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

Similar documents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목 차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ePapyrus PDF Document

*부평구_길라잡이_내지칼라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1

성인지통계

여수신북항(1227)-출판보고서-100부.hwp

05 ƯÁý

지도임자_1204_출판(최종).hwp

에듀데이터_자료집_완성본.hwp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대한주택보증 ( 주 ) 대한주택보증

- 2 -

소준섭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m (-6933, `12.5.2) ( ),,,,.,. 2 2 ( ) 1 2 (( 高 ) M10 110) 2,280, H, H.. - (, ) H, H, H. - ( 引拔 ), H,. (-6933, `12.5.2) ( ),. 3 (2,280), (, ) ( 共

II. 기존선행연구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목 차 Ⅰ. 사업개요 5 1. 사업배경및목적 5 2. 사업내용 8 Ⅱ.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9 1. 국내외산업동향 9 2.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목재제품의종류 국내목재산업현황 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Á¤Æò°¡


<37345FBFC0B4F6BCBA2DBCE8C5F0C1F6BFAAC0C720C0AFC7FCBFA120B5FBB8A520B5B5BDC3C0E7BBFDBBE7BEF72E687770>

이용석 박환용 - 베이비부머의 특성에 따른 주택유형 선택 변화 연구.hwp

ㅇ ㅇ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德嶠짚

<313429C0CCBCBCB1D438352D31312DB3BBC1F6C6EDC1FD2E687770>

13장문현(541~556)ok

고 시 서울특별시고시제 호도시관리계획 [ 용산지구단위계획구역 ( 서부이촌동일대 ) 및계획 ] 결정 ( 변경 ) 및지형도면정정고시 구분 도면표시번호 지구명 지구의세분 위치 면적 ( m2 ) 연장 (m) 폭원 (m) 최초결정일 비고 기정 1 미관지구 역사문화미관

MRIO (25..,..).hwp

- 2 -

조사연구 권 호 연구논문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의분석을위한패널가중치산출및사용방안사례연구 A Case Study on Construction and Use of Longitudinal Weights for Korea Labor Income Panel Survey 2)3) a

열거형 교차형 전개형 상승형 외주형 회전형 도해패턴 계층형 구분형 확산형 합류형 대비형 상관형 (C) 2010, BENESO All Rights Reserved 2

[최종보고서]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한 지역정책 발전방향.hwp

< B3E2B1E2C1D85FC1D6B9CEB5EEB7CFC0CEB1B8C5EBB0E8BAB8B0EDBCAD2E687770>

<32C2F7C6EDC1FD2DB1E2BABB30362DC0B1C1A4B9CC E687770>

44-4대지.07이영희532~

발간등록번호대한민국의새로운중심 행복도시세종 2015 년기준 사업체조사보고서 Report of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제 출 문 한국산업안전공단 이사장 귀하 본 보고서를 2002 년도 공단 연구사업계획에 따라 수행한 산 업안전보건연구수요조사- 산업안전보건연구의 우선순위설정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3년 5월 연구기관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안전경영정책연구실 정책조사연구팀 연

외국인투자유치성과평가기준개발

2017 치안정책연구제 31 권제 1 호 Police Science Institute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신영_플랜업0904내지_출력

한국정책학회학회보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슬라이드 1

수도권과비수도권근로자의임금격차에영향을미치는 집적경제의미시적메커니즘에관한실증연구 I. 서론


(001~006)개념RPM3-2(부속)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10상예타]_광주도시철도2호선 건설사업_인쇄본_ hwp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법률 제944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도시정비법 이라 한다) 제4조 제1항, 제3항은 시 도지사 또는 대도시의 시장이 정비구 역을 지정하거나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제외한

18 년 8 월지가변동률및토지거래량보고 한국감정원부동산통계처토지토계부 ( 지가 ) 8 월지가변동률은 0.42% 상승 ( 전월 0.40% 대비 0.02%p 증가 ) * 제주 (0.70%), 서울 (0.61%), 세종 (0.50%), 부산 (0.46%) 순으로높게상승 (


기업분석(Update)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KDI정책포럼제221호 ( ) ( ) 내용문의 : 이재준 ( ) 구독문의 : 발간자료담당자 ( ) 본정책포럼의내용은 KDI 홈페이지를 통해서도보실수있습니다. 우리나라경


- 89 -

9230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목 차 Ⅰ. 조사개요 2 1. 조사목적 2 2. 조사대상 2 3. 조사방법 2 4. 조사기간 2 5. 조사사항 2 6. 조사표분류 3 7. 집계방법 3 Ⅱ 년 4/4 분기기업경기전망 4 1. 종합전망 4 2. 창원지역경기전망 5 3. 항목별전망 6 4. 업종

장연립방정식을풀기위한반복법 12.1 선형시스템 : Gauss-Seidel 12.2 비선형시스템 12.1 선형시스템 : Gauss-Seidel (1/10) 반복법은초기근을가정한후에더좋은근의값을추정하는체계적인절차를이용한다. G-S 방법은선형대수방정

移대떎濡앹떆??0??2?쇰궡吏€-?

2014 년도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


<4D F736F F F696E74202D20BCD2BEE7BEE0BBE720C0E7C1A4BAF1C3CBC1F8C1F6B1B820C1A4BAF1BBE7BEF7C7F6C8B22E >

GGWF Report는사회복지분야의주요현안에관하여정책의방향설정과실현에도움을주고자, 연구 조사를통한정책제안이나아이디어를제시하고자작성된자료입니다. 본보고서는경기복지재단의공식적인입장과다를수있습니다. 본보고서의내용과관련한의견이나문의사항이있으시면아래로연락주시기바랍니다. Tel

[11하예타] 교외선 인쇄본_ver3.hwp

동아시아국가들의실질환율, 순수출및 경제성장간의상호관계비교연구 : 시계열및패널자료인과관계분석

1

Ⅰ Ⅱ Ⅲ Ⅳ

목 차 대구 봉안시설 확충방안 연구 - i -

자연채무에대한재검토 1. 서론 2. 선행연구 9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14 May; 12(5): 89-99

An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Students' Design Contest for Making livable community building of Seoul* Woongkyoo Bae* Taegyu Park 요약 주제어 ABSTRACT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Ta

01정책백서목차(1~18)

hwp


DBPIA-NURIMEDIA

2 인구절벽에대비한해외정책및사례연구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나 ) 지역사유서 도면표시번호 - 위치 민락동 일원 준주거지역 지역 일반상업지역 면적 ( m2 ) (%) 57,742 1,000 사유 2020 년부산도시관리계획 ( 재정비 ) 지역 ( 준주거지역 일반상업지역,57,742 m2 ) ( 부고제 94 호, 201

_report.hwp

¼ÒµæºÒÆòµî.hwp

Untitled-1

Contents MAY Economic ISSN http www chungnam net http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Transcription:

국토지리학회지제 50 권 4 호, 2016 (455~473) 지방대도시의도시재생정책지원을위한쇠퇴지표적용연구 * 장문현 ** 이민석 *** 김화환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ecline Indicators for Supporting Urban Regeneration Policy in Provincial Metropolises* Mun-Hyun Jang** Min-Seok Lee*** Hwa-Hwan Kim**** 요약 : 본연구는지방대도시의도시재생정책수립을지원할수있도록쇠퇴지표를설정하고적용하는데연구의목적을두고있다. 또한도시쇠퇴에관한기존논의와도시재생을위한중앙정부정책에주목하였다. 도시쇠퇴는다양한요인들이복잡하게상호작용하는다차원적인현상에해당한다. 도시의특성에따라쇠퇴원인도상당히다른것으로알려져있다. 따라서현재의도시재생정책도쇠퇴원인과실태를정확히반영한맞춤형정책도입이필요한시점이다. 도시쇠퇴를분석한결과, 광주광역시는원도심또는구도시의쇠퇴가상대적으로심각한것으로파악되었다. 전체적인쇠퇴의공간적패턴은상업시설, 업무및행정기능이밀집되었던구도심과그주변지역이쇠퇴하는특성을보였다. 이는도심외곽으로신시가지가개발되고기존도시기능들이이전됨에따라쇠퇴가가속화되었음을시사한다. 이와같은맥락에서본연구의결과는대도시차원의도시재생정책을수립하고, 의사결정지원체계를마련하는데유용하게사용될수있을것이다. 더불어해당지역의행정규모에따른동, 구, 시차원의재생전략및계획수립과정에서다각적인활용이이루어질것으로기대한다. 주요어 : 도시재생, 도시재생정책, 도시쇠퇴, 쇠퇴지표, 광주광역시 Abstract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in establishing decline indicators for supporting the establishment of urban regeneration policy in provincial metropolises and applying such indicators. The study also focuses on the central government s policy for urban regeneration and the existing discussion on urban decline. Urban decline is a multidimensional phenomenon in which various factors complexly interact. Furthermore, the cause of decline is known to considerably diffe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Therefore, current urban regeneration policy requires the adoption of customized policies that accurately reflect the causes and actual conditions of decline. Consequently, the decline in the original downtown or old section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was found to be relatively severe. The spatial pattern of overall decline is revealed in old downtown and its surrounding area, where commercial facilities and business and administrative functions are concentrated. The urban decline was accelerated with the development of a new town on the outskirts of downtown and the transfer of existing urban functions. In such a contex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may be used to establish an urban regeneration policy at the metropolitan level and a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In addition, the study is expects multilateral utilizatio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regeneration strategies and plans at the dong, gu, and city level depending on the administrative size of the relevant area. Key Words : Urban Regeneration, Urban Regeneration Policy, Urban Decline, Decline Indicator, Gwangju Metropolitan City * 본연구는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지원으로수행되었음 ( 과제번호 16CTAP-C114676-01). ** 주저자, 전남대학교지리학과강사 (Lecturer, Department of Ge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jmh@jun.ac.kr) *** 공동저자, 전남대학교건축학부부교수 (Associator Professor, School of Architec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leeminseok@jun.ac.kr) **** 교신저자, 전남대학교지리학과부교수 (Associator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2kim@jnu.ac.kr)

