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최 _
종합편성채널 등장에 방송광고 시장 대응방안 / 박정래 1 중간광고 및 광고총량제 도입에 관한 연구 / 안대천 16 민영미디어렙 도입과 광고계 대응방안 / 서범석 26 방송 및 광고시장의 환경변화에 따른 광고정책수립의 방향성 모색 / 박현수 38
-상생과바람직한경쟁을위해 종합편성채널 등장과 방송광고시장 대응 방안 23thSeptember 2011 박정래 숙명여대겸임교수 Crossmedia 경영전문위원 - 1 -
목차 1. 2. 3. 종편 개국과 광고판매 종편의 광고시장 파급 효과 방송광고시장 Big Change와 대응방안 - 2 -
종편 개국과 광고판매 종편 개국과 광고판매 종편 개국일정과 예상 대표 프로그램 1차: 2차: 10월중, 12.1일, 매일방송MBN jtbc, TV조선, 채널A - 3 -
케이블TV 인허가PP, 다양한장르편성가능(24시간방송가능) 종편 개국과 광고판매 Must 케이블TV Carry 케이블TV에준한광고규제 (채널번호지정협상중) SO 의무전송채널, 개국과동시85% 시청커버리지 종편의 특성 유력신문사지배주주 직접광고영업, TV조선(조선일보20%), 중간광고가능, jtbc (중앙미디어네트워크25%), 유연한광고운영 채널A(동아일보29.32%), MBN(매일경제신문사12.63%) 방송핵심가치 종편 -개방/참여, 사업목표 개국과 광고판매 -시청자선택권확대 -융합미디어시대개척 상생, 공정, 품위 TV조선 -건강한콘텐츠생태계조성 특성 및 광고판매 원칙 -글로발리제이션(Globalization) 편성및구체목표 -생활밀착형, 화합과희망의드라마예능 보도중심, 시사및정보교양물, 달성 출처: 광고계동향, 2011.8월호 -초기1,2년시청률1-2%, 광고판매원칙 -광고+ 는문화사업적극개발) 사업의복합(광고주,시청자,현장수용자가모두득이되 도약기2-3%, 최종지상파능가 -광고주의마케팅전략에부합하는최적의광고서비스 - 4 -
방송핵심가치 종편 -국민에게희망과용기를, 사업목표 개국과 광고판매 -글로벌시장진출확대 -독립제작사와상생구조지혜와감동을주는방송 jtbc -1등종편, 특성 및 광고판매 원칙 편성및구체목표 -보도:교양:오락= -글로벌뉴스강화, 민영TBC의부활, 아시아대표방송 -해외19개국, 2:4:4-800억규모의콘텐츠펀드조성 예능과교양의조화, 작품성과사업성, 드라마 -외주제작사와수익공동배분 의작품성과대중성 48개언론사와파트너쉽체결 출처: 광고계동향, 2011.8월호 광고방침 종편 -시장지향적인광고사업전략, 광고판매원칙 개국과 광고판매 -내부가이드라인수립, -케이블특성을살린광고상품팩키지, 광고수익극대화 jtbc 및 광고판매 원칙 -지상파와케이블TV의광고판매방식중강점만적극도입 광고주를마케팅파트너로 -타깃시청률, 중간광고, 가상광고, PPL -과학적인분석으로합리적이고경쟁력있는가격전략 등광고효과중심의판매 -j TBC 만의광고판매방식구축 광고주에특성에연동된가격체계설계 출처: 광고계동향, 2011.8월호 - 5 -
방송핵심가치 종편 -Listen, 사업목표 개국과 광고판매 -One 편성및구체목표 Agree, Care, Solve MBN -첫해콘텐츠투자1500-2000억원 특성 및 광고판매 원칙 -차별화된드라마와예능프로그램이킬러콘텐츠 Asia, 아시아최고의미디어허브 -IHQ에시트콤첫발주 꽃미남과신데렐라 -첫해2-3% 광고판매 -크로스미디어판매: -광고주와공동제작과광고주맞춤형광고기획 시청률에매년0.5-1%씩시청률상승목표 -중간광고, 간접광고적극활용 매경미디어그룹내방송,신문,잡지,인터넷 출처: 광고계동향, 2011.8월호 방송핵심가치 종편 -열린방송 -따듯한방송 개국과 광고판매 -올바른여론선도방송 사업목표 채널A -언론의정도를지켜온동아일보와 특성 최근발표 -12월1일개국선언 동아방송의정신을새로운매체와특성에맞게구현 -CI - 6 -
종편 표준단가+크로스팩키지판매 개국과 광고판매 광고주맞춤형판매+보상판매 종편 광고판매 (예상) 특성 광고+ 시스템형판매(장기+ 제작+ 사업 다양한보너스, 프리미엄, 예약> 할인제도의도입 단기+ 즉석) 종편의 광고시장 파급 효과 - 7 -
종편의 광고시장 시장확대요인vs 파급효과 현행미디어렙체제영향vs 지상파:종편양립체제로정착 시장혼란요인 종편 등장과 광고시장 이슈 새로운광고판매시스템도입vs 긍정적경쟁시장형성vs 기존광고판매시스템의변형 부정적혼탁시장초래 스마트-모바일환경변화에긍정적vs 스마트-모바일환경변화에부정적 -종편1개사운영비용2,000-2,500억원소요전망 종편의 -종편별1차년도(2012년) 광고시장 파급효과 -종편별1차년도광고목표는최소1000억원이상으로추정 -최소3내년(2014년내)내에손익분기점달성목표 시청률목표는1.0-1.5% (가구시청률) 광고시장에 대한 종편의 입장 - 8 -
종편의 2001 광고시장 파급효과 2002 2003 연도 광고비GDP%광고% 2004 5,713,847 6,844,211 6,966,774 6,840,1027.0 3.1 4.7 3.8-2.4-1.8 19.8 -광고시장은정체시장 총 2005 광고시장 7,053,882 전망 4.2 3.1 -종편은방송시장군 2006 7,633,9325.1 8.2 -콘텐츠생태계구성은진화중 2007 2008 2009 7,989,657 7,797,000 7,256,0005.0 2.2 0.2-2.4-7.8 4.7-10.0-5.0 광고비성장률vsGDP y = 3.9275x R² = 0.9054-12.027-60.0-40.0-20.0 40.0 --5.010.015.0(18년) 2010 2011 2012 8,450,100 8,821,904 9,148,3156.1 4.2 4.016.5 4.4 3.7 선형 (광고비성장률) -지상파3사, 종편의 -상위10대케이블PP 개인평균시청률1.5-2.0% 광고시장 개인평균시청률0.1-0.3% 파급효과 개인 추이 0.0 0.5 1.0 1.5 2.0 2.5 3.0 KBS2 12345678910111212345678 SBS MBC KBS1 출처: AGB닐슨, 2010.1-2011.8월 월별평균개인시청률 - 9 -
-2010년1월, 60.4: 59.6에서2011년8월52.4:47.6 종편의 광고시장 파급효과 지상파 vs 케이블TV 개인시청률 점유율 추이 10.0 20.0 30.0 40.0 50.0 60.0 70.0 지상파 12345678910111212345678 케이블 출처: 월별개인시청률점유율추이 AGB닐슨, 2010.1-2011.8월 종편의 광고시장 파급효과 24,394 26,73923,671 26,64622,350 26,34921,492 26,42221,839 28,68021,076 29,58118,997 27,859 지상파TV vs 케이블TV 광고시장 추이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광고비(억원) 2,3452,9753,9994,868 626,721 1208,297 2088,600-5,000 지상파TV - 케이블TV 262 출처: 제일기획발표자료 - 10 -
종편의 광고시장 파급효과 새로운광고판매 방송광고경쟁시장에 광고판매시스템 경쟁시장에긍정적 시스템도입 긍정적효과 종편의 광고시장 피급효과 방송미디어렙 광고시장확대요인은 미디어렙구조개편에 확대요인은크지 구조개편에영향 크지않을 전 스마트-모바일환경변화에긍정적 않을듯 망 방송 광고환경 Big Change와 대응방안 - 11 -
방송 광고환경 Big Change와 대응 Ownership 광고영업 종편 등장과 방송 광고환경 Big Change (사업+제작) Biz의결합 방송광고 판매환경 맞춤형 판매 생태형 판매 보상형 판매 방송 광고환경 Big Change와 대응 광고광고 Ownership 강화 방송경영 = 방송광고 목표 형 광고영업 정교한 광고(효과)관리 제작, 편성, 사업, 광고의 유기적 소통 스마트, 모바일 환경으로 진화 고려 - 12 -
