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도시 공공디자인 기본계획의 실효성 및 지속성 제고에 관한 연구 - 고성군을 중심으로 - Study on Public Design Master Plan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 Focusing on Goseong-Gun - 주저자 김정범 Kim, Jungbum 경동대학교 디자인학과 교수 Professor Kyungdong University kjb@k1.ac.kr 교신저자 박현욱 Park, Hyeonwook 경동대학교 디자인학과 교수 Professor Kyungdong University phw@k1.ac.kr 공동저자 오상철 Oh, Sangchul 가천대학교 조경학전공 석사과정 Master course Gachon University ohrang537@naver.com 투고일 2012.12.20 심사일 2013.4.9 게재확정일 2013.4.13
목 차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소도시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2.1. 소도시 공공디자인 개념 2.2. 소도시 공공디자인의 영역 2.3. 공공디자인 관련 법규 3. 소도시 공공디자인 사례연구 3.1. 국내사례연구 3.1.1. 파주시 헤이리마을 3.1.2. 전주시 특화거리 조성사업 3.1.3. 제주시 이중섭거리 조성사업 3.2. 해외사례연구 3.2.1. 독일 체크포인트찰리 3.2.2. 스위스 나프베르그란드 3.2.3.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워터프런트 4. 고성군 공공디자인 현황 4.1. 현황 및 문제점 4.2. 고성군 경관분석 5. 고성군 공공디자인 기본방향 및 추진전략 5.1. 지역주민 및 관광객 설문조사 5.1.1. 설문조사 조사내용 5.1.2. 설문조사 결과 분석 5.2. 고성군 공공디자인 기본방향 5.3. 고성군 공공디자인 추진전략 5.3.1. 유형별, 공간별 기본 가이드라인 5.3.2. 농촌경관 해양경관의 관광자원화 5.3.3. 디자인관련 단계별 행정지원 체계구축 5.3.4. 유형별 시범사업 선정 6. 결론 Keyword 공공디자인, 지역특성, 가이드라인 Public Design, Community Character, Guide Line Abstract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nationwide have been promoting the project to improve public and environmental design based on the concept of public design in order to design a city. However, the public design project tends to be initiated by either Seoul or metropolitan cities, and small cities in the countryside hardly reflect their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it such as living environment, history and culture, and natural environment; thus, in fact, there exists discordance in the step of making public design policy to the step of implementing it. Therefore, through profound consideration and research on regional characteristics, it is needed to build basic public guideline plans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conditions in order to realize regional development based on the design significance and public design. With this idea, this study aims to suggest feasible pilot plans for public design and regional development centering around Goseong-gun, Gangwon-do and use it as foundational data for regional development by securing sustainability of the public design project. 논문요약 21세기의 도시는 새로운 형식과 내용을 요구하고 있 다. 현대사회에 있어서 도시는 도시가 지니는 자체의 특 성으로 인해 훌륭한 문화자원으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제 도시의 발전은 소득 및 고용증가로 대표되는 경제 적 번영과 지역민들이 향유하는 문화의 수준향상을 포함 하는 보다 폭넓은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도시를 새롭 게 디자인하고 있는 공공디자인은 도시를 있는 그대로 인식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보이지 않는 어떤 것들에 대 한 강렬한 추구로 이어져야한다. 중앙정부 및 전국 지방자치단체는 공공디자인 개념 을 바탕으로 공공 환경디자인 개선사업을 실시하여 도 시를 디자인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공디자인 프로젝트의 경향이 서울 및 거대 광역도시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고, 지방 소도시의 경우에는 지역의 생활환경, 역사 문화, 자연환경 등 지역특성에 대한 반 영이 불충분하여 공공디자인 정책단계에서 시작하여 실 행단계까지의 괴리감이 존재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따 라서 지역특성에 대한 깊은 고찰과 연구를 통하여 지역 김정범,박현욱,오상철ㅣ소도시 공공디자인 기본계획의 실효성 및 지속성 제고에 관한 연구 41
