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 협소주택 으로명명되어 전문잡지나매체를통하여 소개된주택은 2012 년부터 2015 년말현재까지약 22 개 사례가있는데 1) 소유주가직접거주하고 2) 건축가에의 하여설계되었으며 3) 구도심에위치하여새로운풍경을 만들어내고있는점이특징이며건축면적은 35 m2-73 m2로 다

Similar documents
5,678,689 5,462, , ,679,338 5,462, , 증 )649 5,222,334 5,006, ,

untitled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고 시 서울특별시고시제 호도시관리계획 [ 용산지구단위계획구역 ( 서부이촌동일대 ) 및계획 ] 결정 ( 변경 ) 및지형도면정정고시 구분 도면표시번호 지구명 지구의세분 위치 면적 ( m2 ) 연장 (m) 폭원 (m) 최초결정일 비고 기정 1 미관지구 역사문화미관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II. 기존선행연구

304.fm

열거형 교차형 전개형 상승형 외주형 회전형 도해패턴 계층형 구분형 확산형 합류형 대비형 상관형 (C) 2010, BENESO All Rights Reserved 2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The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a Parking Lot Expansion in the Aged Apartment Complex

移대떎濡앹떆??0??2?쇰궡吏€-?

247

<31372DB9CCB7A1C1F6C7E22E687770>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하나은행 B2F RESTAURANT & CAFETERIA INTERIOR DESIGN DRAWING

서론 34 2

~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슬라이드 1


나 ) 지역사유서 도면표시번호 - 위치 민락동 일원 준주거지역 지역 일반상업지역 면적 ( m2 ) (%) 57,742 1,000 사유 2020 년부산도시관리계획 ( 재정비 ) 지역 ( 준주거지역 일반상업지역,57,742 m2 ) ( 부고제 94 호, 201

An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Students' Design Contest for Making livable community building of Seoul* Woongkyoo Bae* Taegyu Park 요약 주제어 ABSTRACT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322DB3EDB9AE2E687770>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CC hwp

12¾ÈÇö°æ 1-155T304®¶ó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Ⅱ. 의주택현황 1. 주택재고 1. 주택재고 1.1. 주택유형별재고 주택유형의구분주택유형은단독주택과공동주택으로구분된다. 단독주택은독립된주거의형태를갖춘일반단독주택과, 여러가구가살수있도록구성된다가구주택으로나눌수있다. 다가구주택은 3개층이하, 연면적 6m2이하, 19세대이하

< FC0FCB8C15FC3D6C1BEBABB2E687770>

소성해석

저작자표시 - 비영리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NCS : * A Study on

09김정식.PDF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605.fm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효학연구 제 호 목 차 인성교육의 위기와 가족문화 정범모 기독교위임체계에 의한 대리의 효 연구 박철호 성경적 효사상 연구 김시우 삼국유사 를 통해본 삼국시대의 효문화 김덕균 글로벌 시대 효학의 방향과 역할 서은숙 고령화 사회와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고찰 노인의 재혼과정

2017 치안정책연구제 31 권제 1 호 Police Science Institute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이용석 박환용 - 베이비부머의 특성에 따른 주택유형 선택 변화 연구.hwp


02. 서여주 외 2인(최종).hwp

2016 학년도대학별논술고사일정 대학명 논술고사시행일 가톨릭대 [ 일반 ] 10 월 11 일 ( 일 ) / [ 의예 ] 11 월 15 일 ( 일 ) 건국대 [ 인문 ] 10 월 9 일 ( 금 ) / [ 자연 ] 10 월 10 일 ( 토 ) 경기대 10 월 18 일 (

목 차

규모등급류별번호폭원 기능 기점 종점 사용형태 기정중로 보조간선도로 3,200 대로1-2 대로3-15 변경중로 보조간선도로 3,200 (585) 주요경과지 시흥 ( ) 대로1-2 대로3-15 일부구간폭원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02이용배(239~253)ok

Layout 1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허윤경 연구원엄근용

유선종 문희명 정희남 - 베이비붐세대 소유 부동산의 강제매각 결정요인 분석.hwp

성인지통계

조사연구 권 호 연구논문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의분석을위한패널가중치산출및사용방안사례연구 A Case Study on Construction and Use of Longitudinal Weights for Korea Labor Income Panel Survey 2)3) a

< 목차 > Ⅰ. 연구동기 1 Ⅱ. 연구목적 1 Ⅲ. 연구내용 2 1. 이론적배경 2 (1) 직접제작한물질의기본구조 2 (2) 회절격자의이론적배경 3 (3) X-선회절법-XRD(X-Ray Diffraction) 3 (4) 브래그의법칙 (Bragg`s law) 4 (5)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04_이근원_21~27.hwp

???? 1

동아시아국가들의실질환율, 순수출및 경제성장간의상호관계비교연구 : 시계열및패널자료인과관계분석

1-1) 아직까지도우리나라는 resilience' 이라는용어가적응유연성 ( 권태철, 2002; 김미승, 2002; 박현선, 1998, 1999a, 1999b; 양국선, 2001; 유성경, 2000; 이선아, 2004; 윤미경, 2002; 조혜정, 2002; 장순정, 2

- 89 -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법률 제944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도시정비법 이라 한다) 제4조 제1항, 제3항은 시 도지사 또는 대도시의 시장이 정비구 역을 지정하거나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제외한

자연채무에대한재검토 1. 서론 2. 선행연구 9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14 May; 12(5): 89-99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NCS : G * The Analy

에너지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Suggestions of Ways

44-3대지.08류주현c


기본소득문답2

슬라이드 1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2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약관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Q172DS

(01~64)550지학-정답(1~5단원)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사단법인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시각디자인학회

00내지1번2번

Untitled-1

1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윤리적입장에따른학교상담자의 비밀보장예외판단차이분석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구승영

歯1.PDF

Transcription:

Journal of the 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ol.25 No.2 Serial No.115 _ 2016. 04 http://dx.doi.org/10.14774/jiid.2016.25.2.092 일본도심소규모단독주택내공적공간 (D) 의평면과입체의조합유형 The Composition Types of ayout and Three-dimensional of the Public Space(D) in Small Houses in Japan Author 신미옥 Shen, Mei-Yu / 정회원, 숭실대학교대학원박사과정, 동서울대학교건축과조교수 윤춘섭 Yoon, Choon-Sup / 정회원, 숭실대학교건축학부교수, 건축학박사 김남효 im, Nam-Hyo / 이사, 숭실대학교대학원실내디자인학과교수, 공학박사 Abstract eywords Recently, new detached houses on a small plot in low-rise residential urban area have attracted more public interests than ever before.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basic types of interior plans in small urban detached houses by analyzing the layouts of the public space(d) within them which are popular in Japa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Unit floor plans were basically classified as 16 types according to the layout of D. Among these, the D type in a straight line shows the most at 28.9%. Again, these plans were sub-classified into 38 types by plan composition. The new D (a new term the authors propose to be used) type was observed in cases where was directly connected to. This type appears at 9 out of 38 types. In the connection of D, the D type shows the most at 60.8%; secondly the -D type at 29.9%; thereafter the D- type at 6.2%; and lastly -D- type, the least frequently at 1.0%. The cases of inter-level connection between D and the surrounding space were observed in various cases such as the open workplace of the upstairs hallway visually connected with D through the void space and as the attic space of the pitched roof visually linked to it. 소규모단독주택, 공간특징, 공적공간, D Small-sized detached house, Space Features, Public Space, D 1. 서론 1.1. 연구의배경과목적 본연구의대상이되는일본도심소규모단독주택은 건축가에의하여건축된주택으로서거주자의라이프스 타일과대지의특성이공간에반영된것들이다. 소규모 단독주택은규모가작을수록공간을효과적으로구성해야되는데그중초소형주택으로서 狹小住宅 ( 협소주택 ) 1) 이 1977 년이후부터작은공간을극복할수있는여러 아이디어를공간에반영함으로이슈화되었고, 2000 년 일본의 Memo 남자의방 잡지에 협소주택시리즈 가 호평을받으면서본격적으로대중들에게알려졌다. 일본 에서협소주택은도심이라는지역적편리성과작은필지 의경제성, 단독주택을꿈꾸는사람들의소망에의하여 선풍적인인기를얻으며도심속의주거양식으로자리잡 았다. 한국에서는 1) 2012 년에 TV 매체 2) 를통하여한국과 일본의협소주택사례가소개되어주목받기시작하였으 며, 같은해전문잡지 3) 를통해서도처음으로구도심주 거밀집지에신축한작은규모의단독주택이소개되었다. 이후 TV 와잡지, 인터넷블로그등매체를통하여꾸준 히소개되면서 2015 년에는 올해주택시장의 뽑히기까지하였다. 4) 핫이슈 로 서울시에서도 저층주거지관리방 안 5) 을통하여구도심재생을적극추진하고있다. 국내 1) 일본에서일반적으로약 50 m2 (15 평 ) 이하의토지에지어진좁고작은집을말하는협소주택은다양한설계가시도되면서 부지를최대한살린, 밝고넓은집 으로발전했다. 전원주택라이프 2012 년 10 월호, p.111 2) SBS 스페셜 304 회, 내생애처음지은집, 2012.9 3) 이루건축, 1 억원대로실속있게지은천안주택, 전원주택라이프, 2012 년 10 월호 4) 20 가지해시태그로본주택시장핫이슈, 전원속의내집 200 호기획특집, 2015 5) 서울시의 저층주거지관리방안 에따르면 4 층이하주택을새로 92

에 협소주택 으로명명되어 전문잡지나매체를통하여 소개된주택은 2012 년부터 2015 년말현재까지약 22 개 사례가있는데 1) 소유주가직접거주하고 2) 건축가에의 하여설계되었으며 3) 구도심에위치하여새로운풍경을 만들어내고있는점이특징이며건축면적은 35 m2-73 m2로 다양하다. < 그림 1> 변화하고있는서울구도심풍경 6) 본연구는이미보편화되고다양화된일본의사례를 분석함으로서국내소규모단독주택계획에서효용성있 게활용될수있는유형분석자료를목표로하고자한다. 이에도심소규모단독주택내부공간중에서공적공간 을이루는 D 의평면과입체의조합유형에대하여분 석을진행하였다. 1.2. 연구의범위와절차 본연구는일본의소규모단독주택사례를분석함에 있어그범위를주거내의공적공간에한정하였다. 공적 공간은전체주거공간의계획에서실배열과동선에절 대적인영향을줌으로서단독주택의평면구성과변화에 중요한영향을미친다. 따라서공적공간을분류하고분 석하는것은단독주택의평면을더욱구체화하고특징화 할수있는중요한수단이된다 7). 사례도면수집은 2011 년이후출간된일본의단독주 택을전문적으로다룬단행본 8) 에서 1) 주거밀집지에위치 하며 2) 건축면적이 66 m2 (20 평 ) 9) 이하이며 3)2 층이상이며 짓거나개축할때최대 9 천만원을 2% 대금리로융자해주는정책도포함되어구도심재생이추진력을얻고있다. 6) 이미지출처 : 전원속의내집, 2014.1, 2015.3, 2015.10, 2015.12 7) 임효진, 주택내부공적공간 (D) 의구성적특성에관한비교연구, 중앙대석사논문, p.4 8) 단행본은모두 6 개로도면수집만으로서의한계를보완할수있는다양한해석과사진이포함되어있다. 박승희역, 최고의평면, 마티, 2013 이꼴북스, 도심속일본의작은집, 이꼴북스, 2014 주부의친구편집부, 작아도기분좋은일본의땅콩집, 마티, 2011 주부의친구, 작은땅내집짓기, 로그인, 2012 inda David Shi Edit, 일본소형단독주택디자인의발견, 엠지에이치북스, 2013 inda David Shi, 일본도시의작은주택그리고전원주택, 엠지에이치북스, 2014 9) 본연구에서는국내 협소주택 의정의가아직명확하지않은상황에서 소규모단독주택 이라는용어를사용하였고, 도심의소규모필지에적용을목적으로그규모를 66 m2 (20 평 ) 이하로정하였다. 소규모단독주택의기준을건축면적으로삼은이유는 서론 에서밝힌한국의구도심의소규모필지에적용하기위하여서는필지면적과건축면적을비교하는것이더용이하며, 본연구에서다루는 D 의조합유형또한건축면적의영향을더많이받기때문이다. 4) 건축가에의하여거주자의라이프스타일을반영하여 설계된주택으로총 108 개를선정하여분석에사용하였 으며분석의내용과절차는다음과같다. 1. 우선선행연구를통하여 D 공간의배치관계유형 에대한세부적인특성을파악하였다. 2. 조사대상사례의평면도, 단면도, 내부사진과설명 을분석, 정리하여개요를파악하고규모, 층수, 형태, 단 면등일반적특성을파악하며이를토대로특수한경우 에속하는사례를제외하고 D 평면배치관계및입체 적특성분석을위한 97 개사례를추출하였다. 3. D 의세분류유형특징을도출하기위하여우선 D 의배치관계를 3 3 그리드로도식화하여 16 개도식 유형을도출하고그유형에따른공간구성및조합관계 를파악하여 38 개세부유형을도출하고이를선행연구 의세부유형과비교분석하였다. 4. 마지막으로 D 의입체조합유형을파악하기위하 여평면유형구분에서진일보한입체유형구분을모색하 였다. 2. D 유형특징에관한선행연구고찰 주거와관련된선행연구는주로물리적공간을분석한 연구와주거내에서의행태를분석한연구가있는데, 본 연구주제에맞춰물리적공간을분석한연구중평면자 료를토대로 D 의조합관계및특징을분석한연구를 주로고찰하였다. 특히 D 의배치특징을세부적으로 분석한연구에주목하였다. 이제까지선행연구에서사용된 D 유형은대부분 개방형 (D), 거실분리형 (-D), 주방분리형 (D-), 완전분리형 (-D-) 10) 으로분류하는방법을사용하였으 며, 일부연구에서는이유형을한단계더세밀하게분 류하여유형특징을파악하였다. 한국의아파트를대상으로연구한대부분의사례에서 는 D- 형이나타나지않거나아주적은비율 11) 로나 10) 분리를나타내는기호 - 대신 /, +, 등기호를사용하는경우도있으나혼동을피하기위하여일괄적으로 - 로표기하였다. 11) 송창섭, 심종욱, 홍종우, 이종각, 박남희, 추선경, 김지민, 이은민의연구에서는 D- 형이나타나지않았고이선미의연구에서는 1.0% 나타났다. - 송창섭, 아파트단위주호평면의공간구성에관한연구, 경북산업대석사논문, 1996, p.35 심종욱, 공동주택단위세대평면계획의변화요소에대한연구, 홍익대석사논문, 2003, pp.29-30 - 홍종우, 아파트단위세대평면의변화특성, 연세대석사논문, 2003, p.41 - 이종각, 1990 년이후아파트단위평면변화양상에관한연구, 국민대석사논문, 2006, pp.74-75 - 박남희 이준민, 브랜드아파트의평형별평면계획내용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Vol.22 No.3, 2006, p.60 - 추선경, 브랜드아파트의단위평면변화와특성에관한연구, 서울과기대석사논문, 2011, pp.40-41 93

