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IA-NURIMEDIA



Similar documents
DBPIA-NURIMEDIA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Jane Jacobs)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1 (William Whyte) 1969 Street Life Project ,. 2.,.. (microclimate) (thermal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이상훈 심재국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Ang University The forest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2014_ pdf

exp

- 2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03이경미(237~248)ok

14(4) 09.fm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03신경숙내지작업

12(2)-04.fm

main.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1. 연구 개요 q 2013년 연구목표 제2-1과제명 건축물의 건강친화형 관리 및 구법 기술 연구목표 건강건축 수명예측 Lifecycle Health Assessment (LHA) 모델 개발 건축물의 비용 기반 분석기술(Cost-based Lifecycle Health

장기계획-내지4차

04김호걸(39~50)ok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5B D B3E220C1A634B1C720C1A632C8A320B3EDB9AEC1F628C3D6C1BE292E687770>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03-서연옥.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Microsoft Word - 1st-revise_Elements-and-structure-of-the-smart-lighting-design-in-the-office_1_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118 김정민 송신철 심규철 을 미치기 때문이다(강석진 등, 2000; 심규철 등, 2001; 윤치원 등, 2005; 하태경 등, 2004; Schibeci, 1983). 모둠 내에서 구성원들이 공동으 로 추구하는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각자 맡은 역할에 따라 함께

한국조경학회지 47(3): 39~48, J. KILA Vol. 47, No. 3, pp. 39~48, June, 2019 pissn eissn

Microsoft Word - KSR2014S042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31372DB9DABAB4C8A32E687770>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목 차 회사현황 1. 회사개요 2. 회사연혁 3. 회사업무영역/업무현황 4. 등록면허보유현황 5. 상훈현황 6. 기술자보유현황 7. 시스템보유현황 주요기술자별 약력 1. 대표이사 2. 임원짂 조직 및 용도별 수행실적 1. 조직 2. 용도별 수행실적

433대지05박창용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온습도 판넬미터(JTH-05) 사양서V1.0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DBPIA-NURIMEDIA

<31335FB1C7B0E6C7CABFDC2E687770>

44-4대지.07이영희532~

04_이근원_21~27.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Jun.; 27(6),

<31362DB1E8C7FDBFF82DC0FABFB9BBEA20B5B6B8B3BFB5C8ADC0C720B1B8C0FC20B8B6C4C9C6C32E687770>

PJTROHMPCJPS.hwp

XXXXXX XXXXXX

DBPIA-NURIMEDIA

Àå¾Ö¿Í°í¿ë ³»Áö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레이아웃 1

<332EC0E5B3B2B0E62E687770>

<333820B1E8C8AFBFEB2D5A B8A620C0CCBFEBC7D120BDC7BFDC20C0A7C4A1C3DFC1A4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LiD) - - * Way to

<34372DB5B5BCADC1F6BFAA2E687770>

사단법인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시각디자인학회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173*243-³»Áö-1Æí-ÃÖÁ¾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歯1.PDF

09È«¼®¿µ 5~152s

레이아웃 1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605.fm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서강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대학중점연구소 심포지엄기초과학연구소

2009_KEEI_연차보고서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02이용배(239~253)ok

09이훈열ok(163-

세종대 요람

(001~006)개념RPM3-2(부속)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winners and losers in curling: Focused on shot type, shot accuracy, blank end and average score SungGeon Park 1 & Soowo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NCS : * A Study 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DBPIA-NURIMEDIA


untitled

목차 ⅰ ⅱ ⅱ ⅳ i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박사학위논문 샤프트의복합효과를이용한고층건물연돌효과의영향저감에관한연구 Study for Reducing the Influence of Stack Effect in High-rise Buildings Using the Complex Effect of Multiple Sha

