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IT산업 기술수준 분석 및 남북 협력방안 <목 차> Ⅰ. 북한 IT산업의 개황 Ⅱ. 북한 IT산업의 기술수준 분석 Ⅲ. 북한 IT산업 발전을 위한 남북 협력방안 Ⅰ 북한 IT산업의 개황 정보기술 산업 북한은 정보기술 산업을 관련 설비를 생산하고, 정보의 수집, 처리, 봉사를 제공하는 산업으로 정의 - 정보기계 설비(하드웨어) : 컴퓨터, 사무용 기계, 유 무선 통신 설비, 반도체 등 - 정보봉사(소프트웨어) : 프로그램의 작성, 정보검색 등 북한의 정보기술 산업은 80년대에 투자가 시작되었으며, 90년대 말부터 본격적인 산업 발전정책 착수 - 김정일은 98.2.8일자로 전국 프로그램 경연 및 전시회를 시찰하고 소프트웨어 개발 촉진을 지시 1) - 98.3월 최고인민회의 제10기 1차 회의에서 과학기술발전 5개년 계획 을 제시 * 본고는 김민관 선임연구원이 집필하였으며, 본고의 내용은 집필자의 견해로 당행의 공식입장이 아님 1) 일본 라디오 프레스, 00.12.31, 조선콤퓨터센터 인터뷰 104
북한 IT산업 기술수준 분석 및 남북 협력방안 북한의 과학기술발전 5개년 계획 1차 2차 3차 기간 1998~2002 2003~2007 2008~2012 발표 최고인민회의 10기 1차 회의 2002년도 전국 과학자 기술대회 최고인민회의 11기 6차 회의 내용 과학의 해(1999년) 설정, 전자공학, 컴퓨터 프로그램 등 첨단과학 부문에 우선순위 정보기술, 나노기술, 생물공학 발전에 역점 식량문제, 전력문제 등 인민생활문제 해결에 필요한 과학기술 발전 자료 : 통일교육원 북한지식사전 에서 정리 00년대 이후 북한은 정보기술 산업 발전을 위한 인재 양성 노력을 강화하고 관련 법제를 정비 - 99년 김일성종합대학에 컴퓨터과학대학 설치 이후 김책공업종합대학, 조선콤퓨터센터(KCC), 평양정보센터(PIC) 등 다양한 인재 양성기관 설립 - 03년 컴퓨터 소프트웨어 보호법, 04년 소프트웨어 산업법 채택 등 정보기술 산업 발전 관련 제도를 법제화 최근 북한은 O/S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태블릿을 생산하는 등 자체적인 정보기술 확보를 위해 노력중 - 06년부터 리눅스 기반의 O/S인 붉은별 을 개발하여 꾸준한 업데이트를 실시 - 10년대 이후 아침-판다콤퓨터합영회사, 룡악산정보기술교류소 등 여러 제조공장에서 다양한 종류의 태블릿을 생산하여 시판중 모바일 통신 산업 북한은 01년부터 전국 규모의 모바일 통신망 구축을 위한 장기계획을 수립 추진 105
북한 모바일 통신망 구축 계획 단계 기간 내용 1단계 2001~2002 태국 록슬리퍼시픽의 기술협조를 통해 평양과 나진-선봉 지역에 모바일 통신망을 건설 2단계 2002~2003 전국에 40여개의 모바일 통신 기지국 2) 을 설치, 도청소재지 및 주요 고속도로 주변에 모바일 통신 서비스를 개시 3단계 2004~2007 전국 규모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건설 4단계 2008~2009 정부기관과 일부 개인사용자를 위한 인터넷 시스템을 구축 동 계획에 따라 02년 태국 록슬리퍼시픽이 평양, 나진-선봉 지구에서 2G 휴대전화 서비스를 시작 - 이후 태국과 북한 체신성이 합작 설립한 동북아전화통신(NEAT&T) 社 가 사업을 인수하여 남포, 개성, 원산, 함흥 등 주요 도시로 사용범위를 확대 - 04년까지 군 및 노동당 간부를 중심으로 2만명의 가입자 확보 04년 룡천역 폭발 사건 3) 과 관련된 보안 취약점 문제 등으로 모바일 통신 사용이 금지되고, 장기계획 또한 추진 중단 - 폭발사건이 휴대전화 착신식 폭탄을 사용한 김정일 암살시도라는 미확인 소문으로 인해 북한 당국의 단속이 엄격해짐 08년 이집트 오라스콤 社 와 북한 