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 ML Comm ORIGINAL ARTICLE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4;25(2):65-72 http://dx.doi.org/10.5765/jkacap.2014.25.2.65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Osmotic-Controlled Release Oral Delivery System Methylphenidate의 치료순응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의과학대학교 구미차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해수소중한아이정신과의원 서울뇌과학연구소 Treatment Adherence of Osmotic-Controlled Release Oral Delivery System Methylphenidat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Bongseog Kim, M.D., Ph.D. 1), Jeong-Seop Lee, M.D., Ph.D. 2), Eui-Jung Kim, M.D., Ph.D. 3), Hyung-Mo Sung, M.D., Ph.D. 4), Yun Mi Shin, M.D. 5), Seong-Hye Hwang, M.D. 6), and Hanik K. Yoo, M.D., Ph.D. 7) 1) Department of Psychiatry, Sanggye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2) Department of Psychiatry, Inh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cheon, Korea 3) Department of Psychiatry,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4) Department of Psychiatry, CHA Gumi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CHA University, Gumi, Korea 5) Department of Psychiatr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uwon, Korea 6) Haesue Child Psychiatric Clinic, Seongnam, Korea 7) Seoul Brain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Objectives: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reatment duration and adherence of osmotic-controlled release oral delivery system (OROS) methylphenidate for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thods:A total of 843 children with ADHD were recruited : 213 children (25.3%) who had previously taken medications for ADHD and 630 drug-naïve children (74.7%) were recruited. The dosage was adjusted according to the clinician s judgment. The primary efficacy endpoint of this study was treatment retention rate, which was estimated at Week 12 and Week 20 using the Kaplan-Meier curve. The Swanson, Nolan and Pelham-IV (SNAP-IV),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CGI-S), Clinical Global Impression-Improvement, and the side effect rating scale were measured at every visit. Remission rates were presented based on SNAP-IV and CGI-S, respectively. Results:The treatment retention rate at 12 weeks and at 20 weeks was 76.2% and 66.8%, respectively. Divided according to 6 8, 9 11, 12 14 and 15 18 years of age, younger children tended to show a statistically higher treatment retention rate (p=.02). Based on SNAP-IV and CGI scores, children with better response to medication showed tendencies of statistically higher treatment retention rate. The most common adverse events included loss of appetite (7.1%) and insomnia (3.3%). There was no serious adverse event related to the treatment, such as death. Conclusion:The use of OROS methylphenidate for treatment of ADHD was safe and tolerable for children. In this study, lower age and better treatment respons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higher treatment adherence. Boys 접수완료:2013년 7월 25일 / 수정완료:2014년 4월 16일 / 심사완료:2014년 4월 18일 Address for correspondence:hanik K. Yoo, M.D., Ph.D., Seoul Brain Research Institute, No. 409, Zenith Tower, 10 Gangbyeonnyeok-ro 4-gil, Gwangjin-gu, Seoul 143-200, Korea Tel : +82.2-452-2100, Fax : +82.2-6280-2163, E-mail : hanikyoo@gmail.com 이 연구는 한국얀센의 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This study was supported by Janssen Korea). - 65 -
