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꿈과미래를열어가는신산업기술 OLED 용단분자발광재료의연구동향 전찬우, 윤희준, 김윤희 * ㅣ경상대학교화학과및기초과학연구소, ykim@gnu.ac.kr Ⅰ. 서론새로운평판디스플레이중하나인유기전기발광소자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는자체발광형이기때문에 LCD 에비해시야각, 대조비등이우수하며공정의단순화가가능하여경량박형이가능하며, back light 가필요하지않기때문에소비전력측면에서도유리하여 LCD 다음세대의유비쿼터스용꿈의디스플레이라고정의되고있다. OLED 는유기물 ( 저분자, 올리고머또는고분자 ) 박막에음극과양극을통하여주입된전자와정공이재결합하여여기자를형성하고형성된여기자로부터의에너지에의해특정한파장의빛이발생되는현상을말한다. 1963 년포프등이안트라센단결정을이용하여발광소자를제작하였는데이것이고체상태의유기재료를이용한최초의유기발광소자였다. 그후 1987 년에이스트먼코닥사의탱등이발광층과전하수송층으로각각 Alq 3 와 TPD 라는이중층단분자유기물박막을형성하여구동전압및휘도등의특성이실용 화수준에이르는결과를발표하였다. 1990 년도후반부터는디스플레이로의연구가일본에서부터활발히진행되면서수동형구동의 OLED 가일본의파이오니어, 한국의삼성 SDI, LG전자, 대만의 RiT 디스플레이등에의해서상업화되었다. 2009 년처음으로삼성에서능동형유기전기발광소자 (Active Mod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를채용한아몰레드햅틱휴대폰이상용화되기시작하여스마트폰에아몰레드를채용한갤럭시시리즈의급속한발전을토대로 2013 년은삼성및 LG 의아몰레드 TV의판매가시작되는아몰레드패널의본격적인대형화가시작되는해이며 OLED 조명및 flexible OLED 구현을위한연구가보다집중적으로시작될것으로보인다. 2002 년외부창용 PMOLED 의상업화를시작으로 2009 년소형아몰레드상업화, 2013 년대형아몰레드시장으로진입이라는눈부신발전배경에는 OLED 재료의발전이큰몫을차지하고있다. LG cell phone (2Q, 2002) SAMSUNG 256 color (3Q, 2002) 그림 1. 외부창용 PMOLED 상용화제품 56 화학세계 2013. 06
OLED 용단분자발광재료의연구동향 그림 3. AMOLED 시장 그림 2. AMOLED 를채용한상용화제품본원고에서는 OLED 재료의특성및응용, 연구개발동향등에관해다루고자한다. Ⅱ. 본론 1. 단분자 OLED 재료 1.1. OLED 단분자재료의분류와기본특성 OLED 에사용되는단분자재료는 OLED 의구조또는제조공정을살펴보면쉽게파악할수있다 [ 그림 4]. OLED 는투명기판위에형성된양극위에정공주입층, 정공전달층, 발광층, 정공속박층, 전자전달층, 전자주입층, 음극을순차적으로형성하여만든샌드위치구조로되어있다. 따라서 OLED 단분자재료는그기능에따라정공주입및전달재료, 정공속박재료또는전자전달재료, 발광재료로나뉠수있으며발광재료는발광기구에따라단일항여기상태에서유래되는형광재료와삼중항여기자에서유래되는인광재료그리고삼중항경유로형광이일어나도록하는지연형광법인 TADF 법으로나뉠수있으며발광색에따라청색 녹색 적색발광재료와보다나은천연색구현을위해필요한 노란색및주황색발광재료로구분할수있다. 이러한유기반도체발광재료의밴드갭에의하여빨강, 초록, 파랑의색상과색순도가정해지는데밴드갭은일반적으로 2.0 ev에서 4.0 ev의밴드갭을갖고있는재료를뜻한다. 이때 2.75 ev 주변은빛의파장으로 450 nm에해당되며청색을뜻하고 2.4 ev 주변은 510 nm의빛의파장으로녹색을뜻하며 2.0 ev 주변은 620 nm의빛의파장으로적색을뜻한다. 또한여기에사용되는유기반도체재료들은일반단분자인경우주로진공증착법에의하여성막을하게되고유기화합물이나유기금속화합물을사용하게된다. 유기 EL 발광메커니즘은유기 EL 소자에전기를가했을때음극에서는전자가, 양극에서는정공이주입되어유기물층에서재결합하는경로를통하여발광한다. 유기물층에서는정공이잘전달될수있도록정공주입및정공수송층을양극쪽에형성하고음극쪽에서는전자주입및전자수송층을형성하여전자를주입한다. 그림 4. 유기전기발광소자의일반적인구조및에너지띠와발광과정 2013. 06 화학세계 57
