,278 0.0425 0.0125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2,554,382 0.0917 53,981,297 0.0559 0.0473 교육 서비스업 2,225,230 0.0799 50,786,511 0.0526 0.0438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1,017,241 0.0365 26,933,783 0.0279 0.0378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228,702 0.0082 10,639,239 0.0110 0.0215 기타 개인 서비스업 624,297 0.0224 19,290,778 0.0200 0.0324 자료: 국가통계포털, 원자료 (http://kosis.kr/nsportal) 이러한 비중은 2008년에서는 조금 다른 양상으로 전개된다. 2008년 전라북도 지역내 총생산에서 제조업의 비중은 20.47%로서 전년도에 비해 약간 감소했으나, 농림어업이나 건설업, 그리고 공공 행정 관련 산업 및 교육 서비스 산업 비중 등 은 약간씩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2007년도에 비해서 2008년에는 서 - 10 -

비스 관련 산업 분야가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국 규모와 비교해보면 농림어업은 전라북도 산업 중 전국 대비 비중이 여전 히 가장 높은 산업으로서 전년도인 2007년에 비해 약간 증가한 10.74%의 비중을 보이고 있다. 광업의 전국 대비 비중은 전년도에 비해 1.2% 감소했으며, 공공 행 정 관련 산업 및 교육 서비스 산업 비중에는 큰 변화가 없다. 건설업은 새만금 개 발로 인해서 2007년도에 비해서 0.4% 증가한 4.23%를 기록하고 있다. 2008년에 도 내에서 비중이 증가한 서비스 산업의 전국 대비 비중은 2007년의 전국 규모에 비 해서 기타 개인 서비스업을 제외하고는 약간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표 2-3> 전라북도 산업별 지역내 총생산 변화: 2008년 (단위 : 백만원) 구분 지역내 총생산 전라북도 지역내 GRDP비중 총생산 전국 GRDP비중 전국대비 비중 농업, 임업 및 어업 2,991,570 0.1063 27,856,860 0.0282 0.1074 광업 54,861 0.0019 1,944,243 0.0020 0.0282 제조업 5,761,085 0.2047 256,083,961 0.2593 0.0225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사업 388,721 0.0138 20,037,441 0.0203 0.0194 건설업 2,617,609 0.0930 61,826,282 0.0626 0.0423 도매 및 소매업 1,776,388 0.0631 78,924,997 0.0799 0.0225 운수업 946,653 0.0336 40,760,049 0.0413 0.0232 숙박 및 음식점업 486,922 0.0173 19,755,661 0.0200 0.0246 정보 및 통신업 594,343 0.0211 40,248,965 0.0408 0.0148 금융 및 보험업 1,360,049 0.0483 64,644,054 0.0655 0.0210 부동산업 및 임대업 1,492,670 0.0530 67,480,491 0.0683 0.0221 사업서비스업 530,701 0.0189 42,095,736 0.0426 0.0126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2,630,291 0.0934 54,940,480 0.0556 0.0479 교육 서비스업 2,268,380 0.0806 51,744,161 0.0524 0.0438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1,092,910 0.0388 28,533,191 0.0289 0.0383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237,472 0.0084 10,964,731 0.0111 0.0217 기타 개인 서비스업 637,755 0.0227 19,973,497 0.0202 0.0319 자료: 국가통계포털, 원자료 (http://kosis.kr/nsportal) - 11 -

2005년의 급격한 감소를 보였던 농림어업의 지역내 총생산은 2008년에 다시 높은 성장세를 보이면서 2008년 전라북도 산업별 증가율 중 가장 높은 수치인 8.87%를 기록한다. 광업의 경우는 반대로 마이너스이던 2004년의 성장세가 2005년에 25.22% 까지 증가하지만 다시 2008년에 -35.04%로 하락하는 등 급격한 변동 수준을 기록하 고 있다. 전라북도 제조업의 경우는 2004년 이후 전체적으로 평이한 수준의 플러스 성장세를 보이다가 2008년에만 -3.4%로 감소한다. <표 2-4> 전라북도 산업별 지역내 총생산 증감률 변화: 2004년 ~ 2008년 산업 2004 2005 2006 2007 2008 농업, 임업 및 어업 12.31% -5.28% 3.43% 3.29% 8.87% 광업 -12.80% 25.22% 20.40% 2.26% -35.04% 제조업 8.40% 3.70% 5.52% 6.54% -3.40%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사업 0.58% -0.12% -2.43% -5.83% 0.87% 건설업 -11.46% 9.80% 12.32% -0.38% 8.73% 도매 및 소매업 -6.51% 5.69% 4.09% 4.45% 1.20% 운수업 2.02% -2.04% 1.72% 10.73% -0.99% 숙박 및 음식점업 7.16% 3.99% 3.93% 3.01% 0.63% 정보 및 통신업 5.99% -0.47% 1.18% 3.09% 3.11% 금융 및 보험업 -3.61% -2.61% 1.37% 7.89% 1.15% 부동산업 및 임대업 -0.92% 0.85% 3.11% 1.02% 2.68% 사업서비스업 3.40% -1.72% 1.01% 9.55% 3.37%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2.72% 5.92% 3.93% 2.48% 2.93% 교육 서비스업 1.29% -2.44% 1.89% 2.45% 1.92%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1.32% 8.73% 2.90% 9.36% 7.17%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2.99% 3.65% 8.83% 7.79% 3.76% 기타 개인 서비스업 7.01% 3.61% 5.67% 5.89% 2.13% 자료: 국가통계포털, 원자료 (http://kosis.kr/nsportal) 전라북도의 서비스 관련 산업은 전반적으로 2005년 이후 성장세를 보이지만 역시 2008년에 약간씩 감소한다. 2008년의 낮은 지역내 총생산 성장세 속에서 농 림어업과 전기, 가스 및 증기 수도사업과 건설업만이 전년도에 비해 높은 성장세 를 보이고, 나머지 산업에서는 모두 성장세의 하락을 기록한다. - 12 -

<표 2-5> 전국 총생산 산업별 증감률 변화: 2004년 ~ 2008년 산업 2004 2005 2006 2007 2008 농업, 임업 및 어업 4.84% 1.33% 0.49% 2.41% 5.36% 광업 1.21% 1.31% -0.45% -3.73% 0.01% 제조업 8.71% 5.73% 8.01% 7.08% 2.93%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사업 6.14% 6.08% 4.43% 3.95% 5.14% 건설업 2.95% 1.49% 1.57% 3.24% -1.60% 도매 및 소매업 -1.68% 3.16% 4.60% 5.01% 1.48% 운수업 7.29% 5.18% 5.52% 5.31% 2.59% 숙박 및 음식점업 1.20% -1.53% 3.05% 4.94% 0.67% 정보 및 통신업 6.59% 5.04% 5.36% 4.68% 3.41% 금융 및 보험업 -1.11% 3.54% 3.97% 10.40% 4.20% 부동산업 및 임대업 0.69% 3.93% 4.12% 1.03% 1.63% 사업서비스업 3.68% 1.86% 3.87% 5.35% 2.61%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3.64% 5.09% 3.78% 2.86% 1.76% 교육 서비스업 4.42% 1.61% 4.26% 3.51% 1.87%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5.55% 7.17% 7.42% 7.10% 5.77%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0.90% 3.91% 6.54% 7.92% 3.01% 기타 개인 서비스업 -3.42% 6.99% 4.79% 5.25% 3.48% 자료: 국가통계포털, 원자료 (http://kosis.kr/nsportal) 2. 전라북도의 산업 집중도 분석 1) 전라북도 사업체 및 종사자 수 현황 전라북도의 2008년 총 사업체 수는 119821개로서 전년도에 비해서 0.2% 감소 했으며 같은 해 총 종사자 수는 512017명으로서 2007년에 비해 1.94% 증가한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라북도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의 전국 규모 대비 비중은 각각 3.67%와 3.14%로서 매우 낮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 반면 전국적인 수준에서 2008년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는 모두 전년도에 비해 각각 0.0569%와 2.16%의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 13 -

<표 2-6> 전국과 전라북도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 비교(전산업) 구분 전라북도 전국 전국대비비중 사업체수 종사자수 사업체수 종사자수 사업체수 종사자수 2007 120062 502261 3262925 15943674 0.0368 0.0315 2008 119821 512017 3264782 16288280 0.0367 0.0314 증감률(%) -0.2007 1.9424 0.0569 2.1614 자료: 국가통계포털, 원자료 (http://kosis.kr/nsportal) 2) 전라북도 산업별 사업체 및 종사자 분포 현황 사업체 수를 기준으로 한 2008년 전라북도 산업별 분포를 관찰하면 전라북도 는 도매 및 소매업에 가장 많은 사업체가 종사하고 있으며 그 외에 숙박 및 음식 점업과 기타 개인 서비스업, 그리고 운수업 등의 순으로 사업체가 분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전국 수준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사업체가 종사하는 산업 분야는 역시 도매 및 소매업이며, 다음으로 숙박 및 음식점업과 기타 개인 서비스업 그리고 운수업 등에 많은 사업체들이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라북도의 경우 2008년에 사업체 수에 있어서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산 업 분야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으로서 7.24%를 기록하며, 이외에도 농림 어업 분야에서 4.85%의 높은 성장률을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기존 산업 - 농림어업 및 제조업 - 의 감소 추세와 서비스업의 증가 추세를 반영 하고 있다. 전국 규모에서도 2008년의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의 성장률은 6.43%로서 전문 과학 기술 서비스업의 4.13%와 함께 전국 수준에서 가장 높은 성 장률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전라북도 농림어업이 4.85%의 성장률을 기록한 것과 는 달리 전국 수준에서의 농림어업은 -6.91%를 기록하며, 전국 수준에서의 이러한 농림어업의 마이너스 성장세는 제조업의 -3.85% 성장률과 함께 가장 낮은 성장률 을 보이고 있다. - 14 -