ADHD의 치료순응도 showed a trend of high treatment adherence. The treatment adherence at 20 weeks was satisfactory, however, the treatment adherence after 20 weeks showed a sharp decrease. Therefore, treatment persistence for six months after the beginning of ADHD treatment is important. In addition, the positive role of psycho-education for children and parents is necessary for increasing treatment adherence. KEY WORDS: ADHDㆍTreatment AdherenceㆍOROS Methylphenidate. 서 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는 소아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신경행동 학적 장애로서 학령기 소아의 에서 발생한다 미국의 소 아청소년과 소아청소년정신과 및 소아신경과에 로 의 뢰되는 경우가 진료의 정도를 차지한다 국내에서는 아 동의 가 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및 충동성의 특징이 있다 에서 를 가지 유형 주의력결핍 우세형 과잉 행동 충동 우세형 혹은 복합형 으로 구분한다 를 가진 아동들이 치료가 되지 않으면 가족과 급우 들로부터 사회적 거부를 당할 수 있고 학교생활에도 실패할 수 있다 이러한 아동을 치료할 때에는 정신 사회적 중재 및 의학적 중재법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하여야 한 다 아동들에 대한 일차적인 약물 치료법은 - 와 같은 중추신경흥분제이다 중추신경흥분제는 주의력 집중력 교내 학습 수행 조직화된 스포츠를 포함한 사회적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입증되었 다 뿐만 아니라 중추신경흥분제는 과잉행동 충동성 치료 에 대한 비순응도 파괴적이고 부정적인 행동을 감소시켜주 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 아동들을 치료하는 데 있어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약물이지만 속방형제제 - 는 환자의 약 에서 효과적이나 반감기가 시간이고 행동 점수로 평가 된 약물동력학적 반감기도 짧다 의 반감기가 짧기 때문에 치료학적 효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루에 여러 차례 투여되어야 한다 그러나 약물을 여러 차례 투여하는 것이 아동에게 어려운 일이고 특히 두 번째 약물투여가 주로 학교 에서 이루어지므로 빈번하게 약물투여가 이루어지지 않아 학교생활에서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학교에서 아동에게 향정신성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여러 가지 문제 발생의 소지 가 있다 에서는 약물의 효과가 상승하면서 전달하기 위해 고 안된 일 회 용법의 - 를 개발하였다 은 투여 후 시간 동안 효과를 나타내도록 만들어진 약물로서 시간마다 투여하는 의 번의 용량과 비슷한 효과 및 안전성을 나타낸다 로 진단 받은 아동의 정도까지 청소년기나 성 인기까지 증상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지속적인 치료 가 중요하다 따라서 장기적인 임상 유용성을 평가하는 것 은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미 여러 연구에서 장기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이런 연구들 은 통제연구 로 대부분의 경우 실제 진료 상 황에서는 보다 치료지속기간이 훨씬 길게 보고되고 있다 최근 한 연구보고에 따르면 중추신경흥분제를 더 오래 복 용한 환아들이 약물복용을 중단한 환아들보다 증상이 더 많 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제형의 에 대한 치료기간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는 평균 치료지속기간이 일이고 - 는 평균 일로 지속형 제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길게 치료를 유지하는 것으 로 조사되었다 특히 중 인 은 치료 지속 기간이 일로 R 일 나 R 일 등 다른 제제보다 더 길게 치료를 유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의 중심증상들을 조절하기 위한 중추신경흥분제 치료에 관한 국내의 한 연구에서 치료순응도가 증 상 조절에 있어 중요하게 여겨진다 몇몇 연구에서 의 치료순응도가 라고 하였고 국내에서는 의 년간의 치료순응도는 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현 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처방되고 있는 - 에 대한 치료지속기간이나 전반적 순응도에 대한 조사자료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가장 많이 처방되고 있는 치료제인 의 치료지속 기간 및 치료순응도를 조사하고 치료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 66 -
