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re Nesset, How Russian Came to Be the Way It Is: A Student s Guide to the History of the Russian Language, Bloomington: Slavica, 2015 정하경 필자는역사언어학을연구하고가르치는사람으로서러시아어발달사를배우는학부생들에게효과적으로도움이될출판물에어떤것이있는지관심을기울여왔다. 본글에서는이러한특정한관심의연장선상에서 2015년에출판된토레네셋 (Tore Nesset) 교수의저서 러시아어는어떻게현대의모습이되었는가 (How Russian Came to Be the Way It Is) (Bloomington: Slavica, 이후 How Russian... 으로지칭 ) 를살펴보고자한다. 러시아어역사언어학연구자들에게고전으로자리매김한보르콥스키 (В. И. Борковский) 와쿠즈네초프 (П. С. Кузнецов) 의 러시아어역사문법 (Историческая грамматика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Москва: АН СССР, 1963) 을비롯하여러시아에서출판된학술서와교과서들이상당수에이르지만, 러시아어로씌어진전문어학서적을읽기에는한국학부생의러시아어수준이미치지못하는경우가많다. 또한, 번역서를제외하고는한국어로출판된러시아어역사문법서적은거의부재하다고할수있다. 따라서필자가학부생들을위한참고교재로주로고려하게되는것은영미권에서출판되는서적들이다. 영미권에서는로만야콥슨 (Roman Jakobson) 의구조주의학파의약진과냉전시대의수요에힘입어 70년대부터슬라브어학이양적, 질적으로크게발달했다. 특히슬라브역사언어학연구가활발히이루어져수많은저명연구 * 서울대학교노어노문학과교수 (Jung, Hakyung,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자들이배출되었다. 이들과이들의제자들이러시아역사언어학자들과의학문적공조관계를바탕으로현재까지영미권에서슬라브역사언어학을이끌어왔다고해도과언이아니며, 이들의전통하에서 Schenker(1995), Townsend and Janda(1996) 등중요한전문학술서와교과서들이출판되었다. 본글에서살펴볼네셋교수의 How Russian 역시이러한전통을잇고있는책이라고할수있다. 기존저서들중 Schenker(1995) 와같은것은상당히전문적이고함축적이어서어느정도언어학적지식을구비하고있는대학원생들에게적절한반면, 또어떤것들은너무간략하여구체적인언어변화의내용을충실히전달하지못하는경우도있다 ( 가령, G. O. Vinokur, The Russian Language: A Brief Hist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1, 영역본 ). 이들과비교할때, How Russian 은내용이결코얄팍하지않음에도불구하고학부생들수준에서적정한난이도와범위를지니고있다. 이책은고대러시아어의언어적변화뿐아니라이를둘러싼역사, 문화적맥락을통합적으로소개하는교과서이다. 저자가서론에서밝히고있듯이, 아직다양한언어학적개념과이론을잘알지못하는학생들이부담없이러시아어의역사를접하면서언어변화의실례와원리를소화할수있게끔돕는길잡이라고할수있다. 그러면서도, 이책은언어적상황외역사적, 문화적측면에상당한관심을기울이고있는 Vlasto(1986) 에비해언어학적지향이훨씬확고하다. How Russian 은 17세기까지의러시아어발달사를다룬다. 슬라브어전반 ( 혹은동, 서, 남슬라브어의대표적언어들 ) 에대해논의하는 Schenker(1995) 나 Townsend and Janda(1996) 등과달리고대러시아어에초점을맞추고있지만, 고대남슬라브어임에도불구하고동시에러시아어의일부로존재해온고대교회슬라브어또한비교적관점에서일관성있게논의에포함시키고있다. 슬라브어를폭넓게다루기보다주로러시아어에관심이있는한국학부생들의입장에서는이와같은 How Russian 의러시아어중심의논의가더효율적이고간명할것이다. 책의구성을보자. 먼저간략한서론이후동종교과서들의통상적기술방식을따라루시와고대러시아어의역사이야기가전개된다 (1장). 역사언어학, 문헌학적으로중요한의미를가지는텍스트들이제시되고 (2장), 그다음에는러시아어사연구에필요한역사언어학개념과원리를소개하는방법론
