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IA-NURIMEDIA

Similar documents
Jkafm093.hwp


월호 - 내지전체4


2013여름시론(3-5)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ı_0124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보건분야 - 보고서연구원 직업성천식감시체계구축 운용 The surveillance to detect the occupational asthma in Korea 2011 년사업결과보고서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통계연구 (2010), 제 15 권제 2 호, 한국의일상생활에서남녀의수면시간과관련요인탐색 은기수 1) 차승은 2) 요약 수면은생물학적현상으로하루 24시간의일상생활중단위활동으로는가장많은시간을차지하는활동가운데하나이다. 그러나현대사회가 24/7 사회로진전되고개인

08질병-건강하게-10.7


- -

pdf 16..

서론 34 2

장애인건강관리사업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untitled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BBEAC0E7BAB8C7E820BFE4BEE7A1A4C0E7C8B020BBE7B7CA20BAF1B1B3BFACB1B82E687770>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다문화 가정의 부모



조사구번호 가구번호 - 한국종합사회조사 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종로구성균관로 전화

DBPIA-NURIMEDIA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병원이왜내지최종본1

지능정보연구제 16 권제 1 호 2010 년 3 월 (pp.71~92),.,.,., Support Vector Machines,,., KOSPI200.,. * 지능정보연구제 16 권제 1 호 2010 년 3 월

<C0CFBABBBFACBCF6BAB8B0EDBCAD28C0CCC8ABC1A4292E687770>

ok.



무제

환경중잔류의약물질대사체분석방법확립에 관한연구 (Ⅱ) - 테트라사이클린계항생제 - 환경건강연구부화학물질연구과,,,,,, Ⅱ 2010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


Vol.257 C O N T E N T S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GLP 도입과현황 1. GLP 도입 2. 의약품의 GLP 연혁 3. 국외의 GLP 프로그램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LiD) - - * Way to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B4E3B9E8B0A1B0DD DB9E8C6F7C0DAB7E12E687770>

교육과학기술부고시제 호 ( ) ,,,

Vol.259 C O N T E N T S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학술연구용역사업최종결과보고서 국민건강영양조사제 5 기 3 차년도 (2012) 가구원확인및만족도조사최종보고서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fifth term, third year(2012) househol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FGUYPYUYJJHU.hwp

소아일반영상의학검사에서의 환자선량권고량가이드라인 - 두부, 복부, 골반 -


.,,, - 4, 5.,.,..,.. / /, LG OLED,,.,,.. / /,.,.,...,...

.. IMF.. IMF % (79,895 ). IMF , , % (, 2012;, 2013) %, %, %

02Á¶ÇýÁø

( )Kju269.hwp

04_이근원_21~27.hwp

기후변화는 인류사회가 직면한 가장 거대한 불확실성 중 하나

???? 1

½Ç°ú¸Ó¸®¸»¸ñÂ÷ÆDZÇ(1-5)¿Ï


특집-5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년 8월에 발표된 성인피해자 18명(사망자 5명 포함)에 대한 원 인 미상 폐손상 사건에 대한 정부의 역학조사 결과, 가습기살균제 사 용집단에서 원인미상폐손상 발생 가능성이 미사용 집단에 비해 47.3배 높게 나타났다. 이후 정부는 자발적인 리콜과 소비자

CC hwp

2003report250-9.hwp

041~084 ¹®È�Çö»óÀбâ

CD 2117(12113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 -? - * : (),, ( 15 ) ( 25 ) : - : ( ) ( ) kW. 2,000kW. 2,000kW 84, , , , : 1,

210 법학논고제 50 집 ( )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 )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 ) ~ 7. 6( ) 3 등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μ μ

지표3권1-265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본문01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목 차 Ⅰ. 감염병현황과기본전략 1 1. 기본계획수립배경 2 2. 감염병발생현황 3 3. 정책환경및문제점 4 4. 정책추진방향 6 5. 비전과목표, 주요과제 성과지표 15 Ⅱ. 감염병별맞춤형대응 수인성 식품매개및접촉전파감염병 예방접종대상

2016 학년도약학대학면접문제해설 문제 2 아래의질문에 3-4분이내로답하시오. 표피성장인자수용체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는수용체티로신인산화효소군 (receptor tyrosine kinases, RTKs) 의일종으로서세

