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Word - NLYRCSSMQBGK.doc
|
|
- 희원 국
- 8 years ago
- Views:
Transcription
1 关 于 东 亚 和 解 的 文 化 思 考 复 旦 大 学 日 本 研 究 中 心 副 所 长 胡 令 远 引 子 首 先 感 谢 东 亚 比 较 文 化 国 际 会 议 韩 国 分 会 和 东 亚 比 较 文 化 国 际 会 议 轮 值 主 席 崔 溶 澈 教 授, 邀 请 我 参 加 今 年 的 这 次 国 际 会 议 使 我 来 到 向 往 已 久 的 高 丽 大 学, 有 机 会 与 新 老 朋 友 欢 聚 一 堂, 并 将 自 己 的 研 究 心 得 能 够 得 以 与 大 家 交 流, 向 各 位 专 家 学 者 请 教 我 的 主 要 研 究 领 域 是 从 文 化 思 想 和 精 神 等 要 素 来 分 析 和 考 察 中 日 关 系 由 于 中 日 韩 三 国 特 殊 的 历 史 文 化 因 缘, 再 加 之 近 代 以 来 特 殊 的 地 缘 政 治 关 系, 所 以 韩 国 也 自 然 成 为 自 己 关 注 的 对 象 遗 憾 的 是 由 于 语 言 的 限 制, 对 韩 国 及 其 文 化 的 了 解 还 不 够 深 入 中 韩 建 交 以 后, 两 国 关 系 的 发 展 总 体 说 来 是 顺 利 的 韩 国 的 产 品 在 中 国 很 受 欢 迎, 以 电 视 剧 为 代 表 的 韩 国 文 化 在 中 国 也 非 常 有 人 气 但 随 着 交 流 交 往 的 深 入, 这 两 年 似 乎 有 一 种 以 前 所 不 曾 有 过 的 暗 潮 时 隐 时 现 它 主 要 并 不 是 表 现 在 政 治 或 经 济 方 面, 而 是 反 映 在 文 化 精 神 感 情 方 面, 多 少 带 有 一 种 情 绪 化 色 彩 另 外, 在 政 府 层 面, 中 日 韩 日 之 间 对 于 60 年 前 发 生 的 那 场 战 争 的 性 质 以 及 日 本 的 认 识 和 态 度, 已 经 达 成 了 共 识 但 积 怨 甚 深 的 那 段 历 史 所 带 来 的 精 神 感 情 伤 害, 却 并 不 能 够 由 此 而 一 朝 得 以 化 解, 还 会 以 各 种 方 式 在 双 边 关 系 中 表 现 出 来 甚 至 包 括 中 韩 之 间 的 一 些 历 史 恩 怨, 有 时 也 会 突 然 冒 出 来, 给 两 国 关 系 带 来 负 面 影 响 怎 样 实 现 东 亚 的 真 正 和 解, 是 不 少 人 所 关 心 的 课 题 就 此, 我 也 从 文 化 的 角 度 做 过 一 些 思 考 在 此 就 教 于 大 家 一 中 日 韩 三 国 之 间, 不 仅 仅 是 一 般 国 际 关 系 意 义 上 的 政 治 经 济 的 利 益 或 利 害 关 系, 如 前 所 说, 还 有 着 特 殊 的 历 史 情 结 通 过 文 化 心 灵 的 交 流 达 成 相 互 理 解, 对 于 化 解 这 一 心 结 是 不 可 或 缺 的 而 战 后 主 要 是 上 个 世 纪 50 年 代 中 期 至 中 日 邦 交 恢 复 的 70 年 代 初 的 两 国 间 的 文 化 交 流, 可 以 说 对 此 深 有 启 鉴 意 义 战 后 的 中 日 文 化 交 流, 大 致 可 分 为 以 下 三 个 阶 段 : ⑴ 邦 交 恢 复 前, 中 绝 之 后 的 接 续 期 ; ⑵ 年 代 前 后, 平 稳 发 展 期 ; ⑶ 冷 战 结 束 至 现 在, 新 的 探 索 期 其 中 的 第 一 阶 段 具 有 特 殊 价 值, 即 它 显 现 出 战 后 中 日 文 化 交 流 的 基 本 性 格, 具 有 重 要 的 认 识 意 义 其 主 要 特 点 如 下 : ⑴ 文 化 交 流 所 产 生 的 连 带 感 在 这 一 时 期 的 文 化 交 流 中, 中 国 和 日 本 的 所 谓 同 文 同 种, 被 特 别 强 调 尤 其 是 中 日 间 2000 年 以 上 的 文 化 渊 源, 唤 起 了 人 们 美 好 的 历 史 记 忆, 由 此 所 产 生 的 两 个 民 族 间 的 文 化 上 的 连 带 感, 对 于 化 解 那 场 刚 刚 过 去 的 悲 惨 的 战 争 所 造 成 的 民 族 感 情 的 坚 冰, 起 到 了 无 可 代 替 的 作 用 ⑵ 文 化 交 流 及 其 目 的 的 道 义 感 多 数 日 本 的 文 化 人, 包 括 普 通 的 日 本 民 众, 出 于 对 刚 过 去 不 久 的 侵 略 战 争 的 内 疚 和 反 省, 觉
2 56 동아시아 인문전통과 문화역학 得 只 有 通 过 自 己 的 努 力, 其 中 包 括 以 自 己 的 方 式 积 极 参 与 各 种 形 式 的 文 化 交 流 活 动, 推 动 中 日 关 系 的 发 展, 帮 助 新 中 国 恢 复 在 联 合 国 的 合 法 席 位 等, 作 为 对 中 国 人 民 的 道 义 补 偿 是 义 不 容 辞 的 责 任 故 而 在 当 时 的 中 日 文 化 交 流 中, 充 满 一 种 让 中 国 人 感 动 的 这 样 一 种 强 烈 的 道 义 感 而 在 中 国 方 面, 在 文 化 交 流 活 动 中, 一 直 强 调 那 段 不 幸 的 历 史 已 经 成 为 过 去, 而 对 日 本 在 战 后 未 能 得 到 真 正 的 独 立 和 民 主 表 示 深 切 同 情 ; 同 时, 对 他 们 争 取 独 立 和 民 主 的 正 义 斗 争 给 予 坚 决 支 持, 也 是 义 不 容 辞 的 道 义 责 任 ⑶ 实 现 政 治 诉 求 的 文 化 交 流 的 自 觉 意 识 这 一 时 期 的 文 化 交 流 的 一 个 引 人 注 目 的 地 方, 是 它 的 强 烈 的 政 治 诉 求 具 体 来 说, 就 是 以 实 现 中 日 邦 交 正 常 化 为 最 主 要 的 政 治 目 标 所 以 其 间 有 所 谓 乒 乓 外 交 兰 花 外 交 等 说 法 也 可 以 说 是 文 化 交 流 对 两 国 的 政 治 生 活 发 生 了 重 要 影 响, 产 生 了 积 极 效 果 ⑷ 文 化 交 流 的 韧 性 在 当 时 的 日 本, 由 民 间 推 动 的 文 化 交 流 常 常 受 到 打 压 在 十 分 困 难 的 条 件 下, 特 别 在 岸 信 介 佐 藤 荣 作 内 阁 时 期, 两 国 在 商 贸 等 几 乎 所 有 领 域 的 交 往 断 绝 的 情 况 下, 文 化 交 流 却 被 顽 强 地 坚 持 下 来, 对 两 国 关 系 的 发 展 发 挥 了 独 特 作 用 以 至 于 在 前 几 年 中 日 关 系 处 于 严 峻 的 冰 冻 期 时, 中 日 有 识 之 士 依 然 尝 试 以 加 强 文 化 交 流 来 打 破 僵 局 这 一 时 期 的 文 化 交 流 之 所 以 具 备 以 上 特 点, 虽 然 与 当 时 特 殊 的 历 史 和 时 代 背 景 密 切 相 关, 但 另 一 方 面 它 也 与 中 日 之 间 传 统 的 历 史 文 化 关 系 紧 密 相 连 这 样 的 一 种 情 形, 可 以 说 明 在 国 际 关 系 中, 虽 然 人 们 一 般 总 是 以 政 治 经 济 文 化 这 样 的 排 序 以 见 其 主 次 之 分 ; 虽 然 我 们 也 不 不 赞 成 文 化 决 定 论, 但 相 对 于 政 治 经 济 的 易 变 性, 文 化 的 作 用 却 具 有 恒 常 性 和 超 越 性, 也 是 不 争 的 事 实 特 别 是 在 文 化 上 有 着 深 厚 的 历 史 渊 源 的 国 家 之 间, 文 化 的 要 素 更 有 着 特 别 的 功 用 二 另 一 方 面, 如 前 所 述, 与 历 史 文 化 相 关, 中 日 韩 三 国 之 间 也 存 在 很 深 的 历 史 恩 怨 对 于 如 何 化 解 其 中 的 消 极 因 素, 我 想 做 一 些 文 化 解 读 的 尝 试 ⑴ 关 于 历 史 问 题 的 道 德 诉 求 与 利 益 诉 求 东 亚 三 国 之 间 的 历 史 认 识 问 题, 我 认 为 主 要 并 不 是 一 种 外 交 上 的 利 益 诉 求, 更 不 是 所 谓 一 张 外 交 上 的 牌, 而 是 一 种 道 德 诉 求 而 且 这 种 道 德 诉 求, 与 其 说 是 基 于 现 代 国 际 关 系 的 法 理, 不 如 将 其 理 解 为 从 本 质 上 说 它 是 一 种 植 根 于 儒 家 文 化 的 道 德 诉 求 所 以 其 特 征 之 一, 是 表 现 出 某 种 执 著 性 而 它 与 儒 家 的 恕 道, 也 并 不 是 相 悖 的 ⑵ 中 日 韩 三 国 的 民 族 悲 情 主 义 自 近 代 西 力 东 渐 乃 至 战 后, 中 日 韩 两 国 逐 渐 形 成 了 各 自 的 历 史 悲 情 主 义, 并 伴 之 以 受 害 者 的 民 族 心 理 此 种 心 理, 增 加 了 在 历 史 认 识 问 题 上 日 本 对 中 国 和 韩 国 人 的 态 度 和 行 为 的 理 解 的 困 难 性 和 复 杂 性 ⑶ 关 于 爱 国 主 义 教 育 在 日 本 有 一 种 相 当 流 行 的 说 法, 即 中 国 共 产 党 为 了 强 调 自 己 执 政 的 合 法 性, 因 而 一 直 以 来 过 度 地 进 行 所 谓 的 爱 国 主 义 教 育 这 样 的 做 法 给 中 日 关 系 带 来 负 面 影 响, 因 为 这 很 容 易 触 发 极 端 民 族 主 义 情 绪 另 外, 战 后 的 日 本 人 对 战 前 和 战 中 以 皇 国 史 观 为 基 础 的 所 谓 爱 国 主 义 教 育 的 欺 骗 性 及 其 给 日 本 带 来 的 巨 大 灾 难 记 忆 犹 新, 大 多 对 其 抱 有 强 烈 的 反 感, 这 也 增 添 了 日 本 人 对 中 国 的 爱 国 主 义 教 育 的 复 杂 心 理
3 第 10 次 東 아시아 比 較 文 化 國 際 會 議 57 实 际 上, 中 国 的 爱 国 主 义 教 育 有 其 自 身 的 历 史 逻 辑, 把 它 归 咎 于 某 个 政 党 的 党 略, 是 失 之 于 简 单 的 ; 而 它 与 作 为 侵 略 工 具 的 日 本 的 爱 国 主 义 教 育, 不 言 而 喻 是 有 本 质 区 别 的 所 以 我 们 由 此 可 以 得 出 如 下 结 论 : 中 日 韩 三 国 间 的 很 多 问 题, 包 括 一 些 重 大 问 题, 不 仅 仅 只 是 通 过 外 交 政 治 经 济 手 段 就 可 以 解 决 的 必 须 对 对 方 的 民 族 文 化 心 理 进 行 深 入 研 究, 加 强 双 方 的 文 化 交 流, 才 能 促 进 相 互 理 解, 从 而 找 到 解 决 问 题 的 途 径 三 实 际 上, 通 过 文 化 交 流 寻 求 化 解 之 途, 作 为 三 国 有 识 之 士 的 共 识, 已 经 次 第 展 开, 并 取 得 了 很 大 成 效 譬 如 中 日 韩 共 同 编 篡 出 版 教 科 书, 中 日 两 国 政 府 也 启 动 了 共 同 研 究 历 史 的 项 目, 今 年 可 望 发 表 作 为 阶 段 性 成 果 的 报 告 书 大 家 对 此 有 很 大 的 期 待 除 此 之 外, 在 民 间 层 面 譬 如 日 本 国 际 友 好 协 会 (IFA) 在 中 日 和 日 韩 间 已 经 连 续 三 年 实 施 了 以 历 史 教 育 交 流 为 主 题 的 合 作 项 目, 为 三 个 国 家 的 学 者 就 历 史 认 识 等 问 题 的 交 流 提 供 了 一 个 很 好 的 平 台 去 年, 我 也 受 邀 参 加 了 这 一 项 目, 感 到 是 一 次 很 好 的 学 习 和 交 流 机 会 在 2006 和 2007 两 个 年 度 这 一 项 目 的 实 施 过 程 中, 日 本 著 名 历 史 学 家 -- 东 京 大 学 名 誉 教 授 鸟 海 靖 先 生 都 提 出 了 为 促 进 国 际 历 史 相 互 理 解 的 建 议, 共 四 条 其 中 第 二 条 为 除 了 政 治 外 交 战 争 等 领 域, 同 时 关 注 文 化 生 活 等 历 史 的 人 性 侧 面 ; 而 作 为 第 三 条, 鸟 海 先 生 特 别 强 调 了 民 间 交 流 的 必 要 性 从 中 日 文 化 交 流 的 实 践 来 看 我 认 为 这 都 是 非 常 中 肯 的 意 见 此 外, 在 三 国 高 层 之 间, 近 年 也 非 常 注 意 亲 自 以 实 际 行 动 推 动 文 化 感 情 方 面 的 交 流 譬 如 前 年 中 日 两 国 总 理 互 访 时 所 体 现 出 的 文 化 之 旅 的 精 神, 特 别 是 福 田 首 相 访 华 时 的 曲 阜 之 行, 更 是 破 天 荒 地 开 创 了 中 日 关 系 史 上 日 本 现 任 最 高 行 政 首 长 亲 自 到 孔 子 故 乡 朝 圣 的 先 例, 是 具 有 重 要 象 征 意 义 的 历 史 性 事 件 胡 锦 涛 主 席 访 问 日 本 时, 除 了 到 文 化 名 城 奈 良 参 观 外, 也 抽 出 大 量 时 间 最 大 限 度 地 直 接 与 日 本 的 普 通 民 众 接 触 李 明 博 总 理 访 问 中 国 时, 特 地 到 汶 川 地 震 受 灾 地 区 进 行 慰 问 这 一 切 都 可 以 称 之 为 心 灵 之 旅, 增 进 了 国 民 之 间 的 感 情, 促 进 了 文 化 交 流 和 相 互 理 解 对 于 化 解 矛 盾 达 成 心 灵 和 感 情 上 的 和 解, 是 非 常 重 要 的 最 后, 关 于 今 后 的 课 题, 以 下 几 点 值 得 关 注 : ⑴ 东 亚 区 域 合 作 和 一 体 化 中 的 文 化 诉 求 ; ⑵ 中 日 实 现 真 正 的 历 史 和 解 的 文 化 途 径 ; ⑶ 中 国 关 于 和 谐 世 界 的 价 值 理 念 与 日 本 韩 国 的 核 心 价 值 观 的 关 系
4
5 중국에 전해진 조선의 畵 蹟 들 금지아 ( 연세대학) 1. 서론 조선의 문인들은 17 세기 이후 淸 文 人 들과 폭넓은 교유를 맺으면서 대량의 중국 그림을 조선에 들여왔 다. 당시 조선에서 파견되어지는 사행원들이 그곳에서 중국 그림을 견문하거나, 또는 중국 그림을 조선에 유 입시킨 것만이 아니라, 인간적인 교유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문사들간의 교류에서는 즉석에서 그림을 요구하거 나 글씨를 요구하는 일들이 생겨나게 마련이었는데, 이것은 그들 간의 우정의 징표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 다. 역대 兩 國 士 人 들에 의해 이러한 회화 교섭이 진행되는 동안 또 하나의 주목할 사실이 발견된다. 사행 온 중국 사신들에게 왕의 하사품으로 주어지거나 조선의 사행원이 유명한 친분이 있었던 사람에게 그림의 書 畵 를 갖고 중국에 가 그 곳에서 評 을 의뢰하거나 기증 또는 판매를 하여 조선의 회화가 적지 않게 중국으로 유출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본고에서 언급한 金 剛 山 圖 나 洌 上 畵 譜, 淸 畵 家 羅 聘 ( ) 이 소장했던 조선의 그림들이 그렇다. 조선의 申 緯 는 중국에 그의 시와 墨 竹 畵 가 알려져 淸 代 陳 雲 伯 이 편찬한 畵 林 新 詠 에 朝 鮮 의 洪 顯 ( ) 와 함께 실려, 중국에 그 이름을 알리기도 하였다. 周 1) 이렇게 교류의 결과로 빚어진 한중 문학 회화 관계의 이면에는 중국에 전해진 조선의 畵 蹟 이 허다하 다. 高 麗 史 와 朝 鮮 王 朝 實 錄 2), 사행원들이 남긴 燕 行 錄 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교류사적 측면에서 보자 면 이에 대한 탐색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고는 이런 연구의 필요성에서 시도된 것이다. 2. 역대 畵 蹟 의 중국 전래배경과 그 내용 문헌의 기록을 통해보면 고려 조선 초기부터 중기까지의 적지 않은 수의 회화가 조선에 온 사신들에게 왕의 하사품으로 주어져서 중국으로 들어갔음을 알 수 있다. 주로 중국 사신들의 요구에 의해 조선의 畵 員 들 이 그려준 그림들이다. 이와 동시에 조선중 후기로 가면서 사행길에서 중국의 서화를 구입해오거나 한국의 畵 蹟 들을 가지고 가서 소개하고 판매하는 과정에 전해지기도 하였다. 이 계층은 양국의 중개무역을 담당하였 던 상인이었는데, 연행 상인은 처음에는 官 商 만이 사행에 참여할 수 있었으나, 나중에는 私 商 들도 다른 사행 원의 직책을 빌어 수 있는 인가를 받고 있었던 燕 行 하여 중개무역에 종사하여 이윤을 남겼다. 상인 계층 이외에 양국의 무역업에 종사할 譯 官 도 양국 간의 회화매매에서 커다란 역할을 담당하였다. 3) 또한 對 淸 사행원 들은 畵 員 4)들을 대동하여 使 行 記 錄 畵 를 남기고, 중국 화가들과 만나 대화를 하여 그곳 畵 壇 의 상황을 파악 1) 홍현주는 정조의 사위이고, 申 緯 의 唐 詩 畵 意 에 跋 文 을 써주기도 하였다. 신위와의 관계는 1827 년( 추정) 신위와 홍현주, 김정희 3인이 쓴 13 편의 화답시 雲 外 夢 中 帖 ( 총26 면) 에 잘 드러나 있다. 拙 稿, 연세대 중앙도서관 소장 고서해제 Ⅴ 唐 詩 畵 意 해제 ; 유홍준, 金 正 喜 筆 雲 外 夢 中 帖 고증, 완당평전 ( 학고재, 2002) 참조. 2) 安 輝 濬, 朝 鮮 王 朝 實 錄 의 書 畵 史 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柳 承 宙, 조선후기 조 청무역소고, 국사관논충 30 집, ) 鄭 恩 主, 조선시대 對 淸 使 行 관련회화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논문, 2007) 에 이들의 명단과 주요 행적과 작품 이 연구되어 있어 도움이 된다. (57-66 쪽, 쪽) 특히 이 논문 쪽에 실려 있는 화원 명단을 보면 다 음과 같다. 鄭 璨, 李 得 義, 韓 善 國, 李 起 然, 李 起 龍, 權 悅, 張 忠 獻, 韓 時 覺, 許 謙, 李 貴 興, 張 子 俊, 皮 尙 顯, 盧 泰 鉉, 許 俶, 玄 有 綱, 申 日 興, 李 燦, 趙 萬 興, 金 壽 遠, 文 得 麟, 張 文 燦, 李 必 成, 李 聖 麟, 洪 疇 福, 金 應 煥, 李 宗 植, 李 完 根, 李 命 基, 李 寅 文, 李 義 養, 李 壽 民, 李 建 鍾, 尹 命 周, 崔 垣, 崔 學 魯, 金 安 國, 李 儀 秀, 趙 坪, 柳 淵 浩.
