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12-21)p fm

Similar documents
[16-32].fm

12Á¶±ÔÈŁ

p 19; pp 32 37; 2013 p ㆍ 新 興 寺 大 光 殿 大 光 殿 壁 畵 考 察 ; : 2006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歯kjmh2004v13n1.PDF

12¾ÈÇö°æ 1-155T304®¶ó

- 2 -


<313020C1A4BFECBAC034332E687770>

<28C3D6C1BE29312DC0CCBDC2BEC62E687770>

(JH)

03-ÀÌÁ¦Çö

<30312DC1A4BAB8C5EBBDC5C7E0C1A4B9D7C1A4C3A52DC1A4BFB5C3B62E687770>

04_이근원_21~27.hwp

服飾

DBPIA-NURIMEDIA

2104.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The Meaning of Pl

* pb61۲õðÀÚÀ̳ʸ

<30342DB3EBBBF3C8A334382D315FBFACB1B8BCD220BCF6C1A42E687770>

02양은용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 4 2. : (KSVD) 4 3.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

ePapyrus PDF Document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서론 34 2

민속지_이건욱T 최종

?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30이지은.hwp

1

µ¿¼�Çѹ溴¿øb60Ü¿ïÈ£š

#유한표지F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CC hwp

07ÃÖ°æÈñ

03-서연옥.hwp

11¹ÚÇý·É

<31362DB1E8C7FDBFF82DC0FABFB9BBEA20B5B6B8B3BFB5C8ADC0C720B1B8C0FC20B8B6C4C9C6C32E687770>

영상문화27호 (보람편집)_수정 (4).hwp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Lumbar spin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 - Qualitative Met

2009;21(1): (1777) 49 (1800 ),.,,.,, ( ) ( ) 1782., ( ). ( ) 1,... 2,3,4,5.,,, ( ), ( ),. 6,,, ( ), ( ),....,.. (, ) (, )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11¹Ú´ö±Ô

I&IRC5 TG_03,04권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274 한국문화 73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아태연구(송석원) 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3135C8A3B3EDB9AE DBCF6C1A42E687770>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012임수진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31332EBEC6C6AEB8B6C4C9C6C3C0BB20C8B0BFEBC7D120C6D0C5B0C1F6B5F0C0DAC0CE20BFACB1B82E687770>

<30345F D F FC0CCB5BFC8F15FB5B5B7CEC5CDB3CEC0C720B0BBB1B8BACE20B0E6B0FCBCB3B0E8B0A120C5CDB3CE20B3BBBACEC1B6B8ED2E687770>

<35335FBCDBC7D1C1A42DB8E2B8AEBDBAC5CDC0C720C0FCB1E2C0FB20C6AFBCBA20BAD0BCAE2E687770>

연구노트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½Ç°ú¸Ó¸®¸»¸ñÂ÷ÆDZÇ(1-5)¿Ï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b77¹¼úÁ¤º¸š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An Exploratory Stu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패션 전문가 293명 대상 앙케트+전문기자단 선정 Fashionbiz CEO Managing Director Creative Director Independent Designer

<BFACBCBCC0C7BBE7C7D E687770>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歯M PDF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DBPIA-NURIMEDIA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Çѹ̿ìÈ£-197È£

현대영화연구

목원 한국화- 북경전을 준비하며 지난해부터 시작 된 한국의 목원대학교 한국화 전공의 해외미술체험은 제자와 스승의 동행 속에서 미술가로 성장하는 학생들의 지식에 샘을 채워주는 장학사업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의 우수한 창작인력 양성을 위해, 배움을 서로 나누는 스승들의

IKC43_06.hwp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Output file

141(26) () ( ( ) () () () ) 2) 1932 ()()3) 2 1) ( ) ( ) () () () 4) ( ) 5) 6) ) ) ( ) () 42 () )

2

07_Àü¼ºÅÂ_0922

untitled

03¹ü¼±±Ô

CC hwp


Transcription:

한국의류산업학회지제14권제5호, 2012 <연구논문> J. Korean Soc. Cloth. Ind. Vol. 14, No. 5, pp.766-777(2012) http://dx.doi.org/10.5805/ksci.2012.14.5.766 기산김준근풍속화에나타난 19 세기말일반복식과놀이문화에관한연구 - 한국의놀이 삽화를중심으로 - 최은주 영산대학교패션디자인학과 A Study on the Late 19 th Century Basic Costumes and Games based on Genre Paintings by Kisan Junkeun Kim Referred from the book Korean Games - Eunjoo Choi Dept. of Fashion Design, Youngsan University; Busan, Korea Abstract : The 13 genre paintings by Junkeun Kim in the book Korean Games( by Stewart Culin 1858~1929) were used to study the late 19 th century s basic costumes and Games style in Korea. The people who appear in the paintings are 26 adult males, 2 minor males, 2 adult females and 3 kisaengs. Typical men wore Jeogori which had various colors and white linings with a reached hip line, and knotted with a go-rum on the right side. They also wore, white colored Baji with colorful sash that were knot below knee or ankle together with Hang-jun or Daenim. They wore Beoseon. Some men wore Po whose colors were blue, green, indigo, white. The general women wore Jeogori in deep green and light pink, indigo, green, red, and they matched with colors for Kit and, Go-rum, Kut-dong and its Go-rum was short and narrow. It was so fit and short with narrow sleeve. It had Dunggun-kit (round head collar) with white Dong-jung and so it fit at neck. They wore Chi-ma whose color was red, light green, or light indigo. It contrasted with Jeogori. The width of Chi-ma was big enough. Then white inner slacks came out under the skirt. Traditional Korean game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age and gender. Then the games can be further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 men s games, women s games, and games for all. The games for adult are an archery practice, hunting, shovel work with a karae, making a bow, drawing Jongkung-chart, Korean chess, playing paduk, and the Korean card game. A swing is a game for women. Games for both men and women are dice play, and domino game. Games for both adult and minor males are sledge, and tightrope walking. Through genre paintings in the 19 th century, I reached a conclusion that basic costumes are similar to Hanbok at the present time and the method of wearing them has not changed much. It appears that the originality of traditional costumes has been maintained. Key words: traditional Korean games( 전통한국놀이 ), genre painting( 풍속화 ), Po (traditional Korean coat: 포 ), Baji (slacks: 바지 ), Jeogori(traditional Korean jacket: 저고리 ), Chi-ma (traditional Korean skirt: 치마 ) 1. 서론 풍속화는당시생활사가사실적으로묘사되어있는시대적증거로서조선시대의사회상을읽게해주는기록이며, 풍속화에등장한현실의세태와민중삶의다양한모습은변혁기의사회상을생생하게검정해낼귀중한문화사료로전통복식을잘전수하여온서민층과양반층의일반복식의착용상태를비교적정확히표현하고있으므로풍속화에등장하는인물들을통해그시대의복식문화를알수있다. 조선시대유물로전해져오고있는많은풍속화그림속에서 Corresponding author; Eunjoo Choi Tel. +82-51-540-7344, Fax. +82-51-540-7334 E-mail: cej1214@ysu.ac.kr 조선후기의생활상과모습들의자료들을찾아볼수있고또한그림속의표현들을연구함에따라그시대의생활형태와복식형태를정리해볼수있는데, 이미선행연구들에서 17세기부터 19세기초에이르는시기의풍속화를통한복식의연구가이루어지고있다. 본연구는선행연구 (Choi, 2000, 2004) 였던 17C말 ~18C초풍속화에나타난복식에관한연구 와 영정조시대의속화에나타나 18C 복식에관한연구 두연구에이어서 19세기말의민중의생활모습과착용하고있던복식들을기산풍속화를통하여분석하고자한다. 기산김준근은 1880년대부터 1900년초기의개화기에주로활동한재야풍속화가로기산김준근의풍속화에관한선행연구에는 Chung and Choi(2004) 의기산김준근의풍속화를통해본조선후기복식색에대한연구, Shin(2006) 의기산김준근풍속화에관한연구, Chong(2006) 의 766

