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철학논집 ( 제 35 집 ) 1. 들어가기 인간이면누구나태어나서자신의삶을살다가병이나사고로죽거나, 아니면시간의흐름에따라생체구조와기능이점차쇠퇴하여결국에는생명을다해죽는다. 그어느쪽에해당하든인간은필연적으로 죽을운명의존재 1) 이다. 죽음은인간모두에게일어나는현상이며, 죽음

Similar documents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 4 -

2),, 312, , 59. 3),, 7, 1996, 30.

* pb61۲õðÀÚÀ̳ʸ

<4D F736F F F696E74202D20BCADBEE7C3B6C7D0C0D4B9AE2034C1D6C2F75FC3B6C7D0B0FA20C1B8C0E7>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The mission minded church - Strategies in building a multicultural ministry – Die missions-bereite Kirche - Strategien zum Aufbau multikultureller Ge


120~151역사지도서3


82-대한신경학0201

<3033C6AFC1FD5FC0CCB3B2C0CE2E687770>

10 철학논집 ( 제 46 집 ) 키르케고르, 하이데거가있다. 한편이외에도불안을인간실존의근원적관계로부터규정하는인간학적관점의불안개념도있다. 즉성경의창세기에따르면인간은하나에서둘로갈라진존재로서 자기인타자성 혹은 타자인자기성 의근원적관계에놓여있으며, 이는근본적으로인간이타자를향

2015년9월도서관웹용

Microsoft PowerPoint - 26.pptx

(......).hwp

철학탐구 1. 들어가는말,. (pathos),,..,.,.,,. (ethos), (logos) (enthymema). 1).... 1,,... (pistis). 2) 1) G. A. Kennedy, Aristotle on Rhetoric, 1356a(New York :

5 291

2019달력-대(판형키워)

#7단원 1(252~269)교

(2005) ,,.,..,,..,.,,,,,

ok.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Microsoft PowerPoint Relations.pptx

철학박사학위논문 하이데거의언어사유와 역사개념의관계에대한연구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철학과서양철학전공 박서현

장양수

CC hwp

- 89 -

4) 5) 6) 7)

210 법학논고제 50 집 ( )

제 3강 역함수의 미분과 로피탈의 정리

1.媛€議깊삎 [蹂€?섎맖]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 (, 2011). (paraphrasing)....., 까지어떻게가는지모릅니다. 라는메시지로응답자가버스정거장까지길을안내하도록하거나그의가능한반응을예상할수있다. Schulz von Thun (1984),, (Sach-Ohr), (Appell-Ohr), (Selbsto

152*220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IP 심화 라우팅프로토콜적용시 라우팅테이블에서 이니셜이있는네트워크를설정하는것 : onnected 직접연결된네트워크를의미한다. 그러므로라우팅은 나는이런네트워크와연결되어있다. 를직접연결된라우터들에게알려주는것 1>en 1#conf t 1(config)#router rip 1


융합인재교육 ( S T E A M ) 프로그램 2

2002report hwp

< FB1B9BEEEB1B3C0B0BFACB1B C1FD5FC3D6C1BE2E687770>

<303038C0AFC8A3C1BE5B315D2DB1B3C1A4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The Meaning of Pl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4D F736F F F696E74202D2035BBF3C6F2C7FC5FBCF8BCF6B9B0C1FA2E BC8A3C8AF20B8F0B5E55D>

FGB-P 학번수학과권혁준 2008 년 5 월 19 일 Lemma 1 p 를 C([0, 1]) 에속하는음수가되지않는함수라하자. 이때 y C 2 (0, 1) C([0, 1]) 가미분방정식 y (t) + p(t)y(t) = 0, t (0, 1), y(0)

untitled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Microsoft Word - FunctionCall

º´¹«Ã»Ã¥-»ç³ªÀÌ·Î

Ι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기본소득문답2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13.08 ②분석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3133C0CFB9DD5FC1A4BFACC0E75FC0E7B1B32E687770>

- 2 -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내지(교사용) 4-6부

DBPIA-NURIMEDIA

통계연구 (2010), 제 15 권제 2 호, 한국의일상생활에서남녀의수면시간과관련요인탐색 은기수 1) 차승은 2) 요약 수면은생물학적현상으로하루 24시간의일상생활중단위활동으로는가장많은시간을차지하는활동가운데하나이다. 그러나현대사회가 24/7 사회로진전되고개인

한글요약

철학논집제 44 집 2016 년 2 월 Sogang Journal of Philosophy Vol.44, Feb. 2016, pp /sgjp 존재와시간 에나타난세가지실존 45) 김창래 ( 고려대 ) 주제분류

쌍백합23호3

도서관문화 Vol.51 NO.9(2010.9) 가을은 독서의 계절?! 16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LiD) - - * Way to

Art & Technology #1: 리차드 듀퐁 - Art World | 현대자동차

02양은용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hwp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BEEEB9AEB7D0C3D13630C8A32836BFF93330C0CFBCF6C1A4292E687770>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서강대학교철학연구소논문집철학논집제 23 집 하이데거의 실존 을벗어난사르트르의 현존 조광제 ( 철학아카데미 ) 요약 후설의존재론은근본적으로무한소의 지금 여기 에바탕을두고있다. 그래서후설의철학의현존철학이라불러야한다. 그런반면에하이데거철학에있어서 Exist

278 철학논집(제38집) 같다. 인간 존재가 가지고 있는 고통과 불행에 대해 많은 사람들의 지속적 인 관심이 있어 왔으며 인간을 불행에서 해방시키고자 하는 여러 가지 차 원의 노력이 있음을 우리는 익히 알고 있다. 어떤 이는 의사의 길에서, 어 떤 이는 교육자, 정치

<C7F6B4EBBACFC7D1BFACB1B B1C72033C8A E687770>

300 구보학보 12집. 1),,.,,, TV,,.,,,,,,..,...,....,... (recall). 2) 1) 양웅, 김충현, 김태원, 광고표현 수사법에 따른 이해와 선호 효과: 브랜드 인지도와 의미고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권 2호, 2007 여름

고3-02_비문학_2_사회-해설.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10월추천dvd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041~084 ¹®È�Çö»óÀбâ

철학박사학위논문 하이데거의존재론적차이와무의 관계에대한연구 2013 년 2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철학과서양철학전공 서영화

<BDC5C7D0B3EDB4DC3533C1FD2DC3D6C1BE E362E34292E687770>


CONTENTS 2011 SPRG Vol

Boström, Familienerbrecht und Testierfreiheit in Schweden und anderen skandinavischen Ländern, in: Familienerbrecht und Testierfreiheit im europäische

1504-<C804><CCB4>.pdf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Transcription:

철학논집제 35 집 2013 년 11 월 Sogang Journal of Philosophy Vol. 35, Nov. 2013, pp.9-37 실존철학의죽음이해 * 1) 홍경자 ( 한림대 ) 주제분류 실존철학, 현대독일철학 주제어 죽음, 실존, 불안, 시간, 유한성, 무한성, 결단, 실존철학 요약문 이글은내가나자신과관계하는방식으로서의실존적죽음이나의삶에끼치는변혁의힘이무엇인지규명하고, 나아가죽음의두려움을극복하는데기여할수있는철학의실천적인역할을강조하고자한다. 이전에는전통적인종교나철학이죽음의공포를극복하는데일정한역할을수행했지만, 지금은현대의학이그자리를대신하고있다. 그러나현대의학이죽음의공포를일시적으로잊게해주는처방은내릴수있겠지만, 죽음의공포를극복하는근본적인대안을제공하지못한다. 오히려그근본적인대안은철학에서찾을수있다. 왜냐하면죽음은인간의본래적실존을가능케하는계기로서 죽음의인간화 를촉구하는삶의본질적이고근본적인요소이기때문이며, 또한어떠한경우에도실존적인간은죽음에직면하여불안해하거나허무해하기보다는오히려죽음을통해본래의자기로되돌아가도록자신을일깨우고각성시킴으로써죽음의불안으로부터벗어날수있게해주기때문이다. 물론실존철학자마다서로다른각도에서죽음에대해논하지만, 죽음에대한본래적이해와그러한관계를 주체적 으로승화시키고있다는점에서만큼은그들모두공통된입장을견지한다. 이점을염두에둔이글의주된목적은실존철학에서의죽음이론을다각적으로모색함으로써오늘을사는나에게진정한죽음의의미가무엇이며, 그를통해획득되는삶의의미가무엇인지를재조명해보는데있다. 투고일 : 10 월 31 일, 심사완료일 : 11 월 18 일, 게재확정일 : 11 월 28 일 * 이논문은 2012 년정부 ( 교육부 ) 의재원으로한국연구재단의지원을받아수행된 연구임 (NRF-2012S1A6A3A01033504).

