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님, 이 소 두 달만 더 먹여 보시죠 사장님, 이 소 두 달만 더 먹여보시죠. 초음파 측정을 마친 직원이 이렇게 이야기를 한다. 두 달 전에도 같은 이야기를 했던 것 같은데... 하 는 생각이 사장님 뇌리를 스쳐지나갔다. 두 달 더 먹이면 28개월령이 된다. 하지만 조금 더 먹이면 등 급이 좋아진다고 하니 그대로 하기로 했다. 일선 농가에서는 대부분 보통 초음파 측정을 해 보고 출하시기를 결정한다. 선도농가에서는 정해놓은 출하월령이 되면 해당 월령이 된 소는 모두 출하를 하지만 그렇게 따라 하기는 왠지 불안하다. 조금 더 먹이거나 바로 출하를 하거나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1. 초음파 측정할 때 체중과 초음파 측정기록을 관리하자 예를 들어 2015년 1월 30일에 100번, 110번이라는 소를 초음파 측정했다고 하자. 물론 이 때 체중도 함께 쟀다. 그 내용을 기록해 보자. 명호 생년월일 측정일 체중(kg) 등지방(mm) 등심(cm 2 ) 근내지방도 100 2012.12.1 2015.1.30 680 10 98 4 110 2012.12.15 2015.1.30 700 13 105 3 기록할 때, 측정한 사람, 측정기기모델 등도 함께 정리하면 더욱 좋다. 측정을 해 본 직원이 근내지방도가 낮으니 조금 더 비육해 보자고 권했다. 아직 26개월령 정도 밖에 안 되었고 시간적 여유도 있으니 말이다. 두달 쯤 지나서 다시 조합직원이 와서 또 초음파 측정을 했다. 그 기록을 추가했더니 다음과 같았다. 명호 생년월일 측정일 체중(kg) 등지방(mm) 등심(cm 2 ) 근내지방도 100 2012.12.1 2015.1.30 680 10 98 4 100 2012.12.1 2015.3.30 720 12 105 6 110 2012.12.15 2015.1.30 700 13 105 3 110 2012.12.15 2015.3.30 730 18 106 3 직원이 근내지방도가 낮으니 다시금 2개월 정도 더 키워보자고 한다. 이제는 28개월령이다. 더 키우는 것이 나을까? 여기서 한 번 자료를 살펴보자. 100번은 근내지방도가 2개월만에 4점에서 6점으로 올랐고 등심단면적 도 98에서 105로 늘었지만 등지방두께는 10에서 12로 크게 늘지 않았다. 반면, 110번은 근내지방도는 3점으로 변화가 없고, 등심단면적도 105서 106로 약간 느는데 그친 반면 등지방두께는 13에서 18로 크게 늘었다. 여러분이 사장님이라면 더 비육을 할 것인가? 아니면 지금 출하를 할 것인가? 아마도 100번은 근내지 방도와 등심이 잘 개선이 되고 있기 때문에 좀 더 비육을 해 볼 수 있을 것이고 110번은 근내지방도가 전혀 개선이 되고 있지 못하고 등지방두께만 두꺼워지고 있기 때문에 비록 체중은 증가하고 있지만 출 하를 하는 편이 낫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기록을 관리하고 있지 않다면 직원이 권유하는 대
로 더 비육을 하는 쪽으로 의사결정을 하기 쉽다. 그러나 이처럼 기록을 관리하고 있다면 더 비육을 할 것인지 출하를 하는 것이 좋은 판단인지 결정을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런 판단의 근거는 무엇일까? 2. 알아야 면장( 免 墻 )을 한다 가. 등급판정제도 일반적으로 등심이 넓고 등지방두께는 얇아야 좋다고 한다. 왜 그럴까? 등급판정은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수행하며, 쇠고기의 등급은 육질등급과 육량등급으로 구분하여 판정 한다. 육질등급은 고기의 질을 근내지방도, 육색,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에 따라 1++, 1+, 1, 2, 3등급 으로 판정하는 것으로 소비자가 고기를 선택하는 기준이 되며, 육량등급은 도체에서 얻을 수 있는 고기 량을 도체중량,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을 종합하여, A, B, C등급으로 판정한다. (1)등급판정부위 소를 도축한 후 2등분할된 왼쪽 반도체의 마지막등뼈(흉추)와 제1허리뼈(요추) 사이를 절개한 후 배최장 근의 등심쪽 절개면 (2) 등지방두께 등급판정부위에서 배최장근단면의 오른쪽면을 따라 복부쪽으로 3분의 2 들어간 지점의 등지방을 mm단위로 측정(등지방두께가 1mm 이하인 경우 1mm로 판정) (3) 배최장근단면적(등심단면적) 등급판정부위에서 가로, 세로가 1cm단위로 표시된 면적자를 이용하여 배최장근의 단면적을 cm2단위 로 측정 (배최장근 주위의 배다열근, 두반극근, 배반극근 제외) (4) 도체중량 도축장경영자가 측정하여 제출한 도체 한 마리 분의 중량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 ㅇ육량지수 = 68.184 - [0.625 등지방두께(mm)] + [0.130 배최장근단면적(cm2)] - [0.024 도체중량(kg)] [단, 한우의 도체는 3.23을 가산] ㅇ육색: 배최장근단면의 고기색깔 (정상: No2 ~ No6) ㅇ조직감 : 등급판정부위에서 배최장근단면의 보 수력과 탄력성 ㅇ성숙도 : 왼쪽 반도체 척추 가시돌기에서 연골 의 골화정도 (5) 육량등급 육량지수를 계산하고, 육량지수가 67.20 이상이면 A", 63.30 이상 67.20 미만이면 "B", 63.30 미만이면 "C" 등급으로 구분한다.