조선체신회사가 합작한 고려링크 가 3G 서비스를 개시하면서 모바일 통신 관련 규제 해제 - 13년 말 기준 북한의 3G 모바일 통신 가입대수는 240만대를 넘어섰으며, 현재는 전체 인구의 10% 이상인 250만대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됨 북한 모바일 통신 가입규모 추이 (단위 : 만대) 연도 2009 2010 2011 2012 2013 가입대수 6.9 43.2 100 170 242 자료 : ITU-ICT Stastics 및 오라스콤 발표자료 2) 모바일 통신용 안테나와 디지털 신호 컨버터를 탑재한 70미터 규모의 철탑 3) 2004.4.22 질산암모늄 비료 수송 열차와 유조열차가 평안북도 룡천역에서 충돌하면서 폭발하여 54명의 사망자와 1,249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사고. 당시 인근을 경유하던 김정일 탑승 열차를 노리고 발생한 테러라는 소문이 돌아 북한 내부에서 각종 긴급조치가 실시된 것으로 알려짐 106
북한 IT산업 기술수준 분석 및 남북 협력방안 Ⅱ 북한의 IT산업 기술수준 분석 1. 총괄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기간망 및 모바일 통신망 부문에서 기술적으로 북한은 한국에 비해 10년 이상 낙후 - 한국은 세계적인 IT 강국 도약을 위한 기간 인프라 구축 차원에서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을 도입하였음 -반면, 북한은 국내에서의 인트라넷 및 모바일 통신 운영을 위한 필요 최소한의 IT 인프라만을 설치한 것으로 파악됨 북한의 철도 도로 전력 상하수도 등 여타 산업 인프라에 비해 기간망 및 모바일 통신망 인프라는 별다른 개보수 필요 없이 즉시 활용이 가능한 수준을 유지 - 90년대 본격적인 IT산업 발전정책에 착수하여 00년대 이후 완공한 설비들이 대부분인 바, 주로 일제 강점기 및 60~ 70년대에 구축된 여타 산업 인프라에 비해 상태 양호함 태블릿, 휴대폰 단말기 등 정보통신 사용자 기기 관련 기술의 격차는 약 5년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편 - 이는 사용자 기기의 기술이 단기간에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어 북한이 중국을 통해 구세대 기술을 쉽게 도입할 수 있기 때문 북한 IT산업의 분야별 기술경쟁력 구분 기간망 모바일 통신 PC 태블릿 휴대폰 단말기 도입시기 2002년 2008년 2003년 2012년 2013년 특징 한국과의 격차 평양과 주요 도시만 연결, 2.5Gbps 속도 3G WCDMA, 거주지역 94% 커버 중국산 부품을 수입하여 조립 생산 중국 모델을 도입하여 개량, 현지화 중국 모델을 도입하여 개량, 현지화 20년 15년 20년 5년 5년 107
2. 분야별 기술수준 기간망(Backbone) 북한은 1990년대 초반 UNDP의 지원하에 평양과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광섬유 케이블 부설에 착수하여 정보기술 산업 및 모바일 통신 산업을 위한 기간망을 구축 - UNDP 지원을 통해 92.4월 북한 최초의 광섬유 케이블 공장인 평양빛섬유 통신케이블공장 4) 등을 건설 - 그 밖에도 전화기, 교환기, 유선중계기 등 통신기계를 생산하는 평양통신 기계공장 및 원산통신케이블공장 등을 통해 생산능력 확충 평양빛섬유통신케이블공장 3.26전선공장 자료 : 통일뉴스, 2013.9.17 자료 : 조선중앙통신 2015.2.21, 연합뉴스 재인용 95~ 02년에 걸쳐 평양과 전국 주요도시를 연결하는 광섬유 케이블 네트워크 기간망 구축을 완료 - 초기에는 나진-선봉 자유무역지대 등 대외 교역 및 외국인 왕래가 활발한 지역에서 시작되어 평양 및 대도시로 확산 4) 1992.4.11 조업 개시한 체신성 산하의 공장으로 북한 내에서는 3월4일공장 으로 호칭, 광섬유 케이블 및 통신케이블을 자체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알려짐 108
