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 ??-?????.hwp



Similar documents
2 아프리카 석유자원 개발 잠재력 및 한국의 진출방안 1. 개 요 석유자원 개발시장으로서 아프리카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음. 석유하면 먼저 중동을 떠올리지만 아프리카 곳곳에는 아직 개발의 손길이 미치지 않은 막대 한 양의 석유자원이 숨겨져 있음. 개발 붐이 본격화된다면

국가별 한류현황_표지_세네카포함

ìœ€íŁ´IP( _0219).xlsx

인도 웹해킹 TCP/80 apache_struts2_remote_exec-4(cve ) 인도 웹해킹 TCP/80 apache_struts2_remote_exec-4(cve ) 183.8



<443A5C6B77625CC1B6C1A4C6C05CBFF9B5E55CB1DBB7CEB9FAC0CCBDB45C2E2E2E>

Y Z X Y Z X () () 1. 3

<3034BFEDC0CFBDC2C3B5C7CFB4C2C1DFB1B9BFECB8AEC0C7BCF6C3E2BDC3C0E52E687770>

-2/17-

< BFA9B8A7C8A32DBCF6C0BAC7D8BFDCB0E6C1A6B3BBC1F620C3D6C3D6C1BE2E706466>

+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WEO 2014) 그림 3 지역 및 에너지원별 1차 에너지 수요 증가율 그림 4 최종 에너지 소비량 중 에너지원별 점유율 시장 전망에서 세계 GDP 성장률은 연평균 3.4% 인 증가를 선도하겠지만 이후에는 인도가 지배적인 역할 구는 0.9% 증

<4D F736F F F696E74202D B6C792B2D2B4B522B B6C792BC1BEC7D52B2832BFF92B3233C0CF292B2D2BBFBBB7B12BBFACC1D8C0C7C0E5C0BA2BB0D4C0D3C3BCC0CEC0FAB0A12BB5C92BB0CDC0CEB0A1>

Microsoft Word doc

<B1B9BEEE412E687770>

<3034C1DFB5BFC0C7B7E1B1E2B1E2BDC3C0E5B5BFC7E22E687770>

<30375FC7D8BFDCC1F6BFAAC1A4BAB83428C5C2B1B9292E687770>

01업체광고1407

(명, 건 ) 테러공격 발생건수 테러로 인한 사망자 수

며 오스본을 중심으로 한 작은 정부, 시장 개혁정책을 밀고 나갔다. 이에 대응 하여 노동당은 보수당과 극명히 반대되는 정강 정책을 내세웠다. 영국의 정치 상황은 새누리당과 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이 서로 경제 민주화 와 무차별적 복지공약을 앞세우며 표를 구걸하기 위한

최근 유가 하락의 근본적인 원인은 수급여건 개선에 있다. (백만배럴/일) 지 27달러 떨어져 34.4%의 하락률을 기록했 다. 당시 많은 전문가들은 유가의 추세적인 하 락을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6개월의 조정기를 거친 후 다시 급등세로 돌아섰다.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연합뉴스) 마이더스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 E687770>

Microsoft Word _HMC_Macro_Issue

2013 년 11 월관광객입출국 / 관광수입 지출분석

Issue Br ief ing Vol E01 ( ) 해외경제연구소산업투자조사실 하반기경제및산업전망 I II IT : (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6±Ç¸ñÂ÷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untitled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E1-정답및풀이(1~24)ok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최우석.hwp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cls46-06(심우영).hwp

0429bodo.hwp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2

04_11sep_world02.hwp

Microsoft Word K_01_07.docx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I. 미국석유수급밸런스 2Commodity 많은경제적요인및정치적요인이영향을미치는국제유가의분석을위하여 1 차적으로미국원유시 장을분석해보았다. WTI 가격변화가브렌트등다른유가보다국제유가에미치는영향이크고상대 적으로손쉬운분석으로유가향방의실마리를찾을수있을것으로판단하기때문이다.

2009_KEEI_연차보고서

2013 년 10 월관광객입출국 / 관광수입 지출분석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 ㅇ [1.1(2) 0.4%(3)] [1.0(2) -0.4%(3)], 3 9 來 ㅇ [54.2(2) 51.3(3)] [68.0(2) 59.7(3)] : ㅇ 1 [7.9%(4/4) 7.7%(1/4)], 3 [9.9%(2) 8.9%(3 )] [21.8%(2) 10.0%(

2013unihangulchar {45380} 2unihangulchar {54617}unihangulchar {44592} unihangulchar {49328}unihangulchar {50629}unihangulchar {51312}unihangulchar {51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5-15호)

