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조사개요 ❶ 조사개요 012 ❷ 표본특성 조사결과분석 ❶ 응답자특성 018 ❷ 지표별조사결과및주요특성 022 ❸ 그룹별문화활동특성과삶의만족도 031 ❹ 정책적시사점 지표별상세조사결과 1 주로하는여가활동 여

Similar documents
<33312DBCADBFEFBFACB1B820C6F7C4BFBDBA203331C8A32834BFF93235C0CFC0DA2DBAAFB9CCB8AE2DB1E8B0A9BCF6292E687770>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분석 123 다.세부 분석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남성과 여성 모두 대면채널을 통한 가입이 90% 이상으로 월등히 높음. <표 Ⅱ-2>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구 분 남성 여성 대면 직판 은행 0.2 1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Ⅳ. 가구구조 1. 가구구조의변화 1. 가구구조의변화 1.3 자치구가구수분포 1.1 가구수의변화 평균가구원수가가장큰구는양천구로 2.93 명, 가장작은구는관악구로 2.34 명 2010 년의가구수는 350 만가구로 1980 년보다 그림 4-1 과의가구규모의증가율 (1980

2006

..1,2,3,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01정책백서목차(1~18)

2014 년서울지역아르바이트노동실태 - 서울시및 25 개자치구일자리와시급 - 김종진 ( 한국노동사회연구소연구위원 ) * 1) 1. 분석자료개요 가. 분석자료 분석자료는 2014년상반기서울지역사업주가 알바천국 ( 주 ) 에아르바이트채용구인광고입력원자료를재분석한것임. 분석

untitled


2018 삶의질여론조사보고서 01 조사개요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src.hwp

이용자를위하여 1. 본보고서에수록된내국인통계는 2017 년 12 월 31 일현재 주민등록법 에의하여주민등록표에등재된세대와인구를집계한것입니다. 그리고외국인통계는 출입국관리법 에의하여외국인정보공동이용시스템에등재된인구를집계하여수록한것입니다. 2. 본통계자료는다음과같은사유로작

2002report hwp

2002report hwp

2003report hwp

슬라이드 1


CC hwp

제 1 장. 조사개요 1. 조사설계 4 2. 응답자특성 5 제 2 장. 조사결과 1. 문재인대통령국정수행평가 7 2. 서울시장가상대결 A : 박영선 김문수 안철수 인지연 신지예 9 3. 서울시장가상대결 B : 박원순 김문수 안철수 인지연 신지예 서울시장가상대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 표 Ⅶ-1 > 문화예술시설수, 연도박물관미술관 공공도서관 등록공연장 문예회관

13-07.hwp

(0829)1

제 2 기충주시지역사회복지계획


A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Ⅱ. 의주택현황 1. 주택재고 1. 주택재고 1.1. 주택유형별재고 주택유형의구분주택유형은단독주택과공동주택으로구분된다. 단독주택은독립된주거의형태를갖춘일반단독주택과, 여러가구가살수있도록구성된다가구주택으로나눌수있다. 다가구주택은 3개층이하, 연면적 6m2이하, 19세대이하

<5BC5EBB0E8C7A55D BFF920BFA9B7D0C1B6BBE75FC5EBB0E8C7A55FBCADBFEF2E687770>

목차 제 1 장조사개요 1 1. 조사배경및목적 2 2. 조사설계 2 3. 조사내용 3 4. 응답자특성 3 제 2 장결과요약 5 제 3 장조사결과 함께서울문화나눔 사업참여실태 9 가. 연간문화예술공연및행사관람횟수 9 나 함께서울문화나눔 사업인

성인지통계

' 서울여성취업자수 ' 40~50 대가 20~30 대첫추월 - 1 -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1. 조사설계 조사대상 2017 년 2 월현재, 전국만 19 세이상남녀 표본의크기 조사방법 1,021 명 ( 가중전 1,021 명, 가중후 1,000 명 ) - 가중치를 1,000 명기준으로부여했으나, 보도시표본크기는 1,021 명으로보도해야함. 구조화된설문지를이용한전

_1.hwp

행정학석사학위논문 사회에대한공정성인식도가 행복에미치는영향 서울시주민을중심으로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정영아


<5BB1E2BABB D20C0E5B9CCC7FD2E687770>

목차

목차 조사결과요약 01 한눈에보는공연예술소비동향및전망 공연예술소비동향및전망( 요약) 08 2 분기공연예술소비동향조사 01 조사개요 조사목적 조사설계 표본설계 응답자특성 분기공연예술소비동향 분


Ⅰ. 조사목적 본조사는전국민을대상으로대통령국정수행지지도, 정당지지도등을 파악하여, 국민여론을파악하는기초자료수집에그목적을둠. Ⅱ. 조사설계 조사대상 전국거주만 19세이상성인남녀 표본수 총 1,035 명조사후, 지역, 성, 연령별사후보정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최대허용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Ta

제 2 호 노인가구의추세와특징 노인가구분포 전체노인가구의비율은 24 년이후꾸준히증가추세 - 7 차조사 (24 년 ) 17.5% 에서 1.4 배증가하여 15 차조사 (212 년 ) 24.2% 로상승

ad hwp

hwp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 ** *** ****

슬라이드 1

학력별로는대졸이상고학력취업여성의수요가상대적으로높게 나타났다 미취업여성이시간선택제로일할경우희망하는근로시간은 일평균 시간주 시간이며 시간선택제일자리로일하기를원하는기간은 기간의정함이없는상용형인경우가가장높게나타났다 시간선택제근로를희망하는이유로는 자녀보육 교육 개인시간활용 등의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 목차 ] 응답자분포표... 1 [ 표 1] 최근 3년간한국방문횟수... 2 [ 표 2] 연평균해외여행횟수... 3 [ 표 3] 이번한국방문의주된이유... 4 [ 표 4-1] 여행지선정시고려요인 (1순위)... 5 [ 표 4-2] 여행지선정시고려요인 (2순위)...

목차 Ⅰ Ⅱ (2013)

목 차 Ⅰ. 조사개요 1 1. 조사배경및목적 1 2. 조사내용및방법 2 3. 조사기간 2 4. 조사자 2 5. 기대효과 2 Ⅱ. P2P 대출일반현황 3 1. P2P 대출의개념 3 2. P2P 대출의성장배경 7 3. P2P 대출의장점과위험 8 4. P2P 대출산업최근동향

<BBFDC8B0BCD3BFA120BCFBBDACB4C220B9AEC8ADB0FCB1A428C6EDC1FDBABB292E687770>

3¿ù.PDF

2002report hwp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4D F736F F D205FBAD9C0D3325F B3E2B5B520BCB3B9AEC1B6BBE720B0E1B0FA20BAB8B0EDBCAD5F322E646F63>

hwp

2013unihangulchar {45380} 2unihangulchar {54617}unihangulchar {44592} unihangulchar {49328}unihangulchar {50629}unihangulchar {51312}unihangulchar {51

출산전후근로및임금동학에관한연구 첫자녀출산과연계된경력단절및복귀를중심으로 I. 서론

한국정책학회학회보

응답자분포표 Base= 전체 전체 (,000) 00.0 남자 (54) 5.4 여자 (486) 48.6 만9세 9세 (8).8 만0세 9세 (40) 4.0 만40세 49세 (76) 7.6 만50세 59세 (56) 5.6 수도권 (5) 5. 충청권 (0) 0. 전라권 (9

조사구번호 가구번호 - 한국종합사회조사 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종로구성균관로 전화

< 내용요약 > 최근 3년간서울에서는 270.9만세대가전입, 주요전입지역은관악구, 송파구, 강남구등 서울외지역에서서울로전입한경우는 3년간총 69.7만세대이며이주지로는강남구, 송파구, 강서구, 동작구등강남권지역을선호 세대주연령별로 20~30대의전입이많았으며세대원수별로는


< B0E6C3D12D4A424620BBF3C8A3B1B3B7F9C7C1B7CEB1D7B7A520C8B8C0C720C0DAB7E12028C3BBB3E2BDC7BEF72928BCADBFB5C1F8292E687770>

지지정당별지방선거투표의향별국정수행평가별국무총리인선평가별정부개각범위의견별사전투표제인지별사전투표참여의향별지방선거성격공감별차기대선후보선호도별성 * 연령별 자영업 (102) 블루칼라 (96) 12.

src.hwp

1. 일반현황 주요업무추진실적 주요업무추진계획 4. 신규 주요투자사업

<B0EDB7C9C8AD20BDC3B4EB20B9AEC8ADC0C720BFAAC7D2B0FA20B0FAC1A62DC6EDC1FD2D30332E687770>

조사구번호 가구번호 - 한국종합사회조사 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종로구명륜동 가 전화 팩스

2013년 부산지역 문화예술 커뮤니티 기반조사 보고서

목 차 Ⅰ. 조사개요 2 1. 조사목적 2 2. 조사대상 2 3. 조사방법 2 4. 조사기간 2 5. 조사사항 2 6. 조사표분류 3 7. 집계방법 3 Ⅱ 년 4/4 분기기업경기전망 4 1. 종합전망 4 2. 창원지역경기전망 5 3. 항목별전망 6 4. 업종

내지1-41

hwp


ad hwp

목차 I. 조사개요 1 II. 모바일인터넷이용현황 2 1. 모바일인터넷단말기이용빈도및시간 2 2. 모바일인터넷단말기보유현황 3 3. 모바일인터넷단말기이용현황 3 4. 모바일인터넷접속방법 4 5. 모바일인터넷이용장소 4 6. 모바일인터넷이용목적 5 7. 모바일인터넷이용만

¿©¼ººÎÃÖÁ¾¼öÁ¤(0108).hwp

내지1-41

±³À°È°µ¿Áö

이에본장에서는긍정적인가족문화형성을위해가족여가실태및여 가사회화 여가제약극복 여가소통을중심주제로가족여가의실태및 문제점을진단하고나아가개선방안을살펴보자함 이는적극적인가족여가활성화정책제안및건전한가족여가문화조성및활성화를기대할수있음 여가사회화란여가와레크리에이션에참여하는데필요한기본지

Untitled-1

2. 경기도사회통합부문의 OECD 내위상 q 경기도는사회복지수준과성평등수준이 OECD 34 개국중에서거의최하위수준 경기도는 인당복지비용 위 대비사회복지지출비중 위 경기도는성평등지표에서여성고용률 위 여성취업자비중 위 여성의경제활동참가율 위 q 경기도는건강증진수준은비교적양

2013 년 10 월관광객입출국 / 관광수입 지출분석

국립중앙의료원_대국민 응급의료서비스 인지도 및 만족도_보고서(최종).hwp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i

목 차

untitled

CR hwp

슬라이드 1

- 2 -

II. 기존선행연구

Transcription:

연구 - 2014-02 2014 www.sfac.or.kr

Contents 006 01 조사개요 ❶ 조사개요 012 ❷ 표본특성 014 02 조사결과분석 ❶ 응답자특성 018 ❷ 지표별조사결과및주요특성 022 ❸ 그룹별문화활동특성과삶의만족도 031 ❹ 정책적시사점 050 03 지표별상세조사결과 1 주로하는여가활동 054 2 여가활동동반자 059 3 가장희망하는여가활동 062 4 문화예술관심도 067 5 문화활동관람실태 070 6 유료문화콘텐츠이용실태 081 7 문화활동관람 ( 참석 ) 애로사항 084 8 문화예술관련교육경험 089 9 자원봉사활동참여 092 10 문화관련동호회참여여부 101 11 문화예술전반적만족도 104 12 문화생활만족도 107 13 거주지주변문화환경만족도 114 14 서울의문화환경만족도 117 15 문화예술중요도 120 16 문화도시평가 123 17 삶의만족도 126 이용자를위하여 그래프 도표 교차분석표내의숫자는소수점이하둘째자리에서반올림되었으므로세부항목의합이합계와일치하지않을수도있음 04 조사설문지 130

www.sfac.or.kr

대, 및자녀유무를바탕으로이들의문화에대한욕구, 참여도와참여방식, 문화생활에서겪는애로사 항등을분석하여아래와같은 8 개문화활동특성화그룹을도출했다. 20 대 ~60 대문화생활도세대별로개성이다르다 - 문화생활관심많은 2,905명대상으로 실시 - 20대 < 문화열광족 > : 활발한문화활동에비해삶의만족도는가장낮아 - 30대 < 화려한싱글녀 > < 육아맘 > : 및출산 육아로문화활동크게변화 - 40대는가족과함께 < 프렌디 > < 컬처맘 > VS 자신을위한 < 블루싱글녀 > - 50대 < 낭만족 >, 60대 < 액티브시니어 > 양육부담벗어나문화생활부활 - 세대별, 그룹별특성바탕으로차별화된맞춤형문화프로그램기획에활용 <8개문화활동특성그룹 > 세대 8개문화활동특성화그룹 20대 현실에대한불안을문화로극복하는 < 문화열광족 > 문화에아낌없이투자하는 < 화려한싱글녀 > 30대 문화최전방에서물러나육아의행복에빠진 < 육아맘 > 성장하는자녀들과집근처에서놀고싶은 < 프렌디 3) > 40대 본인은문화소외층이지만아이를위해문화를찾는 < 컬처맘 4) > 30대처럼화려하지만조금외롭고피곤한 < 블루싱글녀 > 50대 양육의그늘에서벗어나문화강좌에열광하는 < 낭만족 > 60 대 문화만족이삶의만족으로연결되는행복한 < 액티브시니어 5) > 이번조사는서울문화재단온라인회원및사업참여자 2,905 명 1) 을대상으로이메일조사를실시한결과로서, 일반시민에비해문화생활에관심이많고참여가활발한시민들의세대내그룹별문화향유특성을파악, 향후그 룹별맞춤형프로그램을개발할때참고자료로활용하기위해기획됐다. 20 대 < 문화열광족 > 은문화예술관심도 (93.0 점 ) 와문화예술중요도 (77.1 점 ) 는가장높은반면, 삶의만족도는 가장낮아 (70.1 점 / 전체평균 71.3 점 ) 20 대의불안하고고단한삶을문화로위로받는것으로분석된다. 조사는서울문화재단온라인회원 72,348명을대상으로발송한이메일설문지유효응답자 2,905명의응답지를분석한결과다.( 14. 12. 2~12. 26) 로는남성 876명, 여성 2,029명이며, 세대별로는 20 대 756명 (26.0%) 30대 997명 (34.3%) 40대 728명 (25.1%) 50대 315명 (10.8%) 60대이상 109명 (3.8%) 이다. 조사참여자들은평소에주로하는여가활동으로 예술관람 (24.0%) 과 창작적취미활동 (11.8%) 을꼽은비율이일반시민 (11.8%) 에비해 3배이상높은문화생활고 ( 高 ) 관여자 2) 로조사됐다. 이들의 거주지문화환경에대한만족도 는 49.3점 ( 전체평균 51.4점 ) 으로특성그룹중가장낮았지만, 서울의문화환경에대한만족도 는 63.1점 ( 전체평균 60.4점 ) 으로가장높아주거지와상관없이문화적으로 힙 (hip) 한곳을찾아서울전역을찾아다니는것으로나타났다. 영화와연극관람은한달에한번, 전시회는두달에한번꼴로참여하며, 문화활동비용은연간 694,281 원으로세대중가장많이지불한다. 여가활동의동반자는주로 친구 와함께하거나 (53.9%), 혼자서즐기는경우 (35.5%) 도많았다. 이들의문화향유활동의특징을집중적으로분석하여, 보다신빙성있는문화정책시사점을도출해낸것이이 번조사의특징이며의의이다. 30 대여성은여부에따라 문화에아낌없이투자하는 < 화려한싱글녀 > 와 문화최전방에서물러나육아 에집중하는 < 육아맘 > 으로구분된다. 조사결과분석에있어서도기존의문화향유실태조사연구가주로소득, 학력등계급성과지역을중심으로정 량적차이중심으로분석했다면, 이번조사는,, 자녀유무등에따라세대별로뚜렷한차이를보이는 문화향유활동의정성적특징을분석했다. 20 대에비해경제적여력이개선된 < 화려한싱글녀 > 는문화예술비용으로연간 821,262 원 ( 전체평균 559,632 원 ) 을지불해 8 개그룹중최고인것으로나타났다. 상대적으로비싼연극과전시회관람도많아져고 가의티켓구매도서슴지않는열혈문화애호층이다. 20 대부터 60 대까지, 출산, 양육, 은퇴등삶의주기에따라달라지는문화향유및소비형태에따른 8 개 그룹은 20 대 < 문화열광족 > 30 대 < 화려한싱글녀 > < 육아맘 > 40 대 < 프렌디 > < 컬처맘 > < 블루싱글 녀 > 50 대 < 낭만족 > 60 대 < 액티브시니어 > 다. 1) 재단온라인회원및사업참여자 72,348 명을대상으로이메일발송, 서울시및타지역거주자포함총 2,905 명이설문에응답함 그중서울거주자 2,110 명에대해서만문화향유실태분석에반영함 2) 주로하는여가중활동으로문화예술관람과창작적취미활동을선택한비율이 2012 서울서베이 11.8% 대비 3 배 3) 친구같은아빠 (Friendy = Friend + Daddy) 4) 자신과아이를위한문화적욕구가강한새내기엄마 (culture mom) 5) 은퇴이후에도소비생활과여가생활을즐기며사회활동에도적극적으로참여하는 50~60 대세대 (active senior) 006 007