10 철학논집 ( 제 35 집 ) 1. 들어가기 인간이면누구나태어나서자신의삶을살다가병이나사고로죽거나, 아니면시간의흐름에따라생체구조와기능이점차쇠퇴하여결국에는생명을다해죽는다. 그어느쪽에해당하든인간은필연적으로 죽을운명의존재 1) 이다. 죽음은인간모두에게일어나는현상이며, 죽음앞에서는누구나평등하다는점에서죽음은인간에게닥치는절대적운명이다. 다만누구도그죽음이언제찾아올지모를뿐이다. 그래서죽음은라너 (K. Rahner) 의말처럼 어두운운명이요, 밤에찾아오는도둑 2) 이다. 인류가생긴이래로죽음에대한사유는생명과세계에대한사유와더불어가장오래된철학적사유로꼽힌다. 서양철학에서지금까지다루었던죽음에대한철학적논의들을대략적으로살펴보면, 죽음이란능동적으로성취하는결말이자수동적으로당하는생물학적종말이라는입장, 죽음은하나의 마디 에지나지않아죽음뒤에는반드시또다른사후세계가존재하리라는입장그리고죽음은인간의본래적실존을가능케하는 삶의조건과목적 이라는입장등매우다양한방식으로이해되어왔다. 이러한입장들은대체로죽음을대하는방식의두측면으로전개되는데, 한편으로는인간으로하여금죽음을불가피한것으로받아들여스토아적이거나회의적인방식으로죽음에대한생각들을회피하게하며, 다른한편으로는죽음을관념적으로높이평가하여삶의의미를부여하면서죽음을참된삶의근본조건으로삼게한다. 3) 그러나죽음에대한이러한갖가지의상념에도불구하고, 죽음은항상우리에게영원히풀리지않는수수께끼요경이로남겨져있다. 이런점에서본다면, 죽음이무엇인지정의하는것자체가결국의미없는시지프스적시도에불과한것은아닌가? 1) H. 아렌트, 인간의조건, 이진우, 태정호옮김, 한길사, 2009, 68. 2) K. 라너, 죽음의신학, 김수복옮김, 가톨릭출판사, 1987, 41. 3) H. 마르쿠제, 죽음의이데올로기, 죽음의철학, 정동호 / 이인석 / 김광윤편, 청람, 1992, 175 참조.

실존철학의죽음이해 11 이에대해핑크 (E. Fink) 는죽음이비록인간의단정적인사고의범위밖에머물러있다고하더라도죽음을개념화하려는용기만은우리가잃지말아야한다고주장한다. 4) 그것이비록완전하지는않지만, 사유하는인간이자신의죽음과 관계 한다는점에서그관계에대한담론이나죽음의가설적인정의는얼마든지가능하다고보기때문이다. 그러므로철학에서죽음을사유하는일은이론적으로도, 실존적으로도매우중요할뿐만아니라유의미한작업이라할수있다. 그러나죽음에대한이러한철학적논의가불붙기시작한것은그리오래된일은아니다. 실제로죽음에관한철학적문제는근대철학에서는거의무의미한구실을해왔다. 5) 현대에들어와서야비로소실존철학분야에서적극적으로죽음의문제를인간현존재전체에대해근본적인의의를가진것으로파악하기시작한다. 여기서죽음의문제는생물학적현상으로서의죽음그자체에있다기보다누구나예외없이죽어야한다는보편적종말로서의죽음을인간스스로가의식적으로선취하여 인식 한다는데있다. 그래서인간이살아가는동안에는결코자신의죽음을체험할수없지만, 자신의죽음을 의식 한다는점에서죽음은분명인간에게두려운존재 4) E. 핑크, 자신의죽음과타인의죽음, 죽음의철학, 90 참조. 5) 근대에서인간의이성과의지에반하는모든것은혐오이자타도의대상이었다. 바우만 (Z. Bauman) 에의하면근대적사회에서사용가능한언어, 상징체계는도구적성격을지닌 생존 / 살아남음 의언어체계뿐이며, 이생존의언어체계는특정한 목적 에편향된행위를위한 도구 의언어이다. 이러한언어의상징체계에서죽음은다른모든것과마찬가지로도구화된삶의한요소에불과하며, 더이상생존의목적에부합하지못하는죽음은배제의대상이될수밖에없다. 그래서죽음은우리의일상세계와안전하게분리되어야하며, 죽음그자체보다는죽음의원인과생명을위협하는위험한요소들과그요소들이 건강 에미칠피해를예방하기위해특정한사회적공간 ( 의료공간 ) 을만들고, 생명을위협하는위험요소들에대한지속적감시, 관찰, 치료를통해 죽음 을사회로부터고립시키는것이근대사회에서는더중요했다. 천선영, 죽음을살다, 우리시대죽음의의미와담론, 서울 : 나남, 2012, 60-65 참조

12 철학논집 ( 제 35 집 ) 다. 인간이죽음을의식하기때문에인간의삶배후에는언제나보이지않는 불안 이무의식적으로잠재해있다. 인간은이근본적인불안을극복하기위해자신의삶에무한하고영원한의미를부여하는불멸적인삶을희구한다. 그러나인간은어떠한경우에도다른동물들처럼불멸적인삶을단지 생식 을통해서만보장받는종의구성원으로서존재하기를거부한다. 이점을강조하는아렌트 (H. Arendt) 는죽을수밖에없는인간의위대함이란 존재할가치가있고영속적으로존재하는것, 이를테면불멸의업적과사라지지않을흔적을산출함으로써자신의불멸성을획득하고, 스스로를 신적본성 을가진존재로확증하게된다고주장한다. 6) 이때죽음은유한성의한계를넘어서는무한성과영원성의차원을가리키는사건이되며, 그결과죽음은 삶의현실 이된다. 결국 죽음에의미를부여하는일은우리의삶에의미를부여하려는노력이며, 개개인의생물학적한계를넘어선사회의영속성을보장받으려는부단한시도이다. 7) 그러므로죽음은삶밖에존재하는것이아니라삶에내재하는 삶의현실 이되며, 8) 죽음을해석하고자하는시도는죽음을가린채삶을규명할수없다는이유에서삶을이해하는철학적근거가된다. 죽음은우리들삶을분리시키는것이아니라오히려우리를삶으로되던지는것이며, 세간의가치에따라사는수동적인삶이아니라자기자신이자신의삶을주체적으로형성하는진지한삶을살도록촉구한다. 9) 죽음에관한실존철학적관심은죽음을이론적으로인식할수있는어떤지식으로접근하기보다, 오직개별적인인간이자신의죽음과의관계, 즉절박하게다가오는삶의종말로서의죽음이자신에게어떤의미를지니고있는가를파악하는데있다. 그런의미에서실존철학은짐멜 (G. Simmel) 이주장하는것처럼삶의과정 6) H. 아렌트, 인간의조건, 69 참조. 7) 천선영, 죽음을살다, 우리시대죽음의의미와담론, 51. 8) 정진홍, 만남, 죽음과의만남, 서울 : 궁리, 2003, 20 참조. 9) 박찬국, 극한의한계상황으로서의죽음, 죽음, 삶의끝인가새로운시작인가, 박찬욱기획, 서울 : 운주사, 2012, 251.

실존철학의죽음이해 13 에서언제나동반하는삶의내재적한계로서죽음을이해하기보다 10) 삶에충만한의미를전적으로나에게드러내주는역할에있다고주장한다. 이주장의핵심은인간이죽음이라는현상을불가피한 사실 로받아들여야한다는것이다. 11) 그러나대부분의인간들은이사실을부정할뿐만아니라죽음과같은원시적현상에대해말하기를꺼려하며터부시한다. 더욱이그들은자신의종말을삶의본질적인내용으로수용할만한용기또한결여하고있다. 이러한현실을인식시키는실존철학은결코죽음을배제하고는진정한삶을논할수없음을강조한다. 죽는다는것은모든현존재가언제나스스로를받아들여야만한다는것이다. 죽음은 [...] 본질적으로언제나나의것 12) 이기때문이다. 죽음이란결코삶의외부에서불시에나를덮쳐올불가피한사건이아니라, 삶의출발점, 출생의순간부터삶전체의의미를규정하는권위를가진다. 이것이바로하이데거 (M. Heidegger) 가주장하는 죽음에의선구 이다. 이때의죽음은삶의연속성이단절되는곳이아닌, 삶의의미가집중되는곳에존재한다. 왜냐하면죽음은의미를향해집중되었다가다시그의미가반사되어삶의전면적인구조를재조명함으로써이전과는다른, 삶의의미를새롭게기획하기때문이다. 바로이점이현존재가 죽음을향한존재 (Sein zum Tode) 13) 로정의되는이유이며, 실존적으로이해된죽음을통속적인사망과본질적으로구분하는근거가된다. 하이데거가현존재의존재론적구성틀을 죽음을향한존재 라고정의할때, 현존재가향하는방향은단순히시간적인귀착점이아니라, 현존재가부단히맞이하는 선택 과 결단 의의미가그곳으로집중되었다가다시되 10) Volkhard Kerch, Georg Simmels Religionstheorie, Tübingen: Mohr Siebeck, 1998, 152. 11) 조가경, 실존철학, 서울 : 박영사, 1995, 141-142. 12) Martin Heidegger, Sein und Zeit, Tübingen: Max Niemeyer, 1972, 240; 번역본, 존재와시간, 이기상옮김, 서울 : 까치, 1998, 322. 이하한글번역본쪽수는괄호로표시함. 13) Martin Heidegger, Sein und Zeit, 252(338).