실정을 고려한 공공가이드라인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디 자인의 의미와 공공디자인을 통한 지역발전이 가능하다 고 생각된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강원도 고성군을 위주로 지역발전과 실현가능한 공공디자인 시범사업계획 을 제시하고, 공공디자인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하여 지역 발전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공공디자인은 도시공간에서 수행되는 공적인 디자인 으로 공적영역 사회구성원 전체가 이용하기 쉽게 계획하 고 실행하는 통합적 디자인 활용과 사적영역 일지라도 공공적 성격을 갖는 디자인 활동 1) 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 러한 디자인은 인간이 지켜야 할 질서로서 그 질서는 자 율적인 질서이며 자연스럽게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고 사 회를 이어가는 원을 이루는 것으로 자연에 이미 그 질서 가 존재한다면, 자연의 법칙은 디자인에 우선하는 것이 될 것이다 2). 그리고 모든 지역의 디자인을 획일화하고 도 시 중심의 공공디자인을 계획하는 것은 지역적으로 문제 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경쟁적으로 도입된 지방자치단 체의 공공디자인 계획은 도시경관에 대한 정비에 주력하 여 지역별 도시가 가지고 있는 정체성 및 차별성에는 다 소 부족한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국내외 사례를 지역의 여건과 특색에 맞지 않게 표면적으로 모방하여 시, 군지 역의 개성을 살리지 못하고 있어 대부분의 공공디자인이 지역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담아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 다. 또한 지방 소도시의 경우 도시경관의 개선과 더불어 사회적 배경의 변화로 최근 관심이 높아진 농촌경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및 활용도 매우 중요하다. 이런 관점 에서 도시의 공공디자인은 개인의 영역과 공공의 영역을 조화롭고 슬기롭게 디자인 하고, 도시민의 편리성을 추구 하며, 도시의 외형적 아름다움 보다는 그 도시만의 지역 적 특성을 나타 낼 수 있도록 디자인 되어야 한다. 그럼으로 고성군의 공공디자인은 신도시 및 대도시 공공디자인 계획과는 달리 중 소도시의 자연환경, 생활 환경, 역사 문화환경을 고려한 지역특성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기존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자연경관 및 농촌 고유 경관에 대한 이해 및 활용을 통하여 지역특화 및 차별화된 공공디자인을 모색하여 본다. 또한, 고성군의 해안경관 및 접경지역에 대한 분석 및 공공디자인 적용 에 대한 연구로 자연활용형 도시이미지를 구축하여 관광 도시, 농 어업도시, 접경도시로서 특유의 역사성과 차별 성을 가진 공공디자인을 추구한다. 1)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8년) 2) 북유럽 디자인(2011년, 시공아트, 안애경 저) 고성군은 동해안 최북단으로 최초의 민간인 남북교류 인 금강산관광(1998년 11월)으로 상징성이 매우 큰 지역 이다. 하지만 지난 2008년 7월 관광객 피살 사건 이후 남 북관계 악화로 금강산관광이 중단되어 약 2조 280여억원 의 피해액이 예상되고 있다. 그 중 고성군의 피해는 약 1,400여억원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금강산관광 및 대북산 업과 관련된 업종종사자인 고성군 주민들이 상당한 피해 를 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유동적 남북관계를 고려 하고, 관광산업의 자생적인 활성화를 위하여 천혜의 자연 경관과 특색 있는 콘텐츠 구축으로 관광객을 유치하고, 고성군내 지역상권이 활기를 되찾을 수 있는 디자인 방 법을 연구해야 한다. 이러한 공공디자인 개발은 주변 환 경과 조화되는 특화거리 조성, 관광자원간의 연계 및 콘 텐츠 구축, 아름다운 어촌의 관광자원화, 진부령권역 순 환동선 구축을 통한 지역 활성화 등 향후 실현가능한 시 범사업으로 고성군 이미지를 개선하고 관광도시로서의 경쟁력을 증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성군이 계획하고 있는 지역 개발 이 공공디자인을 통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발전 할 수 있는 표본사례가 되었으면 한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현재 지방 소도시에서 개발되고 있는 공공디자인은 대도시 및 신도시에서 이루어진 공공디자인을 모방하여 지역성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고성군의 지역적 역사적 특성을 고려하여 타 도 시와는 다른 차별화 개성화 특성화 되는 공공디자인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향후 고성군의 공공디자인 발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공공디자인의 전반적 개념 을 이해하고 국내외 선진 사례를 통해 소도시 공공디자 인의 분석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성군 고유의 경관현황분석을 통하여 공공디자인의 기본방향을 분석하고 지역주민 및 관광객 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내용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유 형별 공간별 공공디자인 추진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유형별 시범사업을 선정하여 실제 디자인사업과의 연계를 통한 본 연구의 성과 및 기대효 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소도시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2.1. 소도시 공공디자인 개념 일반적으로 도시는 계층적 분류에 따라 인구규모를 기준으로 대도시 중도시 소도시로 구분하고 있는데, 인간 정주( 人 間 定 住 )의 과학을 제창한 도시계획가인 Doxiadis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제43호 (2013. 4) 42
