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261\350\265\265\263\342\(93~106\).hwp)



Similar document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 (Jane Jacobs)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1 (William Whyte) 1969 Street Life Project ,. 2.,.. (microclimate) (thermal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경영학회 내지 최종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_¸ñÂ÷(02¿ù)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5,678,689 5,462, , ,679,338 5,462, , 증 )649 5,222,334 5,006, ,

02이용배(239~253)ok

歯이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내지4월최종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untitled

Retail CEO Report 제 15 호 Executive summary 소득수준향상, 사회환경변화등으로쇼핑과음식, 놀이, 문화, 휴식등 을한공간에서해결하려는소비트렌드확산 - 기존업태의성숙화, 대형유통에대한규제강화, 도심재개발, 소비자니즈의변화등은쇼핑센터확산을촉진시

새만금세미나-1101-이양재.hwp

???? 1

사단법인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시각디자인학회


CC hwp


CONTENTS

:49 AM 페이지302 해외 및 기타 여건에 맞춘 주민중심의 도시재생 활성화 방안 마련 1. 조사개요 을 위해 일본의 주거지 정비정책 및 정비방안을 조 1.1 출장목적 사 분석함으로써 성남시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도출 하고 실질적인 사업 추진이

<BCF6BDC D31385FB0EDBCD3B5B5B7CEC8DEB0D4C5B8BFEEB5B5C0D4B1B8BBF3BFACB1B85FB1C7BFB5C0CE2E687770>


_report.hwp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44-4대지.07이영희532~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 2 -

Untitled-1

2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18 輯 1 號 ) 과의 소통부재 속에 여당과 국회도 무시한 일방적인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을 보여주고 있다.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다양하게 논의될 수 있지만, 민주주의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제도적 조건은 권력 행사에서 국가기관 사이의

¾Æµ¿ÇÐ´ë º»¹®.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Educational Design


PowerPoint Template

성인지통계

#4 Tools for Designing Cities Urban Design Kwon, Young S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Ur

An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Students' Design Contest for Making livable community building of Seoul* Woongkyoo Bae* Taegyu Park 요약 주제어 ABSTRACT

< FC0FCB8C15FC3D6C1BEBABB2E687770>

04 Çмú_±â¼ú±â»ç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KD hwp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입장

A Study on the Formation of Sense of Community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Management Projects* - Focusing on the Case of Doil-Market, Siheung Cit

untitled

DBPIA-NURIMEDIA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1) 음운 체계상의 특징 음운이란 언어를 구조적으로 분석할 때, 가장 작은 언어 단위이다. 즉 의미분화 를 가져오는 최소의 단위인데, 일반적으로 자음, 모음, 반모음 등의 분절음과 음장 (소리의 길이), 성조(소리의 높낮이) 등의 비분절음들이 있다. 금산방언에서는 중앙

<313120B9DABFB5B1B82E687770>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ÃѼŁ1-ÃÖÁ¾Ãâ·Â¿ë2


최우석.hwp

E1-정답및풀이(1~24)ok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0429bodo.hwp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untitled

cls46-06(심우영).hwp

6±Ç¸ñÂ÷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B0ADC8ADC7D0C6C428C3D6C1BE292E687770>


더바이어102호 01~09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Transcription:

도시 내 스트릿 쇼핑몰의 외부가로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 미국, 일본과 한국의 스트릿 쇼핑몰 사례비교 중심으로 A Study of Urban Street Shopping Mall Street Plan Characteristics - A Comparison of Street Shopping Malls in the USA, Japan, South Korea 전강호* 김도년 ** * 성균관대학교 미래도시융합공학과 석사과정 / **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미래도시융합공학과 교수 Jeon, Kang-Ho* Kim, Do-Nyun** 국문요약 본 연구는 도시 내 입지하는 스트릿 쇼핑몰이 도시의 상업가로로서 주변지역과 연계하며, 도시 민의 가로활동에 활력을 줄 수 있도록 시설외부 가로환경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스트릿 쇼핑몰의 형태, 기능에 대한 국내외 정의 조사 및 상업가로와의 유사성을 도출한다. 이후 상업가로의 가로활성화 계획요소를 통하여 미국, 일본, 한국 스트릿 쇼핑몰의 외부가로 계 획요소 반영빈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건물전면에서 외부가로에 개방되는 판매, 등 다양한 용도의 점포가 입점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개방된 파사드, 자유로운 개별 출입구, 상점간 폭원제어를 통해 가로변 리듬감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가로에서 외부 가로의 보행자를 위한 휴식 조성과 지면재질의 통합적 디자인이 필요하다. 넷째, 엔터테인먼트 요소 를 외부가로에 반영하여 쇼핑뿐만 아니라 여가, 휴식의 역할을 충족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도시 내에 입지하는 스트릿 쇼핑몰은 외부가로 활성화에 있어 시민들이 영위하는 도시의 커뮤니 티 및 어메니티의 장으로서 기능하도록 상업가로의 가로활성화 계획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treet environments located in cities street shopping malls in conjunction with the surrounding area, and to add vitality to urban residents street activities. For this purpose, we identify national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related to the form and function of street malls. Through this, similarities between street malls and commercial streets are derived. Following a survey, US, Japanese, and South Korean cases are analyzed to determine the degree to which plan elements reflect commercial street revitalization. We find first that it is necessary to include a variety of shops, such as food and beverage, that are open to the outside. Second, it is necessary to achieve a roadside rhythm though open facades, free individual entrances and exits, and store width. Third, resting places for pedestrians and integrated street material design are required. Fourth, an entertainment element needs to be reflected outside. As a result, through the activation of street plans, city street shopping malls can become spaces of community and amenity for residents. 주제어 : 스트릿 쇼핑몰, 가로활성화, 계획요소, 외부가로 Keywords : Street Shopping Mall, Street Revitalization, Planning Elements, Outside Street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의 U-City 고도화를 위한 핵심 기반기술개발사업 ( 과제번호 13AUDP-B070066-03) 의 연구비지원에 의해 수 행되었습니다. 이 논문은 국토교통부의 u-city 인력양성사업으로 지원되었습니다. Corresponding Author : Kim, Do-Nyun, Department of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2066 Seobu-ro, Jangan-Gu, Suwon, Gyeonggi-Do, Korea. Tel : +82-31-290-7565. E-mail : dnkim@ skku.ac.kr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5권 제5 호 (2014 년 10 월) 93

