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8, No. 8, August 2015(pp. 988-995) http://dx.doi.org/10.9717/kmms.2015.18.8.988 스토리텔링에서의 조명과 배경음악의 역할 분석 - 디즈니 단편 애니메이션 <페이퍼맨>을 중심으로 박 은 혜 Analysis of Roles of Lighting and Background Musik for Storytelling - a Case Study of Disney s Short Animated Film <Paperman> Eun-Hea Park ABSTRACT In 2013, Academy Award for Best Animated Short Film was granted to Walt Disney s short animation, <Paperman>(2012). With various aspects of its excellence, I focus on the very effective use of digital lightings and underscores for storytelling as its success factors. In this respect,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roles of the visual factors, especially tone, contrast, etc. created by lightings, and audio factors, especially underscores, in the film s story development. I find that <Paperman> can be characterized by the well-built story structure with distinct three acts. The main stream of the story is expressed with the overall mood that is created by the fine adjustments of brightness of the main light, and contrast. And the direction and the intensity of the lighting successfully describe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s in each scene. In addition, I find that properly chosen and positioned underscores make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more dynamic and more harmonized. Key words: Short Animated Film, Lighting, Background Music, Storytelling, Character, Underscore 1. 서 론 허구를 다루는 서사체의 영화나 애니메이션은 캐 릭터(character) 연기와 함께 미장센(Mise-en-scène), 편집 등으로 구성된 영상과 효과음, 배경음악 등의 사운드가 조화를 이루면서 하나의 콘텐츠로 만들어 진다. 최근에는 컴퓨터그래픽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 께 그 영역이 영상제작에 상당 부분 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이 더욱 다양해진 영상제작 구성요 소들로 인해 자칫 간과될 수 있는 영상기본문법을 보다 직관적으로 살펴보고자 디즈니의 단편 3D 애니 메이션 <페이퍼맨, 2012>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 였다. 3D 애니메이션을 분석하는데 다양한 대상들이 있지만 작품의 질이나 스토리 전달에 영향을 미치면 서도 그 효과를 쉽게 파악할 수 없는 디지털 조명과 배경음악을 대상으로 연구한다. <페이퍼맨>은 2013년 오스카(Oscar)와 애니 (Annie) 시상식에서 최고의 단편 애니메이션 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월트 디즈니(Walt Disney, 1901~ 1966)의 사후, 그리고 3D 애니메이션의 등장 등으로 다소 주춤했던 디즈니의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시점 의 의미 있는 작품이다. 또한 2D와 3D 애니메이션 방식을 혼용한 흑백영상과 재즈풍의 음악이 유기적 인 구조 안에서 효과적으로 구현된 스토리텔링으로 디즈니의 노하우와 새로운 3D 기법의 조화를 상징적 Corresponding Author : Eun-Hea Park, Address: 8, Byeollae 4-ro, Namyangju-si, Gyeonggi-do, Korea, TEL : +82-10-3874-3432, E-mail : ehpark@dongguk.edu Receipt date : July 8, 2015, Revision date : July 27, 2015 Approval date : Aug. 3, 2015 Research Institute for Image & Cultural Contents, Dongguk University
