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ymer(Korea), Vol. 35, No. 2, pp 119-123, 11 약물전달체로서디옥시콜산이결합된히알루론산의제조와특성 최창용ㆍ박준규ㆍ김원석ㆍ장미경 ㆍ나재운 순천대학교공과대학고분자공학과 (1년 8월 17일접수, 1년 9월 27일수정, 1년 11월 16일채택 )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oxycholic Acid-Grafted Hyaluronic Acid as a Durg Carrier Changyong Choi, Jun-Kyu Park, Won Suk Kim, Mi-Kyeong Jang, and Jae-Woon Nah Department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Sunchon National University, Jeonnam 54-742, Korea (Received August 17, 1; Revised September 27, 1; Accepted November 16, 1) 초록 : 본연구에서는항암제전달체로응용하기위하여천연고분자인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HA) 에소수성기도입을위하여담즙산 (bile acid) 중하나인디옥시콜산 (deoxycholic acid)(da) 을개질하여양친성공중합체를제조하였고, 이를항암제전달체로응용하고자하였다. 디옥시콜산이결합된히알루론산 (HADA) 의물리화학적특성은 1 H NMR, FTIR, spectrophotometer 와 TEM 을이용하여측정하였다. 디옥시콜산이결합된히알루론산에항암제 ( 파클리탁셀 ) 를투석방법을통하여봉입시켰고, in vitro에서 KB 세포에대한항암활성을확인하였다. 제조된디옥시콜산이결합된히알루론산이항암제전달체로서의응용가능성을제시하였다. Abstract: To develop hyaluronic acid (HA)-based anticancer agent carrier, hyaluronic acid was chemically modified with the hydrophobic group of deoxycholic acid(da).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deoxycholic acid-conjugated HA (HADA) were investigated by using 1 H NMR, FTIR, spectrophotometer and TEM. Paclitaxel (Tx)-loaded HADA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a dialysis method. The loading efficiency of drug and drug contents of Tx-loaded HADA nanoparticles (HADA-Tx) were measured by HPLC. The anticancer activity of HADA-Tx was investigated by its cytotoxicity against KB cell in vitro. The HADA-Tx was shown to have the superior potential for the anticancer drug delivery. Keywords: hyaluronic acid, bile acid, deoxycholic acid, drug carrier, nanoparticle. 서 인간의질병을치료하는데있어최적의치료효과를얻기위해서는약물을효율적이고지속적으로방출할수있는새로운장치의개발이요구된다. 이러한목적으로주로사용되고있는생체고분자로는젤라틴, 셀룰로오스, 덱스트란, 키틴, 키토산, 히알루론산과같은천연고분자물질과 polylactide, polyglycolide 및이들의공중합체그리고 polyamide 와 poly(amino acid) 등의합성고분자재료등이있다. 1 생체고분자인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HA) 는생분해성, 생체적합성, 면역반응성이없는선형형태의 polysaccharide 로분자량은 1 1 kda 으로매우넓은범위를갖는다. 히알루론산은높은분자량을갖고있으나열이나효소등과같이물리적이나생화학적으로쉽게분해가가능하여필요에따른분자량조절이용이하다. 