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1. 프랑스 국제핵융합실험로 프로젝트 현장 가보니 서울경제 지면15면 2015.05.21 2. 친환경 무한에너지 개발 지구속 작은 태양 떠오른다 대전일보 지면8면 2015.05.21 3.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 논의 본격화 대전일보 지면8면 2015.05



Similar documents
04-다시_고속철도61~80p


11¹Ú´ö±Ô

2 동북아역사논총 50호 구권협정으로 해결됐다 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일 본 정부 군 등 국가권력이 관여한 반인도적 불법행위이므로 한일청구권협정 에 의해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없다 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또한 2011년 8월 헌 법재판소는

歯kjmh2004v13n1.PDF

<30322D28C6AF29C0CCB1E2B4EB35362D312E687770>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CDP_Korean-00

PJTROHMPCJPS.hwp

- 2 -


09김정식.PDF

pdf 16..

20, 41..,..,.,.,....,.,, (relevant).,.,..??.,

#Ȳ¿ë¼®

... 수시연구 국가물류비산정및추이분석 Korean Macroeconomic Logistics Costs in 권혁구ㆍ서상범...


DBPIA-NURIMEDIA

Page 2 of 5 아니다 means to not be, and is therefore the opposite of 이다. While English simply turns words like to be or to exist negative by adding not,

<B1E2C8B9BEC828BFCFBCBAC1F7C0FC29322E687770>

<32382DC3BBB0A2C0E5BED6C0DA2E687770>

<BFA9BAD02DB0A1BBF3B1A4B0ED28C0CCBCF6B9FC2920B3BBC1F62E706466>

02-19~-44-하이퍼루프다시


제 2 장 골프장의 경영

I&IRC5 TG_08권

12Á¶±ÔÈŁ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퇴좈저널36호-4차-T.ps, page Preflight (2)

강의지침서 작성 양식

잡았다. 임진왜란으로 권위가 실추되었던 선조는 명군의 존재를 구세 주 이자 王權을 지켜주는 보호자 로 인식했다. 선조는 그 같은 인 식을 바탕으로 扈聖功臣들을 높이 평가하고 宣武功臣들을 평가 절하함으로써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려고 했다. 이제 명에 대한 숭 앙과 충성은

?????

2011´ëÇпø2µµ 24p_0628

Á¶´öÈñ_0304_final.hwp

¹ýÁ¶ 12¿ù ¼öÁ¤.PDF

?? 1990년대 중반부터 일부 지방에서 자체적인 정책 혁신 을 통해 시도된 대학생촌관 정책은 그 효과에 비자발적 확산 + 대한 긍정적 평가에 힘입어 조금씩 다른 지역으로 수평적 확산이 이루어졌다. 이? + 지방 A 지방 B 비자발적 확산 중앙 중앙정부 정부 비자발적

< C6AFC1FD28B1C7C7F5C1DF292E687770>

OP_Journalism

<313120B9DABFB5B1B82E687770>

<B7CEC4C3B8AEC6BCC0CEB9AEC7D B3E23130BFF9292E687770>

Main Title

2 min 응용 말하기 01 I set my alarm for It goes off. 03 It doesn t go off. 04 I sleep in. 05 I make my bed. 06 I brush my teeth. 07 I take a shower.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기호

03¹ü¼±±Ô

하나님의 선한 손의 도우심 이세상에서 가장 큰 축복은 하나님이 나와 함께 하시는 것입니다. 그 이 유는 하나님이 모든 축복의 근원이시기 때문입니다. 에스라서에 보면 하나님의 선한 손의 도우심이 함께 했던 사람의 이야기 가 나와 있는데 에스라 7장은 거듭해서 그 비결을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본문01

<C7D1B9CEC1B7BEEEB9AEC7D C3D6C1BE295F31392EB9E8C8A3B3B22E687770>

12È«±â¼±¿Ü339~370

KAERIAR hwp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00내지1번2번

ePapyrus PDF Document

08최봉석ㆍ구지선.hwp

<C1A4BAB8B9FDC7D031362D335F E687770>

Vol.257 C O N T E N T S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DBPIA-NURIMEDIA

0125_ 워크샵 발표자료_완성.key

1. 美, NAFTA (, 7/18) [ = ] (NAFTA ).. ㆍ. FTA. (WP) 17 ( ) (USTR) 17 NAFTA. NAFTA. USTR ( 71 ).. USTR USTR,. 5 NAFTA. 90. NAFTA

74 현대정치연구 2015년 봄호(제8권 제1호) Ⅰ. 서론 2015년 1월 7일, 프랑스 파리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했다. 두 명의 남성이 풍자 잡지 주간 샤를리 의 본사에 침입하여 총기를 난사한 것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열두 명의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얼마 후에

Page 2 of 6 Here are the rules for conjugating Whether (or not) and If when using a Descriptive Verb. The only difference here from Action Verbs is wh

<C5EBC0CFB0FA20C6F2C8AD2E687770>

WRIEHFIDWQWF.hwp

뉴욕 이코노믹클럽 연설을 통하여 비둘기파적 색채를 드러낸 옐런 Jr.Economist 전병하 매크로 Implication Implication 현재 상황에 대한 인식 혼조적 - R

±³º¸¸®¾óÄÚ

< FBEC6C1D6B9FDC7D05F39C2F72E687770>

아니라 일본 지리지, 수로지 5, 지도 6 등을 함께 검토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근대기 일본이 편찬한 조선 지리지와 부속지도만으로 연구대상을 한정하 기로 한다. Ⅱ. 1876~1905년 울릉도 독도 서술의 추이 1. 울릉도 독도 호칭의 혼란과 지도상의 불일치 일본이 조선

레이아웃 1

현대영화연구

공연영상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Suggestions of Ways

30이지은.hwp

ps

1_2•• pdf(••••).pdf

300 구보학보 12집. 1),,.,,, TV,,.,,,,,,..,...,....,... (recall). 2) 1) 양웅, 김충현, 김태원, 광고표현 수사법에 따른 이해와 선호 효과: 브랜드 인지도와 의미고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권 2호, 2007 여름

중국 상장회사의 경영지배구조에 관한 연구

DBPIA-NURIMEDIA

장양수

14È£À¯½Åȸº¸¸ñÂ÷.ps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B1B9BEC7BFF8B3EDB9AEC1FD20C1A63331C1FD2DBABBB9AE E687770>

< 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07_À±¿ø±æ3ÀüºÎ¼öÁ¤

Hi-MO 애프터케어 시스템 편 5. 오비맥주 카스 카스 후레쉬 테이블 맥주는 천연식품이다 편 처음 스타일 그대로, 부탁 케어~ Hi-MO 애프터케어 시스템 지속적인 모발 관리로 끝까지 스타일이 유지되도록 독보적이다! 근데 그거 아세요? 맥주도 인공첨가물이

¹Ìµå¹Ì3Â÷Àμâ

081027_weekly_013.hwp

212 영상기술연구 세대라고 할 수 있다. 이 뉴 뉴웨이브 세대란 60년대 일본의 영화사에서 과거세대와는 단 절된 뉴웨이브 의 흐름이 있었는데 오늘날의 뉴웨이브 세대를 뛰어넘는다는 의미에서 뉴 뉴웨이브 세대로 불린다. 뉴 뉴웨이브 세대 감독들의 경향은 개인적이고 자유분

hwp

레이아웃 1

<C1DF3320BCF6BEF7B0E8C8B9BCAD2E687770>

<B1B9BEC7BFF8B3EDB9AEC1FD5FC1A63234C1FD5FBFCF2E687770>

민속지_이건욱T 최종

304.fm

7 1 ( 12 ) ( 1912 ) 4. 3) ( ) 1 3 1, ) ( ), ( ),. 5) ( ) ). ( ). 6). ( ). ( ).

