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위험영향요소기반의위험도산정방법론 Construction Risk Assessment Methodology Using Site Risk Influence Factors 이현수 * 김현수 ** 박문서 *** 이광표 **** 이사범 ***** Lee, Hyun-soo Kim, Hyunsoo Park, Moonseo Lee, Kwang-pyo Lee, Sabum 요 약 건설산업에내재된위험은작업환경, 작업의종류, 작업자의특성등이결합되어발생한다. 건설현장의가변적이며유동적인특성을고려한다면동일공종이라도내재된특성들의조합에따라위험의크기가다르게나타날수있다. 하지만기존의안전관리방식은이러한건설업의특성을반영하지못한체타산업과유사한안전관리를수행하고있다. 이에본연구는건설현장의다양한위험요소를고려한위험도산정방법을제시하기위해선행연구분석및설문을통해위험영향요소를도출하고가중치체계를구축하였다. 그리고빈도와강도기반의공종별위험도를구하였다. 위험영향요소와공종별위험도를결합하여건설현장의상황에맞는위험도산정방법을마련하였다. 이로써건설현장의특성을고려한위험도를구할수있으며, 위험도를바탕으로보다효과적인안전관리활동을펼칠수있을것이다. 따라서본연구는위험영향요소들을고려하여현장특성을반영한위험도를산정하였다는데그의미가있다. 키워드 : 건설안전관리, 리스크관리, 위험도산정, 위험영향요소 1. 서론 1.1 연구의배경및목적 건축물의고층화 복잡화 대형화경향과작업자의높은유동성, 그리고종합생산적인건설업특수성으로인해건설공사중재해에대한위험성은계속증가하고있다. 2007년에발생한산업재해를분석해보면재해자수는건설업이 19,050명 (21%) 으로제조업의 34,117명 (38%) 에이어두번째로높다. 국민총생산및취업자수에서 10% 미만을차지하는건설업은전체재해자수의 20% 이상을차지하는재해다발산업이다 ( 노동부 2007). 높은재해율과재해자수는건설업전반에걸쳐효율적인안전관리가이루어지지않음을보여준다. 현장의안전관리자들은재해를방지하고자재해예방과안전교육등에많은노력을기울 인결과과거에비해개선되었지만, 타산업과비교하면아직개선의여지가많다. 건설산업의안전관리는산업의특수성으로인하여타산업과는다르게수행되어야한다. 안전관리의각단계중위험도산정은예상되는위험을어떤수준에서관리할것인지를결정하는데중요한척도가된다. 기존의위험도산정방식들은위험의빈도와강도의범위를정해위험도를산정하거나 (Jannadi & Almishari 2003), 산재요양일수및산재보험금의총합과횟수를통해위험성평가를실시하는등 (Baradan & Usmen 2006, 이민우, 이찬식 2000) 재해사례및특정요소에집중하여위험도를산정하였다. 하지만건설현장은다양한위험요소및인자들이복잡한관계를이루고있는곳이며, 재해는이러한요소들의결합에따라발생한다고볼수있다 (Toole 2002, Hinze & Gambatese * 종신회원, 서울대학교건축학과정교수, 공학박사 hyunslee@snu.ac.kr ** 일반회원, 서울대학교건축학과, 석사과정 verserk13@naver.com *** 종신회원, 서울대학교건축학과부교수, 공학박사 ( 교신저자 ) mspark@snu.ac.kr **** 일반회원, 서울대학교건축학과, 석사과정 leekp86@hotmail.com ***** 일반회원, 서울대학교건축학과, 박사과정 leesabum@kookmin.ac.kr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제 10 권제 6 호 2009 년 11 월 117
이현수 김현수 박문서 이광표 이사범 2003, Mohamed 2002). 따라서건설업의특성을고려한위험성평가가필요하다 ( 고성석외 2005). 본연구에서는상황에따라작업조건이변화하고, 수많은공종과작업자, 다양한외적환경으로구성되는현장의유동적특성을반영하는건설현장의위험도산정방법론을제시하고자한다. 1.2 연구의범위및방법건설산업에서리스크는넓은의미로프로젝트전반에걸쳐프로젝트에부정적인영향을주는불확실한사건이나상태를말한다. 본연구는리스크관리중재해발생에영향을가지는요소를고려한공종별위험도산정을중심으로수행한다. 위험은작업자에게발생하는재해의강도와빈도로범위를한정한다. 위험도분석과재해발생원인에대한관련연구의동향을조사하여기존위험도산정방식의문제점을고찰한다. 다음으로는문헌고찰과예비설문, 본설문을통하여위험영향요소를도출하고, 계층분석법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이하 AHP라함 ) 을활용하여위험영향요소별가중치를구한다. 그리고위험빈도, 위험강도그리고이두지수의조합을통해공종별위험도를산정한다. 이를바탕으로현장특성을반영한공종별위험도산정방법론을제시한다. 본연구의주요절차는그림1과같다. 방안을도출한다. 2.1 정의위험 (Risk), 위험도산정 (Risk Assessment) 과재해 (Hazard) 에관한많은정의들이있다. Jannadi(2003) 은위험 (Risk) 을특정활동에속하는모든재해의발생가능성, 강도, 노출정도의측정이라고정의하였다. 그리고대부분의안전관리지침에의하면위험은재해의발생가능성과강도의조합으로정의하였다 (BSI 1996, BSI 2000). 