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Similar documents
JKPT pissn Vol. 29, No. 1, February 2017 J Kor Phys Ther 2017:29(1): eissn X Original Articl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012임수진

제13강: 척추와 갈비우리의 개요 2

歯5-2-13(전미희외).PDF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02-( )-KSPM hwp

(01) hwp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 F35C2F7BCF6C1A45FB4EBC7D1B9B0B8AEC0C7C7D0C8B820392D E31312E687770>

80%, O'Sullivan (2003), (reposition sense)..(, 2001) Arokoski (2001) 1937 williams,,,,,,. (bridging exercise).,.(stevens, 2007). (lumbar stabilization

04-( ) KSPM hwp

DBPIA-NURIMEDIA

γ

대한물리의학회지제7권제3 호, 2012년 8월 Vol.7, No.3, August p.267~274 1) 자세에따른폐기능의변화와기립자세에서의복횡근의수축이노력성폐기능에미치는영향 이병기 대원대학교물리치료과 The Effect of the Forced Pulmo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30352D D DB9E8BFF8BDC42C20C0CCB0C7C3B62E687770>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NEUROTHERAPY 이대희대한신경치료학회지, 이상용, 박정서제20, 권한슬기제3호 슬링을이용한교각운동시엉덩관절벌림 - 모음과슬링의높이가배가로근, 배곧은근, 척추세움근의근활성도에미치는영향 이대희 1, 이상용 1, 박정서 2, 한슬기 *1 1 U1 대학교

( )Kju269.hwp

00Àâ¹°

00Àâ¹°

서론 34 2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원위부요척골관절질환에서의초음파 유도하스테로이드주사치료의효과 - 후향적 1 년경과관찰연구 - 연세대학교대학원 의학과 남상현

특집-5

Lumbar spine

DBPIA-NURIMEDIA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Dec.; 27(12),

14.531~539(08-037).fm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歯1.PDF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35335FBCDBC7D1C1A42DB8E2B8AEBDBAC5CDC0C720C0FCB1E2C0FB20C6AFBCBA20BAD0BCAE2E687770>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Mar.; 28(3),

레이아웃 1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歯11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72 순천향의과학 : 제14권 2호 2008 Fig.1. Key components of the rehabilitation evaluation of patients with the rheumatic diseases. The ICF provides a good frame

08김현휘_ok.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10(3)-09.fm

04조남훈

<352EC7E3C5C2BFB55FB1B3C5EBB5A5C0CCC5CD5FC0DABFACB0FAC7D0B4EBC7D02E687770>

<31372DB9DABAB4C8A32E687770>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11¹ÚÇý·É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디지털포렌식학회 논문양식


< FB4EBC7D1B0EDC0AFBCF6BFEBBCBABDC5B0E6B1D9C3CBC1F8B9FDC7D0C8B D315F31C2F7C6EDC1FD2E687770>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11-19스포츠과학 145호 내지.indd

<B4EBC7D1BDC9C0E5C8A3C8EDB9B0B8AEC4A1B7E1C7D0C8B8C1F62032C8A32E687770>

???? 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77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Suggestions of Ways

<31332EBEC6C6AEB8B6C4C9C6C3C0BB20C8B0BFEBC7D120C6D0C5B0C1F6B5F0C0DAC0CE20BFACB1B82E687770>

12이문규

09È«¼®¿µ 5~152s

February

179

DBPIA-NURIMEDIA

(5차 편집).hwp

[ 영어영문학 ] 제 55 권 4 호 (2010) ( ) ( ) ( ) 1) Kyuchul Yoon, Ji-Yeon Oh & Sang-Cheol Ahn. Teaching English prosody through English poems with clon

歯155호

歯156호

歯150호

歯148호

歯154호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1..

