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2 제60회 공개강좌 자료집 내지.hwp

Similar documents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단양군지


untitled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안테나/한지해(001~025)


지표조사-김해한림면용덕리 산1-5 -본문.hwp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BCBCC1BE20C0E5B1BAB8E920B4EBB1B3B8AE D34B9F8C1F620C0CFBFF820B1B9BAF1C1F6BFF8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E687770>

지표조사보고제 집 세종송학리산 10-9 번지관상수식재사업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지표조사보고제 집 서산음암면도당리산 9-5 번지위험물처리및저장시설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한국사능력검정시험-부속물.indd

AB hwp

지표2권1-273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¹ßÇ¥¿äÁö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국사관논총103집(전체화일)

<C3CAC1A DC1DFB1B92E687770>

속표지(도큐)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나) 유적 유물현황 <표 121> 포석계 기암곡 유적 유물현황 유적명칭 제1사지 (장구절터) 유적내용 건물지 축대,초석,장대석,문지도리석 불상 탑 및 석등 기타 비고 석조여래좌상 국립경주박물관 탑1 일실 제2사지 (바둑바위아래절터) 대, 초석 다수 탑 2, 석등 1 買

토픽 31호( ).hwp

1 - Ⅰ. 조사개요 유적명 : 적성일반산업단지진입도로개설공사구간내유적 허가번호 : 제 호 소재지 : 경기도파주시적성면가월리 일원 조사유형 : 발굴조사 조사기간 : 2014년 03월 25일 년 05월 23일 ( 현장조사 15일 )

exercise 0 자료 따지기 한국사의 바른 이해 0초 20. 9급 지방직 00 다음과 같은 주장에 가장 적합한 역사 서술은? 역사가는 자기 자신을 숨기고 과거가 본래 어떠한 상태에 있 었는가를 밝히는 것을 자신의 지상 과제로 삼아야 하며, 이 이 주제에서는 역사의


2012년도 제1차 운영위원회

7 청보 ( 對 삼성 )~4. 5( 對 빙그레 ) NC ( 對 롯데 )~4. 10( 對 LG) 팀별 연패 기록 삼 미 18 연패 ( ~4. 29) 쌍방울 17 연패 ( ~10. 5) 롯 데 16 연패 ( 0

전체.indb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Ⅰ. 조사개요 조사명 : 서울종로구자하문로 33 길 22-6( 청운동 52-2 번지 ) 건물신축부지 문화재표본조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종로구자하문로 33 길 22-6( 청운동 52-2 번지 ) 조사유형 : 표본조사 조사면적 : 총 m2 조사기간 : 2015

<5B DB4EBC7D0BFE4B6F D B1E2B1B82E687770>


그렇지만 여기서 朝 鮮 思 想 通 信 이 식민본국과 피식민지 사이에 놓여 있는 재조선일본인의 어떤 존재론적 위치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식민본국과 피식민지의 Contact Zone 에 위치한 재조선일본인들은 조선이라는 장소를 새로운 아이덴티티의 기

지표조사보고제 집 당진우강면원치리산 6-3 번지태양광발전시설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C4A5B0EE20B3ABBBEAB8AE B9F8C1F620B1D9BBFDBDC3BCB3BACEC1F6B3BB20B8C5C0E5B9AEC8ADC0E720B1B9BAF1C1F6BFF820C1F6C7A5C1B6BBE720B0E1B0FABAB8B0EDBCAD2E687770>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Journal of Gεography (Jirihak Nonchong) Monography Series 45 Apr.2002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the Capita



untitled

Ⅰ. 조사개요 조사명 : 서울성북구성북로 15 길 21 근린생활시설신축부지내유적문 화재시굴조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성북구성북로 15 길 21( 성북동 번지 ) 허가번호 : 문화재청제 호 ( ) 조사면적 : 총 125 m2

<B0EDBCBA20C0B2B4EB20B3F3B0F8B4DCC1F6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8C3DFB0A1BCF6C1A4BABB292E687770>


< D313620B1E8C1A620BCF8B5BF20B3F3BEF7BFEBC3A2B0EDBDC5C3E0BACEC1F620B1B9BAF1C1F6BFF8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E687770>