북한 IT산업 기술수준 분석 및 남북 협력방안 - 현재 북한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는 2.5Gbps의 광섬유 케이블망이 구축되어 북한 자체 인트라넷인 광명망 5) 접속과 모바일 통신을 위한 정보 처리에 활용 북한의 광섬유 케이블 네트워크 구축 추진과정 시기 지역 주요 내용 1995년 초 1995년 9월 1996~97년경 나진-선봉 자유무역지대 ~중국 길림성 훈춘시 평양~함흥 평양~청진 함흥 ~나진-선봉 95km 광섬유 케이블망 300km 광섬유 케이블망 6개 기지국, 480개 PCM(Pulse Code Modulation) 라인 도시간 광섬유 케이블 연결 1998년 2월 평양~신의주 및 인근 주요 도시 400km 광섬유 케이블망 2000년 3월 평양 북부 주요도시 도시간 광섬유 케이블 연결 2001년경 평양~남포 광섬유 케이블망(규모 미상) 2002년경 평양~9개 도청 소재지 등 전국 주요 도시 2.5Gbps의 광섬유 케이블 기간망 자료 : 正 論, 産 経 新 聞 社 (2006.11) 및 Shanghai Northeast Asian Forum (2007.11) 발표내용 정리 북한의 기간망 기술수준은 한국에 비해 약 20년 가량 낙후 - 북한 공공기관 이용자들은 북한 전국에 구축된 8Mbps 용량의 ADSL 및 100Mbps 용량의 광케이블을 통해 광명망에 접속하고 있으며 6), 개인 이용자들은 주로 PPP 방식 7) 을 사용 5) 주민들의 인터넷 접속을 철저하게 제한하고 있는 북한이 인터넷 대신 사용하고 있는 전국적인 인트라넷 체계, 1984년 개설된 보위부의 인트라넷인 방패망을 확대하여 1995~98년간 완성되었으며 주요 연구기관이나 교육기관, 언론, 기업 등 정부기관 및 학교기관 등의 웹사이트를 광명망에 개설하였으며, 기관 및 개인들은 홈페이지 자료 검색, 이메일, 게임, 교육 등의 기능을 이용 가능 6) 광명망 이용자수에 대한 통계는 없으나, 2010.10월 시점에서 함경남도의 광명망 가입 기관 및 개인은 3만 5천명 수준으로 알려짐, 북한 민주화와 주민의 알 권리 세미나 토론자료(2011.5.23), NK지식인 연대 김흥광 대표 7) 모뎀과 전화 회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식 109
- 북한 사용자들은 속도도 충분하며, 케이블모뎀 등 관련 장비를 수월하게 입수할 수 있는 ADSL에 만족하고 있으며, 별도의 고속 인터넷망은 구축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됨 -반면, 한국은 1980년대 초에 전국적인 광섬유망을 완공하였으며, 현재는 개인 이용자에게까지 10~100Gbps대의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전용망을 구축 모바일 통신망 02~ 04년간 북한은 2G 서비스를 위해 유럽에서 주로 사용되는 모바일 통신망 기술인 GSM 8) 을 도입 - 보안 문제 및 관련 장비 도입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미국 퀄컴(QualComm)이 개발하고 한국이 도입한 2G 규격인 CDMA를 의도적으로 피한 선택으로 알려짐 08년부터 오라스콤이 북한에 도입한 3G 모바일 통신망 기술은 GSM 기반을 업그레이드한 WCDMA 9) - 한국의 SKT 및 KT 또한 03년부터 WCDMA 상업용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바, 