<표 2-7> 전라북도와 전국 산업별 사업체 수 비교: 2008년 구분 전라북도 전국 사업체수 증감률(%) 사업체수 증감률(%) 전국대비 비중 농업, 임업 및 어업 190 4.85 2,112-6.91 0.0900 광업 81 0.00 1,757-1.19 0.0461 제조업 9,148-3.24 320,053-3.85 0.0286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사업 112-1.77 1,412-10.35 0.0793 하수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210-4.20 4,882-1.63 0.0430 건설업 3,535 4.25 94,688 0.89 0.0373 도매 및 소매업 33,485-2.22 859,794-0.93 0.0389 운수업 11,801 0.77 340,522 0.50 0.0347 숙박 및 음식점업 21,556-0.44 623,915 0.14 0.0345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598-1.82 23,706-2.99 0.0252 금융 및 보험업 1,505 1.27 37,493 1.29 0.0401 부동산업 및 임대업 2,999 2.91 125,078 0.62 0.0240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1,775-0.79 66,500 4.13 0.0267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971 1.98 31,287 3.72 0.0310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883-1.35 12,033-2.09 0.0734 교육 서비스업 6,829 1.95 159,940 2.82 0.0427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4,153 7.24 94,027 6.43 0.0442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3,316-0.06 100,900-0.05 0.0329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16,674 1.00 364,683 1.39 0.0457 자료: 국가통계포털, 원자료 (http://kosis.kr/nsportal) 종사자 측면에서의 산업별 분포도는 사업체 수를 기준으로 한 분포도와 조금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전라북도 산업 중에서 가장 많은 근로자를 고용하는 산업 은 제조업이며, 다음으로 도매 및 소매업, 그리고 숙박 및 음식점업인 것으로 나타 났다. 2008년의 전라북도 산업별 종사자수의 증감률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점은 광업 부문에 있어서 사업체수의 성장률이 제로였음에도 불구하고 광업 부문 종사 자 수의 성장률은 30.19%로서 가장 높은 기록을 보였고, 또한 사업체 수를 기준으 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였던 전문 과학기술 서비스업 역시 12.25%의 높은 성장 률을 기록하고 있다. - 15 -

<표 2-8> 전라북도와 전국 산업별 종사자 수 비교: 2008년 구분 전라북도 전국 전국대비 종사자수 증감률(%) 종사자수 증감률(%) 비중 농업, 임업 및 어업 2,346-4.05 29,140-14.40 0.0805 광업 875 30.19 18,447 3.78 0.0474 제조업 84,633-1.34 3,277,271-1.74 0.0258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사업 2,762 7.40 68,029-0.88 0.0406 하수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2,569-0.19 62,895 1.54 0.0408 건설업 28,120 10.41 872,821 2.13 0.0322 도매 및 소매업 81,770-2.10 2,544,849 1.15 0.0321 운수업 26,986 4.15 927,042 4.93 0.0291 숙박 및 음식점업 55,969 0.28 1,727,882 0.65 0.0324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7,628 0.17 420,129 1.22 0.0182 금융 및 보험업 23,258 5.63 666,466 4.28 0.0349 부동산업 및 임대업 11,015 1.22 434,607 1.77 0.0253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9,767 12.25 689,741 14.47 0.0142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12,112 5.94 661,749 5.40 0.0183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29,091 4.14 575,148 2.62 0.0506 교육 서비스업 51,391 1.60 1,311,869 1.47 0.0392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40,961 9.04 889,988 9.82 0.0460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9,981 5.68 314,394 3.22 0.0317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30,783-3.37 795,813 0.83 0.0387 자료: 국가통계포털, 원자료 (http://kosis.kr/nsportal) 또한 광업 및 전문 과학기술 서비스업, 그리고 건설업과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이 2008년 종사자 수 측면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것과는 달리 농 림어업 분야에서 가장 낮은 성장률인 -4.05%를 기록하고 있으며, 제조업 분야 역 시 -1.34%의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인다. 이러한 농림어업과 제조업 분야의 낮은 성장률은 전국 수준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전국 수준의 농림어업과 제조업 성 장률은 각각 -14.4%와 -1.74%를 기록하고 있으며 전국 수준에서는 유일한 마이너 스 성장률이다. 이러한 농림어업 및 제조업이 보여주는 종사자 수 측면에서의 낮 은 성장률은 노동집약적이던 전통산업이 노동 인력을 대체할 수 있는 기계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종사자 수 측면에서의 산업별 순위는 전라북도뿐만 아니라 전 국 수준에서도 제조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매 및 소매업과 숙박 및 음식점업 역시 전국 수준에서도 다른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종사자 수를 - 16 -

기록하고 있다. 전국 수준에서의 산업별 성장률은 사업체 수를 기준으로 한 것과 종사자 수를 기준으로 한 것이 모두 일관적인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앞서 사업체 수에서 보 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분야와 전문 과학기술 서비스업 분야에서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인 것처럼, 종사자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도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 비스업과 전문 과학기술 서비스업은 각각 9.82%와 14.47%의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3. 전라북도의 산업 특화도 분석 이번에는 앞에서의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를 기준으로 실시한 전라북도 산업별 집중도 분석보다 조금 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일정한 산업이나 업종이 지역별로 어떻게 집중되고 분포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틀인 입지계수 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입지계수는 한 지역에서의 특정 산업이 차지하는 구성비를 전국 수준에서의 그 특 정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으로 나눈 값으로서, 일반적으로 입지계수가 1보다 큰 경우 는 그 산업에 대해 한 지역이 전국 규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특화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으며, 수치가 커질수록 산업의 특화 정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2-9>는 전라북도 산업별 입지계수를 2007년 기준과 2008년을 기준으로 분 석하고 있다. 2007년 전라북도에서 가장 높은 입지계수를 보이고 있는 산업은 농 림어업으로서 2.3045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공공 행정 관련 산업과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에 특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의 경우에 있어서 도 농림어업은 2.5611의 입지계수를 보이며, 전라북도의 가장 높은 특화 산업으로 기록되고 있다. 2008년의 경우에도 공공 행정 관련 산업과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이 농 림어업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입지 계수를 보이고 있으며, 전년도에 비해 광업의 입지계수가 1.1564에서 1.5090으로 급격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입지계 수는 종사자를 기준으로 계측이 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광업 부문의 입지계수 상 승 기록은 광업 부문의 종사자가 2008년에 30.19% 증가한 것을 반영하고 있다. - 17 -

이러한 입지계수를 기준으로 판단해 볼 때 전라북도는 정보 통신 서비스업과 전문 과학 기술 서비스업 및 사업 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부문에서 2007년과 2008년에 공통적으로 0.5 내외의 값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업 부문이 전라 북도에서 가장 특화되지 못한 사업으로 분류된다. <표 2-9> 전라북도 산업별 입지계수 분석: 2007-2008 산업 2007년 2008년 농업, 임업 및 어업 2.3045 2.5611 광업 1.1564 1.5090 제조업 0.8165 0.8215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사업 1.1864 1.2916 하수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1.3193 1.2994 건설업 0.9414 1.0249 도매 및 소매업 1.0537 1.0222 운수업 0.9313 0.9260 숙박 및 음식점업 1.0321 1.0304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0.5824 0.5776 금융 및 보험업 1.0929 1.1102 부동산업 및 임대업 0.8090 0.8063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0.4596 0.4505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0.5779 0.5823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1.5813 1.6091 교육 서비스업 1.2419 1.2462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1.4725 1.464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0.9833 1.0099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1.2806 1.2305 자료: 국가통계포털, 원자료 (http://kosis.kr/nsportal) 4. 전라북도와 전국의 산업별 취업계수 비교 분석 2008년 전라북도의 신규 취업자 수 841,000명 중에서 가장 많은 취업자가 속한 산업은 농림어업의 209,000명이며, 다음으로 도매 및 소매업과 제조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경우는 농림어업보다는 제조업에서 가장 많은 근로자가 취업했 으며, 도매 및 소매업과 농림어업, 그리고 건설업이나 교육 서비스업 순으로 많은 취업자 수를 기록하고 있다. - 18 -

<표 2-10> 전국과 전라북도 산업별 취업자 수 비교: 2008 (단위: 천명) 산업 전라북도 전국 전국 대비 비중 전산업 841 23,847 0.0353 농업, 임업 및 어업 209 2,177 0.0960 광업 1 21 0.0476 제조업 99 4,084 0.0242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사업 3 113 0.0265 하수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3 68 0.0441 건설업 58 1,822 0.0318 도매 및 소매업 109 3,623 0.0301 운수업 41 1,213 0.0338 숙박 및 음식점업 56 1,966 0.0285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8 592 0.0135 금융 및 보험업 22 778 0.0283 부동산업 및 임대업 12 564 0.0213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11 744 0.0148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18 863 0.0209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39 822 0.0474 교육 서비스업 62 1,784 0.0348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39 927 0.042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9 371 0.0243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38 1,172 0.0324 자가소비 생산활동 4 134 0.0299 국제 및 외국기관 0 10 0.0000 자료: 국가통계포털, 원자료 (http://kosis.kr/nsportal) <표 2-11>은 각 산업의 전반적인 고용흡수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취업계수 (Employment to Ratio)의 값을 사용하였다. 여기에 사용된 취업계수는 일정기간동 안 생산 활동에 투입된 취업자 수를 총 산출액으로 나눈 값으로서 산출액 10억원 의 생산을 위해 직접적으로 필요한 취업자 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용탄력성과 함께 산업의 고용 흡수력을 가리키는 지표이다. 따라서 한 산업의 취업계수가 높 다는 의미는 단위별 GDP를 생산하는데 상대적으로 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 취업계수를 이용하여 고용창출 능력이 큰 산업과 작은 산업 을 구분하는 작업은 지역 단위의 노동정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 을 것이다. - 19 -