스토리텔링에서의 조명과 배경음악의 역할 분석 989 으로 보여주는 또 다른 의미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작품의 조명과 음향 분석을 위해 시퀀 스별로 각 분야의 특징들을 나타내는 분석 그래프를 다음과 같이 추출하고, 그 스토리텔링 방법을 분석하 였다. 첫째로 3D 디지털 조명이 2D에서 그려진 빛과 조 화롭고, 풍부한 명암으로 표출되면서 아름다운 주인 공 남녀의 만남을 더욱 극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 러한 조명효과 분석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매 씬 (scene)에서 캡처(capture)한 각 한 장의 스틸 이미지 들(still images)을 시퀀스별로 한 장에 조합하고, 그 이미지의 레벨(Level) 그래프를 생성해 각 시퀀스의 명암별 픽셀(pixel) 분포도를 확인한다. 또한 명암분 포그래프의 형태에 따라 나타나는 명암의 특징을 스 토리 강도와 비교 분석한다. 다음 분석 대상인 <페이퍼맨>의 배경음악으로 디 즈니 특유의 캐릭터 움직임과 리듬을 맞추면서 영상 의 분위기를 대사 없이 음악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배경음악 분석을 위해 악기의 음색과 스 토리에 따라 변화되는 음악의 리듬과 속도 등을 시퀀 스와 캐릭터 별로 분류하였고, 영화 전체에서 음향 스토리텔링이 미치는 영향과 그 역할을 분석한다. 2. 분석 결과 및 고찰 2.1 조명 분석 <페이퍼맨>은 가상의 디지털 조명으로 자연스러 운 태양광을 표현하면서도, 전형적인 사진 조명 기법 들을 구사하고 있다. 흑백영상 속에 경조( 硬 調 )의 강 한 명암 대비(high contrast)와 정돈된 카메라 구도 를 가지고 1940 50년대의 것과 같은 클래식 영화 분위기로 시대배경을 설명하고 있고, <페이퍼맨> 여주인공을 위한 조명방법으로 사용된 역광의 소프 트한 빛 번짐 효과는 여배우들의 여성스러움과 아름 다움을 돋보기위해 즐겨 사용됐던 영상조명방법으 로 이 또한 시대적 배경을 암시하는 또 하나의 장치 가 되고 있다. 단편 애니메이션은 짧은 시간 안에 특 이한 캐릭터나 영상구성, 색채 등과 함께 독특하거나 짜임새 있는 스토리로 관객의 관심을 끓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본 영화는 모든 이들을 사로잡는 사랑 에 관한 주제와 기승전결이 확실한 서사구조를 바탕 으로 흑백의 영상과 다이나믹한 음악이 인상적인 이 야기를 전개해 나간다. Fig. 1 (top) 그래프는 <페이퍼맨>의 스토리의 구 조를 10초단위로 정의한 것으로 -5부터 +5까지 10단 계로 강약을 체크하여 통계화한 것이다. 기존의 브루 스 블록[1]이 제안한 그래프의 형태(Fig. 1(bottom) 참조)는 스토리 강도를 양수 값으로 만 측정해 부정 적과 긍정적 그리고 일상적인 스토리를 구분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연구자가 제안한 스토리 구조 그 래프[13]에서는 음수를 슬픔, 불안, 외로움, 혼돈 등 의 부정적인 스토리로, 양수는 기쁨, 즐거움, 평안, 성취감 등의 긍정적인 스토리로 표시하였고, 제로(0) 는 아주 평범한 일상으로 특별한 사건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로 나타내 영상과 음악으로 표현될 분위기 를 스토리그래프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는 또 한 영화의 전체적인 스토리텔링 흐름을 보다 직관적 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제안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 서는 객관적인 분석을 위해 스토리 강도에 관한 설문 을 영상 전문가 5명에게 의뢰하여 Fig. 1(top)의 스토 리 구성 그래프를 도출하였다. 4 3 2 1-2 -3-4 -5 스토리 구성 그래프의 전체적인 형태 곡선은 한 Sequence No...... 1.... 2... 3.. 4 5 6. 7... 8. 9. 10............. Story Intensity 5 0 0 50 100 150 200 250 300-1 Time(Sec.) Story Intensity Ave. 평균 Fig. 1. (top) <Paperman> Story Structure Analysis Graph (bottom) Film <The Bourne Identity> Story Structure Analysis Graph [1]. A B C D E Time(sec)
990 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제18권 제8호(2015. 8) 주기의 최대 점들을 잇는 형태로 <페이퍼맨>의 구 성 곡선이 이야기의 절정에 가까워질수록 그 주기의 진폭이 커지다가 절정에서 음수과 양수 모두 절대 값의 최대치에 도달했고, 결론 부분에서는 다시 0점 으로 돌아오는 전통적인 할리우드 영화의 스토리구 조 형태를 보였다. 이러한 스토리의 흐름을 영상의 디지털 조명에서도 표현되고 있는지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미지를 추출 분석해 보았다. 각 시퀀스 안에 씬 별로 대표 스틸 이미지(still image)를 6장씩 추출하였고, 이 이미지들을 한 장으 로 편집하였다. 