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9월 임산물 시장동향 [일본] 1. 표고버섯 수입동향 품목별 수입관세율 현황 품목 HSJ 관세율 기본 WTO협정 생표고버섯 0709.59.020 5% 4.3% 건표고버섯 0712.39.010 15% 12.8% 일본의 표고버섯 수입물량은 소비침체로 인해 최근 감소 경향에 있으며 2012년은 생표고가 전년 대비 5.8%, 건표고는 동 1.6% 각각 감소하였음. <표고버섯 연도별 수입실적> (단위 : 톤, 백만엔, %) 2010 2011 2012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생표고 5,616 1,423 5,321 1,382 5,015 1,400 건표고 6,127 6,367 6,038 5,929 5,940 5,674 계 11,743 7,790 11,359 7,311 10,955 7,074 료 :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 생표고와 건표고 모두 수입산의 대부분을 중국산이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산이 소량 수입되고 있음. <표고버섯 국별 수입실적(2012년)> (단위: 톤, 백만엔) 전체 중국 한국 홍콩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생표고 5,015 1,400 5,007 1,397 8 3.5 - - 건표고 5,940 5,674 5,922 5,629 18 44 0.2 1.2 료 :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 2013년 1-8월 수입금액은 생표고가 15.7% 감소한 반면, 건표고가 0.5%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2.0% 감소한 5,319백만엔을 기록하였으며, 전량 중국으로부터 수입됨. 방사능피해의 영향으로 일본전체 표고버섯 수요가 감소하였고 엔화약세에 따른 수입단가 인상 등의 영향으로 감소 추세를 유지함
<2013년 표고버섯 수입실적> (단위: 백만엔) 수입금액 국가별 12.1-8 13.1-8 증감율 중국 한국 생표고 846.7 713.5 15.7 713.5 - - - 건표고 4,580.7 4,605.1 0.5 4,605.1 - - - 계 5,427.4 5,318.5 2.0 5,318.6 - - - 료 :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 생산동향 (2012년) 일본의 표고버섯 생산량은 생표고 기준으로 1984년 191천톤을 정점으로 감소를 계속하다가 최근은 100천톤 규모를 밑돌고 있음. 생표고 생산량은 80년대 이후 연간 7만톤 규모를 유지하고 있는데 반해, 건표고는 소비감소의 영 향으로 생표고의 1/3 수준으로 감소 2011년 대지진 및 방사능 피해의 영향으로 소비가 감소함에 따라 생산량 감소 경향 유지 <연도별 표고버섯 생산실적> (단위 : 톤) 건표고 건표고 생표고 (생표고 환산) 계 原 木 栽 培 菌 床 栽 培 표고 계 1960 3,431 24,017 6,634 - - 30,651 1970 7,997 55,979 38,064 - - 94,043 1980 13,579 95,053 79,855 - - 174,908 1990 11,238 78,665 79,134 - - 157,798 1995 8,070 56,487 74,495 51,309 23,185 130,982 2000 5,236 36,652 67,224 32,567 34,657 103,876 2005 4,091 28,638 65,186 18,825 46,362 93,824 2010 3,516 24,614 77,079 12,460 64,619 101,693 2011 3,696 25,361 71,254 10,735 60,519 96,615 2012 3,708 25,956 66,419 8,392 58,027 92,375 료원 : 일본 임야청 생표고의 재배형태별 생산량은 2000년대 들어 균상재배가 급속히 증가하여 12년에는 균상재배품이 전체 생산량의 약 87%를 차지하고 있음. <재배형태별 생표고 생산현황(2011)> (단위 : 톤) 原 木 栽 培 菌 床 栽 培 생표고 계 전국 합계 10,734.6 60,519.0 71,253.5 徳 島 27.9 8,762.8 8,790.7 北 海 道 359.9 7,005.4 7,365.3 岩 手 288.7 5,689.1 5,977.8 群 馬 1,358.1 2,885.4 4,243.5 長 崎 72.4 3,475.4 3,547.8 료원 : 일본 임야청