Urban Design 65 전강호 ㆍ김도년 1. 서론 < 표 1> 연구 흐름도 서론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범위 선행연구 고찰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 스트릿 쇼핑몰 전통 상업가로 형태 및 기능 형태 및 기능 스트릿 쇼핑몰에 대한 정의 - 형태 및 기능의 유사성 도출 상업가로의 가로활성화 계획요소 건물 전면 가로 계획요소 계획요소 - 사례 분석의 기준 설정 국내외 스트릿 쇼핑몰 외부가로 현황 조사 분석의 틀 및 사례선정 사례 대상지 일반적 현황 국외 사례 외부가로 현황 조사 국내 사례 외부가로 현황 조사 국내외 스트릿 쇼핑몰 계획요소 비교분석 건물 전면부, 가로 계획분석 국내외 사례 대상지간 비교분석 상업가로로서의 특성분석 - 국내 사례에 대한 시사점 결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 세기 후반, 도시에서 본격적으로 출현한 도심복합상업시설 (U.E.C : Urban Entertainment Center)은 소비행위뿐만 아니라 다양한 행위욕구에 따라 단순 판매 (Retail) 기능의 확장 외, 과 문화, 오락, 레포츠 등 시설의 다양화 및 복합화된 기능 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1). 도심복합상업시설 내에 있는 선형 (Linear) 의 형태인 스트릿 쇼핑몰 (Street Shopping mall) 은 단일 운영주체로 가로에 대규모 집합 상업건물을 형성하 고 있으며, 전통적인 상업가로와 같이 다양한 운영주체의 단일 상업건물들이 선형으로 밀 집하여 있는 형태적 측면에서 유사함이 나타나는 상업이다. 도시에서 인류의 교역행위와 함께 존재하기 시작한 상업은 종래의 단독 형태인 상 점에서부터 현대의 백화점, 집합형태로서의 쇼핑몰, 그리고 복합화 및 차별화된 형태로서 의 상업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진화되어 왔다. 상업으로 구성되는 건물과 가 로 중 도시의 시민이 이용하는 상업가로 2) 은 도시의 활력을 체감할 수 있는 공공 이자, 지역의 도시 가로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이다. 현대도시에 있어서 도시의 상업가로 은 커뮤니티의 장, 생활에 있어서 즐기는 장소 가 되고 있으며, 지 속적으로 상업가로는 도시민들의 어메니티 장으로서 도시의 기능, 환경이 추구되고 있다. 대규모로 개발되고 있는 스트릿 쇼핑몰은 도시의 가로활성화에 있어 상업가로와 같이 유 사하게 입지하며, 물질적인 소비뿐만 아니라 여가, 문화에 대한 욕구를 가진 현대 도시민 의 생활양식 (Life Style) 을 충족하는 도시의 상업가로로서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3). 국내에서는 2000 년대 중반 이후 스트릿 쇼핑몰이 교외지역에 등장4)하여, 점차 도시 내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으나, 일부 기업들의 경쟁적인 개발로 도시민의 가로활동을 고려하 지 못하는 시설 중앙의 내부가로 형태로만 조성되고 있다. 현재까지 도시 내에 조성된 쇼 핑몰은 미국의 교외지역에서 탄생한 쇼핑몰에 기반하여 내부가로 중심으로 계획되고 있 다 5). 이러한 쇼핑몰 중 스트릿 쇼핑몰은 오늘날 도시 전체의 문제로 확장되고 있는 가로 의 단절과 활기의 결여라는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스트릿 쇼핑몰이 도시 내에서 상업가로와 유사한 형태로 조성됨에 따라 내부가로 중심의 계획에서 외부가로의 영역까지 확대하여, 시설과 연접한 도시의 구성요소 ( 주거, 상업용도 등의 시설 ) 간에 소통할 수 있 고, 도시민의 가로활동에 활력을 줄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 내의 스트릿 쇼핑몰이 도시의 상업가로로서 주변지역과 연계하 며, 도시민의 가로활동의 활력을 줄 수 있도록 시설 외부 가로환경의 개선방향을 제시하 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통적 상업가로로서 스트릿 쇼핑몰의 구성에 대한 정의를 조 사하여 상업가로와의 유사성을 도출하고, 상업가로로서의 가로활성화 계획요소를 조사한 다. 이후 스트릿 쇼핑몰 형태에 부합하며, 도시 내에 입지하는 국내외의 스트릿 쇼핑몰 사 례를 선정한다. 선정된 사례들은 가로활성화를 위한 스트릿 쇼핑몰의 외부가로 계획요소 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고, 상업가로로서의 특성을 분석한다. 종합적으로 도시 내 스트릿 쇼핑몰이 상업가로의 역할을 충족하기 위한 가로환경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김경훈 ㆍ황희준 2008, U.E.C(Urban Entertainment Centers) 개념을 도입한 도심지 복합상업시설의 건축계획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문화건축학회지, 통 권 제22 호, p.55. 2) 김도년 1988, 기성시가지 상업지 환경개선을 위한 도시설계기법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16. 3) Anita Kramer 2008, Retail development handbook, Urban Land Institute, Washington, D.C. p.146. 4) 염민선 (2014, p.1) 은 소득수준향상과 사회 환경 변화 등으로 쇼핑과 음식, 놀이, 문화, 휴식 등을 한 에서 한꺼번에 해결하려는 소비 트렌드의 확산에 따라 대형 상업시설간의 경쟁이 심화되었고, 200 년대 중반 이후로 복합쇼핑몰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다고 함.( 미 일 쇼핑센터 (SC) 의 성장과정 과 시사점, Vol.15, 대한상공회의소.) 5) 김하나 2013, 복합 상업시설의 계획에 관한 연구 : 가든 파이브와 타임스퀘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6-17. 94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5권 제5 호 (2014년 10 월)

도시 내 스트릿 쇼핑몰의 외부가로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Urban Design 65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2.1. 연구의 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5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국내외 기관별로 분류 및 정의된 스트릿 쇼 핑몰의 형태 및 기능을 조사하고, 전통적 상업가로의 형태적, 기능적 특성을 조사한다. 둘 째, 국내외 기관의 정의에서 나타난 스트릿 쇼핑몰과 기존 상업가로의 형태적, 기능적 유 사성을 도출한다. 셋째, 문헌 고찰을 통한 상업가로의 가로활성화 계획요소를 조사하여, 본 논문의 스트릿 쇼핑몰 외부가로계획 현황을 평가할 수 있는 계획요소의 분석기준을 도 출한다. 넷째, 가로활성화의 계획요소와 스트릿 쇼핑몰 형태에 부합하는 활성화된 미국, 일본의 사례와 국내 사례를 선정하고, 가로계획요소의 반영빈도를 조사한다. 다섯째, 국내 외 사례의 외부가로 계획요소의 반영빈도를 비교분석하여 도시 내에 입지하는 스트릿 쇼 핑몰이 가로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외부가로계획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표1 과 같은 방법으로 5 단계를 거쳐 연구가 진행된다. 1.2.2. 연구의 범위 적 범위로서 위치는 도시 내에 위치하여 주변의 상업지역 또는 주거지역 6) 과 밀접 한 거리의 시설이며, 스트릿 쇼핑몰 형태의 정의에 따른 사례로 한정하여 분석한다. 규모 는 40~161km ² 의 연면적 7) 을 확보하고 있어 도시의 상업가로 역할을 할 수 있는 상업시설 로 비교규모를 한정한다. 시간적 범위는 2000 년대 전후로 미국, 일본, 한국에서 활발히 쇼핑몰이 개발되었던 시기의 스트릿 쇼핑몰을 선정하여 비교분석한다. 내용적 범위는 국 내외 스트릿 쇼핑몰 시설외부의 건물전면, 가로의 계획요소에 한정하여 조사 및 분석 을 진행하고 국내외 사례 간 비교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1.3. 선행연구 고찰 기존 선행연구는 표2와 같이 4 가지( 건축계획, 매장 배분, 소비 동선 및 행위, 경제활성 화) 대표연구로 구분된다. 김경훈 외 1 인(2008) 의 연구에서는 도심복합상업시설의 한 유형 으로 스트릿 쇼핑몰의 정의 및 개념에 대해 제언하며, 건축계획 특성을 분석하였다 8). 우 승현 외 1 인(2009) 의 연구는 소비자 행태에 대한 이론과 리테일 컨설팅 연구 결과를 바탕 으로 스트릿 쇼핑몰의 매장 배분계획과 영업활성화의 관계를 정립하였다 9). 안정아 외 1인 (2010)의 연구는 소비심리 분석을 통하여 소비자 유형에 따른 행동심리 및 동선을 파악하 였고, 소비모드에 따른 디자인의 계획방향을 도출했다 10). 박대순 (2012) 의 연구에서는 상업용 부동산으로서 스트릿 쇼핑몰의 경제적 활성화 요소를 도출하였다 11). 기존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스트릿 쇼핑몰을 건축적 관점의 접근이나 경제적인 관 점의 접근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으며, 내부가로의 점포배치 및 소비자의 행동심리에 따른 디자인에 국한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 내 스트릿 쇼핑몰을 상업가로와 같이 도시기간구조의 관점으로 보고, 상업가로의 가로활성화 측면에 서 시설의 외부가로 계획요소에 대해 연구함에 있어 기존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저자 ( 년도 ) 김경훈 외 1인 (2008) 우승현 외 1인 (2009) 안정아 외 1인 (2010) 박대순 (2012) < 표 2> 선행연구 고찰 주요 내용 도심복합상업시설 개념 정립 및 스트릿 쇼핑몰 의 건축계획특성 분석 소비자 행태에 따른 스트릿 쇼핑몰의 매장 배분계획과 영업활성화 관계의 정립 소비자 행동심리, 행태 동선분석으로 소비모드 에 따른 스트릿 쇼핑몰 의 내부 디자인의 방향 도출 상업용 부동산으로서 스트릿 쇼핑몰의 경제 적 활성화 요소 도출 6) 정희윤 (1996) 은 상업 및 주거지역이 도시 내에서 여가 및 쇼핑과 일상생활이 집중된 지역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에서 스트릿 쇼핑몰의 외부가로가 주변의 주거시설 및 상업시설과 연접한 사례 대상지로 선정한다, 주민참여형 상업지 정비수법 개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p.11-14. 7) 국제쇼핑센터협회 (ICSC) 에서 제시하는 스트릿 쇼핑몰 유형으로서 LifeStyle Center 및 Community Center 의 면적 기준인 32~161km² 을 본 연구의 사례 선 정기준으로 한정한다. 8) 김경훈 ㆍ황희준 2008, U.E.C(Urban Entertainment Centers) 개념을 도입한 도심지 복합상업시설의 건축계획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문화건축학회논문집, 통권 제22 호. 9) 우승현 ㆍ윤혜경 2009, 스트릿 몰(Street Mall) 의 매장 배분계획과 영업활성화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제18 권, 제6 호. 10) 안정아 ㆍ우승현 2010, 환경심리 행태를 적용한 네트워킹 스트릿 몰 계획, 2010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 대한건축학회, pp.225-228. 11) 박대순 2012, 복합 상업시설 활성화 구성요소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5권 제5 호 (2014 년 10 월) 95