방송 광고환경 Big Change와 대응 맞춤형 판매 고정 단가제 표준 단가제 Seller s 판매제 Buyer s 판매제 판매 팩키지 광고주 팩키지 방송 광고환경 Big Change와 대응 보상형 판매 타깃 시청률 기준 판매 GRP, KPI 보상형 판매 Total Sales System 구축 - 13 -
방송 광고환경 Big Change와 대응 생태형 판매 콘텐츠 중심 커버리지 확대형 판매 Cross Media 판매 콘텐츠 + 플랫폼 결합형 판매 방송 광고환경 Big Change와 대응 Biz 결합 스폰서쉽과 광고의 결합 사업과 광고의 결합 Identity 스폰서쉽 광고와 프로모션, 광고와 컴머스, 광고와 광고의 결합 - 14 -
Thank You!!! pilee58@naver.com myyou@unitel.co.kr - 15 -
방송광고시장 활성화 방안 - 중간광고와 총량제 등 편성규제 완화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안대천 목 차 광고편성 운용 (중간광고 및 총량제) 규제 내용 해외의 방송광고 편성규제 현황 편성규제 완화에 대한 관련 주체별 입장 중간광고 허용에 관한 학계 연구 결과 총량제 도입에 대한 의견 III. - 16 -
I. 국내광고시장현황 1-1. 1. 국내광고시장 매체별 현황 전통매체와 뉴미디어 매체 간의 경쟁 심화 - 17 -
1-2. 방송광고시장 현황 한국 미국 2010년 유료방송의 시청점유율 44.5%, 지상파와의 격차 축소 유료방송 및 협찬 시장 성장, 지상파 광고 감소 지상파 - 유료방송 (종편) 간 비대칭규제 문제 - 18 -
1-3. 방송광고시장 전망 1-4. 국내 광고규제 현황 - 19 -
1-5. 방송광고 규제관련 주요 이슈 운용 규제 개선 II. 방송광고 편성 운용 규제 2-1. 광고편성 운용 (중간광고 및 총량제) 규제 내용 중간광고, 70년대 초반 까지 허용, 오일 쇼크 후 소비억제와 시청자의 시청권 확대 를 명분으로 금지 대부분 선진국은 중간광고를 포함하는 방송광고 총량규제 실시 방송광고 총량제: 방송광고의 종류, 시간, 횟수, 방법 등에 대해 법률로 규제 않고 전 체 광고량 만을 규제하고, 구체적 운용방법은 방송사 자율편성권 보장하는 제도 중간광고와 광고총량제에 대한 법적 근거는 방송법 시행령 제59조(방송법) - 20 -
방송법 시행령 주요내용 방송광고(비상업적 공익광고, 가상광고 및 간접광고 제외)의 허용범위ㆍ시간ㆍ횟수 또는 방법 등은 다음의 기준을 따른다 텔레비전방송채널(지상파DMB 제외)과 라디오방송채널의 경우, 1. 방송프로그램 광고시간은 방송프로그램시간의 100분의 10 이내 2. 중간광고 금지 (운동경기, 문화ㆍ예술행사 등 제외) 3. 토막광고: 라디오 - 매시간 4회 이내, TV - 매시간 2회 이내, 매회 광고시간은 라디 오는 1분 20초 이내, 텔레비전방송은 1분 30초 이내 4. 자막광고: 방송사업자의 명칭고지 또는 방송프로그램 안내고지 시에 한하되, 횟수 는 매시간 4회 이내, 매회 10초 이내, 자막크기는 화면 4분의 1 이하 5. 시보광고: 매시간 2회 이내, 매회 10초 이내, 매일 10회 이내(지상파) 국내 지상파 TV 광고 허용량 유형 허용기준 시간당 허용량(비율) 프로그램광고 토막광고 자막광고(ID/이어서) 시보광고 방송프로그램 시간 (광고시간 포함)의 10/100 매시간 2회, 매회 4건, 매회 1분 30초 이내 매시간 4회, 1회 10초, 화면의 ¼ 이내 매시간 2회, 1일 10회, 1회 10초 이내 6분 (10%) 3분 (5%) 40초 (1.1%) 20초 (0.6%) 계 10분 (16.7%) - 21 -
케이블 TV의 중간광고 허용 횟수 프로그램 구분 45분 ~ 60분 프로그램 60분 ~ 90분 프로그램 90분 ~ 120분 프로그램 120분 이상 프로그램 횟수 1회 2회 3회 4회 중간광고 시간 및 개수 규제 : 한 개의 프로그램 당 1분, 4건 이내로만 허용 지상파의 경우, 중간광고 편법 집행 프로그램 1부, 2부 편성 영화 2부로 나누어 편성 드라마 도입부 일부 분리 뉴스 프로그램 분리 편성 등의 방법 2-2. 2. 해외의 방송광고 편성규제 현황 광고량 중간광고 미국 - 규제없음 (어린이프로그램에 대해서만 규제) - 허용 일본 - 민간자율규제 - 1주일 방송시간의 18%미만 - 프라임타임에 대한 광고량 별도 규제 -허용 호주 - 프로그램 종류와 시간대에 따라 차등적 제한 - 허용 영국 독일 프랑스 - 공공서비스채널은 1시간 평균 7분 미만 - 비공공서비스채널은 1시간 평균 9분 미만 - 프라임시간대에 대한 별도 규제 존재 - 일일총량규제 (총방송 시간의 15퍼센트) - 추가적으로 시간당 제한 (1시간 당 15퍼센트) - 채널별로 차등하여 시간당 평균광고시간과 최대광고시간 규제 -허용 - 프로그램길이에 따라서 차별 적용 -허용 - 2회까지 가능 -허용 - 2회까지 가능 EU AVM S 지침 - 방송시간 1시간 당 12분 미만 -허용 - 종교행사 방송사 금지 - 법규로 중간광고 규제하는 국가는 거의 없음 - 광고량 규제도 완화 추세 - 다매체 다채널시대에 방송의 공익성 위주에서 상업성 허용 정책으로 선회 - 22 -
2-3. 편성규제 완화에 대한 관련 주체별 입장 지지 반대 광고주, 지상파, 대행사 유료방송, 신문, 시민단체 2-4. 중간광고 허용에 관한 학계 연구 결과 정책적 관점 소비자 반응 관점 시청자 반대의견 대부분 광고전문가 찬성의견 다수 - 23 -
2-5. 총량제 도입에 대한 의견 III. 현행 편성 규제 개선의 필요성 종편 도입에 따른 광고시장 구조 변화 뉴미디어의 급성장에 따른 지상파 수익 악화 뉴미디어 시대 시청자 방송선택권 강화 중간광고로 광고분산효과 시청흐름에 긍정적 효과 광고효율성에 따른 광고주의 광고구매 양질의 광고상품 공급 수요 확대 효과 - 24 -
IV. 편성 규제 개선 방안 방송환경(디지털 양방향방송 활성화), 광고시장 경쟁상황, 국제 표준 등 고려 시 중간광고 및 총량제 전면 실시 현재까지 강한 반대 여론 및 도입 초기의 부정적 효과 고려 - 제한적, 단계적 도 입필요 중간광고 총 광고량의 변화 없는 선에서 유료방송 수준으로 허용 방송 시간대와 프로그램 장르 별로 제한적 도입 필요 중간광고를 통해 조성된 방송 발전기금 시청자 복지 활용 제도화 총량제 초기 시간당 총량제 도입 (전체 방송광고 허용시간 상향조정) 단계적으로 일일, 주간총량제 도입 (시간당 최고 허용시간, 장르 제한) 최종적으로 방송사 자율 Q&A s - 25 -
민영미디어렙 도입과 광고계의 대응방안 서범석(세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2011. 9. 23 2-26 -
