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8EDBBF3C0C720BABBC1FA2E687770>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B8EDBBF3C0C720BABBC1FA2E687770>"

Transcription

1 명상의본질 1 명상의본질 *1 조나단베이더 (Jonathan Bader) ( 번역 : 박영길 )**1 목차명상 (meditation) 과관상 (contemplation) 우빠사나 (Upāsana) 드흐야나 (Dhyāna) 근래, 명상 (meditation) 은일반대중은물론이고학계에서도주목할만한관심을끌고있다. 하지만놀라운것은명상에대한정확한정의를확립하려는시도조차거의없었다는점이다. 표준적인사전들이명상과같은복잡한용어를전문적으로정의할것으로기대할수는없지만, 사전은널리통용되는일반적인의미들을진술하고있는데바로이점은오히려전문용어를이해하기에난점이있다는것을반영한다. 예를들면옥스퍼드영어사전은동사 명상하다 (meditate) 를 ( 특히종교적인 ) 관상 (comtemplation) 속에서마음을수련하는 으로정의하고있다. 하지만이것은곧바로몇가지의문을불러일으킨다. 명상 (meditation) 과관상 * 조나단베이더는국립호주대학에서인도철학을강의하고있다. 여기서번역하는것은그의저작 샹까라의베단따철학에서의명상 (Meditation in the Śaṅkara's Vedānta. New Delhi: Aditya Prakashan, 1990) 중제 2 장을옮긴것이다. ** 박영길 ( 철학박사 / 동국대 ) advaitin@dgu.edu

2 (comtemplation) 은어느정도까지상응하는가? 또한만약 명상 이종교적인요소를담고있다면특정전통권에서의명상과다른전통권에서의명상은본질적으로다른것인가? 이러한의문들은 명상 에대한정의작업을확립하는데하나의출발점이된다. 여기서접근방식과내용은다음과같은세가지가될것이다. (1) meditation과 contemplation에대한어원적분석 (2) 신비신학 (mystical theology) 에서두단어가어떻게사용되었는지에대한선별적인탐구그리고 (3) 인도의명상즉, (a) 초기우빠니샤드에서발견되는명상개념그리고 (b) 요가경 에서정립된후대의명상개념이다. 명상 (meditation) 과관상 (contemplation) 명상 (meditation) 이라는단어는인도-유럽어족의어근 med에서파생되었는데, 어근 med의일차적의미는 측량하다 이다. 1 산스끄리뜨 (sanskrit) 의동족어근 mā도 측량하다, 재다, 구획하다 를의미하고 2 희랍어의동족어근 med에서파생된 멜레타오 (meletao) 역시 측량하다 를의미한다. 조금더전문적인의미에서의멜레타오 (meletao) 는 주의하다, 공부하다. 실천하다, 수련하다 를뜻하는데, 3 그의미는동족라틴어 메디토 (meditor) 와사실상동의어이다. 원래메디토 (meditor) 는좀더일반적인의미에서 수련하다 를의미했지만나중에는정신적인혹은영적인수련을지시하는것으로한정되었다. 4 여기서다룰 명상 (meditation) 1 The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Etymology, ed. C. T. Oninos and G. W. S. Friedrichsen. Oxford: s.v. 2 Monier-Williams,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repr. Delhi, 1974) s.v. 3 A Greek-English Lexicon, Henry George Liddell and Robert Scott(eds.) (revised ed. Oxford: ), s.v.

3 명상의본질 3 이라는단어는바로이라틴어 메디토 (meditor) 에서파생된것이다. 관상 (contemplation) 은라틴어 템플룸 (templum) 에서파생되었다. 초기에, 템플룸 (templum) 이라는용어는 예언을하기위해서점술가가구획했던공간 을지시하는것이었다. 점술가는하늘과땅위에사변형의공간을만들고그속에서징조를수집하고해석한다 5 는이의미가확대되어템플룸 (templum) 은신에게봉헌된성소 ( 聖所 ) 즉, 사원 (temple) 을의미하게되었다. 이러한의미에서의라틴어템플룸 (templum) 은 신성한울타리 를의미하는희랍어의 테메노스 (temenos) 와밀접히관련된다. 울타리가표시되는방식은인도-유럽어족의어근 tem( 자르다 ) 에서도암시되는데바로이어근 tem에서희랍어의테메노스 (temenos) 와라틴어의템플룸 (templum) 이파생되었다. 점술가가표시한선 ( 線 ) 들이텅빈하늘의공간을분할하고경계를정하는것으로보이는한그가했던행동엔 절단 (cutting) 이라는의미도담고있다. 하지만여기서의 절단 은단순히 절단하는것 이아니라넓은공간내에작은공간을표시하는것에가깝다. 점술가가의도하는것은하늘과땅이연결되는지점을확정하는것이다. 연결지점이하늘의징조로나타나면점술가는그것의의미를숙고하는데그것이관상 (contemplation) 을구성한다. 엘레미르졸라 (Elémire Zolla) 는이와같은고대의방법을다음과같이묘사한다. 무엇보다의례 (ritual) 는시간으로부터단절된한순간, 한공간을분리해내어야한다. 이성스러운지점은일상공간의세속적시간과단절되어야만한다... 고대의성자는모든공간이함장된그지점에원을 4 A. Ernuot and A. Meillet, Dictionnaire Étymologique de la Langue Latine, Historie des Mots (4th. ed. Paris, 1967), s.v. 5 espace carré délimité par l'augure dans le ciel, et sur la terre, à l'intérieur duquel il recueille et interprète les présages, A. Ernuot and A. Meillet, Dictionnaire Étymologique de la Langue Latine, Historie des Mots (4th. ed. Paris, 1967), p. 681.

4 그렸다. 그원위에네지점을표시했는데, 이는시간의네순간이교차됨을의미한다. 성자는우주의상징과지도위에설때까지그땅위에다른패턴들을그렸을것이다... 그다음에그는에너지를발산하는별 (star) 을향해섰을것이다. 그리고그는별에서자신에이르는선이원과교차하는지점에조약돌이나점 ( 占 ) 대또는꽃을올려놓았을것이다. 그리고그는바로그방향을향해응시했을것이다. 그방향에서넘어오는것은무엇이건별이그에게건네는말씀이었을것이다. 그것이징조 (omen) 였다는것은당연했을터, 그는경이와외경속에서그시 공간을확인했을것이다. 그는명상속에몰입했고, 명상은그에게전조 ( 前兆 ) 를보여주었다. 6 위인용문에서또한가지알수있는것은 콘템플라티오 (contemplatio) 라는용어가 절단하는것 그리고 표시하는것 이란의미에서 응시하는것 (gazing), 관상하는것 (contemplation) 으로그의미가변천했다는것이다. 스콜라철학자들은콘템플라티오 (contemplatio) 라는용어를희랍어의 테오리아 (theoria, 觀想 ) 와동의어로이해했고 테오리아 는곧라틴어로흘러들어갔다. 테오리아 (theoria) 의일차적인의미는 바라봄 (viewing), 주시함 (beholding) 이다. 7 두용어사이의유일한차이점은콘템플라티오 (contemplatio) 가하나의특별한종교적의미를내포하고있는데반해테오리아 (theoria) 는보다일반적인용도라는점이다. 8 플라톤은테오리아 (theoria) 라는단어가지닌관상적인함의를제시한다. 하지만인간에게미 ( 美 ) 의진정한본성을볼수있는능력이있다면, 다시말해서천상의아름다움을직접볼수있는능력이인간에게주어진다면, 그가아름다움의본성에대한열린눈을지니고있다고해서그리고그가진정한관상속에서 [ 아름다움의본성을완전히 6 Zolla(1977), pp A Greek-English Lexicon, Henry Geroge Liddell and Robert Scott(eds.) (revised ed. Oxford: ), s.v. 8 이점에대해서는 Festugière(1950), p. 13 의각주를참조.

5 명상의본질 5 인식할때까지그것을바라본다고해서 그대는그것을남부럽지않은삶이라고부를것인가? 여기서테오리아 (theoria) 는일종의직관적인이해의정점을이루는특별한종류의응시를의미하는것으로파악된다. 플라톤은 향연 (Symposium) 에서 하나의형태혹은신체에있는아름다움 을관찰하는것에서시작하는관상법 (contemplation) 을설명한다. 점진적인추상화를통해서육체적인아름다움이사라질때마침내영혼이지닌천상의아름다움이지각될것이다. 이와유사하게감각적인지각도점차지적인지각으로진행하고마침내는 아름다움그자체의바로그형상 을드러내는최고의질서를직접적으로자각한다. 아리스토텔레스시대이래로 비오스테오레티코스 (bios theoretikos: 관상적인삶, 보는방식 ) 와 비오스프라크티코스 (bios praktikos: 행위적인삶, 행하는방식 ) 는구별되었다. 명상 (meditation) 과관상 (contemplation) 은당연히비오스테오레티코스 (bios theoretikos) 의구성물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 명상 (meditation) 은행위를암시한다. 비록멜레테 (melete) 의라틴어족인메디타리 (meditari) 는 본질적으로정신적인혹은영적인종류의훈련 을의미하지만이것이내포하는것은분명히 행위 의일종이다. 이이유에서명상 (meditation) 은 실천적행위 (praxis) 와관련되어야만하는것이고반면, 관상 (contemplation) 은오직테오리아 (theoria) 와결부된다. 명상 (meditation) 과관상 (contemplation) 의관계는신비신학 (mystical theology) 의맥락에서살펴보면더잘이해될것이다. 중세의신비가인쌩빅토르의리처드 (Richard of St. Victor, 1173년작고 ) 는이주제에많은관심을기울였다. 그는 관상적인삶 (contemplative life) 속에사유 (cogitation), 명상 (meditation), 관상 (contemplation) 과같은세가지양태의지각이있다는것을밝혔다. 이세가지는 영혼에대한통찰 9 을의미 9 Richard of St. Victor(English Tr., 1957), p. 138.

6 한다는점에서유사하지만그각각은독자적인특성도지닌다. 사유 (cogitation) 는 다소목적이없는종류의생각 을의미한다. 다시말해서 강하게마음을끄는어떤것을만나기전까지는배회하고있는어떤마음 이사유 (cogitation) 이다. 따라서이것을좀더깊은탐구로몰아넣어야한다. 만약좀더깊은탐구가진행될때사유 (cogitation) 는명상 (meditation) 으로발전한다. 어떤대상에대한탐구에성실하게집중된마음의근면한집중... 진리를찾는데완전히몰입된영혼의주의력깊은눈빛. 10 명상 (meditation) 은대단한노력을필요로하는것이지만그에반해관상 (contemplation) 은애쓸필요가없다. 관상속에서마음은단순히자신이추구한진리를받아들일뿐이고또환희와경이로움의상태에서마음이진리에고정될뿐이다. 리처드는다소유쾌한비유로세가지양태의지각에대해설명한다. 사유, 굼뜬사유는그것이나아가야할곳으로인도되지못하고옆길을따라이곳저곳으로배회한다. 명상, 심리적으로대단히근면한명상은단계를따라터벅터벅걸으며목적을위해고단한행로를유지한다. 관상, 자유로운날개를가진관상은어떤자극이있건말건대단히민첩하게선회한다. 11 리처드는관상이자유롭다는의미를강조한다. 하지만그는관상이제멋대로가아니라는것을조심스럽게지적한다. 비록마음이앞 뒤로돌진하고또배회하고혹은맴돌지라도, 마치움직이지않은채한곳에있는것처럼 관상은한대상에확고히고정된상태이다. 성토마스아퀴나스 (St. Thomas Aquinas) 는 신학대전 (Summa 10 Richard of St. Victor(English Tr.,1957), p Richard of St. Victor(English Tr.,1957), p. 136.

7 명상의본질 7 Theologica) 에서관상적인삶이라는주제를다룬초기작가의작품들에대해논의한다. 12 그는 사유 (cogitation) 를하나의연역적인추리의과정으로설명하면서리처드의다소애매한설명을명료하게만든다. 또한아퀴나스는명상을추리의일종으로간주하고따라서그것을관상과구별시킨다. 명상 은어떤확실한원리에서어떤진리에대한관상으로이끄는추론의과정인것으로보인다. 하지만 관상 은단순히진리를응시할뿐으로간주된다. 13 이와유사하게십자가의요한 (St. John of the Cross) 도 살아있는사랑의불꽃 (Living Flame of Love) 에서명상을일종의추리과정으로묘사한다. 그리고그는 심상화 의행위와 명상의추론적훈련 이단지 초보자 에게적합할뿐이라고한다. 명상을그만둘때혹은오히려 명상이더이상실행해서도달할것이없어진단계에도달할때 그때는 마치관상에서일어나는현상처럼그는 신과의교감... 최고의지혜와신의언어를받게된다. 14 비록 명상 과 관상 은 측량 이라는의미를암시하는어근에서파생되었지만두단어는분명히각자독자적인어법으로발전했다. 명상은숙고하는기술을수반한다. 명상은활기찬심리적훈련이고또그것은종교적진리나형이상적본질을분명하게지각하기위해서실행되는것이다. 반면관상은행위가아니다. 관상은 명상을통해서추구했던진리 를수용하는것, 바라보는것혹은직관으로지각하는것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양자가서로관련되어있다는점을간과해서는안될것이다. 왜냐하면명상의귀결이관상이기때문이다. 명상과관상은불가분적으로연결되어있으므 Q Aquinas(English Tr., 1934). 아퀴나스는성아우구스티누스 (St. Augustine), 디오니시우스 (Dionysius), 성그레고리 (St. Gregory the Great), 성버나드 (St. Bernard of Clairvaux) 의작품을인용한다. 13 Aquinas(English Tr., 1934), p John of the Cross(Ed., English Tr., 1953), p. 162.

8 로양자를상보적인것으로이해하는것이바람직할것이다. 그이유는명확치않지만인도의종교나사상에대한담론에서, 관상 (contemplatoin) 이라는용어보다명상 (meditation) 이라는용어가일반적으로사용된다. 예를들어산스끄리뜨의 드흐야나 (dhyāna) 라는용어는대부분명상 (meditation) 으로번역된다. 이러한 관례 에초연했던학자는아난다꾸마라스와미 *15(Ananda K. Coomarasvamy) 이다. 꾸마라스와미는시종일관드흐야나 (dhyāna) 를 관상 (contemplation) 으로번역하는데, 그것은그가드흐야나 (dhyāna) 라는단어가나오게된동사어근 dhyai의의미를 지각하다 혹은 생각하다 를뜻하는 dhī 와상응하는것으로이해했기때문이다. 15 곤다 (Jan Gonda) 도 dhī가 비전 (vision) 을의미한다는것을장황하게열거했고 16 이와마찬가지로마이어호페 (Manfred Mayrhofer) 도두어근이동족이라는것에동의하고있다. 17 꾸마라스와미는논리적으로두어근이상응한다는것을두어근에서파생된두명사의주격형태 ( 제1격 ) 인 dhyāna와 dhī로까지확대한다. 그는어떤것을창작하는과정에서두용어가차지하는중요성을언급하면서 전통적으로예술가는무엇을만들때먼저지적인작용다시말해서, 실행되어야할작업의형태를 보는 관상에서출발한다 고주장한다. 꾸마라스와미는전차혹은제단이 관상에의해서 (dhiyā) 합친다 고말하는베다의문장을인용한다. 18 양자는초인간적인지각을암시하므로꾸마라스와미는 드히 (dhī) 와 드흐야나 (dhyāna) 를테오리아 (theoria) 와콘템플라티오 (contemplatio) 와동일시한다. 꾸마라스와미의번역이타당하다는것을 * Coomaraswamy 는산스끄리뜨 Kumārasvamī 의영어식표기로추정되므로여기서는꾸마라스와미로표기한다. 15 Coomaraswamy(1977), p 이책의초판은 1938 년이다. 16 곤다는그의연구서 (Gonda, 1963) 전체에서 dhī 에대해논의하고있다. 이점에대해서는특히 p. 289 이하를특히참조. 17 Mayrhofer(1956), vol. 1, s.v. 18 Coomaraswamy(1977), p. 426.