문화예술에대한관심도 (93.3점) 와중요도 (78.1점) 도가장높았고, 문화예술관람횟수역시연간평균 44.0 회로 20대 (40.3회) 에비해높게나타났다. 삶의만족도 (69.2점) 와서울의문화환경만족도 (58.0점) 는 8개그룹중가장낮았다. 과출산으로자녀양육에집중하게되는 < 육아맘 > 은문화예술에대한관심, 관람횟수, 삶에서차지하는문화예술의중요성이모두급격하게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다. < 육아맘 > 은 < 화려한싱글녀 > 그룹과비교했을때문화예술관심도 87.1점 (93.3점), 관람횟수 24.4회 (44.0 회 ), 문화예술의중요도 57.0점 (78.1점), 문화예술지불금액 364,625원 (821,262원) 으로상대적으로저조했다. 문화생활의애로사항으로는 ' 아기를맡길데가없다 ' 는응답도 9.6% 로나타났다. < 육아맘 > 은문화예술에대한참여는낮았지만삶의만족도 (77.2점) 는 8개그룹중가장높아문화예술보다는양육등다른요인이삶에더큰영향을미치는것으로분석된다. 40대는 가족, 자녀들과집근처에서노는게편한 < 프렌디 > 자신은문화소외층이지만자녀들을위한문화생활에는적극적인 < 컬처맘 > 여전히화려하지만조금은외로운 < 블루싱글녀 > 로구분된다. 자녀가있는 40대남성그룹인 < 프렌디 (Friendy)> 의경우여가활동동반자로 가족 (78.8%) 을가장많이꼽았다. 여가활동형태로는여행, 나들이 (69.0%) 가가장많았지만희망하는여가활동으로는문화예술관람 (40.7%) 을꼽았다. 중학생자녀를둔 < 프렌디 > 의 20.8% 가 문화예술이매우중요하다 고응답한데비해초등생자녀를둔 < 프렌디 > 의응답비율은 10.4% 로나타나자녀가중학생이되면서부터문화예술에서자신의삶을찾기시작하는것으로분석됐다. 자녀가있는 40대여성그룹인 < 컬처맘 > 은문화예술관심도 (84.7점), 문화예술관람횟수 (20.8회) 가가장낮았고문화예술의중요도 (57.1점), 문화예술지불금액 (337,693원) 도낮은편인반면에회당평균연극공연관람지불금액은 78,536원으로 30대육아맘 (50,960원) 에비해증가해자녀와함께공연을즐기는 < 컬처맘 > 의특징이반영된것으로분석된다. 50대 < 낭만족 > 은양육부담에서벗어나사그라졌던문화예술에대한관심이부활하면서문화예술교육에대한경험이 71.9% 로조사대상세대가운데가장높게나타났다. 문화예술경험에대한전반적만족도는 71.4점 ( 전체평균 68.5점 ) 으로특성그룹중가장높았으며, 동호회활동도적극적으로참여하는것으로조사됐다.(56.6%/ 전체평균 35.4%) 60대에이르면문화예술관람횟수가 30대수준으로회복되고삶의만족도 (74.4점) 는세대중제일높게나타났다. 문화예술로행복한황혼을보내는 < 액티브시니어 (Active Senior)> 라할수있다. 60대의문화예술관람횟수는 38.6회로 40대 (30.1회), 50대 (31.6회) 는물론, 30대 (37.3회) 평균보다도높았으며, 문화예술지불금액은 283,768원으로가장적은반면문화예술동호회참여율 (66.2%), 창작적취미활동 (44.6%), 거주지문화환경만족도 (55.4점) 는가장높았다. 문화생활만족도는양보다질에좌우되며, 주거지문화환경에대한만족도가높을수록문화활동에적극적으로참여하고, 문화생활만족도와삶의만족도또한높아지는것으로나타났다. 문화활동의애로사항으로는비용문제 (72.3%) 가가장높은것으로나타난가운데, 자기만족형 은시간과정보부족, 가족행복형 은교통과육아를애로사항으로꼽았다. 이번조사를통해문화예술에관심이많고적극적인서울시민들의세대별문화향유특성을확인할수있었다. 이를토대로세대별특성을고려한맞춤형문화사업을기확하는데활용할수있을것으로기대한다. 20~30대 : 저렴하고다양한우수문화예술콘텐츠제공 30~40대여성 : 탁아시설확충및교통편의제공, 가족단위문화나들이프로그램제공 40대가장 : 문화활동비용부담경감 60대어르신 : 문화정보전달방식개선, 커뮤니티중심활동지원 자녀가고등학생이되면서문화생활을적극적으로찾아나서, 중학생자녀가있는 < 컬처맘 > 의 7.6% 가 문화예 술이매우중요하다 고답한반면, 고등학생자녀가있는 < 컬처맘 > 은 24.1% 로나타났다. 서울문화재단은 2015 년부터 < 문화정책통계패널 > 제도를도입하여, 시민들의문화향수실태의시계열변화까지 파악하고계층별요구에맞춘문화정책개발이가능한조사체계를갖추어나갈예정이다. < 블루싱글녀 > 로대변되는 40 대미혼여성은문화예술관람횟수가 46.8 회로 8 개그룹중가장높았고, 문화예술 지불금액도 755,992 원으로 < 화려한싱글녀 > 에이어여전히풍요로운문화생활을누리는것으로나타났다. 또, 여가생활을혼자 (39.6%) 한다고응답한비율이 8 개그룹중가장높았다. 008 009

01 조사개요 www.sfac.or.kr ❶ 조사개요 ❷ 표본특성

01 조사개요 조사개요 3. 조사항목 7) 구분지표항목세부항목 1. 조사목적가. 를위한 < 서울문화지표 > 체계구축 - 서울시민들의전반적인문화향유실태분석틀마련 - 금번시범조사후향후서울서베이와연계하여본격조사추진나. 문화예술활동고관여자들의특성분석 - 보다정확한계층별문화정책수립에참조 2. 조사설계 6) 1. 여가와문화예술 2. 문화관람 주로하는여가활동 여가활동동반자 가장희망하는여가활동 문화예술관심도 문화관람활동실태 유료문화콘텐츠이용 문화관람활동애로사항 구분 조사대상 서울문화재단홈페이지회원및재단사업참여경험자 유효표본 2,905명 조사방법 구조화된설문지를활용한 Web 조사 표본추출 재단홈페이지회원및사업참여자리스트를활용한전수조사 (72,348명이메일발송 ) 서울시민문화향유실태 3. 문화참여 문화예술관련교육참여 자원봉사활동참여 문화관련동호회참여 조사기간 2014 년 12 월 2 일 ~ 12 월 26 일 조사기관 서울문화재단 ( 조사및분석대행 : ( 주 ) 월드리서치 ) 4. 만족도 문화예술활동전반적만족도 문화예술활동양적만족도 문화예술활동질적만족도 문화예술활동재참석의사 5. 문화와삶 거주지주변문화환경만족도 서울의문화환경만족도 인생에서문화예술중요도 문화도시에대한인식 삶의만족도 6) 금번조사와유사한목적으로시행되는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향수실태조사 는설문방식과대상이상이하므로일부지표명이유사하더라도조사값을단편적으로비교하는것은부적절함. 특히서울에할당되는표본수가 1,217 명으로서서울에서일어나는시민들의문화활동양태를추정하기에는부족한점을보완하기위해금번조사가기획되었음. 또한, 서울서베이는서울시민의생활전반에대해시민전체를대상으로표본추출하여진행하는것으로서, 금번조사결과와비교하는것은부적절함. 다만서울시민들의문화활동참여활동특성을보다정확하게분석하기위해조사한금번 고관여자그룹 이일반시민들에비해매우높은문화활동수준을보이고있는점을확인하기위해서서울시정보공개정책과에서작성한 통계로본서울시민의여가문화생활 -2012 서울서베이자료를중심으로 와비교하였음. 구분서울서베이문화향수실태조사조사대상 서울시거주가구및만15세이상가구구성원 만 15세이상전국남녀유효표본 20,000가구( 가구원 47,384명 ) 10,039명( 그중서울은 1,217명 ) 조사방법 가구방문, 가구원대상면접조사 가구방문, 가구원대상면접조사 표본추출 층화집락추출법 (stratified cluster sampling) 다단계층화집락추출 (Stratified Multi-stage Cluster Sampling) 조사기간 2013 년 10 월 20 일 ~ 11 월 11 일 (2003 년이후매년실시 ) 2014 년 8~9 월 조사기관 서울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7) 지표명이유사하더라도상세질문과답변방식이다르므로서울연구원의 서울서베이,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향수실태조사 의지표항목과본조 사의지표항목을단편적으로비교하는것은부적절함 012 013

표본특성 8) 응답자수 ( 명 ) 비율 (%) 전체 2,905 100.0 ❶ 남성 876 30.2 여성 2,029 69.8 29세이하 756 26.0 30대 997 34.3 ❷ 40대 728 25.1 50대 315 10.8 60세이상 109 3.8 서울 2,110 72.6 ❸ 거주지역 인천 92 3.2 경기 598 20.6 기타 105 3.6 도심권 193 6.6 동북권 723 24.9 ❹ 서울권역 9) 서북권 319 11.0 서남권 507 17.5 동남권 368 12.7 10년미만 343 16.3 20년미만 365 17.3 ❺ 서울거주기간 30년미만 468 22.2 40년미만 496 23.5 40년이상 438 20.8 ❻ 유무 기혼 950 45.0 미혼 1,160 55.0 고졸이하 98 4.6 ❼ 최종학력 전문대 275 13.0 대학교 958 45.4 대학원이상 779 36.9 문화예술종사자 778 36.9 전문 / 관리직 336 15.9 사무직 435 20.6 판매 / 서비스직 84 4.0 ❽ 직업 학생 189 9.0 주부 190 9.0 기타 25 1.2 무직 70 3.3 무응답 3 0.1 100만원미만 191 9.1 200만원미만 345 16.4 300만원미만 370 17.5 ❾ 월평균가구소득 400만원미만 357 16.9 500만원미만 330 15.6 600만원미만 212 10.0 600만원이상 305 14.5 참고 _ 서울시민문화향유실태분석대상응답자구성 10) 세대구분세부그룹구분응답자수 ( 명 ) 비율 (%) 20 대 ( 이하 ) 30 대 40 대 50 대 60 대 ( 이상 ) 8) 금번조사의유효응답자특성임 전체 (= 문화열광족 ) 521 24.7 남성 109 5.2 여성 412 19.5 전체 738 35.0 남성 200 9.5 여성 538 25.5 화려한싱글녀 342 16.2 육아맘 136 6.4 전체 556 26.4 남성 181 8.6 프렌디 113 5.4 여성 375 17.8 컬처맘 259 12.3 블루싱글녀 96 4.5 전체 (= 낭만족 ) 221 10.5 남성 84 4.0 여성 137 6.5 전체 (=Active Senior) 74 3.5 9) 도심권 : 종로구, 중구, 용산구동북권 :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서북권 :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서남권 :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동남권 : 서초구, 송파구, 강남구, 강동구 10) 총응답자 2,905 명중서울거주자 2,110 명만문화향유실태분석자료로사용하였음 남성 52 2.5 여성 22 1.0 [ 응답자전체 ] 2,110 100 014 015

02 조사결과분석 www.sfac.or.kr ❶ 응답자특성 ❷ 지표별조사결과및주요특성 ❸ 그룹별문화활동특성과삶의만족도 ❹ 정책적시사점

02 조사결과분석응답자특성 서울문화재단회원의특성이반영되어여성, 30대, 고학력자비율이높음 금번설문의응답자들은문화예술고관여자로분류될수있는특수한샘플임. 서울서베이에응답한일반시민표본 에비해여성이남성보다 2배이상높으며, 별로는 30대비율은일반시민보다높은반면, 50대이상은낮았 음. 대학원이상의고학력층비율이높고, 전체직업군중문화예술관련종사비율이가장높으며, 일반시민대 비블루칼라의비율은현저히낮은특징이있음 사례수 ( 명, %) 본조사 서울서베이 (2012) 전체 2,905 (100.0) 49,758 (100.0) 성 남성 876 (30.2) 24,034 (48.3) 여성 2,029 (69.8) 25,724 (51.7) 29세이하 756 (26.0) 11,554 (23.2) 30대 997 (34.3) 9,018 (18.1) 40대 728 (25.1) 12,030 (24.2) 50대 315 (10.8) 9,664 (19.4) 문화예술관련여가활동에매우적극적인고관여자 서울서베이와비교하면, 이번조사의응답자들은 문화예술관람 과 창작적취미활동 의문화예술여가활동에적 극적이고관심또한높으며, 여가활동을가족 ( 친척 ) 과함께하는비율은일반시민대비 9%p 낮은특징을보임. 주로하는여가활동으로문화예술관람과창작적취미활동을선택한비율을기준으로볼때일반시민대비 3 배 정도적극적으로문화예술관련여가활동을즐기고있음 (35.8%(24.0%+11.8%)>11.3%(7.1%+4.2%)) < 주로하는여가활동 > (base : n=2,110, 단위 =%) 전체 본조사결과 (A) 서울서베이 (2012)(B) 차이 ( 종합순위기준 )(A-B) 1 순위종합순위 1 순위종합순위 문화예술관람 24.0 68.8 7.1 21.4 47.4 TV 또는비디오 (DVD) 시청 26.5 61.3 43.7 77.9-16.6 여행, 야외나들이 12.5 47.3 9.3 38.4 8.9 창작적취미활동 11.8 37.0 4.2 15.1 21.9 휴식 ( 여가활동하지않음 ) 6.6 28.6 10.7 47.1-18.5 종교활동 8.8 16.8 8.2 21.4-4.6 컴퓨터게임, 인터넷검색등 3.8 16.2 6.8 27.3-11.1 운동 3.3 11.5 6.0 20.9-9.4 사회봉사활동 1.6 7.0 1.1 6.2 0.8 운동경기관람 0.6 3.5 2.7 10.4-6.9 기타 0.7 1.8 0.1 0.3 1.5 60 세이상 109 ( 3.8) 7,492 (15.1) 최종학력 직업 고졸이하 98 ( 4.6) 24,854 (49.9) 전문대 275 (13.0) 24,336 (48.9) 대학교 958 (45.4) 대학원이상 779 (36.9) 568 ( 1.1) 문화에술관련종사자 778 (36.9) 전문 / 관리직 336 (15.9) 관리전문직 3,382 ( 6.8) 사무직 435 (20.6) 판매 / 서비스직 84 ( 4.0) 화이트칼라 15,751 (31.7) 학생 189 ( 9.0) 주부 190 ( 9.0) 블루칼라 9,807 (19.7) 기타 25 ( 1.2) < 가장희망하는여가활동 > (base : n=2,110, 단위 =%) 전체 본조사결과 (A) 서울서베이 (2012)(B) 차이 ( 종합순위기준 )(A-B) 1 순위종합순위 1 순위종합순위 문화예술관람 41.3 70.4 11.6 24.7 45.7 TV 또는비디오 (DVD) 시청 30.8 55.8 18.1 29.3 26.5 여행, 야외나들이 15.5 35.4 29.4 52.5-17.1 창작적취미활동 4.0 10.9 6.5 14.2-3.3 휴식 ( 여가활동하지않음 ) 2.7 8.0 9.3 20.0-12.0 종교활동 1.8 2.9 5.1 11.2-8.3 컴퓨터게임, 인터넷검색등 1.5 7.8 6.4 11.3-3.5 운동 1.2 3.8 7.4 18.7-14.9 사회봉사활동 0.7 2.7 1.6 6.1-3.4 운동경기관람 0.6 1.8 4.5 10.5-8.7 기타 - 0.1 0.1 0.1 0.0 무직 70 ( 3.3) 무응답 3 ( 0.1) 기타 20,818 (41.8) < 여가활동동반자 > (base : n=2,110, 단위 =%) 전체 본조사결과 (A) 서울서베이 (2012)(B) 차이 (A-B) 가족 ( 친척포함 ) 과함께 37.4 46.4-9.0 친구 ( 연인포함 ) 과함께 30.6 28.4 2.2 혼자서 26.7 19.9 6.8 동호회활동을통해서 4.4 3.9 0.5 직장동료 0.5 1.4-0.9 기타 0.4 0.1 0.3 018 019