1) 태평양 미디어 앤 커뮤니케이션(한국 미디어렙) - 2006년 3월 16일 방송법 73조 5항 및 시행령 59조 3항에 대한 헌법소원 제출 2) 헌법재판소 2008년 11월 27일 헌법 불일치 판정 1 2009년 12월 31일까지 개정 2 실질적인 경쟁체제(복수의 광고판매 대행사) 3 방송사의 직접거래 제한 4 중소 방송국에 일정량의 방송광고 제공 3) 방송광고판매 대행에 관한 법률안 - 한선교, 진성호, 조문환, 이용경, 전병헌, 김창수, 이정현(방송법 일부 개정법률안) 4) 종합편성채널 4개사 허용( MBN, jtbc, TV조선, 채널A) - 종편 2011년 10월초 사업 설명회, 12월초 첫 방송 실시 예정 - 종편의 광고 직접 판매 금지, 미디어렙 법안 조속 처리 희망 (민주당, 시민단체 등) 3 1) 민영미디어렙 진행 사항 - 헌법재판소 헌법 불일치 판결 후 지상파 방송사의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 광고 위탁판매 의무 2009년 12월 31일로 종료 - 방송통신위원회가 지상파 방송광고 판매 임시 운영권고안 지상파 방송사에 전달(2009. 12. 31 ) - SBS 미디어 홀딩스 미디어렙 추진단 설립 - MBC 자사 미디어렙 설립 전제, 인원 확보(광고회사) 2) 민영미디어렙 직접 영업의 문제점 - 헌법재판소 결정 사항 중 매체사의 직접 영업을 제한하고 있다. - 미디어렙 법안 재정전, 종편의 직접 영업이 현실화 되어도 민영미디어렙(SBS)이 영업을 하기는 많은 부담이 있다. ( 미디어 광고판매 시장의 혼란의 책임을 떠 맡을 수 있다.) 4-27 -
3) 공영미디어렙, 민영미디어렙의 정체성 - 한국방송광고공사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국영미디어렙, 한국방송공사(KBS)가 미디어렙을 운영하면 공영미디어렙이 되며, SBS가 미디어렙을 운영하면 민영미디어렙이 된다. - 국영, 공영, 민영미디어렙으로 구분하지 않고 미디어렙이란 용어가 적절하다. 그 이유는 미디어렙의 선택은 공영방송이든 민영방송이든 방송사가 선택하기 때문이다. - 미디어렙을 공영, 민영으로 구분한 것은 1998년 11월 언론정보학회에서 방송광고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KOBACO 신위상 정립을 중심 이라는 논문이 이론적 배경을 제공 KOBACO가 경쟁체제인 공, 민영 미디어렙으로 전환하면서 방송 발전기금의 징수와 관리, 광고진흥사업 등 방송 광고정책 결정, 전국 시청률 조사 등을 목적으로 가칭 방송관련 진흥재단을 설립..., 공영미디어렙인 KOBACO는 KBS, MBC, EBS의 광고 판매를 독점하고 민영미디어렙은 SBS와 지역민방의 광고를 대행한다.(이효성, 1998) 5 1)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의 정체성 문제 - 현시점에서 KOBACO의 존재가치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 1 KOBACO의 부정적 평가 - 언론기본법을 모체로 탄생, 언론통제 및 언론인 회유 - 독점 영업을 통한 시장경제 원칙 위배 - 끼워팔기(서범석, 2004), 강압적 판매, 고정요금제의 폐단 - 광고의 과학화에 역행(연세대학교 언론연구소, 1997) - 공정거래위원회 불공정거래 행위 고발 상태 (광고주협회, 2008) 2 KOBACO의 긍정적 평가 - 공공에 봉사하는 방송광고 질서를 정립하고, 국내의 건전한 문화 생활과 방송문화의 발전 및 방송관련 진흥에 이바지 - 방송광고 영업의 선진화 - 공익자금 조성을 통한 사회공권 - 광고 진흥 사업 출판, 연구, 교육사업 - 광고 인프라 구축(이진호, 2011) 6-28 -
미디어의 변화, 소비자의 변화, 광고시스템의 변화하는 현 시점에서 국영미디어렙인 한국방송광고공사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논의가 우선되고 미디어렙 시스템의 검토가 바람직하다. 7 2) 문화방송(MBC)의 정체성 문제 - 지난 2000년 방송광고판매대행에관한법률안이 정부 주도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법안이 마무리 되는 과정에서 MBC의 적극적인 반대로 미디어렙 법안이 무산되었다. - 미디어렙 시스템의 기본 전제로 볼 때 방송사가 미디어렙의 선택권을 확보하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 공영방송이든 민영방송이든 미디어렙의 선택은 방송사에 있어야 한다. 공,민영미디어렙 구분 논의 의미가 없다. (서범석, 2009) - MBC는 공영방송이므로 공영미디어렙에 맡겨야 할 필요 또한 없다. - 한국 방송광고공사는 단지 하나의 미디어렙으로 존재해야 한다. 8-29 -
1) 민영미디어렙의 조건 - 방송광고 판매대행에 관한 법률안 헌법재판소 권고 사항인 실질적인 경쟁체제, 중소방송국에 일정량의 방송광고 제공의 적용 문제에 대한 국회 법안시 반영 문제 - 방송통신위원회의 미디어렙 선정권 특정방송사에 특정 미디어렙 지정의 어려움, 방송사의 미디어렙 선택 가능 - 방송사 소유지분(10% - 50%)의 경우 개별 미디어렙에 40%가 검토되므로 실질적인 방송사의 통제가능 - 미디어렙의 허가 숫자에 따라 문화 방송의 미디어렙 문제발생 - 민방, 종교방송의 문제(광고매출 배분, 연계판매, 기금지원)(주정민, 2011) - 2000년 방송광고판매대행에관한법률안 과 별다른 차이점 없음 - 한국방송광고공사가 한국방송광고대행공사 법인으로 변화 가능성 9 2) 현행 방송광고 영업 시스템 2010년 총 방송광고비 2조 2천억 중 KBS 5,858억 원(26.6%), MBC 8,234억 원(37.4%) SBS 5,022억 원(22.86%), 지역민방 1,106억 원(5%), OBS 253억 원(1.1%), 종교방송 573억 원(2.6%) (한국방송광고공사, 2011)/ 2010년 5개 종교방송 방송광고 매출 573억 중 약 80%가 연계판매(PD 저널, 2011) 10-30 -
3) 새로운 방송광고 미디어렙 시스템 - 새로운 미디어렙 시스템을 예측해 보면 방송통신위원회가 허가권을 가지게 되며, 한국방송광고공사를 포함 최소한 3개 정도의 미디어렙이 바람직하다(서범석, 2000). - 미디어렙 허가를 신청하는 회사가 특정 미디어렙을 제안 할 수도 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방송사에 미디어렙을 강제적으로 배정하기는 어려울것 같다. - 방송사의 지분참여가 가능해지면 실질적으로 1사 1렙의 형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취약매체 배분은 지역 MBC는 MBC 미디어렙이, 지역민방은 SBS 미디어렙이 판매하는 것이 바람직 하며, 종교방송, 기타방송은 개별 방송사에서 미디어렙을 한시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 취약매체에 대해서는 연계판매에 의한 끼워팔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판단되며, 한시적 기금지원이 바람직하다. 11 3-1) 새로운 방송광고 미디어렙 시스템 모형 허가 : 방송통신위원회 미디어렙의 선택 : 방송사 디어렙의 선택 : 방송사가 선택 취약매체지원책 : 한시적 기금 지원 12-31 -
(그림III- I) 민영 미디어렙 운영 시스템 13 - 한국방송광고공사법 제 119조(방송광고물의 수탁 수수료 등) 한국방송광고공사법 시행령 제 5조(방송광고물 수탁 수수료) ( 광고물을 방송한 지상파 방송사업자는 그 광고물의 100분의 14에 해당하는 금액을 광고물의 수탁수수료로 공사에 납부하여야 한다.) 광고의뢰 광고구매 광고구매 광고기획, 제작, 집행 커미션제도 채택 광고판매 수수료 (평균 11%) 수수료 14% 방송광고판매대행사(판매독점) 판매방식(GS방식) 매체전략제공 광고매체대행 (기획,구매) 수수료(3%) Media Reps Media planning 14-32 -
