常用漢字表 蟹攝韻의 字音 分類 ) 이경철* kanzi@empal.com ** 하소정 kawasj@naver.com <目次>. 序論. 本論. 開口等. 開口等.3 合口等.4 合口等.5 開口等.6 開口等.7 合口等.8 合口等.9 合口等 夬韻. 開口3等 祭韻乙類. 開口3等 祭韻甲類. 合口3等 祭韻乙類.3 合口3等 祭韻甲類.4 合口3等 廢韻.5 開口4等 齊韻.6 合口4等 齊韻 3. 結論 咍韻 泰韻 灰韻 泰韻 皆韻 佳韻 皆韻 佳韻 主題語: 蟹攝(Group of Xie), 吳音(Sino-japanese Go on), 漢音(Sino-japanese Kan on), 聲母(Initials), 韻(Rymes). 序 論 일본에서는 98년 이래 常用漢字,945자를 사용해 오다가 년 월에 구 常用漢字,945자에서 5자를 삭제하고, 96자를 추가하여,36자의 새로운 常用漢字를 사용하고 있다. 常用漢字에 대한 字音分類는 佐藤喜代治編(996) 漢字百科大事典 의 常用漢字 人名用漢 字の漢音 吳音對照表 에서 실시한 98년의,945자의 字音分類가 유일하다. 그러나 그 凡 例에서 밝혔듯이, 이 對照表는 角川大字源 이라는 현용 漢和辭典을 근거로 하였고, 일부 角川新字源 改訂版 을 참고로 한 것이다. 常用漢字는 일상생활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한자로, 기초적인 일본어 음운연구의 대상임에 * 동국대학교(seoul campus) 일어일문학과 교수, 제저자 ** 동국대학교(seoul campus) 대학원 수료
8 日本近代學硏究 第 44 輯 도 불구하고, 常用漢字表에 그 字音에 대한 규정이 실려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佐藤喜代治編 (996)의 對照表 이외에는 일본 정부의 어떠한 공식적인 해설서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佐藤喜代治編(996)의 對照表 역시 여러 가지 오류가 존재하며, 더욱 심각한 문제는 각 字音에 대한 규정이 일본에서 출간된 현행 漢和辭典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각각 의 漢和辭典 또한 통일된 字音規定을 갖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더구나 년의,36자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字音別 분류가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漢和辭典에 나타나는 字音規定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李京哲(5 6)과 李京哲 白惠 英(8 9 )에서 언급한 바 있다. 이와 같이 漢和辭典마다 字音規定이 다르게 나타 나는 이유는,945자 또는,36자에 대한 字音分類라고 하더라도, 그것을 吳音, 漢音, 唐音, 慣用音으로 나누기 위해서는 고문헌을 통해 구체적인 확인 작업을 필요로 하는 막대한 시간과 치밀한 분석을 동반하는 작업이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먼저 常用漢字,36字의,35音에 대한 字音分類가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며, 이로 인해 일본에서 사용되는 전체 漢字에 대한 字音分類의 기준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果 假 遇攝韻에 해당하는 常用漢字 67字 99音에 대해서는 졸고(3a)에서, 流 效攝 韻에 해당하는 35字 58音에 대해서는 졸고(3b)에서 고찰하였고, 본고에서는 蟹攝韻에 해당하는 常用漢字 37字 5音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吳音 漢音 唐音 慣用音으로 분류하여, 결과적으로 각 字音이 어떻게 분포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각 漢字音마다의 字音分類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실시한다. ) 常用漢字表,36字의 音讀,35音 중에서 蟹攝의 37字 5音을 대상으로 한다. ) 각 漢字를 各 攝韻별로 나눈다. 3) 각 攝韻별로 해당 常用漢字의 常用漢字音을 추출한다. 4) 각 韻別로 해당 常用漢字音을 韻母의 반영과 聲母의 반영이라는 두 가지 방법을 통해 字音별로 분류한다. 5) 해당 韻이 吳音, 漢音, 唐音자료의 고문헌에서 어떤 자음형으로 출현하는지를 파악하여, 해당 常用漢字音을 그 韻母별 자음형과의 비교를 통해 字音별로 분류한다. 6) 해당 常用漢字音을 中古漢語의 聲母體系와 비교하여 그 聲母의 반영을 통해 字音별로 분류한 다. 7) 吳音과 漢音의 자음형이 동일할 경우, 또는 구체적인 확인 작업을 요하는 자음형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실증자료를 통해 그 확인 작업을 거친다. 上代借字표기자료: 萬葉集, 古事記, 日本書紀)
常用漢字表 蟹攝韻의 字音 分類 이경철 하소정 9 吳音자료: 法華經, 大般若波羅蜜多經, 新譯華嚴經, 光明眞言, 承曆音義, 類聚名義抄) 漢音자료: 蒙求, 群書治要, 三蔵法師伝, 本朝文粋, 佛母大孔雀明王經3) 唐音자료: 金光明懺法, 小叢林略淸規, 觀世音菩薩普門品4) 現用 漢和辭典: 大漢和辞典(984, 大修館書店), 新明解漢和辞典(99, 三省堂), 漢和辞典(997, 講談社), 漢語新辭典(, 大修館書店), 新選漢和辞典(3, 小學館), 漢字源(3, 學習硏究 社) 8) 記紀萬葉의 借字表記에 출현하는 자음형은 이를 별도로 분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吳音에 포함시킨다.. 本 論 이하 각 韻별로 해당 常用漢字의 字音을 吳 漢音동형, 吳音, 漢音, 唐音, 慣用音이라는 네 가지 기준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왜 그렇게 분류했는지 그 분류의 방법, 절차, 이유에 대해 논증해 가도록 한다.. 開口等 咍韻 吳漢():カイ改(見k) 開(溪k ) 海(曉)/アイ哀曖(影ʔ)/タイ戴(端t) 貸胎態(透t )/ライ来 (來l)/サ再(精ts)/サイ再災宰栽載(精ts) 采彩採菜(淸ts ) 塞(心s) 呉音(6):ガイ劾(匣ɦ)/ダイ代台(定d)/ザイ在材財(從dz) 漢音(9):アイ愛(影ʔ)/タイ待袋代台怠(定d)/サイ才裁財(從dz) 慣用音(4):ガイ概該(見k) 慨(溪k ) タイ耐(泥n) 開口等 咍韻은 36字 4音으로, 吳音 漢音 모두 -ai형으로 출현하기 때문에, 그 聲母만이 ) 萬葉集은 大塚毅(978), 古事記는 高木市之助 富山民藏(974), 日本書紀는 大野晉(953)를 사용한다. ) 法華經은 小倉肇(995), 般若波羅蜜多經은 김정빈(7), 新譯華嚴經은 榎木久薫(988), 光明眞言은 榎 木久薫(989), 承曆音義는 小倉肇(979), 類聚名義抄는 沼本克明(995)의 分韻表를 사용한다. 3) 蒙求 群書治要 三蔵法師傳 本朝文粋는 佐々木勇(9)의 資料編에 실린 分韻表를, 佛母大孔雀明王 經은 李京哲(5)의 分韻表를 사용한다. 4) 沼本克明(997:584-6)의 分韻表를 사용한다.
