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동의학 ( 東醫學 ) 의병인 ( 病因 ) 과진단 ( 診斷 ) 동의학 ( 東醫學 ) 에서만물 ( 萬物 ), 즉인체 ( 人體 ), 우주 ( 宇宙 ), 자연계 ( 自然界 ) 중천체 ( 天體 ) 와인간 ( 人間 ) 을합일성 ( 合一性 ) 에두고음양오행사상 ( 陰陽五行思想 ) 이나태극정신 ( 太極精神. 易, 空, 道 ) 에기초 ( 基礎 ) 하여질병 ( 疾病 ) 을보는것은전체성 ( 全體性 ), 전기성 ( 全機性 ), 종합성 ( 綜合性 ) 이다. 즉서양의학 ( 西洋醫學 ) 의분석적 ( 分析的 ), 국소적 ( 局所的 ) 인관점과는대조를이루고있다. 인간 ( 人間 ) 의질병 ( 疾病 ) 은서양의학 ( 西洋醫學 ) 의부분적관점과는달리동의학 ( 東醫學 ) 은전신 ( 全身 ) 의어떤부조화 ( 不調和 ) 가곧병 ( 病 ) 이라고보고이를조화 ( 調和 ) 시켜태극 ( 太極 ) 의상태 ( 狀態 ), 즉중용 ( 中庸 ) 에이르게하는데두고있다. 치병기준 ( 治病基準 ) 도일률적인병명 ( 病名 ) 보다는각개개인 ( 個個人 ) 의체질과병증 ( 病證 ) 에치중 ( 置重 ) 하는단위 ( 單位 ) 에두는수증치료 ( 隨證治療 ) 를주로하고있다. 병변 ( 病變 ) 의내인 ( 內因 ) (1) 삼독 ( 三毒 ) 의기혈수론 ( 氣血水論 ) 동의학 ( 東醫學 ) 은진단 ( 診斷 ) 과치료 ( 治療 ) 를할때기 ( 氣 ), 혈 ( 血 ), 수 ( 水 ) 라는개념 ( 槪念 ) 을가질때가있다. 기 ( 氣 ), 혈 ( 血 ), 수 ( 水 ) 에대한내용은시대 ( 時代 ) 나유파 ( 流派 ) 에따라다소다른점이없지않으나여기에서는기초지식 ( 基礎知識 ) 정도의내용만다루어보기로한다. 기 ( 氣 ) 기 ( 氣 ) 는사람의생사 ( 生死 ) 와질병 ( 疾病 ) 의성립 ( 成立 ) 을지배한다고한다. 음양 ( 陰陽 ) 의기 ( 氣 ) 가결합 ( 結合 ) 함에따라사람이생겨나고음양 ( 陰陽 ) 의기 ( 氣 ) 가분리 ( 分離 ) 함에따라사람이죽는다. 병 ( 病 ) 은기 ( 氣 ) 의울체 ( 鬱滯 ) 에의하여일어난다. 중국 ( 中國 ) 에서는예로부터병 ( 病 ) 은음양 ( 陰陽 ) 의기 ( 氣 ) 가편승 ( 偏勝 ) 하거나순행 ( 循行 ) 의정체 ( 停滯 ) 에의해서일어난다고했다. 기 ( 氣 ) 는형상 ( 形象 ) 이없고작용 ( 作用 ) 만있는것으로혈 ( 血 ) 과수 ( 水 ) 를움직이는힘이며기 ( 氣 ) 가울체 ( 鬱滯 ) 하면혈 ( 血 ) 과수 ( 水 ) 의운행 ( 運行 ) 도삽체 ( 澁滯 ) 한다. 어혈 ( 瘀血 ) 과수독 ( 水毒 ) 을다스리는처방 ( 處方 ) 에는혈 ( 血 ) 과수 ( 水 ) 를움직이는약물 ( 藥物 ) 이외에도기 ( 氣 ) 의운행 ( 運行 ) 을원활하게하는약물 ( 藥物 ) 이배제 ( 配劑 ) 되는것도이때문이다. 기 ( 氣 ) 를움직이는약 ( 藥 ) 중에는계지 ( 桂枝 ), 후박 ( 厚朴 ), 소엽 ( 蘇葉 ) 등이대표적인기제 ( 氣劑 ) 인데특히계지 ( 桂枝 ) 는기 ( 氣 ) 의상충 ( 上衝 ) 을다스리는힘이있기때문에구어혈제 ( 驅瘀血劑 ) 나이뇨제 ( 利尿劑 ) 등에자주배제 ( 配劑 ) 한다. 기 ( 氣 ) 에병 ( 病 ) 이있을때는상충 ( 上衝 ) 하고울체 ( 鬱滯 ) 하는경향이있다. 기 ( 氣 ) 가상충 ( 上衝 ) 할때는계지 ( 桂枝 ) 를써서기 ( 氣 ) 의상충 ( 上衝 ) 을다스리고, 기 ( 氣 ) 가울체 ( 鬱滯 ) 할때는소엽 ( 蘇葉 ), 후박 ( 厚朴 ) 등을써서개울 ( 開鬱 ) 하여기 ( 氣 ) 의운행 ( 運行 ) 을원활하게하며, 대표적인처방 ( 處方 ) 으로는반하후박탕 ( 半夏厚朴湯 ) 이있는데이처방 ( 處方 ) 은기 ( 氣 ) 의순행 ( 循行 ) 을돕고기울 ( 氣鬱 ) 을다스리는효과 ( 效果 ) 가있는기울 ( 氣鬱 ) 의대표적인처방 ( 處方 ) 이다. 대승기탕 ( 大承氣湯 ), 13
소승기탕 ( 小承氣湯 ) 등의승기 ( 承氣 ) 라고하는뜻은순기 ( 順氣 ) 한다는뜻으로, 즉기 ( 氣 ) 를순행 ( 循行 ) 시킨다는것을의미한다. 반하후박탕 ( 半夏厚朴湯 ) 에배제 ( 配劑 ) 된복령 ( 茯苓 ), 반하 ( 半夏 ) 는수 ( 水 ) 를움직이는약제 ( 藥劑 ) 중대표적인약제 ( 藥劑 ) 라할수있다. 기혈수론 ( 氣血水論 ) 에일가견을표한일인 ( 日人 ) 길익동동 ( 吉益東洞 ) 과길익남애 ( 吉益南涯 ) 부자 ( 父子 ) 의소론 ( 所論 ) 역시같은논지 ( 論旨 ) 의주장을폈는데, 특히동동 ( 東洞 ) 은만병 ( 萬病 ) 은일독 ( 一毒 ) 에의함이니, 즉기혈수 ( 氣血水 ) 에병독 ( 病毒 ) 이들었을때병변 ( 病變 ) 이발생하는것이며, 특히양병 ( 陽病 ) 은한 ( 汗 ), 토 ( 吐 ), 하 ( 下 ), 화 ( 和 ) 의법 ( 法 ) 으로병독 ( 病毒 ) 을풀어기 ( 氣 ) 의순행 ( 循行 ) 을원활하게하여치병 ( 治病 ) 한다주장하였고, 음병 ( 陰病 ) 은독 ( 毒 ) 으로보이지않는것으로보았다. 남애 ( 南涯 ) 의기혈수론 ( 氣血水論 ) 은고방연구 ( 古方硏究 ) 에큰비중 ( 比重 ) 을차지하고있는데만병 ( 萬病 ) 은기혈수 ( 氣血水 ) 의부조화 ( 不調和 ) 로인해발생 ( 發生 ) 한다고주장하였다. 기병 ( 氣病 ) 이라함은형 ( 形 ) 은있으되힘이있어혈 ( 血 ) 과수 ( 水 ) 를움직이므로병 ( 病 ) 을일으키기도하고없애기도한다라고주장하였으며자연치유력 ( 自然治瘉力 ) 이나에너지원, 생명력 ( 生命力 ) 등은바로기 ( 氣 ) 의소치 ( 所致 ) 라고주장하였다. 참고 : 상용순기제 ( 順氣劑 ) 약방명 ( 藥方名 ) 성분 ( 成分 ) 목표 ( 目標 ) 반하후박탕 ( 半夏厚朴湯 ) 반하 ( 半夏 ) 후박 ( 厚朴 ) 소엽 ( 小葉 ) 복령 ( 茯笭 ) 생강 ( 生薑 ) 기의정체 ( 氣의停滯 ) 신경불안 ( 神經不安 ) 인후부 ( 咽喉部 ) 이물감 ( 異物感 ) 계지가계탕 계지 ( 桂枝 ) 작약 ( 芍藥 ) 생강 ( 生薑 ) 기의상충 ( 氣의上衝 ) 두통 ( 頭痛 ) ( 桂枝加桂湯 ) 대조 ( 大棗 ) 감초 ( 甘草 ) 영계출감탕 ( 岺桂朮甘湯 ) 계지 ( 桂枝 ) 복령 ( 茯岺 ) 백출 ( 白朮 ) 감초 ( 甘草 ) 기의상충 ( 氣의上衝 ), 어지러움, 흔들림 ( 흔히체머리떤다는증상 ) 두통 ( 頭痛 ) 동계 ( 動悸 ) 2 혈 ( 血 ) 혈 ( 血 ) 과관계된혈증중 ( 血證中 ) 특히중요한것은어혈 ( 瘀血 ) 이다. 어혈 ( 瘀血 ) 의어 ( 瘀 ) 는어체 ( 瘀滯 ) 한것을뜻하며어혈 ( 瘀血 ) 이란어체 ( 瘀滯 ) 해있는혈액 ( 血液 ) 을뜻한다. 어혈 ( 瘀血 ) 이있는환자의자각증상 ( 自覺症狀 ) 으로는입이말라물을적시려는하나마시기를싫어하는증상이있으며, 타각적 ( 他覺的 ) 으로는복부 ( 腹部 ) 의팽만 ( 膨滿 ) 이없음에도복만 ( 腹滿 ) 을느끼며, 전신적 ( 全身的 ) 또는국소적 ( 局所的 ) 으로번열감 ( 煩熱感 ) 이있고, 구갈 ( 口渴 ) 하여열감 ( 熱感 ) 을느끼나열 ( 熱 ) 이없고, 피부 ( 皮膚 ) 나점막 ( 粘膜 ) 에자반점 ( 紫班点 ) 이나청근 ( 靑筋 ) 이있고, 피부 ( 皮膚 ) 의진액 ( 津液 ) 이말라거칠거칠한것은어혈 ( 瘀血 ) 의증상 ( 症狀 ) 이다. 또설 ( 舌 ) 의연변 ( 緣邊 ) 에암자색 ( 暗紫色 ) 이나타나고진색 ( 唇色 ), 즉입술의색깔이푸르며, 대변색 ( 大便色 ) 이검거나쵸컬릿색깔처럼변색되었거나출혈 ( 出血 ) 의경향 ( 傾向 ) 이있을때는어혈 ( 瘀血 ) 의유무 ( 有無 ) 를의심하지않으면안된다. 어혈 ( 瘀血 ) 이있는사람은맥 ( 脈 ) 이침 ( 沈 ), 색 ( 濇 ), 미 ( 微 ), 대 ( 大 ), 지 ( 遲 ) 등을나타내는수가있다. 14
어혈환자 ( 瘀血患者 ) 는특정 ( 特定 ) 의복증 ( 腹證 ) 을나타내는일이많아주 ( 主 ) 로하복부 ( 下腹部 ) 의저항 ( 抵抗 ) 과압통 ( 壓痛 ) 이나타나는데주로좌측 ( 左側 ) 에서나타나는경향이있고, 구어혈제 ( 驅瘀血劑 ) 로는도인 ( 桃仁 ), 목단피 ( 牧丹皮 ), 수질 ( 水蛭 ), 맹충 ( 虻蟲 ) 등이있으며어혈 ( 瘀血 ) 이있을때빈번 ( 頻煩 ) 히쓰는처방 ( 處方 ) 으로는계지복령환 ( 桂枝茯苓丸. 湯 ), 도핵승기탕 ( 桃核承氣湯 ), 대황목단피탕 ( 大黃牧丹皮湯 ) 등이있다. 동동 ( 東洞 ) 과남애 ( 南涯 ) 의혈증론 ( 血證論 ) 에의어혈 ( 瘀血 ) 은혈행순환장애 ( 血行循環障碍 ) 의일절 ( 一切 ) 에의해발생하며비위생적 ( 非衛生的 ) 인것, 건강에도움이되지않는일절 ( 一切 ) 의혈행 ( 血行 ) 을뜻한다고하였다. 어혈 ( 瘀血 ) 과혈행장애 ( 血行障碍 ) 등의혈증 ( 血症 ) 중에는빈혈 ( 貧血 ), 고혈압 ( 高血壓 ), 저혈압 ( 低血壓 ), 뉵혈 ( 衄血. 코피흘리는것 ), 충혈 ( 充血 ), 정맥류 ( 靜脈瘤 ), 월경이상 ( 月經異常 ) 등의증상이며, 증상과염증 ( 炎症 ) 의일절 ( 一切 ) 이여기에속한다하였고또이들혈증 ( 血證 ) 으로인한제통증 ( 諸痛症 ) 등이차적인반응은무한 ( 無限 ) 하고복잡 ( 複雜 ) 하여그원인 ( 原因 ) 이어혈 ( 瘀血 ) 로인함이니구어혈제 ( 驅瘀血劑 ) 로해결 ( 解決 ) 하니허 ( 虛 ) 한경우에는천궁 ( 川芎 ), 당귀 ( 當歸 ) 를주로한처방을쓰며, 이수 ( 利水 ) 하는생약 ( 生藥 ) 을가미 ( 加味 ) 한다했다. 당귀 ( 當歸 ) 를주 ( 主 ) 로하는처방 ( 處方 ) 으로는당귀작약산 ( 當歸芍藥散 ), 온경탕 ( 溫經湯 ), 궁귀교애탕 ( 芎歸膠艾湯 ) 등이오, 실 ( 實 ) 한경우에는리혈 ( 理血 ) 하는생약 ( 生藥 ) 과파혈제 ( 破血劑 ) 를써야하며계지복령환 ( 桂枝茯苓丸 ), 도핵승기탕 ( 桃核承氣湯 ), 대황목단피탕 ( 大黃牧丹皮湯 ) 등을응용한다했다. 현우 ( 賢祐 ) 주 ( 註 ) 어혈의증상 ( 瘀血의證 ) 狀 ) 1) 두통 ( 頭痛 ) 현훈 ( 眩暈견비통, 이명 ( 耳鳴 ) 동계 ( 動悸 ) 심계항진 ( 心悸亢進 ) 자각적복만 ( 自覺的腹滿 ) 구진건조 ( 口唇乾燥 ) 전신적열감 ( 全身的熱感 ) 요각한냉감 ( 腰脚寒冷感 ) 마비감 ( 저림 )( 痲痺感 ) 불면 ( 不眠 ) 기면 ( 耆眠 ) 건망 ( 健忘 ) 등의자각증상 ( 自覺症狀 ) 2) 피부 ( 皮膚 ) 나점막 ( 粘膜 ) 면에자반점 ( 紫班点 ) 청근 ( 靑筋 ) 피부갑착 ( 皮膚甲錯 ) 안주위 ( 眼周圍 ) 에특히하안검 ( 下眼瞼 ) 에무색 ( 無色 ) 무늬 3) 손톱이자색 ( 紫色 ) 손톱의반월부 ( 半月部 ) 가암적색 ( 暗赤色 ) 손톱을눌렀다가놓았을때혈색 ( 血色 ) 의환원이늦은증 ( 症 ) 수장 ( 手掌 ) 의일부가늘암적색 ( 暗赤色 ) 4) 구진 ( 口唇 ) 혀 ( 舌 ) 치 ( 齒 ) 는암적색 ( 暗赤色 ) 이나자색 ( 紫色 ) 청색 ( 靑色 ) 5) 코피, 변혈 ( 便血 ) 자궁출혈 ( 子宮出血 ) 토혈 ( 吐血 ) 객혈 ( 喀血 ) 혈뇨 ( 血尿 ) 6) 출혈 ( 出血 ) 일혈 ( 溢血 ) 하기쉬운경향 ( 멍 ) 자반병 ( 紫斑病 ) 이되기쉬움 7) 부인 ( 婦人 ) 의월경이상 ( 月經異常 ) 8) 상충 ( 上衝 ) 15
현우 ( 賢祐 ) 주 ( 註 ) 어혈 ( 瘀血 ) 로서일어날수있는병 ( 病 ) 1) 만성소화기병 ( 慢性消化器病 ) 위산과다 ( 胃酸過多 ), 위궤양 ( 胃潰瘍 ) 충수염 ( 蟲垂炎 ) 만성변비 ( 慢性便秘 ) 암 ( 癌 ) 2) 동맥경화증 ( 動脈硬化症 ) 고혈압증 ( 高血壓症 ) 장출혈 ( 腸出血 ) 3) 각종부인병 ( 各種婦人病 ) 히스테리, 혈도증 ( 血道症 ) 대하 ( 帶下 ) 불임증 ( 不妊症 ) 갱년기장해 ( 更年期障害 ) 자궁근종 ( 子宮筋腫 ) 4) 피부병 ( 皮膚病 ) 담마진, 습진5) 신경통 ( 神經痛 ) 요통 ( 腰痛 ) 신경증 ( 神經症 ). 6) 비뇨생식기병 ( 泌尿生殖器病.) 7) 결핵성질환 ( 結核性疾患 ). 8) 기타천식 ( 喘息 ) 같은만성병 ( 慢性病 ) 상용 ( 常用 ) 구어혈제 ( 驅瘀血劑 ) 약방명 ( 藥方名 ) 허실 ( 虛實 ) 성분 ( 成分 ) 목표 ( 目標 ) 대황목단피탕 ( 大黃牧丹皮湯 ) 도핵승기탕 ( 桃核承氣湯 ) 계지복령환 ( 桂枝茯岺丸 ) 당귀작약산 ( 當歸芍藥散 ) 온경탕 ( 溫經湯 ) 궁귀교애탕 ( 芎歸膠艾湯 ) 저당탕 ( 환 ) ( 抵當湯 ) ( 丸 ) 실 ( 實 ) 대황 ( 大黃 ) 목단피 ( 牧丹皮 ) 도인 ( 桃仁 ) 망초 ( 芒硝 ) 동과자 ( 冬瓜子 ) 실 ( 實 ) 도인 ( 桃仁 ) 계지 ( 桂枝 ) 망초 ( 芒硝 ) 실또는중 ( 實 ) ( 中 ) 대황 ( 大黃 ) 감초 ( 甘草 ) 계지 ( 桂枝 ) 복령 ( 茯岺 ) 도인 ( 桃仁 ) 목단피 ( 牧丹皮 ) 백작약 ( 白芍藥 ) 허 ( 虛 )) 당귀 ( 當歸 ) 천궁 ( 川芎 ) 작약 ( 芍藥 ) 복령 ( 茯岺 ) 백출 ( 白朮 ) 택사 ( 澤瀉 ) 허 ( 虛 ) 오수유 ( 吳茱萸 ) 당귀 ( 當歸 ) 천궁 ( 川芎 ) 허 ( 虛 ) 작약 ( 芍藥 ) 목단피 ( 牧丹皮 ) 인삼 ( 人蔘 ) 계지 ( 桂枝 ) 아교 ( 阿膠 ) 생강 ( 生薑 ) 반하 ( 半夏 ) 맥문동 ( 麥門冬 ) 감초 ( 甘草 ) 천궁 ( 川芎 ) 아교 ( 阿膠 ) 감초 ( 甘草 ) 애엽 ( 艾葉 ) 당귀 ( 當歸 ) 작약 ( 芍藥 ) 지황 ( 地黃 ) 수질 ( 水蛭 ) 맹충 ( 虻䖝 ) 도인 ( 桃仁 ) 대황 ( 大黃 ) 우하복부견괴 ( 右下腹部堅 塊 ) 하복통 ( 下服桶 ) 변비 ( 便秘 ) 맥지긴 ( 脈遲緊 ) 소복급결 ( 小腹急結 )( 左下腹 部堅痛 ) 변비 ( 便秘 ) 정신이상 ( 精神異常 ) 역상감 ( 逆上感 ) 제부근저항압통 ( 臍附近抵抗 壓痛 ) 역상감 ( 逆上感 ) 복근긴장 ( 腹 筋緊張 ) 두중 ( 頭重 ) 근육연 ( 筋肉軟 ) 빈 혈 ( 貧血 ) 냉감 ( 冷感 ) 어깨결림부종 ( 浮腫 ) 구진건조 ( 口唇乾燥 ) 하복부냉감 ( 下腹部冷感 ) 수장번열 ( 手掌煩熱 ) 역상감 ( 逆上感 ) 출혈 ( 出血 ) 특히하반신출 혈 ( 下半身出血 ) 혈변 ( 血便 ) 진구어혈 ( 陳久瘀血 ) 16