장문현 이민석 김화환 I. 서론 최근글로벌통합경제체제의가속화현상은국가보다대도시단위를중심으로치열한경쟁을유발하고있다. 특히도시정책의패러다임이개발과성장중심에서삶의질적향상으로전환되어감에따라, 이를뒷받침하고도시재생을효과적으로추진하기위한기반마련이요구된다. 국내에서도경제 사회적, 문화적활성화를위한통합적인접근이필요하다는인식이확산되면서 도시재생활성화및지원에관한특별법 1) ( 이하 도시재생특별법 ) 을제정하였다. 한편으로도시재생이제도화되었으나실질적으로다양한관련사업들의체계적인수행을위한정책및계획에대한지원체계는아직부족한실정이다. 일반적으로도시쇠퇴는인구와고용, 소득의지속적인감소로인해사회적문제를유발하고, 주거환경및주택의물리적쇠퇴를동반하는것으로이해되고있다 (Kearns et al., 2000; Langlois and Kitchen, 2001; Lucy and Phillps, 2000). 우리나라의도시쇠퇴현상은 2000년대이후두드러지게나타나고있으며, 이러한추세는저출산, 고령화등메가트렌드의영향으로인해더욱가속화될것으로예상된다 ( 이상대, 2013). 대도시의경우구도심지역을중심으로도시쇠퇴가진행되고있으며, 지방도시의경우에도는구도심의쇠퇴뿐만아니라도시전반의환경악화로나타나고있다. 이러한도시쇠퇴는상주인구의감소, 산업기반의붕괴, 주택및인프라의노후화등여러분야에걸쳐사회 경제적비용을크게증가시키게된다. 따라서급속하게진행되고있는도시내부의쇠퇴현상에적극적으로대처하지않는다면, 향후도시들의환경및지속가능성은크게위협받게될것이다 ( 국토교통부, 2016). 도시쇠퇴는필연적으로도시재생과연결되어있다 ( 전경숙, 2011). 따라서도시재생특별법및시행령, 도시재생기본방침등에의거하여각지자체차원의도시재생정책수립에힘을기울이고있다. 바꾸어말하자면, 도시재생특별법상의도시재생전략계획및 활성화지역지정등도시재생을위한다각적인방안마련이선행되어야한다. 여기에는해당도시의쇠퇴지표선정및쇠퇴지수의산출이필수적으로요구된다. 본연구는상기의도시변화양상과문제에대해인식의틀을같이하고있다. 나아가도시쇠퇴에대한기존의논의와도시재생을위한중앙정부의정책에주목하였다. 궁극적으로지방대도시의도시재생정책수립을지원할수있도록쇠퇴지표를설정하여적용하는데연구의목적을두고있다. 이는장래의도시재생이추구해야할근본적인목표에보다수월하게접근할수있게함으로써도시재생의정책적실효성을높이는데일정부분기여할것으로기대한다. II. 이론적고찰및연구방법 1. 도시쇠퇴및측정이론국내대도시의경우외곽지역의신시가지개발에따른인구유출의발생, 중소도시의경우인구감소에의한소비수요격감에따라대도시및중소도시의도심기능이쇠퇴하고있다. 그간유지해온도시공간의획일적모습과기능의쇠퇴는곧도시경쟁력약화로이어질것이다 ( 권용석, 2012). 이와같은도시쇠퇴에대한합의된정의는없으나공통적인특징들을내포하고있다. 실제로 20세기후반제조업기반의서구도시가성장동력을잃고쇠락하기시작하면서도시쇠퇴의정의나개념등에대한연구들이등장했다 (Pacione, 2009). 쇠퇴는아직충족되지않은경제적인자원이외의기타다양한종류의자원이부족하여생기는것을의미한다. 따라서도시쇠퇴는여러분야에서의접근이요구되며, 시간적변화와함께고려되어야하는개념이다 ( 도시재생사업단, 2009). 도시가쇠퇴했다는것은사회에서인정되는수준이하의기준이나상태에처해있는경우를의미하지만 (Langlois and Kitchen, 2001), 도시쇠퇴는상대적이고추상적이다. 그리고주관적인경향이있어서그정의를명확하게내리기가쉽지않다. 또한도시 456

지방대도시의도시재생정책지원을위한쇠퇴지표적용연구 쇠퇴에대한연구를수행할때, 각자의연구목적과방법에따라도시쇠퇴에대해서로다른조작적정의를내렸다 ( 채희원, 2013). 원래는단일한도심이존재하였으나점차도심이분리되고, 그들상호간에연계망을구축하게되므로종전의도심은쇠퇴하여거주인구나활동이감소하게된다 ( 계기석, 2002). 즉, 도시쇠퇴란도시전체또는도시의부분지역이어떤원인에따라시간이지나면서상태가악화되는현상을말한다고할수있다 ( 김광중등, 2010). 도시쇠퇴유형과관련하여 OECD(1998) 는공간적측면에서도심쇠퇴, 주변부쇠퇴, 혼합쇠퇴의세가지유형을제시하였으며, 크게물리적노후화, 경제적쇠퇴, 인구 사회적쇠퇴의세가지측면으로나타날수있다고보았다. 이러한도시쇠퇴의양상과징후를보다객관적으로진단할수있는도구가도시쇠퇴지표라고할수있다. 국내에서는국토교통부도시재생사업단 (2010) 에서개발한 14개지표가가장대표적이며, 이를기반으로도시재생종합정보시스템이구축되었다 ( 양동석, 유영도, 2011). 도시쇠퇴의원인은거시적인원인과미시적인원인으로나누어볼수있다. 거시적인원인은도시전체차원에서의쇠퇴에영향을미치는지역적, 국가적, 지구적요인들이고, 미시적원인은도시내특정지구의쇠퇴과정에영향을미치는내부적요소들이다 ( 김광중등, 2010). 이와같은도시쇠퇴의연구는초기에는경제적인측면과물리적인측면을도시쇠퇴의핵심요소로보았던것에비해, 최근연구들은사회및환경등을포괄하는도시쇠퇴의복잡성과다차원성에집중하고있다. 쇠퇴는건물과기반시설의노후, 낙후, 높은불량률등의물리적인측면뿐만아니라빈곤, 실업, 기업의영업부진등의경제, 사회, 문화적측면을모두반영한다 ( 채희원, 2013). 이처럼도시쇠퇴는복합적이고상대적인개념이므로이를진단하기위해영국등지에서는복합쇠퇴 (multiple deprivation) 개념을도입하였다. 복합쇠퇴는도시쇠퇴의일부분을반영하는것이아니라, 세분화된쇠퇴형태들의조합이기때문에개별지표들 의단순한총합보다전체쇠퇴정도를충실히반영할수있다 ( 도시재생사업단, 2009). 반면에개별지표는표준화, 가중치부여, 집계등일련의과정을통해복합지표로정의되는데, 이과정이지수개발에있어서도동일하게사용된다 ( 박찬욱등, 1995). 전술한내용에근거하여본연구에서사용된복합쇠퇴지수 (3개부문, 15개지표 ) 는전체적으로 3단계 ( 표준화및가중치적용, 부문별쇠퇴지수합산 ) 의수행과정을통해도출하였다. 2. 선행연구고찰및차별성기존도시쇠퇴관련연구는쇠퇴의문제와원인규명을중심으로접근하거나, 도시차원의현상을진단하는데초점을맞추고있다. 2007년부터는도시재생 R&D사업단을출범시키며도시쇠퇴와재생방안에대한연구투자를계속해오고있다 ( 조윤애, 2014). 본연구를수행하기위하여선행된연구들을크게도시쇠퇴의지표선정, 개별도시의쇠퇴현상분석, 해외사례의벤치마킹등세가지로분류하여고찰하였다. 먼저도시쇠퇴지표를선정하고이에따라도시를분류하여재생방안을모색한연구의경우, 분석대상도시의규모에따라 49~84개의전국도시를대상으로하였다 ( 김준용 박병호, 2009; 조진희외, 2010; 이희연외, 2010; 이영성외, 2010; 황희연외, 2011; 이소영외, 2012, 엄상근 남윤섭, 2014). 분석기간은 5년또는 10년단위가주류를이루었다. 분석방법은쇠퇴지수를산출하여도시를순위화하거나, 요인및군집분석을통해도시를유형화하는공통점을지닌다. 분석에사용된쇠퇴지표수는연구자에따라최소 4개에서최대 37개로다양했다. 이를영역별로분류하자면인구 사회, 산업 경제, 물리 환경등 3가지로정리할수있다. 하지만여기에서활용된지표들은자의적판단을배제하기힘들다는점과상충되는지표가하나의쇠퇴지수에포함되기도하였다. 또한쇠퇴지수를산출하기위한표준화및가중치적용에있어서주관적선택이요구되는문제점도나타났다. 이소영외 (2012) 에따르면 개별지표로부터복합쇠퇴지수를산출하는완벽한방법은없다. 그래서 457

장문현 이민석 김화환 이희연외 (2010) 는다양한표준화와가중치부여방식으로세가지의복합쇠퇴지수를만들었으나이들사이에는별다른차이가없음도발견하였다 ( 조윤애, 2014). 다음으로개별도시의쇠퇴현상을관찰하여구체적인원인을찾고, 재생방안에대한접근을시도한경우이다 ( 김영, 2007; 정연우외, 2009; 박병호외, 2009; 채희원, 2013). 이들의연구는공간적으로지방중소도시의쇠퇴에관심을두었다. 도시쇠퇴의유형및공간패턴분석을시도하였고, 쇠퇴양상의중심이동에따른시계열적역동성을해당도시차원에서파악하고자하였다. 그러나연구의범역이주로수도권와지방중소도시에국한되어있고, 광역대도시권에대한동별적용은그사례가부족한것으로파악되었다. 또한아직체계화되지않는기존의쇠퇴지표를비판없이차용한점과도시의규모와특성을고려하지못한쇠퇴지수의일방적인적용은한계점으로인식되고있다. 다른한편으로는성공적인해외사례를조사하여국내의도시재생에접목시키고자하는연구도시도되었다 ( 정철모외, 2009; 김항집, 2011; 임배근, 2011; 민학기외, 2013; 서준교, 2014). 도시의쇠퇴지역에대해서구에서겪고있는기존의쇠퇴현상을개관한다음, 각기다른시점에서한국적도시쇠퇴문제를인식하고다양한쇠퇴현상및요소를정리하였다. 그결과로도출된시사점은국내의도시에서도충분히적용될수있겠으나, 세부적인도시개발정책및재생방향의차이를극복하지못했다는점은또다른논의의대상으로부각되고있다. 상기의선행연구사례를종합해보면, 여러도시를비교하는연구와단일도시를대상으로세밀하게분석하는연구로대별된다. 전자는전국규모의지역분석에대한연구로국가차원의국토계획에유용한자료가될것이다. 반면에후자는지자체중심의주요도시를중심으로도시내부의공간쇠퇴현상및사회문제와관련성이높다. 그러나최근에는쇠퇴가도심에서만발생되는것이아니라교외의신시가지에도발생할수있으며 ( 김광중, 2010; 이영성외, 2010), 경우에따라도시내부에불규칙적으로산재 할수도있다 (Langlois and Kitchen, 2001). 본연구는도시쇠퇴에대한논의가도시재생사업의방향에중요한영향을미칠수있다는점에주목하였다. 예컨대최근에는단순한도시의쇠퇴공간탐색이아닌지역맞춤형정책입안을전제로연구가이루어지고있다는것이다 ( 최희욱 유석연, 2012; 정철호 이종호, 2013). 이들의공통점은지역적특성을고려한정량적분석을토대로도심재생과재개발이추진되어야한다는점을결론으로제시하였다. 이러한맥락에서본연구는자의적인판단을최소화하고보다객관적인쇠퇴지표선정을위해전문가설문을통해대표성을반영하였다는점에서기존연구와구별된다. 또한연구의스케일측면에서상대적으로소외된지방대도시를사례로쇠퇴지수를산출하고, 구별 행정동별쇠퇴진단을수행했다는점에서차별성을지닌다. 따라서도출된쇠퇴분석결과는도시재생전략수립을위한실증적인연구로그유용성및활용성이클것으로사료된다. 3. 연구방법도시의쇠퇴원인은매우다양한것으로알려져있다. 도시규모의차이에따라비교대상이달라지면쇠퇴정도도달라질것이다. 본연구는대도시의쇠퇴수준을효율적으로파악하기위해서크게 3단계의과정으로나누어진행하였다. 첫번째단계는도시쇠퇴지표에관한선행연구에서주로사용된쇠퇴지표를검토하고, 객관적으로대표성및적합성을갖춘쇠퇴지표를선정하는것이다. 기존쇠퇴지표의분류체계를고찰하는한편, 현재도시재생특별법제정으로도시재생정책수립및지원을위해구축 운영중인 도시재생종합정보체계 (URIS) 2) 의쇠퇴지표 ( 총 36종, 출처별 41종 ) 를적극도입하였다. 이를기반으로동단위의자료취득가능성을고려하여예비지표 (23개) 를우선추출한후, 전문가설문조사를통해대표성및적합성을반영한최종지표 (3개부문, 15개 ) 를각각선정하였다. 두번째단계는쇠퇴지표의표준화및가중치를설정하는단계이다. 여기서는지표의측정단위를같은척도로변환하는스케일조정 (re-scaled) 3) 기법과 458

