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ies N.49 2016.4 KEEI 에너지수급동향 mnthly ENERGY TRENDS krea energy ecnmics institute 2016 / 04 Petrleum 4.8% Cal 3.2% LNG 3.5% Nuclear 8.3% New & renewable 15.9% Jan.2016
1. 경제 및 산업 2월 수출은 저유가로 인한 수출단가 하락과 세계 경기 둔화 등으로 14개월째 감소세를 지속 지속적인 저유가로 석유제품과 석유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수출 단가가 낮아지며 총수출액이 감소 2월 수출은 물량기준으로 2.4% 증가하였지만 원자재 가격 하락에 따른 수출 단가 하락의 영향으로 금액기준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0% 감소 1월의 경우 세계 경기 둔화로 인해 중국, 미국, 일본에 대한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4.4%, 21.7%, 15.3% 감소하여 물량기준으로도 수출이 감소(5.3%) 광공업생산지수와 제조업가동률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소폭 회복하여 각각 2.4%, 0.4% 증가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가 전년 동월 대비 33.7% 증가하여 제조업 생산 증가를 견인(기여도 2.6%p)했고 화학제품, 석유정제도 각각 6.3%, 7.7% 증가한 반면 전자부품(12.2%), 기계장비(8.4%), 통신ˑ방송장비 (21.4%) 등은 감소 전월 대비로는 광공업생산지수가 7.0% 감소했는데 이는 2월 설 연휴에 따른 근무일수 감소에 기인한 것이며, 계절조정지수로는 전월 대비 3.3% 증가하여 2009년 9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 1월 제조업생산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3% 감소했는데 품목별로는 반도체(17.9%), 금속가공 (2.0%), 화학제품(0.7%) 등이 증가했고 기계장비(2.5%), 자동차(2.4%), 전자부품(2.3%) 등은 감소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3.5%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던 전월 대비 1.2%p 상승 경제 및 산업 주요 지표 동향 2014 년 2015 년 2016 년 12 월 1월 2월 12 월 1월 2월 GDP (조원) 1 380.8 374.5 1 464.2 385.9 (2.9) (2.7) (2.6) (3.1) 소비자물가지수 (2010=100) 107.7 108.8 108.5 109.4 109.8 110.2 110.3 110.8 (1.3) (0.8) (1.1) (0.5) (0.7) (1.3) (0.8) (1.3) 경기동행지수 (2010=100) 114.8 122.8 118.3 124.1 126.2 129.6 129.7 130.1 (4.6) (4.5) (5.3) (4.6) (4.8) (5.5) (5.2) (4.8) 광공업생산지수 (2010=100) 108.2 115.0 106.5 96.0 107.7 112.6 105.7 98.3 (0.7) (1.4) (4.2) (5.1) (0.6) (2.1) (2.2) (2.4) 제조업가동률지수 (2010=100) 95.1 97.6 91.9 81.0 92.1 94.2 89.1 81.3 (2.3) (0.7) (7.1) (7.5) (2.2) (3.5) (4.0) (0.4) 대미환율 (원/달러) 1 095.0 1 104.3 1 064.8 1 098.4 1 131.0 1 172.2 1 201.7 1 217.4 (2.8) (4.5) (0.1) (2.5) (7.5) (6.2) (10.4) (10.8) 총수출 (십억 달러) 559.6 49.5 45.6 41.5 526.8 42.4 36.5 36.1 (27.3) (3.1) (0.3) (3.4) (8.0) (14.3) (19.0) (13.0) 총수입 (십억 달러) 515.6 43.9 44.8 34.0 436.5 35.5 31.4 29.0 주 : 2010 년 실질가격 기준,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자료 : 국가통계포털 (8.6) (1.0) (1.2) (19.2) (16.9) (19.2) (20.1) (14.6) 2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2. 에너지 가격 국제 에너지 가격 3월 국제 유가는 두 달 연속 상승하며 배럴당 37.7달러를 기록하였으나 전년 동월 대비로는 29.9% 하락 OPEC과 미국의 원유 생산 감소와 주요 산유국들의 산유량 동결 가능성이 논의되는 가운데 달러화 약세가 이어지며 상승세가 지속 하지만 4월 17일 카타르에서 개최된 OPEC 회의에서 원유 생산에 대한 감산 합의는 실패 국제 천연가스(LNG) 가격은 전월 수준을 유지하며 MMBTU당 8.5달러대를 지속 국제 유가가 상승함에 따라 유가 연동 기반의 LNG 장기 거래 가격도 시차를 두고 반등할 전망 국제 석탄 가격도 전월 대비 톤당 1.6달러 상승하며 55.9달러를 기록 원유를 비롯한 에너지 가격이 하락세에서 반등하는 가운데 2014년 이후 국제 석탄 재고의 지속적인 감소 등에 힘입어 2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 국제 에너지 가격 동향 2014 년 2015 년 2016 년 1월 2월 3월 1월 2월 3월 원유 (US$/bbl) 96.4 51.1 47.6 55.1 53.2 30.2 31.0 37.7 (7.3) (47.0) (53.3) (47.5) (49.0) (36.6) (43.7) (29.2) 천연가스 (US$/MMBTU) 17.0 11.0 15.5 14.7 13.1 8.5 8.5 8.5 (2.0) (35.5) (12.7) (18.2) (26.7) (45.4) (42.4) (35.2) 석탄 (US$/톤) 75.1 61.6 66.5 65.8 64.4 53.4 54.3 55.9 (17.1) (18.0) (23.9) (19.5) (18.0) (19.8) (17.4) (13.3) 우라늄 (US$/lb) 33.5 36.8 36.1 38.2 39.4 34.6 33.6 29.6 (13.2) (9.8) (2.6) (7.3) (13.6) (4.2) (11.9) (24.9) 주: 국제유가는 Brent, Dubai, WTI 의 평균, 천연가스는 인도네시아산 일본 CIF 액체상태 가격 기준, 석탄은 호주산 기준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자료: 석유정보망(www.petrnet.c.kr), IMF(primary cmmdity price) 주요 에너지 국제 가격 추이 석탄 (US$/톤), 석유 (US$/bbl) 120 천연가스 (U S$/MMBTU) 24.0 100 20.0 80 60 40 16.0 12.0 8.0 석탄 원유 천연가스 20 4.0 2013.03 2013.09 2014.03 2014.09 2015.03 2015.09 2016.03 에너지수급동향 2016년 4월 3