6 60 동아시아 인문전통과 문화역학 하기도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인간적인 교유를 바탕으로 한 贈 與 등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고려와 조선의 중국으로의 회화 전래 는 이렇게 畵 員 과 문인 사대부, 商 人, 譯 官 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1) 고려의 경우 북송 郭 若 虛 는 우리 왕조가 번성하니 머나먼 외국에서 황제를 뵈려는 사람이 길에 계속 이어졌는데, 오 직 고려국만이 풍치가 있고 고상한 것을 깊이 숭상하여 중화풍에 점차 감화를 받았다. ( 고려의) 교묘한 기술 이나 솜씨의 정교함은 나른 나라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이고 본래 회화에도 뛰어났다. 錢 忠 懿 집안에는 着 色 의 산수도가 4 권, 그리고 長 安 의 臨 潼 李 虞 曹 집안에는 本 國 八 老 圖 가 2 권 있었다고 하며, 또 楊 褒 虞 曹 집 안에서는 곱고 가늘게 짠 삼베에 그려진 行 道 天 王 圖 를 본 일이 있다는데, 이들 고려 회화들이 모두 풍격을 지니고 있다( 皇 朝 之 盛, 遐 荒 九 譯 來 庭 者, 相 屬 於 路, 惟 高 麗 國 頓 尙 文 雅, 漸 染 華 風. 至 於 技 巧 之 精, 他 國 罕 比, 固 有 丹 靑 之 妙. 錢 忠 懿 家 有 着 色 山 水 四 卷, 長 安 臨 潼 李 虞 曹 家 有 本 國 八 老 圖 二 卷, 及 曾 於 楊 褒 虞 曹 家 見 細 布 上 畵 行 道 天 王, 皆 有 風 格 ) 5)고 했다. 또 그는 말하기를, 병진년(1076) 겨울에 사신 최사훈6)을 보내어 입공하였는데, 화공 몇 사람을 데리고 와서 상국사의 벽화를 모사하기를 청하여 허락하니, 모두 모사하여 돌아갔다고 하였다.... 그들 사신이 중국에 올 때마다 혹 부채를 개인적으로 주는 선물로 가져왔다. 그 부채는 아청지로 만들어졌고 표면 에 본국의 귀족들을 그리고 부인과 안장을 지운 말을 곁들이거나 혹은 물가에 금색으로 모래 여울을 그리고 연화와 꽃나무, 물새 등을 정교하게 점철하였다. 또 공중으로 떠오르는 기운 사이로 달빛이 비치는 경관을 은 니로 그렸는데, 극히 아름답다.( 丙 辰 冬 復 遣 使 崔 思 訓 入 貢, 因 將 帶 畵 工 數 人 奏 請 模 寫 相 國 寺 壁 畵 歸 國. 詔 許 之, 於 是 盡 模 之 持 歸.... 彼 使 人 每 至 中 國, 或 用 摺 疊 扇 爲 私 覿 物. 其 扇 用 鴉 靑 紙 爲 之, 上 畵 本 國 豪 貴, 雜 以 婦 人 鞍 馬, 或 臨 水 爲 金 沙 灘, 曁 蓮 荷 花 木 水 禽 之 類, 點 綴 精 巧. 又 以 銀 埿 爲 雲 氣 月 色 之 狀, 極 可 愛 ) 7)라고 했다. 당시 적지 않은 수의 고려 회화가 중국으로 흘러 들어가 일부 중국의 소장가들 수중에 모여졌던 모양이다. 최사훈(?-?) 이 송에 가서 모사해온 상국사의 벽화는 고려의 興 王 寺 벽에 옮겨 그려졌었다. 이후 고종 19 년 (1232) 에는 원에 각종 비단 과 금은 酒 器 및 畵 扇 등을 기증하였고, 8) 또 충렬왕 30 년(1304) 에는 金 剛 山 圖 를 원에 기증하였다. 9) 고려와 원의 회화교류가 특히 활발했던 시기는 忠 宣 王 때이다. 충선왕은 그의 생애 태반을 원에서 보냈다. 그는 원 조 정에 의해 瀋 陽 王 에 봉해졌는데, 북경에 萬 卷 堂 을 짓고 시서화에 능한 고려의 학자 李 齊 賢 ( ) 을 데려 다 놓아 원의 趙 孟 頫 (?-1322) 등과 교유하게 하였다. 원에 있을 때 충선왕과 이제현은 여러 명의 중국 화가들 과 많은 畵 蹟 을 접했던 것으로 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 학자 이제현초상, 이 초상화 는 이제현이 1319년 33세의 나이로 충선왕을 모시고 강남 지방을 여행할 적에 왕이 그곳에서 중국인 화가로 하여금 그리게 하였던 것인데, 초상화의 贊 文 에는 陳 鑑 如 의 筆 이라 적혀있으나, 그의 문집 益 齋 亂 藁 에는 吳 壽 山 의 筆 로 기록되어 있다. 10) 이 초상화는 원대 초상화와 고려시대 초상화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고려와 원과의 회화교섭에서 또 한가지 중요한 것은 고려의 佛 畵 가 원에 다수 건너갔다는 사실이다. 고 려의 불화는 청자와 함께 고려시대 한국 미술의 성격을 잘 나타내주는 것으로 원에서도 높이 평가되었던 것 이다. 원대 湯 垕 의 古 今 畵 鑑 이나 夏 文 彦 의 圖 繪 寶 鑑 에는 고려의 그림 관음상들이 매우 공교한데 그것은 唐 의 尉 遲 乙 僧 筆 意 에서 나와 섬려함에 이른 것 이라 되어 있다. 11) 5) 郭 若 虛, 圖 畵 見 聞 誌 高 麗 國 條. 6) 고려 문종때 활동한 관료, 생몰년 미상. 7) 郭 若 虛, 앞의 책. 8) 高 麗 史 世 家 권23, 高 宗 19년4 월 壬 戌 條 夏 四 月 壬 戌 遣 上 將 軍 趙 叔 昌 侍 御 使 薛 愼 如 蒙 古, 上 表 稱 臣, 獻 羅 絹 綾 細 各 十 匹, 諸 般 金 銀 酒 器 畵 韂 畵 扇 等 物, 仍 致 書 撒 禮 塔, 贈 金 銀 器 皿... 9) 高 麗 史 世 家 권23 忠 烈 王 30년秋 7 월 丁 巳 條 秋 七 月 丁 巳 內 僚 宋 均 賫 金 剛 山 圖 如 元, 宰 樞 使 人 追 正 之. 10) 李 齊 賢, 益 齋 亂 藁 권4. 11) 湯 垕, 古 今 畵 鑑 外 國 畵 條 와 夏 文 彦, 圖 繪 寶 鑑 권6 外 國 條 高 麗 畵 觀 音 像 甚 工, 其 源 出 尉 遲 乙 僧 筆 意, 流 而 至 于 纖 麗. 라고 되어 있다.
7 第 10 次 東 아시아 比 較 文 化 國 際 會 議 61 2) 조선 초 중기의 경우 실록의 기록을 통해보면 조선 초기부터 중기에도 적지 않은 수의 조선 회화가 명 사신들에게 선물로 주 어져서 중국으로 들어갔음을 알 수 있다. 세종2 년(1420) 4 월에 세종이 元 肅 을 사신에게 보내어 花 草, 山 水, 蘭 竹, 畵 屛 을 각 2 폭씩 증정했던 일이나, 세종13 년(1431) 8월에 명 사신의 요청에 따라 금강산도 를 주었던 일이 전해진다. 중국의 사신들이 우리나라에 왔다가 돌아갈 때 즐겨 받아가고자 했던 선물 중에는 금강산 도 가 아니었나 싶다. 수많은 첨봉의 금강산 경치의 특이한 모습 때문이었는지도 모르나, 1455 년에 명의 正 使 와 副 使 가 금강산도 를 청하여 얻어갔던 일은 대표적인 예이다. 이때 정사 高 黼 는 자기도 이미 금강산도 를 청했는데 어찌하여 부사에게만 주고 자기에게는 주지 않느냐고 항의하고, 그 그림 10여 폭을 줄 것을 요구하 여 뜻을 이루었던 것이다. 12) 세조때 명의 金 湜 을 비롯한 서화에 능한 중국의 사신들이 조선을 다녀갔다. 13) 대나무 그림으로 이름이 높던 김식은 1464년 5월에 명 사신으로서 조선에 와서 병풍에 대나무 그린 다음 자 작시를 써넣어 조선의 선비 朴 元 亨 ( ) 에게 증정한 일이 있다. 이것을 안 세조는 화공으로 하여금 그 그림을 모사케 하고 또 문신들로 하여금 시를 짓게 하였다. 김식은 세조로부터 조선의 畵 簇 子 네 쌍을 받았는 데, 그는 이 그림들을 絶 世 之 畵 로 북송 郭 熙 의 그림보다도 훨씬 낫다고 칭찬하였다. 14) 미루어보면 김식이 받 았던 족자들은 곽희 화풍의 조선그림들이었을 것이다. 또 1469년 4 월에는 예종이 명 사신 崔 安 등에게 금강 내산도 각각 한 폭씩을 주었던 일이 있고, 이때 副 使 로 온 鄭 同 은 중국 황제에게 바치도록 한 폭을 더 그 려줄 것을 요청하자 황제께 바치는 데 적합한 玉 軸 의 금강산도 를 만들어주기도 하였다. 금강산을 유람하고 금강산도 를 가져간 명의 사신 鄭 同 은 이것을 북경의 洪 光 寺 에 模 刻 하였는데15), 조선후기에 연행한 黃 景 源 ( ) 이 그의 문집 江 漢 集 에 이 홍광사 모각본을 본 사실을 글로 남기고 있다. 16) 같은 해 8월에는 명 의 황제에게 方 物 과 함께 금강산도 를 보낸 일이 있다. 17) 1470년 5월에는 중국 사신에게 산수 족자 한쌍과 화초 족자 한쌍을 주었다. 18) 1481년 5 월 에는 명 사신에게 畵 面 扇 을 보냈다. 19) 1537년 3월3 일 사신이 平 壤 形 勝 圖 를 그려줄 것을 청하자 화원을 시켜 두 폭을 그려주었다. 20) 같은 해 3월19일과 4월3일 각각 왕이 명 사신들에게 漢 江 遊 覽 圖 와 慕 華 館 迎 詔 圖 를 준 일이 있는데, 이때 명의 사신들은 하나같이 기뻐 극찬하였다 고 전해진다. 21) 1545년 3 월에는 명 사신에게 風 俗 帖 을 그려주었다. 22) 1578년 4 월에는 聖 節 使 通 事 金 壽 仁 이 사행길의 연변에 있는 정자와 관사를 그린 赴 京 亭 館 圖 를 畵 員 에게 그리게 하여 중국 관리에게 주었다가 처 벌받기도 하였다. 23) 1606 년 조선에 온 朱 之 蕃 ( ) 은 李 楨 의 산수화를 칭찬하고, 1608년 본국으로 돌아가 12) 端 宗 實 錄 권14, 3년 6월 3 일. 13) 成 俔, 慵 齋 叢 話 天 使 能 畵 者 條. 金 湜 善 詩, 尤 長 於 律, 筆 法 臻 妙, 畵 竹 入 神, 人 有 求 畵 者, 以 左 右 手 揮 洒 與 之. 又 畵 一 簇 呈 于 世 祖, 世 祖 令 畵 士 移 描 加 彩, 又 令 文 士 作 詩, 言 奪 胎 換 骨 之 意... 14) 世 祖 實 錄 권33, 10년 5월 27 일 正 使 金 湜 畵 素 竹 屛 風, 製 詩 書 其 上 贈 朴 元 亨, 元 亨 以 啓, 上 命 畵 工 摹 其 畵 著 彩, 又 命 文 臣 依 韻 和 之... 라고 그 경위가 기록되어 있다.... 上 使 都 承 旨 盧 思 愼 贈 湜 等 墨 各 二 十 五 笏... 畵 簇 子 各 四 雙... 湜 等 見 畵 簇 曰, 此 乃 絶 世 之 畵, 過 於 郭 熙 遠 矣 15) 鄭 同 에 얽힌 이러한 이야기는 조선후기까지 전해졌다. 大 明 中, 貴 人 鄭 同, 嘗 奉 使, 入 風 嶽, 及 其 貴 也, 刻 千 佛 於, 燕 中 之 洪 光 寺, 而 象 毗 盧, 成 海 應 東 國 名 山 記, 金 剛 山 條 ; 昔 有 鄭 同 者, 雕 像 萬 二 千, 此 猶 泥 豹 蹯, 奚 論 管 中 班 徐 榮 輔, 楓 嶽 記. ( 박은순, 금강산도 연구 30 쪽, 일지사, 1997) 16) 黃 景 源 이 본 홍광사 모각본은 그의 江 漢 集 권10 毗 盧 圖 記 중 景 源 入 燕, 從 老 僧 得 洪 光 寺 千 佛, 熟 視 良 久, 謂 老 僧 曰, 明 中 貴 人 鄭 同, 嘗 奉 使 入 楓 嶽, 及 其 歸 也. 刻 千 佛 於 洪 光 寺... 에 보인다. 17) 睿 宗 實 錄 권5, 4월 27 일; 권7 8월25 일. 18) 成 宗 實 錄 권5, 1년 5월24 일. 19) 成 宗 實 錄 권129, 12년 5월 19 일. 20) 中 宗 實 錄 권84, 32년 3월3 일. 21) 中 宗 實 錄 권84, 32년 3월19 일; 32년 4월3 일. 22) 中 宗 實 錄 권1, 1년 3월3 일. 23) 宣 祖 實 錄 권12, 11년 4월5 일. 이상은 안휘준 앞의 논문, 고려 및 조선왕조초기의 대중국회화교섭, 아세아학 보 13 집, 1979 재인용.
8 62 동아시아 인문전통과 문화역학 면서 다수의 李 楨 산수화를 중국으로 가져갔다. 24) 주지번은 顧 氏 畵 譜 서문을 쓴 사람으로, 조선에 왔을 때 이 책을 가져왔을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당시 주지번을 접대했던 허균은 친했던 畵 員 李 楨 을 데리고 갔는 데, 오늘날 고씨화보 의 일부를 임모한 화첩(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 전하기 때문이다. 25) 3) 조선 후기의 경우 조선후기에도 마찬가지로 연행하는 사행원을 통해 중국에 조선의 畵 蹟 이 전해졌음을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년 연행한 金 昌 業 이 鄭 敾, 趙 榮 祏, 李 穉 의 산수화와 尹 斗 緖 의 인물화를 지니고 가서 淸 人 馬 維 屛 에게 보이고, 그가 좋다고 한 정선의 산수화를 선물한 기록이 있다. 26) 청대 화가 金 農 에게 그림을 배운 ( ) 은 양주화파의 독보적인 명인이다. 1771년 나빙은 북경으로 떠나기 직전 鬼 趣 圖 48폭을 제작하였 는데, 이 그림은 나빙 자신이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주었기 때문에 일찍이 북경에 있는 문인관료들의 題 詩 를 얻을 수 있었다. 당시 북경에 체류했던 조선의 朴 齊 家 ( ) 도 매우 특징 있는 평으로 시인 法 式 善 의 칭송 을 받았는데, 이 내용이 그의 저서 梧 門 詩 話 에 적혀있다. 羅 聘 나빙은 스스로 귀취도 를 그린 다음 긴 두루마기로 표구하여 거의 끝 쪽에 題 하였다. 건륭15 년(1750) 腊 月 조선 군기사정 내각검서 박제가는 동료관원 유득공과 함께 두 번째 入 京 하여 이 그림 을 보고 다. 27) 墨 痕 燈 影 兩 迷 離 그림의 묵의 흔적은 등빛과 거리를 두고 鬼 趣 圖 成 一 笑 之 귀취도 를 그려내니 웃음짓게 한다 理 到 幽 明 無 處 說 聊 將 伎 倆 哧 纖 兒 세상의 이치로 귀신세가가 옳고 그른지 논할 필요 없으며 단지 어린아이가 그림을 보고 놀라 두려워할 뿐이다 라고 제시하였는데, 시는 풍자적 비유가 매우 깊다. 박제가는 조선의 권문세가이고, 유득공은 규장각검서였 범식선의 글 속에서 우리는, 건륭 55 년(1790) 12월 조선 문인 박제가가 북경을 두 번째 방문하여 유득공과 함께 귀취도 를 감상한 후 그림에 대해 평한 7 언절구를 볼 수 있다. 여기에서 그의 사리에 밝은 감식안과 무 신론적 사상을 엿볼 수 있다. 이를 두고 범식선은 박제가가 풍자적 비유가 깊다고 평했다. 이 같은 박제가의 논평은 청대 화가 나빙과의 우의가 비교적 깊었음을 표명하는 것이다. 羅 聘 은 중국의 작품의 뿐만 아니라 외국 작품 까지도 수장하였는데, 나빙 진장품 중의 하나인 조선인이 그 린 그림에 그와 오랜 왕래가 있던 淸 人 翁 方 綱 ( ) 이 題 한 두 수의 시를 여기에 소개한다. 蘆 雁 圖 題 詩 (1) 雲 影 蒼 茫 極 海 東 구름이 창망한 모습으로 가장 끝 東 海 에 다다르니 秋 生 詩 思 淡 空 濛 가을의 맑은 하늘은 시를 생각하게 한다. 最 無 人 態 誰 傳 得 그 누가 이러한 마음을 전해줄 수 있는가 只 有 昏 陰 襯 蓼 紅 이것은 단지 황혼의 붉은 꽃만이 그려낼 수 있을 뿐이다. 24) 吳 世 昌, 槿 域 書 畵 徵 권4, 李 楨 條. 25) 진준현, 懶 翁 李 楨 小 考 서울대학교박물관연보 4 호, ) 金 昌 業, 연행일기 2월8 일조. 정선, 조영석, 화사 이치가 그린 산수와와 윤두서가 그린 인물화 가지고 온 것을 다 꺼내어 보였다. 유병이 정선의 그림이 좋다고 해서 마침내 주었다. 윤진사의 그림은 곧 소지에 중 하나를 그 린 것인데, 유병은 옷에 무늬가 있어 좋지 않다고 했다. 27) 梧 門 詩 話 권4, 北 京 圖 書 館 藏, 讀 書 堂 抄 本.
