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http://www.mke.go.kr 12년 9월 11 일( 화) 석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문의 : 로봇산업과 강감찬 과장(2110-5619), 고상미 사무관(5630) 로봇 - 수출로 글로벌화 시작! - 지경부, 로봇 수출대책 마련 - 청소로봇 품질인증 국제표준화 지원 강화 로봇 수출협의체 구성하여 수출 지원 로보월드 를 아시아 대표 로봇 전시회로 육성 정부는 품질인증국제표준화 지원을 통해 로봇 수출에 대한 외국의 비관세 장벽 가능성에 대응키로 하고, 이를 위해 관계기관이 로봇 수출협의체를 구성하여 로봇의 수출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힘 지식경제부는 9.1( 화) 로봇 수출기업과 지원기관들이 참석한 가운데 로봇 수출기업 간담회 를 개최하고, 최근 수출산업으로 급성장 중인 로봇의 수출 확대 대책을 논의하였음 * 참석 업체 : 제조용 로봇( 로보스타, 현대중공업, 삼성테크윈), 청소 로봇 ( 유진로봇, 삼성전자), 교육용 로봇(KT, 로보티즈) 금번 간담회는, 08년 글로벌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지속된 로봇 수출 증가세가 금년 상반기 들어 약화되는 현상* 에 주목, 로봇 산업의 수출해외진출 관련 애로사항을 전반적으로 점검하고 향후 수출 지원책을 체계화하기 위해 마련됨 * 로봇산업 수출은 08년 2,273 억원에서 11년 5,211억원으로 3년간 연평균 32% 증가하였으나, 금년 상반기에는 제조용 로봇 수출이 전년 대비 7.2% 성장하는 등 수출 증가세 둔화 간담회를 주재한 지경부 김학도 신산업정책관은 지난 10년간 로봇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 지원과 선도 로봇기업들의 적극적인 해외시장 개척으로 현재와 같은 좋은 성과가 가능했다고 평가하고, 앞으로 로봇이 수출산업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보다 체계적 으로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힘 < 주요 지원 대책 > 1 청소 로봇에 대한 품질인증 국제표준화 지원을 통해 향후 비관세 2 장벽 등 대응 강화 IEC 국제표준에 우리 청소로봇 기술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노력 하고, 청소 로봇에 대해 별도의 HS 코드( 국제상품분류체계)를 부여할 수 있도록 관계 부처와 협의 지경부로봇산업협회KOTRA 등으로 로봇 수출협의체 구성 운영하여 수출 지원 기업들이 필요시마다 수출 애로 해결 및 해외 로봇마케팅 관련 정보 인력 제공 창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 로봇업체들의 판매 수출 분야 최대 애로사항 : 판로개척의 어려움(69%), 시장정보 부족(39.7%), 판매시장 협소(34%) ( 12 년 실태조사 결과) 3 로보월드 를 아시아 대표 로봇 전시회로 육성 매년 10 월 로봇 경진대회 학술대회 전시회 등을 통합 개최하는 국내 로보월드 ( 금년 7 회, 110.25 ~28 개최 예정) 의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여, 일본 irex( 국제로봇전)에 버금가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전시회로 육성 * 서비스용 로봇 수출을 주도( 비중 84%) 하고 있는 청소용 로봇은 프랑스 등 유럽에 주로 수출되고 있는데, 금년 상반기 유로존 재정위기의 영향을 받아 상반기 수출이 둔화된 것으로 분석 - 1 - - 2 -