<표 2-11>에 의하면 전라북도 전체 산업의 취업계수는 29.8789로서 전국 수준 의 전체 산업 취업계수 값인 24.1456보다 높으며, 전체 산업 중에서 농림어업과 건 설업 그리고 교육 서비스업을 제외하고는 모든 산업에서 전라북도의 취업계수가 전국 수준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전라북도의 숙박 및 음식점업의 취업 계수는 115.0082로서 도내 산업 중 에서 가장 높은 수치이며, 이 취업 계수는 동종 산업의 전국 수준 취업계수인 99.5158보다 높다. 그 외에도 전라북도는 농림어업과 도매 및 소매업, 그리고 기타 개인 서비스업에서 각각 69.8630, 61.3605, 59.5840의 높은 취업계수를 기록하고 있 으며, 전국 수준의 취업계수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표 2-11> 전국과 전라북도 산업별 취업계수 비교: 2008 산업 전라북도 취업계수 전국 취업계수 전산업 29.8789 24.1456 농업, 임업 및 어업 69.8630 78.1495 광업 18.2279 10.8011 제조업 17.1843 15.9479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사업 7.7176 5.6394 건설업 22.1576 29.4697 도매 및 소매업 61.3605 45.9043 운수업 43.3105 29.7595 숙박 및 음식점업 115.0082 99.5158 정보 및 통신업 13.4602 14.7085 금융 및 보험업 16.1759 12.0351 부동산업 및 임대업 8.0393 8.3580 사업서비스업 33.9174 20.5009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14.8273 14.9617 교육 서비스업 27.3323 34.4773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35.6846 32.4885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37.8992 33.8358 기타 개인 서비스업 59.5840 58.6778 자료: 국가통계포털, 원자료 (http://kosis.kr/nsportal) - 20 -

제 2 절 전라북도 고용시장의 특성 1. 전라북도 전체 노동시장의 현황 1) 전라북도의 고용율과 실업률 전라북도 노동시장의 특성 파악을 위한 전라북도의 전체 고용률과 실업률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선행적으로 전라북도의 인구변화와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등에 대한 현황 분석이 필요하다. <그림 2-1>에 의하면 2000년 이후 전체적으로 감소하던 전국 대비 전라북도 15세 이상의 총인구 비율은 2007년도 3분기를 기점 으로 그 감소 경향이 줄어들고 있으며 전국 대비 전라북도의 청년 인구 비율 역시 2000년 이후 비슷한 추세를 보이다가 2008년 3분기 이후로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한다..03.035.04.045 전국 대비 전라북도의 총인구와 청년 인구 비율: 2000-2010 전북의 15 세 이상 총인구 비율 전북의청년인구비율 2000q1 2002q3 2005q1 2007q3 2010q1 <그림 2-1> 전국 대비 전라북도 15세 이상 총인구비율과 청년 인구 비율 다음의 <그림 2-2>와 <그림 2-3>는 전국과 전라북도 전체 인구의 경제활동참가 율과 청년인구의 경제활동 참가율을 각각 비교 분석하고 있다. 먼저 <그림 2-2>에 의하면 전라북도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전국 전체 인구의 경제활동 참가율 수준에 비해 낮으며, 전국 수준의 변동률이 2% 안팎인 것에 비해 전라북도 청년 인구의 경 제활동 참가율의 변동률은 최대 5% 정도까지의 높은 변동률을 보이고 있다. - 21 -

전국과 전라북도의 경제활동참가율 비교: 2000-2010 54 56 58 60 62 전국의 경제활동참가율 전라북도의 경제활동참가율 2000q1 2002q3 2005q1 2007q3 2010q1 <그림 2-2> 전국과 전라북도 전체 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 전국과 전라북도 청년 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 비교 30 35 40 45 50 전국 청년인구의 경제활동 참가율 전라북도 청년 인구의 경제활동 참가율 2000q1 2002q3 2005q1 2007q3 2010q1 <그림 2-3> 전국과 전라북도 청년 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 전라북도 청년 인구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전체 인구의 경제활동 참가율에서처럼 전국 수준에 비해 낮은 참가율을 보이며, 2005년 이후에 전국과 전라북도 청년인 구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모두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인다. 특히 전라북도의 경우 2008년 3분기를 이후로 2009년 1분기까지 참가율이 급락하고 있으며 2009년 이후 그 수준을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 22 -

다음의 두 그림은 2000년 이후 전국과 전라북도의 전체 인구 고용률과 청년인 구 고용률을 각각 비교 분석하고 있다. 노동시장의 여건이 좋은 시기에 있어서 전 국 수준의 전체 인구 고용률과 전북 수준의 전체 인구 고용률은 큰 차이가 존재하 지 않지만 노동시장의 여건이 좋지 못하는 경우에 전국과 전라북도 수준의 차이는 매우 커진다. 이러한 특성은 전라북도 전체 인구 고용률의 변동률이 전국 수준에 비해 더 높은 것을 의미하며 실질적으로 전국 수준의 고용률 변동률은 4% 미만인 데 반해 전라북도 전체인구의 고용률 변동 수준은 7% 정도로 그 차이가 크다. 전국과전라북도의전체고용률비교:2000-2010 52 54 56 58 60 전국 전체 고용률 전라북도 전체 고용률 2000q1 2002q3 2005q1 2007q3 2010q1 <그림 2-4> 전국과 전라북도의 전체 인구 고용률 전국과 전라북도의 청년 인구 고용률 비교는 전체 인구의 고용률 비교와는 조 금 다른 양상을 보인다. 전라북도 청년 인구의 고용률은 40% 이상의 전국 수준에 비해서 5% 이상 낮은 편이며 전체적으로 2005년 후반기 이후 전국 수준의 청년인 구 고용률과 전라북도 청년인구의 고용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2008년 이후 전국과 전라북도의 청년 인구 고용률은 비교적 급감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 시기에도 전북 고용률의 감소폭이 전국 수준에 비해서 매우 크다. - 23 -

전국과 전라북도 청년 고용률 비교: 2000-2010 30 35 40 45 전국 청년 인구 고용률 전라북도 청년 인구 고용률 2000q1 2002q3 2005q1 2007q3 2010q1 <그림 2-5> 전국과 전라북도의 청년인구 고용률 다음의 두 그림은 2000년 이후 전국과 전라북도의 전체 인구 실업률과 청년 인구 실업률을 비교 분석하고 있다. 먼저 <그림 2-2>는 전체인구 실업률에 대해 전국 수준과 전라북도의 수준을 보여주고 있는데 다른 노동시장 지표 분석과 유사하게 전라북도 전체인구 실업률은 전국 수준에 비해서 1-2% 내외로 작은 편이나 실업 률의 변동 폭이나 시기별 추세는 매우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청년 인구의 실업률 비교에 있어서 전라북도 청년 인구의 실업률은 전국 수준에 비해 현저하게 높으며 그 변동폭 역시 매우 크다. 또한 2005년 이전까지 전라북도와 전국의 청년 인구 실업률 추이는 매우 유사한 경향 속에서 전라북도의 실업률 수준이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었으나, 2005년 1분기 이후 늘어난 변동 폭과 함께 전라북도 청년 인구의 실업률 추세는 급락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며 전국 청년 인구의 실업률 추세와는 크게 다른 양상을 보인다. - 24 -

전국과 전라북도의 전체 실업률 비교: 2000-2010 1 2 3 4 5 6 전국 전체 실업률 전라북도 전체 실업률 2000q1 2002q3 2005q1 2007q3 2010q <그림 2-6> 전국과 전라북도의 전체 인구 실업률 비교 전국과 전라북도의 청년 실업률 비교: 2000-2010 4 6 8 10 12 전국 청년 인구 실업률 전라북도 청년 인구 실업률 2000q1 2002q3 2005q1 2007q3 2010q <그림 2-7> 전국과 전라북도의 청년 인구 실업률 비교 2) 전라북도 순일자리 창출률 현황 비교 한 지역의 노동시장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인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소멸이 실업률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 - 25 -

와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경향 속에서 전라북도에서 그동안 발생한 일자리 창출량과 일자리 소멸량이 어떠한 추세로서 이루어져 왔고 전라북도 실업 률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다음의 그림들은 한국 고용정보원의 고용보험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전라북도 의 순일자리 창출 개수를 전국 수준에서 비교하고, 또한 전국 대비 서울과 전라북 도 지역의 순 일자리 창출률을 차례대로 비교 분석하고 있다. 먼저 <그림 2-8>은 전국과 전라북도의 순일자리 창출 개수를 2004년부터 2010년까지 비교하고 있다. 전라북도의 순일자리 창출 개수는 전국 수준에 비해서 매우 낮으며 일시적으로 2005년 4분기에서 2006년 2분기까지 3000개 정도 감소하며 2009년 이후에도 현재 까지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국 수준의 순일자리 창출 개수의 수준은 전라북도 수준에 비해서 매우 높지만 전체적인 추세는 전국과 전라북도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전체적인 특히 전국 지역의 순일자리 창출 개수는 2009년 상반기 급감한 이후 소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기존에 비해 매우 낮은 순일자리 창출률을 보이고 있다. <그림 2-8> 전국과 전라북도의 순일자리 창출 개수 비교 다음의 그림은 전국과 비교한 서울지역의 순일자리 창출 비율과 전라북도의 순일자리 창출률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전국대비 전라북도의 순일자리 창출 비 - 26 -

율은 2009년 하반기 이전까지 큰 변동은 보이지 않으나 2009년 3분기와 4분기에 급감과 급증을 차례대로 겪으면서 이후에는 원래의 수준으로 회복한다. 전국대비 서울지역의 순일자리 창출 비율은 변동 속에서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 며 이러한 경향은 2010년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그림 2-9> 전국 대비 서울과 전라북도의 순일자리 창출 비율 그렇다면 이러한 순일자리 창출률과 실업률이 어떠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 다음 4개의 그림은 각각 전국 전체 실업률과 전국 순일자 리 창출 수, 전라북도 전체 실업률과 전라북도 순일자리 창출 수, 전국 청년 인구 실업률과 전국 순일자리 창출 수,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라북도 청년 인구 실업률 과 전라북도 순일자리 창출 수에 대한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첫 번째 그림에서 전국 전체인구 실업률과 전국 순일자리 창출률은 음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2005년 1분기와 4분기, 2006년 4분기, 2007년 4분기, 1008년 4분기와 2010년 1분기에서 이러한 관계는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두 변 수의 상관관계 역시 -0.3810(0.0602)로서 이러한 사실들은 한지역의 실업률이 경기 침체로 인한 노동자의 해고보다는 감소된 순일자리 창출에 기인한다는 주장에 하 나의 증거가 되고 있다. 다음의 그림은 전국 비교 대신 전라북도 전체 인구의 실업률과 전라북도 순일 - 27 -