기획 꿈과미래를열어가는신산업기술 전자와정공이발광층에서만나면재결합을통하여여기자를형성하며여기자가기저상태로전이하면서발광을한다. 지난호에서정공주입및정공수송층, 전자주입및전자수송층재료에관한논의가진행되어본원고에서는주로발광재료에관해서다루고자한다. OLED 에사용되는모든재료들의바람직한특성은순도가높아야하며가능하면진공증착이가능하도록적당한분자량을가져야한다. 또한유리전이온도와열분해온도에서높은열안정성을나타내야하며소자작동시발생하는 Joule 열로야기되는결정화에의한소자의파괴를방지하기위해무정형이어야하며또한인접한다른층과의접착력은좋은반면다른층으로이동하지않아야한다. Alq 3 를호스트로사용하는 C-545T (10-(2-benzothia- zolyl)-1,1,7,7-tetramethyl-2,3,6,7-tetrahydro- 1H,5H,11H-[l]benzo-pyrano[6,7,8-ij]quinolizin-11-on e) 와그유도체들과 Quinacridone 유도체들이알려져있으며최근카바졸유도체들도많이보고되고있다. 녹색발광재료로는그림과같은물질들이알려져있다. 1-4 최근까지녹색형광물질이상용화재료로사용되었지만 2013 년출시된갤럭시 S4에는형광그린대신인광재료가사용된다고알려져있다. 1.2 발광재료발광재료는크게그빛을내는원리에따라형광발광재료와인광발광재료그리고최근아다치그룹을중심으로연구되고있는지연형광 (TADF) 로구분되며다시색깔별로구분이될수있다. 일반적으로발광재료는빛의삼원색인적색 녹색 청색만있으면우리가원하는거의모든색을발현할수있으나빛을혼합하는경우흰색에가까워져색도가떨어지는경우가있으므로완벽한풀컬러구현을위해서는노란색과주황색을구비하는것이좋다. 또한발광재료로한물질만을적용하는경우색순도와발광효율이떨어지는단점이있으므로호스트의발광스펙트럼과도펀트의흡수스펙트럼이일치하는호스트 / 도펀트계를이용하여도펀트단독으로사용하였을때보다색순도와발광효율을증가시키는경우로호스트재료와도펀트재료가있다. 1.3 형광발광재료 1.3.1 녹색발광재료현재에는 OLED 재료가상용화되었지만초창기 OLED 상용화가불투명하던시기에실용화가능성을가장먼저보였던재료가녹색발광재료인 Alq 3 다. Alq 3 는 1987 년코닥에서발표한재료로발광특성은최대효율은 15 cd/ m2이상이며이들유도체중 4-위치에메틸이치환된 Alq 3 (4-MAlq 3 ) 가가장발광효율이높은것으로알려져있다. 이외에도 그림 5. 녹색발광단분자재료 1.3.2 적색발광재료적색발광재료는본질적으로낮은발광효율 ( 예 : 형광양자효율이 100 % 라할지라도 620 nm, 5 V에서효율이 5 lm/w 밖에되지않음 ), 고농도시확장된파이전자를통한분자간상호작용에의한발광감쇄효과, 넓은발광대역으로인한색순도의저하등의단점을갖고있다. 그러나이러한문제점들도 rigid 구조의신규재료개발, 호스트 / 도펀트계를적용한효율적에너지전이및희박효과를통하여이들문제점들을개선한것이발표되기도하였다. 적색발광재료의경우미국의코닥과일본의미쓰비시, 소니등일본회사를중심으로개발이보고되었으며가장널리알려진형광재료로는것으로코닥사의 DCJTB 도펀트가있으며 DCJTB 와함께황색발광물질인 Rubrene, 청색발광물질인 NPD 를 co- 도펀트로쓸경우더향상된발광효율을가진다는것이보고되었다. 그외에알려진적색발광물질들을살펴보면 3-(di- cyanomethylene)-5,5-dimethyl-1-[(4-dimethy- 58 화학세계 2013. 06