한편, 국제로봇연맹(IFR :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이 8.30일 발간한 World Robotics 2012 ( 국제 로봇통계자료)에 따르면, 첨부1 로봇 수출기업 간담회 개요 11년도 세계 제조용 로봇 시장은 자동차 및 전기 전자산업에 힘 입어 전년대비 46% 성장( 10년58 억불 11년85 억불) 하였으며, 서비스용 로봇 시장은 아직 절대적인 규모로는 제조용 로봇 시장에 미치지 못하나, 의료 국방로봇 등의 전문서비스용 로봇 시장을 중심으로 전년대비 8.2% 의 성장세를 기록( 10년39 억불 11년42 억불) IFR 은 중국의 로봇 붐, 미국의 제조업 부흥 노력, BRICs 동남아 등 신흥시장의 로봇 수요 증가 등이 지속됨에 따라 제조용 로봇 시장은 향후 12 ~ 15년간 연평균 5% 대의 성장률을 보이고 서비 스용 로봇도 재활 보조로봇 등이 성장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예측 배 경 로봇은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불구 수출이 3년간 연평균 39% 증가 ( 08년2,273 억원 09년965 억원 10년2,288 억원 11년5,211 억원) 그러나 금년에는 제조용 로봇 뿐만 아니라 청소로봇 수출도 증가 세가 완화되고 있어 전반적인 수출 동향 및 여건을 점검할 필요 아울러 로봇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해외 마켓팅 지원 등을 종합적 개 요 으로 점검하여 향후 로봇 수출 확대방안을 체계화할 필요 이에 따라, 앞으로 우리 로봇기업들이 기술력을 높이고 수출을 시간 및 장소 : 9.11( 화) 10:30, 로봇진흥원 사당사무소 확대하여 세계 로봇시장 점유율을 늘려 나가면 국내 로봇산업이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함 참석자 : 지경부, 업계(7), 협회, 진흥원 기 관 명 직 위 성 명 비 고 지식경제부 신산업정책관 김학도 첨부 로봇 수출기업 간담회 개요 로봇산업협회 부회장 전유태 로봇 수출 동향 및 확대 방안 로봇산업진흥원 원 장 주덕영 로보스타 대 표 김정호 제조용 로봇 현대중공업 상 무 김성락 제조용, 의료 등 삼성테크윈 상 무 허광학 제조용, 군사용 등 유진로봇 대 표 신경철 청소 로봇, 서비스 로봇 삼성전자 그룹장( 수석) 이준화 청소 로봇 KT 상 무 이 경 개인서비스 로봇 로보티즈 대 표 김병수 로봇 부품, 교육용 로봇 - 3 - - 4 -
첨부2 로봇 수출 동향 및 확대 방안 ( 수출 대상국) 제조업용 로봇은 주로 중국 일본, 서비스용 프랑스 등 유럽, 로봇 부품부분품은 일본으로 수출 로봇은 Ⅰ. 로봇 수출 동향 로봇의 수출 산업화 ( 연도별) 글로벌 경기침체에도 불구 수출이 3년간 연평균 39% 증가 ( 08년2,273 억원 11년5,211 억원) 제조업용 로봇은 중국 등의 설비투자 및 자동화 수요에 크게 의존 * 제조업용 로봇 : 對 중국 수출이 전체의 20%, 對 일본 8% 청소 로봇은 유럽 시장으로 주요 수출하며 미국 진출은 아직 미흡 * 가정 청소용 로봇 : 對 프랑스10%, 기타 유럽 6% 로봇 수출 사례 다양화 제조용 로봇이 로봇 수출을 주도( 11년 수출액의 70%)하고 있으나, 중국 등 대규모 설비 투자에 의존하여 수출 변동성이 큼 청소로봇 수출은 09년 29 억원에서 11년 772억원으로 대폭 증가 하고 있으나, 그 외 군사용 로봇 등은 지속적이지 못한 상황 < 로봇산업의 연도별 수출 동향 > ( 단위 : 억원, 전년동기대비 %) 품 목 08년 09년 10년 11년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제조업용 로봇 2,109 30.9 743 64.8 1,426 99 4,212 195.4 서비스용 로봇 70 57 95 33.3 742 681 920 24.0 로봇 부품부분품 94 98 127 35.1 120 5.5 79 34.2 합 계 2,273 25.7 965 