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 공동전국학술대회 일시 : 2018년 8월 23일 ( 목 ) 13:00-18:00 8월 24일 ( 금 ) 09:10-12:00 주최 : 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주관 : 부산대학교국어국문학과후원 : 한국연구재단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 공동전국학술대회일정표 2018 년 8 월 23 일 ( 목 ) 13:00-18:00 기획발표 13:00~13:20 등록 13:20~13:30 개회 사회 : 박소영 ( 부산대 ) 13:30~14:10 (40분) 개회사 : 권영근 ( 우리말학회장 ) 언어학이론의변천과성과 사회 : 오현아 ( 강원대 ) (1) 계량음운론속의단어길이와음소배열 : 한국어와영어 발표 : 이봉형 ( 대전대 ) 14:10~14:50 (40분) (2) 형태이론의변천과보충법 발표 : 정인기 ( 서강대 ) 14:50~15:00 휴 식 15:00~15:40 (40분) (3) 통사이론의변천과실험연구방법론 발표 : 고희정 ( 서울대 ) 15:40~16:20 (40분) (4) 의미론의어제와오늘 발표 : 전영철 ( 서울대 ) 16:20~17:00 (40분) (5) 언어교육이론의변천과의사소통능력함양을위한외국어교수법고찰 발표 : 박매란 ( 부경대 ) 17:00~17:10 휴 식 17:10~18:00 종합토론 좌장 : 박진호 ( 서울대 ) (50분) 토론 : 박선우 ( 계명대 ), 이정훈 ( 서강대 ), 박소영 ( 부산대 ), 남경완 ( 창원대 ), 주세형 ( 서강대 ) 2018 년 8 월 24 일 ( 금 ) 09:10-12:00 일반발표 09:10~09:30 등록 09:30~10:10 (40분) 10:10~10:50 (40분) 제1분과 사회 : 이준환 ( 창원대 ) (1) 전일도인( 全一道人 ) 의번역과한국어교육사적의의 발표 : 허인영 ( 고려대 ) 토론 : 서민정 ( 부산대 ) (2) 훈민정음( 訓民正音 ) 을통한한글교육의원형 ( 原形 ) 탐색 : < 예의 > 와 < 용자례 > 를중심으로 발표 : 김부연 ( 평가원 ) 토론 : 최미현 ( 동의대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10:50~11:30 (40분) 09:30~10:10 (40분) 10:10~10:50 (40분) 10:50~11:30 (40분) 09:30~10:10 (40분) 10:10~10:50 (40분) 10:50~11:30 (40분) 09:30~10:10 (40분) 10:10~10:50 (40분) (3) 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에대하여 발표 : 김무림 ( 강릉원주대 ) 토론 : 최중호 ( 동의대 ) 제2분과 사회 : 차윤정 ( 부산대 ) (1) 자유선택 (Free choice) 과명령문의상관관계에대한소고 발표 : 허세문 ( 서울대 ) 토론 : 손평효 ( 부산대 ) (2) 화자변화와모음변화 발표 : 이옥희 ( 신라대 ) 토론 : 오재혁 ( 건국대 ) (3) 네트워크분석을활용한강원도방언구획연구 발표 : 정성훈 ( 대만정치대 ) 토론 : 김봉국 ( 부산교대 ) 제3분과 사회 : 이동혁 ( 부산교대 ) (1) 의미지도를이용한시간부사 금방, 방금 의의미연구 : 표준어와연변방언을중심으로 발표 : 유희정 전은경 ( 고려대 ) 토론 : 김인균 ( 신라대 ) (2) 고급한국어학습자의메타언어개념화양상연구 : 이유표현 -어서 와 -으니까 의개념화양상을중심으로 발표 : 박민신 ( 서울대 ) 토론 : 원해영 ( 부산외대 ) (3) 역대대통령신년사담론에나타난언어표현전략고찰 발표 : 정윤희 ( 동의대 ) 토론 : 최정혜 ( 가천대 ) 제4분과 사회 : 김홍범 ( 한남대 ) (1) 문법교육에서의 표현의도 개념에대한기호학적고찰 발표 : 조진수 ( 서울대 ) 토론 : 윤창숙 ( 부산대 ) (2) 다문화사회와국제이민자문화적응연구 : 러시아어권동포청소년을대상으로 ( 이론적검토 ) 발표 : 강수경 ( 부산대 ) 토론 : 한지형 ( 부산대 ) (3) 속담을활용한비교문화교육안 : 일본인학습자를중심으로 10:50~11:30 발표 : 김희경 ( 후쿠오카여대 ) (40분) 토론 : 배도용 ( 부산외대 ) 11:30~12:00 폐회 사회 : 김유범 ( 고려대 ) 폐회사 : 민현식 ( 한국어학회장 ) 한국어학회총회 - 4 -
목 차 < 기획발표 > 개량음운론속의단어길이와음소배열 : 한국어와영어 - 이봉형 ( 대전대 ) 형태이론의변천과보충법 - 정인기 ( 서강대 ) 통사이론의변천과실험연구방법론 - 고희정 ( 서울대 ) 의미론의어제와오늘 - 전영철 ( 서울대 ) 언어교육이론의변천과의사소통능력함양을위한외국어 교수법고찰 - 박매란 ( 부경대 ) < 일반발표 > 제 1 분과 전일도인 ( 全一道人 ) 의번역과한국어교육사적의의 - 허인영 ( 고려대 ) 훈민정음 을통한한글교육의원형 ( 原形 ) 탐색 : < 예의 > 와 < 용자례 > 를중심으로 - 김부연 ( 평가원 ) 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에대하여 - 김무림 ( 강릉원주대 ) 제 2 분과 자유선택 (Free choice) 과명령문의상관관계에대한소고 - 허세문 ( 서울대 ) 화자변화와모음변화 - 이옥희 ( 신라대 ) 네트워크분석을활용한강원도방언구획연구 - 정성훈 ( 대만정치대 )
제 3 분과 의미지도를이용한시간부사 금방, 방금 의의미연구 : 표준어와연변방언을중심으로고급한국어학습자의메타언어개념화양상연구 : 이유표현 -어서 와 -으니까 의개념화양상을중심으로 - 유희정 ( 고려대 ), 전은경 ( 고려대 ) - 박민신 ( 서울대 ) 역대대통령신년사담론에나타난언어표현전략고찰 - 정윤희 ( 동의대 ) 제 4 분과 문법교육에서의 표현의도 개념에대한기호학적고찰 - 조진수 ( 서울대 ) 다문화사회와국제이민자문화적응연구 : 러시아어권동포청 소년을대상으로 ( 이론적검토 ) - 강수경 ( 부산대 ) 속담을활용한비교문화교육안 : 일본인학습자를중심으로 - 김희경 ( 후쿠오카여대 )
2018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 기획발표 > 계량음운론속의단어길이와음소배열 : 한국어와영어이봉형 ( 대전대 ) 형태이론의변천과보충법 정인기 ( 서강대 ) 통사이론의변천과실험연구방법론 고희정 ( 서울대 ) 의미론의어제와오늘 전영철 ( 서울대 ) 언어교육이론의변천과의사소통능력함양을위한외국어교수법고찰박매란 ( 부경대 ) - 7 -
01-기획1(마지막에 삭제됩니다) 계량음운론 속의 단어길이와 음소배열: 한국어와 영어 이봉형(대전대) 1. 서론 1.1 말소리 체계: 단정적인가 점진적인가? 생성문법이 언어학이론 주류로서 부상한 것은 1950년 후반부터이다. 이들의 언어자료에 대한 원칙은 아 래 3가지로 수렴한다. (1) a. 언어자료는 단정적(categorical)이다. b. 수학적 수치의 역할은 없다. c. 설령 수치가 역할을 하더라도 그것은 언어수행 소관으로 언어 기술 관심 밖에 있다 (Chomsky and Halle 1968: 110). 언어현상을 화자 직관에 따른 단정적 판단만이 기술할 가치를 지닌 것으로 간주한 입장에서 상대적 문 법성이나 확률을 나타내는 숫자 개입은 철저히 차단된다. 이러한 주장의 근거는 매우 단도직입적이다. Chomsky(1957: 16)가 명시하고 있듯, 아래 (2) 문장을 whale이나 fragile of 모두 전무하다. 언어코퍼스 검색 결과 찾아낼 가능성은 fragile 그러나 두 문장은 문법성에 큰 차이를 보여 전자는 영어표현으로 가능하지만 사용하지 않는 것뿐인 반면 후자는 영어문장으로 사용 가망이 전혀 없다. (2b)의 한국어 예도 마찬가지로 아래쪽 문장은 사용 가망이 없다. 언어코퍼스에 의존한 분석은 이를 분별할 수 없으므로 언어 기술 모델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2) a. I saw a fragile. b. 어린 노인을 보았다. 쯤 반면에 언어사실의 점진성(gradience) 증거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그 중에서 소리체계 측면에서 구체적인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보자. 많은 소리체계는 처음부터 변이규칙(variable rule)으로 간주해야 한다. 규칙적용이 가부 간의 단정적, 이원적 선택이 아닌 적용환경에 따라 적용비율 차이가 있어 예컨대 Labov(1969)가 발견한 미국 흑인영어 에서 계사(be 동사)는 원형, 축약형, 탈락형 등 3가지로 구현 사실을 다음과 같이 도표화 할 수 있다. - 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 그림 1> 영어계사변이가능성 ( 데이터 : Labov 1969) 선행하는주어종결음소가무성음, 유성음, 치찰음, 모음에따라나타나는 3가지표면형은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이고있다 (MANOVA 분석 : 자유도 2, Phillai 값 1. 54, 유의확률 1.374e-06). Chomksy and Halle(1968) 의단정적규칙적용을반박한 William Labov의주장은소리체계기술에서비율, 확률, 빈도등점진성증거를제시한것이다. 둘째, 언어직관이아닌언어사용에초점을맞춘 Bybee(2001) 로대표되는언어사용기반음운론에서도모국어화자의직관으로판단이어려운언어사실존재를인정하게한다. 영어축소모음 (schwa) 3가지표면형과단어사용빈도 ((3) 에서괄호안수치 ) 는면밀한관계를맺고있다. (3) schwa 탈락 syllabic [r] schwa-[r] every(492) memory(91) mammary(0) evening( 명사 149) salary(51) artillery(11) 사용빈도가높을수록축소모음보존가능성은낮아진다. 이러한사용빈도를주시한 Bybee의언어사용음운론은전형이론 (Exemplar Theory; Pirrehumbert 2001) 의모태가되고있다. 셋째, 생성문법에서모국어화자의직관에대한확실한증거로믿어왔던소위 Wug Test(Berko 1958) 의신뢰도가떨어지고있다. 실존하지않는가상의동물 wug 대신동사 wug에해당하는 gleed를조사한 Albright and Hayes (2003) 의연구결과영어모국어화자응답률은다음 (4) 와같다. (4) gleeded (.929), gled (.857), glode(.033), gleed (.024) 단정적언어관에따르면단한지유형 ( 규칙형 gleeded) 만이어야함에도실험결과는점진적비율로나타난다. 영어 /t,d/-탈락도형태소적속성에따라단일형태소 61.9%, 불규칙과거 66.1%, 규칙과거 84.1% 등으로변이를보인다 (Guy 1991). 패스트푸드체인 Chipotle 이 Chipolte 로 /tl/~/lt/ 변이가가능한이유는빈도수에서 Vtl(67) vs. Vlt(356) 의차이외에다른설명이쉽지않다.(Hume and Mailhot 2013). 요약하면, 단어빈도, 비율 ( 확률 ) 등이소리체계와불가분의관계를맺고있다는사실은거부할수없는현실이다. 그럼에도 2016년런던대학 Bas Aarts와대담결과를보면 Chomsky 의단정적인언어직관에대한믿음 - 10 -
계량음운론속의단어길이와음소배열 : 한국어와영어 은요지부동이다. 코퍼스언어학에집중된논쟁이기는하나수치데이터중심의연구를수천년전에나가능했던구태의연한태도로일축하고있다. 그러나언어연구방법론선택은 Chomsky 교수의스승이며정보이론과생성문법의상호보완을제안한 Harris(1991: 585) 가진술하듯 개인적호불호나유행이아닌데이터의특성과종류 에따라결정되어야마땅하다. 1.2 확률 정보이론말소리체계계량화는생성문법태동이전에이미가능성이엿보인바있다. 변별적자질잉여성예측에정보이론 (Information Theory; Shannon and Weaver 1949) 을활용한것이다. 대표적인시도가 Cherry, Halle and Jakobsn(1952) 의러시아어음운론적잉여성분석이다. 11개의자질평균잉여정보가절반이상인 5.62 bits로예측된다. 이러한시도는 (1) 에서열거한 Chomsky의언어직관에근거한이분법적단정주의위력에압도당하여결국수면하로잠적하고만다. 말소리체계에초점을맞추면정보이론은다음 3가지원칙으로귀결된다. (5) a. 언어행위는정보전달 의사소통행위이다. b. 정보전달은효율극대화를지향한다. c. 정보전달과정은 Markoff Process이다. 현대디지털시대를가능하게한정보이론원칙 (5) 에서가장눈길을끄는것은 (5c) 이다. Markoff Process란러시아수학자 Andrey Markoff(1856-1922) 이러시아시인 Puškin 시를분석했듯이말소리는앞선소리가뒤따르는소리에영향을미치는확률과정으로방향성은앞쪽에서뒤쪽으로이해한다. 역은성립되지않는것으로간주한다. 이점에서 Chomksy(1957: 3장 ) 는언어이론으로서부적합성을지적하고있다. 논점은 Markoff Process는바로선행하는소리만이역할을하여모음조화, 단어강세, 음소배열등에서비인접음간의상호작용을설명하지못하며후행하는말소리의역할도봉쇄되고있어언어요소간의호혜성 (reciprocity) 을감당할수없다는데있다. 여기서는논쟁의시시비비를가리기보다 1.1절에서논한바와같이수학적수치를배제한생성문법에맞서는언어현상들의거센도전이기다리고있다는사실에주목한다. 지난 20년간점차부상하고있는정보이론, 언어사용기반이론, 전형이론, 코퍼스언어학, 실험실음운론 (laboratory phonology) 등의공통분모는빈도, 확률, 음성실험에서의포먼트주파수등의수치에대한의존이다. 본연구는이런의미에서이러한일련의수치의존음운론전체를포괄하는음운론을범칭 (cover term) 을사용하여계량음운론으로칭하기로한다. 정보이론은계량음운론의한축을형성하고있음은분명하다. 다음으로정보이론원칙 (5b) 효율극대화예로다음 (6) 을보자. (6) a. 그방은그리밝지않았다. 작고길쭉하게생긴독서용... b.... 방... 밝지... 자... 길쭈... 독서... (Shannon 1951: 54 영어에서한국어로필자옮김 ) - 1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Shannon 의실험결과 (6b) 와같은축소된텍스트를준후본래메시지맞히기실험결과 69% 정답률을보인바있다. 이결과가의미하는바는일상적인언어행위정보에는상당한잉여정보가포함되어있다는것이다. 69% 의정답률로보아 (6b) 는과도축소텍스트인것은사실이지만축소비율을다소높이면정보전달에충분할것으로짐작된다. 다시말해언어행위는잉여성을최소화하고필수정보최대화를지향한다는가정이다. 이가설은다음절에서언급할 Zipf(1949) 의 최소노력의법칙 과도부합된다. 이때언어행위에서어떤요소의실현가능성 ( 정보이론에서는불확실성 ) 의개념으로불확실성의정도를의미하는 entropy가핵심역할을한다. Shannon and Weaver(1949) 이후언어학뿐만아니라열역학, 통계학, 경제이론등에 entropy의개념이분파되면서용어혼란우려가없지않다. 2절, 3절의한국어와영어사례분석에앞서논의의편의상필수적인몇가지정보이론용어들을정의하는것이순서이다. entropy: 체계전체의평균정보량을말하며체계란한언어전체, 자음체계, 모음체계, 설정자음체계, 후설모음체계등분석대상전체를의미한다. 산출수식은아래와같다. entropy = (-log 2 Prob(x i )) = Prob(x j ) * (-log 2 Prob(x j ) (N = 체계전체의 token 수 ; v = 체계전체의 type 수 ) 본연구에서는한코퍼스전체의정보량산출은아래쪽식을이용한다. 아래쪽식에서개별단위의확률을로그값으로환산하여다시확률을곱한값은한단어가전체에서차지하는정보기여도 (entropic contribution) 이라는용어로불린다. 예컨대선행단어를고려하지않은한국어 것 한단어정보기여도는 25567 어절 / 1484463 전체어절 =0.01722이며로그값으로환산한이단어정보기여도는 0.01722 x 5.8598=0.1009 bits이다. 58437 단어정보기여도를모두더하면전체평균정보량이나온다. 1) surprisal: 개별 token의정보량을비유적으로지칭한 놀람도 (surprisal) 외에 positive logarithmic (plog), information content 등으로칭하여특히 surprisal을둘러싸고많은혼란이야기되고있으며산출수식은아래와같다. surprial(x i ) = -log 2 Prob(x i ) 설성가상으로용어 information content를 entropy의의미로도사용하는경우도발견된다, e.g. Chomsky (1957), Goldsmith (2002). 1) 선행 후행단어를고려한분석결과는본연구에서는분석과정보량값에서차이가있을수있다. - 12 -
계량음운론 속의 단어길이와 음소배열: 한국어와 영어...the uncertainty associated with each state and we can define information content of the language as average uncertainty, weighted by the probability of being in the associated states.(chomsky 1957: 20) 본 논문에서는 용어 information content는 일반적인 의미 surprisal과 구분하여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 여 사용한다는 것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한국어 단어 것 의 surprisal 값은 5.8598 bits이다. information content: 언급한 바와 같이 다음 장에서 논하게 될 영어와 한국어의 음소 음절 정보량을 언 급할 때 각 요소에 배분된 정보량을 지칭하여 선행연구와 차별화한다. 본 연구에서 의미하는 Information content (IC)를 산출하는 수식은 아래와 같다. information content = 한 어절 어절내 음소 음절수 단어 것 의 음소 IC는 5.8598/3=1.9533 bits이며 음절 IC=5.8598 bits이다. phonological complexity: Goldsmith(2002) 이후 음소배열 가능성 측정에 사용되며 본 연구에서도 한국 어와 영어 음소배열 예측에 이 장치적용가능성을 모색한다. 산출방식은 information content와 정반대로 각 음소의 위치별 음소출현확률에 대한 surprisal의 평균값이 바로 한 단어의 평균 음운론적 복잡도 (phonological complexity; PC)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한다. 산출식은 아래와 같다. phonological complexity = = 어절길이 (s 1 (-log2 Prob(xi) + s2 + s3... sn) Vitevitch and Luce(2004)의 음소배열확률 계산기(영어)와 21세기세종계획 한마루 2.0 (한국어)의 분석 도구에서 얻은 확률을 각각의 음소 인접가능성 계량화를 위해 unigram방식과 bigram방식으로 계산한다. 한국어 것 의 분석결과 3개 unigram 2.5795, 4.354, 5.1482 bits의 surprisal을 나타나 평균 PC는 4.0272 bits인 반면 2개 bigram 2.3756, 0.8658 bits의 평균 PC 1.6197 bits가 산출된다. 2. 영어와 한국어 단어길이와 information content 2.1 Zipf의 최소노력의 원칙 2.1.1 Zipf의 법칙 모든 인간행위를 지배하는 대원칙 중의 하나가 최소노력의 원칙 으로 가정한 Zipf(1949)의 여러 제안 - 1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중잘알려진 Zipf의법칙 은영어의경우 < 표 1> 가나타낸바와같이단어빈도수와순위는반비례관계로대략순위 * 실현확률 상수함수관계를의미한다. < 표 1> 영어상위 10 단어빈도 ( 확률 ) 와순위 ( 자료 : Brown Corpus) 순위 단어 빈도수 확률 순위 * 확률 1 the 69975 0.069 0.069 2 be 39175 0.039 0.078 3 of 36432 0.036 0.051 8 to (inf.mark) 15025 0.015 0.072 9 have 12458 0.012 0.072 10 to (prep.) 11165 0.011 0.07 10개단어순위 * 확률의평균 0.0693, 표준편차 0.0104로편차가경미한점이주목된다. 반비례관계는한국어도유사하여 < 그림 2> 절대값이나 ( 상단 ) 로그값으로환산한 ( 하단 ) 순위와빈도수를관계는매우대등하다. 이것은두언어에서 Zip의법칙이유효함을보여준다. < 그림 2> 영어 한국어 Zipf의법칙 : 단어순위와빈도상관관계 ( 상단 ) 로그값으로대체한단어순위와빈도상관관계 ( 하단 ) 2.1.2 단어길이와빈도수최소노력의원칙일환으로주장한 Zipf의여러제안중 Zipf의법칙 만큼알려지지않은또다른법칙이있다. 이것은단어길이에관한것으로긴단어는짧은단어에비해빈도수가낮아단어빈도와길이에도반비례관계가형성된다는것이다 (Zipf 1949: 63). 이관계를미국일간지에서조사한 Zipf의자료를토대로나타내보면 < 그림 3> 과같다. - 14 -
계량음운론속의단어길이와음소배열 : 한국어와영어 < 그림 3> 미국일간지영어단어빈도 ( 가로축 ) 와평균음소수 ( 세로축 ) 상관관계 ( 데이터 : Zipf 1949: 64) 단어길이와빈도상관관계 (Pearson 상관계수 r -.7749, 자유도 56, p <.001) 는 Zipf의법칙 과는별개문제로긴단어는짧은단어에비해사용자에게더많은힘이필요하므로노력절감을위해빈도수가잦으면짧아지고그역도성립한다는 Zipf의제안을본연구에서는정보이론의관점에서정보량, 구체적으로 information content 관점에서설명하고자한다. 영어단어길이와빈도사이의반비례관계는 Brown Corpus(Kučera and Francis 1967) 의통계수치를인용한 < 그림 4> 에서도확인된다. 유형별단어 (type, 점선 ) 와개별단어 (token, 실선 ) 모두 5~10 내외의음소, 정확히말하면 5 문자소에집중되어 10 이상의문자소를가진단어는빈도가급감하고있다. 문자소-음소관계가일대일대응과거리가멀어진정한음소수와빈도관계를반영하는데미흡하지만이관계는 < 그림 4> 를유추해석가능하다. 문자소와음소가영어에비하여일대일대응에근접한한국어는문자소를이용한분석의신뢰도는영어에비하여높은것으로가정할수있다. < 그림 4> 영어단어길이 ( 문자소기준, 가로축 ) 와빈도 ( 세로축 ) 의관계 ( 데이터 : Brown Corpus(Kučera and Francis 1967) 2.2 한국어 영어단어길이와 information content 2.2.1 분석단어길이분석대상은한국어와영어에서빈도수최상위 31개씩, 최하위 31개씩으로길이는음소와음절의두가지관점에서논한다. 영어단어빈도는 Brown Corpus의통계자료에해당하는 Francis and - 1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Kučera(1982) 를근거로한다. 1,014,232 token, 50,406 type 중빈도가단 1회단어 (hapax legomena) 를비롯하여빈도가극히낮은단어들을제외한빈도수 9회이상인 5,996개주제어 (lemma) 만을순위목록통계자료에서확인가능하다. 선정된단어들은순위가알려진 5,996 주제어중상위빈도어는빈도와단어길이상관관계조사의객관성확보를위해다음선정기준에의한다. the(1위 ), at(21위 ), there(41 위 ), see(61위 ) 등 20위의등간격을유지하고하위빈도어는최상위경우의역으로확인가능한최하위빈도 9회단어에서 20위등간격을유지하며 purely(5990 위 ), discard(5970 위 ), civilian(5950 위 ) 등을선정하는수순을거친다. 한편, 한국어단어빈도는국립국어연구원조남호 (2002) 를근거로하였다. 전체 1,484,463 token, 58,487 type 중선정기준은영어의경우와대등하다. 상위빈도어는것 (1위), 보다 (21위), 일 (41위) 등 20위등간격을유지하며하위빈도어선정도영어와의형평성유지를위해빈도수 9회 ( 동일회수단어가 1,000 이상 ) 중에서향기롭다 (15050위 ), 풍선 (15020위 ), 객지 (14990위 ) 등 30위등간격을두어선정하였다. 설명의편의를위해요약하면한국어 영어단어빈도와단어길이자료내역은 < 표 2> 와같다. < 표 2> 단어길이와빈도관계조사를위한자료출처 영어 한국어 자료출처 Francis and Kučera 1982 조남호 2002 token수 1,014,232 1,484,463 type수 50,406 58,457 빈도수1회단어 44.72% 34.60% 분석은영어와한국어두언어에서정보량과길이관계조사에앞서선정된 31개 *2( 고빈도어 + 저빈도어 )=62개단어와단어길이가연구목적에합당한지조사부터시작하였다. 첫순서로영어고빈도어와저빈도어음소수측면에서차이가있는지실시한독립표본 t-검정결과는 < 표 3> 와같다. < 표 3> 영어단어빈도와음소기준단어길이 독립표본 t-검정 : 영어음소기준단어길이 t 자유도 유의확률 ( 양측 ) -3.9845 60 0.0001856 음소수평균 : 고빈도어 음소수평균 : 저빈도어 4.419355 6.193548 통계조사결과고빈도어와저빈도어단어길이가같을확률은 0.0001856으로유의수준 95% 에서차이는통계적으로확연히유의한것으로판명되어두번째절차인 information content 의측면에서차이여부를확인하는자료로서충분함이입증되었다. 이어서실시한 information content 분석은음소와음절별로 1.2절의단어 surprisal/ 음소 ( 음절 ) 수수식을이용환산한다음독립표본 t-검정실시결과는 < 표 4> 와같다. - 16 -
계량음운론속의단어길이와음소배열 : 한국어와영어 < 표 4> 영어단어빈도와음소평균 information content 독립표본 t-검정 : 영어음소평균 information content t 자유도 유의확률 ( 양측 ) -0.44918 59 0.6549 음소수평균 : 고빈도어 음소수평균 : 저빈도어 2.77647 2.874413 검정결과유의확률 0.6549 수준에서고빈도어 저빈도음소평균 information content가동일하므로유의수준 95% 수준에서영어고빈도어와저빈도어음소평균 information content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이지않는다. 다시말해서영어단어음소평균 information content는빈도에관계없이일정하다는결론지을수있다. 긴단어는저빈도이며짧은단어가고빈도임을감안하면놀라운사실이다. information content와빈도관계는 < 그림 3> 의박스플롯에서유사한중앙값을통해재확인할수있다. < 그림 3> 영어단어빈도와음소평균 information content 다음으로음절기준영어단어길이와빈도관계조사를하였다. 음소의경우와마찬가지로음절평균 information content 조사에앞서선정된자료적합성확인을위한독립표본 t-검정결과는 < 표 5> 에서확인할수있듯이통계적으로확연히유의한차이를보여 ( 유의확률 1.81e-07) 음절기준단어길이와빈도조사자료로적합함이입증된다. < 표 5> 영어단어빈도와음절기준단어길이 독립표본 t-검정 : 영어음절기준단어길이 t 자유도 유의확률 ( 양측 ) -5.899 60 1.81E-07 음소수평균 : 고빈도어 음소수평균 : 저빈도어 2.483871 4.645161 이어서실시한음절평균 information content 분석은 < 표 6> 가보여주는바와같이유의확률 0.5396 수준에서고빈어도와저빈도어가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없어유의수준 95% 수준에서영어음절평균 information content 는단어의길이에관계없이일정함을말해준다. 음소의경우와일치된결과로영 - 1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어음절평균 information content는고르게분포되어있음을입증해주고있다. < 그림 4> 박스플롯은이경우중앙값은차이가뚜렷하지만평균 IC 값이차별화되지않음을보여준다. < 표 6> 영어단어빈도와음절평균 information content 독립표본 t-검정 : 영어음절평균 information content t 자유도 유의확률 ( 양측 ) -0.61696 59 0.5395 음소수평균 : 고빈도어 음소수평균 : 저빈도어 7.297093 7.80777 < 그림 4> 영어단어빈도와음절평균 information content 한국어의경우를살펴보자. < 표 7> 은영어의경우와동일한수순을거쳐선정된 62개자료의음소기준단어길이차별성부터조사한결과얻은결과이다. 고빈도와저빈도어는유의수준 95% 에서확연히차이 ( 유의확률 2.82e-06) 를보인다. 그럼에도한국어음소평균 information content t-검정결과는 < 표 8> 와 < 그림 5> 과같이빈도수에따라평균 information content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이지않는다. < 표 7> 한국어단어빈도와음소기준단어길이 독립표본 t-검정 : 한국어음소기준단어길이 t 자유도 유의확률 ( 양측 ) -5.1619 61 2.82E-06 음소수평균 : 고빈도어 음소수평균 : 저빈도어 4.677419 6.6875 < 표 8> 한국어단어빈도와음소평균 information content 독립표본 t-검정 : 한국어음소평균 information content t 자유도 유의확률 ( 양측 ) -0.8053 59 0.4239 음소수평균 ( 고빈도어 ) 음소수평균 ( 저빈도어 ) 2.519771 2.682821-18 -
계량음운론속의단어길이와음소배열 : 한국어와영어 < 그림 5> 한국어단어빈도와음소평균 information content 한국어음절의경우에도음소의경우와마찬가지로 < 표 9> 가말해주듯빈도에따라는단어길이에유의 한차이가있음에도 < 표 10>, < 그림 6> 에서보는봐와같이단어빈도에따른 information content는유 의한차이를보이지않고있어단어길와빈도에관계없이 information content는일정하게분포하고있 다는것을알수있다. < 표 9> 한국어단어빈도와음절기준단어길이 독립표본 t-검정 : 한국어음절기준단어길이 t 자유도 유의확률 ( 양측 ) -4.8161 60 1.03E-05 음소수평균 : 고빈도어 음소수평균 : 저빈도어 2 2.903226 < 표 10> 한국어단어빈도와음절평균 information content 독립표본 t-검정 : 한국어음절평균 information content t 자유도 유의확률 ( 양측 ) -0.65964 60 0.512 IC 평균 : 고빈도어 IC 평균 : 저빈도어 6.103081 6.435042 < 그림 6> 한국어단어빈도와음절평균 information content - 1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요약하면, 영어와한국어음소 음절평균 information content는관련단어길이와빈도에관계없이각음소와음절에고르게분포되어있다. 2.2.2 토론 본절은 Zipf의단어길이와빈도사이의반비례관계에대하여정보이론적접근이목적이다. 한국어와영어에서선정한단어들을대상으로검증한양자간의관계는정보량을가늠하는여러척도중하나로사용된단어에부여된 surprisal 값을음소 음절수로나눈 information content 값의분포를이용하여설명을시도한바있다. 분석결과주목할만한사실은사용된단어 surprisal 값이음소 음절차원에서균등하게분포한다는것이다. 단어차원에서고빈도어는사용확률이높아 surprisal 값이낮은반면저빈도어는단어의사용확률이낮아높은 surprisal 값을갖는다는점에서매우놀라운사실이다. 본연구에서는사용단어의음소 음절평균 surprisal 값을가리키는 information content가고르게분포한다는것은언어행위를정보전달행위로간주하는정보이론짜임새 (architecture) 의필연적인결과라고제안한다. 아래 < 표 11> 에예시된바와같이한체계의평균정보량 entropy는구성요소의확률 ( 불확실성 ) 이고르게분포할때최대화된다. entropy2 와 entropy3 을비교하면알수있다. 불균등한확률분포는 entropy3와 entropy4 가마찬가지지만후자의값이큰이유는구성요소수가많기때문이다. entropy1 과 entropy2의차이도개체수에따른것이다. < 표 11> 확률 ( 불확실성 ) 과 entropy entropy1 x 1 (½) x 2 (½) 1 bit 1 1 entropy2 x 1 (¼) x 2 (¼) x 3 (¼) x 4 (¼) 2 bits 0.5 0.5 0.5 0.5 entropy3 x 1 (½) x 2 (¼) x 3 (⅛) x 4 (⅛) 1.75 bits 0.5 0.5 0.375 0.375 entropy4 x 1 (½) x 2( ¼) x 3 ( ) x 4 ( ) x 5 ( ) x 6 ( ) 2 bits 0.5 0.5 0.25 0.25 0.25 0.25 정보전달의효율극대화를지향하는관점에서한체계의 entropy 극대화가관건인데주어진사용단어빈도즉확률이고르지않은언어현실은불가피하므로 entropy 극대화방안으로단어길이변수에해당하는음소 음절수를조절하는것이다. 단어자체의 surprisal 값이낮은고빈도어는길이를짧게하여평균 surprisal 을증가시키고반대로저빈도어는길이를확장시켜단어자체의높은 surprisal 값의평균 surprisal 값을낮춘다. 결론적으로단어내음소 음절길이분포는한언어단어평균정보량인 entropy 를극대화하기위한정보이론의필연적인산물이다. 소리체계에서음소 음절의평균 surprisal 즉 information content 를일정하게유지한다는본제안은음성학적으로도입증된다. 한국어사례로설명해보자. (7) a. 옛친구를만났다. b. 영화친구를만났다. - 20 -
계량음운론속의단어길이와음소배열 : 한국어와영어 Aylett and Turk (2004), Turk (2010) 이제안한바에따르면 (7a) 와 (7b) 문장의단어 친구 의음성실현은차별화되는것이일반적이다. 사용확률 ( 예측가능성 ) 에서 (7a) 와 (7b) 는차이가있어 (7b) 는 (7a) 에비하여강세, 음장, 높낮이, 음폭등을부각시켜돋들리게하는반면 surprisal 정도가낮은 (7a) 는상대적으로돋들림이낮게실현된다. 이제안의핵심은음소 음절의평균 surprisal 이일정하다는본연구의제안을뒷받침해준다. 다시말해음성적으로예측가능성이높은위치에있을때는음성적인두드러짐이낮아지고반대로예측가능성이낮을때음성학적돋들림정도를높여모든언어표출의요소들이청자의입장에서대등한위치에놓이게된다. 요약하면, 한국어와영어단어길이는음소 음절의 information content를일정하게유지하여한언어체계정보량극대화꾀하여정보전달효율을높이는효과를낳는다. 3. 영어와한국어음소배열과음운론적복잡도 3.1 서론 배운적도가르친적도없지만암묵적음운론적지식에는말소리규칙과더불어음소배열에대한지식이있다. 아래예를살펴보자. (8) a. ptak thole hlad plast (Halle 1978) b. 턺 ㅅ첊 휩 ㅂ폟 영어화자들에게 (8a) thole, plast와실존단어는아니지만영어단어로수용가능하며 (8b) 턺, 휩 도한국어화자들에게나머지단어들과달리한국어단어로서가능성이엿보인다. 음소배열수용가능성에대한고전적예로잘알려진 Chomsky and Halle(1965) 의 brick/blick/bnick 는본래저자들이모국어화자의수용가능성을언어이론의설명적타당성당위성입증에활용하는것이었다. 반면음소배열논의를 Greenberg and Jenkins(1964), Scholes(1966) 는음운론적지식의심리적실재확인차원에서다루고있으며 Yang(2008), Shaw and Kawahara(2018) 는음소배열분석에정보이론적용가능성을시사하고있다. 본연구는음소배열에대한모국어화자수용가능성계량화시도의일환으로정보이론의음운론적복잡도 (phonological complexity; PC) 를이용하여설명하는것이목적이다. 연구방법은다음과같다. 우선영어의경우분석자료는 Kučera and Fancis(1967) 에수록된최상위단어 31개를선정하되연구목적상모음시작단어는배제하였다. 저빈도어단어는빈도수 1회인단어중에서차용어를포함한인상적으로생소하게느껴지는자음으로시작하는 31 단어를선정하였다. 선정된 62개의단어 PC는 unigram 즉단어의첫째, 둘째, 셋째등위치별음소의출현확률과각위치별두개음소의출현을동시에가늠하는 bigram의이원적분석을시도한다. 영어음소배열확률계산에서 phonotatic probability calculator (Vitevitch & Luce 2004; http://www.people.ku.edu/ ~mvitevit) 는핵심적역할을한다. 예시로서컴퓨터판독가능문자체계인 Klattese로변환한영어단어 man의분석결과는다음과같다. - 2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첫째줄은단어 man의미국영어기준 Klattese 문자로변환결과이며둘째줄은해당 3개음소 /m/, /æ/, /n/ 의 unigram 확률, 셋째줄은 /mæ/, /æn/ bigram 확률이며마지막줄은 unigram, bigram 의확률합계이되인식의편의상 1을더한수치이다. 1.2절에서기술한바와같이한단어의평균 PC 산출을위해서는 unigram, bigram 별로그값을더한후평균을구하는방식을취한다. 한국어자료는조남호 (2002) 에서자음으로시작하는최상위 31단어와최하위빈도 1인단어를 1쪽에서 4개 ( 맨위줄, 중간줄에서 2개씩 ) 31단어를취하는방식을택했다. 분석도구는 21세기세종계획 2011, 한마루 2.0이며현대문어원시말뭉치 4BJ01001.txt( 어절수 247,704) 를분석대상으로선정하였다. 한국어음소빈도 ( 확률 ) 환산에서음성적실체가없는초성 ㅇ 은제외하고자소 < ㅞ > 와,< ㅙ > 은동일한음소로간주하고재환산하였다. 예시로서, 한마루 2.0을이용한단어 객지 의중간 bigram ㄱㅈ 분석결과는다음과같다. 이용한음소배열분석도구인영어의음소배열확률계산기와한국어한마루 2.0의차이는한국어한마루분석도구는음소가아닌문자소검색용이며또한가지는문자소검색특성상음절단위검색만가능하도록내재화되어있어위치상음절초와단어초가구분이되지않는점이영어음소배열확률계산기와다른점이다. 2.1절에서지적한바와같이한국어문자소와음소간의대응은일대일대응에근접하고있다는측면을감안한접근방법이다. 3.2 분석 선정한 62 영어단어에대한음소배열확률계산기에서얻은값을이용한음운론적복잡도는아래 < 표 12> 와 < 그림 7> 과같다. < 표 12> 영어 bigram 음운론적복잡도 독립표본 t-검정 : 영어음운론적복잡도-bigram t 자유도 유의확률 ( 양측 ) -9.0207 58 1.23E-12 bigram 평균 PC: 고빈도어 bigram 평균 PC: 저빈도어 7.82451 10.3011-22 -
계량음운론속의단어길이와음소배열 : 한국어와영어 < 그림 7> 영어음운론적복잡도 -bigram 여기서분석에앞서전제조건을상기할필요가있다. 단어의생소함 (strangeness) 나아가서수용가능성이음소배열의생소함정도에따라결정된다는것이다. 분석의대상인최상위와최하위빈도어중후자에속하는단어가생소함의정도가높을것으로전제하고있는것이다. 분석결과고빈도어와저빈도어음운론적복잡도가 < 표 12> 와같이통계적으로뚜렷하게유의한차이 ( 유의확률 1.23e-12) 를보인다는것은음소배열에대한모국어화자수용가능성을음운론적복잡도로해석가능성을말해준다. 음소배열수용가능성척도로서음운론적복잡도활용가능성은 < 그림 7> 을보면중앙값의확연한차이로이러한추론을재확인할수있다. 다음으로영어 unigram 음소배열분석결과를보자. < 표 13> 영어음운론적복잡도-unigram 독립표본 t-검정 : 영어음운론적복잡도-unigram t 자유도 유의확률 ( 양측 ) -4.0291 60 0.00016 unigram PC평균 : 고빈도어 unigram PC평균 : 저빈도어 4.522381 5.266403 unigram 분석은영어음소배열수용가능성척도로서 < 표 13>, < 그림 8> 에서확인할수있는것처럼음운론적복잡도는여기서도유의한것으로나타나지만 bigram 분석과비교할때유의확률의면에서 1.23E-12 (bigram) vs. 0.00016(unigram) 의차이를보여 bigram분석이예측장치로서우월함을보여주고있다. - 2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 그림 8> 영어음운론적복잡도 -unigram 한국어의경우를보자. bigram의경우한마루 2.0을통해분석한확률을음운론적복잡도로전환하면 < 표 13> 과같다. < 표 13> 한국어음운론적복잡도-bigram 독립표본 t-검정 : 한국어음운론적복잡도-bigram t 자유도 유의확률 ( 양측 ) -4.1643 60 0.0001015 bigram PC 평균 : 고빈도어 bigram PC 평균 : 저빈도어 3.226439 4.270955 영어와마찬가지로음소배열가능성측정에 bigram 음운론적복잡도활용가능성은통계적으로유의한값 ( 유의확률 0.0001015) 을나타내어 < 그림 9> 과같이도표화할수있다. < 그림 9> 한국어음운론적복잡도 -bigram 마지막으로 < 표 14>, < 그림 10> 은한국어 unigram 음운론적복잡도분석결과이다. - 24 -
계량음운론속의단어길이와음소배열 : 한국어와영어 < 표 14> 한국어음운론적복잡도-unigram 독립표본 t-검정 : 한국어음운론적복잡도-unigram t 자유도 유의확률 ( 양측 ) -2.8048 60 0.006776 unigram PC 평균 : 고빈도어 unigram PC 평균 : 저빈도어 3.271503 3.681226 < 그림 10> 한국어음운론적복잡도 -unigram 영어와마찬가지로 bigram분석과 unigram분석에서유의확률 0.0001015(bigram) vs. 0.00676(unigram) 에큰차이가있다는것은음소배열척도로서 bigram분석의우월함을나타낸다. 3.3 토론 잠재적인음운론적지식중에서말소리규칙과더불어말소리체계결정에중추적역할을하고있는음소배열적형성에대한지식측정척도로서음운론적복잡도의가능성을타진해보았다. 사용빈도측면에서양극단에서선정한취상위어와차용어를비롯한최하위어에대한생소함의대조가음소배열에대한수용가능성차이에서비롯된것으로가정하고출발한본분석은한국어와영어에서일관성있는결과, 즉 bigram분석, unigram 모두생소한단어들의음운론적복잡도가높다는것과 unigram분석보다는 bigram분석이고빈도와저빈도어구분을명확히한다는것을발견하였다. 이러한사실은정보량가늠자중의하나인음운론적복잡도를활용하여음소배열수용가능성예측이타당성이있음을보여주는증거로해석가능하다. 본연구가음소배열특히한국어음소배열논의에서충분하지못한점이있다. 선행연구, 예컨대박선우외 (2013) 는한국어어휘계층즉고유어, 한자어, 차용어로나누어분석하고어휘계층에따라음운론적복잡도의차이가일치하지않음을보여주고있다. 어휘계층을고려한분석을시도하지못한이유는활용한분석도구한마루 2.0과데이터베이스 21세기세종계획 태그기제에서어휘계층구분이어렵기때문이다. 이와못지않게주목할사실은 21세기세종계획 은음소검색이아닌문자소검색만을허용한다는것으로앞서몇차례지적한바있다. 본연구에서는이점을참작하여문자소분석이음성현실에최대한접근할수있도록초성ㅇ의배제, 종성겹자음단어배제등을방법론을취하여문자소분석과음소분석 - 2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의거리를좁혀분석의신뢰성을높이고있다. 마지막으로영어음소배열확률계산기나한마루분석에서확률 0의경우 surprisal 값이무한대로나타나는음소나음소연쇄처리는언어코퍼스를이용한음소배열분석의근본적인문제점중의하나임을지적하지않을수없다. 4. 결론 말소리체계는정보전달효율성최적화체제라는정보이론전제를수용하고출발하여분석한영어와한국어단어길이와음소배열에서발견한사실은다음과같다. 첫째, 선행연구에서영어를비롯한인구어 (Indo-European) 에서논의한단어길이와사용빈도사이의상호작용은비인구어이며굴절어인한국어에도적용된다. 이것은단어길이를지배하는언어내외적요인들하나인사용빈도변수는고빈도어는짧게, 저빈도어는길게단어길이를유지하여범어적으로음소 음절평균 surprisal 인 information content를고르게분포한다고추론할수있다. 의미요소를고려하지않으며기억력이없어절대적으로직전의상태에의존하는 Markoff Process 로간주하는언어기제를가정하는정보이론이내포하고있는제약에도불구하고단어길이예측가능성은시사하는바가크다. 둘째, 연속된 n-gram만을분석의대상으로하는 Markoff Process 로서정보이론은예컨대영어에서 *C a VC a 제약 (Berkely 1994) 과같은비인접분절음사이의상호작용수용문제등이있는것이분명하지만그럼에도불구하고영어와한국어뿐만아니라언어보편적으로음소배열수용가능성판단척도로서음운론적복잡도는일치된결과를보여주면서음운론연구핵심주제중하나인음소배열에대한새로운각도에서의조명가능성을보여주고있다. - 26 -
계량음운론속의단어길이와음소배열 : 한국어와영어 참고문헌 국립국어원. 2011. 21세기세종계획 : 최종성과물 ( 수정판 ). 박선우 홍성훈 변군혁. 2013. 한국어의어휘계층과음운론적복잡성. 음성음운형태론연구 19, 255-274. 조남호. 2002. 현대국어사용빈도조사. 국립국어원. Albright, A. and B. Hayes. 2003. Rules vs. analogy in English past tense: A computational/experimental studies. Cognition 90, 119-161. Aylett, M. and A. Turk. 2004. The smooth signal redundancy hypothesis: A functional explanation for relationships between redundancy, prosodic prominence and duration in spontaneous speech. Language and Speech 47, 31-56. Berkley, D. 1994. The OCP and gradient data. Studies in the Linguistic Sciences 24, 59-71. Berko, J. 1958. The children s learning of English morphology. Word 14, 150-177. Bybee, J. 2001. Phonology and Language Us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erry, C., M. Halle, and R. Jakobson. 1952. Toward the logical description of languages, Language 29, 34-46. Chomsky, N. 1957. Syntactic Structure. The Hague and Paris: Mouton. Chomsky, N. and M. Halle. 1965. Some controversial questions in phonological theory. Journal of Linguistics 1, 97-138. Chomsky, N. and M. Halle. 1968.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New York, Evanston and London: Harper & Row, Publishers. Francis, N. and H. Kučera. 1982. Frequency Analysis of English Usage: Lexicon and Grammar.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Goldsmith, J. 2002. Probabilistic models of grammar: phonology as information minimalization. Phonological Studies 5, 21-46. The Phonological Society of Japan. Greenberg, J. and J. Jenkins. 1964. Studies in the psychological correlates of the sound system of American English. Word 20, 157-177. Guy, R. 1991. Contextual conditioning in variable lexical phonology. Language Variation and Change 3, 223-239. Halle, M. 1978. Knowledge unlearned and untaught: What speakers know about the sounds of their language. In Halle, M., J. Bresnan and G. Miller (eds.) Linguistic Theory and Psychological Reality. 294-303, Cambridge: MIT Press. Harris, Z. 1991. A theory of language and information: A mathematical approach. Language 70, 585-588. Hume, E. and F. Mailhot. 2013. The role of entropy and surprisal in phonologization and - 2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language change. In Yu, A. C. L. (ed.) Origins of Sound Change: Approaches of Phonologization. 29-55.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Kučera, H. and N. Francis. 1967. Computational Analysis of Present-Day American English. Providence: Brown University Press. Labov, W. 1969. Contraction, deletion, and inherent variability of the English copula. Language 45, 715-762. Piantadosi, S, H. Tily, and E. Gibson. 2011. Word lengths are optimized for effective communication. Proceeding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A 108, 3526-3529. Pierrehumbert, J. 2001. Exemplar dynamics: Word frequency, lenition and contrast. In Bybee, J. and P. Hopper (eds.) Frequency and Emergence of Linguistic Structure, 137-157. Philadelphia: John Benjamins. Scholes, R. 1966. Phonotactic Grammaticality. The Hague and Paris: Mouton & Co. Shannon, C.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rbana and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Shannon, C. 1951. Prediction and entropy of printed English. The Bell System Technical Journal 30, 50-64. Shaw, J. and S. Kawahara. 2018. Predictability and phonology: Past, present and future. Ms. Shin, J. 2015. The sounds of Korean: Vowels and consonants. In Brown, L. and J. Yeon (eds.) The Handbook of Korean Linguistics, 3-21. Malden, MA: Wiley Blackwell. Turk, A. 2010. The smooth signal redundancy hypothesis and prosodic structure. A Youtube video material. Vitevitch, M. and P. Luce. 2004. A Web-based interface to calculate phonotactic probability for words and nonwords in English.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 & Computers 36, 481-487. Yang, C. 2008. The great number crunch. Journal of Linguistics 44, 205-228. Zipf, K. 1949. Human Behavior and the Principle of Least Effort. Cambridge, MA: Addison-Wesley Press. - 28 -
계량음운론 속의 단어길이와 음소배열: 한국어와 영어 계량음운론 속의 단어길이와 음소배열: 한국어와 영어 (이봉형)에 대한 토론 요지 박선우(계명대) 1. 단어의 길이와 빈도 사이의 관계 토론자도 단어의 평균정보량 즉 단어의 음운론적 복잡도 에 대한 연구를 계속 시도하고 있습니다. 음운론적 복잡도 란 지표를 통하여 한국어의 자료들을 분석하면서 기존의 음운론적 범주에서는 발견하 기 어려운 원리와 경향을 발견하고자 노력해 왔으나, 항상 단어의 길이가 음운론적 복잡도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칠 수 있다는 생각을 떨쳐버리기 어려웠습니다. 단어를 구성하는 음절의 개수가 많을수록 음운 론적으로 유표적으로 인지될 수 있으나, 평균 surprisal을 계산할 경우 음절 개수의 효과가 제대로 드 러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늘 발표 내용을 살펴보았을 때, 음소들의 출현 확률을 고려하는 음 운론적 복잡도 만을 고려하는 것보다는 단어나 어절의 정보량도 함께 고려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만 여기서 발표자의 제안으로 보이는 information content 란 지표가 언 어학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하는 것인지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information content는 음소 의 빈도보다는 단어/어절의 출현빈도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의 언어학적 범주와 비 교하였을 때, 이 지표가 음운론적으로 혹은 언어학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구체적인 설명을 부탁 드립니다. 더불어 한국어의 경우 영어와 달리 음절이 시간 단위의 역할을 하는 음절박자 언어로서 단어 와 어절의 빈도가 음절에 반비례한다기보다는 가장 빈도가 높은 2 3음절을 정점으로 1음절과 5음절 이 상 단어의 빈도가 낮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판단됩니다. <도표-1> 음절개수별 어절의 빈도 비율(왼쪽)과 적형성(오른쪽) (박선우 2017) - 2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2. 기저형 ( 형태 ) 기반분석과표면형 ( 발음 ) 기반분석의차이 발표내용을살펴보면 unigram 모델과 bigram 모델의비교를통하여 bigram 기반분석의장점을가시적으로확인할수있습니다. 토론자도 bigram 모델의비교우위에대해서는동의합니다. 그런데음운론적복잡도를적용한연구는문어코퍼스를사용하는것에대한문제제기를지적받는경우가많습니다. 토론자도정보이론을바탕으로자료를분석하는연구자로서그동안발음대로적지않고기저형 ( 형태 ) 에가까운철자법으로기록된문어코퍼스를기반으로음운론적복잡도를측정하는것은문제가있다는논의에제대로답변을하지못하였으므로이자리를빌어간단한분석결과를제시하고자합니다. 약 23만어절규모의 서울코퍼스 ( 윤원희외 2015) 을바탕으로오늘발표내용과유사한방식으로강범모 김흥규 (2004) 에수록된 2음절의보통명사가운데 100번이상출현하는고빈도단어 30개와저빈도단어 30개의음운론적복잡도를분석하였습니다. 1) 기저형과표면형으로나누어분석을진행한결과두가지방식모두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여주었지만아래의상자도표에서확인할수있듯이오히려표면형기반분석보다는기저형기반분석이고빈도단어들과저빈도단어들의차이를명확하게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비교는기저형기반의문어코퍼스분석을통해서도음운론적으로의미있는차이와경향을파악할수있음을보여줍니다. < 도표 -2> 고빈도어와저빈도어의음운론적복잡도 ( 왼쪽 : 기저형, 오른쪽 : 표면형 ) 3. 계량적분석모델과언어능력의관계 최근놀라운성과를내고있는음성인식, 기계번역등의자연언어처리분야의결과물들을살펴보면 Chomsky의형식주의적문법모델과달리데이터기반의모델링과머신러닝을통하여빠른속도로발 1) 고빈도어 : 사람, 문제, 사회, 경우, 자신, 소리, 시간, 생각, 아이, 사실, 나라, 정부, 정도, 인간, 여자, 세계, 문화, 마음, 관계, 동안, 운동, 교육, 학교, 여성, 경제, 다음, 얼굴, 시대, 이상, 지역저빈도어 : 성서, 손상, 연휴, 이민, 전무, 조정, 주주, 짚신, 행진, 화물, 감격, 군중, 도조, 두께, 마늘, 매출, 법령, 병실, 성능, 외침, 외화, 유희, 의리, 이득, 일면, 주름, 증명, 지휘, 투입, 활력 - 30 -
계량음운론속의단어길이와음소배열 : 한국어와영어 전하고있습니다. 데이터와이에대한학습을바탕으로자연언어를처리하는인공지능의능력을보면인간의언어능력도데이터의해석및학습과무관하지않을것이라는생각이듭니다. 데이터에대한경험과학습이언어능력의일부가될수있는지, 데이터의분석과인간의언어능력이어떠한관계를갖는지발표자의의견을듣고싶습니다. 4. 언어학연구자의능력과연구방법 최근빅데이터의가치와데이터분석의중요성이부각되면서소위 데이터과학자 (Data Scientist) 란융합적분야가각광을받고있습니다. 현재는데이터과학을기반으로언어를연구하는언어학연구자가많지않으나, 앞으로전산학이나응용물리학등의분야에서데이터과학을기반으로언어자료를연구하는연구자는늘어날것으로보입니다. 흔히데이터과학자가되기위한요건으로 전공분야에대한이해 와 통계적분석, 그리고데이터의수집, 가공, 처리, 분석을아우르는 데이터마이닝 능력을꼽고있습니다. 토론자는국어학전공자로서학계의전통이나교육과정, 연구경향이데이터과학의연구방법론이나데이터과학자의연구능력과는동떨어져있다고느끼고있습니다. 발표자께서는계량음운론을연구하시기이전에도오랫동안전통적인언어학과생성문법을연구해오셨는데, 앞으로언어학계에서데이터과학분야의연구경향과방법을어떠한방식으로받아들이거나참고해야한다고생각하시는지의견을듣고싶습니다. - 31 -
01- 기획 2 ( 마지막에삭제됩니다 ) 형태이론의변천과보충법 정인기 ( 서강대 ) 1. 서론 이글은생성문법 (Genertive Grammar) 의전통내에서형태론의주요이론과그변천을개괄한다. 형태이론과어휘부에관련된현재까지의생성문법은크게세시기로나누어볼수있다. 초기생성문법시기, 1970년대와 1980년대의어휘론시기, 1990년대중반이후의분산형태론시기로나누어볼수있겠다. 각시기의형태론, 어휘부또는그에상응하는바의변천을통하여문법전체내의형태작용의위치와지위를따져본다. 특히후반부에서는보충법 ( 補充法, suppletion) 형태를이용하여최근의형태이론의타당성을점검한다. 형태 ( 形態 ) 의영어단어 morph 는 모양, 형상 을뜻하는그리스어 μορφή(morphḗ) 에서기인한다. 형태론의첫주제는형태소일것이다. 형태소는흔히각언어에서일관적이며반복적으로나타나며독자적이고일관된의미를갖는가장작은단위로정의된다. Hockett(1958: 123) 는간단히 the smallest individually meaningful elements in the utterance of a language 라고정의하고있다. 형태소에대한정확한정의는차치물론하고, 이러한형태소가모여있는목록을흔히어휘부 (lexicon) 이라고칭한다. 거의모든언어학이론에서어휘부는당연한것으로여기고있으나, 어휘부의기능이정확히어떤것인지에대한것에는의견이다양하다. 이글은이에대하여도살펴본다. 형태소가결합하여복합어휘를형성하는과정을어휘형성과정또는어형성과정이라고흔히칭한다. 이에는몇몇유형이있는데, 합성 (compounding), 파생 (derivation), 굴절 (inflection), 중첩 (reduplication), 포합 (incorporation), 접어화 (cliticization) 등이있다. 한국어에는이중에서합성, 파생, 굴절, 중첩이있다. 포합은다음의축치 (Chuckchi) 어의예에서볼수있다. (1) 가. Tə-pelarkən qoraŋə I-leave reindeer I am leaving the reindeer. 나. Tə-qora-pelarkən (1가) 에는목적어 qoraŋə 가별도의명사구로서동사뒤에나타난다. (1나) 에서는해당명사의어근이동사에합쳐져서동사와함께하나의복합어휘를이룬다. 그결과는포합으로이루어진단일어휘하나가문장의의미를지니며영어로는대략 I am reindeer-leaving 정도의의미를갖는다. 접어화는다음의프랑스어에서볼수있다. - 3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2) 가. J aime le chocolat. I-love the chocolate I love chocolate. 나. Je l aime. I it-love I love it. 일반적으로목적어명사구는동사뒤에위치하지만, 목적어가 ( 강세없는 ) 대명사일때에는동사앞에위치하고동사에붙어서음운적으로는한단어같은행태를보인다. 위와같은어휘형성의형태작용이이루어지는경우에는많은경우에음운작용이동반한다. 전형적으로형태음운론 (morphophonology) 은흔히이형태 ( 異形態, allomorph) 라고칭하는변이형태를유발한다. 이에대한조건에는흔히음운적인조건과형태적인조건이있다. 예를들어, 영어의규칙적인복수형어미 ( es) 는세이형태로실현된다. 그조건은어기명사의마지막분절음으로서이의유무성과치찰음성 (sibilancy) 이 [s], [z], [əz] 중하나를선택하는조건이된다. 형태적조건은특정형태소나어휘에의해이형태가결정되는경우를칭한다. 예를들어, 영어복수접미사로 -en, -i, -a, -ses, 영형태등의불규칙적인접사를취하거나어기의모음을바꾸는방식은특정명사에해당한다. -en는 ox ( 와 child) 에, -i는 us로끝나는라틴어에서유래한명사 ( 예, fungus fungi, radius radii 등 ), -a는 -um으로끝나는라틴어명사 (stratum strata) 와 on으로끝나는그리스어명사 (phenomenon phenomena), -ses는 sis로끝나는그리스어명사 (analysis analyses), 영형태는 sheep, deer 등에붙으며, foot, goose, mouse, louse 등몇몇명사는어기의모음을바꾼 feet, geese, mice, lice의형태로실현된다. 이러한불규칙적인복수형접사와복수형태는음운적으로는설명할수없고, 특정명사의특성에의한것으로작동한다. 이형태가통사적인조건에의해결정될수있는여지도있을수있고, 의미적인조건도있을수있는지, 나아가화용적인조건도연루될수있는지, 있다면어떤종류가어느정도까지조건의기능을할수있는지도연구대상이되겠다. 문장내에서형태론이갖는기능으로가장중요한것은굴절로서, 이는통사작용과직접적인관련이있다. 본고에서다룰주요쟁점중하나인형태통사론 (morphosyntax) 은형태부와통사부간의상관관계및상호작용에대한것이다. 나아가형태론의의미론적인관점은크게둘로나눌수있겠다. 하나는형태소와어휘의 ( 사전적 ) 의미, 그리고그의미간의관계를다루는어휘의미론 (lexical semantics) 이다. 다른하나는어휘가구와절을이룰때그통사적구성성분의의미를파악하는것으로서그출발점은합성의미론 (compositional semantics) 이라하겠다. 이글은의미에대한논의는다루지않는다. 1) 이러한몇몇사항을고려하여비교적최근의형태이론의주요쟁점을서로연관된다음의서너사항으로크게나누어요약해볼수있겠다. 1) 합성의미론에대한입문서로는 Chierchia & McConnell-Ginet(2000), Heim & Kratzer(1998) 등이있다. 특히 Heim & Kratzer 는합성의미론을생성문법의관점과직접적으로연관시킨좋은시도이다. - 34 -
형태이론의변천과보충법 (3) 가. 독자적문법부문으로서형태부가존재하는가? 나. 어휘부의기능은어떠한가? 다. 어휘형성과정은통사부의위치에관련하여어느곳에위치하는가? 라. 형태작용과통사작용의관계는어떠한가? 이러한문제를생성문법의변천에따른주요이론과함께살펴보고, 최근의이론인분산형태론에서이형태를다루는방식을통하여이들문제에대한답을모색해본다. 특히, 한국어에서보충법의행태를보이는용언을이용하여이들이론의타당성을살피고자한다. 2. 초기생성문법 20세기중반에 Chomsky 에의해제안되고이후변화를거쳐계속연구되고있는생성문법은 Chomsky(1965) 의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에서첫틀이완성되었다. 이저서에제시된문법의모형은다음과같다. (4) 표준이론의문법모형 (Chomsky 1965) 어휘부 구구조규칙 심층통사구조 문장의미해석 변형규칙 표층통사구조 음운부 이모형은흔히표준이론 (standard theory) 이라고불리는데, 잘알려진것처럼통사부가심층구조와표층구조의두영역으로이루어져있다. ( 어휘부에있는 ) 어휘항목 ( 즉, 단어및형태소 ) 을재료로삼아통사규칙인구구조규칙 (phrase structure rule) 에의해기저구조가만들어진다. 이는문장의미를해석하는대상이된다. 이러한기저구조는이후변형규칙에의해심층구조와다른도출된표층구조를만들어낸다. 표층구조는문장의어순을반영한다. 이표층구조는음운부로들어가서음운해석과음운규칙을거쳐문장내의어휘와형태소의발음이결정, 도출된다. Sound Pattern of English(Chomsky & Halle, 1968) 는이러한해석적, 도출적음운론 (realizational and derivational phonological theory) 의양상을보여준역작이라할수있다. 이렇게표준이론은통사론중심에있으며음운론이그에못지않는역할을하는문법모형임에따라, 독자적인문법하위부문으로서형태부는상정되지않았다. 전통적으로형태론적작용으로여겨졌던여러작용은통사부와음운부에적절히나뉘어배치되었다. 즉, 형태소와어휘의순서에관한사항은통사부에서변형규칙에의해처리되고, 주로음운적인교체 (phonological alternation) 와관련된이형태또는이와유사한작용은음운부에서음운규칙에의해처리되었다. 통사적변형규칙에의해처리되는형태적작용 ( 주로어휘형성과정 ) 의예로영어의피동문형성 (passivization) 을들수있다. 표준이론에서는피동문이기저형에서만들어진능동문으로부터변형규칙 - 3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의적용을받아도출되는것으로처리했다. 예를들어, The geese were bitten by the frog라는피동문장은 The frog bit the geese 라는능동문장에서도출된다는것이다. 이에관여된영어의피동문형성변형규칙은다음과같다. (5) 영어피동문형성변형규칙 가. 심층구조 : NP1 V-tense NP2 나. 표층구조 : NP2 be-tense V-en by NP1 이에관련된어순의변화이외에 be 동사의삽입, 본동사의과거분사 ( 피동분사 ) 형형성 ( 즉, 해당분사접사의첨가 ), 전치사 by의삽입, 시제접사의위치변경등을들수있다. 어휘와구 ( 명사구인 NP1과 NP2) 의이동은거시적관점에서어순의변화인반면, 시제접사의위치변경이나본동사의과거분사형형성등은어순에관련된것이라기보다는어휘형성에더가까운작용이다. 표준이론은이러한어형성작용을변형규칙으로처리했다. 어형성과정과관련된다른통사적변형규칙으로접사침탁 (affix hopping) 을들수있다. 예를들어, 영어의문장 He has been doing it on time을생각해보자. 이문장의동사셋중에서첫동사는문장전체의시제에의해형태가결정되는반면, 나머지는해당동사의직전동사의특성에의해형태가결정된다. 예를들어, has been에서 been이과거분사형인이유는바로앞의동사 have 가취하는직후의동사의형태에대한조건에의한다. 마찬가지로, been doing 에서 doing 은진행상 (progressive aspect) 의형태에서 be가뒤따르는동사의 -ing 형태를취한다는요구에의하여결정된다. 따라서, 심층구조에서는 have 와 -en이함께나타나고, be와 -ing가함께나타나는것이라고가정한다. 이러한조동사-접사의심층구조형태의관계가표층구조에서는변화를겪는다. 즉, 해당접사가바로뒤따르는동사의뒤로이동하여해당한다. (6) 영어접사침탁 (Affix Hopping) 변형규칙 X-Af V X V-Af 이에따라 He has been doing it on time 이라는문장은다음의심층구조와표층구조를갖게된다. (7) 심층구조 : He PRES have-en be-ing do it on time. 표층구조 : He have-pres be-en do-ing it on time. 이렇게도출된통사적표층구조는음운작용을거쳐 He has been doing it on time으로음성형태가도출된다. 음운부의음운작용은일반적으로는음운적조건에의한이형태규칙이나일반적인음성 음운규칙이대부분이다. 음운부또한 ( 통사부에서심층구조가표층구조로변형되는방식과유사하게 ) 기저음운형 (underlying form) 이음운규칙에의해표면형 (surface form) 으로도출되는방식으로운용된다. 이러 - 36 -
형태이론의변천과보충법 한점에서음운부의작용도도출적 (derivational) 이다. 기저음운형은통사부에서제공되는표층구조의형태소와 (+, #, 등의 ) 경계정보등이음성 음운적개체로전환되어형성된다. 즉, 형태통사적인 ( 추상적인 ) 정보가실제로발음되고관찰할수있는 (observable) 실질적인형태로변환한다는점에서해석적 (realizational, interpretive) 이다. 표준이론은음운부에는일반적이고규칙적인음성 음운규칙 ( 예를들어, 구개음화같은의미변화를유발하지않는 ( 기계적인 ) 음운규칙 ) 에더해, 규칙적복수접미사의형태 ([z] ~ [s] ~ [əz]) 가정해지는 ( 음운조건에의한 ) 이형태과정, 나아가불규칙적인형태를도출해내는이형태작용도포함한다고상정하였다. 예를들어, ( 통사부에서작동한 ) 접사침탁에이어, 해당접사와어기또는어간이합쳐진결과로서특별한 ( 또는불규칙한 ) 형태를갖게되는다음의과정을포함한다. (8) be-past.pl were bite-pp bitten [bɪtn] goose-pl geese have-3.sg.pres has be-pp been [bɪn] 이러한작용은형태통사적인것이라기보다형태음운적인것이기에음운부에서다루었는데, 이러한형태음운적작용을 SPE에서는재조정규칙 (readjustment rule) 이라고칭했다. 표준이론의이러한문법구성에서형태론은독자적인지위를갖지않는다. 어형성과정을포함한어순에관한형태통사작용은통사부에서이루어지고, 재조정규칙과같은형태음운규칙은음성 음운의형태에관한것으로서음운부에서이루어졌다. 어휘의형성과이에따른어휘형태의결정이분리되어처리된것이다. 이에따라, 어휘부가상정되기는하였지만, 이는형태소를나열한목록에지나지않았다고해도과언이아니다. 3. 1970 년대 : 형태부에대한 ( 재 ) 인지 Chomsky는 1970년의논문 Remarks on Nominalization 에서기존에통사규칙으로일률적으로다루었던변형규칙중파생어형성에관련된규칙을두부류로나누도록제안하였다. 한부류는 Chomsky가통사적입장 (transformational position) 으로칭한것으로규칙적통사변형과그에기반한어형성작용이고, base rule 이라고칭한다른부류는특정형태소의특성에따른특이한작용을칭한다. Chomsky 는이두부류를설명함에있어서, 동사에 -ing를붙인동명사적명사류 (gerundive nominal) 와동사를명사로만듦에있어서다양한파생접사를이용하는파생명사류 (derived nominal) 를각각의예로들어둘의차이를제시하였다. 첫째는통사적차이이다. 동명사적명사류는상응하는문장과어순이같다. 사실 (9가) 와같은문장은동사에 ing를붙인 (9나) 와같은상응하는동명사적명사류가항상존재한다. 반면, 파생명사류는동명사적명사류와같은구를형성할수없는경우가있다. 동사 amuse 에 -ment 를붙여파생된 - 3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amusement 는 (9 다 ) 와같은구를형성할수없다. (9) 가. Tom amuses the children with his stories. 나. Tom s amusing the children with his stories 다. *Tom s amusement of the children with his stories 두번째로는의미적차이이다. 동명사적명사류와는달리파생명사류는예측할수없는의미가파생적으로발생하기도한다. 예를들어, amusement 는단순히 amuse( 즐겁게하다 ) 의명사적의미 ( 즐거움 ) 에더해 오락 ( 물 ), 놀이 등의의미도있다. 마지막으로형태적차이가있다. 동명사적명사류는오로지접사 -ing만을취하지만, 파생명사류는동사마다명사화접사가다르다 : amusement, classification, departure, arrival, gift 등. 나아가단일동사에둘이상의명사화접사가붙는경우가있는데, 이런경우에두명사의의미가다르기도하다 : recital ( 암송, 이야기, 독주회 ), recitation ( 암송, 암송하는시 ). Chomsky 는이러한차이를바탕으로 ( 넓은의미의 ) 변형규칙을두부류로구별하였다. Chomsky가통사적기재 (transformational apparatus) 라고칭한규칙은규칙적인통사변형과그에기반한어형성작용으로한정하였다. 반면, 파생명사류파생과같은 ( 불규칙적이고예외가있으며예측할수없는양상을보이는 ) 작용은 base rule이라고칭하면서, 이를규칙적인통사규칙과구별할것을제안하였다. 이러한 Chomsky(1970) 의제안에대해 Halle(1973) 는 Prolegmena to a Theory of Word Formation 논문에서생성문법의첫형태이론을제안했다. 다음은 Halle(1973) 의형태이론의모형이다. (10) Halle(1973) 의형태론모형 형태소목록 어형성규칙 필터 사전 출력 음운부 통사부 이모형에서는표준이론의어휘부에해당되는부분, 즉통사부이전부분이좀더자세하게묘사되어있다. 어형성규칙 (word formation rule) 은형태소를취해서어휘를만드는데, 그결과가모두해당언어에서사용하는어휘가되지는못한다. 필터는그런단어 (possible but non-actual word) 를걸러내어실제로사용되는단어만을모아목록으로만든것을사전이라고하였다. 이들단어는통사부로들어가통사구조를이루고변형과정을거친후, 음운해석을통해음운적형태를띄게된다. 이렇게만들어진단어는경우에따라서다시어형성규칙을거치도록형태부로다시들어가기도한다. Halle 모형의주요한점은어형성규칙이기본적으로통사부이전에작용하는것으로본점이다. 즉, 어형성과정이일어나는곳을통사론과분리된독자적인영역으로보았다. 아울러, 그어형성작용이일어나는부문을어휘부로간주하였다. 이러한어형성작용이통사부이전의어휘부에서일어난다는입장 - 38 -
형태이론의변천과보충법 은후에어휘론 (lexicalism), 어휘주의가설 (lexicalist hypothesis) 의이름으로통용되게된다. Halle(1973) 와비슷한시기에영어의접사와강세의관계를연구한 Siegel(1974) 은단어강세부여방식을기준으로영어접사를두부류로나누었다. 한부류는강세의위치를결정하는접사이고, 다른부류는강세의위치와무관한접사이다. 아래예를보라. (11) 접사첨가와단어강세위치의관계 가. próduct, prodúct-ive, productív-ity 나. béauty, béauti-ful, béautiful-ness (11나) 에서보듯이 -ful이나 -ness 등의접사는첨가전후의단어강세의위치가일정하다. 이러한접사는흔히강세위치에중립적인 (stress-neutral) 접사라고하며, Siegel 은이를제2군접사라고칭했다. 반면 (11가) 에나타난듯이, -ive, -ity 등의접사는해당접사가붙을때강세위치가변경된다. 이러한접사를흔히강세부여접사또는강세위치변경 (stress-shifting) 접사라고하고, Siegel 은이를제1 군접사라고칭했다. 아래는대표적인제1군, 제2군접사이다. 제1군접사는흔히 + 접사 ( 형태소경계접사 ) 라고도불리고, 제2군접사는흔히 # 접사 ( 단어경계접사 ) 라고도불린다. (12) 두부류의접사 (Siegel 1974) 가. 제1군접사 (+ 접사 ): -ive, -ity, -ion, -ate, -ic, -y, -al 나. 제2군접사 (# 접사 ): -ful, -ness, -less, -hood, -ful, -ship 이에따라, Siegel 은어형성과정에서제1군접사가어기에먼저붙고뒤이어강세규칙이적용되고, 그런후에제2군접사가첨가된다고분석하였다. (13) 접사배열가설 (level ordering of affixes): Siegel (1974) 제1군접사첨가 강세부여규칙 제2군접사첨가 위의배열가설에따르면제1군접사첨가이후에제2군접사첨가가이루어질수있지만 ( 예, product-ive-ness), 반대로일단제2군접사첨가가이루어지면제1군접사는더이상첨가될수없다 (*hope-ful-ity) 는점을예측하게된다. Allen(1978) 는 Siegel의분석을확장하여소위확대배열 (extended level ordering) 가설을제시한다. 제1군접사첨가, 강세부여 ( 강세규칙적용 ), 제2군접사첨가에더해, 합성어형성과규칙적굴절을아우르며다음과같은어형성과정의큰그림을제시한다. 2) 2) 이러한접사배열가설에반론도있다. Fabb(1988) 는, X-ful-ity, X-ive-ness 등의배열이불가능한이유는접사부류의배열에의한것이라기보다는개개의접사의특성과제약에의한것이라고주장한다. - 3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14) 확대배열가설 (extended level ordering): Allen(1978) 제1 단계 (level 1): 제1군접사첨가강세규칙제2 단계 (level 2): 제2군접사첨가제3 단계 (level 3): 합성어형성제4 단계 (level 4): 규칙적굴절 합성어형성이일어나서예컨대 passion fruit 와같은합성어가만들어진후에는여기에제1군접사나제2군접사가붙을수없다는점 (*com+passion fruit, *passion fruit#y), 굴절은문장내에서단어가수행하는문법적기능과격 ( 格, case) 에관련된것이기때문에단어의맨가장자리에나타나고단 1회만적용된다는점을고려하면위의어형성과정의배열은타당해보인다. 제1-3 단계의각단계에서는접사첨가와합성어형성이여러차례일어날수있다. Siegel 과 Allen의배열가설은어형성과정이구체적으로어떻게작용하는지를보이고자한성공적인시도로평가받고있다. 아울러, 독자적인형태부문으로서의어휘부의지위를다지게되었다. 이와비슷한시기에 Aronoff(1976) 는어형성과정은단어를어기로하여작용한다는주장을제시한다. Aronoff 는이외에도여러주장과분석을제시하지만, 어형성과정의위치에대한중요한점으로는역시통사부이전의독자적어휘부를상정한다는점이다. 특히, 중요한사항은 Aspects 와 SPE에서음운부에서작용한다고본형태적조건의이형태규칙을어휘부로재배치했다는점이다. Aronoff 가언급한두종류의조정규칙 (readjustment rule) 은다음과같다. 하나는이형태규칙 (allomorphy rule) 으로서, 예를들어 -ify로끝나는동사에 -ation 의명사화접사가붙으면 ( 어기의독립된형태나다른형태의접사의 ) 기저형에없던 [k] 가나타난다 : classify + -ation classific-ation. 다른하나는절단규칙 (truncation rule) 이라고칭하는것이다. 예를들어, -ate로끝나는동사에 -ant 가붙는경우에어기의일부인 -ate가삭제되는경우이다 : lubricate + -ant lubricant (< lubricatant). 이들현상은음운현상이기는하지만, 그동기는음성 음운적인동기가있다기보다는어기의 ify와 -ate의특이성에서기인한것이라하겠다. 따라서이러한이형태는음운부에서보다는형태부에서처리하는것이더타당하리라는논지이다. 이렇게 ( 재 ) 조정규칙을형태부로재배치하게되면, 어형성자체와그와직접관련된 ( 특이한 ) 형태음운적이형태현상을동일한위치, 즉통사부이전의어휘부에서처리하게된다. Halle(1973), Siegel(1974), Allen(1978), Aronoff(1976) 의분석과제안은기존에표준이론이견지한 ( 형태작용이통사부와음운부에적절히나뉘어있고독자적인형태부는없다는 ) 입장과달리, 독자적인형태부문을인정하였다. 이들의주안점과구체적분석이약간씩다르기는하지만, 이형태부가통사부이전의어휘부라고공통되게주장하고있다. 이는 Chomsky(1970) 의 base rule 을통사적규칙과구별한데에서출발한다. Halle 는이러한 base rule을통사부이전의어휘부에서작동하는것으로받아들였고, 이후연구는모두이러한 Halle 의해석을따른것이다. 이러한입장은순환적음운규칙과접사의순환형성과더불어 1980년대에어휘음운론으로발전하게된다. - 40 -
형태이론의변천과보충법 4. 어휘론 (lexicalist hypothesis) 1970년대의형태론의대두와 ( 형태작용이일어난다고여긴 ) 어휘부에대한연구는몇몇추가적인연구결과로인해음운론부분에서어휘음운론 (lexical phonology) 으로발전하게된다. 한편, 통사론부분에서는 1980년대에크게발전한지배결속이론 (government and binding theory) 이 1990년대초로넘어가며 Chomsky(1993) 의최소주의 (minimalism) 의초기이론에서어휘론이채택되게된다. 4.1. 어휘음운론 (lexical phonology) 1970년대말의발견중하나는순환적음운규칙 (cyclic phonological rule) 이다. 이개념자체는이미 SPE에나타난것인데, SPE에서는복합적인형태, 통사요소가형성되며이루어지는순환영역에서순환적으로적용되는강세규칙에관한것이었다. Mascaró(1976) 는강세규칙뿐만아니라분절음규칙도순환적음운규칙 (cyclic phonological rule) 이라는점을카탈로니아어 (Catalan) 의자료를통하여밝혀냈다. 즉, 동일한일련의음운규칙이 ( 형태통사적작용으로인해 ) 음운적순환영역 (phonological cycle) 이새로이생길때마다각순환영역에서재차적용된다는점이다. 한편, Pesetsky(1979) 는러시아어의자료로부터접사 ( 즉, 어형성규칙 ) 가이러한음운순환영역을공급함을제시하였다. 이러한 1970년대의음운적, 형태 ( 통사 ) 적발견을통해 1980년대에어휘음운론이제안되었다. (15) Kiparsky(1982) 의어휘음운론모형 형태소목록 어 제 1 단계형태부 ( 제 1 군접사첨가 ) 제 1 단계음운부 휘 제 2 단계형태부 ( 제 2 군접사첨가 ) 제 2 단계음운부 부 제 3 단계형태부 ( 합성어형성 ) 제 3 단계음운부 제 4 단계형태부 ( 규칙적굴절 ) 제 4 단계음운부 통사부 어휘부후음운부 형태소목록에있는형태소 (underived lexical item) 가먼저제1단계음운부로가서해당음운규칙 ( 예, 강세규칙 ) 의적용을받는다. 그러면제1단계형태부로가서제1군접사가첨가되는형태작용, 즉어형성작용을거치며, 접사하나에음운순환영역하나가생긴다. 순환영역이생기면, 제1단계음운부로가서일련의순환적음운규칙이적용된다. 다시제1군접사가붙으면동일한작용이반복되고, 제1군접 - 4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사의첨가가모두끝나면마지막음운순환영역에서제1단계음운규칙이적용되고, 이후제2단계형태부로넘어간다. 비슷한방식으로제2군접사하나가붙을때마다음운순환영역이생기고그때마다제2단계음운규칙이순환적으로적용된다. 이후제3단계형태부에서합성어형성이이루어지고제3단계음운규칙이적용되고, 이후제4단계형태부에서규칙적굴절이이루어지고관련된제4단계음운규칙이적용된다. 이럼으로써어휘부내의어형성작용과이와관련된 ( 형태 ) 음운규칙의적용이끝나면서, 단어가완성된다. 이렇게완성된단어는통사부로들어가서구구조규칙과변형등의통사작용을거쳐표층구조 ( 또는 S-구조 ) 를만들고, 이후어휘부후음운부 (post-lexical phonology) 에서해당음운규칙, 대표적으로변이음음운규칙 (allophonic rule), 구절음운규칙 (phrasal phonological rule) 의적용을받아실제발음을내게된다. 어휘부에서적용되는순환적인음운규칙인어휘부음운규칙 (lexical rule) 은어휘부이후에적용되는규칙 (post-lexical rule) 과대비된다. Kiparsky(1982, 1985), Rubach(1984), Mohanan(1986) 등의비교적초기어휘음운론이론이후에몇몇문제가나타났다. 가장큰문제는어휘부내의단계 (level, stratum) 가몇이나존재하느냐하는점이다. 학자들마다영어어휘부내의형태부-음운부단계의수가다르다. 다른문제는동일한어휘부음운규칙이둘이상의단계에속한경우가있다는점이다. 또한 Halle & Mohanan(1985) 이지적한대로한단계가끝난후이전단계로돌아가는경우가있다는점이다. 이는어휘론의중요한가정인배열가설을뒤집는것이되기때문이다. Booij & Rubach(1987) 는나아가어휘부음운규칙중에서순환적인규칙도있고비순환적규칙이있다고제안한다. 이러한사항은어휘론의입장을약화시키는사항들이다. 어휘론은어형성과정과이에관련된이형태음운규칙이통사부이전의어휘부에서작동한다는이론이다. 그런데, 어느정도의어형성과정이어휘부에서작용하느냐에따라강어휘론 (strong lexicalism) 과약어휘론 (weak lexicalism) 으로나눌수있다. 강어휘론은파생형태론과굴절형태론모두어휘부에서이루어진다고보는입장으로서 Kiparsky(1982, 1985), Rubach(1984), Mohanan(1986), Halle & Mohanan(1985), Booij & Rubach(1987) 등을포함하는대부분의 1980년대어휘음운론지지자들과 Halle(1973), Lapointe(1980), Selkirk(1982), di Sciullo & Williams(1987) 등에의해제안되었다. 3) 약어휘론은파생형태론만이어휘부에서이루어진다고보는입장으로서 Aronoff(1976) 와 Anderson(1982) 가대표적이다. 어휘음운론 (lexical phonology) 은명칭에쓰인 음운론 과는다르게형태론이론이다. 이형태이론의다른문법부문과의관계로서, 음운부와의관계는이미살펴보았다. 어휘음운론의통사부와의관계로는, 특히강어휘론은형태부와통사부를명확히구분한다. 특히어휘온전원리 (lexical integrity principle) 라는명칭이그러한입장을명확히보여준다. 이는단어로구와절을구성하는통사부문의작용은단어내부의구조에접근할수없다는조건이다 (Siegel 1974, Williams 1981, di Sciullo & Williams 1987), 3) 통사이론중에서 Lexical Functional Grammar(Bresnan 2001), Generalized Phrase Structure Grammar(Gazdar et al. 1985),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Pollard et al. 1994) 등이강어휘론의입장을취하고있다. 아울러, 곧이어보듯이초기최소주의통사론의점검이론도강어휘론의입장이다. - 42 -
