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ㆍ섬진강수계 2009년도 환경기초조사사업 영산강 ㆍ섬진강 수계 호소환경 조사 최종보고서 Survey on Lake Environments in the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s 영산강ㆍ섬진강수계관리위원회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



Similar documents
기후변화에따른담수호수생태계변화조사 및보전에관한연구 (Ⅲ) - 기후변화에따른유해남조류발생특성연구 - 물환경연구부유역생태연구팀 Ⅲ 2012

변화근 Fish Fauna of Mt. Juheul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Seowon University, Cheongju , Korea To clarify the structures and functions of ec

iOS ÇÁ·Î±×·¡¹Ö 1205.PDF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13Åë°è¹é¼Ł

untitled





<3036C7E2BCF6C3D6C1BEBABB2E687770>

<5BC6EDC1FD5DBEEEBEF7C0CCC1D6B3EBB5BFC0DAC0CEB1C7BBF3C8B2BDC7C5C2C1B6BBE7C3D6C1BEBAB8B0EDBCAD28BAB8C0CCBDBABEC6C0CC292E687770>

<BEC6BFF4BCD2BDCCBAB8B0EDBCAD28C3D6C1BE E687770>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학위논문홍승아.hwp

°æÁ¦Àü¸Á-µ¼º¸.PDF

1

이상훈 심재국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Ang University The forest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2011-호소환경 및 생태조사-최종보고서-수정-KES hwp

목차 ⅰ ⅲ ⅳ Abstract v Ⅰ Ⅱ Ⅲ i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BFDCB1B9C0CE20C5F5C0DAB1E2BEF7C0C720B3EBBBE7B0FCB0E82E687770>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PDF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 ~ )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농업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개편

Algae Volume 17(4): , 2002 국내주요호수의식물플랑크톤종조성및영양단계평가 이정호 박종근 1 김은정 2 ( 대구대학교생물교육과, 1 한국수자원공사, 2 국립환경연구원 ) Trophic States and Phytoplankton Compos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5B33B9F8B0FAC1A65D20B9E6BCDBBDC9C0C7BDC3BDBAC5DB20B0B3BCB1B9E6BEC8BFACB1B82DC3D6C3D6C1BE2E687770>


2016년이렇게달라집니다_ 전체 최종 1223.indd

- 2 -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32 김 태 ' 목포시 시각 화면낭독S/W 센스리더베이직 350, ,000 35,000 기초생활수급권자 33 김 옥 ' 무안군 지적 의사소통보조기기 보이스탭 770, ,000 77,000 기초생활수급권자 34 최 섭 '8303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Á¦190È£(0825).hwp

- 2 -

<5BB1E2BABB5D5FB0F8B0F8BACEB9AE5FBDC3B0A3C1A6B1D9B9ABBFCD5FC0B0BEC6C8DEC1F7BFA15FB5FBB8A55FB4EBC3BCC0CEB7C25FC8B0BFEBB0FAC0C75FBFACB0E8B9E6BEC85F2D5FB9AEB9CCB0E62E687770>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PJTROHMPCJPS.hwp

07-왕피천(JE)

#Ȳ¿ë¼®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INDUS-8.HWP

CONTENTS.HWP


200706ºÎµ¿»êÆ®·£µåc02ªš


- ii - - iii -

2005 중소기업 컨설팅 산업 백서



³»Áö_10-6

03-서연옥.hwp

발간사 반구대 암각화는 고래잡이 배와 어부, 사냥하는 광경, 다양한 수륙동물 등 약 300여점의 그림이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세계적 암각화입니다. 오랜 기간 새겨진 그림들 가운데 고래를 잡는 배와 어부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그 중요성과 가치가 큽

정책연구개발사업 2010-위탁 대학 등록금의 합리적 책정을 위한 실행방안 연구 연 구 책 임 자 공 동 연 구 자 송동섭(단국대학교) 이동규(충남대학교) 이창세(재능대학) 한창근(인하공업전문대학) 연 구 협 력 관 장미란(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이 연구는 201


2008 다문화가족의중장기전망및대책연구 : 다문화가족의장래인구추계및사회ㆍ경제적효과분석을중심으로 ㆍ ㆍ 2009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최종보고서-낙동강대권역-수생태계 hwp

64 주현수ㆍ김진ㆍ박세권ㆍ송현철ㆍ이용탁ㆍ서성규ㆍ이우범 계부에이르러섬진강에본류와합류된다. 보성강은국가하천과지방하천으로구분하여관리되고있다. 국가하천구간은보성군문덕동북천에서곡성군오곡면까지의구간으로하천연장 46.8 km, 유로연장 km, 유역면적 km 2

*BA_00


歯1.PDF

00내지1번2번


영산강-보구간수생태계-최종0610.hwp


<C1A4C3A5BFACB1B 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xviii EBS 수능강의 서비스를 활용하는 이유는 수능시험에 연계되기 때문이라는 응답 이 학생 61.7%, 학부모 73.2%로 가장 많았고, EBS 수능강의 서비스를 활용하 지 않는 이유는 학생의 경우 사교육 때문이라는 응답이 26.9%, 혼자 공부하는 것으로 충분하

00-1표지

차례

책임연구기관

서론 34 2

우루과이 내지-1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중소기업 원부자재 구매패턴 조사를 통한 구매방식 개선 방안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단 장 최 정 훈 연구책임자 : 이재광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부교수) 공동연구자 : 노성호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공제_조합_제도_개선_방안_등_연구(111226).hwp

유니 앞부속

세계 비지니스 정보

ad hwp

고용허가제와 방문취업제 외국인의 취업 및 사회생활 사본

T hwp

장애인통계-0110-최종.hwp

... 수시연구 국가물류비산정및추이분석 Korean Macroeconomic Logistics Costs in 권혁구ㆍ서상범...

교육정책연구 2005-지정-52 공무원 채용시험이 대학교육,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공무원 채용제도 개선방안 연구책임자 : 오 호 영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이 정책연구는 2005년도 교육인적자원부 인적자원개발 정책연구비 지원에 의 한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untitled

학술연구용역과제최종결과보고서

....pdf..

Transcription:

2009년도 환경기초조사사업보고서 역무대행기관 :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총 괄 책 임 자 : 연구사 박종환 전 담 관 리 자 : 연구사 김갑순 주 소 :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 1110-8 전 화 : 062) 970-3932 팩 스 : 062) 970-3999 주 의 1. 이 보고서는 영산강 섬진강수계관리위원회 국립환경과학원 영산 강물환경연구소에서 시행한 환경기초조사사업의 연구보고서입니다. 2. 이 보고서 내용을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영산강 섬진강수계관리위원 회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에서 시행한 환경기초조사 사업의 연구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3. 국가과학기술 기밀유지에 필요한 내용은 대외적으로 발표 또는 공개 해서는 아니됩니다.

영산강ㆍ섬진강수계 2009년도 환경기초조사사업 영산강 ㆍ섬진강 수계 호소환경 조사 최종보고서 Survey on Lake Environments in the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s 영산강ㆍ섬진강수계관리위원회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제 출 문 영산강ㆍ섬진강수계관리위원회 귀하 본 보고서를 영산강ㆍ섬진강 수계 호소환경조사 ( 총 연구기관 : 2009년 1월 1일~ 2009년 12월 31 일)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9년 12월 일 역무대행기관명 :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연구기관명 연구책임자 : :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박종환 연 구 원 : 김상돈, 이준배, 허유정, 황동진, 김갑순 : 최훈근, 송효정, 손미선, 이학영, 김현우 : 김종선, 임동옥, 이승휘, 서호영, 조인숙 : 송요한, 나긍환, 유영주, 최현우, 김진영 : 이건우, 양대창, 신용식, 정병관, 전송미 : 강태안, 최서열, 이어진, 이향화

요 약 문 식물플랑크톤 생체량과 1차 생산력 영양물질 거동 및 상위소비자 조사 Ⅰ. 제 목 수계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Ⅱ. 목 적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의 주요 호소 생태계에서 생물의 서식환경을 조사하고 서 식생물상을 조사하는 것은 수서생태계의 건전성 확보와 수질관리를 통한 안전한 용 수의 안정적 공급 기반의 구축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보다 선진화된 수환경 조성과 생물다양성의 제고를 위해서는 호소의 생태계 구조와 건전성을 진단하는 과정이 필 요하고, 수서생태계의 건전성 유지와 수질관리를 통한 용수의 확보, 생물군집 파악, 영양물질 순환과 부영양화에 대한 평가 등을 위한 호소의 생물 서식환경 조사, 생 물상 조사 및 영양물질 조사는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사업에서는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의 주요 호소의 유역환경과 호소환경, 그리고 생물상조사를 수행하여 호 소생태계의 건전성과 지속가능성이 확보된 환경개선과 수질보존대책이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기술적인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데 필요성이 있다. 2. 연구범위 가. 조사대상 수계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내 주암호, 상사호, 수어 호, 보성강호, 하동호, 동복호, 탐진호, 백운제, 장수제, 관산 수동제( 수동제), 관 산읍 지정제( 지정제), 군곡제, 소포담수지( 소포제) 등 13 개 호소 ( 그림 1) 영양물질 순환조사 - 주암호 3 지점, 동복호 2 지점 ( 그림 2) 나. 조사항목 수계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서식환경 조사 : 조사대상 호소의 생물 서식환경 조사 - 식물플랑크톤 :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및 현존량 조사 - 동물플랑크톤 :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및 현존량 조사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포 및 현존량 조사 - 수생식물 : 수생식물의 분포 및 특성 조사 - 어류 : 어류의 분포 및 특성 조사 Ⅲ. 연구내용 및 방법 영양물질순환조사 - 담수호의 표준화된 방법에 따라 주암 동복호의 일차생산자의 생체량과 일차 생산 1. 연구내용 가. 수계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서식환경 조사 식물플랑크톤 분포 및 특성 조사 동물플랑크톤 분포 및 특성 조사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분포 및 특성 조사 수생식물 분포 및 특성 조사 어류 분포 및 특성 조사 나. 영양물질 순환조사 이화학적 수질 력의 변동을 측정하여 주암 동복호의 시 공간적 일차 생산성을 파악한다. 크기별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 조사 일차생산력 측정하여 호소 내부에서 생산되는 유기물의 양 추정 조사 시기: 2009년 4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정점: 주암호 3 개 정점 / 동복호 2개 정점 - 주암 동복호의 유기물 및 영양염 stoichiometry 의 월별 변동을 조사하여 영양물질 순환 자료를 확보한다. DOC, TOC, POC 등의 유기물과 TN, TP, DIN 등의 영양염 조사 조사 시기: 2009년 4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정점: 주암호 3 개 정점 / 동복호 2개 정점 - i - - ii -

다. 조사 횟수 :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 4 회/ 년, 기타 분야 1 회 이상/ 년 6 영산강수계 13 탐진강수계 5 3 4 9 11 섬진강수계 8 7 2 1 10 12 조사대상 호소 1. 백운제 2. 장수제 3. 수동제 4. 지정제 5. 군곡제 6. 소포제 7. 상사호 8. 주암호 9. 보성강호 10. 수어호 11. 동복호 12. 하동호 13. 탐진호 영양물질 순환 & 부영양화 조사 동복2 동복1(댐) 그림 주암3 주암1 주암2 2 주암호 동복호의 조사정점 그림 1 호소환경조사 조사지점도. 2. 식물플랑크톤 분포 및 특성 조사 Ⅳ. 연구결과 2009년 조사에서 동정된 식물플랑크톤은 규조강 116 종, 녹조강 115 종, 남조강 27 종 그리고 유글레나강을 포함한 기타 37여종으로 총 295 종이었다. 식물플랑크톤 개 1. 서식환경 조사 수온은 7.1 30.3 범위였고, ph는 5.8 11.2 의 범위였으며, DO는 3.5 12.7 mg/l ( 상사호2) 의 범위였다. 전기전도도는 지정제, 수동제 그리고 소포제에서 비교 적 높게 나타났다. 수변부 경사는 < 20, 20~40 가 대부분이었고, 유역토지이용은 자연식생과 농경지가 주종이었으며, 수변부의 교란은 인공구조물에 의한 수변부 하 안이 변경된 형태의 인공수변이 대부분이었다. 체군 밀도는 호소에 따라, 조사 시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전 출현종의 20% 이상의 점유율을 보인 우점종은 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ambigua, Aulacoseira distans, Aulacoseira granulata, Cyclotella sp., Fragilaria crotonensis, Synedra acus, Coenochloris mucosa, Dictyospharium pulchellum, Monoraphidium arcuatum, Monoraphidium contortum, Microcystis aeruginosa, Phormidium valderianum var. tenuis, Kephyrion rubri-claustri이었다. 3. 동물플랑크톤 분포 및 특성 조사 총 13개 호소 내 22개 지점에서 수행된 연구결과에 의하면 총 동물플랑크톤의 밀도 와 종 다양성은 조사지점과 계절에 따라 큰 폭으로 변화하였다. 3월 조사에서 평균 158 개체/L로 가장 낮은 동물플랑크톤 밀도를 보였고 6월의 조사에서 평균 826 개체/L 로 가 장 높았다. 우점 분류군은 윤충류로 최대 35종이 출현하였고 지각류와 요각류는 5종 미 - iii - - iv -

만의 낮은 종다양성을 보였다. 우점종은 Polyarthra와 Keratella가 연중 높은 밀도로 물참새피는 장수제, 소포제에서 분포하였다. 출현하여 상대풍부도 90% 이상을 차지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의 탄소 생체량은 3월 조사 에서 28 μgc/l로 낮았으며 6월 조사에서 135 μgc/l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 대형 호소보다 소형 저수지에서 탄소 생체량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분포 및 특성 조사 조사 기간 동안 전 지점에서 채집되어 동정 분류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7강 17목 37과 52속 64 종이었다. 이중 하루살이목이 7과 15속 22 종(34.4%) 으로 가장 다양한 종이 출현했고, 다음으로 날도래목 11 종, 연체동물문 8 종, 파리목 6 종, 딱정벌레목 5 종 순 이었다. 우점종은 주로 수서곤충류가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우점 도는 수어호가 0.39 1.00 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다양도 지수는 3.51 0.59범위의 다 양성을 나타내었다. 생태지수에 의한 환경질 평가는 탐진호가 생태점수 97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소포제가 6 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생태점수로 평가한 오수계열로는 소포제와 군 곡제가 강부수성 수역을, 장수제, 지정제와 수동제가 α- 중부수성 수역을, 보성강호 가 β- 중부수성지역을 나타내었다. 그 외의 호소는 빈부수성 수역을 나타내었다. 6. 어류 분포 및 특성 조사 조사 지점에서 확인된 어류는 46종으로서 Cyprinidae ( 잉어과) 가 26종으로 55.3%, Cobitidae ( 미꾸리과) 가 8종으로 17.0%, Gobiidae ( 망둑어과) 가 3종으로 6.4%, Bagridae ( 동자개과), Osmeridae ( 바다빙어과) 그리고 Odontobutidae ( 동사리 과) 와 Centrachidae ( 검정우럭과) 가 각 2종으로 4.3%, 그리고 Siluridae ( 메기과) 와 Centropomidae ( 꺽지과) 가 각 1종으로 2.1% 씩 나타났다. 전체 13개 조사 지점에서 확인된 어류는 총 4목 9과 46 종이었다. 13개 호소의 조사지점별 주요 우점종은 Acanthorhodeus macropterus ( 큰납지 리), Pseudorasbora parva ( 참붕어)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 몰개), Zacco temmincki ( 갈겨니), Zacco platypus ( 피라미), Hypomesus olidus ( 빙어), Tridentiger brevispinis ( 민물검정망둑) 이었다. 가장 빈도 높게 나타난 종은 Pseudorasbora parva ( 참붕어) 로서 14.8% 의 빈도를 확보하고 있었다. 본 조사 시 확인된 한국 고유어종은 3목 5과 17종이었으며 전체적으로 22.7% 의 출현빈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외래도입어종은 Carassius cuvieri ( 떡붕어), Lepomis macrochirus ( 블루길), Micropterus salmoides ( 베스) 가 출현빈도 상 5. 수생식물 분포 및 특성 조사 13개 호소의 조사지점에 수생식물은 20과 23속 27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정수식물은 17 종으로 고마리, 개구리자리, 개구리미나리, 논냉이, 자귀풀, 선피 막이, 큰잎피막이, 미나리, 쉽사리, 문모초, 한련초, 노랑꽃창포, 갈대, 달뿌리풀, 나도 겨풀, 줄, 애기부들이 조사되었다. 침수식물은 5 종으로 붕어마름, 물수세미, 검정말, 대가래, 말즘이 확인되었다. 부엽식물은 연꽃, 어리연꽃, 마름으로 3 종, 부유식물은 좀개구리밥, 개구리밥으로 2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점 수생식물 중 보성강호와 군곡제에서 각각 16종류와 13종류가 분포하 여 타 조사지점에 비해 비교적 높은 종류를 보였으며, 수어호, 하동호와 탐진호에서 각각 3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타 조사지점에 비해 단조로운 종구성을 보 였다. 그리고 환경부지정 생태계교란 야생동 식물인 털물참새피와 물참새피 그리 고 돼지풀이 일부지역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돼지풀은 장수제, 수동제, 지정제, 소포제, 상사호, 주암호, 동복호에서 털물참새피는 지정제에서 분포하였고, 5.1% 를 점유하였고, 종 출현빈도는 6.6% 였다. 7. 영양물질 순환조사 가. 이화학적 수질 2009년 주암동복호 에서 수온은 수직분포가 뚜렷한 계절적인 변동을 볼 수 있었 다. 조사정점들은 여름철에 수온 성층(thermal stratification) 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 다. 용존산소의 경우, 여름철에 전반적으로 농도가 감소하고 특히 저층에서는 빈산 소층(hypoxia) 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과 1차 생산력 주암호와 동복호의 생체량 변동을 보면 모든 정점에서 7월과 8월에 높은 생체량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저층에서는 극히 낮은 생체량을 나타내었고 하류보다는 상류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FRRF를 통하여 측정된 상대적인 일차생산력의 결과를 보면 비교 해보면 일차생산력은 하류지점이 상 - v - - vi -

류에 비하여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는데 이는 수층 전체의 결과를 적분하여 나타낸 값 으로 수심이 깊을수록 결과값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조사지점의 수 심이 가장 낮은 지점을 기준으로 그 이상의 수심 결과만을 고려할 때 하류보다는 상 류에서 높게 나타난 결과와 상관성을 가지게 된다. Chlorophyll a/ pheopigments 는 표층이 저층보다 높은 분포를 보였고, 표층의 경우 전반적으로 1.7 이상의 분포를 보 였으며, 저층에서는 1.7 이하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저층의 환경이 식물플랑크톤 의 성장에 불리한 조건임을 암시한다. 일차생산력은 수면보다는 1~3 m 내에서 높 은 생산력 분포를 보였고, 5 m 이하에서는 일차생산력이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분포 를 보였고 수심이 약 10 m 이하에서는 생산력이 0 에 가까운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 대적으로 상류보다는 하류에서 더 깊은 수심까지 생산력을 나타내었다. 다. 영양물질 거동 두 호소의 총질소의 분포를 보면 전반적으로 표층보다는 저층에서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으며 하류보다는 상류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인의 분포는 4월과 6월의 표 층에서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상류에서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총체적으로 주암호와 동복호에서 암모니아성 질소의 기원은 분해자에 의한 광 물질화 과정을 통해 공급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아질산+ 질산염의 경우에는 강우 에 의한 외부 유입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자세한 영얌염의 Ⅴ. 연구결과의 활용에 대한 건의 1.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호소의 호소수질 및 생태계 보전에 필요한 2. 기초 자료 확보 호소생태계의 건전성 확보와 수질관리를 통한 안전한 용수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기반 구축 3. 호소 생태계의 구조분석, 취약 그룹 파악을 통한 호소의 보존 방안 강구, 호소 생태 복원 기법 도출, 군집 다양성 제고 방안 강구 등에 활용 4. 영산강 섬진강 수계 호소의 물질 순환에 대한 조사를 수행함으로서 생태계차 원의 거동을 파악하여 유역차원의 수질관리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음 5. 기초생산력 측정 결과는 부영양화에 대한 담수 생태계의 민감도 조사에 중요 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함 6. 종합적인 자료 분석 및 거동 평가를 통해 최종적인 수질관리 전략수립에 필요 한 연구 분야 및 방향 설정에 기여할 수 있음 7. 이러한 영양물질 거동 연구는 오염물질총량관리(TMDL) 를 위해 필요한 자료 및 정보를 제공할 것임 거동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영양염 용출실험등을 병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라. 상위소비자 조사 주암호와 동복호에 출현한 주요 동물플랑크톤 출현 비율을 보면 4월을 제외한 나머지 계절에는 지각류와 요각류가 높은 출현비율을 보였으며, 4월에 윤충류의 출 현비율이 높았다. 동물플랑크톤의 출현개체수는 두 호소에서 9월에 가장 높은 출현 을 보였으며, 주암호는 4 월, 동복호는 7 월에 낮은 출현개체수를 보였다. 개체수의 공간적 분포는 전반적으로 주암호는 정점 1에서 정점 2로 갈수록 개체수가 증가하 였으며, 정점 3 에서 낮은 출현을 보였다. 동복호에서는 여름철을 제외한 나머지 계 절에서 정점 2 로 갈수록 낮은 출현을 보였다. - vii - - viii -

Volume Ⅰ Summary sharply increased and reached maximum at June (826ind./L). Total 35 species of rotifers were identified and cladocerans and copepods showed low species diversity. Polyarthra sp. and Keratella cochlearis were dominant species and The habitat environments and biota of phytoplankton, zooplankton, aquatic invertebrates, hydrophytes, fishes were surveyed from 13 reservoirs in Jeonnam Provi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Habitat environments During this study, water temperatures of surveyed lakes varied between 7.1 ~30.3. The ranges of ph was 5.8~11.2, DO was 3.5~12.7 mg/l, and conductivity showed high level in Jijeong-reservoir, Sudong-reservoir, and Sopo-reservoir. The slopes of reservoir areas were 0~40, and used for agricultures and natural vegetations. 2. Phytoplankton As phytoplankton flora of surveyed lakes of 2009, a total of 295 species were identified. They were 116 Bacillariophyceae, 115 Chlorophyceae, 27 Cyanophyceae, and 37 other algal taxa. The most diverse phytoplankton flora was occurred in Gungok-reservoir and least flora in Sueo-lake 1. The population density of phytoplankton showed no clear pattern among lakes, and dominant species more than 20% of total standing crops were 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ambigua, Aulacoseira distans, Aulacoseira granulata, Cyclotella sp., Fragilaria crotonensis, Synedra acus, Coenochloris mucosa, Dictyospharium pulchellum, Monoraphidium arcuatum, Monoraphidium contortum, Microcystis aeruginosa, Phormidium valderianum var. tenuis, Kephyrion rubri-claustri. 3. Zooplankton From the survey of 22 site in 13 lakes and reservoirs, total zooplankton density and species diversity were showed distinctive special and seasonal variation. Total zooplankton density showed minimum at March (158ind./L), occupied over 90% of relative abundance during a year. The carbon biomass of zooplankton also had a seasonal pattern. It remained until March (28μgC/L) and increased until June (135μgC/L). Overall, small reservoirs had a high carbon biomass than large lakes except some studied sites. 4. Benthic microinvertebrates The aquatic macroinvertebrate fauna of 13 reservoirs of Jeonnam province were 64 species 52 genera 37 families 17 orders 7 classes in 4 phyla. Among them, the most diverse order was Ephemeroptera with 22 species 15 genera 7 families, and followed by Trichoptera 11 species, Mousca 8, Diptera 6 and Coleoptera 5. The number of individuals was 1,715 and on the one-to-one proportion Ephemeroptera was the highiest(310.1%), and Trichoptera was 25.9%, Mollusca was 9.2% and Anellida was 1.2%. Most dominant species belonged to aquatic insect except for Mollusca and Anellida and its indices ranged from 0.39-1.00. Diversity indices were 3.51-0.59. From ecological indices,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Sopo reservoir and Kungok reservoir were polysaprobic state, while Jangsu reservoir, Jijung reservoir and Sudong reservoir were -mesosaprobic. The others were oligosaprobic. 5. Hydrophytes α-mesosaprobic. Bosunggang lake was Large hydrophytes recorded from the 13 sites of Jeonnam province were identified 20 taxa, 23 genera, 27 families. Among them, emerged hydrophytes were Polygonum thunbergii, Ranunculus sceleratus, Ranunculus tachiroei, Cardamine lyrata, Aeschynomene indica, Hydrocotyle maritima, Hydrocotyle nepalensis, Oenanthe javanica, Lycopus ramosissimus, Veronica peregrina, β - ix - - x -

Eclipta prostrata, Iris pseudacorus, Phragmites australis, Phragmites japonica, Leersia japonica, Zizania latifolia, Typha angustifolia. Submerged hydrophytes were Ceratophyllum demersum, Myriophyllum verticillatum, Hydrilla verticillata, Potamogeton malaianus, Potamogeton crispus. Floating-leaved hydrophytes were Nelumbo nucifera, Trapa japonica, Nymphoides indica and free-floating Throughout the thirteen surveyed reservoirs, the alien fish were identified such as crucian carp (Carassius cuvieri),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large 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though the dominance index was 5.1%, a frequency of species was appeared 6.6%. hydrophytes were Lemna paucicostata, Spirodela polyrhiza. Bosung River(16 species) and Gungok reservoir(13 species)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hydrophytes flora. The number of hydrophytes flora recorded from Suaeo lake, Hadong lake, Tamjin lake turned out to be lowest(3 species respectively). And Ecological Risk Field Animal Plant of Environment Ministry studied in distribution of Paspalum distichum, Paspalum distichum and Ambrosia artemisiaefolia. Ambrosia artemisiaefolia were appeared to Jangsu reservoir, Sudong reservoir, Jeejung reservoir, Sopo reservoir, Sangsa lake, Juahm lake, Dongbock lake. Paspalum distichum were observed in Jangsu reservoir. Paspalum distichum were distributed Sopo reservoir. 6. Fishes From surveyed reservoirs, fish were identified 46 taxa; 26 Cyprinidae (55.3%), 8 Cobitidae (17.0%), 3 Gobiidae (6.4%), 2 Bagridae (4.3%), 2 Osmeridae(4.3%), 2 Odontobutidae(4.3%), 2 Centrachidae(4.3%), 1 Siluridae (2.1%), and 1 Centropomidae(2.1%). Nine families and four orders belonging forty-six freshwater fishes were identified from thirteen reservoirs. From thirteen surveyed reservoirs, major dominant species as following; deep body bitterling (Acanthorhodeus macropterus), false dase (Pseudorasbora parva), short barbel gudgeon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dark chub (Zacco temmincki), pale chub (Zacco platypus), pond smelt (Hypomesus olidus), and triden goby (Tridentiger brevispinis). A false dase was dominant species with 14.8% dominancy. Seventeen Korean endemic freshwater fishes belonged five families and three orders were identified with 22.7% dominancy in this thirteen reservoirs survey. - xi - - xii -

Volume Ⅱ Summary Biomass (chlorophyll a) of whole phytoplankton was increased during summer in the lakes Juam and Dongbok. Primary production was high within 3 m water depth in the lakes Juam and Dongbok. Eutrophication is literally defined as "the process by which a body of water becomes, Either naturally or by pollution, Rich in dissolved nutrients and often shallow with a seasonal deficiency in dissolved oxygen". The process and mechanisms of eutrophication in lake Youngsan and Sumjin River are not comprerely understood. Understanding the processes and mechanisms is important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lakes which are being utilized for multiple purposes such as industrial and agricultural uses. It is also utilized as drinking water for Kwangju and chonnam regions since the construction of the reservoirs. Study on nutrient cycles such as C, N and P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eutrophication processes completely since nutrient cycles include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s and organisms in freshwater food webs. Susceptibility of the ecosystem is dependent on the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s and organisms and/or interaction between organisms in the food web.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measure primary production and biomass of primary producers, organic carbon and nutrient stoichiometry 2) to estimate susceptibility of the ecosystems for eutrophication in the lakes Juam and Dongbok A. Water quality Temperatures showed typical pattern of temporal change observed in temperate waters. Water column was stratified especially during warm seasons based on temperature distributions with depth in the lakes Juam and Dongbok. C. Circulation of nutrient materials Total nitrogen was higher in the upper region than in the surface water. Total phosphorous was also higher at the upper region. Ammonium and phosphate were higher in upper region than in the surface water suggesting the nutrients are introduced from the watershed. Total nitrogen/ phosphorous (TN/TP) ratio is over 16. All throughout the sampling period, P is always the limitting nutrient. D. Survey of zooplankton Except for April 2009, The most dominant zooplankton species in lake Juam and Dongbok were Copeponda and Cladocera. Rotifera was higher in April 2009. Zooplankton standing crops was counted higher in September 2009. Application and usage of the results 1. To provide information and data useful for bette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e lakes by investigating ecosystem behaviors such as material cycles. 2. To better understand processes and mechanisms of eutrophication at ecosystem level by system analysis and field study. 3. To suggest the methodology efficie vnt for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the freshwater systems by determining the nutrient budget in the lakes. 4. To provide data and information for further TMDL research DO concentrations were low during summer and hypoxia were developed in the bottom water. B. Biomass and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 xiii - - xiv -

Content Volume Ⅰ. 1 Chapter 1. Introduction 1 Chapter 2. Materials and Methods 5 2.1. Survey lakes 5 2.2. Methods 5 2.3. Frequency 14 2.4. Application and usage of the results 14 Chapter 3. Results and Discussion 15 3.1. Survey on habitat environments 15 3.1.1 Habitat environments 15 3.1.2 General status of 18 reservoirs 71 3.2. Phytoplankton 2 3.2.1 Species number of phytoplankton 2 3.2.2 Distribution and biomass of phytoplankton 24 3.2.3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by reservoirs 25 3.2.4 dominant species of phytoplankton by reservoirs 43 3.3. Zooplankton 39 3.3.1 Distribution of total zooplankton 39 3.4. Benthic microinvertebrates 63 3.4.1 Distribution of benthic microinvertebrates 63 3.4.2 Distribution of benthic microinvertebrates by reservoirs 76 3.4.3 Number of benthic microinvertebrates 68 3.4.4 Number of benthic microinvertebrates by reservoirs 96 3.4.5 dominant species and dominant indices 71 3.4.6 Diversity indices 72 3.4.7 Species abundant indices 73 3.4.8 Equality indices 73 3.4.9 Evaluation on aquatic environment 73 3.5. Hydrophytes 74 3.5.1 Flora of hydrophytes 74 3.6. Fishes 81 3.6.1 Species organization of each fish family 81 3.6.2 Number of each fish family 82 3.6.3 Indigenous species and introduced species by reservoirs 48 3.6.4 Fish fauna at each sampling sites 91 Chapter 4. Conclusion 101 References 105 Appendix 219 3.3.2 Species number and dominant species in each sampling period 42 3.3.3 Major zooplankton of each community 48 3.3.4 Diversity zooplankton species in each sampling site 15 3.3.5 Dominant zooplankton species in each sampling site 52 3.3.6 Carbon biomass of zooplankton 53 3.3.7 List of zooplankton species in each sampling period 5 - xv - - xvi -

Volume Ⅱ. 110 5) Regression analysis 198 Chapter 1. Introduction 110 Chapter 4. Zooplankton 199 Part 1. Juam lake 199 Chapter 2. Material and Methods 112 Part 1. Field survey 112 1. Survey factor and Analysis methods 113 1. Survey of zooplankton 199 Part 2. Dongbok lake 205 1. Survey of zooplankton 205 Chapter 3. Circulation of nutrient materials 118 Part 1. Juam lake lake 118 1. Physicochemical properties 18 1) Physical properties 18 Chapter 5. Conclusion 211 References 215 2) Chemical properties 128 3) Carbon compound 138 2. Phytoplankton 142 1) Biomass 142 2) Pheopigment(a/b ratio) 146 3) Contribution 150 4) Primary production 152 5) Regression analysis 160 Part 2. Dongbok lake 162 1. Physicochemical properties 162 1) Physical properties 162 2) Chemical properties 170 3) Carbon compound 178 2. Phytoplankton 182 1) Biomass 182 2) Pheopigment(a/b ratio) 186 3) Contribution 189 4) Primary production 190 - xvii - - xviii -

제 목 차 Ⅰ 편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1 제 제 1 장 서론 1 2 장 조사내용 및 방법 5 2.1. 조사대상 호소 5 2.2. 조사방법 5 가. 서식환경 5 나. 식물플랑크톤 6 다. 동물플랑크톤 9 라.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0 마. 수생식물 11 바. 어류 13 2.3. 조사횟수 14 2.4. 연구의 활용방안 14 제 3 장 조사결과 15 3.1. 서식환경조사 15 3.1.1 서식환경 15 3.1.2 조사대상 호소 일반현황 17 (1) 주암호 17 (2) 상사호 18 (3) 수어호 18 (4) 보성강호 18 (5) 하동호 18 (6) 동복호 19 (7) 탐진호 19 (8) 백운제 19 (9) 장수제 19 (10) 수동제 20 (11) 지정제 20 (12) 군곡제 20 (13) 소포제 21 3.2.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및 특성 조사 2 3.2.1 식물플랑크톤 출현 종 조성 2 3.2.2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및 현존량 24 3.2.3 전체 호소의 식물플랑크톤 분포 특성 25 3.2.4 호소별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34 3.3.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및 특성 조사 39 3.3.1 총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변화 39 3.3.2 분기별 출현종수 및 우점종 현황 42 3.3.3 주요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변화 48 3.3.4 지점별 동물플랑크톤 다양도 변화 51 3.3.5 지점별 동물플랑크톤 우점도 변화 52 3.3.6 동물플랑크톤 탄소생체량 변화 53 3.3.7 조사 시기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종 목록 5 3.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포 및 특성 조사 63 3.4.1 전체 호소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63 3.4.2 호소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67 3.4.3 전체 호소의 개체수 현존량 68 3.4.4 호소별 개체수 현존량 69 3.4.5 우점종 및 우점도 71 3.4.6 다양성 지수 72 3.4.7 종풍부도 지수 73 3.4.8 균등도 지수 73 3.4.9 수환경 평가 73 - xix - - xx -

3.5. 수생식물의 분포 및 특성 조사 74 3.5.1 조사지점내 수생식물상 74 3.6. 어류의 분포 및 특성 조사 81 3.6.1 조사지점내 과별 종 구성비 81 3.6.2 조사지점내 과별 개체수 구성비 82 3.6.3 조사지점내 한국고유종 및 외래유입종 84 3.6.4 조사지점별 어류상 현황 91 제 4 장 결론 101 참고문헌 105 부록 219 제 Ⅱ 편 영양물질 순환조사 110 제 제 1 장 개요 110 2 장 조사 방법 112 1 절 현장조사 112 1. 조사항목 및 분석 방법 113 1) 수질 항목 측정 113 2) 영양물질 농도 조사 113 3) 탄소 유기물 조사 113 4) 클로로필 측정 114 5) 일차생산력 측정 115 6) 상위포식자 조사 116 제 3 장 영양물질 순환 118 1 절 주암호 118 1. 이화학적 특성 118 1) 물리적 환경인자 118 가. 수온 118 나. 전기전도도 119 다. 투명도 및 광소멸계수 121 라. 탁도 123 마. 부유물질 및 휘발성부유물질 124 2) 화학적 환경인자 128 가. DO 128 나. ph 130 다. 총질소(T-N) 132 라. 총인(T-P) 132 마. 암모늄(NH + 4 ) 13 바. 아질산+ 질산염(NO - 2 +NO - 3 ) 134 - xxi - - xxii -

사. 인산염(PO -3 4 ) 135 아. 규산염(SiO 2) 136 자. N/P Ratio 137 3) 탄소 유기물 138 가. 총 유기탄소(TOC) 138 나. 입자성 유기탄소(POC) 139 다. 용존성 유기탄소(DOC) 140 2. 식물플랑크톤 142 1)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 142 가. 전체 식물플랑크톤 142 나. 대형 식물플랑크톤 143 다. 중형 식물플랑크톤 144 라. 소형 식물플랑크톤 145 2)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146 가. 전체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146 나. 대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147 다. 중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148 라. 소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149 3) 식물플랑크톤의 기여율(Contribution) 변화 150 4) 일차 생산력 152 가. 생체형광지수 152 나. 일차생산력의 분포 153 5) 상관분석 160 2 절 동복호 162 1. 이화학적 특성 162 1) 물리적 환경인자 162 가. 수온 162 나. 전기전도도 163 다. 투명도 및 광소멸계수 165 라. 탁도 167 마. 부유물질 및 휘발성부유물질 167 2) 화학적 환경인자 170 가. DO 170 나. ph 172 다. 총질소(T-N) 172 라. 총인(T-P) 174 마. 암모늄(NH + 4 ) 175 바. 아질산+ 질산염(NO - 2 +NO - 3 ) 175 사. 인산염(PO -3 4 ) 176 아. 규산염(SiO 2) 176 자. N/P Ratio 177 3) 탄소 유기물 178 가. 총 유기탄소(TOC) 178 나. 입자성 유기탄소(POC) 179 다. 용존성 유기탄소(DOC) 180 2. 식물플랑크톤 182 1)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 182 가. 전체 식물플랑크톤 182 나. 대형 식물플랑크톤 183 다. 중형 식물플랑크톤 184 라. 소형 식물플랑크톤 185 2)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186 가. 전체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186 나. 대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187 다. 중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188 라. 소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188 3) 식물플랑크톤의 기여율(Contribution) 변화 189 4) 일차 생산력 190 가. 생체형광지수 190 나. 일차생산력의 분포 191 - xxiii - - xxiv -

5) 상관분석 198 그 림 목 차 제 4 장 동물플랑크톤 199 1 절 주암호 199 1. 상위 포식자 조사 199 1) 조사지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비율 199 2) 조사지역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우점종 200 3) 동물플랑크톤의 탄소량 203 4) Net 를 사용하여 동물플랑크톤의 분석 204 2 절 동복호 205 1. 상위 포식자 조사 205 제 1) 조사지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비율 205 2) 조사지역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우점종 206 3) 동물플랑크톤의 탄소량 208 4) Net 를 사용하여 동물플랑크톤의 분석 209 5 장 결 론 211 참고 문헌 215 1편 그림 그림 2.1 2009 년 호소환경조사 조사지점도 6 3.1 조사 기간 동안 각 호소에서 수온의 변화 15 그림 3.2 조사 기간 동안 각 호소에서 ph 의 변화 16 그림 3.3 조사 기간 동안 각 호소에서 DO 의 변화 16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3.4 조사 기간 동안 각 호소에서 전기전도도의 변화 17 3.5 조사 기간 동안 전 조사지점에서 출현종 조성 2 3.6 식물플랑크톤 출현종 수의 변화 23 3.7 식물플랑크톤 개체군 밀도의 변화 23 3.8 1 분기 조사지점별 총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변화 39 3.9 2 분기 조사지점별 총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변화 40 3.10 3 분기 조사지점별 총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변화 41 3.11 4 분기 조사지점별 총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변화 42 3.12 1 분기 조사지점별 총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개체수 변화 48 3.13 2 분기 조사지점별 총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개체수 변화 49 3.14 3 분기 조사지점별 총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개체수 변화 50 3.15 4 분기 조사지점별 총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개체수 변화 51 그림 그림 그림 그림 3.16 1 4분기 조사지점별 동물플랑크톤 평균 다양도 지수의 변화 52 3.17 1 4분기 조사지점별 동물플랑크톤 평균 우점도 지수의 변화 53 3.18 조사지점별 총 동물플랑크톤 탄소 생체량변화 54 3.19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총 종수 비율 63 그림 3.20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총 개체수 비율 69 그림 3.21 어류의 과별 종 구성비 81 그림 3.22 어류의 과별 개체수 구성비 82 그림 3.23 섬진강 수계 출현 어류의 과 준위 출현빈도 83 그림 3.24 해양으로 직접 유입될 하천 수계의 출현 어류의 과 준위 출현빈도 83 그림 3.25 한국고유종과 외래유입종이 차지하는 비율 85 - xxv - - xxvi -

그림 그림 3.27 3.26 외래유입종 개체수 비율 85 영산강 섬진강 및 탐진강 수계 13 개 호소 분포 어종수 89 그림 3.28 영산강 섬진강 및 탐진강 수계 13개 호소 어류의 종 다양도 89 그림 3.29 영산강 섬진강 및 탐진강 수계 13개 호소 어류의 균등도 90 그림 3.30 영산강 섬진강 및 탐진강 수계 13개 호소 어류의 종 풍부도 90 그림 3.31 백운제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91 그림 3.32 장수제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92 그림 3.33 수동제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93 그림 3.34 지정제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93 그림 3.35 군곡제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94 그림 3.36 소포제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95 그림 3.37 상사호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95 그림 3.38 주암호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96 그림 3.39 보성강호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97 그림 3.40 수어호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97 그림 3.41 동복호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98 그림 3.42 하동호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9 그림 3.43 탐진호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100 2편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2.1.1 주암호 동복호의 조사정점 112 3.1.1 주암호 수온의 수직분포 120 3.1.2 주암호 전기전도도의 수직분포 121 3.1.3 주암호의 투명도 및 광소멸계수 122 3.1.4 주암호 탁도의 수직분포 124 3.1.5 주암호의 부유물질 분포 125 3.1.6 주암호의 휘발성 부유물질 분포 126 3.1.7 주암호 용존산소의 수직분포 129 그림 3.1.8 주암호 ph 의 수직분포 131 그림 그림 그림 3.1.9 주암호 총질소의 수직분포 132 3.1.10 주암호 총인의 수직분포 133 3.1.11 주암호 암모늄의 분포 134 그림 3.1.12 주암호 아질산+ 질산염의 분포 135 그림 그림 3.1.13 주암호 인산염의 분포 136 3.1.14 주암호 규산염의 분포 137 그림 3.1.15 주암호 N/P Ratio 의 분포 138 그림 그림 3.1.16 주암호 총 유기탄소의 수직분포 139 3.1.17 주암호 입자성 유기탄소의 수직분포 140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3.1.18 주암호 용존성 유기탄소의 수직분포 142 3.1.19 주암호의 전체 식물플랑크톤 분포 143 3.1.20 주암호의 대형 식물플랑크톤 분포 144 3.1.21 주암호의 중형 식물플랑크톤 분포 145 3.1.22 주암호의 소형 식물플랑크톤 분포 146 3.1.23 주암호 전체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147 3.1.24 주암호 대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148 3.1.25 주암호 중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149 3.1.26 주암호 소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150 3.1.27 주암호 식물플랑크톤의 기여율 분포 151 3.1.28 주암호의 생체형광계수 153 - xxvii - - xxviii -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3.1.29 주암호 일차생산력의 수직분포 155 3.1.30 주암호의 상대적 일차생산력 155 3.1.31 주암호 일차생산력의 시간적 분포 158 3.2.1 동복호 수온의 수직분포 164 3.2.2 동복호 전기전도도의 수직분포 165 3.2.3 동복호의 투명도 및 광소멸계수 166 3.2.4 동복호 탁도의 수직분포 168 3.2.5 동복호의 부유물질 분포 169 3.2.6 동복호의 휘발성 부유물질 분포 169 3.2.7 동복호 용존산소의 수직분포 171 그림 3.2.8 동복호 ph 의 수직분포 173 그림 3.2.9 동복호 총질소의 수직분포 174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3.2.28 동복호의 생체형광계수 191 3.2.29 동복호 일차생산력의 수직분포 193 3.2.30 동복호의 상대적 일차생산력 193 3.2.31 동복호 일차생산력의 시간적 분포 196 4.1.1 주암호에 출현하는 주요 동물플랑크톤의 출현비율 200 그림 4.1.2 주암호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종 수 및 개체수의 시간적 분포 202 그림 4.1.3 주암호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종 수 및 개체수의 공간적 분포 202 그림 그림 4.1.4 주암호에서 동물플랑크톤의 탄소량 203 4.2.1 동복호에 출현하는 주요 동물플랑크톤의 출현비율 206 그림 4.2.2 동복호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종 수 및 개체수의 시간적 분포 207 그림 4.2.3 동복호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종 수 및 개체수의 공간적 분포 208 그림 4.2.4 동복호에서 동물플랑크톤의 탄소량 209 그림 그림 3.2.10 동복호 총인의 수직분포 174 3.2.11 동복호 암모늄의 분포 175 그림 3.2.12 동복호 아질산+ 질산염의 분포 176 그림 그림 3.2.13 동복호 인산염의 분포 176 3.2.14 동복호 규산염의 분포 177 그림 3.2.15 동복호 N/P Ratio 의 분포 178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3.2.16 동복호 총 유기탄소의 수직분포 179 3.2.17 동복호 입자성 유기탄소의 수직분포 180 3.2.18 동복호 용존성 유기탄소의 수직분포 181 3.2.19 동복호의 전체 식물플랑크톤 분포 182 3.2.20 동복호의 대형 식물플랑크톤 분포 183 3.2.21 동복호의 중형 식물플랑크톤 분포 184 3.2.22 동복호의 소형 식물플랑크톤 분포 185 3.2.23 동복호 전체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186 3.2.24 동복호 대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187 3.2.25 동복호 중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188 3.2.26 동복호 소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189 3.2.27 동복호 식물플랑크톤의 기여율 분포 190 - xxix - - xxx -

1편 표 표 표 목 차 2.1 조사대상 호소 선정 현황 5 2.2 2009 년 호소환경조사 조사지점 위치 8 표 3.1 13 개 대상호소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우점종 및 세포수 (1 차 조사) 26 표 3.2 13 개 대상호소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우점종 및 세포수 (2 차 조사) 28 표 3.3 13 개 대상호소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우점종 및 세포수 (3 차 조사) 30 표 3.4 13 개 대상호소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우점종 및 세포수 (4 차 조사) 32 표 3.5 조사지점별 주요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출현 종수 (1 분기) 43 표 3.6 조사지점별 주요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출현 종수 (2 분기) 45 표 3.7 조사지점별 주요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출현 종수 (3 분기) 46 표 3.8 조사지점별 주요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출현 종수 (4 분기) 47 표 표 표 표 표 표 3.9 1 분기 조사지점별 동물플랑크톤 목록 5 3.10 2 분기 조사지점별 동물플랑크톤 목록 57 3.11 3 분기 조사지점별 동물플랑크톤 목록 59 3.12 4 분기 조사지점별 동물플랑크톤 목록 61 3.13 전라남도 호소환경 조사에서 채집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목록 64 3.1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지점별 분류군 수 68 표 3.15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호소별 개체수 현존량 71 표 표 표 3.16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종다양도지수, 우점종, 우점도지수, 종풍부도 지수 균등도지수 및 생태점수 72 3.17 각 호소별 수생식물 목록 75 3.18 2009 년 호소환경 조사시 확인된 수계별 한국고유어종 현황 86 2편 표 3.1.1 주암호의 부유물질 및 휘발성 부유물질 127 표 3.1.2 3월 FRRF를 이용한 주암호 FluxPSⅡ 산출값 156 표 3.1.3 4월 FRRF를 이용한 주암호 FluxPSⅡ 산출값 156 표 3.1.4 5월 FRRF를 이용한 주암호 FluxPSⅡ 산출값 157 표 3.1.5 6월 FRRF를 이용한 주암호 FluxPSⅡ 산출값 157 표 3.1.6 3월 FRRF를 이용한 주암호 PP(gC/m 3 h) 산출값 159 표 3.1.7 4월 FRRF를 이용한 주암호 PP(gC/m 3 h) 산출값 159 표 3.1.8 5월 FRRF를 이용한 주암호 PP(gC/m 3 h) 산출값 160 표 3.1.9 6월 FRRF를 이용한 주암호 PP(gC/m 3 h) 산출값 160 표 표 3.1.10 주암호의 식물플랑크톤 상관분석 161 3.2.1 동복호의 부유물질 및 휘발성 부유물질 169 표 3.2.2 3월 FRRF를 이용한 동복호 FluxPSⅡ 산출값 194 표 3.2.3 4월 FRRF를 이용한 동복호 FluxPSⅡ 산출값 194 표 3.2.4 5월 FRRF를 이용한 동복호 FluxPSⅡ 산출값 194 표 3.2.5 6월 FRRF를 이용한 동복호 FluxPSⅡ 산출값 195 표 3.2.6 3월 FRRF를 이용한 동복호 PP(gC/m 3 h) 산출값 196 표 3.2.7 4월 FRRF를 이용한 동복호 PP(gC/m 3 h) 산출값 197 표 3.2.8 5월 FRRF를 이용한 동복호 PP(gC/m 3 h) 산출값 197 표 3.2.9 6월 FRRF를 이용한 동복호 PP(gC/m 3 h) 산출값 198 표 표 3.2.10 동복호의 식물플랑크톤 상관분석 198 4.1.1 주암호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203 표 4.1.2 동물플랑크톤 Net 채집에 의한 종조성 및 출현 비율 204 표 4.2.1 동복호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208 표 4.2.2 동물플랑크톤 Net 채집에 의한 종조성 및 출현 비율 210 표 3.19 2009 년 호소환경 조사시 확인된 수계별 외래유입종 현황 86 표 3.20 2009년 1차 2차 호소환경 조사시 확인된 어류 목록 78 - xxxi - - xxxii -

부 록 목 차 1편 부록 부록 1.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221 2.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247 부록 3. 식물플랑크톤 1차 4차 조사시기별 출현종 목록 335 부록 부록 부록 부록 부록 부록 사진 사진 사진 사진 사진 사진 4.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343 5.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387 6.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지점별 종 목록 400 7. 수생식물 현지조사표 및 분석표 402 8. 어류 현지조사표 및 탐문조사표 454 9. 2009 년도 호소환경 조사 시 출현한 호소별 어류 목록 485 1. 서식환경조사 조사지점별 사진 490 2. 식물플랑크톤 사진 및 조사 지점 사진 493 3. 동물플랑크톤 조사 지점 및 조사 장면 498 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조사 지점의 전경 및 조사 장면 500 5. 조사지점 및 수생식물 사진 502 6. 어류 조사 지점 및 어류 사진 511 - xxxiii -

제 1 장 서론 생물종의 다양성(biodiversity) 의 확보가 지구생태계 건강성(healthy) 과 안정성 (stability)의 핵심이 되고 있는 오늘날 생태계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필수적인 사업 으로 생물상의 조사가 전 세계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86년 이후 지속적으로 자연생태계 전국조사를 환경부의 사업으로 시행해 오고 있다. 생물상 조사는 서식처(habitats) 에 기초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생물권의 서식처에 는 매질(substrates) 이 토양으로 이루어진 생태계, 매질이 공기로 이루어진 생태계, 그리고 매질이 물로 이루어진 생태계 등이 있는데, 매질이 물로 이루어진 생태계를 수서생태계(aquatic ecosystem) 라 한다. 화합물 중 특별한 성질과 화학적 특성을 가지는 물을 매질로 하는 생태계인 수 서생태계는 원시지구에서 생명의 탄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이었고, 그 이후의 환경변화에 생물들이 적응할 수 있는 공간이었으며, 현재에도 다양한 생물 의 서식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수서생태계는 일반적으로 해양생태계(ocean ecosystem) 와 담수생태계(freshwater ecosystem) 로 구분할 수 있다. 또 담수생태계는 내륙에 분포하는 크고 작은 강으로 이루어지는 흐름을 가진 담수생태계인 유수계(lotic systems) 와 호수와 웅덩이 그리 고 그것들과 연결되어있는 늪지와 소택지 등과 같은 흐름이 제한된 수서생태계인 정수계(lentic systems) 로 구분된다(Barnes and Mann, 1991; Wetzel, 1999). 이들 담수생태계의 물질순환은 수환경의 특성에 의해 많은 조절을 받는다. 수서생태계는 물이 가지는 특성으로 인해 생물에게 안전한 서식공간이 되고 있지만 수량의 변동 과 수질의 변동이 되었을 경우 생태계의 교란이 심각하게 되고, 교란된 생태계는 회복하기 매우 어려울 뿐 만 아니라 경제적 측면에서도 큰 피해가 발생되므로 수서 생태계의 효율적인 보전은 지구 전체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이다(Odum, 1971). 수중의 생물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일정한 질서( 영양구조, 물질순환, 에너 지흐름) 와 항상성을 가지고 진화하는 기능적 단위로 역할을 한다. 다양한 생물들이 가지는 주요 기능은 생산자(producers), 소비자(consumers), 분해자(decomposers) 인 데, 이들 기능군은 계(system) 내로 에너지 흐름(energy flow) 을 형성하고, 육상생태 계와 연관을 통해 에너지 흐름을 완성하는 지구생태계의 중요한 구성계가 된다 (Odum, 1971; Kalff, 2002). 정수계(lentic system) 인 호소는 주변의 환경으로부터 유해화합물질이나 영양염 류의 유입에 따른 수질악화로 인해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많은 변화를 겪고 있 다. 따라서 보다 선진화된 수환경 조성과 생물다양성의 제고를 위해서는 호소의 생 태계 구조와 건전성을 진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것은 수질을 관리하는 궁극적 인 목적이 생물체와 인간의 생활환경이나 생태계의 보전에 있다는 진리에서 명확하 고 당연한 접근이다. 최근 수서생태계의 안정성 확보와 생물상 보전에 대한 이해가 상당히 증가하였 으나 수서생물과 그들이 의존하여 생활하는 수중환경은 더욱 악화되어 왔다(Leidy and Moyle, 1998). 수서환경 악화의 주요인은 인구증가와 인간의 활동성 증가에 따 른 것이다. 수서환경의 악화는 수서 생물종 다양성의 단순화를 초래하고 생물종 다양성의 단순화는 수환경과 수자원의 질적 저하로 이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수서환경 에서 생물종 다양성의 감소는 생태계의 안정성을 저하시켜 환경적 교란을 증폭시키 고 심화된 환경의 교란은 수서생태계의 손상을 가중시키는 악순환을 유발한다. 결 국 수질악화가 환경의 악화를 유발하고 환경의 악화에 의한 생물종 단순화 (simplification) 와 단편화(fragmentation) 를 유발하여 궁극적으로 생물다양성 (biodiversity) 감소로 이어진다. 결국 복원력을 넘어서는 환경교란은 서식지 파괴와 인간의 활동 증가에 따른 남획과 더불어 종다양성 감소를 촉진하는 주된 요인이 되 며, 특정 생물종이 지구의 생물권에서 영구히 사라지는 멸종의 위협으로 나타난다. 특히, 자연적인 환경변화가 크지 않고 완충능력이 뛰어난 수계에 살고 있는 생물은 복원력을 벗어나는 환경교란에 더 큰 위협을 느끼게 된다. 지리적, 지형적 특성에 의해 전통적 생계농업(traditional subsistence agriculture) 또는 전통적 집약농업(traditional intensive agriculture) 이 주로 이루어졌던 전라남 도와 광주광역시에 분포하는 호소들은 자정가능한 정도의 오염스트레스를 받아왔었 으나 20세기 후반부터의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라 오염물질 발생량의 증가와 부영양화(eutrophication) 등으로 수질오염이 심화되어( 김 등, 2002; 신 등, 2000; 윤 등, 2001; 이; 2002) 호소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이 많이 왜곡되었다. 특히 상수원으로 이용되고 용수로서의 가치가 큰 영산강과 섬진강 수계의 주요 호소인 주암호와 동 복호를 비롯한 호소수에서는 남조류(Microcystis spp.) 와 와편모조류(Peridinium - 1 - - 2 -

spp.), 그리고 녹조류(Staurastrum spp.) 가 수화(water-blooms) 를 형성하는 빈도가 잦아지면서 조류성 수질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으며, 상수원의 미생 물학적 지표인 대장균군의 조사에서도 강우에 따른 분원성의 유역오염이 맞물리면 서 미생물학적 수질이 특정 시기에 높아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김 등, 2000; 2001; 2002). 이와 같은 현상은 대부분 인간의 간섭에 의한 것으로 자연적인 영양물 질 순환이 왜곡된 것에 기인한다. 광주와 전남권에는 수도작의 유물로 산재한 호소 들이 이용목적을 상실하면서 폐기되고 있다. 따라서, 수서생태계의 건전성 유지와 수질관리를 통한 용수의 확보, 생물군집 파 악, 영양물질 순환과 부영양화에 대한 평가 등을 위한 호수의 생물 서식환경 조사, 생물상 조사, 영양물질 조사는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사업에서는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의 주요 호소의 유역환경과 호소환경, 그리고 생물상조사를 수행하여 호 소생태계의 건전성과 지속가능성이 확보된 호소의 환경개선과 수질보존대책이 체계 적이고, 과학적이며,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기술적인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고 자 하였다. 수질환경보전법시행령 제42조에 의거 1일 30만톤 이상의 원수를 취수하는 호소 등 환경부 장관이 지정 고시하는 호소에 대하여는 환경부장관이, 지정 고시된 호 담고 있는 EPA 호수관리지침서(1990) 를 만들어 적용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경우는 호수 부영양화 감소에 역점을 두고 식물플랑크톤 성장 제한 영양물질인 인산염 억 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앞에서 언급한 수질환경보전법시행령 제42조에 의거하여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 내 분포하는 조사대상 호소와 조사기관은 아래와 같다. 관 할 총 계 조 사 대 상 호 소 명 총 계 31 영산강 유역환경청 15 전라남도 16 주암호( 본댐), 상사호( 주암조정지댐), 광주호, 장성호, 담양 호, 나주호, 대동호, 영산호, 영암호, 금호호, 수어호, 보성 강호, 하동호, 동복호, 탐진호 백운제, 장수제, 관산 수동제, 관산읍 지정제, 학파1 제, 대동 저수지, 오동제, 불갑제, 군곡제, 개초저수지, 수양제( 함동), 소포담수지, 봉암저수지, 둔전저수지, 보전저수지, 평림호 * 밑줄친 굵은 글씨는 2009년 조사가 이루어진 호소 소외의 호소( 만수위 면적이 0.5 km2 이상인 호소에 한함) 에 대하여는 시 도지사가 정기적으로 조사 측정 실시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대상 호소에 대해 매년 조사사 업을 수행하는 것이 호소의 관리와 수생태계의 보전과 복원에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지만 연구의 인력부족과 조사대상 지역의 광범위성에 의한 조사와 자료 취합 의 통일성 부족 등이 현실적인 문제로 제기되어 2~3년에 1회의 조사를 하는 것으 로 하고 있다. 또한, 환경부에서는 2001 년 호소환경조사지침을 만들어 호소수의 수질오염도, 이 용상황, 유역내 오염원의 분포현황, 호소의 생물상 등을 포함하는 호소환경 전반에 대한 조사 측정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호소수질 및 생태계보전에 필요한 기초자 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호소환경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외국의 경우 미국은 호소수질 및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해 일반적인 조사와 특별 한 목적을 위한 집중적 조사가 있는데, 보통 일반적인 조사를 실시하고, 필요시 추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의 주요 호소 생태계에서 생물의 서식환경을 조사하고 서 식생물상을 조사하는 것은 수서생태계의 건전성 확보와 수질관리를 통한 안전한 용 수의 안정적 공급 기반의 구축에 필수적이다. 특히 다양한 유형의 환경을 가지는 호소생태계에서 생물상의 분포와 성장은 호소생태계의 특성에 맞게 해석되어져야 하며 상호연관성을 가지는 유기체로서의 생태계 개념이 강조된 접근에 의한 조사연 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조사에서는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 내 호소를 대상으로 생물상조 사를 실시하여 과학적이며,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수생태 및 수질보존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반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로 조사하고 있다. 미국은 호수의 특성 이해, 호수의 문제점 진단, 그리고 호수복 원계획 수립 등 호수 및 저수지 수질관리와 생태계 복원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 3 - - 4 -

제 2 장 조사내용 및 방법 조사대상 호소 1. 백운제 2.1. 조사대상 호소 조사대상 호소는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의 지역권에 분포하는 만수위 수표면 적 0.5 km 2 이상의 호소로 육상생태계와 접하고 있어 주연효과(edge effect) 를 통해 지구생태계 구조와 기능의 분석에 중요한 지점이고 인간을 비롯한 외부의 환경요인 변화에 의한 생태계의 변화 파악이 가능한 호소를 중심으로 2009년도에는 표 2.1과 같이 선정하였고, 조사대상 호소 위치는 표 2.2 및 그림 2.1 과 같다. 6 영산강수계 탐진강수계 5 13 3 4 9 섬진강수계 11 7 10 12 8 1 2 2. 장수제 3. 수동제 4. 지정제 5. 군곡제 6. 소포제 7. 상사호 8. 주암호 9. 보성강호 10. 수어호 11. 동복호 표 2.1 조사대상 호소 선정 현황 12. 하동호 13. 탐진호 관 할 총 계 조 사 대 상 호 소 명 총 계 13 그림 2.1 2009 년 호소환경조사 조사지점도. 영산강 유역환경청 7 전라남도 6 주암호( 본댐), 상사호( 주암조정지댐), 수어호, 보성강호, 하 동호, 동복호, 탐진호 백운제, 장수제, 관산 수동제, 관산읍 지정제, 군곡제, 소포 담수지 나. 식물플랑크톤 호소와 환경변화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식물 플랑크톤 분포 및 생체량, 계절적 특성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과 종 조성의 변화양상을 조사한다( 조사표 양식 2-15). 2.2. 조사방법 (1) 시료 채취 가. 서식환경 호소의 생물 서식환경을 파악하고, 생태적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호소환 경조사지침( 환경부, 2001) 의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표 양식 2-14) 작성요령에 따 라 1 : 25,000 지형도를 참고로 하여 도엽명, 도엽번호, 행정명, 수계명, 위도, 경도, TM 좌표 및 고도 또한, 유역토지이용 사항, 탁도와 수변부의 교란 등을 기재한다. 정량분석 Hydrobios 채수기 ( 용량 1 L) 또는 Van-Dorn 채수기( 용량 3 L) 로 수심별 로 채수하여 식물플랑크톤 네트로 걸러 채취하며 채수량은 육안으로 판단되 는 식물플랑크톤의 양에 따라 결정 정성분석 - 네트 플랑크톤 : 망목 25 μm의 네트를 사용하여 혼합층 깊이에서 수면까 지 수직 예망하여 시료를 채취 - 나노 플랑크톤 : 채수기로 채수하여 침전법으로 농축한 후 검경 - 5 - - 6 -

(2) 시료 고정 검체는 냉암소에 보관하여 운반하고 즉시 검경. 즉시 시험이 어려울 경우 Lugol 보존제를 1~2 v/v% 가 되도록 하여 보존. Lugol 보존제는 100 증류수에 potassium iodide(ki) 10 g과 iodine 5 g 을 녹여 빙초산(acetic acid) 10 ml를 첨가하여 만듦 ml 표 2.2 2009년 호소환경조사 조사지점 위치 호소명 위 치 지점수 주암호 1. 전남 순천시 주암면 대광리 ( 댐앞) 2. 전남 순천시 송광면 대곡리 ( 곡천2 교) 3. 전남 보성군 문덕면 덕거리 ( 문덕교) 3 (3) 검체의 조제 개체수가 1 ml에 기계( 계수기) 적 특성에 따라 약 1,000~100,000 cells(or units) 가 되도록 검체를 조정하여 계측. 시료가 육안으로 녹색이나 갈색 으로 보일 정도로 고농도이면 정제수로 희석하고, 시료가 맑아 5~100 상사호 수어호 보성강호 1. 전남 순천시 상사면 용계리 ( 댐앞) 2. 전남 순천시 승주읍 유평리 1. 전남 광양시 진상면 섬거리 ( 댐앞) 2. 전남 광양시 진상면 비평리 1. 전남 보성군 겸백면 용산리 ( 댐앞) 2. 전전남 보성군 겸백면 용산리 2 2 2 cells(or units)/ ml의 범위로 보이면 아래의 한 방법으로 검체를 농축( 다만, 남조류가 우점할 때는 농축하지 않을 수 있음) - 원심분리방법 검체를 원심침전관에 넣고 원심분리기에서 (1000 g, 20 분) 침전시켜 농 축. 다만 미세한 조류는 (1500 g, 30 분) 침전시키며, 부유성이 큰 남조류 를 많이 함유한 시료는 Lugol 액으로 고정하여 농축 - 자연침전법 일정의 검체에 Lugol액을 1~2 v/v% 로 가하여 식물플랑크톤을 고정시킨 후 실린더 용기에 넣고 내어 농축 - 여지법 시료를 공극 에는 는 약 24시간 정치시킨 후에 상등액을 사이폰으로 따라 0.45 μm 인 여지로 여과하여 생물을 여지 위에 농축. 처음 50 KPa 미만으로 진공여과하고 검체액이 여지 상 약 5 mm 정도부터 12 KPa로 하여 여지가 여과 과정에서 마르지 않도록 함 하동호 동복호 탐진호 백운제 장수제 수동제 지정제 군곡제 소포제 1. 경남 하동군 청암면 중이리 1 1. 전남 화순군 동복면 연월리 ( 댐앞) 2. 전남 화순군 이서면 월산리 1. 전남 장흥군 유치면 대리 ( 댐앞) 2. 전남 장흥군 유치면 용문리 3. 전남 장흥군 유치면 덕산리 4. 전남 장흥군 유치면 신월리 1. 전남 광양시 봉강면 지곡리 1 1. 전남 고흥군 포두면 장수리 1 1. 전남 장흥군 관산읍 외동리 1 1. 전남 장흥군 관산읍 지정리 1 1. 전남 해남군 송지면 해원리 1 1. 전남 진도군 지산면 소포리 1 2 4 합계 22-7 - - 8 -

(4) 동정 및 계수 정성시험 현미경하에서 100 배의 배율로 검경하여 생물군의 구성을 조사. 각각의 생물 을 시야의 중앙으로 옮기고 배율을 400~1000배로 올려 식물성플랑크톤 의 형태와 세포의 내부 등 미세한 사항을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스케치를 하 거나 사진 촬영. 이와 같은 검경 결과를 도감 및 검색도설을 이용하여 동정 정량시험 - 저배율 방법 (200 배 이하) a. 스트립 이용 계수 b. Wipple grid 이용 계수 - 중배율 방법 (200~500 배) a. Palmer-Maloney nannoplankton cell b. Sedgwick-Rafter counting chamber 다. 동물플랑크톤 호소 내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및 현존량을 조사하여 동물플랑크톤의 분포유 형을 조사하고 환경변화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성장패턴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영산강권역 호소의 동물플랑크톤의 생체량 및 우점종을 조사하였다. 분류는 속 또는 종 범위에 한해 분류하였으며 Koste(1978), Smirnov and Timms(1983), Einsle(1993) 의 분류키에 따라 실시하였다. 현미경관찰을 통해 개체수를 계수하고 이를 토대로 생물량을 계산하고 우 점종을 선정하였다. 라.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호소 수계 내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공간적 분포유형을 조사하고, 환경변화 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 포 및 생체량을 조사한다( 조사표 양식 2-18). (1) 시료 채취 수심 50 cm 이하의 수역에서는 망목 지름 0.5 mm의 Surber net를 사용하 여 주로 여울에서 정량채집(50 cm x 50 cm) 을 실시하였고, 정수역으로 Surber net를 사용하지 못하는 지점에서는 자루가 달린 수초 주변의 하안에서 하상을 끌어 채집 (2) 시료 보존 및 관찰 Grab을 이용하여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표본은 현지에서 Kahle's fluid( 증류수 59%, 에틸알 콜 28%, 중성포르말린 11%, 아세트산 2%) 로 고정하고 2일후 80% ethanol 에 보관 (1) 시료 채취 동물플랑크톤 채집은 32 μm 망목(Wildco 48 C60) 을 이용하여 지점별로 각 각 40 L 정도를 필터한 후 10% sucrose- 포르말린으로 고정한 후 동정, 계 수하였다. 보존시료는 해부현미경하에서, 미세 형질은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 수서곤충검색도설( 윤일병, 1995), 한국동식물도감 제30 권 동물편( 수서곤충 류), 원색한국패류도감( 권오길 등, 1993), 한국동식물도감 제19권 동물편 ( 새 우류), 한국동식물도감 제14 권 동물편 ( 집게게류 ) 을 참조하여 동정 (2) 관찰, 동정 및 우점종 조사 현미경하에서 100배의 배율로 검경하여 동물플랑크톤 종의 구성을 파악하 였다. 각각의 동물플랑크톤을 시야의 중앙으로 옮기고 배율을 400~1000 배로 올려 동물플랑크톤의 형태와 저작기 등 미세한 사항을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사진 촬영하였다. (3) 밀도 및 현존량 채집기의 채취면적 대비 개체수와 생물량으로 밀도와 현존량 환산 (4) 군집분석 수리군집지수 - 9 - - 10 -

모든 종의 출현개체수를 N, i 종의 출현개체수를 N, i 총출현종수를 S, 제1우점 종의 출현개체수를 N 1, 제2우점종의 출현개체수를 N 2라 할때, 우점도지수(DI) = N 1 + N 2 N 종풍부도지수(R1) = S - 1 ln N 다양도지수(H') = 균등도지수(J') = 생태점수, p i = N i N 환경질의 평가와 생태환경 관리기준의 판정은 ESB 지수 적용 ESB = S Q i i = 1 Kong(1997) ESB: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 Q i 마. 수생식물 : 개별 분류군 환경질 점수 호소의 수생식물의 분포 및 식생유형을 파악하여 생물다양성을 평가하고, 서 식유형을 파악함으로써 호소의 수질정화 및 복원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생식물의 분포를 조사하고 식생의 유형을 분석한다( 조사표 양식 2-16). (1) 시료채취 정수식물, 부엽식물 및 침수식물은 지상부를 채취하고 부유식물은 전체 부를 채취 정수식물, 부엽식물은 손삽이나 전정가위로 채집하고, 침수식물과 부유식 물은 얕은 곳은 직접 물에 들어가서 채집하거나, 채집용 닻을 던진 후 당겨 서 채집 채집물은 비닐봉투에 넣어서 실험실로 운반 (2) 우점도 평가 수생식물이 분포하는 구역 내에서 각 생활형이 점유하는 피도로서 우점도 평 가 수생식물의 종별 우점도는 각 생활형별로 따로 계산. 일례로 정수식물의 어 떤 종의 종별 우점도는 정수식물의 분포대내에서의 우점도로 표시. 정수식물, 부 엽식물, 부유식물은 직접 생육지를 돌아다니면서 혹은 높은 곳에서 관찰 하여 우점도를 평가. 침수식물은 먼저 높은 곳에서 관찰하여 침수식물이 차지하는 수면의 총 피도를 구하고, 10회 이상 닻으로 채집한 침수식물 의 종별 생중량에 따라서 이 총 피도를 배분하여 결정 (3) 식물량과 밀도측정 침수식물은 닻을 던져서 채집된 식물을 종별로 분류하여 망주머니에 담아 서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물기를 제거하고 휴대용 저울로 생중량을 측정 부유식물, 부엽식물 및 정수식물은 균일한 개체군이 나타나는 지소를 선정 하여 1 x 1 m2 방형구를 설치하고 지면에서 경엽부를 절취하여 채집하고 침수식물과 같은 방법으로 생중량을 측정 이상의 방법을 5회 반복하며 생중량을 측정한 시료중 일부(subsample) 를 표집 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실험실로 운반하여 80 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 건조된 시료를 밀폐된 비닐주머니에 담아서 상온으로 식힌 후 전자저울( 정밀 도 0.01 g) 로 건중량을 측정하여 수분함량을 산출 수분함량에 의하여 현장에서 측정한 생중량을 건중량으로 환산하고 단위면 적당 식물량(g DM/m 2 ) 으로 환산 최종적으로 우점종별 건중량의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를 기재 밀도 측정이 가능한 대형수생식물은 5 개의 1 x 1 m2 방형구를 설치하여 경엽부의 수를 세고, 단위면적당 밀도( 개/m 2 ) 의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를 기재 (4) 동정 및 정리 환경부(2001. 12) 호소환경 조사지침 별표 3의 조사대상 수생식물 및 습생 식물 목록에 따라 정리 분석하였고 조사된 식물상은 대한 식물도감( 이창복 1999) 에 따라 정리하고 생활형분석은 沼 田 眞 淺 野 貞 夫 (1969) 일본생태도감에 - 11 - - 12 -