위험도산정은위험의크기를예측하고위험의허용범위를결정하는전과정으로정의할수있다 ( 고성석외 2004). 본연구에서는위험 (Risk) 을원하지않는사건 (Event) 의발생빈도 (Frequency) 와강도 (Severity) 의조합으로정의하며, 위험도산정 (Risk Assessment) 은위험에내포된발생가능성과강도를도출하여위험의크기를예측하는것으로정의한다. 2.2 재해예방관련연구동향표 1과같이기존의위험도산정연구들은재해로인한산재요양일수및산재보험금을기반으로위험도를제시하거나발생빈도기반의위험도산정을수행하였다. 또한작업자의직종, 연령, 공사종류에따른위험도산정에관한연구도이루어졌다. 선행연구들은특정한요소를선택하여그요소를중심으로분석하였다. 표 1. 관련연구고찰 2. 선행연구분석 그림 1. 연구프로세스 안전관리및위험도산정에관한많은연구가진행되고있다. 위험에대한정의와선행연구및기존의지표들을분석함으로써기존연구의미비점을찾고자한다. 이를통해위험도산정개선 구분 안전관리및수준 위험도산정및위험요인분석 세구분 현장특성정현장량일반작업자작업작업화환경정보 저자 안전교육 x x x x 김은정외 (2008) x x x x 김만장 (2003) 안전관리 x x x Mohamed (2002) 수준 x x Hinze and Gambatese (2003) x x x Baradan and Usmen (2006) x x x 이종빈외 (2006) 재해사례 x x x 기반 장성록외 (2007) x x x 이민우외 (2000) x 한국산업안전공단 (1999) 리스크 x x x Jannadi and Almishari (2003) 매트릭스기반 x x x Seo and Choi (2008) 기후요소기반 x x x 손창백, 김상철 (2005) * 정량화정도및현장특성반영정도가높은정도에따라,, x 순으로표기함 : 저자구체적반영, : 저자고려및언급, x: 고려및언급되지않음 그러나보다신뢰성있는위험도산정을위해서는현장에존재하는다양한위험요소들을고려해야한다. 동일한시설물을생산할경우과거의재해사례를분석하여당해공종에안전관리업무를수행할수있다. 하지만공사현장에미치는위험은다수 118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제 10 권제 6 호 2009 년 11 월
건설현장위험영향요소기반의위험도산정방법론 의가변적요소들의결합으로이루어져있으며, 작업의내용및조건이공정진도에따라변하며, 건축의특성상작업자들이상시변하기때문에과거의동일한시설물의동일한공종이라도위험도는각현장의특성에따라다르게나타난다. 2.3 재해지표및산정방식분석 국내와미국에서는다양한지표를통하여재해의발생률및강도를판단한다. 이러한방법은현재의상태에대해조사및평가하는것이아니라과거의상황을여러관점에서조사하여현재의상황에적용시켜재해를예방하고자한다. 표 2는국내와미국의주요재해측정지표를정리한것이다. 일반적으로재해위험도산정에사용되는도수율과강도율은각각재해의양적인상태, 질적인상태를표현한다. 하지만두지표의기준시간이다르기때문에빈도와강도를고려한위험도를산정하기위해서는단위를일치시킬필요가있다. 또한건설현장에속하는작업자들의인원수및근로시간이정확하게파악되지않기때문에정확한지수를구하기어렵다. 국내 미국 분류재해율 (Injury Rate) 사망재해율 (Fatality Rate) 연천인율 도수율 ( 빈도율, Frequency Rate) 강도율 (Severity Rate) 재해율 (Recordable Incident rate) 손실시간율 (Lost Time Incident Rate) 표 2. 국내와미국의재해측정지표 내용근로자수 100인당발생하는재해자수의비율 < 재해율 (%) = 재해자수 / 근로자수 X 100> 근로자수 10,000인당발생하는사망자수의비율 < 사망재해율 = 사망자수 / 근로자수 X 10,000> 근로자 1,000 명당 1 년간에발생하는사상자수 < 연천인율 = 사상자수 / 연평균근로자수 X 1,000( 인 )> 산업재해의발생빈도를나타내는것으로연근로시간합계 100만시간당의재해발생건수 < 도수율 (FR) = 재해발생건수 / 연근로시간수 X 1,000,000( 시간 )> 재해의강도를나타내는척도로근로시간 1,000 시간당재해에의해잃어버린근로손실일수 < 강도율 = 근로손실일수 / 연근로시간수 X 1,000( 시간 )> 재해의빈도를나타내는척도로근로시간 20 만시간당재해발생건수 < 재해율 (RIR) = 재해건수 / 총근로시간 X 200,000( 시간 )> 재해의강도를나타내는척도로총근로시간중작업을못하게되는시간 < 손실시간율 (LTIR) = 근로손실시간 / 총근로시간 X 200,000( 시간 )> 표 3은한국과미국그리고대형건설회사 1곳의위험도산정모델을정리한것이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안전보건경영시스템구축에관한지침의위험도산정방식은모든사업장을대상으로적용가능하지만, 건설업의특징을반영하지못한다. 그리고빈도와강도의구분기준이텍스트위주의정성적평가로이루어져있어공종별위험도구분이용이하지않다. 미국방성안전프로그램인 MIL-STD-882B는빈도와강도의정량적구분기준을제시하였지만, 기준이명확하지못하다. 또 한효율적위험도를산정하기위해서는각현장의특성에맞는정의와기준을반영하여야한다. 