기본소득문답2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서론 가습기살균제사고는세계적으로도유례없는생활용품에의한대규모의환경참사이다 년 4월에서울시내한대학병원감염관리실의신고로인한질병관리본부의역학조사를시작으로, 가습기살균제의인체건강손상, 특히폐손상과의연관성에대한연구들이수행되었고이연구결과들로부터사건원인에대한근거가도출되기시

- I -

2017 년 1 학기 공학논문작성법 (3 강 ) 공학논문작성방법개요 좋은공학논문작성을위해서는무엇이필요한가? (1) 논리적이고정확하게글쓰기 (2강내용에연결 ) (2) Abstract 작성법의예

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 2 -

학술연구용역과제최종결과보고서 과제번호 색인어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국문 영문 고혈압연구를통한안산 안성코호트자원활용연구모델구축사업 기관명소재지대표 서울대학병원서울시종로구오병희 성명소속및부서전공 주관연구 책임자 이해영서울대학병원내과 연락처 이메일 발주부서 부서명 생물자원은행

공무원복지내지82p-2009하


2015 간호학과 D ept. of N ursing

<BFACBCBCC0C7BBE7C7D E687770>

Transcription:

Sung. KJPH, 54(2):13-20, 2017 http://dx.doi.org/10.17262/kjph.2017.12.54.2.13 생활화학물질의건강영향평가방안제언 : 역학조사체계를중심으로 성주헌 * 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보건학과 How to Assess the Health Effects of Household Chemicals: An Epidemic Investigation System Joohon Sung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Our daily lives get more and more dependent on numerous household chemicals, which provide humans with cleanness, better hygiene, and easiness. Most chemical compounds are introduced to market after qualifying the toxic safety standard based on toxicological tests. Human xenobiotic metabolisms have never been adapted to this deluge of new chemical compounds so that it is inevitable some proportion of individuals are highly susceptible to them. Growing body of evidence indicates that the conventional system for chemical safety would not prevent incidents or evaluate health effects as epitomized by the humidifier disinfectant disasters or egg insecticide scandals. Here an effective and efficient system is proposed for evaluating health effects from household chemicals, utilizing existing data or survey systems in Korea. Some regular national statistics such as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large genome cohorts such as Korean Genome Epidemiology Study are particularly useful to quickly and accurately assess the health effects from and susceptible population to chemical compounds of interest. Collaborative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re a must to transform the current chemical system toward an evidence-based system. 서론 계란과생리대의문제는빙산의일각이다. 우리는이미가습기살균제로참사를겪고있고현재진행형이다. 하지만, 현실의문제구조를이해한다면, 화학물질의안전문제는점점더심각한사회적문제이며보건학적인문제가될것임이자명하다. 생활화학물질의안전이반복해서사회적인파문을일으키는것은필연적인또불가피한문제구조를가지고있다. 미국에서만해마다 1,000 여종의새로운화학물질이출시된다. 1 기존화학물질이새로운제품이나용도로생활에침투하는예는더욱부지기수다. 같은화학물질이라도이렇게다른용도나제품으로탈바꿈하면예상치못한피해를유발할수있다. 건강위해 (risk) 는용량 (dose) 의문제이기때문이다. 일찍이독성학의아버지로불리우는 1 www.epa.gov Paracelsus가말하였듯이약이냐독이냐는단지용량의문제일뿐이다. 2 용량이특히, 인체내로흡수되는내재적용량 (internal dose) 이바뀐다면별다른해로움없이생활에편의를주었던화학물질들이독이될수있다는것이다. 그러나, 문제가될수있다고해서생활화학물질을없앨수있을까? 개인의결단으로화학물질사용을최소화하는생활방식을선택할수있겠지만, 이러한선택이대다수를위한정책대안이될수는없을것이다. 편리하고청결한생활을위해우리가화학물질에의존하고있는빚은상상이상으로크다. 합리적인관리가정책적대안이될수밖에없다. 즉, 정확하고신속한건강영향평가를바탕으로안전한화학물질관리가이루 2 예를들어, 사람은소금이나물의과다로도심각한건강문제나사망에까지이를수있고, 셀레니움은일정량을섭취할경우해독작용과항암효과가있는것으로보고되고있지만, 고용량에서는오히려발암성을높이는것으로알려져있다. * Corresponding author: Joohon Sung (jsung@snu.ac.kr, 02-880-2828) 13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1 Gwanak-ro, Gwanak-gu, Seoul 08826, Korea