9 19 를 명상의본질 9 지지하는좋은예가있지만본연구에서는드흐야나 (dhyāna) 를명상으로번역할것이다. 첫번째이유는현재까지확립된용례를따르는것이보다편리하기때문이고두번째는명상이라는용어가특별한종교적색채를지니지않기때문에더적절한용어라고판단되기때문이다. 굳이기독교나힌두전통에서의명상개념을비교하지않아도상당히많은점에서일치할것이다. 하지만여기서는분명한유사성이나차이점을드러내기보다는, 지금까지알려진것보다더선명한의미를제공하고자한다. 지금까지의내용을요약하면그리고산스끄리뜨자료에대한개괄에서알수있듯이일단명상에대해임시적인정의라도해둘필요가있는데, 여기서의명상은 진리를직접적으로직관하기위해서마음을특별한주제혹은대상에집중하는것 을의미한다. 우빠사나 (Upāsana) 초기우빠니샤드에서명상법을지시하는용어로가장빈번하게사용된것은우빠사나 (upāsana, upāsanā) 이다. 때때로드흐야나 (dhyāna) 라는용어도발견되지만초기우빠니샤드에서의드흐햐나는 후기우빠니샤드그 리고특히 요가경 에서부여받은것과같은고유한의미 * 갖지못했다. 앉다 라는동사어근 ās에서파생된우빠사나 (upāsana) 는문자적으로 가까이앉다 를의미한다. 우빠사나라는단어가지닌특별한의미는 섬기다, 칭송하다, 숭배하다 20 는것인데이의미가확대되어 명상속을통해섬기 * 마이뜨리우빠니샤드 와같은후기우빠니샤드와 요가경 에서드흐야나 (dhyāna) 는각각육지요가 (ṣaḍaṅgayoga) 와팔지 (aṣṭāṅga) 요가의지분에포함되는데여기서드흐야나 (dhyāna) 는선정 ( 禪定 ) 이라는특별한의미를지닌다.

10 거나숭배하는태도를표현 하게되었다. 샹까라는우빠사나에대해여러번설명하는데그중에서가장인상적인정의는 브리하드아란야까우빠니샤드주해 1.3.9에서발견된다. 우빠사나라는말은, 천계서가명상의대상으로말했던신격 (devatā, 神格 ) 등등의본성에마음이도달하는것이고, 마치세속적인자아에대한관념처럼그신격 (devatā) 등등의본성이자아라고생각될때까지세속적인관념에방해받지않고마음을집중하는것이다. 21 샹까라가명상의대상으로신격 (devatā) 을언급했다는것은우빠사나가경배의요소를포함한다는것을보여준다. 우빠사나가경배라는의미를담고있다는측면은샹까라의 브라흐마경주해 4.1.1의 예를들면세상사에서, 어떤사람이그의스승이나다른사람을충실하게따를때 그는스승을경배한다 (upāste), 그는왕을경배한다 (upāste) 라고말하는것과같다. 22 는말에서더잘드러난다. 샹까라가제시한비유는일상적인경험과관련된것이지만분명히명상은세속적인풍습이아니다. 샹까라가지적했듯이집중해야할대상은전적으로성전 ( 聖典 ) 에서언급된 신격 (devatā) 등이어야한다. 우빠사나의참된목표는주관 ( 명상자 ) 과대상 ( 명상대상 ) 의일치즉, 명상의대상인신과의동일성 을성취하는것이다. 바로이 동일성을성취한다는개념 그리고성 ( 聖 ) 과속 ( 俗 ) 의재결합이라는개념은베다의희생제의까지거슬러간다. 예를들어뿌루샤찬가 (puruṣasūkta) 는 신이근원적인인간을희생적인공물로바친결과 로창조가어떻게발생하는지 20 Monier-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s.v. 21 Hiriyanna(1952), p. 7 : upāsanaṃ nāma upāsyārthavāde yathā devatādisvarūpaṃ śrutyā jñāpyate tathā manasopagamya āsanaṃ cintanaṃ laukikapratyāyāvyavadhānena yāvat taddevatādisvarūpātmābhimānābhivyaktir iti laukikātmābhimānavat. 22 BSBh tathā hi loke gurum upāste rājānam upāste iti ca yas tātparyeṇa gurvādīn anuvartate sa evam ucyate. 번역은 Thibaut(1896), p. 332 를참조.

11 명상의본질 11 를설명한다. 바로이 신성한희생제의 는인간행위의모범이되었고인간의창조적인활동도이와유사하게희생에의해개시된다. 이러한방식으로희생제의는신과인간을연결시켜주는것으로이해되었다. 신의영역과인간의영역을대응시키는것은인간의깊은영적열망뿐만아니라물질적도움을정당화하기위해시작되었다. 왜냐하면희생은번영과풍요를주는것으로믿어졌기때문이다. 희생제의가우빠니샤드의우빠사나 (upāsana) 로대체하도록베다의제의들은변형되었다. 브리하드아란야꺄우빠니샤드주해 3.1.6에서샹까라는제식행위를대체하는것으로서의명상을우빠사나 (upāsana) 라고언급한다. 샹까라는, 원하는결과를획득하게해주는데있어보다효과적인수단이명상이라고설명한다. 우선제의의경우엔제의를실행할때의실수, 비록사소한것일지라도실수가있다면제의의모든과정이무효화될수있다. 또한샹까라는희생제의에소요되는실질적인비용과같은다른문제도지적한다. 소수만이정교화된제의에소요되는지출을감당할수있고따라서대부분의사람들은제의가주는은혜를받지못한다. 제의가명상으로변형되는데는아마도또다른요인도있었을것이다. 스탈 (J. F. Staal) 교수는제식행위가퇴락하고따라서더이상신성성을유지할수없게되었다고주장한다. 23 하지만명상은제의와달리단순한것이고손쉬운방법이다. 브리하드아란야꺄우빠니샤드 는서두에서거대한우주적드라마를세팅하고제의를우빠사나와연결한다. 창조의비밀은상징적으로거대한 말의제의 (aśvamedha) 로드러난다. 창조자쁘라자빠띠 (Prajāpati) 는먼저죽음의장면에서등장해서그가만든모든것을먹어치운다. 하지만창조에대한충동이새롭게그속에서일어났고그래서그는스스로희생제의의공물이되었다. 그의육체는말 ( 馬, aśva) 이될때까지점차부풀 23 스탈교수는최초기의베다적희생제의에서 내적, 외적 경험사이의구별이없었다고주장한다. 제식과정은, 후대에몸과마음으로구별되어진것의본질적인동일성을반영한다. 이와같은단일성을파괴하고또제식의효과를점차적으로쇠퇴하게했던것은자아의식이발전하면서부터이다. Staal(1961), p. 70 이하를참조.

12 어올랐다 (aśvat). 그리고서그는다음과같은방식으로말 ( 馬 ) 에대해숙고하였다. 말의머리는여명이고, 그의눈은태양이고, 그의숨결은공기이고... 그것의등은하늘이고, 그의복부는공간이고, 그의말굽은땅이고그의옆구리는네방향이다. 24 비록마음속으로행해진것이지만실제제의에서행해진것처럼, 말은 1년동안자유롭게배회하였다 : 그리고난후쁘라자빠띠는자신을위해서말 ( 馬 ) 을희생하였다. 유사한창조신화인뿌루샤찬가 (puruṣasūkta) 도신에의해개시된희생이라는유형에근거한제식행위의효과가암시된다. 하지만우빠니샤드에서신성한동일성을성취하게해주는것은명상뿐이었다. 쁘라자빠띠는창조자와그가만든것 ( 피조물 ) 과의동일성을발견하고그리고명상을통해서불멸성을획득하는방법을보여준다. 이와같이아는자는죽음을정복한다. 죽음은그를따라잡지못한다. 이것은그의자아가되었고그는이신들과하나가된다. 25 사유의영역과물질의영역이연관되어있다는믿음을분명하게표현하는말들은인도의전통전체에서발견된다. 정신적인활동특히명상은물질계조차바꾸는힘이있다고말해졌다. 샹까라는 그는, 그자신이명상하는바로그존재가된다. 26 를여러번인용함으로써명상이물질요소조차바꿀수있다는개념을강화한다. 요지는, 누군가가특별한대상과의동일 24 BU : aum, uṣā vā aśvasya medhyasya śiraḥ, sūryas cakṣuḥ, vātaḥ praṇaḥ... dyauḥ pṛṣṭham, antarikṣam udaraṃ, pṛthivī pājasyam, diśaḥ pārśve.... 번역은 Mādhavānanda(1975), p. 6 을참조. 25 BU :...apa punar mṛtyuṃ jayati, nainam mṛtyum āponti, mṛtyur asyātmā bhavati, etāsāṃ devatānām eko bhavati. 26 taṃ yathā yathopāsate tad eva bhavati. 샹까라는이문장을 BSBh , , 그리고 ChUBh , BUBh 에서인용한다. 그는이문장을천계성구로인용하고있다. 하지만이인용문의출처를확인할수없다. 위천계성구에서 명상하다 는동사의원어는 upāsate 이다.

13 명상의본질 13 성을획득할때그가 대상이지닌특질 을상속하거나혹은취한다는것이다. 동일한개념은 신성한언어 라는관념에서도발견된다. 내뱉어진말 ( 語 ) 은신비스럽고초자연적인힘을갖는다. 말속에는그것이지시하는사물의본질이담겨져있다. 어떤것의 이름을아는것 은그사물을지배하는것이다. 말은지혜, 앎의수단이다 ; 그리고지혜는... 마술적인힘이다. 27 실제로우빠니샤드에서, 신성한말 ( 언어 ) 은거의모두우빠사나 (upāsana) 의토대가된다. 무수한예가 찬도갸우빠니샤드 에서발견되는데특히 사마베다 (Sāma veda) 의영창에서전개되는다양한종류의우빠사나들에대한설명으로채워져있는 찬도갸우빠니샤드 제 2장은명상의참된보고라할수있다. 여기서의 우빠사나 들은동일화의겹겹으로구성되어있다. 찬도갸우빠니샤드 2.2.1에서사만 (Sāman) 영창의다섯부분은세상의다섯부분들과동일시된다. 28 이대응은첫번째층인땅 ( 地 ) 이라는용어로정의된다. 다양한자연요소들은사만 (Sāman) 의구성물들과관련된다. 비 ( 雨 ) 에서다섯종류의 사만 (sāman) 을명상해야한다 (upāsīta). 비가오기전에부는바람을 힘 (him) 이라는음절로명상해야하고구름이생기는것을 쁘라스따와 (prastāva), 비가내리는것을 우드기타 (udgītha) 로, 천둥과번개를 쁘라띠하라 (pratihāra) 로, 비가 27 Edgerton(1965), pp 사마베다 (Sāma vada) 의절구분 (bhakti) 은, 특정사만이영창해야하는방법을지시한다. 힘까라 (hiṃkāra), 쁘라스따와 (prastāva), 우드기타 (udgītha), 쁘라띠하라 (pratihāra), 니드하나 (nidhana) 와같은사만의각요소는전문적으로지정되었다. 사만의다른부분을영창하는역할은베다의사제들에게각각전문적으로배정되어있다. 이점에대해서는 Swahananda(1975), p. xlvi 를참조. 힘까라 (hiṃkāra), 쁘라스따와 (prastāva), 우드기타 (udgītha), 쁘라띠하라 (pratihāra), 니드하나 (nidhana) 와같은다섯가지에대응하는것은각각땅 (prthivī), 불 (agni), 공간 (antarikṣa), 태양 (āditya), 하늘 (dyau) 이다.

14 그치면 니드하나 (nidhana) 로명상해야한다. 비는그를위해서내리고그는비를내리게한다. 이것을이와같이알고서비에서다섯개의샤만을명상해야한다. 29 이러한일련의동일화를통해서명상가는 명상의대상물에내재되어있는힘 을획득한다. 샹까라는이와같은힘을획득하는것을전통적으로우빠사나의목표로말해진세가지중의첫번째로받아들인다. 30 우빠사나의두번째목표는위험을피하는것이다. 그는물에빠져죽지않으며그는물로인해풍요해진다. 이와같이알고그는모든물에서다섯사만을명상해야한다. 31 세번째이자가장높은것은태양에대한명상의정점에서약속된것을획득하는것이다. 그는태양의승리를획득한다. 실로태양의승리보다위대한승리가이말을그와같이아는것이다. 일곱겹의사만을명상하는자는동일성을획득하고죽음을초월한다. 32 베다의전통에서볼때정확하게발음하는것 (śikṣā) 은그자체가신성한말을이해하는데중요한토대가된다. 발음의두가지측면은 따이띠리야우빠니샤드 1.3에서논의되었는데첫번째는단순히암송하는과정을포함할뿐이고간략히언급되어있다. 두번째는발음에대한비밀스런해석을극도로정교화한것인데, 음절들에상응하는것에대한명상을통해서전개되고있다. 각각의음절들에합당하게대응하는대상그것이우빠사나들의다양한주제인데그중에첫번째는세상 (loka) 을명상하는것 29 ChU : athāvṛtteṣu dyaur hiṃkāra, ādityaḥ prastāvo 'ntarikṣam udgītho 'gniḥ pratihāraḥ pṛthivī nidhanam. Radhakrishnan(1974), p BSBh : phalam apy eṣām yathopadeśaṃ kvacid duritakṣayaḥ kvacid aiśvaryaprāptiḥ kvacit kramamuktir. 31 ChU : na hāpsu praity apsumān bhavati ya etad evam vidvān sarvāsu apsu pañcavidhaṃ sāmopāste. Radhakrishnana(1974), p ChU : āpnoti hādityasya jayaṃ, paro hāsyādityajayāj jayo bhavati, ya etad evaṃ vidvān ātmasammitam atimṛtyu saptavidham sāmopāste, sāmopāste. Radhakrishnana(1974), p. 367.