자리 창출률을 비교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전라북도 지역의 전체 실업률과 순일자 리 창출률은 음의 관계를 보이고 있지만 전국 수준에 비해서 그 경향이 약하게 나 타나고 있으며 또한 2005년 3분기, 2006년 2분기와 4분기, 2008년 2분기, 2009년 상반기(1분기와 2분기) 등 일부 구간에서는 전반적인 추세와 불일치(inconsistent) 한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상관계수 역시 전라북도 전체인구와 순일자리 창출률의 경우 -0.0881(0.6752)로서 그 수치가 전국 수준에 비해 낮고 유의한 값도 아닌 것으 로 보인다. 전국 전체 실업률 3 3.5 4 4.5 5 전국 전체 실업률과 순일자리 창출 비교: 2004-2010 전국 전체 실업률 전국 순일자리 창출 -20000 0 20000 40000 60000 전국 순일자리 창출 2004q1 2005q3 2007q1 2008q3 2010q1 <그림 2-10> 전국의 전체 인구 실업률과 전국 순일자리 창출 비교 앞의 두 그림이 전체 인구의 실업률 수준과 순일자리 창출 수준에 대해서 전 국과 전라북도 지역에 대한 분석을 실시했다면 <그림 2-12>와 <그림 2-13>은 전 국과 전라북도의 청년 인구 실업률과 순일자리 창출 개수에 대한 비교를 동일하 게 실시하고 있다. 먼저 <그림 2-12>는 전국 청년인구 실업률과 전국 순일자리 창 출 개수를 비교하고 있다. 전국 청년 실업률 추이는 전국 전체 실업률 추이와 매 우 유사하되 다만 그 변동 폭만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전국 청년인구 실 업률 역시 전국 순일자리 창출 개수와 음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으 며, 이러한 경향은 -0.385(0.0574)의 전국 청년 실업률과 순일자리 창출률의 상관계 수 값에서도 유추할 수 있다. - 28 -

전북 전체 실업률 1.5 2 2.5 3 3.5 전라북도 전체 실업률과 순일자리 창출 비교: 2004-2010 전북 전체 실업률 전북 순일자리 창출 2004q1 2005q3 2007q1 2008q3 2010q1-2000 -1000 0 1000 2000 전북 순일자리 창출 <그림 2-11> 전라북도의 전체 인구 실업률과 전라북도 순일자리 창출 비교 전국 청년 실업률 7 7.5 8 8.5 9 9.5 전국 청년 실업률과 순일자리 창출 비교: 2004-2010 전국 청년 실업률 전국 순일자리 창출 -20000 0 20000 40000 60000 전국 순일자리 창출 2004q1 2005q3 2007q1 2008q3 2010q1 <그림 2-12> 전국 청년 인구 실업률과 전국 순일자리 창출 비교 마지막으로 전라북도의 청년 인구 실업률과 전라북도 순일자리 창출률 역시 전반적으로 음의 관계를 보이지만, 2005년과 2006년 4분기 이후, 2007년 2분기, 그 리고 2008년 2분기와 4분기에서 약하게 기존의 추세와 불일치(inconsistent)한 현상 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전기보다 변동 폭이 큰 구간에서는 명확하게 음의 관계를 - 29 -

보이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상관계수 값은 -0.4417(0.0271)로서 네 가지 그림 중 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다. 전북 청년 실업률 4 6 8 10 12 전라북도 청년 실업률과 순일자리 창출 비교: 2004-2010 전북 청년 실업률 전북 순일자리 창출 2004q1 2005q3 2007q1 2008q3 2010q1-2000 -1000 0 1000 2000 전북 순일자리 창출 <그림 2-13> 전라북도 청년 인구 실업률과 전라북도 순일자리 창출 비교 2. 전라북도 청년 노동시장의 특성 분석 1) 전라북도 2009 졸업자의 취업률과 미취업자 비중 다음의 그림들은 교육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취업률과 미취업자 비중을 중심으 로 한 2009년 전라북도 청년 계층의 학력별(전문대학, 일반대학교, 대학원) 졸업현 황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전라북도 전문대학 졸업자의 취업률 비중은 국립의 경 우 전국 수준인 61.3%보다 훨씬 낮은 47.9%이며 사립의 경우에는 전국 평균값인 86.8%보다 조금 낮은 수준인 82.5%를 기록하고 있다. 서울의 경우 국립 전문대학 의 취업률 비중은 전국 평균값과 전라북도의 경우보다 높은 72.3%를 기록하고 있 으나 사립의 경우에는 79.6%로서 가장 낮다. - 30 -

전문대학 졸업자 현황: 2009 0 20 40 60 80 86.8 83.0 79.6 82.5 72.3 61.3 47.9 42.0 32.5 27.7 18.3 14.4 11.7 14.3 국립 공립 사립 국립 사립 국립 사립 전국 서울 전라북도 취업률 졸업자의 미취업자 비중 <그림 2-14> 2009 전문대학 졸업자의 취업률과 미취업자 비중: 전국과 서울, 전라북도 비교 일반대학교 졸업자 현황: 2009 0 20 40 60 80 75.4 75.2 70.0 69.0 65.3 66.2 65.1 60.3 29.5 30.8 25.5 26.4 27.1 23.9 22.8 21.0 국립 공립 사립 국립 공립 사립 국립 사립 전국 서울 전라북도 취업률 졸업자의 미취업자 비중 <그림 2-15> 2009 대학교 졸업자의 취업률과 미취업자 비중: 전국과 서울, 전라북도 비교 다음으로 일반 4년제 대학교의 경우에는 전라북도 국립 대학교의 취업률 수준이 전국 평균값인 65.3%와 매우 유사한 65.1%를 기록하고 있으며, 사립의 경우에 있 어서도 전라북도의 취업률 비중이 전국 69%에 비해 훨씬 높은 75.2%를 기록한다. 전국 4년제 대학교 졸업자의 취업률에서는 공립의 경우 가장 높은 취업률을 기록 - 31 -

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서울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전라북도 2009년 대학원 졸업자의 취업률을 전국과 서울 지역과 함께 비교해보면 전라북도의 경우는 88.8%(국립)와 93.8%(사립)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치는 75% 내외의 서울 지역 취업률과 전국 평균값(국립 82%, 공립 76.7%, 사립 78.9%)에 비해 월등하게 높다. 대학원 졸업자 현황: 2009 0 20 40 60 80 100 93.8 88.8 82.0 78.9 76.7 75.7 74.9 21.3 19.2 13.6 15.7 16.5 76.3 17.5 8.4 4.8 국립 공립 사립 국립 공립 사립 국립 사립 전국 서울 전라북도 취업률 졸업자의 미취업자 비중 <그림 2-16> 2009 대학원 졸업자의 취업률과 미취업자 비중: 전국과 서울, 전라북도 비교 2) 전라북도 학력별 졸업자의 취업률 현황 앞에서 전라북도 청년 계층의 학력별 졸업 현황은 2009년도에 한해서만 취업 률 현황을 기록한 것이므로 이러한 추세가 각 지역에 지속적으로 나타났었는지에 대한 확인을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전라북도 청년 계층의 각 연도별 학력별 취업률 현황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2006년 이후 전문대학 졸업자의 취업률 현황에 대해서 다음의 그림은 전국과 전라북도를 비교하고 있다. 전국 수준에서의 전문대학 졸업자의 취업률은 지속적 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전라북도의 경우 2008년의 일시적인 하락 이외에 전체적으 로 유사한 수준(80% 내외)을 유지한다. 그러나 정규직 취업률에 있어서 전국과 전 - 32 -

라북도의 기록은 달라진다. 전국과 전라북도 모두 전문대학 졸업자의 정규직 취업 률은 2006년을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의 전라북도 졸업자의 정규직 취업률 비중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급속하게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전국: 2006년 67.1%, 2009년 57.7%, 전라북도: 2006년 61.6%, 2009년 49.6%) 전문대학 졸업자 취업률 현황 0 20 40 60 80 84.2 85.2 85.6 86.5 80.6 80.5 77.4 80.0 67.1 65.1 64.5 61.6 57.7 58.9 52.3 49.6 2006 2007 2008 2009 2006 2007 2008 2009 전국 전라북도 취업률 정규직 취업률 <그림 2-17> 졸업자의 취업률 현황: 전국과 전라북도 비교 대학교 졸업자의 취업률 현황 비교에 있어서 전라북도 대학교 졸업자의 취업률 비중은 2006년을 제외하고 모두 전국 수준보다 높게 기록되고 있지만 정규직 취업 률에 있어서의 전라북도 졸업자의 취업률 비중은 모든 관찰 연도에서 전국 수준에 비해 낮다. 특히 2009년에는 전국과 전라북도 공통적으로 정규직 취업률이 감소하게 되는데 그 감소폭 역시 전라북도의 경우가 훨씬 크다. (전국: 2008년 48%, 2009년 39.6%, 전라북도: 2008년 42.1%, 2009년 34.7%) 전라북도의 경우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증가하는 취업률 비중과 동시에 감 소하는 정규직 취업률은 전라북도 대학교 졸업자의 비정규직 취업률 증가 현상을 함의하는 것이며 실질적으로 2009년의 경우 전라북도 대학교 졸업자의 비정규직 취업률은 36.8%로서 전국 수준인 28.6%에 비해서 현저히 높으며 전년도인 2008년 의 경우에 있어서도 전라북도 지역과 전국 대학교 졸업자의 비정규직 취업률은 - 33 -