Urban Design 65 전강호 ㆍ김도년 2. 이론적 고찰 규 모 별 성 격 별 구 분 2.1. 스트릿 쇼핑몰 유형 분류 및 정의 국제쇼핑센터협회 (ICSC : International Council of Shopping Center) 에서는 쇼핑 센터 (shopping center) 에 대해 하나의 단위로 계획, 개발, 소유, 관리되는 소매점포와 상 업시설의 집적체로 대개 주차장 시설을 갖추고 있는 시설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표3 에서, 스트릿 쇼핑몰은 L 또는 U 형태를 나타내는 Community Center, 다이닝과 엔터테인먼 트 등을 제공하는 상점가형 오픈몰인 내 용 Lifestyle Center 의 유형으로 분류된다. 면적 (km ² ) 앵커 테넌트수 대표 앵커유형 상권 (km) Super-Regional Center 초대형 쇼핑센터로 Regional Mall 보다 더 많은 다양성과 구색을 제공 242-485 3개 이상 백화점, GMS 등 8-40 Regional Center 신선식품, 일용잡화 등 일반적 상품 및 상품 제공의 쇼핑센터 161-404 2개 이상 백화점, GMS 등 8-24 Community Center < 표 3> 국제쇼핑센터협회 (ICSC) : 쇼핑센터 내 쇼핑몰 (Shopping mall) 분류 근린형쇼핑센터보다 큰 규모로 잡화, 가전, 스포츠 등의 상품 또는 할 인형 상품 등을 제공하는 L 또는 U 형태 의 쇼핑센터 32-161 2개 이상 대형마트, 대형 할인 전문점 Neighborhood Center 신선식품, 일용잡화 등을 취급의 점포가 모인 편리성 지향 쇼핑센터 20-12 1개 이상 슈퍼, 드럭스토어 4 Strip/Convenience Center 가장 많이 있으며, 좁은 상권 대상의 제한된 상품, 서비스 믹스 제공 < 12 NA 편의형 점포 < 1.6 Power Center 카테고리킬러를 집적된 쇼핑센터 101-323 3개 이상 창고형클럽 8-16 Lifestyle Center 다이닝과 엔터테인먼트 등을 제공하는 상점가형 오픈몰 40-161 0-2 개 대형 고급전문점 12-19 Factory Outlet 제조사 및 유통기업의 아울렛 점포로 브랜드 상품을 할인판매 40-202 NA 유통 아울렛 40-120 Theme/Festival 통합된 테마로 레저, 관광, 소매, 서비스 제공 20-80 규정없음 테마파크연계 40-120 Airport Retail 공항내에 위치한 소매점포의 집적 NA NA NA NA * 자료 : ICSC 2004, Shopping Center definition for U.S.A, 국제쇼핑센터협의회 자료를 재구성 (acres km ², mile km 로 변환 ) 4-9 < 그림 1> 스트릿 쇼핑몰의 위계 미국 국토협회 (ULI : Urban Land Institute) 에서 도심복합상업시설 (UEC : Urban Entertainment Center) 은 판매,, 엔터테인먼트의 3가지 기본요소가 보행중심환경에 서 복합되어 시너지 (Synergy) 효과를 발생시키는 복합쇼핑몰 12)로 정의한다. 이러한 복합 쇼핑몰은 각각 상점들이 근본적으로 통합화되며, 구성방식을 살펴보면 표4와 같이 가 로형 (Street Type) 과 탑상형 (Tower Type), 방사형 (Bundle Type) 으로 분류된다 13). 이 중 가로형 복합쇼핑몰은 연속된 보행로 주변으로 저층점포가 배치되며, 보행통로라는 가로환 경과 몰(Mall) 의 테마환경, 엔터테인먼트 요소의 역할과 구성이 중요하다. 일본쇼핑센터협회 (JCSC : Japan Council of Shopping Centers) 는 쇼핑몰이 하나의 단위로서 계획, 개발, 소유, 관리 운영되는 상업 서비스시설 집합체며, 입지, 규모, 구성 에 따라 선택의 다양성, 편리성, 오락성 등을 제공하는 등 소비자 니즈에 대응한 커뮤니티 시설로 도시기능의 일익을 담당하는 것 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 중 표5 에서의 쇼핑몰, 복 합형 쇼핑몰은 스트릿 쇼핑몰과 같이 복수의 상점이 집합한 시설에 해당한다. < 표 4> 미국 국토협회 (ULI) : 복합쇼핑몰 구성 분류 구 분 가로형태 탑상형태 방사형태 형태별 구성 평면 단면 < 표 5> 일본쇼핑센터협회 (JCSC) : 쇼핑센터 (SC) 내 쇼핑몰 (Shopping mall) 분류 유형 특징 쇼핑몰 백화점, GMS 등 복수 전문점 집합시설로 교외형, 도시형 SC로 분류 복합형쇼핑몰 오피스, 호텔, 레저시설 등이 일체화되고 전문점이 집합된 시설 빌딩 키테넌트가 없는 관련 전문점을 중심으로 집적한 상업시설 지하상가 지하 및 역에 전문점이 집적한 상업시설 아울렛 NB브랜드를 40~80% 상시저가로 판매하는 점포가 집적한 상업시설 * 자료 : 일본쇼핑센터협회 JCSC 홈페이지 (www.jcsc.or.jp) 자료를 저자 재구성 12) Michael D. Beyard et al. 2001, Developing retail entertainment destinations, ULI 2nd ed, Washington, D.C., p.30. 13) 김경훈 ㆍ황희준 2008, U.E.C(Urban Entertainment Centers) 개념을 도입한 도심지 복합상업시설의 건축계획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문화건축학회, 통 권 제22 호, p.57. 96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5권 제5 호 (2014년 10 월)

도시 내 스트릿 쇼핑몰의 외부가로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Urban Design 65 국내에는 국제쇼핑센터협회 (ISSC), 일본쇼핑센터협회 (JCSC) 와 같은 쇼핑관련 협의회가 없어 구체적인 쇼핑시설에 대한 분류가 제시되어 있지 않으나, 유통산업발전법 시행령 제 3 조( 대규모점포의 요건 등) 에 의하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둘 이상의 연접되어 있는 건 물 이란 건물간의 가장 가까운 거리가 50미터 이내이고 소비자가 통행하는 지하도 또는 지상통로가 설치되어 있어 하나의 대규모 점포로 기능할 수 있는 것으로 제시한다. 삼성 경제연구소 (2001) 는 이와 같은 대규모 점포로서의 쇼핑몰을 소매 + 엔터테인먼트 이며 I, L, U 자 형태를 나타내는 소매점의 집합체로서, 21C 소매유통업의 추세로 전망하고 있 다. 스트릿 쇼핑몰의 포괄적 단어인 U.E.C 는 상품이나 서비스, 그리고 엔터테인먼트 제공 이 끝이 아닌 종합적 경험을 제공하는 삶의 으로 진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14). 2.2. 스트릿 쇼핑몰 정의 국외 쇼핑센터협의회 및 국내 법제도 등에서 정의하는 스트릿 쇼핑몰을 종합하면, 단위 를 의미하는 키워드로 하나의 단위, 상업시설의 집적체, 통합적, 하나의 대규모 점포 로 나타나며, 형태로서는 상점가, 가로형, 지하도, 지상통로, I, L, U 로 나타난다. 기능으로서는 상업활동, 서비스, 오락성, 도시기능의 일익, 소매 + 엔터테인먼트 로 나 타난다. 이를 종합하여 정의하면, 스트릿 쇼핑몰은 하나의 단위로 계획되는 소매점 집합 체로서, 중앙 통로의 주변으로 상점들이 밀집하며 소매 및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제공하는 도시 커뮤니티시설로 정의할 수 있다 ( 표6 참조 ). 구 분 내 용 국제쇼핑센터협의회(ICSC) 하나의 단위로 계획, 개발, 소유, 관리되는 소매점포와 상업시설의 집적체로 주차장 시설을 갖추고 있는 상점가형 시설 미국국토협회(ULI) 단일상점들이 독자적으로 상업 활동을 하지만 근본적으로 통합적이며 복합화된 가로형 (Street) 도심복합상업시설 (U.E.C) 일본쇼핑센터협회(JCSC) 하나의 단위로서 계획, 개발, 소유, 관리 운영되는 상업 서비스 시설의 집합체 로서 주차장이 있고, 입지, 규모, 구성에 따라 선택의 다양성, 편리성, 오락성 등을 제공 하는 등 소비자 니즈에 대응한 커뮤니티시설로 도시기능의 일익을 담당하는 것 유통산업발전법 건물간의 거리가 50미터 이내이고 소비자가 통행할 수 있는 지하도, 지상통로 설치로 하나의 대규모 점포로 기능하는 것 삼성경제연구소 < 표 6> 스트릿 쇼핑몰의 정의 I, L, U 자 형태 를 나타내는 소매점의 집합체로서, 소매 + 엔터테인먼트 의 종합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삶의 * 자료 : 쇼핑관련기관 (ICSC, ULI, JCSC 등) 별 정의 및 분류를 기준으로 저자 재구성 2.3. 가로에 대한 특성 : 상업가로 street 의 사전적 의미를 보면, 인도유럽어의 어간에서 펴다, 덮다, 팽팽히 하다라는 의미를 지니는 ster 를 어간으로 시작하는 라틴어인 Strata 로부터 유래하였는데 이것은 흩 뿌려 덮는다 는 의미에서 담요 와 포장된 도로 를 뜻한다. 이것은 한계가 분명히 정해진 표면의 도로를 의미한다 15). 라틴어로부터 유래한 가로는 양쪽에 건물들이 열지어 있는 확 장된 지역특성이 있는 도시구조의 부분을 의미한다. 가로는 건물로 둘러싸인 도시의 통로 라는 Paul D. Spreiregen 의 정의 16)는 가로의 지속적이며 복합적인 특성을 암시하는 동시에 가로가 접하는 건물과는 분리될 수 없다는 장소적 특성을 나타낸다. 도시의 가로은 길을 구성하는 도시요소가 집적되는 기간구조 17) 로서 형태적으로 는 도시의 골격과 틀을 형성하며, 시민의 도시 활동이 이루어지는 도시 자체의 존재양식 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역사적으로 도시가로는 가장 오래된 도시 외부이며, 간 단하고 다목적을 가진 이다. 특히 노상의 드라마가 연출되는 최고의 무대 18)로서 가 < 그림 2> 스트릿 쇼핑몰 개념도 14) 정연승 ㆍ서용구 2001, 엔터테인먼트형 쇼핑몰의 등장과 전망, 삼성경제연구소, pp.7-20. 15) 이석환 1998, 도시가로의 장소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61. 16) Paul D. spreiregen 1965, Urban design : the architecture of town and cities, McGraw-Hill Co, New York, p.38. 17) 기간구조 ( 基 幹 構 造 ) 란 사전적으로 어떤 조직 ( 組 織 ) 이나 체계 ( 體 系 ) 를 이룬 것 가운데 중심 ( 中 心 ) 이 되는 구조 ( 構 造 ) 를 의미한다. 18) 도시디자인연구회 역 1997, 도시디자인 수법, ( 鳴 海 邦 碩 ( 나루미 구니히로 ) 1990, 都 市 デザインの 手 法, 東 京 ), 도시디자인 연구회, 서울, p.54.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5권 제5 호 (2014 년 10 월) 97

