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호 (2015. 8월) KEA CEO Report Ⅰ. 산업경제 Focus... 01 - 드론(DRONE)의 대중화 Ⅱ. 2015년 7월 ICT 수출입 통계... 11 Ⅲ. KEA 주요소식... 14 작성 : KEA 조사분석센터 (02-6388-6057, mschoi@gokea.org)
I 산업경제 Focus 드론(DRONE)의 대중화 - 군사용으로 시작된 무인항공기는 운송/택배, 통신/중계, 항공촬영에서 확대되어 레저/취미용으로 일상 속으로 - 목 차 I. 드론이란 1. 드론의 역사 2. 드론의 명칭 3. 드론의 구분 II. 상업용 드론 시장의 개화 1. 시장 규모 2. 대중화 촉발 3. 드론의 현재와 미래 III. 시장 활성화를 위한 규제정비 상업용 드론 제조업체 현황 일 러 두 기 드론의 대중화 자료는, 증권사/경제연구원/공공연구기관 등의 자료를 토대로 본회 조사분석센터에서 가공 재정리한 자료입니다. 2회차(47호/48호)에 걸쳐 게재함을 알려드립니다.
Ⅱ. 상업용 드론 시장의 개화 1. 시장 규모 드론(Drone, 무인비행체)은 군사적인 용도로 활용되어 왔지만, GPS 기술발달 등에 따라 민간에서도 다양한 활용방안에 나서고 있으며, - 특히 대형 글로벌 IT기업들이 잇따라 참여하면서 상업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 상업용 드론 시장 규모는 향후 규제 동향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나, 관련 기관들은 2033년 100억 달러 이상 규모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 - 글로벌인포메이션은 세계 무인기 시장이 연평균 10% 성장해 2033년에는 125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고, 특히 민간 무인기 시장은 연평균 35% 증가하여 8.8억 달러 규모로 예측 - BI인텔리전스는 2033년 세계 드론 시장 규모는 117억 6천만 달러에 이르며 이 중에서 군사적 목적이 아닌 상업적 용도의 드론 시장은 약 12%(14억 달러)로 예상 - 미국 방위컨설팅사 틸그룹은 무인 항공기 시장 규모를 2014년 64억 달러에서 2024년에는 두배 수주인 115억 달러에 이르는 등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 <무인항공기 시장규모 > 3
2. 대중화 촉발 CES 2015'에서 독립부스로 전시된 드론 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며, 드론을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확산 시작 그동안 드론은 군사용 목적용으로 각광을 받으며, 최근 'CES 2015' 에서 독립부스로 전시되며 드론에 대한 관심 고조 2015년 1월 세계 ICT업체의 축제인 CES 2015'에서 가장 크게 주목되는 부분은 바로 드론 전용관 설치 (니스랩스, 미국) 손목 착용형 웨어러블 드론 개발. 손목에 차고 다니다가 필요할 때 던지면 시계줄이 날개처럼 펴져서 비행. 사용자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자율비행과 부메랑처럼 주인에게 돌아오는 복귀기능도 있음 <니스랩스 손목형 드론> (인텔, 미국) 6개의 3D(입체) 카메라를 탑재한 드론이 주위환경을 인식해 장애물을 피하는 모습 시연. 비행 중 사람이 접근하면 뒤로 물러서는 기능까지 가지고 있어 관람객들을 놀라게 함 4