장이나온다 (3장). 필자가보기에이방법론장은이책의가장큰특징이자장점중하나이다. 통상강의자에의해학생들에게부수적으로전달되거나관련논문들을읽어야만알수있는언어변화원리 ( 상대적순차, 재분석, 문법화, 차용등 ) 를책내용에독립된장으로포함시킴으로써, 독자들이구체적인언어변화실례의홍수에휩쓸리기전에특정한언어변화가왜일어난것인지, 데이터가어떻게분석될수있는지이해할수있는이론적배경과도구를갖출수있게끔한다. 방법론을다룬 3장이후에는본격적으로공통슬라브어에서고대러시아어로이어지는언어변화들이기술된다. 음운론을가장먼저다루는기존교과서들과달리, 이책에서는형태문법론 (4~8장) 이가장먼저나오고통사론 (9 장 ), 음운론 (10~13장) 이그뒤를따르고있다. 저자는서론에서문법을소리체계전에다루는것이전통적인방식은아니지만특별한이유가있어서그렇게했다고말하고있다. 저자는자신의강의경험에따르면텍스트를읽으면서동시에문법을익히는것이효과적이며, 문법에대한장들은텍스트를읽기시작하는데필요한언어적도구를제공하기에, 텍스트강독과덜직결되는소리체계관련장들을나중에배치했다고설명한다. 이와같은영역별배치순서는저자가이책을구상함에있어학생들의학습효율성을크게고려했음을보여준다. 이와더불어, 교육과연구모두에있어격과상, 태등형태론에대해저자가가지고있는각별한관심이반영된것일수도있다고여겨진다. 다른교과서들과구별되는이책의또다른특징은노브고로드자작나무문서에반영된고대노브고로드방언의특질에독립된한장을할애하여기술하고있다는점이다 (14장). 러시아어역사언어학에서자작나무문서와고대노브고로드방언이차지하는중요성에도불구하고학생들을대상으로하는교과서에서러시아어방언에대한간략한언급외에따로자세히다루어진경우는그리많지않다. 통상적으로교과서에서는소위 표준 고대러시아어의발달과정에중점을두면서고대남부방언이나고대북부방언에서진행된상이한언어변화양상에대해서는비교정도의수준으로언급하는것이일반적이다. 책의말미에는다양한문법범주의형태패러다임표, 고대교회슬라브어와고대러시아어의주요차이를정리한표, 주요소리변화의상대적순차표, 그리고텍스트분석샘플이부록으로포함되어있다. 이러한부록은
학생들의실용적필요에부응하는자료가아닐수없다. 특히, 텍스트분석샘플은어떤기존교과서에도포함된적이없었던내용으로서그교육상유용성이두드러진다. 주요고대문헌의발췌본을제시하고지금까지다루어진각종언어변화가반영되어있는부분을짚어주고설명함으로써언어변화에대한학습이단지추상적규칙의암기로그치지않고그것이어떻게구축이되어왔는지, 또어떻게고대문헌분석에적용되는지실질적으로학생들이체험할수있도록한다. 학생들의학습에대한배려는각장마다마련된권장독서목록에서도드러난다. 각주제별로주요논저를몇가지씩제시함으로써학생들이관련주제에대해더깊이있게공부할수있도록돕는다. 한편, 기존교과서들에비해주제별, 분야별로더일목요연한구성과편집을보이고있으며, 자세한인덱스와관련연구목록을제공하는등실용적측면에서사용하기편리하다는장점을지닌다. 책의곳곳에서저자는언어변화의평면적기술에머물지않고그에대한학계의다양한분석과상반된견해들을제시함으로써독자의흥미와비판적사고를제고한다. 가령, 연구개음의전모음앞연음화의동인에대한분석을소개한다든지, 구개음화순서에대한상반된주장들을비교하는등, 흥미로운분석상의문제들을다룸으로써단순한팩트의나열을넘어학생들이 왜? 또는 어떻게? 에대해관심을가질수있도록한다. 필자에게개인적으로흥미로웠던점은, 이책에서는모스크바시대이전까지의동슬라브언어상황에대해전통적으로사용되어오던 Old East Slavic 이나 Old Russian 과같은용어대신에 Old Rusian 이라는용어를사용하고있다는사실이었다. 이는저자가미국구조주의슬라브어학연구자들의관점을채용하고있으며기술적측면에서용어의정확성에신경을쓰고있음을보여준다.
참고문헌 강흥주 강덕수 (1993) 러시아어사, 서울 : 민음사. Schenker, Alexander(1995) The Dawn of Slavic: An Introduction to Slavic Philology, New Haven;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Townsend, Charles, E. and Laura A. Janda(1996) Common and Comparative Slavic: Phonology and Inflection with Special Attention to Russian, Polish, Czech, Serbo-Croatian, Bulgarian, Columbus: Slavica. Vinokur, G. O.(1971) The Russian Language: A Brief Hist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Vlasto, A. P.(1986) A Linguistic History of Russia to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Oxford: Clarendon Press. Борковский, В. И. и П. С. Кузнецов(1963) Историческая грамматика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Москва: АН ССС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