또한화학적구조에서히알루론산의분자내에는많은관능기가존재하여화학적으로다른종류의이온으로치환하거나가교시켜구조적개질이용이하 론 To whom correspondence should be addressed. E-mails: jwnah@sunchon.ac.kr, jmk8856@sunchon.ac.kr 다. 이러한히알루론산은무코다당류로서연골사이에서연골을보호하며, 세포간분자의 3차원가교역할을하고, 세포운동성과세포증식을증진시키는역할을한다. 2 또한히알루론산은인체내에서혈액, 체액및생체조직과접촉하였을때우수한생체적합성을갖고있다. 최근에는히알루론산의우수한물리ᆞ화학적성질을이용하여히알루론산을개질함으로써조직공학, 약물전달체, 인체보형물등에적용되는생체재료물질을개발하려는연구가활발히진행되고있다. 3-11 이와더불어히알루론산은피부주름방지와골관절염치료를위해서또는눈과인체수술시에보형물로서사용되는유익한재료이며주름을제거하기위한주사제그리고캡슐과화장품및의약품으로많이응용되어지고있다. 12-18 담즙산 (bile acid, BA) 은쓸개즙의주요성분이고, 종류로는콜릭산, 리소콜릭산, 디옥시콜산등의종류가있고, 음식물의소화및소화산물특히지방카보티노이드비타민의흡수를도와주는역할을한다. 담즙산은주로간의콜레스테롤로부터만들어져생체내의콜레스테롤대사, 당대사, 핵산대사와밀접한관계를갖고있으며, 담즙유동의발생으로인한콜레스테롤항상성, 지질흡수, 약물과비타민재순환과분비 119
1 최창용 ᆞ 박준규 ᆞ 김원석 ᆞ 장미경 ᆞ 나재운 를포함한중요생리학적기능을도와준다. 19 본연구에서는히알루론산과담즙산의한종류인디옥시콜산을이용하여약물전달체로사용하기위해서히알루론산의카르복실기양쪽에아민기를갖는 adipic acid dihydrazide(adh) 로치환한후디옥시콜산과결합시켜친수성과소수성을갖는양친성디옥시콜산이결합된히알루론산유도체를합성함으로써소수성약물을전달할수있는전달체를제조하였다. 이유도체에항암제인파클리탁셀을봉입시켜입자의크기봉입효율등을규명함으로써약물전달체로응용가능성을제시하였다. 실험시약및재료. 본실험에서사용된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HA(Mn; 59 Da) 과 adipic acid dihydrazide(adh) 와 1- 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edc), deoxycholic acid(da), N-hydroxysuccinimide(NHS) 은 Sigma Aldrich 사에서구입하였다. 소수성모델약물로사용된파클리탁셀은 Sigma Aldrich 사에서구입하여사용하였다. 항암활성실험에사용된암세포는 KB 세포를사용하였다. 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에서분양받은후 1% 의 fetal bovine serum (FBS) 을함유한 Dulbecco s modified Eagle s medium(dmem) 을이용하여배양하였다. 기타시약들은일급시약을구입하여정제하지않고사용하였다. 히알루론산-Adipic Acid Dihydrazide (HA-ADH) 합성. 히알루론산을개질하기위하여히알루론산의카르복실기에 ADH 로치환하였다. HA-ADH 합성은 S. K. Hahn 등과 13 S. J. Kim 등 15 방법에따라서합성하였다. 히알루론산 1 mg을 ml의증류수에용해시켜 5 mg/ml 의히알루론산용액을제조하였다. 그리고이용액에 ADH(1.736 g,.1 mol) 를넣은후자석교반기를이용하여 1시간동안교반하였다. 이반응물에.1 N HCl 을이용하여 ph 5. 이하로유지한후 EDC(.191 g,.1 mol) 를넣어준후 24 시간동안실온에서반응을하였다. 반응이종결후 1 N NaOH 를이용하여 ph 를 7. 으로조정하여과량의에탄올에적가함으로써재결정을형성시킨후얻은침전물의정제를위하여증류수에 1 mg/ml 의농도로녹여투석 ( 투석막 : MWCO 35 Da) 하여동결건조를통하여고체분말 (HA-ADH) 을얻었다. HA-ADH-디옥시콜산 (HADA) 합성. 소수성기인디옥시콜산 (DA) 도입은 HA-ADH 의아민그룹과디옥시콜산의카르복실기반응을통하여이루어진다. 이반응에서디옥시콜산의합성효율을향상시키기위하여반응전디옥시콜산의카르복실기를 NHS(DA-NHS) 를이용하여활성화시킨후반응에사용하였다. 반응을간략하게설명하면다음과같다. HA-ADH mg을 5 ml 증류수에녹인후 DMSO 15 ml 를넣어준다. 이용액에 DA-NHS(5 mg,.1 mmol) 를넣어상온에서 24 시간반응하였다. 반응종료후증류수로 24 시간동안투석 (MWCO 35 Da) 하여미반응물과용매를제거한후동결건조하여 HADA 를얻었다. HADA 나노입자제조. HADA 1 mg 을증류수 /DMSO 혼합용매 (1:9, v/v) 1 ml 에용해시킨후투석법으로나노입자를제조하였다. 