日本近代學硏究 第 44 輯 字音판별의 기준이 된다. 따라서 濁字를 濁音으로 반영한 [ガイ劾(匣ɦ)/ダイ代台(定d)/ザイ在 材財(從dz)]는 吳音으로, 濁字를 淸音으로 반영한 [タイ待袋代台怠(定d)/サイ才裁財(從dz)]는 漢音으로, 나머지 吳音과 漢音에서 聲母가 동일하게 출현하는 [カイ改(見k) 開(溪k ) 海(曉 )/アイ哀愛曖(影ʔ)/タイ戴(端t) 貸胎態(透t )/ライ来(來l)/サイ再災宰栽載(精ts) 采彩採菜 (淸ts ) 塞(心s)]는 吳 漢音동형으로 분류하였다. 단지 [サ再(精ts)]와 같은 -a형이 출현하는데, 佐藤喜代治編(996:4)에서는 [サ再]에 대한 字音分類가 누락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漢和辭典에서 이를 慣用音으로 분류하고 있다5). 그러 나 蟹攝 제운에 걸쳐 이처럼 韻尾 i가 생략된 자음형이 吳音 漢音자료뿐만 아니라 한국한자 음6)과 베트남한자음7)에까지 출현하고 있기 때문에 이는 唐代의 걸친 麻韻化와 관련없이, 蟹攝 諸韻에서 韻尾 i가 약화된 方言이 존재하였고, 이것을 반영한 자음형이 각국한자음에 출현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는 吳 漢音동형으로 분류하였다. [エ愛(影ʔ)]는 佐藤喜代治編(996:4)과 三省堂(99)에서는 慣用音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小學館(3)에서는 [アイ]와 더불어 吳音에 포함시키고 있다. [愛(影ʔ)]는 吳音 漢音자료에 서 [アイ]로만 출현하고 있지만, 吳音자료에서도 [㝵礙閡ゲ8)] 등의 -e형을 확인할 수 있으며, 萬葉集에서도 [エ]의 借字表記字로 쓰였다. 현지명의 [愛媛エヒメ]은 그 記紀萬葉의 借字表記 形이 남아 있는 형태로 볼 수 있는데, 記紀萬葉의 借字表記를 별도의 字音으로 인정하지 않는 이상 이는 吳音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ガイ概該(見k) 慨(溪k ) タイ耐(泥n)]는 淸濁의 혼동에 의한 예이므로 慣用音으로 분류하였다.. 開口等 泰韻 呉漢(6):タイ帯(端t) 太泰(透t )/タ太汰(透t )/ライ頼(來l) 呉音():ガイ害(匣ɦ)/ダイ大(定d) 漢音():タイ大(定d) 5) [サ再]를 大漢和((984), 三省堂(99), 講談社(997), 大修館(), 小學館(3), 學硏(3) 모두 慣用音 으로 규정하고 있다. 6) 한국한자음에서는 開口等 佳韻의 [佳가, 差차], 合口等 佳韻의 [蛙와, 畵화], 合口等 夬韻의 [話화] 등을 들 수 있다. 李京哲 崔智淳(4:6-34)을 참조하기 바란다. 7) 베트남한자음에서는 開等 咍韻의 [猜ʂa], 合口等 灰韻의 [挼nɔa], 開口等 佳韻의 [衩訍ʂa], 開口等 佳韻의 [騧詿掛kua, 咼絓χɔa, 蛙ɔa, 畫ɔa] 등을 확인할 수 있다. 三根谷徹(993)의 越南漢字音對照表를 참조하기 바란다. 8) 宋在漢(:87)을 참조하기 바란다.