15 명상의본질 15 이다. 땅은첫번째음절을나타내고두번째음절은하늘에상응한다. 그사이에있는공간은허공 (ākāśa) 으로표시되었고음절을결합하는연결고리가공기 (vāyu) 이다. 학생들은각각의음절들이지닌고유한특징그리고중간의공간을이해하게끔지도받았다. 실제로학생도결합의과정에참여한다고할수있는데그이유는 학생이그음절을직접발음함으로써생겨난공기의힘혹은바람의힘 그것이실제로그들을연결시켜주기때문이다. 33 이와같은방식으로음절들은 단어라는벽돌을쌓아올리는것 이상의것으로이해되었다. 음절들의상호관련성은 하나의우주적패턴 을반영하는소우주가된다. 이러한자각은, 학생이그의주간성무 (saṃdhyā) 를시작하면서부터하루에세번암송하는 브후르브후와하수와하 (bhūr bhuvaḥ suvaḥ) 와같은비밀스런발설 (vyāhṛti) 의의미를 브후하 (bhūha) 는이세상이고, 브후와하 (bhuvaḥ) 는대지이며, 수와하 (suvaḥ) 는저세상이고... 이와같이아는자는브라흐만을안다. 34 로이해하게했다. 33 스와미감브히라난다 (Swāmī Gambhīrānanda) 는이과정에대해서샹까라난다 (Śaṅkarānanda) 의설명을인용한다. iśe tva 에서 ś 에후속하는모음 e 는땅을상징한다. e 에후속하는자음 t 는하늘과동일시된다. 이두문자사이의공간이아꺄샤 (ākāśa, 허공 ) 이다. 두부분의결합으로생겨난공간이복제됨으로써또다른 t 가생겨나므로 iśe tva 의실제발음은 iśet-tva 가되는데, 복제된 t 는바유 (vāyu, 결합자 ) 와동일시된다. 이점에대해서는 Gambhirānanda( ), p. 236 의각주를참조. 34 TU : bhūr bhuvas suvaḥ iti vā atās tisro vyāhṛtayaḥ, tāsām u ha smaitāṃ caturthīm, māhācamasyaḥ, pravedayate, maha iti, tad brahma, sa ātmā, aṅgāny anyā devatāḥ, bhūr iti vā ayaṃ lokaḥ, bhuva ity antarikṣaṃ, suvar ity asau lokaḥ, maha ity ādityaḥ, ādityena vā va sarve lokā mahīyante. 브후, 브후와, 수와 라는이들은세종류로불린다. 하지만마하짜마스의아들은네번째즉, 마하 를가르쳤다. 마하 는브라흐만이고아뜨만이지만다른신들은 [ 브라흐만의 ] 일부분일뿐이다. 브후 는이세상이고 브후와 는허공이며 수와 는저세상이다. 마하 는태양이다. 왜냐하면태양으로인해모든세상이위대 ( mah) 해지기때문이다. TU : bhūr iti vā agniḥ, bhuva iti vāyuḥ, suvar ity ādityaḥ, maha iti

16 브라흐만이 말의힘 과밀접하게관련되어있다는점에서, 가장탁월한상징이라할수있는신성한음절옴 (oṃ) 이브라흐만에대한명상에사용되었다는것은놀라운일도아니다. 모든베다가되풀이해서하는말그리고모든금욕자들이선언하는... 그것은옴 (oṃ) 이다. 진실로이음절이브라흐만이다. 이음절은최고의존재이고바로이음절을아는자는그가무엇을원하건그의것이된다. 이음절은최상의토대이고지고한토대이다. 35 candramāḥ, candramasā vā va sarvāṇi jyotīṃsi mahīyante. 브후 는불 ( 火 ) 이고 브후와 는바람이고 수와 는태양이고 마하 는달이다. 진실로 달 로인해다른빛들도위대해진다. TU : bhūr iti vā ṛcaḥ, bhuva iti sāmāni, suvar iti yajūṃsi, maha iti brahma, brahmaṇā vā va sarve vedā mahīyante. 브후 는리그베다의노래 (ṛca) 이고 브후와 는사마베다의찬송이고 수와 는야주르베다 의정칙 ( 定則 ) 이며, 마하 는브라흐만이다. 진실로모든베다들은브라흐만 (=om) 에의해위대해진다. TU : bhūr iti vai prāṇaḥ, bhuva ity apānaḥ, suvar iti vyānaḥ, maha ity annam, annena vā va sarve prāṇā mahīyante. 브후 는쁘라나 ( 들숨 ) 이고 브후와 는아빠나 ( 날숨 ) 이고 수와 는뷔야나 ( 체내로퍼지는숨 ) 이며, 마하 는음식이다. 진실로음식으로인해모든쁘라나는위대해진다. TU tā vā etāś catasraś caturdhā, cetasraś catasro vyāhṛtayaḥ, tā yo veda, sa veda brahma, sarvesmai devā balim āvahanti. 이와같이이네가지는네겹으로되어있다. 네가지를네겹으로불러야한다. 바로이것들을아는자는브라흐만을아는자이다. 이와같이아는자에겐모든신들이축복을내릴것이다 Radhakrishnan(1974), pp KaU : sarve vedā yat padam āmananti tapāṃsi sarvāṇi ca yad vadanati... aum ity etat etadd hy evākṣaram brahma etad dhy evākṣaram param etad dhy evākṣaraṃ jñātvā yo yad icchanti tasya tat etad ālambanaṃ śreṣṭham etad ālambanam paraṃ.... 번역은 Hume(1977), p. 349 를참조. 그리고옴 (oṃ) 에대해서는아래의우빠니샤드를참조. ChU. 1.1: aum ity etad akṣaram udgītham upāsīta... 옴 (aum) 이라는이음절을우드기타로명상해야한다.... MāU. 1: aum ity etad akṣaraṃ idaṃ sarvam, tasyopavyākhyānam, bhūtam

17 명상의본질 17 옴 (oṃ) 은명상의궁극적토대이고 36, 옴은아뜨만이라는화살을표적인브라흐만에겨누고있는활이고, 37 옴은명상수련으로마찰될때감추어진신성을드러내게하는 불쏘시개 이다. 38 이와같이 우빠사나 에서신성한 bhavad bhaviṣyad iti sarvam auṃkāra eva, yac cānayat trikālātitaṃ tad apy auṃkāra eva. 옴 (aum) 이라는이음절은이모든것이다. 이것에대해설명하겠는데, 과거와현재와미래의모든것이바로옴음절이다. 그리고과거와현재, 미래라는삼세를넘어선것도모두옴음절일뿐이다. TU. 1.8: aum iti brahma, aum itīdiaṃ sarvam, aum ity etad anukṛtir ha sma va apyo śrāvayetyāśrāvayanti, aum ity sāmāni gāyanti, aum śomiti śastrānī śaṃśanti, aum ity adhvaryuḥ, pratigaram pratigṛṇāti, aum ity brahma prasauti, aum ity agnihotram anujānāti, aum ity brāhmaṇaḥ pravakṣyann āha, brahmopāpnavānīti, brahmaivopāpnoti. 옴 (aum) 은브라흐만이다. 옴 (aum) 은 이모든것 이다. 옴 (aum) 은진실로모든것을따르게하는것으로 옴 (aum). 따라하시오 라고말하면그들도따라한다. 옴 (aum) 소리로그들은사만찬송을한다. 찬송을하기전에 옴숌 (aum śom) 이라고외친다. 옴 (aum) 으로아드바르유는대답한다. 옴 (aum) 이라는소리로바라문은찬송한다. 옴 (aum) 으로아그니에게바치는제식을행한다. 옴 (aum) 이라는말로 제가브라흐만을획득할수있기를, 브라흐만을획득할수있기를 이라는브라흐마나의말씀이개시된다. ; 옴 (Oṃ) 이라는단어의의미에대한논의는 Asko Parpola(1981), pp 을참조. 36 PU. 5.2: tasmai sa hovāca, etad vai, satyakāma, paraṃ cāparaṃ ca brahma yad auṃkāraḥ, tasmād vidvān etenaivāyatanenaikataram anveti. 그는사띠야까마를위해서말했다. < 사띠야까마여, 진실로 옴 (aum) 이라는소리는최고의브라흐만이고하위의브라흐만이다. 그러므로현자는오직이것 ( 옴 ) 에의거해서하나혹은다른것에도달한다 > 라고. 37 MuU : praṇavo dhanuḥ, śaro hy ātmā, brahma tal lakṣyam ucyate, apramattena veddhavyam, śaravat tanmayo bhavet. 실로옴 (oṃ, praṇava) 은활이고, 아뜨만은화살이다. 브라흐만은그것의표적이라고말해졌다. 화살이표적에꽂혀표적과하나가되듯이, 실수없이 [ 그표적에 ] 명중시켜야한다. 38 ŚvU. 1.14: svadeham araṇiṃ kṛtvā praṇavam co 'ttarāraṇim dhyānanirmathanābhyāsāt devam praśyen nigūḍhavat. 자신의몸을아래로향하는장작으로만들고난후에옴 (oṃ) 을위에서마찰하는장작으로하고

18 음절 옴 이탁월하다고말해졌지만그럼에도불구하고옴명상에대한세부절차는거의설명되지않았다. 다행히다른중요한우빠사나가다소자세하게설명되었다. 예를들어 사띠야 (satya, 실재혹은참 ) 라는단어로상징되는브라흐만에대한명상은 단어에대한비밀스런앎 을매개로해서동일성을확립해가는과정을포함하고있다. 이우빠사나명상은 자아가불멸 (amṛta) 즉, 브라흐만이다 는선언에서시작되는데, 그다음주제는동일화시켜야할대상인 브라흐만과사띠얌 (satyam) 이다. 실로여기엔삿 - 띠 - 얌 (sat-ti-yam) 이라는세음절이있다. 삿 (sat) 은불멸이다. 띠 (ti) 는죽어야할존재이고 얌 (yam) 은그두가지를쥐고있는것이다. 이것을유지함으로써다른두개를함께유지할수있기때문에이것은 얌 (yam) 이다. 39 위문장은주로 죽음 이나 인간 이 불멸의브라흐만 과어떻게관련되어있는지를결정하는문제와관련된다. 이것에대한해답이죽음과불멸을연결시키는가교인 신성한음절 사띠얌 (satyam) 에대한명상이다. 명상 (dhyāna) 으로 계속 마찰시킴으로써 감추어져 있는 신을 보게끔 할지어다. 39 ChU : tāni ha vā etāni trīṇy akṣarāṇi sat-ti-yam iti tad yad sat tad amṛtam atha yat ti tan martyam atra yad yaṃ tenobhe yacchati yad anenobhe yacchati tasmād yam.... 번역은 Hume(1977), p. 265 를참조 ; 이명상에대한다른버전은 BU 에묘사되어있다. BU :... te devāh satyam evopāsate, tad etat tryakṣaraṃ: sa-ti-yam iti. sa ity ekam akṣaram; tīty ekam akṣaram, yam iti ekam akṣaram: prathama uttame akṣare satyam, madhyato 'nṛtam; tad etad anṛtam ubhayataḥ satyena parigṛhītaṃ satyabhūyam eva bhavati... 그신들은사띠얌에대해명상하였다. 사띠얌은세개의음절로구성된것인데 사 (sa) 가한음절이고 띠 (ti) 가한음절이고 얌 (yam) 이한음절이다. 첫번째음절 (sa) 과마지막음절 (yam) 은 진실한것 이고가운데음절 (ti) 은 헛된것 이다. 바로이헛된것 (ti) 이, 진실한것 이라할수있는전후의두음절 (sa 와 yam) 에의해둘러싸여 진실한것 을구성한다.

19 명상의본질 19 단어가담고있는비밀스런의미는엄격한언어학적분석에의해서드러나는것이아니라오히려심정적인어원학에서드러나고또 그단어와관련되는모든의미를연상시킴으로써 그의미가풍부해진다. 40 첫번째음절 삿 (sat) 은문자적으로 존재 를의미하고이단어가지시하는것은 시작도없고끝도없는존재 인브라흐만이다. 샹까라에따르면두번째음절 띠 (ti) 는 므릿띠유 (mṛtyu: 죽음, 죽어야할운명 ) 라는단어에서의 띠 (ty) 를반영한것이다. 마지막음절은 얌 (yam: 유지하다 ) 이라는동사어근으로이해된다. 후속하는게송은죽음과불멸이실제로결합하는방법에대해설명한다. 아뜨만은다리 (setu: 橋 ) 이고또세상이충돌하지않게끔구획을유지하는분할자이다. 그다리위에서는낮과밤이교차하지않고늙음과죽음도교차하지않는다. 41 여기서살펴볼것은핵심이되는단어라할수있는 세뚜 (setu) 이다. 이단어는 다리 를의미할뿐만아니라 둑, 제방 도의미한다. 이단어가 지탱하는, 제어하는, 통제하는 이라는의미뿐만아니라 유지함 이라는의미를지닌한세뚜 (setu) 가내포하는의미는 얌 (yam) 과정확히상응한다. 통제자 는아뜨만이다. 여기서아뜨만이라는단어는신체적인몸을의미할수도있고또는신체안에있는 불멸적본성 을의미할수도있다. 전자라면여기서의아뜨만은 죽어야할몸뚱이 즉, 사람을 이세상 과묶어주는신체를의미한다. 하지만최고의아뜨만에대한지혜다시말해서, 브라흐만과아뜨만이동일하다는앎은 피안 으로건너가게끔해주는 다리 이다. 40 베티하이만 (Betty Heimann) 은고대문헌에서발견되는어원들이 철학적으로는틀리지만심리학적으로는타당하다 고주장한다. 이점에대해서는 Heimann(1964), p. 91 을참조 ; 우빠니샤드의스승이분석하는어원은우리가기대하는정확한어원학적분석과별관련이없다. 우빠니샤드가밝히고있는몇몇어원은 단어와사람, 세상그리고신의상호관련성 을제자에게일깨우기위해단순히고안된것으로보인다. 41 ChU : atha ya ātma sa setur vidhṛtir eṣāṃ lokānām asambhedāya naitaṃ setum ahorātre tarataḥ na jarā na mṛtyur.... Radhakrishnan(1974), p. 497.

20 사띠얌 (satyam) 에대한분석에서 얌 (yam) 이라는음절이암시하는 통제 라는개념역시중요한데그것은우빠사나 (upāsana) 의수련에필요한자기통제를암시하기때문이다. 샹까라는우빠사나가 동일한관념이흐르는것 (tulyapratyayasantatir) 을특징으로한다는점을강조한다. 42 생각의흐름을지속시키기위해서는상당히많은훈련이필요할것이라는점은말할필요도없을것이다. 하지만샹까라는 10개의우빠니샤드에대한주석에서명상이어떻게진행되는지에대해서는거의설명하지않았다. 그대신샹까라가주로논의했던것은 명상의대상 이다. 샹까라는, 합일하고자하는대상인 바로그신 을묘사하는제의와상징적인주제들을대단히자세하게설명하면서논의의초점을명상의대상에두고있다. 드흐야나 (Dhyāna) 샹까라가선별해서주석했던우빠니샤드에서드흐야나 (dhyāna) 라는용어는우빠사나 (upāsana) 와사실상동의어이거나 43 혹은단지 생각함 44 을 42 TuBh 예를들면다음과같다. ChU : ātmānam antata upasṛtya stuvīta; kāmaṃ dhyāyann apramatto 'bhyāśo ha yad asmai sa kāmaḥ samṛdhyeta, yatkāmaḥ stuvīteti, yatkāmaḥ stuvīteti. PU. 5.1:... sa yo ha vai tad, bhagavan, manuṣyeṣu prāyaṇāntam auṃkāram abhidhyāyīta, katamaṃ vā va sa tena lokaṃ jayatīti. MuU :... aum ity evaṃ dhyāyathātmānam, svasti vaḥ pārāya tamasaḥ parastāt. 44 BU : tam eva dhīro vijñāya prajñāṃ kurvīta brāhmaṇaḥ nānu dhyāyad bahūn śabdān, vāco viglāpanaṃ hi tat iti. KaU. 1.28: ajīryatām amṛtānām upetya jīryan martyaḥ kvadhasthaḥ prajānan abhidhyāyan varṇaratipramodān, atidīrghe jīvite ko rameta.

21 명상의본질 21 의미할뿐이다. 샹까라도드흐야나와우빠사나의의미를구별하는것에그다지관심을두지않았던것으로보인다. 브라흐마경주해 4.1.7과 에서샹까라는두용어를모두 동일한관념이흐르게하는것 이라고똑같이설명하였다.* 45 하지만두단어의유사성에도불구하고분명한차이점도있는것으로보인다. 첫번째차이는우빠사나와달리드흐야나의경우신앙적인마음가짐을반드시수반하지않는다는것이다. 두번째는드흐야나가요가의실천과결부되듯이이용어는특히마음을통제하는기법과동일시될수있지만그에반해우빠사나는정신적인훈련이라는특별한경향을내포하지않는다는것이다. 우빠사나에서강조되는것은 명상의대상 다시말해서 그가합일하고자하는대상 인신성이고따라서우빠사나는 경배 (worship) 라는의미를담고있다. 초기우빠니샤드문헌에서알수있듯이드흐야나는사실 생각의일종 이다. 하지만여기서의드흐야나는단순한생각이아니라 동일성을획득하는방법 혹은 참된지혜를얻게하는수단 으로특화된사유양태이다. 드흐야나라는용어가그자체로독자적인의미를지닌개념으로발전하기시작한것은 바가와드기따 와 쉬웨따쉬와따라우빠니샤드 에서뿐이다. 또한드흐야나는훗날 요가경 에서완벽하게설명된요가수행법에서필수적인구성요소가된다.46 샹까라는요가를설명할때주로위의세작품에권위를부여하고인용하지만특히 요가경 에의거하는경우가많다. 물론이것은뷔야사 (Vyāsa) 의 요가경주해 (Yogasūtrabhāṣya) 에대한복주, 요가경주해비와라나 가샹까라의진작이라는것을전제로한 AiU : tan manasājighṛkṣat, tan nāśaknon manasā graḥītum; sa yad hainan manasāgrahaiṣyad dhyātvā haivānnam atrapsyat. * BSBh : upāsanaṃ nāma samānapratyayapravāhakaraṇaṃ... BSBh : api ca dhyāyati artha eṣa yat samānapratyayapravāhakaraṇam ** 빠딴잘리의 요가경 에서드흐야나 (dhyāna) 는팔지요가중에서여섯번째지분으로확립되는데여기서의드흐야나는 관념이오직한가지로지속되는상태 인선정 ( 禪定 ) 을의미한다.