< B3E2C0E7BCF6C1A4C0FCB8C128C8ABBAB8BFEB292E687770>

<C1A634C2F720BAB8B0EDBCAD20C1BEC6ED20BDC3BBE720C5E4C5A920C7C1B7CEB1D7B7A5C0C720BEF0BEEE20BBE7BFEB20BDC7C5C220C1A1B0CB20C1A6C3E22E687770>

삼성전자 (005930)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中, ( ) ( 对外投资备案 ( 核准 ) 报告暂行办法 ) 3. ECONOMY & BUSINESS 美, (Fact Sheet) 4. FDI STATISTICS 5. FDI FOCU

전자업종.hwp

<B0EDC0AFB0A1BAB8B0EDBCAD28C3D6C1BE295B315D2E687770>

<3034BFF8C0AFB9D7BFF8C0DAC0E7B0A1B0DDBBF3BDC2BFA1B4EBC7D1C1D6BFE4B1B9B5BFC7E22E687770>


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하시기위해서는본연구원의허락을얻어야하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총 괄 경제연구실 : : 주 원이사대우 ( , 홍준표연구위원 ( ,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歯m1902.PDF

PSBODB..TPXCOTR_14_1.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8) 현대 다음 11시 56분에, 문명은 11시 57분부터 시작했을 뿐이고, 근대사회의 발전은 11시 59분 30초에 겨우 시작 되었 그렇지만 인류가 생활한 마지막 30초 동안에 엄청 난 변동이 일어났 1 가속성 2 광범위성 3 동시성 4 정보통신의 발달 5 3차적 인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 B5BFBEC6BDC3BEC6BBE E687770>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11민락초신문4호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유가, 셰일 실링(Shale ceiling)은 작동 중인가?

세계 에너지 현안 브리핑(제11-1호)

제1절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사진 24 _ 종루지 전경(서북에서) 사진 25 _ 종루지 남측기단(동에서) 사진 26 _ 종루지 북측기단(서에서) 사진 27 _ 종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28 _ 종루지 중심 방형적심 유 사진 29 _ 종루지 동측 계단석 <경루지> 위 치 탑지의 남북중심

Transcription:

글로벌 에너지시장 분석보고서 2012 글로벌 오일 & 가스시장 점검 2012. 1. 주영대사관

순 서 1. 리비아 이라크 생산 재개 1 2. 세일가스(Shale gas) 개발 확산 3 3. 글로벌 원유가격과 가스가격의 탈동조화 6 4. 수요전문 국영석유회사의 영향력 확대 8 5. 전통가스(Conventional gas) 신규유전 발견 러쉬 10 6. 중국내 업스트림(upstream) 본격 개발 12 7. WTI 유가-브렌트유가간 가격격차 축소 14 8. 미국의 세일오일 개발투자 확대 15 9. 브라질 오일수입 재분배 이슈 17 10. 캐나다 오일샌드 인력부족 이슈 19

1 리비아 이라크 생산 재개 리비아 ㅇ 아프리카 최대 석유매장량(470억 배럴)을 보유하고 있는 리비아는 혁명이후 생산과 수출이 크게 위축 - (혁명전) 생산 166만 bpd, 수출 150만 bpd (2011. 8월) 생산 6만 bpd * 혁명이전 리비아 경제의 80%가 석유 가스 수입에 의존 * 리비아산 원유는 품질이 좋은 경질류(light sweet crude oil)로 생산량의 86%를 유럽에 수출 - 리비아 생산감소 이후 사우디(중질유)가 증산을 통해 글로벌 원유 가격 안정을 위해 노력했으나 유가방어에 한계 ㅇ 리비아 생산재개는 타이트한 글로벌 원유수급에 숨통을 트일 전망이나 리비아 원유생산의 실제 잠재력, 본격적인 회복시점은 아직 불투명 * 2011.11월, IEA는 2012년 1사분기까지 80만 bpd, 2012년말까지 117만 bpd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 - (잠재력) 1969년 가다피 집권당시 리비아는 혁명이전 생산량의 두배에 근접하는 300만 bpd를 생산했던 전력 - (정치적 안정성) 새정부 출범이후 다양한 이민족 분파간 정치적 합의 도출가능 여부 - (인프라투자) 내전과정에서 발생한 유전 피해 복구를 위한 대규모 인프라투자가 필요한 상황으로 리비아 신정부가 제공하는 투자인센티브 수준에 따라 회복시기가 결정 * 가다피 집권당시 수입분배비율은 정부 90%, 석유회사 10%이었으나 오일 메이저들의 투자촉진을 위해서는 동 비율을 70:30으로 높여야한다고 분석 - 1 -