문화활동관련교육프로그램에적극참여하면서비용부담은더많이느껴 금번조사응답자들의문화활동관람횟수는서울서베이에서파악된일반시민의평균횟수보다 0.7~8.6회이 상높게나타났음. 반면에문화활동장애요인으로 비용이많이든다 는이유를꼽은비율은일반시민대비다소 높게나타남. 문화예술관련교육경험률은일반시민대비약 30%p 높고, 지역 / 백화점문화센터및주민센터의 강좌 참여율이 15.5%p의큰차이를보임 < 문화활동관람횟수 > (base : n=2,110, 단위 = 회 ) 전체 본조사결과 (A) 서울서베이 (2012)(B) 차이 (A-B) 극장에서영화관람 9.75 2.41 7.34 전시회관람 6.30 0.15 6.15 연극공연관람 9.00 0.31 8.69 박물관관람 2.43 0.19 2.24 축제 ( 야외행사포함 ) 관람 1.87 - - 음악, 무용발표회관람 2.95 0.09 2.86 대중공연관람 1.01 0.12 0.89 전통예술공연관람 1.17 0.28 0.89 스포츠경기관람 1.02 0.28 0.74 기타 35.51 3.83 31.68 자원봉사활동참여는일반시민대비높으나, 문화환경만족도는다소낮고, 삶의질만족도는비슷한수준 이번조사응답자들은일반시민에비해자원봉사활동참여율이높게 (31.7%p) 나타났고, 참여횟수도일반시민 보다더욱빈번한것으로나타남 서울의문화환경에대해서는일반시민의만족도가높았으며, 만족비율은유사한수준이었으나금번조사응답자 들의불만족비율이다소높아만족도의차이가나는것으로분석됨 < 자원봉사활동참여횟수 > (base : n=2,110, 단위 =%, 회 ) 전체본조사결과 (A) 서울서베이 (2012)(B) 차이 (A-B) 참여율 (%) 54.4 22.7 31.7 환경보전등과관련 4.82 2.61 2.21 자녀교육등과관련 6.78 3.39 3.39 아동, 청소년, 어르신, 장애인, 재소자, 노숙자등관련 14.02 3.39 10.63 문화예술관련 11.07 - - 기타자원봉사활동 - 2.78 - < 문화활동관람애로사항 > (base : n=2,110, 단위 =%) 전체 본조사결과 (A) 서울서베이 (2012)(B) 차이 ( 종합순위기준 )(A-B) 1 순위종합순위 1 순위종합순위 비용이많이든다 53.9 72.3 40.2 54.7 17.6 시간이좀처럼나지않는다 25.5 45.8 25.0 47.0-1.2 관련정보가부족하다 7.1 25.6 8.5 22.8 2.8 사전계획을세우기어렵다 4.6 24.1 2.7 12.1 12.0 관심있는프로그램이없다 3.7 10.9 12.0 27.3-16.4 문화공간까지의교통이불편하다 3.1 13.9 7.2 21.2-7.3 시설 ( 편의시설 ) 이불편하다 0.9 4.1 3.2 10.8-6.7 기타 1.1 1.4 1.2 1.3 0.1 < 문화예술관련교육경험 > (base : n=2,110, 단위 =%) 전체본조사결과 (A) 서울서베이 (2012)(B) 차이 (A-B) 직장에서받은교육, 훈련 16.8 9.8 7.0 학원, 사회 ( 평생 ) 교육원수강 17.9 10.8 7.1 지역 / 백화점문화센터, 주민센터등강좌수강 25.2 9.7 15.5 TV 및인터넷학습강좌수강 20.5 9.5 11.0 스터디클럽, 개인과외등 15.1 6.8 8.3 기타 6.4 - - 받아본적없다 36.0 65.5-29.5 모름 / 무응답 0.5 - - < 서울의문화환경만족도 > (base : n=2,110, 단위 =%, 점 ) 전체 본조사결과 (A) 서울서베이 (2012)(B) 차이 (A-B) 만족 ( 매우 + 약간 ) 48.7 48.9-0.2 보통 37.9 42.8-4.9 불만족 ( 매우 + 약간 ) 13.4 8.3 5.1 100점평균 ( 점 ) 60.4 63.8-3.4 < 삶의질만족도 > (base : n=2,110, 단위 =%, 점 ) 전체 본조사결과 (A) 서울서베이 (2012)(B) 차이 (A-B) 만족 ( 매우 + 약간 ) 72.3 - - 보통 21.9 - - 불만족 ( 매우 + 약간 ) 5.8 - - 100점평균 ( 점 ) 71.3 72.2-0.9 020 021

지표별조사결과및주요특성 1. 여가와문화예술 금번설문의응답자들은여가활동측면에서서울일반시민과비교해 TV/ 비디오시청비중이낮은반면문화예술 관람비중이높게나타나고있으며, 가장희망하는여가활동에서도문화예술관람에대한응답이일반시민대비 3 배이상높게나타남 문화예술에대한관심도는 100 점만점평균 90.8 점으로 매우관심 수준에해당 여가활동은주로 가족 ( 친척포함 ) 과함께 (37.4%) 하는비중이가장높게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친구 / 혼자여 가활동을즐기는비중이높은편임. 이는 20-30 대비중이높은표본의특성이반영된결과로보임 < 여가활동과문화예술 > (base : n=2,110, 단위 =%, 점 ) 구분주요결과비교 (2012 서울서베이 ) 1-1. 주로하는여가활동 1 순위 TV 또는비디오 (DVD) 시청 26.5 43.7 종합순위문화예술관람 ( 연극, 영화, 연주회등 ) 68.8 21.4 1-2. 여가활동동반자가족 ( 친척포함 ) 과함께 37.4 46.4 1-3. 가장희망하는여가활동 1 순위문화예술관람 ( 연극, 영화, 연주회등 ) 41.3 11.6 종합순위문화예술관람 ( 연극, 영화, 연주회등 ) 70.4 24.7 1-4. 문화예술관심도 11) 90.8(4.63) ( 매우관심 수준 ) 일반시민 3.58 재단회원 4.47 30-40 대의주여가활동에서문화예술관람의비중은을한경우에도자녀가없는경우에는미혼수준을유 지하지만, 자녀가생길경우급격하게감소하고, 가족중심의여행 / 나들이의비중이증가하는경향을보이고있음 자녀가있는부모를기준으로, 자녀와여행 / 나들이를하는비중은자녀가초등학생이하일때가장높게나타나다 가자녀가중학생이상이되면감소하는경향을보임 을할경우자연스럽게배우자가여가활동의동반자가되고, 자녀가생길경우친구 / 혼자여가활동을하는비 중이줄면서가족여가활동의비중이크게증가하는경향을보임 전체적으로기혼자는미혼자대비가족과여가활동을즐기는방식으로큰방향전환이일어나지만, 가족과즐기는 방식은자녀가초등학생이하일때최고수준을보이다가자녀가성장할수록가족의비중이줄면서친구또는혼 자즐기는비중이증가하는경향이나타남 < 여가활동동반자 > (base : n=2,110, 단위 =%) 구분 사례수 가족 / 친척 친구 / 연인 혼자 20대 남성 (109) 3.7 53.2 39.4 20대 여성 (412) 10.2 54.1 34.5 30-40대 미혼 남성 (177) 4.0 43.5 42.9 30-40대 미혼 여성 (438) 10.7 47.0 37.4 30-40대 기혼 자녀없음 ( 남 ) (42) 57.1 19.0 19.0 30-40대 기혼 자녀없음 ( 여 ) (80) 73.8 8.8 15.0 30-40대 기혼 자녀있음 ( 남 ) (162) 80.2 5.6 10.5 30-40대 기혼 자녀있음 ( 여 ) (395) 88.4 4.3 5.6 기혼 자녀취학 미취학아동 (198) 90.9 2.5 6.1 기혼 자녀취학 초등학생 (221) 91.0 3.6 5.0 기혼 자녀취학 중학생 (106) 73.6 5.7 12.3 기혼 자녀취학 고등학생 (56) 67.9 10.7 12.5 기혼 자녀취학 대학생이상 (190) 45.3 11.6 25.8 여성은남성에비해문화예술에대한 적극적 관심이높고, 이런경향은 30대까지유지되지만을하게되면 관심도가줄어들고, 자녀가생기면미혼대비 30% 정도관심도가감소하는경향을나타냄. 가정살림이나양육측 면에서여성의부담이커지기때문에남성대비관심도의하락이크게나타나고있음 30대여성대비 40대여성이문화예술에대해관심도가낮은것은 40대가될경우자녀의양육에서중고생자녀 의교육지원으로방향이바뀌고, 관여도가높아지기때문으로보임 < 주로하는여가활동 > (base : n=2,110, 단위 =%) 구분 사례수 문화예술관람 ( 연극, 영화, 연주회등 ) 여행, 야외나들이 20대 남성 (109) 76.1 30.3 20대 여성 (412) 82.5 39.6 30-40대 미혼 남성 (177) 72.9 33.3 30-40대 미혼 여성 (438) 76.7 36.3 30-40대 기혼 자녀없음 ( 남 ) (42) 69.0 42.9 30-40대 기혼 자녀없음 ( 여 ) (80) 72.5 53.8 30-40대 기혼 자녀있음 ( 남 ) (162) 54.9 64.2 30-40대 기혼 자녀있음 ( 여 ) (395) 53.2 67.8 기혼 자녀취학 미취학아동 (198) 50.5 73.2 기혼 자녀취학 초등학생 (221) 57.9 71.0 기혼 자녀취학 중학생 (106) 55.7 51.9 기혼 자녀취학 고등학생 (56) 48.2 46.4 기혼 자녀취학 대학생이상 (190) 57.4 52.1 < 문화예술관심도 > (base : n=2,110, 단위 =%) 구분 사례수 매우관심있음 100점평균 ( 점 ) 20대 남성 (109) 69.7 91.1 20대 여성 (412) 75.7 93.6 30-40대 미혼 남성 (177) 72.9 93.1 30-40대 미혼 여성 (438) 72.4 92.7 30-40대 기혼 자녀없음 ( 남 ) (42) 73.8 93.5 30-40대 기혼 자녀없음 ( 여 ) (80) 66.3 90.9 30-40대 기혼 자녀있음 ( 남 ) (162) 58.0 87.5 30-40대 기혼 자녀있음 ( 여 ) (395) 50.1 85.6 30대 기혼 자녀있음 ( 여 ) (136) 55.1 87.1 40대 기혼 자녀있음 ( 여 ) (259) 47.5 84.7 11) 2013 년서울문화재단인지도및서울시민문화예술인식 참여실태설문조사결과보고서의 문화예술에대한평소관심도 활용 022 023

문화예술이삶에서차지하는비중이매우높다고응답한 적극적 문화향유계층의비중은남성과여성의차이가 거의없다는점이특징적이며, 자녀가생겼을경우급격하게감소하는경향을동일하게나타남 < 문화예술중요도 > (base : n=2,110, 단위 =%) 구분사례수매우비중높음 100 점평균 ( 점 ) 20 대 남성 (109) 33.0 75.7 20 대 여성 (412) 32.5 77.5 30-40 대 미혼 남성 (177) 31.1 74.0 30-40 대 미혼 여성 (438) 33.3 77.5 30-40 대 기혼 자녀없음 ( 남 ) (42) 23.8 68.5 30-40 대 기혼 자녀없음 ( 여 ) (80) 28.8 71.3 30-40 대 기혼 자녀있음 ( 남 ) (162) 17.9 63.1 30-40 대 기혼 자녀있음 ( 여 ) (395) 10.1 57.1 2. 문화관람 서울서베이를통해확인된일반시민의문화활동의경우연평균영화 2.4 회관람을제외하고는거의문화활동이 나타나지않는반면, 금번설문응답자의경우영화관람횟수가 9.8 회로일반시민대비 4 배정도높게나타남 또한일반시민의경우전시회 공연관람을거의하지않는반면금번설문응답자들은거의모든문화활동에서 최소 26.9% 이상의경험률과평균 1 회이상의높은이용횟수를보이고있음. 특히연극와전시회관람은각각 9.0 회와 6.3 회로영화를제외한문화활동에서가장높은비중을차지하는것으로나타남 < 문화관람활동 > (base : n=2,110, 단위 =%, 회, 원 ) 문화활동관람률 2-1. 문화관람활동실태 구분 참여율 본조사 이용횟수 2012 서울서베이 주요결과 본인지불횟수 본조사 연간비용 2012 서울서베이 극장에서영화관람 94.7 9.75 2.41 7.9 93,549 38,890 전시회관람 84.2 6.30 0.15 2.9 47,207 16,582 연극공연관람 75.8 9.00 0.31 6.2 254,514 59,106 박물관관람 64.2 2.43 0.19 1.1 11,650 10,852 축제 ( 야외행사포함 ) 관람 57.6 1.87-0.4 15,892 - 음악, 무용발표회관람 55.4 2.95 0.09 1.5 71,763 69,121 대중공연관람 35.8 1.01 0.12 0.6 43,896 61,829 전통예술공연관람 33.6 1.17 0.28 0.3 7,388 11,327 스포츠경기관람 26.9 1.02 0.28 0.6 13,773 38,351 2-2. 유료문화콘텐츠이용경험이용률 54.4, 월평균이용횟수 4.6 회 2-3. 문화관람활동애로사항 1 순위비용이많이든다 53.9 40.2 종합순위비용이많이든다 72.3 54.7 최근 1년내 1회이상관람경험이있는영화와연극의관람률을분석한결과, 자녀가있는기혼남성을제외하고 는영화에서는관람률변화가없는반면, 연극의경우자녀가생기면남성과여성모두에서관람률이감소하는경 향이나타남 관람경험자를기준으로 1년동안의영화와연극관람횟수를비교한결과에서도, 영화와연극모두에서자녀가 있을경우관람횟수가급격하게줄어드는것으로나타남 < 문화예술관람률 > (base : n=2,110, 단위 =%) 구분 사례수 극장에서영화관람 연극등공연관람 20대 남성 (109) 94.5 69.7 20대 여성 (412) 97.3 85.0 30-40대 미혼 남성 (177) 92.7 74.0 30-40대 미혼 여성 (438) 96.3 82.9 30-40대 기혼 자녀없음 ( 남 ) (42) 90.5 76.2 30-40대 기혼 자녀없음 ( 여 ) (80) 96.3 80.0 30-40대 기혼 자녀있음 ( 남 ) (162) 88.9 63.6 30-40대 기혼 자녀있음 ( 여 ) (395) 94.4 67.6 연극에는뮤지컬이포함되어있음 < 문화예술관람횟수 ( 관람자기준 )> (base : n=2,110, 단위 = 회 ) 구분 영화사례수 영화횟수 연극등사례수 연극등횟수 20대 남성 (103) 13.8 (76) 10.4 20대 여성 (401) 12.2 (350) 15.9 30-40대 미혼 남성 (164) 14.1 (131) 13.8 30-40대 미혼 여성 (422) 12.0 (363) 18.7 30-40대 기혼 자녀없음 ( 남 ) (38) 10.1 (32) 9.6 30-40대 기혼 자녀없음 ( 여 ) (77) 10.3 (64) 12.8 30-40대 기혼 자녀있음 ( 남 ) (144) 6.6 (103) 7.2 30-40대 기혼 자녀있음 ( 여 ) (373) 6.7 (267) 3.9 연극에는뮤지컬이포함되어있음 024 025