는 도시를 소도시(small town & town) 중도시(large city) 대도시(metropolis) 거대도시(megalopolis)등으로 구분하였다. 3) 소도시의 개념 정의는 인구규모, 행정단위, 산업형태, 도시시설 등을 기준으로 하여 개념을 정의하는 양적측면 과 기능에 따라 개념을 정의하는 질적 측면으로 구분되 고 있다. 소도시의 기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지역사회 (Community)에 정착하고 있는 거주자에게 일상생활에 필요한 서비스(necessary services)를 제공하는 일이기 때 문에 소도시의 공공디자인은 도시안에 생활하고 있는 거 주민의 생활을 이해하는것이 매우 중요하다. 공공디자인이란 공공성과 객관성 그리고 지속가능성 에 디자인 초점을 맞추고 개인 차원을 넘어 모두의 삶의 질을 총체적인 입장에서 향상시키고자 하는 디자인이다. 4) 원시공동체 사회는 자연의 관습에 의한 삶으로 공공 시설이 일상생활에 별다른 지장을 주지 않았으나, 문명의 발달과 함께 도시화가 진행되고 기능이 다양한 사회가 전개 되면서 개인의 생활과 병행하여 공공장소의 여러 장치와 장비를 보다 합리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5) 여기에서 공공디자인 개념이 생성되었으며 다양 한 형태로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이런 관점에서 소도시의 공공디자인이란 공공의 시설과 공간에 대한 여러 부문의 계획과 디자인을 포함하여 간단한 시각적 인쇄 자료에서 부터 가로장치물, 건물 내 외부의 주요 공간디자인, 조 명과 조경, 건물주변의 외부 공간, 대상에 따라서는 주변 의 도시 맥락과 관련한 경관디자인까지 범주에 들어간 다. 6) 또한 공공디자인에 관한 법률안에 따르면 공공디자 인이란 공공기관이 조성 제작 설치 운영 및 관리하는 공간 시설 용품 정보 등의 심미적 상징적 기능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행위와 그 결과물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공공디자인은 도시디자인, 경관디자인 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대상이 무척 광범위하고 의미 도 포괄적이기에 각 디자인 대상들과 이를 사용하는 사 용자들과의 유기적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그러나 인간은 디자인의 영역에서 개인적 영역에 대한 가치는 인정하면 서 공공에 대한 디자인 가치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성향 이 강하다. 그러므로 특히 소도시의 공공디자인을 시행 할 때는 사용자(특히 거주자 또는 지역주민)의 생각을 디 자인에 반영해야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3) C.A. Doxiadis Ekistics, Vol31, No. 138., 1971, p2. 4) 공공디자인학회 공공디자인강좌(2009년, 가인디자인랩, 권영걸) 5) 문화도시 경쟁력과 디자인(2007년, 기문당, 송진희 저) 6) 공공디자인의 가치를 성찰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생각(2007년, 산 업과 문화를 융합하는 국가 디자인의 방향, 조성룡 발표) [그림 1] 소도시 공공디자인 수립의 전제 2.2. 소도시 공공디자인의 영역 공공디자인은 크게 공공이미지 디자인(Public Communication Design)과 공공공간 디자인(Public Space Design), 공공시설물 디자인(Public Facility & Product Design)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공공이미지 디자인은 사유 영역과 정보매체를 통해 교류되는데 공공영역에서 시각 적으로 표현되는 통합된 아이덴티티, 각종 상징요소, 정 보시스템, 옥외광고물 등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영역이다. 공공공간은 일정한 공간단위의 통일적인 외관을 형성하 는 도시경관, 관공서와 공공 문화시설 등의 공공건물, 인 도와 차도의 교통공간, 공원이나 광장 등 개방공간(Open Space), 문화유산과 전통 거리가 있는 역사공간, 문화나 관광 등과 특별지정 지역, 도시 색채 및 야간조명계획 등 을 포함하고 대체적으로 공간을 통해 사유영역과 교류된 다. 공공시설물은 도시민의 공동생활과 도시경제, 사회활 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주민들의 공공 복리증진 을 위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설치하는 시설 혹은 민간이 정부의 지원이나 자력으로 설치하는 시설로서 가 로에 설치되는 가로시설물, 공공시설 및 개방공간에 설치 되는 각종 장치물 등이 있다. [표 1] 공공디자인의 영역 및 종류 디자인 분류 소통방법 종 류 정보 정보 및 방향 유도사인, 픽토그 매체 영상 램, 간판, 홍보영상 공공이미지 디자인 상징 상징사인, 로고, 벽화, 정보 매체 미디어 아트 김정범,박현욱,오상철ㅣ소도시 공공디자인 기본계획의 실효성 및 지속성 제고에 관한 연구 43
따라서 지자체별 법률관련 심의위원회를 구성해 심의, 관 리를 유도 할 수 있으나 가이드라인이 불명확한 경우 혼 란을 초래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 지자체가 공공디자인 계획을 실천하는 방법으로 가이드라인 제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시민들의 자발적 규제와 참여가 필수적이며 지 역의 위기에 대한 절박감과 공동체적 의식을 통해 공공 디자인 개발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도시 환경 공간 및 정보 보도, 쌈지공원, 야간 경관, 환경색채 현재 개발된 공공디자인을 평가해보면 디자인의 개발이 차별화 없이 획일적으로 개발되어 있다. 