기산김준근풍속화에나타난 19 세기말일반복식과놀이문화에관한연구 - 한국의놀이 삽화를중심으로 - 767 기산김준근풍속화의국제성과전통성, Lee et al.(2008) 의조선후기풍속화에나타난여자머리연구, Chung(2008) 의기산김준근의풍속화에나타난민속적특징, Hong(2009) 의조선풍물지삽화속기산풍속도, Lee(2011) 의기산김준근류풍속화의고찰등이있다. 이들선행연구에서는 Chung and Choi(2004) 은당시의복식문화와한복에서의색변동에대해분석하여 19C 말우리복색의특징을연구하였으며, Chong(2006) 은기산풍속화작품속에서중국및서양회화를수용한국제성과이를전통화풍을토대로조선화한전통성의관계를밝히고자하였으며, Lee et al.(2008) 는풍속화속의여자들의머리모양들을대상으로하여 19C 여자머리모양발자취를찾아보고자하였고, Hong (2009) 은 19C말 20C초외국인들에의해인식되어만들어진조선풍속이미지의소재와표현그리고그의미에대해살펴보았으며, Lee(2011) 는김준근류의풍속화의특징과의의를발생배경과주제분석, 제작유물의특징을중심으로살펴보고있다. 선행연구에서밝히고있는기산풍속화는 1400여점이유럽, 미주의박물관, 국내등에전승되어지고있다. 수출화의성격을띠고있는그의그림중에서제작의뢰및기산이그렸다는출처가확실한미국스미소니언박물관에소장하고있고, Stewart (1895/2003) 의 한국의놀이 라는책의삽화로사용되었던기산풍속화를연구대상으로사용하였다. 본연구에서는기산의풍속화중 한국의놀이 삽화인기산풍속화를중심으로그림의등장인물들각각이착용하고있는복식들과놀이에관한분석을통하여 19세기말풍속화에나타난남녀의기본복식에대해조사하고놀이의종류와형태, 성격에관하여조사고찰하여 19세기말개화기전후의복식과놀이문화에관한자료조사에연구의목적을두었다. 2. 연구방법본연구의참고자료는 ' 한국이놀이 ' 라는책의삽화로사용되었던기산김준근의풍속화중먼저어른들의놀이에관한그림 13점을선택하고, 이들풍속화속에등장하는남자 28명, 여자 5명의각각인물들의그림에초점을맞추어선행연구들에서깊게다루어지지않았던부분인그림속인물들이착용하고있는의복을중심으로의복의형태분석및착용방법, 의복의종류와특성을분석하여조선후기당시의복식및착용방법들을정리분석하고자하였다. 그리고본연구에서는그림배경에등장하는생활도구및놀이도구등도분석하며, 성별에따른놀이문화도정리분석하고, 놀이관련선행연구를참고하여조선후기당시의놀이문화에대해고찰하고자하였다. 3. 결과및고찰 3.1. 연구대상의시대적배경 19세기말은동아시아삼국이자본주의물결을타고근대문화로변화하려는시기로구미열강이또다시식민지확대정책에 힘을쏟게되고, 경제발달에따른생산을집중시키고자본을투자할지역을확보하려는제국주의시대의여명기라할수있다. 당시우리나라는 1876년일본의강압에의한강화도조약의체결을시작으로 1876년부산항, 1879년원산항, 1880년인천항이차례로개항되었고 1882년미국, 1883년영국과독일, 1886년프랑스등여러나라들과도차례로조약을체결함에따라조선은정치경제적으로열강의각축장이되었다. 특히이시기외국선박이드나들었던부산, 원산, 인천등은문화교류의장소가되었으며이방인들의조선풍속에대한관심정도와인식이높아져 1880년 ~1900년까지원산, 부산같은개항장을중심으로외국인들에게판매할목적으로대량생산된풍속화를수출화라고부르게되었다. 개항장을중심으로활동하며작품활동하였던김준근이수출화로서그린기산풍속화란전통적인조선의이미지를담고싶어했던외국인들의바람이표현된것으로 Hong(2009) 은그의작품은정형화된조선의남녀노소의일상생활에집중하고있다고하였다. 또한외국인들은조선인들의생활모습으로생업, 사회생활, 의식주, 일생의례, 놀이, 연회, 세시풍속, 종교등에관심이지대하였다. 국내적으로복잡하던시기인 1893년미국시카고에서열렸던컬럼비아박람회에펜실베니아대학에재직중이던스튜어트칼린 (Stewart Culin) 이동아시아의놀이도구를전시하면서놀이를소개하는책을꾸미게되었는데이책은 한국의놀이-유사한중국, 일본놀이와관련해서 (1895) 로이책속에는기산 ( 箕山 ) 김준근 ( 金俊根 ) 의풍속화 22점을삽화로이용하여 19세기말당시의한국의놀이에대해설명하고있으며그림들은컬러로소개되어있다.(Stewart, 1895/2003) 3.2. 기산작품기산김준근은조선에서는거의알려지지않은화가였지만 19세기말외국인들에게매우인기가높은화가로세계에가장많이알려진한국화가중의한사람으로기산풍속화는외국에가장많이소장된한국그림이다. 그의풍속화는주로당시조선과외교관계를맺은국가의외교관, 세관, 군인, 학자등에의해외국에전해졌으며현재외국의여러박물관에소장되어있다. 그는중국과서양회화의영향속에서조선후기풍속화의훌륭한전통을충실히계승한면모를보이며조선화풍을정립해나가는선도적인역할을하였다. 이는 19세기말역사의격동기에서구열강들의각축장인개항장이란특수한역사적상황속에활동하였기때문이다 (Chong, 2006). 김준근이초창기작품활동을초량에서하고있을당시 1887년미국의슈펠트 (R.W.Shufeldt) 제독의딸인메리슈펠트의주문에의해그려졌던풍속화들은미국스미소니언박물관에소장되어있으며이그림들중일부는 한국의놀이 라는책의삽화로후에사용되어졌다. 슈펠트는 1866년제너럴셔먼호사건을조사하기위해 1867 년파견된조사단장을맡았으며 1880년 5월에는일본외상이노우에의소개장을가지고부산을방문하여조선과외교교섭을

768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14권 제5호, 2012년 시도하였다. 1882년 5월 체스터 아더(Chester A. Arthur) 미국 왼쪽 뒷모습의 남자도 작은 갓을 착용하고, 갓의 크기는 Do 대통령의 전권대사로서 조선의 전권대신 신현, 부대신 김홍집 and Kwon(2000)의 연구결과와 같이 작은 형태를 나타낸다. 녹 과 조미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한 주역으로 활동하였으면 4년 후 색 철릭은 앞가장자리와 아랫단 부분에 단을 두른 것처럼 짙은 1886년 고종의 초청으로 조선에 딸인 메리 슈펠트와 동행하여 녹색으로 표현되고 선이 그려져 있어 홑옷처럼 추측된다. 넓고 1887년 봄까지 조선에 머물렀다(Chong, 2006; Stewart, 1895/ 긴소매의 철릭은 허리를 붉은색의 포대를 둘러 앞에서 묶고, 깃 2003). 슈펠트에 의해 주문 제작된 풍속화는 그림의 상단에 생 에는 동정이 달려있다. 작은 갓은 검은색 천 갓끈으로 턱 아래 활상의 내용을 표기하고 생활 장면만 요약적으로 표현하며, 이 에서 여미고 왼쪽 옆 허리에는 칼손잡이에 붉은색 끈 장식이 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간략한 배경이 그려져 있는 형식의 그림 달린 칼을 차고 있다. 파란색 끈에 화살집이 달려있는 동개에 이다. 기산 풍속화는 풍속화 백과사전 이라고 할 만큼 한국의 는 화살 5개가 꽂혀있다. 검은색 목화의 바닥 가장자리는 흰색 풍속화 가운데 가장 많은 풍속장면을 담고 있으며 그 내용은 의 테장식이 둘러져 있다(Kim, 1998; National Museum of 매우 다양하고 단순하지만 명료하며 조선후기 사람들의 삶의 Korea & The Chosunilbo, 1994). 두 사람 모두 턱수염을 길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풍속도가 대부분이다(Chong, 2006). 게 기르고 있으며 청철릭을 착용한 남자는 콧수염도 기르고 있 많은 기산의 풍속화 중 한국의 놀이 의 삽화들은 서문 다. 철릭은 Cho(1999)의 연구결과와 같이 둥근깃에 철릭의 상 에 기산 이 그려주었다는 기록이 있어 가장 확실한 김준근의 의와 하상의 길이비가 조선후기의 특징이 1:3에 가까운 형태를 작품으로 여겨지며, Shin(2006)은 선행연구에서 김준근은 조선 나타내고 있다. 인의 신체, 복장, 머리모양 등의 특징을 포착, 그림으로 표현하 였던 것으로 보아 직접 인물들은 관찰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2) 설매 탄 사냥꾼 고 하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성인대 Fig. 2는 썰매를 탄 사냥꾼들의 그림으로 스케이트와 썰매는 상의 놀이관련 삽화그림 13점을 선택하여 각각의 그림에 등장 한국의 북쪽 지역에서 사냥꾼들이 사용하였으나 놀이도구로 널 하는 모든 인물들이 착용하고 있는 일반복식을 고찰하고 놀이 리 알려져 있지는 않았으며 당시 남자 아이들은 얼음위에서 눈 문화를 조사 분석하고자 하였다. 썰매를 많이 탔다. 왼쪽 남자는 방한모 역할로 머릿수건 같은 것으로 머리를 감 1) 융복입은 조신 싸고 있으며 미성년자 같아 어려 보인다. 저고리는 엉덩이길이 오른쪽 남자는 망건위에 작은 검은색 갓을 착용하고 갓 끈 로 저고리품과 소매통에 여유가 있으며 둥근깃이 깊게 여며져 을 턱 아래에서 여미고 나머지 끈을 늘어뜨리고 있다. 청철릭 있다. 고름은 확인할 수 없으며 다른 색상의 허리끈이 차가운 은 긴 둥근깃에 짧은 흰색동정, 넓고 긴 소매를 가지고 오른쪽 기운이 몸 속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상의를 한 번 더 여민 것 겨드랑이이 주변에서 짧은 고름으로 여며져 있다. 붉은 색의 포 처럼 묶어져있다. 돌띠처럼 고름으로 한번 더 감았는가를 확인 대를 가슴앞에서 묶고 길게 늘어뜨리고 있다. 검은색 목화 바 하기에는 고름을 확인 할 수 가 없고 오른쪽 남자의 허리에도 닥 가장자리는 흰색의 테 장식이 둘러져 있으며 왼쪽 옆허리에 허리 여밈 끈이 있는 것으로 보아 썰매를 타고 있는 상황에서 는 칼을 차고 어깨 너머로는 5개의 화살이 나타나 있다. 옷자락의 나부낌을 막고 추위를 막아주며 민첩한 활동성을 부 Fig. 1. Court officials in Ungbok uniform(korean Games P.23, Fig. 1). Fig. 2. Hunters riding sledge (Korean Games P. 53, Fig. 29).

