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현 * 김진숙 ** (* 서울아산병원이비인후과, ** 한림대학교언어청각학부 ) 김지현 김진숙.. 언어청각장애연구, 2002, 제7권, 제3호, 160-178. 골전도청성뇌간유발반응검사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는유소아의와우발달상태와청력의형태를추정할수있으며, 전음성난청자와외이도폐쇄증이있는환자에게사용할수있다고알려져있다. 이에본연구에서는정상청력을지닌 20대의성인을대상으로골전도 ABR과주파수정보를얻을수있는 Tone Burst (TB) 를이용하여임상에서골전도의유용성을알아보려하였다. 공기전도와골전도에사용된자극음은 Click, TB500, TB2000을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역치는공기전도가골전도보다낮게나타났으나, TB2000에서만골전도역치가더낮았다. 잠복기는 Click과 TB2000에서만공기전도가더길었으며골전도에서는 TB500에서만잠복기가더길게나타났고, 또한모든검사반응의진폭에서는골전도가더크게나타났다. 골전도에서도자극강도가감소함에따라잠복기는증가하는형태를보여 Intensity-Latency Function 을보였고진폭은감소하는형태를나타냈다. 골전도의잠복기는 TB500, TB2000, Click의순이었으며, 잠복기는모두서로유의미하게다른것 (p <.001) 으로나타났으나진폭은 40, 50 db의 ipsilateral에서만유의미하였다. 골전도와공기전도의차이는 50 db의 Click과 TB2000이유의미한차이 (p <.05) 를보였다. 자극강도의변화에따른기울기를추정하면 Y =a+bx라는공식을얻을수있는데잠복기의기울기 b와절편 a 모두유의미하였고각자극음에따라달라 Frequency Specificity도증명할수있었다. 핵심어 : ABR, 공기전도, 골전도, Tone Burst (TB), Click, 잠복기, 진폭 Ⅰ. 서론 청성뇌간유발반응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이란, 음향자극으로청각기관을통한전달과정을거친후달팽이관내에서발생된전기신경자극이청신경다발의신경체를자극하게되는데자극한후약 10 ms 이내에나타나는연속적인유발반응의파형이잠복기를지나나타나는활동전위를두피에서잡아내어기록하는것이다. 이를근거로임상적으로두가지에쓰이는데첫째, 유소아나성인모두에게적용하지만주로성인에게쓰이는뇌간청각경로를진단하는신경진단법 (neurodiagnosis) 이고둘째, 주로유소아와청력평가가 160
불가능한어린이나성인에게적용하는말초적청감각역치를구하는청력역치추정법이다. 이렇게사용되는 ABR은공기전도를이용하며, 자극음도 Click으로주로사용되고있다. 공기전도를이용하면청력역치를추정하여신경경로의이상유무를진단할수있으나, 상대적으로많은비중을차지하는전음성난청이있는경우와, 선천적외이도폐쇄증이있는경우에는청력의형태를알수없어진단이나검사의판정이어려운점이있고, 유소아의경우에는와우의성숙에의한청력의변화의정보를공기전도에서는알수없기때문에골전도를이용한 ABR이필요하다. 또한주로사용되는 Click은생성시간과지속시간이짧고넓은영역의주파수에너지로와우의넓은지역을자극시켜청신경뉴런들을동시에효과적으로흥분시키는장점이있다. 그러나 Click은 1000-4000 Hz의주파수를주로자극시켜와우의고음역대부근의정보를얻기때문에 1000 Hz 이하저주파수의정보를알수없다. 그래서특히저주파수의청력이감소되는전음성난청은 ABR로진단하기어려운점이있다. 이런이유로특정주파수기능의평가를위해주파수특이성이있는자극음을이용하는것인데그중 earphone의주파수반응의존성이높지않은 Tone Burst 자극을사용하는방법이널리사용된다 ( 이미숙, 1999). 국내에서인위적으로유발된전음성난청에서의공기전도및골전도 ABR에관한연구에서순음청력도와골전도의 2000 Hz와 4000 Hz의 Logon을이용하여정상귀와, mold로인위적인전음성난청으로유도하였을때의역치, Latency, Morphology 등의차이를비교하였다. 그결과골전도를공기전도와같이시행하면, 골전도에서도실제의청력을잘나타내기때문에난청의유형과청력을알수있게된다. 이것으로골전도 ABR의임상적유용성이있음을제시하였다 ( 장선오외, 1995). 국외에서는정상유소아와정상성인의골전도 ABR의비교논문에서 500 Hz와 2000 Hz Tone으로골전도 ABR을시행하였을때 500 Hz에서는 2000 Hz의역치보다좋으며, 성인보다소아의역치 Latency 결과가더짧고, 9-17 dbhl 정도더효과적이라는연구결과가제시되었다 (Foxe & Stapells, 1993). 