김봉석 이정섭 김의정 성형모 신윤미 황성혜 유한익 방 법 속방제제를 일 회 또는 일 회 투여 받은 환아와 서방제제 시간 지속형 를 투여 받은 환아에서의 권장 용량은 과 같았다 용량은 주 간격으로 또는 씩 증량 가능하였다 2. 연구 도구 1) Swanson, Nolan and Pelham-IV(SNAP-IV) 는 이 년에 개발한 의 개정판으로 문 항들이 에 근거한 것이다 부주의 항목은 번 까지 과잉행동 충동성 항목은 번까지 해당되며 문항 번과 번은 각각 부주의 과잉행동 충동성 영역을 요약하 기 위해 추가되었다 각 항목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 대 체로 그렇지 않다 그렇다와 아니다가 반반이다 대체로 그렇다 항상 그렇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본 연구에 서는 등 이 번안한 한국형 단축형 부모용 를 사용하였다 2)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CGI-S) 1. 연구 대상 및 절차 연구기간 동안 해당 연구기관을 방문하여 로 진단 받고 치료 중이거나 치료를 시작하는 환아로 기존에 - 투여 경험이 없는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 다 이 연구에는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을 비롯한 총 개 기 관이 참여하였고 해당 기관내 생명윤리위원회 승인을 얻었다 1) 선정 기준 환아는 연구에 등록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만족하 여야 하였다 1 에 의해 임상적으로 진단을 받은 세의 환아 2 본 연구의 목적과 요구되는 진행 과정을 이해하고 정보 제공 동의서에 서명한 환아 또는 환아의 법정 대리인이 서명 한 경우 3 연구에 대한 참여를 이해할 수 있고 언제라도 자발적으로 연구에서 중단을 요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피험자 보호자 2) 제외 기준 다음과 같은 기준에 하나라도 해당하는 환아는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1 투여 경험이 있는 환아 2 이나 이 제품의 다른 성분에 과민 반응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환아 3 중증의 불안 긴장 흥분 환아 4 녹내장 환아 5 뚜렛 증후군으로 진단 받았거나 가족력이 있는 환아 및 운동성 틱장애 환아 6 모노아민 산화효소 저해제 투 여 중이거나 저해제 투여 중단 후 최소 일 이내의 환아 7 본 시험약을 삼킬 수 없는 환아 3) 용량 조절 및 투약 일 회 오전에 경구 투여하며 연구자의 판단으로 환아의 증상 및 약물 반응에 따라 환아별로 적정 용량을 설정하도 록 하였다 1 를 처음 투여 받는 환아 권장용량은 일 회 이며 용량은 일반적으로 주 간 격으로 또는 씩 증량 가능하였다 2 최근 를 투여 받은 환아 매 방문시에 치료자의 전반적 인상 - 위중도 척도를 사용하여 질병의 전체적인 위중도 의 등급을 평가한다 점 에서 점 까 지 점으로 하여 피험자의 전체적인 임상 상태의 정도를 평가 한다 3) Clinical Global Impression-Improvement(CGI-I) 주와 주 및 중도탈락시에 호전도를 평가한다 점 에서 점 까지 점으로 전체적인 임상호전 상태의 정도를 평가한다 4) 이상반응 평가 은 이 년에 발표한 Table 1. Equivalent dosage of OROS methylphenidate Current methylphenidate dosage OROS methylphenidate IR-methylphenidate 5mg bid or tid 18mg once a day ER-methylphenidate 20mg a day IR-methylphenidate 10mg bid or tid 36mg once a day ER-methylphenidate 40mg a day IR-methylphenidate 15mg bid or tid 54mg once a day ER-methylphenidate 60mg a day IR-methylphenidate : immediate release methylphenidate, ERmethylphenidate : extended release methylphenidate, OROS methylphenidate : osmotic-controlled release oral delivery system methylphenidate, bid : twice a day, tid : three times a day - 67 -
ADHD의 치료순응도 에 수록된 이상반응 평가척도를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이 평가척도는 연 구자의 지도 아래 환아의 행동을 관찰할 수 있는 보 호자에 의해 평가되며 설문지 형식으로 된 문항에 대해 전 혀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다 꽤 그렇다 아주 많이 그 렇다 의 단계로 평가된다 3. 평가 스케줄 기저선 평가시 선정 기준과 제외 기준에 맞는지를 확인 후 선정된 아동에서 인구통계학적 자료를 수집하였고 기저선 주 및 주 방문 혹은 중도탈락시에 이상반응평가 치료중단 이유 등을 평가하였다 4. 자료분석 복용 후 회 이상 평가가 이 루어진 환자로부터 얻은 자료에 대해서 를 시행하였다 분석시 중도 탈락 등의 이유로 발생한 결측 자료는 를 적용하였다 인구 통계학적 자료와 매 방문시 평가된 효과 관련 척도 이상반응 관련 자료의 통계학적 분석을 위하여 등을 사용하였다 치료에 머무는 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 석을 사용하였다 개월 동안의 치료순응도를 평가하기 위하 여 각 평가 시점의 치료유지율을 분석하였다 치료를 유지하 고 있는 피험자를 생존환자로 간주하여 몇 의 피험자가 각 기간에 치료를 유지하는지 살펴보고자 생존함수를 추정하 는 대표적인 방법인 추정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기간이 주이어서 주 이후에 모든 피험자들이 절단으 로 표시되게 되므로 결과의 왜곡을 감안하기 위해 주 시점 과 주 시점에서의 치료유지율을 살펴보았다 통계프로그램 은 을 사용하였다 결 과 1. 인구학적 자료 이전에 약물치료를 받은 아동은 명 이고 처음 약물을 사용하는 아동은 명 이었다 두 군 간에 남 녀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약을 처음 사용하는 군 에서 이전에 약물을 사용하던 군에 비해서 나이가 많고 키가 크고 체중도 더 높았으며 아형에서 주의력결핍 우 세형이 많았다 < 이전에 사용된 약물 하나 이상의 약제 투여 포함 은 가 가장 많았고 명 명 명 의 순이었다 이전에 약물 사용군에서 약물전환의 이유 복 수 선택 가능 는 약물 유효성 부족 명 낮은 약물 순응도 명 과 보호자선택 명 및 이상반응 명 순이었다 명의 피험자 중 임상시험을 중단한 피험자는 명 이며 중도탈락의 사유는 추적관찰 실패가 명 순응도 부족 명 이상반응발생 명 효과부족 명 동의 철회 명 순이었다 임상시험을 완료 한 피험자는 명 이었다 2. 