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c-abl의 nuclear targeting을 유도한다는 것을 보 국외최근연구소식 여주고 있다. 먼저 세포에 ADR을 처리한 경우, 시간 의 경과에 따라 c-abl이 핵에 축적되는 것을 확인하 였고, ADR에 의한 DNA 손상에 의해 세포질내에 존 JNK phosphorylation of 14-33 proteins regulates nuclear targeting of c-abl in the apoptotic response to DNA damage 재하는 c-abl/14-3-3 단백질 복합체가 파괴되면서 cabl이 핵에 축적이 되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143-3 sirna를 이용하여 14-3-3 단백질 발현을 억제 시킨 경우, c-abl이 핵에 축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정상적인 경우 14-3-3 단백질이 cabl 단백질과 결합하여 c-abl 단백질을 세포질에 존 c-abl은 세포의 생존과 세포성장, 그리고 세포의 부 재하게 하는 기능을 하지만, DNA 손상 신호가 유 착과 이동을 조절하는 non-receptor tyrosine kinase 도되었을 경우는 c-abl이 14-3-3 단백질과의 결합에 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 세포내에서는 핵과 세포질사 서 벗어나 핵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연 이를 이동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흥미로운 사실 구자들은 DNA 손상 신호가 JNK에 전달되어 14-3- 은 c-abl 단백질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세포의 생 3의 인산화를 일으키고 c-abl과의 결합이 파괴되면서 존과 사멸이 조절된다는 사실이다. 즉 c-abl 단백질 c-abl이 세포질에서 핵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였 이 핵에 존재하는 경우는 DNA 손상신호에 의해 세 다. 핵으로 이동된 c-abl 단백질은 DNA 손상신호 포사멸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종양유발 에 반응하여 활성화됨으로써 세포사멸을 유도할 것이 유전자인 BCR-Abl 단백질의 경우는 배타적으로 세 라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non-receptor tyro- 포질에 타켓팅되면서 세포의 생존에 관여하는 것으로 sine kinase의 하나인 c-abl 단백질이 genotoxic stress 알려졌다. c-abl 단백질의 핵과 세포질 사이에서의 이 신호에 의해 세포내의 위치가 달라짐으로써 세포사멸 동은carboxyl-terminal region에존재하는3개의nuclear 과 생존이 조절된다는 분자생물학적 증거를 제시하고 localization signals (NLSs)와 하나의 nuclear export 있다. (Nature Cell Biology 7, 278-285, 2005) signal (NES)이 관여된다고 알려져 있다. 최경철, 박석희,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14-3-3 단백질들은 포유동물세포에서 세포사멸과 세 포분열에 관여하고, 식물에서는 1차 대사에 관여하는 중요한 조절자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즉 14-3-3 단 백질은 Bax와 Bad같은 pro-apoptotic protein에 직 접 결합하여 세포사멸이 일어나는 것을 방해하며 14- Lentiviral vector retargeting to P-glycoprotein on metast a t i c m e l a n o m a t h r o u g h intravenous injection 3-3 단백질은 단백질 상호작용을 위해서 목표 단백질 의 serine과 threonine 아미노산들의 인산화를 요구하 임상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유전자 치료법 프로토콜 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최근까지 14-3-3 단백질군 은 질병에 걸린 목표세포나 기관에 특이적으로 치료 은 104개 이상의 효소/단백질과 상호 작용 하는 것이 용 유전자를 전달하고, 그 전달된 유전자가 안정적으 증명 되었다. 로 장기간 발현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 본 논문에서는 DNA 손상 유발 물질인 Adriamycin 개발된 많은 유전자 치료용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들 중 (ADR)을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사멸 반응을 유도하였 에서 lentivirus를 기본골격으로 사용하는 벡터는, 자 을 때, MAP kinase들 중의 하나인 JNK에 의해 14- 신의 DNA를 숙주의 genome에 삽입시킬 수 있으며 3-3 단백질이 인산화 되고, 인산화된 14-3-3 단백질 또한 분열하지 않는 세포에서도 자신의 DNA를 안정 4 분자세포생물학뉴스