20-30대미혼의유료지불관람횟수는차이가없지만, 합계비용은여성이남성보다큰것으로나타남 본인지불기준관람횟수에서영화의감소폭대비연극의감소폭이큰것은연극 ( 뮤지컬 ) 이영화대비비용부담 이크기때문인것으로판단됨 미혼일경우여성은연극 ( 뮤지컬 ) 에큰비용을지출하는반면, 을하고자녀가생기게되면비용부담때문에 본인지불비중이줄어듬 < 본인지불문화예술관람횟수 > (base : n=2,110, 단위 = 회 ) 구분 사례수 전시회 박물관 음악 전통예술 연극등 영화 합계 20대 남성 (109) 3.5 0.8 1.4 0.3 5.0 10.5 22.7 20대 여성 (412) 3.3 0.8 1.3 0.3 10.0 9.7 27.0 30-40대 미혼 남성 (164) 3.4 0.8 2.6 0.6 7.5 10.7 28.1 30-40대 미혼 여성 (422) 3.4 1.0 1.7 0.3 11.1 9.0 28.3 30-40대 기혼 자녀없음 ( 남 ) (42) 3.4 1.1 1.5 0.7 3.8 7.3 20.5 30-40대 기혼 자녀없음 ( 여 ) (80) 2.8 0.7 1.3 0.1 7.5 8.0 21.4 30-40대 기혼 자녀있음 ( 남 ) (162) 1.5 1.3 0.9 0.2 2.1 5.1 13.1 30-40대 기혼 자녀있음 ( 여 ) (395) 2.2 1.8 0.7 0.2 1.5 5.4 12.9 연극에는뮤지컬이포함되어있음 < 본인지불문화예술관람비용 ( 전체 )> (base : n=2,110, 단위 = 원 ) 구분 사례수 전시회 박물관 음악 전통예술 연극등 영화 합계 20대 남성 (109) 40,725 8,252 45,073 7,028 117,569 152,459 410,454 20대 여성 (412) 43,552 6,429 72,466 4,964 440,560 106,817 769,371 30대 미혼 남성 (125) 58,720 6,400 90,040 22,712 257,640 121,584 656,000 30대 미혼 여성 (342) 57,348 9,003 85,716 6,135 444,012 95,851 821,262 40대 미혼 남성 (52) 31,808 12,731 126,731 10,192 202,115 108,615 592,096 40대 미혼 여성 (96) 31,294 9,010 125,573 5,667 452,969 78,813 755,992 30-40대 기혼 자녀없음 ( 남 ) (42) 55,286 12,238 67,619 16,310 123,095 94,000 455,857 30-40대 기혼 자녀없음 ( 여 ) (80) 38,088 6,063 85,625 1,138 279,125 92,713 556,388 30-40대 기혼 자녀있음 ( 남 ) (162) 40,698 17,438 42,685 4,938 88,704 82,889 342,290 30-40대 기혼 자녀있음 ( 여 ) (395) 52,797 20,023 40,175 5,484 112,696 70,876 346,966 연극에는뮤지컬이포함되어있음 일반시민보다문화예술관람에많은비용을지출하는고관여계층인만큼, 오히려비용에대한부담감을가장크 게느끼고있으며, 관람활동에좀더적극적이고많은비용을지출하는여성의비용부담이남성대비상대적으로 더높은특성을보임 자녀가있는기혼여성은미혼여성에비해적은비용을지출함에도불구하고비용에부담을느끼는것은가정경 제와자녀양육 / 교육비지출에대한부담감이반영된것으로판단됨 < 문화예술관람애로사항 (1+2 순위 )> (base : n=2,110, 단위 =%) 구분 사례수 비용이많이든다 시간이좀처럼나지않는다 관련정보가부족하다 사전계획을세우기어렵다 ( 예매, 예약등 ) 문화공간까지의교통이불편하다 20 대 남성 (109) 69.7 45.9 30.3 22.9 10.1 20 대 여성 (412) 82.0 51.0 23.1 22.6 6.6 30 대 미혼 남성 (164) 62.1 52.0 32.8 14.7 11.9 30 대 미혼 여성 (422) 74.0 46.6 21.9 25.6 14.8 40 대 미혼 남성 (42) 54.8 64.3 28.6 23.8 7.1 40 대 미혼 여성 (80) 66.3 42.5 23.8 32.5 15.0 30-40 대 기혼 자녀있음 ( 남 ) (162) 59.9 49.4 26.5 22.2 19.1 30-40 대 기혼 자녀있음 ( 여 ) (395) 76.5 42.0 24.3 23.0 17.7 3. 문화생활만족도 문화예술관련활동에대한전반적만족도를조사한결과 100 점만점평균 68.5 점으로 다소만족 수준에해당 자신의문화생활에대해관람횟수 ( 양 ) 만족도는대부분의항목에서 60 점대로나타났으며, 관람내용 ( 질 ) 만족도는 대부분 70 점대로나타나관람횟수에대한만족도가상대적으로낮았음 영화관람 과 연극공연 은관람횟수및관람내용만족도, 재관람의향모두타활동대비가장우수하게나타났으 며, 모든항목에서재관람의향이관람횟수및관람내용만족도에비해높게나타나문화활동에대한높은관심을 확인할수있음 < 문화생활만족도 > (base : n=2,110, 단위 = 점 ) 구분주요결과 ( ) 안의숫자는항목내순위를나타냄 3-1. 문화예술경험전반적만족도 68.5 ( 다소만족 수준 ) 3-2. 문화생활만족도 (100 점평균 ) 관람횟수만족도관람내용 ( 질 ) 만족도재관람의향 참여관람유형 전시회관람 68.0 (5) 70.8 (6) 79.6 (3) 박물관관람 67.3 (7) 70.1 (9) 76.3 (8) 음악, 무용발표회관람 67.3 (7) 73.1 (3) 78.5 (4) 전통예술공연관람 67.7 (6) 71.6 (5) 76.6 (7) 연극공연관람 72.5 (2) 75.8 (1) 84.2 (1) 극장에서영화관람 73.6 (1) 74.6 (2) 81.7 (2) 대중공연관람 67.2 (9) 72.1 (4) 77.1 (5) 축제 ( 야외행사포함 ) 관람 64.0 (11) 64.8 (11) 71.8 (11) 문화, 예능, 예술및교양관련교육 66.1 (10) 69.3 (10) 76.7 (6) 문화예술관련자원봉사활동 68.6 (4) 70.2 (7) 75.9 (9) 문화관련동호회활동 70.8 (3) 70.2 (7) 75.3 (10) 026 027

문화생활빈도가월 4회, 주 1회에접근하는시점까지문화생활에대해만족도가증가하다가 4회가넘어가면만족도에별다른변화가없는현상이확인되고있어, 문화생활빈도는적정기준을충족시키면그이후로는문화생활만족도에영향을미치지않는것으로나타남 단, 50세이상에서는시간적인여유가많기때문에적정기준이상승해월 4회이상은되어야만족도가증가하는경향을보이고있어, 50대이상의문화생활에적극적인특성이확인됨 전체적으로문화활동에대한관심도가높고활동에도적극적인여성이세부적인교육경험도남성보다높아, 학원 / 사회교육원및각종문화센터참여경험이고르게높은특성을보임 60세이상에서교육원과각종문화센터참여경험이높아지는특성을보이며, 해당계층은 TV 및인터넷학습강좌의경험또한높게나타남 < 문화예술관련교육참여 > (base : n=2,110, 단위 =%) < 계층별관람횟수 문화생활만족도 > (base : n=2,110, 단위 =%) 구분사례수매우만족만족합계 싱글녀 기혼자녀있음 50 세이상 1 회미만 (210) 8.6 49.0 57.6 2 회미만 (309) 11.0 54.4 65.4 4 회미만 (219) 16.4 53.9 70.3 4 회이상 (175) 16.6 51.4 68.0 1 회미만 (183) 8.2 47.0 55.2 2 회미만 (240) 13.3 52.1 65.4 4 회미만 (89) 23.6 49.4 73.0 4 회이상 (45) 20.0 51.1 71.1 1 회미만 (71) 15.5 43.7 59.2 2 회미만 (91) 14.3 53.8 68.1 4 회미만 (81) 18.5 49.4 67.9 4 회이상 (52) 34.6 40.4 75.0 구분사례수 직장에서받은교육 / 훈련 학원, 사회 ( 평생 ) 교육원 지역문화센터, 백화점문화센터, 주민센터 TV 및인터넷학습강좌 스터디클럽, 개인과외 전체 (2,110) 16.8 17.9 25.2 20.5 15.1 20 대 남성 (109) 16.5 15.6 19.3 18.3 20.2 20 대 여성 (412) 16.5 20.1 20.4 15.8 18.2 30 대 남성 (200) 20.5 8.5 12.0 22.0 17.0 30 대 여성 (538) 18.4 19.7 28.1 18.8 14.9 40 대 남성 (181) 19.9 10.5 16.6 21.5 8.3 40 대 여성 (375) 13.6 19.5 33.1 19.7 14.4 50 대 남성 (84) 22.6 13.1 14.3 27.4 10.7 50 대 여성 (137) 15.3 24.1 38.0 32.8 15.3 60 대 남성 (52) 1.9 26.9 46.2 32.7 11.5 60 대 여성 (22) 4.5 22.7 40.9 22.7 9.1 4. 문화참여 본설문응답자의문화예술관련교육경험 (64.0%) 은일반시민 (34.5%) 대비두배수준을보이고있으며, 자원 봉사활동참여경험또한두배이상으로높게나타나문화활동에적극적인계층이단순히문화영역에서만적극적 인것이아니라다양한사회활동에도적극적이라는것을보여주고있음 응답자의 54.4% 는지난 1 년간환경보전, 자녀교육등의자원봉사활동에참여한경험이있는것으로나타났으 며, 문화예술관련 봉사활동참여율이 34.3% 로가장높게나타남 문화관련동호회참여율은 35.4% 로나타남 < 문화참여관련조사결과만족도 > (base : n=2,110, 단위 =%, 회, 시간 ) 구분주요결과 ( ) 안의숫자는항목내순위를나타냄비교 (2013 서울서베이 ) 4-1. 문화예술관련교육참여율 64.0 34.5 12) 4-2. 자원봉사활동참여율 ( 전체 ) 54.4 연간참여횟수평균활동시간 20.3 환경보전등과관련 12.7 (3) 4.8 (4) 3.4 (3) 2.68 3.03 자녀교육등과관련 12.7 (3) 6.8 (3) 2.7 (4) 4.50 3.45 아동, 청소년, 어르신, 장애인, 재소자, 노숙자등과관련 19.2 (2) 14.0 (1) 4.0 (1) 3.44 1.20 문화예술관련 34.3 (1) 11.1 (2) 3.8 (2) - - 4-3. 문화관련동호회참여율참여 35.4 비참여 64.6 자료없음 5. 문화와삶 일반시민대상조사결과비교가능한삶의만족도 (71.3 점 <72.2 점 ) 와서울의문화환경만족도 (60.4 점 <64.1 점 ) 에서는본설문응답자들이약간낮은결과를보이고있어, 문화활동에적극적인계층에서삶의만족도가높게나 타난다고일반화할수는없음. 하지만본설문대상의동일그룹안에서는문화생활에만족하는계층의삶의만 족도가높은특성을보이고있기때문에, 문화환경개선을통해삶의만족도를향상시킬수있는가능성은열려 있다고볼수있음 문화와삶에대한만족도중거주지주변문화환경에대한만족도가 51.4 점으로가장낮은수준으로평가를받고 있어, 거주지주변문화환경수준에대한아쉬움과개선필요성이반영된결과로볼수있음 자신의일상생활에서문화예술이차지하는비중을뜻하는문화예술중요도는 100 점만점평균 70.8 점으로 다 소중요 수준에해당 < 문화 / 삶관련조사결과 > (base : n=2,110, 단위 = 점 ) 구분 주요결과 ( ) 안의숫자는항목내순위를나타냄 비교 (2013 서울서베이 ) 5-1. 거주지주변문화환경만족도 51.4 ( 보통 수준 ) 자료없음 5-2. 서울의문화환경만족도 60.4 ( 다소만족 수준 ) 64.1 5-3. 인생에서문화예술중요도 70.8 ( 다소중요 수준 ) 자료없음 5-4. 삶의만족도 71.3 ( 다소만족 수준 ) 72.2 12) 2012 년서울서베이평생교육경험지표결과활용 028 029

미혼일경우 20-40 대까지공통적으로문화예술에대한중요도와만족도는삶의만족도로이어지는경향이나타 나지만, 을하고자녀를낳게되면삶의만족도에다양한변수가개입되기때문에 30-40 대에서는문화예술 에대한경험과삶의만족도의연관성이상대적으로약해지고있음. 하지만본조사결과는문화활동고관여자를 대상으로이루어진만큼문화생활만족도와삶의만족도간의상관관계를일반시민에까지확대적용하는데는한 계가있다고판단됨 특히문화예술관련활동에적극적이었던여성은출산과자녀양육 / 교육등의부담으로인해문화예술에대한중 요도가떨어지면서남성대비삶의만족도가하락하는경향을나타냄 50 대이상에서는자녀양육에대한부담이줄면서삶에서문화예술의중요성이높아지고, 문화예술에대한만족 도또한상승하고있음. 이는 60 세이상노년층에서삶의만족도상승으로연결된다고볼수있음 결론적으로, 문화활동에대한욕구와참여수준이높은고관여자그룹에서는일반시민과달리문화활동을통한 만족도가삶의만족도로이어진다고볼수있음 < 문화 / 삶관련조사결과 > (base : n=2,110, 단위 =%) 구분 사례수 문화예술중요도 문화예술전반적만족도 거주지문화환경만족도 서울의문화환경만족도 삶의만족도 내용높음만족만족만족만족 전체 (2110) 70.0 63.6 35.1 48.7 66.9 20 대 남성 (109) 80.7 62.4 38.5 57.8 61.5 20 대 여성 (412) 82.8 67.5 32.3 54.1 71.1 30-40 대 미혼 남성 (177) 76.8 54.0 30.5 37.9 68.9 30-40 대 미혼 여성 (438) 82.2 63.5 32.0 45.0 70.1 30-40 대 기혼 자녀없음 ( 남 ) (42) 66.7 57.1 26.2 57.1 69.0 30-40 대 기혼 자녀없음 ( 여 ) (80) 68.8 56.3 37.5 46.3 58.8 30-40 대 기혼 자녀있음 ( 남 ) (162) 53.7 50.6 37.0 48.1 71.0 30-40 대 기혼 자녀있음 ( 여 ) (395) 44.3 69.1 41.8 52.9 64.8 50 대 (221) 70.1 66.5 35.3 44.8 55.2 60 세이상 (74) 68.9 68.9 37.8 41.9 71.6 그룹별문화활동특성과삶의만족도 1. 문화활동특성그룹구분 세대 / / 자녀유무등에따라차이를보이는문화에대한욕구, 참여도와참여방식, 문화생활의애로사항들을 종합하여아래와같이문화활동에대한 8개의문화향유특성그룹을도출함 문화활동고관여자그룹의 8개세분화된특성을파악함으로써 문화활동에대한열정과에너지 가과육아라 는변수에의해어떻게변형되고, 장기적으로노년기에문화와삶의관계가어떻게회복되는지이해할수있음 <8개문화활동특성그룹 > 세대 8개특성그룹 20대 현실에대한불안을문화로극복하는 < 문화열광족 > 30대 문화에아낌없이투자하는 < 화려한싱글녀 > 문화최전방에서물러나육아의행복에빠진 < 육아맘 > 성장하는자녀들과집근처에서놀고싶은 < 프렌디 > 40대 본인은문화소외층이지만아이를위해문화를찾는 < 컬처맘 > 30대처럼화려하지만조금외롭고피곤한 < 블루싱글녀 > 50대 양육의그늘에서벗어나문화강좌에열광하는 < 낭만족 > 60대 문화만족이삶의만족으로연결되는행복한 < 액티브시니어 > <8개특성그룹별응답자분포 > 구분 응답자수 ( 명 ) 비율 (%) 총 2,110명 100.0% 구분 남성 626 29.7 여성 1,484 70.3 29세이하 521 24.7 30대 738 35.0 별구분 40대 556 26.4 50대 221 10.5 60세이상 74 3.5 20대문화열광족 521 24.7 30대화려한싱글녀 342 16.2 30대육아맘 136 6.4 특그룹 13) 40대프렌디 113 5.4 40대컬처맘 259 12.3 40대블루싱글녀 96 4.5 50대낭만족 221 10.5 60대액티브시니어 74 3.5 13) 20 대, 50 대, 60 대는해당대전체가동일한특성을보이는반면, 출산, 육아등으로변화가많은 30~40 대는그중뚜렷한특징을보이는 일부그룹만세분화하였음. 030 031