건표고의 경우 원목재배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가운데, 품질은 향신이 54%, 향신 23%, 산성 21%를 차지하고 있음. <일본의 재배형태별 품질별 건표고 생산현황(2011)> 原 木 栽 培 동고 향신 山 成 計 菌 床 栽 培 건표고 計 전국합계 1,246.3 1,749.7 634.7 3,630.7 65.2 3,695.9 大 分 651.5 814.6 65.4 1,531.5 2.0 1,533.5 宮 崎 126.9 338.3 139.0 604.2 1.4 605.6 熊 本 146.5 111.2 33.8 291.5-291.5 愛 媛 40.7 88.0 134.9 263.6-263.6 岩 手 76.2 65.5 73.9 215.6-215.6 료원 : 일본 농림수산성 유통경로 건표고는 주로 산지시장을 통해 유통되며, 생표고는 소비지도매시장을 통해 유통되고 있음. <건표고버섯 유통경로> 생 산 수 입 출 하 시 장 포 장 도 매 상 소 매 외 식 건표고버섯은 생산 신의 직접 건조과정을 거쳐 주로 산지 집출하단체를 통해 시장에 유통되 고 있으며, 주요 집출하단체로는 생산조합, 농협, 입조합 등이 있음. 건표고의 유통경로별 판매현황을 보면, 생산조합 등 출하를 통한 판매가 25.4%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일반농협(21.1%) 및 입조합(8.9%)을 통하는 경우가 많음. < 건표고 유통경로별 판매현황( 11) > (단위 : 톤) 전문농협 일반농협 임조합 출하 (생산조합포함) 개인출하 직매장 기타 합계 964 766 323 921 318 223 108 3,623 26.6% 21.1% 8.9% 25.4% 8.8% 6.2% 3.0% 100.0%
산지시장에서는 기본적으로 생산가 출하한 포장상 단위로 입찰 및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음. 포장는 시장에서 건표고버섯을 구입하여 재차 선별 및 포장하여 소매나 가공식품제조 체, 외식 등 무용 수요에게 판매하고 있음. 수입산은 시장을 경유하지 않고 수입로부터 포장로 직접 판매되어 식품도매상이나 외식 등 수요에게 공급되고 있음. 생표고버섯은 신선농산물과 유사한 유통경로를 거치며 주로 소비지도매시장을 통해 유통되고 있음. <생표고버섯 유통경로> 생 산 수 입 출 하 시 장 도 매 소 매 외 식 출하규격 건표고 : 크게 동고와 향신으로 구분하고 갓의 상태 및 크기에 따라 세밀하게 분류하고 있음. 생표고 : 100g단위로 포장되며 갓의 모양, 크기에 따라 세부 등급을 정하고 있음. <건표고 출하규격> <생표고 출하규격> 구분 갓의 직경 포장갯수 내용량 품질기준 갓이 60%이하로 펼쳐진 것으로서 색택 및 형상이 양호하고 A 4-8cm 6-9개 2.5kg 과육이 두껍고 수분함량이 비교적 적고 병충해가 없는 것 (100g 갓이 80% 이내로 펼쳐진 것으로서 색택, 형상, 과육, 수분 B 4-8cm 6-9개 25입) 함유율이 A등급 다음의 것 골판지상 C 4-8cm 6-9개 B등급 다음의 것 포장 S 3-4cm 10-12개 A, B등급이면서 갓의 직경이 작은 것
도매가격 표고버섯 도매가격은 수요감소의 영향으로 08년 이후 하락추세가 계속되고 있음. <표고버섯 연평균 가격동향> (단위 : 엔/kg)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비고 건표고 4,545 5,022 4,476 4,284 3,716 - 전국평균출하가격 생표고 940 1,001 906 845 839 831 전국주요도시평균가격 료원 : 일본 농림수산성 2013년 들어 생표고 출하량은 전년 동기대비 감소경향이 지속되고 있으며 도매가격은 출하량 감소 에도 불구하고 전년도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음. <주요 도매시장 생표고 월별 도매가격 동향> (단위 : 톤, 백만엔, 엔/kg, %) 도매수량 도매가격 전년대비 전년대비 전월대비 전월대비 도매수량 도매가격 도매수량 도매가격 2013.7 2,615 759 95 115 101 105 2013.6 2,593 722 87 107 88 93 2013.5 2,938 775 88 110 93 104 2013.4 3,160 742 97 106 88 100 2013.3 3,574 744 92 96 108 87 2013.2 3,322 860 93 95 91 87 2013.1 3,668 994 97 101 83 94 2012년 41,757 831 94 99 2011년 44,203 839 94 99 2010년 47,097 845 102 95 2009년 46,072 906 107 91 2008년 43,209 1001 96 106 료 : 일본 농림수산성 <오타도매시장 생표고 월별 도매 수량 및 가격 추이( 12)> 1200 1000 800 600 400 200 0 도매가격 도매수량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5,000 4,000 3,000 2,000 1,000 0