나하나로 5호

Lumbar spine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Transcription: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Vol. 20, No. 5, pp 663~670(2013) 한 국 생 활 환 경 학 회 지 제 20 권 제 5 호 2013년 학교 옥외 공간 내 식재된 수목의 차양효과에 따른 여름철 실내 온열환경 및 빛환경 분석 홍현진 박범주 유슬기 김수민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Shading Effect of Trees on Indoor Thermal and Light Environment of School Buildings in Summer Hyunjin Hong, Bumju Park, Seulgi Yu and Sumin Kim School of Architecture, Soongsil University, Seoul 156-743, Korea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shading effect on indoor thermal environment by selecting specific trees that stands right next to the window of a school building. Thermal environment of four school buildings were evaluated by the types of trees: shrub and high trees and, broad-leaved and needle-leaved trees.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a clear distinction was appeared by different types of trees. The presence of broad-leaved trees brought good thermal environment and enhanced indoor thermal comfort. Key words : Shading, Tree, Indoor thermal environment, School building 1. 서 론 197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발달한 도시 화는 자연 환경의 감소와 도시민의 생활환경 악화를 초 래하였다. 따라서 도심지 내 녹지 공간을 확충하여 친 환경적인 휴식처를 제공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 한 다양한 조경계획이 제시되고 있다(Hoh et al., 2001). 산림청에서는 2013년도 도시림 기본계획 변경 을 통하 여 2011년도 7.95 m 2 에 불과했던 1인당 생활권 도시 숲 면적을 2017년까지 세계보건기구 WHO(World Hearth Organization)가 권고하는 1인당 생활권 도시 숲 면적 9m 2 의 80 %인 8.5 m 2 로 증가할 계획을 밝혔다(산림청, 2013). 도시 숲의 한 유형인 학교 숲은 도시 전체에 적 절한 면적으로 고루 산재해 있어 도시 숲의 증대 효과 를 얻을 수 있는 좋은 요건을 갖추고 있다(Seo, 2002; 교신저자: 김수민 (우 156-743)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511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전화번호 : +82-2-820-0665 E-mail:skim@ssu.ac.kr Byeon, Yun, & Kim, 2008). 뿐만 아니라 학교 숲과 같 은 학교 옥외공간은 학생들이 자연 체험의 기회를 삼 을 수 있는 일차적인 장소로 활용되어 자연요소와의 친밀감을 높이고 인성을 함양시키는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어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Hong, & Choi, 2011; Kuk et al., 2008; Kim, & Ahn, 1998). 특히, 학교 내 수목은 증산작용을 통해 주위보다 2-3 o C 가량 낮은 기 온을 유지 시킬 수 있고, 바람을 온화하게 하며, 소음 을 흡수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먼지 등의 공기오염물 질을 흡착 및 제거하여 실내공기질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실내 쾌적성을 높이는 친환경 건축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Kim, Jung, & Cham, 2005). 교육청에 서는 이러한 학교 조경의 교육적, 환경적 중요성을 인 식하여 효율적인 조경공사를 위한 시행 및 유지관리에 관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배포하고 있다(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2012). 한편, 최근 신축 또는 개축되는 학교 건물에서는 디 자인적 요소를 고려하여 커튼월식 시공방법을 많이 사 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외피를 통해 과도한 일사량 663