기산 김준근 풍속화에 나타난 19세기말 일반복식과 놀이문화에 관한 연구 - 한국의 놀이 삽화를 중심으로 - Fig. 3. Tightrope walking (Korean Games p.69, Fig. 49). 769 Fig. 4. Shoving with karae (Korean Games p. 83, Fig. 77). 여하기 위해 옷자락을 감발하였던 착용법이 아닌가하고 추측해 줄 아래에서 장단을 맞추며 흥을 돋우는 남자는 머리에 작은 본다. 같은 색상의 바지는 무릎아래에서 행전으로 여며져있고 갓을 착용하고 검은색 천 끈으로 턱 아래에서 여며져 있다. 콧 다른 색상의 허리끈으로 바지허리를 여미고 있다. 겨울철 놀이 수염과 턱수염이 있어 줄 타는 남자보다는 연장자로 생각된다. 라는 성격과 저고리의 허리끈을 고려해 볼 때 솜을 둔 저고리 옆이 트이고 무가 없는 소창의를 착용하고 있으며 그는 소창의 와 바지로 생각되어진다. 양 앞자락을 좌우 손으로 잡고 장단에 맞추어 흥을 즐기고 있 오른쪽 남자는 말액처럼 좁은 천으로 이마 주위를 감싼 뒤 는 모습이다. 뒷고대에 동정이 나타나고 직선 배래의 소매는 약 머리 뒤쪽에서 여며 전립 받침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위에 간의 여유가 있다. 옆트임 사이로 보이는 저고리는 엉덩이길이 작은 전립을 착용하고 있다. 저고리는 엉덩이길이로 저고리품과 이며, 바지는 무릎아래를 행전으로 여미고 있다. 흰색버선에 짚 소매통에는 여유가 있고 다른 색상의 허리끈으로 상의를 앞에 신 또는 미투리를 착용하고 있다. 서 여미고 있다. 바지는 무릎아래에서 행전으로 여미고 있다. 두 사람은 모두 버선을 신고 눈신발을 착용하고 깃발이 달린 긴 4) 가래질 하는 모양 창과 비슷한 막대를 양손으로 잡고 눈 위를 걷는 보조도구로 Fig. 4는 농부들이 가래질 하고 있는 모습으로 가래질은 쇠 사용하고 있다. 눈신발은 오늘날 스키 플래이트처럼 당시의 다 붙이가 달린 삽의 한 종류인 가래를 한사람이 막대를 잡고 둘 른 신발에 비해 길이가 길며 유선형으로 앞머리쪽과 뒤꼬리쪽 또는 네 사람이 각각 2~4개의 줄로 그 기구를 끄는 형태의 작 모두 가름한 모양이다. 발등 위부분에 신과 분리되지 않도록 두 업으로 이 모습에서 일종의 벌과 같은 헹가래질치기와 같은 놀 개의 끈이 지나가고 있다. 눈신발은 설말 또는 눈말이라고 불 이가 만들어 졌다. 렸으며 사냥할 때 사용되던 매우 오래된 신이지만 아이들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고 설명하고 있다(Stewart, 1895/2003). 앞줄 왼쪽 농부는 상투머리에 이마주위를 수건으로 감싸 뒤 에서 여미고 있다. 엉덩이길이 저고리는 등솔이 뚜렷하고 작업 중이라 소매는 팔꿈치까지 걷어 올려져있다. 저고리와 같은 소 3) 줄 타는 모양 색바지는 활동에 편리하도록 무릎 아래를 행전으로 감싸 무릎 줄을 타고 있는 남자는 머리에 고깔을 착용하고, 한삼이 달 윗부분이 블라우징 되어있다. 버선의 착용여부는 알 수 없으며 린 듯한 매우 긴 소매의 포를 착용하고 있다. 둥근깃을 하고 짚신을 착용하고 있다. 있는 포는 옷자락이 뒤로 날리고 있으나 그림 상에서 포의 종 뒷줄에서 끈을 잡은 농부 역시 머리는 상투를 틀고 머릿수 류를 정확히 확인하기 어렵다. 저고리는 바지와 같은 색상으로 건으로 앞이마 부위에서 서로 꼬거나 교차한 듯 뒤로 여며져있 엉덩이길이를 하고, 바지는 무릎아래에서 행전으로 정강이부분 다. 저고리는 엉덩이길이로 품도 여유 있고 여밈이 깊어 깃이 을 여며 줄 탈 때 동작하기 좋도록 무릎 위부분은 여유가 많 거의 오른쪽 겨드랑이 가까이 내려와 있으며, 둥근깃에 동정이 고 발목주위는 긴박하게 여며져 있다. 바지허리는 다른 색상의 V자 형태로 교차되게 달려있다. 겉섶선이 뚜렷하며 걷어 올린 허리끈으로 여미고 나머지 끈은 앞에 늘어뜨려져 있다. 줄을 타 소매도 여유 있어 보인다. 소색바지는 바지통에 여유가 있고 무 기 위해 흰색버선만 착용하고 있다. 릎아래를 행전으로 여밈하고 짚신을 착용하고 있다.

