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Pedestrian Volumes by Street Type 저자 (Authors) 이정우, 김혜영, 전철민 Lee, Jeongwoo, Kim, Hyeyoung, Jun, Chulmin 출처 (Source)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6(2), 2015.4, 123-140 (18 pages)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16(2), 2015.4, 123-140 (18 pages) 발행처 (Publisher) 한국도시설계학회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L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283025 APA Style 이정우, 김혜영, 전철민 (2015)..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6(2), 123-140. 이용정보 (Accessed) 서울시립대학교 210.125.184.70 2016/03/03 15:38 (KST) 저작권안내 DBpia 에서제공되는모든저작물의저작권은원저작자에게있으며, 누리미디어는각저작물의내용을보증하거나책임을지지않습니다. 이자료를원저작자와의협의없이무단게재할경우, 저작권법및관련법령에따라민, 형사상의책임을질수있습니다. Copyright Information The copyright of all works provided by DBpia belongs to the original author(s). Nurimedia is not responsible for contents of each work. Nor does it guarantee the contents. You might take civil and criminal liabilities according to copyright and other relevant laws if you publish the contents without consultation with the original author(s).
Analysis of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Pedestrian Volumes by Street Type 이정우 * ㆍ김혜영 ** ㆍ전철민 *** * 서울시립대학교도시과학연구원연구교수 / ** 서울시립대학교공간정보공학과박사과정 / *** 서울시립대학교공간정보공학과교수 Lee, Jeongwoo* ㆍ Kim, Hyeyoung** ㆍ Jun, Chulmin*** 국문요약 본연구의목적은보행변화패턴분석을통해서울시내가로유형을세분화하고가로유형별보행영향요인을분석하는것이다. 대부분의기존연구가도시공간구조나토지이용에따른공간적분류를기반으로보행권을구분한데반하여본연구는요일별시간대별유동인구의흐름을기반으로실제인구가움직이고집중되는가로의위계적중요도를토대로가로를유형화하고있다는점에서기존연구와차별화된다. 본연구의결과서울의가로는업무위주상업가로, 주거위주상업혼재가로, 상업위주업무복합가로, 주거위주산업ㆍ업무혼재가로, 그리고공동주택위주상업ㆍ업무혼재가로의 5 개유형으로나뉘었다. 이러한가로유형별보행영향요인을파악하기위하여다중회귀분석을사용한결과보행량증감에영향을미칠수있는특정계획요소들이가로유형별로상이함을보여주었다. 업무위주상업가로구역의경우대중교통접근성과보차분리유무가보행량과유의미한관계를보였고, 상업위주업무복합가로구역의경우가로체계및보행편의성과관련된변수들이유의미한관계를보였다. 주거밀도가높은가로구역의경우가로의물적환경을이루는가로체계보다도저층부용도나토지이용혼합도특성이보행량에더큰영향력이있음을본연구를통해확인할수있었다. 본연구를통하여도출된가로의유형과유형별보행환경요인분석은추후신시가지개발이나재개발을통한보행환경조성시계획방향을제시할수있는기초자료로서활용가능할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streets in Seoul and to identify key factors that affect pedestrian volumes. While most studies have categorized pedestrian areas based on land use patterns or urban spatial structure, this study categorizes streets by pedestrian flow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ime of day and day of week via a cluster analysis. It then identifies a relationship between actual patterns of pedestrian flow and land-use distributions. The results find that Seoul s streets can be categorized into office-centered commercial streets, residential-centered commercial-mixed streets, commercial-centered office-mixed streets, residential-centered manufacturing-and-office-mixed streets, and multifamily-housing-centered commercial-and-office-mixed streets. The study investigates key factors affecting pedestrian volumes using regression models and finds that the factors which increase pedestrian volume differ by type of street. A large number of pedestrians were observed in an office-centered commercial street with greater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sidewalks that blocked car traffic. One key to increased walking in commercial-centered office-mixed streets was the convenience of pedestrian facilities and street configuration, whereas factors that had greater impacts on pedestrian volumes in residential-centered streets were land-use mix and building use at street level. 주제어 : 유동인구조사, 보행, 복합토지이용, 가로유형, 군집분석 Keywords : Pedestrian Flow Survey, Walking, Mixed Land Use, Street Types, Cluster Analysis 본논문은서울연구원이주최하는 공공데이터를활용한 2014 서울연구논문공모전 에서수상작으로선정된논문을수정보완한논문입니다. 또한, 본논문은 2012 년정부 ( 교육과학기술부 ) 의재원으로한국연구재단의지원을받아수행된연구입니다 (NRF-2012S1A5B8A03045234). Corresponding Author : Jun, Chulmin, Dept. of Geoinformatics, University of Seoul, 130-743, Seoul, Korea. Tel.: +82-2-6490-2886, E-mail: cmjun@uos.ac.kr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 16 권제 2 호 (2015 년 4 월 ) 123