OLED 용단분자발광재료의연구동향 lamino)styryl]cyclohexene (DCDDC), 6-methyl-3-{3- (1,1,6,6-tetramethyl-10-oxo-2,3,5,6-tetrahydro- 1H,4H,10H-11-oxa-3a-azabenzo[de]anthracene-9- yl)acryloyl}pyran-2,4-dione (AAAP), 6,13-diphenyl pentacene (DPP) 와 3-(N-Phenyl-N-p-tolylamino)- 9-(N-p-styrylphenyl-N-p-tolylamino)perylene [(PPA)(PSA)Pe-1] 등이있다 [ 그림 6]. Sony 사에서보고한 1,1 -dicyano-substituted bis-strylnaphthalene (BSN) 유도체들은좋은박막특성과높은열안정성을보였으며 non-doping 소자제작시에도높은발광효율과좋은색좌표를가지는것으로알려져있으며 thieno-[3,4-b]- pyrazine 유도체와 benzo[a]aceanthrylene 유도체가효율및색순도에서우수한발광효율을보이는것으로보고되어그림 6. 적색발광단분자재료 5-9) 있다. 우리나라의 LG Elite 에서개발한적색발광재료는구조는발표되지않았으나색순도, 수명특성면에서지금까지의재료보다훨씬우수한것으로알려져있다. 현재까지가장많이사용되고있는적색발광재료는코닥의 DCJTB 이나아직까지 650 nm에이르지못하는최대발광파장, 넓은발광영역으로인한낮은색순도, 낮은발광효율등의단점이있다. 이러한단점을개선하기위해서는파이전자의공액구조는그대로유지하면서분자간상호작용이최소화되는재료의개발이필요하다. 많은연구에도불구하고현재실용화재료로는적색형광재료가아닌인광재료가사용되고있는것으로알려져있다. 1.3.3 청색발광재료청색형광재료를연구하는기업체의경우에는국내에서는삼성 SDI, LG 전자, Dow 케미컬, 등이있으며, 일본의이데미쓰고산과 Toyo Ink, 미국의 UDC, 코닥등이 OLED 원천기술을대부분보유하고있다. 청색발광재료로서는아래와같은구조의화합물들과유기금속화합물들이알려져있으나가장효율이좋다고알려진재료가이데미쓰고산의디스트릴 (distryl) 화합물이다. 알려진구조로는 DPVBi 가있으나 Modified-DPVBi 계화합물이발광특성이더좋은것으로알려져있으며높은 PL 효율을갖는플루오렌유도체, 피레네유도체, 안트라센유도체와 spirobifluorene 유도체들이알려져있다. 현재까지알려진청색형광물질은분자간의상호작용으로인하여형성되는엑시톤의형성을억제하고, 보다높은색순도와효율을갖는재료의특성을갖는것을목표로한다. [ 그림 7] 에소개된바와같이무정형청색발광재료로정공전달재료에서소개된 2,5-bis{4-[bis-(9,9-dimethyl- 2-fluorenyl)amino]phenyl}thiophene(BFA-IT), spirooligo(p-phenylene), 9,10-bis[(2,7 -t-butyl)-9,9 - spirobifluorenyl]anthracene (TBSA), terfluorene, triphenylsilyl 이치환된 PhTPAOXD 등이있으며, 특히 TBSA 재료같은경우기존의재료에비해가장좋은색순도를보였다. 그외에현재까지개발된유기청색발광재료로는아래구조와같은화합물들이있는데특히바이아릴화합물인 2013. 06 화학세계 59
기획 꿈과미래를열어가는신산업기술 BTP 의경우 TPD 를정공전달물질로 TPBI 를전자전달층으로사용한디바이스에서최대발광효율이 5.5 V에서 4.0 cd/a 로측정되었고색좌표가 (0.14, 0.11) 인것으로보고되었다. 또한피레네유도체의경우양자효율 5.2 %, 색좌표 (0.15, 0.11) 이보고되었으며최근자일렌치환기를도입한안트라센유도체를이용하여 non-doping 에서 5.26% 발광 효율과색순도 (0.15, 0.058) 을보고하였으며비대칭구조의자일렌의도입으로가장심청색인 (0.15, 0.49) 를가지면서 EQE 또한높은 4.62% 가보고되었다. 이러한심청색고효율유기형광재료의안정성만개선된다면대면적디스플레이의실용화에크게기여할것으로보이며이부분의연구개발이시급한부분이다. 그림 7. 청색발광재료 10-17) 60 화학세계 2013. 06
