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improve the mass rearing methods of the edible insect, the several mass rearing methods of Protaetia brevitarsis(pb) and Tenebrio molitor(tm) were studi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spawning period study of PB, the larva production was the highest with 1,538g/(50 adults) in 5 days interval treatment, and the larva production decreased as the spawning period increased, and the spawning tended to be concentrated within about 30 days. In the rearing density study of PB, the larva production was the highest with 616g in 300larvae/40L treatment, and the larva production decreased as the rearing density increased, and the individual larva weight decreased as the rearing density increased. When the larva of PB was dried at 50 for 3 days, the preference of shape, color and taste was highest at 3.6(full 5.0). In the development of optimal feed of TM, the larva production was the highest with 835g/cage in wheat bran. Key words : Protaetia brevitarsis, Tenebrio molitor, Industrial insect, Mass rearing 524 2016 년도시험연구보고서
Ⅲ. 환경농업연구 525
2. 재료 및 방법 시험 1 흰점박이꽃무지 상자사육법 개선 시험에 사용된 흰점박이꽃무지는 남양주(스머프곤충나라)와 파주(숲속친구들) 소재 곤충사육 농가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갓 우화한 흰점박이꽃무지 성충 암수 각각 25마리씩 50마리를 3반복으로 참나무 발효톱밥 약 30L가 담긴 40L 사각사육상자에 넣고, 교미 10일후부터 산란을 추정하여 산란후 5, 10, 15, 20일 간격으로 성충을 새 로운 사육상자로 옮겨주면서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3령 유충의 수량은 성충을 넣어 준 날을 기준으로 75일후 조사하였다. 최적 사육밀도 설정을 위하여 참나무 발효톱밥 약 30L가 담긴 40L 사각사육상자에 1령 유충을 3반복으로 각각 100, 200, 300, 400마리씩 넣고 일주일에 1 2회 수분보충 만 해주고 톱밥은 교체없이 사용하였다. 유충 건조는 노숙유충을 3일간 절식시키고 깨끗한 물로 세척후 끓는 물에 넣어 1분 30초간 삶은 후 처리별로 건조기에 넣고 건조시켰다. 40, 50 처리는 동일 온도에 서 3일간, 60 50 40 처리는 각각의 온도에서 24시간 변온조건으로 하였으며, 70 40 는 70 에서 24시간 건조후 40 에서 48시간을 건조하였다. 색도는 처리별로 시 료를 분쇄후 색차계(RT 850i)를 이용하여 L(lightness), a(redness), b(yellowness)를 조사하였다. 식품기호도는 소득자원연구소 직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외관, 색깔, 식 미, 종합 점수를 5단계(1: 아주나쁨, 3: 보통, 5: 아주좋음)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처리 별 분쇄한 시료를 조지방, T-N 등 일반성분과 16개의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본 시험의 사육환경은 25, 65% RH 사육실에서 수행하였다. 시험 2 갈색거저리 사료개발 시험에 사용된 갈색거저리는 화성 소재 크리켓팜 농가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처리별 사료에서 통밀은 분쇄하여 사용하였으며, 처리별 비율은 무게비로 하여 통밀 (80%)+대두분(20%), 통밀(80%)+옥수수분(20%), 통밀(80%)+옥수수분(10%)+대두분 (10%)으로 조성하여 사육상자(35*55.5*14cm)에 3반복으로 2L씩 넣고, 갓 부화한 1령 유충 10,000마리를 사육하였다. 사육 시작 60일후 상자별 유충 무게를 측정하고, 소득 자원연구소 직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외관, 색깔, 식미, 종합 점수를 5단계(1: 아주 나쁨, 3: 보통, 5: 아주좋음)로 나누어 식품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처리별 분쇄한 시료 를 조지방, T-N 등 일반성분과 16개의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본 시험의 사육환경은 25, 65% RH 사육실에서 수행하였다. 526 2016년도 시험연구보고서
3. 결과 및 고찰 시험 1 흰점박이꽃무지 상자사육법 개선 채란기간별 성충 이동에 따른 성충의 생존율은 성충 이동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 소하는 경향이었이며, 산란일 추정 60일후 생존율은 5일간격에서 31.3%, 10일과 15일 간격에서 46.0%, 20일간격에서 43.3%이었다(그림 1). 그림 1. 채란기간별 성충 이동에 따른 성충 생존율(%) 처리별 3반복으로 40L 사육상자당 암수 25마리씩 50마리 사육 교미 10일후 산란추정하여 채란일 계산 산란시작 60일후 성충의 암수비율과 3령유충의 수량을 조사한 결과(표 1), 암컷의 비율이 65.4% 71.2%로 암컷의 생존율이 높았다. 3령유충의 수량은 채란간격이 늘어 남에 따라 수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5일간격채란 처리에서 1,538g/성충50마리로 가장 높았다. Ⅲ. 환경농업연구 527
DMRT at the 5% level 528 2016 년도시험연구보고서
DMRT at the 5% level Ⅲ. 환경농업연구 529
530 2016 년도시험연구보고서
Ⅲ. 환경농업연구 531