이에본연구는청력의형태와유소아의청력의변화를알수있는골전도 ABR검사와주파수특이성정보를얻어낼수있는 Tone Burst와특히저주파수를이용한골전도 ABR을연구함으로써국내에서부족한골전도 ABR의기초연구에보탬이되고자 Tone Burst를이용한골전도 ABR의임상적적용의근거와유용성을알아보려한다. 순음과고막반응검사상정상인의순음청력검사의역치를구하고 Click, Tone Burst 500 Hz ( 이하 TB500), Tone Burst 2000 Hz ( 이하 TB2000) 의공기전도 ABR과골전도 ABR의역치와 50 dbnhl, 40 dbnhl, 30 dbnhl의절대잠복시간결과그리고 Wave V의증폭크기를비교하였다. 161
언어청각장애연구 Ⅱ. 연구대상및방법 1. 연구대상 20대 (21-29세) 의이과적병력이없으며중이검사결과유형이 A형이며, 순음청력검사결과 250-8000 Hz에서 25 dbhl 이내의정상청력을가진 20명을대상으로하였다. 양귀중더좋은쪽청력을가진귀를선택하고, 검사당시음주나약물복용여부를확인한후 2 회에걸쳐검사를시행하였다. 2. 검사장비 순음청력검사는 GSI 61 Clinical Audiometer를사용하였고, 중이검사는 Welch Allyn의 GSI 33 Middle Ear Analyzer를사용하였다. ABR 기계는전기적으로보호가되며소음차단이된방음실에서 Nicolet 사의 Viking System Evoked Potential Program Ⅳ D를사용하였다. Electrode는전도성이높은 Gold Electrode를사용하였고, Air Sound Transducer 는 Nicolet사의 TIP 300 Insertphone을사용하고, Bone Sound Transducer (vibrator) 는 Radioear B-70 B를사용하였다 (< 그림 - 1> 참조 ). 3. 검사준비 Electrode가위치할자리부분에 Nuprep을이용하여거즈또는면봉으로닦고, electrode에전도크림 (electrode cream) 을묻혀피검자의두정부 (Vertex) 에부착하고, 전두정부 (forehead) 에 ground 전극을부착하였다. 기준전극은공기전도는좌우유양돌기 (mastoid) 에, 골전도는음자극을주는쪽 (ipsilateral) 의귓볼 (earlobe) 에반대편 (contralateral) 은유양돌기 (mastoid) 에위치시켰다. 공기전도전달은 Insertphone을외이도에삽입하고, 골전도의 Bone Vibrator 는측정귀의유양돌기에위치시킨후고정하여자극을전달하였다. Electrode의저항을 5kΩ 이내로전극간의차이는 1kΩ 이내가되도록조정하여검사가일정하고, 잘유지되도록낮추었다. 검사의조건은 < 표 - 1> 과같다. 4. 검사절차 첫째, 먼저중이검사를하여 Tympanogram 이 A Type 인지를확인한후순음청력검 162
사를실시하였다. 순음청력검사는 250-8000 Hz까지공기전도와골전도모두를검사하여, 전주파수가 25 dbhl 이하가되면 ABR을시행하였다. 둘째, 순음청력검사가좀더좋거나, 똑같으면전화기를주로사용하는쪽귀를선택한후공기전도 Click, TB500, TB2000으로시행하였다. 셋째, 다시중이검사를실시하여중이상태를확인한후골전도 ABR을공기전도를검사하였던귀에 Click, TB500, TB2000으로시행하였다. a. 자극음파형 (Acoustic waveform) b. 주파수분석 (Spectral analyses) < 그림 - 1> 공기전도체, Insertphone (Nicolet TIP 300) 과골전도체, Vibrator (Radioear B 70B) 의자극음파형과주파수분석 (Struart, Yang & Stenstrom, 1990). 163
언어청각장애연구 < 표 - 1> 검사조건 Response Setting Electrode Type Electrode Array* Window Filter Channel Average sweeps Gold cup electrode Cz/left mastoid Cz/right mastoid Fpz ground 50 ms 30-3000 Hz 2 2000 Stimulus Settings Type Intensity Polarity Rate Tone Burst (2-1-2, Total cycle is 5) Click 50, 40, 30 dbnhl and threshold Alternating 21.1 Hz Tone Burst Condition Condition 1 Condition 2 500 Hz 2000 Hz * Bone conduction 에서는 ipsilateral 의 electrode 를 earlobe 에위치시킨다. ** Window 는최소 25 ms 이상이면되지만본연구의검사장비의한계로인하여 50 ms 로하였다. Ⅲ. 