Urban Design 65 전강호 ㆍ김도년 로 19) 활동은 도시민의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주며, 본질적으로 중요한 도시 활동이다. 도 시가로는 다양한 외부활동을 표현하거나 함축하는 요소 20) 로 인식되며, 가로 형태뿐만 아 니라 이용자나 소유자에 의한 활용에 따라 그 의 의미와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는 측면에서 유용한 파악의 수단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까지 도시가로는 건축 의 외부, 이동, 중간영역으로서 도시설계의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된다 21). 도시가로 중에서 상업가로는 도시에서 상업 활동이 가장 왕성하고 많은 용도들이 혼합 밀집되어 있으며,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장소로 커뮤니티의 장( 場 ), 생활에서 즐기는 장소 ( 場 所 ), 인간적인 어메니티 (amenity) 의 장으로서 도시기능, 도시환경이 추구 된다 22). 상업가로는 개별 운영주체의 건물들이 모여서 판매, 휴식, 커뮤니티 활동이 이루 어지나, 스트릿 쇼핑몰은 단일 운영주체가 계획하는 상점의 집합체로 기존 소비뿐만 아니 라 여가, 문화 등 다양한 욕구의 현대인 생활양식에 맞추어 판매,, 엔터테인먼트 요 소를 복합개발하고 있다. 도시 내 스트릿 쇼핑몰의 형태는 표7 과 같이 기존 명동, 가로수 길 등의 전통적 상업가로와 배치특성 및 소비 활동과 유사성 23) 이 있다. 현재 도시 내에 개발하고 있는 쇼핑몰은 미국, 일본 등의 교외지역 상업시설 형태와 유사하게 시설의 중 앙 내부거리에 집중하여 복합화된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24). 이와 같은 스트릿 쇼핑몰은 도시 내의 상업가로로서 시설 내, 외부 계획 시 가로활성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 표 7> 상업가로와 스트릿 몰의 연계성 구 분 정의 키워드 유사성 건축의 외부으로서 상업 활동이 이루어지고, 개별 운영주체의 도시 건축 외부, 상업 활동, 상점 건축 외부 - 중앙 통로 상업건물들이 집합하여 있으며, 도시민의 커뮤니티 및 어메니티의 상업가로 집합거리, 커뮤니티 장, 어메니티 장 상업 활동 - 소매 활동 장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거리 상점 집합거리 - 소매점 집합체 하나의 단위로 계획되는 소매점의 집합체로서, 중앙 통로의 주변으 스트릿 중앙 통로, 소매 활동, 소매점 집 커뮤니티 장 - 커뮤니티 시설 로 상점들이 밀집하며, 소매 및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제공하는 도 쇼핑몰 합체, 엔터테인먼트, 커뮤니티 시설 어메니티 장 - 엔터테인먼트 시 커뮤니티시설의 쇼핑몰 * 자료 : 스트릿 쇼핑몰의 정의 (ICSC, ULI, JCSC 등) 및 도시 상업가로의 정의를 바탕으로 저자 작성 < 그림 3> 가로활성화 계획요소 2.4. 가로활성화를 위한 계획요소 2.4.1. 상업가로 활성화의 중요성 제인제이콥스 (Jane Jacobs, 1961) 는 가로의 용도 다양성이 상업가로의 가로활성화에 있 어서 가장 큰 요인이며, 도시에서 다양한 사람들의 이용으로 지역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중요한 장소로 변화된다고 언급한다. 제인 제이콥스가 언급하는 가로의 활력을 위한 다양 성은 1 차적으로 주거, 사무소, 공장 등과 같은 용도상의 다양성, 2 차적으로 소매점, 놀이 터 등 이용하는 사람들의 행위나 욕구를 반영하는 시설과 을 의미 25) 한다. 윌리엄화이트 (William, H. W., 2004) 는 훌륭한 거리나 보도, 공원, 그리고 공공이 인간의 선한 본성을 이끌어내며, 겸손하고 예의 바른 사회를 위한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을 좋은 장소로 만드는 요인은 다른 도시에서도 작동 가능해 야하며 활기 있는 도시 조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활동이 가능하도록 물리적 ( 광장, 앉을 등) 26) 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19) 길(road) 과 가로 (Street) 는 다른 개념이나 여기서는 도시의 계획된 가로를 지칭하며 도시 경제활동과 직접적 연관을 맺는 도심가로를 말하고자 한다. 20) McCluskey. J. 1979, Road form and townscape, The Architectual Press. London, p.7. 21) 태림문화사 편집부 역 1996, 길과 건축 ( 黑 川 紀 章 ( 흑천기장 ) 1988, 道 の建 築, 丸 善, 東 京 ), 태림문화사, 서울, p.6. 22) 정희윤 1996, 주민참여형 상업지 정비수법 개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p.15-16. 23) 도시 상업가로에서의 건축 외부, 상점 집합거리의 물리적 구성은 스트릿 쇼핑몰의 건축외부으로서의 중앙통로, 소매점의 집합체와 유사하며, 기능적 구성으로서 상업활동, 커뮤니티 장, 어메니티 장은 스트릿 쇼핑몰의 소매활동, 커뮤니티 시설, 엔터테인먼트 기능과 유사성을 지닌다. 24) 김하나 2013, 복합 상업시설의 계획에 관한 연구 : 가든 파이브와 타임스퀘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6-17. 25) Jacobs Jane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Vintage Book, New York, pp.204-245. 26) 조연경 ㆍ우신구 2011, 도시어촌 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제27 권, 제5 호, 통권 271 호, p.167. 98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5권 제5 호 (2014년 10 월)