770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14권 제5호, 2012년 오른쪽에서 가래질하는 농부도 상투머리에 머릿수건을 한 방 으로 변천했다고 밝히고 있는 것과 같은 형태이다. 흰색동정이 향으로 틀어 꼰듯한 형태로 이마를 감싸 뒤에서 여미고, 작업 얌전하게 달려있으며 저고리품과 길이는 여유가 없고 소매통도 의 형태와 콧수염과 턱수염의 표현들을 미루어보아 가장 연장 매우 좁아 체형이 그대로 나타날 정도로 긴박한 모습을 하고 자로 생각된다. 저고리는 엉덩이길이이며 둥근깃이 깊게 오른 있다. 빨강색치마는 오른쪽 자락이 왼쪽으로 감싸듯 여며져 치 쪽 겨드랑이 근처에서 여며져 있다. 동정은 목 주위에만 달리 마허리말기끈 사이로 걷어올려지고 빨강색 치맛자락 사이로 흰 고 소매는 가래질을 위해 걷어 올려져있다. 바지는 다른 색의 색의 치마허리끈이 휘 날리고 있다. 치마 아래로 흰색속바지가 끈으로 허리를 묶고 염랑과 함께 앞으로 늘어뜨려져 있다. 바 드러나고 흰색버선과 짚신을 착용하고 있다. 지통은 여유가 많고 행전으로 여몄으며 짚신을 착용하고 있다. 마주보는 오른쪽 부인도 얹은머리 형태를 하고 빨강색의 댕 이 그림에서 그 당시의 농사짓는 모습과 같은 노동을 하고 기로 여며져 있다. 분홍색저고리는 쪽색끝동의 회장저고리로 흰 있는 남자들은 대부분 평민이하의 계급으로 생각되며 이들은 색동정이 달려있다. 저고리길이와 품에는 여유가 거의 없어 보 상투머리를 하고 있으나 대부분 뒷머리가 길이가 부족한 듯 삐 이며 소매통은 특히 더 긴박해 보인다. 연한녹색치마는 흰색치 져나와 있으며 이는 당시 머리가 귀하였던 만큼 일반 백성들은 마허리말기를 가지며 오른쪽 치맛자락은 왼쪽으로 감싸지고 왼 양반들처럼 머리를 충분히 기르지 않고 생활형편에 따로 때때 쪽 겨드랑이 아래에서 치마허리말기 끈 사이로 걷어 올려져 거 로 머리를 잘라 팔고 하였으므로 그림에서도 혹시 짧은 머리들 들치마의 착장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치마허리말기 끈은 가슴 이 보이는 것은 아닌가 생각되었다. 을 두르고, 치마를 여미고도 충분한 길이로 휘날리고 있다. 흰 색속바지는 발목길이로 지금의 속바지와 비슷하며 흰색버선과 5) 추천하는 모양 짚신을 착용하고 있다. Fig. 5의 그네뛰기는 그네를 보통 나뭇가지에 매달거나 버팀 대로서 기둥 2개를 끼워 매달고 보통 봄철인 5월에 많이 타고 6) 궁장이(궁장이와 한량) 한 가족인 젊은 남자와 여자들이 종종 함께 그네를 타기도 하였 Fig. 6은 한량인 남자가 궁장이를 찾아와 활을 다듬고 있는 다(Stewart, 1895/2003). 그네뛰기 놀이는 줄이 길게 매여지고 좁 모습을 지켜보는 그림으로 왼쪽 한량 같은 젊은 남자는 머리를 은 판으로 되어있는 그네가 놀이도구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망건으로 감발하려 상투를 틀고 갓을 착용하여 갓끈을 턱아래 왼쪽 부인은 얹은머리 형태로 본인의 머리로 쪽을 짓듯 묶 에서 여미고 있다. 포는 넓은 둥근깃에 동정이 달리고 겉섶선 은 후 가체를 이용하여 머리 전체를 뒤에서 앞으로 감싸듯이 이 뚜렷하다. 앉은 자세에서 포를 양옆으로 제치고 있는 모습 정수리 위에서 똬리를 만든 형태를 하고 있으며 뒤로 삐져나온 이 무는 없고 옆트임이 있는 소매너비가 넓은 중치막을 착용한 듯한 머리끝자락은 부녀자들 역시 가래질하는 농부들처럼 머리 것으로 생각된다. 고름으로 여민 포는 가슴부위에 세조대를 두 길이가 짧았지 않은가 하는 추측을 해 본다. 짙은녹색에 깃, 고 른 후 앞에서 다시 매듭하고 늘어뜨리고 있다. 벌어져 있는 앞 름, 끝동이 빨강색인 회장저고리는 둥근깃에 좁고 짧은 고름은 자락 사이로 허리를 덮는 길이의 저고리가 보이며 바지통의 여 매듭 후 저고리를 살짝 넘는 정도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 유가 많은 바지는 무릎아래에서 행전으로 여미고 버선을 착용 는 Cho(1999)의 연구에서 저고리 깃은 19세기말부터 둥그레깃 하고 있다. Fig. 5. Swing game (Korean Games p. 89, Fig. 83). Fig. 6. Making a bow (Korean Games p.131, Fig. 103).

기산 김준근 풍속화에 나타난 19세기말 일반복식과 놀이문화에 관한 연구 - 한국의 놀이 삽화를 중심으로 - Fig. 7. Drawing Jongkung-chart (Korean Games p. 147, Fig. 115). 오른쪽에서 활을 만드는 작업을 하는 궁장이는 나이가 많아 보이며 연륜이 나타나 보인다. 상투머리에 탕건을 쓰고 머리길 이가 나이에 비해 다소 짧아 뒷머리가 삐쳐 나오며 콧수염과 턱수염도 있다. 짧은 머리는 머리를 길러 팔았는지 나이가 많 771 Fig. 8. Playing dice play (kisaeng and guest) (Korean Games p.151, Fig. 122). 해 보인다. 바지는 발목에서 대님으로 여미고 버선을 착용하고 있다. 그림에 표현된 부속품으로는 9*16칸의 종경도판과 세 개의 말이 놓여있고 한 개의 나무막대가 손에 쥐여져 있다. 아 머리카락이 빠지고 숱이 작아져서인지 알 수는 없다. 저고 리는 엉덩이길이로 직선배래 소매는 작업 중이라 위로 조금 걷 8) 쌍륙치는 모양(기생과 손님) 어 올려져있다. 바지의 여유는 한량보다 적어보이나 가부좌 자 Fig. 8은 기생과 한량이 쌍륙을 치고 있는 그림으로 이 놀이 세에 적당해 보이며 발목 부분은 대님으로 여민 듯하고 버선을 는 서양의 주사위게임과 같은 것으로 주사위 두 개를 던져 나 착용하고 있다. 온 숫자대로 말을 움직이며, 양편 각각 15개의 말을 사용하는 데 보통 한 쪽은 빨강색 말을 다른 한쪽은 나무 자연색 그로 7) 종경도 치는 모양 Fig. 7은 종경도를 치고 있는 그림으로 이것은 종경도판이라 의 말을 사용하였다(Stewart, 1895/2003). 주사위를 두 개 던져 숫자를 확인하고 있는 남자는 상투 지 는 인쇄된 판을 사용하는 놀이로 이 인쇄판에는 관직 명칭들이 은 머리에 갓을 착용하고 갓끈으로 턱 아래에서 여미고 있다. 적혀있고 손으로 나무 막대기를 굴려 떨어뜨려서 그 막대들이 세워진 무릎 뒤로 넘겨진 포의 앞자락이 좁은 것으로 보아 무 뒤집어진 모양에 따라 말을 놓는 놀이이다 앞줄에서 나무 막대를 굴리려고 하는 남자는 상투머리에 사 가 없고 옆트임이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소매는 매우 넓고 소매길이도 충분히 긴 듯 주름이 길게 잡혀 걷어 올려져있고 방관을 착용하고 있다. 포는 옆트임이 있으며 무가 없고 직선 수구가 넓으데 저고리 소매도 같이 걷어 올려졌는지 저고리 소 배래의 좁은 소매로 소창의를 착용하고 있다. 뒷자락은 앉은자 매는 보이지 않는다. 동정이 달려있는 포는 중치막으로 생각된 세에서 엉덩이 뒤쪽으로 늘어뜨려져 있으며 등솔이 뚜렷하고 다. 포의 벌려진 앞자락 사이로 저고리가 조금 보인다. 바지는 뒷고대에 동정이 달려있다. 소매는 손목길이 정도를 나타내었 여유가 충분하고 무릎아래에서 행전으로 여미고 버선을 착용하 다. 소창의 옆트임 사이로 드러난 저고리는 허리를 덮고 엉덩 고 있다. 이 가까이 내려오는 듯하다. 같은 색상의 바지는 가부좌로 앉 은 자세에서 여유가 충분하게 있어 보인다. 뒷줄에서 종경도판을 바라보는 남자도 상투머리에 사방관을 앞의 기생은 한 손에 두 개의 말을 들고 어디에 놓을까 고 민하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여인의 머리는 뒤로 여 며져 뒤통수 아래에 낮게 드리워 뒷목덜미 부분에서 쪽진머리 착용하고 있다. 소창의를 착용하고 한쪽 다리를 세우고 앉아 포 형태를 하고 있으나 비녀 같은 장신구는 표현되어있지 않다 의 앞자락이 양갈래로 나누어져 무릎 뒤로 넘어간 모습을 하고 (Kim & Nam, 2002). 저고리는 다른 색의 끝동이 달린 회장 있다. 목판깃이 우임으로 깊게 여며져 좁은 고름으로 매듭 짖 저고리로 길이가 짧아 치마허리말기 부분이 등 뒷부분에 드러 고 있다. 겉섶선이 뚜렷하나 포의 품은 여유가 많지 않고 소매 나 있다. 이는 Lee and Kim(2009)의 연구에서 19세기 이후 길이는 바닥을 짚고 있는 팔의 경우 넉넉해 보이며 나머지 한 여자저고리의 앞뒤길이가 가장 짧았던 시기로 저고리품도 좁고 쪽은 걷어 올리고 있다. 포의 앞자락 사이로 저고리가 드러나 소매도 좁았다고 발표한 저고리 형태와 같은 형태를 나타내고 고, 한쪽 무릎을 세우고 앉아있는 모습에서 바지 여유가 충분 있다. 등솔이 뚜렷하고 뒤품의 여유와 진동의 여유가 적은 듯