결과 총 20명의피검자는남자 2명 (10 %), 여자 18명 (90 %) 이며피검자의평균나이는 24.65 년 (SD 1.46) 이었다. 실제측정한귀는오른쪽이 12명 (60 %), 왼쪽 8명 (40 %) 이었다. 1. 각자극간의역치결과 각자극음에따른역치에서공기전도보다골전도의역치가더낮은것은순음청력 500 Hz, 2000 Hz와 ABR의 TB2000 Hz이고, 나머지 Click과 TB500은공기전도보다골전도의역치가더높았다 (< 표 - 2> 참조 ). ABR 역치의잠복기는 Click과 TB 2000은공기전도가골전도보다더길게나타나고, 164
TB500에서는골전도가공기전도보다길게나타났다 (< 그림 - 2> 참조 ). 역치의잠복기중 TB500이가장길었고그다음은 TB2000, Click의순으로나타났다. 또한 ABR 역치의각자극음형태의진폭을공기전도와골전도를비교하였을때진폭은자극음의형태와상관없이항상공기전도보다골전도가더컸다. 진폭은공기전도에서 TB2000이가장크고 TB500, Click의순이고, 골전도는 TB500이가장크고 TB2000, Click의순이었다 (< 그림 - 3> 참조 ). < 표 - 2> 공기전도와골전도의역치 ABR Click ABR TB500 ABR TB2000 PTA 500 Hz PTA 2000 Hz SD: Standard Deviation PTA: Pure Tone Audiometry Air Threshold (SD) 8.25 (2.94) dbnhl 11.75 (4.94) dbnhl 6 (4.17) dbnhl 5.75 (4.06) dbhl - 3.25 (4.94) dbhl Bone Threshold (SD) 10.25 (4.72) dbnhl 12 (4.10) dbnhl 5.75 (4.38) dbnhl 4.75 (5.25) dbhl -4.5 (0.26) dbhl Click < 그림 - 2> 각자극종류별역치의잠복기 165
언어청각장애연구 Click < 그림 - 3> 각자극종류별역치의진폭 2. 각자극간의강도에따른결과 각자극간의잠복기를비교할때 Click, TB500, TB2000 모두 50 db에서 30 db로자극강도가줄어들수록잠복기는증가하였다. 각자극강도에서공기전도와골전도모두에서잠복기는 TB500이가장길고 TB2000, Click의순으로나타났다. 또한공기전도와골전도를비교하면 Click과 TB2000은공기전도의잠복기가더길고, TB500은골전도의잠복기가더길다 (< 그림 - 4> 참조 ). 각자극간의진폭은강도가낮아질수록그와비례하여진폭정도도줄어들었다. 자극간진폭은모든강도에서공기전도보다골전도에서크게나타났다. 공기전도에서는 Click이가장큰진폭을가졌고그다음으로 TB500, TB2000의순이었고골전도에서는 TB500이가장크고 Click, TB2000의순서를나타냈다 (< 그림 - 5> 참조 ). Contralateral ( 이하 contra) 에서는잠복기 (< 그림 - 6>) 와진폭 (< 그림 - 7>) 모두 ipsilateral ( 이하 ipsi) 과같은형태를나타냈다. 잠복기에서 contra가 ipsi보다더길었으며 (< 그림 - 8>, < 그림 - 9>, < 그림 - 10> 참조 ), TB500 공기전도에서만큰차이를보였을뿐다른자극음에서는 ipsi와 contra의차이가거의없었다 (< 그림 - 11> 참조 ). 진폭에서공기전도보다골전도가모두크게나타났으며, ipsi보다 contra의크기가작았다. 166
Click Air TB500 Air dbnhl < 그림 - 4> 각자극종류별 ipsilateral 의 50, 40, 30 dbnhl 의잠복기 dbnhl < 그림 - 5> 각자극종류별 ipsilateral 의 50, 40, 30 dbnhl 의진폭 167
언어청각장애연구 dbnhl < 그림 - 6> 각자극종류별 contralteral 의 50, 40, 30 dbnhl 의잠복기 dbnhl < 그림 - 7> 각자극종류별 contralteral 의 50, 40, 30 dbnhl 의진폭 168
50 db Latency < 그림 - 8> 50 dbnhl 의 ipsi 와 contra 비교 40 db Latency < 그림 - 9> 40 dbnhl 의 ipsi 와 contra 비교 169
언어청각장애연구 30 db Latency < 그림 - 10> 30 dbnhl 의 ipsi 와 contra 비교 dbnhl < 그림 - 11> ipsi 와 contra 차이값 170