투석에사용된투석막은 MWCO 15 Da 을사용였으며상온에서 24 시간동안일정시간간격으로증류수를교체함으로써투석하였으며, 투석후용액을동결건조하여 HADA 나노입자를얻었다. 합성물의구조분석. 최종생성물의합성여부는 FTIR spectroscopy(shimadzu, FTIR 87, Japan) 와 1 H NMR(Bruker AVANCE 4, Germany) 을이용하여규명하였다. FTIR 을이용한구조분석은 KBr 과샘플을혼합비 1:1로혼합하여투명한펠렛을제조한후투광도로규명하였다. 1 H NMR 분석을위하여사용된용매는 HA와 HA-ADH는 D 2 O, HADA는 D 2 O/DMSO-d 6 (1:3, v/v) 를사용하여화학적이동을 ppm 단위로규명하였다. HADA 나노입자특성규명. 디옥시콜산이결합된히알루론산의경우한분자에친수성및소수성을갖는양친성물질로서수용액하에서자가응집에의한나노입자를형성하게된다. HADA 의특성은형광광도계 (RF-531, Shimadazu, Japan) 를이용하여임계미셀형성농도 (CAC), 동적산란계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ELS8, Otsuka, Japan) 를이용하여나노입자의크기, 투과전자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Tecani, FEI, Netherlands) 을이용하여나노입자의형태및크기를관찰하였다. CAC 는 pyrene 을형광염료로사용하여농도에따른 pyrene의광학적거동의관찰을통하여조사하였다. 실험을위하여 pyrene을아세톤에 6 1-5 M이되도록용해시키고제조하고이를증류수를첨가하여최종농도가 1.2 1-6 M이되도록하였다. 이때용액중의아세톤은 4 에서 2시간동안감압증발시켜제거시켰다. 이 pyrene 용액과다양한농도의나노입자의용액 (1. 1-5 1 mg/ml) 을 1:1 의비율로혼합하여 pyrene의최종농도가 6. 1-7 M이되도록하였다. 이용액을 6 에서약 3시간방치한후형광광도계를이용하여형광특성을관찰하였다. 형광발광분석은흡수파장 39 nm 에서측정하였다. 측정된형광스펙트럼과발광파장의이동을이용하여임계미셀형성농도 (CAC) 를결정하였다. 디옥시콜산이결합된히알루론산나노입자의크기와분포는동적산란기와투과전자현미경을이용하여측정하였다. 동적산란기분석을위하여샘플을증류수에 1 mg/ml 의농도가되도록한후 25 에서산란각도를 9 로고정하여측정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을이용한나노입자의형태분석을위하여나노입자표면의전자밀도를높이기위하여 2% 우라닐아세테이트용액에염색한후카본필름으로코팅된 TEM grid 위에적가하여건조시킨후관찰하였다. 파클리탁셀이봉입된나노입자의제조. 디옥시콜산이결합된히알루론산나노입자는소수성핵및친수성껍질의구조를갖고있다. 나노입자의소수성핵과소수성항암제인파클리탁셀의소수성상호작용 (hydrophobic interaction) 에의하여파클리탁셀이나노입자내부로봉입된다. 약물봉입실험은다음과같이수행하였다. HADA mg 을증류수와 DMSO 의혼합용매 (2:8.5, v/v) 에용해시킨후파클리탁셀 4 mg 을 DMSO.5 ml 에녹여첨가한다. 봉입에사용된유기용매인 DMSO는투석 ( 투석막 MWCO: 35 Da) 을통하여 24 시간동안제거한후동결건조를통하여파클리탁셀이봉입된히알루론산나노입자를얻었다. 약물의담지효율및봉입효율측정. 나노입자에약물의봉입량과봉입효율은 HPLC(Agilent 1, Agilent, USA) 를이용하여분석하였다. 분석에사용된용매는혼합용매 (MeOH/H 2 O(95/5, v/v)) 로각각의시료제조와이동상으로사용하였다. 시료내용매의조성은혼합용매로맞춘후동일조건하에서적절한희석을통하여제조하였다. 폴리머, 제 35 권제 2 호, 11 년
약물전달체로서디옥시콜산이결합된히알루론산의제조와특성 121 분석은 1.5 ml/min 의유속으로 5 에서진행하였고, 약물의검출은 UV 검출기를이용하여 224 nm 파장에서측정하였다. 파클리탁셀의농도와그에따른특성피크의면적변화를이용하여검량선 (standard curve) 을작성한후이를이용하여시료내파클리탁셀의농도를계산하였다. 또한약물봉입효율및약물함량은다음의식을이용하여계산하였다. 약물담지량 =( 나노입자내약물량 )/( 전체나노입자중량 ) 1, 봉입효율 =( 나노입자내약물총량 )/( 초기약물사용량 ) 1 세포독성실험. 파클리탁셀이봉입된히알루론산나노입자의항암활성은암세포인 KB 세포를이용하여세포독성을측정함으로써규명하였다. 세포는 1% FBS 가포함된 DMEM 을이용하여배양한후 96 well plate 에분주하여실험에사용하였다. 