< 그룹별주요지표조사결과 _ 8 개특성그룹비교 > < 그룹별주요지표조사결과 _ 전세대및비교 > 5 개세대구분 20 대 ( 이하 ) 30 대 8 개그룹구분 문화열광족 (=20 대전체 ) 화려한싱글녀 문화예술관심도 ( 점 ) 문화예술의중요도 ( 점 ) 문화예술관람횟수 ( 연간평균총계 ) 문화예술지불금액 ( 연간평균총계 ) 문화예술경험전반만족도 ( 점 ) 서울문화환경만족도 ( 점 ) 거주지문화환경만족도 ( 점 ) 삶의만족도 ( 점 ) 93.0 77.1 39.9 694,281 69.1 63.1 49.3 70.1 93.3 78.1 44.0 821,262 68.1 58.0 50.1 69.2 육아맘 87.1 57.0 24.4 364,625 68.6 61.6 54.8 77.2 30 대전체 91.8 72.2 37.3 639,597 67.9 59.3 51.2 71.0 내용프렌디 86.5 61.5 23.8 402,655 64.6 59.5 52.7 72.1 내용컬처맘 84.7 57.1 20.8 337,693 69.5 63.0 56.5 74.4 내용블루싱글녀 90.6 75.3 46.8 755,992 68.0 60.4 49.7 69.7 내용 50 대 60 대 ( 이상 ) 40 대전체 낭만족 (=50 대전체 ) Active Senior (=60 대전체 ) 87.2 63.1 30.1 450,311 67.3 60.1 52.6 71.8 91.4 70.1 31.6 342,575 71.4 59.4 52.7 72.7 89.2 72.6 38.6 283,768 70.3 58.1 55.4 74.4 응답자전체평균 90.8 70.8 35.5 559,632 68.5 60.4 51.4 71.3 여가활동동반자 (1 위 ) 친구 (53.9%) 2 위 : 혼자서 (35.5%, 타대비 1 위 ) 친구 (48.2%) 2 위 : 혼자서 (36.8%) 가족 (94.1%) 가족 (36.3%) 2 위 : 친구 (33.6%) 가족 (78.8%) 가족 (85.3%) 친구 (42.7%) 2 위 : 혼자서 (39.6%) 가족 (62.6%) 가족 (43.9%) 2 위 : 혼자서 (28.1%) 타대비 2 위 : 동호회 (12.2%) 가족 (41.9%) 타대비 1 위 : 동호회 (18.9%) 가족 (37.4%) 그룹구분 20 대전체 (= 문화열광족 ) 문화예술관심도 ( 점 ) 문화예술의중요도 ( 점 ) 문화예술관람횟수 ( 연간평균총계 ) 문화예술지불금액 ( 연간평균총계 ) 문화예술경험전반만족도 ( 점 ) 서울문화환경만족도 ( 점 ) 거주지문화환경만족도 ( 점 ) 삶의만족도 ( 점 ) 93.0 77.1 39.9 694,281 69.1 63.1 49.3 70.1 남성 91.1 75.7 38.1 410,454 68.6 63.8 50.9 71.1 여성 93.6 77.5 40.3 769,371 69.2 63.0 48.8 69.9 30 대전체 91.8 72.2 37.3 639,597 67.9 59.3 51.2 71.0 남성 92.8 72.3 36.1 528,730 67.0 59.6 51.0 68.5 여성 91.5 72.2 37.8 680,811 68.2 59.2 51.3 71.9 화려한싱글녀 93.3 78.1 44.0 821,262 68.1 58.0 50.1 69.2 육아맘 87.1 57.0 24.4 364,625 68.6 61.6 54.8 77.2 40 대전체 87.2 63.1 30.1 450,311 67.3 60.1 52.6 71.8 50 대전체 (= 낭만족 ) 남성 88.5 64.9 34.3 451,050 64.3 55.9 48.3 69.6 프렌디 86.5 61.5 23.8 402,655 64.6 59.5 52.7 72.1 여성 86.5 62.3 28.1 449,954 68.7 62.1 54.6 72.8 컬처맘 84.7 57.1 20.8 337,693 69.5 63.0 56.5 74.4 블루싱글녀 90.6 75.3 46.8 755,992 68.0 60.4 49.7 69.7 91.4 70.1 31.6 342,575 71.4 59.4 52.7 72.7 남성 92.0 68.5 34.3 383,024 71.1 56.3 53.3 70.1 여성 91.1 71.2 30.0 317,774 71.5 61.3 52.4 74.3 60 대전체 (=Active Senior) 89.2 72.6 38.6 283,768 70.3 58.1 55.4 74.4 남성 88.0 72.6 40.2 330,612 71.6 58.7 52.9 74.2 여성 92.0 72.7 35.0 173,045 67.0 56.8 61.4 75.0 응답자전체평균 90.8 70.8 35.5 559,632 68.5 60.4 51.4 71.3 < 참고 > 5 개세대간비교시최고 8 개그룹비교시최고기타고려대상 ( 최저, 2 위등 ) 032 033

그룹구분 20 대전체 (= 문화열광족 ) 문화예술관람 주로하는여가활동 (1~3 순위종합 ) 여행 / 나들이 TV 등시청 문화예술관람의가장큰장애요인 (1~2 순위종합 ) 비용시간교통육아가족혼자친구 여가활동동반자 81.2 37.6 60.8 79.5 49.9 7.3 0.2 8.8 35.5 53.9 1.3 남성 76.1 30.3 45.9 69.7 45.9 10.1 0.0 3.7 39.4 53.2 3.7 여성 82.5 39.6 64.8 82.0 51.0 6.6 0.2 10.2 34.5 54.1 0.7 30 대전체 71.1 45.5 63.3 68.2 48.8 12.9 2.0 36.3 25.6 33.6 3.4 남성 70.5 37.0 56.5 57.0 60.5 9.5 1.0 30.0 25.5 37.0 7.0 동호회 < 주요지표들의대별변화양상비교그래프 > 14) [ 문화예술경험전반만족도 서울문화환경만족도 거주자문화환경만족도 삶의만족도비교 ] 80 71 70 70 70 69 69 69 60 63 64 63 71 68 59 69 67 60 72 69 68 68 59 58 77 69 62 55 72 67 60 70 64 56 73 69 62 55 72 65 60 74 70 63 57 70 68 60 73 71 59 71 70 56 74 74 74 72 61 70 58 55 72 59 75 67 61 57 71 69 60 여성 71.4 48.7 65.8 72.3 44.4 14.1 2.4 38.7 25.7 32.3 2.0 화려한싱글녀 77.5 36.3 65.2 74.0 47.4 14.0 0.0 10.2 36.8 48.2 2.9 50 49 51 49 51 51 51 50 53 48 53 50 53 53 52 53 51 육아맘 54.4 78.7 66.9 69.9 37.5 14.0 9.6 94.1 4.4 1.5 0.0 40대전체 58.6 56.7 63.8 73.0 43.7 19.2 0.7 62.6 19.8 13.7 3.6 남성 58.6 59.1 59.7 64.1 43.1 19.9 0.0 55.8 27.6 11.0 5.5 프렌디 54.0 69.0 59.3 68.1 43.4 20.4 0.0 78.8 10.6 6.2 4.4 여성 58.7 55.5 65.9 77.3 44.0 18.9 1.1 65.9 16.0 14.9 2.7 40 20 대전체 ( 문화열광족 ) 20 대남성 20 대여성 30 대전체 30 대남성 30 대여성 30 대화려한싱글녀 30 대육아맘 40 대전체 40 대남성 40 대여성 40 대프렌디 40 대컬처맘 40 대블루싱글녀 50 대전체 ( 낭만족 ) 50대남성 50대여성 60대전체 (Active Senior) 60 대남성 60 대여성 전체평균 컬처맘 52.5 62.2 65.3 79.9 44.4 19.7 1.2 85.3 6.2 5.8 2.7 문화예술경험전반만족도 ( 점 ) 서울문화환경만족도 ( 점 ) 거주지문화환경만족도 ( 점 ) 삶의만족도 ( 점 ) 블루싱글녀 74.0 36.5 71.9 74.0 43.8 17.7 1.0 12.5 39.6 42.7 3.1 50 대전체 (= 낭만족 ) 63.8 49.8 53.4 71.0 39.8 17.6 0.0 43.9 28.1 13.1 12.2 남성 52.4 48.8 52.4 59.5 45.2 14.3 0.0 40.5 29.8 10.7 16.7 [ 문화예술관심도 중요도 만족도비교 ] 100 여성 70.8 50.4 54.0 78.1 36.5 19.7 0.0 46.0 27.0 14.6 9.5 60 대전체 (=Active Senior) 48.6 54.1 48.6 60.8 20.3 18.9 0.0 41.9 23.0 14.9 18.9 93 90 91 94 92 93 92 93 87 87 89 87 87 85 92 91 91 91 89 88 92 91 남성 50.0 53.8 44.2 59.6 19.2 21.2 0.0 46.2 23.1 13.5 15.4 여성 45.5 54.5 59.1 63.6 22.7 13.6 0.0 31.8 22.7 18.2 27.3 응답자전체평균 68.8 47.3 61.3 72.3 45.8 13.9 0.9 37.4 26.7 30.6 4.4 < 참고 > 5개세대간비교시최고 8개그룹비교시최고 기타고려대상 ( 최저, 2위등 ) 80 78 77 76 70 69 69 69 60 72 72 72 68 68 67 78 68 69 67 63 65 64 69 65 62 62 70 75 68 72 71 71 71 70 69 73 70 73 73 72 67 71 69 57 57 50 20 대전체 ( 문화열광족 ) 20 대남성 20 대여성 30 대전체 30 대남성 30 대여성 30 대화려한싱글녀 30 대육아맘 40 대전체 40 대남성 40 대여성 40 대프렌디 40 대컬처맘 40 대블루싱글녀 50 대전체 ( 낭만족 ) 50대남성 50대여성 60대전체 (Active Senior) 60 대남성 60 대여성 전체평균 문화예술관심도 ( 점 ) 문화예술의중요도 ( 점 ) 문화예술경험전반만족도 ( 점 ) 14) 그래프에표시된데이터값은편의상반올림하여표시된것임 034 035

[ 문화예술관람지불금액총액과관람횟수비교 ] [ 주로하는여가활동 : 문화예술관람, 여행 / 나들이, TV 등시청 ] 900 50 90 800 40 700 694 38 769 40 37 640 36 600 529 500 410 400 300 200 821 47 45 44 756 39 40 40 681 38 35 36 34 34 35 32 560 30 30 30 28 24 450 451 450 24 25 403 383 365 21 338 343 318 331 20 284 15 173 10 100 5 81 80 70 61 60 50 40 38 30 76 46 30 83 65 40 77 71 71 71 66 65 63 57 49 46 37 36 79 67 54 66 64 60 59 59 59 57 55 69 59 54 65 62 53 74 72 36 64 53 50 52 49 71 54 50 54 49 54 50 44 59 55 45 69 61 47 20 대전체 ( 문화열광족 ) 0 0 20 대남성 20 대여성 30 대전체 30 대남성 30 대여성 30 대화려한싱글녀 30 대육아맘 40 대전체 40 대남성 40 대여성 40 대프렌디 40 대컬처맘 40 대블루싱글녀 50 대전체 ( 낭만족 ) 50대남성 50대여성 60대전체 (Active Senior) 60 대남성 60 대여성 전체평균 20 20 대전체 ( 문화열광족 ) 20 대남성 20 대여성 30 대전체 30 대남성 30 대여성 30 대화려한싱글녀 30 대육아맘 40 대전체 40 대남성 40 대여성 40 대프렌디 40 대컬처맘 40 대블루싱글녀 50 대전체 ( 낭만족 ) 50대남성 50대여성 60대전체 (Active Senior) 60 대남성 60 대여성 전체평균 문화예술지불금액 ( 연간평균총계 ) 문화예술관람횟수 ( 연간평균총계 ) 문화예술관람 여행 TV 시청 [ 문화예술관람지불금액회당평균금액과관람횟수비교 ] [ 문화예술관람활동주요장애요인 : 비용, 시간, 교통, 육아 ] 25 50 90 20 40 17 15 10 38 11 40 19 37 17 36 15 38 18 44 19 15 15 30 24 34 13 16 28 17 24 47 16 16 21 34 32 30 11 11 11 39 40 35 36 16 45 40 35 30 25 20 80 79 70 60 50 50 40 70 46 82 51 68 49 61 57 72 44 74 47 70 38 73 64 44 43 77 68 44 43 80 74 44 44 71 40 60 45 78 36 61 60 64 72 46 5 7 8 5 15 10 5 30 20 10 7 10 7 13 10 14 14 14 10 19 20 19 20 20 18 18 14 20 20 19 21 19 23 14 14 20 대전체 ( 문화열광족 ) 0 0 20 대남성 20 대여성 30 대전체 30 대남성 30 대여성 30 대화려한싱글녀 30 대육아맘 40 대전체 40 대남성 40 대여성 40 대프렌디 40 대컬처맘 40 대블루싱글녀 50 대전체 ( 낭만족 ) 50대남성 50대여성 60대전체 (Active Senior) 60 대남성 60 대여성 전체평균 문화예술관람시회당평균지불금액 문화예술관람횟수 ( 연간평균총계 ) 20 대전체 ( 문화열광족 ) 0 0 0 0 20 대남성 20대여성 30대전체 2 1 2 30 대남성 30 대여성 0 30 대화려한싱글녀 30 대육아맘 40 대전체 1 0 40대남성 40대여성 1 1 1 0 0 0 40 대프렌디 40 대컬처맘 40 대블루싱글녀 50대전체 ( 낭만족 ) 50대남성 50대여성 0 0 0 0 60 대전체 (Active Senior) 60 대남성 60 대여성 비용 여유시간 교통편리성 육아 1 전체평균 036 037