3 수 ( 水 ) 수 ( 水 ) 의병 ( 病 ) 은곧담음 ( 痰飮 ) 에의한것으로담 ( 痰 ) 은담 ( 淡 ) 으로서, 즉수 ( 水 ) 를뜻하고, 객담 ( 喀痰 ) 역시그가운데포함되며, 담음 ( 痰飮 ) 은수독 ( 水毒 ) 을가리키는것이다. 고인 ( 古人 ) 들이괴병 ( 怪病 ) 은담 ( 痰 ) 으로보고다스리라한것은진단 ( 診斷 ) 하기어렵고알수없는병 ( 病 ) 은수 ( 水 ) 의변고 ( 變故 ) 로보고다스리라한것이다. 수 ( 水 ) 의운행분포 ( 運行分布 ) 변조 ( 變調 ) 에따라일어나는병 ( 病 ) 을한방 ( 漢方 ) 에서는수독 ( 水毒 ) 에의한것이라생각했다. 체내 ( 體內 ) 에서수 ( 水 ) 의운행 ( 運行 ) 이변조 ( 變調 ) 를일으키거나국소 ( 局所 ) 에수 ( 水 ) 가정체 ( 停滯 ) 하면여러가지증상 ( 症狀 ) 이나타나는데, 예를들면심하부 ( 心下部 ) 에진수음 ( 振水音 ) 이나타나고부종 ( 浮腫 ) 이생기며, 관절 ( 關節 ) 이붓고기침이나고담 ( 痰 ) 이많고땀이많이나며, 뇨량 ( 尿量 ) 이감소 ( 減少 ) 되거나많아지고, 하리 ( 下痢 ) 하거나변비 ( 便秘 ) 하고, 토 ( 吐 ) 하며인건 ( 咽乾 ) 하고, 현훈 ( 眩暈 ) 하며동계 ( 動悸 ) 하고, 눈물이많이나오며콧물이많다. 이와같이증상 ( 症狀 ) 이천변만화 ( 千變萬化 ) 하는데수 ( 水 ) 의대사관계 ( 代謝關係 ) 를조정 ( 調整 ) 하는약 ( 藥 ) 은복령 ( 茯苓 ), 백출 ( 白朮 ), 택사 ( 澤瀉 ), 저령 ( 猪苓 ), 목통 ( 木通 ), 마황 ( 麻黃 ), 세신 ( 細辛 ), 방기 ( 防己 ) 등이가장많이쓰인다. 기혈수 ( 氣血水 ) 는서로연관성 ( 連關性 ) 을갖고일어나며개별적 ( 個別的 ) 으로일어나는일은적다. 기울병 ( 氣鬱病 ) 에도수 ( 水 ) 에작용하는약 ( 藥 ) 과혈 ( 血 ) 에작용하는약 ( 藥 ) 이배제 ( 配劑 ) 되고, 어혈치료 ( 瘀血治療 ) 에도기 ( 氣 ) 나수 ( 水 ) 에작용하는약 ( 藥 ) 이배합 ( 配合 ) 되는것은당연한것이다. 수 ( 水 ) 에작용하는처방 ( 處方 ) 은많이있으나대표적인처방 ( 處方 ) 으로는월비가출탕 ( 越婢加朮湯 ), 오령산 ( 五苓散 ), 소청룡탕 ( 小靑龍湯 ), 진무탕 ( 眞武湯 ), 저령탕 ( 猪苓湯 ), 령감강미신하인탕 ( 苓甘薑味辛夏仁湯 ), 령계출감탕 ( 苓桂朮甘湯 ) 등이있다. 이중전신적대사 ( 全身的代謝 ) 의불균형 ( 不均衡 ) 이면오령산 ( 五苓散 ), 복령택사탕 ( 茯苓澤瀉湯 ) 등이주로쓰이며, 상초 ( 上焦 ) 에치우친수독 ( 水毒 ) 은령계출감탕 ( 苓桂朮甘湯 ) 을, 중초 ( 中焦 ) 에정체 ( 停滯 ) 된경우는인삼탕 ( 人蔘湯. 理中湯 ) 을하초 ( 下焦 ) 에편재 ( 偏在 ) 된경우에는령감출감탕 ( 苓甘朮甘湯 ), 팔미환 ( 八味丸 ) 등이주로쓰인다. 기타부위의수독 ( 水毒 ) 은마황탕 ( 麻黃湯 ), 소청룡탕 ( 小靑龍湯 ) 을, 상초표실 ( 上焦表實 ) 에의한수독증상 ( 水毒症狀 ) 에는갈근탕 ( 葛根湯 ) 등이주로쓰인다. 그수독 ( 水毒 ) 의편재 ( 偏在 ) 가곧병 ( 病 ) 이오, 곧어혈 ( 瘀血 ) 의정체 ( 停滯 ) 로연결된다고한방 ( 漢方 ) 에서는보고있는것이다. 현우 ( 賢祐 ) 주 ( 註 ) 금궤요략 ( 金櫃要略 ) 에서는담음 ( 痰飮 ) 현음 ( 懸飮 ) 일음 ( 溢飮 ) 지음 ( 支飮 ) 복음 ( 伏飮 ) 등으로수독증상 ( 水毒症狀 ) 수분대사 ( 水分代射이상으로오는症狀 ) 을구별하고있다. 또수 ( 水 ) 를진액 ( 津液 ) 이라고도한다. 17
수독의증상 ( 水毒의症狀 ) 1 부종 ( 浮腫 ) 위내정수 ( 胃內停水 ) 복중뇌명 ( 伏中雷鳴 ) 2 자각증상 ( 自覺症狀 ) 심계항진 ( 心悸亢進 ) 복부동계 ( 腹部動悸 ) 호흡곤란 ( 呼吸困難 ) 기침천명 ( 喘鳴 ) 신체권태 ( 身體權怠 ) 변비 ( 便秘 ) 오심 ( 惡心 ) 구토 ( 嘔吐 ) 하리 ( 下痢 ) 냉증 ( 冷症 ) 현훈 ( 眩暈 ) 이명 ( 耳鳴 ) 두중 ( 頭重 ) 각종동통 ( 疼痛 ) 떨림경련 ( 痙攣 ) 3 침눈물의분비과다 ( 分泌過多 ) 객담 ( 喀痰 ) 다한 ( 多汗 ) 무한 ( 無汗 ) 구갈 ( 口渴 ) 혐수 ( 嫌水 ) 4 비뇨상태 ( 泌尿狀態 ) 의이상 ( 回數, 量등 ) 5 병적삼출액 ( 病的渗出液 ) 의분비 ( 진물등 ) 수독 ( 水毒 ) 의원인으로일어날수있는병 ( 病 ) 1 위하수 ( 胃下垂 ) 胃아토니위장 ( 胃腸카타르 ) 2 기관지염 ( 氣管支炎 ) 기관지천식 ( 氣管支喘息 ) 폐렴 ( 肺炎 ) 근막염습성 ( 筋膜炎濕性 ) 3 심장병 ( 心臟病 ) 4 결막염 ( 結膜炎 ) 각막염 ( 角膜炎 ) 망막염 ( 網膜炎 ) 시신경염 ( 視神經炎 ) 5 신경증 ( 神經症 ) 히스테리신경통 ( 神經痛 ) 6 신장병 ( 腎臟病 ) 방광질환 ( 膀胱疾患 ) 7 관절 ( 關節 ) 류마티스당뇨병 ( 糖尿病 ) 각기 ( 脚氣 ) 임신오조 ( 妊娠惡阻 ) 참고 : 상용이수제 ( 常用利水劑 ). 약방명 ( 藥方名 ) 성 분 ( 成分 ) 목표 ( 目標 ) 복령출감탕 복령 ( 茯岺 ) 백출 ( 白朮 ) 계지 ( 桂枝 ) 감초 ( 甘 어지러움, 기상충 ( 氣上衝 ) ( 茯岺出甘湯 ) 草 ) 오령산 계지 ( 桂枝 ) 복령 ( 茯岺 ) 백출 ( 白朮 ) 택사 ( 澤 구갈 ( 口渴 ) 뇨량감소 ( 尿量感少 ) ( 五岺散 ) 瀉 ) 저령 ( 猪岺 ) 저령탕 ( 猪岺湯 ) 저령 ( 猪岺 ) 복령 ( 茯岺 ) 활석 ( 滑石 ) 아교 ( 阿膠 ) 혈뇨 ( 血尿 ) 배뇨곤란 ( 排尿困難 ) 뇨량감소 ( 尿量感少 ) 진무탕眞武湯 복령 ( 茯岺 ) 작약 ( 芍藥 ) 백출 ( 白朮 ) 생강 ( 生薑 ) 부자 ( 附子 ) 역피로 ( 易疲勞 ) 수족냉 ( 手足冷 ) 뇨색투명 ( 尿色透明 ) 18
1 1 그림출처 : 藥師의韓方 19
2 2 그림출처 : 藥師의韓方 20
3 3 그림출처 : 藥師의韓方 21
(2) 칠정 ( 七情 ) 의부침 ( 浮沈 ) 에따른병인 ( 病因 ) 동양의철학 ( 東洋醫哲學 ) 에서는모든질병 ( 疾病 ) 의원인 ( 原因 ) 을마음과몸은하나와같다는심신일여 ( 心身一如 ) 라는말로정신작용 ( 精神作用 ) 과감정 ( 感情 ) 의활동 ( 活動 ) 은육체 ( 肉體 ) 에영향을주고또육체 ( 肉體 ) 의이상은정신 ( 精神 ) 면에반응한다고논 ( 論 ) 했으며동의학 ( 東醫學 ) 역시같은맥락으로칠정 ( 七情 ) 의부침 ( 浮沈 ) 에따른질병 ( 疾病 ) 또는장부 ( 臟腑 ) 와의관련을논 ( 論 ) 했다. 동의학 ( 東醫學 ) 에서규정한인체 ( 人體 ) 내 ( 內 ) 의장부 ( 臟腑 ) 와칠정 ( 七情 ) 과의관계는다음과같이관련되어있다. 과희상심 ( 過喜傷心 ) 과노상간 ( 過怒傷肝 ) 과우상비 ( 過憂傷脾 ) 과사상비 ( 過思傷脾 ) 과비상폐 ( 過悲傷肺 ) 과경상신 ( 過驚傷腎 ) 과공상신 ( 過恐傷腎 ) 1 과희상심 ( 過喜傷心 ) 기쁨이지나치면기 ( 氣 ) 가느려지고흩어져서다시모이지못하므로심장 ( 心臟 ) 을상 ( 傷 ) 하게하고미칠수있다. 희 ( 喜 ) 는즐거운감정 ( 感情 ) 으로마음이너그러워지고기혈 ( 氣血 ) 의순환 ( 循環 ) 을원활하게하지만지나치면신기 ( 神氣 ) 를간직하는장기 ( 臟器 ) 인심장 ( 心臟 ) 의기능 ( 機能 ) 을손상 ( 損傷 ) 시킨다. 난경 ( 難經 ): 여러가지생각 ( 思 ) 과근심 ( 憂 ) 걱정을하면심 ( 心 ) 을상 ( 傷 ) 하게한다. 중경 ( 仲景 ): 사 ( 邪 ) 가들어와서혼백 ( 魂魄 ) 을불안하게하면혈기 ( 血氣 ) 가적어지고, 혈기 ( 血氣 ) 가적은증세는심 ( 心 ) 에관계되는증세이니심기 ( 心氣 ) 가허 ( 虛 ) 하면두려움이많으며눈을감고잠을자려고해도꿈속에서멀리다니고정신 ( 精神 ) 이이산 ( 離散 ) 하며혼백 ( 魂魄 ) 이망행 ( 妄行 ) 하고, 음기 ( 陰氣 ) 가쇠하면전증 ( 癲證 ) 이생기고, 양기 ( 陽氣 ) 가쇠하면광증 ( 狂症 ) 이생긴다. 심 ( 心 ) 이상하면몹시피로하고노곤 ( 勞困 ) 하며머리와얼굴이벌겋게되고아랫도리가무거우며가슴속이아프면서답답하고열 ( 熱 ) 이나며배꼽위가뛰고맥 ( 脈 ) 이현 ( 弦 ) 하다. 이것이심 ( 心 ) 이상 ( 傷 ) 한증상 ( 證狀 ) 이다. 22
진병결 ( 診病訣 ) 4 : 폭희상심기완심무출혈고간무납혈 ( 暴喜傷心氣緩心無出血故肝無納血 ) 즉너무기 뻐하면 ( 喜 ) 심장 ( 心臟 ) 이상 ( 傷 ) 하면서기 ( 氣 ) 가느리게되어피를공급하지못하는고로간 ( 肝 ) 이 피를저장못하게된다. 2 과노상간 ( 過怒傷肝 ) 갑자기분노 ( 忿怒 ) 가폭발하면기 ( 氣 ) 가역상 ( 逆上 ) 하므로간기 ( 肝氣 ) 가상 ( 傷 ) 한다. 노 ( 怒 ) 는분노 ( 忿怒 ) 의감정 ( 感情 ) 이다. 분노 ( 忿怒 ) 는혈기 ( 血氣 ) 를역상 ( 逆上 ) 시키므로자주성을내면피를토하거나기절하기도한다. 노 ( 怒 ) 가지나치면혈 ( 血 ) 을저장하는장기 ( 臟器 ) 인간장 ( 肝臟 ) 과담 ( 膽 ) 이상 ( 傷 ) 하며, 반대로패기 ( 覇氣 ) 가약하면사람이겁이많아지고결단력이없어진다. 영추 ( 靈樞 ): 높은데서떨어져서속에오혈 ( 惡血 ) 이몸속에고이게되고, 크게성 ( 大怒 ) 을내어기 ( 氣 ) 가역상 ( 逆上 ) 하여내리지않고협하 ( 脇下 ) 에쌓이면간 ( 肝 ) 이상 ( 傷 ) 하고, 또크게성 ( 大怒 ) 을내면기 ( 氣 ) 가역상 ( 逆上 ) 해서간 ( 肝 ) 이상 ( 傷 ) 하게된다. 난경 ( 難經 ): 분노 ( 忿怒 ) 해서기 ( 氣 ) 거꾸로올라가내리지않으면간 ( 肝 ) 이상 ( 傷 ) 한다. 진병결 ( 診病訣 ): 대노기역측상간 ( 大怒氣逆側傷肝 ), 즉크게노함은간 ( 肝 ) 을상하게한다. - 진병결 ( 診病訣 ): 간실측노이용감 ( 肝實側怒而勇敢 ), 간허측여인장포 ( 肝虛側如人將捕 ), 즉간 ( 肝 ) 이실 ( 實 ) 하면노기 ( 怒氣 ) 가충천 ( 衝天 ) 하고, 간 ( 肝 ) 이허 ( 虛 ) 하면마치사람이잡으러오는것처럼두려움이생긴다. 3 과우상비 ( 過憂傷脾 ) 근심이지나치면사통팔달 ( 四通八達 ) 의비기 ( 脾氣 ) 가폐쇄 ( 閉鎖 ) 되므로비 ( 脾 ) 를상 ( 傷 ) 하게한다. 우 ( 憂 ) 는근심걱정의감정 ( 感情 ) 이다. 근심걱정이지나치면기 ( 氣 ) 의순행이막히며비 ( 脾 ) 에손상 ( 損傷 ) 을주어소화기능이약해진다. 또한근심은기육 ( 肌肉 ) 을주관하는비 ( 脾 ) 와피모 ( 皮毛 ) 를주관하는폐 ( 肺 ) 가동시에손상 ( 損傷 ) 을주기도하므로피부 ( 皮膚 ) 와근육 ( 筋肉 ) 이늘어지고무력 ( 無力 ) 해지기도한다. 영추 ( 靈樞 ): 지나친근심걱정을많이하면비 ( 脾 ) 를상 ( 傷 ) 하게해잘먹지않게되며, 비기 ( 脾氣 ) 에사기 ( 邪氣 ) 가실 ( 實 ) 하게되면깊은생각이나수심에잠기게되고몸이무거워움직이기가싫어지고, 발바닥이아파걷기힘들어진다. 4 과사상비 ( 過思傷脾 ) 깊은생각이나잡념이지나치면기 ( 氣 ) 가뭉치고흩어지지않으므로정신 ( 精神 ) 이맑지못하고비장 ( 脾臟 ) 이손상 ( 損傷 ) 되고, 식욕 ( 食慾 ) 이없어지고깊은잠을못이룬다. 사 ( 思 ) 는사념 ( 思念 ), 사색 ( 思索 ) 의뜻으로너무많은생각을하게되거나한가지일에지나치게골몰하게되면기 ( 氣 ) 의순행이느려지거나뭉치게되므로사통팔달 ( 四通八達 ) 을주관하는비 ( 脾 ) 가상 ( 傷 ) 한다. 4 진병결 ( 診病訣 ): 약 150 여년전조선시대때명의 ( 名醫 ) 박병규 ( 朴秉圭 ) 선생이진단과관련된내용을모 아저술한명저 ( 名著 ) 23