국내 에너지 가격 3월 국내 주요 석유제품 가격은 국제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8개월 연속된 내림세가 주춤 휘발유와 경유 가격은 각각 전월의 가격 수준에서 소폭 변동에 그치며 그 동안의 하락세가 다소 정체 휘발유 가격은 전월 대비 리터당 2원 하락한 반면, 경유 가격은 리터당 2원 상승하며 보합세를 보였지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휘발유가 경유가 각각 10.5%, 16.9% 하락 중유 가격(2월)은 439원/리터로 전월 대비 8.6% 하락하며 여타 석유제품보다 빠른 하락세를 지속 중 이는 저유가가 시작되기 전인 2014년 상반기 평균 가격의 절반 수준에 불과, 다른 석유제품 가격과 비교해 볼 때 저유가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는 중 LPG(프로판/부탄) 가격은 저유가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견조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최근 국제 LPG 거래가격의 하락세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며 2개월 연속 내림세를 시현 국제 LPG 가격의 기준인 사우디 아람코의 LPG 공급가격(cntract price)은 2015년 12월이 되어서야 본격적으로 하락하였으며 국내에는 2월부터 반영 국내 에너지 가격 동향 2014 년 2015 년 2016 년 1월 2월 3월 1월 2월 3월 휘발유 (원/리터) 1 828 1 510 1 505 1 439 1 508 1 385 1 352 1 350.1 (5.0) (17.4) (20.2) (23.5) (19.8) (8.0) (6.1) (10.5) 수송경유 (원/리터) 1 637 1 299 1 330 1 277 1 327 1 157 1 101 1 103 (5.4) (20.6) (22.0) (24.8) (21.8) (13.0) (13.8) (16.9) 중유 (원/리터) 900 612 662 559 628 481 439 (5.7) (32.0) (29.6) (40.6) (33.8) (27.4) (21.4) 프로판 (원/kg) 2 115 1 801 1 900 1 783 1 800 1 771 1 760 1 711 (1.4) (14.8) (13.5) (19.1) (18.2) (6.8) (1.3) (5.0) 수송용 부탄 (원/리터) 1 052 806 888 809 806 782 772 742 (1.8) (23.4) (20.9) (27.9) (28.1) (11.9) (4.6) (8.0) 주: 휘발유, 경유, 부탄은 주유소/충전소 가격, 중유는 대리점 가격, 프로판은 판매소 가격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자료: 유가정보서비스 (www.pinet.c.kr) 원/리터, 원/kg 2 500 국내 석유제품 가격 추이 2 000 1 500 1 000 500 휘발유 수송경유 중유 프로판 수송용 부탄 2013.03 2013.09 2014.03 2014.09 2015.03 2015.09 2016.03 4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2월 도시가스 평균 요금은 전월 수준인 16.2원/MJ를 지속 지난 1월 1일 천연가스 도매요금은 원료비연동제에 따라 2015년 9~10월의 국제 유가 하락분이 반영되며 9.0% 인하 도시가스 소매가격 기준 요금종별 하락폭은 산업용이 9.3%로 가장 컸으며, 가정용과 상업용은 각각 8.3%, 8.1%를 기록(서울지역 기준) 원료비연동제: 유가, 환율의 변화로 연료비에 ±3% 초과 변화 요인이 있을 경우 2개월마다 이를 반영하는 제도 열에너지 평균 요금은 89.3원/Mcal로 전월의 수준을 지속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열 요금은 도시가스 요금 인하의 영향으로 2016년 1월부로 전월 대비 7.4% 인하 금번의 열요금 인하는 지난 2013년 7월 이후 2년 6개월만이며, Mcal당 주택용은 79.6원, 업무용과 공공용은 각각 100.4원, 89.3원 하락 한국지역난방공사는 열요금 제도 개선(2015.7.1)을 통해 도시가스요금 조정 시 열 요금도 이에 따라 조정하고, 연료비연동제는 1년에 한 번 반영하는 방식으로 변경 용도별 도시가스 요금 추이 원/MJ 25 20 15 10 상업용 가정용 산업용 평균 5 2013.02 2013.08 2014.02 2014.08 2015.02 2015.08 2016.02 주: 도시가스 요금 체계가 2012년 7월 이후 부피기준에서 열량기준으로 변경되어 이전 자료는 표준열량 기준으로 환산(부가세, 기본요금 제외) 원/Mcal 120 용도별 열에너지 요금 추이 100 80 60 40 업무용 주택용 공공용 평균 20 2013.02 2013.08 2014.02 2014.08 2015.02 2015.08 2016.02 주: 주택용은 난방용 기준, 업무용과 공공용은 난방용 단일요금제 기준 요금(부가세, 기본요금 제외) 자료: 한국지역난방공사 에너지수급동향 2016년 4월 5
2월 전력 요금은 일반용과 산업용에 겨울철(11~2월) 요금제가 적용되며 전월 수준을 지속 주택용 전력 요금은 전월과 동일한 215.6원/kWh이며, 산업용과 일반용 요금은 각각 108.5원/kWh와 92.3원/kWh 1 로 상승 주택용은 소비자 전기 요금 경감대책으로 2015년 하절기 동안 누진4단계 구간(301~400kWh)에도 3단계 구간(201~300kWh)의 요금을 적용하는 한시적 특례요금을 적용하였으나 10월부터는 4단계 누진요금이 다시 적용 중 전력 요금제는 2013년 11월 전기 요금 인상 이후 추가 변동 없이 지속 전력 판매 단가는 일반용과 산업용이 전년 동월 대비 소폭 하락한 반면, 타 용도의 경우는 모두 보합 일반용과 산업용은 각각 132.2원/kWh, 114.7원/kWh을 기록하며 전년 동월 대비 각각 0.6%, 0.8% 하락 주택용과 심야전력 판매 단가는 각각 134.9원/kWh, 75.3원/kWh로 전년 동월 수준에서 보합 용도별 전력판매 단가는 용도별 요금제별 소비량 변화에 따라 상이하게 변동 원/kW h 250 용도별 전력 요금 추이 200 150 100 일반용 산업용 주택용 평균 50 2013.02 2013.08 2014.02 2014.08 2015.02 2015.08 2016.02 원/kW h 160 140 전력 판매 단가 추이 120 100 80 60 40 일반용 산업용 주택용 심야용 20 2013.02 2013.08 2014.02 2014.08 2015.02 2015.08 2016.02 1 용도별 요금은 주택용(고압, 301~400kWh), 일반용([갑], 저압), 산업용([을], 고압B 중간부하) 기준 요금을 의미 6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3. 에너지 공급 1월 에너지 수입액은 국제 에너지 가격 하락과 원유, LNG 수입 감소로 2014년 10월 이후로 감소세 유지 원유 수입은 현물 수입량은 23.9% 증가하였지만, 장기계약 수입량이 15.8% 줄어들면서 감소로 전환 석유제품 수입은 납사 수입이 감소(5.1%)하였지만, 중유(15.3%)와 LPG(35.5%) 수입이 크게 늘면서 증가 유연탄 수입은 장기계약에 따른 도입량 인수로 인해 4.7% 증가 석유제품 수출은 물량 기준으로는 등유와 기타석유제품의 수출 감소로 1.6% 감소하였으며, 금액 기준으로는 유가 급락으로 38.5% 감소 국내 생산은 신재생에너지가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하였으나 수력, 무연탄, 천연가스 생산은 감소 수력 발전량은 강수량 감소로 12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 에너지 수입량 에너지 수출입 및 국내 생산 추이 1월 11 월 12 월 1월 원유 (백만 bbl) 915.1 927.5 84.8 1 026.2 81.7 98.3 82.7 (3.4) (1.4) (8.1) (10.6) (1.5) (21.6) (2.4) 석유제품 (백만 bbl) 329.2 326.6 26.6 307.9 30.5 29.1 27.8 (6.3) (0.8) (19.5) (5.7) (31.6) (2.8) (4.3) 유연탄 (백만톤) 116.2 117.9 10.1 119.4 8.7 10.8 10.6 (1.4) (1.4) (5.8) (1.3) (3.3) (8.9) (4.7) 무연탄 (백만톤) 8.5 8.3 0.6 8.9 0.5 0.9 0.6 (5.3) (2.2) (3.1) (7.8) (2.5) (12.1) (0.9) LNG (백만톤) 39.9 37.1 4.1 33.4 2.7 3.6 3.4 (10.2) (6.9) (7.3) (10.1) (7.5) (16.6) (17.7) 에너지 수입액 (십억 US$, CIF) 178.7 174.1 10.3 102.7 7.5 8.3 6.2 (3.3) (2.6) (39.4) (41.0) (41.4) (36.1) (39.7) 석유제품 수출액 (십억 US$, FOB) 52.8 50.8 2.8 32.0 2.4 2.2 1.7 (5.9) (3.8) (42.0) (37.0) (38.4) (29.2) (38.5) 국내 생산 수력 (GWh) 8.4 7.8 0.5 5.9 0.4 0.4 0.5 (9.7) (6.8) (2.5) (24.2) (35.7) (29.6) (16.5) 무연탄 (백만톤) 1.8 1.7 0.1 1.8 0.2 0.2 0.1 (13.3) (3.7) (4.5) (0.9) (13.0) (7.4) (5.4) 천연가스 (백만톤) 0.4 0.2 0.0 0.1 0.0 0.0 0.0 (6.2) (30.5) (30.6) (41.5) (45.4) (43.6) (43.6) 신재생 (백만 te) 9.0 11.0 1.0 11.5 1.1 1.1 1.1 (11.8) (21.9) (2.8) (5.4) (16.4) (10.2) (15.9) 주: p 는 잠정치,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에너지수급동향 2016년 4월 7
4. 에너지 소비 1월 총에너지 소비는 원자력 발전량과 석유, 천연가스 소비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3.3% 증가한 27.5백만 te를 기록 석유 소비는 수송용 경유, 발전용 중유, 산업용 LPG 소비 증가로 0.5백만 te 증가하면서 총 에너지 소비 증가를 견인 원자력 발전량은 신월성 2호기의 신규 진입 영향 지속으로 8.3% 증가하면서 5개월 연속 증가세 지속 석탄 소비는 석탄화력 발전 최대 출력 하향 조정 등의 영향으로 설비 이용률이 하락하여 발전용 소비를 중심으로 3.2% 감소 천연가스 소비는 발전용 소비가 감소하였으나, 낮은 기온 영향으로 도시가스 소비가 증가하면서 3.5% 증가하였으며, 5개월만에 증가로 반등 최종에너지 소비는 모든 부문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2.5% 증가한 20.9백만 te를 기록 산업 부문은 석유화학의 납사 소비는 감소하였지만, 석유화학의 LPG, 1차금속의 석탄, 조립금속의 도시가스 소비가 증가하면서 소폭(0.6%) 증가 수송 부문은 저유가 심화와 국내외 항공 여객의 증가로 9.0% 증가하면서 최종에너지 소비 증가를 견인 건물 부문은 1월 평균 기온이 전년 동월 대비 2.3 낮아지면서 난방용 소비가 증가하면서 2.7% 증가 에너지 소비 동향 1월 11 월 12 월 1월 총에너지 (백만 te) 280.3 282.9 26.7 285.0 23.9 27.1 27.5 (0.6) (0.9) (2.2) (0.7) (1.6) (1.5) (3.3) 최종에너지 (백만 te) 210.2 213.9 20.4 217.5 18.2 20.4 20.9 (1.0) (1.7) (3.0) (1.7) (2.1) (0.4) (2.5) 주: p 는 잠정치,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전년동월대비, % 총에너지, 최종에너지, 부문별 에너지 소비 증가율 추이 10.0 8.0 6.0 4.0 2.0 0.0 2.0 4.0 6.0 8.0 10.0 2015.11 2015.12 2016.01 산업 수송 건물 전환 총에너지 최종에너지 8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5. 석탄 1월 석탄 소비는 산업용이 소폭 증가했으나 비중이 큰 발전용이 감소하며 전년 동월 대비 3.2% 감소 산업용 석탄 소비는 철강업과 시멘트업의 소비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2%, 7.5%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기타제조업에서의 소비가 6.9% 감소하여 0.9% 증가에 그침 가장 큰 소비 비중을 차지하는 발전용 석탄 소비는 석탄화력 발전 설비용량이 전년 동월 대비 소폭 증가했으나 설비 이용률 하락으로 5.1% 감소 석탄화력 발전 설비용량은 전년 동월 대비 291MW 증가하였지만 예방정비량은 60MW 증가하여 유효 설비용량은 231MW 증가 반면, 석탄화력 발전 최대 출력 하향 조정 등으로 설비 이용률이 전년 동월에 비해 5.6%p 하락하면서 석탄화력 발전량은 4.8% 감소 건물용 무연탄(연탄) 소비는 전년 동월 대비 난방도일이 12.0%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스와 석유로의 대체 지속으로 13.7% 감소 석탄 소비 동향 1월 11 월 12 월 1월 석탄 (백만톤) 129.6 133.3 11.9 133.2 10.3 12.1 11.5 (1.1) (2.9) (3.5) (0.1) (7.7) (1.4) (3.2) 가정 상업용 1.9 1.6 0.2 1.5 0.3 0.3 0.2 (4.6) (15.0) (2.5) (9.6) (13.8) (15.1) (13.7) 산업용 47.6 51.4 4.1 50.9 4.0 4.5 4.1 (2.2) (8.0) (2.1) (1.1) (4.4) (0.8) (0.9) 발전용 80.0 80.3 7.6 80.9 6.1 7.4 7.2 (0.4) (0.3) (7.0) (0.7) (9.4) (1.2) (5.1) 주: p 는 잠정치,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전년동월대비, % 40.0 주요 용도별 석탄 소비 증가율 추이 20.0 0.0 20.0 석탄 합계 제철용 시멘트용 발전용 40.0 2013.01 2013.07 2014.01 2014.07 2015.01 2015.07 2016.01 에너지수급동향 2016년 4월 9
6. 석유 1월 석유 소비는 납사 소비가 감소하였지만, 수송용 경유, 발전용 중유, 산업용 LPG 소비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4.8% 증가 수송 부문 석유 소비는 교통량과 차량 대수 증가로 8.4% 증가하면서 석유 소비 증가를 견인 경유는 가격 하락(13.0%) 및 차량 대수 증가(8.5%)로 13.8% 증가하면서 수송용 석유 소비 견인 LPG 소비는 가격 하락(11.9%)에도 불구 지속적인 차량 대수 감소(3.5%)로 8.7% 감소 산업 부문 석유 소비는 LPG 소비가 크게 증가하였지만 납사 소비 감소로 1.1% 감소하면서 2015년 6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로 전환 납사 소비는 에틸렌과 벤젠 생산 감소로 4.9% 줄어들면서 산업 부문 소비 감소를 주도 LPG 소비는 효성의 프로필렌(PDH) 설비증설 효과가 지속되면서 52.2% 급증 건물 부문은 난방도일 상승(12.0%)으로 소비가 증가하였으며, 전환 부문은 중유 발전(47,176원/Gcal) 열량단가가 가스 발전(53,311원/Gcal)보다 낮아 중유 소비량이 급증하면서 4개월 연속 급증세 유지 석유제품 부문별 소비 동향 1월 11 월 12 월 1월 석유 (백만 bbl) 825.2 821.5 74.1 855.1 74.1 79.7 77.7 (0.3) (0.5) (5.4) (4.1) (8.8) (6.3) (4.8) 산업 482.0 491.8 44.7 503.0 42.5 46.0 44.2 (0.8) (2.1) (6.9) (2.3) (6.2) (6.6) (1.1) 수송 267.4 268.8 22.4 284.8 24.0 24.4 24.3 (0.5) (0.5) (4.5) (6.0) (5.5) (3.3) (8.4) 건물 49.7 47.9 5.8 52.9 5.3 6.8 6.5 (16.2) (50.4) (9.6) (11.0) (10.2) (3.5) (12.4) 전환 26.1 13.0 1.2 14.4 2.4 2.5 2.6 (16.2) (50.4) (32.8) (11.0) (298.7) (117.1) (121.0) 주: p 는 잠정치,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주요 석유제품 소비 증가율 전년동월대비, %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10.0 2015.11 2015.12 2016.01 휘발유 경유 LPG 중유 항공유 납사 10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7. 