57.5 2,288 137.1 5,211 127.8 * 근거 : 연도별 로봇산업실태조사 / 분기/ 반기별 로봇 수출 통계자료는 없음 ( 금년 상반기) 제조용 및 서비스 로봇 증가율 약화 제조용 로봇 수출은 전년 1~6월 대비 7.2% 성장, 수출 다소 둔화 < 산업용 로봇(HS 코드:8479.50) 수출 증감율 > ( 단위 : USD 천불, %) 구분 `11 월 2월 3월 4월 5월 6월 1-6월 12년 수출액 31,844 14,455 8,161 14,004 11,800 9,833 90,097 ( 증감율) (690.6) (18.7) ( 45.3) (173) ( 4.9) ( 65) (7.2) 11년 수출액 4,611 17,772 14,906 8,174 12,404 26,190 84,057 * 서비스용 로봇의 월별 수출은 규모가 작아 현재 HS코드 미부여 청소용 로봇 주요 수출지역인 유럽의 재정위기로 인해 청소용 수출 최근 둔화 ( 관련 업계 상반기 실적 악화) ( 제조용 로봇) 00 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인 수출을 시작하면서 자동차,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 다양한 제조업용 기업 등장 현대重 은 84 년 로봇사업을 시작, 03년 100억원대 해외 수출 자동차 LCD 用 로봇을 본격 수출하여 11년 약 1200억원 수출 * 04 년 무역위는 현대重 이 제소한 일본 산업용로봇 수출에 덤핑 판정 이후 로보스타는 99 년 창립한 디스플레이, 반도체, 휴대폰用 전문 중소 로봇기업으로 11년 약 78억원 수출 동부로봇로보테크 두림로보틱스 등 다양한 제조용 로봇 기업들이 중국 등 신흥 시장을 중심으로 수출 확대 ( 서비스 로봇) 수출 측면에선 청소용 로봇이 주도하고 있고, 무인 감시경계 로봇의 수출 등 전문서비스 로봇 수출 사례도 주목 삼성전자 LG 전자와 유진로봇 한울로보틱스 등 中 企 의 적극적인 해외 진출 및 기술개발을 통해 청소 로봇 11년 총 772억원 수출 * 93 년 국산 무인청소로봇 개발 이후, 99년 이후 본격 수출 상품화 삼성테크윈은 10년 알제리로 약 550억원의 감시로봇시스템 수출 로보티즈는 로봇 부품, 교육용 로봇 등으로 11년48 억원 수출했고, 연구용 로봇기업들은 국제 로봇경진대회 우승 통해 기술력 홍보 - 5 - - 6 -
Ⅱ. 로봇 수출지원 현황 및 확대방안 해외 전시회에 적극적이고 전략적인 진출 총괄 평가 및 기본 방향 ( 현황) 佛 INNO-ROBO, 獨 Automatica, 日 irex 등 로봇 전시회 뿐만 아니라, 獨 IFA 美 CES 등 전자 종합展 에도 다양하게 출품 ( 평가) 지난 10년간의 정책 지원을 통해 다양한 제품을 발굴하고 기술력을 높이면서 로봇산업이 수출 산업으로서 자리 매김 다만, 수출에 대해서는 종합적 접근 보다는 개별 로봇산업 진흥 (로보월드 시범사업 등) 및 일반 수출진흥( 해외전시 지원) 차원에서 접근 ( 기본 방향) 로봇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수출을 통한 생산규모 확대 등 글로벌화가 필수적 단기적으로 국내외 전시회에 대한 전략적 지원 강화, 시범사업 성과 활용, 로봇 수출제도 개선 및 중장기적으로 제품 다양화 추구 - 해외 전시회( 프 이노로보) 참가에 대해 국비 3 천만원을 지원했고, 한국관으로 공동 참가하여 상담 800 만불, 계약 85만불 추진 중 - 제조용 로봇으로 독일 오토마티카, 중국미국 등 주요 시장의 공작기계展 에 참여중이며, 퓨처로봇이 IFA Tech Watch' 에 초청 - KOTRA 한국 브랜드 특별전 ( 런던올림픽 기간)에 로봇이 전시되었고, 中 쑤저우에서 韓 中 연합 로봇 체험전 월 - (9.28~12 ) 개최 ( 향후 계획) 제조용, 서비스용 등으로 나눠 전략 지역의 로봇 공동 전시관 참가 지원을 계속 추진하고, 해외 IR 등 강화 프랑스 이노로봇 등 로봇전문 전시회에 공동 참가 지속 분야별 지원 현황 및 대책 - 중동, 중국 등에 한국로봇 상설전시관 구축 지원방안 검토 국내 로보월드 전시회 아시아 대표 로봇 전시회로 육성 ( 현황) 국내 로보월드 개최시 해외 바이어 초청비 등을 위해 국비 (4 천만원, 전시개최지원사업) 지원 등 마켓팅 활동 지원 11년 규모 특 징 한국 로보월드 (10 월) 167 개사, 419부스 06 년 최초. 