5 과비상폐 ( 過悲傷肺 슬픔, 비애 ( 悲哀 ) 의감정 ( 感情 ) 이지나치면기 ( 氣 ) 가소진 ( 消盡 ) 되어폐 ( 肺 ) 를상 ( 傷 ) 하게하며, 얼굴색이참담 ( 慘憺 ) 해지고자주슬퍼하게한다. 비 ( 悲 ) 는슬픔의감정 ( 感情 ) 이다. 슬픈감정에빠지게되면가슴속에기 ( 氣 ) 가막혀흩어지지못하고폐 ( 肺 ) 와함께비 ( 脾 ) 도손상을받게되며심 ( 心 ) 또한손상을받게된다. 호흡기와순환기에질병이생기면감정도쉽게감상적으로되기쉽다. 영추 ( 靈樞 ): 비탄 ( 悲嘆 ) 에빠지거나지나친근심 ( 憂 ) 은폐 ( 肺 ) 를상하게한다. 맥경 ( 脈經 ): 폐 ( 肺 ) 가상 ( 傷 ) 한사람은노력 ( 努力 ) 하면혈 ( 血 ) 을해타 ( 咳唾 ) 하고, 또한그맥 ( 脈 ) 이긴 ( 緊 ) 하고부 ( 浮 ) 하며삭 ( 數 ) 하면토혈 ( 吐血 ) 하게되는데, 이것은모두조요 ( 躁擾 ) 하고성을내는데서일어나는것이다. 6 과경상신 ( 過驚傷腎 ) 놀램이지나치면기 ( 氣 ) 가혼란해지므로콩팥이상 ( 傷 ) 하며, 심계 ( 心悸 ), 호흡장애 ( 呼吸障碍 ), 불안증 ( 不安症 ) 이나타나며, 심하면헛소리를하게된다. 경 ( 驚 ) 은놀람을말한다. 크게놀라면기 ( 氣 ) 의순행이문란해지며정신 ( 精神 ) 이산란 ( 散亂 ) 해져서올바른판단이나사고 ( 思考 ) 를못하고온몸의힘이빠져서심신 ( 心身 ) 이모두혼미 ( 昏迷 ) 해진다. 7 과공상신 ( 過恐傷腎 ) 공포감 ( 恐怖感 ), 두려움이지나치면기 ( 氣 ) 가아래로내려가순행하지않는다. 쫓기는사람처럼불안 ( 不安 ) 해하고낮이나밤이나혼자지내지못하고, 밤에는무서워밖에나서질못한다. 공 ( 恐 ) 은두려운마음을뜻한다. 두려움무서움이지나치면기 ( 氣 ) 가아래로쳐져위로상승하지못하여오장 ( 五臟 ) 중생식기 ( 生殖器 ) 와내분비 ( 內分泌 ) 를주관하는신 ( 腎 ) 을손상 ( 損傷 ) 한다. 따라서무서움을심하게타는사람은정력 ( 精力 ) 도약해진다. 입문 ( 入門 ): 신 ( 腎 ) 이허약 ( 虛弱 ) 하면마음이까닭없이초조해지고자주무서워 ( 恐 ) 하거나두려워떨게 ( 驚 ) 된다. 침구취영발휘 ( 鍼灸聚英發揮 ) 5 : 신경 ( 腎經 ) 의시동병 ( 是動病 ) 은배가고프나먹고싶지않으며숨을헐떡거리고기침을하며, 침에피가섞이고목구멍속에서그르렁그르렁소리가난다. 앉자마자일어나고싶고, 얼굴에는때가낀것같고, 기 ( 氣 ) 가부족하며눈이아물아물하고잘보이지않으며, 마음속이허전하고배고픈것같으며자주깜짝깜짝놀랜다 ( 恐驚 ). 이상과같이희 ( 喜 ), 노 ( 怒 ), 우 ( 憂 ), 사 ( 思 ), 비 ( 悲 ), 경 ( 驚 ), 공 ( 恐 ) 또는희 ( 喜 ), 노 ( 怒 ), 애 ( 愛 ), 락 ( 樂 ), 공 ( 恐 ), 경 ( 驚 ), 애 ( 愛 ) 또는희 ( 喜 ), 노 ( 怒 ), 애 ( 愛 ), 락 ( 樂 ), 애 ( 哀 ), 악 ( 惡 ), 욕 ( 慾 ) 등의칠정 ( 七情 ) 의부침 ( 浮沈 ) 은각장부 ( 臟腑 ) 의허실 ( 虛實 ) 로이어져인체에병변 ( 病變 ) 이발생하기도한다. 따라서나타난장부 ( 臟腑 ) 의보이는병증 ( 病症 ) 만단편적으로살펴서는올바른증치법 ( 證治法 ) 이라할수없는것이다. 보다정확한입체적인증치법 ( 證治法 ) 을위해서는환자의내면 ( 內面 ) 에무엇이자리하고있는가를면밀히살펴야하며, 또문진 ( 問診 ) 을통해세밀하게물어병변 ( 病變 ) 이나타난전후에평소감당못할큰감정의기복이나, 사건이있었는지를물어야한다. 5 중국명대의명의고무 ( 高武 ) 가편찬하여 1529년에간행한침구서 ( 鍼灸書 ) 24
병변 ( 病變 ) 의외인 ( 外因 ) (1) 외감 ( 外感 ) 과외사 ( 外邪 ) 외감 ( 外感 ) 은풍 ( 風 ), 한 ( 寒 ), 서 ( 暑 ), 습 ( 濕 ), 조 ( 燥 ), 화 ( 火 ) 의우주 ( 宇宙 ) 삼라만상 ( 森羅萬象 ) 과자연계 ( 自然界 ) 에존재하는육기적기운 ( 六氣的氣運 ) 을가리키는것으로지구를포함한우주 ( 宇宙 ) 내에존재하는이기운 ( 氣運 ) 은작은우주 ( 宇宙 ) 라일컬어지고있는인체 ( 人體 ) 내에도존재하는기운 ( 氣運 ) 이다. 이러한육기적기운 ( 六氣的氣運 ) 은인체 ( 人體 ) 내의십이경맥 ( 十二經脈 ) 이각각관장하기도하는데, 외기 ( 外氣 ) 의육기 ( 六氣 ) 와체내 ( 體內 ) 각경맥 ( 經脈 ) 의육기 ( 六氣 ) 가상호 ( 相互 ) 상박 ( 相搏 ) 하면병변 ( 病變 ) 이발생하기도하며, 또한편으로는외기 ( 外氣 ) 의편중된기운 ( 氣運 ) 이나체내 ( 體內 ) 의편중된육기 ( 六氣 ) 가병변 ( 病變 ) 을일으키게되면이를상쇄시킬수있는상대적기운 ( 氣運 ) 이체내 ( 體內 ) 의자연치유력 ( 自然治瘉力 ) 을발휘하여자유 ( 自癒 ) 케하기도하며, 또한이러한기전 ( 機轉 ) 을활용하여병변 ( 病變 ) 을치료할수도있다. 이러한외감 ( 外感 ) 이병변 ( 病變 ) 으로작용할때이를외사 ( 外邪 ) 라한다. 참고로각경맥 ( 經脈 ) 이갖고있는육기적기운 ( 六氣的氣運 ) 에대하여간략하게나마살펴보기로한다. 1 풍기운 ( 風氣運 ) 을생성 ( 生成 ) 시키는경맥 ( 經脈 ) 십이경맥 ( 十二經脈 ) 의경락학설 ( 經絡學設 ) 로볼때족궐음간경 ( 足厥陰肝經 ) 과수궐음심포경 ( 手厥陰心包經 ) 은인체 ( 人體 ) 내에서궐음풍 ( 厥陰風 ) 이라는풍기운 ( 風氣運 ) 을관장하고있으며, 동시에인체가생명 ( 生命 ) 의활력 ( 活力 ) 을유지하기위한정기 ( 正氣 ) 로서의풍기운 ( 風氣運 ) 을생성 ( 生成 ) 시키고있다. 2 한기운 ( 寒氣運 ) 을생성 ( 生成 ) 시키는경맥 ( 經脈 ) 족태양방광경 ( 足太陽膀胱經 ) 과수태양소장경 ( 手太陽小腸經 ) 은각각태양한수 ( 太陽寒水 ) 라는한기운 ( 寒氣運 ) 을관장하고있으며, 생명 ( 生命 ) 의활력 ( 活力 ) 을유지하기위한정기 ( 正氣 ) 로서의한기운 ( 寒氣運 ) 을생성 ( 生成 ) 시키고있다. 3 서기운 ( 暑氣運 ) 을생성 ( 生成 ) 시키는경맥 ( 經脈 ) 더울서 ( 暑 ) 란? 햇볕과같은따뜻한기운, 또는광명 ( 光明 ) 과같은밝음을상징하는기운 ( 氣運 ) 으로서족소양담경 ( 足少陽膽經 ) 과수소양삼초경 ( 手少陽三焦經 ) 이바로이러한따뜻한기운 ( 氣運 ) 인소양상화 ( 少陽相火 ) 라는기운을관장하고있으며, 생명 ( 生命 ) 의활력 ( 活力 ) 을유지시키기위한정기 ( 正氣 ) 로서의소양상화 ( 少陽相火 ), 즉더울서 ( 暑 ) 의기운 ( 氣運 ) 을생성 ( 生成 ) 시키고있다. 4 습기운 ( 濕氣運 ) 을생성 ( 生成 ) 시키는경맥 ( 經脈 ) 수태음폐경 ( 手太陰肺經 ) 과족태음비경 ( 足太陰脾經 ) 은각각태음습 ( 太陰濕 ) 이라는습기운 ( 濕氣運 ) 을관장하고있으며, 생명 ( 生命 ) 의활력 ( 活力 ) 을유지하기위한정기 ( 正氣 ) 로서의습기운 ( 濕氣運 ) 을생성 ( 生成 ) 시키고있다. 25
5 조기운 ( 燥氣運 ) 을생성 ( 生成 ) 시키는경맥 ( 經脈 ) 수양명대장경 ( 手陽明大腸經 ) 과족양명위경 ( 足陽明胃經 ) 은각각양명조 ( 陽明燥 ) 라는조 ( 燥 ) 한기운 ( 氣運 ) 을관장하고있으며, 생명 ( 生命 ) 의활력 ( 活力 ) 을유지하기위한정기 ( 正氣 ) 로서의조기운 ( 燥氣運 ), 즉양명조 ( 陽明燥 ) 기운 ( 氣運 ) 을생성 ( 生成 ) 시키고있다. 6 화기운 ( 火氣運 ) 을생성 ( 生成 ) 시키는경맥 ( 經脈 ) 수소음심경 ( 手少陰心經 ) 과족소음신경 ( 足少陰腎經 ) 은각각소음군화 ( 少陰君火 ) 라는화기운 ( 火氣運 ) 을관장하고있으며, 생명 ( 生命 ) 의활력 ( 活力 ) 을유지하기위한정기 ( 正氣 ) 로서의화기운 ( 火氣運 ), 즉소음군화 ( 少陰君火 ) 기운 ( 氣運 ) 을생성 ( 生成 ) 시키고있다. 솔솔부는봄바람쌓인눈녹이고 ~~~ 라는동요가사처럼우주내의바람기운은지구를포함한우주의삼라만상 ( 森羅萬象 ) 을살아있게하는없어서는안될정기 ( 正氣 ) 로서작용하고있지만, 강력한태풍이나 허리케인 처럼자연을무력화시키고초토화시키는사기 ( 邪氣 ) 로변하기도한다. 마찬가지로인체내에서각경맥 ( 經脈 ) 이생성 ( 生成 ) 시키고있는육기 ( 六氣 ) 라는기운 ( 氣運 ) 이어떤경맥 ( 經脈 ) 의편재 ( 偏在 ) 된육기 ( 六氣 ) 를과잉으로만들어내거나, 부족하게될때외계 ( 外界 ) 에존재하는이러한육기 ( 六氣 ) 와상박 ( 相搏 ) 하게되면병변 ( 病變 ) 이발생 ( 發生 ) 하게되는것을외사 ( 外邪 ) 또는육음 ( 六淫 ) 에상 ( 傷 ) 했다고한다. 또한각종병균 ( 病菌 ) 과독소 ( 毒素 ), 바이러스, 과음 ( 過飮 ), 과식 ( 過食 ) 이나상 ( 傷 ) 한음식물등에의한병변 ( 病變 ) 이나, 과로 ( 過勞 ) 등으로인해발생한병변 ( 病變 ) 도외사 ( 外邪 ) 의범주에포함된다. 현우 ( 賢祐 ) 주 ( 註 ) 이같은육기적기운은단지침법 ( 鍼法 ) 을구사할때만적용되는것은아니다. 본초경을보면방풍 ( 防風 ) 은간경 ( 肝經 ) 기분 ( 氣分 ) 으로들어가간경 ( 肝經 ) 의육기적기운인궐음풍 ( 厥陰風 ) 의과도한준동 ( 蠢動 ) 을조절한다하였고 ( 風을다스리고 ), 황련 ( 黃蓮 ) 은수소음심경 ( 手少陰心經 ) 으로들어가사기 ( 邪氣 ) 로서의실열 ( 實熱 ) 을치료한다하였고 ( 寒으로과열된심화를다스리고 ), 시호 ( 柴胡 ) 는수족소양경 ( 手足少陽經 ) 으로들어가상화 ( 相火 ) 를다스린다하였고 ( 暑를다스리고 ), 작약 ( 芍藥 ) 은수족태음경 ( 手足太陰經 ) 으로들어가수렴작용 ( 收斂作用 ) 으로태음습 ( 太陰濕 ) 을보 ( 補 ) 한다하였고 ( 濕을보하고 ), 반하 ( 半夏 ) 는수족양명경 ( 手足陽明經 ) 으로들어가조 ( 燥 ) 하게하는기운 ( 氣運 ) 을돕는다하였고 ( 燥하게함을돕고 ), 부자 ( 附子 ) 는수소음경 ( 手少陰經 ) 과명문 ( 命門 ), 삼초 ( 三焦 ) 로들어가체내 ( 體內 ) 의명문군화 ( 命門君火 ), 즉생명 ( 生命 ) 의활력 ( 活力 ) 으로서의군화 ( 君火. 火를보하고 ) 를돕는다하였으니이같은본초 ( 本草 ) 의귀경 ( 歸經 ) 과입경 ( 入經 ) 등으로보아육기적기운 ( 六氣的氣運 ) 을활용하는것은단지침법 ( 鍼法 ) 에만적용되는것은아니라할수있다. 26
불내외인 ( 不內外因 ) 타박 ( 打撲 ), 절상 ( 折傷 ), 교상 ( 咬傷 ), 충 ( 蟲 ), 화상 ( 火傷 ), 총포 ( 銃砲 ) 도검 ( 刀劍 ) 류에의한상해 ( 傷害 ), 약화 ( 藥禍 ), 오치 ( 誤治 ), 차 ( 車 ). 선박 ( 船舶 ) 에의한사고, 방사선 ( 放射線 ) 등에의한병변 ( 病變 ) 이나상해 ( 傷害 ) 는불내외인 ( 不內外因 ) 이라규정하고있지만엄밀히말하면이역시외인 ( 外因 ) 에해당된다하겠다. 외 인내 인 불내외인 육음 ( 六淫 ): 풍사 ( 風邪 ) 한사 ( 寒邪 ) 서사 ( 暑邪 ) 습사 ( 濕邪 ) 조사 ( 燥邪 ) 화사 ( 火邪 ) 칠정 ( 七情 ): 과도 ( 過度 ) 한희 ( 喜 ) 노 ( 怒 ) 우 ( 憂 ) 사 ( 思 ) 비 ( 悲 ) 공 ( 恐 ) 경 ( 驚 ) [ 희 ( 喜 ) 노 ( 怒 ) 애 ( 愛 ) 락 ( 樂 ) 공 ( 恐 ) 경 ( 驚 ) 애 ( 哀 )] 음식물 ( 飮食物 ), 피로 ( 疲勞 ) 방실 ( 房室 ) 의부절제 ( 不節制 ) 외상 ( 外傷 ) 기생충 ( 寄生蟲 ), 중독 ( 中毒 ), 유전 ( 遺傳 ), 바이러스 / 세균감염 이상이일반적인병인 ( 病因 ) 에대한설명인데특히상한론 ( 傷寒論 ) 금궤요락 ( 金匱要락 ) 에기초를둔고방의학 ( 古方醫學 ) 에서는길익동동 ( 吉益東洞 ) 의 만병일독설 ( 萬病一毒說 ) 이후에그의장자인길익남애 ( 吉益南涯 ) 가 기혈수설 ( 氣血水說 ) 을주장하게되어병 ( 病 ) 의원인은기 ( 氣 ) 혈 ( 血 ) 수 ( 水 ) 가정체 ( 停滯 ) 함이없이원활하게체내 ( 體內 ) 를순환 ( 循環 ) 되고있지않는데있다는것이지배적인이론으로받아들여지고있는것이다. 즉고방의학 ( 古方醫學 ) 에서의병인 ( 病因 ) 은기 ( 氣 ) 혈 ( 血 ) 수 ( 水 ) 라할수있다. 27
10) 병 ( 病 ) 의위치 ( 位置 ) 와성질 ( 性質 ) 1) 표리 ( 表裏 ) 표 ( 表 ) 란체표 ( 體表 ) 와피부 ( 皮膚 ) 를가리키는말이다. 이부위 ( 部位 ) 에병독 ( 病毒 ) 이쌓여있는증상 ( 證狀 ) 을표증 ( 表證 ) 이라하는데, 이러한표증 ( 表證 ) 에는주로발한해열 ( 發汗解熱 ) 하는약 ( 藥 ) 을써서병독 ( 病毒 ) 을한선 ( 汗腺 ) 으로부터체외 ( 體外 ) 로배출 ( 排出 ) 시켜야하며, 그냥두면병독 ( 病毒 ) 이호흡기 ( 呼吸器 ), 소화기 ( 消化器 ), 비뇨기 ( 泌尿器 ), 등에병변 ( 病變 ) 을일으킨다. 리 ( 裏 ) 는이내 ( 裏內 ), 즉소화기계통 ( 消化器系統 ) 의위장 ( 胃腸 ) 을뜻하기도하는데이부위 ( 部位 ) 에병독 ( 病毒 ) 이쌓여실증 ( 實證 ) 을나타낼경우사하 ( 瀉下 ) 하는약 ( 藥 ) 을써서병독 ( 病毒 ) 을체외 ( 體外 ) 로배출 ( 排出 ) 시켜야하며그냥두면병독 ( 病毒 ) 이이내 ( 裏內 ) 에서맺혀난치 ( 難治 ) 나불치 ( 不治 ) 의병 ( 病 ) 이된다. 2) 반표반이 ( 半表半裏 ) 반표반이 ( 半表半裏 ) 란흉늑격막 ( 胸肋膈膜 ) 부근을말하는데기관지 ( 氣管支 ), 폐 ( 肺 ), 심 ( 心 ), 간 ( 肝 ), 비 ( 脾 ), 위 ( 胃 ) 등을말하기도한다. 반표반이 ( 半表半裏 ) 의부위에병독 ( 病毒 ) 이쌓이면위에서말한장기 ( 臟器 ) 중한곳또는몇곳이붓거나염증 ( 炎症 ) 이발생 ( 發生 ) 한다. 이부위 ( 部位 ) 에병독 ( 病毒 ) 이쌓이면땀을내어쫓기에도표 ( 表 ) 가멀고, 사하 ( 瀉下 ) 를시켜쫓기에도이 ( 裏 ) 가멀기때문에이때에는화해 ( 和解 ) 시켜병독 ( 病毒 ) 을구축 ( 驅逐 ) 하는치법 ( 治法 ) 을주로쓰는데, 주로시호 ( 柴胡 ) 가들어간약제 ( 藥劑 ) 를써서화해 ( 和解 ) 시키면피부 ( 皮膚 ) 에가까운병독 ( 病毒 ) 은피부 ( 皮膚 ) 나호흡기 ( 呼吸器 ) 를따라배출 ( 排出 ) 되고, 이 ( 裏 ) 에가까운부위의병독 ( 病毒 ) 은비뇨기 ( 泌尿器 ) 를따라자연스럽게배출 ( 排出 ) 된다. 그냥두면병독 ( 病毒 ) 이이 ( 裏 ) 로들어가서난치 ( 難治 ) 의고질병 ( 痼疾病 ) 으로변 ( 變 ) 하는데, 병사 ( 病邪 ) 에대한저항력 ( 抵抗力 ) 이강한사람은반대로병사 ( 病邪 ) 를밖으로 ( 表 ) 강하게전출 ( 傳出 ) 시켜스스로낫는경우도있다. 3) 내외 ( 內外 ) 내 ( 內 ), 외 ( 外 ) 에서내 ( 內 ) 는피부 ( 皮膚 ), 호흡기 ( 呼吸器 ), 소화기관 ( 消化器管 ) 등을제외한이외 ( 以外 ) 의장기조직 ( 臟器組織 ) 을말하고, 외 ( 外 ) 는내 ( 內 ) 이외의장기조직 ( 臟器組織 ) 에증상 ( 證狀 ) 이나타나는것을외증 ( 外證 ) 이라고한다. 내 ( 內 ) 에서의이 ( 裏 ) 는상대적으로외 ( 外 ) 가되지만표 ( 表 ) 에서는이 ( 裏 ) 가내 ( 內 ) 가되며, 반표반이 ( 半表半裏 ) 는중간부위 ( 中間部位 ) 에위치하므로이와같은이름이붙은것이다. 28