664 홍현진 박범주 유슬기 김수민 Table 1. Overview of School Buildings A school B school C school D school Completion 1994 1993 1992 1991 Floors 5 4 5 5 Azimuth South South South South Exterior 을 유입시켜 건물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킴에 따라 과 도한 건물 에너지의 소비와 실내 환경의 질적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Kim, 2004). 따라서 여름철에는 외피 를 통한 일사유입량을 최소화하여 실내 냉방부하를 저 감하고, 겨울철에는 일사유입량을 최대화하여 실내 난 방부하를 감소시켜야 한다. 또한 일사의 유입은 자연 채광을 통해 실내 조명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으나, 실 내에 현휘를 일으키는 과도한 직달일사를 제어하는 것 에 유의해야 한다. 외부 차양은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 할 수 있는 건축적인 방법으로써 직달 일사가 유리에 도달하기 전에 일사를 차단시켜 내부에 설치되는 블라 인드와 같은 내부차양에 비해 효과적인 차단성능을 발 휘한다(Lee et al., 2004). 학교 옥외 공간 내 수목은 여 름철에 무성하게 자라난 잎을 통해 일사를 차단하고, 낙엽을 하는 겨울철에는 자연스레 일사를 유입하는 친 환경적인 외부 차양이 된다(Kim, & Lee, 2007). 기존 연구에서는 단독주택의 차양으로 낙엽수를 활용한 설 계 사례를 소개하고, 도심지에서도 잘 자라는 개오동 나무, 고광나무, 호두나무를 차양으로 적절한 수목으 로 선정하였다(Kim, & Lee, 2007). 이외에도 수목의 차양효과에 관한 연구는 다방면으로 진행되었으나, 실 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실측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 이다. 학교 옥외공간에서 조경계획에 의해 심어진 수 목은 외주부와 가까이 위치한 경우, 건물 저층부의 차 양 역할을 하므로 수목에 의한 차양효과가 실내 온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실측하여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나타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도한 일사의 유입이 예상되 는 여름철 학교 옥외공간의 수목이 실내에 미치는 차 양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목의 식재 유형에 따른 실내 온열환경을 실측하였다. 이를 위해 차양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관목이 심어진 학교와, 차양효과가 기 대되는 교목이 심어진 학교의 실내 환경을 측정하여 비교분석을 진행하였고, 교목 중에서도 활엽수와 침엽 수에 따른 차이와 수목의 형태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 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저층건물에서 수목이라는 친환 경적인 요소를 활용하는 차양계획과 그 효과를 제시하 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2.1.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는 식재된 수목의 특징에 따른 차양 효 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부천시에 위치한 학교 중 향과 규모 등이 유사한 4곳의 학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으 며, 각 학교의 특징과 전경은 Table 1과 같다. 대상 학 교들은 식재된 수목의 특징에 따라 분류되며, Figure 1 에 각 학교의 평면도와 수목의 배치 및 종류, 측정 지 점을 나타내었고, 각 학교의 수목의 특징은 Table 2와 같다. 수목은 크기에 따라 키가 3m 이상인 교목과 키가 3m 이하인 관목으로 구분되며, 학교 조경 공간에서 교 목은 주로 남서, 서, 북서쪽에 식재하여 차양이 되도록 하고, 관목은 공간의 시선을 차단하지 않으면서 공간 을 분할하도록 한다(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2012). 또 한 수목은 잎의 모양에 따라 잎이 바늘 모양인 침엽수 와 잎이 넓은 활엽수로 구분되며, 조경 시 침엽수는 가 지 밀도가 높아 시선을 차단하거나 공기의 흐름을 막 는 데 효과적이고, 활엽수는 계절감과 분위기 조성에 효과적이므로 그 목적에 맞게 적용한다(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2012). 옥외공간이 관목으로 이루어진 A 학 교는 높이 약 0.8 m의 주목나무가 식재되어 있고, 활엽 수로 이루어진 B 학교는 높이 약 4m의 복숭아나무와 라일락나무가 식재되어 있다. 침엽수로 이루어진 C 와 D 학교의 수목은 각각 측백나무와 소나무로,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D 학교의 소나무가 C 학교의 측백나 무보다 상부에서 넓게 드리워져있는 형태를 가진다. 측 한국생활환경학회지

학교 옥외 공간 내 식재된 수목의 차양효과에 따른 여름철 실내 온열환경 및 빛환경 분석 665 Figure 1. Floor plan of the school buildings, measurement points and the position of the trees classified as type. Table 2. Classification of the Trees Type Heigh (m) Species A school B school C school D school Broad-leaved + N eedle-leaved Broad-leaved Needle-leaved Needle-leaved 4 3.3 4 Arborvitae Pine tree Thuja orientalis Pinus densiflora 0.8 (a) Japanese yew (b) korean rosebay (a) Taxus cuspidata Scientific name (b) Rhododendron Mucronulatum (a) Peach tree (b) lilac (a) Prunus persica (L.) BATSCH (b) Syringa vulgaris Shape of leaves 제 20 권 제 5 호 2013년

