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IA-NURIMEDIA

Similar documents
2 張奭鎭 차 례 序論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ø±â¾Ð±â±â

해양푼화재 제 7 호 / 2014

212 52,.,. 1),. (2007), (2009), (2010 ), Buzássyová, K.(1999), Bauer, L.(2001:36), Štekauer, P.(2001, 2002), Fernández-Domínguez(2009:88-91) (parole),

第二屆西太平洋韓語教育及韓國學國際學術會議

step 1-1

152*220

저 11 회 고대 고분 국제학술대회 고분을통해본 호남지역의 EH 외교류와 연대관 Dating and Cultural exchanges as seen th ough the tomb in Honam region 국립나주문확쩨연구소 Naju National Research

7.1 형태소 개념형태소 ( 形態素, morpheme) 는문법단위중에서의미를가진최소의단위 (minimal meaningful unit) 이다. 여기서의미는어휘적의미뿐만아니라문법적의미도포함된다. 사랑 을 ㅅ-ㅏ-ㄹ-ㅏ-ㅇ 응로쪼개면각각의요소들은아무런의미를가지지못하는것처럼


<30352DC0CCC7F6C8F B1B3292DBFACB1B8BCD2B1B3C1A42E687770>

찾f ;셜 콩 복원정 1:11 71 본겨l펙 (고증몇관련문현자료집)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I 154

중 국 6 대 패 션 시 장 조 사 보 고 서 < 2004 년 상 해 10 대 매 장 10대 패 션 제 품 의 브 랜 드 시 장 점 유 뮬 > 제 품 브 랜 드 시 장 점 유 율 제 품 브 랜 드 시 장 점유 율 C O N C H P LA Y B O Y

2016 년 1 학기국어학개론 형태론 (Morphology): 형태소와교체, 단어의구성요소 1. 형태론의개념과분야 1) 개념 : 단어의구조를연구하는분야 2) 분야 : (1) 단어형성법 ( 조어법 ) (2) 굴절법 ( 屈折法, inflection): 조사나어미가붙어문법적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_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21 여 ö Ç J ö Ç Ç ö úç úç ú Ç 사랑으로채우 - - 여? J J J J J #ú Ç úç 사랑으로채우 - 여 L? ú ä F ä A ä # _

#7단원 1(252~269)교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173*243-³»Áö-1Æí-ÃÖÁ¾


Bchvvhv[vhvvhvvhchvvhvvhvvhvvhvvgvvgvv}vvvgvvhvvhvvvhvvhvvhvvvbbhvvhvvvgvvgvvhvvhvvhv}hv,.. Bchvvhv[vhvvhvvhvvhvvbbhvvhvvhvvvhvvhvvgvvgvv}vvgvvhvvvhvv

한국언론진흥재단 지정주제 연구보고서 해외동포 언론의 국내뉴스 보도 연구 책임 연구 한동섭(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공동 연구 김형일(극동대학교 언론홍보학과 교수) 연구 보조 최진호(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석사과정) 발행인 이성준 편

a킹종꺼j책 획용깡호. 그 후 양 L걷(Z006 ZOIO)

이용석 박환용 - 베이비부머의 특성에 따른 주택유형 선택 변화 연구.hwp

04±èºÎ¼º

3 x =2y x =-16y 1 4 {0 ;4!;} y=-;4!; y x =y 1 5 5'2 2 (0 0) 4 (3-2) 3 3 x=0 y=0 x=2 y=1 :: 1 4 O x 1 1 -:: y=-:: 4 4 {0 -;2!;} y=;2!; l A y 1

,,,,,, ),,, (Euripides) 2),, (Seneca, LA) 3), 1) )

<33C2F DC5D8BDBAC6AEBEF0BEEEC7D02D3339C1FD2E687770>

121_중등RPM-1상_01해(01~10)ok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6 새국어생활 제 9권 제 1 호( 99년 봄) 十 三 經 : ( 詩 經 ) 書 經 周 易 爾 雅 春 秋 혔 梁 傳 春 秋 公 후 傳 左 傳 禮 記 構 i훌 周 *훌 孝 經 ( 論 語 굶 子 ) 諸 子 集 成 : 훌 子 春 秋 法 言 管 子 韓 非 子 堆 南 子 莊 子

NSK-Ç¥Áö_º»»ç

歯FFF01379.PDF

334 退 溪 學 과 儒 敎 文 化 第 55 號 角 說 에서는 뿔이 난 말과 고양이라는 기형의 동물을 소재로 하여 당대 정치 상 황을 비판하였고, 白 黑 難 에서는 선과 악을 상징하는 색깔인 白 과 黑 이 서로 벌이 는 문답을 통하여 옳고 그름의 가치관이 전도된 현실세

2 A A Cs A C C A A B A B 15 A C 30 A B A C B. 1m 1m A. 1 C.1m P k A B u k GPS GPS GPS GPS 4 2

untitled

hwp



용어사전 PDF

DBPIA-NURIMEDIA

C# Programming Guide - Types

( )박용주97.PDF

fl 2

歯320.PDF


합본.hwp

PART

½ºÅ丮ÅÚ¸µ3_³»Áö

272*406OSAKAÃÖÁ¾-¼öÁ¤b64ٽÚ

Part Part

£01¦4Àå-2

*Ãßõ¿©Çà


10 (10.1) (10.2),,

DBPIA-NURIMEDIA


untitled


COVER.HWP

이슈분석 2000 Vol.1

가볍게읽는-내지-1-2

한눈에-아세안 내지-1

kbs_thesis.hwp


?읜춎킴잖?