따라 정리하였다. 동물명집( 한국동물분류학회, 1997) 을 참조하였다. (5) 표본 제작 채집된 수생식물에 대한 확증표본으로서 석엽표본을 제작 식물체의 지하부를 포함하여 식물체 전 부위가 포함되도록 함 수돗물로 진흙을 깨끗이 씻어 내고,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은 식물체 를 잘 펴고 신문지 사이에 넣어서 압착, 건조한 후 대지에 붙임 침수식물은 얕은 수조에 넣고 안정시킨 후 대지를 수조 밑으로 밀어 넣은 (3) 조사표 기재 방법 현지조사표 : 어류의 출현도 조사단위는 출현 어종의 개체수로 하였다. 조 사지점의 어류 종류와 개체는 [ 조사표 양식 2-19] 에 기록하였다. 탐문조사표 : 탐문조사는 호소의 현지조사 지점에서 어류를 채집 시 그 인 근에 거주하는 주민의 정치망 등을 활용한 현장의 상황과 낚시꾼의 조황을 파악하며 직접 탐문하여 수행하였다[ 조사표 양식 2-20]. 후 대지를 30 각도로 조금씩 꺼내면서 잎을 펼침 대지 위에 식물을 다 올려놓은 다음 식물 위에 가제와 신문지를 덮어서 압착 건조 2.3. 조사 횟수 바. 어류 호소 내 서식하는 어류의 분포현황 및 서식유형을 조사하고, 경제성 어종, 외 래종, 도입어종도 조사한다( 조사표 양식 2-19, 20). (1) 시료채취 수심이 얕은 곳에서는 투망 ( 망목의 크기 10 mm 10 mm), 족대 ( 망목의 크기 5 mm 5 mm), 어포기 ( 가로 23 cm 세로 23 cm 길이 50 cm) 를 사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였다.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투망, 어포기를 사 조사 횟수는 년 1회 이상 식물 및 동물플랑크톤 항목에 대하여 분기별 조사를 실시 2.4. 연구의 활용방안 본 연구는 호소 생태계의 구조분석, 호소 생태계 군집구조 및 생태계 건전 성파악, 취약 그룹 파악을 통한 호소의 보존 방안 강구, 호소 생태 복원 기 법 도출, 군집 다양성 제고 방안 강구 등에 활용된다. 용하였다. 한 조사지점에서 평균 15 회의 투망을 던져 어류를 채집하였고, 족대의 경우 한 지점에서 20 회를 채집하였다. 어포기의 경우 떡밥을 넣고 1시간동안 물 속에 담가둔 다음 끄집어내어 포획된 어류를 조사하였다. (2) 시료보존, 관찰 및 동정 채집한 어류를 냉장 보관하여 실험실로 운반한 다음 관찰하고 동정하였다. 동정을 완료한 어류는 10% 중성 포르말린에 고정하여 보관하였다. 어종의 분류는 최 등(1990). 김과 강 (1993), 최(1991, 2001), 김과 박(2002), 윤 (2002), Nakamura(1963), Miyadi(1989) 등의 도감을 참고하여 동정하였다. 전반적인 어류의 분류체계는 Nelson (2006) 에 의거하였으며, 국문명은 한국 - 13 - - 14 -

제 3 장 조사결과 3.1. 서식환경조사 14 1 차 2 차 3 차 4 차 12 ph 3.1.1 서식환경 10 8 호소 환경 조사 기간 동안 수온은 1차 조사에서 7.1 ( 주암호1) 14.2 ( 하동호), 2차 조사에서는 22.2 ( 보성강호1) 27.5 ( 주암호3), 3차 조사 25.6 ( 동복호1) 30.3 6 ( 상사호2), 4차 조사에서는 16 ( 소포제) 21.2 ( 상사호2) 범위를 보였다( 그림 3.1). 동동동1 동동동2 소소소 군군소 주주동1 주주동2 주주동3 보보보1 보보보2 상상동1 상상동2 수수동1 수수동2 하동동 탐탐동1 탐탐동2 탐탐동3 탐탐동4 백백소 장수소 지지소 수동소 50 40 30 20 W ater tem perature 1 차 2 차 3 차 4 차 16 14 12 그림 3.2 조사 기간 동안 각 호소에서 ph 의 변화. DO 1차 2차 3차 4차 10 10 0 동동동1 동동동2 소소소 군군소 주주동1 주주동2 주주동3 보보보1 보보보2 상상동1 상상동2 수수동1 수수동2 하동동 탐탐동1 탐탐동2 탐탐동3 탐탐동4 백백소 장수소 지지소 수동소 8 6 4 그림 3.1 조사 기간 동안 각 호소에서 수온의 변화. 동동동1 동동동2 소소소 군군소 주주동1 주주동2 주주동3 보보보1 보보보2 상상동1 상상동2 수수동1 수수동2 하동동 탐탐동1 탐탐동2 탐탐동3 탐탐동4 백백소 장수소 지지소 수동소 ph는 1차 조사에서 6.1( 동복호2) 11.2( 군곡제) 의 범위로 조사지점별 변이가 크 게 나타났으며, 2차 조사에서는 6.3( 보성강호1) 9.5( 장수제) 의 범위로 비교적 1차 조사 결과보다는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3.2). 3차 조사에서는 7.5 ( 탐진호2) 10.3( 군곡제), 4차 조사에서는 5.8 ( 소포제) 10.1( 장수제) 로 조사되었 다. DO는 1차 조사에서 4.9( 군곡제) 12.7 mg/l( 상사호2) 의 범위로 조사지점별 변이가 크게 나타났고, 2차 조사에서는 5.6( 보성강1) 12.2 mg/l( 장수제) 의 범위였다 ( 그림 3.3). 그림 3.3 조사 기간 동안 각 호소에서 DO 의 변화. 3차 조사에서는 3.5 ( 지정제) 14.6 mg/l( 장수제), 4차 조사는 3.9 ( 수동제) 14.4 mg/l( 장수제) 로 나타났다( 그림 3.3). 특히 4차 조사에서는 수동제에서 3.89 mg/l로 매우 낮은 DO 농도를 기록하였다. 남조류인 Microcystis wesenbergii가 크게 번성하였던 장수제에서는 4차 조사기간에 14.4 mg/l로 매우 높은 DO 값을 기록하였다. 소포제와 군곡제, 지정제와 수동제에서 수온과 연동하지 않은 DO 농도 - 15 - - 16 -

는 유기물의 분해에 의한 산소소모 때문으로 보인다. (2) 상사호 순천시 상사면 용계리에 위치한 상사호는 1992년 조성되었으며 수면관리기관은 2000 1600 1200 800 400 350 Conductivity 1 차 2 차 3 차 4 차 한국수자원공사이다. 유역면적 134 km2, 저수용량 2억5천만 m3으로 주암호의 조절지 댐으로서 역할이 크다. 순천시의 유치산(530 m), 두리봉 문유산(608 m), 오성산(606 m) 등의 남사면에서 발원한 도정천, 쌍암천, 두원천, 신전천, 월내천, 신성천 등과 조계산(884 m), 고동산(709 m) 등의 동사면에 발원한 금산천, 목촌천, 석홍천, 남정 300 250 200 천, 선암사천 등이 상사호를 이루고 이사천과 상사천이 합류하여 순천만으로 유입 한다. 150 100 50 동동동1 동동동2 소소소 군군소 주주동1 주주동2 주주동3 보보보1 보보보2 상상동1 상상동2 수수동1 수수동2 하동동 탐탐동1 탐탐동2 탐탐동3 탐탐동4 백백소 장수소 지지소 수동소 (3) 수어호 수어호는 광양시 진상면 섬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1978 년 조성되었다. 수면관리 기관은 한국수자원공사이며 유역면적 49 km2, 저수용량 2천8 백만 m3이다. 백운산 그림 3.4 조사 기간 동안 각 호소에서 전기전도도의 변화. (1216 m) 과 매봉(866 m), 억불봉(1008 m), 갈미봉 쫓비산의 남 동 서사면에서 발원 한 실개천들이 수어저수지를 이루며 섬진강 하류의 펌프장에서 끌어올려 수어댐을 전기전도도는 지정제, 수동제 그리고 소포제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림 3.4). 특히 수동제 지점에서 1차 4차 조사 기간 동안 다른 지점에 비하여 가장 높 았는데 특히 2차 조사기간에 1895 us/cm 으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소포제지점에서 4차 조사기간에 869 us/cm 으로 매우 높았다. 3.1.2 조사대상 호소 일반현황 (1) 주암호 순천시 주암면 대광리에 위치한 주암호는 유역면적 1,010 km2, 저수용량 4억5천7 백만 m3으로 1992 년에 조성되었으며 수면관리기관은 한국수자원공사이다. 섬진강댐 의 물과 동복호의 물이 유입되며 보성군의 유정천, 회령천, 복내천, 일봉천, 죽산천, 겸백천, 율어천, 문덕천과 화순군의 내남천, 순천시의 외서천, 송광천, 월광천, 장안 천, 한천천, 신평천, 신성천, 후곡천, 삼청천, 대광천 등 크고 작은 하천이 주암호에 유입된다. 저류댐으로 하여 수자원을 이용하고 있으며 수어천을 이루어 남해로 유입한다. (4) 보성강호 보성강호는 보성군 겸백면 용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5 년 조성되었다. 유역면 적 275 km2, 저수용량 4백7 십만 m3이고 수면관리기관은 한국수력원자력이다. 장흥군 의 국사봉(499.1 m), 삼계봉(503.9 m), 봉미산(505.8 m), 군치산(412 m) 등 남사면에 서 발원한 계류들이 장평천, 임천천, 용강천, 석교천, 맹산천과 보성군의 제암산 (778.5 m), 사자산, 일림산(667.5 m) 의 북사면에서 발원한 계류 등이 용반천, 대산 천, 구암천 등이 합류하여 보성강 상류를 이루어 대연천, 광곡천, 노동천, 미력천, 봉화천, 장동천과 합류하여 보성강호를 이루고 다시 주암호로 유입된다. (5) 하동호 하동호는 1994 년 조성되었으며 하동군 청암면 중이리에 위치하고 있다. 유역면적 58.5 km2, 저수용량 3천1 백만 m3으로 한국농촌공사에서 수면관리를 하고 있다. 유역 의 일부가 지리산국립공원에 속하며 북서쪽에 위치한 삼신봉(1284 m) 과 관음봉(980 m) 을 축으로 해발 600 1,200 m 산들의 능선으로 둘러싸인 유역은 남북으로 발달 - 17 - - 18 -

된 형태이다. 주 유입 하천으로는 횡천천이 하동호로 유입된다. (6) 동복호 며 해창만 일대의 농경지의 주 용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하고 있으나 평지에 위치하고 있다. 계곡형 저수지의 모양을 동복호는 화순군 이서면과 담양군 남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1971 년 조성되었다.. 유역면적 189 km2, 저수용량 9천2 백만 m3으로 광주광역시에서 수면관리를 하고 있다. 담양군의 창평면에서 발원한 남천과 대덕면에서 발원한 대덕천, 곡성군에서 발원한 옥과천과 단사천, 화순군의 동복천, 길성천, 수리천, 내북천, 장복천, 이서천, 안심천 등 크고 작은 하천이 동복호 댐을 이루고 다시 주암호로 유입된다. (7) 탐진호 2006년 조성된 탐진호는 장흥군 부산면 지천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 193 km2, 저수용량 1억9천1 백만 m3으로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수면관리를 하고 있다. 전라 남도 9 개 시, 군에 생활용수로서 이용되고 있다. 탐진호 일대는 2005년 상수원보호 구역과 수변구역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으며, 수질을 보호하기 위하여 하수처리 장과 인공습지를 만들고 수중폭기장치와 수질자동측정기를 설치하였다. 또 댐 주변 을 관광지로 만들기 위하여 수몰지역의 문화와 유물을 전시한 물 문화관과 생태문 화마을, 수변환경공원, 체육공원, 어류보호시설 등을 조성하였다. (8) 백운제 광양시 봉강면 지곡리에 위치한 백운제는 1967년 조성되었으며 한국농촌공사에 서 수면관리를 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4.9 km2, 저수용량 4백5 십만 m3이다. 형제봉 (861 m) 을 중심으로 해발 400 1,123 m의 산지로 둘러싸여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태로 유역 중앙으로 농경지가 길게 분포한다. 주 유입 하천은 성불사 상류에서 발원한 봉강천이 유역중앙을 남으로 흐르고 있으며 이를 따라 많은 지천들이 합류 하여 저수지로 유입된다. (10) 수동제 수동제는 장흥군 관산읍 외동리에 위치한 0.74 km2의 저수지로 1966년 조성되었으 면 한국농촌공사에서 수면관리를 하고 있다. 유역면적은 1.8 km2, 저수용량 2백6십만 m3이다. 산지 1.8 km2의 직접유역과 대덕읍일대 9.7 km2의 간접유역으로 구성되어 있 으며 간접유역인 대덕읍일대의 신월보 유역은 양암봉(465 m), 천관산 연태봉(723 m), 천태산과 부곡산 등의 급경사 산지로 이루어져있다. 직접유역의 유출수가 절대 부족하여 대부분의 용수를 대덕읍 신월리에 위치한 신월보에서 취수하여 수동도수 로(4 km) 로 도수하여 유량을 확보한다. (11) 지정제 지정제는 장흥군 관산읍 지정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1925 년 조성되었다. 유역면적 1.03 km2, 저수용량 1백7 십만 m3으로 한국농촌공사에서 수면관리를 하고 있다. 송촌 리 1.03 km2의 소규모 직접유역과 간접유역인 12.1 km2의 고읍천 옥당보 유역으로 구 성되어 있으며 주 유입수원인 옥당보 유역은 부용산과 양암봉(456 m), 천관산(723 m) 으로 둘러싸인 산지이며 중앙으로 넒은 농경지가 분포되어 있다. 옥당보는 석남 천, 신평천과 합류하여 흐르는 고읍천에 위치하며 취수된 물은 지정도수로(6 km) 를 통하여 관산읍 소재지를 통과한 후 저수지로 유입된다. (12) 군곡제 해남군 송지면 해원리에 위치한 군곡제는 1961년 조성되었으며 유역면적 13.94 km2, 저수용량 2백2 십만 m3으로 한국농촌공사에서 수면관리를 하고 있다. 저수지 북 쪽과 동쪽의 험준한 산지를 잇는 능선 안쪽의 해발 100 m 내외 구릉산지를 포함하 는 구간을 유역으로 하며 유역내 경지는 대부분 답으로 이용되고 있다. 남동쪽 상 (9) 장수제 장수제는 고흥군 포두면 장수리와 고흥읍 호형리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1980 류 장춘부락 인근과 동쪽 청주사 인근에서 발원하는 소하천들이 저수지 상류 500 m 지점에 위치한 신기교 부근에서 합류하여 저수지로 유입하고 있다. 년 조성되었다. 유역면적 2.9 km2, 저수용량 3십7만 m3으로 한국농촌공사에서 수면관 리를 하고 있다. 해창만 간척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장수천을 막아 조성하였으 - 19 - - 20 -

(13) 소포제 1986년 조성된 소포제는 2.92 km2의 규모가 넓은 담수지로 지도읍 해창리와 소포 리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 111.98 km2, 저수용량 3백9십만 m3으로 한국농 촌공사에서 수면관리를 하고 있다. 진도천, 염대천, 임회천, 고방천, 첨마천, 지산천, 고야천이 모여 석고천을 이루는 쉬미 방조제가 소포제를 형성하며 주변 간척지 농 경지의 농업용수로 중요하며 대흥포구로 배구갑문이 통한다. 이상과 같이 조사대상호소의 유역면적과 저수용량에 많은 차이가 있고 소재지의 위도적 차이도 유의적인 수준이므로 과제의 규모를 확대하여 유역환경과 수리학적 인 부분의 연구를 병행하는 것이 신뢰할 만한 결과를 도출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판 단한다. 3.2.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및 특성 조사 3.2.1 식물플랑크톤 출현 종 조성 호소환경조사에서 식물플랑크톤은 규조강 116 종, 녹조강 115 종, 남조강 27종 그 리고 유글레나강을 포함한 기타 37여종으로 총 295 종이 분류되었다. 식물플랑크톤 은 규조강 39.3%, 녹조강 39%, 남조강 9% 으로 녹조와 규조가 주를 이루는 특징을 보인다( 그림 3.5). 출 현 종 조 성 기 타 남 조 강 9% 12% 녹 조 강 39% 규 조 강 39.3% 그림 3.5 조사 기간 동안 전 조사 지점에서 출현종 조성. 분류된 출현종수는 1차 조사에서 6 종( 수어호1) 33 종( 주암호3), 2차 조사에서 3종 ( 주암호1) 30 종( 지정제), 3차 조사에서 2 종( 수동제) 27 종( 지정제), 4차 조사에서는 5 종( 주암호2) 24 종( 군곡제) 의 범위를 보였다. 조사를 통해 군곡제에서는 1차 4차 조사 기간 동안 식물플랑크톤의 가장 풍부한 조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어 호1 에서 비교적 빈약한 종조성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3.6). - 21 - - 22 -

40 30 Number of species 1차 2차 3차 4차 개체군 밀도는 1차 조사에서는 312 cells/ml ( 수동제) 9,934 c,ells/ml ( 소포제), 2 차 조사에서는 68 cells/ml ( 주암호1) 12,593 cells/ml ( 동복호2), 3차 조사에서는 151 cells/ml ( 하동호) 6,633 cells/ml ( 상사호2), 4차 조사에서는 164 cells/ml ( 주암 호1) 45,910 cells/ml ( 장수제) 의 범위를 보였다( 그림 3.7). 20 동복호2 지점의 2차 조사에서 높은 개체군 밀도는 남조류인 Lyngbya limnetica 의 번성에 의한 결과이다. 소포제 지점은 1 차, 4차 조사시기에는 각각 9,934 10 cells/ml, 8,536 cells/ml 로 개체군 밀도가 높았는데, 2 차, 3차 조사기간에는 260 cells/ml 밀도로 조사시기별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장수제 지점에서는 4차시기에 0 동동동1 동동동2 그림 3.6 식물플랑크톤 출현 종 수의 변화. 군곡제 지점은 1차 조사에서 34 종의 풍부한 출현종 조성을 보였지만, 3차 조사 에서는 녹조류인 Dictyospharium pulchellum, Pediastrum duplex var. rotundatum 과 남조류인 Microcystis wesenbergii 같은 소수 종이 우점하여 1차에 비교하여 빈 약한 종조성을 보였다. 그러나 4차 조사에서는 24종으로 2, 3차 조사기간보다 종수 가 다양하였다. 10 3 Cells/ml 50 20 10 소소소 군군소 주주동1 주주동2 1차 2차 3차 4차 주주동3 보보보1 보보보2 상상동1 상상동2 수수동1 수수동2 하동동 Cell Numbers 탐탐동1 탐탐동2 탐탐동3 탐탐동4 백백소 장수소 지지소 수동소 개체군 밀도가 매우 높은데 Microcystis wesenbergii가 45,768 번성하였다. cells/ml로 남조류가 전체 출현종의 10% 이상의 점유율을 보이며 3지점 이상에서 우점하였던 종은 1 차 조사에서 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ambigua, Aulacoseira distans, Synedra acus이며, 2차 조사에서는 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ambigua, Aulacoseira distans, Synedra acus, Cyclotella sp., Fragilaria crotonensis, Scenedesmus grahneisii, Kephyrion rubri-claustri이고 3차 조사에서는 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ambigua, Aulacoseira distans, Cyclotella sp., Fragilaria crotonensis, Scenedesmus acutiformis, Microcystis aeruginosa, Phormidium valderianum var. tenuis이며, 4차 조사에서는 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ambigua, Aulacoseira distans과 Cyclotella sp., Synedra acus였다. 그 리고 20% 이상의 점유율을 보이며 성장한 조류에는 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ambigua, Aulacoseira distans, Aulacoseira granulata, Cyclotella sp., Fragilaria crotonensis, Synedra acus, Coenochloris mucosa, Dictyospharium pulchellum, Monoraphidium arcuatum, Monoraphidium contortum, Microcystis aeruginosa, Phormidium valderianum var. tenuis, Kephyrion rubri-claustri이었 다. 3.2.2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및 현존량 동동동1 동동동2 소소소 군군소 주주동1 주주동2 주주동3 보보보1 보보보2 상상동1 상상동2 수수동1 수수동2 하동동 탐탐동1 탐탐동2 탐탐동3 탐탐동4 백백소 장수소 지지소 수동소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및 현존량 조사는 네 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는데, 1차는 그림 3.7 식물플랑크톤 개체군 밀도의 변화. 2009년 3월 21일부터 4월 1일 사이에 동복호 등 22 개 호소, 2차는 2009년 6월 6일 - 23 - - 24 -

부터 6월 24일 까지 동복호 등 22 개 호소, 3차는 2009년 8월 17일부터 9월 9일 까 지 동복호 등 22 개 호소, 4차는 2009년 11월 5일부터 11월 11일 까지 동복호 등 22 개 호소를 대상으로 각각 실시하였고, 이들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우점종 및 세포 수를 각각 표 3.1 3.4 에 나타내었다. 3.2.3 전체 호소의 식물플랑크톤 분포 특성 동복호 등 22개 호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3월 4월 조사에서는 전반적으로 규조 류인 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ambigua, Aulacoseira distans와 녹조류인 Crucigenia tetrapedia, Gomphosphaeria lacustris, Monoraphidium contortum 등이 우점하는 양상을 보였고, 황색편모조류인 Kephyrion rubri-claustri가 우점하는 특 징을 보였다. 소포제 지점에서 3차 조사시기에 높은 개체군 밀도가 보이는데 이는 Anabaena aequalis의 번성에 의한 때문이었다. 동복호 등 22개 호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6월의 조사에서는 규조류인 Aulacoseira spp., Cyclotella sp. 와 다양한 녹조류 종이 우점하였으며 남조류는 Lyngbya limnetica, Microcystis protea, 유글레나조류인 Trachelomonas sp. 등이 우점하였다. 특히 남조류인 Lyngbya limnetica가 조사시기에 동복호1, 동복호2 지점 에서 높은 개체군 밀도를 보였다. 동복호 등 22개 호소 호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8월 9월 조사에서는 규조류인 Cyclotella sp., Fragilaria crotonensis, Synedra acus와 녹조류 Coenochloris, Scenedesmus, 남조류인 Anabaena, Microcystis가 우점하는 양상을 보였다. 유글레 나조류인 Trachelomonas 및 와편모조류인 Peridinium도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동복호 등 22개 호소 호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11월 조사에서는 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distans, Fragilaria crotonensis와 같은 규조류가 Scenedesmus을 비롯하여 다양한 녹조류 종이 우점하였으며, 남조류는 Microcystis, Phormidium이 우점하였다. 유글레나조류인 Trachelomonas도 여려 지점에서 나타 났다. 표 3.1 13 개 대상호소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우점종 및 세포수 (1 차조사) 호소명 조사일 분류군명 우점종명 세포수/ml 동복호1 4월 1일 동복호2 4월 1일 소포제 3월 21일 군곡제 3월 21일 주암호1 3월 25일 주암호2 3월 25일 주암호3 3월 25일 보성강호1 3월 28일 보성강호2 3월 28일 상사호1 3월 29일 상사호2 3월 29일 수동제 3월 28일 규조류 Aulacoseira ambigua 147 녹조류 Monoraphidium arcuatum 107 남조류 Phormidium sp. 3 기타조류 Kephyrion rubri-claustri 294 규조류 Fragilaria crotonensis 707 녹조류 Monoraphidium arcuatum 133 기타조류 Kephyrion rubri-claustri 187 규조류 Nitzschia palea 27 녹조류 Tetrastrum komarekii 374 남조류 Anabaena aequalis 8233 기타조류 Kephyrion rubri-claustri 13 규조류 Aulacoseira distans 414 녹조류 Monoraphidium contortum 360 기타조류 Dinobryon serturalia 53 규조류 Asterionella formosa 320 녹조류 Monoraphidium contortum 80 기타조류 Dinobryon sociale 7 규조류 Asterionella formosa 147 녹조류 Monoraphidium arcuatum 13 규조류 Aulacoseira ambigua 547 녹조류 Monoraphidium contortum 93 규조류 Synedra acus 254 녹조류 Gonium pectorale 53 기타조류 Dinobryon divergens 1 규조류 Fragilaria crotonensis 173 녹조류 Gomphosphaeria lacustris 1481 규조류 Aulacoseira ambigua 93 녹조류 Monoraphidium contortum 13 규조류 Asterionella formosa 294 녹조류 Monoraphidium contortum 13 기타조류 Dinobryon serturalia 93 규조류 Aulacoseira ambigua 80 녹조류 Pediastrum simplex var. echinulatum 107-25 - - 26 -

( 계속) 호소명 조사일 분류군명 우점종명 세포수/ml 표 3.2 13 개 대상호소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우점종 및 세포수 (2 차조사) 호소명 조사일 분류군명 우점종명 세포수/ml 수어호1 3월 30일 수어호2 3월 30일 하동호 3월 23일 탐진호1 3월 30일 탐진호2 3월 30일 탐진호3 3월 30일 탐진호4 3월 30일 백운제 3월 31일 장수제 3월 31일 지정제 3월 28일 규조류 Asterionella formosa 200 녹조류 Gomphosphaeria lacustris 200 기타조류 Dinobryon divergens 40 규조류 Asterionella formosa 280 녹조류 Scenedesmus acuminatus 173 기타조류 Dinobryon cylindrica 27 규조류 Asterionella formosa 480 녹조류 Gomphosphaeria lacustris 133 남조류 Phormidium lapideum 347 기타조류 Dinobryon divergens 173 규조류 Aulacoseira ambigua 761 녹조류 Crucigenia tetrapedia 53 기타조류 Synura sp. 27 규조류 Aulacoseira ambigua 1174 녹조류 Crucigenia tetrapedia 53 기타조류 Kephyrion rubri-claustri 53 규조류 Aulacoseira ambigua 1254 녹조류 Monoraphidium contortum 13 기타조류 Kephyrion rubri-claustri 53 규조류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ssima 347 녹조류 Scenedesmus abundans 27 기타조류 Kephyrion rubri-claustri 93 규조류 Asterionella formosa 947 녹조류 Dictyospharium pulchellum 53 기타조류 Dinobryon sociale 107 규조류 Aulacoseira distans 614 녹조류 Pediastrum tetras 187 기타조류 Euglena sp. 13 규조류 Aulacoseira ambigua 280 녹조류 Gomphosphaeria lacustris 5591 남조류 Phormidium sp. 53 기타조류 Trachelomonas volvocina 13 동복호1 6월 15일 동복호2 6월 15일 소포제 6월 6일 군곡제 6월 6일 규조류 Aulacoseira sp. 80 녹조류 Scenedesmus acutiformis 107 남조류 Lyngbya limnetica 8233 기타조류 Peridinium cunnigtonii 80 규조류 Cyclotella sp. 53 녹조류 Scenedesmus grahneisii 213 남조류 Lyngbya limnetica 12076 기타조류 Peridinium cunnigtonii 13 규조류 Synedra inaequalis 1 녹조류 Coelastrum microporum 133 기타조류 Trachelomonas varians 13 규조류 Aulacoseira distans 4 녹조류 Coelastrum microporum 507 남조류 Aphanothece clathrata 801 기타조류 Trachelomonas varians 53 주암호1 6월 24일 규조류 Aulacoseira ambigua 53 주암호2 6월 24일 주암호3 6월 24일 보성강호1 6월 10일 보성강호2 6월 10일 규조류 Cyclotella sp. 147 녹조류 Scenedesmus quadricauda 5 기타조류 Trachelomonas polonicum 1 규조류 Aulacoseira distans 200 녹조류 Scenedesmus quadricauda 5 규조류 Aulacoseira ambigua 681 녹조류 Monoraphidium arcuatum 1 규조류 Aulacoseira ambigua 387 녹조류 Monoraphidium arcuatum 13 기타조류 Trachelomonas volvocina 13 상사호1 6월 15일 규조류 Aulacoseira granulata 147 상사호2 6월 15일 수어호1 6월 11일 규조류 Aulacoseira granulata 440 녹조류 Monoraphidium contortum 1 규조류 Fragilaria crotonensis 240 기타조류 Peridinium sp. 13 수어호2 6월 11일 규조류 Fragilaria crotonensis 40-27 - - 28 -

( 계속) 호소명 조사일 분류군명 우점종명 세포수/ml 하동호 6월 12일 규조류 Cyclotella sp. 1241 탐진호1 6월 17일 탐진호2 6월 17일 탐진호3 6월 17일 탐진호4 6월 17일 백운제 6월 11일 장수제 6월 15일 지정제 6월 10일 수동제 6월 10일 규조류 Cyclotella sp. 67 녹조류 Monoraphidium arcuatum 13 기타조류 Trachelomonas stokesii 1 규조류 Aulacoseira distans 27 녹조류 Tetraedron minimum 13 기타조류 Trachelomonas stokesii 13 규조류 Cyclotella sp. 80 녹조류 Tetraedron minimum 27 기타조류 Trachelomonas dybowskii 13 규조류 Cyclotella sp. 187 녹조류 Oocystis ovalis 13 남조류 Aphanothece clathrata 2802 규조류 Cyclotella sp. 53 녹조류 Monoraphidium arcuatum 1 기타조류 Peridinium tabulatum 80 규조류 Aulacoseira ambigua 120 녹조류 Coelastrum microporum 3216 규조류 Aulacoseira ambigua 93 녹조류 Coelastrum astroideum 1054 남조류 Aphanocapsa biformis 801 기타조류 Trachelomonas volvocina 27 규조류 Nitzschia palea 147 기타조류 Trachelomonas varians 1 표 3.3 13 개 대상호소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우점종 및 세포수 (3 차조사) 호소명 조사일 분류군명 우점종명 세포수/ml 동복호1 8월 31일 동복호2 8월 31일 소포제 8월 21일 군곡제 8월 21일 주암호1 8월 25일 주암호2 8월 25일 주암호3 8월 25일 보성강호1 8월 23일 보성강호2 8월 23일 장수제 8월 18일 지정제 8월 23일 규조류 Fragilaria crotonensis 614 녹조류 Didymocystis inermis var. danubialis 294 남조류 Microcystis wesenbergii 6 기타조류 Peridinium cunnigtonii 40 규조류 Fragilaria crotonensis 347 녹조류 Scenedesmus incrassatulus 213 남조류 Microcystis wesenbergii 294 기타조류 Peridinium tabulatum 27 규조류 Fragilaria crotonensis 187 녹조류 Coelastrum sp. 107 기타조류 Trachelomonas varians 27 규조류 Aulacoseira ambigua 9 녹조류 Dictyospharium pulchellum 721 남조류 Microcystis wesenbergii 881 기타조류 Trachelomonas volvocina 1 녹조류 Staurastrum sp. 27 남조류 Anabaena macrospora var. crassa 5004 기타조류 Ceratinium hirundinella 27 규조류 Synedra acus 13 녹조류 Coenochloris mucosa 854 남조류 Anabaena macrospora var. crassa 614 기타조류 Trachelomonas sp. 27 규조류 Aulacoseira distans 80 녹조류 Coenochloris mucosa 560 남조류 Merismopedia tenuissima 147 기타조류 Trachelomonas oblonga 13 규조류 Synedra acus 133 녹조류 Scenedesmus bicaudatus 107 기타조류 Trachelomonas volvocina 13 규조류 Synedra acus 267 녹조류 Pandorina morum 107 규조류 Nitzschia palea 107 녹조류 Scenedesmus opoliensis 107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 4003 규조류 Fragilaria crotonensis 133 녹조류 Scenedesmus acuminatus 107 기타조류 Trachelomonas varians 13-29 - - 30 -

( 계속) 호소명 조사일 분류군명 우점종명 세포수/ml 상사호1 8월 18일 상사호2 8월 18일 수어호1 8월 17일 수어호2 8월 17일 하동호 8월 25일 탐진호1 9월 9일 탐진호2 9월 9일 탐진호3 9월 9일 탐진호4 9월 9일 백운제 8월 17일 수동제 8월 23일 규조류 Synedra acus 13 녹조류 Staurastrum pingue 27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 4670 규조류 Fragilaria crotonensis 3 녹조류 Eudorina elegans 374 남조류 Anabaena planctonica 3816 규조류 Cyclotella sp. 53 녹조류 Staurastrum pingue 27 남조류 Aphanocapsa nidulans 1494 규조류 Aulacoseira subarctica 13 녹조류 Scenedesmus arcuatus 53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 1468 규조류 Cyclotella sp. 40 녹조류 Scenedesmus acutiformis 53 기타조류 Peridinium sp. 27 규조류 Cyclotella sp. 107 녹조류 Monoraphidium litorale 53 남조류 Chroococcus minimus 107 기타조류 Trachelomonas bacillifera 13 규조류 Cyclotella sp. 267 녹조류 Coelastrum aphericum 107 남조류 Chroococcus turgidus 27 규조류 Cyclotella sp. 427 녹조류 Scenedesmus grahneisii 133 남조류 Gloeocapsa arenaria 53 기타조류 Peridinium polonicum 40 규조류 Cyclotella sp. 200 녹조류 Scenedesmus grahneisii 27 남조류 Chroococcus turgidus 27 규조류 Cyclotella sp. 27 녹조류 Scenedesmus producto-capitatus 53 기타조류 Dinobryon divergens 40 녹조류 Tetrastrum elegans 5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 5538 표 3.4 13 개 대상호소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우점종 및 세포수 (4 차조사) 호소명 조사일 분류군명 우점종명 세포수/ml 동복호1 11월 10일 동복호2 11월 10일 소포제 11월 6일 군곡제 11월 6일 주암호1 11월 10일 주암호2 11월 10일 주암호3 11월 10일 보성강호1 11월 9일 보성강호2 11월 9일 상사호1 11월 7일 규조류 Asterionella formosa 294 녹조류 Cosmarium bioculatum var. depressum 334 규조류 Asterionella formosa 294 녹조류 scenedesmus pannonicus 133 기타조류 Kephyrion rubri-claustri 13 규조류 Aulacoseira distans 53 녹조류 Chlamydomonas angulosa 854 남조류 Phormidium planctonica 4870 기타조류 Trachelomonas pavlovskoensis 13 규조류 Cyclotella sp. 387 녹조류 Pediastrum tetras 240 남조류 Merismopedia tenuissima 1067 기타조류 Trachelomonas volvocina 80 규조류 Aulacoseira distans 67 녹조류 Coelastrum microporum 67 규조류 Aulacoseira distans 587 녹조류 Pediastrum tetras 107 규조류 Aulacoseira distans 320 녹조류 Dispora crucigenioides 53 규조류 Synedra acus 40 녹조류 Scenedesmus sp. 53 규조류 Aulacoseira ambigua 240 녹조류 Pediastrum tetras 107 남조류 Phormidium tenue 13 기타조류 Kephyrion rubri-claustri 53 규조류 Fragilaria crotonensis 467 녹조류 Closterium biclavatum 133 기타조류 Trachelomonas volvocina 1 상사호2 11월 7일 규조류 Aulacoseira distans 80 수어호1 11월 5일 규조류 Aulacoseira distans 307 수어호2 11월 5일 규조류 Aulacoseira distans 93 남조류 Microcystis protea 3736-31 - - 32 -

( 계속) 호소명 조사일 분류군명 우점종명 세포수/ml 하동호 11월 5일 탐진호1 11월 11일 탐진호2 11월 11일 탐진호3 11월 11일 탐진호4 11월 11일 백운제 11월 5일 장수제 11월 7일 지정제 11월 9일 수동제 11월 9일 규조류 Aulacoseira distans 200 녹조류 Dictyospharium pulchellum 31 기타조류 Peridinium sp. 27 규조류 Fragilaria crotonensis 347 녹조류 Dictyospharium pulchellum 801 기타조류 Peridinium sp. 1 규조류 Aulacoseira distans 254 녹조류 Pediastrum duplex var. gracillimum 200 기타조류 Peridinium bipes f. occulatum 147 규조류 Cyclotella sp. 133 녹조류 Dictyospharium pulchellum 80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 2402 기타조류 Trachelomonas volvocina 1 규조류 Cyclotella sp. 133 녹조류 Coelastrum astroideum 147 기타조류 Trachelomonas volvocina 1 규조류 Melosira varians 267 녹조류 Euastrum sp. 3 남조류 Phormidium sp. 547 기타조류 Dinobryon divergens 200 규조류 Aulacoseira distans 27 녹조류 Scenedesmus quadricauda 27 남조류 Microcystis wesenbergii 45768 규조류 Aulacoseira ambigua 120 녹조류 Scenedesmus dispar 160 남조류 Phormidium valderianum var. tenuis 2562 기타조류 Trachelomonas volvocina 120 규조류 Aulacoseira ambigua 173 기타조류 Trachelomonas volvocina 13 3.2.4 호소별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1) 동복호1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3월에 황색편모조류인 Kephyrion rubri-claustri, 6월에 남조류인 Lyngbya limnetica, 8월에 규조류인 Fragilaria crotonensis와 녹조류인 Didymocystis inermis var. danubialis 그리고 11월에 규조류인 Asterionella formosa와 녹조류인 Cosmarium bioculatum var. depressum 이었다. (2) 동복호2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3월에 규조류인 Fragilaria crotonensis, 6월에 남조류인 Lyngbya limnetica, 8월에 규조류인 Fragilaria crotonensis와 남조류인 Microcystis wesenbergii, 그리고 11월에 규조류인 Asterionella formosa와 녹조류인 Scenedesmus pannonicus 이었다. (3) 소포제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3월에 녹조류인 Tetrastrum komarekii와 남조류인 Anabaena aequalis, 6월에 녹조류인 Coelastrum microporum, 8월에 규조류인 Fragilaria crotonensis, 그리고 류인 Phormidium planctonica이었다. (4) 군곡제 11월에 녹조류인 Chlamydomonas angulosa와 남조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3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distans와 녹조류인 Monoraphidium contortum, 6월에 녹조류인 Coelastrum microporum, 남조류인 Aphanothece clathrata, 8월에 녹조류인 Dictyospharium pulchellum, 남조류인 Microcystis wesenbergii, 그리고 (5) 주암호1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11월에 남조류인 Phormidium sp.이었다. 3월에 규조류인 Asterionella formosa, 6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ambigua, 8월에 남조류인 Anabaena macrospora var. crassa, 그리고 11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distans와 녹조류인 Coelastrum microporum 이었다. - 33 - - 34 -

(6) 주암호2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3월에 규조류인 Asterionella formosa, 5월에 규조류인 Cyclotella sp., 8월에 녹조류인 Coenochloris mucosa와 남조류인 Anabaena macrospora var. crassa, 11월에 규조류 Aulacoseira distans이었다. (12) 수어호1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3월에 규조류인 Asterionella formosa와 녹조류인 Gomphosphaeria lacustris, 6월에 규조류인 Fragilaria crotonensis, 8월에 남조류 Aphanocapsa nidulans, 11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distans 이었다. (7) 주암호3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3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ambigua, 6월에는 규조류 인 Aulacoseira distans, 8월에는 녹조류인 Coenochloris mucosa와 남조류인 Merismopedia tenuissima, 그리고 11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distans이었다. (13) 수어호2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3월에 규조류인 Asterionella formosa와 녹조류인 Scenedesmus acuminatus, 6월에 규조류인 Fragilaria crotonensis, 8월에 남조류인 Microcystis aeruginosa, 그리고 인 Microcystis protea 이었다. 11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granulata와 남조류 (8) 보성강호1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3월에 규조류인 Synedra acus, 6월에는 규조류인 Aulacoseira ambigua, 8월에 규조류 Synedra acus와 녹조류 Scenedesmus bicaudatus, 그리고 (9) 보성강호2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11월에 녹조류인 Scenedesmus sp.이었다. 3월에 녹조류인 Gomphosphaeria lacustris, 6월에 규조 류인 Aulacoseira ambigua, 8월에 규조류인 Synedra acus와 녹조류인 Pandorina morum 그리고 이었다. (10) 상사호1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11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ambigua와 녹조류 Pediastrum tetras 3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ambigua, 6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granulata, 8월에 남조류인 Microcystis aeruginosa, 11월에 규조류인 Fragilaria crotonensis와 녹조류 Closterium biclavatum 이었다. (11) 상사호2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3월에 규조류인 Asterionella formosa, 6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granulata, 8월에 녹조류인 Eudorina elegans와 남조류인 Anabaena planctonica, 11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distans이었다. (14) 하동호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3월에 규조류인 Asterionella formosa와 남조류인 Phormidium lapideum, 6월에 규조류인 Cyclotella sp., 8월에 녹조류인 Scenedesmus acutiformis, 그리고 (15) 탐진호1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11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distans 이었다. 3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ambigua, 6월에 규조류인 Cyclotella sp., 9월에 규조류인 Cyclotella sp. 와 남조류 Chroococcus minimus, 그 리고 11월에 규조류인 Fragilaria crotonensis와 녹조류인 Dictyospharium pulchellum이었다. (16) 탐진호2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3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ambigua, 6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distans, 9월에 규조류인 Cyclotella sp. 와 녹조류인 Coelastrum aphericum, 그리고 duplex var. gracillimum이었다. (17) 탐진호3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11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distans와 녹조류인 Pediastrum 3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ambigua와 황색편모조류인 - 35 - - 36 -

Kephyrion rubri-claustri, 6월에 규조류인 Cyclotella sp., 9월에 규조류인 Cyclotella sp. 와 녹조류인 Scenedesmus grahneisii, 그리고 11월에 남조류인 Microcystis aeruginosa이었다. 6월에 규조류인 Nitzschia palea, 8월에 남조류인 Microcystis aeruginosa, 그리고 11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ambigua이었다. (18) 탐진호4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3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ssima, 6월에 규조류인 Cyclotella sp. 와 남조류인 Aphanothece clathrata, 9 월에 규조류인 Cyclotella sp. 와 녹조류인 Scenedesmus grahneisii, 그리고 11월에 규조류인 Cyclotella sp. 와 녹조류인 Coelastrum astroideum이었다. (19) 백운제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3월에 규조류인 Asterionella formosa, 6월에 와편모조 류인 Peridinium tabulatum, 8월에 녹조류인 Scenedesmus producto-capitatus, 그 리고 11월에 규조류인 Melosira varians와 남조류인 Phormidium sp.이었다. (20) 장수제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3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distans와 녹조류인 Pediastrum tetras, 6월에 녹조류인 Coelastrum microporum, 8월에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와 녹조류인 Scenedesmus grahneisii, 그리고 류인 Microcystis wesenbergii이었다. 11월에 남조 (21) 지정제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3월에 규조류인 Aulacoseira ambigua와 녹조류인 Gomphosphaeria lacustris, 6월에 녹조류인 Coelastrum astroideum와 남조류인 Aphanocapsa biformis, 8월에 규조류인 Fragilaria crotonensis와 녹조류인 Scenedesmus acuminatus, 그리고 tenuis이었다. 11월에 남조류인 Phormidium valderianum var. (22) 수동제 각 조사시기별 우점종은 3월에 녹조류인 Pediastrum simplex var. echinulatum, - 37 - - 38 -

3.3.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및 특성 조사 3.3.1 총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변화 3월 21일부터 4월 1일까지 전남지역 13개 호소 내 22개 조사지점의 총 동물플랑크 톤 개체수는 최소 16 개체/L( 주암호1) 에서 최대 670 개체/L( 백운제) 로 지점에 따라 큰 폭으로 변화하였다. 22개 조사지점의 평균 밀도는 158 개체/L 로 14개 지점에서 평균값 6월 6일부터 6월 24일에 걸쳐 수행된 2분기 조사의 총 동물플랑크톤 밀도는 수온의 상승과 먹이원의 증가 등으로 인해 1 분기 조사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22개 조 사지점 평균 개체수는 826 개체/L로 4 회의 조사기간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암호 3에서 5 개체/L로 가장 낮았고 지정제에서 4,586 개체/L ( 전분기 대비 약 70여배 증 가) 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호소별로 볼 때 소포제, 탐진호 그리고 지정제에서 밀 도가 크게 증가한 반면 동복호와 상사호 내의 각 2개 지점에서는 1분기 조사와 유사한 수준의 적은 동물플랑크톤이 확인되었다 ( 그림 3.9). 이하의 낮은 밀도를 나타났다. 호소 중 동복호, 수어호, 탐진호 등의 지점에서는 전체 평균밀도와 유사한 분포를 보였으나 주암호와 상사호는 평균이 각각 83 개체/L와 18 개체/L로 낮은 동물플랑크톤 밀도를 나타냈으며 동일한 호소 내에서도 지점에 따라 큰 폭의 변화를 보였다( 그림 3.8). Total zooplankton density (ind.l -1 ) 5000 4000 3000 2000 1000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SITE 그림 3.8 1 분기 조사지점별 총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변화 (1: 동복호1, 2: 동복호2, 3: 소포제, 4: 군곡제, 5: 주암호1, 6: 주암호2, 7: 주암호3, 8: 보성강호 1, 9: 보성강호 2, 10: 상사호1, 11: 상사호2, 12: 수어호1, 13: 수어호2, 14: 하동호, 15: 탐진호1, 16: 탐진호2, 17: 탐진호3, 18: 탐진호4, 19: 백운제, 20: 장수제, 21: 지정제, 22: 수동제). Total zooplankton density (ind.l -1 ) 5000 4000 3000 2000 1000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SITE 그림 3.9 2 분기 조사지점별 총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변화 (1: 동복호1, 2: 동복호2, 3: 소포제, 4: 군곡제, 5: 주암호1, 6: 주암호2, 7: 주암호3, 8: 보성강호 1, 9: 보성강호 2, 10: 상사호1, 11: 상사호2, 12: 수어호1, 13: 수어호2, 14: 하동호, 15: 탐진호1, 16: 탐진호2, 17: 탐진호3, 18: 탐진호4, 19: 백운제, 20: 장수제, 21: 지정제, 22: 수동제). 8월 17일부터 9월 9일에 수행된 3분기 조사에서 22개 조사지점 평균 381 개체/L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여 2 분기 조사에 비하여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주암호2에서 39 개체/L 의 최저 밀도를 보였으며, 상사호2 에서 1,406 개체/L로 가장 높은 밀도를 나타내 었다. 일반적으로 호소환경에서 관찰되는 봄, 여름철의 동물플랑크톤 밀도 증가에도 각 호소의 환경에 따라 시간적인 지연이 나타나 동복호, 주암호 그리고 상사호에서는 이른 - 39 - - 40 -

여름철인 2분기 조사에 비해 늦여름인 3분기 조사에서의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림 3.10). Total zooplankton density (ind.l -1 ) 5000 4000 3000 2000 1000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SITE 그림 3.10 3 분기 조사지점별 총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변화 (1: 동복호1, 2: 동복호2, 3: 소포제, 4: 군곡제, 5: 주암호1, 6: 주암호2, 7: 주암호3, 8: 보성강호 1, 9: 보성강호 2, 10: 상사호1, 11: 상사호2, 12: 수어호1, 13: 수어호2, 14: 하동호, 15: 탐진호1, 16: 탐진호2, 17: 탐진호3, 18: 탐진호4, 19: 백운제, 20: 장수제, 21: 지정제, 22: 수동제). 11월 5일부터 11월 11일 까지 수행된 4분기 조사에서는 22개 조사지점 평균 390 개 체/L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고 백운제에서 14 개체/L 로 가장 낮았으며 탐진호3 에 서 1,903 개체/L 로 가장 높았다. 평균적으로 볼 때 3분기 조사와 거의 유사한 수준의 밀도를 보였으나 지점에 따라 매우 상이한 군집 천이 양상을 보여 상사호와 수어호의 경우 3분기의 10% 미만으로 크게 감소한 반면 소포제, 군곡제 그리고 탐진호의 경우 뚜렷한 가을철의 밀도 증가를 보였다( 그림 3.11). Total zooplankton density (ind.l -1 ) 5000 4000 3000 2000 1000 그림 3.11 4 분기 조사지점별 총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변화 (1: 동복호1, 2: 동복호2, 3: 소포제, 4: 군곡제, 5: 주암호1, 6: 주암호2, 7: 주암호3, 8: 보성강호 1, 9: 보성강호 2, 10: 상사호1, 11: 상사호2, 12: 수어호1, 13: 수어호2, 14: 하동호, 15: 탐진호1, 16: 탐진호2, 17: 탐진호3, 18: 탐진호4, 19: 백운제, 20: 장수제, 21: 지정제, 22: 수동제). 조사지점 별 1 4분기 평균 동물플랑크톤 밀도 변화를 볼 때 소형 호소 중에서는 지정제(1,389 개체/L) 와 소포제(1,108 개체/L) 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호소 내 조 사지점이 2 4 개로 구성되는 대형호소의 경우 주암호(182 개체/L) 와 상사호(211 개체/L) 가 연중 낮은 동물플랑크톤 밀도를 보인 반면 탐진호의 경우 794 개체/L 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SITE 3.3.2 분기별 출현종수 및 우점종 현황 각 조사지점별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종수는 지점에 따라 큰 폭으로 변화하였다. 1분기 조사에서는 총 28분류군의 동물플랑크톤이 확인되었고 이중 윤충류가 24 분류군, 지각류와 요각류가 각각 1, 3분류군으로 매우 낮아 윤충류가 우점 군집으로 분석되었 다. 지점별로 볼 때 윤충류는 보성강호, 소포제 그리고 지정제에서 6 10분류군으로 상 - 41 - - 42 -

대적으로 높은 종다양성을 보였고 주암호와 상사호에서 2분류군 미만으로 낮게 나타났 다. 1분기 조사에서 출현한 지각류는 소형 여과섭식자이며 다른 지각류에 비해 연중 빈 번한 출현양상을 보이는 Bosmina 1종뿐이었고 요각류는 포식성향이 강한 2종과 유생 이 관찰되었다. 우점종은 22개 조사지점에서 평균 71 개체/L의 밀도로 출현한 윤충류 인 Keratella이었으며 백운제에서 625 개체/L의 최고밀도로 출현하였고 Polyarthra가 40 개체/L 의 밀도로 아우점하였다 ( 표 3.5). 표 3.5 조사지점별 주요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출현 종수 (1 분기) 조사지점 주요 군집별 출현 종 수 윤충류 지각류 요각류 동복호1 5 1 0 동복호2 5 1 1 소포제 7 1 2 군곡제 3 1 1 주암호1 1 0 1 주암호2 2 1 1 주암호3 2 0 1 보성강호1 10 0 1 보성강호2 8 0 1 상사호1 0 0 0 상사호2 2 0 0 수어호1 3 1 0 수어호2 3 1 0 하동호 2 0 0 탐진호1 1 0 1 탐진호2 3 0 1 탐진호3 3 0 1 탐진호4 3 0 1 백운제 3 0 0 장수제 5 0 2 지정제 6 0 1 수동제 4 1 1 누적종수 24 1 3 2분기 조사에서는 1분기 조사에 비해 종다양성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총 42분류군 의 동물플랑크톤이 확인되었다. 윤충류가 35분류군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 으며 계절성을 가지는 중형 지각류의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나 5 분류군으로 증가하였다. 소형 지각류인 Bosmina는 전체 22개 조사지점 중 11개 조사지점에서 폭넓게 나타난 반면, 나머지 4종은 출현이 제한적이었으며 보성강호 1에서는 부영양화된 수계에 서식하 는 Diaphanosoma가 35 개체/L 의 높은 밀도로 출현하기도 하였다. 전체 조사지점 평균 밀도로 볼 때 윤충류의 우점종은 Polyarthra(351 개체/L) 로 변화하였으며, Keratella (161 개체/L) 와 Conochiloides(124 개체/L) 또한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고, 요각류의 경 우 유생이 49 개체/L 의 밀도로 증가하였다. 지점별로 볼 때 주암호, 상사호 그리고 수 어호에서 평균 5분류군 미만으로 종다양성이 낮았던 반면 탐진호에서는 15분류군 내외 의 다양한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다 ( 표 3.6). - 43 - - 44 -

표 3.6 조사지점별 주요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출현 종수 (2 분기) 조사지점 주요 군집별 출현 종 수 윤충류 지각류 요각류 동복호1 8 1 1 동복호2 6 1 0 소포제 9 0 1 군곡제 9 1 2 주암호1 3 0 0 주암호2 4 0 1 주암호3 1 0 0 보성강호1 10 2 1 보성강호2 3 0 1 상사호1 1 0 0 상사호2 2 0 1 수어호1 3 0 1 수어호2 3 2 2 하동호 2 0 2 탐진호1 10 1 1 탐진호2 13 0 1 탐진호3 13 1 2 탐진호4 13 1 2 백운제 7 1 2 장수제 7 3 2 지정제 16 1 2 수동제 7 2 2 누적종수 35 5 2 표 3.7 조사지점별 주요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출현 종수 (3 분기) 조사지점 주요 군집별 출현 종 수 윤충류 지각류 요각류 동복호1 4 0 2 동복호2 5 0 2 소포제 5 0 2 군곡제 3 1 1 주암호1 4 2 2 주암호2 3 0 2 주암호3 5 1 2 보성강호1 5 0 1 보성강호2 6 1 2 상사호1 4 0 1 상사호2 5 1 2 수어호1 6 0 2 수어호2 6 1 1 하동호 2 0 2 탐진호1 10 1 2 탐진호2 5 1 2 탐진호3 8 1 2 탐진호4 6 3 1 백운제 5 0 2 장수제 5 0 1 지정제 4 0 2 수동제 6 1 1 누적종수 18 4 2 3분기 조사에서는 24분류군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여 2분기 조사에 비해 개체수 뿐만 아니라 종다양성 또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충류의 종다양성 감소가 두드러 져 2분기의 절반 수준인 18 분류군으로 분석되었고, 지각류와 요각류는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윤충류는 탐진호과 수어호 등에서 상대적으로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고 전 체 조사지점 평균 밀도로 볼 때 우점종은 2분기 조사와 마찬가지로 모든 수역에서 보 편적으로 높은 밀도로 출현하는 Polyarthra 가 우점종이었으나 밀도는 170 개체/L로 감소하였으며 Keratella 또한 65 개체/L 로 감소하였다. 이외에도 Hexarthra와 Trichocerca가 각각 평균 18 개체/L와 36 개체/L의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 다( 표 3.7). 4분기 조사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온과 같은 계절성으로 인해 2분기 및 3분기의 종다양성에 비해 감소하여 총 19 분류군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다. 윤충류가 12분류 군으로 우점 군집이었고 지각류의 경우 총 종이 상이하여 대부분의 조사지점에서 5분류군이 조사되었으나 지점에 따라 출현 1 종 미만이 출현하였다. 윤충류의 경우 지점별로 는 소포제에서 6분류군으로 가장 높았고 수어호2와 백운제의 경우 1종으로 매우 낮았 다. 22개 조사지점 평균 밀도로 볼 때 Polyarthra가 297 개체/L로 우점하였고 Keratella가 50 개체/L 로 아우점하여, 전반적으로 볼 때 3분기 조사에 비해 종다양성 은 감소하였으나 우점종의 밀도는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표 3.8). - 45 - - 46 -

표 3.8 조사지점별 주요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출현 종수 (4 분기) 3.3.3 주요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변화 주요 군집별 출현 종 수 조사지점 윤충류 지각류 요각류 동복호1 3 1 2 동복호2 4 0 2 소포제 6 1 1 군곡제 3 1 2 주암호1 2 1 1 주암호2 3 1 2 주암호3 4 1 1 보성강호1 5 0 1 보성강호2 3 0 0 상사호1 2 1 0 상사호2 5 0 1 수어호1 2 0 0 수어호2 1 1 0 하동호 2 0 1 탐진호1 3 1 2 탐진호2 5 0 1 탐진호3 4 0 2 탐진호4 4 1 1 백운제 1 1 1 장수제 2 1 2 지정제 4 0 2 수동제 3 1 1 누적종수 12 5 2 전체 동물플랑크톤 군집에서 주요 분류군이 차지하는 비율은 1분기 조사의 경우 91% 가 윤충류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지각류와 요각류는 각각 1% 및 8% 로 매우 낮은 상대풍부도를 보였다. 대부분의 조사지점에서 윤충류의 비중이 높았고 소포제와 수동제 에서는 요각류 유생의 비율이 다소 높으며 장수제에서는 요각류 성체의 비율이 20% 미만으로 증가하기도 하였다( 그림 3.12). Zooplankton density (ind.l -1 ) 1000 800 600 400 200 0 Rotifers Cladocerans Copepods Nauplii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SITE 그림 3.12 1 분기 조사지점별 총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개체수 변화 (1: 동복호1, 2: 동복 호2, 3: 소포제, 4: 군곡제, 5: 주암호1, 6: 주암호2, 7: 주암호3, 8: 보성강호 1, 9: 보성강 호2, 10: 상사호1, 11: 상사호2, 12: 수어호1, 13: 수어호2, 14: 하동호, 15: 탐진호1, 16: 탐진호2, 17: 탐진호3, 18: 탐진호4, 19: 백운제, 20: 장수제, 21: 지정제, 22: 수동제). 2분기 조사에서는 윤충류가 22개 조사지점 평균 상대풍부도가 92% 로 1분기와 유사 한 수준으로 높았고 지각류와 요각류가 각각 1% 및 7% 로 낮게 나타났다. 소포제, 군 곡제 및 지정제에서 지각류 및 요각류의 비중이 16%, 34% 그리고 5% 로 다소 높게 나 타나기도 하였다( 그림 3.13). - 47 - - 48 -

Zooplankton density (ind.l -1 ) 5000 4000 3000 2000 1000 Rotifers Cladocerans Copepods Nauplii Zooplankton density (ind.l -1 ) 2000 1500 1000 500 Rotifers Cladocerans Copepods Nauplii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SITE SITE 그림 3.13 2 분기 조사지점별 총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개체수 변화 (1: 동복호1, 2: 동복 호2, 3: 소포제, 4: 군곡제, 5: 주암호1, 6: 주암호2, 7: 주암호3, 8: 보성강호 1, 9: 보성강 호2, 10: 상사호1, 11: 상사호2, 12: 수어호1, 13: 수어호2, 14: 하동호, 15: 탐진호1, 16: 탐진호2, 17: 탐진호3, 18: 탐진호4, 19: 백운제, 20: 장수제, 21: 지정제, 22: 수동제). 그림 3.14 3 분기 조사지점별 총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개체수 변화 (1: 동복호1, 2: 동복 호2, 3: 소포제, 4: 군곡제, 5: 주암호1, 6: 주암호2, 7: 주암호3, 8: 보성강호 1, 9: 보성강 호2, 10: 상사호1, 11: 상사호2, 12: 수어호1, 13: 수어호2, 14: 하동호, 15: 탐진호1, 16: 탐진호2, 17: 탐진호3, 18: 탐진호4, 19: 백운제, 20: 장수제, 21: 지정제, 22: 수동제). 3분기 조사에서는 윤충류의 22개 지점 평균 상대풍부도가 87% 로 감소한 반면 지각 류와 요각류는 각각 2% 와 11% 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지점별 주요 분류군의 비중이 큰 폭으로 변화하여 동복호, 보성강에서는 윤충류의 상대풍부도가 매우 높게 나 타났고 상사호와 수어호의 경우 동일 호소 내 지점에 따라 윤충류의 상대풍부도가 상 4분기 조사에서는 윤충류의 상대풍부도가 93% 로 전체 조사시기 중 가장 높게 나타 났고 지각류와 요각류는 각각 2% 와 5% 로 나타나 3분기 조사에 비해 요각류가 전체 동물플랑크톤 군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다소 감소하였다. 지점별로 볼 때 동복호, 장 수제 그리고 수동제에서 지각류 및 요각류의 상대풍부도가 각각 31% 와 55% 로 높게 이하였다. 주암호의 경우 지점 간 밀도차이가 심하게 나타나긴 하였으나 3개 지점 내의 나타났고 보성강호, 상사호 그리고 수어호의 일부 지점에서는 윤충류만 출현하여 상대 지각류와 요각류의 평균 상대풍부도가 36% 로 조사지점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 그림 풍부도가 100% 에 이르는 지점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그림 3.15). 3.14). - 49 - - 50 -

Zooplankton density (ind.l -1 ) 2000 1500 1000 500 Rotifers Cladocerans Copepods Nauplii Shannon H' (Log 10 ) 1.0 0.8 0.6 0.4 0.2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SITE 0.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SITE 그림 3.15 4 분기 조사지점별 총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개체수 변화 (1: 동복호1, 2: 동복 호2, 3: 소포제, 4: 군곡제, 5: 주암호1, 6: 주암호2, 7: 주암호3, 8: 보성강호 1, 9: 보성강 호2, 10: 상사호1, 11: 상사호2, 12: 수어호1, 13: 수어호2, 14: 하동호, 15: 탐진호1, 16: 탐진호2, 17: 탐진호3, 18: 탐진호4, 19: 백운제, 20: 장수제, 21: 지정제, 22: 수동제). 3.3.4 지점별 동물플랑크톤 다양도 변화 1 4분기 조사시기의 평균 다양도 지수는 지점마다 큰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전체 평균 다양도 지수는 0.45로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었으며 상사호1 에서 0.19 로 가장 낮았고 장수제와 소포제에서 각각 0.67 및 0.62로 높아 다양한 종으로 구성되 는 동물플랑크톤이 상대적으로 적은 밀도차이를 가지고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반적으로 1개 조사지점을 가지는 소형 호소보다 2 4개의 지점을 가지는 중대형 호소 에서 다양도 지수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분기별로 볼 때 1분기 22개 지점 평균 다 양도지수는 0.39, 2분기 0.48, 3분기 0.55 그리고 4분기 0.39로 늦봄과 여름철의 다양도 그림 3.16 1 4 분기 조사지점별 동물플랑크톤 평균 다양도 지수의 변화 (1: 동복호1, 2: 동복호2, 3: 소포제, 4: 군곡제, 5: 주암호1, 6: 주암호2, 7: 주암호3, 8: 보성강호 1, 9: 보 성강호2, 10: 상사호1, 11: 상사호2, 12: 수어호1, 13: 수어호2, 14: 하동호, 15: 탐진호1, 16: 탐진호2, 17: 탐진호3, 18: 탐진호4, 19: 백운제, 20: 장수제, 21: 지정제, 22: 수동 제). 3.3.5 지점별 동물플랑크톤 우점도 변화 1 4분기 조사에서 나타난 호소별 우점도 지수는 평균 0.62였으며 장수제와 지정제 에서 각각 0.43과 0.48로 낮았으며 주암호와 탐진호에서 모두 0.71 로 가장 높았다. 분기 별로 볼 때 1 4분기가 각각 0.63, 0.63, 0.54 및 0.67로 3분기 조사에서 가장 낮았고 4 분기 조사에서 가장 높아 특정 종의 밀도가 높고 우점현상이 강한 시기인 것으로 파악 되었다( 그림3.17). 지수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3.16). - 51 - - 52 -

많기 때문에 윤충류의 밀도에 덜 의존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호소별 동물플랑크 Berger-Parker Dominance (d) 1.0 0.8 0.6 0.4 0.2 톤의 탄소 생체량은 소형 호소 중에는 소포제(233 μgc/l), 군곡제(115 μgc/l), 장수제 (105 μgc/l) 그리고 지정제(168 μgc/l) 에서 다소 높아 동물플랑크톤에 의한 2차생산 력이 높은 호소로 나타난 반면 하동호(32 μgc/l), 백운제(71 μgc/l) 및 지정제(70 μg C/L) 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중대형 호소의 경우 전반적으로 낮은 동물플랑크톤 탄소 생체량을 보였으나 ( 동복호 46 μgc/l, 주암호 55 μgc/l, 보성강호 45 μgc/l, 상 사호 48 μgc/l, 수어호 63 μgc/l) 탐진호의 경우 128 μgc/l 로 높게 나타났다. 22개 조사지점 평균 탄소 생체량을 분기별로 볼 때, 1분기 28 μgc/l, 2분기 135 μgc/l, 3분 기 94 μgc/l, 4분기 85 μgc/l로 나타나 총 동물플랑크톤 밀도와 유사한 경향성을 가 지고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3.18). 그림 3.17 1 4 분기 조사지점별 동물플랑크톤 평균 우점도 지수의 변화 (1: 동복호1, 2: 동복호2, 3: 소포제, 4: 군곡제, 5: 주암호1, 6: 주암호2, 7: 주암호3, 8: 보성강호 1, 9: 보 성강호2, 10: 상사호1, 11: 상사호2, 12: 수어호1, 13: 수어호2, 14: 하동호, 15: 탐진호1, 16: 탐진호2, 17: 탐진호3, 18: 탐진호4, 19: 백운제, 20: 장수제, 21: 지정제, 22: 수동 제). 0.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3.3.6 동물플랑크톤 탄소 생체량 변화 SITE 2009년에 전남지역 13개 호소를 대상으로 수행된 4회의 조사에서 출현한 동물플랑 크톤의 평균 탄소 생체량은 85 μgc/l 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점별로 볼 때 소포제에 서 1 4차 조사 평균 233 μgc/l으로 가장 높았고 상사호1 지점에서 6 μgc/l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탄소 생체량은 각 종의 동물플랑크톤이 가지는 종특이적 탄소량으로부 터 유도된 값으로 박테리아, 식물플랑크톤 그리고 유기물 입자 등 섭식이 가능한 탄소 원을 동물플랑크톤이 섭취한 후 상위의 영양단계에 전달하는 기여도를 간접적으로 유 추하고 경우에 따라 수체의 부영양화에 따른 생산력을 예상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Zooplankton carbon biomass (µgcl -1 ) 600 500 400 300 200 100 0 1st 2nd 3rd 4th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SITE 그림 3.18 조사지점별 총 동물플랑크톤 탄소 생체량 변화 (1: 동복호1, 2: 동복호2, 3: 소포제, 4: 군곡제, 5: 주암호1, 6: 주암호2, 7: 주암호3, 8: 보성강호 1, 9: 보성강호 2, 10: 상사호1, 11: 상사호2, 12: 수어호1, 13: 수어호2, 14: 하동호, 15: 탐진호1, 16: 탐진호2, 17: 탐진호3, 18: 탐진호4, 19: 백운제, 20: 장수제, 21: 지정제, 22: 수동제). 소형의 윤충류보다 중대형의 지각류나 요각류의 종특이적 탄소 생체량이 상대적으로 - 53 - - 54 -

3.3.7 조사시기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종 목록 2009년 1~4분기 전남지역 12 개 호소(22 개 지점) 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목록과 밀도(ind./L) 는 표 3.9 3.12 와 같다. 표 3.9 1분기 조사지점별 동물플랑크톤 목록 출현분류군 윤충류 조사지점 Asplanchna priodonta 3 1 2 3 4 5 6 7 8 9 10 11 Asplanchna sp. 3 3 7 7 Brachionus angularis 57 2 Brachionus budapestinensis Brachionus calyciflorus Brachionus guadridentatus Brachionus rubens 14 Colurella sp. 7 Conochiloides dossuarius 13 11 10 28 38 4 15 Conochilus unicornis Epiphanes senta Filinia terminalis 3 3 79 7 2 Hexarthra mira 3 Keratella cochlearis 48 17 22 147 4 Keratella quadrata 3 Keratella valga 19 7 Notholca labis 3 Polyarthra sp. 120 112 44 73 61 118 34 7 20 Rhinoglena frontalis 3 2 Trichocerca collaris 10 Trichocerca cristata 14 Trichocerca elongata Trichocerca longiseta 3 Trichocerca sp. 지각류 Bosmina longirostris 3 3 3 3 5 요각류 Mesocyclops leuckarti 13 Thermocyclops hyalinus 5 Nauplii 3 54 3 5 5 3 2 합계 182 142 307 85 16 82 151 284 37 0 36 표 3.9 1분기 조사지점별 동물플랑크톤 목록 계속 출현분류군 윤충류 조사지점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Asplanchna priodonta 13 Asplanchna sp. Brachionus angularis 5 5 5 Brachionus budapestinensis 15 Brachionus calyciflorus 6 Brachionus guadridentatus 5 Brachionus rubens 42 18 Colurella sp. Conochiloides dossuarius 14 9 10 6 21 Conochilus unicornis 5 Epiphanes senta 3 Filinia terminalis Hexarthra mira 100 30 Keratella cochlearis 30 37 209 211 127 625 48 9 22 Keratella quadrata Keratella valga Notholca labis 14 Polyarthra sp. 33 3 30 164 64 Rhinoglena frontalis Trichocerca collaris Trichocerca cristata Trichocerca elongata 5 Trichocerca longiseta 3 Trichocerca sp. 10 지각류 Bosmina longirostris 10 10 3 요각류 Mesocyclops leuckarti 58 Thermocyclops hyalinus Nauplii 3 3 3 3 21 9 86 합계 157 55 35 40 223 228 140 670 359 64 194-55 - - 56 -

표 3.10 2분기 조사지점별 동물플랑크톤 목록 출현분류군 윤충류 조사지점 Anuraeopsis fissa 28 1 2 3 4 5 6 7 8 9 10 11 Asplanchna priodonta 7 6 10 28 21 Brachionus angularis 3 166 10 Brachionus calyciflorus Brachionus diversicornis Brachionus forficula 3 Brachionus rubens 3 Colurella bicuspidata Colurella obtusa Conochiloides dossuarius 42 3 Conochiloides natans Conochilus unicornis Filinia terminalis 75 86 95 3 4 Hexarthra mira Keratella cochlearis 7 7 551 312 10 40 160 Keratella valga 21 Lecane aculeata 3 Lecane luna 6 Lepadella acumnata 3 Lepadella quadricarinata Monostyla arcuata Monostyla lunaris Monostyla stenroosi Ploesoma truncatum 7 7 5 Polyarthra sp. 7 15 1,045 31 494 5 472 214 10 5 Pompholyx complanata 46 9 Trichocerca birostris 18 3 Trichocerca bricristata Trichocerca capucina 7 Trichocerca cristata 11 5 Trichocerca elongata 20 Trichocerca longiseta 14 7 18 Trichocerca pusilla 15 3 Trichocerca tenuior 3 Trichotria tetractis 지각류 Bosmina longirostris 3 7 33 21 Camptocercus rectirostris Ceriodaphnia sp. Chydorus sphaericus Diaphanosoma brachyurum 35 요각류 Thermocyclops hyalinus 3 54 Nauplii 388 123 5 17 4 10 합계 143 139 2,380 618 45 554 5 764 244 10 20 표 3.10 2분기 조사지점별 동물플랑크톤 목록 계속 출현분류군 윤충류 조사지점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Anuraeopsis fissa 4 3 9 5 14 Asplanchna priodonta 41 20 6 5 5 Brachionus angularis 15 74 69 60 18 83 Brachionus calyciflorus 10 Brachionus diversicornis 18 Brachionus forficula 4 3 3 14 Brachionus rubens 80 Colurella bicuspidata 14 Colurella obtusa 4 11 Conochiloides dossuarius 744 268 813 811 46 Conochiloides natans 7 Conochilus unicornis 71 48 16 51 Filinia terminalis 14 Hexarthra mira 131 63 151 115 20 30 Keratella cochlearis 40 10 19 15 20 9 20 2,332 Keratella valga Lecane aculeata Lecane luna 13 Lepadella acumnata 14 39 Lepadella quadricarinata 5 Monostyla arcuata 3 Monostyla lunaris 14 Monostyla stenroosi 5 14 Ploesoma truncatum 7 13 15 9 Polyarthra sp. 50 375 80 408 789 582 582 521 95 1,618 326 Pompholyx complanata 4 10 15 5 4 Trichocerca birostris 55 59 Trichocerca bricristata 5 Trichocerca capucina Trichocerca cristata 46 4 Trichocerca elongata 41 Trichocerca longiseta 34 30 13 3 82 Trichocerca pusilla 7 3 14 Trichocerca tenuior Trichotria tetractis 5 지각류 Bosmina longirostris 5 11 13 12 9 5 5 Camptocercus rectirostris 35 Ceriodaphnia sp. 5 4 Chydorus sphaericus 5 9 Diaphanosoma brachyurum 요각류 Thermocyclops hyalinus 19 10 10 12 38 10 18 9 Nauplii 15 48 15 37 19 59 27 38 35 215 22 합계 110 480 115 1,485 1,381 1,800 1,734 639 374 4,586 543-57 - - 58 -