남북한 상호 호환이 가능 10) 도시간 모바일 통신 중계 및 개별 단말기 접속 분배를 위한 중계탑 및 기지국 설비의 경우 중국 화웨이의 기기를 사용 - 이는 미국 등 서방 설비 사용에 따른 보안 문제 및 관련 장비 도입 용이성, 비용 문제 등을 고려한 것으로 보임 8)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 유럽에서 개발된 2세대 모바일 통신 규약으로 CDMA를 사용하는 한국의 통신사 및 중국 차이나텔레콤, 일본 KDD, 미국 버라이즌 및 스프린트 등을 제외한 전세계 주요 통신사들이 2G 표준규격으로 채택 9)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CDMA와 GSM으로 나뉘었던 2G 표준규격과는 달리, 전세계가 사용하는 3G 규격으로 빠른 데이터 전송과 손쉬운 로밍 등이 장점 10) USIM칩만 바꾸어 장착하면 북한에서 구입한 단말기로도 한국에서 통화 가능하며(일본 WirelessWire News 2014.8.10자 기사), 반대로 한국산 단말기를 북한에서도 사용 가능함(미국 자유아시아 방송, 2015.8.26자 기사) 110
북한 IT산업 기술수준 분석 및 남북 협력방안 평양-개성 고속도로 주변의 중계탑 평양시내 상업시설에 설치된 기지국 자료 : 일본 S-MAX, 2014.9.11 자료 : 일본 S-MAX, 2014.9.11 북한 주요 인구 거주지의 94%에서 모바일 통신이 가능 11) -다만, 평양 및 14개 주요 도시에 비해 기타 소도시 및 교외지역의 신호 강도 차이가 심해 균등한 통화품질을 보장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짐 - 면적 측면에서는 북한 전 지역의 약 14%만을 서비스 범위로 포함하고 있어, 주요 도시 및 고속도로 주변을 벗어날 경우 모바일 통신은 거의 불가능한 상황임 소수의 강력한 대형 중계탑 12) 을 설치하여 기지국과 단말기를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바, 동일한 시내에서도 건물 위치 등에 따른 통신품질 차이가 크게 발생 - 오라스콤은 단시간 내에 가능한 한 넓은 지역에 걸친 서비스 영역을 구축하기 위해서 70m급 대형 중계탑을 주로 설치한 것으로 알려짐 모바일 통신의 신호 강도(RSSI)는 평양 시내 기준 -80dBm 13) 전후로서 14), Signal Bar Mapping 국제 기준으로 양호(Green, 안테나 4~5개)하며, 한국과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임 11) Orascom Telecom Holding 실적발표자료, 2011년 3분기 12) 더 높은 지역에 중계설비를 설치하기 위해 평양의 경우 101층 규모 류경호텔 상층부에도 중계 안테나 및 디지털 신호 변환기 등이 설치된 것으로 알려짐 13) decibel-milliwatts : 전력의 절대 측정단위, 주로 작은 전력 신호의 증폭이나 손실을 나타날 때 사용 14) 일본 S-MAX 2014.9.11 111
평양시내 모바일통신 신호강도 Signal Bar Mapping 자료 : 일본 S-MAX 2014.9.11 자료 : ANANDTECH(2009) 북한의 모바일 통신 사용자 1인당 MOU 15) 는 300분 내외 16) - 이는 한국의 MOU 298분 17) 과 유사한 수준이며, 북한의 모바일 통신 사용이 매우 활발함을 의미함 고려링크는 단순 통화기능 이외에도 3G 기능을 통해 제공 가능한 각종 부가서비스를 점진적으로 추가 제공 북한 고려링크의 부가서비스 시기 2009년 1분기 2009년 2분기 2010년 3분기 2011년 1분기 서비스 내용 외국인 사용자를 위한 WAP 18) 및 HSPA 19) 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 