How to Assess the Health Effects of Household Chemicals 어질수있는방안이필요하다. 현재우리나라 의화학물질관리체계는위해도평가와건강영향 의평가등에서새로운문제에대응하기에충분 하지못하다. 이는단지우리나라만의문제는 아니다. 모든나라가닥친문제라고해도과언 이아니다. 3 이글에서는다음과같은내용을언급하고자 한다. 첫째, 기존의위해도평가 (risk assessment) 체계가다루지못하는문제는무엇이며, 이러한 한계는몇가지사안들에서국민들에게어떤영 향을주었는가? 둘째, 건강영향평가는가능하며 어떤방법으로수행될수있는가? 셋째, 화학물 질에대한건강영향평가가우리나라의현재상 황에서어떠한절차와체계에서현실적으로실 현될수있을것인가? 이글은저자개인의의 견이며, 향후발전적인논의의기반이되기를 바란다. 화학물질의건강영향의구조 약물과화학물질 건강영향과관련해서는우선, 약물과관련된과학적사실에서출발하는것이시사점을준다. 전혀동떨어져보이는약물의예를드는것은다음과같은이유에서이다. 1) 약물과화학물질은인체에서대사되는경로가매우유사하다. 인체스스로만들어낸물질이아니라는점에서외래생체물질 (xenobiotics) 대사체계인 cytochrome p450 등을통해서 1차로대사가이루어지고, 2차로체내배설을위한효소체계가가동되어최종적으로인체에서빠져나간다. 2) 약물에대한연구는막대한연구투자가이루어져있고, 매우상세한기전이밝혀져있는경우가많아서약물의부작용에대한연구결과들이화학물질의건강영향평가에대한이해에큰도움을줄것이다. 3) 약물의부작용평가를위한 DB와방법론들이화학물질의건강위해성평가에활용될수있으며, 매우빠른속도로발전하고있는연구성과를반영할수있다면생활화학물질의건강영향평가에도매우강력한연구방법론이될 3 Gwinn MR, Axelrad DA, Bahadori T, Bussard D, Cascio WE, Deener K, Dix D, Thomas RS, Kavlock RJ, Burke TA. Chemical Risk Assessment: Traditional vs Public Health Perspectives. Am J Public Health. 2017 ;107(7):1032-1039. 수있을것이다. 물론, 약물의체내농도는생활화학물질에노출되었을때의일반적인농도에비해수천-수만배이상높은경우가많아서, 이러한차이를명확히감안한비교가필요하다. 또, 약물의경우는전임상단계및임상실험을통해서사전에부작용의발생확률이높은 위험 약물은거의대부분제거된다는점도큰차이이다. 생활화학물질은 복용 이아니라우발적인경로로인체에흡수되기때문에, 약물과같은집중적인부작용평가를거치지않는점도큰차이이다. 전임상단계 ( 독성실험및동물실험 ) 에서통상 1,000개의후보물질중에단 1개만임상실험으로진입할수있을정도로, 대부분의유해물질은걸러진다고볼수있다. 또한, 약물부작용은이러한철저한검증과정을거쳤음에도불구하고발생하는건강문제라는점과, 생활화학물질은대부분의도하지않은혹은우발적인노출을통한소량흡수 ( 흡입이나복용, 피부접촉등 ) 이지만사전검증과정은훨씬더느슨하다는차이점이고려되어야한다. 인류는진화과정에서기아와질병에는유전적으로어느정도단련이되어있다. 특히, 소아나젊은연령에서치명적인문제를일으키는질병은관련된유전자가매우빨리 정화 된다 (purifying selection). 이러한과정은수십만년에걸쳐서이루어졌기때문에인류는매우드물확률로돌연변이가일어나지않는한, 치명적인질병에는잘단련된유전적체질을가지고있다고할수있다. 하지만, 새로운화학물질과약물은공히인체가처음겪는문제이다. 즉, 수십만년동안경험하지못했던새로운화학적환경이최근수십년사이에갑자기생긴것이다. 비유를들자면, 하루 24시간중밤 11시 59분까지잘지내던환경에서갑자기마지막 1분에새로운곳으로옮겨져서, 각종화학물질에마구노출시키면서누가과민반응을보이는지묻는것과같다. 인류의유전적인체질이형성되는시기와전혀다른환경이조성된다는것의의미는무엇인가? 그것은무작위로, 또비교적많은사람들이화학물질에취약할수있음을시사한다. 매우큰시사점을주는결과가약물유전체와관련된최근의자료이다. 