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EP Rhinology Korean J Otolaryngol 1999;42:582-6 인체비점막에서분리한분비선세포의배양 김우정 박지훈 한승훈 이상학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imary Human Nasal Submucosal

Similar documents
서 론 대상 및 방법 658

KISEP Rhin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3;46: 사람코점막과배양된코점막상피세포에서 15-Lipoxygenase 와 Cyclooxygenase-2 의발현 연세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1 두뇌한국 21 의과학사업단 2 김경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1;44:124-8 삼출성중이염에서삼출액의점도에따른조성의차이 최재영 1 윤주헌 1,2 이원상 1,2 정명현 1 Compositional Difference of Middle Ear Effusion ac

ÀÇÇа�ÁÂc00Ì»óÀÏ˘

±è¹ÎÁö

Microsoft Word doc

( )Kjhps043.hwp

歯1.PDF

( )Kju269.hwp

Kaes010.hwp


γ

Can032.hwp

388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Vol. 6. No COMMENT 1. (dysplastic nodule) (adenomatous hyperplasia, AH), (macroregenerative nodule, MR

Lumbar spine

<5B D B3E220C1A634B1C720C1A632C8A320B3EDB9AEC1F628C3D6C1BE292E687770>

Microsoft Word doc

KISEP Rhin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0;43: 오존노출에의한백서비점막의형태학적변화 정진욱 김용민 나기상 김병국 박찬일 Morphologic Changes in Nasal Mucosa of the Rat after Ozon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3Å׸¶(12¿ùÈ£)3053.ok

Crt114( ).hwp

#Ȳ¿ë¼®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Jksvs019(8-15).hwp

Sheu HM, et al., British J Dermatol 1997; 136: Kao JS, et al., J Invest Dermatol 2003; 120: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레이아웃 1

(JH)

<C0C7B7CAC0C720BBE7C8B8C0FB20B1E2B4C9B0FA20BAAFC8AD5FC0CCC7F6BCDB2E687770>


012임수진


44-3대지.08류주현c

06_ÀÌÀçÈÆ¿Ü0926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30372EC0CCC0AFC1F82E687770>


[ReadyToCameral]RUF¹öÆÛ(CSTA02-29).hwp

서강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대학중점연구소 심포지엄기초과학연구소

hwp

721

<C1A63534C8B820BCBCB9CCB3AA2DC6EDC1FD2E687770>

석사논문.PDF

???? 1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음주측정을 위한 긴급강제채혈의 절차와 법리, A Study on the Urgent Compulsory Blood

김범수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레이아웃 1


untitled

(

16(1)-3(국문)(p.40-45).fm


진주종상피세포의점액상피세포로의분화 Korean J Otolaryngol 2003;46:727-32

1..

歯모유수유지침서.PDF

IKC43_06.hwp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도비라

황지웅

<BABBB9AE2E687770>

,.,..,....,, Abstract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design which tries to i

歯49손욱.PDF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歯kjmh2004v13n1.PDF

12.077~081(A12_이종국).fm

<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30이지은.hwp

Ⅰ. 서 론 鼻 茸 은 비강과 부비동의 점막이 염증성, 부종성 변 화로 돌출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비교적 흔하며 그 표면이 매끄럽고 회백색 혹은 회적색을 띠고 있다. 감 염과 알레르기가 중요한 발병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 며, 치료 후에도 잘 재발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

???? 1

»ê¾÷¿¬±¸¿øÇ¥Áö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BFACBCBCC0C7BBE7C7D E687770>

2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Trd022.hwp

snu.pdf

199

b

Microsoft Word doc

( )Jkstro011.hwp

1차내지

歯kjmh2004v13n1.PDF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1. 서론 1-1 연구 배경과 목적 1-2 연구 방법과 범위 2.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2-1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의 정의 2-2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의 특징 2-3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의 시장 현황 2-4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사례 연구 2-5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에

16(2)-7(p ).fm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16_이주용_155~163.hwp

High Resolution Disparity Map Generation Using TOF Depth Camera In this paper, we propose a high-resolution disparity map generation method using a lo

05( ) CPLV12-04.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45-51 ¹Ú¼ø¸¸

09구자용(489~500)

Transcription:

KISEP Rhinology Korean J Otolaryngol 1999;42:582-6 인체비점막에서분리한분비선세포의배양 김우정 박지훈 한승훈 이상학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imary Human Nasal Submucosal Gland Cell Culture Woo Jeong Kim, MD, Ji Hoon Park, MD, Seung Hoon Han, MD and Sang Hag Lee, MD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ABSTRACT BackgroundAll tissue components in the nasal mucosa, including the epithelium, goblet cells, excretory glands, and blood capillaries participate in nasal secretory response. In vivo studies have suggested that, of these components, submucosal glands are thought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nasal mucus secretion. These studies, however, are limited in dealing with pure secretory activity of submucosal glands. Therefore, in vitro study using cultured nasal submucosal glands is required to evaluate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of nasal mucus secretion. The present study draws on experience obtained from the culture of human submucosal glands isolated from nasal mucosa. Materials and methodsto obtain isolated submucosal gland cells, the uncinate process mucosa was stripped of surface epithelum by stroking the luminal surface with cotton tip applicator and minced into small fragments. By enzymatic treatment, thereafter, the submucosal gland cells were isolated and plated on culture flasks containing media. Using millipore inserts and cover slide, culuted cell was stained AB- PAS to identify that confluent monolayer cells were submucosal gland cell. ResultsThe uncinate process mucosa were appropriate for the isolation of submucosal gland cell. An average of 1.210 6 cells were obtained in every preparation of cells. The exclusion ratio of trypan blue was 95%. The isolated cells were strongly stained in AB-PAS, suggesting that cells are of glandular origin. Plated gland cell formed colony on the 3rd day and became confluent after 57 days. The proportion of the stained cells to the total cells decreased depending the duration of cell culture. ConclusionWe succeeded in isolation and culture of submucosal gland cells which can provide model systems for studying the mechanisms of nasal glandular cell secretion in vivo. Korean J Otolaryngol 1999;42:582-6 KEY WORDSIsolation Culture Submucosal gland. 582

583

분비선세포 배양 배양된 분비선세포 고 Collagen으로 도말한 배양용기에서 배양된 세포는 배양 안 2 일 후 용기에 달라붙었고, 3일에 군집을 이루었고, 배양 5일에 아융합, 7일에 융합을 이루었다(Fig. 2. A, B and C). 최근 각각의 세포의 고유한 특성을 알기 위해 세포배양법 세포의 모양은 난원형에서 다각형의 모양으로 뚜렷한 핵을 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세포들의 증식이나 분화, 냉동 관찰할 수 있었다. AB-PAS 염색에서 청색, 자주색 등으로 보관을 통한 장기간의 저장법 등이 알려져 왔다.3)4)10)11) 그 염색되는 과립을 함유하는 세포가 관찰되었고, 이 세포들은 러나 선세포는 조직으로부터 분리하기가 어려워 단일세포 2일, 4일, 6일째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염색되는 세포의 비 를 배양하는데 문제점이 있으며,4) 배양과정에서 그 반응양 율이 줄어듬을 관찰할 수 있었다(Fig. 3. A, B and C). 상이 변하기 쉬워 선세포의 분리 및 배양이 제한되고 있는 실 Fig. 1. Isolated submucosal gland cell (PAS stain, 200, 6hr after isolation) Many acini of submucosal gland cells are dispersed, showing strongly-stained cytoplasm. Some cells demonstrate small nucleus which may represent lymphocytes, basal cell, or simply nuclei from disrupted glandular cells. A B C Fig. 2. Cultured submucosal gland cells (phase contrast microscope). A Colony forming, 2-3 days after plating ( 100). B Subconfluent, day 5, ( 100). C confluent, day 7-8 ( 100). 584 Korean J Otolaryngol 1999;42:582-6

김우정 외 B A Fig. 3. Cultured cell on cover slips (AB-PAS stain, 200). A cells after 2 days, B cells after 4 days, C cells after 6 days. The ratio of the stained cell to total cells decreased as increasing the duration of cell culture. C 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정상비점막에서도 선세포의 분리 많아 세포분리에 적당하지 않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정상 가 가능하며 분리된 선세포를 배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 인의 경우 사골동 점막은 채취하는 것이 어려운 반면 구상 을 나타내었다. 돌기의 점막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비중격교정술을 하면 선세포의 분리는 토끼의 위점막에서 선세포의 분리가 시 12) 10) 13) 서 비교적 용이하게 얻을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구상돌기 등의 동물의 기관점막에서 에 위치한 점막을 이용하였다. 이 부위의 선세포는 점막표 분리되어 실험에 이용되어 왔다. 특히 여러 실험동물의 기관 층과 가까이 위치하여 상피층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면 섬유 점막에는 선세포가 풍부하며 점막이 얇기 때문에 상피층을 아세포를 포함한 다른 세포를 비교적 적게 함유하게 되고, 제거하면 상피층 직하부에 분비선세포가 분포되어 있어 효 선세포의 밀도도 충분하였다. 분리된 대부분의 세포는 PAS 소처리를 하여 분리된 여러가지 세포 중 분비선세포가 차지 에 강하게 반응하는 분비과립을 함유하고 있는 세포질과 뚜 하는 비율이 높아 주로 기관지 점막에서 채취한 분비선세포 렷한 핵을 가지고 있어 선세포임을 알 수 있었고 비교적 쉽 를 배양에 이용하여왔다.10)14) 비점막에서 시도된 분비선세 고 성공적으로 분비선세포를 분리할 수 있었다. 도되었고, 소, 고양이, 개 포의 분리는 흰쥐와 기니픽 등의 실험동물에서 주로 시도되 15) 세포분리시에는 여러가지 다른 세포가 혼합될 수 있다. 주로 비중격점막을 채취함으로써 시도되어왔다. 세포의 분리와 배양에서 오염된 세포의 제거를 위해서는 이는 비중격점막의 상피층 직하부에 분비선이 고밀도로 존 세포분리시에 보다 순수하게 단일세포로 분리하는 방법 었는데, 15) 분비선간질이 적어 다른 세포가 혼합되지 않고 분 과 배양시에 오염세포를 제거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효소, 리하기가 쉽기 때문이었다. 인체의 정상비점막에서 분비선 EDTA16)17) 등으로 세포질간의 결합을 약화시키고, 세포간 세포를 분리하여 배양을 시도한 연구는 거의 미흡한 실정이 의 무게차이를 이용한 원심분리,10)15) 세포크기의 차이를 이 었으나, 최근 인체의 비점막에서 채취한 분비선세포의 일차 용하여 망상체로 세포를 거르는 방법,10)15) 분비선세포와 섬 배양이 시도되었다.3)9) 그러나 비점막 분비선세포배양은 비 유아세포, 상피세포가 평판되는 시간의 차이를 이용3)11)하여 재하며 3) 용조직에서 시도되거나, 9) 이 이루어졌었다. 조직편유출배양을 통한 세포배양 저자들은 세포분리를 위하여 적합한 비 순수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효소, 세포무게를 이 용한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세포의 순수도를 높였다. 점막조직을 찾기 위해 하비갑개와 구상돌기에서 비점막을 분리하여 배양된 선세포는 일반적인 다른 단일세포의 증 얻어 세포분리를 시도했다. 하비갑개의 점막은 비교적 두껍 식력과 같은 속도로 배양되었는데, 배양 2일에 세포가 소 고 선세포층과 상피세포층과의 간격이 클 뿐만 아니라 또한 군락을 이루었고 3 4일에 군집을 이루었으나 세포의 크 분비선세포 사이의 간격도 크고 섬유아세포가 상대적으로 기와 모양이 다소 불규칙하였다. 5일째 다각형의 세포로 모 585