OLED 용단분자발광재료의연구동향 그림 8. 유기금속청색발광재료들 한편유기금속화합물계청색발광물질도일본과우리나라기업을중심으로많이발표되고있다 [ 그림 8]. 18) 그러나이들은화학적안정성의결여, 정제의어려움, 낮은색순도특히고휘도시넓은발광파장대로인한백색화등의단점을가지고있다. 1.3.4 황색및주황색발광재료황색및주황색발광재료로는많은유기및유기금속화합물이개발되었으며그대표적인황색발광재료는미쓰비시화학의루브렌이며주황색발광재료는 BTX 다 [ 그림 9]. 1.3.5 호스트 / 도펀트간에너지전이를사용한발광재료 전이를통하여발광효율을증가시키기위한것인데, 먼저정공과전자가호스트를여기시키고여기에서발광되는에너지를도펀트가흡수한뒤, 다시빛을방출하는과정으로진행된다. 이상적인호스트 / 도펀트계는호스트의발광스펙트럼과도펀트의흡수스펙트럼이일치하여호스트에서도펀트로에너지전이가잘일어나는시스템이나일반적인경우약 1/3 이상의겹침만있어도에너지전이가잘일어나는것으로알려져있다. 특히적색유기 EL의경우앞에서일부소개된바와같이 그림 9. 황색과오렌지발광재료발광물질로하나의물질만을사용하는경우분자간상호작용에의해최대발광파장이장파장으로이동하고장파장에서의둔덕피크가생겨나색순도가떨어지거나분자간상호작용에의한발광감쇄효과로효율이떨어지게되므로색순도의증가와에너지전이를통한발광효율을증가시키기위해호스트 / 도펀트계를많이사용한다. 호스트 / 도펀트시스템이란호스트내에분포되어있는발광물질과도펀트간의상호작용을최소화함으로소광현상등의에너지소실과정을최대한줄이고또한호스트에서도펀트로의에너지 그림 10. 이상적인 host-dopant 계호스트 / 도펀트계가많이사용되고있으며최근에는적색뿐아니라청색, 녹색, 주황색유기 EL에서도호스트 / 도펀트계를많이사용하고있으며순청색의경우도최근호스트물질이개발되고있다. 대표적인청색호스트물질이그림에나와있다. 1.4 인광발광재료화합물내에서전자의여기상태는단일항상태와삼중항상태가있다. 단일항상태의확률은 4분의 1이며삼중항상태의확률은 4분의 3이다. 단일항상태에서기저상태로떨 2013. 06 화학세계 61
기획 꿈과미래를열어가는신산업기술 의경우 Ir계의재료들이사용되고있다. Ir 계화합물은기본적으로페닐피리딘리간드로구성된화합물들로공액의길이변화, 전자공여기, 혹은전자당김기의도입에의해색을조절할수있다. 기본적인페닐피리딘의구조는녹색발광을하는것으로일반적으로공액의길이를길게할경우적색으로전자공여기를피리딘에, 전자 그림 11. 청색호스트재료 어지는것이형광이며삼중항상태에서기저상태로떨어지는것이인광이다. 그러므로형광을이용한발광재료의내부양자효율의한계치는 25% 이고인광을이용한발광소자의내부양자효율한계치는 75% 이다. 또한여기된삼중항상태에서여기된단일항상태로에너지전이가일어나는체계에서는내부양자효율의이론적한계치가 100% 에달한다 ( 최근형광을이용한소자의경우에도내부발광효율이 25% 를초과하는경우가보고되고있는데이경우분자가큰단면적을가져일반적인형광의경우비발광감쇄를일으키는삼중항여기상태가발광감쇄를일으킨다고설명하고있다 ). 이러한점을이용해발광효율을개선한발광재료가인광발광재료이다. 인광재료로는단일항또는삼중항여기상태에서삼중항여기상태로의계간전이또는에너지전이가잘일어나는원자번호가큰전이금속이중심원자로있는유기금속화합물이바람직하다. 현재까지알려진재료로는이리듐 (Ir), 백금 (Pt), 유로피움 (Eu), 터비움 (Tb) 계화합물등이있다 [ 그림12]. 19-22) 그러나 PT, Eu, Tb은발광효율이높지않아거의사용되고있지않으며대부분이 Ir계화합물들이주로사용되고있다. 현재상용화되고있는녹색발광재료, 적색발광재료 그림 12. 유기금속화합물을이용한인광발광재료당김기를페닐에도입하는경우청색으로색을조절할수있다. 또한보조리간드의조절에의해서도색과효율변화를시킬수있으나일반적으로보조리간드가도입된 Ir 화합물의경우동종리간드성화합물에비해안정성이낮은것으로알려져있다. 그림 13. Ir 화합물을이용한인광발광재료 62 화학세계 2013. 06