22 이야기다. 하지만그외에도요가와명상에대한샹까라의설명중상당수가뷔야사 (Vyāsa) 에게많은영향을받았다는것을알수있다. 예를들어샹까라는 브라흐마경주해 4.1.8에서드흐야나를 동일한관념이흐르게끔하는것 (samānapratyayapravāhakaraṇam) 으로설명했는데, 이말은 요가경주해.3.2. 에서뷔야사가정의한선정 (dhyāna) 개념즉, [ 선정은 ] 관념이하나인것처럼유사한형태로흐르는것이다 (pratyayasya ekātanatā sadṛśaḥ pravāhāḥ) 라는표현을그대로반영한것이다. 샹까라는 브라흐마경주해 에서드흐야나라는용어의특별한용례를설명하는데이것역시 요가경 을연상시킨다. 명상한다 (dhyāyati) 라는동사는마음이한대상에집중된사람, 시선이고정된사람그리고사지가움직이지않는사람들 [ 에대한비유로사용된다 ]. 45 빠딴잘리의 요가경 도견고하고안정된자세 ( 좌법, āsana) 에서시작하는명상수련법에대해묘사한다. 그에따르면견고성 ( 좌법 ) 은호흡의통제 ( 조식, prāṇāyāma) 에의해서강화된다. 들숨과날숨과멈춤을포함하는호흡의각순간은통제되고연장되고호흡이극도로미세해질때외적인움직임은실제로정지한다. 시선이고정되었다는것은명상가가감각의작용마저끊었다는것을암시한다. 이것은감각기관의철수 (pratyāhāra) 에의해서성취되는데, 이상태에서는더이상감각적자극과의상호작용이일어나지않는다. 좌법, 조식, 감각기관의철수라는이세가지실천법 46 은 45 BSBh : dhyāyatiś ca praśithilāṅgaceṣṭesu pratiṣṭhitadṛṣṭiṣv ekaviṣayākṣiptacitteṣu 좌법, 조식, 제감에대한설명은아래의인용문을참조. YS. 2.46: sthirasukham āsanam. 좌법은견고하고안락한것이다. YS. 2.47: prayatnaśaithilyānanta samāpattibhyām. [ 좌법은 ] 노력과무한한것에대한명상을통해 [ 완성된다 ]. YS. 2.48: tato dvandvānabhighātaḥ. 좌법의결과상반하는것에손상되지않는다. YS. 2.49: tasmin sati śvāsapraśvāsayor gativicchedaḥ prāṇāyāmaḥ. 좌법이

23 명상의본질 23 그것의전제조건인도덕적행위 47 와함께명상의토대를형성한다. 이와같은준비를끝낸수련자는이제마음을정복하기위한수련을시작할것이다. 먼저, 마음을오직한대상에만초점을두고마음을고정해야한다 (dhāraṇa). 그이후에비로소선정 ( 禪定, dhyāna) 의특징이라할수있는 생각의통일된흐름 이전개될것이다. 샹까라는 흐트러지지않는생각의흐름 을마치기름 (oil) 이미세하고지속적으로흘러내리는것에비유한다. 48 선정 (dhyāna) 은삼매 (samādhi) 에서그정점에도달하는데삼매는독립된감각이모두사라질때일어난다. 명상속에서 명상이라는행위 와 명상의대상 은하나로용해된다. 이동일성은대상의빛을받아 확립되었을때들숨과날숨의진행을멈추는것이조식 (prāṇāyāma, 호흡의멈춤 ) 이다. YS. 2.50: bāhyābhyantarastambhavṛttir deśakālasaṃkhyābhiḥ paridṛṣṭo dīrghasūkṣmaḥ. 외적작용과내적작용, 멈춤작용은장소와시간과수에의해관찰될때길고미세하게된다. YS bāhyābhyantaraviṣayākṣepī catruthaḥ. 외적, 내적범위를제거하는것이네번째 [ 조식 ] 이다. YS. 2.52: tataḥ kṣīyate prakāśāvaraṇam. 조식으로부터 [ 지혜의 ] 빛을가로막는장애가파괴된다. YS. 2.53: dhāraṇāsu ca yogyatā manasaḥ. 그리고마음은총지에적합하게된다. 47 샹까라는 브라흐마경주해 에서권계와금계에대해서언급하지않았다. 그는도덕적원리들을거의언급하지않았지만그것은그의제자들이그러한자격을갖춘것으로예상했던것으로보인다. 예를들어샹까라는, 스승은제자들이샤스뜨라에서확정된덕성을구비했는지 (śātraprasiddhaśiṣyaguṇasampannāya, USG.1.2) 여부를판단해야한다고주장한다. 요가경 은 8 지요가수행 (aṣṭāṅgayoga) 의첫두단계에해당하는도덕적원리를자세히설명한다. 여기서첫번째단계는금계 (yama) 인데, 그항목은 살아있는생명을해치지않는것, 진실 ( 不妄語 ), 도둑질하지않는것 ( 不偸盜 ), 금욕 ( 梵行 ), 무소유 와같은 통제 행위들이다.(YS.2.30: ahiṃsāsatyāsteyabrahmacaryāparigrahā yamāḥ). 두번째단계는권계 (niyama) 인데권계의항목은 청정, 만족, 고행, 학습, 신에대한헌신 과같은 준수사항 들이다.(YS.2.32: śaucasantoṣatapaḥ svādhyāyeśvarapraṇidhānāni niyamaḥ) 48 BGBh : tailadhārāvat saṃtato 'vicchinnapratyayaḥ

24 저절로일어난다. 요가경 에서명상은총지 (dhāraṇa), 선정 (dhyāna), 삼매 (samādhi) 라는세가지과정전체를포함한다. 49 이것은샹까라가인용한전통적비유, 먼저램프를단단히잡고그리고연료를채운후불을밝히면불빛만이빛나는것으로보인다. 로설명할수있다. 뭉뚱그려총제 (saṃyama) 로알려진이세요소 ( 총지, 선정, 삼매 ) 는요가의목표를달성하게해주는직접적인수단 (antaraṅga, 내지칙 ) 으로간주된다. 50 그것에선행하는다섯단계 ( 권계, 금계, 좌법, 조식, 감각기관의철수 ) 는간접적으로도움을주는것 (bahiraṅga, 외지칙 ) 으로총제 (saṃyama) 의토대가되는것이다. 따라서요가수련의핵심은명상이다. 요가경 은명상을두종류로구별하는데 51 하나는대상에집중된의식 49 YS. 3.1: deśabandhaś cittasya dhāraṇā. 마음이 [ 한 ] 지점에고정되는것이총지이다. YS. 3.2: tatra pratyayaikatānatā dhyāna. 여기서관념이오직한가지로지속되는상태가선정이다. YS. 3.3: tadevārthamātra nirbhāsaṃ svarūpaśūnyam iva samādhiḥ. 바로이선정에서 마치자신의본성은사라진것처럼대상으로서만빛을발하는것 이삼매이다. ; 꾸마라스와미는이과정이 consideratio, contemplatio 그리고기독교신비신학에서말하는 황홀감 과유사하다고주장한다. 이점에대해서는 Coomaraswamy(1977), p. 284를참조. 50 YS. 3.4: trayam ekatra saṃyamaḥ. 세가지는밀접하게결합되어총제 [ 로불린다 ]. YS. 3.5: tajjayāt prajñālokaḥ. 그것 ( 총제 ) 에통달할때지혜의빛이있다. YS. 3.6: tasya bhūmiṣu viniyogaḥ. 그것은단계적으로작용한다. 51 엄밀히말하자면, 명상에해당하는원어는삼매 (samādhi) 이고따라서 요가경 이삼매를두종류로구별한다고할수있다. 하지만본서에서는논의의편의를위해선정 (dhyāna) 과삼매 (samādhi) 를포괄하는넓은의미에서 명상 으로표현한다. 선정과삼매는총제 (saṃyama) 의구성요소이고불가분적으로연결되어있다. YS 과 1.42 에언급된여섯종류의삼매는총체에의해획득될수있다. 보다자세한논의는 Dasgupta(1973), p. 124 이하를참조. 샹까라는삼매를 보다일반적으로명상을의미하는다른용어 와구별하는것에특별히관심을두지않았다. 예를들어샹까라는 브라흐마경 의

25 명상의본질 25 에근거한것 (saṃprajñāta, 역주 : 유상삼매 ) 이고다른하나는대상과의접촉이모두끊어진것 (asaṃprajñāta, 역주무상삼매 ) 이다. 52 총제 (saṃyama) 는어떤대상과의동일성 (identity) 을확립하기위해노력하는명상이므로 대상에근거한명상 을대표한다. 반면쁘라샹꺄나 (prasaṃkhyāna) 는대상에근거하지않는독립적인명상을대표한다. 이명상은오직 식별적인인식 (vivekakhyāti) 53 을특징으로한다. 쁘라상캬 경문 samādhy abhāvāc ca 를주석하면서 선정 (dhyāna) 그리고지속적인명상 (nididhyāsana) 을묘사하고있는문장들 을삼매 (samādhi) 의예로인용하고있다. BSBh : yo 'py ayam aupaniṣadātmapratipattiprayojanaḥ samādhir upadiṣṭo vedānteṣu- ātmā vā are draṣṭavyaḥ śrotavyo mantavyo nididhyasitavya (BU ), so nveṣṭavyaḥ sa vijijñāsitavyaḥ (ChU , ātmety evaṃ dhyāyatha ātmānam (MuU ) ity evaṃ lakṣaṇaḥ. 우빠니사드들에서설명된아뜨만에대한자각을성취하기위해서베단따 (= 우빠니샤드 ) 들에서삼매는다음과같은특징으로설명되었다. 실로아뜨만을보아야만한다. [ 아뜨만에대해 ] 들어야하고숙고해야하고지속적으로명상해야한다., 아뜨만은탐구되어야하고그는알려져야만한다, 그대는자신을아뜨만으로명상해야한다 와같이설명되었다. 한편, 샹까라가인용한 MuU 의원문은 ātmety evaṃ dhyāyatha ātmānam 로되어있지만 MuU 의실제원문은 oṃ ity evam dhyāyatha ātmānam 으로보인다. 52 YS. 1.18: virāmapratyayābhyāsa pūrvaḥ saṃskāraśeṣo 'nyaḥ. [ 마음작용의 ] 정지를일으키는수련에뒤따르는것으로서잠세력이잔존하는 다른것 ( 삼매, = 무상삼매 ) 이있다. 53 이것은우즈의번역이다. Woods(1977), p. 8; 쁘라상캬나 (prasaṃkhyāna) 라는용어는 YS , YSBh. 1.2 에서설명되고있다. YS. 4.29: prasaṃkhyāne 'pi akusīdasya sarvathā vivekakhyāter dharmameghaḥ samādhiḥ 쁘라상캬나 (prasaṃkhyāna) 에대해서조차언제나무관심한자에게는식별지로인해법운삼매 ( 法雲三昧, dharmameghaḥ samādhiḥ) 가 [ 일어난다 ]. YSBh. 1.2: tad eva rajoleśamlāpetaṃ svarūpapratiṣṭhaṃ sattvapuruṣānyatākhyātimātraṃ dharmameghadhyānopagaṃ bhavati tatparaṃ prasaṃkhyānam ity ācakṣate dhyāyinaḥ 동질 ( 動質, 라자스 ) 의사소한티끌조차떨치고본성에확주하는바로이것은, 순질 ( 사뜨와 : 통각 ) 과뿌루샤가다르다는것을아는것일뿐이고법운선정으로향하게

26 나의역할은 뿌루샤 (puruṣa) 의원래적인본성 과 물질적대상의근원이 한다. 선정에든사람들은바로그것을최고의쁘라상캬나라고말했다. 쁘라상캬나라는단어는 YS에서한번 (4.29) 발견되고 YSBh에서는일곱번 (1.2, 1.15, , 2.11, 2.13, 4.29) 발견된다. YSBh가쁘라상캬나를대부분번뇌의종자 (bīja) 와관련된문맥에서언급하고있다는점은대단히흥미롭다. 위에서언급한 YSbh.1.2 외에쁘라상캬나가발견되는곳은다음과같다. YSBh. 1.15: divyādivyaviṣayasamprayoge 'pi cittasya viṣayadoṣadarśinaḥ prasaṃkhyānabalād anābhogātmikā heyopādeyaśūnyā vaśīkārasaṃjñā vairāgyam 신성하거나세속적인대상과접촉할지라도 쁘라상캬나의힘에의해서 마음의대상이지닌결점을통찰하는자에게는 [ 더이상 ] 향수를본성으로하지도않고버리거나취해야할것이없어진의식상태가이욕이다. YSBh. 2.2: pratanūkṛtān kleśān prasaṃkhyānāgninā dagdhabījakalpān aprasavadharmiṇaḥ kariṣyatīti teṣāṃ tanūkaraṇāt punaḥ kleśair aparāmṛṣṭā sattvapuruṣānyatāmātrakhyātiḥ sūkṣmā prajñā samāptādhikārā pratiprasvāya kalpiṣyata iti 약화된번뇌들은쁘라상캬나라는불에의해타버린씨앗처럼생산적활동을하지않는다. 그것 ( 번뇌 ) 들이희미해지기때문에다시는번뇌와접촉하지않고오직 순질 (sattva) 과뿌루샤 (puruṣa) 가다르다는것을인식할뿐 인미세한예지는, 임무를완수하고귀멸하게할것이다. YSBh. 2.4: prasaṃkhyānavato dagdhakleśabījasya sammukhībhūto 'py ālambane nāsau punar asti dagdhabījasya kutaḥ praroha iti 번뇌의종자를태운쁘라상캬나-명상가는, 대상과마주칠지라도다시금번뇌가일어나지않는다. [ 번뇌의 ] 종자가태워졌기때문에어떻게발아할수있겠는가? YSBh. 2.11: kleśānām yā vṛttayaḥ sthūlās tāḥ kriyāyogena tanūkṛtāḥ satyaḥ prasaṃkhyānena dhyānena hātavyā yāvat sūkṣmīkṛtā yāvad dagdhabījakalpā iti 번뇌들의작용중거친것은끄리야요가에의해서약화되고미세한 [ 번뇌 ] 는쁘라상캬나의선정에의해서는 [ 번뇌의 ] 종자들이태워질때까지제거되어야만한다. YSBh. 2.13: tathā kleśāvanaddhaḥ karmāśayo vipākaprarohī bhavati nāpanītakleśo na prasaṃkhyānadagdhakleśabījabhāvo veti 그와같이번뇌에속박된잠재업은과보를생산하지만번뇌가제거되거나혹은쁘라상캬나에의해번뇌의종자가태워질때는 [ 활동할수 ] 없다. YSBh. 4.29: yadāyam brāhmaṇaḥ prasaṃkhyāne 'py akusīdas tato 'api na kiṃcit prārthayate tatrāpi viraktasya sarvathā vivekakhyātir eva bhavatīti saṃskārabījakṣayān nāsya pratyayāntarāṇy utpadyante tadāsya dharmamegho nāma samādhir bhavati 바라문이쁘라상캬나에대해서더