<31322DC0CCC8BFC1A42CC1D6B1E2C2F D E687770>

12.077~081(A12_이종국).fm

Ä¡¿ì³»ÁöÃÖÁ¾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朴 俊 植

- 최원희ㆍ 김명희: 중년후기 여성의 집단회상 경험과 효과에 대한 연구 - 에 직면하며 심리 사회적인 역할갈등, 고립, 위축, 상실 감 등을 경험하게 된다. 이 시기동안 위기에 잘 대처하 지 못하면 자신에 대하여 실망하며 두려움과 슬픔 등 을 겪으면서 자아존중감이 낮아

<5BBEF0BEEE33332D335D20312EB1E8B4EBC0CD2E687770>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 第 49 倦第 3 號 ) Ⅰ. 서론 1. 연구의배경 뇌졸중은고혈압, 당뇨, 흡연, 심장질환, 부정맥, 심장판막증, 협심증, 가족력, 고지혈증, 스트레스, 과로등에의해야기된다. 동맥경화에의한뇌졸중은혈관의혈류장애로인하여뇌조직으로혈액공급이차단되면서뇌손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DBPIA-NURIMEDIA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35BFCFBCBA2E687770>

<30342E20B1E8C7F6BFEC2C20B1E8C8A3C1D82C20B9DABFB5C8B82E687770>

Transcriptio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6, No.2, February (2016), pp. 101-108 http://dx.doi.org/10.14257/ajmahs.2016.01. 체간 안정화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폐 기능 및 체간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송지욱 1), 김기도 2) Effects of Core Stability Training on the Pulmonary Function and Trunk Muscle Activ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Ji-Wook Song 1), Gi-Do Kim 2) 요 약 본 연구는 5주간의 체간 안정화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폐 기능 및 체간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은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0명)으로 나누어 1회 30분씩 주 5회, 총 5주간 호흡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군은 체간 안정화 훈련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실험 전과 후 spirometer를 이용하여 폐 기능 (FVC, FEV 1, FEV 1/ FVC, PEF)을 측정하였으며, 표면 근전도를 이용 하여 노력성 날숨시와 기립시에 체간근육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후 폐 기능 검사와 체간근육의 근활성도 측정 결과, 실험 전 후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측정값이 향상되었다. 특히 실험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그룹간 비교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5주간의 호흡운동과 체간 안정화 훈련의 복합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폐 기능 및 체간근육 활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생각되어진다. 핵심어 : 체간 안정화 훈련, 호흡운동, 폐 기능, 체간근육 활성도, 만성 뇌졸중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re stability training on the pulmonary function and trunk muscle activ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n=10) received core stability training with breathing exercise and control (n=10) received breathing exercise. Each exercise program was performed 30 min, 5 times a week for a period of 5 weeks. Subjects were assessed pre and post exercise for pulmonary function (FVC, FEV 1, FEV 1 /FVC, PEF) using spirometer and trunk muscle (rectus, external abdominal oblique, internal abdominal oblique) activity during forced expiration and standing position using surface EMG. After exercise, the pulmonary function and trunk muscle activity was improved in each s. Especially, experimental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before Received (November 27, 2015), Review Result(December 11, 2015) Accepted(December 18, 2015), Published(February 29, 2016) 1 660-773 Dept. Physical Therapy, Yeson Rehabilitation Medicine Hospital, Juyak-dong, Jinju, Korea email: songjiug@hanmail.net 2 (Corresponding Author) 660-759 Dept. Physical Therapy, International Univ. of Korea, Munsan, Jinju, Korea email: kimprayer@gmail.com * 이 논문은 2015학년도 한국국제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으로 작성되었습니다. ISSN: 2383-5281 AJMAHS Copyright c 2016 HSST 101