4) 상 ( 上 ), 중 ( 中 ), 하 ( 下 ) 상중하 ( 上中下 ) 란몸을머리에서부터발끝까지종 ( 縱 ) 으로분류 ( 分類 ) 하는방법이다. 상 ( 上 ) 은검상돌기 ( 劍狀突起 ), 즉명치에서부터위를말하는것으로흉부 ( 胸部 ), 경항부 ( 頸項部 ), 상지 ( 上肢 ), 두부 ( 頭部 ) 등을포함하고있는데광의적 ( 廣意的 ) 인의미에서이부위를상초 ( 上焦 ) 라고도한다. 중 ( 中 ) 은검상돌기 ( 劍狀突起 ), 즉명치에서부터제부 ( 臍部 ), 즉배꼽까지의사이를말하는데상복부 ( 上腹部 ) 가여기에해당되며광의적 ( 廣意的 ) 인의미에서이부위를중초 ( 中焦 ) 라고도한다, 하 ( 下 ) 는제부 ( 臍部 ), 즉배꼽이하의요각 ( 腰脚 ) 을말하는데이역시광의적 ( 廣意的 ) 인의미에서이부위를하초 ( 下焦 ) 라고한다. 11) 한열허실 ( 寒熱虛實 ) (1) 한 ( 寒 ) 한 ( 寒 ) 이란환자가손발이차다고자각할때의사의진찰에도한냉 ( 寒冷 ) 이라확증될때이를한 ( 寒 ) 이라한다. 표 ( 表 ) 는열 ( 熱 ) 이있어도이 ( 裏 ) 가한 ( 寒 ) 하는수가있고, 이 ( 裏 ) 에열 ( 熱 ) 이있어도표 ( 表 ) 가한 ( 寒 ) 하는수도있고, 상 ( 上 ) 에는열 ( 熱 ) 이있어도하 ( 下 ) 가한 ( 寒 ) 하는수도있다. 이렇게한 ( 寒 ) 과열 ( 熱 ) 이서로뒤섞여있을때는한 ( 寒 ) 과열 ( 熱 ) 의판단이쉽지않다. 진한가열 ( 眞寒假熱 ) 은체표 ( 體表 ) 에열 ( 熱 ) 이있고체온 ( 體溫 ) 도상승 ( 上昇 ) 하나이것은이한 ( 裏寒 ) 으로인 ( 因 ) 해표 ( 表 ) 에가열 ( 假熱 ) 이나타나는것이니맥 ( 脈 ) 과기타증상 ( 證狀 ) 을참작 ( 參酌 ) 할것이다. (2) 열 ( 熱 ) 열 ( 熱 ) 이라고하는것은환자가열감 ( 熱感 ) 을자각 ( 自覺 ) 하고의사 ( 醫師 ) 의진찰 ( 診察 ) 에의하여열 ( 熱 ) 이라고확증 ( 確證 ) 될때이것을열 ( 熱 ) 이라고한다. 수 ( 手 ), 족 ( 足 ) 어느한부분에만열 ( 熱 ) 이있어도이것을열 ( 熱 ) 이라고보는데, 이 ( 裏 ) 에열 ( 熱 ) 이있어도체표 ( 體表 ) 에는열기 ( 熱氣 ) 상승 ( 上昇 ) 이감지되지않는경우도있다. 이와같은진열가한 ( 眞熱假寒 ) 이라든가진한가열 ( 眞寒假熱 ) 을확실하게알려면맥 ( 脈 ), 설 ( 舌 ), 복 ( 腹 ), 대소변 ( 大小便 ), 환자의자소 ( 自訴 ) 등을참작 ( 參酌 ) 하지않으면안된다. 이상의한열 ( 寒熱 ) 을구분할때에는체온계 ( 體溫計 ) 의상하 ( 上下 ) 에의해서는절대로올바른판단을얻을수가없다는것을알아야한다. (3) 허 ( 虛 ) 허 ( 虛 ) 는병 ( 病 ) 에저항 ( 抵抗 ) 할수있는체력 ( 體力 ) 이모자라는것으로공허 ( 空虛 ) 라는뜻이다. 병 ( 病 ) 이남아있어도저항력 ( 抵抗力 ) 이허핍 ( 虛乏 ) 하면맥 ( 脈 ) 은세소 ( 細小 ) 미약 ( 微弱 ) 하고, 복부 ( 腹部 ) 도연약무력 ( 軟弱無力 ) 하여만져보면탄력 ( 彈力 ) 이없고물렁물렁하다. 이럴때는한 ( 汗 ), 토 ( 吐 ), 하 ( 下 ) 의공법 ( 攻法 ) 은조심하고화법 ( 和法 ) 을주로써야한다. 29
(4) 실 ( 實 ) 실 ( 實 ) 이란병 ( 病 ) 에저항 ( 抵抗 ) 하는체력 ( 體力 ) 이모자라지않고충실 ( 充實 ) 하다는뜻이다. 병독 ( 病毒 ) 이강 ( 强 ) 하지만체력 ( 體力 ) 도충실 ( 充實 ) 하므로맥 ( 脈 ) 이충실 ( 充實 ) 하여장 ( 長 ), 대 ( 大 ), 활 ( 滑 ) 등을나타내며, 복부 ( 腹部 ) 도견만 ( 堅滿 ) 충실 ( 充實 ) 하여만져보면단단하고저항 ( 抵抗 ) 이강 ( 强 ) 하므로한 ( 汗 ), 토 ( 吐 ), 하 ( 下 ) 의공법 ( 攻法 ) 을쓴다. 그러나허증 ( 虛證 ) 에도실증 ( 實證 ) 같아보이는수가있고, 실증 ( 實證 ) 에도허증 ( 虛證 ) 같이보이는수가있으며, 표허이실 ( 表虛裏實 ) 도있고표실이허 ( 表實裏虛 ) 도있으며, 상허하실 ( 上虛下實 ) 상실하허 ( 上實下虛 ) 등도있으므로구별하려면망진 ( 望診 ), 문진 ( 問診 ), 청진 ( 聽診 ), 절진 ( 切診 ) 등의사진법 ( 四診法 ) 을철저히하여구별해야한다. 12) 주증 ( 主證 ) 과객증 ( 客證 ) 증상 ( 證狀 ) 에는주증 ( 主證 ) 과객증 ( 客證 ) 이있는데주증 ( 主證 ) 이란항상 ( 恒常 ) 있어야하는증상 ( 證狀 ) 을말하고, 객증 ( 客證 ) 은때로는있고때로는없어지는것이다. 주 ( 主 ) 란주인 ( 主人 ) 이라는뜻으로처음부터나타나서끝까지변하지않는증상을말하고, 객 ( 客 ) 이란손님이라는뜻으로나타났다가없어지고없어졌다나타나는증상 ( 症狀 ) 을말한다. 예를들면계지탕증 ( 桂枝湯證 ) 에두통 ( 頭痛 ), 오한 ( 惡寒 ), 건구 ( 乾嘔 ) 가있는데두통 ( 頭痛 ) 과오한 ( 惡寒 ) 은처음부터끝까지없어지지않으므로주증 ( 主證 ) 이고, 건구 ( 乾嘔 ) 는있다가없어지므로객증 ( 客證 ) 이된다. 치법 ( 治法 ) 은두통 ( 頭痛 ), 오한 ( 惡寒 ) 을주목적 ( 主目的 ) 으로하여다스리고건구 ( 乾嘔 ) 는다스리지않아도낫는다. 그러나, 반대로객증 ( 客證 ) 인건구 ( 乾嘔 ) 를우선으로하여다스리면주증 ( 主證 ) 인두통 ( 頭痛 ), 오한 ( 惡寒 ) 이남아있어건구 ( 乾嘔 ) 가일시적 ( 一時的 ) 으로없어지나다시나타난다. 표본 ( 標本 ) 본 ( 本 ) 은병 ( 病 ) 의근본 ( 根本 ) 이고표 ( 標 ) 는지엽 ( 枝葉 ) 인데병 ( 病 ) 의뿌리를뽑아버리면지엽 ( 枝葉 ) 같은증상 ( 症狀 ) 은자연히없어진다. 병 ( 病 ) 을진찰 ( 診察 ) 할때는반드시표본 ( 標本 ) 을구별해서뿌리를뽑아야하는데지엽 ( 枝葉 ) 을제거하여일시적 ( 一時的 ) 인효과 ( 效果 ) 를노리지말고완치 ( 完治 ) 를하여야하며, 진통제 ( 鎭痛劑 ) 같은것은일시적 ( 一時的 ) 인효과에불과하다. 30
13) 전속 ( 轉屬 ), 전입 ( 轉入 ), 합병 ( 合病 ), 병병 ( 倂病 ), 양감 ( 兩感 ), 괴병 ( 壞病 ) (1) 전속 ( 專屬 ) 태양병 ( 太陽病 ) 이처음양명 ( 陽明 ) 으로바뀔때는태양병 ( 太陽病 ) 조금남아양명병 ( 陽明病 ) 과 같이나타나서두가지병 ( 病 ) 이서로어울려있는것을전속 ( 轉屬 ) 이라한다. (2) 병병 ( 倂病 ) 전속 ( 轉屬 ) 하는과정 ( 過程 ) 에나타나는증상 ( 證狀 ) 을병병 ( 倂病 ) 이라고말한다. 즉태양양명 ( 太 陽陽明 ) 의병병 ( 倂病 ) 또는이양 ( 二陽 ) 의병병 ( 倂病 ) 이라고말한다. (3) 전입 ( 轉入 ) 그시기에양명이실증 ( 陽明裏實證 ) 이있더라도표증 ( 表證 ) 이남아있기때문에하 ( 下 ) 하면안된다. 만약하 ( 下 ) 하면이허 ( 裏虛 ) 를틈타표열 ( 表熱 ) 이속으로들어갈우려가있기때문이다. 양명이 ( 陽明裏 ) 로완전히전 ( 轉 ) 해들어가면태양병 ( 太陽病 ) 은완전히없어진다. 이것을전입 ( 轉入 ) 이라고하며, 이것은태양병 ( 太陽病 ) 이양명이 ( 陽明裏 ) 로완전히전입 ( 轉入 ) 해버렸기때문에표 ( 表 ) 에는병사 ( 病邪 ) 가하나도남아있지않게된다. (4) 합병 ( 合病 ) 양명이실증 ( 陽明裏實證 ) 이있으면안심 ( 安心 ) 하고공하 ( 攻下 ) 해도좋은데그이유는표열 ( 表熱 ) 이속으로들어갈것이없기때문이다. 또양명병 ( 陽明病 ) 이있을때태양병 ( 太陽病 ) 이양명 ( 陽明 ) 으로전속 ( 轉屬 ) 하면태양병 ( 太陽病 ) 과양명병 ( 陽明病 ) 이합 ( 合 ) 하므로합병 ( 合病 ) 이라고한다. 합병 ( 合病 ) 에는태양 ( 太陽 ) 과양명 ( 陽明 ), 태양 ( 太陽 ) 과소양 ( 少陽 ) 또는태양 ( 太陽 ), 소양 ( 少陽 ), 양명 ( 陽明 ) 이합병 ( 合病 ) 하는데이와같이이양 ( 二陽 ) 또는삼양 ( 三陽 ) 이합병 ( 合病 ) 할때가있다. 치법 ( 治法 ) 은태양 ( 太陽 ) 과소양 ( 少陽 ) 이합병 ( 合病 ) 할때는소양 ( 少陽 ) 을다스리고, 태양 ( 太陽 ) 과양명 ( 陽明 ) 이합병 ( 合病 ) 할때는태양 ( 太陽 ) 부터다스리고다음에양명 ( 陽明 ) 을다스린다. 삼양 ( 三陽 ) 이합병 ( 合病 ) 할때는소양 ( 少陽 ) 부터다스리면태양 ( 太陽 ), 양명 ( 陽明 ) 은따라서낫게된다. 삼양합병 ( 三陽合病 ) 에는한 ( 汗 ) 하 ( 下 ) 를금 ( 禁 ) 하는데, 이유는소양병 ( 少陽病 ) 은한 ( 汗 ), 토 ( 吐 ), 하법 ( 下法 ) 을금 ( 禁 ) 하고있기때문이며, 삼양 ( 三陽 ) 의합병 ( 合病 ) 이나이양 ( 二陽 ) 의합병 ( 合病 ) 모두소양병 ( 少陽病 ) 치법 ( 治法 ) 을따라치료하는것이원칙이기때문이다. (5) 양감 ( 兩感 ) 양감 ( 兩感 ) 이란음 ( 陰 ) 과양 ( 陽 ) 이양감 ( 兩感 ) 하는것으로, 즉음증 ( 陰證 ) 과양증 ( 陽證 ) 이동시 ( 同時 ) 에나타나는것이다. 예를들면태양 ( 太陽 ), 소음 ( 少陰 ), 양명 ( 陽明 ), 태음 ( 太陰 ) 을함께앓는 31
것을말하는데이것은다스리기가매우어려운병증 ( 病證 ) 으로나타난병증 ( 病證 ) 의경중 ( 輕重 ) 을 가려신중하게치료해야한다. (6) 괴병 ( 壞病 ) 괴병 ( 壞病 ) 이란오치 ( 誤治 ) 또는기타의원인 ( 原因 ) 으로정증 ( 正證 ) 을알아볼수없게됨과동시 ( 同時 ) 에음증 ( 陰證 ) 에전 ( 傳 ) 해졌으나음증 ( 陰證 ) 이약해져서합병 ( 合病 ) 이라고할수도없고, 병병 ( 倂病 ) 이라고도할수없어주증 ( 主證 ) 이확실치않은증상 ( 證狀 ) 을말하며, 이괴병 ( 壞病 ) 은치법 ( 治法 ) 이매우난해 ( 難解 ) 하고곤란 ( 困難 ) 한병증 ( 病證 ) 이다. 14) 사진법 ( 四診法 ) 동의학 ( 東醫學 ) 의진단법 ( 診斷法 ) 에는사진 ( 四診 ) 이있는데사진 ( 四診 ) 이란망진 ( 望診 ), 문진 ( 聞診 ), 문진 ( 問診 ), 절진 ( 切診 ) 등을말한다. 망진 ( 望診 ) 이란눈으로보아아는것이고, 문진 ( 聞診 ) 이란귀로듣고코로냄새맡아진단 ( 診斷 ) 을하는것이고, 문진 ( 問診 ) 이란환자에게듣고물어서진단 ( 診斷 ) 하는것이고, 절진 ( 切診 ) 이란의사가직접환자의몸에자신의손을대어만지거나눌러서진단 ( 診斷 ) 하는것을말한다. (1) 망진 ( 望診 ) 망진 ( 望診 ) 은시진 ( 視診 ) 을말하는것으로쳐다봐서아는것으로, 안색 ( 顔色 ) 을살펴본다든지 ( 특히耳目口鼻 ) 전신수족 ( 全身手足 ) 을보고병증 ( 病證 ) 을진단 ( 診斷 ) 하는것으로서오랜수련 ( 修練 ) 이필요한불문진단법 ( 不問診斷法 ) 의최고 ( 最高 ) 의경지이다. 은연중시도하는것이기도한이망진 ( 望診 ) 에통달한의사 ( 醫師 ) 에대하여일찍이공자 ( 孔子 ) 는말하기를 나서부터이것을알고있는자는상의 ( 上醫 ) 이며범의 ( 凡醫 ) 는따라갈수없다. 그러나많이듣고배워서박식 ( 博識 ) 에달 ( 達 ) 하게되면지 ( 知 ) 의다음이된다 고했다. 점쟁이가관상을보는것과는전혀다르며동의학 ( 東醫學 ) 의자연과학 ( 自然科學 ) 에입각한합리적 ( 合理的 ) 인방법으로예리 ( 銳利 ) 한관찰 ( 觀察 ) 에의해병증 ( 病證 ) 을보는것으로서망진 ( 望診 ) 의개략 ( 槪略 ) 적인원칙은다음과같다. 환자 ( 患者 ) 의영양상태 ( 營養狀態 ), 골격 ( 骨格 ), 피부 ( 皮膚 ) 의상태 ( 狀態 ), 혈색 ( 血色 ), 황달 ( 黃疸 ), 부종 ( 浮腫 ), 환자 ( 患者 ) 의기거동작 ( 起居動作 ), 대소변 ( 大小便 ) 의색 ( 色 ) 등을관찰 ( 觀察 ) 하는데골격 ( 骨格 ) 이건실 ( 健實 ) 하고영양상태 ( 營養狀態 ) 가좋으며근육 ( 筋肉 ) 이완고 ( 頑固 ) 하고비만 ( 肥滿 ) 한사람은실증 ( 實證 ) 이많으므로대시호탕 ( 大柴胡湯 ), 도핵승기탕 ( 桃核承氣湯 ) 등의사하제 ( 瀉下劑 ) 를써야할경우가많다. 비만 ( 肥滿 ) 해도근육 ( 筋肉 ) 이연 ( 軟 ) 하고피부색이희며땀이많이나고골격 ( 骨格 ) 이세장 ( 細長 ) 한사람은허증 ( 虛證 ) 이많으므로방기 ( 防己 ), 황기 ( 黃芪 ) 가든약 ( 藥 ) 을써야할병증 ( 病證 ) 을흔히볼수있다. 여위고혈색 ( 血色 ) 이좋지않은사람은한증 ( 寒症 ) 으로허증 ( 虛證 ) 이많으므로인삼탕 ( 人蔘湯 ), 진무탕 ( 眞武湯 ) 등의열약 ( 熱藥 ) 을써야할경우가많으며, 여위었어도근육 ( 筋肉 ) 이완고 ( 頑固 ) 하 32