가스 지속적으로 감소하던 천연가스 소비는 발전용 소비의 감소폭이 축소되고 도시가스용 소비도 증가로 전환되며 소폭 반등 최근 발전용 천연가스 소비는 신규 기저발전 설비 진입, 유가 하락에 따른 유류발전 증가, 전력 소비 둔화 등으로 감소세가 확대되어 왔으나 1월 석탄화력 발전량이 줄어들면서 감소폭이 축소 신월성2호기 진입 및 계속 운전 허가를 받은 월성1호기 재가동으로 기저발전의 설비 용량은 증가한 반면 최근 전력 소비 부진이 이어지면서 발전용 천연가스 소비는 감소세를 지속 특히 2015년 말부터 유류 발전의 발전단가가 가스 발전보다 낮아져 급전순위가 역전되면서 감소세가 크게 확대되어 12월에는 발전용 가스 소비가 전년 동월 대비 40.3%까지 급감 반면, 1월에는 석탄화력 발전량이 전년 동월 대비 4.8% 감소하며 발전용 가스 소비의 감소폭이 축소되어 전년 동월 대비 8.7% 감소 도시가스용 천연가스 소비는 2015년 4월 이후 꾸준히 감소해왔으나 1월 난방도일 증가(12.0%)로 도시가스 소비가 반등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7.4% 증가 1월 도시가스 소비는 전년 동월에 비해 낮은 기온의 영향으로 2.8% 증가 기온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건물 부문의 도시가스 소비는 전년 동월 대비 4.1% 증가하였고 산업 부문에서는 저유가로 석유로의 대체가 여전히 발생하나 기온효과가 이를 상쇄하며 1.0% 감소에 그침 천연가스 및 도시가스 소비 동향 1월 11 월 12 월 1월 LNG (백만톤) 40.3 36.6 4.3 33.4 2.7 3.7 4.4 (4.7) (9.0) (5.4) (8.7) (13.9) (21.7) (3.5) 도시가스 (십억m3) 23.9 22.1 3.0 20.9 1.7 2.5 3.1 (0.5) (7.5) (2.4) (5.5) (8.8) (13.9) (2.8) 주: p 는 잠정치,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천연가스 및 도시가스 소비 추이 천연가스, 백만톤 5.0 4.0 3.0 2.0 1.0 2013.01 2013.07 2014.01 2014.07 2015.01 2015.07 2016.01 발전용 산업용 도시가스용 도시가스, 십억m 3 5.0 4.0 3.0 2.0 1.0 2013.01 2013.07 2014.01 2014.07 2015.01 2015.07 2016.01 수송용 산업용 건물용 에너지수급동향 2016년 4월 11
8. 전력 1월 전력 소비는 산업과 건물 부문에서 모두 감소하며 전년 동월 대비 1.7% 감소 산업 부문의 전력 소비는 제조업 생산활동 둔화 지속 및 근무일수 감소 2 로 부진을 지속 1차금속의 전력 소비는 동국제강의 포항 후판공장 (15.08.01)의 가동 중단과 철강 경기 부진에 따른 조강 생산량 감소(4.5%)로 전년 동월 대비 3.7% 감소하며 감소세를 지속 석유화학의 전력 소비는 내수 증가로 전월의 감소에서 증가로 반등했으나, 중국 등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3대 석유화학제품(합성수지, 합성원료, 합성고무) 수출 급락(15.6%)으로 정체(0.9%) 조립금속업의 전력 소비도 자동차 및 정보통신방송기기의 수출 부진에 따른 생산활동 둔화로 1.7% 감소하며 2개월 연속 감소 건물 부문의 전력 소비도 전력의 상대가격 상승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하며 2개월 연속 감소 상업용(공공 및 서비스)과 가정용 소비는 난방도일의 상승에도 불구 건물용 도시가스 요금이 20% 이상 하락한 데 따른 대체효과와 서비스업 생산지수 회복세 둔화 등으로 각각 2.7%씩 감소 부문별 전력 소비 증가율 1월 11 월 12 월 1월 전력 (TWh) 474.8 477.6 45.4 483.6 38.9 41.8 44.7 (1.8) (0.6) (3.8) (1.3) (0.4) (2.0) (1.7) 산업 256.8 264.6 23.4 265.6 21.9 22.6 23.2 (3.1) (3.0) (3.2) (0.4) (0.3) (1.4) (1.1) 수송 2.2 2.0 0.2 2.2 0.2 0.2 0.2 (3.7) (7.6) (14.4) (10.7) (9.8) (2.1) (22.6) 건물 215.8 211.0 21.8 215.8 16.8 19.0 21.2 (0.3) (2.3) (4.4) (2.3) (0.4) (2.7) (2.7) 주: p 는 잠정치, ( )는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전년동월대비, % 20.0 15.0 제조업 전력다소비업종 전력 소비 증가율 추이 10.0 5.0 0.0 5.0 1차금속 석유화학 조립금속 제조업 10.0 15.0 2013.01 2013.07 2014.01 2014.07 2015.01 2015.07 2016.01 2 근무일수는 일요일이 전년 동월 대비 하루 더 포함되면서 감소 12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9. 열에너지 및 기타 1월 열에너지 소비는 전년 동월 대비 4.1% 증가 전년 동월 보다 기온이 하락하며 난방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열에너지 소비가 증가로 반등 평균기온은 3.2 C로 전년 동월의 0.9 C 보다 낮아 난방도일이 12.0% 증가 수력 발전량은 급감세를 지속한 반면, 최종 소비 부문의 신재생 기타에너지는 소비는 증가 2015년 연중 지속된 강수량 부족현상으로 1월의 수력 발전량은 전년 동월 대비 62.9% 감소한 891GWh에 불과 2015년에는 엘리뇨 현상이 심화되어 연평균 강수량이 평년 대비 73% 수준에 그침(기상청) 그러나 최종소비 부문의 신재생 기타에너지 소비는 전년 동월 대비 19.5% 증가하며 두 자리대 증가율을 지속한 것으로 추정 산업 및 수송용 소비는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2.5%, 12.9%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 건물 부문 신재생에너지 소비는 전년 동월 대비 소폭 증가(1.3%)에 그친 것으로 분석 열에너지 소비 및 주요 지표 추이 전년동월대비, % 40.0 도일 140 20.0 70 0.0 20.0 0 70 난방도일 변화 열에너지 소비 건물용 가스 40.0 140 2013.01 2013.07 2014.01 2014.07 2015.01 2015.07 2016.01 주: 열에너지 소비량은 한국지역난방공사, GS파워, SH공사 등 3개사의 공급 물량을 집계한 수치 천te 1 400 1 200 1 000 800 600 400 200 신재생 및 기타에너지 소비 추이 전년동월대비, % 30.0 20.0 10.0 10.0 20.0 최종소비 전환 수력 신재생및기타 증가율 (수력 포함) 30.0 2013.01 2013.07 2014.01 2014.07 2015.01 2015.07 2016.01 에너지수급동향 2016년 4월 13