<3031C8ABB5E6C7A52E687770>

Page 2 of 5 아니다 means to not be, and is therefore the opposite of 이다. While English simply turns words like to be or to exist negative by adding not,

±¹Åä11-Ç¥Áö

ALPHA I 500M(현대삼호) service manual(kor).hwp

<BACFC7D1B3F3BEF7B5BFC7E22D3133B1C733C8A BFEB2E687770>


DBPIA-NURIMEDIA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 E687770>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¹ßÀü2-2)Á¤´ä01~35

untitled

<30352D30312D3120BFB5B9AEB0E8BEE0C0C720C0CCC7D82E687770>

歯mp3사용설명서


서울大學校師大論鍵第 2 0 Q 펴 ( ) 日本語起源論과韓日語比較에대하여 ( I ) --- 限界性을中心으로 --- 李庸 周 ( 國語敎育科 ) I. 序 = C 그 최근日本에서는日本民族의起源과國家의形成, 그리고日本語의起源 系維에관한논의가한창이다. 그중우리

(001~042)개념RPM3-2(정답)

170

006- 5¿ùc03ÖÁ¾T300çÃâ

¼Òâ¹Ý¹®Áý¿ø°í.hwp

Microsoft PowerPoint - 26.pptx

, _ = A _ A _ 0.H =. 00=. -> 0=. 0= =: 0 :=;^!;.0H =.0 000=0. -> 00= 0. 00= =: 0 0 :=;()$; P. 0, 0,, 00, 00, 0, 0, 0, 0 P. 0.HH= = 0.H =0. 0=. -> =0.

영남학17합본.hwp

DBPIA-NURIMEDIA

Transcription:

現代關語의接尾購에대한 構造的冊究 ( nr) * - 接尾的派生法의記述方찮을중심으로- i홉치 根 ( 서울大쩔校 ) 1. 마리알 - 範團의 쨌定 j;f n. 接尾廳의職 ~ 的分類 1. 記述方法 - 語 # 的 ìlr 生法파統 廳的 ìlr 生法 - 려 l N. I않詞뼈變 -r뮤 l폐행광과 l뮤1 詞빠義 의처리 y. 삶論 - 展望 - 1. 머리말 - 뼈 l 펴의限둡 - 本稍는派生接尾짧들의職能올檢討함으로써, 傳統的派生語처리에대한反省을加하고, 同時에接尾的派生法의合理的記述을위한方法을操索해보려는데重횟담標가있다. 또構造王發的인文法觀애立聊한國語文法의記잊11에있어서造語詢의 f 立置릎, 傳統文法의그것과 J:t 較해가연서, 計定해보는일도이-울러試圖될것이다. H. 派生接尾購의職能的分類 派生接짧 ( d er iv at ion a l affix) 는職能의如何에따라品램를바꿈으로써文法的戰能을달리 하는것과文法的職能은그대로保有하고있으면서語根에어떤뭇만더하여주는것의둘 로나눌수있다. 後者는보통限定的接購 ( r est rict i ve affix) 1 내지同種的派生素 ( déri vat ifs * 本橋는 現代國語의接尾짧에대한樞造的 ut 究 의세번해發表이다. 첫번째는接尾離의 U 훌立훌 뺑 에대한論議올展開하였고 ( 홉永根, 1972 a), 두번째는接尾짧의 { 憐接形式등과의統合 { 뼈係툴다루어보았다 ( 홉永根, 1972 b). 본고의樓要는第 - 回신택스따究웹 (1972. 1. 14 ) 에서發表한바 있다. 1 Hockett (1 958 : 243 ) 는두가지훌마음과같이規定하고있다. A restrictive aflix stands in an attributive relationship to the underlying stem to which it is added, and the derivative belongs to the same part of speech as the underlying stem. A governing aflix stands in some other relatiollship to the underlying stem, and determines the part of speech of the derivative. - 64 -