OLED 용단분자발광재료의연구동향 1.4.1 녹색인광발광재료페닐피리딘을기본골격으로하는 Ir(PPy)3 의경우녹색발광재료로알려져있으며고효율장수명의녹색인광재료가많이보고되었다. 최근녹색인광재료의개발동향은높은색순도를가지는재료를개발하는것이다. 1.4.2 적색인광발광재료인광재료중에서가장먼저상용화된재료는적색재료로공액길이를확장하여적색발광재료를개발한다. 따라 서주로사용되는재료는퀴놀린, 이소퀴놀린등의재료들이사용되고있다. 하지만이재료들은높은분자량으로인해재료의승화효율이낮은단점을가지고있어열적으로는불안정하지만보조리간드를도입한재료들이사용되고있다. 1.4.3 청색인광발광재료현재녹색및적색인광발광재료는실용화되고있지만, 청색인광발광재료의성능은아직실용화에많은문제가있다고알려졌다. 톰슨그룹과 UDC 가공동으로개발한 FIrpic 그림 14. 녹색인광발광재료 그림 15. 적색인광발광재료 2013. 06 화학세계 63
기획 꿈과미래를열어가는신산업기술 은기본적인청색인광재료로알려져있지만청색으로보기에는색순도면에서문제가있다. 페닐피리딘배위자에서페닐기에불소와같은전자당김체를도입할수록, 피리딜기에아민또는알킬, 알콕시와같은전자공여체를도입할수록발광색이 blue shift 를일으켜색순도가개선된청색이발광된다고알려져있다. 최근또한, 톰슨그룹이발표한청색발광물질인 bis((3,5-difl uoro-4-cyanophenyl) pyridine) iridium picolinate (FCNIrpic) 의경우 9-(3-(9 H- carbazole-9-yl)phenyl)-3-(dibromophenylphosphoryl)-9 H-carbazole (mcppo1) 을호스트로사용하고 diphenyl phosphine oxide-4-(triphenylsilyl)phenyl (TS PO1) 을엑시톤방지층으로사용했을때, Firpic 보다발광효율과색순도가더개선된것으로보고하고있다. 이외에도 [ 그림 16] 와같이페닐피리딘배위자의페닐기에 5번자리에 -F, -CF3, -CN, -S=O, -P=O 와같이강한전 자당김체를치환하여페닐고리의전자밀도를감소시켜, 더큰 HOMO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에너지레벨을가져 HOMO-LUMO 의에너지밴드갭이증가되고, 색좌표 y값이 0.20 이하로색순도가개선된청색인광발광재료가개발되어있다. 23-33) 1.4.4 청색인광호스트재료인광재료는긴들뜸항에서의수명과삼중항 -삼중항소멸현상에의해효율이감소되는약점을가지고있었지만, 최근에호스트물질을이용하여도핑하여사용함으로써그약점을보완하고있다. 그러므로좋은호스트물질의개발은 PhOLED 에있어서가장중요한이슈로떠오르고있고지금도활발하게연구가진행중이다. 호스트물질의단일항과삼중항의에너지레벨은도펀트물질보다높아야하는데그이유는호스트로의역전하이동 그림 16. 그외의청색인광발광재료 64 화학세계 2013. 06
OLED 용단분자발광재료의연구동향 를막기위해서이다. 여기서역 (reverse) 라는말이붙은것은삼중항에있던엑시톤이다시호스트로전이되는현상이발생할수있기때문이다. 그동안 PhOLED 가좀처럼활발하게연구되지않았는데그이유는호스트의 E T 가항상블루이미터의 E T 보다커야만했기때문에물질을디자인함에있어제한적이었기때문이었다. 하지만높은 E T 와넓은 E g, 높은전하이동도는유기물분자들이일반적으로가지는딜레마였다. 이상적인호스트물질이되기위해서는다음의세가지조건을따라야한다. 그림 17. 청색인광 Host 물질 35-38) 높은열적안정성과디바이스에서의안정성 디바이스에서의높은전하이동도유지 높은단일항및삼중항의에너지준위현재많은종류의호스트물질이개발되고있으나, 카르바졸유도체로된호스트물질이블루인광호스트로서가장뛰어난성능을보이고있다. 34) 1.5. 지연형광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tadf) 고효율의아몰레드를상용화하기위해서는효율측면의문제를해결해야하며특히청색과녹색발광재료의효율향상이필요하다. 그러나청색발광재료의경우형광재료를사용하게되면구조적인문제로인해 5% 를넘기힘든실정이며인광재료의사용을통해효율향상을기대할수밖에없었다. 그럼에도인광재료의개발이어려운이유는높은효율을가짐에도불구하고인광을구현하기위해필요한금속착화합물 (Ir, Pt 등 ) 의비용이너무비싸고수명이매우짧아상용화에문제가되기때문이다. 