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2; 45(1): 80 ~ 93 DOI /kjn 한국인상용식품의혈당지수 (Glycemic Index) 추정치를활용한한국성인의식사혈당지수산출 * 송수진 1 최하늬 1 이사야 2 박정민 2

Similar documents
안녕하세요. 핏짜김진모입니다. 요즘먹는음식에대하여많은관심을가지고공부하고있습니다. 그러다보니 GI( 혈당지수 ) 에대하여서도공부를하게되었는데인터넷에서찾아본자료는같은식품인데도서로다른값들이많아믿을만한자 료인지에대한의구심

½Ç°ú¸Ó¸®¸»¸ñÂ÷ÆDZÇ(1-5)¿Ï

서론 34 2


<C7D1B1B9C0CEC0C720B4EBC7A5BDC4B4DCBAB8B0EDBCAD2E687770>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3; 46(1): 61 ~ 71 ISSN / E-ISSN 우리나라성인의인슐린저항성과관련된영양소및식품군섭취 :

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전립선암발생률추정과관련요인분석 : The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II (KCPS-II)

hwp

Lumbar spine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제3호-최종

현재도 피운다. (a) Half pack a day (b) half to one pack a day 반 갑 미만 반 갑 ~ 한 갑 (c) one to two packs a day (d) more than 2 packs a day 한 갑 ~ 두 갑 두 갑 이상 5. Ho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식료

(Microsoft PowerPoint - S13-3_\261\350\273\363\307\366 [\310\243\310\257 \270\360\265\345])

국제 원자재 지수

연세대-신규메뉴북-수정3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J Nutr Health) 2013; 46(4): 382 ~ pissn / eissn 커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J Nutr Health) 2014; 47(3): 186 ~ pissn / eissn R

싱카이 역삼점 메뉴내지_단품음주류

건강과질병-7권호-웹용.indd

012임수진

Microsoft PowerPoint - YEMNQZEWSOVU.pptx

식사구성안 균형있는 식사형태란? 균형있는 식사의 형태란? 제때에 신체리듬에 맞춰 제때에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골고루 다양한 식품들은 각기 다른 여러가지 영양소를 공급합니다. 영양학적으로 균형잡힌 식사를 하려면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여 부족되는 영양소

보고서_pdf로.hwp

A 617

PowerPoint Presentation

2007)...,,,,,, 조사대상및시기 Inbody 520(, ) (BMI) 22.9, BMI 체성분검사 (Inbody 520),,,, BMI,,. (, DS-102) 0.1cm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3; 46(1): 34 ~ 49 / 35 로 과일주스 우유류 및 탄산음료 등 음료류의 섭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내 초 중 고 학생을 대상으로 음료 섭취 실태를 조사한 결과 즐겨 마시는 음료는 콜라 스포츠음료 사이

1..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SUMMARY About 3.2 million Korean people (10.1%) aged over 30 years or older had diabetes in Based on fasting g

어린이기호식품1회제공량표시-결과보고서-줄임.hwp

歯1.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3 Yes, I smoke. 현재도 피운다. (a) Half pack a day (b) half to one pack a day 반 갑 미만 반 갑 ~ 한 갑 (c) one to two packs a day (d) more than 2 packs a day 한 갑 ~

식료

제 출 문 경상북도 경산시 농업기술센터 귀하 본 보고서를 6차산업수익모델시범사업 농산물가공품개발 연구용역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년 11 월 19 일 주관연구기관명 : 영남대학교 총괄연구책임자 : 한 기 동 연 구 원 : 김 상 욱 이 수 형 이 상


들어가면서 본 식생활가이드 는 여러분께서 받으신 식생활 평가지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식생활 평가지는 식품섭취조사에서 응답하신 내용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체중평가, 에너지 섭취평가, 식품 섭취 평가, 영양소 섭취 평가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2 3

주제발표 식품소비구조의변화가국민건강에미치는영향 연구책임자맹원재 ( 자연제 2 분과 ) 공동연구자홍희옥 ( 상명대학교겸임교수 ) - 2 -

청미심_메뉴_최종

(김정현).fm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일본 검역대상품목 리스트 - 우체국 배포용.xls

학술원논문집 ( 자연과학편 ) 제 50 집 2 호 (2011) 콩의식품적의의및생산수급과식용콩의자급향상 李弘䄷 * 李英豪 ** 李錫河 *** * Significance of Soybean as Food and Strategies for Self Suffici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1; 44(5): 416 ~ 427 DOI /kjn 부모의사회경제적수준 ( 가구월수입, 부모교육수준 ) 과 초등학교 6 학년학생의과체중및식습관, 식사질과의관계 * 장한별 1 박주연 1

DBPIA-NURIMEDIA


<303320C0CCBDC2B1B3BFDC28BCF6BFF8C1F6BFAA296F6B2E687770>

12이문규

DBPIA-NURIMEDIA

<30315F D C1BEBCB35FB1E8C0CEC1D65FC0FAC0DA20B0A3BBE720B1B3C1A4B9DDBFB52E687770>

44-4대지.07이영희532~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육화원_카다로그시안_수정22_최종검토용2

04-ƯÁý3b61è°ÇÈñš

歯5-2-13(전미희외).PDF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C7D1B1B9B1A4B0EDC8ABBAB8C7D0BAB85F31302D31C8A35F32C2F75F E687770>

#Ȳ¿ë¼®

Microsoft PowerPoint - SS2_Dr.LeeHY(fiber).ppt

untitled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Ç°�°úÁúº´5-44È£ÃÖÁ¾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winners and losers in curling: Focused on shot type, shot accuracy, blank end and average score SungGeon Park 1 & Soowo

untitled

DBPIA-NURIMEDIA

October 2014 BROWN Education Webzine vol.8 울긋불긋 가을이야기 목차 From Editor 앉아서 떠나는 여행 Guidance 그림책 읽어주는 기술 Homeschool 다양한 세계문화 알아보기 Study Trip 올 가을!풍요로운 낭만축

03이경미(237~248)ok

Treatment and Role of Hormaonal Replaement Therapy

청미심_메뉴_최종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BFACBCBCC0C7BBE7C7D E687770>

Ⅰ. 시장통계 3 Ⅱ. 시장트렌드 10 Ⅲ. 경쟁제품 현황 16 Ⅳ. 유통구조 23 Ⅴ. 통관검역 28 Ⅵ. 관세 및 세금 38 Ⅶ. 인증 및 허가등록 40 Ⅷ. 라벨링 및 식품첨가물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12; 45(2): 192 ~ 2 / 193 면 과일의 적절한 섭취는 인체 내 산화 손상을 줄이고 혈청 지 방과 혈압을 낮추며 혈당조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나 당뇨병 환자의 경우 혈당지수가 높은 과일의 경 우

14.531~539(08-037).fm


γ

14. 우동 Udon Udon noodle soup with fish cakes and vegetables 15. 김치 볶음밥 Kim-chi Fried Rice Fried rice with Kim-chi, bacon and vegetables with a fried e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1; 44(2): 171 ~ 180 DOI /kjn 식품으로인한유해물질노출조사를위한 식생활설문지의타당도평가 * 김혜미 1 최슬기 1,2 신상아 1 이경윤 1 신상희 1,3 이정원 1

차례 어린이를 위한 영양 식생활 실천 가이드 1. 골고루 먹기 4 2. 똑똑하게 먹기 요리사 되어보기 건강한 몸 만들기 복습하기 32

09È«¼®¿µ 5~152s

<35BFCFBCBA2E687770>

DBPIA-NURIMEDIA

< FB4EBB1B8BDC320BAB8B0C7BAB9C1F6C5EBB0E8BFACBAB820B9DFB0A320BFACB1B85FBEF6B1E2BAB92E687770>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00약제부봄호c03逞풚