[ 여가활동동반자 : 가족, 혼자, 친구, 동호회 ] 2. 특성그룹별주요조사결과 100 조사결과 90 94 85 5 개세대 8 개특성그룹 문화향수활동특성 주요장애요인 50 40 36 30 20 9 1 20 대전체 ( 문화열광족 ) 80 70 60 54 53 54 10 0 39 34 10 4 3 1 20대남성 20대여성 66 63 56 48 39 37 37 36 34 32 30 28 26 26 26 20 16 15 14 30대전체 30대남성 10 7 3 2 30대여성 30대화려한싱글녀 4 1 0 30 대육아맘 11 6 4 3 40대전체 40대남성 40대여성 40대프렌디 79 43 40 13 11 6 6 4 3 3 40대컬처맘 40대블루싱글녀 46 44 42 40 30 28 27 23 19 17 15 15 13 12 11 9 50대전체 ( 낭만족 ) 50대남성 50대여성 60대전체 (Active Senior) 46 32 27 23 23 18 15 13 60대남성 60대여성전체평균 가족 혼자 친구 동호회 37 31 27 4 20 대 ( 이하 ) 30 대 현실의불안을문화로극복하는 < 문화열광족 > 문화에아낌없이투자하는 < 화려한싱글녀 > - 문화예술에대한관심도 (93.0 점 /90.8 점 ) 와인생에서문화예술의중요도 (77.1 점 /70.8 점 ) 가가장높은세대 - 주로하는여가활동중문화예술관람비율 ( 종합 ) 최고세대 (81.2%/68.8%) - 연간문화관람총횟수최고세대 (39.9 회 /35.5 회, 영화 9.9 회, 연극 9.0 회 ) - 그중본인지불건은 26.1 회 ( 이며, 이에대한문화비용연간지출총액도최대세대 (694,281 원 /559,632 원 ), 그중연극관람에가장많이지출 (372,986 원 ) - 희망하는여가활동으로문화관람을선택한비율이최고인세대 (78.5%/70.4%) - 삶의만족도는가장낮은세대 (70.1 점 /71.3 점 ) - 서울의전반적인문화환경만족도는최고 (63.1 점 /60.4 점 ) 이지만, 주거지문화환경만족도는최저인세대 (49.3 점 /51.4 점 ) - 여가활동은친구와함께 (53.9%) 가장많이하는데, 혼자서한다는비율이최대인세대 (35.5%/26.7%) - 유료문화콘텐츠사용율이최고인세대 (58.2%/54.4%) - 클럽, 개인교습방식의문화예술교육참여비율이최고인세대 (18.6%/15.1%) - 문화예술에대한관심도 (93.3 점 /90.8 점 ) 와인생에서문화예술의중요도 (78.1 점 /70.8 점 ) 가가장높은그룹 - 연간문화관람총횟수는블루싱글녀 (46.8 회 ) 에비해조금낮은 2 위 (44.0 회 ) 인그룹이지만, 본인지불비용은최대인그룹 (821,262 원 /559,632 원, 블루싱글녀는 755,992 원 ) - 본인지불관람건중연극 (15.0 회, 50,788 원 ), 음악, 무용 (3.5 회, 78,930 원 ) 등회당단가가비싼활동을주로하는그룹 - 삶의만족도최저그룹 (69.7 점 /71.3 점 ) - 서울문화환경만족도도최저인그룹 (58.0 점 /60.4 점 ) - 비용부족 (79.5%/72.3%), 시간부족 (49.9%/45.8%) 이장애라고한대답비율최고인세대 - 비용부족 (74.0%/72.3%) 과시간부족 (47.4%/45.8%) 이주된장애 문화최전방에서물러나육아의행복에빠진 < 육아맘 > - 삶에있어서문화예술의중요도최저그룹 (57.0 점 /70.8 점 ) - 삶의만족도는최고그룹 (69.7 점 /71.3 점 ) - 여가활동동반자가가족인비율최고그룹 (94.1%/37.4%) - 출산후문화예술관람비용급감 (821,262 원 364,625 원 ) - (15.0 회 6.6 회 ) 으로연극관람횟수줄다가자녀 (12.5 회 3.4 회 ) 로인해더욱급감. 극장과는안녕 - 정보부족 (30.1%/25.6%) 은 60 대다음으로 2 위, 육아문제 (9.6%/0.9%) 는타그룹대비 1 위 038 039

5 개세대 8 개특성그룹 문화향수활동특성 주요장애요인 5 개세대 8 개특성그룹 문화향수활동특성 주요장애요인 성장하는자녀들과집근처에서놀고싶은 < 프렌디 > - 문화예술경험전반만족도최저그룹 (64.6 점 /68.5 점 ) - 문화예술중요성이평균대비크게낮음 (61.6 점 /70.8 점 ) - 여가활동동반자로가족이 1 위 (78.8%/37.4%) - 여가형태 ( 종합 ) 로여행 / 나들이를가장많이하지만 (69.0%, 문화예술관람은 54.0%), 희망하고싶은것은문화예술관람 (40.7%, 여행 32.7%) - 자녀가중학생이되면서문화가 매우중요 하다는응답이크게증가 ( 초등학생자녀 :10.4% 중학생자녀 :20.8%) - 교통불편응답비율이최대인그룹 (20.4%/13.9%) - 비용부족 (68.1%/72.3%) 이컬처맘대비 10% 이상낮음 50 대 양육의그늘에서벗어나문화강좌에열광하는 < 낭만족 > - 문화예술경험전반에대한만족도최대세대 (71.4 점 /60.4 점 ) - 문화예술에대한관심도가부활 (40 대평균 87.2 점 91.4 점 / 전체평균 90.8 점 ) - 문화예술교육무경험비율최저세대 (28.1%/36.0%) - 문화예술동호회참여비율이 60 대에이어 2 위세대 (56.6%/35.4%) - 문화관련동호회활동횟수와질에대한만족도및재관람의사가최고인세대 - 60 대와비슷하게시간부족문제는적고 (38.9%45.8%), 정보부족 (28.1%/25.6%), 예매어려움 (27.1%/25.6%) 이타세대에비해높음 (60 대에이어 2 위 ) 40 대 본인은문화소외층이지만아이를위해문화를찾는 < 컬처맘 > 30 대처럼화려하지만조금외롭고피곤한 < 블루싱글녀 > - 거주지문화환경만족도최고그룹 (56.5 점 /51.4 점 ) - 문화예술중요성은 30 대육아맘 (57.0 점 ) 보다약간상승했지만최저수준 (57.1 점 /70.8 점 ) - 30 대육아맘에비해문화관람횟수도감소 (24.4 회 20.8 회 ), 지출총액도감소 (364,625 원 337,693 원 ) - 반면회당연극공연관람지불금액최고그룹 (78,536 원 /52,035 원, 20 대 48,833 원, 30 대싱글녀 50,788 원 )( 자녀동반관람추정 ) - 여가활동동반자가가족인비율높 (85.3%/37.4%) - 자녀가고등학생이되면서문화가 매우중요 하다는응답크게증가 ( 중학생자녀 : 7.6% 고등학생자녀 : 24.1%> - 문화예술교육참여방식으로스터디클럽참여가크게증가 (5.9% 16.6%)( 공주인문학경향 ) - 연간총문화예술관람횟수최대그룹 (46.8 회 /39.9 회 ) - 문화예술중요도 (75.3 점 /70.8 점, 30 대싱글녀 78.1 점 ), 지출총액도 30 대싱글녀 (821,262 원 ) 에이어여전히높음 (755,992 원 /694,281 원 ), 컬처맘 (337,693 원 ) 2 배이상 - 가장많이하는여가활동으로 TV 시청선택비율이 30 대시절에비해증가하고 (65.2% 71.9%/ 전체평균 61.3%) 8 개그룹중최대 - 여가활동동반자는친구 (42.7%) 또는혼자 (39.6%) - 혼자인비율이 8 개그룹중최고 ( 전체평균 26.7%) - 비용부족 (79.9%/72.3%) 응답이 20 대 (79.5%) 와비슷한수준으로높음 - 30 대싱글녀보다시간부족 (43.8%/45.8%) 은줄었지만, 비용부족 (74.0%/72.3%) 은동일 60 대 ( 이상 ) 문화만족이삶의만족으로연결되는행복한 <Active Senior> - 거주지문화환경만족도최고세대 (55.4 점 /51.4 점 ) - 삶의만족도최고세대 (74.4 점 /71.3 점 ) - 서울의문화환경만족도최저세대 (58.1 점 /60.4 점 ) - 문화관람비지출최저세대 (283,768 원 /694,281 원 ) - 여가활동 ( 종합 ) 으로 TV 시청선택비율최소 (48.6%/61.3%), 창작적취미활동은최대 (44.6%/37.0%) 세대 - 문화예술동호회참여비율최고세대 (66.2%/35.4%) - 여가동반자중동호회선택비율이최고세대 (18.9%/4.4%) - 문화예술교육참여방식으로지역문화센터수강비율이최고세대 (44.6%/25.2%) - 문화예술경험에대한전반적만족도가 50 대낭만족 (71.4 점 ) 에이어 2 위 (70.3 점 /68.5 점 ) - 전시관, 박물관관람횟수, 질만족도가타대비최고 - 연간총관람횟수는 38.6 회로 30 대 (37.3 회 ) 보다많고 20 대 (39.9 회 ) 에이어 2 위인세대 - 그중본인지불횟수는 16.6 회 - 1 년에연극을총 7.1 회보고그중본인이지불하는경우는 2.4 회 - 비용부족을가장중요한애로사항으로호소하지만 (60.8%/100%) - 타대대비비용부족 (60.8%/72.3%), 시간부족 (20.3%/45.8%) 이장애라고한대답은최저 - 정보부족 (36.5%) 과예매어려움 (39.2%) 이각각타대대비최고 040 041

3. 문화활동그룹상세특성 20대 _ 경제적인여력은가장약하지만문화예술이인생에있어중요하다고여기는비중이가장높은만큼 (77.1%/ 전체평균 70.8%) 가장활발한문화활동참여도를보이고있다.( 여가활동 1순위중문화예술관람응답비중이 30.9%/ 전체평균 24/0%). 광역단위로움직이기때문에거주지문화환경에대한만족도는낮지만 (49.3점/ 전체평균 51.4점 ), 서울의문화환경만족도는높은편 (63.1점/ 전체평균 60.4점 ) 이다. 하지만적극적인문화활동참여와비교해삶의만족도는다른세대와차이가거의없어 (70.1점/ 전체평균 71.3점. 세대중삶의만족도최저 ), 그나마문화활동을통해 20대의불안하고고단한삶을위로받고있다고추정할수있다. 20대문화열광족은평균한달에한번영화와연극을보고, 두달에한번전시회를가고있으며, 문화활동에지출하는비용은세대별비교중가장높은수준을보이고있음 ( 월평균 57,857원 / 전체평균 46,636원 ) 30대 < 싱글녀 > 와비교해자녀를가진 < 육아맘 > 은주요여가활동에서문화예술관람의비중이감소 (77.5% 54.4%) 하는반면, 남편 / 자녀와함께움직이는여행 / 나들이의비중이크게증가 (36.3% 78.7%) 하고있어과출산이 30대여성의문화활동방식을크게변화시키고있는것으로나타남 을하고자녀가생겼기때문에가족과함께여가활동을하는비중 (94.1%) 이증가하는것은당연한결과지만, 40대유자녀여성 (85.3%) 과비교했을때 10% 가깝게높아, 자녀출산과초기양육부담이 30대유자녀여성을 40대 < 컬처맘 > 과대비되는 < 육아맘 > 으로만들고있음을보여줌 30대미혼여성은 < 육아맘 > 이되면서, 문화예술에대한관심이 30% 가까이떨어지고 (74.3% 55.1%), 문화예술이삶에서가지는비중또한절반수준으로떨어지고, 관람횟수도연간 20회감소 (44.0회 24.4회 ) 한것으로나타남. 문화생활의애로사항에도 아기를맡길데가없다 는응답이 9.6% 로나타남 20대내에서는남성보다여성이주도적인역할을하고있으며, 이는본인지불관람횟수 (27.0회 >22.7회 ), 연간지불비용 (769,371원 >410,454원 ) 에서도분명하게확인되고있음 이들은주로친구와함께 (53.9%) 또는혼자서 (35.5%) 문화활동을즐기고, 설문대상 ( 서울문화재단홈페이지회원및사업참여자 ) 의특성을반영하여영화관람 (12.6회) 보다도연극관람 (14.9회) 을더많이하고있고, 앞으로도더많이하기를희망하는것 ( 연극재관람의향 86.2%) 으로나타남 거주지의문화환경만족도 (49.3점/ 전체평균 51.4점 ) 는타대에비해가장낮게평가하면서서울전체문화환경만족도 (63.1점/ 전체평균 60.4점 ) 는타대에비해가장높게평가하고있는것으로보아, 이들은주거지와상관없이문화적으로힙 (hip) 한곳을찾아서울전역에걸쳐광역적인문화참여행태를보인다고추정됨 30대 _ 20대에비해경제적여력이개선된 30대미혼여성은문화예술관람에가장비용지불을많이하는그룹으로서, 특히상대적으로관람비용이비싼연극과전시회관람도많이하는 < 화려한싱글녀 > 의면모를보여준다. 이에비해후출산한여성은가족중심으로여가 / 문화활동이전환되고, 문화생활관심도와중요도, 관람횟수모두큰폭으로감소하여 < 육아맘 > 의특성을보여준다. 특히아이를맡길곳이없음과이동을위한교통편이문화활동의애로사항으로부각된다. 하지만문화센터이용등으로해결하면서문화생활에대한전반적만족도는겨우유지되고있는것으로나타난다. 30대미혼여성은 20대보다연간관람횟수도증가 (40.3회 44.0회 ) 했고, 주로전시회 (6.8회 8.3회 ) 와연극 (15.9회 17.2회 ) 의증가로이어짐. 관람횟수가증가한만큼연간총지불비용도증가해 20대여성 (769,376원) 보다증가한 821,262원으로모든계층에서가장높은비용지불수준을보이고있음 가장많은비용을지출함에도불구하고비용이많이든다는응답은 20대여성과비교해오히려감소한것으로나타남.(82.1% 74.0%) 이는경제적인여력이 20대에비교해개선되었기때문인것으로추정됨 < 육아맘 > 은 < 싱글녀 > 에비해육아라는제약때문에문화활동에대한관심도와중요도, 관람횟수등모든지표가감소했지만, 문화센터교육경험은오히려증가 (26.6% 33.8%) 하고있으며, 문화예술에대한전반적인만족도또한소폭상승 (68.1점 68.6점 ) 한점을감안하면, 제한된조건안에서도나름문화생활의열정을충족시키려고노력하는고관여자의특성을보여준다고판단할수있음 40대 _ 40대미혼여성은 30대의화려한문화향유패턴을어느정도유지하지만, 여가활동에서 TV를보는비중과휴식의비중이증가 ( 여가활동종합순위중 TV 시청이 30대 65.2% 71.9% 로증가, 타대비최고 ) 하고있어, 외로움과사회생활에대한피로감을보이는 < 블루싱글녀 > 의면모를드러내고있다. 40대남성은자녀가생기면가족과함께 (78.8%/ 전체평균 37.4%) 하는여행 / 나들이 (69.0%/47.3%) 로여가활동의중심이바뀌는 < 프렌디 (Friendy)> 의면모를보여준다. 40대유자녀여성은삶에대한만족도는감소하지만문화에대한중요도와만족도는 30대 < 육아맘 > 대비상승하고있고자녀와함께문화활동에대한관심을높여가는 < 컬처맘 > 의면모를보여준다. 40대미혼여성의문화예술관람여가활동이 30대와비교해소폭감소 ( 종합순위 77.5% 74.0%) 한반면 TV 시청 ( 종합순위 65.2% 71.9%) 과휴식 ( 종합순위 30.7% 38.5%) 은증가해사회생활의피로감을느끼는 < 블루싱글녀 > 의면모를보여주고있음 삶에대한만족도 ( 매우행복하다는응답 ) 는 40대엄마 (41.9% 28.2%) 와아빠 (30.6% 25.7%) 모두 30대동일계층대비감소하고있어삶의무게가느껴지지만, 문화생활에대한만족도 (59.2% 46.9%) 와중요도 (61.2% 50.4%) 가감소하는 40대아빠에비해 40대엄마는 30대 < 육아맘 > 대비문화생활만족도 (66.2% 70.7%) 와중요도 (42.6% 45.2%) 모두소폭상승하고있음. 이는초기자녀양육의부담에서조금씩벗어나성장하는 자녀와함께하는문화활동 을통해문화에대한관심을회복해가는 < 컬처맘 > 의면모로볼수있음. 대표적인지표로 40대컬처맘은 1회평균연극티켓지불금액 (78,536원) 이 20대의 48,833원에비해매우높은점은이들이 자녀와함께 극장으로돌아왔다는점을시사함 042 043