Effects of Core Stability Training on the Pulmonary Function and Trunk Muscle Activ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p<.05), and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from control (p<.05).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core stability training with breathing exercise may be appropriate for improving the pulmonary function and trunk muscle activ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Keywords : Core Stability Training, Breathing Exercise, Pulmonary Function, Trunk Muscle Activity, Chronic Stroke 1. 서론 뇌졸중 환자는 근육의 긴장도와 수의적 움직임의 비정상화로 인한 운동조절장애와 체간근육의 동시수축(co-contraction)이 나타나게 되고 이로 인해 호흡근육의 협응 수행능력과 운동 수행능력에 손상을 받게 된다[1]. 이러한 이유 때문에 뇌졸중 발병 후 침상생활을 하는 환자들은 산소운반에 관련된 심혈관계 기능과 심맥박 기능 저하 그리고 환측의 가슴벽 움직임과 전기적 활동의 감소로 직 간접적으로 심폐기능에 영향을 받게 된다[2]. 이런 문제들은 뇌졸중 환자의 호흡근육 지구력과 근력을 약화시켜 독립적인 운동이나 재활 프로그램 중 근피로가 쉽게 발생되어 환자의 기능적인 회복과 일상생활의 복귀를 늦추게 된다[3]. 호흡근의 기능은 환자의 운동능력 향상과 운동에 대한 심장호흡계가 정상적으로 반응하는 것에 기여하는데, 이러한 호흡근 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근력의 증가가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호흡근이 손상되어 호흡기능에 부전이 나타나면 호흡근 훈련이 필요하다[4]. 선행연구[5]에서는 제 한성 폐질환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뇌졸중 환자의 40%가 가로막 전위에 감소를 나타내며,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 1초간 노력성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FEV1), 최대호기속도(peak expiratory flow: PEF)가 정상성인의 예측치에 50% 밖에 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배곧은근, 바깥빗근, 안쪽빗근, 배가로근으로 구성되는 체간근육들은 아래 갈비뼈을 압박하고 상체를 굽힘 시키고 가로막을 올려주므로 강력한 날숨을 유도한다. 체간의 근육 그룹은 크게 등 근육 그룹과 배 근육 그룹으로 나눌 수 있으며, 등 근육이 척추의 기립자세 유지를 위하여 작용하 고 배와 가슴 근육들은 호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뇌졸중 환자는 호흡 순환에 포함된 근 육들이 협력 작용으로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운동조절을 감소시킨다. 체간 안정화 훈련은 골반 쪽의 트레이닝으로 배근육과 척추의 소근육인 뭇갈래근이 조화롭게 동시에 활성화되도록 하는 운동으로, 불안정한 자세유지 및 조절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6]. 이렇듯 호흡에 관여하는 근육들과 체간의 안정화를 조절하는 체간근육들은 밀접한 관계를 가 지고 있으며 이 근육들의 상호작용으로 호흡과 체간 안정화를 유지하고 있다. 뇌졸중 발병 후 생명유지에 가장 기본이 되는 호흡근들의 약화에도 불구하고 뇌졸중환자에 대 한 연구는 상지나 하지의 기능적 움직임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체간 안정화 훈련과 호흡운동을 병행하여 폐 기능과 체간근육의 활성도를 관찰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호흡운동과 체간 안정화 훈 102 Copyright c 2016 HSS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6, No.2, February (2016) 련을 병행하여 훈련을 실시하였을 때 폐 기능과 체간근육 활성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뇌졸중으로 편마비 진단을 받은 환자 중 발병 후 6개월이 경과한 환자들 2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실험군과 대조군을 무작위로 10명씩 나누었으며, 모든 대상자들에게 연 구에 대한 취지를 설명하였고 자발적인 동의를 얻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군은 호흡운동과 체 간 안정화 훈련으로 구성 되었으며, 대조군은 기본적인 호흡운동만을 실시하였다. 2.2 실험방법 2.2.1 호흡운동 및 체간 안정화 훈련방법 호흡운동은 대상자가 코로 들이쉬고 입술로 휘파람을 불듯이 입술을 오므려 내쉬는 입술 오므 리기 호흡운동과 들숨훈련 기구를 사용하여 들숨호흡 훈련을 실시하였다. 체간 안정화 훈련은 뇌 졸중 환자의 신체 상태와 체력 등을 고려하여 hollowing exercise, bridging exercise, crul-up exercise, dead bug exercise로 구성하였다. 실험은 하루 30분, 주 5회, 5주간 실시하였다. 1. 기구를 수평이 되게 유지한다. 2. 수평이 유지된 상태에서 마우스를 입에 문다. 3. 힘껏 호흡을 들어 마신다 4. 공이 올라간 상태를 파악하면서 반복적으로 실시한다. [그림 1] 들숨호흡 훈련 장비 [Fig. 1] Insprio meter device Hollowing exercise 1. 실험자는 평평한 배드에 바로누운 자세에서 무 릎을 굽혀 양쪽 발을 바닥에 닫도록 한다. 2. 실험자는 골반을 후방경사 시키면서 아래위로 실험자가 압력을 가하며 10초, 20초 동안 시간을 늘리면서 시행한다. ISSN: 2383-5281 AJMAHS Copyright c 2016 HSST 103