<694D424320B5B6C7D0C7D0C0A7C1A620B1B3BEE7B0F8C5EB2031B4DCB0E820B1B9BBE F37B1B3292E687770>

#(198~243)교과서한지7ok


제국주의로서의 근대일본자유주의

<C7D5BABB2E687770>

見 積 書

제20대국선후보자명단.hwp

<3133B9E9C1BEBFC028C3E2C6C7BBE7BFEB292E687770>

특별전을 열며 이번 묻혀진 백제문화로의 산책 - 한성백제 특별전은 우리 박물관 개관 10주년을 기념하여 기획된 전시 입니다. 지난 겨울에 열렸던 우리 곁의 고구려 전에 이어 경기도의 삼국시대 문화를 조명하는 뜻 깊은 자 리이기도 합니다. 한성백제는 첫 도읍지인 한성의

대해서 대해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交 通 放 送 은 96 年 상반기도 한 달여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우리 交 通 專 門 放 送 으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모든 일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委 員 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러분께서 더욱더 사랑 그러면

Ä¡¿ì³»ÁöÃÖÁ¾


역대국회의원_PDF변환용.hwp

JCAK 09

HWP Document

세종대학교 박물관 학술조사보고서 제78책 제천 평동 광암 고인돌 발굴조사 보고서 하문식 황보 경 이상규 문창희 김재은 유가혜 2015 제 천 시 세종대학교 박물관


모두 언어와 상관없이 시국적 내용이다. 발표매체별 집필 수(K=조선어 N=일본어) 1939년 기사 등 K 文 章 3 三 千 里 2(좌담2포함) 女 性 1 作 品 1 東 亜 日 報 1 N 国 民 新 報 2 소설 K 文 章 년 기사 등 K 三 千 里 10(좌담4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652DB7AFB4D720BFECBCF6B1E2BEF720BAB8B5B5C0DAB7E E687770>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박광현발표.hwp

<C1F6C7A5C1B6BBE7BAB8B0EDBCAD3134C1FD2E687770>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untitled

제13차 매장문화재분과회의 공개회의록.hwp


<C1F6BDC4C0E7BBEABFACB1B85F BCF6C1A42E687770>


장 대 우 ) 申 東 益 문화센터 혁예업무부장직대 (학예업무부 차 白 吉 興 문화센터 영상제작부장직대 (영상제작부 차 崔 萬 變 기획실 인사부 차장(인사2 부 차장대 朴 寬 樹 기획실 기획부 차장(기획조 사부 차장대 한겨레신문 金 斗 植 상무이사(광고국 중앙경제신문 金

신안해저인양 고대선(新安海底引揚 古代船)의 학술적 고찰(學術的 考察)

Reeducation fu r d- // ie deutsche Bevol- kerung ]945~ 年. 博 여론과 선전 林 尚 源 ᄎ철 캘리 포니 평 남평 양 학과 아; 大 매스컴론 매스컴 효과 커 뮤니 케 이 과 교 수 정 佑 錢 42

16 經 學 研 究 集 刊 特 刊 一 墓 誌 銘 等 創 作 於 高 麗 時 代 與 朝 鮮 朝 時 代, 此 是 實 用 之 文 而 有 藝 術 上 之 美. 相 當 分 量 之 碑 誌 類 在 於 個 人 文 集. 夢 遊 錄 異 於 所 謂 << 九 雲 夢 >> 等 夢 字 類 小 說.

<B1B9BFAAC3D1BCAD2DC6EDC1FD D36C2F7BCF6C1A4C0CEBCE2BABB28BFACB5CE2DC0CEB8ED292E687770>

<3429BFC0C1F8BCAE2E687770>

<C3D6C1BE5F C8A320B0F8BAB85F E687770>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88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다. 2) 김종필 오히라 합의에 이르는 청구권 문제의 해결에 관해서는, 한국 측이 청구권을 포기하는 대신 한국 측의 요구에 근접한 금액을 일본 정부가 경제 협력 으로서 무상, 유상(정부 차관)의 방식으로 공여하는, 일본 정부가

Microsoft Word - km doc

14년 광주신세계 추석.pdf

초대의 글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회원여러분 그간 안녕하셨습니까? 어느덧 겨울이 성큼 다가오면서 으스스 추위를 느끼게 하고 있습니다. 재직 중인 회원님들께서는 입시철의 업무와 강요받는 대학 변화의 회오리 속에서, 신진 회원님들께서는 우리 학계의 발전을 기대하면서 연구에 박