., receptor (envelop subunit) (single chain antibodies),. UCLA (Irvin Chen), 2001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HIV-1) lentivirus alphavirus Sindbis pseudotype protein A Fc- (J Virol. 2001). Sindbis pseudotype, Sindbis pseudotype (m168) (melanoma) targeting. m168 targeting metastatic melanoma mouse cancer model, P-glycoprotein melanoma, P-glycoprotein m168 pseudotype lentivirus, metastatic melanoma targeting. targeting lentivirus genome reporter luciferase noninvasive cooled charged-coupled device (CCCD) imaging., m168 pseudotyped lentiviral vector pseudotype titer, systemic injection,. lentivirus targeting. (Nature Medicine 11, 346-352, 2005), Cyclin dependent kinases (Cdks) activator cyclin. Cdk cyclin p21, p27, inhibitory phosphorylation Cdk, ubiquitination cyclin oscillation. FoxM1. FoxM1 50 forkhead box family HFH11/Trident/Win. S-phase. Cyclin B, Cyclin A, Polo-like kinase 1 (Plk1), CENP-F ubiquitin. FoxM1 knock-out G 2 /M polyploid cyclin B CENP-F. FoxM1 gene knock-out polyploid 5
포들이 관찰되고 배아상태에서 죽게된다. 본 논문의 경질환이다. 병리학적으로 파킨슨병 환자는 중뇌의 흑 연구자들은 FoxM1 null mutant의 MEFs (mouse 질에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소실과, α-synuclein이 세 embryonic fibroblasts) 분석해 본 결과 정상세포에 포내에서 응집되어 형성된 Lewy body를 보인다. 대 비해 G2/M 단계로의 전이가 지연됨을 보여주었으며, 부분의 파킨슨병 환자들은 특발성으로 발병하나 약 5- 염색체의 약 80%가량이 aneuploid를 나타냄을 관찰 15%의 환자는 가족력을 가지고 있고, 이들 가족성 파 하고 이러한 현상을 정량적으로 자세히 분석하였다. 이 킨슨병 환자들로부터 현재까지 6개의 원인 유전자가 러한 현상은 mouse 뿐만 아니라 인간세포인 U2OS 밝혀졌다. 이들 원인 유전자를 중심으로한 연구결과로 에서도 RNAi targeting 벡터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부터 특정 유전적 변이를 가진 가족성 파킨슨병 환자 실시간영상분석현미경 (time lapse microscope)을 통 는 물론 특발성 파킨슨병의 병인이 점차 밝혀 지고 있 하여 FoxM1 depleted 세포에서 염색체이상배열 (chro- 다. 현재 이해되고 있는 파킨슨병의 병인의 핵심은 산 mosomal misalignment) 및 cytokinesis의 결함을 관 화적 손상, mitochondrial complex I 기능 장애, ubiq- 찰하였다. FoxM1의 G2/M 전이과정에서의 역할을 유 uitin-proteasome pathway의 이상, misfolded/unfold- 전자 lock-out 쥐의 MEFs, sirna 처리한 인간세포 ed protein의 aggregation과 accumulation이고 이들 와 dominant negative construct (transactivaton delet- 은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ed mutant)를 발현시킨 세포들에서 세포분열기에 중 최근 두 연구팀에 의하여 LRRK2 (leucine-rich 요한 여러 단백질들의 전사 활성화와 연관시켰다. 