3. 자극종류에따른통계적분석 동일자극음의크기에서자극음의종류에따른통계적분석 (ANOVA사용) 결과잠복기를기준으로각자극음의종류가모두서로유의미하게다른것으로나타났다 (p <.001). 동일자극음의크기에서자극음의종류에따른결과진폭은공기전도에서는 40, 30 dbnhl의 ipsilateral과 contralateral 모두유의미한차이 (p <.01) 를나타냈고, 나머지 50 dbnhl는차이가없는것으로나타났다. 골전도에서는 50 dbnhl 의 ipsilateral만유의미한차이 (p <.01) 가있고, 나머지모두유의미하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4. 공기전도 ABR 과골전도 ABR 의차이에대한통계적분석 같은자극강도의공기전도와골전도차이 (paired t-test) 를잠복기로비교할때 50 dbnhl에서는 Click과 TB2000은통계적분석에서도유의미한차이가있는반면, TB500에서는수치적차이는있으나통계분석 (p <.05) 의결과로는모두유의미한차이가없는것으로나타났다. 그리고 40 dbnhl 과 30 dbnhl에서는 50 dbnhl에서와마찬가지로 Click과 TB2000에서는유의미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으나, TB500은 ipsilateral만유의미한차이를보였고, contralateral은유의미한차이 (p <.05) 를보이지않았다. 진폭에서같은자극강도의공기전도와골전도차이는 50 dbnhl 의 TB500와 40 dbnhl Click의 ipsi와 30 dbnhl Click 그리고 TB2000의 ipsilateral은유의미한차이가없었다. 그외나머지는유의미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p <.05). 5. 자극강도의변화에따른기울기추정분석 본결과를근거로임의적으로기도와골도 ABR의잠복기 (y) 를추정할수있는방정식을구할수있었다. 50 dbnhl에서 30 dbnhl 로강도가줄어들때잠복기는늘어나고진폭은줄어드는각수치의변화량을이용하여 y=a+bx라는직선그래프방적식을구할수있다. 강도에따른변량을 50 dbnhl은 0, 40 dbnhl은 1, 30 dbnhl은 2로가정하고단순회귀분석으로 y절편 a와기울기 b를구하여보았다. a와 b의각 standard error (SE) 값을다음의공식에넣어구한수치 S가 0을포함하면유의하지않고, 0을포함하지않으면유의미한것이다. S= ± (1.96 s S.E) * 는 a 또는 b 171
언어청각장애연구 a, b의 SE값을위공식에대입하여본결과잠복기의 y절편 a와기울기 b 모두유의하다고나타났다. 그러나진폭에서는 y절편 a는유의하지않고기울기 b만유의하다는결과가나왔다. 세부적으로잠복기는 Click과 TB2000에서는공기전도보다골전도가더작고 TB500 에서는반대로공기전도보다골전도가더크다. 자극종류간크기는 TB500이가장크고 TB2000, Click의순으로나타났다 (< 표 - 3> 참조 ). 진폭은 y 절편 a, 기울기 b 모두모든자극음에서공기전도보다골전도의값이더크다. 그리고 Click과 TB2000의골전도는 ipsilateral이 contralateral보다큰값을가지고, 공기전도에서는 Click이가장큰값을갖고, TB500, TB2000의순이고, 골전도에서는 TB500이가장크고, Click, TB2000의순서를나타냈다 (< 표 - 4> 참조 ). < 표 - 3> 잠복기의 y 절편 a 와기울기 b a b Click Air Bone 6.0942 5.5658 0.4625 0.4375 TB500 Air Bone 9.5250 10.0507 0.300 1.1136 TB2000 Air Bone 6.8617 6.3208 0.5550 0.4725 < 표 - 4> 진폭의 y 절편 a 와기울기 b a b Click Air Bone 0.6115 0.8015-0.0551-0.1558 TB500 Air Bone 0.5037 1.5279-0.1138-0.5895 TB2000 Air Bone 0.4772 0.6923-0.0865-0.1475 172