27 명상의본질 27 라할수있는원질 ( 原質, prakṛti) 을구별하는것이다. 명상의목표는마음의동요를멈추는것 (cittavṛttinirodha) 이고궁극적으로는원질의속박에서자유롭게하는것인데 요가경 은두종류의명상중에서무상삼매 (asaṃprajñātasamādhi) 를더뛰어난것으로간주한다. 결국따지고보면총제 (saṃyama) 도 대상에의존하지않는명상 의실습에서외적인수단일뿐이다. 54 샹까라역시 대상과의동일화 라는한계를넘어선명상을선호한다. 그와같이성자는순서대로 모든것을포함하는생기 ( 生氣, prāṇa) 와자신을동일시한다. 그리고서모든것을포함하는생기를떠나내적인자아로들어가고그다음에그는증인의상태즉, 아니다, 아니다 로표현되는초월적자아 ( 제 4 위, turīya) 를획득한다. 55 샹까라는 동일성을얻고자하는노력 을단지명상의예비단계로받아들인다. 이단계를넘어설때명상가는모든결합을단지바라볼뿐인증인 (draṣṭṛ) 이된다. 그는최고의아뜨만외의다른모든것을부정함으로써 (neti neti) 식별적인통찰을훈련한다. 바로이와같은명상이참자아의본성즉, 궁극적으론 아니다, 아니다 로밖에정의될수없는참자아의본성을올바르게숙고하는것이다. 샹까라는자아실현을추구하는제자들을돕기위해서 요가경 의쁘라상캬나 (prasaṃkhyāna) 와아주유사한것으로, 그가빠리샹캬나 (parisaṃkhyāna) 로불렀던명상법을제시했다. 56 샹 이상의것을원하지않는다면즉, 어떤다른이익을원치않을때그것으로인해모든것에초탈하게되고오직식별지만있게되고잠세력의종자가소멸하므로그에게는다른어떤관념들이일어나지않게된다. 그때그에게는법운이라는삼매가일어난다. 54 YS. 3. 8: tadapi bahiraṅgaḥ nirbījasya. 그것 ( 총제 ) 역시무종자 [ 삼매 ] 의외적단계이다. 55 BUBh : evaṃ vidvān krameṇa sarvātmakaṃ prāṇam ātmatvenopagata bhavati. taṃ sarvātmānaṃ pratyagātmany upasaṃhṛtya draṣṭur hi draṣṭṛbhāvaṃ nety nety ātmānaṃ turīyaṃ pratipadyate. 56 쁘라상캬나 (prasaṃkhyāna) 와빠리샹캬나 (parisaṃkhyāna) 는모두동일한

28 까라는빠리상캬나와같은종류의명상법을모델로사용하면서 우빠사나 의대한새로운해석을확립한다. 네가그것이다 (tat tvam asi) 라는신성한말씀의의미를분석하는것바로그것은아뜨만과브라흐만의본질적인동일성을재확인하면서 자아와자아가아닌것을식별하는 명상적인과정의토대가된다. 어근 khyā 에서파생되었다. 모니엘윌리엄스는쁘라상캬나 (prasaṃkhyāna) 의의미를 열거, 숙고, 명상 으로정의하고빠리상캬나 (parisaṃkhyāna) 를 열거, 배제해서특징짓는것 으로정의한다. 보다자세한것은본서 Ⅵ 장을참조.

29 명상의본질 29 주요약호 약호와참고문헌 AiU. Aitareyopaniṣad Bh. -Bhāṣya of Śaṅkara BG. Bhagavadgītā BGBh. Bhagavadgītābhāṣya of Śaṅkara BU. Bṛhadāraṇyakoppaniṣad BUBh. Bṛhadāraṇyakopaniṣadbhāṣya of Śaṅkara BS. Brahmasūtra BSBh. Brahmasūtrabhāṣyaa of Śaṅkara ChU. Chāndogyopaniṣad ChUBh. Chāndogyopaniṣadbhāṣya of Śaṅkara KaU. Kaṭhopaniṣad MaiU. Maitryupaniṣad MāU. Māṇḍūkyopaniṣad MK. Māṇḍūkyakārikā of Gauḍapāda MKbh. Māṇḍūkyakārikābhāṣya of Śaṅkara MuU. Muṇḍakopaniṣad NS. Naiṣkramyasiddhi of Sureśvara PU. Praśnopaniṣad PUBh. Praśnopaniṣadbhāṣya of Śaṅkara TU. Taittirīyopaniṣad TUBh. Taittirīyopaniṣadbhāṣya of Śaṅkara US. Upadeśasāhasrī USG. Upadeśasāhasrī, Gadyabandha( 산문편 ) USP. Upadeśasāhasrī, Padyabandha( 운문편 ) YS. Yogasūtra YSBh. Yogasūtrabhāṣya of Vyāsa YV. Yogasūtrabhāṣyavivaraṇa attributed to Śaṅkara * 역주 보충

30 1. 샹까라의작품원전 Brahmsūtraśaṅkarabhāṣyam. With the Commentaries: Bhāṣyaratnaprabhā of Govindānanda, Bhāmatī of Vācaspatimiśra, Nyāyanirṇaya of Ānandagiri. Ed. by J. L. Shastri. Delhi: Īśādidaśopaniṣdaḥ. Ten Principal Upanishads with Śaṅkarabhāṣya. Vol. 1 of Śrī Śaṅkarācāryagranthāvalī. Works of Śaṅkarācārya. Delhi, 1978(reprint) Pātañjalayogasūtrabhāṣyavivaraṇam of Śaṅkara Bhagavadpāda. Ed. by Polakam Sri Rama Sastri and S. R. Krishnamurthi Sastri. Madras Government Oriental Series no. 94. Madras, Śaṅkara's Upadeśasāhasrī. Ed. by Sengaku Mayeda. Tokyo, Śrī Bhagavadgītā. Bhagavadgītā with Śaṅkarabhāṣya. Vol. II of Works of Śaṅkarācārya. [1929]. Delhi, 1981(reprint). Śrī Śaṅkarācāryaviracitaprakaraṇagranthāḥ. Minor Works of Śrī Śaṅkarācārya.[contains the text of the Adhyātmapaṭalavivaraṇa and other works traditionally ascribed to Śaṅkara]. Poona Oriental Series, no. 8. Ed. by H.R. Bhagavat. Poona, 1952 번역 The Bhagavad Gita with the Commentary of Sri Sankaracarya. Tr. by Alladi Mahadeva Sastry. [1897] Reprinted Madras, Brahma-Sūtra-Bhāṣya of Śrī Śaṅkarācārya. Tr. by Swami Gambhirananda. [1965] Third ed: Mayavati, The Bṛhadāraṇyaka Upaniṣad with Commentary of Śaṅkarācārya. Tr.

31 명상의본질 31 by Swāmī Mādhavānanda. [1934] 5th. ed., Madras, The Chāndogyopaniṣad. A Treatise on Vedānta Philosophy, Translated into English with the commentary of Śaṅkara. Tr. by Ganganatha Jha. Poona Oriental Series no. 78. Poona, Eight Upaniṣads with the Commentary of Śaṅkarācārya. Tr. by Swāmī Gambhīrānanda. 2 vols. Mayavati, Śaṅkara on the Yoga-Sūtra-s (Vol. I: Samādhi; Vol.2: Means). The Vivaraṇasub-commentary to Vyāsa-bhāṣya on the Yoga-sūtras of Patañjali: Samādhi-pāda, Sādhana-pāda. Tr. by Trevor Leggett. London, 1981, Upadeśasāhasrī. A Thousand Teachings in Two Parts -Prose and Poetry of Śrī Śaṅkarācārya. Tr. by Swami Jagadananda. [1941] 6th. ed. Madras, The Vedānta Sūtras of Bādarāyaṇa with the commentary by Śaṅkara. Tr. by George Thibaut. [Sacred Books of the East, vol.34/38, 1890/96] Reprintd in 2 vols. New York, The Yoga-System of Patañjali. Or the Ancient Hindu Doctrine of Concentration of Mind. Embracing the Mnemonic Rules, Called Yoga-sūtra, of Patañjali and the Comment, Called Yoga-Bhāṣya, Attributed to Veda-Vyāsa and the Explanation, Called Tattva-Vaiçāradī of Vāchaspati Miçra. Tr. by James Haughton Woods. [Harvard Oriental Series, vol 17, 1914] Reprinted Delhi, 이차자료 Aquinas, St. Thomas (Tr.1934). The Summa Theologica of St. Thomas Aquinas. (Tr. by

32 the Fathers of the English Dominican Province). London Bronkhorst, Johannes Yoga and Seśvara Sāṃkhya,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9, pp Patañjali and the Yoga sūtras, Studien zur Indologie und Iranistik, 10, Butler, Dom Cuthbert Western Mysticism. London. Coomaraswamy, Ānanda K. 1977a. The Symbolism of the Dome, Coomaraswamy 1: Selected Papers, Traditional Art and Symbolism. Ed. by Roger Lipsey, Prainceton, pp b. Some Pāli Words, Coomaraswamy 2: Selected Papers, Metaphysics. Ed. by Roger Lipsey, Princeton, pp Dasgupta, Surendranath 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Vol. 1. Reprinted. Cambridge Yoga as Philosophy and Religion. [1924]. Reprinted Delhi Yoga Philosophy in Relation to Other Systems of Indian Thought, [1930]. Reprinted Delhi. De Smet, Richard 1954 Langage et connaissance de L'Absolu chez Śaṃkara, Revue Philosphique de Louvain, 52, pp The Logical Structure of Tattvamsi According to Sureśvara's Naiṣkarmya Siddhi, Philosophical Quarterly [India], 33, pp.

33 명상의본질 Festugiére, A. J Contemplation et Vie Contemplative Selon Platon.4th ed. Paris, Gambhīrānanda, Swāmī(Tr.) Eight Upaniṣads with the Commentary of Śaṅkarācārya. 2 vols. Mayavati, Gonda, J Dhī: The Vision of the Vedic Poets. The Hague. Hacker, Paul Eigentümlichkeiten der Lehre und Terminologie Śaṅkaras, Zeitschrift der Deutschen Morgenländischen Gesellschaft, Śaṅkara der Yogin und Śaṅkara der Advaitin. Einige Beobachtungen, Beiträge zur Geistersgeschichte Indiens. Festschrift für Erich Frauwallner, Wien Heimann, Betty Facets of Indian Thought. London, Hiriyanna, M The Training of the Vedānta, Popular Essays in Indian Philosophy, Mysore, pp John of the Cross, St. (Ed., Tr. 1953). The Complete Works of St. John of the Cross. Ed. and Tr. by E. Allison Peers. 3Vols. London.

34 Koelman, Gaspar M Pātañjala Yoga. From Related Ego to Absolute Self, Poona. Lévi-Strauss, Claude The Structural Study of Myth, Structural Anthropology. Tr. by C. Jacobson and B. G. Schoeptf. London, 1968, pp Louth, Andrew 1981 The Origins of the Christian Mystical Tradition, from Plato to Denys. Oxford. Mahadevan. T. M. P Gauḍapāda. A Study in Early Advaita. Madras University Philosophical Series. no. 5. [1952] Forth ed; Madras. 1977a. Sankaracharya. [1968] Reprinted New Delhi. 1977b. Vedāntic Meditation and its Relation to Action, Traditional Modes of Contemplation and Action. A Colloquium held at Rothko Chapel Housten, Texas. Ed. by Yusuf Ibish and Peter Lamborn Wilson. Tehran, pp Maximillien, Guy Le Langage et l'ātman d'aprés USP 18, two parts: Wiener Zeitschrift für die Kunde Südasiens, 19(1975), pp , and 20(1976), pp Nilhilananda, Swami Concentration and Meditation as Methods in Indian Philosophy

35 명상의본질 35 and Culture, Ed. by Charles A. Moore, Honolulu, pp Parpola, Asko On the Primary Meaning and Etymology of the Sacred Syllable om, Studia Orientalia, 50, pp Plato (Ed., Tr. 1963). The Collected Dialogues of Plato. Ed. and Tr. by Edith Hamilton and Michael Cairns. Bollingen Series LXXI. New York, Radhakrishnan, S.(Intro., Tr.) 1974 The Principal Upaniṣads. Edited and Translated. 4th ed,; London and New York. Richard of St. Victor (Tr.1957). Selected Writings on Contemplation. Tr. by Clare Kirchberger. London, Rüping, Klaus Studien zur Frühgeschichte der Vedānta Philosophie. Teil 1: Philologische Untersuchungen zu den Brahmasūtra-Kommentaren des Śaṅkara und des Bhāskara. Alt-und Neu-Indische Studien, 18. Wiesbaden. Staal, J. F. 1961a. Advaita and Neo-Platonism: A Critical Study in Comparative Philosophy, Madras. 1961b. Nambudiri Veda Recitation, The Hague.

36 1975. Exploring Mysticism, Harmondswroth. Vetter Tilmann Studien zur Lehre und Entwicklung Śaṅkaras. Vienna. Wezler, Albrecht Philological Observations on the so-called Pātañjalayogasūtrabhāṣyavivaraṇa (Studies in the Pātañjalayogaśāstravivaraṇa I), Indo-Iranian Journal, 25, pp On the Quadrupal Division of the Yoga-śāstra, the Caturvyūhatva of the Cikitsāśāstra and the Four Noble Truths of the Buddha (Studies in the Pātañjalayoga-śāstravivaraṇa II, Indologica Taurinensia, 12, pp Whaling, Frank Śaṅkara and Buddhism,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7, pp Zolla, Elémire (Ed. 1977). Traditional Methods of Contemplation and Action, Traditional Modes of Contemplation and Action. A Colloquium held at Rothko Chapel, Housten, Texas. Ed. by Yusuf Ibish and Peter Lamborn Wilson, Tehran, pp 사전

37 명상의본질 37 Mayrhofer, Manfred Kurzgefasstes Etymologisches Wörterbuch des Altindischen. 4vols. Heidelberg, 1956, 1963, 1976, 1980.

- 4 -

- 4 - - 4 - Abstract - 5 - - 6 - - 7 - 국문요약 - 8 - - 9 - 제목차례 Abstract ----------------------------------------------- 5 국문요약 ---------------------------------------------- 8 서론 -------------------------------------------------

More information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 주제 의식의 원칙 논문은 주제 의식이 잘 드러나야 한다. 주제 의식은 논문을 쓰는 사람의 의도나 글의 목적 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협력의 원칙 독자는 필자를 이해하려고 마음먹은 사람이다. 따라서 필자는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말이 나 표현을 사용하여 독자의 노력에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3) 논리적 엄격성의 원칙 감정이나 독단적인 선언이

More information

The mission minded church - Strategies in building a multicultural ministry – Die missions-bereite Kirche - Strategien zum Aufbau multikultureller Ge

The mission minded church - Strategies in building a multicultural ministry –  Die missions-bereite Kirche - Strategien zum Aufbau multikultureller Ge 도여베르트의선험적비판 Dooyeweerd s transcendental critique Session One: What is the transcendental critique of theoretical thought? 이론적사고의선험적비판이란무엇인가? Session Two: Transcendental critique as a thought and cultural

More information

Microsoft PowerPoint - 26.pptx

Microsoft PowerPoint - 26.pptx 이산수학 () 관계와그특성 (Relations and Its Properties) 2011년봄학기 강원대학교컴퓨터과학전공문양세 Binary Relations ( 이진관계 ) Let A, B be any two sets. A binary relation R from A to B, written R:A B, is a subset of A B. (A 에서 B 로의이진관계

More information

쌍백합23호3

쌍백합23호3 4 5 6 7 여행 스테인드글라스 을 노래했던 하느님의 영원한 충만성을 상징하는 불꽃이다. 작품 마르코 수사(떼제공동체) 사진 유백영 가브리엘(가톨릭 사진가회) 빛은 하나의 불꽃으로 형상화하였다. 천사들과 뽑힌 이들이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하며 세 겹의 거룩하심 가 있을 것이다. 빛이 생겨라. 유리화라는 조그만 공간에 표현된 우주적 사건인 셈이다.