치료유지율 곡선을 이용한 치료유지율은 주 시점에 서 주 시점에서 였다 주 전후로 치료유지 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Table 2. Demographics and baseline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Previous medication N=213 Drug-naïve N=630 Total N=843 Subject variables Male, N % 171 80.28 487 77.30 658 78.05 Age, mean SD, year* 9.94 2.68 11.11 2.89 10.81 2.88 Height, mean SD, cm* 137.44 15.97 144.41 16.81 142.65 16.87 Weight, mean SD, kg* 35.33 14.06 42.07 16.14 40.37 15.90 ADHD family history, N % 20 9.39 78 12.38 98 11.63 ADHD subtype, N % * Predominantly inattentive 30 14.08 194 30.79 224 26.57 Predominantly hyperactive/impulsive 42 19.72 50 7.93 92 10.91 Combined 131 61.50 366 58.10 497 58.96 Not determined 10 4.69 20 3.17 30 3.56 Comorbidity, N % 75 35.21 218 34.60 293 34.76 Baseline CGI score, mean SD 4.43 0.90 4.59 0.89 4.55 0.89 * : p<.01. ADHD :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D : standard deviation, CGI : Clinical Global Impression - 68 -
김봉석 이정섭 김의정 성형모 신윤미 황성혜 유한익 3. 치료유지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남아에서 주 시점의 치료유지율과 주 시점의 치료유지 율이 각각 와 로 여아에게서의 치료유지율에 비 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연령을 세 세 세 세로 나누어서 치료 유지율을 살펴보았다 주와 주 시점에서의 치료유지율 은 세군에게서 와 세군에서는 와 세군에서는 와 세군에서는 와 로 추정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전반적으로 연령이 낮은 아동의 치료유지율이 상대적으 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아형별 치료유지율은 과잉행동 충동 우세형 인 아동에게 치료유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주 시점에서의 치료유지율 주 시점에서의 치료유지율 주의 력결핍 우세형 아동의 치료유지율은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동반질환 유무에 따른 치료유지율은 공존질환을 가진 아 동의 치료유지율은 주 시점과 주 시점에서 각각 와 로 공존질환이 없는 아동의 치료율 각각 와 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반응 발현 유무에 따른 치료유지율은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상반응이 나타난 아동의 주 및 주 치료 유지율이 각각 와 였고 이상반응이 나타나지 않 은 아동의 치료유지율은 각각 와 였다 증상의 정도에 따른 치료유지율은 의 점군 점군 점군의 세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증상이 심한 정도에 따라 치료유지율의 일정한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고 통계적 유의성 또한 보이지 않았다 가족력 유무에 따른 치료유지율은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치료성공률 에 근거한 치료성공률 의 모든 항목이 1.0 0.8 Retention rate 0.6 0.4 0.2 0.0 0 4 8 12 16 20 24 28 32 36 40 44 48 52 Fig. 1. Kaplan-Meier plot of treatment retention rate. 12 weeks treatment retention rate : 76.2%, 20 weeks treatment retention rate : 66.8%, 24 weeks treatment retention rate : 49.2% Week 1.0 0.8 Age 6 8 9 11 12 14 15 18 Retention rate 0.6 0.4 0.2 0.0 0 4 8 12 16 20 24 28 32 36 40 44 48 52 Week Fig. 2. Kaplan-Meier plot of treatment retention rate by age group. p-value Log-Lank test =.0228-69 -
ADHD의 치료순응도 점 이하로 정의 은 주 시점과 주 시점에서 각각 와 였고 에 근거한 치료성공률 점수가 점 이하로 정의 은 주 시점과 주 시점에서 각각 와 였다 지속적으로 치료성공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에 근거한 치료성공에 따른 치료유지율은 치료 성공의 아동에서 지속적으로 치료유지가 잘 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에 근거한 치료성공에 따른 치료유지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5. 안전성 안전성의 결과는 회 이상 시험약을 복용하여 피험자로 정 의된 안전성 분석군 명 중 이상반응은 총 명 에 서 건이 발생하였다 중대한 이상반응은 명에서 건 교 통사고 뇌진탕 이었고 사망 사례는 없었다 약물 이상반응 은 명 에서 건이었다 이상반응 중 이상의 발 현율을 보이는 이상반응은 식욕감소가 명 에서 건 으로 가장 많이 나타나고 다음으로 불면이 명 에서 건 나타났다 6. 