각각 32.4%와 20.9%로서 이러한 비정규직 취업률은 전국적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대학교 졸업자 취업률 현황 0 20 40 60 80 74.5 71.5 67.3 68.0 68.9 68.2 68.4 60.9 49.2 48.7 48.0 39.6 41.0 41.9 42.1 34.7 2006 2007 2008 2009 2006 2007 2008 2009 전국 전라북도 취업률 정규직 취업률 <그림 2-18> 대학교 졸업자의 취업률 현황: 전국과 전라북도 비교 다음의 그림에서 보여주듯이 대학원 졸업자의 취업률 비교에 있어서 전국 수 준의 대학원 졸업자의 취업률은 전반적으로 81% 정도를 유지하다가 2009년 조금 감소한데 반해, 전라북도 대학원 졸업자의 취업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규직 취업률에 있어서도 대학원 졸업자의 경우는 전국 수준과 전라북도의 수준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추세는 앞의 대학교 졸업자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비정규직 취업률에 있어서 전라북도의 경우는 대학원 졸업자의 비정규직 취업률이 지속적 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2006년과 2009년 전국 대학원 졸업자의 비 정규직 취업률은 각각 19.1%와 25.9%이지만, 전라북도의 경우 2006년에 22.6%를 기록하던 대학원 졸업자의 비정규직 취업률은 2009년 44.7%로서 도내 대학원 졸 업자의 비정규직 문제가 심각함을 알 수 있다. - 34 -

대학원 졸업자 취업률 현황 0 20 40 60 80 100 90.1 91.1 84.9 86.3 81.9 81.7 81.6 79.9 62.8 61.0 60.5 62.3 63.1 60.0 56.4 54.0 2006 2007 2008 2009 2006 2007 2008 2009 전국 전라북도 취업률 정규직 취업률 <그림 2-19> 대학원 졸업자의 취업률 현황: 전국과 전라북도 비교 3) 전라북도 청년계층의 취업회사 규모 다음의 그림들은 전라북도 청년 계층의 취업 회사 규모는 연도별 학력별로 어 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조사하고 있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전문대학과 일반 대 학교, 대학원 졸업자의 취업규모 중에서 먼저 다음의 세 개의 그림들이 전문대학 졸업자의 취업회사 규모를 보여주고 있다. 2007년 전문대학 졸업자 취업회사의 규모는 대부분 중소기업으로써 2007년과 2008년 각각 65.5와 62.6%의 졸업자가 중소기업에 취업을 하였으며, 2009년에 들 어 60% 이상을 차지하던 비율이 51.2%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전문대학 졸업 자의 대기업 취업률 역시 2007년의 8.5%, 2008년의 6.3%, 그리고 2009년에는 5.3% 로서 감소하고 있다. 전라북도 대학교 졸업자의 취업 현황 역시 전문대학 졸업자의 전반적인 추세 와 크게 다르지 않다. 전라북도 대학교 졸업자의 60% 정도 역시 중소기업에 취업 하고 있으며 2009년 이러한 추세는 50.2%로 감소한다. 또한 대기업 취업률 역시 2007년의 11.3%에서 2008년의 9.7%, 그리고 2009년의 7.4%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오히려 행정기관과 공공기관으로의 취업은 증가하고 있다(2007년 행정기관 취업률 6.6%, 2009년 행정기관 취업률 9.7%) - 35 -

전문대학 졸업자의 취업회사 규모 2007 기타1.0 공공기관1.2 종교기관1.8 행정기관 3.3 학교 4.3 대기업 8.5 병원 14.5 중소기업 65.5 0 20 40 60 80 전문대학 졸업자의 취업회사 규모 2008 공공기관1.6 종교기관1.6 행정기관 3.5 학교 기타 대기업 3.9 4.1 6.3 병원 16.8 중소기업 62.2 0 20 40 60 <그림 2-20> 전문대학 졸업자의 취업회사 규모: 2007-2009 - 36 -

대학교 졸업자의 취업회사 규모 2007 종교기관1.5 공공기관1.7 기타 학교 행정기관 병원 대기업 4.8 5.9 6.6 8.4 11.3 중소기업 59.8 0 20 40 60 대학교 졸업자의 취업회사 규모 2008 종교기관1.6 공공기관2.3 행정기관 학교 4.7 4.9 병원 기타 대기업 7.7 8.3 9.7 중소기업 60.9 0 20 40 60 <그림 2-21> 대학교 졸업자의 취업회사 규모: 2007-2009 - 37 -

대학원 졸업자의 취업회사 규모 2007 종교기관 0.1 기타 2.1 대기업 5.8 행정기관 7.3 공공기관 9.0 학교 병원 23.9 24.4 중소기업 27.4 0 10 20 30 대학원 졸업자의 취업회사 규모 2008 종교기관0.4 공공기관 대기업 행정기관 5.9 6.6 6.8 기타 10.9 중소기업 20.3 학교 23.5 병원 25.7 0 5 10 15 20 25 <그림 2-22> 대학원 졸업자의 취업회사 규모: 2007-2009 - 38 -

전라북도의 대학원 졸업자는 중소기업과 학교, 병원 등에 고르게 취업하는 경 향을 보이며 이러한 추세는 연도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는 않다. 공공기관과 행정기관 혹은 대기업으로의 취업에 있어서도 연도별 큰 특성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4) 전라북도 졸업자의 취업 근무지 현황 전라북도 청년 계층의 취업 근무지 비율은 전문대학 졸업자의 경우 전라북도에 취업하는 경우가 63-64% 내외로서 가장 높고 그 외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회사에 취업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경향은 2006년 이후 2009년까지 지속 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학교 졸업자의 경우 전문대학 졸업자에 비해 전라북도 지역에 취업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대신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 더 많은 비중의 졸업자들이 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 졸업자의 근무지 2006 제주 0.1 대구 0.1 울산 0.1 경남 0.2 해외 0.2 부산0.2 강원0.2 경북0.3 광주0.4 전남0.7 충북1.2 인천1.4 대전1.7 충남 경기 서울 전북 6.0 9.7 13.2 64.3 0 20 40 60-39 -

전문대학 졸업자의 근무지 2007 울산 0.0 대구 0.1 제주 0.1 강원 0.1 경북 0.1 부산0.3 해외0.3 경남0.4 광주0.9 전남1.0 충북1.2 인천1.9 대전2.3 충남 5.2 경기 서울 전북 9.6 12.4 64.1 0 20 40 60 전문대학 졸업자의 근무지 2008 제주 0.0 대구 0.1 경북 0.1 울산0.2 해외0.2 경남0.3 부산0.3 강원0.4 광주0.8 충북1.0 전남1.0 인천1.9 대전2.2 충남 5.4 경기 8.5 서울 전북 14.6 63.0 0 20 40 60 전문대학 졸업자의 근무지 2009 제주 대구 0.1 경북0.2 해외0.2 강원0.2 울산0.3 경남0.4 부산0.4 광주0.7 충북0.7 전남0.8 인천1.5 대전2.1 충남 경기 서울 전북 5.6 9.3 12.8 64.8 0 20 40 60 <그림 2-23> 전문대학 졸업자의 근무지 비율: 2006-2009 - 40 -

대학교졸업자의근무지 2006 부산0.3 대구0.3 제주0.3 울산0.3 해외0.8 강원0.9 경북1.1 경남1.1 충북1.1 대전1.8 광주 1.9 인천 1.9 충남 3.0 전남 4.5 경기 서울 전북 10.8 21.3 48.7 0 10 20 30 40 50 대학교 졸업자의 근무지 2007 대구0.2 제주0.2 울산0.2 부산0.4 강원0.6 경북0.7 충북0.8 경남0.9 해외0.9 대전1.4 광주1.8 인천 2.0 충남 2.9 전남 4.1 경기 서울 전북 9.8 21.2 51.9 0 10 20 30 40 50 대학교 졸업자의 근무지 2008 제주0.2 울산0.2 대구0.3 부산0.5 강원0.6 경북0.7 해외0.8 충북0.9 경남1.2 대전1.6 광주1.7 인천 2.3 충남 3.6 전남 4.1 경기 서울 전북 9.6 21.4 50.4 0 10 20 30 40 50-41 -

대학교 졸업자의 근무지 2009 대구 0.2 제주0.2 울산0.3 해외0.5 충북0.7 부산0.8 경북0.9 강원0.9 경남1.1 광주1.7 대전1.8 인천1.9 충남 3.8 전남 4.3 경기 서울 전북 9.1 18.1 53.5 0 20 40 60 <그림 2-24> 대학교 졸업자의 근무지 비율: 2006-2009 2006년의 경우 대학교 졸업자 중 전라북도 지역에 근무하게 되는 학생들의 비 중은 48.7%로서 50% 미만이며, 대신 서울이 21.3%, 경기지역이 10.8%를 기록하고 있다. 대학교 졸업자들의 이러한 현상은 2009년까지도 지속되며 전체적으로 전라 북도 지역에 50% 내외의 비중이 취업하게 되고, 서울 지역에 20% 내외의 졸업자 들이 진출하며, 마지막으로 경기 지역에는 10% 정도의 학생들이 취업을 하는 경 향을 보인다. 전라북도 대학원 졸업자의 경우 역시 대학교 졸업자의 경우와 큰 차이를 보이 지 않으며, 연도별로도 유사하게 전라북도 지역에 50% 이상의 학생들이 취업을 하며,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각각 10% 정도씩 진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대학원 졸업자의 근무지 2006 제주 0.1 울산0.3 강원0.5 부산0.6 대구0.7 경남0.9 해외0.9 경북1.1 충북1.4 광주1.5 인천1.6 충남 2.9 전남 3.6 대전 5.7 경기 서울 전북 10.2 10.7 57.3 0 20 40 60-42 -

대학원 졸업자의 근무지 2007 울산 제주 0.1 해외0.2 부산0.3 강원0.3 대구0.5 경남0.8 경북1.2 충북1.4 광주1.7 인천 2.5 전남 3.9 충남 4.1 대전 5.1 경기 서울 전북 11.7 12.8 53.4 0 20 40 60 대학원 졸업자의 근무지 2008 제주 0.0 대구0.2 부산0.3 울산0.3 강원0.3 해외0.6 충북1.1 경남1.4 인천1.6 경북1.6 광주 3.1 충남 3.7 전남 3.8 대전 4.7 경기 서울 전북 11.2 13.2 53.0 0 10 20 30 40 50 대학원 졸업자의 근무지 2009 부산 0.1 울산 0.1 대구0.2 강원0.2 제주0.3 해외0.4 경북0.8 충북0.9 경남1.3 인천1.5 광주2.0 충남 3.0 전남 3.5 대전 5.0 경기 서울 전북 10.8 12.4 57.6 0 20 40 60 <그림 2-25> 대학원 졸업자의 근무지 비율: 2006-2009 - 43 -