9 第 10 次 東 아시아 比 較 文 化 國 際 會 議 63 (2) 花 之 老 衲 墨 參 禪 화지스님( 羅 聘 ) 의 그림에는 참선의 세계가 있어 渚 意 料 量 接 遠 天 물가는 머나먼 하늘과 맞닿아 있다 記 取 城 南 齋 十 笏 揚 州 城 南 書 房 을 잊지 않기 위해 窓 光 對 拭 海 苔 箋 28) 창가 빛이 있을 때 海 苔 箋 을 문질러 그려내려 함이네 옹방강의 題 詩 가 실린 復 初 齋 詩 集 은 편년식으로 엮여있는데, 이 題 詩 는 건륭 55 년(1790) 에 실려 있으니, 나빙은 당시 이미 58 세의 노년기였음을 알수있다. 아쉽게도 지금 우리가 볼 수는 없지만, 옹방강의 題 詩 에 의해, 이 그림은 조선의 유명 화가가 그린 한 폭의 蘆 雁 圖 로 물가의 蓼 草 와 기러기가 하늘을 향해 날아가고 있는 것을 묘사한 佳 作 임을 알 수 있다. 나빙이 어떤 경로를 거쳐 이 조선인의 그림을 소장하게 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자신의 작품 속에 어떤 유익한 요소를 흡수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일찍이 나빙은 이 그림을 소장 臨 模 하여 拭 海 苔 箋 이라 덧붙여 썼고, 이를 감상한 옹방강이 칭송하여 제시를 남긴 것이다. 29) 나빙은 조선인의 그림을 소장하고, 조선인의 題 詩 를 얻는 외에도, 재중 조선인 화가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 었던 것으로 보인다. 중국으로 망명한 在 中 조선인 서화수장가 安 岐 ( ?) 는 柳 得 恭 (1749-?) 이 羅 聘 에게 들은 내용을 그의 灤 陽 錄 에 실으면서 처음으로 조선에 알려지게 되었다. 30) 하지만 유득공이 인용한 나빙의 말은 안기가 鹽 業 을 하였고 본래 조선인이며, 자손이 망하였다는 내용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그리 신빙성이 없 다. 안기 사후 중국에서는 그에 대한 생애가 와전되었고, 그 내용이 그대로 조선으로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다가 端 方 ( ) 이 두 번째로 편찬한 安 岐 의 墨 緣 彙 觀 이 崔 南 善 ( ) 에 의해 조선에 들어옴 에 따라 그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알게 되었다. 31) 1780 년 입연한 朴 趾 源 ( ) 은 북경에서 화가인 費 穉, 尹 嘉 銓, 郭 執 桓 등을 만나 이들로부터 그림을 받 기도 하고 자신의 그림을 주기도 하였다. 32) 작품이 남아있지 않아 어떤 그림들을 주고받았는지 알 길은 없으 나 당시의 빈번한 교류를 보여주는 예이다. 또 박지원이 북경에 체류하고 있을 때 蘇 州 사람 胡 應 權 이란 사람이 화첩 하나를 가지고와 그림에 款 識 가 없으니 고증하여 줄 것을 부탁하자, 그는 그림 옆에 적힌 別 號 를 상고하여 화가의 이름과 간단한 小 傳 을 적어주고 洌 上 畵 譜 라고 명명하였다. 33) 이 화보가 어떻게 중국에 전해졌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관지를 부 탁한 사람 말로는 이 화첩을 조선의 상인에게서 샀다고 말하고 있다. 이로 보아 당시 사행원이 조선 그림을 중국에 가지고 가서 판매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연경에 사신 갔다 돌아온 자가 沈 師 正 ( ) 에게 이르기 를, 연경의 저자 가운데서 거사의 그림을 파는 이가 많았습니다. 라고 얘기하는 기록을 보면 전해진 조선 그 림은 이 상점을 통해 판매된 것임을 알 수 있다. 34) 이 화보에는 유명한 조선화가들의 작품이 많이 들어있어 눈길을 끈다. 이 화보에 수록된 내용은 金 淨 二 鳥 和 鳴 圖, 金 埴 寒 林 臥 牛 圖, 李 慶 胤 石 上 焚 香 圖, 李 霆 綠 竹 圖 墨 竹 圖, 李 澄 蘆 雁 圖, 金 命 國 老 仙 結 綦 圖, 尹 斗 緖 烟 江 曉 天 圖 臨 池 寫 字 圖, 鄭 敾 春 山 登 臨 圖 山 水 圖 4폭 四 時 圖 8 폭 大 隱 巖 圖, 趙 榮 祏 扶 杖 臨 水 圖, 金 允 謙 渡 頭 喚 舟 圖, 沈 師 正 金 剛 山 圖 草 28) 翁 方 綱, 復 初 齋 詩 集 권40, 道 光 25 년(1845) 重 刻 本. 29) 陳 金 陵, 나빙의 회화와 조선친구 ( 문정희 역) 미술사논단 ) 柳 得 恭, 灤 陽 錄, 羅 兩 峰. 31) 이에 대해서는 黃 晶 淵, 墨 緣 彙 觀 을 통해 본 安 岐 의 서화수장활동 ( 명청사연구 17 집, 2002) 에 자세하다. 32) 朴 趾 源, 燕 巖 集. 33) 朴 趾 源, 熱 河 日 記 관내정사 7월25 일조. 34) 吳 世 昌, 槿 域 書 畵 徵 沈 師 正 條.. 有 使 燕 還 者 云, 燕 市 中, 多 貨 居 士 畵 者 오세창의 같은 책, 洪 受 疇 條 를 보면, 자 신이 그린 墨 葡 萄 酒 를 연행하는 역관에게 주어 연경에서 팔아오게 하기도 하였던 기록이 보인다. 이런 경로를 거쳐 다시 조선으로 들어오는 경우도 더러 있었는데, 申 緯 도 자신의 글씨를 중국에서 다시 사온 것을 보고 재미 있어하며 이것을 글로써 남기고 있다. ( 신위전집 2,850 쪽. 余 客 有 金 榮 者, 於 燕 市 購 回 拙 書, 薏 苡 絶 句 一 幀, 戱 爲 記 之 ), 이러한 예는 최근까지도 볼 수 있는데, 鄭 敾 의 蓬 萊 全 圖 는 중국에서 유전되다가 최근 다시 한국으로 들어 왔다.( 호암미술관소장)
10 64 동아시아 인문전통과 문화역학 蟲 花 鳥 圖 8 폭, 尹 德 熙 深 樹 老 屋 圖 白 馬 圖 羣 馬 圖 八 駿 圖 春 池 洗 馬 圖 刷 馬 圖, 柳 德 章 霧 中 睡 竹 圖 雪 竹 圖, 李 麟 祥 劒 仙 圖 松 石 圖, 姜 世 晃 蘭 竹 圖 墨 竹 圖, 許 佖 秋 江 晩 泛 圖 등이다. 여기에 수록된 조선 화가들은 대부분 조선 중기나 조선 후기 초엽 사람들이었다. 임진왜란, 정유재란, 병자 호란을 겪으며 매우 불안했던 조선 중기엔 李 霆 ( ) 金 埴 (?-?) 李 慶 胤 ( ) 金 命 國 (1600-?) 등이 중국 浙 派 의 진경산수 화풍을 수용했고, 尹 斗 緖 ( ) 鄭 敾 ( ) 沈 師 正 ( ) 姜 世 晃 ( ) 李 麟 祥 ( ) 趙 榮 祏 ( ) 金 允 謙 ( ) 尹 德 熙 ( ) 등 조선 후기 화가들은 한국적 개성이 두드러진 화풍을 개척하면서도 米 芾 ( ) 倪 瓚 ( ) 文 徵 明 ( ) 董 其 昌 ( ) 같은 중국 실학풍 회화를 융합했다. 화보 내용을 보면 鄭 敾 의 작품이 많이 들어있어 조선 에서의 그의 비중을 느낄 수 있으며 또 李 麟 祥, 姜 世 晃, 許 佖 ( ) 등 당대화가들의 작품들도 많이 들어 있어 사행을 통하여 조선화가들의 작품이 신속하게 중국에 알려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문인화가인 심사정의 작품으로는 실경화인 금강산도 가 실려있는데, 이는 그가 순수한 중국식 문인화만이 아니라 기존에 알려진 실경화들을 포함하여 금강산도 도 그렸음을 말해주는 좋은 예라고 하겠다. 이 조선 화가들의 작품집인 열상 화보 의 존재는 당시 한중회화 교류가 얼마나 활발하였는지를 잘 말해준다 년에는 金 正 中 (?-?) 이 입연하였는데, 그는 程 嘉 賢 에게 조선화 한 폭을 기증하였다. 35)대신에 정가현은 李 鱔 의 모란도 한 폭을 주었는데, 이런 사실들로 미루어 볼 때 18세기 후반에 이미 조선에 李 鱔 과 羅 聘 등 양 주팔괴의 작품들이 전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년에 書 狀 官 으로 입연한 申 緯 ( ) 는 翁 方 綱, 吳 崇 梁 ( ), 葉 志 詵, 張 深 등 중국 문인들과 서화를 주고받으며 많은 교유를 갖았다. 36) 그는 董 其 昌 의 서예를 특히 좋아하였고 그의 산수를 갖고 臨 模 하였음이 기록에 나온다. 37) 신위는 청 문인들과 폭넓은 교유를 맺으 면서 중국에 그의 시와 墨 竹 이 알려져 청대 陳 雲 伯 이 편찬한 畵 林 新 詠 가운데 정조의 부마 海 居 洪 顯 周 와 함께 실려 중국에 그 이름을 날리게 되었다. 38) 이렇듯 연행을 통한 교섭은 개인 간에 서화를 주고받는 경우 가 많이 있었으니 신위의 경우도 여기에 해당하였다. 역대 중국에 전해진 조선의 畵 蹟 들 외에도, 조선 畵 員 들이 직접 중국을 여행하며 배경으로 그린 시화첩 中 國 紀 行 帖 ( 절두산순교기념관소장 ), 瀋 陽 館 圖 帖 39) (LG 연암문고 소장), 燕 行 圖 (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 관 소장) 등이 남아 전해지는데, 당시 사신들의 중국에 대한 높은 관심과 화원들의 치밀한 중국묘사는 중국 문물에 대한 조선인들의 깊은 경모감을 느끼게 하기에 충분하다. 35) 김정중, 연행일기 ( 국역 연행록선집Ⅵ 475 쪽) 36) 이에 대해서는 拙 稿, 신위의 회화수장과 감식안 한중인문학 23, 참고. 37) 특히 동기창의 江 山 秋 霽 圖 ( 클리블랜드미술관 소장) 는 당시 한중간의 교류상황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작품이라 보여진다. 이 그림 왼쪽에 있는 여러 인장 중에는 朝 鮮 王 國 之 印 이라는 도장이 있는데, 어떻게 하여 이 도장이 찍히게 되었는지는 분명치 않으나 동기창이 조선종이를 좋아하여 여러 번 작품에 사용하지 않았나 생각된다.이 표면이 매끄러운 조선종이 아래로 은은하게 작은 글씨들이 내비치는데 이 종이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있다. 이 종이를 외교문서로 보고 글씨를 씻어서 재사용했다고 한 것은 古 原 宏 伸 編 董 其 昌 の書 畵 권2,( 東 京 : 二 玄 社, 1982) 251 쪽 참조. 또 셔먼 리(Sherman Lee) 는 Wai-kam Ho et al,, Eight Dynasties of Chinese Painting(Cleveland Museum of Art and Indiana University,1980, ) 에서 이 종이가 神 宗 황제를 추모하기 위해 조선에서 보낸 외교문서라고 언급하였다. 한편 이덕무는 이 작품이 한국에 넘어와 조선 국왕의 도장이 찍히게 되었다고 보았으 며 어떻게 하여 다시 중국에 넘어갔을까 하고 의문을 표시하였다.( 청비록 권1, ; 江 山 秋 霽 圖 條 ) 만약 당시 외교 문서를 재처리해 사용하였다면 조선으로서는 대단히 불명예가 아닐 수 없으며, 또 공문서가 아니고 동기창에게 직접 전해진 것이라면 당시 한중관계에 대한 중요한 자료가 될것이다. ( 이상은 한정희, 한국과 중국의 회화, 306 쪽 재인용) 38) 陳 雲 伯, 畵 林 新 詠 중국목활자본, 권1-3, 補 遺 1 권, 서울대도서관 所 藏 本. 申 紫 霞, 名 緯, 朝 鮮 國 人... 工 於 詩, 尤 工 畵 竹, 蔣 秋 吟 侍 御 云, 詩 近 蘇 黃, 畵 則 今 其 無 匹 也, 楡 西 館 集 中 屢 見 之 也. 이에 대한 신위의 시는 申 緯 全 集 쪽 수록 39) 英 祖 는 중국행 사신일행으로 하여금 瀋 陽 의 朝 鮮 館 을 그려오라고 명한 사실이 실록의 기록에 보인다. 英 祖 實 錄 영조 48 년(1772) 11월1 일자 上 御 崇 政 殿 月 臺, 召 見 冬 至 三 使 臣, 手 書 御 製 以 賜. 又 賜 貂 帽 胡 椒 等 物, 宣 醞 以 送, 命 畫 來 瀋 陽 朝 鮮 館...