10. 산업 부문 1월 산업 부문 에너지 소비는 석유화학에서의 소비가 감소하였지만 1차금속과 조립금속에서 증가하여 전년 동월 대비 소폭 증가 석유화학에서는 LPG 소비가 급증했으나 석유화학 에너지 소비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납사 소비가 감소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1.1% 감소 납사 소비는 2015년 5월 이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해 왔으나 에틸렌과 벤젠 등의 기초유분 생산이 감소하며 전년 동월 대비 4.9% 감소 LPG 소비는 설비 증설(2015년 8월 효성 프로필렌) 등의 영향으로 93.2% 증가 조립금속에서는 자동차, 정보통신방송기기 등의 생산 둔화로 전력 소비가 1.7% 감소하였으나 낮은 기온과 반도체 생산 증가 등의 영향으로 도시가스 소비는 18.4% 증가하며 전년 동월 대비 2.3% 증가 반도체 생산 공정의 항온 항습을 위한 열원으로 도시가스를 사용 산업 부문 에너지 소비 동향 1월 11 월 12 월 1월 산업 (백만 te) 130.9 136.1 11.9 136.2 11.3 12.2 11.9 (2.0) (4.0) (1.9) (0.1) (1.7) (2.0) (0.6) 석유화학 60.1 62.1 5.5 61.4 5.2 5.5 5.4 (2.9) (3.2) (1.4) (1.0) (3.5) (3.0) (1.1) 납사 47.1 48.6 4.6 50.5 4.2 4.5 4.4 (0.1) (3.2) (8.0) (3.9) (3.5) (3.3) (4.9) 1 차금속 28.3 32.2 2.7 31.4 2.6 2.7 2.7 (1.6) (13.9) (1.5) (2.5) (4.8) (3.9) (0.5) 조립금속 10.5 10.7 1.0 10.7 0.9 1.0 1.0 (3.5) (1.7) (1.1) (0.6) (2.0) (4.1) (2.3) 원료용 비중 (%) 57.0 58.8 59.8 59.2 59.2 59.2 57.9 주: p 는 잠정치,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전년동기대비, % 15 산업 부문 에너지 소비 및 주요 업종 생산지수 추이 10 5 5 에너지 소비 생산지수 (1차철강) 생산지수 (기초화합물) 10 15 2013.01 2013.07 2014.01 2014.07 2015.01 2015.07 2016.01 14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11. 수송 부문 1월 수송 부문 에너지 소비는 저유가 심화로 인한 석유제품 소비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9.0% 증가하면서 최종 에너지 소비 증가 주도 도로 부문 에너지 소비는 저유가 지속으로 인한 교통량과 자동차 대수 증가로 0.2백만 te 증가하면서 수송 부문 에너지 소비 증가(0.3백만 te)의 대부분을 차지 1월 고속도로 이용 교통량과 자동차 대수가 각각 2.1%, 4.3% 증가하면서 도로 부문 석유제품 소비는 8.8% 증가 해운 부문 에너지 소비는 18.9% 증가하면서 수송 부문에서 가장 높은 소비 증가율을 기록했는데 이는 저유가로 선박의 고속 운항이 늘어나면서 중유 소비가 급증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 항공 부문 에너지 소비는 저가항공(Lw Cst Carrier, LCC)의 노선 확대, 제주도 관광 수요의 증가 등으로 항공 여객과 항공 운항이 각각 13.4%, 6.3% 증가하면서 6.4% 증가 철도 부문 에너지 소비는 석유제품 소비가 14.7% 감소하였지만, 전력 소비가 22.6% 증가하면서 지난 달 감소에서 증가로 반등 수송 부문 에너지 소비 동향 1월 11 월 12 월 1월 수송 (백만 te) 37.3 37.6 3.1 39.9 3.4 3.4 3.4 (0.5) (0.8) (4.6) (6.1) (5.3) (3.7) (9.0) 도로 30.8 31.0 2.5 32.5 2.7 2.8 2.7 (3.1) (0.7) (3.5) (4.8) (4.3) (2.4) (8.5) 해운 2.4 2.3 0.2 2.8 0.3 0.3 0.3 (22.9) (4.7) (13.6) (21.6) (24.0) (25.8) (18.9) 항공 3.7 4.0 0.4 4.3 0.4 0.3 0.4 (0.2) (6.1) (6.5) (7.7) (1.5) (0.5) (6.4) 철도 0.3 0.3 0.0 0.3 0.0 0.0 0.0 (7.5) (11.6) (11.5) (2.3) (3.4) (6.5) (6.5) 주: p 는 잠정치,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전년동월대비, % 30.0 25.0 수송 부문 주요 석유제품 증가율 추이 20.0 15.0 10.0 5.0 0.0 5.0 10.0 15.0 2015.11 2015.12 2016.01 휘발유 경유 LPG 중유 항공유 에너지수급동향 2016년 4월 15
12. 건물 부문 1월 건물 부문 에너지 소비는 난방용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며 전년 동월 대비 2.7% 증가 1월 평균 기온은 전년 동월 대비 2.3 C 낮아(서울 지역 기준) 난방용 에너지 소비가 건물 부문 에너지소비 증가율 반등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 가정 부문에서는 전력 소비가 2.7% 감소하였으나 주로 난방용으로 소비되는 여타 에너지 소비가 급증하며 2개월 연속 감소에서 반등 저유가 이전까지 감소 추세에 있던 등유 소비가 전년 동월 대비 44.9% 증가하였으며 도시가스와 열에너지 소비도 각각 2.6%, 3.8% 증가 상업 공공 부문에서도 서비스업의 경기 개선세는 다소 둔화되었으나 난방용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며 보합세를 시현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0% 증가하며 전월(3.7%)보다는 다소 둔화 상업 공공 부문의 전력 소비도 전년 동월 대비 2.7% 감소하였으나 도시가스와 열에너지 소비는 각각 9.6%, 5.8% 증가. 특히 등유 소비는 전년 동월 대비 40.8% 증가 감소세에 있던 석유 소비의 증가세 지속은 저유가 이후 음식 숙박업종 등에서 열원으로 사용하는 에너지가 도시가스에서 석유제품으로 대체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 건물 부문 에너지 소비 동향 1월 11 월 12 월 1월 건물 (백만 te) 42.0 40.2 5.3 41.3 3.5 4.7 5.5 (1.5) (4.4) (4.8) (3.0) (0.1) (8.3) (2.7) 가정 20.9 19.7 3.0 19.9 1.8 2.6 3.1 (1.9) (5.6) (3.6) (0.7) (2.9) (12.4) (4.6) 상업 공공 21.1 20.4 2.4 21.5 1.7 2.2 2.4 (1.1) (3.2) (6.2) (5.1) (3.5) (3.1) (0.3) 주: p 는 잠정치,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건물 부문 에너지 소비 및 주요 지표 추이 전년동월대비,% 10.0 도일 100 5.0 0.0 5.0 50 0 50 냉 난방도일 변화 서비스업 생산지수 에너지 소비 10.0 100 15.0 150 2013.01 2013.07 2014.01 2014.07 2015.01 2015.07 2016.01 주: 난방도일(1~4월, 9~12월), 냉방도일(5~8월) 16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13. 