약 300종이넘는약물유전체 (pharmacogenomics) DB가구축되어어떤유전형을가진사람이어떤약물에비교적심각한부작용을일으킬수있는지를제시한 DB이다. 14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Sung. KJPH, 54(2):13-20, 2017 이결과가보여주는것은, 매우엄격한과정을거쳐승인된약물의경우도적게는 0.1 많게는 10% 가까운사람들이, 대사능력이나수용체반응등에서다른사람에비해취약하여더욱심각한문제가발생할위험을갖는다는점이다. 또, 거의 100% 의사람이 1-2개정도의약물에대해서 ( 물론사용할필요성이없는사람들이대부분이지만 ) 취약한반응을가지게된다는점이다. 앞에서언급했던것처럼, 기본적으로약물에대한반응과화학물질에대한인체반응기전은동일하다. 단화학물질은매우낮은농도에서노출이된다는점이위안이다. 하지만, 제대로된검증과정이훨씬더부족하고, 약물과는다르게의도하지않은노출이빈번히발생하며, 종류와범위가훨씬더넓고다양하다는점을감안한다면잠재적인위험도에서전혀더적지않다고판단하는것이올바를것이다. 현행위해성평가의문제점 현재화학물질, 특히생활화학물질에대해서는물론관리체계가있고, 나름대로관리가이루어지고있다. 대표적으로주무부서인식약처에서독성평가를위해성평가방식을통해다루고있으며, 농수산식품의경우는농수산부가식품의안정성에대한분석을주관하고, 실내공기오염의범주에대해서는환경부가환경평가와건강위해성평가를담당한다. 상당히많은영역의문제를포괄하고있다. 그러나, 최근발생하고있는다양한문제들과국민의건강에대한눈높이에비추어보면문제들이발견된다. 첫째, 위해성평가자체가이미한계를노정하고있다. 위해성평가는개별물질의독성을추정하기위한최소한의방법이나, 자료의제한이있고 ( 승인단계의기초독성검사에근거 ) 많은가정을전제로안전한값을제시하고있으며, 평균적인위험도추정이목표이다. 그러나새로운형태의노출, 취약계층, 혼합물의위해성평가등에서는답을제공하기어렵다. 계란살충제사태에서영유아에대한답을제대로제공하지못하는것이대표적인예이다. 둘째, 건강영향 이빠져있다. 많은사람들이잘이해하고있지못한개념이위해성평가와건강영향평가의구분이다. 위해성평가가신약의전임단계중에서도가장초반 의 screening test 수준이라면, 건강영향평가는 최종임상시험단계에해당이된다. 신약후보중 1/1000 만임상시험에들어가듯이, 모든문제가 건강영향평가에들어가야하는것은물론아니 다. 문제는언제, 어떤상황에서제대로된건강 영향평가가이루어져야하는가가빠져있다는 것이다. 건강영향평가는역학조사를기본으로 하고, 주요질환인암이나심혈관질환, 당뇨등 과의관련성평가가이루어져야한다. 역학조사 체계에대해서는다음장에더자세히언급하고 자한다. 셋째중요한문제들일수록관할이중 복되거나누가다루어야할지가불명확경우가 많다. 예를들어, 잔류농약을농수산부와식약처 가다룬다면, 잔류항생제는누가다루어야하는 지. 조류독감으로살처분이내려진후의환경오 염과주민들에미치는건강문제는누가다루어 야하는지등은불명확하다. 중복되는문제에 대한협력구조가미흡한것도중요한문제이다. 넷째, 통일된대국민홍보가부족하다. 단위험 도소통의문제는매우중요한문제이나, 본고 찰의영역을넘어서는것이어서다른분의논의 를참고하시기바란다. 다섯째, 평균적인위험도 를평가하는방안으로서한계를지닌다. 약물유 전체연구의최근결과가제시하는것은화학물 질에대한건강영향에서 평균 이란없다는것 이다. 대부분의문제가없는사람과일부의, 화 학물에따라서는제법많은, 취약한사람으로 구분되는것이기본법칙이다. 왜냐하면거의모 든화학물질의대사능력이대사능력이뛰어난 사람과그렇지못한사람으로구분되기때문이 다. 4 이러한문제구조가기본적으로현행위해 성평가에서는다루어지지못한다. 하지만, 향후 후진국형의고농도노출이아니라면모든생활 화학물질에의한건강문제는유전적 - 생리적으로 취약한소수의사람에서발생할것이다. 현행위 해성평가가다루지못하는영역에서문제가생 길것이라는점은매우중요하다. 건강영향평가를위한역학조사는어 떤시점에서수행되어야하는가? 4 술을마신후얼굴이붉어지는반응이대표적으로대사능력에따른건강영향의차이를보여주는예이다. 대부분의느린분해효소를가진사람들은얼굴이빨개지며, 이러한사람들에서는음주에의한식도암의위험이크게증가하는것이잘알려져있다.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15