슬라이드 1

서 면 삼불산 대정리 도엽번호 고실치 장항소류지 하지산 상가소류지 천황산 시굴조사대상지역(2,478 ) 표본조사대상지역(91,11 ) 입회조사대상지역(6,41 )

항일 봉기와 섬멸작전의 사실탐구

<C6EDC1FD2E687770>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한국 시장경제체제의 특질에 관한 비교제도분석

빈면

Transcription:

2014년 고고학 연구 공개강좌 제60회 뗀석기, 갱신세층과 구석기유적 찾기 이기길 2014.10.25

뗀석기, 갱신세층과 구석기유적 찾기 차 례 1. 구석기시대의 뗀석기란? 2. 구석기가 발견되는 갱신세층의 이해 3. 구석기유적은 어디에서 발견되나? 이기길(조선대 교수 겸 박물관장) 구석기시대의 뗀석기란? 진짜 석기의 판별 요소 뗀석기의 돌감(석재) 자갈면, 뗀면, 켜면, 풍화면의 구별 뗀 방향과 순서 읽어내기 몸돌과 격지 돌날과 좀돌날 몸돌석기와 격지석기 1

진짜 석기의 판별 요소 문제 1) 구석기시대에 사람이 만든 석기와 자연현상으로 깨진 돌의 차이는? 문제 2) 구석기인이 만든 석기와 오늘날 석기전문가가 만든 석기의 차이는? 답1) 진짜 석기는 일정한 형태와 규칙성을 띤다. 주먹도끼는 좌우대칭, 양면대칭, 밀개는 볼록날, 그리고 둘레를 따라 바깥에서 안쪽으로 또는 한 점을 향해서 떼어지거나 잔손질 된다. 답 2) 진짜 석기는 세월의 때(풍화면, patina)가 끼여있다. - 색깔, 면의 곱기, 풍화 정도 등이 다르다. <밀개> <주먹도끼> 뗀석기의 돌감: 개차돌(硅巖), 차돌(石英巖), 반암, 응회암, 규질세일, 유문암, 혼펠스, 흑요석, 수정 2

이처럼 무른 돌로 석기를 만들었나요? 원석면과 풍화면(patina) 원석면 풍화면 자갈면(cortex), 뗀면(scar), 켜면, 그리고 풍화면(patina)의 구별 3

4 뗀면의 구분: 동심원과 방사선은 힘이 어디에서 가해졌는지, 그리고 능선의 겹치는 모습은 뗀 순서와 방향을 알려준다 3 2 1 방사선 동심원 동심원 방사선 도구의 떼기와 잔손질 읽기, 그리고 실측도의 완성 4 1 5 6 2 3 4 또는 6 4 4

몸돌( 石 核, core)의 정의와 부분 이름 격지( 剝 片, flake)의 정의와 부분 이름 자갈면 뗀면 5

체계적이고 복합적인 도구 제작, 돌날 돌날은 石 刃, Blade라고 하며, 길이가 너비(12mm 이상)의 2배 이상 되는 것을 말한다. (Mithen, S. 1996) 좀돌날석기의 판정 시, 제작과정의 부산물 유무와 제작 징표를 확인해야 좀돌날은 돌날처럼 길이가 너비보다 2배 이상 되나, 너비가 12mm보다 작은 것을 가리킨다. 6

몸돌석기(석핵석기, core tools)의 종류 찍개 주먹도끼 주먹자르개 주먹찌르개 주먹찌르개 주먹대패 여러면석기 공모양석기 격지석기(박편석기, flake tools)의 종류 홈날 긁개 밀개 톱니날 뚜르개 슴 베 찌 르 개 새기개 새기개 7

갱신세층(pleistocene)의 이해 진짜 석기의 출토상황(context) 갱신세층(홍적세층)의 개념과 종류 및 분포 한데유적(open sites)의 갱신세층과 문화층 갱신세층의 구분과 편년 지표 유물의 제 층 찾기 진짜 석기의 출토 상황(Context) 문제 1) 석기를 둘러싸고 있는 바탕물질(matrix)은 무엇인가? 문제 2) 석기는 무엇과 같이 나오는가? (association) 답1) 진짜 석기는 갱신세의 퇴적물 안에서 발견된다. 예를 들면 찰흙층, 황토(loess)층, 동굴 안 퇴적층 둥에서 발견된다. 답 2) 진짜 석기는 보통 다른 석기들과 함께 발견된다. 때로 수 십 점에서 수 백, 수 천 점이 일정한 깊이에서 두께를 이루며 드러난다. 8