이라크 ㅇ 이라크는 사우디를 능가하는 원유매장량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불안정, 노후화된 인프라사정 등으로 300만 bpd를 넘지 못하고 있는 상황 - 확인된 원유매장량은 1,500억 배럴, 미확인된 추정매장량은 1,500억 배럴 ㅇ 최근 이라크는 지난 20년간 최대수준인 270만 bpd를 생산하고 있으며 정치적 불안요인도 크게 감소하여 생산확대에 긍정적 - 현 이라크정부는 2017년 1,000만 bpd를 목표로 글로벌메이저 투자유치에 적극적 - 2009년 CNPC(China National Petroleum Corporation)과 BP는 이라크남부 최대 Rumilia유전 개발계약에 서명 * 추정매장량 177억 배럴, 2010년말 기준 120만 bpd 생산 ㅇ 그러나 파이프라인 수송인프라가 취약, 원유유실(leakage or breaks) 등이 위험이 있어 파이프라인 교체 및 신설이 긴요한 상황 - 전문가에 따를 경우 파이프라인 추가 투자가 없을 경우 이라크 최대생산은 2013년 450만 배럴에 그칠 전망 - 이라크 유전과 파이프라인은 테러공격의 주된 대상 * 2011년 10월 이라크석유장관 Rumilia유전 방문시 폭탄테러로 생산이 50% 감소 (120만 bpd 53만 bpd)했던 사례 전망/시사점 ㅇ 리비아 이라크의 생산재개, 회복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타 이트한 글로벌 석유수급상황은 보다 완화될 전망 ㅇ 양국 모두 파손 낙후된 인프라투자가 시급한 상황이나 지정학적 불안요인으로 당분간 획기적인 생산확대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 - 2012년 증가가 예상되는 석유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비OPEC 국가들의 증산이 필요 - 2 -

2 세일가스(Shale gas) 개발 확산 세일가스 개발관련 이슈 ㅇ 최근 미국 EIA는 세계 세일가스 매장량을 6,622 tcf(trillion cubic feet)로 추정 세계 가스 매장량을 40%이상 높이는 전망치 - 이중 미국 매장량은 862 tcf로 세일가스 개발은 미국의 천연가스 해외의존도를 줄이고 가스 수출국으로 전환하는 데 핵심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 현재 세일가스 개발 생산은 미국이 선도하고 있으며, 미국의 천연 가스 생산대비 세일가스 생산비중은 2001년 1%에서 2011년 20%로 증가 ㅇ 최근 세일가스 개발은 미국 이외에도 유럽 아시아 남아프리카 등으로 확산중 - 다만,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생산은 4년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예상 되며, 본격적인 개발시 기술 노하우 등을 선점하고 있는 미국 세일가스 개발기업들이 최대의 수혜자가 될 전망 ㅇ 세일가스 개발의 최대의 난제는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 물 모래 화학약품 등의 혼합물을 활용하여 강한 수압으로 암석 이나 흙 등을 균열시켜 그 안에 매장된 가스를 추출하는 수압파쇄 기법(hydralic fracking)의 특성상 온실가스 배출, 진동, 지하수 오염 등 환경문제를 야기 미국 이외의 주요국 개발동향 ㅇ (폴란드) 세일가스 매장량 규모 187 tcf(eia 추정)로 수출을 하지 않을 경우 향후 300년간 국내소비가 가능한 규모 - 3 -

- 폴란드 정부는 에너지 자급도 제고, 가스 수출국으로의 전환 차원 에서 세일가스 개발에 적극적 이며, 4개의 미국 세일가스기업들과 개발관련 계약을 기체결 *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있으나 현재 폴란드 전력생산의 85%를 석탄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세일가스 의존도를 높이는 것이 환경에 오히려 바람직하다는 평가 - 폴란드의 세일가스 개발은 향후 러시아의 대유럽 가스시장 영향력을 약화시킬 가능성 * 폴란드는 가스 수요의 2/3를 러시아산 수입에 의존 - 다만, 세일가스 개발 수출을 위한 파이프라인, LNG터미날 건설 등의 인프라 투자가 선행되지 않은 경우 수년내에 폴란드 세일가스 유럽가스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 ㅇ (프랑스) 세일가스 매장량 규모는 180 tcf(eia 추정)이나 환경적 영향에 대한 검증된 결과가 제시될 때까지 개발을 중단 - 원전의존도(전력생산의 75%)가 높아 프랑스정부도 세일가스 개발에 적극적이지 않는 상황 ㅇ (중국) 세일가스 매장량은 세계 최대규모인 1,275 tcf(eia 추정)로 국가에너지기구는 세일가스개발 로드맵을 기수립하였으나, 당면한 문제점도 산적 - 중국내 세일가스 최대매장 지역인 사천성은 대표적인 농업생산 지역(중국내 쌀생산의 7% 담당)으로 환경문제, 물 사용권한 등에 대한 분쟁의 소지가 다분 - 외국기업 투자 및 전문인력 도입에 대한 중국정부의 소극적 태도는 세일가스 개발을 지연시킬 가능성 - 4 -