지방대도시의도시재생정책지원을위한쇠퇴지표적용연구 그림 1. 단계별연구방법론 상대적가중치를적용한계층적의사결정분석방법 (AHP) 4) 을이용하였다. 마지막단계인쇠퇴지수산출을통한도시쇠퇴진단및분석은앞서도출한각부문별쇠퇴지표의표준화값과가중치를지수로변환하는과정이다. 해당지역의구및동별쇠퇴지수를 GIS 매핑기법을통해시각화하고, 전체적인쇠퇴양상을비교할수있도록하였다. 또한종합쇠퇴지수의값에따라쇠퇴의정도를단계도로작성하였다. 이를토대로도시쇠퇴의공간패턴을확인하고, 지역적차이를분석하였다 ( 그림 1). III. 도시쇠퇴진단기법 1. 평가지표선정도시쇠퇴를진단하는지표의선정에대하여 Coombes and Wong(1994) 는 다수의지표로부터지수를생성하는방법은매우다양한반면, 선택된방법에따라그결과는상당히달라질수있다 고경고하면서, 지표로서갖추어야할조건으로타당성, 신뢰성, 구득가능성, 개연성을제시하였다. 이와함께지표의최종적인선정에가장큰영향을미치는것은결국구득가능성라고지적했다. 황희연외 (2011) 는지표라는것은 간단하고단순명료 해야한다고도주장하였다. 따라서본연구는지방대도시의공간적여건을반영하면서도연구자의자의적판단과조작적편의 를최소화할수있도록고려하였다. 즉, 현재국토교통부에서구축하고 LH공사에서위탁운영중인 도시재생종합정보체계 의쇠퇴진단지표를원용하였다. 우선적으로대상지역인광주광역시의동단위자료취득이가능한지표인가를판단하였다. 또한상대적으로방대한 36종의예비지표를재검토하는과정을거쳤다. 도시의쇠퇴를판단할수있는 3개부문 ( 인구사회, 산업경제, 물리환경 ) 에부합하는지표들로분류하고, 동일한분야에서중복가능성이있는지표를정리하였다. 다음으로평가항목과관련성이낮은지표들과개념이모호한지표들을제거하였다. 특히신뢰성과타당성을갖춘지표를토대로전문가설문조사 5) 를통해최종지표를선정하였다. 전문가는광역대도시권의도시재생관련공무원들로총 120부를배포하여 95부가회수되었고, 이중에유효한 86부를분류하여 IBM SPSS 21.0으로분석하였다. 그결과, 부문별중요도순위는인구사회 (1.75) 가가장높았고, 물리환경 (2.03), 산업경제 (2.26) 의순서로나타났다. 대표성을측정하여도출한우선순위의경우, 인구사회에서는인구별화율 (4.52), 산업경제는인구천명당종사자수 (4.46), 물리환경에서는노후건축물비율 (4.37) 이각각부문별 1위로분석되었다. 대표성및적합성에대한우선순위를토대로 3개부문별 5개씩총 15개의최종지표를선정하여쇠퇴지수산출에활용하였다. 각지표들의통계자료는 2015년도를기준으로하였으며, 변화율의경우는비교시점을 5년전 (2010년) 의통계치를적용하였다 ( 표 3). 459

장문현 이민석 김화환 표 1. 세부지표의대표성및적합성 부문중요도순위지표명대표성우선순위최종선정지표 인구사회 1.75 산업경제 2.26 물리환경 2.03 노령화지수 3.06 5 인구변화율 4.52 1 기초생활수급자 ( 천명당 ) 3.41 3 고령인구수 3.17 4 노년부양비 2.98 6 경제활동인구 4.08 2 종사자수 ( 천명당 ) 4.46 1 사업체당종사자수 4.02 6 제조업종사자비율 4.16 3 고차산업종사자비율 3.41 8 제조업체증감율 3.88 7 주요산업별종사자수 2.96 11 도소매업종사자수 ( 천명당 ) 3.08 10 도소매업체증감율 3.24 9 총사업체수 4.22 4 총사업체수증감율 4.43 2 총종사자수증감율 4.09 5 노후주택비율 4.24 2 신규주택비율 4.09 3 소형주택비율 3.18 4 부동산공시지가 3.12 5 노후건축물비율 4.37 1 접도율 2.64 6 노령화지수 인구변화율 기초생활수급자 ( 천명당 ) 고령인구수 경제활동인구 종사자수 ( 천명당 ) 제조업종사자비율 총사업체수 총사업체수증감율 총종사자수증감율 노후주택비율 신규주택비율 소형주택비율 부동산공시지가 노후건축물비율 주 : 평가부문별중요도순위는 1~3 순위로측정되어평균값을순위에반영하였고, 값이작을수록중요함을나타냄, 각지표별대표성은 1~5 점척도로측정되어평균점수가클수록대표적인지표에해당함 2. 쇠퇴지수산출 1) 지표표준화일반적으로도시변화현상에대한지수를산출하기위해서는선행적으로표준화하는과정이요구된다. 즉, 선정된지표들의측정치가서로상이하고다양하기때문에측정된각지표들의값을적절한방식으로표준화시키는것이다. 마찬가지로도시의쇠퇴실태를진단하기위한지표들의경우도비율, 증감율, 절대치등다양한척도를지니므로측정단위를같은척도로변환하는작업이필요하다. 표준화방법으로는평균을상회하는지표들의개수에서하회하는지표들의개수를뺀값, 각지표의표준화된값, 평균에대한편차비율의합계, 스케일조정을거친표준화값, 그리고최상의성과대비비율등다 섯가지방법이대표적이다 ( 장재홍, 2006). 본연구에서는유럽연합 (EU) 에서지역별혁신지수산출에주로활용했던스케일조정을거친표준화값을이용하였다. 이방법은통계적으로계산이복잡한단점이있으나, 구간단위데이터를유지시키며특이치의영향을최소화할수있다는장점을지닌다. 표준화를통해계산된지표의값은각지표별로동일한범위내, 즉 0에서 1 사이에서변화하는결과값으로변환된다. 여기서극단적인값을갖지않도록증가형태의지표는상위 5% 에해당하는구간을, 감소형태의지표는하위 5% 의구간에대한조정과정을거쳤다. 최종선정된 15개의쇠퇴지표에대한기술통계를실시하여최대값, 최소값을구하고다음과같은식에의해표준화하였다. 460

지방대도시의도시재생정책지원을위한쇠퇴지표적용연구 _ = xij t Min(x t j ), Min(x j) ij or [ _ t xij t ] y t Max(x t j) _ Min(x t j) Max(x t j) _ Min(x t j) 위의식에서하첨자 i, j는대상지역 ( 행정동 ) 및 15개평가지표의을나타내며, 상첨자 t는연도를말한다. x는원지표의값을, y는원지표의표준화값을의미한다. 이방법은각지표들의최대값과최소값의차를구하여분모로삼고, 개별값에서최소값 ( 또는최대값 ) 을빼서분자로하여계산한다. 또한결과값은 0부터 1사이에서변화하게되며, 점수가낮을수록도시의쇠퇴정도가심하다는것을나타낸다 ( 한상욱, 2009). 특성상쇠퇴지표는증가형과감소형으로나눌수있다. 예컨대, 인구증가율을값이커질수록쇠퇴도가낮아지고, 반대로노후건축물비율은값이커질수록쇠퇴도는높아지게된다. 따라서표준화값의산출에있어서그지표가증가형또는감소형인지이필요하며, 이에따라상기의수식에서분자에해당하는개별값과최소값의위치를교차시켜적용해야한다. 2) 가중치설정일련의과정을거쳐쇠퇴진단지표들을표준화시 킨후에는추가적으로각지표들의상대적중요도를고려할필요가있다. 여러지표들을종합화하여하나의지수로합성하는경우, 어느지표의영향력이상대적으로더중요한가를반영하여야한다. 즉, 도시쇠퇴를진단하는데있어서지표들의중요도가서로다를수있으므로이를반영하기위해가중치를부여한다 ( 이희연외, 2010). 도시쇠퇴에관한기존의연구방법론을종합해보면주로요인분석, 군집분석, 구조방정식, 분산모형, 공동화모형과같은계량적인기법들이활용되었다. 이러한기법들은변수의선정과정에서단편적인자료들만을활용하거나중요성이낮은자료들이포함되는경우, 통계치를신뢰하기어렵고도시쇠퇴의다차원적인측면을반영하지못하는경우가많다. 따라서도시의쇠퇴정도를정확하게파악하기위해서는서로다른다양한기준들의중요성을비교하여평가할필요가있다. 이러한필요를충족시킬수있는방법으로는 AHP가대표적이다. 이기법은의사결정과정에서모호하고추상적인평가기준을수치화하여계량적으로비교할수있다. 또한여러평가기준들의상대적인중요도를의사결정자의지식과경험을종합하여논리적이고체계적으로비교할수 표 2. 부문별및지표별가중치결과 부문 가중치 (A) 지표명 가중치 (B) 최종가중치 (AXB) 노령화지수 0.130 0.035 인구변화율 0.312 0.085 인구사회 0.271 기초생활수급자 ( 천명당 ) 0.209 0.057 고령인구수 0.131 0.036 경제활동인구 0.218 0.059 종사자수 ( 천명당 ) 0.382 0.154 제조업종사자비율 0.233 0.094 산업경제 0.403 총사업체수 0.089 0.036 총사업체수증감률 0.092 0.037 총종사자수증감률 0.204 0.082 노후주택비율 0.228 0.074 신규주택비율 0.204 0.067 물리환경 0.326 소형주택비율 0.122 0.040 부동산공시지가 0.071 0.023 노후건축물비율 0.375 0.122 합계 1-3 1 461