590호(01-11)

< D B1C7BBF3C8F120C7F6C5C2BCB1292E666D>

Transcription: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2; 45(1): 80 ~ 93 DOI 10.4163/kjn.2012.45.1.80 한국인상용식품의혈당지수 (Glycemic Index) 추정치를활용한한국성인의식사혈당지수산출 * 송수진 1 최하늬 1 이사야 2 박정민 2 김보라 2 백희영 1 송윤주 2 서울대학교생활과학대학식품영양학과, 1 가톨릭대학교생활과학부식품영양학전공 2 Establishing a Table of Glycemic Index Values for Common Korean Foods and an Evaluation of the Dietary Glycemic Index among the Korean Adult Population Song, SuJin 1 ㆍ Choi, Hanui 1 ㆍ Lee, Saya 2 ㆍ Park, Jeong-min 2 ㆍ Kim, Bo Ra 2 ㆍ Paik, Hee-Young 1 ㆍ Song, YoonJu 2 1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1-742, Korea 2 Major of Food and Nutrition, School of Human Ec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ucheon 420-743, Korea ABSTRACT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glycemic index (GI) has an effect on developing the risk for metabolic abnormalities such as diabetes, dyslipidemia, and obesity. As there are no reliable GI values for common Korean foods,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using the dietary GI for Korean adul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table of GI values for common Korean foods and evaluate dietary glycemic index (DGI) and dietary glycemic load (DGL) among the Korean adult population. International tables of GI values and other published values were used to tabulate GI values for common Korean foods. Among 653 food items, 149 (22.8%) were adapted from published data, 60 (9.2%) were imputed from similar foods, and 444 (68.0%) were assigned a zero. Data from 7,940 subjects aged 20 years and older in the 2007-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obtained, and DGI and DGL were calculated. The average DGI was 60.0 and the average DGL was 182.5 when the reference food GI value was glucose.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ing variables, DGI and DGL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 group (p for trend < 0.001). The food group that contributed most to DGL was grain and its products supplying 85.3% of total DGL, whereas the mean GI value in grain and its products was 72.6. Fruits and potatoes also contributed to DGL (5.8 and 2.9%, respectively), and their GIs were high (67.7 for potatoes and 45.8 for fruits). For individual food items, white rice supplied 66.7% of total GI followed by glutinous rice (2.3%) and steamed white rice cakes (2.0%). In conclusion, a table of GI values for 653 common food items was established in which white rice was the most contributing item to DGL. Our results will be useful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DGI, DGL, and metabolic abnormalities in the Korean population. (Korean J Nutr 2012; 45(1): 80 ~ 93) KEY WORDS: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KNHANES. 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예로부터 밥을 주식으로 하였고 그에 따 접수일 : 년 월 일 수정일 : 년 월 일채택일 : 년 월 일 * - : 론 라 탄수화물 섭취가 총 섭취 에너지의 약 를 차지할 정도로 높다 최근 고탄수화물 식사에 의한 당뇨 심혈관질환 비만 등 대사성 질환의 위험에 관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에서 탄수화물 섭취의 양적인 측면뿐 아니라 질적인 측면도 함께 고려하고 있다 탄수화물의 질적 섭취를 평가하기 위해서 혈당지수 - 를 지표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혈당지수란 특정 식품의 식후 혈당 반응 정도를 기준이 되는 식품에 대해 비교하여 수치화한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같은 양의 탄수화물 식품을 섭취하더라도 서로 다른 속도로 소화 흡수되기 때문에 인체 내에서의 혈당 반응은 식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2012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2; 45(1): 80 ~ 93 / 81 다 최근의 여러 역학 연구들에서 식품의 값을 이용하여 개인의 식사혈당지수 와 식사혈당부하지수 를 산출하고 이와 대사성 질환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는데 는 섭취한 식품 내 탄수화물을 질적으로 평가하는 지수인 반면 은 식사 중 탄수화물의 질적 양적인 면을 모두 반영하는 지수이다 와 당뇨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등 은 건강한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식사혈당지수의 섭취 수준 증가에 따라 공복기 혈당과 당화혈색소가 증가함을 보고하였고 와 은 세의 제 형 당뇨 환자들에게 가 높은 식단과 낮은 식단을 섭취시킨 결과 가 낮은 식단을 섭취한 군에서 혈당이 개선됨을 보고하였다 또한 등 은 가 높고 곡류를 통한 식이섬유 섭취량이 적은 식사가 제 형 당뇨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다 와 다른 대사성 질환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 등 은 세의 명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가 높은 식사를 한 경우에 가 낮은 식사를 한 경우보다 심혈관질환에 걸릴 확률이 배 높음을 보고하였고 등 은 명의 건강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섭취 수준이 낮을수록 콜레스테롤이 높고 - 이 낮아졌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등 은 비활동적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가 낮은 아침 식사를 섭취하게 하였을 때 가 높은 식사를 한 그룹보다 저강도 운동 실시 후 지방 산화가 많이 되었으며 포만감이 더 컸음을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최근 와 관련하여 여러 대사성 질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식생활이 단백질이나 지방 위주인 서구 사람들의 식생활과는 달리 탄수화물 위주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사람들의 식사혈당지수 실태와 대사성 질환과의 관련성 연구가 극히 드문 실정이다 이는 우리나라 상용 식품에 대한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며 그동안 한국인을 대상으로 개인별 식사혈당지수를 평가한 몇 개의 논문에서는 제한적인 식품에 대해서만 혈당지수를 설정하였다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 등 의 연구에서는 식품섭취빈도조사지에 포함된 개 식품에 대해서만 값을 설정하였고 등 과 등 의 연구에서는 년에 발표된 에 근거하여 값을 설정하였으나 이는 공개되어 있지 않아 다른 연구에서 활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외에서 발표된 자료들을 참고하여 한국인 상용 식품에 대한 값을 설정하고 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섭취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식사혈당지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한국인상용식품의혈당지수 (GI) 설정 상용식품선정본 연구에서 사용한 한국인 상용 식품은 제 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 목록과 코드를 활용하여 선정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사용한 식품 목록은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에서 발간한 제 개정판 식품성분표 를 기본으로 하며 가공식품 수입식품 패스트푸드를 보충하여 약 여종의 식품을 포함하고 있다 총 개의 식품들이 차 식품코드로 분류되어 있고 이들은 다시 개의 차 식품코드로 분류된다 차 식품코드의 식품들은 곡류 및 그 제품 감자 및 전분류 당류 및 그 제품 두류 및 그 제품 종실류 및 그 제품 채소류 버섯류 과실류 육류 및 그 제품 난류 어패류 해조류 우유 및 그 제품 유지류 음료 및 주류 조미료류 조리가공식품류 기타 이렇게 총 개의 식품군으로 분류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한국인 상용 식품에 대한 값 설정을 위해 사용한 식품코드는 제 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출현한 개의 차 식품코드이다 먼저 차 식품코드의 식품들 각각의 값을 찾은 후 차 식품코드로 분류되는 식품에 그들의 평균값을 매기는 방법으로 값을 정하였다 즉 이번 연구에서 값은 최종적으로 차 식품코드를 기준으로 구축되었다 국내외자료의이용 등 이 년부터 년까지 와 관련하여 발표된 개의 논문들을 인용하여 개의 식품들에 대한 값을 정리한 을 발표하였고 이는 년에 - 등 이 발표한 을 수정 및 보완한 것이어서 이 두 논문의 값을 우선적으로 사용하였다 그 외에 찾지 못한 