타난반면 -D 형은 60% 이상으로최근연도일수록더 높은비율로나타났다. 반면일본의사례를대상으로한 연구 12) 에서는 D- 형혹은 D 형이가장높은비율 13) 로나타났다. 한국의단독주택을대상으로한연구 14) 에서 는국내아파트와달리 D- 형이다소나타났다. 전용 면적 165 m2이상의고급주택을대상으로한연구 15) 에서 도 D- 형이 38% 로나타났다. 이는단독주택, 고급주택 의특징으로도볼수있으며또한면적이커지는경우 주방분리형에대한수요도있는것으로볼수있다. < 표 1> 선행연구에서 D 유형특징 연구자 사례대상대상지역사례연도사례 D 유형구분 (%) 수 D -D D- -D- 송창섭 아파트 한국 1990-1995 102 4.9 83.3-11.8 심종욱 아파트 한국 1998-2003 88 6.3 85.2-13.6 홍종우 아파트 한국 1993-1997 87 11.5 50.6-37.9 1998-2007 88 1.1 85.2-13.6 1990년초, 중 56 21.4 42.9-35.7 이종각 아파트 한국 1990년말 65 13.8 64.6-21.6 2000년초 63 6.4 66.7-26.9 박남희 아파트 한국 2004 223 3.7 87.9-8.4 추선경 아파트 한국 2002-2009 140 3.6 94.3-2.1 김지민 아파트 한국 1990-2007 901 13.1 86.5-0.4 이은민 아파트 한국 2001-2003 232 4 97.4-0.9 최은희 아파트 한국 2001-2002 128 13.3 67.3 17.9 1.5 김미경 고급주택한국 2007-2008 82 21 38 35 6 1980년대 68 24.99 38.23 14.7 23.53 양천규 단독주택한국 1990년대 208 45.68 38.46 8.17 8.17 2000년대 45 33.33 60 11.11 4.44 한국 1990년이후 55 11 51 14 24 임효진단독주택일본 1990년이후 54 39 17 28 16 박찬외 단독주택일본 2011년이전 521 6.0 10.3 60.6 22.7 이성민 집합주택일본 1991 31 3위 2위 1위 4위 세부적으로분석을진행한선행연구자들의분석방법을 < 표 2>, < 표 3>, < 표 4> 와같이세가지분석틀로요 약할수있었다. < 표 2> 에서최은희 (2003) 16), 김미경 (2007) 은세분류 설명에서같은용어를사용하였고, 양천규는이들과다 른용어를사용하여용어를모두나열하여해당사항에 체크하는방식을취하였다. 11) 이은민, 브랜드아파트의단위평면특성에관한연구, 연세대석사논문, 2004, pp.46-48 요약 - 김지민, 중 소형아파트단위주호평면유형의특성및변화경향에관한연구, 연세대석사논문, 2011, p.41, pp.67-70 요약 12) 임효진, 주택내부공적공간 (D) 의구성적특성에관한비교연구, 중앙대석사논문, 2002, p.90 박찬 김정균, 일본도시 D 형주택의평면유형에관한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24, No.1, 2013, p.47 이성민, 고층집합주거의평면에있어서 D 의연결과분할에관한연구, 숙명여대석사논문, 1999, p.95, 104 ( 분석결과가백분율로나타나지않아순위로표기함 ) 13) 박찬, 이성민의연구에서는 D- 형이가장높은비율로나타났고, 임효진의연구에서는 D 형이가장높은비율로나타났다. 14) 양천규, 국내단독주택의평면구성유형분류에관한연구, 인하대박사논문, 2005, p.125 재구성임효진, 전게서 p.90 15) 김미경, 최근분양된수도권공동주택단위세대의공간계획특성에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6, 2007, p.122 16) 최은희, 공동주택평형별단위평면구성의특성에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No. 38, 2003, p.139 < 표 2> 양천규, 최은희, 김미경의세분류분석요소 ( 재구성 ) 대분류세부유형및설명양천규최은희김미경번호 D 세공간완전개방형 1 D /D/ /: 세공간평면형태적반통합 2 -: 인접분리형 3 -: 층별분리형 4 -D -: 타공간개입을통한분리형 5 -: 하나의실로독립 6 -D D- -D- -D/ -: 타공간개입을통한분리 /: 평면형태적반통합 7 -: 층별분리, /: 평면형태적반통합 8 -: 인접분리 /: 평면형태적반통합 9 -: 독립, /: 시각적차단 10 /D /: 꺾인배치 11 /: 유리파티션등으로구분 12 D- -: 출입구에의한분리 13 -: 독립 14 /D- D/ -D- -: 출입구에의한분리 /: 평면형태적반통합 15 -: 독립 16 /: 시각적차단 /: 평면형태적반통합 17 /: 시각적차단 18 -: 은타공간개입에의한분리 -:D 와 는출입구를통한분리 19 -: 인접분리, 출입구를통한분리 20 -: 은층별분리 -:D 와 는출입구를통한분리 21 -: 각각독립 22 < 표 3> 에서이은민 (2004) 17), 김지민 (2011) 18) 은이선미 (1995) 의공동공간배치관계분석틀을재구성하여분석 을진행하였으며평면배치관계로유형을세분화한것이 특징이다. < 표 3> 이은민, 김지민의세분류분석요소 ( 재구성 ) 구분 세부유형및설명 이은민김지민 번호 일렬배치거실, 식당, 부엌이완전개방및일렬배치 23 D 복도로분리되어개방된배치 24 일렬배치벽이나, 가구, 제3의공간으로반개방된배치 25 벽과문 / 미닫이문으로폐쇄된배치 26 꺾여배치되었으나두공간이개방된배치 27 꺾인배치 두공간이반개방된배치 28 -D 두공간이폐쇄된배치 29 두공간이개방된배치 30 분산배치두공간이폐쇄된배치 31 -D- 근접배치세공간이각각폐쇄되었으나근접하여배치 32 꺾인배치 -D꺾인배치, D- 개구부를통한인접배치 33 < 표 4> 에서이성민 (1999) 은공간의연결과분할관계 에의하여 D 공간을분류하였는데, 먼저분할요소의 특징을분류하고다음으로해당유형을표기하고 3 차원 공간요소로세분화하였다. 이성민의연구에서는천정고 의차이에의한영역구분, 대면형주방에의한영역구 분등 3 차원적인공간구성에대한설명이언급되었다. 17) 이은민, 브랜드아파트의단위평면특성에관한연구, 연세대석사논문, 2004, pp.46-48 요약 18) 김지민, 중 소형아파트단위주호평면유형의특성및변화경향에관한연구, 연세대석사논문, 2011, p.41, pp.67-70 요약 94