常用漢字表 蟹攝韻의 字音 分類 이경철 하소정 慣用音():ガイ蓋(見k) 開口等 泰韻은 8字 音으로, 吳音 漢音 모두 -ai형으로 출현하기 때문에, 그 聲母만이 字音판별의 기준이 된다. 따라서 濁字를 濁音으로 반영한 [ガイ害(匣ɦ)/ダイ大(定d)]는 吳音으 로, 濁字를 淸音으로 반영한 [タイ大(定d)]는 漢音으로, 나머지 吳音과 漢音에서 聲母가 동일하 게 출현하는 [タイ帯(端t) 太泰(透t )/ライ頼(來l)]는 吳 漢音동형으로 분류하였다. 단지 [タ太汰(透t )]와 같은 -a형이 출현하는데, 佐藤喜代治編(996:433)에서도 대부분의 漢 和辭典에서 이를 모두 慣用音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咍韻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a형은 한국한자음과 베트남한자음에서도 출현하며, 吳音 漢音자료9)의 等韻에서 모두 출현하고 있기 때문에 吳 漢音동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ガイ蓋(見k)]는 淸濁의 혼동에 의한 예이므로 慣用音으로 분류하였다..3 合口等 灰韻 吳漢():カイ灰悔(曉)/タイ退堆(透t )/ライ雷(來l)/ハイ杯背輩(幫p) 配(滂p )/サイ催(淸 ts ) 砕(心s) 呉音():エ回(匣ɦ)/ツイ対(端t)/バイ倍培陪賠(並b)/マイ毎妹昧枚(明m)/ナイ内(泥n)/ザイ罪 (從dz) 漢音(7):カイ回潰(匣ɦ)/バイ梅媒(明m)/タイ対(端t) 隊(定d)/ダイ内(泥n) 慣用音():ワイ賄(曉) 合口等 灰韻은 8字 3音으로, 吳音 漢音 모두 주로 -(w)ai형으로 출현하며, 吳音에는 -(w)e형과 -ui형이 혼재하고 있다. 따라서 -(w)ai형에 대해서는 그 聲母만이 字音판별의 기준이 된다. 따라서 濁字를 濁音으로 반영한 [バイ倍培陪賠(並b)/ザイ罪(從dz)]와 淸濁字를 鼻音으로 반영한 [マイ毎妹昧枚(明m)/ナイ内(泥n)]는 吳音으로, 濁字를 淸音으로 반영한 [カイ回潰(匣ɦ)/ タイ隊(定d)]와 淸濁字를 濁音으로 반영한 [バイ梅媒(明m)/ダイ内(泥n)]는 漢音으로, 나머지 吳音과 漢音에서 聲母가 동일하게 출현하는 [タイ退堆(透t )/ライ雷(來l)/ハイ杯背輩(幫p) 配 (滂p )/サイ催(淸ts) 砕(心s)]는 吳 漢音동형으로 분류하였다. 9) 吳音자료인 法華經에서는 害(ガ), 太(タ), 癩(ラ), 漢音자료인 蒙求에서는 捺(ダ), 佛母大孔雀明王經에서 는 蓋(カ)와 같이 韻尾 i가 생략된 -a형을 찾을 수 있다. 宋在漢(:88), 佐々木勇(9:86), 李京哲 (5a:9)을 참조하기 바란다.
日本近代學硏究 第 44 輯 또한 [エ回(匣ɦ)]는 그 聲韻가 ワ행으로 반영된 점으로 보아 吳音임이 명확하다. [ツイ対(端 t)]는 佐藤喜代治編(996:433)과 대부분의 漢和辭典에서 이를 吳音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學硏 (3)에서는 唐音으로 분류하고 있다. [ツイ対]는 吳音)과 唐音)에서 모두 출현하고 있지 만, 唐音은 일부 어휘에만 고정화되어 남아 있으며, 唐音자료에서 이런 고정화된 어휘를 발견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는 吳音으로 분류하였다. [ワイ賄(曉)]는 淸濁의 혼동에 의한 예에 해당하여 慣用音으로 분류하였다. [スイ推]는 灰韻透母와 脂韻合口穿母에 해당하는 多音字이므로, 止攝에서 다루기로 한다..4 合口等 泰韻 吳漢():サイ最(精ts) 呉音(3):ゲ外(疑ŋ)/エ会絵(匣ɦ) 漢音(3):ガイ外(疑ŋ)/カイ会絵(匣ɦ) 合口等 泰韻은 4字 7音으로, 漢音에서는 -(w)ai형이 출현하며, 吳音에서는 -(w)e형과 -(w)ai 형이 혼재하고 있다. 따라서 먼저 -(w)e형에 해당하는 [グヱ>ゲ外(疑ŋ)/ヱ>エ会絵(匣ɦ)]는 吳音 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w)ai형에 대해서는 그 聲母만이 字音판별의 기준이 된다. 따라서 淸字를 淸音으로 반영한 [サイ最(精ts)]는 吳 漢音동형으로, 濁字를 淸音으로 반영한 [クワ イ>カイ会絵(匣ɦ)]는 漢音으로 분류하였다. 단지 [グワイ>ガイ外(疑ŋ)]는 吳音에서 [グヱ>ゲ] 라는 다른 자음형으로 출현하기 때문에 이를 漢音으로 분류하였다..5 開口等 皆韻 吳漢(7):カイ戒界皆階(見k) 楷(溪k )/アイ挨(影ʔ)/サイ斎(莊tʃ) 呉音():ガイ骸(匣ɦ) 漢音(4):カイ介(見k) 械諧(匣ɦ)/サイ殺(山ʃ) 開口等 皆韻은 字 音으로, 漢音은 일괄적으로 -ai형으로 출현하지만, 吳音은 -ai형 이외 ) 吳音자료에서 [対]에 대해서는 [タイ]라는 音註만이 발견되지만, [堆, 搥, 塠]에 대해 [ツイ], [內]에 대해 [ヌイ]라는 音註를 확인할 수 있다. 宋在漢(:89-9)을 참조하기 바란다. ) 唐音자료에서 合口等 灰韻은 -ui형으로 출현한다. 沼本克明(997:57-57)를 참조하기 바란다.