이정우ㆍ김혜영ㆍ전철민 1. 서론 1.1. 연구의배경및목적자동차위주의현대도시생활이야기하는대기오염과에너지문제, 그리고개인의건강과삶의질에대한일반인의증폭된관심으로최근보행친화적인환경조성에대한여러가지논의가다방면에서이루어지고있다. 보행을친환경적인지속가능한교통수단의대안으로서또한건강증진과여가시간이용을위한신체활동으로서인식하게되면서, 좀더쾌적하고활성화된가로환경을조성하는것이도시에서의삶의질향상을위한구체적인목표가되었다. 이에최근 차없는거리, 보행전용거리, 도심보행길 등과같은보행친화적환경조성을위한정부의정책과지역사회운동이활발하게추진되고있으며, 곳곳에서그간의보행환경과가로공간의질을높이기위한노력이가시화되었다. 한편보행공간의활성화를측정하는방법은여러가지가있지만, 그중에서도유동인구의흐름이중요한지표가되고있다. 특히, 서울과같은대도시의도시공간별기능분화현상은도시의직주분리 (job-housing balancing) 현상을가져왔으며, 이러한도시기능의분화로주간인구가특정지역에집중되면서상주인구와주간인구의통계자료에큰차이가발생하였다. 이에도시공간의현실적기능관리와도시경제정책을위해서주간의유동인구의흐름을파악하는것이중요하다. 또한서울의경우서비스업이전체산업의 90% 에가까운비율을차지하므로쇼핑과비즈니스의목적에의한보행활동이많은것으로예측되며, 통근목적의이동과달리서비스시설을이용하는것이보행의목적인경우처음목적지에서다음목적지로의이동이빈번하게발생할수있으며, 특정시간대에인구유입이몰릴수있다. 따라서이러한유동인구에대한행정서비스수요에대응하고상대적으로침체된가로의활성화방안을모색하기위해서는유동인구의흐름과원인에대한분석을공간적으로세분화시켜진행할필요가있다 ( 변미리ㆍ서우석, 2011). 본연구는보행환경에대해커지고있는최근의일반적관심과공공의정책을배경으로하여, 유동인구의흐름에대한실측치를바탕으로가로의환경특성과보행량의관계를실증적으로규명하고자한다. 최근보행과관련된연구가진행되기시작했지만, 실질적으로유동인구가집중되는가로의위계적구조를토대로보행량영향요인을분석한연구는미흡한실정이다. 또한주로보행활동이활발할것으로예상되는역세권, 상업가로등한정적범위로연구를수행하였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서울시전역을대상으로실시한 2009 년유동인구조사자료를통해보행량의요일별ㆍ시간대별변화패턴을기반으로가로유형을분류하고유형별가로조직의물리적구성요소들을미시적으로분석함으로써, 가로유형별보행량변화수준에적합한가로의물리적환경요소를고려하여보행공간조성시도시계획적시사점을도출하고자한다. 이러한연구과정과결과는보행환경을계획하고설계하는데있어직 간접적으로고려해야할가로공간의설계요인의가치를정량화하였다는데의의가있으며, 이를바탕으로향후보행환경개선정책수립과정에서도매우유용한지침과방향을제시할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1.2. 연구의내용및방법이를위해본연구는첫째, 보행유동인구의요일별ㆍ시간별수요특성분석을통해서울시내가로유형을세분화함으로써실제인구가움직이고집중되는가로의위계적중요도를토대로가로를분류하였다. 이는유동인구조사지점의보행변화패턴을통하여실증적으로가로를유형화하고있다는점에서기존연구들과중요한차이가있다. 둘째, 보행활동과관련한연구는매우미시적접근방법이요구되어지는바주간활동인구의보행량 124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 16 권제 2 호 (2015 년 4 월 )
변화패턴에영향을미치는변수를구성하고자료를구축함에있어보다정밀하고세심한과정이필요하다. 이에본연구에서는도로네트워크기반의보행권범위설정기법을이용하여공간요소인가로의물리적구성요소를중심으로가로유형별토지이용특성을분석하였다. 셋째, 가로유형별보행량영향요인을분석하기위하여주중과주말의보행량및가로유형별시간평균보행량을조사지점주변의미시적인계획요소들과보행권내토지이용특성을중심으로다중회귀모델을이용하여분석하였다 ( 그림 1). 2. 선행연구검토 보행영향요인과관련된기존연구들은크게보행환경에대한정성적요인과도시특성요소, 물리적요소등정량적요인을활용한연구로구분해볼수있다. 먼저, 정성적요인을사용하여성현곤외 (2011) 는서울시종로및강남일대를대상으로보행환경계획시중점이되어야할계획요소들을파악하기위해평가지표를산출하고설문조사만족도평가모형을활용하여분석결과를지역별로비교하였다. 또한성현곤 김진유 (2011) 는사회경제적속성과통행목적에의한보행활동량을분석하고자서울직장인을대상으로설문조사를통해다중회귀및토빗모형으로분석하였다. 양우현 정은욱 (2002) 은기성시가지상업가로를대상으로입지여건, 블록, 건축물등물리적요소를실측하고, 이용행태와인식등은면담을통해파악하였다. 이경환 안건혁 (2008) 은서울시 12개행정동을대상으로보행활동을구분하여설문조사를통한보행시간에대해근린환경, 개인특성등의상관관계를분석하였다. 이연구들은주로보행환경에관한설문조사를통해연구가진행되어일부지역이나특정용도와같이국소적인보행활동영향력을설명하고있다. 정량적요인을사용한연구들로이연수외 (2013) 는서울시생활권역별보행변화율에영향을미치는도시특성변수들을도출하기위해인구, 고용등비공간요소를중심으로영향관계를분석하였다. 그리고통근ㆍ통학자료의센서스기반주간인구개념의한계를벗어나시간대별, 공간대별로활용할수있는유동인구를통한연구들이진행되기시작하였다. 변미리 서우석 (2011) 은자치구별로주간인구를통한행정수요예측의한계에대해인식하고공간적으로세분화된유동인구활용의필요성과조사방법론의표준화를언급하였다. 유동인구를종속변수로하여서울연구원 (2011) 은서울시역세권유형을구분하여토지이용변수, 접근성변수, 도로환경과관련된변수들을시간대별로회귀분석을통해보행량에영향을미치는결정요인을도출하였다. 진형석 (2013) 도유동인구활동범위를서울시역세권으로설정하고유형화하여평일유동인구에대한사회경제, 토지이용, 물리적, 보행환경요인들과연관성을분석하였다. 윤나영 최창규 (2013) 는서울시 6개구를대상으로상업지역에해당하는조사지점을중심으로반경거리를 50m, 100m, 150m 로구분한보행권별로토지이용, 도시조직, 대중교통과의접근성을밀도, 다양성, 디자인측면으로나누어보행량과의관련성을분석하였다. 김선호외 (2011) 는공간구문론과인터넷사진을이용하여압구정일대의유동인구의보행특성을분석하여상점수가보행량의주요결정요인임을밝힌바있다. 이주아 구자훈 (2013) 은서울시중심업무지구를대상으로간선및이면가로구역으로분류하여시간대별로토지이용, 블록조직및가로체계, 편의시설등가로의물리적환경과보행량의영향관계를분석하였다. 분석자료를구축할때조사지점별일정한반경이아닌인접하고있는주변블록의평균값을입력하여구축하였다. 이를이어이주아외 (2014) 는서울시주요상업가로 11개역세권을대상으로가로의물리적환경이가로활성화에미치는관계를분석하기위해일별, 시간대별로구분하여보행량영향요인을다중회귀로분석을실시하였다. < 그림 1> 연구의세부흐름도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 16 권제 2 호 (2015 년 4 월 ) 125
이정우ㆍ김혜영ㆍ전철민 선행연구고찰결과, 시간대를세분화하여보행변화패턴의흐름을유형화하고이를도시특성요소와연관지어분석한연구가미흡한것으로보인다. 또한기존연구들은보행권을특정지점에서의반경방식이나인근블록등으로정의하여일률적으로적용하고있으며, 주로보행활동이활발할것으로보이는역세권, 상업가로를범위로연구를수행하였다. 기존의가로의보행연구가대부분도시공간구조나토지이용에따른공간적분류에서접근한반면에, 본연구는요일별시간대별유동인구흐름의변화패턴을기반으로실증적으로가로를유형화하고있다는점에서중요한차이가있다. 또한실제보행자가걷는도로의네트워크거리를기반으로보행권범위를설정하여조사지점별가로의물리적특성요소들을도출해내고가로유형별보행량증감에영향을미치는요소들을분석함으로써보다미시적인차원에서접근하였다. 3. 연구방법 < 그림 2> 도로네트워크기반보행권범위설정 3.1. 도로네트워크기반의보행권범위설정본연구는유동인구조사지점주변지역의도시특성요소들을측정하기위하여보행에사용되는실제네트워크거리를중심으로도로위계와유형등을고려한보행권범위를설정함으로써보행활동범위에대한현실성을한단계발전시키고자하였다. 이를위해서울시전역을대상으로보행이일어나는주요가로변, 교차로주변에서실시한유동인구조사지점을기준으로보행활동범위를 400m 반경으로설정하였다. 이는보행권범위를반경 1/4 mile ( 약 400m) 로정의하는 Perry(1929) 의근린주구이론을비롯하여, 이를바탕으로최근휴먼스케일에초점을맞추고있는 TND(Traditional Neighborhood Development) 기본지침에서도보행가능권역을 400m 로정의하고있음을고려한설정이다. 이와비슷하게도로교통안전협회 (1984) 의연구에따르면비교적기후가온화하고쾌적한도시환경에서의보행가능권역은 400m 라는결과를보여준바있으며, 최근연구중류상오 (2009) 는고령자보행가능거리가 390~400m 이내가적절하다고언급하였다. 선행연구를토대로본연구에서는각조사지점으로부터 400m 범위를보행권으로정의하고, ArcGIS 프로그램을활용하여유동인구조사지점에서보행네트워크거리를기준으로포함되는삼각형의집합이되도록하는 네트워크기반 GIS 불규칙삼각망 (TIN: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을이용하여보행권범위를적용하였다 (Oliver et al., 2007). 이는기존의단순한반경범위가아닌, 그림2 와같이네트워크의특징을반영하여각지점마다의실제적인영향범위가다르게고려되기때문에보다현실적인보행권범위를도출할수있다. 3.2. 분석변수설정및변수설명본연구는가로의활성화를위한물리적환경요소를도출함으로써향후가로유형에적합한보행환경개선요소를제시하는것이목적이다. 따라서종속변수로서가로의활성화정도를측정할변수로서보행량을사용하였다. 이는가로활력정도를측정하는데있어사람들의보행활동이가장중요한요소라고보았으며, 이러한보행활동은보행빈도, 즉시간당평균보행량으로측정할수있다고판단하였다. 본연구에서의종속변수는서울시전역을대상으로실시된 2009 년유동인구조사자료중유동인구속성조사지점으로선정된 1,170 개지점의자료 1) 를활용하였으며, 본자료로부터 126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 16 권제 2 호 (2015 년 4 월 )