값들은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 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을 참고하여 설정하였다 설정 시 고려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국 자료에서 나타난 식품과 우리나라의 상용 식품이 정확히 일치하는 것이 아니므로 최대한 유사한 식품이면서 탄수화물 함량이 비슷한 식품을 기준으로 값을 정하였다 우리나라 상용 식품에서 같은 식품이 생 것 삶은 것 마른 것 등의 물리적 상태에 따라 다르게 분류되어 있는 경우 그와 비슷한 조리 방법이나 상태를 명시한 외국 식품의 값을 기준으로 정하였다 우리나라 식품의 경우는 한 항목이나 에서 원산지나 제조회사 등에 따라 여러 값이 존재하는 경우 그들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82 / 혈당지수추정치를활용한식사혈당지수산출 육류 및 가금류 어패류 일부 채소류 난류 등의 경우 탄 수화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아 많은 양을 섭취해도 혈당 상승 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 에 따라 - 에서도 값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에 서도 값을 으로 정하였다 주류 또한 탄수화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아 값을 제시 하지 않았다는 등의 연구 에 따라 주류에 속한 식 품의 값은 모두 으로 정하였다 포도당을 기준 식품으로 두었을 때 포도당의 가 이 라면 식빵의 는 이다 이 두 가지 기준 식품에 대한 값 의 전환 비율을 이용하여 참고한 논문에서 식빵을 기준 식품 으로 두었을 경우 포도당을 기준 식품으로 두었을 때의 는 을 곱한 값으로 포도당을 기준 식품으로 두었을 경우 식 빵을 기준 식품으로 두었을 때의 는 을 곱한 값으로 표기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각 식품에 대하여 포도 당을 기준 식품으로 할 때와 식빵을 기준 식품으로 할 때의 값을 각각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성인의식사혈당지수 (DGI) 및식사혈당부하지수 (DGL) 산출 연구대상자 우리나라 성인의 식사혈당지수 및 식사혈당부하지수를 산 출하기 위해 선택한 대상자는 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식품섭취조사에 참여한 만 세 이상 성인으로 그 중 일일 에너지 섭취량이 에서 의 범위에 해당하고 기본 변수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건강 관련 변수 및 신체 계 측 자료에 대한 결측치가 없는 대상자 총 명 남자 명 여자 명 이었다 기본변수 본 연구에서 사용한 기본 변수는 연령 성별 소득수준 교육 수준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흡연 여부 음주 여부 신체 활동 정도와 같은 건강 관련 변수 그리고 신장 체중과 같은 신체 계측 자료였다 조사 항목 중 본 연구에서 선택한 기본 변수를 다음과 같이 재분류하였다 연령은 세 세 세 세 이상 의 그룹으로 나누었고 소득수준은 상 중 하 교육수준은 초 등학교 졸업 이하 중 고등학교 졸업 대학교 졸업 이상으로 나 누었다 비만 정도는 를 활용하여 미만 이상의 세 항목으로 나누었다 현재 흡 연 여부 월간 음주 여부 신체 활동 정도는 예 와 아니오 로 구 분하였다 월간 음주 여부는 최근 년간 월 잔 이상 음주한 경 우를 신체 활동 여부는 격렬한 신체 활동을 회 분 이상씩 주 일 이상 실천한 경우를 예 라고 분류하였다 DGI 및 DGL 계산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사용한 식품섭취조사 중 시간 회상법을 통해 얻어진 개인별 식품 섭취량과 영양 소 섭취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 명의 시간 회상법 자료와 본 연구에서 설정한 한국인 상용 식품에 대한 값을 사용하여 개인별 식사혈당지수 - 와 식사혈당부하지수 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였다 하루 총 식사혈당지수 는 각 식품의 값과 각 식품 으로부터 섭취하는 탄수화물의 양을 곱한 후 이를 모두 합하 여 하루 총 섭취하는 탄수화물의 양으로 나누어서 산출하며 하루 총 식사혈당부하지수 는 각 식품의 값과 각 식 품으로부터 섭취하는 탄수화물의 양을 곱한 후 이를 모두 합 하여 으로 나누어서 산출하였다 하루 총 식품 섭취를 통한 와 의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하루 총 식사 혈당지수 DGI Σ n 식품의 GI 식품으로 부터 섭취하는 탄수화물량 i 하루 총 탄수화물 섭취량하루 총 식사 혈당부하지수 DGI Σ n 식품의 GI 식품 으로부터 섭취하는 탄수화물량 i 이렇게 계산한 와 은 성별 및 연령 그룹 세 세 세 세 이상 에 따라 평균값 및 분포를 제 시하였다 급원식품분석 우리나라 사람들의 식사에서 식품의 혈당지수나 식사혈당부 하지수에 급원이 되고 있는 식품을 파악하기 위해 개 식품 군별 평균 혈당지수와 식사혈당부하지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식사혈당지수에 높은 기여를 하는 개별 식품 목록을 파악하 기 위해 기여율이 높은 개의 식품 목록을 작성하였다 통계분석모든 통계 처리는 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수 및 건강 관련 변 수에 대해서는 성별에 따른 분포 를 나타내었고 성별에 따 른 에너지 및 다량 영양소 섭취량 식사혈당지수 식사혈당부하 지수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범주형 변수 연령 그 룹 교육수준 소득수준 비만 정도 현재 흡연 여부 월간 음주 여부 신체 활동 정도 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 를 이용하였고 연속형 변수 일일 에너지 섭취량 다 량 영양소 섭취량 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 를 이 용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연령 그룹에 따른 와 의 i 1 i 1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2; 45(1): 80 ~ 93 / 83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일반선형모델 을 사용하였고 이때 성별 교육수준 소득수준 현 재 흡연 여부 월간 음주 여부 신체 활동 정도 일일 에너지 섭 취량으로 보정하였다 결 한국인상용식품의혈당지수 (GI) 설정본 연구는 제 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나타난 개의 한 국인 상용 식품에 대해 값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총 개 식품 중 국내외의 연구에서 일치하는 식품을 찾아 그 값을 적 용한 것이 개 유사한 식품의 값으로 대체한 것 이 개 값이 으로 판단된 식품은 개 였다 정확히 일치하는 식품이 없는 경우와 조리 방 법이나 식품의 상태가 다른 경우는 유사한 식품의 값으로 대체하였으며 육류 가금류 어패류 일부 채소류 난류 주류 등 의 식품군에 해당하는 식품은 값을 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한국인 상용 식품 개 중 값이 이 아 닌 식품 개에 대해 차 식품명 및 포도당과 식빵을 기준으 과 로 한 각각의 값을 에 제시하였다 Table 1. Composition of the table of glycemic index values for common Korean foods Food group Grain and its products Matched values Number of food items Imputed values Assigned as zero Sum 47 18 001 066 Potatoes 08 03 002 013 Sugar and sweets 09 04 000 013 Legumes 13 04 004 021 Nuts and seeds 03 08 005 016 Vegetables 05 01 127 133 Mushrooms 00 00 013 013 Fruits 38 21 002 061 Meat and its products 00 00 025 025 Eggs 00 00 004 004 Fishes 00 00 132 132 Seaweeds 00 00 019 019 Milk and dairy products 11 00 002 013 Oils 00 00 014 014 Beverages 11 01 031 043 Seasonings 00 00 040 040 Processed foods 03 00 009 012 Others 01 00 014 015 Total number 149 (22.8%) 60 (9.2%) 444 (68.0%) 653 우리나라성인의식사혈당지수 (DGI) 및식사혈당부하지수 (DGL) 산출본 연구 대상자는 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섭 취조사에 참여한 만 세 이상 성인 명으로 대상자의 기 본 특성 및 에너지와 다량 영양소 섭취량을 에 제시하 였다 전체 대상자의 성별 분포는 남자가 약 여자가 약 로 여자의 비율이 높았다 연령 분포는 세가 약 세가 약 세가 약 세 이상이 약 로 대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소득수준이 낮은 그룹 이 약 중간 그룹이 약 높은 그룹이 약 였고 교 육수준은 초등학교 이하의 학력을 가진 대상자가 약 중 고등학교 졸업이 약 대학교 졸업 이상이 약 였다 전체 대상자 중 약 가 의 범위에 해당하 였고 약 가 현재 흡연을 하고 있으며 최근 년간 월 잔 이 상 음주를 한 대상자는 약 였다 또한 전체 중 약 가 격 렬한 신체 활동을 회 분 이상씩 주 일 이상 실천하고 있었 다 이 중 소득수준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특성은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에너지 섭취량은 남자가 여자가 로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남 자의 다량 영양소 섭취 비율 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이 여자는 이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값을 이용하여 개인별 일 와 을 산출한 결과 의 전체 평균은 은 였다 는 남자의 평균이 여자는 이며 의 사분위수 범위 제 사분위수와 제 사분위 수의 차이 를 살펴보면 전체 대상자의 경우 제 사분위수가 제 사분위수가 로 그 범위가 이었다 남자의 경우 제 사 분위수 에서 제 사분위수 으로 그 범위가 여자의 경우 에서 으로 그 범위가 로 나타나 남녀가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성인의 일 는 대체적 으로 근처에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의 경우 남 자의 평균은 여자는 였다 의 사분위수 범위는 전체의 경우 남자의 경우 여자의 경우 으로 남자와 여자가 다른 분포 를 보이며 여자의 분포가 낮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성인의 연령 그룹에 따른 와 은 에 제시하였다 의 경우 세는 평균 세는 세는 세 이상은 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 의적으로 증가하였다 < 의 경우 세는 세는 세는 세 이상 은 으로 역시 연령 그룹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 는 경향을 보였다 <