常用漢字表 蟹攝韻의 字音 分類 이경철 하소정 3 에 -e형과 -ei형이 혼재한다. 따라서 濁字를 濁音으로 반영한 [ガイ骸(匣ɦ)]는 吳音으로, 濁字를 淸音으로 반영한 [械諧(匣ɦ)]는 漢音으로, 나머지 吳音과 漢音에서 聲母가 동일하게 출현하는 [カイ戒界皆階(見k) 楷(溪k )/アイ挨(影ʔ)/サイ斎(莊tʃ)]는 吳 漢音동형으로 분류하였다. 단 지 [カイ介(見k)]와 [サイ殺(山ʃ)]는 吳音에서 [ケ]와 [セイ])라는 자음형을 찾을 수 있기 때문 에 漢音으로 분류하였다..6 開口等 佳韻 吳漢(5):カ佳(見k)/カイ街(見k)/ガイ涯 崖(疑ŋ)/サイ債(莊tʃ) 呉音():ゲ解(匣ɦ) 漢音():カイ解(匣ɦ) 慣用音():ガイ街(見k) 開口等 佳韻은 6字 8音으로, 吳音 漢音 모두 주로 -ai형으로 출현하며, 일부 -a형이 혼재하 며, 또한 吳音에는 -e형도 출현한다. 먼저 -e형은 吳音으로 분류할 수 있기 때문에 [ゲ解(匣ɦ)]는 吳音으로, [カイ解(匣ɦ)]는 漢音으로 분류할 수 있다. 나머지 -ai형은 그 聲母만이 字音판별의 기준이 되지만, [カイ街(見k)/ガイ涯 崖(疑ŋ)/サイ債(莊tʃ)]는 모두 吳音과 漢音에서 聲母가 동일하게 출현하는 淸字에 해당하기 때문에 吳 漢音동형으로 분류하였다. [カ佳(見k)]는 佐藤喜代治編(996:43)과 대부분의 漢和辭典에서 이를 慣用音으로 분류하 고 있지만3), 앞서 언급한대로 -a형은 한국한자음과 베트남한자음에서도 출현하며, 吳音과 漢音에 모두 출현4)하여 吳 漢音동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ガイ街(見k)]는 淸濁의 혼동에 해당하는 예이므로 慣用音으로 분류하였다..7 合口等 皆韻 吳漢():カイ塊(溪k )/ハイ拝(幫p) 呉音():マイ埋(明m) ) 宋在漢(:9-9)을 참조하기 바란다. 3) [カ佳]를 大漢和((984), 三省堂(99), 講談社(997), 大修館(), 小學館(3), 學硏(3) 모두 慣用音 으로 규정하고 있다. 4) 吳音자료인 法華經에서도 佳(カ)를, 漢音자료인 蒙求에서도 佳(カ)를 찾을 수 있다. 宋在漢(:9), 佐々木勇(9:9-93)를 참조하기 바란다.
4 日本近代學硏究 第 44 輯 漢音(5):カイ怪(見k) 懐壊(匣ɦ)/ハイ俳排(並b) 合口等 皆韻은 8字 8音으로, 吳音 漢音 모두 주로 -(w)ai형으로 출현하며, 吳音에는 -e형이 혼재한다. 그러므로 -(w)ai형은 그 聲母만이 字音판별의 기준이 된다. 따라서 淸 次淸字를 淸音으로 반영한 [カイ塊(溪k )/ハイ拝(幫p)]는 吳 漢音동형으로, 淸濁字를 鼻音으로 반영한 [マイ埋(明m)]는 吳音으로, 濁字를 淸音으로 반영한 [懐壊(匣ɦ)/ハイ俳排(並b)]는 漢音으로 분 류하였다. 단지 [カイ怪(見k)]는 吳音에서는 그 예를 찾을 수 없지만 [怪我ケガ] 등에서 吳音形 의 흔적을 찾을 수 있으며, 동일 韻에 [懐壊クヱ>ケ, ヱ>エ]와 같은 e형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漢音으로 분류하였다..8 合口等 佳韻 呉漢():カイ拐(見k)/ハ派(滂p ) 漢音():バイ売買(明m) 合口等 佳韻은 4字 4音으로, 吳音 漢音 모두 주로 -(w)ai형으로 출현하는데, 그 외에 -(w)a 형이 혼재하며, 吳音에는 -(wei)형이 혼재한다. 따라서 -(w)ai형 -(w)a형은 그 聲母만이 字音판 별의 기준이 된다. 따라서 淸 次淸字를 淸音으로 반영한 [カイ拐(見k)/ハ派(滂p )]는 吳 漢音 동형으로, 淸濁字를 濁音으로 반영한 [バイ売買(明m)]는 漢音으로 분류하였다..9 合口等 夬韻 呉漢():ハイ敗(幫p) 呉音():ガ画(匣ɦ)/ワ話(匣ɦ) 漢音():カイ快(溪k ) 合口等 快韻은 4字 4音으로, 吳音 漢音 모두 주로 -(w)ai형으로 출현하는데, 그 외에 -(w)a 형이 혼재한다. 따라서 -(w)ai형 -(w)a형은 그 聲母만이 字音판별의 기준이 된다. 따라서 淸字 를 淸音으로 반영한 [ハイ敗(幫p)]는 吳 漢音동형으로, 匣母字를 ガ ワ行으로 반영한 [ガ画 (匣ɦ)/ワ話(匣ɦ)]는 吳音으로 분류하였다. [話ワ]에 대해서는 佐藤喜代治編(996:448)과 모든
常用漢字表 蟹攝韻의 字音 分類 이경철 하소정 5 漢和辭典에서 慣用音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畵グワ>ガ]에 대해서도 學硏(3)에서만 吳音 으로 규정하고 있을 뿐 佐藤喜代治編(996:43)과 대부분의 漢和辭典에서 慣用音으로 규정하 고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대로, 蟹攝 等韻에서 -(w)a형은 한국한자음, 베트남한자음, 吳音, 漢音에서 모두 출현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慣用音으로 규정할 수는 없으며, 그 聲母에 따라 吳音이나 漢音으로 분류해야 할 것이다. [カイ快(溪k )]는 吳音에서 [クヱ>ケ]5)라는 자음형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漢音으로 분류하 였다.. 開口3等 祭韻乙類 漢音():ケイ掲 憩(溪k) 開口3等 祭韻乙類은 字 音으로, 吳音에서는 -ai형이나 -e형으로, 漢音에서는 -ei형으로 출현한다. [掲 憩(溪k )]에 대해 佐藤喜代治編(996:49)에서는 吳音 漢音 모두 [ケイ]로 기재 하고 있으며, 漢和辭典에서도 漢音은 모두 [ケイ]로 기재하고 있지만, 吳音에 대해서는 [ケ イ] [ケ] [カイ] 등으로 그 자음형이 서로 다르게 기재되어 있다. 현재 吳音資料에서 확인할 수 있는 祭韻을류자는 [偈]뿐인데, 여기에서 [ケ]의 音註6)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3等 重韻에 서 을류는 拗音性을 반영하지 않고 갑류만 그 拗音性을 반영하는 吳音의 특성을 고려하면, 祭韻을류의 吳音은 -ai형이나 -e형이 기대된다. 따라서 -ei형에 해당하는 [ケイ掲 憩(溪k )]는 漢音으로 분류하였다.. 開口3等 祭韻甲類 呉漢(6):ゲイ芸(疑ŋ)/レイ励例(來l)/セイ制製(照tɕ) 勢(審ɕ) 呉音(3):サイ祭際(精ts)/セ世(審ɕ) 漢音(3):セイ世(審ɕ) 逝誓(禪ʑ) 慣用音():タイ滞(定d) 5) 吳音에서는 -(w)ai형 -(w)a형 이외에 快(クヱ)와 같이 -(w)e형이 출현한다. 宋在漢(:93)을 참조하기 바란다. 6) 宋在漢(:97)을 참조하기 바란다.