11 第 10 次 東 아시아 比 較 文 化 國 際 會 議 결론 본고에서 언급한 畵 蹟 들은 문헌에 남겨진 역대 중국에 전해진 조선의 그림들 내역이다. 문헌 기록에 전 하는 것을 인용했을 뿐, 중국내 소장처와 현전 여부에 대한 파악까지는 논의가 미치지 못했다. 실제 중국내 이들 畵 蹟 의 소장처를 확인하는 중요한 일이 남아 있다. 이는 연행 畵 員 들의 중국내 행적과, 본고에서 언급한 중국의 교유 인물( 문인 화가 수장가) 들의 개인문집 詩 帖 등을 열람한 후에야 비로소 파악이 가능한 작업이 다. 아울러 조선 그림이 중국으로 건너간 것은 사실이지만, 당시의 문화적 여건으로 보아 그것이 중국화에 어 떤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분석도 곁들여져야 할 것이다. 후일의 연구로 돌린다. < 참고문헌> 각주로 대신함. < 요약> 조선의 문인들은 17 세기 이후 淸 文 人 들과 폭넓은 교유를 맺으면서 대량의 중국 그림을 조선에 들여왔다. 이런 교섭 과정에서 조선의 申 緯 는 중국에 그의 시와 墨 竹 畵 가 알려져 陳 文 述 이 편찬한 [ 畵 林 新 詠 ] 에 朝 鮮 의 洪 顯 周 와함께실리어, 중국에 그 이름을 날리기도 하였다. 여 기서 兩 國 士 人 들에 의해 이러한 회화 교섭을 갖는 동안에 또 하나 주목되어야할 사실이 발 견된다. 당시 조선에서 파견되어지는 사행원들이 그곳에서 중국 그림을 견문하거나, 또는 중국 그림을 조선에 유입시킨 것만 아니라, 인간적인 교유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문사들간의 교류에 서는 즉석에서 그림을 요구하거나 글씨를 요구하는 일들이 생겨나게 마련이었는데, 이것은 그 들 간의 우정의 징표로서의 의미도 가지고 있었다. 또 조선의 유명한 書 畵 를 갖고 가 그 곳에 서 친분이 있었던 사람에게 그림의 評 을 의뢰하거나 또는 기증하거나 하여 조선의 회화가 적 지 않게 중국으로 유출되고 있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본고에서 언급한 [ 金 剛 山 圖 ] 나 [ 洌 上 畵 譜 ], 淸 畵 家 羅 聘 ( ) 이 소장했던 조선 그림들이 그렇다. 이렇게 교류의 결과로 빚 어진 한중 문학, 회화 관계의 이면에는 중국으로 전래된 조선의 그림들 이 허다하다. 교류사적 측면에서 보자면 이에 대한 탐색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고는 이런 연구의 필요성에서 시도된 것이다. < 摘 要 > 传 入 中 国 的 朝 鲜 绘 画 琴 知 雅 ( 延 世 大 学 ) 17 世 纪 之 后, 朝 鲜 的 文 人 与 清 朝 的 文 人 们 展 开 了 广 泛 的 交 流, 大 量 的 中 国 画 也 随 之 传 入 朝 鲜 当 时 被 派 遣 的 朝 鲜 使 行 员 们 不 仅 仅 只 是 见 闻 了 中 国 的 书 画, 并 把 中 国 的 书 画 传 入 朝 鲜 在 人 与 人 的 交 往 基 础 上 建 立 起 来 的 文 士 间 的 交 流 过 程 中, 也 必 然 有 当 场 求 字 画 的 事 情, 这 也 是 他 们 之 间 友 情 的 标
12 66 동아시아 인문전통과 문화역학 志 在 两 国 士 人 们 的 这 种 绘 画 交 流 过 程 中, 有 一 种 事 实 也 应 该 被 关 注 朝 鲜 的 使 行 员 们 也 带 着 朝 鲜 有 名 的 书 画, 在 中 国 与 交 情 甚 深 的 朋 友 们 一 起 品 评 书 画, 或 者 把 书 画 送 给 中 国 友 人, 由 此 朝 鲜 的 绘 画 也 大 量 传 入 中 国, 这 也 是 值 得 我 们 关 注 的 一 个 事 实 在 本 稿 中 谈 及 的 由 清 画 家 羅 聘 ( ) 所 收 藏 的 朝 鲜 书 画 金 刚 山 图 和 洌 上 画 譜 就 属 此 类 朝 鲜 申 纬 的 诗 和 墨 竹 画 在 中 国 开 始 流 传, 他 与 朝 鲜 的 洪 顯 周 一 起 被 登 载 在 陈 文 述 编 撰 的 画 林 新 咏 中, 他 的 名 字 在 中 国 也 广 为 人 知 作 为 韩 中 两 国 文 人 交 往 交 流 的 结 果, 在 韩 中 文 学 和 绘 画 关 系 层 面 传 入 中 国 的 朝 鲜 绘 画 有 许 多 从 交 流 史 的 层 面 来 说, 也 迫 切 需 要 去 进 一 步 探 索 和 研 究 本 稿 就 是 这 种 研 究 必 要 性 中 的 一 种 探 索 <Abstract> Works of Chosun fine arts introduced to China The scholars of Chosun brought in ample amount of Chinese pictures as they had frequent contact with Ching scholars. Delegates and the artists that are sent out to China from Chosun not only learned and brought in Chinese pictures, but also created offhand pictures and calligraphies as a gift for their friendship. Here we find an important fact in the process of the trades between two countries' scholars. They took popular pictures to ask Chinese scholars to evaluate them or present them as gifts. As this article suggests, 金 剛 山 圖, 洌 上 畵 譜, and the pictures 羅 聘 ( ), Ching artist, are exemplary Chosun pictures traded into China. 申 緯 (Shen Wei) of Chosun became renown for his poetry and in China. His works appeared in Shu), along with 洪 顯 周 (hong xian zhou) of Chosun. 墨 竹 畵 (black and white pictures of bamboos) 畵 林 新 詠, an anthology edited by 陳 文 述 (Chen Wen As a result of these intercultural trades, there were plenty of art works that were brought into China. It is needed to retrieve those works of arts for broader and further study on the history of the intercultural trades between Chosun and Ching. This article deals with the necessity of reviewing those works. 핵심어 : 朝 鮮 畵 蹟 (Works of Chosun fine arts), 金 剛 山 圖, 洌 上 畵 譜, 羅 聘, 畵 林 新 詠
13 The Making of King Peony in China and Korea Jeongsoo Shin Comments will be greatly appreciated I. Introduction Equivalent to Latin in medieval Europe, classical Chinese had been a transnational language until pre-modern East Asia. Sino-Korean literature not only constitutes a core part in Korean literature, but also has achieved a distinctive feature from Chinese literature. One deserving yet underappreciated area of study is the fictitious kingdom of the peony (Paeonia suffruticosa) or mudan 牡 丹. My geo-botanical and ethno-cultural perspectives will shed light on peony cultivation and circulation in medieval East Asia to illuminate a cultural map of Tang ( ) and her neighboring countries. In particular, I will explore the different origin and development of King Peony in Korean literature in comparison with Chinese counterparts in order to examine how the Chinese flower is drastically revitalized by Korean writers. I will discuss their literary innovations, horticultural imaginations, and political awareness in context with the intellectual climate of pre-modern Korea. II. King Peony in China Chinese name mudan is associated with medicinal reference. The word was first found in a bamboo slip of prescription in Eastern Han times. The meaning of the first character is explained as a medicinal material, according to the commentary of the acclaimed herbalist Li Shizhen 李 時 珍 ( ) in his Compendium of Materia Medica (Bencao gangmu 本 草 綱 目 ). Li Shizhen comments that the second character (dan 丹 ) is red color. It refers to the color of the root (danpi 丹 皮 ), not the red blossoms, given the pharmaceutical context. Joseph Needham interprets the character as cinnabar, another reddish material used for medicine and alchemy. As for the first character male (mu 牡 ), Li Shizhen comments the character mu as vegetation reproduction, a self-reproduction without seeding. Therefore, Chinese name mudan that reflects its biological and medicinal traits is summarized as a combination of vegetation reproduction and red colored root. No horticultural significance of the flower in pre-tang times evidenced by historical texts. The flower has no entry in the two most comprehensive literary sources of the Yi wen lei ju 藝 文 類 聚 and Chu xue ji 初 學 記, which contain numerous entries of plant and tree flowers in pre-tang times. The Taiping guangji, a sourcebook of tales, contains only a couple of pre-tang stories in the preface of the peony section. The peony was of no interest among pre-tang poets, but it had begun to gain literary attention in the imperial court and aristocracy from early Tang times. The first record of peony cultivation took is found in the era of Empress Wu 武 則 天 (reg ), according to a passage of Fu on the Peony 牡 丹 賦 written by Shu Yuanyu 舒 元 輿 ( ). The empress has temperamental character and absolute power in court. Thus, such an anecdote has it that the empress, impatient with its last bloom in the garden, exiled the flower from the capital Chang an to Luoyang. This story, in my interpretation, means that her enthusiasm for the flower triggered the frenzy of the peony in the aristocracy community in Luoyang as well as the capital. Soon, thereafter, the flower came to the spotlight among the aristocracy. Such an extravagant garden in peony
14 68 동아시아 인문전통과 문화역학 bloom provided a tryst for Emperor Xuanzong 玄 宗 (reg ) and his celebrated concubine Yang Yuhuan 楊 玉 環 ( ). The increasing enthusiasm for the peony flower reached phenomenal magnitude towards late Tang times. The flower syndrome was not restricted to the imperial court and aristocracy, but also captivated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In every late spring, they swarmed to view the flower blooms in a festive atmosphere in the capital Chang an. The frenzy naturally caused many poets to write about the flower. Such literary popularity of the flower in late Tang times is shown by the statistics of Bai Rubing 白 茹 冰 who counts one hundred eighteen five poems in total from the Complete Tang Poetry and divides them into three historical stages. Some of them are not necessarily focused on the peony flower, but they are still a valid reference to the literary position of the flower in each stage: Reign Period Quantity Percentage First Stage ( ) Before Xuanzong % Second Stage ( ) Xuanzong to Xianzong % Third Stage ( ) After Xianzong % Total % Bai s statistics clearly shows that the flower began to interest the high-tang poets and that its popularity peaked in the late-tang period. The peony would have been called The King of Flowers, probably some in the late Tang period amid this fashion, albeit an uncertainty of the exact time the peony was crowned, which is a critical issue of this section. Unlike other names, Li Shizhen does not date the King of Flowers for the peony (hereafter King Peony). In my survey of the corpus of Tang literature, surprisingly, the peony was rarely acclaimed as the king of flowers despite its sensational vogue even in the late-tang times. In my survey, Pi Rixiu 皮 日 休 (840?-883) mentions King Peony in his Mudan 牡 丹. The poem seems to be composed around the time when the peony was first called the king of flowers. The peony flower earned the title of king, but it did not feature male or masculine character in China. Although the peony was titled the king of flowers, mainly based on its unparalleled size, it always represented feminine beauty. For example, the flower s magnificent beauty and aromatic allure are dubbed as national beauty (guo se 國 色 ) and heavenly fragrance (tian xiang 天 香 ) by Li Zhengfeng 李 正 封 (fl. 810) in Appreciating the Peony ( Shang mudan 賞 牡 丹 ). In my speculation, the peony might have first been enthroned among wealthy men who could afford extravagant peony blossoms in their private gardens, as the peony lore in the imperial court developed into a wide-range of enthusiasm in the entire capital area. The term was at first a colloquial usage, and then it came to attract the brushes of literary man. Although we do not know the exact time, my survey of extant Tang texts suggests that it was not until the late Tang era at the earliest that the flower king exclusively referred to the peony, if the poem Mudan was written by Pi Rixiu. III. King Peony in Korea Unlike Japan, where the peony lacked symbolic meaning, the peony flowers were directly associated
15 第 10 次 東 아시아 比 較 文 化 國 際 會 議 69 with queens in Korea to strengthen the dynastic authority. Likewise in China, the tree peony was known for its medicinal properties in ancient Korea. Peony appreciation started in the early seventh century, as Tang China conferred the seeds on Silla (57 BCE-935 CE) court, according to The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States ( Samguk sagi 三 國 史 記 ), written by Kim Pu-sik 金 富 軾 ( ). Such eventful cultivation of the flower would directly have inspired Sŏl Ch ong 薛 聰 (b. 655) to write Admonition for King Peony ( Hwawang gae 花 王 戒 ), the locus classicus of King Peony in Korean literature. Hwawang gye is positioned as the first story-telling pros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ut it should be discussed more as a pioneering narrative of King Peony with no Chinese antecedents. I assert that Sŏl Ch ong did not only initiate the use of the Flower King (hwa wang 花 王 ) for the peony, but also differentiated it from Chinese writers; they referred to King Peony as a supreme flower with symbolic meanings of feminine beauty and prosperity, while Sŏl Ch ong personifies it as a male ruler who is allured by Lady Rose and later enlightened by scholarly Hoary Head (the pasque flower). It explicates how the triangular relationship of the three flowers reflects a power shift from the aristocracy to King Sinmun 神 文 王 (reg ) who was eager to establish Confucian statecraft together with lower aristocracy. Chosŏn ( ) writers continued to yield a succession of narrative prose of King Peony, expressing political concerns and Confucian morality. The common title for peony narratives is A Biography of the Floral King ( Hwawang chŏn 花 王 傳 ), which is written by three different writers. Ch ae So-kwŏn 蔡 小 權 ( ?) implies a change of regime from the despotic ruler King Yŏnsan 燕 山 君 (reg ) to the Confucian King Chungjong 中 宗 ( ). Kim Su-hang 金 壽 恒 ( ) alludes to the futility of life through the withering flower upon the arrival of cold season. Yi Yi-sun 李 頤 淳 ( ) delivers a moral message on overindulgence. The most sophisticated flower kingdom is represented in A History of Flowers ( Hwa sa 花 史 ), in which four annals chronicle four flower kingdoms in seasonal order with homophonous reference to horticultural objects and Chinese historical moments. The Basic Annals of the King of Flowers ( Hwawang bongi 花 王 本 紀 ), written by Cho Kui-myŏng 趙 龜 命 ( ), touches on a new issue of ideology and heresy. His claim is that more venomous than merely adorned flowers are four heterogeneous flowers: Daoist Iris (Acorus calamus) or ch angpo 菖 蒲, Buddhist mandala 曼 陀 羅, the surreal flower (konghwa 空 花 ), and the artificial flower (chohwa 造 花 ). IV. An Interpretation I ponder why Korean Confucians enthrone the Chinese flower. This phenomenon should not be considered so much Sinicism that admires Chinese culture as an active agency of Korean writers to harness Chinese elements under their literary and political schemes, because King Peony always meets a tragic death by murder or illness, due to his moral decay or neglect of duty. Flower kingdoms are created as a means to evade political suppression from opponents, when criticizing domestic politics. Central to this kingdom is a Chinese King Peony, which makes it easy for writers to express political views indirectly. In the same context understood is the different attitude towards a fictional biography in China and Korea. Unlike China, where this form of literature is decreasing in popularity, the biographical form of a personified object was conspicuously appropriated for peony narratives by Koreans who could parody the issues of politicks in imaginations. Therefore, I conclude that fictional biographical forms of King Peony are Korean writers discreet schemes to overcome a political hardship as well as to show their brilliant literary talents.
16 70 동아시아 인문전통과 문화역학 <요약> 한국과 중국에서 모란꽃 화왕 발표문은 모란꽃 에 대한 중국인과 한국인의 상이한 문화적, 문학적 인식을 살펴보는, 말하자면 작은 소재에서 출발해서 한중비교라는 거대담론으로 나아간다. 고대 중국에서 모란은 야생화였고 용도는 약용으로 제한되어 있었다. 꽃에 대한 원예미학적 관심은 당대 초기 황실에서 시작되었고 이후 귀족 문인들 사이에서 점점 인기를 얻게 된다. 마침내 당말에 이르러서 매년 늦봄이면 모란꽃 열풍이 수도 장안을 몰아치며 모란은 화왕 이라는 칭호를 얻게 된다. 한국의 경우, 설총의 화왕계 에서 처음 화왕이 등장하는데, 흥미롭게도 중국보다 훨씬 이르다. 이는 설총의 화왕이 중국에서 영향 받은 것이 아니라 작가의 문학적 상상력으로 만들어 졌음을 의미한다. 더욱 중요한 점은 화왕의 상반된 성격이다. 중국에서 화왕은 꽃 중의 꽃이라는 뜻이며 國 色, 天 香 등 농염한 여성성이 강조된다. 따라서 중국문학에서 모란은 남녀간의 애정을 의미한다. 반면 한국의 경우, 화왕은 꽃의 나라를 통치하는 왕으로서 남성으로 의인화된다. 시의 경우 모란 꽃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서 남녀간의 사랑을 나타낼 때도 있지만 화왕 관련 산문의 경우 예외 없이 유교적 이상주의를 표방하기 위한 정치적 알레고리로 사용된다. 본고는 이와 같이 상이하게 형상화 되는 화왕을 한국과 중국의 문화적, 정치적, 이념적 토양의 차이로 해석한다. < 摘 要 > 花 王 的 起 源 和 發 展 牡 丹 是 眾 香 中 之 一, 但 是 了 解 東 亞 文 化 的 重 要 因 素. 該 文 用 小 題 大 做 的 辦 法, 從 宏 觀 的 角 度 來 分 析 了 中 世 紀 韓 中 兩 國 文 學 和 文 化. 在 古 代 中 國 牡 丹 的 用 處 一 般 限 於 一 種 藥 材. 到 唐 初, 牡 丹 的 栽 培 和 欣 賞 以 皇 室 園 林 為 中 心 開 始 盛 行. 以 後 牡 丹 繼 續 興 盛, 到 唐 末 成 為 花 王. 據 金 富 軾 ( )<< 三 國 史 記 >>, 唐 太 宗 ( 在 位 : ) 把 牡 丹 送 給 新 羅 善 德 女 王, 其 後 薛 聰 (655-?) 寫 了 一 篇 散 文 < 花 王 戒 >. 他 比 唐 代 文 人 更 早 提 出 了 花 王 " 這 個 概 念. 而 且 兩 國 文 人 所 說 的 花 王, 是 完 全 不 同 的 形 象. 在 中 國 花 王 的 稱 呼 帶 着 很 濃 厚 的 女 性 色 彩, 就 是 花 中 之 花 的 意 思. 牡 丹 常 常 稱 呼 為 國 色 和 天 香, 所 以 它 常 用 於 愛 情 文 學. 然 而 在 韓 國 花 王 是 统 治 花 國 的 君 主, 它 被 擬 人 為 男 性. 所 以 牡 丹 往 往 帶 着 政 治 的 寓 億. 本 文 通 過 考 察 韓 中 兩 國 對 牡 丹 的 不 同 觀 點, 探 討 了 兩 國 文 化 和 政 治 環 境 的 差 異.