772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14권 제5호, 2012년 Fig. 9. Korean chess (Korean Games p.161, Fig. 127). Fig. 10. Korean chess (Korean Games p. 165, Fig. 130). 당기는 주름이 표현되어있다. 소매는 몸에 끼는 듯 좁고 손목 고리는 등솔이 강하게 표현되어있으며 엉덩이길이로 저고리품 길이로 짧아보인다. 끝동부분은 이중인지 색동인지 알 수 없으 은 적당한 여유가 나타난다. 직선 통배래 소매는 약간 긴 듯 나 그림 상에 한 줄의 수평선이 더 그려져 있다. 치마는 치마 팔꿈치 부위로 끌어올려있고 흰색 동정이 달려있다. 흰색 바지 허리말기 끈으로 가슴부위를 돌린 후 치마도 감싸 앞에서 여미 는 가부좌로 앉아 있어 착용 형태를 정확하게 알 수 없다. 고 치맛자락을 끈 사이로 끼워 걷어 올리고 있다. 앉은 모습에 서 치마길이는 알 수 없으나 치마통의 여유는 충분해 보인다. 놀이의 부속품으로 쌍륙판과 여러 개의 말이 그림에 나타나 있다. 10) 장기두기2 Fig. 10은 세 명의 남자가 모여서 장기를 두고 있는 모습의 그림으로 두 사람은 장기를 두고 한 남자는 훈수를 두고 있다. 그림 속의 세 남자는 모두 콧수염과 턱수염을 기르고 있으므로 9) 장기두기1 어느 정도 연령을 가진 남자로 생각된다. Fig. 9는 두 남자가 장기를 두고 있는 그림으로 왼쪽에 앉아 왼쪽에 앉아 장기알을 장기판에 놓고 있는 남자는 머리를 위 장기알을 놓고 있는 사내는 머리를 망건으로 감발하여 상투를 로 모아 상투를 틀고 사방관을 착용하고 있다. 쪽색 포는 둥근 틀어 올리고 갓을 착용하고 검은색의 포백 갓끈으로 턱 아래에 깃의 긴 깃을 가지며 우임으로 깊게 싸여 고름으로 여며져 있 서 여며져 있다. 한 손에는 긴 담뱃대를 들고 있으며 콧수염과 다. 흰색동정은 깃너비의 1/3너비로 달려있다. 포 길이는 앉은 턱수염을 기르고 있는 모습에서 연장자 같은 느낌이 든다. 녹 모습에서 무릎정도까지 오며 긴 길이는 아닌 것 같다. 앞이 벌 색 포는 앞자락이 좌우로 벌려져 다리 옆으로 넘겨져 있는데 려져 있는 모습과 옆으로 나와 있는 포의 분량이 적은 것으로 그림 상에 표현된 포의 분량이 적은 것으로 보아 무가 달려있 보아 무가 없고 옆트임이 있는 형태로, 소매통의 여유가 적당 지 않고 옆트임이 있는 것 같다. 소매통이 넓고 길이에 여유가 히 있으나 소매통의 처짐분량이 옆의 다른 남자보다 적으므로 있으며 가슴부위에 청색세조대를 하고 있어 중치막으로 생각된 소창의가 아닌가 생각된다. 흰색바지는 충분한 여유가 있어 보 다. 우임으로 깊게 여며진 포는 고름으로 여며지고 둥근깃의 매 이며 바지허리는 녹색 허리끈으로 여민 것으로 생각된다. 우 긴 깃에 흰색동정은 목 주위만 감싸고 있다. 포의 앞자락 가운데 앉아 장기를 두는 것을 구경하고 있는 남자는 망건 가장자리에 아랫단과 앞여밈단 부위에 귀접기로 단이 접혀있게 으로 머리를 감발하여 상투를 올리고 다시 그 위에 갓을 착용 그려져 있는 모습에서 이 중치막은 제물단을 접은 홑옷으로 생 하고 있다. 검은색 갓은 검은색의 갓끈으로 턱아래에서 여며져 각된다. 흰색 바지는 가부좌 자세에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있 있다. 녹색 포는 왼쪽의 남자같이 앞자락을 뒤로 보내고 중심 으며 발목 부위의 여밈 형태를 확인 할 수가 없다. 바지허리는 을 벌려서 오른쪽 세워진 무릎위로 걸치고 있는데 옆트임이 있 쪽색허리끈으로 여며져 허리끈이 바지 앞쪽에 두 가닥 늘어뜨 고 무가 없는 형태로 생각되며 소매통에 여유분이 많아 아래로 려져 있다. 늘어뜨려져 있고 고름으로 여민 후 가슴 부위에 세조대와 같은 그림의 부속품으로 네 개의 다리를 가진 나지막한 장기판과 검은색의 가는 끈을 묶고 있는 것으로 보아 중치막으로 생각된 흐트러져 있는 장기알이 보인다. 모두 목제로 만든 것 같이 생 다. 깃의 형태는 알 수 없으나 흰색 동정이 달려있다. 벌려진 각된다. 포의 앞중심 사이로 붉은색이 드러나 있는데 이는 안쪽에 착용 오른쪽 마주보는 남자는 머리를 감발하여 상투를 올리고 감 한 저고리의 색상으로 생각된다. 흰색 바지는 여유가 충분하며 투 같아 보이는 엷은 베이지색 건을 착용하고 있다. 쪽색의 저 무릎아래에서 행전으로 여며지고 흰색 버선을 착용하고 있다.

기산 김준근 풍속화에 나타난 19세기말 일반복식과 놀이문화에 관한 연구 - 한국의 놀이 삽화를 중심으로 - Fig. 11. Paduk game (Korean Games p.169, Fig. 133). 오른쪽에서 장기알을 손에 쥐고 다음 수를 읽고 있는 남자 는 머리를 위로 감발하여 상투를 올린 후 탕건을 착용하고 있 773 Fig. 12. Dominos with kisaeng (Korean Games p.179, Fig. 147). 고 앉아있으며 무릎아래에서 행전으로 여며지고 흰색버선을 신 고 있다. 다. 자주색저고리는 등솔이 뚜렷하고 흰색동정이 달려있다. 저 오른쪽에서 바둑을 두고 있는 남자는 머리를 위로 올려 상 고리길이는 엉덩이선까지 내려오며 저고리의 품의 여유분도 적 투를 지은 후 갓을 착용하고 검은색 갓끈으로 턱아래에서 여미 당해 보인다. 소매통은 직선배래로 여유분이 적당해 보이는데 고 있다. 흰색포는 뒤자락에 등솔이 표현되어 있고 뒤트임은 없 손목이 드러나 있는 수구에서 저고리 안감은 흰색으로 생각된 으나 옆트임은 나타나고 앉아 있는 자세에서 엉덩이 아래에 깔 다. 흰색 바지를 착용하여 가부좌로 앉아 있는 자세에서 바지 릴 정도의 긴 포의 길이를 나타낸다. 흰색동정이 달려 있고 소 의 여유분이 충분해 보인다. 그림의 부속품으로 등장한 장기판은 네 개의 다리를 가진 나 지막한 판으로 장기알과 함께 나무로 만든 것으로 생각된다. 매통이 넓어 아래로 쳐지고 가슴부위는 청색의 세조대를 여며 술이 달린 끈이 옆으로 늘어뜨려져 빠져나와 있다. 전체 모습 에서 흰색포는 중치막으로 생각된다. 흰색 바지를 착용하고 가 부좌로 앉아있다. 11) 바둑두기 그림의 부속품으로 바둑판과 흰색, 검은색의 바둑알과 붉은 Fig. 11은 세 명의 남자가 바둑을 두고 있는 장면의 그림이 색의 바둑알통이 나타나있다. 바둑알통은 옻칠을 한 것이 아닐 며 왼쪽에서 바둑알통에 손을 넣고 바둑알을 만지고 있는 남자 까 추측해본다. 바둑판의 다리는 높은 편으로 사면의 다리부분 는 머리를 올려 상투를 틀고 1층의 정자관을 착용하고 있으며 이 상자모양으로 되어있으며 가운데부분을 면을 도려내어 장식 콧수염과 턱수염을 기르고 있다. 쪽색포는 둥근깃의 긴 깃으로 하고 있다. 깊게 여며지고 고름으로 묶어져 있다. 겉섶선이 뚜렷하고 앞자 락을 갈라 옆으로 보내 옷자락의 분량이 적은 것으로 보아 무 12) 기생 데리고 골패하는 모양 가 없고 옆트임이 있는 형태로 직선 통소매를 가진 소창의로 Fig. 12는 두 명의 사내와 두 명의 기생이 골패를 하고 있는 생각된다. 포의 수구사이로 드러난 흰색으로 보아 포의 안감은 그림으로 주로 패를 가지고 하는 놀이에 골패 또는 호패라는 흰색인 것 같다. 앞 중심의 벌려진 사이로 붉은색의 저고리가 불렀으며 천한 놀이로 취급되어 주로 도박에서 사용되고 상류 보이고 흰색바지는 허리를 녹색 허리끈으로 묶고 앞중심으로 층들은 골패를 사교게임으로 즐기지 않았다고 한다. 끈이 늘어뜨려져 있다. 왼쪽 앞줄 남자는 머리를 위로 감발하여 상투를 틀고 있으 중간에서 구경하고 있는 남자는 머리를 위로 올려 상투를 짓 며 붉은색의 머리끈으로 앞이마를 지나 전체 머리를 한 바퀴 고 머리에 갓을 착용하고 검은색 갓끈으로 턱 아래에서 여미고 두르고 뒤통수에서 매듭한 후 나머지 끈을 늘어뜨리고 있다. 콧 있다. 코와 턱엔 수염이 그려져 있다. 녹색포는 우임으로 여며 수염과 턱수염도 기르고 있다. 엷은녹색저고리는 등솔이 뚜렷 져 고름으로 묶고 다시 가슴위치에 쪽색의 세조대를 돌려서 가 하게 표현되고 엉덩이선길이로 저고리품의 여유가 많아 보이지 슴 앞 부위에서 매듭한 후 끈을 앞으로 늘어뜨리고 있는데 끈 않았다. 흰색동정이 있고 고름은 여밈 후 저고리길이와 거의 같 좌우 끝자락엔 장식술이 달려 있다. 소매의 여유가 많아 보이 은 길이로 늘어뜨려져 있다. 소매는 직선 통배래로 소매길이는 며 이는 중치막을 착용하고 있는 것 같다. 벌려진 앞중심 사이 팔꿈치쪽으로 끌어올려져 있다. 흰색바지는 가부좌에 적당한 여 로 붉은색 저고리가 나타나고 흰색바지는 오른쪽 무릎을 세우 유가 있다.