6 日本近代學硏究 第 44 輯 開口3等 祭韻甲類은 字 3音으로, 吳音 漢音 모두 -ei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吳音에 는 -ai형 -e형이 혼재하고 있다. 따라서 -ai형 -e형에 해당하는 [サイ祭際(精ts)/セ世(審ɕ)]은 吳音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ei형은 그 聲母로써 吳音 漢音을 구분해야 한다. -ei형에서 濁字 를 淸音으로 반영한 [セイ逝誓(禪ʑ)]는 漢音으로, 나머지 吳音과 漢音에서 聲母가 동일하게 출현하는 [ゲイ芸(疑ŋ)/レイ励例(來l)/セイ制製(照tɕ) 勢(審ɕ)]는 吳音 漢音동형으로 분류 하였다. [セ世(審ɕ)]에 대해 佐藤喜代治編(996:43)에서는 慣用音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漢和辭典 에서도 [セ世]를 吳音으로 규정한 사전과 慣用音으로 규정한 사전으로 나뉜다. 그러나 [セ世] 는 吳音資料인 法華經과 光明眞言에서 [セ]7)라는 音註는 확인할 수 있으나, [セイ]라는 音註 는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セ世]는 吳音으로 규정할 수 있다. 또한 [タイ滞(定d)]는 淸濁의 혼동에 해당하는 예이므로 慣用音으로 분류하였다.. 合口3等 祭韻乙類 漢音():エイ衛(于 ' ) 合口3等 祭韻乙類는 孤例의 [エイ衛(于' )]로 吳音은 [ヱ], 漢音은 [ヱイ>エイ]로 출현하므 로, [エイ衛(于 ' )]는 漢音으로 분류하였다..3 合口3等 祭韻甲類 呉漢():エイ鋭(喩'j)/ヘイ蔽(幇p) 吳音():サイ歳(心s) 漢音(3):ヘイ幣弊(並b)/セイ歳(心s) 慣用音():ゼイ税説(審ɕ) 合口3等 祭韻甲類은 7字 8音으로, 吳音 漢音 모두 -(w)ei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吳音 에는 -(w)ai형이 혼재하고 있다. 따라서 -ai형에 해당하는 [サイ歳(心s)]는 吳音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ei형은 그 聲母로써 吳音 漢音을 구분해야 한다. -ei형에서 淸字를 淸音으로 반영 7) 宋在漢(:97)을 참조하기 바란다.
常用漢字表 蟹攝韻의 字音 分類 이경철 하소정 7 한 것과 喩母의 [ヱイ>エイ鋭(喩'j)/ヘイ蔽(幇p)]는 吳 漢音동형으로, 濁字를 淸音으로 반영한 [ヘイ幣弊(並b)]는 漢音으로 분류하였다. 단지 [セイ歳(心s)]는 吳音에서 [サイ]로 출현하기 때문에 漢音으로 분류하였으며, [ゼイ税 説(審ɕ)]는 淸濁의 혼동에 해당하는 예이므로 慣用音으로 분류하였다..4 合口3等 廢韻 呉漢():ハイ廃(非f) 肺(敷p ) 合口3等 廢韻은 字 音으로, 吳音 漢音 모두 -ai형으로 나타나, [ハイ廃(非f) 肺(敷p )]는 吳 漢音동형으로 분류하였다..5 開口4等 齊韻 呉漢():ケイ継鶏(見k) 啓契渓(溪k )/テイ低底抵邸諦(端t) 呉音(3):タイ体替(透t )/ダイ第題弟(定d)/デ弟(定d)/ライ礼(來l)/サイ済(精ts) 妻切(淸ts) 西細(心s)/ザイ剤(從dz) 漢音():ケイ係計(見k) 稽(溪k ) 系(匣ɦ)/テイ帝堤(端t) 体(透t) 弟提締逓(定d)/デイ 泥(泥n)/レイ戻麗礼隷(來l)/セイ凄(淸ts) 斉(從dz) 西婿(心s) 慣用音():ケイ詣(疑ŋ)/タイ逮(定d) 開口4等 齊韻은 4字 45音으로, 吳音 漢音 모두 -ei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吳音에는 -ai형 -e형이 혼재하고 있다. 따라서 먼저 -ai형 -e형에 해당하는 [タイ体替(透t)/ダイ第題弟 (定d)/デ弟(定d)/ライ礼(來l)/サイ済(精ts) 妻切(淸ts ) 西細(心s)/ザイ剤(從dz)]는 吳音으로 분류할 수 있다. -e형인 [デ弟(定d)]에 대해 佐藤喜代治編(996:436)과 小學館(3)을 제외한 대부분의 漢和辭典에서 慣用音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デ弟]8)는 [ダイ]와 함께 吳音資料인 法華經에서 그 音註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デ弟(定d)]의 [デ]와 [ダイ] 모두 吳音으로 규정할 수 있다. -ei형은 그 聲母로써 吳音 漢音을 구분해야 하는데, -ei형에서 濁字를 淸音으로 반영한 8) 宋在漢(:)을 참조하기 바란다.