Ⅳ. 논의 본연구결과, 절대적역치의순서는공기전도와골전도모두에서순음청력역치, TB2000, Click, TB500의순이다. 골전도역치의순서결과는 Kramer (1992) 의연구결과와동일하다. 공기전도의순음청력역치와 Tone Burst ABR의역치를비교하여보면 500 Hz는 6.0 db이고, 2000 Hz는 7.5 db정도차이가난다. 또한골전도의순음청력역치와 Tone Burst ABR의차이를비교해보면 500 Hz와 2000 Hz는각 5.25 dbnhl 과 10.25 dbnhl이다. 이러한결과로볼때, 순음역치를예측하는것은 500 Hz에서는골전도 TB500이더좋고, 2000 Hz에서는공기전도 TB2000이더좋다. 이미숙 김진숙 (1999) 의연구에서는 Click보다순음역치의예측은 TB가더좋기때문에주파수별특성과역치를얻기위한 ABR은 Click보다 Tone Burst가사용되어야한다고하였다. Kramer (1992) 는골전도 ABR의 30 dbnhl에서 Click과 Tone Burst 모두에서 100 % Wave V를얻었으나 20 dbnhl에서는 Tone Burst에서 80-87 % 의약간저조한결과를얻었다. 본연구결과에서도 30 dbnhl 에서는 Click, TB500, TB2000에서모두 100 % Wave V를얻었으나 20 dbnhl 에서는 Click과 TB2000은발현율이 100 % 인데반해, TB500에서만 95 % 였고, 10 dbnhl에서는 Click은 70 %, TB500은 50 % 로발현율이저조하였지만 TB2000에서는 90 % 로상대적으로높은 Wave V의발현율을얻을수있었다. 그러나 Stapells & Ruben (1989) 은유소아를대상으로실험한결과 20 dbnhl까지 Click, TB500, TB2000에서모두 100 % Wave V를찾을수있었다. 이런결과의차이는기록의기술적인차이점이있다고사료된다. 예를들면, 기록하는기계가연구마다서로다르며자극방법이양측과단측인점의차이가있다. 그외차폐의사용여부와자극속도도서로달랐다. 특히 Kramer (1992) 와의가장큰차이점은기록하는기계의출력음보정의차이로사료되고, Stapells & Ruben (1989) 의연구와의가장큰차이는피검자의나이에의한영향으로사료된다. 골전도체에대한두개의저항이성인과유소아간차이가있는데이차이에대한원인은유소아와성인의발달상의요인이며, 이러한차이점은특히 500 Hz 반응이성인보다유소아에서더잘나타나는것으로증명되었다 (Cornacchia, Martini & Morra, 1983; Yang, Rupert & Moushegian, 1987). 본연구에서강도에따라잠복기를비교하여보았을때 50, 40, 30 dbnhl 모두 TB500이가장길고, 그다음이 TB2000, Click의순으로나타났는데정상성인의골전도를연구한 Kramer (1992) 와유소아의골전도를연구한 Stapells & Ruben (1989) 의연구에서도 Click과 173
언어청각장애연구 TB2000에비해 TB500의잠복기가길게나타났다. 이러한이유는세가지로볼수있다. 첫째, TB 500은 Click과 TB2000 보다긴 Rise time을갖고있다. 둘째, 500 Hz의기전이와우의첨단부에위치해서자극음의진행시간이길기때문이다. 그리고셋째, TB500은 Click과비교하여신경을동시다발적으로자극시키는효과가저조하기때문이다 (Gorga, Kaminski, Beauchaine & Jestead, 1988). 강도에따른진폭을살펴보면잠복기와반대로강도가감소할수록진폭도줄어드는형태를보였다. 그리고각자극종류별의공기전도와골전도를비교하여보면골전도가공기전도보다자극음의종류에상관없이항상더컸다. 자극종류간의크기를비교하면공기전도에서는 Click이가장크고, 그다음이 TB500과 TB2000이었다. 또한골전도에서는 TB500이가장크고그다음은 Click, TB2000의순이다. 그러나이러한차이는통계적분석에의하면유의미한차이가없었는데, Kramer (1992) 의연구에서도골전도에서 TB500과 TB2000 차이가없다고하였으나 Foxe & Stapells (1993) 는골전도 ABR의 TB500이 TB2000보다진폭이크다고하였다. 이러한차이는 (1) 소리자극의보정의차이로인한결과이며, (2) 진폭을측정하는기술적방법에의한차이가있을수있고, (3) 차폐음의유무에의한차이가원인이다. 또한부수적으로기록장비와자극전도체그리고검사방법의차이를들수있다 (Kramer, 1992). 본연구의각자극음종류간의차이를통계적으로분석해본결과공기전도와골전도에서모두매우유의미한 (p <.001) 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이것으로미루어보아 TB500과 TB2000에서주파수별정보가 Click과다르게나타나는것으로사료되어, 골전도에서도공기전도와마찬가지로 Tone Burst의주파수별특이성을가지고있다고추측될수있다. 본연구결과에서골전도와공기전도의잠복기를비교하였을때수치적으로는모든결과에서차이를보였으나통계분석결과로는 50 dbnhl 의 Click과 TB2000은유의미한차이 (p <.05) 를나타냈으나 TB500은차이가없었다. 