약물처리를위하여약 5 개의세포를분주하여 9 μl 의배양액과함께각각의 well 에넣고약하루동안추가배양을실시하여세포가안정되게부착될수있도록하였다. 파클리탁셀이봉입된 HADA 샘플의농도를.1,.1,.1,.1,.1 μg/ml 로넣어준후추가배양하였다. 약 24 시간동안추가배양후각 well 에 MTT 용액 (5 mg/ml in PBS) 1 μl 를넣어준후약 1시간동안배양하여생존세포에의한 MTT 의산화를유도하였다. 최종적배양후세포배양액을제거한후 1 μl 의 DMSO 를이용하여생존세포에의하여형성된진한보라색의 MTT 산화물을용해시킨후 57 nm 에서의흡광도및다음의식을이용하여생존세포의비율을측정하였다. ( OD 세포생존율 (%) = ( OD 57(sample) 57(control) OD OD 57(blank) 57(blank) ) 1 ) Figure 1. The reaction scheme of hyaluronic acid grafted by adipic acid dihydrazide(ha-adh). Figure 2. The reaction scheme of bile acid-grafted HA-ADH (HADA). HADA 위식에서 OD 57(sample) 은파클리탁셀봉입된 HADA, OD 57(control) PBS 완충용액으로처리된 well 로부터측정된흡광도값이다. 결과및토론 담즙산이결합된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의소수성기도입을위하여히알루론산의양쪽에아민기를갖는 ADH 를히알루론산의카르복실기에치환시켰고그후디옥시콜산의카르복실기와 HA-ADH 의아민과의반응을통하여소수성기인디옥시콜산이결합된히알루론산 (HADA) 을제조하였다. Figures 1과 2는각각히알루론산과 ADH 의합성및 HA-ADH 에디옥시콜산을합성시키기위한반응모식도를나타낸것이다. Figure 3은 FTIR 스펙트럼의결과로, 히알루론산의카르복실기와 ADH 의아민기가결합되어 165 cm -1 와 155 cm -1 의 CONH 특성피크가증가함을확인하였다. Figure 4는 HA, HA- ADH와 HADA의 1 H NMR 스펙트럼을나타낸것이며, 각각의특성피크를확인하였고, HA-ADH 및 HADA 의합성후 ADH 의특성피크가고자장으로이동함으로써 HA-ADH 와 HADA 가성공적으로합성되었음을확인하였다. 1 H NMR 스펙트럼으로부터, 히알루론산메틸기의피크 1.77 ppm 과 ADH 의피크인 1.5 ppm 를비교하여치환율을측정하였고, 그결과로써카르복실그룹의 5% 정도치환되었음을확인할수있었다. 이러한결과는 S. K. Hahn 과 13 In Rim Hong HA-ADH HA 4 3 1 Wavenumber(cm -1 ) Figure 3. FTIR spectra of HA, HA-ADH and HADA. 의 연구결과를참고로하여유사한 HA-ADH 의치환비율로치환되었음을확인할수있다. HADA 의 1 H NMR 스펙트럼을통하여히알루론산의메틸기에의한피크인 1.77 ppm 의면적과담즙산의메틸기의피크인 1.2 ppm 면적비를이용하여치환도를계산하였고, 결과로써 2.3% 치환되었음을확인하였다. 디옥시콜산이결합된히알루론산나노입자분석. 디옥시콜산을이용하여화학적으로개질된히알루론산의경우분자내에친수성을타나내는히알루론산과소수성을나타내는디옥시콜산이함께공존하는양친성물질의특성을나타내게된다. 이러한양친성물질의경우수용액하 Polymer(Korea), Vol. 35, No. 2, 11
122 최창용 ᆞ 박준규 ᆞ 김원석 ᆞ 장미경 ᆞ 나재운 HADA HA-ADH ADH Intensity(a.u.) 18 16 14 1 1 8 6 4.5 mg/ml.2 mg/ml.1 mg/ml.3 mg/ml.1 mg/ml Intensity(a.u.) 35 3 25 15 1 5 1 1 1 Particle size(nm) HA 4. 3.5 3. 2.5 2. 1.5 1..5 ppm Figure 4. 1 H NMR spectra of HA, ADH, HA-ADH, and HADA. 254.1±59.9 (a) (b) Figure 5.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HADA nanoparicles (a); TEM image (b). 에서소수성디옥시콜산간의소수성상호작용을통하여자가응집 (selfaggregation) 형태의나노입자를형성하게된다. 21-23 HADA 의나노입자크기를동적산란기와 TEM 을이용하여측정하였고, 그결과를 Figure 5에나타내었다. Figure 5에나타낸바와같이제조된나노입자는구형의입자를보이며, 약 25 nm 정도의크기를보였다. 양친성특성을갖는고분자의경우수용액하에서농도에의존하는자가응집경향을나타낸다. 