8 日本近代學硏究 第 44 輯 [ケイ系(匣ɦ)/テイ弟提締逓(定d)/セイ斉(從dz)]와 淸濁字를 濁音으로 반영한 [デイ泥(泥n)]는 漢音으로, 나머지 그 聲母로써 吳音과 漢音을 구별할 수 없는 [ケイ継鶏(見k) 啓契渓(溪k )/テ イ低底抵邸諦(端t)]는 吳 漢音동형으로 분류하였다. 단지 [ケイ係計(見k) 稽(溪k )/テイ帝堤(端t) 体(透t )/レイ戻麗礼隷(來l)/セイ凄(淸ts ) 西婿(心s)]는 吳音에서 그에 대응하는 [ケ/タイ/ライ/サイ]9)가 출현하기 때문에 漢音으로 분 류하였다. [ケイ詣(疑ŋ)/タイ逮(定d)]는 淸濁의 혼동에 해당하는 예이므로 慣用音으로 분류하였다..6 合口4等 齊韻 呉漢():ヘイ閉(幫p) 呉音(3):エ恵(匣ɦ)/マイ米(明m)/メイ迷(明m) 漢音(4):ケイ恵携(匣ɦ)/ヘイ陛(並b)/ベイ米(明m) 慣用音():ヒ批(滂p ) 合口4等 齊韻은 吳音 漢音 모두 -(w)ei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吳音에는 -(w)ai형 -(w)e형이 혼재하고 있다. 따라서 먼저 -ai형 -e형에 해당하는 [エ恵(匣ɦ)/マイ米(明m)]는 吳音 으로 분류할 수 있다. -ei형은 그 聲母로써 吳音 漢音을 구분해야 한다. -ei형에서 淸字를 淸音으로 반영한 [ヘイ閉(幫p)]는 吳 漢音동형으로, 淸濁字를 鼻音으로 반영한 [メイ迷(明 m)]는 吳音으로, 濁字를 淸音으로 반영한 [ケイ恵携(匣ɦ)/ヘイ陛(並b)]와 淸濁字를 濁音으로 반영한 [ベイ米(明m)]는 漢音으로 분류하였다. [メイ迷(明m)]에 대해 佐藤喜代治編(996:444) 과 여러 漢和辭典에서 慣用音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マイ]만을 吳音으로 규정했기 때문 일 것이다. 그러나 [迷(明m)]에 대해 法華經, 新譯華嚴經, 類聚名義抄 등의 吳音資料에서 [メ イ])의 音註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오히려 吳音資料에서 [マイ]의 音註는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メイ迷]는 吳音으로 규정할 수 있다. 또한 [ヒ批(滂p )]는 聲符字인 [比]에서 類推한 音이므로 慣用音으로 분류하였다. 9) 宋在漢(:99-)을 참조하기 바란다. ) 宋在漢(:)을 참조하기 바란다.
常用漢字表 蟹攝韻의 字音 分類 이경철 하소정 9 3. 結 論 지금까지 常用漢字 중에서 蟹攝韻에 해당하는 37字 5音을 대상으로, 이를 吳 漢音동형, 吳音, 漢音, 唐音, 慣用音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분포를 보였다. 攝 蟹 韻 咍(開) 泰(開) 灰(合) 泰(合) 皆(開) 佳(開) 夬(開) 皆(合) 佳(合) 夬(合) 祭(開3을) 祭(開3갑) 祭(合3을) 祭(合3갑) 廢(合3) 齊(開4) 齊(合4) 合計 吳漢同 7 7 5 6 78 吳音 6 3 3 3 3 48 漢音 9 7 3 4 5 3 3 4 66 唐音 慣用音 4 3 合計 4 3 7 8 8 4 4 3 8 45 9 5 ) 위의 표와 같이 蟹攝韻에 해당하는 37字 5音 중에서 吳 漢音동형이 78音, 漢音이 66音, 吳音이 48音, 慣用音이 3音이라는 분포를 보이고 있다. ) 開口等 咍韻의 [サ再(精ts)]는 대부분의 漢和辭典에서 慣用音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蟹攝 等韻의 -a형은 吳音, 漢音, 한국한자음, 베트남한자음에서 모두 출현하고 있기 때문 에 중국어의 音韻變化를 반영한 것이 아니라 蟹攝 諸韻에서 韻尾 i가 약화된 方言이 존재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サ再(精ts)]는 吳 漢音동형에 해당한다. 3) [愛(影ʔ)]는 吳音 漢音자료에서 [アイ]로만 출현하고 있지만, 萬葉集에서 [エ]의 借字表 記字로 쓰였다. 현지명의 [愛媛エヒメ]은 그 記紀萬葉의 借字表記形이 남아 있는 형태로 볼 수 있는데, 記紀萬葉의 借字表記를 별도의 字音으로 인정하지 않는 이상 이는 吳音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4) [ツイ対(端t)]에 대해 學硏(3)에서 唐音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이는 吳音에 해당한다.