방송광고수수료 제도의 변화 - 현재 방송광고공사법에 의한 법적 수수료제도 폐지 - 방송광고 유통은 광고주 광고회사- 미디어렙- 매체사의 사적 계약영역으로 정부가 법적으로 통제하거나 관여할 사항이 아니다. 방송광고 유통과정에서 다양한 프로모션전략을 수행하여 판매를 활성화 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접근이 미디어 산업을 활성화시키고 발전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 현재의 방송발전기금 제도는 준조세이므로 폐지하고 방송사에 전파사용료 개념으로 별도로 징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김재홍, 2003) 15 - 방송매체 광고요금 책정은 매체 가치설에 입각하여 매체가치를 대표하는 시청률에 의해서 요금이 결정되는 방식으로 광고시장의 수요와 공급 그리고 시청률을 근거하여 광고요금을 책정하여야 한다.(이종민, 2000) 결과적으로 방송광고요금 책정은 시청률을 기준으로 한 GRPs 판매방식으로 실행 되어야 한다. 16-33 -
1) KODEX(Kobaco Data Express) - 방송광고 소재를 우편이나 인편으로 전달하던 방식에서 디지털 방송기술 및 온라인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방송 사에 전달하는 방송광고업계 공유 인프라시스템(디지털 소재 관리 시스템, 온라인 전송시스템,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 17 2) KOBAnet 시스템 - KOBAnet은 광고회사의 방송광고 신청부터 공사 영업사원 확인, 방송사 업무연락까지의 업무 프로세서를 on - line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송광고 전자상거래 시스템 18-34 -
미디어렙 효과측정 모형 개발 미디어렙의 방송광고 판매과정 19 - 독점적 방송광고 판매 시스템에서 탈피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매체전략을 수립, 광고비의 효율적 집행 - 민영미디어렙이 광고산업의 발전과 성장에 도움이 될수있는방향에대한논의 - 민영미디어렙의 판매제도, 요금제도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상호 모색 - 취약매체를 위한 임의 할당 및 끼워팔기 중지 - 방송광고 대행 수수료 제도의 법제화 반대(광고단체연합회, 2011) - 방송광고 판매는 방송사의 고유권한이며, 광고주는 효율적인 매체선택의 자율권을 확보하여야 한다. 20-35 -
- 방송광고미디어렙 시스템에 대한 논의는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 이후에도 큰 변화는 없었다. - 지난 수년 동안 미디어렙의 허용 형태와 숫자에 만 메달려 1공영, 1민영, 1공영, 다민영이라는 허상만 쫓았다. - 미디어렙시스템 논의의 초점인 방송광고공사의 필요성과 가치 평가, 문화방송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 없이 방송광고 미디어렙제도의 실질적인 결론을 내기는 어려울 것 같다. - 미디어렙은 공영, 민영으로 구분할 필요가 없다. 미디어렙의 선택은 방송사의 고유권한 이기 때문이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미디어렙의 허가권을 가지겠지만, 특정 방송사를 특정미디어렙에게 맡기는 것은 상당한 무리가 따를 것으로 판단된다. - 지상파 3사의 매출을 기준으로 보면 실제적으로 3개 정도의 미디어렙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방송사에 지분참여를 허용하면, 결과적으로 1사 1렙의 형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연스러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제도는 한시적(일몰제)으로 운영된 후 완전경쟁으로 전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취약매체의 경우 KBS는 EBS, sbs는 지역민방, MBC는 지역MBC를 그리고 종교방송과 기타방송은 방송사에게 미디어렙의 선택권을 주면된다. 취약매체 지원책으로는 한시적으로 방송발전기금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1 - 이제는 방송광고미디어렙 운영시스템이 매우 중요하다. 방송광고수수료제도, 방송광고요금제도, 미디어 가치모형개발, 방송광고 인프라 공동운영 등의 많은 과제를 남기고 있다. - 방송광고수수료는 광고주, 광고회사, 미디어렙, 방송사의 최적의 영업활동을 하기 위한 사적 계약의 형태로 정부가 개입해서는 안된다. - 방송광고요금체계는 한국방송광고공사의 시급제 중심의 GS판매에서 벗어나 매체가치를 반영한 변동요금제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방송광고 인프라의 경우 한국방송광고공사의 KODEX, KOBAnet을 공유하는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미디어렙사는 효율적인 매체전략을 수립하는데 지원할 수 있는 개별적인 방송광고의 가치평가 모형을 개발하여 요금정책과 영업정책에 활용하여야 할것이다. - 방송광고미디어렙 제도는 광고산업의 발전과 공정한 거래라는 측면에서 취약매체에 대한 끼워팔기, 수수료제도의 법제화가 중지되어야 한다. -방송광고 판매는 방송사의 고유 권한이고 광고주는 효율적인 매체선택의 자율권을 확보하여야 한다. 22-36 -
-- 기자협회보, 2011. 8. 31 -- 김재홍(2003), 시장원리와 공익성의 조화, 경제학적 관점, 한국광고주협회, 02. -- 광고단체연합회(2011), 광고계동향, 광고주협회 경쟁미디어렙 도입에 대한 입장발표, 244, 07 - 광고주협회(2003), 시장원리와 공익성의 조화, 02 -- 서범석(2000), 방송광고 미디아렙 제도연구 한국언론학연구, 한국언론학회, 2호, 2 - - 서범석(2003), 시장원리와 공익성의 조화, 광고학점관점, 한국광고주협회, 02. -- 서범석(2004), 국내방송광고 유통및 거래질서에 대한 연구, 광고연구, 한국광고학회, 15-4, 12 -- 서범석(2009), 미디어렙 도입에 따른 매체환경의 변화, 2009년 가울철정기학술대회, 한국방송학회, 11. -- 이종민(2000), 국내방송광고 요금제도 및 판매제도 운영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광고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12. -- 이효성(2008), 방송광고 제도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KOBACO 신위상 정립을 중심으로, 언론정보학회, 회보, 언론정보학회, 11 -- 양명자, 박형배(2009), 우리나라 방송광고 가격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한국언론학회, 53-3, 6 -- 주정민(2011), 중소방송 지원현황, 법안내용 및 경쟁도입 시 중소방송 지원방향, 방송광고 판매제도 개편에 따른 중소방송 지원방안 공청회, 방송통신위원회, 06. -- 한국방송광고공사(2011), 광고로 세상과 소통하는 KOBACO 30년사, 06 --- 한국방송광고공사법 -- 한국방송광고공사법 시행령 -- PD저널, 2011. 8. 31 23-37 -