(DJI, 중국) 일반 소비자대상 1위 공급업체로서, 고해상도 4K카메라 탑재와 배터리(18분)가 소진되면 자동 복귀기능이 있는 Inspire 1 드론 전시 및 시연 <비행 시연 중인 DJI사의 드론> <DJI의 대표 제품 Inspire 1'> (패롯 Parrot, 프랑스) 풀HD 카메라와 GPS가 내장되어 비행 후 자동으로 집에 돌아오는 기능을 갖추고 있는 레저용 Bebop Drone'과 전문가용 드론인 exom', 'ebee' 등을 공개 (AEE, 중국) 4개의 프로펠러를 장착한 10여대의 드론에, 다수의 소형 캠코더를 연결하여 방문객의 모습을 보여주는 시연 <Parrot Bebop Drone' 시연> <AEE의 드론 시연> 5
3. 드론의 현재와 미래 개발초기 군사용으로만 이용되던 드론이 물자수송, 교통관제, 보안 등의 분야로 확대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영화 및 예능의 촬영용으로도 활용되는 등 적용 분야 확대 아마존은 자체개발 한 드론 옥터콥터(Octocopter)'을 이용한 물류 서비스를 추진중이며, 구글과 페이스북은 드론을 이용한 인터 넷 통신망 연결 프로젝트를 각각 진행 중 BP(British Petroleum)는 알래스카의 송유관 파손 점검에, NASA는 허리케인 중심부의 데이터 수집에, 중국은 스모그 등 환경 관련 감시용으로 사용하거나 이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농약 및 사료 살포용으로 무인기가 사용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미 무인항공기가 이용 드론을 품은 컨셉카인 르노의 크위드, 드론을 통해 영화촬영을 진행해주는 제작사 드론 듀즈, 신흥국 오지에 구호물품 전달 드론을 개발한 Matternet 등 적용 범위는 더욱더 넓어지고 있음 <과거 현재 미래> 자료 : 각 사 및 언론자료, KB투자증권 6
< 다양한 드론 적용 계획 및 사례> 분야/기업/제품 물류분야 통신망 분야 BP(기업) Urban Aeronautics(기업) Matternet(기업) Aerosonde(제품) Electrolux(기업) WWF(세계자연보호기금) AUVS(국제무인기협회) Insitu(기업) 주요 내용 UPS, DHL, 아마존 프라임에어 서비스 페이스북, 구글 등은 전세계 인터넷망 연결 사업에 드론을 이용할 계획 발표 알래스카 North Siope 송유관 파손 여부 점검에 드론을 이용할 계획 응급환자 수송용 구급차 드론 AirMule 개발 중 신흥국 오지에 의약품, 구호 물품을 전달하는 드론 개발 중 기상관측 무인기, 허리케인 중심부의 데이터 수집등 미래 청소 시스템으로 다수의 드론이 협력하여 청소하는 Map의 개념 제시 멸종위기에 있는 동물을 드론으로 파악, 보호 및 구조활동 진행 드론을 이용해 씨를 뿌리고 농약을 살포하는 등 농업 기계화 진행 Scan Eye'드론을 통해 알래스카에서 빙하와 고래의 이동을 연구, 약 1억원선, 보잉의 자회사 자료 : LG경제연구소, 언론자료, KB투자증권 <페이스북 구상 드론> <MatterNet의 구호물품 전달 드론> 7
Ⅲ. 향후 시장 활성화를 위한 규제 정비필요 군사 영역을 넘어 상업용 드론 시장이 본격화되기 위해서는 관련 법규가 정비되고 규제가 완화되어야 함 (미국) 미국에서 드론은 취미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으며 리모컨으로 조정하는 최소형 드론을 400피트 상공에서만 비행하도록 허락 -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상업용 드론을 실제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미 연방항공청(FAA)의 승인이 필요함 - 오바마 대통령이 2012년 2월 14일 미국의 민간 무인항공기 사용을 전면 허용하는 2012 현대화 개정 법률 에 서명하였으며, 이 법안에 의해 FAA는 2015년 9월30일까지 관련 규정의 개정 및 상업용 무인기 가이드 라인을 마련한다는 방침 - 또한 미국에서는 드론의 연구 및 테스트를 담당할 6개 지역(알래스카, 네바다, 뉴욕, 노스다코다, 텍사스, 