도시 내 스트릿 쇼핑몰의 외부가로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Urban Design 65 케빈린치 (Kevin Lynch, 2003) 는 거리(Path) 가 도시 복합체 속의 네트워크망이며 도시 골격의 질서를 주는 수단이라고 설명한다. 가로계획을 위해서는 특별한 용도와 활동이 집 중되며, 개성적인 의 특질을 지니고, 지면과 파사드의 통합적 재질, 조명의 패턴, 상 징적 시설물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특징은 통로의 연속성, 통일된 이미지 및 규칙적인 리듬을 만들 수 있고, 친밀한 이미지의 거리를 조성할 수 있다고 언급한다 27). 얀겔(Jan Gehl, 2004) 은 외부 공공의 인간 활동을 필수, 선택, 사회적 활동으로 구 분한다. 필수적 활동은 걷기, 기다리기, 앉기 등을 의미하며 선택적 활동은 물리환경이 쾌 적, 만족스러울 때 일어난다. 사회적 활동은 축제 등의 계기로 사람들이 소통하는 활동을 의미 28) 한다. 경계 효과(the edge effect) 로서 가로와 건물이 만나는 경계영역에서의 머무 름, 일상적 활동이 옥외의 삶을 풍부하도록 공헌한다고 설명한다 29). 레이 올덴버그 (Oldenburg. R, 1991) 는 집, 회사가 아닌 중 사람들이 모여서 이웃 간의 삶을 높이는 곳으로 제3 의 장소(The third place) 의 개념 30)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제3 의 장소는 규칙적이면서 비공식적이고, 즐거운 자발적 참여를 이끌며 소속감과 영역성 을 느끼게 해주는 공공이며, 즉, 커피숍과 같은 장소가 제3의 장소의 정체성을 이끌 어내고, 사회적 교류를 위한 장소가 된다고 설명한다. 2.4.2. 가로활성화 계획요소 가로활성화 관련문헌을 통해 도출된 계획요소를 건물전면 계획요소와 가로 계획요 소로 대분류하면, 표9 와 같이 건물전면 계획요소에서 용도다양성, 앵커테넌트 31), 파사드 개방성, 가로변 리듬감 32), 옥외 영업, 출입구 접근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가로공 간에서는 가로 시설물, 오픈 스페이스, 상징조형물, 지면 재질,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으 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로활성화 계획요소를 분석기준으로 국내외 스트릿 쇼핑 몰 현황을 조사하여, 상업가로의 가로활성화에 대한 기여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 표 9> 가로활성화 계획요소 종합 구 분 분석 내용 용도 다양성 3개 이상의 다른 용도가 복합적으로 배치되어 있는지 유무 앵커 테넌트 집객력을 가진 내이션와이드 및 글로벌 브랜드의 테넌트 입지 유무 건물 파사드 개방성 가로에서 건물 내부가 보일 수 있는 개방적인 파사드 재질 사용 여부 전면 가로변 리듬감 2개 이상의 상점들이 가로변에 리듬감을 형성하며 배치되는지 유무 계획요 조명패턴 야간 활동을 위해 건물을 비추는 외부 조명 유무 소 옥외 영업 건물 전면부의 데크 또는 옥외 영업 조성 여부 출입구 접근성 가로에서 직접 상점으로 출입 가능한 개별 출입구 설치 유무 가로 시설물 가로를 걷는 사람들의 휴식 ( 벤치 등) 및 커뮤니티를 위한 시설물 여부 가로 오픈 스페이스 광장, 가각부 오픈 스페이스 등의 조성 여부 상징 조형물 가로의 시각적 인지성 및 랜드마크적 상징 조형물 설치 여부 계획요 지면 재질 지면 바닥이 사유지, 공유지의 구분 없이 통합적 디자인 유무 소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 가로에서 단순 걷기, 소비 활동 이외의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 조성 여부 * 자료 : Jane Jacobs, William, H. W., Kevin Lynch, Jan Gehl, Oldenburg. R. 의 내용을 종합, 저자 재구성 < 표 8> 가로활성화 계획요소 분류 구분 내용 키워드 제인 제이 콥스 2010 윌리 엄화 이트 2004 케빈 린치 2003 얀겔 2004 레이 올덴 버그 1989, 1991 용도 다양성은 활력 있는 가로에 중요 보행자들 간의 커뮤 니티를 위한 시설물 건물 용도 다양성 가로시설물 활용사례 : 이승필, 김도년 2006, 도심재개발에 있어서 가로활성화 계 획요소에 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 학회 활기찬 은 다양 한 사회활동 가능 광장, 앉을, 음식, 내부, 중앙 홀 오픈 스페이스 가로시설물 활용사례 : 최현승 2013, 집단적기 억 연속성 확보를 통한 원도심 상징 매력 증징방안 연구, 경희대학 교 특별 용도 및 활동 앵커테넌트 의 집중 지면, 파사드 지면 & 파사드 재질 재질, 조명패턴, 조명패턴 상징시설물 상징조형물 규칙적인 가로변 가로변 리듬감 리듬감 활용사례 : 이한울, 안건혁 2011, 상업지역 장소정체성에 영향을 주 는 가로 구성요소, 한국도시설 계학회 필수적 활동 : 걷기, 앉기 등 선택적 활동 : 옥외 활동 사회적 활동 : 축제 등 활동 가로시설물 옥외 영업 엔터테인 먼트 프로그램 활용사례 : 지은주 2011, 도심부 가 로 이용행태분석, 충북대학교 출입 접근성이 높아 야 함 열린 방문자 교류가 있는 출입구 접근성 입면개방성 커뮤니티 활용사례 : 김흥규, 오세정 2008, 제3 의 으로서의 카페: 스페이스 마케팅의 관점, 한국주관성연구학회 * 자료 : 가로활성화 관련 문헌을 토대로 저자 재구성 27) 한영호 정진우 역 2003, 도시환경디자인, (Lynch, Kevin 1959, The Image of the Environment, New York), 광문각, 경기, pp.143-149. 28) 김진우 역 2006, 삶이 있는 도시디자인, (Jan Gehl 2003, Life between buildings ) 푸른솔, 경기, pp.17-23. 29) 상게서, p.254. 30) Oldenburg. R. 1999, The Great Good Place, Da Capo, New York, p.16. 31) 최형석 (2010) 은 앵커 (Anchor) 가 닻 의 의미로서, 앵커테넌트 (Anchor Tenant) 는 상업시설에서 큰 규모의 집객력을 가지고 있는 주요 임차점포로 설명한다. 즉, 앵커테넌트는 상업시설의 전체 성격을 결정짓는 요소로 작용하며, 주로 내이션와이드 브랜드 (Nationwide brand) 또는 글로벌 브랜드 (Global brand) 의 점포를 지칭한다, UEC( 도심형복합상업시설 ) 의 성공적인 Tenant 유치 전략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8-20. 32) 오연순 (2009) 은 파사드의 구성 유형별 이미지 요소로서, 연속된 점( 건물 전면 ) 들의 군집은 파사드의 연속성을 나타내며, 연속적이지 않을 때, 정체성을 나타낸 다고 제시한다. 이러한 연속적인 점의 군집에 일정한 변화를 통해 리듬감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보행자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다고 제시한다, 가로변 건축물의 파사드 구성유형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1-22.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5권 제5 호 (2014 년 10 월) 99