그러나최근 Nature (2012, 492, 234) 및 JACS (2012, 134, 14706) 에발표된논문에서 TADF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의개념을도입하여형광재료이면서도외부양자효율이높은고효율녹색형광재료를발표하여이슈가되고있다. TADF 개념은여기삼중항상태로부터여기단일항상태로의역에너지이동을열활성화에의해서생기게하여형광발광에이르는현상을나타낸다. 삼중항경유로발광이생기기때문에일반적으로수명이긴발광이생기는점에서지연형광으로부른다. 전자를공여하기쉬운성질 (donor) 과전자를받기쉬운성질 (acceptor) 을가지고있는분자구조를조합하여단일항과삼중항의여기상태의에너지차이를작게하는분자설계를통해고효율인 TADF 개념에적합한재료의개발이가능하다. TADF 의장점은형광발광과인광발광을모두사용할수있다는점이며이를통해기존의형광재료가가지는외부양자효율의문제점을해결할수있다는점에서형광과인광을이은제 3세대재료로많은관심을받고있다. TADF 개념을도입한재료는유기화합물의분자설계의자유도를살리면서도비교적단순한분자구조에서여기전자 2013. 06 화학세계 65
기획 꿈과미래를열어가는신산업기술 상태를제어할수있다는것을밝혔다. 이에따라서유기발광재료에서구조디자인설계의폭이넓어지면서, 앞으로더욱새로운유기발광재료를창출할수있을것으로전망하였다. 따라서유기발광소자의실용화와, 고효율 RGB 발광재료의마련, 고내구성의소자를실현할수있을것으로기 대되고있다. Ⅲ. 결론본원고에서는 OLED 에사용되는발광재료를발광원리에따라형광발광재료, 인광발광재료, TADF 재료로분류하여그각각의녹색, 적색, 청색재료들에관한소개를하였 표 2. OLED 발광재료의각세대별장단점 그림 18. 전하재결합에의한여기자생성으로부터 TADF 에기반한새로운발광메커니즘 장점 단점 1세대발광재료형광재료 짧은여기상태수명 재료설계의다양성 낮은발광효율한계 2 세대발광재료인광재료 3 세대발광재료하이퍼플로우런스 높은발광효율 높은발광효율 재료설계의다양성 긴여기상태수명 삼중항소멸 재료설계의한계 (Ir 등희유전이금속복합체 심청색재료개발부재 긴여기상태수명 삼중항과일중항상태에의존 그림 19. TADF 개념을도입한발광재료 39-45) 66 화학세계 2013. 06
OLED 용단분자발광재료의연구동향 다. OLED 의상용화와함께발광재료도효율수명등에서많은발전을가져왔다. 최근아몰레드시장의확대로대면적 OLED 인 TV, 컴퓨터모니터와같이장수명을요구하는평판디스플레이에적용하기위해서는효율과수명관점의최적의소재개발이절실히요구되고있다. 뿐만아니라미래의플렉시블디스플레이. 조명등아몰레드시장의규모의 점차확대관점에서볼때이러한물질의개발국또는회사가앞으로전기발광소자및그응용제품에서주도권을장악할것으로보인다. 신규한화학구조를기반으로하는고효율장수명소재개발을통해원천기술개발을확보하고확대되는미래아몰레드시장주도를위한많은관심과노력이필요한시점으로보인다. 참고문헌 1. L. S. Sapochak, A. Padmaperuma, N. Washton, F. Endrino, G. T. Schmett, J. Marshall, D. Fogarty, P.. E. Burrows, S. R. Forrest, J. Am. Chem. Soc. 2001, 123, 6300. 2. K. R. J. Thomas, J. T. Lin, Y.-T. Tao, C.-H. Chuen, Chem. Mater. 2002, 14, 3852. 3. C. H. Chen, C. W. Tang, J. Shi, K. P. Klubek, US Patent, 6020078 (2000). 4. P. Kundu, K. R. J. Thomas, J. T. Lin, Y.-T. Tao, C.-H. Chien, Adv. Funct. Mater. 2003, 13, 445. 5. L. C. Picciolo, H. Murata, Z. H. Kafafi, Appl. Phys. Lett. 2001, 78, 2378. 