14 철학논집 ( 제 35 집 ) 비쳐나오는방향을가리킨다. 따라서실존적으로파악된죽음은나의관심을지금의나로향하게함으로써본래적인나로돌아오게하는강력한힘으로작용하며, 또한죽음은삶의연속을하나의긴장된통일체로받쳐주는중심이되도록한다. 14) 그래서죽음은아직오지않은미래의어떤사건이아니라, 현재의시간안에서항상나에게로다가오는실증적인사건이되는것이다. 인간은죽음앞에서야비로소여기저기흩어져있는삶의잡다한체험들을통일적으로 이해 할수있게된다. 15) 바로이점에서미래는우리들의삶전체에영향을미치며삶을규정하므로시간의다른구성계기인과거와현재보다더중요한위치를차지한다. 죽음이끝을향해간다는것은어떤것도존립하지않으며, 어떤것도궁극적이지않다는뜻으로서모든것은지나가며, 부서지고, 허물어지며, 그래서철저히우연적이지만, 인간에게고유한것은다가올죽음을 미리 알고있다는것이다. 16) 그러므로죽음은한사람의 인격적인죽음 이라는것, 한사람의개인적인죽음이라는것그리고 어느누구도나를대신할수없는일회적인사건이라는점에서나의죽음은나에게언제나절대적인의미로다가선다. 17) 이글은내가나자신과관계하는방식으로서의실존적죽음이나의삶에끼치는변혁의힘이무엇인지규명하고, 나아가죽음의두려움을극복하는데기여할수있는철학의실천적인역할을강조하고자한다. 이전에는전통적인종교나철학이죽음의공포를극복하는데일정한역할을수행했지만, 지금은현대의학이그자리를대신하고있다. 그러나현대의학이죽음의공포를일시적으로잊게해주는처방은내릴수있겠지만, 죽음의공포를극복하는근본적인대안을제공하지못한다. 오히려그근본적 14) 조가경, 실존철학, 142 참조. 15) 조가경, 실존철학, 143 참조. 16) E. 코레트, 삶과죽음의의미, 삶과죽음 그리스도교적인간학 ( 독어- 한국어대역 ), 신승환옮김, 서울 : 서강대학교수도자대학원, 1997, 173 참조. 17) J.-P. 사르트르, 나의죽음, 죽음의철학, 96 참조.

실존철학의죽음이해 15 인대안은철학에서찾을수있다. 왜냐하면죽음은인간의본래적실존을가능케하는계기로서 죽음의인간화 18) 를촉구하는삶의본질적이고근본적인요소이기때문이며, 또한어떠한경우에도실존적인간은죽음에직면하여불안해하거나허무해하기보다는오히려죽음을통해본래의자기로되돌아가도록자신을일깨우고각성시킴으로써죽음의불안으로부터벗어날수있게해주기때문이다. 물론실존철학자들은저마다서로다른각도에서죽음에대해논하지만, 죽음에대한본래적이해와그러한관계를 주체적 으로승화시키고있다는점에서만큼은그들모두공통된입장을견지한다. 이글은이점을염두에두고실존철학에서의죽음이론을다각적으로모색함으로써오늘을사는나에게진정한죽음의의미가무엇이며, 그를통해획득되는삶의의미가무엇인지를재조명해보는데주된목적이있다. 2. 실존, 유한성그리고죽음 잘알려져있다시피실존철학전반에서가장부각된철학적주제는인간의존재방식인 실존 이며, 이실존개념의중점적인논의는죽음과밀접하게연관되어있다. 대부분의실존철학자들은인간의존재방식에서부터죽음의문제를실존론적으로해명하고있기때문에, 실존철학에서다루는죽음의문제를올바로이해하기위해서는먼저 실존 에대한개념정의부터면밀히검토하지않으면안된다. 실존에대한전통적인의미를살펴보면,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els) 가규정하는실존은 한존재자가그자리에있다는현전 의의미로, 스콜라철학에서는 현실성과작용결과라는의미의현실태 로, 쉘링 (F. W. Shelling) 에게실존은 모든현실성 (Realität) 을앞서가며, 그것을보증해주는존재의원초적힘 으로이해되었다. 19) 미루어짐 18) F. 다스튀르, 죽음, 유한성에관하여, 서울 : 동문선, 2003, 77.

16 철학논집 ( 제 35 집 ) 작할수있듯이실존철학에서수용된실존의독특한의미는쉘링의실존개념을계승하고있다. 하지만쉘링과는달리여기서의실존개념은오직인간이라는존재자에국한하여사용된다. 실존철학에서실존은인격존재 (Personsein) 도생철학적의미에서인간의삶을뒷받침하는근거도아닌, 이러한모든규정에 앞선, 무조건적이고환원불가능한 존재 의 현사실성 (Fatizität) 을의미한다. 20) 실제로실존철학자들이개별적으로실존을정의할때그단초를어떻게설정하느냐에따라서실존에대한규정은제각기다르게표현되고구성되지만, 적어도그들모두가실존의존재방식을 자기자신과관계할수있는능력 으로간주한다는점에서만큼은일치한다. 그런의미에서실존은 자기자신과의관계 를끊임없이수행해나가는 이행 의과정으로이해되며, 이이행은모든이론적반성이전에주어진다. 그렇기때문에실존은내용상의본질규정을통해서는결코고정될수없다. 오직 어떻게 라는행위방식을통해서만실존은해명될수있으며, 인간이무엇인가 에대한정의또한인간의 존재가능한 방식을통해서만특징지을수있을뿐이다. 21) 결국실존철학에서규정하는인간은자신의본래적인가능성을붙잡거나혹은놓칠수있는방식으로존재하면서자신만의고유한특성을형성해가는존재다. 22) 그런의미에서본다면실존의본질을개념적으로규정짓는이론적인고찰은사실상불가능하다. 왜냐하면실존은사유를기초로하는개념적틀을벗어나있기때문이다. 사정이그렇다면, 대상적인사고와개념적언어를사용하면서어떻게초경험적이고비대상적인실존의본질을밝힐수있다는말인가? 이에대해실존철학자들은실존의본질을파악할수있는두가지방식의서로다른가능성을제시한다. 23) 첫번째가능성 19) Hermann Krings, Ursprung und Ziel der Philosophie der Existenz, Philosophische Jahrbuch, 61, Freiburg/München: Parzeller, 1951, 433-445 참조. 20) F. 짐머만, 실존철학, 이기상옮김, 서울 : 서광사, 1987, 41 참조. 21) F. 짐머만, 실존철학, 43 참조. 22) F. 짐머만, 실존철학, 43 참조.

실존철학의죽음이해 17 은우리가실존의본질을개념적으로파악하지않고, 실존적체험 으로서실존의구조를해명하는방식이다. 이방식은전통철학의범주론적논리성과관념론적철학체계의벽을허물고, 우리의의식이일상적인대상에지향하는의식으로부터사유불가능한비대상적인의식으로비약하도록존재에대한의식의변화를일으키는것이다. 이러한가능성을제공한철학자가키르케고르 (S. Kierkeggard) 와야스퍼스 (K. Jaspers) 이다. 실존철학의물코를튼키르케고르에게실존은여러가지다양한조건이나환경또는상황과같은필연성에의해제약을받는유한한존재다. 그러나동시에실존은그와같은한계를자유롭게초월할수있는무한한존재로서유한성과무한성, 필연성과가능성의 종합 을수행하는자이다. 24) 그에따르면이종합은자기자신에게관계하는 관계 로서 수동적인 종합이아니라 적극적인 종합이며, 이것은결코저절로이루어지는것이아니라인간각자가자신의자유로운 의지 와 정신 을통해성취해야할과제로서인간에게부과되어있다. 그래서키르케고르는인간을 유한성과무한성, 영원성과시간성사이에서태어나끊임없이무언가를추구하며존재하는아이 25) 로규정한다. 그런데바로여기서인간이자신의유한성안에서무한성을실현한다는받아들이기힘든역설이발생한다. 어떻게이실현이가능할수있는가? 그것이가능한이유는유한한실존이자신이가진내재적한계에도불구하고, 무한한사유를꿰뚫어볼수있는능력을가지고있기때문이다. 이능력이바로실존의본질이다. 즉실존은항상자신의한계를극복하며 되어가는 자유존재로서정열과의지를종합하여반성하고선택하고결단하면서죄를지을수도있지만, 또한그죄를기꺼이 23) O. F. 볼노우, 실존철학이란무엇인가, 최동희옮김, 서울 : 서문당, 1996, 51-52 참조. 24) S. 키르케고르, 죽음에이르는병, 임규정옮김, 서울 : 한길사, 2010, 55-56 참조. 25) Søren Aabye Kierkeggard, Abschließende unwissenschaftliche Nachschrift zu den philosophische Brocken, Kopenhagen, 1846, 478.