고피부색이천흑 ( 淺黑 ) 한사람은자음강화 ( 滋陰降火 ) 하는처방 ( 處方 ) 을써야할경우가많다. 안색 ( 顔色 ) 이홍조 ( 紅潮 ) 하고술에취한것같으며기분이안정 ( 安靜 ) 되지않고불안 ( 不安 ) 하면열증 ( 熱證 ) 인경우가많으며이에더하여변비 ( 便秘 ) 와이급후증 ( 裏急後證 ) 이있고특히족온 ( 足溫 ) 하면삼황사심탕 ( 三黃瀉心湯 ) 등의사하제 ( 瀉下劑 ) 를써야할병증 ( 病證 ) 이많고, 변비 ( 便秘 ) 와이급후중 ( 裏急後重 ) 이없으면황연해독탕 ( 黃連解毒湯 ) 등을써야할경우가많다. 또한양협 ( 兩頰 ) 이연지를바른것같이붉고안면전체 ( 顔面全體 ) 가희고수족 ( 手足 ) 이냉 ( 冷 ) 하면상체 ( 上體 ) 는열 ( 熱. 또는허열 ) 이있으나하체 ( 下體 ) 는한 ( 寒 ) 이있는허증 ( 虛證 ) 이므로당귀사역탕 ( 當歸四逆湯 ) 등의온보 ( 溫補 ) 하는처방 ( 處方 ) 을주로쓴다. 영양상태 ( 營養狀態 ) 가좋고젊은여자의얼굴혈색 ( 血色 ) 은좋으나모세혈관 ( 毛細血管 ) 이그물처럼붉게나타나면어혈증 ( 瘀血證 ) 이유 ( 有 ) 한것으로도핵승기탕 ( 桃核承氣湯 ), 계지복령환 ( 桂枝茯苓丸. 탕 ) 등을쓴다. 노인이나대병후 ( 大病後 ), 또는당뇨병 ( 糖尿病 ), 위축신 ( 萎縮腎 ) 등의병 ( 病 ) 이진행 ( 進行 ) 하는사람은피부 ( 皮膚 ) 에광택이적고까칠까칠하면이것도허증 ( 虛證 ) 에속하므로자보 ( 資保 ) 해야 한다. 피부 ( 皮膚 ) 나구강 ( 口腔 ) 의점막 ( 粘膜 ) 에자반점 ( 紫班点 ) 과청근 ( 靑筋. 정맥혈이짙푸르며 푸른색이반점같은것이피부를덮고있는것 ) 이나타나면이역시어혈증 ( 瘀血證 ) 이많으며, 변비 ( 便秘 ) 유무 ( 有無 ) 와체력 ( 體力 ) 을보아도핵승기탕 ( 桃核承氣湯 ) 이나계지복령환 ( 桂枝茯苓丸 )( 탕 ) 등을써야할경우가많다. 피부 ( 皮膚 ) 의황색 ( 黃色 ) 은황달 ( 黃疸 ) 의징후 ( 徵候 ) 일경우가많은데귤이나참외등을많이먹어도일시적으로황색 ( 黃色 ) 이나타나는데황달 ( 黃疸 ) 의유무 ( 有無 ) 를구별하는방법은안구 ( 眼球 ) 나안구 ( 眼球 ) 의결막 ( 結膜 ) 을보았을때황색 ( 黃色 ) 이나타나지않으면황달 ( 黃疸 ) 이아니다. 십이지장충 ( 十二指腸蟲 ) 이나위궤양 ( 胃潰瘍 ) 등의출혈 ( 出血 ) 에따른빈혈 ( 貧血 ) 을옛사람들은황반 ( 黃胖 ) 이라했는데, 이때의빈혈 ( 貧血 ) 은피부에조금황색 ( 黃色 ) 을띤다. 설건 ( 舌乾 ), 인건 ( 咽乾 ) 할때는열증 ( 熱證 ) 이많으므로백호탕 ( 白虎湯 ) 등을써야할경우가많으며, 설윤 ( 舌潤 ) 하고인건 ( 咽乾 ) 하지않으면한증 ( 寒證 ) 이많고인삼탕 ( 人蔘湯 ), 사역탕 ( 四逆湯 ), 진무탕 ( 眞武湯 ) 등을쓸증상 ( 證狀 ) 이많다. 다갈색 ( 茶褐色 ) 으로설태 ( 舌苔 ) 가건조 ( 乾燥 ) 하고변비 ( 便秘 ) 가있으면열증 ( 熱證 ) 이겸 ( 兼 ) 한것으로대시호탕 ( 大柴胡湯 ) 등을써야할경우가많다. 이상예를든처방 ( 處方 ) 은병명 ( 病名 ) 에따라쓸수있는처방 ( 處方 ) 이아니고한열허실 ( 寒熱虛實 ) 의판정 ( 判定 ) 에따라쓸수있는처방 ( 處方 ) 을예로든것이므로상세한것은각론 ( 各論 ) 을참조바란다. (2) 문진 ( 聞診 ), 청진 ( 聽診 ) 문진 ( 聞診 ) 또는청진 ( 聽診 ) 은목소리를들어보고, 냄새를맡아보고, 해 ( 咳 ) 천명 ( 喘鳴 ) 등을가려서증 ( 證 ) 을알아보는것으로예부터성 ( 聖 ) 의경지라했다. 음성 ( 音聲 ) 의강약 ( 强弱 ), 속도 ( 速度 ), 삽 ( 澁 ), 혼 ( 混 ), 탁 ( 濁 ), 청 ( 靑 ) 등과호흡 ( 呼吸 ) 의장단 ( 長短 ), 소기 ( 少氣 ), 견식 ( 肩息. 숨을쉴 33
때어깨를들썩거리는것 ), 해수 ( 咳嗽 ) 천 ( 喘 ), 담성 ( 痰聲 ), 제취기 ( 諸臭氣 ) 등을예리하게관찰 ( 觀察 ) 하는것으로서열증환자 ( 熱證患者 ) 의기침은담 ( 痰 ) 이적고목안깊숙이건조 ( 乾燥 ) 한감 ( 感 ) 이있으므로죽엽석고탕 ( 竹葉石膏湯 ) 등의자음강화 ( 滋陰降火 ) 하는처방 ( 處方 ) 을주로쓴다. 한증환자 ( 寒證患者 ) 의기침은물같이묽은담 ( 痰 ) 이많고목이마르지않으며냉음 ( 冷飮 ) 을토 ( 吐 ) 하거나먹은것을되새김질하기도하는데령감강미신하인탕 ( 苓甘薑味辛夏仁湯 ) 등을써야할증 ( 證 ) 이많으며, 허증환자 ( 虛證患者 ) 의기침은힘이없고약 ( 弱 ) 하며, 기타다른부위 ( 部位 ) 에서도허증 ( 虛證 ) 의징후 ( 徵候 ) 를많이볼수있는데시호계지건강탕 ( 柴胡桂枝乾薑湯 ) 등을생각해볼수있으며, 실증환자 ( 實證患者 ) 의기침은힘이있고복부 ( 腹部 ) 특히상복부 ( 上腹部 ) 가팽만 ( 膨滿 ) 하고단단하며체력 ( 體力 ) 이있으면대시호탕 ( 大柴胡湯 ) 과루지실탕 ( 瓜蔞只實湯 ) 등을쓴다. 문진 ( 聞診 ) 때는망진 ( 望診 ), 문진 ( 問診 ), 절진 ( 切診 ) 을함께할때가많으므로이러한진찰법 ( 診察法 ) 을참작 ( 參酌 ) 할필요가있다. (3) 문진 ( 問診 ) 문진 ( 問診 ) 은상담을하든, 환자에게제자각증 ( 自覺症 ) 을물어서아는것으로동의학 ( 東醫學 ) 에서특히중요 ( 重要 ) 시하는것으로서예부터 공부 ( 工夫 ) 하면누구나터득할수있다 고했다 공 ( 工 ) 의경지를뜻한다. 문진 ( 問診 ) 때는환자뿐만아니라환자가족의병력 ( 病歷 ) 과본인의기왕증 ( 旣往症 ) 을듣고, 현재앓고있는병 ( 病 ) 의경과 ( 經過 ) 와현재까지의치료방법에대해서들어야하며, 환자가오한 ( 惡寒 ) 하고열 ( 熱 ) 이나면맥 ( 脈 ) 을보아부 ( 浮 ) 하면표열증 ( 表熱證 ) 이고오한 ( 惡寒 ) 해도열 ( 熱 ) 이없고맥 ( 脈 ) 이침소 ( 沈小 ) 하면표열증 ( 表熱證 ) 이며, 오한 ( 惡寒 ) 이그쳤다가열 ( 熱 ) 이오르며오한 ( 惡寒 ) 하는것은왕래한열 ( 往來寒熱 ) 이다. 조열 ( 潮熱 ), 즉특정시간대의오후나저녁무렵에마치밀물처럼밀려오는듯한열기 ( 熱氣 ) 는오한 ( 惡寒 ) 을동반하지않고손발이차지도않으며전신 ( 全身 ) 에열 ( 熱 ) 이나고손발끝까지땀이나기도하는데만약발이차거나머리나액하 ( 腋下 ) 에땀이나는것은조열 ( 潮熱 ) 이아니다. 조열 ( 潮熱 ) 이날때는대부분변비 ( 便秘 ) 나이급후중 ( 裏急後重 ) 이있고복만 ( 腹滿 ) 한경우가많다. 이것은양명이실증 ( 陽明裏實證 ) 에많이나타나며, 발 ( 發 ) 할때는대개오후 3~4시사이에가장많이나타나며저녁해질무렵에주로조열 ( 潮熱 ) 이발 ( 發 ) 하는사람도있는데이러한증 ( 證 ) 에는승기탕 ( 承氣湯 ) 등을써서이 ( 裏 ) 의실열 ( 實熱 ) 을하 ( 下 ) 하지않으면안된다손발에열 ( 熱 ) 이나서이불밖으로내놓고차가운데닿으면기분이좋은것은번열 ( 煩熱 ) 이며이때는표증 ( 表證 ) 과한증 ( 寒證 ) 이겸 ( 兼 ) 하는것이므로맥 ( 脈 ) 과기타의증후 ( 證候 ) 를참작 ( 參酌 ) 해야한다. 대변 ( 大便 ) 이굳고비결 ( 秘結 ) 한것은실증 ( 實證 ) 이많고하리 ( 下痢 ) 는허증 ( 虛證 ) 이많다. 실증 ( 實證 ) 으로인한변비 ( 便秘 ) 일때는맥 ( 脈 ) 에힘이있고복부 ( 腹部 ) 에탄력 ( 彈力 ) 이있으며기타근육 ( 筋肉 ) 에도충실 ( 充實 ) 한감 ( 感 ) 이있으니이때는대황 ( 大黃 ) 등을써서공하 ( 攻下 ) 해도좋다. 하리 ( 下痢 ) 를하고복부 ( 腹部 ) 에탄력 ( 彈力 ) 이없으며맥 ( 脈 ) 이약 ( 弱 ) 하고전체 ( 全體 ) 에허탈감 ( 虛脫感 ) 이있을때는인삼 ( 人蔘 ), 부자 ( 附子 ) 등을써야한다. 그러나수일동안변비 ( 便秘 ) 가있 34
어도맥 ( 脈 ) 이약 ( 弱 ) 하고, 복저 ( 腹底 ) 가무력 ( 無力 ) 하고, 토변 ( 兎便. 또끼똥같은변 ) 같이자잘한돌같은대변 ( 大便 ) 은허증 ( 虛證 ) 이니대황 ( 大黃 ) 등의공하 ( 攻下 ) 하는약제 ( 藥劑 ) 를쓰면안된다. 하리 ( 下痢 ) 할때는이급후중 ( 裏急後重 ) 의여부를필히물어야하는데비록설사나묽은변을본다하더라도이급후중 ( 裏急後重 ) 이강하면실증 ( 實證 ) 인경우가많다. 이급후중 ( 裏急後重 ) 이란매회의배출량 ( 排出量 ) 이적고남아있는듯하면서곧대변 ( 大便 ) 이나올것같은기분이드는것을말한다. 소변 ( 小便 ) 을자주보며일회 ( 一回 ) 의배뇨량 ( 排尿量 ) 이적고배뇨 ( 排尿 ) 시아프거나작열감 ( 灼熱感 ) 이있는것은열증 ( 熱證 ) 이많으나오한 ( 惡寒 ) 을겸 ( 兼 ) 하거나, 실증 ( 實證 ) 을겸 ( 兼 ) 하거나, 허증 ( 虛證 ) 을겸 ( 兼 ) 한경우도있으므로기타증상을참작 ( 參酌 ) 하여저령탕 ( 猪苓湯 ), 오령산 ( 五苓散 ) 또는보음제 ( 補陰劑 ) 등을가려서써야한다. 소변 ( 小便 ) 의양 ( 量 ) 이적을때는허 ( 虛 ), 실 ( 實 ), 한 ( 寒 ), 열 ( 熱 ) 의증상 ( 證狀 ) 등을가려인진호탕 ( 茵蔯蒿湯 ), 인진오령산 ( 茵蔯五苓散 ), 오령산 ( 五苓散 ), 진무탕 ( 眞武湯 ), 령계출감탕 ( 苓桂朮甘湯 ) 등을쓴다. 구갈 ( 口渴 ) 하여물을먹으려할때와구중 ( 口中 ) 이건조 ( 乾燥 ) 하여타액 ( 唾液 ) 의분비 ( 分泌 ) 가적어입을적시려하나물을먹기는싫어하는것이있으며, 구갈 ( 口渴 ) 하여물을먹으려할때는열증 ( 熱證 ) 과한증 ( 寒證 ) 이있는데열증 ( 熱證 ) 에는백호탕 ( 白虎湯 ), 죽엽석고탕 ( 竹葉石膏湯 ), 오령산 ( 五苓散 ) 등을쓰고, 한증 ( 寒證 ) 에는진무탕 ( 眞武湯 ), 사역탕 ( 四逆湯 ) 등을쓴다. 냉수 ( 冷水 ) 를좋아하면열증 ( 熱證 ) 이고, 온수 ( 溫水 ) 를좋아하면한증 ( 寒證 ) 이라고단정지으면안된다. 한열 ( 寒熱 ) 의판단 ( 判斷 ) 은맥 ( 脈 ) 과기타증상 ( 證狀 ) 을참작 ( 參酌 ) 하여결정해야한다, 열 ( 熱 ) 한것을좋아하면허증 ( 虛證 ) 환자로서대개는한증 ( 寒證 ) 이며, 입안이말라설 ( 舌 ) 이자유롭게움직이지않으면허증 ( 虛證 ) 이다. 대병 ( 大病 ) 을앓거나노인이한숨자고나서물을입에넣지않고는말이나오지않을정도로입안이마르는것이가끔있는데이때는사군자탕 ( 四君子湯 ), 구감초탕 ( 灸甘草湯 ), 인삼탕 ( 人蔘湯 ) 또는자음강화 ( 滋陰降火 ) 하는처방 ( 處方 ) 을써야한다. 어혈 ( 瘀血 ) 로입안이마르면물을먹기싫어도입안을적시고자하며, 이런환자는어혈 ( 瘀血 ) 을다스리는처방 ( 處方 ) 을써야한다. 식욕 ( 食慾 ) 은있으나조금먹어도배가불러서기분이좋지않은환자는식후 ( 食後 ) 에졸음이오고몸이무겁고움직이기싫어하며, 겨울에는손발이차고여름에는발이무겁고화끈거리며감미 ( 甘味 ) 를좋아하고, 식사시간이늦으면탈력감 ( 脫力感 ) 이생기는것은허증 ( 虛證 ) 이므로인삼탕 ( 人蔘湯 ), 사군자탕 ( 四君子湯 ) 등보기 ( 補氣 ) 하는처방 ( 處方 ) 을써야한다. 한끼식사를하지않아도아무렇지않고먹으면맛은있으나간식은하지않고감미 ( 甘味 ) 를싫어하면실증 ( 實證 ) 이많고, 많이먹어도야위면허증 ( 虛證 ) 이많다. 적게먹고비대 ( 肥大 ) 하면실증 ( 實證 ) 이많지만식욕 ( 食慾 ) 이있거나없는것만으로는실증 ( 實證 ) 이나허증 ( 虛證 ) 을결정할수없으므로복증 ( 腹證 ) 과기타증후 ( 證候 ) 를참작 ( 參酌 ) 하여결정하는것이옳다. 35
(4) 절진 ( 切診 ) 절진 ( 切診 ) 은맥진 ( 脈診 ), 복진 ( 腹診 ), 경락진 ( 經絡診 ) 등이있으며직접의자 ( 醫者 ) 가손으로만져보고증후 ( 證候 ) 를구분하는것으로서가장객관적 ( 客觀的 ) 이며임상적 ( 臨床的 ) 인방법으로그중가장중요한것이맥진 ( 脈診 ) 과복진 ( 腹診 ) 이다. 이는 기술 ( 技術 ) 이요연마 ( 硏磨 ) 에의하여이루어진다 하여그방법이제일하지 ( 第一下之 ) 인 교 ( 巧 ) 라칭함을봐서도질병 ( 疾病 ) 을찾아내는가장말단 ( 末端 ) 적인방법이다. 상한론 ( 傷寒論 ) 에서는음양허실 ( 陰陽虛實 ) 로나누어양맥 ( 陽脈 ) 으로는부 ( 浮 ), 삭 ( 數 ), 홍 ( 洪 ), 대 ( 大 ), 활 ( 滑 ) 로들수있고, 실맥 ( 實脈 ) 으로는활 ( 滑 ), 긴 ( 緊 ), 홍 ( 洪 ), 복 ( 伏 ) 등이있고, 음맥 ( 陰脈 ) 으로는침 ( 沈 ), 약 ( 弱 ), 지 ( 遲 ), 세 ( 細 ) 등이있고허맥 ( 虛脈 ) 에도완 ( 緩 ), 삽 ( 澁 ), 대 ( 大 ), 세 ( 細 ), 미 ( 微 ) 등이있으니서로상대적 ( 相對的 ) 인표현인것이므로잘숙지 ( 熟知 ) 하고이해 ( 理解 ) 할필요가있다. 병증 ( 病證 ) 의최종판단은맥진 ( 脈診 ) 으로만결진 ( 決診 ) 해서는안되며문진 ( 聞診 ), 문진 ( 問診 ), 망진 ( 望診 ) 등을함께적용하여종합적 ( 綜合的 ) 인근거 ( 根據 ) 를통해병증 ( 病證 ) 을판단 ( 判斷 ) 하여야한다. 맥 ( 脈 ) 을진맥 ( 診脈 ) 하는목적 ( 木積 ) 은병 ( 病 ) 의위치 ( 位置 ) 를알고, 허실 ( 虛實 ) 을구별 ( 區別 ) 하고, 한열 ( 寒熱 ) 을분류 ( 分類 ) 하며, 유증감별 ( 類證監別 ) 을하고, 질병 ( 疾病 ) 의예후 ( 豫後 ) 를판단하고, 병태생리 ( 病態生理 ) 와병증 ( 病證 ) 을알아용약 ( 用藥 ) 방침을결정하여처방 ( 處方 ) 을내기위함인것이다. 예를들면맥 ( 脈 ) 이부 ( 浮 ) 하면병 ( 病 ) 이표 ( 表 ) 에있고, 거기에실 ( 實 ) 를겸하면심장기능 ( 心臟機能 ) 이왕성 ( 旺盛 ) 하여정기 ( 正氣 ) 가병사 ( 病邪 ) 를체외 ( 體外 ) 로구축 ( 驅逐 ) 하려한다는것을알아처방 ( 處方 ) 을작성할때는발한 ( 發汗 ) 을시키는마황탕 ( 麻黃湯 ) 등을쓰고, 맥 ( 脈 ) 이부 ( 浮 ) 하되허 ( 虛 ) 하면심장기능 ( 心臟機能 ) 이왕성 ( 旺盛 ) 하지는않지만정기 ( 正氣 ) 가병사 ( 病邪 ) 를체표 ( 體表 ) 로구축 ( 驅逐 ) 한다는것이틀림없으므로처방 ( 處方 ) 을작성할때는정기 ( 正氣 ) 가하는일을돕는계지탕 ( 桂枝湯 ) 등을써서해기 ( 解肌 ) 해야한다. 맥 ( 脈 ) 이침 ( 沈 ) 하면병사 ( 病邪 ) 가속에있으며, 거기에실 ( 實 ) 을겸하면이 ( 裏 ) 가실 ( 實 ) 하며처방 ( 處方 ) 을작성할때는공하제 ( 攻下劑 ) 가필요하므로승기탕 ( 承氣湯 ) 등을써서공하 ( 攻下 ) 해야한다. 또맥 ( 脈 ) 이침 ( 沈 ) 하면서미약 ( 微弱 ) 하면허한 ( 虛寒 ) 이므로인삼 ( 人蔘 ), 건강 ( 乾薑 ), 부자 ( 附子 ) 등을써서온 ( 溫 ) 해야한다. 그러나실제임상에서는이론 ( 理論 ) 만으로는부족 ( 不足 ) 하다할수있다. 왜냐하면맥 ( 脈 ) 이란그당시의주위환경 ( 周圍環境 ) 과정신적 ( 精神的 ) 인영향 ( 影向 ) 에따라변동 ( 變動 ) 되기쉬우므로당시의진맥 ( 診脈 ) 에만의존 ( 依存 ) 할것이아니라망진 ( 望診 ), 문진 ( 聞診 ), 문진 ( 問診 ), 복진 ( 腹診 ) 등과외증 ( 外證 ) 을모두고려하여병증 ( 病證 ) 을판단해야한다. 36