경진대회 학술대회 등 일본 대만 irex(11 월) 272 개사, 1,085 부스 73 년 최초. 격년, 도쿄, 제조용 중심 TIROS(8 월말) 85 개사, 312부스 08 년 최초. 로보월드와 유사 ( 향후 계획) 금년말까지 로보월드 국제화 확대 방안 을 수립하고, 내년부터 해외 바이어 초청 확대, 투자유치 활동 등 강화 * 로보월드는 B2C, B2B 전시회 성격을 모두 포함 * 제조용 로봇기업들은 공작기계展, 정밀기계展 등에도 참가 로봇 시범사업의 해외 테스트베드 구축 성과창출 강화 ( 현황) 시범사업 중 해외 테스트베드 구축사업( 11년 4 개, 12년 1 개)을 통해 해외 수출기회로 활용하고, 국내 사업성과도 수출로 연계 * 11 년: 핀란드 덴마크의 실버로봇, 뉴질랜드의 치매예방, 이태리 로봇공연, 미국 인공관절 수술 로봇 / 12 년: 미국에 연구용 로봇플랫폼 * 뿌리기업 로봇적용 성공사례가 수출 계기 : 유진엠에스는 포스코멕시코에 주물로봇 2 대 공급 (605 천달러, 약 6.8 억원) ( 향후 계획) 실버 의료 로봇, 국방로봇 등 국내 로봇 성공사례를 바탕으로 계속 해외에 진출 및 수출하도록 유도 * 현대重 은 시범사업을 통해 의료용 로봇 수출 협의 중 * 소방로봇은 美 퍼듀대학과 공동으로 미국 진출 협력방안 모색 중 - 7 - - 8 -
청소 로봇 HS코드( 국제상품분류체계) 마련 ( 현황) 청소로봇은 11년 약 772억원을 수출했고 향후 FTA 협상 및 무역 특허 분쟁에 대비, 별도의 HS코드를 부여하여 전략적인 관리가 필요한 품목 * HS 코드에 따라 관세율이 달라질 수 있으며, 청소 로봇은 기존 진공 청소기 (8508) 와 기술적인 장벽, 특허 등의 비관세장벽이 있을 수 있는 품목 ( 향후 계획) 청소 로봇에 대한 별도의 HS코드를 부여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 기재부, 관세청) 와 협의 ( 매년 1 회 개정) 품질인증 등에 대한 비관세 장벽 대응 철저 ( 현황) 청소용 로봇 품질인증기준 고시( 10.12 월) 및 인증사업 지원을 통해 시장개척을 지원하고, 국제표준 논의에 참여 * 품질인증은 청소용 로봇 수출 상품화 및 품질 기술력 축적에 유의미 * 로봇산업진흥원이 최소비용(6 백만원) 을 받고 품질인증을 실시중(3개社 5개 모델 旣 인증) 이며, ETRI 는 유해물질 인증(RoHS) 지원 ( 향후 계획) 금년도 IEC 국제표준에 우리 청소 로봇기술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노력하는 한편, 교구용 로봇에 대한 품질 제고 주력 * 교구 로봇 품질인증 기준 마련( 16 월) 이후, 금년에 처음으로 관련 제품에 대한 품질 테스트 결과 대체로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상황 로봇수출 지원을 위한 로봇 수출 협의체 구성 운영 ( 현황) 현재 로봇기업들을 위한 체계적인 수출 애로 해결창구가 없어 기업들이 지경부와 협회KOTRA 등을 통해 개별 접촉 ( 향후 계획) 지경부, 로봇산업협회, KOTRA, 무역협회 등이 참여하는 로봇 수출 협의체 를 구성하고, 정기부정기적으로 회의 개최 * 해외 시장정보, 마켓팅, 인력양성 등 무역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방안 마련 중장기적으로 수출제품 다양화 및 기술력 제고 * ( 현재) 제조용, 청소 로봇 ( 향후) 제조용, 다양한 서비스 로봇, 부품, SW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