18 철학논집 ( 제 35 집 ) 떠안으면서스스로자기를형성해나갈수있는 과정의존재 이기도하다. 결국인간은자신의유한성을수용하고긍정하는, 무한하면서도영원한 정신 으로간주된다. 이무한하고영원한정신은유한성과필연성의극단인죽음을인정하면서, 자신을무한하고영원한존재인신에게내맡길때비로소인간에게주어지는것이다. 그러므로인간존재인실존은자신의유한성을인정하면서의식적으로신에게의지할때자신에게부과된과제, 즉유한성과무한성을종합하는과제를실현하면서 죽음에이르는병 으로서의절망에서벗어나마음의평화를획득할수있다. 26) 야스퍼스가규정하는실존또한키르케고르와마찬가지로 자기자신과관계하는것이며, 이관계속에서초월자와관계하는것 27) 이다. 다만야스퍼스가말하는 초월자 (Transzendenz) 는키르케고르가말하는 신 이아니라, 실존적체험 으로부터파악된어떤 절대적인존재 로이해된다는점만이다를뿐이다. 야스퍼스의실존은상호소통과역사성안에있는나자신이자, 자유로서의자기존재이며, 상황과의식그리고행위안에있는무제약적인존재이다. 인간현존 (Dasein) 28) 이자기스스로를유한한것으로서경험하지못하면, 어떠한경우에도현존은자신의실존을획득할수없다. 단순한현존은경험적으로지금여기존재하나, 실존은오직자유로서만존재한다. 현존은절대적으로시간적이나, 실존은시간안에서시간을초월하여존재한다. 나의현존은자신에대해그자체로종결되어있는한유한하지만, 실존은자신을위해홀로존재하지않고다른실존과관계하며 26) S. 키르케고르, 죽음에이르는병, 85 참조. 27) Karl Jaspers, Philosophie I, Vierte Auflage, Berlin/Heidelberg/New York: Springer, 1973, 15. 28) 필자는야스퍼스의 Dasein 을하이데거의 Dasein ( 현존재 ) 과구분하기위해 현존 으로해석한다. 야스퍼스가말하는 현존 은가능성으로주어진 실존 과는달리물질로서, 신체로서, 영혼으로서, 일상적인의식으로서의 나 의존재방식을의미한다. 이는인간이살아가는환경세계에서그때그때마다특정하게경험하는삶의체험으로서존재함을뜻하는말이다.

실존철학의죽음이해 19 나아가초월자와관계할때만존재한다. 29) 이점에서실존은자유의근거이며, 존재하는능력이며, 그리고결단하는자기모습이므로어떠한경우에도죽음앞에굴복하거나타협하지않고, 오히려자기죽음에맞서는무제약적인존재로나타난다. 그러므로죽음은인간의유한성을가장극명하게보여주는사건이자인간으로하여금자신의무한성과영원성에눈뜨게만드는실존적사건이된다. 이말은현존이죽음이라는한계상황에부딪쳐난파 (scheitern) 30) 할때, 현존은비로소죽음으로끝나는유한한것들에집착했던자신의삶에서벗어나무한성과영원성의차원으로들어서는 실존 으로비약하게된다는것이다. 다음으로제시되는두번째가능성은비록실존에대한본질이개념적인규정의틀을벗어나있다고하더라도, 어떤확실한개념으로나타낼수있는새로운형식의개념을발전시켜실존의본질적인측면을규명하는방식이다. 여기에해당하는철학자가하이데거이다. 그는인간존재를가리켜 죽음을향한존재 로규정한다. 그에게죽음과관련된이인간존재는단순한생명존재도아니며이성을가진존재도아닌, 바로 거기에 (da) 있음 (sein) 을의미하는 현존재 (Dasein) 이다. 현존재는생물이나무생물, 인간을통틀어말하는그와같은일반적의미가아니라존재자인인간에게만적용되는개념으로서자신과세계에열린존재이며, 자신의존재를문제삼는존재이다. 이때인간이자신의존재를문제삼는다는것은자신을대상화하면서객관적으로파악하는것이아니라자신의존재에대해근원적으로 염려 (Sorge) 하면서자기자신과관계한다는것이다. 하이데거에게중요한 29) Karl Jaspers, Philosophie II, Vierte Auflage, Berlin/Heidelberg/New York: Springer, 1973, 2. 30) scheitern 은좌절로도번역될수있다. 여기서난파로번역한이유는이개념을야스퍼스가한계상황을설명하는데매우고유한개념으로사용하고있기때문이다. scheitern 은배가암초에부딪쳐산산이조각나는난파의상황을말하며, 인간삶에적용한다면도저히벗어날수없는극한의상황에서좌절하는모습으로표현된다.

20 철학논집 ( 제 35 집 ) 개념인이염려는인간의모든행위의근원적인근거로서자기를보존하려는충동이다. 현존재는생명이다하는그순간까지죽음을향해존재하지만, 이미사실상죽어가고있다. 31) 이때현존재가사실상죽어간다는것은현존재에게끊임없이결단을촉구하는의미이며, 나아가결단을촉구한다는의미는인간이일상적인것에집착해있는모든상대적이고공허한것들에대한예속에서벗어나자신의본래적이고고유한존재가능성이무엇인지에대해염려하면서그것을구현할것을요구하는것이다. 결국죽음이란자신의유한성을분명히알고받아들이는것이다. 인간이 죽음을향한존재 를완수할때에야비로소인간은자신의종말을이해하고, 그결과전체적인인간이된다. 그런데여기서주목할점은모든실존철학자들이죽음을통해서자신의본래성을찾는다고주장하지않는다는것이다. 이글의주장과대립각을세우는사르트르는죽음을삶에의미를주는존재가아니라, 오히려삶에서모든의미를제거해버리는존재로파악한다. 32) 왜냐하면나의죽음은나자신의본래적인가능성이아니라우연한사건에지나지않으며, 그것은또한원칙적으로나를벗어나는것이고, 전적으로나의우연에속하는것이기때문이다. 33) 그래서하이데거가죽음을현존재의가장고유한가능성으로서죽음으로의기투에관해논하고죽음에철학적형식을부여하려고시도한것과는달리, 사르트르는처음부터죽음을주관성의시각으로접근하여죽음에어떠한의미도인정하지않고, 오직죽음이부조리하다는사실만을부각시키려한다. 34) 죽음이부조리하다는사실은죽음이나의존재의완전한 무화 이며, 이는나의가능성의영역, 즉자유의영역밖에놓여있다는의미이다. 왜냐하면사르트르에게 유한성 은다른실존철학자들처럼 죽음 을뜻하는것이아니라, 오직대자 35) 가 자유 를통해다른모든 31) Martin Heidegger, Sein und Zeit, 259(346-347) 참조. 32) J.-P. 사르트르, 나의죽음, 죽음의철학, 108 참조. 33) J.-P. 사르트르, 나의죽음, 죽음의철학, 120 참조. 34) W. 슐츠, 죽음의문제에대하여, 죽음의철학, 56.