그리고 40 dbnhl와 30 dbnhl 에서는 Click, TB2000의 ipsi와 contra 모두유의미한차이를보였고, TB500의 ipsilateral 또한유의미한차이 (p <.05) 를보였다. 차이를비교하여보면 40 dbnhl 의 Click과 TB2000에서는골전도와공기전도의잠복기의차이가각 0.51 ms, 0.65 ms 정도골전도가더짧았고, 반면 TB500의골전도와공기전도의잠복기차이는 0.64 ms정도골전도가더길었다. 이렇게 TB500 자극에서공기전도보다골전도가더길게나오는이유는두개를통해전도되는요인 ( 매질 ) 의차이에의한잠복기의지연이일어나기때문이다. 공기전도는외이도의공기를매질로하여고막, 이소골에서증폭되어와우로전달되고, 골전도는측두골을전달매질로하여전달이되는데, 174
이측두골에의하여와우로전달되는경로는 (1) 골전도체에서소리자극이측두골을진동시켜이소골로전달되어와우로전달되는경로, (2) 측두골의진동이와우의골부벽으로전달되어모세포에전달되는경로, 그리고 (3) 측두골의진동이외이도골부로전달외이도내의공기를진동시켜음향에너지를생성공기전도와같은경로를통하여와우에전달되는방법이다 (Boezeman et al., 1983; Hall, 1992). 본연구에서각자극음에서 50 dbnhl에서 30 dbnhl로변할때잠복기의변화를단순회귀분석을이용하여분석하여보면, y=a+bx라는공식에서 a와 b를구할수있는데여기서 a는 y절편으로잠복기를나타내기때문에 a값만으로도잠복기가어느정도인지알수있다. 따라서 TB500의잠복기가가장긴값을가지므로 y 절편 a가가장큰값을가지게된것이다. 그리고기울기 b는 Intensity Latency Function 을나타내는데각자극음 Click, TB500, TB2000의기울기 b값이다르게나타나므로각자극음의주파수특성을나타낸다고추정할수있고, 이잠복기의방정식은변량 x값을정하여준다면어떤자극강도에서의잠복기를추정할수있다. 그러므로검사중 Stimulus Artifact와큰자극음에서피검자의불편으로의한 Artifact로검사를시행할수없거나, 검사중누락된자극강도의 latency를추정할수있다. 본결과에서의기울기 b는 TB500이가장컸고그다음으로 TB2000, Click의순으로나타났다. Foxe & Stapells (1993) 의연구에서도기울기가 TB500, TB2000, Click의순으로나타났다는보고는있지만, 실제 y=a+bx라는선형그래프공식으로나타내지는않았다. 본연구결과로골전도 ABR은공기전도 ABR과유사한반응을보이는것으로관찰되었다. 그리고 Tone Burst를이용한자극또한 Click의저주파수정보의부족한점을보안하여주파수별정보를얻는데유용하게사용될수있음을보았다. 물론역치와잠복기의차이를보이지만더많은데이터를수집하여이들을표준화시키고반대편귀의차폐를하는적당한정도를연구하여실제임상에서적용할수있게한다면, 공기전도와 Click의단점을보완하여 ABR검사결과의신뢰도를높이고더많은정보를얻어낼수있기때문에좀더유용하게활용할수있을것이라사료된다. Ⅴ. 요약및결론 20대의순음청력역치상 25 dbnhl 이내에포함되는정상청력을가진성인을대상으로공기전도와골전도로 Click, TB500, TB2000의자극음을주고 ABR반응을기록하여다음 175
언어청각장애연구 과같은결과를얻었다. 첫째, 공기전도에서순음청력역치의 500 Hz는 5.75 (4.064) db, 2000 Hz가 3.25 (4.940) db, ABR의 Click은 8.25 (2.936) dbnhl, TB500은 11.75 (4.940) dbnhl, TB2000은 6 (4.168) dbnhl이고골전도에서는순음청력역치의 500 Hz는 4.75 (5.250) db, 2000 Hz는 -4.5 (0.261) db, ABR의 Click은 10.25 (4.723) dbnhl, TB500은 12 (4.104) dbnhl, TB2000은 5.75 (4.375) dbnhl이며 ABR에서 TB2000에서만골전도역치가공기전도역치보다낮게나타났다. 둘째, 역치의 Wave V의잠복기는 Click과 TB2000은공기전도가더길었으며, TB500 에서만골전도의잠복기가더길게나타났다. 진폭에서는모든자극종류에서골전도가더크게나타났다. 셋째, 모든자극종류별자극강도가감소함에따라잠복기는증가하는형태를보였고잠복기의순서는공기전도와골전도모두 TB500, TB2000, Click의순이고진폭에서는강도가감소함에따라진폭도같이감소하는형태를나타냈는데진폭의순서는공기전도에서는 Click, TB500, TB2000이며골전도에서는 TB500, Click, TB2000의순이다. 그리고 ipsilateral 과 contralateral 모두같은형태를나타낸다. 넷째, 잠복기에서는 Click, TB500, TB2000은모두서로유의하게다른것 (p <.001) 으로나타났으나진폭에서는 40, 30 dbnhl 의 ipsilateral만유의미한차이가있고나머지는통계학적으로유의하지않았다. 