< 표 4> 이성민의세분류분석요소 ( 재구성 ) 구분세부유형및설명번호 천장형태, 바닥의재질, 공간형태의변화에의한영역구분 벽면의분절에의한 와 D 영역구분단차이및벽과개구부에의한영역분리 D- 천장의변화에의한 와 D의영역구분 34 -D 공간형태, 크기의변화에의한영역구분 35 D- 바닥의재질, 패턴차에의한영역구분 36 D- 와 D가독립된 벽면의분절에의해영역이분리 37 -D- 독립, 와 D는단차에의한분리 38 -D 벽에의한인접분리 39 대면형주방 D- 대면형키친타입의부엌 40 D 일체형 D- 가독립되고 와 D 가한공간 41 3. 사례분석 수집된도면과자료는 SPSS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이용하여빈도분석 (frequencies) 과교차분석 (crosstab) 을진행하여유형분류및요소간의상관관계에 대하여분석하였다. 우선대상주택의일반적특성, 평면 및단면의특성을분석한후 D 의평면구성방식과 입체구성방식을분석하였다. 구체적인조사분석내용은 < 표 5> 와같다. < 표 5> 조사분석내용 구분조사분석내용분석방법 일반적특징 건축물의구성방식 D공간의구성방식 3.1. 일반적특징 가족구성, 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 건폐율, 용적률, 층수, D 해당층 건축물의배치형태, 단면유형, 계단위치 D 배치관계의도식화, D 평면조합유형, D 세부유형, D 입체구성방식 빈도분석교차분석상관분석 우선대상사례의가족구성, 규모, 층수, D 해당층 등일반적인특징은 < 표 6> 과같다. < 표 6> 대상주택의일반적특징 N=108(100%) 가족구성 대지면적 ( m2 ) 건축면적 ( m2 ) 연면적 ( m2 ) 건폐율 (%) 용적률 ( m2 ) 층수 핵가족 3대가족 독신 부부 확인불가 87(80.6) 3(2.8) 2(1.9) 12(11.1) 4(3.7) 50미만 50-99 100-199 200-299 300이상 12(11.1) 45(41.7) 45(41.7) 5(4.6) 1(0.9) 30미만 30-39 40-49 50-59 60이상 12(11.1) 28(25.9) 31(28.7) 29(26.9) 8(7.4) 80미만 80-99 100-119 120이상 - 28(25.9) 47(43.5) 30(27.8) 3(2.8) - 30미만 30-39 40-49 50-59 60이상 12(11.1) 26(24.1) 26(24.1) 33(30.6) 11(10.2) 60미만 60-89 90-119 120-199 200이상 14(13.0) 42(38.9) 21(19.4) 26(24.1) 5(4.6) 2F 3F B1-2F B1-3F - 56(51.9) 32(29.6) 16(14.8) 4(3.7) - 건축면적은 66 m2 (20 평 ) 이하로사례를선정하였는데 30 m2미만 -60 m2이상까지각규모유형에고루분포된것으로 파악되었다. 가족구성에서핵가족은부부와미혼의자녀 로구성된가족을말하는데여기에부부만생활하지만 도면에 예비실 혹은 예비자녀실 로표기되어자녀공간 도계획된경우는핵가족의범주에포함시켰다. 가족구 성은핵가족이 82.7% 로가장많은비중을차지하였고 3 대가족이나독신의경우는극소수인것으로파악되었다. 층수는지상 2 층으로계획된경우가 51.9% 로가장많았 고, 지하 1 층 - 지상 3 층으로계획된경우는 3.7% 로소수의 사례에서만나타났다. 1 층은외부에서바로진입하는층 으로출입구가반층내려간경우와반층올라간경우도 소수존재하였으나전부 1 층의범주에포함시켰다. 지하 1 층에차고만있고출입구가 1 층에있는경우는층수에 지하 1 층을포함시키지않았다. D 가 1 층에있는경우와맨윗층에있는경우는유 사하나층수에따라 < 표 7> 과같이유의적인상관관계 를나타냈다. 2 층주택의경우 D 가 1 층에있는경우 가다소많았고 3 층주택의경우 D 가 2 층이나 3 층에 있는경우가비슷하게나타났고 1 층에있는경우는 3.7% 로아주적었다. 전반적으로 D 가같은층에있는 경우가 92.6% 로대부분이었고반층의레벨차가나거나 두개층에분포되어있는경우는 7.4% 로아주적었다. < 표 7> D 해당층과층수의상관관계 N=108(100%) 해당층층수 D 1 층맨윗층중간층두개층반층차지하 1 층 2F 33(30.6) 24(22.2) - 1(0.9) 1(0.9) - 3F 4(3.7) 10(9.3) 12(11.1) - 4 - B1-2F 6(5.6) 7(6.5) - - 1(0.9) 1(0.9) B1-3F - 1(0.9) 2(1.9) 1(0.9) - - 계 43(39.8) 42(38.9) 14(13.0) 2(1.9) 6(5.6) 1(0.9) PEARSON 상관계수 : 0.351 ** (0.01 수준에서유의 ) D 가 1 층에있으면외부공용공간과내부공적공간이 연결되어자연스러운흐름을만들수있고또주방식재 료운반이나손님접대에용이하며, D 가맨윗층에있으 면주거밀집지에서채광과조망에용이하며개방된공간 으로구성하였을때외부도로와의시선차단으로프라이버 시를확보할수있다. 분석결과에서 D 가 1 층에있는 경우 (39.8%) 보다 2 층이나 3 층에있는경우 (51.9%) 가더많 다는것은주거내부에서공용공간이외부손님을위한공 간보다는가족모임의공간으로채광과조망등쾌적성이 가장중요하게고려된것으로해석할수있다. 3.2. 평면및단면의유형특징 주택의평면형상에대한분류는손세관 19) 의분류방법을 참고하여본사례에부합되는부분을취하여 < 표 8> 과 같이정방형, 장방형, 세장형, T 자형, ㄷ자형, 자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장방형은도로에면한부분이좁은면이면세 로방향장방형, 넓은면이면가로방향장방형으로, 깃대형 19) 손세관 전경화, 평면의형상으로바라본우리나라단독주택의공간구성적특성에관한유형학적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 권 3 호, 1998, p.37 95