전환 부문 1월 발전 투입 에너지는 발전량의 감소에도 불구 기저 발전 비중이 상승하며 소폭 상승 전력 소비 감소로 총 발전량은 하락(1.5%)했으나, 원자력 발전의 증가로 발전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기저 발전 비중이 전년 동월 대비 1.5%p 상승하며 발전 투입 에너지가 소폭 상승 원자력 발전량은 한울1호기의 원자로 보호계통 릴레이 고장에 따른 발전정지(2016.01.19 ~ 01.30) 에도 불구 신월성2호기 준공(15.07) 효과로 빠른 증가세를 지속 석탄 발전 투입은 석탄 발전 최대 출력 하향 조정(16.01) 효과 등으로 설비 이용률이 하락하며 감소 발전용 가스 소비는 전력 소비 감소 및 원자력 발전량 증가로 감소세를 지속했으나 석탄 발전의 하락으로 최근의 급감세가 크게 완화 유류 발전 투입은 유가 하락에 따른 급전순위 변경(2015년 11월 이후)으로 중유 발전량이 크게 증가(19.2%)하며 4개월 연속 급증세를 지속 발전 부문 에너지 소비 1월 11 월 12 월 1월 발전 투입 (백만 te) 108.3 108.1 10.0 106.9 8.6 9.7 10.0 (0.0) (0.2) (1.7) (1.1) (2.2) (4.9) (0.5) 석탄 49.2 49.2 4.7 49.5 3.7 4.5 4.4 (0.5) (0.1) (7.0) (0.7) (9.3) (1.1) (5.2) 석유 3.6 1.7 0.1 2.0 0.4 0.4 0.4 (2.6) (52.1) (36.1) (16.8) (439.7) (173.4) (164.8) 가스 23.3 21.0 1.9 17.8 1.2 1.4 1.7 (8.4) (9.7) (9.5) (15.2) (34.8) (39.9) (8.6) 원자력 29.3 33.0 3.0 34.8 3.1 3.2 3.3 (7.7) (12.7) (4.9) (5.3) (23.0) (11.1) (8.3) 수력 기타신재생 2.9 3.1 0.2 2.7 0.2 0.2 0.2 주: p 는 잠정치, ( )는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13.8) (9.2) (1.7) (12.8) (23.6) (22.5) (12.9) 전년동월대비, %p 20.0 에너지원별 발전 설비 이용률 및 발전비중 변화(%p) 10.0 10.0 20.0 2015.01 2015.03 2015.05 2015.07 2015.09 2015.11 2016.01 석탄 발전비중 변화 원자력 발전비중 변화 가스 발전비중 변화 석탄 이용률 변화 가스 이용률 변화 원자력 이용율 변화 에너지수급동향 2016년 4월 17
<부록> 에너지 수급 주요 지표 및 통계 주요 경제 통계 및 지표 2013 년 2014 년 2015 년 2분기 3분기 4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GDP (조원) 1 380.8 1 427.0 357.7 357.8 374.5 1 464.2 365.6 367.6 385.9 (2.9) (3.3) (3.5) (3.4) (2.7) (2.6) (2.2) (2.8) (3.1) 민간소비 680.3 692.2 167.8 173.3 175.8 707.2 170.6 177.0 181.6 (1.9) (1.8) (1.7) (1.4) (1.1) (2.2) (1.7) (2.2) (3.3) 설비투자 126.4 134.0 34.8 32.5 35.0 141.1 36.5 34.7 36.3 (0.8) (6.0) (7.9) (4.4) (4.4) (5.3) (5.1) (6.7) (3.9) 건설투자 196.3 198.5 54.0 52.0 53.1 206.2 54.5 54.9 57.1 (5.5) (1.1) (0.3) (2.3) (1.7) (3.9) (1.0) (5.6) (7.5) 소비자물가지수 107.7 109.0 109.1 109.4 108.9 109.8 109.7 110.1 110.1 (2010=100) 대미환율 (원) 1 095.0 1 052.8 1 029.6 1 026.2 1 086.6 1 131.0 1 097.4 1 169.0 1 157.5 기준금리 (%) 2.6 2.3 2.5 2.3 2.0 1.7 1.7 1.5 1.5 경기동행지수 (2010=100) 광공업생산지수 (2010=100) 제조업가동률지수 (2010=100) 114.8 120.4 119.7 121.2 122.0 126.2 125.0 126.9 129.2 108.2 108.4 109.8 105.6 111.3 107.7 108.4 105.5 111.2 95.1 94.3 96.8 91.5 95.8 92.1 94.9 89.8 93.8 평균기온 12.5 13.4 18.7 24.5 7.2 13.6 18.6 24.8 8.7 전년동기대비 기온차 0.3 0.9 1.1 0.5 0.0 0.2 0.1 0.4 1.4 난방도일 2 908.0 2 501.6 158.5 1 000.7 2 459.1 168.2 866.1 (2.0) (14.0) (43.1) (2.4) (1.7) (6.1) (13.5) 냉방도일 908.9 822.7 218.6 596.6 7.5 861.1 223.0 630.9 7.2 (4.5) (9.5) (8.1) (8.0) (66.8) (4.7) (2.0) (5.8) (4.0) 에너지원단위 0.20 0.20 0.19 0.19 0.20 0.20 0.18 0.19 0.19 (2.2) (2.4) (2.0) (2.1) (1.3) (1.8) (2.2) (2.1) (2.5) 1 인당 소비 석유 (bbl) 16.4 16.3 4.0 4.1 4.2 16.9 4.0 4.2 4.5 (0.7) (0.9) (0.2) (0.5) (1.8) (3.7) (0.2) (2.7) (6.7) 전력 (MWh) 9.5 9.5 2.3 2.3 2.4 9.6 2.3 2.4 2.3 (1.3) (0.2) (0.2) (0.7) (1.1) (0.9) (1.2) (2.0) (1.3) 도시가스 (1000 m3) 0.5 0.4 0.1 0.1 0.1 0.4 0.1 0.1 0.1 (0.1) (7.9) (12.4) (2.8) (4.8) (5.8) (4.7) (3.9) (11.7) 총에너지 (te) 5.6 5.6 1.3 1.4 1.5 5.6 1.3 1.4 1.5 (0.1) (0.5) (1.1) (0.8) (0.9) (0.4) (0.5) (0.2) (0.1) 주: 2010 년 실질가격 기준, p 는 잠정치, ( )는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 자료: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국가통계포털, 에너지통계월보 18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업종별 생산 및 가동률지수 주요 업종 산업생산지수 2013 년 2014 년 2015 년 2016 년 (2010=100) 12 월 1월 2월 12 월 1월 2월 전산업 106.4 107.9 119.7 105.1 100.7 109.7 123.0 106.9 103.1 (1.8) (1.4) (2.4) (0.4) (0.5) (1.6) (2.8) (1.7) (2.4) 광업 및 제조업 108.2 108.4 114.3 107.1 95.3 107.8 112.2 104.6 97.5 (0.7) (0.2) (1.2) (1.4) (5.3) (0.6) (1.8) (2.3) (2.3) 1 차철강 108.3 113.2 112.8 112.1 100.1 110.8 112.1 110.4 98.5 (0.5) (4.5) (1.0) (3.4) (3.0) (2.1) (0.6) (1.5) (1.6) 시멘트 109.0 105.3 97.7 88.2 77.9 113.8 121.9 85.3 77.8 (7.3) (3.4) (5.6) (10.0) (5.7) (8.1) (24.8) (3.3) (0.1) 기초화합물 112.0 113.0 119.9 119.4 106.4 114.8 121.3 121.5 114.2 (5.9) (0.8) (1.7) (1.5) (1.6) (1.6) (1.2) (1.8) (7.3) 수송장비 116.1 119.3 134.8 120.9 103.1 120.5 130.5 116.4 104.1 (1.4) (2.7) (4.8) (1.3) (12.0) (1.0) (3.2) (3.7) (1.0) 전기전자 97.0 98.8 109.1 91.3 83.7 95.1 99.9 91.1 83.3 (1.8) (1.9) (11.6) (3.0) (8.2) (3.8) (8.4) (0.2) (0.5) 서비스업 106.4 108.9 118.7 106.9 104.7 112.0 123.1 110.1 107.4 (1.5) (2.4) (3.5) (2.0) (2.7) (2.9) (3.7) (3.0) (2.6) 주요 업종 가동률지수 제조업 95.1 94.3 97.6 92.8 81.0 92.1 94.2 89.1 81.3 (2.4) (0.9) (0.7) (1.0) (7.5) (2.2) (3.5) (4.0) (0.4) 1 차철강 99.2 102.6 102.1 100.5 89.3 100.7 103.0 103.1 92.2 (1.1) (3.5) (1.2) (4.3) (4.7) (1.8) (0.9) (2.6) (3.2) 시멘트 107.0 100.5 94.4 85.2 73.2 109.0 118.5 82.9 75.0 (5.1) (6.1) (8.5) (9.7) (4.3) (8.5) (25.5) (2.7) (2.5) 기초화합물 94.5 92.8 96.2 96.1 85.5 91.1 95.7 95.9 89.4 (2.2) (1.8) (2.9) (2.0) (3.1) (1.8) (0.5) (0.2) (4.6) 수송장비 102.0 103.4 118.7 102.0 86.6 105.0 113.9 97.8 85.3 (0.9) (1.4) (3.8) (0.3) (13.3) (1.5) (4.0) (4.1) (1.5) 전기전자 90.5 90.5 100.0 85.3 76.4 90.7 93.8 87.9 80.5 (3.9) (0.1) (12.6) (5.3) (7.3) (0.2) (6.2) (3.0) (5.4) 주: p 는 잠정치 에너지수급동향 2016년 4월 19