방송 및 광고시장 변화에 따른 광고 정책 대응 방안 Korean Advertising Society 2011. 9. 23 박 현 수 단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CONTENTS I. 광고시장 현황 II.방송광고환경 변화의 주요 이슈 III.방송광고시장 관련 논의 및 정책 IV.결론 및 논의 - 38 -
I. 광고시장 현황 1. 현황 분석: 국내 총 광고비 변화 * 제일기획 광고연감(1999 ~ 2010), 2011년 광고계 동향 2월호 - 39 -
1. 현황 분석: 국내 매체별 광고비 구성비율 변화 * 제일기획 광고연감(1999 ~ 2010), 2011년 광고계 동향 2월호 1. 현황 분석: 2010년 국내 매체별 광고비 현황 2010년 국내 매체별 광고비 현황(단위: 광고비_억 원) * 2011년 광고계 동향 2월호 - 40 -
1. 현황 분석: 2011년 매체별 광고비 집계(전망) 2011년 국내 총 광고비는 약 8조 9,168억 원으로 잠정 집계되었음. 출처: 광고주협회(2011). 매체별 광고총액 추이에서 재구성, 4대매체제작, 기타 광고비는 2010년 광고비를 적용하였음 1. 현황 분석: 국내 총 광고비 변화 예측(1) 한상필(2011). 매체별 광고비 예측에 관한 연구 (지수평활, 회귀분석결과의 평균값 제시) - 41 -
1. 현황 분석: 국내 총 광고비 변화 예측(2) * 박현수 예측결과, 2011년 광고비는 한상필(2011)과 광고주협회(2011) 자료의 평균값을 사용하였음(ARIMA, 지수평활 모형 예측 결과). 1. 현황 분석: TV 광고비 변화 예측(1) 한상필(2011). 매체별 광고비 예측에 관한 연구 - 42 -
1. 현황 분석: TV 광고비 변화 예측(2) * 박현수 예측결과(ARIMA, 지수평활 모형 예측 결과). 1. 현황 분석: 신문 광고비 변화 예측(1) 한상필(2011). 매체별 광고비 예측에 관한 연구 - 43 -
1. 현황 분석: 신문 광고비 변화 예측(2) * 박현수 예측결과(ARIMA, 지수평활 모형 예측 결과). 1. 현황 분석: 케이블TV 광고비 변화 예측(1) 한상필(2011). 매체별 광고비 예측에 관한 연구 - 44 -
1. 현황 분석: 케이블TV 광고비 변화 예측(2) * 박현수 예측결과(ARIMA, 지수평활 모형 예측 결과). 1. 현황 분석: 온라인 광고비 변화 예측(1) 한상필(2011). 매체별 광고비 예측에 관한 연구 - 45 -
1. 현황 분석: 온라인 광고비 변화 예측(2) * 박현수 예측결과(ARIMA, 지수평활 모형 예측 결과). II. 방송광고환경 변화의 주요 이슈 - 46 -
2. 방송광고환경 변화의 주요 정책적 이슈 <광고시장 확대를 위한 관련 정책> 정부는 스마트시대를 맞아 정체된 국내 방송광고 시장 경쟁력 강화 및 광고시장 확 대 유도를 위해 광고 산업 육성 방안을 추진 중에 있음(2010년 현재 국내 광고 시 장은 총 8조 4천억 원이며, 2013년까지 13조원까지 성장을 목표) 정부 정책 추진 현황: 방송광고규제 완화 관련 방통위 검토 안 - 지상파: 미디어렙 법 제정, 중간광고 도입, 방송광고 금지품목 완화, 종일방송 확대 - 종편PP & 유료방송 : 광고총량제 도입, 방송광고금지품목(의료광고, 병원 광고 등), T-커머스 관련규제 완화 등 2. 방송광고환경 변화의 주요 정책적 이슈 <광고시장 확대를 위한 주요 정책적 이슈> 대행사 보상제도의 변화 방송광고 판매 경쟁 도입 총량제(중간광고)의 도입 종합편성채널 PPL/가상광고 확대 광고금지품목 관련 T-commerce 관련 - 47 -
2. 방송광고환경 변화의 주요 정책적 이슈 <매체별 광고 규제 완화 요구 현황> 관련 이슈에 대한 지상파TV와 케이블TV의 요구가 다르며, 매체 간 균형 발전 유도 및 국내 방송광고시장 확대를 위한 정책방안이 요구됨 III. 방송광고시장 관련 논의 및 정책 - 48 -
1) 종합편성채널 1) 종합편성채널: 설문조사 개요 <설문조사개요> 응답자 구성: 광고실무자 총 190명(광고주: 131명_69%, 광고 회사: 59명_31%)을 대상으로 조사 실시 조사기간: 2011. 5. 13 ~ 2011. 6. 15까지 총 33일 간 진행 조사기관: 한국광고주협회(KAA)에서 진행 - 49 -
1) 종합편성채널: 향후 광고비 전망 종합편성채널(별) 광고비는 2012년 약 1,471억, 2013년 1,912억 원으로 예측 2,500 종합편성채널(별) 광고비 예측(단위: 억 원) 2,000 1,871 2,025 1,912 1,500 1,377 1,526 1,471 1,000 500 0 2012년 2013년 광고주 광고회사 평균 1) 종합편성채널: 시청률 예측 종편 한 개 채널의 광고시청률은 2012년에 0.57%, 2013년에 0.65%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개인 광고시청률 기준): 현 지상파 TV가 약 2.0 ~ 2.5% 수준. 0.8 종합편성채널(별) 예상 광고시청률(단위: %) 0.7 0.64 0.69 0.65 0.6 0.57 0.54 0.5 0.4 0.37 0.3 0.2 0.1 0 2012 2013 광고주 광고회사 평균 - 50 -
1) 종합편성채널: 관련 논의 <종합편성채널 관련 논의> 종합편성채널은 장기적으로 콘텐츠 능력이 강화되어야 다른 매체들과 경쟁이 가능 할 것이라는 판단. 특히 현재 신문광고판매와 같이 비과학적이고 단순한 방법을 통한 판매는 방송광고 판매에서 종합편성채널의 광고판매 역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강조. 종합편성채널 도입과 관련된 방송광고시장의 규제 변화는 신규 사업자 진입을 통한 경쟁촉진을 위한 규제 완화 위주로 진행될 전망 향후 미디어렙 경쟁도입에 따른 판매대행 시장에서의 경쟁과 더불어 사후규제, 특 히 공정경쟁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2) 민영 미디어렙 - 51 -
2) 미디어렙 <미디어렙 등장의 의미 및 광고계의 파급효과> 미디어렙(들)의 등장으로 인해 방송광고시장의 수급과 가치가 반영될 수 있음 방송광고단가가 시청률과 가치 베이스로 판매될 가능성이 높음 지상파TV 광고 집행 과학화를 계기로 광고산업 전반에 대한 긍정적 영향 기대(ROI를 측정할 수 있는 산업으로 변화.) 지상파TV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광고산업에 순기능을 담당할 것으로 판단 2) 미디어렙 <미디어렙(들)의 기능> 판매 협상 평가 및 조정 판매 가격 협상/보장 수준 결정 미디어 모델의 개발 집행 효율적인 광고 패키지 구성 광고 노출 효과 예측 광고 시간의 판매 - 52 -
2) 미디어렙 2009년 KOBACO의 방송광고 독점 판매의 위헌 결정. Media rep 경쟁체제 도입의 법적 토대가 3년 가까이 표류. Media rep 미디어렙 법안 논의 입법형태 렙의 기능과 진흥사업 사업자수 지분구성 및 제한 취약매체지원 공영렙의 역할 규정 매체업무영역 2) 미디어렙 <미디어렙 관련 정책 추진 현황> 기존 6명 의원이 발의한 미디어렙 관련 법안은 법안 심사위에서 논의되지 않았고 현재까지 문방위 안건에 정식 상정되지 않음 주요 이슈들 (완전경쟁체제/제안경쟁체제 도입, 크로스 미디어 판매 등)에 대한 대 립으로 올 해도 힘들 것으로 예상. 헌법불합치 판정 후 3년 가까이 법안 마련이 되지 않고 있으며, SBS, MBC도 종편 출범 후 자사 렙을 통해 판매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됨. 취약 매체(종교/지역방송)들은 지상파가 각사 렙으로 간다 해도, 한시적으로 현재 수준의 매출을 보장해 주는 방법이 제안될 것으로 예상. 법안이 마련되지 않고 위와 같은 상황 발행 경우에 정부 기관(방통위)의 입장은 어 떤것인지? - 53 -