666 홍현진 박범주 유슬기 김수민 Table 3. The Range of the Measuring Instrument LM-8000 by Function Intensity of illumination (lux) Temperature ( o C) Humidity (%) Range 0~20,000 0~50 0~95 Table 4. Meteorologic Data of the National Weather Service Date Average temp.( o C) Maximum temp.( o C) Minimum temp.( o C) Cloud cover 2013.05.25 20.8 26.7 15.3 6.3 2013.06.08 23.1 28.0 18.3 6.4 정 지점은 창가와, 창가에서부터의 이격거리가 1.5 m인 a, b, c, d 지점, 3.5 m인 e 지점, 6.5 m인 f 지점으로 구분 되어 창 측에서 유입되는 일사량을 거리별로 분석하 였다. 2.2. 측정방법 사용된 측정기기는 조도, 온도, 습도의 측정이 가능 한 다기능 측정기 LM-8000을 사용하였으며, 측정범 위는 Table 3와 같다. 측정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동일한 층의 교실 내부에 매 1시간 간격으로 총 3회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그 평균값을 대표값으로 사용하였다. 측정은 5월 25일과 6월 8일 양일간 이루 어졌으며, 측정일의 기상 데이터는 Table 4와 같다. 측 정값은 조도, 온도, 습도로 바닥에서 수직으로 1.2 m 떨어진 높이에서 측정하였다. 3. 연구결과 3.1. 수목의 크기에 따른 차양효과 분석 학교 옥외 공간 내 수목의 크기에 따른 실내 환경을 분석하기 위하여 관목으로 식재된 A 학교와 교목으로 식재된 B 학교의 조도, 온도, 습도를 분석하였다. Figure 2는 A 학교와 B 학교의 시간대별 조도 측정 결 과를 나타낸다. A 학교는 창에서 1.5 m 떨어진 지점에 서 시간대별로 조도변화의 폭이 크게 나타나 오전 9시 1113.3 lux에서 오전 10시 1852.3 lux로 약 1.5배 이상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오후 1시에는 최댓값인 2170.0 lux 의 값이 측정되어 창으로부터 과도한 일사가 유입되었 음을 알 수 있다. B 학교는 A 학교에 비해 시간대별로 비교적 일정한 일사량이 유입되었다. 오전 9시 605.5 lux 의 조도가 서서히 증가하여 12시에 최대 1041.5 lux의 조도가 유입되었으며, 이는 A 학교에 비해 약 2배 가 량 낮은 값을 나타낸다. Figure 3의 측정지점별 평균 조도값을 살펴보면, A 학교는 창에서 1.5 m, 3.5 m, 6.5 m 떨어진 지점별로 각각 평균 1648.9 lux, 508.4 lux, Figure 2. Hourly measurement of intensity of illumination. 134.0 lux의 값이 측정되었으며, B 학교는 각각 평균 792.1 lux, 318.4 lux, 142.4 lux의 값이 측정되었다. 수 목의 크기에 따른 조도의 영향은 교실 내측인 6.5 m 지점에서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창과 근접한 지점에서는 약 2배 가까운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교목에 의한 차양효과에 의해 B 학교의 조도가 A 학 한국생활환경학회지

학교 옥외 공간 내 식재된 수목의 차양효과에 따른 여름철 실내 온열환경 및 빛환경 분석 667 Figure 3. Average intensity of illumination of A and B school by measurement points. 교에 비해 최대 48 % 저감된 것을 알 수 있다. 학교 교 실 내 조명도는 책상면을 기준으로 300 lux 이상 되어 야 하며, 최대조도와 최소조도의 비율이 3대 1 이하여 야 한다(KS A 3011, 1993). A 학교와 B 학교 모두 6.5 m 지점을 제외하고는 기준 이상의 조도가 측정되 었으나, A 학교는 창 측에서 과도한 일사가 유입되어 눈부심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관목의 식재는 차양 의 부재로 인한 과도한 일사의 유입으로 불쾌적한 빛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 B 학교의 시간대별 온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Figure 4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A 학교는 오전 11시부 터 오후 2시까지 온도가 꾸준히 상승하여 32.4oC의 피 크 온도가 나타나고, 태양 고도가 낮아지는 오후 2시 이후 28.9oC로 온도가 큰 폭으로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반면, B 학교는 A 학교에 비해 적은 기울기로 온도 가 상승하여 오후 1시 30.6oC의 피크 온도를 나타낸 후 서서히 온도가 하강하였다. 따라서 B 학교는 A 학교 에 비해 약 1.8oC의 피크온도 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A, B 학교 실내 온도의 평균값, 최댓값, 최솟값은 Figure 5와 같다. 평균적으로 A 학교는 30.0oC, B 학교 는 28.8oC의 온도가 측정되어 B 학교에서 약 1.2oC의 온도가 저감되었다. 또한 A 학교는 최대 32.4oC에서 최소 28.3oC, B 학교에서는 최대 30.6oC, 최소 27.6oC 의 온도가 측정되어 A, B 학교에서 각각 4.1oC, 3.0oC 의 온도 편차가 나타나 B 학교에서 비교적 적은 온도 편차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목이 식재된 B 학교는 평균 실내 온도의 저감 뿐만 아니라 피크 온 도 및 온도 편차 역시 유리하여 작용하여 여름철 냉방 에너지 절감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6의 시간대별 습도 측정 결과에 따르면, A 학 Figure 4. Hourly measurement of temperature. Figure 5. Average,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of A and B school. 교의 상대습도는 온도가 뚜렷하게 증가하는 11시 이 후 약 44.9 %까지 감소하였다가 온도가 감소하는 2시 이후 약 52.6 %까지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약 7.7 %의 제 20 권 제 5 호 2013년