17 アジア 海 域 の 国 際 交 易 ネットワークと 伝 統 文 化 - 経 済 活 動 と 精 神 文 化 の 二 重 構 造 を 探 る- 彭 佳 紅 ( 日 本 帝 塚 山 学 院 大 学 ) はじめに 人 間 は 生 きるために 経 済 活 動 を 行 い 精 神 安 定 を 維 持 するために 伝 統 文 化 を 守 る アジア 海 域 に おける 国 際 交 易 ネットワークの 今 昔 を 考 えるとき 鄭 和 時 代 の 交 易 圏 と 現 代 グローバル 経 済 による アジア 海 域 の 交 易 ネットワークを 主 に 対 馬 と 上 海 の 実 例 を 検 証 し 今 後 アジア 海 域 における 国 際 交 流 のありかたに 提 言 したい 1. アジア 海 域 の 国 際 交 易 ネットワークの 今 昔 アジア 海 域 の 国 際 交 易 に 係 る 地 域 は 次 のように 考 えられる ( 図 1) 東 海 上 海 杭 州 寧 波 天 津 長 崎 アモイ 台 北 鹿 児 島 福 州 ( 泉 州 ) 那 覇 ( 南 海 にも 跨 ってい る) 南 海 香 港 マカオ マニラ フィリピン サ イコン( 胡 志 明 市 ) 日 本 海 ( 朝 鮮 海 峡 ) 釜 山 対 馬 1-1 鄭 和 のアジア 交 易 ネットワーク 昔 は 鄭 和 の 生 きた 明 代 に 七 回 にわたる 鄭 和 航 海 の 成 果 として アジア 近 隣 諸 国 に 富 をもたらし イスラム 教 徒 と 華 僑 と 共 存 する 社 会 を 作 り 互 いの 信 頼 関 係 を 築 いたことで 朝 貢 貿 易 を 成 功 させ た それによって アジアにおける 海 洋 交 易 のネッ トワークが 形 成 されていた 1-2 現 代 グローバル 化 した 経 済 による 新 たなネットワーク ( 図 1 近 世 アジア 貿 易 圏 ) 今 は 地 球 規 模 の 経 済 発 展 市 場 原 理 によって 新 たな 交 易 移 住 のネットワークが 形 成 されてい る 例 えば 釜 山 ( 韓 国 )と 対 馬 ( 日 本 )の 交 易 戦 後 対 馬 の 経 済 人 が 日 本 政 府 に 釜 山 航 路 を 開 く 陳 情 をしたが 取 り 上 げなかったという( 対 馬 歴 史 シンポジウム 海 人 と 海 道 - 新 生 対 馬 の 道 を 探 る 記 録 シン ポジウム 海 人 と 海 道 実 行 委 員 会 厳 原 町 長 崎 県 考 古 学 会 主 催 ) その 数 年 後 韓 国 が 釜 山 対 馬 航 路 を 開 いたおかげで 現 在 毎 日 約 300 人 の 韓 国 人 旅 行 者 はその 航 路 を 利 用 し 観 光 船 に 乗 って 対 馬 を 行 き 来 する その 観 光 や 国 際 貿 易 がいま 産 業 をほとんど 持 たない 対 馬 市 にとって 島 を 支 える 重 要 な 経 済 源 となっている 韓 国 から 中 国 に 留 学 している 若 者 の 数 は 中 国 の 外 国 人 留 学 生 の 一 位 を 占 める 一 方 近 年 グロー
18 72 동아시아 인문전통과 문화역학 バル 経 済 により 韓 国 で 伝 統 文 化 である 漢 字 文 化 を 見 直 す 動 きが 出 てきた 日 本 から 上 海 に 在 住 している 日 本 人 ビジネス 人 口 は 近 年 急 増 し はじめて 在 米 その 人 口 を 超 えた グローバル 化 した 市 場 原 理 と 移 民 は 資 金 労 働 力 の 移 動 をもたらし 新 たな 交 易 ネットワーク を 形 成 した 2. 海 洋 交 易 と 移 民 と 海 神 たち 2-1 航 海 の 安 全 を 守 る 女 神 媽 祖 媽 祖 (マソ) 信 仰 は ひとつの 良 い 例 である 毎 年 五 月 十 日 は 台 湾 福 建 省 で 盛 大 な 祭 りが 行 わ れている 航 海 の 安 全 を 守 る 女 神 である 聖 なる 母 とも 天 后 とも 呼 ばれている 媽 祖 の 誕 生 日 なの だ 今 から 約 三 百 年 前 の 明 の 時 代 に 福 建 省 から 多 くの 人 々が 台 湾 に 移 住 するために 荒 波 の 台 湾 海 峡 をわたった 際 媽 祖 にご 保 護 を 願 った 安 全 な 地 に 辿 り 着 いた 人 々は 媽 祖 を 信 仰 するようにな ったという 媽 祖 伝 説 によると 今 から 約 千 年 前 福 建 省 莆 田 という 漁 師 町 に 生 れた 林 黙 ( ) という 女 の 子 は 幼 少 の 時 から 悪 霊 を 退 治 する 神 力 を 持 っていた 彼 女 が 16 歳 の 時 漁 に 出 て 荒 波 に 巻 き 込 まれた 父 親 を 助 けた 27 歳 の 時 遭 難 した 船 を 救 助 し 漁 師 の 身 代 わりに 昇 天 しそのま ま 神 になったという 以 来 千 年 にわたって 航 海 の 女 神 として 祭 られた 媽 祖 信 仰 の 祖 廟 は 福 建 省 湄 州 にある そのほか 台 湾 金 門 島 香 港 アモイ 福 州 ( 泉 州 ) 等 東 南 アジア 各 地 にもそれぞれ 立 派 な 媽 祖 廟 がある 参 拝 者 は 数 百 万 人 に 上 るという 現 代 媽 祖 信 仰 は 大 陸 と 台 湾 の 民 間 交 流 として 両 岸 における 平 和 の 使 者 という 役 割 まで 果 たしている そもそも 媽 祖 信 仰 の 始 まりは 漁 師 たちが 荒 波 の 海 から 身 を 守 る 必 要 があったから 生 れた 女 神 であり そして 後 に 大 陸 の 福 建 省 から 台 湾 に 多 くの 人 が 移 住 するため 荒 波 の 台 湾 海 峡 を 渡 らな ければならないから 広 がった 民 間 信 仰 である 2-2 対 馬 の 海 神 たち 朝 鮮 海 峡 に 浮 かぶ 離 島 の 対 馬 は 縄 文 早 期 から 日 本 列 島 と 朝 鮮 半 島 の 両 方 に 通 行 した 形 跡 があっ してき た そして 弥 生 期 になると 魏 志 倭 人 伝 に 南 北 に 市 糴 という 記 録 があるように 南 ( 九 州 ) と 北 ( 韓 土 )に 交 易 した 対 馬 島 民 が 倭 の 水 人 の 一 派 に 違 いないと 対 馬 出 身 の 対 馬 文 化 史 研 究 わ た つ み 者 である 永 留 久 恵 氏 が 言 う( 海 神 と 天 神 対 馬 の 風 土 と 神 々 ) この 水 人 らは 和 多 都 美 をはじめとす るおよそ 10 余 座 の 海 神 系 神 社 の 海 神 たちを 祭 っていた 永 留 氏 の 分 類 によると これらの 対 馬 の 海 神 は 次 のように 四 種 類 に 分 けられる 1 海 中 より 現 れた 神 2 海 上 より 漂 流 して 来 た 神 3 天 より 降 臨 した 神 4 神 婚 によって 誕 生 した 神 ( 同 上 書 ) たとえば 巌 原 港 の 志 賀 大 明 神 対 馬 州 神 社 大 帳 には 志 賀 神 社 一 字 祭 神 三 座 海 神 守 船 守 漁 之 神 古 社 也 という 記 載 がある あるいは 東 海 岸 に 高 く 聳 えた 無 人 島 である 鴨 居 瀬 の 黒 島 神 社 大 帳 には 黒 島 神 社 祭 神 火 雷 神 塩 筒 老 翁 乎 海 上 導 神 也 とある 地 形 的 に 見 れば 古 来 東 海 岸 航 路 の 重 要 な 標 山 であったことに 頷 ける 媽 祖 にしても 対 馬 の 海 神 たちにしても 航 海 交 易 移 民 という 越 境 する 経 済 活 動 があるゆえ その 航 路 安 全 と 航 海 に 係 る 人 々の 精 神 文 化 を 守 る 古 代 からの 海 神 は 人 間 社 会 にとってなくてはな らない 存 在 である
19 第 10 次 東 아시아 比 較 文 化 國 際 會 議 上 海 の 世 界 博 覧 会 と 長 江 デルタの 発 展 3-1 上 海 世 博 会 の 関 心 は 未 来 にある 上 海 世 博 会 と 北 京 オリンピックの 着 眼 が 違 うところは 北 京 オリンピックの 着 眼 が 現 在 と 歴 史 であったのに 対 して 上 海 世 博 会 の 関 心 は 未 来 にある 世 博 会 のスローガンである 都 市 は 暮 らしを 更 によくする ( 城 市 譲 生 活 更 美 好 )に 含 まれた 意 味 は 上 海 が 中 国 の 窓 として 世 界 に 現 代 都 市 のライフスタイルを 演 出 し 未 来 都 市 への 発 展 モデルを 提 示 することである 3-2 中 国 第 一 港 都 市 上 海 地 下 鉄 増 線 外 資 系 銀 行 白 領 上 海 鉄 道 交 通 の 近 未 来 図 ( 図 2) 世 界 大 都 市 の 鉄 道 交 通 との 比 較 上 海 の 発 展 と 目 標 :2001 年 : 62.9km, 2002 年 : 140.2km, 2010 年 : 地 下 鉄 等 11 本 線 路 を 完 成 ( 全 市 公 共 交 通 量 の 約 35%)2012 年 : 500km( 全 市 公 共 交 通 量 の 40%) 上 海 で 活 躍 する 主 な 外 資 系 銀 行 ( 図 3) ( 図 2 長 江 デルタ 交 通 圏 ) 米 国 の City Bank ( 中 国 名 称 花 旗 銀 行 )) の 例 日 本 の 三 井 住 友 銀 行 東 京 三 菱 銀 行 香 港 ドイツの 銀 行 など 高 学 歴 高 収 入 の 上 海 白 領 層 (20 代 40 代 ) 上 海 における 留 学 人 材 の 受 け 入 れ 事 情 上 海 在 住 の 白 領 (エリート)には 上 海 ( 図 3 主 な 外 資 系 銀 行 ) 人 が 少 ない 白 領 層 は 仕 事 熱 心 で 晩 婚 子 産 まない 傾 向 が 強 い プライベートでは ネット 情 報 を 活 用 した 個 性 的 な 海 外 旅 行 が 流 行 2010 年 上 海 の 担 う 重 要 な 役 割 : 龍 頭 として 長 江 三 角 洲 地 域 ( 長 江 デルタ)の 発 展 を 率 先 して 推 進 すること( 長 江 三 角 洲 主 要 都 市 連 絡 地 図 ) ( 図 4)
20 74 동아시아 인문전통과 문화역학 今 後 も 上 海 浦 東 地 区 にある 総 合 的 な 体 系 の 重 要 な 役 割 を 継 続 的 に 発 揮 させること 中 国 の 国 際 金 融 貿 易 港 運 空 運 の 基 地 として 加 速 度 的 に 発 展 させること 中 国 古 来 の 和 の 精 神 を 持 って 調 和 のとれた 社 会 を 構 築 すること まとめ 1. 鄭 和 の 航 海 を 成 功 させた 要 因 は 人 種 宗 教 の 違 う 人 間 同 士 を 尊 敬 し 合 い 共 存 すること である それは 国 際 交 流 の 基 本 でもある 国 際 交 易 の 基 本 姿 勢 は 自 由 に 交 易 をすることであ り 相 手 国 に 対 して 植 民 地 も 武 力 統 治 もしない ことである 2. 対 馬 が 長 い 歴 史 のなかで 海 を 開 いて 外 に 活 路 を 開 いた 時 代 は 明 るく 海 に 閉 じ 込 めら れて 内 に 籠 った 時 代 は 暗 い という 永 留 久 恵 氏 のことば( 帝 塚 山 学 院 大 学 国 際 理 解 研 究 所 主 催 対 馬 国 際 会 議 でのご 挨 拶 )に 心 して 耳 を 傾 けたい 対 馬 の 辿 ってきた 歴 史 や 上 海 今 日 の 経 済 発 展 を 見 てきて 今 後 のアジア 海 域 における ( 図 4 長 江 三 角 洲 主 要 都 市 連 絡 地 図 ) 国 際 交 易 について 次 のことが 言 える 海 を 開 いて 国 境 を 越 えて 異 文 化 と 交 渉 し 交 易 することこそが 活 気 のある 社 会 をつくり 良 き 外 交 関 係 を 築 くのに 重 要 で 不 可 欠 なことである 3.さらに 沿 海 環 海 海 域 連 鎖 の 交 易 ネットワークということを 考 えるとき 沖 縄 対 馬 の 中 継 交 易 地 域 であった 歴 史 や アジア 海 洋 貿 易 における 香 港 シンガポールの 仲 介 的 な 役 割 も 忘 れて はならない 引 用 参 考 文 献 図 1: 任 鴻 章 近 世 日 本 と 日 中 貿 易 ( 六 興 出 版 1988 年 )p.141 図 2.3.4: 中 国 産 業 地 図 編 委 会 編 長 江 三 角 洲 産 業 地 図 ( 中 国 社 会 科 学 文 献 出 版 社 2006 年 12 月 )p.9,p.209,p.186 尾 本 恵 市 他 編 海 のアジア ( 岩 波 書 店 2000 年 11 月 ) 池 端 雪 浦 他 編 岩 波 講 座 東 アジア 史 3 東 南 アジア 近 世 の 成 立 ( 岩 波 書 店 2001 年 8 月 ) 永 留 久 恵 著 海 神 と 天 神 対 馬 の 風 土 と 神 々 ( 白 水 社 1988 年 ) 葉 辛 他 主 編 上 海 藍 皮 書 年 : 上 海 文 化 発 展 報 告 ( 中 国 社 会 科 学 文 献 出 版 社 2007 年 1 月 )
21 第 10 次 東 아시아 比 較 文 化 國 際 會 議 75 < 摘 要 > 亚 洲 海 域 的 国 际 交 易 网 与 传 统 文 化 - 探 讨 经 济 活 动 与 精 神 文 化 的 双 重 结 构 - 彭 佳 红 ( 帝 塚 山 学 院 大 学 ) 1. 亚 洲 海 域 国 际 交 易 网 的 今 昔 亚 洲 海 域 国 际 交 易 试 从 以 下 的 地 域 来 进 行 探 讨 ( 图 1) 东 海 ( 东 亚 )- 上 海, 杭 州, 宁 波, 天 津, 长 崎, 厦 门, 台 北, 鹿 儿 岛, 福 州, 那 霸 ( 同 时 跨 越 南 海 ) 南 海 ( 东 南 亚 )- 香 港, 澳 门, 马 尼 拉, 菲 律 宾, 西 贡 ( 胡 志 明 市 ) 日 本 海 ( 朝 鲜 海 峡 )- 釜 山, 对 马 1-1 郑 和 的 亚 洲 交 易 网 古 代, 郑 和 航 海 交 易 的 成 功 促 进 了 朝 贡 交 易, 开 辟 了 亚 洲 海 域 交 易 的 网 路 1-2 现 代 全 球 规 模 的 经 济 现 象 形 成 新 的 亚 洲 交 易 网 现 代, 全 球 规 模 的 市 场 原 理 移 民 现 象 形 成 了 新 的 国 际 交 易 网 络 比 如, 港 湾 城 市 釜 山 ( 韩 国 ) 和 对 马 市 ( 日 本 ) 的 国 际 交 易 事 例 来 自 韩 国 的 在 中 国 的 留 学 生 人 数, 在 中 国 留 学 的 各 国 外 国 人 留 学 生 人 数 中 占 首 位 全 球 性 的 经 济 现 象 也 推 进 了 韩 国 的 传 统 文 化 汉 字 文 化 的 复 兴 来 自 日 本 的 从 事 商 业 的 上 海 居 住 人 口 急 剧 上 升, 已 经 超 过 居 住 在 美 国 的 其 人 口 全 球 规 模 的 市 场 原 理 和 移 民 带 来 了 资 金 劳 动 力 的 全 球 性 移 动 2. 海 洋 交 易 移 民 海 神 2-1 保 佑 航 海 安 全 的 女 神 妈 祖 2-2 对 马 的 海 神 航 海 交 易 移 民, 人 们 在 大 自 然 的 动 荡 中, 对 海 神 的 信 仰 成 为 重 要 的 精 神 支 柱 3. 上 海 的 2010 年 世 博 和 长 江 三 角 洲 地 区 的 发 展 3-1 上 海 世 博 的 关 键 在 于 未 来 3-2 中 国 第 一 港 城 上 海 的 今 天 地 铁 增 线 ( 图 2) 外 资 银 行 ( 图 3) 年 轻 白 领 年 上 海 所 承 担 的 重 任 1 作 为 龙 头 积 极 推 进 长 江 三 角 洲 区 域 的 发 展 ( 图 4) 2 继 续 发 挥 上 海 浦 东 的 综 合 体 系 的 重 要 作 用 3 作 为 中 国 外 贸 基 地 加 速 发 展 国 际 金 融 贸 易 港 运 空 运 事 业 总 结 1 郑 和 航 海 交 易 的 成 功 在 于 他 尊 重 他 民 族, 善 于 与 其 共 存 自 由 交 易 但 决 不 侵 占 2 只 有 开 国 交 往 交 易 才 能 建 立 和 平 繁 荣 的 世 界 反 之, 必 将 自 灭 3 在 考 虑 亚 洲 沿 海 环 海 海 域 连 锁 的 国 际 交 易 时, 也 不 能 忘 却 冲 绳 对 马 作 为 转 口 贸 易 的 历 史, 以 及 香 港 新 加 坡 在 国 际 贸 易 中 所 起 的 缓 冲 媒 介 作 用
22 76 동아시아 인문전통과 문화역학 <요약> 아시아 해역의 국제교역 네트워크와 전통문화 경제활동과 정신문화의 이중구조를 찾아서 彭 佳 紅 (펭 쟈홍, 일본 테즈카야마학원대학) 1. 아시아 해역의 국제교역 네트워크의 과거와 현재 아시아 해역의 국제교역에 관계된 지역은, 다음과 같다. (그림 1) 동해 東 海 상하이, 항주 杭 州, 영파 寧 波, 아마츠 天 津, 나가사키 長 崎, 아모이 アモイ, 타이페이 台 北, 카고시마 鹿 児 島, 복주 福 州 (센슈 泉 州 ), 나하 那 覇 (남해에도 걸쳐 있음). 남해 - 홍콩, 마카오, 마닐라, 필리핀, 싸이공(호치민시) 일본해(조선해협) 부산, 대마도 1-1 정화( 鄭 和 )의 아시아 교역 네트워크 옛날, 정화가 살았던 명나라 때, 7 회에 걸친 정화항해의 결과로서, 아시아 주변 제국에 부를 가져오고, 이슬람교도와 화교가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어, 서로의 신뢰관계를 쌓아올린 것으로, [조공무역]을 성공시켰다. 그에 따라, 아시아 해양교역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었다. 1-2 현대 글로벌 경제에 의한 새로운 네트워크 지금은 세계적인 경제발전, 시장원리에 의해 새로운 교역 이주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어있다. 예를 들어, 부산(한국)과 대마도(일본)의 교역 현재 매일 약 300 여명에 이르는 한국인여행자가 이 항로를 이용해 관광선으로 대마도를 왕래한다. 그것이 지금 관광이나 국제무역 이외의 산업기반이 미비한 대마도에 있어서 섬을 지탱하는 주요 경제원이 되고 있다 한국에서 중국으로 와 유학하고 있는 젊은이의 수는 중국에 있는 외국인유학생의 1 위를 점하고 있다. 한편 최근 글로벌 경제에 의해, 한국의 전통문화였던 한자문화를 재평가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상하이에 거주하고 있는 일본인 비즈니스 인구는 최근 급증, 처음으로 재미 일본인의 수를 넘었다. 글로벌화한 시장원리와 이민은, 자금 노동력의 이동을 가져와, 새로운 교역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2. 해양교역과 이민과 바다의 신들 2-1 항해의 수호여신 마조( 媽 祖 ) 2-2 대마도의 바다의 신들 나가도메씨의 분류에 의하면, 이러한 대마도의 바다의 신은 다음과 같이 네 종류로 나눌 수 있다. 1 바다 속에서 나타난 신 2 해상에서 표류해 온 신 3 하늘에서 강림한 신
23 第 10 次 東 아시아 比 較 文 化 國 際 會 議 77 4 신들의 결합에 의해 탄생한 신 마조( 媽 祖 )나 대마도의 바다의 신들로 역시, 항해-교역-이민이라고 하는 국경을 넘어선 경제활동이 있기 때문에 그 항로의 안전과 항해에 관계된 사람들의 정신문화를 지키는 고대부터의 해신은, 인간사회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이다. 3. 상하이의 세계박람회와 장강 델타의 발전 3-1 상하이 세계박람회의 관심은, 미래에 있다. [도시는, 삶의 질을 더욱 높인다]( 城 市 譲 生 活 更 美 好 )라는 세계박람회의 슬로건에 함축된 의미는, 상하이가 중국의 [창]으로서 세계에 현대 도시의 라이프스타일을 연출해, 미래도시로서의 발전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3-2 중국 제 1의 항구도시 상하이 지하철증선, 외국 자본계 은행, [백령] 상하이 철도 교통의 가까운 미래도(그림 2) 상하이의 발전과 목표:2001 년:62.9km, 2002 년;140.2km, 2010 년:지하철 등 11 개의 선로를 완성(상하이 공공 교통량의 약 35%) 2012:500km(상하이 공공 교통량의 40%) 상하이에서 활약하는 주요 외국 자본계 은행 미국의 씨티뱅크(중국 명칭 [화기은행])의 예 일본의 미츠이스미토모은행, 동경미츠비시 은행 홍콩, 독일의 은행 등 고학력 고수입의 상하이 [백령]층(20 대~40 대) 상하이의 [백령](엘리트) 중에는 [상하이인]이 적다 [백령]층은 일을 하느라 바빠, 결혼을 늦게 하고, 아이를 낳지 않는 경향이 강하다. 사적으로는, 인터넷 정보를 활용한 개성적 해외여행이 유행 년 상하이가 짊어질 주요 역할 [용두( 龍 頭 )]로서, 장강삼각주지역(장강 델타)의 발전을 앞장서서 추진하는 것(장강 삼각주 주요도시 연락지도) (그림 4) 앞으로도 상하이 푸동지구에 있는 종합적인 체계의 중요한 역할을 계속적으로 발휘시키는 것 국제 경제 금융 무역, 항운 항공운송을 중심으로 가속적인 발전을 시키는 것 정리 1.정화의 항해를 성공시키는 요인은, 인종, 종교가 다른 사람들을 서로 존경하여 공존하는 것에 있다. 이것은 국제 교류의 기본이다. 국제 교역의 기본 자세는, 자유롭게 교역을 하는 것이며, 상대국에 대해서 식민지도 무력 통치도 하지 않는 것이다. 2. 대마도 의 긴 역사 속에서, 바다를 열어 밖으로 활로를 열었던 시대는 밝았고, 바다에 갇혀 안으로 틀어박혔던 시대는 어두웠다. 라 는 나가도메 히사에씨의 말( 테즈카야마학원대학 국제이해연구소 주최 대마도 국제회의 때의 인삿말)에 주의깊게 귀를 기울이고 싶다. 대마도가 더듬어 온 역사나 상하이의 국제적인 발전을 보아도, 향후의 아시아 해역에 있어서의 국제 교역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을 것이다.바다를 열고 국경을 넘어 이문화와 교섭해 교역하는 것이야말로, 활기 있는 사회를 만들고 좋은 외교 관계를 쌓아