How to Assess the Health Effects of Household Chemicals 생활환경물질의건강영향평가는직접인체에대한건강영향특히질병발생에대한위험도평가를의미한다. 우선, 건강영향평가는사람에대한직접조사를전제로하기때문에, 일반적인독성시험이나동물실험에비해많은비용과시간을필요로해서, 선택적으로수행이되어야한다. 어떤방법으로선택이이루어져야하는가? Figure 1은유해화학물질의노출에서건강영향에이르기까지의중요한단계를개념화한것이다. 노출원자체의관리가최선이지만, 많은경우불가피한노출이있고과거시점에이미노출이된문제들도있다. 현실적으로는이단계에서기존에알려진독성에근거한위해도평가와노출평가가이루어지게된다. 일반적인현행위해도평가는그림 1에서노출원관리와인체내농도평가사이에위치하고있다고할수있다. 어느정도이상의위해도가의심되거나, 혹은국민들의건강에대한염려가높을때는직접인체노출량의생물학적모니터링이시작되어야한다 ( 인체농도평가 ). 매우노출이많이되었을것으로판단되는사람들에서실제인체내에유해물질혹은그대사체가검출되지않는다면, 실제로건강영향에대한논란은여기서종결될수있다. 예를들어, 계란살충제사태때에사람들에게살충제혹은그대사물이체내에검출되지않았다면더이상건강문제에대한논란은불필요하다는것이다. 물론, 화학물질대사과정에대한정확한이해와독성에대한이해가필수적이며, 관련된연구가동반또는선행되어야한다. 가습기살균제와같은문제는가장마지막단계인사망과질병발생이발생할때까지모든과정을놓치고있었다. 환경적인문제가원인으로의심될만한질병과질환이발생한다면당연히역학조사가시작되어야한다. 이경우에는원인화학물질에서시작된것이아닌만큼, 거꾸로화학물질혹은다른환경위해요인을확인하는작업과함께역학적관련성평가가병행되어야한다. 만약화학물질의안전이먼저문제가되고, 인체에서 ( 혈액과소변 ) 일정량이상의유해화학물질혹은그대사물이검출된다면이때는역시역학조사가시작되어야한다. 이러한 선제적예방적인 역학조사를통해생활화학물질의관리방안을결정할수있다. 정책적결정과관리방안은역학적인근거를토대로해야한다. 전염성질환의역학적근거가확인되면, 병원성이의심되는모든요인들을격리시켜 야하는것과동일한원리이다. 병균이동정되 고그독성기전이확인되기를기다려격리와검 역을실시하는것이아니라, 역학적관련성이 확인되는시점에서 action 이시작되어야한다 는것이다. 5 일반적으로역학조사는문제의성격에따라 매우상이한접근을하게된다. 예를들어, 전염 성질환과같이잠복기가짧고증상과질병의확 인이빠른시간내에용이한경우에는단면조사 의형태를통해서대부분의문제가확인된다. 반면, 발암성에대한역학조사는매우다른형 태를취하게되는경우가많은데, 대부분과거 시점의노출이문제가된다. 단면조사는매우 제한적인정보만을제공하고결론을내리기가 매우어렵다. 따라서, 발암성에대한역학조사에 서는우선암의초과발생이있는지를먼저한국 인의평균암발생률과비교하여평가를하게되 고, 실제로암에걸린사람들이의심되는노출 이더많았는지를단면연구를통해일차평가하 게된다. 발암성이잘알려진요인이라면노출 평가가관련성평가를가름하게될수도있다. 하지만, 발암요인이불명확하고, 노출평가도어 렵다면영구미제로남게되고, 정신적피해에 대한문제만쟁점이될수도있다. 그렇다면생활화학문제에대한역학조사는어 떤연구설계와내용을담게될것인가? 우선, 질병이나사망의발생이먼저확인된가습기살 균제와같은문제와, 노출원인화학물질이먼저 문제가되는경우로대별될것이다. 