소매가격 건표고는 포장규격 품질등급에 따라 가격대가 다양하므로 일률적인 가격조사가 어려우며 대체로 국내산은 600-900엔대의 가격설정이 일반적이며, 중국산은 300엔이하의 가격설정이 많음 생표고는 트레이팩 포장판매가 일반적이며 대체로 250엔 이하로 판매가격을 설정하고 있음. 소비동향 표고버섯 전체 소비량은 2000년 124천톤에서 2012년에는 81천톤으로 35% 감소하였음. 특히 건표고가 15.3천톤에서 9.6천톤으로 37%나 감소하였는데, 이는 소비들의 수입산에 대한 안전성 불신과 더불어 맞벌이 및 단신세대 등의 증가로 식생활패턴이 간편조리 형태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건표고버섯의 수요처별 소비비율도 가정용이 30%, 무용이 70%로 무용 수요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추정됨. 일본 국내산 생산량은 중국산 생표고가 안전성 문제로 인해 감소함에 따라 생표고를 중심으로 증가 하였으며 소비 수요도 건표고에서 생표고로 전환됨. < 일본의 표고버섯 수급동향 > (단위 : 톤) 건표고 생표고 生 産 量 輸 入 量 輸 出 量 消 費 量 生 産 量 輸 入 量 輸 出 量 消 費 量 2012 3,708 5,940 23 9,625 66,419 5,015-71,434 2011 3,696 6,038 39 9,695 71,254 5,321-76,575 2010 3,516 6,127 40 9,603 77,079 5,616-82,695 2009 3,597 6,086 53 9,630 75,016 4,722-79,738 2005 4,091 8,375 85 12,381 65,186 22,526-87,712 2000 5,236 9,144 115 15,265 67,224 42,057-109,281 1995 8,070 7,539 544 15,065 74,495 26,308-100,803 1990 11,238 2,404 1,568 12,074 79,134 - - 79,134 1985 12,065 140 3,330 8,875 74,706 - - 74,706 1980 13,579 78 3,104 10,553 79,855 - - 79,855 1975 11,356 93 2,696 8,753 58,560 - - 58,560 료원 : 일본 임야청
1세대당 표고버섯 연간 구입현황을 보면 생표고는 05년에 비해 12년 구입금액 및 빈도가 증가 한데 반해, 건표고는 구입금액, 빈도 모두 감소 경향을 보이고 있음. < 1세대당 표고버섯 연간 구입현황 > (단위 : 엔, 회) 2005년 2012년 구입금액 구입빈도 구입금액 구입빈도 생표고 1,557 8.96 1,491 8.62 건표고 551 0.76 424 0.63 료원 : 일본 총무성, 가계조사연보 동북대지진 이후 버섯류를 중심으로 다량의 방사능물질이 검출되어 소비들의 불안감이 높아진 결과로 후쿠시마 인근지역산 생표고 및 건표고의 수요감소가 계속되고 있음. 향후 시장전망 표고버섯은 전체적으로 수요가 감소경향에 있는 가운데, 엔저로 인한 수입가격 상승압박으로 대폭 적인 수입량 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임. - 무용 수요가 많은 건표고의 경우 국내산에 비해 가격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중국산을 중심으로 비교적 수입수요가 안정된 반면, 생표고의 경우 엔저의 영향으로 수입량이 감소할 것으로 보임. 방사능물질 오염의 영향으로 건표고버섯 가격 하락세 지속 -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인한 방사능물질 오염의 영향으로서 버섯류는 방사능물질이 흡착하 기 쉽기 때문에 소비들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기 때문 - 오이타현(전국 생산량의 40% 차지) 6월상순 건표고 평균가격이 2,275엔/kg으로 전년 동기 3,198 엔/kg 대비 1,000엔 이상 하락, 과거 40년간 최저 수준 - 건표고 원료원산지의 지역명 표기의무가 없어 방사능 영향을 받지 않은 산지까지 피해가 확산됨. - 일본 정부는 소비감퇴에 의한 가격저조, 생산량 감소에 대응코 관련 생산단체, 유통관계 등 과 건표고 소비확대를 위한 대책회의를 개최함(9.10) 2. 밤 수입동향 품목별 수입관세율 현황 품목 HSJ 관세율 기본 WTO협정 생 밤 0802.41.000 16% 9.6% 깐 밤 0802.42.000 16% 9.6% 마롱그랏세 2006.00.010 16.8% 12.6% 조제밤(가당) 2008.19.193 28% 16.8%