기능 제공 단문메시징(SMS) 서비스 개시 화상전화 기능 추가 다중문자전송(Multi Messaging Service) 개시 15) Minute of Usage, 월평균통화량 16) Orascom Telecom Holding 실적발표자료, 2011년 3분기 17) 전자신문 2014.12.9 18)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 휴대폰, PDA 등을 통해 네트워크상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쉽도록 변환하기 위한 국제 표준 규약 19) High Speed Packet Access : 모바일 기기에서 다운로드와 업로드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패킷 처리기술 112
북한 IT산업 기술수준 분석 및 남북 협력방안 북한은 김책 공업대학, 희천 공업대학을 중심으로 양성한 자체 인력을 활용, 오라스콤을 통해 3G 모바일 통신 운영기술을 습득 - 고려링크는 20명의 이집트 통신 기술자들과 200여명의 북한 기술자들을 고용하여 기술 지원 업무를 수행함 20) 북한의 모바일 통신망 기술은 한국에 비해 약 15년 낙후 - 북한은 모바일 통신망의 단순 운영 및 유지 보수는 가능하나 독자적인 운영기술의 개량이나 차세대 통신기술 개발은 불가능 -반면, 한국은 11년 4G 통신을 상용화 하였으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세계 최초로 차세대 기술인 LTE Advanced를 시연하는 등 모바일 통신망 관련 기술을 선도 PC 북한은 아침-판다콤퓨터합영회사 21) 를 통해 데스크톱을 조립 생산 - 북한은 유투브 동영상을 통해 동 회사가 모니터, 본체, 키보드, 스피커 등 데스크톱 관련 제품을 조립 검사하는 모습을 공개 아침-판다콤퓨터합영회사의 모니터 및 데스크톱 생산모습 자료 : 유투브(2013) 20) German Financial Times, 2011.5.8, The pyramid builders of Pyongyang 21) 02년 중국 남경판다전자와 북한 전자공업성 산하 대동강계산기합영회사가 설립한 북중 합작기업. 팬티엄급 조립PC인 아침판다PC를 생산하여 북한 내에 판매하였으며, 현재도 조립PC를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113
북한은 PC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중국에서 중고 컴퓨터를 수입하거나 일본 등 주변국으로부터 중고 데스크톱 PC를 밀수 22) - 밀수된 PC는 조선콤퓨터센터 등 북한의 IT 개발기관으로 납품되어 IT교육 등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그 밖에도 북한은 소형 저성능 노트북 PC를 조립 생산하여 교육용, 사무용 등으로 활용 북한이 생산한 교육용 및 사무용 노트북 자료 : 연합뉴스, 2011.05.31 북한의 PC 생산 기술은 한국에 비해 20년 가량 낙후 - 북한은 03년부터 아침-판다콤퓨터합영회사에서 PC 부품을 중국에서 수입하여 단순 조립해 왔으며, 현재도 별다른 기술발전은 없는 것으로 보임 - 한국은 80년대 초반부터 PC 조립생산을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디자인 개발 및 부품 설계 노하우를 축적하여 기획에서 생산에 이르까지 전 공정에 자체 기술을 활용 22) 共 同 通 信, 2012.2.2 114