3) 총량제(중간광고)의 도입 3) 총량제(중간광고) <지상파TV 중간광고 도입 관련> 지상파 TV 중간광고는 스포츠 경기나 문화_예술 프로그램, 대형 이벤트 중계방송 등 에만 예외적으로 허용하고 있음. 방송위원회의 경우 중간광고의 도입에 있어서 총 광고 시간이 늘어나지 않도록 현재 방송 프로그램의 광고 허용량에 포함시킨다는 안. 방송협회의 경우 뉴스와 다큐멘터리, 어린이 프로그램에는 당분간 중간광고를 내보내 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안. 하지만 방통위는 지상파 중간 광고 도임에 대해 내부적으로 시기상조라고 평함???. 방송사와 광고주 입장에서는 중간광고의 효과가 우수하므로 실제 판매율이 높을 것으 로 전망하며 현재 블록화로 인한 광고 노출의 문제 개선 예상. - 54 -
3) 총량제(중간광고) <총량제(중간광고) 도입 효과> 뉴스, 시사 어린이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든 프로그램에 중간광고를 허용할 경우, 도입 초기에 872억 원, 이 후 1,245억 원의 광고비 증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한 연구. 중간광고 도입에 의한 TV 광고 증가분 (단위 : 억 원) 연도 중간광고 도입 효과 (광고비 증가분) 도입 첫 해 872 2년 차 1,245 3년 차 1,245 4년 차 1,245 자료: 김국진 외(2009). 매체 환경 변화에 따른 광고시장 전망 3) 총량제(중간광고) <방송광고 편성규제에 대한 논의> - 현 시행령은 콘텐츠 특성과 공고시장의 현황이 정확하게 고려되지 않음. (모든 프로그램의 길이가 45~47분으로 제작 또는 재제작 되어야 광고 시간 사용 가능) 현안 - 창의적인 제작환경에 반함. - 현행법 준수와 광고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프로그램을 분리(1부,2부)등의 편법적인 편성을 하고 있으며 이는 명확한 편성권과 시청권 침해. - 광고편성규제 준수와 편성권간의 부조화에 따라 광고 위반 사례 발생 개연성 높음. - 대부분의 선진국들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도로 국제적 관례가 적합한 제도. - 방송광고의 탄력적 시장기능을 회복하여 방송광고의 수급문제를 해결. - 시청자들의 니즈에 의한 광고시간의 자율적인 조정이 이뤄짐(미국의 경우) 총량제 도입의 필요성 - 다채널, 다매체시대의 새로운 방송환경에 적합한 제도. - 시청자에게 다양한 편성, 질 좋은 프로그램 공급이 가능. - 방송사는 총량규제를 통하여 광고료를 인상하지 않고도 수입증대효과를 가져옴으로써 경영 및 프로그램 제작의 질적 향상을 기할 수 있음. - 현행제도는 매시간 기준허용량을 소화해야 하기 때문에 가급적 단시간 프로그램 위주 편성 불가피. - 현행제도하에서는 방송광고시장의 집중화로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이의 블록광고 형태를 띠게 되어 시청자의 광고에 대한 짜증 및 광고기피 현상이 발생. - 55 -
3) 총량제(중간광고) <해외의 중간광고 운영사례(미국)> 해외(미국)의 경우 유료방송광고 시장에서 편성시간에 대한 규제가 따로 없음 따라서 미국의 경우 중간광고가 자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음. 24시즌 8 에피소드 1화의 경우 (FOX 채널)/ 42분 프로그램 + 19분 중간광고로 운영됨. 자료: 한국케이블 TV 방송협회 3) 총량제(중간광고) 결국 방송광고 제도와 관련하여 효과적인 총량제도와 중간광고를 통해 광고의 전 체적인 집행 수를 줄이면서 광고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면 모두에게 혜택으로 작용 총량제 도입 시 유료방송에 대한 어느 정도의 차등규제가 한시적으로 적용 필요 또한 유료방송은 궁극적으로 현재 존재하는 대부분의 광고 관련규제가 없어져도 충분히 자정능력과 시청자 평가를 통해 운영될 수 있음. 지상파도 시차를 두고 2단 계까지 도입 제안. 유료방송광고시장 방송광고시간 편성에 대한 규제 제안 - 시간당 평균 10분 (1일 평균 240분), 실제 최대허용시간 12분 이내(120분 이상 프로그램 15분). 현행 단기적 (3년) 최종 - 중간광고 (1분 이내) - 토막광고 (1분 40초 이내) - 자막광고 (매회 10초 이내, 매시간 6회 이내) - 일일 총량 240분을 유지하되, 시간당 최대허용량을 15분 이내로 규정. - 중간광고 (30분 이상 프로그램에 15분 단위로 1회 집행, 매회 광고시간은 1분 이내 - 토막광고 (매시간 2회 이내, 시간은 2분 이내) - 일일 총량 240분 총량만 규제, 나머지 부분은 자율규제 (규제삭제) - 단 어린이 대상 프로그램과 보도 프로그램에는 별도의 조항 적용할 수 있다. - 56 -
4)PPL / 가상광고 4) PPL/가상광고 가상 및 간접광고의 도입 후.. 현행 판매방식은 -직접 PP사가 영업하여 수주하는 형식으로 주로 이루어짐. -그 외 CF와 연계형식으로 집행되는 케이스가 존재. -결국 대부분은 PP사의 직접 영업을 통한 판매가 이뤄진다고 볼 수 있음. 광고주 직접판매형태 타 광고와 연계된 판매형태(패키지형식) Program Provider - 57 -
4) PPL/가상광고 케이블TV의 경우 가상광고의 활용은 미미, 간접광고는 2011년부터 활용이 더 증 가할 예상 25 2010년도 가상/간접 광고비(단위: 억 원) 21.3 20 15 10 6.3 5 0 가상광고 간접광고 출처: 한국케이블TV 방송협회 4) PPL/가상광고 <PPL 및 가상광고 관련 규제> 스포츠 중계 프로그램에 한함. 가상광고 해당 방송 프로그램 시간의 5%를 초과하지 못함. 방송 화면의 1/4를 초과하지 않는 크기의 범위 이내(이동 멀티미디어 방송의 경우 1/3크기 이내). 해당 경기 주관단체, 중계방송권 보유자 등 이해관계자와 사전 협의를 해야 한다. 오락과 교양 분야에 한하여 가능, 어린이를 주 시청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과 보도, 시 사, 논평, 토론 등 객관성과 공정성이 요구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허용불가. 방송 프로그램의 대사를 통해 상품 등을 직, 간접적으로 언급하는 등 부적절한 노출효과를 PPL 주어서는 안 된다. 방송광고 금지 품목 및 업종은 금지. 해당 방송 프로그램 시간의 5%를 초과하지 못함 방송 화면의 1/4를 초과하지 않는 크기의 범위 이내(이동 멀티미디어 방송의 경우 1/3크기 이내). - 58 -