Microsoft PowerPoint - ch03ysk2012.ppt [호환 모드]

Transcription:

2015 ITER 국제기구 기자간담회 게재 기사

Contents 1. 프랑스 국제핵융합실험로 프로젝트 현장 가보니 서울경제 지면15면 2015.05.21 2. 친환경 무한에너지 개발 지구속 작은 태양 떠오른다 대전일보 지면8면 2015.05.21 3.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 논의 본격화 대전일보 지면8면 2015.05.21 4. 베르나 비고 신임 IO 사무총장 중앙 의사결정 강화해 ITER 조속 건설 서울경제 지면14면 2015.05.22 5. 한국 핵융합에너지 사업, 선진국의 롤모델 서울경제 지면14면 2015.05.26 6. International fusion reactor makes slow but steady progress Korea times 지면10면 2015.05.20 7. Safe, unlimited fusion energy crucial for mankind Korea times 지면10면 2015.05.20 8. ITER IO chief vows push for fusion energy project Korea times 2015.05.22 9. [취재후] 지구 위에 작은 태양 만들어라 핵융합 프로젝트 KBSTV 2015.05.20 10. 프랑스 카다라쉬 세계 인공태양 연구 본산 전자신문 2015.05.20 11. 지구 위의 작은 태양 핵융합실험로 프로젝트 추진 뉴시스 2015.05.20 12. 지구 안 작은 태양 국제핵융합실험로 건설 착착 연합뉴스 2015.05.20 13. 지구 위에 작은 태양을 만들어라 자원 없는 무한 에너지 ITER 프로젝트 아주경제 2015.05.20 14. 또 하나의 태양 만든다 無 자원 무한에너지, ITER 프로젝트 헤럴드경제 2015.05.20 15. 국제핵융합실험로 건설 순항 충청투데이 2015.05.20 16. 회원국 과학역량 통합 중추적 역할할 것 대전일보 2015.05.21 17.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건설현장 여의도공원 2배 규모... 건설 진행 아직 10% 미만 아주경제 2015.05.20

2015년 5월 21일 서울경제 산업/무역 15면 2015년 5월 21일 목요일 지면15면

2015년 5월 21일 목요일 지면8면 2015년 5월 21일 (목) 08면 기획 39.6 X 17.8 cm

2015년 5월 21일 목요일 지면8면 2015년 5월 21일 (목) 08면 기획 19.8 X 10.7 cm

2015년 5월 22일 금요일 지면14면 2015년 5월 22일 (금) 14면 산업/무역 19.3 X 10.6 cm

2015년 5월 26일 화요일 지면14면

2015년 5월 20일 수요일 지면10면 International fusion reactor makes slow but steady progress By Yoon Sung-won CADARACHE, France - The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ITER) is one of the largest projects in history aimed at tackling the biggest assignment of all mankind - the shortage of energy. At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ITER facility in the southern French district of Cadarache on Monday, five highrise cranes were recently piling up pillars and thick iron bars on the concrete foundation. Component assembly facilities, fuel storage and the core fusion energy unit called Tokamak were being built at the 400,000-square-meter field in the sparsely settled Provence region. ITER nuclear buildings section leader Patisson Laurent said that an average of 1,000 workers take part in the construction. The number of workers goes up to 4,000 per day in peak periods to speed up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initiative, he said. Tokamak is a Russian term referring to a donut-shaped chamber made of magnetic coils. This facility is an essential part of fusion energy generation because it creates an intense magnetic field that can contain plasma of 150 million degrees Celsius, which is 10 times hotter than the core of the sun. ITER Tokamak is 20 meters tall and has a 29-meter diameter. Two-story anti-seismic bearings have been established beneath the Tokamak to endure even powerful earthquakes, Laurent said. A 1.5-meter-thick slab buffers the space between the Tokamak and the anti-seismic bearings. An official at the construction site said that thick iron bars have been added inside the slab to consolidate the slab amid rising safety concerns after the 2011 massive earthquake in Japan. Next to the Tokamak, which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acility, is the component assembly building. The vast assembly building will accommodate components manufactured and procured by the seven member nations of the ITER project. These components will be assembled here before being installed at the facility. The assembly building will accommodate and assemble components that weigh up to 1,000 tons. A 1,500- ton crane is scheduled to be arranged in this building to lift such heavy components, Laurent said. The Poloidal Field (PF) Coil Fabrication Building was set up behind the assembly building. PF coils manufactured and delivered by the member nations will be winded in here. Combined with other magnetic coil components, dubbed the Toroidal Field coils and Central Solenoid, the PF coils will take a key role in generating an intense magnetic field that can contain the hot plasma inside the Tokamak. Near the construction site were five pond-like facilities that contain water. This water will be used to cool down the heat left after the fusion power generating process. The construction of the ITER facility has progressed only 10 percent over the last five years.

2015년 5월 20일 수요일 지면10면 Safe, unlimited fusion energy crucial for mankind By Yoon Sung-won CADARACHE, France - The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ITER) is a joint international project with the objectives of researching and developing fusion energy to tackle fossil fuel depletion with a reduced environmental impact. This fusion energy reactor has been under construction since 2007 here in Caradache and is scheduled to be completed by 2020. Once completed, a fusion reactor will be able to produce up to 500-megawatts of thermal energy output.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ITER) International Organization spokesman Robert Arnoux introduces the project being undertaken by the seven member nations during a press conference at the organization s headquarters in Caradache, France, Monday. (local time) / Korea Times photo by Yoon Sung-won The fusion energy is a safe and environmentally responsible energy source of unlimited scale, ITER International Organization spokesman Robert Arnoux said during a press conference at its headquarters in Cadarache, France, on Monday local time. The world s energy consumption has risen by 50 percent since 1973 and is expected to see an extra 60-percent expansion by 2030. This is why the success of the ITER project is crucial for the interest of all mankind.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the joint project was started by four founding member nations - the European Union (EU), the United States, Russia and Japan. China and Korea joined in the initiative in 2003, followed by India in 2005. The project was launched in 1988 after U.S. President Ronald Reagan and Russian President Mikhail Gorbachev agreed in November 1985 at the Geneva Summit to jointly develop fusion energy. The EU, which hosts the ITER facility in southern France, bears 45.46 percent expense of the 7.11 billion euro project. The other six member nations share 9.09 percent of expenses each. Korea and other member nations have pushed for the ITER project under a belief that fusion energy is the most efficient solution when the world is facing a shortage of fuel resources and difficulties in developing other sustainable energy sources. Massive amounts of fusion energy are generated when hydrogen nuclei called Deuterium and Tritium crash and are fused with each other in the state of plasma, just like inside the sun. Unlike conventional nuclear power, which is based on nuclear fission reaction, fusion energy does not produce greenhouse gas and long-lasting radioactive nuclear waste, and is free of resource depletion concerns, Arnoux said.