* 현재 세일가스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서구기업은 Royal Dutch Shell이 유일(지 난 3월 Petrochina와 합작계약 체결) * ExxonMobil, Chevron, ConocoPhillips, Halliburton 등은 중국 세일가스 개발에 참 여하기 위한 탐색전을 전개중 - 중국 전력생산의 70%를 담당하고 있는 석탄발전소들이 건설된 지 5년미만인 점을 고려할 때, 중국이 가스비중을 높일 유인도 크지 않은 상황 * 다만, 최근 카타르, 호주 등으로부터의 LNG 수입보다는 세일가스 개발이 보다 저렴하다는 인식이 확산 ㅇ (아르헨티나) 세일가스 매장량 규모 774 tcf(eia 추정) - ExxonMobil이 1.2억 달러를 투자하여 개발중에 있으나 정부의 가스가격 통제 및 수출세 등의 부과로 다국적기업들의 참여가 저조한 상황 * 국내가스 평균소매가격은 US$ 1.96 MMBtu(Million British thermal units)이나 정부 구매가격은 US$ 7.33 전망/시사점 ㅇ 환경문제에 대한 고려가 비교적 높지 않은 중국, 폴란드, 아르헨 티나 등 이머징 마켓의 세일가스 개발이 본격화될 경우 글로벌 가스시장에 상당한 임팩트가 있을 전망 - 특히, 대러시아 가스 의존도를 낮추고자 하는 아시아 유럽의 움직임에 주목할 필요 ㅇ 폴란드, 아르헨티나의 경우 세일가스 개발이 가스 수입국에서 수출국 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결정적 기회인 바, 미국기업들과의 합작 또는 외국인투자를 적극 유인할 가능성 - 5 -

3 글로벌 원유가격과 가스가격의 탈 동조화 현황 ㅇ 전통적으로 글로벌 원유가격과 천연가스가격 트렌드는 같은 방향 으로 움직이는 동조화 현상을 보였으며, 몇 번의 예외를 제외하고 원유가격은 천연가스 가격을 상회 - 2005년 미국 걸프만 허리케인 카트리나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가스가격이 원유가격을 상회 ㅇ 그러나 최근, 원유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가스가격은 지속적 으로 하락하는 비동조화(decoupling) 현상이 발생 - 2011.11월말 원유가격(배럴당 94달러)은 전년 동기대비 11% 상승 하였으나 가스가격은 1.3% 하락 글로벌 원유가격과 가스가격의 비동조화 요인 ㅇ (천연가스의 글로벌화 진전) 과거 가스는 원유에 비해 글로벌 트레이드 및 유통이 제한적 원유가격을 가스가격의 벤치마킹으로 하는 관행 - LNG의 글로벌화가 진전되면서 원유가격이 아닌 다른 지역의 가스가격을 벤치마킹 가격으로 설정하는 추세 * 아시아 유럽국들은 상당량의 LNG를 카타르로부터 수입 * 2011.10월 Eni SpA사의 대규모 가스유전층 발견 이후 모잠비크는 대아시아 공 급을 위한 LNG터미날 건설 계획 * 이스라엘, 키프러스는 Cypriot섬에 LNG터미날을 건설하는 방안을 협의중 - 6 -

ㅇ (가스전문 글로벌 플레이어 등장) 과거 석유메이저들은 가스부문 에서도 글로벌 플레이어 역할을 담당하였으나 최근 가스 개발 생산 수송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들이 증가하는 추세 - BG그룹(영국)은 세계시장을 대상으로 서플라이체인을 수직적으로 통합한 대표적 가스메이저 - 한편, 석유메이저들도 가스사업을 분사화하는 추세에 있어 더 이상 메이저 입장에서도 원유 가스 가격을 연동시킬 유인이 약화되고 있는 상황 ㅇ (세일가스의 등장) 미국의 세일가스 개발붐과 가스 순수출국으로 전환이 전망되면서 가스공급가격 인하압력이 작용 - 비록 생산까지는 3~7년이 소요될 전망이나 중국, 아르헨티나, 폴란드의 세일가스 개발이 본격화 될 경우 가스공급경쟁은 더욱 증가할 전망 전망/시사점 ㅇ 최근 대규모 가스발견지역이 대표적 수요지역임을 고려할 때, 가스시장은 원유시장에 비해 보다 지역화(becoming more localized)될 가능성 - 가스가격도 지역적 상황에 따라 결정될 전망 ㅇ 원유가격은 중장기적으로 지속적인 상승이 예상되나 가스가격은 지역적으로 다양한 추세를 보일 전망 - 서구시장(West)은 낮은 가격 유지, 반면 아시아시장(East)은 LNG 수요경쟁압력으로 가격인하 압력이 상쇄될 가능성 - 7 -