774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14권 제5호, 2012년 왼쪽 뒷줄에 앉아 골패를 쥐고 있는 기생은 머리를 중간가 배자를 착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시기의 잔류하고 있는 유 리마로 빗어 넘겨 뒷목덜미 부분에서 나지막하게 쪽 지어 비녀 물 중 몸판의 색상과 소매의 색상을 다른 형태의 저고리가 나 를 꽂고 있다. 녹색저고리는 깃과 고름, 끝동이 빨강색인 회장 타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저고리 소매통은 팔에 거의 맞는 저고리에 둥근깃머리로 흰색동정이 달려있고 고름은 좁고 짧아 좁은 소매통을 가지고 직선형태의 배래를 하고 있다. 저고리길 저고리보다 약간 더 길게 늘어뜨려졌고 겉섶선도 표현되어있다. 이와 배자길이는 모두 짧은 듯 뒷도련 아래 부분에 흰색의 치 소매는 수구 가까이 오면서 소매통이 좁아지고 있다. Shim and 마허리말기가 드러나 있다(Lee & Kim, 2009). 엷은쪽색 치마 Yun(2000)의 연구에서 1890년대 여자저고리 길이는 16 cm정도 는 왼쪽으로 여며지고 앞의 기생과 마찬가지로 치마길이는 알 밖에 안되고 진동이 14 cm정도로 극도로 짧은 저고리가 유행하 수 없으며 가부좌 자세를 하고 앉아있는 모습에서 치마통의 여 여 지속적으로 단소화가 이루어졌다고 말하고 있는 것처럼 기 유는 부족함이 없는 것 같아 보인다. 생들의 저고리는 길이가 매우 짧아 도련선 아래로 흰색치마허 그림 속에 등장하는 부속품들은 여러 개의 골패와 골패판, 리말기가 드러나고 저고리는 윗가슴둘레선길이로 생각되었다. 엽전 꾸러미 등이 등장하고 있다. 골패판은 다리부분과 가장자 치마허리말기는 같은 색상의 허리말기 끈으로 앞중심에서 여며 리 부분을 보아 장식효과를 많이 줘서 조각한 나무형태로 생각 지고 끈을 치마위로 길게 늘어뜨리고 있다. 분홍색의 치마를 착 된다. 엽전 꾸러미를 보니 내기형태의 놀이 문화로 생각된다. 용하고 있으며 치마주름 표현을 보아 치마주름이 다소 깊은 분 량으로 일정하게 많은 개수로 잡혀졌음을 알 수 있다. 가부좌 13) 투전하는 모양 자세로 앉아있어 치마길이는 알 수 없으며 치마통은 충분히 가 Fig. 13는 네 명의 서민남자가 투전을 하고 있는 그림으로 부좌 자세를 덮어주는 것 같았다. 오른쪽 뒷줄의 사내는 머리를 뒤로 감발하여 상투를 올리고 녹색머리끈으로 앞이마를 지나 뒤통수 부위에서 매듭짓고 있다. 보통 길고 폭이 좁은 기름종이 조각을 8조 10장씩 한 벌로 구 성되고 네 명이 각각 20장씩 나누어 가지고 하는 놀이로 주로 카드놀이는 최하층민들의 놀이였다. 뒷모습을 확인할 수 없으나 머릿수건을 착용한 형태는 마주보고 왼쪽 앞줄에서 한쪽 무릎을 세우고 앉아 투전에서 사용하는 앉은 사내와 같을 것이라 생각된다. 자주색 저고리는 깃너비가 긴 카드 한 개를 옆으로 전달하는 모습의 남자는 머리를 위로 매우 넓게 표현되어있고 겉섶선도 나타나있으며 흰색 동정이 감발하여 상투를 올리고 있으며 콧수염과 턱수염을 기르고 있 달려있다. 저고리길이는 엉덩이길이며 저고리품은 적당한 여유 다. 자주색의 저고리는 등솔 솔기가 뚜렷하고 저고리길이는 엉 가 있다. 직선배래의 통소매는 소매가 위쪽으로 끌어올려져 있 덩이선 가까이 내려오고 저고리품의 여유는 조금 있으며 직선 고 수구사이로 보이는 안감은 흰색으로 표현되어있다. 흰색바 의 통배래 소매는 위로 끌어올려져 있다. 흰색바지는 오른쪽 무 지는 가부좌로 앉아있어 착용형태는 확인 할 수가 없다. 릎을 세운 형태로 앉아있는 모습에서 발목 부분에 대님을 매고 오른쪽 앞줄에 앉아 골패를 확인하고 있는 기생은 머리를 뒤 있는 착용법을 확인할 수 있다. 바지 대님을 청색의 끈을 사용 로 넘겨 목덜미 아래에서 나지막하게 쪽을 짓고 흰색 비녀를 하여 여미고 있는 모습에서 바지의 경우 대부분 흰색을 서민들 꽂고 있는데 비녀의 형태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앞이마에서 이 많이 착용하고 있으며 바지허리 여밈용 끈과 대님용 끈은 머리뒤로 빨강색의 머리끈을 두르고 뒤통수에서 여미고 있다. 흰색 외에 여러 가지 색상의 끈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분홍색 저고리는 끝동이 녹색인 회장저고리로 몸판의 쪽색은 있었다. 왼쪽 뒷줄에 앉아 여러 장의 카드를 펼쳐서 확인하고 있는 남자도 머리는 위로 감발하여 상투를 올렸으며 콧수염과 턱수 염을 기르고 있었다. 쪽색저고리는 겉섶선이 표현되어 겉섶의 크기가 상당히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깃은 매우 길고 둥근 깃머리이며 흰색 동정이 달려있고 오른쪽 가슴부위에서 고름으 로 여며져 있다. 저고리품의 여유가 많아 보이며 저고리길이는 앉은 모습에서 바지와 맞닿고 있다. 직선 통배래의 소매는 위로 끌어올려져 있으며 수구 속으로 흰색의 안감이 드러나 있다. 흰 색바지는 가부좌 자세에 여유가 충분해 보이고 바지부리는 대 님으로 여며졌으나 대님의 색상이 다른색이 보이지 않은 것으 로 보아 흰색의 대님으로 여몄다고 생각된다. 흰색 버선을 착 용하고 있다. 오른쪽 뒷줄에 앉아 앞으로 보고 앉은 남자는 머리를 감발 하여 상투를 올렸으며 콧수염과 턱수염을 기르고 있다. 붉은색 Fig. 13. Korean card game (Korean Games p.207, Fig. 161). 저고리는 저고리품의 여유가 적당해 보이고 앉은자세에서 저고 리길이는 바지 위에 어느 정도 늘어져 있는 것처럼 보였다. 겉