이 한 장의 시퀀스 이미지에서 명암 과 톤을 분석하기 위해 어도비 포토샵 CS4(Adobe Photoshop CS4)를 활용하여 레벨 그래프(Level Graph)를 생성한다. 레벨그래프의 가로축은 0(블랙) 255(화이트)까지의 명암을 나타내는 수치로 각 단 계에 해당되는 명암의 픽셀 분포도(그래프의 세로 축)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그래프를 더욱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사진기술에서 활용하는 존 시스템 (zone system)[2]의 10개의 명암단계와 대응시켜 계 조분포도를 Table 2에서처럼 확인할 수 있다. Table 1의 시퀀스(Sequence)별 레벨 그래프를 유 사한 형태별로 분류해본 결과 Table 2와 같이 크게 Ⅰ,Ⅱ,Ⅲ, Ⅳ 네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었다. Table 2-I는 비교적 계조가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어 평범 한 이미지의 그래프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에 비해 Table 2-Ⅱ는 어두운 부분(존(zone) 0 2)에 픽셀이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회색과 밝은 톤은 거의 분포되어있지 않아 매우 어두운 이미지이다. 그래프 Ⅲ은 어두운 톤의 픽셀이 많이 있긴 하지만 아주 어 두운 존 0 1의 픽셀들은 약하게 분포돼있고, 밝은 존 8 10 부분에는 상당히 많은 양의 픽셀들이 있어 강한 콘트라스트 가진 이미지인 것을 파악할 수 있 다. 마지막으로 그래프 Ⅳ는 밝은 부분이 더 많이 있 는 그래프고 그래프 Ⅲ의 반전된 형태이지만 중간 톤에 픽셀이 골고루 분포돼있어 매우 밝은 이미지의 그래프임을 파악할 수 있다. Table 2의 그래프 분석 결과를 Table 1과 Fig. 1의 시퀀스 그래프들과 함께 비교 분석한 결과, 시퀀스 1과 2는 0과 +2사이로 시작된 평범한 일상으로 남자주인공이 직장에 출근 하는 장면과 사무실에서 일하는 장면이였다. 영화 전 체적으로 명암이 강한 흑백이여서 거의 모든 장면들 이 중간 톤이 거의 없는 그래프였지만, 시퀀스 1과 2에서는 비교적 다른 시퀀스들 보다 중간 톤의 픽셀 들이 많이 분포돼 있어 레벨그래프 Table 2-Ⅰ형태 에 해당된다. 강하지 않은 연조의 이미지들로 스토리 의 잔잔한 일상을 서술해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퀀스 3과 4는 종이비행기를 날리다 계속 실패 하던 남자주인공이 상관에게 그 행동을 저지당하는 등 지속되는 시련이 이어지는 영화의 갈등 전반부에 속한다. 레벨그래프 Ⅱ의 형태를 띠고 있는 이 시퀀 스들은 어두운 현실(사무실 분위기)과 계속되는 시 련을 중간 톤과 하이라이트가 거의 없는 이미지들로 표현하고 있다. 다음 시퀀스 5, 6은 스토리 구성 그래프에서도 3과 -4사이의 가장 낮은 지점으로 갈등이 가장 심 화되는 장면이다. 그래프 패턴은 Ⅲ의 형태로 남자주 인공의 반복되는 좌절과 여자를 놓칠지 모르는 다급 한 상황으로 어두운 화면 속에 하이라이트가 섞여 있는 매우 강한 명암의 영상들이다. 7, 8은 스토리 가 절정에 달하는 장면으로 마법처럼 움직이는 종이 비행기들이 남자주인공을 어디론가 이끌고 가는 장 면으로 이미지들에 중간 톤이 없고, 그래프 왼쪽 어 두운 부분에 픽셀들이 밀집돼 있어있다. 그러나 그래 프에서는 파악하기 힘든 하이라이트들을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처럼 비율적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 않는 명암의 단계는 이 분석 방법으 로는 도출이 어려운 것으로 파악된다. 이 시퀀스는 비록 어두운 영역이 높은 비율을 차 이하고 있지만 영상의 중심이 되는 부분에 매우 밝은 하이라이트가 있어 5나 6보다 더 강한 명암 대비를 만들고 있다. 이 단편영화의 절정 부분인 이 시퀀스 는 종이비행기의 신비한 힘을 더 비밀스럽게 표현하 는 등 이 조명연출로 더욱 효과적인 절정 표현이 가 능했다. 스토리 그래프에서는 회사를 박차고 나온 남 자주인공이 비록 모든 것이 해결 되지 않아 매우 화 가난 표정으로 길을 걷지만 종이 비행기의 행보가 모든 것이 해결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표현되는 등 스토리는 가장 높은 플러스(+)로 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9는 여자주인공의 등장과 함께 사건 이 점차 해결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고, 결론 시퀀 스 10에서도 두 남녀가 종이비행기에 의해 다시 만나 는 해피엔딩으로 매우 밝은 하이키(high key) 조명이 두 주인공의 만남을 아름답게 표현하고 있다. 레벨 그래프는 Ⅳ에 해당되며 극히 밝은 톤에 픽셀이 밀집