공공디자인 정책 공공공간 디자인 공공 공간 공간 관광안내소, 공연장, 기념관, 박물관, 홍보 관 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공공디자인의 진흥을 통해 국민들의 디자인문화 의식을 고양하고 국가와 지역의 디 자인 수준을 향상시켜 실질적인 생활문화를 개선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공공디자인 관련 법규를 잘 이해시킬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작해 시민들의 공공디자인에 관한 관심과 의식수준 향상에도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표 2] 공공디자인 관련 법규 구분 내용 관련법률 교통 시설 시설물 보도, 차도, 볼라드, 정 류장, 자전거 정차대, 보행유도 공공 이미지 디자인 공 공 용 품, 지 시 유 도, 광 고 홍 보, 행 정 관 계, 산업표준화법, 산업디자인 진흥법, 물품관리법, 문화산업 진흥 기본 법, 도로표지규칙, 자동차 관리법, 옥외 광고물 등 관리법, 공공기관 공공시설물 디자인 편의 시설 공급 시설 시설물 시설물 벤치, 쉘터, 휴지통, 키 오스크, 공중전화, 관 광 안내시설 지상기기, 맨홀, 트렌 치, 가로등주 공공 공간 디자인 상징물 야 외 공 간, 행 정 공 간, 문 화 복 지공간, 역 사 시 설 공간, 교 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등 국토개발법, 도시 및 주거환경 정 비법, 자연공원법, 도시공원 및 녹 지 등에 관한 법률, 도시개발법, 건축법, 농림 어업법, 삶의 질 향 상 및 농어촌 지역 개발 촉진에 관한 특별법,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 문화재 보호법, 관광기본 육 연 구 법, 관광 진흥법, 문화산업진흥 기 공간 본법,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 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등 2.3. 공공디자인 관련 법규 우리나라 공공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법률은 무척 난해하고 복잡하여 정리 되어 진 것이 드물다. 그러나 경 관 및 디자인계획에 있어서 강제성을 지닌 법률로는 건 축법, 옥외 광고법 등이 있으나 내용이 무척 포괄적이어 서 각 지역의 특정적 경관형성을 위한 지침으로 활용하 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경관법 제정이후 경관계획과 지구단위계획과의 연계, 지자체별 경관조례 등을 통해 도 시별 특성반영도 규제 가능한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다. 교 통 시 설, 공공 평 의 시 설, 시설물 공 급 시 설, 디자인 유 니 버 셜 디자인 3. 소도시 공공디자인 사례연구 도로교통법, 도로법, 건널목 개량 촉진법, 유료도로법,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 자연공원법, 공중화장실 등에 관 한 법률, 도시주거 및 환경 정비 법, 산업디자인 진흥법, 공주화장 실 등에 관한 법률, 자전거이용 시설의 구조 시설기준에 관한 규 칙 등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제43호 (2013. 4) 44
3.1. 국내사례연구 낙후된 지방소도시의 경우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미설정과 일관성 있는 실행력 부족으로 공공디자인의 요 소별 연계성, 일관성 유지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래서 아 래와 같은 조건을 지닌 도시를 사례조사 및 답사를 통하 여 연구하였다. 지역특성을 발굴 : 파주시(임진각, 오두산전망대), 전주 시(한옥마을), 제주시(이중섭거리) 등 지역이미지 생성 : 파주시(헤이리마을), 전주시(걷고싶 은거리, 영화의거리, 웨딩의거리) 행정조직체계구축 : 전주시, 제주시 대상지 유사지역 : 파주시(접경지역), 제주시(관광도시) 3.1.1. 파주시 헤이리마을 위치 헤이리마을, 임진각, 오두산통일전망대 접경지역이라는 지역적 불리함을 극복하고 예 술인을 중심으로 이색적인 건축물과 다채로운 특 공간 조성(헤이리마을) 안보자원을 활용하여 통일을 염원하는 공간과 징 더불어 도시민의 휴식공간으로 조성(임진각) 현대식 체험형 안보 전시관으로 내국인 및 많 은 외국인 관광객이 방문(오두산통일전망대) 현 적이고 긴밀한 협조체계구축으로 지역특성을 발굴하고 전주의 새로운 지역이미지 창조 현 황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각종 행사 및 축제 이 디 벤트 공간으로 특화거리의 필요성 시사 자 문화적 공간 조성을 위하여 공공환경 개선사업 인 이 필요 방 전주시의 대표적 이미지를 형상화 하고 기존 향 시가지의 활성화를 통한 지역주민 소득증대 3.1.3. 제주시 이중섭거리 조성사업 위치 이중섭 거리 이중섭 화백이 제주도에서 작품활동을 한 역사 적 사실을 발굴, 스토리텔링화하여 주변 상권과 특 연계한 특색 있는 공간 조성 이중섭 화백의 자유분방하고 경쾌한 화풍 느낌 징 을 거리 곳곳에 표현 각종 문화예술이벤트로 문화예술거리로 조성 황 현 황 디 자 인 방 향 연령별, 계층별로 흥미를 유발하는 다양한 아이 템으로 특색 있는 공간 조성 특색 있는 전시환경조성과 지역 고유의 문화공 간의 조성으로 외부 관광객 유도 안보관광을 평화관광으로 전환하고 노후화된 시설에 대한 매력적인 디자인 개선이 필요 디 자 인 방 향 지역 이야기와 역사적 공간을 발굴하고 문화적 으로 활용하는 사례 지역적 역사적 공간을 적극 활용하여 지역성 을 살린 매력적인 거리 조성 가능 이중섭 거리를 찾는 방문객들에게 문화거리로 서 색다른 경험 제공 3.1.2. 전주시 특화거리 조성사업 위치 특 징 특화거리(걷고싶은거리 등), 한옥마을 테마별로 걷고싶은거리, 영화의거리, 웨딩의거 리 등을 조성하여 패션, 문화, 식음 등 다양한 지역상권을 형성 도시디자인 전담부서와 지역 주민들과의 유기 3.2. 해외사례연구 접경지역으로 남 북고성으로 나누어진 고성군의 지 역적 역사적 특성과 청정한 자연환경, 천혜의 산림경관 및 해안경관을 보유하고 있는 경관적 특성을 고려하여 해외사례 조사. 김정범,박현욱,오상철ㅣ소도시 공공디자인 기본계획의 실효성 및 지속성 제고에 관한 연구 45