북한 IT산업 기술수준 분석 및 남북 협력방안 태블릿 북한은 12년부터 태블릿을 생산하였으며 수시로 최신 모델을 공개하는 등 정보단말기로서 태블릿을 적극 활용 -아침-판다콤퓨터합영회사의 아침, 평양정보센터의 아리랑, 조선콤퓨터센터의 삼지연, 룡악산정보기술교류소의 룡흥, 평제회사의 묘향 등 아침-판다콤퓨터합영회사의 아침 은 7인치 터치스크린 화면과 5시간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테스트 공정, 조립공정 등을 공개하였으나, 부품 및 기판 제조공정에 대한 보도가 누락된 점 등을 감안시 중국산 태블릿을 단순 조립하는 수준인 것으로 추정 북한 태블릿 PC 아침 생산모습 자료 : ZD Net Korea, 2012.7.27 평양정보센터(PIC)가 개발한 아리랑 태블릿은 화면크기 7인치 및 10인치 2가지 버전으로, 7인치는 키보드 외장형임 - 네트워크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북한의 광명망에 접속하여 자료 업 다운로드 가능 115
북한 태블릿 PC 아리랑 아리랑 태블릿 내장 앱(app) 자료 : 연합뉴스, 2012.10.26 자료 : 연합뉴스, 2012.10.26 조선콤퓨터센타의 태블릿 삼지연 은 12년 처음 소개되었으며, 13년 사양이 변경된 업그레이드 버전을 발표 - 월스트리트저널 아시아판 기사( 13.11.1)에 소개된 13년 모델은 7인치 화면, CPU 1GHz, 내장 메모리 4GB, 200만 화소 카메라 등으로 구성 - 불법복제판 앵그리버드 등 14개의 게임과 외국어 사전, MS Office 패키지 등 488개의 기본 App 탑재 북한 태블릿 PC 삼지연 삼지연 태블릿 내장 앱(app) 자료 : 머니투데이 2013.11.2 자료 : 머니투데이 2013.11.2 116
북한 IT산업 기술수준 분석 및 남북 협력방안 룡악산정보기술교류소가 개발한 룡흥 태블릿은 화면 7인치, CPU 1GHz이며, 내장 메모리는 8GB 및 16GB 2종류 - 내장 어플리케이션을 살펴볼 때 주체사상 학습이나 초 중등학생 정규 교육 보조기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인 것으로 보임 북한 태블릿 PC 룡흥 룡흥 태블릿 내장 앱(app) 자료 : 연합뉴스, 2013.12.2 자료 : 연합뉴스, 2013.12.2 북한 조선중앙TV는 15.5월 18차 평양봄철국제상품전람회 소개 방송에서 평제회사가 개발한 신형 태블릿 PC 묘향 을 공개 - 화면 9인치, CPU 1GHz 듀얼코어, RAM 1GB, 내장 메모리는 8GB 및 16GB 2종류이며, TV 수신기능을 탑재함 북한 태블릿 PC 묘향 묘향 태블릿 사양소개서 자료 : 연합뉴스, 2015.5.15 자료 : 연합뉴스, 2015.5.15 117
북한의 태블릿 기술은 한국에 비해 5년 이상 낙후 - 북한은 중국산 태블릿 부품을 거의 그대로 수입하여 약간의 개량만을 거치고 있는 수준임에 비해, 한국은 10년부터 자체적으로 태블릿을 생산 - 10년에 출시된 한국의 삼성 갤럭시탭 1세대 사양은 7인치 화면, ARM Cortex-A8 1GHz CPU, 내장메모리 16/32 GB, 300만화소 카메라 등으로 가장 최근 발표된 북한의 묘향 보다 강력한 성능을 보유 제조사 화면 크기 북한 태블릿 사양 비교 아침 아리랑 삼지연 룡흥 묘향 아침-판다컴퓨터 합영회사 7인치 평양정보 센터 7인치 및 10인치 조선콤퓨터 센타 룡악산정보 기술교류소 CPU 不 明 1.5GHz 1GHz 1GHz 내장 메모리 기타 4GB 16GB 4GB 5시간 사용 가능 배터리 7인치는 키보드 외장형 평제회사 갤럭시탭 (1세대) 삼성 7인치 7인치 9인치 7인치 200만 화소 카메라 내장 8GB 및 16GB 키보드 외장형 1GHz 듀얼코어 8GB 및 16GB TV수신 기능 Cortex-A8 1GHz 16GB 및 32GB 300만 화소 카메라 내장 휴대폰 단말기 02~ 04년간 2G 모바일 운영기간중 북한은 중국 등을 통해 입수가 용이하고 기술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Nokia의 단말기를 주로 수입하여 북한내 사용자들 에게 판매 - 동북아전화통신회사(NEAT&T)는 03년 3월경 중국으로부터 3만대의 중 고급형 Nokia 모델을 구입, 평양 및 나진-선봉에 판매한 것으로 알려짐 118