표 3.11 3분기 조사지점별 동물플랑크톤 목록 출현분류군 윤충류 조사지점 1 2 3 4 5 6 7 8 9 10 11 Asplanchna sp. 39 5 36 7 Brachionus angularis 15 15 Brachionus diversicornis 248 Brachionus forficula Colurella bicuspidata 5 10 13 Conochiloides dossuarius Conochilus unicornis Filinia longiseta 5 7 Hexarthra mira 5 20 Keratella cochlearis 376 39 131 5 17 66 223 Keratella valga 23 12 5 122 Lecane sp. 6 Lepadella sp. Monostyla sp. 8 Polyarthra sp. 219 54 144 51 266 5 60 196 159 46 830 Pompholyx complanata 17 Trichocerca sp. 61 51 139 25 10 20 46 10 10 96 Trichotria tetractis 지각류 Bosmina longirostris 8 13 10 Camptocercus rectirostris 9 Ceriodaphnia sp. Diaphanosoma brachyurum 51 7 요각류 Thermocyclops hyalinus 12 6 39 47 15 10 10 7 52 Nauplii 12 12 24 29 55 5 20 13 5 61 합계 702 185 521 236 605 39 135 299 245 137 1,406 표 3.11 3분기 조사지점별 동물플랑크톤 목록 계속 출현분류군 윤충류 조사지점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Asplanchna sp. 6 Brachionus angularis 8 3 5 Brachionus diversicornis Brachionus forficula 3 Colurella bicuspidata Conochiloides dossuarius 5 7 34 15 Conochilus unicornis 3 Filinia longiseta Hexarthra mira 242 15 5 3 55 8 10 16 10 Keratella cochlearis 284 5 20 23 3 15 4 45 16 139 25 Keratella valga 5 5 20 4 121 4 5 Lecane sp. Lepadella sp. 10 Monostyla sp. Polyarthra sp. 305 70 77 109 52 203 117 95 363 139 188 Pompholyx complanata 16 3 3 15 Trichocerca sp. 58 15 18 21 15 19 20 148 10 Trichotria tetractis 8 지각류 Bosmina longirostris 5 18 19 15 Camptocercus rectirostris Ceriodaphnia sp. 3 11 Diaphanosoma brachyurum 5 8 요각류 Thermocyclops hyalinus 16 15 5 21 6 5 4 Nauplii 126 5 5 40 56 31 42 10 26 61 30 합계 1,051 129 117 245 168 390 246 189 690 357 297-59 - - 60 -

표 3.12 4분기 조사지점별 동물플랑크톤 목록 출현분류군 윤충류 조사지점 1 2 3 4 5 6 7 8 9 10 11 Asplanchna sp. 11 32 7 Brachionus angularis 17 Brachionus calyciflorus 37 Colurella obtusa Euchlanis dilatata 20 5 Keratella cochlearis 167 63 178 25 5 15 7 4 5 5 Keratella valga 9 Ploesoma truncatum 4 Polyarthra sp. 36 18 921 633 171 65 189 48 56 34 10 Pompholyx complanata 5 Trichocerca sp. 14 4 9 5 5 3 Trichotria tetractis 20 3 5 지각류 Bosmina longirostris 18 17 50 5 5 Camptocercus rectirostris Ceriodaphnia rigaudi Diaphanosoma brachyurum 5 Daphnia galeata 5 요각류 Thermocyclops hyalinus 18 4 19 5 5 31 5 Nauplii 99 25 11 19 5 3 합계 351 123 1222 755 186 90 281 71 63 44 36 표 3.12 4분기 조사지점별 동물플랑크톤 목록 계속 출현분류군 윤충류 조사지점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Asplanchna sp. 4 7 4 Brachionus angularis Brachionus calyciflorus 4 Colurella obtusa 14 Euchlanis dilatata 4 Keratella cochlearis 5 38 103 51 35 20 362 4 Keratella valga Ploesoma truncatum Polyarthra sp. 9 10 5 611 1,304 1,777 516 5 5 95 11 Pompholyx complanata 4 Trichocerca sp. 14 7 24 4 70 Trichotria tetractis 지각류 Bosmina longirostris 10 7 Camptocercus rectirostris 5 34 4 Ceriodaphnia rigaudi 5 Diaphanosoma brachyurum Daphnia galeata 요각류 Thermocyclops hyalinus 10 17 3 5 7 18 Nauplii 31 7 41 7 5 10 11 합계 23 15 20 722 1,429 1,903 572 14 73 548 40-61 - - 62 -

3.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포 및 특성 조사 3.4.1 전체 호소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조사 기간 동안 전 지점에서 채집되어 동정 분류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7강 17목 37과 52속 64 종이었다( 표 3.13, 3.14). 이중 절지동물문에 속하는 수서 곤충류가 8목 23과 38속 49종으로 전체 분류군의 76.6% 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 다. 이외에 연체동물문이 2강 3목 7과 7속 8 종(12.5%), 환형동물문이 2강 3목 4과 4 속 4 종(6.3%),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이 2목 2과 2속 2 종(3.1%), 편형동물문 1종 (1.6%) 이 출현했다. 수서곤충류 중에서는 하루살이목이 7과 15속 22 종(34.4%) 으로 가장 다양한 종이 출현했고, 다음으로 날도래목 6과 9속 11 종(17.2%), 파리목 3과 4 속 6 종(9.4%), 딱정벌레목 2과 5속 5 종(7.8%), 강도래목 2과 2속 2 종(3.1%), 잠자리 목, 노린재목과 뱀잠자리목이 각각 1 종씩(1.6%) 이었다( 그림 3.19). 그림 3.19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총 종수 비율 표 3.13 전라남도 호소환경 조사에서 채집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목록 Phylum Platyhelminthes 편형동물문 Class Turbellaria 와충강 Order Tricladida 삼기장목 Family Planariidae 플라나리아과 Dugesia japonica Ichikawz and Kawakatsu 플라나리아 Phylum Mollusca 연체동물문 Class Gastropoda 복족강 Order Mesogastropoda 중복족목 Family Ampullaridae Pomacea canaliculata Lamarck 왕우렁이 Family Stenothyridae 둥근입기수우렁이과 Stenothyra glabra (A Adams) 둥근입기수우렁이 Family Pleuroceridae 다슬기과 Semisulcospira libertina (Gould) 다슬기 S. tegulata (Martens) 좀주름다슬기 Order Basommatophora 기안목 Family Lymnaeidae 물달팽이과 Lymnaea auricularia (Linnaeus) 물달팽이 Family Physidae 왼돌이물달팽이과 Physa acuta Draparnaud 왼돌이물달팽이 Family Planorbidae 또아리물달팽이과 Gyraulus chinensis (Dunker) 또아리물달팽이 Class Pelecypoda 부족강 Order Veneroida 백합목 Family Corbiculidae 재첩과 Corbicula fluminea (Müller) 재첩 Phylum Annelida 환형동물문 Class Oligochaeta 빈모강 Order Archioligochaeta 원시빈모목 Family Naididae 물지렁이과 Chaetogaster limnaei Baer 물지렁이 Family Tubificidae 실지렁이과 Limnodrilus gotoi Hatai 실지렁이 Class Hirudinea 거머리강 Order Rhynchobdellida 부리거머리목 - 63 - - 64 -

Family Glossiphoniidae 넙적거머리과 Glossiphonia complanata (Linnaeus) 갈색넙적거머리 Order Arhynchobdellidae 턱거머리목 Family Hirudinidae 거머리과 Hirudo nipponica Whitman 참거머리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Class Crustacea 갑각강 Order Isopoda 등각목 Family Asellidae 물벌레과 Asellus hilgendorfii Bovalius 물벌레 Order Decapoda 십각목 Family Palaemonidae 징거미새우과 Macrobrachium nipponense (De Haan) 징거미새우 Class Insecta 곤충강 Order Ephemeroptera 하루살이목 Family Baetidae 꼬마하루살이과 Acentrella gnom Kluge 깨알하루살이 A. sibirica Kazlauskas 콩알하루살이 Baetiella tuberculata (Kazlauskas) 애호랑하루살이 Baetis fuscatus Linnaeus 개똥하루살이 B. ursinus Kazlauskas 방울하루살이 Nigrobaetis bacillus (Kluge) 깜장하루살이 Family Heptageniidae 납작하루살이과 Ecdyonurus bajkovae Kluge 몽땅하루살이 E. kibunensis Imanishi 두점하루살이 E. levis (Navas) 네점하루살이 Epeorus curvatulus Matsumura 흰부채하루살이 E. pellucidus (Brodsky) 부채하루살이 Family Leptophlebiidae 갈래하루살이과 Choroterpes (Euthraulus) altioculus Kluge 세갈래하루살이 Paraleptophlebia chocolata Imanishi 두갈래하루살이 Family Potamanthidae 강하루살이과 Potamanthus (Potamanthodes) formosus Eaton 작은강하루살이 Rhoenanthus (Potamanthindus) coreanus (Yoon & Bae) 강하루살이 Family Ephemeridae 하루살이과 Ephemera orientalis McLachlan 동양하루살이 E. strigata Eaton 무늬하루살이 Family Ephemerellidae 알락하루살이과 Cincticostella levanidovae (Tshernova) 민하루살이 C. tshernovae (Bajkova) 먹하루살이 Drunella cryptomeria (Imanishi) 알통하루살이 Uracanthella rufa (Imanishi) 등줄하루살이 Family Caenidae 등딱지하루살이과 Caenis KUa 등딱지하루살이 KUa Order Odonata 잠자리목 Family Gomphidae 부채장수잠자리과 Nihonogomphus KUa 고려측범잠자리 KUa Order Plecoptera 강도래목 Family Perlodidae 그물강도래과 Perlodes KUa 점등그물강도래 KUa Family Perlidae 강도래과 Kiotina decorata (Zwick) 무늬강도래 Order Hemiptera 노린재목 Family Nepidae 장구애비과 Ranatra chinensis Mayr 게아재비 Order Megaloptera 뱀잠자리목 Family Corydalidae 뱀잠자리과 Parachauliodes continentalis Weele 대륙뱀잠자리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Elmidae 여울벌레과 Elmis sp. Stenelmis sp. Family Psephenidae 물삿갓벌레과 Eubrianax KUa 둥근물삿갓벌레 KUa Mataeopsephus KUa 넓은물삿갓벌레 KUa Psephenoides KUa 물삿갓벌레 KUa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Tipulidae 각다귀과 Antocha KUa 명주각다귀 KUa Tipula KUa 각다귀 KUa Family Simuliidae 먹파리과 Simulium sp. - 65 - - 66 -

Family Chironomidae 깔따구과 Chironomus 1sp.( 흰색) C. 2sp.( 갈색) C. 3sp.( 붉은색) Order Trichoptera 날도래목 Family Stenopsychidae 각날도래과 Stenopsyche marmorata Navas 수염치레각날도래 Family Hydropsychidae 줄날도래과 Cheumatopsyche brevilineata Iwata 꼬마줄날도래 Hydropsyche kozhantschikovi Martynov 줄날도래 H. orientalis Martynov 동양줄날도래 H. valvta Martynov 흰점줄날도래 Macronema radiatum McLachlan 큰줄날도래 Family Rhyacophilidae 물날도래과 Rhyacophila nigrocephala Iwata 검은머리물날도래 Family Glossosomatidae 광택날도래과 Glossosoma KUa 광택날도래 KUa Family Limnephilidae 우묵날도래과 Goera japonica Banks 가시날도래 Limnephilus KUa 모시우묵날도래 KUa Family Odontoceridae 바수염날도래과 Psilotreta kisoensis Iwata 바수염날도래 제가 각각 5 종, 수동제 6종 등이다 이들은 거의 평지형 저수지들로 유입되는 수원 의 발달이 미약한 호소들이었다( 표 3.14). 표 3.1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지점별 분류군 수 호소명 문 강 목 과 속 종 동복호 4 6 10 18 19 21 소포제 2 2 3 3 3 3 군곡제 2 3 3 4 4 5 주암호 3 3 7 15 20 24 보성강호 3 3 8 8 9 10 상사호 3 4 8 15 19 24 수어호 2 2 6 12 18 24 하동호 2 2 6 12 18 25 탐진호 4 4 8 15 22 30 백운제 3 3 8 17 21 23 장수제 3 4 6 7 7 9 지정제 2 3 4 4 4 5 수동제 3 4 5 6 6 6 총 계 4 7 17 37 52 64 3.4.3 전체 호소의 개체수 현존량 3.4.2 호소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각 호소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호소별로 살펴보면 탐진호가 4문 4 강 8목 15과 22속 30 종으로 가장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다. 그 외에 하동호 25 종, 주 조사 기간 동안 전 지점에서 채집된 총 개체수 현존량은 5,504 개체였다. 이중 하 루살이목이 1,715개체로 전체의 31.2% 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다음 으로 파리목 30.1%, 날도래목 25.9%, 연체동물문 9.2%, 환형동물문 1.2% 순 이었다 ( 표 3.15, 그림 3.20). 암호, 상사호와 수어호가 각각 24 종, 백운제가 23 종, 동복호가 21 종이 출현하였다. 이들 호소는 대부분 계곡형으로 하천에 축조된 호소들로 비교적 양호한 수질과 저 서생물의 서식이 용이한 하상구조를 갖고 이었다. 특히 탐진호의 경우는 채집지가 호소로 유입되는 하천에서 조사를 실시한 것이 많은 종이 출현한 이유로 판단된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정수역 보다는 유수역에서 서식하는 종이 수적으로 우 세한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적은 종이 출현한 호소로는 소포제 3 종, 군곡제와 지정 - 67 - - 68 -

상사호에서는 총 702개체가 출현하여 날도래목이 67.3% 로 과반수이상의 높은 비 율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파리목 18.2%, 하루살이목 11.9% 순이었다. 수어호에서는 총 523 개체가 출현하였고, 분류군별로는 하루살이목이 42.8% 로 가 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날도래목 34.6%, 파리목 21.4% 순이었다. 탐진호에서는 총 700개체가 출현하여 하루살이목이 68.1% 로 과반수이상의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날도래목 18.3%, 파리목 7.0% 순이었다. 백운제에서는 총 299개체가 출현하여 연체동물문이 64.2% 로 과반수이상의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하루살이목 13.4%, 파리목 10.0%, 날도래목 9.4% 순이었다. 장수제에서는 총 666개체가 출현하여 파리목이 71.9% 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였으 그림 3.20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총 개체수 비율 3.4.4 호소별 개체수 현존량 각 호소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개체수 현존량을 호소별로 살펴보 면 하동호가 1,117 개체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출현하였고, 분류군별로는 하루살이목 며, 다음으로 연체동물문 22.2%, 환형동물문 5.9% 순이었다. 었다. 지정제에서는 총 76개체가 출현하여 파리목이 96.1% 로 압도적인 비율을 나타내 수동제에서는 총 27개체가 출현하여 파리목이 48.2% 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 었으며, 다음으로 환형동물문 29.6%, 연체동물문 14.8%, 갑각강 7.4% 순이었다( 표 3.15). 이 46.7% 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날도래목 43.1%, 파리목 8.7% 순이었다. 동복호는 총 653 개체가 출현하였고, 분류군별로는 파리목이 61.8% 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하루살이목 18.1%, 연체동물문 9.8%, 갑각강 4.6% 순이었다. 소포제에서는 총 9 개체로 가장 적은 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연체동물문과 갑각강 이 각각 11.1% 와 88.9% 를 차지하였다 군곡제에서는 총 113 개체가 출현하였고, 파리목이 96.4% 로 대다수를 차지하였으 며, 다음으로 연체동물문 2.7%, 갑각강 0.9% 순이었다. 주암호는 총 513개체가 출현하여 하루살이목이 47.5% 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 내었으며, 다음으로 날도래목 24.3%, 파리목 24.2% 순이었다. 보성강호에서는 총 106개체가 출현하여 연체동물문이 52.8% 로 과반수이상의 높 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파리목 35.8%, 하루살이목 4.7% 순이었다. - 69 - - 70 -

표 3.15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호소별 개체수 현존량 표 3.16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종다양도 지수, 우점종, 우점도지수, 종풍부도지수, 호소명 연체동물 (%) 동복호 64 (9.8) 소포제 1 (11.1) 군곡제 3 (2.7) 주암호 4 (0.8) 보성강 호 56 (52.8) 상사호 13 (1.9) 수어호 1 (0.2) 하동호 탐진호 18 (2.6) 백운제 192 (64.2) 장수제 148 (22.2) 지정제 1 (1.3) 수동제 4 (14.8) 총 계 505 (9.2) 환형동물 (%) 6 (0.9) 2 (1.9) 2 (0.3) 8 (1.1) 1 (0.3) 39 (5.9) 8 (29.6) 66 (1.2) 갑각강 (%) 30 (4.6) 8 (88.9) 1 (0.9) 1 (1.3) 2 (7.4) 42 (0.7) 하루살이 (%) 118 (18.1) 244 (47.5) 5 (4.7) 84 (11.9) 224 (42.8) 522 (46.7) 477 (68.1) 40 (13.4) 1 (1.3) 1,715 (31.2) 잠자리 (%) 2 (0.4) 1 (0.1) 2 (0.7) 5 (0.1) 분류군 딱정벌레 (%) 17 (2.6) 5 (1.0) 2 (1.9) 2 (0.3) 3 (0.6) 3 (0.3) 15 (2.2) 1 (0.3) 48 (0.9) 파리 날도래 (%) (%) 404 (61.8) 109 (96.4) 124 (24.2) 38 (35.8) 128 (18.2) 112 (21.4) 97 (8.7) 49 (7.0) 30 (10.0) 479 (71.9) 73 (96.1) 13 (48.2) 1,656 (30.1) 7 (1.1) 125 (24.3) 2 (1.9) 473 (67.4) 181 (34.6) 482 (43.1) 128 (18.3) 28 (9.4) 1,426 (25.9) 기타 (%) 총계 7 (1.1) 9 (1.8) 1 (0.9) 2 (0.4) 12 (1.1) 5 (0.7) 5 (1.7) 41 (0.7) 653 9 113 513 106 702 523 1,117 700 299 666 76 27 5,504 균등도지수 및 생태점수 호소명 동복호 소포제 군곡제 주암호 제1 우점종 제2 우점종 Chironomus 1sp. Ecdyonurus levis Macrobrachium nipponense Asellus hilgendorfii Chironomus 1sp. Chironomus 2sp. Uracanthella rufa Chironomus 1sp. 보성강 Semisulcospira libertina 호 Chironomus 1sp. 상사호 수어호 하동호 탐진호 백운제 장수제 지정제 수동제 Cheumatopsyche brevilineata Chironomus 1sp. Uracanthella rufa Cheumatopsyche brevilineata Cheumatopsyche brevilineata Uracanthella rufa Uracanthella rufa Cheumatopsyche brevilineata Semisulcospira libertina Chironomus 1sp. Chironomus 1sp. Physa acuta Chironomus 1sp. Chironomus 2sp. Chironomus 1sp. Chaetogaster limnaei 우점도 종풍부도 지수(DI) 지수(RI) 다양도 지수(H') 균등도 지수(J') 생태점수 (ESB) 0.57 3.09 2.86 0.65 54 0.89 0.91 1.22 0.77 6 0.95 0.85 0.59 0.26 8 0.56 3.69 2.94 0.64 76 0.85 1.93 1.82 0.55 26 0.71 3.51 2.46 0.54 69 0.39 3.67 3.51 0.77 78 0.53 3.42 3.07 0.66 80 0.53 4.43 3.20 0.65 97 0.72 3.86 2.33 0.52 70 0.91 1.23 1.32 0.42 12 0.96 0.92 1.17 0.50 9 0.70 1.52 2.07 0.80 11 3.4.5 우점종 및 우점도 3.4.6 다양성 지수 조사 기간 동안 조사된 각 지점들의 우점종과 우점도는 표 3.16 과 같다. 우점종 은 수어호와 하동호와 같이 유수역에서 채집을 실시한 곳은 수서곤충류가 우점종으 로 나타났고, 그 외의 평지형 저수지에서는 연체동물문, 환형동물문, 갑각강과 파리 목의 깔다구류가 주로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우점도는 수어호가 0.39로 낮게 나타난 반면 영암호는 1.00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 고, 소포제, 군곡제, 보성강호, 장수제와 지정제가 0.85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외의 호소는 0.53 0.72 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표 3.16). Shannon-Wiener function (H')에 의해 평가된 종 다양도 지수는 우점도와는 반 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우점도가 높은 곳에서는 낮은 다양성을 나타내 고, 우점율이 낮은 곳에서는 높은 다양성을 보인다. 지점별 다양성 지수는 표 3.16 과 같다. 금번 조사에서는 3.51 을 나타낸 수어호가 높은 다양성을 보여주었다. 이외에 탐 진호와 하동호도 3.20과 3.07로 비교적 높은 다양성을 나타낸 반면 군곡제는 0.59로 - 71 - - 72 -

가장 낮은 다양성을 나타냈다. 그 외의 호소는 1.17 2.94 범위의 다양성을 나타내 었다. 3.5. 수생식물의 분포 및 특성 조사 3.4.7 종풍부도지수(RI) 종풍부도 지수는 다양성지수와 비슷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데, 군곡제가 0.85로 가장 낮은 종풍부도를 나타내었으며, 지정제와 소포제도 각각 0.92과 0.91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탐진호가 4.43 으로 가장 높은 종풍부도를 나타내었으며, 1.23 1.93 의 범위를 나타낸 보성강호, 장수제와 수동제를 제외한 나머지에서는 3.09 3.86 의 비교적 높은 범위를 나타내었다( 표 3.16). 3.4.8 균등도지수(J') 균등도는 수동제가 0.80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소포제와 수어호가 0.77로 뒤 를 이었다. 반면 군곡는 0.26 으로 낮은 균등성을 보여 주었다. 그 외의 호소는 0.43 0.66 범위의 균등도 지수를 나타내었다( 표 3.16). 3.4.9 수환경 평가 저서생물을 이용한 환경질 평가와 오수생물계열 평가는 적용대상이 주로 유수역 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평가이므로 정수역인 저수지의 평가로는 약간 부적절한 면이 있다. 왜냐하면 실제 조사에서는 호소조사의 경우가 유수역에 비해서 훨씬 적은 종 수가 채집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호소조사에서는 실제보다 환경의 질과 오수생물계 열 평가가 낮게 평가될 것이다. 본 조사지역을 대상으로 생태지수에 의한 환경질 평가는 탐진호가 생태점수 97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소포제가 6 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오수계열 평가로는 생태점수 8 이하인 소포제와 군곡제가 강부수성 수역을, 생태 점수 9 12 를 나타낸 장수제, 지정제와 수동제가 α- 중부수성 수역을, 생태점수 26을 나타낸 보성강호가 β- 중부수성지역을 나타내었다. 그 외의 호소는 생태점수 51이상 으로 빈부수성 수역을 나타내었다( 표 3.14, 3.16). 3.5.1 조사지점내 수생식물상 본 조사지역인 전라남도 일대 13개 호소는 주로 농업용수확보를 위해 축조된 저 수지로써 규모가 중소형의 인공호소로 축조되어 있으며, 조사지점에서 분포하는 수 생식물을 1 차(5 월) 와 2 차(7 월) 에 걸쳐 조사한 결과 총20과 23속 27종이 분포하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 표 3.17). 정수식물은 17 종으로 고마리, 개구리자리, 개구리미나리, 논냉이, 자귀풀, 선피막 이, 큰잎피막이, 미나리, 문모초, 노랑꽃창포, 갈대, 달뿌리풀, 나도겨풀, 줄, 애기부 들, 한련초, 쉽사리가 조사되었고, 침수식물은 5 종으로 붕어마름, 물수세미, 대가래, 말즘, 검정말이 확인되었으며, 부엽식물은 마름, 어리연꽃, 연꽃으로 3 종, 부유식물 은 좀개구리밥, 개구리밥으로 2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생식물 27 종 중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큰잎피막이( 특정Ⅲ), 어리연꽃( 특 정Ⅱ), 문모초( 특정Ⅰ) 가 확인되었는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이외에 희귀식물이나 멸종위기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조사지역 별로 출현종수를 확인한 결과 가장 많은 수생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된 지역은 보성강호(F9) 로서 16 종류가 확인되었고, 군곡제(F5) 는 13 종류, 장수 제(F2) 는 8 종류, 수동제(F3), 지정제(F4), 소포제(F6) 는 7종류가 조사되었으며 백운 제(F1), 주암호(F8), 동복호(F11) 는 6 종류, 상사호(F7) 는 4 종류, 수어호(F10), 하동호 (F12) 와 탐진호(F13) 는 3 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5월에 실시한 1차 조사 시 수생식물이 개화하기 이전인 다소 이른 조사시기였고 또한 오랜 갈수기가 지속되어 하상이 보일 정도로 낮은 수위를 보이는 등 생육여건 이 좋지 않아 적은 종수만 확인되었다. 7월에 실시한 2차 조사 시에는 여러 차례의 폭우로 인해 큰물이 휩쓸고 지나간 흔적을 보였으며 일부 조사지역은 만수위정도의 높은 수위를 보이고 있었고 떠내려 온 부산물로 뒤덮인 곳도 있었다. 이러한 상황 때문에 수생식물 중 특히 침수식물과 부엽식물, 부유식물이 보이지 않는 곳이 많았 으며 정수식물을 관찰하는 데에도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어려움이 있었지만 식물이 생육이 왕성한 7월에 이루어진 2차 조사를 통해 1차 조사 시 미확인 되었던 종들이 확인되었고 수생식물 뿐만 아니라 주변 습생식물들의 추가적인 조사에 의해 호소환 - 73 - - 74 -

경에 대한 정보를 더욱 상세하게 얻을 수 있었다. 백운제 백운제는 당저교 부근을 기점으로 하여 조사한 결과 수생식물로는 부수식물인 표 3.17 각 호소별 수생식물 목록 (1차 2 차 조사) 코 드 국 명 학 명 F1 F2 F3 F4 F5 F6 F7 F8 F9 F10F11 F12 F13 19 고마리 Polygonum thunbergii Sieb. et Zucc. 23 개구리자리 Ranunculus sceleratus Linnae 24 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tachiroei Fran. et Savat. 36 연꽃 Nelumbo nucifera Gaertner 37 붕어마름 Ceratophyllum demersum L. 49 논냉이 Cardamine lyrata Bunge. 53 자귀풀 Aeschynomene indica L. 70 마름 Trapa japonica Flerov 79 물수세미 Myriophyllum verticillatum L. 81 선피막이 Hydrocotyle maritima Honda 82 큰잎피막이 Hydrocotyle nepalensis Hooker 89 미나리 Oenanthe javanica (Blume) DC 98 어리연꽃 Nymphoides indica (L.) O. Kuntze 109 쉽사리 Lycopus ramosissimus var. japonicus Kitamura 127 문모초 Veronica peregrina L. 143 한련초 Eclipta prostrata L. 157 검정말 Hydrilla verticillata (L. fil.) Royle 167 대가래 Potamogeton malaianus Miquel 173 말즘 Potamogeton crispus L. 192 노랑꽃창포 Iris pseudacorus L. 195 갈대 Phragmites australis 196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 Steud. 198 나도겨풀 Leersia japonica Makino 201 줄 Zizania latifolia Turczaninow 209 개구리밥 Spirodela polyrhiza (L.) Schleiden 210 좀개구리밥 Lemna paucicostata (L.) Hegelmaier 215 애기부들 Typha angustifolia L. Total 6 8 7 7 13 7 4 6 16 3 6 3 3 20과 23속 27종 F1- 백운제, F2- 장수제, F3- 수동제, F4- 지정제, F5- 군곡제, F6- 소포제, F7- 상사호, F8- 주암호, F9- 보성강호, F10- 수어호, F11- 동복호, F12- 하동호, F13-탐진호 개구리밥, 좀개구리밥 2 종류와 정수식물인 고마리, 선피막이, 미나리, 자귀풀 4종류 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변습생식물로는 강아지풀, 개망초, 개오동, 고들빼기, 괭이밥, 다닥냉이, 달맞이 꽃, 닭의장풀, 돌피, 둥근잎나팔꽃, 망초, 매듭풀, 며느리밑씻개, 며느리배꼽, 명아주, 미국가막사리, 미국자리공, 바랭이, 봄여뀌, 붉나무, 비수리, 뽀리뱅이, 새콩, 선밀나 물, 소리쟁이, 쇠뜨기, 쑥, 억새, 족제비싸리, 칡, 토끼풀, 환삼덩굴, 흰명아주 등으로 31 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에서도 달맞이꽃과 개망초가 우점하여 제방을 전체적으로 뒤덮고 있었고 당저교 부근 제방은 칡과 환삼덩굴로 둘러싸여 있었다. 장수제 장수제 일부에서 부유식물인 좀개구리밥 1 종류, 정수식물인 고마리, 개구리미나 리, 논냉이, 자귀풀, 미나리, 갈대, 애기부들로 7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 며 전반적으로 군락을 형성할 만한 수생식물은 분포치 아니하였다. 조사당시 수질 이 매우 좋지 못한 상태였으며 녹조류가 번성하고 있었다. 주변습생식물로는 삼, 소리쟁이, 흰명아주, 미국자리공, 다닥냉이, 아까시나무, 토 끼풀, 달맞이꽃, 돼지풀, 비짜루국화, 미국가막사리, 코스모스, 개망초, 도꼬마리, 메 귀리, 호밀풀, 물참새피, 쇠뜨기, 환삼덩굴, 여뀌, 며느리배꼽, 쇠별꽃, 갓, 산딸기, 멍 석딸기, 자귀나무, 주름잎, 여우팥, 돌콩, 둥근매듭풀, 비수리, 칡, 괭이밥, 꼭두서니, 사철쑥, 쑥, 씀바귀, 물억새, 금강아지풀, 강아지풀, 닭의장풀로 41 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17 종류가 귀화식물로서 조사지점 13지점 중 가장 많은 종류의 귀화식물이 확인되었다. 수동제 수생식물은 총 7종류로 침수식물인 대가래 1 종류, 부엽식물인 마름 1 종류, 정수 식물인 갈대, 개구리자리, 미나리 등 3 종, 부유식물인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 2종류 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차 조사 시 조사 이전에 내린 여러 차례의 폭우 로 인해 수심이 깊어져 거의 만수위 상태로서 정수식물인 고마리와 미나리 이외에 - 75 - - 76 -

다른 수생식물로의 접근에 어려움이 있었다. 주변습생식물로는 소리쟁이, 토끼풀, 달맞이꽃, 돼지풀, 미국가막사리, 개망초, 환 삼덩굴, 여뀌, 봄여뀌, 쇠별꽃, 칡, 괭이밥, 쑥, 강아지풀, 망초, 명아주, 으름, 매듭풀, 나팔꽃, 질경이, 하늘타리, 고들빼기, 억새로 23 종류가 확인되었다. 구리밥 2 종, 부엽식물로는 마름 1 종류, 정수식물로 미나리, 갈대, 애기부들 3종류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붕어마름과 마름, 애기부들과 갈대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 으며 소포교 하류 지점의 경우 바다와 인접한 지역으로 염분이 있는 곳에서도 잘 자라는 갈대가 사면부 주변으로 우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변습생식물로는 강아지풀, 개망초, 개미자리, 괭이밥, 꾸지뽕나무, 나문재, 다닥 지정제 지정제는 조사 당시 제방 공사 중이었으며 마름이 우점하여 표면의 80% 뒤덮고 있었고 마름군락의 사이사이에 어리연꽃이 드물게 자라고 있었다. 이상을 냉이, 닭의장풀, 돌가시나무, 돌피, 돼지풀, 등대풀, 망초, 매듭풀, 멀구슬나무, 명아 주, 물참새피, 미국가막사리, 바랭이, 박주가리, 방동사니, 벌노랑이, 비수리, 사상자, 사철쑥, 새콩, 소리쟁이, 속털개밀, 쇠별꽃, 쇠보리, 싸리, 쑥, 애기땅빈대, 여뀌, 오리 수생식물은 총 7 종류로 침수식물은 붕어마름, 검정말 2 종류, 부엽식물은 마름과 어리연꽃으로 2 종류, 정수식물은 갈대, 달뿌리풀, 나도겨풀로 3종류가 분포하고 있 새, 왕고들빼기, 자귀나무, 질경이, 칠면초, 코스모스, 토끼풀, 환삼덩굴로 42종류가 확인되었다. 었다. 주변습생식물로는 소리쟁이, 토끼풀, 달맞이꽃, 돼지풀, 환삼덩굴, 여뀌, 쑥, 강아 지풀, 하늘타리, 며느리배꼽, 물억새, 닭의장풀, 털물참새피, 흰여뀌, 차풀, 낭아초, 개 밀, 개피, 포아풀, 가을강아지풀, 마로 21 종류가 확인되었다. 군곡제 수생식물은 총 13종류로 부엽식물은 마름 1 종류, 부유식물로는 개구리밥, 좀개구 리밥 2 종류, 정수식물은 고마리, 자귀풀, 선피막이, 미나리, 쉽사리, 한련초, 갈대, 나 도겨풀, 줄, 애기부들로 10종류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이 중 갈대와 줄이 많은 비중 을 차지하고 있었다. 주변습생식물로는 소리쟁이, 토끼풀, 환삼덩굴, 쑥, 강아지풀, 며느리배꼽, 물억새, 닭의장풀, 개밀, 쇠별꽃, 망초, 매듭풀, 질경이, 고들빼기, 다닥냉이, 쇠뜨기, 멍석딸 기, 여우팥, 비수리, 꼭두서니, 족제비싸리, 전동싸리, 털빕새귀리, 고사리, 소나무, 버 상사호 수생식물은 정수식물인 고마리, 자귀풀, 갈대, 달뿌리풀로 4종류가 분포하는 것으 로 조사되었으며 유속이 빨라 침수식물이나 부유식물, 부엽식물이 생육할 만한 여 건이 되지 않았다. 정수식물인 달뿌리풀이 조사지 면적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 으며 물억새도 다수 확인되었다. 주변습생식물로는 강아지풀, 개망초, 괭이밥, 꾸지뽕나무, 다닥냉이, 닭의장풀, 돌 피, 돼지풀, 망초, 바랭이, 박주가리, 사상자, 쑥, 애기땅빈대, 환삼덩굴, 가새뽕, 갯버 들, 고들빼기, 고삼, 골풀, 그령, 금창초, 느티나무, 담쟁이덩굴, 돌콩, 마삭줄, 맥문동, 멍석딸기, 며느리밑씻개, 모시풀, 뫼제비꽃, 물억새, 미국자리공, 밤나무( 식재), 벚나 무, 봄여뀌, 뽕나무, 사위질빵, 쇠뜨기, 쇠비름, 신나무, 실망초, 억새, 왜모시풀, 으름, 제비꽃, 좀깨잎나무, 쥐꼬리망초, 찔레꽃, 칡, 흰명아주로 51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드나무, 봄여뀌, 쇠무릎, 사위질빵, 찔레꽃, 돌가시나무, 괭이싸리, 새팥, 멀구슬나무, 개머루, 까마귀머루, 보리장나무, 기름나물, 사상자, 박주가리, 실새삼, 층층이꽃, 익 모초, 솔나물, 감국, 엉겅퀴, 왕고들빼기, 진득찰, 바랭이, 돌피, 방동사니, 하늘지기, 골풀, 참비녀골풀, 맥문동, 청미래덩굴로 56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포제 수생식물은 총 7종류로 침수식물로 붕어마름 1 종류, 부유식물로 개구리밥, 좀개 주암호 주암호는 송전교 부근을 기점으로 하여 조사한 결과 수생식물은 총 6종류로 부 유식물인 개구리밥, 좀개구리밥 2 종류, 정수식물로 자귀풀, 미나리, 갈대, 달뿌리풀 4 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폭우로 인해 쓸려 내려온 부산물들이 일부 보였으며 주암호도 상사호와 마찬가 지로 달뿌리풀이 우점하고 있었고 특이하게 선인장이 송전교 부근 제방부의 돌축대 - 77 - - 78 -

사이에서 자라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식재한 것이라 생각된다. 주변습생식물로는 강아지풀, 개망초, 괭이밥, 다닥냉이, 닭의장풀, 돼지풀, 망초, 사상자, 환삼덩굴, 고삼, 골풀, 맥문동, 며느리밑씻개, 물억새, 미국자리공, 사위질빵, 쇠뜨기, 왜모시풀, 좀깨잎나무, 돌가시나무, 매듭풀, 명아주, 미국가막사리, 비수리, 소리쟁이, 속털개밀, 쇠별꽃, 개밀, 개사상자, 귀리, 기생초, 달맞이꽃, 며느리배꼽, 물 쑥, 새섬매자기, 선인장, 애기똥풀, 염소풀, 오동, 익모초 40종류가 확인되었으며 하 부식생에 돼지풀이 우점하고 있어 관리가 요망되는 바이다. 동복호 수생식물은 총 6종류로 부유식물은 좀개구리밥 1 종류, 정수식물은 고마리, 개구 리자리, 큰잎피막이, 미나리, 달뿌리풀로 5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달 뿌리풀이 우점하고 있었으며 고마리도 군락을 이루어 다수 분포하고 있었다. 수질 이 매우 깨끗하였으며 유속이 매우 빠른 편이였으며 많은 양의 비로 인해 큰자갈들 이 쓸려 내려와 수변 주위를 덮고 있는 곳도 있었다. 주변습생식물로는 환삼덩굴, 갯버들, 개망초, 망초, 소리쟁이, 며느리배꼽, 쑥, 토 보성강호 보성강호는 복내면 부근에 인공생태습지가 조성된 곳이며, 타 조사지점에 비해 끼풀, 버드나무, 닭의장풀, 돼지풀, 쇠뜨기, 왜모시풀, 좀깨잎나무, 명아주, 쇠별꽃, 물 쑥, 애기똥풀, 돌콩, 마삭줄, 봄여뀌, 흰명아주, 여뀌, 둥근매듭풀, 들깨풀, 마디풀, 벌 완두, 삼잎국화, 쇠무릎, 쑥부쟁이, 조록싸리, 참싸리, 층층이꽃, 흰민들레 34종류가 가장 많은 수생식물이 나온 지역으로 수생식물은 총 16종류로 침수식물은 붕어마 름, 물수세미, 말즘으로 3 종류, 부엽식물은 연꽃, 마름, 노란꽃창포로 3 종류, 부유식 물로는 개구리밥, 좀개구리밥으로 2 종류, 정수식물로는 고마리, 개구리미나리, 논냉 이, 미나리, 문모초, 갈대, 달뿌리풀, 줄로 8 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줄군락이 우점하고 있었으며 특히 보성강호의 수심이 낮아지는 곳에서부터는 줄 이 조사면적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줄 이 자라고 있는 곳의 주의에 고마리도 함께 많은 개체수가 자라고 있었다. 주변습생식물로는 강아지풀, 개망초, 괭이밥, 망초, 환삼덩굴, 맥문동, 매듭풀, 미 국가막사리, 소리쟁이, 며느리배꼽, 쑥, 방동사니, 토끼풀, 개머루, 고사리, 메밀, 버드 확인되었으며 환삼덩굴이 곳곳에서 군락을 이루어 자라고 있었다. 하동호 수생식물은 총 3 종류로 정수식물인 고마리, 자귀풀, 달뿌리풀로 3종류가 분포하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동호는 군락을 형성할 만한 식생은 분포치 아니하며, 유입 부 지점으로 달뿌리풀 군락 정도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변습생식물로는 환삼덩굴, 갯버들, 칡, 소리쟁이, 버드나무, 쇠뜨기, 좀깨잎나무, 물쑥, 개머루, 비수리, 개밀, 거북꼬리, 붉나무, 수리딸기, 애기망초, 원추천인국( 식 재), 죽순대로 17 종 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무, 새, 속속이풀, 실새삼, 왕버들, 족제비싸리, 좀고추나물, 차풀, 하늘지기로 25종 류가 조사되었다. 탐진호 수생식물은 총3 종류로 정수식물로 미나리, 갈대, 달뿌리풀로 3종류로 다양한 수 수어호 수생식물은 총 3종류로 정수식물인 갈대가 군락을 이루어 사면부 주변으로 일부 볼 수 있었고 하상주변으로 고마리와 선피막이가 일부 분포하여 3종류가 분포하는 생식물은 확인하지 못하였으며 탐진호 하부지역에는 인공생태습지가 조성되어 있었 다. 주변습생식물로는 환삼덩굴, 갯버들, 소리쟁이, 물쑥, 비수리, 개밀, 미국자리공, 것으로 조사되었다. 많은 양의 비로 인해 하상이 만수위로 잠겨있었으며 큰물이 휩 개망초, 망초, 며느리배꼽, 토끼풀, 닭의장풀, 명아주, 쇠별꽃, 애기똥풀, 강아지풀, 괭 쓸고 지나간 흔적으로 수변식물들에 흙탕물이 말라붙어 있었다. 주변습생식물로는 환삼덩굴, 갯버들, 미국자리공, 밤나무( 식재), 칡, 가죽나무, 감 나무( 식재) 로 7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타 조사지점에 비해 주변식물상이 매우 단조로운 편으로 보이며 칡이 군락을 이루어 우점하고 있었다. 이밥, 맥문동, 매듭풀, 왕버들, 사상자, 물억새, 달맞이꽃, 꾸지뽕나무, 박주가리, 고들 빼기, 담쟁이덩굴, 금강아지풀, 떡쑥, 마, 미나리아재비, 배암차즈기, 뱀무 등 33종류 로 이 중 개밀이 우점하고 있었다. - 79 - - 80 -

3.6. 어류의 분포 및 특성 조사 3.6.2. 조사지점 내 과별 개체수 구성비 3.6.1. 조사지점 내 과별 종 구성비 본 조사 13개 호소에서 확인된 어류는 총 4목 9과 46 종이었으며, 채집 어종들을 과별 종구성비 측면에서 확인하면, Cyprinidae ( 잉어과) 가 26종으로 55.3%, Cobitidae ( 미꾸리과) 가 8종으로 17.0%, Gobiidae ( 망둑어과) 가 3종으로 6.4%, Bagridae ( 동자개과), Osmeridae ( 바다빙어과), Odontobutidae ( 동사리과), Centrachidae ( 검정우럭과) 가 각 2종으로 4.3%, Siluridae ( 메기과), Centropomidae 채집 어종들을 과별 개체수 구성비 측면에서 확인하면, Cyprinidae ( 잉어과) 가 69.4% (2275 개체), Gobiidae ( 망둑어과) 가 12.6% (413 개체) Osmeridae ( 바다빙어 과) 11% (361 개체), Cobitidae ( 미꾸리과) 가 5.2% (172 개체), Odontobutidae ( 동사리 과) 0.7% (23 개체) Centrachidae ( 검정우럭과) 0.4% (14 개체) Bagridae ( 동자개과) 0.3% (11 개체), Centropomidae ( 꺽지과) 0.2% (8 개체), Siluridae ( 메기과) 가 0.1% (2 개체)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잉어과를 제외하면 개체수가 현저히 적게 나타났다 ( 그림 3.22). ( 꺽지과) 가 각 1종으로서 2.1% 씩 나타났다( 그림 3.21). 바 다 빙 어 과, 4.3% 동 사 리 과, 4.3% 검 정 우 럭 과, 4.3% 메 기 과, 2.1% 꺽 지 과, 2.1% 바 다 빙 어 과, 11.0% 동 사 리 과, 0.7% 미 꾸 리 과, 5.2% 검 정 우 럭 과, 0.4% 동 자 개 과, 0.3% 꺽 지 과, 0.2% 메 기 과, 0.1% 동 자 개 과, 4.3% 망 둑 어 과, 6.4% 망 둑 어 과, 12.6% 잉 어 과, 69.4% 미 꾸 리 과, 17.0% 잉 어 과, 55.3% 그림 3.22 어류의 과별 개체수 구성비. 그림 3.21 어류의 과별 종 구성비. - 81 - - 82 -

3.6.3 조사지점 내 한국고유종 및 외래유입종 바 다 빙 어 과, 7.2% 미 꾸 리 과, 7.8% 망 둑 어 과, 0.9% 동 사 리 과, 1.6% 검 정 우 럭 과, 0.7% 동 자 개 과, 0.8% 꺽 지 과, 0.1%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된 한국 고유종은 Rhodeus uyekii ( 각시붕어), Acheilognathus yamatsutae ( 줄납자루), Coreoleuciscus splendidus ( 쉬리), Squalidus gracilis majimae ( 긴몰개),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 몰개),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 참몰개), Microphysogobio yaluensis ( 돌마자), Iksookimia koreensis ( 참종개), Iksookimia longicorpa ( 왕종개), Iksookimia 잉 어 과, 80.9% hugowolfeldi ( 남방종개), Cobitis striata ( 줄종개), Pseudobagrus koreanus ( 눈동자 개), Coreoperca herzi ( 꺽지), Odontobutis platycephala ( 동사리), Odontobutis interrupta ( 얼룩동사리) 로서 모두 3목 5과 17 종(610 개체) 이 출현하여 전체 출현종의 그림 미 꾸 리 과, 3.9% 바 다 빙 어 과, 13.2% 3.23. 섬진강 수계 출현 어류의 과 준위 출현빈도. 꺽 지 과, 0.3% 동 사 리 과, 0.2% 검 정 우 럭 과, 0.2% 동 자 개 과, 0.1% 메 기 과, 0.1% 32.6% 가 한국고유종이었다( 그림 3.25, 표 3.18). 호소 전 지역에서 채집된 외래유입종의 현황을 보면 Carassius cuvieri ( 떡붕 어) 4.6% (154 개체), Micropterus salmoides ( 베스) 0.3% (11 개체), Lepomis macrochirus ( 블루길) 0.1% (3 개체), 등 2과 3종 5%(168 개체) 가 조사되었으며, 외래 유입종만의 비율로 C. cuvieri ( 떡붕어) 91.7% 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M. salmoides ( 베스) 6.5%, L. macrochirus ( 블루길) 1.8% 를 차지하였다. 이는 최근 영 산강 수생태계 조사 시 확인된 10% 이내의 위해성 어류의 침투도보다 훨씬 낮게 나타나 2008 년도 전남 지방 호소조사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 그림 3.26, 표 3.19). 지점별로 보면 백운제, 장수제, 소포제, 상사호, 주암호, 보성강호, 동복호에서 망 둑 어 과, 19.4% 잉 어 과, 62.8% 확인되었다. 그림 3.24. 해양으로 직접 유입될 하천 수계의 출현 어류의 과 준위 출현빈도. - 83 - - 84 -

표 3.18 2009년 호소환경 조사 시 확인된 수계별 한국고유어종 현황 한 국 고 유 종, 32.6% 그림 외 래 도 입 종, 6.5% 기 타, 60.9% 3.25 한국고유종과 외래유입종이 차지하는 비율. 베 스, 6.5% 블 루 길, 1.8% 수 계 학명 국명 섬진강 수계 기타 수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Rhodeus uyekii 각시붕어 Acheilognathus yamatsutae 줄납자루 Coreoleuciscus splendidus 쉬리 Squalidus gracilis majimae 긴몰개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몰개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Hemiculter eigenmanni 치리 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Iksookimia longicorpa 왕종개 Iksookimia hugowolfeldi 남방종개 Cobitis sinensis 기름종개 Cobitis striata 줄종개 Pseudobagrus koreanus 눈동자개 Coreoperca herzi 꺽지 Odontobutis platycephala 동사리 Odontobutis interrupta 얼룩동사리 호소별 출현 한국고유종 5 4 2 7 3 1 1 1 3 1 3 3 7 소계 14 10 1백운제2주암호3보성강호4동복호5하동호6장수제7수동제8지정제9군곡제10소포제11상사호12수어호13탐진호 표 3.19 2009년 호소환경 조사시 확인된 수계별 외래유입종 현황 그림 떡 붕 어, 91.7% 3.26 외래유입종 개체수 비율. 수 계 학명 국명 섬진강 수계 기타 수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Carassius cuvieri 떡붕어 Lepomis macrochirus 블루길 Micropterus salmoides 베스 호소별 출현한 외래유입종 1 2 1 1 2 0 0 0 1 1 0 0 소계 3 2 1백운제2주암호3보성강호4동복호5하동호6장수제7수동제8지정제9군곡제10소포제11상사호12수어호13탐진호 - 85 - - 86 -

표 3.20 2009년 1차 2차 호소환경 조사 시 확인된 어류 목록 표 3.20 2009년 1차 2 차 호소환경 조사 시 확인된 어류 목록( 계속) 학명 국명 백운제 장수제 수동제 지정제 군곡제 소포제 상사호 No DI No DI No DI No DI No DI No DI No DI Order Cypriniformes 잉어목 Family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cuvieri 떡붕어 1 2.04 136 54.84 Cyprinus carpio 잉어 5 10.20 3 0.53 5 2.02 Carassius auratus 붕어 12 2.12 2 1.22 16 6.90 6 2.42 Rhodeus uyekii 각시붕어 21 3.72 125 76.22 1 0.43 Rhodeus notatus 떡납줄갱이 2 0.86 1 0.40 Acheilognathus lanceolatus 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줄납자루 Acheilognathus rhombea 납지리 1 0.61 Acanthorhodeus macropterus 큰납지리 5 2.02 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4 1.22 1 2.04 398 70.44 33 20.12 25 10.78 14 5.65 Pungtungia herzi 돌고기 6 1.83 2 2.74 Coreoleuciscus splendidus 쉬리 Squalidus gracilis majimae 긴몰개 64 19.57 5 2.16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몰개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12 16.44 Hemibarbus labeo 누치 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1 1.37 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1 0.31 Abbottina rivularis 버들매치 1 0.31 11 4.74 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Rhynchocypris oxycephalus 버들치 Zacco temmincki 갈겨니 64 19.57 7 9.59 Zacco platypus 피라미 12 3.67 135 58.19 7 9.59 Opsariichthys bidens 끄리 Hemiculter eigenmanni 치리 29 59.18 81 32.66 Family Cobitidae 미꾸리과 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8 2.45 60 10.62 2 1.22 1 0.43 Misgurnus mizolepis 미꾸라지 5 10.20 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Iksookimia longicorpa 왕종개 6 1.83 Iksookimia hugowolfeldi 남방종개 Cobitis sinensis 기름종개 5 2.16 Cobitis striata 줄종개 53 16.21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11 3.36 Order Siluriformes 메기목 Family Siluridae 메기과 Silurus asotus 메기 1 0.61 Family Bagridae 동자개과 Pseudobagrus fulvidraco 동자개 1 0.43 Pseudobagrus koreanus 눈동자개 Order Osmeridae 바다빙어목 Family Osmeridae 바다빙어과 Hypomesus olidus 빙어 88 26.91 36 49.32 Plecoglossus altivelis 은어 Order Perciformes 농어목 Family Centropomidae 꺽지과 Coreoperca herzi 꺽지 1 0.31 1 1.37 Family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platycephala 동사리 1 0.31 1 1.37 Odontobutis interrupta 얼룩동사리 Family Gobiidae 망둑어과 Chaenogobius urotaenius 꾹저구 1 2.04 30 5.31 Rhinogobius brunneus 밀어 4 1.22 5 6.85 Tridentiger brevispinis 민물검정망둑 3 6.12 41 7.26 30 12.93 Family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블루길 3 0.92 Micropterus salmoides 베스 4 8.16 1 1.37 합계 327 49 565 164 232 248 73 종수 16 8 7 6 11 7 10 종다양도(H') 1.98 1.39 1.06 0.70 1.43 1.13 1.61 균등도(E') 0.71 0.67 0.55 0.39 0.59 0.58 0.70 종풍부도(RI) 2.59 1.80 0.95 0.98 1.84 1.09 2.10 학명 국명 주암호 보성강호 수어호 동복호 하동호 탐진호 종합 No DI No DI No DI No DI No DI No DI No DI Order Cypriniformes 잉어목 Family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cuvieri 떡붕어 15 2.35 2 2.74 154 4.66 Cyprinus carpio 잉어 13 0.39 Carassius auratus 붕어 36 5.63 8 5.23 7 2.19 87 2.63 Rhodeus uyekii 각시붕어 10 1.56 157 4.75 Rhodeus notatus 떡납줄갱이 14 2.19 17 0.51 Acheilognathus lanceolatus 납자루 118 18.47 118 3.57 Acheilognathus yamatsutae 줄납자루 23 3.60 23 0.70 Acheilognathus rhombea 납지리 1 0.03 Acanthorhodeus macropterus 큰납지리 208 32.55 213 6.45 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5 0.78 6 8.22 1 0.65 487 14.75 Pungtungia herzi 돌고기 1 0.16 4 2.61 1 0.31 14 0.42 Coreoleuciscus splendidus 쉬리 1 3.03 1 0.03 Squalidus gracilis majimae 긴몰개 1 0.65 8 2.50 78 2.36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몰개 185 28.95 185 5.60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17 3.99 4 2.61 33 1.00 Hemibarbus labeo 누치 2 2.74 2 0.06 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1 0.65 2 0.06 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1 1.37 1 0.31 3 0.09 Abbottina rivularis 버들매치 4 5.48 16 0.48 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1 1.37 3 1.96 24 72.73 1 0.31 29 0.88 Rhynchocypris oxycephalus 버들치 0.00 2 1.31 2 0.06 Zacco temmincki 갈겨니 4 0.63 0.00 96 22.54 36 23.53 34 10.63 241 7.30 Zacco platypus 피라미 5 0.78 29 39.73 16 3.76 63 41.18 5 15.15 5 1.56 277 8.39 Opsariichthys bidens 끄리 12 16.44 0.00 12 0.36 Hemiculter eigenmanni 치리 5 0.78 14 4.38 129 3.91 Family Cobitidae 미꾸리과 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9 12.33 2 1.31 82 2.48 Misgurnus mizolepis 미꾸라지 2 1.31 7 0.21 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2 0.63 2 0.06 Iksookimia longicorpa 왕종개 1 0.23 2 1.31 9 0.27 Iksookimia hugowolfeldi 남방종개 2 0.63 2 0.06 Cobitis sinensis 기름종개 1 0.31 6 0.18 Cobitis striata 줄종개 3 1.96 56 1.70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1 0.31 12 0.36 Order Siluriformes 메기목 Family Siluridae 메기과 Silurus asotus 메기 1 0.31 2 0.06 Family Bagridae 동자개과 Pseudobagrus fulvidraco 동자개 6 3.92 7 0.21 Pseudobagrus koreanus 눈동자개 4 2.61 4 0.12 Order Osmeridae 바다빙어목 Family Osmeridae 바다빙어과 Hypomesus olidus 빙어 230 71.88 354 10.72 Plecoglossus altivelis 은어 7 1.64 7 0.21 Order Perciformes 농어목 Family Centropomidae 꺽지과 Coreoperca herzi 꺽지 2 0.47 4 1.25 8 0.24 Family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platycephala 동사리 10 6.54 1 3.03 3 0.94 16 0.48 Odontobutis interrupta 얼룩동사리 7 9.59 7 0.21 Family Gobiidae 망둑어과 Chaenogobius urotaenius 꾹저구 1 0.23 32 0.97 Rhinogobius brunneus 밀어 5 0.78 100 23.47 2 6.06 5 1.56 121 3.66 Tridentiger brevispinis 민물검정망둑 186 43.66 260 7.87 Family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Lepomis macrochirus 블루길 3 0.09 Micropterus salmoides 베스 5 0.78 1 0.65 11 0.33 합계 639 73 426 153 33 320 3302 종수 15 10 9 18 5 17 46 종다양도(H') 1.79 1.83 1.41 1.96 0.90 1.19 2.96 균등도(E') 0.66 0.79 0.64 0.68 0.56 0.42 0.77 종풍부도(RI) 2.17 2.10 1.32 3.38 1.14 2.77 5.55-87 - - 88 -

호 소 별 어 종 수 2 0 1 8 0. 9 1 6 1 4 1 2 0. 6 1 0 그림 3.27 영산강 섬진강 및 탐진강 수계 13 개 호소 분포 어종수. 그림 3.29 영산강 섬진강 및 탐진강 수계 13 개 호소 어류의 균등도. 8 6 0. 3 호 소 별 종 다 양 도 4 2. 1 2 1 0. 8 1. 5 1. 2 백운제 장수제 수동제 그림 3.28 영산강 섬진강 및 탐진강 수계 13 개 호소 어류의 종다양도. 0. 9 지정제 군곡제 3. 6 3. 3 0 3. 0 2. 7 2. 4 2. 1 1. 8 1. 5 소포제 백운제 상사호 장수제 주암호 그림 3.30 영산강 섬진강 및 탐진강 수계 13 개 호소 어류의 종풍부도. 수동제 보성강호 0. 6 0. 3-89 - 1. 2 0. 9 0. 6-90 -

3.6.4 조사지점별 어류상 현황 전체 13개 호소에서 확인된 어류는 총 4목 9과 46 종(3,302 개체) 이었다. 균등도 0.67, 종풍부도 1.80 로 나타났다( 그림 3.27, 그림 3.28, 그림 3.29, 그림 3.30). 1차 조사에 비해 2차 조사 시 종수는 큰 차이는 없으나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이는 호소내의 수량증가로 인해 서식처의 환경이 좋아진 것으로 보인다. 백운제 전남 광양시 봉강면 지곡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3과 15 종(327 개체) 이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종은 긴몰개, 왕종개, 줄종개, 꺽지, 동사리 5 종(125 개체) 이 확인되어 33.3% 의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외래유입종은 블루길이 1 종(3 개체) 이 확인되어 6.7% 의 출현빈도를 나타내어 침투도가 낮게 나타났다. 백운제 조사 시 종다양도 1.98, 균등도 0.71, 종풍부도 2.59 로 나타났다( 그림 3.27, 그림 3.28, 그림 3.29, 그림 3.30). 1차 조사에 비해 2차 조사는 종수가 많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호소내의 수량이 증가 하여 어류의 산란지와 도피처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장 수 제 치 리 미 꾸 라 지 잉 어 베 스 민 물 검 정 망 둑 기 타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백 운 제 그림 3.32 장수제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빙 어 긴 몰 개 갈 겨 니 줄 종 개 기 타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수동제 전남 장흥군 관산읍 외동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3과 7 종(565 개체) 이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종은 각시붕어 1 종(21 개체) 이 확인되어 14.3% 의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외 래유입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수동제 조사 시 종다양도 1.06, 균등도 0.55, 종풍부도 0.95 로 나타났다( 그림 3.27, 그림 3.28, 그림 3.29, 그림 3.30). 1차 조사에 비해 2차 조사 시 종수의 변화는 크지 않으나 1차 조사에 참붕어가 가장 많은 개체수를 차지 하였는데 조사지점의 수량이 크게 줄어 물이 얕아져 모여 다니는 참붕어의 습성으 그림 3.31 백운제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로 인해 많은 수의 개체수를 확인하였다. 장수제 전남 고흥군 포두면 장수리 위치하고 있으며 4과 8 종(49 개체) 이 확인되었다. 한 국 고유종은 치리 1 종(1 개체) 이 확인되어 6.7% 의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외래유입종 은 떡붕어와 베스 2 종(8 개체) 이 확인되어 12.5% 의 출현빈도를 나타내었으나 위해성 어류인 베스의 침투도가 낮게 나타난 양상이었다. 장수제 조사 시 종다양도 1.39, - 91 - - 92 -

참 붕 어 미 꾸 리 민 물 검 정 망 둑 꾹 저 구 기 타 수 동 제 군곡제 전남 해남군 송지면 해원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4과 11 종(232 개체) 이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종은 각시붕어, 긴몰개, 기름종개로 3 종(11 개체) 이 확인되어 27.% 의 출현 빈도를 나타냈다. 외래유입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군곡제 조사 시 종다양도 1.43, 균 등도 0.59, 종풍부도 1.84 로 나타났다( 그림 3.27, 그림 3.28, 그림 3.29, 그림 3.30). 1 차 조사에 비해 2차 조사 시에 종수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호소의 수량이 증가하여 서식처의 환경이 좋아진 것으로 보인다. 0 10 20 30 40 50 60 70 80 군 곡 제 그림 3.33 수동제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피 라 미 지정제 전남 장흥군 관산읍 지정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3과 6 종(164 개체) 이 확인되었다. 한국 공유종은 각시붕어 1 종(125 개체) 이 확인되어 16.7% 의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외래도입입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지정제 조사 시 종다양도 0.70, 균등도 0.39, 종풍 민 물 검 정 망 둑 참 붕 어 붕 어 기 타 부도 0.98 로 나타났다( 그림 3.27, 그림 3.28, 그림 3.29, 그림 3.30). 1차 조사에 비해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차 조사 시 종수와 개체수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호소내의 수량이 증가하여 서식처 의 환경이 좋아진 것으로 확인된다. 그림 3.35 군곡제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각 시 붕 어 참 붕 어 기 타 지 정 제 소포제 전남 진도군 지산면 소포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1과 7 종(248 개체) 이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종은 치리 1 종(81 개체) 이 확인되어 14.3% 의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외래유 입종인 떡붕어 1 종(136 개체) 이며 14.3% 로 우점을 차지하고 있다. 소포제 조사 시 종다양도 1.13, 균등도 0.58, 종풍부도 1.09 로 나타났다( 그림 3.27, 그림 3.28, 그림 3.29, 그림 3.30). 1차 조사에 비해 2차 조사 시 종수와 개체수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호소의 수량이 증가하여 서식처의 환경이 좋아진 것으로 보인다.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그림 3.34 지정제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 93 - - 94 -

떡 붕 어 치 리 소 포 담 수 지 주암호 전남 순천시 주암면 대광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3과 15 종(639 개체) 이 확인되었다. 한국고유종은 각시붕어, 줄납자루, 몰개, 치리 4 종(228 개체) 이 확인되어 26.7% 의 출 현빈도를 나타냈다. 외래유입종은 떡붕어와 베스 2 종(20 개체) 이며 13.3% 가 확인되 었으나 위해 어종인 베스는 침투도가 낮게 나타난 양상이었다. 주암호 조사 시 종 참 붕 어 기 타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다양도 1.79, 균등도 0.66, 종풍부도 2.17 로 나타났다( 그림 3.27, 그림 3.28, 그림 3.29, 그림 3.30). 1차 조사 시 2차 조사에 비해 더 많은 개체수와 종수를 보여주고 있는 데 이는 조사 지점내 호소의 수량이 크게 감소하여 서식처에 얕은 여울이 형성된 곳이 많아 졌고 2 차 조사시에는 수량이 증가하여 서식처를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그림 3.36 소포제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주 암 호 상사호 전남 순천시 상사면 용계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6과 10 종(73 개체) 이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종은 참몰개, 꺽지, 동사리 3 종(14 개체) 이 확인되어 33.3% 의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외래유입종은 베스가 출현하였으나 1 종(1 개체) 10.0% 로 침투도가 낮게 나타난 양상이었다. 상사호 조사 시 종다양도 1.61, 균등도 0.70, 종풍부도 2.10로 나 타났다( 그림 3.27, 그림 3.28, 그림 3.29, 그림 3.30). 1차 조사에 비해 2차 조사 시 큰 납 지 리 몰 개 납 자 루 붕 어 기 타 종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호소내의 수량이 증가하여 서식처의 환경이 좋아진 상 사 호 그림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3.38 주암호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빙 어 참 몰 개 갈 겨 니 피 라 미 밀 어 기 타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보성강호 전남 보성군 겸백면 용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3과 10 종(73 개체) 이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종은 돌마자, 얼룩 동사리 2 종(8 개체) 이 확인되어 20.0% 의 출현빈도를 나 타냈다. 외래유입종은 떡붕어 1 종(2 개체) 이 확인되어 10.0% 의 출현빈도를 나타내었 다. 보성강호 조사 시 종다양도 1.83, 균등도 0.79, 종풍부도 2.10 로 나타났다( 그림 3.27, 그림 3.28, 그림 3.29, 그림 3.30). 1차 조사에 비해 2차 조사 시 종수가 증가하 였다. 이는 호소내의 수량이 증가하여 서식처의 환경이 좋아 진 것으로 보인다. 그림 3.37 상사호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 95 - - 96 -

피 라 미 끄 리 미 꾸 리 얼 룩 동 사 리 보 성 강 호 동복호 전남 화순군 이서면, 전남 담양군 남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5과 18 종(153 개체) 이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종은 긴몰개, 참몰개, 돌마자, 왕종개, 줄종개, 눈동자개 6종 (20 개체) 이 확인되어 33.3% 의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외래유입종은 베스 1 종(1 개체) 이 확인되어 5.6% 의 출현빈도를 나타내어 침투도가 낮게 나타났다. 동복호 조사 시 참 붕 어 버 들 매 치 기 타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종다양도 1.41, 균등도 0.64, 종풍부도 1.32 로 나타났다( 그림 3.27, 그림 3.28, 그림 3.29, 그림 3.30). 1차에 비해 2차 조사 시 종수와 개체수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호소 내의 수량의 증가로 인해 서식처의 환경이 좋아진 것으로 보인다. 동복호는 13개 호소 중 가장 많은 종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3.39 보성강호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동 복 호 수어호 전남 광양시 진상면 섬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5과 9 종(426 개체) 이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종은 참몰개, 왕종개, 꺽지 3 종(20 개체) 이 확인되어 33.3% 의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외래유입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수어호 조사 시 종다양도 1.41, 균등도 0.64, 종풍부도 1.32 로 나타났다( 그림 3.27, 그림 3.28, 그림 3.29, 그림 3.30). 1차 조 사에 비해 2차 조사 시 종수와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호소내의 수량이 피 라 미 갈 겨 니 동 사 리 붕 어 기 타 증가하여 서식처의 환경이 좋아진 것으로 보인다.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수 어 호 그림 3.41 동복호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민 물 검 정 망 둑 밀 어 갈 겨 니 기 타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하동호 경남 하동군 청암면 중이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3과 5 종(33 개체) 이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종은 쉬리, 돌마자 동사리 3 종(26 개체) 이 확인되어 60.0% 의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외래유입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하동호 조사 시 종다양도 0.90, 균등도 0.56, 종풍부도 1.15 로 나타났다( 그림 3.27, 그림 3.28, 그림 3.29, 그림 3.30). 1차 조 사시에는 종을 확인할 수 없었는데 이는 조사지점내의 물이 말라 어류가 서식하지 않았으나 2 차 조사시에는 수량의 증가로 인해 종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3.40 수어호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 97 - - 98 -

하 동 호 탐 진 호 돌 마 자 빙 어 피 라 미 갈 겨 니 밀 어 기 타 기 타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그림 3.42 하동호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그림 3.43 탐진호에서 출현한 어종별 출현빈도. 탐진호 전남 장흥군 부산면 지천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7과 17 종(320 개체) 이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종은 긴몰개, 돌마자, 치리, 참종개, 남방종개, 기름종개, 꺽지, 동사리 8종 (35 개체) 이 확인되어 47.1% 의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외래유입종은 확인되지 않았 다. 탐진호 조사 시 종다양도 1.41, 균등도 0.64, 종풍부도 1.32 로 나타났다( 그림 3.27, 그림 3.28, 그림 3.29, 그림 3.30). 1차 조사에 비해 2차 조사시에 종수는 증가 하였으나 개체수는 감소하였다 이는 빙어가 여름에 가뭄으로 인해 수량이 줄어 호 내부에 여울이 형성되어 모여다니는 습성으로 인해 많은 개체수를 확인할 수 있었 으나 었다. 2차 조사시에는 수량이 증가하여 이런 여울이 줄어들어 빙어를 확인할 수 없 - 99 - - 100 -

제 4 장 결론 영산강 섬진강 수계에 산재한 주요 호소를 대상으로 생물상조사를 실시하여 수생 태계 보전과 수자원 확보의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대책을 도출할 수 있는 기초자료 를 마련하고자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 권역의 13개 호소를 대상으로 생물서식환경 조사,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수생식물, 어류 분포 및 특성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식환경조사 조사 기간 동안 수온은 7.1 30.3 범위였고, ph는 5.8 11.2 의 범위였으며, DO는 3.5 12.7 mg/l ( 상사호2) 의 범위였다. 전기전도도는 지정제, 수동제 그리고 소포제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수변부 경사는 < 20, 20~40 가 대부분이었고, 유역토지이용은 자연식생과 농경지가 주종이었으며, 수변부의 교란은 인공구조물에 의한 수변부 하안이 변경된 형태의 인공수변이 대부분이었다. 2. 식물플랑크톤 분포 및 특성 조사 2009년 조사에서 동정된 식물플랑크톤은 규조강 116 종, 녹조강 115 종, 남조강 27 종 그리고 유글레나강을 포함한 기타 37여종으로 총 295 종이었다. 호수별 출현현황에서는 군곡제에서는 1차 4차 조사 기간 동안 식물플랑크톤의 가 장 풍부한 조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어호1에서 비교적 빈약한 종조성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물플랑크톤 개체군 밀도는 호수에 따라, 조사 시기에 따라 다 양하게 나타났으며, 전 출현종의 20% 이상의 점유율을 보인 우점종은 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ambigua, Aulacoseira distans, Aulacoseira granulata, Cyclotella sp., Fragilaria crotonensis, Synedra acus, Coenochloris mucosa, Dictyospharium pulchellum, Monoraphidium arcuatum, Monoraphidium contortum, Microcystis aeruginosa, Phormidium valderianum var. tenuis, Kephyrion rubri-claustri이었다. 3. 동물플랑크톤 분포 및 특성 조사 총 13개 호소 내 22개 지점에서 수행된 연구결과에 의하면 총 동물플랑크톤의 밀도 와 종 다양성은 조사지점과 계절에 따라 큰 폭으로 변화하였다. 3월 조사에서 평균 158 개체/L로 가장 낮은 동물플랑크톤 밀도를 보였고 6월의 조사에서 평균 826 개체/L 로 가 장 높았다. 우점 분류군은 윤충류로 최대 35종이 출현하였고 지각류와 요각류는 5종 미 만의 낮은 종다양성을 보였다. 우점종은 Polyarthra와 Keratella가 연중 높은 밀도로 출현하여 상대풍부도 90% 이상을 차지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의 탄소 생체량은 3월 조사 에서 28 μgc/l로 낮았으며 6월 조사에서 135 μgc/l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 대형 호소보다 소형 저수지에서 탄소 생체량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분포 및 특성 조사 조사 기간 동안 전 지점에서 채집되어 동정 분류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7강 17목 37과 52속 64 종이었다. 이중 하루살이목이 7과 15속 22 종(34.4%) 으로 가장 다양한 종이 출현했고, 다음으로 날도래목 11 종, 연체동물문 8 종, 파리목 6 종, 딱정벌레목 5 종 순이었다. 총 개체수 현존량은 5,504 개체였고, 이중 하루살이목이 1,715개체로 전체의 31.2% 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파리목 30.1%, 날도래목 25.9%, 연체동물문 9.2%, 환형동물문 1.2% 순이었다 우점종은 주로 수서곤충류가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그 외의 연체동물문, 환형동 물문, 갑각강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우점도는 수어호가 0.39 1.00의 범위를 나타 내었다. 다양도 지수는 3.51 0.59 범위의 다양성을 나타내었다. 생태지수에 의한 환경질 평가는 탐진호가 생태점수 97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소포제가 6 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생태점수로 평가한 오수계열로는 소포제와 군 곡제가 강부수성 수역을, 장수제, 지정제와 수동제가 α- 중부수성 수역을, 보성강호 가 β- 중부수성지역을 나타내었다. 그 외의 호소는 빈부수성 수역을 나타내었다. 5. 수생식물 분포 및 특성 조사 전라남도 일대 13곳의 조사지점에 수생식물은 20과 23속 27종이 분포하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정수식물은 17 종으로 고마리, 개구리자리, 개구리미나리, 논냉이, 자 귀풀, 선피막이, 큰잎피막이, 미나리, 쉽사리, 문모초, 한련초, 노랑꽃창포, 갈대, 달뿌 리풀, 나도겨풀, 줄, 애기부들이 조사되었다. 침수식물은 5 종으로 붕어마름, 물수세 - 101 - - 102 -