21-23 이러한농도의존자가응집특성은 pyrene을형광표지를이용한형광특성분석을이용하여규명할수있다. Pyrene 의형광분석은소수성을나타내는 pyrene 분자가수용액하에서선택적으로소수성미세환경 (microenvironment) 에침투하여수용액하에서보다매우강한형광특성을나타내게되고, 이러한 pyrene의형광특성변화는양친성물질의농도에매우밀접하게반응한다. 이는임계미셀형성농도 (critical aggregation concentration, CAC) 이상의농도에서양친성물질이자가응집을통하여소수성미세환경을구성하기때문이다. 따라서 CAC 이하의농도에서는특별한 pyrene 의형광특성을나타내지않는반면, CAC 이상의농도에서는매우강한형광특성및 pyrene의특성피크의이동을수반한다. 본실험에서제조한 HADA 의경우 CAC 이하의농도에서는 335 nm 에서가장강한특성피크를나타내었고그리고이러한특성피크는농도의증가와더불어고농도에서는 339 nm 로이동하였다. 이러한특성피크의강도비를이용하여 HADA 의 CAC 값을구하였다. Figure 6에나타낸바와같이특성피크의 intensity ratio 인 339 I /I 335 의경우저농도에서는일정한값을보이나농도의증가와더불어급격한증가현상을보이게된다. 일반적으로 intensity ratio 의급격한증가가일어나 I338/I335 29 3 31 3 33 34 35 36 37.9.8.7.6.5.4.3 Wavelength(nm) -4-3 -2-1 Log(Polymer conc.)(mg/ml) CAC:.3928 mg/ml Figure 6. Pyrene excitation spectra([py]=6. 1-7 M) in HADA self-aggregate aqueous solution(emission wavelength was 39 nm). 는지점을 CAC 값으로설정한다. 따라서 Figure 6의결과를이용하여측정한 CAC 은.39 mg/ml이었다. 파클리탁셀이봉입된 HADA 나노입자분석. 양친성물질또는양친성나노입자를이용하여소수성약물을담지하는경우소수성약물의선택적인소수성나노입자내부로의침투를통하여이루어진다. 약물을나노입자에담지시키는방법으로는용매증발법 (solvent evaporation method), 투석법등이주로사용되고있다. 본실험에서는용매증발법과투석법을병행하여나노입자를제조하였다. 파클리탁셀이담지된히알루론산나노입자를 HPLC 를이용한분석을통하여약물의봉입효율및담지량을측정하였다. 파클리탁셀및 HADA 나노입자에봉입된파클리탁셀이동일한 HPLC 분석조건하에서동일한 retention time 및피크의형태를보였다. 또한나노입자내부의약물담지량을측정하기위하여순수한파클리탁셀을이용하여검량선을얻었다. 이결과는 Figure 7에나타냈으며, Figure 7에서볼수있듯이.1.1 mg/ml 의범위에서직선형태의검량선을형성함을확인할수있었다. 파클리탁셀이담지된히알루론산나노입자내의파클리탁셀의농도는 Figure 7의사각형점으로표시되었으며, 이결과를바탕으로계산된파클리탁셀의봉입효율및봉입량은각각 4%, 8.9% 이였다. 파클리탁셀이담지된나노입자의세포독성실험결과는 Figure 8에나타냈다. Figure 8에서볼수있듯이상대적으로낮은농도에서는암 폴리머, 제 35 권제 2 호, 11 년
약물전달체로서디옥시콜산이결합된히알루론산의제조와특성 123 Conc.(mg/mL).12.1.8.6.4.2 Standard Sample Loading efficiency(%) 4%. 4 6 8 1 세포인 KB 세포에대한독성이대조군과거의비슷한수준이였으나농도가증가함에따라세포의생존율이감소하는것을확인함으로써본실험의나노입자가항암제전달체로응용이가능할것으로사료된다. 결 Drug content(%) Area(a.u.) 생체친화적고분자인히알루론산에 ADH 를치환시킨후소수성그룹인디옥시콜산을도입하여 HADA 를합성하였으며 FTIR, 1 H NMR 등을이용하여화학적구조를규명함으로써각각의화합물이성공적으로합성되었음을확인할수있었다. 합성된 HADA 는수용액상에서나노입자를제조하여특성을관찰한결과투과전자현미경이미지로부터구형의나노입자가형성됨을확인하였으며동적산란기를이용한나노입자의크기및분포는 25 nm 의좁은크기분포를갖는나노입자가제조되었음을확인할수있었다. 파클리탁셀이봉입된나노입자내의약물봉입효율및담지량은 HPLC 를통하여분석하였으며그결과각각 4%, 8.9% 임을확인할수있었다. 또한파클리탁셀이담지된나노입자를이용한세포독성실험을통하여디옥시콜산이결합된히알루론산나노입자가암세포의세포생존율을감소시키는것을확인하였다. 이상의결과는본실험에서합성된 HADA 는소수성약물전달체로응용가능성을보여주고있다. 