More information

i - ii - iii - 1 - 연도 보험급여 총계 (A) 장해급여 유족급여 일시금연금일시금연금 연금계 (B) 연금비중 (B/A, %) 기타 급여 1) 1998 14,511 3,377 979 1,657 30 1,009 7.0 8,467 1999 12,742 2,318 1,120 1,539 38 1,158 9.1 7,727 2000 14,563 2,237 1,367

More information

1) 임혜정 정승석 * Ⅰ 머리말. Ⅱ 카타우파니샤드 의특성과구성. Ⅲ 엄지크기의 Puruṣa 와난쟁이비유. Ⅳ Ātman 과 Brahman 을포괄하는 Puruṣa. Ⅴ 맺음말 요약문 [ 카타우파니샤드 에서는 Puruṣa 와 Ātman 을동의어로혼용하면서도 Puruṣa

1) 임혜정 정승석 * Ⅰ 머리말. Ⅱ 카타우파니샤드 의특성과구성. Ⅲ 엄지크기의 Puruṣa 와난쟁이비유. Ⅳ Ātman 과 Brahman 을포괄하는 Puruṣa. Ⅴ 맺음말 요약문 [ 카타우파니샤드 에서는 Puruṣa 와 Ātman 을동의어로혼용하면서도 Puruṣa 1) 임혜정 정승석 * Ⅰ 머리말. Ⅱ 카타우파니샤드 의특성과구성. Ⅲ 엄지크기의 Puruṣa 와난쟁이비유. Ⅳ Ātman 과 Brahman 을포괄하는 Puruṣa. Ⅴ 맺음말 요약문 [ 카타우파니샤드 에서는 Puruṣa 와 Ātman 을동의어로혼용하면서도 Puruṣa 에비중을두어자아에대한차별관념을드러내고있다. 그리고일원론적인자아관의지향점은 Puruṣa 가

More information

,,,,,, 167711 1),,, (Euripides) 2),, (Seneca, LA) 3), 1) 1573 17 2) 3 3 1 2 4

,,,,,, 167711 1),,, (Euripides) 2),, (Seneca, LA) 3), 1) 1573 17 2) 3 3 1 2 4 Journal of Women s Studies 2001 Vol 16 123~142 Racine s Phèdre, a Tragic Woman (Jung, Hye Won, ) 17 (Racine) (Phèdre),,,,,,,, 1 2 3 ,,,,,, 167711 1),,, (Euripides) 2),, (Seneca, LA) 3), 1) 1573 17 2) 3

More information

2),, 312, , 59. 3),, 7, 1996, 30.

2),, 312, , 59. 3),, 7, 1996, 30. *,.1) 1),. 2),, 312, 2000. 3., 59. 3),, 7, 1996, 30. 4).. 1. 2 ( :,,, 2009). 5) 2004. 2. 27. 2003 7507 ; 1985. 6. 25. 85 660 ; 1987. 2. 10. 86 2338. 6) 1987. 7. 21. 87 1091. 7) 2006. 4. 14. 2006 734. 8),

More information

Microsoft PowerPoint Relations.pptx

Microsoft PowerPoint Relations.pptx 이산수학 () 관계와그특성 (Relations and Its Properties) 2010년봄학기강원대학교컴퓨터과학전공문양세 Binary Relations ( 이진관계 ) Let A, B be any two sets. A binary relation R from A to B, written R:A B, is a subset of A B. (A 에서 B 로의이진관계

More information

C# Programming Guide - Types

C# Programming Guide - Types C# Programming Guide - Types 최도경 lifeisforu@wemade.com 이문서는 MSDN 의 Types 를요약하고보충한것입니다.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ms173104(v=vs.100).aspx Types, Variables, and Values C# 은 type 에민감한언어이다. 모든

More information

5 291

5 291 1 2 3 4 290 5 291 1 1 336 292 340 341 293 1 342 1 294 2 3 3 343 2 295 296 297 298 05 05 10 15 10 15 20 20 25 346 347 299 1 2 1 3 348 3 2 300 301 302 05 05 10 10 15 20 25 350 355 303 304 1 3 2 4 356 357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178È£pdf

178È£pdf 스승님이 스승님이 스승님이 말씀하시기를 말씀하시기를 말씀하시기를 알라는 위대하다! 위대하다! 알라는 알라는 위대하다! 특집 특집 기사 특집 기사 세계 세계 평화와 행복한 새해 경축 세계 평화와 평화와 행복한 행복한 새해 새해 경축 경축 특별 보도 특별 특별 보도 스승님과의 선이-축복의 선이-축복의 도가니! 도가니! 스승님과의 스승님과의 선이-축복의 도가니!

More information

3 4 5 6 7 8 2/25 26 27 28 2 3 3. 2 3. 2~8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15 3.28 3.29~30 1 8 15 2 9 16 3 10 17 4 11 18 5 12 19 6 13 20 7 14 21 4. 2~5 4.18

More information

욷달라까 아루니의 sat論에 대한 小考 李 殷德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강사) 머리말 Ⅰ. 욷달라까의 실재: devatā 1. sat: 욷달라까의 근본실재 2. 3종자: tejas āpas anna Ⅱ. 욷달라까의 현상계: bhūta Ⅲ. tat tvam asi 해석의

욷달라까 아루니의 sat論에 대한 小考 李 殷德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강사) 머리말 Ⅰ. 욷달라까의 실재: devatā 1. sat: 욷달라까의 근본실재 2. 3종자: tejas āpas anna Ⅱ. 욷달라까의 현상계: bhūta Ⅲ. tat tvam asi 해석의 욷달라까 아루니의 sat論에 대한 小考 李 殷德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강사) 머리말 Ⅰ. 욷달라까의 실재: devatā 1. sat: 욷달라까의 근본실재 2. 3종자: tejas āpas anna Ⅱ. 욷달라까의 현상계: bhūta Ⅲ. tat tvam asi 해석의 문제 맺음말 머리말 붇다는 그 당시에 유행하던 존재와 비존재에 대한 견해 모두를 부 정하고

More information

<3033C6AFC1FD5FC0CCB3B2C0CE2E687770>

<3033C6AFC1FD5FC0CCB3B2C0CE2E687770> 비판적합리성의구조 이남인 * 1),,,,,, (Husserl, Habermas, evidence, theory of truth, critical rationality, communicative rationality, intuitive rationality) 1). I, II, III V. VI * 1) 2004 2 19-20.. 84.. VI. I. 하버마스의의사소통행위론

More information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 피터드러커의 혁신과 기업가정신 허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Doing Better Problem Solving Doing Different Opportunity ! Drucker, Management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 1999! Drucker, Management: Tasks, Responsibilities,

More information

*074-081pb61۲õðÀÚÀ̳ʸ

*074-081pb61۲õðÀÚÀ̳ʸ 74 October 2005 현 대는 이미지의 시대다. 영국의 미술비평가 존 버거는 이미지를 새롭 게 만들어진, 또는 재생산된 시각 으로 정의한 바 있다. 이 정의에 따르 면, 이미지는 사물 그 자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미지는 보는 사람의, 혹은 이미지를 창조하는 사람의 믿음이나 지식에 제한을 받는다. 이미지는 언어, 혹은 문자에 선행한다. 그래서 혹자는

More information

152*220

152*220 152*220 2011.2.16 5:53 PM ` 3 여는 글 교육주체들을 위한 교육 교양지 신경림 잠시 휴간했던 우리교육 을 비록 계간으로이지만 다시 내게 되었다는 소식을 들으니 우 선 반갑다. 하지만 월간으로 계속할 수 없다는 현실이 못내 아쉽다. 솔직히 나는 우리교 육 의 부지런한 독자는 못 되었다. 하지만 비록 어깨너머로 읽으면서도 이런 잡지는 우 리

More information

....pdf..

....pdf.. Korea Shipping Association 조합 뉴비전 선포 다음은 뉴비전 세부추진계획에 대한 설명이다. 우리 조합은 올해로 창립 46주년을 맞았습니다. 조합은 2004년 이전까 지는 조합운영지침을 마련하여 목표 를 세우고 전략적으로 추진해왔습니 다만 지난 2005년부터 조합원을 행복하게 하는 가치창출로 해운의 미래를 열어 가자 라는 미션아래 BEST

More information

2019달력-대(판형키워)

2019달력-대(판형키워) 조국개황 72 주년 2019 4352 오직나에게덕이있어야항상향기롭다 興聖爲伍 성인과짝이되고성인의대열에들어가야한다. 1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2 23 24 30 35 26 27 28 29 2019 1January 2 24 25 26 27 28 3 4 5 6 7 8 9 10 11 12 13

More information

<30332DBCADC7D1B0E12E687770>

<30332DBCADC7D1B0E12E687770> 제8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우수상 수상작 과학의 어머니였는가, 이성의 훼방꾼이었는가? - 신비주의와 과학, 그 깊고도 오묘한 관계에 대하여 서한결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이 글은 2008년 1학기 과학사 (담당교수: 박민아) 강좌의 리포트이다. 차 례 Ⅰ. 들어가는 글 1.1. 르네상스 시기의 신비주의와 마술 1.2. 과학혁명 시기의 과학의 변화 2.

More information

2 Verse 2C E 전능 하신나의주하나님은?? j r j 2 0 r. fij fi j R = E2G 능치 Fm9 Cm M9 2C 못하실일전혀없네우리?? r. o R

2 Verse 2C E 전능 하신나의주하나님은?? j r j 2 0 r. fij fi j R = E2G 능치 Fm9 Cm M9 2C 못하실일전혀없네우리?? r. o R 전능하신나의주하나님 (Full Score) 편곡차유진 Vocal Intro E Cm Fm Piano?.. j > Strings.. 6 KeyBoard j j Horn? Bass() X 2 0 2 0 3 2 0 2 2 1 rums o o fi j j R R 2 Verse 2C E 전능 하신나의주하나님은?? j r j 2 0 r. fij fi j R = E2G

More information

<B4EBC7D0BCF6C7D02DBBEFB0A2C7D4BCF62E687770>

<B4EBC7D0BCF6C7D02DBBEFB0A2C7D4BCF62E687770> 삼각함수. 삼각함수의덧셈정리 삼각함수의덧셈정리 삼각함수 sin (α + β ), cos (α + β ), tan (α + β ) 등을 α 또는 β 의삼각함수로나 타낼수있다. 각 α 와각 β 에대하여 α >0, β >0이고 0 α - β < β 를만족한다고가정하 자. 다른경우에도같은방법으로증명할수있다. 각 α 와각 β 에대하여 θ = α - β 라고놓자. 위의그림에서원점에서거리가

More information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대하여 AB=BA 1 가성립한다 2 3 (4) 이면 1 곱셈공식및변형공식성립 ± ± ( 복호동순 ), 2 지수법칙성립 (은자연수 ) < 거짓인명제 >

More information

정도와 발화 행동 사이의 관계는 자연화된 인식론의 탐구 주제가 될 것이다. 하지만 콰인의 이러한 설명은 여전히 의문을 남긴다. 그것은 과학자들이 산술과 논리를 아예 의심의 범위 밖 에 두는 이유일 것이다. 여기서는 단순히 정도의 차이가 아닌, 원리적인 차이가 작동하고

정도와 발화 행동 사이의 관계는 자연화된 인식론의 탐구 주제가 될 것이다. 하지만 콰인의 이러한 설명은 여전히 의문을 남긴다. 그것은 과학자들이 산술과 논리를 아예 의심의 범위 밖 에 두는 이유일 것이다. 여기서는 단순히 정도의 차이가 아닌, 원리적인 차이가 작동하고 괴델과 카르납, 일관성 증명과 언어의 구문론으로서의 수학 이정민 (서울시립대) 1. 서론 한때의 과학도로서 내가 항상 하던 일은 문제를 푸는 것이었다. 토마스 쿤이 퍼즐풀이 라고 불렀던 이 활동은 주로 이전의 모범적인 풀이(범례exemplar)를 익히고 흉내 내는 것에서 시 작한다. 그렇게 익힌 풀이를 비슷한 다양한 사례에 적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뉴턴의

More information

........(......).hwp

........(......).hwp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후기 바 르트는 국가를 대체적으로 긍정하여 사회민주주의 안에서 희망을 찾았다.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More information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4. _ Culture of Korea: In the Present and the Past,.. _ Korean History and the Method of Psychoanalysis.,,. _ Politics and Ideas in Modern days Korea.,. _ Contemporary Korean History and International

More information

초급산스끄리뜨 : 모음의연성 박영길

초급산스끄리뜨 : 모음의연성 박영길 초급산스끄리뜨 : 모음의연성 박영길 advaita@ggu.ac.kr 연성의중요성 tvayi mayi cānyatraiko viṣṇuḥ cānyatraiko viṣṇuḥ ca anyatra ekaḥ viṣṇuḥ a+a=ā a+e=ai aḥ+v= o v Sandhi 연성 ( 連聲 ) 1. 외연성단어와단어, 복합어, 동사 1) 모음과모음 - u + a = v a

More information

석사논문연구계획서

석사논문연구계획서 20040725K (2004 7 25 ) 31-36133h 1 the self identity 2 ADSL PC 1 3 4 5 2 7 5 1 3 3 10 3 3 6 4 1020 in-depth interview 4 10 7 Alexander, Cynthia J. and Pal Lesile A., ed., Digital democracy : policy and

More information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1) 초고를읽고소중한조언을주신여러분들게감사드린다. 소중한조언들에도불구하고이글이포함하는오류는전적으로저자개인의것임을밝혀둔다. 2) 대표적인학자가 Asia's Next Giant: South Korea and Late Industrialization, 1990 을저술한 MIT 의 A. Amsden 교수이다. - 1 - - 2 - 3) 계량방법론은회귀분석 (regression)

More information

2015년9월도서관웹용

2015년9월도서관웹용 www.nl.go.kr 국립중앙도서관 후회의 문장들 사라져 버릴 마음의 잔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이번 해에도 배추농사에서 큰돈을 남은 평생 머릿속에서 맴돌게 될 그 말을 다시 떠올려보 만졌다 하더라도 지난 여름 어느 날 갑자기 들기 시작한 았다. 맺지 못한 채 끝나버린 에이드리언의 문장도 함께. 그 생각만은 변함없을 것 같았다. 같은 나이의 다른 아이 그래서

More information

......-....4300.~5...03...

......-....4300.~5...03... 덕수리-내지(6장~8장)최종 2007.8.3 5:43 PM 페이지 168 in I 덕수리 민속지 I 만 아니라 마당에서도 직접 출입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장팡뒤의 구조는 본래적인 형태라 고 할 수는 없으나, 사회가 점차 개방화되어가는 과정을 통해 폐쇄적인 안뒤공간에 위치하던 장항 의 위치가 개방적이고 기능적인 방향으로 이동해가는 것이 아닌가 추론되어진다.

More information

웰빙요가 [2011-1] 제3주 요가의종류 금주학습활동 금주의주요학습활동( 토론, 과제, 퀴즈등) 을잊지않도록작성해두세요. 1. 하타요가 (Haṭha-yoga, 강력한힘의길) 요가의수행법은인도의모든종교나철학에서거론되며각학파마다각기다른수행법을사용하기도 한다. 때로는이름은

웰빙요가 [2011-1] 제3주 요가의종류 금주학습활동 금주의주요학습활동( 토론, 과제, 퀴즈등) 을잊지않도록작성해두세요. 1. 하타요가 (Haṭha-yoga, 강력한힘의길) 요가의수행법은인도의모든종교나철학에서거론되며각학파마다각기다른수행법을사용하기도 한다. 때로는이름은 제3주 요가의종류 금주학습활동 금주의주요학습활동( 토론, 과제, 퀴즈등) 을잊지않도록작성해두세요. 1. 하타요가 (Haṭha-yoga, 강력한힘의길) 요가의수행법은인도의모든종교나철학에서거론되며각학파마다각기다른수행법을사용하기도 한다. 때로는이름은같아도실제의수행법이나그것을뒷받침하는철학이나종교가다른경우도많다. 요가수련에서다양한체위의신체적수련법을하타요가(Ha ṭha-yoga)

More information

02.박효엽_ip32.hwp

02.박효엽_ip32.hwp 1) 인도철학 제 32 집 (2011), 45~71 쪽 샹까라에서자아와타자, 그리고경계의신 박효엽 * Ⅰ 샹까라에게자아와타자란. Ⅱ 사라지는타자와사라지는신. Ⅲ 신의모호한정체성. Ⅳ 자아와타자의경계에놓인신. Ⅴ 사라진타자의흔적으로남는. 요약문 [ 주요어 : 비이원론, 동일성, 자아, 타자, 차이, 모호성, 경계의신, 흔적 ] 샹까라의아드와이따베단따는동일성의철학이다.