2015년 5월 20일 수요일 지면10면 The project, however, also faces challenges. The ITER International Organization has undergone difficulties in attracting sufficient funding from each member nation. Strict regulations on nuclear-related energy development is also hurdling the fusion energy project. The technological gap among the member nations causes delays in the component procurement schedule. The construction progress of the ITER remains below 10 percent even when it has passed more than five years since it was started to be built. Mark Henderson, ITER Electron Cyclotron Section Leader, stressed the fusion energy is challenging yet the only sustainable solution for the world s energy problem. The domestic agencies at the seven member nations operate separate experimental fusion energy. The ITER Korea plans to commercialize the fusion energy in Korea by 2040, tapping into the research achievements from the local fusion energy research facility named KSTAR and the international collaboration. Once this plan is realized, Korea will become the world s second nation to have an operating fusion energy facility following China, which aims to do so by 2030.

2015년 5월 22일 목요일 ITER IO chief vows push for fusion energy project By Yoon Sung-won CADARACHE, France Bernard Bigot, director general of the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ITER) International Organization, has pledged to accelerate the drive for the global fusion energy facility construction project. In his first meeting with media since his inauguration in March, the new director general stressed the integration of member nations and a centralized decision-making process. Bernard Bigot / Courtesy of ITER Korea My main commitment is to implement the given action plan for the project by integrating scientific capabilities of the seven member nations, Bigot said in an interview at the IT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eadquarters in Cadarache, France, Monday. In an international project like the ITER, a delay in making a decision causes a massive extra cost. This is why timely decision making is important. The ITER project was launched in 2007 under a coalition of seven member nations the European Union represented by France, the United States, Japan, China, Russia, India and Korea to seek a joint development of fusion energy. The biannual management assessment report on the ITER International Organization published in 2013 pointed out the slow progress of the project and urged the global body to replace its chief. The ITER Council has recommended Bigot, who worked as the chief of the French atomic energy commission, as the sole candidate for the position in November. Bigot took office on March 5, following his predecessor Osamu Motojima. The new director general said the member nations have longed for an early development of sustainable fusion energy but the ITER International Organization has failed to meet the expectation. Bigot emphasized that he will push ahead with a strong, centralized decision-making process to replace the current project management principle that has been influenced by each local agencies in member nations. There are pending issues that have remained without a definite answer. I believe we need to make a clear decision for them, he said. Only one should be in the driving seat of such a large international initiative as the ITER unless we want to continue debates and discussions with no outcome. Bigot said he is focusing on consistency through efficient management. He said he is not considering a technological change in the ITER project.

2015년 5월 22일 목요일 Since 1985 when the project has been decided to go in this way, many scientists and engineers have worked for it so far, he said. I am not considering narrowing the scope of the ITER project and what it aims to demonstrate. Each member nation of the ITER project manufactures components needed to build the fusion energy facility, and delivers what they have produced to the construction site at Cadarache to assemble them here. The new director general said he will announce a new schedule to procure the components and plan the entire facility s construction. We need a common planning that can be consented by more than a thousand enterprises and the seven member nations, he said. The main issue is to manage the organization right and make decisions on time to maintain the trust.

2015년 5월 20일 수요일 [취재후] 지구 위에 작은 태양 만들어라 핵융합 프로젝트 5월 18일 오전 프랑스 남부 카다라쉬 ITER 국제기구 토카막 빌딩 건설 현장 자원 없는 무한 에너지 ITER 프로젝트 핵융합 에너지는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융합해 두 수소의 원자핵이 합쳐질 때 나오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이다. 핵융합 에너지의 주요 원료인 중수소는 바닷물에서 쉽게 추출할 수 있으며, 기후 변화의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와 온실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다. 특히 바닷물 1리터에 포함된 0.03그램의 중수소만으로도 서울과 부산을 3번이나 왕복할 수 있으며, 이처럼 적은 양의 연료로 대용량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고효율 친환경에너지라고 할 수 있다. 햇살이 유독 따가운 프랑스 남동부의 작은 마을 생폴레뒤랑스. 한적하고 여유롭기만 한 생폴레뒤랑스에는 사실 놀라운 첨단 과학기술이 숨어 있다. 이곳의 카다라슈라는 지역에 프랑스 원자력청(CEA)은 물론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와 이를 추진하는 ITER 국제기구(IO)가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ITER는 화석 연료 고갈 위험과 환경 문제를 대비해 핵융합에너지의 상용화 가능성을 최종 실증하려고 추진하는 초대형 국제협력 연구 개발(R&D) 프로젝트이다. 지난 1985년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소련의 미하일 고르바초프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핵융합 연구개발 추진에 관한 공동성명 을 채택하며 1988년 사업이 공식 출범했다. 초기 멤버는 미국 러시아 유럽연합(EU) 일본 등 4개국이었으나 핵융합 연구 후발주자인 한국과 중국이 2003년, 인도가 2005년에 각각 합류해 총 7개국으로 IO가 구성됐다. 사업비는 총 71억1,000만 유로이며 EU가 45.46%를, 나머지 국가가 각각 9.09%씩을 분담한다. 열출력 500MW, 에너지 증폭율(Q) 10 이상의 ITER는 지난 2007년부터 이곳 카다라슈에 건설되기 시작해 오는 202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회원국별로 할당된 ITER 주요장치를 각국에서 제작 조달 후 현장에서 조립해 완성할 계획이다. 18일 IO본부에서 만난 로버트 아녹스 IO 홍보담당자는 유럽이 더 많은 분담금을 내는 이유는 주관 국가인데다 ITER 건설로 인해 경제적 이익을 가장 크게 얻기 때문 이라며 세계 에너지 소비가 지난 1973년부터 현재까지 50% 늘었고, 2030년까지 추가로 60%가 늘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ITER 프로젝트의 성공은 인류의 이익에 매우 중요하다 고 강조했다.