4 수요전문 국영석유회사(Consuming NOC)의 영향력 확대 현황 ㅇ 전통적으로 OPEC, 러시아, 브라질, 멕시코 등 산유국들의 NOC 들이 글로벌 원유시장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보유 ㅇ 그러나 최근 글로벌석유시장에서 새로운 형태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수요전문 국영석유회사들의 등장하기 시작 - 특히, 중국 인도 한국 등 주요에너지수입국들의 국영석유회사들의 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양상 ㅇ 서구지역 석유소비는 정체되거나 감소추세인 반면, 이머징마켓의 경우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석유생산기업들의 관심이 이 지역에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Consuming NOCs의 협상파워가 향상 - 글로벌 오일메이저(IOCs)와 달리 Consuming NOCs는 해당국 정부로부터 금융 재정지원을 받아 공격적 투자를 감행 중국 NOCs의 사례 ㅇ 강력한 바잉파워를 무기로 기존 파트너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 - 사우디(1백만 bpd, 중국 총원유수입의 20%)와는 최근 down stream 개발, 산업(섬유, 기계, 석유화학 등)협력에서 영향력 확대 * PetroChina와 Aramco는 Yunnan지역에 정규공장을 설립, 200,000 bpd를 미얀마 파이프 라인을 통해 수출하는 계약 체결 * Sinopec은 Aramco와 홍해연안 Yanbu에 정유공장설립계약 체결 ㅇ 중국정부의 금융 재정지원을 배경으로 브라질 등 신흥산유국에 대한 투자 확대 - Sinopec은 71억달러를 투자하여 RepsolBrazil의 지분 40% 확보 - 중국개발은행은 미래원유공급조건으로 Petrobras에 100억달러 차관 제공 - 8 -

ㅇ 대러시아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가스가격 협상력이 제고 - 중-러는 2006년 이후 향후 30년간 파이프라인을 통한 가스공급 계약가격 협상을 진행중이나 현재 교착 상태 * 러시아는 대유럽 가스공급의존도를 줄이고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시장 진출에 적극적이나 중국은 중국내 세일가스 유전층 발견, 투르크메니스탄으 로부터의 연간 40 bcm 수입계약 체결, 중동 호주로부터의 LNG 수입확대 등을 들어 가즈프롬이 제시가격을 낮추도록 압력 인도 ONGC 사례 ㅇ 인도 최대 석유 가스개발 국영기업인 ONGC는 2012.1.5일 영국 3대 가스개발업체인 BG가 인도양에 보유하고 있는 3개광구를 인수한다고 발표 ㅇ 동 인수로 ONGC는 지난 1년간 15개 광구를 추가 확보하게 되었 으며, 2015.4월까지 일평균 1억 cubic meter의 가스를 생산할 계획 한국 KNOC 사례 ㅇ KNOC는 2011.3월 아부다비국영석유회사(Adnoc)와 MOU를 체결 - 향후 최소 10억배럴 이상의 UAE 아부다비 대형생산 유전에 KNOC가 참여할 수 있는 권리 보장, 총 5.7억배럴의 매장량이 이미 확인된 3개 유전에 대한 독점권리 확보 ㅇ 동 MOU가 최종계약으로 확정될 경우 한국은 원유자주개발율을 10%에서 15%로 높이는 성과 전망/시사점 ㅇ Consuming NOCs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Consuming NOCs와 Producing NOCs간 상호의존성(interdependency)이 강화되고 양자간 합작 전략적 제휴 등이 활성화될 전망 ㅇ 이러한 NOCs간 협력은 과거 IOCs간 협력과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가능성 - 사업성 고려와 함께 정치적 요인이 비중있게 다루어질 전망 - 언어 문화 비즈니스관행 차이 극복을 위한 메카니즘 필요 - 9 -