일본의 밤 전체 수입량은 국내 수요감소의 영향으로 감소추세에 있으나 최근 3년간은 증가추세로 전환됨. 특히 2012년은 일본의 생산량 회복 등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물량 18.5%, 금액 1.7% 감 소하였음. <생밤 및 깐밤 수입동향> (단위 : 톤, 백만엔) 구분 2010 2011 2012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한 국 3,519 2,227 4,168 2,755 3,707 2,696 중 국 9,096 2,362 9,611 2,317 7,547 2,304 프랑스 0.3 0.2 - - 0.5 0.3 이태리 14 9 52 24 14 11 합 계 12,629.3 4,598.2 13,831 5,096 11,269 5,011 료원 :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 금년 8월까지 밤 수입액은 2,527백만엔으로 엔저 등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50% 증가하였음. 엔저에도 불구하고 밤 수입이 증가한 이유로는 방사능 오염으로 인한 주산지 이바라기산의 안전성 에 대한 소비의 불신감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됨. <밤 품목별 수입동향> (단위 : 톤, 백만엔, %) 2013.8월 2012 연간 2012.8 2013.8 전년대비증감율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생밤 0802.41.000 6,438 1,723 1,156 265 1,363 372 17.9 49.4 깐밤 0802.42.000 4,830 3,289 38 19 57 35 50.0 84.2 마롱그랏세 2006.00.010 231 139 122 70 154 132 26.2 88.6 조제밤(가당) 2008.19.193 2,407 1,046 856 395 953 582 11.3 47.3 계 13,906 6,197 2,172 749 2,527 1,121 16.3 49.7 료 :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 * 생밤과 깐밤은 2012년부터 품목코드가 분리됨 일본의 밤 주수입국은 중국과 한국이며, 기타 마롱그랏세, 조제밤을 중심으로 프랑스, 이태리 등 유럽산 및 칠레산이 수입되고 있음 <국가별 품목별 밤 수입실적( 12)> (단위: 톤, 백만엔)
국가별 수입 전체수입 품목 1위 2위 3위 물량 금액 국명 물량 금액 국명 물량 금액 국명 물량 금액 생밤 6,438 1,723 중국 6,401 1,710 한국 38 13 - - - 깐밤 4,830 3,289 한국 3,670 2,684 중국 1,146 594 이태리 14 11 마롱그랏세 231 139 중국 164 55 이태리 60 64 스페인 4 7 조제밤 2,407 1,046 중국 1,867 807 프랑스 360 167 칠레 144 49 합 계 13,906 6,197 중국 9,579 3,166 한국 3,713 2,701 프랑스 363 180 료 :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 생산동향 (2012년) 일본의 밤 생산량은 고령화 및 수요감소의 영향으로 매년 감소추세에 있으며 2011년은 개화기의 일기불순의 영향으로 대폭 감소했으나 2012년은 생산량이 회복되었음. 일본의 밤 주산지는 이바라기, 구마모토, 에히메 등지로서 이들 3현의 생산량이 일본 전체 생산량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음. <연도별 밤 생산동향> 결과수면적 10a당수량 수확량 출하량 (ha) (kg) (톤) (톤) 2001 25,900 112 29,000 20,400 2005 23,800 92 21,800 14,800 2010 21,700 108 23,500 17,100 2011 21,400 89 19,100 13,800 2012 21,000 100 20,900 15,300 료원 : 일본 농림수산성 <지역별 밤 생산현황( 12)> 전년대비 결과수면 10a당수 수확량 출하량 결과수 10a당 적 량 수확량 출하량 면적 수량 ha kg t t % % % % 全 国 21,000 100 20,900 15,300 98 112 109 111 茨 城 3,830 133 5,090 4,130 99 104 102 102 熊 本 2,950 106 3,130 2,830 97 136 133 135 愛 媛 2,320 83 1,930 1,590 101 120 122 121 岐 阜 580 151 876 656 98 98 96 96 埼 玉 699 108 755 490 99 106 105 106 宮 崎 844 74 625 535 99 112 111 112 長 野 241 233 562 446 100 101 101 101 栃 木 597 88 525 315 99 113 112 113 千 葉 499 100 499 319 98 128 126 122 神 奈 川 487 81 394 295 93 105 98 98 료원 : 일본 농림수산성