6. K. R. J. Thomas, J. T. Lin, Y. -T. Tao, C. -H. Chuen, Adv. Mater. 2002, 14, 822. 7. W.-C. Wu, H.-C. Yeh, L. -H. Chan, C.-T. Chen, Adv. Mater. 2002, 14, 1072. 8. P. Wang, Z. Xie, S. Tong, O. Wong, C.-S. Lee, N. Wong, L. Hung, S. Lee, Chem. Mater. 2003, 15, 1913. 9. K. R. J. Thomas,]. T. Lin, M. Velusamy, Y. T. Tao, C. -H. Chuen, Adv. Funct. Mater. 2004, 14, 83. 10. D. A. K. Vezzu, J. C. Deaton, M. Shayeghi, Y. Li, S. Huo, Org. Lett. 2009, 11, 4310. 11. B. Wei, J.-Z. Liu, Y. Zhang, J.-H. Zhang, H.-N. Peng, H.-L. Fan, Y.-B. He, X.-C. Gao, Adv. Funct. Mater. 2010, 20, 2448. 12. S. Tao, Y. Zhou, C.-S. Lee, X. Zhang, S.-T. Lee, Chem. Mater. 2010, 22, 2138. 13. N. Matsumoto, T. Miyazaki, M. Nishiyama, C. Adachi, J. Phys. Chem. C. 2009, 113, 6261. 14. C.-J. Zheng, W.-M. Zhao, Z.-Q. Wang, D. Huang, J. Ye, X.-M. Ou, X.-H. Zhang, C.-S. Lee, S.-T. Lee, J. Mater. Chem, 2010, 20, 1560. 15. Y. Zhang, S.-L. Lai, Q.-X. Tong, M.-F. Lo, T.-W. Ng, M.-Y. Chan, Z.-C. Wen, J. He, K.-S. Jeff, X.-L. Tang, W.-M. Liu, C.-C. Ko, P.-F. Wang, C.-S. Lee, Chem. Mater. 2012, 24, 61. 16. Y. H. Kim, D. C. Shin, S.-H. Kim, C.-H. Ko, H.-S. Yu, Y.-S. Chae, S. K. Kwon, Adv. Mater. 2001, 13, 22, 1690. 17. S.K. Kwon, et al. ICEL-3, 5-8, september (2001) 18. C. W. Tang, S. A. VanSlyke, Appl. Phys. Lett. 1987, 51, 913. 19. Forrest, et. al. ICEL, 2003. 20. C. H. Chen, Adv. Mater. 2005, 17, 1774. 21. T. Tsuzuki, N. Shirasawa, T. Suzuki, S. Tokito, Adv. Mater. 2003, 15, 1455. 22. P. Duan, P. P. Sun, C. H. Cheng, Adv. Mater. 2003, 15, 224. 23. K. S. Yook, S. E. Jang, S. O. Jeon, J. Y. Lee, Adv. Mater. 2010, 22, 4479. 24. J. S. Swensen, E. Polikarpov, A. V. Ruden, L. Wang, L. S. Sapochak, A. B. Padmaperuma, Adv. Funct. Mater. 2011, 21, 3250. 25. S. O. Jeon, K. S. Yook, C. W. Joo, J. Y. Lee, Adv. Funct. Mater. 2009, 19, 3644. 26. K. S. Yook, S. O. Jeon, C. W. Joo, J. Y. Lee, Organic Electronics, 2009, 10, 170. 