2015년 5월 20일 수요일 신재생에너지 원자력발전에 기댈 수 없어 환경 오염 없는 핵융합이 대안 한국을 비롯해 전세계의 내로라하는 선진국들이 이렇게 합심해서 ITER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이유는 자원 고갈과 대체 에너지 개발이 어려운 현실에서 핵융합에너지만큼 효율적인 대안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핵융합 반응은 태양 내부와 같이 플라즈마 상태의 작은 수소 원자핵이 융합하는 과정으로 이를 상용화하는 데 성공할 경우 별다른 화석 연료 없이도 엄청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핵분열을 기반으로 하는 원자력발전과는 다르다. 게다가 온실가스 배출과 연료 고갈을 걱정할 필요가 없고, 오작동시 곧바로 정지한다는 점에서 원자력 사고나 폐기물 걱정을 할 이유가 없으며 효율성도 좋아 최고의 미래 에너지 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5월 18일 오전 프랑스 남부 카다라쉬 ITER 국제기구 토카막 빌딩 건설 현장 프랑스 남부 카다라쉬에 있는 ITER 국제기구 본부 외관 건물 현재 ITER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7개국은 한국의 케이스타(KSTAR)를 비롯해 대부분 자체 핵융합연구로를 보유하고 있지만 아직은 연구가 미진한 상태다. 이 때문에 ITER를 통해 기술선진국들의 노하우를 모아 핵융합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하루라도 앞당겨 실증하려는 게 프로젝트의 근본 목표이다. 미국계 스위스인인 마크 핸더슨 IO 가열장치부서장은 신재생에너지는 화석 연료 에너지만큼 효율적이지 못하고 원자력발전 역시 화석 연료와 비슷한 문제를 유발할 것 이라며 핵융합이야말로 가장 도전적이지만 가장 장기적인 해결방법 이라고 주장했다.

2015년 5월 20일 수요일 에너지 고갈 해결 해줄 핵융합 한국은? 한국도 ITER 사업에 가장 적극적인 나라 가운데 하나다. ITER 한국사업단에 따르면 현재 한국은 국가핵융합연구소에 있는 연구장치 케이스타(KSTAR)와 ITER를 통해 국제적으로 공유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2040년대에는 핵융합 에너지를 상용화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는 이스트(EAST)를 중심으로 대규모 투자를 감행해 2030년대까지 핵융합에너지를 상용화하려는 중국에 이어 가장 빠른 목표이다. 한국의 핵융합에너지 개발 계획은 다른 선진국들에게도 가이드라인 역할을 한다는 후문이다. 정기정 ITER 한국사업단장은 ITER 사업에 한국이 뛰어든 이유는 첫째가 인류의 이익을 위해서고 두번째가 우리의 자원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 이라며 현재 핵융합 에너지 개발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나라가 중국인데 그 다음 적극적인 나라가 한국이라고 봐도 된다 고 자부했다. 한국이 ITER 프로젝트에 뛰어든 것은 지난 2003년 6월로 현재 총 33명이 ITER 국제기구(IO)에 근무하고 있다. 한국은 초전도 도체 진공용기 본체 및 포트 블랑켓 차폐블록 열차폐체 등 10개의 조달 품목을 공급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뿐만 아니라 올 4월까지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IO를 통한 연구 개발(R&D)과 설계용역, 다른 회원국 조달품목 등에서 총 84건, 3,097억원 규모의 수주를 일구기도 했다. 다만 넘어야 할 산도 많다. 각국의 자금 조달 문제와 원자력발전을 기준으로 묶인 각종 규제 등이 그것이다. 또 핵융합 장치 개발 기술이 제각각이다 보니 각국이 흩어져 제작하는 부품 개발 단계가 혼재돼 있는 점도 사업 진도를 늦추는 원인으로 지적된다. 실제로 현재 본격적인 공사가 5년 이상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공사 진행률은 10% 이하 수준에 머물고 있었다.

2015년 5월 20일 수요일 프랑스 카다라쉬 세계 인공태양 연구 본산 5월 18일 오전 프랑스 남부 카다라쉬 ITER 국제기구 토카막 빌딩 건설 현장 프랑스 남동부 시골 마을 생폴레뒤랑스. 한적하고 여유로운 생폴레뒤랑스에는 최첨단 과학기술 연구소가 자리하고 있다. 이곳 내 카다라쉬에는 프랑스 원자력청(CEA)은 물론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이를 추진하는 ITER 국제기구(IO)가 위치하고 있다. ITER는 화석 연료 고갈 위험과 환경 문제를 대비해 만들었다. 핵융합에너지 상용화 가능성을 최종 실증하려고 추진하는 초대형 국제협력 연구 개발(R&D) 프로젝트다. 지난 1985년 미국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소련 미하일 고르바초프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핵융합 연구개발 추진에 관한 공동성명 을 채택하며 1988년 공식 출범했다. 초기 멤버는 미국 러시아 유럽연합(EU) 일본 등 4개국. 핵융합 연구 후발주자인 한국과 중국이 2003년, 인도가 2005년 각각 합류해 총 7개국으로 IO가 구성됐다. 사업비는 총 71억 1000만 유로이다. EU가 45.46%를 나머지 국가가 각각 9.09%씩을 분담한다. 열출력 500MW, 에너지 증폭율(Q) 10 이상인 ITER는 지난 2007년부터 이곳 카다라슈에 건설되기 시작했다. 오는 202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회원국별로 할당된 ITER 주요장치를 각국에서 제작 조달 후 현장에서 조립해 완성할 계획이다. 18일 IO본부에서 만난 로버트 아녹스 IO 홍보담당자는 유럽이 더 많은 분담금을 내는 이유는 주관 국가인데다 ITER 건설로 인해 경제적 이익을 가장 크게 얻기 때문 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세계 에너지 소비가 지난 1973년부터 현재까지 50% 늘었고, 2030년까지 60%가 추가로 늘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ITER 프로젝트 성공은 인류 이익에 매우 중요하다 고 강조했다.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 내로라하는 선진국들이 합심해 ITER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이유는 자원 고갈과 대체 에너지 개발이 어려운 현실 때문이다. 핵융합에너지만큼 효율적인 대안이 없다는 판단이 주효했다.