건설 A사에서실시한위험도산정은건설현장의특성을반영하였지만위험도산정이작업단위로이루어지고, 건축물종류, 작업조건은따로산정하여종합적인위험도산정작업이이루어지지않고있다. 또한안전관리자의경험적판단에의해공종의위험도가산정되어객관성이낮은단점이존재한다. 앞서살펴본바와같이위험의빈도와강도를구분하는기준및용어의정량적특성이부족하며, 건설현장에적용할수있도록정의되어야하다. 이는건설현장에서발생한재해사례를기반으로기존의위험도산정에통합적으로고려되지않았던작업자, 작업환경, 작업에관련된현장의조건을반영함으로써이루어질수있다. 따라서본연구는기존위험도산정의한계점으로파악된현장의특성을반영한특정시점의공종에대한정량적위험도산정모델을제시하고자한다. 3. 위험영향요소산정방법론 기존의연구들을통해재해를유발하는요소들이매우다양하며, 이들의복합작용으로재해가발생한다는것을알수있다. 본장에서는위험영향요소산정방법론과관련된문헌조사를통해재해의발생확률및강도에영향을주는요소들을도출한다. 그리고도출한요소들이재해에영향을미치는정도를 AHP 를통해분석하였다. 3.1 위험영향요소도출 표 3. 기존위험도산정방법 분류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미국방성안전프로그램건설 A 사위험도산정방식 빈도 강도 5 단계 ( 빈번함, 가능성높음, 있음, 낮음, 없음 ) 4 단계 ( 중대재해, 경미한휴업재해, 경미한무휴업재해, 영향없음 ) 위험도 20 단계 (1~20 까지의단계 ) 범위기준 빈도와강도의구분기준부족 5 단계 ( 자주, 보통, 가끔, 거의, 발생않을것같은 ) 4 단계 ( 파국, 위기, 한계, 무시 ) 4 단계 ( 수용가능, 통제아래수용가능, 바람직하지못한, 허용불가 ) 빈도와강도의개략적구분기준제시 3 단계 ( 높음, 중간, 낮음 ) 3 단계 ( 높음, 중간, 낮음 ) 5 단계 ( 매우높음, 높음, 중간, 낮음, 매우낮음 ) 범위의세부기준부족 적용범위모든사업장모든사업장건설현장 한계점 범위의기준이명확히제시되어있지않으며사업장의특성을반영하기어려움 적용을위해서사업장의특성을반영하여야함 안전관리자의경험적판단에따라위험도산정 Heinrich(1939) 는재해발생원인을작업자의불안전한행동과불안전한물리적 기계적조건에의해사고가발생한다고하였다. Chua & Goh(2004) 는재해를발생시키는직접적인요인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제 10 권제 6 호 2009 년 11 월 119
이현수 김현수 박문서 이광표 이사범 으로불안전한상태, 불안전한행동, 작업자특성을선정하였다. 또한 Suraji et al(2001) 은재해의직접적원인으로부적절한건설작업, 행동, 현장조건을꼽았다. 그림 2에서보듯재해요인에관한분류를건설공사에적용시키면불안전한행동과불안전한상태로나눌수있다. 그리고불안전한행동은작업자에의해유발되며, 불안전한상태는작업과작업조건의결합에기인한다. 3.2 위험영향요소가중치앞의절에서총 10 개의요소를도출했다. 요소들의중요도및재해에영향을미치는정도를파악하기위해서는정성적인요소들을정량적으로변환하는과정이필요하다. 따라서요인들의가중치를구하는방법으로 AHP를사용하였다. 이기법은정성적인요소들을정량적으로변환할수있으며, 가중치를구하고자하는값들의쌍대비교를통해가중치를구하는방법이다. AHP를통해앞서제시한 10가지중공종을제외한 9가지위험영향요소를가지고상대적중요도를비교하였다. 비교방법및절차는그림 4와같다. 그림 4. 요소별가중치도출과정 그림 2. 재해발생과정재해를유발시키는인적요인과물적요인에는여러가지의요소들이포함되어있다. 이는안전관리측면에서많은요소들을고려해야함을나타낸다. 하나의사건 (Event) 이발생하는데는많은요소들의상호작용에의해서일어난다. 하지만현실적인한계와획득할수있는자료를고려하여그림 3과같이위험영향요소를도출하였다. 공종을제외하고 9가지요인들만으로설문을실시한이유는위험도산정에있어서공종은과거재해사례를기반으로분석하여현장특성을조합하는방식으로위험도를산정한다. 현장의특성을나타내는것은앞서살펴본 9개의요소로도가능하며과도한요소들의선택은재해자료의획득이어려우며, 분석및처리의복잡함때문에효율이떨어질것이다. 설문지는 AHP를적용할수있도록쌍대비교방법을적용하였다. 설문은안전관리경력이 10년이상의담당자를중심으로배포및회수하였다. 배포한 30부의설문지중 13 부를회수하였으며, 이중일관성지수 (Contingency Index : CI) 가 0.1이하인 7부의설문지를바탕으로요소별가중치를분석하였다. 7부의설문지의쌍대비교한값들을기하평균하여다시 AHP 분석을하였다. 분석의결과는표 4와같다. 공정율과안전교육이각각 0.167, 0.172로상대적으로높은값을나타났다. 또한일관성지수가 0.0049로설문자들의응답에일관성이있다고할수있다. 표 4. 쌍대비교행렬및가중치 그림 3. 위험영향요소도출과정위험영향요소와관련된문헌조사를통해서 27개의요소를도출하였다. 도출된 27개의요소중측정이가능하며, 통계적값이있는 17개의요소를선택하였다. 그리고경력 10년이상안전관리자 ( 안전기사및안전기술사 ) 42명을대상으로한설문을통해 17개의요소중재해에대한영향이큰 10 개의요소를도출하였다. 