5) 대학 졸업자의 전공 일치 비율 다음의 세 그림은 전라북도 청년 계층의 학력별 전공일치 비율을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연도별로 전국 평균과 비교하고 있다. 먼저 <그림 2-26>은 전라북도 전문대학 졸업자의 취업과 전공 일치 비율을 전국 수준과 비교하고 있다. 전국 수 준에서의 전문대학 졸업자의 취업과 전공 일치 비율은 대체적으로 70% 이상 73% 미만으로서 2006년까지 증가하던 추세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이 에 비해 전라북도 전문대학 졸업자의 취업과 전공 일치 비율은 전국 수준에 비해 서 훨씬 변동 폭이 크며 2005년에 가장 높은 전공일치 비율인 75% 비중을 보이다 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며 2009년에는 65% 미만까지 급락하게 된다. 전국 전라북도 70 71 72 73 전공일치 비율 전공불일치 비율 27 28 29 30 65 70 75 전공일치 비율 전공불일치 비율 25 30 35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그림 2-26> 전국과 전라북도 전문대학 졸업자의 전공일치 비율 비교 <그림 2-27>은 전라북도 대학교 졸업자의 취업과 전공일치 비율을 연도별로 나타내고 있다. 전국 수준에서의 대학교 졸업자의 전공일치 비율은 2009년을 제외 하고는 전반적으로 68%-70%를 기록하고 있으나 2009년 66% 미만으로 급감하고 있다. 전라북도 대학교 졸업자의 경우 2004년에는 69%에 가까운 비중의 대학교 졸업자들이 자신의 전공과 일치하는 분야에 취업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이후 이러 - 44 -

한 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07년에는 63%, 2008년에는 62% 정도의 대학교 졸업자만이 자신의 전공과 일치하는 분야에 취업을 하게 된다. 전국 수준과는 달 리 이러한 감소추세는 오히려 2009년에 소폭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 전국 전라북도 66 67 68 69 70 전공일치 비율 전공불일치 비율 30 31 32 33 34 62 64 66 68 70 전공일치 비율 전공불일치 비율 32 34 36 38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그림 2-27> 전국과 전라북도 대학교 졸업자의 전공일치 비율 비교 전국 전라북도 전공일치 비율 전공불일치 비율 전공일치 비율 전공불일치 비율 94 94.5 95 5 5.5 6 92 93 94 95 5 6 7 8 2006 2007 2008 2009 2006 2007 2008 2009 <그림 2-28> 전국과 전라북도 대학원 졸업자의 전공일치 비율 비교 - 45 -

<그림 2-28>은 전라북도 대학원 졸업자의 전공일치 비율은 나타내고 있는 그 래프로서 대학원의 경우는 대학원 자체의 특수성으로 인해서 전반적으로 매우 높 은 전공 일치 비율을 보인다. 전국의 경우 2009년까지 조금 하락하는 추세 속에서 도 전체적으로 94-95% 수준의 전공일치 비율을 보이며, 전라북도의 경우에도 2007 년의 급감 추세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93-95%의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 6) 전라북도 대학교 졸업자의 직업 진출 분야 교육통계 데이터를 이용한 마지막 비교로서 다음의 그림들은 전라북도 청년 계층의 학력별 연도별 직업진출 분야에 대한 비교를 보여주고 있다. 전문대학 졸 업자의 직업 진출분야는 전국과 전라북도 수준에서 크게 차이점을 보이지는 않는 다. 2006년 전국 전문대학 졸업자들은 27.6%의 비중이 기술공 분야에, 사무원과 전문가 분야에는 각각 20.2%와 13.8%가 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 전라북 도 전문대학 졸업자들의 32.6%가 기술공 분야에 진출함으로써 전국과 전라북도 전문대학 졸업자들의 진출분야에 유사성을 보이는데, 다만 전라북도의 경우 전문 가 분야가 14.4%로서 사무원 비중인 13.1% 보다 조금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전국 전라북도 0.3 관리자0.7 1.3 단순노무 군인 3.2 판매업 4.1 기능원 기계조립 서비스업 전문가 사무원 기술공 0.6 관리자 농업 1.4 1.8 단순노무 군인 2.2 판매업 3.3 기계조립 기능원 서비스업 사무원 전문가 기술공 전문대학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농업 2006 8.4 8.6 11.8 13.8 8.8 9.1 12.7 13.1 14.4 20.2 27.6 32.6 0 10 20 30 40 <그림 2-29> 2006 전문대학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전국과 전라북도 비교 - 46 -

2007년에는 전국과 전라북도의 전문대학 졸업자의 진출 분야가 그 수치만 조금 다르되 전체적으로 매우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가장 많이 진출한 분야는 전국과 전라북도 모두 기술공 분야이며, 다음으로 전문가와 사무원 분야에 학생들 이 취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국 수준에서 기술공과 전문가 분야로의 진 출 비중은 각각 23.1%와 20.2%로서 매우 유사해진 반면, 전라북도 지역에서의 기 술공과 전문가 분야로의 진출 비중은 각각 30.5%와 18.3%로서 여전히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전문대학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전국 전라북도 농업 2007 0.3 관리자0.9 1.5 단순노무 군인 3.5 판매업 4.7 기능원 6.7 기계조립 8.3 서비스업 사무원 전문가 기술공 0.9 관리자 농업 1.4 1.6 단순노무 군인 3.5 판매업 4.2 기능원 기계조립 서비스업 사무원 전문가 기술공 12.1 7.1 8.7 11.1 12.6 18.7 20.2 18.3 23.1 30.5 0 10 20 30 <그림 2-30> 2007 전문대학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전국과 전라북도 비교 전국 수준에서의 전문대학 졸업자의 취업 비중은 2008년에 기존의 형태와 매 우 다르게 나타난다. 전국 수준의 전문대학 졸업자의 41.5%는 기술공 분야가 아닌 전문가 분야에 취업을 하게 되며, 단지 20% 정도의 학생들이 기술공 분야와 12.8%의 학생들이 사무원 분야에 진출한다. 전라북도의 경우에도 이러한 추세가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전라북도 전문대학 졸업자의 48.3%가 전문가 분야에 진출하 게 되는데 이러한 비중은 전년도인 2007년에 졸업자의 18.3%만이 전문가 분야에 진출한 것과 비교하면 전문가 분야로의 진출 비중은 2008년에 매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전라북도 지역에서의 전문가 분야로의 급증 추세는 기술공 분야에서의 - 47 -

급감 경향과 동시에 나타나는데(2007년 기술공 30.5%, 2008년 기술공 15.7%), 이러 한 경향은 전국 수준에서 전문대학 졸업자의 기술공 분야 진출 비율이 크게 변화 하지 않았다는 사실(2007년 기술공 23.1%, 2008년 기술공 20%)과 비교한다면 전반 적인 전문가 증가 추세와 함께 이 시기에 전라북도에서 전문가 분야로의 진출이 증가하게 된 독특한 원인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문대학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2008 전국 전라북도 군인 판매업0.4 관리자1.1 단순노무1.3 기계조립 3.5 6.1 서비스업 농업 6.4 기능원 6.9 사무원 기술공 전문가 군인 판매업0.7 단순노무0.7 관리자1.7 기계조립 2.4 기능원 5.2 서비스업 6.1 농업 7.0 사무원 기술공 전문가 12.8 12.2 15.7 20.0 41.5 48.3 0 10 20 30 40 50 <그림 2-31> 2008 전문대학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전국과 전라북도 비교 전문대학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전국 전라북도 군인 2009 판매업0.4 단순노무1.9 관리자 2.8 기계조립 3.8 6.1 서비스업 농업 7.0 기능원 7.0 사무원 기술공 전문가 13.0 판매업 군인 0.6 단순노무1.7 기계조립 4.0 관리자 4.0 5.9 기능원 농업 6.8 서비스업 7.3 사무원 10.1 기술공 13.1 전문가 18.6 39.4 46.4 0 10 20 30 40 50 <그림 2-32> 2009 전문대학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전국과 전라북도 비교 - 48 -

2009년의 경우는 전국과 전라북도 전문대학 졸업자의 진출 분야 비율이 전년 도인 2008년과 크게 다르지 않게 나타난다. 전국과 전라북도 전문대학 졸업자의 진출분야는 여전히 전문가, 기술공, 사무원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비율역시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전문대학 졸업자의 진 출분야는 전문가 분야로의 급증 추세와 기술공과 사무원 분야의 감소 추세로 요 약할 수 있다. 다음의 네 그림은 연도별 대학교 졸업자의 진출분야를 전국과 전라북도로 분 리하여 비교 분석하고 있다. 2006년과 2007년에 전국 대학교 졸업자 역시 전문가 분야와 사무원 분야, 그리고 기술공 분야에 가장 많이 진출하고 있다. 특히 2006년 30.1%가 진출하던 전문가 분야는 2007년 41.1%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 시기에 사 무원의 비율(2006년 26.4%, 2007년 25.1%)은 전년도와 유사하며 기술공의 비율 (2006년 21.1%, 2007년 18.4%) 역시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대학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2006 전국 전라북도 관리자0.3 농업0.6 단순노무1.2 판매업 2.6 군인 2.7 기능원 2.9 서비스업 3.4 기계조립 기술공 사무원 전문가 관리자0.4 농업1.1 단순노무 1.9 군인 3.1 판매업 3.8 기능원 4.6 서비스업 4.8 기계조립 6.2 사무원 기술공 전문가 8.9 21.1 20.0 20.6 26.4 30.1 33.4 0 10 20 30 40 <그림 2-33> 2006 대학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전국과 전라북도 비교 2008년 전국 전문대학 졸업자의 진출분야는 전문가가 55.4%, 기술공이 28%, 그 리고 사무원이 4.4%로서 전년도에 비해서 전문가 분야는 14.3%가 증가하고, 사무 원의 비율은 20.7% 급감하는 추세를 보인다. 2009년도 전국 대학교 졸업자의 진출 - 49 -