스토리텔링에서의 조명과 배경음악의 역할 분석 991 Table 1 Sequence-Specific Image Analysis Sequence No. Images & Level Graph Sequence No. Images & Level Graph 1 2 (time : 00:00:00~00:00:55) A Man s short first encounter with a woman and farewell, and man being depressed. (time : 00:00:56~00:01:25) The depressed man after the short meeting happened to find out the woman in the building across the street. 3 4 (time : 00:01:25~00:02:04) The man tried to fly a paper plane to her to attract her attention unawares to his boss, but he failed. (time : 00:02:05~00:02:27) He was about to fly a plane made out of the last paper on which her lipstick mark remained, but he dropped it by mistake. 5 6 (time : 00:02:28~00:02:44) His boss forced him to work with bringing a lot of papers to him. (time : 00:02:45~00:03:12) The man decided to do something, and ran out of the office. He looked around for her and found his last paper plane. Being disappointed, he flew it to somewhere. 7 8 (time : 00:03:13~00:03:49) The paper plane flew and flew. The plane looked like being guided by something. It arrived at some place in the corner of the city. (time : 00:03:50~00:04:10) The man was walking around and he seemed to be angry. The planes appeared in front of him and they guided him to somewhere. 9 10 (time : 00:04:10~00:04:37) The lipstick marked plane flew to the woman and guided her to somewhere as well. (time : 00:04:38~00:05:00) The man and woman got a ride on a train, and he finally was reunited with her at the place where he first met her.
992 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제18권 제8호(2015. 8) Table 2. Level Graphs & Zone System Type Level Graph Sequence Ⅰ 12 Ⅱ 348 Ⅲ 567 Ⅳ 910 Zone System 돼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애니메이션의 조명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 인 플롯과 관객이 보편적으로 느끼는 스토리의 감정 적 흐름에 조명 영상 문법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명암과 톤, 빛의 방향 등이 상황에 따라 분위기와 캐릭터의 감정을 제시해 주고 있다. 분위기와 감정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그래프 형태로 정확하게 분류할 수는 없으나 더 나은 작품 제작을 위해 조명의 역할을 확인하는 연구방법의 하 나로 활용이 가능하다. 2.2 음향 분석 영상콘텐츠의 음향 분석은 서로 다른 언어인 음향 과 영상의 연관 관계를 분석하는 작업으로 본고에서 는 모두에서 언급한 조명 분석과 같은 방식으로 스토 리 구성과 함께 음향 흐름의 조화를 Table 4의 시퀀 스별 사운드 웨이브 그래프를 가지고 분석한다. <페 이퍼맨>에서 연주되는 음악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성돼있다. 어우러진 보편적인 형태이다. 단편 애니메이션의 전형적인 예를 보여주고 있는 <페이퍼맨>은 도입부 에 단순하면서도 주제를 짐작할 수 있는 배경음악이 흐르고, 마지막 절정과 결론에도 영상의 속도와 리듬 에 맞는 음악이 연주된다. 다음은 목소리(voice)와 효과음(sound effects) 등 의 역할을 대신하는 연주곡이 언더스코어 된 형태로 갈등 부분에 속하는 애니메이션의 중간 시퀀스들로 캐릭터와 어울리는 악기들의 음색이 Table 3와 같이 인물들의 행동과 심리를 묘사하는 등 짧은 배경효과 음이나 웃음소리, 헛기침소리 등을 제외하고는 악기 의 불규칙한 음들이 캐릭터의 움직임과 함께한다. 캐 릭터의 감정이나 움직임을 표현하는 언더스코어 방 식은 오래전부터 오페라, 발레, 뮤지컬 등에서 활용 되어왔다. 물론 이들은 부분적으로 소리를 모방하여 음악으로 표현하였지만 상징적거나 중요한 부분에 서 강조효과로 활용해[3]왔다. 디즈니는 이 방법을 미키마우스 등의 애니메이션에서 자주 사용해왔기 때문에 미키마우징 기법이라고도 불리지만 다른 영 화들에서도 부분적으로 효과음처럼 종종 쓰이고 있 다. 