장문현 이민석 김화환 있게해준다 ( 채희원, 2013). 본연구에서는전술한쇠퇴지표들간의상대적중요도를측정할수있는방법으로 AHP를가중치산출에적용하였다. 최상위계층에대하여 k번째하위계층에있는대안들의종합적인중요도는다음식에의하여산출된다. q[1, k] = k i = 2 여기서 q[1, k] 는첫번째계층에대한 k번째계층요소의종합가중치이다. bi 는추정된 ω벡터를구성하는행을포함한 ni -1 ni를의미하며, ni는 i번째계층의요소수를나타낸다. 최종선정된부문별쇠퇴진단지표들을토대로각지표간상대적중요도평가를위해전문가집단의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조사는 2016년 10월 24일부터 11월 7일까지 15일간, 광주광역시에소재한공공기관의도시계획, 도시재생, 지역개발등실무담당자들을대상으로하였다. 설문조사방법은주로메일과우편으로설문지를발송및회수하는방법과해당부서를직접방문, 연구의취지와평가항목을설명한후설문지를배포및회수하는방법을병행하였다. 집계결과총 48명중 32명이응답하여회수율은 66.7% 이다. 분석툴은전용솔루션인 I Make It(for Windows) 프로그램과 MS Office Excel 2013을활용하였다. 인구사회, 산업경제, 물리환경의 3개상위항목에총 15개의쇠퇴지표별상대적중요도를설문하였다. 선정지표의중요도분석에앞서조사된결과가 AHP 분석에사용될수있는지를검토하기위해일관성검증을실시하였다. 일관성지수 (C.R) 6) 분석결과총 32부중지수의수치가 0.1이상으로일관성이떨어지는 4부를제외한 28부를분석에사용하였다. 일관성지수가 0.1 이상인설문의평균일관성은약 0.082 ( 약 8.2%) 로분석결과에대한신뢰성이있는것으로나타났다. 주요 3개부문별중요도를보면, 산업경제부문의중요도가 0.403으로가장높게나타났으며, 다음은물리환경부문으로 0.326, 인구사회부문은 0.271로조사되었다. 분석결과에따르면, 전문가들은광주광 bi 역시의도시쇠퇴진단을위한지표부문가운데우선적으로산업경제부문에초점을맞출필요가있다는점을제시한셈이다. 각부문별세부지표에서는인구사회부문의인구변화율 (0.321), 산업경제부문의총종사자수 (0.382), 물리환경부문의노후건축물비율 (0.375) 의가중치가가장높게나타났다. 부문별가중치와세부지표별가중치를함께반영한최종가중치의결과를보면, 전체적으로부문별 1위인 3개지표를포함하여제조업종사자비율 (0.094), 총종사자수증감율 (0.082), 노후주택비율 (0.074) 등이우위를차지했다. 반면, 부동산공시지가 (0.023), 노령화지수 (0.035), 총사업체수 (0.036) 등은상대적으로낮은가중치를지닌것으로나타났다 ( 표 2). 3) 복합쇠퇴지수산출 해당도시의대표적인지표를선정하고각지표에대한가중치를도출한후에는, 가중선형방법을통해최종적으로복합쇠퇴지수를산출하였다. 여러지표들을합성하는방법가운데가장일반적으로사용되고있는가중선형방법은지표들의관계가선형인것으로가정하고있으며, 다음식에의하여집계되었다. qj t yij t DIi t j = 1 1 = m m qj t j = 1 1 여기서 DI t i 는 i 도시의 t 년도복합쇠퇴지수를, q t j 는 j 평가지표의 t 년도가중치를나타낸다. y t ij 는 i 도시의 t 년도 j 평가지표에대한표준화값을의미한다. 복합쇠퇴지수는각각의표준화된평가지표값에각지표별가중치를곱하여단위지역별로표준화된가중평가지표값을구하고, 이를합산함으로써산출할수있다. 즉, 행정구역별로표준화된가중평가지표값의합계를평가지표의가중치합계로나누어최종적인쇠퇴지수를산출하는것이다. 본연구에서는 3개부문별 ( 인구사회, 산업경제, 물리환경 ) 각 5개의세부쇠퇴지수를구하고, 그결과를취합하여 15개평가지표전체를반영한동별 (95 개 ) 종합쇠퇴지수와순위를산출하였다. 또한집계된각동별종합쇠퇴지수를기반으로구별 (5개) 쇠퇴지 m m 462

지방대도시의도시재생정책지원을위한쇠퇴지표적용연구 수까지도출하여광주광역시전역의도시쇠퇴진단및분석에활용하였다. IV. 도시쇠퇴진단및분석 1. 인구사회부문연구대상지인광주광역시의도시쇠퇴진단을위해부문별지표를동단위로구축하고, 각지표값의표준화점수, 가중치를반영하여최종적인쇠퇴지수를합산하였다. 여기서쇠퇴지수의수치는낮을수록쇠퇴정도가높음을의미한다. 또한쇠퇴지수에따라선정한 95개행정동의쇠퇴순위는, 그순위가상위 그룹에해당할수록도시의쇠퇴수준은높은것으로풀이된다. 먼저인구사회부문의지표는인구변화율을비롯한노령화지수, 기초생활수급자 ( 천명당 ), 고령인구수, 경제활동인구의 5개지표를적용하였다. 분석결과를보면, 인구사회부문의쇠퇴지수가가장낮아도시쇠퇴가심한곳은두암3동, 삼도동, 본량동, 우산동 ( 북구 ), 풍향동, 문화동, 우산동 ( 광산구 ), 오치2동, 동명동, 사직동등의순서로나타났다. 반면에치평동, 일곡동, 운남동, 첨단1동, 송암동, 첨단2동, 어룡동, 백운1동, 하남동, 수완동등은상대적으로쇠퇴지수가높아쇠퇴정도가낮게파악되었다 ( 표 4). 전체적으로구도심에해당하는북구 서구 동구 a. 동별쇠퇴지수 b. 구별쇠퇴지수 그림 2. 인구사회부문도시쇠퇴분석도 a. 동별쇠퇴지수 b. 구별쇠퇴지수 그림 3. 산업경제부문도시쇠퇴분석도 463

장문현 이민석 김화환 a. 동별쇠퇴지수 b. 구별쇠퇴지수그림 4. 물리환경부문도시쇠퇴분석도 a. 동별쇠퇴지수 b. 구별쇠퇴지수 그림 5. 광주광역시도시쇠퇴종합분석도 의경계지역과가장늦게편입된광산구서부의쇠퇴도가높았다. 쇠퇴도가낮은지역은주로신개발지역이거나최근에대규모도시및주택개발사업이이루어져입주민의이동이활발한곳으로해석되었다 ( 그림2-a). 각구별쇠퇴양상은동구 (0.127) 가가장높은쇠퇴수준을보였고, 다음으로북구 (0.134), 남구 (0.140), 서구 (0.142) 의순서이며, 광산구 (0.149) 의쇠퇴수준이가장낮은것으로분석되었다 ( 그림 2-b). 2. 산업경제부문산업경제부문은천명당종사자수, 제조업종사자비율, 총사업체수, 총사업체수증감율, 총종사자수증감율의 5개지표를활용하였다. 산출된쇠퇴지수 및순위에따르면풍향동, 월산5동, 방림2동, 문흥2 동, 두암3동, 화정4동, 두암1동, 양동, 월산4동, 화정2 동등의순서로산업경제부문에있어서그쇠퇴정도가심한것으로나타났다. 다른한편으로쇠퇴가타지역에비해낮게나타난지역으로는사직동, 송암동, 비아동, 대촌동, 어룡동, 유덕동, 수완동, 하남동, 평동, 양산동등이해당되었다 ( 표 5). 여기에적용된지표들이주로 2 3차산업위주의사업체및종사자통계치가활용된점을감안하면, 각종산업단지, 공단등의입지나규모에상관성이있음을알수있다. 또한도심상권의활성화정도, 생산자서비스시설, 실수요자의교류및이동등이도시기능에영향을미치게되므로, 인구사회부문의 464