국제 에너지 가격 원유 (USD/bbl) LNG 2014 년 2015 년 2016 년 1~3 월 1월 2월 3월 1~3 월 1월 2월 3월 WTI 93.0 48.8 48.6 47.3 50.7 47.9 33.5 31.8 30.6 38.0 (5.1) (47.5) (50.7) (50.1) (49.6) (52.4) (31.2) (32.9) (39.6) (20.7) Dubai 96.7 50.8 52.1 45.8 55.7 54.7 30.3 26.9 28.9 35.2 (8.2) (47.5) (50.2) (56.0) (47.0) (47.6) (41.7) (41.3) (48.2) (35.6) Brent 99.5 53.6 55.2 49.8 58.8 56.9 35.1 31.9 33.5 39.8 (8.5) (46.1) (48.9) (53.5) (46.0) (47.2) (36.4) (35.8) (43.0) (30.1) 국내도입단가 (C&F) 101.5 53.3 53.3 54.4 49.6 55.9 20.9 33.5 29.3 (6.3) (47.5) (51.0) (50.4) (54.3) (48.4) (60.8) (38.5) (41.0) 인도네시아산 (USD/MMBTU) 17.0 11.0 14.4 15.5 14.7 13.1 8.5 8.5 8.5 8.5 (2.0) (35.5) (19.2) (12.7) (18.2) (26.7) (41.3) (45.4) (42.4) (35.2) 국내도입단가 (CIF) 848.0 549.1 707.2 741.6 700.0 680.0 398.6 416.6 402.9 376.4 (10.4) (35.3) (16.2) (8.5) (18.7) (21.0) (43.6) (43.8) (42.4) (44.7) 유연탄 호주산 (USD/톤) 75.1 61.6 65.6 66.5 65.8 64.4 54.5 53.4 54.3 55.9 (17.1) (18.0) (20.6) (23.9) (19.5) (18.0) (16.9) (19.8) (17.4) (13.3) 국내도입단가 (CIF) 92.2 73.9 82.0 84.2 79.4 82.3 59.3 61.4 56.4 60.1 (9.9) (19.8) (16.2) (15.6) (20.2) (12.5) (27.7) (27.1) (28.9) (27.0) 석유제품 (USD/bbl) 휘발유 111.0 69.4 67.1 57.0 70.6 73.7 49.5 50.6 45.0 52.9 (6.9) (37.4) (43.6) (51.6) (41.0) (38.2) (26.3) (11.3) (36.2) (28.3) 등유 112.5 64.7 69.2 62.9 73.6 71.0 42.2 37.7 40.9 47.9 (8.5) (42.5) (43.0) (48.2) (40.0) (40.8) (39.1) (40.1) (44.4) (32.5) 경유 114.0 66.6 69.4 63.5 72.3 72.6 41.5 37.7 40.0 46.9 (8.8) (41.6) (43.7) (48.4) (41.8) (40.8) (40.2) (40.7) (44.6) (35.3) 중유 86.4 45.2 49.2 41.7 53.6 52.4 24.6 22.8 23.8 27.2 (9.3) (47.7) (47.5) (55.7) (43.1) (43.6) (50.1) (45.3) (55.6) (48.2) 프로판 790.8 416.3 458.3 425.0 450.0 500.0 306.7 345.0 285.0 290.0 (7.8) (47.4) (51.5) (57.9) (53.6) (41.5) (33.1) (18.8) (36.7) (42.0) 부탄 810.4 436.7 470.0 470.0 480.0 460.0 341.7 390.0 315.0 320.0 (8.4) (46.1) (50.7) (53.9) (50.5) (47.1) (27.3) (17.0) (34.4) (30.4) 납사 94.3 52.5 52.9 43.9 56.9 58.0 36.5 36.9 33.8 38.9 (6.7) (44.3) (48.6) (58.0) (44.4) (43.1) (31.0) (15.9) (40.6) (33.0) 주 1 ( )는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 2 휘발유는 95RON, 경유는 0.001%, 중유는 고유황중유(180cst/3.5%), 프로판과 부탄은 CP 기준 값 자료: 석유정보망(www.petrnet.c.kr), IMF (primary cmmdity price), 에너지통계월보 20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일차에너지 소비 11 월 12 월 1월 11 월 12 월 1월 석탄 (백만톤) 129.6 133.3 11.2 12.3 11.9 133.2 10.3 12.1 11.5 (1.1) (2.9) (7.4) (5.0) (3.5) (0.1) (7.7) (1.4) (3.2) 원료탄 제외 97.5 95.7 8.0 9.0 8.9 96.4 7.3 9.0 8.4 (0.9) (1.8) (4.1) (1.5) (5.4) (0.8) (8.7) (0.7) (4.7) 석유 (백만 bbl) 825.2 821.5 68.1 75.0 74.1 855.1 74.1 79.7 77.7 (0.3) (0.5) (4.2) (0.2) (5.4) (4.1) (8.8) (6.3) (4.8) 비에너지유 제외 405.0 388.5 32.3 36.3 34.0 411.1 37.0 39.2 39.2 (1.4) (4.1) (8.4) (2.8) (4.9) (5.8) (14.4) (7.8) (15.1) LNG (백만톤) 40.3 36.6 3.2 4.7 4.3 33.4 2.7 3.7 4.4 (4.7) (9.0) (16.2) (1.0) (5.4) (8.7) (13.9) (21.7) (3.5) 수력 (TWh) 8.4 7.8 0.6 0.6 0.5 5.9 0.4 0.4 0.5 (9.7) (6.8) (3.7) (12.0) (2.5) (24.2) (35.7) (29.6) (16.5) 원자력 (TWh) 138.8 156.4 12.0 13.7 14.2 164.8 14.8 15.2 15.4 (7.7) (12.7) (2.7) (14.8) (4.9) (5.3) (23.0) (11.1) (8.3) 기타 (백만 te) 9.0 11.0 0.9 1.0 1.0 11.5 1.1 1.1 1.1 (11.8) (21.9) (19.8) (20.3) (2.8) (5.4) (16.4) (10.2) (15.9) 총에너지 (백만 te) 280.3 282.9 23.5 27.5 26.7 285.0 23.9 27.1 27.5 (0.6) (0.9) (2.0) (3.5) (2.2) (0.7) (1.6) (1.5) (3.3) 비에너지유 제외 227.9 229.0 19.0 22.6 21.7 229.8 19.2 22.0 22.8 (0.5) (0.5) (2.3) (3.8) (1.4) (0.4) (1.1) (2.9) (4.9) 원료용 제외 205.5 202.7 16.8 20.4 19.5 204.1 17.1 19.8 20.6 주: p 는 잠정치, ( )는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 (%) (0.4) (1.4) (4.4) (2.6) (1.8) (0.7) (1.9) (2.8) (5.3) 일차에너지 원별 비중 (단위 %) 11 월 12 월 1월 11 월 12 월 1월 석탄 29.2 29.9 30.1 28.2 28.3 29.6 27.4 28.3 26.6 원료탄 제외 21.2 20.6 20.6 19.9 20.2 20.6 18.6 20.1 18.7 석유 37.8 37.1 37.2 35.0 35.5 38.4 39.9 37.9 36.3 비에너지유 제외 19.1 18.0 18.2 17.5 16.9 19.0 20.5 19.2 19.0 LNG 18.7 16.9 17.6 22.3 20.9 15.3 14.9 17.7 20.9 수력 0.6 0.6 0.5 0.5 0.4 0.4 0.3 0.3 0.4 원자력 10.5 11.7 10.8 10.5 11.3 12.2 13.1 11.9 11.8 기타 3.2 3.9 3.9 3.5 3.6 4.1 4.4 3.9 4.1 총에너지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주: p 는 잠정치 에너지수급동향 2016년 4월 21