형태이론의변천과보충법 배열가설과어휘음운론의주요한형태적조건중하나는 Siegel(1978) 이주장한인접조건 (adjacency condition) 이다. 이는형태적구조에서두요소가구조상인접해있지않으면연관맺을수없다는조건이다. 이는 Williams(1981) 에서원자조건 (atom condition) 으로이어지고, 이후어휘온전원리로발전하였다. 배열가설및어휘음운론과관련한다른흥미로운형태적주제는괄호역설 (bracketing paradox) 이다 (Spencer 1988). 4.2. 초기최소주의통사론의점검이론 (checking theory) Chomsky(1970) 의 base rule 에대한제안이후에 1970년대, 1980년대에통사론에서는어휘론에대한특별한입장이없었다. 대부분의경우에암묵적으로약어휘론이받아들여졌다. 1980년대에크게발전한지배결속이론 (government and binding theory) 의약점중하나는언어현상의설명을위해너무많은기재가동원되고, 이들기재가문법의여러층위 (D-구조, S-구조, LF) 에널려있다는점이었다. Chomsky(1993) 는이러한약점을해소하고자최소주의통사론 (minimalist syntax) 이라는명칭으로문법모형을간소화하려는시도를내놓았다. 그러한시도중하나는문법조건과작용이작동하는층위를최소화한것이다. 즉, 문법과언어사용의접합부분 (interface) 인음운부 (PF) 와논리부 (LF) 만을문법에서의미있는부문으로인정하고, D-구조와 S-구조는독자적인지위를갖는문법부문으로서인정하지않는제안이다. 기존에 D-구조와 S-구조에서작동하는것으로여겼던여러조건과작용은음운부나논리부에서적용되거나통사작용 (merge) 자체에부과되는것으로해석하였다. 나아가, 변형이라는통사작용에는원인이있다고하는데, 특히이동 (internal merge) 은점검이라는기재에의한것이라고한다. 예를들어, 주어와동사 ( 정확히는일치소, AGR) 간의일치 (agreement) 를생각해보자. 이두요소사이의일치라는문법작용이일어나기위해서는이두요소가동일한국부영역내에위치해있어야하는데, 이를위해주어와동사일치소가절, TP의영역내로공히이동해야한다는것이다. (VP 내에있던 ) 주어명사구와 ( 일치소를포함한 ) 동사가각각 TP의지정어와 T의핵어 (T0) 로이동하면, 4) 지정어-핵어의국부영역관계 (spec-head relation) 가형성된다. 이러한관계에서동사의일치소가주어명사구의격 (case), 수 (number) 등의형식통사자질 (formal feature) 을점검한다. 이러한점검이이루어지게하기위해이동이발생된다. 이렇게점검이이루어진요소는통사부에서그임무를마치고삭제되는데, 이는비해독자질 (uninterpretable feature) 은접합부문으로들어가지않는다. 논리부와음운부접합부문에서는각각의미와발음에필요한 ( 해독할수있는 ) 자질만이기능을하며해독된다는방식이다. 이러한점검이론에따르면, 통사작용은어휘의모양이나의미, 기능을바꾸는것은해당되지않는다. 따라서, 어휘는어휘부로부터통사부로들어가는과정 (lexical insertion, external merge) 이전에점검에필요한자질과발음에필요한음운특성을모두지니게된다. 그렇게온전하게어형성이이루어진후에통사부에서는이동과점검만을거치게된다. 이는파생작용뿐만아니라굴절또한어휘부에서모두이루어진다는것으로서, 최소이론의점검이론은강어휘론의입장을채택하게된다. 4) Fukui & Speas(1986) 와 Koopman & Sportiche(1991) 등이설득력있게주장한것처럼문장의주어는 TP 의지정어자리가아닌동사구의지정어자리에서출발하여 TP 의지정어자리로이동한다고가정한다 ( 주어의동사구내생성가설, VP-internal subject hypothesis). - 4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5. 분산형태론과보충법 본절에서는비교적최근의형태론모델인분산형태론을개관하고굴절형태론과통사-형태상호작용이어떻게작동하는지를살펴본다. 특히후반부에서는보충법과이형태의행태를통하여분산형태론의타당성을점검한다. 5.1. 분산형태론 (distributed morphology) 의문법모형 1993년에 Halle & Marantz는분산형태론 (distributed morphology) 이라는이름의형태론적문법모형을제안한다. 분산형태론은어휘론에서상정하는독자적인어휘부가존재하지않고, 어형성과이에관련된여러작용이문법전반에퍼져있고주장한다. 통사부 ( 또는음운부 ) 에서핵어이동등에의한형태소의결합이어형성의한방법이된다고본다. 즉, 어휘와구절이동일한생성-변형의기재로만들어진다는주장이다 (single-engine hypothesis). 분리가설 (separation hypothesis) 에따라, 통사부는형태적, 통사적, 의미적자질, 즉, 비음운자질로만운용되며, 음운자질은통사부이후형태-음운부에서부여된다 (late insertion of vocabulary items) 는가정이다. 음운자질부여시에형태통사구조의여러형태, 통사, 의미적맥락에따라이형태가나타나기도한다. 음운자질부여이전과이후에음운부에서주요형태적작용이일어나는데, 이들형태작용이통사구조와형태구조의불일치 (syntax-morphology mismatch) 를처리한다. 이에더해 Harley & Noyer(1999) 등은개별언어에서개개의비음운적통사형태자질이통사부이전에조합되어형태소를이루는것까지를형태적작용으로여기기도한다 (Bobaljik & Thráinsson 1998 참조 ). 분산형태론의문법모형은다음과같은도식으로나타낼수있다. (16) 분산형태론의문법모형 morphosyntactic features syntax overt covert morphological operations (before insertion) vocabulary insertion P LF F morphological operations (after insertion) phonological rules proper conceptual interface encyclopedia - 44 -
형태이론의변천과보충법 위의도식에서나타나듯이분산형태론은지배결속이론과최소주의통사이론 (Chomsky 1981, 1993, 2000 등 ) 과맞물려있다. Marantz(1997: 214-5) 는 Chomsky(1970) 가 ( 통사부이전의 ) 어휘부또는어휘부에서적용되는규칙을도입하지않았다고하면서, 다음과같이쓰고있다. [T]he crucial issue here is about extending the base rules (i.e., allowing N's to take complements) rather than adding operations to a place called the lexicon. Chomsky proposes no special lexical rules or special lexical structure/meaning correspondences in his Remarks. The idiosyncrasy of nominalizations is relevant strictly to the argument against deriving nominalizations from sentences... (Marantz 1997: 214-5) Marantz는 Chomsky(1970) 가파생명사류가해당동사를지닌문장으로부터도출된것이아니라는주장, 즉, base rule이규칙적인통사적규칙이아니라는제안을한것이라고한다. base rule 과 lexicalist position 이어휘음운론에서말하는어휘규칙 (lexical rule) 을뜻한것도아니고통사부이전의어휘부를제안한것도아니라고주장한다. 본고의이후의논의에크게관련된분산형태론의큰특징은분리가설이다. 개개의범언어적통사형태의미자질이모여 추상적인형태소 (abstract morpheme) 를이루고 (Bobaljik & Thráinsson 1998), 이들형태소는통사부에서외적및내적병합 (external and internal merge) 의구절형성과정을통해단어와구절을형성한다. 이구조는통사적도출후에의미부 (LF) 와음운부 (PF) 로나뉘어이전되며, 이들두부문에서각기나름의작용이일어난다. 음운부에서는 ( 명제적인의미변화를일으키지않는한도내에서 ) 추가적으로통사형태구조에변화를주는작용이일어날수있다. 예를들어 ( 자매교점이아닌두교점을자매교점으로만드는 ) 형태적병합 (morphological merger, Marantz 1988), ( 형태소혹은개별통사형태자질을삭제하는 ) 탈락 (impoverishment, Bonet 1991), ( 형태소교점하나가둘로나뉘는 ) 분열 (fission, Noyer 1992, Calabrese 2002), ( 두자매교점이지닌비음운자질을합쳐하나의교점으로만드는 ) 융합 (fusion, Chung 2007) 등이 Halle & Marantz(1993) 의첫분산형태론제안에등장하였다. 통사형태구조는이러한형태작용을거친후, 해당구조내의최하위교점에위치한형태소에음운자질 ( 음운적형태 ) 을부여하게된다 (vocabulary insertion). 비음운자질과음운자질을연결한관계를어휘항목 (vocabulary item) 이라하고, 전형적으로다음과같이표기한다. (17) 영어어휘항목의예 가. [+indicative, -past, -participle, 3rd, +sing.] /z/ 나. [+past] Ø / [+strong] (17 가 ) 는영어동사의 3 인칭단수직설법현재형어미의변이형을나타낸다. 양방향화살표의왼쪽과 - 4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같은통사형태의미자질집합체가해당통사형태구구조의최하위교점에있으면, 그교점에이에상응하는음운음성자질 /z/ 가부여된다. (17나) 는강변화동사의과거시제어미형태에대한어휘항목으로서그환경 [+strong] 이아울러표기되어있다. 형태소에음운자질을부여할때, 각교점에있는비음운자질이해당어휘항목에모두있어야하는것은아니다. 즉, 음운자질부여시통사형태구조의교점에비해어휘항목의비음운자질이적을때에도해당어휘항목의음운형이해당교점에 삽입 되는데이러한특징을미명세 (underspecification) 라고한다. 경우에따라서는한통사형태구조의최하위교점에적합한어휘항목이하나이상있어서어휘항목간에경합 (competition) 이있을수있다. 이러한경우에는해당통사형태교점에부합하는최대의비음운자질을갖는어휘항목이선택된다. 뒤에서논의하겠지만, 우리말의용언 있- 의통사형태자질체인 [EXIST] 와부정요소 [+neg] 가융합하여이루어진최하위교점에적합한어휘항목은다음과같다. (18) 우리말의 있- 과부정과관련된어휘항목 가. [EXIST, +neg] /ʌps/ ( 없- ) 나. [EXIST] /is / ( 있- ) 다. [+neg] /an/ ( 안 ) 이중에서융합을거친교점에가장많은비음운자질을갖는것은 (18가) 이기에이것이선택된다. 한편, Schütze(1994), Embick & Noyer(2001), Kandybowicz(2007), Chung(2009), Barrie, Chung & Deer(2012) 등은음운자질부여이후에도형태작용이일어난다고주장한다. 또한위의네형태작용이외에하강 (lowering) 과국부적도치 (local dislocation) 와같은비통사적형태작용 (Embick & Noyer 2001) 과운율적도치 (prosodic inversion, Schütze 1994) 등도제안되었다. 이러한후속연구와함께분산형태론의개관에대해서는 Harley & Noyer(1999), Embick & Noyer(2006), Bobaljik(2015), 정인기 (2015) 등을보라. 분산형태론은많은학자들의여러제안을통하여생성문법의형태론의한축으로자리잡아가고있다. 물론, 이에대한반론도있다 (Pullum & Zwicky 1992, van de Kerke 1996 등 ). 직접적인반론은아니지만, Aronoff(1994) 는문법의다른부문과독립된형태론을연구해야한다고하고, Anderson(1992) 은음운, 통사작용은단어의내부구조를이용할수없다는주장을편다. 분산형태론은굴절형태론과통사형태상호작용을설명하기에최적의이론이지만, Harley(2009, 2011) 가보인것처럼합성과파생도분산형태론의틀로충분히설명할수있다. 즉, 형태작용전반을다루고처리하는문법모형이다. 비교적최근의분산형태론의주요논점으로는 (1) 어형변화표 (paradigm) 에대한입장, (2) 단어내의형태의순서, (3) ( 보충법등을포함한 ) 이형태, (4) 이형태와보충법의범위 (containment hypothesis, Bobaljik 2012) 등이다. 다음절에서는이중에서보충법과이형태에대한논의를통하여음운형태적인현상이통사형태적인조건에의해영향받는양상을살피고, 분산형태론의우위를보이고자한다. 5.2. 한국어의보충법적용언과분산형태론적이형태분석 - 46 -
형태이론의변천과보충법 한국어의부정용언 없- 과 모르- 는부정극어 (negative polarity item) 를인허하고, 양화사와작용역의중의성 (scope ambiguity) 을보이며, 단형부정이나타날자리에대신나타난다는점에서이들용언은통사적부정 (syntactic negation) 을포함하는어휘적동사라고할수있다. 즉, 통사적으로는부정과동사의두요소가있는행태를보이지만, 형태음운적으로는단일한요소이다. (19) 가. 나는아무도모른다. 나. 아무도길을모른다. 다. 아무도없다. (20) 가. 모두가그이야기를모른다. ( >, > ) 나. 나는모든이야기를모른다. ( >, > ) 다. 모두가없다. ( >, > ) (21) 가. * 나는길을안안다. 나. * 책상에책이안있다. 임홍빈 (1987), Kim(1999), Sells(2001) 는모두이들을부정을포함한단일형태의용언으로보았다. Choi(1999) 는이들부정용언과단형부정이공유하는이러한통사적특징에도불구하고, 확연한음운형태적차이때문에부정용언을단형부정으로보는견해에반대하였다. 분산형태론에따라 Chung(2007) 은다음과같은분석을제시하였다. 우선한국어절의구조를 (22) 와같이상정한다. 물론긍정문에서는 Neg 부분이없고, 상태동사는 v 부분이없다고가정한다. 이구조에서동사어근 V 0 의형태소가핵어이동으로중간의핵어를거쳐 C 0 까지올라간다. 그결과는 (23) 과같다. - 4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22) CP (23) C /\ /\ C' T C /\ /\ TP C Neg T /\ /\ T' Neg v /\ /\ NegP T V v /\ Neg' /\ vp Neg /\ DP v' /\ VP v /\ DP V' /\ DP V 이구조는 없- 과 모르- 의보충법적동사와규칙적인단형부정형을보이는다른동사에동일하게적용된다. V 어근에 [EXIST] 나 [KNOW] 의형태소가위치한다음구조에서형태작용이적용된다. (24) T /\ Neg T /\ Neg V [+neg] [EXIST] 즉, [+neg] 와 [EXIST]( 또는 [KNOW]) 가자매교점이되는경우에는이두교점이융합을겪는다. 그결과는다음과같다. - 48 -
형태이론의변천과보충법 (25) Neg Neg /\ Neg V [+neg, EXIST] [+neg] [EXIST] 이렇게나온구조에 삽입될 어휘항목은 ((18) 의반복으로서 ) 다음과같다. (26) 존재의 있- 과부정과관련된어휘항목 가. [EXIST, +neg] /ʌps/ ( 없- ) 나. [EXIST] /is / ( 있- ) 다. [+neg] /an/ ( 안 ) (25) 의결과로나온교점에이들어휘항목중에서경합 (competition) 을통해 (26가) 가선택되어그음운형태는 없- 이된다. 모르- 도동일한방식으로처리된다. 없- 과 모르- 의이러한분석에대한근거중하나는 안알리- 에서볼수있다. 사동형 알-리- 의부정은 (* 몰리-, * 모르리 등이아닌 ) 안알리- 이다. 핵어이동이끝난이의통사형태구조는다음과같다. (27) Neg /\ Neg v /\ [+neg] V v \ [KNOW] [+caus] 이구조에서는 [+neg] 와 [KNOW] 가자매교점이아니기에융합이이루어지지않고, 개개의교점에별도로음운자질이부여된다. 해당어휘항목은다음과같다. (28) 알-, 사동, 부정과관련된어휘항목 가. [KNOW, +neg] /moɾɯ/ ( 모르- ) 나. [KNOW] /al/ ( 알- ) 다. [+caus] /li/ ( -리- ) 라. [+neg] /an/ ( 안 ) 사동어미 - 리 - 는선형적으로는 안 - 과 알 - 사이에위치하지않는다. 그럼에도불구하고융합이 - 4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일어나지않고 안- 과 알- 이 모르- 로실현되지않는이유는사동어미가구조적으로 안- 과 알 - 사이에있음을웅변한다. 즉, 형태음운적이형태에서구조적인접성 (structural adjacency) 이중요함을보인다 (Bonet & Harbour 2012). 이러한 없- 과 모르- 에대한융합분석은이들부정동사가통사적으로는부정 (syntactic negation) 의요소와동사어근의요소둘을포함하는행태를보이지만, 형태음운적으로는분리할수없는단일요소로나타남을간단히해결한다. 어휘론의틀에서는임홍빈 (1987), Kim(1999), Sells(2001), Choi(1999) 등의고민을해결할수없다. 다음으로부정과존대가동시에개재된경우를통해분산형태론가이형태를처리함이어휘론보다더욱타당함을보이겠다 (Chung 2009). 존대의 -시- 가동사에나타나는경우, 자- 는 주무- 로, 먹 - 은 잡수- 로, 있- 은 계- 로나타난다. 이에부정의 안- 이아울러나타나는경우, 존재의 있- 은흥미로운형태음운적행태를보인다. 다음 있- 의이형태를보라. (29) 있- 의이형태 가. 긍정, 비존대 : 있- 나. 부정, 비존대 : 없- 다. 긍정, 존대 : 계-시- 라. 부정, 존대 : 안-계-시 지금까지의논의를보면, 안-계-시- 의구조에서 ( 부정요소보다 ) 존대어미가어근에구조적으로더가까이있는것처럼보인다 : [[+neg] [[EXIST] [+hon]]]. 그런구조에서존대이형태 계- 가나타난다. 만일부정요소와어근이구조적으로가까이붙어있고존대어미가바깥에위치한다면, 안- 과어근이융합한형태인 없-으-시- 로나타날것이기때문이다. 그러나 알- 의경우는상황이다르다. 부정과존대의다양한상황의 알- 의이형태를보라. (30) 알- 의이형태 가. 긍정, 비존대 : 알- 나. 부정, 비존대 : 모르- 다. 긍정, 존대 : 아-시- 라. 부정, 존대 : 모르-시 이경우에부정과존대가동시에개재된형태는부정요소와어근이먼저구조적으로묶여있음을기대하게한다 : [[[+neg] [KNOW]] [+hon]]. 이러한모순적인상황을해결하기위해세가지용어반복구문을살펴본다. 첫번째구문은편의상용언반복반어의문문이라고칭하는구문이다. 이용어반복구문에서존대긍정문의경우에서는주체존대의 -시- 가용언의어근과함께반복될수도있고그렇지않을수도있다. - 50 -
형태이론의변천과보충법 (31) 가. 선생님께서보시기는무엇을보시었니? 나. (?) 선생님께서보시기는무엇을보았니? 다. 선생님께서보기는무엇을보시었니? 반면, 부정의 안 은다음의비존대부정문에서보이는것처럼반복되는두용언에다나타나야한다. (32) 가. 인수가안보기는무엇을안보았니? 나. * 인수가안보기는무엇을보았니? 다. * 인수가보기는무엇을안보았니? 용언이복사되어반복될때복사되는부분은형태통사구조상으로단일구성성분 (constituent) 이어야한다는점과복사할대상을선택함에있어서어느정도의융통성이있음을통해, 존대의 -시- 보다부정의 안 이어근에더욱가까이에위치해있다고추론할수있다. 다른용언반복구문도동일한사항을보여주고있다. 두번째유형의구문은 Aoyagi(2006), Cho, Kim & Sells(2004), Chung(1994), Lee(1995), No(1988) 등이논한단순어간반복구문이있다. (33) 가. 선생님께서인수를보시기는보셨다. 나. (?) 선생님께서인수를보시기는보았다. 다. 선생님께서인수를보기는보셨다. (34) 가. 현희가인수를안보기는안보았다. 나. * 현희가인수를안보기는보았다. 다. * 현희가인수를보기는안보았다. 이구문에서도용언반복반어의문문에서보이는것처럼, 존대어미 -시- 는두어간에다나타나야하는것은아니지만부정의 안- 은두어간에다나타나야한다. 따라서동일한논리로인해존대어미보다부정이어근에구조적으로더가까이위치해있다고하겠다. 마지막으로, 용언반복구문에서두번째나타나는용언이대용어 (pro-form) 인 하- 로나타나는소위 하- 대용어반복구문을보겠다. 아래의비존대긍정문에서처럼주체존대 -시- 는반복되는두용언중에서최소한군데에서나타나면된다. (35) 가. 선생님께서인수를보시기는하셨다. 나. 선생님께서인수를보시기는했다. 다. 선생님께서인수를보기는하셨다. 그런데, 이 하- 대용어반복구문이위의두용언반복구문과다른점은각구문의첫번째용언이부정일때에는아래의예에서보이듯이두번째용언인대용어 하- 에 안 이함께나오지않는다. - 5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36) 가. 현희가인수를안보기는하였다. 나. * 현희가인수를안보기는안하였다. 다. * 현희가인수를보기는안하였다. (36) 의행태가보이는바는대용어 하- 가해당구문의첫용언이부정이면그부정의요소까지포함하여용언을대치한다는것이다. 이렇게대용어 하- 가존대어미는포함할수도있고그렇지않을수도있지만부정은반드시포함한다는점은부정이구조적으로어근에더욱가까이위치해있음을보인다. (37) Hon /\ Neg Hon /\ \ Neg V [+hon] [+neg] [EXIST] [KNOW] 이구조에서 안-계-시- 의형태를따져본다. 구조적으로어근이부정요소와더가까이위치해있음에도불구하고어근과부정요소의융합이이루어지지않고, 존대어미에의한이형태를보인다. 이를해결하기위해서는존대의맥락에서 [EXIST] 의어휘항목을다음처럼설정해야할것이다. 이어휘항목을이용하여, 위의구조에서 [EXIST] 를지닌구조는다음과같은음운자질부여를순차적으로거친다. (38) 가. [EXIST] /kje/ when c-commanded by [+hon] 나. [+hon] /si/ (39) Hon Hon Hon Hon /\ /\ /\ /\ Neg Hon Neg Hon Neg Hon Neg Hon /\ /\ /\ /\ Neg V [+hon] Neg V [+hon] Neg V [+hon] Neg V /si/ [+neg] [EXIST] [+neg] /kje/ /an/ /kje/ /an/ /kje/ 그런데, 이렇게되면 (39) 의첫구조에서 [+neg] 와 [EXIST] 의융합이왜작동하지않는지를설명할수없게된다. 따라서융합은어근이추상적형태소 [EXIST] 가아닌어휘항목 /is / 으로음운자질이부여 - 52 -
형태이론의변천과보충법 될때까지지체되어야함을뜻한다. 즉, 융합작용은 (25) 가아닌다음처럼작동하게된다. (40) Neg Neg /\ Neg V /ʌps/ [+neg] /is / 부정보충법과존대보충법이보이는모순적인상황을설명하기위해융합과이형태의두기재를이용한이러한분석과이들의구조, 그리고각교점이부여받는음운자질의모습은분산형태론이주장하는음운부 (PF) 에서의음운자질부여를강력하게뒷받침하는근거가된다. 안계시- 로실현되는 [+neg]-[exist]-[+hon] 를고려해보자. 어휘음운론에서는 안계시- 의도출이다음과같은방식으로이루어질것이다. (41) 음운자질과비음운자질이통사부이전부터묶여있는이론에서의순차적형태소결합 통사의미자질 음운자질 단계 1 ( 어근 ) [EXIST] 있- 단계 2 [+neg, EXIST] 없- 단계 3 [[[+neg] [EXIST]] [+hon]] 안계시- 위와같은도출과정은음운적측면에서나통사의미적측면에서나상당히의아하다. 특히단계 2에서단일한통사의미자질체인 [+neg, EXIST] 가단계 3으로넘어가면서는다시 [+neg] 와 [EXIST] 의두요소로분리된다는점과, 또한음운적인측면에서도단계 2에서단계 3으로넘어갈때완전히상이한음운자질체를갖게된다는점은어떤방식으로도설명하기어려워보인다. 또한세단계에서서로상이한음운자질체를음운적으로연관시키는것도쉬워보이지않는다. 이에반해분산형태론에서는이러한문제가없다. 분산형태론에서는음운자질을부여하기직전의통사형태구조전체에비음운자질모두가이미존재한다. 음운자질을부여하는것은해당통사형태구조 ( 음운자질부여의영역 ) 에이미들어와있는각교점의형태통사의미자질을모두이용할수있다. 따라서단계 1에서어근에 계- 의음운자질을부여할때에이미전체구조에 [+hon] 이 ( 환경으로 ) 존재한다. 다음의도출이이러한점을보여준다. - 5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42) 분산형태론의형태소결합과이에대한통사부이후의음운자질부여 음운자질부여직전의통사형태구조 ( 비음운자질로만구성됨 ) [[[+neg] [EXIST]] [+hon]] 음운자질부여 ( 통사, 형태작용이후의음운부의작용 ) 단계 1 ( 어근 ) [[[+neg] / 계 /] [+hon]] 단계 2 [[/ 안 / / 계 /] [+hon]] 단계 3 [[/ 안 / / 계 /] / 시 /] 이러한도출과정에서단계가바뀌며어근이나그와관련된음운형이변화하지도않고, 단계별로별도의음운형이부여되지도않는다. 분리가설과통사부이후의음운자질부여의기재로이형태도출이깔끔하게처리된다. 다른이형태논의로 Bobaljik(2012), Moskal(2015), Merchant(2015), 김재은 정인기 (2015), Kim & Chung(2017) 등이있으며, 앞으로상당히많이연구되리라생각된다. 이와연관된사항은존대와같은비전형적인통사형태자질이통사형태구조에들어오는시점이다. 존대자질을문법적으로본다고하더라도이자질이반드시통사부에존재해야하는것은아니다. 분산형태론의체계에서는통사부에는없지만음운부 (PF) 로해당통사형태구조가넘어온후에형태소가추가되는가능성을인정하고있다. Halle & Marantz(1993) 의형태소삽입 (morpheme insertion) 이그것이다. 나아가 Bobaljik(2008) 은일치 (agreement) 가통사부이후에일어나는작용이라고주장하였다. 이또한추후에연구할주제중하나라하겠다. 본절에서는분산형태론의개관을보이고, 이러한틀로한국어의보충법적부정형과과보충법적존대이형태를동시에보이는 있- ~ 없- ~ 계- 의행태를분석해보았다. 논지의복잡성을떠나, 음운자질의부여가통사부이후에일어난다고가정하는것이이의행태를설득력있게설명할수있음을확인했다. 음운자질과비음운자질이통사부이전부터함께묶여어휘부라고칭하는것에저장되어있다는주장은이자료를설명함에어려움이있다. 이형태는기본적으로 ( 형태 ) 음운적인현상이지만그조건이 ( 본절에서살펴본것처럼 ) 통사형태적인경우는어휘론적인분석이어려움을보이게됨을확인하였다. 6. 결론 본논문은생성문법의출현이후의몇몇주요한형태이론을개관하고, 한국어용언의이형태분석으로최근의이론인분산형태론의우월성을논하였다. 생성문법초기에형태부를별도로인정하지않았던입장이최근의최소주의통사론-분산형태론의모형에서약간다른모습으로부활한것으로이해할수있다. 그중간시기에배열가설과어휘론이대두되었는데, 어휘론에서자세히논의된여러사항이 - 54 -
형태이론의변천과보충법 사실통사부이후음운부에서도구현될수있다. 아울러파생과합성도분산형태론으로처리될수있다. 이러한점을고려할때, 분산형태론이전체적으로더욱설명력있는이론이라하겠다. 아울러, 그저불규칙적이고예외적인현상으로치부되던보충법이통사형태적구조를밝히는데에지대한기여를하고있음을통해보충법과나아가예외적인현상에대한가치를밝혔다. - 5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참고문헌 김재은 정인기. (2015), 한국어존대체계에대한통합적분산형태론분석, 생성문법연구 25, 631-650. 임홍빈. (1987), 국어부정문의통사와의미, 국어생활 10, 72-99. 정인기. (2015), 분산형태론의문법모형, 신승용외, 언어현상과언어학적분석, 157-230. 역락. Allen, M. (1978). Morphological Investigations. University of Connecticut Ph.D. dissertation. Anderson, S. (1982), Where is morphology?, Linguistic Inquiry 13, 571-612. Anderson, S. (1992). A-morphous morp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Aoyagi, H. (2006), On predicate focus constructions in Korean and Japanese, in S. Kuno et al., eds., Harvard Studies in Korean Linguistics 11, 359-372. Hanshin. Aronoff, M. (1994). Morphology by itself: Stem and Inflection Classes. MIT Press. Aronoff, M. (1976). Word Formation in Generative Grammar. MIT Press. Barrie, M., I. Chung & R. Deer. (2014). Clitics and the left periphery in Cayuga, Studies in Generative Grammar 24, 1-26. Bobaljik, J. D. (2008). Where s phi? Agreement as a post-syntactic operation, in D. Harbour et al., eds., Phi-Theory: Phi Features across Interfaces and Modules, 295-328, Oxford University Press. Bobaljik, J. D. (2012). Universals In Comparative Morphology: Suppletion, Superlatives, and the Structure of Words. MIT Press. Bobaljik, J. D. (2015). Distributed morphology, to appear in A. Spencer, ed., Handbook of Morphology. Wiley-Blackwell. [draft downloadable at http://bobaljik.uconn.edu/papers/] Bobaljik, J. D. & H. Thráinsson. (1998). Two heads aren t always better than one, Syntax 1, 37-71. Bonet, E. (1991), Morphology after Syntax: Pronominal Clitics in Romance. MIT Ph.D. dissertation. Bonet, E. & D. Harbour. (2012), Contextual allomorphy, in J. Trommer, ed., The Morphology and Phonology of Exponence, 195-235. Oxford University Press. Booij, G. & J. Rubach. (1987). Postcyclic versus postlexical rules in lexical phonology, Linguistic Inquiry 18, 1-44. Bresnan, J. (2001). Lexical-Functional Syntax. Blackwell. Calabrese, A. (2002), On impoverishment and fission in the verbal morphology of the Dialect of Livinallongo, in C. Tortora, ed., Studies on Italian Dialects, 3-33. Oxford University Press. Chierchia, G. & S. McConnell-Ginet. (2000). Meaning and Grammar: An Introduction to Semantics, 2nd ed. MIT Press. Cho, S., J.-B. Kim & P. Sells. (2004), Contrastive verb constructions in Korean, 10th Harvard - 56 -
형태이론의변천과보충법 International Symposium on Korean Linguistics, 360-371, Department of Linguistics, Harvard University. Choi, Y. (1999), Negation, its scope and NPI licensing in Korean, in R. Daly and A. Riehled, eds., Proceedings of Eastern States Conference on Linguistics 1999, 25-36. CLC Publications. Chomsky, N. (1965). Aspects of the Theory of Synatx. MIT Press. Chomsky, N. (1970). Remarks on nominalization, in R. Jacobs & P. Rosenbaum, eds., Readings in English Transformational Grammar, 184-221. Ginn & Co. Chomsky, N. (1981). Lectures on Government and Binding: The Pisa Lectures. Foris. Chomsky, N. (1993). A minimalist program for linguistic theory, in K. Hale & S. J. Keyser, eds., The View from Building 20: Essays in Linguistics in Honor of Sylvain Bromberger, 1-52. MIT Press. Chomsky, N. (2000), Minimalist inquiries: The framework, in R. Martin et al., eds., Step by Step: Essays in Minimalist Syntax in Honor of Howard Lasnik, 89-155. MIT Press. Chomsky, N. & M. Halle. (1968). Sound Pattern of English. Harper and Row. Chung, I. (2007). Suppletive negation in Korean and distributed morphology, Lingua 117, 95-148. Chung, I. (2009). Suppletive verbal morphology in Korean and the mechanism of vocabulary insertion, Journal of Linguistics 45, 533-567. Chung, T. (1994), Argument Structure and Serial Verbs in Korean, University of Texas, Austin Ph.D. dissertation. Embick, D. & R. Noyer. (2001). Movement operations after syntax, Linguistic Inquiry 32, 555-595. Embick, D. & R. Noyer. (2006), Distributed morphology and the syntax-morphology interface, in G. Ramchand & C. Reiss, eds., The Oxford Handbook of Linguistic Interfaces, 289-324, Oxford University Press. Fabb, N. (1988). English suffixation is constrained by selectional restrictions, Natural Language & Linguistic Theory 6, 527-539. Fukui, N. & M. Speas. (1986). Specifiers and projection, MIT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8, 128-172. Gazdar, G., E. H. Klein, G. K. Pullum, & I. A. Sag. (1985). Generalized Phrase Structure Grammar. Blackwell and Harvard University Press, Halle, M. (1973). Prolegomena to a theory of word formation, Linguistic Inquiry 4, 3-16. Halle, M. & A. Marantz. (1993). Distributed morphology and the pieces of inflection, in K. Hale & S. J. Keyser, eds., The View from Building 20: Essays in Linguistics in Honour of Sylvain Bromberger, 111-176. MIT Press. - 5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Halle, M. & K. P. Mohanan. (1985). Segmental phonology of Modern English, Linguistic Inquiry 16, 57-116. Harley, H. (2009). Compounding in distributed morphology, in R. Lieber & P. Štekauer, eds., Oxford Handbook of Compounding, 129-144. Oxford University Press. Harley, H. (2011). Affixation and the mirror principle, in R. Folli & C. Ullbricht, eds., Interfaces in Linguistics: New Research Perspectives, 166-186. Oxford University Press. Harley, H. & R. Noyer. (1999), State-of-the-article: Distributed morphology, Glot International 4.4, 3-9. Heim, I. & A. Kratzer (1998). Semantics in Generative Grammar. Blackwell. Hockett, C. (1958). A Course in Modern Linguistics. MacMillan. Kandybowicz, J. (2007), Fusion and PF architecture, in T. Scheffler et al., eds., Penn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Volume 13-1: Proceedings of the 30th Annual Penn Linguistics Colloquium, Department of Linguistics, University of Pennsylvania, 85-98. van de Kerke, S. (1996). Agreement in Quechua: Evidence against distributed morphology, in C. Cremers & M. den Dikken, eds., Linguistics in the Netherlands 1996, 121-131. John Benjamins. Kim, J.-B. (1999). On the prefixhood and scope of short form negation, in S. Kuno et al., eds., Harvard Studies in Korean Linguistics 8, 403-418. Hanshin. Kim, M. & I. Chung, (2017). Locality condition on the cwu- ~ tal- allomorphy of GIVE in Korean, Studies in Generative Grammar 27, 611-630. Kiparsky, P. (1982). From cyclic to lexical phonology, in H. van der Hulst & N. Smith, eds., The Structure of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Part I, 131-175. Foris. Kiparsky, P. (1985). Some consequences of lexical phonology, Phonology Yearbook 2, 83-138. Koopman, H. & D. Sportiche. (1991). The position of subjects, Lingua 85, 211-258. Lapointe, S. (1980), The Theory of Grammatical Agreemen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h.D. dissertation. Lee, J.-S. (1995). A study on predicate clefting, Studies in Generative Grammar 5, 531-584. Marantz, A. (1988), Clitics, morphological merger, and the mapping to phonological structure, in M. Hammond & M. Noonan, eds., Theoretical Morphology, 253-270. Academic Press. Marantz, A. (1997), No escape from syntax: Don t try morphological analysis in the privacy of your own lexicon, in A. Dimitriadis et al., eds., Penn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4-2: Proceedings of the 21st Annual Penn Linguistics Colloquium, 201-225. Department of Linguistics, University of Pennsylvania. Mascaró, J. (1976). Catalan Phonology and the Phonological Cycle. MIT Ph.D. dissertation. - 58 -
형태이론의변천과보충법 Merchant, J. (2015), How much context is enough? Two cases of span-conditioned stem allomorphy, Linguistic Inquiry 46, 273-303. Mohanan, K. P. (1986). The Theory of Lexical Phonology. Reidel. Moskal, B. (2015). Limits on allomorphy: A case study in nominal suppletion, Linguistic Inquiry 46, 376-387. No, Y. (1988), Negative morphemes in Korean: Evidence for a derivational treatment, in E.-J. Baek, ed.,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Korean Linguistics,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Toronto, 556-567. Noyer, R. (1992), Features, Positions and Affixes in Autonomous Morphological Structure, MIT Ph.D. dissertation. Pesetsky, D. (1979). Russian morphology and lexical theory, MIT ms. [http://web.mit.edu/linguistics/www/pesetsky/russmorph.pdf] Pollard, C. & I. A. Sag. (1994).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ullum, G. K. & A. M. Zwicky. (1992). A misconceived approach to morphology, in D. Bates, ed., The Proceedings of the Tenth West Coast Conference on Formal Linguistics, 387-398. Stanford Linguistics Association, Stanford, California. Rubach, J. (1984). Cyclic and Lexical Phonology: The Structure of Polish. Foris. Schütze, C. (1994). Serbo-Croatian second position clitic placement and the phonology-syntax interface, in A. Carnie et al., eds., MIT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Vol. 21: Papers on Phonology and Morphology, 373-473. Department of Linguistics and Philosophy, MIT. di Sciullo, A. M. & E. Williams. (1987), On the Definition of Word. MIT Press. Selkirk, E. O. (1982), The Syntax of Words. MIT Press. Sells, P. (2001). Three aspects of negation in Korean, Journal of Linguistic Studies 6, 1-15. Siegel, D. (1974). Topics in English Morphology. MIT Ph.D. dissertation. Siegel, D. (1978), The adjacency condition and the theory of morphology, Proceedings of the 8th North East Linguistic Conference, 189-196. Spencer, A. (1988), Bracketing paradoxes and the English lexicon, Language 64, 663-682. Williams, E. (1981), On the notions Lexically Related, and Head of a Word, Linguistic Inquiry 12, 245-274. - 59 -
형태이론의변천과보충법 ( 정인기 ) 에대한토론문 이정훈 ( 서강대 ) 이발표는생성문법적시각에서형태이론이변화해온과정을간략히요약하고, 분산형태론적시각이한국어보충법을설명하는데기여할수있음을논의하고있음. 형태이론에대한이론적 / 추상적논의와한국어보충법에대한경험적 / 구체적논의를병행함으로써이론과개별언어현상을유기적으로이해하는데큰도움이될것으로판단함. 몇가지질문을통해이해를보다공고히하고자함. 첫째, 분산형태론은 1990년대초에본격화되었고, 이후여러변화를거쳐옴. 분산형태론의주요변화내용과그에대한경험적동기 ( 언어현상, 자료 ) 중대표적인것한두가지를꼽으면? 특히어떤현상이분산형태론의지속적인전개를촉진했는지? 둘째, 분산형태론의문법모형 (16) 은점검이론 (checking theory) 보다는자질의값을통사부에서결정하는일치이론 (agree theory) 과잘어울리는것은아닌지? 셋째, 한국어보충법과관련하여, 집에안있고, 어디갔었니?, 안있을래요, * 없을래요, 가만히 { 안있어, * 없어 }?!, 선생님은책을읽고 { 있으셨다, 계셨다 }, 잠들어 { 있다, * 없다 } 와같은예는어떻게처리할수있는지? 이와관련하여 (18) 식으로하면, [EXIST] 의유의어 ( 존재하다등 ) 가부정되면전부 없- 이될텐데과연그러한지? ( 장형, 단형부정의차이는논외로함 ) 넷째, 읽으시었다 에서알수있듯이, (22) 에핵이동이적용되면이동하는핵이착륙지에전접됨. 이는 (23) 에서도나타남. 그런데 (23) 에서보듯이 Neg로의핵이동은전접이아니라후접임. 물론이렇게보아야 안읽으시었다 와같은어순이나타남. 그러면왜 Neg로의핵이동은후접인지? 다섯째, (27) 은통사구조의위계가 VP > vp[cause] > NegP 임을의미함. 그런데 없다 의사동사 없애다 는 VP > NegP > vp[cause] 를보임. 서로다른통사구조가나타나는듯한데어떻게조화를이룰수있을지? 여섯째, (28) 아래에서 구조적인접성 을강조함. 그런데 (38가) 의성분지휘조건은 구조적인접성, 특히 인접성 을위반함. 어떻게이해하면될지? 일곱째, (32) 아래에서반복이단일구성성분을단위로한다고함. 그러면 철수는영이가왔다고말하기는왔다고말했다 와같은예는? 여덟째, (35) 에서 하- 는대용어로보기어려움. 이는 A는 B를보았다. *C는 D를했다 와같은예에서 하- 가 보- 를대용할수없는것을통해알수있음. 이에일반적으로문제의 하- 는대용어가아니라지지동사 (support verb) 로간주하며, 지지동사이므로 안 과어울리지못하는것으로봄. 아홉째, (40) 에따르면 음운자질부여 > 융합 과같은일종의규칙순을상정하게됨. 그런데전통적으로규칙순은어려운문제를야기하는것으로파악되어옴. 규칙순에대한입장은? 발표내용을보다충실히이해하기위해잡다하게질문함. 이해가미진하거나논지를곡해한부분이있으면해량하시기바람. 끝. - 61 -
통사이론의변천과실험연구방법론 01- 기획 3 ( 마지막에삭제됩니다 ) 통사이론의변천과실험연구방법론 고희정 ( 서울대 ) 1. 들어가며 본발표에서는현대통사이론의변천양상에대해서살펴보고최근에주목받고있는실험통사론연구에대해서소개하고자한다. 먼저현대통사이론의대표모델인생성문법이론의철학적배경에대해서언급하고자한다. 특히, 경험주의전통과합리주의적전통사이에서생성문법이론이어떤철학적배경을가지고탄생하고있는지이해함으로써, 생성문법이론의연구목표와연구방법론이어떻게최소주의모델로계승발전되게되었는지논의할것이다. 다음으로, 1995년발표된 Noam Chomsky 교수의이론서, Minimalist Program( 최소주의 ) 의주요내용에대해서살펴보도록한다. 1980년대의대표적통사이론인지배-결속이론 (Government and Binding Theory; GB 이론 ) 에서 1990년대의최소주의모델로의변화는언어연구방법론의획기적인변화를수반한다 (Chomsky 1981, 1986, 1995, Hornstein et al. 2005). 초기최소주의모델인 Chomsky (1995) 의주요가정을이해하여야, 이후수정보완된여러통사이론들의연구배경을이해할수있다. 최소주의초기모델의주요개념을살펴본후, 2000년대초반에제안되어현재까지발전하고있는통사적주기성 (Cyclicity) 과일치 (Agree) 에대해서논의하도록한다. 특히, 통사부의기본단위인국면 (phase) 과통사-형태부의접면현상의설명에기여하는일치 (Agree) 와탐침 (probe) 의원리에대해서살펴본다. 또한, Chomsky (2013, 2015) 의제안이후활발히논의되고있는투사 (projection), 병합 (Merge), 표찰달기 (Labeling) 의방법과그이론적함의에대해서도논의할것이다. 마지막으로, 생성문법이론의발전전망과관련연구주제들을간단히소개하고, 생성문법이론의발전에실험통사론이기여하는바에대해서살펴보도록하겠다. 2. 생성문법이론의철학적배경 언어학이란무엇인가? 이질문에대답하려는노력이생성문법이론의철학적배경을이해하기위한첫걸음이라할수있다. 언어에는다양한측면이존재한다. 언어는인간을규정하는가장기본적인속성중의하나이며, 언어를제외하고는인간을이해할수없다. 인간은언어를통해서사고하며, 언어를통해서의사소통을한다. 또한, 인간의언어는사회, 역사, 문화, 교육과상호작용하며끊임없이영향을주고받는다. 언어학이인간언어를연구하는학문이라고한다면, 언어의어떤측면을핵심으로삼는가에따라서언어학의세부연구주제와연구방향도달라질것이다. - 6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언어학이무엇인가라는질문에대해 Noam Chomsky 교수는그의저서 Language and Mind (Chomsky 1968/2006:88) 에서다음과같이답한다. When we study human language, we are approaching what some might call the human essence, the distinctive qualities of mind that are, so far as we know, unique to man and that are inseparable from any critical phase of human existence, personal or social. 언어를공부한다는것은인간의정수, 즉, 인간에게만유일하게존재하는정신적특질을이해한다는것이다. 인용문에서도명확히드러나듯이 Chomsky 교수는언어를인간만이소유하는정신활동의산물로규정하고있다. 언어에대한이러한이해는보편문법 (Universal Grammar), 원리와매개변수이론 (Principles and Parameter Theory), 그리고최소주의 (Minimalism) 에이르기까지생성문법이론의발전에가장핵심적인철학적배경을제공한다. 언어학사의큰흐름에서보자면, 언어를연구하는접근방법으로크게두가지의철학적전통이존재한다. 하나는경험주의적접근법이고, 다른하나는합리주의적접근법이다. 경험주의적접근법에서는인간언어를경험할수있는대상으로규정하고, 역사문헌, 문학작품, 서적, 신문, 잡지, 녹음자료등이미존재하는언어자료를연구대상으로삼는다. 언어학이독립된학문으로인식되기시작한 19세기언어학연구, 특히역사비교언어학연구는이러한경험주의적철학관을바탕으로이루어졌다. 경험주의적언어연구는최근빅데이터, 말뭉치등을활용한통계기반양적연구의발달로다시금많은주목을받고있다. 한편, 합리주의적접근법에서는언어를경험할수있는대상에국한하지않고, 인간의언어능력, 언어지식체계와동일시한다. 인간의마음에내재하는언어능력전체를연구의대상으로삼는것이다. 따라서이미발화된언어자료는물론이려니와인간이잠재적으로발화할수있는무한대의언어산출물과이에관련된언어직관이모두연구의대상이된다. 보다근본적으로는, 언어능력의구성, 운용, 생성원리가연구의대상이된다. 이러한이성주의적접근법은 20세기구조주의언어학의퇴장이후생성문법이론의기초가되었고, 또한현재까지현대언어학의주류를형성하고있다고할수있다. 합리주의전통에기반한생성문법이론에서는언어연구의대상을인간의언어지식체계로규정하고, 언어학연구에자연과학적방법론을적극적으로수용한다. 또한, 겉으로드러나는언어수행 (linguistic performance) 과겉으로발화되지않았으나인간에게잠재하는언어능력 (linguistic competence) 를구분하고, 후자를연구의대상으로삼는다. 언어능력 (linguistic competence) 은개개인이무의식적으로가지는생득적, 내재적지식이며, 완벽한연역적원리와규칙으로이루어진체계라고할수있다. 또한, 언어능력은인간의뇌활동의산물이므로인간이라면그의경험적배경과무관하게누구나가지고있는생물학적특권이다. 따라서, 합리주의전통에따른언어이론에서인간의언어능력을연구한다는것은언어와관련된뇌활동을연구한다는것과다르지않다. 이러한학문적배경에서이론언어학은생물언어학 ( 생물학적기관으로서의언어 - 64 -
통사이론의변천과실험연구방법론 학 ) 과그목표를같이한다고할수있다. 반면, 언어수행 (linguistic performance) 은실제상황에서언어능력이실현되는외재적방식이며, 언어외적요소의영향을받아변이, 왜곡, 예외등이빈번히일어난다. 따라서합리주의전통을따르는언어학에서는언어수행이인간의언어지식체계를온전히반영하지못한다고보고, 언어수행보다는언어능력을그연구의대상으로삼는다. 합리주의전통에서보편문법 (Universal Grammar) 은모든인간이공유하는언어지식체계를말한다. 보편문법의이해를돕기위해, Mark Baker 와같은학자는그의저서 Atom of Language 에서언어학을화학에비유하여설명한다 (Baker 2003). 화학에서 100여개의기본원소들과몇가지체계적인조합원칙을가지고세상에존재하는모든물질의특성을설명할수있듯이, 보편문법에기반한언어학연구에도몇가지기본원리들 (principles) 과매개변수 (parameters) 의체계적조합을이용하여모든인간언어의특질을설명하고자한다. 보편문법에서기본원리들 (principles) 은언어에공통적으로적용되는원리이고, 매개변수 (parameters) 는언어간의차이점을체계적으로설명하는요인이다. 원리와매개변수이론 (Principles and Parameter Theory: P&P Theory) 은지난 30여년간생성문법체계의기초를이루며, 언어유형론, 언어습득, 언어변화연구의주요한이론적틀을제공하였다. 3. 최소주의 (Minimalist Program: MP) 3.1. 최소주의 vs. 지배-결속이론 Chomsky 교수가 1995년발표한최소주의통사론은이전에존재했던생성문법모델들과많은차별성을가진다. 먼저, 최소주의 (Minimalism) 라는개념부터이해하도록하자. 아래의인용문에서도확인할수있듯이최소주의는인간의보편문법을연구하기위한연구방법론이다. 따라서다양한형태의이론모델로구현될수있으며, 통사이론뿐만아니라언어지식을탐구하는언어학의모든세부분야에서활용할수있는연구방법론으로이해하여야한다. The Minimalist Program is the concrete application of such criteria to the analysis of UG... If so, there will be no unique minimalist approach; rather, we will have a family of minimalist programs, each animated by similar general concerns but developing accounts that respond to different specific criteria of evaluation or to different weightings of the criteria. (Hornstein, Nunes, Grohmann 2005: 6) The term, MP has been misunderstood. The program is simply a continuation of the efforts from the origins of the generative enterprise to reduce the postulated richness of UG, to discover its actual nature (see Freidin and Vergnaud, 2001). Research programs are useful or not, but they are not true or false. (Chomsky 2013: 38) - 6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최소주의이론이이전의통사이론과차별되는점은언어를설명하기위한통사모델자체를평가할메타이론을가지고있다는것이다. 즉, 최소주의를따르는언어이론은관찰한언어자료를설명하는기술적타당성 (descriptive adequacy) 과관찰한언어자료를뛰어넘는예측력을가지는설명적타당성 (explanatory adequacy) 을만족해야할뿐만아니라, 최소한의제한된원칙만을가지고언어를설명하는최소성을원칙을지켜야한다는것이다. 이를강력최소주의 (Strong Minimalist Thesis) 라고부른다. 80년대의대표생성문법모델인 GB이론도기술적타당성과설명적타당성을가지고여러언어의공통점과차이점을체계적으로포착하였다 (Chomsky 1981, 1986). 그러나, 제안된 GB이론자체가올바른이론인지를판가름할메타이론은존재하지않았다. GB이론에서는하부모듈로격이론, 결속이론, 통제이론, 지배이론, 이동이론, 의미역이론, X-bar 이론등다양한모듈을설정하였으나, 이들모듈의기능이중복되는문제가발생하였고, 새로운모듈을설정하거나기존의모듈을수정하고자할때그러한시도가이론적으로올바른지에대한판단기준이존재하지않았던것이다 ( 김선웅 2010). 최소주의원칙을따르는통사론에서는언어현상을설명하기위해서연구자가임의로이론적원칙을설정할수없다. 보편문법은완벽하고간결한지식체계라는가정하에, 경제성, 최소성의원칙에따라언어를설명한다. 언어는소리와의미의조합으로이루어진다는최소한의가정만을허용하며, 통사적현상을설명하기위해서임의의레벨을설정하거나새로운표상을설정하거나, 중간단계 (bar-level) 나나무구조와같은통사구조물을설정하고이에대한제약을두는등의이론을전개할수없다. 따라서, 최소주의하에서는소리부 (PF) 와의미부 (LF) 를제외한다른통사층위들 ( 예. 심층구조 (Deep Structure), 표층구조 (Surface Structure)) 을설정할수없다. 또한, 통사현상을설명하기위해서흔적 (trace) 이나이들의분포에대한제약 ( 예. Empty Category Principle: ECP), 통사적거리를구하기위한 지배 (government) 와같은개념을설정하고, 이를활용하여언어현상을설명하는것도최소성의원칙을어기는것으로불가하다. 이러한최소주의통사론의시도는이론적으로는완성도가있었지만, 초기에는여러가지경험적난제에부딪혀야만했다. 연구자입장에서는 GB이론에서여러모듈을사용하여이룬경험적이론적성과를모두버리고, 최소주의원칙에따라서해당현상을재해석하여야했으며, 또한 GB이론의경험적성과를뛰어넘는새로운자료와연구성과를산출하여야했던것이다 (Hornstein et al. 2005). 그러나, 지난 20여년동안 MP 이론은경험적으로도이론적으로비약적으로발전하여, GB이론의성과를뛰어넘는언어분석방법론으로확실히자리매김하였다. 이하에서는 MP이론의주요가정과경험적근거에대해서살펴보도록하겠다. 3.2 최소주의통사론의주요가정 (Chomsky 1995) 최소주의는 1995년제안된이후새로운언어자료의관찰및철학적성찰을통해서계속해서수정보완되어왔다. 그러나, 1995년제안된 MP 모델은그이후제안된생성통사론의기초가되므로, 1995년모델에대한이해는현재의통사이론을이해하는데필수적이다. 지면제약상 1995년모델을모두소개할수는없으나, 본발표에서는이론전개에기본이되는개념인, 문법설계 (Architecture of - 66 -
통사이론의변천과실험연구방법론 the grammar), 어휘부 (lexicon), 구구조 (phrase structure), 이동과경제성 (movement and economy), 자질 (feature) 과점검 (checking) 등의개념에대해서살펴보도록한다. GB이론에서는소리부와의미부외에통사원리를구현하는심층구조와표층구조를두었다. 심층구조 (DS) 에서의미역, 구구조, 결속현상을다루는모듈을관장하였고, 표층구조 (SS) 에서는격, 결속, EPP ( 확대투사원리 ), 하위인접조건 (subjacency), 이동 (movement) 등의통사원리를적용하였다. 그러나, 최소주의통사론에서는언어의본질인소리 ( 표현형 ) 와의미의해석을다루는 PF와 LF외의다른임의의층위를설정하지않는다. (1) 에서표현된것같이어휘부에서문장에사용될어휘소를골라참고집합 (reference set) 을구성하고이후통사적원리를적용하여 PF와 LF로보내서해석을하는문법설계를가지고있다. (1) 문법설계 (Architecture of the Grammar) 소리와의미가하나의어휘소의자질로함께존재하다가소리부와의미부로나누어지는작용을음성화 (Spell-out) 라고한다. 음성화이전에일어나는통사부의운용은소리와의미에모두영향을미치는가시적통사론 (overt syntax) 이고, 음성화후에일어나는통사적운용은소리혹은의미한가지영역에만영향을미친다. 특히의미에영향을미치고음성적실현이되지않는운용을비가시적통사론 (covert syntax) 이라한다. MP에서는가시적통사론과비가시적통사론을모두연구의영역으로삼는다. 따라서단어, 보다정확히는어휘자질의통사적조합과이동, 일치및통사적운용에의한의미변화까지모두최소주의통사론의연구대상이다. 분산형태론 (Distributed Morphology) 에서는통사-형태 -음운부의접면 (interface) 영역또한최소주의통사론의연구대상으로삼는다 (Halle and Marantz 1993). 어휘부에는어휘소의통사적자질들뿐만아니라어휘소의소리, 의미와관련된고유한자질들이모두수록되어있다. 예를들어 book 이라는단어는, 어휘부에그소리 ([bʊk]) 와의미 ([[book]]), 범주정보인명사성 (N), 그리고명사성에서기인하는격 (Case) 과일치 (φ-features) 자질들이수록되어있다. - 6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어휘부에는단어의고유한속성만이수록되어있으며, 보편문법이나개별언어의일반적인규칙에의해서예상되는일반적인원리들은중복하여수록하지않는다고가정한다. 어휘소를결합하여통사구조를만드는이론이구구조이론 (Phrase Structure Theory) 이다. 대표적인이론에는변형생성문법 (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초기에가정하였던 Phrase Structure Grammar (PSG) 와 GB이론에서적극적으로반영하여발전시킨중핵이론 (X-bar Theory) 이있다 (Chomsky 1957, 1965, 1981, 1986). MP에서가장눈에띄는부분은, 최소성의원칙에따라 X-bar 와같은중간층위의존재를인정하지않고, 트리구조 ( 가지, 절점등 ) 또한언어의근본구성소로보지않는다. 최대투사범주 (XP) 나핵 (X) 와같은개념도따로정의하지않고구조상위치에서도출되는개념으로보았다. 더이상투사하지않는요소를 XPmax, 어딘가에서투사되지않은요소를 Xmin 으로분류한다. 따라서, 어떤요소가 Xmin 이면서동시에 XPmax 로해석될수있는여지도열어두었다 (Chomsky 1995). X' 와같은중간요소는 Xmin 와 XPmax 중간단계로표상될수있겠지만, 언어의근본구성소는아니므로소리부나의미부에서의미있는운용을받지못한다. MP에서는어휘소와어휘소를결합하는것이통사부의가장핵심적이고기본적인운용이라고보고병합 (Merge) 이라는운용을통해서구구조의형성원리를설명한다. (2) 에서와같이병합의결과물은병합된두요소와투사하는표찰 (label) 로되어있다. 표찰달기에대해서는이후 Chomsky (2013, 2015) 에서자세히다루게된다 (Hornstein and Nunes 2008, Hornstein 2009도참고 ). MP 초기단계에는병합된두요소중하나가표찰이된다고보았고, 특히이동이있을경우에는착점의핵이투사된다고보았다. 병합되는두요소의언어적특성을반영한자질이표찰로표현되면서, (3) 과같이모든절점이어휘자질과어휘자질로부터투사된요소로만이루어진다. 통사구조물을설명하는데어휘자질이외의어떤자질도새로이설정하지않는다는최소성의원칙을적용한것으로이를필수구구조이론 (Bare Phrase Structure Theory) 이라고부른다. (2) Merge α and β => K = {γ, {α, β}} (3) the the boy => {the {the, boy}} MP에서는이동 (movement) 과병합 (merge) 을통합하여설명한다. 외부에서새로운어휘소를가져와서결합하는운용은외부병합 (External Merge: EM) 으로, 이미통사부에서운용되고있는두요소를결합하는운용은내부병합 (Internal Merge: IM) 으로구분한다. EM은새로운구구조를생성하는기본운용이고, IM은하나의어휘소가두번통사구조에출현하는이동을일으키는운용이다. (5) 에표현되었듯이이동하기전과이동한후에동일한요소가통사구조에남게된다. 이렇게이동후와이동전에어휘자질만으로이동의경로를표현하고해석하여최소성의원칙을지키는이론을이동복사이론 (Copy Theory of Movement) 이라한다. 복사이론에따르면, (6) 과같은문장에서의문사 what 이문장에두 - 68 -
통사이론의변천과실험연구방법론 번출현하여상위의 what 은운용자로하위의 what 은의미역을받는목적어로해석되는결과를가진다. 영어의발음규칙에의해서상위의 what 만이발음되는것으로해석한다. MP에서는통사구조에이동의흔적 (trace) 과같은새로운요소가도입되지않는다. (4) External Merge C A B (5) Internal Merge (=MOVE) D B C A <B> (6) What do you like <what>? 이동복사이론은최소성을원칙을지키며재구효과 (reconstruction effects) 를설명하는경험적의의를지닌다. 아래 (7a) 의예문에서 his는의문사와함께이동하여 every 의성분통어 (c-command) 를받을수없는위치에있다. 그러나, 의미상 his는양화사 every 의성분통어를받아야 every 의변수로해석된다. 이동복사이론에서는이와같이이동을겪은요소가소리나는위치가아닌이동전의지점에서의미해석되는이유를간결히설명할수있다. (7b) 와같이내부병합이후상위의병합위치에서는운용자만남기고, 하위의병합위치에서는나머지구를해석하면 his가 every 로부터성분통어되며변수로해석되는재구효과를설명할수있다. 주목할점은, (8) 과같이 his가이동의경로에서 every 로부터성분통어를받을수없다면, (7a) 와같은변인해석은나오지않는다. (7a) 와 (8) 의 his의해석상의차이는이동이복사의일종이며또한또다른형태의 Merge 라는주장에경험적타당성을부여한다. (7) a. [which of his pictures] did they persuade the museum that [[every painter] likes best]? b. [which of his pictures] did they persuade the museum that [[every painter] likes <which of his pictures> best? (Chomsky 2013) - 6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8) [which of his pictures] persuaded the museum that [[every painter] likes flowers]? 다음으로 MP의또하나의핵심개념인자질 (feature) 에대해서생각하여보자. 자질에대한논의는최소주의통사론의기본단위에대한논의이라고보면된다. 생성문법이전에는통사론의기본단위가단어로인식되어왔다. 그러나, 통사부에는단어로표현되지않는형태소단위의기본단위가존재하고 ( 예. T, C), 더자세히보면형태소보다작은단위의요소, 즉자질들도통사부운용에참여한다 ( 예. 격, 일치등 ). MP에서는통사부의운용단위를어휘자질로보고, 통사론에서사용되는자질들의종류와기능, 이들의해석에대한이론을전개한다. 이논의가후에점검이론, 일치이론등으로발전하게된다. 대표적인통사자질은 (9) 와같이요약할수있다. 범주자질은해당어휘소의병합과분포를담당하는자질이다. 일치자질은성, 수, 격과같은형태적일치를일으키는자질이고, 일치의과정에서해당어휘소의재배치 (displacement) 를일으키기도한다. 격자질은통사적분포에의해서명사구에발현되는형태적자질이고, 크게는구조격, 어휘격, 내재격등으로나뉜다 (Woolford 2006). 마지막으로힘자질은해당자질이이동을통해서점검되어야하는지그자리에있다가 LF에서점검되어야하는지를알리는자질이다. 힘자질은다른자질의하위자질로인식되다가, 이후 EPP자질 (generalized EPP) 로통합, 설명되었다 (Chomsky 2000, 2001). (9) a. 범주자질 categorial features (e.g. N, V, n, v, T, D, C) b. 일치자질 φ-features (e.g. person, number, gender) c. 격자질 Case features (structural, lexical, inherent) d. 힘자질 strong F, where F is categorial (=> EPP) 통사자질들은 PF나 LF에서해석가능한지아닌지에따라서해석가능자질 (interpretable feature: if) 과해석불가자질 (uninterpretable feature: uf) 로나뉜다. 예를들어, 일치자질은명사에부여될경우명사고유의속성으로해석가능하지만, 동사구나시제소에부여될경우해석불가능한자질로점검, 삭제되어야한다. MP에서완전해석 (Full Interpretation) 의원칙을따라모든어휘자질이해석가능한상태로점검되어소리부와의미부로보내져야한다고본다. 따라서어휘부에서들어온해석불가자질들을점검-삭제하여해석가능한어휘소로만드는것이통사부의주요역할이다. MP에서는 uf 자질을점검하기위해서어휘소가해당자질을점검할수있는영역으로병합한결과가이동이라고해석한다. 일치현상도 uf 자질을부합하는 if 자질과일치시켜형태적변화가일어난것으로해석한다. 1995년모델에서는이동의착점이해석불가자질 uf를가지고있다고본다. MP에서는자질점검이일어나는환경과원리에대해서도자세히밝히고있다. 그핵심은아래요약된유인 (Attract F) 이라고할수있다. Attract F에따르면이동의대상은자질점검이가능한자질 F 이고, 자질이이동할때해당자질을가지고있는또다른어휘소가있으면이동이불가하다고규정하고있다. 이는이동이철저히최소성, 경제성의원칙에따라운용되며, 동인이불분명한이동은일어나 - 70 -
통사이론의변천과실험연구방법론 지않는다것을함의한다 (Last Resort). Attract F에따르면, 언어에서 (11) 와같은초인상 (super-raising) 이일어나지않는다는것을잘설명할수있다. 하위절의목적어인 John이주절의주어자리로격을받기위해서이동할때, 중간에 it이라는격자질을가진다른요소가존재하므로 John 이 it을넘어서이동할수없다는것이다. 이는기존의상대적최소성 (Relativized Minimality; Rizzi 1990) 의개념이이동의정의에포함된결과라고할수있다. (10) Attract F K attracts α only if there is no β, β closer to K than α, such that K attracts β (11) *John seems that it was told <John> that Mary is beautiful. 4. 일치 (Agree) 와주기성 (Cyclicity) Minimalist Program (Chomsky 1995) 의발표이후, 가장주목할이론적변화는 일치 와 주기성 이라는단어로요약할수있다. 1995년초기 MP 모델에서는문장전체를통사부의기본운용단위로보았으나 Derivation by Phase (Chomsky 2001: DbP) 와 On Phases (Chomsky 2008) 에서는문장이아니라보다국면 (phase) 을통사부의운용단위로보아야한다고주장한다. 국면을중심으로통사부의운용이주기적 (Cyclicity) 으로적용된다. 또한, 점검 (checking) 이아니라탐침 (Probe) 에의해일치가일어난다고주장하고, 이동과일치를분리하여설명해야할근거를제시한다. 먼저일치 (Agree) 이론에대해서살펴보자. 1995년점검이론 (Checking Theory) 에서는어휘소가형태적자질까지모두가진상태로통사부에도입된다고주장하였다. 그러나, 일치이론에서는어휘소가일치를통해서그형태적자질을획득하게된다고주장한다. 일치 (Agree) 는통사적으로는해석불가자질을없애는기능을하고, 형태론적으로는어휘자질의값 (value) 을부여하는것으로이해한다. 이후 Multiple Agree (Hiraiwa 2001), Cyclic Agree (Béjar and Rezac 2009) 등의다양한일치이론으로발전하게되었다. 일치의조건은아래 (12) 에요약한것과같다. (12) Agree a. Minimal Search: A target P [probe] agrees with a related K [goal] under c-command, and if necessary, K is moved to a position determined by P [Spec of P]. b. Acitivity Condition: Uninterpretable features of P and K render their relevant subparts active, so that matching leads to agreement. c. Locality conditions yield an intervention effect if probe P matches inactive K that is closer to P than matching M, barring Agree (P, M), properties that may be nuanced. 일치이론에따라서부정사주어인상구문을분석하면다음과같다. (13) 에서 Susan 은점검받아야 - 7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할격과일치자질을가지고 sleepy 의주어로생성된다. 부정사시제소 T 또한 φ-자질을가지고있어 T와 Susan 사이에서일치가일어나고 Susan 은부정사구의주어자리로이동한다. 그러나, 부정사구의 T는완벽한시제소가아닌 defective T 로서 Susan 의격을점검하지못한다. 이후상위시제소 T가 Susan 과일치하여 φ-자질을점검하고 Susan 은 φ-자질일치의결과로격을점검받아, 해석가능한상태로소리부와의미부로전달된다. 주목할점은, DbP에서는격자질을점검할별도의핵을설정하지않고, 명사구와시제소사이에서 φ-자질일치가일어나면그결과로격자질이삭제된다는가정을한다. GB이론에서격과일치를분리하여설명했던것과매우다른가설이다. (13) [Susan Tcompl seems [ <Susan> Tdef to be <Susan> sleepy ]] 다음으로국면 (phase) 에대해서살펴보자. 통사부에서어휘소를조합할때얼만큼의어휘소를가지고운용을할까? 이에대해서 DbP 모델에서는국면이라는단위를설정한다. Chomsky 교수가 DbP에서제안한국면은 propositional phrase이다. 통사적으로는논항구조가완성된동사구 (v*p) 와문장의종류를결정하는 C (force) 가완성된 CP가국면의기초단위이다. Chomsky 교수는 TP나외부논항이없는수동태, 비대격동사구 (vp) 는국면이되지못한다고주장한다. 이후 2008년 On Phases 논문에서는명사구 (DP) 가국면이될가능성도있다고제안한다. 어떤구가국면으로인정받기위해서는국면으로서행동하는의미적, 음성적증거가있어야하는데 DbP에서는 v*p와 CP가재구 (reconstruction) 의착점이되고음성적으로도이동의단위가되어국면으로적합하고, 의미적으로독립된단위라고주장한다. 국면과주기성이결합하여탄생한제약이국면불가침조건 (Phase Impenetrability Condition: PIC) 이다. PIC는이미운용이끝난국면을다시운용에참여시켜계산의부담을지우는것을막는역할을한다. 통사부의계산이최소성의원칙을지키도록하는역할이다. PIC에따르면국면인 v*p와 CP는모든어휘소가결합되고일치를이루게되면, 그것의보충어 (complement) 를음성화 (Spell-out) 한다. 음성화이후에는해당영역에일치나이동등의통사적운용을일으킬수없다. 국면의보충어 (complement) 내부에있는요소가통사운용을받기위해서는음성화되기전에국면경계 (edges) 로이동하여야한다. (14) 국면불가침조건 (Phase Impenetrability Condition) [ ZP... [ HP α [ H YP]]] For strong phase HP with a head H, the domain of H is not accessible to operations outside HP; only H and its edges are accessible to such operations - the edges being the residue outside of H', either specifiers or elements adjoined to HP. - 72 -
통사이론의변천과실험연구방법론 국면이론에따르면의문사의이동이한꺼번에일어나지않고각국면의경계를거쳐연속주기이동 (successive cyclic movement) 을하는이유를설명할수있다. 연속주기이동을하지않으면의문사구는국면의보충어 (complement) 영역에갇혀서통사적운용을받을수없고, 따라서비해석자질들이점검되지않아문장이비문이된다. (15) 에서와같이의문사자질을점검받고운용자로서해석되기위해서는각국면에서경계면으로연속이동하는것이필수적이다. (15) What do you [ v*p <what> think [ CP <what> that John [ v*p <what> bought <what>]]]? 5. 병합 (Merge) 과표찰달기 (Labeling) 이론적변천에대한마지막논의로, 병합과표찰달기에대해서알아보자. 두주제는 Chomsky (2013) 과 Chomsky (2015) 에제안발표되어최근에활발히논의되고있다. Chomsky (2013) 논문의제목인 Problems of Projections 의이름을줄여 POP 모델이라고도불린다. 이하에서도편의상 POP 모델로줄여부르기로한다. POP 모델의가장큰특징은필수구구조이론 (Bare Phrase Structure Theory) 을발전시켜구구조의형성과표찰에대한체계적인이론을수립하였다는것이다. Chomsky 교수는인간언어의주요특징을아래의 4가지로정리하고, 이중에서조합성과재배치는병합 (Merge) 으로설명하고, 순서 (order) 는통사이론밖의음운부의영역으로이해한다 ( 음성화와선형화에대해서는 Fox and Pesetsky 2005, Ko 2014 참조 ). 마지막으로투사 (projection) 의문제는 labeling( 표찰달기 ) 의문제로이해하고이에대한이론적설명을시도한다. (16) 핵심통사운용 (Chomsky 2013) a. 조합성 (compositionality) b. 순서 (order) c. 투사 (projection) d. 재배치 (displacement) 먼저, 조합성과재배치를일으키는병합 (Merge) 에대한 POP모델의이해는다음과같다. MP 초기모델과마찬가지로외부병합 (External Merge) 과내부병합 (Internal Merge) 모두 Merge 에의한것으로이해한다. POP 모델에서보다명확히한것은외부병합과내부병합모두통사부의계산에전혀부담을주지않는운용이라는것이다. MP 초기모델에서는외부병합과내부병합이같은 Merge 라하더라도, 내부병합은복사 (Copy) 와병합 (Merge) 을동반하고자질점검에의해서유발되는복잡한운용으로이해하였다. 그러나, POP 모델에서는내부병합에어떠한비용 (cost) 도부여하지않으며따라서인간언어에서이동은자유롭게일어날수있는현상으로재해석되었다. 재배치를인간언어의불완전성으로규정하였던 DbP 모델과도상반된해석이며, 아이러니하게도 GB 모델에서주장하였던 Move α와같이이동자체를제약하지않는모델로회귀한것이다. - 7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구구조에대해서도 POP 모델은필수구구조이론 (Bare Phrase Structure Theory) 을보다철저히따른다. 지정어 (Specifier) 라는개념을따로설정하지않으며, 핵이투사된다는개념, 내심성 (endocentricity) 도강제하지않는다. 따라서경우에따라서는외심적인구조 (exocentric structure) 도허용할수있다고주장한다. 그대표적인예가 TP의구조이다. 기존의중핵이론 (X-bar theory) 에서는주어가 SpecTP 로이동한이후, T가투사하여 TP를형성하는것으로이해하였다 ((18) 참조 ). 그러나, POP 모델에서는 TP와주어가결합한후두구가동등한관계를이루며, T가투사되는것이아니라두구 (TP와 NP) 의일치자질이투사되는것으로이해한다 ((19) 참조 ). Chomsky (2013) 에서적시하였듯이, 핵이직접투사되지않는구조도자질일치가있다면존재가능하다. 이와같은병합을 Simpler Merge라고명명하고있다. (17) PSG S (18) X-bar Theory TP (19) POP α <φ,φ> NP T' NP TP NP T VP T VP T VP 만약, 내심성을지키지않는 Simpler Merge 가가능하다면통사구조물을만들때마다두요소가합쳐진결과물을무엇이라부를것이며, 그구조물의특성을어떻게이해할수있을것인가? 이질문에대한대답이표찰달기 (labeling) 이론이다. POP 모델에서는통사적구조물이접면부에서이해될수있는물체로이해되기위해서는표찰달기알고리즘 (Labeling Algorithm: LA) 이존재하여야한다고주장하고, LA는국면단위에서이루어진다고가정한다. LA의대원칙은최소성 (Minimal Search) 의준수이다. 따라서, 표찰을결정할때, 최소탐색 (Minimal Search) 의원칙을적용하여가장가까운핵이표찰이되도록한다. 즉, (20) 에서와같이핵 H와구 XP가병합되면가장가까운핵인 H가병합된구조물의표찰로투사된다. (20) Suppose SO = {H, XP}, H a head and XP not a head. Then LA will select H as the label, and the usual procedures of interpretation at the interfaces can proceed. H H XP 만약, 구와구가결합한다면어떻게표찰을결정할것인가? POP 모델에서는이런경우어떤핵도표찰에서가깝다고할수없고따라서 LA를적용하기위해서는이동혹은일치가일어날수밖에없다고주장한다. 먼저이동으로 LA의문제를해결하는경우는다음과같다. (21a) 와같이소절의주어 - 74 -
통사이론의변천과실험연구방법론 John과서술어 my best friend 가결합하는경우두요소모두명사구이다. 따라서두요소가결합한소절은그표찰을단순결합만으로결정할수없다. 이경우소절의주어가이동하면, 소절에는서술어명사구만남게되고따라서서술어의핵인 D가소절의표찰로결정된다. 보다일반화하면, (22) 와같이정리할수있다. (22) 에정리된일반화는 Moro (1997, 2000) 의 dynamic anti-symmetry 를소절에적용하고, 이를표찰달기이론으로확대한것으로이해할수있다. (21) a. John is my best friend. b. is [?? [ DP1 John] [ DP2 my best friend]] c. [ TP [ DP1 John] is [ DP2 < DP1 John> [ DP2 my best friend]] (Citko et al. 2018에서재인용 ) (22) In { β XP, YP}, the lower XP copy is invisible to LA, since it is part of a discontinuous element, so therefore β will receive the label of YP. POP 모델에서는동사구내부에병합된주어가 TP로이동하는것또한표찰달기를위한과정으로이해한다. 주어 (external argument) 가동사구지정어자리에남아있으면동사구의표찰을결정할수없지만, 주어가 TP로이동함으로인해서동사구의지정어자리가비워지면동사구의표찰을 v로결정할수있게된다. 기존에 EPP를활용하여자질점검의일종으로보던주어인상현상을표찰달기의관점에서새롭게재해석한것이다. 또한, 장거리의문사이동의연속주기이동도표찰달기의결과라고이해할수있다. (23a) 와같이의문사구 in which Texas city가주절까지이동하지않고삽입절의 CP로이동하여이동을멈추면비문이된다. POP 모델에서는 (23a) 가비문인이유가삽입절의표찰을결정할수없기때문이라고주장한다. 즉, 의문사구 PP와 CP의병합으로삽입절의표찰을결정할수없으므로, (23b) 와같이의문사구가상위절로이동하여삽입절 CP의표찰을 C로결정하여야적법한문장으로판단된다는것이다. 한편, (23b) 에서주절의 C와의문사구 PP 사이에는의문자질일치가일어나표찰이결정되므로문제가되지않는다. (23) a. *they thought [[ PP in which Texas city] [ CP C [JFK was assassinated]]]? b. [ PP In which Texas city] did they think [ CP C [JFK was assassinated]]? 다음으로, 일치 (Agree) 를통해서표찰을결정하는경우를알아보자. 이미 (19) 에서주어와시제구의일치를통해서표찰을결정하는경우를살펴보았다. 주어의일치자질과시제구의일치자질이서로공유되며 (24) 와같이통사구의표찰이결정된다. POP에서는등위접속구의표찰달기도일치의결과로보고있다. - 7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24) 주어와시제소의일치에의한표찰달기 (Saito 2016) Chomsky (2013, 2015) 에서는표찰달기의경험적결과에대해서상술하고있는데, 본발표에서는크게두가지의결과에대해서주목하도록한다. 첫째는, Rizzi (2006, 2015) 에서주장한 Criterial Freezing 과표찰달기의관계에대한것이다. 아래 (25) 의경우, wonder 의삽입절에의문사구가있을경우의문사구는더이상이동하지않고그자리에남아간접의문문해석을일으킨다. POP에서는삽입절의 C와의문사 PP구가모두의문사자질을가지고있으므로이자질이공유되어삽입절의표찰이결정되고, 표찰이결정되고나면의문사가더이상이동할이유가없으므로그자리에머물게된다고주장한다. 즉, Rizzi (2006, 2015) 가주장한 Criterial freezing 이표찰달기의결과라는것이다. (25) they wondered [α in which Texas city] [β C [JFK was assassinated]]] POP 모델에서는 EPP와 ECP의통합도시도한다. (26) 과같은문장은 GB이론에서 ECP( 공범부제약 ) 로설명했던대표적인예문으로 that-trace effect 라고도불리웠던현상이다. that 절의주어는 that이음성적으로실현될경우의문사이동을겪지못한다는제약이다. POP 모델에서는영어의 T가약한핵이고따라서, 주어인 how many mechanics 가반드시 TP에남아서통사적구조물의표찰을유지해야한다고주장한다. 반면, 이탈리아와같이공주어 (null subject) 언어에서는 (26) 이정문이다. 공주어를허용하는강한 T 언어에서는주어가 TP와병합할필요도없지만, 병합한다고해도 T자체가 TP의표찰을결정할수있을만큼강한자질을가지고있어주어가이동하여도된다고주장한다. (26) *How many mechanics did they say that fixed the cars? POP 모델은아직그역사가깊지않은만큼많은수정과보완이필요한이론이다. 그러나, 통사론의기본운용인 Merge 의문제에깊게천착하여기존의구구조이론에서해결하지못했던중간연속이동, 자질점검과표찰의문제, 일부외심구조의필요성등을이론적, 경험적으로논증하였다는점에서그의의가있다. 표찰달기이론이한국어나일본어와같은통사일치가별로없는자유어순언어에어떻게적용될수있는지도매우흥미로운연구과제이다. 이문제에대해서는 Saito (2016) 의종합적인논의를참고하면도움이될것이다. - 76 -