5 전통가스(Conventional Gas) 유전 발견의 러쉬 현황 ㅇ 개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되는 측면이 있으나 향후 세일가스 개발은 글로벌 가스시장 판도를 변화시킬 핵심요인 ㅇ 더불어 최근 비산유국 지역에서 대규모 가스유전층이 발견되고 있어 향후 세계가스시장 변화에 큰 영향을 줄 전망 - 아제르바이잔, 이스라엘, 키프러스 및 모잠비크 등의 경우 향후 10년내에 가스수입국에서 순수출국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 - 상대적으로 세계 최대의 가스 수출국인 러시아의 입지는 약화될 전망 지역별 동향 ㅇ (아제르바이잔) Total이 아제르바이잔 연안에 매장량 수조 큐빅피트 규모의 가스유전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그간 교착상태에 빠져있던 EU의 나부코 파이프라인 계획이 활기를 띨 전망 - EU는 대러시아 가스수입의존도 완화차원에서 터어키-오스트리아를 연결하는 나부코 파이프라인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나 310 bcm 물량확보가 불투명하여 그간 사업이 지연 - 아제르바이잔 가스전(Shah Deniz 광구 등) 발견으로 정상추진 여건이 조성 ㅇ (중동) 미국 지질전문가들에 따를 경우 Levant Basin(이스라엘, 가자, 키프러스, 레바논, 시리아 접경지역)의 가스 매장량은 122조 큐빅피트에 달한다는 분석 - 10 -

- 최근 이스라엘과 키프러스는 이스라엘 Leviathan 광구(453 bcm)와 키프러스 해상가스유전에서 생산되는 가스를 유럽에 수출하기 위한 LNG터미널 건설을 협의중 - 다만, 중동지역 신규 가스전 개발은 지정학적 분쟁으로 인한 리스크 요인이 내재 * 이스라엘과 레바논의 해상경계 분쟁, 터어키의 북키프러스 지원 등 키프러스 내전 관여, 터어키의 가자지원 루트 봉쇄이후 터어키와 이스라엘간 분쟁 등 ㅇ (모잠비크) 2011.10월 이태리 Eni SpA는 매장량이 15조 큐빅피트(추정치)에 달하는 모잠비크 유전층 발견에 성공 - 모잠비크(매장량 규모 총 22.5조 큐빅피트)는 중국, 인디아, 한국, 일본, 태국 등 아시아 시장 수출을 위해 대규모 LNG 터미널 건설을 추진중 전망/시사점 ㅇ 수년후 대형 신규가스유전 개발이 본격화 될 경우 예상되는 가격 인하압력에 대비하여 러시아는 중장기 가스공급계약 체결을 서둘러 추진할 가능성 ㅇ 중동지역 신규 가스유전층을 둘러싼 지정학적 분쟁 동향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 및 대응체계 구축 - 11 -

6 중국내 업스트림(Upstream) 본격 개발 현황 ㅇ 1993년까지 중국은 원유 순수출국 이었으나 현재는 원유수요의 50%을 수입하고 해외유전 매입에 열중할 정도로 세계 최대의 에너지 소비 블랙홀(consuming black hole)로 등장 ㅇ 중국내 원유생산은 2009년 9대 유전에서 380만 bpd(중국내 총생 산의 80%) 피크에 달한 후 지속 감소하고 있는 상황 ㅇ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에너지 해외의존도를 낮추고 국내생산 에너지 비중을 높이기 위한 12차 5개년 계획을 수립 추진중 - 5대 신규유전 개발, 15만 km에 달하는 파이프라인 건설 등 인프라 투자계획이 포함 중국내 업스트림 개발 및 쟁점 ㅇ (남중국해 개발) 중국정부는 남중국해(South China Sea) 개발을 서두르고 있으나 베트남,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대만, 인도 등과의 지정학적 분쟁이 장애요인으로 작용 - 남중국해 원유매장량은 중국 전문가에 따를 경우 2,000억 배럴로 추정되고 있으나 미국 전문가는 280억 배럴로 예상 ㅇ (전통가스) 중국내 매장량는 784 tcf로 추정, 이중 70%가 5대 광구에 부존 - 이외에 EIA는 남중국해 가스매장규모를 900 tcf(카타르 매장량 규모에 상당)로 추정 - 12 -