북한 IT산업 기술수준 분석 및 남북 협력방안 3G 모바일 통신 개시 이후 폭증하는 단말기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북한은 중국과 서구의 중 저가형 단말기를 수입 판매 - 중국 화웨이와 ZTE의 모델이 대부분이며, 모토롤라와 노키아 등 서구 모델도 판매되고 있으나 비중은 매우 낮은 편 -바(Bar)형, 폴더형의 경우 300~400달러 수준의 중국 저가모델이며, 터치 스크린형의 경우 700달러를 초과하는 모델도 판매됨 13.8월 북한은 평양의 5.11공장에서 자체 제작한 터치스크린형 휴대폰 단말기인 아리랑 을 생산중이라고 발표 - 실제로는 중국의 휴대폰 모델을 부품으로 수입한 뒤, 자판 등 일부 현지화를 거쳐 조립 북한 휴대전화 아리랑 중국 수입품 아리랑 배터리 자료 : 일본 WirelessWire News 2014.3.10 자료 : 일본 WirelessWire News 2014.3.10 그 밖에도 평양타치 등 저사양 모델이나 바형, 폴더형 등 보급형 모델도 생산하고 있으나, 외국의 구사양 제품을 베이스로 한 모방생산품인 것으로 알려짐 119
북한 휴대전화 평양타치 평양타치의 베이스인 알카텔의 T POP 자료 : 일본 blogofmobile.com 2014.4.10 자료 : 일본 blogofmobile.com 2014.4.10 북한의 휴대폰 단말기 기술은 한국에 비해 5년 이상 낙후 - 북한은 중국산 부품을 도입하여 단순 조립 생산하고 있는 수준임에 비해 한국은 다양한 사양의 휴대폰 단말기를 자체적으로 제작 수출하는 등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력을 보유 - 11년에 출시된 한국의 삼성 갤럭시S2의 경우 모든 면에서 최근 발표된 북한의 평양타치 보다 강력한 사양을 보유 북한 휴대폰 단말기 사양 비교 아리랑 평양타치 갤럭시S2(삼성) 프로세서 A5, 1.2 GHz A9, 1.0 GHz A9 1.2 GHz CPU 메모리 768MB SDRAM, 4GB 내장 메모리 256 MB SDRAM, 512MB 내장 메모리 1GB SDRAM, 8GB 내장 메모리 디스플레이 4.3인치 TFT-LCD 3.5인치 TFT-LCD 4.27인치 AMOLED 카메라 전면 200만, 후면 800만 후면 200만 전면 200만, 후면 800만 배터리 Li-Ion 1900mAh Li-Ion 1450mAh Li-Ion 1650mAh 운영체제 네트워크 기타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무선 인터넷 사용 불가 Wi-Fi 사용 불가 중국 Uniscope의 스마트폰 U1201 기반 안드로이드 2.3 진저브레드 무선 인터넷 사용 불가 Wi-Fi 사용 불가 프랑스 알카텔의 One Touch T Pop 기반 안드로이드 2.3 진저브레드 LTE, Wi-Fi 자체 설계, 제작 120
북한 IT산업 기술수준 분석 및 남북 협력방안 Ⅲ 북한 IT산업 발전을 위한 남북 협력방안 정보기술 분야 북한지역에 보편적인 수준의 인터넷 접속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기간망 건설이 필요 - 현재 북한에 건설된 2.5Gbps 수준의 광케이블 네트워크로는 동영상 스트리밍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 활용이 보편화된 최근의 인터넷 환경에 대응하기 곤란 북한지역 기간망 건설 운용에 SKT, KT, LG 등 한국 기간망 사업자들의 역할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 