미, 검정말, 대가래, 말즘이 확인되었다. 부엽식물은 연꽃, 어리연꽃, 마름으로 3 종, 부유식물은 좀개구리밥, 개구리밥으로 2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점 수생식물 중 보성강호와 군곡제에서 각각 16종류와 13종류가 분포하 macrochirus ( 블루길), Micropterus salmoides ( 베스) 로 168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전 체 개체수의 5.1% 에 불과하며 종 출현빈도는 6.5% 였다. 여 타 조사지점에 비해 비교적 높은 종류를 보였으며, 수어호, 하동호와 탐진호에서 각각 3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타 조사지점에 비해 단조로운 종구성을 보 였다. 그리고 환경부지정 생태계교란 야생동 식물인 털물참새피와 물참새피 그리 고 돼지풀이 일부지역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돼지풀은 장수제, 수동제, 지정제, 소포제, 상사호, 주암호, 동복호에서 털물참새피는 지정제에서 분포하였고, 물참새피는 장수제, 소포제에서 분포하였다. 6. 어류 분포 및 특성 조사 전체 13개 조사 지점에서 확인된 어류는 총 4목 9과 46종으로서 Cyprinidae ( 잉 어과) 가 26종으로 55.3%, Cobitidae ( 미꾸리과) 가 8종으로 17.0%, Gobiidae ( 망둑어 과) 가 3종으로 6.4%, Bagridae ( 동자개과), Osmeridae ( 바다빙어과) 그리고 Odontobutidae ( 동사리과) 와 Centrachidae ( 검정우럭과) 가 각 2종으로 4.3%, 그리고 Siluridae ( 메기과) 와 Centropomidae ( 꺽지과) 가 각 1종으로 2.1% 씩 나타났다. 조사지점별 주요 우점종은 Acanthorhodeus macropterus ( 큰납지리), Pseudorasbora parva ( 참붕어)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 몰개), Zacco temmincki ( 갈겨니), Zacco platypus ( 피라미), Hypomesus olidus ( 빙어), Tridentiger brevispinis ( 민물검정망둑) 이었다. 가장 많은 개체수를 나타낸 종은 Pseudorasbora parva ( 참붕어) 로서 14.8% 의 우점도를 확보하고 있었다. 본 조사 시 확인된 한국 고유어종은 Rhodeus uyekii ( 각시붕어), Acheilognathus yamatsutae ( 줄납자루), Coreoleuciscus splendidus ( 쉬리), Squalidus gracilis majimae ( 긴몰개),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 몰개),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 참몰개), Microphysogobio yaluensis ( 돌마자), Hemiculter eigenmanni ( 치리), Iksookimia koreensis ( 참종개), Iksookimia longicorpa ( 왕종개), I. hugowolfeldi ( 남방종개), Cobitis sinensis ( 기름종개), Cobitis striata ( 줄종개) Pseudobagrus koreanus ( 눈동자개), Coreoperca herzi ( 꺽지) Odontobutis platycephala ( 동사리), O. interrupta ( 얼룩동사리) 등 3목 5과 17종이었으며 전체 출현종의 37% 로 나타났다. 외래도입어종은 Carassius cuvieri ( 떡붕어), Lepomis - 103 - - 104 -

참고문헌 권오길, 박만갑, 이준상. 1993. 원색 한국패류도감. 아카데미서적 pp.445. 김익수, 1985. 한국산 잉어과 어류의 검색과 분포. 호림 수산양식개발연구소. 3 : 45-61. 김익수, 1988. 한국 담수산 골표상목과 극기상목 어류의 분류. 생물학연구연보. 8 : 1-173. 김익수, 손영목, 최충길, 1986. 영산호의 어류군집에 관하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8 : 53-66.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박수현. 2001.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 보유편). 일조각. 송태곤, 김재근, 1995. 영산강 본류 중류 수계의 어류상에 대하여. 연안생물연구지. 12(1) : 71-84. 송태곤, 이완옥, 1987. 영산강 중. 상류의 담수어류. 연안생물연구지. 4 : 81-90. 원두희, 권순직, 전영철. 2005. 한국의 수서곤충. ( 주) 생태조사단. 윤일병. 1988. 한국동식물도감, 제30 권 동물편 ( 수서곤충류). 문교부.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pp. 262. 이창복. 199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임경빈. 1993. 천연기념물( 식물편). 대원사. 484-485 쪽. 장광현, 김현우, 최상호, 김중곤, 주기재. 1999. 도시하천( 서울 양재천) 및 산지하천 ( 경기도 사기 막천) 에서 부착규조 군집의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32: 229-237 정 준. 1987. 부착규조에 의한 형산강 수계의 수질 평가. 한국조류학회지 2: 139-46 최기철, 1989. 전남의 자연( 담수어 편). 전라남도교육위원회. 정문사. 189-192.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1990. 한국담수어도감. 최재신, 김한순, 강만도. 1998. 신천의 부착규조 군집의 계절적 동태. 한국육수학회 지 31:235-240. 환경부. 2005. http://www.me.go.kr 멸종위기야생 동 식물( 제 2 조관련). 함안군. 2006. 함안군 법수면 늪지식물 보호관리 학술조사. 함안군. 94-95 쪽. Abrmovitz, J.N. 1996. Imperiled waters, Impoverished future: The decline of Freshwater ecosystems. Worldwatch paper 128. Allen, J.D., 1995. Stream ecology. Structure and function of running waters. Chapman & Hall, London. Anderssen, T. and D. O. Hessen. 1991. Carbon, nitrogen and phosphorous content of freshwater zooplankton. Limnol. Oceanogr. 36: 807-814. Arber, A. 1920. Water plants Hist. Nat. Class. Vol. ⅩⅩⅢ, Ⅺ, ⅩⅥ, pp. 3-436. Barnes, R.S.K. and K.H. Mann. 1991. Fundamentals of Aquatic Ecology. Blackwell Science Inc. (2nd Ed.). Beck, W.M. 1995. Suggested method for reporting biotic data. Sew. Ind. Wastes. 27: 1193-1197. Brower, J. E. and J. 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 : 131-145. Caccio,S.M. R.C.A. Thompson, J. McLauchlin and H.V. Smith. 2005. Unravelling Cryptosporidium and Giardia epidemiology. Trends Parasitol. 21:430-437. Choi, J.S. and J. Chung. 1990. An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epilithic diatoms of namchon water system. Kor. J. Phycol. 5: 173-191 Davies, S.P., 1996. 1995 NABS Secretory report. Bull. N. Am. Benthol. Soc. De Knecht. JA. MV Dillen, PLM Koevoets, H Schat, JAC Verkleij & WHO Ernst 1994. Phytochelatins in cadmium sensitive and cadmium tolerant Silene vulgaris. Plant Physiol. 104:225-261. Descy, J.P. 1979. Anew approachto water quality estimation using diatoms. Nova Hedwig. 64: 305-323 Edmonson, W. T. 1974. Secondary production. Mitt. Int. Ver. Limnol. 20: 229-272. Edmonson, W. T. and G. G. Winberg (eds). 1971. A Manual on methods for the assessment of secondary productivity in fresh waters. IBP Handbook 17. Blackwell, Oxford. 358pp. Einsle, U. 1993. Crustacea, Copepoda, Calanoida und Cyclopoida. Susswasswefauna von Mitteleuropa, vol. 8, part 4-1. Gustav Fisher Verlag, Stuttugart. Enger, E.D. 1995. Environmental Science: The study of interrelationships. Fassett, N. C. 1957. Amanual of aquatic plant with reision appendix by E. C. ogde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U. S. A. p405. WCB/McGrow-Hill (5th Ed). p. 431. Gomez-Couso, H., F. Freire-Santos, C.F.L. Amar, K.A. Grant. K. Wiiiiamson, M.E. Ares-Mazas, J. McLauchlin. 2004. Detection of Cryptosporidium and Giardia in molluscan shellfish by multiplexed nested-pcr. Int. J. Food Microbiol. 91: 279-288. Hagy, J.D., and W.R. Boynton. 2001. Controls on Hypoxia in Chesapleake Bay - 105 - - 106 -

and its major tributaries. Ecosystem Modeling Program Final Report. Hardiman RT, B Jacoby & A Banin 1984.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cadmium, copper and lead and their effect upon yield and zinc content in bush beans (Phaseolus vulgaris L.). Plant Physiol. 81:17-27 Hynes, H.B.N., 1970. The ecology of running water. Liverpool Unv. Press. IUCN, UNEP and WWF. 1991. Caring for the earth: A strategy for sustainable living. Gland, Switzerland. p228. Joo, G. J., H. W. Kim and K. Ha, 1997. The development of stream ecology and current status in Korea. Korean J. Ecol., 20: 69-78. Kaneta M, H Kubota & T Yamada. 1966. The composition of metals bound to class Ⅲ. metallothionein(phytoche latin and its desglycyl peptide) induced by various metals in root culturess of Rubia tibctorum. Plant Physiol. 110:1145-1150. Kim H. W. and G. J. Joo. 2000. The longitudinal distribution and community dynamics of zooplankton in a regulated large river: a case study of the Naktond River(Korea). Hydrobiologia. 438 : 171-184. Kim H. W., G. J. Joo and N. Walz. 2001. Zooplankton Dynamics in the hyper-eutrophic Nakdong River system(korea) regulated by an estuary dam and side channels. Internat. Rev. Hydrobiol. 86 : 127-143. Kim H. W., G. J. Joo, K. H. Chang and S. J. Hwang. 2000. Zooplankton community dynamics during the summer Microcystis bloom in the lower part of the Nakdong River, South Korea. Verh. Internat. Verein. Limnol. 27 : 1044-1049. Kim H. W., S. J. Hwang and G. J. Joo. 1999. Grazing rates of rotifers and their contribution to community grazing in the Nakdong River. Korean J. Ecol. 22 : 337-342. Kim, H. W., K. Ha. and G. J. Joo. 1998. Eutrophication of the lower Nakdong River after the construction of an estuarine dam in 1987. Internat. Rev. Hydrobiol., 83: 65-72. Kolkwits, R. and M. Marrson. 1908. Ekologie der pflanzlichen saprobien. Ber. deutsch. bot. Ges. 26: 505-519 Koste, W. 1978. Rotatoria. Die Radertiere Mitteleuropes begrunder von Max Voigt, 2nd edn., Vol. 1. Textband, 673p., Vol. 2. Tafelband, 234p., Borntraeger, Stuttgart. Lampert, W. and U. Sommer. 1997. Limnoecology: The ecology of lakes and streams. Oxford University Press. Lange- Bertalot, H. 1979. Pollution tolerance of diatom as a criterion for water quality eatimation. Nova Hedwing. Beih. 64:285-304. Leidy, R.A. and P.B. Moyle. 1998. Conservation Status of World's Fish Fauna: An Overview. In Conservation Biology: For the Coming Decade, eds Peggy S. Fiedler and Peter M. Kareiva, Capter 8. Chapman & Hall Magalof. R., 1958. Im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atics, 3: 36-71. Malone, T.C., D.J. Conley, TR. Fisher, P.M. Glibert, and L.W. Harding. 1996. Scales of nutrient-limited phytoplankton productivity in Chesapeake Bay. Estuaries 19(2B): 371-385. Marglaef, R. 1958. Perspective in ecological theor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2. McNaughton, S. 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Nature. 216 : 168-169. Miller, W.A., E.R. Atwill, I.A. Gardner, M.A. Miller, H.M. Fritz, R.P. Hedrick, A.C. Melli, N.M. Barnes, P.A. Conrad. 2005. Clams (Corbicula fluminea) as bioindicators of fecal contamination with Cryptosporidium and Girdia spp. in freshwater ecosystems in California. Int. J. Parasitol. 35: 673-684. Muenscher, W.C. 1944. Aquatic plants of the United States. 347pp. Comstock Publishing Company, Inc., Ithaca. Odum, E.P. 1971. Fundamentals of Ecology. International Thomson Publishing (3rd Ed.). p. 574. Pace M. L., J. D. Orcutt. 1981. Relative importance of protozoans, rotifers and crustaceans in a freshwater zooplankton community. Limnol. Oceanogr. 26(5) : 822-830. Pantle, R. and H. Buck. 1995, Die biologische berwachung der Gewasser und die Dasrellung der Ergebnisse. Gesu. Wasserfach 96: 604 Peggy L.F. & P.M. Kareiva. 1998. Conservation Biology, 2nd. Chapman &Hall. Pental, R. and H. Buck, 1955. Die biologische uberwachung der erebnisse. Gas. and Pielou, E. C. 1969.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ecology. Wiley Interscience : 291-331.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larendon Press, Oxford. (Citation) - 107 - - 108 -

Reddy, K. R., D. L. Sutton and G. E. Bowes. 1983. Biomass production of fresh water aquatic plants in Florida. Proc. Soil. Crop. Sci Soc. 42:28-40. Rigler, F. H. and J. A. Downing. 1984 The calcuation of secondary productivity. pp. 19-58. In: J. A. Downing and F. H. Rigler, Eds. A manual on methods for the assessement of secondary productivity in fresh waters. 2nd Ed. Blackwell, Oxford. Sculthorpe, C. D. 1967. The biology of aquatic vascular plants. 670pp. Edward Arnold Publishers Ltd., London. Sladecek, V. 1973. Systems of water quality from the biological point of view. Arch. Hydrobiol. Beih. 7, Ergebn. shi. 7: 1-218. Smirnov, N. N. and B. V. Timms. 1983. A revision of the Australian Cladocera (Crustacean). Rec. Aust. Mus. Suppl. 1: 1-132. Talling, J. F. and J. Rzoska. 1967. The development of plankton in relation to hydrological regime in the Blue Nile. J. Ecol. 55: 637-662. The Secretary of Natural Resources. 1996. First annual report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nutrient reduction strategies for Virginia's tributaries to the Chesapeake Bay. Uchida, S., 1990. Distribution of Plecoptera in the Tama-gawa river system. central Japan. Kluwer Academic publishers. Ward, J.V., 1992. Aquatic insect ecology. 1. Biology and habitat. John Willy & Sons, New York. Watanabe, T. and K. Asai. 1990. Numerical simulation using diatoms assemblage of organic pollution in stream and lakes. Rev. Inq. and Res. 52:99-139. Watanabe, T., K. Asai, A. Houki, S. Tanaka and T. Hizuka. 1986. Saprophilos and eurysaprobic diatom taxa to organic water pollution and diatom assemblage index (DAIpo). Diatom 2: 23-73. Wetzel, R. G. 1983. Limnology, Saunders College Publishing Philadelphia, p.767. World Resource Institute. 1994. World resouces.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 109 -

제 1 장 개요 전 세계적으로 인구증가에 따른 용수 수요의 증가와 오염으로 이용가능한 물 이 감소하여 많은 나라에서 물 기근을 겪게 되었다(Barnes and Mann, 1991; Wetzel, 1999). 우리나라도 급속한 산업의 발달과 도시화 등에 따라 생활용수, 농업 용수, 식수용을 위해 많은 인공댐을 건설하여 수자원 확보와 자연재해 저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섬진강 수계에는 5 개 호소가 있으며 전 호소가 담수호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 중 주암댐은 다목적댐으로 광주광역시와 여수, 순천, 광양 등 호남 일원의 용수난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본댐과 조절지댐( 이사천댐) 으로 이루어져 있 다. 동복댐은 전라남도 및 광주광역시의 생활용수로 사용 되고 있다. 이러한 인공댐의 건설로 인해 수계생태의 이화학적 환경의 변화와 주변의 생활 하수, 축산 폐수 등에 의한 오염부하량은 수질을 악화시키며, 부영양화를 일으킨다 ( 정준 등 1994). 호소의 부영양화는 일반적으로 무기영양염류의 유입량 증가에 의해 호소 내 식물플랑크톤의 생산력 또는 현존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Welch and Lindell, 1992). 일반적으로 인공호는 하천을 인공적으로 막아 축조하여 계곡과 그것 을 둘러싸고 있는 유역 지역에 따라 호소의 성상은 크게 좌우된다. 특히 산지의 경 우는 강우와 함께 상당한 양의 토사가 유출된다. 토사는 하천, 호소 등에 침전되어 물의 이용을 방해 할 뿐만 아니라 인 등을 흡착, 이동시키기 때문에 이런 정체성 수역에서는 상류지역 오염원의 분포와 규모들에 따라 부영양화를 촉진하는 비점오 염원이 된다( 김학성 등 2003). 호소의 부영양화는 호소 수질 저하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서 그것은 호소 내 일차생산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조류, 특히 식물플랑크톤의 증가에 의한 것이 다. 식물플랑크톤이 대량 발생하게 되면, 수체에 ph 를 증가 시키며, 호소의 유기물 햠량을 증가시키고, 수중 산소고갈과 그에 따른 생태계 파괴 및 악취 발생을 일으 킨다. 또한 동물과 인체에 유해한 독성물질을 생산하기도 하며, 정수처리 시 응집을 저해하고, 여과지 폐색하는 등의 정수처리장애를 유발시킨다( 박혜경 등 2000). 상수원일 경우, 이취미 문제 및 조류 독소 문제가 크게 대두 되고 있으며, 그에 따 라 부영양화가 진행되는 과정 그리고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기작들을 파악할 수 있 - 110 -

는 조사 평가가 섬진강의 효율적인 수질관리에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되었다. 부영 양화가 진행되는 과정이나 기작은 호소별로 다를 수 있는데 이는 호수내의 수중 생 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먹이망에서 생물들 간 그리고 생물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호소에서 영양염이 유입되어 부영양화가 진행 되어도 생태계내의 상호작용이 활발하여 오염물질의 일차반응자인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이 일정 수준 유지된다면 오히려 어류와 같은 상위소비자 즉 수산자원이 증 가하는 생산적인 시스템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수중 먹이망 중에서도 미세 먹이망의 역할이 최근에 관심을 끌어왔는데 그중에서도 일차생산자인 식물플랑크톤 을 크기별로 구분하여 환경 및 상위소비자와의 상호작용을 연구할 필요성이 대두되 었다. 호소로의 단기적 혹은 장기적인 영양염류( 오염물질) 의 유입은 일차생산자의 질 (size structure) 과 양(biomass) 을 변화시킨다. 오염으로 인한 일차생산자의 변화는 수중의 종속영양 소비자들뿐만 아니라 영양물질과 DO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 세포 의 크기는 침전속도(Michaels and Silver, 1988) 와 이동속도를 결정하므로 세포크기 에 따라 플랑크톤의 침전지역과 산소고갈(Jonas, 1992) 그리고 박테리아와 원생동물 들의 미생물작용으로 인한 영양염류의 재순환(Caron, 1991) 이 일어나는 지역이 다 르게 나타날 수 있다. 재순환된 영양염류들은 결과적으로 다시 일차생산을 위해 쓰 이게 된다(Kemp and Boynton, 1984). 따라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영양염과 수체 내 부에서 순환되는 영양염, 다시 외부로 빠져나가는 영양염 등에 대한 거시적 물질 순환 조사는 호소 및 하천의 수질을 관리하는데 있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최종적인 목표는 주암호, 동복호의 거시적 영양물질 순환 조사를 통 해 섬진강 수계의 주요 호소인 주암호ㆍ동복호의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111 -

제 2 장 조사방법 월부터 본 조사 연구사업의 대상 호수는 섬진강 수계인 동복호와 주암호이며, 2009년 3 11 월까지 월별조사를 실시하였다. 1절 현장조사 본 연구사업의 대상 호소는 주암호, 동복호이며, 일차 생산력,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생체량, 유기물 및 영양물질의 stoichiometry를 조사하기 위해 2009년 4월부 터 2009년 11월까지 동복호 2개 정점과 주암호 3 개 정점을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상위포식자 조사는 계절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림 2.1.1). 영양물질 순환 & 부영양화 조사 동복2 동복1(댐) 주암1 주암3 주암2 그림 2.1.1. 주암호 동복호의 조사정점. - 112 -

1. 조사 항목 및 분석 방법 시료는 Van Dorn water sampler 를 이용하여 표층( 수면에서 1 m 아래) 과 저층 ( 바닥에서 1 m) 에서 채수하여 얼음상자에 냉장 보관하여 실험실로 이송 후, Chlorophyll a, T-N, T-P, NH + 4, NO - 2 +NO - 3, PO -3 4, SiO 2, TOC, POC, DOC 등을 측정하였다. 1) 수질 항목 측정 현장 수질 측정항목인 수온, ph, 전기전도도, 탁도 및 DO(Dissolved Oxygen) 는 YSI 6600 V2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중의 빛 강도는 수심 10, 35, 60, 85, 110 cm에서 LICOR PAR Quantum Radiometer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광소멸계수 (Light attenuation coefficient) 계산은 Beer's Law(I z =I o e -kz ) 를 이용하였고, 투명도는 Secchi disk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부유물질은 일정량의 시료를 미리 무게를 알고 있는 여과지(Membrane 0.45 μm ) 에 여과 한 후에 105~ 110 에서 항량으로 건 조하여 무게를 달아 증가한 무게를 부유물질의 양으로 한다. 전기로에 여과지를 넣 고 550 가열 후 무게 차이로 휘발성 부유물질을 측정하였다. 2) 영양물질 농도 조사 (PO 4 3- + - 암모니아성 질소(NH 4 -N), 질산성 질소(NO 3 -N), 규산성 규소(SiO 2 -Si), 인산인 -P) 는 niskin 채수기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수한 후 일정량을 Whatman R 25 mm GF/F filter를 통과시켜 여액을 20 ml plastic scintillation vial에 넣어 에 냉동 운반하여 dry ice -20 로 냉동보관 후 Parsons et al. (1984) 에 준하여 AutoAnalyzer(Bran Luebbe R )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총질소(T-N) 및 총인(T-P) 은 환경시험공정방 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3) 탄소 유기물 조사 입자성 유기탄소 각 정점에서 깊이별로 채수한 물 시료를 미리 태운(450 C, 4 시간) 25 mm GF/F - 113 -

여과지로 여과한 후 진한염산 증기로 무기탄소를 제거하여 원소분석기(EA 1108, Fision Instruments, U.K.)로 분석한다. 총 유기탄소 각 정점에서 깊이별로 채수한 물 시료를 유기물 제거를 위해 미리 태운 유리병 에 옮겨 담은 후, 무기탄소 제거 및 미생물 활동을 막기 위해 염산(HCl) 을 첨가하 여 ph를 2 이하로 낮추어 준다. 그 후 총 유기탄소 분석기(TOC-V CPH, Shimadzu, Japan) 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4) 클로로필 측정 식물플랑크톤을 micro-size(>20 μm), nano-size(2 20 μm), pico-size(<2 μm) 3개 의 크기로 분류하였다. 이 분류를 위해 20 μm Nytex mash, 2 μm Whatman polycarbonate mambrane filter 를 이용해서 채수된 시료를 적당량을 펌프(<120 mmhg) 를 사용해 서 여과 한 후에, 여과된 여액을 유리섬유 여과지(GF/F filter, 직경 25 mm, Whatman, pore size 0.7 μm) 를 이용해서 여과 하였으며, 전체 클로로필 a(chlorophyll a) 은 채수된 시료를 유리 섬유 여과지로 필터 하였다. 사용된 필터들 을 클로로필 추출용액인 90% 아세톤(Acetone) 8 ml가 담긴 차광 시험관에 넣고 12 시간이 지난 후 24시간 내로 Turner Designs 10-AU Fluorometer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고 최종 농도는 수식 1 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2N 염산(HCl) 을 2~3방울 추가하여 산화성에 따른 Pheopigments 의 양을 측정 하였다. Chlorophyll a ( μg/l) = Ra (Ve/Vf) ( 수식 1) Chlorophyll a : 시수 샘플의 클로로필 a Ra : 산성 용액 첨가 전 fluorometer 측정 값 ( μg/l) Ve : 아세톤 (Acetone) 부피 ( ml) Vf : 여과 된 시수 샘플의 부피 ( ml) - 114 -

5) 일차 생산력 측정 환경 변화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 potential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광 합성 전자전달계 저해제인 DCMU 를 가하기 전과 후의 생체형광(in vivo fluorescence) 차이(Turner Designs 10-AU fluorometer 를 이용) 로부터 FRI(Fluorescence Response Index) 를 계산하고자 하였다(Cullen & Renger, 1979). FRI = (F a - F b ) / F b F a F b = DCMU = DCMU 첨가 후의 형광 값 첨가 이전의 생체형광 값 이 index 는 광합성 능력을 나타내며(Samuelsson & Öquist, 1976), 식물플랑크톤의 생리적인 상태를 잘 반영 한다(Domotor et al., 1982). 1 차 생산력(primary production, pp) 을 측정하기 위하여 첨단장비인 Fast Repetition Rate Fluorimeter(FAST tracka Ⅱ) 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직접적인 일차생산 력 관련 역학 변수(Dynamic fluorescence parameters) 를 측정하여 수평적 변동뿐만 아니라 수직적 변동(Vertical profile) 을 조사하여 수층별 기초 생산력의 패턴을 조 사 하였고 최종 일차생산력(FluxPS Ⅱ) 은 아래와 같이 Smyth et al.(2004) 이 제시한 방법( 수식 2) 을 기초로 계산하였다. 또한 광합성량 즉 탄소동화율로 환산하기 위하 여 역시 아래에 제시된 수식 3(Kolber et al., 1998) 을 이용하였으며, 이들 결과를 최 종적으로 적분(integrate) 하여 산출하였다. FluxPSⅡ산출 방법 FluxPS Ⅱ = (FmL-FoL)/FmL*SigL*PAR ( 수식 2) FmL: Maximum fluorescence in darkness measured in the light-exposed chamber FoL: Minimum fluorescence in darkness measured in the light-exposed chamber SigL: Functional Absorption cross section measured in the light-exposed chamber PAR : Photosynthetic Active Radiation - 115 -

Integrated pp(z) = {(P+P n )/2}*(Dn-Db) P : Pn: 현재 수심의 다음 깊이의 FluxPSⅡ값 FluxPSⅡ값 Dn: Db: 다음 깊이의 수심 이전 깊이의 수심 Sum of Ipp = Integrated pp(z)의 합 PP(gC/m 3 h) 산출 방법 P(z)=1.87*10-4 ΔF'/F'm(z)σ PSⅡ (max)e PAR (z)chl a(z) ( 수식 3) ΔF'/F'm(z) = A*(TAN(PAR/Ek))/PAR where, A = (Fv/Fm)*Ek Ek = 13.348*LN(PAR)-31.628 σ PSⅡ(max) : Functional Absorption cross section measured in the light and dark chamber E PAR (z) Chl a(z) : Photosynthetic Active Radiation(PAR) : Chlorophyll a of depth Integrated pp(z)= ((P+P n)/2)*(dn-db) P : Pn: 현재 수심의 다음 깊이의 P(z) 값 P(z) 값 Dn: Db: 다음 깊이의 수심 이전 깊이의 수심 Sum of Ipp = Integrated pp(z)의 합 6) 상위포식자 조사 동물플랑크톤 채집은 표층수 20 L를 채수하여 60 μm 플랑크톤 net로 거른 뒤 동물플랑크톤을 채집 하였으며, 비교 시료로 플랑크톤 Net ( 망구 30 cm, 망목 60 μm) 를 하여 저층부터 표층까지 수직 채집 하였다. 채집 된 시료는 선상에서 중성포 르말린을 사용하여 5% 가 되도록 고정을 하였다. 종조성 및 개체수의 조사에 시료의 분할이 필요할 경우 Folsom식 분할기를 이용하여 1/2~1/32 까지 분할 후, Bogorov 식 계수판에서 해부현미경(Nikon SMZ 1000) 을 사용하여 동정을 하였으며, 요각류 는 가능한 종 수준까지 동정하였으며, 미세형질을 면밀히 관찰하여 윤형동물과 지 - 116 -

각류, 요각류로 분류 계수하였다. 요각류를 대상으로 종을 동정하는 과정에서 보다 세밀한 관찰이 필요한 경우는 동정에 필요한 부속지를 해부하여 고배율 광학현미경 (Nikon ECLIPSE 80i) 하에서 관찰하였다. 건조유기물중량은 GF/C 여과지의 무게를 달고 증류수로 적셔 여과장치에 올려 놓고, 시료를 붓고 약 250 mmhg 에서 물기를 흡입하였다. 이렇게 물기가 제거된 여 과지를 전기 오븐에서 약 60 70 로 건조 시킨 후 무게를 측정 한 후 무게가 측정 된 건조 표본을 전기로(electric furnace) 에 넣어 400 500 로 일정한 무게가 될 때 까지 소각하였다. 완전히 소각한 후 건조기 안에서 식혀 중량을 측정하였다. 건조유 기물중량은 건중량에서 재(ash) 무게를 뺀 중량으로 구하여 생체량을 측정하였다. - 117 -

제 3 장 영양물질 순환 1절 주암호 본 절은 이번 연구 대상 호소인 주암호의 이화학적 조사에 대해 시 공간적으로 실측조사 한 결과를 항목별로 기술하였다. 이화학적 조사에 해당하는 항목은 물리 적인 특성인 수온, 전기전도도, 투명도, KD, 탁도 등이며, 화학적 특성인 DO, ph, 총질소, 총인, 암모늄, 아질산+ 질산염, 인산염, 규산염 등을 포함하였다. 또한, 탄소 유기물질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SS, VSS, 총 유기탄소, 입자성 유기탄소, 용존성 유기탄소 등을 기술하였다. 1. 이화학적 특성 1) 가. 물리적 환경인자 수온 2009년 4월에 표층 수온은 약 11 15 로 주암2 정점에서 가장 높은 분포를 보 였고, 주암1 정점에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주암1, 2 정점에서는 표 저층간에 각각 5, 7 의 차이로 온도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점차 성층화로 진행되는 과정으 로 판단된다. 주암3 정점에서는 낮은 수심으로 인한 표 저층간의 수온 차이는 크지 않았다 5월에 표층 수온은 약 20 21 로 정점간에 유사한 분포를 나타냈고, 주암1 정 점에서는 뚜렷한 수온성층현상을 나타냈다. 표층에서부터 5 m 구간은 혼합층 (mixed later) 을 형성하였고, 5 m에서 10 m 까지 수온약층(thermocline) 이 형성되었 다. 주암2 정점에서도 주암1 정점과 같이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고, 주암3 정점에서 는 낮은 수심의 영향으로 표층과 저층간의 온도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6월에 표층 수온은 22 23 로 정점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암1 정점에 서는 성층현상이 존재하였다. 표층에서 5 m 구간은 온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 며, 이하의 수심인 5 10 m 구간은 급격한 수온감소를 보이는 수온약층이 형성되었 다. 주암2 정점은 표층에서 1 m 구간은 혼합층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수온약층의 구간은 1 8 m 구간에서 나타났다. 주암3 정점은 본 조사시기에 수심이 1 m정도로 표 저층간의 온도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118 -

7월의 표층 수온은 25 분포를 나타내었고, 주암1 정점과 주암2 정점에서는 3 26 m 구간에서 수온약층이 형성되었다. 주암1 정점은 표층과 저층의 수온은 17 정 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공간적으로 상류보다 하류가 넓은 범위에 걸쳐 수온약층 을 형성하였다. 8월의 수온분포 역시 여름철의 수온분포 특성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장마철 강우에 의하여 상류지역인 주암3 정점에서도 깊은 수심을 나타내었고, 수온 약층을 형성하였다 9월에는 계절이 가을로 변화 하면서 수온약층이 점차 소멸되는 형상을 나타내 었다. 상류인 주암3 정점과 중류인 주암2 정정은 수심별 온도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7월과 8 월에 나타났던 수온약층 또한 형성하지 않았다. 하류인 주암1 정 점에서는 수심 20 m 이후에서 급격한 수온변화를 나타내었다. 10월에는 모든정점이 표층에서 20 m 수심까지 수온의 변화가 없었으며, 하류인 주암1 정점만 20 m 이하 의 수심에서 급격한 수온 감소를 나타내었다. 11월에는 10월과 비슷한 패턴으로 모 든 정점이 20 m 수심까지 수온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하류정점인 주암1 정점에 서만 20 m 이하의 수심에서 수온 변화를 나타내었다( 그림 3.1.1). 나. 전기전도도 주암호의 전기전도도(electric conductivity) 분포를 보면 모든 조사시기에 상대 적으로 하류지역보다 상류지역인 주암3 정점에서 평균적으로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 다. 또한 표층과 저층을 비교하면 저층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각 조사시기별 분포 특성을 보면 4월부터 6 월까지는 수직적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강우기가 시작되는 7 월부터 저층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패턴을 나타내었다. 8월의 경우에는 모든 정점의 저층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수심에 비하여 높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내었 다. 10월과 11월의 주암1 정점의 저층은 0.2 ms/cm이상의 전기전도도를 나타내면 서 조사시기중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그림 3.1.2). - 119 -

Tem. ( ) 0 5 10 15 20 25 30 0 A) Apr. 09 5 Tem. ( ) 0 5 10 15 20 25 30 0 B) May 09 5 Tem. ( ) 0 5 10 15 20 25 30 0 C) Jun. 09 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20 주암1 주암2 20 20 주암3 25 25 25 0 Tem. ( ) 0 5 10 15 20 25 30 0 Tem. ( ) 0 5 10 15 20 25 30 0 Tem. ( ) 0 5 10 15 20 25 30 5 D) Jul. 09 5 E) Aug. 09 5 F) Sep. 09 10 10 10 Depth (m) 15 20 25 Depth (m) 15 20 25 Depth (m) 15 20 30 30 25 35 35 30 40 40 35 0 Tem. ( ) 0 5 10 15 20 25 30 0 Tem. ( ) 0 5 10 15 20 25 30 5 G) Oct. 09 5 H) Nov. 09 10 10 15 15 Depth (m) 20 Depth (m) 20 25 25 30 30 35 35 40 40 그림 3.1.1. 주암호 수온의 수직분포. - 120 -

Con. (ms/cm) 0 0.1 0.2 0.3 0.4 0.5 0 A) Apr. 09 Con. (ms/cm) 0 0.1 0.2 0.3 0.4 0.5 0 B) May 09 Con. (ms/cm) 0 0.1 0.2 0.3 0.4 0.5 0 C) Jun. 09 5 5 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20 주암1 주암2 20 20 주암3 25 25 25 Con. (ms/cm) 0 0.1 0.2 0.3 0.4 0.5 Con. (ms/cm) 0 0.1 0.2 0.3 0.4 0.5 Con. (ms/cm) 0 0.1 0.2 0.3 0.4 0.5 0 0 0 5 D) Jul. 09 5 E) Aug. 09 5 F) Sep. 09 10 10 10 Depth (m) 15 20 25 Depth (m) 15 20 25 Depth (m) 15 20 30 30 25 35 35 30 40 40 35 Con. (ms/cm) 0 0.1 0.2 0.3 0.4 0.5 Con. (ms/cm) 0 0.1 0.2 0.3 0.4 0.5 0 0 5 G) Oct. 09 5 H) Nov. 09 10 10 15 15 Depth (m) 20 Depth (m) 20 25 25 30 30 35 35 40 40 그림 3.1.2. 주암호 전기전도도의 수직분포. 다. 투명도 및 광소멸계수 주암호의 투명도(secchi disk transparency) 분포를 보면 하류지역인 주암1 정점 이 평균 2.51 m 로 가장 높은 투명도를 보였고, 주암3 정점이 평균 1.68 m로 가장 낮은 투명도를 보였다. 계절적인 분포를 보면 주암1 정점에서는 5월에 3.6 m로 가 - 121 -

장 높은 투명도를 나타내었고, 8월에 1.2 m 로 가장 낮은 투명도를 나타내었다. 전반 적으로 강우시즌인 7월과 8 월에 투명도가 낮게 나타났다. 중류지역인 주암2 정점에서는 연중 평균 1.73 m 의 투명도를 나타내었으며, 주암 1 정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투명도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상류지역인 주암3 정점 에서는 9월에 4 m로 가장 높은 투명도를 나타내었으며 5월에 가장 낮은 투명도를 나타내었다. 본 정점의 경우 4월부터 6월 사이에는 가뭄에 의하여 수심이 1 m 이하 의 수심을 나타내었고, 상대적으로 투명도가 낮게 나타내었다. 광소멸계수(light attenuation coefficient) 는 조사기간 동안에 상류지역인 주암3 정점에서 평균 1.25 m -1 로 정점중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하류지역인 주암1 정 점에서 평균 0.86 으로 정점간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이는 투명도와 유의한 상관 성을 나타내었다. 주암1 정점에서는 투명도가 가장 낮았던 8월에 1.6 m -1 로 가장 높 은 수치를 보였다. 중류지역의 광소멸계수는 조사시기별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 으며, 하류지역인 주암3 정점에서는 4월과 10월에 각각 1.86, 1.99 m -1 로 높은 수치 를 나타내었다. 5월과 6월의 경우에는 1 m이하의 수심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광소멸 계수를 측정할 수 없었다( 그림 3.1.3). Secchi depth (m) 5 4 3 2 1 A) 주암1 Secchi depth KD 2.5 2 1.5 1 0.5 KD (m -1 ) Secchi depth (m) 5 4 3 2 1 B) 주암2 2.5 2 1.5 1 0.5 KD (m -1 )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Month Month Secchi depth (m) 5 4 3 2 1 0 C) 주암3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2.5 2 1.5 1 0.5 0 KD (m -1 ) 그림 3.1.3. 주암호의 투명도 및 광소멸계수. - 122 -

라. 탁도 2009년 4 월의 주암호에 탁도(turbidity) 분포를 보면 주암1 정점과 주암2 정점에 서는 표층보다 저층에서 다소 높은 탁토를 보였으며, 주암3 정점에서는 저층보다 표층에서 높은 탁도를 나타내었다. 정점별로는 상류지역인 주암3 정점이 높은 분포 를 나타내었고 하류정점인 주암1 정점이 타 정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탁도를 보였다. 5월에는 상류인 주암3 정점에서 표 저층 모두 60NTU 이상으로 높은 탁도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주암1 정점과 주암2 정점은 4 월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6월 역시 상류인 주암3 정점에서 30NTU 이상을 보이면서 타 정점에 비하여 상대적으 로 높은 분포를 보였고, 주암2 정점의 경우 저층으로 갈수록 탁도가 낮아졌다. 주암 1 정점에서는 수직적으로 큰 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7월 탁도의 수직 분포 결과를 보면 이전 조사시기와 다르게 하류인 주암1 정점 이 상류 및 중류 지역보다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상류지역인 주암3 정점이 가장 낮 은 탁도를 나타내었다. 수직적 분포를 보면 표층에서 2.5 m 수심까지는 모든 정점 에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가 이후 수심에서는 탁도가 증가하여 수심 20 m 정 도에 최대 탁도를 나타낸후 점차 감소하는 패턴을 나타내었다. 즉 7월 조사시기의 주암1 정점의 경우 중층에서 높은 탁도를 나타내었다. 8월에는 중류인 주암2 정점 에서 70NTU 이상의 탁도로 공간적으로 가장 높은 탁도 분포를 내타내었으며, 모든 정점에서 수직적으로 다소 변동은 있었으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9월의 탁도 분포는 3 정점이 모두 유사한 탁도를 나타내었고 수직적으로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10월의 경우 주암1 정점과 주암3 정점에서는 수직적으로 변화가 없었으며 중류인 주암2 정점의 저층에서 급격히 탁도가 증가하여 28NTU의 탁도를 나타내었 다. 11월의 경우 주암1 정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탁도를 나타내었으며 주암2 정점 과 주암3 정점은 탁도가 비슷한 경향과 농도를 나타내었다. 탁도 분포의 특징을 살펴보면 7월에 수직적으로 급격한 변화가 관측되었고 공 간적으로는 하류지역이 상대적으로 탁도가 낮았으며, 수직적으로도 큰 변동을 나타 내지 않았다. 상류와 중류지역은 계절에 따라 탁도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났다( 그림 3.1.4). - 123 -

Turb. (NTU) 0 20 40 60 80 0 A) Apr. 09 Tub. (NTU) 0 20 40 60 80 0 B) May 09 Turb. (NTU) 0 20 40 60 80 0 C) Jun. 09 5 5 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20 주암1 주암2 20 20 주암3 25 25 25 Turb. (NTU) 0 20 40 60 80 Turb. (NTU) 0 20 40 60 80 Turb. (NTU) 0 20 40 60 80 0 0 0 5 D) Jul. 09 5 E) Aug. 09 5 F) Sep. 09 10 10 10 Depth (m) 15 20 25 Depth (m) 15 20 25 Depth (m) 15 20 30 30 25 35 35 30 40 40 35 Turb. (NTU) 0 20 40 60 80 0 Turb. (NTU) 0 20 40 60 80 0 5 G) Oct. 09 5 H) Nov. 09 10 10 15 15 Depth (m) 20 Depth (m) 20 25 25 30 30 35 35 40 40 그림 3.1.4. 주암호 탁도의 수직분포. 마. 부유물질 및 휘발성부유물질 주암호에 표층 부유물질(suspended solids) 분포를 보면 주암1 정점의 표층에서 는 8월에 7.5 mg/l 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5월과 6월에는 1.8 mg/l 가장 - 124 -

낮은 부유물질 농도를 보였다. 저층의 경우에는 11월에 10.0 mg/l로 가장 높았으며 6월에 2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주암2 정점의 표층에서는 6월에 7.8 mg/l 로 가장 높은 부유물질을 나타내었으며, 7월에 1.1 mg/l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저층에서는 10월에 11.3 mg/l로 가장 높았으며 9월이 3.5 mg/l로 가장 낮 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주암3 정점의 표층에서는 5월과 6월에 각각 74.0, 34.7 mg/l 로 매우 높은 부유물질 농도를 나타내었는데 본 조사시기에는 가뭄에 의하여 주암3 정점의 수심이 1 m이하로 매우 낮았으며 현장 조사시 육안으로도 상당히 높은 탁 도를 나타내었다. 부유물질의 전반적인 경향을 보면 상류지역이 하류지역보다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고 표층에 비하여 저층이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림 3.1.5). 2009년 4 월의 주암호에 표층 휘발성부유물질(volatile suspended solids) 분포를 보면 주암1 정점의 경우 8월에 7.2 mg/l로 표층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 며, 저층에서는 11월에 4.6 mg/l 로 가장 높았다. 주암2 정점에서는 표층의 경우 4 월에 4.4 mg/l 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저층은 10월에 9.0 mg/l로 가장 높 았다. 상류인 주암3 정점의 표층에서는 5월과 6월에 각각 13.6, 13.3 mg/l로 특히 높은 농도를 보였다( 그림 3.1.6). 50 40 A) 주암1 Surface Bottom 50 40 B) 주암2 SS (mg/l) 30 20 SS (mg/l) 30 20 10 10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80 60 C) 주암3 SS (mg/l) 40 20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1.5. 주암호 부유물질의 분포. - 125 -

15 12 A) 주암1 Surface Bottom 15 12 B) 주암2 VSS (mg/l) 9 6 VSS (mg/l) 9 6 3 3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15 12 C) 주암3 VSS (mg/l) 9 6 3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1.6. 주암호 휘발성 부유물질의 분포. 각 정점의 조사시기별 부유물질에 대한 휘발성부유물질의 기여도를 보면 하류 인 주암1 정점의 경우 30.8 96.3% 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6 월, 7 월, 9월은 타 계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휘발성부유물질의 기여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7월의 경우에 는 표층과 저층의 기여도를 보면 표층의 부유물질의 구성은 휘발성부유물질의 구성 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반면, 저층의 경우 입자성부유물질의 비율이 높게 분포하 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강우기 장마에 의하여 유입된 토사 등의 부유물질들이 저층으로 침전되어 나타난 결과로 예상된다. 주암2 정점과 주암3 정점 역시 주암1 정점과 유사한 패턴의 결과를 나타내었고, 상류지역인 주암3 정점의 경우 가뭄에 의하여 수심이 낮았던 5월과 6월에는 휘발성부유물질의 기여도가 상당히 낮은 결과 를 보였다. 각 정점별 휘발성부유물질의 기여도 결과를 보면 상류인 주암3 정점에 서 가장 낮은 기여율을 나타내었으며, 중류와 하류는 거의 비슷한 기여율 분포를 보였다( 표 3.1.1). - 126 -

표 3.1.1. 주암호의 부유물질 및 휘발성 부유물질 조사지점 주암1 주암2 주암3 Month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SS VSS VSS SS VSS VSS SS VSS VSS (mg/l) (mg/l) (%) (mg/l) (mg/l) (%) (mg/l) (mg/l) (%) Surface 2.00 1.86 92.9 4.60 4.40 95.7 10.20 5.40 52.9 Bottom 2.60 2.40 92.3 4.00 3.80 95.0 13.00 6.00 46.2 Surface 1.80 1.73 96.3 3.90 3.60 92.3 74.00 13.60 18.4 Bottom 2.80 2.00 71.4 6.40 3.60 56.3 Surface 1.80 1.27 70.4 7.76 3.76 48.5 34.67 13.33 38.5 Bottom 2.00 1.40 70.0 4.60 2.30 50.0 Surface 3.10 2.30 74.2 1.10 1.00 90.9 3.30 3.00 90.9 Bottom 3.90 1.20 30.8 10.60 2.80 26.4 5.80 2.80 48.3 Surface 7.50 7.20 96.0 3.70 3.10 83.8 3.10 3.00 96.8 Bottom 2.60 1.40 53.8 6.00 5.40 90.0 3.70 0.60 16.2 Surface 4.67 3.00 64.3 2.30 1.90 82.6 2.70 2.50 92.6 Bottom 3.40 1.50 44.1 3.50 2.00 57.1 8.67 5.00 57.7 Surface 2.10 2.00 95.2 3.00 2.86 95.2 2.25 2.13 94.4 Bottom 4.43 3.43 77.4 11.33 9.00 79.4 3.63 3.13 86.2 Surface 2.89 2.33 80.8 2.40 2.00 83.3 2.80 2.20 78.6 Bottom 10.00 4.60 46.0 6.28 2.79 44.4 4.00 2.20 55.0-127 -

2) 화학적 환경인자 가. DO 주암호의 용존산소(dissolved oxygen) 는 < 그림 3.1.7> 에 나타냈다. 4월의 표층 용존산소는 약 9 13 mg/l 로 분포하였고, 용존산소의 수직적인 분포는 주암2 정점 에서 표 저층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였고, 하류지역인 주암1 정점에서는 수심 3 m 부터 8 m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다시 감소하여 저층에서 가장 낮은 분포 를 보였다. 5월의 표층 용존산소는 약 9~ 10 mg/l 로 분포하였고, 주암2 정점의 저 층에서 빈산소층(hypoxia) 이 형성되었다. 이는 상류에서 유입되거나 내부에서 생산 된 유기물들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용존산소가 고갈된 것으로 사료되며, 수 온구배에 의한 성층발달이 표층 및 대기로부터의 산소공급을 차단하여 빈산소층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6월 주암1 정점의 경우 저층으로 갈수록 점차 용전산소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기 시작하였으며, 주암2 정점의 경우에는 저층에서 0.35 mg/l 거의 용존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 되었다. 7월 조사 에서는 모든 정점이 저층에서 빈산소층을 형성하엿다. 표층의 용존산소는 9 10.2 mg/l 의 범위를 유지하였다. 주암1과 주암3 정점에서는 7m 구간까지 급격히 감소한 후 22 m 까지는 5 6 mg/l의 농도를 유지하다가 그 이후 수심에서 다시 습격한 감소를 보였다. 주암1 정점의 저층은 2 mg/l 의 용존산소를 유지하였다. 8월의 용존 산소 분포 역시 7 월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표층은 10 mg/l 정도의 용 존산소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5 15 m 구간에서 급격히 감소하였고 15 25 m 구간 에서는 다시 일정한 농도를 유지한 후 다시 감소하여 저층에서는 2.5 mg/l의 농도 를 유지하였다. 9월 용존산소의 수직 분포의 경우에는 표층에서 6 7 mg/l의 농도 범위를 유지하였으며 주암1 정점의 경우에는 저층으로 갈수록 서서히 감소하는 경 향을 나타내었고, 주암2 정점과 주암3 정점의 경우 5 m 수심 이후에서 급격히 감소 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0월 용존산소 분포는 표층에서 약 20 m 수심까지 일정한 용존산소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이하 수심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주암1의 저층에 서는 0.61 mg/l 의 농도로 혐기성 상태를 나타내었다. 11월 용존산소 분포 역시 10 월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주암2와 주암3 정점은 표층과 저층간의 용존산소가 유사한 농도를 나타내었고 수직적으로도 큰 변동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주암1의 경 우 표층에서 25 m 구간까지 큰 변동을 보이지 않다가 이 후 수심에서는 급격히 감 소하여 저층에서는 0.87 mg/l 로 혐기성 상태를 유지하였다. 연중 용존산소의 분포 - 128 -

를 종합하면 여름철에서는 수온 성층에 영향으로 표층과 저층간의 용존산소의 농도 가 큰 차이를 보였으며 하류인 주암1 정점의 경우 저층에서는 여름철부터 빈산소층 을 유지하였다.( 그림 3.1.7). DO (mg/l) 0 3 6 9 12 15 0 A) Apr. 09 DO (mg/l) 0 3 6 9 12 15 0 B) May 09 DO (mg/l) 0 3 6 9 12 15 0 C) Jun. 09 5 5 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20 주암1 주암2 20 20 주암3 25 25 25 0 DO (mg/l) 0 3 6 9 12 15 0 DO (mg/l) 0 3 6 9 12 15 0 DO (mg/l) 0 3 6 9 12 15 5 D) Jul. 09 5 E) Aug. 09 5 F) Sep. 09 10 10 10 Depth (m) 15 20 25 Depth (m) 15 20 25 Depth (m) 15 20 30 30 25 35 35 30 40 40 35 0 DO (mg/l) 0 3 6 9 12 15 0 DO (mg/l) 0 3 6 9 12 15 5 G) Oct. 09 5 H) Nov. 09 10 10 15 15 Depth (m) 20 Depth (m) 20 25 25 30 30 35 35 40 40 그림 3.1.7. 주암호 용존산소의 수직분포. - 129 -

나. ph 주암호의 수소이온농도(potential of hydrogen) 는 < 그림 3.1.8> 에 나타냈다. 4월 의 표층 수소이온농도는 주암1 정점에서 9.2 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고, 주암3 정 점에서 8.6 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저층에서는 주암3 정점에서 8.6로 가장 높 은 분포를 나타냈고, 주암2 정점에서 8.3 로 가장 낮은 분포를 나타냈다. 주암1정점 은 저층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패턴을 보였고, 주암2 정점에서는 저층으로 갈수록 높아지다가 다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5월의 표층 수소이온농도는 주암3 정점에서 9.4 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고, 주 암1 정점에서 8.6 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저층에서도 표층과 같은 공간적인 분 포를 보였고, 주암1, 주암2 모두 저층으로 갈수록 높아지다가 낮아지는 패턴을 보였 다. 6월 표층에서는 8.7 9.12의 범위를 유지하였고 저층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 을 나타내었다. 수심이 낮았던 주암3 정점의 경우에는 표층과 저층이 유사한 농도 를 유지하였으며 주암1과 주암2 정점에서는 저층으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며 주암1 정점의 저층의 경우 ph가 7.06 까지 감소하였다. 7월 역시 표층에서 저층으로 갈수 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정점별로는 상대적으로 주암1 정점이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저층으로 갈수록 감소율도 증가하였다. 9월에는 주암2와 주암3 정점의 경우 수심별로 수소이온농도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주암1 정점의 경우에는 표층에서 저층으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주암1 정점의 저층의 수소이온농 도는 6.42 로 약산성을 나타내었다. 10월과 11월의 경우에도 주암2와 주암3 정점에서 는 수직적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주암1 정점만 저층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패턴을 나타내었다( 그림 3.1.8). - 130 -

ph 6 7 8 9 10 0 A) Apr. 09 ph 6 7 8 9 10 0 B) May 09 ph 6 7 8 9 10 0 C) Jun. 09 5 5 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20 주암1 주암2 20 20 주암3 25 25 25 ph 6 7 8 9 10 0 ph 6 7 8 9 10 0 ph 6 7 8 9 10 0 5 D) Jul. 09 5 E) Aug. 09 5 F) Sep. 09 10 10 10 Depth (m) 15 20 25 Depth (m) 15 20 25 Depth (m) 15 20 30 30 25 35 35 30 40 40 35 ph 6 7 8 9 10 0 ph 6 7 8 9 10 0 5 G) Oct. 09 5 H) Nov. 09 10 10 15 15 Depth (m) 20 Depth (m) 20 25 25 30 30 35 35 40 40 그림 3.1.8. 주암호 ph 의 수직분포. - 131 -

다. 총질소(T-N) 주암호의 총질소 분포는 < 그림 3.1.9> 와 같다. 주암1 정점의 수직분포 결과를 보면 6월에서 9월에 20 m 수심에서 2.5 3.0 mg/l의 범위로 연중 가강 높은 총질 소 농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계절적으로는 여름철에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봄철에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로 분포하고 있었다. 주암2 정점의 총질소 분포를 보면 4월 표층에서 1.08 mg/l로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8월 20 m에서 5.82 mg/l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주암2 정점은 여름철 20 m 수심에서 상대적으로 높 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주암3 정점의 경우 5월과 6월 표층에서 3.38, 3.27 mg/l로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으며 9월 5 m 수심에서 0.76 mg/l로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 내었다. 표층의 경우 상류에서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고, 주암1과 주암2 정점의 경우 에는 표층보다는 저층에서 높은 농도를 유지하엿다( 그림 3.1.9). 그림 3.1.9. 주암호 총질소의 수직분포. 라. 총인(T-P) 주암호의 총인 분포는 < 그림 3.1.10> 와 같다. 주암1 정점의 총인 농도의 범위는 0.014 0.081 mg/l를 나타내었고 평균 0.048 mg/l 를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저층 보다는 표층에서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으며 6월 15 m 수심에서 0.014 mg/l로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최대 농도는 11월 37 m 수심에서 0.081 mg/l 로 측정되었다. 주암2 정점의 농도 범위는 0.02 0.09 mg/l 를 나타내었고, 평균 농도는 0.048 mg/l 이었다. 최대농도는 11월 5 m 수심에서 측정되었고 최저농도는 4월 10 13 m 구간 에서 나타났다. 계절적으로는 4월에 평균적으로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11월에 높게 - 132 -

나타났다. 주암3 정점에서는 0.02 0.139 mg/l 의 농도범위를 나타내었으며, 평균 농 도는 0.061 mg/l 였다. 5월과 6월에 표층에서 각각 0.139, 0.130 mg/l로 높은 농도 를 보였으며, 7월 10 m 수심에서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 시기적으로는 5월과 6월 사이에 평균적으로 높은 농도 분포를 보였으며 7월이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정정별로는 상류에서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고 중류와 하류의 경우 비 슷한 농도범위를 나타내었다( 그림 3.1.10). 그림 3.1.10. 주암호 총인의 수직분포. 마. 암모늄(NH + 4 ) 주암호의 암모늄 분포는 < 그림 3.1.11> 과 같다. 주암1 정점의 암모늄 분포를 보 면 표층의 경우 4월부터 8월까지 0.004 0.019 mg/l로 큰 변동을 보이지 않았으나 9월부터 0.190 0.216 mg/l 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저층 역시 8월까지는 큰 변동을 보이지 않았으나 9월에 다소 증가하여 11월에는 0.841 mg/l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 었다. 주암2 정점의 표층에서도 7월까지는 농도가 큰 변동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8 월부터 다소 증가하여 11월에는 0.171 mg/l 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다. 저층의 경 우에는 10월에 0.463 mg/l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7월에는 0.206 mg/l 으로 2 번째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표층과 저층의 암모늄 농도를 비교하면 저 층이 전반적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주암3 정점의 표층에서는 5월에 0.167 mg/l로 최대농도를 보였으며 11월에는 0.158 mg/l로 2번째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 었다. 저층에서는 9월에 0.456 mg/l 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다. 주암호의 암모늄 분포의 특성을 살펴보면 표층에 비하여 저층에서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으며, 8월 - 133 -

이후 가을철 저층에서 높은 농도분포를 나타내었다( 그림 3.1.11). 1 0.8 A) 주암1 Surface Bottom 1 0.8 B) 주암2 NH4 + (mg/l) 0.6 0.4 NH4 + (mg/l) 0.6 0.4 0.2 0.2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1 0.8 C) 주암3 NH4 + (mg/l) 0.6 0.4 0.2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1.11. 주암호 암모늄의 분포. 바. 아질산+ 질산염(NO - 2 +NO - 3 ) 조사기간 동안 주암호에서 아질산+ 질산염의 결과는 < 그림 3.1.12> 와 같다. 주암 1 정점의 농도변화를 살펴보면 7월에 1.036 mg/l로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결과 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주암2와 주암3 정점에서도 나타났는데 이는 강우기 에 의한 외부유입에 의한 증가로 예상된다. 주암1 정점의 표층에서는 7월에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4월과 5월 그리고 9 월에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저층에 서는 7월부터 9월 사이 0.602 0.646 mg/l의 범위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11월 에는 0.043 mg/l 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주암2 정점 역시 7월에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저층의 경우에는 9월에 0.980 mg/l 로 가장 높았다. 주암3 정점의 표 층 역시 7월에 가장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고 저층 또한 7월에 1.046 mg/l로 가장 높았다. 공간적으로는 표층과 저층 모두 주암2 정점이 평균 0.58 mg/l, 0.55 mg/l 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 주암3 정점의 표층과 주암1 정점의 저층의 평균 농 도가 가장 낮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그림 3.1.12). - 134 -

NO2 - +NO3 - (mg/l) 1.5 1.2 0.9 0.6 0.3 A) 주암1 Surface Bottom NO2 - +NO3 - (mg/l) 1.5 1.2 0.9 0.6 0.3 B) 주암2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NO2 - +NO3 - (mg/l) 1.5 1.2 0.9 0.6 0.3 0 C) 주암3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1.12. 주암호 아질산+ 질산염의 분포. 사. 인산염(PO -3 4 ) 주암호의 인산염 농도 결과는 < 그림 3.1.13> 과 같다. 주암1 정점의 표층은 평균 0.01 mg/l의 농도를 유지하였으며 시기적으로는 4월부터 6월 사이에는 0.003 0.004 의 농도 범위를 나타내었다. 7월부터는 다소 농도가 증가하여 11월까지 0.013 0.016 의 농도를 나타내었다. 저층에서는 7월과 11월이 다 조사시기보다 높은 농도 를 나타내었는데 11월의 경우에는 0.129 mg/l 로 매우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주 암2 정점의 표층에서는 8월에 0.033 mg/l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저층의 경 우에는 7월부터 농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11월에 0.054 mg/l로 최대 농도를 나 타내었다. 주암3 정점의 표층은 7월에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저층에서는 9월 에 0.173 mg/l 로 조사기간 중에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각 정점별 평균농도 를 비교하면 표층에서는 주암2 정점이 가장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으며 저층은 상류 인 주암3 정점이 가장 높았다( 그림 3.1.13). - 135 -

0.2 0.16 A) 주암1 Surface Bottom 0.2 0.16 B) 주암2 PO4-3 (mg/l) 0.12 0.08 PO4-3 (mg/l) 0.12 0.08 0.04 0.04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0.2 0.16 C) 주암3 PO4-3 (mg/l) 0.12 0.08 0.04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1.13. 주암호 인산염의 분포. 아. 규산염(SiO 2 ) 주암호의 규산염 농도 변화는 < 그림 3.1.14> 와 같다. 주암1 정점의 규산염 변동 을 보면 표층에서는 8월에 4.94 mg/l 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5월이 1.58 mg/l 로 가장 낮았다. 저층에서는 1.23 2.05 mg/l로 표층에 비하여 낮은 농도 를 유지하였으며 변화 역시 미비하였다. 표층과 저층의 평균 농도를 비교하면 표층 이 3.07 mg/l 이며, 저층이 1.66 mg/l로 2 배정도의 농도 차이를 보였다. 주암2 정점 의 표층에서는 8월에 5.074 mg/l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5월에 1.77 mg/l로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주암1 정점과 주암2 정점의 표층은 서로 유사한 패 턴으로 규산염의 농도가 변화하였다. 주암2 정점의 저층은 8월부터 점진적으로 증 가하여 11월에 4.043 mg/l 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다. 표층과 저층의 평균 농도를 비교하면 표층이 3.22 mg/l 이고, 저층이 2.66 mg/l으로 표층에서 높은 농도를 유 지하였다. 주암3 정점의 표층에서는 7월에 4.94 mg/l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 다. 각 정점별 평균농도를 비교하면 표층의 경우 주암2 정점이 3.22 mg/l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저층은 경우에는 주암3 정점에서 3.04 mg/l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림 3.1.14). - 136 -

Si (mg/l) 6 5 4 3 2 A) 주암1 Surface Bottom Si (mg/l) 6 5 4 3 2 B) 주암2 1 1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6 5 C) 주암3 Si (mg/l) 4 3 2 1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1.14. 주암호 규산염의 분포. 자. N/P Ratio 호소생태계 내에서 영양염은 그 감소와 증가의 정도에 따라 생리학적 수준에 서 생물량, 일차생산력, 종조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Borchardt, 1996). 조사기간 동안 주암호의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영향을 주는 잠재적 제한영양염을 추정하였다. Redfield Ratio( 중량비, N/P=7/1) 을 기준으로, N/P가 7 이상이면 인의 제한을 받고, 7 이하이면 질소의 제한을 받는다. 주암호에서는 시 공간적으로 N/P Ratio가 7이상으 로 인의 제한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1.15). - 137 -

그림 3.1.15. 주암호 N/P Ratio 의 분포. 3) 탄소 유기물 가. 총 유기탄소(TOC) 주암호의 총 유기탄소의 수직적 분포는 < 그림 3.1.16> 에 제시하였다. 주암 1정 점의 총 유기탄소의 분포 범위는 1.529 8.441 mg/l 의 범위로 존재하였다. 평균 농 도는 2.615 mg/l 로 나타났다. 계절별 변화를 살펴보면 표층의 경우 4월에 8.441 mg/l 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다. 수직적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9월의 경우 15 m 수심에서 6.605 mg/l 로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주암2 정점의 총 유기 탄도의 농도 범위는 1.714 5.887 mg/l 로 존재하였으며, 평균 농도는 2.442 mg/l로 측정되었다. 7월의 5 m 수심에서는 5.887 mg/l 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다. 상대적 으로 여름철에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으며 4월과 11월은 낮은 농도 범위를 나타내었 다. 주암3 정점의 경우에는 1.807 9.905 mg/l 의 농도 범위를 보였으며, 평균 농도 는 2.712 mg/l 를 나타내었다. 8월 10 m 수심에서는 9.905 mg/l로 가장 높은 농도 를 나타내었다. 각 정점별 평균 농도를 비교하면 상류인 주암3 정점이 가장 높았으 며 주암2 정점이 가장 낮았다( 그림 3.1.16). - 138 -

그림 3.1.16. 주암호 총 유기탄소의 수직분포. 나. 입자성 유기탄소(POC) 주암호의 입자성 유기탄소의 수직적 분포는 < 그림 3.1.17> 에 제시하였다. 주암 1정점의 입자성 유기탄소의 분포 범위는 0.393 1.982 mg/l 의 범위로 존재하였다. 평균 농도는 0.576 mg/l 로 나타났다. 계절별 변화를 살펴보면 표층의 경우 8월에 1.982 mg/l 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고, 6월에 0.450 mg/l로 최소 농도를 나타내었 다. 수직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4월의 경우 저층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 다가 수심 15 m에서 다시 증가하다가 저층에서 0.983 mg/l 로 최대 농도를 보였다. 5월의 경우는 표층에서 0.482 mg/l 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고, 저층에서 0.393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6월의 경우는 5 m구간에서 0.540 mg/l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고, 저층에서 0.443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7월의 경우 는 6월과 같이 5 m구간에서 0.630 mg/l 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고, 10 m구간에 서 0.411 mg/l 로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8월의 경우는 표층에서 1.982 mg/l로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고, 25 m구간애서 0.404 mg/l로 가장 낮은 분포를 나타 내었다( 그림 3.1.17). 주암 2정점의 입자성 유기탄소의 분포 범위는 0.342 1.218 mg/l의 범위로 존 재하였다. 평균 농도는 1.773 mg/l 로 나타났다. 계절별 변화를 살펴보면 표층의 경 우 8월에 1.773 mg/l 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고, 5월에 0.501 mg/l로 최소 농도를 나타내었다. 수직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4월의 경우는 저층에서 0.996 mg/l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고, 표층에서 0.774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5월의 경우 는 4월과 같이 저층에서 0.556 mg/l 로 가장 높은 분포를 하였고, 표층에서 0.501-139 -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6월의 경우는 표층에서 0.828 mg/l 가장 높았고, 저층에서 0.486 mg/l 로 가장 낮았다. 7월에는 표층에서 0.967 mg/l 로 가장 높았고, 저층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15 m구간에서 0.448 mg/l로 가장 낮은 분포를 하였다. 8월에도 표층에서 1.218 mg/l 로 가장 높았고, 수심이 깊어질수록 낮아지다가 저층에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저층의 입자성 유기탄소는 0.804 mg/l 로 분포를 보였다( 그림 3.1.17). 주암 3정점의 입자성 유기탄소의 분포 범위는 0.530 1.649 mg/l의 범위로 존 재하였다. 평균 농도는 0.910 mg/l 로 나타났다. 계절별 변화를 살펴보면 표층의 경 우 6월에 1.649 mg/l 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고, 7월에 0.785 mg/l로 최소 농도를 나타내었다. 수직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4월의 경우는 표층에서 0.931 mg/l로 최대 농도를 보였고, 저층에서는 0.546 mg/l 로 최소 농도를 보였다. 5월과 6월에는 각각 1.630 mg/l, 1.649 mg/l 로 분포를 하였고, 5월과 6월에는 수심이 낮은 관계로 수 직적인 결과는 볼 수가 없었다. 7월의 경우는 표층보다 5 m구간에서 0.792 mg/l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저층에서 0.530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8월의 경우에는 7월과 다르게 저층에서 0.784 mg/l 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고, 표층에서 0.796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하였다. 수층의 입자성유기물은 식물플랑크톤의 분 포를 보았을 때 대부분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유래 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3.1.17). 그림 3.1.17. 주암호 입자성 유기탄소의 수직분포. 다. 용존성 유기탄소(DOC) 주암호의 용존성 유기탄소의 수직적 분포는 < 그림 3.1.18> 에 제시하였다. 주암 - 140 -

1정점의 용존성 유기탄소의 분포 범위는 0.649 7.868 mg/l 의 범위로 존재하였다. 평균 농도는 2.132 mg/l 로 나타났다. 계절별 변화를 살펴보면 표층의 경우 4월에 7.868 mg/l 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고, 5월에 1.833 mg/l로 최소 농도를 나타내었 다. 수직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4월의 경우 표층에서 7.868 mg/l로 최대 농도를 보 이다가 저층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저층에서는 0.049 mg/l로 분포를 보였다. 5월의 경우는 표층에서 1.833 mg/l 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고, 10m구간에 서 1.255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6월의 경우는 5월과 같이 표층에서 2.407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나타내었고, 10 m구간에서 1.816 mg/l로 가장 낮 은 분포를 보였다. 7월에는 20 m구간에서 3.355 mg/l로 최대 농도를 보이는 특징 을 보였으며, 30 m구간에서 1.980 mg/l 로 최소 농도를 보였다. 8월에는 30 m구간 에서 2.332 mg/l 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저층에서 1.651 mg/l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그림 3.1.18). 주암 2정점의 용존성 유기탄소의 분포 범위는 0.770 5.368 mg/l의 범위로 존 재하였다. 평균 농도는 1.911 mg/l 로 나타났다. 계절별 변화를 살펴보면 표층의 경 우 5월에 3.086 mg/l 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고, 4월에 0.970 mg/l로 최소 농도를 나타내었다. 수직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4월의 경우 표층에서 0.970 mg/l로 가장 높았고, 저층에서 0.770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5월에는 4월과 유사한 분포를 보였고, 표층에서 3.086 mg/l 로 최대 농도를 보였다. 6월에는 표층과 5 m구 간에서 1.079 mg/l 로 낮은 분포를 보였고, 저층에서 1.290 mg/l로 다소 높은 분포 를 보였다. 7월에는 5 m 구간에 5.368 mg/l 로 최대 농도를 보였고, 표층에서 1.753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8월에는 15 m구간에서 2.123 mg/l로 최대 농도 를 보였고, 저층에서 1.770 mg/l 로 최소 농도를 보였다( 그림 3.1.18). 주암 3정점의 용존성 유기탄소의 분포 범위는 0.435 2.228 mg/l의 범위로 존 재하였다. 평균 농도는 1.588 mg/l 로 나타났다. 계절별 변화를 살펴보면 표층의 경 우 7월에 2.227 mg/l 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고, 5월에 0.435 mg/l로 최소 농도를 나타내었다. 수직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4월의 경우 표층에서는 1.240 mg/l로 분포 를 하였고, 저층에서는 다소 높은 1.261 mg/l 로 분포를 하였다. 5월과 6월에는 표 층에서 각각 0.435 mg/l, 1.463 mg/l 로 분포를 하였다. 7월에는 표층과 5 m구간에 서 각각 2.227 mg/l, 2.228 mg/l 로 가장 높은 분포를 하였고, 10 m구간에서는 1.582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하였다. 용존성 유기탄소의 거동을 정확히 파악하 - 141 -

기 위해서는 용존성 유기탄소 중에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진 유기물이 세포외배출 (extracellular release) 등을 통해 배출되는 양을 정확히 측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 다.( 그림 3.1.18). 그림 3.1.18. 주암호 용존성 유기탄소의 수직분포. 2. 식물플랑크톤 1) 가.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 전체 식물플랑크톤 주암호 전체 식물플랑크톤(whole-size chlorophyll-a) 의 분포를 보면 주암1 정점 에서는 7월과 8월 표층에서 각각 33.5, 31.0 µg/l로 타 시기에 비하여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저층의 경우 연중 0.6 2.6 µg/l의 범위로 표층에 비하여 극히 낮은 농 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중류인 주암2 정점에서는 7월 표층의 농도가 58.2 µg/l로 상 당히 높은 클로로필 농도를 나타내었다. 주암2 정점의 저층의 경우에도 농도범위는 1.3 9.2 µg/l로 표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있었으나 하류 인 주암 1 정점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보였다. 주암3 정점에서는 역시 7월에 가장 높은 클로로필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11 월에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각 정점별 클로롤필 농도를 비교하면 상류지역 일수록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상대적으로 하 류지역으로 갈수록 농도가 낮아졌다. 시간적으로는 상류와 중류는 6월에서 7월 사 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하류지역은 7월에서 8 월 사이에 높은 농도를 보였다( 그 림 3.1.19). - 142 -