가습기살균 제와같은문제는환경문제에서는비교적특이 한경우이며, Thalidomide 의악물부작용으로심 각한기형이먼저보고된후에관련성이확인되 었던것과유사하다. 이런경우에도, 특이적인 건강영향이있는경우와그렇지못한경우로나 뉠수있을것이다. 특이적인건강영향이있는 경우라면 6 바로환자 - 대조군연구혹은단면조 사에서의오즈비평가연구를수행할수있다. 7 5 인과성과역학적관련성의차이는역학분야의핵심적인기본개념이나, 본고의주제에서벗어나자세한기술은역학원론 ( 김정순저 ) 등을참고하기바란다. 6 예를들어, 가습기살균제에서폐포성폐섬유화 (alveolar lung fibrosis) 라고하는비교적특이적인형태의폐병변소견등 7 환자군이크게선별적으로참여하게되었을것이라는가정이없다면환자대조군연구가되고, 반면환자군중어떤사람들이조사에참여하는지 ( 누락, 선별참여등 ) 가불명확하다면단면연구와동일한설계가된다. 16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Sung. KJPH, 54(2):13-20, 2017 Figure 1. 생활화학물질이인체에건강피해를입힐수있는단계와, 각단계에서의대응. 질환과건강피해가제기되었고의심의여지가있으면 (Figure 1의 3) 역학조사가개시되어야한다. 3 의문제제기가없는시점이라도노출원의원천관리가어려울경우, 노출에의한인체내농도평가가선행되어야하며, 인체내농도가알려진혹은의심되는독성작용의가능성이있을때선제적인역학조사가실시되어야한다. 반면특이적인건강영향이아니라면우선환자군의정의에서부터연구가진행되어야한다. 비특이적인경우라도, 이렇게질환자사망자가있는경우는직접적인건강영향평가가가능한역학설계가대안이될것이다. 반면, 원인물질에서시작되어건강영향이의심되는경우의역학연구설계는생체지표를통한분자유전체역학적접근이거의유일한대안이될것이다. 이를위해서는장기간추적된대규모의자원은행을갖춘코호트가필요하다. 질병발생까지추구관찰이이루어져야하기때문에, 새로조사되는모든정보가이러한체계를염두에두고장기보관이이루어져야함도필수적이다. 또한, 질병발생을확인할수있는체계가필요하다. 실현가능한역학조사체계의제안 일반적인역학조사가 민원 에대한대응과같은방식으로진행될수있다. 어느지역에서주변산업장에서배출되는오염물질로인해주변마을에암과피부병이발생했다는민원이발생하면, 정확한실태파악을위한역학조사가이루어질수있다. 이러한역학조사는대부분사 후대응의성격을가지며, 일회성이다. 환경문제의특성상관련성을확인하거나관련성이없다는결론을낼수있는경우는극히드물다. 환경오염이나화학물질에의한건강피해는대부분, 저농도의노출이며위험도의증가도흡연, 음주, 유전요인등에비해매우작은편이고, 장기적인누적노출에의해서문제가발생하는경우가많다. 일회성의단면조사로수백명혹은수천명의조사가진행되어도결론을내릴수있는경우가매우드문것은이러한특성을고려한다면당연한일이다. 반면에, 생활화학물질의건강영향에대한선제적-예방적인차원의역학조사가이루어질수있다. 이는몇가지전제가필요하다. 기존에구축되어있는대규모의자료원을적절히활용할수있다는것이대전제이다. 또, 이를활용하기위한다학제적접근과부처간협조가필요하다. 기존에각기관에서축적된자료와조사체계등을활용할때에매우효과적으로만들어질수있지만, 현재는산재되어있고, 예를들어, 건강영향평가에가장큰기여를할수있는보건복지부와질병관리본부 / 국립보건원이관련기관과업무분장목록에서빠져있다. 각부처와기관에산재된자료와자원들을엮어서하나의역학조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17