Effects of Core Stability Training on the Pulmonary Function and Trunk Muscle Activ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Bridging exercise 1. 실험자는 평평한 배드에 바로누운 자세에서 무 릎을 굽혀 양쪽 발을 바닥에 닫도록 한다. 양팔 은 약간 벌려 양손바닥이 바닥에 닫도록 한다. 2. 실험자는 골반을 들어올려 10초, 20초로 점차 골 반을 들어 올리는 시간을 늘리면서 자세를 유지 하도록 한 다음 천천히 내리도록 한다. Crul-up exercise 1. 실험자는 평평한 배드에 바로누운 자세에서 무 릎을 굽혀 양쪽 발을 바닥에 닫도록 한다. 2. 어깨뼈를 전인시키면서 턱을 앞으로 당긴다. 양 손은 무릎을 잡도록 한다 3. 머리와 상부체간이 들리도록 한 후 10초, 20초 동안 점진적으로 시간을 늘리면서 자세를 유지 한다. 4. 머리와 상부체간을 서서히 내린다. Dead bug exercise 1. 실험자는 평평한 배드에 바로누운 자세에서 무 릎을 굽혀 양쪽 발을 바닥에 닫도록 한다. 2. 1번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한쪽 발을 든다(반대 편도 실시한다). 3. 1번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한쪽 팔을 든다(반대 편도 실시한다). 4. 익숙해지면 2번과 3번 자세를 동시에 하며 10초, 20초 점진적으로 시간을 늘리면서 시행한 뒤 천 천히 시작 자세로 돌아간다. [그림 2] 체간 안정화 훈련 [Fig. 2] Core stability training 2.2.2 호흡기능 및 체간근육 활성도 측정방법 호흡기능은 spirometer를 이용하여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 1초간 노력성 호 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one second: FEV1),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FEV1/FVC), 최대 호기 속도(peak expiratory flow: PEF)을 측정하였다. 가능한 최대한 공기를 들이 마신 후 최대한 빠르고 세게 공기를 불어 내는 방법을 노력성 호기방법(forced expiratory 104 Copyright c 2016 HSS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6, No.2, February (2016) maneuver)이라고 하며, 노력성 폐활량(FVC)은 노력성 호기 방법으로 가능한 최대한 공기를 들여 마신 후, 최대한 빠르고 세게 불어 낸 공기의 양(L)을 의미한다.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1)은 노 력성 폐활량을 측정할 때 처음 1초간의 공기 양을 말하고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는 FEV1/FVC 100으로 산정하고 단위는 %로 표시한다. 최대 호기 속도(PEF)은 최대한 공기를 들여 마신 후 강하게 공기를 내쉴 때 나타나는 유속을 말하며 단위는 L로 표시한다. [그림 3] 폐 기능 측정 [Fig. 3] Pulmonary function measurement 체간근육 활성도 측정을 위해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노력성 날숨시와 기립시에 배곧은근, 배 바깥빗근, 배속빗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체간근육 활성도 측정은 MP150 표면근전도 (BIOPAC, USA)를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피부를 0.9%의 식염수로 닦고 건조시킨 다음 TSD 150B(20mm Active Electrode) 표면 전극을 부착하였다. 측정된 원자료는 MegaWin Software 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수치화하였다. 샘플링 주파수는 1,000 로 설정하였고, 증폭된 신호(amplifier signals)는 50 450 로 정류하였으며, 근전도 신호는 RMS값의 평균값을 자료처리에 사용하였다. 원자료의 표준화 방법은 기준값(base line)을 표준으로 원자료를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배곧은근 (rectus )은 배꼽 가쪽 3Cm지점, 배바깥빗근(external oblique )은 배곧은근에서 가쪽으로 위앞엉덩뼈가시 바로 위능선과 갈비뼈사이 중간지점에 부착하였다. 배속빗근 (internal oblique )은 위앞엉덩뼈가시의 안쪽 5Cm지점에 부착하였다. 2.3 통계방법 통계분석은 SPSS(version 12.0)를 이용하여 실험 전 후의 유의성 검정은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 였으며, 그룹간 유의성 검정은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0.05로 정하였 다. ISSN: 2383-5281 AJMAHS Copyright c 2016 HSST 105