분야는 2008년과 순위나 수치 측면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며 여전히 전문가 분 야로는 48.8%의 졸업자들이 진출하며 사무원의 경우도 4.1%로서 전년도와 유사하 게 매우 작은 비율만이 취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2007 전국 전라북도 농업0.3 관리자1.0 기능원1.3 단순노무1.4 기계조립 2.5 군인 2.7 판매업 2.9 서비스업 3.3 기술공 사무원 전문가 농업0.8 관리자1.4 기능원 2.4 군인 2.6 기계조립 3.1 단순노무 4.1 서비스업 4.2 판매업 4.2 기술공 사무원 전문가 18.4 17.0 18.9 25.1 41.1 41.3 0 10 20 30 40 <그림 2-34> 2007 대학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전국과 전라북도 비교 전국 전라북도 2008 단순노무 군인 0.4 판매업0.5 관리자0.6 기계조립1.7 기능원1.8 1.9 사무원 농업 4.4 서비스업 5.4 기술공 28.0 전문가 단순노무 군인 0.4 관리자0.7 판매업2.2 3.0 기능원 농업 3.1 기계조립 4.3 사무원 6.0 서비스업 6.6 기술공 전문가 대학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19.5 55.4 54.2 0 20 40 60 <그림 2-35> 2008 대학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전국과 전라북도 비교 - 50 -

전라북도 대학교 졸업자의 진출 분야에서도 매우 유사한 경향이 나타나고 있 다. 2006년 33.4%의 전문가 분야와 20.6%의 기술공 분야, 20%의 사무원 분야는 2007년 전국의 경향과 유사하게 전문가 분야가 급증하는 것으로 보인다.(전문가 41.3%, 사무원 18.9%, 기술공 17%) 또한 2008년 전라북도 대학교 졸업자는 54.2% 가 전문가 분야에 진출하고 사무원 분야로는 6%만이 진출함으로써 전년도에 비해 서 전문가 분야의 경우 12.9%가 증가하며 사무원은 12.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 난다. 2009년도 역시 전국의 경향과 매우 유사하게 전문가 분야로는 49.7%, 기술 공 분야로는 22%, 그리고 사무원 분야로는 5.4%만이 진출하고 있는 것으로 기록 되고 있다. 전국 전라북도 군인 2009 판매업0.5 기계조립1.6 관리자1.9 2.2 기능원 농업 2.3 단순노무 3.0 사무원 4.1 서비스업 5.5 기술공 전문가 판매업 군인 1.0 관리자1.9 기계조립 2.9 기능원 3.1 단순노무 3.1 4.2 사무원 농업 5.4 서비스업 6.5 기술공 전문가 대학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22.0 30.1 48.8 49.7 0 10 20 30 40 50 <그림 2-36> 2009 대학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전국과 전라북도 비교 대학원 졸업자의 진출분야는 대학원 교육 자체의 특수성으로 인해서 전문대학 졸업자나 대학교 졸업자의 경우처럼 독특한 연도별 혹은 학력별 특성은 나타나지 않는다. 아래의 네 그림은 대학원 졸업자의 직업 진출 분야를 연도별로 전라북도 와 전국을 비교하고 있다. 먼저 2006년의 경우 전국과 전라북도 대학원 졸업자의 진출 분야는 전문가, 기술공, 사무원 분야의 순으로서 전국과 전라북도가 각각 71.6%, 14.2%, 그리고 7%와 71.1%, 15.8%, 그리고 5.4%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순위나 비율 측면에서 2007년의 경우에도 전국과 전라북도 졸업자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 51 -

대학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2006 전국 전라북도 단순노무 0.1 농업 0.1 판매업0.3 기능원0.5 군인0.7 서비스업1.1 기계조립1.7 관리자2.4 사무원 7.0 기술공 전문가 단순노무 군인 0.1 농업 0.2 기능원0.3 판매업0.5 서비스업0.6 기계조립2.1 관리자 3.9 사무원 5.4 기술공 전문가 14.2 15.8 71.6 71.1 0 20 40 60 80 <그림 2-37> 2006 대학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전국과 전라북도 비교 대학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2007 전국 전라북도 단순노무 0.1 0.1 판매업 농업 0.2 기능원0.4 0.8 서비스업 군인 0.9 기계조립1.5 관리자2.9 사무원 6.4 기술공 10.8 전문가 0.1 0.1 판매업 군인 농업 0.2 단순노무0.3 기능원0.6 서비스업1.2 기계조립2.3 관리자2.8 사무원 7.9 기술공 10.9 전문가 75.9 73.5 0 20 40 60 80 <그림 2-38> 2007 대학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전국과 전라북도 비교 그러나 다른 학력 계층의 경우에서 나타난 것처럼 대학원 졸업자의 경우에도 2008년에는 기존과는 조금 다른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2008년 전국과 전라북도 모두 전문가 분야로의 진출이 증가하는데, 전국의 경우 기존 년도에 비해 10.3% 증가한 86.2%가 전문가 분야로 진출을 하고 전라북도의 경우 전년도에 비해 - 52 -

11.7% 증가한 85.2%가 전문가 분야에 취업을 한다. 2008년부터 기술공으로의 진출 은 2006년에 비해서 절반 비율로 감소하며, 사무원으로의 진출 비율 역시 매우 미 미해진다. 이러한 현상은 2008년과 2009년에 전국과 전라북도에서 공통적으로 나 타나고 있다. 대학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2008 전국 전라북도 군인 기계조립 0.1 판매업 0.2 서비스업0.4 농업0.5 단순노무0.6 기능원0.7 사무원1.0 관리자2.9 기술공 7.4 전문가 군인 기계조립0.3 단순노무0.3 서비스업0.4 농업0.7 기능원0.7 판매업0.8 사무원2.6 관리자3.1 기술공 6.0 전문가 86.2 85.2 0 20 40 60 80 <그림 2-39> 2008 대학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전국과 전라북도 비교 대학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2009 전국 전라북도 군인 기계조립 0.1 판매업 0.2 서비스업0.3 농업0.7 기능원0.7 사무원0.8 단순노무1.0 관리자 4.1 기술공 7.4 전문가 군인 판매업0.4 기계조립0.4 서비스업0.5 농업0.8 사무원0.9 단순노무1.0 기능원1.4 관리자3.9 기술공 6.7 전문가 84.7 84.0 0 20 40 60 80 <그림 2-40> 2009 대학원 졸업자의 직업진출 분야: 전국과 전라북도 비교 - 53 -

제3장 전라북도 청년일자리를 위한 기존사업 제1절 전라북도 기존사업 : 2006~2010년 제2절 전라북도 기존사업의 특성 분석 제3절 지역 청년노동시장의 특성과 기존사업간 관계분석

제 3 장 전라북도 청년 일자리를 위한 기존 사업 제 1 절 전라북도 기존 사업: 2006년 ~ 2010년 1. 2006년도 추진 사업 1) 일자리 관련 사업 (1) 구인구직 Matching 청년 일자리 창출 (계속)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청년 실업난 완화를 위한 일자리 창출로 구 직난과 기업 구인난을 해소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사업개요 - 사업비: 2개 사업 3,448백만원 (도비 1,724 시군비 1,724) - 사업량: 565명 - 사업내용: 2개 사업 중소기업 인력 지원 사업: 365명 2,848백만원 맞춤형 기술인력 지원 사업: 200명 600백만원 2005년도 실적 - 교육 및 취업: 교육 561명, 취업 558명 - 시군 지도점검 및 업체 방문, 유관기관단체 workshop 개최: 4회 (2) 취업과 연계하는 고용촉진훈련 추진 (계속) 실업자 및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직업훈련을 실시하여 취업기회를 우선적으로 제공하고 산업체에 원활한 인력 공급을 도모 사업개요 - 사업비: 589백만원 (국비 491 도비 49 시군비 49) - 훈련인원: 423명(일반 358, 농민 65) - 57 -

- 훈련직종: 자동차 정비 등 20개 직종 2005년도 실적 - 실업자 등 선발 및 훈련 실시: 351명 - 맞춤형 고용촉진 훈련사업의 효율적 추진: 자격취득 147명, 취업 174명 2) 중소기업 관련 사업 (1) 산학연 기술지원 체계 (계속) 중소기업이 대학의 연구자원(기술, 인력, 장비)을 활용하여 각종 애로기술을 해 결하고 신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지원 체계 구축 사업개요 - 사업기간: 2001-2009 - 사업비: 554억원 (국비 388 도비 31.5 시비 24 대학 73.8 업체 36.7) 2006년도 사업비: 103억원(국비 63.5 도비 12.67 시비 3 대학 업체 23.83) - 훈련인원: 423명(일반 358, 농민 65) - 사업내용: 3개 사업 지역기술혁신센터 구축(TIC): 167억원 산학협력중심대학 육성사업: 347억원 산학연 공동기술 개발 컨소시엄: 40억원 2005년도 실적 - 지역기술혁신센터 구축(TIC): 장비 154개 업체, 창업보육 등 - 산학협력중심대학 육성사업: 공동기술개발 과제 등 36건 - 산학연 공동기술 개발 컨소시엄: 9개 대학 95업체 94과제 (2) 벤처기업 성장기반 확충 (계속) 자금 지원 및 기술협력을 통해 건실한 벤처기업을 육성하여 고부가가치의 산 업구조를 구축하고 고용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 58 -

사업개요 - 벤처기업 육성자금 지원: 20개 업체, 50억원 지원내용: 창업자금 6억원, 성장자금 4억원, 연리 3% 기금조성: 10억원 (기조성액 348억 1백만원) 벤처기업 촉진지구사업 지원: 5개 사업, 5억원 2005년도 실적 - 벤처촉진지구 지원 사업 추진: 5개 분야(박람회, 시제품 제작 등) - 벤처기업 육성자금 지원: 21개 업체 4,904백만원 - 벤처기업 육성자금 지원제도 개선: 대상 확대, 상환 방법 2. 2007년도 추진 사업 1) 일자리 관련 사업 (1) 지속가능한 청년 일자리 창출 (계속) 청년 실업자가 원하는 일자리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이 매칭되는 인력지 원 및 교육 훈련을 실시하여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일자리를 창출하고자 하는 사업 사업개요 - 사업규모: 4개 사업 678명 4,674백만원 (도비 2,874 시군비 1,800) 구인 구직 매칭 중소업체 인력지원: 300명 2,880백만원 기업이 원하는 맞춤형 기술인력 교육: 200명 720백만원 대학생 취업제공 청년 인턴사원 지원: 78명 374백만원 산학관 커플링 사업: 100명 700백만원 2006년도 실적 - 중소업체 인력지원 맞춤형 교육 실시: 교육 565명, 취업 430명 - 청년 취업인턴사원 지원 30명 - 59 -