부지인경우세로방향장방형으로, 두면이도로와접하는 경우남층채광면이좁은면이면세로방향장방형, 넓은 면이면가로방향장방형으로분류하였고, 세장비가 3.0 이 상이면세장형으로분류하였다. 전체유형중정방형과장 방형이가장많아전체의 82.4% 를차지하였는데, 그중세 로방향장방형이 37% 로가장많이나타났고, 정방형이 31.5% 로나타났으며, 가로방향장방형은 13.9% 로다소적 게나타났는데필지자체가도로에면한면이더좁은면 인것으로유추할수있다. 세장형, T 자형, ㄷ자형, 자유형 은각각 6% 이하로적은비율로나타났다. 평면형상을 기 본형상 과기본형상에서가감된 변형 으로보았을때, 기본 형상이 61.1% 로많은비중을차지하였고변형된경우에서 절삭형과사선형이각각 21.3%, 13.9% 로다소많은비율 로나타났다. 기본형상중에서정방형, 장방형의기본형상 은 48.2% 로나타났는데굴곡없는네모형은건축경비를절 감할수있다. 사선형의경우대지의형태를살려최대한 의건축면적을위한경우와내부공간의사선효과로넓어 보이는효과를보기위한경우가있었고, 절삭형은주차를 위한경우, 데크를설치하는경우등으로나타났다. ㄷ자 형은오목한부분을중정으로사용하는경우로외부와의 시각차단을위한벽체를형성하여내부화된마당을구성 하는것으로나타났다. < 표 8> 주택의평면형상에의한분류 N=108(100%) 기본형상 변형 사선형절삭형부가형분절형 빈도 (%) 정방형 34(31.5) 가로방향장방형 세로방향장방형 - - - 15(13.9) 40(37.0) ㄷ자형 - - 5(4.6) 세장형 - - - 6(5.6) T 자형 - - - - 3(2.8) 자유형 - - - 5(4.6) 계 66(61.1) 15(13.9) 23(21.3) 5(4.6) 3(2.8) 108(100) 주택의단면유형은 < 표 9> 와같이일반형, 보이드형, 스킵플로어형, 스프릿레벨형, 1 층높은형으로나타났다. 맨윗층에 D 가있는경우경사지붕을이용하거나높은 층고를이용하는경우는보편적이나 1 층의층고가높은 경우는보편적이지않은경우로따로분류하였다. 1 층층 고가높은경우는채광을위한경우이거나 1 층에다락을 두는경우로나타났다. 단면유형은일반형이 57.4% 로가장 많았고, 보이드형이 25.9% 로그다음많았다. 스킵플로어 형, 스프릿레벨형, 1 층높은형은각각 4.6%, 8.3%, 3.7% 로 낮은비율을보였다. < 표 9> 단면유형 N=108(100%) 구분 단면도형 빈도 (%) 설명 일반형 62(57.4) 맨윗층 (2층혹은 3층 ) 층고가다소높은경우나경사지붕인경우포함 보이드형 28(25.9) 2 개이상의층으로개방하는경우 스킵플로어형스프릿레벨형 1 층높은형 7(6.5) 7(6.5) 공간의바닥높이가반층정도차이가나도록단층형 ( 段層形 ) 입면으로계획한경우 방의바닥높이를 3-4 계단정도로다르게계획하여시각적으로평면분리를한유형 20) 2F 다락 4(3.7) 1층에다락이있는경우, 1층층고높은경우 1F 3.3. D 의평면조합유형 수집된 108 개사례중불합리하다고판단된사례 11 개 를제외하여 97 개사례를 D 평면조합유형고찰에사 용하였다. 제외된사례는 11 개로아래와같은경우에속 한다. 1)D 가지하 1 층에위치한경우는 1 개사례로특 수한경우에속하여제외하였다. 2) 평면형상이 T 자형인 경우는건폐율이 30% 미만으로파악되어대지가충분한 경우에만적용되는형태로도심주거밀집지에서의적용이 어려운것으로판단하고이에해당하는 3 개사례를제외 하였다. 3) 앞서 < 표 6>, < 표 8>, < 표 9> 의분석에서건 축면적을제외한각항목별 10% 이하 21) 의항목유형에 세번이상속하는사례는 3 개로우선제외하고, 항목 유형에두번이상속하는사례는 9 개로검토후층간 이동방식이사다리인경우등공간구성이극히개별적인 사례 4 개를제외하였다. 이로서 11 개사례를제외한 97 개사례로 D 평면조 합유형을분석하였다. D 평면조합유형은 < 표 10> 과같이 3 3 그리드도 식 22) 으로표기하여분류하였다. D 가일렬로배치되는 유형인 a 형이 27.8% 로가장많이나타났고 D 와 가 ㄱ 자형으로꺾여배치되는 b 형이 14.4%, 과 D 가분 산되어배치되는경우인 c 형이 12.4% 로그다음많았다. 이 D, 와모두인접한 d 형은 10.4% 로, 공간이없거 나아주작고 D 가공용공간의중심이되는 e 형, 의독 립성을확보하며 D 와사선으로이어지는 f 형, D 가하 나의개방적인네모형공간을이루며 와 D 의영역이 구분되지않은 g 형이각각 7.2% 로나타났으며기타유 형은 5% 이하로나타났다. 주요유형에속하는 a-g 유형 은모두 86.6% 로나타났다. 20) 이유형은아돌프로스의주택작품에서라움플란공간구성특징요소로나타나는데, 레벨차를만드는계단은평면상의위치가일정하지않고복잡하게굴곡되어있는것이특징이다. 21) 박찬 김정균은 5% 혹은 10% 이하의소수의형식을나타내는사례는대다수의일반적인사례와유형고찰을함께하기에는불합리한면이있다고하였다. 박찬 김정균, 일본도시 D 형주택의평면유형에관한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24 No. 1, 2013, p.45 22) 도식은공간의크기와상관없이관계만을나타낸다. 도식은언어로표현하기어려운부분을설명할수있어공간구성이다양할경우각유형의차이에대한식별이쉬운장점이있다. 96