ㅇ (CBM : Coal BedMethane) 중국내 매장량은 383 tcf로 추정 - CNPC는 CBM 개발허가지역의 70%를 보유, 2020년말까지 총 1,500개의 유정을 시추한다는 계획 - CBM 개발의 최대 애로요인은 높은 개발비용 ㅇ (세일가스) EIA의 2011년 보고서는 중국내 세일가스 매장규모 를 1,200 tcf로 미국을 능가하는 것으로 추정 - 세일가스 개발을 위한 인프라 투자, 기술 노하우 습득차원에서 IOCs들의 투자가 불가피한 상황 전망/시사점 ㅇ 전통가스 또는 세일가스 개발은 2가지 측면에서 중국에 긍정적 - 에너지 해외의존도를 낮추고 자주개발율을 제고 - CO 2 배출이 많은 석탄의존적 에너지구조(석탄비율 70%)를 가스 중심으로 개선 * 중국이 현재와 같은 에너지믹스를 가져갈 경우 2020년부터는 CO 2 배출규모가 미국, EU, 인도의 배출량을 합한 양을 초과할 전망 ㅇ 중국내 세일가스의 상업적 생산은 2014년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 - 세일가스 관련 기술, 노하우에 관한 외국인투자 유치가 시급한 상황 ㅇ 중국내 업스트림 개발은 에너지 수입규모를 크게 축소, 중국의 무역흑자를 더욱 확대시킬 전망 - 13 -

7 WTI유가-브렌트유가간 가격격차 축소 현황 ㅇ 전통적으로 WTI 유가는 브렌트 유가대비 평균 1달러 높은 수준을 유지 ㅇ 반면, 2011년에는 브렌트 유가가 WTI 유가를 최고 26달러 상회 하였다가 10월말경 16달러 수준으로 격차가 축소된 현상 발생 2012년 브렌트-WTI 가격축소 전망 ㅇ (리비야 증산) 리비야는 혁명이전 경질유 150만 bpd를 유럽에 수출해왔으나 2011.3월부터 중단, 사우디 중질유의 생산증가에도 불구하고 브렌트 유가는 급속히 상승 - 2012년 리비야 증산(연말까지 120만 bpd 예상)은 브렌트 유가 안정화에 기여할 전망 ㅇ (미국 정유능력 회복) 2011년은 상당수의 미국 정유시설 유지보수로 WTI 수요가 감소하였으나 2012년 정유능력이 회복이 WTI 수요 증가 및 WTI유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 ㅇ (쿠싱-텍사스-멕시코만 파이프라인 건설) 미국 정부가 Keystone XL pipeline 프로젝트를 승인할 경우 WTI 원유수요 증가 및 유가상승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 ㅇ (미국 경제회복 기대 확산) 유로존 재정위기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경제는 2011년 3사분기 2.5% 성장, 더블딥 우려 완화 등 경제 회복 전망 기대로 브렌트유가 정체 및 WTI유가 상승이 예상 전망/시사점 ㅇ 향후 브렌트-WTI 유가격차는 점차 축소, 2012년말경에는 과거와 같이 WTI 유가가 브렌트 유가를 상회할 정망 - 14 -

8 미국내 세일오일(Tight oil)산업 투자 확대 전망 ㅇ 세일가스 추출기술 발전으로 미국의 세일가스산업 전망이 밝아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세일오일에 대한 관심이 증가 ㅇ 2008년 미국 지질조사에 따를 경우 North Dakoda와 Montana지역 에만 세일오일 매장량이 43억배럴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 - 2005년 세일오일을 3,000 bpd 생산한 바 있는 Bakken 광구에서 는 최근 400,000 bpd로 증가, 2020년까지 100만 bpd 전망 - 남부 텍사스 Eagle광구에서는 현재 100,000 bpd를 생산하고 있으며, 2015년에 400,000 bpd, 2020년에는 200만 bpd로 증가할 전망 * IHS CERA는 남부 텍사스지역 세일오일 매장량 규모를 170억 배럴로 추정 주요기업 동향 ㅇ 세일가스와 마찬가지로 세일오일 개발산업도 독립중소기업이 주도 하고 있는 상황 ㅇ 최근 대형 다국적석유회사들도 동 산업에 관심을 갖고 투자를 시작 - Royal Dutch Shell은 텍사스 Eagle Ford지역 광구를 인수 - Total은 미국 Chesapeake Energy 및 EnerVest사와 Ohio지역 세일 오일 개발을 위한 23억불 규모의 합작투자 추진중 - Peter Voser, Shell CEO는 세일오일 개발사업 참여의사를 적극 적으로 타진 - 15 -

- 2011.10월 Statoil은 Brigham Exploration Company를 44억달러에 인수, 세일오일분야 최초의 대규모 M&A를 성사 - 2012.1.4일 Sinopec은 Alabama와 Ohio지역 5개 광구를 개발을 위해 25억 달러를 투자하는 계약을 미국 Devron사와 체결 ㅇ 세일오일 추출비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다국적 석유회사들의 세일오일시장 참여도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질 전망 - 현재 Bakken지역 세일오일 개발비용은 배럴당 55달러로 현유가 수준에서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 전망/시사점 ㅇ 세일오일 역시 세일가스와 같이 환경적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 으나 상대적으로 개발에 대한 반발은 세일가스에 비해 적은 편 ㅇ 미국 세일오일 개발이 본격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상당규모의 인프라투자가 선행될 필요 - 대규모 근로자 수용시설, 파이프라인 등 - 16 -