84 / 혈당지수추정치를활용한식사혈당지수산출 Table 2.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n = 7,940) Total Men Women n % n % n % 7,940 100 3,092 38.9 4,848 61.1 p-value 1) Age group < 0.0047 20-29 y 0,852 10.7,0315 10.2,0537 11.1 30-49 y 3,242 40.8 1,208 39.1 2,034 42.0 50-64 y 1,994 25.1 0,818 26.5 1,176 24.3 65 y or more 1,852 23.3 0,751 24.3 1,101 22.7 Income < 0.1453 Low 1,719 21.7,0648 21.0 1,071 22.1 Medium 4,129 52.0 1,607 52.0 2,522 52.0 High 2,092 26.4,0837 27.1 1,255 25.9 Education < 0.0001 Elementary 2,442 30.8,0710 23.0 1,732 35.7 Secondary 3,544 44.6 1,496 48.4 2,048 42.2 College or more 1,954 24.6 0,886 28.7 1,068 22.0 BMI < 0.0001 < 18.5 kg/m 2,0381 04.8,0120 03.9 0,261 05.4 18.5-25.0 kg/m 2 5,083 64.0 1,926 62.3 3,157 65.1 25.0 kg/m 2 2,476 31.2 1,046 33.8 1,430 29.5 Current smoking < 0.0001 Yes 4,029 50.7 1,279 41.4,0254 05.2 Current alcohol use 2) < 0.0001 Yes 1,533 19.3 2,198 71.1 1,831 37.8 Physical activity 3) < 0.0001 Yes 1,256 15.8,0594 19.2,0662 13.7 Mean S.D. Mean S.D. Mean S.D. Energy intake (kcal) 1,799.3 707.2 2,125.3 754.7 1,591.4 587.3 < 0.0001 Carbohydrate (g/day) 0303.6 112.8 0339.8 114.5 0280.5 105.4 < 0.0001 Fat (g/day) 0032.1 025.1 0038.7 028.2 0027.9 021.9 < 0.0001 Protein (g/day) 0063.3 032.3 0075.6 036.3 0055.4 026.7 < 0.0001 % Energy from carbohydrate 0070.1 010.7 0068.7 010.6 0071.0 010.6 < 0.0001 % Energy from fat 0015.6 008.4 0016.4 008.2 0015.1 008.4 < 0.0001 % Energy from protein 0014.3 004.2 0014.9 004.4 0013.8 004.0 < 0.0001 1) Categorical variables were tested by sex using chi-square test and continuous variables were tested by sex using student s t-test 2) Current alcohol use was assigned as yes if subjects drank a glass of alcohol or more per month over the previous year 3) Physical activity was assigned as yes if subjects engaged in physical activity at high intensity more than 20 minutes at least 3 days or more per week over the previous week 식사혈당지수 (DGI) 및식사혈당부하지수 (DGL) 의급원및기여식품우리나라 성인의 식사혈당지수와 식사혈당부하지수의 급원 식품을 식품군별로 살펴보면 곡류 및 그 제품이 전체 식품 섭 취량의 약 를 차지하며 이 식품군의 평균 값은 이다 감자 및 전분류의 평균 값이 당류 및 그 제품의 값은 과실류의 값은 로 이들은 평균 값이 높은 식품군에 해당하였다 버섯류 육류 및 그 제품 난류 어 패류 해조류 유지류 조미료류는 대부분 식품의 값이 이 기 때문에 평균 값이 인 식품군에 해당하였다 우리나라 성인은 곡류 및 그 제품에서 의 를 얻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과실류에서 감자 및 전분류에서 의 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성인의 식사혈당지수에 기여도가 높은 식품 개를 에 제시하였다 에 기여도가 가장 높은 식품은 흰쌀 로 약 의 기여율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찹쌀 가래떡과 백설기 설탕 보리 감 순이었다 대부분 곡식류와 면류 과일류가 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2; 45(1): 80 ~ 93 / 85 Dietary glycemic index (DGI) 1) A 66.0 64.0 62.0 60.0 58.0 56.0 54.0 65.2 60.7 60.0 55.6 65.0 60.6 59.8 55.4 Total Men Women 65.3 (75 th percentile) 60.7 (median) 60.2 (mean) 55.8 (25 th percentile) Dietary glycemic index (DGI) 1) A 66.0 64.0 62.0 60.0 58.0 56.0 54.0 p for trend 2) < 0.001 63.7 60.6 57.8 58.1 20-29 y 30-49 y 50-64 y 65 y Dietary glycemic load (DGL) 1) B 250.0 200.0 150.0 100.0 220.6 182.5 174.6 134.0 Fig. 1. Distribution of dietary glycemic index (A) and dietary glycemic load (B) in Korean men (n = 3,092) and women (n = 4,848). 1) DGI and DGL were calculated using glucose as the reference food. 고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식사혈당지수 와 식사혈당 부하지수 를 산출하기 위해 년 국민건강영양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인 상용 식품 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값을 설정한 후 이를 기초로 만 세 이상 성인 명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와 을 계산한 결과 평균은 남자 여자 평균은 남자 여자 였고 이를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와 비교해보면 농촌 성인 명을 대상 으로 한 연구 에서 평균 는 남자 여자 으로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인 반면 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 남녀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에서 는 남녀 모두 가 이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 보다 높게 나 타났다 그러나 연구 간의 식품섭취조사 방법과 계 산에 사용한 값의 차이 등으로 인해 다른 연구 결과와 직접 비교하는데 한계가 있다 243.9 203.4 195.4 154.5 Total Men Women 그러나 대체적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른 나라의 연구들 과도 비교해보면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쌀을 주식으로 섭취하 는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등 의 연구에서는 평균 가 남자는 여자는 으로 본 연구의 값보다 높 찰 205.3 169.2 161.4 122.3 (75 th percentile) (mean) (median) (25 th percentile) Dietary glycemic load (DGL) 1) B 200.0 190.0 180.0 170.0 160.0 150.0 166.1 180.4 20-29 y 30-49 y 50-64 y 65 y Age group 193.0 p for trend 2) < 0.001 182.6 Fig. 2. Dietary glycemic index (A) and dietary glycemic load (B) according to age group in Korean adults (n = 7,940). 1) DGI and DGL were calculated using glucose as the reference food, 2) Adjusted for sex, education, income, BMI, current smoking, current alcohol use, physical activity, and daily energy intake. Table 3. Weighted mean values of glycemic index and dietary glycemic load by food groups Food group Glycemic index 1) 1) Dietary glycemic load (Value) (% total) Grain and Its products 72.6 155.8 ± 65.3 2) 85.3 ± 13.4 Potatoes 67.7 05.7 ± 15.6 2.9 ± 7.1 Sugar and sweets 65.7 4.4 ± 7.9 2.5 ± 4.3 Legumes 33.3 1.3 ± 2.9 0.7 ± 1.8 Nuts and seeds 31.7 0.2 ± 1.9 0.1 ± 1.0 Vegetables 04.9 0.9 ± 2.5 0.5 ± 1.2 Mushrooms 00.0 0.0 ± 0.0 0.0 ± 0.0 Fruits 45.8 10.8 ± 19.3 5.8 ± 9.2 Meat and Its products 00.0 0.0 ± 0.0 0.0 ± 0.0 Eggs 00.0 0.0 ± 0.0 0.0 ± 0.0 Fishes 00.0 0.0 ± 0.0 0.0 ± 0.0 Seaweeds 00.0 0.0 ± 0.0 0.0 ± 0.0 Milk and dairy products 31.1 1.5 ± 3.6 0.9 ± 2.6 Oils 00.0 0.0 ± 0.0 0.0 ± 0.0 Beverages 17.4 2.0 ± 7.7 1.1 ± 4.2 Seasonings 00.0 0.0 ± 0.0 0.0 ± 0.0 Processed foods 16.2 0.1 ± 1.1 0.1 ± 0.8 Others 00.0 0.0 ± 0.0 0.0 ± 0.0 1) Glycemic index for glucose = 100 2) Data are means ± S.D.