공정율공사규모공사유형연령직종현장근무안전교육일수 날짜 온도 공정율 1.000 1.952 1.292 1.842 1.511 1.258 0.960 3.524 2.479 공사규모 0.512 1.000 0.869 1.292 0.944 1.000 0.689 1.768 1.575 공사유형 0.774 1.150 1.000 2.034 1.042 1.042 0.635 2.420 1.952 연령 0.543 0.774 0.492 1.000 0.662 0.635 0.445 1.486 1.219 직종 0.662 1.060 0.960 1.511 1.000 1.000 0.624 2.000 2.065 현장근무일수 0.795 1.000 0.960 1.575 1.000 1.000 0.635 2.627 2.155 안전교육 1.042 1.450 1.575 2.246 1.601 1.575 1.000 2.918 2.380 날짜 0.284 0.566 0.413 0.673 0.500 0.381 0.343 1.000 1.000 온도 0.403 0.635 0.512 0.820 0.484 0.464 0.420 1.000 1.000 가중치 0.167 0.104 0.126 0.077 0.115 0.122 0.172 0.054 0.062 120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제 10 권제 6 호 2009 년 11 월
건설현장위험영향요소기반의위험도산정방법론 3.3 가중치상세기준 앞서도출한 9개의위험영향요소의가중치의상세기준을마련하기위해서한국산업안전관리공단의산업재해조사표코드분류집에서제시한분류기준을바탕으로현장안전관리자의의견을종합하였다. 단, 안전교육에관한구분은재해사례로나타나지않으며교육의방식도현장에따라다양하기때문에안전교육의빈도를기준으로구분하였다. 산정방식은각요소의구분별사고발생건수및부상자와사망자수, 작업자투입정도를고려하여위험도를구하였다. 산정방식은식 (1) 과같다. 위험영향요소의구분에따른위험도의평균과각구분별위험도의비로현장가중치를산정한다. 현장가중치를도입한이유는영향요소별구분의수가다르기때문에단순히위험도를넣게되면구분의수가많은영향요소의실질적가중치가줄어들기때문이다. 가중치의상세기준은표 5와같다. 표 5. 위험영향요소별가중치상세기준 구분 정의 전체공정의진행정 공정율 (f1) 구분 (%) ~10 11~20 21~30 31~40 41~50 51~60 61~70 71~80 81~90 91~100 위험도 0.083 0.092 0.124 0.111 0.085 0.099 0.111 0.088 0.107 0.100 현장가중치 0.830 0.920 1.240 1.110 0.850 0.990 1.110 0.880 1.070 1.000 정의 건축물의계약금액 공사규모 (f2) 구분 ( 억 ) ~5 5~10 10~30 30~50 50~100 100~500 500~1000 1000~ 위험도 0.139 0.174 0.132 0.143 0.116 0.084 0.114 0.098 현장가중치 1.112 1.392 1.056 1.144 0.928 0.672 0.912 0.784 정의 건축물의종류 공사유형 (f3) 구분체육사교시설주거숙박시설병원학교시설아파트상업공공시설위험도 0.220 0.159 0.174 0.216 0.231 현장가중치 1.100 0.795 0.870 1.080 1.155 정의 출생시부터생존해온기간 연령 (f4) 구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위험도 0.061 0.197 0.208 0.270 0.264 현장가중치 0.305 0.985 1.04 1.35 1.32 정의 직무의종류 구분 비계공 RC공 지붕공 형틀목공 도장공 미장공 목공 전공 내장공 위험도 0.139 0.134 0.112 0.139 0.137 0.065 0.060 0.042 0.037 직종 (f5) 현장가중치 2.504 2.403 2.012 2.503 2.466 1.170 1.077 0.753 0.671 구분 조적공 용접공 보통인부 방수공 철근공 배관설비공 타일공 견출공 토공 위험도 0.030 0.029 0.015 0.018 0.011 0.007 0.006 0.005 0.014 현장가중치 0.536 0.516 0.265 0.332 0.201 0.117 0.115 0.098 0.259 정의 당해현장에서근무한일수 현장근무일수 구분 ~10일 10~20일 20~30일 1~2개월 2~3개월 3~4개월 4~5개월 5~6개월 6~12개월 1년 ~ (f6) 위험도 0.242 0.199 0.147 0.125 0.097 0.068 0.052 0.038 0.021 0.011 현장가중치 2.42 1.99 1.47 1.25 0.97 0.68 0.52 0.38 0.21 0.11 정의 재해로부터자신을안전하게지키는준비를위한교육 안전교육 (f7) 구분 0 1 2 3~4 5~6 7~8 9~10 11~15 16~20 21~ 위험도 0.327 0.232 0.158 0.092 0.053 0.045 0.037 0.026 0.018 0.012 현장가중치 3.27 2.23 1.58 0.92 0.53 0.45 0.37 0.26 0.18 