2015년 5월 20일 수요일 핵융합 반응은 태양 내부와 같이 플라즈마 상태의 작은 수소 원자핵이 융합하는 과정으로 이를 상용화하는 데 성공할 경우 별다른 화석 연료 없이도 엄청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핵분열을 기반으로 하는 원자력발전과는 다르다. 게다가 온실가스 배출과 연료 고갈을 걱정할 필요가 없고, 오작동시 곧바로 정지한다는 점에서 원자력 사고나 폐기물 걱정을 할 이유가 없으며 효율성도 좋아 최고 미래 에너지 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 ITER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7개국은 한국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를 비롯해 대부분 자체 핵융합연구로를 보유하고 있지만 아직은 연구가 미진한 상태다. 이 때문에 ITER를 통해 기술선진국들의 노하우를 모아 핵융합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하루라도 앞당겨 실증하려는 게 프로젝트 근본 목표이다. 미국계 스위스인인 마크 핸더슨 IO 가열장치부서장은 신재생에너지는 화석 연료 에너지만큼 효율적이지 못하고 원자력발전 역시 화석 연료와 비슷한 문제를 유발할 것 이라며 핵융합이야말로 가장 도전적이지만 가장 장기적인 해결방법 이라고 말했다. 한국도 ITER 사업에 가장 적극적인 나라 가운데 하나다. ITER 한국사업단에 따르면 현재 한국은 국가핵융합연구소에 있는 연구장치 KSTAR와 ITER를 통해 국제적으로 공유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2040년대에는 핵융합 에너지를 상용화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는 이스트(EAST)를 중심으로 대규모 투자를 감행해 2030년대까지 핵융합에너지를 상용화하려는 중국에 이어 가장 빠른 목표이다. 한국 핵융합에너지 개발 계획은 다른 선진국들에게도 가이드라인 역할을 한다는 후문이다. 정기정 ITER 한국사업단장은 ITER 사업에 한국이 뛰어든 이유는 첫째가 인류 이익을 위해서고 두번째가 우리 자원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 이라며 현재 핵융합 에너지 개발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나라가 중국인데 그 다음 적극적인 나라가 한국이라고 봐도 된다 고 자부했다. 한국이 ITER 프로젝트에 뛰어든 것은 지난 2003년 6월이다. 현재 총 33명이 ITER 국제기구(IO)에 근무하고 있다. 한국은 초전도 도체 진공용기 본체 및 포트 블랑켓 차폐블록 열차폐체 등 10개 조달 품목을 공급하는 역할 맡았다. 이뿐만 아니라 올 4월까지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IO를 통한 연구 개발(R&D)과 설계용역, 다른 회원국 조달품목 등에서 총 3097억 원, 84건을 수주했다. 넘어야 할 산도 많다. 각국 자금 조달 문제와 원자력 발전을 기준으로 묶인 각종 규제 등은 골치 아픈 문제다. 핵융합 장치 개발 기술이 제각각이다 보니 각국에 흩어져 제작하는 부품 개발 단계가 혼재돼 있는 점도 사업 진도를 늦추는 원인이다. 현재 본격적인 공사가 5년 이상 지났음에도 공사 진행률은 10% 이하 수준에 머물고 있다.

2015년 5월 20일 수요일 지구 위의 작은 태양 핵융합실험로 프로젝트 추진 국제협력 통해 핵융합에너지 상용화 추진 원자력에 뒤지지 않는 에너지 생산 가능 온실가스 배출과 연료 고갈 우려도 없어 백영미 기자 미래부공동취재단 = 햇살이 유독 따가운 프랑스 남동부에 자리잡은 생폴레뒤랑스. 한적하고 여유로운 마을이다. 이곳에서는 인류의 미래를 바꾸어 놓을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바로 미래의 에너지원으로 꼽히는 핵융합 에너지의 상용화 가능성을 실험하는 전초 기지가 조성됐다. 생폴레뒤옹스 카다라슈 지역에 위치한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와 이를 추진하는 ITER 국제기구(IO)다. ITER는 화석 연료 고갈 위험과 환경 문제에 대비해 핵융합에너지의 상용화 가능성을 최종 실증하기 위해 추진하는 초대형 국제협력 연구 개발(R&D) 프로젝트다. 핵융합에너지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만들어진다. 핵융합 반응은 플라즈마 상태의 작은 수소 원자핵이 융합하는 과정으로 이를 상용화할 경우 별다른 화석 연료 없이 엄청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태양 표면에는 숱한 수소 원자핵이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엄청난 에너지를 생산하는 게 가능하다. ITER 프로젝트 사업은 1985년 미국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소련 미하일 고르바초프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핵융합 연구개발 추진에 관한 공동성명 을 채택한 뒤 3년 뒤인 1988년 출발했다. IO는 미국 러시아 유럽연합(EU) 일본 등 4개국으로 출발했다. 이후 핵융합 연구 후발주자인 한국과 중국이 2003년, 인도가 2005년에 각각 합류함으로써 총 7개국으로 구성됐다. 사업비는 총 71억1000만 유로이며 유럽연합(EU)가 45.46%를 나머지 국가가 각각 9.09%씩 분담한다. 2007년부터 카다라슈에 건설되기 시작한 ITER는 열출력 500MW, 에너지 증폭율(Q) 10 이상을 자랑하며 202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회원국별로 할당된 ITER 주요장치를 각국에서 제작, 조달하면 현장에서 이를 조립해 완성하는 방식을 취한다.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ITER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은 자원 고갈 및 신규 대체 에너지 개발이 어려운 상황에서 핵융합에너지만큼 효율적인 대안이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핵융합에너지는 온실가스 배출과 연료 고갈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또 오작동시 곧바로 정지한다는 점에서 원자력 사고나 폐기물 유출의 우려도 없을 뿐 아니라 에너지

2015년 5월 20일 수요일 효율도 높다. 로버트 아녹스 IO 홍보담당자는 세계 에너지 소비가 1973년부터 현재까지 50% 늘어났으며 2030년까지 추가로 60%나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ITER 프로젝트의 성공은 인류의 이익에 매우 중요하다 고 강조했다. 미국계 스위스인인 마크 핸더슨 IO 가열장치부서장은 신재생에너지는 화석 연료 에너지만큼 효율적이지 못하고 원자력발전 역시 화석 연료와 비슷한 문제를 유발할 것 이라며 핵융합이야말로 가장 도전적이지만 가장 장기적인 해결방법 이라고 주장했다. ITER 한국사업단에 따르면 2003년 6월 ITER 프로젝트에 뛰어든 한국은 초전도 도체 진공용기 본체 등 10개의 조달 품목을 공급하는 역할을 맡았다. 지난달 기준으로 IO를 통한 연구 개발(R&D)과 설계용역, ITER 주요장치 조달 등을 통해 총 3097억원 규모의 수주실적을 일궈냈다. 한국은 국가핵융합연구소의 연구장치 케이스타(KSTAR)와 ITER를 통해 국제적으로 공유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2040년대부터 핵융합 에너지를 상용화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기정 ITER 한국사업단장은 ITER 사업에 한국이 뛰어든 이유는 첫 번째로는 인류의 이익을 위한 것이며, 두 번째로는 자원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 이라며 현재 핵융합 에너지 개발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나라가 중국인데 그 다음 적극적인 나라가 한국이라고 봐도 된다 고 말했다.