日本近代學硏究 第 44 輯 5) 祭韻을류의 [掲 憩(溪k )]에 대해 佐藤喜代治編(996:49)에서는 吳音 漢音 모두 [ケイ] 로 기재하고 있지만, 그 吳音은 [ケ カイ]이므로, [ケイ]는 漢音으로 분류해야 한다. 6) 祭韻갑류의 [セ世(審ɕ)]에 대해 佐藤喜代治編(996:43)과 일부 漢和辭典에서 慣用音으 로 분류하고 있지만, [セ世]는 吳音資料에서 확인할 수 있어 吳音으로 분류된다. 7) 齊韻의 [デ弟(定d)]에 대해 佐藤喜代治編(996:436)과 小學館(3)을 제외한 대부분의 漢和辭典에서 慣用音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デ弟]는 [ダイ]와 함께 吳音資料에서 그 音註를 확인할 수 있어, [デ]와 [ダイ] 모두 吳音으로 규정할 수 있다. 8) 齊韻의 [メイ迷(明m)]에 대해 佐藤喜代治編(996:444)과 여러 漢和辭典에서 慣用音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メイ迷]는 吳音資料에서 그 音註를 확인할 수 있어, 吳音으로 규정할 수 있다. 參考文獻 <辭典 및 資料> 김정빈(7) 安田八幔宮藏大般若波羅蜜多經 分紐分韻表 일본오음연구 책사랑 李京哲(5a) 佛母大孔雀明王經 字音硏究 책사랑 榎木久薫(989) 光明真言土沙勧信記の字音について 鎌倉時代語研究 第輯, 鎌倉時代語研究會 (998) 高山寺藏寛喜元年識語本新訳華厳経加点字翻刻並びに分韻表 鎌倉時代語研究 第輯, 鎌 倉時代語硏究會 大塚毅(978) 萬葉假名音韻字典上 下 勉誠社 大野晉(953) 日本書紀字音仮名一覽 上代假名遣いの研究-日本書紀の仮名を中心として- 岩波書店 小倉肇(978) 金光明最勝王經音義字音攷(Ⅰ) 弘前大学教育学部紀要 第4號, 弘前大学 (979) 金光明最勝王經音義字音攷(Ⅱ) 弘前大学教育学部紀要 第4號, 弘前大学 (995) 日本呉音の研究 第Ⅱ部 資料篇 新典社 鎌田正 米山寅太郎() 漢語新辭典 大修館書店 柏谷嘉弘(965) 図書寮本文鏡秘府論字音点 国語学 第六十一集, 国語学会 小林信明(3) 新選漢和辞典 小學館 佐々木勇(9a) 平安鎌倉時代に於ける日本漢音の研究 資料篇 汲古書院 高木市之助 富山民藏(974) 古事記總索引 平凡社 竹田晃 坂梨隆三(997) 漢和辞典 講談社 長澤規矩也 原田種成 戸川芳郎(99) 新明解漢和辞典 三省堂 築島裕(967) 興福寺本大慈恩寺三蔵法師伝古点の国語学的研究 東京大學出版会 沼本克明(995) 觀智院本類聚名義抄和音分韻表 日本漢字音史論輯 築島裕<編> 汲古書院 (997) 宋音 唐音統合分紐分韻表 日本漢字音の歷史的研究 汲古書院 諸橋轍次(984) 大漢和辞典 大修館書店 李珍華 周長楫(998) 漢字古今音表 中華書局
常用漢字表 蟹攝韻의 字音 分類 이경철 하소정 <論文> 김정빈(7) 일본오음연구 책사랑, pp.38-55, pp.33-38 宋在漢() 日本 吳音의 韻類體系 硏究 東國大學校 博士學位 論文, pp.86-9 申智娟() 古事記 에 사용된 借表記字의 字音體系 硏究 東國大學校 碩士學位論文, pp.43-55 李京哲(5) 한화사전 관용음표기의 문제점에 대하여 日本文化硏究 第4輯, 동아시아일본학회, pp.47-488 (6) 漢和辭書における吳音規定の問題點 日本文化硏究 第9輯, 동아시아일본학회, pp.367-384 (9) 日本漢字音의 字音形에 나타나는 拍의 關與에 대해서 日本語學硏究 第5輯, 韓國日本語學 會, pp.9-4 (3a) 果 假 遇攝韻의 字音 分類-常用漢字表의 字音을 대상으로 日本硏究 第輯, 高麗大學 校 日本硏究所. pp.5-3 (3b) 流 效攝韻의 字音 分類-常用漢字表의 字音을 대상으로 日本言語文化 第5輯, 韓國日本 言語文化學會. pp.355-37 李京哲 白惠英(8) 漢和辭典 慣用音 표기의 實像-陽声 入声字의 誤記例를 중심으로- 日本語學硏究 第輯, 韓國日本語學會, pp.-6 (9) 漢和辭典에 나타나는 漢音 規定의 問題點 日本語文學 第4輯, 韓國日本語文學會, pp.7-3 () 漢和辭典에 나타나는 唐音 規定의 問題點 日本言語文化 第9輯, 韓國日本言語文化 學會, pp.87-97 李京哲 宋在漢() 日本吳音에 혼입된 記紀萬葉의 자음형에 대하여-陰聲韻을 중심으로- 日本硏究 第 53號, 韓國外國語大學校 日本硏究所, pp.349-364 李京哲 崔智淳(4) 韓國漢字音 蟹攝韻의 母胎별 層位에 대하여-日本漢字音과의 比較를 中心으로- 日本 文化學報 第 6輯, 韓國日本文化學會, pp.5-44 小倉肇(995) 日本呉音の研究 第Ⅰ部 硏究篇 新典社, pp.48-757 佐々木勇(9b) 平安鎌倉時代に於ける日本漢音の研究 硏究篇 汲古書院, p.349, p.58 佐藤喜代治編(996) 常用漢字 人名用漢字の漢音 吳音對照表 漢字百科大事典 明治書院, pp.4-448 沼本克明(98) 平安鎌倉時代に於る日本漢字音に就ての研究 武蔵野書院, pp.537-599, pp.83-849 (997) 日本漢字音の歷史的研究 汲古書院, pp.354-356, pp.358-36 三根谷徹(993) 中古漢語と越南漢字音 汲古書院, pp.393-495 森博達(99) 古代の音韻と日本書紀の成立 大修館書店, pp.54-96 山田孝雄(958) 国語の中に於ける漢語の研究 寶文館, pp.57-78 湯沢質幸(987) 唐音の研究 勉学社, pp.6-6 E. G. Pulleyblank(984) MIDDLE CHINESE: A STUDY IN HISTORICAL PHOLOGY, UNIV 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pp.-3 GÜNTHER WENCK(957) JAPANISCHE PHONETIK, OTTO HARRASSOWITZ WIESBADEN, pp.4-47 W. Sout Coblin(983) A Handbook of Eastern Han Sound Glosses, Te Cinese University Press, pp.95-4 논문투고일 심사개시일 차 수정일 차 수정일 게재확정일 : : : : : 4년 4년 4년 4년 4년 3월 3월 4월 4월 5월 일 일 9일 5일 일