펼代國語의接尾짧 ( 1) 65 homogénes) 2 로, 빼者는 支配的 接歸 ( gov e rnin g affix) 1 내지 異種的 派生素 ( dérivatifs hétérogénes) 2 로각각일컴고있다. 國語造語法 m 究애있어서도, 傳 Í'ðc 文法의觀點에서기는하었지만, 接歸의職能的 分類 를품圖한일이 있다. 일짜기 故崔컸培博土는 써가지를, 그하는구실 ( 職좁 ) 을따바, 뜻더하는것 (1J u~ 한的의것 ) 과안만드는것 ( 造語的의것 ) 괴소리고루는것 ( 짧音的의것 ) 의세가지로가르나니라 (1937:898. 1961 :640). 라말한일이있다 f쫓짧에대한崔 행土의分類方法이日本文法學者山田孝雄의影響을많이받기는하였지만, ( 明治 41 年 : 699"'-'705) 接織의職能的分類를試 圖한勳은, 國폼文法學史全般을通됐할띠il,! 많實히進 - 步 의사싣이아닐수없다그갓은오래동안國語文法 % 究에서이方面에對힌꽤.G l fj( 如되어있었기때문이디. 그러나짧 1쟁土의分類에는重맺한잘못이發兒된다. 그것은 A 名아래에붙는 이 을調音的接짧려하여孩戰의엄주에넣고있기에문이다. 짧 핑土의見解에따르면, 이 는뜻을더하거나資 * 점을바꾸는것과는何等의 % 히聯性이없이調홈的인投劉만짧當하는것이다 ( 註 : 3 참조 ). 그러므로接歸의職能的인面과는距離가 먼것으로보아야하지않을까한다. 이 를加意的인範댐에所屬시켰으면문제가다소다 를수도있을것이다굳이職能的範휩에넣기로한다면, 語根과接尾歸사이에서間或 Cook (1969 : 12 6 ) 는上記 Hocketl 의兩分法올받아들이년서 governing derivational affix 의 f71j 로는英語動응司 constitute 흘 f, 힘化시키는 (= constitution) (.tion) 을플고 restrictive derivational affix 의例로는英語名詞 state 흘다시名휩化시키는 (. hood l 흘을고있다. 2 Togeby (1 965 ) 는 morphéme 융 j1 exifs. racines. dérivatifs. particules 의넷으로나누고 (p.107). 다시 dériv ati 꺼에는 þréfixes. suffixes. vel'bum. infinitum 의넷옹두고있다特히 pr 뻐 xes 와 suffixes 사이에는職能上으로重要한差異點이있음을認똥 ( p. 164). 다응 - 의두가지로分類하고있다. Nous pouvons appeler ((homogénes)) les dérivatifs (entre autre les prélixes) qui permettent au théme de garder la fonc tion de la racine et ((hétérogénes)) les derivatifs (les suffixes) q ul prêtent au théme une autre fonction que celle de la racine (p. 165). 3 짧述의편의상, 崔 t 행 :1: 의見解를옮겨보기로한다. 아래의引用文은初版 (1 937) 때의것이다. 뜻더하는씨까지 ( 加意的짧技 ) 라하는것은, 이마다이뤄진씨의우 ( 上 ) 나아래 ( 下 ) 에붙어서 일마간뜻을더하는것이니 : 이것올더하여진말은그로말마암아역시딴한날의씨로되기는하지마는, 아주딴갈래의말이되는것은아니요, 다만한강례안에서그뜻이얼마큼달라질따름이다머리가지 ( 頭技 ) 의오다와발가지 ( 足技 ) 의한조각.., (1 937: 898; 1961: 640). 말만드는씨가지 ( 造語的語校 )... (1 ) 아우뜻이없이, 다만두써의사이에서그것틀을한태 붙여서한낱의딴씨로만드는것과. ( 2) 한完成된씨나줄기의아패에붙어서그씨의정옥 ( 資 格 ) 올바꾸어서아주딴갈래의말로만드는것과의물로니누나니 : 앞에屬한것은허리가지 ( 陽技 ) 모다뿐이요, 뒤의것에屬한것은말가지 ( 足校 ) 의한조각... (1937:898-899. 1961:640-641). 소리고루는씨가지 ( 調줍的語技 ) 는뜻파검옥에는아우쩌뼈없이다만말의소리촬고루어그소려냉을펀하게 - 딴짜릎의 μ 가지......!i 쇠곧이 H 강득이 의 이 와같은것... (1937: 899. 1961: 641). 4 崔댄土의文法짧系가山田孝雄의그것융移植댔다는사실은公認되어있기는하니, 具셈的인 { 행授 ruj 係는 ψj 白 -G I 把握되어있지않다 우리말판 이國話文法쩔및에서차지하는比重윤때案할때, 이러한作業은반드시펀요하리라믿는다 5 À 名아래의 이 가받칩있는경우에局 IIN 하여니다나기는하지미 는, 非 A 名의경우에는나타나지 않음윤보연, 單純히짧표的인꽃素로보기는어럼지않을,,~ 한다. 鄭寅承 t 핑土는 이 가이릅써좋

66 응암學땀 f 究 9 ~ 1 號 덤짧되었던調홉的인 으 도함께다루었어야할것이다 ( 高永根, 1972b : 2.4. ). 崔 1 평土의分類는, 이른바調륨的 이 를힘活시킨것괴接 K 햇앓 % 를接歸의한가지로본것 ( 註 :3 참조 ) 만除外한다면, 根本的으로옳다고할수있디. 그러나펼자는加意的괴造語的 이라는用語代身에語웰的과統짧的이라바꾸어부르려한다. 이는派生法의記述에서흔 히 일컬어지는語윷的派生法과統關的派生法 ( 後述 : 第三꿇 ) 과步調플맞추키위해서取해 진揚處이다. 그렇다고 restric/ive 와 goverηiηg 이나, homogéne 와 hétérogéne 를取할수없는 것은아니다. affix 에있어서 govermng 과 restrictive 를구별할뿐만아니라, del'iuation 에서도 兩者를適用하는일이있음을보면더욱그러하다 (Cook, 1969:127-129). 다시말하연單語의派生에參與하는國語의接짧에는 語훌的接짧와統짧的接짧가있다 고할수있다. ffi. 記述方法 - 語파的派生法과統짧的派生法 - 앞의짧鉉 li'1m :t의指떠에서도볼수있는마와같이, 語치 ~ÉÝ'J 孩짧에는接 j용짧선부와짧 f료짧의일부가흰含되고, 統짧的接짧에는接尾節의일부가所屬되고있다 ( 註 3 참조 ). 本橋의 g 的은接 E료짧에있어서語쩔的價 ( 헌 (va l eur l éxica l e) 와統짧的職能 (fo n ctio n syntaxique) 을測定하는데있으므로, 接頭짧는除싸하게될것이다. 그러연接尾짧가가지고있는두가지職能은派生法에서어떻게처리되어야할것인가? 從來의 f 專統文法과最近의造옆法맑究에서 取해온接尾的派生法에대한記述態 l 흉플살 펴보키로하자. 崔鉉培뱀土는派生語의記述에서接隨가붙는語根의品챔를中,e, 으로그것이語根에뜻 만더하는것이냐쯤格을바꾸는것이냐로分類하고있다 096 1: 650-660). 이러한分類法 은接尾的派生語의語根의品챔如何와接尾짧의職能을把握하는데는좋은方法이될수 있으나, 슴理的인派生法의記述態度로보기는어렵지않을까한다. 그것은語根의本錯을 아는것보다派生된單語自體에훨點을두는것이品홉면體系全般을고려할때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상과갇은記述上의短處를止揚한것이李照昇댐 ± 의記述方法이다 0957: 136-138). 李댐土는, 崔댐士와같이接짧의職能的인面은考慮하지않았지만, 崔博士와는달리接羅 가붙어서이루어진派生폼의品랩를重要視하고있다. 또거기다가語根의品띔를밝힌것 낮추어일캠는데쓰인다고했는데 (1 956: 86), 이런사실쓸참작하연 1JU; 훌 的인 범주에넣융엽도하 다. 필자는뼈年前 A뼈詞의設숱根뼈를論讓하는지려에서 이 의 有意的짧位로의定立可能性을 示찢한 u} 있다 ( 홉永根, 1968: 18). 그리고 Martin 교수가 su f/i x(endearing dimunitive added to names ending in consonants) e.j- 하여指小的젖r 햄의意 '* 플 I밟與한 것도 이 의 有意性옴考 l없한 所致가아닌가한다 (1 968 ).