24 78 동아시아 인문전통과 문화역학 올리는데 중요하고 불가결하다. 3. 더욱이 연해, 환해, 해역 연쇄의 교역 네트워크라고 하는 것을 생각할 때, 오키나와, 대마도가 중계교역지역이었던 역사나, 아시아 해양 무역에 있어서 홍콩, 싱가폴의 중개적인 역할도 잊어서는 안된다. 引 用 参 考 文 献 図 1 任 鴻 章 近 世 日 本 と 日 中 貿 易 ( 六 興 出 版 1988 年 )p.141 図 中 国 産 業 地 図 編 委 会 編 長 江 三 角 洲 産 業 地 図 ( 中 国 社 会 科 学 文 献 出 版 社 2006 年 12 月 )p.9,p.209,p.186 尾 本 恵 市 他 編 海 のアジア ( 岩 波 書 店 2000 年 11 月 ) 池 端 雪 浦 他 編 岩 波 講 座 東 アジア 史 3 東 南 アジア 近 世 の 成 立 ( 岩 波 書 店 2001 年 8 月 ) 永 留 久 恵 著 海 神 と 天 神 対 馬 の 風 土 と 神 々 ( 白 水 社 1988 年 ) 葉 辛 他 主 編 上 海 藍 皮 書 年 : 上 海 文 化 発 展 報 告 ( 中 国 社 会 科 学 文 献 出 版 社 2007 年 1 月 )
25 도시하층사회 르포르타주의 성립 배경( 考 ) 중일어문학과 근대문학전공 김경미 1. 머리말 청일전쟁 전후, 일본의 자본주의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새로운 사회계층인 도시하층사회(이 하, 하층사회) 가 등장하게 되었다. 확대되는 하층사회 는 중요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게 되 었는데, 일찍이 이러한 현실에 주목하고 그 실상을 상세히 묘사하여 사회에 문제를 제기한 것 이 르포르타주였다. 1886년( 明 治 19)의 東 京 府 下 貧 民 の 眞 況 1) 을 시작으로 여러 르포르타주들이 등장하는데, 마츠 바라 이와고로( 松 原 岩 五 郞 )의 最 暗 黑 の 東 京 2) 과 요코야마 겐노스케( 橫 山 源 之 助 )의 日 本 下 の 層 社 會 3) 는 대표적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특히 日 本 下 の 層 社 會 는 실지( 實 地 ) 취재와 통 계자료를 구사함으로써 과학적ㆍ학문적 연구서로까지 인정되고 있는 하층기록문학의 기념비적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근대문학 성립기 에 해당하는 당시, 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둘러싼 논의에 있어서, 하층사 회 는 중요한 논쟁의 초점이 되었다. 특히 청일전쟁 이후, 확대되어 가는 하층사회 의 현 실을 피상적인 동정으로만 포착하는 관념소설, 비참소설 에 대한 문단의 비판은 거센 것이었다. 이러한 비판이 당시의 문학계에서 어떠한 맥락으로 이루어지는가를 밝히는 것이 첫 번째 연구의 흐름이다. 특히 세키 하지메( 関 肇 )는 메이지 20년대(1888~97년) 문학계 내에서, 하층사회 를 위한 문학을 요구하는 주장이 대두된 문학적 배경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그러 한 주장의 배경에는, 메이지 20년대 초두 소설신수( 小 說 神 髓 ) 가 내세운 세태인정의 모사( 模 寫 ) 이후, 문학에 있어 현실적인 효용성을 요구하는 문학극쇠론쟁 의 등장이 있었다고 밝 힌다. 그러나 당시의 관념소설, 비참소설 작가들은 하층사회 문제의 핵심을 충분히 문학적으로 담아내는 데에 실패했고, 하층르포 의 등장이 이러한 문학적 공백을 메웠다는 것이다. 4) 다른 하나는, 메이지 시대의 하층르포 에 대한 문학적 위치 부여와 관련한 것이다. 다치바 나 유이치( 立 花 雄 一 )는 1893년( 明 治 26)에 마츠바라가 最 暗 黑 の 東 京 을 세상에 내놓았을 당시 에, 그것이 소설이나 시와 같은 기성문학의 규범 하에 쓰인 것이 아니라는 이유로 문학 의 범주에 포함되어지지 않았고 밝히고 있다. 그는 最 暗 黑 の 東 京 와 日 本 の 下 層 社 會 를 후 타바테 시메이( 二 葉 亭 四 迷 )의 浮 雲, 모리오가이( 森 鷗 外 )의 舞 姬 와는 다른 성격의 일본 근대문학 기원의 하나라고 주장한다. 5) 1) 작자불명으로 朝 野 新 聞 에 1886년( 明 治 19)에 8회에 걸쳐 연재되었다. 2) 國 民 新 聞 에 乾 坤 一 布 依 라는 필명으로 1892년 11월부터 93년 8월까지 연재되었다. 3) 일본의 거의 전지역에 걸친 하층사회 를 다룬 메이지시대의 대표적 르포르타주집이다. 1899( 明 治 32)년에 간행 되었다. 4) 세키 하지메( 関 肇 )는 근대문학 성립기로서의 메이지 20년대 초두 소설신수( 小 說 神 髓 ) 가 내세운 세태인정의 모사 는 하나의 커다란 전환점에 이르게 되었다 고 전제하면서, 1990년( 明 治 23) 전후로 일어난 문학극쇠론 자 들의 문학관은 미숙한 것이었다는 것은 분명하다고 한다. 그러나 문학극쇠논쟁 의 와중에서 하층사회 를 위한 문학의 출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비판적인 문학자들 사이에서 높아져 간 것은, 당시의 문학계에서 인 정소설( 人 情 小 說 )이 단지 재미를 추구하여 협소한 세계 속에 있는 것, 그리고 정치소설( 政 治 小 說 )이 구조의 크기 만을 추구하여 실체적인 인간상의 구현을 놓쳐버리는 것에 대한 비판이었다 라고 밝힌다. ( 関 肇 下 層 社 会 と 文 学, 學 習 院 大 學 國 語 國 文 學 會 誌 219 号, 1986, p.63 참조) 5) 立 花 雄 一 明 治 下 層 記 録 文 学 ( 創 樹 社, 1981) p.65~76 참조.
26 80 동아시아 인문전통과 문화역학 위의 두 가지 연구를 함께 정리하면, 메이지 20년대를 전후한 사회적 상황, 그리고 근대문학 성립기로서의 문단의 움직임이 연동하는 가운데, 당시의 문학상황은 하층사회 를 위한 문학 을 자각적으로 추구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러한 역할을 대신한 것이 하층르포 였고, 이 작품들은 근대문학의 하나의 원류로서 인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들 가운 데 간과되고 있는 것은, 기존의 소설과 르포르타주의 장르적 성격이 검증되고 있지 않다는 것 이다. 때문에 소설과 르포르타주에 대한 이분화와 동일화가 논리전개에 따라 일관성 없이 사용 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당시의 문단과 사회상황이 충분히 고려되어 있지 않고 있다. 본고는 하층르포 의 출현을 당시의 신문계의 상황에서 살펴보고, 르포르타주가 당시의 문학 과 어떠한 차별성을 지니면서 요코야마에 의해 성립되어 가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2. 하층사회 의 출현과 문학의 사회적 역할 하층르포 가 출현할 당시의 문학계 내에서는, 문학이 확대되어 가는 하층사회 를 보는 안이한 시각에 대한 비판이 높았다. 청일전쟁 이후 주류를 형성하고 있던 관념소설 이나 비참소설 의 하층사회 에 대한 묘사는 피상적이었다. 정치소설 또한 하층민에 대한 동정을 넘어서지 못하는 진정한 의미의 사회주의적인 것이 결여되어 있었다 6) 고 평가되고 있 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은, 일본사회에 있어서 청일전쟁 전후의 자본주의의 급속한 진전과 더불어 확대되는 근대도시 와 그로 인해 파생되는 사회적 문제는 매우 새로운 경험이었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다종다양한 구성원으로 이루어지는 도시하층 의 등장은 기존의 빈민 과는 다른 위상의 것이었다. 이와 같은 변화를 근대문학의 성립기 에 해당하는 그 시기에, 기존의 문단이 신속하고 깊이 있게 담아내는 어려웠다고 생각된다. 1890년( 明 治 23)년의 도시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그에 따른 변모를 살펴보면, 자본주의 경제 는 (생략) 산업도시라는 새로운 타입의 도시와 새로운 도시네트워크를 만들어낸다. 10만 명을 넘는 도시가 드물었던 상황을 일거에 바꾸어 대규모도시를 출현시키고, 도시에 사는 사람들의 비율을 높였 7) 던 것이다. 특히 동경은 이시기에 이미 100만 명이 넘는 거대도시가 되어 있었 다. 이와 같이 자본주의로 인한 도시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도시규모의 확대는 일본 사회 에 일찍이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거대도시의 출현과 더불어 등장한 하층사회 또한 새로운 현상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빈민의 문제가 어느 시대에나 존재하고 있었던 것은 분명하지만, 이러한 근대적 도시의 팽창으로 전개된 하층사회 는 이전 시대와는 다른 성격을 내포하였 다고 할 수 있다. 하층사회 에 대한 피상적 인식은 하층르포 작품들 또한 다르지 않았다. 요코야마의 日 本 の 下 層 社 會 이전의 하층르포 작품들에 있어서, 하층사회 는 탐험 의 대상이 고 발견 의 대상이었다. 적어도 전기의 하층르포 작가들이 그려낸 하층사회 의 모습 은 놀람과 두려움의 대상으로 묘사되었고 새로운 외부 세계의 발견에 따른 호기심의 대상으로 비추어졌다. 세키 하지메는 하층사회의 실태는 당시의 사람들에게 상상을 넘는 이해 곤란한 것이었다. 빈민의 존재를 문학작품 속에서 실사회와 대립하는 가치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하 층사회에 현실과는 다른 차원의 가치를 부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8) 라고 하였다. 그는 덧붙 여서 당시의 문학계는 하층사회의 새로운 문학적 의미를 막연히 인식하고 있었다고 지적하고 6) 柳 田 泉 外 明 治 文 学 史 ( 岩 波 書 店, 1971) p ) 成 田 龍 一 外 都 市 と 民 衆 ( 吉 川 弘 文 館, 1993) p.1. 8) 関 肇 下 層 社 会 と 文 学 ( 學 習 院 大 學 國 語 國 文 學 會 誌 219 号, 1986) p.67 참조.
歯kjmh2004v13n1.PDF
13 1 ( 24 ) 2004 6 Korean J Med Hist 13 1 19 Jun 2004 ISSN 1225 505X 1) * * 1 ( ) 2) 3) 4) * 1) ( ) 3 2) 7 1 3) 2 1 13 1 ( 24 ) 2004 6 5) ( ) ( ) 2 1 ( ) 2 3 2 4) ( ) 6 7 5) - 2003 23 144-166 2 2 1) 6)
More information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215 전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대마도 인식 하우봉 전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Ⅰ. 머리말 브루스 배튼(Bruce Batten)의 정의에 따르면 전근대의 국경에는 국경선으로 이루어진 boundary가 있고, 공간으로 이루어진 frontier란 개념이 있다. 전자 는 구심적이며 내와 외를 격리시키는 기능을 지니고, 후자는 원심적이며
More information歯M991101.PDF
2 0 0 0 2000 12 2 0 0 0 2000 12 ( ) ( ) ( ) < >. 1 1. 1 2. 5. 6 1. 7 1.1. 7 1.2. 9 1.3. 10 2. 17 3. 25 3.1. 25 3.2. 29 3.3. 29. 31 1. 31 1.1. ( ) 32 1.2. ( ) 38 1.3. ( ) 40 1.4. ( ) 42 2. 43 3. 69 4. 74.
More information<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오용록의 작품세계 윤 혜 진 1) * 이 논문은 생전( 生 前 )에 학자로 주로 활동하였던 오용록(1955~2012)이 작곡한 작품들을 살펴보고 그의 작품세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음악이론이 원 래 작곡과 이론을 포함하였던 초기 작곡이론전공의 형태를 염두에 둔다면 그의 연 구에서 기존연구의 방법론을 넘어서 창의적인 분석 개념과 체계를 적용하려는
More informationIKC43_06.hwp
2), * 2004 BK21. ** 156,..,. 1) (1909) 57, (1915) 106, ( ) (1931) 213. 1983 2), 1996. 3). 4) 1),. (,,, 1983, 7 12 ). 2),. 3),, 33,, 1999, 185 224. 4), (,, 187 188 ). 157 5) ( ) 59 2 3., 1990. 6) 7),.,.
More information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越 境 하는 화폐, 분열되는 제국 - 滿 洲 國 幣 의 조선 유입 실태를 중심으로 181 越 境 하는 화폐, 분열되는 제국 - 滿 洲 國 幣 의 조선 유입 실태를 중심으로 - 조명근 고려대학교 BK21+ 한국사학 미래인재 양성사업단 연구교수 Ⅰ. 머리말 근대 국민국가는 대내적으로는 특정하게 구획된 영토에 대한 배타적 지배와 대외적 자주성을 본질로 하는데, 그
More information泰 東 古 典 硏 究 第 24 輯 이상적인 정치 사회의 구현 이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따라서 천인 합일론은 가장 적극적인 경세의 이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권근은 경서의 내용 중에서 현실 정치의 귀감으로 삼을 만한 천인합일의 원칙과 사례들을 발견하고, 이를 연구하여
權 近 의 五 經 인식 - 經 學 과 經 世 論 의 연결을 중심으로 - 姜 文 植 * 1. 머리말 2. 經 學 과 經 世 論 연결의 이론적 기반 3. 五 經 淺 見 錄 의 經 典 해석과 經 世 論 4. 맺음말 요약문 권근( 權 近 )은 체용론( 體 用 論 )에 입각하여 오경( 五 經 ) 간의 관계 및 각 경서의 근본 성격을 규정하였다. 체용론에서 용( 用 )
More information<C7D1B9CEC1B7BEEEB9AEC7D0363528C3D6C1BE295F31392EB9E8C8A3B3B22E687770>
정지용의 시어 조찰한 의 의미 변화 연구 배호남 *1) 차례 Ⅰ. 머리말 Ⅱ. 종교적 순수성의 정신세계 : 勝 利 者 金 안드레아 의 경우 Ⅲ. 차가운 겨울밤의 정신세계 : 溫 井 과 長 壽 山 1 의 경우 Ⅳ. 명징한 여름 낮의 정신세계 : 白 鹿 潭 의 경우 Ⅴ. 맺음말 국문초록 본 논문은 정지용 연구의 새로운 지평으로 개별 작품에서 보다 더 미시적으로
More information본문01
Ⅱ 논술 지도의 방법과 실제 2. 읽기에서 논술까지 의 개발 배경 읽기에서 논술까지 자료집 개발의 본래 목적은 초 중 고교 학교 평가에서 서술형 평가 비중이 2005 학년도 30%, 2006학년도 40%, 2007학년도 50%로 확대 되고, 2008학년도부터 대학 입시에서 논술 비중이 커지면서 논술 교육은 학교가 책임진다. 는 풍토 조성으로 공교육의 신뢰성과
More information11¹Ú´ö±Ô
A Review on Promotion of Storytelling Local Cultures - 265 - 2-266 - 3-267 - 4-268 - 5-269 - 6 7-270 - 7-271 - 8-272 - 9-273 - 10-274 - 11-275 - 12-276 - 13-277 - 14-278 - 15-279 - 16 7-280 - 17-281 -
More information<30322D3031BCD5B5BFC8A32DC6EDC1FD2E687770>
한국민족문화 53, 2014. 11, 113~139 http://dx.doi.org/10.15299/jk.2014.11.53.113 동아일보 소재 독자문단( 讀 者 文 壇 ) 연구 1)손 동 호 * 1. 서론 2. 독자문단 란의 등장과 전개 3. 독자문단 소재 작품의 특질과 의미 4. 결론 독자문단 은 동아일보 가 문예물을 전면에 내세운 최초의
More information12Á¶±ÔÈŁ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 5, No. 4. pp.158~175(2001) A Study on the Apparel Industry and the Clothing Culture of North Korea + Kyu Hwa Cho Prof., Dept. of Clothing &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More informationuntitled
구비전승의 지속과 변천 117 구비전승의 지속과 변천 < 南 白 月 二 聖 努 肹 夫 得 怛 怛 朴 朴 >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 헌 선* 1. 머리말 2. 구비전승 의 성격규명 3. < 南 白 月 二 聖 努 肹 夫 得 呾 呾 朴 朴 >의 구비전승적 성격 4. 마무리 1. 머리말 구비전승은 문헌전승과 일정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구비전승과
More information잡았다. 임진왜란으로 권위가 실추되었던 선조는 명군의 존재를 구세 주 이자 王權을 지켜주는 보호자 로 인식했다. 선조는 그 같은 인 식을 바탕으로 扈聖功臣들을 높이 평가하고 宣武功臣들을 평가 절하함으로써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려고 했다. 이제 명에 대한 숭 앙과 충성은
朝中關係의 관점에서 본 仁祖反正의 역사적 의미 83)한 Ⅰ. Ⅱ. Ⅲ. Ⅳ. Ⅴ. Ⅵ. 명 기* 머리말 仁祖反正 발생에 드리운 明의 그림자 扈聖功臣 후예 들의 정권 장악으로서의 仁祖反正 仁祖反正에 대한 明의 이중적 인식과 대응 仁祖反正 승인을 통해 明이 얻은 것 맺음말 인조반정은 明淸交替가 진행되고 있던 동아시아 정세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사건이었다.