지방대도시의도시재생정책지원을위한쇠퇴지표적용연구 쇠퇴지수와도관련성이높은것으로보인다 ( 그림 3- 표 3. 구별 부문별도시쇠퇴지수 a). 동별지수를종합하여구단위로산업경제부문의쇠퇴도를살펴보면, 큰차이는없었으나북구 (0.106), 서구 (0.108), 동구 (0.109), 남구 (0.114) 의순서로나타났고, 광산구 (0.133) 가 5개구중에가장낮은쇠퇴수준을보였다 ( 그림 3-a). 3. 물리환경부문도시의주거및생활환경과관련이깊은물리환경부문의지표는노후주택비율, 신규주택비율, 소형주택비율, 부동산공시지가, 노후건축물비율을쇠퇴지수분석에반영하였다. 세부적인지표를기준으로도시쇠퇴가뚜렷하게나타나는곳은풍향동, 임동, 우산동, 계림2동, 중앙동, 두암1동, 중흥3동, 지원1동, 계림1동, 양3동등으로파악되었다. 이에반해운남동, 첨단1동, 일곡동, 첨단2동, 신창동, 치평동, 동천동, 금호2동, 풍암동, 수완동등은상대적으로쇠퇴수준이낮은곳으로평가되었다 ( 표 6). 전술한두부류의특성은주로신도심과구도심이라는도시개발정책의전형적인특성과맥락을같이하고있다. 또한행정및금융기관등주요공공시설의이전시기및규모와도연관성이높은것으로분석된다. 특히도시형성초기에중심부로서역할한후건물및주택의노후화가지속적으로진행된지역들로, 향후도시재개발이나정비사업등이예정된곳들이포함되는특성을보였다. ( 그림 4-a). 이와같은물리환경부문의쇠퇴지수를구단위로비교해보면, 동구 (0.064) 의쇠퇴수준이가장높게분석되었다. 광주광역시의원도심이위치하는곳으로, 타지역에비해노후도가심한건축물의분포가결과에반영된것으로사료된다. 이어서북구 (0.060), 서구 (0.121), 광산구 (0.140) 의순서를보였으며, 가장쇠퇴도가낮은구는남구 (0.143) 로파악되었다 ( 그림 4-b). 4. 종합도시쇠퇴분석지방대도시권에해당하는광주광역시에대한종합적인도시쇠퇴분석은앞서제시한 3개부문 15개지표의쇠퇴지수를통합함으로써그결과를산출할 구명 인구사회지수 산업경제지수 물리환경지수 도시쇠퇴지수 동구 0.127 0.109 0.064 0.300 서구 0.142 0.108 0.121 0.371 남구 0.140 0.114 0.143 0.397 북구 0.134 0.106 0.090 0.330 광산구 0.149 0.133 0.140 0.422 수있다. 인구사회, 산업경제, 물리환경의부분별종합쇠퇴지수를취합하고, 이를토대로전체적인도시쇠퇴지수및쇠퇴순위를각각산정하였다. 광주광역시전체의행정동 (95개) 을기준으로종합쇠퇴지수를산출한결과, 도시쇠퇴수준이심한지역은풍향동, 두암3동, 우산동, 양동, 중앙동, 산수1 동, 두암1동, 지원1동, 월산5동, 계림1동등의순서로나타났다. 이와같은지역들은 1970년대까지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시가지의외연적확산이이루어졌던곳이주로해당되었다. 반면에도시쇠퇴수준이상대적으로양호한지역은수완동, 하남동, 양산동, 치평동, 풍암동, 금호2동, 첨단2동, 신창동등으로도출되었다. 이지역들은 1980년대들어서면서정책적차원에서국가주도로추진되었던택지개발사업대상지인것으로분석되었다 ( 표 7). 종합적으로쇠퇴지수가낮아도시의쇠퇴정도가가장심한지역은북구의풍향동 (0.21) 으로나타났으며, 쇠퇴지수가높아쇠퇴수준이가장양호한지역은광산구수완동 (0.75) 으로분석되었다 ( 그림 7-a). 또한각구별종합쇠퇴지수를분석한결과, 동구 (0.300) 의쇠퇴수준이 5개구가운데에가장열악한것으로나타났다. 다음으로북구 (0.330), 서구 (0.371), 남구 (0.397) 의순서를보였고, 광산구 (0.422) 가비교적양호한쇠퇴수준을지닌것으로파악되었다 ( 표 3). 결과적으로광주광역시의도시쇠퇴양상은기존의연구에서공통적으로드러난현상이유사하게표출되었다. 즉, 구도심또는원도심 7) 과그주변부의쇠퇴수준이심화됨을확인할수있었다. 반면에최근에건설된신도심 ( 치평동, 풍암동, 금호동등 ) 과도시개발이진행중인지역 ( 수완동, 첨단동, 양산동등 ) 은쇠퇴수준이낮아많은격차를보였다. 465

장문현 이민석 김화환 표 4. 인구사회부문도시쇠퇴지수및순위 노령화지수 인구변화율 기초생활수급자 고령인구수 경제활동인구수 쇠퇴 * 순위 노령화지수 인구변화율 기초생활수급자 고령인구수 경제활동인구수 두암3동 2.80 1.84 0.00 1.87 1.11 7.62 1 중흥2동 2.72 2.60 4.92 2.86 0.54 13.64 49 삼도동 1.15 2.21 2.27 3.41 0.03 9.05 2 두암2동 3.15 2.65 4.49 2.19 1.34 13.81 50 본량동 1.38 1.68 2.85 3.38 0.00 9.28 3 지원2동 3.02 3.56 4.00 2.86 0.51 13.95 51 우산동 2.63 2.18 1.69 1.95 0.89 9.34 4 화정 4 동 3.23 2.37 4.53 2.41 1.45 13.99 52 풍향동 2.69 0.00 4.11 3.48 0.22 10.49 5 신흥동 3.12 2.35 4.75 3.55 0.25 14.02 53 문화동 2.95 2.45 2.23 2.11 0.96 10.69 6 오치 1 동 3.22 2.96 3.91 3.03 0.94 14.07 54 우산동 ** 3.23 3.11 0.75 1.85 1.88 10.81 7 임동 3.01 2.63 5.00 2.82 0.62 14.08 55 오치 2 동 2.95 2.71 1.57 2.56 1.05 10.83 8 서창동 2.95 3.36 4.32 3.20 0.37 14.21 56 동명동 2.27 1.75 3.52 3.24 0.21 10.99 9 화정 3 동 3.14 2.76 4.63 2.87 0.82 14.22 57 사직동 2.18 2.12 3.33 3.13 0.27 11.03 10 봉선 1 동 3.16 3.20 4.39 2.29 1.21 14.24 58 산수 1 동 2.66 2.06 3.05 2.84 0.45 11.06 11 신창동 0.00 3.60 5.27 2.84 2.58 14.29 59 중앙동 1.51 2.40 3.76 3.41 0.17 11.25 12 양 3 동 3.15 2.88 4.59 3.50 0.27 14.39 60 양동 1.65 2.03 4.31 3.10 0.21 11.30 13 계림 2 동 2.92 3.68 4.65 2.58 0.60 14.42 61 동곡동 1.18 2.19 4.54 3.60 0.01 11.53 14 송정 1 동 3.25 2.76 4.81 2.99 0.76 14.58 62 월산동 2.36 2.63 3.75 2.27 0.58 11.60 15 화정 1 동 3.12 3.13 4.79 2.36 1.17 14.58 63 서남동 2.30 1.71 3.89 3.56 0.17 11.62 16 운암 1 동 3.31 2.03 5.48 2.52 1.50 14.84 64 계림 1 동 2.41 2.99 2.97 2.81 0.47 11.64 17 운암 3 동 3.25 2.65 4.96 2.67 1.33 14.85 65 백운 2 동 2.64 1.97 3.50 3.33 0.28 11.71 18 도산동 3.31 2.94 4.76 2.85 0.99 14.85 66 평동 1.20 2.76 4.65 3.21 0.12 11.94 19 문흥 2 동 3.29 2.69 5.03 2.57 1.31 14.89 67 충장동 1.78 2.35 4.33 3.33 0.23 12.01 20 월곡 1 동 3.34 2.49 4.81 3.28 1.04 14.96 68 상무 2 동 3.01 3.17 2.78 1.24 1.87 12.07 21 비아동 3.34 2.69 4.92 3.59 0.44 14.98 69 화정 2 동 3.14 0.67 4.81 2.98 0.82 12.42 22 문흥 1 동 3.29 2.64 5.12 2.68 1.37 15.09 70 월산 4 동 2.89 2.52 3.57 2.82 0.68 12.47 23 용봉동 3.25 2.88 4.98 0.93 3.09 15.13 71 동림동 3.33 0.13 5.08 2.46 1.57 12.57 24 주월 1 동 3.22 3.45 4.85 2.22 1.53 15.27 72 중흥 1 동 2.61 2.04 4.17 3.59 0.19 12.60 25 상무 1 동 3.27 2.78 5.14 2.26 1.83 15.29 73 양림동 3.08 2.41 3.76 2.90 0.49 12.64 26 매곡동 3.34 2.82 5.11 3.01 1.06 15.34 74 대촌동 2.37 2.67 4.75 2.79 0.27 12.86 27 유덕동 3.38 2.75 5.11 3.33 0.81 15.39 75 농성 1 동 2.65 2.98 4.03 2.73 0.50 12.88 28 삼각동 3.31 2.91 4.93 3.27 0.96 15.40 76 지산 2 동 2.94 2.32 4.00 3.33 0.31 12.89 29 건국동 3.44 1.84 5.05 1.72 3.42 15.47 77 지원 1 동 3.00 2.50 3.98 2.98 0.48 12.94 30 동천동 3.44 3.26 4.43 3.13 1.26 15.52 78 농성 2 동 2.77 3.06 3.46 3.36 0.35 12.99 31 효덕동 3.32 3.83 5.10 0.00 3.57 15.82 79 월산 5 동 2.84 2.60 3.95 3.15 0.48 13.02 32 봉선 2 동 3.37 3.43 5.01 1.93 2.15 15.88 80 방림 2 동 2.91 2.37 4.49 2.58 0.68 13.02 33 월곡 2 동 3.40 2.65 5.32 3.08 1.48 15.92 81 석곡동 1.91 2.78 4.74 3.54 0.07 13.04 34 신가동 3.43 3.04 4.98 2.81 1.82 16.08 82 중흥 3 동 2.68 2.44 4.39 3.28 0.32 13.12 35 양산동 3.39 3.43 4.80 1.77 2.75 16.14 83 금호 1 동 3.25 2.76 3.25 2.11 1.76 13.13 36 금호 2 동 3.42 2.87 5.51 2.56 2.17 16.53 84 송정 2 동 2.67 2.37 4.75 3.07 0.34 13.21 37 풍암동 3.41 3.13 5.28 1.61 3.14 16.56 85 임곡동 3.48 2.43 3.86 3.49 0.02 13.27 38 치평동 3.34 3.21 5.56 2.07 2.41 16.59 86 광천동 2.99 2.64 4.26 2.86 0.67 13.41 39 일곡동 3.42 2.89 5.32 2.39 2.61 16.63 87 지산 1 동 2.97 2.44 4.28 3.47 0.25 13.41 40 운남동 3.44 2.82 5.43 2.58 2.53 16.81 88 학운동 2.84 3.00 4.87 1.91 0.81 13.43 41 첨단 1 동 3.41 2.90 5.70 2.98 1.94 16.94 89 두암 1 동 2.88 2.73 4.38 2.87 0.57 13.44 42 송암동 3.27 5.50 4.57 3.35 0.53 17.22 90 쇠퇴순위 466