70 70 Whole-Chl-a (µg/l) 60 50 40 30 20 A) 주암1 Surface Bottom Whole-Chl-a (µg/l) 60 50 40 30 20 B) 주암2 10 10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70 60 C) 주암3 Whole-Chl-a (µg/l) 50 40 30 20 10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1.19. 주암호의 전체 식물플랑크톤 분포. 나. 대형 식물플랑크톤 주암호의 대형 식물플랑크톤(Micro-size chlorophyll-a) 의 변동을 보면 하류인 주암1 정점에서는 8월 표층에서 25.1 µg/l 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저층에 서는 0.05 1.26 µg/l 로 표층에 비하여 극히 낮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표층 클로로 필의 시간에 따른 변동을 보면 7월부터 증가하여 8월에 최대 농도를 유지한 후 9월 부터는 감소하는 패턴을 나타내었다. 중류인 주암2 정점에서는 7월 표층에서 38.1 µg/l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저층은 8월에 6.1 µg/l 로 가장 높았다. 상류정 점인 주암3 정점은 7월 표층에서 19.8 µg/l 로 가장 높았으며, 9월이 7.8 µg/l로 두 번째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대형 식물플랑크톤의 변동 역시 7월에서 8월 사이 에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저층보다는 표층이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유지하고 있 었다( 그림 3.1.20). - 143 -

50 40 A) 주암1 Surface Bottom 50 40 B) 주암2 M icro-chl-a (µg/l) 30 20 Micro-Chl-a (µg/l) 30 20 10 10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M icro-chl-a (µg/l) 50 40 30 20 10 C) 주암3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1.20. 주암호의 대형 식물플랑크톤 분포. 다. 중형 식물플랑크톤 주암호의 중형 식물플랑크톤(nano-size chlorophyll-a) 의 변동을 보면 하류지역 인 주암1 정점에서는 7월 표층에서 12.5 µg/l 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저층 은 상대적으로 표층에 비하여 낮은 농도 분포를 보였다. 중류인 주암2 정점에서는 주암1 정점과 다르게 6월 표층에서 18.2 µg/l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저층 에서는 4월에 6.8 µg/l 로 가장 높았다. 상류인 주암3 정점의 경우 6월에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7 월에 두번째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각 정점별 특징을 살펴보면 하류지역인 주암1 정점에서보다 중류와 상류 정점이 한 달 먼저 최대 생 체량이 나타났다. 공간적으로는 하류지역보다 상류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림 3.1.21). - 144 -

Nano-Chl-a (µg/l) 40 30 20 10 A) 주암1 Surface Bottom Nano-Chl-a (µg/l) 40 30 20 10 B) 주암2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40 C) 주암3 Nano-Chl-a (µg/l) 30 20 10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1.21. 주암호의 중형 식물플랑크톤 분포. 라. 소형 식물플랑크톤 주암호의 소형 식물플랑크톤(pico-size chlorophyll-a) 은 다른 크기 식물플랑크 톤에 비하여 낮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시간적으로 모든 정점이 7월 표층에서 최 대 생체량을 유지하였으며, 주암2 정점에서 16.8 µg/l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 다. 소형 식물플랑크톤의 경우도 다른 크기 식물플랑크톤과 마찬가지로 저층보다 표층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림 3.1.22). - 145 -

Pico-Chl-a (µg/l) 20 15 10 5 A) 주암1 Surface Bottom Pico-Chl-a (µg/l) 20 15 10 5 B) 주암2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20 C) 주암3 Pico-Chl-a (µg/l) 15 10 5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1.22. 주암호의 소형 식물플랑크톤 분포. 2)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가. 전체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Pheopigments는 식물플랑크톤의 자가 산화 또는 식물플랑크톤의 포식자인 동물 플랑크톤의 배설물 등에서 생산되며, 식물플랑크톤의 포식율을 알아보는 지수로 사 용 된다(Welschemeyer and Lorenzen, 1985). 일반적으로 순수한 chlorophyll a 의 경우 chlorphyll a/ pheopigments 비율은 2.2 이며(Holm-Hansen et al., 1965), 생리 적으로 활발하게 성장하는 식물플랑크톤의 경우 보통 1.7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Yentsch and Menzel, 1963). 따라서 a/b ratio 즉 micro, nano, pico chlorophyll a/ pheopigments 와의 상대적인 비율을 이용하여, 동물플랑크톤 및 원생동물의 크기 구 조가 식물플랑크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주암1 정점의 whole chlorophyll a/ pheopigments 분포를 보면 표층의 경우 5월 과 7월을 제외하고 모든 조사시기에 1.7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저층에서는 4월 과 5월을 제외한 모든 조사시기에 1.7 이하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7월의 저층의 경 우에는 1.13 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표층에 비하여 저층이 낮은 수치를 유지 하였는데, 이는 주암1 정점의 깊은 수심이 광량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 146 -

작용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불리한 조건을 형성됨을 암시한다. 주암2 정점의 결과를 보면 표층의 경우에는 7월을 제외한 모든 조사시기에서 1.7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었고 저층은 4 월, 5 월, 8 월, 11월을 제외한 타 조사시기에는 1.7 이하의 수치 를 나타내었다. 7월 저층은 1.18 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주암2 정점 역시 저층에 비하여 표층이 전반적으로 높은 수치를 유지하였다. 주암3 정점 역시 저층 보다 표층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9월 표층에서 2.22로 최대 수치를 나타내었 다. 각 정점별의 평균 수치를 비교해보면 주암1과 주암2 정점은 1.79의 수치를 보였 으며 주암3 정점은 1.78로 다소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지만 전반적으로 비슷한 결과 를 나타내었다. 저층의 경우에는 주암2 정점이 평균 1.59로 가장 높은 수치를 유지 하였고 주암1 정점이 1.46 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하류지 역인 주암1 정점의 저층이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가장 열악한 환경임을 암시한다 ( 그림 3.1.23). 2.9 2.3 A) 주암1 Surface Bottom 2.9 2.3 B) 주암2 Whole a/b ratio 1.7 1.1 Whole a/b ratio 1.7 1.1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2.9 C) 주암3 Whole a/b ratio 2.3 1.7 1.1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1.23. 주암호 전체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나. 대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주암1 정점의 대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분포를 보면 표층의 경우 5월에 - 147 -

2.72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7월이 1.47 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저층에서는 8월이 3.41 로 가장 높았으며, 7월이 0.83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 었다. 주암2 정점에서는 5월 표층에서 2.71로 가장 높았으며 6월이 1.60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저층의 경우 역시 5 월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저층에 서는 6월에 0.95 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주암3 정점에서는 9월 표층에서 3.38 로 가장 높았고, 5월에 1.50 으로 가장 낮았다. 저층에서는 11월에 가장 높았으며 9 월에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림 3.1.24). 3.5 2.9 A) 주암1 3.5 2.9 B) 주암2 Micro a/b ratio 2.3 1.7 Micro a/b ratio 2.3 1.7 1.1 Surface Bottom 1.1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3.5 2.9 C) 주암3 Micro a/b ratio 2.3 1.7 1.1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1.24. 주암호 대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다. 중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주암1 정점의 중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분포를 보면 표층의 경우 7월에 가장 높았고 5월에 0.77 로 가장 낮았다. 표층은 5월을 제외한 모든 조사시기에 1.7 이상의 수치를 유지하였고, 저층의 경우에는 모든 조사시기에 1.7 이하의 결과를 나 타내었다. 주암2 정점의 6월 표층에서 1.89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5월 표층에 서 1.40 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저층은 경우 11월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7 월에 가장 낮았다. 주암3 정점의 표층은 8월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 - 148 -

냈고 5 월에 가장 낮았다. 저층은 4월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8월에 가장 낮게 나타났다. 중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의 경우에도 표층에서 높고 저층이 상대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하류지역인 주암1 정점이 상대적으로 타 조사정 점보다 평균적으로 낮은 수치를 유지하고 있었다(3.1.25). 2.9 2.3 A) 주암1 Surface Bottom 2.9 2.3 B) 주암2 Nano a/b ratio 1.7 Nano a/b ratio 1.7 1.1 1.1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2.9 C) 주암3 2.3 Nano a/b ratio 1.7 1.1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1.25. 주암호 중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라. 소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주암1 정점의 소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분포를 보면 표층의 경우 11월에 1.92로 가장 높았고 7월과 9월이 1.7 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전 조사시기에 1.7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저층의 경우에는 4월과 5월을 제외한 모든 조사시기에 1.7 이하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주암2 정점 역시 표층은 모든 조사시기에 1.7 이상 의 수치를 유지하였고 저층의 경우에는 4 월, 5 월, 8 월, 11월에는 1.7 이상의 수치를 보였으며 나머지 시기에는 1.7 이하를 나타내었다. 주암3 정점의 표층의 경우 5월을 제외한 모든 조사시기에 1.7 이상을 나타내었고, 저층은 4월을 제외한 모든 조사시 기에 1.7 이하를 나타내었다. 소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의 경우에도 저층보다 표층이 높은 수치를 유지하였다( 그림 3.1.26). - 149 -

2.9 2.9 2.3 A) 주암1 Surface Bottom 2.3 B) 주암2 Pico a/b ratio 1.7 Pic a/b ratio 1.7 1.1 1.1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2.9 C) 주암3 2.3 Pico a/b ratio 1.7 1.1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1.26. 주암호 소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3) 식물플랑크톤의 기여율(contribution) 변화 톤이 주암1 정점의 표층 식물플랑크톤 기여율 변화를 보면 4월에는 중형 식물플랑크 76.7% 로 높은 빈도의 기여율을 나타내었다 여름철로 전환이 될수록 대형 식물 플랑크톤의 기여율이 증가하였으며 8월의 81.1% 로 급격히 증가하였고 9월부터는 점차 감소하여 겨울철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이와 상반되게 중형 식물플랑크톤은 여름철에 감소하고 봄과 겨울에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소형 식물플랑크톤의 경우 11월에 43.3% 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주암1 정점의 저층에서는 5월을 제 외한 모든 조사시기에서 중형 식물플랑크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대형 식물플 랑크톤의 변화를 보면 5월에 60.3% 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고 타 조사시기에는 5-30% 의 기여율 분포를 보였다. 표층과 저층의 기여율 분포를 비교하면 표층에서 는 대형 식물플랑크톤의 분포가 두드러졌고 저층의 경우에는 중형 식물플랑크톤의 분포가 우세하였다. 주암2 정점의 크기별 식물플랑크톤 기여율 변화를 보면 표층의 경우 봄철인 4 월, 5 월, 6월에는 중형 식물플랑크톤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 며 여름철인 7월과 8 월에는 대형 식물플랑크톤이 기여율이 증가하였다. 9월부터 11 월까지는 대형 식물플랑크톤의 비율이 감소하였고 상대적으로 중형과 소형 식물플 - 150 -

랑크톤의 기여율이 증가하였다. 주암2 정점의 표층과 저층의 기여율을 비교해보면 7 월에 표층은 대형 식물플랑크톤의 기여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 저층에서는 중형 식물플랑크톤의 기여율이 높은 분포를 차지하고 있었다. 9월부터 11월까지 표층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소형 식물플랑크톤의 기여율이 높은 반면 저층에서는 중형 식 물플랑크톤의 기여율이 높게 나타났다. 주암3 정점의 표층에서는 4월부터 6월 사이 중형 식물플랑크톤이 75 90% 의 기여율을 보였다. 이후 중형식물플랑크톤은 점차 감소하였으며 대형식물플랑크톤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저층에서는 전반적으 로 중형 식물플랑크톤이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림 3.1.27). 100 A) 주 암1-Surface Micro Nano Pico B) 주 암1-Bottom 100 Micro Nano Pico 80 80 Contribution (%) 60 40 20 Contribution (%) 60 40 20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100 C) 주 암2-Surface Micro Nano Pico D) 주 암2-Bottom 100 Micro Nano Pico 80 80 Contribution (%) 60 40 20 Contribution (%) 60 40 20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100 E) 주암3-Surface Micro Nano Pico F) 주암3-Bottom 100 Micro Nano Pico 80 80 Contribution (%) 60 40 20 Contribution (%) 60 40 20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그림 3.1.27. 주암호 식물플랑크톤의 기여율 분포. - 151 -

4) 가. 일차 생산력 생체형광지수 FRI( 생체형광지수) 는 식물플랑크톤의 스트레스에 의한 광합성 사이클의 전환 결과로, 식물플랑크톤 광합성의 동화 또는 억제 정도를 반영한다, FRI값이 0.6 이상 일 경우에는 식물플랑크톤의 성장과 광합성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나타 내고, 0.25 이하일 경우 식물플랑크톤이 성장과 광합성이 억제되는 조건이라 할 수 있다(Domotor et al., 1982). 조사기간 동안에 주암1 정점의 생체형광지수의 변화를 보면 표층의 경우 7월에 0.64로 가장 높은 지수를 나타내었으며 9월에 0.42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모든 조사시기에 0.4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6월과 11월에는 지수가 0.6 이상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식물플랑크톤의 성장과 광합 성이 원활히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이었음을 암시한다. 저층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표층에 비하여 낮은 지수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특히 7월과 9월부터 11월 사이에는 0.25이하의 수치를 보임으로서 당시 조사지점의 상태는 식물플랑크톤의 성장과 광 합성 활동을 하는데 있어 제한적이며 불리한 환경조건이었음을 암시한다. 주암2 정 점에서 역시 저층에 비하여 표층에서 평균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표 층에서는 연중 0.47 0.59 범위의 수치를 유지하였다. 저층이 경우에는 7월에 0.21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주암3 정점의 표층의 경우 연중 0.44 0.58의 범위를 유지하였으며 저층에서는 7월과 9월에 0.25 이하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정정 별 평균 수치를 비교하면 표층에서는 중류지역인 주암2 정점이 0.52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주암1 정점과 주암3 정점은 0.51 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저층에 서 역시 주암2 정점이 0.46 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유지하였고, 주암1 정점이 0.35로 가장 낮은 지수를 나타내었다. 종합하면 공간적으로는 중류인 주암2 정점이 표층과 저층 모두 생체형광지수가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하류의 저층일수록 낮은 지수를 나타내었다( 그림 3.1.28). - 152 -

1 0.8 A) 주암1 Surface Bottom 1 0.8 B) 주암2 FRI 0.6 0.4 FRI 0.6 0.4 0.2 0.2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1 0.8 C) 주암3 FRI 0.6 0.4 0.2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1.28. 주암호의 생체형광계수. 나. 일차생산력의 분포 조사기간 동안 주암호의 일차 생산력의 수직적인 분포는 < 그림 3.1.29> 에 나타 내었다. 3 월의 수직분포를 보면 수면( 水 面 ) 에서는 주암2 정점에서 4,684.20 FluxPSll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주암1 정점에서 410.99 FluxPSll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하류인 주암1 정점의 수직분포는 표층에 비하여 6 m의 수심에서 3,156.48 FluxPSll로 최대 수치를 보였으며 수심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 다. 수면에서 가장 높은 일차생산력을 나타내었던 주암2 정점의 수직분포는 수심이 증 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분포를 나타냄으로서 하류인 주암1 정점과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상류지역인 주암3 정점은 표층과 저층간의 일차생산력이 큰 차이를 나타 내지 않았다. 4월의 수직분포의 경우 주암3 정점에서 3,552.49 FluxPSll로 수면에서 가장 높은 수 치를 나타내었으며, 주암2 정점 역시 3,543.03 FluxPSll로 주암3정점과 거의 유사한 수 치를 나타내었다. 수면에서 가장 낮은 생산력을 나타낸 주암1 정점은 3월과 유사한 패 턴으로 표층보다는 그 이하의 수심인 4 m에서 5,669.48 FluxPSll로 가장 높은 생산력 을 나타낸 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중류인 주암2 정점 역시 수면보다 는 그 이하의 수심인 1 m에서 최대 일차생산력을 나타낸 후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 153 -

점차 감소하였다. 5월 조사시기에는 이전 조사와 다르게 하류지역인 주암1 정점이 11,781.31 FluxPSll 로 수면에서 가장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었고,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분 포를 나타내었다. 주암2 정점 역시 수면이 가장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었으며 수심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6월 조사시기에는 표층에서는 상류인 주암3 정점에서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었고 하류에서 낮은 생산력을 나타내었다. 주암1 정점의 경우에는 수심 4 m에서 최대 생산 력을 나타내었고, 이후 급격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주암2 정점의 경우에도 수면보다는 약 1 m 의 수심에서 최대 생산력을 나타내었다. 주암3 정점은 수심에서 최대 생산력을 나타내었고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RRF를 통하여 측정된 수심별 생산력을 적분하여 나타낸 상대적인 일차생산력의 결과를 보면 하류지점이 상류에 비하여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는데 이는 수층 전체의 결과를 적분하여 나타낸 값으로 수심이 깊을수록 결과 값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난 다. 반면 조사지점의 수심이 가장 낮은 지점을 기준으로 그 이상의 결과를 제외한 생 산력만을 고려 할 때 하류보다는 상류에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 그림3.1.30; 표 3.1.2-5). - 154 -

Depth (m ) A) 2009. 03 FluxPSll 0 3000 6000 9000 12000 15000 0 2 4 6 8 10 12 주암1 14 주암2 16 주암3 18 Depth (m ) B) 2009. 04 FluxPSll 0 3000 6000 9000 12000 15000 0 2 4 6 8 10 12 14 16 18 Depth (m ) C) 2009. 05 FluxPSll 0 3000 6000 9000 12000 15000 0 2 4 6 8 10 12 14 16 18 Depth (m ) D) 2009. 06 FluxPSll 0 3000 6000 9000 12000 15000 0 2 4 6 8 10 12 14 16 18 그림 3.1.29. 주암호 일차생산력의 수직분포. 60000 Intergrated FluxPSⅡ 50000 40000 30000 20000 10000 0 주암1 주암2 주암3 Mar. Apr. May. Jun. Month 그림 3.1.30. 주암호의 상대적 일차생산력. - 155 -

표 3.1.2. 3월 FRRF를 이용한 주암호 FluxPSⅡ산출값 Station PAR FoL FmL SigL 주암1 주암2 주암3 Depth (m) pp (FluxPS Ⅱ) Ipp (Integrated pp) Sum of 167.31 0.71 0.71 1749.01 0.00 410.99 707.58 16004.59 37.06 1.51 1.52 1749.01 1.78 384.05 1110.57 43.71 2.08 2.26 417.47 3.00 1436.57 2516.08 42.49 3.66 4.14 284.95 4.78 1390.49 3137.41 29.84 3.60 5.43 314.16 6.16 3156.48 4792.61 10.54 3.42 5.93 315.96 8.26 1407.90 2143.70 4.23 2.25 4.12 325.40 10.37 624.04 974.60 1.95 1.73 3.27 372.20 12.39 340.91 443.08 0.78 1.96 3.26 306.97 14.42 95.63 152.58 0.30 1.84 3.12 315.19 16.69 38.81 26.36 0.20 1.80 2.71 302.13 17.58 20.44 723.90 7.46 7.58 408.90 0.00 4684.20 4931.37 12930.44 144.58 8.46 9.45 224.75 1.22 3400.01 5122.06 14.79 9.68 16.13 317.87 3.16 1880.46 2519.42 1.92 9.25 16.28 318.03 5.51 263.72 314.97 0.23 7.69 14.61 319.67 7.62 34.82 42.63 0.01 5.64 10.44 316.78 9.97 1.46 1187.02 1.92 1.93 1749.01 0.00 3232.14 5130.02 5130.02 27.42 8.58 15.55 252.29 1.62 3101.22 Ipp 표 3.1.3. 4월 FRRF를 이용한 주암호 FluxPSⅡ산출값 Station PAR FoL FmL SigL 주암1 주암2 주암3 Depth (m) pp (FluxPS Ⅱ) Ipp (Integrated pp) Sum of 145.95 2.93 3.01 370.31 0.00 1525.22 1898.26 29938.29 95.07 3.14 3.35 457.67 0.89 2740.52 3712.97 56.10 4.16 5.13 314.29 2.11 3346.31 3666.80 50.34 4.32 6.28 268.36 3.08 4214.11 4002.85 46.25 5.48 8.95 315.90 3.89 5669.48 4471.90 38.13 12.03 21.89 312.86 4.70 5372.24 4241.15 22.39 13.87 26.05 322.10 5.67 3372.40 2124.01 15.80 11.94 22.81 325.10 6.40 2446.79 2031.87 11.42 6.31 12.08 319.75 7.37 1742.62 1628.51 7.03 4.36 8.52 324.24 8.51 1114.42 1197.47 3.32 3.69 6.66 297.59 10.05 440.73 410.66 2.04 2.94 5.32 314.10 11.18 286.11 299.00 1.18 2.52 4.38 294.64 12.56 147.22 189.08 0.52 2.24 3.91 292.59 14.34 65.22 63.77 0.28 2.43 3.90 257.51 15.72 27.20 141.88 5.35 5.58 624.30 0.00 3543.03 4055.20 17988.44 95.07 10.78 13.67 239.72 0.97 4818.21 6636.13 32.18 12.21 20.66 324.56 2.43 4272.39 4278.48 10.25 12.55 21.37 466.27 3.80 1973.56 2500.01 1.98 6.95 14.64 297.69 5.99 309.55 425.39 0.48 3.30 6.15 293.04 8.26 65.24 93.23 0.08 3.09 5.17 280.13 10.77 9.05 1413.00 2.08 2.09 1749.01 0.00 3552.49 8339.29 8339.29 43.30 20.49 40.77 290.62 1.70 6258.43 Ipp - 156 -

표 3.1.4. 5월 FRRF를 이용한 주암호 FluxPSⅡ산출값 Station PAR FoL FmL SigL 주암1 주암2 Depth (m) pp (FluxPS Ⅱ) Ipp (Integrated pp) Sum of 135.35 2.67 3.57 427.54 0.57 14543.99 11782.31 34949.49 72.01 3.19 4.09 400.32 1.70 6309.66 4223.42 50.82 4.23 6.02 562.94 2.27 8509.37 8697.38 31.58 4.54 7.21 415.95 3.57 4871.22 5853.68 14.72 6.48 11.59 420.64 5.11 2730.96 2481.47 7.30 4.68 9.04 389.75 6.32 1370.63 1422.88 4.25 1.27 1.98 312.73 7.86 477.27 428.34 1.81 0.75 0.96 132.72 9.48 51.55 54.53 0.57 0.41 0.41 1749.01 11.50 2.44 4.34 0.13 0.25 0.25 1749.01 14.10 0.90 1.06 0.03 0.35 0.35 1749.01 16.12 0.15 0.06 0.02 0.24 0.24 1749.01 16.53 0.14 0.01 0.02 0.27 0.28 1749.01 16.61 0.13 47.80 7.48 11.51 482.18 0.97 8078.59 5563.25 7860.14 15.15 11.40 20.82 352.74 2.03 2418.10 1796.74 3.36 9.59 18.81 335.08 3.24 551.71 391.53 0.92 4.32 8.20 310.60 4.38 135.18 89.36 0.20 1.88 3.50 248.37 5.51 22.98 19.27 0.02 1.96 3.50 233.15 7.05 2.05 Ipp 표 3.1.5. 6월 FRRF를 이용한 주암호 FluxPSⅡ산출값 Station PAR FoL FmL SigL 주암1 주암2 주암3 Depth (m) pp (FluxPS Ⅱ) Ipp (Integrated pp) Sum of 1100.85 0.25 0.26 1749.01 0.00 7550.58 383.83 53976.86 1016.15 0.87 0.87 1749.01 0.08 2045.17 1959.46 501.33 1.23 1.24 514.56 0.81 3323.21 4926.88 313.02 1.37 1.46 385.00 1.70 7748.42 9947.35 177.87 1.45 1.82 268.47 2.84 9703.07 12892.41 108.99 1.61 2.25 419.87 3.97 13115.36 11089.77 53.27 1.24 1.72 337.67 5.19 5064.59 6334.61 24.49 2.33 3.82 384.12 6.64 3672.80 3457.15 10.44 3.72 6.65 357.81 7.94 1645.88 1865.81 3.74 4.70 8.35 335.75 9.64 549.18 614.80 1.35 7.62 14.75 381.72 11.18 249.26 309.27 0.59 7.22 13.91 346.00 12.96 98.24 134.82 0.29 3.27 6.44 321.76 14.83 45.95 48.80 0.12 2.09 3.36 323.00 16.44 14.67 11.90 0.05 1.54 2.50 252.15 17.66 4.83 307.18 8.822 9.225 274.63 0 3685.3572 1083.54 42791.07 325.04 7.642 8.343 360.99 0.16 9858.884 6591.28 105.45 9.048 11.089 422.46 0.89 8199.4137 10357.38 32.48 12.587 20.193 429.27 2.43 5251.7257 6853.67 10.1 10.451 19.993 376.3 4.37 1813.9154 1359.34 1.63 6.798 13.781 335.83 5.67 277.37569 308.63 8.03 9.36 431.60 0.00 18911.34 12769.93 19352.56 55.31 10.08 14.93 397.82 0.98 7149.75 3775.93 27.55 14.71 26.20 384.89 1.62 4650.03 1895.93 11.58 10.89 22.01 342.13 2.19 2002.35 910.77 4.87 7.86 16.71 310.14 2.84 800.02 Ipp - 157 -

주암호에서 FRRF로 측정된 FluxPSll단위의 일차 생산력을 탄소동화량으로 전 환하여 각 조사 시기 별로 광합성량을 산출하였다( 그림 3.1.31). 일차생산력의 분포 를 보면 4 월이 다른 조사시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었다. 조 사시기에 따른 정점별 일차생산력 결과를 보면 3월에는 상류인 주암3 정점이 12.79 gc/m 3 h로 가장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었고 하류인 주암1 정점이 5.22 gc/m 3 h로 가장 낮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4월의 결과를 보면 3월과 상반된 결과로 하류지점이 주암1 정점에서 16.81 gc/m 3 h로 가장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었으며, 상류인 주암3 정점이 10.99 gc/m 3 h로 가장 낮은 생산력을 나타내었다. 5월 조사에서도 4월과 마 찬가지로 주암1 정점에서 9.67 gc/m 3 h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5월 조사 의 경우 주암3 정점은 수심이 50cm 이하로 생산력을 측정하지 못하였다. 6월조사시 에는 중류인 주암2 정점에서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었으며 주암1 정점에서 가장 낮 은 생산력 분포를 보였다. FluxPSll단위의 일차 생산력을 탄소동화량으로 전환한 수심별 일차생산력을 각 조사시기별로 비교해보면 수면에서의 일차생산력은 모든 조사시기에서 상류인 주암 3 정점이 가장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었다( 표 3.1.6-9). 또한 하류지역인 주암1 정점 은 < 그림 3.1.29> 의 결과와 같이 수면보다는 아래의 수심에서 높은 생산력분포를 나타내었다. Intergrated PP(gCm -3 h -1 ) 20 16 12 8 4 0 주암1 주암2 주암3 Mar. Apr. May. Jun. Month 그림 3.1.31. 주암호 일차생산력의 시간적 분포. - 158 -

표 3.1.6. 3월 FRRF를 이용한 주암호 PP(gC/m 3 h) 산출값 Station PAR Fv/Fm 주암1 주암2 주암3 Sig ( σ) Chl-a ( μg/l) Ek A ΔF'/F' m P(z) (gc m -3 h -1 ) Depth (m) Ipp (Integrated 49.17 0.00 1749.01 3.58 20.37 0.03 0.00 0.03 0.73 0.10 5.22 37.59 0.01 831.06 4.22 16.78 0.18 0.00 0.11 2.19 0.23 43.71 0.08 417.47 4.06 18.80 1.48 0.03 0.46 3.00 0.52 50.34 0.11 501.07 3.42 20.68 2.22 0.04 0.70 3.89 0.51 42.49 0.11 284.95 3.98 18.42 2.11 0.05 0.44 4.78 1.00 29.84 0.34 314.16 3.80 13.70 4.61 0.15 1.00 6.16 0.84 18.72 0.42 332.32 3.74 7.48 3.15 0.17 0.72 7.13 0.42 10.54 0.42 315.96 3.59-0.19-0.08 0.01 0.02 8.26 0.31 6.93 0.53 364.54 3.58-5.79-3.05 0.37 0.62 9.24 0.55 4.23 0.45 325.40 3.21-12.38-5.61 0.44 0.36 10.37 0.28 3.01 0.38 291.23 3.48-16.92-6.46 0.38 0.22 11.34 0.19 1.95 0.47 372.20 2.38-22.71-10.67 0.47 0.15 12.39 0.13 1.27 0.51 390.01 2.06-28.44-14.61 0.51 0.10 13.45 0.13 0.48 0.36 328.84 1.89-41.43-14.99 0.36 0.02 15.72 pp) Sum of Ipp (gc m -3 326.58 0.12 445.82 9.28 45.64 5.40 0.02 4.18 0.49 6.25 11.41 52.77 0.30 300.52 9.84 21.31 6.49 0.12 3.54 2.11 2.34 14.79 0.40 317.87 8.88 4.33 1.73 0.12 0.91 3.16 1.11 6.02 0.44 323.23 9.12-7.67-3.34 0.36 1.21 4.21 1.13 1.92 0.43 318.03 10.96-22.92-9.90 0.43 0.54 5.51 0.34 0.71 0.46 334.89 10.96-36.20-16.59 0.46 0.22 6.40 0.18 0.23 0.47 319.67 10.08-51.25-24.27 0.47 0.07 7.62 0.04 0.07 0.45 308.75 10.48-67.12-29.96 0.45 0.02 8.59 0.01 0.01 0.46 316.78 6.92-93.10-42.77 0.46 0.00 9.97 1221.0 0.28 247.47 12.72 63.24 17.45 0.01 10.27 0.09 12.79 12.79 3.94 0.49 247.68 12.00-13.33-6.55 0.48 1.05 2.35 h -1 ) 표 3.1.7. 4월 FRRF를 이용한 주암호 PP(gC/m 3 h) 산출값 Station PAR Fv/Fm 주암1 주암2 주암3 Sig ( σ) Chl-a ( μg/l) Ek A ΔF'/F' m P(z) (gc m -3 h -1 ) Depth (m) Ipp (Integrated pp) Sum of Ipp (gc m -3 106.45 0.01 569.76 5.80 30.68 0.36 0.00 0.22 0.17 1.67 16.82 56.10 0.19 314.29 6.16 22.13 4.20 0.07 1.50 2.11 1.68 50.34 0.31 268.36 6.18 20.68 6.45 0.13 1.97 3.08 1.95 46.25 0.39 315.90 6.46 19.55 7.59 0.16 2.84 3.89 4.03 30.84 0.49 327.67 9.04 14.14 6.97 0.22 3.76 5.11 2.73 18.99 0.50 324.99 10.32 7.67 3.83 0.20 2.37 6.00 1.38 13.78 0.49 307.70 10.88 3.39 1.67 0.12 1.05 6.81 0.65 9.77 0.50 326.03 7.86-1.20-0.60 0.06 0.29 7.78 0.77 4.89 0.47 320.61 6.47-10.44-4.89 0.44 0.83 9.16 0.59 3.32 0.45 297.59 6.14-15.61-6.96 0.44 0.50 10.05 1.36 0.36 0.37 255.84 4.40-45.27-16.70 0.37 0.03 15.23 143.22 0.20 466.85 8.88 34.64 6.96 0.05 5.39 0.16 9.68 15.83 32.18 0.41 324.56 8.80 14.71 6.02 0.18 3.13 2.43 1.48 19.08 0.51 298.80 10.00 7.73 3.93 0.20 2.17 2.99 0.99 10.25 0.41 466.27 13.12-0.56-0.23 0.02 0.27 3.80 0.82 4.84 0.52 305.42 13.20-10.58-5.45 0.48 1.76 4.61 1.74 1.98 0.53 297.69 13.20-22.51-11.82 0.52 0.76 5.99 0.49 1.22 0.52 308.42 12.24-28.97-15.10 0.52 0.45 6.80 0.43 0.48 0.46 293.04 11.84-41.43-19.21 0.46 0.14 8.26 0.20 0.08 0.40 280.13 8.44-65.34-26.38 0.40 0.01 10.77 690.59 0.09 362.69 16.24 55.64 4.97 0.01 5.47 0.33 10.99 10.99 43.30 0.50 290.62 21.36 18.67 9.28 0.21 10.57 1.70 h -1 ) - 159 -

표 3.1.8. 5월 FRRF를 이용한 주암호 PP(gC/m 3 h) 산출값 Station PAR Fv/Fm 주암1 주암2 Sig ( σ) Chl-a ( μg/l) Ek A ΔF'/F' m P(z) (gc m -3 h -1 ) Depth (m) Ipp (Integrated 135.35 0.25 427.54 1.68 33.88 8.52 0.06 1.14 0.57 2.64 9.97 50.82 0.30 562.94 3.05 20.81 6.19 0.12 1.96 2.27 0.95 41.11 0.38 451.30 3.40 17.98 6.78 0.16 1.90 2.76 2.67 22.92 0.40 422.29 4.40 10.18 4.09 0.17 1.39 4.38 0.83 14.72 0.44 420.64 5.96 4.27 1.88 0.13 0.88 5.11 1.24 7.30 0.48 389.75 7.36-5.09-2.45 0.30 1.17 6.32 0.95 5.48 0.54 412.49 4.77-8.92-4.79 0.48 0.96 7.21 0.41 4.25 0.36 312.73 3.45-12.31-4.42 0.35 0.30 7.86 0.26 1.81 0.22 132.72 2.93-23.71-5.10 0.21 0.03 9.48 0.02 0.98 0.00 1749.01 3.14-31.90-0.07 0.00 0.00 10.53 0.01 0.06 0.00 1749.01 1.96-69.18-0.13 0.00 0.00 15.15 103.48 0.41 411.37 3.42 30.30 12.33 0.12 3.23 0.33 3.60 5.30 15.15 0.45 352.74 7.25 4.65 2.10 0.14 1.00 2.03 1.02 3.36 0.49 335.08 6.69-15.45-7.57 0.48 0.68 3.24 0.52 0.92 0.47 310.60 9.29-32.74-15.49 0.47 0.23 4.38 0.10 0.40 0.46 277.40 8.85-43.86-20.11 0.46 0.08 5.02 0.06 0.06 0.37 227.63 7.99-69.18-25.26 0.37 0.01 6.32 pp) Sum of Ipp (gc m -3 h -1 ) 표 3.1.9. 6월 FRRF를 이용한 주암호 PP(gC/m 3 h) 산출값 Station PAR Fv/Fm Sig ( σ) Chl-a ( μg/l) Ek A ΔF'/F' m P(z) (gc m -3 h -1 ) Depth (m) Ipp (Integrated pp) Sum of Ipp (gc m -3 h -1 ) 주암1 주암2 주암3 1100.85 0.00 1749.01 1.96 61.86 0.12 0.00 0.08 0.00 0.08 6.52 501.33 0.01 514.56 2.04 51.36 0.68 0.00 0.13 0.81 1.40 235.96 0.26 524.75 1.72 41.30 10.55 0.04 1.79 2.27 2.44 108.99 0.29 419.87 1.56 30.99 8.88 0.08 1.09 3.97 2.20 24.49 0.39 384.12 1.84 11.06 4.32 0.17 0.56 6.64 0.39 10.44 0.44 357.81 4.48-0.32-0.14 0.01 0.04 7.94 307.18 0.04 274.63 11.36 44.82 1.96 0.01 1.14 0.00 2.84 16.43 105.45 0.18 422.46 11.84 30.55 5.62 0.05 5.25 0.89 8.12 32.48 0.38 429.27 12.12 14.83 5.59 0.17 5.30 2.43 5.47 10.10 0.48 376.30 13.08-0.76-0.36 0.04 0.33 4.37 308.63 0.14 431.60 10.44 44.88 6.37 0.02 5.37 0.00 5.32 8.90 55.31 0.32 397.82 10.48 21.94 7.13 0.13 5.49 0.98 3.58 11.58 0.51 342.13 12.56 1.06 0.54 0.05 0.43 2.19 5) 상관분석 전체 식물플랑크톤은 수온, 규산성 규소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아질산성+ 질산성 질소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대형 식물플랑크톤은 전 체 식물플랑크톤과 같이 수온, 규산성 규소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중형 식물플랑크톤은 KD 와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고, 소형 식물플랑크톤도 수온과 - 160 -

규산성 규소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표 3.1.10). 상관분석은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를 통해 수행하였다. 분석에 있어서 유의수준은 P<0.05, P<0.01 를 기준으로 하였다(SPSS 11.0). 표 3.1.10 주암호의 식물플랑크톤 상관분석 Whole Chl-a Micro Chl-a Nano Chl-a Pico Chl-a Temp KD Si NO 2+ NO 3 NH 4 Whole Chl-a 1 0.861 b 0.661 b 0.870 b 0.462 b -0.326 0.398 b -0.308 a -0.168 Micro Chl-a 1 0.199 0.881 b 0.471 b -0.165 0.390 b -0.239-0.071 Nano Chl-a 1 0.309 a 0.210-0.424 a 0.177-0.253-0.215 Pico Chl-a 1 0.420 b -0.064 0.412 b -0.224-0.111 Temp 1-0.099 0.192-0.109 0.001 KD 1-0.298 0.058-0.028 Si 1-0.465 b -0.255 NO 2+ NO 3 1 0.487 b NH 4 1 P a <0.05, P b <0.01-161 -

2절 동복호 본 절은 이번 연구 대상 호소인 동복호의 이화학적 조사에 대해 시 공간적으로 실측조사 한 결과를 항목별로 기술하였다. 이화학적 조사에 해당하는 항목은 물리 적인 특성인 수온, 전기전도도, 투명도, KD, 탁도 등이며, 화학적 특성인 DO, ph, 총질소, 총인, 암모늄, 아질산+ 질산염, 인산염, 규산염 등을 포함하였다. 또한, 탄소 유기물질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SS, VSS, 총 유기탄소, 입자성 유기탄소, 용존성 유기탄소 등을 기술하였다. 1. 이화학적 특성 1) 가. 물리적 환경인자 수온 동복호의 수온 분포는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계절적인 분포를 보였고, 2009년 4 월의 표층 수온(temperature) 은 약 9 로 분포하였으며, 수심이 낮아질수록 감소하 였으나 성층화현상(thermal stratification) 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5월에 표층 수온은 약 18 20 로 정점간에 유사한 분포를 나타냈고, 혼합층 (tixed later), 수온약층(thermocline) 이 형성되었다. 6월에 표층 수온은 약 20 21 로 정점간에 유사한 분포를 나타냈고, 5 월과 비슷한 수직 분포를 나타냈다. 6월의 표층 수온은 약 21 22 분포를 유지하였으며 동복1 정점의 경우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급격한 온도 감소로 현상이 나타났다. 표층과 저층이 약 13 의 온도 구배가 이뤄지고 있었다. 표층에서 4 m 수심까지는 혼합층이 형성되었고 그 이하의 수심에 서는 수온약층을 형성하였다. 10 m 이하의 수심에서 저층까지는 약 8 의 수온을 유지하면 변화하지 않았다. 7월의 동복1 정점 역시 수심에 따라 급격한 수온 변화 를 나타냈으며 혼합층 범위가 넓어지고 18 23 m 사이에서 수온 약층을 형성하였 다. 동복2 정점에서는 표층에서 저층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수온이 감소하였지만 동복1 정점에 비하여 온도 감소률이 낮았다. 8월에는 동복1 정점에서는 표층에서 1.5m 구간까지는 온도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는데, 10 m 수심까지는 다시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다시 일정한 온도로 25 m 까지 유지하였다. 25 m수심 이후에는 다 시 급격한 감소를 보인 후 30 m에서 저층까지는 10 의 온도를 유지하며 변화하지 않았다. 동복2 정점에서도 수온성층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수온약 층은 1.5 6 m 구간에서 형성하였다. 9월의 수온 변화 역시 8월과 유사한 분포를 나 - 162 -

타내었으며 상대적으로 월과 8 월에 비하여 낮은 온도를 유지하며 성층을 형성하였다. 10 11월에는 여름철 형성된 수온성층 현상이 점차 소멸되기 시작하였으나 수심이 깊은 동복1 정점에서는 20 m 이하의 수심에서 급격한 수온 변화를 나타내었다. 동 복호의 수온성층은 5월 하류인 동복1 정점에서 시작하여 8월에 호소 전역에 걸쳐 수온성층이 형성되었고, 10 월부터는 소멸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림 3.2.1). 나. 전기전도도 동복호에 전기전도도(electric conductivity) 분포를 보면 상대적으로 4월의 동복 2 정점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고, 조사기간 동안 전반적으로 수직적 분포에는 큰 변 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5월과 6월 역시 수직분포에는 큰 변동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정점별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월에는 상류인 동복2 정점이 동복1정점에 비하여 다소 높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내었으며 수직적으로는 두 정점 모두 저층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8월부터 11월까지의 수직 분포를 보면 모두 저층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동복1 정점은 저층에서 높은 전기전 도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림 3.2.2). - 163 -

Tem. ( ) 0 5 10 15 20 25 30 0 A) Apr. 09 5 Tem. ( ) 0 5 10 15 20 25 30 0 B) May 09 5 Tem. ( ) 0 5 10 15 20 25 30 0 C) Jun. 09 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20 동복1 20 20 동복2 25 25 25 0 Tem. ( ) 0 5 10 15 20 25 30 0 Tem. ( ) 0 5 10 15 20 25 30 0 Tem. ( ) 0 5 10 15 20 25 30 5 D) Jul. 09 5 E) Aug. 09 5 F) Sep. 09 10 10 10 Depth (m) 15 20 Depth (m) 15 20 Depth (m) 15 20 25 25 25 30 30 30 35 35 35 0 Tem. ( ) 0 5 10 15 20 25 30 0 Tem. ( ) 0 5 10 15 20 25 30 5 G) Oct. 09 5 H) Nov. 09 10 10 Depth (m) 15 20 Depth (m) 15 20 25 25 30 30 35 35 그림 3.2.1. 동복호 수온의 수직분포. - 164 -

Con. (ms/cm) 0 0.1 0.2 0.3 0.4 0.5 0 A) Apr. 09 5 Con. (ms/cm) 0 0.1 0.2 0.3 0.4 0.5 0 B) May 09 5 Con. (ms/cm) 0 0.1 0.2 0.3 0.4 0.5 0 C) Jun. 09 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20 20 20 동복1 25 동복2 25 25 0 Con. (ms/cm) 0 0.1 0.2 0.3 0.4 0.5 0 Con. (ms/cm) 0 0.1 0.2 0.3 0.4 0.5 0 Con. (ms/cm) 0 0.1 0.2 0.3 0.4 0.5 5 D) Jul. 09 5 E) Aug. 09 5 F) Sep. 09 10 10 10 Depth (m) 15 20 Depth (m) 15 20 Depth (m) 15 20 25 25 25 30 30 30 35 35 35 0 Con. (ms/cm) 0 0.1 0.2 0.3 0.4 0.5 0 Con. (ms/cm) 0 0.1 0.2 0.3 0.4 0.5 G) Oct. 09 H) Nov. 09 5 5 10 10 Depth (m) 15 20 Depth (m) 15 20 25 25 30 30 35 35 그림 3.2.2. 동복호 전기전도도의 수직분포. 다. 투명도 및 광소멸계수 동복호에 투명도(secchi disk transparency) 분포를 보면 동복1 정점의 경우 4 월에 2.4 m로 가장 높은 투명도를 나타내었고 7월에 0.3 m로 가장 낮았다 이러한 원인은 장마에 의하여 외부에서 유입된 토사 및 부유물질에 인하여 투명도가 감소 - 165 -

하였으리라 예상된다. 7월에 낮아진 투명도는 8월과 9월 조사시기에도 다른 시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11월부터는 다시 높아지는 패턴을 나타내 었다. 동복2 정점의 경우에도 7월에 0.2 m로 최소 투명도를 나타내었고 10월에 2.2 m 로 가장 높은 투명도를 나타내었다. 각 정점의 평균 투명도를 비교하면 하류지역 인 동복1 정점이 1.61로 동복2 정점보다 다소 높은 투명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림 3.2.3). 광소멸계수(light attenuation coefficient) 는 투명도와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류지역인 동복1 정점의 광소멸계수는 3.3 m -1 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9월에 0.74 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동복2 정점 역시 7월에 3.6으로 가장 높 은 값을 나타내었다. 각 정점별 평균은 동복1 정점이 1.42 m -1 를 나타내었으며 동복 2 정점이 1.33 m -1 으로 상대적으로 동복1 정점이 광소멸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림 3.2.3). Secchi depth (m) 5 4 3 2 1 A) 동복1 Secchi depth KD 5 4 3 2 1 KD (m -1 )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0 Secchi depth (m) 5 4 3 2 1 0 B) 동복2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5 4 3 2 1 0 KD (m -1 ) 그림 3.2.3. 동복호의 투명도 및 광소멸계수. - 166 -

라. 탁도 동복호 탁도의 수직분포 결과를 보면 4월부터 6월까지는 각 정점별 수직별 큰 변동을 나타내지 않았다. 장마기인 7월에는 표층의 탁도를 비교하면 동복1 정점이 동복2 정점에 비하여 높은 탁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두 정점 모두 저층으로 갈수 록 증가하였다. 동복1 정점의 경우 수심 20 m에서 102.8NTU를 나타내어 최대 탁 도를 나타내었고 이하의 수심으로 갈수록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동복2 정 점의 경우에도 저층에서는 66.8NTU 의 탁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영향은 강우기 유입된 토사 및 부유물질들이 침전되어 저층부에 정체하면서 나타난 원인으로 예상 되며 성층현상 또한 이러한 원인에 기여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8월과 9월의 수 직분포 역시 표층에 비하여 저층에서 다소 높은 탁도를 유지하였으며 월 사이에는 수직적으로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그림 3.2.4). 10월부터 11 마. 부유물질 및 휘발성부유물질 부유물질(suspended solids) 분포를 보면 동복1 정점에서는 저층이 표층보다 더 높은 분포를 보였다. 계절별로는 표층과 저층 모두 7 월에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동복2 정점 역시 7월에 표층과 저층 모두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고 저층의 경우에는 46 mg/l로 최대 농도를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표층과 비교했을 때 약 2배 이상 높은 농도였다. 동복2 정점의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표층보다 저층이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각 정점별로 비교하면 표층과 저층 모두 동복1 정점이 다소 높은 농도 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림 3.2.5). 휘발성부유물질(volatile suspended solids) 분포를 보면 동복1 정점에서는 7월 표층에서 7.6 7mg/L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5월이 1.7 mg/l로 가 장 낮았다. 저층의 경우에는 10월에 18.6 mg/l 로 가장 높았으며, 4월이 2.2 mg/l로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동복2 정점에서는 표층에서는 8월이 높았으며 저층에 서는 7 월에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각 계절별로 총부유물질에 대한 휘발성유기물 질의 기여율을 보면 전반적으로 입자성부유물질에 비하여 휘발성부유물질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7월의 경우 표층과 저층에서 약 20% 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당시의 조사시기에는 부유물질의 대부분이 토사등과 같은 입자성 부유물질로 구성되어 있었음을 예상 할 수 있다. 또한 표층과 저층을 비교 했을 때 저층의 경우 표층에 비하여 입자성부유물질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표층 - 167 -

의 경우 대부분이 플랑크톤등과 같은 생물체나 부유가 쉬운 유기성 물질들로 존재 할 가능성이 크며, 저층의 경우 침전이 유리한 토사와 같은 입자성부유물질 구성에 의하여 나타난 결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그림 3.2.6). Turb. (NTU) 0 20 40 60 80 100 120 0 A) Apr. 09 5 Turb. (NTU) 0 20 40 60 80 100 120 0 B) May 09 5 Turb. (NTU) 0 20 40 60 80 100 120 0 C) Jun. 09 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20 동복1 20 20 동복2 25 25 25 Turb. (NTU) 0 20 40 60 80 100 120 0 Turb. (NTU) 0 20 40 60 80 100 120 0 Turb. (NTU) 0 20 40 60 80 100 120 0 5 D) Jul. 09 5 E) Aug. 09 5 F) Sep. 09 10 10 10 Depth (m) 15 20 Depth (m) 15 20 Depth (m) 15 20 25 25 25 30 30 30 35 35 35 Turb. (NTU) 0 20 40 60 80 100 120 0 Turb. (NTU) 0 20 40 60 80 100 120 0 G) Oct. 09 H) Nov. 09 5 5 10 10 Depth (m) 15 20 Depth (m) 15 20 25 25 30 30 35 35 그림 3.2.4. 동복호 탁도의 수직분포. - 168 -

50 40 A) 동복1 Surface Bottom 50 40 B) 동복2 SS (mg/l) 30 20 SS (mg/l) 30 20 10 10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2.5. 동복호의 부유물질 분포. 20 16 A) 동복1 20 16 B) 동복2 VSS (mg/l) 12 8 Surface Bottom VSS (mg/l) 12 8 4 4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2.6. 동복호의 휘발성 부유물질 분포. 표 3.2.1. 동복호의 부유물질 및 휘발성 부유물질 Month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조사지점 SS 동복1 VSS VSS 동복2 VSS (mg/l) (mg/l) (%) (mg/l) (mg/l) (%) Surface 2.80 2.70 96.4 3.70 3.60 97.3 Bottom 10.90 4.00 36.7 3.00 2.90 96.7 Surface 1.80 1.70 94.4 2.60 2.30 88.5 Bottom 3.30 2.20 66.7 3.70 3.00 81.1 Surface 3.00 2.88 95.8 4.00 3.75 93.7 Bottom 4.20 4.00 95.2 5.00 4.75 95.0 Surface 37.67 7.67 20.4 22.67 5.33 23.5 Bottom 36.67 6.67 18.2 46.00 9.00 19.6 Surface 8.17 7.17 87.8 6.36 6.00 94.3 Bottom 23.00 6.60 28.7 10.80 3.80 35.2 Surface 4.88 4.75 97.4 4.93 4.79 97.2 Bottom 19.25 7.75 40.3 7.33 4.17 56.8 Surface 5.60 3.80 67.9 14.80 5.80 39.2 Bottom 20.40 18.60 91.2 13.00 6.40 49.2 Surface 2.90 2.20 75.9 4.82 4.34 90.0 Bottom 4.33 3.13 72.4 2.80 2.00 71.4 SS VSS - 169 -

2) 화학적 환경인자 가. DO 동복호의 4월의 표층 용존산소는 약 12 mg/l 로 나타났고, 저층으로 갈수록 낮아 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림 3.2.7). 5월의 표층 용존산소는 약 10 11 mg/l 범위로 분 포하였으며, 동복1 정점에서 표층으로부터 6 m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다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동복2 정점에서는 저층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 다. 6월의 표층 용존산소는 약 9 10 mg/l 로 범위의 농도를 나타내었고, 동복1 정점 에서는 표층으로부터 4 m까지 유사한 분포를 보이다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 였으며, 저층에서는 빈산소층을 형성 하였다. 동복2 정점에서는 저층으로 갈수록 감 소하는 패턴을 보였지만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7월 표층의 용존 산소는 상류인 동 복2 정점이 다소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고, 두 정점 모두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점 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8월에는 두 정점 모두 표층에서 12 mg/l 의 농도를 유지하였다. 수심 5 m까지 는 큰 변동을 보이지 않았으나 이하 수심 10 m까지는 급격한 용존산소의 감소 현 상이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수심이 낮은 동복2 정점은 10 m 이후 5 mg/l의 용존산 소를 유지하였으며, 동복1 정점은 계속적으로 감소하여 저층에서는 1.69 mg/l로 빈 산소층을 형성하였다. 9월의 용존산소 분포 역시 8 월과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었다. 두 정점 모두 저층에서는 1.4 mg/l 로 빈산소층을 형성하였다. 10월부터는 혼합층의 범위가 넓어졌으며 수심 10 m 이하에서 용존산소의 감소 가 나타났다. 역시 저층에서는 빈산소층이 형성되었다. 11월에는 상대적으로 수심이 낮은 동복2 정점에서는 수직적으로 큰 변동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6 mg/l의 용존 산소를 유지하였다. 수심이 깊은 동복1 정점에서는 20 m 이하의 수심에서 용존산소 의 감소를 나타내었고 저층에서는 0.83 mg/l 로 혐기성 상태를 나타내었다( 그림 3.2.7). - 170 -

DO (mg/l) 0 3 6 9 12 15 0 A) Apr. 09 5 DO (mg/l) 0 3 6 9 12 15 0 B) May 09 5 DO (mg/l) 0 3 6 9 12 15 0 C) Jun. 09 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20 동복1 20 20 동복2 25 25 25 0 DO (mg/l) 0 3 6 9 12 15 0 DO (mg/l) 0 3 6 9 12 15 0 DO (mg/l) 0 3 6 9 12 15 5 D) Jul. 09 5 E) Aug. 09 5 F) Sep. 09 10 10 10 Depth (m) 15 20 Depth (m) 15 20 Depth (m) 15 20 25 25 25 30 30 30 35 35 35 0 DO (mg/l) 0 3 6 9 12 15 0 DO (mg/l) 0 3 6 9 12 15 5 G) Oct. 09 5 H) Nov. 09 10 10 Depth (m) 15 20 Depth (m) 15 20 25 25 30 30 35 35 그림 3.2.7. 동복호 용존산소의 수직분포. - 171 -

나. ph 동복호의 수소이온농도(potential of hydrogen) 는 < 그림 3.2.8> 에 제시하였다. 4 월의 표층 수소이온농도는 동복1, 동복2 정점 모두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5월에는 동복2 정점이 동복1 정점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6월에는 동복1, 동복2 정점이 유사한 공간적인 분포를 보였고, 수직적 분포는 저층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7월의 동복1 정점의 경우에는 수직 적으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표층과 저층간의 수소이온농도는 큰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동복2 정점에서는 저층으로 갈수록 수소이온농도의 감소 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8월에는 표층에서는 8.1 8.4의 ph를 나타내었으며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동복1 정점의 저층의 경우에는 7.2까지 감소하였고 동복2 정점의 경우에 는 7.1 까지 감소하였다. 9월부터 11월 조사 역시 표층에서부터 저층으로 갈수록 점 진적으로 ph 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각 정점의 ph 변화를 비교해보면 상 대적으로 상류인 동복2 정점의 ph가 낮았으며 저층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변화율도 동복2 정점이 크게 나타났다( 그림 3.2.8). 다. 총질소(T-N) 동복호 총질소의 수직분포는 < 그림 3.2.9> 에 제시하였다. 동복1 정점의 총질소의 표층의 변화를 살펴보면 7월에 가장 높은 농도를 유지 하였고 8월에서 9 월에는 낮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수직분포를 보면 표층보다는 저층에서 높은 농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11월 저층에서는 5.55 mg/l의 농도 로 조사기간 중에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7월에는 중층인 15 m 수심에서 3.56 mg/l 로 수직분포에서 중층이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총질소의 분포 특성을 보면 표층에 비하여 저층에서 월등히 높은 농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동복2 정점에 서는 계절적으로 7월에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9월과 10월 표층은 다른 시기에 비 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동복1 정점과 동복2 정점의 총질소 의 평균 농도는 동복1 정점에서 다소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림 3.2.9). - 172 -

ph 6 7 8 9 10 0 A) Apr. 09 5 ph 6 7 8 9 10 0 B) May 09 5 ph 6 7 8 9 10 0 C) Jun. 09 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Depth (m) 10 15 20 20 20 동복1 동복2 25 25 25 0 ph 6 7 8 9 10 0 ph 6 7 8 9 10 0 ph 6 7 8 9 10 5 D) Jul. 09 5 E) Aug. 09 5 F) Sep. 09 10 10 10 Depth (m) 15 20 Depth (m) 15 20 Depth (m) 15 20 25 25 25 30 30 30 35 35 35 0 ph 6 7 8 9 10 0 ph 6 7 8 9 10 5 G) Oct. 09 5 H) Nov. 09 10 10 Depth (m) 15 20 Depth (m) 15 20 25 25 30 30 35 35 그림 3.2.8. 동복호 ph 의 수직분포. - 173 -

그림 3.2.9. 동복호 총질소의 수직분포. 라. 총인(T-P) 동복호의 총인 분포는 < 그림 3.2.10> 에 제시하였다. 동복1 정점의 계절적인 분 포를 보면 표층의 경우 6월에서 8월 사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전반적으로 표층 보다 저층에서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9월부터 11월 사이에는 저층에서 높은 농 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동복2 정점은 표층은 6월에서 7월 사이 높은 농도를 유지하 였다. 저층의 경우에는 7 월이 타 조사시기보다 높은 농도 분포를 유지하였다. 동복1 정점과 동복2 정점의 농도를 비교하면 거의 비슷한 농도를 유지하였으나 상대적으 로 동복2 정점이 평균농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그림 3.2.10. 동복호 총인의 수직분포. - 174 -

마. 암모늄(NH + 4 ) 동복호의 암모늄 농도는 < 그림 3.2.11> 에 제시하였다. 동복1 정점의 표층 농도 분포를 보면 6월에 0.630 mg/l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다른 조사시기에 는 0.013 0.218 mg/l 농도 범위로 큰 변동을 나타내지 않았다. 저층에서는 7월에 1.549 mg/l로 급증하였으며 점점 증가하여 11월에는 2.869 mg/l로 최대 농도를 나 타내었다. 동복2 정점에서는 표층과 저층 모두 시간적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 다. 두 정점 모두 저층에서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특히 하류지역의 저층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림 3.2.11). 4 3 A) 동복1 Surface Bottom 4 3 B) 동복2 NH4 + (mg/l) 2 1 NH4 + (mg/l) 2 1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그림 3.2.11. 동복호 암모늄의 분포. 바. 아질산+ 질산염(NO - 2 +NO - 3 ) 동복호의 아질산+ 질산염의 농도 분포를 보면, 동복1 정점의 표층에서는 7월에 1.504 mg/l 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고, 9 월에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저층의 경 우에는 시간 경과에 따라 큰 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동복2 정점 역시 7월에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저층 또한 7 월에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각 정점의 표 층과 저층의 농도를 비교해보면 표층의 경우에는 동복1 정점과 동복2 정점이 거의 유사한 농도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저층에서는 상류인 동복2 정점이 평균 농도 0.66 mg/l로 동복1 정점에 비하여 0.6 mg/l 이상 높은 농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림 3.2.12). - 175 -

NO2 - +NO3 - (mg/l) 2 1.6 1.2 0.8 0.4 A) 동복1 Surface Bottom NO2 - +NO3 - (mg/l) 2 1.6 1.2 0.8 0.4 B) 동복2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그림 3.2.12. 동복호 아질산+ 질산염의 분포. 사. 인산염(PO -3 4 ) 동복1 정점의 인산염 농도를 보면 표층과 저층 모두 8월에 0.105, 0.074 mg/l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다. 4월부터 6월까지는 표층과 저층 모두 낮은 농도를 유지하 였으며 표 저층 간에도 농도차이가 유사하였다. 10월과 11월에는 표층보다 저층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동복2 정점에서도 4월부터 6월까지 표층과 저층의 농도는 높지 않았으면 큰 변동을 보이지 않았으나 표층이 저층에 비하여 다소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7 월에는 저층에서 인산염의 농도가 급증하였으며, 8월에는 표층의 인산 염이 증가하였다. 7월부터 11월까지는 표층보다 저층에서 인산염의 농도가 높게 나 타났다( 그림 3.2.13). 0.15 0.12 A) 동복1 Surface Bottom 0.15 0.12 B) 동복2 PO4-3 (mg/l) 0.09 0.06 PO4-3 (mg/l) 0.09 0.06 0.03 0.03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그림 3.2.13. 동복호 인산염의 분포. 아. 규산염(SiO 2 ) 동복1 정점의 규산염의 분포 변화를 보면 표층의 경우 4월부터 6월까지는 상대 적으로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7월에 급증하여 8월까지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 - 176 -

다. 9월에 다소 감소하였으나 10월부터 증가하여 11월에는 조사기간 중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저층의 경우에는 5월과 6월에 표층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 를 나타내었고, 7월에 다소 감소하여 11월까지는 다소 증감을 반복하였으나 농도적 으로는 큰 변동을 보이지는 않았다. 동복2 정점에서는 표층과 저층 모두 4월에 최 소 농도를 나타내었고 7 월에 급증하였다. 표층의 경우에는 8월에 최대 농도를 나타 내었고, 저층에서는 9 월에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정점별 농도를 비교해보면 표 층과 저층 모두 상류지역인 동복2 정점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림 3.2.14). 4 3 A) 동복1 Surface Bottom 4 3 B) 동복2 Si (mg/l) 2 Si (mg/l) 2 1 1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그림 3.2.14. 동복호 규산염의 분포. 자. N/P Ratio 동복호에서 시 공간적인 N/P Ratio는 7이상으로 인 제한을 받는 것으로 판단 된다. 수계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영양물질 순환조사(1 차년도) 조사에서 영양염제 한지수의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림 3.2.15). - 177 -

그림 3.2.15. 동복호 N/P Ratio 의 분포. 3) 탄소 유기물 가. 총 유기탄소(TOC) 동복호의 총 유기탄소의 수직적 분포는 < 그림 3.2.16> 에 제시하였다. 동복 1정 점의 총 유기탄소 분포 범위는 1.833 12.987 mg/l 의 범위로 존재하였다. 평균 농 도는 3.218 mg/l 로 나타났다. 계절별 변화를 살펴보면 표층의 경우 8월에 7.203 mg/l 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고, 4월에 1.833 mg/l 로 최소농도를 나타내었다. 수 직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4월의 경우 저층에서 2.722 mg/l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 였고, 표층에서 1.833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5월에는 3.074 mg/l로 10 구간에서 최대 농도를 보였고, 6월에도 10 m구간에서 3.582 mg/l로 가장 낮은 분 포를 보였다. 7월에는 20 m구간에서 6.055 mg/l 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고, 10 m 구간에서 2.277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8월에는 저층에서 12.987 mg/l 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15 m구간에서 2.524 mg/l로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9월에는 표층에서 3.370 mg/l 로 가장 높은 분포를 하였고, 15 m구간에 서 2.059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하였다. 10월과 11월에는 저층에서 각각 4.244 mg/l, 5.315 mg/l 로 최대 농도를 보였다( 그림 3.2.16). 동복 2정점의 총 유기탄소의 분포 범위는 2.190 14.067 mg/l의 범위로 존재하 였다. 평균 농도는 3.601 mg/l 로 나타났다. 계절별 변화를 살펴보면 표층의 경우 8 월에 5.460 mg/l 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고, 11월에 2.450 mg/l로 최소농도를 나 타내었다. 수직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4월의 경우 5 m구간에서 4.951 mg/l로 가장 - 178 -

높은 분포를 보였다. 5 월에는 표 저층간에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었고, 각각 2.652 mg/l, 2.599 mg/l 로 나타내었다. 6월에는 표층에서는 3.199 mg/l 로 분포를 하였고, 저층에서는 2.686 mg/l 로 분포를 하였다. 7월에는 저층에서 3.463 mg/l로 가장 높은 분포를 하였다. 8월에는 15 m구간에서 14.067 mg/l로 가장 높은 분포를 하였 고, 5 m구간에서 3.554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하였다. 9월에는 10 m구간에서 9.052 mg/l 로 가장 높은 분포를 하였고, 15 m구간에서 2.190 mg/l로 가장 낮은 분 포를 하였다. 10월에는 저층에서 2.967 mg/l 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고, 10 m구간 에서 2.343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하였다. 11월에는 5 m구간에서 3.074 mg/l로 가장 높은 분포를 하였고, 저층에서 2.295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하였다( 그림 3.2.16). 그림 3.2.16. 동복호 총 유기탄소의 수직분포. 나. 입자성 유기탄소(POC) 동복호의 입자성 유기탄소의 수직적 분포는 < 그림 3.2.17> 에 제시하였다. 동복 1정점의 입자성 유기탄소의 분포 범위는 0.198 2.267 mg/l 의 범위로 존재하였다. 평균 농도는 0.971 mg/l 로 나타났다. 계절별 변화를 살펴보면 표층의 경우 8월에 1.679 mg/l 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고, 4월에 0.357 mg/l로 최소 농도를 나타내었 다. 수직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4월의 경우 표층에서 0.357 mg/l로 가장 높은 수치 를 보였고, 10 m구간에서 0.198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5월에는 저층으 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저층에서 0.607 mg/l 로 분포를 하였다. 6월에 - 179 -

는 1.329 mg/l 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고, 10 m구간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저층에서 다시 높아지는 패턴을 보였다. 7월에는 15 m구간에서 2.267 mg/l 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고, 저층에서 1.162 mg/l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 다. 8월에는 20 m 구간까지 낮아지다가 다시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 9월에는 10 m 구간까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0월에는 15 m 구간까지 낮아지다가 다시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 그림 3.2.17). 동복 2정점의 입자성 유기탄소의 분포 범위는 0.258 1.806 mg/l의 범위로 존 재하였다. 평균 농도는 0.977 mg/l 로 나타났다. 계절별 변화를 살펴보면 표층의 경 우 8월에 1.422 mg/l 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고, 4월에 0.288 mg/l로 최소 농도를 나타내었다. 수직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4 월, 5 월, 6월의 경우 각각 0.278 mg/l, 0.656 mg/l, 1.449 mg/l 로 저층에서 최대농도를 보였다. 7월에는 10 m구간에서 1.086 mg/l 로 최대농도를 보였고, 8월에는 표층에서 1.422 mg/l로 최대 농도를 보였다. 9월에는 5 m구간에서 1.394 mg/l 로 가장 높은 분포를 하였고, 10 m구간에 서 0.702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하였다. 10월에는 표층에서 1.229 mg/l로 가장 높았고, 저층에서 0.464 mg/l 로 가장 낮은 분포를 하였다( 그림 3.2.17). 그림 3.2.17. 동복호 입자성 유기탄소의 수직분포. 다. 용존성 유기탄소(DOC) 동복호의 용존성 유기탄소의 수직적 분포는 < 그림 3.2.18> 에 제시하였다. 동복 1정점의 용존성 유기탄소의 분포 범위는 0.926 11.713 mg/l의 범위로 존 - 180 -

재하였다. 평균 농도는 2.317 mg/l 로 나타났다. 계절별 변화를 살펴보면 표층의 경 우 8월에 5.524 mg/l 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고, 6월에 1.424 mg/l로 최소 농도를 나타내었다. 수직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4월의 경우 저층에서 2.394 mg/l로 최대 농도를 보였고, 5월에는 10 m구간에서 2.549 mg/l 로 최대농도를 보였다. 6월에는 10 m구간에서 2.738 mg/l 로 가장 높은 분포를 하였다. 7월에는 20 m구간에서 3.934 mg/l 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고, 10 m구간에서 0.92 mg/l로 가장 낮은 분 포를 보였다. 8월에는 20 m구간까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다시 증가하는 패턴 을 보였고, 저층에서 11.713 mg/l 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9월과 10월에는 표 층에서 각각 1.373 mg/l, 1.050 mg/l 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림 3.2.18). 동복 2정점의 용존성 유기탄소의 분포 범위는 1.096 13.256 mg/l의 범위로 존 재하였다. 평균 농도는 2.805 mg/l 로 나타났다. 계절별 변화를 살펴보면 표층의 경 우 8월에 4.038 mg/l 로 최대 농도를 나타내었고, 6월에 1.353 mg/l로 최소 농도를 나타내었다. 수직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4월의 경우 5 m구간에서 4.693 mg/l로 가 장 높은 농도를 보였고, 5월과 6월에는 표층에서 각각 2.085 mg/l, 1.992 mg/l로 가장 높은 분포를 하였다. 7월에는 저층에서 1.884 mg/l, 로 최대 농도를 보였고, 8 월에는 15 m구간에서 13.256 mg/l 로 최대 농도를 보였다. 9월에는 10 m구간에서 8.350 mg/l 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고, 10월에는 저층에서 2.503 mg/l로 가장 높 은 농도를 보였다( 그림 3.2.18). 그림 3.2.18. 동복호 용존성 유기탄소의 수직분포. - 181 -

2. 식물플랑크톤 1) 가.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 전체 식물플랑크톤 동복호의 전체 식물플랑크톤(whole chlorophyll-a) 의 분포는 < 그림 3.2.19> 에 제시하였다. 동복1 정점의 변화를 보면 8월 표층에서 27.8 μg/l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7 월에 가장 낮았다. 저층의 경우에는 4월에 11.6 μg/l로 가장 높았으 며 계절의 변화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표층과 저층을 비교하면 표층이 월등히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동복2 정점의 경우에도 8월 표층에서 20.0 μg/l로 가장 높 은 생체량 분포를 보였으며, 저층의 경우에는 5월에 18.9 μg/l 로 가장 높았다. 공간 적으로는 표층과 저층 모두 상류정점인 동복2가 다소 높은 생체량을 유지하고 있었 다( 그림 3.2.19). Whole-Chl-a (µg/l) 30 25 20 15 10 5 A) 동복1 Surface Bottom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30 25 B) 동복2 Whole-Chl-a (µg/l) 20 15 10 5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2.19. 동복호의 전체 식물플랑크톤 분포. - 182 -

나. 대형 식물플랑크톤 동복호의 대형 식물플랑크톤의 분포는 < 그림 3.2.20> 에 나타냈다. 동복1 정점의 표층 평균 생체량 농도는 2.55 μg/l 였으며, 8월에 12.4 μg/l로 가 장 높은 생체량을 나타냈다. 저층에서는 6월과 8월에 각각 2.1, 1.9 μg/l로 타 조사 시기에 비하여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동복2 정점의 표층의 경우에는 7월에 9.6 μg /L 로 가장 높은 생체량을 보였으며, 8월에 8.0 μg/l로 두 번째로 높은 분포를 나타 내었다. 저층의 경우에는 6월에 3.1 μg/l 로 가장 높았다. 정점별로 비교해보면 표층 의 경우에는 동복2 정점이 동복1 정점에 비하여 높은 생체량을 유지하였으며, 저층 역시 상류인 동복2 정점에서 다소 높은 생체량을 나타내었다( 그림 3.2.20). 20 16 A) 동복1 Surface Bottom Micro-Chl-a (µg/l) 12 8 4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20 16 B) 동복2 Whole-Chl-a (µg/l) 12 8 4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2.20. 동복호의 대형 식물플랑크톤 분포. - 183 -

다. 중형 식물플랑크톤 동복호의 중형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 분포는 < 그림 3.2.21> 에 나타냈다. 동복1 정점의 표층 생체량 변화를 보면 4월부터 8월까지 증감을 반복하였고 9 월 이후에는 서서히 감소하였다. 최대 농도는 8월에 13.7 μg/l로 가장 높았으며 7월 에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저층의 경우에는 4월에 9.8 μg/l로 가장 높았으며 점 차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표층과 저층의 평균 농도를 비교하면 표층 이 6.82 μg/l, 저층이 3.48 μg/l로 표층이 약 2 배정도 높은 생체량을 나타내었다. 동 복2 정점의 경우 표층 생체량 변화를 보면 4월에 12.5 μg/l로 가장 높은 생체량을 나타내며, 11 월에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저층에서는 5월에 15.5 μg/l로 가장 높 았으며 7월부터 10월 사이에는 0.8 1.5 μg/l 로 낮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각 정점별 평균 농도를 비교하면 표층과 저층 모두 상류인 동복2 정점에서 높은 생체량을 유 지하고 있었다( 그림 3.2.21). 20 16 A) 동복1 Surface Bottom Nano-Chl-a (µg/l) 12 8 4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20 16 B) 동복2 Nano-Chl-a (µg/l) 12 8 4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2.21. 동복호의 중형 식물플랑크톤 분포. - 184 -