668 홍현진 박범주 유슬기 김수민 Figure 7. Average intensity of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rees. Figure 6. Hourly measurement of relative humidity. 변화 폭을 보였다. 반면, B학교는 오후 1시 최소 46.7% 에서 오후 4시 최대 52.4%의 상대습도 값을 나타내 A 학교에 비해 적은 5.7 %의 습도 변동 폭을 보여 비교 적 실내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3.2. 수목의 잎 모양에 따른 차양효과 분석 잎의 모양에 따라 수목을 활엽수와 침엽수로 구분하 고, 복숭아나무와 라일락 나무와 같은 활엽수로 이루 어진 B 학교와 칩엽수인 측백나무로 식재된 C 학교, 또 다른 침엽수인 소나무로 식재된 D 학교의 실내 환 경을 측정하였다. B, C, D 학교의 조도 측정 결과, 각 각 평균 681.8 lux, 1984.7 lux, 1162.65 lux의 값이 측 정되어 잎의 면적이 큰 활엽수가 칩엽수에 비해 일사 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 D 학교 모두 침엽수로 이루어져 있으나, D 학교 수목의 형태 가 Table 1과 같이 창의 상부측에서 넓게 드리워져 있 한국생활환경학회지 Figure 8. Intensity of illumination by measurement point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rees. 어 일사 차단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음을 추정할 수 있 다. 따라서 활엽수가 일사 차단에는 가장 효과적이며, 이와 더불어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D와 같은 형 태의 소나무를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8은 B, C, D 학교의 조도를 창가에서 1.5 m 떨어진 a, b, c, d 지점 별로 분석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B 학교는 a, b, c, d지점에서 각각 평균 795.4 lux, 715.0 lux, 595.0 lux, 621.8 lux의 조도가 측정되어 각 지점별 값의 차이가 최대 200.4 lux로 나타났다. C 학교에서는 각 지점별 1589.2 lux, 1801.2 lux, 2348.4 lux, 2200.0 lux로 최대 759.2 lux의 변동폭이 나타났고, D 학교에서는 각 지 점별 997.0 lux, 835.8 lux, 1356.4 lux, 1461.4 lux로 최 대 625.6 lux의 변동폭이 나타났다. 따라서 활엽수로 식재된 B 학교가 일사 차단 효과와 더불어 균일한 조 도가 실내에 유입되어 실내 빛 환경에 더 유리함을 알 수 있다.