실존철학의죽음이해 21 가능성들을배제하고택한한가지가능성을향해자기를던지는 선택 이기때문이다. 이러한의미에서사르트르는인간이죽지않아도유한한존재이며, 또한하이데거의주장대로굳이인간이자기자신을 죽을자 로받아들이지않아도인간은본래적일수있다고주장한다. 그러므로그의죽음은대자의존재론적구조로편입되지않는우연한사건에불과한것이기때문에죽음은주관성의전적인파괴를의미할뿐만아니라전적으로나의가능성밖에머물러있다. 36) 결국주관성의지양으로야기되는죽음에서는어떠한삶의의미도우리는발견할수없다. 왜냐하면의미는주관성에의해성립되기때문이다. 그러므로사르트르에게죽음은실제로나에게는최후적인것이며, 외부로부터우연하게오는것이며, 나아가나의모든가능성의절대적종말이라는점에서나의죽음은어떠한경우에도나에의해소유될수없다는것이다. 이상의논의에서우리가도출할수있는중요한점은개체의유한성이인간의본래적인실존을가능하게하는가장적극적인계기라는것이다. 그래서실존의유한성은실존이사물과같은방식으로어떤종말을가졌다거나시간적으로끝이라는의미가아니라나의 한계 라는뜻이다. 실존은죽음과불가피하게관련되어있기때문에내가 죽을자 로서유한하게존 35) 사르트르는실존의존재양상을두가지유형, 즉 즉자존재 와 대자존재 로구분한다. 즉자존재는인과적으로결정된사물의세계, 인과법칙에의해설명되는물적존재로서있는그대로존재하는유형의존재를의미한다면, 이와는달리대자존재는 의식적존재 이며자신의결핍을인식하고자신에대해물음을제기하고의심을가지며가능성을의식하는존재로서자기자신을대상세계로분리시킬수있는능력을가진존재이다. 이런의미에서사르트르는대자존재에게 존재하는것으로는존재하지않으며, 존재하지않은모습으로존재하는 역설적인성격을부여한다. 그러므로대자존재는자유로운선택과결단에의해현재의자기자신을항상초월하여다른것이되고자하면서끝없이자기를벗어나려는탈자적인삶의양식을가진존재이다. J. P. 사르트르, 존재와무, I, 손우성옮김, 서울 : 삼성출판사, 1990, 192-193 참조. 36) W. 슐츠, 죽음의문제에대하여, 죽음의철학, 56 참조.

22 철학논집 ( 제 35 집 ) 재한다는것과같은의미이다 37) 그러나엄밀히말하면, 인간이죽기때문에유한한존재가아니라, 인간이자기자신을유한한존재로대하며, 그러한태도를취하기때문에인간은유한한것이다. 그러므로실존철학에서의 유한성 의의미는오히려 완결 혹은 완성 으로이해될수있다. 왜냐하면인간은실존하면서자기자신을죽을자로서수용하며본래적으로살든지아니면거기서부터도피하여비본래적으로살든지, 결국인간은그어떤실존양상도 결단 할수있는 가능존재 (Seinskönnen) 이기때문이다. 본래적인실존양상 ( 자기존재, 본래성 ) 은결단을통해죽을자로서유한하게실존하는나를끊임없이새롭게받아들이는것이며, 이받아들임은결단을통해죽음을진지하게인식함으로써보편적죽음은구체적인 나의죽음 으로전환된다. 38) 이때죽음은내가어찌해볼도리가없다는사실과죽음을통해나의실존이소멸해버린다는사실을받아들이게함과동시에나를 다른것 으로향하게한다. 이 다른것 이란다름아닌 스스로를근거지울수없는근거 이며, 이근거가바로자신의개방성을요청하는것이다. 실존은이근거의요청앞에서비로소본래적인존재가된다. 39) 그러므로실존철학자들이제시하는이두가지방식모두하나의결론으로모아진다. 그것은실존이더이상 체계 가아니라 결단 이며, 안정 이아니라 불안 이며, 생각 이아니라 행동 이며, 이론 이아니라 실천 이라는것이다. 40) 실존 은사물의실존과는전혀다른존재방식으로서인간에게만한정된매우독특한존재방식이다. 이존재방식은인간일반을지칭하는것이아니라구체적인 나 를가리키는것이며, 이때의 나 역시현실적으로 지금여기있는 유일무이한역사적인 나 를의미하는것이다. 41) 37) F. 짐머만, 실존철학, 45. 38) F. 짐머만, 실존철학, 46 참조. 39) F. 짐머만, 실존철학, 46 참조. 40) 백승균, 호스피스철학, 대구 : 계명대학교출판부, 2008, 268. 41) 백승균, 호스피스철학, 44.

실존철학의죽음이해 23 3. 죽음과시간성 실존철학에서죽음은미래에알수없는어떤시점에서한번일어나는사건이아니라현재의순간자체속에이미포함되어 현재를구성하는요소 로이해된다. 이는물리적인시간으로는결코가능하지않는일이다. 그렇다면가장먼미래에일어날 나의죽음 이라는사건이도대체어떤양식으로 현재 의이순간에이미포함되어현재의삶을변화시키는근본적인힘으로작용하는가? 다시말하면죽음이어떤양식으로인간삶에속해있는가라는물음과구체적으로연결된다. 실존철학은이질문에대한답을 시간성 (Zeitlichkeit) 이라는개념에서찾는다. 시간성은시간자체가아니라, 시간적인성격을가진개념으로서 인간의존재이해를위한전면적인지평이요, 그의존재의미를하나의전체로서파악하게하는절대적인표준 42) 이다. 여기서말하는시간성은과학적이고측정가능한시간으로서의 객관적 시간이아닌, 근원적 시간, 즉실제로삶에서체험되는 주관적 시간이다. 따라서근원적시간은유한한시간으로서근원적시간에서본질적인것은절박한 순간 이며, 통속적시간은무한히반복되어흐르는시간이다. 실존철학은삶의독특한경험을토대로하는이 주관적시간 을인간존재의물음과연관시켜시간개념에대한철학적지평을새롭게열어준다. 43) 근대에서는주관적시간을인간의시간감각이객관적으로불충분하다는이유로비본질적인것으로치부해주관적시간에대한진정한철학적무게를거세해버렸지만, 실존철학자들은이주관적시간을인간자신에대한본래적물음으로환원시켜새롭게재해석해내고점에서그들의공적은철학사에서높이평가된다. 실존철학에서실존과관련하여매우중요하게다루는시간개념은 인간의시간 에깊이천착했던아우구스티누스 (A. Augustinus) 의시간관의존재론적기초를계승하고있다. 42) 조가경, 실존철학, 131. 43) O. F. 볼노우, 실존철학이란무엇인가, 174-175 참조.

24 철학논집 ( 제 35 집 ) 아우구스티누스는시간을아리스토텔레스 (Aristoteles) 가파악했던것처럼과거, 현재, 미래로분산되어무한히흘러가는물리적시간, 즉크로노스 (chronos) 적인시간으로파악하지않고, 하나의총체적인통합체로서그안에과거, 현재, 미래가각각 기억, 직관 그리고 기대 로서존재하는심리적시간, 즉카이로스 (kairos) 적인시간으로인식한다. 그에게과거는 기억 으로현전하고, 현재는 직관 으로현전하며, 미래는 기대 로서현전한다. 44) 따라서아우구스티누스의시간관은세가지시간의계기가기존의과거, 현재, 미래가아니라 과거의현전, 현재의현전, 미래의현전 으로구성된다. 45) 과거는이미지나갔기때문에지금없는것이고, 미래역시아직도래하지않아서지금없는것이기때문에있는것은오직현재뿐이다. 46) 이말은결국시간의중심이존재론적으로현재에있으며, 과거와미래는단지기억과기대라는 의식 속에만있다는뜻이다. 과거는기억으로, 미래는기대로서현재의삶에이미참여하고있으므로현재는바로이순간에과거와현재를통합하는유대 ( 紐帶 ) 로작용한다. 그러나시간을의식으로환원시켜그의식에서시간의존재근거를확보했던아우구스티누스의시간개념은이후실존철학에오게되면 인간의태도전체 로확장되어인간의시간성을체계적으로분석하기에이른다. 실존철학에서시간성이란객관적시간의흐름과대립되는개념으로외적인시간뿐만아니라인간의내면적인구조양식을의미한다. 47) 내적인시간성에서현재, 과거, 미래는어떤경우에도동일하게취급되는시간의연속적인부분들이아니고, 인간의 시간적태도 가뻗어나가는세방향을의미하며, 이세방향을하나로뭉쳐지금의이 순간 을구성하는것이다. 48) 이처럼근원적시간에는이미미래의여러요소들, 즉걱정과희망, 계획과 44)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론, 최민순옮김, 서울 : 성바오로, 1979, 285 참조. 45)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론, 285 참조. 46)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론, 283 참조. 47) O. F. 볼노우, 실존철학이란무엇인가, 178 참조. 48) O. F. 볼노우, 실존철학이란무엇인가, 179 참조.