< 표 10> D 평면조합유형도식 N=97(100%) No. 도형 D a b d c b-1 b-2 d-1 d-2 D D D D e f g D D D D 빈도 27(27.8) 10(10.3) 4(4.1) 12(12.4) 7(7.2) 3(3.1) 7(7.2) 7(7.2) 7(7.2) No. h i j k l m n o p 도형 D D D D D D D 빈도 3(3.1) 3(3.1) 2(2.1) 2(2.1) 1(1.0) 1(1.0) 1(1.0) 1(1.0) 1(1.0) D 의위치관계도식유형을배치특징으로보면가장 기본이되는주방, 식당, 거실이일렬로배치되는유형 (a), 주방과식당, 거실이꺾여배치되는유형 (b), 주방, 식당과거실이통로등타공간에의하여분산되어배치 되는유형 (c) 외에거실이주방, 식당에모두인접한유 형 (d, l), 주방이거실과식당에모두인접한유형 (g, n), D 가공용공간의중심이되며거실이없는유형 (e), 주 방이거실과식당을각각이어주며거실과식당은분리 되어있는유형 (i, p), 거실과식당이사선으로연결되어 시선이확장되는유형 (f, h), 주방과식당이사선으로연 결되어영역이확보되는유형 (j, o), 거실과주방, 식당이 엇갈려배치되며영역이확보되는유형 (k, m) 으로분류 할수있다. 4. 평면구성방식과입체구성방식 4.1. D 평면구성방식 본연구에서는각유형에대한평면구성방식과그에 따른분류기호를 < 표 11> 과같이고안하였다. < 표 11> 에서는 < 표 10> 에서제안한 16 개유형을평 면구성방식에따라세부적으로분류하여 38 개세부유형 을도출하였다. D 각공간의관계를세가지분류기 호로구분하였는데, 그중 - 는층별분리등공간의분 리가명확한경우이고, / 는공간의영역성이확보면서 반개방된경우에속하며, 영역성이확보되면서개방 된경우에속한다. < 표 11> 의분류기호에는선행연구에서표기되어있지 않은분류기호를부가하였는데 D 형으로주방과거 실이직접관계맺는경우에 와 사이에기호표기가 필요하여본연구에서새롭게만들어낸형식이다. 이는 기존의사례연구에서나타나지않은 중심으로, D 가각각관계를맺는배치가나타났기때문이다. 이는 모두 9 개세부유형에서나타났다. D D < 표 11> D 각유형의평면구성방식 도형평면구성방식 a b c d e 분류기호 세부유형설명 번호 D -대면형주방혹은파티션, 낮은수납장으로공간구분 1 D -과 D는천정고, 바닥단차에의한영역구분 2 D/ -는가벽으로분리, 반개방된상태 3 -D가일렬로배치되며 D일체형으로 D 순환동선구성 4 -벽면형주방, 와 D는바닥패턴으로영역구분 5 D - 는 D 와꺾인배치, 벽면개방형주방 6 D/ - 는열린개구부를통하여 D 와연결 7 D -대면형주방, (D와천정고에의한영역구분 ) 8 -D - 와 D는통로에의한개방형분리 9 D - 벽면형주방, 와 D는천정고에의한영역구분 10 D -D연결형으로순환동선구성, 꺾인구조로 D도하나의공간으로보임 11 D -이통로와통합되며 와개방된구조 12 D / -의가벽으로 에서시선차단 13 -D -D -층별분리, 은보이드공간을통하여 D와입체적연결 -와 의통로에의한분리 15 -D와 의통로에의한분리 16 -스킵플로어구조로 와 D는계단에의한분리 17 -Dk - 은계단파티션에의한분리, D 와시각적소통가능 18 -Dk D - 스프릿레벨구조, 은타실및외부공간에의한분리, 단차형성 - 벽면형주방으로 D 가개방형구조를이룸 -D 일체형으로 D 가개방형구조를이룸 D -식당대면형주방으로 D 각공간에영역성 21 형성됨, ( 단차 ) /D/ -개구부를통한 D와 의분리, 22 거실대면개방형주방 D f /D g h D -D i -D j k - 이없거나아주협소하며 D 일체형으로공용공간의중심을이룸 - 와 D 는대각선의깊은시선축을확보해공간이넓게느껴지고영역구분이분명해짐 24 -벽면형주방, 네모개방형구조로가장넓은공간확보, 거실과식당이크기에의한영역성형성하지않음 25 -거실대면형주방, 식당은주방측면에배치되어거실과분리 26 -D// - 거실대면반개방형주방, 식당과개구부를통한연결 27 -D - 주방식탁일체형, 거실과식당이분리 28 D// D- l D/ m /D n D o D p - 와 D 는계단에의한분리, 대면형주방으로순환동선형성하며거실에서바로연결가능 29 -거실대면형주방, 식당은주방과분리되어식사동선이다소불편하나독립된영역과외부조망의장점이있음 30 -거실대면형주방, 식당과거실은사용자에따라위치변경가능, 거실의통로역할 31 D/ -거실과식당은개방성강함, 반개방대면형주방으로거실과시각적분리 32 D/ -거실과식당의통합, 주방은개방된개구부로인접분리 33 -D - 벽면형주방, 개방된개구부로 D 와연결, D 와 은크기에의한영역구분 - 거실, 식당, 주방이평면형태적반통합, 주방은아일랜드형으로순환동선밑타공간과의연결원활 35 - 벽면형주방, 세공간은반개방된벽에의하여영역구분 -D 와 는평면형태적반통합, 평면크기에의한식당의영역형성 `-D 배치관계는 d 와흡사하나 D 와 사이에계단실등타실이개입되어분리되는형태 38 분류기호 : - : 층별분리, 타공간개입을통한분리, 출입구에의한분리, 꺾인배치로시각적으로전부차단됨 / : 평면형태적반통합, 꺾인배치로시각적으로일부차단됨, 대면형주방이나일부를가벽으로가린경우 : 대면개방형주방, 시각적소통가능한파티션이나낮은수납장에의한영역구분, 단차에의한구분, 층고에의한구분, 서로다른크기에의한영역구분 14 19 20 23 34 36 37 97