(2) 지속 일자리 창출 인프라 구축 (신규) 지역단위 고용촉진을 위한 효과적인 일자리 창출 시책 개발 및 중앙과 시군 등 고용관련 기관간 유기적 연대 및 협력체계 강화 사업개요 - 지역고용 개발 특화 사업(공모사업) 5-10건: 500백만원 - 일자리창출사업 평가 및 개발 연구용역: 700백만원 - 취업알선센터 설치 및 운영: 민원봉사실 내 - 지역고용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노동관서 노사 NGO 등 (3) 취업과 연계한 고용촉진훈련 실시 (계속) 실업자 및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직업훈련을 실시하여 취업능력을 함양하고 산 업체에 원활한 인력공급을 도모 사업개요 - 훈련인원: 168명(일반 142, 농어민 26) - 훈련직종: 자동차 정비 등 20개 직종 - 훈련기관: 직업전문학교, 학원 등(6개월, 1년 과정) - 지원내용: 훈련생의 훈련비 및 훈련수당 - 사업비: 416백만원(국비 346, 도비 35, 시군비 35) 2006년도 실적 - 훈련생 선발 및 교육 실시: 교육 291명, 취업 161명 2) 중소기업 관련 사업 (1) 중소기업자금 지원 개선 및 융자액 확대 운영 (계속) 중소기업에 저리자금을 적기에 지원하기 위해서 경영 안정과 창업을 촉진하여, 기술집약형 중소 벤처기업에 직접 투자방식의 투자펀드 운용 - 60 -

사업개요 - 자금지원 경영안정자금: 최고 5억원, 2년 거치 2년 균등 상환, 이차보전 3.0% 창업시설자금: 최고 15억원(전략산업), 3년거치 5년이내, 이차보전 2.0% 벤처자금: 이차보전 2.8% 창업자금: 6억원(시설 4, 운전 2), 연리 3%, 3년거치 5년 상환 성장자금: 4억원(시설 및 운전자금), 연리 3%, 2년거치 3년 상환 - 투자펀드 조성: 100억원(국비 50, 도비 20, 민간 30) 투자목표: 1년차 25%, 2년차 35%, 3년차 30%, 4년차 10% 2006년도 실적 - 자금지원: 1,839억원(창업 1,270억원, 경영 544억원, 벤처 25억원) - 펀드조성: 전북전략산업투자펀드 업무집행조합원 선정(10.24) (2) 혁신형 중소 벤처기업 육성 (계속) 기술집약형 중소 벤처기업에 자금, 기술, 마케팅 등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지역 경제 선도기업으로 육성 사업개요 - 벤처기업: 216개업체(중기청 확인 179, 벤처인 37) - INNO-BIZ: 135개업체 (2001년부터 도입) - 경영혁신형 기업: 54개업체 (2006년부터 신규인증) 사업비: 595백만원(도비 345, 전주시 250) - 우수 유망 중소기업 선정 지원: 34개업체 35백만원 2006년도 실적 - 벤처기업 65, INNO-BIZ 92, 경영혁신형 54개업체 인증 - 우수기업 4개업체, 유망기업 21개업체 선정 - 61 -

(3) 창업보육센터 지원 및 운영 활성화 (계속)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사업공간 등 시설을 저렴하게 제공하고, 경영 및 정보기술 등의 지원으로 안정적 창업 성공률 제고 사업개요 - 창업보육센터 현황: 16개업체(대학 14, 중진공 1, 전북여성 1) 입주업체: 173개업체(일반 157, 벤처 16) - 입주율 91% - 2007년 예산액: 660백만원(국비 500, 도비 160) 2006년도 실적 - 창업보육센터 15개소(대학) 지원: 국비 502백만원(개소당 운영비 22-43백만원) (4) 산학연 컨소시엄을 통한 중소기업 애로기술 지원 (계속) 중소기업이 대학의 인적 물적 R&D 자원을 활용하여 애로기술을 해결하고, 중 소기업 수요에 맞는 인력 양성 및 일자리를 창출하도록 지원하는 사업 사업개요 - 사업기간: 2007년 7월 - 2008년 6월 - 총사업비: 69억원(국비 43.5, 도비 17.25, 업체 17.25) - 사업내용: 3개사업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컨소시엄: 48억원(국비 24, 도비 12, 업체 12) 기업부설연구소 설치: 16억원(국비 8, 도비 4, 업체 4) 산학협력실 설치: 5억원(국비 2.5, 도비 1.25, 업체 1.25) 2006년도 실적 - 11개 컨소시업(132개업체 + 15대학)을 구성 사업추진 중(2006년 7월- 2007년 6월) *기업부설연구소 및 산학협력실 설치사업은 2007년도 신규사업임 (5) 한계신용 소상공인 특례보증 지원 (신규) 창업전망이나 경영능력은 양호하지만 신용도가 낮고 담보 능력이 없는 한계신용 소상공인에 대한 특례보증으로 수혜대상을 확대 지원 - 62 -

사업개요 - 추진일정: 2007년 1월 - 2007년 12월 - 지원대상: 한계신용 소상공인(신보 신용평가 C-D 등급) 매년 최소 100-500명 정도 한계신용 소상공인 지원 부실채권 보전: 전북신용보증재단(100%) - 보증지원: 년 50억원 정도 (신보 출연금 10억원의 5배) - 지원금액: 1천만원 이내/ 업체당 - 상환조건: 1년 거치 4년 분할상환(매분기 균분) - 지원절차: 소상공인지원센터(상담 및 컨설팅 확인서 발급) 전북신용보증 재단(보증서 발금) 금융기관 대출 (6) 소상공인 지원자금 이차보전 (신규) 소상공인의 창업 및 경영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지원으로 경쟁력 강화 및 경영난 해소를 통한 민생경제 안정 도모 사업개요 - 추진시기: 2007년 1월 - 12월 - 지원대상: 정책자금 융자 및 한계신용 소상공인 - 지원내용: 소상공인 지원 융자금 이자 중 차등 이차보전(본인부담 4%, 차액 도비지원) 중소기업청 정책자금 이자 5.4% 중 1.4% 보전 한계신용 소상공인 지원 자금 이자 6.15% 중 2.15% 보전 - 사업비: 300백만원(도비) 3. 2008년도 추진 사업 1) 일자리 관련 사업 (1) 희망을 빌려드립니다 창업 지원 (계속) 창업 경험이나 자금력이 부족한 20-30대 청년 창업 준비자들에게 경영 노하우와 전문 교육 실시 및 사후 관리 등 성공적인 창업 유도 - 63 -

사업개요 - 지원대상: 20-30대 청년 창업 준비자(연 2회, 200명 선발) - 지원업종: 도소매업, E-비지니스, 음식점업, 서비스업 - 지원내용 교육지원: 이론교육, 컨설팅, 현장실습 등 패키지 교육 활용 자금지원: 최고 2,000만원 대출(전북신보 특례보증) 성장지원: 경영지원, 정보제공 등 지속적인 사후관리 - 보증지원액: 20억 (100명) - 상환조건: 1년 거치 4년 분할 균등 상환 2007년도 실적 - 창업 및 자금지원: 63명 12억원 (2) 기업 맞춤형 인력 양성 추진 (계속) 기업 수요에 따른 맞춤형 인력의 적기 공급 시스템 구축을 통해 기업유치 활 성화와 좋은 일자리 창출로 실업 문제 해소에 기여 사업개요 - 도내 대기업 유치로 인한 기능인력 양성 및 공급이 절실 - 도내 조선분야 기능인력 양성을 위한 기반시설 취약 조선산업 용접 부문은 선급협회의 인증시험을 거치는 특수 용접임 2007년도 실적 - 조선 기능인력(용접) 양성 및 교육: 126명 전북인력개발원 등 76명(도 지원), 군장대학 50명(노동부 지원) - 조선인력 맞춤식 교육 MOU 체결: 90명 현대 중공업과 한국 폴리텍V 대학 익산 캠퍼스 - 도내 기업 인력 수요 및 교육 훈련기관 인력 공급 현황 조사 - 전라북도 인력 수급 대책 협의회 구성(20명, 위원장: 투자유치국장) - 64 -

(3) 지속가능한 청년 일자리 창출 (계속)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맞춤형 기술 인력을 양성하여 공급하고 구인 구직간 미 스매치 해소로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 사업개요 - 사업규모: 3개 사업, 650명, 4,400백만원(도비 2,600, 시군비 1,800) 산학관 커플링 사업 150명 800백만원 중소업체 인력지원사업 300명 2,880백만원 맞춤형 기술인력 교육사업 200명 720백만원 2007년도 실적 - 산학관 커플링사업 교육: 110명 - 중소업체 인력지원 및 맞춤형 교육: 480명 추진, 396명 교육 (4) 지역 일자리 창출 인프라 구축 (계속) 지역단위 고용 촉진을 위한 효과적인 일자리 창출 시책 개발 및 중앙 시군 등 고용 관련 기관간 유기적 연대 및 협력체계 강화 사업개요 - 지역고용개발 특화사업(공모) 5-10건 399백만원 - 취업알선센터 운영(4인): 도 민원봉사실 - 지역고용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노동관서, 노사, NGO 등 2007년도 실적 - 지역고용개발 특화사업 추진: 4개시군 7개사업 400명 - 취업알선센터를 통한 취업: 480명 - 지역고용심의회 확대 개편: 9명 16명 (5) 취업과 연계한 고용촉진훈련 실시 (계속) 실업자 및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직업훈련을 실시하여 취업능력을 함양하고 산 업체에 원활한 인력 공급을 도모 - 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