More information민속지_이건욱T 최종
441 450 458 466 474 477 480 This book examines the research conducted on urban ethnography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lthough most people in Korea
More information- 2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 26 - - 27 - - 28 - - 29 - - 30 -
More information328 退溪學과 韓國文化 第43號 다음과 같은 3가지 측면을 주목하여 서술하였다. 우선 정도전은 ꡔ주례ꡕ에서 정치의 공공성 측면을 주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국가, 정치, 권력과 같은 것이 사적인 소유물이 아니라 공적인 것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조선에서 표방하는 유
정도전의 유교국가론과 ꡔ周禮ꡕ* 52)부 남 철** 차 례 Ⅰ. Ⅱ. Ⅲ. Ⅳ. Ⅴ. 서론 유교국가의 정신 仁과 정치의 公共性 총재정치 육전체제 결론 국문초록 이 논문은 유교국가 조선의 정치이념과 통치 구조 형성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유학자이자 정치가인 三峯 鄭道傳이 ꡔ周禮ꡕ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ꡔ주례ꡕ는 유학자들이 이상적인
More information<5B335DC0B0BBF3C8BF2835B1B35FC0FAC0DAC3D6C1BEBCF6C1A4292E687770>
동남아시아연구 20권 2호(2010) : 73~99 한국 영화와 TV 드라마에 나타난 베트남 여성상 고찰* 1) 육 상 효** 1. 들어가는 말 한국의 영화와 TV 드라마에 아시아 여성으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인물은 베트남 여성이다. 왜 베트남 여성인가? 한국이 참전한 베트 남 전쟁 때문인가? 영화 , , 드라마 을
More information<BFACBCBCC0C7BBE7C7D02831302031203139292E687770>
延 世 醫 史 學 제12권 제2호: 29-40, 2009년 12월 Yonsei J Med Hist 12(2): 29-40, 2009 특집논문 3 한국사회의 낙태에 대한 인식변화 이 현 숙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1. 들어가며 1998년 내가 나이 마흔에 예기치 않은 임신을 하게 되었을 때, 내 주변 사람들은 모두 들 너무나도 쉽게 나에게 임신중절을 권하였다.
More information아니라 일본 지리지, 수로지 5, 지도 6 등을 함께 검토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근대기 일본이 편찬한 조선 지리지와 부속지도만으로 연구대상을 한정하 기로 한다. Ⅱ. 1876~1905년 울릉도 독도 서술의 추이 1. 울릉도 독도 호칭의 혼란과 지도상의 불일치 일본이 조선
근대기 조선 지리지에 보이는 일본의 울릉도 독도 인식 호칭의 혼란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이 글은 근대기 일본인 편찬 조선 지리지에 나타난 울릉도 독도 관련 인식을 호칭의 변화에 초점을 맞춰 고찰한 것이다. 일본은 메이지유신 이후 부국강병을 기도하는 과정에서 수집된 정보에 의존하여 지리지를 펴냈고, 이를 제국주의 확장에 원용하였다. 특히 일본이 제국주의 확장을
More information<30322D28C6AF29C0CCB1E2B4EB35362D312E687770>
한국학연구 56(2016.3.30), pp.33-63.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세종시의 지역 정체성과 세종의 인문정신 * 1)이기대 ** 국문초록 세종시의 상황은 세종이 왕이 되면서 겪어야 했던 과정과 닮아 있다. 왕이 되리라 예상할 수 없었던 상황에서 세종은 왕이 되었고 어려움을 극복해 갔다. 세종시도 갑작스럽게 행정도시로 계획되었고 준비의 시간 또한 짧았지만,
More information,,,,,, 167711 1),,, (Euripides) 2),, (Seneca, LA) 3), 1) 1573 17 2) 3 3 1 2 4
Journal of Women s Studies 2001 Vol 16 123~142 Racine s Phèdre, a Tragic Woman (Jung, Hye Won, ) 17 (Racine) (Phèdre),,,,,,,, 1 2 3 ,,,,,, 167711 1),,, (Euripides) 2),, (Seneca, LA) 3), 1) 1573 17 2) 3
More information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한국 근대불교의 대중화와 석문의범* 29)韓 相 吉 ** 차 례 Ⅰ. 머리말 1. 불자필람 의 구성 Ⅱ. 석문의범의 간행 배경 2. 석문의범 의 구성과 내용 1. 조선후기 의례집의 성행 Ⅳ. 근대불교 대중화와 석문의범 2. 근대불교 개혁론과 의례 Ⅲ. 석문의범의 체재와 내용 간행의 의미 Ⅴ. 맺음말 한글요약 釋門儀範 은 조선시대에 편찬된 각종 의례서와 의식집을
More information-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1 - - 2 - - 3 - 1) 통계청고시제 2010-150 호 (2010.7.6 개정, 2011.1.1 시행 ) - 4 - 요양급여의적용기준및방법에관한세부사항에따른골밀도검사기준 (2007 년 11 월 1 일시행 ) - 5 - - 6 - - 7 - - 8 - - 9 - - 10 -
More information204 205
-Road Traffic Crime and Emergency Evacuation -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Abstract Road Traffic Crime
More information01김경회-1차수정.hwp
한국민족문화 57, 2015. 11, 3~32 http://dx.doi.org/10.15299/jk.2015.11.57.3 장복선전 에 나타난 이옥의 문제의식 고찰 - 심노숭의 사가야화기, 정약용의 방친유사 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1)김 경 회 * 1. 들어가며 2. 장복선의 행적 비교 1) 입전 동기 2) 장복선의 처지 3) 장복선의 구휼 및 연대 3. 장복선의
More information<C5F0B0E8C7D032352D3030B8F1C2F7283235C1FD292E687770>
第 25 輯 社 團 法 人 退 溪 學 釜 山 硏 究 院 2015. 06 이 도서는 부산광역시 보조금으로 간행되었습니다. 第 25輯 퇴계학 退溪詩에 나타난 마음의 의미 李 貞 和 7 退溪 詩 의 학문적 맥락 읽기 김 병 권 27 사상 先秦儒家美学的范畴体系 张 黔 51 试析孟子 民贵 说的 尊君 实质 刘 清 平 65 儒家儀禮의 方位 에 관한 文化解釋 趙
More information<BFB5B3B2C7D03231C8A32DC3D6C1BEC6EDC1FDBABB2836BFF93236C0CF292E687770>
星州 漢文學의 歷史的 展開樣相 황 위 주* Ⅰ. 머리말 Ⅱ. 高麗末 以前의 狀況 Ⅲ. 朝鮮前期 官人과 士林 Ⅳ. 朝鮮後期 道學派의 活動 Ⅴ. 19世紀 以後의 狀況 Ⅵ. 마무리 국문초록 본고는 성주라는 특정 지역의 한문학을 집중적 검토 대상으로 삼아 이 곳에서 수행된 창작 활동의 역사적 전개 양상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하고 자 하였다. 성주지역 한문학은 신라 말부터
More information<B1B9BEC7BFF8B3EDB9AEC1FD20C1A63331C1FD2DBABBB9AE2832303037292E687770>
국악원논문집 제31집 111~144쪽 2015 월명사의 성범(聲梵)에 관한 연구 16) 한국 초전불교와 서역 불교문화를 통하여 윤소희* [국문초록] 본고에서는 월명사가 부르지 못했던 성범(聲梵) 의 실체를 찾아서 실크로드와 중국 그리고 한국의 초전불교의 면면 을 추적해 보았다. 그 결과 중국 초기불교 시기에 서역에서 온 유랑승들이 많았고, 이들은 범어범패로
More informationstep 1-1
Written by Dr. In Ku Kim-Marshall STEP BY STEP Korean 1 through 15 Action Verbs Table of Contents Unit 1 The Korean Alphabet, hangeul Unit 2 Korean Sentences with 15 Action Verbs Introduction Review Exercises
More information<B1B9BEC7BFF8B3EDB9AEC1FD5FC1A63234C1FD5FBFCF2E687770>
발 간 사 국악학 기초연구 활성화의 장을 마련하기 위한 국악원논문집 은 1989년 제1집을 시작으로 2004년 제16집까지 연1회 발간하였고, 잠시 중단되었던 학술지는 2008년 제17집부터 발간횟수를 연간 2회로 늘려 재발간하고 있습니다. 국악원논문집 은 공모를 통해 원고를 모집하고 편집회의를 통한 1차 심사,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의 2차 심사를
More information현대영화연구
장률 감독의 : 트랜스-로컬 시네마 삼부작의 완성 김시무 경기대학교 강사 목 차 1. 장률, 그리고 트랜스-로컬 시네마(trans-local cinema) 삼부작 2. 두 도시 이야기: 과 3. 의 시퀀스 분석 4. 주제의식( 主 題 意 識 )과 독특한 스타일 5. 춘화( 春 畵 )와 문인화( 文 人 畵 ) 사이 국문초록 장률
More information03¹ü¼±±Ô
Relevancy between Aliases of Eight Provinces and Topographical Features during the Chosun Dynasty Seon-Gyu Beom* Abstract : In Korea, aside from their official administrative names, aliases of each province
More information<B7CEC4C3B8AEC6BCC0CEB9AEC7D0322832303039B3E23130BFF9292E687770>
로컬리티 인문학 2, 2009. 10, 257~285쪽 좌절된 세계화와 로컬리티 - 1960년대 한국영화와 재외한인 양 인 실* 50) 국문초록 세계화 로컬리티는 특정장소나 경계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와 시대에 따 라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개념이다. 1960년대 한국영화는 유례없는 변화를 맞이하고 있었다. 그 중 가장 특이할 만한 사실은 미국과 일본의 영화계에서
More information발간사 반구대 암각화는 고래잡이 배와 어부, 사냥하는 광경, 다양한 수륙동물 등 약 300여점의 그림이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세계적 암각화입니다. 오랜 기간 새겨진 그림들 가운데 고래를 잡는 배와 어부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그 중요성과 가치가 큽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발굴조사보고서 BANGUDAE PETROGLYPH IN DAEGOK-RI, ULJOO EXCAVATION 발간사 반구대 암각화는 고래잡이 배와 어부, 사냥하는 광경, 다양한 수륙동물 등 약 300여점의 그림이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세계적 암각화입니다. 오랜 기간 새겨진 그림들 가운데 고래를 잡는 배와 어부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More informationPage 2 of 5 아니다 means to not be, and is therefore the opposite of 이다. While English simply turns words like to be or to exist negative by adding not,
Page 1 of 5 Learn Korean Ep. 4: To be and To exist Of course to be and to exist are different verbs, but they re often confused by beginning students when learning Korean. In English we sometimes use the
More informationI&IRC5 TG_08권
I N T E R E S T I N G A N D I N F O R M A T I V E R E A D I N G C L U B The Greatest Physicist of Our Time Written by Denny Sargent Michael Wyatt I&I Reading Club 103 본문 해석 설명하기 위해 근래의 어떤 과학자보다도 더 많은 노력을
More information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http://www.wonjeon.org http://dx.doi.org/10.14369/skmc.2013.26.4.267 熱入血室證에 대한 小考 1 2 慶熙大學校大學校 韓醫學科大學 原典學敎室 韓醫學古典硏究所 白裕相1, 2 *117) A Study on the Pattern of 'Heat Entering The Blood Chamber' 1, Baik 1
More information<313020C1A4BFECBAC034332E687770>
18세기 馬 兵 의 한글일기 난리가 연구 1)정우봉 * 1. 서론 2. 난리가 의 장르, 작가 및 창작 시기 3. 난리가 의 주제의식과 표현방식 4. 결론 난리가( 亂 離 歌 ) 는 1728년에 발생한 戊 申 亂 (일명 李 麟 佐 의 난)을 진압하 기 위해 官 軍 으로 참전한 訓 練 都 監 소속의 한 馬 兵 이 산문으로 기록한 한글 일기
More information<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경상북도 자연태음악의 소박집합, 장단유형, 전단후장 경상북도 자연태음악의 소박집합, 장단유형, 전단후장 - 전통 동요 및 부녀요를 중심으로 - 이 보 형 1) * 한국의 자연태 음악 특성 가운데 보편적인 특성은 대충 밝혀졌지만 소박집합에 의한 장단주기 박자유형, 장단유형, 같은 층위 전후 구성성분의 시가( 時 價 )형태 등 은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More information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 - i - - i - - ii - - iii - - iv - χ - v - - vi - - 1 - - 2 - - 3 - - 4 - 그림 1. 연구대상자선정도표 - 5 - - 6 - - 7 - - 8 - 그림 2. 연구의틀 χ - 9 - - 10 - - 11 -
More information300 구보학보 12집. 1),,.,,, TV,,.,,,,,,..,...,....,... (recall). 2) 1) 양웅, 김충현, 김태원, 광고표현 수사법에 따른 이해와 선호 효과: 브랜드 인지도와 의미고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권 2호, 2007 여름
동화 텍스트를 활용한 패러디 광고 스토리텔링 연구 55) 주 지 영* 차례 1. 서론 2. 인물의 성격 변화에 의한 의미화 전략 3. 시공간 변화에 의한 의미화 전략 4. 서사의 변개에 의한 의미화 전략 5. 창조적인 스토리텔링을 위하여 6. 결론 1. 서론...., * 서울여자대학교 초빙강의교수 300 구보학보 12집. 1),,.,,, TV,,.,,,,,,..,...,....,...
More information4번.hwp
Journal of International Culture, Vol.9-1 International Cultural Institute, 2016, 55~63 浅 析 影 响 韩 中 翻 译 的 因 素 A Brief Analysis on Factors that Affects Korean-Chinese Translation 韩 菁 (Han, Jing) 1) < 目
More information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7. No. 1, March 2014, pp.134~151. Copyright 2014,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정지연 a 明 珍 素 也
More information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小兒藥證直訣 의 五臟辨證에 대한 小考 - 病證과 處方을 중심으로 1 2 慶熙大學校大學校 韓醫學科大學 原典學敎室 ㆍ 韓醫學古典硏究所 白裕相1,2*1)2) A study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Using The Theory of Five Organs in Soayakjeungjikgyeol(小兒藥證直訣) 1 Dept. of Oriental
More information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4. _ Culture of Korea: In the Present and the Past,.. _ Korean History and the Method of Psychoanalysis.,,. _ Politics and Ideas in Modern days Korea.,. _ Contemporary Korean History and International
More information2011´ëÇпø2µµ 24p_0628
2011 Guide for U.S. Graduate School Admissions Table of Contents 02 03 04 05 06 08 09 10 11 13 15 21 LEADERS UHAK INTERNATIONAL STUDENTS SERVICE www.leadersuhak.com Leaders Uhak International Students
More information<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근대 이후 이순신 인물 서사 변화 과정의 의미 연구 45) * 김경남 차 례 Ⅰ. 서론 Ⅱ. 근대 계몽기 이순신 서사와 뺷유년필독뺸 Ⅲ. 일제 강점기 실기(實記)와 뺷문예독본뺸의 이순신 Ⅳ. 광복 이후의 이순신 서사 Ⅴ. 결론 국문초록 이 연구는 근대이후 교재에 나타난 이순신상을 중심으로, 영웅 서사가 어떻게 변화하 는가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More information선초 정재연구\(수정 및 첨가\)
( ) * - ( ) - 1 : 2 (1) ( ) () (2) ( ) ( ) 3 (1) ( ) ( ) (2) ( ) ( ) 4 : 1 : (1984) 80 ( ) ( ), ( ), ( 1916-1991) () ( ), 23 1, (1980-1988) ( ) ( ) ( ) 1, 1997 600 ( )5 ( ) ( ) ( ), 2001 ), ( :, 1985);
More information2 동북아역사논총 50호 구권협정으로 해결됐다 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일 본 정부 군 등 국가권력이 관여한 반인도적 불법행위이므로 한일청구권협정 에 의해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없다 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또한 2011년 8월 헌 법재판소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제에 관한 일고( 一 考 ) 1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구제에 관한 일고( 一 考 ) 김관원 /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Ⅰ. 머리말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한일 간 현안으로 불거지기 시작한 것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공개 증언한 김학순 할머니 등이 일본에서 희생자 보상청구 소송을 제 기한 1991년부터다. 이때 일본 정부는 일본군이 위안부
More informationOutput file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An Application for Calculation and Visualization of Narrative Relevance of Films Using Keyword Tags Choi Jin-Won (KAIST) Film making
More information09김정식.PDF
00-09 2000. 12 ,,,,.,.,.,,,,,,.,,..... . 1 1 7 2 9 1. 9 2. 13 3. 14 3 16 1. 16 2. 21 3. 39 4 43 1. 43 2. 52 3. 56 4. 66 5. 74 5 78 1. 78 2. 80 3. 86 6 88 90 Ex e cu t iv e Su m m a r y 92 < 3-1> 22 < 3-2>
More information<BFA9BAD02DB0A1BBF3B1A4B0ED28C0CCBCF6B9FC2920B3BBC1F62E706466>
001 002 003 004 005 006 008 009 010 011 2010 013 I II III 014 IV V 2010 015 016 017 018 I. 019 020 021 022 023 024 025 026 027 028 029 030 031 032 033 034 035 036 037 038 039 040 III. 041 042 III. 043
More informationDBPIA-NURIMEDIA
金 台 俊 의 學 術 硏 究 와 國 故 整 理 作 業 *1) - 朝 鮮 漢 文 學 史 서술을 중심으로 崔 英 成 ** ` Ⅰ. 머리말 Ⅱ. 天 台 山 人 의 생애 개관 Ⅲ. 天 台 山 人 의 학문 역정 Ⅳ. 조선한문학사 의 위치 Ⅴ. 조선한문학사 의 방법론과 한계 요 약 1930년대 국문학자, 문학사가( 文 學 史 家 )로 활약했던, 전설적인 인물
More information영상문화27호 (보람편집)_수정 (4).hwp
세르게이 디아길레프의 발레뤼스(Ballet Russe)에 나타난 종합예술적 특질: 를 중심으로 심정민 / 동덕여자대학교 [국문초록] 세르게이 디아길레프가 1909년 창단한 발레뤼스(Ballet Russe)는 러시 아발레단이란 뜻의 불어명칭으로 발레뤼스의 주요한 예술적 추구는 무용 을 중심으로 문학, 음악, 미술, 패션 등
More information- iii - - i - - ii - - iii - 국문요약 종합병원남자간호사가지각하는조직공정성 사회정체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관계 - iv - - v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α α α α - 15 - α α α α α α
More information<BEEEB9AEB7D0C3D1203539C8A3C7D5BABB283132BFF93330C0CF292E687770>
어문론총 제59호 한국문학언어학회 2013.12. 앙드레 지드 좁은문 의 조선적 전유방식 - 모윤숙의 散文集 렌의 哀歌 (1937,일월서방)를 중심으로 - 안 미 영* 1. 서론 2. 앙드레 지드의 좁은문 : 신에 대한 인간의 성실성 3. 조선적 전유방식 : 시점의 전환과 주제의 변용 3.1. 구원의 연인과 정신적 연애에 대한 향유 3.2. 연애를
More informationDBPIA-NURIMEDIA
개화기 다언어(多言語) 학습서와 근대 한일 양국어* 李康民 ** i kangmin@hanmail.n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urvey to analyze the 13 types of multi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Japan during the time
More informationCNVZNGWAIYSE.hwp
東 洋 史 學 會 秋季硏究發表會 일시: 2010 년 10 월 30 일 ( 토 ) 장소: 고려대학교 서관(문과대학) 주최 : 동양사학회 주관 : 고려대학교 사학과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후원 : 동북아역사재단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東洋史學會 2010 秋季硏究發表會 日程 전체 일정 참가자 등록: 9:30~10:00 (서관3층) 오 전 발 표:
More information<BEEEB9AEB7D0C3D13630C8A32836BFF93330C0CFBCF6C1A4292E687770>
어문론총 제60호 한국문학언어학회 2014. 6. 김종삼 시의 생명의식과 은유의 상관성 연구* 26) 박 선 영** 27) 1. 2. 3. 4. 5. 들어가는 말 시적 자아의 변신과 생명의식의 성화 타자의 사물화 양상과 초월적 삶의 추구 음악의 공간화 이행과 초월세계 가닿기 나오는 말 1. 들어가는 말 전후 시인들1)의 시에는 죽음의식이 농후하고
More information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2012. 12 : pp.231~251 생활지향형 요소의 근린주거공간 분포특성 연구: 경기도 시 군을 중심으로* Spatial Distribution of Daily Life-Oriented Features in the Neighborhood: Focused on Municipalities of Gyeonggi Province
More information<303220C7D1C5C2B9AE2E687770>
한국민족문화 47, 2013. 5, 63~91쪽 통신사 사행록에 반영된 히로시마( 廣 島 )* 1)한 태 문** 1. 머리말 2. 통신사행에 있어서 히로시마의 역할 1) 사행의 水 路 노정 경유지 2) 정성을 다한 接 待 와 支 供 3. 사행록에 들어앉은 히로시마의 모습 1) 仙 境 으로 여겨진 빼어난 경치 2) 독특한 생활방식과 특산물로 이름난 공간 3)
More information63 19 2 1989 90 2013 3 4 2 54 15 2002 p 19; 1 2008 pp 32 37; 2013 p 23 3 2001 ㆍ 2002 2009 新 興 寺 大 光 殿 2010 2013 2013 4 大 光 殿 壁 畵 考 察 193 1992 ; : 2006
DOI http:ddoi org 10 14380 AHF 2015 41 113 新 興 寺 佛 殿 莊 嚴 壁 畵 考 I. 머리말 朴 銀 卿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규슈대학 문학박사 불교회화사 15 3 3 1 1 * 2013 NRF 2013S1A5A2A03045496 ** : 26 2014; 高 麗 佛 畵 : 本 地 畵 幅 奉 安 問 題 美 術
More information<BABBB9AE2E687770>
253 단소산조 퉁소산조 피리산조 형성시기 재검토 49) 이진원* Ⅰ. 머리말 Ⅱ. 기존 연구성과 검토 Ⅲ. 단소산조 퉁소산조 피리산조 형성시기 검토 Ⅳ. 단소산조 퉁소산조 피리산조 형성시기 재검토의 의의 Ⅴ. 맺음말 Ⅰ. 머릿말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종취관악기(縱吹管樂器)에는 무황악기(無簧樂器)인 퉁소 단소가 있 고, 유황악기(有簧樂器)로 피리와 쇄납 등이
More information아태연구(송석원)13-2-05.hwp
아태연구 제 13권 제 2호 2006년 11월 30일 pp.81~103 일본에서의 한국학연구 - 회고와 전망 宋 錫 源 경희대학교 사회과학부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Ⅰ. 머리말 Ⅱ. 1945년 이전의 한국연구 Ⅲ. 1945년 이후의 한국연구 < 목 차 >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Key words(중심용어): 한국학(Korean studies), 식민지지배(colonial
More information새천년복음화연구소 논문집 제 5 권 [특별 기고] 說 敎 의 危 機 와 展 望 조재형 신부 한국천주교회의 새로운 복음화에 대한 小 考 정치우 복음화학교 설립자, 교장 [심포지엄] 한국 초기 교회와 순교영성 한반도 평화통일과 한국 교회의 과제 교황 방한의 메시지와 복음의
새천년복음화연구소 논문집 제 5 권 [특별기고] 說 敎 의 危 機 와 展 望 조재형 신부 한국천주교회의 새로운 복음화에 대한 小 考 정치우 복음화학교 설립자, 교장 [심포지엄] 한국 초기 교회와 순교영성 한반도 평화통일과 한국 교회의 과제 교황 방한의 메시지와 복음의 기쁨 에 나타난 한국 교회의 쇄신과 변화 복음의 기쁨 과 사회복음화 과제 새천년복음화연구소
More informationÁ¶´öÈñ_0304_final.hwp
제조 중소기업의 고용창출 성과 및 과제 조덕희 양현봉 우리 경제에서 일자리 창출은 가장 중요한 정책과제입니다. 근래 들어 우리 사회에서 점차 심각성을 더해 가고 있는 청년 실업 문제에 대처하고, 사회적 소득 양극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일자리 창 출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정책과제일 것입니다. 고용창출에서는 중소기업의 역할이 대기업보다 크다는 것이 일반적
More information<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설화에 나타난 사회구조와 그 의미 23) 박유미 * 차례 Ⅰ. 문제제기 Ⅱ. 서사 내부의 사회구조 Ⅲ. 사회문제의 해결방식과 그 의미 Ⅳ. 설화와 후대전승과의 상관관계 Ⅴ. 결론 국문초록 삼국유사 의 조에는 왕거인 이야기와 거타지 이야기가 하나의 설화에 묶여 전하고 있는데, 두 이야기는 해결구조에서 차이를
More information........pdf 16..