기간망은 국가 중요 인프라로서 북한 정부와의 전면적인 신뢰관계 없이는 외부의 민간 사업자가 참여하기 어려움 -다만, 기술지원 및 인력육성 등의 분야에서 한국 사업자들의 협력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PC, 태블릿 등 정보기술 사용자용 단말기의 경우 북한이 현재 자체 조립 생산 및 현지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점을 활용 - 고사양 제품은 기술적으로 완성도 보장이 불확실한 바, 북한 소비자 구매력을 고려한 저가, 저사양 제품 위주로 협력 추진 한국에서 개발한 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의 구모델 생산 기술을 북한 제조사에 제공하여 북한 현지에서 조립 판매 - 중장기적으로는 해당 모델의 부품 생산업체가 개성공단 등 북한에 조성되는 남북협력단지에 진출하거나 북한 기업소에 부품 생산을 하청하는 방식으로 현지화 비율을 높임 정보기술 분야의 남북협력 추진을 위해서는 첨단 기술의 이전을 제한하고 있는 바세나르 협약 23) 의 유연한 적용이 필수 23) Wassenaar Arrangement : 1994년 구 사회주의 국가들에 대한 전략물자 수출을 통제하기 위해 결성되었던 COCOM이 해체된 후 이를 대체해서 북한, 이라크, 리비아 등 소위 불량국가들에 대한 제재를 위해 새로이 출범시킨 다국적 협의체. 회원국은 미국, 일본, 한국, EU국가 등 서방세계를 중심으로 총 33개국 121
모바일 통신 분야 북한의 모바일 통신은 통화품질, 서비스 지역, 사용편의 측면에서 만족스러운 수준에 도달 - 이는 북한 內 모바일 통신 가입대수의 증가 추이와 북한을 방문한 외국인의 사용 경험 등을 통해 교차 검증됨 - 특히 북한 사용자들의 MOU가 한국 수준을 초과하는 바, SKT, KT, LGT 등 한국의 통신서비스 사업자가 북한 진출시 충분히 채산성 확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됨 한국 통신사업자들은 남북한 상호 호환 가능하며 현재 북한에서 사용하고 있는 3G망을 임대하는 별정통신 24) 방식으로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 - 중장기적으로는 한국 수준의 통화품질 확보를 위해 평양 등 주요 도시내 개별 기지국 건설 등 추가 투자가 필요함 휴대폰 단말기의 경우 한국의 기술적 산업적 선도분야인 스마트폰을 북한에 보급하는 것은 사실상 곤란 - 스마트폰의 핵심 기능인 무선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한 바, 북한 내의 구매 수요는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반면, 저가형 단말기의 경우 북한 현지 조립생산을 통한 공급방법으로 남북한 협력이 가능 - 북한은 중국제 단말기 조립 생산 경험을 축적하였으며, 운영체제, 내장 어플리케이션 등을 자체적으로 개량 수정하여 배포하고 있는 등 기술적 협력 가능성 충분함 24) 통신사업자가 자체망 없이 기간통신사업자의 일부 회선을 빌려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초기 진입시 큰 투자를 요하지 않으며 진출입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음. 한국의 경우 SKT 망을 사용하는 모빙, 티플러스, 아이즈비전, KT망을 사용하는 CJ 헬로 모바일, 에버그린 모바일, 프리씨, Well, KTIS M모바일, LG U+망을 사용하는 프리티, CNmvno, 몬티스타텔레콤 등이 있음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