86 / 혈당지수추정치를활용한식사혈당지수산출 Table 4. Major food items contributing to dietary glycemic index (DGI) Rank Food item 은 경향을 보였으나 평균 은 남자 여자 로 본 연구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일본 성인 여성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에서는 평균 가 평균 이 로 역시 본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Dietary glycemic index 1) (Value) (% total) 01 White rice 40.1 66.7 02 Glutinous rice 01.4 02.3 03 Karaedduk / Baekseolgi (Steamed white rice cake) 01.2 02.0 04 Sugar 01.1 01.8 05 Barley 00.9 01.5 06 Persimmons 00.9 01.4 07 Ramyon (Instant noodles) 00.8 01.3 08 Sweet potatoes 00.8 01.2 09 Potatoes 00.7 01.1 10 Wheat flour 00.7 01.1 11 Noodles, Raw 00.7 01.1 12 Noodles, Dried 00.6 01.0 13 Apples 00.6 00.9 14 Brown rice 00.5 00.8 15 Tangerines 00.4 00.6 16 Buckwheat noodle/ Naengmyeon, Raw 17 Bread with jam and red bean paste 00.4 00.6 00.4 00.6 18 Pears 00.3 00.6 19 Grapes 00.3 00.5 20 White bread 00.3 00.5 1) Glycemic index for glucose = 100 성별에 따른 식사혈당지수와 식사혈당부하지수를 살펴보면 남녀에 따른 는 비슷했지만 이 큰 차이를 보였는데 이 것은 남자가 여자보다 식품 섭취량이 많기 때문에 탄수화물 섭 취량 또한 남자가 더 높은 것에 기인하여 탄수화물의 양적 질 적 측면을 모두 반영하는 이 남자에게서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와 모두 식품의 탄수화물 함량을 고려하여 계산하지만 는 각 식품의 전체 탄수화물 섭취에 대한 비율을 고려하여 산출하고 은 탄수화물 섭취량만 을 고려하여 산출하므로 이 탄수화물 섭취량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이러한 경향은 다른 연구에서도 나타나는데 등 의 연구에서 와 의 분포를 살펴보면 와 을 분위로 나누어 가운데 분위에 해당하는 의 범위를 살펴보면 남자는 여자는 로 비슷한 범위를 갖지만 의 범위는 남자는 인 반면 여자는 이 보다 낮은 의 범위를 갖는다 미국의 세 노인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에서도 남자와 여자 사이에 와 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특히 여자의 와 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연령 그룹에 따른 식사혈당지수와 식사혈당부하지수를 살펴보면 와 은 연령 그룹에 따라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 섭취 중 탄수화물의 섭취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최근의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특히 세 이상 성인은 탄수화물의 섭취 비율이 를 넘어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에서 제시한 에너지적정비율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 등 의 연구에서도 와 이 증가함에 따라 남녀 모두에게서 연령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일본 농촌 지역의 명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 에서는 이 증가함에 따라 연령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에 따른 연령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에 기여도가 가장 높은 식품은 쌀로 약 의 기여도를 보였으며 의 약 를 곡류 및 그 제품으로부터 얻고 있었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두 연구 에서 에 대한 쌀의 기여도가 였고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두 연구 에서도 쌀이 에 기여하는 비율이 약 로 대체로 아시아 지역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와 마찬가지로 와 에 대한 쌀의 기여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시아 지역의 연구 결과와 다르게 미국의 세 성인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에서는 평균 값이 값이 이고 당뇨병을 갖고 있지 않은 남녀 명을 대상으로 한 호주의 연구 에서는 의 중앙값이 정도였다 이들 결과는 본 연구 및 다른 아시아 지역 연구의 평균값보다 낮은 것으로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는 값이 높은 쌀밥을 주식으로 하며 탄수화물로부터 얻는 에너지 비율이 높음에 따라 및 이 높은 값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장점은 기존의 연구들이 식품섭취빈도법을 바탕으로 일부 식품의 값만 활용하여 우리나라 사람들의 식사혈당지수 실태를 파악한 것에 비해 개의 한국인 상용 식품에 대하여 구축한 값을 활용하여 시간 회상법과 같은 정량적인 식이섭취조사 자료로부터 식사혈당지수와 식사혈당부하지수를 계산하고 섭취 실태를 파악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값을 포도당과 식빵 두 가지의 기준 식품에 대해 각각 제시하였기 때문에 및 값을 앞으로 보완 수정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우선 본 연구에서 주로 사용한 값은 많은 연구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의 - 에 포함된 식품을 우리나라의 상용 식품들과 일치시킨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거나 상용되는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2; 45(1): 80 ~ 93 / 87 식품의 형태와 같지 않을 수 있다 - 등 은 같은 유형의 식품에 대한 값도 지역과 나라마다 다른 재료 다른 조리 방법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정확한 식사혈당지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상용되는 식품들을 직접 수거해서 분석하거나 본 연구에서 구축한 자료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연구를 추가로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 다른 한계점은 제 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나타난 식품코드에 근거하여 값을 설정하였으므로 조사에 나타나지 않은 식품들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시 표본설계를 통한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아 본 연구 결과가 갖는 대표성에 제한점이 있다 탄수화물 섭취 수준이 대사성 질환의 위험 요인으로 밝혀지면서 앞으로의 후속 연구를 통해 탄수화물 섭취 비율이 높은 한국 성인에서 개인의 탄수화물 섭취를 질적 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와 을 산출하여 과 당뇨 심혈관질환 비만 등과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밝히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이를 활용한 적정한 탄수화물의 섭취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라 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 식품군별 평균 값을 살펴보면 곡류 및 그 제품은 감자 및 전분류는 당류 및 그 제품은 과실류는 로 이들은 평균 값이 높은 식품군에 해당하였다 우리나라 성인은 곡류 및 그 제품에서 의 를 얻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과실류에서 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 대한 기여 식품으로는 흰쌀이 로 가장 높은 기여율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찹쌀 가래떡과 백설기 설탕 보리 감 순이었다 대부분 곡식류와 면류 과일류가 에 높은 기여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최근의 자료를 참고하여 우리나라 상용 식품에 대한 값을 설정하고 이를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적용시켜봄으로써 우리나라 성인의 식사혈당지수를 산출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구축한 한국인 상용 식품에 대한 자료를 한국인의 식사혈당지수와 대사성 질환과의 관련성 연구에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구축한 자료에 대한 보완 및 타당성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요약및결론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연구들로부터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인 상용 식품 개의 값을 설정하였다 또한 이 자료를 바탕으로 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만 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식사혈당지수 및 식사혈당부하지수 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제 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나타난 개의 한국인 상용 식품에 대해 값을 설정하였다 등이 년에 발표한 을 기본으로 하고 그 외 국내외 연구들에 발표된 값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총 개 식품 중 국내외 자료와 일치한 식품은 개 유사한 식품의 값으로 대체한 것은 개 으로 판단된 식품은 개 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자료를 이용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성인을 대상으로 개인별 와 을 계산한 결과 와 의 전체 평균은 였다 남자의 평균은 여자는 남자의 평균은 여자는 였다 남자와 여자가 서로 다른 분포를 보이며 여자의 분포가 낮게 나타났다 연령 그룹에 따른 평균 의 경우 세는 세는 세는 세 이상은 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역시 연령 그룹에 따 Literature cited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 Seoul; 2009 2) Gaesser GA. Carbohydrate quantity and quality in relation to body mass index. J Am Diet Assoc 2007; 107(10): 1768-1780 3) McKeown NM, Meigs JB, Liu S, Rogers G, Yoshida M, Saltzman E, Jacques PF. Dietary carbohydra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the Framingham offspring cohort. J Am Coll Nutr 2009; 28(2): 150-158 4) Jenkins DJ, Wolever TM, Taylor RH, Barker H, Fielden H, Baldwin JM, Bowling AC, Newman HC, Jenkins AL, Goff DV. Glycemic index of foods: a physiological basis for carbohydrate exchange. Am J Clin Nutr 1981; 34(3): 362-366 5) Salmerón J, Ascherio A, Rimm EB, Colditz GA, Spiegelman D, Jenkins DJ, Stampfer MJ, Wing AL, Willett WC. Dietary fiber, glycemic load, and risk of NIDDM in men. Diabetes Care 1997; 20(4): 545-550 6) Murakami K, Sasaki S, Takahashi Y, Okubo H, Hosoi Y, Horiguchi H, Oguma E, Kayama F. Dietary glycemic index and load in relation to metabolic risk factors in Japanese female farmers with traditional dietary habits. Am J Clin Nutr 2006; 83(5): 1161-1169 7) Gellar L, Nansel TR. High and low glycemic index mixed meals and blood glucose in youth with type 2 diabetes or impaired glucose tolerance. J Pediatr 2009; 154(3): 455-458 8) Schulze MB, Liu S, Rimm EB, Manson JE, Willett WC, Hu FB.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dietary fiber intake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in younger and middle-aged women. Am J Clin Nutr 2004; 80(2): 348-356 9) Denova-Gutiérrez E, Huitrón-Bravo G, Talavera JO, Castan ón S, Gallegos-Carrillo K, Flores Y, Salmerón J. Dietary glycemic index, dietary glycemic load, blood lipids, and coronary heart