< 표 12> 에서는 < 표 11> 의 38 개세분류특성항목을 선행연구 (< 표 2>, < 표 3>, < 표 4>) 의세분류특성항목 과비교하여상사한점과상이한점을도출하였다. < 표 12> 본연구와선행연구의세부유형비교 N=97(100%) 구분 D 59(60.8) -D 29(29.9) D- 8(8.2) -D- 1(1.0) 세부유형 빈도 본연구번호 선행연구번호 특징 D 7.2% 23 주방식탁일체형, 식탁이큼 5 1, 23 일렬배치개방형 D 15.5% 4,20,25 D일체형, 벽면형주방개방통합 D 19.6% 1 40 대면형주방, 일렬배치 8 34 대면형주방, 와 D 천정고차이 6 꺾인배치, 개방형주방 D 1.0% 11 D일체형 D 3.1% 12 식당대면 / 거실측면 D// 1.0% 30 거실대면 / 식당사선 D 13.4% -D 2.1% 2,10,21, 36,37 천정고, 바닥단차, 식당대면 / 거실측면, 아주일부의벽체로구분 18,19 계단파티션, 외부에의한분리 3, 24,25, 26,29, 31,35 인접폐쇄된배치, 일렬배치 / 복도, 벽, 가구등으로반개방분리, 공간형태, 크기, 바닥재질에의한분리 14 4 층별분리 15,16 5,28,30 통로에의한개방형분리 -D 15.5% 꺾인배치 / 통로에의한개방형 9,17,29 분리, 스킵플로어구조로계단에 의한분리, 계단공간에의한분리 -D/ D와 는평면형태적반통합, 7,8,9,10 시각적차단 /D 7.2% 24 11, 30 평면형태적반통합 12 유리파티션으로구분 /D 1.0% 35 -D 1.0% 28 -D 2(2.1) 26,38 D / 1.0% 13 D- 아일랜드형주방, 거실대면 / 식당측면형주방, 통로 / 크기에의한구분 13,14,3 출입구에의한분리, 주방벽면의 6,37,41 분절에의한영역분리, 주방독립 가벽에의한분리 /D- 15,16 출입구에의한분리, / 는시각적차단 D/ 32 2, 27 2.1% 평면형태적반통합, 꺾인배치 33 17, 28 7 열린개구부를통한분리 3.1% 3 18 시각적차단 D/ 1.0% 34 세공간의크기에의한유기적연결 D- 1.0% 31 거실대면 / 식당사선형주방 /D/ 1.0% 22 거실대면 / 식당측면형주방, 주방은개방된개구부를통하여식당과인접분리 -D- -D// 1.0% 27 19,20, 21,22, 33,38 D 와 는출입구를통한분리 은층별분리, 인접분리, 타공간개입등 - 거실대면반개방형주방, 주방은식당과개방된개구부를통한인접분리 우선대분류에서각유형의비율을보면개방형이 60.8% 로가장많았고그다음거실분리형이 29.9%, 주방 분리형이 6.2%, 분리형이 1.0% 로나왔다. 이는일본사례 를대상으로한선행연구에서주방분리형이가장많이 나타난것과다르게나타났는데, 그이유는소규모단독 주택에서주방을분리하기보다는대면형주방으로주방 의영역을구분하면서 D 전체가하나의개방된공간 으로보일수있게하여 개방형 으로분류되었기때문으 로보여진다 23). 세분류유형을보면개방형에서는세공간이완전히 개방된경우, 대면형주방, 천정고에의한구분등은본 연구와선행연구에서모두나타났고, 주방식탁일체형, 식 당대면 / 거실측면형, 거실대면 / 식당사선형, 바닥단차, 아주 일부의벽체로구분하는경우는본연구에서만나타났 다. 종합하면본연구대상사례에서개방형은선행연구에 서나타나지않은다양한기법으로영역의구분을만든 경우에속한다. 거실분리형에서는층별분리, 평면형태적반통합, 통로 에의한분리의경우는본연구와선행연구에서모두나 타났고, 선행연구에서나타난인접폐쇄된배치, 바닥재질 에의한분리, D 와 의엇갈린배치, 유리파티션으로구 분하는등경우는존재하지않았다. 본연구에서만나타 난경우로는 D 와 가대면형주방, 낮은수납장등으로 구분된경우, 거실은스킵플로어구조로반층계단으로 분리된경우, 계단공간에의해분리된경우, 아일랜드형 주방이나주방식탁일체형으로작업대중심순환동선을형 성하는경우, 거실대면 / 식당측면형주방의경우가있다. 종합하면본연구대상사례에서거실과주방, 식당이인 접한경우폐쇄된배치는나타나지않고여러기법으로 개방형공간이면서영역구분을명확하게한경우가주로 나타났다. 주방분리형에서는평면형태적반통합, 꺾인배치의경 우는본연구와선행연구에서모두나타났고, 선행연구 에서나타난주방의출입구에의한분리, 시각적차단 등폐쇄성이강한경우는본연구에서나타나지않았다. 본연구에서는세공간이유기적으로연결된경우인거 실대면 / 식당사선형주방, 식당대면 / 거실측면형주방등경 우가주로나타났다. 분리형에서는 D 가완전히분리되는경우는본연구 에서존재하지않았고반개방대면형주방등인접하면서 반개방된경우만존재하였다. 반면에선행연구에서는출입 구를통한분리, 타공간개입에의한분리등각공간의 독립성이강한경우로나타났다. 4.2. D 주유형의입체구성방식 본연구에서는평면유형의구분에서진일보한입체 유형구분을모색하였다. 그이유는대상사례에서 D 가 주변공간과 3 차원적인관계를맺는경우평면유형의 23) 본연구에서식당과주방사이에대면형주방이나칸막이로개방되면서영역구분이된경우는 D 의경우로 개방형 유형의 59.3% 를차지하였다. 98