라. 소형 식물플랑크톤 동복호의 소형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 분포는 < 그림 3.2.22> 에 제시하였다. 동복1 정점의 표층 생체량을 보면 10 월에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7월에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저층에서도 10 월에 가장 높았다. 표층과 저층을 비교 하면 상대적으로 표층이 높은 생체량을 유지하고 있었다. 동복2 정점에서는 4월 표 층이 2.4 μg/l 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9월에 가장 낮은 농도분포를 나타 내었다. 저층에서는 5월에 2.6 μg/l로 가장 높았으며 점차 감소하여 7월부터 11월까 지 낮은 생체량을 유지하였다. 표층과 저층의 생체량을 비교하면 표층에서 다소 높 은 생체량을 유지하였다. 각 정점별 평균농도는 표층의 경우에는 하류인 동복1 정 점이 다소 높았으며, 저층은 상류인 동복2 정점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림 3.2.22). 5 4 A) 동복1 Surface Bottom Pico-Chl-a (µg/l) 3 2 1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5 4 B) 동복2 Pico-Chl-a (µg/l) 3 2 1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2.22. 동복호의 소형 식물플랑크톤 분포. - 185 -

2)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가. 전체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전체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분포를 보면 동복1 정점에서는 7월에 1.4의 결과 와 10월에 1.6의 결과를 제외하고 모두 1.7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저층에서는 모든 조사시기에 1.7 이하의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7월에 1.2로 가장 낮은 결과 를 나타내었다. 7월의 경우에는 표층과 저층에서 모두 1.7 이하의 결과를 나타내었 는데 이는 본 시기에는 강우의 영향으로 탁도 증가 요인으로 식물플랑크톤이 서식 하는데 불리한 환경조건이 형성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자가 산 화가 일어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동복2 정점의 a/b ratio 분포를 보면 동복1 정점과 마찬가지로 표층에서는 7월과 10월을 제외한 모든 조사시기에 1.7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저층에서는 4월부터 6월까지는 1.7 이상의 수치를 보였지만 7월 부터는 1.7 이하의 값을 나타내었다. 동복2 정점에서도 저층보다는 표층에서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그림 3.2.23). 2.9 2.3 A) 동복1 Surface Bottom Whole a/b ratio 1.7 1.1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2.9 B) 동복2 2.3 Whole a/b ratio 1.7 1.1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2.23. 동복호 전체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 186 -

나. 대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대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분포를 보면 동복1 정점의 표층에서는 7월과 11 월에 1.7 이하의 수치를 나타내었고 타 조사시기에는 1.7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었 다. 5월에 2.2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 반면 7월과 11월에는 1.5의 수치를 보여 가 장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저층에서는 5 월, 8 월, 10월에만 1.7 이상의 수치를 나타 내었고 나머지 조사시기에는 1.7 이하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표층과 저층의 평균 ratio 값은 표층에서 높은 분포를 유지하였다. 동복2 정점의 표층 분포를 보면 4월 과 5월 그리고 7월에는 1.7 이하의 수치를 나타내었고 나머지 조사시기에는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저층에서는 5 월, 7 월, 9월에 1.7 이하를 나타내었다. 각 정점별로 평균값을 비교해보면 표층에서는 동복1 정점이 수치가 높게 나타났고, 저층에서는 동복2 정점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림 3.2.24). 2.9 2.3 A) 동복1 Surface Bottom Micro a/b ratio 1.7 1.1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2.9 B) 동복2 2.3 Micro a/b ratio 1.7 1.1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2.24. 동복호 대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 187 -

다. 중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중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분포를 보면 동복1 정점의 표층에서는 7월과 10 월을 제외한 모든 조사시기에 1.7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저층의 경우에는 모든 조사시기에 1.7 이하의 수치를 유지하였다. 동복2 정점의 표층에서는 10월에만 1.7 이하로 나타났고 저층의 경우 4월과 5월을 제외한 모든 조사시기에 1.7 이하를 나 타냈다. 각 정정별로 비교해보면 표층의 경우에는 동복1정점과 동복2 정점이 거의 유사한 수치를 보였으나 상류인 동복2 정점이 다소 높은 수치를 유지하였고 저층 역시 상류정점인 동복2 정점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림 3.2.25). 2.9 2.3 A) 동복1 Surface Bottom Nano a/b ratio 1.7 1.1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2.9 B) 동복2 2.3 Nano a/b ratio 1.7 1.1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2.25. 동복호 중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라. 소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소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분포를 보면 동복1 정점의 표층에서는 7월을 제 외한 모든 조사시기에 1.7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었고 저층의 경우에는 4월과 5월을 - 188 -

제외하고 모두 1.7 이하를 나타내었다. 동복2 정점의 표층에서는 7월에만 1.7 이하 를 나타내었고 저층의 경우 4월과 5월 그리고 8월에만 1.7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었 다. 각 정점별로 평균 수치를 비교해보면 표층의 경우 동복1 정점과 동복2 정점이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다소 동복1 정점이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저층 역시 상류인 동복1 정점이 높은 수치를 유지하였다( 그림 3.2.26). 2.9 2.3 A) 동복1 Surface Bottom Pico a/b ratio 1.7 1.1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2.9 B) 동복2 2.3 Pico a/b ratio 1.7 1.1 0.5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2.26. 동복호 소형 식물플랑크톤의 a/b ratio. 3) 식물플랑크톤의 기여율(Contribution) 변화 식물플랑크톤의 크기에 따른 각 사이즈별 기여율 분포를 보면 동복호는 전반적 으로 중형 식물플랑크톤(nano-size) 의 비율이 높게 우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조사시기별 기여율 변화를 살펴보면 동복1 정점의 표층의 경우 4월 중형 식물플랑 크톤의 기여율이 84.8% 로 극우점하여 존재하고 있다. 여름철로 갈수록 중형 식물플 랑크톤의 비율은 감소하고 대형식물플랑크톤(micro-size) 의 구성이 증가하는데 8월 - 189 -

에는 중형이 49.5% 로 감소한 반면 대형은 44.8% 로 증가하였다. 10월과 11월에는 상 대적으로 소형 식물플랑크톤의 비율이 다소 증가하였다. 저층 역시 표층과 유사하 게 중형 식물플랑크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6월과 8월에는 대형 식물플랑크톤 이 각각 45.0, 40.7% 로 증가하였다. 저층에서도 10월과 11월에는 소형 식물플랑크톤 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동복2 정점에서도 각 크기별 식물플랑 크톤의 구성은 동복1 정점과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었다. 동복1 정점의 표층 4월은 82.9% 로 중형 식물플랑크톤이 극우점 하였고 여름철인 7월과 8월에는 대형 식물플 랑크톤이 53.0, 39.9% 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저층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유지 하였다( 그림 3.2.27). 100 A) 동복1-Surface Micro Nano Pico B) 동복1-Bottom 100 Micro Nano Pico 80 80 Contribution (%) 60 40 20 Contribution (%) 60 40 20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100 C) 동복2-Surface Micro Nano Pico D) 동복2-Bottom 100 Micro Nano Pico 80 80 Contribution (%) 60 40 20 Contribution (%) 60 40 20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Month 그림 3.2.27. 동복호 식물플랑크톤의 기여율 분포. 4) 가. 일차 생산력 생체형광지수 동복호의 생체형광지수의 분포를 보면 동복1 정점의 표층에서는 4월에 0.58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8월에 0.25 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저층 - 190 -

에서는 4월에 0.60으로 가장 높았으며 4월부터 6월을 제외한 모든 조사시기에 0.25 이하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동복2 정점의 표층에서는 7월에 0.60으로 가장 높았으며 9월이 0.35 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저층의 경우에는 4월부터 6월 그리고 11월을 제외한 모든 조사시기에 0.25 이하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각 정점별로 생체 형광지수를 비교해보면 표층의 경우에는 상류인 동복2 정점이 평균 0.50으로 동복1 정점보다 0.08 이상 높은 수치를 유지하였고, 저층 역시 동복2 정점이 다소 높은 수 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림 3.2.28). FRI 1 0.8 0.6 0.4 0.2 A) 동복1 Surface Bottom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1 0.8 B) 동복2 FRI 0.6 0.4 0.2 0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Month 그림 3.2.28. 동복호의 생체형광계수. 나. 일차생산력의 분포 조사기간 동안 동복호의 일차 생산력의 수직적인 분포는 < 그림 3.2.29> 에 나타 내었다. 3 월의 수직분포를 보면 수면( 水 面 ) 에서는 하류지역인 동복1 정점에서 - 191 -

2,056.65 FluxPSll로 상류인 동복2 정점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상류인 동복2 정점은 다. 4 m의 수심에서 2,801.07 FluxPSll로 수면에 비하여 높은 생산력 분포를 보였 4월의 수직분포 역시 수면에서는 하류지역이 동복1 정점이 9052.90 FluxPSll로 높 게 나타났으며, 수면에서 3 m 수심까지는 잠소와 증가의 분포를 보인 후 3 m이하 수 심에서는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상류지역인 동복2 정점에서는 수면보다 수심 1 m에 서 10,690.36 FluxPSll로 최대 생산력을 나타내었으며 증가와 감소를 반복 패턴을 나 타낸 후 4 m 이하 수심에서부터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5월에는 하류보다 상류인 동복2 정점의 수면에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었고, 두 정점 모두 1 2 m 수심에서 수면보다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었다. 6월의 수직분포는 상류지 점인 동복2 정점이 14,825.03 FluxPSll로 가장 높은 생산력을 보였으며 수심이 증가함 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하류지역인 동복1 정점의 수면에서 수심 3 m까지는 거의 유사한 생산력을 나타낸 후 그 이하 수심부터는 급격한 감소를 나타 내었다. FRRF를 통하여 측정된 수심별 생산력을 적분하여 나타낸 상대적인 일차생산력의 결과를 보면 6월을 제외한 모든 조사시기에 하류보다 상류인 동복2정점에서 높은 생 산력을 나타내었다. 하류지점인 동복1 정점은 6월에 가장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었으 며, 상류지역인 동복2 정점은 4 월에 가장 높은 생산력 분포를 보였다( 그림 3.2.30). - 192 -

Depth (m ) A) 2009. 03 FluxPSll 0 3000 6000 9000 12000 15000 0 2 4 6 8 10 Depth (m ) B) 2009. 04 FluxPSll 0 3000 6000 9000 12000 15000 0 2 4 6 8 10 12 14 16 동복1 동복2 12 14 16 Depth (m ) C) 2009. 05 FluxPSll 0 3000 6000 9000 12000 15000 0 2 4 6 8 10 12 14 16 Depth (m ) D) 2009. 06 FluxPSll 0 3000 6000 9000 12000 15000 0 2 4 6 8 10 12 14 16 그림 3.2.29. 동복호 일차생산력의 수직분포. 50000 Intergrated FluxPSⅡ 40000 30000 20000 10000 동복1 동복2 0 Mar. Apr. May. Jun. Month 그림 3.2.30. 동복호의 상대적 일차생산력. - 193 -

표 3.2.2. 3월 FRRF를 이용한 동복호 FluxPSⅡ산출값 Station PAR FoL FmL SigL Depth pp Ipp Sum of (m) (FluxPS Ⅱ) (Integrated pp) Ipp 100.13 5.81 6.44 211.85 0.00 2056.65 1434.66 5805.52 37.95 5.42 6.78 309.99 0.65 2357.68 2028.33 13.46 5.25 6.36 246.97 2.03 581.92 865.95 6.28 6.78 11.43 298.09 3.32 760.63 636.12 3.05 7.07 13.35 306.62 4.38 439.60 390.95 1.67 6.74 13.11 310.93 5.51 252.34 208.67 동복1 0.85 6.03 13.10 316.36 6.56 145.12 113.13 0.53 6.07 12.70 309.60 7.54 85.75 77.15 0.23 6.79 13.57 294.34 8.83 33.85 29.47 0.10 6.71 13.46 288.11 10.05 14.46 10.61 0.05 6.65 13.09 301.58 11.02 7.41 7.12 0.02 6.97 13.35 304.29 12.40 2.91 3.38 0.01 6.40 12.64 301.11 13.94 1.49 409.42 0.76 0.76 1749.01 0.00 944.70 567.28 9772.95 161.12 3.10 3.14 540.17 0.56 1081.32 5981.91 동복2 14.38 9.34 19.20 297.49 4.21 2196.44 2801.07 2.44 9.30 19.05 298.88 6.39 373.34 422.68 0.39 9.03 18.58 300.28 8.34 60.18 표 3.2.3. 4월 FRRF를 이용한 동복호 FluxPSⅡ산출값 Station PAR FoL FmL SigL Depth pp Ipp Sum of (m) (FluxPS Ⅱ) (Integrated pp) Ipp 254.43 9.95 11.46 268.71 0.00 9052.90 3138.62 25349.34 138.58 10.01 12.17 269.86 0.40 6640.19 4677.74 53.02 11.18 14.85 295.63 1.29 3871.59 7259.02 49.17 14.08 22.40 364.03 2.67 6648.72 6441.49 10.01 14.78 27.14 376.60 4.21 1716.85 2297.71 동복1 3.47 16.22 32.38 376.35 6.15 651.92 789.14 1.56 12.63 26.04 401.32 7.77 322.33 441.50 0.71 7.27 14.48 369.42 9.72 130.48 188.95 0.31 4.06 8.72 341.63 11.74 56.59 78.80 0.17 4.03 8.08 330.33 13.60 28.14 36.38 0.08 3.88 7.03 299.84 15.47 10.77 1502.22 1.61 1.61 1749.01 0.00 4883.64 9047.52 39863.18 501.33 8.28 8.93 247.64 1.30 9035.62 10690.36 동복2 143.22 15.72 18.28 280.06 2.76 5608.71 9356.42 51.78 16.60 24.61 352.48 4.38 5942.42 6367.94 26.28 16.71 30.62 384.01 5.59 4583.10 4400.94 14.31 15.60 29.38 392.18 6.81 2631.56 표 3.2.4. 5월 FRRF를 이용한 동복호 FluxPSⅡ산출값 Station PAR FoL FmL SigL Depth pp Ipp Sum of (m) (FluxPS Ⅱ) (Integrated pp) Ipp 125.53 2.74 2.94 524.50 0.00 4396.84 8795.29 17569.27 54.79 4.03 5.67 319.49 1.86 5060.46 6140.70 14.18 4.46 7.68 259.59 3.72 1542.45 2080.39 동복1 3.22 3.88 7.33 283.72 5.83 429.49 476.58 0.48 3.15 5.94 274.61 7.77 61.84 68.17 0.07 3.14 5.22 302.60 9.71 8.44 8.14 0.01 3.16 4.93 298.71 11.42 1.07 1181.44 0.34 0.34 1749.01 0.00 6113.46 9007.96 29545.31 동복2 331.22 3.20 3.59 272.26 1.13 9829.82 15274.63 39.96 6.74 12.38 290.63 3.15 5293.57 5262.73 7.20 10.21 22.01 232.57 4.85 897.88-194 -

표 3.2.5. 6월 FRRF를 이용한 동복호 FluxPSⅡ산출값 Station PAR FoL FmL SigL 동복1 동복2 Depth (m) pp (FluxPS Ⅱ) Ipp (Integrated pp) Sum of 1001.89 2.37 2.56 124.86 0.00 9155.75 12231.86 39945.81 155.90 1.98 2.43 331.60 1.30 9662.49 14983.27 77.64 2.68 4.21 311.93 2.92 8835.38 8928.42 22.39 3.28 5.61 296.88 4.46 2759.97 2727.92 5.53 3.14 5.39 263.61 6.08 607.83 720.93 1.86 1.71 3.01 250.80 7.86 202.20 224.30 0.72 1.41 2.06 221.26 9.64 49.82 81.17 0.28 2.42 4.37 330.99 11.42 41.39 36.36 0.12 1.69 2.53 282.22 12.80 11.32 10.43 0.04 1.06 1.30 211.18 14.42 1.56 1.14 0.04 0.66 0.75 497.34 14.99 2.46 288.94 8.45 9.79 373.42 0.00 14747.66 14825.03 21470.99 50.34 12.94 21.13 345.34 1.38 6737.89 6062.39 4.82 10.05 20.50 303.87 3.00 746.55 583.57 2.77 8.42 18.27 305.79 3.97 456.69 Ipp 동복호에서 FRRF로 측정된 FluxPSll단위의 일차 생산력을 탄소동화량으로 전 환하여 각 조사 시기 별로 광합성량을 산출하였다( 그림 3.2.31). 조사시기별 각 정정별 생산력 결과를 보면 3월에는 하류지역인 동복1 정점은 4.11 gc/m 3 h 의 생산력을 나타내었으며, 상류지역은 동복2 정점은 10.75 gc/m 3 h 로 하류인 동복1 정정보다 2 배 이상의 생산력을 나타내었다. 4월에는 타 조사시기 에 비하여 일차생산력이 높았으며, 동복1 정점은 28.53 gc/m 3 h의 결과를 보였고 동복2 정점은 67.14 gc/m 3 h로 하류와 큰 차이를 보였으며 모든 조사기간 중 가장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었다. 5월에는 동복1 정점에서는 7.06 gc/m 3 h를 생산력을 보였으며, 동복2 정점에서는 9.63 gc/m 3 h 를 나타내었다. 6월에는 타 조사시기와 상반되게 상류지역인 동복2 정점보다 하류지역인 동복1 정점에서 일차생산력이 높 았다. 동복1 정점에서 35.12 gc/m 3 h 의 생산력을 나타내었으며, 동복2 정점은 10.76 gc/m 3 h로 하류지역이 상류지역에 비하여 약 3배정도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 었다( 그림 3.2.30). 전반적으로 수면층에서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었는데, 4월 동복2 정점에서는 5 m 수심에서 36.95 gc/m 3 h 로 표층보다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었다. 조사기간동안 수심별 생산력을 보면 동복1 정점은 수면에서 높은 생산력을 나타낸 후 수심이 깊어질수록 점차 감소하는 패턴을 나타내었고, 동복2 정점은 수면보다는 그 아래 수심에서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표 3.2.6-9). - 195 -

Intergrated PP(gCm -3 h -1 ) 80 60 40 20 0 동복1 동복2 Mar. Apr. May. Jun. Month 그림 3.2.31. 동복호 일차생산력의 시간적 분포. 표 3.2.6. 3월 FRRF를 이용한 동복호 PP(gC/m 3 h) 산출값 Station PAR Fv/Fm Sig ( σ) Chl-a ( μg/l) Ek A ΔF'/F' m P(z) (gc m -3 h -1 ) Depth (m) Ipp (Integrated pp) Sum of Ipp (gc m -3 h -1 ) 동복1 동복2 37.95 0.20 309.99 8.20 16.91 3.39 0.09 1.58 0.65 1.23 4.11 13.46 0.18 246.97 8.32 3.07 0.54 0.04 0.21 2.03 0.77 6.28 0.41 298.09 8.68-7.10-2.89 0.33 0.99 3.32 0.88 3.05 0.47 306.62 8.24-16.74-7.87 0.46 0.67 4.38 0.60 1.67 0.49 310.93 8.28-24.78-12.04 0.49 0.39 5.51 0.20 1.12 0.47 294.05 8.28-30.12-14.05 0.47 0.24 6.16 0.16 0.71 0.49 290.06 8.28-36.20-17.67 0.49 0.16 6.97 0.15 0.32 0.52 301.44 8.24-46.84-24.34 0.52 0.08 8.27 0.06 0.17 0.47 294.65 8.20-55.28-26.22 0.47 0.04 9.24 0.02 0.10 0.50 288.11 8.00-62.36-31.29 0.50 0.02 10.05 0.04 0.01 0.47 278.24 8.64-93.10-43.75 0.47 0.00 13.45 161.12 0.01 540.17 8.44 36.21 0.45 0.00 0.38 0.56 1.87 10.75 72.35 0.20 243.62 8.68 25.52 5.20 0.07 2.04 2.10 2.72 41.50 0.50 273.06 9.08 18.10 8.98 0.21 4.08 2.99 3.13 14.38 0.51 297.49 9.32 3.96 2.03 0.14 1.05 4.21 1.15 6.61 0.52 296.66 9.24-6.42-3.35 0.39 1.33 5.18 1.20 2.44 0.51 298.88 9.44-19.72-10.10 0.51 0.66 6.39 0.46 1.18 0.51 294.62 8.76-29.42-15.07 0.51 0.29 7.37 0.19 0.39 0.51 300.28 8.96-44.20-22.71 0.51 0.10 8.34 0.02 0.18 0.52 301.34 8.92-54.52-28.53 0.52 0.05 8.66-196 -

표 3.2.7. 4월 FRRF를 이용한 동복호 PP(gC/m 3 h) 산출값 Station PAR Fv/Fm Sig ( σ) Chl-a ( μg/l) Ek A ΔF'/F' m P(z) (gc m -3 h -1 ) Depth (m) Ipp (Integrated pp) Sum of Ipp (gc m -3 h -1 ) 동복1 동복2 138.58 0.18 269.86 14.56 34.20 6.07 0.04 4.46 0.40 9.76 28.53 56.10 0.38 341.19 15.52 22.13 8.40 0.15 8.21 1.94 9.25 21.06 0.46 390.36 15.04 9.05 4.14 0.19 4.46 3.40 1.98 10.01 0.46 376.60 15.20-0.88-0.40 0.04 0.43 4.21 1.19 5.96 0.50 386.94 13.76-7.80-3.92 0.42 2.51 5.02 3.76 2.19 0.51 393.04 14.72-21.16-10.84 0.51 1.21 7.04 1.91 0.71 0.50 369.42 8.80-36.20-18.01 0.50 0.21 9.72 0.66 0.08 0.45 299.84 7.86-65.34-29.33 0.45 0.02 15.47 0.02 0.03 0.43 290.05 11.60-78.43-33.56 0.43 0.01 17.00 1100.8 0.09 331.96 15.12 61.86 5.47 0.00 5.14 0.41 10.50 67.14 334.36 0.22 315.20 15.44 45.95 10.16 0.03 9.25 1.87 5.80 143.22 0.14 280.06 14.96 34.64 4.84 0.03 3.79 2.76 9.16 51.78 0.33 352.48 16.88 21.06 6.86 0.13 7.52 4.38 4.73 39.96 0.46 389.58 16.40 17.60 8.02 0.20 9.38 4.94 36.95 1.01 0.48 300.12 11.92-31.50-15.02 0.48 0.32 12.56 표 3.2.8. 5월 FRRF를 이용한 동복호 PP(gC/m 3 h) 산출값 Station PAR Fv/Fm Sig ( σ) Chl-a ( μg/l) Ek A ΔF'/F' m P(z) (gc m -3 h -1 ) Depth (m) Ipp (Integrated pp) Sum of Ipp (gc m -3 h -1 ) 동복1 동복2 87.76 0.22 432.21 4.96 28.10 6.05 0.07 2.42 0.72 2.57 7.06 54.79 0.29 319.49 5.64 21.81 6.31 0.11 2.10 1.86 2.37 14.18 0.42 259.59 5.93 3.77 1.58 0.11 0.45 3.72 0.57 7.20 0.46 299.18 6.90-5.28-2.43 0.30 0.82 4.61 0.86 3.22 0.47 283.72 7.40-16.02-7.53 0.46 0.59 5.83 0.40 1.66 0.47 291.45 7.30-24.86-11.80 0.47 0.31 6.72 0.21 0.48 0.47 274.61 7.30-41.43-19.43 0.47 0.08 7.77 0.06 0.18 0.46 295.06 7.13-54.52-25.02 0.46 0.03 8.74 0.02 0.07 0.40 302.60 6.86-67.12-26.76 0.40 0.01 9.71 0.01 0.03 0.31 270.63 6.06-78.43-24.40 0.31 0.00 10.52 117.52 0.33 299.21 7.64 32.00 10.48 0.09 4.47 2.10 4.55 9.63 39.96 0.46 290.63 9.84 17.60 8.02 0.20 4.20 3.15 2.59 20.96 0.50 276.00 12.64 8.98 4.52 0.21 2.89 3.88 2.49 6.90 0.54 244.52 18.92-5.85-3.13 0.38 2.24 4.85-197 -

표 3.2.9. 6월 FRRF를 이용한 동복호 PP(gC/m 3 h) 산출값 Station PAR Fv/Fm Sum of P(z) Ipp Sig Chl-a ΔF'/F' Depth Ipp Ek A (gc m -3 (Integrated ( σ) ( μg/l) m (m) (gc m -3 h -1 ) pp) h -1 ) 223.00 0.19 350.46 11.72 40.55 7.67 0.03 5.89 0.57 13.27 35.12 105.45 0.37 491.98 12.72 30.55 11.42 0.11 13.34 1.95 10.31 77.64 0.36 311.93 14.16 26.46 9.65 0.12 7.93 2.92 8.35 22.39 0.42 296.88 13.12 9.87 4.10 0.18 2.92 4.46 1.19 11.74 0.39 296.62 12.08 1.25 0.49 0.04 0.33 5.19 0.65 동복1 5.53 0.42 263.61 11.20-8.80-3.67 0.37 1.13 6.08 0.77 2.70 0.46 282.46 9.36-18.37-8.38 0.45 0.60 6.97 0.33 1.86 0.43 250.80 3.84-23.34-10.12 0.43 0.14 7.86 0.10 1.24 0.36 235.49 5.20-28.76-10.23 0.36 0.10 8.67 0.06 0.72 0.31 221.26 2.39-36.01-11.25 0.31 0.02 9.64 0.09 0.01 0.01 54.85 4.60-93.10-0.80 0.01 0.00 17.34 182.97 0.23 339.28 12.32 37.91 8.66 0.05 6.77 0.41 7.61 10.76 동복2 14.72 0.50 311.12 17.68 4.27 2.13 0.14 2.19 2.11 1.97 4.82 0.51 303.87 17.20-10.63-5.42 0.48 2.25 3.00 1.17 2.46 0.55 312.85 12.12-19.61-10.79 0.55 0.96 3.73 5) 상관분석 전체 식물플랑크톤은 KD 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암모니아성 질 소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대형 식물플랑크톤은 수온, 규산성 규소와 유 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중형 식물플랑크톤은 KD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 였고, 규산성 규소와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소형 식물플랑크톤도 규산성 규소, 암 모니아성 질소와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표 3.2.10). 상관분석은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를 통해 수행하였다. 분석에 있어서 유의수준은 P<0.05, P<0.01 를 기준으로 하였다(SPSS 11.0). 표 3.2.10 동복호의 식물플랑크톤 상관분석 Whole Chl-a Micro Chl-a Nano Chl-a Pico Chl-a Temp KD Si NO 2+ NO 3 NH 4 Whole Chl-a 1 0.755 b 0.924 b 0.657 b 0.291 0.744 b -0.181-0.007-0.399 a Micro Chl-a 1 0.455 b 0.154 0.544 b 0.726 0.262 0.109-0.199 Nano Chl-a 1 0.749 b 0.058 0.587 a -0.390 a -0.078-0.424 a Pico Chl-a 1 0.097 0.217-0.454 b -0.054-0.361 a Temp 1 0.079 0.379 a 0.302-0.364 a KD 1 0.190 0.181 0.289 Si 1 0.262 0.023 NO 2+ NO 3 1-0.289 NH 4 1 P a <0.05, P b <0.01-198 -

제 4 장 동물플랑크톤 1절 주암호 본 절은 식물플랑크톤의 포식자인 동물플랑크톤에 대한 결과로서 전남대에서 동물플랑크톤의 현장조사 및 자료 분석을 하였고, 2009년 4 월 ( 봄), 7 월 ( 여름), 9월 ( 가을), 11 월 ( 겨울) 에 계절별로 4 번에 걸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1. 상위포식자 조사 1) 조사지역에 출현한 주요 동물플랑크톤 출현 비율 4 월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주요 분류군은 윤충류, 요각류, 지각류 순이었다. 윤충 류는 평균 84.3% ( 정점 간 77.1~89.7%) 로 최우점 분류군을, 요각류는 평균 12.5% ( 정점 간 10.3~14.6%) 로 차우점 분류군을 차지하였다. 지각류는 평균 3.4% ( 정점 간 0.0~8.3%) 로 소수 출현하였다( 그림 4.1.1A). 공간적으로는 정점 1에서 정점 3으 로 갈수록 윤충류의 출현 비율이 감소한 반면, 요각류의 출현 비율은 증가하였다. 7 월에 지각류, 요각류, 윤충류 순으로 우점하였다. 동물플랑크톤 출현비율은 지 각류가 평균 48.8% ( 정점 간 34.8~57.0%) 를, 요각류가 평균 48.7% ( 정점 간 41.2~ 60.9 %) 를, 윤충류가 평균 2.3% ( 정점 간 0.7~4.3%) 를 차지하였다( 그림 4.1.1B). 공 간적으로는 지각류 출현 비율이 중간 정점에서 57% 이상으로 우점하였으며, 정점 3 에서 출현 비율이 감소하였다. 요각류와 윤충류는 정점 2에서 정점 3으로 갈수록 다른 정점에 비해 출현비율은 증가하였다. 9 월에 요각류, 지각류, 윤충류 순으로 우점하였으나, 출현 비율은 요각류가 평균 59.8% ( 정점 간 55.1~68.8%) 로 연중 최고의 출현 비율을 보이며, 지각류가 평균 40.2% ( 정점 간 31.2~44.9%) 로 출현하였으며, 윤충류의 출현 비율은 연중 가장 낮 은 출현 비율을 보였다( 그림 4.1.1C). 공간적으로는 정점 3에서 요각류가 68% 이상 의 높은 출현 비율을 보인 반면, 정점 2에서 정점 3으로 갈수록 지각류의 출현 비 율이 감소하였다. - 199 -

11 월에 요각류, 지각류, 윤충류 순으로 우점하였다. 출현 비율은 요각류와 지각 류가 각각 평균 56.9% ( 정점 간 31.9~75.7%) 와 평균 32.1% ( 정점 간 24.3~47.3%) 출현 비율을 보인 반면, 윤충류는 평균 11.1% ( 정점 간 0.0~20.9%) 출현 비율을 보 였다( 그림 4.1.1D). 공간적으로는 정점 1과 정점 3에서 요각류가 60% 이상의 출현 비율을 보인 반면, 정점 2에서는 지각류가 45% 이상의 출현 비율로 최우점하였다. 그림 4.1.1. 주암호에 출현하는 주요 동물플랑크톤의 출현 비율. 2) 조사지역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우점종 동물플랑크톤의 출현개체수는 평균 149 indiv./l로 4 월에 가장 낮고, 9월에 가장 높았다( 그림 4.1.2, 3). 4월 출현개체수는 평균 7 indiv./l ( 정점 간 4.8~11.2 indiv./l) 로 정점 2 에서 가장 높았고, 정점 3 에서 가장 낮았다. 출현 분류군 수는 평 균 4 ( 정점 간 3~5 분류군)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그림 4.1.2). Polyarthra vulgaris는 전 조사정점에서 최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Thermocyclops taihokuensis는 정점 1 과 2 에서 차우점종으로 출현하지만, 정점 3 에서는 출현하지 않았다. Lecane luna는 정점 3에서 차우점종이지만 정점 1과 정점 2 에서는 출현하지 않았다. Mesocyclops leuckarti는 정점 2와 정점 3 에서는 차차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나, 정점 1에서는 출 - 200 -

현하지 않았다( 표 4.1.1). 7월 출현개체수는 평균 140 indiv./l ( 정점 간 131.1~157.8 indiv./l) 로 봄에 비해 다소 증가하였으나, 출현 분류군 수는 평균 5 ( 정점 간 4~5 분류군) 분류군으로 4 월과 거의 비슷하였다( 그림 4.1.2). Bosmia longistris는 전 조 사정점에서 최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며, Thermocyclops taihokuensis는 전 조사정 점에서 차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Diaphanosoma brachyurm는 정점 1과 정점 2에 서 차차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나 정점 3 에서는 출현하지 않았다. Filinia longiesta, Asplanchna herricki는 각각 정점 3과 정점 1에서 소수 출현하였으나 다른 정점에 서 나타나지 않았다( 표 4.1.1). 9월 출현개체수는 평균 295 indiv./l ( 정점 간 141.8~382.6 indiv./l) 로 7월에 비 해 다소 증가하였으나, 출현 분류군 수는 평균 6 ( 정점 간 5~6 개) 개로 7월과 비슷 하였다( 그림 4.1.2). Thermocyclops taihokuensis는 정점 3에서 최우점종으로 출현한 반면 정점 1에서는 Bosmia longirostris 최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며, Diaphanosoma brachyurm, Heliodiaptomus kikuchii는 각각 정점 2에서 최우점종으 로 같이 출현하였다. Dapirina galocta는 정점 2와 3에서 소수 출현하였으나 다른 정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표 4.1.1). 11월 출현개체수는 평균 153 indiv./l ( 정점 간 34~258 indiv./l) 로 7월에 이어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으며, 출현 분류군 수는 평균 5 ( 정점 간 4~7 개) 로 7월과 같 았다( 그림 4.1.2). Thermocyclops taihokuensis는 정점 1과 정점 3에서 최우점종으로 출현한 반면, 이외의 정점에서는 소수 출현하였다. Bosmia longirostris는 정점 2에 서 최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며, 정점 1과 정점 3 에서 차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Asplanchna herricki는 정점 다( 표 4.1.1). 2에서 차차우점하였으나 다른 정점에서 나타나지 않았 - 201 -

그림 4.1.2. 주암호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종 수 및 개체수의 시간적 분포. 그림 4.1.3. 주암호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종 수 및 개체수의 공간적 분포. - 202 -

표 4.1.1. 주암호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indiv./l) 분류군 조사시기 4 7월 9월 11월 St.1 St.2 St.3 St.1 St.2 St.3 St.1 St.2 St.3 St.1 St.2 St.3 Asplanchna herricki 1.0 34.3 Filinia longiesta 5.7 Keratella valga 0.7 Lecane luna 1 Ploesoma truncatum Polyarthra vulgaris 5.2 9.6 2 2.9 9.1 20.6 Bosmina longirostris 0.2 0.4 66.5 81.7 45.6 107.8 23.6 69.1 17.1 75.4 41.1 Dapirina galocta 10.9 5.5 Diaphanosoma brachyurm 5.7 7.6 62.6 29.1 38.2 3.4 22.9 Heliodiaptomus kikuchii 12.2 29.1 23.6 16.0 49.1 11.4 Mesocyclops leuckarti 0.4 0.7 Thermocyclops taihokuensis 0.4 0.7 28.5 15.2 17.1 17.4 20.0 153.6 18.3 4.6 82.3 Copepodite 0.2 0.3 30.4 49.4 62.7 182.6 29.1 70.9 29.7 12.6 11.4 Total Abundance 6 11 5 132 157 131 383 142 361 85 208 167 3) 동물플랑크톤의 탄소량 동물플랑크톤 탄소량은 9월 평균 5.2 μgc/l 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4월 평 균 27.5 μgc/l 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7월과 11월에 각각 평균 19.2 μgc/l과 6.1 μgc/l 의 값을 보였다( 그림 4.1.4). 시공간적으로는 9월을 제외한 나머지 정점에 서 정점3 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인 반면, 9월에 이와 반대로 정점 1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그림 4.1.4). 그림 4.1.4. 주암호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탄소량. - 203 -

4) Net 채집에 의한 동물플랑크톤의 분석 4월 채집된 시료에서 4 개의 분류군이 출현을 하였으며, 이 중에 요각류는 3 종, 윤충류는 1 종이었다. 동물플랑크톤 개체수는 121 indiv./m³ 으로 나타났다( 표 4.1.2). 7월 채집된 시료에서 봄보다 다소 증가한 5 개의 분류군이 출현을 하였으며, 이 중 요각류는 1 종이 출현을 하였고, 지각류와 윤충류는 각각 2 종, 1 종이 출현을 하였다. 동물플랑크톤 개체수는 3,736 indiv./m³ 으로 나타났다( 표 4.1.2). 9월 채집된 시료에 서는 6 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이 중 지각류는 3 종, 요각류는 2 종이었다. 동물 플랑크톤 개체수는 635 indiv./m³ 으로 나타났다( 표 4.1.2). 11월 채집된 시료에서는 여름과 같은 5 개의 분류군이 출현을 하였으며, 이 중에 지각류 2 종, 요각류와 윤충 류는 각각 2 종, 1 종이 출현하였다. 동물플랑크톤 개체수는 412 indiv./m³ 으로 나타났 다( 표 4.1.2). 표 4.1.2. 동물플랑크톤 Net 채집에 의한 종조성 및 출현 비율 출현종 시기 봄 여름 가을 겨울 (%) Asplanchna herricki 1.1 Polyarthra vulgaris 69 2.1 Bosmina longirostris 34.5 10.8 26.3 Dapirina longispina 11.2 Diaphanosoma brachyurm 10.5 28.0 3.2 Heliodiaptomuskikuchii 10.2 18.2 Mesocyclops leuckarti 0.7 Thermocyclops taihokuensis 29 13.5 32.6 50.1 Copepodite 1 40.5 7.2 Total abundance (indiv./m³) 121 3736 635 412-204 -

2절 동복호 본 절은 식물플랑크톤의 포식자인 동물플랑크톤에 대한 결과로서 전남대에서 동물플랑크톤의 현장조사 및 자료 분석을 하였고, 2009년 4 월 ( 봄), 7 월 ( 여름), 9월 ( 가을), 11 월 ( 겨울) 에 계절별로 4 번에 걸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1. 상위포식자 조사 1) 조사지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비율 4 월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주요 분류군은 윤충류, 요각류 순으로 우점하였다. 윤 충류는 평균 99.9% ( 정점 간 99.8~100%) 로 최우점 분류군으로, 요각류가 평균 0.1% ( 정점 간 0.0~0.2%) 로 소수 출현하였다( 그림 4.2.1A). 공간적으로는 정점 1과 2에서 윤충류가 99% 이상을 차지하여 극우점한 반면, 정점 1에서는 요각류의 출현 비율이 0.2% 로 정점 2 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7 월에는 지각류, 요각류 순으로 우점하였다. 지각류의 평균 출현비율은 평균 80.2% ( 정점 간 75.9~84.6%) 로 최우점 분류군을, 요각류는 평균 19.8% ( 정점 간 115.8~24.1%) 로 차우점 분류군을 차지하였다( 그림 4.2.1B). 공간적으로는 지각류의 출현비율이 정점 1과 정점 2에서 70%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정점 2에서는 요각류의 출현 비율이 20%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9 월에 우점 분류군 요각류, 지각류 순으로 우점하였다. 요각류와 지각류의 평균 출현 비율이 각각 64.7% ( 정점 간 60.6~64.7%) 와 37.3% ( 정점 간 35.3~39.4 %) 로 요각류는 여름에 비해 증가한 반면, 지각류는 출현 비율이 감소하였다( 그림 4.2.1C). 공간적으로는 정점 1과 정점 2에서 요각류가 60%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정점 1에서 는 지각류의 출현비율이 39% 이상으로 나타난 반면, 정점 2에서는 35% 로 다소 감 소 하였다. 11 월에 요각류, 윤충류, 지각류 순으로 우점하였다. 요각류는 평균 66% ( 정점 간 42.9~89.1%) 의 출현 비율을 차지하여 여전히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가을에 차 우점 분류군이었던 지각류의 평균 출현 비율이 3.5% ( 정점 간 0~20.6%) 를 차지하 여 차차우점 분류군으로 출현한 반면, 윤충류는 평균 30.5% ( 정점 간 3.9~57.1%) 를 차지하여 차우점 분류군을 형성하였다( 그림 4.2.1D). 공간적으로는 요각류가 정점 1 에서 극우점하였으나, 정점 2에서는 윤충류의 출현 비율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 - 205 -

였다. 정점 2 에서는 지각류의 출현 비율이 크게 감소하였다. 그림 4.2.1. 동복호에 주요 동물플랑크톤의 출현비율. 2) 조사지역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우점종 동물플랑크톤의 출현개체수는 평균 102 indiv./l로 9 월에 가장 높고, 7월에 가장 낮았다( 그림 4.2.2, 3). 4월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출현개체수는 평균 59 indiv./l ( 정점 간 52.4~66.3 indiv./l) 로 정점 1 에서 높은 값을 보인 반면, 정점 2에서 낮았 다. 출현 분류군 수는 평균 4 개 ( 정점 간 4 개) 로 나타났다( 그림 4.2.2, 표 4.2.1). Keratella valga는 정점 2 에서 최우점종으로 출현하지만, 정점 1에서는 차우점종으 로 출현하였다. Polyarthra valga는 정점 1 에서는 최우점종으로 출현하지만, 정점 2 에서는 차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Asplanchna herrcki는 정점 1과 정점 2에서 차차 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며, 정점 2에서 Filinia longiesta가 소수 출현하였다. 7월 출 현개체수는 평균 34 indiv./l ( 정점 간 12.4~55.1 indiv./l) 로 매우 낮았다. 출현분류 군 수 또한 평균 4 개 ( 정점 간 3~4 개) 로 4 월과 같이 출현하였다. Bosmia longirostris는 정점 1과 정점 2 에서 최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며, Thermocyclops taihokuensis는 정점 1과 정점 2 에서 차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Diaphanosoma - 206 -

brachyurm는 정점 1 에서 출현하였으며, 정점 2 에서는 출현 하지 않았다. 9월 출현 개체수는 평균 161 indiv./l ( 정점 간 102~220 indiv./l) 로 다소 증가하였으며, 출현 분류군 수 평균 4 개 ( 정점 간 3~4 개) 로 여름과 같이 출현하였다. Thermocyclops taihokuensis가 정점 1 에서 최우점종으로 출현한 반면, 정점 2에서는 차우점종으로 출현 하였으며, Bosmia longirostris는 정점 2에서 최우점하였으며 나머지 정점에서 차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11월 출현개체수는 평균 154 indiv./l ( 정점 간 16~292.6 indiv./l) 로 나타났으며, 출현 분류군 수는 평균 5 개 ( 정점간 3~7 개) 가 출현하였다 ( 그림 4.2.2, 표 4.2.1). Asplanchna herrcki가 정점 2 에서 최우점종으로 출현한 반면, 정점 1 에서는 소수 출현 하였다. Thermocyclops taihokuensis는 정점 1과 정점 2에 서 각각 최우점종, 차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출현개체수는 전체적 으로 7 월에 낮게 나타났으며 또한 하류지역에서 낮은 종 수를 보였다. 7월을 제외 한 계절에는 상류에서 높은 분류군 수를 보였으며, 출현개체수는 9월에 상류 지역 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림 4.2.2, 표 4.2.1). 4.2.2. 동복호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종 수 및 개체수의 시간적 분포. - 207 -

그림 4.2.3. 동복호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종 수 및 개체수의 공간적 분포. 표 4.2.1. 동복호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indiv./l) 조사시기 4월 7월 9월 11월 분류군 St.1 St.2 St.1 St.2 St.1 St.2 St.1 St.2 Asplanchna herricki 0.8 1 2.3 9.1 Filinia longiesta 0.2 Keratella valga 24.2 44 Lecane luna Ploesoma truncatum 2.3 Polyarthra vulgaris 41.2 7.2 6.9 Bosmina longirostris 9.5 41.8 62.9 34.0 20.6 Dapirina galocta Diaphanosoma brachyurm 0.95 23.8 2.0 Heliodiaptomuskikuchii 4.6 4.6 Thermocyclops taihokuensis 0.1 0.95 3.8 99.0 30.0 164.6 2.3 Copepodite 0.95 9.5 34.3 36.0 91.4 Total Abundance 66 52 12 55 220 102 293 16 3) 동물플랑크톤의 탄소량 동물플랑크톤 탄소량은 4월 평균 19.8 μgc/l 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9월 평균 4.0 μgc/l 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7월과 11월은 각각 평균 18.3 μgc/l와 - 208 -

7.1 μgc/l 의 값을 보였다. 시 공간적으로는 4월과 11월에 정점 1에서 정점 2로 갈수 록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으나, 7월과 9월에 정점 2에서의 값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 그림 4.2.4). 그림 4.2.4. 동복호에서 동물플랑크톤의 탄소량. 4) Net를 채집에 의한 동물플랑크톤의 분석 4월 채집된 시료에서 4 개의 분류군이 출현을 하였으며, 이 중 윤충류는 3 종이, 지각류는 1 종이 출현하였다. 본 지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는 361 indiv./m³ 으로 나타났다( 표 4.2.2). 7월에 채집된 시료에서 4개의 분류군이 출현을 하 였으며, 이 중에 지각류는 2 종이, 요각류는 1 종이 출현하였다. 본 지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는 361 indiv./m³ 으로 나타났다( 표 4.2.2). 9월 채집된 시료에서 는 6 개의 분류군이 출현을 하였으며, 이 중에 지각류는 2 종이 출현을 하였으며, 윤 충류와 요각류는 각각 2종 1 종씩 출현하였다. 본 지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 체수는 542 indiv./m³ 으로 나타났다( 표 4.2.2). 11월 채집된 시료에서는 가을과 같은 6 개의 분류군이 출현을 하였으며, 이 중에 지각류 2 종, 윤충류와 요각류는 각각 2종 1 종씩 출현하였다. 본 지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는 715 indiv./m³ 으로 나타났다( 표 4.2.2). 그러나 같은 조사정점에서 표층을 채수한 결과와는 반대로 네트 의 채집 시 많은 종의 출현과 출현 개체수를 나타냈다. 수직 채집으로 지각류인 Bosmia longirostris 개체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요각류인 Thermocyclops - 209 -

taihokuensis, 요각류 유생의 개체수 또한 높게 나타났다. 표 4.2.2. 동물플랑크톤 Net 채집에 의한 종조성 및 출현 비율 출현종 시기 봄 여름 가을 겨울 Asplanchna herricki 2.1 7.0 Polyarthra vulgaris 75.2 5.3 16.5 (%) Trichocerca bicristata 21.4 0.1 Bosmina longirostris 1.4 53.7 23.0 5.9 Dapirina longispina 0.9 Diaphanosoma brachyurm 0.5 7.1 Heliodiaptomus kikuchii Mesocyclops leuckarti Thermocyclops taihokuensis 27.9 44.6 41.1 Copepodite 17.9 18.9 29.5 Total abundance (indiv./m³) 361 351 542 715-210 -

제 5 장 결론 2009년 주암호와 동복호의 수온은 수직분포가 뚜렷한 계절적인 변동을 볼 수 있었다. 조사정점들에서 여름철 수온성층(thermal stratification) 이 형성되었다. 특히 하류지역에서는 5월부터 수온성층이 시작되어 7월과 8월에는 상당히 넓은 범위에서 수온 약층이 형성되어 수계 전반적으로 순환이 일어나지 않는 안정된 시스템을 유 지하였다. 이러한 수온성층은 9월 표층부터 소멸되어 겨울철로 갈수록 수직혼합기 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수심이 깊은 주암1 정점과 동복1 정점의 경우에는 상류정점 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성층현상의 늦게 소멸되며, 수온 약층은 점차 저층으로 위치 를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용존산소의 경우, 여름철에 전반적으로 농도가 감소하고 특히 저층에서는 저산 소층(hypoxia) 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용존산소의 감소현상은 수온성 층과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나게 되는데 수온 성층에 의하여 수계가 순환되지 않는 안정한 상태가 유지되면, 용존산소 유입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대기에서의 유 입이 차단됨으로써 용존산소는 저층까지 전달이 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저층은 호기성 미생물들의 분해작용에 의하여 산소를 고갈하게 되고, 이러한 산소 고갈은 수계 저층을 혐기성화 시키는 원인이 된다. 실로 이러한 현상을 우리나라의 여러 호수에서 진행이 되고 있으며, 특히 여름철에는 이러한 저산소층의 형성은 수 온성층에 의하여 더욱더 악화되어 악순환의 연속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선행연구 결과( 이 등, 2000) 에 따르면 저산소층이 형성되면, 철, 망간, 총질소, 총인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실로 주암호의 경우에도 저층에서 총질소와 총인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주암호와 동복호의 전기전도도는 전반적으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 을 나타내었다. 탁도와 투명도, 광소멸계수(light attenuation coefficient) 경우에는 강 우집중시기인 7 월에 급격한 변화를 나타내었는데, 강우에 의한 토사 및 부유물질들 의 외부 유입은 수계의 탁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ph의 변화는 탄소원 (H 2 CO 3, HCO - 3, CO - 3 ) 의 변화와 관련 있으므로 Chlorophyll a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 며 식물플랑크톤은 광합성에 필요한 용존 HCO 3 - 를 흡수함으로써 ph가 높아진다 (Ahn, 1984). 주암호의 ph의 수직분포의 경우에는 저층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 - 211 -

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상류보다는 하류에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두 호소의 총질소의 분포를 보면 전반적으로 표층보다는 저층에서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으며 하류보다는 상류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인의 분포는 4월과 6월의 표 층에서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상류에서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수계로 유입되는 암모니아성 질소는 외부 유입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며, 또 한 분해자에 의한 광물질화(mineralization) 과정을 통하여 공급되기도 한다. 주암호 와 동복호의 암모니아 질소의 경향은 하류의 저층에서 상당히 높은 농도를 나타내 었는데 이는 외부 유입보다는 분해자에 의한 광물질화 과정에서 생성된 산물로 예 상되어진다. 아질산+ 질산염 질소의 계절적인 분포를 보면 7월에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는데 이는 외부에 의한 유입으로 예상되어지며 하류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데 하류로 이동하는 과정 중 질산화(nitrification) 과정에 의하여 나타난 결 과로 예상된다. 인산염의 분포의 경우 표층보다 저층에서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으 며 주암호의 경우 9월부터 11월 사이 저층에서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고 동복호의 경우에는 7월에서 8 월 사이 급증하였다. 총체적으로 주암호와 동복호에서 암모니아 성 질소의 기원은 분해자에 의한 광물질화 과정을 통해 공급되는 경향을 나타내었 으며, 아질산+ 질산염의 경우에는 강우에 의한 외부 유입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 으로 사료된다. 보다 자세한 영얌염의 거동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영양염 용출실험 들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부영양화 기작 1단계의 1차년도와 2차년 도에 수행된 연구(N:P ratio 및 검정실험) 에서는 주암호와 동복호에서 제한영양염이 인 제한인 것으로 확인하였고, 본 조사에서도 제한 영양염이 인 제한인 것으로 확 인 할 수 있었다. 주암호의 총 유기탄소(TOC) 의 분포를 보면 하류인 주암1 정점에서는 4월 표층 에서 높았으며 중류인 주암2 정점과 상류인 주암3 정점에서는 7월과 8월 중층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동복호의 경우에는 하류인 동복1 정점에서는 8월 표층과 저층에서 높은 분포를 유지하였고 상류인 동복2 정점에서는 7월과 8월 중층에서 높 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주암호와 동복호의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 변동을 보면 모든 정점에서 7월과 8 월에 높은 생체량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저층에서는 극히 낮은 생체량을 나타내 었고, 하류보다는 상류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 212 -

FRRF를 통하여 측정된 상대적인 일차생산력의 결과를 비교 해보면 일차생산력은 하 류지점이 상류에 비하여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는데 이는 수층 전체의 결과를 적분하 여 나타낸 값으로 수심이 깊을수록 결과 값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조사지점의 수심이 가장 낮은 지점을 기준으로 그 이상의 수심 결과만을 고려할 때 하류보다는 상류에서 높게 나타난 결과와 상관성을 가지게 된다. 일차생산력은 수면 보다는 1~3 m 내에서 높은 생산력 분포를 보였고, 5 m 이하에서는 일차생산력이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분포를 보였고 수심이 약 10 m 이하에서는 생산력이 0에 가 까운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대적으로 상류보다는 하류에서 더 깊은 수심까지 생산 력을 나타내었다. Chlorophyll a/ pheopigments 는 표층이 저층보다 높은 분포를 보였 고, 표층이 경우 전반적으로 1.7 이상의 분포를 보였으며, 저층에서는 1.7 이하의 수치 를 나타내었다. 이는 저층의 환경이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불리한 조건임을 암시한 다. 수계에서 미세 먹이망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생태계를 분석하는데 매우 중요 하며 그 중 일차생산자인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동역학은 환경인자의 변화에 민감 히 반응한다. 식물플랑크톤의 크기구조는 봄철에서는 중형 식물플랑크톤이 우세한 분포를 차지하였으며 여름철에는 대형 식물플랑크톤의 기여율이 증가하였다. 소형 식물플랑크톤의 경우에는 가을철에 증가하였다. 이는 대형 식물플랑크톤은 영양염 의 공급량이 클수록 활발하게 증식하고 영양염의 공급이 작을수록 소형 식물플랑크 톤이 번성하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동복호의 대형 식물플랑크톤은 수온과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중형 식물플랑크톤, 소형 식물플랑크톤은 규산성 규소, 암모 니아성 질소와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주암호에서 대형 식물플랑크톤 과 소형 식물플랑크톤이 수온, 규산성 규소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소형 식물플랑크톤은 인산염과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P<0.01, P<0.05). 주암호와 동복호에 출현한 주요 동물플랑크톤 출현 비율을 보면 4월을 제외한 나머지 계절에는 지각류와 요각류가 높은 출현비율을 보였으며, 4월에 윤충류의 출 현비율이 높았다. 동물플랑크톤의 출현 개체수는 두 호소에서 9월에 가장 높은 출 현을 보였으며, 주암호는 4 월, 동복호는 7 월에 낮은 출현개체수를 보였다. 개체수의 공간적 분포는 전반적으로 주암호는 정점 1에서 정점 2로 갈수록 개체수가 증가하 였으며, 정점 3 에서 낮은 출현을 보였다. 동복호에는 여름철을 제외한 나머지 계절 에서 정점 2 로 갈수록 낮은 출현을 보였다. - 213 -

주암호의 동물플랑크톤의 탄소량은 9 월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으며, 4월에 가 장 높은 값을 보였다. 시 공간적으로 9월을 제외한 나머지 계절에서는 정점 3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인 반면, 정점 1 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동복호의 동물플랑 크톤의 탄소량은 주암호와 마찬가지로 4 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9월에 낮은 값을 보였다. 시 공간적으로 4월과 11월에 정점 1에서 정점 2로 갈수록 감소하는 현 상을 보였으나, 7월과 9월에서는 정점 1에서 정점 2 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수 생태계 먹이망 내에서 동물플랑크톤은 식물플랑크톤, 원생동물과 박테리아를 섭식함으로써 상위 영양단계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동물플랑크톤의 계 절적인 천이는 자연환경 요인과 주요먹이원인 식물플랑크톤의 종 조성과 풍부도, 동물플랑크톤 종간 경쟁 및 어류의 섭식활동을 통해 나타나며, 이 중에서 먹이로 이용되는 식물플랑크톤 천이는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변화를 야기하는 중요한 원인 이 된다. 주암호와 동복호의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 변동을 보면 모든 정점에서 7 월과 8 월에 높은 생체량 분포를 나타내었고, 동물플랑크톤의 출현 개체수는 두 호 소에서 9 월에 가장 높은 출현을 보였다. 이처럼 9월에 가장 높은 동물플랑크톤의 출현 개체수 증가는 7월과 8월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증가에 따른 먹이 증가의 결 과를 반영한 결과 일 수 있다. 그러나. 동물플랑크톤 출현 개체수의 계절변동에 영 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 중 크기별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 214 -

참고문헌 김학성, 박주현. 2003. 양수 발전소 댐의 부영양화 방지기술 개발 : B. 양수발전용 저수지의 영양상태 평가. 박혜경, 천세억, 박승익, 이문호, 유재근. 1992. 국내 주요댐호에 있어서의 계절별 종 류종 천이. 한국수질보전학회지. 8(3):150-158. 이대행, 조영관, 이정진. 2000. 동복호 퇴적물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물환경 대 한상수도학회 한국수도협회 공동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307-310. 장천영, 민기식. 2005. 한국 담수 검물벼룩의 검색과 DNA 분류. 정준, 김한순, 김용재. 1994. 낙동강 하구댐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한국 육수학 회 27(1):33-46. 조규송. 1993. 한국 담수산 동물플랑크톤 도감. Armstrong, R. A. 1994. Grazing limitation and nutrient limitation in marine ecosystems: Steady state solutions of an ecosystem model with multiple food chains. Limnol. Oceanogr. 39(3):597-608. Barnes, R.S.K. and K.M Mann. 1991. Fundamentals of Aquatic Ecology.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Borchardt, M.A. 1996. Nutrients. In:R.J. Stevenson, M.L. Bothwell, R.L. Low(Eds), Algal ecology, Acadenmic Press, New York, pp.184-227. Cermeno, P. Estevez-Blanco, P. Marnon, Emilio. Fernandez, E.(2005) Maximum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size-fractionated phytoplankton assessed by 14 Cuptake and fast repetition rate fluorometry. Limnol. Oceanogr 50(5) 1438-1446 Cullen J.J. and Renger E.H. 1979. Continuous measurement of the DCMU-induced fluorescence response of natural phytoplankton populations. Mar. Biol. 53: 1-29. Domotor S.L., Mountford K. and D' Elia C.F. 1982. Autoradiographic detection of species-specific thermal stress effects on natural phytoplankton assemblages. Mar. Environ. Res. 6: 27-35. E.R Ahn, 1984. On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affacting microbial - 215 -

distribution of Jinhae Bay ecoststem. Ph. D. thesis, Seoul Nat. Univ., 114 Holm-Hansen, O., C.J. Lorenzen, R.W. Holms and J.D.H. Strickland. 1965. Fluorometric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J. Cons. Perm. int. Explor. Mer. 30: 3-15. Jonas, R. 1992. Microbial processes, organic matter and oxygen demand in the water column. p. 113-148. In. D. E. Smith, M. Leffler, and G. Mackiernan, (eds.) Oxygen Dynamics in the Chesapeake Bay. Maryland Sea Grant College. Kwang-Il Yoo, Byung Jin Lim and Chung Il Choi. 1987. Ecologicla Studies on Zooplankton Community in Lake Yongsan,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ol. 20, No. 2:61-72. Kwang Il Yoo, Byung Jin Lim. Systematic Studies on the Freshwater Copepoda (Crustacea) in Lake Yongsan, Korea.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ol.22, No2: 127-146 Kemp, W. M., and W. R. Boynton. 1984. Spatial and temporal coupling of nutrient inputs to estuarine primary production: the role of particulate transport and decomposition. Bull. Mar. Sci. 35:522-535. Michaels, A. E. and M. W. Silver. 1988. Primary production, sinking fluxes and the microbial food web. Deep-Sea Res. 35:473-490. Monod J.(1942) Recherches sur la croissance des cultrures bacteriennes. Paris: Herman et Ci Samuelson and Oquist. 1977. A method for studying photosynthetic capacities of unicellular algae based on in vivo chlorophyll fluorescence. Physiol. Plant. 40: 315-319. Sin, Y. and R.L. Wetzel.(2002) Ecosystem modeling analysis of size structured phytoplanktondynamics in the York River estuary, Virginia(USA). I. Development of a plankton ecosystem model with explicit feedback controls and hydrodynamics.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228:75-90 Smyth, T.J., K.L. Pemberton, J. Aiken and R.J. Geider.(2004) A methodology to determine primary production and phytoplankton photosynthetic parameters - 216 -

from Fast Repetition Rate Fluorometry. J. Plankton Res. 26:1337-1350 Suggett, D.J. Maclnytre, H.L. Geider, R.(2004) Evaluation of biophysical and optical determinations of light absorption by photosystem Ⅱ in Phytoplankton. Limnology, Oceanogr 316-332 Sylvan, J.B. Quigg, A. Tozzi, S. Ammerman, J.V. (2007) Eutrophication-induced phosphorus limitation in the Mississippi River plume:evidence form fast repetition rate fluorometry. Limmol. Oceanogr. 52(6) 2679-2685 Toshihiko Mizuno and Eiji Takahashi. An Illustrated Guide to Freshwater Zooplankton in Japan. Walsh, J. J. 1976. Herbivory as a factor in patterns of nutrient utilization in the sea. Limnol. Oceanogr., 21, 1-13. Welch, E.B. and T. Lindell, 1992. Ecological effects of wastewater, 2nd. Champman &Hall, London. Welschemeyer and Lorenzen, 1985. Role of herbivory in controlling phytoplankton abundance: Annual pigment budget for a temperate marine fjord. Mar. Biol. 90(1): 75-86. Wiegert R.G., Wetzel R.L.(1979) Simulation experiments with a 14-compartment salt marsh model, pp 7-39 In: Dame RF(ed) Marsh-Estuarine Systems Simulation, Univ. So. Carolina Press, Columbia Yentch C.S. and D.W. Menzel. 1963. A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ytoplankton chlorophyll and phaeophytin by fluorescence. Deep Sea Res. 10: 221-231. - 217 -

부 록 - 219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백 운 제 지 점 명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광 양 시 봉 강 면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광양 NI52-06-03-1(347031) 도 엽 번 호 5 ) 봉당 NI52-01-28-3(357153) 배수구역코드 6) 410501 행정구역코드 6) 4623031000 위 도 7) 34 o 59' 34'' 경 도 7 ) 127 o 35' 01'' T M 7) 166485 x 253275 고 도 7 ) 42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6 조 사 년 월 일 09. 06. 12 조 사 시 간 14 : 50-15 : 10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3.18 o C 7.21 9.03 mg/l 86.5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21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장 수 제 지 점 명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고 흥 군 포 두 면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고흥 도 엽 번 호 5 ) NI52-06-09-3(347063) 배수구역코드 6) 410409 행정구역코드 6) 4677035000 위 도 7) 34 o 35' 26'' 경 도 7 ) 127 o 19' 16'' T M 7) 121760 x 229455 고 도 7 ) 6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6 조 사 년 월 일 09. 06. 15 조 사 시 간 14 : 50-15 : 10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3.51 o C 9.35 10.80 mg/l 252.1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하상입자(%) 12)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22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수 동 제 지 점 명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장 흥 군 관 산 읍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관산 도 엽 번 호 5 ) NI52-05-16-4(346084) 배수구역코드 6) 410105 행정구역코드 6) 4680025300 위 도 7) 34 o 30' 20'' 경 도 7 ) 126 o 55' 44'' T M 7) 112287 x 193470 고 도 7 ) 3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6 조 사 년 월 일 09. 06. 17 조 사 시 간 16 : 55-17 : 10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7.37 o C 8.93 10.77 mg/l 2159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23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지 정 제 지 점 명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장 흥 군 관 산 읍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관산 도 엽 번 호 5 ) NI52-05-16-4(346084) 배수구역코드 6) 410105 행정구역코드 6) 4680025300 위 도 7) 34 o 33' 27'' 경 도 7 ) 126 o 58' 05'' T M 7) 118047 x 197069 고 도 7 ) 5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6 조 사 년 월 일 09. 06. 17 조 사 시 간 16 : 10-16 : 25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6.17 o C 8.24 10.41 mg/l 248.9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24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김상돈, 박종환,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군 곡 제 지 점 명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해 남 군 송 지 면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일평 도 엽 번 호 5 ) NI52-05-23-1(346111) 배수구역코드 6) 520205 행정구역코드 6) 4682034000 위 도 7) 34 o 23' 35'' 경 도 7 ) 126 o 32' 07'' T M 7) 99904 x 157270 고 도 7 ) 11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6 조 사 년 월 일 09. 06. 08 조 사 시 간 16 : 20-16 : 40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4.77 o C 9.36 10.77 mg/l 130.9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25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김상돈, 박종환,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소 포 제 ( 소 포 담 수 지 ) 지 점 명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진 도 군 지 산 면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지산 도 엽 번 호 5 ) NI52-05-21-2(346092 배수구역코드 6) 520102 행정구역코드 6) 4690035000 위 도 7) 34 o 29' 41'' 경 도 7 ) 126 o 12' 22'' T M 7) 111369 x 127093 고 도 7 ) 3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6 조 사 년 월 일 09. 06. 08 조 사 시 간 15 : 10-15 : 30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3.5 o C 8.72 11.26 mg/l 1334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26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상 사 호 ( 댐 앞 ) 지 점 명 3 )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상 사 댐 순천 남내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순 천 시 상 사 면 도 엽 번 호 5 ) NI52-06-02-2(347022) NI52-06-02-1(347021) 배수구역코드 6) 410401 행정구역코드 6) 4615040000 위 도 7) 34 o 56' 50.5'' 경 도 7 ) 127 o 25' 4.9'' T M 7) 161371 x 238181 고 도 7 ) 99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4 조 사 년 월 일 09. 06. 11 조 사 시 간 13 : 10-13 : 20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2.50 o C 8.21 9.60 mg/l 83.4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하상입자(%) 12)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27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허유정,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주 암 호 ( 댐 앞 ) 지 점 명 3 )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주 암 댐 주암 동복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순 천 시 주 암 면 도 엽 번 호 5 ) NI52-01-27-3(357143) NI52-01-26-4(357134) 배수구역코드 6) 400707 행정구역코드 6) 4615035000 위 도 7) 35 o 03' 28.7'' 경 도 7 ) 127 o 14' 13.4'' T M 7) 173587 x 221623 고 도 7 ) 87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4 조 사 년 월 일 09. 06. 16 조 사 시 간 15 : 00-15 : 15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4.7 o C 7.8 9.6 mg/l 90.1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28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보 성 강 호 ( 댐 앞 ) 지 점 명 3 )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보 성 댐 조성 보성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보 성 군 겸 백 면 도 엽 번 호 5 ) NI52-06-01-4(347014) NI52-06-01-3(347013) 배수구역코드 6) 400702 행정구역코드 6) 4678033000 위 도 7) 34 o 48' 17'' 경 도 7 ) 127 o 08' 43'' T M 7) 145478 x 213292 고 도 7 ) 126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4 조 사 년 월 일 09. 06. 15 조 사 시 간 15 : 40-16 : 00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4.42 o C 8.55 12.23 mg/l 153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29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수 어 호 ( 댐 앞 ) 지 점 명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광 양 시 진 상 면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진상 도 엽 번 호 5 ) NI52-01-28-4(357154) 배수구역코드 6) 410502 행정구역코드 6) 4623034000 위 도 7) 35 o 01' 47.04'' 경 도 7 ) 127 o 43' 08.58'' T M 7) 170665 x 265610 고 도 7 ) 60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4 조 사 년 월 일 09. 06. 12 조 사 시 간 15 : 40-15 : 55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3.06 o C 8.04 9.54 mg/l 116.4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30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동 복 호 ( 댐 앞 ) 지 점 명 3 ) 수 계 명 4 ) 동 복 댐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화 순 군 이 서 면 지 도 도 엽 명 5) 장동 도 엽 번 호 5 ) NI52-01-26-3(357133) 배수구역코드 6) 400704 행정구역코드 6) 4679038000 위 도 7) 34 o 04' 55'' 경 도 7 ) 127 o 06' 09'' T M 7) 65304 x 209459 고 도 7 ) 157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4 조 사 년 월 일 09. 06. 04 조 사 시 간 11 : 00-11 : 20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1.6 o C 8.9 9.6 mg/l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하상입자(%) 12)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31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허유정,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하 동 호 ( 댐 앞 ) 지 점 명 3 ) 수 계 명 4 ) 하 동 댐 조사지점소재지 경 상 남 도 하 동 군 청 암 면 지 도 도 엽 명 5) 청암 도 엽 번 호 5 ) NI52-02-22-1(357161) 배수구역코드 6) 400908 행정구역코드 6) 4885040000 위 도 7) 35 o 09' 44'' 경 도 7 ) 127 o 47' 05'' T M 7) 185408 x 271486 고 도 7 ) 123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4 조 사 년 월 일 09. 06. 16 조 사 시 간 17 : 10-17 : 25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3.47 o C 7.11 9.25 mg/l 42.7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32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탐 진 호 ( 댐 앞 ) 지 점 명 3 ) 수 계 명 4 ) 장 흥 댐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장 흥 군 부 산 면 지 도 도 엽 명 5) 장흥 도 엽 번 호 5 ) NI52-05-16-2(346082) 배수구역코드 6) 510101 행정구역코드 6) 4680036000 위 도 7) 34 o 45' 14'' 경 도 7 ) 126 o 53' 03'' T M 7) 139836 x 189395 고 도 7 ) 66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4 조 사 년 월 일 09. 06. 17 조 사 시 간 14 : 30-14 : 50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3.92 o C 8.18 9.40 mg/l 79.4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33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백 운 제 지 점 명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광 양 시 봉 강 면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광양 NI52-06-03-1(347031) 도 엽 번 호 5 ) 봉당 NI52-01-28-3(357153) 배수구역코드 6) 410501 행정구역코드 6) 4623031000 위 도 7) 34 o 59' 34'' 경 도 7 ) 127 o 35' 01'' T M 7) 166485 x 253275 고 도 7 ) 42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6 조 사 년 월 일 09. 10. 13 조 사 시 간 15 : 05-15 : 20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1.15 o C 6.80 8.39 mg/l 87.6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34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장 수 제 지 점 명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고 흥 군 포 두 면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고흥 도 엽 번 호 5 ) NI52-06-09-3(347063) 배수구역코드 6) 410409 행정구역코드 6) 4677035000 위 도 7) 34 o 35' 26'' 경 도 7 ) 127 o 19' 16'' T M 7) 121760 x 229455 고 도 7 ) 6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6 조 사 년 월 일 09. 10. 30 조 사 시 간 16 : 35-16 : 50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16.63 o C 9.46 11.80 mg/l 212.5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하상입자(%) 12)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35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황동진,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수 동 제 지 점 명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장 흥 군 관 산 읍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관산 도 엽 번 호 5 ) NI52-05-16-4(346084) 배수구역코드 6) 410105 행정구역코드 6) 4680025300 위 도 7) 34 o 30' 20'' 경 도 7 ) 126 o 55' 44'' T M 7) 112287 x 193470 고 도 7 ) 3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6 조 사 년 월 일 09. 10. 21 조 사 시 간 16 : 10-16 : 25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0.18 o C 8.25 10.44 mg/l 1091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36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황동진,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지 정 제 지 점 명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장 흥 군 관 산 읍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관산 도 엽 번 호 5 ) NI52-05-16-4(346084) 배수구역코드 6) 410105 행정구역코드 6) 4680025300 위 도 7) 34 o 33' 27'' 경 도 7 ) 126 o 58' 05'' T M 7) 118047 x 197069 고 도 7 ) 5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6 조 사 년 월 일 09. 10. 21 조 사 시 간 16 : 10-16 : 25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17.49 o C 8.65 13.01 mg/l 172.2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37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군 곡 제 지 점 명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해 남 군 송 지 면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일평 도 엽 번 호 5 ) NI52-05-23-1(346111) 배수구역코드 6) 520205 행정구역코드 6) 4682034000 위 도 7 ) 34 o 23' 35'' 경 도 7 ) 126 o 32' 07'' T M 7) 99904 x 157270 고 도 7 ) 11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6 조 사 년 월 일 09. 10. 19 조 사 시 간 16 : 40-16 : 55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18.51 o C 7.04 8.84 mg/l 109.6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38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소 포 제 ( 소 포 담 수 지 ) 지 점 명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진 도 군 지 산 면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지산 도 엽 번 호 5 ) NI52-05-21-2(346092 배수구역코드 6) 520102 행정구역코드 6) 4690035000 위 도 7) 34 o 29' 41'' 경 도 7 ) 126 o 12' 22'' T M 7) 111369 x 127093 고 도 7 ) 3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6 조 사 년 월 일 09. 10. 19 조 사 시 간 15 : 25-15 : 40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19.72 o C 8.13 10.34 mg/l 984.4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39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상 사 호 ( 댐 앞 ) 지 점 명 3 )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상 사 댐 순천 남내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순 천 시 상 사 면 도 엽 번 호 5 ) NI52-06-02-2(347022) NI52-06-02-1(347021) 배수구역코드 6) 410401 행정구역코드 6) 4615040000 위 도 7) 34 o 56' 50.5'' 경 도 7 ) 127 o 25' 4.9'' T M 7) 161371 x 238181 고 도 7 ) 99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4 조 사 년 월 일 09. 10. 13 조 사 시 간 16 : 05-16 : 20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1.37 o C 6.35 4.82 mg/l 62.7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하상입자(%) 12)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40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허유정,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주 암 호 ( 댐 앞 ) 지 점 명 3 )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주 암 댐 주암 동복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순 천 시 주 암 면 도 엽 번 호 5 ) NI52-01-27-3(357143) NI52-01-26-4(357134) 배수구역코드 6) 400707 행정구역코드 6) 4615035000 위 도 7) 35 o 03' 28.7'' 경 도 7 ) 127 o 14' 13.4'' T M 7) 173587 x 221623 고 도 7 ) 87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4 조 사 년 월 일 09. 10. 15 조 사 시 간 14 : 20-14 : 40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1.6 o C 6.5 6.6 mg/l 62.3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41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황동진,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보 성 강 호 ( 댐 앞 ) 지 점 명 3 )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보 성 댐 조성 보성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보 성 군 겸 백 면 도 엽 번 호 5 ) NI52-06-01-4(347014) NI52-06-01-3(347013) 배수구역코드 6) 400702 행정구역코드 6) 4678033000 위 도 7) 34 o 48' 17'' 경 도 7 ) 127 o 08' 43'' T M 7) 145478 x 213292 고 도 7 ) 126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4 조 사 년 월 일 09. 11. 12 조 사 시 간 14 : 55-15 : 10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14.69 o C 7.02 12.10 mg/l 126.4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42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황동진,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수 어 호 ( 댐 앞 ) 지 점 명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광 양 시 진 상 면 수 계 명 4 ) 지 도 도 엽 명 5) 진상 도 엽 번 호 5 ) NI52-01-28-4(357154) 배수구역코드 6) 410502 행정구역코드 6) 4623034000 위 도 7) 35 o 01' 47.04'' 경 도 7 ) 127 o 43' 08.58'' T M 7) 170665 x 265610 고 도 7 ) 60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4 조 사 년 월 일 09. 10. 09 조 사 시 간 16 : 00-16 : 15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2.36 o C 6.69 7.68 mg/l 68.4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43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황동진,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동 복 호 ( 댐 앞 ) 지 점 명 3 ) 수 계 명 4 ) 동 복 댐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화 순 군 이 서 면 지 도 도 엽 명 5) 장동 도 엽 번 호 5 ) NI52-01-26-3(357133) 배수구역코드 6) 400704 행정구역코드 6) 4679038000 위 도 7) 34 o 04' 55'' 경 도 7 ) 127 o 06' 09'' T M 7) 65304 x 209459 고 도 7 ) 157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4 조 사 년 월 일 09. 11. 12 조 사 시 간 15 : 50-16 : 05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17.30 o C 6.69 10.61 mg/l 68.9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하상입자(%) 12)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44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황동진,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하 동 호 ( 댐 앞 ) 지 점 명 3 ) 수 계 명 4 ) 하 동 댐 조사지점소재지 경 상 남 도 하 동 군 청 암 면 지 도 도 엽 명 5) 청암 도 엽 번 호 5 ) NI52-02-22-1(357161) 배수구역코드 6) 400908 행정구역코드 6) 4885040000 위 도 7) 35 o 09' 44'' 경 도 7 ) 127 o 47' 05'' T M 7) 185408 x 271486 고 도 7 ) 123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4 조 사 년 월 일 09. 10. 09 조 사 시 간 15 : 00-15 : 15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1.24 o C 6.57 9.30 mg/l 32.8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45 -