출토상황(context)의 중요성을 깨우쳐준 사례 미야기현 카미다카모리유적에서 보고된 석기움(60만년전). 곧선사람의 앞선 생각과 정신을 보여주는 증거로 제시된 이 석기움은 영국고고학의 저명한 교과 서에까지 실렸었다. 날조된 것으로 밝혀진 뒤, 유적 조사에서는 출토상황을 입 증하는 자료를 제시해야 했다. 갱신세층의 개념과 종류 및 분포 * 갱신세층=홍적세층=Pleistoncene * 약 170~1만년 전 이전에 형성된 퇴 적층 (1만년 이후에 퇴적된 층은 전신 세 Holocene 층임) * 갱신세층의 종류 한데유적의 고토양층, 동굴 또는 바 위그늘 퇴적층, 토탄층 또는 유기물포 함층 등 * 갱신세층의 분포 지역 강가, 바닷가, 평야지대, 구릉지대, 산지, 저습지, 석회암지대, 섬, 서해(새 만금 간척지?) (한창균 2006a) 9

고토양층 (한창균 2006b) 고토양층은 흙 알갱이의 크기 및 함량, 빛깔 등에 따라 암갈색 찰 흙층, 갈색 찰흙질 모래층, 흑갈색 모래층 등 다양한 이름을 갖는 다. 토양은 2mm 이하의 알갱이로서 크기에 따라 모래(sand), 뻘(silt), 염토(점토, clay)로 나뉜다. 알갱이의 크기에 따라 2~0.0625mm는 모래, 0.0625~0.0039mm는 뻘, 0.0039mm 이하는 염토로 구분된다. 뻘과 염토를 합쳐서 찰흙(mud)이라고 한다. 모래와 찰흙 함량의 상대비율에 따라 모래층(sand layer, 모래가 90% 이상), 찰흙질 모래층(muddy sand layer, 모래는 90~50%, 찰흙은 50~10%), 모래질 찰흙층(sandy mud layer, 모래는 50~10%, 찰흙은 90~50%), 찰흙층(mud layer, 찰흙이 90% 이상) 으로 세분할 수 있다. 보성군 도안리 석평유적의 갱신세층 (기반암 위에 모래자갈층과 모래층, 고토양층이 쌓여있다) 10

진안 진그늘유적의 갱신세층과 문화층 후기구석기문화층 (22,850±350B.P. 17,310±80B.P.) 중기구석기문화층 화순 도산유적의 갱신세층과 문화층 11

갱신세층의 구분과 편년 (한창균 2003) 수몰지구의 재조사와 지표조사 유물의 제 층 찾기 12

물에 씻겨 갱신세층 안의 석기들이 드러났다 지표 유물의 제 층을 찾는 요령 (한창균 2006b) 13

구석기유적은 어디에서 발견되나? 조사 유적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구석기유적 분포도 두물( 合 水 )머리형(type) 물가 양지바른 언덕형 물도리동( 河 回 )형 분지( 盆 地 )형 구석기인들의 터전, 청동기시대, 삼국시대에도 이용되었다 바닷가와 섬 구석기유적 지표조사의 절차와 요령 우리나라 구석기유적 분포도 현재의 강바닥 또는 해안가에서 약 10m 이상 높은 곳에 위치한 단구 위의 고토양층과 석회암지대의 동굴에 유적들이 있다. 14

두물( 合 水 )머리형(type): 영산강유역 화순 도산유적(원산지유적 겸 거점유적) 강가 양지바른 언덕형: 섬진강유역 임실 하가유적(원산지유적) 15

강가 북향의 언덕형: 금강유역 진안 진그늘유적(원산지유적) 물도리동(河回) type:보성강유역 순천 월평유적(거점유적, base camp) 16

분지(盆地)형: 보성강유역 장흥 북교리 신북유적(거점유적, base camp) 후기구석기인들은 제암산 길목의 아담 한 분지 안에 있는 거문고 등 모양의 긴 언덕을 보금자리 로 택하였다. 구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삼국시대 문화층이 한 곳에 순천 죽내리유적 <삼국시대> <청동기시대> <후기구석기시대> <중기구석기시대> 17