Effects of Core Stability Training on the Pulmonary Function and Trunk Muscle Activ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3. 연구결과 및 논의 3.1 폐 기능 변화 Spirometer를 이용하여 폐 기능(FVC, FEV1, FEV1/FVC, PEF)을 측정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실험 전에 비해 실험 후 폐 기능이 향상되었다. 특히, 실험군은 FVC, FEV1, PEF 값이 실험 전에 비해 실험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p<.05), 그룹간 비교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이러한 결과는 호흡운동을 통해 호흡근육이 강 화되어 폐 기능 향상에 도움을 주며, 체간 안정화 훈련이 마비측 체간근육들의 활동을 활성화시킴 으로 가슴우리 및 체간근육들의 움직임 증가와 근력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되 어진다. 척수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호흡 운동 후 폐 기능(FVC, FEV1, FEV1/FVC)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한 선행연구결과[7][8]는 본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여 준다. [표 1] 각 그룹의 폐 기능 (FVC, FEV 1, FEV 1 /FVC, PEF) 변화 [Table 1] The changes of pulmonary function (FVC, FEV 1, FEV 1 /FVC, PEF) in each Pre Post t df p 3.08±0.71 3.59±0.46** -3.87 9 0.004 FVC Control 2.72±1.01 2.94±0.82-1.76 9 0.111 p = 0.043# 2.28±0.55 2.86±0.52** -6.15 9 0.00 FEV1 Control 2.12±0.83 2.27±0.71-1.96 9 0.81 p = 0.049# 74.20±8.14 77.80±8.08-1.37 9 0.204 FEV1/FV Control 78.30±6.79 76.30±5.20 0.72 9 0.490 C p = 0.628 286.30±85.94 350.00±80.04* -2.60 9 0.029 PEF Control 271.30±113.71 262.30±103.85 0.55 9 0.596 p = 0.049# Values are showed mean ± S.D. Test by paired t-test( * ; p<.05, ** ; p<.01) Test by independent t-test( # ; p<.05) 3.2 체간근육 활성도 변화 노력성 날숨시와 기립시 체간근육(배곧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의 근활성도 측정결과 실험군 과 대조군 모두 실험 전에 비해 실험 후 체간근육의 근활성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실험군은 실험 전에 비해 실험 후 노력성 날숨시와 기립시 모두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p<.05), 그룹간 비교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노력성 날숨시 배곧은근과 배바깥 106 Copyright c 2016 HSS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6, No.2, February (2016) 빗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이러한 결과는 체간 안정화 훈련이 마비측 체간근육들의 활동을 활성화시킴으로 체간근육들의 활성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자세 조절 호흡운동을 실시한 후 호흡근 근활성도가 향 상되었다는 선행연구결과[9]는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하여 준다. [표 2] 노력성 날숨시 각 그룹의 체간근육 활성도(배곧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변화 [Table 2] The changes of abdominal muscles activity on forced expiration in each Rectus External oblique Internal oblique Pre Post t df p 506.20±199.40 764.60±244.14** -3.82 9 0.004 Control 374.30±227.62 404.80±229.38-0.46 9 0.650 p = 0.013# 611.50±263.97 910.30±272.40** -6.45 9 0.00 Control 495.20±215.61 557.00±310.09-0.95 9 0.366 p = 0.013# 993.50±347.12 1112.70±422.40-2.27 9 0.054 Control 983.00±358.31 1528.50±544.73-1.68 9 0.127 p = 0.561 Values are showed mean ± S.D. Test by paired t-test(*; p<.05, **; p<.01) Test by independent t-test(#; p<.05) [표 3] 기립시 각 그룹의 체간근육 활성도(배곧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변화 [Table 3] The changes of abdominal muscles activity on standing position in each Rectus External oblique Internal oblique Pre Post t df p 270.70±97.34 362.00±156.12* -3.04 9 0.014 Control 286.00±114.38 299.00±113.06-0.35 9 0.731 p = 0.315 545.60±244.09 620.70±301.64* -3.04 9 0.014 Control 390.30±97.06 391.10±100.88-0.03 9 0.974 p = 0.173 601.70±343.86 814.60±395.28-1.24 9 0.246 Control 715.20±444.69 695.70±483.62 0.609 9 0.558 p = 0.657 Values are showed mean ± S.D. Test by paired t-test(*; p<.05, **; p<.01) Test by independent t-test(#; p<.05) ISSN: 2383-5281 AJMAHS Copyright c 2016 HSST 107