현우 ( 賢祐 ) 주 ( 註 ) 맥진법 ( 脈診法 ) 숙달 ( 熟達 ) 을위한요령은매일저녁에잠들기전에자신의맥 ( 脈 ) 을점검해보고, 아침에잠자리에서일어났을때또맥 ( 脈 ) 을보아지난밤의맥 ( 脈 ) 과비교해보는방법이다. 또한하루일과중에몹시기분이나쁠때의맥 ( 脈 ) 을체크해보고, 기분이좋았을때역시맥 ( 脈 ) 을보아어떻게다른지비교해보는것도매우좋은맥진 ( 脈診 ) 숙달방법이다. 일일이기록할필요는없겠지만느낌으로도각각의상황에따라맥 ( 脈 ) 이확연하게다른것을느낄수있으므로이렇듯자기자신의맥 ( 脈 ) 을수시로체크하는것은맥진 ( 脈診 ) 숙달 ( 熟達 ) 을위한좋은수련 ( 修練 ) 방법이라할수있다. 가 ) 진맥 ( 診脈 ) 촌구맥 ( 寸口脈 ): 폐경 ( 肺經 ) 의토혈 ( 土穴 ) 인태연혈 ( 太淵穴 ) 자리에서맥 ( 脈 ) 이뛰는위치를촌구맥 ( 寸口脈 ) 이라한다. 관상맥 ( 關上脈 ): 폐경 ( 肺經 ) 의금혈 ( 金穴 ) 인경거혈 ( 經渠穴 ) 자리에서맥 ( 脈 ) 이뛰는위치를관상맥 ( 關上脈 ) 이라한다. 척중맥 ( 尺中脈 ): 폐경 ( 肺經 ) 에속한열결혈 ( 列缺穴 ) 자리에서맥 ( 脈 ) 이뛰는위치를척중맥 ( 尺中脈 ) 이라한다. 스스로진맥 ( 診脈 ) 을할때의손가락위치는왼쪽손목의맥 ( 脈 ) 을볼때로예를들면오른손의넷째손가락끝마디를태연혈처 ( 太淵穴處 ) 에대고셋째손가락을살짝이어붙여경거혈처 ( 經渠穴處 ) 에닿게한다. 마지막으로검지손가락을이어붙여열결혈처 ( 列缺穴處 ) 에닿게하여진맥 ( 診脈 ) 을한다. (1) 부맥 ( 浮脈 ) 부맥 ( 浮脈 ) 은피하 ( 皮下 ) 에떠올라있는맥 ( 脈 ) 으로서가볍게눌러도곧떠오르면서툭툭다소크게뛰는맥 ( 脈 ) 의촉감 ( 觸感 ) 을느낄수있을때이를부맥 ( 浮脈 ) 이라고한다. 몸에오한 ( 惡寒 ) 을느끼며열 ( 熱 ) 이있을때부맥 ( 浮脈 ) 이감지되면병사 ( 病邪 ) 가표 ( 表 ), 즉몸의겉표면 ( 기육 ( 肌肉 ) 에있음을나타내는것이다. 부맥 ( 浮脈 ) 에긴 ( 緊 ). 팽팽할緊 ) 을겸하면, 즉부맥 ( 浮脈 ) 이면서도팽팽한긴장감 ( 緊張感 ) 이느껴지는맥 ( 脈 ) 을보일때는표 ( 表 ) 가실 ( 實 ) 하므로발한 ( 發汗 ) 을시켜야할증 ( 證 ) 이며, 부맥 ( 浮脈 ) 에약 ( 弱 ). 약할弱 ) 을겸하면, 즉가볍게눌러도부맥 ( 浮脈 ) 이감지되는데맥 ( 脈 ) 이팽팽하지않고오히려연약 ( 軟弱 ) 하게느껴지면표 ( 表 ) 가허 ( 虛 ) 한것으로이때는땀구멍이살짝열려있어피부 ( 皮膚 ) 를만져보면땀이없더라도습 ( 濕 ) 한것을감지할수있는데, 이때는해기 ( 解肌 ) 하는처방 ( 處方 ) 인계지탕 ( 桂枝湯 ) 등을써서해기 ( 解肌 ) 를시켜주면병사 ( 病邪 ) 가구축 ( 驅逐 ) 된다. 부맥 ( 浮脈 ) 에지약 ( 遲弱. 느릴. 더딜遲. 약할弱 ) 을겸하면, 즉부맥 ( 浮脈 ) 인데눌러보니힘이별로없는맥 ( 脈 ) 이면서일호흡에 4회이내로맥 ( 脈 ) 이뛰는것을말한다. 이러한맥 ( 脈 ) 은이 ( 裏 ), 즉속도허 ( 虛 ) 한상태를말하는것이며, 또한체질 ( 體質 ) 에따라서는표 ( 表 ) 와이 ( 裏 ) 가다 37
허 ( 虛 ) 에빠진것을의미한다. 이때는이가몹시허 ( 虛 ) 한것을뜻하므로부자 ( 附子 ), 인삼 ( 人蔘 ) 등을써서온보 ( 溫補 ) 해야한다. (2) 침맥 ( 沈脈 ) 침맥 ( 沈脈 ) 은부맥 ( 浮脈 ) 과는반대로깊게눌러보아야겨우맥 ( 脈 ) 이감지 ( 感知 ) 되는것을말한다. 이러한맥 ( 脈 ) 이감지 ( 感知 ) 되면병사 ( 病邪 ) 가속에, 즉이 ( 裏 ) 에있음을뜻하는것이며침맥 ( 沈脈 ) 에실 ( 實 ) 을겸하면, 즉깊게눌러보아겨우감지 ( 感知 ) 가되는맥 ( 脈 ) 인데도계속누르고있을때비교적힘이느껴지는맥 ( 脈 ) 이라면이 ( 裏 ) 에사기 ( 邪氣 ) 가강하게뭉쳐진상태로있다는뜻이며, 이때는사하제 ( 瀉下劑 ) 등을써서공하해야할증이많이보인다. 침맥 ( 沈脈 ) 이감지되는데매우약 ( 弱 ) 한맥 ( 脈 ) 이라면이 ( 裏 ) 가몹시허 ( 虛 ) 하다는것을뜻한다. 이러한맥 ( 脈 ) 일때나타나는병증 ( 病症 ) 들은호흡 ( 呼吸 ) 이가쁘고몸이붓거나소변량 ( 小便量 ) 이많거나, 혹은아주적거나가슴과배꼽부근이콩닥콩닥뛰고, 즉심동계 ( 心動悸 ) 와제부동계 ( 臍部動悸 ) 를수반하는경우가많은데이는허증 ( 虛證 ) 이므로변비 ( 便秘 ) 가있다하더라도공하제 ( 攻下劑 ) 를쓰면안된다. (3) 지맥 ( 遲脈 ) 지맥 ( 遲脈 ) 은맥 ( 脈 ) 의박동수 ( 搏動數 ) 가느린것을말하는데 1호흡에맥박 ( 脈搏 ) 이 4회이하로느린것을말한다. 또는일분 ( 一分 ) 에맥박 ( 脈搏 ) 이 60회이하로뛰는것을말하기도하는데, 일부체질 ( 體質 ) 은病證 ( 병증 ) 때문에맥 ( 脈 ) 이느린것이아니고선천적 ( 先天的 ) 으로폐활량 ( 肺活量 ) 이너무좋고심장 ( 心臟 ) 이튼튼하면서맥박 ( 脈搏 ) 이느리게뛰는경우도있으니. ( 이러한체질은마라토너들에게서흔히볼수있다.) 따라서선천적 ( 先天的 ) 으로몸이튼튼하면서늦게뛰는맥 ( 脈 ) 을제외하고는이러한지맥 ( 遲脈 ) 은기본적 ( 基本的 ) 으로지맥 ( 遲脈 ) 은허한 ( 虛寒 ) 을뜻한다. 지맥 ( 遲脈 ) 에부 ( 浮 ) 또는침 ( 沈 ), 약 ( 弱 ) 을겸 ( 兼 ) 하면이 ( 裏 ) 가虛 ( 허 ) 한것을뜻하므로부자 ( 附子 ), 건강 ( 乾薑 ), 인삼 ( 人蔘 ) 등을써서온보 ( 溫補 ) 하여야한다. 지맥 ( 遲脈 ) 에실 ( 實 ) 을겸하면병독 ( 病毒 ) 의정체비색 ( 停滯痞塞 ) 을뜻하고, 침지실 ( 沈遲實 ) 하면이 ( 裏 ) 가실 ( 實 ) 한것이므로공하 ( 攻下 ) 할증상 ( 證狀 ) 이다. (4) 삭맥 ( 數脈 ) 삭맥 ( 數脈 ) 은지맥 ( 遲脈 ) 과는반대로일호흡에맥박수가 6회이상또는분당맥박수가 90회이상뛰는것을말한다. 기본적 ( 基本的 ) 으로이러한맥 ( 脈 ) 은몸에열 ( 熱 ) 이있음을뜻한다. ( 체온계로잴때 36.5도이상이아니더라도스스로열감 ( 熱感 ) 을느낄때도열 ( 熱 ) 이있다고본다.) 삭맥 ( 數脈 ) 에활 ( 滑 ). 미끄러울滑 ) 을겸하면, 즉삭맥 ( 數脈 ) 인데느껴지는손끝의감촉 ( 感觸 ) 이매끌매끌하게마치공이굴러가듯매끄럽게느껴지면이를활 ( 滑 ) 하다고하는데삭맥 ( 數脈 ) 에활 ( 滑 ) 을겸하면실열 ( 實熱 ) 을뜻하고, 삭맥 ( 數脈 ) 에약 ( 弱 ) 이나세 ( 細 ) 를겸하면허열 ( 虛熱 ) 인데세 38
삭약 ( 細數弱 ) 하거나세미삭 ( 細微數 ) 한것은병세 ( 病勢 ) 가위독 ( 危篤 ) 함을뜻하고, 부삭 ( 浮數 ) 하면 표열 ( 表熱 ) 을뜻하며, 침삭 ( 沈數 ) 하면이열 ( 裏熱 ) 을뜻한다. (5) 현맥 ( 弦脈 ) 현맥 ( 弦脈 ) 은긴장 ( 緊張 ) 되어있는활줄을만지는감 ( 感 ), 또는팽팽한기타줄을튕길때의느낌이들기도한다. 이러한맥 ( 脈 ) 은견인통 ( 牽引痛. 즉잡아당기는것과같은통증 ) 이나구급통 ( 拘急痛. 즉갑자기혹은간헐적으로나타나는날카로운통증 ) 이있다는것을뜻하며, 촌구맥 ( 寸口脈 ) 이현 ( 弦 ) 하면협하 ( 脇下 ) 가구급통 ( 拘急痛 ) 하고현맥 ( 弦脈 ) 은기본적으로허 ( 虛 ) 로써소화력 ( 消化力 ) 이부족함을뜻하며, 맥현자 ( 脈弦者 ) 는허 ( 虛 ) 로서소화기능 ( 消化機能 ) 이약 ( 弱 ) 하고현맥 ( 弦脈 ) 은수음 ( 水飮 ) 의축적 ( 蓄積 ) 을뜻하며, 해수 ( 咳嗽 ) 가있으면서현맥 ( 弦脈 ) 을보이면수음 ( 水飮 ) 이정체 ( 停滯 ) 되어있음을뜻한다. 또현맥 ( 弦脈 ) 은한 ( 寒 ) 이잠복 ( 潛伏 ) 해있음을뜻하고, 맥현자 ( 脈弦者 ) 는한음 ( 寒飮 ) 이있으며현맥 ( 弦脈 ) 은학질 ( 瘧疾 ) 에서도나타나며, 현맥 ( 弦脈 ) 을보일때는소양병 ( 少陽病 ) 이있을때가장많이나타난다. 상한 ( 傷寒 ) 으로맥 ( 脈 ) 이현세 ( 弦細 ) 하고두통 ( 頭痛 ), 발열 ( 發熱 ) 하면소양 ( 少陽 ) 의병증 ( 病證 ) 을갖고있음을뜻한다. 맥 ( 脈 ) 을볼때태연혈 ( 太淵穴 ) 부근에있는촌구맥 ( 寸口脈 ) 이특히현 ( 弦 ) 하면협하 ( 脇下 ), 즉갈비뼈를따라내려오는옆구리에통증 ( 痛症 ) 이나타나기도하며담즙 ( 膽汁 ) 분비가부족한것에기인한소화력 ( 消化力 ) 이약 ( 弱 ) 할때나타나기도하며또한, 소화력 ( 消化力 ) 이약 ( 弱 ) 한체질 ( 體質 ) 에게많이나타난다, 구토 ( 嘔吐 ) 또는편두통 ( 偏頭痛 ) 등을수반하기도하며입이쓰고마르고눈에어지러움증상이나타나기도하는데이러한증 ( 證 ) 이나타나면소시호탕 ( 小柴胡湯 ), 시호계지탕 ( 柴胡桂枝湯 ), 시호계지건강탕 ( 柴胡桂枝乾薑湯 ) 등을써서화해 ( 和解 ) 를해주어야한다.. 특히현 ( 弦 ) 하면서도세 ( 細 ) 한맥 ( 脈 ) 이나타나면왕래한열 ( 往來寒熱. 마치학질같이추었다더웠다하는증상 ) 과두통 ( 頭痛 ), 편두통 ( 偏頭痛 ), 구토 ( 嘔吐 ), 헛구역질, 흉협고만 ( 胸脇苦滿 ), 구고 ( 口苦. 입이쓴증세 ) 와현기증 ( 眩氣症 ) 등의소양상화성 ( 少陽相火性 ) 증상이뚜렷하게나타나기도한다. (6) 긴맥 ( 緊脈 ) 긴맥 ( 緊脈 ) 은현맥 ( 弦脈 ) 과비슷하나눌러보면좌우 ( 左右 ) 로이동 ( 移動 ) 하는것을느낄수있는데, 다시말하면현맥 ( 弦脈 ) 은활시위당기는듯팽팽하고견고 ( 堅固 ) 한느낌으로반동감 ( 反動感 ) 이느껴지지만긴맥 ( 緊脈 ) 은팽팽하면서도눌러보면팽팽한느낌이손끝에서좌우 ( 左右 ) 로다소넓게펴지면서반동 ( 反動 ) 이느껴진다. 기본적 ( 基本的 ) 으로긴맥 ( 緊脈 ) 은몸에한기 ( 寒氣 ) 가깃든것으로, 특히촌구맥 ( 寸口脈 ) 이긴 ( 緊 ) 한것은한 ( 寒 ) 이깃든정증 ( 正證 ) 을나타내는것이며, 협하 ( 脇下 ) 의어느한쪽으로편중된통증 ( 痛症 ) 이나타나면서발열 ( 發熱 ) 을수반하기도하는데이때의열 ( 熱 ) 은실열 ( 實熱 ) 이아니라허 39
열 ( 虛熱 ) 을뜻하기도하며, 이 ( 裏 ) 에는실질적으로한기 ( 寒氣 ) 가있음을뜻한다. 맥 ( 脈 ) 이긴 ( 緊 ) 하면서도현 ( 弦 ) 한것도실질적으로는한 ( 寒 ) 이깃든것으로보며동시 ( 同時 ) 에몸의어느부분 ( 部分 ) 에통증 ( 痛症 ) 이있다는것을의미한다. 이러한맥증 ( 脈證 ) 일때는인후통 ( 咽後痛 ) 을포함하여두통 ( 頭痛 ), 흉통 ( 胸痛 ) 등의증상 ( 症狀 ) 이나타날수있다. (7) 활맥 ( 滑脈 ) 활맥 ( 滑脈 ) 은손끝에구슬을굴리는것같이손끝의감촉 ( 感觸 ) 이윤활 ( 潤滑 ) 하게느껴지는맥 ( 脈 ) 으로기본적 ( 基本的 ) 으로이러한맥 ( 脈 ) 은열 ( 熱 ) 이깃들어있음을뜻한다. 활 ( 滑 ) 하면서그폭 ( 幅 ) 이넓은것은이 ( 裏 ) 에열 ( 熱 ) 이있는것을뜻하는것이며활 ( 滑 ) 하면서삭 ( 數 ) 한맥 ( 脈 ) 이나타나면위 ( 胃 ) 와소장 ( 小腸 ) 그리고대장 ( 大腸 ) 에숙식 ( 宿食 ) 이나숙변 ( 宿便 ) 이있음을나타내는것이다. 또한활 ( 滑 ) 하면서삭 ( 數 ) 한맥 ( 脈 ) 은소갈증 ( 消渴症 ), 즉당뇨병 ( 糖尿病 ) 증상 ( 症狀 ) 을갖고있을때에도나타나는데, 이때의소갈증 ( 消渴症 ) 은허증 ( 虛證 ) 의소갈증 ( 消渴症 ) 이아니라실증 ( 實證 ) 에의한것이다. (8) 색맥 ( 濇脈 ) 색맥 ( 濇脈 ) 은삽맥 ( 澁脈 ) 이라고도하는데활맥 ( 滑脈 ) 과는반대로거래 ( 去來 ) 하는것이삽체 ( 澁滯 ) 하고원활 ( 圓滑 ) 하지않은맥 ( 脈 ) 이며, 마치소도 ( 小刀 ) 로죽피 ( 竹皮 ) 를긁는것같은감 ( 感 ) 이들며기본적 ( 基本的 ) 으로이러한맥상 ( 脈狀 ) 은허 ( 虛 ) 를뜻한다. 촌구맥 ( 寸口脈 ) 이부미 ( 浮微 ) 하고색 ( 濇 ) 하면혈 ( 血 ) 을잃은것이며, 맥 ( 脈 ) 이부허 ( 浮虛 ) 하고색 ( 濇 ) 한것은계지부자탕 ( 桂枝附子湯 ) 등으로다스린다. (9) 미맥 ( 微脈 ) 미맥 ( 微脈 ) 은맥 ( 脈 ) 이너무도미세 ( 微細 ) 하여접촉 ( 接觸 ) 하기가매우어려울정도로미약 ( 微弱 ) 한맥 ( 脈 ) 으로서삼지 ( 三指 ) 로찾아보기어려울때도있는데, 이때에는한손가락만대어세밀 ( 細密 ) 하게감지 ( 感知 ) 해야맥 ( 脈 ) 이나타나기도한다. 이러한맥 ( 脈 ) 은기본적 ( 基本的 ) 으로정기허탈 ( 精氣虛脫 ) 을뜻하는데, 진액 ( 津液 ) 이고갈 ( 枯渴 ) 된상태를나타내는것이며, 맥미 ( 脈微 ) 하고오한 ( 惡寒 ) 하는사람은음양 ( 陰陽 ) 이구허 ( 俱虛 ) 하다. (10) 홍대맥 ( 洪大脈 ) 홍대맥 ( 洪大脈 ) 은폭 ( 幅 ) 이넓은맥 ( 脈 ) 으로서형세 ( 形勢 ) 가성 ( 盛 ) 한것을홍 ( 洪 ) 이라하며대 ( 大 ) 는허 ( 虛 ) 를뜻한다. 보다자세히말한다면홍대맥 ( 洪大脈 ) 은부맥 ( 浮脈 ) 과비슷하게느껴지나부맥 ( 浮脈 ) 과는달리힘이있는듯하면서손끝에걸리는감각의폭이넓은것을홍대맥 ( 洪大脈 ) 이라하는데촌관척구 ( 寸關尺口 ) 에대었던손가락을떼고맥 ( 脈 ) 이뛰는곳을보면육안 ( 肉眼 ) 으로도맥 ( 脈 ) 이크게뛰는것을볼수있다. 이때맥 ( 脈 ) 이뛰는곳을자세히들여다보면요골동 40