햇 f-'ç 링경語의 t 잦尾홉 f ( 1 ) 67 0955: 267-28 7) 도前者에서는미치지붓한텀見이라할깃이다. j 쫓짧의職能이語훨的이든 統짧的이든派生語힘끼리모으는것이造語法記述의첼木方向이다. 이흘테면, 접 - 웅 과 덮-개 에서 웅개 는 I댔能上의觀點에서연相異하나前者는語꿇的, 後者는統짧的 - 다같은名詞形成의接尾짧란點에서共通되고있다. 最近語根의品펌的사실에留意하면서接尾的派生法을細密히考察한일이있다 ( 金桂때, 1969). 이方法은李熙昇댐土의그것과 -흉한다고볼수있으나, 前述한崔 f핑土가彈調한바있는接짧의職能的面이 X ~!] 된것이한가지흠이라할수있다. 결국接尾的派生法을슴理的으로記述하려변 派生원單語의品詞에따라우선적으로정 려되어야하며, 다음으로그語根의規則性 ( 品詞 ) 괴不規則性이고려되어야할것이다 ( 高永根, 1972b:2. 1. ). 그리고派生된댈語의品詞기- I 司 -하다고하더라도語根의品詞가派生語의品詞와同一하지않을때는, 다시말하면, 接離의熾能이달라질경우는語흩的내지統짧的이라는구운올짓는일도잊어서는안될것이다. 그렇다연, 語웰的接歸가붙는것은語 :l: á:j ~ffl 生法 ( déri va ti o n léxicalc, lexical derivation) 또는限定的派호法 ( restrictiv e d er iv at i on ) 으로, 統嚴的接歸가붙는것은統醫的 ~ffl 生法 ( dérivation syntaxique, syntactic deriva tion) 또는支配的派生法 (gov e rnin g d e riva ti o n ) 이라각각부를수있을것이다 統짧的派生法과語꿇的派生法의구분에대해서는 K ury lowicz (J 936 ) 에서시작되어最 近의 Dearmond (1 969) 나 Cook (l 969 ) 에이료기까지그펼요성이彈調되고있다. Kuryl owicz 에依하면, 統짧的派生法은語꿇的 f 뀔 { 벌 ( va l e ur léxica l e) 는그대로保存하연 서統歸的職能만바뀌는것이고, 語황的派生法은語基 ( mot-b a se) 와派生語 (dérivé ) 의統嚴 l 戰能 (fon c tion syntaxique primaire) 이同一한것이다 7 Dearmond 는 E. Günther and K. Günther, Kurylowicz 등의見解를종삽함으로써두가지派生法의交짖的分類 (crossc l assificat ion ) 를試圖하여 4 個의類型을設定하고있다 Cook 는 Hockett 의 affix 에대한 l짧能的分類를바탕으로 ( 註 : 1 참조 ) 支配的派슨tJ 去 6 dérivation léxicale 과 dérivation syntaxique 에대하여는 Kurylowicz (1936: 45 ) 에, lexical derivation 과 syntactic derivation 에대하여는 Dearmond(l969: 348-349 ) 에, restrictive derivation 과 governing derivation 에대하여는 Cook ( 1969:127-129 ) 에각각낀 支하였다. 7 이려하여그는 dérivation 의過程 ( procés ) 을다음의兩段階로나누고있다. 1. une étape de dérivatio n syntaxique: adjectif épithéte adjectif anaphorique; 2. une étape de dérivation lex icale: ad jectif anaphorique substantif (1 936 45). 8 Derivation which has been discussed up to this point may be cross-classified into four possible types lexical sy ntactic + I er b noun I v erb P 따 iple I noun-->not + (Dearmond, 1969 : 352-353)