보행량회귀분석의종속변수로활용된주중ㆍ주말의시간평균보행자수를도출하였다. 이후국내ㆍ외기존연구및문헌검토를토대로보행량영향요인인독립변수들을선정하였다. 기존연구를살펴보면, 현재까지의가설은목적지보행 (walking for transportation purpose) 의경우개발밀도, 보행유발시설의연면적, 대중교통의접근성등이중요한영향을미치는반면, 여가보행 (walking for recreation purpose) 의경우보행자의직접적인지영역으로볼수있는가로변저층부용도의특성을포함하여보행의편의성과관련된환경변수의영향이크다고알려져있다 (Handy, 1996; Lee and Moudon, 2006). 따라서본연구에서는독립변수를개발밀도, 토지이용, 교통, 1층부의용도특성, 보행의편의성및안전성과관련한변수들로구성하였으며, 독립변수는크게유동인구조사자료의지점정보를토대로조사지점에관한변수와조사지점주변보행권에해당하는변수로구분하였다. 이러한변수설정에따라조사지점구간의시설을이용하기위해접근하는보행자와더불어주변보행권내목적시설로의이동을위해서조사지점을통과하는보행자를함께고려할수있다. 우선, 조사지점관련독립변수는관측지점이속한해당블록 2) 의물리적특성에관한것으로가로변 1층의건물용도와보행의편의성및안전성과관련된시설변수를포함하였다. 저층부건물의용도는가로환경요소들중특히보행자와직접적상호작용을하게되는가로연접필지의특성을반영한다는점에서보행량과연관성이있다. 보행자전용도로, 보도폭, 차로수, 횡단보도, 가로수등은보행의편의성측면에서중요하며가로등과보도차도겸용도로여부는보행활동의안전성과관계있는변수들로, 이들모두보행량과의연관성을검증해볼필요가있다. 다음으로보행권과관련된독립변수는해당조사지점을기준으로 400m 네트워크버퍼구간범위로설정되었으며, 이에지역의개발밀도, 교통, 토지이용, 조직및가로체계등이포함되었고미시적으로분석할수있도록독립변수를설정하였다. 개발밀도와대중교통이용시설과의접근성은목적보행을유발한다는점에서보행자수와직접적인관계가있을수있다. 개발밀도와관련된변수들은인구수, 가구수, 사업체수로구성하였으며, 교통과관련된변수는지하철역까지의네트워크상거리와버스정류장수의밀도값을포함하였다. 조직및가로체계변수는보행권면적내도로길이와교차로수, 건폐율, 그리고건물규모가포함되었다. 도로길이와교차로수는가로블록의규모및형태를대변하는변수이다. 도로길이가긴곳은세가로망이발달한소규모블록으로이루어진곳에해당하며, 교차로수는 4거리교차지점수의밀도값으로정형블록의비율을대변하는변수로, 이는보행자의이동거리와접근루트선택의다양성을결정한다는점에서보행행태와직접적인연관성을가질수있다. 마지막으로보행유발시설규모의영향력을살펴보기위하여토지이용변수를포함하였으며이는용도별밀도값, 그리고복합도의특성으로구성하였다. 용도별밀도값은보행권내주거, 상업및업무시설, 공원을비롯한산업시설의연상면적 (floor area) 을이용하여계산하였다. 토지이용혼합도 (Land-Use Mix, LUM) 는주거, 상업, 업무시설의복합도를식 (1) 에따라계산하였으며, 0~1 사이의값을지니며 1에가까울수록토지이용이복합적임을나타낸다 (Frank et al., 2004). 1) 2009 년유동인구조사에서는서울시전체 10,000 개의지점에서보행량을조사하였고, 전체의약 10% 에해당하는지점에서면접조사를통한속성조사를실시하였다. 유동인구속성조사지점은 단순무작위표집과유사한방식으로추출 되었으며, 전체 10,000 개의지점을 10 개씩군집한후각군집에서한개의표본을무작위추출하는방식을이용하여샘플을구성하였다 ( 변미리 ᆞ 서우석, 2011; 서울특별시, 2010). 2) 유동인구조사지점기준 100M 내의시설물의특성조사내용이포함되었다. 단골목이있는경우골목전까지만파악되었다 ( 서울특별시, 2010).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 16 권제 2 호 (2015 년 4 월 ) 127
이정우ㆍ김혜영ㆍ전철민 < 표 1> 분석변수설정및변수설명 ( 다중회귀분석사용시검토된변수 ) 조사지점변수 보행권변수 저층부용도 보행편의성및안전성 교통 개발밀도 조직및가로체계 토지이용 변수명변수설명활용자료 보행량 주중 ( 월 ~ 금요일 ) 주말 ( 토요일 ) 시간별평균보행량 소매상업점포수 조사지점 100m 내 1층가로변소매상업점포수 제조업체수 조사지점 100m 내 1층가로변제조업체수 경사로 가로의경사로여부를나타내는더미변수 보행자전용도로 가로의보행자전용도로여부를나타내는더미변수 보도폭가로의보도폭 (m) 유동인구조사차로수가로의차로의개수자료횡단보도가로의횡단보도여부를나타내는더미변수 ( 출처 : 서울시 ) 가로수가로의가로수여부를나타내는더미변수 주차차량 가로의주차차량여부를나타내는더미변수 보도차도겸용도로 가로의보도차도겸용도로여부를나타내는더미변수 가로등 가로의가로등여부를나타내는더미변수 지하철역거리 조사지점으로부터지하철역까지도로네트워크상거리 (m) 버스정류장수 버스정류장수 / 보행권면적 ( m2 ) 인구수인구수 / 보행권면적 ( m2 ) 집계구별통계가구수가구수 / 보행권면적 ( m2 ) ( 출처 : 통계청 ) 사업체수사업체수 / 보행권면적 ( m2 ) 도로길이 도로길이 (m) / 보행권면적 ( m2 ) 도로명 교차로수 4거리교차로수 / 보행권면적 ( m2 ) 주소기본도 건폐율 총바닥면적 ( m2 ) / 보행권면적 ( m2 ) ( 출처 : 건물규모 건물 1층바닥면적의평균값 ( m2 ) 안전행정부 ) 주거시설 단독ㆍ다가구주택밀도 단독ㆍ다가구연상면적 ( m2 ) / 보행권면적 ( m2 ) 밀도 공동주택밀도 공동주택연상면적 ( m2 ) / 보행권면적 ( m2 ) 상업시설밀도 근린생활시설밀도 근린생활시설연상면적 ( m2 ) / 보행권면적 ( m2 ) 판매시설밀도 판매시설연상면적 ( m2 ) / 보행권면적 ( m2 ) 위락시설밀도 위락시설연상면적 ( m2 ) / 보행권면적 ( m2 ) 음식점밀도 음식점시설연상면적 ( m2 ) / 보행권면적 ( m2 ) 업무시설밀도 업무시설연상면적 ( m2 ) / 보행권면적 ( m2 ) 산업시설밀도 제조업연상시설 ( m2 ) / 보행권면적 ( m2 ) 공원밀도 공원면적 ( m2 ) / 보행권면적 ( m2 ) 토지이용혼합도 주거, 상업, 업무의복합도 건물집계자료 ( 출처 : 서울시 ) 시간범위 2009 2010 2013 2010 ln (1) ln 여기서, : 토지이용 의면적비율 이렇게최종구성된도시특성자료들은유동인구자료와함께지리정보시스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의지오코딩 (Geo-coding) 과정을거쳐좌표를획득하고, 집계구혹은국가기초구역단위로집계된도시특성변수값들은자료의분석단위에동일하게분포되어있다는가정하에공간보간법 (Spatial Interpolation) 이론에기초한방법을이용하여각조사지점의 400m 네트워크보행권에맞추어재산정하였다. 또한각보행권범위의면적이조사지점별로다르기때문에밀도와관련된변수들은모두보행권면적의가중치를두어계산하였다. 유동인구조사지점이나보행권의도시특성요소와관련된각변수들에대한설명과활용자료및시간범위는표1 에표현하였다. 4. 가로유형화와유형별특성분석 4.1. 군집분석에의한가로유형화 128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 16 권제 2 호 (2015 년 4 월 )