통사이론의변천과실험연구방법론 6. 실험통사론 (Experimental Syntax) 과생성문법이론의전망 마지막으로, 생성문법이론의전망과실험통사론의중요성에대해서언급하면서발표를마무리하도록하겠다. 글의서두에서밝혔듯이, 생성통사론은생각의도구로서의언어, 인간의고유한인지작용으로서의언어체계를밝히는데그목적이있다. 따라서이론적으로는최소성의원칙을지키되, 경험적으로는인간의언어의공통점과차이점을체계적으로설명, 예측할수있는이론으로발전하고자한다. 이제까지의통사이론에서중요시하였던통사부내부의문제들 (core syntax) 뿐만아니라통사부와접면부에대한이론적경험적문제들은앞으로도생성문법연구의주요연구대상이될것이다. 특히최근에는 MP에서활발히다루어졌던통사-형태부, 통사-의미부뿐만아니라, 통사-화용부 (syntax-pragmatics interface) 에대한연구가매우활발히이루어지고있다. 진술문의범위를넘어서는좌측및우측경계부 (left/right peripheries) 연구, 다양한종류의통사-화행연구가매우활발히진행중이다. 독자의이해를돕기위해서몇가지연구를예를들자면다음과같다. Left peripheries Haegeman, Liliane. 2006. Conditionals, factives and the left periphery. Lingua 116:1651-1669. Haegeman, Liliane. 2012. Adverbial Clauses, Main Clause Phenomena and the Composition of the Left Peripher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Haegeman, Liliane, and Virginia Hill. 2013. The syntacticization of discourse. Syntax and its limits 48: 370-390. Rizzi, Luigi. 1997. The fine structure of the left periphery. In Liliane Haegeman (ed.). Elements of Grammar. 281-337. Dordrecht: Kluwer. Rizzi, Luigi. 2006. On the form of chains: Criterial positions and ECP effects. In Wh-movement: Moving on, 97 133. Cambridge, MA: MIT Press. Rizzi, Luigi. 2015. Cartography, criteria, and labeling. Beyond functional sequence: The cartography of syntactic structures 10: 314. Right Peripheries Espinal, M. Teresa. 1991. The representation of disjunct constituents. Language 67: 726-762. Griffiths, James, and Mark de Vries. 2013. The syntactic integration of appositives: evidence from fragments and ellipsis. Linguistic Inquiry 44(2): 332-344. - 7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Haegeman, Liliane. 1991. Parenthetical adverbials: The radical orphanage approach. In Aspects of modern English linguistics: Papers presented to Masatomo Ukaji on his 60 th birthday, ed. by S. Chiba et al., 331-347. Tokyo: Kaitakusha. [reprinted in dislocated elements in discourse, pp. 331-347. New York: Routledge. 2009] Ko, Heejeong. to appear. Right-dislocation in Korean. In Cambridge Handbook of Korean Language and Linguis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Ott, Dennis and Mark de Vries. 2016. Right-dislocation as deletion. Natural Language & Linguistic Theory. Vries, Mark de. 2006. The syntax of appositive relativization. Linguistic Inquiry 37: 229-270. Syntax-Discourse Interface Collins, Chris and Paul M. Postal. 2012. Imposters: A Study of Pronominal Agreement. MIT Press. López, Luis. 2009. A Derivational Syntax for Information Structur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Miyagawa, Shigeru. 2010. Why agree? why move? unifying agreement-based and discourse-configurational languages. Cambridge, MA: MIT Press. Miyagawa, Shigeru. 2017. Agreement beyond phi. MIT Press. Zanuttini, Raffaella, Miok Pak, and Paul Portner. 2012. A syntactic analysis of interpretive restrictions on imperative, promissive, and exhortative subjects. Natural Language & Linguistic Theory 30: 1231-1274. 또한, 최근에는이론통사론연구를더욱엄밀하게검증하기위해서통계를활용한질적연구, 실험통사론의중요성이더욱커지고있다. 언어연구가이미산출된언어데이터뿐만아니라언어지식전체라면당연히, 언어와관련된정신활동, 즉뇌와인지에대한연구는모두생성통사론의연구대상이다. 뇌와인지에대한연구에는실험언어학연구가필수적이다. 발표의마지막부분에서는실험통사론연구방법론에대해서다루도록하겠다. 실험통사론의활용되는이유는다양하다. 우선, 이론언어학자는모두실험언어학자라고할수있다. 언어학자라면누구나자신이주장하는이론을실제언어자료를가지고엄밀히검증하여야한다. 넓게말해, 기존의직관을활용한연구들모두가간단한형태의실험통사론연구라고할수있다. 그러나, 소수의학자들의직관에기반한연구에는한계가있을경우가많다. 특히, 학자들간에언어자료에대한직관판단이다를경우는다름을인정하는데그쳐서는안된다. 언어자료에대한직관판단이정말다른 - 78 -
통사이론의변천과실험연구방법론 지, 다르다면어떻게다른지, 왜다른지등을밝힐수있는실험연구가필수적이다. 경험적사실자체에대한철저한검증이없이는이론적주장의설득력도없기때문이다. 또한, 서로경쟁하는언어가설을검증하는경우도몇가지문장만으로검증하기보다는치밀한대조분석을가능하게하는실험연구를하는것이바람직하다. 서로다른언어를사용하는여러집단을비교하는연구에도실험연구는필수적이다. 언어학과심리학 ( 언어처리 ) 의경계에있는현상들을연구할때에도자료에대한판단이언어학의영역인지심리학의영역인지를밝히는작업이필요하고, 이를위해서는실험연구가필수적이다. 실험통사론의여러연구방법이개발되어있는데이론언어학자들이많이사용하는실험은언어직관을활용하는것이다. 문장의수용성혹은문법성판단을위해서가 / 부 (yes-no) 를묻거나, 5점혹은 7점척도 (Likert scale) 를사용하거나, 심리적판단점수 (Magnitude Estimation) 등을활용하기도한다. 또한, 직관판단의추이를살피기위해서실시간읽기실험 (self-paced reading test) 이나안구운동추적 (eye-movement tracking) 등을활용할수도있다. 뇌활동과언어의관계를연구하기위해서 EEG( 뇌전도 ), MEG( 뇌자도 ), fmrf( 기능적자기공명 ) 등의기기를이용한언어연구도활발히진행중이다. 독자들의이해를위해서이론언어학자가참고할만한직관실험관련주요연구몇가지를소개하면다음과같다. Experimental Syntax Bard, Ellen Gurman, Dan Robertson, and Antonella Sorace. 1996. Magnitude estimation of linguistic acceptability. Language 72:32 68. Cowart, Wayne. 1997. Experimental syntax: Applying objective methods to sentence judgments. Sage Publications. Crain, Stephen, and Rosalind Thornton. 1998. Investigations in Universal Grammar: A guide to experiments on the acquisition of syntax and semantics. Cambridge, MA: MIT Press. Featherston, Sam. 2005. Magnitude estimation and what it can do for your syntax: [s]ome wh-constraints in [g]erman. Lingua 115:1525 1550. Schütze, Carson. 1996. The empirical base of linguistics: Grammaticality judgments and linguistic methodolog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nyder, William. 2000.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syntactic satiation effects. Linguistic Inquiry 31:575 582. Sorace, A. and F. Keller. 2005. Gradience in linguistic data. Lingua 2005: 1497-1524. Sprouse, J. 2009. Revisiting satiation: Evidence for an equalization response strategy. Linguistic Inquiry 40, 329 341 Sprouse et al. 2016. Experimental Syntax and the variation of island effects in English and Italian. NLLT 34: 307-344. - 7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어떤실험방법론을활용할지, 어떤통계적방법론을활용할지는연구목적에따라달라지지만, 체계적인실험연구를통해서가설을검증하고예측하는실험언어학방법론은이미상당히대중화되어있다. 생성통사론의연구대상이언어지식으로규정되어있는바, 언어학과생물학, 언어학과심리학의경계가무너지고활발히협업이일어나는것은매우자연스러운현상으로이해할수있다. - 80 -
통사이론의변천과실험연구방법론 참고문헌 김선웅. 2010. 현대생성통사론연구의전망과방향. 영미연구 22: 97-128. Baker, Mark C. 2003. The Atoms of Language: The Mind's Hidden Rules of Grammar. Oxford University Press. Béjar, Susana, and Milan Rezac. 2009. Cyclic agree. Linguistic Inquiry 40: 35-73. Chomsky, Noam. 1957. Syntactic structure. Mouton. Chomsky, Noam. 1965.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Cambridge, MA: MIT Press. Chomsky, Noam. 1981. Lectures on government and binding. Dordrecht: Foris. Chomsky, Noam. 1986. Knowledge of Language. New York: Praeger Chomsky, Noam. 1995. The minimalist program. Cambridge, MA: MIT Press. Chomsky, Noam. 2000. Minimalist inquiries: The framework. In Step by step: Essays on Minimalist syntax in honor of Howard Lasnik, ed. by Roger Martin, David Michaels, and Juan Uriagereka, 89-155. Cambridge, MA: MIT Press. Chomsky, Noam. 2001. Derivation by phase. In Ken Hale: A life in language, ed. by Michael Kesntowicz, 1-52. Cambridge, MA: MIT Press. Chomsky, Noam. 2008. On Phases. In Robert Freidin, Carlos P. Otero and Maria Luisa Zubizarreta, eds., Foundational Issues in Linguistic Theory: Essay in Honor of Jean-Roger Vergnaud, 133-166, MIT Press, Cambridge, Mass. Chomsky, Noam. 2013. Problems of Projection. Lingua 130: 33-49. Chomsky, Noam. 2015. Problems of projection. Structures, strategies and beyond: Studies in honour of Adriana Belletti, pp.3-16. Citko, Barbara, Allison Germain, and Jacek Witkoś. 2018. If you cannot agree, move on! On labels and non-nominative subjects. Glossa: a journal of general linguistics 3. Fox, Danny, and David Pesetsky. 2005. Cyclic linearization of syntactic structure. Theoretical linguistics 31: 1-45. Halle, Morris and Alec Marantz. 1993. Distributed Morphology and the Pieces of Inflection. The View from Building 20, Cambridge, MA: MIT Press: 111 176. Hiraiwa, Ken. 2001. Multiple agree and the defective intervention constraint in Japanese. MIT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40: 67-80. Hornstein, Norbert. 2009. A theory of syntax: Minimal operations and universal grammar. - 8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Cambridge University Press. Hornstein, Norbert, Jairo Nunes, and Kleanthes K. Grohmann. 2005. Understanding minima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Hornstein, Norbert and Jairo Nunes. 2008. Adjunction, labeling, and bare phrase structure. Biolinguistics 2: 57-86. Ko, Heejeong. 2014. Edges in Syntax: Scrambling and Cyclic Lineariza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Moro, Andrea. 1997. The raising of predicates: Predicative noun phrases and the theory of clause structure. Vol. 80. Cambridge University Press. Moro, Andrea. 2000. Dynamic antisymmetry. Cambridge, MA: MIT press. Rizzi, Luigi. 1990. Relativized minimality. Cambridge, MA: MIT Press. Rizzi, Luigi. 2006. On the form of chains: Criterial positions and ECP effects. In Wh-movement: Moving on, 97 133. Cambridge, MA: MIT Press. Rizzi, Luigi. 2015. Cartography, criteria, and labeling. In Beyond functional sequence: The cartography of syntactic structures 10, pp. 314-338. Saito, Mamoru. 2016. (A) Case for labeling: labeling in languages without ɸ-feature agreement. The Linguistic Review 33: 129-175. Woolford, Ellen. 2006. Lexical case, inherent case, and argument structure. Linguistic inquiry 37: 111-130. - 82 -
토론문 : 통사이론의변천과실험연구방법론 박소영 ( 부산대 ) 먼저최근통사이론의전반적인동향을그배경과원인을포함하여균형잡힌소개와논의를해주신고희정교수님께존경어린감사의말씀을드립니다. 교수님의깊은내공을경험할수있는시간이었습니다. 이번기획강연의목적중의하나가최근전개된언어이론이국어학연구에구체적으로어떻게접목될수있는지숙고해보는것이므로, 주로국어통사론연구자의입장에서교수님께질문을드리도록하겠습니다. 본격적인질문을드리기전에표찰달기와관련한이론적인질문하나를드리겠습니다. (1) 표찰달기에대한이론적질문 다른다양한병합과정의표찰달기 : 표찰결정이이루어지는방법으로서, 이동과일치, 일치에는주어명사구의파이자질일치와의문사구의의문자질일치가제시되어있습니다. 그러나통사체가확장되는데에는이러한명사구와의병합과정뿐만아니라부사 ( 절 ) 의부가, 접속, 병치, 등다양한과정들이있습니다. 이들은이동이일어난다고보기도어렵고직관적으로자질일치로해석하기도어려워보이는데, 이들의표찰결정은어떻게이루어지는지요? 또한핵과핵병합 ( 예 ) 핵이동 ) 의표찰결정은어떻게이루어지는지요? 표찰결정에참여하는일치자질 : 기존의격자질, 의문자질점검을위한이동이표찰이론의관점에서표찰결정을위한것으로재해석되었습니다. 그러나인간언어의이동에는명사구이동뿐만아니라동사 ( 구 ) 가이동하는경우 ( 예 ) V(P)-fronting) 도있고, 또한초점이나화제이동등, 파이자질이나의문자질이외의자질점검을위한이동들이있습니다. 그렇다면이러한이동들은표찰이론의관점에서어떻게재해석될수있겠는지요? 표찰결정에참여하는일치자질로파이, 의문자질이외에잠재적으로거론될수있는것으로는무엇이있을까요? - 8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LF 이동과표찰이론과의관계 : 의문사-제자리 (wh-in situ) 언어의의문사이동, 양화사인상과같은기존의 LF 이동은표찰달기와는전혀상관이없는것인지궁금합니다. 이들 LF 이동은표찰이론에의한통사적병합체내에서어떤식으로조정되어설명될수있을까요? 다음으로국어통사론연구자들께서궁금하게여기실수있는부분을질문드리도록하겠습니다. (2) 국어통사론을하는데있어서생성이론의역할및의의 교수님께서는그동안생성이론을기반으로괄목할만한언어이론및한국어연구업적을이루어오셨습니다. 국어통사론을연구하는데있어서생성문법의의미는무엇이라고생각하시는지요? 국어학계내에서생성이론은그것의형식성과변화무쌍한이론의변이로인해연구자들이접근하기에다소난해한것으로간주되어온것이사실입니다. 그럼에도불구하고생성문법은국어통사론연구에있어서어떤위상을차지하고있다 ( 혹은차지해야한다 ) 고생각하십니까? 또한지금까지국내의국어학계연구는주로지배-결속이론의개념들을기반으로진행되어왔고, 문법모형관념에있어서는어휘론자적관점이유력하게인정되고있습니다. 최근의최소이론적논의및그와관련하여인정되는분산형태론적논의가국어통사론의논의를어떤식으로새롭게보완하고보다풍성히이끌어낼수있겠는지교수님의경험또는고견을듣고싶습니다. (3) 한국어의언어유형과생성이론 말씀하셨던것처럼한국어는파이자질에의한일치가이루어진다고보기어려운언어유형에속합니다. 최근파이자질일치와격인가를통합시키는설명, 또한파이자질일치에의한표찰달기과정은한국어의언어유형에는적용되기어려운것으로보입니다. 그렇다면매개변이관점에서한국어와같은유형의언어에서의격인가및표찰결정과정을어떤식으로설명할수있겠는지설명해주시면감사하겠습니다. 또한최근화용, 또는화행의문제가통사론의문제로흡수되면서화자와청자와같은발화참여자에의해촉발된통사현상들이재조명되고있습니다. 한국어의통사현상은명사구의파이자질보다는높임 (honorification) 자질이더관여적인것으로보이는데, 이러한다소화용론적자질인높임자질을통사자질로설정하는것에대해서어떻게생각하시는지, 또한한국어와같은언어유형이통사-화용론의접면논의에어떤식으로기여할수있겠는지생각하시는바를말씀해주시면감사하겠습니다. - 84 -
통사이론의변천과실험연구방법론 (4) 실험통사론과말뭉치 실험통사론은그동안많은사람들에게공격의대상이되어왔던언어직관의문제를경험적으로입증한다는측면에서생성문법내에서중요한의의를가지고있습니다. 그러나 ( 다행스럽게도 ) 그동안의실험통사론논의의대부분은결국연구자들의언어직관에의해수립된기존언어이론의정당성을입증하는내용이었던것같습니다. 이와는달리언어이론의정설을뒤집고새로운대안을제시한실험통사론적연구가혹있었는지질문드립니다. 한편한국의국어학계는그동안생성문법이의존하는언어직관에대해서다분히회의적인분위기가지배적이었던것같습니다. 그래서연구자의이론에의해경도될수있는작위적문장에대한언어직관보다는, 말뭉치에입각해서문법성의문제를객관적으로연구하려는경향이강했던것같습니다. 말뭉치의효용성은물론인정되어야마땅하지만, 교수님께서는통사론연구에있어서말뭉치의효용성과한계에대해서어떻게생각하시는지요? 또한실험통사론과말뭉치의영역분담은어떤식으로이루어져야할까요? 감사합니다. - 85 -
01- 기획 4 ( 마지막에삭제됩니다 ) 의미론의어제와오늘 전영철 ( 서울대 ) 1. 서론 현재의의미론은매우다양한모습을보이고있다. 여러의미이론들이제시되고있는데이들사이의관계및통합가능성등에대해서는별로신통한결과물들이나오고있지않는듯하다. 본고는의미연구의이러한현상태에대한이해를도모하고자한다. 모든연구들이그러하듯이, 의미연구의현상태도이전연구들의역사에서비롯되었기에의미연구의주요맥락을살펴보고자한다. 오래전부터언어의의미에대한관심및연구가있었지만언어학적의미론 (linguistic semantics) 의시작은 19세기에시작된것으로본다. 의미론 (sémantique, semantics) 이라는용어도 Michel Bréal 의 1883년논문에서처음사용되어퍼져나갔다. 본격적인언어학연구가시작된구조주의언어학에서의의미연구의특징, 훗날형식의미론과화용론을등장시킨언어철학에서의의미연구, 형식의미론의특징, 형식적의미연구에대한반작용으로시작된인지의미론의특징, 의미론과화용론의경계문제, 언어심리학및뇌과학등의인접학문의발전에따른의미연구의출현등의이해를통해의미론의현상태를살펴보고자한다. 2. 구조주의 구조주의언어학은유럽과미국의경우로나누어볼수있는데, 의미연구에있어서도두경우를나누어볼필요가있다. 유럽의구조의미론은구조주의언어학의일환으로전개된의미이론으로서, 특히어휘의의미를집중적으로연구하였다. 어휘의미의통시적연구에집중했던이전의방식과는달리어휘의미의공시적연구를우선시하였다. 미국의구조주의언어학은엄격한행동주의에입각하여언어적현상을바라보았는데, 의미에대해서도동일한태도를가졌었다. 어떤의미표현의의미란, 화자가그것을발화하는상황또는발화를통해청자로부터이끌어내는반응으로보았다. 3. 언어철학 17-8세기의 John Locke, George Berkeley, Gottfried Wilhelm Leibniz, 19세기초의 John Stuart Mill 등의철학자들이언어의의미에대한중요한연구업적을남겼다. 그런데 19세기말의 - 8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Gottlob Frege 나 20세기초의 Bertrand Russell 은이전과는다른차원에서의미연구를수행하였다. 이들은중요한철학적문제들이결국은언어의문제로귀결된다는취지에서언어의미연구를택하였는데, 이러한흐름을일컬어언어적전환 (linguistic turn) 이라고한다. 언어철학의시작이었다. 초기언어철학자들은논리학자로서자연언어의부적합성을주장하고이를대신하기위한형식언어를추구하였다. 한편, 1950년대에이르러서는후기 Ludwig Wittgenstein을필두로언어의실제적사용을중시하는언어철학자들이나타나기시작하였다. 전자를이상언어철학 (ideal language philosophy), 후자를일상언어철학 (ordinary language philosophy) 으로구분한다. 대표적인이상언어철학자들로는 Gottlob Frege, Bertrand Russell, Alfred Tarski, Rudolf Carnap 등을들수있다. Frege의지시 (reference) 와의의 (sense) 구분이나합성성의원리, Carnap 의가능세계 (possible worlds) 나내포 (intension) 와외연 (extension) 의구분등은훗날형식의미론의이론적토대가되었다. 대표적인일상언어철학자들로는 Gilbert Ryle, 후기 Ludwig Wittgenstein, John Austin, Peter Strawson, Paul Grice 등을들수있다. Austin 의언어행위 (speech act), Strawson 의전제이론, Grice의화자의미 (speaker s meaning) 등의등장은곧바로화용론의시작으로이어졌다. 4. 형식의미론 1970년초에본격적으로소개된 Richard Montague의의미론을형식의미론이라부른다. 자연언어의비논리성을내세워형식언어를추구했던이전의연구흐름에반하여자연언어에도형식언어와동일한수준의논리체계가존재한다는가정하에자연언어의의미론을추구하였다. 즉, 자연언어도일종의형식언어라고보았다. David Lewis, Donald Davidson 등의언어철학자들이이에동조하여이론적발전을모색하였으며, Barbara Partee, David Dowty 등의언어학자들에의해언어학계에적절하게소개되면서큰반향을일으켰다. 형식의미론은전통적인논리언어인명제논리 (propositional logic) 나술어논리 (predicate logic) 를바탕으로, 자연언어를분석할수있도록합성성원리 (compositionality principle), 유형이론 (type theory), 내포논리 (intensional logic) 등이반영된고차원의논리언어체계를말한다. 형식의미론의체계는다른논리언어들과마찬가지로통사부와의미부의긴밀한대응관계를가지고있으며, 의미부에서모든언어표현들에대한지시적의미값이부여된다. 또한형식의미론은그이전에는직관적으로만설명되던언어현상들에대해그직관의이면에매우정교한논리가포함되어있음을명시적으로보여주었다. 예를들어일반양화사 (generalized quantifiers) 의개념을도입하여양화사를집합과집합간의관계로파악함으로써양화사가포함된문장의해석에작동하는논리적계산절차가있음을명시적으로보여주었다. 그리고이를부정극어 (negative polarity items) 의설명으로확대하여, 부정극어가단지부정의환경에서출현한다는설명을넘어일정한논리적관계에의해좌우됨을밝힘으로써부정극어에대한보다정교한설명을가능하게하였다. - 88 -
의미론의어제와오늘 초기형식의미론에서는한문장의의미를결정하는데있어서그문장외부의의미를고려하지않았으나, 1980년대에이르러어떤문장의의미결정에이전문장의정보가영향을미친다는사실이형식의미론의연구에작용하게되었다. 이러한연구태도를가진형식의미론을동적의미론 (Dynamic Semantics) 이라고하고초기의형식의미론을정적의미론 (Static Semantics) 이라고하여구별한다. 그런데형식의미론이문장사이의의미관계를다룰수있는동적의미론의시대로접어들면서, 의미론과화용론의이전경계가무너지는부수적인결과를낳았다. 형식의미론의분석방법이전제, 초점등의화용론의영역까지확대됨으로써보다통합적인의미이론으로성장한것이다. 이러한연구들을형식화용론 (Formal Pragmatics) 이라고부르기도한다. 5. 인지의미론 인지의미론이속해있는인지언어학은언어적인지를보편적인지기제중의하나로보고보편적인지가언어를통해어떻게실현되는지를살피는것을주요과제로삼는다. 즉, 객관주의 (objectivism) 에기초한생성문법이나형식의미론의방법론을비판하고, 체험주의 (experientialism) 에입각하여인간의일반인지능력이라는큰틀에서포괄적으로언어의의미를포착하려한다. 그리고인지언어학은모든언어현상의동인이의미라고보며, 기존의언어학적분류인음운, 형태, 통사의구분이나어휘, 문법의구분은무의미하다고본다. 인지의미론은인지언어학과동일시될수있을정도로인지언어학의핵심분야에해당한다. 인지언어학 이라는용어는 1975년전후에 George Lakoff에의해사용된것으로알려져있고, 1980 년대에미국의서부지역을중심으로역량이모아지면서전세계적으로널리확산되기시작했다. 인지언어학은다른언어이론들과는달리매우다양한연구들의집합이어서분명하게정의를내리기가어려운특징이있다. 인지언어학에속한다고할수있는연구들을하나의통일된원칙으로파악하는것이쉽지않아서하나의언어이론이라기보다일정부분이겹치는여러가지연구방법론들의묶음이라고볼수있다. 인지의미론의언어관과관련되는몇가지공통된주장들로, 체화된인지 (embodied cognition), 백과사전적의미론, 개념화된의미론, 사용에기반한의미론 (usage-based semantics) 등을들수있다. 이러한언어관에기반을둔인지의미론은범주화및원형이론, 은유, 환유, 영상도식 (image schema), 문법화, 도상성 (iconicity), 정신공간 (mental space), 이상인지모형 (idealized cognitive models, ICMs) 등의다양한방법론들을통해매우광범위한의미현상들을설명한다. 6. 의미론대화용론 화용론은이상언어철학에서 syntax, semantics, pragmatics 의삼분을위해처음유래하였으며, 기호와사용자간의관계를연구하는분야로정의되었다. 그러나이상언어철학은형식언어에만관심이 - 8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있었을뿐이었기에, 맥락의존적인요소로구성된화용론은관심의대상이아니었다. 자연언어의사용을중시한일상언어철학이화용론연구의틀을제공하였다. 구체적성과로, 우선 Austin 의언어행위이론이형성되었는데, 모든발화가사회적관습에근거하여일정한발화수반력 (illocutionary force) 을가진다는주장이다. 그리고 Grice 는의미 비자연적의미 (non-natural meaning)-- 를 말해진것 (what is said) 과 함축된것 (what is implicated) 으로양분하여, 의미론과화용론의역할을구분하였다. 말해진것으로부터추론에의해말해진것 대화함축 (conversational implicature) 을얻을수있다는것인데, 발화의적절한해석을위해이두종류의의미가모두필요함을강조하였다. 이러한 Grice 의견해가널리수용되면서거듭발전하여, 함축된것뿐만아니라말해진것을얻기위해서도실질적으로맥락의존적인과정들이필요하다는생각, 즉소위맥락주의 (contextualism) 에이르게된다. Levinson(2000) 의 pragmatic intrusion, 연관성이론 (Relevance Theory) 의외축 (explicature), Recanati(2010) 의진리조건적화용론 (Truth-conditional Paragmatics) 등이이에해당한다. 형식의미론에서는 1980년대초에동적의미론 (Dynamic Semantics) 이전개되기시작하면서문장의의미해석에이전문장의의미정보등의맥락적요소가필요하다는입장을취한다. 인지의미론에서는의미해석에체화된경험을중시하여백과사전식지식과언어적지식의차이가존재하지않기때문에의미론과화용론의구별자체가존재하지않는다. 자연언어의비논리성을배척하고형식언어를추구한일부언어철학자들을제외한다면, 자연언어를심각하게연구한대부분의연구자는언어의미의해석에맥락적정보가중요함을인식하고있었다. Grice 도경계하였듯이, 화용론과의미론의역할을엄격하게분리하고각자의역할을필요이상으로강조하여상대방의연구를폄훼하는연구태도는바람직해보이지않는다. 7. 외재주의, 내재주의, 복수주의? 언어의미가언어와세계사이의지향적 (intentional) 관계에있음을주장하는의미론을외재주의 (externalism) 라고칭한다 (Gross 2016). 지향성 (intentionality) 이란 다른무엇인가에대한것이되려는속성 (property of being about things other than themselves) 이다 (Jacob 2011). 외재주의자에게언어표현의의미란세계에대한지시 (reference) 이다. 이에반해내재주의 (internalism) 의미론은언어표현과개념간의비지향적 (non-intentional) 관계만을다룬다 (Riemer 2016b). 즉, 내재주의는언어표현의외부세계에대한지향적관계를고려하지않은채, 언어표현이직접활성화하는개념을의미라고본다. 개념은지시물 (referents) 에대한심적표상 (mental representation) 으로서, 외재주의와내재주의모두에서중요한역할을하지만지시물과의관계설정방법에서차이가난다 (Riemer 2016b). 외재주의에서는개념과지시물사이에인과적이거나그에준하는연관성이설정되는반면에, 내재주의에서는개념과지시물사이에그러한연관성이존재하지않는다. 내재주의에서개념이지시물에대한정보를가 - 90 -
의미론의어제와오늘 지는것은개념이코드화되는방식의특성에서기인한다. 외재주의와내재주의는지향성의수용여부에서차이가있으므로이론적측면에서는대립하지만, 구체적인연구결과물들은양립가능하다. 지향성의수용여부가의미론전반에서의전적인수용가능성이아니라의미론의일부분에서의문제이기때문이다. 형식의미론과인지의미론이각각외재주의와내재주의의대표적이론인데, 각각의경우에전형적인외재주의및내재주의와는구별되는이론적전개가진행되고있다. 형식의미론에서는 1980년대초나타난동적의미론의일환인담화표상이론이주목된다. 여기에서는통사부와의미부사이에담화표상구조 (discourse representation structure) 를설정하는데, 이것은내재주의의심적표상에해당한다. 최근에는판단기반의미론 (Judgement- based Semantics), 분절담화표상이론 (Segmented Discourse Representation Theory, SDRT) 등이담화표상이론의발전적모색을꾀하고있다. 전형적인내재주의적심적표상인개념에기대지않고의미에대응하는내적상태를설명하려는시도들이있다 (Bergen 2016). 실험심리학 (experimental psychology), 신경심리학 (neuro- psychology), 뇌영상법 (brain imaging) 등의발전에힘입은시뮬레이션기반이론들은의미가언어사용자의뇌, 정신, 몸에서실시간으로어떻게작동하는지를연구한다 (Barsalou 2008 등 ). 전통적인개념주의적이론들에서다루어온현상들에대한통계적연구방법 (Landauer & Dumais 1997 등 ) 은내적개념구조를사용하지않으면서해당현상들을이론화한다. 의미이론들의다양성, 이질성, 비양립성등의정도에비추어볼때, 단일한의미이론의추구보다는다양한이론들의공존을받아들이는복수주의 (pluralism) 가타당한면이있다 (Riemer 2016a). 인간의정신적활동이나문화가단일한원리및불변의몇몇요소들로의환원을통해설명하기어렵듯이이들을반영하는언어의의미구조도그러할수있다. 최소한현재의상태는그런듯하다. 이러한복수주의가단지의미론및의미의문제에만적용되는예외적인경향이지도않다. 음악, 춤, 제스처나색채등도그러하다. 단일한환원주의적접근을통해이러한대상들을적절하게설명할수있는단계에있지않다. - 9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참고문헌 윤석민 2016. 화용론의위상정립을위한몇가지문제- 개념정리및연구대상을중심으로 -. 한글 313, 27-66. 전영철 2016. 한국어의미연구와의미이론. 한글 313, 5-25. Barsalou, L. 2008. Grounded Cognition.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9, 617-645. Bergen, Benjamin. 2016. Embodiment, Simulation and Meaning. In N. Riemer (ed.). The Routledge Handbook of Semantics. London: Routledge, 142-157. Gross, Steven 2016. (Descriptive) Externalism in Semantics. In N. Riemer (ed.). The Routledge Handbook of Semantics. London: Routledge, 13-29. Jacob, Pierre 2011. Meaning, Intentionality and Communication. In C. Maienborn, K. von Heusinger and P. Portner (eds.). Semantics: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Natural Language Meaning. Berlin/Boston: de Gruyter, 11-25. Krifka, Manfred 2011. Varieties of Semantic Evidence. In C. Maienborn, K. von Heusinger and P. Portner (eds.). Semantics: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Natural Language Meaning. Berlin/Boston: de Gruyter, 242-268. Landauer, Thomas K. and Susan T. Dumais. 1997. A Solution to Plato s Problem: The Latent Semantic Analysis Theory of Aquisition, Induction, Representation of Knowledge. Psychological Review 104, 211-240. Nerlich, Brigitte 2011. The Emergence of Linguistic Semantics in the 19 th and early 20 th century. In C. Maienborn, K. von Heusinger and P. Portner (eds.). Semantics: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Natural Language Meaning. Berlin/Boston: de Gruyter, 172-191. Recanati, F. 2010. Truth Conditional Pragmat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Riemer, Nick 2016a. Introduction: Semantics-A Theory in Search of an object In N. Riemer (ed.). The Routledge Handbook of Semantics. London: Routledge, 1-10. Riemer, Nick 2016b. Internalist Semantics: Meaning, Conceptualization and Expression. In N. Riemer (ed.). The Routledge Handbook of Semantics. London: Routledge, 30-47. Saeed, John 2016. Semantics and Pragmatics. In N. Riemer (ed.). The Routledge Handbook of Semantics. London: Routledge, 177-194. - 92 -
의미론의어제와오늘 에대한토론문 남경완 ( 창원대 ) 이발표문은매우간략해보이지만, 의미연구의흐름을이해하는데에필요한거의모든내용들이압축적으로담겨있습니다. 역사적흐름에따라의미이론이어떤변화를거쳐왔는지, 아울러언어의의미를바라보는주요쟁점에대한이론적입장의차이가어떤맥락과배경에서도출되었는지를일목요연하게정리하고있어, 의미연구의흐름을복기하는데에큰도움이되었습니다. 어떤구체적인쟁점이존재하는발표문이아니므로, 선생님께서언급하신향후전망혹은과제와관련해함께고민해보는차원에서토론을진행하고자합니다. 또한오늘의발표문과함께선생님의 2016 년논문 ( 한국어의미연구와의미이론 ) 의내용을함께참고하여몇가지질문을드립니다. 1) 외재주의와내재주의의접점 마지막부분에서언급하신내용은결국이론간상호접점을찾고자하는것이며, 이에대해외재주의 ( 형식의미론 ) 와내재주의 ( 인지의미론 ) 의양립가능성을말씀하신선생님의견해에동감합니다. 전영철 (2016:20) 에서형식의미론에대한인지의미론연구자들의비판적인입장에대해한편으론 어떤새로운이론이출현하면서이전의이론을반박하고그대안을제시하는것은매우자연스러운일 이라고하셨지만, 그와동시에 그러한비판들에는함께토론할필요가있어보이는것들이있는듯하다 라고도언급하신관점과도일맥상통합니다. 언어의내용적요소로서본질적으로추상적일수밖에없는의미는인간과세계사이에서만존재하는것이라는점을감안하면서로다른방향에서시작된두입장이접점을찾아나가는것이불가능하지는않을것이라고생각합니다. 선생님께서도이론간통합의예로분절담화표상이론이나판단기반의미론등을제시하신바있지만, 여러의미이론들이제시되고있는데이들사이의관계및통합가능성등에대해서는별로신통한결과물들이나오고있지않는 상황은여전히지속되고있는듯합니다. 어쩌면어떤이론이보다강점을보이는영역이따로존재하는것이아닐까하는생각도듭니다. 가령, 형식의미론은양화논리를설명하는데에매우큰기여를하였고, 구조의미론은어휘의의미체계를구조화하는데에여전히강력한설명력을가지고있다고봅니다. 생성어휘부이론이나대상부류이론은명사의의미분석에는매우유효하지만상대적으로동사의의미분석에서는취약해보이고, 반대로 Fillmore의틀의미론 (frame semantics) 은동사의의미특성을포착하는데에보다강점이있어보입니다. - 9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하나의이론이전체적인설명력을모두갖추어야하는것인지, 다소이질적일지라도어휘범주혹은언어단위에따른서로다른연구방법론의모듈별결합을언어의미의본질을파악하는것은불가능한것인지, 만약그것이가능하다면구체적으로어떤방법론으로접근해야하는것인지여전히안개속입니다. 반세기가넘는국내의미론의연구성과를바탕으로정반합의진화를이룰수있는방법에대한고민이기도합니다. 2) 복수주의 / 이론중립적인연구 ( 기술의미론 ) / 이론탈피연구 (?) 다양한이론의공존으로서의 복수주의 (pluralism) 를단지현상황의한계로인한어쩔수없는선택으로생각할것이아니라, 도리어끊임없이살아움직이고변화하는의미의속성을이해하기위해서는필연적으로그렇게할수밖에없는선택으로좀더적극적으로받아들일수는없을까궁금합니다. 이런관점에서라면선생님께서 한국어의의미세계를어떤의미이론에도기대지않고의미현상그대로기술하는작업 ( 전영철 2016:23) 으로제시하신바있는이론중립적인연구 ( 혹은기술의미론 ) 역시복수주의를구성하는한요소가될수있을지도궁금합니다. 코퍼스언어학 ( 그것이이론이냐, 방법론이냐에대한논쟁은잠시뒤로하고 ) 이나빅데이터를활용한언어분석, 언어간비교를통한연구등기존의이론적방법과는다른방식으로접근하고있는연구역시포함되지않을까싶습니다. - 94 -
01- 기획 5 ( 마지막에삭제됩니다 ) 언어교육이론의변천과의사소통능력함양을위한외국어교수법고찰 박매란 ( 부경대 ) 1. 서론 이글의목적은우리나라영어교육초창기부터현재까지도입되어활발하게활용되고있는주요외국어교수법을개관해보고, 이들교수법들이의사소통능력함양을위한이론적기반이어떠하였는지를외국어교수법의역사적변천과정을통하여살펴보고자한다. 특히, 우리나라영어교육현장에서많은인기를누리며사용되어왔던전통적교수법인문법 번역식교수법, 직접교수법, 청화식교수법과디자이너교수법중현재에도어린이영어지도에부분적으로활용되고있는전신반응교수법, 그리고최근활발하게사용되고있는자연접근법, 의사소통중심교수법, 그리고과제중심교수법 ( 내용중심교수법및주제중심교수법포함 ) 의주요원리를살펴보고, 이들교수법의장. 단점을교사, 학습자, 교재, 그리고교육환경의관점에입각하여살펴보고자한다. 특히, 오늘날언어교육에서학습자의의사소통능력함양에중요한역할을하는주요개념인상호작용 ( 교사-학습자간, 학습자-학습자간 ) 기회의증대가능성, 학습활동유형 ( 전체활동, 짝 조별활동, 개별활동 ) 의다양화, 의사소통을촉진시키는학습활동등을고찰해봄으로써, 이들외국어교수법을제2 언어로서한국어교육에의적용가능성이모색되어질것이다. 2. 외국어교육의 4 요소와용어정리 1) 외국어교육의 4요소외국어교수법을제대로이해하기위해서는외국어교육의 4요소, 즉교사, 학습자, 교재 ( 교육과정 ), 그리고환경요인등을이해할필요가있다. 먼저교사요인에는학습자로서의교사교육경험, 교수경험, 교육철학, 신념, 지식등포함을포함한다. 그리고학습자요인에는학습경험, 언어능력수준, 인지적수준, 동기, 태도, 성격, 학습선호유형등이포함된다. 한편, 교재내지는교육과정에는어떤유형의교수요목 ( 예, 구조적, 상황적, 의사소통적 ) 을채택하고있는지와그교육과정이중앙의통제를받는것인지아니면교육기관에서자체적으로통제가가능한지에따라교수법도달리적용이되어야한 - 9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다. 우리나라의경우교육부에서정부에서승인한교육과정에근거한국정또는검인정교과서를사용해야하는중앙통제의특징을갖고있고, 이들교재에는대체적으로의사소통적교수요목을채택하고있다. 한편, 교육환경으로는교수. 학습목표, 수업시수, 학급인원, 시설, 행정적지원등을포함하는데, 우리나라의경우일부예외가있긴하나이요인또한중앙통제적성격을지니고있다. 본발표에서살펴볼여러가지외국어교수법은때로이들요인을지나치게단순화시키는경향이있으므로, 이들요인의관점이각교수법에서어떻게간주되었는지를잘살펴볼필요가있다. 2) 학습과교수외국어학습및교수원리를이해하기위해다양한사항들이고려되어야하지만무엇보다도먼저학습과교수라는용어를정립하여야한다. 교수와학습, 즉가르치고배우는과정은교육에서가장중요한부분을차지하고있다. 보통학습은넓은의미에서의학습과좁은의미에서의학습으로정의를내릴수있다. 넓은의미에서의학습이란 유기체가그를둘러싸고있는환경과의상호작용을통해그유기체의행동에변화가일어난경우 를의미한다. 한편, 좁은의미에서의학습이란 학습자가정해진학습목표를달성시키려는상황에참여하여의도한학습목표를성취하는활동을하는경우 를의미한다. 넓은의미에서의학습은학습의주체를사람뿐만아니라동물까지포함하고제공된학습의조건도비의도적인것과의도적인것을모두포함할수있으나, 교육적의미에서학습을정의할때는학습의주체, 학습의상황, 행동의변화등에있어서다음의특징을갖고있다. 첫째, 학습의주체를학습자로한정한다. 이때학습자란교육적기능을가진제도적기관에서교육을받는자에국한한다. 둘째, 학습의상황은의도적인것에만국한시킨다. 예를들어, 공교육기관이나학교는그들이설정한교육의목표를학생들에게성취시키기위해서나름대로알맞은프로그램이나학습의조건을의도적으로계획하며, 사전에계획된학습의상황에학습자들이참여하여여러가지활동에참여하도록요구한다. 그러므로학습의상황, 즉학습의조건은여러가지가있을수있지만그중에서가장알맞은조건이어떠한것인가를의도적이고계획적으로선택하고적절한학습상황을마련해주어야한다. 셋째, 학습을통한행동의변화는바람직한행동의변화에국한한다 (Brown, 2000). 한편, 교수라는말은글자그대로 가르쳐주는것 을의미하므로교사가학생들에게지식과기능을가르치는것이라고할수있다. 대체로영어의 teaching 을 교수 로번역하여사용하기도하고 instruction 을 교수 로번역하기도한다. 즉, 교수라는행위는학습의조건을만들어주고학습자가학습이가능하도록도와주며학습을안내하고촉진하는것을말한다. 학습자가어떻게학습하는가에대한교수자의관점이교육철학, 교수유형, 교수방법등을결정하므로교수와학습은불가분의관계에놓여있다. 3. 외국어교수법개관 1) 전통적교수법 알려진인류최초의외국어학습은라틴어나그리스어를공부하는것이었다. 특히, 중세시대에는고전의이해, 성서의이해, 그리고학자간의의사소통수단으로서라틴어나그리스어가많이사용되었기 - 96 -
언어교육이론의변천과의사소통능력함양을위한외국어교수법고찰 때문에이에대한교육이많이이루어졌다. 전통적교수법에는문법 번역식교수법, 직접식교수법, 청화식교수법등이있다. (1) 문법 번역식교수법 (Grammar-Translation Method) 문법 번역식교수법은고전언어인라틴어와그리스어를가르치기위해사용되던교수방법으로 19 세기경부터언어교육에서활발하게사용되었다. 이방법은본래의사소통을위하여언어를사용하는데목표를둔것이아니고언어를분석하여규칙이나어형을암기하고, 이를토대로외국어를모국어로번역할수있는능력을증진시키는것이목표였다. 문법 번역식교수법의특징은다음과같이요약된다. 외국어학습의목적은목표언어로된문학작품을읽거나언어학습의과정을통해서학습자의정신적훈련과지적개발을위한것이다. 이를위해서먼저목표어의문법규칙을구체적으로분석한후, 이문법지식을이용하여학습자가문장이나글을목표어로번역하거나, 혹은목표어를모국어로번역하도록지도한다. 언어의 4기능중읽기와쓰기에중점을둔다. 말하기와듣기에는거의또는전혀주의를기울이지않는다. 어휘선정은사용하고있는읽기교재에전적으로의존한다. 어휘는모국어의번역이함께제시된어휘목록, 사전학습 (dictionary study) 과암기를통해학습시킨다. 언어교수와학습의기본단위는문장이다. 수업의대부분은문장을분석하고해석하는데에할애한다. 정확성을강조하므로학습자들이정확하게구문을파악해서번역하도록지도한다. 그리스어나라틴어를가르치던것처럼문법은연역적으로가르친다. 학습자들의모국어를교수언어로사용하므로, 모국어로새로운학습항목을설명하고, 외국어와모국어를비교 설명한다. 위에서언급한바와같이이교수법의장점은다수의성인학습자에게독해를교육하는데효과적이고, 교사입장에서는유창한회화능력이필요하지않아서교실수업에적용하기가쉽고, 또평가가용이하다는점이다. 반면에, 단점으로는학습자의요구와는상관없이교사위주로수업을설계하고진행하므로수업이지루해지기쉽고학습자의구어의사소통능력을향상시킬수없다는점등의한계점을안고있다. (2) 직접식교수법 (Direct Method) 직접식교수법은 19세기말 Francois Gouin 이창안한교수법으로문법 번역식교수법이학습자들에게의사소통할수있는능력을길러주지못한것에대한반작용에서출발하였다고할수있다. 직접식교수법에서는모국어번역이나설명을지양하고, 학습자를목표어와직접접촉시킴으로써목표어로생각하고, 목표어로학습활동을하도록유도한다. 특히, Berlitz 가제안한직접식교수법의특징을요약하면다음과같다. - 9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외국어와학습자의생각이직결되어야하므로학습자가외국어로생각하는습관을기르도록모국어의사용을금지한다. 구어에중점을두고, 읽기와쓰기는구어연습이이루어진뒤에도입한다. 교사는모국어로설명을하지않고실물이나연상등을통해서학습자의개념이해를돕는다. 문법은실제적인사례나여러가지시각적인방법을사용해서학습자에게이해를시킨다. 단어는언제나문맥속에서학습시킨다. 구체적인단어는실물을통해서배우게하고, 추상적인단어는연상작용을이용해서배우게한다. 교사는설명보다질문을통해서학습자의이해를촉진시킨다. 학습자가적극적으로교실활동에참여하도록유도한다. 직접식교수법의장점으로는모국어의개입없이목표언어를이해하고표현하는능력계발을목표로하기때문에유의적인상황속에서이해와표현중심의수업을한다는점을들수있다. 또외국어교육의궁극적인목표가그언어로의사소통을할수있는능력을기르는것이라고본다면, 외국어만을사용해서듣기와말하기중심의수업을진행하는직접식교수법은이상적인교수법이라고할수있다. 이의단점으로는교사입장에서학습내용을설명하는데에많은시간이소요되며, 학습자의입장에서도해당외국어설명만으로는학습내용을분명히파악하기가어렵고언어구조를이해하기도어렵다는점을들수있다. 또언어구조에대한체계적인연습이이루어지지않기때문에정확성이떨어지는외국어학습이되기쉽다. 더욱이직접식교수법에서는거의완벽한외국어사용능력을가진교사를요구하지만, 현실적으로이런교사를양성하기가어렵다는것도문제점으로지적된다. 우리나라의상황에서는원어민이진행하는영어수업이직접식교수법을사용한수업이라고할수있다. (3) 청화식교수법 (Audiolingual Method) 문어중심의교수법에대한반동으로등장한청화식교수법은 1940년대부터 1960년대에미국에서발달된교수법이었다. 이교수법은직접식교수법에서유래한것으로, 구조주의언어학 (Bloomfield, 1933) 과행동주의심리학 (Skinner, 1953) 의영향을받았다. 제2차세계대전이발발했을때미국정부에서는외국어로의사소통할수있는외국어전문요원들을단기간에양성할필요를느꼈고, 이에직접식교수법을토대로새로운교수법을출발시켰다. 미국군대에서시작된이교수법은초기에는체계적인교수방법에대한고려가없이목표언어와의강도높은접촉을주로강조하였다. 그후미국의국제적위상이높아지면서미국내에유학생이급증하게되고이들이대학에서공부를시작하기전에영어를집중적으로훈련할필요성이높아지자 1950년대에 ESL/EFL 교육에대한미국식접근법인청화식교수법이출현하였다. 다음은청화식교수법의특징을요약한것이다. 수업은대화에중점을둔다. 모방과암기등을통한언어습관형성에중점을둔다. 문법은구체적인설명이없이귀납적으로가르친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순으로언어기능을도입한다. 발음은초기부터지도한다. - 98 -
언어교육이론의변천과의사소통능력함양을위한외국어교수법고찰 학습자가실수를하지않도록학습활동을마련한다. 의미나문맥에대한고려없이기본문형연습에초점을둔다. 청화식교수법은듣기와말하기기능을빠른시일내에익힐수있다는장점을지니고있어서 1970 년대중반부터우리나라의대학영어수업에어학실험실을구비하여많이사용되어온교수법이지만, 수업이단조롭고지루해서학습동기유발면에서비효과적일수있는단점을가지고있다. 2) 디자이너교수법앞서언급한전통적교수법은주로 1970년대이전에많이사용되었던교수법들을가리키며, 1970년에전통적인교수법이안고있는문제점을해결하기위해서매우다양한교수 학습방법들이제안되었다. Brown(2007) 은이들을 디자이너교수법 이라고지칭하였고, Richards와 Rodgers(2014) 는 대안적교수법 이라고지칭하였다. 그러나대체적으로이들교수법은일시적으로사용되었을뿐그리오래가지는못했다. 디자이너교수법으로전신반응교수법, 침묵식교수법, 공동체언어학습, 암시적교수법등을들수있다. (1) 전신반응교수법 (Total Physical Response: TPR) 미국의 James Asher에의해서 1970년대에창안된전신반응교수법은어린이의모국어습득과정에서어린이들은목표어를듣고구어반응보다는신체적반응을유도할때언어습득이촉진된다는가정에기초를두고있다. 이교수법은교사가목표언어를사용하여지시나명령을하고, 이지시나명령을받은학습자는언어반응이아닌행동반응을보이게함으로써목표어를가르치는이해중심의교수방법이다. Asher(1977) 는어린이의모국어습득에서힌트를얻어외국어습득에대해서다음과같은원칙을제시하였다. 말하기전에이해 ( 듣기 ) 를시킬것. 학생들이명령에따라몸을움직임으로써이해할수있도록할것. 학생들이자발적으로발화할수있을때까지는말하기를강요하지말것. 전신반응교수법의장점으로는발화를지연시키고많이듣게함으로써학습자들은아주빨리다량의어휘와구문을이해할수있으며, 지나치게빨리외국어를말하게하는불안감을해소시켜심리적압박감을줄여준다는점을들수있다. 또한신체적행동의수행은게임분위기를제공해줄뿐만아니라교사의명령에학습자들은실제로행동으로반응을나타내야하므로듣기에대한집중력을강화시키는효과를가져올수있다. 반면에단점으로는모든언어자료를명령문으로표현할수가없다는점을들수있다. 예를들어, 인사교환, 방향물어보기, 음식주문하기 등과같은의사소통기능은전신반응교수법으로가르치기에적합하지않다. (2) 침묵식교수법 (The Silent Way) 침묵식교수법은 Caleb Gattegno(1972) 가개발한교수법으로, 언어학습시교사는가급적말을하지 - 9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말고학습자가말을많이하도록격려해야한다는원칙에토대를두고있다. 교사는학습자가발화연습을하도록발음차트, 단어차트, 퀴지네어막대 (Cuisenaire rods) 등을사용한다. 또학습자의발화를통한연습은학습자스스로가어떤발음과문장이정확한가를판단할수있는내적기준을갖도록돕는다. 이교수법은다음과같은원칙에입각하고있다. 학습은학습자가학습한것을기억하고반복하기보다는스스로발견하거나창조할때효과적이다. 교사는학습자에게필요한언어정보를주고, 학습자들이주어진정보를바탕으로언어적규칙을발견하도록지도한다. 또한, 학습자가학습한언어규칙을적용하여발화를하거나문장을만들어서자신이세운언어규칙에대한가설을실험하도록유도한다. 학습은학습도구를동반할때효과적이다. 교사는교구를사용하여가급적말을적게하고학습자가스스로목표언어를많이사용하도록지도한다. 학습은문제해결의기회가주어졌을때효과적이다. 따라서교사는학습자가학습에직접적으로참가하도록유도해야한다. 교사가학습도구를사용해서제시한문제는학습자들스스로가풀어나가야만다음단계로넘어가도록학습활동을마련한다. 교사가쉽게해답을알려줄수록학습의효과는줄어들게되기때문이다. 하지만침묵식교수법은청화식교수법의형태에서크게벗어나지못했다고볼수있는데, 그이유로는이교수법에서자주사용하는발화연습, 반복연습, 귀납적문법학습등은청화식교수법에서사용하는교수기법이기도하기때문이다. 이교수법은외국어교육에서널리사용되지못했고, 오늘날문법 번역식교수법과함께과거의잔재로잊혀져버렸다. (3) 공동체언어학습 (Community Language Learning) Charles A. Curran(1972) 은상담심리에서적용하는상담자와피상담자간의상호작용원리를언어교육에적용하여공동체언어학습을개발하였다. 이교수법에서교사역할, 학생역할, 수업절차등은실제상담심리절차와비슷한데, 이교수법에서는학습자의감정, 느낌, 행동, 언어적발달을동시에중요시하여 1970년대의전인적교수방법의하나로알려져있다. 이교수법의커다란특징은교과내용의출발점이학습자의필요성에서시작된다는점이다. 특히, 피상담자로서의학습자는자신이알고싶어하는내용을지적하여교사에게외국어로해석해줄것을요구하면, 상담자로서의교사는해당외국어로번역을해준다. 주요교실활동으로는교사의외국어번역, 교사의발음을따라발화하여녹음하기, 녹음된내용듣기, 배운문법과어휘를이용하여새로운문장만들기, 교사의발음을무한정따라하기, 대화하기등이있다. 공동체언어학습의주요특징은다음과같다. 성공적인언어학습이일어나기위한전제조건은안정감이다. 예를들어, 학습자들이서로를신뢰할수없다면, 학습자들은자신이배우고싶은언어내용을제시하지않거나어려운발음을필요로하는발화를회피할것이다. 학습자를학습과학습과정에집중시킬수있어야한다. 만약학습자가학습과정에집중하지못한다면, 학습에참여를하고있지않다는증거이므로교사는학습자의주의를끌만한다양한수업활동을 - 100 -
언어교육이론의변천과의사소통능력함양을위한외국어교수법고찰 제공해야한다. 학습자가적극적인언어사용기회를갖도록유도해야한다. 즉, 교사는학습자가새로학습한내용을사용하여자신이학습한것을적용해보도록장려해야한다. 학습자가학습한내용을내재화시키도록도움을주어야하는데, 내재화과정을통하여학습한내용은학습자의일부가되기때문이다. 학습반성을통해서학습자가자신의학습목표를확인, 수정하도록유도해야한다. 학습에대한반성은수업의중요한부분이며자신의학습을되돌아봄으로써학습의효과를제고할수있는좋은기회이다. 하지만이교수법을부정적으로보는견해들이있다. 우선학습자의필요와요구를수용하다보면교사가분명한학습목표를가지고수업에참가할수가없으며, 또한일부적극적인학습자에의해서수업이좌우될수있으며, 특히과밀학급에서는이교수법을적용하기가매우어렵다. (4) 암시적교수법 (Suggestopedia) Georgi Lazanov(1978) 는전통적인요가와누구나학습이가능하다는철학을바탕으로암시적교수법을개발하였다. 암시적방법에서사용하는교과서의구성은전통적인문법중심의교수법을상기시키지만, 이교수법에서제안한학습에관한긍정적태도, 장기기억을위한좌뇌와우뇌의활용, 유머, 게임, 음악등은 1970년대교육계의많은관심을받았다. 이교수법의주요특징은다음과같다. 교과내용은학습자가학습에대해서긍정적인태도를갖도록유도하여야하고교사는긍정적인말을자주사용해야한다. 교과내용과교사가만들어내는긍정적분위기는학습자들의마음을열어주며편안한느낌을준다. 또한학습자에게각각새로운이름과직업등을부여함으로써현재자신들과관계된부정적인생각을지우게하고새롭게학습에임하게한다. 클래식음악 ( 특히, 바로크음악 ) 을배경으로교사는영어의억양과리듬을과장하여교과내용을읽는다. 배경음악은그자체로서학습자가긴장을풀도록유도하며학습에대한집중력을높여준다. 좌뇌와우뇌의활동을자극하여학습한내용을오래기억할수있도록한다. 교사는학습자가읽고이해한내용을몸동작을사용하여표현하게한다. 예를들어, 교사는학습자와공을주고받는활동을통하여학습자가현재형문장을과거형의문장으로바꾸어보는등의연습을시킨다. 학습자들은교사가가르쳐주는내용을직접학습하기도하지만, 교실내에비치된학습자료를사용함으로써무의식적으로학습할수도있다. 이러한무의식적학습을이끌어내기위해서교사는이전에배운내용을바탕으로문법, 어휘등의시각차트를교실의벽에걸어두거나, 필요한여러가지학습자료등을교실에비치해둔다. 모국어가같은학습자들을위해서교재를이중언어 ( 예, 영어와한국어 ) 로구성한다. 암시적교수법은학습자가외국어를배우는데성공할수있다는자신감을부여해주고학습의긴장도를늦추어주는장점을가지고있으며, 특히우뇌의역할에주목해서학습한내용을기억하도록촉진시켜주는점도장점으로지적된다. 하지만암시적교수법에서제안하는수업절차와세부기술들은플라 - 10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시보 (placebo) 에불과하다는의견이지배적이며문법 번역식교수법과유사하게영어를모국어로번역을하는데많은시간을소비하여문법 번역식학습의틀을크게벗어나지못했다는평가를받고있어오늘날거의사용되지않고있다. 3) 최신교수법 1970년대에유행했던디자이너교수법들은의사소통중심교수법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이등장함에따라그존재감을잃게되었다. 실제로초기의의사소통중심교수법은언어교수와학습에대한기본적인원리만을제시하는접근법에가까웠으나, 이교수법은최근까지오랫동안영어교육방법론의주류를형성하면서여러가지형태로나타나고있다. 자연적교수법외에내용중심교수법, 과제중심교수법등은의사소통중심교수법의다양한예라고볼수있다. (1) 의사소통중심교수법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의사소통중심교수법은의미 (meaning) 와기능 (function) 중심의여러가지영어교수방법들을통틀어지칭한다. 이교수이론이내세우는기본원칙은다음과같다. 언어학습의목표는학습자의의사소통능력 (communicative competence) 배양에있다. 의사소통능력은문법적능력 (grammatical competence), 사회언어학적능력 (sociolinguistic competence), 담화적능력 (discourse competence), 그리고전략적능력 (strategic competence) 등으로구성되며, 학습자는이 4 가지능력을골고루갖추어야한다. 언어의유창성과정확성은의사소통능력의중요한요소이다. 언어는사용함으로써습득된다. 언어사용능력은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문법지식, 어휘지식등의여러가지요소와기술의통합체이다. 교실활동에쓰이는언어는모국어화자가실제로사용하는언어이어야한다. 언어학습은과정이다. 언어학습에서는학습자가학습활동에직접참여해서경험하는것이중요하다. 위의기본원칙에입각하여의사소통중심교수법은언어의의미 (meaning) 와기능 (function) 을다양한활동을통하여학습시키는교수법이다. 하지만과밀학급, 읽기와문법위주의입시제도, 학습자의낮은의사소통능력등의이유로우리나라에서는영어교육과정에서근간을이루는교수법중하나로중시되고있으나교사의역량에따라적극적으로활용될수있다. (2) 자연적교수법 (Natural Approach) 자연적교수법 (Krashen과 Terrell, 1983; Terrell, 1981) 은스페인어교사였던 Tracy Terrell이자신의교육경험과미국언어교육전문가인 Stephen Krashen 의이론을토대로제안한이해중심교수법중의하나이다. 이교수법의핵심이되는기본가설은어떤나이의학습자이든최적의언어입력을제공하면언어습득이가능하다는것이다. 최적의언어입력 (optimal or comprehensible input) 은학습자가 - 102 -
언어교육이론의변천과의사소통능력함양을위한외국어교수법고찰 대강이해할수있을정도로쉽고, 또학습이일어날수있도록새로운내용을포함하고있는자료를말한다. 자연적교수법의특징은다음과같이기술된다. 이해가표현보다우선하도록언어를지도한다. 듣기 ( 혹은읽기 ) 는말하기 ( 혹은쓰기 ) 보다먼저지도해서이해능력의습득을표현능력계발의기초로삼는다. 말하기는단계별로지도한다. 비언어적의사소통에의해표현하기, 간단한한단어로표현하기, 2~ 3개의단어의결합으로표현하기, 어구로표현하기, 문장으로표현하기, 좀더복잡한담화로표현하기등단계별로구성해서지도한다. 교수요목은의사소통목적에따라서구성한다. 수업활동은학습자들이정의적여과장치 (affective filter) 를사용하지않도록쉽고재미있게구성한다. 이교수법의장점으로는학습자중심의언어자료의성격을잘규명하고, 편안한수업분위기의중요성을부각시켰다는점을들수있다. 하지만단점으로는지나치게이해중심의수업을강조한나머지이교수법을사용해서교실에서학습자가발화능력을기르기가쉽지않다는점이다. (3) 내용중심교수법 (Content-Based Instruction) 내용중심교수법은최근영어몰입식교육에대한찬반논쟁과관련있는교수법으로교과내용을목표어 (target language) 로교수하는방법이다. Brinton(2003) 은내용중심교수법의원칙을다음과같이제시하였다. 교수내용은언어적인내용보다교과내용에근거하여결정한다. 내용중심교수법이추구하는목적은교과내용의이해와적용이다. 따라서언어적범주보다는주제나내용의난이도를기준으로수업내용을편성한다. 의사소통중심교수법의한부류인내용중심교수법은언어기능들 ( 예 :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어휘 ) 을통합하여교수한다. 학습과정에학습자를참여시킨다. 즉, 내용중심교수법은학습자가중심이되는교수법으로, 학습자가교사에의존하기보다는능동적으로수업활동에참가하도록유도한다. (4) 과제중심교수법 (Task-Based Language Teaching) 과제중심교수법은의사소통언어접근법을가장이상적으로구체화한교수법으로 ESL/EFL 환경을포함해서적용범위가넓으며. 최근영어교수법연구의대부분이이교수법을중심으로이루어지고있다. 과제 (task) 는보통의사소통과제 (communication tasks) 를의미하는데, Breen, Candlin, Nunan 과 Long이설명하는과제중심교수법의특성은다음과같다 (Estaire와 Zanon, 1994). 과업수행을통해서교실안에서학습자가목표어를이해하고표현하며상호작용을한다. 학습자는언어의형식보다는의미에중심을둔다. - 10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일상생활에서흔히접하는과제들을교실안에서수행한다. 교사는수업의절차, 과제수행에필요한언어자료, 과제의목적, 과제의결과물에대한계획을세운다. 과제의과정과결과를교사와학습자가평가한다. 과제중심교수법에서흔히사용하는활동들로는직소 (jigsaw) 활동, 정보차를이용한활동 (information gap activity), 문제해결활동 (problem-solving activity) 등이있다. 과제중심교수법은 Long 의상호작용가설 (interaction hypothesis) 과 Swain 의출력가설 (output hypothesis) 이연결되어있다고할수있는데, 과제를완성하는과정에서학습자들은자신들의생각과의견을교환하게되어말하기와쓰기능력을향상시키는데매우유익한방법이다. 4. 결론 이상에서 20세기의외국어교수법의중심을이루었던전통적교수법부터시작해서디자이너교수법, 최근교수법등을살펴보았다. 문법 번역식교수법, 직접식교수법, 청화식교수법등의전통적교수법들은학습자의진정한의사소통능력을계발시키는데에한계를보였는데, 특히문법 번역식교수법은이교수법을뒷받침하는학습이론이나원리, 즉마땅한과학적인근거도없이단순히교사와학습자의입장에서문어를가르치고배우기가쉽다는이점때문에널리사용되었다는것을알수있다. 1970년대에전통적교수법에대한대안으로제시된여러가지교수법들은이를제안한학자들의명성에끌려서한동안유행했지만, 교실현장을제대로가늠하지못하고지나치게이상적이거나언어의본질을너무좁게해석한방법이어서오늘날교실수업에적용하는경우가거의없다. 그래서 Brown(2007) 은이들교수법들을특정이론과수요를위해설계한 디자이너교수법 이라고지칭하였다. 하지만이들대안적교수법들을교수법연구에서완전히배제할수는없는데, 왜냐하면대안적교수법중에서도일부교수원칙과교수기술들은여전히교실수업에도움이되고있기때문이다. 대체로교수 학습법연구에서분석대상으로삼아야될방법들은의사소통중심교수법과이교수 학습원리에기반을둔방법들이되어야한다. 이들교수법들은비교적검증을받은최신방법들이고, 또현재세계여러국가에서널리사용되고있기때문이다. 현시점에서중요한것은어느특정교수법을외국어교육에전체적으로접목하여활용하는것보다는학습목표나학습자수준, 인성적요인, 학습내용등에따라다양한교수법의장 단점등을파악하여교실상황에최적으로활용할수있는 절충식교수법 (the eclectic method) 이라고생각한다. 또한외국어교육에서교수법의원리를잘알고이를활용하는것도중요하지만, 그무엇보다도중요한요소는바로교사요인이다. 오늘날교사에게는다양한교수법이나교수기법을교실상황에적용하려는실험정신을갖고때로는시행착오를거쳐서어떤교수법이나교수기법이학습자에게유용한지를알아내려고하는성찰적교수 (reflective teaching) 의자세가필요하며, 현재에만족하지않고지속적으로교사교육이나워크샵등의다양한프로그램에참여하여자신의전문성을향상하려는자세와노력이필요하다고하겠다. - 104 -
참고문헌 권오량 (2014). 한국영어교육학자들의학문연구의특성과경향. 영어교육, 69(2), 199-220. 김신혜 (2010). 효과적인영어교수법, 성공적인영어학습자에관한오해와이해. 인문학연구, 43, 7-32. 김재혁 (2009). 영어교수 학습법및교수 학습모델분석연구. 교육과학기술부위탁과제보고서. 김태영 (2016). 영어교육을알면영어가보인다. 글로벌콘텐츠. Brown, H. D. (2000).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4th ed.). New York: Longman. Brown, H. D. (2007).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5th ed.). White Plains, NY: Pearson Education. Larsen-Freeman, D., & Anderson, M. (2011). Techniques & principles in language teaching. (3r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Richards, J. C. & Rodgers, T. S. (2014). Approaches and methods in language teaching (3rd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kinner, B. F. (1953). Science and human behavior. New York: Macmillan.
언어교육이론의변천과의사소통능력함양을위한외국어교수법고찰 에대한토론문 주세형 ( 서강대 ) 한국어교육에도움이될것이라는전망에서작성하신것같은데, 국어교육학전공인제가전혀다른전망으로토론을한것아죄송합니다. 이렇게보면자격이안되는게맞는것같고, 혹시나발표자의연구를왜곡했을까두렵습니다. 그렇지만교육환경, 언어환경이바뀌고있어 국어교육학습자, 한국어교육학습자, 영어교육학습자 모두가과연 별개의언어능력모델, 이상적인학습자모델 을가지고있을수없다는생각을해왔는데, 이러한맥락에서하는제질문이선생님께는다소쟁점으로다가가지않더라도고견을주시리라믿고말씀드리겠습니다. 질문내용은크게세종류입니다. 1. ( 제2 언어또는외국어 ) 교수법 연구관에대한 ( 모어교육을다루는 ) 국어교육학자의문제제기 2. 앞으로영어교육연구의패러다임에대한전망 3. 주요개념어에대한정의관련 1. ( 제 2 언어또는외국어 ) 교수법 연구관에대한 ( 모어교육을다루는 ) 국어 교육학자의문제제기 늘 무엇이 언어교육 이론 인지탐색하고자했기에, 선생님께서작성하신내용중 외국어교수법은때로이들요인을지나치게단순화시키는경향이있으므로 라는구절에진심으로동의합니다. 언어교육 이론 이필요한것은 변인 들이만들어내는교수학습현장을 더잘읽어내기 위해서라고생각합니다. 그렇다면연구의목적역시 이론적기반 을더욱엄밀하게하여충분히포괄적인현상을모두장악할수있도록해야할것입니다. 의미있는변인에대한발견, 변인사이의상호작용에따라발견된새로운문제제기등의설명이충분해야할것입니다. 그런데평소외국어교육논문을보았을때그러한발견들이상대적으로소략해보이고발표문에서도그러합니다. - 10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1) 교수법 을왜연구하는가? 위와같은이유로국어교육에서는교수방법연구를 접근법, 모형, 전략, 기법 등, 이론적층위를구분하여연구를하며, 그중에서도특히교수상황을예측하기위하여주로 교수학습모형 을고려하는데, 모형 이라는용어는잘쓰지않는이유가있을까요? 2) 목표 와 내용 에대한고려보다늘 교수법 이우선적으로강조되는이유는무엇인가? 국어교육은 목표와내용 에따른깊은고려가자동적으로교수법의선택으로이어집니다. 그러나영어교육에서는 교수법 을우선적으로강조하는듯이보입니다. 근거가있을까요? 3) 연구관에대한문제제기와관련하여, 교수법을 검증 한다는것에대해기본적으로모든교수법은다 가치롭다 고볼수있지않을까요? 교수님이영어교육에서는 단점 을지닌다고얘기하시는문법번역식교수법의경우, 정신수양지적훈련 이라고하신것을보고많이반가웠습니다. 국어문법교육에서는이걸중요한교육목표중하나라고보고있는것이정설입니다. 또한, 영어교육맥락에서는 자연적교수법 이 ( 특히사교육시장에서 ) 장점을강조하고있을것인데, 국어교육에서는이에대하여장점보다는단점이많다고보고있는것이 교사가교실에서촉진자의역할만을하기때문에교사를무기력하게만들고학습자가활동을하긴했으나목표를표상하는활동을하지못할가능성이높고, 결과적으로표현을하지못하게한다는점에서그러합니다. 요컨대, 검증 과정에서 교수학습상황 에서어떤 변인 이이교수법과관련성이깊은지검증해야타당할것같습니다. 그런데영어교육에서는혹시 교수법은 ( 많은경우에 ) 대체로타당하다 라는방식의일반화하려고하는것은아닌지요? 2. 앞으로영어교육연구의패러다임에대한전망 뭔가언어교육연구패러다임이바뀌어야하는것은아닌가요? 학습자 요인이결국 모든것 이고, 오히려 언어하는인간 자체에집중해야하는것아닌가요? 국어교육학의경우 교실밖 이더중요하여인간자체를읽어내는것이더중요하다는판단을하여, 최근태도 / 언어인식 / 문법적직관등을읽어내고자할때리커르트척도를사용하는것은이미보편적이고, 안구추적, 뇌파연구도하고있는데요, 사실저는국어교육학에서 일부 집단에서하는것이라고생각했는데, 오늘학술대회주제발표문들을일별해볼때국어교육학역시언어학자, 심리학자, 생물학자와연구패러다임을공유할수밖에없겠구나생각했습니다. 제2 언어교육연구역시경계가뭔가허물어지고있는지여쭙습니다. 혹시발표문에는없지만해주실말씀이있으시다면부탁드리겠습니다. - 108 -
언어교육이론의변천과의사소통능력함양을위한외국어교수법고찰 3. 주요개념어에대한정의관련 1) 내용 교수법의 내용 이무엇인가? 이때교수법의목표는 내용 인가 특정영역에서의언어숙달도 인가? 2) 의사소통 기능 이 몇개로 정해져있으며, 혹시 유형화 되어있는가? 3) 과제 와 활동 의개념차이? - 109 -
2018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 일반발표 ( 제 1 분과 )> 전일도인( 全一道人 ) 의번역과한국어교육사적의의허인영 ( 고려대 ) 훈민정음 을통한한글교육의원형 ( 原形 ) 탐색 : < 예의 > 와 < 용자례 > 를중심으로김부연 ( 평가원 ) 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에대하여 김무림 ( 강릉원주대 ) - 111 -
01- 일반 1 분과 -1 ( 마지막에삭제됩니다 ) 전일도인 ( 全一道人 ) 의번역과한국어교육사적의의 허인영 ( 고려대 ) 1. 머리말 이글은아메노모리호슈 ( 雨森芳洲 ) 가편찬한한국어학습서 전일도인( 全一道人 ) (1729) 과관련된기록및번역상의특징을통하여그성립과정을파악하고, 나아가한국어교육사에서 全一道人 이갖는의의를확인하는것을목적으로한다. 전근대시기에일본인이편찬한한국어학습서는적지않으나, 全一道人 은한국어를한글로표기한다른자료와는달리한국어를일본문자인가나 ( 假名 ) 로표기했다는것이가장큰특징이다. 따라서이자료를제대로이해하기위해서는한국어의역사와일본어의역사에대한지식이모두필요하다. 이러한특성때문인지한일양국의학계에서이자료에대한관심은일찍부터있어왔으나, 그에비해선행연구의양은결코많지않다. 이자료만을전면적으로다룬연구로는安田章 (1964), 다카하시 (1998), 허인영 (2014) 가있다. 송민 (1975, 1986), 陳南澤 (2003), 민병찬 (2003), 李在鏞 (2012) 등다른연구는한국어의한글자료나가나전사자료를다루면서그일부로포함시키거나, 全一道人 에서보이는일부현상만을다룬것이다. 그러나 全一道人 연구에서는무엇보다도먼저성립과정에대한이해가이루어져야한다. 이제까지는한국어와일본어번역문이기본적으로별개라는견해가받아들여져왔다. 그러나雨森芳洲의행적과 全一道人 의번역및교정양상을생각해보면기존의견해는그대로받아들이기어려운면이있다. 한국어번역문의작성에는한국인이관여했을가능성이높고, 일본어번역문은한국어번역문을바탕으로만들어졌음이틀림없기때문이다. 또한이제까지의한국어교육사시대구분에서는자료의부족으로인하여고대부터 19세기후반이전까지를시기와지역을구별하지않고뭉뚱그려기술하였다. 그러나전근대시기에서도일본인을대상으로한한국어교육은다른외국인을대상으로한한국어교육에비해그역사가오래되었으며, 雨森芳洲이후로는현대의외국어교육에비추어도손색이없는상당히체계적인교육이이루어졌다. 특히 全一道人 의성립과정과범례의내용은한국어발음교육에도시사하는바가크다. 이러한문제의식을바탕으로, 이글에서는먼저저자인雨森芳洲와 全一道人 을간단히소개하고, 현재까지알려진정보를바탕으로 全一道人 의성립과정을재구성해보았다. 다음으로 全一道人 의성립과정과그서문 범례에의지하여전근대시기의한국어교육사에서 全一道人 이갖는의의를기술하고자한다. - 11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2. 아메노모리호슈와 전일도인 全一道人 의저자인아메노모리호슈 ( 雨森芳洲, 1668-1755) 는에도시대의유학자로, 저명한학자인기노시타준안 ( 木下順庵 ) 밑에서수학하였고동문인아라이하쿠세키 ( 新井白石 ) 등과함께목문오선생 ( 木門五先生 ) 의한사람으로알려졌다. 이후木下順庵의추천으로쓰시마 ( 對馬 ) 에부임하여중국어와한국어를배우고통신사를수행하는등조선과의외교에서중요한역할을수행하였다. 말년에는후학을양성하는한편저술에힘썼다. 그는 1698년조선통신사의보좌역할인조선방좌역 ( 朝鮮方佐役 ) 에임명되고, 1702년에는사절단의일원으로처음조선에건너가게된다. 부산에서그는일본인통사 ( 通詞 ) 들의한국어실력이부족한것을보고, 외교를위해서는직접한국어를학습할필요가있음을절감하였다. 다음해에는한국에건너가 1703년 9월-1704년 11월, 1705년 4월-1705년 11월에걸쳐부산에머무르면서 목숨을 5년줄인다는각오 로한국어를배웠다. 이후그는쓰시마의번유 ( 藩儒 ) 로자리잡아조선과관련된여러가지일을처리하면서경험을쌓고, 1720년에는통역관을양성하기위한계획서인 한학생원임용장 ( 韓學生員任用帳 ) 을제출하였다. 이러한노력으로인해 1727년에는쓰시마의이즈하라 ( 嚴原 ) 에통사 ( 通詞 ) 양성소인 한어사 ( 韓語司 ) 가설립된다. 당시의교재중에 全一道人 의이름은보이지않으나, 후일부산에설립된 초량관어학소 ( 草梁館語學所, 1873-1880) 에서도 全一道人 이한국어학습서로사용되었다는증거가있다 ( 후쿠이 2006; 박진완 2015, 2016). 따라서 全一道人 은필사본의형태로나마쓰시마에서후대까지전해진듯하다. 全一道人 의맨앞에는雨森芳洲의서문과총 4조로구성된범례가실려있다. 이어지는본문에는본래 효 ( 孝 ) 제 ( 弟 ) 충 ( 忠 ) 신 ( 信 ) 예 ( 禮 ) 의 ( 義 ) 염 ( 廉 ) 치 ( 耻 ) 의전8권으로되어있는중국의교훈서 권징고사 ( 勸懲故事 ) 가운데권1과권2에해당하는효부 ( 孝部 ) 와제부 ( 弟部 ) 를한국어로번역하여단락을나누어가나로옮겨적고, 각각의한국어단락다음에는일본어번역문을히라가나와한자로적었다. 勸懲故事 의권1 효부 ( 孝部 ) 에는각각 13조의효 ( 孝 ) 와불효 ( 不孝 ) 이야기가있으므로모두 26조이다. 권2 제부 ( 弟部 ) 에는각각 4조의제 ( 弟 ) 와부제 ( 不弟 ) 이야기가있으므로모두 8조이다. 따라서 全一道人 에수록된이야기는총 34조이다. 내용은특정한역사적인물을대상으로권선징악 ( 勸善懲惡 ) 의메시지를담았는데, 다음과같이본받아야할인물과그렇지않은인물을함께수록했다는점이특이하다. 孝部 孝 不孝 <01> 大孝感親 [ 出史書 ] <02> 慈化不孝 [ 出古烈女傳 ] <03> 乳姑不怠 [ 出小學 ] <04> 糞餅飼姑 [ 出感應篇 ] <05> 至孝繼母 [ 出本傳 ] <06> 大逆親母 [ 出勸善書 ] <07> 思母寄魚 [ 出孝順事實 ] <08> 藏魚却母 [ 出勸善書 ] <09> 赴水救母 [ 出影響錄 ] <10> 母溺嗔救 [ 出勸懲錄 ] <11> 女復父仇 [ 出紀善錄 ] <12> 女不認父 [ 出自警編 ] <13> 剖心救母 [ 出孝順事實 ] <14> 忍心害母 [ 出報應錄 ] - 114 -
전일도인 ( 全一道人 ) 의번역과한국어교육사적의의 <15> 孝親子貴 [ 出孝順事實 ] <16> 逆親神殛 [ 出日省篇 ] <17> 爲夫娶妾 [ 出輟耕錄 ] <18> 妬妾懷孕 [ 出勸戒錄 ] <19> 聞鴿思母 [ 出瑣言 ] <20> 惜鳥害母 [ 出勸善書 ] <21> 賣身買棺 [ 出五湖漫聞 ] <22> 賣易親棺 [ 出影響錄 ] <23> 食必思母 [ 出五湖漫聞 ] <24> 藏飯拒母 [ 出影響錄 ] <25> 尋母獲遇 [ 出五湖漫聞 ] <26> 棄母遭虎 [ 出勸善書 ] 弟部 弟 不弟 <27> 友愛貴壽 [ 出故事 ] <28> 虐弟滅亡 [ 出勸善書 ] <29> 兄弟爭死 [ 出故事 ] <30> 兄弟爭産 [ 出影響錄 ] <31> 傭工化兄 [ 出日省篇 ] <32> 恃富輕弟 [ 出勸善書 ] <33> 愛異母弟 [ 出林泉紀聞 ] <34> 欺繼父弟 [ 出影響錄 ] [ 표 1] 全一道人 에실린이야기의목록 3. 전일도인 의성립과정 1) 선행연구가운데 全一道人 의성립에관하여언급한것은小倉進平 (1920) 이처음인데, 三綱行實 혹은 五倫行實 등의朝鮮文에日本文의對譯을붙인것 이라고하였다. 그러나이후安田章 (1964) 에서는 全一道人 의저본이명대 ( 明代 ) 극작가인왕정눌 ( 汪廷訥, 1573-1619) 이지은교훈서인 勸懲故事 임을분명히하였다. 그러나 全一道人 이갖는한국어교재로서의성격을보다명확히파악하기위해서는저본뿐만아니라성립과정까지밝힐필요가있다. 그리고이자료의성립과정은雨森芳洲의행적에관련된기록과 全一道人 번역및교정양상을통하여추론할수있다. 雨森芳洲는앞서언급한 1703-1705년외에도 1729년 3월-1730년 10월에재판 ( 裁判 ) 으로서초량왜관에부임하여두번째로한국에머무른적이있다. 全一道人 은이때완성된것이다. 그런데그가처음한국에체류했던 1703-1705년에도 全一道人 과관련된작업을했다는사실은매우흥미롭다. 雨森芳洲가통사양성에대한의견을개진한 詞稽古之者仕立記錄 (1732, 한국국사편찬위원회소장 ) 에는그가 1703-1705년에부산에서한국어를공부하면서지은책이나열되어있는데, 그가운데 勸懲故事諺解三冊 이보인다. 2) 언해 ( 諺解 ) 의일반적인의미를생각하면그내용은한문을한국어로번역한것일가능성이높다. 3) 그리고분량이 3책인것을보면 勸懲故事 전체를번역했을것이다. 1) 이절의내용은허인영 (2017) 의제 3 절을요약하고다듬은것이다. 2) 三十六歲之時, 朝鮮江罷渡丸年二年令逗留 交隣須知一冊 酉年工夫一冊 乙酉雜錄五冊 常話錄六冊 勸懲故事諺解三冊仕立 其外淑香傳二, 李白瓊傳一冊自分ニ寫之 ( 関西大学東西学術研究所編 1982: 308) 여기에서 寫 ( 베끼다 ) 와대비되는 仕立 는 지음, 만듦 의뜻이므로, 勸懲故事諺解 는雨森芳洲가지은것임을알수있다. 3) 그러나이것이곧한글로된 勸懲故事 의한국어번역서라고단정할수는없다. 에도시대부터일본에는 諺解 라는이름을가진한적 ( 漢籍 ) 의일본어번역 주석서가상당수등장하기때문이다. 그효시는에도시대초기의유학자인하야시라잔 ( 林羅山, 1583~1657) 인데, 그의방대한저술가운데 性理字義諺解 孫子諺解 孝經諺解 貞觀政要諺解 등 10 여종이넘는한적의번역 주석서의명칭이 諺解 로되어있다. 이가운데 性理字義諺解 (1639) 의서문에서林羅山은 諺解 라는용어에대해다음과같이설명하고있다. 글자의뜻을알지못하면성현의책을읽기어렵다. 책을읽지못하면그말을알기어렵다. 말을알지못 - 11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만일 勸懲故事諺解 가 勸懲故事 를한국어로번역한것이라면, 사반세기가지나서 勸懲故事 의일부를한국어와일본어로번역한 全一道人 이작성된이유는무엇일까? 이는 1727년에한국어교육기관인한어사 ( 韓語司 ) 가설립된것과무관하지않아보인다. 교육기관이생긴이상학습용교재가있어야할것인데, 당시쓰시마에는마땅한교재가없었으므로직접만들수밖에없었을것이다. 다음으로생각해볼문제는 勸懲故事諺解 와 全一道人 의관계이다. 송민 (1986, 2006), 다카하시 (1998), 허인영 (2014) 에서모두힘주어강조했듯이 全一道人 에서가나로전사된한국어는여러가지근거에서실제발음을반영한것으로생각되며, 이러한 자료적현실성 은 全一道人 을한국어사자료로인정할수있는핵심적인이유이다. 4) 그렇다면이 실제 발음을 반영한 한국어를귀로듣고가나로전사하기위해서는번역현장에한국인이동석하여소리내어읽는과정이반드시있었을것이다. 쓰시마가아닌부산에서 全一道人 이완성된이유도여기에있을것이다. 그리고한국인낭독자가읽었을책은 勸懲故事諺解 ( 의일부 ) 라고생각된다. 그리고이 勸懲故事諺解 의내용은한국인이수월하게읽어낼수있는한글 (+ 한자 ) 로표기되었을가능성이높을것이다. 이처럼 勸懲故事諺解 와 全一道人 의관계는단순히전자가후자의번역저본 ( 底本 ) 이라기보다전자가후자의한국어부분, 특히한국어발음의대본 ( 臺本, script) 역할을했을가능성이높다. 물론이러한주장은 勸懲故事諺解 가실제로발견되기전까지는입증될수없는문제이나, 현재로서는두자료의관계를위와같이정리하는것이가장합리적인설명이라고생각된다. 그렇다면雨森芳洲는어떠한과정을거쳐 全一道人 을작성하였을까? 全一道人 의저본이 勸懲故事 임을처음으로밝힌安田章 (1964: 14) 는 全一道人 의번역에대해고찰하면서다음과같이언급하였다. 본문에서의조선문 일본문모두별개로 勸懲故事 로부터번역되어나온듯하다. 즉, 조선문에붙여진일본문은그조선문에기반한것이아니고, 본래부터조선문은일본문에기반한한국어역이아닌것이다. 이것은조선문 일본문을대비하면바로알수있을것이다. 그리고그는한문원문과한국어문장에는있는내용이일본어문장에는빠진다음과같은예를들 고있다. 5) 하면무엇으로성현의마음을얻겠는가. [ 중략 ] 내가 性理字義 를읽고사람들의필요에응하여예사로운말을빌리고방언을빌려國字 ( 가나 ) 로더하여이것을諺解라고하였다. 대개사람들로하여금이것을읽어알기쉽게하고자함이다. ( 不識字義則難讀聖賢之書 不讀其書則難知其言 不知其言則何以得聖賢之心哉 [ 중략 ] 余讀性理字義 應人之求之而 借常談假方言 加以國字 爲之諺解 盖欲使人讀之易曉也 ) ( 구두 밑줄필자 ) 林羅山의스승인후지와라세이카 ( 藤原惺窩, 1561~1619) 는정유재란때포로로잡혀온유학자강항 ( 姜沆, 1567~1618) 과의교류를통하여자신의학문을체계화하였다. 林羅山에게도그러한영향이있어그의手澤本중에는조선에서온것이많았다 ( 日本古典文學大事典 朝鮮文學 ). 諺解 라는용어는이러한역사적맥락에서일본어에도입된것으로생각해야할것이다. 이들보다몇세대뒤의일본유학자였던雨森芳洲또한 諺解 라는제목의책이일본에있음을알고있었을것이고, 한국어를공부하면서조선에도유사한제목의책이있음을알게되었을것이다. 따라서 勸懲故事諺解 의내용은한국어일가능성과일본어일가능성이모두존재한다. 4) 全一道人 이현실발음을반영했다는 자료적현실성 의가장분명한증거는허인영 (2016) 의 2.3 절참조. - 116 -
전일도인 ( 全一道人 ) 의번역과한국어교육사적의의 (1) <13> 閭里憐之乃裒財 延頥眞觀馬道士祈保 사 이어엿비녀겨이예 물을모도와이진관마도 를쳥 여보젼 기를비더라里人あわれにおもひ [ 없음 ] 頗眞觀の馬道士を請し壽命全き樣にといのりける (2) <14> 不顧梁所之 頃霽却臥土穴中 頭目皆灼爛 냥쇼이의간곳을아지못 더니이윽고비개니냥쇼이문득흙구멍가온대누워시되머리과눈이다불에데여버서져梁小二か行方をしらさりしに [ 없음 ] 頭目みな火にやかれ (3) <21> 主人嘉之 預借工錢 濟其急 쥬인이아 다이녀겨공젼을미리빌려그급 것을건져내니라たのめるもの奇特におもひ [ 없음 ] その急なるをすくひけり 이처럼한국어번역문에는있는데일본어번역문에서빠진부분이있는것은그이유를설명하기가어렵기때문에, 한국어번역문과일본어번역문은각기따로한문원문에서번역되었다는것이다. 그러나필자가 全一道人 전체를검토한결과이러한예는일방향적 이므로, 즉한국어에있는부분이일본어에서빠진경우는있어도일본어에있는부분이한국어에서빠진경우는없으므로, 한국어와일본어가별개로번역되었다는주장의확고한근거가되기는어렵다. 그리고 全一道人 을자세히살펴보면한국어문장에서일본어문장이번역되었음을알수있는증거가적지않게나타난다. 현재전해지는 全一道人 은정서본이아니라초고에가까운데, 쓰다가틀린부분을지우고이어서쓰거나, 나중에검토하는과정에서고쳐야할부분을지우고오른쪽에교정한내용을적기도하였다. 6) 다음과같은교정의흔적은한국어번역문이일본어번역문보다앞선다는것을알수있는근거가된다. (4) <13> 至中途 : 즁도의니 러 / 中途までいたり : 일본어문장에서 中途までいたり 의 まで 는본래 にて 라고썼던것을지우고오른쪽에 まで 를적은것이다. 이것은한국어의처격조사 -의 에이끌려현대일본어의 で 에해당하는처격조사 にて 를썼다가일본어에맞는조사인 まで 로바꾼것으로보인다. (5) <25> 隨弟拜母于家大悅 : 아 를 라집의가어미를보고크게깃거 더라 / 弟にしたかい家にゆき母に逢ひ大きによろこへり : 일본어문장에서 弟にしたかい 의 に 는 を 를썼다가지우고밑에 に 를적은것이다. 이것은한국어문장 아 를 의대격조사 -를 에이끌려일본어문장에서도대격조사인 を 를썼다가일본어에맞는조사인 に 로바꾼것으로생각된다. 5) 예문의출전은 [ 표 1] 에서 < > 안에표시된숫자로나타낸다. 이하동일. 6) 全一道人 가나전사의교정에대한자세한사항은허인영 (2015 ㄱ ) 참조. - 11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6) <21> 苦無棺 : 관쟝만 것이없어 / 棺を才角 (= 才覚 ) すべきものなく : 일본어문장은 棺才角するものなく 라고썼다가 棺 과 才 사이에 を 를추가하고, る 를지운뒤오른쪽에 べき 를적은것이다. 원래적힌문장은한국어문장 관쟝만할것이없어 를투명하게반영하고있다. 위 (4-6) 의예를보면어느것이나한국어문장의영향이일본어번역문에반영되어있으며, 자연스러운일본어문장이되도록수정하였음을알수있다. 이러한교정양상은일본어번역문이작성되기이전에한국어문장이이미존재했다고보아야만설명될수있다. 그렇다면 全一道人 의일본어문장은가나로전사된한국어문장을번역한것일까, 아니면그대본에서한글로표기되어있었던한국어문장을번역한것일까? 확언하기는어렵지만전자의가능성이훨씬높다고생각된다. 그이유로는 全一道人 에서나타나는다음과같은오역을들수있다. (7) <04> 睜目不敢近 : 눈을부릅뜨고사 을물려 고감히갓가이가지못 여 / 目をみはり人をおいのけなつきかたく : 한국어문장에는한문원문에없는 사 을물려 고 가들어가있다. 그리고이를번역한일본어문장에는 물려 고 가 물리치다, 쫓아서물러가게하다 의뜻을가진 おいのけ ( 追退 ) 로번역되어있다. 이것은가나표기 ムルリヨハコ (mulryohako) 를 물려 고 가아닌 무르려 고 로오해했기때문이다. (8) <32> 有夜叉數頭 圍繞其居 亂擊其瓦 / 야채두어히이셔그집을에워두로고어즈러이지야를치니 / 鬼あまたありて其家をおらひまわりみたりに瓦をうちわりしに : 한문원문의 圍 가한국어문장에서 에워 로번역되어있다. 이것이일본어문장에는 부르짖다 의뜻을가진 おらひ ( 叫 號 ) 로번역되어있다. 이것은가나표기 ヲイヲ (oio) 의어간을 에우-( 圍 ) 가아니라 웨-( 叫 ) 로오해했기때문이다. 7) 위와같은교정 오역양상을참고하면 全一道人 의작성과정은한문원문을한국어로번역한다음, 그것을다시일본어로번역하는과정을거쳤음을알수있다. 그리고그과정에서가나로표기된한국어문장을일본어로번역하였기때문에한국어의발음상유사점에기인한오역이나타날수있었던것이다. 이상의논의로부터, 全一道人 의번역과정을다음의세단계로나눌수있을것이다. 1 한국인이한글로표기된한국어문장을한단락씩읽는다. 2 雨森芳洲가한국인의발음을듣고그내용을한단락씩가나로전사한다. 3 해당하는한국어문장을한단락씩일본어문장으로번역한다. 7) 에우 + 어 는 [əj.wə] 로, 웨 + 어 는 [wəj.ə] 로발음되었을것인데, 둘다가나전사로는 ヲイヲ (oio) 로나타낼수있다. - 118 -