88 / 혈당지수추정치를활용한식사혈당지수산출 disease. J Nutr Metab 2010. doi: 10.1155/2010/170680 10) Levitan EB, Cook NR, Stampfer MJ, Ridker PM, Rexrode KM, Buring JE, Manson JE, Liu S. Dietary glycemic index, dietary glycemic load, blood lipids, and C-reactive protein. Metabolism 2008; 57(3): 437-443 11) Stevenson EJ, Astbury NM, Simpson EJ, Taylor MA, Macdonald IA. Fat oxidation during exercise and satiety during recovery are increased following a low-glycemic index breakfast in sedentary women. J Nutr 2009; 139(5): 890-897 12) Kim K, Yun SH, Choi BY, Kim MK. Cross-s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carbohydrate, glycaemic index, glycaemic load and risk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a Korean population. Br J Nutr 2008; 100(3): 576-584 13) Chai HJ, Hong H, Kim HS, Lee JS, Yu CH. Relationship between food intakes,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body weight among high school boys in Seoul. Korean J Nutr 2008; 41(7): 645-657 14) Kim EK, Lee JS, Hong H, Yu CH. Association between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dietary carbohydrates and diabetes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Korean J Nutr 2009; 42(7): 622-630 15)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ood composition table, 7th revision. Suwon; 2006 16) Atkinson FS, Foster-Powell K, Brand-Miller JC. International tables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values: 2008. Diabetes Care 2008; 31(12): 2281-2283 17) Foster-Powell K, Holt SH, Brand-Miller JC. International table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values: 2002. Am J Clin Nutr 2002; 76(1): 5-56 18) Kim HY, Hong SG, Hwang SJ, Mok C, Park MH, Lee JY. Effect of saengshik on bloo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subje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7; 36(12): 1553-1559 19) Chen YJ, Sun FH, Wong SH, Huang YJ.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of selected Chinese traditional foods. World J Gastroenterol 2010; 16(12): 1512-1517 20) Murakami K, Sasaki S, Takahashi Y, Okubo H, Hirota N, Notsu A, Fukui M, Date C. Reproducibility and relative validity of dietary glycaemic index and load assessed with a self-administered diet-history questionnaire in Japanese adults. Br J Nutr 2008; 99(3): 639-648 21) Du H, van der A DL, van Bakel MM, van der Kallen CJ, Blaak EE, van Greevenbroek MM, Jansen EH, Nijpels G, Stehouwer CD, Dekker JM, Feskens EJ.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in relation to food and nutrient intake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a Dutch population. Am J Clin Nutr 2008; 87(3): 655-661 22) Nakashima M, Sakurai M, Nakamura K, Miura K, Yoshita K, Morikawa Y, Ishizaki M, Murakami K, Kido T, Naruse Y, Sasaki S, Nakagawa H. Dietary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blood lipid levels in middle-aged Japanese men and women. J Atheroscler Thromb 2010; 17(10): 1082-1095 23) Sahyoun NR, Anderson AL, Tylavsky FA, Lee JS, Sellmeyer DE, Harris TB; Health, Aging, and Body Composition Study. Dietary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in older adults. Am J Clin Nutr 2008; 87(1): 126-131 24)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2010 25) Liese AD, Schulz M, Fang F, Wolever TM, D Agostino RB Jr, Sparks KC, Mayer-Davis EJ. Dietary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carbohydrate and fiber intake, and measures of insulin sensitivity, secretion, and adiposity in the Insulin Resistance Atherosclerosis Study. Diabetes Care 2005; 28(12): 2832-2838 26) Hodge AM, English DR, O Dea K, Giles GG. Glycemic index and dietary fiber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4; 27(11): 2701-2706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2; 45(1): 80 ~ 93 / 89 Appendix - N_FCODE2 1) Food name GI_glucose 2) GI_bread 3) Source 4) 1001 Oats ( 귀리 ) 57 81 1 1004 Prosomillet ( 기장 ) 68 97 1 1005 Buckwheat ( 메밀 ) 54 71 2 1007 1008 1009 Buckwheat noodle/naengmyeon, Raw ( 메밀국수 / 냉면국수, 생것 ) Buckwheat noodle/naengmyeon, Boiled ( 메밀국수 / 냉면국수, 삶은것 ) Buckwheat noodle/naengmyeon, Dry form ( 메밀국수 / 냉면국수, 말린것 ) 59 85 1 59 85 1 53 76 1 1013 Wheat, Whole grain ( 밀 ) 49 70 1 1019 Wheat flour ( 밀가루 ) 74 106 1 1024 Wheat flour, Frying/Pancake/Doughnut powder ( 부침가루, 튀김가루, 믹스 ) 74 106 6 1026 Wheat flour, Bread crumbs ( 빵가루 ) 71 102 6 1029 Wheat noodles, Dry form ( 국수, 말린것 ) 46 66 1 1030 Wheat noodles, Boiled ( 국수, 삶은것 ) 48 69 1 1031 Ramyon (Instant noodles), Dry form ( 라면 ) 50 71 1 1032 Ramyon (Instant noodles), Cooked ( 라면, 조리한것 ) 50 71 6 1039 Udong, Raw ( 우동 ) 55 79 1 1042 Jajangmyon (Instant noodles), Dry form ( 자장면, 인스턴트 ) 50 71 6 1043 Chinese noodle, Wet form ( 국수, 생면 ) 82 117 1 1048 Jungmyon, Dry form ( 중면 ) 82 117 1 1049 Jjomyon, Dry form ( 쫄면 ) 50 71 6 1050 Kalguksu, Wet form ( 칼국수, 생면 ) 62 89 6 1051 Kalguksu, Semi-dried form ( 칼국수, 반건면 ) 50 71 6 1052 Wheat biscuit ( 건빵 ) 69 99 1 1053 Bread ( 빵, 기타 ) 61 87 1, 2 1055 Doughnut ( 도넛 ) 73 103 1, 2 1062 Manju/Monaka ( 만주 / 모나카 ) 48 69 6 1069 Biscuits/Cookies/Crackers ( 비스켓 / 쿠키 / 크래커 ) 61 87 1 1072 Sandwiches ( 샌드위치 ) 71 101 6 1079 Snacks, Wheat flour/corn/potato ( 스낵과자 ) 43 62 1 1083 Bread with jam/red bean paste/cream ( 잼빵 / 팥빵 / 크림빵 ) 62 89 1 1084 White bread ( 식빵 ) 65 93 1 1099 Choco pie ( 초코파이 ) 42 60 6 1100 Castella/Sponge cake ( 카스테라 / 스폰지케이크 ) 46 66 2 1102 Custard ( 커스터드 ) 46 66 6 1103 Cake, Roll/Pound/Chocolate ( 케이크 ) 50 71 1 1105 Cake, Whipping cream ( 케이크, 생크림 ) 50 71 1 1121 Croissants/Pastries ( 크로아상 / 페이스트리 ) 56 80 1 1124 Bread, Croquette ( 빵, 크로켓 ) 57 81 1 1130 Pudding ( 푸딩 ) 36 51 1 1132 Pizza ( 피자 ) 80 114 2 1133 Pie ( 파이 ) 56 80 6 1134 Hotdog ( 핫도그 ) 62 89 1