실존철학의죽음이해 25 구상, 혹은기대등이이현재라는한순간의계기로그안에함께내포되어있다. 현재라는순간에여러가지미래적요소를포함하고있기때문에현재는이미현재의순간을넘어서있다. 결국현재를만드는것은미래적인요소들이며, 이는결코현재와분리할수없는요소이다. 현재의삶이란미래와의관련을통해서만이비로소통찰을얻게되며, 미래없이는현재의어떠한삶도성립될수없다. 이처럼현재가미래와의관련으로부터지금을이룩한다면, 가장먼미래에일어날가장최후적인 나의죽음 또한현재의나의삶으로편입되지않으면안된다는결론이도출된다. 49) 하이데거는이러한실존철학적시간관을토대로 장래, 기존, 현전 이라는시간구성을 시간성의탈자태 (Ekstasen) 50) 로부르고, 이탈자태의구조전체의의미를 염려 로이해한다. 시간성은염려이고, 염려의의미는곧시간성이다. 하이데거에게 시간성은존재이해일반의가능성의조건이고, 존재는시간으로부터이해된다. 51) 이말은현존재의존재의미를시간의지평에서파악한다는뜻이다. 그래서시간성은현존재의존재분석과밀접하게연관되어있다. 하이데거의말대로생명을가진존재자인인간은단순하게거기 (da) 있는것으로그치지않고, 시간적으로생성소멸의과정을거치면서되어가면서 있는 존재자이다. 출생과죽음사이에서존재의시간적한계를자각하고있는이현존재에게시간성은현존재의존재전체를가능하게하는조건이자실존을규명하는궁극적인열쇠가된다. 52) 그러므 49) O. F. 볼노우, 실존철학이란무엇인가, 234 참조. 50) 탈자태란시간성이 자기밖으로자기를벗어남 을가리킨다. 시간성으로서의장래, 기존, 현전은참된자기를향하여도래하는, 있었던나대로의자기에로돌아와현재무엇의곁에서만나게한다는현상을나타낸다. 이모두가자기를열고자신으로부터나가서어디론가향한다는, 다시말해자기를탈출하여가는경향을갖는다. 시간성은본래이와같은 자기밖으로나감 의형태로있는것이다. Martin Heidegger, Sein und Zeit, 328-329(436) 참조. 51) Martin Heidegger, Die Grundprobleme der Phänomenologie, GA, Bd. 24, Frankfurt am Main: Vittorio Klostermann, 1979, 389. 52) 이상백, 존재와시간의사유, 서울 : 건국대학교출판부, 2004, 275 참조.

26 철학논집 ( 제 35 집 ) 로하이데거는 죽음으로의선구 (das Vorlaufen zum Tode) 와 결단성 (Entschlossenheit) 이라는개념을실마리로삼아시간성을해명한다. 죽음으로의선구 란 죽음에로앞질러달려감 을의미한다. 죽음에로앞질러달려간다는선구 는불안이라는기분을통해서자신이세계에던져진존재라는 피투성 ( 被投性, Geworfeneheit) 을자각함과동시에 자기가죽어야할존재 라는것또한깊이자각함을말한다. 53) 이죽음에대한자각으로부터자신의삶의의미를다시포착해서재구성하는시도가시작되는데, 이러한새로운시도를하이데거는 기투 (, Entwerfen) 라고규정한다. 이제인간은죽음의자각을통해자신을새로운가능성으로던지게되는데, 이때현존재에게요구되는것이바로 결단성 (Entschlossenheit) 이다. 결단성 은세인의모습인비본래성에서벗어나자기본래의고유한모습을밝혀보이는개념이다. 54) 하이데거에따르면 결단성 에의해획득된본래적인존재는그때그때마다상황을개척하고자기자신을기획투사하는결의로서만실존한다. 55) 그러나결단성에의해획득된본래적인존재라고하더라도현존재는끊임없이비본래적인퇴락에쉽게흔들리고유혹당하기때문에현존재는결단성과비결단성의양자택일을언제나새롭게반복하여수행하지않으면안된다. 본래성을되찾는현존재의결단성은 본래적현재 로명명되는 순간 에서이루어진다. 56) 이때 순간 이란자기를상실하고세인에매몰되어있는비본래적인실존으로부터스스로를되찾아본래적인실존으로 결단하는시간 으로서내적인시간성의모든구조가바로여기에응축되어내포되어있다. 이 순간 은어떤유대가있어서실존적순간을과거와미래의순간으로이어주는것이결코아니다. 여기서는오직실존적인순간자체만이남기때문에순간으로부터순간으로이어지는진전은결코없다. 57) 실존이매 53) Martin Heidegger, Sein und Zeit, 251(336-337) 참조. 54) Martin Heidegger, Sein und Zeit, 305(406). 55) Martin Heidegger, Sein und Zeit, 298(397) 참조. 56) Martin Heidegger, Sein und Zeit, 338(447) 참조.

실존철학의죽음이해 27 순간마다결단을언제나새롭게획득해야하는것처럼, 삶의과정속에는개개의실존적계기들의연환 ( 連環 ) 이가장중요한것으로남게된다. 실존적계기들은개체가발하는빛처럼일상적인현존재의어둠을밝힘으로써 58) 현존재의압도적인의미충실성이 사실적으로흐르는시간의계기중어느한시각에일체의경험적인전후시간을배제하면서 영원한현재 로심화된다. 59) 이것이바로실존철학자들이말하는 순간 이다. 그래서 순간 은매우능동적인시간이며, 지금 의시간적지평을벗어나는탈자태를가리킨다는점에서단순한 지금 과는다르다. 단순한 지금 은전후시간과의연관에서단절된, 그자체가아무런독자적인함의를갖지않은시간이므로, 지금 에서는본래적미래나과거는물론이고영원의의미또한이끌어낼수없다. 60) 여기서하이데거는인간의존재의미를시간성의지평에서 전체성 과 본래성 혹은 염려 로규정되는인간실존의실질적의미와내용을규명하고, 현존재의종말론적유한성이현존재의시간성에근거한다는점을강조하면서인간을 영원불변의실체 로이해하려는전통철학의한계를지적하며, 나아가그는물리적계기로서의통속적시간개념이가진허구를파헤치면서끊임없이퇴락하는일상적인삶의긴장을통해쟁취한현재의자각적인본래적삶이사실은시간성을기반으로이루어지는것임을보여주고자한다. 61) 그러므로시간성이자연적, 물리적시간의 직선적계기 가아니라, 실존적태도 와 결단 을통해이루어지는긴장관계임을보여주면서시간성의의미를묻고, 이를다시함축적으로 염려 라고정의한것은하이데거의탁월한견해가아닐수없다. 한편하이데거의탈자적이며수평적인시간성의개념과는달리키르케고르나야스퍼스는수직적인시간성의개념을가진다. 두사람에게 순간 57) O. F. 볼노우, 실존철학이란무엇인가, 184 참조. 58) O. F. 볼노우, 실존철학이란무엇인가, 184 참조. 59) 조가경, 실존철학, 190 참조. 60) 조가경, 실존철학, 191. 61) 이상백, 존재와시간의사유, 276 참조.

28 철학논집 ( 제 35 집 ) 은실존이무조건적인것으로비약함으로써통속적시간의영역을벗어나있는 절대적시간 으로나타난다. 순간 은벌써시간적영역에속하지않는, 따라서일차원적계기로서의시간의흐름을통해서단절될수없는어떤차원이나타난다. 야스퍼스에게 순간 은현존이실존과통일될때, 실존이초월자와관계를맺을때시간성과영원성의통일로나타나며, 키르케고르역시순간을 시간과영원이관통하는시점 으로해석한다. 실존적순간은현실적삶의요소로서흐르는시간에속해있지만이 순간 에발현하는어떤 절대적인것 은시간을초월해있으며, 실존적순간은결정적이며, 영원한것으로채워져있다. 키르케고르는이것을 순간의충실 로정의한다. 62) 순간의충실은모든연속적인시간으로부터독립해있는내적인완성을의미하며, 이는시간과영원이서로접촉함으로써이루어지는것이다. 야스퍼스에게도순간은 시간적이지만순간이채워질때, 이순간은모든시간을덮어버리는영원성에관여 63) 한다. 순간의영원성 은무한히흐르는원환적시간에서가아니라결정적종말을가진직선적시간에서만시간을초월하여 실존적확신 을통해성립된다. 64) 야스퍼스에게시간은단순한흐름이아니라실존의현상으로나타난다는점에서시간은실존과밀접하게연관되어있다. 영원성에대한확신은초월자와관계하는실존적의식으로비약할때실존에게주어지는것이다. 우리는분명단순한현존으로죽어야하지만, 우리가자기의자유를의식하는가운데결단하는실존으로존재하는한, 우리는죽지않는다. 65) 결국단순한현존에서는경험할수없는불사의경험은시간속에존재하지만시간을넘어선존재로서 62) O. F. 볼노우, 실존철학이란무엇인가, 186 참조. 63) Karl Jaspers, Kleine Schule des philosophische Denkens, München, Piper, 1974, 165. 64) 홍경자, 한계상황으로서의죽음의식이삶에미치는영향과의미 야스퍼스철학을중심으로, 철학논집, 제33집, 서강대학교철학연구소 2013, 31-32 참조. 65) Karl Jaspers, Kleine Schule des philosophische Denkens, 165 참조.