전일도인 ( 全一道人 ) 의번역과한국어교육사적의의 4. 전일도인 의한국어교육사적의의 이제까지한국어교육의역사를기술한선행연구가운데백봉자 (2001), 조항록 (2005) 는연세대학교한국어학당이설립된 1959년을기점으로삼고그이전의역사는기술하지않았다. 강남욱 (2005) 에서는근대이전의한국어교육또한사적으로기술될필요가있음을주장하였고, 이러한흐름에서한국어교육사의기점은이지영 (2004) 에서 19세기후반으로, 민현식 (2005), 허재영 (2007), 고경민 (2012) 등에서 전통 ( 적 ) 교육기 또는 역학중심교육기 라는이름하에고대 ( 古代 ) 까지앞당겨졌다. 그러나 전통교육기 라는이름하에뭉뚱그려진전근대시기의한국어교육에대해서는단편적인역사기록을나열하는것이대부분이었다. 또는 계림유사( 鷄林類事 ), 조선관역어( 朝鮮館譯語 ) 등의어휘집이나심지어는한국어교육과는직접적인관계가없는 노걸대 박통사 등사역원의외국어학습서까지도포함시켜기술하기도하였다. 포괄하는시간대에비해남아있는자료가너무나도부족하다는점에서이러한기술이이루어진이유를어느정도이해할수는있다. 그러나같은전근대시기의한국어교육중에서도일본에서의한국어교육은특기할만한부분이있고, 이중에서도 全一道人 의위치는굉장히두드러지는것이므로남아있는자료를상세히검토하여적극적으로한국어교육사에서서술할필요가있다. 쓰시마는조선과일본의중간이라는지정학적위치를기반으로하여무역과외교에종사하는이들이많았고, 그런만큼한국어를학습할수있는환경이자연스럽게조성되었다. 그러나 로쿠주닌 ( 六十人 ) 으로불리는상인집안에서대대로 父子相傳 으로이루어진한국어교육에는한계가있었다. 雨森芳洲가쓰시마에부임했을때에는체계적인한국어교육은커녕한국어를일정수준으로구사할수있는통사도구하기어려웠던것이다. 이러한상황에서체계적인한국어교육의필요성을절감한雨森芳洲는 1720년 韓學生員任用帳 을제출하였고, 그계획에따라 1727년에는최초의체계적인한국어교육기관인한어사 ( 韓語司 ) 가쓰시마의이즈하라 ( 嚴原 ) 에설립된다. 한어사의한국어교육과정에대한자세한설명은지면의제약으로생략하나, 상당히체계적인교육이이루어졌음은분명하다. 8) 이후메이지 ( 明治 ) 초기에신정부가대조선외교를직접관장하게되면서 1872년에는한어사가폐지되고 한어학소 ( 韓語學所 ) 가설치되었으나이듬해폐지되고, 부산에 초량관어학소 ( 草梁館語學所 ) 가신설되어 1880년까지유지되었다. 이처럼쓰시마에체계적인한국어교육이정착되고그러한교육이 19세기후반까지유지될수있는기반을닦은사람은雨森芳洲인데, 그가교훈서이자한국어학습서인 全一道人 을편찬하게된까닭은그서문에잘나타나있다. 9) 쓰시마사람중에무릇공사 ( 公事 ) 에힘쓰는자그누가한어 ( 韓語 ) 에뜻이없겠는가. 그러나책도없고가르침도없어그저망양 ( 望洋 ) 의탄식을품을따름이다. 여기에네부의책을뽑았으니처음에 운략언문 ( 韻略諺文 ) 을읽어자훈 ( 字訓 ) 을알고, 다음에 수작아언( 酬酢雅言 ) 을읽어단어 ( 短語 ) 를알고, 다음으로 8) 우메다 (2003), 정승혜 (2006 ㄴ ) 등을참고하면, 3 년동안매일 5 시간반에걸쳐 復讀 - 編文 - 會館 - 休息 - 新習 을시행하는스파르타식교육으로학습수준에따라교재를달리하고매달정기적으로시험을치러점수를매겼다고한다. 9) 각주에제시한일본어원문의문장구분은安田章 (1964) 를따르되필자가구두를붙였다. - 11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전일도인( 全一道人 ) 을읽어마음을기르고, 다음에 제구의완( 鞮屨衣椀 ) 을읽어용무를처리하게한다. 바라건대가르침에차례가있어야인재를이룰수있을것이다. 芳洲씀. 10) 雨森芳洲는쓰시마에제대로된한국어교재가없는것을안타깝게여겨 4단계의교재를만들었다. 이를통해한국어를교육하는과정에서학습자의수준에맞는교재를통해 문자 발음-단어 구-문장-응용 으로이어지는단계별학습을할것을주장하고있고, 그중에서도 全一道人 은 3단계에해당하는교재이면서동시에 마음을기르는, 즉언어뿐만아니라정신문화를배우는역할까지도생각하여배치하였음을알수있다. 따라서일본에서이루어진한국어교육의역사에서최초로체계적인교육을실시하고교재를만들었다는점에서雨森芳洲의공헌이대단히크다. 나아가 全一道人 은단계별학습의한과정으로서유교적교훈서를번역한교재라는점, 한국인의발음을그대로전사한교재라는점에서그의의를재평가할필요가있다. 우메다 (2003: 66) 에서언급하였듯이 全一道人 과거기에담긴한국어교육론은 현대의외국어교육의입장에서보아도, [ ] 실제의한국어교육의입장에서보아도결코시대에뒤떨어진것이아니 기때문이다. 또한, 全一道人 의번역과정과범례의내용은한국어교육의제분야중에서도특히발음교육에시사하는바가크다. 앞서살펴보았듯이雨森芳洲는 全一道人 을편찬하는과정에서먼저저본인 勸懲故事 를한국어로번역하여한글로표기한 勸懲故事諺解 를만들었을가능성이높다. 그리고 勸懲故事諺解 를한국어모어화자가낭독한것을듣고단락별로가나로전사한다음, 일본어로번역하고교정하는과정을거친것으로생각된다. 여기에서주목해야하는부분은한국어 모어 화자가 낭독한 것 을일본문자인가나로 전사 했다는점이다. 한국어를한글이아닌가나로전사한것은한국어모어화자를항상가까이에서접할수없는현실적인상황을고려한것이기도하겠으나, 한국어의발음을익히는과정에서한글보다익숙한가나를통하여모국어의음운체계로접하는것이한국어의음성을익히는데보다효과적이라는판단이뒷받침되었을것이다. 全一道人 의가나전사가당시한국어의음성을충실하게전사한것이라는사실은송민 (1986), 다카하시 (1998), 허인영 (2014, 2016 ㄱ ) 등많은선행연구에서지적된바있는데, 이처럼 들리는그대로옮겨적은 자료가당시사람들에게현대의발음기호내지는녹음자료와같은역할을했을것임은충분히짐작할수있다. 雨森芳洲본인이그러한생각으로 全一道人 을편찬하였음은 범례 를통하여알수있다. [ 범례제1조 ] 이책은일본가나로조선말을적은것이다. 긍계 ( 肯綮 ) 11) 인부분옆에언문을적은것은, 언문에익숙하고말에어두운자는그말이잘통하지않아어렵고, 말에전념하고언문을모르는자는그 10) 我州の人 およそ公事に役するもの たれか韓語に志なからん しかし其書もなく また其教もなけれは たゝに望洋の歎をいたけるのみ ここに四部の書をゑらひ はしめに韻略諺文をよみて字訓をしり 次に酬酢雅言をよみて短語をしり 次に全一道人をよみて其心をやしなひ 次に鞮履衣椀をよみて其用を達せしむ こゐねかわくは 其教の次第ありて 其材をなすにちかからんとしかゆふ 芳洲書 11) 긍계 ( 肯綮 ): 근육과뼈가결합된곳으로가장중요한곳. 가장핵심적인부분. - 120 -
전일도인 ( 全一道人 ) 의번역과한국어교육사적의의 말이잘못되어곤란하다. 그런까닭으로가나로적은것을보고말을알고언문으로옆에적은것을보고말의본 ( 本 ) 을알게하고자한것이다. 다만이것은사람을이끄는첩경이지인재를이루는정법이아니다. 진정한정법을말하자면총명한사람을뽑아 7, 8세부터저나라에보내두고처음부터언문으로말을배우게할수밖에없을것이다. 12) 가나로한국어를적은것은 말 ( 言葉 ) 이고, 그옆에한글로적은것은 말의본 ( 言葉の本 ) 이라고하였다. 이를통하여雨森芳洲가한국어의실제발음과형태음소적표기간의차이를인식하고있었고, 이것을제대로이해하는것이한국어학습에서중요하다고생각했음을알수있다. [ 범례제2조 ] 韓語중에諺文으로적는것과말로하는것은다른경우가많다. 대략그예를뒤에적었다. 이것으로써미루어알아야할것이다. [ ] 翰林 { 한림 } 할림 萬里 { 만리 } 말리 神靈 { 신령 } 실령 順流 { 슌류 } 슐류 亂離 { 난리 } 날리 運米官 { 운미관 } 울미관 隣里 { 린리 } 닐리 馬牛 { 쇼} 쇼 弓箭 { 활살 } 화살 不道 { 블도 } 부도 不知 { 블지 } 부지 前 { 알피 } 아피 妻 { 안해 } 아내 姑 { 쉬어미 } 싀여미 兇惡 { 흉악 } 휴낙 松陽 { 숑양 } 쇼양 夕陽 { 셕양 } 셔양 年條 { 년됴 } 년죠 公作米 { 공착미 } 공장미 甚 { 심히 } 시미 敢 { 감히 } 가미 急 { 급히 } 그피 極 { 국히 } 그키 親 { 친히 } 치니 儼然 { 엄연히 } 어며니 宛然 { 완연히 } 와녀니 從容 { 죵용히 } 죠용이 一同 { 가지} 하니가지 壽 { 나만히 } 나마니 一日 { } 大怒 { 대노 } 대로 [ ] 이와같은종류는이루헤아릴수없다. 지금그가운데한둘을보였을뿐이다. 나이어린사람이언문을적당히알아언문으로된책을읽고서말을틀리는일이많다. 언문으로된책을읽는것이나쁘다는것이아니다. 개합 ( 開合 ) 청탁 ( 淸濁 ) 음편 ( 音便 ) 을모르고서어지러이읽는것이나쁘다는것이다. 대체로 170자의언문을우리나라사람에게배우게하는것은좋지않다. 시골사람이서울말을같은시골의, 서울말을잘배웠다고하는사람에게배우는것과같다. 어느정도잘구별해서말한다해도서울사람과는차이가있을것이다. 13) 12) 此書日本かなにて朝鮮言葉をしるし 肯綮の所にはかたわらに諺文をしるせしは 諺文になつみ言葉にうときものは その言葉しふりてかたく 言葉に専らにして諺文をしらさるものは その言葉あやまりてくるし しかるゆへ かなにてかけるを見て言葉をしり 諺文にてかたわらにかきしを見て言葉の本をしらしめんとの事なり たゝし是は人をみちひくの捷徑にして 材をなすの正法にあらす まことの正法をいわは 聰明の人をゑらひ 七八歳より彼國にわたしおき はしめより諺文にて言葉をならわすより外はあるまし 13) 韓語の內諺文にてかけると言葉にいへるとはちかひたる事おゝし大槩其例を後に記せりこれを以て類推すへきにや [ ] かくのこときの類枚擧するにいとまあらす今その一二をしるせるのみ少年の人諺文をそこそこにしり 諺文の書をよみて言葉をあやまる事おゝし 諺文の書をよむをあししとするにはあらす 開合清濁音便をしらすして みたりによむをあししとするなり 惣じて百七十字の諺文を我國の人にならひはしむるはよろしからす いなかの人のみやこの言葉を同しいなかのみやこ言葉よくまなへるといへる人にならふにをなし いかほとよくいひわくるともみやこの人にはちかいあるへし - 12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제2조에서는한글표기와발음 ( 가나로표기된 ) 의차이를비음의유음화, / ㄹ / 탈락, / ㅇ / 탈락, / ㅎ / 탈락, 격음화등의음운현상이반영된예를통하여자세히보여주고있다. 그리고이러한표기와발음의괴리를인식하고, 표기에서발음으로이어지는음운론적지식 ( 개합 청탁 음편등 ) 없이무턱대고익히는것에문제가있음을지적하고있다. 나아가발음교육에있어서모어화자교수자의중요성또한강조하고있다. [ 범례제3조 ] 가치나모가지우 이셔가지을그버여어보니가지고가려 가鵲在樹枝上俯窺茄子欲持而去之也게를궤여담엇거 괴이셔먹음어가니괴이 다盛蟹於櫃有猫啣而去之可謂恠異멀리 니 사 이 을몰됴흔 싯고믄득메멘사 을 우 셔만나서로도토와 이처더니 밥머글 이 여이예프러가니라遠行之人駄藻於擧好之馬忽逢荷槌之人於山上相爭而痛搖之一頓飯時乃解去패 군관이 고가다가 먹고 알파 병을어드니라佩牌軍漢乘船食梨而得腹痛之病 구경 이 리우 바자니다리가 브지아니랴翫月之女橋上彷徨得無脚倦乎 으로 리워 업게 니다만 날 아녀두려컨대담이셩 가 노라以苦周遮使無罅隙不獨汗出恐有痰盛칼을둘러 을버혀두로들러도라와시니술로술을먹으면엇지쾌 리오揮刀艾蘆周廻而還匙飮酒安得快乎블의예블이두던의풀과 를 와다 와시나블 가오히려이시니엇디사라나지아닐가근심 리요不意火燎於原草菅盡燒有根猶存何患不生 이상몇가지비슷한말을모아서적었다. 이러한종류는무수할것이다. 하나하나구별해서말하고구별해서적었을때진정한諺文을알고韓語에능한사람이라고할수있다. 그러나구별해서적기까지는工夫의힘을가지고되지만구별해서말하는것은이루기어렵다. 예를들어橋 筯 (hasi), 雲 蛛 (kumo), 花 鼻 (hana), 笠 瘡 (kasa) 따위를말할경우 14) 서울사람은각각구별해서말하지만邊土사람은배워도능히하지못하는것은山川風氣가다른까닭이다. 하물며異邦의말이겠는가. 韓人은濁한말을못하는데, 옛날어느일본말을잘하기로이름난譯官이야기에지금의젊은判事는그뜻이없어ござります (gozarimasu) 라는쉬운말도こさります (kosarimasu) 라고하니이상한일이라고하였다. 그자신은잘구별해서말한다고생각해저리말했지만일본사람의귀에는어느것이나こさります (kosarimasu) 로들려서이상하게여겼다. 우리나라사람이韓語를하는것도이와같음을알아야한다. 이일을적어두는것은, 韓語를배우는사람은조금배웠다고해서小成에안주하고자부하는일이없게하고, 그말을듣는사람은남김없이구별해서말하지못한다해도깊이책망할일이아니라고생각하기때문이다. 15) 14) 이단어들은동일한음절로구성되어있지만악센트에따라의미가구별되며, 동일한단어라도방언별로악센트에차이를보이기도한다. - 122 -
전일도인 ( 全一道人 ) 의번역과한국어교육사적의의 제3조에서는동음이의어나유사한어형의단어들이섞여있는문장들의예를제시하고, 이것들을구별하여말하고적는것이가능한단계까지도달해야함을역설하고있다. 동시에이러한단계에도달하는것자체가쉽지않다는것을인정하고, 겸손한자세로노력해야함을강조하고있다는점은주목할만하다. [ 범례제4조 ] [ ] 서울사람이きる物 (kirumono) 라는것을きり物 (kirimono) 라고적고, 大こん (daikoɴ) 이라는것을大こ (daiko) 라고적고, 시골사람이かゐる (kayiru){ 蛙 } 라는것을かゑる (kayeru) 라고적는종류는말을틀려서가나까지도틀리는것이다. てうじ (teuzi){ 丁子 } 라고적어야할것을ちやうじ (tsiyauzi) 라고적고さんせう (saɴseu){ 山椒 } 라고적을것을さんしやう (saɴsiyau) 라고적는종류는말에는틀림이없지만가나사용이그法을잃은것이다. 16) 朝鮮의諺文에도이런종류의일이많다. 고집할일이아니다. 또어떻게적어도같은것이되는경우도있다. 자세히韓人에게배우고널리물어서야알수있다. 예를들어 全一道人 을처음가나로적은것을숙독하고능히외운뒤다시諺文으로적은 으로써자세히韓人에게배워야한다. 17) 그렇지않고서는진정한韓語란되기어렵다. 18) 이상범례의내용에서알수있듯이, 雨森芳洲는기본적으로문자언어와음성언어의차이를이해하고둘사이의관계를잘이해할수있어야한다고생각하였다. 이러한생각에따라 全一道人 의가나전사는철저하게한국어의음성을반영하는방식으로이루어졌다. 勸懲故事諺解 의내용은본인이한국어로번역한 ( 아마도한국인의도움을받았겠지만 ) 것임에도불구하고, 직접가나로옮기지않고한국인이낭독한것을듣고적은것은, 모어화자교수자를접하는것이어려운상황에서학습자들에게최대한현실발음에가까운자료를제공하기위해고심끝에결정한방안이었으리라고생각된다. 20세기초의한국어학습서에서조차발음과문법을동일한체계에서다루거나발음을한국어철자법의구성요소로다루었음을생각하면 ( 허재영 2007: 167-168), 표기와발음을철저히구별한 全一道人 15) 以上數條疑似の言葉をあつめてつゝれり 如此の類無數なるへし 一々いひわけかきわけたる時 まことの諺文をしり韓語を能せる人といふへし しかしかきわくるまては 工夫の力をもつてなるへけれと いひわくることはなりかたかるへし たとへは橋筯雲蛛花鼻笠瘡なといへる事 都の人はそれ〱にいひわくれと 邊土の人はまなひてもあたわさるは 山川風氣の違へる故そかし まして異邦のことはおや 韓人はにこりたる言葉をゑいわさるに むかしある日本の言葉よくいへるにてほまれありける譯官のはなしに 今のわかき判事はその志なきゆへ こさりますといへるやすきことはも こさりますといひ おかしき事なるといへり その身はよくいひわくるとおもひかくいひけれと 日本の人のみゝにはいつれもこさりまするときこへておかしかりき 我か國の人の韓語をいへるも これにおなしとしるへし 此事をしるしおけるは 韓語をまなへる人は すこしおほへたるとて 小成に安し自負する事なく その言葉をきける人はのこりなくいひわけぬとて ふかくせめましき事とおもへる故なり 16) 이시기일본어에서는エ段 + ウ (-eu), ヤウ (yau) 가모두 [-joː] 로실현되었다. 따라서てう (teu) 와ちやう (tsiyau), せう (seu) 와しやう (siyau) 는각각 [ʨoː], [ɕoː] 로발음되었을것이다. 그러나雨森芳洲는てう (teu), せう (seu) 로적는것을규범적인표기로인식한듯하다. 17) 여기서 諺文으로적은 이 전일도인 의한글방훈을가리키는것인지, 아니면한글로표기된또다른 전일도인 의존재를시사하는것인지는불분명하다. 18) 都の人のきる物といふ事をきり物とかき大こんといふ事を大ことかきいなかの人のかゐる { 蛙 } といふ事をかゑるとかける類は言葉をあやまりてかなをもあやまるなりてうじ { 丁子 } とかくへきをちやうじとかきさんせう { 山椒 } とかくへきをさんしやうとかける類は言葉にはちかひなけれとかなつかひの其法をうしなへるなり朝鮮の諺文にも此類の事おゝし固執すましき事なりまたいかやうにかきてもおなしことなりといへることありくわしく韓人にまなひひろくたつねてはしめてしるへしたとへは全一道人を はしめかなにてかきたるを熟讀し能覺て後 かさねて諺文にてかける を以てくわしく韓人にならふへし さなくはまことの韓語とはなるまし - 12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의구성방식은상당히근대적인것이라고할수있을것이다. 그리고범례에서드러나는雨森芳洲의한국어교육관역시, 언어학습의 결정적시기, 음운론적지식, 모어화자교수자의중요성, 동음이의어의구별, 표기법학습등을강조한다는점에서당시에는생각하기어려운정도의수준에올라있었음을알수있다. 5. 맺음말 이제까지雨森芳洲의행적및 全一道人 의번역과교정을분석하여성립과정을살펴보고, 한국어교육사에서 전일도인 이갖는의의를제시해보았다. 그내용을정리하면다음과같다. 먼저, 雨森芳洲는한국어교육기관인한어사 ( 韓語司 ) 가설립 (1727) 되면서, 이전에 勸懲故事 를번역한 勸懲故事諺解 ( 逸失, 1703-1705) 를바탕으로 全一道人 (1729) 를편찬한것으로생각된다. 그리고 全一道人 의번역과정은다음과같이추정할수있다. 1 한국인이한글로표기된한국어문장을한단락씩읽는다. 2 雨森芳洲가한국인의발음을듣고그내용을한단락씩가나로전사한다. 3 가나로전사된한국어문장을한단락씩일본어문장으로번역한다. 다음으로, 한국어교육사에서 全一道人 이갖는의의는다음과같다. 첫째, 한국어교육의역사를시대별로기술한선행연구에서는대체로 19세기후반이전의한국어교육을 전통교육기 로묶어처리하였으며, 근대전환기이후의한국어교육에비해상대적으로소홀히다루어져왔다. 그러나 18세기부터쓰시마와부산에서이루어진한국어교육의실상이점차드러나고있는만큼, 全一道人 은 18세기초한국어교육의상황을생생하게보여주는한국어교육사자료로자리매김할수있을것이다. 둘째, 全一道人 의성립과정과범례의내용은한국어교육의하위분야가운데발음교육에시사하는바가크다. 일본어모어화자가한국어를학습하는과정에서겪는발음상의난점과주의사항에대하여자세한예를들어설명하고있으며, 보다자연스러운발음을익히게하기위하여한국어모어화자의발음을직접듣고가나로전사하였다는사실은현대의발음교육에서도참고할만한부분이적지않을것이다. - 124 -
전일도인 ( 全一道人 ) 의번역과한국어교육사적의의 참고문헌 雨森芳洲 (1729). 全一道人 ( 등록번호九 ). 芳洲會所藏. 京都大學文學部國語學國文學硏究室編 (1964). 全一道人の硏究. 京都 : 京都大學國文學會. 강남욱 (2005). 敎材評價論을통한근대초기한국어교재에관한硏究.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고경민 (2012). 한국어교재변천사연구. 건국대학교박사학위논문. 고경민 (2017). 한국어교재의변천과시대구분에대한연구. 교육과학연구 19-1. 제주대학교교육과학연구소. 19-38. 다카하시 = 高橋誠司 (1998). 全一道人 의仮名転写研究. 고려대학교석사학위논문. 민병찬 (2003). 全一道人 에있어서의 -ㅔ 의假名傳寫에대한考察. 일본학보 57. 한국일본학회. 109-122. 민현식 (2005). 한국어교육학개관. 한국어교육론 1. 한국문화사. 박새암 (2016). 근대적한국어교육형성기 설정의문제. 언어와정보사회 29. 서강대학교언어정보연구소. 151-180. 박진완 (2015). 草粱館語學所의조선어교육방식연구 : 復文錄 의분석을통해. 한국어교육 26-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97-124. 박진완 (2016). 초량관어학소 ( 草粱館語學所 ) 復文錄 의성립과정. 한국어학 72. 한국어학회. 85-119. 백봉자 (2001), 교재와교수법을통해본한국어교육의역사와과제.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25-1. 연세대학교한국어학당. 11-31. 송민 (1975). 十八世紀前期韓國語의母音體系. 논문집 6. 성심여자대학교. 3-24. 송민 (1986). 前期近代國語音韻論硏究. 서울 : 탑출판사. 송민 (2006). 近代國語音韻史와 가나 表記資料. 임용기 홍윤표편, 국어연구어디까지와있는가 ( 연세국학총서 66). 파주 : 태학사. 385-404. 우메다 = 梅田博之 (2003). 雨森芳洲의韓國語敎育論. 일어일문학연구 46-1. 한국일어일문학회. 49-68. 이강민 (2004). 근세日本의한국어학습서. 일본학보 58. 정광 (1990). 중국에있어서한국어교육의역사적고찰. 이중언어학 6. 이중언어학회. 169-181. 정승혜 (2006ㄱ). 日本에서의韓語敎育과敎材에대한槪觀. 이중언어학 30. 정승혜 (2006ㄴ). 對馬島에서의韓語敎育. 어문연구 130. 정승혜 (2015). 조선후기朝日兩國의언어학습과문자에대한인식. 한국실학연구 29. 한국실학학회. 81-117. 조항록 (2005).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사. 한국어교육론 1. 서울 : 한국문화사허인영 (2014). 全一道人 의한국어복원과음운론적연구. 고려대학교석사학위논문. 허인영 (2015ㄱ). 全一道人 가나전사의교정에대하여. 민족문화연구 67.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 - 12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구원. 167-214. 허인영 (2015ㄴ). 全一道人 과 朝鮮語譯 의한글표기에대하여. 한국어학 69. 한국어학회. 395-426. 허인영 (2016). 18세기초假名전사자료에반영된한자음韻母의음성적특징. 구결연구 37. 구결학회. 195-233. 허인영 (2017). 아메노모리호슈 ( 雨森芳洲 ) 의 전일도인( 全一道人 ) 번역에대하여. 2017년민족어문학회정기학술대회발표집. 민족어문학회. 327-340. 허재영 (2007). 제2언어로서의한국어교육의이해와탐색. 서울 : 보고사. 허지은 (2008). 쓰시마조선어통사의성립과정과역할. 한일관계사연구 29. 한일관계사학회. 123-170. 황백현 (2010). 對馬島의韓語學習에관한硏究. 동의대학교박사학위논문. 후쿠이 = 福井玲 (2006). 나카무라쇼지로가남긴한국어학습서에대하여. 國語學論叢: 李秉根先生退任紀念. 파주 : 태학사. 1595-1610. 후쿠이 = 福井玲 (2011). 小倉文庫의특징에대하여 : 중세어자료와대마도관련자료를중심으로. 奎章閣 39. 서울대학교규장각한국학연구원. 241-376. 大友信一 (1965). 全一道人の研究. 朝鮮学報 36. 朝鮮学会. 148-151. 小倉進平 (1920). 國語及朝鮮語のため. 京城 : ウツボヤ書籍店 ( 小倉進平 1985 所收 ). 李在鏞 (2012). 18 世紀日本の韓国語学習書における ツ の表記 : 雨森芳洲の 全一道人 を中心として. 朝鮮学報 222. 朝鮮学会. 51-66. 関西大学東西学術研究所編 (1982). 芳洲外交関係資料 書翰集 : 雨森芳洲全書 3 ( 関西大学東西学術研究所資料集 11-3). 大阪 : 関西大学出版部. 神田喜一郞 (1949). 朝鮮と雨森芳洲. 世界人 7. [ 神田喜一郞 1969 所收 ] 神田喜一郞 (1969). 東洋学文献総説. 二玄社. 陳南澤 (2003). 朝鮮資料による日本語と韓國語の音韻史硏究. 東京大学박사학위논문. 安田章 (1964). 全一道人の硏究. 1-102, 1-19( 京都大學文學部國語學國文學硏究室編 1964 所收 ). 安田章 (1994). 全一道人再見. 国語国文 63-11. 京都大学国文学会. 35-50. [ 安田章 2005 所收 ] 安田章 (2005). 国語史研究の構想. 三省堂. - 126 -
전일도인( 全一道人 ) 의번역과한국어교육사적의의 에대한토론문 서민정 ( 부산대 ) 위논문은아메노모리호슈 ( 雨森芳洲 ) 의 전일도인( 全一道人 ) (1729) 의성립과정을고찰하고한국어교육사적측면에서 全一道人 의의의를찾는것을목적으로하고있습니다. 전일도인( 全一道人 ) 은한국어학적, 번역학적, 한국어교육학적으로자료적의의가있음에도불구하고, 18세기의한글표기와가나표기를모두이해하고있어야하는자료의특성으로그동안접근이어려워선행연구가많지않았습니다. 이러한점에대한이연구의문제의식과의의에대해동의하면서몇가지질문을드립니다. 1. 이연구의 2장에서는 1727년에는쓰시마의이즈하라 ( 嚴原 ) 에통사 ( 通詞 ) 양성소인 한어사 ( 韓語司 ) 가설립된다. 당시의교재중에 全一道人 의이름은보이지않으나, 후일부산에설립된 초량관어학소 ( 草梁館語學所, 1873-1880) 에서도 全一道人 이한국어학습서로사용되었다는증거가있다 라고하고, 3장에서는 권징고사언해 가 勸懲故事 를한국어로번역한것이라면, 사반세기가지나서 勸懲故事 의일부를한국어와일본어로번역한 全一道人 이작성된이유는무엇일까? 이는 1727년에한국어교육기관인한어사 ( 韓語司 ) 가설립된것과무관하지않아보인다. 라고하고있습니다. 이연구에서는한어사 ( 韓語司 ) 의한국어교재가 全一道人 임을전제하고있는것으로보입니다. 그런데발표문의위내용만으로는이를입증하기에부족해보입니다. 혹다른자료에서이를입증할명확한자료가있는지요? 2. 이연구에서는 全一道人 의번역과정 (3 장 ) 을다음의세단계로설정하고있습니다. 1 한국인이한글로표기된한국어문장을한단락씩읽는다. 2 雨森芳洲가한국인의발음을듣고그내용을한단락씩가나로전사한다. 3 해당하는한국어문장을한단락씩일본어문장으로번역한다. 여기서 1의 한국인 은왜한국어문장을읽었을까요? 한글로표기된한국어문장을아메노모리호슈 ( 雨森芳洲 ) 가그대로번역하기는힘들었을까요? 즉위의과정이설득력을얻기위해서는아메노모리호슈 ( 雨森芳洲 ) 는한국어는잘이해하고있는데, 한글을읽지못한다는것이전제되어야할것이기때문에생긴의문입니다. - 127 -
01- 일반 1 분과 -2 ( 마지막에제됩니다 ) 훈민정음 ( 訓民正音 ) 을통한한글교육의원형 ( 原形 ) 탐색 - < 예의 > 와 < 용자례 > 를중심으로 - 김부연 ( 평가원 ) Ⅰ. 머리말 그동안우리나라의한글교육은우리만의정통성과독자성을상실해있었다. 영어와동일한표음문자라는이유로영 미국식지도방법인파닉스 (phonics) 등에기대어학습해왔던것이이를증명한다. 1) 근래들어 훈민정음 해례본의가치및한글의위상이높아지면서한글교육의패러다임또한전환되었다. 2007 개정고등학교국어과교육과정부터지금까지한글의제자원리에중심을둔한글교육이초 중등교육에서공식적으로이루어지고있다. 비로소한글에대한이해와한글교육의본질을제대로파악하기시작한것이다. 훈민정음 해례본에는오늘날한글의처음모습은물론각글자의음가와글자들사이의관계및글자들을어떻게조합해운영해야하는지에대한원천적인정보들이담겨있다. 그렇기때문에 훈민정음 해례본에담긴내용자체가한글교육의원형이됨은자명하다. 그럼에도불구하고한글교육에대한기존연구를검토해보면 훈민정음 해례본과직접적으로연계한연구를찾아보기어렵다. 그런데최근최영환 (2015, 2017) 에서 훈민정음 해례본의내용을바탕으로 해 ( 解 ) ( 문자설명을통한학습 ) 와 예 ( 例 ) ( 문자학습결과의적용 ) 로구분하여한글지도방법을탐구해보는시도와아울러이를실용화하는데까지나아갔다. 이어서김유범 (2018) 에서는 훈민정음 해례본의구조적특징과각부분텍스트에담긴내용들가운데한국어교육에활용할수있는내용요소를추출하고이들의적용방안을제안하였다. 이러한연구들은모두보다발전된한글교육을위해 훈민정음 해례본의구체적인내용에접근하고방법을모색했다는점에서큰의의가있다. 이처럼한글의구조적특성을고려하여한글해독을위한지도방법을탐색하려면 훈민정음 해례본에대한이해가필수적으로선행되어야한다. 이연구는 훈민정음 해례본에담긴문자습득의전략측면에접근해보는데목적이있다. 한글교육은한글의특성상균형잡힌언어교육접근법이매우중요하게작용되어야한다. 일반적으로음소문자와표음문자는상향식의음운중심언어교육이적합하고, 음절문자와표의문자에서는하향식의전체적인교육이적합하다. 그런데한글은음소문자로창제되었지만음절로실현되는실체로서서로상반되는독특한양면성을가지고있으므로어느한가지방향의문자언어접근만으로는효과적인한글교육이되기어렵다. 따라서한글의문자적특성을고려하면음소중심의교육방법과총체적인교육방법을모두포함하는양방향적인한글교육이효율적이다. 다행스럽게도 훈민정음 해례본에는이러 1) 파닉스 (phonics) 는영국과미국을중심으로활발히전개된음성중심의낭독법과단어및철자학습법등을포괄하는개념이다. 이는오늘날제 2 언어교수에서중요하게다루는전통적교수 학습방법이다. - 12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한두가지교육적접근방식을극명하게보여주는텍스트가있는데바로 < 예의 > 와 < 용자례 > 이다 ( 아래 < 그림 1> 참조 ). 2) 단어 < 용자례 > < 예의 > 낱자 음소중심접근법 ( 상향식 ) 총체적접근법 ( 하향식 ) < 그림 1> 훈민정음 해례본에나타난한글교육의접근법 < 예의 > 텍스트를통해글자모양을포함한낱자에대한이해, 자소와음소간의대응등에대해우선적으로학습할수있는데이러한접근은상향식접근법에해당한다. 이에반해 < 용자례 > 텍스트는표면적으로하향식접근법으로구성되어있어서단어를통해글자와음절간의대응, 단어를통한낱자의쓰임등을학습할수있다. 이러한특성을지닌두텍스트에는한글교육의원형을보다뚜렷하게담아내고있을것임이분명하다. 이를규명하기위해 Ⅱ장과 Ⅲ장에걸쳐 < 예의 > 텍스트와 < 용자례 > 텍스트각각에나타나있는한글교육의전략을탐색해본다. Ⅳ장에서는한글교육의원형이되는이러한전략들을바탕으로, 이두텍스트를연계함으로써얻을수있는한글교육의효과를함께생각해본다. 이러한작업을통해오늘날의한글교육과비교해봄으로써 훈민정음 해례본에담긴내용및전략들이한글교육의원형이됨을깨닫게될것이다. Ⅱ. < 예의 > 에나타난한글교육의기제 1. < 예의 > 텍스트의기능과한글교육널리알려진바와같이 < 어제서문 > 과 < 예의 > 는 월인석보 권두에언해되어실려있다. 이가운데 < 예의 > 는 월인석보 를해독하는데길잡이역할을한다. 다량의문헌을간행하면서권두에그문헌을제대로읽기위해언해의체재와국어사실을알려주는일종의보조텍스트를실었다는것을알수있다. 이는 월인석보 의차원에서는부수적이고보조적인기능을한것이지만, 실제 < 예의 > 텍스트자체가지닌기능자체에주목해보아야한다. 어떤텍스트이기에한글초기문헌에길잡이역할을한것인 2) < 용자례 > 는 해례 의마지막텍스트로서앞선 < 제자해 >, < 초성해 >, < 중성해 >, < 종성해 >, < 합자해 > 의종합적산물이다. 더욱이 < 용자례 > 는별도의설명이없기때문에 5해 ( 解 ) 텍스트간의긴밀한상호관계파악이매우중요하다. 그러나 < 용자례 > 의목적은독자들에게자료활용기능을요구하는도구텍스트로서작용한다. 따라서 < 용자례 > 는 5해 ( 解 ) 와상호관계에있는의존텍스트임과동시에이들과명확하게구분되는특수목적기능의독립텍스트라는양면성을갖는다 (5해텍스트와의상호관계에대한자세한내용은김부연 2018ㄱ참조, < 용자례 > 의텍스트성에대한내용은김부연 2018ㄴ참조 ). - 130 -
훈민정음( 訓民正音 ) 을통한한글교육의원형 ( 原形 ) 탐색 : < 예의 > 와 < 용자례 > 를중심으로지 < 예의 > 에제시된내용및방법에담긴전략적의도를파악해볼필요가있다. < 예의 > 텍스트는새문자훈민정음에대해필수적으로알아야할표준사항, 곧주요핵심이자기본적인정보를간략히알려주는텍스트이다. 3) 아래 < 표 1> 과같이 < 예의 > 텍스트의핵심내용은두가지로대별되는데하나는문자규정에서제시한초성자와중성자의자형과음가정보, 그리고그것을운용하는표기규정이다. 4) < 표 1> < 예의 > 의내용구성 초성글꼴 음가 중성글꼴 음가 종규 성정 연서법병서법부서법성음법방점법 초성자중성자종성자 문자규정 사성과글자조합음절합자방점초성자초성자종성자초 + 중초 + 중 + 종초분절음소 운용규정 < 사진 1> < 예의 > 의문자규정 ( 正音 3 ㄱ ) 5) 3) 例義 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 정인지서 > 에 略揭例義 라는대목에서비롯된용어이다. 신문자훈민정음을알리는데기본이되는표준내용이자동시에이러한내용을담아낸텍스트를일컫는일반용어가되었다 ( 김부연, 2018 ㄱ :22-26). 용어에대해홍기문 (1946 上 :2) 에서처음재기되었다가최근정우영 (2016) 과이상혁 (2016) 등에서이를고유명사가아닌보통명사로보았다. 이에 보기 [ 例 ] 와의미 [ 義 ] 또는 예를보여뜻풀이를행한글 정도의뜻으로이해한다. 4) 짧은텍스트를 2 단체계로나누는근거는내용이겠으나이와함께형식상으로확연히구분되는표지가나타나있다. 문자규정은구점 ( 句點 ) 만으로나타나며운용규정은구두점 ( 句讀點 ) 이함께사용된다. 문자규정은 글자모양 7 음 ( 초성자의경우 ) 음가 등의주요정보를배열하는데일정한규칙을형성한다. 이에반해 운용 ( 運用 ) 이라는방법적차원을기술하기위해서는기본적으로설명적요소가강한주술관계등의문장구조가효과적일것이므로구점과두점을함께사용한것으로보인다 (< 예의 > 텍스트에관한자세한내용은김부연, 2018 ㄱ : 22-64 참조 ). 5) 주지하듯이현재간송미술관에소장된 훈민정음 해례본은발견당시 < 예의편 > 의일부인정음1ㄱ :7부터정음2 ㄴ :7까지낙장되어있어이를복원하였다. 초성의아음자 부터반설음 까지 16자는 해례 에있는자형들을참고하여새롭게복원한것으로글꼴의원형을본바탕그대로살피기에는어려움이있다. < 사진 1> 은원본이시작되는정음3ㄱ :1을취한것으로원문의글꼴원형은초성자의경우반치음 과중성 11자에대해서만살펴볼수있다. - 131 -
2018년도 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 공동 전국학술대회 <사진 1>과 같이 <예의>의 문자 규정에서의 정보 배열 순서를 보면 글자 모양과 그 에 대한 음가 가 가장 중요한 정보로 제공된다. 새롭게 창제한 문자에 대해 수용자들은 가장 먼저 글자의 모양에 관심을 둘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모양의 글자가 어떤 소리를 나타내는지 관심을 보이면서 본격적으 로 새로운 문자에 대한 학습이 시작된다. 첫째, 글자의 모양은 무엇인가? 둘째, 그 글자의 소리값(音價, phonetic value)은 무엇인가? 2. <예의> 텍스트의 문자 습득 장치 (1) 글자의 모양[자형, 字形] 글자의 모양은 글자 인식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시각 정보이므로 글자체, 글자 크기 등은 각 각의 글자를 지각하고 변별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위 <사진 1>에서 볼 수 있듯이 <예의>에 제시 된 신제(新制) 28자에 대한 글자 모양은 시각 정보가 구상적(具象的)으로 제공되어 한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언어 정보에 비해 이해가 분명하고 인식 속도가 빠르다. 글자 모양을 상대적으로 크게 제시해 줌으로써 각각의 글자에 대한 지각이 용이하여 변별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김부연, 2018ㄱ:38) <표 2> <예의>에 제시된 훈민정음 28자의 글꼴 초성자 중성자 훈민정음 28자 글꼴의 조형적 특성에는 세종의 인위적이고 획기적인 의도가 담겨 있다. 여기서 중요 한 점은 훈민정음 글꼴의 본질적 구조 파악이 우선되어야 한다. 단순히 조형성만 강조된다거나 미적 감 각에 치중한다면 훈민정음 글꼴에 담긴 본래의 목적과 취지가 퇴색해 버리고 만다. 문자 제자(制字) 측 면과 <예의> 텍스트 생산 차원에서 훈민정음의 글꼴이 가진 의미를 전체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 다. 우선 문자 제자의 측면 훈민정음의 구조에 대한 인식이다.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의 전형을 보여주는 형태로 곧은 직선과 둥근 원, 그리고 둥근 점만으로 이루어져 시각적으로 뚜렷한 글자 모양을 나타낸 다. <표 2>와 같이 초성 17자의 글꼴은 각각 혀뿌리가 목구멍에 닫는 모양, 혀끝이 윗잇몸에 닿는 모 양, 입의 모양, 이의 모양, 목구멍의 모양 등을 본뜬 글꼴이다. 말소리가 어떻게 나는가를 면밀히 관찰 한 결과 발음 기관이 움직이는 모양 및 발음 기관 자체의 모양을 상형함으로써 소리글자를 만드는 최 고의 방법을 마련하였다. 여기에 다시 획을 더함으로써 말소리의 세기에 따라 획을 더하는 가획의 원리 - 132 -
훈민정음( 訓民正音 ) 을통한한글교육의원형 ( 原形 ) 탐색 : < 예의 > 와 < 용자례 > 를중심으로를반영하였다. 이때 가획 ( 加劃 ) 은거센소리를나타내는글자를만들고그글꼴을결정하는데직접적인영향을미친다. 6) 중성 11자의글꼴은초성자와전혀다른모습이다. 천 ( 天 ) 지 ( 地 ) 인 ( 人 ) 삼재 ( 三才 ) 와그것을조합한초출자 ㅗ, ㅏ, ㅜ, ㅓ, 기본자와초출자를조합한재출자 ㅛ, ㅑ, ㅠ, ㅕ 이다. 초출자와재출자글꼴모두에 ㆍ 를유지하고있는데이는중성에서 ㆍ, 곧 하늘 이중요하다는음양오행의철학적의미에서비롯된것이다. 7) 이렇듯초성자와중성자의글꼴은대단히분별적이며차별적이다. 글자모양을결정한원리는 상형 이라는제자원리를바탕으로상형의대상이다름에따라나타난형태라고할수있는데, 초성자는소리의체계와특징이그대로글자모양에반영된것이라면, 중성자의글자모양결정에는음양오행설등의철학적원리도반영되어있다. 글꼴의원형적이미지는이러한상형의원리에본질적바탕을두겠으나보편적으로개별자소의형태는다른자소들과의관계에서비롯된다. 자소하나의정체성은문자체계목록에있는다른자소들과의차이에의해서생겨난다. 초성자와중성자가모양을달리하여만들어진것은이러한특성을잘보여주는데훈민정음의문자체계목록에서초성과중성은대단히분별적이고차별적이라는점이드러난다. 그렇다면 종성부용초성 ( 終聲復用初聲 ), 곧종성을나타내는글자를따로만들지않은까닭은종성에대한초성과의차별성이중성보다약하기때문으로해석된다. 다음으로, 제자차원에서의글자모양에대한이해와더불어문자습득과정에서독자의가독성및인지적측면을살펴볼필요가있다. 글꼴에대한형태재인 ( 形態再認 ) 을생각해볼수있는데여기서의형태재인은글자의자체의원형인식을의미한다. 8) 형태재인은기존의표상들과대조하는과정이있어야가능한데, 바꿔말하면기존의한자글꼴과비교 대조하는과정을반드시거치게된다. < 예의 > 에는하나의텍스트안에두개의문자에대한서로다른글자꼴이제시되어있다. 한자에익숙한독자들에게훈민정음은매우낯선글자로서기존의한자와는전혀다른글꼴과서체를보여준다. 인간의시지각은주의를끄는것에대해매우선택적으로반응한다. 게슈탈트 (Gestalt) 학파의시각법칙에따르면인간의시지각은어떤자극패턴이든가장단순하게보려고한다. 9) 이러한측면에서훈민정음의글자꼴은시지각법칙에매우잘들어맞는조건을가지고있어한자의글꼴과어울렸을때더욱단순하게지각되는특성을갖게된다. 이로써새롭게창제한훈민정음이기존한자와는전혀다른차별화된글자임을형태적측면에서접근하게된다. 이와같이훈민정음의글꼴디자인이갖는조형적인기능과동시에정보전달이라는주요기능을갖는다. 훈민정음의제자원리의원형적이미지를글꼴에반영함으로써표준적인자형을제시하고자한세종의의도가엿보인다. 6) 물론 ㆁ 과 ㄹ, ㅿ 등도표면적으로가획이된글꼴형태이지만 聲出稍厲 에따른가획의뜻이없다 ( 이들에대한자세한내용은김부연, 2018 ㄱ :75-80 참조 ). 7) 然三才爲萬物之先 而天又爲三才之始 猶ㆍㅡㅣ三字爲八聲之首 而ㆍ又爲三字之冠 也 (6 ㄴ :1-4) ( 그러나삼재는만물의선두가되고하늘또한삼재의시초가되는것은ㆍ, ㅡ, ㅣ세자가중성 8 자의머리가되고ㆍ또한세자의으뜸이되는것과같다.) 8) 형태재인 (pattern recognition) 은인지심리학에근거한용어이다. 인지심리학에서 형태재인 은인간이환경으로부터입력되는시각정보와뇌속에저장된정보를비교함으로써특정대상을재인하는과정과원리를밝히는데초점을둔다. 9) 게슈탈트 (Gestalt) 학파에따르면인간이시각적대상을지각할때대상을하나의의미있는전체즉 게슈탈트 ( 형태, form) 로만들어지각한다고한다. 이가운데프레그넌츠 (prägnanz) 의법칙은우리가대상을지각할때정보의복잡함과애매함을정리하고가장안정되고간결한형태로체계화하는경향을말한다 ( 신현정 유상욱공역, 2000:96-107 참조 ). - 13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2) 음가 ( 音價, phonetic value) 글자모양에이어서해당초성자및중성자의음가를제시하고있다. 초성자와중성자의글꼴이각각이러하니이들이어떠한음 ( 音 ) 을갖고있는지밝힐차례이다. 이는글자모양과소리의관계를인식하는것이다. 새로운문자의음가를보이기위해기존에사용하고있는한자의음을활용하였다. 이는마치제2외국어를공부할때세계공용어인영어와우리말소리를가지고해당외국어의글자와소리를대응시켜인식하는것과같은맥락이다 ( 아래 < 그림 2> 참조 ). < 그림 2> 외국어교재에나타난발음지식 음가를제시한 < 예의 > 부분에는근본적으로우리말과중국말의음절짜임새에대한인식차이가간접적으로반영되어있다. 우리말과우리한자음, 중국한자음의음절짜임새를분석한결과가그대로반영되어있다. 세종및집현전학사들은중국의전통음운이론인성운학의음절분석방법을동원하여우리말을분석해보았다. 10) 성 ( 聲 ) 과초성은중국말이나우리말에서음절안에서의기능이같기에성 ( 聲 ) 은초성에대응된다. 문제는 운 ( 韻 ) 에해당하는구조가우리말과곧바로대응되지않았다. 이에음절안에서의기능차이에따라음을 초성, 중성, 종성 세개의구성요소로나누고, 성조는음절전체에얹히는것으로파악하였다. 간단히말해음절의짜임새를 성 ( 聲 ) 과 운 ( 韻 ) 두요소로분석하는중국의음절분석방법이이분법이라면, 초성, 중성, 종성 세가지요소로분석한세종및집현전학사들의음절분석방법은삼분법이다. 11) < 예의 > 의이러한기술에는이분법에대한세심한이해를거쳐얻은우리말음절인식관이담겨있다. 우리말과우리한자음의음절짜임새를초성, 중성, 종성으로분석한것을나타낸것이다. (1) ㄱ. 牙音 如君字初發聲 ( 正音 1 ㄱ :7) ㄴ. ㆍ 如呑字中聲 ( 正音 3 ㄴ :2) 10) 중국의전통성운학 ( 聲韻學 ) 은편운학 ( 編韻學 ) 과등운학 ( 等韻學 ) 으로나뉜다. 이성운학이하나의학문으로체계화된것은송대 ( 宋代 ) 부터로알려져있다. 편운학은한자 ( 漢字 ) 의음 ( 音 ) 을성 ( 聲 ) 과운 ( 韻 ) 으로나누고, 운은다시성조 ( 聲調 ) 의차이에따라평 상 거 입성으로나누었는데, 이것이운서 ( 韻書 ) 편찬의근거가되었으며, 반절법등과같은한자음표기에바탕이되었다. 등운학은편운학에서구분한성과운을다시일정한기준에따라분류하였다. 성은 5 음 ( 五音 ) 또는 7 음 ( 七音 ) 과청탁 ( 淸濁 ) 에따라분류하고, 운은운두 ( 韻頭 ), 운복 ( 韻腹 ), 운미 ( 韻尾 ) 등세부분으로분석하였으며, 성조는운에얹히는것으로이해하였다. 운두와운복은개합 ( 開合 ) 과등 ( 等 ) 의차이에따라세분되었다. 운미는음성운미 (, j, w) 와양성운미 (m-p, n-t, ŋ-k) 로나누었다. 이것이바로중국사람들이전통적으로인식해온음절분석방법이다. 이가운데성은우리말의초성과, 양성운미는우리말의종성과대응된다. 우리말음절구조분석방법인이른바삼분법은중국성운학의이분법을토대로마련되었음을알수있다 ( 자세한내용은임용기, 2016:5-9 참조 ). 11) 음절구성의이분법과삼분법에대한자세한내용은임용기 (2016) 참조. - 134 -
훈민정음( 訓民正音 ) 을통한한글교육의원형 ( 原形 ) 탐색 : < 예의 > 와 < 용자례 > 를중심으로 (1) 과같이음절단위로발음할때첫소리를 初發聲 으로, 가운뎃소리를 中聲 이라하였다. 이때 初發聲 과 中聲 은오늘날현대국어의자음 ( 子音, consonant) 과모음 ( 母音, vowel) 의개념이아니라음절의첫소리 (initial, onset) 와가운뎃소리 (nucleus) 를뜻한다는사실을알수있다. 예를들어 ㆍ如呑字中聲 은한자음 呑 자의가운뎃소리가 ㆍ 의소리와같다는것인데, 呑 자는최소한첫소리와가운뎃소리등으로구성되어있다는사실을알수있다. 다시말해우리음절구조단위가운데첫소리와가운뎃소리가무엇인지를우리한자음으로제시한것이다. 물론 < 예의 > 의설명만으로는훈민정음의정확한음가를알기어려웠을수있다. 해당한자음에대한지식을어느정도가지고있어야만이해가가능한데설명에이용된한자음이당시의현실한자음이아닌새롭게정한규범한자음이다. 실제로동국정운식한자음에대한사전지식이없다면신문자하나하나의정확한음가를알아내기란쉽지않은일이다. < 예의 > 의 상가해석 ( 詳加解釋 ) 텍스트인 해례 가운데 < 제자해 > 에는신문자에대한제자원리를말하면서동국정운식한자음으로제시한신문자의음가가어떤방법으로발음되고이를어떻게문자화했는지를상세히말해주고있다. (2) ㄱ. 牙音 如君字初發聲 ( 正音 1ㄱ :7) ㄴ. 牙音 象舌根閉喉之形 ( 正音解例 1ㄴ :4) 위의 (2ㄱ) 에서글자모양 에대응되는음가정보가 君字初發聲 이지만간접적이고추상적인정보이다. 실제 君 자의발음이어떻게나는지음가를재구해야하는번거로움이있다. 이에대한보충설명으로 (2ㄴ) 인 < 제자해 > 에서는글자모양 이어떻게만들어졌는가를보여준다. 여기서 舌根閉喉 는이글자를소리내는데발음기관의움직임을보여줌과동시에 君 자의첫소리가어디서어떻게나는지알수있는유용한단서가된다. < 예의 > 를기반으로 < 제자해 > 와의내용관계를통해초성자의학습방법을마련해보면다음 < 표 3> 과같이나타난다. 순서 초성자학습방법 1 글자모양 < 표 3> 초성자의문자학습방법 정보설명텍스트 2 7 음牙音 7 음가운데아음에속한다. 3 음가君字初發聲 4 소리의위치象舌根閉喉 5 글꼴선정이유象舌根閉喉之形 한자음 君 자를발음했을때나는첫소리가바로 이다. 君 자의첫소리 은혀뿌리가목구멍을막는위치에서소리가난다. 혀뿌리가목구멍을막는모양을그대로취하여 이라하였다. < 예의 >, < 제자해 > < 예의 >, < 제자해 > < 예의 > < 제자해 > < 제자해 > 결국 < 예의 > 에서글자모양과음가를모두포함한설명이가능한것은문자훈민정음자체가소리글자로서글자모양과이에대한소리가일대일대응이되기때문이다. 초성의경우는그글자낱낱의소리가나는발음기관 ( 또는발음기관의움직임 ) 의모양을본떠서만든글자이기때문에글자모양과음 - 13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소의관계파악이대단히용이하다. < 예의 > 의문자규정은소리의관계가일대일대응을이루는표준사항을제시함으로써훈민정음을쉽게익힐수있도록하였다. 하나의글자는하나의소리와관계를맺어서글자모양과음소를연결시키는자극이대단히명확하다. 이러한문자체계는글자모양과음소의대응이매우일관적이기때문에문자를습득할때음소에집중하는데대단히유리하다. 음소의개수가얼마되지않기때문에그것을표현하는자소에대한전략만으로도대부분의단어및문장을읽고쓰기가가능하게된다. 12) 이러한사실로미루어 월인석보 권두에 < 예의 > 가실려있는까닭이무엇인지그이유가명확히드러난다. 훈민정음의문자체계를담은 < 예의 > 는 월인석보 를읽고이해하는데지침서가된다. < 예의 > 에표준사항으로제시된글자모양과음가를숙지하여 월인석보 에기록된훈민정음을해독할수있는것이다. < 예의 > 텍스트가한글학습의초기교재역할을담당하는것은매우당연하다. 시각및청각변별력은인지발달의주요요소이자문해발달의준비요소이다. < 예의 > 에서의시각변별력은글자모양으로, 청각변별력은그글자모양에대한소리로서한자음을가지고음절의첫소리와가운뎃소리를구분하는할수있도록하였다. (3) 글자표기와필순 ( 筆順, stroke order) 블룸필드 (1933) 는진정한문자는한정된수의관습적기호를사용하며, 언어형식과일정한관계가있어야한다고말했다. 문자로서기능하기담당하기위해서는그문자를사용하는언중들이라면누구나일정한방식으로언어기호를표기할수있어야한다 ( 연규동, 2014:159 재인용 ). 운용규정에서는이른바모아쓰기방식 ( 음절모아쓰기, 낱자모아쓰기등 ) 을취하게되는데배열되는위치에의해모아쓰기때문에오른쪽에서왼쪽, 위에서아래등일련의방향성이결정된다. 이러한방향성은근본적으로운필 ( 運筆 ) 함에일정한순서, 곧필순 ( 筆順 ) 과직접적으로관련된다. 아래 (3) 은 < 예의 > 의문자운용규정중일부인데이들내용에서표기방법을함께살펴볼수있다. (3) ㄱ. 連書脣音之下 則爲脣輕音 ㄴ. 初聲合用則並書 終聲同 ㄷ. 附書初聲之下 附書於右 ㄹ. 凡字必合而成音 ( 正音 3ㄴ :6-4ㄱ:4) 먼저 (3ㄱ) 은연서법 ( 連書法 ) 으로순음과후음을조합하여또다른하나의음소를나타내는방법이다. 둘이상의자소배열의위치가새로운자소를결정한다. 순음자 ㅂ 아래에후음자 ㅇ 이위치한다. 두자소가상하로어우러지는연서의특정한순서배열로인해 ㅸ 이만들어졌다. 연서에의해두자소를정확하게위치시킴으로써순경음의 ㅸ 을만든방식이시각화되었다. 서로다른자소가합쳐지는위치는방향성을갖게되어두자소가상하로어울려쓸때위쪽에서시작하여아래쪽으로쓰는표기방향, 곧필순 ( 筆順 ) 이결정된다. 이에반해 (3ㄴ) 인병서법 ( 並書法 ) 은옆으로나란히결합되는좌우배 12) 이러한문자체계를양민화 (2006:165-169) 에서는 일관성있는문자체계 (shallow orthography) 또는 투명한문자체계 (transparent orthography) 라하였다. 이러한문자체계는음소에대한자극을일관적이고명확하게받을수있기때문에문자학습발달에필수적이음소인식능력을초기에다질수있는장점이있다. 이에대한자세한사항은양민화 (2006) 참조. - 136 -
훈민정음(訓民正音) 을 통한 한글 교육의 원형(原形) 탐색: <예의>와 <용자례>를 중심으로 치로서 왼쪽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으로 적는 필순이 결정된다. (3ㄷ)은 부서법(附書法)인데 부서(附書) 의 뜻은 붙여쓰기 이지만 이는 초성자와 중성자가 합쳐져 음 절을 이룰 때 각자의 자리를 부여 받는 방법이다. 앞서 문자 규정에서 살펴본 초성자와 중성자의 각 기 능은 그것이 차지하는 위치에 의해 시각화된다. 다시 말해 부서법은 초성자와 중성자를 결합하여 구조 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음절을 이루는 형태를 시각화한다. 이들을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의 위치성은 곧 글자 표기의 방향성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부서 하는 필법을 두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하나는 ㆍ ㅡ ㅗ ㅜ ㅛ ㅠ 와 같이 가로지고 둥근 것은 초성 아래에 쓴다. 나머지 하나는 ㅣㅏㅓㅑㅕ 와 같이 세로로 된 것은 오른쪽에 붙여 쓴다. 이처럼 부서법은 초성자 + 중성자 의 표기 규정을 제시하고 있다. 곧바 로 이어지는 (3ㄹ)의 성음법에서 초성자+중성자+종성자 로 모아써야 하기 때문에 부서법에서 먼저 초 성자와 중성자의 위치를 결정해 두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예의>의 문자 운용법은 낱자끼리 합할 때, 초성자와 중성자를 합할 때, 그리고 여기에 종성자까지 결합할 때 어떻게 표기할 것인가의 문제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 순차적이고 유기적으로 결 합되는 문자열의 방향이 곧 필순(筆順, stroke order)이 된다. 연서법, 병서법, 부서법, 성음법 등의 글 자 운용법은 궁극적으로 편의성을 고려한 사용자 중심의 표기 체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표 기법적 도상성(notational iconicity) 으로 해석할 수 있다. 도상성(iconicity)은 특정 대상을 가시화 시 켜주는 자립적인 상징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시각화 전략에는 인지적이고 인식적 차원이 반드 시 포함된다(인문학연구원 HK문자연구사업단 편, 2013:339). 글자 조합 방식 및 음절 구성 방식에 나 타난 표기 체계는 위치성과 방향성에 따른 자연스러운 귀결일 수도 있겠으나 훈민정음 사용자를 고려 한 표기법적 도상성 으로 접근해 보아도 무방하다. Ⅲ. <용자례>에 나타난 한글 교육의 전략 훈민정음 해례본의 핵심 텍스트인 <예의>와 해례 에서 이루어진 모든 설명들은 <용자례>에서 결실을 맺는다. 앞서 설명된 5해(解)에서 복잡하게 설명한 내용들을 시각적 형태로 일반화시킨 것이 94개의 어휘이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5해에 대한 좋은 본보기들이 다. <용자례> 텍스트에 제시된 내용들을 정리해서 도식화하면 아래 <그림 3>과 같다. - 137 -
2018년도 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 공동 전국학술대회 <그림 3> <용자례> 텍스트 내용 구조(김부연, 2018ㄱ:192) 이번 장에서는 <용자례>에 나타난 한글 교육의 원형적 특징을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하나는 어휘를 선정하는 데 적용된 기준을 귀납해 봄으로써 문자 습득을 위한 전략을 살핀다. 그리고 다른 하 나는 <용자례>의 정보 제시 방식을 통해 한글 교육의 상향식 접근법과 하향식 접근법의 특성을 파악해 본다. 1. 정보 제시 방식과 상호 작용식 모형 글자를 인식하는 인지 단위는 문자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음소문자는 음소 단위로 인식하 게 되고, 음절 문자는 음절 단위로 인식을 하게 된다. 그런데 한글은 그렇지 않다. 음소 문자로 창제되 었으나 음절 단위로 모아쓰는 음절 문자로 실현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글 교육은 음소 문자와 표음문 자의 특성에 맞는 상향식과 음절 문자와 표의 문자의 특성에 맞는 하향식의 지도가 병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미 <용자례>에는 이러한 사실을 반영하고 있어서 훈민정음을 어떻게 인식해야 하는지를 잘 나타내 주고 있다. <용자례> 텍스트에 제시된 용례들의 정보 배열은 음소-음절-낱말 의미 순으로 나타나 있다. 음절 단위의 단어로만 제시했을 때 훈민정음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의 인지적 부담이 클 것이라는 점은 상식 적으로 예측 가능하다. 음절 단위로 모아쓰기를 한 용례를 가장 먼저 제시하게 되면 음소가 음절 속에 포함되어 있어서 음소의 대응 관계를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가장 먼저 표제어의 역할을 하는 해당 음소를 먼저 제시해줌으로써 훈민정음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에게 조금 더 인지적이고 분석적으로 용례 를 수용할 수 있도록 안내 역할을 해 준다. 마치 이러한 정보 배열은 시각적으로 제시한 어휘에 대해 음소 음절 낱말 의미 의 이해 처리 과정과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음소를 먼저 인식한 후 음절을 인식하고, 그 다음 단어를 인식하는 순서로 정보가 배열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시 방식은 기저의 음소 인식을 거쳐 상부의 의미 해석으로 진행되는 오늘날의 상향식 모형에 부합한다. - 138 -
훈민정음( 訓民正音 ) 을통한한글교육의원형 ( 原形 ) 탐색 : < 예의 > 와 < 용자례 > 를중심으로 음소인식 운소인식 상성거성 如爲柿 爲蘆 음소 - 음절 - 낱말의미 시각적분석 시각적표상 낱말의미 柿 / 蘆 < 그림 4> < 용자례 > 의어휘이해처리과정 그런데 < 용자례 > 의이러한정보들이상향식으로만처리되는것은아니다. < 그림 4> 와같이이들정보가운데가장중요한것은음절로구성된낱말의시각적표상이다. 시각적으로지각된낱말을음운정보와의미정보를상응시켜서이해하는것이다. 시각적표상은시각적지각을통해음절을구성하고있는음소를확인하고방점에따른성조를파악하게된다. 동시에제시된한자 柿 와 蘆 을통해이른바심성어휘집 (mental lexicon) 에접근하게된다. 개인의심성어휘집에이미저장되어있던개념, 곧낱말의뜻을활성화하게된다. 그래서, 의시각적형태에대한정보와낱말의의미적정보를연결하게되는것이다. 결과적으로낱말의음절구조와의미가어떻게관계되는가에대한정보가연합된다. 이렇게개개인의심성어휘집등독자가가지고있는기존지식을가지고접근해나가는하향식처리과정도함께작용하는것이다. 석주연 (2011:264) 에서는 < 용자례 > 의제시방식에대해용례를통해해당음소를확인하는하향식의기술로만이루어졌다고보았다. 초성ㄱ은 : 감, 의초성과같고, ㅋ은우케, 콩의초성과같고. 와같이현대어번역을함께제시하였는데, 이번역대로라면 < 용자례 > 의기술방식은하향식접근방식이된다. 그런데원문은 初聲ㄱ如 : 감爲柿 爲蘆 과같이 음소-음절-낱말의미 순으로상향식으로배열되어있다. 독자에따라작은단위부터큰단위로이해해나간다면상향식처리과정이될것이다. 이가운데특히한자로제시된낱말의의미가하향식으로작용한다. : 감 과 의형태를처음접하는독자들은한자를통해자신의심상어휘집에접근해서 柿 과 蘆 의의미와훈민정음의음절구성과표기등을연결지어서이해할것이다. 그러므로 < 용자례 > 내부의정보제시방식은상향식이며이에대한이해처리과정은상향식과하향식이혼합된상호작용식이라할수있다. 이와같이시각적표상으로드러낸낱말을통해음절을구성하는음소의시각적차이를알고의미에대한시각적표기를파악하게된다. 낱말을재인하는과정에서음절구조가개개의음소들로이루어졌다는것을분명히인식하고, 심성어휘집에있는낱말의의미가훈민정음으로어떻게구현되는지그낱말의구성과표기를이해할수있게되는것이다. 이렇듯 < 용자례 > 에제시된정보의나열은훈민정음의특수성을고려한전략으로서상향식지도와하향식지도를절충한상호작용식모형임을시사한다. - 139 -
2018년도 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 공동 전국학술대회 2. 한글 교육용 어휘 선정의 기준 <용자례>는 대표 용례들을 모아 놓은 텍스트로서 그 기능을 다하고 의도한 효과를 거두려면 어휘를 선정하는 기준이 반드시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에 대한 직접적인 단서를 찾을 수 없는 상황에서 94 개의 어휘가 가진 공통된 특징을 중심으로 어휘 선정 기준을 귀납적으로 추론해 본다. 이는 <용자례> 에 제시된 어휘들이 집필자의 주관에 의해 임의대로 선정한 것이 아니며, 수용자의 문자 습득을 돕기 위해 마련된 전략임을 규명하는 데 있다. <용자례>의 94개 어휘들에서 발견되는 어휘 선정 기준은 크 게 의미적 측면과 형태적 측면으로 나타난다. 전자는 의미적으로 친숙함의 정도를 말하고, 후자는 형태 적 습득의 용이성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명사 중심 어휘와 음절수를 고려한 어휘로 나타난다. (1) 어휘의 친숙성 어휘의 친숙성이란 주변 사물의 친숙한 대상의 이름으로부터 한글을 학습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어 휘 선정 기준으로 의미적으로 친숙함의 정도를 꼽은 이유는 94개의 용례 모두가 당대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주변 사물의 이름이라는 데 있다. 독자가 이미 알고 있는 대상들에 대한 어휘를 제시한 것은 훈민 정음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효과가 있다. 평소 자주 접하는 친숙한 대상들의 이 름을 나열함으로써 훈민정음으로 그 대상이 글자로 어떻게 구현되는지 그 음절의 구성과 정확한 표기 에 흥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인간의 언어 발달 단계에서 가장 먼저 습득하는 초기 어휘이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는 어휘는 자기 주변 가까이에 존재하는 참조물의 이름이라는 점에 부합한다. <용자례>의 친숙한 대상의 영역은 인간, 생활, 자연 세 범주로 분류된다.13) 먼저 인간 과 관련 된 어휘 부류로 총 7개의 어휘가 제시되었다. 이들을 의미 영역에 따라 신체와 인간관계 등 두 개의 항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신체 관련어 (5개) 인간관계 관련어 (2개) 손[手] 아 [弟] [臂] 발 측[跟] [頤] 힘[筋] : [奴] 다음 생활 관련어로 총 29개의 어휘가 제시되었다. 이를 다시 의미 영역에 따라 의생활, 식생활, 주 생활, 생활 용품, 건축물, 생활 도구 등 5개의 항목으로 세분된다. 13) 이러한 분류 작업은 이상혁(2004)에서 먼저 이루어진 바 있다. 이는 임지룡(1991)의 기초 어휘 선정을 위한 국어 어휘 의미 분야를 참고한 것으로 <용자례> 어휘를 사람에 관한 어휘, 의식주에 관한 어휘, 사회생활 에 관한 어휘, 자연계에 관한 어휘, 교육 및 예체능에 관한 어휘 등 5가지로 의미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임지룡(1991)과 이상혁(2004)에서 사용한 분류 기준을 참고하되, 조금 더 넓은 영역에서 포괄적 으로 어휘의 의미들을 바라보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서 의미 범주를 세분화하다보니 그 경계가 모호한 어휘들 이 나타난다. 그리고 무엇보다 어휘의 본질은 인간의 생활을 전제로 성립됨을 인간, 생활, 자연 세 가지 범주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 140 -
훈민정음( 訓民正音 ) 을통한한글교육의원형 ( 原形 ) 탐색 : < 예의 > 와 < 용자례 > 를중심으로 의생활관련어 (5개) 갇 [ 笠 ] 굽 [ 蹄 ] 신 [ 屨 ] 쥬련 [ 帨 ] 이 [ 綜 ] 식생활관련어 (4개) 독 [ 甕 ] 밥 [ 飯 ] 쥭 [ 飯 ] 엿 [ 飴餹 ] 주생활관련어 (3개) 담 [ 墻 ] 브 [ 竈 ] 울 [ 籬 ] 건축물관련어 (2개) 리 [ 橋 ] 뎔 [ 佛寺 ] 생활도구관련어 (15개) 키 [ 箕 ] 낟 [ 鎌 ] : 널 [ 板 ] 다야 [ 匜 ] 드 레 [ 汲器 ] 드 [ 瓠 ] 톱 [ 鉅 ] 벼 로 [ 硯 ] 숫 [ 炭 ] 슈룹 [ 雨繖 ] 자 [ 尺 ] 죠 [ 紙 ] 채 [ 鞭 ] 체 [ 籭 ] 호 [ 鉏 ] 마지막 자연 관련어는 58개로 < 용자례 > 에제시된어휘중가장많은비중을차지한다. 이것을다시식물, 동물, 자연물, 자연현상관련어로자세히나누어불수있다. 식물관련어 (20 개 ) 동물관련어 (25 개 ) 자연물관련어 (9개) 자연현상관련어 (4개) 래 [ 楸 ] [ 蘆 ] : 감 [ 柿 ] 고욤 [ 梬 ] [ 大豆 ] 닥 [ 楮 ] 뒤 [ 茅 ] 마 [ 薯藇 ] 버 들 [ 柳 ] 벼 [ 稻 ] 파 [ 葱 ] [ 小豆 ] 삽됴 [ 蒼朮菜 ] 쟈감 [ 蕎麥皮 ] 우 케 [ 未舂稻 ] 율믜 [ 薏苡 ] 섭 [ 薪 ] 잣 [ 海松 ] 피 [ 稷 ] 싣 [ 楓 ] 그력 [ 雁 ] 두텁 [ 蟾蜍 ] 고 티 [ 繭 ] : 굼 [ 蠐螬 ] 노로 [ 獐 ] 누 에 [ 蠶 ] 납 [ 猿 ] 얌[ 蛇 ] : 너 [ 鴇 ] : 밀 [ 蠟 ] : 범 [ 虎 ] 깃 [ 巢 ] 두텁 [ 蟾蜍 ] 약 [ 𪓟鼊 ] : 벌 [ 蜂 ] [ 蠅 ] 쇼 [ 牛 ] 반되 [ 螢 ] 부헝 [ 鵂鶹 ] 비육 [ 鷄雛 ] 사 [ 鹿 ] 사 [ 蝦 ] : 져비 [ 燕 ] 올 [ 蝌蚪 ] 러 [ 獺 ] 남 [ 龜 ] 구 리 [ 銅 ] 논 [ 水田 ] [ 月 ] 믈 [ 水 ] 못 [ 池 ] : 뫼 [ 山 ] : 별 [ 星之類 ] : [ 泉 ] : 셤 [ 島 ] 무뤼 [ 雹 ] 서 [ 流凘 ] 서 리 [ 霜 ] 어 름 [ 氷 ] 이상과같이 < 용자례 > 에실린어휘들은모두당시언중의생활과밀접하게관련을맺고있는기초어휘에해당한다. 김광해 (1990:113) 에서말한바와같이인간이배우게되는어휘의수준을습득의차원과학습의차원으로나누어파악해야하는데 < 용자례 > 의어휘들은학습차원에기반을둔기초어휘이다. 14) 새롭게창제한훈민정음을백성들에게보다쉽고정확하게이해시키기위해서는앞서설명한내용들 14) 김광해 (2008) 에서는 기초어휘 에대해 일상언어생활을영위하는데꼭필요하다고판단되는최소한의단어 1 천개내지 2 천개의목록 이라하였다. 이러한기초어휘목록에는생활어휘 (survival language) 를비롯하여대인접촉에필요한인사에관한어휘, 질문및응답등정보를획득하기위하여필요한어휘, 대화장면에서심리적으로표현하기가곤란한, 생리상의필요를표현하기위한어휘같은것들이포함되기도한다고하였다. 이와관련하여임지룡 (1991:2) 에서는 기초어휘 ( 基礎語彙 ) 를 기본어휘 ( 基本語彙 ), 기간어휘 ( 基幹語彙 ) 와구분하여그개념을정의하였다. 세용어가명확히구분되지는않지만 기초어휘 는특정언어가운데그중추적부분으로서구조적으로존재하는어의부분집단이고, 기본어휘 란어떤목적에따라인위적으로선정되며공리성을지닌어의집단, 기간어휘 는어떤특정집단을대상으로한어휘조사에서직접적으로얻어지는그어집단의골격적인부분집단이라고하였다. 본고에서는 < 용자례 > 어휘들의특성을보다잘드러내는개념은김광해 (2008) 의 기초어휘 라판단되어이입장을따르고자한다. - 14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이낱말속에서어떻게구현되는지관심을갖도록하는것이중요하다. 그래서백성들이인지적으로받아들이기쉽고자주접할수있는어휘들을수록했음을충분히짐작할수있다. 자주접하는친숙한어휘를더쉽게인지할수있는것은당연한현상이다. 어휘사용빈도는그어휘를사용하는사람들의심리적친숙도에상응하기때문에사용빈도가높은어휘일수록해당어휘에대해더빨리인식하게된다. 이러한점에서훈민정음을쉽고빠르게익히는데도움을주기위해백성들에게친숙한어휘를중심으로선정한것이다. 새로운문자를습득하게될백성들의구체적인일상과관련하여, 문자사용주체로서일상적인국어사용을기대하면서충분히고민한전략임을알수있다. (2) 어휘의고정성 : 명사중심의어휘앞서살펴본바와같이 < 용자례 > 의어휘들은대체로구체적대상물의이름을일컫는어휘들이다. 그러므로 94개의낱말모두가명사중심의어휘가되는것은당연하다. 물론명사가아닌동사의용례도제시할수있었을텐데그경우가 < 합자해 > 에나온다. 各自並書 如諺語 혀爲舌而 爲引 괴 여爲我愛人而괴 爲人愛我 소 다爲覆物而쏘 다爲射之之類 ( 정음해례21ㄱ :5-8) 혀 [ 舌 ]- [ 引 ], 괴 여 [ 我愛人 ]-괴 [ 人愛我 ], 소 다 [ 覆物 ]-쏘 다 [ 射 ] 등에서명사뿐아니라동사의용례를확인할수있다. 제시된용례들을분석해보면 혀 는명사이지만 - 는동사 다 의어간형이다. 괴 여 [ 我愛人 ( 고이-+-어 )] 와 괴 [ 人愛我 ( 고이-+-이-+-어 )] 는모두동사의활용형이다. 그리고 소 다 는 솓 [ 覆物 ]+-아 와같이활용형이고, 쏘 다 는동사 射 의기본형이다. 이처럼명사와동사의활용형이함께제시된경우를비교해보면형태상명사는고정적인반면에동사는활용으로인해그형태가변한다. 따라서기호와의미, 대상간의관계가일대일로쉽고명확하게파악되는것은명사이다. 이와관련하여언어발달상명사우위성에관해 Gentner(1982) 에서타당성있는설명을제공한다. 인지적우위성 개방범주 언어학적우위성 폐쇄범주 고유명사 구상명사 친족어및관계를나타내는말 동사 공간전치사 한정사접속사 < 그림 5> 우위성의분류 (Gentner & Borodisky, 2001:216) 위의 < 그림 5> 에제시된바와같이명사의어휘들은그주요기능이세상의지각가능한실제들을표시한다는점에서인지적우위에있다. 명사는구상적대상이기때문에개념적으로매우독립적인반면, 동사는지시하고있는상황을충분히표현하여야하기때문에의존적이다. 이러한점에서언어발달단계에서어휘를처음으로습득하는아이들은전형적으로구체적대상을지시하는데사용되는명사를사용한다는것이다. 이는한글의문자적인식교육측면과직결된다. 한글교육에서도입문기아 - 142 -
훈민정음( 訓民正音 ) 을통한한글교육의원형 ( 原形 ) 탐색 : < 예의 > 와 < 용자례 > 를중심으로동이가장먼저단어로사물을인지한다는것은기호와의미와대상간의일치성을통해문자를이해하는것을의미한다. 따라서명사가아닌동사기본형어휘를가지고학습을한다면명사처럼구상적대상이아닌관계로어려움이따르게된다. 이러한점으로미루어보아훈민정음을처음접하는수용자들에게는복잡한동사의활용형보다형태가고정되어있는명사를제시하는것이훨씬더효과적이다. 이는앞서일상생활관련기초어휘를선정한데따른자연스러운귀결이겠으나동사의용례를배제한것은수용자들의부담을최소화하여훈민정음을보다쉽게익히게하기위한전략이된다. (3) 어휘의복잡성 : 음절수를고려한어휘형태적의용이성에서또한가지고려되어야하는사항은음절수이다. < 용자례 > 에수록된어휘는음절을이루는낱말들을나열하고있다. 음소문자로창제한훈민정음을합자 ( 合字 ) 하여표기한다는음절단위인식을시각적으로보인것이다. 그런데문제는이러한인식을수용자들에게어떻게보여줄것인가가관건이다. 이에음절합자에관해수용자들입장에서나타날수있는혼동양상들을충분히예상하고고려한것으로보인다. 예컨대동일한자음 ( 子音 ) 일지라도그것이초성에쓰일때와종성에쓰일때의혼동, 그리고초성 중성 종성이어떤조합으로음절을이루느냐에따라나타나는혼동등음절합자의과정에서나타날수있는백성들의인식의차이를고려한것이다. < 표 4> 훈민정음 해례본에수록된고유어의수 음절구성해당텍스트 초성 + 중성 + 종성 초성 + 중성 종성해 2개 ( 옷, : 실 ) 1음절 5개합자해 14개 15) (, 혀,, 어휘과, 홰 ) 용자례 41개 11개 2음절어휘 3음절어휘 종성해 1개 ( 곶) 합자해 1개 ( ) 4개 ( 괴 여, 괴, 소 다, 쏘 다 ) 용자례 21개 21개 종성해 1 개 ( 의갗 ) 합자해 용자례 위의 < 표 4> 는 훈민정음 해례본에수록된고유어를중심으로음절구성과음절수에따른어휘개수를따져본것이다. 보는바와같이초 중 종삼성 ( 三聲 ) 의 1음절어휘가대부분을차지한다. 음절합자의전형 ( 全形 ) 으로서 초성 + 중성 + 종성 으로구성된어휘일수록단음절을선택하는경향이나타난다. 그까닭을생각해보면초성과종성의시각적유사성, 음절구성의복잡성등은자소-음소의대응관 15) < 합자해 > 에나타난 1 음절어휘는,,, 낛, 활, : 돌, 갈, 붇, 긷, 녑, : 낟, : 깁, 몯, 입 등무려 14 개가된다. 이는종성으로성조를설명하기위해 초성 + 중성 + 종성 으로구성된 1 음절어휘의예를사용한것이다. - 14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계를파악하는데영향을미친다. 그렇기때문에 초성 + 중성 + 종성 의음절구성일수록비교적쉽게인식되는단음절어휘를제시한것으로이해된다. 이는음절구성이시각적복잡성과관련돼있음을단적으로보여준다. ㄱ如 : 감爲柿 爲蘆 ㄱ如닥爲楮 독爲甕 예를들면아음 ( 牙音 ) ㄱ 의경우이것이초성에사용된 : 감 ( 柿 ), ( 蘆 ) 과종성에사용된 닥 ( 楮 ), 독 ( 甕 ) 과같이모두 1음절어휘로제시함으로써동일한자음 ( 子音 ) 이초성과종성에사용될때의차이를명확하게인식하는데효과가있다. 이와같이백성들의예상되는혼동을최소화하기위해의미가분명하고친숙한어휘들, 그가운데서도 1음절의어휘가훈민정음에대한음절인식을돕는역할을한다. 이상에서살펴본바와같이 < 용자례 > 에수록된어휘들은훈민정음을습득하기위한교육용어휘이다. 여기서한글교육의원형을찾을수있는데한글교육용기초어휘는언중들이일상에서쉽게접할수있는친숙한것들이다. 그리고음절합자방식을고려해서음절의구성이쉽게인식되는 1음절어휘중심으로, 형태가복잡한동사보다는형태가고정된명사위주로제시하는것이효과적이라는사실을이미정확하게간파하고있었다. 이렇듯 94개의어휘선정에대한신중한고려와판단은훈민정음을보다쉽게익히게하기위한중요한교육적전략에서비롯된다. (4) 기타 : 반복학습법 < 용자례 > 에는 94개의용례가각각초성 17자에대한용례 2개씩, 중성 11자에대한용례 4개씩 ( 초 + 중 + 종용례 2개씩, 초 + 중용례 2개씩 ), 종성 8자에대한용례 2개씩균형있게구성하였다. 그러나이들용례가각각초성자, 중성자, 종성자에해당하는용례로한정되지않는다. 대표성과균형성을고려한구성임은분명하지만실제용례에는아래 < 표 4> 와같이자소들이중복되는경우가대다수이다. 용례 초성자 < 표 4> < 용자례 > 나타난자소 ( 字素 ) 의중복양상 초성자용례중성자용례종성자용례 첫음절초성 ㄱ : 감 두번째음절초성 첫음절초성 래그력 깃구 리 고욤 ㅋ 우 케 키 두번째음절초성 쟈감 첫음절초성 : 굼 갇 굽 두번째음절초성 러 ㆁ이 서 리드 레다 야ㄷ 뒤 담 뎔고 티ㅌ 톱두텁ㄴ노로납 논 낟 : 널, 버 들삽됴닥독 - 144 -
ㅂ : 벌 ㅍ 파 피 훈민정음( 訓民正音 ) 을통한한글교육의원형 ( 原形 ) 탐색 : < 예의 > 와 < 용자례 > 를중심으로누 에남 밥 벼, 버 들 반되 : 범 : 별 : 굼 브 발 측벼 로 ㅁ : 뫼 마믈 : 밀호 율믜 못 ㅸ ㅈ 자죠 사 드, 쟈감, 쥭, 쥬련, : 져비 ㅊ 체 채발측 올 ㅅ 손 : 셤 사, 숫, 서 리, 쇼, 삽됴, 슈 룹 ㅎ 힘 부 호 ㅇ ㄹ ㅿ 비육 얌 무뤼어 름 아 : 너 이, 울, 약, 율믜, 엿 브 : 잣 남 싣, 신, 섭, : 누 에, 고욤, 다 야 리, 래, 드 레, 벼 로, 구 리, 서 리, 슈 룹, 쥬련 올 용례 중성자 중성자용례초성자용례종성자용례 첫음절중성 두번째음절중성 첫음절중성 두번째음절중성 첫음절중성 ㆍ 얌아 리 래ㅡ 믈그력드 레 발 측드 어 름 ㅣ 깃 : 밀 피 키 ㅗ 논 톱호 벼 로 ㅏ 밥 낟사 이 ㅜ 숫 울누 에구 리 ㅓ : 널서 리버 들브 ㅛ : 쇼 ㅑ약쟈감 ㅠ ㅕ 율믜쥭슈 룹쥬련 엿 뎔 벼 : 져비 고욤삽됴남 다 야 힘 비육 고 티 손 노로 : 감 담납 파 마사 자아 우 케두텁 부 무뤼러 서 : 벌어 름 : 너 죠 고 티사 : 너 러 싣 신 독 못 올 닥 갇 : 잣 반되 굽 : 굼 두번째음절중성 올 두텁 부 섭 : 범 : 굼 얌 비육 : 셤 : 별 - 14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용례 종성자 첫음절종성 종성자용례초성자용례중성자용례 두번째음절종성 첫음절종성 두번째음절종성 첫음절종성 두번째음절종성 ㄱ닥독 비육약쥭 발 측그력 ㆁ : 굼 올 부 ㄷ 갇싣 낟 ㄴ 신 반되 손 논쥬련 ㅂ섭 굽납두텁 톱 밥삽됴브 슈 룹 ㅁ : 범 : : 감 담 : 셤 힘 얌어 름남 고욤쟈감 ㅅ : 잣 못 깃숫 엿 ㄹ : 별 : 벌 믈 발 측 : 밀 울 : 널율믜 뎔 버 들 이와같이초성자, 종성자, 종성자의각대표자소가반복적으로나타난다. 예를들어중성기본자 ㅣ 에대한용례가 깃, : 밀, 피, 키 뿐아니라초성자용례의 힘, 비육, 고 티, 사, : 너 에서, 종성자용례의 싣, 신 에서중복되어나타난다. 어떤초성이나종성사이에위치하든중성 ㅣ 는동일한소리가나며이것이중성자 ㅣ 로나타남을보여준다. 이는훈민정음의음소와자소의대응이대체로규칙적이기때문에음소와자소의대응관계만잘익히면쉽게한글을습득하고활용할수가있다. < 용자례 > 의교수 학습방법은 반복법 에있다. 문자를습득하는데단순하면서도가장효과적인방법으로이는언어교육방법의공통적속성이다. < 용자례 > 에서는소리와글자모양의관계에대해반복적으로익혀야함을시사한다. 단어및음절이내는소리를다양하게경험할수있다. 그리고동일한자소를다양한용례를통해반복적으로경험함으로써표기법을익힐수가있으며눈으로자주익힘으로써단어의표기를통째로기억할수있는효과도얻을수있다. 이와같이 < 용자례 > 는백성들에게신문자인훈민정음의실제용례를제시하고있다. 훈민정음에관한주요핵심내용을종합적으로담아내면서음절구성의전형 ( 典型 ), 내지전범 ( 典範 ) 을보여준것이다. 1례( 例 ) 라는특수목적기능의텍스트인만큼무수한선택과배제의과정을거쳐 94개의어휘를수록하였을것이다. 이러한과정의중심에수용자가자리하고있으며수용자의사고체계에기반하여어휘를선정하고이것을통해음절인식을이끌어내는전략을마련한것이라할수있다. 이렇듯 94개의모범적용례를제시한것은백성들에게훈민정음을효과적으로가르치기위한의도와깊이관련되어있음이분명하다. Ⅳ. < 예의 > 와 < 용자례 > 를연계한한글교육의효과 한글교육에서상향식접근법과하향식접근법을균형있게가르치는것은한글의특성을살리는효과적인지도방법이다. 훈민정음 해례본은음소문자에맞는상향식과음절문자의특성에맞는하향식지도가가능한 < 예의 > 와 < 용자례 > 텍스트를마련해놓았는데이들은한글교육의기초교재로서중 - 146 -
훈민정음( 訓民正音 ) 을통한한글교육의원형 ( 原形 ) 탐색 : < 예의 > 와 < 용자례 > 를중심으로요한기능을한다. < 예의 > 의표준사항에대해고정적이고체계적인지도와아울러 < 용자례 > 에서언중들이평소자주접하는친숙한어휘들을가지고음절중심의지도가가능하다. 쉽게말해표준사항을제시하고있는 < 예의 > 는훈민정음에대한기초지식이해단계로 기본편 에, < 용자례 > 는이러한지식을적용 확장하는단계로 응용편 에해당하는텍스트라할수있다. 그렇다면 < 예의 > 와 < 용자례 > 두텍스트의선후관계를두고보면한글지도는가장먼저음소인식지도부터출발해야함을알려준다. < 용자례 > 를통해서도음소에대한이해가이루어질수있겠으나간접적인이해수준에머물게된다. 단어자체의해독지도보다는음절인식에앞서음소인식을위한지도가선행되는것이효과적이다. < 예의 > 텍스트에서소개된자소 음소의대응규칙및체계에대한이해가없다면 < 용자례 > 텍스트의효용가치와텍스트로서의기능은기대할수없다. < 용자례 > 의선행조건은낱자모양의변별과음소인식이다. 낱자를변별할수있어야하고, 각낱자의음소를알고이를분해및결합할수있어야한다. < 예의 > 에서각낱자의모양과낱자에대한말소리를관계짓는것에집중하였다. < 용자례 > 에서는이러한음소인식을바탕으로단어는개별적인소리들로이루어져이으며, 개별적인소리들은음절로구성된다. 같은소리들이각기다른단어들에도사용될수있다는사실을재인식하게된다. 나아가낱자하나하나에주의를기울이지않고서도시각적정보를바로하나의음절내지는단어단위로연결시킬수있게된다. 결과적으로 < 예의 > 에서마련된음소인식 (phonemic awareness) 이 < 용자례 > 에서음운인식 (phonological awareness) 으로발전하게된다. 16) 이와같이 < 예의 > 와 < 용자례 > 의연계는오늘날한글교육에다음과같은방법을제시해준다. 첫째, < 예의 > 에서숙지한자소와음소를대응시켜발음의규칙성을지도한다. 이는일종의명시적교수 (explicit instruction) 로서 < 용자례 > 의구체적이고실질적용례를가르치기위해미리계획된기본지식이다. 각낱자모양에해당하는소리를하나씩발음해보는방법을 < 예의 > 를통해익힌다. 자소와음소대응관계를잘파악해두면이규칙을새로운낱말해독에적용할수있어서학습전이가높다. 둘째, < 예의 > 에서숙지한내용들을 < 용자례 > 의다양한용례를통해반복적으로경험해보도록지도한다. 먼저소리구조에대한지식으로단어또는음절이여러개의말소리로이루어졌음을알고, 여러개의음소로이루어진단어및음절을소리의덩어리로묶어서발음해보게한다. 단어에들어있는특정음소를파악한다. 예 ) 의첫음소는 ㄱ 이다. 단어또는음절의낱말들을말소리의최소단위인음소들로분절해서파악한다. 예 ) 은 ㄱ, ㆍ, ㄹ 의소리들로구성되어있다. 특정음소들을결합하여발음하기예 ) ㄱ + ㆍ + ㄹ 을 로발음하기 이때두가지유형의소리의인식이나타나게되는데하나는음소를단위로한소리의인식이며, 다 16) 음운인식 (phonological awareness) 과음소인식 (phonemic awareness) 이혼용되어사용되기도하는데, 음운인식이더포괄적인개념이다. 음운인식이란구어에서사용되는단어속에있는여러가지소리의단위와표형들을지각하고아는것이다. 즉단어를이루는낱자의소리들을식별할수있고, 또그런소리들이결합되어낱말이된다는사실을알며, 말소리의최소단위인음소들 (phonemes) 을합치고, 분절하고, 대체할줄아는것이다. 음소인식은말소리의최소단위인음소 (phonemes) 하나하나에대한지각이다. 이러한차이를두고보면 < 예의 > 텍스트는음소인식의활성화에, < 용자례 > 텍스트는음운인식의활성화에초점이놓인다. - 14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른하나는음절을단위로한소리인식이다. 전자는 < 예의 > 에나타나는소리유형이며, 후자는 < 용자례 > 에나타나는소리유형이다. 이로써 < 용자례 > 의적용 활용학습이 < 예의 > 보다한단계수준높은텍스트임이다시한번확인된다. 구어로들리는말소리들은음소를구분할수있을정도로작은단위로분절되어들리는것이아니라음절이하나의덩어리가되어들린다. < 용자례 > 의용례들을발음하기위해서는글자를말소리로바꾸는과정에필요한데독자들에게활자화된단어는매우낯설다. 한자로의미정보를제시해주었으니이를단서로구두언어에서사용하던자신의심상어휘집 (mental lexicon) 에서해당단어가어떻게발음되는지추출해낼수있다. 셋째, 대표적용례이외에 94개의용례가운데같은부분들이있는지살피고, 같은소리로발음해본다. 이때단어의뜻을통해글자와소리를연결하는것이훨씬쉽고빠르지만, 알고있는글자와말소리의관계의단서를이용하여예측할수있도록한다. 셋째, 발음학습이끝나면글자구조에대한지식으로여러개의자소를모아씀으로써하나의단어내지는음절을표기할수있음을익힌다. < 용자례 > 의반복적경험은점점효율적으로자동화되면서낱자하나하나에주의를기울이지않고서도시각적정보를바로하나의단어단위로연결시킬수있게된다. 따라서제시된용례자체가시각단어 (sight words) 가되어철자를지각하게되므로표기법지도에유용하다. 이상과같이 < 예의 > 와 < 용자례 > 두텍스트를연계한한글교육은음소인식을위한명시적교수 (explicit instruction) 에서부터출발해야하며, 다양한용례를통해반복및통합적지도가합리적이며효율적이라는시사점을준다. 이에대한효과는분석적이고, 체계적이며, 논리적으로가르칠수있다는결과를이끌어낼수있다. Ⅴ. 맺음말 - 148 -
참고문헌 훈민정음( 訓民正音 ) 을통한한글교육의원형 ( 原形 ) 탐색 : < 예의 > 와 < 용자례 > 를중심으로 강신항. 2003. ( 수정증보 ) 훈민정음연구. 서울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강신항. 2010. 훈민정음 ( 한글 ) 창제와연구사. 서울 : 도서출판경진문화. 김광해. 1990. 어휘교육의방법. 국어생활 ( 국어연구소 ) 22. 108-125. 김광해. 2008. 어휘현상과교육. 서울 : 박이정. 김두식. 2008. 한글글꼴의역사. 서울 : 시간의물레. 김부연. 2011. 훈민정음 해례본의국어과교육내용에대한연구, 고려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김부연. 2013. 훈민정음 용자례 ( 用字例 ) 를활용한어휘교육방안모색, 한국어문교육 ( 고려대학교한국어문교육연구소 ) 13. 7-36. 김부연. 2017. 한글제자원리 관련교육내용기술정립을위한제언. 문법교육 ( 한국문법교육학회 ) 29. 103-141. 김부연. 2018 ㄱ. 훈민정음 해례본의텍스트분석을통한국어교육적연구 : < 예의 > 와 해례 를중심으로. 고려대학교박사학위논문. 김부연. 2018ㄴ. 훈민정음 해례본의텍스트성탐색 : < 예의 > 와 해례 를중심으로. 새국어교육 ( 한국국어교육학회 ) 115. 237-276. 김유범. 2009. 텍스트구성차원에서바라본해례본 훈민정음 기술내용의몇문제.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 43. 105-124. 김유범. 2018. 한국어교육에서의 훈민정음 해례본활용방안연구. 국제한국어교육 (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 4-1. 79-111. 백두현. 2013. 작업단계로본훈민정음의제자과정과원리. 한글 ( 한글학회 ) 301. 83-142. 석주연. 2011. 해례본 훈민정음 에대한또다른시각. 인문학연구 ( 조선대학교인문학연구원 ) 41. 251-273. 신현정 유상욱공역. 2000. 시각심리학. 서울 : 시그마프레스. 양민화. 2006. 문자발달과정을설명하는범언어적인이론과문자간철자발달의비교연구 Review. 특수교육학연구 ( 한국특수교육학회 ) 41-3. 163-186. 연규동. 2014. 문자의종류와개념에대한새로운이해. 國語學 ( 국어학회 ) 72. 155-181. 이상혁. 2004. 훈민정음과국어연구. 서울 : 역락. 이상혁. 2012. < 훈민정음 >(1446) 과어문규정 (1988) 의역사적상관성연구. 한성어문학 ( 한성대학교한성어문학회 ) 31. 57-82. 이상혁. 2016. 홍기문의 訓民正音 번역과국어학사의한경향. 한국어학 ( 한국어학회 ) 73. 111-134. 인문학연구원 HK문자연구사업단편. 2013. 문자개념다시보기. 서울 : 연세대학교대학출판문화원. 임용기. 2016. 훈민정음 의우리말음절짜임새와초성 중성 종성의자질체계. 2016년훈민정음학회전국학술대회발표논문집 ( 훈민정음학회 ). 3-34. 임지룡. 1991. 국어의기초어휘에대한연구. 국어교육 ( 한국어교육학회 ) 23. 87-131. 정우영. 2014. 월인천강지곡 의국어사적가치와문헌적성격에대한재조명. 藏書閣 ( 한국학중앙연구원 ) 32. 10-47. 정우영. 2016. 훈민정음초성제자원리의 이체자 ( 異體字 ) 관련문제점분석. 國語學 ( 국어학회 ) 80. - 14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35-75. 최영환. 2015. 훈민정음 을통해본한글지도방법. 한국초등국어교육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 56. 175-204. 최영환. 2017. 기적의한글학습 10권완성. 서울 : 길벗스쿨. 허경무. 2006. 조선시대한글서체의연구. 부산대학교박사학위논문. 홍기문. 1946. 正音發達史( 上 ) ( 下 ) 서울 : 서울신문사출판국. Gentner, D. (1982). Why nouns are learned before verbs: Linguistic relativity versus natural partitioning. In S. Kuczaj, ed., Language development, vol. 2. Hillsdale, NJ: Erlbaum. Gentner, D., & Boroditsky, L. (2001). Individuation, relativity and early word learning. In M. Bowerman & S. Levinson (Eds.), Language acquisition and conceptual development.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50 -
토론문 : 훈민정음 을통한한글교육의원형 ( 元型 ) 탐색 -< 예의 > 와 < 용자례 > 를중심으로 - 최미현 ( 동의대 ) 이논문은 훈민정음 해례본에담긴내용자체가한글교육의원형이됨은자명함에도불구하고, 훈민정음 해례본과직접적으로연계한한글교육에대한연구를찾아보기어렵다는사실에서출발하여 훈민정음 의 < 예의 > 와 < 용자례 > 를중심으로한글교육의원형을탐색하고자한것이다. 훈민정음에대한논의는그동안수없이많이이루어졌지만, 최근의 훈민정음 해례본을활용한한국어교육이나한글교육에대한논의들은활발히진행되어야할의미있는연구들이라생각된다. 그런의미에서그연장선상에있는이논문도주목되는바이다. 다만, 이논문에서의문으로남는점을몇가지질문하면다음과같다. 1. 이연구는 훈민정음 해례본에담긴문자습득의전략측면에접근해보는데목적이있다고하였는데, 그연구범위를 < 예의 > 와 < 용자례 > 에국한시킨까닭이궁금하다. 물론발표자는각주2) 에서 < 용자례 > 는해례의 < 제자해 >, < 초성해 >, < 중성해 >, < 종성해 >, < 합자해 > 의종합적산물이므로텍스트로삼았음을밝히고있지만, 문자습득의전략측면에서는 < 제자해 > 를비롯한해례의설명부분을함께다루는것이더효과적일것으로추정되기때문이다. 2. 훈민정음 < 용자례 > 에는 94개의용례가 초성 + 중성 + 종성 의용례 2개씩, 초성 + 중성 의용례 2개씩으로균형있게구성되어있다. 그러나발표자는 < 표4> 에서각용례를 첫음절초성, 두번째음절초성 과같이 첫음절, 두번째음절 로분류하여예를제시하고있다. < 표4> 에서 초성 + 중성 + 종성 과 초성 + 중성 으로분류하면 < 표 > 의용례가균형감있게제시될텐데굳이 첫음절, 두번째음절 로분류한까닭이궁금하다. 3. < 용자례 > 에제시된예들은 < 표4> 처럼반복적으로음소를제시한것처럼보인다. 그러나이것은 초성 + 중성 + 종성 이결합된음절구조적특징으로인하여음소가중복되게제시될수밖에없는양상을보이는것인데, 이를 반복학습법 이라고의미를규정지을수있는지가궁금하다. 물론문자를습득하는데반복적인연습은매우효과적인학습방법임은분명하다. 그러나동일한자소 ㅣ 를다양한용례 ( 깃, 밀, 피, 키 ( 중성 ) / 힘, 비육, 고티, 사, 너 ( 초성 ) / 싣, 신 ( 종성 )) 를통해반복적으로경험한다고 ㅣ 의문자습득이과연효과적일수있을지, 도리어복잡하게다가가지는않을지조금의문스럽다. - 151 -