최종에너지 소비 (단위 백만 te) 11 월 12 월 1월 11 월 12 월 1월 산업 130.9 136.1 11.1 12.0 11.9 136.2 11.3 12.2 11.9 (2.0) (4.0) (0.7) (0.9) (1.9) (0.1) (1.7) (1.9) (0.6) 수송 37.3 37.6 3.2 3.3 3.1 39.9 3.4 3.4 3.4 (0.5) (0.8) (2.4) (2.8) (4.6) (6.1) (5.3) (3.7) (9.0) 가정 상업 37.3 35.5 3.1 4.7 4.9 36.3 3.1 4.2 5.0 (1.4) (5.0) (5.7) (7.3) (4.4) (2.2) (1.7) (9.4) (3.2) 공공 4.7 4.7 0.4 0.5 0.5 5.1 0.5 0.5 0.5 (2.1) (0.2) (7.5) (9.9) (8.5) (8.8) (14.3) (1.1) (2.4) 최종에너지 210.2 213.9 17.8 20.5 20.4 217.5 18.2 20.4 20.9 (1.0) (1.7) (0.9) (2.8) (3.0) (1.7) (2.1) (0.4) (2.5) 석탄 (백만톤) 49.5 53.1 4.5 4.8 4.3 52.3 4.3 4.7 4.3 (2.3) (7.1) (3.1) (4.8) (2.2) (1.3) (5.1) (1.6) (0.2) 석유 (백만 bbl) 799.1 808.5 67.5 73.9 73.0 840.7 71.7 77.3 75.1 (0.3) (1.2) (2.0) (1.3) (6.4) (4.0) (6.2) (4.6) (2.9) 전력 (TWh) 474.8 477.6 38.7 42.6 45.4 483.6 38.9 41.8 44.7 (1.8) (0.6) (0.5) (1.8) (3.8) (1.3) (0.3) (2.0) (1.7) 도시가스 (십억 m 3 ) 23.9 22.1 1.9 2.9 3.0 20.9 1.7 2.5 3.1 (0.5) (7.5) (11.7) (1.3) (2.4) (5.5) (8.8) (13.9) (2.7) 열 기타 (천 te) 9.6 11.0 0.9 1.2 1.1 11.6 1.1 1.2 1.3 주: p 는 잠정치, ( )는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 (%) (7.9) (15.2) (11.8) (18.3) (3.0) (5.1) (17.1) (2.9) (15.4) 최종에너지 소비 비중 (단위 %) 11 월 12 월 1월 11 월 12 월 1월 산업 62.3 63.6 62.3 58.6 58.3 62.6 62.1 59.9 57.3 수송 17.8 17.6 17.9 16.2 15.4 18.4 18.5 16.8 16.4 가정 상업 17.8 16.6 17.5 22.8 23.9 16.7 16.9 20.7 24.1 공공 2.2 2.2 2.3 2.5 2.3 2.3 2.5 2.5 2.2 최종에너지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석탄 15.5 16.6 16.7 15.5 14.1 16.1 15.5 15.3 13.8 석유 48.4 48.1 48.5 46.1 45.6 49.3 50.2 48.4 45.9 전력 19.4 19.2 18.7 17.9 19.2 19.1 18.4 17.6 18.4 도시가스 12.1 10.9 11.0 14.9 15.5 10.2 9.9 12.9 15.5 열 기타 4.6 5.2 5.3 5.6 5.6 5.3 6.0 5.8 6.4 주: p 는 잠정치 22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에너지 설비 관련 통계 2013 년 2014 년 2015 년 2016 년 11 월 12 월 1월 11 월 12 월 1월 총 발전용량 (GW) 87.0 93.2 92.8 93.2 94.1 97.6 97.6 97.6 98.2 (6.3) (7.2) (6.8) (7.2) (8.0) (4.8) (5.2) (4.8) (12.6) 원자력 20.7 20.7 20.7 20.7 20.7 21.7 21.7 21.7 21.7 (0.0) (0.0) (0.0) (4.8) (4.8) (4.8) (4.8) 유연탄 23.4 25.9 25.9 25.9 25.9 26.2 26.2 26.2 26.2 (10.7) (10.7) (10.7) (7.5) (1.1) (1.1) (1.1) (8.7) 가스 23.8 30.3 29.9 30.3 31.0 32.2 32.2 32.2 32.1 (18.3) (27.2) (25.7) (27.2) (20.2) (6.5) (7.8) (6.5) (24.5) 정제 용량 (백만 BPSD) 3.0 3.0 3.0 3.0 3.0 3.0 3.0 3.0 3.1 (0.7) 주: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자료: 전력통계속보 에너지 소비 관련 통계 2013 년 2014 년 2015 년 2016 년 11 월 12 월 1월 11 월 12 월 1월 도시가스 수요가수 (백만) 16.4 16.9 16.7 16.9 16.9 17.4 17.3 17.4 17.5 (4.0) (3.1) (3.1) (3.1) (3.4) (2.9) (3.0) (2.9) (6.6) 자동차 등록대수 (백만대) 19.4 20.1 20.1 20.1 20.2 21.0 20.9 21.0 21.1 (2.8) (3.7) (3.5) (3.7) (3.7) (4.3) (4.2) (4.3) (8.2) 휘발유 9.4 9.6 9.6 9.6 9.6 9.8 9.8 9.8 9.8 (1.3) (2.0) (1.8) (2.0) (2.0) (2.3) (2.2) (2.3) (4.3) 경유 7.4 7.9 7.9 7.9 8.0 8.6 8.6 8.6 8.7 (5.6) (7.3) (7.1) (7.3) (7.4) (8.6) (8.5) (8.6) (16.6) LPG 2.4 2.3 2.3 2.3 2.3 2.3 2.3 2.3 2.3 (1.0) (2.3) (2.2) (2.3) (2.5) (3.4) (3.4) (3.4) (5.8) 하이브리드 0.1 0.1 0.1 0.1 0.1 0.2 0.2 0.2 0.2 (48.9) (40.0) (39.4) (40.0) (40.6) (31.3) (31.6) (31.3) (81.5) 주: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에너지수급동향 2016년 4월 23
KEEI 에너지수급동향 mnthly ENERGY TRENDS (2016, n.49) KEEI 에너지수급동향은 우리나라 에너지경제지표를 신속하게 분석 제공함으로써 정부와 산업계의 에너지 정책 및 시장전략 수립에 활용되도록 작성됩니다. 본 에너지수급동향에 수록된 에너지경제지표는 향후 확정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갱신 예정입니다. 본 보고서에 대한 의견과 질문은 EnergyOutlk@ Keei.re.kr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에너지정보통계센터 에너지수급연구실 발행인 박주헌 / 편집인 강병욱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우)44543 www.keei.re.kr / ISSN 22872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