Urban Design 65 전강호 ㆍ김도년 < 표 10> 분석의 틀 구 분 분석 내용 국내외 도시 내에 입지하 위치 며 주거, 상업지역과 연접 한 스트릿 쇼핑몰 한 단위로 계획되는 소매 사 례 형태 선 정 점 집합체로서, 중앙 통로 의 주변에 상점이 밀집하 며, 소매 및 엔터테인먼트 기능 제공의 쇼핑몰 기 규모 약 연면적의 준 지역 상업가로 역할시설 2000년대 전후로 시기 미국(1980~2000), 일본(2000~2010), 한국 (2005~ 현재 ) 외부 용도다양성, 앵커테넌트, 조 건물 사 전면 분 요소 파사드 개방성, 가로변 리 듬감, 옥외 영업, 출입 구 접근성 석 외부 가로 시설물, 오픈 스페이 기 가로 스, 상징조형물, 지면재질, 준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 요소 < 그림 4> 호튼플라자, 덴버파빌리온, 남바파크, 오모테산도힐즈, 이시아폴리스, 광주수완점, 원마운트, 커넬워크 형태 3. 국내외 스트릿 쇼핑몰 외부가로 현황조사 3.1. 분석의 틀 사례 선정기준으로서 위치는 국내외의 도시 내에 입지하여 주거, 상업지역이 연접하는 사례로 선정하며, 형태는 표10 과 같이 이론적 고찰에서 정의된 스트릿 쇼핑몰 형태의 시 설을 선정한다. 규모는 약 30~161m² 의 연면적 33)을 확보하여 지역의 상업가로 역할을 하 며, 시기는 미국, 일본, 한국에서 쇼핑몰 개발이 왕성했던 시기인 미국 (1980~2000), 일본 (2000~2010), 한국 (2005~ 현재 ) 의 시기에 개점한 시설로 비교대상의 규모를 한정한다. 선정된 사례는 가로활성화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계획요소의 분석내용을 기반 으로 건물전면과 가로에 대해 선정된 사례의 현황을 조사, 분석한다. 조사 대상의 공 간적 범위는 상업가로로서 주변지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스트릿 쇼핑몰 시설의 외부가 로를 중점으로 조사를 진행한다. 비교분석에서는 가로활성화 계획요소 반영빈도를 조사하 여, 국외 사례와 국내 사례의 계획요소별, 사례대상지별로 비교분석한다. 3.2. 사례 선정대상의 일반적 사항 분석의 틀을 기준으로 선정된 국외사례는 미국의 호튼 플라자 (Horton Plaza), 덴버 파 빌리온 (Denver Pavilions) 를 선정했으며, 일본은 오사카 남바파크 (Namba Park), 도쿄 오 모테산도 힐즈(Omotesando hills) 를 선정하였다. 국내사례는 대구 롯데 이시아 폴리스점, 광주 롯데 광주 수완점, 인천 이랜드 송도 커넬워크, 일산 원 마운트를 선정하였다. 사례 대상은 도시민이 즐겨 찾는 스트릿 쇼핑몰로서 대도시 내에 위치하는 지역 상업시 설이며, 도시의 상업가로에서와 같이 도시민에게 활동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선정대상의 위치는 도시 내에 입지하고 있으며, 국외 사례로서 호튼 플라자, 덴버 파빌리온, 남바파 크, 오모테산도 힐즈는 상업지역 사이에 입지하며, 국내 사례로서 롯데 이시아 폴리스, 롯 데 광주 수완점과 이랜드 송도 커넬워크는 주거지역 사이에 입지, 원 마운트는 상업지역 사이에 입지하고 있다. 형태는 그림4 와 같이 남바파크, 오모테산도 힐즈, 호튼 플라자, 이 시아 폴리스, 원마운트, 커넬워크는 I, 롯데 광주 수완은 L, 덴버 파빌리온은 U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표11 과 같이 규모는 약 30~161m ² 의 연면적을 확보하고 있다. 개점 시기 는 미국, 일본, 한국에서 쇼핑몰 개발이 왕성했던 시대인 미국 1985~1998 년, 일본 2006~2007 년, 한국 2011~2013 년도에 계획된 사례 대상이다. < 표 11> 사례 선정 대상지의 일반적 사항 일반적 사항 시 설 명 칭 매장 개점 연간 방문객 수 위 치 규 모( 연면적, 층수) ( 개) 년도 ( 만명) 샌디에고 호튼 플라자(Horton Plaza) 324 Horton Plaza, San Diego, CA 92101 연면적 : 70,420m ² 층수 : 지하1 층, 지상5 층 약 130 1985 약 500만명 덴버 파빌리온(Denver Pavilions) 500 16th Street Mall, Denver, CO 80202 연면적 : 32,237m ² 층수 : 지하1 층, 지상3 층 약 50 1998 약 1200 만명 오사카 남바파크(Namba Park) 오사카시 나니와 난바나카 2-10-70 연면적 : 137,200m ² 층수 : 지하3 층, 지상30 층 약 200 2007 약 1200 만명 도쿄 오모테산도 힐즈(Omotesando hills) 동경도 시부야구 진구마에 4-12-10 연면적 : 34,061m ² 층수 : 지하6 층, 지상6 층 약 100 2006 약 650만명 대구 롯데 이시아 폴리스점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로 49길 16 연면적 : 82,600m ² 층수 : 지하2 층, 지상5 층 약 120 2011 방문객 미집계 광주 롯데 광주 수완점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신로 98 연면적 : 124,396m ² 층수 : 지하1 층, 지상8 층 약 170 2012 방문객 미집계 인천 이랜드 송도 커넬워크 인천광역시 연수구 아트센터대로 87 연면적 : 54,726m ² 층수 : 지하2 층, 지상5 층 약 140 2013 방문객 미집계 고양 일산 원 마운트 경기도 고양시 한류월드로 300 연면적 : 161,602m ² 층수 : 지하2 층, 지상9 층 약 150 2013 방문객 미집계 * 자료 : JERDE 남바파크, 호튼 플라자 (www.jerde.com), 덴버 파빌리온 (http://www.denverpavilions.com/), 오모테산도 힐즈 (www.omotesandohills.com), 롯데 아울렛 (www. lotteoutlets.com), 일산 원마운트 (www.onemount.co.kr ), 이랜드 NC 백화점 ( www.ncshopping.com) 및 관련기사를 참고하여 저자 재구성 33) 국제쇼핑센터협의회 (ICSC) 의 다이닝과 엔터테인먼트 등을 제공하는 상점가형 오픈몰 ( 스트릿 쇼핑몰 ) 인 Life style center 및 Community center 기준에 따르면 연면적 32,000~161,000m² 의 규모를 가지며 상권은 반경 12~16km, 앵커테넌트는 대형고급전문점 ( 내이션와이드 및 글로벌 브랜드 ) 이 0~2 개 정도 배치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100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5권 제5 호 (2014년 10 월)

도시 내 스트릿 쇼핑몰의 외부가로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Urban Design 65 3.3. 국외 스트릿 쇼핑몰 외부가로 현황 국외 사례 ( 호튼플라자, 덴버파빌리온, 남바파크, 오모테산도 힐즈 ) 의 건물전면 계획요소 에서는 표13 과 같이 전체사례에서 외부가로에 다양한 용도의 상점이 입점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난다. 이를 통해 파사드 개방성, 가로변 리듬감, 출입구 접근성의 계획요소를 모두 반영하고 있으며, 옥외영업은 3 개 사례에서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가로 계 획요소에서는 가로시설물, 지면재질의 계획요소를 모두 반영하고 있으며, 오픈스페이스, 엔터테인먼트 요소는 3 개 사례에서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 표12 참조 ). < 표 12> 국외 스트릿 쇼핑몰의 가로계획요소 평가표 구성요소 호튼플라자 덴버 파빌리온 남바파크 오모테산도 힐즈 외부 건물 전면 계획 요소 용도 다양성 앵커 테넌트 파사드 개방성 가로변 리듬감 조명 패턴 옥외 영업 출입구 접근성 O O O O 중심, 등 분포 용도 균등 분포 및 다양 중심, 가전 등 분포 중심, 등 분포 X O X O 외부 가로 서브테넌트 ( 카페, 잡화 등) 입지 외부 코너부분 글로벌 브랜드 (H 사) 입점 외부 가로 서브테넌트 ( 카페, 잡화 등) 입지 외부 가로중앙 글로벌 브랜드 (D 사) 입지 O O O O 1층전면 50% 이상 유리 ( 남) 1층전면 50% 이상 유리 ( 북) 1층전면 50% 이상 유리 ( 서) 1층전면 100% 개방유리 ( 남) O O O O 일정 간격의 상점 배치 일정 간격의 상점 배치 일정 간격의 상점 배치 일정 간격의 상점 배치 X O X O 건물 전면 조명 미사용 외벽 간접조명 사용 건물 전면 조명 부재 외벽 직접조명 사용 O O O X 노천카페 조성 노천카페 조성 노천카페 조성 옥외 미활용 O O O O 상점 개별 출입구 설치 상점 개별 출입구 설치 상점 개별 출입구 설치 상점 개별 출입구 설치 < 표 13> 국외 사례 용도현황 시설명 호튼 플라자 덴버 파빌 리온 남바 파크 오모 테산도 힐즈 용도 특징 비중(%) 10개 레스토랑, 50% 카페 등 3개 의류, 잡화 15% 기타 7개 은행, 우체국, 35% 피트니스센터 5개 레스토랑, 36% 카페 등 3개 21% 의류, 잡화 기타 6 개 서점 악기사 43% 은행, 가전 5 개 식당 카페 46% 레스토랑 등 3개 27% 의류, 잡화 기타 3 개 오피스 호텔 27% 가전 등 3개 레스토랑, 27% 카페 등 6개 55% 의류, 잡화 기타 2개 18% 은행, 오피스 외부 가로 계획 요소 가로 시설물 오픈 스페 이스 상징 조형물 지면 재질 엔터 테인 먼트 O O O O 휴식시설 ( 벤치 등) 설치 휴식시설 (( 벤치 등) 설치 휴식시설 ( 벤치 등) 설치 휴식시설 ( 벤치 등) 설치 O X O O 교차로 가각부 공원 조성 가로변 광장 부재 상업시설과 가로 연계공원 상업시설 중앙 광장 조성 O X X O 랜드마크 조형물 설치 조형물 부재 조형물 부재 계절 조형물 설치 O O O O 공공, 사유영역 통합 공공, 사유영역 통합 공공, 사유영역 통합 공공, 사유영역 통합 O O X X 관광안내소 설치 차로 내 놀이시설 조성 엔터테인먼트 요소 부재 엔터테인먼트 요소 부재 < 표 14> 국외 사례 앵커테넌트 시설명 호튼 플라자 (Horton Plaza) 덴버 파빌리온 (Denver Pavilions) 남바 파크 (Namba Park) 오모테산도 힐즈 (Omotesando hills) 앵커 테넌트 H 사( 글로벌 브랜드) D사 ( 글로벌, 잡화 브랜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5권 제5 호 (2014 년 10 월) 101