지방대도시의도시재생정책지원을위한쇠퇴지표적용연구 표 4. 계속 노령화지수 인구변화율 기초생활수급자 고령인구수 경제활동인구수 쇠퇴 * 순위 노령화지수 인구변화율 기초생활수급자 고령인구수 경제활동인구수 주월2동 3.06 2.50 4.34 3.00 0.64 13.54 43 첨단2동 3.45 3.09 5.28 2.39 3.40 17.62 91 산수2동 2.89 3.12 4.39 2.48 0.68 13.57 44 어룡동 3.39 6.11 5.02 2.20 2.15 18.87 92 학동 2.83 3.22 4.13 2.99 0.41 13.57 45 백운1동 3.19 8.03 4.61 2.59 0.93 19.36 93 운암 2 동 2.96 2.55 4.70 2.41 1.00 13.61 46 하남동 3.50 6.49 5.31 3.33 1.36 19.98 94 방림 1 동 3.14 2.68 4.14 3.17 0.48 13.61 47 수완동 3.48 8.50 5.31 1.64 5.90 24.82 95 신안동 2.78 2.81 4.61 2.62 0.82 13.64 48 * 쇠퇴순위가높을수록쇠퇴정도가심함을의미함. ** 광산구의우산동을의미하며, 북구의우산동과구별함. 쇠퇴순위 표 5. 산업경제부문도시쇠퇴지수및순위 종사자수 ( 천명당 ) 제조업종사자비율 총사업체수 총사업체수증감율 총종사자수증감율 쇠퇴 * 순위 종사자수 ( 천명당 ) 제조업종사자비율 총사업체수 총사업체수증감율 총종사자수증감율 풍향동 0.44 0.25 0.25 4.13 1.95 7.03 1 건국동 1.15 8.20 1.23 0.00 0.00 10.58 49 월산5동 0.58 0.22 0.34 4.55 1.63 7.32 2 계림1동 0.55 0.08 0.97 6.56 2.45 10.61 50 방림2동 0.40 0.22 0.19 4.59 2.18 7.58 3 첨단2동 0.58 0.15 1.63 6.25 2.12 10.73 51 문흥2동 0.12 0.15 0.44 5.17 2.20 8.08 4 지산2동 0.88 0.10 0.27 7.22 2.27 10.74 52 두암3동 0.18 0.22 0.50 5.24 2.06 8.21 5 학동 0.66 1.35 0.74 5.76 2.25 10.75 53 화정4동 0.25 0.11 0.46 5.30 2.11 8.23 6 양림동 0.95 0.24 0.27 6.92 2.38 10.77 54 두암1동 0.36 0.30 0.35 4.98 2.30 8.29 7 학운동 0.40 0.61 0.42 7.01 2.45 10.88 55 양동 0.26 0.12 0.90 5.19 1.90 8.37 8 신흥동 0.65 0.44 0.10 6.94 2.76 10.89 56 월산4동 0.86 0.11 0.38 4.98 2.18 8.51 9 도산동 0.25 0.31 0.44 7.52 2.50 11.02 57 화정2동 0.62 0.13 0.40 5.26 2.22 8.62 10 운암2동 0.58 0.42 1.11 6.50 2.48 11.09 58 지원1동 0.40 0.24 0.26 5.38 2.45 8.71 11 동림동 0.54 0.98 0.68 6.50 2.44 11.13 59 주월2동 0.35 0.46 0.33 4.86 2.75 8.75 12 농성1동 1.53 0.10 0.54 6.72 2.28 11.17 60 임곡동 0.51 1.17 0.02 5.37 1.72 8.79 13 첨단1동 0.66 0.07 0.70 7.76 2.25 11.44 61 우산동 0.28 0.39 0.89 5.90 1.54 9.01 14 신가동 0.35 0.26 0.96 7.27 2.63 11.47 62 문흥1동 0.43 0.13 0.63 5.87 2.02 9.08 15 상무2동 0.85 0.11 1.00 6.78 2.74 11.48 63 금호1동 0.31 0.14 0.71 5.98 2.08 9.22 16 신안동 1.02 0.45 1.26 6.83 2.05 11.61 64 두암2동 0.48 0.11 0.84 5.44 2.35 9.22 17 월산동 0.26 0.32 0.52 8.90 1.62 11.62 65 농성2동 0.62 0.12 0.46 6.48 1.60 9.27 18 석곡동 0.24 0.42 0.11 8.38 2.49 11.63 66 중흥3동 0.22 0.29 0.39 5.74 2.67 9.30 19 우산동 ** 0.90 0.63 1.14 6.68 2.34 11.70 67 운암3동 0.79 0.05 0.34 5.53 2.60 9.31 20 풍암동 0.42 0.11 1.45 7.43 2.37 11.77 68 문화동 0.56 0.13 0.75 5.30 2.61 9.35 21 지원2동 0.75 0.31 0.23 7.92 2.57 11.78 69 매곡동 0.47 0.13 0.46 6.07 2.29 9.41 22 임동 0.71 2.20 0.54 6.44 1.94 11.82 70 봉선2동 0.63 0.05 0.78 6.16 1.83 9.44 23 용봉동 0.85 0.17 2.12 6.27 2.44 11.84 71 상무1동 0.47 0.06 1.16 5.97 1.82 9.48 24 서남동 1.33 0.00 1.11 7.07 2.43 11.93 72 산수1동 0.13 0.25 0.51 6.28 2.34 9.51 25 서창동 0.92 0.36 1.76 6.85 2.05 11.94 73 광천동 1.31 0.15 0.56 5.93 1.59 9.53 26 방림1동 0.08 0.27 0.27 9.49 1.84 11.95 74 오치2동 0.40 0.42 0.64 5.72 2.38 9.55 27 봉선1동 0.52 0.18 0.95 7.21 3.20 12.06 75 송정2동 0.43 0.26 0.72 6.22 1.96 9.58 28 본량동 1.04 1.08 0.00 7.47 2.84 12.43 76 송정1동 0.33 0.19 0.20 6.85 2.09 9.66 29 삼도동 1.87 1.68 0.04 6.47 2.66 12.73 77 화정1동 0.54 0.19 0.89 6.14 1.92 9.68 30 치평동 1.72 0.02 2.29 6.70 2.03 12.76 78 쇠퇴순위 467

장문현 이민석 김화환 표 5. 계속 종사자수 ( 천명당 ) 제조업종사자비율 총사업체수 총사업체수증감율 총종사자수증감율 쇠퇴 * 순위 종사자수 ( 천명당 ) 제조업종사자비율 총사업체수 총사업체수증감율 총종사자수증감율 오치1동 0.54 0.56 0.59 5.71 2.33 9.72 31 동명동 0.09 3.70 0.39 6.88 1.91 12.97 79 양3동 0.04 0.55 0.06 6.76 2.37 9.78 32 효덕동 0.63 0.08 1.21 8.29 2.78 12.98 80 산수2동 0.00 0.92 0.30 6.61 2.02 9.85 33 신창동 0.57 0.39 1.06 8.32 2.74 13.09 81 운암 1 동 0.55 0.21 0.62 5.82 2.71 9.91 34 주월 1 동 0.48 0.24 0.78 9.16 2.79 13.43 82 월곡 2 동 0.47 0.23 0.82 6.35 2.14 10.02 35 충장동 0.70 0.78 3.70 6.33 2.25 13.77 83 삼각동 0.71 0.32 0.40 6.15 2.45 10.03 36 백운 1 동 0.13 0.38 0.38 10.44 2.54 13.89 84 중흥 1 동 1.12 0.23 0.58 6.31 1.85 10.09 37 동곡동 0.52 1.50 0.04 9.26 2.62 13.94 85 지산 1 동 0.27 0.07 0.49 6.78 2.50 10.10 38 사직동 1.53 0.17 0.29 7.49 4.54 14.03 86 중앙동 0.82 0.45 0.75 6.07 2.05 10.14 39 송암동 2.26 0.81 0.40 8.42 2.43 14.33 87 백운 2 동 1.39 0.27 0.25 5.39 2.84 10.14 40 비아동 0.79 2.82 1.15 8.84 2.51 16.11 88 계림 2 동 0.09 0.63 0.46 6.68 2.29 10.15 41 대촌동 0.40 0.79 0.16 11.52 3.28 16.15 89 운남동 0.48 0.32 0.70 6.29 2.45 10.24 42 어룡동 1.75 3.58 0.84 8.82 2.30 17.28 90 중흥 2 동 0.55 0.23 0.37 6.40 2.72 10.26 43 유덕동 3.60 5.51 0.50 8.89 2.32 20.82 91 월곡 1 동 0.04 0.35 0.59 7.53 1.90 10.42 44 수완동 0.78 0.02 1.86 14.40 4.59 21.66 92 동천동 0.70 0.84 0.54 6.41 1.96 10.44 45 하남동 2.85 6.66 1.84 9.35 2.53 23.22 93 일곡동 0.53 0.15 0.93 6.51 2.33 10.45 46 평동 3.00 6.85 0.76 10.41 2.70 23.71 94 화정 3 동 0.47 0.12 0.45 6.33 3.14 10.51 47 양산동 1.81 1.36 2.07 16.30 8.50 30.04 95 금호 2 동 0.49 0.12 0.70 6.94 2.28 10.53 48 * 쇠퇴순위가높을수록쇠퇴정도가심함을의미함. ** 광산구의우산동을의미하며, 북구의우산동과구별함. 쇠퇴순위 표 6. 물리환경부문도시쇠퇴지수및순위 노후주택배율 신규주택비율 소형주택비율 부동산공시지가 노후건축물비율 쇠퇴 * 순위 노후주택배율 신규주택비율 소형주택비율 부동산공시지가 노후건축물비율 풍향동 0.51 0.05 1.22 0.48 1.11 3.38 1 석곡동 1.81 0.26 1.44 0.01 6.53 10.05 49 임동 0.37 0.00 1.47 0.41 1.61 3.87 2 동곡동 1.26 0.39 2.95 0.02 5.54 10.17 50 우산동 0.19 0.00 2.67 0.46 0.64 3.97 3 오치1동 2.18 0.21 3.67 0.35 3.86 10.28 51 계림2동 1.15 0.10 0.22 0.46 2.04 3.98 4 삼도동 1.98 0.57 2.43 0.00 5.45 10.42 52 중앙동 0.76 0.07 0.63 0.61 2.03 4.10 5 양산동 1.77 0.81 2.55 0.21 5.15 10.50 53 두암1동 0.10 0.08 3.71 0.38 0.00 4.27 6 신흥동 1.85 0.54 2.15 0.11 5.98 10.62 54 중흥3동 0.34 0.09 2.48 0.45 0.99 4.36 7 신가동 2.70 1.02 1.52 0.26 5.54 11.04 55 지원1동 0.58 0.05 1.57 0.22 2.05 4.47 8 운암3동 1.52 0.13 3.78 0.26 5.79 11.47 56 계림1동 1.19 0.10 0.91 0.49 1.79 4.48 9 용봉동 1.77 0.29 3.58 0.46 5.71 11.81 57 양3동 0.64 0.01 1.04 0.47 2.33 4.49 10 평동 1.68 0.87 2.50 0.05 6.74 11.84 58 산수2동 0.66 0.08 2.52 0.34 1.18 4.78 11 우산동 ** 1.46 0.53 3.31 0.37 6.40 12.07 59 월산동 1.26 0.03 0.46 0.38 2.85 4.98 12 건국동 2.20 0.38 0.77 0.12 8.63 12.09 60 화정3동 0.03 0.07 3.99 0.49 0.49 5.07 13 운암1동 2.58 0.53 3.14 0.28 5.87 12.39 61 양동 1.12 0.05 0.00 0.49 3.52 5.17 14 사직동 4.22 0.02 0.92 0.40 7.11 12.68 62 중흥1동 0.65 0.13 1.85 0.49 2.09 5.21 15 서창동 2.38 0.12 2.17 0.14 7.93 12.73 63 운암2동 0.00 0.05 3.70 0.27 1.19 5.21 16 어룡동 2.58 1.76 2.41 0.09 6.49 13.34 64 지산1동 1.03 0.10 1.64 0.37 2.12 5.26 17 문흥1동 3.23 0.10 3.98 0.32 5.83 13.47 65 중흥2동 0.48 0.23 3.63 0.48 0.56 5.39 18 유덕동 3.22 0.26 1.95 0.44 8.08 13.94 66 쇠퇴순위 468