맥 ( 橈骨動脈 ) 이지나는곳의폭이넓은부위 ( 部位 ) 에서맥 ( 脈 ) 이뛰는것을볼수있는데다시촉지 ( 觸知 ) 를해보면맥 ( 脈 ) 이매우힘이있는것같이느껴지지만계속누르면서느껴보면폭이넓게감지되지만실속이없는것같은느낌이들면바로이러한맥상 ( 脈狀 ) 이홍대맥 ( 洪大脈 ) 이다. 맥 ( 脈 ) 이홍대 ( 洪大 ) 하면이열 ( 裏熱 ) 이있다는것을뜻하며, 공하 ( 攻下 ) 보다는청열 ( 淸熱 ) 해야할증 ( 證 ) 이있음을뜻하며백호가인삼탕 ( 白虎加人蔘湯 ) 등으로청해 ( 淸解 ) 해야할증 ( 證 ) 이많이보인다 (11) 규맥 ( 芤脈 ) 규맥 ( 芤脈 ) 은크고폭 ( 幅 ) 이있는맥 ( 脈 ) 으로맥 ( 脈 ) 이뛰는혈관 ( 血管 ) 의외단 ( 外端 ) 은단단하게느껴지지만중간 ( 中間 ) 은물렁물렁한것을말하는데고인 ( 古人 ) 들은 총 ( 葱 ), 즉대파의절구 ( 切口 ) 를손끝으로누를때의감각 ( 感覺 ) 이느껴지는맥 ( 脈 ) 이라 했다. 규맥 ( 芤脈 ) 은허맥 ( 虛脈 ) 으로서체액 ( 體液 ) 을잃었음을뜻한다. 맥 ( 脈 ) 이극허 ( 極虛 ) 하고규지 ( 芤遲 ) 한상태일때는먹은것이소화안된채로나오는묽은변, 즉청곡하리 ( 淸穀下利 ) 를하는경우가많고, 망혈 ( 亡血 ), 실정 ( 失精 ) 등의상태를뜻하기도한다. 망혈 ( 亡血 ) 은상해등으로인한과다출혈 ( 過多出血 ), 하혈 ( 下血 ) 이나생리출혈 ( 生理出血 ) 기간이너무길어과다생리출혈 ( 過多生理出血 ) 등의상태를말하며, 실정 ( 失精 ) 은색 ( 色 ) 을과도 ( 過度 ) 하게밝혀정액 ( 精液 ) 을낭비한것을말한다. (12) 복맥 ( 伏脈 ) 복맥 ( 伏脈 ) 은침 ( 沈 ) 의정도가매우심한것으로잠복 ( 潛伏 ) 해서잘나타나지않으며깊이누르면서기다리면알수있는맥 ( 脈 ) 이다. 미맥 ( 微脈 ) 과는달리기본적으로이복맥 ( 伏脈 ) 은실맥 ( 實脈 ) 으로서병독 ( 病毒 ) 이깊이비색 ( 痞塞 ) 했다는뜻으로이맥 ( 脈 ) 이나타날때는발한 ( 發汗 ) 이나, 토제 ( 吐劑 ), 하제 ( 下劑 ) 등을써서속이병독 ( 病毒 ) 을배제 ( 排除 ) 하지않으면안된다. 복맥 ( 伏脈 ) 과미맥 ( 微脈 ) 은소홀 ( 疏忽 ) 히진찰하면크게잘못될염려가있으므로문진 ( 聞診 ), 문진 ( 問診 ) 등으로종합하여병증 ( 病證 ) 을판단해야하는데, 복맥 ( 伏脈 ) 은공하제 ( 攻下劑 ) 등을써야할증 ( 證 ) 이며, 미맥 ( 微脈 ) 은부자 ( 附子 ), 인삼 ( 人蔘 ) 등을써야할증 ( 證 ) 으로상호정반대의증 ( 證 ) 이므로맥진 ( 脈診 ) 에신중을기해야한다. (13) 세소맥 ( 細小脈 ) 세소맥 ( 細小脈 ) 은홍대맥 ( 洪大脈 ) 과는반대로폭이없는맥 ( 脈 ) 을말한다. 소 ( 小 ) 와세는통용되는표현으로서세맥 ( 細脈 ) 은한 ( 寒 ) 을뜻하며수족 ( 手足 ) 이궐한 ( 厥寒 ) 하고맥세여절자 ( 脈細如絶者 ) 는당귀사역탕 ( 當歸四逆湯 ) 으로다스린다 고경 ( 經 ) 에전했다. 또세맥 ( 細脈 ) 은표사 ( 表邪 ) 가속으로들어가는형세 ( 形勢 ) 를뜻하며, 맥세 ( 脈細 ) 에미 ( 微 ) 를겸하면표리내외 ( 表裏內外 ) 가모두허 ( 虛 ) 함을뜻한다. 41
(14) 촉맥 ( 促脈. 재촉할促 ) 촉맥 ( 促脈 ) 은맥 ( 脈 ) 이삭 ( 數 ) 한데일시멈추었다가다시돌아오는맥 ( 脈 ) 을말하는것으로촉맥 ( 促脈 ) 은부정맥 ( 不整脈 ) 을말하는것이아니다. 촉 ( 促 ) 은양성 ( 陽盛 ) 하여음 ( 陰 ) 이여기에화합 ( 和合 ) 될수없을때나타나고, 표증 ( 表證 ) 이있는데하제 ( 下劑 ) 를써서하 ( 下 ) 했을때아직표증 ( 表證 ) 이남아있으면나타나기도하는맥 ( 脈 ) 이다. 오늘날은의자 ( 醫者 ) 에의해표증 ( 表證 ) 을잘못하 ( 下 ) 하는경우는매우드물지만표증 ( 表證 ) 의병증 ( 病證 ) 을갖고있는사람이변비 ( 便秘 ) 등을이유로약국등에서하제 ( 下劑 ) 를구입하여무분별하게스스로공하 ( 攻下 ) 했을때왕왕이러한맥상 ( 脈狀 ) 을볼수있다. 임상경험이부족한사람은대맥 ( 代脈 ), 즉결대맥상 ( 結代脈狀 ) 의부정맥 ( 不整脈 ) 과혼동하는경우가많은맥상 ( 脈狀 ) 이므로각별한주의가요망되는맥 ( 脈 ) 이다. (15) 결대맥 ( 結代脈. 부정맥 ( 不整脈 ) 대맥 ( 代脈 ), 즉결대맥 ( 結代脈 ) 은맥 ( 脈 ) 이연약 ( 軟弱 ) 하다가도갑자기현긴 ( 弦緊 ) 하기도하며, 또갑자기부 ( 浮 ) 하다가침 ( 沈 ) 해지기도하며, 지 ( 遲 ) 하다가침 ( 沈 ) 해지기도하는그야말로변화무쌍 ( 變化無雙 ) 한맥 ( 脈 ) 을보이는것을뜻한다. 이것은기본적 ( 基本的 ) 으로심허증세 ( 心虛症勢 ) 와혈허증세 ( 血虛症勢 ) 를의미하기도하며, 특히부정맥 ( 不整脈 ) 증상을갖고있을때이러한맥 ( 脈 ) 이나타는데, 여기에심동계 ( 心動悸 ) 까지겸해있을때는구감초탕 ( 灸甘草湯 ) 으로다스린다. (16) 결맥 ( 結脈. 맺을結 ) 결맥 ( 結脈 ) 은촉맥 ( 促脈 ) 과는달리지맥 ( 遲脈 ), 또는침지 ( 沈遲 ) 의상태에서맥 ( 脈 ) 이뛰다가일지 ( 一止 ) 하는맥 ( 脈 ) 으로서어혈 ( 瘀血 ) 이있을때나타나는경우가많다. 태양병 ( 太陽病 ) 으로신황 ( 身黃 ) 하고맥침결 ( 脈沈結 ) 하며소복 ( 小腹 ) 이경 ( 硬 ) 하고소변 ( 小便 ) 이불리 ( 不利 ) 하며여광자 ( 如狂者 ) 는혈증 ( 血證 ) 이라했는데저당탕 ( 抵當湯 ) 으로다스린다 했다. 또결맥 ( 結脈 ) 은신체 ( 身體 ) 가고조 ( 枯燥 ) 하여자윤 ( 滋潤 ) 을잃었을때나타나기도하며이때역시구감초탕 ( 灸甘草湯 ) 으로다스리는데이열 ( 裏熱 ) 을겸했을때는죽엽석고탕 ( 竹葉石膏湯 ) 으로다스린다. (17) 완맥 ( 緩脈. 느슨할緩 ) 완맥 ( 緩脈 ) 은삭 ( 數 ) 하지도않고지 ( 遲 ) 하지도않으며중화평온 ( 中和平穩 ) 한맥 ( 脈 ) 으로무병 ( 無病 ) 한사람의맥 ( 脈 ) 이다. 모든병 ( 病 ) 에완맥 ( 緩脈 ) 이나타나면병 ( 病 ) 이경 ( 輕 ) 하여나으려하는징후 ( 徵候 ) 이다. 기타실맥 ( 實脈 ) 은힘이있는맥 ( 脈 ) 을말하고, 허맥 ( 虛脈 ) 은힘이없다는것을말할때가있으며, 평맥 ( 平脈 ) 은무병 ( 無病 ) 하고건강한사람의맥 ( 脈 ) 을말한다. 42
(18) 인영맥 ( 人迎脈 ) 인영맥 ( 人迎脈 ) 은목양옆으로뇌부 ( 腦部 ) 를향해흐르는동맥혈관 ( 動脈血管 ) 에서보는맥점 ( 脈點 ) 으로서요골동맥 ( 橈骨動脈 ) 에서뛰는맥수 ( 脈數 ) 와인영맥 ( 人迎脈 ) 의맥수 ( 脈數 ) 를비교할때인영맥 ( 人迎脈 ) 의맥수 ( 脈數 ) 가빠르고강 ( 强 ) 하면뇌부 ( 腦部 ) 로혈액 ( 血液 ) 이과 ( 過 ) 하게공급 ( 供給 ) 되고있는것이며, 기혈 ( 氣血 ) 이두부 ( 頭部 ) 를포함한상삼초 ( 上三焦 ) 로몰려있음을뜻한다. 요골동맥 ( 橈骨動脈 ) 에서보는맥수 ( 脈數 ) 와세기 ( 勢氣 ) 를비교했을때인영맥 ( 人迎脈 ) 의맥상 ( 脈狀 ) 이적거나세기 ( 勢氣 ) 가약 ( 弱 ) 하면이는뇌부 ( 腦部 ) 에혈액 ( 血液 ) 이적게공급되고있음을뜻하며, 기혈 ( 氣血 ) 이두부 ( 頭部 ) 로적게미치고있어상삼초 ( 上三焦 ) 가허한 ( 虛寒 ) 에빠져있을때이러한맥상 ( 脈狀 ) 이나타나기도한다. 요골동맥 ( 橈骨動脈 ) 분만아니라인영맥 ( 人迎脈 ) 그리고부맥 ( 趺脈 ) 을함께살펴야하는것은기혈 ( 氣血 ) 이어느한쪽에특히편중 ( 偏重 ) 되어있거나미치지못하고있는것을판단 ( 判斷 ) 할수있는근거 ( 根據 ) 가되므로인영맥 ( 人迎脈 ) 과부맥 ( 趺脈 ) 도반드시참작 ( 參酌 ) 해야한다. (19) 부맥 ( 趺脈 ) 충양 ( 衝陽 ) 태계 ( 太谿 ) 태충 ( 太衝 ) 부맥 ( 趺脈 ) 을보는족부 ( 足部 ) 의맥점 ( 脈點 ) 은여러곳이있으나맥 ( 脈 ) 이가장뚜렷하게감지 ( 感知 ) 되는곳은족양명위경 ( 足陽明胃經 ) 의원혈 ( 原穴 ) 인충양혈 ( 衝陽穴 ) 과족소음신경 ( 足少陰腎經 ) 의유혈 ( 兪穴 ) 이며원혈 ( 原穴 ) 인태계혈 ( 太谿穴 ) 과족궐음간경 ( 足厥陰肝經 ) 의유혈 ( 兪穴 ) 인태충혈 ( 太衝穴 ) 등으로서주로이세곳에서부맥 ( 趺脈 ) 을관찰 ( 觀察 ) 한다. 충양혈 ( 衝陽穴 ) 의맥수 ( 脈數 ) 나세기 ( 勢氣 ) 가요골동맥 ( 橈骨動脈 ) 에서보는맥수 ( 脈數 ) 나세기 ( 勢氣 ) 보다매우약 ( 弱 ) 할때에는위 ( 胃 ) 또는위경 ( 胃經 ) 의기혈 ( 氣血 ) 이미약 ( 微弱 ) 한것을뜻하며, 이때에는반대로인영맥 ( 人迎脈 ) 은강 ( 强 ) 하게뛰는수가많다. 또한충양혈 ( 衝陽穴 ) 의맥 ( 脈 ) 43
이거의감지 ( 感知 ) 되지않거나미약 ( 微弱 ) 하면하지 ( 下肢 ) 에무력감 ( 無力感 ) 이있어걸을때신발을끌거나오래걷지못하는경우가많다. 이곳의맥 ( 脈 ) 이미약 ( 微弱 ) 하면이 ( 裏 ) 에허한 ( 虛寒 ) 이있음을뜻하는것이며, 이곳의맥 ( 脈 ) 이부 ( 浮 ) 하고삭 ( 數 ) 하면서넉넉한크기의신발을신고걸어도충양혈처 ( 衝陽穴處 ) 부근으로압통 ( 壓痛 ) 이느껴지는수가있는데이것은상초 ( 上焦 ) 와하초 ( 下焦 ) 의유통 ( 流通 ) 이잘안되고중초 ( 中焦 ) 에서기 ( 氣 ) 가막혀있는것으로볼수있다. 족소음신경 ( 足少陰腎經 ) 의유혈 ( 兪穴 ) 이며원혈 ( 原穴 ) 인태계혈 ( 太谿穴 ) 에서보는맥 ( 脈 ) 이매우강 ( 强 ) 하게뛰고있으면이는신음 ( 腎陰 ), 즉진액이매우적거나고갈되고있음을뜻하며, 신허요통 ( 腎虛腰痛 ) 등의증상이있을때이곳을눌러보면환자가압통 ( 壓痛 ) 을호소하는경우가많다. 족궐음간경 ( 足厥陰肝經 ) 의유혈 ( 兪穴 ) 인태충혈 ( 太衝穴 ) 의맥 ( 脈 ) 이겨우감지 ( 感知 ) 되거나약 ( 弱 ) 한것은병변 ( 病變 ) 이아니며, 오히려맥 ( 脈 ) 이강 ( 强 ) 하게감지 ( 感知 ) 되면이는간기울결 ( 肝氣鬱結 ) 등의증 ( 證 ) 이있음을뜻한다. 기본적으로인영맥 ( 人迎脈 ) 과, 요골동맥 ( 橈骨動脈 ) 과, 부맥 ( 趺脈 ) 의평형 ( 平衡 ) 이나편중 ( 偏重 ) 을보려할때는충양혈 ( 衝陽穴 ) 을기준삼아삼초 ( 三焦 ) 의부침 ( 浮沈 ) 을판단하는것이가장좋은방법이다. 현우 ( 賢祐 ) 주 ( 註 ) 상초 ( 上焦 ) 에사기 ( 邪氣 ) 가편중 ( 偏重 ) 되어몰려있어요통 ( 腰痛 ), 견비통 ( 肩臂痛 ) 등의증상 ( 症狀 ) 을호소하던환자의충양혈 ( 衝陽穴 ) 을촉지 ( 觸知 ) 해보자맥 ( 脈 ) 이매우미약 ( 微弱 ) 하여거의감지 ( 感知 ) 가되지않았고, 요골동맥 ( 橈骨動脈 ) 의맥상 ( 脈狀 ) 은침긴 ( 沈緊 ) 하고, 인영맥 ( 人迎脈 ) 은부삭 ( 浮數 ) 했던환자에게오행침법 ( 五行鍼法 ) 에서대장보법증 ( 大腸補法證 ) 의대장보법 ( 大腸補法 ) 을적용하면서위보법 ( 胃補法 ) 에서임읍 ( 臨泣 ) 과함곡 ( 陷谷 ) 만을추가로사 ( 瀉 ) 해주고약 10여분후득기 ( 得氣 ) 를확인한다음충양혈 ( 衝陽穴 ) 을촉지 ( 觸知 ) 해보니곧바로맥 ( 脈 ) 이정상적으로뛰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또한인영맥 ( 人迎脈 ) 과요골동맥 ( 橈骨動脈 ), 그리고이곳에서보는부맥 ( 趺脈 ) 이평형 ( 平衡 ) 을이루는것이확인되었다. 장부 ( 臟腑 ) 와십이경맥 ( 十二經脈 ) 중에서중앙토 ( 中央土 ) 역할로유통 ( 流通 ) 과통기 ( 通氣 ) 를담당하는비경 ( 脾經 ) 과위경 ( 胃經 ) 이교차 ( 交差 ) 하는충양혈 ( 衝陽穴 ) 의맥상 ( 脈狀 ) 이매우미약 ( 微弱 ) 하면하초 ( 下焦 ) 로의통기 ( 通氣 ) 가저체 ( 沮滯 ) 되고있음을뜻하며, 반대로인영맥 ( 人迎脈 ) 은미약 ( 微弱 ) 하고충양혈 ( 衝陽穴 ) 의맥상 ( 脈狀 ) 은매우부삭 ( 浮數 ) 하여동계 ( 動悸 ) 에가까운맥상 ( 脈狀 ) 일때는하초 ( 下焦 ) 로기혈 ( 氣血 ) 이과하게몰려있거나또는사기 ( 邪氣 ) 가몰려있어상삼초 ( 上三焦 ) 로의통기 ( 通氣 ) 가저체 ( 沮滯 ) 되고있음을뜻하기때문에삼초 ( 三焦 ) 의균형맥 ( 均衡脈 ) 을보려면충양혈 ( 衝陽穴 ) 에서보는것이가장적당하다하겠다. 44