구분만으로한계가있기때문이다. D의평면조합유형에서인접공간과의입체적연결관계는 a, b, d, f형에서가장다양하게나타났고, 기타유형에서는 a, b, d, f형에서나타난방식과중복되기에 < 표 13> 에서는 a, b, d, f 형의입체구성방식만도식화하여분석하였다. 5. 결론 이상의연구결과를요약하면다음과같다. 우선 1차로선정된 108개사례에서소규모단독주택의전반적인경향은다음과같다. < 표 13> D 의입체구성특성 유형입체공간관계도형화및설도형조합 a 1: 거실과미닫이, 단차, 계단등으로구분, 거실과통합 / 분리의가변성 2: D 혹은 위에다락을형성 3: D 의일부분에다락형성 ( 경사지붕의경우 ) 4,5: D 와ㄱ자형으로연결, 외부공간과순환동선가능 b 1: 위 2 층복도에오픈서재형성, D 와시각적소통 2: D 위 2 층복도에오픈서재형성 3: 반층위 와시각적소통 3: D 에서 2 단아래에현관입구실내테라스형성 d 1: 경사지붕으로 와 일부위에다락형성 2: 보이드, 2 층복도에오픈서재형성 3: 스프릿레벨구조, 에서 3 단올라가작은휴게공간형성 f 1: 다다미등다목적실로거실의독립성유지및보조거실역할 2: 다목적실, 가운데중정으로 D 와함께에워싼공간형성 3: dk 일부보이드, dk 채광에유리 4: 주방옆다목적실, 5: 계단옆오픈서재. D 와함께개방적공간형성 가장많은유형인 a형에서주변과의연결관계는 D가맨윗층에위치하여경사지붕으로일부에다락을형성하여천정고에의한영역구분이되는경우, 거실의연장선에거실과미닫이문, 단차등으로다목적공간을형성하여필요에의해거실과통합 / 분리하는경우, 주방혹은거실에꺾여인접하여외부데크와함께순환동선을형성하는경우등으로나타났다. b형에서는거실보이드형으로거실에서이어지는계단을통해 2층복도에오픈서재를형성하는경우, 인접공간과단차를두어영역구분및시각적소통하는경우로나타났다. d형에서는경사지붕으로다락형성, 보이드공간의 2층복도오픈서재, 스프릿레벨구조로각공간이 2-3단차를형성하는경우로나타났다. f형에서는거실과식당사이에타공간이개입되어유기적으로연결되는경우, 외부와는시선차단된내부형마당을형성하는경우, 파티션역할을하는계단으로분리되어작은서재공간을형성하는경우등으로나타났다. 1) 일본소규모단독주택의가족구성은대부분핵가족이며 2층-3층으로구성되었으며지하층이있는경우는 18.5% 로적게나타났다. 공용공간이대부분 1층에있는기존의연구들과달리 2층이나 3층에많이분포되었으며 3층주택의경우더욱그러한것으로나타났다. 2) 평면유형은세로방향장방형이가장많으나협소주택에서자주소개되는세장형구조나주택내부에중정을두는 ' ㄷ ' 자형구조는각각 5.6%, 4.6% 로소수의사례에서만나타났다. 단면유형또한일반형이 57.4% 로가장많았고보이드형이 25.9% 로그다음많았다. 스킵플로어형이나스프릿레벨형의경우각각 6.5% 로소수의사례에서나타났다. D의평면조합유형은이중불합리한사례를제외하고 97개사례로분석을진행하였으며그결과는다음과같다. 1) D의배치관계에따라평면조합유형은 16개유형으로나타났으나이중주요유형은 7개로전체유형 99

의 86.6% 를차지한다. 이중 D가일열로순차적으로배치된경우가 28.9% 로가장많았다. 2) D의평면조합유형을평면구성방식에따라세부적으로분류하여 38개유형을도출하였고이중 D 표기법은본연구에서 와 의관계를설명하기위한것으로 38개유형중 9개유형에서나타났다. 본연구의세부유형을선행연구의세부유형과비교분석한결과로보면, 본연구에서는 D 각공간의개방성과영역성을동시에고려한유기적인연결방식이많았고, 선행연구에서의폐쇄성이강한공간배치는나타나지않았다. 3) D의입체적연결특성은 a, b, d, f형에서다양하게나타났는데 D가 2층에있으며높은층고혹은경사지붕을이용하여다락을형성하는경우, 거실과연계하여 2-3단정도단차를올린다목적 ( 다다미 ) 공간, 거실과미닫이로연결하여경우에따라개방 / 폐쇄가능한가변성공간등으로나타났다. 본연구에서는 D의평면조합유형과입체조합유형을도식으로나타내었는데, 이러한도식은 text로설명하기어려운부분을표현할수있는장점이있어단독주택등평면유형이다양한경우효과적으로사용할수있다. 더불어일본소규모단독주택의사례들이자주소개되는최근, 소수의특별한사례유형이자주소개되며보편적인유형처럼인식되어지는것에대하여전반적인경향을파악할수있다. 본연구를통하여일본의소규모단독주택의다양한 D 평면조합유형과입체구성방식을파악할수있었다. 본연구에서도출된 D의평면유형과입체유형이한국적평면에서그대로사용되기에는부적합한부분이있으나한국인의생활방식을고려하여수정및보완된다면국내주거공간의다양화를위한유용한자료로사용될수있다. 더불어거주자의라이프스타일을작은공간에치밀하게반영하여구성되는소규모단독주택의평면은한국과일본두나라의주거선호경향을파악하는하나의효과적인방법이될수있으며공간의비교를통하여장점을취할수있다. 추후국내에서도다양한사례가개발되기를기대한다. 에관한연구, 서울산업대석사논문, 2010 8. 김지민, 중 소형아파트단위주호평면유형의특성및변화경향에관한연구, 연세대석사논문, 2011 9. 양천규, 국내단독주택의평면구성유형분류에관한연구, 인하대박사논문, 2005 10. 이선미, 이상적인아파트실내공간에대한심적지도의내용분석연구, 연세대박사논문, 1995 11. 이성민, 고층집합주거의평면에있어서 D의연결과분할에관한연구, 숙명여대석사논문, 1999 12. 이은민, 브랜드아파트의단위평면특성에관한연구, 연세대석사논문, 2004 13. 이종각, 1990년이후아파트단위평면변화양상에관한연구, 국민대석사논문, 2006 14. 임효진, 주택내부공적공간 (D) 의구성적특성에관한비교연구, 중앙대석사논문, 2002 15. 송창섭, 아파트단위주호평면의공간구성에관한연구, 경북산업대석사논문, 1996 16. 심종욱, 공동주택단위세대평면계획의변화요소에대한연구, 홍익대석사논문, 2003 17. 추선경, 브랜드아파트의단위평면변화와특성에관한연구, 서울과기대석사논문, 2011 18. 홍종우, 아파트단위세대평면의변화특성, 연세대석사논문, 2003 19. 김미경, 최근분양된수도권공동주택단위세대의공간계획특성에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6, 2007 20. 박남희 이준민, 브랜드아파트의평형별평면계획내용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Vol.22 No.3, 2006 21. 박찬 김정균, 일본도시 D형주택의평면유형에관한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24 No.1, 2013 22. 손세관 전경화, 평면의형상으로바라본우리나라단독주택의공간구성적특성에관한유형학적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권3호, 1998 23. 최은희, 공동주택평형별단위평면구성의특성에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No. 38 24. 전원주택라이프, 2012년 10월호 25. SBS스페셜 내생애처음지은집, 304회, 2012.9 [ 논문접수 : 2016. 01. 31] [1 차심사 : 2016. 02. 26] [ 게재확정 : 2016. 03. 11] 참고문헌 1. 이꼴북스편집부, 도심속일본의작은집, 이꼴북스, 2014 2. 주부의친구편집부, 작아도기분좋은일본의땅콩집, 마티, 2011 3. 주부의친구, 작은땅내집짓기, 로그인, 2012 4. 혼마이타루, 최고의평면, 마티, 2013 5. inda David, 일본소형단독주택디자인의발견, 엠지에이치북스, 2013 6. inda David Shi, 일본도시의작은주택그리고전원주택, 엠지에이치북스, 2014 7. 김유나, 1990 년대중반이후현상설계아파트평면계획의변천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