론 8.9% Figure 7. HPLC standard curve of paclitaxel(circle) and paclitaxel in HADA(square). Cell viability 14 1 1 8 6 4 Control.1.1.1.1.1 μg/ml Figure 8. In vitro cytotoxicity test(kb cell). 48 hr 참고문헌 1. X. Y. Wu and P. I. Lee, J. Appl. Polym. Sci., 77, 833 (). 2. T. C. Laurent, Wenner-Gren International Series, Portland Press, London, Vol 72 (1998). 3. G. D. Prestwitch, D. M. Marecak, and J. F. Marecek, J. Control. Release, 53, 93 (1998). 4. Y. Luo, K. R. Kirker, and G. D. Prestwich, J. Control. Release, 69, 169 (). 5. S. N. Park, H. J. Lee, and H. Suh, Biomaterials, 22, 15 (2). 6. S. N. Park, H. J. Lee, and H. Suh, Biomaterials, 24, 1631 (3). 7. H. S. Nam, J. H. Kim, J. H. An, and D. J. Jung, Polymer(Korea), 25, 476 (1). 8. J. A. Hunt, H. N. Joshi, V. J. Stella, and E. M. Topp, J. Control. Release, 12, 159 (199). 9. L. Benedetti, R. Cortivo, T. Berti, F. Pea, M. Marzzo, M. Moras, and G. Abatangel, Biomaterials, 14, 1154 (1993). 1. J. Aigner, J. Tegeler, P. Hutzler, D. Campoccia, A. Pavesio, C. Hammer, E. Kastenbauer, and A. Naurnann, J. Biomed. Mater. Res., 42, 172 (1998). 11. G. P. Chen, Y. Ito, Y. Imanishi, A. Magnani, S. Lamponi, and R. Barbucci, Bioconjugate Chem., 8, 73 (1997). 12. S. K. Hahn, E. J. Oh, H. Miyamoto, and T. Shimbouji, Int. J. Pharm., 322, 44 (6). 13. S. K. Hahn, J. K. Park, T. Tomimatsu, and T. Shimbouji, Int. J. Bio. Macromol., 4, 374 (7). 14. Y. K. Ko, S. H. Kim, J. S. Seong, J. Y. Lim, and G. Khang, Polymer(Korea), 31, 55, (7). 15. S. J. Kim, S. K. Hahn, M. J. Kim, D. H. Kim, and Y. P. Lee, J. Control. Release, 14, 323 (5). 16. Y. Luo, K. R. Kirker, and G. D. Prestwich, J. Control. Release, 69, 169 (). 17. E. J. Oh, J. S. Kim, and S. K. Hahn, Key Engineering Materials, 342, 525, (7). 18. F. Palumbo, G. Pitarresi, D. Mandracchia, G. Tripodo, and G. Giammona, Carbohyd. Polym., 66, 379 (6). 19. B. Agellon and E. C. Torchia, Biochim. Biophy., 1386, 198 ().. I. R. Hong and Y. J. Kim, Polymer(Korea), 32, 561 (8). 21. Y. Chang, S. C. Lee, K. T. Kim, S. D. Reeves, and H. R. Allcock, Macromolecules,, 1331 (1987). 22. W. Binana-Limbele and R. Zana, Macromolecules,, 1331 (1987). 23. B. Magny, I. Iliopulos, R. Zana, and R. Audebert, Langmuir, 1, 318 (1994). Polymer(Korea), Vol. 35, No. 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