지역특성 발굴 : 독일 체크포인트찰리(독일 통일 전 접 경지역), 스위스 나프베르그란드(오솔길 답사코스로 연결 된 마을 자원특화) 지역이미지 생성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워터프런트(이 용객의 편리성과 경관을 고려한 친수공간 조성으로 아름 다운 항구 도시로 유명) 솔길을 답사코스로 활용하여 각각의 마을이 가 지고 있는 특화된 매력을 관광자원화. 마을마다 독특한 자연환경, 문화, 풍습, 특산물 의 차이를 프로젝트의 중심테마로 하여 나프베 르그란드 답사프로그램을 개발. 3.2.1. 독일 체크포인트찰리 현 위치 특 징 FriedrichstrBe 43-45, Berlin 우리나라 판문점과 같은 곳으로 1961년 베를린 장벽이 세워진 이래 동서 베를린을 오가는 구 동 서독의 국경 검문소로 이곳을 통해 동독을 탈출하려고 했던 사람이 많았기 때문에 자유를 향한 상징적 장소. 1990년 통일이 이루어지면서 지난 어두웠던 역 사를 대변하는 상징물로서 현재는 박물관으로 그 모습을 바꾸어 베를린의 관광명소로 유명함. 주변에는 베를린 장벽 조각이 붙어 있는 엽서 등의 기념품을 파는 가게들이 즐비하며, 검문소 한쪽 거리에선 관광객을 상대로 돈을 받고 여 권에 스탬프를 찍어줌. 황 전 세계 어느 농가에도 있을 법한 지극히 평범 디 하고 일상적인 것을 관광상품화한 대표적 성공 자 사례. 인 스위스도 국토의 2/3가 산지로 한국의 강원도와 방 유사한 자연환경을 지니고 있으며 나프베르그 향 란드 지역의 홍보 및 관광진흥 프로그램, 마케 팅 등을 적용가능. 3.2.3.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워터프런트 위치 네덜란드 암스테강 주변 현 황 특 징 북해가 만입되어 이루어진 에이셀 호 입구에 약 1,000개의 다리로 연결된 90여개의 섬 주변 으로 친수공간이 조성되어 있음. 도시민이 적극적인 친수공간 이용을 위하여 편 리성과 도시경관을 고려하여 워터프런트를 조 성. 현 구 냉전시대 동 서독의 공동구역으로서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후 박물관을 조성하여 역사의 디 흔적이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음. 자 당시의 검문소 모습을 재현하고 관광객을 위한 인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운영 중. 방 다양한 안보관광자원을 활용한 컨텐츠 개발로 향 평화관광을 자원화하여 관광명소를 만들어 침 체된 지역 내 안보관광지 활성화. 3.2.2. 스위스 나프베르그란드 황 디 자 인 방 향 호안을 따라 차도와 자전거도로를 완벽하게 분 리하여 이용자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확보. 친수공간의 접근성을 높여 도시민의 이용률을 극대화하는 디자인 계획. 안내판, 안전구호장비 등을 통합설치하여 많은 시설물 설치로 인한 시각적인 불편함 최소화. 위치 특 징 Bern주와 Luazern주의 스위스 중부내륙지방 스위스에서 가장 경제적으로 낙후되고 지형이 험해 접근이 힘든 곳으로 알려졌으나, 지역 내 16개의 마을을 연결하는 총 85km에 이르는 오 4. 고성군 공공디자인 현황 4.1. 현황 및 문제점 고성군의 면적은 총 664.34km2로 이중 경지면적이 57.1 km2(밭 17.6, 논 39.5)이며, 임야 477.9km2로 대부분이 임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제43호 (2013. 4) 46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동해안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으로 D.M.Z. 및 접경지역이 면해있고 동쪽으로는 동해 바다, 서쪽으로는 설악산-향로봉-금강산으로 이어지는 백 두대간이 축을 이루고 있다. 오늘날 영동고속도로 및 미시령관통도로 개통으로 접 근성이 개선되고 있으나, 아직 수도권을 비롯한 남부지방 과는 심리적 거리는 비교적 멀게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 다. 중부중심권, 남부설악권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경 관축은 산림녹지 경관축, 하천경관축, 도로경관축, 해안경 관축의 4개 경관축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역사문화거 점, 공원녹지거점, 해안거점 3개의 경관거점별로 분석이 가능하며, 경관지구는 자연경관지구, 수변경관지구, 시가 지경관지구, 일반경관지구 별로 4개 경관지구로 구분하 고,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고성군 공공디자인 기본방향을 도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그림 2] 고성군 현황 및 문제점 고성군은 접경지역이라는 특수한 조건과 군사보호구 역 및 자연보전지구 등의 다수 개발규제로 인하여 낙후 된 도시구조를 보이고 있다. 또한, 넓은 면적에 적은 인 구(45.9명/km2, 서울 16,840.5명/km2, 경기도 성남시 6,730.4 명/km2)로 낮은 인구밀도를 보이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인 구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30,485명, 2011년 말 기 준) 7) 산업 관광 정주 인프라가 매우 취약한 편으로 인근 [그림 3] 4개 경관축, 3개 경관거점 구분도 도시(속초, 강릉, 원주 등)로 소비 및 인구 유출이 심각한 수준이다. 따라서 낮은 재정자립도(13.8%)와 다수의 규제 지역을 지닌 고성군 공공디자인 개발사업을 진행하기 위 해서는 중앙 및 강원도의 예산지원과 행정적 협조가 절 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그럼으로 고성군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수립 시 타 도시의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쫓기 보다는 고성군 실정을 고려한 활용 가능 가이드라 인을 수립하여 향후 고성군에 실질적으로 적용하고, 지역 개발에 도움이 되는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수립이 무엇보 다 중요하다. 4.2. 고성군 경관분석 2020년 고성군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3개 권역, 4개 경관축, 3개 경관거점, 4개 경관지구로 구분하여 경관구 조를 분석하였다. 3개 권역의 경우 행정권역을 중심으로 북부금강권, 7) 고성군 홈페이지(www.goseong.org), 통계청 홈페이지(kostat.go. kr) 5. 