532 2016 년도시험연구보고서
4. 적 요 식용곤충 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흰점박이꽃무지와 갈색거저리의 사육법 개선을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흰점박이꽃무지 성충 산란시작 60일후 생존율은 31.3 46.0% 이었고, 성충 이동 기간이 짧아짐에 따른 감소하는 경향이었음. 암컷비율은 65.3 71.2%로 수컷보다 생존율이 높았음 나. 흰점박이꽃무지 성충의 채란기간별 누적 생산량은 5일간격 처리에서 성충 50마 리 당 1,538g으로 가장 높았고, 채란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유충생산량은 감소하 는 경향이었으며 산란은 사육기간 약 30일이내에 집중되는 경향이었음 다. 사육밀도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수량은 사육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존율은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3령 유충의 개체별 무게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유충수 량 300마리/40L상자 처리에서 616g/40L로 가장 높았음 라. 건조방법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기호도는 50 건조에서 3.6으로 가장 높았음 마. 사료종류별 갈색거저리 유충의 식품기호도는 옥수수분 첨가 처리에서 높은 경향이 었으나, 수량은 밀기울 처리에서 835g/상자로 가장 많았음 5. 인용문헌 강상진, 박천우, 한상찬, 이영근, 김용균. 2005. 셀룰로오스 분해균을 이용한 흰점박이 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사육과 부산물 응용 기술. 한국잠사 곤충학회지 44(3): 189-197. 권은영, 유정미, 윤영일, 황재삼, 구태원, 김미애, 최영철, 윤은영. 2013. 흰점박이꽃무 지(Protaetia brevitarsis)의 식품원료화를 위한 전처리 조건 확립.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3):397-402. 구희연, 김선곤, 오형근, 김정은, 최덕수, 김도익, 김익수. 2013.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L.) 유충의 온도발육 모형. 한국응용곤충학회지 52(4): 387-394. 김선영, 박종빈, 이영보, 윤형주, 이경용, 김남정. 2015b. 갈색거저리의 발육특성. 한국 잠사곤충학회지 53(1): 1-5. 김선영, 정태호, 김성현, 송성호, 김남정. 2014. 갈색거저리 대량사육을 위한 농업부산 물 대체먹이 탐색. 한국응용곤충학회지 53(4): 367-373. 김철학, 이준석, 고민수, 박규택. 2002. 점박이꽃무지의 발생 및 생육특성에 관한 연 구. 한국응용곤충학회지 41(1): 43-47. 김형미, 김정만, 김진수, 정미영, 윤은영, 황재삼, 김애정. 2015a.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Ⅲ. 환경농업연구 533
이용한 패티 제조 및 품질특성.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5):813-820. 김하곤, 강경홍, 황창연. 2005.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풍뎅이의 산란과 발육에 미치는 환경요인. 한국잠사곤충학회지 44(4): 283-286. 김하곤, 강경홍. 2006.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풍뎅이의 비상활동과 유충의 활동. 한국 잠사곤충학회지 45(2): 139-143. 민경태, 강미숙, 김민주, 이선희, 한정순, 김애정. 2016.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이용한 쿠키 제조 및 품질평가.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1):12-18. 소호섭. 2014. 갈색거저리 이용 건강식품 제형하 기술개발. 경기도농업기술원 시험연 구사업보고서. 유정미, 황재삼, 구태원, 윤은영. 2013. 국산 및 중국산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의 영양성분 및 유해물질 비교분석.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2):249-254. 이형철, 황상구, 강영국, 손영옥, 문자영, 임흥빈, 전병훈, 이동욱. 2001. 에탄올 및 사염화탄소의 간 손상에 미치는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영향.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11(5):405-411. 전정우, 권해용, 조유영, 여주홍, 이희삼. 2012.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발된 흰쥐의 간 독성에 미치는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간보호 효과. 한국잠사곤충학회지 50(2): 93-100. 정미연, 권은영, 황재삼, 구태원, 윤은영. 2013a. Analysis of General Composition and Harmful Material of Protaetia brevitarsis. Journal of Life Science 23(5):664-668. 정미연, 권은영, 황재삼, 구태원, 윤은영. 2013b. 갈색거저리의 식품 원료화를 위한 분말 제조 조건 확립. 한국잠사곤충학회지 51(1): 9-14. 정미연, 이정용, 이진채, 박길수, 정준표, 황재삼, 구태원, 윤은영. 2014. 동결건조 갈색 거저리 유충의 제조공정 표준화에 따른 자가규격 및 유통기한 설정. 한국잠 사곤충학회지 52(1): 73-78. 황수영, 배금광, 최수근. 2015. 갈색거저리(밀웜)의 조리방법에 따른 기호도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1(1):100-115. 6. 연구결과 활용제목 식용곤충 흰점박이꽃무지 최적 채란간격 및 기간(영농활용) 식용곤충 흰점박이꽃무지 최적 건조방법 및 밀도(영농활용) 534 2016년도 시험연구보고서
Ⅲ. 환경농업연구 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