요일별시간대별가로의이용패턴을고려한가로유형화를위하여군집분석을시도하였으며, 방법은계층적군집분석 (Hierarchical Clustering) 을한후에그결과로부터가장적절한수의군집을결정해서다시비계층적방법으로분석하는방법을이용하였다. 유형별군집을위해 Ward 법에의한결합방식을사용하였으며, 제곱 Euclidean 거리값을이용하여가까운대상끼리계속적으로군집을이루는방법을이용하였다. 계층적군집분석결과군집은 5개의유형으로분류하는것이적합한것으로판단되었다 3). 이후계층적군집화의결과로얻어진 5개의군집수를지정하여, 비계층적군집화 (Non-hierarchical clustering) 를시도하였으며가장보편적인방법인 K-평균법 (K-means) 을사용하여재유형화하였다. Case 설명기준변수는계층적군집분석의경우와동일하게표2 에나열된 10 개의주중과주말보행변화패턴과관련된표준화변수값을선정하였으며, 반복계산으로군집화가진행됨에따라군집중심점이변화되는방법을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계층적군집분석의결과와거의유사한패턴으로분류되었으나 6개의이상치 (Outlier) 4) 가제외되었다. 요일별ㆍ시간대별보행변화패턴을이용하여서울시가로공간을분류하기위하여주중 ( 월요일 ~ 목요일 ) 자료와주말 ( 토요일 ) 자료에대하여하루총보행량및각첨두시간대별 5) 보행량간의비율, 그리고첨두시간보행수요의집중률을반영하였다. 이러한분류가중심지의위계성및출ㆍ퇴근, 점심및쇼핑, 위락등보행통행목적별토지이용의특성을대 < 그림 3> 계층군집분석 Dendrogram 결과 clusters cluster1 cluster2 cluster3 cluster4 cluster5 N 109 422 109 37 487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하루총통행량 1195.22 818.61 942.27 657.43 5024.11 1780.05 1020.55 739.25 1272.94 810.74 오전ㆍ저녁첨두보행변화비율 ( 오전첨두보행량 / 저녁첨두보행량 ) 오후ㆍ저녁첨두보행변화비율주중 ( 오후첨두보행량 / 저녁첨두보행량 ) 저녁첨두보행집중률 ( 저녁첨두보행량 / 시간평균보행량 ) 점심첨두보행집중률 ( 점심첨두보행량 / 시간평균보행량 )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1.03 0.99 0.56 0.29 0.62 0.40 1.90 1.34 0.93 0.50 1.95 0.87 0.51 0.21 0.57 0.22 1.12 0.89 0.73 0.26 1.21 0.31 1.78 0.33 1.66 0.32 1.24 0.50 1.40 0.24 2.21 0.66 0.86 0.32 0.90 0.24 1.20 0.73 0.99 0.28 하루총통행량 701.27 593.52 913.89 751.53 5323.24 2801.67 726.62 631.57 1026.77 664.55 오전ㆍ저녁첨두보행변화비율 ( 오전첨두보행량 / 저녁첨두보행량 ) 오후ㆍ저녁첨두보행변화비율주말 ( 오후첨두보행량 / 저녁첨두보행량 ) 저녁첨두보행집중률 ( 저녁첨두보행량 / 시간평균보행량 ) 점심첨두보행집중률 ( 점심첨두보행량 / 시간평균보행량 ) < 표 2> 군집분석에사용된변수의평균값과표준편차값 0.53 0.39 0.33 0.22 0.37 0.34 2.96 1.94 0.65 0.35 1.00 0.52 0.44 0.20 0.63 0.29 3.22 1.66 0.93 0.37 1.59 0.62 1.97 0.56 1.65 0.42 0.66 0.22 1.36 0.30 1.38 0.46 0.80 0.27 0.95 0.28 1.94 0.85 1.19 0.34 3) K-means 분석에서는군집의수를사전에지정해주어야하기때문에적정군집수를계층적군집화의 Ward 방법을사용하여그림 3 과같이 5 개그룹으로군집화되는과정을확인하였다. 4) 중구명동 2 가의 CGV 주변과같은주중유동인구량이가장높은곳을비롯하여조사지점내철거건물입지등의이유로주중이나주말중유동인구가전혀발생하지않은곳 5 곳을포함하여총 6 곳이 K-means 분석에서제외되었다. 5) 첨두시간은보행량이증가했다가감소하는피크특성을보이는곳으로이는서울유동인구조사보고서 (2010) 에서정의한 8 시 ~9 시, 오후 12 시 ~1 시, 저녁 6 시 ~7 시시간대로정의하였다. 오전첨두시간은일반적인출근및등교통학이이루어지는시간이며, 점심첨두시간은점심식사를위한목적통행이이루어지는시간, 그리고저녁첨두시간은퇴근이이루어지는시간으로보행량피크의원인을해석할수있다.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 16 권제 2 호 (2015 년 4 월 ) 129
이정우ㆍ김혜영ㆍ전철민 변할수있다고판단되었다. 예를들어, 주거지성향이강한가로공간의경우오전첨두와저녁첨두시보행량이시간당평균보행량에비해높으며, 반대로비주거성향이강한업무지역이나상업지역의경우오후첨두와저녁첨두시보행량이집중될것으로예상할수있다. 4.2. 가로유형별특성분석군집분석을이용한유형분류결과를토대로보행변화패턴특성을살펴보면각가로유형들의주중과주말그리고시간대별로첨두시간보행집중률이나보행변화패턴이그림5, 8, 11, 14, 17과같이다르게나타나는것을볼수있다. 다음보행변화패턴에의해분류된각군집에해당하는가로유형의토지이용특성을살펴보고자유형별토지이용복합도와각용도시설의표준화계수를살펴보았다 ( 그림6, 9, 12, 15, 18). 토지이용표준화계수로는단독ㆍ다가구, 공동주택, 상업시설, 업무시설, 산업시설연면적의밀도값이사용되었으며상업시설은위락시설과판매시설, 음식점, 근린생활시설의연면적값이포함되어산정되었다. 가로유형별도시공간과토지이용의종합적특성은표3에정리되었으며, 이후논의의편의를위하여가로유형별토지이용특성을고려하여 5가지가로의유형을명명하였다. Cluster 1은 109 개의조사지점에해당되며중구, 강남, 서초, 종로지역을포함한고용중심지역에밀집되어있다. 보행량의특징은주말에비해주중의보행량이많은것으로나타났으며, 특히주중오후ㆍ점심첨두시간에보행량이확연하게높아지는경향을보이고있다. 토지이용특성을살펴보면업무와상업및주거시설이혼재된곳으로토지이용혼합도가가장높은곳으로나타났으며, 업무시설연상면적비율이 36.2% 로가장높고다음상업시설이 33.8% 를차지한다. 특히, 오후 12시 ~1시사이보행량이가장높게나타나는것은점심시간대가로를이용하는직장인들의보행집중과상호관련이있어보인다. 따라서 Cluster 1을 업무위주상업가로 로명명하였다 ( 그림4, 5, 6), ( 표3). < 그림 4> Cluster 1 의조사지점 < 그림 5> Cluster 1 의보행변화패턴특성 < 그림 6> Cluster 1 의토지이용특성 Cluster 2는 422 개의조사지점으로서울전역에골고루분포되어있다. 주중과주말의보행량이저녁시간으로갈수록증가하고저녁첨두시간이후감소하고있다. 이지점들의보행량을시간대별로조사해보면, 주중오전과저녁첨두시간의보행집중이뚜렷하게나타나는반면, 오후 12시 ~1시에서뚜렷한첨두가확인되지않는다. 토지이용적측면에서살펴보면, Cluster 2는주거연상면적비율이 45% 가넘는주거중심기능으로유형화할수있는군집임을알수있으며, 단독및다가구주택비율이서울의가로평균값보다다소높게나타난다. 점심첨두시간이없다는것과주중의아침과저녁에첨두패턴이분명하고, 주중과주말의보행량이비슷한것을보아거주자들의일정한이동을반영한보행패턴과 130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 16 권제 2 호 (2015 년 4 월 )
영향이있을것으로보인다. 또한가로구역의건물규모가작고건폐율이높으며근린생활시설및판매시설을포함한상업시설밀도가높은것으로보아소규모상권이주거시설과함께혼재되어나타나는지역으로판단된다. 따라서 Cluster 2를 주거위주상업혼재가로 라고명명하였다 ( 그림7, 8, 9), ( 표3). < 그림 7> Cluster 2 의조사지점 < 그림 8> Cluster 2 의보행변화패턴특성 < 그림 9> Cluster 2 의토지이용특성 Cluster 3은 109 개의조사지점들로종로구, 중구, 강북, 강남구일대를중심으로분포되어있다. 이지점들은전체적으로보행량이많고시간대에대한보행량의차이가크게나타나며특히주말의오후와저녁에보행이집중되는특성을보인다. Cluster 3은상업시설과업무시설밀도가서울시평균보다현저히높다. 특히근린생활시설, 위락시설, 판매시설, 음식점등이밀집하여상업시설의비율이높으며, 건물규모가크고건폐율이높은곳으로나타났다. 특히주중보다는주말에이러한시설을이용하는유동인구가집중되는것으로보아, Cluster3 은지역의여가중심기능을하는곳으로판단되어진다. 따라서 Cluster 3을 상업위주업무복합가로 라고명명하였다 ( 그림10, 11, 12), ( 표3). < 그림 10> Cluster 3 의조사지점 < 그림 11> Cluster 3 의보행변화패턴특성 < 그림 12> Cluster 3 의토지이용특성 Cluster 4는 37개의조사지점으로주로영등포, 용산, 구로, 강서, 마포구의외곽지역에많이분포되어있으며대체로주중보행량이주말보다많다. 첨두시간별보행량을살펴보면주중오전 8시 ~9시와토요일오후 12시 ~1시에보행이집중되는반면, 저녁시간대보행량이오후시간대에비해현저히줄어드는경향을보인다. Cluster 4의도시공간특성을살펴보면가로구역의건물규모가크며건폐율이가장낮고도로길이가가장짧은곳에해당한다. 토지이용현황은주거연상면적비율이 41.8% 로가장높으며상업시설밀도가현저히낮은반면산업시설과업무시설비율이다른주거중심가로유형에비해높은특징이있다. 아침과점심의보행량이많고주말보다주중의보행량이많은것은제조업및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 16 권제 2 호 (2015 년 4 월 ) 131