기산김준근풍속화에나타난 19 세기말일반복식과놀이문화에관한연구 - 한국의놀이 삽화를중심으로 - 775 섶선도표현되고넓은둥근깃머리로깃길이에비해흰색동정길이는목을감싸는정도로짧게달려있다. 적당한여유의소매는직선통배래로끌어올려져있고수구속흰색안감이나타나있다. 흰색바지는가부좌에여유가충분해보이고발목은대님으로여민듯하고흰색버선을착용하고있다. 오른쪽앞줄에옆으로앉아카드를뒤로숨기는듯한형태로표현된남자는머리를감발하여상투를올리고녹색저고리를착용했다. 저고리는흰색동정이있고허리를덮는길이로직선통배래소매는끌어올려져있다. 흰색바지는대님으로여며져있는것처럼보이며가부좌자세에서바지통의여유는충분해보이고흰색버선을착용하고있다. 이그림에표현된부속품으로는투전에서사용하는길이가상당히길고좁은여러장의카드들이바닥에도떨어져있고각각의사람들의손에도들려있다. 3.3. 놀이문화 한국의놀이 삽화중먼저성인들의놀이로그려져있는 13개의풍속화를통하여각작품에서등장하는 19세기말우리 나라놀이문화의일부를고찰하고자한다. 호이징가는문화가놀이를만드는것이아니라인간의문화가애당초놀면서만들어진다고즉문화자체가 노는것 이라고말한다. 이는우리가문화라고부르는모든것이놀이의산물이라는것이다 (Huizinga, 1938/2010; Han, 2007). 19세기말의놀이는우리의전통놀이또는 Kim(2001) 이말하는우리생활의바탕을이루는민속놀이라고도칭할수있는것으로지금도전승되어행해지고있는놀이문화도많이남아있다. 그러므로 19세기말풍속과더불어한국의전통적인놀이원형을이해하기위해지극히일부분이다루어진것에불과하지만풍속화에서다루어진한국의놀이를통해당시의생활상을살펴보고자한다. 한국의전통놀이는선행연구들에의해 Kim(2009) 은서민과양반의놀이를구분하고, Chung(2008) 은놀이의유형을기원적놀이, 신체단련형놀이, 신체겨루기형놀이, 내기성놀이, 두뇌개발형놀이, 오락과여가등으로구분하고, Sung(2009) 은놀이장소에따라실내활동, 실외활동으로분석하고, 활동성격에따라휴향, 관람형과참여, 활동형으로구분하고동반자의유형에따라개인형, 2~3명형, 단체형으로구분하고, Moon et al.(2009) 은놀이의성격에따라신체단련형, 경합쟁취형, 모의재현형, 다면복합형으로구분하고있다. 그밖에혼자즐기는개인별놀이, 서넛이동아리를지어노는상대놀이와집단이함께하는놀이로구분되며, 유형별형태에따라세시민속놀이, 오락, 곡예, 민속극으로나눌수있고, 성별에따라남성놀이, 여성놀이, 함께하는놀이로분류된다. 본연구의기산풍속화 13점은대부분개인별놀이의그림이다. 먼저이그림들은참여하는대상들의성별, 참가자들의조합의형태에따라구분하여성인남자놀이, 성인여자놀이, 함께하는놀이로구분하였다. 참여대상자에따른구분으로성인남자들이즐겨하던놀이로활쏘기, 종경도치기, 장기, 바둑, 가래질, 투전등이있는데이들은사회적, 경제적신분의위치에따라즐겨하는놀이가서로달라양반의경우장기, 바둑하인배의경우투전등과같은놀이를하고있다. 놀이는각사람들의위치에따라자신들이속해있는사회생활의일부분으로이루어지고있음을알수있다. 성인여자들이즐겨하고있는놀이에는그네뛰기놀이만그림으로나타나있다. 그네뛰기는지금까지전해지고있는놀이로당시와같이단오같은날에만행해지는것이아니고그네의형태와놀이의도구가조금씩변경되어놀이터등에서이루어지고있는놀이중하나이다. Shin(2006) 은김준근의풍속화가운데주목되는것중하나는아이들과부녀자들의독립적인주체로서의놀이장면으로이는부녀자들의풍속같은경우외국인들의접근성이용이하지못했으므로기산의풍속화에의지하는바가컸을것이라고하였다. 성인남자와미성년남자들이함께하는놀이에는줄타기, 썰매타기, 사냥등의놀이로어른의도움이필요한놀이형태를가지고있으며줄타기와같은놀이를 Kim(2001) 은특정인의재주꾼놀이로분류하고있다. 성인남녀가함께하는놀이는그림에서나타나는것과당시의사회모습을고려해볼때남녀가함께다른사람들이보는장소에서놀이를하고있는경우는대부분의여자들은기생들이다. 놀이의종류도쌍륙치기, 골패등과같은것으로주로내기형태의놀이가등장하고있다. 두번째로놀이의유형에따라구분하면편을가르지않는신체단련형놀이로그네뛰기, 썰매타기, 줄타기, 활쏘기등이있고, 노름이나내기의성격이있는내기성놀이로는골패, 투전등이있으며, 간단한도구를이용하여지능, 정서개발에중점을둔정적인놀이인두뇌개발형놀이에는쌍륙, 장기, 바둑, 종경도놀이둥으로구분되어진다. 그리고생업형태의놀이로가래질하기, 궁장이와같은풍속화가포함되어있다. 놀이하는장소에따라실내활동에는장기, 바둑, 쌍륙치기, 종경도치기, 투전, 골패등의놀이가속하고, 실외활동에는활쏘기, 사냥, 줄타기, 가래질하기, 썰매타기, 그네뛰기등의놀이로구분된다. 계절별놀이로는먼저겨울놀이에는썰매타기와쌍륙치기등, 봄놀이에는단오때의그네뛰기, 그밖의놀이들은사계절놀이에속하였다. 4. 결론스튜어트컬린의한국의놀이라는책속에삽입된기산김준근의풍속화중어른놀이에관한 13점을중심으로 19세기말당시의놀이문화를통한생활모습과풍속화속에등장하는남자 28명, 여자 5명의인물들이착용하고있는일반복식과놀이의특징을고찰한결과다음과같았다. 남자복식의경우그림속에등장하는인물중조신 2명, 일반백성 13명, 한량2명, 농부 3명, 하인배 6명, 미성년자 2명으로