More information

2 단계 : 추상화 class 오리 { class 청둥오리 extends 오리 { class 물오리 extends 오리 { 청둥오리 mallardduck = new 청둥오리 (); 물오리 redheadduck = new 물오리 (); mallardduck.swim();

2 단계 : 추상화 class 오리 { class 청둥오리 extends 오리 { class 물오리 extends 오리 { 청둥오리 mallardduck = new 청둥오리 (); 물오리 redheadduck = new 물오리 (); mallardduck.swim(); 인터페이스적용 오리객체설계하기 ) 청둥오리, 물오리를설계하세요. 1 단계 : 필요한객체설계 class 청둥오리 { class 물오리 { 청둥오리 mallardduck = new 청둥오리 (); 물오리 redheadduck = new 물오리 (); mallardduck.swim(); mallardduck.fly(); mallardduck.quack(); redheadduck.swim();

More information

20150426-성공회잡지 3호(3교).indd

20150426-성공회잡지 3호(3교).indd 삶이 녹아 있는 성공회 공동체 잡지 성공 회 마당 2014년11월 15일 창간 통권 특집 세월호 참사 그 후 1년 멀고 험난한 진상 규명의 길 / 김서중 화보 생명평화 도보순례/밀양에서 팽목항까지 함께 기뻐하고 함께 슬퍼하기 / 전해주 기고 사목의 새로운 지평을 모색하며 / 김경일 내 윤리의 집은 어디인가 / 선우미정 착한 목자-이시대의 성직자 / 오동균 3호

More information

음악철학이해\(이기정\)

음악철학이해\(이기정\) 1 ), ( :, 1990), 13. 11 ), ( :, 1987), 298. 3 ) (Johannes Hirschberger ), ( :, 1992), 62. ),,, ( :, 1995) 7 3( 27), 37-38. ),, 36-37. ), ( ).. ( ) ( ) ( ). ) A.Barker, ed., Greek Musical Writings, Vol.,,

More information

지난 2009년 11월 애플의 아이폰 출시로 대중화에 접어든 국내 스마트폰의 역사는 4년 만에 ‘1인 1스마트폰 시대’를 눈앞에 두면서 모바일 최강국의 꿈을 실현해 가고 있다

지난 2009년 11월 애플의 아이폰 출시로 대중화에 접어든 국내 스마트폰의 역사는 4년 만에 ‘1인 1스마트폰 시대’를 눈앞에 두면서 모바일 최강국의 꿈을 실현해 가고 있다 : * 30~40.,, 30~40 646.,..,.,.,,,.. * (2014) 30~40. :,, (120-728) 34 Tel : 02-300-0899, E-mail : hyhong@mju.ac.kr 2009 11 4 1 1, (2014) 2014 8 4,000. (, 2012).. (2013) 77.4%, 53.9%. 61.6%, 11.5%, 1% (,

More information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네티즌들이궁금해하는어원몇가지 (3) 115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네티즌들이궁금해하는어원몇가지 (3) 117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네티즌들이궁금해하는어원몇가지 (3) 119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네티즌들이궁금해하는어원몇가지

More information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과학영재의창의적탐구능력배양을위한 R&E 프로그램기획 운영핸드북 Handbook of Annual Planning and Implementing R&E Program for the Talented 2017 과학영재창의연구 (R&E) 지원센터 이핸드북은과학고와과학영재학교의연간 R&E 프로그램기획 운영을효과적으로지원하기위해개발된것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지정과학영재창의연구

More information

120~151역사지도서3

120~151역사지도서3 III 배운내용 단원내용 배울내용 120 121 1 2 122 3 4 123 5 6 124 7 8 9 125 1 헌병경찰을앞세운무단통치를실시하다 126 1. 2. 127 문화통치를내세워우리민족을분열시키다 1920 년대일제가실시한문화 통치의본질은무엇일까? ( 백개 ) ( 천명 ) 30 20 25 15 20 15 10 10 5 5 0 0 1918 1920 ( 년

More information

엔코위논문조귀삼

엔코위논문조귀삼 영산 조용기 목사 사역에 나타난 삼중축복의 자신학화 들어가는 말 1. 영산의 생애를 통해본 자신학 형성 2. 샤머니즘과 전통종교에 내재된 복 사상 1) 샤머니즘의 토양 속의 복 의 내재성 2) 전통종교 속에 내재된 샤머니즘의 복 사상 3. 구속적 유비로서의 복 의 상황화 1) 초기 선교사들을 통해본 복 2) 구속적 유비로서의 복 4. 영산 사역에 나타난 삼중축복의

More information

에스디엘팜플렛-최종.cdr

에스디엘팜플렛-최종.cdr SELF-DIRECTED LEARNING 대불대학교 목포상공회의소 디자인센터 전북케이블TV 공영통신 송웰빙병원 서울 대영/동부교통 광주광역시 남구 송하동 354-1번지 3층 TEL 062 374 0650 FAX 062 383 4118 CRASH COURSE 우편원격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오리엔테이션 및 특강 구분 우편원격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특강

More information

3.2 함수의정의 Theorem 6 함수 f : X Y 와 Y W 인집합 W 에대하여 f : X W 는함수이다. Proof. f : X Y 가함수이므로 f X Y 이고, Y W 이므로 f X W 이므로 F0이만족된다. 함수의정의 F1, F2은 f : X Y 가함수이므로

3.2 함수의정의 Theorem 6 함수 f : X Y 와 Y W 인집합 W 에대하여 f : X W 는함수이다. Proof. f : X Y 가함수이므로 f X Y 이고, Y W 이므로 f X W 이므로 F0이만족된다. 함수의정의 F1, F2은 f : X Y 가함수이므로 3.2 함수의정의 Theorem 6 함수 f : X Y 와 Y W 인집합 W 에대하여 f : X W 는함수이다. Proof. f : X Y 가함수이므로 f X Y 이고, Y W 이므로 f X W 이므로 F0이만족된다. 함수의정의 F1, F2은 f : X Y 가함수이므로성립한다. Theorem 7 두함수 f : X Y 와 g : X Y 에대하여, f = g f(x)

More information

IP 심화 라우팅프로토콜적용시 라우팅테이블에서 이니셜이있는네트워크를설정하는것 : onnected 직접연결된네트워크를의미한다. 그러므로라우팅은 나는이런네트워크와연결되어있다. 를직접연결된라우터들에게알려주는것 1>en 1#conf t 1(config)#router rip 1

IP 심화 라우팅프로토콜적용시 라우팅테이블에서 이니셜이있는네트워크를설정하는것 : onnected 직접연결된네트워크를의미한다. 그러므로라우팅은 나는이런네트워크와연결되어있다. 를직접연결된라우터들에게알려주는것 1>en 1#conf t 1(config)#router rip 1 IP 심화 º 각 P 의게이트웨이는해당네트워크의마지막주소를사용한다. - P1 (210.220.10.1/26) 의게이트웨이 (5의 Fa0/0) : 210.220.10.63 /26 = 255.255.255.192 호스트비트수 : 32-26 = 6 비트 => = 64 그러므로 P1의 IP 210.220.10.1 중서브넷마스크에의거 26비트는변함이없고, 나머지 6비트가호스트비트로변하므로

More information

.....6.ok.

.....6.ok. Ⅳ 성은 인간이 태어난 직후부터 시작되어 죽는 순간까지 계속되므로 성과 건강은 불가분의 관계이다. 청소년기에 형성된 성가치관은 평생의 성생활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 성문화의 토대가 된다. 그러므로 성과 건강 단원에서는 생명의 소중함과 피임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성매매와 성폭력의 폐해, 인공임신 중절 수술의 부작용 등을 알아봄으로써 학생 스스로 잘못된 성문화를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95 일반논문 해항도시 부산과 인천의 음식문화 변동 분석 이종수* 1) Ⅰ. 서론 Ⅱ. 해항도시 음식문화의 정체성과 변동 Ⅲ. 부산과 인천의 음식문화 변동 분석 Ⅳ. 부산과 인천의 음식문화 변동과 대응과제 Ⅴ. 결론 Ⅰ. 서 론 본 고는 해항도시 1) 지역 음식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일 까, 왜 그런 특성을 띄게 됐나, 어떤 요인에 의해 변화가 야기되었고,

More information

고3-02_비문학_2_사회-해설.hwp

고3-02_비문학_2_사회-해설.hwp 비문학 기출 제재별 문제 모음 (2007~2011학년도 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사회 2 비문학 사회 01 사회 2011 학년도 10 월학력평가 정답과해설 사회 1 2012 학년도 11 월모의평가 ( 대전 ) 1. 이해한내용으로추론하는능력을파악하는문제이다. 1 7. 유사한사례를파악한다. 5 [ 오답풀이 ] 2. 이해한내용을바탕으로적용할수있는능력을파악하는문제이다.

More information

<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고1 융합 과학 2011년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 빅뱅 우주론에서 수소와 헬륨 의 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4 서술형 다음 그림은 수소와 헬륨의 동위 원 소의 을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 우주에서 생성된 수소와 헬륨 의 질량비 는 약 3:1 이. (+)전하를 띠는 양성자와 전기적 중성인 중성자

More information

10월추천dvd

10월추천dvd 2011 10 DVD CHOICE dvd dvd?!!!! [1] [2] DVD NO. 1898 [3] Days of Being Wild 지금도 장국영을 추억하는 이는 많다. 그는 홍콩 영화의 중심에 선 배우였고, 수많은 작품에 출연했다. 거짓말 같던 그의 죽음은 장국 영을 더욱 애잔하고, 신비로운 존재로 만들었다. 하지만 많은 이들 이 장국영을 추억하고, 그리워하는

More information

<C0CEB5B5C3B6C7D0C0CCBEDFB1E22839BFF C0CF292E687770>

<C0CEB5B5C3B6C7D0C0CCBEDFB1E22839BFF C0CF292E687770> 들어가는말 인간은사회적동물이다. 사회생활을통하여밀려오는수많은일들이우리앞에펼쳐지곤한다. 이와같이인도철학이우리에게주는메시지는올바른삶의바탕위에서우리인간의정신적자유라는열반을지향하는것을권고하고있다. 이러한내용은베다사상, 우빠니샤드사상, 인도종교문학이라고할수있는신화와서사시들속에서지속적으로우리인간이참다운삶과인생을어떻게살아야하는가를시사하고있다. 바로이것이인도인들이살아가는방식중의하나라고생각한다.

More information

íŁœêµŁìšŸ 목íı„ퟗ쉤욗 ê°’ìŁ‹íŁœ íŁŸë‡Ÿë‰Ÿ 욟 샓엱슒 촋쀒욗 ë‚fl 엤굒 ífl—뀋잗과 ê·¸ 쀆ìı©

íŁœêµŁìšŸ 목íı„ퟗ쉤욗 ê°’ìŁ‹íŁœ íŁŸë‡Ÿë‰Ÿ 욟 샓엱슒 촋쀒욗 ë‚fl 엤굒 ífl—뀋잗과 ê·¸ 쀆ìı©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Korean Doctor of Ministry Projects / 한인목회학박사졸업논문 Korean Studies Center 4-25-2017 한국의목회현실을감안한하나님의속성에초점을둔설교프레임과그적용 Jung Oh Ha 하정오 Follow this and additional

More information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2 목차 편집자의 말 ------------------------------------------------------------------------------------- 3 한국의 * 상1 개괄 한국의 병역거부운동 -------------------------------------------------------------------------

More information

2016년 신호등 10월호 내지.indd

2016년 신호등 10월호 내지.indd www.koroad.or.kr E-book 10 2016. Vol. 434 62 C o n t e n t s 50 58 46 24 04 20 46 06 08, 3 3 10 12,! 16 18 24, 28, 30 34 234 38? 40 2017 LPG 44 Car? 50 KoROAD(1) 2016 54 KoROAD(2), 58, 60, 62 KoROAD 68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4D F736F F F696E74202D20BCADBEE7C3B6C7D0C0D4B9AE2034C1D6C2F75FC3B6C7D0B0FA20C1B8C0E7>

<4D F736F F F696E74202D20BCADBEE7C3B6C7D0C0D4B9AE2034C1D6C2F75FC3B6C7D0B0FA20C1B8C0E7> 4 주차주제 : 철학과존재 1 강 : 죽음이후의삶은가능한가? 서민규 ( 기초교양교육대학 ) 1. 죽음뒤의삶에관한종교와철학의시각차를이해한다. 2. 죽음뒤의삶에관한과학적접근방식을이해한다. 3. 죽음과영혼에관한철학자들의생각들을정리한다. 1. 임사체험과영혼불멸 2. 영혼불멸에관한철학적논증 3. 죽음의형이상학 죽음뒤의삶은존재하는가? 대다수종교에서는죽음후의삶을이야기하고있음.

More information

평생교육원 모집안내-2013학년도

평생교육원 모집안내-2013학년도 Sunlin College Life Long Education Center 선린대학교평생교육원 Sunlin College Life Long Education Center 일반 교양과정 문예창작 성공하는 여성의 삶을 위한 이미지 메이킹 문예창작에 대한 기초적인 창작이론 및 실제를 통하여 창작 력을 배양하며, 문단에 등단할 수 있도록 하여 창작활동과

More information

국제무역론-02장

국제무역론-02장 1 1 ( 27 ). 2, 3, 4. - 5. 6,. 7. 2... 17 20... 32 1.? ( ).?? 2.?,? 17 18, (Adam Smith). 40 (David Ricardo).,.,,. 20 (Gottfried Haberler). 2 2. 2 2.,. 6., 7. 1776. 1776,,,., 17 18 (,, ).,. 33 (1571 1641).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변경금지. 귀

저작자표시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변경금지. 귀 저작자표시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이저작물에적용된이용허락조건을명확하게나타내어야합니다.

More information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한국 근대불교의 대중화와 석문의범* 29)韓 相 吉 ** 차 례 Ⅰ. 머리말 1. 불자필람 의 구성 Ⅱ. 석문의범의 간행 배경 2. 석문의범 의 구성과 내용 1. 조선후기 의례집의 성행 Ⅳ. 근대불교 대중화와 석문의범 2. 근대불교 개혁론과 의례 Ⅲ. 석문의범의 체재와 내용 간행의 의미 Ⅴ. 맺음말 한글요약 釋門儀範 은 조선시대에 편찬된 각종 의례서와 의식집을

More information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전문용어의국어화 강현화 1. 들어가기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언어 사용의 전형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전문 용어의 사용자가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포 될 수 있다는 데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출발점을 시작으로 과연 전문 함 용어의 국어화가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한다. 2. 전문 용어 연구의 쟁점 2.1. 전문 용어

More information

02양은용

02양은용 The filial piety of Won-Buddhism in the tradition of filial piety Yang, Eun-Yong Dept. of Korean Culture, Wonkwang University Keyword : Filial piety, Fourfold Grace, the grace of parents, Xiao Jing (),

More information

<30332DB1E8C0E7C8F16F6B2E687770>

<30332DB1E8C0E7C8F16F6B2E687770> 보르헤스 작품에 나타난 시간의 철학적 의미 * - 동시적 공존과 반복 - 주제분류 문예철학, 시간론 주 요 어 보르헤스, 베르그손, 들뢰즈, 시간, 동시적 공존, 반복 요 약 문 보르헤스의 문학은 통상 현실적 경험 세계의 재현이 아니라 상상력의 언 어적 유희로 관념 세계를 창조하는 환상 문학으로 규정된다. 그러나 보르헤스의 문학 적 상상력 속에 그려진 시간은

More information

<3031C8ABB5E6C7A52E687770>

<3031C8ABB5E6C7A52E687770> 3 한국 주요정당의 연속과 변화 홍 득 표(인하대) I. 머리말 1. 문제의 제기 정치발전을 논하려면 정당, 의회, 선거, 정치문화 등을 동시에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이들은 정치발전과 상호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개별적 논의보다는 종합적으로 접근해 야 할 것이다. 하지만 정치가 발전하려면 우선적으로 정당개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데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다.