버지니아)의 기관 및 단체를 선정하여 시범 테스트를 진행 - 구체적으로 연방항공청은 최고 속도 100마일(161Km/h) 미만으로 비행, 적재용량 55파운드(25Kg)제한, 드론면허 취득사항 등을 준수할 경우 상업용 드론의 활용을 허락할 예정 (EU) 명확한 규제 기준 수립으로 드론 사업자의 불확실성 해소 - 미국에 이어 2015년 3월 유럽항공안전기구(European Aviation Safety Ahency, EASA)역시 드론 규제 가이드라인*을 발표 * Concept of Operations for Drones - 유럽항공안전기구의 드론 규제 가이드라인은 500g 미만의 소형 드론부터 민간 항공기 수준의 대형 드론까지 모든 드론에 대한 규제 사항을 포괄하는 것이 특징 8
- 유럽항공안전기구는 드론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위험성의 수준을 크게 세 가지로 상정한 후 각 상황에 적합한 규제안을 제시 - 규제 내용은 위험성 정도에 따라, 개방적 항목, 구체적 항목, 인증이 필요한 항목으로 구분 < EU 위험성 수준에 따른 항목> 구 분 주 요 내 용 개방적 항목 구체적 항목 인증 필요항목 사고의 위험성이 가장 적은 드론은 최소한의 규제 시스템 적용 (500g미만의 드론에 대해 적용) - 안전 및 안보 위협을 방지하기 위해 공항, 군사지역 등에서는 고도 500ft(150m)를 넘어선 비행 금지 - 유럽 각 국의 경찰이 드론 관리를 담당 - 드론 조종자로부터 500m이내 비행 한정 등의 규정을 적용 드론으로 인한 사고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각종 안정상의 원칙이 포함 (규제 당국이 안전성 검사를 직접 시행) - 드론이 비행 중에 받는 공기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지 여부 - 드론 운용 절차의 안정성 여부 - 드론 조정자의 능력 - 드론과 리모톤의 신호지연 정도 등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술 요소의 포함 일반 항공기 수준의 드론 운용에 대한 규정이 포함되며, 드론을 운용할 경우 민간 항공기 수준의 면허 취득이 요구 (한국) 드론이 초경량 비행장치 중 무인비행장치에 해당하여 비료, 농약살포, 산림 및 해상 측량, 사진촬영 등과 일부 대여업에만 허용되고 있음 - 상업용 드론의 본격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국내에서도 제도적 정비가 필요한 상황이며, 최근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안전관리 기술 및 운용 기술을 만들며, 취미용이나 사업용 드론에 상관없이 모든 조종자가 지켜야 할 준수 사항을 공개(2015.5.27일) 항공법에서 정한 조종자 준수사항 에 따르면 무게와 비행목적 등에 관계없이 1 일몰 후 야간비행 비행장 반경 5.5Km이내, 2비행금지구역(휴전선 인근, 서울도심 상공 일부 등), 3 150m이상 고도(항공기 비행항로가 설치된 공역), 9
4 인구밀집지역 또는 사람이 많이 모인 곳의 상공에서의 드론 비행은 허용되지 않음, 비행금지 장소에서 비행하려는 경우 지방항공청 또는 국방부의 허가 필요 - 또한, 정부에서는 제6차 산업기술혁신계획에 따라 고속/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시스템에 대한 정책적 지원 사업 지속 < 정책적 지원 : 제6차 산업기술혁신계획(2014 2018)> 4대분야 13개 대형 융합과제 <시스템 산업> -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 자율주행 자동차 - 고속/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시스템 - 첨단소재 가공시스템 - 국민 안전-건강 로봇 <소재, 부품 산업> - 탄소소재(플라스틱 기반 수송기기 핵심소재) - 첨단산업용 비철금속 소재(티타늄 소재) <에너지 산업> - 고효율 초소형화 발전시스템 - 저손실 직류 송배전시스템 <창의 산업> -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 나노기반 생체모사 디바이스 - 가상훈련 플랫폼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안전성 및 보안) 무인항공기인 드론은 유인항공기에 비해 높은 사고율과 운용 단가, 비행공역에서의 충돌, 추락 등의 위험성과 프라이버시 침해, 해킹 등으로 악용될 수 있는 보안 문제 존재 - 가장 중요한 안전성 부분인 충돌 및 추락에 따른 사고 위험성이며, 이에 TCAS(Traffic Collision Acoidance System)과 같은 충돌감지 및 회피시스템을 꼭 갖춰야 하며, - 소형 드론에까지 적용 가능한 시스템들의 개발이 지속 이루어져야 함 또한 주파수 분할, 공역 등에 가이드라인 마련 등 법적, 제도적 기반의 조성도 요구 됨 10
Ⅱ '15년 7월 ICT 수출통계 15년 7월 ICT수출 요약 (총 괄) '15년 7월 ICT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3.9% 감소한 137.1억달러, 수입은 5.8% 증가한 75.7억달러, 무역수지는 61.4억달러 흑자 * 수출(억달러, 증감율) : ( 14.7) 전체산업 482.0(5.2% ) / ICT산업 142.7(1.5% ) ('15.7) 전체산업 466.19(3.3% ) / ICT산업 137.1(3.9% ) (품목별) 반도체는 팹리스, 패키징 등을 중심으로 6.2% 증가, 디스플 레이패널은 해외생산 확대와 중소형 단가하락 등으로 15.1% 감소, 휴대폰은 애플, 샤오미 등 글로벌 경쟁 심화와 해외 생산 확대로 완제품을 중심으로 16.0% 감소 * 품목별 수출 : (반도체) 51.4억달러, 6.2%, (컴퓨터및주변기기) 4.6억달러, 13.2%, (휴대폰) 19.4억달러, 16.0%, (디스플레이패널) 21.0억달러, 15.1% (지역별) 선진국은 부진하였으나, 신흥국 수출은 증가 ㅇ (중국) 반도체(33.1억달러, 14.1% ), 휴대폰(7.4억달러, 2.1% ) ㅇ (미국) 반도체(27.0억달러, 13.0% ), 휴대폰(4.8억달러, 35.8% ) ㅇ (E U ) 패널(1.3억달러, 49.4% ), 휴대폰(0.6억달러, 72.9% ) 국내 무역규모 (단위 : 억 달러, %) 수 출 수 입 무역수지 구 분 전체산업 ICT산업 전체산업 증감 ICT산업 증감 전체산업 ICT산업 2012년 5,478.7 1,552.4-0.9 5,195.8 779.5-4.4 282.9 772.8 2013년 5,596.3 1,694.1 9.1 5,155.6 808.2 3.7 440.5 885.9 2014년 5,726.6 1,738.5 2.6 5,255.1 875.7 8.3 471.5 862.9 상반기 2,832.1 837.9 3.2 2,633.2 422.4 7.7 198.8 415.6 하반기 2,894.6 900.6 2.1 2,621.9 453.3 9.0 272.7 447.3 7월 482.0 142.7 1.5 458.6 71.5 5.8 23.4 71.2 2015년 3,153.1 972.7-0.8 2,612.0 515.4 4.4 541.0 457.3 7월 466.1 137.1-3.9 388.5 75.7 5.8 77.6 61.4 11