776 한국의류산업학회지제 14 권제 5 호, 2012 년 이들의복식에관한연구결과는다음과같다. 남자일반복식은엉덩이길이의다양한색상의저고리와흰색또는소색의바지로기본구성을하였다. 저고리의착용방법은고름으로여며지는우임형식으로착용하고있다. 겨울철놀이인썰매타기에서는솜저고리의허리부분에추위를막아주기위한추가여밈방법으로허리끈으로묶고있으나기본저고리의착용방법과의복형태는오늘의남자한복과큰변화가없는것으로나타났다. 바지는그림상에서대부분흰색으로나타났으며허리끈으로허리부위를여미고있으나그림상에서허리여유분이어느쪽으로감싸져여며졌는지정확하게확인하기가어려우며다양한색상의허리끈을사용하고있다. 바지부리는대님과행전으로여며졌는데행전은모두바지와같은흰색을사용하였으며대님은간혹흰색이아닌다른색상도사용되어졌다. 이는당시일반복식에서흰색이가장기본색으로사용되고여러가지간색으로색채가다양해졌다는 Park et al.(2009) 의연구와같은결과이다. 저고리안감은모두흰색이었으며저고리는쪽색, 붉은색, 자주색, 소색, 엷은녹색으로나타나고계절용복식으로솜저고리솜바지, 홑포등으로추측되는의상도나타났다. 머리형태와쓰개류, 기타에서농부는상투머리에머릿수건을두르고버선과짚신을착용하였으며, 신하는상투머리에망건과갓을착용하며철릭에검은색화를착용하였으며, 동개, 화살집, 화살, 칼등을몸에차고있었다. 서민남자는상투머리에망건과갓또는상투머리에탕건, 사방관, 감투, 정자관을착용하였으며, 소창의또는세조대두른중치막착용하였고흰색버선과검은색, 갈색혜를신었다. 포는청색, 녹색, 쪽색, 흰색을많이사용하고철릭과소창의, 중치막, 두루마기등이착용되었으며하인배들은포를착용하지않는경우가많았다. 여자복식의경우는그림속에등장하는인물중부녀자 2명, 기생 3명으로이들의복식은저고리의경우모두회장저고리를착용하고있으며색상조합 ( 저고리색 / 회장색 ) 은녹색 / 빨강색, 분홍색 / 녹색, 짙은녹색 / 빨강색, 엷은분홍색 / 쪽색과같은조합으로주로깃, 고름, 끝동부분을대비되는색상을사용하였으며저고리길이는가슴선이드러날정도로짧고품의여유도적은데소매통도좁아전체적으로체형이나타날정도로긴박하였다. 고름은좁고짧아매듭후저고리길이정도만늘어뜨려졌으며, 둥근깃머리에흰색동정은깃의 1/3너비로목을긴박하게감싸듯이달려있다. 치마는빨강색, 연한녹색, 분홍색, 엷은쪽색등으로저고리와대비되게치마통의여유가많아오른쪽자락이왼쪽으로감싸게착장한후저고리아래로드러나있는흰색치마허리말기의끈으로가슴을감싸고다시치마를감싸거들치마처럼착용하였다. 치마끈은여밈후앞중심에서매우길게늘어뜨려졌다. 치마는끈사이로걷어올려길이를알수없으나다소짧아보였다. 발목길이의흰색속바지를드러나게착용하고흰색버선에짚신을착용하고있다. 부녀자는머리뒤에쪽머리를하고가체를이용하여정수리 에틀어올린얹은머리형태를하고있다. 기생은중간가리마에뒷목덜미에서낮은쪽진머리를하고비녀를꽂고붉은색머리끈을이마에두르거나쪽색의배자를덧입고, 치마주름은깊고규칙적이며주름수가많았다. 이상과같이 19세기말의풍속화속에서나타난당시의생활상과복식을살펴본결과남자저고리와바지의형태는지금의남자한복의형태와거의같으며저고리, 바지의착용방법은고름으로우임여밈하는저고리와허리끈과발목대님을사용하는바지의착용방법에서전통남자한복의착용방법은지금까지변화가없는것으로이러한변함없는우리복식의고유성이전통복식의독창성이라고생각되었다. 여자치마저고리는시대의상황에따라길이나품의여유에있어변화가생겼고치마를걷어올리는것과같은착용법의변화가있었지만기본적인형태는지금의한복과변화가없었다. 조선후기풍속화의경향은비교적작은화폭에몇사람이참여하는서민들의놀이를소박하게그리는것을선호한것으로여겨지며이를통해그당대의생활상을어느정도이해할수있으므로생활속에서행해지던 19세기말당시의놀이를참가하는대상자의성별, 참가자들의조합의형태에따라성인남자놀이, 성인여자놀이, 함께하는놀이로세분화하였다. 성인남자놀이는활쏘기, 썰매타기, 가래질하기, 활다듬기, 종경도치기, 장기두기, 바둑두기, 투전등으로성인여자놀이는그네뛰기로구분되었고함께하는놀이중성인남자와미성년남자의놀이는썰매타기, 줄타기가있고성인남녀의놀이는쌍륙치기, 골패등으로구분되었다. 그리고놀이의유형에따라신체단련형놀이는줄타기, 활쏘기, 그네뛰기, 썰매타기등이있고, 내기성놀이로골패와투전, 두뇌개발형놀이는쌍륙치기, 장기, 바둑, 종경도치기, 생업형놀이로가래질하기, 궁장이등으로구분되었다. 놀이하는장소에따라실내활동에는장기, 바둑, 쌍륙치기, 종경도치기, 투전, 골패등의놀이가속하고, 실외활동에는활쏘기, 사냥, 줄타기, 가래질하기, 썰매타기, 그네뛰기등의놀이로구분된다. 계절별놀이로는먼저겨울놀이에는썰매타기, 쌍륙치기, 봄놀이에는단오때의그네뛰기, 그밖의놀이는사계절놀이에포함되었다. 외국인에의해의뢰되었던기산김준근의풍속화를통해 19 세기말당시우리나라의생활속의놀이문화모습과일반복식을조사하여당시의생활상과우리복식의미적인감각을엿볼수있었다. 한사람의작품으로전체를확대해석하기엔다소무리가있으리라생각되며이번연구에서다루지않았던어린이복식과놀이문화에관한연구를후속연구로진행하고자한다. 그러나이러한조사자료가현대한국의상에서의색의조화및착용미등에응용되어전통복식인우리한복을올바르게전승하고생활속의우리옷으로자리잡아가는데기초자료로사용되었으며하는바램을가져본다.

기산김준근풍속화에나타난 19 세기말일반복식과놀이문화에관한연구 - 한국의놀이 삽화를중심으로 - 777 감사의글 이결과물은 2012학년도영산대학교교내연구비지원에의하여이루어졌음. References Cho, H. S. (1999). A study on men's basic costumes appearing in genre paintings during Chosun Dynasty(II).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1), 21-36. Choi, E. J. (2000). A study on basic costume appearing in genre paintings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 focused upon works of Duseo Yun and Youngseok Cho.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8(6), 915-929. Choi, E. J. (2004). A study of costumes of the 18th century, appearing in genre paintings from the King Young-Cho Period to the King Jung-Cho Period: focused upon the works of focused upon the works of Mung-Hyun Oho, Yong Yun, In-Sang Lee, Hee-Eon Kang.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2(5), 859-879 Chong, P. M. (2006). Internationalism and traditionalism in Kim Jungeun s genre paintings. The Art History Journal, 26(2), 965-988. Chung, H. H. (2008). A folk characteristics of Kisan, Kim Junkeun s genre painting. 중앙민속학, 13, 179-224. Chung, H. J., & Choi S. J. (2004). A study of the costume colors in the Late Chosun Dynasty: seen through genre paintings by Kim Junkeun.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7(2), 55-62. Do J. Y., & Kwon Y. S. (2000). The beauty of line on men's costume in the Chosun Period.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8(4), 517-536. Hong, S. H. (2009). 조선풍물의삽화속기산풍속도 [A study of the Kisan s genre paintings of illustrations in the natural features of Choson Dynasty]. 忠北史學, 22, 69-104. Han, K. A. (2007). 놀이의달인호모루렌스 [A Master of Games : Homo Ludens]. Seoul: Greenbee. Huizinga, J. (2010).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J. I. Lee, Trans.). Seoul: Yeonamseoga. (Original work published 1938) Kim, G. A. (2001). 민속놀이 [Folk Games]. Seoul: Daewonsa Kim, K. M. (2009). Korean pastime activities expressed in ancient murals and genre paintings. The Language and Culture, 5(2), 73-99. Kim, S. Y., & Nam, Y. J. (2002). A comparison on the form in women's Hanbok between the Later Chosun Dynasty and modern times- Applying delong's dividing system for apparel body constru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5), 61-77. Kim, Y. S. (1998). A Dictionary of the Korean Traditional Apparel. Seoul: Arts Culture. Lee, J. K. (2011). A study of the genre paintings by Kisan Kim Junkeun. Unpublished master s thesis, Junju University, Junju. Lee, J. R., Jung, J. I., Park, G. J., & Ghung, J. R. (2008). A study on the women s hair style in the genre paintings of late Joseon Period Focusing on the genre painting of Gi-san Kim Jun-keun-. Korea J. Beauty Design, 4(2), 211-226. Lee, T. O., & Kim K. J. (2009). An empirical study on the shape in women s Jeogori since the 19th century.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2(1), 127-142. Moon, K. H., Moon, M. O., & Ham, Y. J. (2009). Children s wear designs applying fork game character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2(1), 5-14. National Museum of Korea & The Chosunilbo (1994). Yu Gil-Jun & Dream of Civilization. Seoul: Park C. S., Cho U. H. & Lee H. J. (2009). Color selection and arrangement in relics of women's Jeogori in moder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59(2), 1-17. Shin, S. Y. (2006). A study of albums of genre painting by Kim Jungeun. 美術史學, 20(1), 105-141. Shim, H. J., & Yun, H. S. 0(2000). A study on Chima and Jeogori for women appeared in genre picture of Late Chosu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2), 125-140. Sung, G. M. (2009). Leisure space and play culture in the genre paints of Late Chosun Period artist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3(7), 57-73. Stewart, C. (2003). Korean Games-With Notes on the Corresponding Games of China and Japan (K. B. Yun, Trans.). Seoul: Youlhwadang. (Original work published 1895). (Received 11 February 2012; 1st Revised 18 June 2012; 2nd Revised 19 July 2012; Accepted 24 September 2012) Copyright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2012.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