도매가격 밤 도매수량은 2011년 이후 8천톤대로 대폭 감소한 이래 2012년도 생산량 감소로 전년수준의 입 하물량을 기록했으며 가격은 2010년 대비 27% 수준 상승하였음. <전국 주요 도매시장의 밤 도매 수량 및 가격 동향> (단위 : 톤, 엔/kg) 구분 2010 2011 2012 수량 가격 수량 가격 수량 가격 도매현황 13,046 381 8,609 484 8,685 485 료원 : 일본 농림수산성 <밤 월별 도매가격 동향> (단위 : 톤, 엔/KG, %) 구분 도매수량 도매가격 전년대비 전월대비 도매수량 도매가격 도매수량 도매가격 12.12 30 497 159 97 16 79 12.11 184 632 98 99 6 128 12.10 2,811 493 115 90 106 91 12.9 2,713 539 88 110 7,329 59 12.8 37 912 71 111 - - 12.4 1 530 97 114 7 128 12.3 7 414 48 114 127 106 12.2 5 390 90 102 56 103 12.1 9 378 185 86 50 74 료원 : 일본 농림수산성 소비동향 일본의 연간 밤 소비량은 3만톤을 조금 밑도는 수준으로서 국내산이 15천톤, 수입산이 13천톤 규모로서 다양한 대체제 등장으로 소비규모는 감소추세에 있음. 소비용도는 과거 밤밥, 군밤 등 가정용 소비가 많았으나 최근엔 제과용 및 중국산 천진율로 대표 되는 아마구리 소비가 많음. 주산지인 이바라키, 지바 등지의 방사능 오염 우려로 최근 관동지역산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음. < 밤 관련 제품 및 이용방법>
3. 송이버섯 수입동향 품목별 수입관세율 현황 품목 HSJ 기본 관세율 WTO협정 송이버섯 0709.59.011 5% 3% 일본의 송이버섯 수입은 중국산 작황에 따라 좌우되고 있으며, 2011년 이후 1천톤대로 감소함. 8월까지 송이버섯 수입량은 중국산을 중심으로 전년대비 66% 감소한 435톤 규모임. 2012년 한국산 수입은 물량이 73% 증가했으나 수입가격 하락으로 금액은 8.6% 증가에 그침 <일본의 송이버섯 수입동향> (단위 : 톤, 백만엔, %) 2011 2012 2012.1-8 2013.1-8 증감율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한 국 11 220 19 239 0.1 1 - - - - 중 국 875 4,218 1,132 4,409 555 1,564 420 1,489-24 -5 부 탄 0.8 3 0.7 2.6 0.6 2.3 1 5 67 117 카나다 147 611 54 266 0.7 4 2 12 186 200 미 국 99 460 79 370 0.1 1 2 5 1,900 400 멕시코 17 70 7 30 5 20 10 52 100 160 터 키 64 132 111 261 - - - - - - 모로코 0.2 0.7 33 47 - - - - - - 합 계 1,214 5,715 1,436 5,624 1,265 5,127 435 1,562-66 -70 료 :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 생산동향 일본의 송이버섯 생산량은 해마다 증감이 심하며 2010년은 140여톤이 생산되었으며 주산지는 산 악지역인 나가노현과 이와테현임. 잠정통계의 의하면 2011년 생산량은 37톤 규모로 감소하였으며 2012년은 16톤에 불과함 <연도별 송이버섯 생산동향> (단위 : 톤, 호) 2008 2009 2010 생산량 생산수 생산량 생산수 생산량 생산수 전 체 70.6 4,556 24.2 2,518 139.8 3,290 나가노 34.5 1,200 7.1 304 85.1 1,226 이와테 4.2 337 4.3 291 27.7 394 료원 : 일본 농림수산성
가격동향 송이버섯은 고급식재로서 공급량에 따라 가격변동이 심한 품목으로서, 2011년 송이버섯 수입단가 는 물량감소로 인해 2010년 3,091엔/KG에서 2011년 4,708엔/KG으로 52% 상승하였음 2012년 송이버섯 수입가격은 수입물량 증가로 전년대비 하락하였으며, 특히 한국산은 전년의 63% 수준으로 하락함. <송이버섯 수입가격 동향> (단위 : 톤, 백만엔, 엔/KG) 2010 2011 2012 수입량 수입액 수입가격 수입량 수입액 수입가격 수입량 수입액 수입가격 합 계 2,044 6,317 3,091 1,214 5,715 4,708 1,436 5,624 3,916 한 국 55 467 8,491 11 220 20,000 19 239 12,579 중 국 1,561 4,735 1,561 875 4,218 4,821 1,132 4,409 3,895 카나다 121 318 2,628 147 611 4,156 54 266 4,926 미 국 218 611 2,803 99 460 4,646 79 370 4,684 료원 :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 소비동향 송이버섯은 향을 즐기는 버섯으로서 주로 고급 호텔, 일본요리점이나 선물용으로 소비되는 품목임. 저렴한 중국산 수입으로 일반 수퍼마켓에서도 판매되며 주로 송이버섯밥이나 구이 등으로 일반 가정에서도 소비되게 되었음. 10월부터 본격적으로 소비되며 일본 국내산 및 한국산이 선도 및 향 등 품질이 좋다고 알려져 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