4) PPL/가상광고 <PPL 및 가상광고 관련 규제에 대한 문제> - 청각사용 금지 및 구매/이용권 금지 조항의 모호성에 따라 간접광고의 실질적인 효용가치 높지 않음. (브랜드의 자연스러운 노출이나 브랜드 효과에 대한 직간접적인 표출에 대한 needs 높음) PPL 규제에 대한 문제점 - 작가료 또는 모델료에 대한 비용 추가 발생 가능성 높음. - 노출량/크기를 기준으로 단가를 산출하지만 제작 현장에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요소 또는 구매자 입장에서 기대감의 불일치 등에 따라 구매금액과 청구금액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 제작된 프로그램은 지속적인 생명력을 보유하지만 브랜드의 리뉴얼/업그레이드, 신상품 출시의 속도가 짧아지면서 프로그램 내 노출이 마이너스 효과인 경우도 발생. 가상광고 규제에 대한 문제점 - 간접광고와 마찬가지로 관련규제로 인해 시청률이 높은 지상파 프로그램으로 가상광고가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남. 4) PPL/가상광고 <PPL 및 가상광고 관련 규제에 대한 제안> - 간접광고 노출 상표 등과 관련된 대사 및 자막 노출을 금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일정부분 허용 필요함. PPL 현행규제에 대한 제안 - 상표와 대사를 동시에 노출 및 언급함으로써 시청자로 하여금 상표 등에 대한 인지를 유도하는 것인데, 단순노출 및 크기의 제한을 함으로써 기존 협찬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노출 되었던 부분과 큰 차이가 없음. - 대사 및 자막을 사용하되 일반 시청자들의 시청권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한적용(예 : 100분 기준 5회)하도록 함. - 다만, 횟수 및 기준에 대하여는 방송사업자의 의견 수렴하도록 함. - 하프타임 또는 경기휴식시간(농구경기 등)에 방송의 흐름에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경기장 또는 관중 위로 화면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 가상광고 현행규제에 대한 제안 - 관중 등과 겹치도록 가상광고를 하되, 횟수(예 : 1경기 기준 3회)의 제한을 두어 시청자의 시청권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시행하도록 함. - 가상/간접광고가 통합된 형태로 접목 가능하도록 확대고려 필요. - 스포츠 경기 외의 오락/교양 프로그램에서도 허용(컴퓨터 CG활용) - 59 -
4) PPL/가상광고 <해외 PPL 규제 동향> - 대표적 허용국가 : 미국, 호주, 일본, 브라질, 멕시코, 오스트리아 - 유럽연합은 방송서비스에 관한 유럽지침 을 통해 간접광고 규정 완화, 2010년 본격 도입 : 특히 미국이 제작한 TV프로그램이 유럽에서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들 미국 프로그램들은 다양한 PPL을 포함하고 있어 자국브랜드 보호 및 미국 콘텐츠와의 경쟁력 확보 차원. 미국 - 유해상품(담배, 술)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규제를 받지 않고 있음. 03년 시민단체와 작가협회 중심으로 규제 주장 (PPL에 대한 고지 규정). FTC(Federal Trade Commission)는 05년 2월 PPL이 소비자를 기만하거나 혼란 시킨다는 증거가 없으며 제품의 성능에 대해 설명하지 않는 상황에서 광고주를 명시할 근거도 없다 는 결론을 내림 - FCC가 PPL을 규제 하지 않는 이유는 PPL이 순수하게 상업적인 이익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제작들이 예술적 가치를 위해 하는 것인지에 대한 규정이 모호하기 때문 미국 정부도 PPL을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음 유럽 - 2010년 간접광고 규제완화 및 허용 : 프랑스, 영국, 덴마크, 룩셈부르크 - 프랑스의 경우, 유럽국가 중에서도 가장 제한적으로 도입(드라마, 뮤직비디오 국한) 일본 - 사업자 자율, 방송 프로그램 편집의 자율에 근거 5) 대행사 보상제도 - 60 -
5) 대행사 보상제도 광고회사 보상제도의 변화를 통해 광고계 발전과 산업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음. 광고주와 광고대행사 간의 신뢰구축이 중요. 광고주와 대행사 간의 새로운 보상제도에 대한 우려가 사라지지 않는 한 합리적인 제도의 정 착은 어려움. 광고주 상호 신뢰의 구축 및 명확한 업무영역 설정 보상제도의 유형 결정 (약정, 커미션, 인센티브 등) 서로 Win-Win이 가능한 보상제도 협상 광고 대행사 5) 대행사 보상제도 <국내 방송광고 보상제도> 국내 광고회사 보상제도는 현재까지 크게 커미션 제도의 틀에서 운영. 지상파 방송사업자는 방송광고료의 14/100(수탁수수료)를 KOBACO에 납부, KOBACO는 이 중 약 10 ~ 12%(판매 수수료와 발전 기금 등을 제외한 금액)를 광고 대행사에 지급. <지상파 방송광고비 흐름도> 광고료(100%) 의뢰 광고주 광고회사 KOBACO 방송사 광고 기획, 제작, 집행 광고시간 구매 광고시간 판매 광고신탁 광고시간 판매위탁 대행수수료 판매수수료 - 61 -
5) 대행사 보상제도 <해외의 방송광고 보상제도> 미국 광고회사 보상제도는 이미 오래 전 커미션 방식이 아닌 피 방식으로의 전환이 이 루어지고 있음, 또한 많은 광고주들이 보상제도에 있어 새롭고 독특한 옵션을 사용. ANA의 2007년 조사(D, Beals, 2007)에 따르면, 2006년 피(fee) 방식에 기초한 수수료 방식이 전체의 74%를 차지(커미션은 10%, 기타방식, 16%). 독일 등 유럽의 경우에도 전통적인 15%의 커미션 방식에서 출발하여 점차 피(Fee) 방식과의 혼합 형태로 변화하는 추세. 5) 대행사 보상제도 <국내 방송광고 보상제도 관련 논의> 커미션 방식에 대한 이해당사자(광고주, 광고회사, 매체사)들의 인식 차이 존재 피(Fee)방식으로의 전환을 대체로 수긍하였으나, 현실적으로 당장 도입하기에는 어려 운 점이 많다는 의견(먼저 국내 광고시장의 환경적인 개선이 실현되어야 함) 특히 시간, 인원, 직급별 보상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며, 광고주와 광고 회사 간 보상기준의 합의가 필수적으로 이뤄져야 함 또한, 현재와 같은 광고주와 광고회사의 갑/을 관계가 지속될 경우 어떠한 방식을 도입 해도 공정하지 않은 거래가 유발되기 때문에 광고주/광고회사의 파트너 십 형성 요구 결국 피(Fee) 방식이 도입되기 위해서는 이해당사자 간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한 보상 기준의 명확한 정립과 합의가 이뤄져야 함 - 62 -
5) 대행사 보상제도 <국내 방송광고 보상제도 관련 설문조사 개요> 광고 실무자 및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실시. - 국내 방송광고 보상제도에 관련된 내용 조사 - 조사기간: 2010. 8. 17 ~ 2010. 10. 1 - 응답자 구성: 광고주(63부), 광고회사(60부), 매체사(47부), 학계(50부) - 전문 리서치 기관에 설문지 배포 의뢰 5) 대행사 보상제도 <국내 방송광고 보상제도 관련 설문조사 결과> 광고 실무자들은 현재 국내 상황에서 커미션과 피(Fee) 방식의 혼합이 가장 적절하다 고 인식하고 있음. 적절한 광고회사 보상방식에 대한 의견(단위: %, n= 210) 자료: 박현수(2010). 방송광고 수수료, 약관, 요금정책에 관한 연구 - 63 -