이정우ㆍ김혜영ㆍ전철민 기타산업에종사하는고용자의보행패턴과관련이있어보인다. 이와같은특징을종합 하여 Cluster 4 를 주거위주산업ㆍ업무혼재가로 라고명명하였다 ( 그림 13, 14, 15), ( 표 3). < 그림 13> Cluster 4 의조사지점 < 그림 14> Cluster 4 의보행변화패턴특성 < 그림 15> Cluster 4 의토지이용특성 Cluster 5는 487 개의가장많은가로가해당되는유형으로서울시전역에골고루분포되어있다. 이지점들의보행패턴변화는주중의오전 8시 ~9시와저녁 6시 ~7시의첨두시간이뚜렷하게나타나며, 전체적인보행량은 Cluster 2와비슷하나주중오전첨두시간의보행량이저녁첨두시간의보행량과비슷하게높으며전반적으로주말보다주중의보행량이높다는점에서차이를보인다. 토지이용특성을살펴보면 Cluster 5는공동주택이가장밀집한곳으로해당군집들중상주인구와가구밀도가가장높게나타나는곳이다. 점심첨두시간보다는주중의아침이나저녁에첨두패턴이나타나는것을볼때이는거주자의출ㆍ퇴근목적의보행패턴과관련이있어보인다. 연상면적비율은공동주택이 43.3% 로가장높으며상업시설이 27.4%, 업무시설이 18.6% 를차지한다. 따라서 Cluster 5를 공동주택위주상업ㆍ업무혼재가로 라고명명하였다 ( 그림 16, 17, 18), ( 표3). < 그림 16> Cluster 5 의조사지점 < 그림 17> Cluster 5 의보행변화패턴특성 < 그림 18> Cluster 5 의토지이용특성 전체적으로가로유형과토지이용속성을비교해본결과, 주거시설비율이높은가로는아침과저녁에보행량이집중되는반면, 업무시설비율이높은가로는보행량이점심시간에뚜렷하게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다. 상대적으로상업시설비율이높고주거비율이낮은가로는주중에비해주말의유동인구량이오후부터집중되어저녁첨두시간보행량이가장높게나타난다. 마지막으로산업시설과업무시설이혼재되어있고상업시설비율이가장낮은가로의경우아침과오후의첨두시간대에보행이집중되고늦은오후부터보행량이점차감소하여저녁시간대보행량이가장적게나타남을알수있다. 132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 16 권제 2 호 (2015 년 4 월 )
< 표 3> 가로유형별도시공간특성및토지이용특성현황 개발밀도 조직및가로체계 변수 업무위주상업가로 주거위주상업혼재가로 상업위주업무복합가로 주거위주산업ㆍ업무혼재가로 공동주택위주상업ㆍ업무혼재가로 n=109 n=422 n=109 n=37 n=487 평균값 ( 비율 ) 평균값 ( 비율 ) 평균값 ( 비율 ) 평균값 ( 비율 ) 평균값 ( 비율 ) 1,000 m2당인구수 13.22 24.82 16.52 19.26 25.46 1,000 m2당가구수 3.51 6.00 4.19 5.53 6.43 1,000 m2당사업체수 4.08 2.46 4.48 2.12 2.68 1,000 m2당도로길이 (m) 29.74 35.15 32.00 27.97 33.28 1 km2당교차로수 51.95 53.55 43.22 40.19 52.54 건폐율 (%) 36.50 35.81 39.24 31.40 33.24 건물규모 ( m2 ) 351.537 293.888 454.481 429.778 323.634 단독ㆍ다가구주택연상면적 ( m2 ) 8,606.18 (2.3%) 14,395.67 (5.3%) 9,700.41 (2.8%) 8,451.81 (3.3%) 12,348.33 (4.4%) 공동주택연상면적 ( m2 ) 83,738.58 (22.9%) 110,322.50 (40.3%) 79,928.12 (22.7%) 99,541.49 (38.5%) 120,704.16 (43.3%) 근린생활설연상면적 ( m2 ) 106,267.09 (29.0%) 71,121.61 (25.9%) 114,376.46 (32.5%) 52,719.27 (20.6%) 69,324.71 (24.1%) 판매시설연상면적 ( m2 ) 8,573.70 (2.3%) 5,930.01 (2.2%) 20,501.30 (5.8%) 2,698.26 (1.1%) 5,580.10 (2.0%) 토지이용 위락시설연상면적 ( m2 ) 725.43 (0.2%) 171.52 (0.1%) 512.07 (0.1%) 78.99 (0.0%) 202.15 (0.1%) 음식점연상면적 ( m2 ) 8,412.68 (2.3%) 3,471.87 (1.3%) 8,979.11 (2.6%) 2,362.00 (0.9%) 3,320.90 (1.2%) 업무시설연상면적 ( m2 ) 132,670.33 (36.2%) 47,430.07 (17.3%) 103,804.85 (29.5%) 58,837.11 (23.0%) 51,967.87 (18.6%) 산업시설연상면적 ( m2 ) 3,774.09 (1.0%) 2,527.94 (0.9%) 2,224.70 (0.6%) 12,077.99 (4.7%) 2,187.17 (0.8%) 공원시설면적 ( m2 ) 13,650.27 (3.7%) 18,713.53 (6.8%) 11,893.94 (3.4%) 20,441.86 (8.0%) 15,425.90 (5.5%) 토지이용혼합도 0.84 0.79 0.80 0.76 0.77 유동인구 주중시간평균보행자수 ( 명 /hour) 주말시간평균보행자수 ( 명 /hour) 85.373 67.305 358.865 72.896 90.924 50.091 65.278 380.231 51.902 73.341 5. 보행량영향요인분석 5.1. 주중ㆍ주말의시간평균보행량영향요인분석가로유형별도시공간분석을통하여수집된각가로별개발밀도, 조직및가로체계, 토지이용변수들과유동인구조사자료를기반으로구축된조사지점의저층부용도, 보행편의성및안전성과관련된변수를설명변수로포함하고, 지점별시간평균보행량정보를종속변수로하는다중회귀분석모델을측정하였다. 분석에사용된변수들및회귀분석모델들의측정결과는표4 와표5 에표현되었다. 회귀모형에앞서독립변수간다중공선성을확인한결과, 개발밀도에해당하는인구수, 가구수, 사업체수변수의경우토지이용별밀도변수와상관성이높아제외하였으며, 교차로수, 단독ㆍ다가구주택밀도, 버스정류장수는다중공선성이다소크게나타나본분석에서는제외하였다. 이외에조사지점내보행자전용도로와가로수존재여부를나타내는더미변수들과공원밀도변수는회귀모델설명도를기준으로그기여도가낮아이를제거하고회귀모델을재구성하였으며, 가로유형별보행량영향요인을일관성있게분석하기위하여동일한독립변수로구성된모델을적용하여그결과를비교분석하였다.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 16 권제 2 호 (2015 년 4 월 ) 133