바닷가와 섬에서도 구석기가 무안군 운남면 성내리 도원유적과 압해도유적 구석기유적 지표조사의 절차와 요령 (한창균 2006a) 18

사전조사의 점검 내용 (한창균 2006a) 조사 단계 주요 내용 세부 내용 문헌조사와 탐문조사 지표조사, 시굴 및 발굴보고서 미발간 자료 탐문조사 유적분포지도 사전 조사 조사 기본항목 유적의 발견 및 조사 경위 유적의 지형상 위치와 특징* 유적의 지층 구성과 유물층과의 관계 고토양층의 분포 상황과 범위(벽돌공장, 기와가마터 조사) 동굴 또는 바위그늘의 위치와 분포 유적 주변의 물줄기 분포 물줄기와 유적 사이의 거리 유적의 해발높이 및 하천 바닥과의 상대높이 출토 유물의 종류와 암질의 구성** 입지 조건 분석 위성사진 지형도, 지질도, 토양도 등 예) 바닷가나 강가 단구 위 퇴적층(석장리, 진그늘유적) 구릉지대의 기반암 풍화대 위에 놓인 퇴적층(월평유적)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퇴적층(전곡리, 장흥리유적) 동굴이나 바위그늘 퇴적층(만달리, 두루봉, 금굴유적) 토탄층 또는 유기물포함층(장덕리, 소로리유적) 황토(loess) 퇴적층(강안리유적) * 도상 입지 분석 물도리동형, 두물(합수)머리형, 물가 언덕형, 분지형 등 ** 양질의 석재 분포지 분석 흑요석, 유문암, 혼펠스, 응회암, 규질 세일, 개차돌, 차 돌, 반암 원산지와 그 언저리 현장조사의 점검 내용 (한창균 2006a) 조사 단계 주요 내용 세부 내용 현장조사 한데유적 현지 탐문조사 경지정리는 언제, 왜 했는가? 당시 황토 같은 찰흙이나 모래 및 자갈 등이 나왔는가? 찰흙은 무슨 빛깔이며, 그 두께는 얼마쯤인가? 개간할 때 흰 자돌 조각이나 자갈 등이 나왔는가? 주변에 벽돌공장이 있었는가 또는 있는가? 산에 모래층이나 자갈층이 있는가? 위치와 분포 표시 원경과 근경, 지층, 출토 장면 사진 촬영 및 출토 상황 기록 퇴적층의 유형(단구 위의 층, 토탄층, 황토층, 낙반석층 등) 고토양층 종류(갈색, 암갈색, 황갈색, 적갈색 찰흙층, 모래뻘층) 유물의 종류와 출토 범위 동굴 및 바위그늘 유적 현지 탐문조사 석회암 광산 또는 시멘트 공장이 있었는가 또는 있는가? 전쟁 때 사람들이 피신했다고 하는 굴이 있는가? 굴속에서 짐승뼈를 캐갔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는가? 박쥐 등이 서식하는 굴이 있는가? 자신의 선조를 굴 속에 묻었다고 전해오는 곳이 있는가? 위치와 분포 퇴적층의 존재 확인 출토유물의 성격 유적의 가능성 판단 비록 지표상에서 뗀석기가 발견되지 않더라도, 또 구석기시대 이외의 다른 시대 유적을 발굴할 경우에도, 고토양층이 존재하고, 유적으로서 좋은 입지 조건을 갖추었다면, 시굴조사 단계에서 유물층의 존재 가능성이 반드시 확인되어야 한다. 19