How to Assess the Health Effects of Household Chemicals 사체계로만드는것이결코쉬운작업이아니다. 리더쉽이필요하며필요성을공감한긴밀한부처간협조도필요하다. 먼저, 어떠한자료원들이새로운선제적-예방적역학조사에활용될수있는지를살펴보고자한다. 우선, 건강영향평가와역학조사에활용될수있는잠재적인자료원들은주로 1) 폭넓은역학 -식이정보를가지고있을것 2) 생체시료가확보되어있거나가능할것 3) 질병발생정보를추구조사할수있는기본동의가갖추어져있을것 ( 혹은갖출수있을것 ) 4) 가능하면생활환경노출평가에도움이되는정보 ( 식이, 거주지, 직업, 생활양식등 ) 를가지고있을것등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우선, 한국인을대표하는국민건강영양조사 ( 국건영 ) 가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질병관리본부가주관하고있으며, 매년 8천명이상의한국인을대표하는사람에대한상세한조사가이루어지며, 최근에는시료의모집과참여자의장기추구조사체계까지갖추어지고있다. 특히한국인의대표성을가진자료라는점에서는국건영은장점을가진다. 예를들어계란살충제사태에서 국건영 자료중달걀을가장많이먹는 100명에게살충제가전혀검출되지않았다면, 보다국민의눈높이에맞는결과를자신있게제시할수있었을것이다. 유전체코호트및기타대규모생체시료를동반한코호트다음으로, 우리나라에는이미대규모의질병발생연구를위한코호트가구축되어있다. 질병과의관련성평가에서 질병을유발할수있는가 를평가할수있는초점이맞추어지려면, 기존에구축되어질병발생을 10년이넘게추구조사하고있는코호트의활용이가장긴요하다. 특히보건복지부 / 질병관리본부 ( 유전체센터 ) 가 2003년부터구축한유전체코호트 (20만명규모 ) 는대표적이다. 현재중요한역학자료에대한공개가시작되었지만, 이것만으로는생활화학물 질의안전을위한역학조사에활용될수는없다. 질병이발생한사람들이아직건강할때제공한혈액에서역학조사의대상화학물질이어느정도검출되는지가핵심이다. 질병이발생하지않은사람보다농도가높은지가관련성평가의기준이다. 과거에어떤경로로노출되었는지를파악할수는없고, 세세한화학물질의사용기록을확인할수는더더욱없다. 이러한정보를대신해줄수있는것이체내에흡수되어남아있는체내농도이다. 이를위해서는기술적으로보완해야할문제들이있다. 우선, 질병이발생한사람들의과거시점시료는다시확보할수없는희귀자원이라는점이다. 이러한문제점은개별분석이아닌 pooling ( 시료의취합 ) 에의한분석으로상당부분해결할수있다. 관련성의평가가개별자료의평균으로이루어진다는점을고려하면, 적정한규모에서의 pooling은관련성평가의기본원칙을견지하면서, 시료의소모를최소화할수있는유력한대안이다. 또한, 대조군의경우도매번시료를선정하는것이아니라사전에일부의참여자를대조군으로미리선정할수있다 (super control, 슈퍼대조군 ). 이런슈퍼대조군도역시적절한 pooling을통해시료의소모를최소화할수있다. 이러한연구설계의장점은어느정도이상의질병발생이있고, 또질병발생의확인이정확하게이루지고있는암과중증질환의경우, 생체지표만명확하다면거의실시간으로관련성평가가가능하다는점이다. 슈퍼대조군을통한환자-코호트연구설계의기본개념은그림 2에제시하였다. 또, 유전체정보를갖추고있는 ( 현재한국인 3만명의유전체분석완료 ) 코호트에서이러한연구가진행될경우, 유전적인취약계층에대한연구와이러한코호트자원은한국인유전체코호트가가장크고대표적이지만, 다른국가기관과연구기관도수천-수만명규모의자료와자원을가지고있다. 현재, 한국인유전체코호트의활용도가외국에비해떨어지고있는현실을감안한다면여러모로좋은계기가될수있을것이다. 18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Sung. KJPH, 54(2):13-20, 2017 Figure 2. 슈퍼대조군을활용한환자-코호트연구설계가전통적인코호트내환자-대조군연구 ( 전통대조군을질환발생시점을확인하여한명씩선정하는방식 ) 가유력한연구설계이며, 특히유전체분석이완료된슈퍼대조군의경우유전적으로취약한사람의구체적인정보까지확인할수있는매우강력한연구설계가될수있다. 단면조사형태의역학조사결과의표준화및체 계적추구조사 또한, 대부분의 1 회성단면조사성격의역학 조사자료와관련시료들이충분한표준화및체 계적인장기계획없이환경부, 복지부등에산 재되어있다는점을감안하면, 향후생활화학문 제를포함한모든환경문제와관련된역학조사 의결과와정보및자원들은이러한장기추구조 사체계로통합되어향후보다환경적인요인에 대한정보가충실한일종의코호트의기능을갖 추도록해야할것이다. 특히장기적인추구관 찰을통해관련성을다시평가하기위한연구가 매우드물게이루어지고있음을감안하면이러 한추구조사체계는매우중요한계기가될것 이다. 예를들면, 표본수가수백명에불과하여 암의초과발생에대한확실한결론을내리지못 했던 1995 년도인천시고잔동유리섬유에의한 위암추가발생의역학조사결과를 15 년후에암 발생현황만으로추구조사를해본결과, 암이초 과발생할확률은낮은것으로평가되었다. 8. 이러한장기추구조사에의해서결론을유도하고, 또, 단면조사형태로 1 회성으로수행되는각종 8 Cho SH et al. Fifteen Years After the Gozan-Dong Glass Fiber Outbreak, Incheon in 1995. J Prev Med Public Health. 2011; 44(4): 185 189. 자료와시료들을체계적으로보관하여향후다양한생활화학및생활환경문제에대한연구에활용하는것은또다른중요한자원이될것이다. 현재국립홥경과학원이환경과관련된역학조사의주무부처로관련업무를수행하고있음을감안하면, 다른기관의자원들을국립환경과학원의주도하에통합-표준화를수행하는것이효율적일것으로판단된다. 언제, 누가생활화학물질의건강영향에대한역학조사를결정하고수행할것인가? 우리나라에는감염성질환에대한역학조사의제도와인력, 시설등이가장잘정비되어있다. 감염병의특성상당연한일이다. 9 최근암의발암원및초과발생등을조사하기위한역학조사체계도암관리법에서세부규정이만들어졌고, 국립암센터와질병관리본부의협력을통해서필요시암질환에대한역학조사가수행될수있도록되어있다. 생활화학및환경에관한문제는아직이러한체계나제도가마련되어있지못하고있는상황이다. 최근에가습기살균제피해자의규모파악및피해보상등을위해입안준비중인 가습기살균제피해구제법 이하나의사례가될수있을것이다. 하 9 감염병의예방및관리에관한법률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