고성군 공공디자인 기본방향 및 추진전략 5.1. 지역주민 및 관광객 설문조사 5.1.1. 설문조사 조사내용 고성군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주민, 고성군의 행정을 집행하고 있는 고성군 공무원, 고성을 방문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구성은 고성군 현황과 고성군 공공디자인의 추진방향 등에 대한 내용을 바탕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수렴과정을 거쳐 체계적인 고성군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여름철 피서객이 붐비는 2012. 8. 8. ~ 8. 13.(6일간)기 간에 고성군내 화진포, 송지호, 거진항, 시외버스터미널 등에서 조사하였으며, 지역주민 210명, 고성군 공무원 119 명, 관광객 194명을 조사하여 객관적 의견수렴을 도모한 조사결과는 아래와 같다. 5.1.2. 설문조사 결과 분석 1 지역주민 설문조사 결과 김정범,박현욱,오상철ㅣ소도시 공공디자인 기본계획의 실효성 및 지속성 제고에 관한 연구 47
고성군 대표 이미지 : DMZ, 해양관광지, 해양심층수 순으로 조사 개발방향 : 관광ㆍ휴양 중심으로 특성화된 개발추진 필요 공공디자인이 지역경제 진흥 및 관광발전에 긍정적 효 과 기대(60.5%) - 공공디자인 개선요소 : 공공시설물(32.3%), 공공공간 (25.3%), 공공시각매체(24.7%) - 시가지 상권 및 관광활성화를 위한 특화공간 조성 필요 공공디자인이 지역경제 진흥 및 관광발전에 긍정적 효 과 기대(58.9%) - 공공디자인 개선요소 : 공공공간(33.9%), 공공시설물 (23.3%), 공공시각매체(19.6%) - 고성군 디자인 만족도 조사결과, 주거시설 및 상가시 설이 가장 저조 [그림 6] 고성군 발전과제(고성군 공무원) [그림 4] 고성군 발전 개발방향(지역주민) [그림 7] 고성군 개선 필요 요소 [그림 5] 고성군 개선 필요 요소 고성군 공무원 의견을 종합하면 고성군의 정주여건 개선 및 시가지 상권 관광활성화를 위한 특화공간 조성 필요함. 지역주민의 의견을 종합하면 특화된 관광 휴양형 도 시이미지 구축을 통한 관광활성화로 지역상권 살리기를 원하였다. 2 고성군 공무원 설문조사 결과 고성군 대표 이미지 : DMZ, 해양관광지, 해양심층수 순으로 조사 발전과제 : 열악한 산업기반시설(20.2%), 교통 및 생활 환경시설의 부족(20.2%), 관광ㆍ휴양 중심으로 특성화된 개발추진(20.2%) 등으로 조사됨. 3 고성군 관광객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특성 및 이용형태 - 30~50대 서울ㆍ경기지역(90.2%), 여름철 휴양ㆍ휴식 (72.7%) 목적, 가족단위(68%) 중심 방문 - 여름철 편중현상 심화 : 볼거리, 먹거리, 즐길거리 개발로 4계절 관광형으로 개선 재방문 유도를 위한 개선요소 : 응답자 중 재방문의사 79.4%로 높은 편 - 교통, 숙박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반면 공공공 간 및 공공시설물 만족도 저조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제43호 (2013. 4) 48
- 특화공간 조성 및 다양한 관광컨텐츠 개발로 재방문 율 향상 유도 [그림 10] 고성군 공공디자인 기본원칙 [그림 8] 고성군 방문 목적 [그림 9] 고성군 재방문을 위한 개선요소 고성군 관광객 종합 의견은 다양한 관광컨텐츠 개발 및 공공공간, 공공시설물 개선 필요. 5.2. 고성군 공공디자인 기본방향 고성군의 지역현황조사와 지역주민 및 관광객의 설문 조사 및 국 내외 사례조사 등을 통하여 연구된 내용을 살펴보면, 고성군은 인구 유입을 위해 도시구조 개편을 통한 쾌적한 정주공간 창출과 지역특성을 고려한 지역정 체성 확립에 기여 할 수 있는 공공디자인과 도시브랜드 를 통하여 많은 관광객을 유인할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하 다. 설악산과 금강산으로 연결되고 동해바다의 아름다운 경관을 고려한 자연과 조화된 디자인, 지역특성을 반영 한 관광형 디자인, 주변환경과의 색채조화와 재료의 최 소화로 휴식을 주는 디자인, 소통과 친근함으로 체험하 는 디자인 을 4대 기본원칙으로 4가지 유형별, 공간별 기 본방향을 수립한다. [그림 11] 고성군 경관지구별 구분도 3개권역, 4개 경관축, 3개 경관거점, 4개 경관지구로 구분하여 경관구조를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아래와 같 이 유형별, 공간별 기본방향을 4가지로 구분하여 설정하 였다. 1 관광형 : 관광지내 시설물, 공간 등에 대한 공공디자인 2 산악형 : 산림경관 및 지형에 대한 공공디자인 3 해안형 : 해안가를 따라 조성된 해안경관에 대한 공공디자인 4 주거형 : 시가지를 비롯한 주거지를 중심으로 시가지경관과 농촌경관 등에 대한 공공디자인 5.3. 고성군 공공디자인 추진전략 연구 수행체계의 특징으로 한국디자인진흥원, 고성군 청, 공공디자인전문업체, 지역대학전문가가 연계로 실효 성 있는 계획을 수립하여 실질적으로 활용가능 하도록 연구를 진행한다. 김정범,박현욱,오상철ㅣ소도시 공공디자인 기본계획의 실효성 및 지속성 제고에 관한 연구 49
[그림 12] 고성군 공공디자인 연구기관(4 Core) 5.3.1. 유형별, 공간별 기본 가이드라인 산악 및 산림경관, 하천 및 호수경관, 평지 및 농경지 경관, 해양 및 도서경관 등을 분류하는 지형적 분류와 점 적경관(폭포, 암벽, 암석, 고목 등 거점경관), 선적경관(하 천, 해안선, 능선, 특징적 가로수 길 등 경관축과 경관경 계), 면적경관(산지, 수림, 호수, 섬, 농지, 초원 등 경관구 역) 등으로 구분하는 형태적 분류 방법 8) 과 고성군의 경 관분석내용을 바탕으로 관광형, 산악형, 해안형, 주거형 4가지의 유형별, 공간별 기본 가이드라인을 수립한다. 기 본 가이드 지침의 구성형식은 아래와 같다. [그림 13] 고성군 기본 가이드라인 구성형식 5.3.2. 농촌경관 해안경관의 관광자원화 고성군은 간성읍 내와 거진읍 내 등을 제외하고 대부 분의 지역은 농촌경관이 우세경관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 한 고성군의 농촌경관은 근대 서구과학의 틀 속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경관이지만 오랜 세월에 걸쳐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가져온 고유의 경관이다. 