학교 옥외 공간 내 식재된 수목의 차양효과에 따른 여름철 실내 온열환경 및 빛환경 분석 669 Figure 9. Average temperature and humidit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rees. B, C, D 학교의 온도 및 상대습도의 평균값을 Figure 9에 나타내었다. B, C, D 학교의 온도는 각각 26.6 o C, 28.4 o C, 27.1 o C로 B 학교에서 가장 낮은 온도 가 측정되었다. 이것은 앞서 Figure 7과 Figure 8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B 학교의 활엽수에서 창으로 유입 되는 일사를 가장 효과적으로 차단하였으므로 온도의 저감 효과 역시 가장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D 학교는 수목의 잎 모양이 같은 C 학교에 비해 1.3 o C의 온도가 저감되어 활엽수인 B 학교와 유사하게 유리한 온열환경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수목의 종류 및 형 태에 따라 실내 환경에의 영향이 뚜렷한 차이를 보였 으며, 조도, 온도, 습도의 전체 실내환경 요소를 고려 하였을 때 활엽수가 가장 큰 차양효과를 나타냈으나, 침엽수 역시 수목의 형태에 따라 활엽수와 근접한 차 양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4. 결 론 도심지 내 녹지 공간의 확보를 위한 대책의 일환으 로 학교 숲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학교 조경 공간은 학생들이 자연 체험의 기회를 얻는 교육적인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증산작용 및 오염물질 흡착 등의 환경 개선 효과로 실내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특히, 건물 외주부에 위치한 수목은 건물 저층 부의 외부 차양 장치로 작용하여 실내에 유입되는 일 사를 차단하는 친환경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 옥외 공간 내 수목에 따른 차양효 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관목과 교목으로 식재된 학교 와 활엽수, 침엽수로 식재된 학교의 실내 환경을 실측 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건물의 저층부 에 수목을 활용한 차양계획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시 하고자 하였다. 관목과 교목의 식재에 따른 실내 환경 을 분석한 결과, 교목에 의해 차양효과가 발생하는 B 학교의 조도가 관목으로 식재된 A 학교에 비해 최대 48% 낮게 측정되었으며, 시간대별로 비교적 일정한 조도가 측정되어 과도한 조도로 인한 눈부심의 우려가 적고, 양질의 빛이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 학교는 A 학교에 비해 평균 실내 온도가 약 1.2 o C, 피 크온도가 약 1.8 o C 낮게 측정되어 교목의 차양효과로 인해 여름철 냉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음 을 확인하였다. 또한 B 학교는 시간대별 5.7%의 적은 습도 변동 폭을 보여 비교적 실내 습도가 일정하게 유 지됨을 알 수 있다. 잎의 모양에 따른 차양효과를 분석 한 결과, 잎의 면적이 큰 활엽수가 칩엽수에 비해 약 34.3% 낮은 조도를 나타내 일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내에 유입되는 조도가 비교 적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목의 상부측에 잎이 넓 게 드리워져있는 칩엽수가 식재된 D 학교의 경우 C 학교의 칩엽수와는 달리 활엽수와 유사하게 일사 차단 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수목의 형태적 특징이 차양 의 효과를 높인 것으로 보여진다. D 학교의 소나무와 같은 수목은 차양 효과와 더불어 저층부의 시야 확보 가 가능하므로 설계 목적에 따라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B, C, D 학교의 온습도 분포 역시 조도와 유사하 게 활엽수가 식재된 B 학교에서 가장 유리하게 나타 났으며, 수목의 종류별로 온도 1.8 o C, 습도 6.45%의 차 이가 발생하였다. 수목은 학교 옥외 공간 내 조경의 일 부이자 외부 차양으로 여름철 실내에 유입되는 과도한 일사를 차단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로써 건물의 냉난방부하를 감소시켜 에너지를 절감 하는 건축적이고도 친환경적인 요소임에 그 의의가 있 다. 수목의 차양효과는 계절적 변화에 따라 달라질 것으 로 예상되므로, 추후 계절 변화에 따라 실내에 유입되는 일사량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감사의 말 본 연구는 농림수산식품부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 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REFERENCES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2012. 학교 조경 계획공사유지 관리 실무 가이드 제 20 권 제 5 호 2013년

670 홍현진 박범주 유슬기 김수민 산림청, 2013, 도시림 기본계획 변경 KS A 3011-1993. (1993). KS Illumination Standard. Kuk, J. H., Yoon, Y. H., Park, B. J., & Kim, W. T. (2008). Effects of School Forest on Elementary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andscap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1(3), 27-34. Kim, S., Jung, E. H., & Cham J. G. (2005). A Study on the Present Outdoor Planting Conditions of the Primary School Ground. Journal of Nakdonggang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10(1), 151-160. Kim, S. S., Lee, S. H. (2007). A Study on the Sunshade Planning by Applying Deciduous Tree at Low-Rise Buildi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1), 379-382. Kim, I. H., Ahn, D. M. (1998). A Basic Study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al Use of Elementary School Landscap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11(2), 224-237. Kim, T. Y. (2004), Glass and Energy Problem in Building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48(9), 53-57. Byeon, J. S., Yun, H. J., & Kim, I. H. (2008).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Achievement of School Fores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1), 49-61. Seo, B. K. (2002) School Landscape Facilities and Afforestation Potentialities of School Garden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5(3), 25-31. Lee, H. S., Jang, W. S., Chio, W. K., Cha, D. W., & Suh, S. J.,(2004, April).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Solar Intensity in the Separated Exterior Shading Device, Poster presented at Conference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Hoh, S. J., Lee, J. H., Im, E. J., Choi, S. M., & Park, Y. S. (2001). The Case Study for the Designing of the Resting Places in the Urban and the Street Furniture. Korea Society of Design Science, 14(3), 87-96. Hong, H. J., Choi, D. H. (2011).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Environment Program by Using School Outdoor Environment on Urban Primary School. The Environmental Education, 24(4), 62-77. 투 고 일: 2013. 9. 10 수정접수일: 2013. 10. 18 게재승인일: 2013. 10. 28 한국생활환경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