또 repeat kinase 2, dardarin)라는 파킨슨병의 새로운 원 한 human cdna microarray의 유전자발현 profile 인 유전자가 밝혀졌다. LRRK2의 변이는 상염색체상 분석을 통하여 FoxM1이 발현을 증가시키는 44개의 우성으로 유전되는 late-onset parkinsonism 환자 가 유전자 중 22개가 G2/M 단계에 관련된 유전자임을 족으로부터 밝혀졌는데 염색체의 12p11.2-q13.1에 위 찾아내었다. FoxM1 depleted 세포에서 보여주었던 치하며, 51개의 exon으로 이루어지고 ORF가 7 Kb G2/M 전이억제 현상은 cyclin B 발현 감소를 통해서 인 큰 유전자이다. LRRK2는 2004년에 파킨슨병의 설명하고 polyploid 현상을 세포분열기 checkpoint 단 원인 유전자로 밝혀진 PINK1과 마찬가지로 kinase 백질인 CENP-F 발현 및 kinetochore로의 위치 변형 domain을 가지고 있다. LRRK2 단백은 ROCO pro- 과 연관성을 지은 것은 매우 흥미를 갖게한다. ChIP tein family에 속하며 MAPKKK, Ras/GTP super- 실험을 통해 FoxM1의 CENP-F promoter targeting family에 속하는 Roc (Ras in complex protein) 을 확인하였고, FoxM1 depleted cell에서 CENP-F의 domain, COR domain (C-terminal of Roc) 등의 단백질 양이 감소하고 염색체 이상배열 증가와 다른 domain을 포함하고 있다. LRRK2 유전자의 돌연변 중요한 checkpoint 단백질인 bubr1이 kinetochore에 이를 가진 환자들은 병리학적으로 특발성 파킨슨병 환 위치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암세포의 자와 같이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소실과 α-synuclein 증식을 억제하는 치료에 FoxM1이 중요한 target이 될 pathology를 보이고 있다. 한편 일부 환자에서 tau 수 있다는 이론적인 근거를 보고하고 있다. (Nature pathology를 보이는 점은 특이하다. 이러한 kinase Cell Biology, 7, 126-36, 2005) domain이 파킨슨병 발병에 미치는 구체적인 기전이 권승해, 강동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춘천센터 나 정상 기능은 아직 모르지만 돌연변이가 kinase domain에 위치하는 것으로 미루어, kinase domain은 파킨슨병의 새로운 원인 유전자 : LRRK2 파킨슨병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가 보고된 직후 가족성 파킨슨병 이나 특발성 파킨슨병 환자에서 LRRK2의 유전적 변 파킨슨병은 알쯔하이머병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 신 6 분자세포생물학뉴스 이를 확인하는 일련의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LRRK2
5-6.6%., 41-70 ( 57.4). LRRK2, kinase. (Neuron 44, 595-600, 2004; Neuron 44, 601-607, 2004),,,,,,,.,,, (therapeutic angiogenesis).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FGF (fibroblast growth factor), HGF (hepatocyte growth factor), PDGF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angiopoietin, VEGF. VEGF,, (cell adhesion molecule). angiopoietin, (arteriole) (muscular artery). in vitro in vivo HGF VEGF,. HGF, VEGF, ICAM-1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vcam-1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HGF ICAM-1 VCAM-1 NF-B, NF-B IKK (I 7