2015년 5월 20일 수요일 지구 안 작은 태양 국제핵융합실험로 건설 착착 (카다라슈<프랑스> 서울=연합뉴스) 미래창조과학부 공동취재단 윤보람 기자 = 프랑스 남동부의 작은 마을인 생폴레뒤랑스. 이곳에서는 인류의 미래를 바꿀 실험적 연구인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건설이 한창이다. ITER는 화석연료가 고갈될 위험과 환경문제에 대비해 핵융합에너지의 상용화 가능성을 최종적으로 실증하고자 추진 중인 초대형 국제협력 연구개발(R&D) 프로젝트다. 1988년 공식 출범 당시 참여국은 미국 러시아 유럽연합(EU) 일본 등 4개국이었으나 핵융합 연구 후발주자인 한국과 중국이 2003년, 인도가 2005년에 각각 합류해 총 7개국으로 국제기구(IO)가 조직됐다. ITER은 2007년 생폴레뒤랑스 내 카다라슈 지역에 착공했고 2020년 완공이 목표다. 회원국별로 할당된 ITER 주요장치를 각국에서 제작 조달한 뒤 현장에서 조립해 완성하는 방식으로 지어진다. 여의도공원의 2배인 40ha 규모의 광대한 평야에는 현재 바닥기반 공사를 끝내고 토카막과 조립빌딩, 연료주기건물 등 핵심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철근과 기둥을 쌓아 올리는 공사가 진행 중이다. 여러 기술선진국이 힘을 모아 ITER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이유는 자원고갈과 대체 에너지 개발이 어려운 현실에서 핵융합에너지만큼 효율적인 대안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핵융합 반응은 태양[053620] 내부처럼 플라스마 상태의 작은 수소 원자핵이 융합하는 과정으로, 이를 상용화하는 데 성공하면 화석연료 없이도 엄청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핵분열을 기반으로 하는 원자력발전과는 다른 원리다. 온실가스 배출이나 연료고갈을 걱정할 필요가 없고 오작동시 곧바로 정지하기 때문에 원자력 사고나 폐기물

2015년 5월 20일 수요일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강점이다. 효율성도 높아 최고의 미래 에너지 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7개국은 우리나라를 비롯해 대부분 자체 핵융합연구로를 보유하고 있지만 아직은 연구가 미진한 상태다. 이 때문에 각국의 노하우를 모아 핵융합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하루라도 앞당겨 실증하려는 것이다. 로버트 아녹스 IO 홍보담당자는 20일 세계 에너지 소비가 1973년부터 현재까지 50% 증가한 데 이어 2030년까지 추가로 60% 늘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ITER 프로젝트의 성공은 인류에 매우 중요하다 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2003년 프로젝트에 참여해 현재 33명이 IO에 근무 중이며 초전도 도체와 진공용기 본체, 열차폐체 등 10개의 조달 품목을 공급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국가핵융합연구소에 있는 연구장치 케이스타(KSTAR)와 ITER에서 국가간 공유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2040년대 핵융합 에너지를 상용한다는 계획이다. 정기정 ITER 한국사업단장은 이 프로젝트에 뛰어든 이유는 인류의 이익을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우리의 자원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 이라며 핵융합에너지 개발에 가장 많이 투자하는 중국 다음으로 우리가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고 전했다. 그러나 본질적인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서는 넘어야할 산도 많다. 각국의 자금 조달 문제와 원자력발전을 기준으로 묶인 각종 규제는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힌다. 또 핵융합장치 개발 기술이 제각각이다보니 각국이 흩어져 제작하는 부품 개발 단계가 일정치않은 점도 사업 진도를 늦추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2015년 5월 20일 수요일 지구 위에 작은 태양을 만들어라 자원 없는 무한 에너지 ITER 프로젝트 [프랑스 남부 카다라쉬에 있는 ITER 국제기구 본부 외관 건물] 미래부공동취재단 카다라쉬(프랑스) 미래부공동취재단 = 햇살이 유독 따가운 프랑스 남동부의 작은 마을 생폴레뒤랑스. 한적하고 여유롭기만 한 생폴레뒤랑스에는 사실 놀라운 첨단 과학기술이 숨어 있었다. 프랑스 원자력청(CEA)은 물론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와 이를 추진하는 ITER 국제기구(IO)가 위치했기 때문이다. ITER는 화석 연료 고갈 위험과 환경 문제를 대비해 핵융합에너지의 상용화 가능성을 최종 실증하려고 추진하는 초대형 국제협력 연구 개발(R&D) 프로젝트이다. 지난 1985년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소련의 미하일 고르바초프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핵융합 연구개발 추진에 관한 공동성명 을 채택하며 1988년 사업이 공식 출범했다. 초기 멤버는 미국 러시아 유럽연합(EU) 일본 등 4개국이었으나 핵융합 연구 후발주자인 한국과 중국이 2003년, 인도가 2005년에 각각 합류해 총 7개국으로 IO가 구성됐다. 사업비는 총 71억1,000만 유로이며 EU가 45.46%를 나머지 국가가 각각 9.09%씩을 분담한다. 열출력 500MW, 에너지 증폭율(Q) 10 이상의 ITER는 지난 2007년부터 이곳 카다라슈에 건설되기 시작해 오는 202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회원국별로 할당된 ITER 주요장치를 각국에서 제작 조달 후 현장에서 조립해 완성할 계획이다. 18일 IO본부에서 만난 로버트 아녹스 IO 홍보담당자는 유럽이 더 많은 분담금을 내는 이유는 주관 국가인데다 ITER 건설로 인해 경제적 이익을 가장 크게 얻기 때문 이라며 세계 에너지 소비가 지난 1973년부터 현재까지 50% 늘었고, 2030년까지 추가로 60%가 늘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ITER 프로젝트의 성공은 인류의 이익에 매우 중요하다 고 강조했다. 한국을 비롯해 전세계의 내로라하는 선진국들이 이렇게 합심해서 ITER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이유는 자원 고갈과 대체 에너지 개발이 어려운 현실에서 핵융합에너지만큼 효율적인 대안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2015년 5월 20일 수요일 핵융합 반응은 태양 내부와 같이 플라즈마 상태의 작은 수소 원자핵이 융합하는 과정으로 이를 상용화하는 데 성공할 경우 별다른 화석 연료 없이도 엄청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핵분열을 기반으로 하는 원자력발전과는 다르다. 게다가 온실가스 배출과 연료 고갈을 걱정할 필요가 없고, 오작동시 곧바로 정지한다는 점에서 원자력 사고나 폐기물 걱정을 할 이유가 없으며 효율성도 좋아 최고의 미래 에너지 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 ITER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7개국은 한국의 케이스타(KSTAR)를 비롯해 대부분 자체 핵융합연구로를 보유하고 있지만 아직은 연구가 미진한 상태다. 이 때문에 ITER를 통해 기술선진국들의 노하우를 모아 핵융합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하루라도 앞당겨 실증하려는 게 프로젝트의 근본 목표이다. 미국계 스위스인인 마크 핸더슨 IO 가열장치부서장은 신재생에너지는 화석 연료 에너지만큼 효율적이지 못하고 원자력발전 역시 화석 연료와 비슷한 문제를 유발할 것 이라며 핵융합이야말로 가장 도전적이지만 가장 장기적인 해결방법 이라고 주장했다. 한국도 ITER 사업에 가장 적극적인 나라 가운데 하나다. ITER 한국사업단에 따르면 현재 한국은 국가핵융합연구소에 있는 연구장치 케이스타(KSTAR)와 ITER를 통해 국제적으로 공유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2040년대에는 핵융합 에너지를 상용화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는 이스트(EAST)를 중심으로 대규모 투자를 감행해 2030년대까지 핵융합에너지를 상용화하려는 중국에 이어 가장 빠른 목표이다. 한국의 핵융합에너지 개발 계획은 다른 선진국들에게도 가이드라인 역할을 한다는 후문이다. 정기정 ITER 한국사업단장은 ITER 사업에 한국이 뛰어든 이유는 첫째가 인류의 이익을 위해서고 두번째가 우리의 자원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 이라며 현재 핵융합 에너지 개발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나라가 중국인데 그 다음 적극적인 나라가 한국이라고 봐도 된다 고 자부했다. 한국이 ITER 프로젝트에 뛰어든 것은 지난 2003년 6월로 현재 총 33명이 ITER 국제기구(IO)에 근무하고 있다. 한국은 초전도 도체 진공용기 본체 및 포트 블랑켓 차폐블록 열차폐체 등 10개의 조달 품목을 공급하는 역할 맡았다. 이뿐만 아니라 올 4월까지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IO를 통한 연구 개발(R&D)과 설계용역, 다른 회원국 조달품목 등에서 총 84건, 3,097억원 규모의 수주를 일구기도 했다. 다만 넘어야 할 산도 많다. 각국의 자금 조달 문제와 원자력발전을 기준으로 묶인 각종 규제 등이 그것이다. 또 핵융합 장치 개발 기술이 제각각이다 보니 각국이 흩어져 제작하는 부품 개발 단계가 혼재돼 있는 점도 사업 진도를 늦추는 원인으로 지적된다. 실제로 현재 본격적인 공사가 5년 이상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공사 진행률은 10% 이하 수준에 머물고 있다.