조사표 양식 2-14 < 서식환경 현지조사표> 조사자 박종환, 황동진, 송효정, 손미선 소 속 영산강물환경연구소 대상생물군명 1) 서 식 환 경 조 사 호 소 명 2 ) 탐 진 호 ( 댐 앞 ) 지 점 명 3 ) 수 계 명 4 ) 장 흥 댐 조사지점소재지 전 라 남 도 장 흥 군 부 산 면 지 도 도 엽 명 5) 장흥 도 엽 번 호 5 ) NI52-05-16-2(346082) 배수구역코드 6) 510101 행정구역코드 6) 4680036000 위 도 7) 34 o 45' 14'' 경 도 7 ) 126 o 53' 03'' T M 7) 139836 x 189395 고 도 7 ) 66 m 하천순위 8) 차 호소유형코드 9) 4 조 사 년 월 일 09. 10. 21 조 사 시 간 15 : 00-15 : 15 수환경요인 유속 수온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투명도 10) cm/s 20.41 o C 6.48 7.78 mg/l 65.3 μmhos/cm m 수변부 경사 < 20 20-40 40-60 60-90 > 90 유역토지이용 11) 자연식생 농경지 거주지 유원지 기타 바위 호박돌 자갈 잔석 모래, 미사, 점토 하상입자(%) 12) 준설 절취 선박 어로 양식 답압 교 란 13) 홍수 피음 오염 방목 매립 배수 인공기질 인공수변 해수유입 기타 - 246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4월 1일 지점명 동복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413 녹조류 111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Aulacoseira ambigua 147 Cyclotella comta 93 Synedra acus 67 Nitzschia acicularis 53 Fragilaria crotonensis 53 Monoraphidium 107 arcuatum Ankistrodesmus falcatus Scenedesmus ecornis 1 3 계수단위 4) Phormidium sp. 3 남조류 3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441 Kephyrion rubri-claustri 294 Dinobryon cylindrica 67 Dinobryon serturalia 40 Trachelomonas volvocina 27 Dinobryon cylindricum var. palustre 13-247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4월 1일 지점명 동복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174 녹조류 215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Fragilaria crotonensis 707 Asterionella formosa 187 Synedra acus 133 Cyclotella sp. 80 Aulacoseira distans 67 Monoraphidium 133 arcuatum Scenedesmus acuminatus Monoraphidium 53 27 contortum Tetraedron minimum 1 Staurastrum sp. 1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293 Kephyrion rubri-claustri 187 Dinobryon cylindrica 67 Trachelomonas 13 volvocina Dinobryon serturalia 13 Dinobryon divergens 13-248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소포제 조사일 3월 21일 지점명 소포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30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Nitzschia palea 27 Nitzschia acicularis 1 Gomphonema gracile 1 Gomphonema 1 parvulum 계수단위 4) 녹조류 482 남조류 9,381 Tetrastrum komarekii 374 Closteriopsis 93 longissima Pteromonas argulosa 13 Monoraphidium 1 contortum Closterium sp. 1 Anabaena aequalis 8233 Phormidium valderianum var. tenuis 1148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39 Kephyrion rubri-claustri 13 Trachelomonas 13 oblonga Trachelomonas 13 volvocina - 249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군곡제 조사일 3월 21일 지점명 군곡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401 녹조류 934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distans 414 Asterionella formosa 347 Aulacoseira ambigua 267 Synedra acus 240 Nitzschia palea 133 Monoraphidium 360 contortum Tetrastrum elegans 187 Dictyospharium 160 tetrachotomum Tetrastrum punctatum 160 Monoraphidium arcuatum 67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66 Dinobryon serturalia 53 Dinobryon divergens 13-250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3월 25일 지점명 주암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680 녹조류 107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sterionella formosa 320 Synedra acus 227 Cyclotella sp. 93 Nitzschia sp. 27 Navicula cryptocephala 13 Monoraphidium 80 contortum Monoraphidium arcuatum 27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Dinobryon sociale 7 기타 조류 7-251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1 조사일 3월 25일 지점명 주암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347 녹조류 16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sterionella formosa 147 Aulacoseira granulata 80 Fragilaria crotonensis 67 Cyclotella sp. 40 Synedra acus 13 Monoraphidium 13 arcuatum Monoraphidium contortum 3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252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3월 25일 지점명 주암호 3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095 녹조류 135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ambigua 547 Aulacoseira distans 254 Synedra acus 200 Aulacoseira granulata 67 Cyclotella sp. 27 Monoraphidium 93 contortum Monoraphidium arcuatum Scenedesmus acuminatus Scenedesmus circumfusus 40 1 1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253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보성강호 조사일 3월 28일 지점명 보성강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561 녹조류 140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Synedra acus 254 Aulacoseira ambigua 120 Fragilaria crotonensis 67 Cymbella sp. 67 Nitzschia palea 53 Gonium pectorale 53 Monoraphidium 40 contortum Monoraphidium arcuatum Scenedesmus 27 11 quadricauda Pandorina morum 9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2 Dinobryon divergens 1 Euglena sp. 1-254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보성강호 조사일 3월 28일 지점명 보성강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345 녹조류 1,539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Fragilaria crotonensis 173 Synedra acus 133 Cyclotella sp. 13 Synedra ulna 13 Navicula cryptocephala 13 Gomphosphaeria 1481 lacustris Monoraphidium 40 arcuatum Pandorina morum 8 Scenedesmus 5 quadricauda Scenedesmus carinatus 5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255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3월 29일 지점명 상사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266 녹조류 14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ambigua 93 Asterionella formosa 53 Cyclotella sp. 53 Synedra acus 40 Aulacoseira granulata 27 var. angustssima Monoraphidium contortum Monoraphidium arcuatum 13 1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256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3월 29일 지점명 상사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587 녹조류 14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sterionella formosa 294 Aulacoseira granulata 133 var. angustssima Aulacoseira ambigua 80 Cyclotella sp. 53 Synedra acus 27 Monoraphidium 13 contortum Monoraphidium arcuatum 1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Dinobryon serturalia 93 기타 조류 93-257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3월 30일 지점명 수어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275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sterionella formosa 200 Synedra acus 40 Aulacoseira distans 27 Fragilaria crotonensis 8 계수단위 4) Gomphosphaeria lacustris 200 녹조류 200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Dinobryon divergens 40 기타 조류 40-258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3월 30일 지점명 수어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573 녹조류 240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sterionella formosa 280 Synedra acus 133 Cyclotella sp. 107 Fragilaria crotonensis 40 Achnanthes clevei 13 Scenedesmus 173 acuminatus Scenedesmus acutiformis Monoraphidium arcuatum Monoraphidium contortum 53 13 1 계수단위 4) 남조류 0 Peridinium polonicum 13 와편모조류 13 기타 조류 28 Dinobryon cylindrica 27 Trachelomonas sp. 1-259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하동호 조사일 3월 23일 지점명 하동호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773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sterionella formosa 480 Aulacoseira distans 133 Fragilaria crotonensis 80 Synedra acus 53 Nitzschia acicularis 27 Gomphosphaeria 133 lacustris 계수단위 4) 녹조류 133 Phormidium lapideum 347 남조류 347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213 Dinobryon divergens 173 Trachelomonas sp. 40-260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3월 30일 지점명 탐진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922 녹조류 80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ambigua 761 Cyclotella comta 67 Synedra acus 40 Aulacoseira distans 27 Cyclotella sp. 27 Crucigenia tetrapedia 53 Monoraphidium 13 contortum Monoraphidium 13 arcuatum Tetraedron minimum 1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42 Synura sp. 27 Trachelomonas 13 volvocina Dinobryon cylindrica 1 Dinobryon cylindricum var. palustre 1-261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3월 30일 지점명 탐진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654 녹조류 121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ambigua 1174 Cyclotella sp. 187 Aulacoseira distans 133 Synedra acus 80 Navicula cryptocephala 80 Crucigenia tetrapedia 53 Monoraphidium 40 contortum Monoraphidium 27 arcuatum Tetraedron minimum 1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80 Kephyrion rubri-claustri 53 Synura sp. 13 Dinobryon cylindricum 13 var. palustre Trachelomonas volvocina 1-262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3월 30일 지점명 탐진호 3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508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Aulacoseira ambigua 1254 Cyclotella sp. 120 Aulacoseira distans 67 Fragilaria crotonensis 40 Navicula cryptocephala 27 Monoraphidium 13 contortum 계수단위 4) 녹조류 13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80 Kephyrion rubri-claustri 53 Trachelomonas 27 oblonga - 263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3월 30일 지점명 탐진호 4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987 녹조류 42 우점종명 2) Aulacoseira granulata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347 var. angustssima Cyclotella sp. 213 Aulacoseira ambigua 187 Synedra acus 147 Aulacoseira distans 93 Scenedesmus 27 abundans Pediastrum duplex 13 Monoraphidium 1 arcuatum Crucigenia tetrapedia 1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160 Kephyrion rubri-claustri 93 Trachelomonas 27 volvocina Dinobryon sp. 27 Dinobryon serturalia 13-264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백운제 조사일 3월 31일 지점명 백운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614 녹조류 54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sterionella formosa 947 Aulacoseira ambigua 467 Synedra acus 80 Aulacoseira distans 67 Cyclotella sp. 53 Dictyospharium 53 pulchellum Monoraphidium arcuatum 1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108 Dinobryon sociale 107 Dinobryon cylindrica 1-265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장수제 조사일 3월 31일 지점명 장수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774 녹조류 506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distans 614 Asterionella formosa 600 Fragilaria crotonensis 307 Cyclotella sp. 213 Aulacoseira ambigua 40 Pediastrum tetras 187 Coelastrum sphericum 160 Scenedesmus 53 quadricauda Scenedesmus acuminatus Scenedesmus carinatus 53 53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Euglena sp. 13 기타 조류 13-266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3월 28일 지점명 지정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654 녹조류 6,045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Aulacoseira ambigua 280 Fragilaria crotonensis 200 Cyclotella sp. 80 Aulacoseira distans 67 Nitzschia palea 27 Gomphosphaeria 5591 lacustris Monoraphidium contortum Monoraphidium arcuatum Scenedesmus arcuatus var. platidisa Scenedesmus 187 107 107 53 quadricauda Phormidium sp. 53 계수단위 4) 남조류 53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14 Trachelomonas 13 volvocina Euglena acus 1-267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수동제 조사일 3월 28일 지점명 수동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이오선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60 녹조류 147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ambigua 80 Aulacoseira distans 27 Cyclotella sp. 27 Aulacoseira granulata 13 Navicula cincta 13 Pediastrum simplex 107 var. echinulatum Monoraphidium griffithii 40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268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6월 15일 지점명 동복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47 녹조류 157 남조류 8,400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sp. 80 Aulacoseira distans 40 Cyclotella sp. 13 Synedra denticatissima 13 var. angustissima Synedra acus 1 Scenedesmus 107 acutiformis Scenedesmus grahneisii Monoraphidium contortum Scenedesmus quadricauda Scenedesmus quadricauda 27 13 var. parvus Lyngbya limnetica 8233 Anabaena macrospora 160 Microcystis wesenbergii 7 5 5 계수단위 4) Peridinium cunnigtonii 80 와편모조류 80 기타 조류 39 Trachelomonas willei 13 Trachelomonas 13 volvocina Peridinium pygmaeum 13-269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6월 15일 지점명 동복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46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Cyclotella sp. 53 Synedra acus 40 Aulacoseira ambigua 40 Aulacoseira granulata 13 계수단위 4) 녹조류 333 남조류 12,078 Scenedesmus grahneisii Scenedesmus abundans Monoraphidium 213 53 27 contortum Closterium sp. 27 Monoraphidium 13 arcuatum Lyngbya limnetica 12076 Oscillatoria geminata 2 Peridinium cunnigtonii 13 와편모조류 13 기타 조류 2 Trachelomonas oblonga Trachelomonas volvocina 1 1-270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소포제 조사일 6월 6일 지점명 소포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Synedra inaequalis 1 계수단위 4) 규조류 1 녹조류 245 Coelastrum 133 microporum Staurastrum 53 perundulatum Scenedesmus 27 grahneisii Scenedesmus 27 quadricauda Tetrastrum komarekii 5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Trachelomonas varians 13 기타 조류 13-271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군곡제 조사일 6월 6일 지점명 군곡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7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distans 4 Navicula cryptocephala 1 Cymbella silesiaca 1 Navicula hasta 1 var. gracilis 계수단위 4) 녹조류 1,360 Coelastrum 507 microporum Pediastrum duplex 320 Scenedesmus 213 acutiformis Oocystis solitaria 160 Oocystis lacustris 160 Aphanothece clathrata 801 남조류 801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66 Trachelomonas varians 53 Trachelomonas 13 volvocina - 272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6월 24일 지점명 주암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67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ambigua 53 Cyclotella sp. 13 Fragilaria crotonensis 1 계수단위 4) 녹조류 0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273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6월 24일 지점명 주암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253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Cyclotella sp. 147 Aulacoseira granulata 53 Cyclotella comta 27 Aulacoseira ambigua 13 Navicula cryptotenella 13 Scenedesmus 5 quadricauda 계수단위 4) 녹조류 5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1 Trachelomonas polonicum 1-274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6월 24일 지점명 주암호 3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560 녹조류 10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distans 200 Aulacoseira granulata 187 Synedra acus 80 Fragilaria crotonensis 53 Gyrosigma spencerii 40 Scenedesmus 5 quadricauda Actinastrum hantzschii 4 Monoraphidium griffithii 1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275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보성강호 조사일 6월 10일 지점명 보성강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108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ambigua 681 Aulacoseira granulata 240 Asterionella formosa 133 Cymbella minuta 27 Cyclotella sp. 27 Monoraphidium 1 arcuatum 계수단위 4) 녹조류 1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276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보성강호 조사일 6월 10일 지점명 보성강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707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ambigua 387 Aulacoseira granulata 160 Cyclotella sp. 80 Cymbella minuta 53 Synedra acus 27 Monoraphidium 13 arcuatum 계수단위 4) 녹조류 13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13 Trachelomonas volvocina 13-277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6월 15일 지점명 상사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307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granulata 147 Aulacoseira ambigua 53 Cyclotella sp. 53 Cymbella aspera 27 Stephanodiscus 27 hantzchii 계수단위 4) 녹조류 0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278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6월 15일 지점명 상사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693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granulata 440 Asterionella formosa 120 Cyclotella sp. 67 Aulacoseira ambigua 53 Navicula cryptocephala 13 Monoraphidium 1 contortum 계수단위 4) 녹조류 1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279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6월 11일 지점명 수어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270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Fragilaria crotonensis 240 Cyclotella sp. 13 Cymbella mesiana 13 Asterionella formosa 3 Aulacoseira ambigua 1 계수단위 4) 녹조류 0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Peridinium sp. 13 기타 조류 13-280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6월 11일 지점명 수어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19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Fragilaria crotonensis 40 Achnanthes catenata 40 Asterionella formosa 13 Synedra ulna 13 Nitzschia palea 13 계수단위 4) 녹조류 0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281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하동호 조사일 6월 12일 지점명 하동호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548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Cyclotella sp. 1241 Cyclotella stelligera 254 Cyclotella comta 27 Tabellaria fenestrata 13 Eunotia flexuosa 13 계수단위 4) 녹조류 0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282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6월 17일 지점명 탐진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72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Cyclotella sp. 67 Asterionella formosa 5 계수단위 4) 녹조류 26 Monoraphidium 13 arcuatum Tetraedron minimum 13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Trachelomonas stokesii 1 기타 조류 1-283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6월 17일 지점명 탐진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48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distans 27 Cyclotella sp. 16 Asterionella formosa 5 계수단위 4) Tetraedron minimum 13 녹조류 13 남조류 0 Peridinium cunnigtonii 1 와편모조류 1 Trachelomonas stokesii 13 기타 조류 13-284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6월 17일 지점명 탐진호 3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93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Cyclotella sp. 80 Asterionella formosa 9 Synedra acus 3 Cyclotella stelligera 1 계수단위 4) 녹조류 40 Tetraedron minimum 27 Kirchneriella contorta 13 var. elongata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14 Trachelomonas dybowskii Trachelomonas volvocina 13 1-285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6월 17일 지점명 탐진호 4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224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Cyclotella sp. 187 Asterionella formosa 27 Aulacoseira ambigua 9 Navicula sp. 1 계수단위 4) Oocystis ovalis 13 녹조류 13 남조류 3,406 Aphanothece clathrata 2802 Synechococcus praelongus 600 Microcystis wesenbergii 4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286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백운제 조사일 6월 11일 지점명 백운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89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Cyclotella sp. 53 Achnanthes 13 minutissima Fragilaria parasitica 13 Melosira varians 7 Aulacoseira ambigua 3 Monoraphidium 1 arcuatum 계수단위 4) 녹조류 1 남조류 0 와편모조류 147 Peridinium tabulatum 80 Peridinium sp. 67 기타 조류 1 Trachelomonas volvocina 1-287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장수제 조사일 6월 15일 지점명 장수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61 녹조류 4,097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ambigua 120 Aulacoseira distans 27 Gomphonema 13 parvulum Synedra acus 1 Coelastrum 3216 microporum Pediastrum duplex 374 Scenedesmus 320 quadricauda Scenedesmus 120 opoliensis Chodatella longiseta 67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288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6월 10일 지점명 지정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73 녹조류 1,841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Aulacoseira ambigua 93 Fragilaria crotonensis 27 Cyclotella sp. 27 Aulacoseira distans 13 Synedra acus 13 Coelastrum astroideum 1054 Dispora cuneiformis 534 Scenedesmus 107 quadricauda Pediastrum duplex 93 Monoraphidium 53 contortum Aphanocapsa biformis 801 계수단위 4) 남조류 801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69 Trachelomonas 27 volvocina Lepocinclis varians 27 Trachelomonas 13 dastuguei Euglena sp. 1 Trachelomonas pavlovskoensis 1-289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수동제 조사일 6월 10일 지점명 수동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213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Nitzschia palea 147 Fragilaria crotonensis 27 Navicula pupula 13 Gomphonema sp. 13 Cocconeis placentula 13 var. lineata 계수단위 4) 녹조류 0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Trachelomonas varians 1 기타 조류 1-290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8월 31일 지점명 동복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774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Fragilaria crotonensis 614 Synedra acus 133 Synedra acus var. radians 27 계수단위 4) 녹조류 646 남조류 6 Didymocystis inermis 294 var. danubialis Tetraedron minimum 160 Scenedesmus 160 incrassatulus Staurastrum sp. 27 Scenedesmus ecornis 5 Microcystis wesenbergii 6 와편모조류 53 Peridinium cunnigtonii 40 Peridinium sp. 13 기타 조류 0-291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8월 31일 지점명 동복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400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Fragilaria crotonensis 347 Synedra acus 53 계수단위 4) 녹조류 573 Scenedesmus incrassatulus Didymocystis inermis 213 160 var. danubialis Tetraedron minimum 120 Scenedesmus ecornis 53 Cosmarium tinctum 27 var. tumidum Microcystis wesenbergii 294 남조류 294 Peridinium tabulatum 27 와편모조류 27 기타 조류 14 Trachelomonas oblonga Trachelomonas volvocina 13 1-292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소포제 조사일 8월 21일 지점명 소포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373 녹조류 237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Fragilaria crotonensis 187 Fragilaria capucina 93 Aulacoseira ambigua 53 Aulacoseira granulata 27 Nitzschia palea 13 Coelastrum sp. 107 Nephrocytium 80 limneticum Actinastrum hantzschii 40 Scenedesmus 5 quadricauda Scenedesmus opoliensis 5 계수단위 4) 남조류 0 Peridinium sp. 1 와편모조류 1 기타 조류 29 Trachelomonas varians 27 Trachelomonas 1 oblonga Trachelomonas 1 volvocina - 293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군곡제 조사일 8월 21일 지점명 군곡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ambigua 9 계수단위 4) 규조류 9 녹조류 1,295 남조류 1,001 Dictyospharium pulchellum Pediastrum duplex var. rotundatum Scenedesmus bicaudatus Staurastrum polymorphum 721 347 107 67 var. cinctum Staurastrum sp. 53 Microcystis wesenbergii 881 Aphanothece clathrata 12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1 Trachelomonas volvocina 1-294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8월 25일 지점명 주암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계수단위 4) 규조류 0 녹조류 28 Staurastrum sp. 27 Golenkinia brevispina 1 남조류 5,006 Anabaena macrospora 5004 var. crassa Oscillatoria hamelii 2 와편모조류 0 Ceratinium hirundinella 27 기타 조류 27-295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8월 25일 지점명 주암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4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Synedra acus 13 Fragilaria crotonensis 1 계수단위 4) 녹조류 1,298 남조류 707 Coenochloris mucosa 854 Eudorina unicocca 387 Staurastrum pingue 27 Staurastrum 27 subcruciatum Staurastrum sp. 3 Anabaena macrospora var. crassa Merismopedia tenuissima 614 93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41 Trachelomonas sp. 27 Ceratinium hirundinella 13 Trachelomonas 1 arnoldina - 296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8월 25일 지점명 주암호 3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86 녹조류 826 남조류 166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distans 80 Cyclotella sp. 53 Synedra acus 27 Cocconeis placentula 13 var. lineata Synedra acus 13 var. angusitissima Coenochloris mucosa 560 Dictyospharium 107 pulchellum Scenedesmus 53 quadricauda Tetraedron minimum 53 Scenedesmus arcuatus 53 Merismopedia 147 tenuissima Microcystis aeruginosa 19 계수단위 4) Peridinium sp. 1 와편모조류 1 기타 조류 27 Trachelomonas 13 oblonga Trachelomonas varians 13 Ceratinium hirundinella 1-297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보성강호 조사일 8월 23일 지점명 보성강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51 녹조류 201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Synedra acus 133 Achnanthes catenata 13 Aulacoseira distans 3 Cyclotella sp. 1 Fragilaria crotonensis 1 Scenedesmus 107 bicaudatus Actinastrum hantzschii 67 Pediastrum duplex 11 Chlorella sp. 11 Scenedesmus acuminatus var. tortuosus 5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26 Trachelomonas volvocina Trachelomonas varians f. acuminata 13 13-298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보성강호 조사일 8월 23일 지점명 보성강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346 녹조류 258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Synedra acus 267 Aulacoseira ambigua 40 Aulacoseira granulata 13 Cyclotella sp. 13 Navicula cryptotenella 13 Pandorina morum 107 Scenedesmus 80 grahneisii Scenedesmus bicaudatus Monoraphidium arcuatum Scenedesmus acutiformis 53 13 5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299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8월 18일 지점명 상사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Synedra acus 13 계수단위 4) 규조류 13 Staurastrum pingue 27 녹조류 27 남조류 5,369 Microcystis aeruginosa 4670 Anabaena planctonica 694 Chroococcus turgidus 5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300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8월 18일 지점명 상사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Fragilaria crotonensis 3 계수단위 4) 규조류 3 녹조류 701 남조류 5,929 Eudorina elegans 374 Eudorina unicocca 294 Didymocystis inermis 27 var. danubialis Scenedesmus incrassatulus Closterium aciculare 1 Anabaena planctonica 3816 Microcystis aeruginosa 2108 Phormidium apideum var. amorphum 5 5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301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8월 17일 지점명 수어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Cyclotella sp. 53 계수단위 4) 규조류 53 녹조류 31 Staurastrum pingue 27 Staurastrum sp. 3 Tetraedron minimum 1 남조류 1,521 Aphanocapsa nidulans 1494 Chroococcus turgidus var. thermalis 27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302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8월 17일 지점명 수어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9 녹조류 70 우점종출현 우점종명 2) 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subarctica 13 Aulacoseira distans 3 Gomphonema parvulum Cyclotella sp. 1 Gomphonema sp. 1 Scenedesmus arcuatus 53 Tetraedron minimum 13 Staurastrum sp. 3 Golenkinia brevispina 1 1 계수단위 4) 남조류 2,149 Microcystis aeruginosa 1468 Aphanothece sp. 681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303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하동호 조사일 8월 25일 지점명 하동호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42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Cyclotella sp. 40 Synedra acus 1 Fragilaria sp. 1 계수단위 4) Scenedesmus acutiformis 53 녹조류 53 남조류 0 와편모조류 54 Peridinium sp. 27 Peridinium polonicum 13 Peridinium aciculiferum 13 Peridinium tabulatum 1 기타 조류 0-304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9월 9일 지점명 탐진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74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Cyclotella sp. 107 Cyclotella stelligera 40 Aulacoseira distans 27 계수단위 4) 녹조류 66 Monoraphidium litorale 53 Koliella concortica 13 Chroococcus minimus 107 남조류 107 Peridinium sp. 7 와편모조류 7 기타 조류 13 Trachelomonas bacillifera 13-305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9월 9일 지점명 탐진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361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Cyclotella sp. 267 Cyclotella stelligera 67 Aulacoseira distans 27 계수단위 4) 녹조류 253 Coelastrum aphericum 107 Rhaphidonema nivale 53 Scenedesmus minutus 53 Scenedesmus 27 grahneisii Monoraphidium litorale 13 Chroococcus turgidus 27 남조류 27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306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9월 9일 지점명 탐진호 3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521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Cyclotella sp. 427 Aulacoseira distans 93 Aulacoseira granulata 1 계수단위 4) 녹조류 211 Scenedesmus 133 grahneisii Tetraedron minimum 53 Koliella concortica 13 Coelastrum pulchrum 11 Monoraphidium contortum Gloeocapsa arenaria 53 1 남조류 53 와편모조류 67 Peridinium polonicum 40 Peridinium tabulatum 27 기타 조류 14 Trachelomonas volvocina Trachelomonas oblonga 13 1-307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9월 9일 지점명 탐진호 4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320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Cyclotella sp. 200 Aulacoseira distans 107 Nitzschia acicularis 13 계수단위 4) 녹조류 92 Scenedesmus 27 grahneisii Tetraedron minimum 27 Monoraphidium litorale 27 Coelastrum astroideum 11 Chroococcus turgidus 27 남조류 27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308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백운제 조사일 8월 17일 지점명 백운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55 녹조류 68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Cyclotella sp. 27 Fragilaria crotonensis 13 Cymbella turgidula 13 Achnanthes 1 minutissima Synedra acus 1 Scenedesmus 53 producto-capitatus Tetraedron minimum 13 Monoraphidium 1 arcuatum Monoraphidium contortum 1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53 Peridinium sp. 27 Peridinium tabulatum 13 Peridinium volzii 13 Dinobryon divergens 40 기타 조류 40-309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장수제 조사일 8월 18일 지점명 장수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48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Nitzschia palea 107 Nitzschia amphibia 40 Navicula sp. 1 계수단위 4) 녹조류 224 Scenedesmus 107 opoliensis Scenedesmus 80 acutiformis Monoraphidium 27 arcuatum Scenedesmus 5 quadricauda Scenedesmus 5 intermedius Microcystis aeruginosa 4003 남조류 4,003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310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8월 23일 지점명 지정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226 녹조류 441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Fragilaria crotonensis 133 Cyclotella sp. 40 Gomphonema gracile 27 Synedra acus 13 Gomphonema 13 parvulum Scenedesmus 107 acuminatus Pediastrum tetras 107 Scenedesmus 107 acuminatus var. platidisca Monoraphidium 67 contortum Dispora cuneiformis 53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26 T r a c h e l o m o n a s 13 varians Dinobryon divergens 13-311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수동제 조사일 8월 23일 지점명 수동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계수단위 4) 규조류 0 Tetrastrum elegans 5 녹조류 5 Microcystis aeruginosa 5538 남조류 5,538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312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11월 10일 지점명 동복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695 녹조류 392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sterionella formosa 294 Aulacoseira distans 173 Aulacoseira ambigua 160 Aulacoseira granulata 41 Fragilaria crotonensis 27 Cosmarium bioculatum 334 var. depressum Tetraedron minimum 53 Scenedesmus 5 denticulatus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313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11월 10일 지점명 동복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403 녹조류 351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Asterionella formosa 294 Aulacoseira distans 40 Fragilaria crotonensis 27 Aulacoseira ambigua 25 Aulacoseira granulata 17 scenedesmus 133 pannonicus Scenedesmus 107 denticulatus Tetraedron minimum 53 Cosmarium bioculatum 53 var. depressum Scenedesmus incrassatulus 5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15 Kephyrion rubri-claustri 13 Trachelomonas 1 oblonga Trachelomonas robusta 1-314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소포제 조사일 11월 6일 지점명 소포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91 녹조류 1,200 남조류 7,173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distans 53 Nitzschia palea 27 Aulacoseira granulata 7 Aulacoseira ambigua 3 Nitzschia gracilis 1 Chlamydomonas 854 angulosa Dictyospharium pulchellum Scenedesmus 200 53 quadricauda Scenedesmus kissii 53 Monoraphidium contortum Phormidium planctonica Phormidium tenue f. non-constrictrictum Phormidium valderianum var. tenuis Merismopedia tenuissima 40 4870 1508 774 21 계수단위 4) Peridinium sp. 1 와편모조류 1 기타 조류 14 Trachelomonas pavlovskoensis Trachelomonas intermedia var. papillifera 13 1-315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군곡제 조사일 11월 6일 지점명 군곡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586 녹조류 746 남조류 1,147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Cyclotella sp. 387 Aulacoseira ambigua 160 Nitzschia palea 13 Nitzschia acicularis 13 Aulacoseira granulata 13 Pediastrum tetras 240 Dispora cuneiformis 213 Crucigenia fenestrata 107 Scenedesmus sp. 93 Scenedesmus quadricauda var. longispina Merismopedia 93 1067 tenuissima Microcystis aeruginosa 80 계수단위 4)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80 Trachelomonas volvocina 80-316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11월 10일 지점명 주암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96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distans 67 Cyclotella sp. 13 Fragilaria crotonensis 13 Aulacoseira ambigua 3 계수단위 4) 녹조류 68 Coelastrum 67 microporum Closterium sp. 1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317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11월 10일 지점명 주암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600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distans 587 Cyclotella sp. 13 계수단위 4) 녹조류 115 Pediastrum tetras 107 Scenedesmus 5 acutiformis Euastrum geometricum 3 var. elaboratum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318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11월 10일 지점명 주암호 3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453 녹조류 66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Aulacoseira distans 320 Navicula cryptocephala 53 Aulacoseira ambigua 40 Cyclotella sp. 27 Navicula cryptotenella 13 Dispora crucigenioides 53 Staurastrum cingulum 13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319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보성강호 조사일 11월 9일 지점명 보성강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92 녹조류 108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Synedra acus 40 Cyclotella sp. 13 Fragilaria crotonensis 13 Aulacoseira ambigua 13 Achnanthes lanceolata 13 Scenedesmus sp. 53 Scenedesmus 27 bicaudatus Scenedesmus grahneisii Monoraphidium arcuatum 27 1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320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보성강호 조사일 11월 9일 지점명 보성강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506 녹조류 133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Aulacoseira ambigua 240 Aulacoseira distans 213 Synedra acus 27 Navicula pupula 13 Fragilaria crotonensis 13 Pediastrum tetras 107 Monoraphidium 13 arcuatum Tetraedron minimum 13 계수단위 4) Phormidium tenue 13 남조류 13 Peridinium tabulatum 1 와편모조류 1 기타 조류 66 Kephyrion rubri-claustri 53 Trachelomonas stokesii 13-321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11월 7일 지점명 상사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533 녹조류 142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Fragilaria crotonensis 467 Aulacoseira distans 27 Aulacoseira ambigua 13 Navicula notha 13 Cymbella silesiaca 13 Closterium biclavatum 133 Scenedesmus 5 acutiformis Staurastrum cingulum 4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1 Trachelomonas volvocina 1-322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11월 7일 지점명 상사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47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distans 80 Achnanthes 40 minutissima Aulacoseira granulata 13 Navicula exilis 13 Fragilaria crotonensis 1 계수단위 4) 녹조류 0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323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11월 5일 지점명 수어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401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distans 307 Cyclotella sp. 53 Aulacoseira granulata 15 Fragilaria crotonensis 13 Asterionella formosa 13 계수단위 4) 녹조류 0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324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11월 5일 지점명 수어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141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distans 93 Nitzschia palea 27 Cyclotella sp. 13 Asterionella formosa 7 Gomphonema 1 truncatum 계수단위 4) 녹조류 0 Microcystis protea 3736 남조류 3,736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325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하동호 조사일 11월 5일 지점명 하동호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309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distans 200 Cyclotella sp. 107 Cyclotella stelligera 1 Navicula cryptotenella 1 계수단위 4) Dictyospharium pulchellum 31 녹조류 31 남조류 0 와편모조류 40 Peridinium sp. 27 Peridinium tabulatum 13 기타 조류 0-326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11월 11일 지점명 탐진호 1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750 녹조류 860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Fragilaria crotonensis 347 Aulacoseira ambigua 227 Aulacoseira distans 107 Cyclotella sp. 53 Aulacoseira granulata 16 Dictyospharium 801 pulchellum Tetraedron minimum 40 Staurastrum cingulum 13 Scenedesmus 5 acutiformis Monoraphidium arcuatum 1 계수단위 4) 남조류 0 Peridinium sp. 1 와편모조류 1 Trachelomonas robusta 1 기타 조류 1-327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11월 11일 지점명 탐진호 2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414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distans 254 Aulacoseira ambigua 107 Cyclotella sp. 40 Achnanthes 13 minutissima 계수단위 4) 녹조류 240 Pediastrum duplex 200 var. gracillimum Scenedesmus 27 grahneisii Tetraedron minimum 13 남조류 0 와편모조류 160 Peridinium bipes f. occulatum 147 Peridinium sp. 13 기타 조류 0-328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11월 11일 지점명 탐진호 3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251 녹조류 152 우점종출현량 3 우점종명 2) ) ( 세포수/ ml) Cyclotella sp. 133 Aulacoseira distans 53 Stephanodiscus sp. 53 Asterionella formosa 11 Synedra acus 1 Dictyospharium 80 pulchellum Scenedesmus 53 grahneisii Ourococcus bicaudatus 13 Pediastrum tetras 5 Tetraedron minimum 1 Microcystis aeruginosa 2402 계수단위 4) 남조류 2,402 Peridinium sp. 1 와편모조류 1 기타 조류 1 Trachelomonas volvocina 1-329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11월 11일 지점명 탐진호 4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252 녹조류 219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Cyclotella sp. 133 Aulacoseira ambigua 53 Aulacoseira distans 40 Synedra acus 13 Nitzschia palea 13 Coelastrum astroideum 147 Tetraedron minimum 27 Staurastrum 27 planctonicum var. ornatum Closterium gracile 13 Scenedesmus minutus 5 계수단위 4)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1 Trachelomonas volvocina 1-330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백운제 조사일 11월 5일 지점명 백운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881 녹조류 6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Melosira varians 267 Aulacoseira ambigua 227 Aulacoseira distans 173 Aulacoseira granulata 147 Cyclotella sp. 67 Euastrum sp. 3 Closterium aciculare 3 계수단위 4) Phormidium sp. 547 남조류 547 와편모조류 147 Peridinium bipes f. occulatum 80 Peridinium sp. 67 기타 조류 213 Dinobryon divergens 200 Trachelomonas 13 volvocina - 331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장수제 조사일 11월 7일 지점명 장수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83 녹조류 57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distans 27 Cyclotella sp. 27 Nitzschia palea 13 Fragilaria crotonensis 13 Asterionella formosa 3 Scenedesmus 27 quadricauda Monoraphidium griffithii 27 Scenedesmus 3 acuminatus var. elongatus 계수단위 4) Microcystis wesenbergii 45768 남조류 45,768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0-332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11월 9일 지점명 지정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216 녹조류 400 남조류 4,163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ambigua 120 Asterionella formosa 40 Cyclotella sp. 27 Aulacoseira granulata 16 Fragilaria capucina 13 Scenedesmus dispar 160 Scenedesmus 107 quadricauda var. parvus Scenedesmus opoliensis Scenedesmus ovalterus var. graevenitzii Scenedesmus abundans Phormidium valderianum 53 53 27 2562 var. tenuis Microcystis aeruginosa 1601 계수단위 4)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134 Trachelomonas 120 volvocina Trachelomonas 13 pavlovskoensis Trachelomonas robusta 1-333 -

< 식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수동제 조사일 11월 9일 지점명 수동제 분석자 이학영, 조인숙, 송요한 분류군명 총출현량1) ( 세포수/ ml) 규조류 306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 3) ( 세포수/ ml) Aulacoseira ambigua 173 Cyclotella sp. 53 Stephanodiscus sp. 40 Aulacoseira distans 27 Fragilaria sp. 13 계수단위 4) 녹조류 0 남조류 0 와편모조류 0 기타 조류 14 Trachelomonas 13 volvocina Trachelomonas sp. 1-334 -

부록 3. 식물플랑크톤 1차 4차 조사시기별 출현종 목록 Bacillariophyceae 1차 2차 3차 4차 Acanthoceras zachariasii + Achnanthes catenata + + + + Achnanthes clevei + Achnantheslanceolata + + + Achnanthes minutissima + + + + Achnanthesminutissima var. jackii + Achnanthes subhudsonis + Asterionella formosa + + + + Aulacoseira ambigua + + + + Aulacoseira distans + + + + Aulacoseira granulata + + + + Aulacoseiragranulata var. angustssima + Aulacoseira sp. + Aulacoseira subarctica + Caloneis bacillum + + Caloneis silicula + Caloneis sp. + +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 + + Cocconeis sp. + Cyclotella comta + + Cyclotella meneghiniana + Cyclotella radiosa + Cyclotella sp. + + + + Cyclotella stelligera + + + + Cyclostephanos sp. + Cymbella affinis + + Cymbella aspera + + Cymbella hustedtii + Cymbella hungarica + Cymbella loptoceros + Cymbella mesiana + Cymbella minuta + + Cymbella naviculiformis + + Cymbella silesiaca + + + Cymbella sp. + Cymbella tumida + - 335 -

1차 2차 3차 4차 Cymbella turgidula + + Diploneis sp. + + Eunotia acus + Eunotia flexuosa + Fragilaria capucina + + + Fragilariacapucina var. gracillis + + Fragilariacapucina var. vaucheriae + Fragilaria construens var. binodis + Fragilaria crotonensis + + + + Fragilaria crotonensis var. oregona + Fragilaria parasitica + Fragilaria sp. + + Fragilaria tenera + Fragilaria vaucheriae + Frustulia rhomboides + Gomphonema acuminatum + + Gomphonema clavatum + + Gomphonema clevei + + Gomphonema gracile + + + Gomphonema inaequilongum + Gomphonema parvulum + + + Gomphonema pseudosphaerophorum + Gomphonema quadripunctatum + + Gomphonema sp. + + + + Gomphonema truncatum + + Gyrosigma sp. + + Gyrosigma spencerii + Hannaea acus var. recta + Hantzschia amphioxys + Melosira varians + + + Meridion circulare + Navicula amphiceropsis + Navicula cincta + Navicula cryptocephala + + + Navicula cryptotenella + + + + Navicula cuspidata var. ambigua + Navicula exilis + Navicula gregaria + + + + - 336 -

Navicula hasta var. gracilis + + Navicula lanceolata + Navicula minima + Navicula neoventricosa + 1차 2차 3차 4차 Naviculan otha + Navicula parablis + Navicula pseudolanceolata + Navicula pupula + + Navicula pupula var. capitata + Navicula pupula var. mutata + Navicula radiosa + Navicula rhynchocephala + + Navicula sp. + + + Navicula trivalis + Nitzschia acicularis + + + Nitzschia amphibia + + + Nitzschia gracilis + + Nitzschia hantzschiana + Nitzschia palea + + + + Nitzschia sp. + Nitzschia umbonata + Pinnularia gibba + + Pinnularia sp. + + Rhizosolenia longiseta + Stenopterobia intermedia + Stephanodiscus hantzchii + Stephanodiscus sp. + + Surirella angusta + Surirella biseriata + Surirella minuta + Surirella robusta + Surirella sp. + + Surirella splendida + Synedra acus + + + + Synedra acus var. angusitissima + Synedra acus var. radians + Synedra denticatissima var. angustissima + Synedra fasciculata + - 337 -

Synedra inaequalis + + Synedra radians + 1차 2차 3차 4차 Synedra ulna + + + Tabellaria fenestrata + + Chlorophyceae Actinastrum hantzschii + + + Ankistrodesmus falcatus + Chlamydomonas angulosa + Chlorella sp. + Chodatella longiseta + Closteriopsis longissima + Closterium aciculare + + Closterium biclavatum + Closterium gracile + + + Closterium sp. + + + Coelastrum aphericum + Coelastrum astroideum + + + Coelastrum microporum + + Coelastrum pulchrum + Coelastrum sp. + Coelastrum sphericum + Coenochloris mucosa + Cosmarium bioculatum var. depressum + Cosmarium regnellii + Cosmarium sp. + Cosmarium subtumidum var. rotundum + Cosmarium tinctum + Cosmarium tinctum var. tumidum + Crucigenia fenestrata + Crucigenia tetrapedia + + Dictyospharium pulchellum + + + Dictyospharium tetrachotomum + Didymocystis inermis var. danubialis + Dispora crucigenioides + Dispora cuneiformis + + + Euastrum geometricum var. elaboratum + Euastrum sibiricum + Euastrum sp. + - 338 -

1차 2차 3차 4차 Eudorina elegans + Eudorina unicocca + Golenkinia brevispina + + Golenkinia cambricum + Golenkinia radiata + Gonium pectorale + Gomphosphaeria lacustris + Kirchneriella contorta var. elongata + Kirchneriella sp. + Koliella concortica + Micractinium pusillum + Micractinium quadrisetum + + Monoraphidium arcuatum + + + + Monoraphidium caribeum + Monoraphidium contortum + + + + Monoraphidium griffithii + + + + Monoraphidium litorale + Nephrocytium limneticum + Oocystis lacustris + Oocystis ovalis + Oocystis solitaria + Oocystis sp. + Ourococcus bicaudatus + Pandorina morum + + Pediastrum duplex + + + Pediastrum duplex var. gracillimum + Pediastrum duplex var. rotundatum + Pediastrum simplex var. echinulatum + + + Pediastrum tetras + + + + Rhaphidonema nivale + Scenedesmus abundans + + + Scenedesmus acuminatus + + + Scenedesmus acuminatus var. maximus + Scenedesmus acuminatus var. elongatus + Scenedesmus acuminatus var. platidisca + Scenedesmus acutiformis + + + + Scenedesmus arcuatus + Scenedesmus arcuatus var. platidisa + + - 339 -

Scenedesmus armatus var. ecornis + 1차 2차 3차 4차 Scenedesmus bicaudatus + + Scenedesmus carinatus + Scenedesmus denticulatus + Scenedesmus dimorphus + Scenedesmus dispar + Scenedesmus ecornis + + Scenedesmus ecornis var. disciformis + Scenedesmus grahneisii + + + Scenedesmus guadricauda + Scenedesmus incrassatulus + + + Scenedesmus intermedius + Scenedesmus javanensis + Scenedesmus kissii + Scenedesmus minutus + + Scenedesmus opoliensis + + + Scenedesmus opoliensis var. mononensis + Scenedesmus ovalterus var. graevenitzii + Scenedesmus polydenticulatus + + Scenedesmus producto-capitatus + + Scenedesmusquadricauda + + + + Scenedesmus quadricauda var. biornatus + Scenedesmus quadricauda var. longispina + Scenedesmus quadricauda var. longispina f. regularis + Scenedesmus quadricauda var. parvus + + Scenedesmus quadrispina + Scenedesmus spinosus + Scenedesmus spinosus var. bicaudatus + Scenedesmus sp. + Schroederia setigera + Staurastrum cingulum + Straurastrum dimazum + Staurastrum duacense var. divergens + Staurastrum perundulatum + Staurastrum pingue + Staurastrum planctonicum var. ornatum + + Staurastrum polymorphum var. cinctum + Staurastrum sp. + + + - 340 -

1차 2차 3차 4차 Staurastrum subcruciatum + Tetraedron minimum + + + + Tetraedron trigonum + Tetrastrum elegans + + Tetrastrum komarekii + Treubaria euryacantha + Cyanophyceae Anabaena aequalis + Anabaena macrospora + Anabaena macrospora var. crassa + Anabaena planctonica + Aphanocapsa biformis + Aphanocapsa nidulans + Aphanothece clathrata + + Aphanothece sp. + Chroococcus minimus + Chroococcus turgidus + Chroococcus turgidus var. thermalis + Gloeocapsa arenaria + Lyngbya limnetica + Merismopedia tenuissima + + Microcystis aeruginosa + + Microcystis protea + Microcystis wesenbergii + + + Oscillatoria geminata + Oscillatoria hamelii + Phormidium lapideum + Phormidium lapideum var. amorphum + Phormidium planctonica + Phormidium sp. + + Phormidium tenue + Phormidium tenue f. non-constrictrictum + Phormidium valderianum var. tenuis + + Synechococcus praelongus + Chrysophyceae Dinobryon bavaricum + Dinobryon cylindrica + Dinobryon cylindricum var. palustre + - 341 -

1차 2차 3차 4차 Dinobryon divergens + + + Dinobryon serturalia + Dinobryon sociale + Dinobryon sp. + Kephyrion rubri-claustri + + Synura sp. + Dinophyceae Ceratinium hirundinella + Peridinium aciculiferum + Peridinium bipes f. occulatum + Peridinium cunnigtonii + + Peridinium polonicum + + Peridinium sp. + + + Peridinium tabulatum + + + Peridinium volzii + Euglenophyceae Euglena acus + Euglena proxima + Euglena sp. + + Lepocinclis spirogyra + Lepocinclis varians + Trachelomonas arnoldina + Trachelomonas bacillifera + Trachelomonas dastuguei + Trachelomonas dybowskii + Trachelomonas intermedia var. papillifera + Trachelomonas oblonga + + + + Trachelomonas pavlovskoensis + + Trachelomonas polonicum + Trachelomonas robusta + Trachelomonas sp. + + + Trachelomonas stokesii + + Trachelomonas varians + + Trachelomonas varians f. acuminata + Trachelomonas volvocina + + + + Trachelomonas willei + - 342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4월 1일 지점명 동복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179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120 Keratella cochlearis 48 비고 4) Bosmina longirostris 3 지각류 3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0 분류군명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6월 15일 지점명 동복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136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Filinia terminalis 75 Trichocerca elongata 20 비고 4) Bosmina longirostris 3 지각류 3 Thermocyclops hyalinus 3 요각류 3 기타 ( 요각류유생) 0-343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8월 31일 지점명 동복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679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Keratella cochlearis 376 Polyarthra sp. 219 Trichocerca sp. 61 비고 4) 지각류 0 Thermocyclops hyalinus 12 요각류 12 기타 ( 요각류유생) 12 분류군명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11월 10일 지점명 동복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217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Keratella cochlearis 167 Polyarthra sp. 36 비고 4) Bosmina longirostris 18 지각류 18 Thermocyclops hyalinus 18 요각류 18 기타 ( 요각류유생) 99-344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4월 1일 지점명 동복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112 비고 4) 윤충류 137 Bosmina longirostris 3 지각류 3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3 분류군명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6월 15일 지점명 동복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131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Filinia terminalis 86 Polyarthra sp. 15 비고 4) Bosmina longirostris 7 지각류 7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0-345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8월 31일 지점명 동복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167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54 Trichocerca sp. 51 Keratella cochlearis 39 비고 4) 지각류 0 Thermocyclops hyalinus 6 요각류 6 기타 ( 요각류유생) 12 분류군명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11월 10일 지점명 동복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Keratella cochlearis 63 비고 4) 윤충류 95 지각류 0 Thermocyclops hyalinus 4 요각류 4 기타 ( 요각류유생) 25-346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소포제 조사일 3월 21일 지점명 소포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238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Filinia terminalis 79 Brachionus angularis 57 Polyarthra sp. 44 비고 4) Bosmina longirostris 3 지각류 3 Mesocyclops leukarti 13 요각류 13 기타 ( 요각류유생) 54 분류군명 호소명 소포제 조사일 6월 6일 지점명 소포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1,991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1,045 Keratella cochlearis 551 Brachionus angularis 166 비고 4)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388-347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소포제 조사일 8월 21일 지점명 소포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458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Brachionus diversicornis 248 Polyarthra sp. 144 비고 4) 지각류 0 Thermocyclops hyalinus 39 요각류 39 기타 ( 요각류유생) 24 분류군명 호소명 소포제 조사일 11월 6일 지점명 소포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1,194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921 Keratella cochlearis 178 비고 4) Bosmina longirostris 17 지각류 17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11-348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군곡제 조사일 3월 29일 지점명 군곡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73 비고 4) 윤충류 79 Bosmina longirostris 3 지각류 3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3 분류군명 호소명 군곡제 조사일 6월 6일 지점명 군곡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Keratella cochlearis 312 비고 4) 윤충류 408 Bosmina longirostris 33 지각류 33 Thermocyclops hyalinus 54 요각류 54 기타 ( 요각류유생) 123-349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군곡제 조사일 8월 21일 지점명 군곡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Trichocerca sp. 139 비고 4) 윤충류 198 Bosmina longirostris 8 지각류 8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29 분류군명 호소명 군곡제 조사일 11월 6일 지점명 군곡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633 비고 4) 윤충류 667 Bosmina longirostris 50 지각류 50 Thermocyclops hyalinus 19 요각류 19 기타 ( 요각류유생) 19-350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3월 25일 지점명 주암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Cocnochiloides dossuarius 11 비고 4) 윤충류 11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5 분류군명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6월 24일 지점명 주암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31 비고 4) 윤충류 45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0-351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8월 25일 지점명 주암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440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266 Keratella cochlearis 131 비고 4) Diaphanosoma brachyurum 51 지각류 63 Thermocyclops hyalinus 47 요각류 47 기타 ( 요각류유생) 55 분류군명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11월 10일 지점명 주암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171 비고 4) 윤충류 176 Bosmina longirostris5 지각류 5 Thermocyclops hyalinus 5 요각류 5 기타 ( 요각류유생) 0-352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3월 25일 지점명 주암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61 비고 4) 윤충류 71 Bosmina longirostris 5 지각류 5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5 분류군명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6월 24일 지점명 주암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494 비고 4) 윤충류 549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5-353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8월 25일 지점명 주암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Trichocerca sp. 10 비고 4) 윤충류 20 지각류 0 Thermocyclops hyalinus 15 요각류 15 기타 ( 요각류유생) 5 분류군명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11월 10일 지점명 주암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65 비고 4) 윤충류 75 Bosmina longirostris 5 지각류 5 Thermocyclops haylinus 5 요각류 5 기타 ( 요각류유생) 5-354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3월 25일 지점명 주암호 st3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118 비고 4) 윤충류 146 지각류 0 Thermocyclops hyalinus 5 요각류 5 기타 ( 요각류유생) 0 분류군명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6월 24일 지점명 주암호 st3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5 비고 4) 윤충류 5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0-355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8월 25일 지점명 주암호 st3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60 비고 4) 윤충류 95 Bosmina longirostris 10 지각류 10 Thermocyclops hyalinus 10 요각류 10 기타 ( 요각류유생) 20 분류군명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11월 10일 지점명 주암호 st3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189 비고 4) 윤충류 245 Daphnia galeata 5 지각류 5 Thermocyclops hyalinus 31 요각류 31 기타 ( 요각류유생) 0-356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보성강 조사일 3월 28일 지점명 보성강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Keratella cochlearis 147 비고 4) 윤충류 281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3 분류군명 호소명 보성강 조사일 6월 10일 지점명 보성강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691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472 Keratella cochlearis 160 비고 4) Diaphanosoma brachyurum 35 지각류 56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17-357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보성강 조사일 8월 23일 지점명 보성강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196 비고 4) 윤충류 288 지각류 0 Thermocyclops hyalinus 10 요각류 10 기타 ( 요각류유생) 0 분류군명 호소명 보성강 조사일 11월 9일 지점명 보성강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48 비고 4) 윤충류 68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3-358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보성강 조사일 3월 28일 지점명 보성강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35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Asplanchna sp. 7 Colurella sp. 7 Polyarthra sp. 7 비고 4)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2 분류군명 호소명 보성강 조사일 6월 10일 지점명 보성강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214 비고 4) 윤충류 240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4-359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보성강 조사일 8월 23일 지점명 보성강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159 비고 4) 윤충류 218 Diaphanosoma brachyurum 7 지각류 7 Thermocyclops hyalinus 7 요각류 7 기타 ( 요각류유생) 13 분류군명 호소명 보성강 조사일 11월 9일 지점명 보성강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56 비고 4) 윤충류 63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0-360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3월 29일 지점명 상사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비고 4) 윤충류 0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0 분류군명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6월 15일 지점명 상사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10 비고 4) 윤충류 10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0-361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8월 18일 지점명 상사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132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Keratella cochlearis 66 Polyarthra sp. 46 비고 4)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5 분류군명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11월 7일 지점명 상사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34 비고 4) 윤충류 39 Diaphanosoma brachyurum 5 지각류 5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0-362 -

분류군명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3월 29일 지점명 상사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20 비고 4) 윤충류 36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0 분류군명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6월 15일 지점명 상사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10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leosoma truncatum 5 Polyarthra sp. 5 비고 4)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10-363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8월 18일 지점명 상사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1,284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830 Keratella cochlearis 223 Keratella valga 122 비고 4) Camptocercus rectirostris 9 지각류 9 Thermocyclops hyalinus 52 요각류 52 기타 ( 요각류유생) 61 분류군명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11월 7일 지점명 상사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10 비고 4) 윤충류 31 지각류 0 Thermocyclops hyalinus 5 요각류 5 기타 ( 요각류유생) 0-364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3월 30일 지점명 수어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Hexarthra mira 100 비고 4) 윤충류 147 Bosmina longirostris 10 지각류 1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0 분류군명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6월 11일 지점명 수어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95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50 Keratella cochlearis 40 비고 4)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15-365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8월 17일 지점명 수어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909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305 Keratella cochlearis 284 Hexarthra mira 242 비고 4) 지각류 0 Thermocyclops hyalinus 16 요각류 16 기타 ( 요각류유생) 126 분류군명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11월 5일 지점명 수어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Colurella obtusa 14 비고 4) 윤충류 23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0-366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3월 30일 지점명 수어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Hexarthra mira 30 비고 4) 윤충류 45 Bosmina longirostris 10 지각류 1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0 분류군명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6월 11일 지점명 수어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375 비고 4) 윤충류 404 지각류 10 Bosmina longirostris 5 Ceriodaphnia sp. 5 Thermocyclops hyalinus 19 요각류 19 기타 ( 요각류유생) 48-367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8월 17일 지점명 수어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70 비고 4) 윤충류 119 Diaphanosoma brachyurum 5 지각류 5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5 분류군명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11월 5일 지점명 수어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10 비고 4) 윤충류 10 Camptocercus rectirostris 5 지각류 5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0-368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하동호 조사일 3월 23일 지점명 하동호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Keratella cochlearis 30 비고 4) 윤충류 35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0 분류군명 호소명 하동호 조사일 6월 12일 지점명 하동호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80 비고 4) 윤충류 90 지각류 0 Thermocyclops hyalinus 10 요각류 10 기타 ( 요각류유생) 15-369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하동호 조사일 8월 25일 지점명 하동호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77 비고 4) 윤충류 97 지각류 0 Thermocyclops hyalinus 15 요각류 15 기타 ( 요각류유생) 5 분류군명 호소명 하동호 조사일 11월 5일 지점명 하동호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10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Keratella cochlearis 5 Polyarthra sp. 5 비고 4) 지각류 0 Thermocyclops hyalinus 10 요각류 10 기타 ( 요각류유생) 0-370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3월 30일 지점명 탐진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Keratella cochlearis 37 비고 4) 윤충류 37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3 분류군명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6월 17일 지점명 탐진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1,436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Conochiloides dossuarius 744 Polyarthra sp. 408 Hexarthra mira 131 비고 4) Bosmina longirostris 11 지각류 11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37-371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9월 9일 지점명 탐진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109 비고 4) 윤충류 195 Bosmina longirostris 5 지각류 5 Thermocyclops hyalinus 5 요각류 5 기타 ( 요각류유생) 40 분류군명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11월 11일 지점명 탐진호 st1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611 비고 4) 윤충류 663 Bosmina longirostris 10 지각류 10 Thermocyclops hyalinus 17 요각류 17 기타 ( 요각류유생) 31-372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3월 30일 지점명 탐진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Keratella cochlearis 209 비고 4) 윤충류 221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3 분류군명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6월 17일 지점명 탐진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1,362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789 Conochiloides dossuarius 268 비고 4)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19-373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9월 9일 지점명 탐진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52 비고 4) 윤충류 87 Ceriodaphnia sp. 3 지각류 3 Thermocyclops hyalinus 21 요각류 21 기타 ( 요각류유생) 56 분류군명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11월 11일 지점명 탐진호 st2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1,422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1,304 Keratella cochlearis 103 비고 4)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7-374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3월 30일 지점명 탐진호 st3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Keratella cochlearis 211 비고 4) 윤충류 224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3 분류군명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6월 17일 지점명 탐진호 st3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1,717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Conochiloides dossuarius 813 Polyarthra sp. 582 Hexarthra mira 151 비고 4) Bosmina longirostris 13 지각류 13 Thermocyclops hyalinus 10 요각류 10 기타 ( 요각류유생) 59-375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9월 9일 지점명 탐진호 st3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203 비고 4) 윤충류 335 Bosmina longirostris 18 지각류 18 Thermocyclops hyalinus 6 요각류 6 기타 ( 요각류유생) 31 분류군명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11월 11일 지점명 탐진호 st3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1,777 비고 4) 윤충류 1,859 지각류 0 Thermocyclops hyalinus 3 요각류 3 기타 ( 요각류유생) 41-376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3월 30일 지점명 탐진호 st4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Keratella cochlearis 127 비고 4) 윤충류 136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3 분류군명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6월 17일 지점명 탐진호 st4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1,683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Conochiloides dossuarius 811 Polyarthra sp. 582 Hexarthra mira 115 비고 4) Bosmina longirostris 12 지각류 12 Thermocyclops hyalinus 12 요각류 12 기타 ( 요각류유생) 27-377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9월 9일 지점명 탐진호 st4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117 비고 4) 윤충류 167 Bosmina longirostris 19 지각류 38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42 분류군명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11월 11일 지점명 탐진호 st4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516 비고 4) 윤충류 558 Bosmina longirostris 7 지각류 7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7-378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백운제 조사일 3월 31일 지점명 백운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Keratella cochlearis 625 비고 4) 윤충류 670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0 분류군명 호소명 백운제 조사일 6월 11일 지점명 백운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521 비고 4) 윤충류 554 Bosmina longirostris 9 지각류 9 Thermocyclops hyalinus 38 요각류 38 기타 ( 요각류유생) 38-379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백운제 조사일 8월 17일 지점명 백운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174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95 Keratella cochlearis 45 비고 4) 지각류 0 Thermocyclops hyalinus 5 요각류 5 기타 ( 요각류유생) 10 분류군명 호소명 백운제 조사일 11월 5일 지점명 백운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5 비고 4) 윤충류 5 Ceriodaphnia rigaudi 5 지각류 5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5-380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장수제 조사일 3월 31일 지점명 장수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164 비고 4) 윤충류 280 지각류 0 Mesocyclops leuckarti 58 요각류 58 기타 ( 요각류유생) 21 분류군명 호소명 장수제 조사일 6월 15일 지점명 장수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284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95 Brachionus rubens 80 비고 4) Camptocercus rectirostris 35 지각류 45 Thermocyclops hyalinus 10 요각류 10 기타 ( 요각류유생) 35-381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장수제 조사일 8월 18일 지점명 장수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664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363 Trichocerca sp. 148 Keratella valga 121 비고 4)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26 분류군명 호소명 장수제 조사일 11월 7일 지점명 장수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Keratella cochlearis 20 비고 4) 윤충류 24 Camptocercus rectirostris 34 지각류 34 Thermocyclops hyalinus 5 요각류 5 기타 ( 요각류유생) 10-382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3월 28일 지점명 지정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55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Brachionus rubens 18 Notholca labis 14 비고 4) 지각류 0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9 분류군명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6월 10일 지점명 지정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4,348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Keratella cochlearis 2,332 Polyarthra sp. 1,618 비고 4) Bosmina longirostris 5 지각류 5 Thermocyclops hyalinus 18 요각류 18 기타 ( 요각류유생) 215-383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8월 23일 지점명 지정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윤충류 291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Keratella cochlearis 139 Polyarthra sp. 139 비고 4) 지각류 0 Thermocyclops hyalinus 4 요각류 4 기타 ( 요각류유생) 61 분류군명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11월 9일 지점명 지정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Keratella cochlearis 362 비고 4) 윤충류 530 지각류 0 Thermocyclops hyalinus 7 요각류 7 기타 ( 요각류유생) 11-384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수동제 조사일 3월 28일 지점명 수동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64 비고 4) 윤충류 105 Bosmina longirostris 3 지각류 3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86 분류군명 호소명 수동제 조사일 6월 10일 지점명 수동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326 비고 4) 윤충류 500 Chydorus sphaericus 9 지각류 13 Thermocyclops hyalinus 9 요각류 9 기타 ( 요각류유생) 22-385 -

분류군명 < 동물플랑크톤 조사표> 호소명 수동제 조사일 8월 23일 지점명 수동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188 비고 4) 윤충류 253 Bosmina longirostris 15 지각류 15 요각류 0 기타 ( 요각류유생) 30 분류군명 호소명 수동제 조사일 11월 6일 지점명 수동제 분석자 김 현 우 총출현량 1) ( 개체/L) 우점종명 2) 우점종출현량3) ( 개체/L) Polyarthra sp. 11 비고 4) 윤충류 18 Camptocercus rectirostris 4 지각류 4 Thermocyclops hyalinus 18 요각류 18 기타 ( 요각류유생) 0-386 -

조사표 양식 2-18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동 복 호 조사일 2009. 03. 16 지점명 야 사 교 분석자 김 종 선 출현개체수 생체량 현존량 분류군 밀도 2) 코드 1) 종 명 1) ( 개체/ 코드 1) 1) 우점종명 개체수 m 2 현존량 ) Hirudo nipponica 6 Chironomus 1sp. 315 환형 Ecdyonurus levis 57 동물류 비 고 3) 연체 동물류 절지 동물류 Pomacea canaliculata 5 Semisulcospira libertina 51 Lymnaea auricularia 6 Gyraulus chinensis 1 Corbicula fluminea 1 Asellus hilgendorfii 30 Baetis fuscatus 26 Ecdyonurus levis 57 Epeorus pellucidus 32 Ephemera orientalis 2 Cincticostella levanidovae 1 Mataeopsephus KUa 17 Antocha KUa 4 Simulium sp. 27 Chironomus 1sp. 315 Chironomus 2sp. 17 Chironomus 3sp. 41 Cheumatopsyche brevilineata 6 Limnephilus KUa 1 기타 Dugesia japonica 7 군집 분석 우점도지수 DI 종풍부도지수 R1 다양도지수 H' 균등도지수 J' 생태점수 4) ESB 0.57 3.09 2.86 0.65 54-387 -

조사표 양식 2-18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소 포 제 조사일 2009. 03. 17 지점명 해 창 리 분석자 김 종 선 출현개체수 분류군 코드 1 밀도 2) ) 종 명 1) ( 개체/ m 2 ) 환형 동물류 생체량 현존량 코드 1) 1) 우점종명 개체수 현존량 Macrobrachium nipponense 6 Asellus hilgendorfii 2 비 고 3) 연체 동물류 Lymnaea auricularia 1 Asellus hilgendorfii 2 Macrobrachium nipponense 6 절지 동물류 기타 군집 분석 우점도지수 DI 종풍부도지수 R1 다양도지수 H' 균등도지수 J' 생태점수 4) ESB 0.89 0.91 1.22 0.77 6-388 -

조사표 양식 2-18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군 곡 제 조사일 2009. 03. 17 지점명 해 원 리 분석자 김 종 선 2) 출현개체수 분류군 코드 1) 종 명 1) 밀도 ( 개체/ m 2 ) 환형 동물류 생체량 현존량 코드 1) 1) 우점종명 개체수 현존량 Chironomus 1sp. 103 C. 2sp. 4 비 고 3) 연체 동물류 Lymnaea auricularia 3 Asellus hilgendorfii 1 Tipula KUa 2 Chironomus 1sp. 103 Chironomus 2sp. 4 절지 동물류 기타 군집 분석 우점도지수 DI 종풍부도지수 R1 다양도지수 H' 균등도지수 J' 생태점수 4) ESB 0.95 0.85 0.59 0.26 8-389 -

조사표 양식 2-18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주 암 호 조사일 2009. 03. 26 지점명 사 평 교 분석자 김 종 선 2) 출현개체수 분류군 코드 1) 종 명 1) 밀도 ( 개체/ m 2 ) 환형 동물류 생체량 현존량 코드 1) 1) 우점종명 개체수 현존량 Uracanthella rufa 172 Chironomus 1sp. 117 비 고 3) 연체 동물류 Semisulcospira libertina 4 절지 동물류 Ecdyonurus bajkovae 1 Ecdyonurus kibunensis 6 Ecdyonurus levis 3 Epeorus pellucidus 22 Rhoenanthus coreanus 33 Ephemera orientalis 4 Uracanthella rufa 172 Caenis KUa 3 Nihonogomphus KUa 2 Eubrianax KUa 1 Mataeopsephus KUa 1 Psephenoides KUa 3 Antocha KUa 2 Chironomus 1sp. 117 Chironomus 2sp. 3 Chironomus 3sp. 2 Cheumatopsyche brevilineata 83 Hydropsyche kozhantschikovi 16 Macronema radiatum 16 Rhyacophila nigrocephala 1 Glossosoma KUa 3 Goera japonica 6 기타 Dugesia japonica 9 군집 분석 우점도지수 DI 종풍부도지수 R1 다양도지수 H' 균등도지수 J' 생태점수 4) ESB 0.56 3.69 2.94 0.64 76-390 -

조사표 양식 2-18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보 성 강 호 조사일 2009. 03. 26 지점명 제 1 면 봉 교 분석자 김 종 선 출현개체수 2) 분류군 코드 1) 종 명 1) 밀도 ( 개체/ m 2 ) 환형 동물류 생체량 현존량 코드 1) 1) 우점종명 개체수 현존량 Glossiphonia complanata 1 Semisulcospira libertina 56 Hirudo nipponica 1 Chironomus 1sp. 34 비 고 3) 연체 동물류 Semisulcospira libertina 56 Ecdyonurus levis 5 Ranatra chinensis 1 Eubrianax KUa 1 Mataeopsephus KUa 1 Chironomus 1sp. 34 Chironomus 2sp. 4 Psilotreta kisoensis 2 절지 동물류 기타 군집 분석 우점도지수 DI 종풍부도지수 R1 다양도지수 H' 균등도지수 J' 생태점수 4) ESB 0.85 1.93 1.82 0.55 26-391 -

조사표 양식 2-18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상 사 호 조사일 2009. 03. 15 지점명 송 전 교 분석자 김 종 선 출현개체수 생체량 현존량 분류군 밀도 2) 코드 1) 종 명 1) ( 개체/ 코드 1) 1) 우점종명 개체수 m 2 현존량 ) Limnodrilus gotoi 1 Cheumatopsyche brevilineata 417 환형 Glossiphonia complanata 1 Chironomus 1sp. 82 동물류 비 고 3) 연체 동물류 절지 동물류 Semisulcospira libertina 6 Lymnaea auricularia 4 Physa acuta 3 Baetiella tuberculata 11 Baetis fuscatus 19 Ecdyonurus levis 17 Epeorus curvatulus 2 Epeorus pellucidus 11 Rhoenanthus coreanus 14 Ephemera orientalis 3 Cincticostella tshernovae 1 Uracanthella rufa 6 Psephenoides KUa 2 Antocha KUa 7 Simulium sp. 16 Chironomus 1sp. 82 Chironomus 2sp. 18 Chironomus 3sp. 5 Cheumatopsyche brevilineata 417 Hydropsyche kozhantschikovi 20 Hydropsyche orientalis 3 Hydropsyche valvta 33 기타 군집 분석 우점도지수 DI 종풍부도지수 R1 다양도지수 H' 균등도지수 J' 생태점수 4) ESB 0.71 3.51 2.46 0.54 69-392 -