키와 체중의 변화 키의 경우 방문 주 과 방문 주 시점에서 측정된 명에서 평균 가 증가하였다 체중의 경우에도 방문 주 과 방문 주 시점에서 측정 된 명에서 평균 이 증가하였다 고 찰 본 연구에서 에 대한 약물치료를 처음으로 받는 군 에서 약물치료를 하던 군에 비해 아형중 주의력결핍 우세형이 많고 나이가 많았다 이는 약물치료를 처음 하는 군이 약물치료를 받던 군에 비해 년 정도 병원에 늦게 옴을 의미한다 주의력결핍 우세형이 종종 전문가에 의해서도 간 과되는 경향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그로 인해 늦게 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병원 방문이 늦음에 따라 약물 사용을 처음 하는 군에서 키와 몸무게도 더 많은 것으로 판단 된다 그 외의 인구학적 통계에서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주의 치료유지율은 이고 주 치료 유지율은 였다 전반적인 치료유지율은 주 전후로 치 료유지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등 의 연구에서 치료유지율은 첫 일 동안의 감소율이 높고 이후 완만해지지만 첫 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일에서 장기지속형 의 치료유지율은 수준이고 일에서 수준이었다 본 연구는 연구기간이 주로 짧고 평가시점이 회 기저선 주 및 주 로 주와 주 사이의 변화를 생존분석으로 추정하였다 짧은 방문 조사 간격과 년 이상의 연구 기간을 통하여 주 이후의 치 료유지율의 변화가 확인되어야 할 것이다 등 의 의 순응도 국내연구에서 년 치료 기간의 순응도는 였다 이에 반해 본 연구의 - 주 치료유지율은 였다 장기 지속형 제 형에서 치료순응도가 높다는 연구와 다른 결과였다 등 의 연구 과정은 연구 시작 개월에 설문조사에 응한 대 상자를 이후 개월에 병록기록지를 통한 치료순응도 조사였 다 개월까지 치료유지가 된 집단에서 이후 개월의 지속여 부를 확인함으로써 본 연구의 자연경과적 과정에 비해 치료 유지가 높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공존질환이 약물순응 도를 높인다는 연구에 따르면 본 연구보다 공존질환이 많 았던 것 또한 대 치료유지율의 차이를 가져왔 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령이 낮은 아동에서 치료유지율이 높았다 등 의 약물사용 연구에서 세 이하의 아동에서 치료기 간이 가장 길고 세 이하와 세 이상에서 탈락률이 많다는 보고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도 낮은 연령의 아동에서 치료유 지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나이든 아동에서 치료유지를 위하 여 정신의학적 교육 이 더욱 필요할 것으 로 생각된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과잉행동 충동 우세형의 아동에서 치료유지율이 높았다 와 의 고찰에서 치료유지를 높이는 아동 요인은 이전 각성제 치료력 남아 증상 정도가 심함 혼합형 아형와 공존 병리 반항적 적대장애 우울장애 사회기술 불안 발달 지연 등이며 늦은 진단 의 가족력 집에서의 심한 문제행 동 및 아동이 원치 않는 경우 치료유지가 낮다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남아에서 치료유지율이 여아보다 높았다 그러나 공존질환과 증상의 심 한 정도는 좋은 치료유지율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또한 - 가족력도 치료유지율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여성 사용 약물의 수와 공존질환에 대한 약물치료가 더 나은 치 료순응과 유지를 보인다는 보고도 있다 다른 보고에서는 어린 연령 여성 공존질환과 한 부모와 사는 것이 지속적인 치료의 예측인자였다 주 동안 을 이용한 대만의 한 연구에서 와 로 본 치료성공률이 각각 와 이고 와 의 복용순응도는 각각 와 였다 본 연구에서 주에 서의 와 로 본 치료성공률이 각각 와 로 시간이 감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부 - 70 -
김봉석 이정섭 김의정 성형모 신윤미 황성혜 유한익 작용의 발현은 식욕감소의 경우 발현율 이 대만 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고 다른 부작용의 빈도도 대만에 비 해 적었다 약물 부작용 약물치료의 효과 부족과 약물 남용 의 공포가 나쁜 치료순응도와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만 연구는 본 연구보다 치료유지율이 높았다 대만 연구의 방문 조사 간격은 기저선 주 주 주 주 및 주로 본 연구보다 연구기간이 길었으나 방문 조사 간격은 비슷하였다 치료 첫 개월에서 각성제 치료로 인한 이점이 약물 복용의 좋은 예측요인이라는 보고와 다 른 결과였다 대만 연구는 연구 대상이 개 병원의 약물을 처음 사용하는 집단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연구과정과 방법 에서 본 연구와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주와 주 사 이에 급격한 치료유지 하락의 원인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치료환경이 다른 많은 병원을 포 함하였다는 것이다 총 개 기관이 참여하여 추적관찰 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둘째로 치료순응도를 확 인하기 위하여 약물 복용을 확인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연구 기간 동안 투약복용비 를 확인하지 않았다 > 을 좋은 순응도로 하여 방문일 마다 약물 복용을 직접 확인함으로써 치료유지를 높이는 결 과를 가져올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로 연구기간이 주로 제한되어 이후의 치료유지를 추정할 수밖에 없었다 는 것이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약물사용 첫 개월이 약물 복용의 중요한 시기이며 첫 개월을 지나면서 치료탈락이 최고로 높아진다 본 연구는 연구기간을 개월로 함으로써 치료유지율이 하락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넷째로 치료 만족 에 따른 분석을 하지 않았다 치료만족이 높아짐에 따라 치 료유지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나 치료성공률만으로는 치 료만족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향후 병에 대한 정보 제공과 치료 만족도 등의 변수를 포함 하고 치료환경이 비슷한 기관을 선정하거나 치료기관별 구분 을 통하여 충분한 연구기간 동안의 관찰 연구가 필요하다 결 론 치료에서 사용은 아 동들에게 사용하기에 충분히 안전하였고 아동들이 잘 복용 할 수 있었다 치료유지율은 낮은 연령군과 치료가 잘 되는 경우에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아에서 높은 치료유지율의 경 향을 보였다 주까지의 치료유지율은 만족스러웠지만 이후 의 치료유지는 급격히 하락을 보였다 치료 시작후 개 월간의 치료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올바른 진단에 따른 이른 치료 시작과 올바른 약제 선택 및 용량 조절에 따른 증상 개선이 치료유지에 중요하다 정신의 학적 교육을 통한 아동과 보호자의 인식 개선이 치료유지를 높이는 것에 필요하다 중심 단어: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순응도 References 1) Shaywitz BA, Fletcher JM, Shaywitz SE.