68 語學 lijf 究 9 월 l 號 (governing derivation) 과 ßH 定的派生法 (res trictive derivation ) 을훈잊定함으로써派生法體系 (derivational sys t em ) 가이두가지로成立됩올論斷하고있다. 빼者는語根 (stem) 의 cl ~ ptl ii 띤 (form c1 ass ) 를바꾸어서派生語의品詞플支配하고決定하는데 는그대로두면서意味만짧更시킨다는것이다 ( 1969:1 27, 129). 그러면國語에있어서語趣的 ( 限定的 ) 派生法과統歸的 ( 支配的 ) 대하여復者는語根의 l 묘듬힘 派生法의 f 얄際를貝體的으 로살펴보기로한다. 첫째로는動詞語根에接尾嚴가붙어被動詞및使動詞로바켈띠 } 이들의 % 에係를어떻게 처리할것인가? 語根이 自動的이든他動的이든간에, 接 E 흘짧가붙음으로써, 同一한文훨의 變形이라고 看做될때는이들接尾歸는統歸的接尾짧이며, 同時에이런方法으로派生된 單語는統騎的派生法의엄주에서처리해야할것이다. 語恨에接尾짧가붙음으로써主動詞가使動詞로派生되는것은다음과같다. 이때의語根 은自動램일수도있고他動템일수도있다. ( 1) ÊI 助的語根十이 ( 리 ), 히, 기, 1 우다응궐흠씨톡는다 생흠흘녹인다. 팽이가돌고있다 팽이흔툴리고있다. 손닝이앉더라 손닝을앉히더라. 밥이날았다 맙을남겼다. 종이가탄다 종이롤태운다. 동생이자리에서일어난다 동생을자리에서일으킨다. ( 2) 他勳的語根 +-이 ( 리 ), 히, 기, 우다. 아기가젖을먹는다 아기에게젖을먹인다. 아이들이국기흘들었다 아이을에게국기흘둘러었다 그사람이일올맡았다 그사람에게일올맡겼다. 학생이책을읽더라 학생에게책을원히더라. 짐군이 점을지더라 집군에게칩을지우더라 한펀, 語根에接尾嚴가붙음으로써能動흠힘가被動챔로派生되는경우는다음과같다. 이 때의語根은항상他動詞이다. f띤動的語根 +-이 ( 려 ), 히, 기다나는저산올본다 저산이냐에게보인다. 엄마가아기흘안는다 아기가엄마품에안긴다개가아이를물었다 아이가개에게물러었다. 우리는큰고기를잡았다 우리에게큰고기가잡히었다 위의두경우에나다나는接尾짧들은文章成分의 f 立置를바꾸어使動! 내지被動的인構文 으로文草을變形시키는職能을保有하고있으므로統歸的 ( 支配的 ) 接 E 료騎임에 를렴없다 o 按尾짧의孫加에 { 衣하여自폐 1 휩가 {míftb 휩로, fm 따 b 융허가自! 助뚱 j 로마해는現흉을語훌的派生法 ~ 로

평代國語의接尾離 ( 1 ) 69 펼자가接尾짧의법주에넣기로했던 -( 어 ) 뜨리다, - ( 어 ) 지다 도文뚫構造의變形에直 接關與하는것이므로 ( 高永根, 1972a:4. 1. 5), 統짧的接嚴로看做해야할것이다. 그런데使動形成의接尾짧가운데는統짧的인것으로볼수없는것이있다 10 이에대해 서는일찌기崔鉉培 1행土가홉元本動詞란이름으로詳細히話究한일이있다 0937: 573-588; 1961: 422-431) 11. 崔博土는還元本動詞의꿇定을위하여여러가지의基準을말하고있다. 特히使動詞의경우는能動詞만으로써는그창뭇을理解하기힘들므로, 被動詞와는달리, 전부本動詞로처리해야한다고한다 12 사실被動함는대부분文章의根本的인意妹를바꿈이없이, 能動詞로부터의派生이가능 하나, 使動詞는앞에든例플통해서볼수있는바와같이, 主動詞로부터의派生이가능한 것도있지만, 경우에따라서는전혀關聯시킬수없는것이많다. 밥을먹이다 에서는 먹 이다 가 밥을먹는다 의 먹다 에서派生되었응을쉽사리認識할수있지만, 우리점에서 는소와말을먹이요 에서는 節育하다 란意味로서主動詞와의 ; 훌味上의 /UJ 聯性이 거의認 定되지않는다. 前者는統離的派生法으로, 復者는語짧的 派生法으로 처리하는것이좋 지 않을까한다. 이려하여종래 使動補助語幹으로처리해 왔던 - 聯의接尾隨들은語훌的 價 f 直와統짧的職能을貝有하고있다고할수있다. 이러한두가지사실올判 Jj lj 해 내는基 챈은, 前述한바외- 갇이, 同 - 文뚫에서의變形이가능하냐에依存히는길이가장客觀的이 라믿어진다. 여기서한가지덧붙이고싶은것은從來의彈勢의 按尾짧에 대해서이다. 이 가운데서 -( 어 ) 뜨리다 는 -( 어 ) 지다 와對立하여同 - 文章에서 나타날수 있으으로統짧的接嚴 로처리해야힌다함은前述한바있다. 그러나 - 치다 의 경우는同 - 文章內部에서의變 形에 의해派生된것이아니므로, 單純한語꿇的接騎로看做해야할것이다. ( í7ij) 깨치다, 보는것은常옳化되어있는것같다. Bloch 는日本語의 inf/ected word 에대한派生法올다루는마당에서助힘에서動詞로派生되는것과같이派生語와語根의品휩가同 -하연 homogeneous secondary verb 둥으로처리하고, 剛詞에서形容휩로派生되는것과강이派生語와語根의品힘가相찢하연 heterogeneous secondary verb 둥으로처리하고있다 (1 946: 306). 品詞가 1 司 -하더라도文 꿇의춰양造에영향을마치연 ~ 離的인것으로훨做해야한다는것이펼자의持꿇이다. 10 被따 b 詞가운데도, 극히댐 j 外的이긴하지마는, 統廳的인것으로불수없는것이있다. ( 例 ) 틀리다 ( 짧 ), 플라다 ( 解多 ) ( 뚫 ~ ~g, 1961:426). 11 바꾸힌웅직씨가다시본대웅직씨로되어단순한한낱의웅직씨로쓰이는것이있냐니 : 이률도 로된본대움직씨 ( 還元本剛힘 ) 라일컴느니라.. (1 961: 422) 라고定錢하는崔댐土는다시두가지의還 元本動詞플設定히-고있다. 그뜻이거의독립적이어서그본대의본대웅직씨흘예상할것없이, 직접적으로그뜻융잡올수있는것 을第 - 種還元本動詞라하고 (1961: 423), 第 - 種과같이힐 接的무로理解되는것이이니고 본대웅직씨의뭇을얼마큼뎌다기는하지마는, 그러나또한한멍 어리로이해되며파악 ( 뺀握 ) 되며 사용되는 히입웅직써 플第 = 種훌jï;: 本動詞라하고 있다 (1 947 : 427). 12 이러한처리를하게된데는崔댐士의줍혔이여간이아니었던모양이다.i!ë 따 b 詞는本찌詞로, 짧動 l 를펴는本퍼 b 음혀의한用法으로看 ( 쩌하게된것은 갈그것의발덜성 과 말괴생각과의논리척얼치 성 을고려한것이라고한다 (1 961 : 428-431). 그런데後者는여러가지點에서再考해야할것이 다.