주요 품목별 수출실적 구 분 2014년 7월 당월 2015년 (단위 : 백만 달러, %) 7월 누계 금액 증가율 비중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비중 ICT 전체 173,851 2.6 100.0 13,710-3.9 97,270-0.8 100.0 정보통신기기 147,429 3.3 84.8 11,409-6.6 81,955-1.3 84.3 ㅇ전자부품 100,263 3.5 57.7 7,998-1.2 56,165 1.0 57.7 - 반도체 62,647 9.6 36.0 5,138 6.2 36,132 6.0 37.1 메모리반도체 33,984 33.2 19.5 2,821-1.4 19,263 4.2 19.8 시스템반도체 22,518-9.8 13.0 1,761 19.7 13,355 11.6 13.7 - 평판디스플레이패널 28,377-3.2 16.3 2,097-15.1 14,898-8.2 15.3 - 전자관 24-7.9 0.0 1-68.7 8-54.2 0.0 - 수동부품 1,652-0.1 1.0 141-4.4 1,019 4.6 1.0 - 접속부품 6,827-6.9 3.9 589 1.8 3,794-1.8 3.9 - 기타전자부품 183 38.3 0.1 12-17.4 97-14.0 0.1 ㅇ컴퓨터 및 주변기기 7,037-1.5 4.0 465-13.2 4,103 6.3 4.2 - 컴퓨터 764-34.3 0.4 38 27.9 241-50.7 0.2 - 주변기기 5,453 11.0 3.1 366-16.6 3,452 19.6 3.5 HDD 2,856 23.2 1.6 209-4.4 2,149 44.6 2.2 프린터 669-8.6 0.4 47-25.6 420 7.9 0.4 모니터 1,518 16.0 0.9 77-40.6 676-12.6 0.7 - 컴퓨터부품 551-34.1 0.3 45-7.2 266-21.4 0.3 - SW 및 콘텐츠 269 14.1 0.2 15-13.7 145-1.4 0.1 ㅇ통신 및 방송기기 29,741 7.8 17.1 2,155-16.7 17,001-0.9 17.5 - 통신기기 29,490 7.9 17.0 2,131-17.0 16,872-0.9 17.3 유선통신기기 760 7.2 0.4 61-25.6 396-12.3 0.4 무선통신기기 28,729 7.9 16.5 2,070-16.7 16,476-0.6 16.9 휴대폰(부분품 포함) 26,439 6.3 15.2 1,942-16.0 15,345-0.4 15.8 - 방송국용 기기 251 3.6 0.1 24 18.3 128-9.6 0.1 ㅇ영상 및 음향기기 9,637-7.5 5.5 733-22.0 4,285-27.9 4.4 - 영상기기 7,078-9.4 4.1 548-24.2 3,005-32.2 3.1 TV 6,781-8.7 3.9 520-25.4 2,833-33.4 2.9 LCD TV 1,380 16.8 0.8 89-17.4 669-10.4 0.7 TV 부분품 5,199-12.8 3.0 422-26.5 2,139-36.4 2.2 - 음향기기 1,508-4.2 0.9 110-9.0 759-13.8 0.8 - 기타 영상음향기기 1,051 2.6 0.6 75-22.4 522-17.9 0.5 셋탑박스 305 10.6 0.2 21-22.9 149-26.0 0.2 ㅇ광자기매체 752 8.4 0.4 59-0.9 400-3.3 0.4 정보통신응용 기반기기 26,423-1.2 15.2 2,301 12.3 15,316 1.7 15.7 ㅇ의료정밀광학기기 8,869 5.5 5.1 751 6.2 5,372 13.3 5.5 ㅇ가정용 기기 5,165 4.3 3.0 390-16.3 2,697-12.6 2.8 ㅇ사무용 기기 및 장비 445-2.8 0.3 21-33.7 217-8.3 0.2 ㅇ전기 장비 11,943-7.5 6.9 1,139 35.0 7,029 0.6 7.2 - 일차전지 및 축전지 4,894 2.0 2.8 414 0.0 2,627-8.6 2.7 * 수상기, 폐쇄회로TV 등 기타 방송국용기기도 일부 포함 12