다섯째, 공기전도와골전도간의차이는 50 dbnhl에서 Click과 TB2000만유의미한차이를보였고, 40, 30 dbnhl 은 Click과 TB2000 그리고 TB500의 ipsilateral만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 (p <.05) 가있었다. 여섯째, 자극강도의변화에따른기울기를추정하였을때 y=a+bx라는공식을얻을수있었는데잠복기의기울기 b와절편 a 모두유의하였고, TB500, TB2000, Click의순으로나타났다. 이러한결과 Intensity Latency Function을알수있으며, 각자극음에따라각각다르므로 Frequency Specificity도증명할수있었다. 진폭에서는기울기 b는유의하게나타났으나, 절편 a는통계적인의의가없었다. 본연구의이와같은결과는 ABR 검사시공기전도뿐아니라골전도로도검사하고, 자극음을 Tone burst로이용한다면유소아의와우의발달상태와청력의형태, 전음성난청자와외이도폐쇄증이있는환자에게사용할수있는임상적인기초자료가될것이다. 그러나임상에서골전도 ABR이신뢰성있게사용되기위해서는더많은인원의표본을수집하여골전도 ABR의각주파수별역치와잠복기의차이를표준화하여야한다. 또한골전도의적정차폐음강도를더연구하여야하고, 골전도체에대한연구와골전도체의위치에대한 176
연구결과가덧붙여져야할것이다. 참고문헌 이미숙ㆍ김진숙 (1999). 뇌간유발반응에서의자극음 Tone Burst 정상치에관한연구. 한림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장선오ㆍ오승하ㆍ유원석ㆍ박현민 (1995). 인위적으로유발된전음성난청에서의공기전도및골전도청성뇌간유발전위. 한이인지, 38, 18-23. Boezeman, E., Kaptyn, T., Visser, S. & Snel, A. (1983). Comparison of the latencies between bone and air conduction in the auditory brainstem evoked potential.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56, 244-247. Cornacchia, L, Martini, A. & Morra, B. (1983). Air and bone conduction brainstem responses in adults and infants. Audiology, 22, 430-437. Foxe, J. & Stapells, D. (1993). Normal infant and adult auditory brainstem responses to bone- conducted tones. Audiology, 32, 95-109. Gorga, M., Kaminski, J., Beauchaine, K. & Jestead, T. (1988). Auditory brainstem response to tone burst in normally hearing subject.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1, 87-97. Hall, J. (1992). Handbook of auditory evoked responses. Boston: Allyn & Bacon. Kramer, S. J. (1992). Frequency-specific auditory brainstem responses to bone-conducted stimuli. Audiology, 31, 61-71. Stuart, A., Yang, E. & Stenstorm, R. (1990). Effect of temporal area bone vibrator placement on auditory brainstem response in newborn infants. Ear and Hearing, 11(5), 363-369. Stapells, D. & Ruben, R. (1989). Auditory brainstem responses to bone-conducted tones in infants. Annals of Otology, Rhinology, and Laryngology, 98, 941-949. Yang, E., Rupert, A. & Moushegian, G. (1987). A developmental study of bone conduction auditory brainstem response in infants. Ear and Hearing, 8, 244-251. 177