More information

È޴ϵåA4±â¼Û

È޴ϵåA4±â¼Û July 2006 Vol. 01 CONTENTS 02 Special Theme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Beautiful Huneed People 03 04 Special Destiny Interesting Story 05 06 Huneed News Huneed

More information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25 강. 수열의극한참거짓 2 두수열 { }, {b n } 의극한에대한 < 보기 > 의설명중옳은것을모두고르면? Ⅰ. < b n 이고 lim = 이면 lim b n =이다. Ⅱ. 두수열 { }, {b n } 이수렴할때 < b n 이면 lim < lim b n 이다. Ⅲ. lim b n =0이면 lim =0또는 lim b n =0이다. Ⅰ 2Ⅱ 3Ⅲ 4Ⅰ,Ⅱ 5Ⅰ,Ⅲ

More information

00-......

00-...... 26 2 (2005 6 ) J Korean Oriental Med 2005;26(2):201-216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Oriental Medicine & Indian Traditional Medicine Deog- Gon Kim Dep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More information

소식지수정본-1

소식지수정본-1 2010. 7 통권2호 2 CONTENTS Korea Oceanographic & Hydrographic Association 2010. 7 2010년 한마음 워크숍 개최 원장님께서 손수 명찰을 달아주시면서 직원들과 더욱 친숙하게~~ 워크숍 시작! 친근하고 정감있는 말씀으로 직원들과 소통하며 격려하여 주시는 원장님... 제12차 SNPWG 회의에 참석 _ 전자항해서지

More information

3 Contents 8p 10p 14p 20p 34p 36p 40p 46P 48p 50p 54p 58p 생명다양성재단 영물이라는 타이틀에 정 없어 보이는 고양이, 날카롭게 느껴지시나요? 얼음이 따뜻함에 녹듯이, 사람에게 경계심 많은 길고양이도 곁을 내어주면 얼음 녹듯이 당신을 바라봅니다. 길 위에 사는 생명체라 하여 함부로 대하지 말아주세요. 싫으면 외면해주세요.

More information

UXJQXAAOAIYR.hwp

UXJQXAAOAIYR.hwp 永 樂 帝 의 北 京 遷 都 와 그 意 義 * 全 淳 東 ( 忠 北 大 ) Ⅰ. 序 言 Ⅱ. 明 初 國 都 에 대한 논의 Ⅲ. 北 京 遷 都 를 위한 準 備 와 諸 方 策 1. 皇 太 子 朱 標 西 安 派 遣 2. 北 京 에 대한 永 樂 帝 의 關 心 3. 北 京 建 設 의 提 案 4. 北 京 强 化 를 위한 努 力 Ⅳ. 遷 都 를 위한 重 臣 會 議 와 北

More information

03

03 CHAPTER 01 4 PART 01 소비윤리를 논의하기에 앞서 현대 사회에서 나타나는 소비문화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소비윤리는 현대 소비사회에 대한 문제 인식으로부터 출발하기 때문에 현대 소비사회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현대 소비사회에 나타나는 소비문화의 특성과 그에 따른 문제점에 대해서는 많은

More information

ÁÖº¸15.7.26

ÁÖº¸15.7.26 4 생명순활동상황 생명순(구역예배)활동상황 분당판 21권 30호 2015년 7월 26일 생명순 보고는 토요일 오전까지 마쳐주십시오. 보고자 : 김연호 목사 010-9251-5245 보고 : 각 교구 조장님께서 교구 사역자에게 보고해 주세요. 분당판 21권 30호 2015년 7월 26일 생명순(구역예배)활동상황 전도실적은 전도 한 분이 소속한 교구의 생명순에

More information

<B1B3C8B8BBE7C8B8BBE7BEF75F3236C8A35FBABBB9AE5F33C2F72E687770>

<B1B3C8B8BBE7C8B8BBE7BEF75F3236C8A35FBABBB9AE5F33C2F72E687770> 교회사회사업 Journal of Church Social Work. Vol.26. 2014. 6. pp.7~49 공동체의 교회사회사업적 의미와 그 모델로서 다일공동체에 대한 소연구 유장춘 (한동대학교 사회복지전공 교수) 초록 교회사회사업의 토대로서 인간의 본질은 하나님의 형상이다. 하나님 형상의 핵 심은 삼위일체로서 공동체 개념의 근거다. 교회는 공동체로서

More information

핵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14) 27 (29) 2

핵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14) 27 (29) 2 1 학년 2 학년 3 학년 합계 6 5 11 5 5 16 문학과예술 핵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4 4 1 1 3 3 6 11 학점계 12 12 24 5 1 6 3 3 6 36 ㆍ제 2 외국어이수규정 이수규정 또는 영역에서 과목 학점 이수하고 수량적석과추론 과학적사고와실험 에서 과목 학점 이수해도됨 외국어및고전어 중급이상외국어및고전어과목명 핵 1 학년 2

More information

Microsoft Word - FunctionCall

Microsoft Word - FunctionCall Function all Mechanism /* Simple Program */ #define get_int() IN KEYOARD #define put_int(val) LD A val \ OUT MONITOR int add_two(int a, int b) { int tmp; tmp = a+b; return tmp; } local auto variable stack

More information

<28C0DAB7E1C1FD2920C4DDB7CEC4FBBEF62034C2F720C6EDC1FDBABB2E687770>

<28C0DAB7E1C1FD2920C4DDB7CEC4FBBEF62034C2F720C6EDC1FDBABB2E687770> KACES-1140-C001 제 6차 ESD 콜로퀴엄 제 4차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Arts & Culture Education Colloquium 지속가능한 미래와 문화예술교육 일시 2011년 5월 28일(토) 13:30 장소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소극장 주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1

More information

과제번호 RR [ 연구결과보고서 ] 대학교양기초교육에대한 종합적분석연구 연구책임자 : 손동현 ( 한국교양기초교육원 )

과제번호 RR [ 연구결과보고서 ] 대학교양기초교육에대한 종합적분석연구 연구책임자 : 손동현 ( 한국교양기초교육원 ) 과제번호 RR2012-46-427 [ 연구결과보고서 ] 대학교양기초교육에대한 종합적분석연구 2012. 7 연구책임자 : 손동현 ( 한국교양기초교육원 ) - 2 - - 3 - - 4 - 목 차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1 - - 2 - - 3 - - 4 - 1) http://www.aacu.org/leap/what_is_liberal_education.cfm

More information

오랫동안모든죄가운데빠져 성찬경 a ff 4 4 l l k k k k k k k k k k k k a ff 4 l l 오랫동안모든죄가운데빠져 k k k k k k k k k k k k b f f 4 b f f 4 오랫동안모든죄가운데빠져 l l l l l l l l a f

오랫동안모든죄가운데빠져 성찬경 a ff 4 4 l l k k k k k k k k k k k k a ff 4 l l 오랫동안모든죄가운데빠져 k k k k k k k k k k k k b f f 4 b f f 4 오랫동안모든죄가운데빠져 l l l l l l l l a f 오랫동안모든죄가운데빠져 성찬경 a ff 4 4 l l a ff 4 l l 오랫동안모든죄가운데빠져 b f f 4 b f f 4 오랫동안모든죄가운데빠져 l l l l l l l l a ff 4 4 G =72 m e f 5 b f f 4 4 a ff l 더럽기가한량없던우리들 a ff l 더럽기가한량없던우리들 b f f l l 아무공로없이 b f f l l a ff

More information

글청봉3기 PDF용

글청봉3기 PDF용 + 32009. CONTENTS 014 016 018 021 026 048 062 080 100 102 105 108 110 120 122 125 CHINA Neimenggu CHINA Sichuan INDIA Chennai 02 014 015 016 017 018 019 020 > 022 023 wh a t makes YOU HAPPY?

More information

<B1B9BEC7BFF8B3EDB9AEC1FD20C1A63331C1FD2DBABBB9AE2832303037292E687770>

<B1B9BEC7BFF8B3EDB9AEC1FD20C1A63331C1FD2DBABBB9AE2832303037292E687770> 국악원논문집 제31집 111~144쪽 2015 월명사의 성범(聲梵)에 관한 연구 16) 한국 초전불교와 서역 불교문화를 통하여 윤소희* [국문초록] 본고에서는 월명사가 부르지 못했던 성범(聲梵) 의 실체를 찾아서 실크로드와 중국 그리고 한국의 초전불교의 면면 을 추적해 보았다. 그 결과 중국 초기불교 시기에 서역에서 온 유랑승들이 많았고, 이들은 범어범패로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1) 이논문은 2009 년도성신여자대학교학술연구조성비지원에의하여연구되었음. 2) Francis Fukuyama, "The End of History," National Interest, No. 16 (Summer 1989), p. 4. 3) 이러한구분에관해서는존베일리스

1) 이논문은 2009 년도성신여자대학교학술연구조성비지원에의하여연구되었음. 2) Francis Fukuyama, The End of History, National Interest, No. 16 (Summer 1989), p. 4. 3) 이러한구분에관해서는존베일리스 1) 이논문은 2009 년도성신여자대학교학술연구조성비지원에의하여연구되었음. 2) Francis Fukuyama, "The End of History," National Interest, No. 16 (Summer 1989), p. 4. 3) 이러한구분에관해서는존베일리스외저, 하영선외역, 세계정치론 ( 서울 : 을유문화사, 2003), pp. 151-239 을참조.

More information

À½¾ÇÁöµµ¼�¥³-14~261S

À½¾ÇÁöµµ¼�¥³-14~261S Harmony 1 2 3 4 244 IV. Harmony Harmony IV.Harmony Harmony IV. IV. Harmony 245 245 01 246 IV. Harmony 247 p.234 1. 2. 3. 1 234 IV. Harmony 248 IV. Harmony p.235 1 2 3 4 5 6 7 8 235 249 p.236 WhenI findmy-self

More information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2012. 5. 14.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 1 - 그림 1 쓰나미의발생과정 그림 2 실제쓰나미의사진 ρ - 2 - 그림 3 땅을파는모습그림 4 완성된수조의모습 - 3 - 그림 5 삼각기둥그림

More information

< C617720BBF3B4E3BBE7B7CAC1FD20C1A632B1C72E687770>

< C617720BBF3B4E3BBE7B7CAC1FD20C1A632B1C72E687770> IT&Law 상담사례집 - 제 2 권 - IT&Law 상담사례집제2권 - 1 - 제 1 장프로그램저작권일반 - 2 - IT&Law 상담사례집제2권 - 3 - 제 1 장프로그램저작권일반 - 4 - IT&Law 상담사례집제2권 - 5 - 제 1 장프로그램저작권일반 - 6 - IT&Law 상담사례집제2권 - 7 - 제 1 장프로그램저작권일반 - 8 -

More information

04±èºÎ¼º

04±èºÎ¼º Introduction of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Progra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Fishing Villages in Cheonsu Bay Region* Boosung Kim** Abstract : Sustainable Development(SD) is an important concept

More information

Microsoft PowerPoint - Java7.pptx

Microsoft PowerPoint - Java7.pptx HPC & OT Lab. 1 HPC & OT Lab. 2 실습 7 주차 Jin-Ho, Jang M.S. Hanyang Univ. HPC&OT Lab. jinhoyo@nate.com HPC & OT Lab. 3 Component Structure 객체 (object) 생성개념을이해한다. 외부클래스에대한접근방법을이해한다. 접근제어자 (public & private)

More information

º´¹«Ã»Ã¥-»ç³ªÀÌ·Î

º´¹«Ã»Ã¥-»ç³ªÀÌ·Î 솔직히 입대하기 전까지만 해도 왜 그렇게까지 군대를 가려고하냐, 미친 것 아니냐는 소리도 많이 들었다. 하지만 나는 지금 그 때의 선택을 후회하지 않는다. 내가 선택한 길이기에 후회는 없다. 그런 말을 하던 사람들조차 지금의 내 모습을 보고 엄지 손가락을 치켜세운다. 군대는 하루하루를 소종하게 생각 할 수 있게 만들어 주었고, 점점 변해가는 내 모습을 보며

More information

I would like to ask you a favor. Can you pick me up at the airport? ASAP P.S. RSVP BTW IMO ATM ETA

I would like to ask you a favor. Can you pick me up at the airport? ASAP P.S. RSVP BTW IMO ATM ETA 1 주차. Asking favors > Warm up I would like to ask you a favor. Can you pick me up at the airport? ASAP P.S. RSVP BTW IMO ATM ETA 1 2 3 4 5 6 7 8 9 To Cc Bcc Subject Attachments Dear James, Soyoung Kim

More information

2012 년 2 월 석사학위논문 고린도전서 14 장을중심으로한방언고찰 - 성경신학적방언연구를통한현대방언비판 - 광신대학교신학대학원 신학과 학자의혀 glw'ssa - 1 - 1) 김영진, 고린도전서, 그랜드종합주석 ( 서울 : 성서교재간행사, 1993), 25, 26 2) W. Harold Mare, 고린도전서, 엑스포지터스성경연구주석 프랭크 E. 개벨라인편

More information

Microsoft Word - Jeong_Korean.doc

Microsoft Word - Jeong_Korean.doc è Bizot, François. 2003. The Gate. London: Vintage. Chandler, David. 2000. A History of Cambodia, 3rd Edition. Boulder: Westview Press. Coedès, George. 1968. Angkor: An Introduction. Translated

More information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ISSN 2288-5854 Print ISSN 2289-0009 online DIGITAL POST KOREA POST MAGAZINE 2016. APRIL VOL. 687 04 DIGITAL POST 2016. 4 AprilVOL. 687 04 08 04 08 10 13 13 14 16 16 28 34 46 22 28 34 38 42 46 50 54 56

More information

11문화,역사지리

11문화,역사지리 30 (www.naver.com) (www.daum.net) 5 5 (http://cafe.naver.com/firenze) (http://cafe.naver. com/eurodriving) (http://cafe.naver.com/jpnstory) (http: //cafe.naver.com/forevehk) (http://cafe.naver.com/lovecebu)

More information

- 89 -

- 89 - - 89 - - 90 - - 91 - - 92 - - 93 - - 94 - - 95 - - 96 - - 97 - - 98 - - 99 - 있다 장정임 ( 2009). Toylor 와 Betz(1983) 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와 및 등이 개발 (career 와 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단축형 은 미래계획수립 문제해결과 같은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More information

철학논집제 43 집 2015 년 11 월 Sogang Journal of Philosophy Vol.43, Nov. 2015, pp /sgjp 인도철학에서의 진리 개념에대하여 I* 5) - Tattva 의두의

철학논집제 43 집 2015 년 11 월 Sogang Journal of Philosophy Vol.43, Nov. 2015, pp /sgjp 인도철학에서의 진리 개념에대하여 I* 5) - Tattva 의두의 철학논집제 43 집 2015 년 11 월 Sogang Journal of Philosophy Vol.43, Nov. 2015, pp. 195-229 10.17325/sgjp.2015.43..195 195 인도철학에서의 진리 개념에대하여 I* 5) - Tattva 의두의미 - 강성용 ( 서울대 ) 주제분류 인도철학 주제어 인도철학, 냐야, 냐야쑤뜨라, 진리,

More information

해피메이커 표지.indd

해피메이커 표지.indd Contents _ 02 _ 04 _ 06 _ 08 _ 14 _ 15 _ 16 _ 21 _ 24 _ 30 _ 32 _ 35 _ 38 _ 44 _ 56 _ 62 _ 66 _ 68 _76 _84 _86 _92 _112 COVER STORY CEO Message 02 03 KSD HISTORY HISTORY 2006-2010 2011-2012 04 05 ISSUE

More information

내지-교회에관한교리

내지-교회에관한교리 내지-교회에관한교리 2011.10.27 7:34 PM 페이지429 100 2400DPI 175LPI C M Y K 제 31 거룩한 여인 32 다시 태어났습니까? 33 교회에 관한 교리 목 저자 면수 가격 James W. Knox 60 1000 H.E.M. 32 1000 James W. Knox 432 15000 가격이 1000원인 도서는 사육판 사이즈이며 무료로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