B kinase)의 활성이 차단되어 이루어짐을 입증하였다. 에서, 서파수면시 나타나는 특정적인 EEG 리듬 가운 앞으로 보다 많은 연구가 이뤄져야겠지만, 본 연구의 데 델타파가 소멸되었다. 또한 수면방추에서도 약간의 결과는 VEGF와 HGF를 동시에 적용하면 혈관염증과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리듬은 여전히 남아있었다. 반 같은 부작용은 감소시키면서 기능적인 혈관신생은 촉 면, 슬로우 리듬은 정상적인 형태로 유지되었다. 이러 진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허혈성 혈관질환을 치 한 결과는 수면 상태를 모방하는 urethane을 이용한 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내용은 마취 실험에서도 또한 관찰되었다. HGF and VEGF: A Dynamic Duo 라는 제목으로 EEG와 EMG 를 이용한 수면과 각성의 행동적 측 circulation research editorial에도 소개되었다. 면을 분석하여 본 결과, 이 유전자 적중 생쥐는 주간 (Circ Res 96, 300-307, 2005. and Circ Res 96, 에 수면량이 감소되어 있으며, 이 수면량의 감소는 272-273, 2005.) REM 수면이 아니라 서파수면량의 감소에서 기인하 권영근, 연세대학교 는 것으로 밝혀졌다. 서파수면 중 단기각성 (brief awakening) 에피소드 Lack of delta waves and sleep dist urb ances during nonrapid eye movement sleep in mice lacking α1g-subunit of T-type calcium channels 증가 : 이 유전자 적중 생쥐에서 발견된 서파수면의 이상적 (abnormal) 형태와 관련하여, 서파수면의 행 동적 패턴을 면밀히 분석한 결과, 단기 각성 에피소 드의 발생빈도와 그 양이 증가되어 있음을 발견하였 다. 이는 수면의 분절성을 나타내는 수치로, 이 유전 자 적중 생쥐는 주간 수면시 수면 상태의 분절성이 증 T-타입 칼슘 채널은 중추신경계에서, 감각정보처리 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 센터라고 알려진 시상 (Thalamus)의 중계뉴런 (relay T-타입 칼슘채널 서브타입 알파원쥐 유전자 적중 생 neuron)에 분포하여, 수면과 각성 조절의 기작에 관 쥐를 이용한 본 연구는, 수면 실험의 결과는 이 유전 여할 것으로 알려져 왔다. 깊은 수면 단계라고 불리 자 적중 생쥐가 서파수면의 양적, 질적이 면에서 이 우는 서파수면 (Slow-wave or NREM sleep)시 EEG 상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 결과는 수 에서 나타나는 3가지 특징적인 리듬은, 대뇌의 시상 면 동안 발생하는 뇌의 리듬인 델타파와 수면방추가, 과 대뇌피질 (cortex)의 상효작용에 의하여 나타난다. 피질에서 발생되는 슬로우 리듬과 구분되는 다른 특 이 리듬은 수면방추 (sleep spindle, 7-15 Hz), 델타 성을 가진다는 기존의 생각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 파 (delta wave, 1-4 Hz), 그리고 슬로우 리듬 (slow 주었다. 또한 본 실험 결과는 T-타입 칼슘채널의 알 rhythm, <1Hz)로 구분되는데, 이 가운데에 델타파의 파원쥐 서브유닛이 thalamocortcial oscillations 발생 발생과 관련하여 시상의 중계뉴런에서의 티타입 칼슘 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서파수면-각성 상태간 채널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의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 시상의 여러 뉴런들 가운데 중계 뉴런에만 선택적으 타입 칼슘채널은 수면 동안 뇌의 리듬에 관한 페이스 로 발현되는 티타입 칼슘채널 α1g 서브타입이 사라 메이커로서 알려져 왔으나, 실제로 수면의 행동적 측 진 유전자 적중 생쥐를 이용하여 티타입 칼슘채널이 면에 관한 그 역할은 상대적으로 알려진 바가 거의 없 수면-각성 조절에 어떻게 작용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었다. 따라서 유전자 적중 생쥐를 이용한 본 연구를 하였다. 통하여 T-타입 칼슘 채널의 실제 수면 상태에서의 기 수면 상태 동안 이 유전자 적중 생쥐에게서 얻은 EEG를 파워스펙트럼 분석 (Power spectral analysis) 방법을 이용하며 살펴본 결과, 이 유전자 적중 생쥐 8 분자세포생물학뉴스 능을 밝힐 수 있었다. (Proc Natl Acad Sci USA. 101, 18195-18199, 2004) 신희섭, 한국과학기술연구원