Effects of Core Stability Training on the Pulmonary Function and Trunk Muscle Activ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4. 결론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5주간 호흡훈련과 체간 안정화 훈련을 실시하여 체간 안정화 훈련이 폐 기능 및 체간근육 활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뇌 졸중 환자의 호흡능력과 체간 안정성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 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References [1] I. C. de Almeida, A. C. Clementino, E. H. Rocha, D. C. Brandao and A. Dornelas de Andrade, Respir. Physiol. Neurobiol. (2011), Vol.178, No.2, pp.196-201. [2] G. Ferretti, M. Girardis, C. Moia and G. Antonutto, Eur.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1998), Vol.78, No.5, pp.398-402. [3] C. Roffe, S. Sills, S. J. Pountain and M. Allen, J. Stroke Cerebrovasc. Dis. (2010), Vol.19, No.1, pp.29-35. [4] S. T. Sutbeyaz, F. Koseoglu, L. Inan and O. Coskun, Clin. Rehabil. (2010), Vol.24, No.3, pp.240-250. [5] E. M. Khedr, O. El Shinawy, T. Khedr, Y. Abdel aziz ali and E. M. Awad, Eur. J. Neurol. (2000), Vol.7, No.5, pp.509-516. [6] S. M. McGill, Exerc. Sport. Sci. Rev. (2001), Vol.29, No.1, pp.26-31. [7] G. Mueller, S. de Groot, L. van der Woude and M. T. Hopman, J. Rehabil. Med. (2008), Vol.40, No.4, pp.269-276. [8] M. Y. Liaw, M. C. Lin, P. T. Cheng, M. K. Wong and F. T. Tang, Arch. Phys. Med. Rehabil. (2000), Vol.81, No.6, pp.752-756. [9] R. J. Park, J. Y. Ju, and J. L. Oh,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2005), Vol.14, No.2, pp.205-216. 108 Copyright c 2016 HS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