이 기법은 갈등 부분 시퀀스 6에서 남자주인공 이 복잡한 도로를 가로지르는 장면에서처럼 공간적 분위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도로위의 자동차들을 표 현한 드럼이나 사무실의 보스를 나타내는 튜바 등은 악기의 음악적인 요소보다는 효과음에 가까운 사운 드적인 요소가 크다. Table 4는 배경음악의 분석을 위해 각 시퀀스별로 전체 사운드 웨이브 그래프를 추출 및 분류하였고, 그래프의 상세한 분석을 위해 특징적인 부분을 확대 하였다. Table 4의 시퀀스 1에 해당되는 첫 번째 음 향그래프는 본 애니메이션의 오프닝 시퀀스(opening sequence) 배경음악으로 남녀의 아름다운 첫 만남을 그리는 안단테(andante, 천천히 걷는 빠르기)의 피아 노 연주곡으로 연주를 시작하였다. 이어서 남녀 주인 공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피아노(Piano) 중저음과 고 음이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있다. 표4-1그래프에서 도 웨이브의 높낮이가 앞부분의 배경음악 연주와 뒷부분의 언더스코어된 부분이 큰 변화 없이 일정하 게 이어지는 흐름을 보이고 있어 잔잔한 오프닝 시퀀 스임을 확인할 수 있다. 2 6 시퀀스는 모두에서 언급했듯이 연속적인 음악연주이기 보다는 등장인물의 움직임과 생각 등 을 표현한 전형적인 미키마우징 기법으로 각각의 악 기들이 등장인물의 행동에 따라 부분적인 리듬으로 연주하고 있다. 직장상사의 외모와 권위적인 행동과
스토리텔링에서의 조명과 배경음악의 역할 분석 993 Table 3 Characters & Instruments Character Effect Instrument Frequence Range(Hz) Man Masculine voices Piano Midrange(300-2K) Woman Feminine voices Piano High Mids(2K-6K) Paper/ Paper Plane The lightness of a paper plane Piccolo Midrange High (600-16K) Boss Strict & hulking man Tuba Bass(30-2K) Cars When a paper plane to fly Mess of cars on the complex road light and free flight Drum Flute, Violins, Piccolo Sub Bass- High (50-16K) Midrange High Mids (200-16K) 어울리는 아주 낮은 음색의 튜바가 가벼운 종이의 피콜로 음색과 교차하여 코믹한 상황을 연출되고 있 으며, 6에서 알레그로(allegro, 빠르게)의 강한 비트 (beat)가 있는 긴장감을 주는 드럼연주로 스토리 구 조에서 갈등 최고점 -4 지점의 시퀀스이다. 복잡한 뉴욕 맨해튼 거리의 자동차들을 표현함과 동시에 주 인공 남자의 급박한 상황과 심경을 나타내고 있다. 절정 시퀀스인 7부터 애니메이션의 결말까지 배경 음악들이 다시 시작되고 7부터 연주되는 피콜로와 사이드드럼(side drum)은 긍정적인 스토리가 전개 될 것을 암시한다. 지금까지 등장한 모든 악기들이 어울러져 절정인 10에서 연주속도가 빨라지고 커져 그래프의 주기가 급격하게 요동치다 10의 마지막 부분인 결론에 종이 비행기에 의해 다시 만나게 되는 두 남녀의 이야기는 처음과 같은 잔잔한 피아노 선율로 시퀀스 1과 비슷 한 음향그래프 형태로 마무리된다. 첫째는 도입부분 시퀀스 1과 절정과 끝 부분에 해당하는 시퀀스 7~ 10로 영상과 배경음악이 영상의 조명을 분석한 것처 럼 음향 그래프의 형태만으로 애니메이션 전체를 분 석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음악소리를 시퀀스별로 가 시적으로 비교해 스토리 전개와 음악의 적절성을 가 시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영화의 처음과 끝, 그리고 절정부분과 같이 스토리상 확실한 강도가 나타나는 부분은 웨이브 그래프로도 배경음악의 특징들을 확 인할 수 있었다. 3. 결 론 본고는 2013년 오스카(Oscar)와 애니(Annie) 시 상식에서 최고의 단편 애니메이션 상을 수상한 디즈 니 애니메이션 <페이퍼맨>에 대한 분석 논문으로 실험적이면서, 대중적인 이 작품의 스토리를 영상 음 향으로 분석하였고, 특히 디지털 조명과 배경음악을 중심으로 그 역할과 연출 기법을 연구하였다. <페이퍼맨>은 단편이지만 전형적인 3막 구조로 짜임새 있는 스토리와 함께 영상과 음향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작품이다. 흑백영상의 클레식한 분위기 가 스토리의 시대적 배경을 표현하면서 조명에 의한 풍부한 톤과 명암이 서정적이고 감각적인 연출을 극 대화했다. 또한 음향에서는 애니메이션의 시작과 끝 부분에 영상과 조화를 이루는 배경음악이 흐르고. 스 토리의 중심부에서는 등장인물들을 상징하는 악기 들이 미키 마우징 기법으로 영상과 조화를 이룬다. 이 작품을 통해 음악감독이 작곡이나 선곡뿐만이 아 니라 충분한 스토리 구조와 시나리오 분석으로 연출 되지 않은 숨은 의미까지 관객에게 전달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명과 음악은 애니메이션에서 직접적으로 들어 나지 않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영화 속에 서 캐릭터처럼 완전하게 드러나진 않지만 본 연구를 통해 이들이 스토리텔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 이런 구성요소들이 한국 애니메이션의 제작 여건상 다른 제작단계에 비 해 그 투자가 아직은 미비하다는 것을 종종 작품들을 통해 엿볼 수 있다. 