또한 1990년대 후 반부터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으로 지역의 생태계와 고유 의 지역문화를 훼손하는 과도한 디자인 개발사업으로 각 지역의 정체성이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고성의 경우 각종 규제로 인하여 도시개발사업에서 소외되어 타 지역에 비해 고유의 농촌경관을 유지할 수 있었다. 농촌경관은 최근 직접적인 경제활동과는 무관한 비경 8) 자연경관계획 및 관리(2004년, 문운당, 한국조경학회) 제적 분야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로 인하여 국토관리 보전과 도시인들의 휴양공간으로 다면적인 기능과 역할 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농어업의 생산만이 아닌 가 공 판매는 물론이고 상업 공업 서비스가 결합하여 문 화와 교류를 통한 농촌경관과 자연의 활용, 환경 교육 휴양까지도 결합한 폭넓은 결합이 필요하다. 이러한 지역 자원인 자연적 환경요소와 사회적 요인이 결합하여 생산 가공 유통 소비 재생산 형태로 구축되어 농가의 소 득증대 및 경영의 다각화, 환경의 보전, 농촌지역의 고용 창출, 여성과 고령자 노동력의 활용으로 이어질 수 있도 록 체계적인 농촌경관 활용계획을 통하여 지속발전 가능 한 농촌관광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해안경관은 그 지역의 경관특색을 광범위하게 포괄적 으로 표출하는 주요 위치를 차지하는 요소이지만 그 동 안 공공디자인에서 비중 있게 다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부드럽고 다이내믹한 해안선 연출이 특징인 고성군 의 해안경관을 공공디자인 기본 가이드라인 지침을 통해 인공구조물에 대한 경관관리와 워터프론트 개발시 전면 수역의 양호한 환경이나 경관을 적극적으로 개발에 도입 하거나 워터프런트에서 배양되어 온 문화, 역사 등의 사 물을 전승해 갈 수 있는 형태로 디자인을 유도하고 계획 대상지 뿐만 아니라 주변의 지형지세, 토지이용, 문화, 역 사, 기질, 감정 등 까지도 배려할 수 있도록 한다. 고성의 농촌경관 및 해안경관 등 자연경관에 대한 관 광자원으로서의 잠재력은 다음의 실험연구 결과로 유추 할 수 있다. 따라서 나날이 증대되고 있는 도시민들의 심 리적 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건강악화를 치유하는 요소로 사용되는 농촌경관과 해안경관 등 자연경관에 대한 체계 적인 관리와 활용으로 낙후된 고성군의 산업구조를 미래 지향적인 방향으로 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자연경관이 무의식적인 집중을 통하여 스트레스 해소 에 기여한다. 9) 자연경관이 인공경관에 비하여 일반인, 공장근로자, 사 무직근로자의 심리와 생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10) 5.3.3. 디자인관련 단계별 행정지원 체계구축 전주시, 제주시 국내사례 답사를 통하여 도시디자인 관련 부서 및 조직을 중심으로 한 공공디자인 개발이 가 장 좋은 방법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하지만 고성군의 운 영여건 등을 고려하여 단계별로 도시디자인 행정운영 조 직을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현실적으로 적절하다고 판단 9) Kaplan(1995) 10) 이경영(2001, 2002, 2003a, 2003b) 자연경관이 근로자의 스트 레스, 인지수행능력, 그리고 기업의 사회적 이미지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한 연구 : 일반인(학부생)70명, 공장근로자(구미공단 삼 성전자) 117명, 사무직근로자(울주군청) 120명 참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제43호 (2013. 4) 50
되어 진다. 1단계로 디자인담당자를 중심으로 T.F. Team을 구성 하여 기존 사업과 연계하고, 2단계에서는 전문가심의협의 체를 구성하여 각 분야별 전문가 도움을 받아 디자인 사 업에 대한 평가 및 조정을 수행한다. 3단계로 시민단체를 포함한 디자인자문위원회를 운영하여 지역주민이 직접 공공디자인 사업에 참여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 해야 한다. 최종단계에서는 디자인담당부서가 독립성을 확보하고 효율적인 사업관리가 될 수 있도록 한다. 2 진부령 옛길 이야기(산악형) 고성군 유일의 군립 미술관(진부령 정상위치하고 있어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작가의 작품을 전시하고 있는 미 술관)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활용하여 진부령 경관마을 조성사업과 연계. 미시령 관통도로 및 지리적 여건 등으로 관광객 방문 이 감소되고 있는 실정. 진부령 미술관의 문화공간과 진부령 인근 마을의 숨 겨진 이야기 등을 테마로 스토리텔링하여 관광 상품화 가능. 진부령 권역 순환동선 구축 - 진부령미술관, 진부령옛길, 경관마을(진부리, 흘 1 2 3리, 장신2리 소똥령마을) 등 [그림 14] 고성군 디자인 행정 조직 발전방향 5.3.4. 유형별 시범사업 선정 고성군 지역여건을 고려하여 유형별로 고성군내 대상 지 분석을 통하여 시범사업을 선정하고 추후 고성군 디 자인 사업과 연계할 수 있도록 연구의 실효성 지속성 제고를 도모하여야 한다. 이런 상황을 바탕으로 고성군의 유형별 시범사항은 아래와 같이 정리 될 수 있다. 1 간성읍 시가지 특화거리 조성(주거형) 고성군청 소재지이며, 고성군 최대 시가지로 인구밀집 지역으로 집객력 및 이용률이 높음. 각종 행사시 차 없는 거리로 다양한 프로그램 실행가 능성이 높음.(이면도로로 교통으로 인한 민원의 소지 최 소화 가능) 지역축제(수성문화제)시 퍼레이드 이벤트 공간으로 이 용되고 있으나, 낙후된 환경여건으로 지역 상권의 파급효 과 미흡. 각종 이벤트 행사시 문화공간으로 활용하여 간성읍 지 역 경제 활성화 연계 도모. 고성군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및 가이드라인 적용으로 향후 디자인사업의 표본사례로 활용. [그림 16] 진부령 옛이야기 사업 3 어촌경관사업-거진항 일대(해안형) 오래전부터 천혜의 어항으로 발달하였으며, 명태축제 등 주요 행사장으로 이용. 거진 어촌마을 진입거리의 순박하고 간소한 분위기로 간단한 어촌 마을 특화사업을 통하여 특색 있는 어촌마 을 육성 잠재력 풍부. 색채 통일/조화/차별화, 야간조명 등의 기법으로 거 진항 경관개선. 아름다운 항구의 풍경 및 자연순응형으로 배치된 어 촌마을을 관광자원화. [그림 17] 어촌경관개선사업-거진항 일대 [그림 15] 간성읍 시가지 특화거리 조성사업 4 주차장 공원사업-송지호, 화진포 주변(관광형) 고성군 동해안의 크고 작은 해수욕장 보유.(송지호 중 간지점에 위치 : 거점지로 활용) 김정범,박현욱,오상철ㅣ소도시 공공디자인 기본계획의 실효성 및 지속성 제고에 관한 연구 51