지방대도시의도시재생정책지원을위한쇠퇴지표적용연구 표 6. 계속 노후주택배율 신규주택비율 소형주택비율 부동산공시지가 노후건축물비율 쇠퇴 * 순위 노후주택배율 신규주택비율 소형주택비율 부동산공시지가 노후건축물비율 산수1동 1.41 0.04 1.18 0.41 2.36 5.39 19 송암동 4.62 0.09 1.21 0.14 7.95 14.01 67 동명동 1.25 0.16 1.02 0.47 2.62 5.52 20 매곡동 3.29 0.16 2.09 0.22 8.28 14.05 68 두암2동 0.33 0.13 3.70 0.37 1.01 5.54 21 봉선1동 4.14 0.12 3.37 0.52 6.36 14.51 69 두암 3 동 0.32 0.03 3.61 0.35 1.44 5.74 22 양림동 5.04 0.08 0.73 0.36 8.43 14.64 70 농성 2 동 0.38 0.16 3.84 0.46 0.97 5.81 23 방림 2 동 4.97 0.10 1.09 0.35 8.39 14.91 71 화정 2 동 0.30 0.07 3.88 0.46 1.18 5.88 24 동림동 4.10 0.18 1.84 0.23 9.34 15.70 72 농성 1 동 0.41 0.06 3.17 0.48 1.84 5.96 25 대촌동 5.25 0.15 1.18 0.02 9.20 15.80 73 광천동 0.63 0.03 2.27 0.47 2.61 6.01 26 비아동 3.22 0.62 2.43 0.27 9.41 15.95 74 신안동 0.41 0.17 3.10 0.47 2.06 6.22 27 백운 1 동 5.18 0.20 2.56 0.47 8.32 16.73 75 월산 5 동 0.86 0.12 3.44 0.39 1.56 6.37 28 금호 1 동 3.96 0.12 3.61 0.50 8.60 16.79 76 화정 4 동 0.33 0.01 3.97 0.48 1.67 6.46 29 효덕동 4.83 0.61 2.81 0.18 8.56 16.99 77 월산 4 동 1.20 0.08 3.15 0.46 1.88 6.77 30 상무 1 동 4.75 0.34 3.84 0.53 7.71 17.17 78 월곡 1 동 0.86 0.62 4.00 0.36 1.22 7.05 31 주월 2 동 5.24 0.09 2.90 0.38 8.59 17.21 79 문흥 2 동 0.59 0.19 3.95 0.37 1.98 7.07 32 주월 1 동 5.09 0.24 3.42 0.41 8.11 17.27 80 송정 2 동 0.79 0.39 2.04 0.36 3.64 7.23 33 백운 2 동 5.52 0.35 2.88 0.48 8.49 17.72 81 충장동 1.06 0.03 1.54 2.30 2.62 7.55 34 방림 1 동 5.73 0.07 2.75 0.36 9.03 17.95 82 문화동 0.46 0.04 3.07 0.31 3.67 7.55 35 삼각동 5.40 0.36 3.03 0.23 9.20 18.22 83 학동 1.66 0.07 1.12 0.44 4.40 7.68 36 봉선 2 동 5.97 0.44 3.67 0.49 9.87 20.44 84 송정 1 동 1.26 0.34 2.59 0.37 3.37 7.93 37 하남동 5.68 4.44 3.08 0.22 8.13 21.55 85 상무 2 동 0.88 0.35 3.68 0.51 2.58 8.00 38 운남동 6.72 0.48 2.95 0.53 11.11 21.79 86 지산 2 동 1.64 0.13 1.92 0.22 4.17 8.08 39 첨단 1 동 6.23 0.35 2.98 0.85 11.53 21.93 87 지원 2 동 1.15 0.18 1.39 0.04 5.32 8.10 40 일곡동 6.64 0.72 3.53 0.29 10.96 22.14 88 서남동 1.77 0.30 1.12 0.92 4.01 8.11 41 첨단 2 동 6.66 0.61 3.65 0.09 11.40 22.41 89 본량동 1.30 0.46 1.98 0.00 4.62 8.36 42 신창동 6.06 3.08 3.48 0.31 10.03 22.96 90 화정 1 동 1.16 0.44 3.81 0.49 3.22 9.11 43 치평동 6.87 0.58 3.64 0.82 11.49 23.40 91 임곡동 1.58 0.39 2.16 0.00 4.98 9.12 44 동천동 7.40 0.72 3.40 0.41 12.20 24.13 92 월곡 2 동 1.18 1.04 4.00 0.14 3.08 9.44 45 금호 2 동 7.38 0.57 3.69 0.46 12.14 24.24 93 도산동 1.48 0.59 2.23 0.13 5.14 9.57 46 풍암동 7.36 0.68 3.89 0.37 12.00 24.31 94 오치 2 동 1.29 0.16 3.71 0.34 4.22 9.73 47 수완동 6.63 6.70 3.54 0.78 10.98 28.63 95 학운동 1.72 0.57 1.46 0.14 5.92 9.80 48 * 쇠퇴순위가높을수록쇠퇴정도가심함을의미함. ** 광산구의우산동을의미하며, 북구의우산동과구별함. 표 7. 종합도시쇠퇴지수및순위 인구사회산업경제물리환경도시쇠퇴쇠퇴 * 인구사회산업경제물리환경도시쇠퇴쇠퇴지수지수지수지수순위지수지수지수지수순위 풍향동 0.10 0.07 0.03 0.21 1 우산동 ** 0.11 0.12 0.12 0.35 49 두암3동 0.08 0.08 0.06 0.22 2 석곡동 0.13 0.12 0.10 0.35 50 우산동 0.09 0.09 0.04 0.22 3 월곡2동 0.16 0.10 0.09 0.35 51 양동 0.11 0.08 0.05 0.25 4 도산동 0.15 0.11 0.10 0.35 52 중앙동 0.11 0.10 0.04 0.25 5 방림2동 0.13 0.08 0.15 0.36 53 산수1동 0.11 0.10 0.05 0.26 6 신흥동 0.14 0.11 0.11 0.36 54 두암1동 0.13 0.08 0.04 0.26 7 운암3동 0.15 0.09 0.11 0.36 55 쇠퇴순위 469

장문현 이민석 김화환 표 7. 계속 인구사회지수 산업경제지수 물리환경지수 도시쇠퇴지수 쇠퇴 * 순위 인구사회지수 산업경제지수 물리환경지수 도시쇠퇴지수 지원1동 0.13 0.09 0.04 0.26 8 동곡동 0.12 0.14 0.10 0.36 56 월산5동 0.13 0.07 0.06 0.27 9 운암1동 0.15 0.10 0.12 0.37 57 계림1동 0.12 0.11 0.04 0.27 10 문흥1동 0.15 0.09 0.13 0.38 58 중흥3동 0.13 0.09 0.04 0.27 11 사직동 0.11 0.14 0.13 0.38 59 화정2동 0.12 0.09 0.06 0.27 12 양림동 0.13 0.11 0.15 0.38 60 문화동 0.11 0.09 0.08 0.28 13 건국동 0.15 0.11 0.12 0.38 61 월산4동 0.12 0.09 0.07 0.28 14 신가동 0.16 0.11 0.11 0.39 62 중흥1동 0.13 0.10 0.05 0.28 15 용봉동 0.15 0.12 0.12 0.39 63 농성2동 0.13 0.09 0.06 0.28 16 매곡동 0.15 0.09 0.14 0.39 64 산수2동 0.14 0.10 0.05 0.28 17 서창동 0.14 0.12 0.13 0.39 65 월산동 0.12 0.12 0.05 0.28 18 금호1동 0.13 0.09 0.17 0.39 66 계림2동 0.14 0.10 0.04 0.29 19 동림동 0.13 0.11 0.16 0.39 67 두암2동 0.14 0.09 0.06 0.29 20 주월2동 0.14 0.09 0.17 0.40 68 양3동 0.14 0.10 0.04 0.29 21 백운2동 0.12 0.10 0.18 0.40 69 화정4동 0.14 0.08 0.06 0.29 22 봉선1동 0.14 0.12 0.15 0.41 70 지산1동 0.13 0.10 0.05 0.29 23 상무1동 0.15 0.09 0.17 0.42 71 광천동 0.13 0.10 0.06 0.29 24 방림1동 0.14 0.12 0.18 0.44 72 중흥2동 0.14 0.10 0.05 0.29 25 삼각동 0.15 0.10 0.18 0.44 73 동명동 0.11 0.13 0.06 0.29 26 대촌동 0.13 0.16 0.16 0.45 74 임동 0.14 0.12 0.04 0.30 27 송암동 0.17 0.14 0.14 0.46 75 화정3동 0.14 0.11 0.05 0.30 28 봉선2동 0.16 0.09 0.20 0.46 76 운암2동 0.14 0.11 0.05 0.30 29 효덕동 0.16 0.13 0.17 0.46 77 농성1동 0.13 0.11 0.06 0.30 30 주월1동 0.15 0.13 0.17 0.46 78 송정2동 0.13 0.10 0.07 0.30 31 비아동 0.15 0.16 0.16 0.47 79 문흥2동 0.15 0.08 0.07 0.30 32 평동 0.12 0.24 0.12 0.47 80 본량동 0.09 0.12 0.08 0.30 33 운남동 0.17 0.10 0.22 0.49 81 오치2동 0.11 0.10 0.10 0.30 34 일곡동 0.17 0.10 0.22 0.49 82 임곡동 0.13 0.09 0.09 0.31 35 어룡동 0.19 0.17 0.13 0.49 83 신안동 0.14 0.12 0.06 0.31 36 백운1동 0.19 0.14 0.17 0.50 84 상무2동 0.12 0.11 0.08 0.32 37 동천동 0.16 0.10 0.24 0.50 85 서남동 0.12 0.12 0.08 0.32 38 유덕동 0.15 0.21 0.14 0.50 86 지산2동 0.13 0.11 0.08 0.32 39 첨단1동 0.17 0.11 0.22 0.50 87 학동 0.14 0.11 0.08 0.32 40 신창동 0.14 0.13 0.23 0.50 88 송정1동 0.15 0.10 0.08 0.32 41 첨단2동 0.18 0.11 0.22 0.51 89 삼도동 0.09 0.13 0.10 0.32 42 금호2동 0.17 0.11 0.24 0.51 90 월곡1동 0.15 0.10 0.07 0.32 43 풍암동 0.17 0.12 0.24 0.53 91 충장동 0.12 0.14 0.08 0.33 44 치평동 0.17 0.13 0.23 0.53 92 화정1동 0.15 0.10 0.09 0.33 45 양산동 0.16 0.30 0.10 0.57 93 지원2동 0.14 0.12 0.08 0.34 46 하남동 0.20 0.23 0.22 0.65 94 오치1동 0.14 0.10 0.10 0.34 47 수완동 0.25 0.22 0.29 0.75 95 학운동 0.13 0.11 0.10 0.34 48 * 쇠퇴순위가높을수록쇠퇴정도가심함을의미함. ** 광산구의우산동을의미하며, 북구의우산동과구별함. 쇠퇴순위 470