Urban Design 65 전강호 ㆍ김도년 3.4. 국내 스트릿 쇼핑몰 외부가로 현황 국내 사례 ( 이시아폴리스, 롯데 광주수완, 커넬워크, 원마운트 ) 의 건물전면요소는 표15 와 같이 커넬워크만 다양한 용도의 상점이 입점하고 있으며, 단일 쇼핑용도 상점만 조성하고 있는 원마운트와 함께 2 개 사례만 파사드 개방성, 가로변 리듬감, 출입구 접근성을 반영 하고 있다. 가로 계획요소에서는 오픈스페이스, 상징조형물을 전체사례 중 3개 사례 에서 반영하고 있으나, 가로시설물, 지면재질은 1 개 사례에만 반영되고 있으며, 엔터테인 먼트는 전체 사례에서 반영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 표16 참조 ). < 표 15> 국내 사례 용도현황 시설명 롯데 이시 아폴 리스 롯데 광주 수완 인천 송도 커넬 워크 고양 일산 원마 운트 용도 비중(%) 특징 1개 20% 분식점 3개 60% 기타 0개 0% 0개 0% 0개 0% 기타 개 0% 12개 46% 식당, 카페 3개 27%, 잡화 기타 7 개 헤어샵 은행 27% 주민센터 등 2개 패스트푸드 레 27% 스토랑 6개 55% 기타 1개 18% 서점 외부 건물 전면 계획 요소 구성요소 롯데 이시아폴리스 롯데 광주 수완 인천 송도 커넬워크 고양 일산 원마운트 용도 다양성 앵커 테넌트 파사드 개방성 가로변 리듬감 조명 패턴 옥외 영업 출입구 접근성 X X O O 1층 외부 상점 조성 미흡 1층 외부 상점 조성 미비 중심, 용도 균등분포 중심, 등 분포 외부 코너부분 내이션 와이드 브랜드 (K 사) 입지 < 표 16> 국내 스트릿 쇼핑몰의 가로계획요소 평가표 O X X O 외부가로변 앵커테넌트 부재 외부가로변 테넌트 입주 중 외부 코너부분 글로벌 브랜드 (H 사) 입지 X X O O 1 층 내부 차단 재료 ( 북) 1 층 내부 차단 재료 ( 북) 1층전면 100% 개방유리 ( 서) 1층전면 100% 개방유리 ( 서) X X O O 단조롭고 폐쇄적인 입면 단조롭고 폐쇄적인 입면 상점 및 건축물 폭원 제어 상점 및 건축물 폭원 제어 O O O O 건물 전면 조명 사용 외벽 결절점 조명 사용 외벽 옥상 조명 사용 외벽 결절점 조명 사용 O X O X 노천 테이블 조성 옥외 영업 부재 노천카페 조성 옥외 영업 부재 X X O O 개별 출입구 미흡 개별 출입구 미흡 상점 개별 출입구 설치 상점 개별 출입구 설치 < 표 17> 국내 사례 앵커테넌트 시설명 대구 롯데 이시아 폴리스 롯데 광주 수완점 인천 송도 커넬워크 고양 일산 원마운트 앵커 테넌트 K사 (내이션와이드 브랜드) H사 (글로벌 브랜드) 외부 가로 계획 요소 가로 시설물 오픈 스페 이스 상징 조형물 지면 재질 엔터 테인 먼트 O X X X 휴식시설 ( 벤치 등) 설치 가로변 휴식시설 부재 가로변 휴식시설 미흡 가로변 휴식시설 부재 O O O X 가각부 광장 확보 가각부 광장 확보 중앙통로 입구 광장 오픈스페이스 미흡 O O O X 지역 상징 조형물 설치 호수 상징 조형물 설치 계절 테마별 조형물 설치 가로상 상징조형물 부재 X X O X 공공, 사유 영역 구분 공공, 사유 영역 구분 공공, 사유영역 통합 공공, 사유 영역 구분 X X X X 프로그램 요소 부재 프로그램 요소 부재 프로그램 요소 부재 프로그램 요소 부재 102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5권 제5 호 (2014년 10 월)

도시 내 스트릿 쇼핑몰의 외부가로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Urban Design 65 4. 국내외 스트릿 쇼핑몰 외부가로 비교분석 4.1. 건물 전면부 (Building Facade) 및 가로 (Street) 계획요소 비교 상업가로로서 가로활성화를 추구하는 시설로서 국내외 8 개 사례를 관찰 조사했을 때, 용도 다양성은 국외 사례 전체에서 외부가로에 판매, 등 3개 이상의 다양한 용도가 100% 입점하고 있으나, 국내 사례는 50% 에서 외부가로에 다양한 용도가 입점해 있다. 파 사드 개방성, 가로변 리듬감, 출입구 접근성은 국외 사례에서 100% 반영되고 있으나, 국 내 사례는 50% 만 반영하고 있다. 옥외영업 ( 노천카페 등) 은 국내 보다 국외사례가 반 영빈도가 높게 나타나지만, 조명 패턴은 국내에서 더 높게 반영되고 있다( 표18 참조). 가로에서는 가로시설물이 국외사례 전체에서 주요한 계획요소로 반영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반영빈도가 25% 에 그치고 있다. 엔터테인먼트 요소는 국외사례에서 50% 의 반 영빈도를 나타내지만 국내에서는 단순 쇼핑뿐만 아닌 여가와 휴식의 도심 복합 쇼핑몰을 지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사례에서 반영되지 않고 있다. 가로의 지면재질은 국외 사례에서 통합적으로 디자인 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명확히 사유지를 구분하고 있어 보 행자의 접근성을 반영하는 계획이 되지 않고 있다. 오픈스페이스, 상징 조형물의 반영빈도 는 국내외 사례에서 비슷하게 반영되고 있다 ( 표19 참조 ). 4.2. 국내외 사례 대상지 간 비교분석 국내외 사례에서의 계획요소 반영빈도를 종합 비교분석 결과, 표20 과 같이 국외 사례인 호튼 플라자, 덴버 파빌리온, 오모테산도 힐즈는 전체계획요소의 83%, 오사카 남바파크는 66% 를 나타내며, 전체 평균은 79% 로 나타난다. 이에 반해 국내 사례는 커넬워크 사례만 75% 를 나타내지만 이시아폴리스 50%, 롯데 광주 수완점 25%, 일산 원 마운트 41% 등 전 체 평균이 50% 로 약 30% 차이의 반영빈도를 나타낸다. 이는 도시 내에 입지하는 상업시 설 외부 가로환경에 대해 가로활성화를 고려하는 국내외 차이로 볼 수 있다. 국외 스트릿 쇼핑몰 사례 국내 스트릿 쇼핑몰 사례 * 종합 : 반영요소 개수 / 전체 계획요소의 수 < 표 20> 국내외 사례 대상지별 반영빈도 대상지 종합* 반영빈도 국내외 평균 샌디에고 호튼 플라자 10 / 12 83% 덴버 파빌리온 10 / 12 83% 오사카 남바파크 8 / 12 66% 도쿄 오모테산도 힐즈 10 / 12 83% 롯데 아울렛 이시아폴리스점 6 / 12 50% 롯데 아울렛 광주 수완점 3 / 12 25% 이랜드 송도 커넬 워크 9 / 12 75% 일산 원 마운트 6 / 12 50% 38 / 48 24 / 48 79% 50% 외부 건물 전면부 계획요소 국외 반영 빈도 국내 반영 빈도 < 표 18> 외부 건물 전면부 국내외 반영빈도 종합* 반영 빈도 용도 다양성 4 / 4 100% 앵커 테넌트 2 / 4 50% 파사드 개방성 4 / 4 100% 가로변 리듬감 4 / 4 100% 조명 패턴 2 / 4 50% 옥외영업 3 / 4 75% 출입구 접근성 4 / 4 100% 평균 23/28 82% 용도 다양성 2 / 4 50% 앵커 테넌트 2 / 4 50% 파사드 개방성 2 / 4 50% 가로변 리듬감 2 / 4 50% 조명 패턴 4 / 4 100% 옥외영업 2 / 4 50% 출입구 접근성 2 / 4 50% 평균 16/28 57% * 종합 : 반영 개수 / 전체 사례의 수 국외 반영 빈도 국내 반영 빈도 < 표 19> 외부 가로 국내외 반영빈도 외부 가로 계획요소 종합* 반영 빈도 가로 시설물 4 / 4 100% 오픈 스페이스 3 / 4 75% 상징 조형물 2 / 4 50% 지면 재질 3 / 4 75% 엔터테인먼트 2 / 4 50% 평균 14/20 70% 가로 시설물 1 / 4 25% 오픈 스페이스 3 / 4 75% 상징 조형물 3 / 4 75% 지면 재질 1 / 4 25% 엔터테인먼트 0 / 4 0% 평균 8/20 40% * 종합 : 반영 개수 / 전체 사례의 수 4.3. 상업가로로서의 스트릿 쇼핑몰 가로활성화 특성분석 상업가로와 스트릿 쇼핑몰의 이론적 유사성이 있는 키워드는 형태적 요소로서 건축외부 통로, 상업 활동, 상점 집합체가 있으며, 기능적 요소로서 커뮤니티 장, 어메니티 장이 도 출되었다. 이를 가로활성화 계획요소에 대입하면, 형태적 요소는 국외사례에서 81% 의 반 영빈도를 기록하고 있으나, 국내 사례에서는 48% 의 반영빈도를 나타내 국외 사례와 33% 의 차이를 나타낸다. 기능적 요소는 국외 사례에서 68% 의 반영빈도를 기록하고 있으나, 국내 사례에서는 43% 를 나타내 25% 의 차이를 나타냈다.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5권 제5 호 (2014 년 10 월) 103