(6) 육질등급 육질등급은 근내지방도(Marbling), 육색,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에 따라 1++ (근내지방도 8, 9점), 1+ (근내지방도 6, 7점), 1 (근내지방도 4, 5점), 2 (근내지방도 2, 3점), 3 (근내지방도 1점)의 5 개등급으로 구분한다. 등급판정은 육량과 육질로 나누어 실시한다. 육질은 주로 근내지방도에 의해 좌우가 되고 육량의 경우 다음과 같이 육량지수에 의해 결정이 된다. 육량지수 = 68.184 - [0.625 등지방두께(mm)] + [0.130 배최장근단면적(cm2)] - [0.024 도체중량(kg)] 육량지수를 잘 살펴보면 등지방두께에는 -0.625를 곱하고 있고 배최장근단면적(등심면적)에는 0.13을, 도체중량에는 -0.024를 곱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등지방두께가 두꺼워지면 육량지수는 낮아지 게 된다(-0.625). 또 도체중량도 많이 나가면 육량지수가 오히려 줄어들게 된다(-0.024). 하지만 등심단 면적은 넓으면 넓을수록 육량지수가 커지게 된다(0.13). 특히 등지방두께는 다른 것에 비해 곱하는 값이 크므로 등지방두께가 두꺼워지면 육량지수는 급격히 낮아진다. 따라서 등지방두께는 얇은 쪽으로, 등심 단면적은 넓은 쪽으로 도체중은 적정체중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은 육량등급을 받는데 필요하다. 나.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 도체중에 따른 육량등급을 살펴보자 위의 등급판정제도를 바탕으로 하여 등지방두께가 8, 12, 16, 20mm, 등심단면적이 90, 100, 110cm 2, 도체중이 380, 400, 420, 440kg인 도체에 대한 육량등급이 어떻게 되는지를 아래와 같이 표로 나타내 었다. < 표 >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 도체중 변화에 따른 육량지수 및 육량등급 변화 등지방 두께 8mm 12mm 등심 단면적 도체중 육량 지수 육량 등급 등지방 두께 등심 단면적 도체중 육량 지수 90cm 2 100cm 2 110cm 2 90cm 2 400kg 68.514 A 90cm 2 400kg 63.514 B 420kg 68.034 A 420kg 63.034 C 380kg 68.994 A 380kg 63.994 B 440kg 67.554 A 440kg 62.554 C 400kg 69.814 A 16mm 100cm 2 400kg 64.814 B 420kg 69.334 A 420kg 64.334 B 380kg 70.294 A 380kg 65.294 B 440kg 68.854 A 440kg 63.854 B 400kg 71.114 A 110cm 2 400kg 66.114 B 420kg 70.634 A 420kg 65.634 B 380kg 71.594 A 380kg 66.594 B 440kg 70.154 A 440kg 65.154 B 400kg 66.014 B 90cm 2 400kg 61.014 C 420kg 65.534 B 420kg 60.534 C 440kg 65.054 B 20mm 440kg 60.054 C 380kg 66.494 B 380kg 61.494 C 380kg 67.794 A 380kg 62.794 C 100cm 2 100cm 2 400kg 67.314 A 400kg 62.314 C 육량 등급
표에서 보는 것과 같이 등지방두께가 8mm일 경우에는 등심단면적, 도체중에 상관없이 모두 A등급이 나오지만 등지방두께가 20mm일 경우 등심단면적이 아무리 넓어도 C등급을 벗어나지 못한다. 특히 이 경우에는 오히려 도체중이 400kg이하일 경우에 B등급이 나옴을 알 수 있다. 즉, 앞의 110번과 같이 등지방두께만 두꺼워지고 있다면 경락단가에 미치는 근내지방도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육질등급은 변하지 않고 육량등급만 안 좋아지기 때문에 더 이상 비육을 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 할 수 있다. 110cm 2 420kg 66.834 B 420kg 61.834 C 440kg 66.354 B 440kg 61.354 C 400kg 68.614 A 110cm 2 400kg 63.614 B 420kg 68.134 A 420kg 63.134 C 380kg 69.094 A 380kg 64.094 B 440kg 67.654 A 440kg 62.654 C 3. 매번 초음파 측정해서 출하를 결정할 것인가? 어떤 농장에 가보면 1등급이상 출현율이 90%라고 자랑하시는 사장님이 계신다. 물론 잘 하시는 농장임 에는 틀림이 없다. 그러나 좀 더 세심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돈을 잘 벌고 계신지를 알아보려면 출하 월령이 동일한지를 여쭈어 보아야 한다. 만약 초음파를 재서 출하를 하고 계셔서 어떤 소는 28개월령에 도 내고 능력이 부족한 소는 36개월령에도 출하를 한다고 하신다면 1등급 출현율이 90%라고 하는 자 랑은 액면 그대로 받아 들이기가 어렵다. 예를 들면 우리집 아이들은 수학점수가 모두 90점을 넘는다 라고 자랑을 하고 계신데 알고 보니 초등 학교 6학년 시험문제에 대해 중 3인 큰 아이와 중 1인 둘째, 그리고 초등학교 6학년 아이가 시험을 본 성적이었던 것이다. 