01-일반1분과-3 ( 마삭제됩니다 ) 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에대하여 김무림 ( 강릉원주대 ) 1. 고대국어한자음과중세국어전승한자음의경계 중세국어한자음의주요모태층이당말 ( 唐末, 9세기전후 ) 의후기장안음 ( 長安音 ) 이라고하면, 고려 (918~1392) 의건국이전이다. 1) 9세기를전후한통일신라 (676~935) 시대에전승한자음의주요기반이확립되어국어의현실한자음으로자리를잡았다고한다면, 전승한자음은중세국어한자음일뿐만아니라, 고대국어한자음이라고불러야옳을것이다. 그러나역사적전이과정이나전승한자음의특성에비추어이러한가능성은적다고해야한다. 통일신라시대의한자음과중세국어의전승한자음을역사적의미에서동일한것으로볼수없는데에는두가지측면의근거가있다. 첫째는통일신라의차자표기에나타나는한자음이전승한자음과는차이가있다는것이며, 둘째는전승한자음의모태론에서드러나는근대적특징이통일신라시대까지소급시키기는어렵다는점이다. 향가 ( 鄕歌 ) 는삼국시대의말엽에발생하여통일신라시대에성행하였다. 여기에쓰인주요한차음자 ( 借音字 ) 중에서전승한자음과근본적으로다른것을몇개만보이면다음과같다. (1) 향가의한자음과전승한자음 < 借字 > < 향가음 > < 전승음 > 米 미 賜 시 史 / 시 只 기 / ㄱ 지 향가에쓰인이러한차자의음가는당시의한자음을토대로하고있음이분명하다. 그리고이들한자음이국어음운사적인내부변화를통하여전승한자음으로이어지지않았다는점이중요하다. 즉이들향가에사용된한자음은이후의역사적과정에서소멸하였으며, 전승한자음에서보여주는새로운한자음으로교체되었기때문이다. (1) 에보인용례는몇자에지나지않지만, 이들한자음의차이가보여주는대표적상징성은국어한자음의역사에서지표 ( 指標 ) 가되기에충분하다. 향가는아니지만신라의 1) 전승한자음의모태론에대한여러논의는 3 장의중세국어한자음에서소개한다. - 15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목간 ( 안압지출토, 8세기중후반 ) 에나오는 助史 가중세국어의 젓 ( 훈몽자회중-21) 에해당한다고하므로, 助 의고대국어한자음 [ 저 ] 는중세국어한자음 [ 조 ] 와구분된다. 국어의내부에서 [ 저 ] 가 [ 조 ] 로되는변화는가능하지않다. 고대국어한자음과전승한자음의단절을보여주는체계적인내부적특징으로서주요한것은다음과같으며, 이러한성격은 10세기이후의한어음 ( 漢語音 ) 에맥락이닿아있다고이해되는전승한자음의근대성이다. (2) 전승한자음의근대적특성으로서체계적인것 2) 가. 강운 ( 江韻, 開 2) 의운모반영은소수의예외를제외하면 [-앙/-악] 이다. 강운 ( 江韻 ) 의운모에대한중고재구음을보면핵모가원순모음인 [-ɔŋ/-ɔk] 으로재구되는것이음운사적으로가장무난하다고할수있다. 그러므로후기중고음, 또는근대음이후에강운 ( 江攝 ) 이탕섭 ( 宕攝 ) 에합류된것은원순성핵모 [ɔ] 가평순모음 [a] 로변화했다는것을말해주는것이다. 나. 지섭 ( 止攝 ) 의치두음과정치음 ( 照 2계 ) 에나타나는 [- ] 의반영은체계적인근대적특징이다. 다. 어운 ( 魚韻, 開 3을 ) 의아음과후음은운모가 [-어] 로반영되는것이정칙이나, 정치음 ( 照 2)( 청1- 菹, 詛 / 져, 阻, 葅 / 조, 차- 初, 礎, 楚 / 초, 청2- 所, 䟽, 踈, 蔬, 梳 / 소, 탁1- 鋤 / 서, 助 / 조 ) 에서는예외적인 [-어] 를제외하면, [-오] 로반영되는것이정칙이다. 어운 ( 魚韻 ) 의개구음에서정치음 ( 照 2계 ) 이 [-오] 로반영된것은중고음이후권설화와핵모의원순모음화에기인하는것으로생각된다. 이밖에도전승한자음의근대적특징은더열거할수있다. 이와같은체계적특성을참조한다면, 전승한자음을고대국어한자음의범주에넣어처리하는데는무리가있다는것을알수있다. 다만고대국어한자음이나중세국어한자음이역사적동일체인한어 ( 漢語 ) 를기반으로한다는점에서대동소이 ( 大同小異 ) 의양상을보인다는것은필연이다. 그러므로고대국어한자음과중세국어한자음의시대구분에대한감각은대동 ( 大同 ) 을염두에두면서도소이 ( 小異 ) 의실현에민감할필요가있는것이다. 3) 고대국어한자음과대비되는전승한자음의근대적특징이고려시대에들어일거에개신 ( 改新 ) 되었다고할수는없을것이다. 당말 ( 唐末 ) 의언어적개신 ( 改新 ) 상황이통일신라에전이되어국어한자음에영향을주었을가능성은충분하다. 그러나 (1) 이나 (2) 에보인논거들을토대로하면, 전승한자음에나타나는새로운특징들이주류한자음으로기능을하게된것은고려에들어서가능하게되었다고할수있다. 이러한이해를토대로하여고대국어한자음과구분되는중세국어전승한자음의시대적위치를확인할수있는것이다. 2) 김무림 (2006, 2007) 에서전승한자음의근대적특징에대하여종합적으로고찰하였다. 이에대해서는제 3 장의중세국어한자음에서자세히논의하기로하겠다. 3) 근래魏國峰 (2017) 의견해는전승한자음에나타나는체계적인근대적특징을모두통일신라시대에실현된후기중고음의반영으로처리하면서, 고대국어한자음 이라는범주에넣었다. 따라서시대구분에있어서魏國峰 (2017) 의견해는본고의방향과는맞지않는다. - 154 -
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에대하여 2. 고대국어한자음이중세국어한자음과다른것 한자의음과훈을이용하여표기한고대의고유명사 ( 지명, 인명, 관명 ) 는문헌에따라다양한이표기 ( 異表記 ) 가있으며, 이로부터당시의한자음을추측할수있다. 또한몇몇어휘표기는중세국어의형태에이어지는것도있어서역시당시한자음의일면을보여준다. 향가를기록한향찰표기의한자음이나, 구결및이두의한자음도고대국어한자음을보여준다. 다만이두및구결은주로고려및조선의문헌에나타나므로선별하여고대국어한자음에편입시킬수있다. 고대국어의음차표기한자음을검토하여중세국어한자음과비교하면상당한일치와함께주목할만한불일치가있음을알수있다. 고대국어한자음에대한논점은중세국어한자음과의대비에서다름에대한해석에있다. 차자표기의음차한자 ( 音借漢字 ) 에서재구음의신뢰도가높다고생각되는한자를대상으로중세국어한자음과다른것을제시하면다음과같다. (3) 고유명사및어휘표기에나타난한자음이중세국어한자음과다른것 4) [* 각 ] 各 [ 中 / 각 / 去 5), 宕 / 開 1/ 入 / 鐸 / 見 / 古落 /kɑk 6), 鐸 /klaːɡ 7) ] 8) 客 [ 中 / / 去, 梗 / 開 2/ 入 / 陌 / 溪 / 苦格 /kʰɐk, 鐸 /kʰraːɡ] [* ] 介 [ 中 / 개 / 上, 蟹 / 開 2/ 去 / 怪 / 見 / 古拜 /kɐi, 祭 /kreːds] 9) 皆 [ 中 / / 平, 蟹 / 開 2/ 平 / 皆 / 見 / 古諧 /kɐi, 脂 /kriːl] [* 가 ] 居 [ 中 / 거 / 平, 遇 / 合 3/ 平 / 魚 / 見 / 九魚 /kǐo, 魚 /kas] 10) [ 中 /?/?, 止 / 開 3/ 平 / 之 / 見 / 居之 /kǐə, 之 /kɯ] 矩 [ 中 / 구 / 上, 去, 流 / 開 1/ 上 / 厚 / 溪 / 苦后 /kʰəu, 魚 /kʷaʔ] [* 건 ] 4) 고유명사및어휘표기에서가능한고대국어한자음의재구는하나의음에대한이표기 ( 異表記 ), 그리고중세국어의어휘에연결되는음차표기를통하여이루어진다. 5) 한자음은 [ 古 /, 中 /, 近 /, 現 /] 등에의하여각각고대 - 중세 - 근대 - 현대의한자음을보인것이며, 平, 上, 去 는聲調이다. 6) 攝 / 等 / 聲調 / 韻 / 聲母 / 反切 / 再構音, 漢字古今音表 (1999/ 修訂本 ) 에의거하였다. 7) 韻部 / 再構音, 재구음은鄭張尙芳 (2003) 에의거하였다. http://ytenx.org/ 참조. 8) 連城郡本高句麗各 ( 一作客 ) 連城郡 ( 사기 35-9), 客連郡 ( 客一作各 ) 一云加兮牙 ( 사기 37-5) 등에서 各 [ 中 / 각 ] 과 客 [ 中 / ] 이동음관계에있다. 9) 介山郡本高句麗皆次山郡景德王改名今竹州 ( 史記 35-2) 에서 介 [ 中 / 개 ] 와 皆 [ 中 / ] 가동음관계에있다. 특히중세국어의한자음이복수인경우에역사적으로변화의관계에있을때는원래의한자음만을보이는것을원칙으로한다. 고대국어한자음에대한자세한논의는특별한언급이없는경우김무림 (2015) 에의거한다. 10) 신라의왕인 赫居世王 의주석에 盖鄕言也或作弗矩內王言光明理世也 ( 유사 44) 에서 居 와동음성표기로사용되었다. 중고음에서 居 는魚韻이고, 矩 는麌韻으로서로다르지만, 상고음으로소급하면核母가 [a] 로서같은魚部이다. 모음조화를고려하여고대국어한자음을 [ 가 / 거 ] 로재구할수있다. 고대국어차음표기에서모음 [ 아 / 어, 오 / 우, / 으 ] 등의모음조화에의한표기적변이가나타난다고생각되기때문이다. - 15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巾 [ 中 / 건 / 平, 臻 / 開 3/ 平 / 眞 / 見 / 居銀 /kǐěn, 文 /krɯn] 11) 近 [ 中 / 근 / 上, 去, 臻 / 開 3/ 去 / 焮 / 群 / 巨靳 /gǐən, 文 /ɡɯnʔ] [* 걸 ] 乞 [ 中 / 걸 / 去, 臻 / 開 3/ 入 / 迄 / 溪 / 去訖 /kʰǐət, 物 /kʰɯd] 12) 訖 [ 中 / 흘 / 去, 臻 / 開 3/ 入 / 迄 / 見 / 居乞 /kǐət, 物 /kɯd] [* 검 ] 黔 [ 中 / 검 / 平, 深 / 開 3/ 平 / 侵 / 群 / 巨金 /gǐem, 侵 /ɡrɯm] 13) 金 [ 中 / 금 / 平, 深 / 開 3/ 平 / 侵 / 見 / 居吟 /kǐěm, 侵 /krɯm] [* 계 ~ 기 ] 溪 [ 中 / 계 / 平, 蟹 / 開 4/ 平 / 齊 / 溪 / 苦奚 /kʰiei, 支 /kʰeː] 14) 雞 [ 中 / 계 / 平, 蟹 / 開 4/ 平 / 齊 / 溪 / 苦奚 /kʰiei, 支 /keː] 支 [ 中 / 지 / 平, 止 / 開 3/ 平 / 支 / 章 / 章移 /tɕǐe, 支 /kje] 兮 [ 中 / 혜 / 平, 蟹 / 開 4/ 平 / 齊 / 匣 / 胡鷄 /ɣiei, 支 /ɢeː] [* 검 ] 今 [ 中 / 금 / 平, 深 / 開 3/ 平 / 侵 / 見 / 居吟 /kǐěm, 侵 /krɯm] 15) [* 기 ] 岐 [ 中 / 기 / 平, 止 / 開 3/ 平 / 支 / 群 / 巨支 /gǐe, 支 /ɡe] 16) 鬐 [ 中 / 기 / 平, 止 / 開 3/ 平 / 脂 / 群 / 渠脂 /gi, 脂 /ɡri] 只 [ 中 / 지 / 上, 去, 止 / 開 3/ 上 / 紙 / 章 / 諸氏 /tɕǐe, 支 /kljeʔ/klje] 支 [ 中 / 지 / 平, 止 / 開 3/ 平 / 支 / 章 / 章移 /tɕǐe, 支 /kje] 17) 11) 嘉酞縣本近 ( 一作巾 ) 品縣景德王改名今山陽縣 ( 사기 34-3) 에서 近 [ 中 / 근 ] 과 巾 [ 中 / 건 ] 이동음관계에있다. 고대국어한자음에서 近, 巾 이동음인것은분명하지만, [ 건 ] 과 [ 근 ] 에서어느음인지확실치는않다. [ 건 ] 이었을가능성이높다. 德 [ 中 / 덕 ] 과 得 [ 中 / 득 ] 의관계와같은조건이다. 12) 訖解尼師今 ( 사기 2-14), 乞解尼叱今 ( 유사 10) 등에서 訖 [ 中 / 흘 ] 과 乞 [ 中 / 걸 ] 이동음관계에있다. 13) 金浦縣本高句麗黔浦縣景德王改名今因之 ( 사기 35-3) 에서 金 [ 中 / 금 ] 과 黔 [ 中 / 검 ] 이동음관계에있다. 고대국어한자음에서 金 과 黔 이동음인것은분명하지만, 金, 黔 이모두 [ 검 ] 이었는지, 아니면 [ 금 ] 이었는지확답하기는어렵다. [ 검 ] 이었을가능성이더높다. 金 은 [ 中 / 김 / 平 ] 도있다. 14) 杞溪縣本芼兮縣 ( 一云化雞 ) 景德王改名今因之 ( 사기 34-9), 八谿縣本草八兮縣景德王改名今草谿縣 ( 사기 34-11), 日谿縣本熱兮縣 ( 或云泥兮 )( 사기 34-3) 등의신라지명, 森溪縣本百濟所非兮縣景德王改名今因之 ( 사기 36-9) 의백제지명, 檀溪縣本高句麗水谷城縣景德王改名今俠溪縣 ( 사기 35-6) 의고구려지명등에의하여 兮, 溪 ( 谿 ), 雞 가동음관계에있다는것, 그리고 菓支縣一云菓兮 ( 사기 37-9) 에의하여 支 와 兮 가동음관계에있다는것에근거한것이다. 15) 고구려지명인 黑壤郡 ( 一云黃壤郡 ) 本高句麗今勿奴郡景德王改名今鎭州 ( 사기 35-1) 에서 黑 에 今勿 이대응하고, 壤 에 奴 가대응된다. 今勿 은 거믈흑 ( 黑, 훈몽자회중 -29) 에서확인할수있는바와같이 今 에대한 [ 검 ] 의음을확인할수있다. 16) 백제의지명인 多岐縣本百濟多只縣 ( 사기 36-11), 燕岐縣本百濟豆仍只縣 ( 사기 36-3), 支潯縣本只彡村 ( 사기 37-17), 支牟縣本只馬馬知 ( 사기 37-17) 등, 그리고신라의지명인 鬐立縣本只立縣 ( 사기 34-8) 등에서 只 는 岐, 支, 鬐 등과동음관계에있다. 또한향가의 密只 ( 서동요 ), 唯只 ( 우적가 ), 必只 ( 칭찬여래가 ) 등과 향약구급방 의 省只草, 所也只 등에서도 只 ( 中 / 지 ) 는 ㄱ 이나 기 로읽히며, 역시향가의 支 도 只 와같은음이라는것이통설이다. 17) 支 의경우는위항목에서 [* 계 ~ 기 ] 로재구했으므로재구음이이중적이다. 이러한중의적해석의경우는고대국어의음차표기에서드문일이아니지만, 해석상의어려움이있는것은사실이다. 어느한쪽을무시하기보다 - 156 -
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에대하여 [* 기 ] 己 [ 中 / 긔 / 上, 去, 止 / 開 3/ 上 / 止 / 見 / 居理 /kǐə, 之 /kɯʔ] 18) 其 [ 中 / 기 / 平, 去, 止 / 開 3/ 平 / 之 / 見 / 居之 /kǐə, 之 /kɯ] 只 ( 앞항목참조 ) [* 누 ] 內 [ 中 / / 上, 去, 蟹 / 合 1/ 去 / 隊 / 泥 / 奴對 /nuɒi, 內 /nuːbs] 19) 奴 [ 中 / 노 / 平, 遇 / 合 1/ 平 / 模 / 泥 / 乃都 /nu, 魚 /naː] 弩 [ 中 / 노 / 上, 遇 / 合 1/ 上 / 姥 / 泥 / 奴古 /nu, 魚 /naːʔ] 惱 [ 中 / 노 / 上, 效 / 開 1/ 上 / 晧 / 泥 / 奴晧 /nɑu, 幽 /nuːʔ] 訥 [ 中 / 눌 / 去, 臻 / 合 1/ 入 / 沒 / 泥 / 內骨 /nuət, 物 /nuːd] [* 녈 ~ 닐 ~( 니 )] 泥 [ 中 / 니 / 平, 蟹 / 開 4/ 平 / 齊 / 泥 / 奴低 /niei, 脂 /niːl] 20) 尼 [ 中 / 니 / 平, 上, 止 / 開 3/ 平 / 脂 / 泥 / 女夷 /ni, 脂 /nil] 熱 [ 中 / / 去, 山 / 開 3/ 入 / 薛 / 日 / 如列 /ɽǐɛt, 月 /ŋjed] 日 [ 中 / / 去, 臻 / 開 3/ 入 / 質 / 日 / 人質 /ɽǐět, 質 /njiɡ] [* ] 旦 [ 中 / 단 / 上, 山 / 開 1/ 去 / 翰 / 端 / 得按 /tɑn, 元 /taːns] 21) 頓 [ 中 / 돈 / 上, 去, 臻 / 合 1/ 去 / 慁 / 端 / 都困 /tuən, 文 /tuːns] 呑 [ 中 / / 平, 臻 / 開 1/ 平 / 痕 / 透 / 吐根 /tʰən, 文 /qʰl'ɯːn] [* 덕 ] 德 [ 中 / 덕 / 去, 曾 / 開 1/ 入 / 德 / 端 / 多則 /tək, 職 /tɯːɡ] 22) 는양쪽의용법을인정하는것이논의의진전을이끄는방법이다. 18) 己 는백제의지명인 潔城郡本百濟結己郡景德王改名今因之 ( 사기 36-3), 悅城縣本百濟悅己縣景德王改名今定山縣 ( 사기 36-2) 등에서알수있는바와같이 城 과이문 ( 異文 ) 관계에있다. 己 의고대국어한자음은백제의다른지명표기인 儒城縣本百濟奴斯只縣景德王改名今因之 ( 사기 36-3) 의기록을검토하면, 只 와 城 의이문 ( 異文 ) 이성립하므로, 己 와 只 는음차표기로서등가의관계에있음을알수있다. 그러나 己 는 3 等乙類 (- 의 ) 이고 只 는 3 等甲類 (- 이 ) 로서중세국어한자음의기준으로볼때완전히같은음이되기는어렵다. 아마도고대국어시기에있어서 3 等갑을 ( 甲乙 ) 의차이점은적용되지않았을생각된다. 을류에속한 其 의조선한자음이 기 인것은예외에속한다. 고대국어한자음에서 3 등갑을의차이가없었다고한다면 其 는 [ki/ 기 ] 로재구되어야한다. 이렇게되면중세국어한자음 기 는고대국어한자음이유지된것이라고할수있다. 19) 骨衣奴縣 ( 사기 35-3), 骨衣內縣 ( 사기 37-3), 今勿奴郡 ( 사기 35-1), 今勿內郡 ( 一云萬弩, 사기 37-3), 思內一作詩惱 ( 사기 32-10), 訥祗麻立干一作內只王 ( 유사 13), 內禮夫智 ( 赤城碑 ), 弩里夫 ( 사기 4-12) 등의같은대상에대한다른표기에의하여 內 는고대의한자음에서 奴, 弩, 惱, 訥 등과동음관계가성립한다. 이로부터 內 의고대국어한자음 [ 누 / 노 ] 를재구할수있다. 訥 ( 中 / 눌 ) 의받침 [- ㄹ ] 은 訥祗 의연결에의해치경음앞에서탈락한것으로처리된다. 20) 백제의지명인 尼山縣本百濟熱也山縣景德王改名今因之 ( 사기 36-1) 과신라의지명인 日谿縣本熱兮縣或云泥兮 ( 史記 34-3) 등에서 熱 [ 中 / ] 은 니 [ 中 / 니, 닐 ], 泥 [ 中 / 니 ], 日 [ 中 / ] 등과동음관계에있다. 또한백제목간 ( 미륵사지 1 호 ) 의 日古𢀳 은중세국어 닐굽 / 닐곱 에이어진다. 이승재 (2013: 36) 참조. 21) 고구려지명인 於支呑一云翼谷 ( 사기 37-5), 水谷城縣一云買旦忽 ( 사기 37-4), 十谷縣一云德頓忽 ( 사기 37-4) 등에서 呑, 旦, 頓 등은 谷 의의미에대응하는표기이다. 향가의 皃史毛達只將來呑隱, 今呑藪未去遣省如, 好尸日沙也內乎呑是 ( 우적가 ) 에서 呑 은 [ / 든 ] 의표기로이해되고있다. 유기음이평음으로반영되었음을확인할수있다. - 15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得 [ 中 / 득 / 去, 曾 / 開 1/ 入 / 德 / 端 / 多則 /tək, 職 /tɯːɡ] [* 다 ] 刀 [ 中 / 도 / 平, 效 / 開 1/ 平 / 豪 / 端 / 都牢 /tɑu, 宵 /taːw] 23) [* 리 ] 禮 [ 中 / 례 / 上, 去, 蟹 / 開 4/ 上 / 薺 / 來 / 盧啓 /liei, 脂 /riːʔ] 24) 里 [ 中 / 리 / 上, 去, 止 / 開 3/ 上 / 止 / 來 / 良士 /lǐə, 之 /rɯʔ] 理 [ 中 / 리 / 上, 去, 止 / 開 3/ 上 / 止 / 來 / 良士 /lǐə, 之 /rɯʔ] 利 [ 中 / 리 / 上, 去, 止 / 開 3/ 去 / 至 / 來 / 力至 /li, 至 /rids] [* ] 買 [ 中 / / 上, 蟹 / 開 2/ 上 / 蟹 / 明 / 莫蟹 /mai, 支 /mreːʔ] 昧 [ 中 / / 上, 去, 蟹 / 合 1/ 去 / 隊 / 明 / 莫佩 /muɒi, 隊 /mɯːds] 米 [ 中 / 미 / 上, 蟹 / 開 4/ 上 / 薺 / 明 / 莫禮 /miei, 脂 /miːʔ] 未 [ 中 / 미 / 上, 去, 止 / 合 3/ 去 / 未 / 微 / 無沸 /mǐwəi, 隊 /mɯds] [* ] 朴 [ 中 / 박 / 去, 江 / 開 2/ 入 / 覺 / 滂 / 匹覺 /pʰɔk, 屋 /pʰroːɡ/poːɡboːɡ] 25) [* 번 ~ 븐 ] 飯 [ 中 / 반 / 上, 去, 山 / 合 3/ 去 / 願 / 奉 / 符万 /bǐwɐn, 元 /bons] 26) 芬 [ 中 / 분 / 平, 臻 / 合 3/ 平 / 文 / 敷 / 撫文 /pʰǐuən, 文 /pʰɯn] [* 벌 ~ 블 ] 發 [ 中 / 발 / 去, 山 / 合 3/ 入 / 月 / 非 / 方伐 /pǐwɐt, 月 /pad] 27) 伐 [ 中 / 벌 / 去, 山 / 合 3/ 入 / 月 / 奉 / 房越 /bǐwɐt, 月 /bad] 弗 [ 中 / 블 / 去, 臻 / 合 3/ 入 / 物 / 非 / 分勿 /pǐuət, 物 /pɯd] 佛 [ 中 / 불 / 去, 臻 / 合 3/ 入 / 物 / 奉 / 符勿 /bǐuət, 物 /bɯd] 22) 得安縣本德近支 ( 사기 37-16) 의백제지명, 가락국의인명인 茂得 ( 유사 119) 과 武德 ( 史記 4-5) 이동일인을표기한것등에서 得 [ 中 / 득 ] 과 德 [ 中 / 덕 ] 이동음인것이확인된다. 23) 백제목간 ( 미륵사지 1 호 ) 의 刀士𢀳 은마소의나이를세는근대국어의 다 ( 벽온신방 2) 에연결되는백제의수사표기이다. 刀 가 [ 다 ] 의음가임을알수있다. 이승재 (2013: 36) 참조. 24) 신라의왕명인 儒禮尼師今 ( 사기 2-12) 이 儒理 ( 사기 2-12) 나 世里智王 ( 유사 10) 등과같은대상을표기한것이며, 또한 弩里夫 ( 사기 ) 와 內禮夫智 ( 赤城碑 ) 는동일인에대한다른표기이다. 이러한표기를통해서 禮 는 理, 里 와동음으로파악된다. 아울러 禮 는백제의지명표기인 解禮縣本皆利伊 ( 사기 37-17) 에서 解 와 皆, 禮 와 利 의동음관계가성립한다. 25) 신라의왕명인 朴赫居世 는 始祖姓朴諱赫居世 ( 사기 1-1) 라고하고, 이어서 辰人謂瓠爲朴以初大卵如瓠故以朴爲姓 ( 사기 1-1) 이라고하여 朴 에대한성 ( 姓 ) 의유래를설명하고있지만, 이것은민간어원에불과하다. 오히려정확한어원풀이는 삼국유사 의 赫居世王 에대한주석에 盖鄕言也或作弗矩內王言光明理世也 ( 유사 44) 라고한것이이치에맞을것이다. 그러므로 朴 의고대국어한자음은중세국어의 박 ( 瓠子, 훈몽자회상 -8) 에서찾기보다는 다 에서찾을수있다. 이렇게되면 朴 의한자음이고대국어의 [* ] 에서 삼국사기 가쓰여진중세국어 ( 전기 ) 시기에 [ 박 ] 으로조정되었다고해야한다. 한음 ( 漢音 ) 과의대응에서도 [* ] 의가능성이더높다. 26) 신라의인명인 國飯一云國芬 ( 사기 5-7) 에서 飯 은 芬 과동음이다. 27) 신라의인명인 伐休一作發暉 ( 사기 2-2) 에서 發 과 伐 은동음임이분명하며, 신라의관명인 或云舒發翰或云舒弗邯 ( 사기 38-1) 에서는 發 과 弗 이역시동음임이확인된다. 그런가하면지명인 佛地或作發智村俚云弗等乙村 ( 유사 195) 에서도 發, 佛, 弗 의동음관계가확인된다. - 158 -
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에대하여 [* ~ 벌 ] 別 [ 中 / 별 / 去, 山 / 開 3/ 入 / 薛 / 幫 ( 並 )/ 方別 ( 皮列 )/pǐɛt(bǐɛt), 月 /pred(bred)] 28) [* 바 ] 寶 [ 中 / 보 / 上, 效 / 開 1/ 上 / 晧 / 幫 / 博抱 /pɑu, 幽 /puːʔ] 29) 巴 [ 中 / 파 / 平, 假 / 開 2/ 平 / 麻 / 幫 / 伯加 /pa, 魚 /praː] [* 비 ] 夫 [ 中 / 부 / 平, 遇 / 合 3/ 平 / 麌 / 非 / 甫無 /pǐu, 魚 /pa] 30) 卑 [ 中 / 비 / 平, 止 / 開 3/ 平 / 支 / 幫 / 府移 /pǐe, 支 /pe] [* 시 ~ ] 似 [ 中 / / 上, 止 / 開 3/ 上 / 止 / 邪 / 詳里 /zǐə, 之 /ljɯʔ] 31) 史 [ 中 / / 上, 去, 止 / 開 3/ 上 / 止 / 生 / 踈士 /ʃǐə, 之 /srɯʔ] 悉 [ 中 / 실 / 去, 臻 / 開 3/ 入 / 質 / 心 / 息七 /sǐět, 質 /sid] [* 시 ] 士 [ 中 / / 上, 去, 止 / 開 3/ 上 / 止 / 崇 / 鉏里 /dʒǐə, 之 /zrɯʔ] 32) 之 [ 中 / 지 / 平, 止 / 開 3/ 平 / 之 / 章 / 止而 /tɕǐə, 之 /tjɯ] 次 [ 中 / / 上, 去, 止 / 開 3/ 去 / 至 / 淸 / 七四 /tsʰi, 脂 /sn ʰis] [* 시 ] 斯 [ 中 / / 平, 止 / 開 3/ 平 / 支 / 心 / 息移 /sǐe, 支 /se] 33) 自 [ 中 / / 上, 去, 止 / 開 3/ 去 / 至 / 從 / 疾二 /dzi, 至 /ɦljids] 28) 고구려지명인 七重縣一云難隠別 ( 사기 37-3) 에서음차인 別 은 重 의의미인중세국어 에대응한다. 別 의중세국어한자음 [ 별 ] 과비교하면, 고구려한자음에서는반모음 [j] 가없었다고추정되므로상고음기반으로해석된다. 29) 신라의인명에서 新寶王后 ( 사기 9-12) 는 神巴夫人 ( 유사 25) 과, 貴寶夫人 ( 사기 10-19) 은 貴巴夫人 ( 유사 27) 과, 古巴里 ( 감산사미륵보살조상명 ) 는 古寶里 ( 감산사아미타여래조상명 ) 와각각동일인이므로, 고대국어한자음에서 巴 와 寶 의동음을논의하게된다. 신라의지명인 眞寶縣本柒巴火縣景德王改名今甫城 ( 사기 34-4) 에서도 巴 와 寶 의동음관계가성립한다. 다만 寶, 巴 에대한고대국어한자음은 [ 보 ] 보다는 [ 바 ] 일가능성이높다. 巴 와 寶 의동음관계는향가의 巴寶白乎隱 ( 도솔가 ) 의해독에도암시를줄수있다. 30) 마한지명의 卑離 와백제지명의 夫里 가등가의관계에있지만, 공시적인동음으로처리하기어려운점도있다. 천소영 (1990: 56) 참조. 31) 고구려지명인 似城本史忽 ( 사기 37-16) 에서 史 와 似 가동음인것을알수있으며, 역시고구려지명인 悉直郡一云史直 ( 사기 37-6) 에서는 史 와 悉 이대응한다. 지섭 ( 止攝 ) 의치두음 ( 齒頭音 / 精組 ) 계열과치상음 ( 齒上音 / 莊組 ) 계열은중세국어한자음에서모음이 [- ] 로나타나지만, 고대국어한자음으로는모음이 [- 이 ] 로소급되므로, 史 의고대국어한자음을 [si/ 시 ] 로재구할수있다. 또한 史 와 悉 의대응에서는운미를제외한다면 [si/ 시 ] 가되어동음성이확보된다. 悉 의고대국어한자음이 [sil/ 실 ] 이었다면, 舌音인 直 의앞에서운미 [-l/- ㄹ ] 의탈락이예상되기때문이다. 향가에서 史 는주로마지막음절 ( 또는조사나어미연결형 ) 을나타내는표기로사용되었다. 즉 皃史 는 즈 / 즈시 로, 栢史 는 자시 로, 母史 는 어 / 어시 로, 无史 는 없이 로해독된다. 32) 신라의관명인 吉之智 ( 鳳坪碑 ), 吉士或云稽知或云吉次 ( 사기 38-2) 등에서 次 는 士, ( 知 ), 之 등과동음관계에있다. 次, 士, ( 知 ), 之 등이同音을이룰음가는 [ 지 ] 이외의것을생각하기어렵다. 향가에서 次 는 栢史叱枝次高攴好 ( 讚耆婆郞歌 ), 蓬次叱巷中宿尸夜音有叱下是 ( 慕竹旨郞歌 ) 등에서 枝次 가 가지 로, 蓬次 가 다봊 / 다보지 로읽힌다. 향가에서 次 는 [ 지 ] 의音價에해당되는표기이다. 33) 신라의지명인 火王郡本比自火郡一云比斯伐 ( 사기 34-7) 에서 自 는 斯 와동음관계에있다. - 15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 사 ~ 서 ~ 소 ] 所 [ 中 / 소 / 上, 去, 遇 / 合 3/ 上 / 語 / 生 / 踈擧 /ʃǐo, 魚 /sqʰraʔ] 34) 沙 [ 中 / 사 / 平, 假 / 開 2/ 平 / 麻 / 生 / 所加 /ʃa, 歌 /sraːl/sraːls] 朔 [ 中 / 삭 / 去, 江 / 開 2/ 入 / 覺 / 生 / 所角 /ʃɔk, 鐸 /sŋraːɡ] [* 시 ~ ] 兒 [ 中 / / 平, 止 / 開 3/ 平 / 支 / 日 / 汝移 /ɽǐe, 支 /ŋje] 35) 次 [ 中 / / 上, 去, 止 / 開 3/ 去 / 至 / 淸 / 七四 /tsʰi, 脂 /sn ʰis] [* 연 ] 迎 [ 中 / 영 / 平, 上, 去, 梗 / 開 3/ 平 / 庚 / 疑 / 語京 /ŋǐɐŋ, 陽 /ŋraŋ] 36) 延 [ 中 / 연 / 平, 山 / 開 3/ 平 / 仙 / 以 / 以然 /jǐɛn, 元 /lan] [* 저 ] 助 [ 中 / 조 / 上, 去, 遇 / 合 3/ 去 / 御 / 崇 / 牀據 /dʒǐo, 魚 /zras] 37) 才 [ 中 / / 平, 蟹 / 開 1/ 平 / 咍 / 從 / 昨哉 /dzɒi, 之 /zlɯː] [* 자 ] 佐 [ 中 / 좌 / 上, 去, 果 / 開 1/ 去 / 箇 / 精 / 則箇 /tsɑ, 歌 /ʔsaːls] 38) 34) 고구려지명인 朔邑縣本高句麗所邑豆縣景德王改名今朔寧縣 ( 사기 34-4,5) 에서운미를괄호에넣는다면 所 와 朔 의동음관계의성립이가능하다. 한편으로는 所 의上古音에서董同龢의재구음이 [sag] 인것이주목된다. 고구려지명인 赤木縣一云沙非斤乙 ( 사기 37-5) 과백제의지명인 赤島縣本百濟所比浦縣景德王改名今德津縣 ( 사기 36-3) 등에서 赤 의의미에대응하는 沙非 와 所比 를찾을수있다. 아울러고구려지명인 赤城縣本高句麗沙伏忽景德王改名今陽城縣 ( 사기 35-2) 에서는改名의과정에서 沙伏 을 赤 으로대응시킨것으로서, 沙非, 所比, 沙伏 등이동일한단어의형태를표기하고있다. 沙非, 所比, 沙伏 등은음차표기로이해되는것인데, 이렇게되면고대국어한자음에서 所 - 沙 의동음성과 非 - 比 - 伏 의동음성이성립된다. 所 - 沙 의同音性은한자음 所 의上古音을고려할때 [sa/ 사 ] 에서찾는것이옳다. 다만백제의지명인 所夫里郡一云泗沘 ( 사기 37-8) 에서 所夫 와 泗沘 의대응은동음의기반에서논의되어야하지만, 한자음의차원에서 所 와 泗 의동음관계를실증하기가쉽지않다. 35) 백제의지명인 烏兒縣本百濟烏次縣景德王改名今定安縣 ( 사기 36-8) 에서 次 와 兒 는동음관계에있다. 고구려지명인 母城郡一云也次忽 ( 사기 37-5) 에서 也次 는중세국어 어 ( 母, 석보 6-5) 에이어지는표기이므로, 참조할수있다. 향가에서 母史 ( 안민가 ) 가 어 에해당한다는것도참고할수있다. 36) 고구려안원왕 ( 安原王 ) 의이름인 寶延 ( 사기 19-6) 은 寶迎 ( 유사 17) 으로도표기되며, 신라의인명인 延帝夫人 ( 사기 4-1) 은 迎帝夫人 ( 유사 16) 으로도표기된다. 迎 과 延 의동음성은경섭 ( 梗攝 ) 의운미 [-ŋ/- ㅇ ] 이 [-n/- ㄴ ] 으로나타난경우가있는현상을반영한것이다. 迎 의중세국어한자음이 진언권공 ( 眞言勸供 ) 에서 연 으로나타난경우가있으나중세국어한자음으로는예외적인경우에속한다. 또한 迎 의고대국어한자음이 [ 연 ] 과함께 [ 영 ] 으로쓰였을가능성도있다. 37) 고구려지명인 助攬郡一云才攬 ( 사기 37-6) 에서 助 는 才 와동음관계로이해된다. 중고음을기준으로하면 助 [dʒǐo] 와 才 [dzɒi] 는중세국어한자음과같은차이가드러나지만, 상고음을참조하면 助 와 才 의동음관계가암시된다. 상고음에서중고음으로의핵모의변화를적용하면 助 는 [a] 에서 [o] 로이동하였고, 才 는 [ɯ] 에서 [ɒ] 로이동하였다는것을알수있다. 모음사각도에서이와같은모음추이 ( 母音推移, vowel shift) 를추적하게되면, 중간단계에서 助 와 才 의核母가만나게된다. 중간에서만나는지점의음가는대체로 [ə] 에해당한다. 고구려지명에서나타난 助 와 才 의동음관계는상고음과중고음의중간단계를보여준다는점에서매우흥미로운자료이다. 신라의목간 ( 안압지출토, 8 세기중후반 ) 에나오는 助史 가중세국어의 젓 ( 훈몽자회중 -21) 에해당한다는것도 助 의한자음이 [ 저 ] 임을보여준다. 38) 백제의지명인 佐魯縣本上老 ( 사기 37-17) 에서는 佐 와 上 이대응한다. 佐 와 上 의동음성은한자음의측면에서는쉽게확인하기어렵지만, 이두의독음에서그가능성을찾을수있다. 이두에서 지급 ( 支給 ) 을의미하는 上下 는 자하 (/ 차하 ) 로읽으며, 바치는것 을뜻하는 捧上 은 받자 로읽기때문이다. 佐 와같은반절 - 160 -
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에대하여 上 [ 中 / 샹 / 上, 去, 宕 / 開 3/ 上 / 養 / 禪 / 時掌 /ʑǐaŋ, 陽 /djaŋʔ/djaŋs] [* 뎡 ] 訂 [ 中 / 뎡 / 上, 梗 / 開 4/ 去 / 徑 / 端 / 丁定 /tieŋ, 耕 /teːŋs] 39) 證 [ 中 / 증 / 上, 曾 / 開 3/ 去 / 證 / 章 / 諸應 /tɕǐəŋ, 蒸 /tjɯŋs] [* 뎍 ] 直 [ 中 / 딕 / 去, 曾 / 開 3/ 入 / 職 / 澄 / 除力 /ḍǐək, 職 /dɯɡ] 40) 陟 [ 中 / 텩 /?, 曾 / 開 3/ 入 / 職 / 知 / 竹力 /ṭǐək, 職 /tɯɡ] [* 뎐 ] 眞 [ 中 / 진 / 平, 臻 / 開 3/ 平 / 眞 / 章 / 職鄰 /tɕǐěn, 眞 /ʔljin] 41) 貞 [ 中 / 뎡 / 平, 梗 / 開 4/ 去 / 徑 / 端 / 丁定 /tieŋ, 耕 /teŋ] [* 소 ~ 쇼 ] 肖 ( 利 )[ 中 / 쵸 / 上, 去, 效 / 開 3/ 去 / 笑 / 心 / 私妙 /sǐɛu, 宵 /slews] 42) 屑 [ 中 / 셜 / 去, 山 / 開 4/ 入 / 屑 / 心 / 先結 /siet, 質 /slɯːd] [ 中 /?/?, 臻 / 合 1/ 入 / 沒 / 心 / 蘇骨 /suət, 物 /sluːd] [* 털 ] 鐵 [ 中 / 텰 / 去, 山 / 開 4/ 入 / 屑 / 透 / 他結 /tʰiet, 質 /lʰi:g, lʰi:d] 43) [* 바 ] 波 [ 中 / 파 / 平, 果 / 合 1/ 平 / 戈 / 幫 / 博禾 /puɑ, 歌 /paːl] 44) [* 골 ] 忽 [ 中 / 홀 / 去, 臻 / 合 1/ 入 / 沒 / 曉 / 呼骨 /huət, 物 /hmɯːd] 45) 자인 左 의중세국어한자음은일반적인 [ 좌 ] 에예외적인 [ 자 ] 가있다. 그러므로 左, 佐 의 [ 자 ] 는고대국어한자음을계승한것이라면, [ 좌 ] 는후대에새로생긴한자음임을알수있다. 39) 신라의왕명인 智證 ( 유사 55), 智訂麻立干 ( 유사 16) 에서 訂 과 證 이동음관계에있다. 상고음이라면늦은시기, 중고음이라면이른시기를예상할수있다. 40) 고구려의지명인 三陟郡本悉直國 ( 사기 35-12) 에서 直 은 陟 과동음인것으로이해된다. 특히 直 과 陟 은중고음에서성모의유무성 ( 有無聲 ) 에만차이가있고운모는동일하여, 유무성의차이가반영되지않았을국어한자음에서동음이되는것은당연하다. 直 과 陟 의중세국어한자음운모에서 [ 역 ] 이 [ 익 ] 보다옛층위의음인것으로이해되고있다.( 河野六郞 1968:??) 41) 백제의지명인 眞峴縣眞一作貞 ( 사기 36-3), 眞峴縣一云貞縣 ( 사기 37-8), 그리고신라의인명인 眞慈一作貞慈 ( 유사 153), 眞矯夫人 ( 사기 10-20)/ 貞矯夫人 ( 유사 27) 등에서 貞 은 眞 과동음관계에있다. 42) 고구려지명인 屑夫婁城本肖利巴利忽 ( 사기 37-16) 에서 肖利 는 屑 과대응한다. 한어 ( 漢語 ) 에서 屑 은진섭 ( 臻攝沒韻 ) 과산섭 ( 山攝屑韻 ) 이있는데, 중세국어한자음은산섭 ( 山攝 ) 에해당한다. 그러나고구려지명에서 肖利 에대응하는 屑 은진섭 ( 臻攝沒韻 ) 에속하는한자음으로이해해야한다. 43) 고구려지명인 鐡圎郡一云毛乙冬非 ( 史 37-4) 에서 鐵 은 毛乙 과대응한다. 毛乙 은중세국어 털 을표기한것이다. 특히 4 등운인 鐵 에서개모 [j] 가발달하지않았다는점이중요하다. 다만고대국어한자음에서유기음을인정하지않는다면재구음은 [* 덜 ] 이될것이다. 44) 고구려지명인 鵂鶹城一云租波衣一云鵂巖郡 ( 사기 37-4), 夫斯波衣縣一云仇史峴 ( 사기 37-5), 文峴縣一云斤尸波兮 ( 사기 37-5) 등에서 波衣, 波兮 는의미상 峴, 巖 등에해당하여중세국어 바회 ( 巖, 석보상절 6-44) 의형태와관련된다. 역시고구려지명인 海曲縣本高句麗波且縣 ( 사기 35-11) 에서 波且 는 波旦 의오기 ( 誤記 ) 로이해되므로, 이에따라 波旦 은중세국어 바 ( 海, 龍歌 2 장 ), 바다ㅎ ( 海, 月釋 9-22) 등의형태와관련된다는것을알수있다. 이러한지명표기와관련하여 波 의고대국어한자음 [ 바 ] 를확인할수있다. 45) 고구려지명인 甲忽 : 穴城, 內米忽 : 池城, 仇次忽 : 敦城, 買忽 : 水城, 蕪子忽 : 節城, 史忽 : 似城, 漢忽 : 漢城 등의대응표기에서 忽 은 城 의의미에대응하면서빈번하게사용되었다. 여러논저에서 忽 의고대국어한자음을 골 로재구하였는데, 이것은 용비어천가 ( 龍飛御天歌 ) (6-58) 에서 召忽島 를 죠콜셤 으로표기한것이유력한근거가된다. 백제의지명표기인 寶城郡本百濟伏忽郡 ( 사기 36-8), 辟城縣本辟骨 ( 사기 37-17) 등 - 16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4) 향찰의음차표기한자음이중세국어한자음과다른것 46) [* ] 等 [ 中 / 등 / 上, 曾 / 開 1/ 上 / 等 / 端 / 多肯 /təŋ, 蒸 /tɯːŋʔ] 47) [* 리 ] 呂 [ 中 / 려 / 上, 遇 / 合 3/ 上 / 語 / 來 / 力擧 /lǐo, 魚 /ɡ raʔ] 48) [* ] 米 ( 앞항목참조 ) [* ] 未 ( 앞항목참조 ) [* 시 ] 賜 [ 中 / / 上, 去, 止 / 開 3/ 去 / 寘 / 心 / 斯義 /sǐe, 賜 /sleːɡs] 49) [* 져 ] 齊 [ 中 / 졔,. / 平, 蟹 / 開 4/ 平 / 齊 / 從 / 徂奚 /dziei, 脂 /zliːl] 50) [* 져 ] 制 [ 中 / 졔 / 上, 蟹 / 開 3/ 去 / 祭 / 章 / 征例 /tɕǐɛi, 祭 /kjeds] 51) [* 기 / ㄱ ] 只 ( 앞항목참조 ) [* 기 / ㄱ ] 支 ( 앞항목참조 ) [* 시 ~ 지 ] 次 ( 앞항목참조 ) [* ~ ] 察 [ 中 / 찰 / 去, 山 / 開 2/ 入 / 黠 / 初 / 初八 /tʃʰæt, 月 /shreːd] 52) [* 존 / 즌 ] 寸 [ 中 / 촌 / 上, 臻 / 合 1/ 去 / 慁 / 淸 / 倉困 /tsʰuən, 文 /shuːns] 53) 을통해서 城 에대응하는 骨 을찾을수있는데, 이경우의 骨 [ 中 / 골 ] 이 忽 의음과같은것으로파악된다. 신라의인명인 骨正一作忽爭 ( 사기 2) 에서도 骨 과 忽 의동음관계가성립한다. 다만효모 ( 曉母 ) 인 忽 [ 中 / 홀 ] 이고대국어한자음에서 골 로읽히는음운론적근거를설명해야하는어려움이있다. 46) 이준환 (2011) 에서는 鄕歌音借表記用字목록 에서 100 자를제시하였다. 47) 향가 ( 도천수관음가 ) 에등장하는어휘 一等 은 으로재구되는데, 같은어휘가제망매가 ( 祭亡妹歌 ) 에서는 一等隱 으로말음첨기 ( 末音添記 ) 가되어있어서 一等 이 으로해독된다는것을입증해준다. 또한 直等隱心音矣命叱使以惡只 ( 도솔가 ) 의 直等隱 이 고 으로해독되는것도같은맥락이다. 증섭 ( 曾攝 ) 과경섭 ( 梗攝 ) 의운미는중고음을전후하여경구개운미 [-ɲ/-c] 로재구되는경우도있다는것을참조할수있다 ( 河野六郞 1968: 436-438, Hashimoto, J. Mantaro 1970). 아울러증섭 ( 曾攝 ) 의구개성운미에대한것은 安舜羅紀作勝 ( 사기 22-11), 一作賓之又賓子又氷之 ( 유사 44) 등의기록을통해서도그가능성을엿볼수있다. 즉증섭 ( 曾攝 ) 인 勝 과 氷 이운미 [-n] 의진섭 ( 臻攝 ) 인 舜 과 賓 의동음성표기로대응하고있기때문이다. 경섭 ( 梗攝 ) 에있어서도 寶延 ( 사기 19-6) 과 寶迎 ( 유사 17), 延帝夫人 ( 사기 4-1) 과 迎帝夫人 ( 유사 16) 의표기에의하여 延 과 迎 이동음관계에있다. 이러한상황을종합하면 等 의고대국어 ( 특히향가에있어서 ) 한자음을운미가 [-n] 인 [tɐn/ ] 으로재구할수있다. 48) 呂 는균여 ( 均如 ) 의향가에서만나타난다는특징이있다. 慕呂 는 그리 - 로, 邀呂 는 모리 - 로, 有叱下呂 는 잇샤리 로, 世呂 는 누리 로, 哀呂舌 은 셜 리여 로해독되고있다 ( 金完鎭 1980). 특히 邀呂 는 邀里 ( 예경제불가 ) 와, 世呂 는 世理 ( 원가 ) 와같은음가의표기임이분명하여 呂 의고대국어한자음을알수있다. 49) 賜 는향가에서선어말어미로빈번히쓰였다. 吾肹不喩慚肹伊賜等 ( 헌화가 ), 臣隱愛賜尸母史也 ( 안민가 ), 郞也持以攴如賜烏隱 ( 찬기파랑가 ), 西方念丁去賜里遣 ( 원왕생가 ), 四十八大願成遣賜去 ( 원왕생가 ) 등에사용된 賜 가주체존대를나타내는선어말어미 - 시 - 로읽히는예들이다. 50) 향가에서종결어미로쓰인 齊 는 [ 져 ] 로읽는다. 향가의 齊 는 制 와음가가같지만, 쓰임의폭이더넓다. 齊 가속한해섭 ( 蟹攝 ) 제운 ( 齊韻 ) 의운모는중세국어한자음에서 [- 여 ] 와 [- 예 ] 로나뉘어나타나는것이특징이다. 河野六郞 (1968) 에서 [- 여 ] 를고형 ( 古形 ) 으로, [- 예 ] 를신형 ( 新形 ) 으로보고있는데, 이러한견해는 齊, 制 의고대국어한자음이 [ 졔 ] 보다는 [ 져 ] 일가능성이높다는사실을뒷받침해준다. 51) 균여 ( 均如 ) 의향가에서 制 는종결어미 - 져 로읽는다. 52) 향가에서거듭쓰인 秋察 ( 제망매가, 원가, 청전법륜가 ) 은중세국어 ㅎ 에이어지는표기이다. 중세국어에 ㅎ ( 칠대만법 13) 의형태도있다. 53) 균여의향가에서 惡寸 ( 참회업장가, 보개회향가 ) 은중세국어 머즌 ( 석보상절 9-8) 에해당되는표기이다. 이것은 寸 의고대국어한자음초성이유기음이아닌 [ 즌 ( 또는존 )] 이었음을알려준다. - 162 -
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에대하여 [* ] 呑 ( 앞항목참조 ) [* 바 ] 巴 ( 앞항목참조 ) [* 바 ] 波 ( 앞항목참조 ) (5) 이두및구결한자음이중세국어한자음과다른것 54) [* 누 ~ ] 內 ( 앞항목참조 ) [* 나 ] 乃 [ 中 / 내 / 上, 去, 蟹 / 開 1/ 上 / 海 / 泥 / 奴亥 /nɒi, 之 /nɯːʔ] [* ] 等 ( 앞항목참조 ) [* 마 ] 每 [ 中 / / 上, 蟹 / 合 1/ 上 / 賄 / 明 / 武罪 /muɒi, 之 /mɯːʔ] [* 며 ] 彌 [ 中 / 미 / 平, 止 / 開 3/ 平 / 支 / 明 / 武移 /mǐe, 歌 /mnel] [* 자 ] 上 ( 앞항목참조 ) [* 시 ] 賜 ( 앞항목참조 ) [* ] 史 ( 앞항목참조 ) [* 디 ] 喩 [ 中 / 유 / 平, 上, 遇 / 合 3/ 去 / 遇 / 以 / 羊戍 /jǐu, 侯 /los] [* 져 ] 齊 ( 앞항목참조 ) [* 기 ~ ㄱ ] 只 ( 앞항목참조 ) [* 도 ~ 두 ] 投 [ 中 / 투 / 平, 流 / 開 1/ 平 / 侯 / 定 / 度侯 /dəu, 侯 /doː] 55) [* 바 ] 波 ( 앞항목참조 ) [* 빌 ] 必 [ 中 / 필 / 去, 臻 / 開 3/ 入 / 質 / 幫 / 卑吉 /pǐět, 質 /pliɡ] [* 괄 ] 活 [ 中 / 활 / 去, 山 / 合 1/ 入 / 末 / 見 / 古活 /kuɑt, 月 /ɡoːd/koːd] [* 히 ~ 기 ] 兮 ( 앞항목참조 ) 3. 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 지금까지열거한예들은고대국어한자음의실상을어느정도보여준다. 기반이되는한어 ( 漢語 ) 로는중고음이주요기층으로보이지만, 중고음이전의기층을보이는것도무시하지못할정도이다. 즉고대국어의이표기 ( 異表記 ) 나향가의한자음을기준으로하면, 10% 내외의한자음이중고음이전의기층을가진것으로이해된다. 앞에서재구한고대국어한자음을대상으로기층에대한논의를하면다음과같다. (6) 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에대한세부논의 54) 김무림 (1999), 김무림 (2011) 등의종합적인논의를참조하였다. 김무림 (2011) 에서음차구결자로 119 자를, 음차이두자로 208 자를제시하였으며, 상호간의중복은 46 자이다. 이러한집계는연구자의안목에따라가감이예상된다. 구결자는 본자 ( 本字 ) 로제시한다. 55) 投, 波, 必, 活 등의재구음성모는바로중고음으로해석되므로논의가필요하지않다. - 16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가. 상고음의기층을암시하는경우 1 客 과 各 의고대국어한자음은 [* 각 ] 으로재구된다. 위진남북조시대에도 客 의운부 ( 韻部 ) 는석부 ( 錫部 ) 이며, 各 의운부는탁부 ( 鐸部 ) 로서서로다르다. 그러나상고음에서이들은같은탁부 ( 鐸部 ) 이다. 2 居 와 矩 의고대국어한자음은 [* 가 ] 이거나 [* 거 ] 일것이다. 중고음에서이들은우섭 ( 遇攝魚韻 ) 과유섭 ( 流攝厚韻 ) 으로갈리지만, 상고음에서는모두어부 ( 魚部 [-a]) 이므로상고음기층으로이해된다. 3 刀 의고대국어한자음은 [* 다 ] 로재구된다. 刀 가속한위진남북조의운부는소부 ( 宵部 [-ou]) 이며, 상고음운부는역시소부 ( 宵部 [-aːw]) 이지만, 핵모가 [a] 인것에주목할수있다. 4 泥 와 尼 의고대국어한자음은 [* 녈 ~ 닐 ~( 니 )] 로재구되며, 운미 [-ㄹ] 의가능성은상고음에서찾을수있다. 5 別 의고구려한자음을 [* ~ 벌 ] 로재구하게되면개모가발달하지않은상고음에서그기반을찾아야한다. 6 證 의고대국어한자음은 訂 에맞추어 [* 뎡 ] 으로재구하게되며, 성모가파찰음이아닌파열음인것에초점이있다. 위진남북조시대에 證 의성모는이미파찰음으로변화하였으므로, 상고음기반으로이해된다. 7 只 와 支 의고대국어한자음은 [* 기 ] 로재구되며, 상고음까지소급시킬수있으나, 한경호 (2010) 의견해에따르면동한 ( 東漢 ) 을전후한시기에서그근거를찾을수있다고하였다. 동한은위진남북조바로이전이므로, 상고음기층으로처리해둔다. 여기에더하여 己 ( 中 / 긔 ), 期 ( 中 / 긔 ), 其 ( 中 / 기 ) 등의고대국어한자음도모두 [* 기 ] 인것으로이해된다. 지섭 ( 止攝之韻 ) 은 3등운으로서깁류 ( 甲類 ) 와을류 ( 乙類 ) 로나뉜다. 중세국어한자음에서갑류는치음을제외하고는 [-이] 로반영되는것이원칙이고, 을류는치음을제외하면 [-의] 로반영되는것이원칙이다. 그러므로을류에속한 其 의중세국어한자음이 [ 기 ] 인것은예외에속한다. 아울러견모 ( 見母 ) 의같은반절자인 基 의중세국어한자음 [ 긔 ], 그리고군모 ( 群母 ) 의같은반절자인 期 의중세국어한자음 [ 긔 ] 를고려할때, 其 의중세국어한자음 [ 기 ] 는예외적인것이다. 그러나고대국어한자음에서 3등갑을 ( 甲乙 ) 의차이가없었다고한다면 其 의중세국어한자음 [ 기 ] 는고대국어한자음이유지된것이라고할수있다. 己 ( 中 / 긔 ) 는백제의지명인 潔城郡本百濟結己郡景德王改名今因之 ( 사기 36-3), 悅城縣本百濟悅己縣景德王改名今定山縣 ( 사기 36-2) 등에서알수있는바와같이 城 과이문 ( 異文 ) 관계이다. 己 와 城 의이문 ( 異文 ) 에의하여백제어에서 己 의한자음이 城 의의미를나타내는형태에대응하고있다는것을알수있다. 己 의고대국어한자음은백제의다른지명표기인 儒城縣本百濟奴斯只縣景德王改名今因之 ( 사기 36-3) 의기록을검토하면, 只 와 城 의이문 ( 異文 ) 이성립하므로, 己 와 只 는음차표기로서등가의관계에있음을알수있다. 그러나 己 는 3등을류 (-의) 이고 只 는 3등갑류 (-이) 로서중세국어한자음의기준으로볼때같은음이되기는어렵다. 아마도고대국어시기에있어서 3등갑을의차이점은적용되지않았을것으로생각된다. 고대일본어의 き [kï, 城 ] 는百濟語의차용으로해석되고있다 ( 岩波古語辭典 1974: 349). - 164 -
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에대하여 8 眞 과 貞 의고대국어한자음을 [* 뎐 ] 으로재구하였다. 중고음이전으로소급하면, 眞 과 貞 은聲母가각각 [ṭ]( 경구개파열음 ) 와 [t]( 치경파열음 ) 으로서약간의조음위치의차이가있으나파열음인설음 ( 舌音 ) 으로서같으며, 개모 ( 介母 ) 와핵모는거의 [je] 로서같다. 운미 ( 韻尾 ) 는 眞 [-n] 과 貞 [-ŋ] 으로서차이가있으나, 권인한 (1997: 306) 에서 Hashimoto(1970) 의견해를긍정적으로인용한바와같이 貞 의중고음운미를경구개비음인 [-ɲ] 으로재구하게되면, 眞 과 貞 의고대국어한자음은 [* 뎐 ] 으로재구되어동음성을확보할수있다. 9 喩 가향찰및이두에서 [ 디 ] 로읽히는것은상고음성모의영향임이분명하다. 喩 의상고음이 [*dju] 로재구되는경우도있다. 56) 중고음에서 兪 를성부로하는 逾, 楡, 愉, 踰, 揄, 諭, 喩 등은성조를제외하면모두음가가같다. 그런데한어방언 ( 漢語方言 ) 에서 兪 의관화음은 喩 와마찬가지로 [y] 이지만, 민방언 ( 閩方言 ) 에서는 [dzu] 로발음되어성모 [d] 의흔적이남아있다. 아울러 兪 [ 中 / 유 ] 를성부로하는글자에서 偸 [ 中 / 투 ], 婾 [ 中 /?], 鍮 [ 中 / 듀 ] 등의중고음이 [tʰəu] 인것도참고할수있다. 나. 전기중고음 ( 위진남북조음포함 ) 기층 1 해섭 ( 蟹攝 ) 과지섭 ( 止攝 ) 이상통하는경우 : 해섭인 禮 가지섭 ( 止攝 ) 인 里, 理, 利 등과동음이되는현상, 그리고해섭 ( 蟹攝 ) 인 買, 昧, 米 가지섭 ( 止攝 ) 인 未 와동음이되는현상이고대국어한자음에나타난다. 그런데흥미로운것은 禮 가 [* 리 ] 로재구되며, 買, 昧, 米 는 [* ] 로재구되어서로방향이다르다는점이다. 아마도이것은설음과순음이라는초성의성격에따른반영양상의차이로보인다. 2 禮 와마찬가지로우섭 ( 遇攝 ) 인 呂 의고대국어한자음도 [* 리 ] 로재구된다. 禮 는위진남북조시대에이미운미 [-i] 가생겼으므로참조할수있으나, 呂 의경우는상고음이핵모 [a] 인어부 ( 魚部 ) 이며, 위진남북조와수당대의음에큰차이가없다. 다만한장대역 ( 漢藏對譯 ) 자료에서이들운부의속한자 ( 字 ) 의핵모가 [i] 로나타나는경우가있다. 57) 그러므로이러한예외적한자음이중고음시기에존재하여고대국어한자음에영향을주었을것으로생각된다. 아울러 呂 는균여의향가에나타나므로비교적후기음의반영일가능성이높다. 3 飯 은合口인원운 ( 願韻 ) 에속하지만, 순음 ( 脣音 ) 은개구로처리된다. 중세국어한자음에서元阮願月韻이개구일경우에순음의운모는경순음화를반영하여개모를탈락시킨 [-언/-얼] 로반영되는것이정칙이며, 예외적으로 [-안/-알] 인경우도있으나, 이것은후대의음을반영한것이다. 58) 芬 의중세국어한자음은 [ 분 ] 으로반영되어합구개모가반영되어있는듯하지만, 정칙의반영은개구음인 [ 븐 ] 으로된다고하는것이옳다. 飯 이속한운 ( 韻 ) 의중세국어한자음에서 [ 반 ] 보다는 [ 번 ] 이좀더역사적유래가오래인것이므로, 飯 의고대국어한자음을 [* 번 ] 으로재구하는것이무난하다. 芬 의정칙한자음 [ 븐 ] 을고려하면고대국어에서모음 [ə/ 56) 周法高 (1974) 에의하면 喩 의상고음은 [dju](karlgren), [riew]( 周法高 ) 등이다. 57) 高田時雄 (1988: 304~419) 의자료대음표참조. 58) 중세국어한자음에서元阮願韻인 藩, 煩, 繁, 幡, 燔, 翻, 旛, 樊 등은 번, 礬, 反 등은 [ 반 / 번 ], 返, 飯 등은 [ 반 ] 이다. - 16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어 ] 와모음 [ɨ/ 으 ] 의비변별성에대한논의가필요하게된다. 고대국어의모음체계에대한명확한논거를내세울수없는현재의상황에서고대국어의모음 [ə/ 어 ] 와모음 [ɨ/ 으 ] 의상통의가능성을제기해두는것은잠정적인해결책이다. 고대국어한자음에서 飯 과 芬 의재구음을동음으로해야될경우에는 [* 븐 ] 보다는 [* 번 ] 으로하는것이언어학적일반성의관점에서합리적이다. 4 發 과 伐 은방모 ( 幫母 ) 와병모 ( 並母 ) 로서성모의차이는있으나, 광운 ( 廣韻 ) 에서같은월운 ( 月韻 ) 에속한다. 중세국어한자음에서월운 ( 月韻 ) 의순음자 ( 脣音字 ) 운모는 [-알] 과 [-얼] 의두종류가있는데, [-알] 이근대음적경향을반영한신형이다. 고대국어한자음에서같은운인 發 과 伐 의동음관계는충분히성립되며, 그동음의기준은중세국어한자음을척도로했을때, 신형으로이해되는 [ 발 / 發 ] 보다는구형인 [ 벌 / 伐 ] 에서찾는것이理致에맞다. 다음으로 發 과 弗 / 佛 의관계는 發 의고대국어한자음을 [* 벌 ] 로재구하고, 佛 / 弗 을 [* 블 (* 벌 )] 로재구하여, 고대국어에서모음 [ə/ 어 ] 와 [ɨ/ 으 ] 의비변별이나또는상통으로이해하는것이현재로서는가장온건한방법이다. 5 兒 ( 中 / ), 次 ( 中 / ), 賜 ( 中 / ) 등의고대국어한자음은핵모가 [i] 인것이특징이다. 지섭 ( 止攝 ) 의치두음자가중세국어한자음에서 [- ] 로반영된것은후기중고음을반영한대표적인경우이다. 성모의반영에논란이있을수있지만, 이들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은전기중고음에서벗어나기어렵다. 6 齊, 制 의고대국어한자음은 [* 져 ] 로재구된다. 이러한한자음의기층을파악하기는쉽지않다. 다만중세국어한자음에서제운 ( 祭韻 ) 과제운 ( 齊韻 ) 의운모가 [-예] 인것과 [-여] 인것으로갈리는데, 일반적으로 [-예] 보다는 [-여] 가고형 ( 古形 ) 인것으로이해되고있다. 따라서중세국어한자음의기층보다는앞선다고해야한다. 7 直 과 陟 을 [* 뎍 ] 으로재구하였다. 직운 ( 職韻 ) 의핵모 [ə] 가소거되는것은중고음후기이후에나타나는현상이라고한다면, 直 의중세국어한자음 [ 딕 ] 은 [* 뎍 ] 보다는후대의음임이분명하다. 德 과 得 에도같은해석이다. 중세국어한자음은 德 [ 中 / 덕 ] 과 得 [ 中 / 득 ] 으로갈리지만, 고대국어한자음에서는 [* 덕 ] 으로서같다. 그러므로 直 [ 中 / 딕 ] 과 得 [ 中 / 득 ] 은중세국어한자음이정립되면서새롭게조정되었다고해야한다. 8 佐 의중세국어한자음은일반적인 [ 좌 ] 와예외적인 [ 자 ] 가있지만, 고대국어한자음으로는 [* 자 ] 가확인된다. 한어 ( 漢語 ) 에서 佐, 左 는개구음인 [-a/-ɑ] 에서개모 [w] 가덧생긴합구음으로바뀌었으며, 그시기는중고음의후기이후이다. 그러므로 佐 의고대국어한자음 [* 자 ] 는전기중고음을반영한것이다. 9 所 와 助 의고대국어한자음은명확하지않은점이있으나, 기층의측면에서는중세국어한자음과뚜렷한차이를보여준다. 중세국어한자음에서 所, 助 는우섭 ( 遇攝魚語御韻 ) 에속한다. 여기에속한한자음의중성 ( 中聲 ) 은아후음 ( 牙喉音 ) 이 [-어] 로, 설음 ( 舌音 ) 과치음 ( 齒音, 精組 / 照二系와章組 / 照三系 ) 이 [-여] 로반영되지만, 치음중에서장조 ( 莊組 / 照二系 ) 계열만은 [- 오 ] 로반영되어차이가있다. 장조 ( 莊組 ) 가 [-오] 로반영된것은중고음후기이후장조 ( 莊組 ) 의권설음화와이에따른핵모의원순모음화에기인하는것으로이해하는것이대세이다. 59) 고대 - 166 -
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에대하여 국어한자음에서 所 와 助 의재구음이시사하는바는핵모의원순모음화단계는아니라는것이다. 그러므로고대국어한자음에서우섭 ( 遇攝魚語御韻 ) 의장조 ( 莊組 ) 는최소한중고음전기이전의기층을갖는것이므로, 중세국어한자음과는기층에서확실히구분된다. 그러므로기층에따라 所 의고대국어한자음을재구한다면, 전기중고음일경우는 [* 서 ] 이고, 상고음일경우는 [* 사 ] 가된다. 역시 助 는신라의목간 ( 안압지출토, 8세기중후반 ) 에나오는 助史 가중세국어의 젓 ( 훈몽자회중-21) 에해당하므로, 助 의고대국어한자음이 [* 저 ] 임을잘보여준다 10 朴 의고대국어한자음을 [* ] 으로재구할수있는것은 朴 이중세국어 다 에연결되면서, 아울러강섭 ( 江攝, 覺韻 ) 에속하기때문이다. 중세국어에서강섭 ( 江攝 ) 의한자음이 江 [ 中 / 강 ], 港 [ 中 / 항 ], 幢 [ 中 / 당 ], 窓 [ 中 / 창 ], 邦 [ 中 / 방 ], 握 [ 中 / 악 ], 覺 [ 中 / 각 ], 卓 [ 中 / 탁 ], 捉 [ 中 / 착 ], 朔 [ 中 / 삭 ], 朴 [ 中 / 박 ], 邈 [ 中 / 막 ] 등으로나타나핵모가 [-아] 인것이정칙이다. 그러나전기중고음에서강섭 ( 江攝 ) 의핵모는원순적인 [ɔ] 로재구되는것이보통이며, 상고음은 [o] 나 [u] 로재구된다. 후기중고음에서강섭 ( 江攝 ) 의핵모는 [ɔ] 에서 [a] 로변화되는단계에있었을것으로추측되는데 ( 이돈주 1995: 332), 중세국어한자음은이단계의한음 ( 漢音 ) 을반영했다고이해된다. 그런데강섭 ( 江攝 ) 의중세국어한자음에서유추로볼수없는예외적인 學 [ 中 / ] 이있다. 바로이한자음이고대국어한자음의실상을보여준다고할수있다. 즉고대국어한자음에서강섭 ( 江攝 ) 의핵모는평순저모음인 [-아] 보다는원순적이며중모음에가까운 [- ] 로반영되었을가능성이크다. 60) 11 고구려지명표기에서 鐵 [ 中 / 텰 ] 의고대국어한자음을 [* 털 ] 로재구할수있는것은 4등운의반영과관련하여시사하는바가크다. 즉 4등운에서개모 [j] 가생긴것은 7세기가지난중고음후기의일이므로, 고구려한자음에서개모가나타나지않은것은당연한일이다. 그러므로고대국어한자음과중세국어한자음의체계적인차이로서 4등운의개모반영여부를기준으로삼을수있다. 백제의인명표기인 牟大一云麻帝又餘大 ( 遺事 15) 에서도 4등운인 帝 가 1 등운인 大 와대응하여 帝 에서개모 [j] 가아직생기지않았음을알수있다. 그런데신라의향가에서 4등운인 齊 는종결어미 [-져] 의표기로이해되어개모 [j] 의존재가나타난다. 61) 신 59) 김무림 (2015: 280~283) 에서기존의다양한논의를소개하면서, 이에대한종합적인논의를진행하였다. 아울러王力 (1990: 570, 권택룡옮김, 대일 ) 을참조하면, 魚語御韻의핵모는선진 ( 先秦 ) 의 [a] 에서한 ( 西漢및東漢 ) 및남북조 ( 南北朝 ) 에서는 [ɔ] 가되고, 수당 ( 隋唐 ) 에서 [o] 가된것으로기술하고있다. 그러므로후기상고음에서전기중고음인남북조까지핵모의변화는없었으나, 이후수대 ( 隋代 ) 이후에핵모의변화가있었다고파악한것이다. 60) 훈민정음에서모음 [ ㆍ ] 는 ㅗ與ㆍ同而口蹙, ㅏ與ㆍ同而口張 이라고하여 蹙 도아니고 張 도아닌것으로기술하고있다. 즉평순 ( 平脣 ) 과원순 ( 圓脣 ) 의측면에서중립적인상태인것이다. [ ㆍ ] 의음가가 [ ㅏ ] 와 [ ㅗ ] 의간음 ( 間音 ) 이라는견해도이러한훈민정음의기술, 그리고제주도방언에남아있는 [ ㆍ ] 의음가와맥락이닿는다. 그리고 삼국사기 (1-1) 의박혁거세에대한기술에서 始祖姓朴氏, 諱赫居世 --- ( 중략 ) --- 辰人謂瓠爲朴以初大卵如瓠故以朴爲姓 이라는어원적설명은후대에생긴민간어원이라고생각된다. 삼국사기 의성립이 1145 년으로고려의후기이며, 朴 의어원은오히려중세국어 赫居世 라는이름으로미루어 다 와관련시키는것이타당하기때문이다. 朴 의한자음이신라시대의 [ ] 에서고려시대의 [ 박 ] 으로이행되어 삼국사기 에서기록한바와같은어원설이생겼다고하겠으므로, 강섭 ( 江攝 ) 한자음의변화를 삼국사기 의어원설이뒷받침하는셈이다. 61) 종결어미 齊 의이전에는주로 哉 가쓰였다. 齊 는순수한음차로생각되지만, 哉 는한문용법의영향도있었을것으로생각된다. 용법과용례에대해서는남풍현 (2000: 422~434) 을참조하였다. 다만남풍현 (2000: 422~434) 에서는 哉 의형태를 齊 와마찬가지로음차로파악하여, 8 세기의종결어미 가균여의시대에는 - 16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라의향가에서종결어미 齊 는 8세기를전후한시기의 慕竹旨郞歌 ( 효소왕대, 692~702) 에서처음쓰였다. 균여의향가에서는 3등운인 制 도 齊 와함께쓰였으며, 역시 [-져] 의표기에해당한다. 그러므로통일신라이전의삼국시대의한자음에는 4등운자에개모 [j] 의존재가나타나지않다가통일신라이후에개모 [j] 가생긴한자음을받아들인것으로이해된다. 고대국어한자음에서논의에들지못한한자 ( 漢字 ) 는중세국어한자음과차이가없거나, 아니면재구음의해석에어려움이있는경우이다. 재구음의설정이어려운경우는당연히많지만, 재구의어려움에대한설명은역시부연에불과하므로생략하는것이좋다. 중세국어한자음과차이가없다고생각되는한자를열거하면다음과같다. 62) (7) 중세국어한자음과 ( 거의 ) 차이가없는경우 : 可, 加, 伽, 嘉, 各, 干, 曷, 葛, 甘, 甲, 岬, 皆, 去, 巨, 渠, 巾, 乞, 結, 潔, 驚, 溪, 古, 故, 固, 昆, 骨, 果, 丘, 久, 仇, 俱, 求, 句, 溝, 口, 軍, 斤, 岐, 祇, 鬐, 吉, 那, 南, 奴, 多, 達, 答, 德, 刀, 道, 都, 督, 突, 同, 豆, 杜, 斗, 羅, 落, 梁, 老, 路, 魯, 鹵, 婁, 累, 瑠, 琉, 類, 留, 六, 利, 里, 理, 臨, 立, 馬, 麻, 磨, 摩, 萬, 滿, 万, 曼, 末, 昧, 每, 買, 毛, 牟, 蒙, 務, 武, 茂, 勿, 物, 半, 伴, 泮, 潘, 伐, 伏, 服, 福, 比, 非, 碑, 斌, 賓, 氷, 邪, 沙, 三, 尙, 西, 舌, 蘇, 孫, 戍, 守, 戌, 述, 示, 悉, 阿, 安, 閼, 押, 也, 夜, 耶, 野, 於, 與, 延, 迎, 烏, 五, 于, 又, 育, 恩, 隱, 乙, 音, 邑, 衣, 伊, 異, 弋, 赤, 積, 訂, 地, 知, 智, 遲, 止, 質, 脫, 下, 漢, 邯, 花, 化, 乎, 欽, 歆, 喜, 希등등 고대국어재구한자음을토대로기층을논의한 (6) 의내용, 그리고중세국어한자음과차이가없다고판단되는 (7) 의한자음을염두에두면서, 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을종합하면다음과같다. (8) 고대국어한자음에대한종합적인견해가. 전반적으로중고음의기층을갖는다. 이것은 (7) 에열거한바와같이중세국어한자음과의동질성이적게잡아도 50% 를웃돌기때문이다. 나. 수대 ( 隋代 ) 를전후한전기중고음에서체계적인반영을찾을수있다. 이것은 (6-나-3,4,5, 8,9,10) 등에서논의한바와같은양상이개별적이아닌체계적인차원으로파악되기때문이다. 이러한전기중고음의체계적인반영양상이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을규정하는데에관건이된다. 다. 상고음의흔적이적지않게나타나지만, 체계적이라기보다는개별적양상으로이해된다. (6-가) 에열거한것들이체계적인차원이라고하기는어렵기때문이다. 이러한상고음의흔적은비록개별적이긴하지만중세국어한자음에서는거의찾기힘들다는점에서고대국어한자음의주목할만한특징이다. 다만 己, 期, 其, 只 등의논의와관련하여 3등갑을의차이가중세국어한자음에나타나지만, 고대국어한자음에서나타나지않은것은체계적인차이점이다. 졔 로바뀐것으로이해하였으므로, 본고의견해와는차이가있다. 62) 음독구결및조선시대의이두한자음은후대의한자음에의하여조정된경우가많으므로제외하였다. - 168 -
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에대하여 라. 성모 ( 聲母 ) 의반영에는두측면이있다. 하나의계열안에서전청 ( 全淸 ), 차청 ( 次淸 ), 전탁 ( 全濁 ) 의반영이엇갈린것은고대국어의음운체계나한어에대한반영에작용하는국어의음운적작용에서그이유를찾아야되는경우가많다. 그러나계열간의반영차이가있는경우는기층이되는한어 ( 漢語 ) 의영향에서온경우가대부분이다. 즉 必 의고대국어한자음이 [* 빌 ] 인반면에중세국어한자음이 [ 필 ] 인것은한어 ( 漢語 ) 의기층차이에서온것이아니다. 그러나 只 의고대국어한자음이 [* 기 ] 이고, 중세국어한자음이 [ 지 ] 인것은기층이된한어의차이에그이유가있는것이다. 마. 유기음계열의성립을확인할수없다. 유기음의확인에관건이되는치음이나설음에서 ㅊ 의확인이쉽지않다. 한어 ( 漢語 ) 에서차청음인 次, 寸, 抽, 柒 등이고대국어한자음에서평음으로재구되며, 차청음은아니지만중세국어한자음에서유기음을지닌 察 ( 中 / 찰 ), 陟 ( 中 / 텩 ), 沾 ( 中 / 텸 ), 肖 ( 中 / 쵸 ), 鄒 ( 中 / 추 ) 등이역시고대국어한자음에서평음으로재구되기때문이다. 63) 바. 일모 ( 日母 ) 의반영에서중세국어한자음은 [ ㅿ /z] 가정칙이지만, 고대국어한자음에서는 [ ㄴ /n] 이일반적이다. 한어의일모 ( 日母 ) 의음가가 [ņ] 에서 [ʥ>ʑ] 로변한것이 8세기당대의장안음에서시작된것이므로, 일모 ( 日母 ) 의음가로는최소한중고음전기의반영으로이해된다 ( 潘悟雲 2014:89). 사. 고대국어한자음을재구하면서 [ɡ, d, b, z, ʣ] 등의유성음계열을음운체계에포함한논의가있다. 이러한논의는주로전탁음용자 ( 用字 ) 의빈도수에의거한계량적방법을적용한것이어서개연성만있을뿐이다. 64) 고대국어한자음에서유성음계열을확인하기위해서는좀더실증적인논거가필요하다. 아. (6-나-9) 에서논의한바와같이중세국어한자음에서우섭 ( 遇攝魚語御韻 ) 에속한한자음의중성 ( 中聲 ) 은아후음 ( 牙喉音 ) 이 [-어] 로, 설음 ( 舌音 ) 과치음 ( 齒音, 精組 / 照二系와章組 / 照三系 ) 이 [-여] 로반영되지만, 치음중에서장조 ( 莊組 / 照二系 ) 계열만은 [-오] 로반영되어차이가있다. 장조 ( 莊組 ) 가 [-오] 로반영된것은중고음후기이후장조 ( 莊組 ) 의권설음화와이에따른핵모의원순모음화에기인하는것이다. 고대국어한자음에서 所 와 助 의재구음이시사하는바는핵모의원순모음화단계는통일신라시기에서도확인되지않는다. 그런데 (6-나-11) 에서논의한 4 등운의경우는삼국시대와통일신라의한자음에서개모 [j] 의성립여부에따라차이가있다. 이두가지기준은국어한자음의시대구분에중요한기준을제공한다. 여기에 (6-나-5) 와 (6-나 -10) 의기준을더하면다음과같은시대적특징으로요약된다. 4등운의특징을기준으로하면통일신라의한자음이삼국과고려를잇는전이적성격을갖는다고말할수있다. < 삼국 > < 통일신라 > < 고려이후 > 우섭장조의원순모음화 4등운에서 [j] 의발생 63) 앞의재구음및김무림 (2015) 의사전부에제시된재구음을통해서확인할수있다. 64) 유창균 (1991), 이장희 (2002), 이승재 (2013), 이승재 (2016) 등의논의를참조할수있다. - 16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지섭치음의 [- ] 강섭핵모의평순모음화 최중호 (2005) 는 13세기에이루어진고려대장경각성인이표기 ( 刻成人異表記 ) 를통하여고려시대의한자음을살펴본것이다. 중세국어한자음에서 [- ] 로나타나는지섭치음자의경우는같은계열끼리이표기가이루어진다는점이지적되어있으며 ( 최중호 2005: 117~122), 이로써지섭치음자에서 [- ] 의반영은이미고려시대한자음에나타나는것으로이해하였다. 그리고강섭 ( 江攝 ) 은탕섭 ( 宕攝 ) 과의이표기가확인되어중세국어와같은강섭 ( 江攝 ) 의평순모음화를확인할수있다 ( 최중호 2005: 116~117). 당연히 4등운에있어서도개모 [j-] 의발생이확인된다. 즉 4등의 定, 靑, 丁 등이각각 3등의 鄭, 淸, 貞 등과이표기관계에있다 ( 최중호 2005: 139). 다만우섭장조의원순모음화는용례의미비로확인되지않는다. 전체적으로고려시대의한자음은중세국어전승한자음과유사하다는것이최중호 (2005) 의결론이다. 비록고려후기인 13세기의자료이지만, 고려시대의한자음이중세국어전승한자음과동일한맥락이라는것을알수있다. 65) 자. 고구려, 백제, 신라의한자음, 그리고통일신라의한자음이방언적이거나개별적인차원에서달랐을가능성은충분하다. 바로앞에서언급한 4등운에서 [j] 의발생에의한시대구분은한어사 ( 漢語史 ) 에비추어거의의심할수없는사실이지만, 지섭치음의 [- ] 에대해서는국어한자음의측면에서좀더세밀한논의가가능하다. 우선다음과같은차음표기를검토하기로하겠다. < 고구려 > 似城本史忽 ( 史記 37-16) 悉直郡一云史直 ( 史記 37-6) 三陟 赤木縣一云沙非斤乙 ( 史記 37-5) 赤島縣本百濟所比浦縣景德王改名今德津縣 ( 史記 36-3) 赤城縣本高句麗沙伏忽景德王改名今陽城縣 ( 史記 35-2) 松岳郡本高句麗扶蘇岬 ( 史記 35-5) 松山縣本高句麗夫斯達縣景德王改名今未詳 ( 史記 35-10) 松峴縣本高句麗夫斯波衣縣憲德王改名今屬中和縣 ( 史記 35-7) < 백제 > 古四州本古沙夫里五縣 ( 史記 37-17) 分嵯郡一云夫沙 ( 史記 37-9) 所夫里郡一云泗沘 ( 史記 37-8) < 신라 > 65) 각성인에서 丁 ( 中 / 뎡 ) : 貞 ( 中 / 뎡 ) : 正 ( 中 / 졍 ), 柱 ( 中 / 듀 ) : 珠 ( 中 / 쥬 ) 등이이표기관계에있는것은중세국어전승한자음과차이가있다 ( 최중호 2005: 170~171). 이러한경우는동일인여부에대한면밀한검토가필요하다. - 170 -
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에대하여 泗水縣本史勿縣景德王改名今泗州 ( 史記 34-10) 壽同縣本斯同火縣景德王改名今未詳 ( 史記 34-12) 66) 향가의 沙, 史 入良沙寢矣見昆 ( 處容歌 ) 皃史 : 즈 / 즈시, 栢史 : 자시, 母史 : 어 / 어시, 无史 : 없이중세국어한자음에서 [- ] 로나타나는지섭 ( 止攝 ) 의치음자가통일신라를염두에둔고대국어한자음에서는 [-이] 로재구되는데에이론은없다. 그런데위에제시한용례들을검토하면고구려한자음에서 似 : 史, 史 : 悉, 沙 : 所, 斯 : 蘇 등의대응이성립하고, 백제의한자음에서 四 : 沙, 嵯 : 沙, 泗 : 所 등의대응이성립한다. 이러한대응을관찰하면고구려및백제의한자음에서지섭치음자의재구에 [-이] 가적용되기어렵다는것을알수있다. 지섭치음자에직간접으로대응하는 沙, 所, 蘇, 嵯 등이 [-이] 가될수없기때문이다. 67) 반면에신라의한자음에서는두방향의해석이가능하다. 泗 : 史 는같은지섭 ( 止攝 ) 이므로문제될것이없지만, 壽 : 斯 의대응은중고음 ( 특히전기 ) 을기준으로한다면고구려의 蘇 : 斯 의대응과유사하여의문을제기하기때문이다. 여기에서도해결의한방법은삼국시대의신라한자음과통일신라의한자음에차이를두는것이다. 68) 이러한차이점을기준으로하면지섭 ( 止攝 ) 에있어서도삼국시대의한자음과통일신라의한자음은체계적인차이가있었다고생각된다. 차. 중세국어한자음은한어중고음의섭 ( 攝 ) 과운 ( 韻 ) 에따라반영의대응양상을살피는것이논의의주요한방법이다. 이로부터운 ( 韻 ) 의통합과변별을가리면서河野六郞 (1968) 에서는당 ( 唐 ) 의승려인혜림 ( 慧琳, 737~820) 의 一切經音義 (807) 에나타난음계가중세국어한자음의주요모태층이라는견해를피력하였다. 이후에朴炳采 (1971) 의부분적인비판도있었지만, 중세국어한자음의주요모태로서당대장안음의위치는흔들리지않았다. 고대국어한자음에서도모태층에대한논의가필요하지만, 통계적의의를지니기위해서는섭과운에따른충분한반영자료가확보되어야한다. 그러나앞에제시한재구한자음의신뢰성에도문제가있으며, 특히통계적의의를지닐만큼의수치에이르지못한실정이다. 다만상고음의운부 ( 韻部 ) 와중고음의운섭 ( 韻攝 ) 을염두에두면서, 위에서제시한재구한자음을바탕으로다음과같은반영의경향이있다는것을제시한다. 止攝과蟹攝이통합되는경향이가장큰특징이다. 이것은기층인한어의통합을반영한다기보다는고대국어한자음에서통합되어반영된것으로보인다. 山攝과臻攝의일치는핵모의차이가고대국어한자음에서중화된까닭이다. 蟹攝과遇攝의일치는합구음의반영에초점이놓인까닭이다. 66) 史勿縣 은경남사천지역이며, 斯同火縣 은경북구미지역이다. 67) 고구려및신라의지명표기에서 似 : 史 : 泗 는같은지섭의치음이므로동음으로처리되며, 悉 : 史 의대응은해석의어려움이있다. 68) 이러한해석에의하면지섭치음자의한자음은 삼국시대 > 통일신라 > 고려 의 3 단계를거쳐형성되었다는것이다. 예를들면 斯, 史, 四 등은 삼국 [ 서 / 스 ] > 통일신라 [ 시 ] > 고려 [ ] 와같은변화단계를거쳤다고할수있으나, 앞으로의검토가더필요하다. - 17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梗攝과曾攝의일치는중고음의핵모에대한동일한반영으로해석된다. 效攝과假攝의일치는운미 [-w] 가반영되지않은까닭이다. 宕攝과梗攝의일치는상고음鐸部에서찾을수있다. 遇攝, 假攝, 蟹攝의일치는상고음이나전기중고음의핵모에서찾을수있다. 遇攝과流攝의일치는상고음魚部에서찾을수있다. 상고음의운부일치, 또는핵모의일치는고대국어한자음의근거를한어 ( 漢語 ) 에서찾게되지만, 그렇지못한경우는상이한운섭 ( 韻攝 ) 에대한동일한반영이라는고대국어내부의음운적양상으로이해되어야한다. 카. 중세국어의성조는한어 ( 漢語 ) 성조와대응관계가성립한다. 이러한성조관계를고대국어이표기 ( 異表記 ) 에적용하면성조의대응이잘이루어지않는다. 한어의대응에서벗어난고대국어한자음만의성조가있는것인지는확인할수없다. 4. 결론 : 생략 - 172 -
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에대하여 < 참고문헌 > 강신항 (2017), 韓漢音韻史硏究 ( 增補補遺篇 ), 월인. 권인한 (1996), 고대국어한자음연구의가능성모색, 울산어문논집 11, 울산대국문과. 권인한 (1997), 한자음의변화, 國語史硏究, 태학사. 권인한 (2000), 吏讀字 味 의독법과한자음의관계, 21세기국어학의과제, 월인. 권인한 (2006), 중세국어한자음, 國語史와漢字音, 박이정. 권인한 (2009a), 中世韓國漢字音訓集成 ( 改訂版 ), 제이앤씨. 권인한ㆍ김경호ㆍ이승률 (2011), 죽간ㆍ목간에담긴고대동아시아, 성균관대출판부. 김무림 (1995), 高麗時代의子音體系, 國語史와借字表記, 태학사. 김무림 (1998), 고대국어음운, 국어의시대별변천연구 3 고대국어-, 국립국어연구원. 김무림 (1999), 高麗時代口訣漢字音의硏究, 口訣硏究, 口訣學會. 김무림 (1999), 三國史記복수음독지명자료의음운사적과제, 地名學, 한국지명학회. 김무림 (2003), 漢字 內 의國語音韻史的考察, 國語學 41, 國語學會. 김무림 (2006), 한국한자음의근대성 (1) -반영양상의종합-, 한국어학 30, 한국어학회. 김무림 (2007), 高句麗地名表記의馬, 買에대한解釋, 國語學 50, 國語學會. 김무림 (2007), 국어한자음의체계적근대성, 한국어학 34, 한국어학회. 김무림 (2011), 口訣및吏讀漢字音硏究의回顧와展望, 口訣硏究 26, 구결학회. 김무림 (2015), 고대국어한자음, 한국문화사. 남광우 (1995), 古今漢韓字典, 인하대출판부. 남풍현 (1981), 借字表記法硏究, 단대출판부. 남풍현 (1986), 舊譯仁王經의口訣에대하여, 國語學新硏究 Ⅲ, 탑출판사. 문선규 (1987), 中國古代音韻學 民音社. 박병채 (1971), 古代國語의硏究 高麗大出版部. 박성종 (1996), 朝鮮初期吏讀資料와그國語學的硏究 서울大博士論文. 박진호 (1998), 고대국어문법 국어의시대별변천연구 3 : 고대국어 국립국어연구원. 백두현 (2005), 석독구결의문자체계와기능 한국문화사. 쉬에훵성 / 薛鳳生 (2012), 漢語音韻史十講 차이나하우스. 유창균 (1991), 삼국시대의漢字音 民音社. 이돈주 (1981), 지섭( 止攝 ) 한자음과 / / 음의반영 한글 173, 174, 한글학회. 이돈주 (1980), 訓蒙字會漢字音硏究 全南大博士論文. 이돈주 (1995), 漢字音韻學의理解 塔出版社. 이돈주 (2003), 韓中漢字音硏究 태학사. 이승재 (2013), 漢字音으로본백제어자음체계 태학사. 이승재 (2016), 漢字音으로본고구려어음운체계 일조각. 이장희 (2002), 신라시대漢字音聲母體系의통시적연구 경북대박사논문. 이준환 (2008), 근대국어한자음의체계와변화 성균관대박사논문. 이준환 (2011), 鄕札表記字漢字音硏究의回顧와展望, 口訣硏究 26, 구결학회. - 17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정경일 (2002), 한국운서의이해 아카넷. 정경일 (2004), 조선후기운서한자음연구 高大民族文化硏究院. 최남희 (1999), 고대국어표기한자음연구 박이정. 최남희 (2005), 고구려어연구 박이정. 최남희, 정경일, 김무림, 권인한 (2006), 國語史와漢字音 박이정. 최영애 (2000), 中國語音韻學 통나무. 최영애 (2011), 최영애교수의중국음운학논집 學古房. 최중호 (2003), 이두에나타난 內 의음가에관하여 구결학회 국어사자료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발표문. 최중호 (2005), 고려시대음운체계연구 -고려대장경각성인이표기를중심으로 -, 동의대학교박사논문. 한경호 (2010), 고대韓國漢字音에반영된東漢 ~ 六朝代中國音 (1), 口訣硏究 24, 구결학회. < 國外 > 高田時雄 (1988), 敦煌資料による中國語史の硏究 東京 : 創文社. 羅常培 (1933), 唐五代西北方音 國立中央硏究院歷史語言硏究所. 馬伯樂 (Henri Maspero 1920), 唐代長安方言考 聶鴻音譯 (2005), 中華書局. 潘悟雲 (2014, 權赫埈역 ), 중국어역사음운학, 學古房. 王力 (1980), 漢語史稿 中華書局. 王力 (1985), 漢語語音史 中國社會科學出版社. 權宅龍옮김 (1997, 대일 ). 有坂秀世 (1957, 1962 再版 ). 國語音韻史の硏究 ( 增補新版 ) 三省堂. 伊藤智ゆき (2007), 朝鮮漢字音硏究, 汲古書院, 이진호역 (2011, 역락 ). 李珍華, 周長楫 (1999), 漢字古今音表 ( 修訂本 ) 中華書局. 丁邦新 (1998), 平仄新考, 丁邦新語言學論文集 商務印書館. 鄭張尙芳 (2003), 上古音系 上海敎育出版社. 周法高 (1974). 漢字古今音彙 香港中文大學出版社. 河野六郞 (1968), 朝鮮漢字音の硏究 天理時報社, 河野六郞著作集 2 (1979) 平凡社. 黃淬伯 (1930), 慧琳一切經音義反切聲類攷 中央歷史語言硏究所集刊 1 本. - 174 -
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에대하여 에대한토론문 최중호 ( 동의대 ) 이발표문은한국한자음기층에관한오래된논증중의하나인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에관한연구입니다. 발표자는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을상고음기층, 중고음기층 ( 이른시기와늦은시기 ) 으로구분하고있습니다. 이발표문의의의는한국한자음의기원 ( 또는기층 ) 을밝히기위해고대국어전체의한자음을포괄하고있다는점입니다. 인명, 지명표기에사용된차자표기, 향가에사용된향찰, 이두와구결자료등을총괄하여고대국어한자음전체의기층을밝히기위해많은노력을기울이고있다는점은이발표문이가지는위상이될것입니다. 더불어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음이밝혀진다면우리는고대국어의실체에더가까이다가설수있다는점도이발표문이가지는의의가된다는점은부인할수없습니다. 토론자는이에몇가지우문으로토론의책임을면하고자합니다. 1. 가장본질적으로고대국어한자음의기층을상고음과중고음의기층으로만해결할수있는문제인지궁금합니다. 한국한자음의기층음이다층위구조를가지고있다면상고음과중고음외에다른기층이개입될여지는없는지궁금합니다. 본문에서 兪 의음가를상고음의영향이라고언급하면서민방언의예를들고있습니다. 민방언은주지한바와같이중국의남방방언음입니다. 이런한자들을상고음기층으로분류하는것이옳은지아니면남방방언음의영향이라고특정하는것이타당한것인지질문하고싶습니다. 최남희 (2005) 에서는신라한자음에는소수의남방방언음이있음을주장하기도하였습니다. 참고로정장상방 (1987) 에서는以母字를 l은閩방언의 l와유사한음가로 l와 d 사이에있었으므로나중에定母에합병되어귀속된다고한바있습니다. 2. 지엽적인문제로이문 ( 異文 ) 간의음역이상당한편차를보이는경우두가지를다상정하는것이좋을것같다고하셨습니다. 예를들어 [* 계 ~ 기 ] 에해당하는글자들을 溪, 雞, 支, 兮 로설정하고있습니다. 이런경우가고대국어의접근성을더어렵게하는것은아닌가생각합니다. 이런경우의한자음들의처리문제를 어느한쪽을무시하기보다는양쪽의용법을인정하는것이논의의진전을이끄는방법이다. 고하였습니다. 이렇게처리했을때의장점보다는단점이많다고생각합니다. 이에대한선생님의의견이궁금합니다. 3. 忽 의음가문제에대해서 효모 ( 曉母 ) 인 忽 [ 中 / 홀 ] 이고대국어한자음에서 골 로읽히는음운론적근거를설명해야하는어려움이있다. 고하였습니다. 이와연관하여 止攝과蟹攝이통합되는경향, 山攝과臻攝의일치는핵모의차이가고대국어한자음에서중화된까닭이다. 고도하였습니다. 이와연관하여본다면 忽 의처리여부도고대국어한자의내부의문제와연관성을어떻게생각하시는지궁금합니다. 이방계 (1976) 에서재구한상고음의설근음을본다면한국한자음에서수용할수있는폭이크지않았을가능성이높다고생각하기때문입니다. 설근음 1 k- kh- g- hg- h- 2 kr- khr- gr- hgr- hr- - 175 -
2018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 일반발표 ( 제 2 분과 )> 자유선택 (Free choice) 과명령문의상관관계에대한소고허세문 ( 서울대 ) 화자변화와모음변화 이옥희 ( 신라대 ) 네트워크분석을활용한강원도방언구획연구정성훈 ( 대만정치대 ) - 177 -
1 ( 자유선택 (Free choice) 과명령문의상관관계에대한소고 허세문 ( 서울대 ) - 17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 180 -
자유선택 (Free choice) 과명령문의상관관계에대한소고 - 18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 182 -
자유선택 (Free choice) 과명령문의상관관계에대한소고 - 18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 184 -
자유선택 (Free choice) 과명령문의상관관계에대한소고 - 18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 186 -
자유선택 (Free choice) 과명령문의상관관계에대한소고 - 18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 188 -
자유선택 (Free choice) 과명령문의상관관계에대한소고 - 18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 190 -
자유선택 (Free choice) 과명령문의상관관계에대한소고 - 19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 192 -
자유선택 (Free choice) 과명령문의상관관계에대한소고 - 193 -
자유선택 (Free choice) 과명령문의상관관계에대한소고 에대한토론문 손평효 ( 부산대 ) 이논문은 아무나 와 누구나 의의미차이를, 명령문내에서의쓰임을통해밝히려는데목적이있습니다. 이는 자유선택, 혹은 양화 ( 사 ) 등의개념과관련되어정리된기존의논의들에대한반박을바탕으로하고있습니다. 기존논의에서는 아무나 - 누구나 를, 1) 자유선택어-전칭양화의미만가진다는주장, 2) 둘다자유선택어라는주장등이존재하는데, 여기서는 아무나 는 존재양화기반자유선택어로전칭양화의미도양립가능 하다는것으로, 누구나 는 전칭양화만허용하는자유선택어 로파악합니다. 이는기존논의가운데후자의방향을지지하는입장에있습니다. 논문을더쉽게이해하기위해몇가지질문을드리도록하겠습니다. ( 질문1) 그런데국어의부정칭-미지칭의대명사 아무, 누구 가운데보조사 나 결합형인 아무나 와 누구나 만한정해서논의해야하는지궁금합니다. 아무나, 누구나 는한낱말이아니라, 아직은 아무 / 누구-나 처럼보조사 나 가결합된상태이기도합니다. 9쪽, Dayal(2012) 의문제점을지적하는과정에서 한국어의 아무-(N)- 나 와 wh-(n)- 나 의차이를설명하기쉽지않다. 라고했는데, 아무나, 누구나 로한정하지않고 아무도, 아무에게나, 누구든, 누구도 등까지포함해서논의한다면다른결론에도달할수도있지않을까합니다. 8쪽예문 (11b) * 너희들중누구나와라. 도 너희들중누구든와라. 의경우는의미전달에무리가없습니다. 아무, 누구 가아니라 아무나, 누구나 만을대상으로한까닭은무엇인지궁금합니다. ( 질문2) 누구나 를 전칭양화만허용하는자유선택어 로, 아무나 를 존재양화를기반으로한자유선택어로전칭양화의미도양립가능 한것으로규정하고있습니다. 그런데 아무 는 불특정, 비한정의그룹모두 를대상으로하는경향을가진다는점에서오히려 전칭양화 가기본이아닌가싶습니다. ( 질문3) Dayal 은, 전칭양화자유선택어는 can, may와같은존재양화양상소와는사용될수있지만 must, should 와같은전칭양화양화사와어울리지못한다. 그러나존재양화의해석이가능한자유선택어는두양상소 ( 필수, 가능성 ) 와모두같이사용될수있다고지적해왔다. 이러한측면에서명령문에서두종류의자유선택어가모두허용되는것은큰의문이라고할수있다. 일반적으로명령 - 19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문과관련된 명령, 제안, 목적 등의의미는모두전칭양화소들의의미와관련되어있고, 차이는존재하지만대부분의기존이론들은명령문의기본의미를 should/ought/must 등의전칭양화소와유사하게분석해왔기때문이다. 그럼에도한국어에서 누구나 / 아무나 가명령문의경우전칭양화에서모두사용가능한까닭은무엇인지궁금합니다. ( 질문4) 결론적으로 아무나 와 누구나 의분포에대해, 아무나 는명령문이의무양상에기반하든허가양상에기반하든사용될수있지만 누구나 는허가기반양상의경우에서만가능하다. 는것으로보는듯합니다. 이는기본적으로대명사 아무 가 불특정의전체대상 을바탕으로하는 불특정의자유선택어 이기때문에, 누구 가 불특정의개별대상, 또는비한정의개체 를대상으로하기때문에가능한것이아닌가합니다. 이에대해어떻게생각하시는지궁금합니다. ( 질문5) 2쪽예시 (3a) 에서 누구나착하다 는가능한표현으로생각됩니다. 만나는동네사람누구나착하다. 와같이, 상황을상정하면가능하다는것입니다. 누구 가기본적으로 불특정의개별대상전체 를규정하기때문에그렇습니다. 그리고 3b) 아무나 / 누구나만날수있다. 는 아무나 / 누구나착할수있다. 로두예문을동일기준으로대응시켜야바람직하지않나싶습니다. ( 참고 ) 현대국어에서 아무 나 누구 는모두 불특정의어떤대상을지칭 한다는점에서공통점을가집니다. 그러면서도 아무 는 불특정의전체 를, 누구 는 특정 / 불특정의개별대상 모두를지칭하는차이가있습니다. 이런의미적특성은자연히보조사결합제약에도차이를가집니다. 아무 가 누구 보다훨씬많은제약을가집니다. 그런데역사적으로 아무 는중세, 근대국어의시기에는 특정 / 불특정의대상 모두에게쓰였습니다. 의미의감당영역이지금보다는넓었다는것입니다. 그런데근대국어를전후하여단지 미지칭 으로만쓰이던 누구 와 아무 가영역다툼이일어나고, 결국현대국어에와서는 아무 는 불특정의전체 를대상으로하는데에만국한되게됩니다. 이러한역사적인전개과정또한의미영역설정에도움이될것이라봅니다. - 196 -
01- 일반 2 분과 -2 ( 마지막에삭제됩니다 ) 화자변화와모음변화 이옥희 ( 신라대 ) 1. 머리말 언어변화는 19세기후반신문법학파 (Neogrammarians) 가모든규칙적인음변화는발음을쉽게하기위해서기계적이고생리적인현상에기인하며음변화는규칙적이고어떤음의변화도예외는없다고본이래어휘확산가설에이르기까지다양한패러다임을제시하면서설명되어왔다. 신문법학파의규칙성가설은어떤음운법칙은적용가능한모든음성적환경에동시에적용된다고본다. 신문법학파는예외를차용 1) 이나유추로보았고, 이후등장한어휘확산론자들은어떤법칙은어떤형태소에선택적으로적용된다고보고불완전한음변화의결과로생기는잔재로보았다. 신문법학파들은음변화를해당언어나방언안에서이루어지는완전히음운론적작용으로보았고, 생성주의자들은음운론도의미론이나형태론과연관지어생각해야한다고보았다. 음의변화는언어의내적체계로이루어질수있다고보았다. 2) Wang(1969: 13) 은 음변화는어떤계기로순간에갑자기일어나는것이지, 점진적으로어떤중간단계를거쳐서일어나는것은아니다. 즉음의변화는갑자기일어나나어휘에는점진적으로확산된다 라고주장한다. Wang(1969:9-25) 에서 음의변화는바뀌고자하는음의힘과이를거부하는음이서로경쟁한결과로순간적으로일어나지만이렇게바뀐음이같은조건을가진어휘전체에확산되는과정은점진적으로진행되므로변화가완성되기까지는오랜시간이걸린다. 라고주장하며, 음의변화과정에대한새로운입장을제시하였다. 그러나정작사회언어학적관점에서화자층의교차에의한언어변화에대한논의는아직다루어지지않은실정이다. 기존연구는모음체계의변화를언어내적으로설명하거나진행중인변화로서의공시적변이를세대차에따라제시하는데그쳤다. 변화의통시적과정만을고려할뿐공시적변이들에대한고려는하지않고있다. 한언어체계내에서하나의음소가동일한음성적또는음운적환경에서단모음또는이중모음으로음성실현될때이를규칙이나예외혹은어휘확산으로설명하는것은한계가있다. 현대국어의모음 ㅚ 는대체로 [ø] 와 [we] 로실현된다. 1) 차용은음성학적으로선택적일수없다. 차용이라면동일한변화를경험한다른어휘가있어야한다. 2) 그러나 어떤음의변화를언어내적변화인지언어외적변화인지판별하기어려울때가많고두변화가동시에진행중일때어디까지가내부변화이고외부영향인지판가름할수있을만큼그경계가분명하지않은경우가많다. 는비판이제기되기도하였다 ( 엄익상 1997:27). - 19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1) ㄱ. 외국 [we:guk], 외상 [we:saŋ]. ㄴ. 되다 [dweda] 또는 [døda], 괴다 [gweda] 또는 [gøda] (1ㄱ) 에서초성이없는경우는 [we] 로, 초성에자음이있을경우는 [we] 또는 [ø] 로실현된다. 그런데 되다 와 괴다 의경우단모음또는이중모음으로모두실현되고있다. 이것은일관된음성적환경으로설명할수가없기에규칙화하기어렵다. 언어내적요인즉분포의문제로설명하기에는한계가있다. 이는개인방언또는화자층의차이로설명될수있다. 동일한자음아래에서도단모음과이중모음으로발음되는것은외적요인, 즉단모음화자층과이중모음화자층의공존에따른변항이라고볼수있다. 서로다른모음을실현하는화자층의공존경위는다양하게제시될수있다. 이들에의해형성되는공시적변이는다양한화자층의혼재로형성되고그가운데서도방언혼합 (dialect mixture) 이가장보편적인유형이될수있다. 그리고화자층의발음의차이가이루는공시적변이의역동성은몇단계를통해언어변화를설명할수있다. 첫번째단계는화자의유입에의해방언혼합이일어나는단계이다. 다음은이변이들이경쟁을하게되며화자의유입과방언혼합으로인해언어공동체내에공존하게되는변이들은확대, 축소라는경쟁을경험하는단계이다. 이과정에는두가지요인이작용하는데하나는화자의수적증감이고또다른하나는화자의인식에따른수용과거부작용이다. 끝으로이들경쟁에서살아남은변이가변화의흐름이된다. 이과정을거치면서변이또는변항의평준화단계에이르게된다. 이논문에서는화자의변화에따른모음변화의유기적관계를설명하기위해연구대상범위를인구의사회적이동이활발하게일어났던 1940년대에서 1970년대사이의서울지역으로한정했다. 화자층은서울말화자층, 지역방언화자층, 노년층과젊은화자층을비교, 대조할것이며, 조사대상이되는언어변항은국어모음 ㅚ 와 ㅟ 그리고 ㅔ 와 ㅐ이다. 2. 원집단의모음음가 서울말과각지역방언의모음은고유의모음체계를가지고있으며독자적인언어체계로서한국어의하위집단을형성한다. 이들을원집단 (Original Group; Labov 1994) 으로부르기로한다. 20세기전반의국어모음 ㅚ 와 ㅟ 의음가와지역별현실발음은소창진평 (1944 後篇 :13-14) 3) 에서확인할수있다. ㅟ 는 ui 로음성전사표기하였고음가는 [wi] 로보았다 ( 귀하다 kui-ha-ta 여위다 jɔ-ui-da 등 ). 그러나 ㅚ 의경우지역방언별로음가의차이가있음을보고하였다 (1944:26). 우선서울지역에서 ㅚ 는단모음으로실현되었던것으로나타난다. ㅚ 는 [ø] 로발음된것으로보았고, 이는조선말의표준적인발음임을인정했다. 서울지역이외에도경기, 충남, 전남, 전북, 강원, 황해, 평남, 함남의대부 3) 소창진평 (1914~1929, 1944) 에서는전국적으로방언조사를실시하여음가를기록하였다. : 1914 년제주도 (1911 년조사, 1930 년재조사 ) 서부황해도 (1913), 경남 (1915), 경남북 (1916), 충남 (1918), 전남 (1919), 전북및충북 (1922), 경북 (1923), 영동 (1923), 영서 (1928), 경원선연변 ( 함남영흥 고원 문천 원산 안변 고산및강원도평강 철원및경기도연천, 1917), 함경남북도 (1927, 1930), 평안도 (1929) 방언조사를실시하였다. - 198 -