시끼70 5 펌쩔 ljf 究 9 卷 l 號 념치다, 밀치다. 둘째로는, 動詞的인語根에形容등펜形成의接尾敵가붙었을때, 할것인가? 이때의接尾歸에대해서崔鉉培 1행土가 감옥 ( 쩔格 ) 을 造語的接歸로처리한것은당연한일이다 0961 : 657). 이들을어떻게처리해야 바꾸는써가지 라하여 動詞에서形容詞로의派生法도앞의 { 횟動등히類의接尾짧와同 - 하게처리할수있다. 냐는고향올그린다 나는고향이그립다 냐는그사람올믿는다 나는그사람이믿입다. ( 미댐다 ) 形容룹링에사動詞로의派生法도同 -하게說明될수있다. 불밝다융밝히다냉씌걸을 서η다넓힌다넓.이경우에도崔 1 행土는造語的接짧로줍做하고있다 0961: 658-659). 動등검에서形容챔로派生되었든, 그述이든간에, 이틀은派生語와語根과의品챔가다르 다는접이외에도, 統嚴構造의變形이慶求되므로統歸的派生法으로다루어야할것이다 13 세째로, 體픔的語根에規則的인 } 훗 E 휠짧가붙을때單.f.!1l 히語찮的인派生法이라고할수 있을것인가? 語根의品詞와, 接 F 쉰隨가붙어서形成된派生語의品챔가同 - 하다는觀點에 서면, 語웰的이라고할수있을것이다. 그런데짧룹과分離住이강하며, 同時에統슴에별 로支障을받지 않아서그성질이없 ] 詞와비슷하거나從來의一說대로名詞的인面이엿보 이는것은 (cf. 高永根, 1972a : 4.2. 5), 어떠한種類의接짧라고없 rr 定하기에망설여치는정도 없지않다. 그러나이혜의接尾嚴는品詞를바꾸거나, 앞의使動 被勳의接 E 료짧와갇이, 統 離構造흘變形시키는일이없으로, 일단語꿇的인것으로다루키로한다. 規則的인接尾離가운데서도 - 닝 은사갱이다르다. 이는앞의使動및 被動의경우와 같이統羅構造에영향을미치므로統隨的인것으로띔做하기로한다. 이를테면, - 넙 이 體름語根에붙을때는없述語가尊뼈 의先폼末홈펌尾 - 시의揮入올훨求한다. ( 例 ) 이 신생닝이가시 다. 지금까지考察한語않的派生法과統짧的派生홉온, Kury l ow i cz 가設定한派生語와語根 ( 基語 ) 외의品협上의 一폈이외에統歸構造와의 lul 聯與否에도 - 척어도國語의경우는 - 依 存하였음을指쉬짧할수 있다. 따라서統歸的派生法이란폼根에 接尾離가불음으로써品詞를 달리하거나統歸構造에어떤變化를가져오는것이라고定짧되는것이다. 찌기짧圖했던接尾離의職能的分類에依한派生法의記述이지금까지의 崔鉉培 1 핑土가일 國語造語찮몫 f 究 에서注팀을받지못했다는것은國語文法따究의方法돼的인面에서크게反省되어야할것 13 動휩의경우는대개 f1!j.!fjij 펌로서 g 的語흘횟求하나, 形容휩일때는主語흘要求하는統蘇上의差앓 點이있다