주요 지역별 수출실적 (단위 : 백만 달러, %) 2015년 2014년 구 분 7월 당월 7월 누계 금액 증가율 비중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비중 전세계 173,851 2.6 100.0 13,710-3.9 97,270-0.8 100.0 ㅇ 아시아 124,778 3.2 71.8 10,215 3.6 72,838 4.8 74.9 - 중국(홍콩포함) 88,610 3.6 51.0 7,244 4.4 50,904 4.3 52.3 - 일 본 6,158-11.4 3.5 399-25.4 3,381-7.0 3.5 - ASEAN 21,599 1.2 12.4 2,088 25.8 14,135 16.2 14.5 싱가폴 5,328-17.2 3.1 335-18.0 2,744-9.7 2.8 인 니 785-4.1 0.5 51-17.6 399-16.4 0.4 말 련 2,102 10.3 1.2 156-15.2 1,134-7.6 1.2 태 국 1,192 3.0 0.7 92-24.4 652-2.7 0.7 베트남 8,503 4.9 4.9 1,131 96.6 6,853 44.0 7.0 - 대 만 5,634 8.6 3.2 316-37.2 2,967-12.6 3.1 - 인 도 2,341 54.0 1.3 144-20.0 1,258-0.0 1.3 ㅇ 북미 17,569 1.2 10.1 1,369-15.2 9,543-5.9 9.8 - 미 국 16,863 3.8 9.7 1,316-15.5 9,193-5.6 9.5 - 캐나다 588-41.0 0.3 47-1.9 293-13.1 0.3 ㅇ 유럽 15,890 0.7 9.1 1,013-27.6 6,892-26.2 7.1 - EU 13,246-1.8 7.6 832-27.9 5,766-26.6 5.9 영 국 1,389 18.6 0.8 94-12.9 648-19.8 0.7 독 일 2,187-2.2 1.3 139-29.6 972-27.4 1.0 프랑스 719-26.5 0.4 48-30.3 314-32.8 0.3 이탈리아 433-5.2 0.2 19-49.7 166-43.5 0.2 - 러시아 1,144-6.4 0.7 66-41.3 345-48.7 0.4 ㅇ 중동 4,880 8.8 2.8 322-24.3 2,554-8.7 2.6 - 사우디 505 0.2 0.3 67 37.3 408 38.9 0.4 - UAE 1,597 12.1 0.9 96-32.4 741-22.7 0.8 ㅇ 중남미 9,503 0.3 5.5 694-18.8 4,810-13.0 4.9 - 브라질 4,022-2.8 2.3 154-56.2 1,735-27.5 1.8 - 멕시코 4,678 6.8 2.7 441 6.2 2,513-3.2 2.6 - 칠 레 170-10.0 0.1 11-54.3 95-7.4 0.1 ㅇ 대양주 709-15.4 0.4 63-12.7 370-12.8 0.4 - 호 주 618-17.3 0.4 53-17.6 320-13.2 0.3 ㅇ 아프리카 506 1.2 0.3 31-31.2 257-18.9 0.3 ㅇ 브 릭 스 77,889 4.5 44.8 5,918-3.9 43,054 0.2 44.3 13
Ⅲ KEA 주요소식 KEA, 기후변화와 ICT 친환경 대응전략 세미나 (2015. 7. 16(목)) ㅇ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는 최근 전자 IT 제품의 글로벌 환경 이슈 동향을 공유, 친환경 제품 R&D를 통한 경쟁력 확보 전략 논의 - 주요 내용으로, 기후변화와 친환경 전략으로서의 기회 ICT 친환경 제품 설계 전략 사례 최근 전자 IT 제품의 글로벌 환경이슈 동향 등 KEA, 전자 IT분야 베트남 투자 및 시장조사단 (2015. 7. 13(월) ~ 17(금)) ㅇ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는 전자 IT분야 기업의 베트남 진출 지원 및 해당국과의 교류를 통한 베트남 진출 기반 마련 - 주요 행사로는, 베트남 투자 및 시장환경 세미나 베트남 정부기관 및 현지기업과 비즈니스 상담 현지지출 한국기업과의 비즈니스 간담회 등 * LG전자, 휴맥스, 제이앤에치텍, 팀에프티에스, 파TM컴, 에스엔지, 진명통신, 디에이치테크, 기성전선, RXO그룹, 엠시스, 멀티마인드, 신한다이아몬드, 리빙케어 등 14개사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