지방대도시의도시재생정책지원을위한쇠퇴지표적용연구 V. 결론 본연구는지방의대도시권에대한도시재생정책을지원할수있도록쇠퇴지표를적용함으로써광주광역시의행정동및구별쇠퇴수준을진단 분석하는데주력하였다. 방법론적인측면에서국토교통부의도시재생종합정보시스템에서활용중인쇠퇴진단지표를원용하였고, 전문가들의의견수렴을통해최종적으로 3개부문의 15개지표를선정하였다. 다양한척도를지닌지표들은측정단위가같은척도로변환하는스케일조정을통해표준화값을산출하였다. 나아가도시쇠퇴를진단하는데있어서지표들의중요도가서로다를수있으므로, 상대적중요도를측정할수있는 AHP 방식을가중치산출에적용하였다. 주요 3개부문별중요도는산업경제부문이가장높았으며, 다음은물리환경부문, 인구사회부문으로나타났다. 따라서광주광역시의도시쇠퇴진단을위한지표부문가운데우선적으로산업경제부문에초점을맞출필요가있다는점을제시하였다. 세부적으로각지표에대한가중치를도출한후, 가중선형방법을통해최종적인복합쇠퇴지수를생성하였다. 본연구에서는각부문별 5개씩세부쇠퇴지수를구하고, 그결과를취합하여 15개평가지표전체지표를반영한동별 (95개) 종합쇠퇴지수및순위를산출하였다. 또한집계된각동별종합쇠퇴지수를기반으로구별 (5개) 쇠퇴지수까지도출하여광주광역시전역의도시쇠퇴진단및분석에활용하였다. 결과적으로광주광역시의도시공간을내부적으로보면, 원도심또는구시가지의쇠퇴가심각한것으로파악되었다. 전체적인도시쇠퇴의공간적패턴은상업, 업무기능및행정기능이밀집해있는구도심과그주변지역이쇠퇴하고있는특성을보였다. 이는도시외곽으로신시가지가개발되어기존도심의도시기능들이이전됨에따라쇠퇴가가속화되었음을시사한다. 도시쇠퇴는다양한요인들이복잡하게상호작용하는다차원적인현상임은주지의사실이다. 또한도시의특성에따라쇠퇴원인도상당히다른것으 로알려져있다. 따라서현재의도시재생정책도쇠퇴원인과실태를정확히반영한맞춤형정책도입이필요하다고할것이다. 도시쇠퇴도분석결과를토대로도시재생전략과추진사업을발굴하는단계에서부터적극적인반영이이루어져야한다. 특히부문별지표에근거한도시재생계획및활성화지역선정에우선적으로적용이필요하다. 인구사회부문은쇠퇴지역의인구유입을위한방안, 기존문화자원의활용등실질적인재생프로그램도입이고려되어야한다. 산업경제부문은상권활성화와지역기반산업의체계적지원이가능하도록도시재생이이루어질필요가있다. 물리환경부문은건축물의노후도개선, 접근성증진을위한교통체계의개선, 공원및광장, 생활인프라의확충등공공부분에서의전략적인반영이요구된다. 이러한맥락에서본연구는대도시차원의도시재생정책을수립하고, 의사결정지원체계를마련하는데유용하게사용될수있을것이다. 더불어해당지역의행정구역공간규모에따라동, 구, 시차원의도시재생전략및계획수립과정에서의다각적인활용을기대한다. 한편으로본연구는도시공간구조의특성상다양한형태로내재되어있는정성적요인을충분히반영하지못하였다. 또한지표의선정에있어서동단위의자료구축문제로효용성이높은항목들을배재하여적용하지못한한계점도지니고있다. 향후연구에서는적용시기의범위를넓혀시계열적분석을통해쇠퇴진단결과의객관성을확보할필요가있겠다. 뿐만아니라, 정성적인지표활용을통한대도시권차원의쇠퇴수준및유형의제시가이루어져야할것으로사료된다. 註 1) 2013 년 6 월제정되고 12 월시행된 도시재생활성화및지원에관한특별법 은도시의자생적성장기반을확충하고도시의경쟁력을제고, 지역공동체를회복하는등국민의삶의질향상에이바지하는것을목적으로하고있다. 2) 도시재생종합정보시스템 (www.city.go.kr) 은 1 단계시 군 구단위의쇠퇴진단시스템구축사업을시작으로 2 단계 471

장문현 이민석 김화환 지구단위쇠퇴진단시스템및잠재력분석시스템, 3 단계종합적인쇠퇴및잠재력분석을통한우선순위선정기능을구현하였다. 현재시스템운영은 LH 공사에위탁하여수행중이다. 3) 이방법은통계적으로계산이다소복잡하다는단점이있으나구간정보를보유하며, 구간단위데이터를유지시키는기법들중특이치들의영향을가장적게받는다는장점을갖고있어다른기법들에비해우월하다 ( 장재홍, 2006). 4)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는 1970 년대초반 T. Saaty 에의해개발되었으며, 의사결정의계층구조를구성하고있는요소간의쌍대비교 (Pairwise comparison) 를통해평가자의지식, 경험및직관을포착하고자하는의사결정방법론이다. 주로평가, 선택, 예측을위한우선순위결정에주로사용되는방법으로복잡한의사결정문제에활용도가높다. 5) 도시인구, 경제규모등을고려해 6 대광역시의도시계획관련부서담당공무원을대상으로설문하였다. 3 개부문은중요도순위를조사하였고, 23 개의예비지표 ( 인구사회 6 개, 산업경제 11 개, 물리환경 6 개 ) 는쇠퇴지표로서의대표성을조사하였다. 6) AHP 에서는일관성비율 (CR: Consistency Ratio) 로써의사결정자의유의성을판단한다. 일반적으로일관성지수가 0 의값을가질경우는응답자가완전한일관성을유지하며쌍대비교를수행하였음을의미한다. 반면 0.1 이상이면일관성이부족하여재검토가필요함을의미한다 ( 조근태, 2003). 7) 원도심은최초도심지역할을하였던지역으로다른도심지가생겨나기전부터형성되었던도시의오래된중심부분이다. 이에반해구도심은기존도시의중심지역으로최근도심공동화현상의가속화에따른도심재생및환경회복과관련한건축과도시설계분야등에서구도심과하여원도심이란용어를별도로빈번하게사용하고있다 ( 김정민, 2007). 文獻 계기석, 2002, 미국과영국의도심쇠퇴와활성화노력, 도시문제, 37(9): 71-83. 국토교통부도시재생사업단, 2009, 쇠퇴도시유형별재생기법및지원체제개발 (I). 국토교통부도시재생사업단, 2010, 도시쇠퇴실태자료구축및종합정보시스템구축. 김광중 박현영 김예성 안현진, 2010, 도시내지구차원의쇠퇴실태와양상,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2): 27-42. 김정민, 2007, 도시 : 기억그리고욕망, 역사문화경관으로서원도심, 울산발전, 16: 75-86. 김준용 박병호, 2009, 복합쇠퇴지수를활용한지방도시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4): 83-100. 김항집, 2011, 역사문화자원과연계한지방중소도시재생방안,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3(4): 123-148. 민학기 박천보, 2013, 도시쇠퇴에따른도시재생사업의방향에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천안 : 대한건축학회. 박병호 한상욱 김준용, 2009, 우리나라중소도시의쇠퇴유형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2(3): 1-13. 서준교, 2014, 도시쇠퇴와수축의원인과대응전략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6(1): 97-115. 양동석 유영도, 2011, 도시재생종합정보시스템구축 : 시군구단위쇠퇴진단시스템구현을중심으로,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2(3): 249-258. 엄상근 남윤섭, 2014, 도시재생정책수립을위한지방중소도시의도시쇠퇴지표적용, 한국도시지리학회, 17(3): 111-122. 이소영 오은주 이희연, 2012, 지역쇠퇴분석및재생방안, 서울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이영성 김예지 김용욱, 2010, 도시차원의쇠퇴실태와경향,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2): 1-11. 이희연 심재헌 노승철, 2010, 도시내부의쇠퇴실태와공간패턴, 한국도시지리학회, 13(2): 13-26. 임배근, 2011, 역사문화기반의도시재생과지역경제활성화, 한국지역경제연구, 20: 193-219. 장재홍, 2006, 지역혁신지수의산출및지역간비교분석, 서울 : 산업연구원. 정철모 노형규, 2009, 도시재생을통한창조도시만들기,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2): 35-94. 정철호 이종호, 2013, 창원시마산지역의도심쇠퇴와재생정책,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4): 191-204. 조근태, 2003, 앞서가는리더들의계층분석적의사 472

지방대도시의도시재생정책지원을위한쇠퇴지표적용연구 결정, 서울 : 동현출판사. 조진희 이동건 황희연, 2010, 도시쇠퇴수준및특성화유형화, 국토지리학회지 44(1): 35-50. 채희원, 2013, AHP기법을활용한서울시내부의종합쇠퇴지수산출및도시쇠퇴공간패턴탐색, 한국지리학회지 2(2): 147-163. 최희욱 유석연, 2012, 도시쇠퇴지표와사회영향평가 (SIA) 의도입을통한뉴타운사업지구지정판단지표연구-서울시종로구창신동을중심으로, 국토계획 47(5): 53-67. 황희연 성순아 심용주 강민철, 2011, 지방중소도시쇠퇴에대한공무원의인지도와쇠퇴현상의일치도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4(3): 129-143. Kearna, A., Gibbs, K., and Mackay, D., 2000, Area deprivation in Scotland: a new assessment, Urban Studies 37(9): 1535-1599. Langlois, A. and kitchen, P., 2001, Indtifying and measuring dimensions of urban deprvation in Montreal: an analysis of the 1996 census data, Urban Studies 38(1): 119-139. Lucy, W. and Phillips, D., 2000. Confronting Suburban Decline: Strategic Planning for Metropolitan Renewal, Island Press, Washington D.C. OECD, 1998, Integrating Distressed Urban Areas, OECD Publishing. Pacione, M., 2009, Urban Geography: A Global Perspective, Routledge. 접수 2016년 11월 3일최종수정 2016년 11월 22일게재확정 2016년 11월 30일 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