現 1t 國語의按尾解 ( 삐 ) 71 이다 1( 語根이規則的일때는語輝的派生法과統雖的派生法의區別이가능하였으나語根이不 規則的일예는그品詞를모료기때문에위의方法이適用될수없다.Jl:t 種의 語根에接歸 가붙어서形成된派生된單語에대하여는 derived primary word, 15 primary formation, 16 primary derivati ve l7 로불리어왔다. 문제는이른바語根 ( root) 과接隨와의統슴을이른바 語幹 (stem ) 과接嚴와의統合과어떻게구별 처리하느냐하는것이다. 從來의國語造語法 Iff 究에서는不規則的語根에 } 쫓離가붙은것과規則的語根에接嚴가붙은것을同 - 하게 처리하여왔다. 語根이不規則할경우는援羅가아무리規則性을띠고있다고하더라도單 - 語的인性格이농후하다. 이리하여許雄敎授는이경우뿔一옆됨을피하기위하여假想的 語根을품定한일이 있는데 0966 : 22 ), 이는接節의 體系定立을 위해서도 펼요한일일것 이다. 規則的인語根 ( 高永根, 1 972b :2. 1. ) 에 接 E둡젊 가붐은것은第二次的派生語, 不規則的인 語根 ( 高永根, 1 972b :2. 2 ) 에 接尾짧가붙은것은第 - 次的派生語라부르기도한다. 따라서 國폼派生홉의記述에있어서는不規則的語根에依한第 - 次的派生홉이第二次的派生法 과구분되어야하지않을까한다 1 8 훌컨대國語派生法의記 ilit에서는 接尾歸의腦能如何에따라語훌的派生法괴 維짧的派 生法의 구분이필요히며, 한편語根의規則性如何에따라第 - 次的 第二껏的派生法으로 나누어야하리라고생각된다. N. 品詞훌훌變 - 品詞轉身과品詞 輔鼓 - 으 처리 우려의傳統文法에서造語法이品詞談의 한모퉁이에서接廳와品詞훌훌훌 ( 成 ) 이란이름아 패처리되었다는사심은別觸에서이미댐議한일이있다 ( 高永根, 19 7 2<1 :1 章 ). 그러나構 造文法에서의造語法이란것은屆折法과함께形態원의所管캘 : 이디 - (N ida, 1949: 222-281; T ogeby, 1965:99-192). 따라서從來의傳統文法에서다루어왔던 接짧論과品詞 I 훌훌論은派 生양의領域으로서造語짧에서 - 쩍해야할것이다. 그런데하나문제가되는것은品챔햄 14 金홉坤敎授 (1 969 ) 에依하더라도職能에따른接尾的派生語의類型化는 g 觀할수없다. 15 Bloom field (1 933 ) 는하나이상의 bound form 으로形成된 primary word 를 derived primary word 라하고 (p.209) ( re-ceive, de -ceive, con-ceive, re-tain, de -tain, con-tain ), 이어그는 boy, run, red, and 둥은 simple 한것이지마는, derived primary word 는 complex 하다고한다 ( p.2 4 0 ). 16 Trager & Bloch (1 942 ) 는 base 가 bound form 언派뽀語를 primary formation 이라부르고, cont eη d, extend, intend, pretend 에 니다니는按頭陽 con- ex-, in-, pre- 는 primary affix 로 쓰인다고한다 (p.63). 17 Hockett (1 958 ) 는 1. C. 의하나가 derivative affi x 0] 고나머지가 root 인 primary derived stem 융 primary derivative 라하여 ( p.240-241), detain-, retain', defer., refer- 등올듭고있다. 18 용홉坤敎짧가 ( 독렴성이없는어근 ) 에서派生왼것융마로훤 JÆ 한것은결국第 - 次的派生法을가 리킨다. 깅교수가獨立性이있다고判定한語根가운페는獨立센이缺 wl 된것이상당히있다 ( 홈永 根, 1972b: 2. 1 깐조 ).

72 E 홈學 uf 究 9 융 l 짧 쩔에서다루어왔던 Ifb 詞轉렬과品챔轉義를어떻게처리하느냐하는것이다. 品詞轉身에서原形다l 로轉成한다고記述되어온單語는造語論에서取孤할것이아니라, word-class 의體系을쾌하는자리에서言及되어야할것이다. 이를테연, 副 - 詞 모두 가格助詞가붙음으로써名詞로쓰일때는 본형그대로써바꿈하는것 으로記述되어왔다 ( 崔鉉培, 1961:698-699). 그러나이는 word-class 를類別할때, 副詞類와名詞類에共通으로屬하는것이라고설명해버리면, 造語論의領 l 或에까지鍵大할필요가없다 1 9 그런데從前애本形대로轉身한다고한것을전부이런方式으로처리할수있을까에대해서는再考를떻한다. 그리고品詞轉變論에서다루어오딘品詞의때身은 20 木形대로쩨身되는이외에 前않 ) 接離에依存하는것은統歸的派生法에서 ( 껴 Í!j 述 ), 自立形式의統合體인合成語는? 응成法에 서처리하면될것이다. 品詞轉身論의또하니 -의갈래였던品詞의轉義 21 애서, 本形대로나소리를비-꾸어서轉義되는것은語훌論 ( I e xi ca l se manti cs) 의 J5fr 管임이분명하다 (U ll mann 1963 :33-34). 그리고接짧를더하는것은語꿇的派生法 ( 前述 ) 에서, 自立形式의紙合體는合成法에서각각다루어야한다 : V. 結論 - 展엎 - 지금까지論述한바를훨略함으로써結폐을삼올까한다. 1. 職能的觀點에성때, 派生法에參與하는國폼의接尾짧에는語웰的 ( 限定的 ) 인것과統離的 ( 支配的 ) 인것의두가지가있다. 2. 接尾的派生法은派生된單語에따라分類 整理되어야하며다음으로派生語의語根에대한規則 不規則性이고려되어야한다. 3. 職能的觀點에서의派生法은語월的接짧가붙는폼 파的 ~ 生法과統斷的接짧가운는統짧的派生法의두가지로가를수있다. 4. 語根의 l쿄챔와派生語의品詞가同 -하다고하더라도文훨構造의變形올招來하는경우는統짧的派生法으로看 { 故한다. 被행b 使動의接 - 尾짧에의해派生된被動詞및여i 動詞와, 尊敬의接 E 료짧 一닝 이 붙은것은統歸的派生法으로처리한다. 곧統짧的派生法이란品렘 10 Hockett (1 958 ) 는한짧語가두가지이상의 word class 에속하는것올 NA, AV, NAV 둥 로記 號化하고있다 (pp.225-228). Robins 도한單좁가여러 品휩에所屬됩올實例로서성영하고 있다 (1964: 229) 20 崔댐- 土는品휩轉身의법올 본형그대로씨바꿈하는것 " (1961:698-700), 써가지홀더하여옴바 꿈하는것 " (pp. 700-702), 경씨가되어옴바꿈하는것 " ( p. 703 ) 의 셋으로나누고있다 이러한見 解는李熙昇 (1 957: 127). 鄭寅承댄土 0956: 82 ) 에게서도웠見할수있다. 21 崔폐 土는品휩뼈錄의법을 CD 그대로뜻바꿈, @ 소리를바꾼뜻바꿈, @ 씨가지를더한뜻바꿈, @ 경씨가되어서하는뭇바꿈의넷 ~ 로나누고있다 (1961:704-710).