90 / 혈당지수추정치를활용한식사혈당지수산출 1135 Hamburgers ( 햄버거 ) 66 94 1 1140 Barley ( 보리 ) 48 69 1 1149 Barley flour ( 보리가루 ) 50 72 2 1151 Grain parched powder ( 미숫가루 / 선식 / 생식 ) 56 80 3 1152 Malt ( 엿기름 ) 48 69 6 1153 Sorghum ( 수수 ) 71 101 2 1156 Steamed rice cake with red bean ( 팥떡 / 시루떡 ) 48 69 1 1158 Cereals ( 시리얼 ) 73 105 1 1165 Brown rice ( 현미 ) 62 88 1 1173 White rice ( 백미 ) 76 109 1 1194 Glutinous rice ( 찹쌀 ) 86 123 1 1197 Cooked rice ( 밥 ) 72 103 1 1198 Cooked rice with whole grains ( 잡곡밥 ) 72 103 6 1204 Scorched rice ( 누룽지 ) 72 103 6 1205 Rice gruels ( 죽 ) 68 97 1 1211 Steamed white rice cake ( 가래떡 / 백설기 ) 82 117 1 1239 Glutinous rice cake ( 찹쌀떡 ) 82 117 1 1247 Hangwa (A cake made from popped glutinous rice and syrup) ( 한과 ) 82 117 6 1251 Corn, Dried ( 옥수수, 말린것 ) 52 75 1 1253 Corn, Raw/Steamed ( 옥수수 ) 52 75 1 1266 Popcorn ( 옥수수, 팝콘 ) 65 94 1 1267 Job s tear ( 율무 ) 48 69 6 1270 Foxtail millet ( 조 ) 71 101 6 2001 Potato ( 감자 ) 64 92 1 2010 Potato chips ( 감자칩 ) 60 86 1 2012 Potato, French fried ( 감자튀김 ) 64 90 1 2016 Sweet potato ( 고구마 ) 63 90 1 2019 Sweet potato, Steamed and dried ( 고구마, 쪄서말린것 ) 63 90 6 2024 Starches ( 전분 ) 96 137 1 2026 Yam ( 마 ) 54 77 1 2039 Sweet potato starch vermicelli, Dried ( 당면, 마른것 ) 96 137 6 2040 Sweet potato starch vermicelli, Boiled ( 당면, 삶은것 ) 96 137 6 2043 Taro ( 토란 ) 53 75 1 3001 Fructose ( 과당 ) 23 33 1 3002 Gum ( 껌 ) 85 121 1 3004 Honey ( 꿀 ) 74 105 1 3012 Syrups ( 당밀 / 시럽 ) 66 94 1 3014 Starch syrup ( 물엿 ) 74 105 6 3015 Candy ( 사탕 ) 66 95 1 3024 Sugar ( 설탕 ) 65 94 1 3033 Thick starch syrups ( 조청 ) 68 97 6 3036 Sweet jelly of red beans ( 양갱 ) 48 69 1 3037 Crude maltose ( 엿 ) 68 97 6 3040 Jelly ( 젤리 ) 53 76 1 3041 Chocolate ( 초콜릿 ) 32 44 1 3051 Caramel ( 카라멜 ) 53 76 6 4001 Kidney beans, Raw ( 강낭콩 ) 17 23 1 4002 Kidney beans, Dried ( 강낭콩, 말린것 ) 37 52 1 4004 Mungbeans, Dried ( 녹두 ) 37 52 1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2; 45(1): 80 ~ 93 / 91 4005 Mungbeans, Boiled ( 녹두, 삶은것 ) 31 44 1 4007 Mungbeans, Dough ( 녹두, 녹두빈대떡반죽 ) 31 44 6 4010 Soybeans, Dried ( 대두 ) 37 52 1 4015 Soybeans, Boiled ( 대두, 삶은것 ) 25 36 1 4023 Soybean milk ( 두유 ) 44 63 1 4024 Soybean powder ( 콩가루 ) 37 52 6 4026 Soybean boiled with soy sauce ( 콩자반 ) 47 67 1 4027 Cowpeas, Raw ( 동부 ) 33 47 1 4028 Cowpeas, Dried ( 동부, 말린것 ) 37 52 1 4033 Peas, Raw ( 완두콩 ) 53 75 1 4034 Peas, Dried ( 완두콩, 말린것 ) 37 52 1 4040 Black-eyed peas ( 쥐눈이콩 ) 37 52 1 4041 Red beans, Dried ( 팥, 말린것 ) 37 52 6 4042 Red beans, Boiled ( 팥, 삶은것 ) 14 19 6 5014 Peanuts ( 땅콩 ) 13 19 1 5018 Peanuts, Boiled ( 땅콩, 삶은것 ) 13 19 1 5028 Chestnuts ( 밤 ) 63 90 6 5033 Chestnuts, Dried ( 밤, 말린것 ) 63 90 6 5048 Almonds ( 아몬드 ) 24 10 6 5052 Gingko nuts ( 은행 ) 24 10 6 5054 Pine nuts ( 잣 ) 24 10 6 5064 Cashew nuts ( 캐슈넛 ) 27 39 1 5074 Sunflower seeds ( 해바라기씨 ) 24 10 6 5077 Walnuts ( 호두 ) 24 10 6 5079 Pumpkin seeds ( 호박씨 ) 24 10 6 6096 Carrot ( 당근 ) 39 56 1 6298 Lotus root ( 연근 ) 33 47 6 6381 Tomato, Juice ( 토마토, 주스 ) 31 44 1 6404 Pumpkin, Mature ( 늙은호박 ) 75 107 1 6407 Young pumpkin ( 애호박 ) 75 107 1 6412 Sweet pumpkin ( 단호박 ) 75 107 1 8001 Persimmon, Raw ( 감 ) 50 71 4 8006 Persimmon, Dried ( 곶감 ) 50 71 6 8011 Tangerine, Raw ( 귤 ) 47 67 1 8013 Tangerine, Juice ( 귤, 주스 ) 50 72 1 8017 Tangerine, Jam ( 귤, 잼 ) 51 73 6 8022 Grapefruit, Raw ( 자몽 ) 25 36 2 8023 Grapefruit, Juice ( 자몽, 주스 ) 47 67 1 8028 Kumquat ( 금귤 ) 47 67 1 8031 Actinidia arguta ( 다래 ) 58 83 6 8032 Jujube, Raw ( 대추 ) 62 88 1 8033 Jujube, Dried ( 대추, 말린것 ) 42 60 1 8035 Durian ( 두리안 ) 68 97 6 8036 Strawberry, Raw ( 딸기 ) 40 57 1 8038 Strawberry, Jam ( 딸기, 잼 ) 51 73 1 8042 Lemon, Raw ( 레몬 ) 25 36 6 8043 Lemon, Juice ( 레몬, 과즙 ) 25 36 6 8044 Longans ( 롱간스 ) 79 113 6 8047 Lychee ( 리치 ) 79 113 6 8048 Mango ( 망고 ) 51 73 1