27. S. H. Kim, J. Jang, S. J. Lee, J. Y. Lee, Thin Solid Films, 2008, 517, 722. 28. S. O. Jeon, S. E. Jang, H. S. Son, J. Y. Lee, Adv. Mater. 2011, 23, 1436. 29. C. Fan, Yanhu Li, Chuluo Yang, Hongbin Wu, Jingui Qin, and Yong Cao, Chem. Mater. 2012, 24, 4581 4587 30. S. J. Lee, K.-M. Park, K. Yang, Y. Kang, Inorganic Chemistry, 2009, 48, 2009. 31. C.-H. Yang, M. Mauro, F. Polo, S. Watanabe, I. Muenster, R. Fro hlich, L. De Cola, Chem. Mater. 2012, 24, 3684. 32. F. Kessler, Y. Watanabe, H. Sasabe, H. Katagiri, M. K. Nazeeruddin, M. Gr atzela, J. Kido, J. Mater. Chem. C, 2013, 1, 1070. 33. Y.-C. Chiu, J. Y. Hung, Y. Chi, C.-C. Chen, C.-H. Chang, C.-C. Wu, Y.-M. Cheng, Y.-C. Yu, G.-H. Lee, P.-T. Chou, Adv. Mater. 2009, 21,2221. 34. L. Xiao, Z. Chen, B. Qu, J. Luo, S. Kong, Q. Gong, J. Kido, Adv. Mater. 2011, 23, 926. 35. P. Schrogel, A. Tomkeviciene, P. Strohriegl, S. T. Hoffmann, A. Kohlerb,C. Lennartzc, J. Mater. Chem. 2011, 21, 2266. 36. J.-J. Lin, W.-S. Liao, H.-J. Huang, F.-I. Wu, C.-H. Cheng, Adv. Funct. Mater. 2008, 18, 485. 37. S. O. Jeon, K. S. Yook, C. W. Joo, J. Y. Lee, Appl. Phys. Lett. 2009, 94, 013301. 38. Z. Wu, Y. Xiong, J. Zou, L. Wang, J. Liu, Q. Chen, W. Yang, J. Peng, Y. Cao, Adv. Mater. 2008, 20, 2359. 39. H. Uoyama, K. Goushi, K. Shizu, H. Nomura, C. Adachi, Naure. 2012, 492, 234. 40. Q. Zhang, J. Li, K. Shizu, S. Huang, S. Hirata, H. Miyazaki, C. Adachi, J. Am. Soc. 2012, 134, 14706. 41. G. Mehes, H. Nomura, Q. Zhang, T. Nakagawa, C. Adachi, Angew. Chem. Int. Ed. 2012, 51, 11311. 42. T. Nakagawa, S-Y. Ku, K-T. Wong, C. Adachi, Chem. Commum. 2012. 48, 9580. 43. S. Y. Lee, T. Yasuda, H. Nomura, C. Adachi, Appl. Phys. Lett. 2012, 101, 093306. 44. A. Endo, K. Sato, K. Yoshimura, T. Kai, A. Kawada, H. Miyazaki, C. Adachi, Appl. Phys. Lett. 2011, 98, 083302. 45. KIST 미리안글로벌동향브리핑, 원문 : http://www.kyushu-u.ac.jp/pressrelease/2012/2012_12_12.pdf 2013. 06 화학세계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