조사표 양식 2-18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수 어 호 조사일 2009. 04. 04 지점명 황 죽 교 분석자 김 종 선 출현개체수 2) 분류군 코드 1) 종 명 1) 밀도 ( 개체/ m 2 ) 환형 동물류 연체 Lymnaea auricularia 1 동물류 Baetiella tuberculata 49 절지 동물류 Baetis ursinus 29 Nigrobaetis bacillus 4 Ecdyonurus bajkovae 3 Ecdyonurus kibunensis 16 Epeorus curvatulus 1 Epeorus pellucidus 3 Choroterpes altioculus 1 Cincticostella levanidovae 9 Drunella cryptomeria 1 Uracanthella rufa 108 Perlodes KUa 2 Mataeopsephus KUa 3 Antocha KUa 24 Chironomus 1sp. 67 Chironomus 2sp. 7 Chironomus 3sp. 14 Stenopsyche marmorata 3 Cheumatopsyche brevilineata 97 Hydropsyche kozhantschikovi 9 Hydropsyche orientalis 51 Hydropsyche valvta 12 Rhyacophila nigrocephala 9 생체량 현존량 코드 1) 1) 우점종명 개체수 현존량 Uracanthella rufa 108 Cheumatopsyche brevilineata 97 비 고 3) 기타 군집 분석 우점도지수 DI 종풍부도지수 R1 다양도지수 H' 균등도지수 J' 생태점수 4) ESB 0.39 3.67 3.51 0.77 78-393 -

조사표 양식 2-18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하 동 호 조사일 2009. 04. 04 지점명 금 남 교 분석자 김 종 선 출현개체수 2) 분류군 코드 1) 종 명 1) 밀도 ( 개체/ m 2 ) 환형 동물류 연체 동물류 Acentrella gnom 1 절지 동물류 Acentrella sibirica 6 Baetiella tuberculata 135 Baetis fuscatus 42 Baetis ursinus 32 Nigrobaetis bacillus 2 Ecdyonurus kibunensis 71 Ecdyonurus levis 1 Epeorus curvatulus 6 Epeorus pellucidus 10 Ephemera strigata 4 Cincticostella levanidovae 40 Uracanthella rufa 172 Nihonogomphus KUa 1 Mataeopsephus KUa 3 Antocha KUa 6 Simulium sp. 3 Chironomus 1sp. 77 Chironomus 2sp. 2 Chironomus 3sp. 9 Cheumatopsyche brevilineata 417 Hydropsyche kozhantschikovi 16 Hydropsyche orientalis 48 Rhyacophila nigrocephala 1 생체량 현존량 코드 1) 1) 우점종명 개체수 현존량 Cheumatopsyche brevilineata 417 Uracanthella rufa 172 비 고 3) 기타 Dugesia japonica 12 군집 분석 우점도지수 DI 종풍부도지수 R1 다양도지수 H' 균등도지수 J' 생태점수 4) ESB 0.53 3.42 3.07 0.66 80-394 -

조사표 양식 2-18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탐 진 호 조사일 2009. 04. 07 지점명 관 동 교 분석자 김 종 선 출현개체수 생체량 현존량 분류군 밀도 2) 코드 1) 종 명 1) ( 개체/ 코드 1) 1) 개체수 우점종명 m 2 현존량 ) 환형 Limnodrilus gotoi 8 Uracanthella rufa 285 동물류 Cheumatopsyche brevilineata 87 연체 Semisulcospira libertina 15 동물류 Semisulcospira tegulata 3 Acentrella sibirica 9 절지 동물류 Baetiella tuberculata 33 Baetis fuscatus 13 Ecdyonurus bajkovae 19 Ecdyonurus kibunensis 44 Ecdyonurus levis 1 Epeorus curvatulus 4 Epeorus pellucidus 67 Choroterpes altioculus 1 Ephemera strigata 1 Uracanthella rufa 285 Parachauliodes continentalis 4 Elmis sp. 3 Stenelmis sp. 1 Mataeopsephus KUa 6 Psephenoides KUa 5 Simulium sp. 2 Chironomus 1sp. 36 Chironomus 2sp. 4 Chironomus 3sp. 7 Cheumatopsyche brevilineata 87 Hydropsyche kozhantschikovi 5 Hydropsyche orientalis 4 Hydropsyche valvta 1 Macronema radiatum 1 Rhyacophila nigrocephala 30 기타 Dugesia japonica 1 군집 분석 우점도지수 DI 종풍부도지수 R1 다양도지수 H' 균등도지수 J' 비 고 3) 생태점수 4) ESB 0.53 4.43 3.20 0.65 97-395 -

조사표 양식 2-18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백 운 제 조사일 2009. 04. 04 지점명 봉 동 교 분석자 김 종 선 출현개체수 2) 분류군 코드 1) 종 명 1) 밀도 ( 개체/ m 2 ) 환형 동물류 생체량 현존량 코드 1) 1) 우점종명 개체수 현존량 Limnodrilus gotoi 1 Semisulcospira libertina 192 Chironomus 1sp. 22 비 고 3) 연체 동물류 절지 동물류 기타 군집 분석 Semisulcospira libertina 192 Acentrella sibirica 2 Baetis fuscatus 4 Ecdyonurus kibunensis 3 Ecdyonurus levis 12 Choroterpes altioculus 4 Paraleptophlebia chocolata 4 Potamanthus formosus 1 Rhoenanthus coreanus 2 Ephemera orientalis 1 Uracanthella rufa 7 Nihonogomphus KUa 2 Kiotina decorata 5 Mataeopsephus KUa 1 Tipula KUa 1 Simulium sp. 2 Chironomus 1sp. 22 Chironomus 2sp. 5 Cheumatopsyche brevilineata 8 Macronema radiatum 2 Rhyacophila nigrocephala 12 Glossosoma KUa 6 우점도지수 DI 종풍부도지수 R1 다양도지수 H' 균등도지수 J' 생태점수 4) ESB 0.72 3.86 2.33 0.52 70-396 -

조사표 양식 2-18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장 수 제 조사일 2009. 03. 15 지점명 신 호 2 교 분석자 김 종 선 출현개체수 생체량 현존량 분류군 밀도 2) 코드 1) 종 명 1) ( 개체/ 코드 1) 1) 우점종명 개체수 m 2 현존량 ) Limnodrilus gotoi 9 Chironomus 1sp. 472 환형 Glossiphonia complanata 6 Physa acuta 137 동물류 Hirudo nipponica 24 비 고 3) 연체 동물류 Stenothyra glabra 1 Lymnaea auricularia 10 Physa acuta 137 Chironomus 1sp. 472 Chironomus 2sp. 3 Chironomus 3sp. 4 절지 동물류 기타 군집 분석 우점도지수 DI 종풍부도지수 R1 다양도지수 H' 균등도지수 J' 생태점수 4) ESB 0.91 1.23 1.32 0.42 12-397 -

조사표 양식 2-18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지 정 제 조사일 2009. 04. 07 지점명 지 정 리 분석자 김 종 선 2) 출현개체수 분류군 코드 1) 종 명 1) 밀도 ( 개체/ m 2 ) 환형 동물류 생체량 현존량 코드 1) 1) 우점종명 개체수 현존량 Chironomus 1sp. 50 Chironomus 2sp. 23 비 고 3) 연체 동물류 Lymnaea auricularia 1 Macrobrachium nipponense 1 Uracanthella rufa 1 Chironomus 1sp. 50 Chironomus 2sp. 23 절지 동물류 기타 군집 분석 우점도지수 DI 종풍부도지수 R1 다양도지수 H' 균등도지수 J' 생태점수 4) ESB 0.96 0.92 1.17 0.50 9-398 -

조사표 양식 2-18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수 동 제 조사일 2009. 04. 07 지점명 삼 산 리 분석자 김 종 선 출현개체수 생체량 현존량 분류군 밀도 2) 코드 1) 종 명 1) ( 개체/ 코드 1) 1) 우점종명 개체수 m 2 현존량 ) Chaetogaster limnaei 6 Chironomus 1sp. 13 환형 Limnodrilus gotoi 2 Chaetogaster limnaei 6 동물류 비 고 3) 연체 동물류 Stenothyra glabra 1 Lymnaea auricularia 3 Macrobrachium nipponense 2 Chironomus 1sp. 13 절지 동물류 기타 군집 분석 우점도지수 DI 종풍부도지수 R1 다양도지수 H' 균등도지수 J' 생태점수 4) ESB 0.70 1.52 2.07 0.80 11-399 -

부록 6.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지점별 종 목록 종 명 / 지 점 동복 호 소포 제 군곡 제 주암 호 보성 강호 상사 호 수어 호 하동 호 탐진 호 백운 제 장수 제 지정 제 수동 제 계 Dugesia japonica 플라나리아 7 9 12 1 29 Pomacea canaliculata 왕우렁이 5 5 Stenothyra glabra 둥근입기수우렁이 1 1 2 Semisulcospira libertina 다슬기 51 4 56 6 15 192 324 S. tegulata 좀주름다슬기 3 3 Lymnaea auricularia 물달팽이 6 1 3 4 1 10 1 3 29 Physa acuta 왼돌이물달팽이 3 137 140 Gyraulus chinensis 또아리물달팽이 1 1 Corbicula fluminea 재첩 1 1 Chaetogaster limnaei 물지렁이 6 6 Limnodrilus gotoi 실지렁이 1 8 1 9 2 21 Glossiphonia complanata 갈색넓적거머리 1 1 6 8 Hirudo nipponica 참거머리 6 1 24 31 Asellus hilgendorfii 물벌레 30 2 1 33 Macrobrachium nipponense 징거미새우 6 1 2 9 Acentrella gnom 깨알하루살이 1 1 A. sibirica 콩알하루살이 6 9 2 17 Baetiella tuberculata 애호랑하루살이 11 49 135 33 228 Baetis fuscatus 개똥하루살이 26 19 42 13 4 104 B. ursinus 방울하루살이 29 32 61 Nigrobaetis bacillus 깜장하루살이 4 2 6 Ecdyonurus bajkovae 몽땅하루살이 1 3 19 23 E. kibunensis 두점하루살이 6 16 71 44 3 140 E. levis 네점하루살이 57 3 5 17 1 1 12 96 Epeorus curvatulus 흰부채하루살이 2 1 6 4 13 E. pellucidus 부채하루살이 32 22 11 3 10 67 145 Choroterpes altioculus 세갈래하루살이 1 1 4 6 Paraleptophlebia chocolata 두갈래하루살이 4 4 Potamanthus formosus 작은강하루살이 1 1 Rhoenanthus coreanus 강하루살이 33 14 2 49 Ephemera orientalis 동양하루살이 2 4 3 1 10 E. strigata 무늬하루살이 4 1 5 Cincticostella levanidovae 민하루살이 1 9 40 50 C. tshernovae 먹하루살이 1 1 Drunella cryptomeria 알통하루살이 1 1 Uracanthella rufa 등줄하루살이 172 6 108 172 285 7 1 751 Caenis KUa 등딱지하루살이 KUa 3 3 Nihonogomphus KUa 고려측범잠자리 KUa 2 1 2 5 Perlodes KUa 점등그물강도래 KUa 2 2 Kiotina decorata 무늬강도래 5 5 Ranatra chinensis 게아재비 1 1 Parachauliodes continentalis 대륙뱀잠자리 4 4 Elmis sp. 3 3 Stenelmis sp. 1 1 Eubrianax KUa 둥근물삿갓벌레 KUa 1 1 2 Mataeopsephus KUa 넓은물삿갓벌레 KUa 17 1 1 3 3 6 1 32-400 -

Psephenoides KUa 물삿갓벌레 KUa 3 2 5 10 Antocha KUa 명주각다귀 KUa 4 2 7 24 6 43 Tipula KUa 각다귀 KUa 2 1 3 Simulium sp. 27 16 3 2 2 50 Chironomus 1sp. 315 103 117 34 82 67 77 36 22 472 50 13 1,388 C. 2sp. 17 4 3 4 18 7 2 4 5 3 23 90 C. 3sp. 41 2 5 14 9 7 4 82 Stenopsyche marmorata 수염치레각날도래 3 3 Cheumatopsyche brevilineata 꼬마줄날도래 6 83 417 97 417 87 8 1,115 Hydropsyche kozhantschikovi 줄날도래 16 20 9 16 5 66 H. orientalis 동양줄날도래 3 51 48 4 106 H. valvta 흰점줄날도래 33 12 1 46 Macronema radiatum 큰줄날도래 16 1 2 19 Rhyacophila nigrocephala 검은머리물날도래 1 9 1 30 12 53 Glossosoma KUa 광택날도래 KUa 3 6 9 Goera japonica 가시날도래 6 6 Limnephilus KUa 모시우묵날도래 KUa 1 1 Psilotreta kisoensis 바수염날도래 2 2 계 653 9 113 513 106 702 523 1,117 700 299 666 76 27 5,504-401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백운제 조사일 2009년 05월 16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19 고마리 Polygonum thunbergii Sieb. et Zucc. 2 89 미나리 Oenanthe javanica (Blume) DC + 81 선피막이 Hydrocotyle maritima Honda + - 402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백운제 조사일 2009년 07월 20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209 개구리밥 Spirodela polyrhiza (L.) Schleiden 2 210 좀개구리밥 Lemna paucicostata (L.) Hegelmaier 2 53 자귀풀 Aeschynomene indica L. + 89 미나리 Oenanthe javanica (Blume) DC. + - 403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장수제 조사일 2009년 05월 10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49 논냉이 Cardamine lyrata Bunge. 19 고마리 Polygonum thunbergii Sieb. et Zucc. - 404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장수제 조사일 2009년 07월 25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89 미나리 Oenanthe javanica (Blume) DC + - 405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장수제 조사일 2009년 07월 25일 지점명 ST2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애기부들 우점도 2) 3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210 좀개구리밥 Lemna paucicostata (L.) Hegelmaier r 215 애기부들 Typha angustifolia L. + 19 고마리 Polygonum thunbergii Sieb. et Zucc. + 24 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tachiroei Fran. et Savat. r 정 수 식 물 - 406 -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수동제 조사일 2009년 05월 09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167 대가래 Potamogeton malaianus Miquel.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70 마름 Trapa japonica Flerov. 정 수 식 물 23 개구리자리 89 미나리 Ranunculus sceleratus Linnaeus. Oenanthe javanica (Blume) DC. - 407 -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수동제 조사일 2009년 05월 09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식 물 량 생 중 량 (g) 2) 수분함량 식물량 (g DM/m 2 ) 2)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대가래 167 170g 82.4 30g 마름 70 320g 87.5 40g 개구리자리 23 219g 82.2 39g 경 엽 부 밀도 방 형 구 당 경 엽 부 수 밀도 ( 개/m 2 )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대가래 167 26 26 마름 70 11 11 개구리자리 23 6 6-408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수동제 조사일 2009년 07월 23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19 고마리 Polygonum thunbergii Sieb. et Zucc. 1 89 미나리 Oenanthe javanica (Blume) DC 1-409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2009년 05월 09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70 마름 Trapa japonica Flerov. 98 어리연꽃 Nymphoides indica (L.) O. Kuntze. 정 수 식 물 198 나도겨풀 Leersia japonica Makino. 195 갈대 Phragmites australis. - 410 -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2009년 05월 09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식 물 량 생 중 량 (g) 2) 수분함량 식물량 (g DM/m 2 ) 2)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마름 70 146g 88.0 19g 경 엽 부 밀도 방 형 구 당 경 엽 부 수 밀도 ( 개/m 2 )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마름 70 8 8-411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2009년 07월 23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마름 우점도 2) 5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70 마름 Trapa japonica Flerov. 5 방형구1 98 어리연꽃 Nymphoides indica (L.) O. Kuntze 1 정 수 식 물 195 갈대 Phragmites australis. 2 196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 Steud. 2-412 -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2009년 07월 23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식 물 량 생 중 량 (g) 2) 수분함량 식물량 (g DM/m 2 ) 2)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마름 633 88.5 73 1 경 엽 부 밀도 방 형 구 당 경 엽 부 수 밀도 ( 개/m 2 )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마름 808-413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2009년 07월 23일 지점명 ST2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엽 식 물 70 마름 Trapa japonica Flerov. 4 98 어리연꽃 Nymphoides indica (L.) O. Kuntze 3 정 수 식 물 195 갈대 Phragmites australis. 2-414 -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2009년 07월 23일 지점명 ST2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식 물 량 생 중 량 (g) 2) 수분함량 식물량 (g DM/m 2 ) 2)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털물참새피 1021 87.6 127 경 엽 부 밀도 방 형 구 당 경 엽 부 수 밀도 ( 개/m 2 )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털물참새피 1960-415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2009년 07월 23일 지점명 ST3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37 붕어마름 Ceratophyllum demersum L. 2 157 검정말 Hydrilla verticillata (L. fil.) Royle 2 70 마름 Trapa japonica Flerov. 4 방형구1 정 수 식 물 - 416 -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2009년 07월 23일 지점명 ST3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식 물 량 생 중 량 (g) 2) 수분함량 식물량 (g DM/m 2 ) 2)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마름 1103 94.9 56 1 경 엽 부 밀도 종 명 1) 코드 1) 방 형 구 당 경 엽 부 수 밀도 개 ( /m 2 )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 417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군곡제 조사일 2009년 05월 09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70 마름 Trapa japonica Flerov. 극소수 발견. 정 수 식 물 198 나도겨풀 Leersia japonica Makino. 사면부하단. 195 갈대 Phragmites australis. 사면부하단 - 418 -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군곡제 조사일 2009년 05월 09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식 물 량 생 중 량 (g) 2) 수분함량 식물량 (g DM/m 2 ) 2)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나도겨풀 198 45g 54.8 25g 경 엽 부 밀도 방 형 구 당 경 엽 부 수 밀도 ( 개/m 2 )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나도겨풀 198 10 10-419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군곡제 조사일 2009년 07월 22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70 마름 Trapa japonica Flerov. + 201 줄 Zizania latifolia Turczaninow 2 방형구1 195 갈대 Phragmites australis. 2 방형구2 198 나도겨풀 Leersia japonica Makino. 1 81 선피막이 Hydrocotyle maritima Honda r - 420 -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군곡제 조사일 2009년 07월 22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식 물 량 생 중 량 (g) 2) 수분함량 식물량 (g DM/m 2 ) 2)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갈대 1740 58.0 732 1 줄 1170 74.8 295 1 경 엽 부 밀도 방 형 구 당 경 엽 부 수 밀도 ( 개/m 2 )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갈대 462 줄 275-421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군곡제 조사일 2009년 07월 22일 지점명 ST2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70 마름 Trapa japonica Flerov. 2 215 애기부들 Typha angustifolia L. 2 201 줄 Zizania latifolia Turczaninow 2 195 갈대 Phragmites australis. 1-422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소포제 조사일 2009년 05월 09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195 갈대 Phragmites australis. - 423 -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소포제 조사일 2009년 05월 09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식 물 량 생 중 량 (g) 2) 수분함량 식물량 (g DM/m 2 ) 2)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갈대 195 364g 80.5% 71g 경 엽 부 밀도 방 형 구 당 경 엽 부 수 밀도 ( 개/m 2 )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갈대 195 18 18-424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소포제 조사일 2009년 07월 22일 지점명 ST1( 소포배수장 근처 소포교 아래)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37 붕어마름 Ceratophyllum demersum L. 2 방형구1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195 갈대 Phragmites australis. 2 방형구2-425 -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소포제 조사일 2009년 07월 22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식 물 량 생 중 량 (g) 2) 수분함량 식물량 (g DM/m 2 ) 2)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붕어마름 246 87.0. 32 1 갈대 2760 58.6 1144 1 경 엽 부 밀도 방 형 구 당 경 엽 부 수 밀도 ( 개/m 2 )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갈대 108-426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소포제 조사일 2009년 07월 22일 지점명 ST2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37 붕어마름 Ceratophyllum demersum L. 1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209 개구리밥 Spirodela polyrhiza (L.) Schleiden 1 210 좀개구리밥 Lemna paucicostata (L.) Hegelmaier 1 70 마름 Trapa japonica Flerov. 3 방형구2 215 애기부들 Typha angustifolia L. 2 방형구1 195 갈대 Phragmites australis. 2-427 -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소포제 조사일 2009년 07월 22일 지점명 ST2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식 물 량 생 중 량 (g) 2) 수분함량 식물량 (g DM/m 2 ) 2)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애기부들 4400 71.3 1264 1 마름 798 89.8 81 1 경 엽 부 밀도 방 형 구 당 경 엽 부 수 밀도 ( 개/m 2 )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애기부들 96 마름 538-428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2009년 05월 30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 429 -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196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 Steud. 정 수 식 물 53 자귀풀 Aeschynomene indica L. 쇠뜨기 Equisetum arvense L. - 430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2009년 07월 25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달뿌리풀 우점도 2) 4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부 유 식 물 196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 Steud. 4 방형구1 19 고마리 Polygonum thunbergii Sieb. et Zucc. + - 431 -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2009년 07월 25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식 물 량 생 중 량 (g) 2) 수분함량 식물량 (g DM/m 2 ) 2)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달뿌리풀 1492 70.8 435 1 물억새 813 73.1 219 1 경 엽 부 밀도 방 형 구 당 경 엽 부 수 밀도 ( 개/m 2 )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달뿌리풀 478 물억새 302-432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2009년 05월 10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195 갈대 Phragmites australis - 433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2009년 07월 25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209 개구리밥 Spirodela polyrhiza (L.) Schleiden r 210 좀개구리밥 Lemna paucicostata (L.) Hegelmaier r 196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 Steud. 3 19 고마리 Polygonum thunbergii Sieb. et Zucc. + 89 미나리 Oenanthe javanica (Blume) DC + - 434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2009년 07월 25일 지점명 ST2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195 갈대 Phragmites australis. 2-435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2009년 07월 25일 지점명 ST3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210 좀개구리밥 Lemna paucicostata (L.) Hegelmaier r 정 수 식 물 - 436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보성강호 조사일 2009년 05월 10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70 마름 Trapa japonica Flerov. 24 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tachiroei Fran. et Savat. 127 문모초 Veronica peregrina L. 89 미나리 Oenanthe javanica (Blume) DC 192 노랑꽃창포 Iris pseudacorus L. - 437 -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보성강호 조사일 2009년 05월 10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식 물 량 생 중 량 (g) 2) 수분함량 식물량 (g DM/m 2 ) 2)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마름 70 44g 84.1 7g 경 엽 부 밀도 방 형 구 당 경 엽 부 수 밀도 ( 개/m 2 )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마름 70 6 6-438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보성강호 조사일 2009년 05월 10일 지점명 ST2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173 말즘 Potamogeton crispus L. 79 물수세미 37 붕어마름 Myriophyllum verticillatum L. Ceratophyllum demersum L. 70 마름 Trapa japonica Flerov. 정 수 식 물 196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 Steud. 49 논냉이 Cardamine lyrata Bunge. - 439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보성강호 조사일 2009년 07월 23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210 좀개구리밥 Lemna paucicostata (L.) Hegelmaier 1 70 마름 Trapa japonica Flerov. + 201 줄 Zizania latifolia Turczaninow 2 방형구1 195 갈대 Phragmites australis. 2 19 고마리 Polygonum thunbergii Sieb. et Zucc. 1 89 미나리 Oenanthe javanica (Blume) DC + 49 논냉이 Cardamine lyrata Bunge. r - 440 -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보성강호 조사일 2009년 07월 23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식 물 량 생 중 량 (g) 2) 수분함량 식물량 (g DM/m 2 ) 2)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줄 1124 2044 83.2 266 2 경 엽 부 밀도 방 형 구 당 경 엽 부 수 밀도 ( 개/m 2 )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줄 140 196-441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보성강호 조사일 2009년 07월 23일 지점명 ST2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36 연꽃 Nelumbo nucifera Gaertner 3 201 줄 Zizania latifolia Turczaninow 4 195 갈대 Phragmites australis. 2 19 고마리 Polygonum thunbergii Sieb. et Zucc. 1-442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2009년 05월 16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195 갈대 Phragmites australis 81 선피막이 Hydrocotyle maritima Honda - 443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2009년 07월 20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만수위로 수생식물이 대부분 잠겨있어 관찰할 수 없었음 - 444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2009년 06월 02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19 고마리 Polygonum thunbergii Sieb. et Zucc. 23 개구리자리 Ranunculus sceleratus Linnae - 445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2009년 07월 28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달뿌리풀 우점도 2) 3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196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 Steud. 3 방형구1 19 고마리 Polygonum thunbergii Sieb. et Zucc. 2 89 미나리 Oenanthe javanica (Blume) DC + 82 큰잎피막이 Hydrocotyle nepalensis Hooker r - 446 -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2009년 07월 25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식 물 량 생 중 량 (g) 2) 수분함량 식물량 (g DM/m 2 ) 2)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달뿌리풀 3560 69.8 1076 1 경 엽 부 밀도 방 형 구 당 경 엽 부 수 밀도 ( 개/m 2 )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달뿌리풀 248-447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2009년 07월 28일 지점명 ST2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달뿌리풀 우점도 2) 3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210 좀개구리밥 Lemna paucicostata (L.) Hegelmaier r 196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 Steud. 3 19 고마리 Polygonum thunbergii Sieb. et Zucc. 1 89 미나리 Oenanthe javanica (Blume) DC + - 448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하동호 조사일 2009년 05월 16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196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 Steud. 19 고마리 Polygonum thunbergii Sieb. et Zucc. - 449 -

< 대형수생식물 분석표> 호소명 하동호 조사일 2009년 05월 16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식 물 량 생 중 량 (g) 2) 수분함량 식물량 (g DM/m 2 ) 2)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달뿌리풀 196 1,956 73.8 1443 경 엽 부 밀도 방 형 구 당 경 엽 부 수 밀도 ( 개/m 2 ) 종 명 1) 코드 1) 1 2 3 4 5 평균 표준편차 반복수 달뿌리풀 196 40 40-450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하동호 조사일 2009년 07월 20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196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 Steud. 3 53 자귀풀 Aeschynomene indica L. + - 451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2009년 05월 09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김진영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196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 Steud. - 452 -

< 대형수생식물 현지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2009년 07월 23일 지점명 ST1 조사자 임동옥, 최현우, 제갈은기 구 분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수변식생폭(m) 1) 우점도 2) 생활형 코드 3) 종 명 3) 우점도 4) 비 고 국 명 학 명 침 수 식 물 부 유 식 물 부 엽 식 물 정 수 식 물 195 갈대 Phragmites australis. 1-453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백운제 조사일 2009. 3. 29 지점명 전남 광양시 봉강면 지곡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출현개체수 특 포획도구코드 이 합 비고 어 코드 국 명 학 명 A B C D E F G 어 포 계 종 기 3 7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4 4 수초대 4 7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1 3 2 3 5 6 d 수초대 5 7 버들매치 Abbottina rivularis 1 1 수초대 7 8 갈겨니 Zacco temmincki 7 7 여울 7 9 피라미 Zacco platypus 4 4 여울 88 미꾸리 Misgurnus 1 1 수초대 anguillicaudatus 1 16 빙어 Hypomesus olidus 23 6 5 8 8 a 여울 10 4 0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분 분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백운제 조사일 2009. 3. 29 지점명 전남 광양시 봉강면 지곡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탐문 방법 코드 국 명 방언 어종별 방언목록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54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백운제 조사일 2009. 7. 26 지점명 전남 광양시 봉강면 지곡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코드 국 명 학 명 출현개체수 포획도구코드 A B C D E F G 3 8 돌고기 Pungtungia herzi 1 5 6 수초대 4 7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8 8 d 수초대 5 6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1 1 수초대 7 8 갈겨니 Zacco temmincki 3 7 2 0 5 7 여울 7 9 피라미 Zacco platypus 8 8 여울 8 8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7 7 수초대 9 3 왕종개 Iksookimia longicorpa 6 6 d 수초대 9 9 줄종개 Cobitis striata 1 5 2 5 3 a,d 수초대 1 0 0 점줄종개 Cobitis lutheri 1 1 1 1 수초대 1 6 0 꺽지 Coreoperca herzi 1 1 d 수초대 1 6 4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1 1 d 수초대 1 8 0 밀어 Rhinogobius brunneus 4 4 여울 2 0 2 블루길 Lepomis macrochirus 3 3 수초대 1 0 40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분 분 어 포 기 합 계 특 이 어 종 비고 - 455 -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백운제 조사일 2009. 7. 26 지점명 전남 광양시 봉강면 지곡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탐문 방법 주민 코드 국 명 방언 어종별 방언목록 7 뱀장어 19 잉어 20 붕어 201 가물치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56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장수제 조사일 2009. 3. 27 지점명 전남 고흥군 포두면 장수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코드 국 명 학 명 출현개체수 포획도구코드 A B C D E F G 1 9 잉어 Cyprinus carpio 2 1 3 수초대 3 7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1 1 수초대 8 4 치리 Hemiculter eigenmanni 9 3 12 a 수초대 8 9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1 1 수초대 1 8 5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 1 1 여울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1 0 회 40 분 어 포 기 합 계 특 이 어 종 비고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장수제 조사일 2009. 3. 27 지점명 전남 고흥군 포두면 장수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어종별 방언목록 탐문 방법 코드 국 명 방언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57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장수제 조사일 2009. 7. 25 지점명 전남 고흥군 포두면 장수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코드 국 명 학 명 출현개체수 포획도구코드 A B C D E F G 1 5 떡붕어 Carassius cuvieri 1 1 e 수초대 1 9 잉어 Cyprinus carpio 2 2 수초대 8 4 치리 Hemiculter eigenmanni 1 5 2 17 a,d 여울 8 9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4 4 수초대 1 6 8 꾹저구 Chaenogobius rotaenius 1 1 여울 1 8 5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 2 2 여울 2 0 3 베스 Micropterus salmoides 2 2 4 e 10 4 0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회 분 어 포 기 합 계 특 이 어 종 비고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장수제 조사일 2009. 7. 25 지점명 전남 고흥군 포두면 장수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어종별 방언목록 탐문 방법 현지탐문, 주민 코드 국 명 방언 20 붕어 201 가물치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58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수동제 조사일 2009. 3. 28 지점명 전남 장흥군 관산읍 외동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코드 국 명 학 명 출현개체수 포획도구코드 A B C D E F G 2 3 각시붕어 Rhodeus uyekii 1 0 1 1 21 d 수초재 3 7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241 6 5 9 2 398 a 수초재 8 8 미꾸리 M i s g u r n u s 3 42 11 56 수초재 anguillicaudatus 1 6 8 꾹저구 Chaenogobius urotaenius 1 1 여울 10 40 1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회 분 일 어 포 기 합 계 특 이 어 종 비고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수동제 조사일 2009. 3. 28 지점명 전남 장흥군 관산읍 외동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탐문 방법 코드 국 명 방언 어종별 방언목록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59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수동제 조사일 2009. 11. 8 지점명 전남 장흥군 관산읍 외동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코드 국 명 학 명 출현개체수 포획도구코드 A B C D E F G 1 9 잉어 Cyprinus carpio 1 2 3 수초대 2 0 붕어 Carassius auratus 4 8 12 수초대 8 8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4 4 수초대 1 6 4 꾹저구 Chaenogobius urotaenius 2 9 29 여울 1 8 5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 4 1 41 a 여울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10 회 4 0 분 어 포 기 합 계 특 이 어 종 비고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수동제 조사일 2009. 11. 8 지점명 전남 장흥군 관산읍 외동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탐문 방법 현지탐문, 주민 코드 국 명 방언 어종별 방언목록 7 뱀장어 19 잉어 20 붕어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60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2009. 3. 17 지점명 전남 장흥군 관산읍 지정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코드 국 명 학 명 출현개체수 포획도구코드 A B C D E F G 3 7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1 0 8 1 8 수초대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1 0 회 40 분 어 포 기 합 계 특 이 어 종 비고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2009. 3. 17 지점명 전남 장흥군 관산읍 지정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탐문 방법 코드 국 명 방언 어종별 방언목록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61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2009. 11. 8 지점명 전남 장흥군 관산읍 지정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출현개체수 특 코드 국 명 학 명 이 포획도구코드 합 비고 어 A B C D E F G 어포 계 종 기 2 0 붕어 Carassius auratus 2 2 수초대 23 각시붕어 Rhodeus uyekii 1 25 125 a,d 수초대 3 4 납지리 Acheilognathus rhombea 1 1 수초대 3 7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1 2 3 1 5 수초대 88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2 2 수초대 1 0 4 메기 Silurus asotus 1 1 수초대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10 40 1 시 회 분 간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지정제 조사일 2009. 11. 8 지점명 전남 장흥군 관산읍 지정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어종별 방언목록 탐문 방법 현지탐문, 주민 코드 국 명 방언 7 뱀장어 19 잉어 20 붕어 201 가물치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62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군곡제 조사일 2009. 3. 16 지점명 전남 해남군 송지면 해원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출현개체수 특 포획도구코드 이 합 비고 어 코드 국 명 학 명 어 A B C D E F G 포 계 종 기 2 0 붕어 Carassius auratus 3 1 1 14 수초대 떡납줄갱 24 Rhodeus notatus 2 2 수초대 이 3 7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4 2 0 24 수초대 4 7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5 5 d 수초대 5 7 버들매치 Abbottina rivularis 6 6 수초대 7 9 피라미 Zacco platypus 5 2 2 2 74 a 여울 1 0 40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회 분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군곡제 조사일 2009. 3. 16 지점명 전남 해남군 송지면 해원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어종별 방언목록 탐문 방법 현지탐문, 주민 코드 국 명 방언 103 눈동자개 빠가사리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63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군곡제 조사일 2009. 11. 8 지점명 전남 해남군 송지면 해원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코드 국 명 학 명 출현개체수 포획도구코드 A B C D E F G 2 0 붕어 Carassius auratus 2 2 수초대 2 3 각시붕어 Rhodeus uyekii 1 1 d 수초대 3 7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1 1 수초대 5 7 버들매치 Abbottina rivularis 3 2 5 수초대 7 9 피라미 Zacco platypus 5 8 3 61 a 여울 8 8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1 1 수초대 9 8 기름종개 Cobitis sinensis 5 5 d 수초대 1 0 6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1 1 수초대 1 8 5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 3 0 30 여울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10 40 회 분 어 포 기 합 계 특 이 어 종 비고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군곡제 조사일 2009. 11. 8 지점명 전남 해남군 송지면 해원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어종별 방언목록 탐문 방법 현지탐문 코드 국 명 방언 7 뱀장어 19 잉어 20 붕어 201 가물치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64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소포제 조사일 2009. 3. 17 지점명 전남 진도군 지산면 소포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출현개체수 특 포획도구코드 이 합 비고 코드 국 명 학 명 어 A B C D E F G 어 포 계 종 기 1 9 잉어 Cyprinus carpio 5 5 수초대 2 0 붕어 Carassius auratus 1 5 6 수초대 3 7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1 2 12 수초대 8 4 치리 Hemiculter eigenmanni 6 8 1 69 a 수초대 1 0 40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회 분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소포제 조사일 2009. 3. 17 지점명 전남 진도군 지산면 소포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어종별 방언목록 탐문 방법 현지탐문 코드 국 명 방언 7 뱀장어 196 가물치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65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소포제 조사일 2009. 11. 7 지점명 전남 진도군 지산면 소포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출현개체수 특 포획도구코드 이 합 비고 코드 국 명 학 명 어 A B C D E F G 어 포 계 종 기 15 떡붕어 Carassius cuvieri 22 1 14 136 a,e 수초대 24 떡납줄갱 Rhodeus notatus 이 1 1 수초대 3 5 큰납지리 Acanthorhodeus macropterus 5 5 수초대 3 7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2 2 수초대 8 4 치리 Hemiculter eigenmanni 1 2 12 d 여울 10 4 0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회 분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소포제 조사일 2009. 11. 7 지점명 전남 진도군 지산면 소포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어종별 방언목록 탐문 방법 현지탐문 코드 국 명 방언 7 뱀장어 19 잉어 20 붕어 201 가물치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66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2009. 3. 27 지점명 전남 순천시 상사면 용계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코드 국 명 학 명 출현개체수 포획도구코드 A B C D E F G 1 1 6 빙어 Hypomesus olidus 3 6 3 6 여울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1 0 회 어 포 기 합 계 특 이 어 종 비 고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2009. 3. 27 지점명 전남 순천시 상사면 용계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탐문 방법 현지탐문, 주민 코드 국 명 방언 어종별 방언목록 202 블루길 203 베스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67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2009. 11. 7 지점명 전남 순천시 상사면 용계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코드 국 명 학 명 출현개체수 포획도구코드 A B C D E F G 3 8 돌고기 Pungtungia herzi 2 2 수초대 4 9 참몰개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1 2 1 2 a,d 수초대 5 4 참마자 Hemibarbus longirostris 1 1 여울 7 8 갈겨니 Zacco temmincki 7 7 수초대 7 9 피라미 Zacco platypus 7 7 수초대 1 6 0 꺽지 Coreoperca herzi 1 1 d 수초대 1 6 4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1 1 d 수초대 1 8 0 밀어 Rhinogobius brunneus 5 5 여울 2 0 3 베스 Micropterus salmoides 1 1 e 수초대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10 회 어 포 기 합 계 특 이 어 종 비 고 - 468 -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상사호 조사일 2009. 11. 7 지점명 전남 순천시 상사면 용계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탐문 방법 현지탐문, 주민 어종별 방언목록 코드 국 명 방언 19 잉어 20 붕어 202 블루길 203 베스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69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2009. 3. 28 지점명 전남 순천시 주암면 대광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출현개체수 특 포획도구코드 이 합 비고 코드 국 명 학 명 어 A B C D E F G 어 포 계 종 기 1 5 떡붕어 Carassius cuvieri 1 4 1 15 e 수초대 2 0 붕어 Carassius auratus 3 6 36 수초대 2 3 각시붕어 Rhodeus uyekii 8 2 10 d 수초대 떡납줄갱 2 4 Rhodeus notatus 11 3 14 수초대 이 2 8 납자루 Acheilognathus lanceolatus 118 118 수초대 3 2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2 3 23 d 수초대 3 5 큰납지리 Acanthorhodeus macropterus 208 208 a 수초대 3 7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5 5 수초대 Squalidus japonicus 4 8 몰개 185 185 d 수초대 coreanus 7 9 피라미 Zacco platypus 4 4 여울 8 4 치리 Hemiculter eigenmanni 3 2 5 수초대 1 8 0 밀어 Rhinogobius brunneus 1 1 여울 10 4 0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회 분 - 470 -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2009. 3. 28 지점명 전남 순천시 주암면 대광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어종별 방언목록 탐문 방법 코드 국 명 방언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71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2009.11. 7 지점명 전남 순천시 주암면 대광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출현개체수 특 포획도구코드 이 합 비고 코드 국 명 학 명 어 A B C D E F G 어 포 계 종 기 3 8 돌고기 Pungtungia herzi 1 1 수초대 7 8 갈겨니 Zacco temmincki 4 4 여울 7 9 피라미 Zacco platypus 1 1 여울 1 8 0 밀어 Rhinogobius brunneus 4 4 여울 2 0 3 베스 Micropterus salmoides 3 2 5 a 수초대 10 4 0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회 분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주암호 조사일 2009. 11. 7 지점명 전남 순천시 주암면 대광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어종별 방언목록 탐문 방법 현지탐문, 주민 코드 국 명 방언 7 뱀장어 19 잉어 20 붕어 201 가물치 203 베스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72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보성강호 조사일 2009. 3. 28 지점명 전남 보성군 겸백면 용산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코드 국 명 학 명 출현개체수 포획도구코드 A B C D E F G 1 5 떡붕어 Carassius cuvieri 1 1 수초대 5 6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1 1 수초대 5 7 버들매치 Abbottina rivularis 1 1 수초대 7 9 피라미 Zacco platypus 2 6 2 28 a 여울 8 0 끄리 Opsariichthys bidens 9 9 여울 8 8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8 1 9 수초대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1 0 40 4 0 회 분 분 어 포 기 합 계 특 이 어 종 비고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보성강호 조사일 2009. 3. 28 지점명 전남 보성군 겸백면 용산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어종별 방언목록 탐문 방법 현지탐문 코드 국 명 방언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73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보성강호 조사일 2009. 11. 7 지점명 전남 보성군 겸백면 용산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코드 국 명 학 명 출현개체수 포획도구코드 A B C D E F G 1 5 떡붕어 Carassius cuvieri 1 1 e 수초대 3 7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5 1 6 수초대 5 3 누치 Hemibarbus labeo 2 2 여울 5 7 버들매치 Abbottina rivularis 3 3 수초대 65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 1 1 d 여울 7 9 피라미 Zacco platypus 1 1 여울 8 0 끄리 Opsariichthys bidens 2 1 3 여울 165 얼룩동사 Odontobutis interrupta 리 7 7 a,d 수초대 1 0 40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회 분 어 포 기 합 계 특 이 어 종 비고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보성강호 조사일 2009. 11. 7 지점명 전남 보성군 겸백면 용산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어종별 방언목록 탐문 방법 현지탐문 코드 국 명 방언 19 잉어 20 붕어 201 가물치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74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2009. 3. 29 지점명 전남 광양시 진상면 섬거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코드 국 명 학 명 출현개체수 포획도구코드 A B C D E F G 7 8 갈겨니 Zacco temmincki 2 2 3 23 a 여울 1 8 0 밀어 Rhinogobius brunneus 4 2 6 여울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1 0 회 40 분 어 포 기 합 계 특 이 어 종 비고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2009. 3. 29 지점명 전남 광양시 진상면 섬거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탐문 방법 코드 국 명 방언 어종별 방언목록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75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2009. 7. 26 지점명 전남 광양시 진상면 섬거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코드 국 명 학 명 49 출현개체수 포획도구코드 A B C D E F G 어 포 기 합 계 특 이 어 종 비고 참몰개 Squalidus chankaensis suchigae 1 7 17 d 수초대 7 8 갈겨니 Zacco temmincki 7 0 3 73 여울 7 9 피라미 Zacco platypus 1 5 1 16 여울 9 3 왕종개 Iksookimia longicorpa 1 1 d 수초대 1 1 7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 7 7 여울 1 6 0 꺽지 Coreoperca herzi 2 2 d 수초대 1 6 8 꾹저구 Chaenogobius urotaenius 1 1 여울 1 8 0 밀어 Rhinogobius brunneus 9 4 94 여울 185 민물검정망 둑 Tridentiger brevispinis 186 186 a 여울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10 40 회 분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수어호 조사일 2009. 7. 26 지점명 전남 광양시 진상면 섬거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어종별 방언목록 탐문 방법 현지탐문, 주민 코드 국 명 방언 19 잉어 20 붕어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76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2009. 6. 2 지점명 전남 화순군 이서면, 전남 담양군 남면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출현개체수 특 포획도구코드 이 합 비고 코드 국 명 학 명 어 A B C D E F G 어 포 계 종 기 2 0 붕어 Carassius auratus 6 2 8 수초대 3 8 돌고기 Pungtungia herzi 1 1 수초대 Squalidus chankaensis 49 참몰개 1 3 4 d 수초대 tsuchigae 5 4 참마자 Hemibarbus longirostris 1 1 여울 7 9 피라미 Zacco platypus 2 2 1 23 a 여울 1 0 6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6 6 수초대 1 0 7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 2 2 d 수초대 1 6 4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2 2 d 수초대 1 0 40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회 분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2009. 6. 2 지점명 전남 화순군 이서면, 전남 담양군 남면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탐문 방법 코드 국 명 방언 어종별 방언목록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77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2009. 7. 28 지점명 전남 화순군 이서면, 전남 담양군 남면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코드 국 명 학 명 출현개체수 포획도구코드 A B C D E F G 3 7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1 1 수초대 3 8 돌고기 Pungtungia herzi 3 3 수초대 4 7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1 1 d 수초대 6 5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 3 3 d 여울 7 2 버들치 Rhynchocypris oxycephalus 2 2 여울 7 8 갈겨니 Zacco temmincki 3 6 36 여울 7 9 피라미 Zacco platypus 4 0 40 a 여울 8 8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2 2 수초대 8 9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2 2 수초대 9 3 왕종개 Iksookimia longicorpa 2 2 d 수초대 9 9 줄종개 Cobitis striata 2 3 d 수초대 1 0 7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 2 2 d 수초대 1 6 4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8 8 d 수초대 2 0 3 베스 Micropterus salmoides 1 1 e 수초대 1 0 40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회 분 어 포 기 합 계 특 이 어 종 비고 - 478 -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동복호 조사일 2009. 7. 28 지점명 전남 화순군 이서면, 전남 담양군 남면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탐문 방법 현지탐문 어종별 방언목록 코드 국 명 방언 7 뱀장어 19 잉어 20 붕어 201 가물치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79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하동호 조사일 2009. 3. 29 지점명 경남 하동군 청암면 중이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코드 국 명 학 명 출현개체수 포획도구코드 A B C D E F G 어 포 기 합 계 특 이 어 종 비고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1 0 회 40 분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하동호 조사일 2009. 3. 29 지점명 경남 하동군 청암면 중이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탐문 방법 코드 국 명 방언 어종별 방언목록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80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하동호 조사일 2009. 7. 26 지점명 경남 하동군 청암면 중이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코드 국 명 학 명 출현개체수 포획도구코드 A B C D E F G 4 1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1 1 d 여울 6 5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 2 4 2 4 a,d 여울 7 9 피라미 Zacco platypus 5 5 여울 1 6 4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1 1 d 수초대 1 8 0 밀어 Rhinogobius brunneus 2 2 여울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10 회 4 0 분 어 포 기 합 계 특 이 어 종 비고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하동호 조사일 2009. 7. 26 지점명 경남 하동군 청암면 중이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탐문 방법 현지탐문 어종별 방언목록 코드 국 명 방언 19 잉어 20 붕어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81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2009. 3. 17 지점명 전남 장흥군 부산면 지천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코드 국 명 학 명 출현개체수 포획도구코드 A B C D E F G 2 0 붕어 Carassius auratus 1 1 수초대 3 8 돌고기 Pungtungia herzi 1 1 수초대 6 5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 1 1 d 여울 7 8 갈겨니 Zacco temmincki 2 1 4 16 여울 7 9 피라미 Zacco platypus 1 1 여울 1 1 6 빙어 Hypomesus olidus 230 230 a 여울 1 6 4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1 1 d 수초대 1 8 0 밀어 Rhinogobius brunneus 1 1 여울 10 40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회 분 어 포 기 합 계 특 이 어 종 비고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2009. 3. 17 지점명 전남 장흥군 부산면 지천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탐문 방법 코드 국 명 방언 어종별 방언목록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482 -

조사표 양식 2-19 < 어류 현지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2009. 11. 7 지점명 전남 장흥군 부산면 지천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종 명 코드 국 명 학 명 출현개체수 포획도구코드 A B C D E F G 2 0 붕어 Carassius auratus 2 4 6 수초대 4 7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4 4 8 d 수초대 5 6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1 1 수초대 7 8 갈겨니 Zacco temmincki 1 8 18 여울 7 9 피라미 Zacco platypus 4 4 여울 8 4 치리 Hemiculter eigenmanni 1 4 14 a,d 여울 9 0 참종개 Iksookimia koreensis 2 2 d 수초대 9 4 남방종개 Iksookimia hugowolfeldi 2 2 d 수초대 9 8 기름종개 Cobitis sinensis 1 1 d 수초대 1 0 0 점줄종개 Cobitis lutheri 1 1 수초대 1 0 4 메기 Silurus asotus 1 1 수초대 1 6 0 꺽지 Coreoperca herzi 4 4 d 수초대 1 6 4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2 2 d 수초대 1 8 0 밀어 Rhinogobius brunneus 4 4 여울 1 10 4 0 포 획 횟 수 또 는 시 간 시 회 분 간 어 포 기 합 계 특 이 어 종 비고 - 483 -

조사표 양식 2-20 < 어류 탐문조사표> 호소명 탐진호 조사일 2009. 11. 7 지점명 전남 장흥군 부산면 지천리 탐문자 이승휘, 이건우, 양대창 탐문조사 일련번호 탐문 방법 현지탐문 어종별 방언목록 코드 국 명 방언 7 뱀장어 19 잉어 20 붕어 201 가물치 어종변천 코드 국 명 시기 원 인 멸종어종 감소어종 증가어종 ( 주) 1) 아래 포획도구 코드별 포획 개체수 기록, 포획도구별 포획개체를 합하여 합계란에 기재 투 망 족 대 뜰 채 권 망 자 망 낚 시 삼 각 망 어 포 기 A B C D E F G 어 포 기 2) 특이어종란에는 우점종의 경우 a, 천연기념물은 b, 특정물고기는 c, 한국특산종은 d, 도입종은 e", 수산을 위해 보호가 필요한 종은 f" 로 기입. 중복되는 경우엔 "," 를 사용하여 모두 기재 3) 비고란엔 각종의 주요 미소서식처의 상태를 기입. 여울, 수초대 - 484 -

부록 9. 2009년도 호소환경 조사 시 출현한 호소 별 어류 목록 코드 학명 국문명 1 Lampetra japonica 칠성장어 2 Lampetra reissneri 다묵장어 3 Lampetra morii 칠성말배꼽 4 Acipenser sinensis 철갑상어 5 Acipenser dabryanus 칼상어 6 Acipenser medirostris 용상어 7 Anguilla japonica 뱀장어 8 Anguilla marmorata 무태장어 9 Coilia mystus 싱어 10 Thrissa hamiitonl 풀반지 11 Coilia nasus 웅어 12 Sardinella zunasi 밴댕이 13 Konosirus punctatus 전어 14 Cyprinus carpio 이스라엘잉어 백운 장수 수동 지정 군곡 소포 상사 주암 보성 수어 동복 하동 탐진 15 Carassius cuvieri 떡붕어 16 Hypophthalminhthys molitrix 백련어 17 Aristichthys nobilis 대두어 18 Ctenopharyngodon idellus 초어 19 Cyprinus carpio 잉어 제 20 Carassius auratus 붕어 21 Rhodeus ocellatus 흰줄납줄개 22 Rhodeus sericeus 납줄개 23 Rhodeus uyekii 각시붕어 24 Rhodeus notatus 떡납줄갱이 25 Rhodeus hondae 서호납줄갱이 26 Rhodeus pseudosericeus 한강납줄개 27 Rhodeus suigensis 납줄갱이 28 Acheilognathus lanceolatus 납자루 29 Acheilognathus signifer 묵납자루 30 Acheilognathus koreanus 칼납자루 31 Acheilognathus somjinensis 임실납자루 32 Acheilognathus yamatsutae 줄납자루 33 Acheilognathus majusculus 큰줄납자루 34 Acheilognathus rhombea 납지리 35 Acanthorhodeus macropterus 큰납지리 36 Acanthorhodeus gracilis 가시납지리 37 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38 Pungtungia herzi 돌고기 39 Pseudopungtungia nigra 감돌고기 40 Pseudopungtungia tenuicorpus 가는돌고기 41 Coreoleuciscus splendidus 쉬리 42 Ladislavia taczanowskii 새미 43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참중고기 44 Sarcocheilichthys nigripinnis morii 중고기 45 Sarcocheilichthys nigriopinnis czerskii 북방중고기 46 Gnathopogon strigatus 줄몰개 47 Squalidus gracilis majimae 긴몰개 48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몰개 49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50 Squalidus multimaculatus 점몰개 제 제 제 제 제 호 호 강호 호 호 호 호 - 485 -

부록 9. 2009 년도 호소환경 조사 시 출현한 호소 별 어류 목록 ( 계속) 코드 학명 국문명 51 Gobio gobio 모샘치 52 Coreius heterodon 케톱치 백운 장수 수동 지정 군곡 소포 상사 주암 보성 수어 동복 하동 탐진 53 Hemibarbus labeo 누치 54 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55 Hemibarbus mylodon 어름치 제 56 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57 Abbottina rivularis 버들매치 58 Abbottina springeris 왜매치 59 Gobiobotia macrocephalus 꾸구리 60 Gobiobotia brevibarba 돌상어 61 Gobiobotia naktongensis 흰수마자 62 Mesogobio lachneri 압록자그사니 63 Mesogobio tumensis 두만강자그사니 64 Microphysogobio koreensis 모래주사 65 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66 Microphysogobio tungtingensis 됭경모치 67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배가사리 68 Saurogobio dabryi 두우쟁이 69 Tribolodon hakonensis 황어 70 Tribolodon brandti 대황어 71 Phoxinus phoxinus 연준모치 72 Rhynchocypris oxycephalus 버들치 73 Rhynchocypris lagowskii 버들개 74 Rhynchocypris percnurus 동버들개 75 Rhynchocypris kumgangensis 금강모치 76 Rhynchocypris semotilus 버들가지 77 Aphyocypris chinensis 왜몰개 78 Zacco temmincki 갈겨니 79 Zacco platypus 피라미 80 Opsariichthys bidens 끄리 81 Squaliobarbus curriculus 눈불개 82 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강준치 83 Culter bervicauda 백조어 84 Hemiculter eigenmanni 치리 85 Hemiculter leucisculus 살치 86 Orthrias nudus 종개 87 Lefua costata 쌀미꾸리 88 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89 Misgurnus mizolepis 미꾸라지 90 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91 Iksookimia pumila 부안종개 92 Iksookimia choii 미호종개 93 Iksookimia longicorpa 왕종개 94 Iksookimia hugowolfeldi 남방종개 95 Iksookimia yongdokensis 동방종개 96 Ikoreocobitis nakfongensis 얼룩새코미꾸리 97 Iksookimia rotundicaudata 새코미꾸리 98 Cobitis sinensis 기름종개 99 Cobitis striata 줄종개 100 Cobitis lutheri 점줄종개 제 제 제 제 제 호 호 강호 호 호 호 호 - 486 -

부록 9. 2009 년도 호소환경 조사 시 출현한 호소 별 어류 목록 ( 계속) 코드 학명 국문명 101 Cobitis melanoleuca 북방종개 102 Niwaella multifasciata 수수미꾸리 103 Niwaella brevifasciata 좀수수치 백운 장수 수동 지정 군곡 소포 상사 주암 보성 수어 동복 하동 탐진 제 104 Silurus asotus 메기 105 Silurus microdorsalis 미유기 106 Pseudobagrus fulvidraco 동자개 107 Pseudobagrus koreanus 눈동자개 108 Pseudobagrus brevicorpus 꼬치동자개 109 Leiocassis ussuriensis 대농갱이 110 Leiocassis nitidus 밀자개 111 Leiocassis longirostris 종어 112 Ictalurus puntatus 찬넬동자개 113 Liobagrus mediadiposalis 자가사리 114 Liobagrus andersoni 퉁가리 115 Liobagrus obesus 퉁사리 116 Hypomesus olidus 빙어 117 Plecoglossus altivelis 은어 118 Salanx ariakensis 국수뱅어 119 Hemisalanx prognathus 벚꽃뱅어 120 Neosalanx andersoni 도화뱅어 121 Neosalanx jordani 젓뱅어 122 Neosalanx hubbsi 실뱅어 123 Protosalanx chinensis 붕퉁뱅어 124 Salangichthys microdon 뱅어 125 Onchorhynchus kisutch 은연어 126 Onchorhynchus mykiss 무지개송어 127 Thymallus arcticus jaluensis 사루기 128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열목어 129 Oncorhynchus keta 연어 130 Oncorhynchus gorbuscha 곱사연어 131 Oncorhynchus masou masou 산천어 132 Hucho ishikawai 자치 133 Salvelinus leucomaenis 홍송어 134 Salvelinus malmus 곤들매기 135 Lota lota 모오캐 136 Mugil cephalus 숭어 137 Liza carinata 등줄숭어 138 Liza haematocheila 가숭어 139 Oryzias latipes 송사리 140 Oryzias sinensis 대륙송사리 141 Hyporhamphus intermedius 줄공치 142 Hyporhamphus sajori 학공치 143 Gasterosteus aculeatus 큰가시고기 144 Pungitius sinensis 가시고기 145 Pungitius tymensis 두만가시고기 146 Pungitius pungitius 청가시고기 147 Pungitius kaibarae 잔가시고기 148 Syngnathus schlegeli 실고기 149 Monopterus albus 드렁허리 150 Sebastes schlegeli 조피볼락 제 제 제 제 제 호 호 강호 호 호 호 호 - 487 -

부록 9. 2009 년도 호소환경 조사 시 출현한 호소 별 어류 목록 ( 계속) 코드 학명 국문명 151 Platycephalus indicus 양태 152 Cottus poecilopterus 둑중개 153 Cottus hangiongensis 한둑중개 154 Cottus czerskii 참독중개 155 Myoxocephalus stelleri 개구리꺽정이 156 Trachidermus fasciatus 꺽정이 157 Lateolabrax japonicus 농어 158 Siniperca scherzeri 쏘가리 159 Coreoperca kawamebari 꺽저기 백운 장수 수동 지정 군곡 소포 상사 주암 보성 수어 동복 하동 탐진 제 160 Coreoperca herzi 꺽지 161 Leiognathus nuchalis 주둥치 162 Repomucenus olidus 강주걱양태 163 Eleotris oxycephala 구굴무치 164 Odontobutis platycephala 동사리 165 Odontobutis interrupta 얼룩동사리 166 Micropercops swinhonis 좀구굴치 167 Chaenogobius castaneus 날망둑 168 Chaenogobius urotaenius 꾹저구 169 Chaenogobius macrognathus 왜꾹저구 170 Acanthogobius flavimanus 문절망둑 171 Acanthogobius elongatus 왜풀망둑 172 Acanthogobius lactipes 흰발망둑 173 Acanthogobius luridus 비늘흰발망둑 174 Acanthogobius ommaturus 가실망둑 175 Synechogobius hastus 풀망둑 176 Synechogobius japonicus 열동갈문절 177 Pseudogobius masago 애기망둑 178 Bathygobius fuscus 무늬망둑 179 Rhinogobius giurinus 갈문망둑 180 Rhinogobius brunneus 밀어 181 Tridentiger trigonocephalus 두줄망둑 182 Tridentiger bifasciatus 민물두줄망둑 183 Tridentiger nudicervicus 황줄망둑 184 Tridentiger obscurus 검정망둑 185 Tridentiger brevispinis 민물검정망둑 186 Triaenopogon barbatus 아작망둑 187 Acentrogobius pflaumi 줄망둑 188 Acentrogobius pellidebilis 점줄망둑 189 Favonigobius gymnauchen 날개망둑 190 Mugilogobius abei 모치망둑 191 Mugilogobius fontinalis 제주모치망둑 192 Parioglossus dotui 꼬마청황 193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짱뚱어 194 Periophthalmus modestus 말뚝망둥어 195 Periophthalmus magnuspinnatus 큰볏말뚝망둥어 196 Luciogobius guttatus 미끈망둑 197 Leucopsarion petersii 사백어 198 Ctenotrypauchen microcephalus 빨갱이 199 Odontamblyopus rubicundus 개소겡 200 Macropodus chinensis 버들붕어 제 제 제 제 제 호 호 강호 호 호 호 호 - 488 -

부록 9. 2009 년도 호소환경 조사 시 출현한 호소 별 어류 목록 ( 계속) 코드 학명 국문명 백운 장수 수동 지정 군곡 소포 상사 주암 보성 수어 동복 하동 제 제 제 제 제 제 호 호 강호 호 호 호 201 Channa arga 가물치 202 Lepomis macrochirus 블루길 203 Micropterus salmoides 베스 204 Oreochromis niloticus 나일틸라피아 205 Hexagrammos otakii 쥐노래미 206 Kareius bicoloratus 돌가자미 207 Verasper variegatus 범가자미 208 Platichthys stellatus 강도다리 209 Pleuronichthys cornutus 도다리 210 Cynoglossus semilaevis 박대 211 Takifugu xanthopterus 까치복 212 Takifugu vermicularis 매리복 213 Takifugu niphobles 복섬 214 Takifugu poecilonotus 흰점복 215 Takifugu obscurus 황복 216 Takifugu rubripes 자주복 탐진 호 - 489 -

사진 1. 서식환경조사 조사지점별 사진 사진 1. 서식환경조사 조사지점별 사진 ( 계속) 백운제 백운제 군곡제 소포제 장수제 수동제 상사호 주암호 지정제 지정제 보성강호 수어호 - 490 - - 491 -

사진 1. 서식환경조사 조사지점별 사진 ( 계속) 사진 2. 식물플랑크톤 사진 및 조사 지점 사진 동복호1(2 차조사) 동복호2(2 차조사) 동복호 동복호 소포제(2 차조사) 소포제(2 차조사) 하동호 하동호 군곡제(2 차조사) 군곡제(2 차조사) 탐진호 탐진호 보성강호1(2 차조사) 보성강호2(3 차조사) - 492 - - 493 -

사진 2. 식물플랑크톤 사진 및 조사 지점 사진 ( 계속) 사진 2. 식물플랑크톤 사진 및 조사 지점 사진 ( 계속) 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sp. 탐진호1(2 차조사) 탐진호2(2 차조사) Aulacoseira granulata Cymbella tumida 탐진호3(2 차조사) 탐진호4(2 차조사) Fragilaria crotonensis Gomphonema pseudosphaerophorum 지정제(2 차조사) 지정제(3 차조사) 수동제(2 차조사) 수동제(3 차조사) - 494 - - 495 -

사진 2. 식물플랑크톤 사진 및 조사 지점 사진 ( 계속) 사진 2. 식물플랑크톤 사진 및 조사 지점 사진 ( 계속) Gomphonema sp. Navicula gregaria Scenedesmus denticulatus Scenedesmus communis Nitzschia palea Synedra acus Coelastrum sphericum Staurastrum sp. Monoraphidium contortum Scenedesmus acuminatus Pediastrum duplex var. gracillimum Dinobryon serturalia - 496 - - 497 -

사진 3. 동물플랑크톤 조사 지점 및 조사 장면 사진 3. 동물플랑크톤 조사 지점 및 조사 장면 ( 계속) 백운제(1 차조사) 백운제(4 차조사) 주암호(3 차조사) 주암호(3 차조사) 장수제(1 차조사) 장수제(3 차조사) 수어호(1 차조사) 수어호(1 차조사) 상사호(2 차조사) 상사호(4 차조사) 수어호(3 차조사) 하동호(1 차조사) 주암호(1 차조사) 주암호(3 차조사) 하동호(3 차조사) 하동호4 차조사) - 498 - - 499 -

사진 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조사 지점의 전경 및 조사 장면 사진 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조사 지점의 전경 및 조사 장면 ( 계속) 백운제 장수제 보성강호 수어호 수동제 지정제 동복호 하동호 군곡제 소포제 탐진호 상사호 주암호 - 500 - - 501 -

사진 5. 조사지점 및 수생식물 사진 사진 5. 조사지점 및 수생식물 사진 ( 계속) 백운제 조사지점 및 위치도 군곡제 조사지점 및 위치도 장수제 조사지점 및 위치도 소포제 조사지점 및 위치도 수동제 조사지점 및 위치도 상사호 조사지점 및 위치도 지정제 조사지점 및 위치도 주암호 조사지점 및 위치도 - 502 - - 503 -

사진 5. 조사지점 및 수생식물 사진 ( 계속) 사진 5. 조사지점 및 수생식물 사진 ( 계속) 보성강호 조사지점 및 위치도 탐진호 조사지점 및 위치도 수어호 조사지점 및 위치도 동복호 조사지점 및 위치도 하동호 조사지점 및 위치도 - 504 - - 505 -

사진 5. 조사지점 및 수생식물 사진 (계속) 사진 5. 조사지점 및 수생식물 사진 (계속) 개구리밥&좀개구리밥-백운제 마름-지정제 애기부들-소포제 달뿌리풀-상사호 마름군락-지정제 줄-군곡제 줄-보성강호 줄군락&고마리-보성강호 붕어마름-소포제 붕어마름&갈대-소포제 수어호 달뿌리풀-동복호 마름-소포제 마름&좀개구리밥-소포제 고마리-동복호 달뿌리풀-하동호 - 506 - - 507 -

사진 5. 조사지점 및 수생식물 사진 ( 계속) 사진 5. 조사지점 및 수생식물 사진 ( 계속) 생태계 교란 야생 동 식물 돼지풀 생태계교란 야생 동 식물 돼지풀- 장수제, 수동제, 지정제, 소포제, 상사호, 주암호, 동복호 Ambrosia artemisiaefolia L. ( 지정시기 1999. 01. 07) : 북미 원산으로 양지바른 곳이면 주택가, 산의 능선, 휴경지 등 어디에서나 왕성히 자라 무리를 이룸. 특성 일년생초본으로 줄기는 30 180 cm까지 곧게 자라며 가지가 많이 나온다. 줄기와 가지에는 가는 털 이 많이 나 있고 위쪽의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아래쪽 잎은 마주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 다. 8 9 월에 긴 꽃대에 꽃자루가 있는 여러 개의 꽃이 핀다. 군락을 이루어 자라는 경우가 많다. 제거방법 돼지풀은 꽃이 피기 전에 집중해서 제거하는 것이 좋다. 꽃이 피면 꽃가루 알레르기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이미 개체가 1.8m 정도로 크고 억세 촘촘하게 자라 제거가 쉽지 않다. 꽃이 피기 시작하면 일찍 꽃이 핀 개체에게는 열매가 맺으므로 종자 확산을 피하기 어렵다. 개체 제거는 돼지풀의 갈 래진 잎이 뚜렷하고 식물체가 아직 어린 5월부터 하여 보름 간격으로 자라나오는 어린 식물을 뽑 아 없애는 것이 좋다. 어린 식물은 쉽게 뽑히며 표토교란도 적다. 개체가 7월에도 자라나오기 때 문에 가능하면 7 월까지 집중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돼지풀은 일년생 풀이고 뽑아버리면 죽는다. 제거할 때는 반드시 뿌리째 뽑아 건조 후 폐기해야 한다. 뿌리가 잘 자란 경우에는 줄기를 밑둥에서 잘라내면 된다. 돼지풀이 자란 곳에는 땅 속에 씨가 들어있으므로 4 5 년간 집중적으로 제거해야 하며, 외부에서 씨가 들어오지 않으면 그 일대 에서 박멸이 가능하다. 유의사항 돼지풀은 꽃이 많이 피어있는 때가 아니면 일상 만지거나 접촉하는 것으로는 문제가 없다. 꽃이 많이 피고 맑은 날 돼지풀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 있지 않도록 주의하여 혹시 있을지도 모 를 꽃가루 알레르기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씨가 많이 달린 곳이나 있는 곳에서 제거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신발이나 옷 등에 묻어 다른 곳으 로 이동되는 일이 없도록 작업 후에 묻은 씨를 모두 털어내고 모아 발아하지 못하도록 태우거나 봉지에 넣어 처리하는 것이 좋다. 제초제는 개화 전에 사용하나 제초제를 사용한 지역에서도 땅속에 묻혀있는 종자가 옮겨가지 않 도록 주의 하고 씨가 열린 개체가 있는 상태에서 제초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씨의 이동에 주의 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물참새피- 장수제, 소포제 털물참새피-지정제 학명 Paspalum distichum L.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식별 생태 물참새피는 잎이 줄기를 둘러싸는 엽초 부위와 줄기의 마디 부분에 거의 없는 반면에 털 물참새피는 이들 부위에 털이 많아 서로 구분된다. 물참새피와 털물참새피는 하천이나 습지 또는 저수지나 논 등의 물가나 습기가 많은 지역 에서 무리를 지어 자란다. 다년생 초본으로 봄에서 가을까지 생육기간 동안 기는 줄기에 서 여러 개의 가지가 나와 줄기로 자라오르며 줄기의 마디에서도 새로운 줄기가 자라나기 도 한다. 기는 줄기가 물 속에서 잘 뻗어나가며 수심 수십cm 까지 자라 들어간다. 씨로도 번식한다. 양지식물로 수심이 낮고 유속이 없거나 적은 곳에서 잘 자란다. 6월에도 줄기가 몇 겹이고 얽혀 물참새피 군락이 촘촘한 덩어리가 되고 다른 식물이 그 안에 거의 없다. 줄기가 물에 떠서 자라나 물속의 수생식물이 자라들 공간을 없앤다. 논이 나 농수로처럼 수심이 얕은 곳에서도 자라나온다. 물가에 자란 것과 물속에 자란 줄기가 얽히면 유속이 상당한 경우에도 흘러내려가지 않고 군락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4월말 전후 생육이 뚜렷해지는데 줄기와 덩어리에 묻힌 씨에서 생육이 시작되어 전년도에 자란 물에 다시 자라나간다. 남미 원산으로 유입경로는 알려져 있지 않 북미 원산으로 유입경로는 알려져 있지 않으 원산지와 으나 사료 등의 물자에 혼입되어 들어온 것 나 사료 등 의 물자에 혼입되어 들어온 것으 유입경로 으로 보임 로 보임 분포 확산 제주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에 분 제주도와 남부지방에서 출현하기 시작한 털 포하고 있다. 제주도의 습지인 용수 저수지 물참새피가 중부 지방에도 나타난다. 낙동강 와 전라남도 고흥의 하천은 물참새피가 수 하류부에 크게 번져 있고 제주도와 전남 등 변부를 다 덮을 정도로 군락이 발달되어 있 에 많이 번져있고 농수로와 논에서도 나타나 으며, 경상남도 진주, 통영, 거제와 전주의 고 있다. 우포늪 바로 하류부에서도 나옴 오송제 등에도 분포. 물참새피와 털물참새피는 자라는 곳에서 줄기가 뻗어나가며 국지적인 확산을 보인다. 장 거리 확산은 개체가 물에 떠내려가거나 씨가 물에 흘러내려가 이루어진다. 물이 넘쳐서 급류로 흐르는 호우기에는 무리로 자란 풀이 한꺼번에 떠내려가는 경우도 있으나 물흐름 을 타고 하류지역에서 정착하여 새롭게 확산되기도 한다. 물흐름을 벗어나 확산된 경우는 씨가 자재나 차 등에 묻어 들어가거나 인위적으로 옮긴 경우로 국한된다. 물참새피는 물 흐름을 따라 자연생태계로 나가며 농자재나 사료 등에 씨가 혼입 되어 들어가면 먼 곳으 로 전파되는 일도 있으며 논이나 수로에 많이 자라도 확산이 촉진된다. - 508 - - 509 -

관리 물참새피와 털물참새피는 종자에 의한 번식 외에도 근경 및 마디에서 분지하는 뿌리에 의 해 번식하므로 꽃이 피기 시작하는 6월 전에 뿌리부터 줄기까지 모두 걷어내는 것이 바람 직하다. 물가에 집중적으로 자라나므로 배를 타고 가면서 쇠스랑이나 막대 등으로 걷어내 면 효율적으로 걷어낼 수 있다. 여름에는 큰 군락을 이루고 줄기가 칭칭 얽혀있기 때문에 낫을 써서 잘라내면서 줄기를 걷어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경우에도 열매가 맺기 전에 제거하는 것이 좋다. 열매를 맺은 후에도 제거를 지속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열매가 맺기 전에 개체를 모두 제거하는 관리를 3 4년 지속하고 외부에서 씨나 개체가 흘러들어 오지 않으면 물참새피가 퍼졌던 지역에서 박멸을 기대할 수 있다. 사진 6. 어류 조사 지점 및 어류 사진 유의사항 물참새피나 털물참새피는 인체나 야생동물에 유해한 특성이 알려져 있지 않으며 방죽과 같은 곳에 널리 자라 있는 경우 헤엄치는 사람은 줄기에 발이나 손이 얽히지 않도록 주의 할 필요가 있다. 물참새피와 털물참새피를 구분하기 어렵고 함께 제거하는 것이 좋다. 백운제(1 차 조사) 백운제(2 차 조사) 장수제(1 차 조사) 장수제(2 차 조사) 수동제(1 차 조사) 수동제(2 차 조사) - 510 - - 511 -

사진 6. 어류 조사 지점 및 어류 사진 ( 계속) 사진 6. 어류 조사 지점 및 어류 사진 ( 계속) 지정제(1 차 조사) 지정제(2 차 조사) 상사호(1 차 조사) 상사호(2 차 조사) 군곡제(1 차 조사) 군곡제(2 차 조사) 주암호(1 차 조사) 주암호(2 차 조사) 소포제(1 차 조사) 소포제(2 차 조사) 보성강호(1 차 조사) 보성강호(2 차 조사) - 512 - - 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