참고문헌 김경칠 정일 한미진, 2007. 무안 도원 농장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 이기길, 2006. 호남 구석기 도감 -순천 죽내리, 화순 도산, 영광 원당, 순천 월평유적- 1-179, (조선대학교 박물관). 이기길 편저, 2010. 빛나는 호남 10만년 1-149, (조선대학교 박물관). 이기길 최미노 김은정, 2000. 순천 죽내리유적 (조선대학교 박물관). 이기길, 2002. 순천 월평유적 -1998년 제1차 발굴- (조선대학교 박물관). 이기길, 2002. 화순 도산유적 (조선대학교 박물관). 이기길 김선주 최미노, 2003. 영광 마전 군동 원당 수동유적 (조선대학교 박물관). 이기길 김은정 김선주 윤정국 김수아, 2004. 순천 월평유적 -2001년 제2차 발굴- (조선대학교 박물관). 이기길 윤정국, 2005. 진안 진그늘 선사유적 -신석기와 청동기시대의 살림- (조선대학교 박물관). 이기길 차미애 김수아, 2008. 임실 하가유적 -2006년 제1차 발굴- (조선대학교 박물관). 이기길 외, 2008. 장흥 신북 구석기유적 (조선대학교 박물관). 이기길 김수아, 2009. 순천 월평유적 -2005년 제3차 발굴- (조선대학교 박물관). 이융조 윤용현, 1992. 화순 대전 구석기시대 집터 복원 1-125, (충북대학교 선사문화연구소). 한창균, 2003. <한국 구석기유적의 연대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구석기학보 7, 1-39, (한국구석기학회). 한창균, 2006a. <구석기유적> 문화재 지표조사 매뉴얼 연구 69-93, (한국고고학회). 한창균, 2006b. <구석기유적: 찾기에서 발굴까지> 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 방법론 2, 127-167, (국립문화재연구소). 한창균, 2007. <구석기유적 조사법> 2007년도 제2회 매장문화재 조사연구원 교육 119-147, (사)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호남문화재연구원, 2013. 남원 봉대고분군 -봉대 봉계사지-. 20

고고학 연구 공개강좌 2006년 제1회 한국고고학 시대구분론 이희준 2006.4.19 2008년 제2회 고고학 연구방법론(형식분류와 연대결정론을 중심으로) 최성락 2006.5.24 2006년 제3회 현대고고학에서 토기의 연구-토기 민족지고고학을 중심으로- 이성주 2006.6.28 2006년 제4회 日 本 におけゐ 須 恵 器 出 現 年 代 について- 年 輪 年 代 学 によゐ 年 代 - 柳 本 照 男 2006.7.21 2006년 제5회 신라고분 연구의 몇 가지 문제 이희준 2006.9.20 2006년 제6회 적석목곽묘( 積 石 木 槨 墓 )의 새로운 이해 김용성 2006.10.25 2006년 제7회 신라의 금속장신구와 환두대도 이한상 2006.11.22 2006년 제8회 한일 농경 청동기문화의 비교 연구 後 藤 直, 甲 元 眞 之, 山 崎 純 男 2006.12.16 - 日 韓 靑 銅 器 文 化 の 比 較 ( 後 藤 直 - 環 境 變 化 の 考 古 學 的 檢 証 甲 元 眞 之 - 九 州 繩 文 時 代 生 業 活 動 の 展 開 山 崎 純 男 2007년 제9회 고고학 조사 연구 방법론 박순발 2007.1.17 2008년 제10회 유적과 고환경 류춘길 2007.2.14 2007년 제11회 가야고분 연구의 제문제 申 敬 澈 2007.3.21 2007년 제12회 가야 묘제의 새로운 시각 김세기 2007.4.25 2007년 제13회 西 部 慶 南 地 域 加 耶 의 歷 史 와 文 化 조영제 2007.5.16 2007년 제14회 가야 토기의 편년과 양식 박천수 2007.7.11 2007년 제15회 도자문화의 이해 한성욱 2007.8.22 2007년 제16회 횡혈식석실의 조사 방법과 출토 유물(토기) 관찰 홍보식 2007.9.19 2007년 제17회 고대 마구의 이해-가야마구를 중심으로- 류창환 2007.10.24 2007년 제18회 榮 山 江 流 域 古 墳 의 理 解 金 洛 中 2007.11.22 2008년 발굴조사 방법론 2008년 제19회 유적의 분포확인과 유구의 탐색 조사 朴 升 圭 2008.3.26 2008 년 제20회 수혈주거지 조사법 安 在 晧 2008.4.24 2008년 제21회 제철유적의 조사방법과 사례연구 申 鍾 煥 2008.5.21 2008년 제22회 木 棺 墓 와 木 槨 墓 의 조사 金 斗 喆 2008.7.22 2008년 제23회 건물지 조사방법과 사례연구 金 燦 榮 2008.8.27 2008년 제24회 토기가마의 조사와 출토유물의 정리 李 政 根 2008.9.27 2008년 제25회 경작유구의 조사와 사례연구 김도헌 2008.10.25 2008년 제26회 사지 조사와 출토유물(기와) 정리방법의 일례 崔 兌 先 2008.11.22 2009년 유물의 관찰과 분석 2008년 제27회 청동기시대 석기의 관찰과 분석 孫 晙 鎬 2009.1.17 2008년 제28회 무문토기의 관찰과 분석 안재호 2009.2.21 2008년 제29회 와질토기의 관찰과 특징 정인성 2009.3.21 2008년 제30회 도질토기와 연질토기 관찰 홍보식 2009.4.18 2008년 제31회 마구류의 관찰과 분석 이상율 2009.5.23 2008년 제32회 유적출토 자기의 특징과 시기구분 李 鍾 玟 2009.7.18 2008년 제33회 古 代 鐵 製 武 器 의 理 解 김길식 2009.8.22 2008년 제34회 靑 銅 器 의 觀 察 과 分 析 李 陽 洙 2009.9.19 2008년 제35회 삼국~통일신라시대 瓦 當 의 특징과 관찰 김유식 2009.11.21