586 REFERENCES 1) Raphael GD, Druce HM, Baraniuk JN, Kaliner MA. Pathophysiology of rhinitis. Am Rev Respir Dis 1988138413-20. 2) Raphael GD, Jeney EV, Baraniuk JN, Kim I, Meredith SD, Kaliner MA. Pathophysiology of rhinitis. Lactoferrin and lysozyme in nasal secretions. J Clin Invest 1989841528-35. 3) Masayuki Furukawa, Mutsuo Yamaya, Katsuhisa Ikeda, Takeshi Oshima, Tomoko Suzuki, Hidetada Sasake, et al. Culture and characterization of human nasal gland cells. Am J physiol 1996 271L593-600. 4) Culp DJ, Lee DKP, Penney DP, Marin MG. Cat tracheal gland cells in primary culture. Am J Physiol 1992263L264-75. 5) Borum P. Nasal methaholine challenge: A test for the measurement of nasal reactivity. J Allergy Clin Immunol 1979 63253-7. 6) Konno A, Terada N, Okamoto Y, Togawa K. The role of chemical mediators and mucosal hypereactivity in nasal hypersecretion in nasal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198779620-6. 7) Uddman R, Luts A, Sundler F.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calcitonin gene related peptide in the mammalian respiratory tract and middle ear. Cell Tissue Res 1985241551-5. 8) Van Megen YJB, Teunissen MJ, Klaassen ABM, De Miranda JFR. Autoradiographic analysis of muscarinic receptors in rat nasal glands. Eur J Pharmacol 19881457-13. 9) Mushtaq A, Jennifer M, James NB. Spontaneous release of submucosal gland serous and mucous cell macromolecules from human nasal explants in vitro. Am J Physiol 1996270:L595-600. 10) Culp DJ, Penney DP, Martin MG. A technique for the isolation of submucosal gland cells from cat trachea. J Appl Physiol 1983 551035-41. 11) Merten MD. Human tracheal gland cells in primary culture. In Jones GE. Human cell culture protocols. Totowa, New Jersey Humana Press1996. p.201-16. 12) Berglindh T, Obrink KJ. A method for preparing isolated glands from the rabbit gastric mucosa. Acta physiol scand 197696:150-9. 13) Kondo M, Finkbeiner WE, Widdicombe JH. Simple technique for culture of highly differentiated cells from dog tracheal epithelium. Am J Physiol 1991261L106-17. 14) Marin MG, Culp DJ. Isolation and culture of submucosal gland cells. Clinincs in Chest Medicine 19867239-45. 15) Sunose H, Zhang W, Ishigaki M, Katori Y, Suzuki M, Ikeda K, et al. Isolation of acini from nasal glands of the guinea-pig. Acta Physiol Scand 1994151377-84. 16) Bernard T, James S, Thomas FB. EDTA-mediated seperation of cat tracheal lining epithelium. Am Rev Respir Dis 1981124469-75. 17) Joaquim M, Gordon DR, Jens DL, James NB, Marco M, James HS, et al. Comparison of human nasal mucosal secretion in vivo and in vitro. J All-ergy Clin Immunol 199289584-92. Korean J Otolaryngol 1999;42:5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