화자변화와모음변화 분지역과충북, 경남, 경북, 함북의일부지역에서 ㅚ 는 [ø] 로실현했다. 이밖에도 ㅚ 는지역별로다양한음가로나타났다. (2) [ø] 경성, 경기, 충남, 전남, 전북, 강원, 황해, 평남, 함남대부분지역, 충북, 경남, 경북, 함북일부지역 [ɛ] 경남밀양군의 山外面 [san-ɛ-mjɔn], 김해군의 外洞里 [ɛ-doɛŋ-ni], 경남연일군의 槐東洞 [kɛ-doŋ-doŋ], 참외 [ʧʽm-ɛ], 안된다 [an-dɛn-da] [e] 전남, 경남, 충남, 충북, 강원, 황해, 경북일부, 전북, 경북, 경기, 함남충북청주군의 강외면 [kaŋ-e-mjɔn], 괴산군 [ke-san-gun], 쇠고기 [se ko-gi] 쇠 ( 鐵 )[se] 괴롭다 [ke-rop-ta] [i] 경남, 경북의일부분지역예 ) 회답回答 [hi-dap] 괴이怪異 [ki-i] [wɛ] 평북, 경남, 경북, 함북의일부지역예 ) 평북귀성군 룡퇴동 [noŋ-tʽwɛ-doŋ], 경북청송군의 월외리 [wɔl-wɛ-ri] [we] 전남, 경남, 경북, 충남, 충북, 경기, 강원, 함남, 함북등의일부지역, 전북, 황해, 평남, 평북. 예 ) 충북단양군의 괴평리 [kwe-pʽjɔŋ ri], 회산리 [hwe-san ri], 함북부거군의 횡병동 [hweŋ-bjɔŋ-doŋ], 쇠鐵 [swe]( 강원평해지방 ), 참외 [ʧʽam-we] [wi] 경남, 경북의일부지역예 ) 경북고령 외롭다 [wi-rop-ta], 괴롭다 [kwi-rop-ta] (2) 에서살펴본바를아래와같이정리할수있다. < 표 1> ㅚ 의지역별음가분포 ( 소창진평, 1944) ㅚ 서울 경기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평북 평남 함북 함남 황해 강원 [ø] [ɛ] [e] [i] [wɛ] [we] [wi] < 표 1> 에서알수있듯이 20세기전반에조사된자료에의하면 ㅚ 는서울지역에서단모음 [ø] 로, 그이외지역에서는 [ɛ], [e], [i] 와같은단모음이나 [we] 나 [wɛ] 또는 [wi] 로발음되었다. 특히평북, 평남지역에서는이중모음으로발음되는지역이많았고, 경상도지역에서는거의 < 표 1> 에제시된대부분의음가가실현되었다. 이렇게볼때, 서울, 경기, 전라, 충청지역의화자는단모음화자층, 경상, 평안, 함경지역의화자는이중모음화자층으로구분할수있다. 이러한지역별발음의차이는곧지역 - 19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방언의특징을나타내는것으로서, 단모음으로발음하는지역의화자층과이중모음으로발음하는화자층은지역방언의모음체계나모음변이를드러내는 사회적변이 로볼수있다. < 표 2> 는서울말의모음 ㅚ, ㅟ, ㅔ, ㅐ 의음가에대한학자별견해는다음과같다. < 표 2> 학자별모음의음가 이극로 (1947) 이숭녕 (1954) 이희승 (1955) 허웅 (1958) 김석득 (1960) 김민수 (1964) ㅚ ø, œ ø ø (ø) ø (ø) ㅟ y, y: y y, ɥi y y (y) ㅔ e, e: e e e e e ㅐ æ, æ: ɛ æ ɛ ɛ ɛ < 표 2> 를통해알수있듯이서울말의 ㅚ 나 ㅟ 는대체적으로단모음으로보았다. 특히서울지역에거주하는토박이노년층화자의경우이들모음을단모음으로실현하는경향이두드러졌다 ( 이옥희 2014). 이는서울토박이노년층화자들의보수적인성향때문이며 ( 이옥희 2014) 따라서 ㅚ 와 ㅟ 의단모음실현을유지하고있다고볼수있다. 이극로 (1947) 에서는모음뒤장단을표기하고있는것이특징적이다. ㅐ 와 ㅔ 는개구도의차이에의해그음가가서로구분되었던것으로나타난다. 3. 변화의과정 3.1. 유입과변화방언간의접촉은화자층의유입으로시동된다. 이시기에는화자유입과함께지역방언의모음체계가함께유입되고다양한방언의접촉이일어난다. 대규모지역방언인구가서울로유입된시기는두차례에걸쳐나타난다. 첫째는해방이후에발생한인구유입이다. 해방직후월남한북한주민의단순유입으로인해서울인구는다양하게된다. 서울로유입된화자층의분포를다음에서확인할수있다. < 표 3> 북한에서유입된인구의출발지와목적지 (1945~1949) 목적지 출발지강원황해평남평북함남함북이상 합계 서 울 28.6 40.0 59.0 63.0 58.6 33.8 30.0 45.1 경기도 28.4 47.7 16.2 15.4 13.4 13.3 14.3 24.1 강원도 32.2 1.3 2.9 3.5 5.1 5.9 6.5 9.6 충청북도 2.5 1.4 2.1 3.3 2.7 6.0 3.5 2.8-200 -
화자변화와모음변화 충청남도 3.1 2.8 5.2 3.7 4.9 8.9 11.2 4.7 전라북도 1.0 2.0 3.9 2.9 4.6 9.8 8.7 3.9 전라남도 0.9 1.6 4.6 2.5 4.1 8.5 5.2 3.3 경상북도 1.8 1.3 3.1 3.1 3.2 8.6 7.7 3.3 경상남도 1.0 1.5 2.7 2.5 3.4 5.1 12.6 3.0 제주도 0.0 0.1 0.3 0.2 0.1 0.2 0.4 0.1 전 국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출처 : 서울인구사 p. 570 < 표 3> 은해당시기에북한에서유입된인구비율을정착지별로나타낸것이다. 평남 (59.0%) 과평북 (63.0%) 그리고함북주민이가장많은비율로서울에유입되었다. 이들의인구유입으로인해서울의인구수는 1949년에 144.6만명 ( 외국인포함 ) 으로집계되었는데, 이는 1944년에비해 45.7만명이증가한것이었다 ( 서울인구사 :572). 1940년대이후사회적현상으로인해서울토박이층은감소한다. 특히한국전쟁직후지역간의다양한차원에서인구뒤섞임현상이일어나면서서울토박이의비중이격감했다. 전후피난민의귀환이완료된 1960년현재까지도서울토박이의비중은 43.5% 의수준으로 ( 서울인구사 :662~663) 이는당시주민의 2/3가량이토박이로구성된다른도시들의사정과큰차이를보인다. 이시기의서울구성원은서울토박이와월남한주민들이대다수였다. 따라서이시기서울말에영향을미친화자층은이북에서내려온주민과서울토박이들이대다수였다. 방언화자의유입으로인해 ㅚ 와 ㅟ 의현실적인발음은서울토박이들이단모음으로획일적이게발음했던것에서벗어나개인방언, 지역방언의영향으로다양하게나타났다. 이북지역특히평남, 평북, 함북에서유입된화자들에의해 ㅚ 와 ㅟ 의이중모음화자층은확대되었다. 서울말에서 [wɛ] 의 [w] 탈락이일어난것도확인할수있는데평안도방언에서는 ㅚ 를흔히 [ɛ] 로발음한다고하였다. 예 ) 외국 [ɛ:guk], 외도 [ɛ:do]( 이현복 1971) 김윤경 (1948:24) 에서는 ㅚ 가이중모음으로실현된다고설명하였다. 치조음아래에서는단모음으로, 모음으로시작하거나양순음아래에서는이중모음으로실현되는것으로보았다. 예 ) 쇠붙이, 되다 ; 단모음, 외 ( 瓜 ), 뫼 ( 山 ); 이중모음. 분포에따라단모음과이중모음으로구분하였다. 이중모음을언급한것은이전시기에비해 ㅚ 의이중모음화가활발해졌기때문이다. 이숭녕 (1954:153) 에서도 ㅚ 의음가를두가지로설명하고있다. 원순성을가진모음이어서입술을둥글게내밀고 [e] 를발음하면된다. 그런데이 [ø] 음은서울말에는없어 [we] 로발음한다. 라고하여모음의음성적자질을전설원순단모음으로설명하고있으나, 현실발음과는다르다고지적하고있다. 즉, 제음가는 [ø] 이지만, 이미서울말에서는단모음이아닌상향이중모음으로발음하고있다는의미로해석된다. ㅚ 의이중모음실현은이전시기에비해그환경이확산되었다. 초성이없는경우, 자음의조음위치와방법에상관없이이중모음으로나타난다고보았다. 예 ) 외 ( 瓜 )[we, o:j], 외국 [we:guk], 뫼 ( 墓 )[mwe:], 국회 [kuhwe](k누락된듯함 ) 이시기에이미서울사람은 웨 와 외 가구별되지않는다는점을지적하였다. 이숭녕 (1954) 에서는 ㅟ 를이중모음 [ui]( 또는 [uj]) 로발음해야하는것으로보았으나, 현실발음은 - 20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입술을더가까이그리고오무려 [wi] 로발음하는것으로보았다. 방언에따라서는전설원순단모음 [y:] 로발음을하고있다. 예 ) 위붕겐 [übungen] 과같은귀 ( 耳 ky:) 쥐 ( 鼠 tʃy:). 다시말해, 방언에서단모음 [y:] 로발음하는것에영향을받아원순전설단모음인 ü를 위 로표기하게된것으로보고있다. 특히단모음아래장음을표기한것이특징적이다. 이시기에중앙어에서 위 의발음이세가지형태로나타나고있다는사실은특히 uj>ü으로변화과정을거친방언이어느시기에중앙방언에참여하였거나영향을미쳐이중모음 ui와공존하고있음을시사한다. 河野六郞 (1954) 에서는 ㅟ 는 wi로음성실현된다고보았다 ( 가위 kawi 바위 pawi). 최현배 (1937/1955: 61-66) 에서는 ㅚ는ㅗ와ㅣ의사이소리이니, 혀가운데바닥을ㅗ보다는높이고, 턱모는ㅗ보다적게하고, 입술은ㅗ의둥근것을좀옆으로늘인셈이되게하여서, 내는홀소리이다. 라고하여원순성이약한단모음으로보고있다. ㅟ 는 ㅜ와ㅣ의겹이니, 이를길게내면, ㅣ만길어진다. 라고하여이중모음으로보았다. 반면에이희승 (1955: 90) ㅟ 를단모음으로분류하였다 ( 뉘, 뒤, 쉬, 쥐, 취 ). 이는다양한방언화자의유입에의해서울말이점차비균질적이되어가는상황에서규범적인발음의필요성을인식한데서오는의도된해석으로보인다. 1933년에 조선어학회 의 < 맞춤법통일안 > 에서밝힌 표준말은대체로현재중류사회에서쓰는서울말로한다. 에서보인바와같이 ㅚ 를표준말, 즉, 서울토박이화자의발음인단모음으로정의내리려는입장인듯하다. 후술하겠지만이러한규범적노력은서울토박이의인식적인차원과연관이있다. 두번째이루어진인구유입은이른바산업화시기에이루어졌다. 60년대지역편중개발로많은인구가지방에서서울로유입되었다. 첫번째유입시기에의한언어변화가방언접촉에의한것이었다면두번째유입시기에나타난언어변화는방언접촉과함께세대간언어변이의형성이라는점이다. < 표 4> 서울전입자 (5세이상 ) 의전출지별분포 (1960-1980) ( 단위 : 천명 ) 전출지 1960-1965 1965-1970 1970-1975 1975-1980 경기 119.4 251.4 242.2 310.8 강원 38.7 87.0 78.7 100.5 충북 47.1 85.1 62.5 74.6 충남 137.4 195.2 150.7 156.1 전북 67.2 130.0 109.9 134.7 전남 81.0 174.0 167.9 203.2 경북 79.6 132.3 112.6 128.3 경남 35.5 65.6 54.7 58.8 부산 66.8 57.2 58.2 57.5 제주 1.5 4.8 15.7 8.0 합계 675.3 1,192.2 1,053.4 1,232.3 자료출처 : 통계청, < 인구및주택총조사 >, 각해당연도 < 표 4> 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이르기까지전국에서서울로유입된인구수를지역별로나타낸것이다. 특히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지역의젊은이들이많이유입되면서방언화자가혼재하게되었다. - 202 -
화자변화와모음변화 이현복 (1977) 에서는 1930년대를서울사람들이토박이들로이루어진균질적인언중으로보았으나 1970 년대는각지방에서올라온사람들로구성된이질적인집단으로보았다. 특히생산연령층인젊은화자층의유입이대거이루어짐으로써서울은이전보다더다양한연령층과지역방언화자들이모여언어공동체를이루게되었다. 이러한화자층의변화가서울말의모음변화에동인 ( 動因 ) 이되었다. 이현복 (1977) 에서는 30대후반이후를장노년세대 30대전반이전을청소년세대로보고장노년세대의서울말은청소년세대의서울말보다과거조선어학회가표준말정의의대상으로삼았던서울말에훨씬가깝다고보았다. 인구유입이급증한시기의서울발음은산업화이후전국에서몰려든사람들로인해서울고유의발음은사라지고혼화된발음이라는것이다. 이시기의지역방언화자의유입이시사하는바는두가지이다. 하나는방언화자의유입으로인한방언변이의보다다양한공존이고, 다른하나는세대별언어변이의분화현상이뚜렷해졌다는것이다. 그러나 1970년대이후서울에유입되는화자층의연령과출신지역이다양해지면서이시기에진행된세대별언어변이연구가이러한사실을방증한다. 이현복 (1971) 에서는서울말화자를 30대이하와이후로세대구분을했다. 연령에따른음가의차이는서울말의정의를삼십대이상의연령층이쓰는서울말로정의했기때문에 ( 이현복 1971: 39) 삼십대이하에서는말의스타일에따라다르게조사결과가나올수도있다고보면서세대차에따른모음변이를설명하였다. < 표 5> 30 대이후의서울말의모음체계 ( 이현복 1971) 前舌 後舌 平脣 圓脣 平脣 圓脣 閉 i y ɯ u 半閉 e ø ə o 半開 ɛ ʌ 開 a 30 대이상화자층의서울말의모음은네서열네계열삼각조직을갖고있다. < 표 6> 30 대미만의서울말의모음체계 ( 이현복 1971) 前舌 圓脣 平脣 後舌 平脣 圓脣 高 i (y) ɯ u 中 E (ø) ʌ o 底 a 30대미만세대의서울말은세서열네계열의삼각조직을갖고있기때문에서열즉개폐단계가빠져있다 ( 이현복 1971: 24). 30세미만의젊은화자층의서울말은모음체계가단순화되고있다고보았다. 특히 /ɛ/ 가 /e/ 로합류하면서두모음은 /E/ 로중화되었다는것은이시기에나타나는모음변화의특징이다. 이는젊은화자층의폭발적인유입에의한모음체계의변화라고볼수있다. 이응백 - 20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1968:167) 에서도 近者靑少年層에서도ㅐ가ㅔ로발음되는경향이있다. 라고지적하며, ㅐ가ㅔ로합류되는변화는젊은화자층에의한것으로보았다. 특히젊은이들은장단을구분하지못하는것으로이는 30대이후화자층이장단을구분하는것과는차이가난다고하였다 ( 이현복 1971:20~21). 권경근 (2001) 에서도젊은세대의화자층이 ㅐ 가 ㅔ 로합류하는원인을음장의소실에서찾았다. 한편서울의젊은화자층대부분이 ㅚ 를이중모음으로발음하였다 ( 이현복 1971:48). 4) (4) ㄱ. 외국 [we:guk] 외가 [we:ga] ㄴ. 되다 [tweda] 또는 [tøda] ㄷ. 괴다 [kwe:da] 또는 [køda] (4ㄱ) 은모음으로시작하며이때 ㅚ 는상향이중모음 [we] 로나타난다. (4ㄴ) 은초성자음이치조음으로시작하는경우이고, (4ㄷ) 은연구개음으로초성이놓이는경우인데, 이중모음과단모음으로나타난다. 그런데 ㅚ 는장음으로실현되느냐단음으로실현되느냐그리고강세가수반되느냐에따라실현되는음가가다르다고보았다 ( 이현복 1971). / ㅚ / 는전설을반폐와반개사이에올리고입술을오무려서내는전설원순단모음 [ø] 인데 ʹㅚ : (ʹ표시는강세가있는모음 ) 는 [ø] 보다약간낮고후퇴한모음이며원순정도는보통이어서불어의 [ø] 보다약하다고한다 (ʹ되다 ʹ퇴학 ʹ뵌다 ʹ쇠뿔 ), ʹㅚ 는위에서기술한 ʹㅚ : 보다도약간더낮고후퇴해있으며원순작용도더약하다 ʹ되다 ʹ되도록 ʹ뇌염 ʹ쇠망 ʹ굉장히, [ ㅚ 는 [ʹㅚ 보다도더낮고후퇴해있으며원순작용이아주약하다. ʹ한되 ʹ진퇴 ʹ열쇠 ʹ잘된다등 즉, 강세가부여되고장음으로발음되는경우의 ㅚ 는그렇지못한경우보다원순성이상대적으로강하게나타난다. 다시말해 [ø] 는장음이뒤따르지않는다면원순성이약해진다는것이다. / ㅚ / 는원순모음으로발음되는경우이외에도부주의한대화체에서는평순모음 / ㅔ / 로나는일이많은데짧고강세가없는 / ㅚ / 가그렇게많이나고, 때때로 /ʹㅚ/ /ʹㅚ:/ 도그렇게난다.ʹ한되 ( 데 ) ʹ열쇠 ( 세 ) ʹ참외 ( 에 ) ʹ굉 ( 겡 ) 장히 ʹ뵙 ( 벱 ) 고 ʹ뵌 ( 벤 ) 다 ʹ괴 ( 게 ) 상한 이것은 [we] 의 /w/ 가탈락한결과인데, 앞서서울말화자와지방태생화자의말을비교한 < 표 > 를보면, w탈락의결과 e로발음하는지역말은경상도인것으로이는경상도화자의특징이반영된것으로볼수있다. 한편 ㅟ 는분포, 강세, 장단에따라세가지의변이음을가진다고보았다 ( 이현복 1971). 4) ㅟ 는 [y] 로 ㅚ 는 [ø] 로단모음체계내에포함시키고있다. 이는표준발음에서제시하는단모음체계의틀을벗어나지않으려는의도로보인다. 그러나이시기화자의현실발음은이중모음과단모음모두나타나고있다고보고하고있다. - 204 -
화자변화와모음변화 ㅟ 의음가는일반적으로 [ɥi], [wi] 이다. 그러나 뒤, 쥐 에서는 [y] 나 [ɥi] 로는발음되지만 [wi] 로는안된다. 앞에자음이없는환경에서는이중모음 [ɥi] 나 [wi] 로쓰이고자음이앞서는경우단모음 [y] 나이중모음 [ɥi] 로볼수있다. 이들은강세의유무에따라다르다. 강세가있을때는 [ɥi] 로 ( 귀 [gɥi], 쥐 [ɟɥi]) 강세가없을때는 [ɥ] 로 ( 큰귀가 [ˈkɯngyga], 생쥐를 [ˈsɛŋɟyrɯl]) 실현된다. 그리고자음의유무 ( 이현복 1971) 에따라다르다. ㅟ 가첫소리에서는 [wi] 나 [ɥi] 로실현되고 ㅟ 앞에자음이있을때는 [ɥi] 나 [y] 로난다. /y/ 는전설을폐와반폐의위치에올리고입술을둥그려서내는전설원순모음인데 ʹㅟ : 는 [y] 보다낮고후퇴해있으며원순정도는보통이어서 [y] 나불어의 [y] 모음에따르는원순보다훨씬약하다 (ʹ뒤늦다 ʹ뉘다 ʹ쉬다 ). ʹㅟ 는 ʹㅟ : 보다약간더낮고후퇴한모음이며원순작용도더약하다 (ʹ뒤틀다 ʹ뛰다 ʹ귀납 ʹ뉘엿뉘엿 ). [ ㅟ ] 는 [ʹㅟ 보다도좀더낮고원순역시아주약해원순작용이아주없다고보아야할경우도적지않다 (ʹ착취 ʹ복귀 ʹ대위가 ). 장음이사라지고강세가부여받지않는 / ㅟ / 의경우단모음으로서의지위가상실되었다고볼수있다. 다시말해장음의ㅟ가단모음 y에가장가까우며, 혀의위치와입술모양이외에모음의길이가단모음 y의음소적지위를확인해줄수있는부가적기능을한다고볼수있다. 그러나주지하다시피현대젊은이는장단을구별하지않는다. 장단의구별이없다면장음을수반한 ㅚ :, ㅟ : 가실현되지않는다. 곧원순성이거의나타나지않는 ㅚ, ㅟ 만남게된다. 두번째시기에나타난인구유입의특징은지역방언화자의유입과동시에젊은층의유입이다. 이결과나타나는모음변화는다음과같이정리할수있다. 첫째, ㅔ 와 ㅔ 의중화가일어난다. 이는장단을구분하지않는젊은층의발화습관때문이다. 둘째, 장단구분이없어지면서음성적분포나방언화자의차이로인해현실발음에서 ㅚ 와 ㅟ 의단모음이사라지고점차원순성이약해지면서이중모음의경향이두드러진다. 셋째, 세대별모음체계가다르게나타난다. 3.2. 공존과경쟁 ㅚ 와 ㅟ 를단모음으로발음하는화자층은주로서울토박이노년층이며, 이중모음으로발음하는화자는유입된지역방언화자들과젊은세대들이다. 이들은서울지역어의언어공동체내에서공존하며, 단모음화자와이중모음화자로서사회적변이를이룬다. ㅚ, ㅟ 의단모음실현화자층과이중모음화자층의역학적이고역동적인관계를형성하는데, 그원인은두가지로설명될수있다. 하나는화자의수적증가와감소에따른변이의확대와축소에의한것이다. 즉, 단모음화자층인서울토박이노년층의수가줄어들면, 단모음은축소된다. 반면에이중모음화자층인유입된방언화자층이나젊은층의화자의수가증가하면이들이발음하는이중모음은확대된다. 표면적으로는단모음에서이중모음으로변화가일어나는것이다. 또다른원인은화자층의 ㅚ 와 ㅟ 의발음에대한인식의문제이다. 서울토박이화자층의거주지로대표되는종로구지역은전통적으로인구유입이상대적으로적은편이었고서울사람이라는인식이강한지역이었다. 이상억 (2001: 158) 에서는작가한문숙이서울안국동출생으로 3개월후줄곧경상도에서살았으나부모모두서울사람이었던영향으로말씨는서울말을고집하였으며부산말의간섭을크 - 20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게받지않았다고평하면서서울의전통있는중인층언어까지풍부히담고있다고설명하고있다. 즉서울북촌 ( 종로구 ) 출신인작가의부모와작가에게는서울말에대한보수성이강하게작용하고있었던것으로보인다. 이러한인식의바탕에서서울말에대한고수가이어지고 -동시에타지역말에대한배타성이드러난다. 이들은상대적으로위세형이라고볼수있다. 위세형을형성하는화자층은서울토박이노년층대표되는 ㅚ 의단모음화자층이며낙인형을형성하는화자층은 ㅚ, ㅟ 의상향이중모음화자층이되는데위세형은낙인형을저지 (blocking) 하고자한다. 토착발음의신분을유지하기위한노력과규범화된표준발음교육의시도는 ㅚ 의발음이단모음으로확산되는데에집중한다. ㅚ 나 ㅟ 는표준발음에서제시하는국어의단모음체계에자리잡고있으며이모음을단모음으로보는것은매우규범적이다. 그러나 ㅚ 와 ㅟ 를각각단모음 [ø] 와 [y] 로발음하는화자층과상향이중모음 [we] 와 [wi] 로발음하는화자층은표준말을설명하는상황에서도경쟁하게된다. 이러한경쟁적관계는학교문법에서도잘나타나있다. 고등국문법 5) (1965:14-15) 에서는단모음의정의를 그발음을아무리계속하여도처음과끝이달라지지않은모음 으로규정하고모음 9개를제시했다 (/ ㅏㅓㅗㅜㅡㅣㅐㅔㅚ /). 또한이중모음즉, 복모음은 발음의처음과끝이달라지는음 으로정의하고 (/ ㅑㅕㅛㅠㅒㅖㅚㅙㅝㅞㅟㅢ /) 이들을각각 ㅜ 음이앞서는것 ( ㅝ ( ㅜ + ㅓ ), ㅞ ( ㅜ + ㅔ ), ㅟ ( ㅜ + ㅣ )) 과, ㅗ 음이앞서는것 ( ㅘ ( ㅗ + ㅏ ), ㅙ ( ㅗ + ㅐ )) 으로분류하였다. 이중 ㅚ 는단모음체계에포함시켰으나그발음이앞뒤가다르게소리나는수도있다고하여이중모음으로발음되는것을인정하고있다. ㅟ 또한그발음을짧게하면, 단모음처럼발음나기도한다고하여단모음과이중모음모두가능한것으로보았다. 그러나서울의젊은화자층은규범적표준발음에대한거부를나타내기도한다. ㅚ 와 ㅟ 를단모음으로발음하게되면오히려지역방언에서나타나는움라우트의인상을받게되기때문이라고한다 ( 이현복 1984). 이러한심리적요인에의해 ㅚ 나 ㅟ 를이중모음으로발음하게된다. Labov(1963) 에서는특정음의선택이애향심, 단결력과시와같은사회적동기에서발단된자아표지적역할을한다고보았으며이러한경향이언어변화를유발한다고보았다 ( 박충연 2012: 205). 그러나서울말의 ㅚ 와 ㅟ 는서울토박이화자들이다른지방말에대한배타적인태도를취하면서서울사람이라는의식을가지고있었으나 ㅚ 와 ㅟ 의단모음은모음변화를견인하는지배적변이가되지못하고오히려축소경향을나타낸다. 젊은화자층의증가와노년층의감소로상향이중모음의확산을경험하게된다. 어떤언어에는위세형이언어변화를주도하기도한다. 그러나위세형의권위와낙인형의화자층증가가대립한다면위세형과낙인형가운데어떤형이언어변화를주도할것인가는현상학적으로설명되어질수밖에없다. 서울말의 ㅚ, ㅟ 의단모음과이중모음은경쟁초기에위세형이규범화된표준말과단모음체계교육을통해권위를내세웠으나낙인형의화자층의증가로언어변화는낙인형이주도한것으로볼수있을것이다. 5) 이책의머리말에보면... 지금까지우리국문법이통일되지않아... 여간불편하지아니하였고학습에도능률이오르지않았다. 이번문교부의애쓴보람으로학교문법이통일되어 1963 년 7 월 25 일확정공포하게되었고... 이제통일된학교문법을공부하게되었다....1964 년 2 월 20 일한국국어교육연구회... 라고되어있다. 이책은문법교육과표준발음을교육할목적으로제작되었다. ㅚ가단모음이고, ㅟ는이중모음으로분류하였으나, ㅚ는이중모음으로도허용하며, ㅟ는단모음으로발음될수있다고설명함으로써표준말의규범을표방하면서동시에현실발음또한고려하고있음을알수있다. - 206 -
화자변화와모음변화 3.3. 평준화방언평준화 (dialect leveling) 란방언간의접촉에서오는차이를최소화하는단계이다. 6) 경쟁관계의두변이 ( 또는변항 ) 중어느하나가축소되고나머지하나가확대되면표면음성적으로는확대되는변이로변화가진행되어가는모습을보인다. 인구유입에따른화자의지리적이동과그에따른방언접촉에의해사회적으로또는지역적으로형성된공시적변이들이감소하고증가하는과정을모두포함한다. 우선화자의유입은해당화자가발음하는변이는확산된다. 상향이중모음화자층이증가함으로써확산이일어난다. 단모음의축소또는소멸로인해변이의차이가줄어드는평준화단계에서상향이중모음의화자층이대다수를구성하게된다. 이는 ㅚ 나 ㅟ 를단모음으로규정했던표준말에영향을미치기도한다. 서울이 1970년대급격한인구집중현상을겪으면서지역방언의유입이대거이루어졌는데이는언어의혼질화를초래할가능성이많으며언어의표준화작업에영향을준다고보았다 ( 이현복 1977). 즉 1988년표준말제정에서 ㅚ, ㅟ 의이중모음도허용하는결과를가져온것이다. 사회적변이로서상향이중모음화자층의증가는표면적으로모음의변화방향이단모음에서이중모음으로진행되고있음을나타내고, ㅚ, ㅟ 를이중모음으로발음하는것도표준말로인정하기에이르렀다. 한편, 자연적감소는변이의축소를가져온다. ㅚ 와 ㅟ 의단모음화자층인노년층은시간의흐름에따라자연적으로그수가감소되는데이로인한단모음화자층의감소는단모음 [ø], [y] 의축소로이어진다. 예컨대세대별 ㅚ, ㅟ 의발음차이, 음장실현의차이, ㅐ, ㅔ 의구분과합류의차이등 1세대가가지고있는음운적체계가 2세대가전수받지못하고단절된다면, 1세대의자연적감소는곧 1세대의음운적특징의축소, 소멸로이어진다. 1세대의문법이다음세대에전승되지않는다면 2세대에서는 1세대와는다른문법을구사하게될것이다. 노년층화자의변이는다른곳에다른변이들을위한여유를둔채그화자들자신의죽음과함께죽어없어질것이기때문이다 ( 박기덕외, 1995: 91). 물론방언의고유한특성을제거하고안정적인타협방언이개발될때까지여러세대에걸쳐발생할수도있다 (Hinskens 1998). 또한급격한인구유입이진행되는사회에서는어느한변이가새로운변이에우위성을부여할수도있다. 두차례에걸친대규모인구유입으로인해서울토박이에대한서울말화자들의인식이변화하게되었다. 서울에다른지방출신자들이끊임없이유입이이루어진시기부터서울인의토박이인식은더욱약해졌다.( 정승교김영미 2001: 105~113). 결과적으로 ㅚ, ㅟ 단모음에대한보수적입장이약해질수밖에없다. 서울출신자들의토박이인식이약화되는것은서울말의권위가약화되는것과관련이있기때문이다. 7) 이러한영향으로인해국어모음 ㅟ 와 ㅚ 는그음가의변화가단모음에서상향이중모음화로평준화되고있으며, ㅔ 와 ㅐ 의합류는현실음에서 /E/ 로중화되어평준화를이루었다고보아야할것이다. 6) Dialect levelling has been defined as the process by which structural variation in dialects is reduced. Dialect levelling is the means by which dialect differences decrease(hinskens, 1996:3). 7) 이현복 (1977) 에서도서울말이열세해진이유로우선, 방언화자층의대량유입으로인한서울말사용자의숫적열세와, 서울말이권위있는말로서의기능을하지못하는점, 그리고표준말교육의부재등을들고있다. - 20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4. 맺음말 - 208 -
화자변화와모음변화 참고문헌 권경근 (2001), 현대국어에서의모음체계변화와움직임에대하여 -젊은세대의말을대상으로 -, 언어학 30, 언어학회, p.29-48. 김민수 (1964/1983), 新國語學, 일조각. 김석득 (1960), 음운분석론-기술언어학에서본음운설립을중심으로 -, 한글학회, p.490-511. 김윤경 (1948), 나라말본, 동명사. 박기덕, 남성우옮김 (1995), 역사비교언어학개론, 서울 : 민음사. [Anttila, Raimo(1972), (An)introduction to historical and comparative linguistics, New York : Macmillan] 박충연 (2012), 음변화요인에따른후설저모음융합의시동과이행, 인문언어 (Lingua Humanitatis) 14-1, p.201-235. 서울특별시 (2005), 서울인구사, 서울특별시. 신동준外 (1968), 인구추세의자연동태와지역이동량에관한사회조사, 과학기술처, p.27. 엄익상 (1997), 음변화의원리 : 규칙성가설과어휘확산, 中語中文學 20, 한국중어중문학회, p.1-33. 이극로 (1947), 實驗圖解朝鮮語音聲學, 아문각. 이상억 (2001), 현대문학에나타난서울옛말씨연구, 서울학연구 17호, 서울시립대학교부설서울연구소, p.137-177. 이숭녕 (1954), 國語學槪說上, 進文社. 이옥희 (2014), 후기근대국어이중모음 ㅚ 와 ㅟ 의사회적변이연구, 부산대박사학위논문. 이응백 (1968), 國語母音의音價에대하여, 국어교육 14, 한국국어교육연구회, p.161-176. 이현복 (1971), 서울말의모음체계, 어학연구 7,2, 서울대학교어학연구소, p.19-24. 이현복 (1977), 서울말과표준말의음성학적비교연구, 언어학 2, 한국언어학회, p.167-184. 이현복 (1984), / 외 / 모음의소리값, 말소리 7-1, 대한음성학회. p.102-103. 이희승 (1955), 國語學改設, 民衆書館. 정승교 김영미 (2001), 서울의인구현상과주민의자기정체성, 서울 20세기생활문화변천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105 조석곤 오유석 (2001), 압축성장전제조건의형성 : 1950년대, 한국자본주의발전모델의형성과해체, 나눔의집. 최현배 (1937/1955), 우리말본, 정음사. 한국국어교육연구회엮음 (1965), 문교부학교문법통일에따른고등국문법, 향문사, p.14-15. 허웅 (1952), 애, 에, 외, 위 의음가, 국어국문학 1, 국어국문학회, p.5-8. 허웅 (1958), 國語音韻論, 正音社. 小倉進平 (1944), 朝鮮語方言の硏究, 東京 : 岩波書店. Hinskens, Frans.(1996), Dialect levelling in Limburg: Structural and sociolinguistic aspects. Linguistische Arbeiten. Max Niemeyer Verlag GmbH & Co KG. Hinskens, Frans(1998), Dialect Levelling: A Two-dimensional Process. Folia Linguistica 32 (1-2). p.35-52. Labov, W.(1994), Principles of Linguistic Change, volume 1 Internal Factors, Blackwell, - 20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Oxford Uk & Cambridge USA. Milroy, L.(1998), Gender, social class and supra-local norms: Dialect leveling as language change, THE LINGUISTICS 39, p.38-49 Wang, W.(1969), Competing Changes as a Cause of Residue, Language 45, p.9-25. - 210 -
화자변화와모음변화 에대한토론문 오재혁 ( 건국대 ) 발표문재미있게잘읽었습니다. 이연구는현대국어모음체계를논하는데있어서가장핵심이되는 ㅚ, ㅟ 와 ㅔ, ㅐ 의변화과정을새로운관점에서정말흥미롭고설득력있게설명하였습니다. 연구자께서서론에서언급하셨듯이, 현대국어모음의변화에대해서는그동안변화의통시적과정만을고려했을뿐, 공시적변이를충분히고려하지않았습니다. 이에이연구에서는사회언어학적관점에서 화자층의교체, 방언혼합, 화자인식의수용과거부 등의변인으로현대국어의 ㅚ 와 ㅟ 그리고 ㅔ, ㅐ 의변화를설명하였는데, 이러한시도는이후언어변화, 음변화를대상으로하는후속연구들에많은영향을미칠것이라고생각합니다. 좋은발표내용감사드립니다. 아래는간단한질문과, 의견입니다. 1. < 표 3> 의자료는비율로만제시되어있는데, 비율과함께절대수치도제시되는것이좋겠습니다. < 표 3> 에서얻을수있는정보는 각출발지에서출발한인원을 100% 라고했을때서울등각목적지별로몇 % 의비율이이동했는가 이기때문에출발지인원의차이로인해서울로유입된절대인원은가늠하기어렵습니다. 평남과평북에서출발한사람들이서울로정착한비율은가장높지만, 절대적인수에서도가장많은지는알수없기때문에절대수치도함께제시하면좋겠습니다. 2. 1945~49 시기에서울로유입된북한주민에의한 ㅚ, ㅟ 의이중모음확산은 < 표 1> 의정보를통해설명이가능하나, 1960-70 시기에서울로유입된남한지역내젊은세대에의한 ㅔ, ㅐ 의합류에대해서는추가정보가필요할것같습니다. 젊은층의폭발적인유입에의한모음체계변화 만으로설명하기에는부족할것같습니다. 서울이외의지역특히서울로가장많은인구가이동한충남, 전남, 전북등지에서 ㅔ 와 ㅐ 가비변별적이었다거나합류과정이먼저진행되었다는내용이있어야할것같습니다. 이를참조할수있는논의가있는지궁금합니다. 3. 현재대구의젊은층에서나타나는 ㅓ, ㅡ 의변별 ( 장혜진, 신지영 2006), 그리고대부분의지역방언에서나타나는지역방언어휘의소멸은언어변화에있어서그변화의지향점이 표준 혹은 중앙 이라는것의근거가될수있습니다. 이연구에서는두단계에걸쳐이루어진서울로의인구유입으로, 첫번째단계에서는북한주민의유입에의한 ㅚ, ㅟ 의이중모음화, 두번째단계에서는남한내젊은층의서울유입으로인한의한 ㅔ, ㅐ 의합류를설명하였는데, 이는모두 중앙, 표준 과멀어진결과를만들어냈습니다. 왜유입된인구가 표준어, 서울말 로동화하지않고표준어와서울말을바꾸는결과를만들어냈는가에대해서울말토박이노년층화자수의감소외에다른요인을생각하신것이있으신지궁금합니다. 장혜진, 신지영 (2007). 대구방언 20대화자의단모음실현양상에나타난표준어지향성의성별적차이 한국어학 36. pp.289-314. - 211 -
01- 일반 2 분과 -3 ( 마지막에삭제됩니다 ) 네트워크분석을활용한강원도방언구획연구 정성훈 ( 대만정치대 ) 1. 들어가며 강원도방언은일반적으로영서방언과영동방언으로구분되는것으로알려져있다. 영서방언에는철원, 화천, 양구, 인제, 춘천, 홍천, 횡성, 원주등의지역방언이포함되고, 영동방언에는강릉, 삼척, 양양, 고성등의지역방언이포함된다. 행정구역상으로는강원도안에속해있지만영서방언과영동방언의차이는큰것으로보이며내부적으로도다양한모습이관찰된다. 영서방언과영동방언은지형상태백산맥을기준으로나뉘어지는것으로보이며, 영서방언은경기도방언과유사한것으로여겨진다. 그러나강원도방언은태백산맥으로기준으로하여동서로분화되는힘만큼이나남북으로분화하려는힘도강한것으로보여지나이를확인하려는연구는아직부족한것으로보인다. 즉현재강원도방언연구는군단위의지역방언연구는진행되어왔으나, 하위방언구획연구는활발한편은아니다. 이연구는강원도방언의하위지역방언어휘를이용하여강원도하위방언네트워크를구축하고네트워크모델을적용하여강원도의하위방언을구획하려는시도이다. 그리고네트워크노드의최소단계거리를계산하여계층적군집분석방법으로지역방언간의관계를재구성한다. 지금까지의방언구획연구가등어선을경계로균질한언어적차이를갖는방언권을가정하고언어적차이에관심을두는이분법적인 (binary) 연구였다면, 이연구는이분법적인연구에서더나아가방언간다양한언어적차이를갖는것으로가정하고방언간차이보다는유사성에주목한다. 강원도라는하나의방언권에서하위지역방언들이어느정도의유사성이있는지를계량화하여제시한다는데의의가있을것이다. 2. 선행연구와연구방법 2.1 선행연구 강원도방언연구는크게방언구획연구와지역어연구로나누어볼수있다. 강원도방언은한국어대방언권구획에서중부방언의일부로다루어져왔다. 오구라신페이 ( 小倉進平 1924, 1940, 1944) 는한국어의대방언권을 6개로구획하면서강원도방언 ( 옛울진군제외 ) 을경기도방언의일부로설정하였다. 1) 고노로쿠로 ( 河野六郞, 1945) 는한국어대방어권을 5개로구획하고강원도방언을경기도방 1) 오구라신페이가설정한경기도방언은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강원도 ( 옛울진군제외 ), 함경남도 ( 영흥이남지역 ), 전라북도 ( 무주, 금산지역 ) 를아우르는지역으로서, 오구라신페이의경기도방언은대방언권명칭의문제도있지만, 이들방언들이하나로묶여질수있는지에대한문제도제기된다. - 21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언, 충청도방언과함께중부 ( 중선 ) 방언에포함시켰다. 이극로 (1932), 이숭녕 (1968), 김영황 (1982) 등의연구에서도대체로강원도방언을중부방언에포함시켜경기도방언, 충청도방언등과함께다루었다. 1980년대에들어서야강원도방언에대한관심이생겨나면서강원도방언연구가재개되었다. 이익섭 (1987:61-63) 에따르면초기에는小倉進平 (1924, 1940, 1944) 등에서다루어지다가해방이후침체기를거쳐 70년대이후에야어느정도연구가다시이루어진점을지적하였다. 이후한영균 (1992) 은방언구획과음운론적특징을중심으로강원도방언연구의전반적인현황과과제를다루었다. 대표적인강원도방언구획연구는이익섭 (1979, 1981) 을들수있다. 이익섭 (1979, 1981) 은강원도방언을크게영서방언과영동방언으로구분하고이들의언어분화를살펴본연구이다. 그러나강원도남부는동남방언의전이지역, 강원도영서지방은경기도와강원도영동지방의전이지역의성격이강하다보니, 강원도방언을하나의틀로묶고분석하는방언구획연구보다는주로강원도방언의특징을잘보여주는강원도영동지방이나동해안지역, 개별지역어에치중한연구들이대부분이었다. 2000년이후강원도방언에대한박사학위논문을살펴보면총 5편이다 ( 김봉국 2002, 전혜숙 2003, 이상녀 2005, 최영미 2009, 윤주희 2017). 2) 이밖에도지역어연구로는박성종 (1995, 1996, 1998, 2002 등 ), 김봉국 (1998, 1999, 2000, 2007 등 ), 전혜숙 (1996, 2002, 2003), 김옥영 (1998, 2005, 2006, 2012 등 ), 최영미 (2001, 2009) 등이있는데강원도지역어연구의특징은소수의연구자들이정선, 강릉, 삼척등영동지방이나동해안지역의성조나음운, 사회언어학을연구한다는점이다. 2.2 연구목적과연구방법 전통적인방언구획은서로다른방언지역간의등어선을찾아내어방언권을구분하고언어변이에대한제반요인을찾아내는연구이다 ( 이상규 1999:212). 전통적인방언구획에서는언어지도에방언형을표시하고이들을정해진기준에따라등어선으로구분한다. 각층위의등어선을등어선속으로묶고방언권으로범주화 (categorization) 하는과정이방언구획이다. 이는방언간의차이에주목하는것이다. 그러나조사된방언형의구분이애매하고등어선이복잡해지면방언권의범주화가어려워진다. 또한등어선으로방언권을구획하는방법은인접한방언권을구획하는데는효과적일지몰라도거리가떨어져있거나새로운정보를처리할때에는여러문제가생길수있다. 예를들어개별등어선이겹치지않고분산되어있는경우나등어선속이고르게분포되어있지않고정도의차이가생긴다면방언을구획할때연구자의객관적판단이어려울수있다. 따라서최근에서는등어선을대신하여 거리 (distance) 개념으로방언을구획하려는시도가나타나고있다. 방언간음운이나어휘의유사성에주목하여언어변이정도를계량적으로파악하려는연구들이다. 최운호 (2010) 는중국내에서사용되고있는몽골어파의 16개방언 / 언어의어휘대응사전자료를이용하여, 레벤시타인거리알고리즘적용, 어휘사이의거리행렬을측정하였다. 거리행렬을이용하여몽골어파 16개의각방언 / 언어들간유사도계산하여각방언 / 언어들의관계를분석하였으며다변량분석 (multivariate analysis) 을이용하여각방언 / 언어를구획하였다. 정성훈 (2016, 2017) 은 < 한국방언자료집 >( 이익섭외 2008) 의언어지도에나타난 153개 2) 김봉국 (2002) 과윤주희 (2017) 는강원도남부지역과울진, 삼척지역의음운에관한연구이고, 전혜숙 (2003), 이상녀 (2005) 는강원도영동방언과동해안방언의사회언어학적연구이다. 최영미 (2009) 는정선방언의성조체계와성조의역사적변화에대한연구이다. - 214 -
네트워크분석을활용한강원도방언구획연구 의어휘를네트워크모델화하여동남방언과서남방언의하위방언관계를분석한연구이다. 지역과어휘의 2원네트워크를구축하고네트워크분석을적용하여하위방언간거리행렬측정하였고, 네트워크최소단계거리로지역방언간유사도계산하여하위방언간관계를파악하였다. 이를네트워크군집분석 (clustering analysis) 방법을이용하여시각화한것이특징이다. 이연구도강원도방언어휘를이용하여 2원네트워크를구축하고하위방언을구획하려는시도이다. 대방언권에서공통으로조사된어휘를활용해야하기때문에정성훈 (2016, 2017) 과마찬가지로 < 한국방언자료집 > 의언어지도어휘를활용하여강원도하위방언의네트워크를구축한후네트워크최소단계거리를측정하고이를바탕으로하위방언간유사도계산하여하위방언간관계를파악한다. 또한군집분석 (clustering analysis) 을이용하여강원도방언의하위방언간구조고찰, 분석하고하위방언의관계를시각화한다. 3. 자료분석과네트워크분석 3.1 자료분석이익섭외 (2008) 의 < 한국언어지도 > 는북한을제외한지역을행정구역상으로구분하고지도위에방언자료를부호와등어선으로표시하였다. 3) 방언자료는 1985년부터현지조사방법으로수집한자료중에서방언간차이를잘보여주는 153개항목인데, 군단위 142개지점에서조사한자료이다. 본연구에서는자료의일관성을확보하기위하여지도에표시된 153개항목중어휘자료가아닌 9개항목을제외하여총 144개항목, 680개어휘 ( 변이형포함 ) 대상으로자료를분석하였다. < 표 1> 언어지도에나타난강원도방언자료전처리 3) 이들자료의특징은음성기호로전사된자료를음운단위로서한글로전사한것으로, 한지역에서 2 개이상의방언형이사용될때는모두반영하였고 ( 예들들어, 베 vs 나락,, 세다 vs 쉬다등 ), 해당방언형이없거나조사가제대로이루어지지않은지역은 'N' 으로표기하였다. - 21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우선네트워크구축을위해서방언자료를전처리하였다. 언어지도에나타난강원도방언의어휘를지도번호, 어휘 ( 형태 ), 지역으로구분하여입력하였다. 언어지도의방언자료를전처리한결과, 강원도방언은총 15개지역에서 149~172개의어휘 ( 형태 ) 가나타났고어휘형태의총개수는 514개였다. 하위방언의지역과어휘수는다음과같다. (1) 강원도하위방언과어휘 ( 형태 ) 수고성 (149), 원성 ( 원주 )(149), 정선 (150), 화천 (150), 삼척 (151), 춘성 ( 춘천 )(152), 영월 (154), 홍성 (154), 철원 (155), 명주 ( 강릉 )(157), 횡성 (157), 양구 (159), 양양 (159), 인제 (159), 평창 (172) 전처리한자료를강원도방언네트워크를구축하기위하여 2원행렬자료로변환하였다. 이는가중치가없는 2원네트워크행렬자료이다. 2원네트워크행렬자료에서는지역과어휘 ( 형태 ) 로구성되며해당지역에서해당어휘 ( 형태 ) 가나타나면 1, 그렇지않으면 0으로표시된다. 예를들어고성지역에서는가루, 힌자위등의어휘 ( 형태 ) 는나타나지만가마솥, 가매등의어휘 ( 형태 ) 는나타나지않는다. < 표 2> 강원도방언 2 원네트워크행렬자료 강원도하위방언간거리를측정하기위하여곱행렬을이용하여가중치없는 2원네트워크를가중치가있는 1원네트워크로투사 (project) 하였다. 가중치가있는 1원네트워크는하위방언 (i, j) 와가중치 (w) 로구성된다. 하위방언 (i, j) 은두하위방언의관계를나타내고가중치 (w) 는두하위방언이공유하고있는어휘 ( 형태 ) 의수를의미한다. 예를들어고성 (i) 과명주 ( 강릉 )(j) 은 89개의어휘 ( 형태 ) 를공유하고, 고성 (i) 과양양 (j) 은 105개의어휘 ( 형태 ) 를공유하는것이다. 위의자료에서공유하는어휘 ( 형태 ) 가가장많은두하위방언은평창 (i) 과영월 (j) 로모두 108개의어휘 ( 형태 ) 를공유하였고, 공유하는어휘 ( 형태 ) 가가장적은두하위방언은철원 (i) 과삼척 (j) 으로, 공유하는어휘 ( 형태 ) 는모두 49개였다. - 216 -
네트워크분석을활용한강원도방언구획연구 < 표 3> 강원도방언의 1 원네트워크 3.2 네트워크분석투사한가중치가있는 1원네트워크모델을사용하여중심성분석, 군집분석, 시각화를수행하고이를바탕으로강원도하위방언을구획한다. 우선강원도방언의 2원네트워크행렬자료와 1원네트워크자료를바탕으로네트워크중심성분석을수행하였다. 네트워크중심성분석은일반적으로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으로나뉜다. 간단히말하자면연결중심성은하나의개별노드에얼마나많은링크가연결되어있는지를측정하는것이고, 근접중심성은개별노드가네트워크의중심에얼마나가까이위치해있는가를측정하는것이다. 매개중심성은두개별노드가연결되어있을때두개별노드사이를얼마나연결시켜줄수있는지를측정하는것이다. 각각의수학공식은다음과같다. (2) 네트워크연결중심성 (3) 네트워크근접중심성 (4) 네트워크매개중심성 - 21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 표 4> 는강원도방언의네트워크중심성을요약한표이다. < 표 4> 강원도방언의네트워크중심성 연결중심성은연결선수와연결강도중심성으로나누어살펴보았다. 연결선수는모두 14개로강원도방언네트워크는하위방언이모두연결되어있는하나의공동체네트워크이다. 이는방언네트워크에서는일반적인현상이다. 하나의언어공동체안에묶여있기때문에일정한어휘 ( 형태 ) 가공유되기때문이다. 강원도방언네트워크에서연결강도중심성이가장높은하위방언은평창방언으로나타났고연결강도중심성이가장낮은하위방언은삼척방언으로나타났다. 즉평창은다른하위지역방언들과끈끈히연결되어있는반면, 삼척방언은느슨히연결되어있는것으로보인다. 또한근접중심성이가장높은하위방언도평창방언이었고, 근접중심성이가장낮은방언도삼척방언이었다. 강원도방언네트워크를하나의동심원으로본다면평창방언이동심원중심에가까운것이고, 삼척방언은동심원바깥쪽에위치하고있는것으로보인다. 한편강원도방언네트워크의매개중심성은평창이 2, 화천이 1로나타났다. 즉어떠한두하위방언이가장가까운경로로연결되었을때, 평창과화천이가장가까운경로상에존재하여두하위방언을연결해주는것이다. 이를종합하여보면강원도하위방언에서가장중심적인위치를차지하는방언은평창방언으로추정되며, 가장이질적인하위방언은삼척방언인것으로보인다. < 그림 1> 강원도방언네트워크구조 - 218 -
네트워크분석을활용한강원도방언구획연구 다음은위의자료를이용하여네트워크군집분석 (network cluster analysis) 을수행한다. 네트워크군집분석은네트워크에서노드들사이에는상대적최단거리를가정하며, 군집의수와내용, 구조등이알려져있지않은상태에서그특성과관계를파악하기위한일종의탐색적인분석방법이다. < 그림 2> 네트워크의최소단계거리 네트워크의최소단계거리 (shortest paths) 는거리 (distance) 개념으로서연결가중치의역수를이용하여측정한다. 즉두노드간의최소단계거리는두노드간연결가중치역수의총합이최소가되는경로인셈이다. 예를들어 < 그림 2> 에서노드1에서노드4로가는경로는많지만, 최단거리경로는 1-2-3-4 의경로이다. 왜냐하면최단거리는 1-2(1/5), 2-3(1/10), 3-4(1/5) 의값이최소 (=0.5) 가되기때문이다. 다음으로강원도방언네트워크의최소단계거리를이용하여네트워크군집분석을수행한다. 네트워크군집분석은임의의노드에서가까운노드와결합하면서하나의군집을형성할때까지결합하는방식으로, 방언 / 언어를군집분석할때가장적합한군집분석방법은 평균거리연결방법 으로알려져있다 ( 최운호 2010, 정성훈 2016, 2017). 4) (5) 네트워크군집분석방법 ( 평균거리연결방법 ) < 표 5> 는강원도방언네트워크의최소단계거리이다. 철원과삼척간거리 (=14.491) 가가장멀고, 양양과고성간거리 (=9.899) 가가장가깝다. 4) 평균거리연결방법은두노드 ( 군집 ) 사이의거리를각군집 ( 노드 ) 에속하는모든개체들의평균거리로정의하여가장유사성이큰군집으로묶어나가는방식이다. 이러한군집분석방법에는최소거리연결방법 (single linkage), 워드거리연결방법 (ward linkage), 평균거리연결방법 (average linkage), 최장거리연결방법 (completelinkage), 중심법 (centroid), 중앙치법 (median), 맥퀴티거리연결방법 (mcquitty linkage) 등이있다. 자세한내용은정성훈 (2014) 참조. - 21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 표 5> 강원도네트워크의최소단계거리 < 표 5> 를이용하여네트워크군집분석을수행한결과는 < 그림 3> 과같다. < 그림 3> 강원도방언네트워크의최소단계거리를이용한나뭇가지그림 (dendrogram) 이를토대로살펴보면, 강원도의하위방언은크게는 2개, 일반적으로는 4개의하위방언권으로구획될수있다. 삼척방언은강원도에서가장이질적인하위방언으로서, 기존의논의에서처럼동남방언과의전이지역으로서강원도방언네트워크의중심과멀리떨어져있다. 다음은평창, 명주 ( 강릉 ), 정선, 영월방언이다. 이들방언은강원도방언네트워크의중심에위치하는강원도방언의핵심이라고할수있으며, 강원도방언의특징을많이가지고있는지역이라할수있다. 가장눈에띄는하위방언은삼척방언이다. 삼척방언은중심성분석에서는평창방언과달리네트워크중심에서는멀리떨어져있었지만, 최소단계거리를이용한군집분석에서는평창방언과가깝게연결되었다. 삼척방언은강원도와동남방언과의전이지역으로서강원도방언과의이질성도가지고있지만, 핵심방언과가까운이중적인성격을가지고있는것으로보인다. - 220 -
네트워크분석을활용한강원도방언구획연구 원주, 횡성, 철원, 홍성, 화천, 양구, 춘성 ( 춘천 ) 방언은영서방언권으로경기도방언의영향을많이받은지역으로평창을중심으로하는핵심방언권과는확연히다른특징이나타나는방언권이다. 인제, 고성, 양양방언은강원도북부해안지역의방언권으로서평창등의핵심방언권보다원주, 횡성등의영서방언권과특징을공유하는것으로보인다. 네트워크군집분석결과, 일반적으로강원도방언을영동방언과영서방언으로구분하는것과다소차이가있었다. 강원도방언은크게동남부와북서부로구분할수있었고, 일반적으로는 4개의하위방언권으로구획되었다. 또한동남부방언이강원도방언의핵심역할을하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5. 나가며 지금까지 < 한국언어지도 > 의방언자료에네트워크분석을수행하여강원도하위방언간관계를분석하고하위방언을구획해보았다. 이분석은어휘를활용한방언구획으로방언구획에네트워크모델을적용한것이다. 네트워크중심성분석결과, 강원도하위방언가운데핵심방언은평창방언인것으로보이며, 가장이질적인하위방언은삼척방언으로나타났다. 네트워크군집분석결과는강원도하위방언간관계를보여주는데, 강원도방언은크게는 2개, 일반적으로는 4개의하위방언권으로구획되는것을확인하였다. 본발표는방언구획에관한다음과같이몇가지제언으로마치고자한다. 1 네트워크분석을활용한방언구획시, 어휘뿐만아니라음운, 형태, 문법등의자료를활용한하위방언구획필요성 - 각각의하위방언구획을이용한다변량분석필요성 - 방언구획에서어떤요소들이가장중요한역할을수행하는지판단 2 전이지역을고려한확대된방언조사와분석필요 - 대방언권간전이지역의하위방언구획필요 3 새로운대방언권방언조사의필요성 - 더자세한하위방언권구획을위해서는군단위조사와함께면단위의조사도필요 - 다양한제보자의방언자료필요 - 1980년대한세대이전의방언자료 현재의변화를반영한방언자료필요 - 통시적으로방언의변화가어떻게일어나는지조사분석 - 221 -
네트워크분석을활용한강원도방언구획연구 에대한토론문 김봉국 ( 부산교대 ) 이논문은방언어휘를이용하여강원도하위방언네트워크를구축하고네트워크모델을적용하여강원도의하위방언을구획하려는데목적을두고있다. 그리고강원방언권에서도라는하나의방언권에서하위지역방언들이어느정도의유사성이있는지를계량화하여제시하고자하였다. 그동안대방언권의하위방언권에대한방언구획을시도한업적들은여럿있다. 음운, 형태, 통사, 어휘등을활용하여방언구획의기준을마련하고하위방언권에대한방언구획이시도되었다. 하지만네트워크분석을활용한방언구획에대한연구는거의없는듯하며, 이러한연구방법은방언연구에서아주낯선개념이면서도새로운시도라고생각한다. 이러한시도가앞으로의방언연구에어떤의미가있을지지켜볼필요가있다고본다. 그와함께생각해볼필요가있는몇가지의문점들을제시해보고자한다. 첫째, 네트워크분석을활용하기위해서는자료가균질적이어야한다. 그런데강원도의하위방언을구획하기위해필요한자료가이질적이지않은지생각해볼필요가있다. 둘째, 분석을위해활용한자료가어휘라는점은극복해야할부분이라고생각한다. 전통방언학에서누누이강조했던 단어는저마다의역사가있다 는말은방언구획에서어휘가갖는한계점을말해준다. 셋째, 이연구를종합하면서 강원도하위방언에서가장중심적인위치를차지하는방언은평창방언으로추정되며, 가장이질적인하위방언은삼척방언인것으로보인다. 고하였다. 그런데 가장중심적인위치의평창방언 과 가장이질적인삼척방언 이의미하는바가무엇인지언급했으면한다. 단순한물리적인 (?) 위치가아닌방언학적인관점에서중심적인위치가갖는특징과이질적인방언이갖는특징이무엇인지논의될필요가있다. 넷째, 삼척방언은강원도와동남방언과의전이지역으로서강원도방언과의이질성도가지고있지만, 핵심방언과가까운이중적인성격을가지고있는것으로보인다. 고하였다. 삼척지역어가갖는전이지역으로서의이질성은무엇이며, 핵심방언과가까운것은무엇인지부연설명이필요하다. - 223 -
2018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 일반발표 ( 제 3 분과 )> 의미지도를이용한시간부사 금방, 방금 의의미연구 : 표준어와연변방언을중심으로유희정 전은경 ( 고려대 ) 고급한국어학습자의메타언어개념화양상연구 : 이유표현 -어서 와 -으니까 의개념화양상을중심으로박민신 ( 서울대 ) 역대대통령신년사담론에나타난언어표현전략고찰정윤희 ( 동의대 ) - 225 -
01- 일반 3 분과 -1 ( 마지막에삭제됩니다 ) 의미지도를이용한시간부사 금방, 방금 의의미연구 - 표준어와연변방언을중심으로 - 유희정 전은경 ( 고려대 ) 1. 서론 언어에서시간개념을나타내는시간지시요소로는시제와상같은문법요소외에도시간을나타내는명사나부사와같은어휘요소들이있다. 국어는문법요소를이용하여시간지시를나타내는언어로, 문장이나타내는사태가발생한시간적위치를표시하기위해시제선어말어미를사용한다. (1) ㄱ. 민호는친구와싸웠다. ㄴ. 민호는어제친구와싸웠다. (1) 의예문에서과거시제선어말어미 -었- 은민호가친구와싸운사태가단순히과거에일어난일임을표시한다. (1ㄴ) 은시간부사 어제 를사용하여민호가친구와싸운일이 어제 일어난일임을가리킨다. 국어는어휘요소만을사용하여시간지시를나타내지는않지만, 시간지시를나타내는어휘요소를사용함으로써사태의발생시점을보다명시적으로드러낼수있다. 이와같이시간지시를나타내는부사를 시간부사 라한다. 시간부사는그의미유형에따라시간선상에서사태가발생한시점을명시하는 시점부사, 먼저, 다음 과같이사태의선후관계를나타내는 차례부사, 잠시, 종일 과같이사태가일어나는동안 (duration) 을나타내는 기간부사, 가끔, 늘 과같이사건의발생빈도를나타내는 빈도부사 등으로나누어볼수있다. 이연구는시간적위치에대한인식이언어로나타나는양상에대하여살피고자한다. 따라서시간부사의하위부류인 시점부사 중에서, 두개이상의시제형태소와공기할수있으며고빈도로사용되는부사인 금방 과 방금 을주된연구대상으로삼는다. 금방 과 방금 은문장에서나타나는사태가발화시, 혹은사건시의현재를기준으로하여시간적으로인접해있음을표시한다. 두시간부사는시간적인접성을나타내는부사라는점에서는공통점이있지만, 문장에서의쓰임이나이부사들이가지고있는다의의양상은차이가있다. 이연구는 시간적인접성 을나타내기위해사용되는 금방 과 방금 의시간부사용법에서의의미특징을밝히고, 이들의의미가확장된것으로보이는용법을살핌으로써다의화양상에대해서도논의하고자한다. 시간부사가갖는의미와그것의의미확장을다루기위해이연구에서는의미지도를사용하여이들 - 22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이가지는의미영역을명시적으로드러낼것이다. 또한표준어에사용되는의미와용법외에연변방언에서사용되는의미및용법에서의확장까지함께다루고자한다. 연변방언은중국연변에거주하는조선족들이사용하는말로, 한국어와그뿌리를같이하면서도중국어와북한문화어의영향을받았기때문에같은어휘임에도불구하고의미차이를보이는경우들이있다. 특히 금방 과 방금 은한자어시간부사로서, 중국어를함께사용하는연변방언화자의경우발화에서나타나는 금방 과 방금 의용법에는표준어의용법과는조금상이한측면들이존재한다. 이연구는의미지도를이용하여한국어와연변방언의시간부사 금방 과 방금 의의미영역을비교해보는것을목표로한다. 아울러시간선상에서발화시혹은사건시현재와관련하여사태의 시간적인접성 을나타내는것외에 금방 과 방금 이갖는의미확장적용법까지의미지도내에서다룰것이다. 또한표준어에서나타나는 금방 과 방금 의의미영역에서의차이뿐만아니라연변방언에서나타나는의미영역간의차이에대해서도함께살펴보고자한다. 2. 선행연구정리 시간부사는최현배 (1937/1961) 에서 때어찌씨 즉 그일이드러남을때로써꾸미는어찌씨 로정의되면서처음으로그어휘적의미가언급되었다. 이연구에서 금방 과 방금 은둘다 때의점 을나타내는것으로서현재를지시하는 이적 으로분류되었다. 김민수 (1971) 에서 방금 은 현재 를나타내는시간부사로언급되었다. 두연구는 금방 과 방금 의의미를현재시제와관련하여그특징을분류하였다는점에서공통적이다. 즉, 금방 과 방금 은발화시, 혹은사건시현재와관련있는시간부사로서파악되었음을알수있다. 이상복 (1973) 에서는시간부사의하위분류로 시점, 기간, 시기의전후 를나타내는것으로하위분류를하였으며 방금 을시점을나타내는부사의예로언급하였다. 박선자 (1984) 에서는 금방 과 방금 을순간을나타내는부사로분류하였다. 임채훈 (2003) 에서 금방 과 방금 은시점부사로서다루어졌다. 서정수 (2005) 에서는 금방 과 방금 을시간적위치 (temporal position) 곧순간적시점을나타내는시점 / 순간부사로서순간또는일정한시간적분기점따위비교적짧은시간범위에걸친위치지정의기능을한다고밝혔다. 이와같은연구들은 금방 과 방금 의의미기능을문장이나타내는사태를시간선상에위치시키는것으로보았다는점에서공통점이있으며, 순간 과관련한의미특징을언급한것은그사태의발생이기준시와인접해있다는것을강조하기위함이라볼수있다. 또한, 금방 과 방금 이갖는의미특징을시제나상과관련하여보다자세히언급한연구들도있다. 김선희 (1987) 에서는 방금 을현재완료의상적의미를나타내는부사로, 금방 은두동작, 즉선행하는사태와후행하는사태사이의시간적간격을나타내는부사로보았다. 민현식 (1991) 에서는 방금 이시간부사의 직전과거 의의미를나타내고, 금방 은 직전과거 와 직전미래 의의미를모두나타낸다고하였다. 우인혜 (1991) 에서는 금방 과 방금 을시점등의시간의위치를나타내는순간부사로보았는데순간부사는기준시가발화시인가사건시인가에따라시제와상의어울림의관계가달리나타난다고하였다. - 228 -
의미지도를이용한시간부사 금방, 방금 의의미연구 : 표준어와연변방언을중심으로 방금 은발화시를기준으로 완료 와 결과상 과어울리는것으로보았으며, 금방 과같은부사는다른시점부사에비해시제 / 상과의공기관계가덜제한적인편이라고하였다. 이석규 (1993) 에서는 방금 을과거의시제를나타내는것으로보고, 금방 은거리를나타내는것으로보았으며, 손남익 (1995) 은 방금 과 금방 이과거의의미를수식한정해주는과거시제시간부사로보았다. 이처럼 금방 과 방금 이갖는시제나상적의미에있어서과거, 현재, 미래지시가모두언급되는것은 금방 과 방금 모두두개이상의시제선어말어미와공기할수있다는특징에서비롯된것이라볼수있다. 한편시간부사유의어로서 금방 과 방금 이가지는의미특징및그차이에대해주목한연구들이있다. 나은영 (2002) 에서는 방금 과 금방 의의미특징을분석하였는데이두시점부사는어느시제와도공기가능한것으로나타났으며주요차이점으로 방금 과 금방 은모두짧은시간즉시점을나타내는시간부사로서시간성을가지고순간성과동작성을기본자질로가지지만 금방 이 방금 보다더큰집합을이루고있다고지적하였다. 이인성 (1986) 에서는 방금 은어떤행위가막끝난경우, 즉현재완료의뜻만가지지만, 금방 은현재를기점으로그전후에걸친시간적길이를지니기때문에현재완료, 현재직후의근미래에쓰이지만현재진행형으로는쓰이지못하는차이점이있다고하였다. 봉미경 (2005) 에서는 방금 과 금방 의사용빈도에있어서 금방 이훨씬자주쓰이는것을통계했다. 뿐만아니라 방금 은대부분기준시이전시점의미로쓰이는반면, 금방 은대부분기준시이후시점의의미로쓰인다고하면서단기준시이전시점을나타낼때는 방금 이더빈번히쓰인다고지적하고있다. 앞선연구들에서지적하였듯이 금방 과 방금 이주된기능은문장에서나타내는사태를시간선상에보다정밀하게위치시키도록하는시점부사로서의기능이다. 따라서이부사들의용법을고려하기위해시간지시를나타내는문법적인장치인시제나상형태소와의공기양상을살피는연구들이많이진행되어왔다. 이러한과정들에서 금방 과 방금 이나타내는의미가현재시제나과거시제, 혹은가까운미래를나타내거나완료나결과상으로서의용법을지니는것으로제시되었다. 그러나보다명시적인시점을나타내는 어제, 오늘, 내일 과같은부사들과비교해보았을때, 금방 과방금 은화자의시간개념에대한보다주관적인인식을나타내는부사로볼수있다. 즉, 금방, 방금 이나타내는의미의핵심은 시간적인접성 과관련한화자의주관적인인식과관련한것으로볼수있으며이러한양상에주목한다면 금방 과 방금 이문장에서나타나는다양한용법들을보다잘해석할수있으리라기대된다. 따라서이연구는 금방 과 방금 이가지는시점부사로서의전형적인용법외에도사전에기술되지않은 금방 과 방금 의확장적인쓰임에대해서도주목할것이다. 3. 표준어와연변방언에서나타나는 금방 의의미 이장에서는표준어와연변방언에서나타나는시간부사 금방 의의미를살펴보고, 다양한용례를검토해봄으로써 금방 이가지는다의적인용법도함께고려할것이다. 먼저표준어에서나타나는 금방 의의미와용법상의특징을고찰하고차례로연변방언에서의 금방 의의미와용법상의특징을살펴볼것이다. - 22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3.1 표준어에서나타나는 금방 의의미 < 표준국어대사전 > 에서는 금방 과 방금 을유의관계에있는단어로파악하였다. 그리고그의미를아래와같이세가지로제시하였다. [ 표 1] < 표준국어대사전 > 에서 금방 의뜻풀이 어휘뜻풀이용례 1 말하고있는시점보다바로조금전에. 금방밥먹었는데또뭘먹자고그러니? 금방 ( 今方 ) 2 말하고있는시점과같은때에. 금방비가올것처럼하늘이어둡다. 3 말하고있는시점부터바로조금후에. 금방달려들기라도할듯벌떡몸을일으키다가... < 표준국어대사전 > 에서는 금방 의의미를 말하고있는시점, 즉발화시를기준으로하여발화시와인접한과거, 발화시현재, 발화시와인접한미래모두를가리키는것으로기술하였다. 그러나발화시현재를나타내는예문으로제시된 금방비가올것처럼하늘이어둡다 에서 비가오다 라는사태는발화시현재에아직일어나지않은일이므로, 발화시현재를가리키는것이라고볼수없다. 이는발화시와인접한미래의사태를나타내는것으로보아야한다. 이외에제시된다른예문인 그는동생에게소리치고나서금방후회하였다 역시발화시현재를나타내는예문이라고보기어렵다. 이문장은두개의절로이루어져있으며, 주절에서과거시제선어말어미 -었- 이나타났다는점에서문장에서나타내는사태모두가과거에일어난일임을알수있다. 또한이문장에서시간부사 금방 은 그가동생에게소리쳤다 라는사태의시간, 즉사건시를기준으로하여 그가후회했다 라는사태가앞선사태의사건시를기준으로한인접한미래에일어난일임을가리키는것으로보아야한다. 따라서시간부사 금방 은발화시뿐만아니라사건시를기준으로삼아절에서나타내는사태가기준시현재와인접한과거에벌어졌거나인접한미래에일어날일임을가리키는것이라볼수있다. < 고려대한국어대사전 > 에서는시간부사 금방 ( 今方 ) 의의미로 말하고있는때보다바로조금전에, 말하고있는때로부터바로조금후에 라는두가지의미를제시하고있다. 발화시 만을기준으로한다는점에서는 < 표준국어대사전 > 과동일하지만, 발화시나사건시현재에일어난일을가리킨다는의미는제외하고있다는점에서차이가있다. 문장에서나타나는 금방 의용례를정리하면다음과같다. (2) ㄱ. 그는금방집에갔다. ㄴ. 그는금방거짓말을해놓고는아닌척시치미를뗐다. ㄷ. 지금부터꾸준히공부하면금방성적이오를거예요. ㄹ. 불이붙었다가금방꺼져버렸다. - 230 -
의미지도를이용한시간부사 금방, 방금 의의미연구 : 표준어와연변방언을중심으로 (2ㄱ, ㄴ ) 은절에서의사태가발화시, 혹은사건시를기준으로현재와인접한과거에일어난일임을가리킨다. (2 ㄷ, ㄹ ) 은절에서의사태가발화시, 혹은사건시를기준으로현재와인접한미래에일어난일임을가리킨다. 그러나 (2ㄱ) 과같은문장은맥락에따라중의적으로해석될여지가있다. (3) ㄱ. 그는집에금방갔다. ㄴ. 그는밥을금방먹었다. (3ㄱ) 은 (2ㄱ) 의문장에서부사 금방 의위치를동사앞으로이동시킨것이다. 부사의위치이동과는관계없이 (2ㄱ) 과 (3ㄱ) 의문장은모두중의적이다. 금방 은그가집에간사태가발화시현재와인접한과거에일어난일임을명시할수도있지만, 그가집에가는데까지의시간이별로걸리지않았다는의미를나타낼수도있다. 이는 (3ㄴ) 에서도동일하다. 즉, 금방 은시점부사로서발화시, 혹은사건시기준현재와시간적으로인접한사건임을명시하는 시점부사 로도사용될수있지만, 문장의동사가나타내는의미가달성되기까지짧은시간이걸렸다는것을나타내는 기간 (duration) 1) 부사 로도볼수있다. (4) 우리집에서학교까지는걸어서금방이다. (4) 는부사 금방 이명사적인용법으로사용된예이다. 이예에서 금방 은시간상의거리가매우짧다는것을강조하기위해사용되었다. 이는 금방 의기간부사로서의용법이전용된것으로볼수있다. 금방 이가지는가장핵심적인용법은문장에서의사태를발화시, 혹은사건시현재와인접한과거나미래에일어난일임을명시해주는것으로 시간적인접성 을나타내는시점부사로서의기능이다. 또한 금방 이시간부사로서갖는또다른용법은서술어가나타내는행위의내적시간양상에대한것이다. 이는서술어가묘사하는행위를달성하는데있어서시간이적게걸렸다는것을의미하며 금방 이 기간부사 로서기능하는예로볼수있다. 3.2 연변방언에서나타나는 금방 의의미 연변방언의 금방 2) 은시점부사로표준어와마찬가지로언어생활에서고빈도로사용되고있다. 금방 의의미를보다정확하게파악하기위하여서는중국조선어를가장규범성있게반영하였다고할수 1) 시간부사의하위유형분류및그유형들의명칭에대해서는정의하는학자들에따라조금차이가있다. 시간이지속되는기간을나타내는부사의명칭은서정수 (2005) 에서는동안부사, 이상복 (1973) 에서는기간부사, 임채훈 (2003) 에서는 시간대 / 시역부사 로제시되었으며이부류에속하는대표적인부사로는 잠깐, 잠시, 오래, 종일, 내내 등이있다. 2) 연변방언에서 금방 구어로나타날때여러가지형태를띠는데그중 곰방 은 < 조선말사전 > 에 <[ 부 ] 금방 을얕잡아이르는말.> 로뜻풀이되어있다. 이밖에도구어에서 곰만, 고마 등형태로나타나기도한다. - 23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있는 < 조선말사전 > 에서 금방 의뜻풀이를중심으로연변방언으로기술된신문기사나소설등에서나타나는실제용례를통하여의미를검증하는것이필요하다. [ 표 2] < 조선말사전 > 에서 금방 의뜻풀이 3) 어휘 뜻풀이 용례 금방 ( 今方 ) [ 부 ] 이제바로곧. ~ 차에서내려이리로오는길이다. [ 표2] 와같이 < 조선말사전 > 에서 금방 의뜻풀이는 이제바로곧 으로뜻풀이가되어있다. 즉 금방 은발화시혹은사건시를기준으로하여 미래 의시점을나타내는시점부사로보고있는것이다. 하지만연변방언의실제용례를살펴볼때 금방 은 미래 시점을나타내는의미외에도여러의미로빈번히쓰이는것을발견할수있다. 금방 이연변방언에서의실제쓰임을정리하면다음과같다. (5) ㄱ. 목이간질간질해나면서금방 칵! 하고소리가나갈것같아식은땀이다송골송골돋았다.(2007.10.29.) ㄴ. 7일 11시반, 대학입시시험장에서금방걸어나온북경수험생장신진은차분한모습을보였다. (2018.06.08.) ㄷ. 며칠전금방끝난박오아시아포럼년례회의에서나는중국의개방을확대하는일련의중대조치를선포했다. (2018.04.17.) ㄹ. 사람이만져보아도금방알아낼수있을정도로허술한것이였고... (2007.01.29.) ㅁ. 금방담배를피우기시작했을때리원실은담배를한대만붙여물어도기침이나고머리가어지러워나면서담배의질을평가한다는것은운운하기조차어려웠다. (2007.09.20.) 예 (5ㄱ) 의 금방소리가날것같다 라는절에쓰여진 금방 은사태가발화시혹은기준시를기준으로인접한미래의일임을명시하고있다. (5ㄴ) 과 (5ㄷ) 은각각정확한시간을나타내는 11시반 과 며칠전 등어휘와공기하면서 금방 이 과거 를나타내는것을표시한다. 이때두문장은모두 과거 를표시하지만발화시에서과거시점까지의시간길이는약간차이가있다. (5ㄹ) 은 금방알아내다 라는문장에서의동사가나타내는의미가달성되기까지짧은시간이걸렸음을나타내고있다. (5ㅁ) 의경우 금방 은 담배를피우기시작한초기 라는의미로쓰이고있다. 이상예문을통하여 금방 이사전에기술된의미외에도실제로기타의미로쓰이는것을알수있으며이런의미는마땅히사전에추가적으로기술되어야할것이다. 아래에연변방언에서 금방 의의미에대하여구체적으로분석해보고자한다. 3) < 표 1> 은 조선말사전 에서 금방 의뜻풀이중에서본고에서다룰시점부사에해당하는뜻풀이만가져온것이다. - 232 -
의미지도를이용한시간부사 금방, 방금 의의미연구 : 표준어와연변방언을중심으로 (6) ㄱ. 반대로순서가틀리면정리속도가느려지거나금방다시지저분해진다. (2016.06.15.) ㄴ. 조금만방심해도금방곰팡이가핀다. (2007.06.26.) 예 (6) 는 < 조선말사전 > 에기술된뜻풀이와같은의미로쓰여진예문들이다. 예문에서 금방 은각각 금방지저분해진다 와 금방핀다 와같은사태에서발화시혹은기준시를기준으로인접한미래의일을명시해준다. 이경우 금방 은 바로, 얼마후 등어휘와교체가가능하며또한교체하였을때문장의미가변화하지않는것으로보아 금방 역시이어휘들과마찬가지로 시간적인접성 을나타내는시점부사로서발화시혹은사건시를기준으로인접한미래의시점을명시해주는기능을한다는것을알수있다. (7) ㄱ. 금방투입된최인선수는가벼운몸놀림과정확한포지션으로상대방의꼴문을노렸다. (2018.05.15) ㄴ. 황차로포병의회고자료는이미 이해년말에쏘련에서포병기술을배우고귀국하였다 는회고가틀리였음을금방본문에서지적한바가있다. (2015.10.12.) 예 (7ㄱ) 에서 금방 은선수가투입된시점을가리키는데문맥상선수가투입된시점은적어도시합이진행되는상황에서이루어져야하는것이기때문에문장의발화에서부터 금방 이나타내는시점까지의거리는상당히짧을것으로판단된다. 마찬가지로 (7ㄴ) 에서도틀렸다는것을앞부분본문에서지적하였다는것은문장의발화에서부터 금방 이나타내는시점까지의거리가아주짧을것이다. 이와같은문장에서 금방 은 시간적인접성 을나타내는시점부사의기능으로예 (7) 과같은문장에서발화시나기준시를기준으로인접한과거를명시하는기능을하고있다. (8) ㄱ. 며칠전금방끝난박오아시아포럼년례회의에서나는중국의개방을확대하는일련의중대조치를선포했다. (2018.04.20.) ㄴ. 영국런던시구에위치한위드소학교는올해 9월에금방개학했는데 " 침입식 " 한어교학특색이영국매체와학부모들의큰관심을받았다. (2017.11.10.) ㄷ. 몇년전한쌍의늙은부부의아들이대학을졸업하여금방북경에서취직했는데뜻밖에도음주운전하다가갑자기숨졌다. (2006.03.07.) 예 (8) 에서의 금방 역시 과거 의시점을나타내는시점부사로쓰였지만앞에서본예 (7) 의예문들과는약간의차이가존재한다. (8ㄱ) 은 금방 앞에 며칠전 이라는시점을표시하는어휘가정확하게선행하였으며 (8ㄴ) 은 11월에기재된기사인데기사내용에서 2개월이지난과거시점을 금방 으로표현하고있다. (8ㄱ) 과 (8ㄴ) 과같은경우 금방 은시간길이가 며칠전 심지어 몇개월전 까지도될수있다. (8 ㄷ ) 은앞예문들처럼문장에서명확히과거시점을나타내는어휘가없으나문맥상 취직 을한지가적어도발화시나사건시를기준으로하였을때그며칠사이는아닌것을알수있다. 예 (8) 의경우 금방 은 시간적인접성 의기능에서 가까운과거 를나타내는기능까지그기능이확대된것으로보인다. - 23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10) ㄱ. 사실아이들은함께놀면서다투는것은그무슨근본적인리해충돌이있어서가아니다. 다툴때뿐이지시간이지나면언제그랬나싶게금방친해진다. (2007.06.13.) ㄴ. 사람이만져보아도금방알아낼수있을정도로허술한것이였고... (2007.01.29.) 예 (10) 과같은예문에서 금방 은더이상 시간적인접성 을명시하는시점부사의기능을하지않는다. (10ㄱ) 과 (10ㄴ) 의 금방 은각각 친해지다 와 알아내다 등동사와공기하였는데이경우 금방 은전체문장사태의시점을한정하여가리키는역할을하는것이아니라, 공기하는용언을한정하는기능을하고있다. 즉 (10ㄱ) 은 빨리친해진다 의의미로 (10ㄴ) 은 빨리알아낸다 의의미로사용되고있으며이경우 금방 은시점부사가아닌기간부사의기능으로문장에서동사가나타내는의미가달성되기까지짧은시간이걸렸다는것을나타내고있다. (11) ㄱ. 한달남짓사이촌면모일신왕문충이금방왔을때촌에는집체자금이없었으며빚만해도 3만원이있었다. (2007.11.21.) ㄴ. 금방연길에왔을때는아는사람도별로없고일자리도없어살길이막막했다. (2007.12.20.) ㄷ. 지난해금방활동을시작했을때학생들의독서흥취를불러일으키기위해먼저한국만화책으로도서실을장만, 점차학생들의발걸음이도서실을향하게되자 (2008.04.30.) 예 (11) 의경우 금방 은 금방오다, 금방시작하다 와같은절에서사용되고있다. 여기서 금방 은사태가발화시혹은사건시를기준으로 시간적인접성 이있는 과거 의시점을나타내는시점부사로해석될가능성이있다. 하지만예 (11) 의예문들을볼때 금방 은시간선상에서시간을어느한점인시점을가리키기보다는기준시의그무렵을가리키는선의개념으로이해하는것이더자연스럽다. 즉예 (11) 의경우 금방 은어떠한시기나과정의첫무렵이라는시점보다는큰범위의시간범주를가리킨다고보아야할것이다. 지금까지살펴본연변방언 금방 의의미는다음과같다. 첫째는기준시와관련하여인접한미래를나타내는경우이고, 둘째는기준시와관련하여인접한과거를나타내는경우이고, 셋째는기준시와관련하여가까운과거를나타내는경우이다. 첫째부터셋째까지의경우모두 시간적인접성 에의한시점부사의의미의구체화라고한다면, 넷째는짧은시간동안을나타내는기간부사의기능을하는경우이고, 다섯째는시기나과정의초기단계를나타내는경우이다. 4. 표준어와연변방언에서나타나는 방금 의의미 이장에서는표준어와연변방언에서나타나는시간부사 방금 의의미를살펴볼것이다. 앞서 금방 의의미에대해고찰한것과동일한방식으로사전에서의정의를먼저살펴보고, 방금 이사용되는용례들을검토할것이다. - 234 -
의미지도를이용한시간부사 금방, 방금 의의미연구 : 표준어와연변방언을중심으로 4.1 표준어에서나타나는 방금 의의미앞서언급하였듯이 < 표준국어대사전 > 에서는 금방 과 방금 을유의어로다루고있으며, 발화시와관련하여바로조금전과바로조금후, 발화시와동일한시점모두를가리킨다고기술하고있다. 부사로만쓰이는 금방 과는다르게 방금 은명사와부사로모두쓰이는다품사어로제시되었다. 그러나이사전에서발화시와동일시점을가리키는예문으로제시된 방금도비행기가폭음을내며날아가고있다 나, 발화시의바로조금후의시점을가리키는 방금주먹질을할듯이코앞에다삿대질을해댄다 라는예문의수용가능성에대해서는조금미심쩍다. 코퍼스에서검색된 방금 의대다수의용례가기준시현재와인접한과거를가리키고있으며, 사전에서제시된용례또한 방금도비행기가폭음을내며날아갔다 와같이 방금 과호응하는시제형태소를과거시제를가리키는 -었- 으로교체하거나, 금방주먹질을할듯이코앞에다삿대질을해댄다 처럼다른부사로교체하는것이훨씬자연스럽게느껴지기때문이다. < 고려대한국어대사전 > 과 < 연세한국어사전 > 에서는 방금 의의미를기준시와관련하여인접한과거를가리키는의미만을제시하고있다. 4) [ 표 3] < 연세한국어사전 > 에서 방금 의뜻풀이 어휘뜻풀이용례 방금 ( 方今 ) 바로조금전. 방금뭐라고하셨지요? (12) ㄱ. 방금나간사람이누구지? ㄴ. 방금전에한남자가꽃을배달시켰어요. ㄷ. 그는방금무슨일이일어났는지이해할수없었다. ㄹ. 방금의소란은무엇때문이지? (12) 에제시된예문은시간부사 방금 이사용되는전형적인용례들을보인것이다. 방금 은위용례에서처럼발화시나사건시를기준으로하여바로인접한과거에벌어진일임을명시하는기능을갖는다. 방금 은 (12ㄴ ) 에서처럼명사전 ( 煎 ) 바로앞에쓰여바로이전시점에일어난일임을강조하기도한다. (12ㄹ ) 은 방금 의명사적인용법으로조사 의 앞에선행하는예이지만그의미는 방금일어난소란 에대한것으로역시발화시와인접한직전과거를가리키는것으로볼수있다. 그러나다음의용례에서 방금 이기준시에인접한과거를가리키는시점부사인지에대해서는재고의여지가있다. (13) ㄱ. 그나쁜열매는방금의이땅을덮고있는재난과비참으로여겨졌다. ㄴ. 세계인심이급속도로악화하는것은방금눈앞에보고있는일이다. 4) 말뭉치용례분석을바탕으로한연구인봉미경 (2005) 에서는 방금 이기준시이전시점을나타내는용례가높은빈도를보이고있음을밝히고있다. - 23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13) 에제시된용례는코퍼스에서도매우소수의예만발견되는경우로 방금 이기준시와일치한현재시점을가리키는경우이다. 이러한용법에서 방금 은 오늘날, 지금 과같은다른단어로대치할수있다. 여기서나타난 방금 은기준시와일치한현재시점을가리키고있긴하지만시간선상에서하나의점으로존재한다기보다는현재의무렵을가리키는선의개념으로이해되어야할것이다. 이절에서살펴본 방금 의시간적의미는다음과같다. 첫째는기준시와관련하여인접한직전과거를나타내는경우이고, 둘째는소수의예들에서나타나는기준시와동일한시간을가리키는경우이다. 이두가지의미는모두 방금 이가지는핵심적인의미인 시간적인접성 과관련하여이해할수있다. 4.2 연변방언에서나타나는 방금 의의미표준어와마찬가지로연변방언에서도시점부사 방금 의사용빈도가아주높다. 연변방언에서 방금 의의미를알아보기위해서우선 < 조선말사전 > 에서의 방금 의뜻풀이를중심으로하여살펴보되실제연변일보등신문기사나소설등에나타나는연변방언의용례를찾아구체적인쓰임을통해그의미를검증해야한다. 우선 < 조선말사전 > 에서 방금 의뜻풀이는다음과같다. [ 표4] < 조선말사전 > 에서 방금 의뜻풀이 어휘 뜻풀이 용례 방금 ( 方今 ) [ 부 ] 바로지금또는바로조금전. ~ 직장에서오는길이다. [ 표4] 와같이 < 조선말사전 > 에서 방금 을 < 바로지금또는바로조금전 > 으로뜻풀이가되어있는데, 즉 방금 을발화시를기준으로하여인접한 과거 나인접한 미래 의시점을모두나타내는시점부사로보고있다. 이밖에 방금 이실제용례에서는아래와같이나타난다. (14) ㄱ. 영사로돌아오는길에서나는방금목격한사실을박효상에게반영하였다. (2016.05.16.) ㄴ. 진건부부장은 3월말에방금끝난중일한자유무역구담판은이미제1차담판을마무리했고올해에는중국과일본에서또한차례담판이진행될것이라고소개하면서관련업계에서는이미많은노력을기울였다고말했다. (2013.04.03.) ㄷ. 12.5 계획이방금시작되고있는상황에서우리당이전국여러민족인민들을단결시켜... (2011.06.22.) ㄹ. 금융위기가방금시작되던 2년전과비교하면지금우리나라경제정세가날로좋은방향으로발전하고있어... (2011.03.07.) ㅁ. 체내에산소가부족하면술에방금취하게된다. (2011.12.08.) ㅂ. 마침촌마을방금옆에송화강이흐르고있었다. (2007.03.23) - 236 -
의미지도를이용한시간부사 금방, 방금 의의미연구 : 표준어와연변방언을중심으로 예 (14) 는 방금 이실제로연변방언에서쓰인용례인데예문들중에서 (14ㄱ ) 와 (14ㄴ ) 두문장에서 방금 은모두발화시혹은사건시를기준으로과거시점을명시하는기능을하는부분에서 < 조선말사전 > 의뜻풀이와일치하다. 하지만자세히살펴보면두문장에서나타나는 방금 은모두과거를나타내는것은분명하나가리키는과거시점의시간길이에는차이가있는것으로보여같은의미로쓰였다고보기어렵다. 또한연변방언에서 방금 은발화시혹은사건시를기준으로하여과거의시점만나타낼수있는것이아니다. 예 (14ㄷ) 에서시점부사 방금 은 지금, 막 등어휘와교체가가능하며이경우어느한시점이아닌시간선상에서하나의시간선을나타내고있다. (14ㄹ) 의 방금 은어떤시기나과정의첫무렵이라는의미로사용되고있다. (14ㅁ) 과같은예문에서 방금 은더이상시간을나타내는의미로사용되는것이아니라어떤행위의신속성을나타내는의미로쓰이고있으며 (14ㅂ) 의 방금 역시시간의인접성이아닌공간의인접성을나타내는의미로쓰이고있다. 예 (14) 와같이실제예문을살펴볼때연변방언의 방금 은사전적뜻풀이이외에도여러의미로쓰이고있음을쉽게분석해낼수있다. 아래 방금 이연변방언에서나타나는각의미에대하여구체적으로분석해보도록하자. (15) ㄱ. 계집애는절로맥주컵에양주를가득채우더니건배를해왔습니다. 방금사장님은술주는세상이니술마시자고했죠. 좋아요, 술마시지않고는못사는세상, 자, 마시자요. 사장님도기분푸세요. ( 또하나의나 ) ㄴ. 방금우정국에서사람이와서그러는데네어민오늘부터집에오지못하니이불을가져오라고하더구나. ( 아, 동년 ) ㄷ. 그런데방금버스가떠나갔어요. 다음차를기다려야겠어요. ( 청춘약전 ) 예 (15ㄱ) 은 사장님이방금술을마시자고했다 라는문장에서시간부사 방금 이쓰였는데, 문맥을살펴보면이사건이이문장의발화까지의시간거리는적어도저녁술자리중에서발생한일이기때문에발화시현재와의거리가비교적짧다고보아야할것이다. 예 (15ㄴ), (15ㄷ) 의 우정국에서방금사람이왔다, 방금버스가떠났다 에서의 방금 은 막, 조금전 등어휘와교체를하여도문장의미는크게변하지않는다. 또한예문의주절에모두과거를나타내는시제가포함되어있는것으로보아사태가모두과거에일어난일임을알수있다. 따라서 방금 은발화시혹은사건시를기준으로인접한과거를나타내는기능을한다는것을알수있다. (16) ㄱ. 대학을방금졸업한그에게있어서이것은아주힘겨운일이였으나어려서부터고생속에서잔뼈를굳혀온그는두말없이이준엄한시련을이겨나갔다. (2014.05.05.) ㄴ. 사진은 1월 21일방금열린 2010년상해세계박람회특허상품플래그숍에서한여자애가말할줄아는지능해보 ( 海宝 ) 에정신이팔린모습이다. (2010.04.20.) ㅁ. 도라지 잡지는문화혁명이방금끝난 1977년 5월신상걸, 남영식, 문창남, 고신일등길림시의문학달인들의피타는노력과길림시문화국, 길림시조선족군중예술관의적극적인지원에힘입어이세상에태여났다. (2007.12.03.) - 23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예문 (16ㄱ) 의경우 대학을방금졸업하다 라는문장에 방금 이쓰였다. 이경우 방금 이가리키는시간적길이가다소주관적일수있는데졸업하자마자그자리에서당장준엄한시련이찾아올수는없는것으로문맥상 졸업한지얼마동안이지남 으로해석하는것이훨씬자연스럽다. 그렇기때문에이예문에서의 방금 은발화시혹은기준시를기준으로아주가까이인접한과거의의미라기보다는현재와일정한시간거리가있는비교적가까운과거를나타내는것으로보아야한다. 이에비해 (16ㄴ) 과 (16ㅁ) 에서의 방금 은발화시혹은사건시를기준으로가리키는시점이좀더먼시점임을명확히나타내는예이다. (16ㄴ) 은 4월말기사로서 1월 21일방금열린 과같이 3개월이지난시점에 방금 을사용하고있으며 (16ㅁ) 은 7개월이라는시점에 방금 을사용하고있다. 위의예문과같은용법은연변방언에서아주흔히나타나는현상이며이때 방금 이가리키는시점은발화시혹은사건시를기준으로조금더떨어진시점을가리키게되는데이는 방금 이기준시에서인접한과거를가리키는기능에서점차더떨어진시점까지가리키는것으로의미가확장된것으로판단된다. (17) ㄱ. 이같은착오적인사유의작간은기필코전임이방금시작한사업이중도에서포기될것이고전번기에서남겨놓은일부문제를깔아두게될것이다.(2012.04.17.) ㄴ. 이번개혁안은방금발전중인여러나라도관심있게바라보고있다.(2017.07.17.) 예 (17ㄱ) 의 사업을방금시작하다 라는절에쓰인 방금 은어느한시점을나타낸다기보다는시간선상에서시간선을나타낸다고보아야한다. (17ㄴ) 의 방금발전중의나라 라는문장에서지금한창진행함을나타내는어휘 중 ( 中 ) 이결합하여 현재이무렵 이라는의미가더욱명확하게나타난다. 이경우 방금 은더이상 시간적인접성 에의한시점부사의기능을하는것이아니라발화시혹은사건시무렵이라는의미를가지게된다. (18) ㄱ. 개혁개방이방금시작되였을때김성화부서기는몸소작가들을조직하여개혁개방의제1 선에내려가생활체험을하면서글을쓰게했다.(2007.04.20.) ㄴ. 금융위기가방금시작되던 2년전과비교하면지금우리나라경제정세가날로좋은방향으로발전하고있어... (2011.03.07.) 예 (18) 의경우모두 ~ 이시작되다 라는문맥에서 방금 이쓰이고있다. 이경우모두동사 시작되다 의과거형과결합하였는데 방금 은 시작하였을때 의의미를가지고있어이경우 방금 은과정이나시기의초기단계라는의미를나타내게된다. (19) ㄱ. 죽은피부세포가방금떨어지지않고새로운피부를생성하는량이조금감소된다. (2018.02.06.) ㄴ. 사실이소문이방금거짓임이드러날걸알면서도장소장은입을닫았다고한다. (2018. 05.14) - 238 -
의미지도를이용한시간부사 금방, 방금 의의미연구 : 표준어와연변방언을중심으로 예 (19) 에서 방금 이쓰인문장의주절은각각용언의무표적형태와 -ㄹ 이결합한미래형과결합하였기때문에이때 방금 을 과거 를나타내는시점부사로보는것은일차적으로무리해보인다. 또한문맥을살펴볼때 (19ㄱ) 은 죽은피부세포가방금떨어지지않는다 로해석할수있는데이때 방금 은 죽은피부세포가떨어지지않는다 라는문장전체를한정한다라고보기보다는 떨어지다 라는동사만한정한다고보는것이더자연스럽다. (19ㄴ) 역시 소문이방금들어나다 라는문장에서 방금 은 드러나다 라는동사만한정한다고보아야할것이다. 예 (19) 에서의 방금 은용언앞에서용언만을한정하며이경우에는용언자리에오는행위의 시간의짧음 을나타내게된다. (20) ㄱ. 마침촌마을방금옆에송화강이흐르고있었다. (2007.03.23) ㄴ. 해성교라고부르는이구름다리방금밑에큰길을마주하고덩그렇게서있는빌딩하나,...(2008.02.19.) 예 (20) 에서 방금 은방위명사앞에선행하며이때는 바로 로교체되어도문장의의미가변하지않는다. 이와같이방위명사와공기하여쓰일때 방금 은 공간적인접성 을나타내는기능을하는데이는 시간적인접성 을나타내는기능에서파생된것으로볼수있다. 연변방언에서 방금 은문장에서사태를발화시혹은사건시와인접한과거이거나조금먼과거의일임을명시해주는기능을한다. 그밖에시간선상에서발화시혹은사건시의현재무렵을가리키거나, 어떤시기나과정의초기단계를가리키기도한다. 또다른용법으로서술어가묘사한행위를달성하는데시간이짧게걸렸다는것을나타내기도한다. 마지막으로 시간적인접성 을나타내는용법으로부터 공간의인접성 을나타내는용법으로까지의미가확장되었다. 5. 의미지도를이용한표준어와연변방언의 방금, 금방 의의미비교 의미지도는다의성을지닌언어형식에대한연구를통하여개념들간의연관성과차이점을탐색하고이를 지도 라는 2차원공간위에구현하고자하는이론이다. 현재의미지도를이용한연구는범언어적연구이거나, 서로완전히다른언어내의언어형식을연구하여연관성을탐색하는것이주를이루고있으나의미지도는반드시범언어적연구를전제로하는것은아니다. 만약한언어내에여러가지언어형식이유사한개념들을표현하고있다면역시연구대상이될수있다. 의미지도를이용한표준어와방언의비교연구는근래중국학자들에의하여많이연구되고있다. 張敏 (2008) 에서는중국쉬저우 ( 徐州 ) 방언을중심으로기타방언언어자료를이용하여도구격관련개념공간의미지도를구축하였다. 그결과중국내많은방언은도구 (instrumental) 와처치 (pretransitive) 를동일한표지로나타내는현상을발견하였다. 또한 Haspelnath(2003) 가구축한도구격관련개념공간의의미지도에중국방언을대입하여봄으로써중국어에만있는처치식이도구와수혜자 (benificiary) 사이에위치한다는결과를얻어냈다. 翁姗姗, 李小凡 (2010) 은표준중국어 掉 ( 버리다 ) 가각방언에서대응되는언어형식을선정하고그기능을확정하여개념공간의미지도를구축하였는데이의미지도를통해분리이동을나타내는동사가 - 23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완료까지변화하는과정을알수있다. 李知恩 (2010) 에서는방언을고찰하여양사의기능을 14가지로확정짓고의미지도를구축하였다. 그결과양사의기능이어떠한경로와기제를통하여확장되었는지에대한통시적자료가부족한상황에서양사의기능에대한의견이여러가지추측이있던것으로부터의미지도를통하여양사의한정표지기능과한정어표지기능간에함축관계가있으며양사가한정어표지기능을하는방언에서는양사가반드시한정표지기능을담당하는것으로보아한정어표지기능은한정표지에서유래하였을것이라는견해에힘을싣게되었다. 이절에서는의미지도를사용하여표준어와연변방언에서보이는 금방 과 방금 의의미영역을서로비교해볼것이다. 금방 과 방금 의의미지도는이들이나타내는핵심의미인 시간적인접성 을근간으로하여시간선상에서나타내는기준시현재와가까운과거와미래를한축으로삼고, 시간적인접성 의개념에서발달한 금방 과 방금 이보이는다의의양상들을가지로연결하여제시하였다. 두개의부사들이두개의방언권에서보이는다의의양상을그림으로나타내는것을통해서이들이가지는의미적특징을비교해볼것이다. 5.1 표준어에서나타나는 금방, 방금 의의미비교 앞서정리한표준어에서나타나는 금방, 방금 의의미는아래와같이정리할수있다. [ 표5] 표준어에서 금방 과 방금 의의미 의미 금방 방금 가까운과거 현재와인접한과거 O O 현재의무렵 O 현재와인접한미래 O 가까운미래 짧은시간동안 O 시기나과정의첫무렵 공간의인접성 방금 과 금방 은발화시및사건시를기준으로시간적으로인접한과거나미래, 혹은현재의무렵에사건을위치시키는기능을갖는다. 그러나 금방 은기준시현재를나타내지않고기준시와인접한과거나미래를가리킨다는점에서기준시와인접한 과거 및기준시현재의그무렵을나타내는 방금 과차이가있다. 또한 금방 은문장에서나타내는사태의시간선상의위치를표시해주는기능외에도서술어가나타내는내적인시간이짧은시간동안이루어졌다는것을가리키는기능을갖는다. 금방 과 방금 은기준시현재와인접한과거를가리킨다는점에서공통되지만, 모든맥락에서서로교체하여사용될수는없다. 말뭉치용례분석을바탕으로한연구인봉미경 (2005) 에서는 방금 과 금방 이유의관계를가지는것은발화시이전시점을나타내는경우이며, 발화시이전시점을나타내는경우에도 방금 과 금방 이항상교체되어쓰일수있는것은아니라고하였다. 또한 금방 이사용된용례들중에서 방금 으로교체하여자연스러운문장을발견하기가쉽지않다고하며아래의문장을예로들었다. - 240 -
의미지도를이용한시간부사 금방, 방금 의의미연구 : 표준어와연변방언을중심으로 (21) ㄱ. 엄마금방 /? 방금갔다올게. ㄴ. 갔다금방 /? 방금오세요? ㄷ. 변신을하면그건금방 /* 방금잊혀질것같아요. ㄹ. 좋은아이들이니까금방 /* 방금회복될거예요. ( 봉미경2005:123) (21) 에서제시된문장에서사용된 금방 의의미는두가지차원으로구분할수있다. 하나는기준시현재와인접한과거인특정시점을가리키는것이고다른하나는서술어가나타내는행위가짧은시간내에달성되었다는것을가리킨다. (21ㄷ, ㄹ ) 은후자에해당하는것으로, 본고에서시점부사가아닌기간부사의용법으로구분한것이다. 위에제시된 [ 표4] 에서 방금 은 금방 과같은기간부사가의미하는 짧은시간의동안 을가리키는기능을하지않기때문에 금방 을교체하여사용될수없다. (21ㄱ, ㄴ ) 문장의부자연성은 금방 과 방금 이가리키는의미영역의차이와관련된다. 금방 은기준시와관련하여인접한과거와, 인접한미래모두를가리킬수있지만 방금 은기준시현재와기준시와인접한과거만을가리킬수있다. (21ㄱ) 은문장에서나타내는사태가발화시이후에대한것이기때문에 발화시와인접한미래 를가리키는기능이없는 방금 을사용하면부자연스럽게느껴진다. (21ㄴ) 은문장의시제자체가현재시제로실현되어조금어색한느낌을준다. 이문장이비문이아니라수용가능한문장으로다루어진것은문어가아닌구어에서발화된문장이기때문이다. 금방 과 방금 의시간부사가자연스럽게교체가능한맥락은기준시와관련한직전과거를가리키는경우이기때문에, 보통문장에서시제형태소가 -었- 으로나타난다. 또한 (21ㄴ) 의 금방 은시점부사로도기간부사로도모두해석가능하다. 만약 (21ㄴ) 를기간부사에해당하는예문으로보고, 화자가청자에게화자가청자에게어떤장소에갔다가돌아오는시간의길이 (duration) 이짧은지를묻는것이라면 금방 만사용될수있다. 표준어에서나타나는 금방 과 방금 의의미영역을의미지도내에서살펴보면아래와같다. - 24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5.2 연변방언에서나타나는 금방, 방금 의의미비교 앞서살펴본연변방언에서 금방 과 방금 의의미는아래와같이정리할수있다. [ 표 6] 연변방언에서 금방 과 방금 의의미 의미 금방 방금 가까운과거 O O 현재와인접한과거 O O 현재의무렵 O 현재와인접한미래 O 가까운미래짧은시간동안 O O 시기나과정의첫무렵 O O 공간의인접성 O 방금 과 금방 은발화시혹은사건시를기준으로인접한과거나인접한미래, 혹은가까운과거나, 현재무렵등시점에사건을위치시키는기능을가진다. 그러나동일한시점부사의기능을하는경우 방금 은기준시의현재무렵을가리킨다는점과, 금방 이기준시와인접한미래를가리킨다는점에서두단어는서로차이가존재한다. 또한 방금 은 시간적인접성 의용법으로부터점차 공간적용법 으로의의미확장이일어났다는점에서도 금방 과차이를보이고있다. 금방 과 방금 은기준시현재와인접한과거이거나가까운과거를가리킨다는점에서공통된다. (22) ㄱ. 내금방 / 방금쌰발할때두리처장반공실에불이켜져있었소. ㄴ. 영희가결혼한지금방 / 방금세달밖에안됐는데발써이혼한다구난리다 (22ㄱ) 은 금방 과 방금 이기준시와인접한과거를나타내는것이고 (22ㄴ) 은기준시와가까운과거를나타내는예문이다. 예문과같이기준시와인접한과거를나타내거나가까운과거를나타내는경우 금방 과 방금 은서로교체되어도문장이자연스럽다. 하지만기준시와가까운과거를나타내는경우두단어는실제연변방언화자들의선택에있어차이를보이는데기준시에서가까운과거를나타내는경우연변방언화자들에게설문조사 5) 를진행한결과 60명중 49명이 금방 을선택했고, 11명이 방금 을선택하는결과를얻었다. 연변방언에서 금방 과 방금 은모두기준시에서가까운과거를나타낼수있으며교체하여사용하여도문맥에서부자연스러움이없지만연변방언화자들은 금방 을더선호한다. 연변방언에서의 금방 과 방금 의의미역역을의미지도내에서살펴보면다음과같다. 5) < 가까운과거 > 를나타내는시점부사 금방, 방금 의실제용법을알아보기위하여연변방언화자에게 몇개월전에결혼한영희에대해서친구와대화할때 라는상황을제시하고선택항 : ( 가 ) 영희금방결혼했재야 / ( 나 ) 영희방금결혼했재야 중에서가장자연스러운표현을선택하게하였다. - 242 -