2015년 5월 20일 수요일 또 하나의 태양 만든다 無 자원 무한에너지, ITER 프로젝트 18일(현지시각) 오전 프랑스 남부 카다라쉬 ITER 국제기구 토카막 빌딩 건설현장 [HOOC=이정아 기자ㆍ미래부공동취재단] 햇살이 유독 따가운 프랑스 남동부의 작은 마을 생폴레뒤랑스. 한적한 생폴레뒤랑스에는 사실 놀라운 첨단 과학기술이 숨어있습니다. 이곳의 카다라슈라는 지역에 프랑스 원자력청(CEA)과 함께,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와 이를 추진하는 ITER 국제기구(IO)가 위치했기 때문입니다. ITER는 인류의 가장 큰 숙제인 에너지 부족 문제를 친환경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진행되는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국협력 연구개발(R&D) 프로젝트입니다. 지난 1985년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소련의 미하일 고르바초프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핵융합 연구개발 추진에 관한 공동성명 을 채택하면서, 1988년 공식 출범했죠. 초기 멤버는 미국ㆍ러시아ㆍ유럽연합(EU)ㆍ일본 등 4개국이었지만, 핵융합 연구 후발주자인 한국과 중국이 2003년, 인도가 2005년에 각각 합류해 총 7개국으로 IO가 구성됐습니다. 사업비는 총 71억1000만 유로. EU가 45.46%를 나머지 국가가 각각 9.09%씩을 분담합니다. 열출력 500MW, 에너지 증폭율(Q) 10 이상의 ITER는 지난 2007년부터 이곳 카다라슈에 건설돼 오는 202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회원국별로 할당된 ITER 주요장치를 각국에서 제작하고 조달한 뒤에 현장에서 조립해 완성할 계획입니다. 18일(현지시각) IO본부에서 만난 미국계 스위스인인 마크 핸더슨 가열장치부서장은 이렇게 말했죠. 신재생에너지는 화석 연료 에너지만큼 효율적이지 못합니다. 원자력 발전 역시 화석 연료와 비슷한 문제를 유발하죠. 핵융합이야말로 가장 도전적이지만 가장 장기적인 해결방법입니다. 한국을 비롯해 전세계의 내로라하는 선진국들이 이렇게 합심해서 ITER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이유는 자원 고갈과 대체 에너지 개발이 어려운 현실에서 핵융합에너지만큼 효율적인 대안이 없다는 판단이 깔려있기 때문입니다. 플라즈마 상태의 작은 수소 원자핵이 융합하는 과정으로 이를 상용화하는 데 성공하면 별다른 화석 연료 없이도

2015년 5월 20일 수요일 프랑스 남부 카다라쉬에 있는 ITER 국제기구 본부 외관 건물 엄청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죠. 게다가 온실가스 배출과 연료 고갈을 걱정할 필요가 없고, 오작동시 곧바로 정지한다는 점에서 원자력 사고나 폐기물 걱정을 할 이유가 없으며 효율성도 좋아 최고의 미래 에너지 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ITER 한국사업단에 따르면 현재 한국은 국가핵융합연구소에 있는 연구장치 케이스타(KSTAR)와 ITER를 통해 국제적으로 공유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2040년대에는 핵융합 에너지를 상용화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이스트(EAST)를 중심으로 대규모 투자를 감행해 2030년대까지 핵융합에너지를 상용화하려는 중국에 이어 가장 빠른 목표를 세운 셈입니다.

2015년 5월 20일 수요일 국제핵융합실험로 건설 순항 프랑스 8조6500억원 투입 대형 프로젝트 韓, 총 33명 국제기구 파견 품목 조달 담당 인류의 에너지 고갈 문제를 해결키 위해 프랑스에 건설 중인 국제핵융합실험로(ITER)가 순항하고 있다. ITER는 핵융합 에너지의 상용화를 위해 세계 7개국이 공동으로 프랑스 남부 카다라쉬에 건설하고 있는 실증실험로로, 71억 1000만유로(8조 6500억원)가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처음에는 미국 러시아 유럽연합(EU) 일본 등 4개국이 시작한 이후 2003년 한국과 중국이 가입했고, 2005년 인도가 합류하면서 현재 총 7개국이 참여하고 있으며, 사업비는 EU가 45.46%를 부담하고 나머지 국가가 각 9.09%을 투자하고 있다. ITER는 현재 프랑스 프로방스지역의 40ha 면적에 토카막과 조립빌딩, 연료주기건물 등 바닥 기반 공사를 끝내고 핵심 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철근과 기둥을 쌓아 올리는 공사가 한창이다. 일일 평균 1000여명의 인력과 거대한 장비가 투입돼 인류의 새로운 에너지 자원을 실용화하기 위한 준비 작업에 땀과 열정을 쏟고 있다. 우리나라도 현재 총 33명의 인력을 ITER 국제기구(IO)에 파견했으며, 초전도 도체 진공용기 본체 및 포트 블랑켓 차폐블록 열차폐체 등 10개의 조달 품목을 공급하는 역할 담당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연구 개발(R&D)과 설계용역, 다른 회원국 조달품목 등에서 총 84건, 3097억원 규모의 수주를 일구기도 했다. 정기정 ITER 한국사업단장은 현재 ITER의 실험로 건설은 10%도 채 진행되지 않았지만,착실히 진행돼가고 있다 며 한국도 토카막의 일부 제작을 맡고 실제 ITER와 가장 유사한 KSTAR를 구축해 연구함으로서 세계 경제 선진국의 위상에 맞춰 인류의 에너지 문제 해결에도 기여하고 있다 고 말했다.