現代國語의接尾醫 ( i) 73 를달리하는것이외에統짧構造에영향을미치는것도포항될수있다. 5. 規則的語根에接尾짧가붙은것은第二次的派生語로, 不規則的語根에 接尾醫가붙 은것은第一次的派生語로구분되어야한다. 6. 從來의品詞轉變認에서取폈해왔던본형대로의 * 팽身은 word-class 의 體系를때하는 자리에서, 본형대로의輔義는語쉴說에서, 나머지는統隨的派生法과語첼的派生法및合 成法에서각각다루어야힌다. 필지의試 I 짧가결코完훌훌히다고는自負하지않는다. 持히統嚴的派生法과語훨的派生홉 에대해서는大方家의 nι 正이아쉽다. 品댐轉身에서本形대로바뀌는것을 word-class 上의 所管이라고했을뿐, 분명한解決策을提示하지못했다. 이점은後日을期하여補充하러 한다. 훌考文빼 t 훔치 根. 1968. 王格助詞의힌- 種類에대하여 -맺表示語의品힘定立 -w 李횟寧 f쟁土짧짧紀念話 遊.l 서울 :z 西文化社. 1972 (1. 現代國語의接尾짧에대한構造的맑究 (1 ) < 짧立基準올中心으로 ). ff서윷大學 校 tti체文集 Jl< 끼 文 社會科學篇 第 18 輯. 서울 : 서울大. ' 1972 b. 現代國語의接尾짧에대한構造的 % 究 ( H ) < 統合뼈係를中心으로 > r 亞細亞 닮究 通卷 48 號. 서울 : 高麗大. 未發表. 現代國語의接尾雖에대한構造的맑究 動搖狀況을中心으로 > ( 附錄 : 接 尾짧目錄 ) 金桂坤. 1969. 현대국어의 죠어법연구 뒷가지에 의한파생법 >. ff 仁川敎育大學論文集 第 1m 輯. 인천 : 인천교육대. 金錫得. 197 1. 국어구조흔. 서울 : 연세대학교출관부. 李相짧. 1970. 國語의使動 被動構文돼究. ff 國語 % 究 第 26 號. 서윷 : 서울大國文科. 李熙昇. 1955. 國語學擬說. 서울 : 民쨌뽑館. 1957. 세고등운엽. 서울 : 일조각. 鄭寅承. 1956. 표둔고동말본. 서울 : 신구문화사. 崔鉉培. 1937. 우리말본. 京城 : 연휘전문학교출판부. 1961. 우리말본. 서울 : 정음사. 훈f 雄. 1966. 서기 15 세기국어를 대상으로한造語法의 寂述方法과몇가지問題點. ff 東 亞文化 第六뼈. 서울 : 서울大文理大. 山田 : 雄. 明治 41 年. 日本文홉論. 東京 : 寶文찌. Bloch, B. 1946. Studies in Colloq uial ]apanese n - Deri vation of In flected Words. ]AOS 66.

74 E 펌뿔앙 f 究 9 卷 i 號 Bloch, B & G.L. Trager. 1942. Outline of Linguistic Analysis. Baltimore: The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Bloomfield, L. 1933. Language. New York: IIolt, Rinehart & Winston. Cook, W A. 1969. Introduction to T agmemic Analysis.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Dearmond, R.C. 1969. The Concept of Word Deri vation. Lingua 22. ~. Holland. Hockett, C.F., 1958. A Course in Modern Lin guistics. New York: MacMillan. Amsterdam: North. Kurylowicz, J. 1936. Dériva tion léx ica le et déri va tion sy ntaxique. Readings in Ling uistics n. Ed. by E.P. Hamp et al. Robins, R.H. 19 6~. General Lingnistícs: <1 n Introd uctory Survey. London: Longmans. Martín, S.E. et al. 1968. New Korea n English Díctíonary. Seoul: Mi njungseogwan. Togeby, K. 1965. Structure immanente de la langue fra nçaíse. Paris: Larousse. Ullmann, S. 1963. The Principles of Semantics. London: Basi l Black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