日本近代學硏究 第 44 輯 <要旨> 常用漢字表 蟹攝韻의 字音 分類 년의 新常用漢字,36字 중에서 蟹攝의 37字 5音에 대해, 吳 漢音동형, 吳音, 漢音, 唐音, 慣用音의 5가지로 字音分類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 蟹攝韻에 해당하는 37字 5音 중에서 吳 漢音동형이 78音, 漢音이 66音, 吳音이 48音, 慣用音이 3音이라는 분포를 보이고 있다. ) [再サ 太汰タ 佳カ 畵ガ 話ワ] 등과 같은 蟹攝 等韻의 -a형을 대부분의 漢和辭典에서 慣用音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蟹攝 等韻의 -a형은 吳音, 漢音, 한국한자음, 베트남한자음에서 모두 출현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어의 音韻變化를 반영한 것이 아니라 蟹攝 諸韻에서 韻尾 i가 약화된 方言이 존재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蟹攝 等韻의 -a형은 吳音이나 漢音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3) [愛(影ʔ)]는 吳音 漢音자료에서 [アイ]로만 출현하고 있지만, 萬葉集에서 [エ]의 借字表記字로 쓰였다. 현지명의 [愛媛エヒメ]은 그 記紀萬葉의 借字表記形이 남아 있는 형태로 볼 수 있는데, 記紀萬葉의 借字表記를 별도의 字音으로 인정하지 않는 이상 이는 吳音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4) [ツイ対(端t)]에 대해 學硏(3)에서 唐音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이는 吳音에 해당한다. 5) 祭韻을류의 [掲 憩(溪k )]에 대해 佐藤喜代治編(996:49)에서는 吳音 漢音 모두 [ケイ]로 기재하고 있지만, 그 吳音 은 [ケ カイ]이므로, [ケイ]는 漢音으로 분류해야 한다. 6) 祭韻갑류의 [セ世(審ɕ)]에 대해 佐藤喜代治編(996:43)과 일부 漢和辭典에서 慣用音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セ世]는 吳音資料에서 확인할 수 있어 吳音으로 분류된다. 7) 齊韻의 [デ弟(定d)]에 대해 佐藤喜代治編(996:436)과 小學館(3)을 제외한 대부분의 漢和辭典에서 慣用音으로 규 정하고 있는데, [デ弟]는 [ダイ]와 함께 吳音資料에서 그 音註를 확인할 수 있어, [デ]와 [ダイ] 모두 吳音으로 규정할 수 있다. 8) 齊韻의 [メイ迷(明m)]에 대해 佐藤喜代治編(996:444)과 여러 漢和辭典에서 慣用音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メイ迷]는 吳音資料에서 그 音註를 확인할 수 있어, 吳音으로 규정할 수 있다. Te Classification of sounds on usual sino-japanese caracters(); mainly on te group of Xie(蟹) Tis researc is to classify sounds of usual sino-japanese caracters() into 5 types of Go'on, Kan'on, Go'on & Kan'on, To'on, Kan'yo'on; mainly on te 5sounds 37caracters in groups of Xie(蟹). ) Te results of tis researc, it was classified tat 66 sounds of Kan'on, 48 sounds of Go'on, 78 sounds of Go'on & Kan'on same type, 3 sounds of Kan'yo'on in 5 sounds in groups of Jia(蟹). It is very important as tat next to classify on te group of Xie(蟹). ) -A type as like Sa(再サ) Ta(太汰タ) Ka(佳カ) Ga(畵ガ) Wa(話ワ) is classified as a Kan'yo'on in sino-japanese dictionaries because of it is different wit ai type of Go'on & Kan'on, but it means tere are dialect tat ave a weaked final i because of appeared in sino-japanese but also in sino-korean, sino-vietnam. As a result, -a type must be classified as a Go'on or Kan'on. 3) Ai(愛) was appeared as a Ai in sino-japanese Go'on & Kan'on. But, it was a E in te notation of Manyosyu. E of Eime(愛媛) is effect of notation in Manyosyu. As a result, E(愛) must be classified as a Go'on because of notation in Kikimanyo is not classified kind of sino-japanese. 4) Tsui(対ツイ) is classified as a To'on in sino-japanese dictionary of Gakusyukenkyusya(3), but it must be classified as a Go'on. 5) Kei(掲 憩ケイ) is classified as a Go'on & Kan'on in Sato(996:49), but it must be classified as a Kan'on because of it appeared as a Kai or ke in te notation of Go'on. 6) Se(世セ) is classified as a Kan'yo'on in Sato(996:43) & a lot of sino-japanese dictionaries, but it must be classified as a Go'on because of it appeared sa a Se in te notation of Go'on. 7) De(弟デ)] is classified as a Kan'yo'on in Sato(996:436) & a lot of sino-japanese dictionaries, but it must be classified as a Go'on because of it appeared sa a De in te notation of Go'on. 8) Mei(迷メイ) is classified as a Kan'yo'on in Sato(996:444) & a lot of sino-japanese dictionaries, but it must be classified as a Go'on because of it appeared sa a Mei in te notation of G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