2015년 5월 21일 목요일 회원국 과학역량 통합 중추적 역할할 것 베르나 비고 ITER 신임 사무총장 인터뷰 ITER(국제핵융합실험로)는 다양한 주체가 참여해 진행되는 사업인 만큼 회원국의 과학적인 역량을 통합해 적시에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ITER 국제기구 신임 베르나 비고(Bernard Bigot) 사무총장은 프랑스 남부 카다라쉬 ITER 본부에서 현지시간 18일 취임 후 첫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말했다. 비고 사무총장은 ITER 같은 국제적인 프로젝트에서 한 번 결정이 지연되면 엄청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며 적절한 시점의 의사결정과 업무 추진, 7개 회원국의 과학적인 역량을 통합하는데 주력할 것 이라고 말했다. 비고 사무총장은 프랑스 원자력청(CEA) 청장 출신으로 지난해 11월 사무총장 추천위원회의 추천을 받아 지난 3월 제15차 ITER 이사회에서 제 3대 사무총장으로 임명됐다. 임기는 오는 2020년 3월 4일까지다. 취임 후 그가 가장 역점을 두는 것은 당초 계획보다 지연되고 있는 ITER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는 것이다. 그는 ITER 참여국가들이 장기적으로 베르나 비고 ITER 신임 사무총장 인터뷰 지속 가능한 핵융합 에너지 개발이 조속히 진행되기를 바라고 있다 며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런 기대가 완전히 충족되지 않고 있다 고 말했다. 또 이런 상황을 풀어가기 위해 회원국의 역량을 통합하고 보다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위해 각국 사무국으로 분산된 기존의 운영방침 대신 보다 강력한 중앙 의사결정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할 것 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계획에는 ITER 내부에서 추진 동력이 다소 떨어진 이슈들도 포함된다. 소모적인 논쟁만 거듭하기 보다는 강력한 추진력을 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그는 사무총장에 취임한 후 그동안 ITER의 기술적인 방향 변화 보다는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통해 일관성 있는 프로젝트를 추진해 갈 계획을 갖고 있다 며 1985년 처음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 핵융합 연구를 하기로 결정한 후 수많은 과학자와 엔지니어가 노력해온 바가 있다 고 말했다. 또 ITER 프로젝트의 범위를 축소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성공을 위해서는 각국의 역량을 잘 통합하고 운영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고 덧붙였다. ITER 국제기구는 이같은 운영방침을 담은 새 사업일정을 오는 11월 이사회 이후 발표할 계획이다. 비고 총장은 1000개가 넘는 업체와 7개 회원국 등 수많은 이해관계자들의 동의를 바탕으로 한 계획이 필요하다 며 가장 중요한 것은 회원국의 신뢰를 얻고 이를 지키는 운영을 펼치는 것 이라고 강조했다.

2015년 5월 20일 수요일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건설현장 여의도공원 2배 규모... 건설 진행 아직 10% 미만 [프랑스 남부 카다라쉬 ITER 국제기구 토카막 빌딩 건설현장] 미래부공동취재단 카다라쉬(프랑스) 미래부공동취재단 = 국제핵융합실험로는 인류의 가장 큰 숙제인 에너지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는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실험적인 연구다. 세계 최초로 진행되고 있는 국제핵융합실험로 건설현장을 직접 보기 위해 18일 프랑스 남부 카다라쉬를 찾았다. 인공적인 건물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넓게 펼쳐진 프로방스 지역의 40 ha 규모 광대한 평야에는 토카막과 조립빌딩, 연료주기건물 등 바닥 기반 공사를 끝내고 핵심 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철근과 기둥을 쌓아 올리는 공사가 한창이었다. 일일 평균 1000여 명, 가장 많은 시기에는 하루 4000명까지 투입되는 건설현장에는 자연적인 풍광을 가르며 거대한 크레인 5개가 움직이고 있었다. 40 ha는 40만 m2로 여의도공원의 2배에 달하는 규모다. 국제핵융합실험로 건설현장을 둥근 시계판으로 봤을 때 가장 핵심시설인 토카막이 시계판의 가운데 부분에, 조립빌딩이 7시부터 10시 방향에 터를 닦아가고 있다. 조립빌딩은 국제협력 사업인 ITER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공간이다. 높이 60 m에 달하는 거대한 흰 기둥이 10 여개 씩 늘어서 있는 조립빌딩은 ITER 각 회원국이 보내온 구성품을 조립하기 위한 공간이다. 건설현장 중심에는 핵심 시설 중 하나인 토카막을 위한 공사가 한창이다. 토카막 특유의 도넛 모양을 짐작할 수 있을 정도로 철근이 둥근 형태로 자리를 잡아가는 중이었다. 토카막 아래에는 지하 2층 규모로 내진을 위한 설비를 갖췄다고 한다. 건설현장 앞에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안전을 한층 강화한 내진 설비 내용을 알리는 안내판이 서있다.

2015년 5월 20일 수요일 패티슨 로랑 ITER 원자력건물건설팀장은 조립빌딩은 ITER 회원국이 제작한 구성품을 조합해 하나로 만들어 내는 공간으로 부품의 무게도 각 80-1000t까지 천차만별인 만큼 이에 맞춰 1500t 규모의 크레인이 들어설 예정 이라며 토카막 아래 지하에는 강력한 지진에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내진 설비가 돼있다 고 말했다. 건설현장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곳에서 자리를 옮겨 조립빌딩 뒤편의 PF(Poloidal Field) 코일 조립동으로 이동했다. 이동하면서 마주치게 되는 시계판 4시와 5시 방향에는 테니스코트 하나만한 콘크리트 바닥으로 된 연못이 5개 줄지어 있었다. 핵융합발전 과정에서 쓰이고 남은 열을 식히기 위한 인공연못이다. 12시 지점에는 고온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기를 전달하는 송전탑이 마치 나무처럼 줄지어 늘어서있다. PF 코일 조립동은 배송되어온 PF 코일을 마치 낚싯줄을 릴에 감듯이 감는 공간이다. 이 코일은 토카막 안에서 자기장을 발생시켜 플라즈마를 원하는 모양대로 만드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아직은 건물 외관만 완공돼 내부는 비어있는 상태다. 국가핵융합연구소 정기정 ITER 한국사업단장은 현재 ITER의 실험로 건설은 10% 도 채 진행이 되지 않은 상태지만 역사상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막대한 재원과 노력을 투입해 착실히 진행돼가고 있다 며 한국도 토카막의 일부 제작을 맡고 실제 ITER와 가장 유사한 KSTAR를 구축해 연구함으로서 세계 경제 선진국의 위상에 맞춰 인류의 에너지 문제 해결에도 기여하고 있다 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