5) 대행사 보상제도 <국내 방송광고 보상제도 관련 설문조사 결과> 피(Fee) 방식으로 전환 시 2~3년의 준비 기간을 두고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60%)이 압도적으로 많음. 피(Fee) 방식으로 전환 고려 시 동의하는 의견(단위: %, n= 210) 자료: 박현수(2010). 방송광고 수수료, 약관, 요금정책에 관한 연구 5) 대행사 보상제도 향후 바람직한 광고대행사 보상방식은? 커미션 방식 + 피(Fee) 방식의 혼용: 현재 일부 운용되고 있음. 커미션 방식 + 인센티브(Incentive) 방식. 결국 Fee 방식으로의 급진적인 모드 변환은 방송광고대행시장에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 피(Fee) 방식의 전환을 위한 단계적 접근. 현행 커미션 방식 3년의 준비기간 동안 커미션과 피의 적절한 활용 Fee 방식의 전면도입 및 교체 - 64 -
6) 기타 방송광고 관련 정책 6) 기타 방송광고 관련 정책 <방송광고 금지품목 규제 완화 관련> 방송광고 금지 품목과 관련하여 부처 간 이견대립으로 인한 보류 중이며, 특히 샘물 광고 및 병원광고의 경우 해당 주무부처(보건복지가족부/식약청/환경부)의 미온적 태도로 관련 법안 개정이 보류된 상태 전문의약품 광고시장은 약 2,000억 원으로 추정되며, 허용 국가는 대표적으로 미 국과 뉴질랜드가 있음, 마사회/복권위원회의 경우 사행성 금지나 사회공헌 및 공익 광고에 한해 광고를 허용하는 방안 담배인삼공사의 경우 직접 흡연 광고를 제외한 사회공헌 및 공익광고에 한해 광고 를 허용할 수 있음, 17도 이상의 주류 또한 음주 조장 및 직접 시연광고를 제외한 사회공헌 및 공익광고에 한해 광고를 허용하는 방안(오후 10시 이후) - 65 -
6) 기타 방송광고 관련 정책(추진 현황) <방송광고 금지품목 관련 규제완화 추진현황> 정부는 경기회복 및 지속성장을 위한 내수기반 확충(광고산업 활성화) 일환으로 방송광고 금지품목 개선(안)을 발표 주요내용 -먹는샘물: 지상파 TV까지 확대 -의료분야(병원광고): 케이블TV 먼저 시행(단계적 허용) -결혼중개업: 국내 결혼중개업 우선허용(국제 결혼중개업 추후 검토) 추진현황 -먹는샘물: 부처 간 협의(방통위vs식약청/보건복지부/환경부) 난항으로 보류 중 -의료분야: 보건복지부 의료법 개정 미진, 현재 보류 중 6) 기타 방송광고 관련 정책 <T-Commerce 규제 완화 관련> T-커머스 현황 -방통위는 현재 제한적인 10개의 사업자를 승인(홈쇼핑 5개사 및 비홈쇼핑 5개사) 문제점 및 개선방안 - PP, 기술개발 완료됨에도 불구하고 약관승인 불가로 서비스 제공불가(방통위의 미온적 태도) - 최초 화면 방송광고 불가(시청자가 방송내용과 연동된 상품을 인식하려면 최초화 면에 연동된 정보의 표시 필요) - T-커머스 결제, 인증 등 정부 기관 공통 규격 실행(보안 강화 및 결제_인증 간소 화) - T-커머스 구축 및 상용화 기준 표준화 마련(송출사업자별 상이한 구축 환경으로 서비스 런칭기간 및 비용소요,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위한 표준화 마련 필요) - 66 -
6) 기타 방송광고 관련 정책 <T-Commerce 규제 완화 관련> T-커머스 구축 및 상용화 기준이 표준화 될 경우 -SO는 채널 프로그램 연동형 T-커머스 확산유도를 통한 새로운 TV 비즈니스 탄생 및 광고시장을 확장할 수 있음 -PP는 채널 판매 수수료 등 새로운 수익원 창출이 가능, 또한 프로그램 PPL과 T-커머스 활성화를 통한 국내 광고시장 활성화 또한 소비자 검색 및 주문방식의 활성화가 가능하며, 가입자 측면에서는 디지털 방 송에 걸맞은 양방향성 가치가 극대화 될 수 있음 IV. 결론 및 논의 - 67 -
4. 결론 및 논의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광고비, 시청률 예측 조사가 실시되었지만 4개의 사업자 도입 으로 인해 미래가 불투명한 상황. 결국 광고 시장은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하며, 관 련 제도정비를 통해 산업 육성의 기회가 만들어질 수 있어야. 미디어렙의 도입은 광고산업 전체에 순기능을 담당할 것이지만, 연내 법안 마련은 회의적. 종편 출범 후 SBS, MBC의 자사렙이 출현할 것으로 예상. 이러한 추세는 피할 수 없는 변화이며, 필수적 과정. 잘 정착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이 필요. 취약매체에 대한 일정기간의 지원은 불가피. PPL과 가상광고는 광고시장 확대를 위해 필수적이나 아직까지 관련 규제의 엄격함 으로 인해 그 가치가 제대로 활용될 수 없음, 관련 규제들에 대한 일정부분 완화가 필요. 4. 결론 및 논의 총량제의 경우 지상파TV 중간광고의 허용은 광고의 전체적인 집행 수를 줄이면서 광고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는 광고주, 시청자, 방송사 모두에게 혜택으로 작용할 수 있음. 또한 유료방송의 경우 총량제 도입 시 지상파 대비 어느 정도의 차등규제가 한시적 (3년)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현재 존재하는 대부분의 규제가 없어져도 충분히 자정능력과 시청자 평가를 통해 운영 가능하다고 판단. 광고회사 보상제도 관련하여, 피(Fee)방식으로의 전환이 요구되지만 현 시점에서 의 급진적인 도입은 방송광고대행시장에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 있음, 따라서 3년 정도 기간 정책적인 연구와 준비를 통해 커미션과 피(Fee)의 적절한 혼합 등을 포 함하는 방식으로의 변화가 바람직함. - 68 -
4. 결론 및 논의 또한 국내 광고시장에서 Inhouse 대행사들의 파워는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크다. 중소대행사들의 어려움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경쟁을 통한 건전 한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수준. 이러한 문제에 대한 정책적 접근도 필요한 상황. 방송광고 금지품목은 사실 우리(광고업계)가 주도할 수 없는 내용으로, 보건복지가 족부 등 관련부처와 업계의 협의가 우선되어야 함, 광고제한을 무분별하게 없애자 는 구호만으로는 실효를 거두기 어려움. 시청률 조사 개선 필요: 모바일 시대의 성장으로 수용자들의 미디어 이용패턴과 콘 텐츠의 소비 패턴이 변화하고 있음 - 스마트폰 보유자의 30%는 TV 본방/재방을 TV(CATV)이외의 방법으로 시청 - 본방 시청자는 전체 시청의 77% 정도로 추정됨(외부 및 뉴미디어를 이용하는 시청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됨: 2011년 9월 HRC 나는가수다 시청조사.) Question & Answer - 감 사 합 니 다 - - 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