언어청각장애연구 ABSTRACT Clinical Application of Bone Conduction Auditory Brainstem Responses to Tone Burst Jihyun Kim (Asan Medical Center) Jinsook Kim (Hallym University) Auditory Brainstem Responses (ABRs) were recorded with Click, Tone Burst (TB) 500 Hz, 2000 Hz air conduction (AC) and bone conduction (BC) stimuli from normal hearing adults. With a Click at 20 dbhl, TB2000 responses were 100 % detectable, but TB500 was 95 % detectable. At 10 dbhl, Click and TB500 were detectable in 70 % and 50 % of the subjects and TB2000 was detectable in 90 %. Latencies in Tone Bursts were significantly longer for BC compaired to AC. Wave V amplitude in BC was always larger than AC. Latency and Amplitude of the response were related to the stimuli. Both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responses were similar in latency, amplitude and morphology. Responses to Click, TB500 and TB2000 were different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Latencies to Click, TB500 and TB2000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However, amplitud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for the responses from ipsilateral 30 and 40 db. When comparing air and bone conduction, only 50 db Click and TB2000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alculated slop b from TB500 was steeper than that of the other stimuli, whereas the slope of TB 2000 and Click were more flat. Moreover, TB500 showed the biggest intercept a. Derived-band analysis indicated a reasonably good frequency specificity for both the Tone Burst response and the bone-conducted Click response, despite it s low frequency spectru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use of BC Tone Burst ABR for demonstrating normal frequency-specific cochlear sensitivity. Key Words: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Click, Tone Burst (TB), Air Conduction (AC), Bone Conduction (BC), Latency, Amplitude, Slop 게재신청일 : 2002 년 9 월 30 일 게재확정일 : 2002 년 11 월 15 일 김지현 ( 제 1 저자 ): 서울아산병원이비인후과청력검사실청능치료사, e-mail: rememberrula@hanmail.net 김진숙 ( 교신저자 ): 한림대학교언어청각학부교수, e-mail: jskim@hallym.ac.kr 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