2010년 고고학과 인접학문 2008년 제36회 韓 國 考 古 學 ( 歷 史 考 古 學 )과 古 代 史 의 만남 朱 甫 暾 2010.1.23 2008년 제37회 고고학 유적의 해석에 적합한 최근 지형학 연구의 성과 황상일 2010.2.20 2008년 제38회 경관(Landscape)의 고고학적 이해 김종일 2010.3.20 2008년 제39회 옹기제작기술과 작업서열분석 박성용 2010.4.17 2008년 제40회 고고학연구와 계량분석 김범철 2010.5.15 2008년 제41회 動 物 考 古 學 의 理 解 兪 炳 一 2010.9.11 2008년 제42회 토양학과 고고학 정영상 2010.10.23 2008년 제43회 고고학과 측량 활용 정원복 2010.11.20 2011년 한국의 고고학 강의 2008년 제44회 신석기시대 연구 하인수 2011.1.22 2008년 제45회 청동기시대 연구Ⅰ 이청규, 이영문, 하문식 2011.3.19 - 청동기시대 사회의 무덤과 부장유물 이청규 - 호남지역 지석묘연구의 최근 성과와 과제 이영문 - 중국 동북지방과 서북한의 고인돌 하문식 2008년 제46회 청동기시대 연구Ⅱ 안재호, 이홍종 2011.4.30 - 청동기시대 취락의 동시성과 지역상 안재호 - 청동기시대 취락의 입지와 생업환경 이홍종 2008년 제47회 구석기시대 연구 장용준 2011.7.9 2008년 제48회 원삼국시대 연구Ⅰ 이성주, 김승옥 2011.11.19 - 원삼국시대 취락과 토기생산 이성주 - 한반도 중 서남부지역 마한 백제 취락 김승옥 2008년 제49회 원삼국시대 연구Ⅱ 정인성 2011.12.3 2012년 신라 가야 고고학의 이해 2008년 제50회 신라 묘제 이해의 바탕 김용성 2012.3.31 2008년 제51회 가야 묘제의 변화와 지역성 김세기 2012.4.21 2008년 제52회 가야토기 양식의 변동과 지역성 박승규 2012.6.23 2008년 제53회 신라토기의 발생과 전개 박광열 2012.7.28 2008년 제54회 가야 신라의 무기 김두철 2012.8.25 2008년 제55회 신라 석축산성의 입지와 보축 박종익 2012.9.22 2008년 제56회 新 羅 樹 枝 形 帶 冠 의 展 開 過 程 硏 究 함순섭 2012.10.27 2008년 제57회 신라 가야의 주거와 취락 김창억 2012.11.17 2013년 제58회 대구 경북 신석기문화 이해 임학종, 배성혁 2013.3.23 - 홍도의 제작과 소성 실험 임학종 - 대구 경북지역의 신석기문화 배성혁 2008년 제59회 新 羅 都 城 制 와 牟 梁 里 都 市 遺 蹟 박방룡 2013.11.27

(재)영남문화재연구원 제60회 고고학 연구 공개강좌 뗀석기, 갱신세층과 구석기유적 찾기 _ 이기길 일시 2014년 10월 25일 토요일 10:30~12:30 장소 국립대구박물관 해솔관 강의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