0.12 정의 1년중현장의현재시점에해당하는월 날짜 (f8) 구분 ( 월 ) 1 2 3 4 5 6 7 8 9 10 11 12 위험도 0.068 0.086 0.173 0.068 0.080 0.086 0.080 0.111 0.049 0.086 0.056 0.056 현장가중치 0.82 1.03 2.08 0.82 0.96 1.03 0.96 1.33 0.59 1.03 0.67 0.67 정의 건설현장의기온 온도 (f9) 구분 (?C) ~0 0~4 4~8 8~12 12~16 16~20 20~24 24~28 28~ 위험도 0.196 0.163 0.109 0.082 0.054 0.043 0.101 0.125 0.128 현장가중치 1.76 1.47 0.98 0.74 0.49 0.39 0.91 1.12 1.15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제 10 권제 6 호 2009 년 11 월 121
이현수 김현수 박문서 이광표 이사범 4. 공종중심위험도산정방법론개발 공종중심의위험도산정방법론은주로과거의재해사례를통계적으로분석하는방법과리스크산정매트릭스 (Risk Assessment Matrix) 를사용하는방법으로나눌수있다. 리스크산정매트릭스는재해의강도와빈도의정도를등급화하여두가지의조합을통해위험도를산정한다. 이방법은시간및노력이적게들어간다는장점이있지만정량적으로위험도를나타내는것이어렵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정량적위험도를산정하기위해과거재해사례를분석하는방법을사용하기로한다. 의특성상 7500일은과하다고판단되어 75세에서연령대별평균나이를빼고거기에 150일을곱하는것으로사망자휴업일수를구하였다. 75세를기준으로선택한이유는건설현장의특성상 60 대의근로자가타산업에비해많아기준을 60대로정하면, 사망자휴업예정일수가지나치게작게나온다. 또한 1년의근무일을 150일로선택한것은옥외작업이많아기후및작업조건에근로일수가큰영향을받기때문이다. 구간은 20대 (25세), 30대 (35세), 40대 (45세), 50대 (55세), 60대 (65세) 로나누었다. 식 (2) 와그림 6과같이위험의강도는부상자와사망자의휴업재해일수를더한뒤공종별재해건수로나누어구한다. 즉, 재해건수당휴업예정일수를위험강도로산정한다. 4.1 위험도산정방법 공종별위험도산정방법은 3가지단계로이루어진다. 첫번째단계는위험강도를산정하고, 두번째단계는위험빈도를산정한다. 그리고마지막으로위험강도와빈도를결합한다. 공종별위험도를산정하기위한자료는 4개의종합건설업체및산하하도급업체의 5년 (2003년 ~2007년 ) 간재해사례를대상으로수집하였다. 재해사례의수는총 596개이며, 세부적으로부상자 537명, 사망자 79명이조사되었다. 공종은건축표준시방서의 23개대공종을중심으로분류하였다. 그중조경공사, 온돌및바닥판공사및특수건축공사를제외하였다. 앞의세공종은공종별투입인원비율을구할수없었으며, 재해사례도부족하였고, 특수건축공사의경우일반공종을취급하기어렵기때문에제외하였다. 그리고추가한두가지공종 (E/V공사, 커튼월공사 ) 은현장에서작업자수에비해재해의강도와빈도가높다는의견을반영하여포함시켰다. 4.2 위험강도및빈도산정공종별위험강도를측정하는정량적인지표는부상과사망으로인한휴업예정일수 ( 이민우 2000) 와보험지급액등이있다. 건설현장의다양한지역분포와직종및임금을고려하면보험지급액은상황에따른편차가크기때문에휴업예정일수를기반으로위험강도를산정하기로한다. 휴업예정일수는부상자와사망자휴업예정일수를더한값이다. 부상자의휴업예정일수는산업안전보건법산업재해통계업무처리규정 (2000) 에따르면하나의확정된숫자가아닌범위로규정하고있기때문에각코드별평균값과코드별부상자의수를곱하여구하였다. 산업재해조사업무처리규정에의하면사망자 1인의휴업예정일수는 7500일로간주한다. 고령자의사망재해가많은건설현장 그림 5. 위험강도산정과정공종별위험빈도를산정하는방법은공종별재해사례와전체재해사례의비를공종별투입인원비율로나누어산정한다. 공종별투입인원비를적용하게되면작업자 1인당위험빈도를구할수있게된다. 위의내용을나타내면식 (3) 과같다. 공종별로투입되는전체작업자가아닌작업자 1인당위험빈도를산정하는이유는현장의규모나공종의종류에따라작업자의수가다르기때문이다. 4.3 공종별위험도위험강도와빈도를구하고난뒤두값을결합하기위해서는 122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제 10 권제 6 호 2009 년 11 월