하지만, 자녀가성장하면서문화활동에대한부담도커져 40대 < 컬처맘 > 의 비용부담 응답은 30대 < 육아맘 > 대비 10%p 증가 (69.9% 79.9%) 했으며, 40대 < 프렌디 > 또한 30대기혼 / 자녀있는남성대비 20%p 이상상승 (40.8% 68.1%) 해자녀와함께문화활동을즐기는것에대한비용부담이큰것으로조사됨 40대남성과여성모두자녀가생기면영화를제외하고는연극등문화관람횟수와비용이모두감소하고있는것으로나타나, 영화가자녀와같이즐기는가장현실적인대안이되고있음. 40대엄마의문화활동참여횟수가줄어들었지만영화만증가 ( 관람률 : 91.9% 95.8%, 횟수 : 5.4회 6.8회 ) 했으며, 동일한현상이 40대 < 프렌디 > 에서도나타나고있음 ( 횟수 : 3.6회 6.8회 ) 문화예술경험에대한전반적만족도가타대비가장높고 (71.4%/ 전체평균 68.5%) 특히, 문화관련동호회활동횟수와질에대한만족도및재관람의사가타대비하여가장높게나타남 60대 _ 문화활동은 30대수준을회복했지만, 경제적제약으로인해상대적으로경제적부담이덜한문화활동을즐기고있다. 60대의문화예술동호회참여율이타에비해가장높게나타남 (66.2%/ 전체평균 35.4%) 특히예상외로타대비여가활동중 TV 시청비율이가장낮고 (48.6%/ 전체평균 61.3%), 창작적취미활동은가장높은 (44.6%/ 전체평균 37.0%) 특징을보여준다. 이들의삶의만족도가타대에비해가장높아 (74.4점/ 전체평균 71.3점 ), 문화예술로행복한황혼을보내고있는 <Active Senior> 의면모를상상할수있다. 현실적으로비용부담이커지면서 < 컬처맘 > 과 < 프렌디 > 는나름의방식으로자기자신을위한문화활동방식을변경하고있는데, 30대동일계층대비남성은동호회활동 (22.4% 30.1%) 과문화센터활동 (10.2% 19.5%) 을강화하고있으며, 여성은동호회활동 (16.2% 26.3%) 과함께평생교육원 (10.3% 16.6%) 및스터디클럽 (5.9% 12.4%) 활동이증가하고있음. 이는 30대유자녀부모와비교해자녀의성장에따라변화된문화향유환경에발빠르게적응하고있는모습임 60대의연평균관람횟수는 38.6회로 40대 (30.1회) 와 50대 (31.6회) 를거치면서꾸준하게증가해 30대 (37.3회) 수준을거의회복했지만, 본인지불횟수는 16.6회로절반에미치지못하고있음 본인지불관람횟수에비해많은수의박물관, 전시관관람이나공연관람경험을보이고있어, 문화복지프로그램의혜택을활용하거나상대적으로저렴한문화소비를하고있다고보여짐 40대남성에비해여성이조금더적극적인활동을하고있어, < 컬처맘 > 의면모를다시확인할수있음. 특히스터디클럽의비율이높은점은최근공부하는주부들의모임 ( 공주인문학 15) ) 이많아지는트렌드와관련성이있는것으로보임 자녀의성장과함께가장의미있게변화되는지표는 문화활동의중요도 인데, < 프렌디 > 는자녀가중학생이되면서부터문화로자기삶을찾기시작하고 ( 초등생자녀시 매우중요 10.4% 중학생자녀시 매우중요 20.8%) < 컬처맘 > 은그것보다좀늦게, 자녀가고등학생이되고나서야 ( 중등생자녀시 매우중요 7.6% 고등학생자녀시 매우중요 24.1%) 자신의문화생활을적극적으로찾아나서는것으로나타남. 이를통해자녀에대한교육도중시하지만문화생활을통한삶의만족을지속적으로추구하는문화활동고관여자의특성을확인할수있음 주거지문화환경만족도 (55.4점/ 전체평균 51.4점 ) 나삶의만족도가가장높음 (74.4점/ 전체평균 71.3점 ) 이들은여전히비용부담을가장큰장애요인으로꼽지만, 타대에대비하여시간부족을호소하는비율은가장낮음 인터넷접근성때문에정보획득과예매에어려움을타대에비해가장크게겪고있는것으로나타남 4. 문화소비의두가지형태 50대 _ 양육부담에서벗어나문화예술에대한관심을회복해, 문화예술교육참여와가장높은문화생활만족도가특징적인 < 낭만족 > 세대이다. 전체적으로 50대는문화활동의패턴에서다소특징이약하게나타나는데, 전체적으로자녀와문화활동측면에서분리되면서 60대에가장뚜렷한특징을보이는 <Active Senior> 로이행하는시기로볼수있다. 40대에사그라졌던문화예술에대한관심이부활하고 (40대 87.2% 50대 91.4%) 문화예술동호회활동이왕성해지기시작하는시기로서, 60대에이어두번째로높은참여비율을보인다.(56.6%/ 전체평균 35.4%) 특히문화예술교육경험비율이타대비가장높게 (71.9%/ 전체평균 64.0%) 나타남 문화예술교육은 TV나인터넷강좌를가장많이이용하는것으로나타났지만 (30.8%) 근소한차이로지역문화센터나주민센터의강좌수강방식이주를이룬다 (29.0%) 는것을알수있음 자기만족추구형 - 20대문화열광족, 30대화려한싱글녀, 40대블루싱글녀, 60대액티브시니어, 50대낭만족일부 - 문화예술관람관심도, 중요도, 횟수, 지불액높음 - 여전히비용이문제이지만, 시간부족도문제 - 친구와, 또는혼자, 특히동호회 (60대) 와함께문화활동즐김 - 주거환경만족도가낮고서울문화환경만족도도낮은편임 - 삶의만족도낮음 가족행복추구형 - 30대육아맘, 40대컬처맘, 40대프렌디 - 주로가족동반으로, 문화예술관람보다는여행중심으로여가활동 - 비용과교통문제가장애요인 - 삶의만족도, 주거지문화환경만족도높음 15) 경향신문 2013.03.15. 일자 앎을실천하는공주인문학을아십니까 참조 044 045

공통사항 - 문화예술관람횟수와문화생활만족도는상관관계없음 - 문화예술관람을많이할수록비용부족을장애요인으로꼽는비율이높음구분자기만족추구형가족행복추구형 문화생활빈도와문화생활만족도의상관성이떨어지는만큼문화생활빈도와삶의만족도의상관성은더낮은수준을보이고있어문화생활의양적인증가만으로는삶의만족도를증가시키는데한계가있다고판단됨 문화생활빈도 vs. 삶의만족도 (base : n=2,110, 단위 =ρ) 해당그룹 - 20 대문화열광족 - 30 대화려한싱글녀 - 40 대블루싱글녀 - 50 대낭만족일부 - 60 대액티브시니어 문화예술관심도고저 문화예술의중요도고저 문화예술관람횟수고저 - 30 대육아맘 - 40 대컬처맘 - 40 대프렌디.050.030.010.044.042.027.011.016.052 문화예술지불금액고 (60 대저 ) 저 (40 대일부상승 ) 문화예술경험전반만족도무관 (50, 60 대고 ) 무관 ( 컬처맘고 ) 서울문화환경만족도 20 대고, 30 대싱글녀와 60 대저평균수준 -.010 -.006 거주지문화환경만족도저고 삶의만족도저 (60 대고 ) 고 ( 육아맘최고 ) 여가활동동반자친구또는혼자 (60 대동호회 ) 가족 주요장애요인 - 비용부족 1 위 - 시간부족 (60 대는제외 ) - 정보부족 - 비용부족 1 위 - 교통불편 - 육아문제 -.030 전시회 -.023 박물관 음악, 무용 전통예술 연극공연 영화관람 대중공연 축제관람 관람횟수 관람횟수만족도와삶의만족도에대한상관분석결과영역별상관계수가모두 0.1 이하로낮게나타났지만, 관람 내용에대한만족도와삶의질만족도는 0.2 에근접하는상관계수를나타내유의미한상관계수 0.4 에는못미치 5. 문화생활과삶의만족도 문화생활빈도와문화생활만족도를상관분석한결과, 전반적으로상관계수가 0.1 미만으로낮게나타나빈도가 증가한다고해서문화생활만족도가증가하지않는것으로나타남. 이는문화생활의양적인증가만으로는질적인 만족도를증가시키는데한계가있다는것을의미함 문화생활빈도 vs. 문화생활만족도.100.090.080.070.060.050.040.030.020.010.000 전시회관람 0.007 박물관관람 0.069 0.091 음악, 무용발표회관람 0.032 전통예술공연관람 연극공연관람 0.027 0.010 극장에서영화관람 0.024 대중공연관람 (base : n=2,109 단위 =ρ) 0.066 축제 ( 야외행사포함관람 ) 문화생활만족도 0.001 스포츠경기관람 지만문화생활의양적인증가보다는주관적인만족도가삶의만족도에미치는영향이큰것으로볼수있음 16) 문화생활만족도 vs. 삶의만족도 전시회 박물관 음악, 무용 전통예술 관람횟수만족도관람내용만족도 16) 문화생활빈도가월 4회, 주 1회에접근하는시점까지문화생활만족도가증가하다가그이후에는별다른변화가없음. 다만 50세이상에서는시간적여유가많기때문에계속월 4회이상은되어야만족도가증가하는경향이나타남 연극공연 영화관람 (base : n=2,110, 단위 =ρ) 0.25 0.204 0.2 0.185 0.185 0.166 0.158 0.152 0.15 0.126 0.1 0.063 0.056 0.044 0.049 0.05 0.035 0.021 0.015 0.007 0-0.021-0.05 대중공연 축제관람 046 047

문화생활만족도가높아질수록삶의만족도가높게나타나고있음 17 ) 특히문화생활에매우만족할경우 매우행 복하다 는응답은 45.2% 로매우높아, 문화생활향상을통해삶의만족도제고가능성이확인되었음 문화생활만족도 vs. 삶의만족도 (base : n=2,109 단위 = 명, %) 삶의만족도 매우행복 행복 보통 불행 매우불행 문화생활만족도 매우만족 (n=295) 45.2 38.1 13.3 2.0 1.4 만족 (n=1,046) 28.6 47.7 20.1 3.2 0.6 보통 (n=704) 19.0 44.0 27.7 6.5 2.7 불만족 (n=51) 17.6 41.2 29.4 3.9 7.8 매우불만족 (n=13) 15.4 46.2 23.1 7.7 7.7 전체 (n=2,109) 27.4 45 21.9 4.2 1.6 주거지문화환경에대한만족도가높은지역의주민일수록문화활동에보다적극적으로참여하고문화생활만족 도또한높으며, 삶의만족도도높게나타남 거주지문화환경만족도는인구 10만명당문화기반시설수가많은도심권 ( 중구, 종로구, 용산구 ) 이높게조 사됨 ( 해당권역평균 61.7점 / 전지역평균 51.4점 ) 거주지문화환경만족도 vs. 삶의만족도 (base : n=2,110 단위 = 명, %) 삶의만족도거주지문화환경만족도 60 세이상의거주지주변문화환경만족도가가장높지만 (55.4 점 /51.4 점 ), 기혼이미혼보다 (54.1 점 >49.2 점 ), 기혼일경우자녀가있는경우가없는경우보다 (55.0 점 >50.1 점 ) 만족도가높게나타남. 을통해생활 의거점이명확해지고자녀를고려해이동이이루어지는시점에서거주지주변의문화환경을적극탐색하고활용 하는것으로판단됨 매우행복행복보통불행매우불행 매우만족 (n=158) 40.9 39.0 16.4 2.5 1.3 만족 (n=582) 33.5 45.4 16.8 4.0 0.3 보통 (n=722) 25.9 46.7 23.9 2.9 0.6 불만족 (n=513) 19.1 46.8 26.3 4.7 3.1 매우불만족 (n=135) 23.7 34.1 23.0 11.9 7.4 전체 (n=2,110) 27.3 45.0 21.9 4.2 1.6 문화활동시애로점으로 문화공간이동시교통불편 에대한지적이기혼이미혼보다 (17.7%>10.8%), 기혼일 경우자녀가있는경우가없는경우보다 (18.7%>13.4%) 높게나타남. 을하고자녀가있을경우이동에대 한부담때문에지역거점의문화환경에의존하는경향이강해진다고볼수있음 거주지문화환경에만족할경우문화생활만족도가높아지고, 삶의만족도또한높아지는것으로나타나거주 지중심의문화환경개선중요성이확인되고있음 거주지문화환경만족도 vs. 문화생활만족도 (base : n=2,110 단위 = 명, %) 문화생활만족도거주지문화환경만족도 매우만족만족보통불만족매우불만족 매우만족 (n=158) 38.4 39.6 18.2 1.9 1.9 만족 (n=582) 16.0 55.3 27.7 0.9 0.2 보통 (n=722) 11.0 49.3 37.1 2.2 0.4 불만족 (n=513) 9.0 48.3 37.8 4.1 0.8 매우불만족 (n=135) 11.1 43.7 39.3 4.4 1.5 전체 (n=2,110) 13.9 49.6 33.4 2.4 0.6 17) 금번조사응답자의문화활동빈도는일반시민에비해매우높은반면삶의만족도 (71.3 점 <72.2 점 ) 와문화환경만족도 (60.4 점 > 64.1 점 ) 는낮기때문에삶의만족도와문화생활만족도간의관계를일반화하기에는추가조사가더필요하지만, 금번조사응답자그룹내에서비교를통해둘사이의양의상관관계가있음은확인할수있음 048 049

정책적시사점 - 자녀및가족과함께할수있는주거지근처에서의문화프로그램제공 - 문화에대한관심과만족도를높일수있도록동호회활동기회제공 문화예술고관여자특성명확, 다양한접근성개선방안필요 본조사에참여한서울문화재단홈페이지회원및사업참여자 ( 문화예술고관여자 ) 의성,, 학력, 직업에대한 특성은일반서울시민과매우다른양상을보임 문화예술콘텐츠, 양보다는질적강화중요 여성이남성에비해많고, 20~40 대비중이높으며, 대학원이상의고학력자가 1/3 가량을차지해일반시민과 판이하게다름 관람횟수에대한만족도는전반적으로관람내용만족도보다는낮은양상이고, 관람횟수와삶에대한전반적인만 족도는상관성이낮아관람횟수가많더라도삶에대한만족도는크게높아지지않음 문화예술고관여자의경우일반시민대비여가활동을즐기는방법이나문화활동관람횟수등더많은문화예술을즐기는것으로나타남 문화예술고관여자들의특성으로파악된장애요인을확인하여시민들의문화향유확대를위해계층별로다른접근이필요함 반면, 문화내용에대한만족도와삶의만족도는관련이높아, 문화내용에대한개선이중요한요인으로파악됨 또한거주지주변에접근할수있는문화예술시설이많아접근성이좋을수록거주지문화환경에만족도가높아, 접근성측면개선도문화예술에대한관심과만족도를높일수있는요소로판단됨 - 20~30대 : 저렴하고, 다양하며우수한문화예술콘텐츠제공 - 30~40대여성 : 탁아시설확충및교통편의제공, 가족단위문화나들이프로그램제공 - 40대가장 : 문화활동의비용부담경감 - 60대어르신 : 문화정보전달방식개선, 커뮤니티중심활동지원 문화예술경험비수기시절인 40 대, 관심높은콘텐츠필요 문화예술관심도와중요도는대별로 20~30 대가장높은시기에서 40 대에갑자기감소하다가 50~60 대에 다시높아지는양상이뚜렷 문화예술관심도와중요도는기혼자이거나자녀가있을경우가미혼자나자녀가없는경우보다더떨어지는것으 로나타났는데, 인생에서 40 대, 자녀가있는기혼자는경제, 가족부양, 교육등의사회적요소로인해문화예술 에소홀해질수밖에없는상황임 가족부양에서어느정도해방이된 50~60 대는문화예술에대한관심이높아지고, 창작적활동등다양하고적 극적인활동을하고있음 반면, 삶에서문화예술의중요성을고려할때, 40 대가관심을가질수있는관련콘텐츠를개발하여, 제한된시 간에서꾸준한관심을보일수있도록적극적인유도필요 050 051