셋째 아이는 90점이 넘는다는 것을 자랑할 수 있는 일이지만 중 3과 중 1인 아이의 성적이 90점을 넘었다고 좋아할 일은 아니기 때문이다. 농장에서 1등급 출현율도 이와 같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개월령 출하시 우리집 소의 1등급 출 현율은 90%다 라고 해야, 정확한 농장의 성적이 된다. 그러면, 모두 고르게 성장하는 소는 어떻게 만들 것인가? 가. 균일성을 높이는 개량 동일한 월령에서 출하하였을 때 도체중이 고른 소로 만들고 싶다던가 하는 경우는 균일성 향상을 위한 교배가 필요하다. 이 경우에는 암소의 능력을 파악하여 능력이 부족한 것은 씨수소로 보완해 주고, 능력 이 어느 목표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능력이 낮은 씨수소를 이용하여 목표치에 도달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는 키가 작은 딸아이를 위해 키가 큰 사위를 얻어 주는 것과 같다고 보면 된다. 이런 능력으로 맞추고 싶다 하는 개량목표를 설정하여 놓으면 개량목표에 가장 근접한 송아지를 얻을 수 있도록 암소의 능력에 맞추어 씨수소를 선택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암소의 능력을 알아야 하는데 암소의 능력은 능력검정을 통하여 알 수 있다. 그러나 능력검정치가 없다면 아쉬운대로 혈통에 근거하여 각 형질별 능력을 추정해 낼 수 있다(부모의 평균값). 이렇게 추정한 암소의 능력을 토대로 개량목표와의 차이를 계산하면 그 차이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씨수 소를 선택하면 된다. 형질이 단 하나라면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쉽게 씨수소를 선택할 수 있 다. 즉 송아지의 능력이 +5인 것을 만들고 싶다면 능력이 +10인 암소에 대해서는 능력이 0인 씨수소를 선택하면 되고(왼쪽 그림), 능력이 -20인 암소에 대해서는 능력이 +30으로 우수한 씨수소를 선택하면 된다(전체평균이 600kg이라고 할 때 자손의 기대능력은 605kg이 된다).
동일 능력의 자손을 얻기 위한 씨수소 선택 이러한 방법은 형질이 여러 개라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아래 그림에서는 자손에 대한 도체중과 근내지방도가 각각 2.5kg과 1.0점이 되도록 씨수소(KPN)을 선택하였다. 동일 능력의 자손을 얻기 위한 씨수소 선택(2개 형질예) 그러나 계산할 형질이 많아지게 되면 원하는 목표를 얻을 수 있는 적당한 씨수소가 없을 수도 있다. 그 러한 경우에는 가장 목표에 근접하는 값을 나타내는 씨수소를 선택하여 점진적으로 목표에 근접해 가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나. 교배계획길라잡이를 이용하자
혈통을 가지고 교배계획을 짤 때에는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 발간하는 한우교배계획 길라잡이 를 이용하면 조금은 쉽게 작업을 할 수 있다. 우선, 책에서 암소의 아비번호를 검색한다. 예에서는 암소의 아 비가 KPN453이다. 이 암소에 KPN593을 교배하면 근내지방도, 등지방두께, 12개월 령체중은 모두 우수한(A) 것으로 나타났지만 도체중은 평균(C) 정도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근친도는 3.1%로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12개월령체중은 평균이지만 다른 조건이 모두 KPN593과 같은 것은 KPN550임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근친도 문제도 없 다. 균일한 소를 만들고자 한다면 특정 형질이 A가 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전반적으로 모두 B가 되도록 한다 와 같은 접근 이 필요하다. 모두 A가 되면 좋겠지만 그렇게 만들 수 있는 정 액은 구하기도 힘들기 때문에 천천히 가더라도 균일 이라는 목 표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작업을 보다 쉽게 하려면 교배계획길라잡이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된다. <엑셀 프로그램 화면> 4. 우보천리 개량은 목표가 있을 때에 가능하다.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한다면 어떻게 개량을 해야 하는지가 결정된다. 개량은 노력과 비용이 드는 것인 만큼 남이 한다고 무작정 따라 해서는 손해만 볼 수 있다. 그러나 목표가 명확하고 그 목표를 위해 꾸준히 개량을 한다면 원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나의 목표가 있는 한 개량은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 우보천리라 했다. 개량의 성과는 단시간에 나 타나지 않는다. 다만 지나고 나서 돌아보면 그 결과를 알 수 있다.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 김시동(농업연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