석호, 해안, 해안림 등으로 생태자원의 보고. 여름철 많은 피서객들과 겨울철 철새 조망 및 봄 가 을철 야영객들이 방문하고 있음. 천혜의 자연조건으로 4계절형 관광자원화 잠재력 풍 부. 여름철 : 해수욕, 수상레저 등, 겨울철 : 철새 조망.( 고 니 천연기념물 제201호) 인근 송지호 오토캠핑장, 해수욕장, 철새관망타워, 해 양심층수연구센터 등과 연계성 강화 필요. 화진포 주차장의 일부 지역을 공원화 하여 아름다운 경관자원 및 역사유적자원 등과 연계한 화진포 명소화. 포함한 유형별, 공간별 기본 가이드 를 구성하는 것이 매 우 중요하고, 자연경관에 대한 새로운 인식으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농촌경관을 기본으로 하는 고성의 농촌경 관 해안경관에 대한 관광자원화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 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전담조직을 통하여 민 관의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구축한 전주시, 제주시 사례 유형을 참고하여 단계별 행정지원체계구축 그리고 유형별 시범 사업 선정 을 통하여 실현가능한 사업계획 제시 및 디자 인사업의 지속성을 유도 할 수 있도록 전략을 수립하였 다. 도시의 공공공간은 공공성 정책의 대상이며 계획되어 지는 공간이다. 소도시의 지역적 차원에서의 개발할 수 있는 내용을 연구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고성군 공공디자인 사업이 발전해 나가는 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고 적극 활용되길 기대한다. 6. 결론 [그림 18] 주차장 공원화사업(송지호, 화진포) 많은 도시들이 도시 이미지나 생활공간의 질, 나아가 문화도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공공디자인이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인식해 지자체의 관련부서를 신설하는 등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 다. 하지만 개발에 따른 효율적인 지원과 평가에 관한 시 스템은 전무한 상황이다. 특히 소도시의 개발은 그 도시 의 여건과 환경에 적합한 공공디자인 대상이 명확해야 하며 그 특성에 맞는 공공디자인의 방향과 정책의 지원 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내용은 소도시의 공공디자인 개발을 위한 공공디자인의 정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소도시적 특성 을 파악하여 고성군의 공공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국내외 소도시 사례들을 중심으로 지역적 특 성을 고려한 공공디자인의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 다. 또한 고성군 공공디자인 필요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시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한 공공디자인 개발 가이드라인을 연구하였다. 고성군의 공공디자인의 현황을 보면, 디자인전담 행정 조직이 없으며 열악한 군 재정 및 낙후된 산업인프라로 인하여 체계적인 도시디자인 관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 다. 이러한 고성군 현황분석 결과와 유사 조건의 도시 또 는 지역특성을 발굴하고 지역의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창 조)한 국내외 사례조사 분석을 통해 고성군 지역특성을 참고문헌 한영호/안진근, 현대 도시환경 디자인, 기문당, 2006년 송진희, 문화도시 경쟁력과 디자인, 기문당, 2007년 한석우, 공공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기획론, 지구문화, 2010년 권영걸, 서울을 디자인한다. 디자인하우스, 2010년 김미리/최보윤, 세계디자인 도시, 랜덤하우스, 2010년 이민주, 신도시 공공디자인 계획수립체계에 관한 연구, 전시디자인연구, 2010년/11권 지식경제부/부산디자인센터, 국제도시 부산의 도시공간 브랜드 개발을 위한 공공디자인 시범사업, 2010년 국토해양부, 혁신도시 공공디자인 공통 가이드라인, 2009년 전주시, 전주시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2009년 양양군, 기초생활권 발전계획, 2010년 김정범/박현욱, 소도시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제작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2011년/35권 김정범/박현욱, 양양군 도심지역 문화와 특성을 활용한 공공디자인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2012년/38권 조성룡발표, 공공디자인의 가치를 성찰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생각, 산업과 문화를 융합하는 국가 디자인의 방향, 2007년 한국조경학회, 자연경관계획 및 관리, 문운당, 2004년 고성군 홈페이지(www.goseong.org) 통계청 홈페이지(kostat.go.kr)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제43호 (2013. 4)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