실존철학의죽음이해 29 의자기를경험하는실존의자기의식과밀접하게연관된다. 그러므로죽음이끝이아니라는확신은실존과하나될때가능하다. 인간은시간성의지평에서영원성을순간으로앞당길수도있고, 또한순간을영원성으로되돌릴수도있다는점에서순간과영원성이하나가된다면, 삶과죽음역시둘로존재하지않고, 실존안에서하나로통일되어존재하면서현재의나의삶에커다란영향을주는것이다. 그러므로실존철학자들에게실존한다는의미는죽음에직면하여서있는것이다. 66) 4. 죽음과불안 실존철학에서죽음에대한 불안 (Angst) 의문제는 이제더이상내가존재하지않는다 는 무 ( 無, Nichts) 에대한두려움에서부터비롯된다. 여기서불안은단순한임종에대한불안과는다르다. 임종에대한불안이신체적인고통에대한불안이라면, 죽음에대한불안은 무 에대한불안이자죽음뒤에오는불안이다. 물론이불안은순수한존속에대한불안이아니라잃어가는현존재의존속, 즉현존재의가치에대한불안이다. 키르케고르는불안을인간을어지럽히는현기증에비유한다. 그래서죽음은 불안 을낳는존재다. 67) 사르트르는 죽음에대한불안을갖지않는존재는문에박힌못처럼이미죽은존재들 로규정하면서인간이살아있는이상죽음에대한불안은피할수없음을역설한다. 68) 하이데거와야스퍼스의주장역시실존이일상에매몰되지않기위해서는반드시죽음에대한불안이필요하다는것이다. 이처럼실존철학자들은불안을실존의본질적인구조 66) O. F. 볼노우, 실존철학이란무엇인가, 126 참조. 67) 백승균, 호스피스철학, 319 참조. 68) T. 캐스카트 /D. 클라인, 시끌법적한철학자들, 죽음을요리하다, 윤인숙옮김, 서울 : 함께읽는책, 2012, 12.

30 철학논집 ( 제 35 집 ) 와연결시켜본래적실존이되는데필수적인조건으로인식한다. 따라서불안은인간실존의구성요소로서실존론적이며존재론적이다. 69) 불안에대한실존론적인발견은키르케고르의저서에처음등장하고, 하이데거와야스퍼스에이르러보다분명하게이루어진다. 실제로실존적불안은실존철학이달성한인간존재에대한매우탁월한발견중의하나로평가된다. 우선실존철학은 불안 의독특한본질을단순한 공포 와구별한다. 70) 공포는언제나일정한대상과관계하는반면, 불안은일정한대상을가지지않는다. 실제로대부분의사람들은자신이무엇때문에근본적으로불안해하는지를잘모르기때문이다. 그래서불안은유한한인간이 무 ( 無, Nichts) 앞에서있는근본기분인것이다. 71) 그러므로실존철학이강조한것은무엇보다도불안에서드러나는 무 자체이다. 이때 무 는결코무의미한어떤것으로우리에게나타나는것이아니라인간실존의가장적극적인 현상 으로나타난다. 그래서무는불안을낳고, 불안은 무 앞에서있는근본기분으로서서로대응하는관계가된다. 72) 여기서바로불안에대한이해와해석이시작된다. 불안은친숙하고안정된삶을살고있는인간을갑작스럽게뒤흔들면서불시에인간을엄습하면서일상적삶의무의미를드러내는허무감으로규정될수있다. 그런데불안은어떤특별한계기나원인이없음에도불구하고우리를동요케하는것일까? 이에대한물음에하이데거는불안이우리의삶의근저에이미항상잠복해있기때문이라고대답한다하이데거는다른실존철학자들과는달리매우독특한방식으로불안을죽음과연결시켜인간의일반적죽음이아니라인간을단독자로서자신의죽음앞에세우는기분으로이해하며, 이불안이라는기분에서자신 69) 박병준, 키르케고르의죄 ( 성 ) 의개념에대한인간학적해석, 철학, 제93집, 한국철학회, 2007, 172 참조. 70) S. Kierkeggard, 불안의개념, 임춘갑옮김, 서울 : 다산글방, 2007, 80 참조. 71) 박병준, 키르케고르의죄 ( 성 ) 의개념에대한인간학적해석, 172 참조. 72) Martin Heidegger, Kant und das Problem der Metaphysik, Frankfurt am Main: Vittori Klostermann, 1929, 288 참조.

실존철학의죽음이해 31 의죽음을경험하는방식이야말로죽음이인간에게근원적으로나타나는방식이라고해석하고있다. 73) 실존철학에서는불안을안정된나의삶에갑자기나타나는삶의불청객으로간주하기보다, 오히려일상에매몰된채살아가는비본래적실존에게없어서는안되는불가결한의미로간주한다. 역설적이지만불안은인간을좌절시키는것이아니라, 오히려인간을진정한실존이되기를촉구하고분발시키는강한힘을가진다. 그러므로실존철학에서는인간이불안속에서만비본래적인퇴락의위기에서벗어나본래적인실존의과제를완수하게된다고주장한다. 이런의미에서실존철학에서이해하는불안은인간의결함이아니라, 인간만이가질수있는독특한장점이되는것이다. 왜냐하면인간이불안을통과할때에만비로소참다운실존이달성될수있기때문이다. 인간은결코자기의지에의해실존으로향상할수없다. 실존에로의비약은인간을엄습하는불안에의해서만가능하다. 불안은마치인간의비본질적인것을태워버리고모든유한한것을인간으로부터분리시킴으로써고난의과정을통과하여모든형식화, 모든회피및안전을부정하고, 인간을진정한실존이나타날수있는 불안정성 에내던지는것이다. 그래서키르케고르는불안을실제로인간을일체의사물속에서흔들리게하는 현기증 과같다고말하는것이다. 74) 그런데키르케고르에게이현기증은자유에서오는현기증이다. 현기증이있는사람만이자신과세계의텅빈공간을보게되고, 마침내마지막고립을이겨낼때에비로소그는자신의실존적자유를발견한다는뜻이다. 인간은불안속에서비로소진정한자유를얻게되며, 현기증에서인간존재의참다운실존이드러나기때문에불안은자유에서오는현기증이다. 인간은불안을통과하는방법이외에는어떠한경우에도자신의자유를획득하지못한다. 그러므로불안이자유의가능성일때인간은일체의유한한것을흡수 73) 백승균, 호스피스철학, 253 참조. 74) S. Kierkeggard, 불안의개념, 119 참조.

32 철학논집 ( 제 35 집 ) 하고유한성에부수되는일체의속임수를폭로하며, 마치소크라테스가장엄하게독배를마셨듯이소란이나혼란으로불안을쫒아버리려하지않고오히려불안을환영하게된다는것이다. 75) 진정으로불안을배운사람은최고의것을배웠다. 그리고그가불안해하면할수록인간은더욱더위대하다. 76) 여기서불안은이제 안정성 이라는기분으로전환하는새로운국면을맞이하게된다. 이때의안정성은야스퍼스가말하는 무한자속에안주하는것 과동일한기분이다. 그러나대부분의비본래적인실존은불안을인간의약점으로여겨일상생활의소란스러운분주함으로도피해갖가지의세속적인오락으로이절박한기분을막아보려기를쓰며살아간다. 77) 그러나본래적인실존은어떠한경우에도불안을연약하거나비겁한것으로여겨감당해나가야할삶으로부터숨거나도피하지않는다. 실존철학은불안을이겨내기위해잠시동안만잊을수있는오락과취흥에몸을던지지않도록요청하며, 여기서그치지않고오히려한걸음더나아가나를전율케하는불안에나를맡기도록요청한다. 결과적으로실존철학은불안을견디는것을인간에게부여된최고의실천과제로본다. 실존의본래성은불안을견디며이겨낼때에야비로소실현되기때문이다. 불안을참아나가는것, 버티고나가는것, 이겨나가는실존적태도야말로인간이실현해야할참다운과제가된다. 하이데거역시숨어있는불안의토대위에현존재가 무 로들어가버티고있다고말하며, 야스퍼스역시불안의토대위에서불안의극복을주장한다. 여기서의불안은밖에서부터인간에게덮쳐오는단순한우연이아니라, 현존재의가장심오한근거가되는, 하지만대개는잠자고있는근원적불안이다. 인간에속해있는가장근원적인본질인불안을끝까지견디는일은인간에게는최고의긴장이며, 또한주저없이이긴장에자신을내맡길때, 인 75) S. Kierkeggard, 불안의개념, 319 참조. 76) S. Kierkeggard, 불안의개념, 312. 77) S. Kierkeggard, 불안의개념, 319 참조.