나 ) 복진 ( 腹診 ) 복진 ( 腹診 ) 은절진 ( 切診 ) 중의하나로서한방 ( 漢方 ) 의진찰법 ( 診察法 ) 중에서맥진 ( 脈診 ) 과같은비중 ( 比重 ) 으로매우중요하게여기고있는진단법 ( 診斷法 ) 이다. 외부 ( 外部 ) 에나타나는증상 ( 證狀 ) 으로내부장기 ( 內部臟器 ) 의병변 ( 病變 ) 을알아내기도하고내부장기 ( 內部臟器 ) 의병변 ( 病變 ) 의반응 ( 反應 ) 을외부 ( 外部 ) 에나타내기도한다. 복진 ( 腹診 ) 으로내부장기 ( 內部臟器 ) 의병변 ( 病變 ) 을알아내면외부 ( 外部 ) 에나타나는병변 ( 病變 ) 도알게되니맥진 ( 脈診 ) 과복진 ( 腹診 ) 은수족 ( 手足 ) 과같은역할 ( 役割 ) 을한다. 복진시 ( 腹診時 ) 환자의자세는반듯이누워두발을펴고두손을편한위치에놓고마음을안정 ( 安靜 ) 시켜서복진 ( 腹診 ) 을받도록해야한다. 마음이긴장 ( 緊張 ) 되면배에힘을주게되어흉협고만 ( 胸脇苦滿 ) 과복직근 ( 腹直筋 ) 의련급 ( 攣急 ) 으로오진 ( 誤診 ) 할염려가있다. 또심하부 ( 心下部 ) 의진수음 ( 振水音 ) 유무 ( 有無 ) 를진찰 ( 診察 ) 할때나유난히타인 ( 他人 ) 의촉지에긴장 ( 緊張 ) 등의예민 ( 銳敏 ) 한반응 ( 反應 ) 을보이는환자는두무릎을오그려복부근육 ( 腹部筋肉 ) 을이완 ( 弛緩 ) 시킨상태에서복진 ( 腹診 ) 을하는것이좋다. 서의 ( 西醫 ) 에서는장기 ( 臟器 ) 하나하나의형태 ( 形態 ) 와종양 ( 腫瘍 ) 의유무 ( 有無 ) 와형상 ( 形狀 ) 의경연 ( 硬軟 ) 을진단 ( 診斷 ) 하나한방 ( 漢方 ) 에서는환자의허실판단 ( 虛實判斷 ) 을중요시한다. 45
복증도 ( 腹證圖 ) 46
6 6 이상의복증도그림출처 : 藥師의韓方 47
(1) 복벽 ( 腹壁 ) 의후박 ( 厚薄 ) 환자 ( 患者 ) 의복피 ( 腹皮 ) 를보아복벽 ( 腹壁 ) 이엷은사람은피하지방 ( 皮下脂肪 ) 이적기때문에복피 ( 腹皮 ) 를근육 ( 筋肉 ) 과분리 ( 分離 ) 해서볼수있으며, 복부전체 ( 腹部全體 ) 가탄력 ( 彈力 ) 이적고여위어있는사람은허증 ( 虛證 ) 이므로원칙적으로하제 ( 下劑 ) 를쓸수없으나출산직후 ( 出産直後 ) 의부인 ( 婦人 ) 과다산부 ( 多産婦 ) 는이같은복증 ( 腹證 ) 이있더라도실증 ( 實證 ) 일수도있으므로맥 ( 脈 ) 과기타의증상 ( 證狀 ) 을참작 ( 參酌 ) 하여허실 ( 虛實 ) 을결정해야한다. 복피 ( 腹皮 ) 가두꺼우면복부전체 ( 腹部全體 ) 에탄력 ( 彈力 ) 이있고피하지방 ( 皮下脂肪 ) 도충분 ( 充分 ) 하며, 변비 ( 便秘 ) 나이급후중 ( 裏急後重 ) 이있으며복피 ( 腹皮 ) 를꼬집어볼수없는사람은실증 ( 實證 ) 이나이같은복증 ( 腹證 ) 에서도허증 ( 虛證 ) 이있기때문에맥 ( 脈 ) 과기타증상을참작 ( 參酌 ) 해서허실 ( 虛實 ) 을결정해야하며, 이와같은복증 ( 腹證 ) 의허증자 ( 虛證者 ) 는인삼탕 ( 人蔘湯 ), 진무탕 ( 眞武湯 ), 사역탕 ( 四逆湯 ), 대건중탕 ( 大建中湯 ) 등을쓰고, 실증자 ( 實證者 ) 는대시호탕 ( 大柴胡湯 ), 소승기탕 ( 小承氣湯 ), 시호가용골모려탕 ( 柴胡加龍骨牡蠣湯 ) 등을쓴다. (2) 복부 ( 腹部 ) 의팽만 ( 膨滿 ) 수족 ( 手足 ) 과복부 ( 腹部 ) 가여위었어도복부 ( 腹部 ) 가팽만 ( 膨滿 ) 한것은허증 ( 虛證 ) 이많기때문에복부 ( 腹部 ) 의탄력성 ( 彈力性 ) 과복수 ( 腹水. 위내정수 ) 의유무 ( 有無 ) 를알아볼필요가있다. 복부 ( 腹部 ) 가팽만 ( 膨滿 ) 해도복벽 ( 腹壁 ) 이엷고탄력 ( 彈力 ) 이없이복막염 ( 腹膜炎 ) 처럼단단한것은허증 ( 虛證 ) 이며복수 ( 腹水. 위내정수 ) 가있어도허증 ( 虛證 ) 이다. 맥이침약또는미약을나타내는자가많은데대건중탕 ( 大建中湯 ) 을쓰면수 ( 水 ) 와가스 (gas) 가정체 ( 停滯 ) 되어팽만 ( 膨滿 ) 해있는증 ( 證 ) 을다스릴수있다. 전신적 ( 全身的 ) 으로근육 ( 筋肉 ) 의발육 ( 發育 ) 이좋고복부 ( 腹部 ) 가팽만 ( 膨滿 ) 해있어도복부 ( 腹部 ) 에탄력 ( 彈力 ) 이없고맥 ( 脈 ) 이약 ( 弱 ) 하며변비 ( 便秘 ) 의경향이없으면대황 ( 大黃 ) 이들어있는하제 ( 下劑 ) 는쓰지않는것이좋다. 이런환자가복부 ( 腹部 ) 에탄력 ( 彈力 ) 이있고맥 ( 脈 ) 이실 ( 實 ) 하며변비 ( 便秘 ) 경향이있으면대황 ( 大黃 ) 이들어있는하제 ( 下劑 ) 을쓰는것이좋으며조위승기탕 ( 調胃承氣湯 ), 소승기탕 ( 小承氣湯 ) 등을쓴다. (3) 흉협고만 ( 胸脇苦滿 ) 흉협고만 ( 胸脇苦滿 ) 은한방 ( 漢方 ) 의복진 ( 腹診 ) 중에서가장중요한증후 ( 證候 ) 이다. 흉협고만 ( 胸脇苦滿 ) 이있을때심하부 ( 心下部 ) 부터계늑부 ( 季肋部 ) 까지환자자신이충만감 ( 充滿感 ) 을느끼고타각적 ( 他覺的 ) 으로그부위 ( 部位 ) 에팽만 ( 膨滿 ) 과저항감 ( 抵抗感 ) 을증명 ( 證明 ) 할수가있다. 이팽만 ( 膨滿 ) 과저항감 ( 抵抗感 ) 에는흉협고만 ( 胸脇苦滿 ) 의정도 ( 程度 ) 에따라강약 ( 强弱 ) 이있고심할때는이부위 ( 部位 ) 를경 ( 輕 ) 하게지두 ( 指頭 ) 로눌러도동통 ( 疼痛 ) 하고숨이답답함을호소하게된다. 흉협고만 ( 胸脇苦滿 ) 은좌우계늑부 ( 左右季勒部 ) 에함께나타나는수도있고, 우측 ( 右側 ) 에만나타나거나좌측 ( 左側 ) 에만나타나는수도있고, 우측 ( 右側 ) 이강 ( 强 ) 하고좌측 ( 左側 ) 이약 ( 弱 ) 할 48
때도있으나비교적좌측 ( 左側 ) 으로더강 ( 强 ) 하게나타나는경향 ( 傾向 ) 이짙다. 해부학 ( 解剖學 ) 으로볼때간 ( 肝 ) 은우측 ( 右側 ) 에있지만간적 ( 肝積 ), 즉간 ( 肝 ) 에사기 ( 邪氣 ) 가실 ( 實 ) 하면주로간 ( 肝 ) 의반대편인좌측 ( 左側 ) 으로흉협고만 ( 胸脇苦滿 ) 의징후 ( 徵候 ) 가강 ( 强 ) 하게나타나는경향이많고, 우측 ( 右側 ) 에강 ( 强 ) 하게나타나는경우에는폐적 ( 肺積 ) 일수가있으므로우측 ( 右側 ) 에만이같은복증 ( 腹證 ) 이나타날때는기타의증후 ( 證候 ) 를잘살펴흉협고만 ( 胸脇苦滿 ) 과폐적 ( 肺積 ) 유무를가릴필요가있다. 흉협고만 ( 胸脇苦滿 ) 의징후 ( 徵候 ) 가있으면그병 ( 病 ) 이무엇이든지간에대시호탕 ( 大柴胡湯 ), 소시호탕 ( 小柴胡湯 ), 시호가용골모려탕 ( 柴胡加龍骨牡蠣湯 ), 사역산 ( 四逆散 ), 시호계지탕 ( 柴胡桂枝湯 ), 시호계지건강탕 ( 柴胡桂枝乾薑湯 ) 등의시호제 ( 柴胡劑 ) 가들어간처방 ( 處方 ) 을쓰게되어있다. 흉협고만 ( 胸脇苦滿 ) 이강 ( 强 ) 하고체격 ( 體格 ) 이실 ( 實 ) 하고변비 ( 便秘 ) 가있으면대시호탕 ( 大柴胡湯 ) 을쓰고, 흉협고만 ( 胸脇苦滿 ) 의정도 ( 程度 ) 가대시호탕증 ( 大柴胡湯證 ) 보다경 ( 輕 ) 하고체격 ( 體格. 體力 ) 이좋지않고변비 ( 便秘 ) 가없을때는소시호탕 ( 小柴胡湯 ) 을쓴다. 소시호탕 ( 小柴胡湯 ) 을쓸증상 ( 證狀 ) 에복직근 ( 腹直筋 ) 이봉상 ( 棒狀 ) 같이피하 ( 皮下 ) 에서만져지면시호계지탕 ( 柴胡桂枝湯 ) 을쓰고, 대시호탕 ( 大柴胡湯 ) 을쓸복증 ( 腹證 ) 일때제상 ( 臍上 ) 에동계항진 ( 動悸亢進 ) 이있을때는시호가용골모려탕 ( 柴胡加龍骨牡蠣湯 ) 을쓴다. 대시호탕 ( 大柴胡湯 ) 과소시호탕 ( 小柴胡湯 ) 의이행형 ( 移行形 ) 에는사역산 ( 四逆散 ) 을쓰고, 흉협고만 ( 胸脇苦滿 ) 의정도 ( 程度 ) 가경미 ( 輕微 ) 하고체력 ( 體力 ) 도약 ( 弱 ) 하며여위고빈혈 ( 貧血 ) 로동계식절 ( 動悸息切 ) 이있고제상 ( 臍上 ) 에서심하 ( 心下 ) 까지동계 ( 動悸 ) 가있으면시호계지건강탕 ( 柴胡桂枝乾薑湯 ) 을쓴다. (4) 심하비경 ( 心下痞硬 ) 심하부 ( 心下部 ) 즉검상돌기 ( 劍狀突起 ) 부위가포만 ( 飽滿 ), 즉심하 ( 心下 ) 가꽉차는답답함을느끼고단단한것을심하비경 ( 心下痞硬 ) 이라한다. 포만 ( 飽滿 ) 한것은환자의자각증상 ( 自覺症狀 ) 으로그부위 ( 部位 ) 에저항감 ( 抵抗感 ) 이있으면심하비경 ( 心下痞硬 ) 인데, 자칫흉협고만 ( 胸脇苦滿 ) 으로잘못오인 ( 誤認 ) 할수있는복증 ( 腹證 ) 이므로흉협고만 ( 胸脇苦滿 ) 과심하비경 ( 心下痞硬 ) 을잘판단하지않으면안된다. 흉협고만 ( 胸脇苦滿 ) 과심하비경 ( 心下痞硬 ) 의차이는흉협고만 ( 胸脇苦滿 ) 은심하부 ( 心下部 ), 즉검상돌기 ( 劍狀突起 ) 에서계늑 ( 季勒 ) 양옆으로나타나는경향 ( 傾向 ) 이있으며지두 ( 指頭 ) 로눌러보았을때환자가답답함또는동통 ( 疼痛 ) 을호소 ( 呼訴 ) 하지만, 심하비경 ( 心下痞硬 ) 은눌렀을때답답함과동통 ( 疼痛 ) 을호소하여도마치지압 ( 地壓 ) 을하듯누르면서비벼주면트림을하거나오히려누르는부위의답답함이가시면서시원한느낌을갖게되니이것으로심하비경 ( 心下痞硬 ) 과흉협고만 ( 胸脇苦滿 ) 을구별할수있다. 심하비경 ( 心下痞硬 ) 의증후 ( 證候 ) 에는반하사심탕 ( 半夏瀉心湯 ), 삼황사심탕 ( 三黃瀉心湯 ), 감초사심탕 ( 甘草瀉心湯 ), 생강사심탕 ( 生薑瀉心湯 ), 황련탕 ( 黃蓮湯 ) 등을쓸수있다. 심하비경 ( 心下痞硬 ) 에더하여복근 ( 腹筋 ) 에봉상 ( 棒狀 ) 과같이단단하고천명 ( 喘鳴 ), 호흡촉박 ( 呼吸促迫 ), 동계 ( 動悸 ), 부종 ( 浮腫 ) 등이있으면목방기탕 ( 木防己湯 ) 을쓴다. 49
(5) 복직근 ( 腹直筋 ) 의긴장 ( 緊張 ) ( 복피구급 ( 腹皮拘急 )) 복피구급 ( 腹皮拘急 ) 이란현대적으로말하면복직근 ( 腹直筋 ) 의긴장 ( 緊張 ) 인데좌우 ( 左右 ) 의복직근 ( 腹直筋 ) 을만져보면피하 ( 皮下 ) 에서마치막대기가세로로길게걸쳐있는것같은봉상 ( 棒狀 ) 같은것이만져진다. 맥 ( 脈 ) 이약 ( 弱 ) 하고제상 ( 臍上 ) 에서동계 ( 動悸 ) 가있는것은허증 ( 虛證 ) 으로소건중탕 ( 小建中湯 ), 황기건중탕 ( 黃芪建中湯 ), 귀기건중탕 ( 歸芪建中湯 ), 작약감초탕 ( 芍約甘草湯 ), 당귀사역탕 ( 當歸四逆湯 ) 등을쓴다. 또제 ( 濟 ) 를중심으로팽만 ( 膨滿 ) 하고세로로길게복직근 ( 腹直筋 ) 이만져지는것은계지가작약탕 ( 桂枝加芍藥湯 ), 계지가작약대황탕 ( 桂枝加芍約大黃湯 ) 을쓰는데, 변비 ( 便秘 ) 의정도에따라대황 ( 大黃 ) 을가감 ( 加減 ) 하고, 계늑하 ( 季勒下 ) 가긴장 ( 緊張 ) 된것이있고하복부 ( 下腹部 ) 에서만복직근 ( 腹直筋 ) 이단단하게만져지는것도있다. 한방 ( 漢方 ) 에서소복구급 ( 小腹拘急 ) 이란것은복직근 ( 腹直筋 ) 이하복 ( 下腹 ) 에서긴장 ( 緊張 ) 된것을말하며계지가용골모려탕 ( 桂枝加龍骨牡蠣湯 ) 을쓴다. (6) 소복급결 ( 小腹急結 ) ( 어혈 ( 瘀血 ) 의복증 ( 腹證 )) 소복 ( 小腹 ) 이란하복부 ( 下腹部 ) 를말하며소복급결 ( 小腹急結 ) 은좌장골와 ( 左腸骨窩 ) 의부위 ( 部位 ) 에따라나타나는수가많다. 소복급결 ( 小腹急結 ) 은도핵승기탕 ( 桃核承氣湯 ) 의복증 ( 腹證 ) 으로어혈 ( 瘀血 ) 의복증 ( 腹證 ) 이다. 복증 ( 腹證 ) 은좌측골와 ( 左側骨窩 ) 에나타나고찰과성 ( 擦過性 ) 의안찰 ( 按擦 ), 즉지두 ( 指頭 ) 를모아문지르듯만져보면급박적 ( 急迫的 ) 인통감 ( 痛感 ) 을느끼며연필심같은, 또는새알같은것이만져진다. 복증 ( 腹證 ) 을진찰 ( 診察 ) 할때양쪽다리를펴게하고의사 ( 醫師 ) 의이지삼지 ( 二指三指 ) 의지두 ( 指頭 ) 로복벽 ( 腹壁 ) 에경 ( 輕 ) 하게대고신속히문지르는것같이제방 ( 臍方 ) 에서부터비스듬히좌장골결절 ( 左腸骨結節 ) 을향해이동시킨다. 이때소복급결 ( 小腹急結 ) 이있으면환자가무릎을구부리고동통 ( 疼痛 ) 을호소하는데이복증 ( 腹證 ) 은여자에게서많다. 체력 ( 體力 ) 이실 ( 實 ) 하고변비 ( 便秘 ) 의경향 ( 傾向 ) 이있으면도핵승기탕 ( 桃核承氣湯 ) 을쓰고, 상대적으로체력 ( 體力 ) 이약 ( 弱 ) 하고변비 ( 便秘 ) 의경향 ( 傾向 ) 이없으면계지복령환 ( 桂枝茯苓丸 ) 을쓴다. (7) 소복경만 ( 小腹硬滿 ) ( 어혈 ( 瘀血 ) 의복증 ( 腹證 )) 소복경만 ( 小腹硬滿 ) 은하복부 ( 下腹部 ) 에저항물 ( 抵抗物 ) 이만져지고팽만감 ( 膨滿感 ) 이있는것을말하며어혈 ( 瘀血 ) 이있을때잘보인다. 임신 ( 姙娠 ) 때숙변 ( 宿便 ) 이있으면견괴물 ( 堅塊物 ) 이만져지는것도있으므로맥 ( 脈 ) 과기타증후 ( 證候 ) 를참작 ( 參酌 ) 해서어혈 ( 瘀血 ) 의증상 ( 證狀 ) 여부를결정해야하며, 어혈 ( 瘀血 ) 의증상 ( 證狀 ) 으로는계지복령환 ( 桂枝茯苓丸 ) 또는대황목단피탕 ( 大黃牧丹皮湯 ) 의증상을나타낸다. 도핵승기탕 ( 桃核承氣湯 ), 대황목단피탕 ( 大黃牧丹皮湯 ) 은어혈에더하여변비 ( 便秘 ) 의경향 ( 傾向 ) 이있을때쓰며, 계지복령환 ( 桂枝茯苓丸 ) 은변비 ( 便秘 ) 의경향 ( 傾向 ) 이없을때쓴다.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