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EP Case Reports J Korean Neurosurg Soc 30509-513, 2001 천골부에발생한거대신경초종 * - 증례보고 - 오경섭 하성일 이현성 이종수 곽승수 ** 윤석훈 = Abstract = Giant Benign Schwannoma Involving Sacral Bone A Case Report Kyung Seup Oh, M.D., Sung Il Ha, M.D., Hyun Sung Lee, M.D., Jong Soo Lee, M.D., Seung Su Kwak, M.D.,** Suk Hoon Yun, 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and General surgery,** Sun General hospital, Taejeon, Korea - KEY WORDS 서론 증례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30April, 2001 509
천골부에 발생한 거대 신경초종 이학적 및 신경학적 소견 요추 및 천골부위의 피부에 발견되지 않았으며 CT에서 주위와 경계가 뚜렷한 종괴가 이상 소견은 없었으나 촉진상 좌측 천골 2번째 부위로 약 좌측 천골부에 있으며 이 종괴는 자궁과 소장을 앞, 좌우로 4 5cm정도의 종괴가 만져지며 압통을 호소하였다. 직장 밀고 있는 소견을 보이며 좌측 천골부의 신경관 주위에 골 수지 검사상 종괴가 촉지되었으며 하지 직거상 검사상 음 침식 소견이 관찰되었고 조영증강상에서는 잘 조영증강된 성소견을 보였다. 운동 및 감각기능은 정상 범위였으며, 심 소견을 보이고 있다. MRI상에서는 T1강조영상 및 T2강조 부건 반사도 정상범위이었다. 병적반사는 나타나지 않았다. 영상에서 종괴는 동등신호강도와 고신호강도를 나타내었으 임상 검사 소견 심전도 검사는 정상이었으며 다른 말초 며 아령형의 분엽화된 종괴가 천골부에서 좌측 천골 2-3, 혈액검사, 뇨검사, 간기능검사, 혈액응고검사상에서도 이상 3-4번 신경관에 연결되어 천골을 침식시키며 골반강내 및 소견을 발견할 수 없었다. 골반강외로 연장된 소견을 보이며 Gd-DTPA 조영증강상에 방사선학적 소견 단순 X-선 촬영상 특별한 이상소견이 A 서 조영증강이 잘 되는 소견을 보이고 있다(Fig. 1A, B, C). B Fig. 1. A Preoperative Sagittal T1-weighed MR image showing a 6 5cm sized Iso-signal intensity, smooth-round margined mass with multiseptated component in the presacral & posterior sacral portion. The soft tissue mass is extending through greater sciatic foramen into presacral & posterior sacral portion. B Preoperative Sagittal T2-weighed MR image showing hypersignal intensity changes of mass in the presacral & posterior sacral portion. C Preoperative Gd-DTPA enhanced Sagittal MR image showing well enhanced lobulated mass in the presacral & posterior sacral portion. C 510 J Korean Neurosurg Soc/ Volume 30 / April, 2001
오경섭 하성일 이현성 이종수 곽승수 윤석훈 수술소견 환자는 일단 전방으로 일반외과에서 접근하였 다. 앙와위에서 하복부에 20cm가량의 횡 피부 절개를 시 행하고 근육을 박리한 후에 복막을 열고 장 및 자궁을 젖 힌 후, 후복막을 확인하고 종괴가 만져지는 부위에서 후복 막을 열었다. 이어서 신경외과에 의해 골반강내에 있는 종 양을 제거하였다. 종괴는 약 6 5cm정도의 큰 덩어리와 거 기에 연해서 몇 개의 분엽화된 덩어리들 모두를 제거하였다. 종괴는 육안적으로 약간 황색 및 노란 빛을 띠었으며 상당 히 탄력성이 있었고, 안에는 점액성의 물질이 관찰되었다. 일부를 냉동 생검을 보내어 조직 소견으로 신경초종임을 확 인하였다. 이어서 복강내 전방수술을 마친 후 환자를 복와위 에서 천추 1번 부위에서 좌측 엉덩이 부위로 확장되는 비 스듬한 피부 절개를 시행한 후에 근육을 박리하고 보니 천 추 1번 부위에 이중 모양으로 생긴 4 5cm정도의 종괴가 발견되어 제거하고, 이어서 그 종괴는 천추 2번의 좌측 신 경관으로 골을 침식시키며 파괴된 소견을 보이고 확장되어 있었다. 그 안에 남아 있는 종괴를 모두 제거하고 앞쪽과 뚫 려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천추 제 3 번 부위까지 내 A Fig. 2. Postoperative Sagittal T1-weighed MR image showing removal of previous mass on the presacral & posterior sacral portion. B Fig. 3. A It consists of spindle cells which are arranged in short bundles or interlacing fascicles(100 H-E). B Some neuclei of neoplastic cells discloses neuclear hyperchromasia with pleomorphism(400 H-E). J Korean Neurosurg Soc/ Volume 30 / April, 2001 511
고찰 512 -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30April, 2001
결 론 References 1) Abernathey CD, Onofrio BM, Scheithver B, Pairolero PC, Shives TC:Surgical management of giant sacral schwannoma, J Neurosurg 65:286-295, 1986 2) Ban JY, Shin YG, Kim HK, Rteu TH, Lee JS, Yoon SH:A case of asymtomatic giant benign schwannoma involving cervical vertebral body. J Kor Neurosurg Soc 28:273-279, 1999 3) Feldenzer JA, McGauley JL, McGilicuddy JE:Sacral and Presacral tumors:problems in diagnosis and management. Neurosurgery 25:884-891, 1989 4) Kim YT, Jho HD, Yoo YR, Kim NK, Chung HY:Widespread benign schwannoma involving multiple cervical vertebral bodies. J Kor Neurosurg Soc 9:615-618, 1980 5) Lee JH, Byun YW, Yim MB, Kim IH:A case of malignant schwannoma in the sacrum. J Kor Neurosurg SOC 11:289-395, 1982 6) Park HK, Shin WH, Kim BT, Lee DW, Byun BJ, Choi SK:A case of giant intrasacral schwannoma. J Kor Neurosurg Soc 28:398-401, 1999 7) Park KS, Lee SO, Choi CS, Park KY, Ju MB:A case of cervical schwannoma in a child. J Kor Neurosurg Soc 11: 105-109, 1982 8) Rengachary SS, O Boynick P, Batnitzky S:Giant intrasacral schwannoma:case report. Neurosurgery 9:573-577, 1981 9) Salvant Jb, Yoing HF:Giant intrasacral schwannoma:an unusual cause of lumbosacral radiculopathy. Surg Neurol 41: 411-413, 1994 10) Vinken PJ, Bruyn GW:Handbook of clinical Neurology. Inc. New York. Part 2:American Elsevier Publishing Co., 1976, pp238-289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30April, 2001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