건설현장위험영향요소기반의위험도산정방법론 변환과정이필요하다. 이를위해상대위험강도와상대위험빈도를도입하며, 강도와빈도는동등한중요도를가진다고가정한다. 상대위험강도와상대위험빈도는각각위험강도와빈도에서가장크기가큰공종을 100으로두고, 나머지공종들을가장크기가큰공종과의비로나타낸다. 이두지수를최댓값 100으로치환한이유는강도와빈도를구한뒤의두지수의상대적인크기가다르기때문에같은중요도를가진다는가정을만족시키기위해서이다. 각각의최댓값이 100으로전환된비교빈도지수와비교강도지수의결합은두지수의기하평균을사용한다. 기하평균을선택한이유는두지수중어느한지수가작거나크더라도산술평균에비해영향을적게받기때문이다. 이를나타내면식 (4) 와같다. 5. 현장위험도산정 현장의위험도는같은공종이라할지라도공사의종류및규모, 공종을수행하는작업자의특성, 그리고작업환경에의해달라질수있다. 가변적인위험도를표현하기위해서는현장의특성을나타낼수있는위험영향요소와과거재해사례를통한공종별위험도를결합하여현장의조건에맞는위험도를산정한다. 5.1 현장위험도산정방법현장위험도는공종별위험도와영향요소를결합하여산정하며방법은식 (5) 와같다. AHP를이용하여구한 9개위험영향요소의가중치 (fw) 와현장가중치 (fs) 를곱하여합한다. 그리고이를공종별상대위험도 (RR) 에곱하여현장위험도 (Rs) 를구한다. 위에서설명한방법으로앞서설명한 596개의재해사례를분석하여공종별위험도를구한결과는표6과같다. 결과를살펴보면지붕및홈통공사와엘리베이터공사의위험도가높게나타난다. 상대위험강도가가장크게나타나는것은엘리베이터공사이며, 상대위험빈도는지붕및홈통공사에서가장크게나타난다. 단, 작업자와관련된위험영향요소의가중치산정시에는각각의요소별로작업자전원의현장가중치를합한뒤작업자의수로나눈다. 식 (6) 은공종에투입된작업자의수가 2명이상일 부상자 재해건수 부상자수 사망자수 휴업예정일수 표 6. 공종별위험도 사망자휴업예정일수 공종별투입위험강도위험빈도상대위험강도상대위험빈도상대위험도인원비율 지붕및홈통공사 12 8 4 2185 9000 932.08 3.66 73.34 100.00 0.55 85.64 E/V공사 5 3 2 354.5 6000 1270.90 2.62 100.00 71.61 0.32 84.63 커튼월공사 8 5 3 996.5 5250 780.81 1.58 61.44 43.14 0.85 51.48 콘크리트공사 237 229 26 11053 88500 423.63 2.78 33.33 75.99 15.38 50.33 철골공사 39 30 9 998 29250 775.59 0.87 61.03 23.80 7.51 38.11 지정및기초공사 37 29 10 1074.5 21000 596.61 0.90 46.94 24.69 7.24 34.04 내외벽공사 40 35 5 872.5 14250 360.06 1.39 28.33 38.04 4.82 32.83 미장공사 39 36 4 3543 9000 319.31 1.15 25.12 41.67 4.40 32.36 가설공사 33 29 4 3475.5 7500 332.59 0.85 26.17 23.09 6.55 24.58 방수및방습공사 15 17 1 243 2250 166.20 1.25 13.08 34.09 2.42 21.11 해체및재활용공사 19 18 1 2841 750 189.00 0.99 14.87 27.13 3.21 20.09 도장공사 12 11 1 310.5 3750 338.38 0.49 26.62 13.41 4.10 18.90 토공사 16 14 3 210 6750 435.00 0.37 34.23 10.13 7.69 18.62 타일및테라코타공사 5 4 1 187.5 2250 487.50 0.32 38.36 8.62 2.66 18.18 기타공사 22 20 2 550 6000 297.73 0.49 23.43 13.25 7.61 17.62 조적공사 9 8 1 85 2250 259.44 0.39 20.41 10.71 3.85 14.79 석공사 12 11 1 157.5 750 75.63 0.86 5.95 23.56 2.14 11.84 창호및유리공사 5 4 1 300 750 210.00 0.24 16.52 6.44 3.56 10.31 금속공사 8 8 0 649 0 81.13 0.42 6.38 11.42 3.21 8.54 수장공사 9 9 0 642 0 71.33 0.29 5.61 8.03 5.14 6.71 단열및방내화공사 7 7 0 88.5 0 12.64 0.92 0.99 25.07 1.28 4.99 목공사 7 7 0 131 0 18.71 0.44 1.47 12.06 2.66 4.21 합계 596 537 79 30610 215250 위험도평균 27.61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제 10 권제 6 호 2009 년 11 월 123
이현수 김현수 박문서 이광표 이사범 때, 연령, 직종, 현장근무일수, 안전교육의현장가중치를구하는방법을나타낸것이다. 식 6에서 fs(n1), fs(n2),, fs(nn) 은작업자 n명의개별현장위험도이며 fs 는위험영향요소별현장가중치의평균이다. 5.2 현장위험도적용그림 6에표현한것처럼현장위험도산정방법을현장에적용시키는절차는크게 3단계로이루어진다. 첫째안전관리자는위험영향요소별현장구분값을입력한다. 입력된값은가중치모듈을통해위험영향요소의현장가중치를산정한다. 두번째로원하는공종을선택하여재해사례 DB 로부터추출한사례들을바탕으로공종별위험도를산정한다. 마지막으로이를결합하여현장의특성을반영한현장의공종별위험도를산정한다. 본방법론이현장에적용된다면특정시점의작업, 작업환경그리고소속된작업자들을고려한위험도를산정할수있다. 또한정량화된위험도를통하여경각심을가지게하고, 모니터링의용이성을확보할수있다. 그리고위험공종에따라안전관리정도를탄력적으로조절함으로써보다효율적인안전관리가가능할것으로예상된다. 행되어효율성이떨어진다. 