How to Assess the Health Effects of Household Chemicals 지만, 이러한내용을보다일반화하고전면화할필요가있다. 우선, 역학조사를결정하는시점에서는현재의주무부서인식약처, 농림수산해양부, 환경부등이일차적으로참여할필요가있다. 또한, 문제의성격이잔류항생제, 산업장주변, 화학생산품의규제와정보제공등다양한문제를동반하기에, 보건복지부, 산업자원통상부, 고용노동부등과각종관련산하기관도관여되어야한다. 그림 1에서제시했던것과같이, 처음노출원에대한위해성평가와독성실험및인체내노출평가단계에서대부분의문제들이종결되어야한다. 이런과정에서실제로인체에유해할가능성이높은사안에대해서는즉각역학조사체계가작동될수있도록구축되어야한다. 생활화학물질에대한다부처및다기관, 다학제간의협력은이러한역학조사체계를기반으로이루어지는것이가장현실적이며, 새로운기관을만드는것은차후의논의가될것이다. 결론 우리에게안전한생활환경을위한근본대책마련은정말요원한일인가? 물론시간이걸릴것이며장기적인기반도더만들어가야할것이다. 하지만, 우리가이미가진역량들을하나로모으기만해도의외로많은문제를해결할수있다. 상설적인범부처협력체계와다학제간의협력연구구조가하루빨리마련되어야할것이다. 앞에서제기한것과같이화학물질의안전은지속적으로발생할것이며, 주로취약한사람에게문제가집중될것이므로, 일반적인위해성평가가아닌취약계층을중심으로한위해성평가가이루어져야하고, 이과정에서유전체코호트와같이감수성을동시에평가할수있는고효율역학조사체계를확보하는것이필요하다. 이러한역학조사체계를구상하고전후의구성요건을마련하는과정에서실무적으로범부처의협력이이루어지는것이바람직할것으로판단된다. 20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