실존철학의죽음이해 33 간은비로소참다운자기존재, 즉실존을달성할수있는 비약 을경험하 게된다. 그렇다면죽음에대한불안으로서의무에대한 불안 은참다운 실존이되게하는결단의계기인셈이다. 5. 나가기 지금까지이글은실존철학에서의죽음이해를키르케고르, 야스퍼스, 하이데거등의실존철학자들을중심으로실존, 시간성그리고불안을실마리로하여죽음의의미를고찰했다. 실존철학이우리에게주는가장중요한메시지는한가지, 즉 죽음에직면하라는것 이다. 죽음에직면하는태도는삶과죽음을분리시켜따로생각하지않는것을말한다. 우리는종종삶이죽음과다르지않다는점을강조할때삶과죽음을동전의양면으로비유하곤한다. 그러나엄밀히따져보면, 이동전의양면비유는실존철학적태도와는확실히차이가있다. 왜냐하면우리가앞면을들여다보는동안에는어떠한경우에도뒷면을보지못하며, 그와마찬가지로뒷면을들여다보는동안에는결코앞면을볼수없기때문이다. 78) 이는우리가삶에만집중하면죽음을제대로볼수없고, 죽음에만집중하면삶을제대로볼수없다는것이다. 죽음을통해서삶을바라본다는의미에서삶의거울인죽음은나의삶의의미부여와긍정적인관련을맺고있다. 왜냐하면나의삶에서죽음의의미를없애버리면, 내삶의전체의미도파괴되기때문이다. 79) 그래서죽음을두려워하고죽음으로부터자신을보호하는데만열중할것이아니라오히려죽음을견디며죽음안에서자신을유지하는일이더중요하다. 80) 78) 천선영, 죽음을살다, 우리시대죽음의의미와담론, 12 참조. 79) E. 코레트, 삶과죽음의의미, 171. 80) Georg W. F. Hegel, Phänomenologie des Geistes, Hamburg: Felix Meiner, 1952, 29.

34 철학논집 ( 제 35 집 ) 결국실존철학적관점에서바라본죽음은인간으로하여금일상에매몰되어안이하게사는삶의태도에서벗어나게하며, 변하지않는고정된실체로서의존속이란있을수없다는사실을여실히밝히는데주된목적이있다. 이러한실존적태도는하이데거가말하는태도와일치한다. 자신의고유한죽음을향해미리달려가면서자유스러워질때에만우연하게밀어닥치는여러가능성안에서자기를상실하는것으로부터벗어날수있다. 그리하여현존재로하여금앞지를수없는최후의가능성앞에있는여러현실적인가능성들을이해하고선택하게한다. 미리달려감은실존에극단적인가능성으로서의자신의과제를열어밝히는것이며, 그때마다도달된실존으로굳어버린태도를모두부숴버린다. 81) 결국인간의삶은죽음의의미를제대로깨달을때에야비로소그진정한실존의높이에까지이르게되는법이다. 최후적이며넘을수없는가능성으로서의죽음에대한관계를해명하게될때, 인간으로하여금본질적인것에대한물음을촉구하게하며, 일상에머물러안주하려는경향을여지없이허물어버릴때에야비로소인간을참다운실존의생동하는활동속에존재하게한다. 인간이삶속에서성취해야하는여러가지다른본질적인문제또한바로이물음으로수렴된다. 그러므로인간이자신의삶을해결하려는참된노력으로부터회피하려는모든태도는죽음에직면하여필연적으로무너져버린다. 그런의미에서죽음은야스퍼스의말대로실존의마지막시금석이자참다운실존을실현하는필연적인조건이된다. 82) 따라서우리가죽음을인식하는일이곧삶의의미에대한여러가지문제를생각해보는계기가된다는점에서죽음은분명우리의삶을비추는거울임에틀림없다. 81) Martin Heidegger, Sein und Zeit, 264(352-353). 82) O. F. 볼노우, 실존철학에서죽음의문제, 죽음의철학, 253 참조.

실존철학의죽음이해 35 참고문헌 강영계, 죽음학강의, 서울 : 새문사, 2012. 박병준, 키르케고르의죄 ( 성 ) 의개념에대한인간학적해석, 철학, 제93 집, 한국철학회, 2007, 159-184. 박찬국, 극한의한계상황으로서의죽음, 죽음, 삶의끝인가새로운시작인가, 박찬욱기획, 서울 : 운주사, 2012. 백승균, 호스피스철학, 대구 : 계명대학교출판부, 2008. 이상백, 존재와시간의사유, 서울 : 건국대학교출판부, 2004. 정동호 / 이인석 / 김광윤편, 죽음의철학, 서울 : 청람, 1992. 정진홍, 만남, 죽음과의만남, 서울 : 궁리, 2003. 조가경, 실존철학, 서울 : 박영사, 1995. 천선영, 죽음을살다, 우리시대죽음의의미와담론, 서울 : 나남, 2012. 홍경자, 한계상황으로서의죽음의식이삶에미치는영향과의미 야스퍼스철학을중심으로, 철학논집, 제33집, 서강대학교철학연구소, 2013. Augustinus, 고백론, 최민순옮김, 서울 : 성바오로, 1979. Arendt, A., 인간의조건, 이진우, 태정호옮김, 서울 : 한길사, 2009. Bollnow, O. F., 실존철학이란무엇인가, 최동희옮김, 서울 : 서문당, 1996. Cathcart, T./Klein, D., 시끌법적한철학자들, 죽음을요리하다, 윤인숙옮김, 서울 : 함께읽는책, 2012. Coreth, E., 삶과죽음 그리스도교적인간학 ( 독어- 한국어대역 ), 신승환옮김, 서울 : 서강대학교수도자대학원, 1997. Hegel, G. W. F., Phänomenologie des Geistes, Hamburg: Felix Meiner, 1952. Heidegger, M., Sein und Zeit, Tübingen: Max Niemeyer, 1972, 240, M. 하이데거, 존재와시간, 이기상옮김, 까치, 1998, Die Grundprobleme der Phänomenologie(GA Bd. 24), Frankfurt am Main: Vittori Klostermann, 1979. Jaspers, K., Kleine Schule des philosophische Denkens, München: Piper, 1974., Philosophie I, II, III, Vierte Auflage, Berlin/Heidelberg/New

36 철학논집 ( 제 35 집 ) York: Springer, 1973. Kerch, V., Georg Simmels Religionstheorie, Tübingen: Mohr Siebeck, 1998. Krings, H., Ursprung und Ziel der Philosophie der Existenz, in: Philosophische Jahrbuch, 61, Freiburg/München: Parzeller, 1951. Kierkeggard, S., Abschließende unwissenschaftliche Nachschrift zu den philosophische Brocken, Kopenhagen, 1846., 죽음에이르는병, 임규정역, 파주 : 한길사, 2010., 불안의개념, 임춘갑역, 서울 : 다산글방, 2007. Rahner, K., 죽음의신학, 김수복역, 서울 : 가톨릭출판사, 1987. Zimmermann, F., 실존철학, 이기상역, 서울 : 서광사, 1987.

실존철학의죽음이해 37 <Abstract> Understanding of Death in Existential Philosophy Keung-Ja Hong (Hallym Univ.) This writing investigates what the strength of change has on causing existent death on one's life through a method that consists of one dealing with oneself and also emphasizes the role of existential philosophy, which contributes to help one overcome the fear of death. Previously, traditional religions or philosophy fulfilled the consistent role of overcoming the fear of death; now, modern medical science has taken charge over that role. However, modern medical science may supply prescriptions to temporarily forget the fear of death, it is unable to offer a fundamental alternative way of recovering the fear of death. If anything, that fundamental alternative can be found in philosophy because death is an opportunity that makes it possible for the authentic existence of humans and insists the 'humanization of death' to be a fundamental and essential element of life; moreover, instead of an existential human being becoming anxious or in vain when encountering death under any circumstances, one goes through self awakening through death in order to go back to one's original self and avoid the apprehension of death. Of course existential philosophers debate about death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ith one another, they adhere to a common stance in which they 'independently' sublime the intrinsic understanding of death and related topic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bear this point and seek what the meaning of genuine death and life is for the ones who live in the present from a multilateral theory of death in an existential philosophy perspective. Key words: Death, Existence, Anxiety, Time, Finitude, Infinity, Decision, Existential Philoso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