이정우ㆍ김혜영ㆍ전철민 < 표 4> 전체지역시간평균보행량다중회귀분석결과 ( 주중 / 주말 ) 변수 주중 주말 B β VIF B β VIF 보행권변수 조사지점변수 상수 (constant) 78.658 ** 72.935 ** 토지이용 조직및가로체계 공동주택밀도 -35.730 *** -0.092 1.343-52.769 *** -0.118 1.343 근린생활시설밀도 158.370 *** 0.286 2.029 187.347 *** 0.294 2.029 업무시설밀도 43.890 *** 0.103 1.754-6.762-0.014 1.754 토지이용혼합도 66.543 *** 0.099 1.202 62.539 *** 0.080 1.202 도로길이 -0.608 ** -0.070 1.954-0.373-0.037 1.954 건폐율 40.373 * 0.043 1.843 31.748 0.025 1.843 교통지하철역거리 -0.027 *** -0.121 1.168-0.024 *** -0.094 1.168 보행편의성및안전성 저층부용도 보도폭 5.169 *** 0.114 1.255 6.306 *** 0.121 1.255 차로수 7.440 *** 0.189 1.684 5.158 *** 0.114 1.684 횡단보도 2.101 0.010 1.398 3.987 0.016 1.398 경사로 -11.672 ** -0.049 1.020-22.162 *** -0.080 1.020 보도차도겸용도로 -10.664-0.047 2.055-12.024-0.046 2.055 가로등 5.067 0.017 1.042 1.946 0.006 1.042 주차차량 -5.839-0.013 1.044-11.570-0.022 1.044 소매상업점포수 7.133 *** 0.186 1.139 7.953 *** 0.180 1.139 제조업체수 -26.980 *** -0.103 1.023-27.173 *** -0.091 1.023 N 1,164 1,164 R square 0.431 0.391 Adjusted R square 0.421 0.381 Note) *=p-value<0.1, **=p-value<0.05, ***=p-value<0.01 B: 비표준화계수, β: 표준화계수, N: 샘플수, VIF: 분산팽창계수 1,164 개의전체조사지점가로를대상으로측정된다중회귀분석모델에서의각변수들에대한결과를살펴보면, 주중과주말시간평균보행량에대한모델측정결과가매우유사함을알수있다 ( 표4). 두모델모두공동주택및근린생활시설의밀도, 토지이용의혼합도, 지하철역거리, 보도폭, 차로수, 경사로변수가통계적으로유의한설명변수로측정되었다. 근린생활시설밀도와토지이용혼합도, 보도폭, 차로수는시간평균보행량수와양 (+) 의상관관계를보이고있는반면, 공동주택밀도가높거나가로의지하철역접근성이떨어지는경우보행활동에악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났다. 주중과주말모델에서보행권변수중가장큰영향력을주는변인은근린생활시설밀도 (β=.286, β=.294) 인반면조사지점변수중가장큰영향력을주는변인의순위는다르게나타났다. 주중보행량의경우차로수가가장큰영향력 (β=.189) 을가지며이어저층부소매상업점포의비율 (β =.186), 지하철역까지의거리 (β=-0.121), 보도폭 (β=.114) 순이었으며, 주말모델에서는소매상업비율 (β=.180) 이보랭량에가장큰영향력을가지며이어보도폭 (β=.121), 차로수 (β=.114), 지하철역거리 (β=-.094) 순의영향력을보였다. 업무시설밀도와조직및가로체계관련변수의경우주중과주말의모델이서로다른결과를보이고있다. 주중의업무시설비율과가로의건폐율은 10% 증가시시간당 4.4명, 4.0명의보행량이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으나, 주말보행량에미치는영향은유의하지않았다. 도로길이의경우주중의보행자수와음 (-) 의상관관계를보이고있으며, 이는김기헌외 (2014) 의기존연구결과를뒷받침하기도한다. 가로의도로길이가짧을수록보행량이많아지는결과로도로의길이를짧게하여공간의연결성을높이는것이보행자수 134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 16 권제 2 호 (2015 년 4 월 )
증가에유효한효과를보이고있는것으로판단되나, 이러한결과는전체가로에대한통합적분석보다각가로유형별로추가적인검증이필요하다고생각된다. 따라서다음절에서는가로망특성에따라해당변수들의영향력이어떠한맥락에서서로다른연관성을지니는지에대해추가적인분석을시행하였다. 5.2. 가로유형별보행량영향요인분석앞서군집분석을통해구분한서로다른가로유형별평균시간보행량에영향을미치는요소를판별하기위하여가로유형별다중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 표5). 샘플개수가 37개로제한된 주거위주산업ㆍ업무혼재가로 의경우본분석에서제외하였으며, 총 4개의가로유형별회귀분석의 R Square 값은최소 0.431( 상업위주업무복합가로 ) 에서최대 0.590 ( 업무위주상업가로 ) 으로서비교적양호한설명력을보여주고있다. 다중공선성에대한검사결과모든회귀분석모델의변수들에대한 VIF 값이 5 이하로나타나통계적으로유의한독립변수들간의다중공선성문제가없음을확인하였다. 측정된회귀분석모델에서의각변수들에대한결과를살펴보면, 보행량영향요인이가로유형별로서로다름을알수있다. 우선 업무위주상업가로 에서보행량에가장큰영향력을주는변인은업무시설밀도로 (β=.300) 업무시설밀도가높을수록보행량이많았으며, 다음보도차도겸용도로 (β=-.287), 보도폭 (β=.261), 지하철역거리 (β=-.257) 순으로영향력이나타났다. 이는 업무위주상업가로 의경우저층부건물의용도보다는가로의보행편의성과교통시설의접근성에영향을받음을보여주는것으로서, 지하철역까지의거리가 100m 가까워질수록그리고보도폭이 1m 넓어질수록시간당보행량이 3.9명과 5.3명으로각각증가하였으며, 보도차도겸용도로가보도차도분리도로에비해시간당 32.7 명더적은수의보행량을가지는것으로나타났다. 공동주택비율이 40% 이상인 주거위주상업혼재가로 와 공동주택위주상업ㆍ업무혼재가로 의회귀분석모델의결과를변수별로살펴보면, 모델측정결과가유사하게나타난다. 주거용도비율이압도적으로높은두가로유형의경우공통적인보행량영향요인으로는근린생활시설의밀도, 보행편의시설, 저층부용도특성관련변수가통계적유의성을보였다. 특히가로의물리적여건과관련한변수로는도로길이가짧고차로수가많은가로일수록보행량이많은것으로나타났으며이는주거밀도가높은두가로유형에서의보행활동이주로근린시설과대중교통정류장이위치한대로변으로집중됨을보여줌으로써접근성의중요성을시사하고있다. 또한, 경사가없고보도폭이넓으며보도차도분리와함께횡단보도가갖춰진가로일수록보행량이많은것으로나타나주거밀도가높은가로의경우보행의편의성과안전성확보가보행량과직접적인연관성이있음을확인하였다. 또한 주거위주상업혼재가로 와 공동주택위주상업ㆍ업무혼재가로 의경우공통적으로가로체계나보행편의성관련변수들보다보행권의근린생활시설밀도와함께조사지점가로의저층부용도특성이보행량에더큰영향력이있음이입증되었다. 건물 1층에소매상업점포가하나더늘어날수록 주거위주상업혼재가로 와 공동주택위주상업ㆍ업무혼재가로 의시간당보행량이 4.1명, 3.9명각각증가하는것으로나타난반면, 가로변저층부의제조업체수가하나더늘어날수록시간당보행량이각각 15.1 명, 18.1 명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다. 두가로유형의차이점또한두드러지는데, 주거위주상업혼재가로 의경우공동주택밀도가 10% 높아질수록시간당보행량이 1.5명감소했고, 토지이용혼합비율이 10% 높아질수록보행량이 3.7명증가했다. 반면, 공동주택위주상업ㆍ업무혼재가로 의경우지하철역거리가 100m 가까울수록 1.8명의보행량이증가하였으며, 업무시설비율이 10% 증가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 16 권제 2 호 (2015 년 4 월 ) 135
이정우ㆍ김혜영ㆍ전철민 < 표 5> 가로유형별시간평균보행량다중회귀분석결과 변수 업무위주상업가로주거위주상업혼재가로상업위주업무복합가로 공동주택위주상업ㆍ업무혼재가로 B β VIF B β VIF B β VIF B β VIF 보행권변수 조사지점변수 토지이용 조직및가로체계 상수 (constant) 117.998 ** 46.970 ** 244.941 * 45.144 * 공동주택밀도 -29.764-0.120 1.577-15.498 * -0.088 1.402-76.224-0.160 2.380-9.554-0.043 1.259 근린생활시설밀도 21.448 0.080 1.962 110.368 *** 0.404 2.015 151.025 ** 0.243 1.729 80.061 *** 0.232 2.112 업무시설밀도 48.500 *** 0.300 1.694 6.345 0.024 1.793 46.469 0.117 1.545 29.203 * 0.091 1.784 토지이용혼합도 11.233 0.028 1.467 37.002 *** 0.129 1.314 118.925 0.138 1.623 5.945 0.015 1.387 도로길이 -1.401 ** -0.237 1.910-0.379 * -0.102 2.066 2.699 ** 0.253 2.105-0.724 ** -0.150 2.151 건폐율 17.881 0.030 1.615 11.470 0.023 2.034 223.187 * 0.228 1.257 55.352 0.088 2.270 교통지하철역거리 -0.039 *** -0.257 1.456-0.006-0.058 1.194-0.014-0.032 1.125-0.018 *** -0.148 1.175 보행편의성및안전성 저층부용도 보도폭 5.255 ** 0.261 1.682 2.512 ** 0.116 1.345 1.104 0.024 1.122 2.957 ** 0.106 1.260 차로수 1.354 * 0.149 1.663 2.507 ** 0.132 1.719 4.369 0.110 1.651 2.461 ** 0.109 1.843 횡단보도 16.633 0.142 1.653 10.778 ** 0.113 1.565-46.106 * -0.175 1.213 8.924 * 0.105 1.453 경사로 -15.864 * -0.161 1.210-13.183 *** -0.123 1.052-110.440 ** -0.252 1.214-8.327 * -0.098 1.047 보도차도겸용도로 -32.696 *** -0.287 2.351-7.336-0.031 2.349-39.950-0.127 1.542-11.515 * -0.102 2.165 가로등 0.393 0.002 1.097 0.721 0.005 1.072 67.228 * 0.178 1.240 5.686 0.035 1.047 주차차량 -30.694-0.086 1.134-5.151-0.023 1.036-104.106-0.135 1.215-5.278-0.028 1.055 소매상업비율 3.616 0.132 1.295 4.074 *** 0.233 1.166 0.712 0.018 1.280 3.867 *** 0.178 1.145 제조업체비율 -0.585-0.003 1.162-15.065 *** -0.134 1.036-55.327-0.082 1.332-18.103 *** -0.128 1.080 N 109 422 109 487 R square 0.590 0.458 0.431 0.469 Adjusted R square 0.554 0.446 0.402 0.450 Note) *=p-value<0.1, **=p-value<0.05, ***=p-value<0.01 B: 비표준화계수, β: 표준화계수, N: 샘플수, VIF: 분산팽창계수 할수록시간당보행량이 2.9명더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다. 이는주거밀도가높고상업시설이혼재된가로의경우가로변저층부를중심으로근린생활시설을집중배치하여토지이용혼합도를높임으로써보행량을늘릴수있고, 공동주택비율이가장높은가로의경우주거와업무시설의양적균형을도모함으로써직주근접효과에따른거리활성화유도가효과적임을시사한다. 상업위주업무복합가로 구역에서의보행량영향요인은가로체계와보행편의성관련변수가주로보행량과통계적유의성이있는것으로나타났다. 우선해당가로의건폐율이 10% 늘면 22.3 명의보행량이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이는가로를따라건물이밀도있게배치된곳을중심으로상업가로가활성화될수있음을의미한다. 상업위주업무복합가로 에서보행량에가장큰영향력을주는변인은가로체계변수인도로길이 (β=.253) 로서, 보행권내세가로망의길이의합이증가할수록보행량이증가하는것으로나타났는데, 이러한결과는주거위주나업무위주가로의회귀분석결과와상반된것이다. 이는상업위주가로의경우세가로망이긴이면도로가발달한곳에소규모점포가많이배치되고주요보행유발시설들이많은특성에기인한것으로보인다. 또한이러한차이점은서로다른유형의가로에서일어나는보행활동의특성이상이한것에기인할가능성도배제할수없다. 즉, 주거지나업무중심지가로에서의보행활동의상당부분이주로출ㆍ퇴근이동과같은목적지보행에해당한다면, 주중일과시간이후와주말에보행량이집중되는상업중심지가로에서의보행활동의경우여가보행이많을것임을예상할수있다. 이러한보행특성으로인해상업지의경우자동차의흐름이적고거리를횡단하지않고도양방향건물의이용이가능한이면도로의활용도가높아지는것으로판단된다. 이는 상업위주업무복 136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 16 권제 2 호 (2015 년 4 월 )
합가로 의경우횡단보도가없는곳의가로가횡단보도가있는가로에비해시간당 46명더많은보행량을가지는것과같은맥락으로설명할수있다. 보행편의성변수관련해서는 상업위주업무복합가로 가경사로일경우경사가없는도로에비해시간당보행량이 110명정도감소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이는상업시설이밀집한가로의보행량은다른유형에비해가로의경사도에민감하게반응함을시사한다. 또한가로등이있는가로의경우가로등이없는가로에비해시간당 67명더많은보행자가거리를걷는것으로나타났으며, 이는저녁시간대활용도가높은상업중심가로의경우도시상업가로의야간보행안전성이보행량과밀접한연관성을가질수있음을보여준다. 6. 결론 가로의주간활동인구의보행량을분석하여세분화된공간적도시특성요소가보행활동에미치는영향을분석한본연구결과는서울시내가로유형을분류하고가로별특성에맞춘장기적인가로의종합관리계획을수립하는데활용할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기존의보행공간연구들이토지이용과용도지역규제의합리적기능유도의관점에서특정토지이용특성을가지고계획적측면에서보행권을유형화해왔으나, 본연구는유동인구의시간대별ㆍ요일별활동패턴분석을통해서울시내가로유형을세분화하였다. 따라서실제인구가움직이고집중되는가로의위계적중요도를토대로보행량영향요인을분석한본연구는기존연구들이의존해온기능적차원에서의일괄적인분류방식의한계점 6) 을극복하고있다. 본연구의분석결과, 보행변화패턴을고려한가로의특성은주로오후첨두시간대보행량이높게나타나는 업무위주상업가로, 오후ㆍ저녁시간대의보행량이급증하는 상업위주업무복합가로, 아침과저녁의보행량첨두시간대가분명하게나타나며주중과주말오후의보행량이많은 주거위주상업혼재가로, 저녁시간대에보행량이적은 주거위주산업ㆍ업무혼재가로, 주말보행량이적고주중오전과저녁첨두시간대보행량이많은 공동주택위주상업ㆍ업무혼재가로 로유형화할수있음을보여주었다. 즉, 서울시가로의이용패턴은주거ㆍ상업ㆍ업무ㆍ산업기능들이함께혼합되어나타나며하나의특정토지이용기능만으로가로이용패턴을분석하는데한계가있음을보여주었다. 아울러서울시의가로유형별관리및개발유도가특정토지이용을중심으로이루어질것이아니라복합적인토지이용의특성을고려하여접근해야함을보여준다. 또한본연구는보행량증감에영향을미칠수있는특정계획요소들이가로유형별로상이함을보여주었다. 오후보행량이집중되는 업무위주상업가로 구역의경우보도차도를분리하여보행자의흐름을안전하게유도하고대중교통이용시설의접근성을향상시키면더많은보행을활성화시킬수있음을보여주었다. 오후와저녁에보행량이급증하는상업중심가로의경우가로체계와보행편의시설이보행량에유의미한영향을주는반면, 오전과저녁출ㆍ퇴근시간을제외하고는보행활동이저조한주거위주가로의경우가로의물적환경을이루는가로체계보다도저층부용도나토지이용혼합도특성이보행량에더큰영향력이있음을본연구를통해확인할수있었다. 한편넓은보도폭이나근린생활시설밀도와같은일부변수들의경우가로유형별분석결과에상관없이보행활동증가에도움을공통적으로주는것으로나타나보행친화형가로공간조성의기본은보행공간 < 그림 19> 용도별보행변화패턴 6) 2010 서울유동인구조사보고서에수록된용도지역별 (1ᆞ2ᆞ3 종일반주거, 준주거, 일반상업, 준공업 ) 유동인구보행량의시간대별변화를그래프로나타내면그림 19 와같다. 전체적으로보행량의차이는있으나용도에관계없이 18:00~19:00 시간대에가장많은유동인구를보이고, 출근시간인 07:00~08:00 시간대와점심시간이 12:00~13:0 시간대에유동인구가상승하는비슷한패턴을보인다. 이는단순히용도지역별로보행권을유형화할경우실제가로의위계에따라나타나는다양한보행활동패턴을예측하는데있어서한계가있음을드러낸다.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 16 권제 2 호 (2015 년 4 월 ) 137