9 브라질 오일수입의 재분배 이슈 브라질 원유매장량 규모 ㅇ 리우데 자네이루 연안 오일 매장량규모는 500억 배럴, 에스피리토 산토지역은 1,200억 배럴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 ㅇ 브라질산 원유는 리비아산과 같은 경질유로 다국적석유회사들이 큰 관심 오일수입 분배에 관한 분쟁 ㅇ 2010년 Lula Silva 전대통령은 신생산물분배협약(new productionsharing agreement)에 서명 - Petrobras가 유전지분 최소 30% 이상 및 운영권한 보유, 기타 기업들은 70%미만 보유 - 유전지분 참여기업은 수익원유(profit oil)의 비율에 따라 선정 * 개발기업의 비용과 로열티를 초과하는 금액에 해당하는 분량의 원유량 - 정부는 추가적으로 10%의 현금 로열티를 수령 ㅇ 신협약에 의거한 생산광구 입찰은 2012년 하반기 진행될 예정 - 중앙정부-지방정부간 로열티수입 배분이 최대 이슈로 등장하고 있으며, 2011년 Dilma Rousseff 대통령은 중앙정부-생산지방정부- 비생산지방정부간 로열티분배의 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한 법률안을 의회에 제출 - 동 법률안은 현재 상원을 통과하고 하원에서 논의중이나 원유생산 지방정부들은 거부권 행사를 추진중 - 17 -

- 한편, 중앙정부와 생산지방정부는 로열티수입의 감소를 보충하기 위해 세금을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 로열티 분배 법률안 > (단위 : %) 구 분 현 재 2012년 2020년 중앙정부 30 20 20 생산 주정부 26.25 20 20 생산 지방정부 26.25 17 4 영향권내 지방정부 8.75 3 2 비생산 주정부 1.75 20 27 비생산 지방정부 7 20 27 오일 가스 재정정책 관련 타국 사례 ㅇ (이스라엘) Leviathan 유전 시추성공 이후 오일에 부과하는 세금 및 로열티의 적정수준에 대해 자문하는 특별위원회 설치 - 동 위원회는 로열티 인상보다는 수입에 대한 누진과세가 바람직하다고 권고 ㅇ (미국) 오바마 행정부는 유전개발 로열티를 인상하는 방안 검토중 ㅇ (캐나다) 알버타 주정부는 초기 세일유전 투자를 위축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로열티 수준을 낮게 유지하되, 유전개발이 성숙단계를 지난시점에서 재검토하기로 결정 ㅇ (영국) 2011.3월 북해 석유 가스 개발사업에 대한 부담금 비율을 인상(20% 32%)하여 관련산업계의 반발을 야기 전망/시사점 ㅇ 유전개발에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만큼, 세금과 로열티를 과도하게 인상할 경우 외국인투자 및 광구개발이 지연될 가능성을 고려 하여 재정정책 추진 - 18 -

10 캐나다 오일샌드 인력부족 이슈 오일샌드 현황 ㅇ 향후 10년간 오일샌드분야 투자는 2,0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 ㅇ 현재 캐나다는 330만 bpd 생산, 이중 180만 bpd를 오일샌드에서 생산 - 2020년 오일샌드 생산은 350만 ~ 400 bpd로 증가할 전망 ㅇ 오일샌드 생산 확대를 위한 2가지 선결과제 - 오일샌드가 경제성이 있기 위해서는 국제유가가 최소 60달러 이상을 유지 - 노동집약적 추출 생산 방식에 따른 인력부족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오일샌드분야 인력문제 ㅇ 오일샌드 분야 기술과 노하우를 갖춘 전후 베이붐세대가 대규모 퇴직을 앞두고 있어 기술전수훈련, 멘토링 등 사내기술이전 프로 그램 강화가 시급 ㅇ 대부분의 오일샌드 개발지역은 주거환경 등 인프라가 매우 취약, 기술인력 유치 유지가 어려운 상황 - 고숙련 기술인력 유치를 위해 교육 주거 교통 인프라 확충 시급 전망/시사점 ㅇ 오일샌드 인력부족 문제 해소를 위한 대안으로 GIS, 자동화기술 투자 및 외국인력 유치 차원에서 이민정책에 대한 보다 전향적 고려 필요 ㅇ 최근 캐나다정부는 대아시아 오일샌드 수출을 위해 Enbridge Northern Gateway 파이프라인 건설계획을 승인하였는 바, 동 사업에 대한 국내기업들의 관심 필요 -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