이는 크게 들어나지 않는 디지털 조명과 음악작업이 영세제작자들에게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 선택적인 작업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도 살펴보았듯이 이들은 매력적 인 스토리텔링을 위한 시너지 효과를 줄 수 있는 구 성요소로 다른 제작단계 못지않게 매우 신중한 연출 과 작업이 요구된다. 그런 의미에서 영상 제작단계나
994 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제18권 제8호(2015. 8) Table 4 Sound Wave of each Sequence sequence no. Enlarged Image Sound Wave of each Sequence 1 23 45 6 7 8 9 10 제작 후 단계에서 디지털 조명과 음악의 스토리와의 적절성을 확인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REFERENCE [ 1 ] B. Block, The Visual Story: Creating the Visual Structure of Film, TV and Digital Media, Focal Press, USA, 2001. [ 2 ] B. Newhall, The History of P hotography, Yeolhwadang, South Korea, 1992. [ 3 ] D. Bordwell and K. Thompson, Film Art An Introduction, Theory & Praxis, South Korea, 1993. [ 4 ] D. Sonnenschein, Sound Design, Communication Books, South Korea, 2009.
스토리텔링에서의 조명과 배경음악의 역할 분석 995 [ 5 ] H. Mog, The sound analysis of Tale of Tale s, Vol. 20, No. 0, Cartoon & Animation Studies, South Korea, 2010. [ 6 ] K. Laybourne, The Animation Book, Minumsa, South Korea, 2003. [ 7 ] M. Jo, Animation, Thing of Image, Korea Research Information, South Korea, 2011. [ 8 ] M. Chion, Sound Cinema, Minumsa, South Korea, 2000. [ 9 ] P. Wells, Understanding Animation, Routledge, USA, 2001. [10] S. Park, Film Music-Immortal Story Soundtrack, Sallim, South Korea, 2005. [11] W. Nurnberg, Lighting for Photography, Korea Research Information, South Korea, 2011. [12] C. Han, Frozen and Evolution of Theater Animation, 2014 The First Half of the Animation Industry Issues, 2014. [13] E. Park, Analysis of Story Structure and Digital Lighting of 3D Animation -a Case Study of PIXAR s Computer-animated Film Ratatouille, Research for Image & Cultural Contents, Vol 7, No. 1, pp. 55-79, 2014. [14] S. Park, Y. Jung, C. Kim, "Analysis on the Backgrounds Expression for 3D Animation", J 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 Vol. 18, No. 2, pp. 268-276, 2015. [15] Walt Disney, https://www. youtube.com/ watch?v=erl2olynmuc&feature= (accessed Jun., 2, 2015). youtu.be, [16]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academy_award_for_best_animated_short_ Film, (accessed Jun., 2, 2015). 박 은 혜 1994년 1998년 상명대학교 사진 학과 학사 2001년 2006년 Media Technology,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Cologne 석사 2007년 2009년 동국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디지털애 니메이션전공 박사수료 2014년 현재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전임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