본논문은이러한현장의특성과재해에영향을미치는다양한요소들을고려한위험도산정방법을제시하기위해수행되었다. 이를위해문헌고찰과설문을통하여 10개의위험영향요소를도출하였다. 그리고 AHP를활용하여공종을제외한위험영향요소별가중치를산정하였다. 그리고재해사례를기반으로한위험강도와빈도기반의공종별위험도를구하였다. 마지막으로건설현장의특징을나타내는위험영향요소와공종별위험도를결합하여현장특성을반영한현장위험도산정방법을제시하였다. 건설현장의안전관리에서가장중요한것은현장구성원들의안전의식과이를바탕으로한안전교육이다. 하지만안전관리활동의사소한오류들과안전의식결여로재해가발생한다. 본연구에서제시한방법론은현장의다양한위험영향요인들을다수의재해사례를분석하여정량화하여위험도를산정함으로써안전에대한인식제고및안전관리의효율을높일수있을것이다. 향후연구에서는제시한위험영향요소와공정을세분화함으로써보다정밀한위험도를산정할수있도록할것이다. 그리고위험도산정의과정이복잡하기때문에현장의안전관리업무효율성향상을위하여위험도산정시스템을개발해야한다. 감사의글 본논문은건설교통기술평가원연구과제 위치정보를활용한건설안전리스크관리기술개발 의지원에의한결과임 ( 과제번호 : 06건설핵심D10) 본논문은건설교통기술평가원연구과제 웹기반분산형린건설정보시스템개발 의지원에의한결과임 ( 과제번호 : 05기반구축D05-1) 참고문헌 6. 결론 그림 6. 현장위험도적용프로세스 건설공사는작업조건, 작업자의특성, 기후및온도등으로인하여가변적인위험요소들을가지고있기때문에현장의상황및특성에따라내재된위험의정도도다르게나타날수있다. 하지만기존의안전관리는경험적안전지식을중심으로수 노동부. (2000). 산업안전보건법제 4조제 1항제 7호. 노동부. (2007) 2007년산업재해현황분석, pp.1~1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1999). 건설공사종류별위험도조사및정량화지수연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고성석, 송혁, 이재용. (2004). 건축공사공종별위험도에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구조계 ) 20(5) pp. 137~144 고성석, 송혁, 이한민. (2005). 재해사례와위험도지수를활용한건축공사안전정보시스템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21(6) pp. 113~120 김만장. (2003). 건설현장의재해예방을위한건설안전교육의 124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제 10 권제 6 호 2009 년 11 월
건설현장위험영향요소기반의위험도산정방법론 개선방안, 동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pp. 39~45. 김은정, 신동우, 김경래. (2008). 건설근로자의개인적특성에맞는안전교육모델,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9(5), pp. 116~126 이민우, 이찬식. (2000). 건설공사의위험도산정에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16(5) pp. 105~112 이종빈, 고성석, 장성록. (2006). 중대재해사례와작업강도를고려한건축공사위험성평가 한국안전학회지, 21(4), pp. 102~107 손창백, 김상철. (2005). 기후요소가건설안전사고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 한국안전학회지 20(2), pp. 91~96 장성록, 고성속, 이종빈. (2007). 건축공사공종별위험지수산정모델에관한연구, 한국안전학회지, 22(6), pp. 63~68 British Standard Institute(BSI). (1996). Guide to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BS 8800, London British Standard Institute(BSI). (2000).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OHSAS 18001., OHSAS 18002, London Heinrich, H. W. (1939).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McGraw-Hill, New York Quality Management and Quality Assurance Standard. (1984). System safety program requirements, MIL- STD-882B. Baradan S. and Usmen, M.A. (2006). Comparative Injury and Fatality Analysis of Building Trades, J. Constr. Eng. Manage., 132(5), pp. 533~539 Chua D.K.H. and Goh Y.M. (2005). Poisson Model of Construction Incident Occurrence. J. Constr. Eng. Manage., 131(6), pp. 715~722 Hinze J. and Gambatese J. (2003). Factors That Influence Safety Performance of Speciality Contractors J. Constr. Eng. Manage., 129(2), pp. 159~164 Jannadi O. A., and Almishari S.