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v Pediatr 1997;44:331-367. 2) Yang YH, Kim JW, Kim YN, Cho SC, Kim BN. Screening for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for children in Seoul.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8;47:292-298. 3) Yang SJ, Cheong S, Hong SD.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chool-Based Mental Health Services in Seoul.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6;45:69-76. 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 4th ed., Text revis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0. 5) Greenhill L.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the stimulants. Child Adolesc Psychiatric Clin North Am 1995;4:123-168. 6) Gadow KD, Nolan EE, Sverd J, Sprafkin J, Paolicelli L. Methylphenidate in aggressive-hyperactive boys: I. Effects on peer aggression in public school setting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0;29:710-718. 7) Elia J. Drug treatment for hyperactive children. Therapeutic guidelines. Drugs 1993;46:863-871. 8) Hoffman BB, Lefkowitz RJ. Catecholamines, sympathomimetic drugs, and 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s. In: Hardman JG, Limbird LE, Molinoff PB, Ruddon RW, Gilman AG, editors. Goodman & Gilman 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New York, NY: McGraw-Hill;1996. p.199-248. 9) Greenhill LL. Pharmacologic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sychiatr Clin North Am 1992;15:1-27. 10) Barkley RA, Fischer M, Edelbrock CS, Smallish L. The adolescent outcome of hyperactive children diagnosed by research criteria: I. An 8-year prospective follow-up stud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0;29:546-557. 11) Biederman J, Faraone S, Milberger S, Curtis S, Chen L, Marrs A, et al. Predictors of persistence and remission of ADHD into adolescence: results from a four-year prospective follow-up stud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6;35:343-351. 12) Claude D, Firestone P. The development of ADHD boys: a 12 year follow up. Can J Behav Sci 1995;27:226-249. 13) Charach A, Ickowicz A, Schachar R. Stimulant treatment over five years: adherence, effectiveness, and adverse effect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4;43:559-567. 14) Marcus SC, Wan GJ, Kemner JE, Olfson M. Continuity of methylphenidate treatment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rch Pediatr Adolesc Med 2005;159:572-578. 15) Hwang JW, Kim BN, Cho SC. Compliance study of methylphenidate IR in the treatment of ADHD. J Korean Acad Chid Adolesc Psychiatry 2004;15:160-167. 16) Charach A, Ickowicz A, Schachar R. Stimulant treatment over five years: adherence, effectiveness, and adverse effect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4;43:559-567. 17) Corkum P, Rimer P, Schachar R. Parental knowledge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opinions of treatment options: impact on enrollment and adherence to a 12-month treatment trial. Can J Psychiatry 1999;44:1043-1048. 18) Adler LD, Nierenberg AA. Review of medication adherence in children and adults with ADHD. Postgrad Med 2010;122:184-191. - 71 -