Telomere nucleoprotein complex,. telomerase telomere repeat sequence. Telomerase telomere repeat sequence telomere repeat binding factor. telomere repeat binding factor telomerase telomere. telomerase telomere repeat binding factor,, ciliates.. BY-2 telomerase (Plant J. (2002) 29: 617-626), telomere repeat sequence TTTAGGG NgTRF1 (J. Biol. Chem. (2003) 278: 21395-21407). telomere telomere. NgTRF1 anti-sense RNA BY-2 telomere telomere NgTRF1. NgTRF1 in vitro telomerase., NgTRF1 BY-2 telomerase. telomere. telomere apoptosis. NgTRF1 apoptosis, NgTRF1 telomere. telomere, telomere NgTRF1. (The Plant Cell 16, 3370-3385, 2004),,, β NKT semi-invariant V α 14-J α 281 (V α 14i) TCR, invariant V α 24-J α 15 TCR, IL-4 and IFN-γ. NKT innate adaptive immune responses, NKT cytokine. NKT diabetes mellitus,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itis,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NKT. NKT. 9
K/BxN serum transfer model은 immune complex 우스에서 관절염이 증가되며, TGF-β1의 생산이 감소 에 의해 유도되는 관절염 모델로서, 기존에 많이 사 된다. 따라서 관절에 존재하는 TGF-β1이 NKT 세포 용되는 collagen-induced arthritis (CIA) model과는 의 조절에 따라 염증을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 달리 immune complex에 의하여 유도되는 면역반응 음을 추측할 수 있다. 마우스 관절에서 얻은 세포들 에 관여하는 세포들의 작용 기전을 연구하는데 적합 을 사용한 in vitro assay에서 NKT 세포에서 분비되 한 모델이다. K/BxN serum transfer model에서 NKT 는 IL-4와 IFN-γ가 TGF-β1의 생성을 감소시키며, IL- 세포가 결핍 되어있는 CD1d-/- 마우스의 경우 K/BxN 4나 IFN-γ가 결여되어 있는 마우스에서 NKT 세포를 serum에 의해 유도되는 관절염의 정도가 정상 마우 분리하여 CD1d-/- 마우스로 transfer할 때 관절염이 생 스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며, NKT 세포를 활성화시 기지 않으며, 관절 내 TGF-β1의 양도 변화가 없다. 킬 수 있는 물질인 α-galactosyl ceramide를 정상 마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관절 내에 존재하는 NKT 세 우스에 주입할 경우에 관절염이 증가된다, 이러한 결 포에서 분비되는 cytokine인 IL-4와 IFN-γ에 의해 과들은 NKT 세포가 K/BxN serum을 통한 관절염의 TGF-β1의 양이 감소되어 관절염이 증가된다. 유도에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관절염의 진행 정도에 따라, 초기에는 NKT 세포가 NKT 세포의 작용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관절 다른 자가면역질환에서 병의 발생 및 경과를 억제하 조직에서 RNA를 얻어 real time PCR로 여러 가지 듯이 류마티스 관절염에서도 병의 발생을 억제할 가 cytokine의 transcription level을 확인할 때, 정상 마 능성이 크지만, 관절 내의 자가항체 침착으로 유도되 -/- 우스와 비교하여 NKT 세포가 결핍된 CD1d 마우 는 관절염에서는 NKT 세포가 오히려 염증을 유도하 스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1의 양 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관 이 높게 측정된다. 단클론 항체를 사용하여 생체 내 절염 치료제 개발을 위해서는 시기에 따른 NKT 세 의 TGF-β1의 기능을 억제하였을 때 관절염이 다시 포의 기능적 역할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J 증가되고, 반대로, recombinant TGF-β1를 정상 마우 Exp Med 201, 41-47, 2005) 스에 주입하였을 경우에는 관절염이 감소된다. 정상 -/- 마우스에서 얻은 NKT 세포를 CD1d 마우스로 adoptive transfer 하여 관절염을 유발할 경우, CD1d-/- 마 10 분자세포생물학뉴스 정두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