03 지표별상세조사결과 www.sfac.or.kr

03 지표별상세조사결과 주로하는여가활동 주로하는여가활동 (1 순위 ) - 일반 ( 단위 : 명, %) 사례수 TV 또는비디오 (DVD) 시청 문화예술관람 여행, 야외나들이 창작적취미활동 종교활동 휴식 ( 여가활동안함 ) 컴퓨터게임, 인터넷검색등 운동 사회봉사활동 전체 2,110 26.5 24.0 12.5 11.8 8.8 6.6 3.8 3.3 1.6 문A1 귀하께서는평소주말이나휴일에어떤여가활동을하십니까? TV 또는비디오 (DVD) 시청 1순위 26.5%, 종합순위 61.3% 조사결과 주말이나휴일등에주로하는여가활동 (1순위기준 ) 으로 TV 또는비디오 (DVD) 시청 (1순위 26.5%, 종합순위 61.3%) 을가장많이꼽았고, 그다음으로 문화예술관람 (1순위 24.0%, 종합순위 68.8%), 여행, 야외나들이 (1순위 12.5%, 종합순위 47.3%) 등의순으로높게나타남 [2012 서울서베이결과 ] TV 또는비디오 (DVD) (1순위 43.7%, 종합순위 77.9%), 휴식 ( 여가활동을하지않음 ) (1순위 10.7%, 종합순위 47.1%), 여행, 야외나들이 (1순위 9.3%, 종합순위 38.4%) 등의순임 < 주로하는여가활동 > 75% 68.8 61.3 1 순위 (%) 종합순위 (%) 성 권역 서울거주기간 유무 남성 626 22.2 21.1 13.4 15.3 8.0 4.6 5.8 6.5 1.3 여성 1,484 28.3 25.2 12.1 10.2 9.1 7.5 3.0 2.0 1.7 29세이하 521 27.6 30.9 7.1 10.6 6.1 6.5 6.9 1.9 0.8 30대 738 27.4 25.9 13.0 11.2 7.5 7.3 3.3 2.7 1.1 40대 556 29.9 18.3 14.9 9.4 11.0 8.3 2.0 3.6 1.4 50대 221 17.6 18.1 14.9 20.8 12.2 2.3 1.4 6.8 3.6 60세이상 74 10.8 16.2 18.9 16.2 13.5 1.4 8.1 6.8 6.8 도심권 193 23.3 32.1 8.3 14.0 6.7 5.7 4.1 4.7.5 동북권 723 27.5 23.7 12.4 10.8 7.6 6.9 4.7 3.0 1.9 서북권 319 26.0 24.5 10.0 12.9 10.3 6.6 3.8 2.5 1.6 서남권 507 27.8 23.5 14.0 13.2 7.9 5.9 3.0 2.4 1.2 동남권 368 24.7 20.7 14.7 9.5 12.0 7.6 3.0 5.2 1.9 10년미만 343 26.8 25.9 6.7 13.1 9.0 8.5 5.5 2.0 0.3 10-19년 365 28.8 21.9 14.8 12.1 6.6 7.9 3.0 3.3 0.5 20-29년 468 23.7 29.5 12.6 12.0 6.6 5.1 5.8 2.6 1.1 30-39년 496 25.2 24.2 13.5 10.1 9.3 7.7 2.4 4.0 2.4 40년이상 438 28.8 18.0 13.7 12.1 12.1 4.6 2.5 4.3 3.0 기혼 950 26.3 15.1 19.7 11.4 11.3 6.2 2.6 4.2 1.7 미혼 1,160 26.6 31.3 6.6 12.1 6.7 7.0 4.7 2.6 1.5 50% 47.3 자녀유무 자녀없음 179 32.4 20.1 11.2 12.3 8.4 7.3 3.4 1.7 1.7 자녀있음 771 24.9 13.9 21.7 11.2 11.9 6.0 2.5 4.8 1.7 고졸이하 98 28.6 26.5 15.3 8.2 6.1 4.1 6.1 2.0 2.0 25% 0% 26.5 TV 또는비디오 (DVD) 시청 24.0 문화예술관람 12.5 여행, 야외나들이 11.8 창작적취미활동 37.0 8.8 종교활동 16.8 6.6 28.6 휴식 ( 여가활동하지않음 ) 3.8 16.2 컴퓨터게임, 인터넷검색등 3.3 11.5 운동 1.6 사회봉사활동 7.0 0.6 3.5 운동경기관람 0.7 기타 1.8 최종학력 직업 전문대 275 28.7 28.0 12.4 7.3 7.3 4.7 6.5 3.3 0.7 대학교 958 26.8 23.9 13.0 11.7 8.6 5.5 3.7 3.5 2.1 대학원이상 779 25.0 22.3 11.4 13.9 9.9 9.0 2.7 3.2 1.2 문화에술관련종사자 778 25.4 25.2 8.1 17.1 8.5 7.8 3.6 2.2 1.4 전문 / 관리직 336 21.1 22.3 17.0 9.8 12.8 6.0 3.6 5.1 1.5 사무직 435 34.0 22.3 14.0 7.8 6.9 6.4 2.3 2.8 1.8 판매 / 서비스직 84 25.0 31.0 16.7 4.8 6.0 6.0 4.8 4.8 1.2 학생 189 24.9 32.3 5.3 10.6 5.8 5.8 7.4 3.2 2.1 주부 190 24.7 15.3 25.3 7.4 11.1 5.8 2.1 4.2 2.1 기타 25 28.0 20.0 12.0 4.0 12.0 4.0 4.0 12.0 0.0 응답자특성 주로하는여가활동 (1순위기준 ) 이 TV 또는비디오 (DVD) 시청 이라는응답은여성 (28.3%), 40대 (29.9%), 종로구 (35.5%) 및중랑구 (34.6%), 자녀가없는경우 (32.4%), 사무직종사자 (34.0%), 소득 300-400만원미만 (28.9%) 에서상대적으로높게나타남 문화예술관람 응답은여성 (25.2%), 20대 (30.9%), 도심권거주자 (32.1%), 중구 (39.4%), 서울거주기간 20-29년 (29.5%), 미혼 (31.3%), 학생 (32.3%) 에서높은비율을보임 소득 무직 70 27.1 22.9 10.0 12.9 8.6 4.3 10.0 2.9 0.0 무응답 3 33.3 33.3 0.0 0.0 0.0 0.0 0.0 33.3 0.0 100만원미만 191 26.2 26.2 4.7 17.8 6.8 7.3 4.7 2.1 3.1 200만원미만 345 27.0 25.8 7.5 15.7 7.2 7.2 4.1 3.2 1.7 300만원미만 370 27.6 24.1 13.5 8.1 8.6 7.8 4.1 4.1 1.1 400만원미만 357 28.9 23.8 15.4 10.1 7.8 5.6 4.5 1.4 1.4 500만원미만 330 23.9 22.4 14.5 11.8 9.1 8.2 3.3 3.9 1.2 600만원미만 212 25.5 22.2 15.1 9.4 14.2 4.2 3.8 3.3 0.9 600만원이상 305 25.6 23.6 14.1 11.5 8.9 5.2 2.3 4.9 2.0 054 055

주로하는여가활동 ( 종합순위 ) - 일반 응답자특성 성 권역 서울거주기간 유무 자녀유무 최종학력 직업 소득 ( 단위 : 명, %) 사례수 문화예술관람 TV 또는비디오 (DVD) 시청 여행, 야외나들이 창작적취미활동 휴식 ( 여가활동안함 ) 종교활동 컴퓨터게임, 인터넷검색등 운동 사회봉사활동 전체 2,110 68.8 61.3 47.3 37.0 28.6 16.8 16.2 11.5 7.0 남성 626 63.9 54.0 45.2 38.3 23.6 16.5 23.5 19.2 8.3 여성 1,484 70.8 64.4 48.1 36.4 30.7 17.0 13.1 8.2 6.4 29 세이하 521 81.2 60.8 37.6 40.9 28.8 12.7 20.2 8.3 4.6 30 대 738 71.1 63.3 45.5 37.8 30.9 14.8 16.5 9.8 4.2 40 대 556 58.6 63.8 56.7 29.1 32.7 18.7 11.7 13.3 9.0 50 대 221 63.8 53.4 49.8 42.1 15.4 27.1 12.2 19.9 13.1 60 세이상 74 48.6 48.6 54.1 44.6 12.2 21.6 29.7 12.2 17.6 도심권 193 71.5 60.6 41.5 35.8 32.1 13.5 20.2 12.4 7.3 동북권 723 67.5 63.2 49.2 33.6 26.4 17.6 17.6 11.2 7.2 서북권 319 70.2 55.8 48.6 39.5 30.4 17.9 14.1 11.3 5.3 서남권 507 69.4 63.5 46.7 38.3 27.8 15.0 15.6 9.1 8.7 동남권 368 67.7 59.5 45.9 40.2 30.4 18.8 13.9 14.9 5.4 10 년미만 343 77.0 59.5 43.1 43.7 30.3 13.4 16.0 7.3 3.8 10-19 년 365 68.5 62.2 42.5 37.0 31.0 15.1 15.3 12.3 7.9 20-29 년 468 74.6 57.5 47.6 40.4 26.5 13.9 17.7 12.4 5.3 30-39 년 496 66.7 63.9 49.2 32.9 31.0 17.9 16.3 10.3 5.4 40 년이상 438 58.7 63.0 51.8 32.6 24.7 22.8 15.1 14.4 12.1 기혼 950 57.4 61.2 60.2 31.6 27.4 20.8 13.4 14.0 8.0 미혼 1,160 78.1 61.4 36.6 41.4 29.6 13.5 18.4 9.4 6.1 자녀없음 179 68.2 61.5 50.3 34.1 30.2 14.5 17.9 9.5 6.7 자녀있음 771 54.9 61.1 62.5 31.0 26.7 22.3 12.3 15.0 8.3 고졸이하 98 73.5 62.2 48.0 30.6 25.5 14.3 24.5 12.2 6.1 전문대 275 70.5 64.4 47.3 30.9 27.6 15.3 21.1 10.5 4.0 대학교 958 70.4 60.5 47.4 37.5 27.1 16.1 16.5 11.6 8.2 대학원이상 779 65.6 61.0 47.0 39.3 31.1 18.6 13.0 11.6 6.5 문화에술관련종사자 778 69.5 59.6 42.7 47.6 29.3 15.4 15.2 9.3 6.4 전문 / 관리직 336 67.9 57.7 49.1 30.7 28.3 21.1 14.6 16.1 8.6 사무직 435 66.7 69.0 53.3 27.8 28.0 15.9 14.5 10.6 7.4 판매 / 서비스직 84 65.5 54.8 56.0 23.8 27.4 25.0 19.0 17.9 3.6 학생 189 83.1 61.9 29.1 40.2 27.5 11.6 22.8 10.1 7.4 주부 190 61.6 60.0 66.3 28.4 30.0 18.4 11.6 12.6 6.8 기타 25 56.0 72.0 40.0 24.0 32.0 16.0 16.0 20.0 12.0 무직 70 65.7 55.7 38.6 41.4 25.7 18.6 37.1 8.6 4.3 무응답 3 100.0 33.3 100.0 33.3 0.0 0.0 0.0 33.3 0.0 100 만원미만 191 67.5 55.5 28.3 53.9 33.5 15.7 26.2 7.9 7.3 200 만원미만 345 69.9 60.0 41.4 38.6 29.6 15.9 20.3 11.0 8.4 300 만원미만 370 71.1 65.1 44.9 38.1 30.0 14.9 14.1 10.0 7.3 400 만원미만 357 70.0 59.4 55.5 34.2 30.0 14.8 16.2 10.1 5.9 500 만원미만 330 65.8 64.2 53.0 34.2 26.7 15.8 12.7 13.6 5.8 600 만원미만 212 66.0 60.4 51.4 30.2 26.4 25.0 14.2 13.7 5.7 600 만원이상 305 69.2 61.3 49.8 34.1 24.6 18.7 12.8 13.8 8.2 주여가활동이 TV 또는비디오 (DVD) 시청 이라는응답은 40 대싱글녀 (34.4%> 27.5%) 및 40 대컬처맘 (30.1%>23.5%) 이 30 대동일계층 (30 대육아맘 ) 대비높았음 문화예술관람 분야여가활동은 30 대육아맘 (14.0%) 대비 30 대싱글녀 (33.6%) 계층에서더욱활발한 것으로나타남 30 대육아맘 (36.8%) 계층의 여행, 야외나들이 활동은 40 대컬처맘 (18.1%) 에비해 2 배이상높은반면, 자녀가없는 40 대기혼남성 (6.3%) 은자녀를가진 40 대프렌디 (21.2%) 계층에서 3 배이상높은야외여가 활동을하고있는것으로나타남 주로하는여가활동 (1 순위 ) - 계층별 ( 단위 : 명, %) 사례수 TV 또는비디오 (DVD) 시청 문화예술관람여행, 야외나들이 창작적취미활동 종교활동 휴식 ( 여가활동안함 ) 컴퓨터게임, 인터넷검색등 운동 사회봉사활동 전체 2,110 26.5 24.0 12.5 11.8 8.8 6.6 3.8 3.3 1.6 기혼 자녀 계층세분화 20 대 남성 109 16.5 25.7 8.3 12.8 8.3 6.4 11.9 3.7 1.8 20 대 여성 412 30.6 32.3 6.8 10.0 5.6 6.6 5.6 1.5 0.5 30 대 남성 200 26.5 21.0 13.0 17.5 3.5 6.0 5.0 6.5 0.5 30 대 여성 538 27.7 27.7 13.0 8.9 8.9 7.8 2.6 1.3 1.3 40 대 남성 181 27.6 20.4 14.4 11.0 11.0 4.4 3.9 5.0 0.6 40 대 여성 375 30.9 17.3 15.2 8.5 10.9 10.1 1.1 2.9 1.9 50 대 남성 84 16.7 19.0 14.3 21.4 10.7 2.4 0.0 13.1 1.2 50 대 여성 137 18.2 17.5 15.3 20.4 13.1 2.2 2.2 2.9 5.1 60 대 남성 52 7.7 17.3 21.2 17.3 9.6 0.0 11.5 7.7 5.8 60 대 여성 22 18.2 13.6 13.6 13.6 22.7 4.5 0.0 4.5 9.1 30 대 미혼 467 25.7 31.9 5.4 13.1 7.3 7.3 3.9 3.4 1.5 30 대 기혼 271 30.3 15.5 26.2 8.1 7.7 7.4 2.2 1.5 0.4 40 대 미혼 148 31.8 28.4 6.1 10.1 7.4 10.1 2.0 2.7 1.4 40 대 기혼 408 29.2 14.7 18.1 9.1 12.3 7.6 2.0 3.9 1.5 30 대 남성 미혼 125 20.8 27.2 8.0 20.0 3.2 5.6 5.6 8.0 0.8 30 대 남성 기혼 75 36.0 10.7 21.3 13.3 4.0 6.7 4.0 4.0 0.0 30 대 여성 미혼 342 27.5 33.6 4.4 10.5 8.8 7.9 3.2 1.8 1.8 30 대 여성 기혼 196 28.1 17.3 28.1 6.1 9.2 7.7 1.5 0.5 0.5 40 대 남성 미혼 52 26.9 30.8 1.9 17.3 7.7 7.7 3.8 3.8 0.0 40 대 남성 기혼 129 27.9 16.3 19.4 8.5 12.4 3.1 3.9 5.4 0.8 40 대 여성 미혼 96 34.4 27.1 8.3 6.3 7.3 11.5 1.0 2.1 2.1 40 대 여성 기혼 279 29.7 14.0 17.6 9.3 12.2 9.7 1.1 3.2 1.8 30 대 기혼남 자녀없음 26 42.3 15.4 7.7 11.5 3.8 11.5 3.8 3.8 0.0 30 대 기혼남 자녀있음 49 32.7 8.2 28.6 14.3 4.1 4.1 4.1 4.1 0.0 30 대 기혼여 자녀없음 60 38.3 25.0 8.3 6.7 8.3 8.3 0.0 0.0 1.7 30 대 기혼여 자녀있음 136 23.5 14.0 36.8 5.9 9.6 7.4 2.2 0.7 0.0 40 대 기혼남 자녀없음 16 25.0 25.0 6.3 18.8 18.8 0.0 6.3 0.0 0.0 40 대 기혼남 자녀있음 113 28.3 15.0 21.2 7.1 11.5 3.5 3.5 6.2 0.9 40 대 기혼여 자녀없음 20 25.0 25.0 10.0 15.0 5.0 10.0 5.0 0.0 0.0 40 대 기혼여 자녀있음 259 30.1 13.1 18.1 8.9 12.7 9.7 0.8 3.5 1.9 20 대열광족 521 27.6 30.9 7.1 10.6 6.1 6.5 6.9 1.9 0.8 30 대싱글녀 342 27.5 33.6 4.4 10.5 8.8 7.9 3.2 1.8 1.8 30 대육아맘 136 23.5 14.0 36.8 5.9 9.6 7.4 2.2 0.7 0.0 40 대프렌디 113 28.3 15.0 21.2 7.1 11.5 3.5 3.5 6.2 0.9 40 대컬처맘 259 30.1 13.1 18.1 8.9 12.7 9.7 0.8 3.5 1.9 40 대싱글녀 96 34.4 27.1 8.3 6.3 7.3 11.5 1.0 2.1 2.1 50 대낭만족 221 17.6 18.1 14.9 20.8 12.2 2.3 1.4 6.8 3.6 60 대액티브 74 10.8 16.2 18.9 16.2 13.5 1.4 8.1 6.8 6.8 056 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