ADHD의 치료순응도 19) Seo WS, Chang HK, Kim JS, Lee JB.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hort Form, Parental Version of the Korean Swanson, Nolan and Pelham- IV (SNAP-IV).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8;47:64-72. 20) Pelham WE. Pharmacotherapy for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chool Psycho Rev 1993;22:199-227. 21) Solanto MV. The predominantly inattentive subtype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NS Spectr 2000;5:45-51. 22) Hodgkins P, Sasané R, Meijer WM. Pharmacologic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children: incidence, prevalence, and treatment patterns in the Netherlands. Clin Ther 2011; 33:188-203. 23) Lachaine J, Beauchemin C, Sasane R, Hodgkins PS. Treatment patterns, adherence, and persistence in ADHD: a Canadian perspective. Postgrad Med 2012;124:139-148. 24) Charach A, Gajaria A. Improving psychostimulant adherence in children with ADHD. Expert Rev Neurother 2008;8:1563-1571. 25) Pottegård A, Bjerregaard BK, Glintborg D, Kortegaard LS, Hallas J, Moreno SI. The use of medication against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Denmark: a drug use study from a patient perspective. Eur J Clin Pharmacol 2013;69:589-598. 26) Bussing R, Zima BT, Mason DM, Porter PC, Garvan CW. Receiving treatment for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o the perspectives of adolescents matter? J Adolesc Health 2011;49:7-14. 27) Barner JC, Khoza S, Oladapo A. ADHD medication use, adherence, persistence and cost among Texas Medicaid children. Curr Med Res Opin 2011;27 Suppl 2:13-22. 28) Atzori P, Usala T, Carucci S, Danjou F, Zuddas A. Predictive factors for persistent use and compliance of immediate-release methylphenidate: a 36-month naturalistic study.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2009;19:673-681. 29) Tzang RF, Wang YC, Yeh CB, Hsu CD, Liang HY, Yang PC, et al. Naturalistic exploration of the effect of osmotic release oral systemmethylphenidate on remission rate and functional improvement in Taiwanese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sychiatry Clin Neurosci 2012;66:53-63. 30) Sitholey P, Agarwal V, Chamoli S. A preliminary study of factors affecting adherence to medication in clinic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dian J Psychiatry 2011;53:41-44. 31) Hébert J, Polotskaia A, Joober R, Grizenko N. Adherence to psychostimulant medication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the role of attitudes. J C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3;22:317-323. 32) Cramer JA, Roy A, Burrell A, Fairchild CJ, Fuldeore MJ, Ollendorf DA, et al. Medication compliance and persistence: terminology and definitions. Value Health 2008;11:44-47. 33) Kim YJ, Oh SY, Lee J, Moon SJ, Lee WH, Bahn GH. Factors affecting adherence to pharmacotherapy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retrospective study.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0;21:174-181. 34) Garbe E, Mikolajczyk RT, Banaschewski T, Petermann U, Petermann F, Kraut AA, et al. Drug treatment pattern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Germany: results from a larg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2012;22:452-458. - 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