Urban Design 65 전강호 ㆍ김도년 즉, 형태적 요소와 기능적 요소 모두 국내외 사례 간에 1.5~2 배 차이를 나타내는 것은 상업가로로서 추구되는 커뮤니티 장( 場 ), 어메니티 (amenity) 장34)의 도시기능 및 도시환 경뿐만 아니라 스트릿 쇼핑몰이 소매 + 엔터테인먼트의 종합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삶의 으로 진화 35)하는 추세를 따르지 못하는 결과로 분석된다 ( 표21 참조 ). < 표 21> 상업가로로서의 가로활성화 계획요소 반영빈도 국외 사례의 국내 사례의 구 분 유사성 키워드 의미 및 범위 외부가로 전면부 및 가로 계획요소 반영빈도 반영빈도 건물외부 통로 상점 외부의 건물 전면부 및 가로 파사드 개방성, 지면재질, 조명패턴 9 / 12 75% 5 / 12 41% 형태적 상업 활동 가로변 상점의 용도 및 영업 용도 다양성, 앵커테넌트, 옥외영업 9 / 12 75% 6 / 12 50% 상업가로 요소 상점 집합체 상점간 군집형상 및 시설의 보행 접근성 가로변 리듬감, 출입구 접근성 8 / 8 100% 4 / 8 50% 로서의 종합 평균 26 / 32 81% 15 / 32 46% 스트릿 기능적 커뮤니티 장 방문객 교류의 휴식 및 시설물 가로시설물, 오픈스페이스 7 / 8 87% 4 / 8 50% 쇼핑몰 요소 어메니티 장 가로활력을 위한 프로그램 및 조형물 엔터테인먼트, 상징조형물 4 / 8 50% 3 / 8 37% 종합 평균 11 / 16 68% 7 / 16 43% 5. 결론 본 연구는 도시 내에 입지하는 스트릿 쇼핑몰이 상업가로와 형태적, 기능적 유사성을 가지고 있고 가로활성화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상업가로의 가로활성화 계획요소와 연 계성을 도출하여 스트릿 쇼핑몰의 외부가로 분석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국내외 쇼핑 관련 협의회 및 기관에서 제시하는 스트릿 쇼핑몰의 형태적, 기능적 정의에 따라 미국, 일 본, 한국의 스트릿 쇼핑몰 사례를 선정하고, 사례의 외부가로에 대하여 가로활성화 계획요 소의 반영빈도를 조사하여 국내외 사례 간 및 상업가로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국내외 8개 스트릿 쇼핑몰 사례를 분석한 결과 국내 사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건물전면 요소에서 외부 가로변에 판매, 등 다양한 용도의 점포를 입 점시킬 필요가 있다. 독자적 상업시설이 아닌 도시의 상업가로로서 주변시설들과 융합하 기 위해서 시설 외부 가로의 건물전면부에 소비 등의 가로활동이 일어나야 한다. 둘째, 개 방된 파사드, 자유로운 개별 출입구, 상점간 폭원제어를 통하여 가로변의 리듬감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는 단조롭거나 폐쇄적인 입면이 가로의 보행자와 소통하고 가로의 활력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개방성을 확보하고 보행활력을 제공하기 위한 계획이 필요하다. 셋째, 가로 요소에서 외부가로의 보행자를 위한 휴식조성과 시설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지면재질의 통합적 디자인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가로의 계획에서도 바닥포장과 휴 식시설이 공적, 사적영역의 구분이 없도록 계획하여야 방문자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외부가로에 반영하여 단순 쇼핑뿐만 아니라 여가, 휴식의 도심 복합 스트릿 쇼핑몰로서의 역할을 충족할 필요가 있다. 이는 기존 소비행위에서 엔터테인 먼트가 복합되며, 종합적 경험을 제공하는 삶의 장소가 되기 위함이다. 가로활성화의 계획요소는 도시 내에 입지하는 스트릿 쇼핑몰이 상업가로와 같은 도시의 기간구조로서 시민들이 영위하는 도시의 커뮤니티 및 어메니티의 장으로서 기능할 수 있 도록 중요한 계획요소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역적 특성에 따라 스트릿 몰이 조성되는 배경과 형태의 변화에 대한 고려의 한계를 가지며, 이와 관련하여 향후 지역적 특성에 따른 스트릿 몰 형태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34) 정희윤 1996, 주민참여형 상업지 정비수법 개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25. 35) 정연승 ㆍ서용구 2001, 엔터테인먼트형 쇼핑몰의 등장과 전망, 삼성경제연구소, pp.7-20. 104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5권 제5 호 (2014년 10 월)

도시 내 스트릿 쇼핑몰의 외부가로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Urban Design 65 참고문헌 1. 김경훈 ㆍ황희준 2008, U.E.C(Urban Entertainment Centers) 개념을 도입한 도 심지 복합상업시설의 건축계획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문화건축학회논문집, 통 권 제22 호, pp.55-67. 2. 김도년 1988, 기성시가지 상업지 환경개선을 위한 도시설계기법연구, 서울시정개 발연구원. 3. 김도년 2006, 기업과 함께하는 가로경관과 도시문화 향상을 위한 건물 전면 활용 방안 연구, 문화관광부. 4. 김수영 2012, 복합상업시설의 내부가로 속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5. 김진우 역 2006, 삶이 있는 도시디자인, (Jan Gehl 2003, Life between buildings ) 푸른솔, 경기, pp.17-23. 6. 김하나 2013, 복합 상업시설의 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7. 김흥규 ㆍ오세정 2008, 제3 의 으로서의 카페: 스페이스 마케팅의 관점, 주관 성연구, 통권 제16 호, pp.94-95. 8. 도시디자인연구회 역 1997, 도시디자인 수법, ( 鳴 海 邦 碩 ( 나루미 구니히로 ) 1990, 都 市 デザインの 手 法, 東 京 ), 도시디자인 연구회, 서울, p.54. 9. 박대순 2012, 복합 상업시설 활성화 구성요소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염민선 2014, 미 일 쇼핑센터 (SC) 의 성장과정과 시사점, Retail CEO Report vol. 15, 대한상공회의소. 11. 오연순 2009, 가로변 건축물의 파사드 구성유형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석환 1998, 도시가로의 장소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이승필 ㆍ김도년 2006, 도심재개발에 있어서 가로활성화 계획요소에 대한 연구, 도시설계, 제7 권, 제2 호, pp.73-86. 14. 이한울 ㆍ안건혁 2011, 상업지역 장소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가로 구성요소, 도시설계, 제12 권, 제1 호, pp.44-45. 15. 정연승 ㆍ서용구 2001, 엔터테인먼트형 쇼핑몰의 등장과 전망, 삼성경제연구소. 16. 정희윤 1996, 주민참여형 상업지 정비수법 개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7. 조연경 ㆍ우신구 2011, 도시어촌 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제27 권, 제5 호, p.167. 18. 지은주 2011, 도심부 가로 이용행태분석 : 청주시 성안길을 중심으로, 충북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최현승 2013, 집단적 기억의 연속성 확보를 통한 원도심 상징의 매력 증징방안 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최형석 2010, UEC( 도심형복합상업시설 ) 의 성공적인 Tenant 유치 전략에 관한 연 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안정아 ㆍ우승현 2010, 환경심리 행태를 적용한 네트워킹 스트릿 몰 계획, 2010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 대한건축학회, pp.225-228. 22. 우승현 ㆍ윤혜경 2009, 스트릿 몰(Street Mall) 의 매장 배분계획과 영업활성화의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5권 제5 호 (2014 년 10 월) 105

Urban Design 65 전강호 ㆍ김도년 투고 2014.06.10 1차심사완료일 2014.06.30 게재확정일자 2014.09.02 최종수정본접수 2014.10.15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제18 권, 제6 호, pp.202-210. 23. 태림문화사 편집부 역 1996, 길과 건축 ( 黑 川 紀 章 ( 흑천기장 ) 1988, 道 の建 築, 丸 善, 東 京 ), 태림문화사, 서울, p.6. 24. 한영호 ㆍ정진우 역 2003, 도시환경디자인, (Lynch, Kevin 1959, The Image of the Environment, New York), 광문각, 경기, pp.143-149. 25. Anita Kramer 2008, Retail development handbook, Urban Land Institute, Washington, D.C. 26. ICSC 2004, Shopping center definition for U.S.A, ICSC, New York. 27. Jacobs Jane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Vintage Book, New York. 28. Kevin Lynch 1960, Image of the city, MIT Press, Boston. 29. McCluskey. J. 1979, Road form and townscape, The Architectual Press. London. 30. Michael D. Beyard et al. 2001, Developing retail entertainment destinations, ULI 2nd ed, Washington, D.C. 31. Oldenburg. R. 1999, The Great Good Place, Da Capo, New York. 32. Paul D. spreiregen 1965, Urban design : the architecture of town and cities, McGraw-Hill Co, New York. 33. 일본 쇼핑센터협의회 (JCSC) 홈페이지, http://www.jcsc.or.jp/ (2014.05.25.). 106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5권 제5 호 (2014년 10 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