의미지도를이용한시간부사 금방, 방금 의의미연구 : 표준어와연변방언을중심으로 [ 표 7] 연변방언에서 금방 과 방금 의의미지도 5.3 의미지도를이용한표준어와연변방언의 방금, 금방 의의미비교 앞서살펴본표준어와연변방언의의미영역을하나의의미지도내에서살펴보면다음과같다. [ 표 8] 표준어와연변방언 금방 과 방금 의의미지도 - 24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표준어혹은연변방언을막론하고 금방 과 방금 은발화시혹은사건시를기준으로화자가시간개념을나타낼때 시간적인접성 이라는공통점으로유의어로사용된다. 표준어와연변방언의 금방 과 방금 은이러한 시간적인접성 에서부터모두발화시혹은사건시를기준으로인접한과거이거나인접한미래의시점을명시할수있는의미로의미가확장되었다. 그러나표준어의 금방 과 방금 은기준시와인접한과거로의미가확장된반면, 연변방언의 금방 과 방금 은기준시와좀더멀리떨어진가까운과거의시점까지도명시할수있게의미확장의폭이표준어보다넓은것을발견할수있다. 이밖에표준어와연변방언의 방금 은모두기준시의현재무렵이라는의미로사용될수있는데이경우 방금 은 시간적인접성 에의하여시간선상의특정한점인시점을명시하던것에서기준시와인접한시간선상의선 ( 線 ) 을나타내는것으로의미가파생되었다. 또한 방금 은한자어부사이기때문에한문의영향을받았을가능성도존재한다. 方今 은 현재, 오늘날 의의미를가지고있는데이런용법은현대중국어에서도빈번히사용되고있다. 표준어의 금방 과연변방언의 금방, 방금 은기준시와시간적으로인접한사건임을명시하는 시점부사 로의기능외에, 문장의동사가나타내는의미가달성되기까지짧은시간이걸렸음을나타내는 기간부사 의기능도있다. 종합하여볼때, 연변방언의 금방 과 방금 은시점부사로서기준시와인접한과거를나타낼때표준어 금방 과 방금 에비하여그의미영역폭이넓다. 뿐만아니라연변방언의 금방 과 방금 은시점부사의기능이아닌시기나과정의첫무렵을나타내거나, 공간적인접성을나타내는기능도하고있는것으로보아표준어의 금방 과 방금 보다는의미확장이더많이일어났음을알수있다. 또한연변방언의 금방 과 방금 은 시간적인접성 을나타내는시점부사의기능으로부터파생된의미들에서는서로교체하여사용할수있다. 6. 결론 본고에서는흔히시점부사로분류되는 금방 과 방금 의표준어와연변방언에서의의미영역을의미지도를도입하여보다명시적으로비교하였다. 본고에서는표준어와연변방언에서 금방 과 방금 의의미를구체적인예문을통하여살펴보고각각공통점과차이점을밝혔으며뿐만아니라표준어와연변방언에서의의미영역의차이점을의미지도를통하여명시하였다. 결과적으로표준어와연변방언의 금방 과 방금 은기준시로부터 시간적인접성 을가진시점을나타낼수있다는공통점이존재하며, 시간적인접성 에의하여의미확장이일어났음을밝혔다. 연변방언 금방 과 방금 의경우표준어와비교하였을때기준시와인접한과거를나타내는의미영역이더넓음을밝혔다. 연변방언의 금방 과 방금 은시점부사로서의기능에서표준어보다의미영역이넓어졌을뿐만아니라 시간적인접성 에서 시기나과정의첫무렵, 공간적인접성, 행위의달성까지걸리는시간이짧음 등의미로도파생되어널리사용되고있음을밝혔다. - 244 -
의미지도를이용한시간부사 금방, 방금 의의미연구 : 표준어와연변방언을중심으로 참고문헌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09).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서울 :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국립국어연구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 두산동아김민수 (1971). 국어문법론 ]. 서울 : 일조각. 김선희 (1973). " 현대국어의시간어연구." 연세대학교박사학위논문. 나은영 (2002). " 방금 과 금방 의의미고찰." 태릉어문연구 ( 서울여자대학교인문과학대학국어국문학과 ) 10. 85-97. 민현식 (1990). " 국어의시상과시간부사 : 시제, 상, 서법 3원적해석론 ". 국어교육 ( 한국국어교육연구회 ) 69. 15-42. 민현식 (1998). " 시간어의낱말밭 ". 한글 ( 한글학회 ) 240. 323-354. 박진호 (2007) " 유형론적관점에서본한국어대명사체계의특징." 국어학 ( 국어학회 ) 50. 115-147. 박진호 (2012). 의미지도를이용한한국어어휘요소와문법요소의의미기술. 국어학 ( 국어학회 ) 63. 459-519. 박진호 (2015). 언어유형론이한국어문법연구에계시하는것들. 일어일문학연구 ( 한국일어일문학회 ) 94-1. 3-27. 박진호 (2016). 단의와다의 : 문법화와유형론의관점에서. 윤평현선생정년퇴임기념논총2: 국어의미론의심화 ( 윤평현선생정년퇴임기념논총간행위원회 ) 189-217. 봉미경 (2005). 시간부사의어휘변별정보연구 : 유의어 방금 과 금방 의분석을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 연세대학교언어연구교육원한국어학당 ) 30. 113-139. 봉원덕 (2004). " 시간부사의상적의미표현양상." 語文硏究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32. 187-209. 翁珊珊 李小凡 (2010). " 从語義地图看现代汉語 掉 類词的語義关联和虚化轨迹." 語言学论丛 第 42 辑. 61-80. 손남익 (1995). 국어부사연구. 서울 : 박이정손남익 (2016). " 부사의의미론 : 어휘적관점에서." 한국어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 52. 139-161. 연세대학교언어정보개발연구원 (1998). 연세한국어사전. 서울 : 두산동아. 연변인민출판사 (1983). 조선말대사전. 중국 : 연변인민출판사. 吳福祥 (2018). " 의미지도와문법화." 中國語文論譯叢刊 ( 중국어문논역학회 ) 42. 351-378. 우인혜 (1991). " 우리말시제 / 상표현과시간부사." 한국언어문화 ( 한국언어문화학회 ) 9. 161-200. 이석규 (1988). " 시간부사의미연구를위한시론." 先淸語文 ( 서울대학교국어교육과 ) 16. 364-379. 이인성 (1986). " 방금 과 금방 의의미 : 현재의시간부사를중심으로." 태릉어문연구 ( 서울여자대학교인문과학대학국어국문학과 ) 3. 1-8. 李知恩 (2010). " 量词的跨语言研究." 北京大学博士学位论文. 이지은 (2013) " 언어유형론의새로운접근 : 의미지도모형 (Semantic Ma Model) 을통한범언어적연구 ( 上 )." 중국어문학논집 ( 중국어문학연구회 ) 79. 235-255. 이지은 (2013) " 언어유형론의새로운접근 : 의미지도모형 (Semantic Ma Model) 을통한범언어적연구 ( 下 )." 중국어문학논집 ( 중국어문학연구회 ) 81. 223-250. 林素廷 (2013). " 從語義地圖模型看漢語介詞與韓國語副詞格助詞." 中語中文學 ( 한국중어중문학회 ) 56. - 24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643-669. 임채훈 (2003). 시간부사의문장의미구성. 한국어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 12. 155-170. 张敏 (2008). " 汉语方言处置式标记的類型学地位及其它." 北京大学中国语言学研究中心演讲稿. 2008.1.8. 장채린 (2013). " 시간부사 이미 연구." 한국어의미학 ( 한국어의미학회 ) 42. 269-295. 최현배 (1937/1961). 우리말본 ( 개정판 ). 서울 : 정음사. 홍종선 (1991). " 국어의시간어연구 : 시간부사를중심으로." 民族文化硏究 ( 고려대학교민족문구소 ) 24. 223-245. Haselmath, Martin. 1997. From sace to time: temoral adverbials in the world s languages. Munich: Lincom Euroa. - 246 -
의미지도를이용한시간부사 금방, 방금 의의미연구 : 표준어와연변방언을중심으로 에대한토론문 김인균 ( 신라대 ) 이발표는다음내용으로구성되어있다. 1) 의미지도를이용하여한국어와연변방언의시간 [ 시점 / 기간 ] 부사 금방 과 방금 의의미영역을비교해봄. 2) 발화시혹은사건시현재와관련하여사태의 시간적인접성 을공통적으로나타내는 금방 과 방금 의의미확장적용법을의미지도내에서다룸. 3) 표준어에서나타나는 금방 과 방금 의의미영역에서의차이뿐만아니라연변방언에서나타나는의미영역간의차이에대해살핌. * 질의 *( 일부표기표현오류는무시함.) 1) (5)~(11) 사례를통해제시한, 연변방언에서나타나는 금방 의다섯의미 (8쪽) 는표준어에서도나타나는의미가아닌지요? 2) (14)~(20) 사례를통해제시한, 연변방언에서나타나는 방금 의다섯 ( 혹은여섯 ) 의미 (12쪽) 는표준어에서도나타나는의미가아닌지요? ( 연변방언에비해표준어 ( 한국어 ) 의 금방, 방금 논의및사례가적어그의미를확정하기어려운바,) 피상적으로나마 < 표준국어대사전 > 기술및용례, 선행연구의다양한시각에기반할때표준어와연변방언의 금방, 방금 에대한유의미한의미차이를인정할수있는지요?( 토론자판단으로, (5)~(20) 의많은사례들이 ( 선호도의차이 ( 및일부직관의차이 ) 는있을지모르나 ) 표준어 ( 한국어 ) 에서도가능합니다. 이는발표자도 5.1의기술및의미지도를통해인정하고있습니다.) 이와관련하여, 5.1의기술과의미지도를참조할때 [ 표5] 가그내용을제대로반영한것인지검토바랍니다. - 247 -
3) (12) 방금전에, 방금의소란 ((20) 방금옆에, 방금밑에 ) 의 방금 의품사를무엇으로보는지요? 4) 첨언하자면, 방금 ( 方今 ) 의중국어 ( 한문 ) 용법영향에대한면밀한대조분석이좀더이발표에도움 이되리라판단합니다. - 248 -
고급한국어학습자의메타언어개념화양상연구 - 이유표현 - 어서 와 - 으니까 의개념화양상을중심으로 - 박민신 ( 서울대 ) 1. 서론 본연구는한국어이유표현 -어서 와 -으니까 의의미를설명하는과정에서사용된고급한국어학습자의메타언어사용양상고찰을바탕으로한국어문법교육의방향을탐색하는데목적이있음. 실생활의사소통능력을강조하는한국어문법교육에서는 품사, 형태소, 관형사 와같은문법용어의개념이해자체가교육의목표가아니기때문에학습자가메타언어의개념을명확하게인식하고있는지에관한문제는상대적으로간과되어왔음. 그러나메타언어의선택과개념화양상은문법사용에직접적인영향을미침. 친숙한맥락에서의자동화된문법사용과정에는메타언어의개념화양상이용인가능성이높은문법사용에크게관여하지않지만, 특정한의도를표현해내고자선택가능한문법항목들의의미와용법을비교하는과정에서는메타언어적지식이요구됨. 특히특정문법항목의의미를규정하는메타언어의개념은학습자에의해선택되고, 초점화되고확장되기때문에학습자가사용하는메타언어의이해는학습자언어를이해하는데중요한역할을함. 2. 메타언어의개념 메타언어 (metalanguage) 는 언어에대하여기술하는기능을하는언어. 언어 의범위를규정하는방식과기술하는내용에따라메타언어의개념이다층적으로정의될수있음. 기술의대상이되는언어의범위에따라 school 은학교라는의미입니다, 으로인해는주로뉴스, 신문, 발표등격식적인담화상황에서주로사용된다. 와같이단어나표현수준에서단어와표현의의미와용법등에대해서기술을하는메타언어, 지금까지설명한내용이모두이해되나요?, 다시한번말해주세요. 와같이담화수준에서담화의조직, 구성, 진행에관련된메타언어로구분할수있음. 본고에서는한국어학습자의문법항목의용법과의미이해양상에관해주목하기때문에담화의운용이아닌전자, 즉단어와표현에대하여기술하는기능을하는메타언어에제한하여논의하고자함. - 24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제2언어문법교육에서메타언어연구는메타언어적지식이언어숙달도 (proficiency) 에미치는영향관계에대한논의에집중되어왔음 (Alderson et al., 1997; Elder et al., 1999; Elder & Manwaring 2004; Roehr, 2007; Venuti, 2015; 권선희, 2017; 황선유, 2013 등 ). 따라서 메타언어 라는용어보다는형태 통사적제약, 의미 화용적정보를포함하여용인가능성이높은문법사용에관여하는일체의명시적지식 (explicit knowledge) 으로이해되는포괄적인개념을칭하기위해 메타언어적지식 (metalinguistic knowledge) 이라는용어를사용함. 본연구는명시적문법지식에대한메타적인식에초점이있는것이아니라, 학습자가문법항목의의미를규정하는데사용하는메타언어의선택과개념화양상에초점이있기때문에 메타언어 라는용어를사용하고자함. 문법항목의메타언어는문법항목의의미에대하여기술하는언어로서, 학습자가의식적으로인식 (awareness) 이가능하고, 이를언어화 (verbalization) 할수있어야함을전제함. 메타언어는다시 이유, 목적, 비교 와같이문법항목의의미범주에대해서기술하는거시적층위와 주관적, 격식적 과같이특정의미범주내의다른문법항목들과구별되는명세화된의미에대해서기술하는미시적층위로구분될수있음 1). 본연구에서는메타언어의개념화양상이유사한의미를표현할수있는문법항목의선택적사용에미치는영향을고찰함으로써학습자언어에대한이해를도모하는데목적이있기때문에문법항목의명세화된의미기술에사용되는메타언어에주목하고자함. 3. 연구방법 본연구의목적이고급한국어학습자의메타언어사용양상을파악하는데있기때문에연구자와연구참여자가분리된자가평가나문법숙달도의정량적평가를통해서는다층적인양상을추론해내는데한계가있음. 따라서본연구에서는사례연구 (case study) 방법에기반하여연구참여자의메타언어사용양상을고찰. 연구참여자들의실제적이고구체적인메타언어사용양상을파악하기위해 4가지유형의문법산출유도과제와연구참여자들의문법학습경험을파악하기위한반구조화된인터뷰로구성된면대면심층면담을 < 표 1> 과같이설계하여수행함. 1) 연결어미의메타언어적절성과메타언어선택의기준에대해논의한박재연 (2011) 과한국어교육문법에제시된의미범주의타당성을논의한박민신 (2018) 은전자, 즉거시적정보측면에집중한연구이며, 반대로문법교육방법론구안의측면에서메타언어를상황제시를위한메타언어, 화행기능중심의메타언어, 화용적상황및화자, 청자의감정과의지를보여주는메타언어로구분한홍윤기 (2006) 는후자, 즉용인가능성이높은문법사용을위해요구되는명세화된정보의측면에집중한논의이다. - 250 -
고급한국어학습자의메타언어개념화양상연구 : 이유표현 -어서 와 -으니까 의개념화양상을중심으로 분류 과제 문항수 A 한국어학습배경및문법학습 사용경험인터뷰 17문항 B 담화완성테스트 제시된명제내용을조합하여상황에적합한표현구성하기 16상황 33문항 C 문법성판단테스트1 제시된표현의용인가능성판단하기 52문항 D 문법성판단테스트2 제시된표현의의미차이설명하기 13문항 E 문법성판단테스트3 제시된의도에적합한표현고르기 6문항 < 표 1> 문법생산유도과제목록 한국어교육과정을고급까지이수한학습자중에서한국어문법지식체계화의주요자원인명시적문법정보학습경험과실생활의사소통에서의한국어경험을기준으로목적적사례표집방식에의해 5명의연구참여자를선정. 2017년 6월 30일부터 8월 31일까지 17회약 58시간 45분에걸쳐개별적으로면대면심층면담실시. 분류 국적 모어 한국어한국학습기간거주기간 직업 가 중국 중국어 10년 8년 박사수료 ( 한국문학교육전공 ) 나 이집트 아랍어 8년 1개월 한국어과교수 다 미국 영어 6년 2년 석사재학 ( 민속학전공 ) 라 말레이시아 중국어 / 영어 5년 4년 학부재학 ( 재료공학전공 ) 마 이집트 아랍어 3년 5개월 학부재학 ( 한국어전공 ) < 표 2> 연구참여자정보 면담의전과정은연구참여자의동의하에녹취하였으며 (SONY ICD-TX650), 녹취한녹음파일은워드파일로전사한후 (460,784자) 질적분석프로그램 Nvivo 11.4를사용하여분석. 4. 고급한국어학습자의메타언어개념화양상 고급한국어학습자가사용하는메타언어의특성을이해하기위해일상생활에서의사용빈도가높고, 초급과정에서부터지속적으로노출되어친숙함에도불구하고형태 통사적제약에제한된문법교육내용으로인해용인가능성이높은사용을위해서는적극적인문법지식의정교화가요구되는이유표현 -어서 와 -으니까 를중심으로메타언어의선택과메타언어개념의정교화양상을고찰하고자함. 4.1. 메타언어의선택양상 -어서 와 -으니까 의경우초급과정에서제시되는이유표현으로서, 구어에서빈번히사용된다는공통점을가지고있음에도불구하고형태 통사적제약에두드러지는차이가있어, 교육문법에서일반적으로두표현을대립적으로비교하여제시함. 실제교재에제시된 -어서 와 -으니까 의문법정보를살펴보면다음의 < 표3> 과같이주로대조적인형태 통사적정보가주요내용임을확인할수있음. - 25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교재과문법항목문법정보 A 교재 B 교재 1 권 12 과 - 어서 2 권 5 과 - 으니까 1 권 7 과 - 어서 1 권 7 과 - 으니까 이유나근거를나타낼때사용한다. 형용사, 동사와결합한다. 명사의경우에는 ' 이라서 / 라서 ' 를사용한다. 명령문이나청유문은 '- 아서 / 어서 ' 의후행절이될수없다. 앞의내용이뒤에오는내용의이유나근거임을나타낸다. 형용사, 동사, 명사와결합한다. 후행절제약이없다. 과거를나타내는 '- 었 / 았 -' 과함께쓸수있다. 공손하게이유를설명해야하는경우 '-( 으 ) 니까 ' 를사용하면어색하다. This is a connective ending is used with a verb stem to indicate that the action of the first clause is the reason for the action of the second clause. The second clause cannot contain an imperative of a propositive(let's). '- 었 / 았 / 였 -' and '- 겠 -' cannot be used in front of '- 어 / 아 / 여서 '. This is a connective ending is used with a verb stem to indicate that the reason or cause of the next clause. When the verb ends in a vowel, use '- 니까 '. When it ends in a consonant, use '- 으니까 '. < 표 3> 한국어교재에제시된 - 어서 와 - 으니까 의문법정보 -어서 와 -으니까 에대한대조적인식이고착화된학습자들은두문법항목의의미를기술하는과정에서대조적인메타언어를사용하며, 연구참여자별로문법항목의의미를설명하기위해선택하는메타언어에차이가있음. 연구참여자나, 라, 마는문법항목의의미를설명하는과정에서 - 어서 는 일반적 이라는메타언어로, -으니까 는 구체적, 개인적 이라는메타언어로, 연구참여자가는각각 주관적, 객관적 이라는메타언어를선택. 그러나동일한메타언어를선택하여사용하고있음에도불구하고학습자간메타언어인식의간극이존재하며, 메타언어개념의정교화과정에서이러한간극이극대화되어결과적으로이유표현이사용된문장의용인가능성에대한인식또한차이를보이게보임. 일반적 이라는메타언어는사전적으로 일부에한정되지않고전체에걸치는 ( 표준국어대사전 ) 이라는의미를가지고있으며, 이는특수한상황에서만혹은특정한주체에의해서만경험되거나인식되는성질의것이아님을의미함. 일반적 이라는메타언어를사용하여 -어서 의의미를규정한연구참여자나, 라, 마는공통적으로 일반적 이라는메타언어를특정한상황이나개인에국한되지않은보편적인성격의경험이나지식, 감정을가리키는용어로개념화하고있음. 연구참여자나와라의경우 -어서 를모든사람에게적용가능한 일반적 인상황에서사용되는이유표현으로, -으니까 는특정한사람한테만해당되는 구체적 인상황에서사용되는이유표현또는화자개인의독특한경험이나의견을나타내는표현으로인식. (1) 라 : -아서/ 어서 는뭔가일반적인. 구체적인상황이아닐때쓰는이유. -으니까 는훨씬더구체적인거같애요. 연 : 구체적인상황. 구체적인상황이뭐예요? 예를한번들어볼래요? - 252 -
고급한국어학습자의메타언어개념화양상연구 : 이유표현 -어서 와 -으니까 의개념화양상을중심으로 라 : 저한테만일어나는. 아냐. 말하기어렵네요, 이거. 연 : 편하게. 나한테만일어나는? 라 : 네. 특정한사람한테만일어나는그런상황. 연 : 그러면반대로이거는일반적이라는거는? 라 : 뭐가비가와서사람들다못나가고있어요. 그런일반적인상황. 연 : 그러니까나말고다른사람들이다같이? 라 : 네네. 연구참여자마의경우 -어서 는이유가되는사건이나정보자체를강조하거나, 개인적인의견임을강조하지않고상황에제한이없이사용될수있는보편적이고무표적인이유표현으로, -으니까 는나의개인적인생각, 의견을강조하는이유표현으로인식. (2) 마 : 아내가언니소개팅얘기를해서화났어? 그런거 ( -어서 를쓴이유 ) 왜냐면일반적인, 일반적인이유? 그래서썼어요. 연 : 일반적인이유? 일반적인이유가뭐야? 마 : 자연스러운이유아니면어 <3초침묵 > 간단간단하게, 간단한이유? 연 : 간단한? 마 : 아마강조할때 -기때문에 쓰고. 그일반, 일반적인이유는조건이없어요. 그음 :: -어서, -어서 제생각에는그이유생각할때첫번째떠오르는거는 -서. 왜냐하면조건이많지않아요. -니까 는자기생각하는거강조하고. -기때문에 는아좀사실강조하고, 어떤상황에서 -기때문 밖에쓸수없다고생각해요. 근데 -서 는다쓸수있다고생각해요. 어떤조건도없고그냥간단한이유? 연구참여자가의경우 -어서 와 -으니까 의의미를대조적으로인식한다는점에서는여타의연구참여자들과동일하나, -어서 를 주관적, -으니까 를 객관적 이라는대조적인메타언어를사용하여설명함. 이때, 주관적, 개인적, 직관적 이라는메타언어를유사한개념군으로인식하고있음. (3-1) 연 : 그러면가는 -어서 는언제쓰는거예요? 가 : 주관적인표현을할때. 1인칭하기는조금그렇고주관적인표현이나아니면이렇게인사할때, 인사말할때. 아니면좀직관적인그런그런뭐랄까개인적인요소를강조할때. 연 : 예를들면이이게뭘까? 인사말은알겠어, 정확히. 아까뭐고맙습니다이런거. 주관적인거는예문을하나어떤게있을까요? 딱 -어서 가들어가는주관적이라는느낌이오는예문. 가 : 다리가아파서더이상올라갈수가없어요. 연 : 다리가아파서. 그러면직관적인예도. 가 : 직관적인예가. 걔가파스타를싫어할거같아서우리치킨을시켜먹자. 연 : 걔가파스타를싫어할거같아서뭔가나의추측인거네. 가 : -을거같다 그거는추측인데그이유가주관적인그런거있잖아요. 내가주관적인직관으로. 연 : 내가생각한거니까. - 25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가 : 주어가걔가되겠지만. (3-2) 가 : 시험칠때손이떨려서글씨를못썼어요. 그것도주관적인거를이제강조한거같애요. 연 : 떨려서? 가 : 그러니까글씨를못쓴다는이유로본인의책임더이제본인의책임더강조를많이하는거고, 손이떨리니까그런객관적인어떤이유로손이떨리는것은본인의의지와상관없이객관적인이유로보았기때문에떨리니까글씨를못썼어요이렇게보고있어요. 메타언어의선택층위에서는학습자에게각인된용례가결정적인역할을함. 문법항목이사용된용례에기반하여문법항목의의미를설명할수있는메타언어를귀납적으로도출해내고, 해당메타언어로다른용례들을설명할수있는지검증하는과정을거치면서가설을정교화혹은수정하는귀추적추론 (abductive reasoning) 의결과로메타언어가선택됨. 4.2. 메타언어개념의정교화양상 연구참여자나, 라, 마는공통적으로 일반적 이라는메타언어를특정한상황이나주체에제한되지않고모든사람들에게혹은모든상황에서적용될수있음을나타내는말로인식하고있음. 그러나연구참여자라와마의경우이러한기본적개념에서 모든사람, 모든상황 에주목하여 일반적 이라는메타언어의개념을초점화하는양상을보임. -어서 의의미를설명하는데사용된 일반적 이라는메타언어의개념이 모든사람이알고있음, 모든사람이경험함 으로초점화가되었기때문에화자가전달하고자하는정보를청자또한이미알고있거나경험한것으로전제한다는 정보의공유 로개념을확장. 이러한메타언어개념의정교화양상은 -어서 와대조적으로인식하고있는 -으니까 에도적용되어, 모든사람이아닌 개인적, 구체적, 특정한, 제한된 주체에의한경험, 혹은상황이라는개념에서청자가알지못할것이라고생각되는정보, 청자가경험하지못했을것이라고생각되는상황이라는개념으로정교화. 즉, 화자와청자간에공유된정보를의미하는 -어서 와대조적으로 -으니까 는이유로작용하는명제내용이화자개인의특수한경험이나의견이기때문에화자가아닌상대방에게는해당 정보가부재 할것으로전제한다고이해함. (4-1) 연 : 그러면오늘은토요일이어서문을일찍닫을거예요. 라 : 되는데뉘앙스차이가있어요. 연 : 아어떤? 라 : 토요일이니까 할때는이사람이모르고나는오늘일찍닫을거예요그렇게알고있고그래서설명해주고, 토요일이어서 는두사람이일찍닫을거라고알고있는상태? - 254 -
고급한국어학습자의메타언어개념화양상연구 : 이유표현 -어서 와 -으니까 의개념화양상을중심으로 (4-2) 마 : 아월요일이니까어아마그상대방이아마그의견음새로운알게된의견? 연 : 새로알게됐어? 마 : 네. 연 : 누가새로알게됐어? 마 : 그상대방이아마. 연 : 상대방이? 마 : 네. 왜냐면제의견이니까 아, 맞아요. 그동의할수도있고 ( 웃음 ) 연 : 상대방이새로알게된사실이야? 마 : 네. 몰랐지만, 몰랐는데내가말해서상대방새로알게될수있는거예요. 반면나의경우에는 일반적 이라는메타언어가가지고있는개념의자질중에서 특별하지않음, 자연스러움, 기본적 이라는측면에초점을두어개념을정교화. 특별히이유를강조하지않고청자나독자에게거부감없이전제화되어수용될수있는인과관계를의미하는개념으로확장. 대조적으로인식하고있는 -으니까 의경우 개인적생각, 의견, 경험 이라는메타언어가모든사람에게적용되지않는나만의고유한것이라는생각에초점이주어지면서상대적으로이유를 강조 하는표현으로인식됨 2). (5) 나 : 사실 -아서/ 어서 예를들면비가와서길이복잡해요이거가장기본적인문장이고너무자연스러워요, -아서/ 어서. -기때문에 와 -으니까 보다. 그런데그비가오니까우산가지고가세요그건뭐개인적인것강조해요. 사실아니고그상대방아니면저요. -이니까 이렇게그래서많이제생각에는그래서많이말하기에서많이사용해요. 말하기중심대화중심으로사람들일상생활이렇게. 쓰기는사실이에요. 박 : 음 :: 이나가말하는개인적이라는말은뭔가그얘기하는게너의얘기나의얘기너랑나랑관련된이야기? 나 : 아까길이비가와서길이복잡해요. 아니면길이비어있어요. 이렇게그뭐지? 제너럴. 아무것도강조하지않아요. 비가오니까길이복잡해요. -니까 이유를강조해요, 제느낌에. - 어서 의의미를 주관적, - 으니까 의의미를 객관적 이라는메타언어를사용하여표현한연구참 2) 연구참여자나의경우, - 어서, - 으니까, - 기때문에 를삼분체계로인식하고있었는데, - 어서 가무표적으로선행명제와후행명제가인과관계를이루고있음을보여주는것이라면, - 으니까 는개인적의견, 경험임을강조하고, - 기때문에 는명확한근거가존재하는인과관계임을강조하는표현으로인식하고있다. 나 : 그것도이유이유보다는제가그렇게생각하는데 -기때문에는완전히이렇게 100퍼센트이유예요. 그래서 -아서/ 어서 이유이면서좀설명하는거잖아요. -어서 는범위도넓어서의미이렇게여러의미설명배경이렇게여러의미있어서좀편해요, -기때문 에보다. 연 : 100퍼센트이유? 나 : 진짜이유. 예를들면이글은좀개인적인이유, 개인적인글이라서이렇게제가자기생각에기본으로쓰는데만약에우리는뭐이렇게좀공식적으로이렇게신문기사이렇게한국사람들이비율결혼하는비율, 그러나이것은통계통계바탕으로그때통계바탕으로자기생각말고사실이에요. 그렇기때문에는좀 - 아서 / 어서 보다좀이유강조하기위해서. - 25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여자가의경우해당메타언어의개념이태도의영역으로확장되는양상을보임. 주관적 의경우개인의의지가개입된행위나사건으로이해됨으로써적극적이고능동적인태도를보이는것으로정교화하였으며, 반대로 객관적 이라는메타언어는개인의의지가관여하지않는외부적요인에의한행위나사건으로이해됨으로써핑계를대거나상황탓을하는것으로정교화함. (6-1) 가 : 한국문화를좋아해서한국어를배웁니다, 한국문화를좋아하기때문에한국어를배웁니다. 아이게좋아해서하면은좀주관적인좋아하는거는많이드러난거같애요. 그리고능동성이보이는거같고요. 그리고뭐뭐하기때문에객관적인이유를하는거같고능동성은좀덜뭐랄까좀덜드러내는거같애요. 연 : 능동성이드러나는건무슨의미예요? 가 : 배운다는것이죠뭐랄까적극적으로참여해서개인의의지가강해보이는뭐그런얘기 (6-2) 가 : 차가너무막혀서늦었어. 차가너무막히니까늦었어. 차가많이막혀서늦었어. 그러니까나의입장에서더나의입장을표현을하는거죠. 차가너무많이막혀서내가늦었다는거야. 근데차가너무막히니까늦었지나의책임을좀덜어내기위해서객관적인그런이유를핑계를대는느낌? 메타언어개념의정교화과정에서는선택한메타언어의개념이가지고있는특정한자질에초점을두어개념을개념화하는양상을확인할수있음. 학습자들은개별적으로인식한용법들을논리적으로 설명 (explanation), 즉 지금까지연결되어있지않았던것들사이의관계를규명하는행위 (Popper, 1963) 를적극적으로실천함. 학습자별메타언어선택및개념의정교화양상을도식화하면다음 < 그림 1> 과같음. < 그림 1> - 어서 와 - 으니까 의개념화양상 - 256 -
고급한국어학습자의메타언어개념화양상연구 : 이유표현 -어서 와 -으니까 의개념화양상을중심으로 5. 학습자의메타언어개념화양상이해의교육적시사점 학습자의언어에대한이해는입력과산출물의관계를밝히는데집중되어왔음. 문법학습과정에서교육내용으로제시된형태 통사적정보의적용, 친숙한맥락에서의빈번한언어사용경험으로인해구축된자동화된표현목록, 학습자모국어의문법정보등은학습자의문법사용에영향을미치는유의미한자원임에분명함. 하지만이와같은다양한입력이학습자내부에서어떤과정을거쳐정교화되고체계화되는지에대한분석은피상적으로이루어져왔기때문에학습자의언어사용양상을설명하지못하는경우가빈번함. 한국어학습자는문법학습과언어사용경험을자원으로자신의고유한문법체계를적극적으로만들고수정해가는능동적인문법구성자임. 학습자는개별적문법정보와용례를아우를수있는메타언어를선택하고, 선택한메타언어의개념을정교화하는과정을통해개별적으로존재하는문법정보를체계화할수있는논리적설명력을갖춤. 이때중요한것은단순히외부입력의영향으로인해특정산출물이생산되는것이아니라, 학습자스스로개별적으로인식한정보와정보를논리적으로체계화하여설득력있는해석방식을구축해내고, 이를토대로문법을사용한다는점임. 학습자의언어경험과학습자가주목한메타언어개념의자질에따라서메타언어의개념화양상이달라지며, 이는곧문법사용양상의차이로실현됨. 학습자가사용하는메타언어는학습자가문법을해석하는방식을이해할수있는중요한단서가되기때문에학습자메타언어의개념화양상에대한이해는학습자가용인가능성이높은문법을사용할수있도록교육적처치가필요한지점을판단하는데중요한근거로작용함. 동시에이는파편화된개별정보의나열이아닌체계적이고정교화된문법정보를제공할수있는교육문법구안에도유의미한정보로활용될수있음. 6. 결론 ( 생략 ) - 25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참고문헌 - 권선희 (2017), 영어교사메타언어능력에대한연구, 영어영문학 22-1, 미래영어영문학회, pp. 221-242. - 박민신 (2018), 한국어문법항목의의미범주설정양상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131차전국학술대회발표집, pp. 238-293. - 박재연 (2011), 한국어연결어미의미기술의메타언어연구, 국어학 62, 국어학회, pp. 167-197. - 홍윤기 (2006), 메타언어를활용한한국어문법교육방법론연구, 이중언어학 32, 이중언어학회, pp. 381-408. - 황선유 (2013), 학습자의 L2 메타언어적지식을활용한수업의효과, 현대영어교육 14-1, 현대영어교육학회, pp. 325-345. - Popper, K. R.(1963), Conjectures and Refutations : The Growth of Scientific Knowledge, London / New York: Routledge, 이한구옮김 (2002), 추측과논박 : 과학적지식의성장, 서울 : 민음사. - Roehr, K.(2007), Metalinguistic Knowledge and Language Ability in University-Level L2 Learners, Applied Linguistics 29-2, pp.173 199. - Alderson, J. C., Clapman, C., & Steel, D.(1997), Metalinguistic knowledge, language aptitude and language proficiency, Language Teaching Research, 1, p. 93-121. - Elder, C. & Manwaring, D.(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linguistic knowledge and learning outcome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of Chinese, Language Awareness, 13-3, pp. 145 162. - Elder, C., Warren, J., Hajek, J., Manwaring, D. & Davies, A.(1999), Metalinguistic knowledge: How important is it in studying at university?, Australian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22-1, pp. 81 95. - Venuti, I.(2015), Metalinguistic Knowledge, Language Awareness and Language Proficiency, US-China Foreign Language, 13-1, pp. 34-43. - 258 -
고급한국어학습자의메타언어개념화양상연구 ( 토론문 ) 원해영 ( 부산외대 ) 본연구에서는메타언어의개념화양상이유사한의미를표현할수있는문법항목의선택적사용에미치는영향을고찰함으로써학습자언어에대한이해를도모하고자하는목적으로연구를수행하였습니다. 한국어를공부한지 3년 ~ 10년이경과한 5명의학습자들를대상으로이들이한국어이유표현 -어서 와 -으니까 의의미를설명하는과정에서사용된고급한국어학습자의메타언어사용양상을고찰하고이에대한결과를바탕으로한국어문법교육의방향을탐색하고자하였습니다. 이연구는한국어학습자들이학습한문법항목을어떻게이해하고있는지, 또동일대상에대해설명할때학습자별로사용하는메타언어가어떻게도출되는지를살펴볼수있다는점에서아주유의미한연구가될것으로사료됩니다. 토론자역시외국인에게한국어를가르치는현장교육자로서외국인학습자가사용하는메타언어의유형과형성과정에관심을가지고있으며본연구가한국어문법교육의새로운방향을제시하는결과를도출하기를바랍니다. 이러한점에서본연구에대해궁금한점두가지를제시하고자합니다. 1. 본연구에서메타언어사용을위해제시한항목은이유표현의 아서 와 니까 입니다. 이두항목은한국어학습과정의초기, 1급에서대부분배우는문법요소입니다. 1급에서배웠던항목을고급학습자, 다시말해학습한지최소 3년에서 9년이상이지난학습자에게설명하도록요구하고이설명을바탕으로메타언어를분석하였습니다. 그런데학습자가문법항목을설명할때사용하는언어는초급에서배운것아니라오랜시간동안학습되고누적된결과일것입니다. 또한설명하는내용역시 1급에서배운내용을토대로하지만지속적으로학습이확대심화되면서 아서 / 니까 에대한의미와기능에대해학습자의경험을바탕으로재구성되었을가능성도있을것으로보입니다. 발표자는메타언어사용을확인하는데있어서학습자개개인이가지는이러한변인들을어떻게생각하시는지궁금합니다. 2. 본문에서 연구참여자나, 라, 마는공통적으로 일반적 이라는메타언어를특정한상황이나주체에제한되지않고모든사람들에게혹은모든상황에서적용될수있음을나타내는말로인식하고있음. 그러나연구참여자라와마의경우이러한기본적개념에서 모든사람, 모든상황 에주목하여 일반적 이라는메타언어의개념을초점화하는양상을보임 이라는설명이있는데개념의초점화라는것이구체적으로어떤양상을설명하는것인지이해하기어렵습니다. 어학사전에보면 일반적 ; 일부에한정되지않고전체에널리걸치는것 이라고설명되어있습니다. 추상적용어에대한이런광의의설명은상황에따라, 사용자에따라얼마든지적용범위가확대되거나축소될수있을것으로보입니다. 개념의정교화양상에대해서보다구체적인설명을듣고싶습니다. - 259 -
01- 일반 3 분과 -3 ( 마지막에삭제됩니다 ) 역대대통령신년사담론에나타난언어표현전략고찰 정윤희 ( 동의대 ) 1. 서론 현대대통령의담론은말이곧행동으로생각될만큼매우중요하다. 이는국가정책의형성과정책의사결정과정에미치는영향은매우크며, 그결과는다양하게나타난다. 또한직무수행수단의일환으로담론을활용하고있기때문이다. 미디어의발달로대통령은끊임없이대중에노출되고국민의정치적지지를얻기위해서대중의호감을살만한좋은이미지를보여주어야하며, 최고통수권자로서영향력을행사하는데있어유창한화법은필수조건이되었다. 대통령이국민을대상으로하는연설은취임사부터신년사, 기념일및외교행사연설, 특별담화문등그종류가많다. 이처럼대중을대상으로한연설문, 담화에표현된언어를 대통령의언어 또는 대통령수사학 1) 이라고한다. 이는대통령담론이단순히피상적으로말로만끝나는인사치레와는다르기때문이다. 대부분의대통령의담론은조직적으로지원을받아작성되고, 이를통해대통령은국민들그리고정치권과소통하며앞으로의문제해결에대한관심을유도하는중요한커뮤니케이션방법으로활용된다. 따라서대통령담론분석을통해언어표현과중심가치, 역할인식을찾을수있다. 본논문에서는대통령의언어표현을살펴보기위해많은담화문을분석하는것도중요하지만시간의연속성과변화를고려하여일회적이거나비정시적인연설문보다매년국민들에게새해를맞이하여하는공식적인인사말인신년사를중심으로살펴보겠다. 신년사분석을위한연구자료는대통령기록관에서이승만대통령부터박근혜대통령에이르기까지대통령별로 [ 대통령기록연구실-연설기록 2) ] 에제공하고있는자료를활용하였다. 대통령연설문을언어학관점에서연구한논문은다음과같다. 먼저, 이상철 (1998) 은김영삼대통령의연설을수사학적장르분석을통하여분석했다. 김영삼대통령의대통령후보수락연설, 선거캠페인연설, 대통령취임사, 기념식연설, 행정적안건발의 ( 금융실명제 ), 광주민주화항쟁에관한찬양연설, 대국민사과연설 ( 쌀시장개방 ) 등몇개의장르로분류하여각연설의장르가갖고있는특성과, 김영삼대통령의수사적특성을규명하려는시도를하였다. 이원표 (2000) 는대통령취임사분석을통해수사구조와담화의민주화를알아내는연구를수행했다. 취임사의수사구조를 친화관계정립, 위임식의성격규정하기, 대통령의정체성구축하기, 신화말하기, 새로운과제및도전지적하기, 정책제시하기, 협력구하기, 격려하기, 마무리하기 등의 9가지유형으로나누었다. 김현국 (2001) 은박정희대통령부터김대중대통령까지대통령의취임사를중심으로대통령의연설문문체파악을시도하였다. 대통령취임사에등장하는주요어휘빈도수분석, 공동체를지칭하는어휘분석, 문장길이분석등어 1) 대통령수사학은대통령이구사하는상징의해석적인측면에초점을맞추어, 대통령이어떠한가치, 의도, 문제점그리고대안에대한메시지를전달하고있는가를분석한다 ( 박성희, 2009, 허재용 엄기홍, 2012). 2) 대통령기록관, http://www.pa.go.kr/research/contents/speech/index.jsp - 26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휘층위의분석과통사층위의분석을언어학적입장에서살펴보았고, 또한각대통령취임연설문의특징을분석해내는데목적을두었다. 김명기 (2002) 역시초대이승만대통령부터 15대김대중대통령까지의취임사를분석하였다. 대통령취임사가갖고있는공통적인수사적틀을규명하고, 가치들을분석하였다. 나아가대통령이가지고있는가치관들을분류하여, 대통령별가치관구성방식과차이점을서술하였다. 성미경 (2003) 은역대대통령들이각각위기상황에발표했던담화문을르불의분석틀을통해분석하여연설문의수사적기법과이데올로기를살펴보았다. 전두환대통령부터김대중대통령까지각대통령들의담화문에공통적으로많이사용한수사적기법은객관적명명법과권위의존논법이다. 반면역대대통령의어휘의성향으로전두환대통령은국가최고통솔자로서권위를내세우려는권위적인어휘, 노태우대통령은 보통사람 이라는문구처럼일상적인어휘, 김영삼대통령은 신한국, 세계화 등의추상적인어휘, 김대중대통령은 경제대통령 이라는표어처럼분석적, 실증적인어휘를자주사용하는것으로나타났다. 이상에서살펴본바와같이국내에서대통령의담화및각대통령고유의언어에대한연구를포함한대통령언어연구는많지않았다. 또한대통령담론안에서대통령의역할인식에관한연구는거의없었다고할수있다. 본논문에서는대통령신년사를거시적분석방법으로말셈41 3) 를활용하였다. 대통령별언어표현을어휘, 인칭대명사를중심으로대통령역할인식을분석하고, 대통령임기중나타난정치, 경제적성과와실패에대한국민적비난을회피하려는언어적상징전략에대해살펴보겠다. 2. 신년사담론에나타난언어표현 2.1. 어휘사용양상 연설문은뉴스, 전화대화, 편지, 독자투고, 논평, 설교, 강연등과같이일상생활에서자주접할수있는텍스트의한형태이다. 연설문은말할내용을미리글로쓴다음에전달한다는점에서구어와문어의중간형태가된다. 미리글로쓰는준비과정에서보다밀도있는정보를제공하기위해짜임새있는구조를다질수있는문어의장점과억양이나제스처, 시선접촉, 외모, 얼굴표정등다양한비언어적수단을동원해서청자에게영향을미칠수있는구어의장점이어우러져있는특성이있다. 신년사의서사구조를살펴본결과내러티브상유사한 3단또는 4단구조로나타났다. 먼저, 서론부분은 청중관심유도 와 지난해정치적 / 경제적 / 사회적어려움극복에대한축하 를중심으로내용이조직되어있다. 청중관심유도전략은 친애하는국민여러분 / 동포여러분 / 존경하고사랑하는국민여러분 이라는표현으로청중을호칭하며청중의관심을유도한다. 이어서지난해에있었던여러가지의어려움을극복하고노력한국민들을축하하고, 대통령으로서고마움의인사를한다. 서론부분은대부분청중 ( 국민 ) 들과공감대를형성하여친밀감으로조성하려는의도의내용들로구성되어있다. 3) 한성대학교자료실 (http://www.hansung.ac.kr/web/malsem) 에서어휘통계시스템말셈 41 평가판활용. - 262 -
역대대통령신년사담론에나타난언어표현전략고찰 (1) 친애하는 5천만동포여러분! 나는새해아침을맞이하여, 지난한해동안여러가지어려운여건속에서도각기생업에충실해온여러분의노고에대하여먼저따뜻한위로와정중한치하의뜻을표하는바입니다. 그리고새해에도여러분의가정에행복과기쁨이더욱충만하기를충심으로기원하는바입니다. 돌이켜보면, 지난한해는문자그대로다사다난했던한해였습니다. 세계경제의불황은우리나라에도물가고의파도를몰고왔으며, 그때문에너나할것없이우리모두가어려운살림살이를하지않을수없었습니다. 그러나다른나라에서는경제성장면에서후퇴를겪기까지했으나, 우리나라는 8퍼어센트가넘는성장을이룩하였습니다. 또한안보면을보더라도, 북한공산주의자들은남북대화를일방적으로중단시키고갖가지도발을계속했습니다. - 박정희대통령 1975년 위예문 (1) 은박정희대통령 1975년신년사의서론부분이다. 국민을칭하는표현과새해인사, 지난해의어려움에대한상황설명과이를이겨낸국민들에고마움을중심으로내용이구성되어있다. 본론부분은지난해에이룬국가적성과, 실패에대한정부의자체적평가와관련된내용으로구성된다. (2) 우리국민은참으로놀라운저력과애국심을가진국민입니다. 불과 2년전에지금보다더한국가위기도혼연일체가되어극복한국민입니다. 대화를통해서문제를풀능력도있습니다. 지난해에도의약분업, 한국전력, 한국통신, 철도청등수많은분규의해결을끝내대화로풀었습니다. 최대의고비였던금융노련의파업도마무리는대화로맺었습니다. 정계에서는갈등도많았지만대화의정치도계속이루어지고있습니다. 저는이러한위대한국민과함께 21세기첫해인이해에새로운국정의출발과경제적도약의기틀을반드시이루어내겠습니다. 올해상반기만착실히개혁을추진해나간다면하반기부터는안정성장의궤도에진입할수있습니다. 지금의어려움을세계적선진국가가되는전화위복의기회로만들수있습니다. - 김대중대통령 2001년 예문 (2) 에서사회적, 정치적어려움을대화로해결한사례를들어정부의노력에대한평가를한후, 올해정부가해야할역할에대해구체적으로설명하고있다. 마무리는담론의핵심이되는내용을간결하게상기시키면서청중들에게일정한행동을수행하도록요구하는데그목적이있다. 내용적인측면에서는미래에대한비전과아젠다 (Agenda) 4) 를제시하고있다. 대통령이의도하는방향으로청중인국민들에게앞으로의요청, 당부, 행동의실천등요청을우회적으로표현한다. 4) 외래어표기법에따르면 ' 어젠다 ' 가맞는표현이지만, 일반적으로 ' 아젠다 ' 라는단어가자주사용된다.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와같은유럽언어권에서 agenda 는개요와같이의제, 의사일정, 협의사항등의의미이며, 그밖에비망록, 계획표와같이무언가앞으로할일을적어놓은메모장, 수첩따위를이르기도한다. - 26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3) 깨끗하고정의로운사회, 21세기세계중심국가건설이라는민족적소명앞에지역과정파와세대를뛰어넘어우리모두마음을열고하나가됩시다. 민족의밝은앞날에대한꿈과희망으로굳게단합하여힘차게전진합시다. 그리하여 1996년병자년이 ' 제2의건국 ' 을향한창조의대업을시작하는원년이되게합시다. - 김영삼대통령 1996년 위예문 (3) 은마무리부분으로대통령이의도하는방향인 세계중심국가건설 이라는미래비전에청중인국민들에게 우리모두마음을열고하나가됩시다 로모두동참해달라는요청을한다. 또한신년사대부분마무리부분의문장종결은청유형이다. 화자인대통령자신뿐만아니라청자, 국민모두의참여를유도하고자하는의도에서사용되었지만, 신년사속청유문은청자에게구체적인행동으로옮길것을요구한다고볼수있다. 신년사에나타난서사구조는시간적구조로모든대통령들에게공통적으로발견된다. 이러한기본적인틀을유지하면서본론부분에서해당정권이직면하고있는 정치적, 경제적상황 에따라각기다른내용을전달하고있다. 신년사속에사용된어휘양상을통해대통령의중심가치를살펴볼수있을것이다. 먼저, 신년사에공통적으로나타난어휘는청중인국민을지칭하기위해 국민, 동포, 민족 이많이사용되었다. 특히 국민 이라는용어가많이사용되었다. 가장많이사용한대통령은최규하대통령이고, 그다음이노무현, 김대중대통령이다. 반면적게사용한대통령은전두환, 박정희, 이승만대통령순이다. 특이점으로이승만대통령은 국민 보다 민중 을많이사용하였다. 다음 동포 는최규하대통령, 김영삼대통령, 이승만대통령등이이용어를많이사용한편이고, 김대중대통령, 노무현대통령두대통령이적게사용한편이다. 민족 이라는용어는김영삼대통령이가장많이사용하였고, 전두환, 박정희, 노태우순이다. 특히김대중대통령이후북한의체제인정에따라차기대통령인노무현, 이명박은 동포, 민족 이라는용어를거의사용하지않았다. 공통적으로나타난어휘는 국민, 동포, 민족 이지만, 각대통령별로그시대의정치적, 경제적상황에따라사용된어휘는다양하게나타났다. 이승만대통령의시대적상황 5) 은 1950년한국전쟁으로인해우방국의원조를받게되었다. 이에우선순위어휘들은우방 (15), 이북 (13), 통일, 군인 ( 각 10), 경제, 원조, 국군 ( 각 8), 특이점으로미국 (7), 도움 (6), 하나님 (5) 이있다. 우방이나온문장에서는경제, 원조, 미국이라는어휘가같은단락에서나타나며, 이북이나온단락은군인, 통일이사용되었다. (4) ㄱ. 군인들에용감력 ( 勇敢力 ) 만못지않게결심과단결이되어서이북이남을하루바삐통일해야된다는결심으로 - 1955년ㄴ. 근자에이르러서는미국에서들어오는원조재력으로전과같이일본물자를사다가곤궁한우리나라사람들을구급해가던것을다정지하고원조재정으로우리생산을증진할 5) 대통령별시대적상황은각대통령인수위원회자료와신문기사, 인터넷자료를활용하여정리하였다. - 264 -
역대대통령신년사담론에나타난언어표현전략고찰 산업에전력해서 - 1958 년 박정희대통령신년사에등장한어휘는유신 (75), 경제 (66), 건설, 국력 (51), 통일 (46), 북한 (37) 순으로나타났다. 기타로번영 (31), 전진 / 근대화 / 정부 / 성장 / 계획등이사용되었다. 특히유신이라는어휘는유신헌법을제정하면서 73년과 74년에많이사용되었다. 그다음으로경제와관련된용어로경제개발 5개년이 2차, 3차가진행되면서이를강조하는건설, 국력, 저력, 성장등이같이사용되었다. (5) ㄱ. 유신의결단을내린지 2개월만에우리는내외에공약한그대로유신질서위에민주헌정을떳떳하게회복하였습니다. 유신헌법은전국민의절대적인지지를받고확정공포되었으며, 조국의평화통일을바라는민족의염원은, 이제제도화되어통일주체국민회의로 - 1973년ㄴ. 제2차 5개년계획의제3차년도로서우리민족에있어서는실로역사적으로중대한해가되겠습니다. 그러나그에앞서, 보다더중요한것은, 금년이야말로우리모든국민이 싸우며건설하자 는각오와신념을더욱굳건히하고일면국방, 일면건설에우리민족의저력을발휘해야할해. - 1969년 최규하대통령은 10월박정희서거로대통령직을수행하게됨으로안정 (6), 사회 (4), 질서, 노력 (3) 등이등장하였다. 전두환은대한민국에서실권을가진대통령중에서국민투표로선출된적이없는유일한대통령이다. 12.12 군사반란과 5.17 내란으로정권을잡은전두환은대통령자신과정부의정통성을얻기위해경제에집중하였다. 특히집권한 1980년대는경제적으로거의모든여건이유리했고문화적으로도제재가많이풀렸다. 많이사용한어휘는나라 (22), 안정 (19) 등으로나타났지만, 이시대의특징을드러낸어휘는공화국, 발전 ( 각 14), 국가, 사회, 희망 ( 각 13) 등이다. (6) 우리는제5공화국을건설할것을굳게결의하고맹서하였습니다. 이것은안정과질서속에이땅에민주주의를토착화하겠다는국민적의지의표현이며, 본인은그러한의지를담은제5공화국헌법을발의했던대통령으로서 - 1981년 예문 (6) 에서 공화국 이라는어휘가나타날때같이사용된어휘는안정, 질서, 국가, 민주주의등이같이사용되었다. 공화국이라는어휘를강조하면서앞선정부와차별성을드러내고, 민주주의를표방하여정치적정통성을획득하려한것으로보인다. 노태우대통령은집권기간동안 1989년 9월에는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발표하고, 서울올림픽이후에는동유럽의공산권국가와도외교관계를맺어남북관계개선을추구했다. 1991년 9월 18일에는남북이유엔에동시가입했다. 대부분의국가정책, 중심가치를통일에중점을두어신년사에서도 통일 이많이등장한다. 많이등장한어휘는민주주의 (18), 경제 (13), 번영, 통일, 힘 ( 각 12), 안정, 북한, 정부 ( 각 11) 등이다. - 26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7) ㄱ. 우리사회각부문에민주주의질서가견고히뿌리내려안정과화합속에서선진국으로들어서는힘찬도약이이루어지기를빕니다. 그리고우리모두번영과통일을향해굳게뭉쳐나아가더욱보람찬결실을거두는한해가되도록해야겠습니다. 지난한해, 우리는민족사의파란많은굽이를돌아민주주의의새로운시대를열었습니다. 국민의직접선거에의한정부가출범하여 40년을하루같이지속되어온정통성의시비는사라졌습니다. 자유와자율의활력은모든분야에서권위주의체제의어두운그림자를지워가고있습니다. - 1989년ㄴ. 우리는올해가 민주, 번영, 통일 로가는겨레의여정에획기적인도약이이루어지는해가될것이란믿음을나눕니다. - 1992년 김영삼대통령은민주화투쟁을했던정신으로군부정권을종식시키고평화롭게정권을민간정부로이양받았다. 이에군부출신이아니라는점을부각시켜스스로 문민정부 ' 라고칭하게되었다. 국정의목표를 ' 신한국창조 ' 로삼고, 30여년간지속된군부독재정부시절의여러가지잔재와불합리하고비민주적인제도를개혁하였다. 신년사에는나라 (10), 사회, 힘 ( 각 9), 개혁, 경쟁순으로나타났다. 기타로는북한 / 꿈 / 번영 / 화합 / 경제 (6) 가사용되었다. (8) ㄱ. 우리가개혁을멈출수도, 늦출수도없는까닭이여기에있습니다. 좁은생각, 닫힌문을열고협력하면서경쟁하는저넓은세계로자신있게나아가는한해가되게해야합니다. 새로운경쟁의세계질서속에서 - 1994년ㄴ. 우리가흘린피와땀과눈물은세계를놀라게한경제발전을이룩했으며문민정부를탄생시켜성숙한민주주의의시대를활짝열었습니다. 과감한 ' 변화와개혁 ' 으로지난시대의온갖병폐들을치유하고 - 1996년 김대중대통령은새정부의주권이국민에게있다는뜻을강조하는의미에서정부의공식명칭 국민의정부 로불렀다. 문민정부말년에발생한 IMF 외환위기사태를극복해야하는문제와민주주의와시장경제의병행발전을바탕으로하는 'DJ 노믹스 ' 를표방하고, 남북관계에서는 ' 햇볕정책 ' 이라는큰틀을내세워남북화해와협력의시대를여는데주력하였다. 신년사에자주등장한어휘는경제, 정부 ( 각 28), 개혁 (24), 희망, 협력, 수준, 평화순으로나타났고, 기타로는위기 / 노력 / 복지 / 국정 / 교육 / 능력 / 중산층 (8), 국제 / 고통 / 북한 / 혁명 / 정보 / 지역 / 문화 / 정보화등 (6) 이사용되었다. (9) ㄱ. ' 국민의정부 ' 는외환위기라는전례없는국난의위기 경제위기도슬기롭게극복해왔습니다. 우리모두는민주주의와시장경제의병행발전을향한공동의깃발아래국난을힘차게 - 1999년ㄴ. 튼튼한안보의바탕위에서남북화해와협력관계를흔들림없이추진하여한반도평화체제를강화시켜나가야겠습니다. 햇볕정책은전쟁을막고장차의평화통일을이룩할수있는최선의정책입니다. - 2002년 - 266 -
역대대통령신년사담론에나타난언어표현전략고찰 노무현대통령은정의롭고효율적인사회를위한합리적인개혁정부, 국가적갈등구조를해결하는국민통합정부, 국민과수평적 쌍방향적으로소통하는열린정부, 모든국민에게꿈과용기를주는희망의정부를지향하였다. 그러나경제적인면에서코스피지수가 175% 상승으로주식시장이호황을누렸음에도청년실업과비정규직이급증하고부동산가격이폭등하는등서민들의경제는침체되었다. 이에신년사에사용된어휘도정부 (11), 문제, 미래 ( 각 9), 경제, 희망, 서민, 중소기업, 부동산순으로나타났다. 특이한어휘로정규직, 비정규직과청년실업, 상-하위계층이있다. (10) 올해경제의활력을되찾아민생안정을이루는데모든정성과노력을다할각오입니다. 수출의활력을내수활성화로이어가는데주력하겠습니다. 또한지난해수립한지역균형발전과동북아경제중심전략을본격적으로실행하고, 지속적인기술혁신과시장개혁으로경제의경쟁력을높이고, 외국인투자와기업하기좋은환경을만드는데정책적노력을기울여나갈것입니다. 청년실업, 부동산가격안정, 사교육비문제에 - 2004년 이명박대통령은사용빈도는낮지만별칭으로 실용정부 라고부른다. 활기찬시장경제를실현하기위한과제로는 FTA의적극적추진과투자유치, 과감한규제개혁과기술혁신촉진, 개발과환경의조화, 시장성과공공성의조화등을추진하였다. 경제정책은성장우선정책과규제완화와투자활성화, 각종감세정책등이적극추진되었다. 많이사용된어휘는나라 (10), 희망, 경제 ( 각 7), 위기, 기회 (6), 정상회의, 선진, 어려움순으로나타났다. 횟수는적으나원조 (2) 를사용한점으로보아경제의발전성과를표현하려는의도로엿보인다. (11) ㄱ. 힘들다고하는이위기도반드시이겨낼수있다고확신합니다. 거센바람과거친파도를헤쳐이위기를기회로만듭시다. 기회는주어지는것이아니라만들어가는것입니다. 이를위해모든경제주체는서로양보하고협력해야합니다. 그럴때어느나라보다빨리이위기를극복 - 2009년ㄴ. G20 정상회의의장국이자주최국이되었고, 숙원이던원자력발전소수출의길을드디어열었습니다. 또세계에서처음으로원조를받던나라에서원조를주는나라가되었습니다. 이는우리국민모두가합심해서이루어낸성과 - 2010년 박근혜대통령은 ' 국민행복, 희망의새시대 ' 라는국정비전을제시하였다. 일자리중심의창조경제, 맞춤형고용ㆍ복지, 창의교육과문화가있는삶, 안전과통합의사회, 행복한통일시대의기반구축등이다. 또한경제부흥, 국민행복, 문화융성, 평화통일기반구축에목표를두었다. 빈도수가높은어휘로희망 (10), 경제, 길 (8), 변화, 안보, 어려움, 혁신, 통일, 창조, 개혁순으로나타났다. 한번만등장했지만시대적상황이반영된어휘로위기관리체제, 경기회복, 적폐가사용되었다. (12) ㄱ. 새해에는그변화의결실을맺어 어렵게시작한경기회복의불씨를반드시살려내서 - 26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경제를활성화하고민생을안정시키는데국가적역량을 - 2014년ㄴ. 깨끗하고안전하고신뢰할수있는사회로나아가기위해오랫동안쌓여온적폐를해소하는일도흔들림없이추진할것입니다. -2015년 이처럼각대통령별로사용된어휘에는대통령, 정부가지향하는중심가치가그대로나타났다. 통일 이라는어휘는임기중북방외교를주요한목포로둔노태우대통령이가장많이언급을하였다. 반면김대중대통령부터 통일 어휘사용은현저히감소하였다. 이는남북관계에서는 ' 햇볕정책 ' 이라는큰틀을내세워남북화해와협력의시대를표방하였기때문이다. 차기대통령인노무현, 이명박대통령은전혀언급을하지않았는데, 이는국가의통일정책의방향이크게변화한것으로보인다. 경제 와 위기 는경제위기의시기에대통령직을수행한김대중, 이명박대통령이사용하였다. 경제와관련된어려움, 위기등경제발전이임기중가장큰목표임을알수있다. 반대적인의미인 번영 은경제호황을누린노태우, 김영삼대통령이많이사용하였다. 하지만이승만대통령은해방과전쟁이후최악의빈곤상태에서국정을수행으로 번영 이라는용어를한번도사용하지않았다. 정치에대한개혁과변화를가장중요하게생각한노무현대통령은신년사에도 정부, 정치 라는어휘를가장많이사용하였다. 2.2. 인칭대명사의변화 사회의변화에따라국민이대통령에게요구하는역할도달라졌고, 대통령이국민을바라보는관점또한변화하였다. 인칭대명사의쓰임을통해화자가자신을어떤표현으로지칭하느냐를통해대통령자신, 또는국민을어떤관점으로바라보는지를엿볼수있다. 신년사에나타난 1인칭인칭대명사 우리, 나 저 를중심으로의미를분석하여화자의역할인식에대해알아보고자한다. 먼저, 우리 의사전적의미를살펴보면, 표준국어대사전 (1999) 에서는다음과같이뜻풀이하고있다. (13) [ 대명사 ] 1 말하는이가자기와듣는이, 또는자기와듣는이를포함한여러사람을가리키는일인칭대명사. 2 말하는이가자기보다높지아니한사람을상대하여자기를포함한여러사람을가리키는일인칭대명사. 3 ( 일부명사앞에쓰여 ) 말하는이가자기보다높지아니한사람을상대하여어떤대상이자기와친밀한관계임을나타낼때쓰는말. 사전의뜻풀이에서 1은 우리 가 1인칭복수로사용된다는설명이며 2는 우리 가 저희 와대조적으로낮춤이아닌표현형식으로쓰인다는설명이라이해할수있다. 대명사에높임법이반영되는것은 1인칭복수대명사 우리 외에 1인칭단수대명사 나 의경우에도마찬가지이며 2인칭 너 의경우에도해당된다. 대통령신년사속에사용된 우리 의의미 6) 를예문을중심으로살펴보겠다. 6) 우리 의미에관한연구는다음과같다. 조경임 (2003) 은 우리 의긍정적인담화기능으로는 소속감 ( 일체감 ), - 268 -
역대대통령신년사담론에나타난언어표현전략고찰 (14) ㄱ. 우리함께손잡고대한민국이아시아의정상권을뛰어넘어세계의중심권에다가서는 88년의영광을위하여위대한민족의저력을아낌없이발휘해나갑시다. - 전두환대통령 1987년ㄴ. 새해는한순간도우리가결코헛되게보내지않는해가되어야하겠습니다. 우리모두가후회없이최선을다했다고말할수있도록합시다. - 김영삼대통령 1994년 위예문 ( ㄱ ) 과 ( ㄴ ) 은 우리 뒤에 함께, 모두 가같이사용되었다. 이때화자와청자를하나로묶으려는의도이며, 화자의 우리 안에청자가포함된다. 화자와청자의공감대가형성되며, 유대감을달성하려는의도이다. 즉, 화자는 우리 를사용하여화자도청자와함께하고자하는의지가있다는것을청자에게전달한다. (15) ㄱ. 우리는지난해의극심했던한 수해를극복해냈을뿐아니라, 일찌기없었던대풍의결실을거두었습니다. - 박정희대통령 1977년ㄴ. 우리는이보다도더어려운시련을수없이극복한민족입니다. - 김대중대통령 1999 년 예문 (15) 의 ( ㄱ ) 과 ( ㄴ ) 은화자가 우리 라는표현을사용하여청자가화자와동일한내집단에속해있음을강조한다. 이한규 (2007) 에서 우리가남이냐? 라는표현에서 남 은외집단을나타내는대표적인표현이며, 반대로 우리 는화자와청자가서로다른집단에속해있지않다는의미를강조한다. 화자는청자인국민에게내집단구성원으로서지녀야할소속의식을발휘하도록유도하여화자의목적을성취하고자 우리 를사용하였다. (16) ㄱ. 2005년새해를우리경제가새롭게도약하는해로만들어나갑시다. - 노무현대통령 2005년ㄴ. 우리의내일은분명오늘보다훨씬나을것이라는믿음으로새로운출발을시작합시다. - 이명박대통령 2009년ㄷ. 그결과우리한국은환란에처한나라들가운데에서개혁을통한경제위기극복에세계적인모범을보였다는국내외의평가를받게되었습니다. - 김대중대통령 1999년 연대감, 친밀감 ( 친근감 ) 등이며, 이는 우리 가청자를포함하는경우에서생겨나는기능으로서 우리 에포함되는구성원들을그공동체성으로결속하는기능을수행한다고보았다. 김정남 (2003) 에서 우리 가단지소유관계를나타내는것이아니라친근감혹은유대감의표현으로, 내 를사용할경우 [- 친밀감 ] 의상황을유발하여곤란하다고판단하는자리에 우리 를쓰고, 반대로친근감을나타내지않고소유관계만을강조할때에는 내 를쓴다고해석하였다. 정윤희 (2006) 는공익광고에서인칭대명사의경우 1 인칭대명사 우리 표현이많이나타나, 말할이와들을이를포함한전체적인의미로사용되었다. 우리 라는낱말을공동체의식을가진의미로보았다. 이한규 (2007) 에서 우리 가한국집단주의문화의산물로서내집단을반영하는표현으로해석하였다. 대명사 우리 가내집단을나타낸다는사회문화적분석을바탕으로, 우리 의내집단개념이구체적인상황에서화자의목적에따라유대감, politeness( 공손함, 예의 ), 친근감등의기능을나타내기위해사용된다고보았다. 이철우 이혁화 (2011) 에서는 우리 라는표현속에는유대감이나소속감등의여러성격이내포되어있지만그정도의차이에따라 우리 를유대강조, 지시강조, 대표강조등으로나누어분석하였다. - 26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예문 (16) 의 ( ㄱ ) 은관형격의 -의 가연결되어있지않지만 -의 를연결하여도의미상문제가되지않는다. 또한 우리 뒤에복수접미사 -들 이붙어도문장이어색하지않다. 이때 우리의 + 명사 의의미는화자와청자를포함하여범위를한정하고, 또한내집단을구성하고화자와청자를제외한외집단을형성해배타의식을드러낸다. 예문 ( ㄷ ) 에서 우리 ( 들 )( 의 ) 한국 은화자와청자가포함되지않은외집단인 나라들가운데 와다르다는의도로사용하여배타성을드러내고있다. (17) 과거우리가어려울때다른나라들의도움을받았듯이, 우리의신장된국력과경제적발전의경험을토대로다시후발개도국에도움을줄수있도록해야할것입니다. - 김대중대통령 2000년 예문 (17) 에서 우리 는사람이나유정물을의미하기보다시대적혹은공간적의미를나타낸다. 우리 는 1인칭 나 의 복수라는의미와는다르게사용되었다. 복수의의미가아니며, 사람이많이모여있는무리를가리키는의미도아니다. 즉집합의의미를강조하기보다는시점이나공간적인위치를강조하기위해사용되었다고볼수있다. 신년사에사용된 우리 의의미는다양하게사용되었다. 우리 가가지고있는의미를살펴본결과 우리 는화자가청자와함께하려는유대감과청자가화자와동일내집단에속해있음을강조하기도한다. 또한내, 외집단으로구별하여배타성을드러내기도하였다. 마지막으로사람이아닌시대적혹은공간적의미를나타냈다. 다음으로 1인칭대명사 나 와 저 의의미를살펴보겠다. 나 와 저 가모두 1인칭대명사이지만청자에대한높임에따라달리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나 는화자가청자보다높거나동등한, 즉낮지않은위치에있을때사용한다. 이때 나 의의미에는화자가스스로를높이거나낮추려는의도는드러나지않는다. 또한청자에대한공손함도나타나지않고있다. 반면, 저 는화자가자신을낮추어표현하는것으로화자가청자보다낮은위치에있을경우, 혹은화자가스스로를낮추어표현하고자하는의도가있을때에사용한다. 스스로를낮춤으로상대방에게공손함을나타낸다. 신년사에나타난 나 와 저 를통해화자인대통령인청자인국민들에게어떤위치, 태도로메시지를전달하는지를파악할수있다. 신년사에서자신을지칭하는표현은 나, 본인 7), 저 로나타났다. 이를도표화하면다음과같다. 7) 본인은 [ 명사 ] 어떤일에직접관계가있거나해당되는사람의뜻, 1. 본인의의사를묻다. 2. 투표는투표권자인본인이직접해야만한다. [ 대명사 ] 공식적인자리에서 나 3 를문어적으로이르는말 1. 여러분께서도본인의의견을따라주시기바랍니다. 2. 본인또한지난날의잘못을진심으로사죄하는바입니다. - 270 -
역대대통령신년사담론에나타난언어표현전략고찰 < 표 1 1 인칭대명사사용변화 > 통시적으로볼때, 국민에대해대통령이자신을지칭할때, 1인칭대명사 나 는박정희대통령부터사용하다가서서히사라지기시작해서노무현대통령에게이르러서는사라졌다. 본인 이라는어휘는최규하, 전두환대통령이많이사용하였다. 그러나 나 와 본인 이라는 1인칭대명사의사용이줄어들면서노태우대통령때부터등장한 저 의사용은시간이지남에따라점차보편화되었다. 이는민주화운동에따른 6 29선언과함께등장한노태우대통령을기점으로우리나라대통령들이국민에대한자신의표현이점점겸손해지고있다는점을잘보여주고있다. 다음예문에서도그런변화를엿볼수있다. (18) ㄱ. 우리의국력이중진국수준을넘어서고, 경제적혜택이국민모두에게골고루돌아가고, 굳건한생활기반이확립되는날을내다보면서나는나나름대로의정열과기대를가지고민족문화의융성을위하여노력할것입니다. 나는최근우리의주변에서 문화한국 의토대가착실히구축되어가고있고, 새로운전통의수립을위한국민의노력이활발하게진행되고있는힘찬기운을뚜렷하게느끼고있습니다. - 박정희대통령 1971년ㄴ. 그정당한대가로서우리는지난해를보람있는한해로마무리할수있었던것입니다. 본인은이모든공로가우리사회의각분야에서맡은바임무를성실히수행한국민여러분들의것이라고확신하면서그간의노고에대하여깊은경의와감사의뜻을표하는바입니다.- 전두환대통령 1983년ㄷ. 가슴을활짝펴고다시한번뜁시다. 우리모두힘차게달려나갑시다. 우리가힘만합친다면못해낼일이없습니다. 제가앞장서겠습니다. 민족의위대한저력을다시한번발휘합시다. - 김영삼대통령 1997년ㄹ. 저는우리국민의역량이라면앞으로도못해낼일이없다고생각합니다. 자신감을갖고더큰희망을만들어나갑시다. 새해에는국민소득 2만달러시대를열고선진국을향해힘차게전진합시다. 저도함께하겠습니다. - 노무현대통령 2007년 위예문에서대통령이국민을어떤관점에서보는것인지를알수있다. ( ㄱ ) 은대통령자신을 나 로지칭하며, 대통령과국민이공동체사회의구성원이기보다대통령과국민의역할이구분되어있다는인 - 27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식을드러내고있다. ( ㄴ ) 의 본인 도 나 와유사한의미를보이고있다. ( ㄱ ) 과 ( ㄴ ) 에서대통령은자신의역할을권위적인위치에서인식하고있다. 반면 ( ㄷ ) 과 ( ㄹ ) 는대통령과국민이공동체구성으로상호협력관계라는인식은유사하지만 ( ㄷ ) 는 제가앞장서겠습니다 의표현에서대통령인자신이공동체를이끌어가는역할을해야한다고인식하고있다. 그러나 ( ㄹ ) 에서는 저도함께하겠습니다 에서는대통령이국민함께같은목표를향해나아가는공동체구성의일부로인식하고있다. 이처럼대통령이자신을지칭하는 1인칭대명사 나, 저, 본인 을통해역할에대한인식을엿볼수있었다. 사회가변화하면서대통령과국민을구분하여지칭하는경우가줄어들고, 대통령과국민을공동체일원으로지칭하는표현이늘어났다. 특히, 대통령이권위적이고절대적인위치를나타내는 나, 본인 에서국민과같이협력하여나라를운영하는상호협력적관계를표현하기위해 저 로바뀌었다. 이는대통령이국민에게서로같은집단의일원이자협력관계이며서로같은이해관계에있다는것을확신시킴으로써대통령과국민간의사회적거리감을줄이고친밀감을극대화하기위한전략으로분석된다. 2.3. 비난회피전략 특정행위자가정책결정에대하여비난을받았을때비난에대한수용또는자기반성적행위를하는것이아니라그책임을타인에게돌리려고하는행태를 비난회피 라할수있다. 또한정책결정과정에서정책결정자들은호평극대화자 (credit maximizer) 가되려고하기보다는비난최소화자 (blame minimizer) 가되려고한다. 즉, 정책결정자들은호평보다비난을회피하는전략을사용한다는것이다. 대통령또한임기중정치적, 경제적정책결정후성과나문제가발생했을때국민들에게언어적상징을통해비난을최소화하기위해외부적인문제로책임을회피하려는표현을사용한다. 신년사의내용에대한언어적분석과정에서대통령또는정부가국민들의신뢰를높이거나감소를최소화하기위한언어적상징전략으로비난회피전략을사용하였다. 내용분석을통해비난회피의유형은네가지로나타났다. 정치적, 경제적성과가발생한경우 자찬, 타찬 의유형을사용하고, 경제적인어려움이발생했을시에는문제의원인을다른외부요인으로책임을 전가 하거나대통령과정부의잘못으로 인정 하는형태로나타났다 8). 가. 자찬자찬으로대통령임기중에나타난가시적인성과에대하여대통령스스로의공으로인정하고이를공표하는경우이다. 이를 제도적자찬 이라고도한다. (19) ㄱ. 우리는참으로위대한민족입니다. 전쟁과가난, 독재의질곡을이겨내고불사조처럼일어선민족입니다. 메마른땅에한강의기적을일구었습니다. 우리는민주화와산업화를동시에이룩한자랑스런국민입니다. 줄기찬변화와개혁그리고세계화를통해나라의위상 8) 비난회피전략은이영범 (2008), 권향원 (2013) 에서자세하게논의를진행하였다. - 272 -
역대대통령신년사담론에나타난언어표현전략고찰 을국제사회에드높였습니다. 이제대한민국은세계 10위권의국력을자랑하는당당한나라인것입니다. - 김영삼대통령 1997년ㄴ. 지난해북한괴뢰는그침략행위를더욱노골화하여빈번한휴전선침범외에, 무장공비를서울과울진 삼척지구에침공시켜, 무모하게도게릴라거점을탐색하려했는가하면, 노소남녀구별없이무고한양민을학살하는등, 천인이공노할만행을자행하였습니다.( 결과 ) 나는, 지난연말서울에서전국의국방 치안책임자들을소집하여, 적의어떠한침략에도, 능히대응할수있도록, 전후방의방위태세강화를당부하고, 특히군, 경찰, 향토예비군, 그리고모든국민이협조체제를강화하여지역방위에만전을기하고, 이땅에하나의공비도발붙이지못하도록, 방위와경계를철저히할것을당부한바있습니다.( 원인 ) - 박정희대통령 1969년 위예문 ( ㄱ ) 은먼저지난정권의실책인전쟁과가난, 독재를제시하고현정부의성과인민주화와산업화를제시하여지난정권과현정권을구분 비교하여현정권의성과와사회적변화를부각시키려고하는의도로자찬전력은구사하였다. ( ㄴ ) 은현정권이이룬지금의성과를대통령의공으로인정, 공표하려고한다. 성과를강조하기위해대통령이구체적으로어떤노력을했는지를명시한다. 구성상의특징으로사건의결과를먼저제시하고그사건이일어나기전행동 ( 조치 ) 에대해구체적으로설명한다. 이는지금의성과를위해구체적으로어떤노력을했는지를명시함으로써결과-원인의인과적선명성을구체화하려는전략으로보인다. 나. 타찬타찬은 제도적겸손 으로임기중나타난가시적인성과를상대인국민에게부여함으로써상대의지지를얻고자하는전략이다. 성과에대하여 국민의덕, 감사, 친애, 경애 등의수사적표현을통해성과를국민에게나눠주고, 공유함으로써국민적지지를얻고자한다. 또한경제적가시적인성과를구체적으로설명하고, 성과를만들기위해노력한특정한대상에게돌리는형태로성과의덕을배분한다. (20) ㄱ. 우리는갖가지시련과역경속에서도실로많은일을지난 1년에이룩해놓았습니다. 이는오로지국민여러분의뜨거운애국심으로유신이념을생활화하여여러가지어려움을참고이겨내면서불철주야헌신적으로노력해온결과라믿고, 여러분의그간의노고에대하여나는다시한번충심으로위로와치하를보내는바입니다. - 박정희대통령 1976년ㄴ. 우리한국은환란에처한나라들가운데에서개혁을통한경제위기극복에세계적인모범을보였다는국내외의평가를받게되었습니다. 낙관은이르지만시련의한해를보내는제야의종소리는이미전국을메아리쳤습니다. 대통령으로서시련의한해를국민과같이불철주야노력을해온저로서는국민여러분이한없이고맙고한없이자랑스럽습니다. - 김대중대통령 1999년 - 27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위예문 ( ㄱ ) 은 국민의애국심, 불철주야헌신적인노력 을 위로하고치하한다. 는표현을사용하였다. 그러나문장의주체는 나 ( 대통령 ) 이다. 이때사용된 치하 의의미는 남이한일에대하여고마움이나칭찬의뜻을표시함 으로대통령과국민은공동체의일원으로인식하고있지않다는것을의미하며, 권위적인시선에서국민에게성과배분을하는것으로보인다. 예문 ( ㄴ ) 은성과배분의대상인국민에게 고맙고자랑스럽다 는어휘를사용해대통령과국민의공동체의일원으로 국민과같이불철주야노력을 한점을강조하고있다. 이처럼타찬은화자가단순히비난의책임만을배분하는것이아니라, 성과를상대인국민에게배분, 공유함으로써청자에게좋은이미지를전달하려는전략으로사용되었다. 다. 전가대통령임기중정치적, 경제적어려운상황에서화자인대통령을상황으로부터분리시키고, 어려운상황에서부각되는다양한문제의원인을외부로돌림으로써사회적반발을우회적으로피하려는전략이다. (21) ㄱ. 작년말의세계적인유류파동은자원전쟁을더욱치열하게만들었으며, 국가이익을추구하기위해서는각국이얼마나무자비한가하는국제사회의냉혹성을한층더심각하게피부로느끼게하였읍니다. 이같은내외로부터의갖가지도전은우리조국의분단된현실때문에우리에게는더욱더어려운시련이되고있다하지않을수없습니다. - 박정희대통령 1974년ㄴ. 81년은세계적으로대단히어려운한해였습니다. 큰전쟁이있었다든가경제적파탄이있었기때문이아니라, 그보다더심각하다고할수있는정치질서, 경제질서의기저를흔드는불확실성, 불안정성이잉태됐었기때문인것입니다. 혼란을거듭하고있는폴란드사태를비롯하여 선진공업국가들의유례를보기드문경제침체와각국간의무역마찰 계속된정치적사회적혼란을수습하고안정을회복한토대위에서우리는정의로운민주복지국가를지향하는제 5공화국의터전을굳게닦았던것입니다. 이러한새출발은단순히정치만의변혁을뜻하는것이아니라, 사회각분야에오랫동안스며있었던당위성에입각한것이었읍니다. - 전두환대통령 1982년ㄷ. 우리사회에는급격한민주화와함께오랜기간덮여져온문제가노출되고억눌려온불만과욕구가한꺼번에터져나와어려움이있었습니다. 지난시대의잘못을청산하는데도진통이따랐습니다. - 노태우대통령 1889년ㄹ. 지난한해물가와일자리문제로참으로국민여러분의어려움이많았습니다. 정말안타깝게생각하며진심으로위로를드립니다. 올한해도세계경제의어려움이예상되고한반도정세또한유동적입니다. 이런가운데에서도함께힘을모아어느나라보다먼저이어려움을극복해야하겠습니다. - 이명박대통령 2012년 예문 ( ㄱ ) 에서현재우리가처한어려움은외부의요인 ( 유류파동 ) 과분단이라는상황을통해문제의원인을전가하려는의도적표현이다. ( ㄴ ) 은전두환정부의정당성확보를위해문제의원인을외부에 - 274 -
역대대통령신년사담론에나타난언어표현전략고찰 서찾으려는의도이다. 81년은우리나라뿐만아니라전세계적으로 불확실성, 불안정성 때문에어려운해였음을강조하고그러한어려움속에서 12.12 군사반란과 5.17 내란으로정권을잡은제5공화국의당위성을주장하고있다. ( ㄷ ) 는대통령취임초기에나타난사회혼란을현정권의대통령과정부의잘못이아닌사회적문제, 과거청산때문임을강조하고있다. 원인에서대통령을배제하려는의도로전가전략을사용하였다. ( ㄹ ) 에서이명박대통령은경제위기속에대통령직을수행하게되었지만계속되는경제위기는우리만의문제가아니라세계적흐름이기때문에우리의힘으로바꿀수없다는의도로경제적어려움의원인을세계의탓으로전가한다. 라. 인정인정은임기중발생한문제의탓을자신인대통령과정부에게돌림으로써사회적으로바람직하고생각하는표현을사용하여국민들에게정치적, 사회적정당성을얻고자하는전략이다. 대통령신년사에도인정의전략을구사하는사례가많지않다. 그러나시대적변화에따라노태우대통령부터인정의전략이나타나기시작했다. 인정의언어적표현은약하나앞선정권들과달리문제의원인을정부의책임으로인정하고있다는점에서큰차이가있다. 임기중권력에대한신뢰의감소를완화하기위하여 정부의인지 와 정부의노력 이라는표현을사용하였다. 그후대부분의정부는정치적, 경제적실패에대해솔직한표현을사용하였다. (22) ㄱ. 새해우리가해야할최우선의과제는우리경제의활력을되찾아다시한번힘찬도약을이루는일입니다. 그것은근로자와기업, 국민과정부 모든경제주체가한덩어리가되어더열심히일하고새로운기술과상품을개발하는것입니다. 우리경제의경쟁력을강화하기위하여정부는다각적인대책을마련하여추진하고있으며, 새해에는그효과가서서히나타날것입니다. - 노태우대통령 1992년ㄴ. 저는국민여러분이생활속에서느끼시는불편이나걱정을잘알고있습니다. 그것은국정을책임지고있는바로저의아픔이요과제입니다. 이고비를슬기롭게넘어야합니다. 그래서미래를향한민족의꿈을반드시달성해야만합니다. 우리국민은과거에지금보다더힘들고어려웠던시련을훌륭하게극복한저력을지니고있습니다. - 김영삼대통령 1997년ㄷ. 이렇게된데에는외부적인영향도큰게사실이지만, 우리내부적책임이더크다고생각합니다. IMF 외환위기를극복했다는안일한인식으로인해구조조정을철저히하지못한것이무엇보다중요한원인이었습니다. 금융, 기업, 공공, 노동의 4대개혁을보다철저히했던들상황은지금같이어려워지지않았을것입니다. 전반적인개혁의방향은옳았지만실천이철저하지못했습니다. 이모든것이대통령인저의책임이라고통감하면서국민여러분께죄송함과위로의말씀을드립니다. 그리고저와정부는새로운각오로새해의국정에임하여금년을고난의극복과희망에의한해로만들겠다는것을다짐드리고자합니다. - 김대중대통령 2001년ㄹ. 지난한해저와정부는원칙과일관성을가지고열심히노력했습니다만, 국민여러분의어려움을다풀어드리기에는여러가지로부족한점이많았습니다. 무엇보다서민생활의 - 27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어려움을속시원히풀어드리지못한점, 매우송구스럽게생각합니다. 국민여러분, 지금우리경제를어렵게하는원인이무엇인지는분명히드러나있습니다. 그중에서도대기업과중소기업, 첨단산업과전통산업, 정규직과비정규직, 수도권과지방, 그리고상, 하위계층간의심화된격차는더이상외면할수없는시급한과제입니다. 여기에는여와야, 진보와보수, 성장과분배가다로있을수없습니다. 대한민국공동체의공존과번영을위한협력이필요합니다.- 노무현대통령 2005년 예문 ( ㄱ ) 정부의신뢰감소를완화하기위해 정부는다각적인대책을마련 이라는표현을사용하였다. ( ㄴ ) 에서는반대로신뢰회복을위해대통령이 국정을책임지고있는바로저의아픔이요과제 라는표현을사용하였다. 대통령인자신이국민의힘든점을공감한다는의도로사용하였다. 위 ( ㄱ ) 과 ( ㄴ ) 은대통령과정부의문제의원인을인정하는전략을사용하였지만구체적인원인과대안의제시없이추상적인표현으로마무리를하고있다. 반면인정중가장강한표현을사용한예문은 ( ㄷ ) 이다. 대통령스스로 외부가아닌내부문제라는점 과 대통령인저의책임이라고통감하면서 라는표현을통해정부의신뢰가감소되더라고앞으로진행하는일에대한지지와정당성을얻기위한전략으로분석된다. 특히 실천이철저하지못했습니다. 라는구체적인원인을제시하였지만추상적인표현인 새로운각오 라는표현을사용하였다. ( ㄹ ) 은 저와정부는 여러가지로부족한점이많았습니다 의문장에서자신과정부의부족한점을인정하고있지만, ( ㄷ ) 에비해인정의정도는약하다. 특이한점으로구체적인원인을다음단락에서제시한다. 이에자신과정부의원인 ( 부족한점 ) 보다사회적문제가원인이었음을점을강조한것으로보인다. 이는 인정 과 전가 가동시에나타난점이특이하다. 각대통령별신년사의내용분석을통해비난회피전략을살펴본결과는다음과같다. 대부분의대통령은국민을상대로하는신년인사라는특수성으로가시적성과를국민들에게나눠주고, 공유함으로써국민적지지를얻고자 타찬 을많이사용하였다. 그러나박정희대통령은국가경제발전, 수출, 국민들의경제적풍요를목표제시한만큼가시적인성과를대통령스스로의공으로인정하고이를공표하는자찬의전략을활용하였다. 즉, 경제적풍요를강조함으로써국민적지지를이끌어내고있다. 전가의전략은임기초에나타난사회적, 경제적어려움을지난정부의잘못이나문제의원인을외부로돌려비난을회피하려는의도에서사용되었다. 반면, 인정의전략을구사하는사례가많지않다. 노태우대통령을기점으로그이전의대통령은 인정 의전략을사용하지않았다. 그러나노태우대통령을비롯한대부분의대통령은국민의신뢰가낮아지는임기말에인정의전략을구사하였다. 3. 결론 본논문은대통령의언어표현을살펴보기위해신년사를중심으로어휘사용양상, 1인칭대명사의의미, 변화와비난회피전략을살펴보았다. 대통령별언어표현을어휘사용양상을통해공통적으로나타난어휘는청중인국민을지칭하기위해 국민, 동포, 민족 이많이사용되었다. 대통령별로그시대의정치적, 경제적상황에따라사용된 - 276 -
역대대통령신년사담론에나타난언어표현전략고찰 어휘는다양하게나타났다. 1인칭인칭대명사 우리, 나 저 를중심으로의미분석을하였다. 먼저, 우리 가가지고있는의미를살펴본결과 우리 는화자가청자와함께하려는유대감과청자가화자와동일내집단에속해있음을강조하기도한다. 또한내, 외집단으로구별하여배타성을드러내기도하였다. 마지막으로사람이아닌시대적혹은공간적의미를나타냈다. 다음으로, 나, 저, 본인 을통해역할에대한인식을엿볼수있었다. 사회가변화하면서대통령과국민을구분하여지칭하는경우가줄어들고, 대통령과국민을공동체일원으로지칭하는표현이늘어났다. 특히, 대통령이권위적이고절대적인위치를나타내는 나, 본인 에서국민과같이협력하여나라를운영하는상호협력적관계를표현하기위해 저 로바뀌었다. 내용분석을통해비난회피전략을살펴본결과는다음과같다. 대부분의대통령은국민을상대로하는신년인사라는특수성으로가시적성과를국민들에게나눠주고, 공유함으로써국민적지지를얻고자 타찬 을많이사용하였다. 그러나박정희대통령은국가경제발전, 수출, 국민들의경제적풍요를목표제시한만큼가시적인성과를대통령스스로의공으로인정하고이를공표하는자찬의전략을활용하였다. 즉, 경제적풍요를강조함으로써국민적지지를이끌어내고있다. 전가의전략은임기초에나타난사회적, 경제적어려움을지난정부의잘못이나문제의원인을외부로돌려비난을회피하려는의도에서사용되었다. 반면, 인정의전략을구사하는사례가많지않다. 노태우대통령을기점으로그이전의대통령은 인정 의전략을사용하지않았다. 그러나노태우대통령을비롯한대부분의대통령은국민의신뢰가낮아지는임기말에인정의전략을구사하였다. - 27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참고문헌 강태완 김은정 (2004), 역대대통령의연설문에나타난수사적특징과역할규정, 사회과학연구 30권 2호, 경희대학교사회과학연구원, pp. 53-89. 권향원 최도림 (2013), 대통령의언어적상징전략에대한연구 : 역대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대통령의공식연설문분석을중심으로, 정부학연구 19권3 호, 고려대학교정부학연구소, pp. 285-320. 김명기 (2002). 역대한국대통령들의대국민커뮤니케이션에관한연구 : 취임사의장르비평을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김병홍 (2005), 이문열의신문칼럼에대한비판적담론분석, 우리말연구 17집, 우리말학회, pp. 152-169. 김은주 (1986). 박정희대통령연설문의수사체계분석.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김정남 (2003), 한국어대명사 우리 의의미와용법, 한국어의미학 13, 한국어의미학회, pp. 257-274. 김혁 (2014), 대통령의리더십과정책의제설정양태에대한연구 : 역대대통령들의주요연설문에대한내용분석을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23권 2호, 서울대학교한국정치연구소, pp. 77-102. 김현국 (2001), 연설문의문체연구 : 대통령취임사를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23집, pp. 243-297. 김혜령 (2016), 1인칭대명사의의미분석 의미실현조건분석을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 70호,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pp. 267~294. 백미숙 (2002), 연설문의들머리와마무리구조분석, 독어학 제 5집, 한국독어학회, pp. 253-287. 성미경 (2003). 대통령대국민담화문의수사학적특성에관한비판적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윤종성 (2015), 역대대통령의국정운영성과에관한연구, 사회과학연구 제31집 2호, pp. 207-234. 윤희중 (1982). 박정희대통령의담화문및신문의그보도성향에관한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이영범 (2008), 행정조직, 리더십 : 정책결정과정에서의정책결정자의비난회피전략에관한연구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노동자성인정논쟁을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하계학술발표논문집, 한국정책학회, pp. 5-28. 이은숙 (2002), [ 쟁점으로본대통령선거사 4] 역대정권의경제정책과경제구조의변화, 내일을여는역사 제10호, pp. 55-70. 이철우, 이혁화 (2011). 공익광고언어의표현전략으로본 우리 의의미, 우리말글 51집, pp. 117-143. 이한규 (2007), 한국어대명사 우리, 담화와인지 14(3), 담화 인지언어학회, pp. 155-178. 황창호, 이혁우, 임동완 (2015), 역대대통령연설문의유형과특징에대한비교연구 - 연설문의유형, 분야, 주제, 시점을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제29권제4호, pp. 27-50. 홍정화, 장지호, 조용현 (2014), 한국의역대대통령들이추구한경제정책들에대한통시적연결구조분석- 1948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사회와행정연구 제25권제1호, pp. 53-93. - 278 -
역대대통령신년사담론에나타난언어표현전략고찰 에대한토론문 최정혜 ( 가천대 ) 이논문은역대대통령의신년사에나타난어휘사용양상과비난회피전략을주로고찰하고있습니다. 역대대통령들의신년사를통해대통령연설문이가지는수사학을살펴볼수있었다는점에서흥미로움과함께대한민국의역사를거칠게나마회고할수있었다는점에서도의미가있는발표문이라고생각합니다. 국민을대하는역대대통령들의마음가짐이반영된언어표현들에대한분석과, 대통령들이당시한국의상황을어떻게인식하는지가드러나는비난회피전략에대한필자의분석에대해서본토론자는상당부분동의하고있습니다. 이에본토론자는발표문을읽으면서가졌던궁금한점들을질문의형식을빌려말씀드림으로써토론자의소임을다하고자합니다. 먼저각신년사들의구조가서론-본론-결론으로이어지는 3단 ( 또는 4단 ) 구조를가지고있다고하셨습니다. 그리고각단계에서보이는내용적특징을인용문 (1)~(3) 에서보여주셨지만각각의다른신년사를대상으로간단히언급하고있어서, 연구하셨던신년사들의구조에서는어떠한세부적인특징이나타나는지는알수가없었습니다. 대상으로하신신년사들의구조에서는차이점이없이일관된구조로나타났던것인지궁금합니다. 신년사에속에서청중을지칭하는 국민, 동포, 민족 에대한사용양상이시대에따라달리나타난점을말씀하셨습니다. 이부분에대한기술에서 어떤대통령이어떤대통령보다 국민 을많이사용하였다. 정도로만기술하셨는데, 가능하다면그수치를보여주는것도내용의이해를돕는방법이되리라생각합니다. 대통령의신년사에나타난특징적인어휘들을발표문에서보여주셨는데, 여기에더하여그단어들의구체성을살펴보는것도해당대통령의인식을볼수있는방법이될것이라생각합니다. 예를들어, 일자리문제 라고말하는것과 정규직과비정규직문제 또는 청년실업문제 라고말하는것은해당사안에대한대통령의인식의정도의차이를볼수있는부분이라고생각합니다. 더불어서구체적인단어를사용하는사안의영역과일반적인단어를사용하는사안의영역에차이가존재하는지, 그리고차이가존재한다면어떤의도가반영된것은아닌지도생각해볼수있는부분이라고봅니다. 발표문의 우리 를해석하는부분에서, 인용문 (17) 의김대중대통령 2000년신년사에서 우리 는 사람이나유정물을의미하기보다시대적혹은공간적의미를나타낸다 고해석하셨습니다. 집합의의미를강조하기보다는시점이나공간적인위치를강조하기위해사용되었다 고보신이유에대해서조금더상세한설명을부탁드립니다. 토론자가보기에는 우리나라 로해석하여도크게무리는없는것같아서질문을드립니다. 비난회피전략의 4가지유형인 자찬, 타찬, 전가, 인정 이역대대통령들의신년사에서어떻게 - 27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달리나타나는지도궁금한부분입니다. 설명하신것처럼, 정치적이나경제적성과가발생한경우에는 자찬 이나 타찬 의유형을사용하고, 경제적인어려움이발생했을때에는문제의원인을다른외부요인으로책임을 전가 하거나대통령과정부의잘못으로 인정 하는형태로나타났다 는데에는동의하지만, 이역시역대대통령 ( 또는정부 ) 에따라서 4가지전략을사용하는양상이다르지않을까생각합니다. 따라서 자찬, 타찬, 전가, 인정 이나타나는신년사의내용들을발췌하여보여주신부분에더하여, 역대대통령들이위 4가지전략을어느정도의비율로신년사에서사용하고있는지, 그리고 자찬 이나 타찬, 전가, 인정 이나타나는전형적인내용들은어떻게같고다른지도보여주신다면, 역대대통령들의국정운영에대한입장이나인식도같이볼수있을것이라생각합니다. 대통령의연설문은단순히텍스트로서의분석대상을넘어서서당시대통령과정부가국민과나라를어떻게인식하는지를볼수있는자료라고생각합니다. 연설문에대한연구는자료자체의객관적인분석이당연히기본이되어야하겠지만, 대통령의연설문이라는것이태생적으로당시사회상황과결부시켜생각할수밖에없는자료라는점도분석의한영역을차지하는이유가되리라생각하면서부족한토론문을마칩니다. - 280 -
2018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 일반발표 ( 제 4 분과 )> 문법교육에서의 표현의도 개념에대한기호학적고찰조진수 ( 서울대 ) 다문화사회와국제이민자문화적응연구 : 러시아어권동포청소년을대상으로 ( 이론적검토 ) 강수경 ( 부산대 ) 속담을활용한비교문화교육안 : 일본인학습자를중심으로김희경 ( 후쿠오카여대 ) - 281 -