이정우ㆍ김혜영ㆍ전철민 의쾌적성확보와보행유발목적지제공과관련이있음을입증한결과로해석할수있을것이다. 특히본연구는가로를활성화하는데있어보행권의토지이용변수와조사지점의정교한물리적변수들을종합적으로고려하여보행환경을디자인하는데중요한설계요인을검토하고산출하였다. 이는각개별조사지점마다보행권내시설의용도특성과조사지점의보행환경특성요소가다른것을이용하여거리활성화를위한개발의주안점을선정하는데활용할수있을것이다. 주거위주의가로는개발이고도화된상업이나업무위주의가로에비하여오후시간대에가로이용이저조한점을고려할때, 보행권전체면적의일정비율을업무기능으로확보하여직주근접을꾀하고저층부에소매상업점포의추가적인입지를통한토지이용의복합도를높이는것이보행량확보에유리하며횡단보도를설치하여보행의편의성을높이는것이주거지가로의활용도를높이는좋은대안이될수있을것이다. 반면에업무나상업위주가로의경우토지이용의혼합수준이이미상당한정도에이르러추가적인토지이용복합화는보행량증가에미치는영향이상대적으로약화된것으로보이며, 토지이용적측면보다는가로체계를정비하고조사지점가로의보행편의성을높이는가로시설을보완하는것이더효과적인것으로보인다. 예로 상업위주업무복합가로 의경우저녁시간대가로이용률이급격히증가하므로가로등을설치하고, 대토지분할을통해필지및세가로망을추가생성하여소규모블록단위의가로를따라건물을밀도있게배치하면가장효과적인상업가로활성화를유도할수있을것으로판단된다. 본연구를통해가로유형에적합한선별적인보행지향개발전략이필요함을밝혔으며보행공간조성시토지이용뿐만이아니라유형에적합한가로체계및대중교통의접근성제고와함께가로변저층부의용도특성과보행환경의편의성및안전성에대한종합적인개선을고려하여야함을확인하였다. 이는특히신시가지개발이나재개발과같이공동개발을통하여확보된가로의보행환경조성시도시설계지침정립을위한유용한참고자료로활용가능할것으로기대된다. 예로주거지가로의경우가로공간이생활공간이되도록상가와보행로체계를구성하고, 금융ㆍ업무ㆍ상업시설이밀집한중심가로는충분한폭원이확보된보행전용네트워크를중심으로용도시설들을연계하고보행가로결절부에대중교통시설을배치함으로써가로를활성화시킬수있을것이다. 또한연접가로를따라근린상업시설을조밀하게배치하고경사가없는가로를중심으로상가전용의출입구비율을높이면보행자수요를증진시킬수있을것으로예상된다. 본연구는두가지측면에서한계를지니고있다. 첫째, 다양한근린환경에따라보행자에게실질적인심리적만족도를줄수있는환경요인이다르다는점에서보행빈도만으로보행서비스수준을충분히설명할수있는지, 가로활성화가모든보행환경에서항상유효한가에대해서는좀더논의가필요하다고생각한다. 이런문제를해결하기위해서는, 특히주거중심가로등다양한보행환경에대해보행빈도와보행만족도의실증적관계분석및서비스수준을합리적이고명확히밝힐수있는연구들이선행되어야할것이라고판단된다. 또한가로의성격에따라보행환경의개선이필요한곳과그렇지않은곳을구분하여가로유형에적합한차등적개발전략이필요하다. 기존의보행환경이우수한지점은적정보행밀도를유지하면서대중교통접근성제고와함께교통혼잡이나과밀, 오염, 소음등의부정적영향을줄이는차원에서의보행환경질적개선전략을추진하는것이효과적일것으로사료된다. 둘째, 본연구는가로활력에있어서영향을미치는보행환경요소를분석함에있어그대상을물리적환경요소로제한하였다. 하지만, 가로는물리적인환경만개선한다고해서 138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 16 권제 2 호 (2015 년 4 월 )
활성화되는것은아니다. 도시의환경이보행에유리한환경으로개선되고이러한환경변화가보행활동을증진시키고다시가로활성화에영향을미치는과정은매우복잡하다. 특히가로는도시의이미지를결정짓는중요한공간요소로서지역의위계성및장소의정체성이이용자들이가로를방문할때중요하게생각하는요소일수있다 ( 이상훈외, 2011). 따라서본연구결과를향후계획수립에실질적으로활용하기위해서는가로공간의편리성, 안전성, 쾌적성과같은물리적인환경에더하여거리공간의문화적코드와독특함 (identity), 활력, 분위기와같은비물리적요소들을함께고려하여거리정비방향을제안할필요가있다. 참고문헌 1. 김기헌ㆍ손동욱ㆍ이동훈 2014, 상업가로의물리적특성과보행밀도와의연관성분석, 도시설계, 제15 권, 제5호, pp.161-171. 2. 김선호ㆍ신근창ㆍ양승우 2011, 공간구문론을통한가로보행특성과인터넷사진의상관관계연구 -서울시압구정동을중심으로, 도시설계, 제12 권, 제4 호, pp.127-135. 3. 도로교통안전협회 1984, 보행자의보행속도조사. 4. 류상오 2009, 고령보행자를고려한무장애생활권구축에관한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5. 변미리ㆍ서우석 2011, 도시거리의주간활동인구측정과해석 : 서울시유동인구조사사례, 한국조사연구학회, 12권, 2호, pp.27-50. 6. 서울연구원 2011, 역세권유형별보행량영향요인에관한연구. 7. 서울특별시 2010, 서울유동인구조사보고서. 8. 성현곤ㆍ김태호ㆍ강지원 2011, 구조방정식을활용한보행환경계획요소의이용만족도평가에관한연구 : 종로및강남일대를대상으로, 국토계획, 제46 권, 제5호, pp.275-288. 9. 성현곤ㆍ김진유 2011, 개인의사회경제적속성과보행목적이보행활동량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 : 서울시직장인을대상으로, 서울도시연구, 12권, 2호, pp.73-86. 10. 양우현ㆍ정은욱 2002, 상업가로활성화를위한현황및특성분석, 도시설계, 통권제9 호, pp.5-22. 11. 윤나영ㆍ최창규 2013, 서울시상업가로보행량과보행환경요인의관련성실증분석, 국토계획, 제48 권, 제4호, pp.135-150. 12. 이경환ㆍ안건혁 2008, 지역주민의보행활동에영향을미치는근린환경특성에관한실증분석 : 서울시 12개행정동을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권, 6 호, pp.293-302. 13. 이상훈ㆍ신근창ㆍ양승우 2011, 상업가로로서신사동가로수길의형성과정및활성화요인연구, 도시설계, 제12 권, 제6 호, pp.77-88. 14. 이연수ㆍ추상호ㆍ강준모 2013, 서울시생활권별보행량변화에미치는요인분석, 국토계획, 제48 권, 제5호, pp.197-208. 15. 이주아ㆍ구자훈 2013, 가로의물리적여건과보행량의영향관계분석 : 서울시도심권역, 강남권역, 여의도권역의중심업무지구를대상으로, 국토계획, 제48 권, 제4 호, pp.269-286.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 16 권제 2 호 (2015 년 4 월 ) 139
이정우ㆍ김혜영ㆍ전철민 투고 2015.02.11 1차심사완료일 2015.03.14 2차심사완료일 2015.04.02 게재확정일자 2015.04.07 최종수정본접수 2015.04.15 16. 이주아ㆍ이훈ㆍ구자훈 2014, 가로의물리적여건에기초한보행량영향요인분석 국토계획, 제49 권, 제2호, pp.145-163. 17. 진형석 2013, 역세권유형별도시구조특성과유동인구간의연관성분석 : 서울시지하철역을중심으로, 홍익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18. Handy, SL 1996, Urban form and pedestrian choices: study of Austin neighborhood,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552. no. 1, pp.135-144. 19. Frank, LD et al. 2004, Obesity relationship with community design, physical activity, and time spent in car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 27, no. 2, pp.87-96. 20. Lee, C & Moudon, AV 2006, Correlates of walking for transportation or recreation purposes.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 Health, 3, pp.77-98. 21. Oliver, LN et al. 2007, Comparing circular and network buffer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and use on walking for leisure and errand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eographics, vol. 6, no. 41, pp.1-11. 22. Perry, CA 1929, The Neighborhood Unit: A Scheme of Arrangement for the Family-Life Community. New York: Regional Plan of New York and Its Environs. 140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 16 권제 2 호 (2015 년 4 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