92 / 혈당지수추정치를활용한식사혈당지수산출 8049 Japanese apricot, Raw ( 매실 ) 53 75 6 8050 Japanese apricot, Concentrated juice ( 매실, 농축액 ) 53 75 6 8051 Japanese apricot, Salted and Dried ( 매실, 염건 ) 53 75 6 8052 Wild grape, Raw ( 머루 ) 59 84 6 8056 Wild grape, Juice ( 머루, 과즙 ) 59 84 6 8057 Melon ( 멜론 ) 70 100 1 8059 Chinese quince ( 모과 ) 56 80 1 8060 Fig, Raw ( 무화과 ) 61 87 6 8061 Fig, Dried ( 무화과, 말린것 ) 61 87 1 8063 Banana, Raw ( 바나나 ) 62 89 1 8064 Banana, Dried ( 바나나, 말린것 ) 62 89 6 8065 Pear, Raw ( 배 ) 38 54 2 8068 Pear, Juice ( 배, 과즙 ) 43 61 1 8072 Cherry ( 버찌 ) 22 32 2 8076 Peach ( 복숭아 ) 34 49 1, 2 8081 Peach, Jam ( 복숭아, 잼 ) 51 73 6 8086 Blueberry, Jam ( 블루베리, 잼 ) 46 66 1 8090 Apple, Raw ( 사과 ) 36 51 1 8094 Apple, Juice ( 사과, 주스 ) 41 58 1 8100 Apple, Jam ( 사과, 잼 ) 51 73 6 8101 Raspberry ( 산딸기 ) 40 57 1 8103 Apricot, Raw ( 살구 ) 34 49 1 8104 Apricot, Dried ( 살구, 말린것 ) 31 44 1 8110 Watermelon ( 수박 ) 80 114 1 8118 Mulberry ( 오디 ) 53 76 6 8121 Orange, Raw ( 오렌지 ) 40 57 1 8122 Orange, Juice ( 오렌지, 주스 ) 50 72 1 8131 Yuzu (Chinese lemon) ( 유자 ) 47 67 6 8136 Plum ( 자두 ) 24 34 1 8137 Oriental melon ( 참외 ) 70 100 1 8142 Cranberry, Juice ( 크랜베리, 주스 ) 59 84 1 8143 Kiwi, Raw ( 키위 ) 58 83 1 8144 Pineapple ( 파인애플 ) 55 79 1 8155 Grape, Raw ( 포도 ) 43 62 2 8160 Grape, Raisin ( 포도, 건포도 ) 64 91 1 8161 Grape, Juice ( 포도, 주스 ) 48 69 2 8167 Grape, Jam ( 포도, 잼 ) 46 66 1 8169 Fruit cocktail ( 후르츠칵테일 ) 55 79 1 13001 Breast milk ( 모유 ) 31 45 1 13002 Powdered milk ( 분유 ) 39 56 1 13003 Infant formula milk powder ( 조제분유 ) 39 56 1 13007 Condensed milk ( 연유 ) 61 87 1 13010 Cow s milk ( 우유 ) 30 43 1 13019 Goat s milk ( 산양유 ) 31 45 1 13020 Sherbet ( 샤베트 ) 34 49 1 13021 Ice milk ( 아이스밀크 ) 38 54 1 13022 Ice cream ( 아이스크림 ) 38 54 1 13028 Yoghurt, Liquid type ( 요구르트, 액상 ) 34 49 1 13029 Yoghurt, Curd type ( 요구르트, 호상 ) 24 35 1 15001 Vegetable beverages ( 채소음료 ) 43 61 1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2; 45(1): 80 ~ 93 / 93 15002 Fruit beverages ( 과일음료 ) 48 69 2 15008 Milk shake ( 셰이크 ) 35 50 1 15011 Sikhye (Sweet rice beverage made from malt) ( 쌀음료 ) 92 131 1 15012 Isotonic drink ( 이온음료 ) 46 66 1 15013 Carbonated drinks ( 기타탄산음료 ) 63 90 1 15019 Soda ( 사이다 ) 63 90 1 15022 Coke ( 콜라 ) 63 90 1 15078 Citron tea, Powder ( 과일차, 분말 ) 50 72 6 15089 Cocoa, Powder ( 코코아, 분말 ) 42 61 1 17013 Dumpling ( 만두 ) 28 40 1 17017 Fried rice/rice served with toppings ( 볶음밥 / 덮밥 ) 80 114 5 17025 Spaghetti ( 스파게티 ) 42 60 1 18030 Weaning food ( 이유식 ) 39 56 1 81001 Instant cup ramyon ( 라면, 용기면 ) 50 71 1 82001 Croquette ( 크로켓 ) 57 81 1 88001 Pomegranate, Juice ( 석류, 주스 ) 41 58 6 88002 Kiwi, Juice ( 키위, 주스 ) 58 83 6 95001 Functional drinks ( 기능성음료 ) 25 36 1 95005 Cocoa drinks ( 코코아음료 ) 46 66 1 1) Second code of food item used in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 Glycemic index for glucose = 100 3) Glycemic index for white bread = 100 4) Source of GI values: 1 = Atkinson et al., 2008; 2 = Foster-Powell et al., 2002; 3 = Kim et al., 2007; 4 = Murakami et al., 2006; 5 = Kim et al., 2009; 6 = Imputed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