01- 일반 4 분과 -1 ( 마지막에삭제됩니다 ) 문법교육에서의 표현의도 개념에대한기호학적고찰 조진수 ( 서울대 ) Ⅰ. 서론 : 표현의도 개념의모호성 최근문법교육에서 표현의도 라는용어가빈번히사용되고있다. 논문, 교육과정, 교과서에서 표현의도 라는용어를어렵지않게찾을수있다. 그런데 표현의도 는어떤이론에터해있는지에따라개념화되는방식에큰차이가있다. 문제는현재문법교육에서사용되는 표현의도 가어떠한이론적관점에서개념화된것인지가분명하지않다는것이다. 예컨대, 문법교육에서사용하는 표현의도 하는말을듣고화행이론의 언표내적행위 (illocutionary act) 를떠올렸다면이는적절한것인가? 문법교육에서사용되는 표현의도 라는용어가화행이론에서논의되는 언표내적행위 에해당하는것인지, 만일아니라면두개념간에는어떤차이가있는것인지아직명료하게논의된바없다. 표현의도 의개념적모호성은그외에도여러측면에서논의될수있다. 예컨대, 표현의도 는 표현효과 와동일한개념인가? 만일동일하지않다면그차이는문법교육에서유의미한가, 그렇지않은가? 국어과교육과정에서 표현의도 와 표현효과 라는용어가모두사용된바있음에도불구하고, 두용어간의차이가무엇인지의문제도충분히규명되었다고보기어렵다. 그외에도주로장르문법에서논의된 표현의도 를장르차원이아니라개인차원으로잘못이해하는경우도많다. 신문기사에사용된피동표현, 인용표현이특정한표현의도를가진다고해석할수있다는주장에대해필자가그와같은특정한의도를가지고해당언어형식을선택했는지를묻는경우를예로들수있다. 이는장르문법에서의 표현의도 개념에대한이해부족으로인해생긴오독으로간주하고넘길수도있으나, 장르차원의표현의도가표현의도개념의전체구조에서어떤위상을차지하는지명료하게정의되지못했다는문제에도주목할필요가있다. 본연구는이러한문제의식을출발점으로삼아문법교육에서의 표현의도 개념에대해논의하고자한다. 한편의발표에서 표현의도 가터하고있는모든이론적기반을다루기는어렵기때문에, 여기에서는사회기호학을바탕으로한체계기능언어학과퍼스의기호학을바탕으로이문제에대해논의하고자한다. - 28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Ⅱ. 표현의도 에서발신자와수신자의문제 1. 발신자의원의도 와 수신자가구성한발신자의의도 표현의도 의개념정립을위해서는발신자와수신자개념을반드시고려해야한다. 발신자가실제로가졌던표현의도 와, 수신자가생각하는발신자의표현의도 는개념적으로구분되기때문이다. 표현의도 가발신자측면과수신자측면에서구분되는개념이라는사실은너무당연한이야기지만, 그간크게주목받지못하였다. 표현의도를발신자측면과수신자측면에서구분한논의는기호학자인움베르토에코 (U. Eco) 의저서에서확인할수있다. 에코는기호의발신과수신을의도의유무를기준으로구분하고각유형에해당하는사례를제시한바있다 (Eco, 1973, 김광현, 2000:63-70). 에코는여기에 수신자가발신자에게부여하는의도 와 발신자가수신자에게부여받았으면하는의도 의유무를더하여기호의발신과수신과정에서생기는경우의수를복합적으로정리한바있으나여기서는우선발신과수신이라는기본적구분의문제에만초점을맞추어논의한다. 에코의방식을참고하되, 기호를 언어형식 으로치환하고발신자의의도유무와수신자의의도유무만을고려하여경우의수를정리하면다음과같다. 여기서 + 는발신자의경우의도적으로언어형식 ( 기호 ) 을선택한경우이고, 수신자의경우언어형식이담지한의도를의식적으로인지한경우이다. 발신자수신자 + + + - - + - - 각유형별사례를다음과같이제시할수있다. ( 유형 1) [+ +] 기자가신문기사를쓸때행위주의행위성을약하게만들기위해의도적으로능동대신피동을선택하였고, 해당기사를읽는사람은기자가의도적으로피동표현을사용했음을인지하였다. ( 유형 2) [+ -] 기자가신문기사를쓸때행위주의행위성을약하게만들기위해의도적으로능동대신피동을선택하였으나, 해당기사를읽는사람은기자가의도적으로피동표현을사용했음을인지하지못하였다. ( 유형 3) [- +] 기자가신문기사를쓸때명시적인의도를갖지않고피동표현을썼는데결과적으로행위주의행위성이약하게되었고, 해당기사를읽는사람은기자가의도적으로피동표현을사용했다고생각했다. ( 유형 4) [- -] 기자가신문기사를쓸때명시적인의도를갖지않고피동표현을썼는데결과적으로행위주의행위성이약하게되었고, 해당기사를읽는사람은피동이라는언어형식이선택되었다는사실을의식하지못하였다. - 284 -
문법교육에서의 표현의도 개념에대한기호학적고찰 2. 원의도 와 해석된의도 간의相馳문제 위의네가지유형중특히발신자의원의도와수신자에의해해석된의도가상치되는유형 2와유형 3에주목할수있다. [+ -] 의특성을갖는유형 2는문법교육에서표현의도개념이갖는유용성을단적으로보여준다. 발신자가의도적으로선택한언어형식에주목하지못하는수신자는문법교육에서표현의도개념을활용해야함을잘보여준다. 문법교육에서특정한언어형식이표현의도를담지할수있음을지도함으로써유형 2의상태에놓인학습자를유형 1로바꿀수있다. 유형 2가문법교육에서표현의도교육의필요성을명시적으로보여주는경우인것은분명하지만, 그렇다고하여유형 3의중요성이간과되어서는안될것이다. 유형 3은장르문법적표현의도를비롯하여매우다양한경우를포괄한종합적유형이기때문에, 유형 3을좀더세분화하여살필필요가있다. 발신자가 ( 개인적차원에서 ) 의도적으로특정언어형식을선택한것이아닌데, 수신자가이를의도성을담지한언어형식으로인식하는상황은도대체어떤경우에일어날수있는것일까? 이에해당하는경우를몇가지생각해보면다음과같다. < 유형 3의하위유형 > ( 유형 3-1) [ 징후적선택 ] 기자가신문기사를쓸때명시적으로행위주의행위성을약하게하려고의도하지는않았으나자신도모르는사이여러이유로 ( 예컨대어떤간접적인외압으로 ) 행위주의행위성이강하게드러나면안된다고느끼게되었다. 이런상황에서명시적인의도를가지고피동표현이라는언어형식을선택한것이아니고, 즉자신이능동표현이아닌피동표현을선택했다는사실을인식하지도못하고문장을작성하였다. 그런데이러한 ( 자동적 ) 피동표현의선택에행위주의행위성을강하게드러내면안된다는무의식적인느낌이관여하였다. 본고에서는이러한선택이징후적성격을띤다고보고이를 징후적선택 이라고명명한다. ( 유형 3-2) [ 장르적선택 ] 기자가신문기사를쓸때명시적으로행위주의행위성을약하게하려고의도하지는않았으나장르적관습에익숙해져있는상태에서쓰다보니특정문장에서피동표현을선택하게되었다. 이기자는명시적인의도를가지고피동표현이라는언어형식을선택한것이아니고, 즉자신이능동표현이아닌피동표현을선택했다는사실을인식하지도못하고문장을작성하였다. 그런데이러한 ( 자동적 ) 피동표현의선택에장르적관습이관여하였다. 본고에서는이러한선택이장르적성격을띤다고보고이를 장르적선택 이라고명명한다. ( 유형 3-3) [ 해석적과잉 ] 기자가신문기사를쓸때특정문장에피동표현을사용하였는데명시적인의도를가지고피동표현을선택한것이아니고, 징후적혹은장르적차원에서선택한것 - 28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도아니다. 그런데이를해석하는사람이피동표현이라는언어형식에특정한의도가담겨있다고과잉해석하는상황이다. 본고에서는이를 해석적과잉 으로명명한다. 유형 3-1과유형 3-2는발신자가명시적인의도없이특정한언어형식을선택할수있는경우의수를나타낸다. 발신자의명시적인의도가없더라도무의식적인혹은장르적인의도가담길수있으므로수신자가이를특정한의도가담긴것으로해석하는것은문제가되지않는다. 유형 3-3은유형 3-1, 3-2와성격을달리한다. 3-3은발신자의명시적의도가없고, 징후적선택과장르적선택도아닌상황에서수신자가과잉해석을하는경우를가리킨다. 이상의내용을살펴보면, 발신자의표현의도도다양하지만수신자가구성한발신자의의도는더욱다양한양상을띤다는점을알수있다. 발신자의표현의도문제는언어형식의선택이가능성의체계 (system) 와관련된다고본체계기능언어학에서논의된바있다. 본발표에서는이에더하여수신자의해석가능성체계를논하기위하여퍼스기호학의 해석체 (interpretant) 의문제에주목하고자한다. 이에대해서는 3장에서상론한다. Ⅲ. 표현의도해석의가능태 : 체계기능언어학과퍼스기호학의만남 1. 체계기능언어학과발신자의표현의도 표현의도의문제를발신자측면과수신자측면으로구분하여살필필요가있음을앞선논의에서지적하였다. 발신자측면의표현의도문제는체계기능언어학에서심도있게논의된바있다. 여기서는체계기능언어학에서발신자의표현의도를어떤방식으로다루어왔는지를간략히살피고, 수신자가구성하는표현의도해석의문제로넘어가고자한다. 체계기능언어학은언어형식의선택에관여하는속성들을가능성의체계로제시한다. 다음은조진수외 (2015:225) 에서인용한체계기능언어학의양태선택항체계의일부를재인용한것인데, 특정한언어형식의선택에여러표현의도가존재할수있음을보여준다. [ 그림 1] 체계기능언어학의양태체계일부 (Halliday & Matthiessen, 2004:150) - 286 -
문법교육에서의 표현의도 개념에대한기호학적고찰 위의선택항체계를활용하면, 언어주체가어떠한표현의도를가지고양태표지를선택하는지알수있다. 양태선택항체계의구성요소중하나인값 (value) 의경우개연성이높거나낮은상태를표현하려는의도를설명해준다. 정향 (orientation) 의경우 주관적 / 객관적, 명시적 / 암묵적 으로양태를드러내려는표현의도를설명해준다. 1) 2. 퍼스기호학과수신자가구성하는 ( 발신자의 ) 표현의도해석의가능태 2.1. 해석체 의설정과기호해석의수신자인식 체계기능언어학에서제시한선택항체계는발신자의표현의도를효과적으로설명해주지만, 이러한선택항체계가수신자의측면에서도유효한지에대해서는좀더많은논의가필요하다. 유형 3 [- +] 과같이발신자의표현의도와수신자의해석이상치되는경우도존재하기때문이다. 본절에서는퍼스의 해석체 개념을활용하여표현의도를수신자의관점에서설명해보고자한다. 퍼스는기호작용이대상 (object), 표상체 (representamen)( 또는기호 (sign)), 해석체 (interpretant) 의삼항관계로이루어진다고보았다 (CP 2.228). 여기서 해석체 는 ( 표상체혹은기호로인하여 ) 해석자의마음속에만들어진동등한기호또는아마도더발전된기호 (... creates in the mind of that person an equivalent sign, or perhaps a more developed sign) 를가리킨다 (CP 2.228). 해석체 는표현의도를발신자측면과수신자측면으로구분하려는본고의관점에서매우유용한개념이다. 기호를기표와기의의합으로규정한소쉬르의논의에서는 기의 가발신자측면의개념인지수신자측면의개념인지를구분하기어렵다. 그러나퍼스가제시한 해석체 는발신자가생성한기호의영향으로수신자의마음속에만들어진것이라는점에서발신자와수신자의구분을가능하게한다. 퍼스의기호학에서는기호를해석하는사람이마음속에어떤기호를떠올리는것으로기호의해석과정을설명한다. 어떤기호를보고수신자가그기호의의미를떠올린다는상식적수준의설명을좀더정치하게들여다보면, 어떤기호를본수신자가특정한의미를떠올리기위해서는수신자스스로어떤기호를구성하는과정이선결단계로요구된다는것이다. 수신자가구성하는기호, 즉해석체는퍼스의지적대로발신자의기호와동등할수도있고그기호에서더나아간또다른기호일수도있다. 2.2. 해석체의하위유형과기호해석의가능태, 실현태 해석체가표현의도를수신자측면에서설명하는데어떠한기여를하는지구체적으로살피기위해서는해석체의하위유형을검토할필요가있다. 퍼스는해석체를 Immediate Interpretant( 비중재적해석체, 즉각적해석체 ), Dynamical Interpretant( 역동적해석체 ), Final Interpretant( 최종적해석체 )(CP 4.536) 로구분한바있다. 세가지해석체의개념에대한명료한설명은퍼스가 1909년레이디웰비 (Lady Welby) 에게보낸편지에서확인할수있다 (Short, 1996:493-494). 1) [ 그림 1] 에대한자세한설명은조진수외 (2015) 참조. 더하여체계기능언어학의기호학적기반에대해서는조진수 (2018) 참조. - 28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Immediate Interpretant( 비중재적해석체 2), 즉각적해석체 ): 어떠한해석자도개입하기전, 기호가가지고있는그기호만의해석가능성 (interpretability) Dynamical Interpretant( 역동적해석체 ): 기호가실제로해석자에게끼친직접적인효과 Final Interpretant( 최종적해석체 ): 기호가충분히고려되었다면모든해석자가운명적으로도달하게되는해석적결과 (Short, 1996:493-494, 번역은필자에의한것임 ) 퍼스가제시한세가지유형의해석체중 비중재적해석체 (Immediate Interpretant) 와 역동적해석체 (Dynamical Interpretant) 는체계기능언어학의용어를빌리면, 가능태 와 실현태 로바꾸어말할수있다. 단, 체계기능언어학에서는일차적으로발신자의관점에서가능태와실현태를설정하였고, 퍼스의해석체는수신자의관점에서해석의가능태와실현태를설정하였다고볼수있다. 3) 2.3. 문법교육의사례분석 지금까지논의한내용을문법교육의사례에적용해보자. 어떤텍스트에피동표현이사용된것을본독자가피동표현이라는언어형식에담긴표현의도가무엇인지고민하는상황을생각해보자. 구본관 신명선 (2011:283) 을참고하면피동표현이라는언어형식이담지한발신자의표현의도를 피동작주가손실을입었음을나타내려는의도, 사태를객관적인사실로나타내려는의도, 행동주를숨기고싶은의도, 행동주인수신자의체면을살려주려는의도 로구분해볼수있다. 또한, 앞서의논의에서지적한바와같이피동이라는언어형식의선택에발신자의명시적인의도가존재할수도있고그렇지않을수도있다. 후자의경우다시 징후적선택, 장르적선택 과그외의경우로구분할수있다. 이러한점을종합적으로고려하여피동표현에담긴발신자의표현의도를수신자가해석하는과정을다음과같이도식화해볼수있다. 2) Immediate Interpretant 의번역어로는일반적으로 즉각적해석체 가사용된다. 그러나필자는 Immediate Interpretant 가해석자에의해특정한의미로해석되기이전의가능태라는점을고려하여 비중재적해석체 라는번역어를새로만들어사용하였다. 3) 퍼스기호학의개념과체계기능언어학의개념을이와같이대응시키는것은선행연구에기댄것이아니라본고에서새롭게제안하는것이다. - 288 -
문법교육에서의 표현의도 개념에대한기호학적고찰 퍼스기호학의용어 체계기능언어학용어를수신자의관점에서재해석 Immediate Interpretant ( 비중재적해석체, 즉각적해석체 ) 가능태 Dynamical Interpretant ( 역동적해석체 ) 실현태 텍스트의특정문장에사용된피동표현 ( 예 ) 발신자의의도 <-> 장르적선택사태객관화 해석의가능태, 즉비중재적해석체 (Immediate Interpretant) 에서역동적해석체로이행하는과정에는귀추 (abduction) 적사고가작용할것이다. 예컨대, 피동표현이어떠한장르의텍스트에사용되었는지, 해당텍스트내어떤위치에서피동표현이사용되었는지에따라역동적해석체가달라질것이다. 조진수 (2018:90) 에서는외교적텍스트의경우 책임소재문제가민감한특성을띠기때문에행위주명시문제는이데올로기적으로해석될가능성이높아진다 고지적한바있다. 물론개별사례에따라달라지겠으나외교적텍스트에사용된피동표현의경우책임소재의문제를고려하여행동주를의도적으로드러내지않았다는가설을세우게될가능성이높아진다. 따라서해석의가능태에서실현태로이행하는과정은현상적으로드러난정보를설명할수있는가장그럴듯한 (plausible) 가설을선택하는귀추 (abduction) 로설명할수있다. Ⅳ. 결론및제언 표현의도를발신자와수신자차원으로나누어생각해보는발상은 독서의언어학 을개념화한주세형 조진수 (2014) 에서도나타난바있다. 주세형 조진수 (2014) 는학습자가선택한언어형식을근거로학습자 ( 발신자 ) 의표현의도를추정하는과정을언어적교수 학습의패러다임으로정립하고이를 독서의언어학 으로명명한연구였다. 본발표는표현의도에초점을두고발신자의표현의도에대한수신자의해석과정을보다일반적인차원에서설명하고자하였고, 이과정에서퍼스의 해석체 개념을활용하였다. 서두에서밝힌바와같이 표현의도 라는개념은다양한관점에서설명할수있다. 본발표는기호학적관점에서표현의도개념을설명하고이를문법교육에서어떻게활용할수있을지를고민해본시론적연구이다. 앞으로표현의도에관한연구가다양한관점에서이루어져야문법교육에서표현의도를어떻게다루어야할지의문제를보다심도있게논의할수있을것이다. - 28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참고문헌 구본관 신명선 (2011), 원리중심의문법교육에대한연구, 국어교육연구 27, 서울대국어교육연구소, pp.261-297. 조진수 노유경 주세형 (2015), 학습자의논증텍스트에나타난 것같다 에대한문법교육적고찰, 새국어교육 105, 한국국어교육학회, pp.217-245. 조진수 (2018), 문법문식성관점의문장구조교육내용연구,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주세형 조진수 (2014), 독서의언어학, 청람어문교육 52, 청람어문교육학회, pp.197-232. Eco, U. (1973), Il Segno, 김광현역 (2000), 기호 : 개념과역사, 열린책들. Halliday, M.A.K.& Matthiessen, C. (2004),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3rd ed.). Hodder Arnold. Peirce, C. S., The Collected Papers of Charles S. Peirce, Ⅰ~Ⅵ, edited by Charles Hartshorne and Paul Weis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35). Peirce, C. S., The Collected Papers of Charles S. Peirce, VII-VIII, edited by Arthur W. Burk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58). Short, T. L. (1996), Interpreting Peirce s Interpretant: A Response To Lalor, Liszka, and Meyers, Transactions of the Charles S. Peirce Society, 32(4), 488-541. - 290 -
문법교육에서의 표현의도 개념에대한기호학적고찰 에대한토론문 윤창숙 ( 부산대학교 ) 이논문은 표현의도 의개념을체계기능언어학과퍼스의기호학을바탕으로논의하고이를문법교육에서어떻게활용할수있을지를고민한연구입니다. 논문에서는기호학자움베르토에코의견해를참고하여 표현의도 를발신자와수신자의측면으로구분하고특히그간주목받지못했던수신자의측면을퍼스기호학의 해석체 (interpretant) 라는개념을활용하여설명하고있습니다. 또한논문에서퍼스의 해석체 는발신자가생성한기호의영향으로수신자의마음속에만들어진것을의미하며비중재적해석체 ( 혹은즉각적해석체 : Immediate Interpretant) 와역동적해석체 (Dynamic Interpretant) 로나눌수있다고설명하면서전자는체계기능언어학에서의 가능태, 후자는체계기능언어학에서의 실현태 에해당하는것으로보고있습니다. 이때비중재적해석체는해석자개입전기호가가지고있는그기호만의해석가능성을가리키고, 역동적해석체는기호가실제로해석자에게끼친직접적인효과를가리킨다고진술하면서피동표현에담긴발신자의 표현의도 를수신자가해석하는과정을예로제시하고있습니다. 논문에서강조하는바와같이 표현의도 를발신자의측면과수신자의측면으로나누어분석하여이를문법교육에적용하려는시도는매우의의가있다고생각합니다. 다만교육이필요하다는것은교육의부재시문제가발생할수있다는것을의미한다고판단되어논문을읽으면서가지게된몇가지의문점에관해질문을드리는것으로토론을대신하고자합니다. 1. 원의도 와 해석된의도 간의상치문제 에관하여 논문 II장의 2. 원의도 와 해석된의도 간의상치문제에관한논의에서발표자께서는발신자의의도를수신자가인지하지못하는유형 2의경우, 문법교육에서특정한언어형식이표현의도를담지할수있음을지도하여발신자의의도를수신자가인지하는유형 1로바꿀수있다고보았습니다. 이를통해발표자께서발신자의의도가수신자에게인지되지않는것을문제점으로인식하는것으로이해하였습니다. 그렇다면발신자가의도하지않은것을의도한것이라고수신자가인식하는유형 3의 - 29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경우역시교육의대상이라고보시는지요? 만약교육의대상이라고보신다면교육의방법도동일하다고생각하는지궁금합니다. 2. 유형 3 의하위유형설정과관련하여 또한발표자께서는유형 3의하위유형을징후적선택, 장르적선택, 해석적과잉으로나누었는데그설명을살펴보면징후적선택과장르적선택은발신자의무의식과장르적관습을, 해석적과잉은수신자의과잉해석을기준으로한것으로보입니다. 이러한기준은수신자의관점에서구분한것인지궁금하며, 또한발신자가의도하지않았는데이러한기준으로하위구분하는것은어떠한면에서의의를갖는지궁금합니다. 특히 2.3에서피동표현에담긴발신자의표현의도를수신자가해석하는과정의설명을보면발신자의의도와는관계없이궁극적으로수신자가 피동작주가손실을입었음을나타내려는의도, 사태를객관적인사실로나타내려는의도, 행동주를숨기고싶은의도, 행동주인수신자의체면을살려주려는의도 로해석할가능성이있는것으로이해됩니다. 그렇다면발신자의의도유무를구분하는이유가무엇인지요? 3. 문법교육에서의활용 에관하여 발표자께서는서론에서 표현의도 라는용어가문법교육에서빈번히사용되고있으나개념이모호하다는것을문제점으로지적하면서논의를시작하였고 2.3. 문법교육의사례분석에서 피동표현 을예를들어설명하고있으나구체적이고실제적인내용이드러나있지않습니다. 질문 1과다소겹치는부분이있을수있으나발신자의 표현의도 와수신자의 표현의도 간의불일치로인해발생할수있는문제점에대한구체적인예시와이를해결하기위해발표자께서생각하는문법교육활용방안이있다면소개해주시기를바랍니다. - 292 -
01- 일반 4 분과 -2 ( 마지막에삭제됩니다 ) 다문화사회와국제이민자문화적응연구 - 러시아어권동포청소년을대상으로 ( 이론적검토 ) - 강수경 ( 부산대 ) * 1. 들어가며 UN통계에따르면지금전세계약 2억 5,700 만명의이주민들이노동, 교육, 결혼, 환경재난, 정치적박해등의다양한이유로고향을떠나살아가고있다 (UN, 2017). 이는세계인구의약 3.4% 에해당하는숫자이다. 한국의경우 2018 년 6월현재약 2백 29만명의외국인이체류하고있고, 이는전체인구의 4.4% 에해당하는가시적인숫자이다. 대개한사회에서외국태생인구비율이국민의 5% 를상회하면다문화사회로분류하는데, 한국의외국태생인구비율이 1990 년 0.11%( 약 4만 9,000 명 ) 에서 28년만에 4.4% 로급증하였다는사실은한국이다인종 다문화사회로급속히변화하고있음을말해준다. 이제한국사회에체류하는외국인수는 100명가운데 4명꼴이며한국사회의다문화현상은담론수준의그것이아니라일상이되었다. 특히한국은다문화사회를구성하는이주민들이비단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와같은외국인뿐만아니라외국출신의다양한국적을지닌재외동포 1), 북한이탈주민등으로이루어져있다는점이특징이다. 개인이다문화환경에노출되는것을일종의 경계넘기 2) 의과정으로본다면다문화사회는이질적인경험을변환하는역동의과정을수반하는것이라볼수있다 3). 이처럼문화접촉상황이더욱잦아지고다양한문화적배경을지닌개인들의적응이중요한문제로대두되면서문화적응에대한관심이증가하였다. 이에따라국내에서도문화적응과관련해무엇보다도다문화가정자녀들의교육관련연구및그에따른정책적차원의지원이활발히이루어졌고, 비교적최근인 2000년부터는정부관련기관및학계를 * 부산대학교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_ 박사과정 1) 본연구에서주요연구대상이되는 재외동포 의정의를확실히할필요가있다. < 재외동포재단법 >(1997) 과 < 재외동포의출입국과법적지위에관한법률 >(1999) 에따르면재외동포란 국적을불문하고한민족의혈통을지닌자 로서외국에서거주, 생활하고있는한인이다. 이들은다시 재외국민 과 외국국적동포 로구분되는데 재외국민 은통산 교포, 교민 이라지칭된다.( 김영주, 2018b:67 에서재인용 ) 한편 재외동포 란국적에상관없이, 외국에거주하는한민족전체를이르는말로, 일시체류자, 영주권자, 시민권자, 이민 2 세, 3 세등을모두포괄하여이르는말이다.( 박갑수, 2014:13-14) 2) 미국의비평가헨리지루와교육자인벨훅스에따르면, 하나의경계를넘는다는것은기존의체제와규범이현현되는구조와현상이도전받는것이며, 여기서학습자는새로운변환을모색해야한다. 즉경계넘기는그동안당연하게여기던상식, 관습, 규범, 태도, 기술, 사회문화적상호작용등이시험대에올라서도전받고, 다시한번해체되고재구성되는변환의과정이다. 3) 김진희. 2016. 다문화교육과평생교육 : 이론과실제. 서울 : 박영사. 174. - 29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시작으로그동안지원의사각지대에놓였던중도입국청소년들에대한관련연구들도점차진행되었다. 이미여러선행연구들에서밝힌바와같이누구보다도중도입국청소년들은새로운한국문화에적응하면서한국어와학업에대한부담뿐만아니라, 정체성의혼란과사회적거리감으로인해여러가지심리적이고사회적인어려움을겪고있다. 그러나기존에진행되거나추진되고있는중도입국청소년관련교육이나정부차원의정책들이아직까지당위적인수준의문제의식을공유하고있을뿐이라는지적을받고있다.( 이미정, 2018) 이는중도입국청소년들의학습자특성을파악한정교하고미시적인연구가이루어지지않았기때문인것으로파악할수있다. 이에본연구는중도입국청소년 4) 중러시아어권동포청소년을대상으로그들의한국문화적응양상과적응과정을한국어교육의관점에서탐색하고, 연구결과를바탕으로이들을위한한국문화적응프로그램을개발하고자한다. 본연구에서대상으로삼은러시아어권동포청소년을지칭하는범주는고려인과사할린교포 5) 출신부모님과함께한국에입국하여거주하는청소년으로한정한다. 2. 문화적응 2.1. 문화적응의개념 앞서다문화사회는일종의 경계넘기 의과정이며이질적인경험을변환하는역동의과정이라언급했다. 문화적응 (acculturation) 의개념은이같이여러문화사이의접촉이활발해지면서문화접촉 (cultural contact) 상황에서의적응문제에대한관심으로부터비롯되었다. 문화적응은인류학자와사회학자들이초기에문화접촉상황에서나타나는집단수준의변화를일컫는말로사용하였는데, 문화적근원이다른사람들간의지속적이고직접적인접촉의결과로일어나는변화 라고정의하였다. 6) 이처럼문화적응은원래집단수준의변화를말하였으나, 이후심리학자들이이분야에관심을가지게되면서문화적응은정서적, 행동적, 인지적측면을포함한개인수준에서의변화로개념화되었다. 최근가장많은학자들의지지를받고있는 Berry(1997) 는문화적응연구에서개인수준과집단수준을구분하는것이중요하다고지적하며, 개인수준의문화적응을 하나의문화적상황에서성장한개인들이이주로인해새로운상황에직면할때생기는문화적변화 로정의하였다. 7) 4) 중도입국청소년이란 2000 년이후급증하기시작한국제결혼재혼가정의증가에따라나타난집단이지만현재이들을지칭하는범주는다양하다. 첫째, 한국인배우자와재혼한결혼이민자의자녀로모국에살다한국에들어와거주하는청소년, 둘째, 국제결혼가정의자녀중외국인부모의본국에서성장하다입국한청소년, 셋째, 근로및학업을목적으로청소년기에입국한무연고청소년, 그리고넷째, 북한이탈주민과제 3 국에서출생하여부모를따라한국에온청소년으로크게분류할수있다.( 양계민외, 2011 참고 ) 본고에서연구대상으로삼는러시아어권동포청소년은두번째범주에속한다. 5) 고려인 은러시아를비롯한구소련국가에주로거주하면서러시아어를모국어로사용하는한민족동포이다. 그러나러시아에거주하고있는사할린한인들은역사적형성과정의차이로인해 고려인 에해당되지않는다. ( 한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 고려인 &ridx=0&tot=46 참고 ) 따라서본연구에서우리는이들러시아어권동포들을고려인과사할린교포로구분하여지칭하기로한다. 6) Redfield, Linton 과 Herskovits. 1936; 정진경외. 2004. 문화적응이론의전개와현황. 한국심리학회지 23(1) 한국심리학회. 104 쪽에서재인용. - 294 -
다문화사회와국제이민자문화적응연구 : 러시아어권동포청소년을대상으로 ( 이론적검토 ) 이와같이문화적응을개인이두개이상의문화와타협해가면서문화적으로적응하고순응해나가는하나의과정이라고할때, 본연구에서는러시아어권동포청소년들의문화적응을 국내체류중인고려인및사할린교포출신청소년들이한국문화와의접촉으로인해경험하게되는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사회 문화적측면에서의개인수준의변화 로정의하겠다. 2.2. 문화적응의단계와유형 다른문화권으로의이주로인해겪는변화의과정과결과에대한초기의연구들은문화적응과정의 단계에초점을맞춘것이많았다. 그중가장널리알려진것이바로 Oberg(1960) 의문화충격 (cultural shock) 이론이다. 그는타문화에체류하면서경험하는정서적반응을네단계로분류하였는데 그내용은다음표와같다. 순서 단계 내용 I 밀월 (honeymoon) 새로운문화와만나서황홀, 감탄, 열정을느끼는시기 II 위기 좌절, 불안, 분노, 부적절함등을느끼는시기 III 회복 위기를극복하고문화를배워나가는시기 IV 적응 새로운환경을즐기고기능적으로도유능해지는시기 하지만앞서언급했던 Berry(1997) 는문화적응을하나의문화적상황에서성장한개인들이이주로인해새로운상황에직면할때생기는문화적변화로보았다. 따라서그는개인이문화적응을경험한결과일어나는심리적변화의상태와최종적인결과를의미하는것으로구분했다. 이를연구자들은보통문화적응의유형이라명한다. 그가구분한두가지차원과네가지결과는다음표와같다. 차원 1 자신의문화정체성과특성을유지할것인가 차원 2 그렇다아니다 새로운주류사회와관계를유지할것인가 그렇다통합 (Integration) 동화 (Assimilation) 아니다분리 (Separation) 주변화 (Marginalization) Berry(1997) 에의하면이주자들은이주사회에서다양한형태의문화적응태도를보이는데, 이주자가기존에가지고있던자신의문화정체성을유지하고, 새로운주류사회의문화적속성을수용할것인지의여부에따라 4가지문화적응태도로유형화할수있다. 먼저통합유형은자신의문화를유지하면서동시에주류사회의성원들과도상호작용하는것을의미한다. 동화유형은이주자들이문화적정체성을버리고, 새로운주류사회에흡수되는것을말한다. 반 7) Berry, J.W. 1997. Immigration, accu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6, 5-34. - 295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면분리는자신의문화유지에가치를두고주류사회성원들과는상호작용하지않거나소극적으로참여하는것을의미한다. 한편모국의문화와새로운문화모두에서관계형성에어려움을겪는것이주변화인데, 이는자신의문화도유지하지않고주류사회와도관계를가지지않는것을말한다. 2.3. 문화적응스트레스문화적응과함께종종언급되는것이바로문화적응스트레스이다. 이것은문화적응과정에서야기되는스트레스인데, 이주생활에서경험하는일상생활의크고작은모든문젯거리가복합적으로작용된일정기간의전체스트레스의총량이다. 8) 이문화적응스트레스를 Berry 의문화적응유형에대입시켜보면, 주변화가가장높은스트레스를동반하고, 그다음이분리, 동화이며, 통합이가장낮은스트레스를동반한다. 그러나노유성 (2004) 에의하면문화적응스트레스는무엇보다도이주집단과개인특성의영향을가장많이받는데, 그는이주자들의사회경제적지위, 법적체류자격, 교육수준등이이주자의문화적응스트레스에대처하는능력에영향을주는중요요인이라고밝히고있다. 9) 또한선행연구에따르면문화적, 종교적관습으로인한충돌과사회적편견, 차별과같이문화혹은언어를공유하는동일집단의경우문화적응스트레스가유사하게나타남을확인할수있다. 따라서유사혹은동일한언어, 문화집단의경우문화적응스트레스의경향이유사하다고가정할수있다. 10) 본연구에서는동일한러시아어를모국어로하지만기존에성장했던지역의사회 문화적배경및가정의언어환경 11) 을달리했던고려인청소년들과사할린교포청소년들의문화적응과정이어느부분에서유사하며또차이가나타나는지를면밀히분석하고자한다. 3. 선행연구고찰 국제이민자의문화적응과관련한국내선행연구들은크게사회과학분야심리, 상담, 다문화의관점과, 교육일반 교육행정의관점, 한국어교육학의세가지관점에서진행되어왔다. 여기에서는한국어교육학의관점에서진행된이주민의문화적응의문제와재외동포의문화적응과관련된일련의연구들을고찰해보고자한다. 8) Lazarus, R.S. & Fl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권복순. 2009. 한국어능력, 자아존중감이결혼이주여성의문화적응스트레스에미치는영향. 한국사회복지학 ( 한국사회복지학회 ) 61-2. 8 쪽에서재인용. 9) 노유성. 2004. 외국인노동자의문화적응스트레스에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사회복지대학원석사학위논문. 10) 김현옥 (2014) 에서는중국출신의한족과조선족유학생을대상으로연구를진행하였는데, 연구결과한국인들이가지고있는사회적편견의작용으로인해조선족유학생에게서한족학생대비유의미하게우울감및지각된차별감이높게나타났다. 김현옥. 2014. 유학생의문화적응전략, 민족유형과심리적안녕감, 우울의관계. 한국심리학회지 ( 한국심리학회 ) 20. 11 쪽. 11) 대부분의고려인들은모국에서한국어를접하지못한채살고있는반면, 사할린한인교포들은가정과지역공동체내에서한국어환경에비교적많이노출된채생활하고있다. - 296 -
다문화사회와국제이민자문화적응연구 : 러시아어권동포청소년을대상으로 ( 이론적검토 ) 3.1. 한국어교육의관점에서바라본문화적응한국어교육의관점에서문화적응의문제를다룬국내연구는크게두방향으로진행되었다. 하나는외국인학습자의문화적응양상을파악한연구 ( 와타나베요시야스, 2002; 이은정, 2009) 이며, 또다른하나는문화적응을측정하는도구로문화적응스트레스척도를사용하여문화적응스트레스와다른변인과의관계를밝히는연구 ( 장연, 2005; 임근영, 2008; 황지인, 2008; 김지혜, 2009, 조인영, 2010; 최권진, 2011; 문영하, 2011; 김현진, 김영주, 2014; 김현진, 문영하, 2015; 주혜림, 2015; 김현진, 2016; 최은숙, 2017; 김미강, 2018) 등이있다. 이들의연구방법과결과를요약하면다음과같다. 연구자연구대상도구연구결과와타나베요시야스문화적응관련도구일본인한국어학습자의문화적일본인한국어학습자 (2002) 개발응과관련된 6가지요인분석 장연 (2005) 재한중국유학생 문화적응스트레스척도 40문항 한국어수준이높을수록문화적응스트레스가낮음 문화적응 스트레스 문화적응스트레스가낮을수록 임근영 (2008) 재한외국인 도구및학습몰입 학습자의몰입도와학업성취도 도도구개발 가높음 황지인 (2008) 재한중국유학생 문화적응스트레스척도및대학생활적응척도 문화적응스트레스가낮을수록대학생활적응도가높음 이은정 (2009) 한국어학습자 문화적응관련도구개발 한국어학습자의문화적응에관한 5가지요인분석 김지혜 (2009) 재한중국인한국어학습자 문화적응척도및언어불안척도 언어불안과문화적응과는밀접한상관성이있음 문화적응스트레스요인 4 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 중문화충격, 지각된차별감, 대 조인영 (2010) 국내외국인노동자 척도와한국어말하 인관계의어려움이말하기수행 기수행불안척도 불안에유의미한정적영향력을 끼침 최권진 (2011) 재한사우디아라비아학습자 문화적응척도 심리적요인과한국어 문화에대한태도요인에서부적응을겪고있음. 문영하 (2011) 몽골청소년의몽골어 한국어숙달도와문화적응유형의상관관계 몽골어 한국어숙달도평가지, 문화적응척도 언어숙달도가문화적응, 사회적거리결정에중요한요소가되며, 언어와문화가상호의존적인관계를가지고있음을밝힘 - 297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김현진, (2014) 김영주 재한중국인유학생 문화적응척도와사회적거리감척도 문화적응전략과사회적거리감이학업성취도에유의미한영향을미침 김현진, (2015) 문영하 정부초청장학생 문화적응스트레스척도, 한국어능력시험점수 문화적응스트레스가높을수록한국어숙달도가높고, 학습동기가높을수록문화적응스트레스가낮음 주혜림 (2015) 문화적응스트레스중국어모어학습자와척도와문화적응관영어모어학습자련심층면접 김현진 (2016) 재한외국인유학생 문화적응척도개발 외국인유학생을위 최은숙 (2017) 외국인유학생 한 한국문화적응척 도 김미강 (2018) 중도입국청소년 문화적응척도 언어권별, 한국어숙달도별서로상이한문화적응양상을보임재한외국인유학생을위한문화적응척도를제시하고, 유학생들의변인과문화적응과의관계를설명외국인유학생의한국문화적응척도와요구분석을토대로한국문화적응교육프로그램개발의방향성논의학업성취도에가장큰영향을미치는것은한국어숙달도이며, 한국문화에동화될수록한국어숙달도와학업성취도가높아짐 ( 연구자의발표연도순 ) 3.2. 한국어교육의관점에서바라본국내재외동포의문화적응최근재외동포관련연구를총체적으로살피고그중에서도한국어교육관련연구의동향을분석한여러논문들이발표되어재외동포관련연구를점검하고한국어교육분야에서의연구경향을면밀히살펴볼수있어매우흥미롭다 ( 원미진 유소영, 2017; 김영주, 2018a, 2018b). 그중원미진과유소영은재외동포를대상으로한한국어관련연구를주제에따라한국어교육론, 한국어정책론, 언어정체성및언어발달, 언어실태에대한연구로구분하고, 문화적응의문제를언어발달의주제안에포함시켜논의를진행했다 ( 원미진 유소영 2017:70-71). 이들은재외동포의언어발달의문제를문화적응의문제와정서및태도관련문제로살펴본연구들이주제의한축을형성하고있으며, 아직많은수는아니지만 2010년이후에이러한경향이나타나고있음을지적하였다. 하지만대부분의경우재외동포의한국어교육을포함한재외동포관련다양한분야의연구가해외에체류하고있는동포들을대상으로한것임을확인할수있다. 또한본고에서중점적으로다루고자하 - 298 -
다문화사회와국제이민자문화적응연구 : 러시아어권동포청소년을대상으로 ( 이론적검토 ) 는국내체류재외동포의문화적응관련연구는대개심리, 상담, 다문화학을비롯한사회과학일반에서주로진행하고있다. 아쉽게도김영주 (2018a) 에서언급한바와같이최근국내에거주하는재외동포에대한연구가증가하고있음에도불구하고한국어교육분야에서는국내체류귀환동포대상연구를재외동포관련연구의범주안에적극적으로포함시키지않고있다 ( 김영주, 2018:340). 이는국내체류귀환동포들이동시에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다문화가정중도입국청소년에해당되기때문에귀환동포를별개의연구대상으로삼고있지않은것으로파악할수있다. 그러나학습자특성을고려할때국내체류재외동포의한국어교육문제와문화적응문제는별도의연구가필요하다. 따라서엄밀히말해국내체류재외동포의한국어교육관련연구에서학습자의문화적응을고찰한선행연구들은다음과같다. 연구자 연구대상 연구문제 연구결과 김지나 (2016) 고려인청소년 학교생활을통해본문화적응과정과정체성변화연구 고려인청소년들은학교생활을통해문화적응과정에서전반적으로노력하고있지만, 한국인도아닌우즈베키스탄사람도아닌 고려인 으로서의독특한정체성을가지고있음 김유리 (2018) 재외동포들의한국대재외동포대학생들의내러티브탐구를한국대학에진학한학적응문제와한국통해이들의한국어학습자로서의특재외동포어교육징과필요를이해하고통찰 4. 문화적응과제 2 언어로서의한국어교육 : 문제인식과연구내용 국내체류재외동포청소년들은한국어를제2외국어로학습하게된다. 일찍이제2언어교육분야에서는문화적응이학습자의언어습득에영향을주는중요한개인적변인임을밝혔다. Brown 은제2언어습득이어느정도제2문화학습을내포하므로문화습득과정이무엇을의미하는지이해하는것이중요하다 12) 고지적했다. 여기서우리는 Brown 이말한문화습득과정을문화적응과정으로바꾸어말할수있다. Brown 은계속해서제2언어학습은제2의정체성습득을포함하는것이라고했다. 만약제2언어학습자가청소년이라면우리는그들의문화적응과정과정체성변화과정을더욱심도깊게분석하고이해해야만한다. 문화적응관련선행연구들을살펴보면문화적응스트레스를극복하고적응할수있는방법으로자국문화에대한자부심을유지함과동시에한국문화에대한친화적인태도를갖는것이필요하다고언급하고있다. 고려인및사할린교포출신청소년들에게 자국, 모국, 고향 등의개념은간단하지가않다. 본격적인연구에앞서이들청소년들은한국에서일방적인한국문화로의동화를직 간접적으로요구받고있을수있다는가설을세워볼수있다. 또한선행연구들에서는중요한문화적응요인으로한국어능력을꼽고있는데, 대부분의연구에서 12) Bwron D. 2015. 외국어학습 교수의원리 제5판-. 이흥수외역. 서울. 207쪽. - 299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한국어숙달도가높을수록문화적응스트레스가낮아진다는결론을내리고있다. 사우디아라비아출신의성인한국어학습자를대상으로문화적응척도를측정한최권진 (2011) 의연구결과이들은문화적응의어려움으로인해한국어학습과사용에불안감을느끼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특히이들의문화적응요인을분석한결과를중요도순으로나열하면, 한국어사용 > 대인관계형성 > 한국어학습 > 문화충격 > 향수병 이었다. 최권진은이같은결과가사우디아라비아학습자들이교실상황에서한국어를학습하는것보다는실제상황에서한국인과접촉하면서한국어를사용하는데더많은관심을쏟고있다는점을보여주는것이라고하였다. 13) 우즈베키스탄출신고려인청소년들의학교생활적응을탐구한김지나 (2016) 도연구대상청소년들이학교생활에서겪는어려움중가장큰문제가서툰한국어로인해수업을이해하지못하는것이라고밝혔다. 이처럼문화적응관련여러선행연구들이문화적응을어렵게하는가장큰요인으로한국어숙달도문제를꼽았고, 문화적응의당사자가공교육학습의대상자인청소년일때에는한국어능력의문제가더욱시급해진다. 그러나기존의연구들이문화적응의양상을측정하고문화적응의척도와한국어학습과의관계등을분석한것에그친것, 또는질적연구나양적연구의하나에만치우쳐연구결과를지나치게일반화하거나주관화한점등은한계점으로지적될수있다. 이같은문제의식하에본연구에서는국내체류중인고려인과사할린교포청소년들을대상으로양적및질적연구를병행하여그들의한국어학습과한국문화적응의어려움, 요구사항등을파악하고그들의문화적응과정을진단하여이들의한국어학습과한국문화적응을도울수있는한국문화적응프로그램을개발하고자한다. 13) 최권진. 2011. 이슬람권학습자의한국언어문화적응연구 사우디아라비아학습자를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학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8(2) 270 쪽. - 300 -
다문화사회와국제이민자문화적응연구 : 러시아어권동포청소년을대상으로 ( 이론적검토 ) 참고문헌 김미강. 2018. 중도입국청소년의문화적응이한국어숙달도와학업성취도에미치는영향. 이중언어학 ( 이중언어학회 ) 70. 29-57. 김윤주. 2018a. 재외동포대상한국어교육관련연구동향분석과과제 (1) - 지난 50년간의학위논문을중심으로 -. 우리어문연구 ( 우리어문학회 ) 61. 325-353.. 2018b. 재외동포대상한국어교육관련연구동향분석과과제 (1) - 지난 50년간의학술지논문을중심으로 -. 이중언어학 ( 이중언어학회 ) 71. 65-91. 김지나. 2015. 고려인청소년의학교생활을통한문화적응과정경험연구 우즈베키스탄출신을중심으로 -. 경기대학교교육대학원다문화전공석사학위논문. 김지혜. 2009. 중국인한국어학습자의언어불안과문화적응과의관계. 석사학위논문. 김현진, 김영주. 2014. 재한중국인유학생의문화적응전략과사회적거리감이학업성취도에미치는영향. 응용언어학 ( 한국응용언어학회 ) 30(2). 127-154. 김현진 문영하. 2014. 정부초청장학생의문화적응스트레스와학습동기, 한국어숙달도에대한연구. 언어와문화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 10-1. 55-78. 김현진. 2016. 재한외국인유학생의문화적응척도개발연구 제2언어로서의한국어교육학적관점에서 -. 경희대학교대학원국제한국언어문화학화박사학위논문. 문영하. 2011. 몽골청소년의몽골어 한국어숙달도와문화적응유형의상관관계. 이화여자대학교국제대학원석사학위논문. 법무부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통계월보 (2018년 6월 ) 법무부통계자료 _ 외국국적동포지역별현황 (2018년 6월 ) 브라운 D. 외국어학습 교수의원리 제5판-. 이흥수외역. 2015. 서울. 와타나베요시야스. 2002. 일본인한국어학습자의문화적응에관한연구. 원미진 유소영. 2017. 재외동포대상한국어교육관련연구현황및전망. 국제어문 ( 국제어문학회 ) 73. 63-100. 이미정. 2018. 중도입국청소년적응에대한탐색적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학술대회발표집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 2. 234-240. 정진경외. 2004. 문화적응이론의전개와현황. 한국심리학회지 ( 한국심리학회 ) 23(1). 101-136. 조인영. 2010. 외국인노동자의문화적응스트레스가한국어말하기수행뷸안에미치는영향. 연세대학교교육대학원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석사학위논문. 주혜림. 2015. 중국어모어학습자와영어모어학습자의한국문화적응스트레스와한국어숙달도의관계연구. 연세대학교교육대학원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석사학위논문. 최권진. 2011. 이슬람권학습자의한국언어문화적응연구. 한국언어문화학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8(2). 253-275. 최은숙. 2017. 외국인유학생의한국문화적응현황및학습자요구분석. 한국언어문화학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14(1) 223-251. - 301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참고사이트 UN(online, 2017) http://www.un.org/en/development/desa/population/migration/data/estimates2/estimates17.s html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 고려인 &ridx=0&tot=46-302 -
다문화사회와국제이민자문화적응연구 : 러시아어권동포청소년을대상으로 ( 이론적검토 ) 에대한토론문 한지형 ( 부산대 ) 본발표문은러시아어권의중도입국동포청소년을대상으로그들의한국문화적응양상과적응과정을한국어교육의관점에서탐색하고, 연구결과를바탕으로이들을위한한국문화적응프로그램을개발하기위한시작단계의내용을담고있다. 본연구를위해 문화적응 의개념을 국내체류중인고려인및사할린교포출신청소년들이한국문화와의접촉으로인해경험하게되는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사회 문화적측면에서의개인수준의변화 로정의하고, 한국어교육의관점에서문화적응을다룬선행연구를살펴봄으로써러시아어권중도입국동포청소년을위한맞춤형한국문화적응프로그램의필요성을환기시키고있다. 발표자가제시하는문제의식에대해상당부분공감하는바이나, 본연구가내실있게진행되기위해서는발표문에언급된용어와이와관련한문제들을정립해야할것으로보인다. 첫째, 오늘날 다문화 는국가나인종, 민족등의거시적인차원에국한되지않고사회내의소외계층이나소수인종, 또는세대간갈등과성역할의차이등과같은미시적인문제를포괄하는광범위한개념으로확장되고있는추세이기에정의를내리기쉽지않은개념이다. 그러므로본연구를위해한국사회에서다문화라는용어의의미와한국사회에서의다문화범주와특성에대한논의가요구된다. 일반적으로한국사회의다문화는 1) 외국인근로자와자녀, 2) 국제결혼자와자녀, 3) 입국재외동포와자녀, 4) 북한이탈주민과자녀의 4 범주로분류된다. 본발표문의연구대상이속하는세번째범주는네번째범주와함께한국사회내한민족이자다문화인이라는이중적정체성으로앞선두범주와차별되는한편, 한국어구사능력의측면에서다시네번째범주와차별되는특수성을지닌다고할수있다. 이러한측면에서한국사회의다문화와입국재외동포와자녀가지니는한국적차별성이함께논의된다면본연구의배경이더욱선명해질것으로보인다. 둘째, 한국사회와문화적응의주요한요인으로서의한국어교육에대한선행연구와필요성에대한논의가 3장과 4장에서다루어지고있으나, 외국인학습자와차별되는입국재외동포청소년자녀를대상으로한한국어교육, 그리고더나아가본발표문이상정한러시아어권의중도입국동포청소년을대상으로한한국어교육의역할과필요성이부각되어있지않다. 러시아어권의중도입국동포청소년을대상으로한한국문화적응프로그램이절실한이유와그방법론으로서의한국어교육이부각되기위해서는모국에서이미사회화가된후한국으로이주한청소년들이겪는문화적응스트레스가본인 - 303 -
2018 년도한국어학회ㆍ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의의지로이주한성인의그것에비해월등히높을수밖에없는그들의연령적, 신체적, 정서적요건등에주목할필요가있다. 셋째, 연구대상으로서의 러시아어권 과 중도입국청소년 에대한문제의식이발표문상으로는드러나있지않는데, 이를주목한이유가궁금하다. 넷째, 본발표문에등장하는 러시아어권동포청소년, 중도입국청소년, 중도입국청소년중러시아어권동포청소년 의정의와범위에대한문제이다. 예를들어 새터민청소년 은좁은의미로북한에서태어나현재는한국에서거주하는만 6세이상부터 24세미만의북한이탈주민을의미하며, 넓은의미로는부모중한사람이상이북한에거주하다탈북한북한이탈주민이중국, 동남아등제3국에서거주하다자녀를낳은후자녀와함께한국에동반입국한아동, 청소년을일컫는다 ( 탈북청소년지원센터, 2015). 이상으로앞으로발표자가진행할연구를통해제시될한국문화적응프로그램을기대하면서본토론문을마무리하고자한다. - 304 -
속담을활용한비교문화교육안 - 일본인학습자를중심으로 - 김희경 ( 후쿠오카여자대 ) 1. 들어가며 속담은한사회및집단의문화가반영된관용표현 (idiomatic expressions) 이다. 예를들어 ' 낫놓고기역자도모른다 ' 는논농사중심의농경사회인한국의농촌생활을반영하고, ' 한류 ` 와같이새롭게나타난신조어는한국대중문화의전파력과같은현대한국사회의 모습과관련이있다. 한나라의역사와문화에관한단편적인지식만으로는속담의본질을 꿰뚫어보기란쉽지가않다. 다른나라와의영향관계에서비롯된문화적공통점과차이점에 대해살펴봐야비로소속담이가지는깊은속뜻을유추해낼수있을것이다. 본고는한일 속담을비교대조하여보다효율적인교육방안 (pedagogism) 을제시하고자하는데일차 목표를둔다. 기본적으로한자문화권학습자를대상으로한다는점에서유사어휘를활용한교수법및 아시아문화교육에대한고찰을기반으로한다. 비교문화적관점에서보면속담은한자를 품은언어권에서제법심화된논의를거듭하는등끊임없는관심의대상이되어왔다. 그러나가깝고도먼나라로알려진한국과일본역시사회종교적영향으로속담의변화 양상은다채롭고변화무쌍하다고할수있다. 시대적흐름과더불어새로운어휘의유입, -305-
2018 년도한국어학회 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대체등을번복하였다는점, 근본적으로지리적자연적배경이상이하다는점등양국의 속담이독자적인일면을가졌음을부인하기힘들다. 이렇듯그나라의문화결정체인속담은이웃언어와영향을주고받으면서다양한 형태로변화, 발전하게되는데본고는한일속담의실례를대조분석함으로써양국문화의 영향관계에대한이해를심화시킬뿐아니라여기에서한걸음더나아가교육에의 활용에도초점을맞추어논의를진행하고자한다. 먼저속담을어휘의미적관점에서의 심층분석을통해문화교육을위한재분류를시도하고자한다. 특히한국과일본의문화적 상관관계에기반하여일본어화자를위한속담교육에대해살펴보고자한다. 2. 연구배경 2.1. 선행연구 한국의문화교육에대한선행연구는크게본질적인논의와지역별특성을살린개별 논의로구분할수있다. 전자에는조창환 (1996) 에서언어문화적요소와전통문화로 양분한논의와김정숙 (1997) 에서언어적측면위주로교육하고있는점을비판하면서 사회의구성원들이지니고있는가치관및감정까지포괄해서교육할것을제안한논의가 시발점이었다. 이해영 (2002) 은서로다른문화적배경을가지고있는두화자의상호작용을 통해발견되는비교문화적관점에서다루어지는화용교육에대해논하였고 박노자 (2000) 에서는문화적다층성, 보편성, 독자성의문제를제기한바있다. 박영순 (2002, 2003) 에서는문화교육의내용으로 정신문화, 언어문화, 예술문화, 생활문화, 제도문화, 문화재, 학문, 산업기술 을, 배현숙 (2002) 에서는교재에나타난 의식주, 문화명소, 무형 -306-
속담을활용한비교문화교육안 : 일본인학습자를중심으로 문화재, 사고방식 을중심으로설명하였다. 한편권순희 (1996) 에서는대조언어학을바탕으로 1 한국문화를나타낼수있는언어 요소를교육할필요가있다고하였다. 그러나조항록 (2002) 에서는교육범위를 목표언어 사회에존재하는문화적으로조건지어진사실에대한이해촉진, 목표문화에대한감정 이입, 대표적인성위문물에대한이해 에두고그구성요소로조항록 (2004) 에서 의식주 문화, 역사문화, 민속문화, 시상문화, 관념과가치관, 일상생활문화, 제도문화, 예술문화, 문학 등을제시한바있다. 이와같이문화의의미및교육방법에대한고찰은한국의문화요소를전반적으로 다루는포괄적거시적관점에서의연구가주를이루었다. 이를바탕으로한국어교육용 속담어휘에대한개별연구로는왕청청 (2011), 임성욱 (2011), 이정란 (2015) 가있다. 왕청청 (2011) 은중국, 임성욱 (2011) 은스페인, 이정란 (2015) 은캄보디아학습자를대상으로 한대조연구로알려져있다. 일본인학습자를대상으로한속담교육연구로는 김경미 (2016) 와정현미 (2011) 가있고한국어능력시험을다룬박현주 (2011) 를비롯하여 언어와관련된속담을다룬후쿠이유이 (2015) 와조경임 (2008) 과같은연구도있다. 개별연구는각국의문화배경과비교대조하여특수성, 어휘, 문형 ( 문법 ) 의난이도등을 활용하여교육용속담의등급기준을마련한바있다. 한국어통합교재, 한국어능력시험, 한국어속담전문교재를참고하여속담목록을선정하였다. 한편속담교재개발연구로 위에서언급한박현주 (2011) 이외에도김선정 김성수 (2006), 최권진 (2008), 진효정 (2013) 이잘 알려져있다. 먼저김선정 김성수 (2006) 는교육용속담선정기준으로사용빈도, 사용범위, 1 영어권화자를대상으로하는문화교육에서신체어, 형용사, 숫자관념, 피동표현등영어와큰차이가있는 관용어, 서법, 대명사사용등도포함되어야함을주장하였다. -307-
2018 년도한국어학회 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기본의미, 학습자의수준, 한국문화등을고려하여 1 급 15 개, 2 급 20 개, 3 급 25 개로 교육용속담 60 개를선정하고등급화하였다. 최권진 (2008) 은빈도수와학습필요성등을 기준으로하였고진효정 (2013) 에서는설문조사와한국어능력시험출현빈도를바탕으로 선출하였다. 2 그리고김정아 (2002) 에서는중고급화자를중심으로교육용속담을선정 분류하고속담을통한학습지도안을마련하였다. 김현정 (2002) 는속담을통한한국어문화 교육의내용요소를추출해항목화하였다. 각학습단계별교육목표를설정하고속담을 통한한국어문화교육의내용을구상한바있다. 2.2. 분류안 본고는한국어속담이가지는의미기준을토대로한국어와일본어속담에나타난다양한 표현양식을비롯하여문화적공통점과차이점에대해서주목하고자한다. 또한각국의 속담에나타난다양한어휘의미가학습교재 (teaching materials for education) 에어떻게 소개되고있는지에대해서도알아보고자한다. 속담의어휘적특성에대한면밀한분석은 단순한기능의대비보다의미관계를중심으로형성과정에대한이해와함께변화, 발전되는과정을충분히이해할필요가있다. 이처럼본고는속담의언어와문화적특징을 이해하기위해서는기존의형태론적분류법이아닌어휘의미론적관점에서의새로운 2 김선정 김성수 (2006) 는삽화를활용한도입, 대화제시, 속담의미, 예문, 어휘설명, 연습, 관련속담, 어휘확장을통한보충, 활용등으로교재안을제시하였다. 도입에서그림, 삽화를제시하여이해를돕고속담제시가단조롭지않도록대화, 설명, 연습, 보충, 활용등의다양한구성을활용하였다. 한국어속담학습에어려움을느끼는외국인학습자의흥미유발과속담학습의욕고취를위한체계적인교재안이라고할수있다. 최권진 (2008) 은각단원의세부적단계의구성으로속담제시, 의미제시, 기본표현, 어휘공부, 추가학습, 문화설명등으로하였다. 한국어속담을영어속담과비교 대조하여제시하고속담의개별어휘의의미를영어로제시하여한국어사전이개발되지않은특수어학습자를배려하였으며속담과한국문화를교수 학습할수있도록교재를구성하였다. 진효정 (2013) 은머리말, 본단원, 실전모의고사, 정답및해설, 부록등으로하고교수요목은한국어능력시험속담문항, 어휘, 문법및속담과관련된문화로선정하였다. 교재의단원구성은단원제목, 학습목표, 속담제시, 어휘제시, 문법제시, 속담과관련된문화제시, 속담응용, 한국어능력시험에서속담문항익히기, 보충내용 ( 유사어휘, 문법등 ) 순으로하였다. 한국어능력시험을대비한속담학습용교재라고할수있다. -308-
속담을활용한비교문화교육안 : 일본인학습자를중심으로 분류법을취한다. 본고에서제시하는분류안은다음과같은기준에따라설정된다. 기본적으로의미의 상관관계에따라동의, 반의, 다의관계로나누어주로동의관계에있는속담을다룬다. 그리고이동의관계의속담을완전동의관계와부분동의관계로나누어살펴보며더불어 한일유일무의의속담도분석대상에포함시킨다. 본고는부분동의관계에있는속담에 나타난문화적차이에주목하여유의관계에있는속담의효과적인학습법을모색하고자 한다. 이것은유의관계의속담에나타난어휘의미적특성에주목하여각국의문화적 차이를되짚어볼수도있기때문이다. 다음 < 표 1> 을통해한국어와영어속담에 일본어의유사속담을빗대어어휘의미적차이를엿볼수있다. < 표 1. 유의관계에있는한영일속담 > 한국어영어일본어 세살버릇여든까지간다 What is learned in the cradle is carried to the grave 雀百で踊り忘れぬ 믿는도끼에발등찍힌다 In trust is treason 飼い犬に手をかまれる 배보다배꼽이더크다호랑이도제말하면온다범굴에들어가야범새끼를잡는다꿩대신닭 It is (a case of) the tail wagging the dog. Speak of devil and he will appear Nothing venture, nothing have(win) When you can t ride a horse, ride a mule 牛追い牛に追われる噂をすれば影がさす虎穴に入らすんば虎子を得ず鯛なくば狗母魚 우물안개구리 A babe in the woods. 井蛙大海を知らず 소귀에경읽기 To sing psalms to a dead horse. 馬の耳に念仏 -309-
2018 년도한국어학회 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새도가지를가려서앉는다 Choose your companions well. 良禽は木を選ぶ 위의예는표현상의차이를보이지만의미적상관관계 (relevance) 에서는그다지큰차이를 보이지않음을알수있다. 형태는조금다르지만동의관계에놓이는속담은교육적으로도 그다지어렵지않은대상이라고할수있다. 그러나형태적차이와달리어휘의미의 거리는명확한분류기준을설정하지않고서는학습자에게큰곤란을불러일으키기 십상이다. 따라서본고는일본어학습자를위한속담교육을위한새로운분류법을 제안하고자한다. 먼저지금까지사용되어온기존의분류법은다음에서확인할수있다. 가일반적인분류방식 ( ㄱ ) 이형이의 ( ㄴ ) 이형동의 ( ㄷ ) 동형이의 ( ㄹ ) 동형동의 속담을다룰때가에서제시한것과같이어형 ( ㄱ - ㄴ ) 또는의미를중심으로 ( ㄷ - ㄹ ) 로 분류하는것이일반적이다. 전자는속담이유사한의미를나타내는지에따라이형동의와 이형이의로후자는동일한형태의속담을대상으로의미관계에따라동형이의와동형동의의 속담으로나눌수있다. 그러나이런단순한분류방식으로는다양한형태의속담을다루는 데는한계가있다. 대조언어학적연구를위해서는보다세분화된분류항목이추가되어야 할것이다. 새로운분류법을마련하기위해본고는대치검사법 (substitution test) 을사용하여 -310-
속담을활용한비교문화교육안 : 일본인학습자를중심으로 유의관계에있는속담을중첩과포함으로세분화한다. 이것을통해선별된유의관계의 속담을대상으로구성요소의기본구조와의미영역에근거하여포함 (inclusion) 과 중첩 (overlapping) 으로재분류하고자한다. 본고에서주목하고있는한일속담은외형적, 의미적으로상이한특징을가지고있는데이렇게다양한양상을보이는예를분석하기위해 다음분류안을제시한다. 나본고의분류안 (A) 이형완전이의 (B) 이형부분이의 (C) 이형부분동의 (D) 이형완전동의 (E) 부분동형완전이의 (F) 부분동형부분이의 (G) 부분동형부분동의 (H) 동형완전동의 위 (A-H) 의분류안중에서구성요소가가지는의미를대조하는데유용한경우가있을 수있다. 가령동일한의미를가지는지역별속담들이서로다른어휘를취하는경우는 이형완전동의의속담으로분류할수있다. 가령서로다른세지역의속담중두지역의 예만유사하고다른한지역의속담이조금다른의미를나타낼때 3 이형부분동의의 속담으로분류하면된다. 그리고한지역의속담이다른지역의속담과공통분모가없을 때는이형부분이의의속담으로볼수있다. 또한서로다른형태와의미를지닌경우 이형완전이의의속담으로분류가능하다. 기존의분류대로라면이형동의어와이형이의어의 두가지유형밖에없기때문에세부적인논의로이어지기에는상당한어려움이따랐다. 3 본고에서는부분적으로일치하는속담으로본다. -311-
2018 년도한국어학회 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새로운분류법나를도용하면이형동의를이형완전동의의속담과이형부분동의의 속담으로, 이형이의의속담을이형부분이의의속담과이형완전이의의속담으로세분화할수 있어미세한의미차이를보이는속담유형을대조하는데효과적이라고할수있다. 그렇다면본고의조사대상중유의관계에있는속담의예를위의분류안에따라묶어 본다. < 표 2. 분류안 > 유형 특징및실례 형태의미예 ( 한일 ) 비고 이형완전이의 이형부분이의 이형부분동의 이형완전동의 부분동형완전이의 부분동형부분이의 부분동형부분동의 동형완전동의 함흥차사開けて悔しき玉手箱 처녀가늙어가면산으로맷돌짝지고오른다八百屋の賣れ殘りのかぼちゃ 가는날이장날渡りに船 새발의피蚊 ( スズメ ) の涙 식전팔십리 朝飯前 한입으로묻지말고두눈으로보아라目で見て口で言え 물과불과악처는삼대재액惡女房は一生の不作 지피지기백전백승彼を知り己を知れば百戦殆うからず 지역별속담 ( 인명, 지명, 고사등 ) 긍부정의태도 허기짐하기쉬운일 관찰력사전조사 위의 < 표 2> 는나를기반으로동형완전동의, 부분동형완전동의, 부분동형부분이의, 부분동형완전이의와이형완전동의, 이형부분동의, 이형부분이의, 이형완전이의로구분하여 해당예를제시한것이다. 이것은대조언어학적연구를위한유형분류로본고에서는한일 -312-
속담을활용한비교문화교육안 : 일본인학습자를중심으로 속담의일부예도함께제시한다. 비교문화교육을위해서는동형동의, 동형이의, 이형동의, 이형이의라는단순분류지양하고보다세밀한의미양상을다룰수있는정밀한분류 작업이필요하다고할수있다. 이와같은새로운분류법을적용하면많은수의지역 속담을동시에체계적으로논할수있을뿐아니라어휘의미적정밀한대조분석에도 유용할것으로기대된다. 이상비교연구를위한새로운분류안을제시해보았다. 이제구체적으로속담의효율적인 교육을위한지도안에대해살펴보기로한다. 3. 교육용속담선정 국립국어원에서한국어교육어휘 (2013) 를선정한결과는 4 중급단계의어휘교수의 4 중급학습자를위한속담교육용어휘목록은다음과같다.( 밑줄은필자 ) 가는날이장날이다 가는말이고와야오는말이곱다 가재는게편이다 갈수록태산이다 같은값이면다홍치마 개구리올챙이적생각못한다 개천에서용났다 고래싸움에새우등터진다 고생끝에낙이온다 공든탑이무너지랴 그림의떡 금강산도식후경 까마귀날자배떨어진다 꼬리가길면밟힌다 꿩대신닭 꿩먹고알먹고 낮말은새가듣고밤말은쥐가듣는다 누워서떡먹기 달면삼키고쓰면뱉는다 닭잡아먹고오리발내민다 돌다리도두드려보고건너라 등잔밑이어둡다 떡본김에제사지낸다 떡줄사람은생각도않는데 김칫국부터마신다 말한마디로천냥빚을갚는다 말이씨가된다 무소식이희소식이다 미운아이떡하나더준다 밑빠진독에물붓기 발없는말이천리간다 배보다배꼽이크다 백지장도맞들면낫다 벼는익을수록고개를숙인다 병주고약준다. 보기좋은떡이먹기에도좋다 비온뒤에땅이굳어진다 사공이많으면배가산으로간다 산넘어산이다 서당개삼년이면풍월을읊는다 세살버릇여든까지간다 세월이약이다 소잃고외양간고친다 쇠귀에경읽기 수박겉핥기 식은죽먹기 싼게비지떡 아다르고어다르다 아니땐굴뚝에연기나랴 열길물속은알아도한길사람속은모른다 -313-
2018 년도한국어학회 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방향을고려한 7 종의어휘목록중속담이포함되어있어주목을요한다. 5 중급교재의 속담목록과선행연구 ( 조주동 (2011), 장지정 (2008), 조문선 (2013)) 간의중복도를중심으로 교육용어휘목록을제시하였다. 또한이보고서에서는속담의활용방안으로그어원과 유래를함께제시해야하며문화적배경을이해하도록해야한다는점을주의점으로꼽고 있다. 속담역시관용표현과마찬가지로주제나상황, 기능과연계하여제시하는것이 효과적이므로가령, 가는말이고와야오는말이곱다 와같은속담은다툼, 논쟁등의학습 과정에서제시하고 낮말은새가듣고밤말은쥐가듣는다 는경고, 금지하기에서다뤄야 한다. 이와마찬가지로 발없는말이천리간다 가소문관련상황에서소개된다면 무소식이희소식이다 는위로하는상황에서제시되어야효과적일것이다. 한편한국어능력시험에출제되는속담은대체로다음 < 표 3> 에서확인할수있는바와 같이초급을제외한중고급이대부분을차지하는것이사실이다. < 표 3. TOPIK 의속담출현빈도 > 레벨 회수 초급 중급 고급 1 0 4 2 열번찍어안넘어가는나무없다우물안개구리우물을파도한우물을파라원숭이도나무에서떨어질때가있다윗물이맑아야아랫물이맑다입에쓴약이몸에좋다종로에서뺨맞고한강에서화풀이한다짚신도짝이있다콩심은데콩나고, 팥심은데팥난다티끌모아태산팔은안으로굽는다하늘의별따기하늘이무너져도솟아날구멍이있다호랑이도제말하면온다 5 선정방법은다음과같이 4 단계로이루어져있다. (1) 중급단계의어휘선정을위한참조목록수집, (2) 개별어휘의빈도, 사용범위, 한국어교재와한국어능력시험 (TOPIK) 의어휘빈도-타입 (type) 과토큰 (token)- 등과같은객관적지표에의한평정, (3) 한국어교사의어휘친숙도조사와전문가평정결과를참고한어휘목록조정, (4) 어휘선정지침에의한목록정비가이루어졌다. 그결과 3,855 개의어휘목록이선정되었는데주로외국인을대상으로한중급단계의한국어교육용어휘목록으로학습자가접할수있는다양한주제와상황과관련된어휘를다수포함하고있다. -314-
속담을활용한비교문화교육안 : 일본인학습자를중심으로 2 0 8 13 3 0 7 18 4 0 3 9 5 0 4 16 6 0 4 5 7 0 1 5 8 0 13 14 9 0 4 8 10 0 4 13 11 0 4 4 12 0 4 2 13 0 4 4 14 0 5 5 15 0 4 4 16 0 2 3 < 표 3> 에서는출현빈도가회수에따라제각기달라중급에서 10 개이상의고빈도를 보인 8 회시험과 1 회및 16 회에는 1-2 개에그치는저빈도의큰차이를보이고있음을알 수있다. 고급에서도평균 7.8 을넘나드는 TOPIK 회차가주목을끈다. 다음으로한국어속담교재의발간현황에대해살펴보기로한다. 먼저 한국어속담 100 관용어 100(2002) : 김정화, 최은규 를비롯하여 속담으로배우는한국어 1 권 (2006) 및 2 권 (2007) : 최권진 과 살아있는한국어 (2007) : 김선정, 김성수, 이소현, 정재영 의뒤를 이어 알토란한국어어휘 (2015) : 최권진, 송경옥 과 한국어뱅크 NEW 스타일한국어 속담 한자성어 (2016) 이각각간행되었다. 이교재는주지하다시피외국인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향상을도모하기위해개발된것이다. 한편이밖에도한국어전래동화, 고전 소설의읽기교재에서속담을다룬교재로 전래동화로배우는한국어 (2012), 전래동화로 배우는한국어 1- 흥부와놀부 (2014 년 ), 이야기로배우는한국어 (2015 년 ) 등에서는관련 어휘로한국어속담을제시하였다. 그뒤를이어 우리문화야, 속담을알려줘 (2015) : 이영민, -315-
2018 년도한국어학회 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민종철 와 우리말절대지식 - 천만년을버텨갈우리속담의품격 (2016) : 김승용 등에서는 속담관련사진과어휘설명등을통해속담교육의발전에일정부분영향을끼치고있다. 4 년제대학교재와 6 시판되는속담전문교재에실린속담중동물속담을발췌하여 7 전자는중급과고급으로 8 후자는기타 (etc) 로나누어이것을한국어능력시험출제횟수와 합하면다음과같다. < 표 4. 속담의출현빈도 > 실례 Inter Advan TOPI medi etc ced K ate 합계 가재는게편 1 1 개같이벌어서정승같이쓴다 2 2 개구리올챙이적생각은못한다 1 3 3 7 개밥에도토리 1 1 개천에서용난다 1 1 고기는씹어야맛이요, 말은해야맛이라 1 1 2 고래싸움에새우등터진다 2 2 1 5 고슴도치도제새끼가곱다고한다 1 1 2 고양이목에방울달기 1 1 까마귀날자배떨어진다 3 3 꿩구워먹은소식 1 1 꿩대신닭 1 1 1 3 꿩먹고알먹고 1 2 1 1 5 낮말은새가듣고밤말은쥐가듣는다 5 1 4 9 느릿느릿걸어도황소걸음 1 1 다람쥐쳇바퀴돌듯 1 1 2 닭소보듯, 소닭보듯 2 2 닭잡아먹고오리발내민다 1 1 닭쫓던개지붕쳐다보듯 1 1 2 두마리토끼를잡으려다한마리도못잡는다 1 1 6 본고에서는경희대, 고려대, 서울대, 선문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의교재를참고로하였다. 7 전체속담중동물속담이차지하는비율은일본이 16.94% 이고한국은 24% 에달한다. 특히포유류중에서가장고빈도의실현을보이는동물로일본은말이한국은개에차지하고있다. 8 중급과고급이일본에서는중급과상급으로표기되므로여기서는연구자간의혼란을방지하고자영문표기로 대신한다. -316-
속담을활용한비교문화교육안 : 일본인학습자를중심으로 똥묻은개가겨묻은개나무란다 1 1 2 마파람에게눈감추듯 1 1 못된송아지엉덩이에뿔난다 1 1 2 바늘도둑이소도둑된다 1 1 뱁새가황새를따라가면다리가찢어진다 1 1 2 벼룩의간을내어먹는다 1 1 사람은죽으면이름을남기고범은죽으면가죽을남긴다 1 1 산에가야범을잡지 1 1 2 산입에거미줄치랴 1 2 3 새발의피 1 1 서당개삼년에풍월을읊는다 2 1 1 2 6 소귀에경읽기 1 1 3 5 소잃고외양간고친다 3 3 1 2 9 쇠뿔은단김에빼라 1 1 2 숭어가뛰니까망둥이도뛴다 1 1 얌전한고양이부뚜막에먼저올라간다 1 1 2 외상이면소도잡아먹는다 1 우물안개구리 4 2 1 2 9 원숭이도나무에서떨어진다 2 2 1 1 6 자라보고놀란가슴솥뚜껑보고놀란다 3 3 장님코끼리만지듯하다 2 2 전어굽는냄새에나갔던며느리다시돌아온다 1 1 2 쥐구멍에도볕들날이있다 1 3 4 큰고기는깊은물에있다 1 1 하룻강아지범무서운줄모른다 1 1 1 3 호랑이굴에들어가야호랑이를잡는다 2 1 3 호랑이담배먹을적 1 1 호랑이도제말하면온다 5 1 2 8 호랑이에게물려가도정신만차리면된다 1 1 위의 < 표 4> 를통해학습교재에선정되어있는속담중 쥐구멍에도볕들날이있다, 고래싸움에새우등터진다 등은한국어능력시험에출제빈도수가현저히떨어짐을알수 있다. 그리고 장님코끼리만지듯하다 를비롯하여 전어굽는냄새에나갔던며느리다시 돌아온다, 고기는씹어야맛이요, 말은해야맛이라, 닭쫓던개지붕쳐다보듯, 다람쥐 -317-
2018 년도한국어학회 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쳇바퀴돌듯, 얌전한고양이부뚜막에먼저올라간다, 뱁새가황새를따라가면다리가 찢어진다 와같은속담은전문교재에만실려있는데도자격시험에는출제경험이있는 속담에속한다. 본고에서는이와같은선정작업을여러차례반복하여조사대상을선별하였다. 1 차 조사는 표준국어대사전 에있는속담총 9605 개와 우리말속담큰사전 ( 송재선 1983) 9 및 학습교재의출현빈도와한국어능력시험출제경향을참고로어휘목록을선정한다. 2 차 조사로일본의교육용속담목록과 故事俗信ことわざ大辞典 ( 小学館 2012) 의수록어휘를 기반으로기타사전데이터베이스를사용하여비교대조한다. 10 이런기초조사결과를 바탕으로자격시험에의출제경향과교육현황을반영하였다. 본고에서는특히동물류 9 1 차조사결과사전에등재된동물소재속담의몇예를정리하면다음과같다. ( 가 ) < 개 > 도둑놈개꾸짖듯 / 도둑맞으려면개도안짖는다 / 개머루먹듯 / 개가콩엿사먹고버드나무에올라가겠다 / 개보름쇠듯 / 내밥먹은개가발뒤축을문다 / 달보고짖는개 / 사나운개콧등날없다 / 개발에편자 / 개똥도약에쓰려면없다 / 개구멍에망건치기 / 삽살개뒷다리 < 강아지 > 하룻강아지범무서운줄모른다 ( 나 ) < 소 > 도둑놈소몰듯 / 사람의새끼는서울로보내고마소새끼는시골로보내라 / 새끼많이둔소길마벗을날이없다 / 쇠귀에경읽기 / 쇠뿔은단김에빼랬다 / 느릿느릿걸어도황소걸음 / 큰소가나가면작은소가큰소노릇한다 / 힘많은소가왕노릇하나 / 외상이면소도잡아먹는다 / 소도언덕이있어야비빈다 / 얼음에소탄격 / 황소뒷걸음치다가쥐잡는다 < 송아지 > 못된송아지엉덩이에뿔난다 ( 다 ) < 새 > 뱁새가황새따라가다간가랑이찢어진다 / 낮말은새가듣고밤말은쥐가듣는다 / 새가오래머물면반드시화살을맞는다 / 새도가지를가려서앉는다 / 참새방앗간이지 / 참새가죽어도짹한다 / 오소리감투가둘이다 / 박쥐구실을한다 ( 라 ) < 범 > 범에날개 / 범본놈창구멍막듯 / 범은그려도뼈다귀는못그린다 / 범의차반 / 호랑이는죽어가죽을남기고사람은죽어이름을남긴다 / 호랑이도제말하면온다 / 자는범코침주기 ( 마 ) < 개구리 > 개구리도움쳐야뛴다 / 개구릴주저앉는다 / 개구리올챙이적생각을못한다 / 우물안의개구리는바다를모르고여름벌레는얼음을모른다 / 왕머구리끓듯한다 ( 바 ) < 말 > 닫는말에도채찍질 / 장수나자용마난다 / 사람새끼는서울로보내고마소새끼는시골로보내라 < 망아지 > 하룻망아지서울다녀오듯 ( 사 ) < 닭 > 닭잡아먹고오리발 / 닭이천이면봉이하나 / 닭쫓던개지붕쳐다보듯 < 병아리 > 알까기전에병아리세지말라 ( 아 ) < 꿩 > 꿩먹고알먹고 / 꿩대신닭 / 꿩잡는것이매 / 솔개도오래면꿩잡는다 ( 자 ) < 돼지 > 맷돼지잡으려다집돼지놓친다 / 언덕에자빠진돼지가평지에자빠진돼지를나무란다 ( 차 ) < 두꺼비 > 두꺼비씨름이라 / 두꺼비파리잡아먹듯 ( 카 ) < 물고기 > 도마에오른고기 / 고기는씹어야맛이요, 말은해야맛이라 / 물어도준치썩어도생치 / 고래싸움에새우등터진다 ( 타 ) < 용 > 미꾸라지먹고용트림한다 / 안본용은그려도본뱀은못그린다 / 개천에서용난다 ( 파 ) < 기타 > 빨리알기는칠월귀뚜라미라 / 도랑치고가재잡는다 / 고슴도치외따지듯 / 명태한마리놓고딴전본다 / 독안에든쥐 / 모기보고칼뽑는다 / 메뚜기도유월이한철이다 / 메기잔등에뱀장어넘어가듯 / 메기가눈은작아도저먹을것은알아본다 / 벼룩의간을내어먹는다 / 박쥐구실을한다 / 노루본놈이그물짊어진다 / 산진거북이요, 돌진가재라 10 관용표현의이론과실제 (2018) 에서주요어휘목록을참조. -318-
속담을활용한비교문화교육안 : 일본인학습자를중심으로 속담의교육안마련에초점을맞추어논의를진행하고자한다. 4. 비교문화교육안 4.1. 동물소재의속담교육안 중급학습자를위한교육안으로본고는동물소재를중심으로한학습법을제안하다. 다음 [ 그림 1] 과같이동화를이용한어휘학습및스토리텔링지도안을마련하는데에 초점을맞추고자한다. [ 그림 1] 의지도안은동화를이용한강의에서활용할수있는데, 먼저초반에영상자료를 통해학습자의관심을끌고후반부는학습자가직접유추해내는활동으로연계시킨다. 이야기의전개를추리하는과정에서이해력추리력신장과더불어관련어휘의습득에 -319-
2018 년도한국어학회 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걸리는시간을단축시키는효과도기대할수있다. 그리고전체스토리를요약해서말하는 활동을이어간다면학습효과를최대화할수있을것이다. 필자가활용하고있는자료는다음과같은데관련어휘의사전조사를예습과제로전체 이야기를번역하여보고하는활동을복습과제로처리하기도한다. [ 그림 2] 교재예 1 먼저한일양국의속담에대한기본이해를위해다음 (1) 에까마귀와까치를, (2) 에참새 관련속담을각각제시한다. (1)(a) 까마귀날자배떨어진다 (b) 까마귀열두소리에하나도좋지않다 (c) 까마귀가메밀을마다한다 (d) 솔개까치집뺏듯 (2)(a) 참새방앗간이지 (b) 참새가죽어도짹한다 (c) 참새가황새걸음하면다리가찢어진다 동물은인간의벗이라고할수있을만큼인간과동물은자연계의생활환경에서가장 -320-
속담을활용한비교문화교육안 : 일본인학습자를중심으로 밀접한관계를가지고있다고할수있다. 일본의국조까마귀는 (1b-c) 의이미지와는달리 긍정적인이미지를나타내고있다. (1d) 는작고연약하며동화은혜갚은까치에서와같이 때로는지혜롭고정의로운이미지를연상시킨다. 한편이런보은의이미지는동화 鶴の恩返し 에등장하는학으로은혜를갚기위해희생정신을발휘하는동물로그려져 있다. (2a-b) 에서알수있듯이한국속담에서참새는작고연약한존재로그려지고있으나 일본샤머니즘을기반으로한동화속에서참새는지혜롭고의리있는동물로등장한다. 11 전래동화 흥부전 의제비의역할을하는것이바로 舌切雀 속의참새이다. 이처럼특색 있는동화를통해학습자의흥미유발과지역성에대한이해를심화시키는문화교육에의 활용을가능케한다. 본고에서제안하는지도안은다음표에구체적으로제시한다. < 표 5. 속담교육의강의모형 > 교수단계교수 학습활동내용심화학습 1 단계 자율학습 1. 선행과제제시 학습전략학습동기유발-학습동기유발및학습전관련어휘조사를위해스토리의일부분을미리제시한다. 1 일상생활에서접할수있는동물중좋아하는것을작문과제로제시 2. 자가학습유도 학습전략 1 학습자스스로스토리전개를예측 2 교사의일방적인주입식설명을피한다. 3 학습자가요약해서기록 ( 메모 ) 동기유발및학습자의어휘력확인을위한문제를 PPT 로제시하여풀게한다예 ) 선비학자공부하는사람예 ) 구렁이뱀예 ) 동이트다해가뜨다예 ) 구하다도와주다살려주다예 ) 은혜를갚다신세를지다은덕을입다 11 상세한논의는김응교 (2008), 한국 흥부전 과일본 舌切雀 )), 그리고문화교육을참조. -321-
2018 년도한국어학회 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2 단계문제해결 3 단계재구성 4 단계확인 학습전략 1 유의어반의어로해결하기어려운다른작문과제를제시. 2 교사는토론과질문을유도 3 학습자는자유롭게 결말이가지는의미 ( 교훈, 메시지 ) 를발표 학습전략 1 한자를시범으로제시 ( 報答, 知恩報恩, 粉骨報效, 盡忠報國등 ) 2 어휘의미및스토리의재확인 3 사전과제의점검및토론결과를확인 학습전략 1 동영상, 에니메이션재시청 2 학습자가가지고있는문제점을깨닫게해준다 3 연습문제를통해활용능력신장 4 학습자간질의응답및토론 학습전략 1 유사한동화를비교대조하기 2 까치관련동요개사해보기 ( 작문 ) 3 속담을활용한대화문광고문시나리오만들기 : 쓰기활동 제시 까마귀와까치관련속담을 예 ) 까마귀가까치보고검다한다 예 ) 까마귀가까치집을뺏는다 예 ) 아침에까치가울면좋은일이 있고밤에까마귀가울면 대변 ( 大變 ) 이있다 까치와까마귀에대한각국의 상반된이미지를확인 유사한표현찾아보기. 예 ) 칠석날까치대가리같다 예 ) 鵲の橋 ( 오작교 ) 예 ) 짐승도은혜를안다 대화문속에알맞은속담 넣기, 제시문의제목붙이기, 그림을보고대화문만들기등 학습내용의심화 학습한내용에관련되는다양한 사례를동영상, 애니메이션, 신문기사등을 활용하여설명하게한다. 예 ) 제비도은혜를 갚는다 :< 흥부전 > 예 ) 까마귀무리에해오라기하나 비슷한속담을연결하는문제 해결의 과정에서 학습 내용의 재확인. 다음으로고급학습자를위한속담소재로유의관계에있는한일동물속담을함께묶어 제시한다. -322-
속담을활용한비교문화교육안 : 일본인학습자를중심으로 (3)(a) 꿩대신닭 (b) When you can t ride a horse, ride a mule (c) 鯛なくば狗母魚 (4a) 개천에서용난다 (b) 鳶が鷹を産む (c) 용꼬리보다는뱀의머리가낫다 (d) 鯛の緖より鰯の頭 12 (5)(a) 원숭이도나무에서떨어진다 (b) 河童の川流れ (c) 산밖에난범이요물밖에난고기라 (d) 陸に上がった河童 먼저 (3a) 는한국속담에출현빈도수가높은꿩의실현을확인할수있다. 13 유의관계에 있는일본속담 (3, 4b) 를보면해산물이등장하고있어흥미롭다. 그리고 (4a) 에서는상상 12 직역하면도미의꼬리보다는정어리의머리라는뜻이다. 13 陸欣 (2003) 에서조류를소재로한속담의출현빈도를조사하여다음표로제시한바있다. 일본속담에는등장하지않는꿩이한국의경우다수실현되고있어주목된다. < 표 6. 속담속조류의출현빈도 > 한국중국일본 새 59( 참새 15, 황새 2, 매기칼새 1) 鳥 43 鳥 73 까마귀 58( 갈가마귀 1) 雁 16 烏 ( 鴉 )27 꿩 25 雀 13 雀 26 매 13 烏鴉 12 鷹 26 소리개 11 燕了 6 鶴 22 까치 9 鷹 6 鷺 14 기러기 8 鸚鵡 2 鳩 11 부엉이 7 1 8 제비 4 1 時鳥 3 비둘기 3 鶴鷹 1 觴鵬 3 갈매기 2( 백구 1) 葦 1 2 공작 1 斑鳩 1 雉子 2 독수리 1 儀子 1 1 두견 1 鴻鵠 1 鶴島 1 두루미 1 鷺鶯 1 1 딱따구리 1 天鵝 1 啄木鳥 1 백로 1 夜猫子 1 鴛鴦 1 수리 1 원앙 1 19 종 207 개 18 종 110 개 17 종 222 개 -323-
2018 년도한국어학회 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속의동물 용 이등장하고있으나 14 일본속담에서는좀처럼찾아보기힘든예라고할수 있다. 의미의유사성 (relevance) 을바탕으로 (4b) 를제시하였지만사자성어 竜虎相搏つ, 竜頭蛇尾 등에서용의존재는확인할수는있다. 그러나속담에는부재하는 龍 ( 용 ) 은 한국의전통문화교육에 15 유용하며지역별특색있는문화아이템으로활용가능하다. 반면일본속담 (5b, d) 에는 河童 ( かっぱ ) 가실현되어있는데 16 이것은아무리양국이 상호영향을주고받으며변화발전해왔다고해도섬나라특유의 河童 ( 갓바 ) 를소재로한 예는일본속담에만나타나는전무후무한어휘라고할수있다. 어휘의미적으로가장 가까워보이는 (5c) 의고기역시실존하지않는河童 ( かっぱ ) 와는의미적거리를좁히기 힘들다고할수있다. 이런유일무이한어휘가나오는속담은고급학습자를대상으로하는문화교육에서 다루는것이좋겠다. 유사속담이부재하며 17 저빈도의실현을보이는 개밥에도토리, 구더기무서워장못담글까, 닭소보듯소닭보듯, 못된송아지엉덩이에뿔난다, 14 현실세계에는등장하지않는상상속의동물을소재로한속담의출현빈도에대해서는陸欣 (2003) 을참조할수있다. 중국에는기린이나타나지않는다는점, 그리고일본의속담에는河童 ( 갓바 ) 가실현되고있는것이주목을끈다. < 표 7. 상상속동물의출현빈도 > 한국중국일본 용 50 龍 29 龍 22 기린 7 鳳凰 14 河童 11 鳳 7 鳳翩 4 凰 2 騏驥 3 鳳凰 1 15 이밖에도용을주된토템으로하는한족에의해이족으로불렸던동이족 ( 東夷族 ) 의새를지칭하는鳳凰 ( 봉황 ) 역시상상속의동물중하나라고할수있다. 봉황은고구려고분벽화의삼족오, 백제금동대향로의봉황, 신라서봉총출토금관의새무늬장식, 고려의봉황문동경과석관상부에표현된봉황, 조선궁궐의정전앞층단중앙답도의봉황문과정전천장에장식된봉황등우리역사속에지속적으로표현되어온동물로현재대통령의문장및국쇄장식에도사용되는등그맥을잇고있다. 16 이갓바는본래かわ ( 川 ) 에わらは ( 童 ) 의변화형わっぱ가복합된かわわっぱ가변화하여만들어진말로かわたろう ( 강의아이 ) 라고도한다. 일본전국에퍼져사용되고있지만그호칭이나형상은각지방에따라다른것이사실이다. 즉갓바는전설상의동물또는미확인생물체이며 물의신 이라고알려져있는것이가장일반적이다. 민담에자주등장하는오니, 텡구와함께요괴로알려져있으며현재갓바신사, 갓바총 ( 경총, 도구총 ) 등도남아있다. 17 豚もおだてりゃ木に登る 나 飼犬に手をかまれる, 牛に引かれて善光寺まいり, 能ある鷹は爪を隠す 와같이 대응하는한국속담을찾기힘든경우도이와마찬가지라고할수있다. -324-
속담을활용한비교문화교육안 : 일본인학습자를중심으로 마파람에게눈감추듯, 큰고기는깊은물에있다, 호랑이담배먹을적 등은중급에서 다루기에는어려움이따르므로학문목적을위한학습교재에서소개되거나일정수준에 달한학습자를대상으로하는교육에서취급되어야할것이다. 위 (4a) 의지도안으로도입단계에서다음과같은과제를설정하는방법을생각해볼수 있다. [ 교재예 2] 다음신문기사의제목을완성하기위한속담으로적절한것은무엇일까요? 한국 흙수저 학생학업탄력성급락 [? ] 는옛말 2015 년 OECD 조사결과, 36.7% 로세계 9 위기록 9 년전 52.7% 서 16%p 나감소순위도 2 위서 7 계단이나하락 학교수업을마친중고생들이 서울의한학원가를걸어다니는 모습. 한국에서가정의경제적사정이좋지않은이른바 흙수저 학생들가운데학업성취도가높은학생의비중이지난 9 년새대폭줄어든것으로조사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에따르면, 사회경제적지위가하위 25% 인한국가정의학생들중국제학업성취도평가 (PISA) 에서 3 등급 (Level 3) 이상상위권에든 학업탄력적 (academically resilient) 학생의비율은 2015 년 36.7% 를기록했다. 70 개조사대상국가중 9 위였다. 취약계층학생들이어려운가정형편을극복하고학업성취도를높이기가점점더힘들어지는현실을보여주고있다. 2015 년 PISA 에서학업탄력적학생비율이가장높은곳은 53.1% 를기록한홍콩으로나타났다. 2006 년 (52.5%) 보다 0.6% 포인트상승한수치다. 중국내또다른특별자치행정구인마카오도 9 년새 13.8% 포인트올라간 51.7% 로 3 위를차지했다. 싱가포르와에스토니아, 일본이 40% 대를기록, 각각 3~5 위에올랐고캐나다와핀란드, 대만이뒤를이었다. 한국에선학생의정기적등교와교실의훈육적분위기, 학교내과외활동등이학업탄력성에긍정적연관성을보였다. 하지만학생수당컴퓨터비율은오히려부정적영향을미치는것으로조사됐다. OECD 는 저소득층학생들이규율바른교실에서학습하도록보장하고목적이뚜렷한과외활동을확충하면, 학교가더포용력있고공정한사회를만드는데선봉역할을할수있다 고조언했다. 이밖에도영화, 드라마, 연극대본이나노래가사를활용한교수법도학습자의흥미 -325-
2018 년도한국어학회 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유발에는효과적이라고할수있다. 18 한편열대동물의코끼리와사자가유럽속담에자주나타나는것과같이아시아의동물 중호랑이가비교적자주실현되고있다. 특히한국에서는개가, 일본에서는고양이가, 중국에서는말이자주등장하는동물로꼽을수있다. 이것은예전부터우리와삶을함께 하는가축, 반려동물, 벗으로각각중요한역할을하고있으며우리마음속에서도큰 자리를차지하고있기때문이라고할수있다. 여기서는고양이를다룬속담을통해문화교육방법에대해알아보기로하자. (6)( 가 ) 고양이목에방울달기 ( 나 ) 고양이덕은알아도며느리덕은모른다 ( 다 ) 소리없는고양이쥐잡듯 18 가령 속닥속담 이라는노래의가사 ( 가수제리케이 (Jerry. K) 작곡김진일 ) 를활용하는것도유용한방법이될수 있다. 허! 옛말에 높이나는새가멀리본다네 산이고물이고먹이고간에 높이올라가려고나는피나게달렸건만 뒤통수를한방먹이고가네 ( 시간이 ) 시간이약이야? 시간은돈이야? 잘난간판의자신감은독이야 그럴듯한회사를다니는동기와비교해보니 그건내발등을찍는도끼야 공연뛰고 pay 받고앨범내고정산받고 그래봤자방세도지불못할재산 지금생각하면무모한계산 말도안되는말씀티끌모아태산 수업시간에다들자면비웃곤했던수년전 달은차면기울고 이제는나같은빈수레가시끄러 이런말도있잖니공수래공수거 Rhyme 이서말이라도꿰어야보배 (x3) 속닥속닥이젠깨어나보게 Rhyme 이서말이라도꿰어야보배 (x3) 속닥속닥 허! 옛말에 십년이지나면강산도변한다 CD 는아무리감싸도떠난다 사양산업이미자라나버린온라인에투자해야살아남어 마스터링에들인돈이게무슨짓 마치밑빠진독에물붓기 MP3 잡음소리에거리낌따윈없는 그들에겐소귀에경읽기 발없는말이천리를가듯이퍼진 내앨범을바라보는처지를아는지 그저닭쫓던개지붕쳐다보듯 허탈한맘에속터지는천한버릇 종로에서뺨맞고한강에서화풀이 미신따윈안믿어도맘같아선살풀이 굿이라도한번해야겠어 밑져야본전이겠지지금이최악에선 닭의목을쳐도새벽은온단다 매일땅을쳐도세월은간다 닭의목을쳐도새벽은온단다 허! 세상이바뀌었어 남녀칠세부동석이라던우리나라 " 난며칠새굶었어!" 그러곤원나잇 찾아나서는남녀들이늘어나 오늘만멋지게굴어서한명만낚자 요샌웬만해선 ' 아다 ' 들도없다는데 거참재밌지아다르고어다른게 ' 성적문란 ' 과 ' 성적자유 ' 박터지게싸우지 어이, 판가르고뭐하는데 보수와진보, 둘사이의차일 정말볼수나있고? 눈가리고아웅 어린것들은언제나문제야뭘하든 개구리올챙이적생각못하듯 뭐가뭔지도모르고엎질러진물을 주워담으려애쓰다보면더뒤쳐질뿐 시간은강물처럼흘러간다 세상은박힌돌빼내려고굴러간다 -326-
속담을활용한비교문화교육안 : 일본인학습자를중심으로 ( 라 ) 고양이가세수를하면비가온다 ( 마 ) 도둑고양이더러제물지키라한다 ( 바 ) 고양이가반찬맛을알면도적질은하지않고견디지못한다 ( 사 ) 내마신고양이상 19 ( 아 ) 괴발개발 ( 자 ) 머리검은고양이귀해말라 ( 차 ) 양반의새끼는고양이새끼요상놈의새끼는돼지새끼다 (7)( 가 ) 猫の首に鈴を付ける ( 고양이목에방울달기, 하늘에방망이를달겠다 ) ( 나 ) 描の手も借りたい ( 모내기때는고양이손도빌린다 ) ( 다 ) 猫に鰹節 ( 고양이앞에고기반찬 ) ( 라 ) 猫の前の鼠 ( 쥐가고양이를만난격 ) ( 마 ) 猫の魚辭退 ( 고양이가쥐를마다한다 ) ( 바 ) 猫小判 ( 돼지에진주, 고양이수파쓴것같다 ) ( 사 ) 描は三年の恩を三日で忘れる ( 고양이덕과며느리덕은알지못한다, 밤잔원수없고날샌은혜없다 ) ( 아 ) 猫糞を決める ( 꿀먹은벙어리 ( 요침먹은지네 )) ( 자 ) 犬は人につき 猫は家付きの人につく ( 개새끼는짖고고양이새끼는할퀸다 ) ( 차 ) 猫も杓子も ( 개나소나할것없이누구나다 ) ( 카 ) 犬猿の仲 ( 개고양이보듯 ) 고양이관련속담은한국이 5-6% 를, 일본은 11% 를차지하는등일본이수적으로훨씬 우세할뿐아니라 20 사용폭도후자가매우넓은편이다. 실제일본속담의활용양상을 살펴보면 [ 그림 4] 에서와같이고양이의고유한능력, 능숙한솜씨, 예의바름, 지혜가많음, 자연현상을예지함등대체로긍정적인속성을다루고있는데비해한국속담에는 (6 다 - 라 ) 와같이능수능란하거나자연현상을예지하는능력을가진긍정적인고양이를그려낸 소수를제외하면대체로 (6 마 - 바 ) 와같이고양이를도둑으로취급하는예를쉽게찾아볼수 있다. 가령 도적고양이가살찌랴, 도적고양이범물어간것만하다, 도적고양이 제상 ( 제청 ) 에오른다, 도적고양이코세다, 먼저바꾸자고할때에는도적고양이가있기 19 고양이낙태한상, 식혜먹은고양이 ( 괴 ) 상같다 도잔뜩찌푸려서추하게생긴얼굴을이르는말로유의관계에 있는속담에해당한다. 20 정유지 (2004:44) 참조. -327-
2018 년도한국어학회 우리말학회공동전국학술대회 때문이다 등부정적인이미지의실체로등장하는경우가다수를차지한다. 따라서학습자의 출신지역에따라서는 (7 마 - 아 ) 와같은욕심과겁이많고배은망덕한즉부정적인이미지의 고양이속담을다룰때는학습자에게특별히주의환기를시켜야한다. 한편 (6 차 ) 의예는양반을통해조선사회의시대적배경과더불어다양한고양이의 양상을교육시킬수있는흥미로운예이다. 다음 [ 그림 4] 의이야기전개에따라고양이와 개의속성을확인하고동시에 [ 그림 5] 와같이지역별동화의비교대조교육으로 연계시키는것도한방법이라고할수있다. [ 그림 3] 교재예 3 동물을소재로한속담은대체로전후문맥에따라다양한의미를나타낸다고할수있다. 사용빈도면에서는말이나개와소등의사용빈도가대체로높은비율을차지하고있다. 21 다음은이중에서도주변에서쉽게접할수있는동물인개와고양이가함께등장한동화를 각각제시한다. 21 陸欣 (2003:85) 에따르면포유류를소재로한속담은한국 753 개, 중국 649 개, 일본 628 개로각각 10.4%, 9.9%, 8.6% 를차지한다. -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