Abstract Prospects of and Tasks Involving the Policy of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s Yong-Shik, Le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the 21st century, the
More information134 25, 135 3, (Aloysius Pieris) ( r e a l i t y ) ( P o v e r t y ) ( r e l i g i o s i t y ) 1 ) 21, 21, 1) Aloysius Pieris, An Asian Theology of Li
25 133162 ( ) I 21 134 25, 135 3, (Aloysius Pieris) ( r e a l i t y ) ( P o v e r t y ) ( r e l i g i o s i t y ) 1 ) 21, 21, 1) Aloysius Pieris, An Asian Theology of Liberation (New York: Orbis Books,
More information<31342D3034C0E5C7FDBFB52E687770>
아카데미 토론 평가에 대한 재고찰 - 토론승패와 설득은 일치하는가 - 장혜영 (명지대) 1. 들어가는 말 토론이란 무엇일까? 토론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다. 안재현 과 오창훈은 토론에 대한 여러 정의들을 검토한 후 이들을 종합하 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토론이란 주어진 주제에 대해 형 식과 절차에 따라 각자 자신의 의견을 합리적으로 주장하여 상대
More informationDBPIA-NURIMEDIA
김진주 김수연. 초등학생대상장애이해교육에활용된동화에나타난장애인관분석. 특수교육, 2013, 제12권, 제2호, 135-160... 20.,,. 4.,,.,..... 주제어 : 장애이해교육, 동화, 장애인관 1. ( 1 ) Incheon Munhak Elementary School ( )(, E-mail: sooyoun@ginue.ac.kr) Dept. of
More information퇴좈저널36호-4차-T.ps, page 2 @ Preflight (2)
Think Big, Act Big! Character People Literature Beautiful Life History Carcere Mamertino World Special Interview Special Writing Math English Quarts I have been driven many times to my knees by the overwhelming
More informationStage 2 First Phonics
ORT Stage 2 First Phonics The Big Egg What could the big egg be? What are the characters doing? What do you think the story will be about? (큰 달걀은 무엇일까요? 등장인물들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 걸까요? 책은 어떤 내용일 것 같나요?) 대해 칭찬해
More information도비라
광고학연구 : 제24권 5호(2013년)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24, No.5 (2013). pp.99 116 대학생 광고공모전이 광고업계 취업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과 실무자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차 유 철 우석대학교 광고이벤트학과 교수, 언론학박사 이 희 복 상지대학교 언론광고학부 교수, 언론학박사* 신
More information<32303131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통일문제연구 2011년 하반기(통권 제56호) 전쟁 경험의 재구성을 통한 국가 만들기* - 역사/다큐멘터리/기억 - 1)이 명 자** Ⅰ. 들어가는 말 Ⅱ. 과 제작배경 Ⅲ. 과 비교 Ⅳ. 역사/다큐멘터리/기억 현대 남북한 체제 형성에서 주요한 전환점인 한국전 쟁은 해방 후 시작된 좌우대립과 정치적,
More informationDBPIA-NURIMEDIA
27(2), 2007, 96-121 S ij k i POP j a i SEXR j i AGER j i BEDDAT j ij i j S ij S ij POP j SEXR j AGER j BEDDAT j k i a i i i L ij = S ij - S ij ---------- S ij S ij = k i POP j a i SEXR j i AGER j i BEDDAT
More informationPage 2 of 6 Here are the rules for conjugating Whether (or not) and If when using a Descriptive Verb. The only difference here from Action Verbs is wh
Page 1 of 6 Learn Korean Ep. 13: Whether (or not) and If Let s go over how to say Whether and If. An example in English would be I don t know whether he ll be there, or I don t know if he ll be there.
More information동화 속에 나타난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현대적 수용과 변형
동화 속에 나타난 설화의 현대적 수용과 변형 2004. 8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한 지 하 동화 속에 나타난 설화의 현대적 수용과 변형 지도교수 송 효 섭 이 論 文 을 敎 育 學 碩 士 學 位 論 文 으로 提 出 함 2004년 7월 西 江 大 學 校 敎 育 大 學 院 국어교육 專 攻 한 지 하 ABSTRACT
More information<303038C0AFC8A3C1BE5B315D2DB1B3C1A42E687770>
배아복제논의에있어서단정적태도와 오류가능성인정태도 1) 유호종 * (ethics) (bioethics),,,........ (1) (2) (3) (4).. *,, 226 I. 서론.. 2004,.. 2004,.,,,. 1). 3 1) (Nature, Vol. 429(2004 ) www.nature.com). 227. 2004 11 19..,.. 2)..,...
More information?? 1990년대 중반부터 일부 지방에서 자체적인 정책 혁신 을 통해 시도된 대학생촌관 정책은 그 효과에 비자발적 확산 + 대한 긍정적 평가에 힘입어 조금씩 다른 지역으로 수평적 확산이 이루어졌다. 이? + 지방 A 지방 B 비자발적 확산 중앙 중앙정부 정부 비자발적
제1장 정책의 혁신과 확산, 그리고 변형 중국 대학생촌관( 村 官 )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Policy Innovation, Diffusion and Transformation The case of the College-graduate as Village Official Plan in China 유은하 한신대학교 유라시아연구소 학술연구교수 ?? 1990년대
More information<C3D6C1BEBFCFB7E12D30372E3032C0DBBEF72DB1B9BEC7BFF820B3EDB9AEC1FD20C1A63139C1FD28C0FCC3BC292E687770>
한국음악의 세계화 전략 한국음악의 세계화 전략 - 일본의 경우 - 야마모토 하나코( 山 本 華 子 ) 1) 국문초록 일본에서는 1965년 한일국교 정상화 이후, 여러 가지 형태로 한국음악이 소개되 어 왔다. 더욱이 국교정상화 40주년을 맞이한 2005년은 한 일 우정의 해 2005 로 지정되어 전통음악 세계에서는 민간차원의 공연이 증가하면서 한일 교류연주회
More information공연영상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중국 현지화 연구 81 82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중국 현지화 연구 심춘수* 강빙양** 24)25) Ⅰ. 머리말 Ⅱ. 중국 예능시장 규모 및 프로그램 특징 Ⅲ.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대중 수출현황 및 인기요인 Ⅳ.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중국 현지화 요인 Ⅴ. 결론 Ⅰ. 머리말 최근 들어 드라마와 음악에 이어 예능프로그램(이하 예능프로)이 중국
More information제34호 ISSN 1598-7566 충청감사와 갑오년의 충청도 상황 신 영 우 2015. 3. 동학학회 충청감사와 갑오년의 충청도 상황 신영우* 국문초록 이 논문은 충청감사의 시각에서 갑오년을 파악하려는 목적으로 작성한 글 이다. 지금까지 군현이나 권역 단위의 사례연구는 나왔으나 도( 道 ) 단위로 살 펴본 적은 없지만 충청도는 동학농민군의 세력
More informationDBPIA-NURIMEDIA
韓 國 言 論 學 報, 60(2) 2016.4. 338~365쪽 338 종편채널의 북한이미지 생산방식 : 일상 으로의 전환, 이념적 정향의 고수 * 1)2)3) 방희경**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이경미***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 이 연구는 종편채널의 통일논의 탈북민 출연 오락프로그램이 생산하는 북한이미지와 그 이미지 생산 방식을 검토한다.
More information` Companies need to play various roles as the network of supply chain gradually expands. Companies are required to form a supply chain with outsourcing or partnerships since a company can not
More information11¹ÚÇý·É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 6, No. 5, pp.125~135(2002) The Present State of E-Business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Year and the Sales Approach of Dongdaemun Clothing Market Park, Hea-Ryung* and
More information2. 박주민.hwp
仁 荷 大 學 校 法 學 硏 究 第 15 輯 第 1 號 2012년 3월 31일, 149~184쪽 Inha Law Review The Institute of Legal Studies Inha University Vol.15, No.1, March 2012 인터넷을 통한 선거운동과 공직선거법 * 박 주 민 법무법인(유한) 한결 변호사 < 목 차 > Ⅰ. 머리말
More informationDBPIA-NURIMEDIA
시사만화의 텍스트성 연구* 이 성 연**1) Ⅰ. 머리말 Ⅱ. 시사만화의 텍스트 구조 Ⅲ. 시사만화의 텍스트성 Ⅳ. 맺는말 요 약 본고의 분석 대상 시사만화는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관련 사건들 인데, 시사만화의 그림 텍스트와 언어 텍스트의 구조와 그 구조를 이루는 구성 요소들이 어떻게 의사소통의 기능을 수행하며 어떤 특징이 있는가 를 살펴본
More information<30312DB1E8C7F6C8AD2E687770>
한국문학논총 제71집(2015. 12) 5~48쪽 맹강녀( 孟 姜 女 ) 설화의 서사문학적 가치 재구 1)김 현 화 * 차 례 1. 서론 2. 전승 양상의 성격 1) 구비 전승의 비장미 2) 문헌 전승의 절제미 3. 맹강녀 설화의 서사문학적 특질 1) 인물의 형상화와 곡( 哭 )의 연대 2) 연희적 서사 공간의
More informationePapyrus PDF Document
육아지원연구 2008. 제 3권 1 호, 147-170 어린이집에서의 낮잠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실제 이 슬 기(동작구 보육정보센터)* 1)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에서의 일과 중 낮잠 시간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실제를 알아봄 으로써, 교사와 부모의 협력을 통해 바람직한 낮잠 시간을 모색해 보는 데 있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
More informationuntitled
朝 鮮 後 期 白 羊 寺 의 僧 役 에 대한 고찰* 1) 김 문 경(백양사박물관) Ⅰ. 머리말 Ⅱ. 麗 末 鮮 初 佛 敎 界 와 白 羊 寺 Ⅲ. 白 羊 寺 의 僧 役 負 擔 Ⅳ. 僧 役 減 免 의 背 景 과 推 移 Ⅴ. 맺음말 白 羊 寺 는 백제 무왕 33년(632) 신라의 異 僧 如 幻 禪 師 에 의해 창건되었다. 고려 말부터 현대에
More information063-081(082)--04_......_.hwp
조선시대 해제목록에 나타난 도가서적( 道 家 書 籍 ) 연구 A Study on Taoist Literatures Including in Annotated Classified Bibliographies in Joseon Dynasty 리 상 용 (Sang-yong Lee)* 초 록 본 논문은 조선시대에 편찬된 분류순 해제목록인 해동문헌총록, 규장총목, 누판고,
More information영남학17합본.hwp
英 祖 代 戊 申 亂 이후 慶 尙 監 司 의 收 拾 策 李 根 浩 * 105) Ⅰ. 머리말 Ⅱ. 戊 申 亂 과 憂 嶺 南 說 Ⅲ. 以 嶺 南 治 嶺 南, 독자성에 토대한 통치 원칙 제시 Ⅳ. 鄒 魯 之 鄕 복원을 위한 교학 기구의 정비 Ⅴ. 상징물 및 기록의 정비 Ⅵ. 맺음말 국문초록 이 글은 영조대 무신란 이후 경상감사들이 행했던 제반 수습책을 검토 한 글이다.
More information<B1E2C8B9BEC828BFCFBCBAC1F7C0FC29322E687770>
맛있는 한국으로의 초대 - 중화권 음식에서 한국 음식의 관광 상품화 모색하기 - 소속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 지도교수 : 오승렬 교수님 ( 중국어과) 팀 이 름 : 飮 食 男 女 ( 음식남녀) 팀 원 : 이승덕 ( 중국어과 4) 정진우 ( 중국어과 4) 조정훈 ( 중국어과 4) 이민정 ( 중국어과 3) 탐방목적 1. 한국 음식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경제적 가치에도
More informationⅠ. 머리말 각종 기록에 따르면 백제의 초기 도읍은 위례성( 慰 禮 城 )이다. 위례성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세종실록, 동국여지승람 등 많은 책에 실려 있는데, 대부분 조선시대에 편 찬된 것이다. 가장 오래된 사서인 삼국사기 도 백제가 멸망한지
고대 동아시아의 왕성과 풍납토성 - 풍납토성의 성격 규명을 위한 학술세미나 - pp. 46-67 한국의 고대 왕성과 풍납토성 김기섭(한성백제박물관)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 고대의 왕성 1. 평양 낙랑토성 2. 집안 국내성 3. 경주 월성 4. 한국 고대 왕성의 특징 Ⅲ. 풍납토성과 백제의 한성 1. 풍납토성의 현황 2. 한성의 풍경 Ⅰ. 머리말 각종 기록에
More information<31332EBEC6C6AEB8B6C4C9C6C3C0BB20C8B0BFEBC7D120C6D0C5B0C1F6B5F0C0DAC0CE20BFACB1B82E687770>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통권 제 9호 2007 12 Vol. 5 No. 2 아트마케팅을 활용한 화장품 브랜드 디자인 연구 -화장품패키지디자인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smetic Brand Package Design Applied Art-Marketing - Focusing on Cosmetic
More information장양수
한국문학논총 제70집(2015. 8) 333~360쪽 공선옥 소설 속 장소 의 의미 - 명랑한 밤길, 영란, 꽃같은 시절 을 중심으로 * 1)이 희 원 ** 1. 들어가며 - 장소의 인간 차 2. 주거지와 소유지 사이의 집/사람 3. 취약함의 나눔으로서의 장소 증여 례 4. 장소 소속감과 미의식의 가능성 5.
More information1. 2. 2 1. 2 2. 2 3. 3. 3 3 1. 3 2. 3 3. 4. 4 1. : 4 2. : (KSVD) 4 3. : 88 5. 36
, 1965 1994: 3 1965 (Konstfackskolan). 1996. (, 2004) :, (, 2010), 20 (, 2005), :,, (, 2005), 02: (, 2008), (KDF, 2009), (, 2011), (, 2011). ( _, 2011 3 ), : ( 前 史 ) (, 102, 2012). 35 1. 2. 2 1. 2 2. 2
More informationUPMLOPEKAUWE.hwp
시청공간을 넘어 새롭게 소통하기 - 인터넷 기반의 를 중심으로 - New Communication beyond Viewing Space - Focused on Social Television based on Internet - 주저자 오종서 Oh, Jongsir 동서대학교 방송영상전공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of Dongseo University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