(2003). Risk Assessment in Construction., J. Constr. Eng. Manage., 129(5), pp. 492~499 Mohamed S. (2002). Safety Climate in Construction Site Environments J. Constr. Eng. Manage., 128(5), pp. 375~384 Seo J. W. and Choi H. H. (2008). Risk-Based Impact Assessment Methodology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Projects in Korea J. Constr. Eng. Manage., 134(1), pp. 72~81 Suraji A., Duff A. R., Peckitt S. J. (2001) Development of Causal Model of Construction Accident Causation, J. Constr. Eng. Manage., 127(4), pp. 337~344 Toole, T. M. (2002). Construction site safety roles., J. Constr. Eng. Manage., 128(3), pp. 203~210 논문제출일 : 2009.06.24 논문심사일 : 2009.06.26 심사완료일 : 2009.08.03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제 10 권제 6 호 2009 년 11 월 125
이현수 김현수 박문서 이광표 이사범 Abstract Many work-related risk factors can cause construction site hazards. Considering variable and changeabl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ite, risk of same trade can be different by combination of inherent characteristics. But established safety management has performed like other industries not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o, to suggest risk assessment methodology considering risk influence factors in construction site, this study extracts risk influence factors by literature reviews and surveys, builds the weighting system for classification of factors. And risk of trade is calculated based on frequency and severity of risk. Risk assessment methodology is suggested by integrating risk influence factors and risk of trade. From this, risk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construction sites can be derived and based on the derived risk, safety management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This study has meaning for assessing the risk which can reflect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ite considering risk influence factors. Keywords :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Risk Management, Risk Assessment, Risk Influence Factor. 126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제 10 권제 6 호 2009 년 11 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