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Similar documents
<3036C7E2BCF6C3D6C1BEBABB2E687770>

CC hwp

untitled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2006

<BFDCB1B9C0CE20C5F5C0DAB1E2BEF7C0C720B3EBBBE7B0FCB0E82E687770>

°æÁ¦Àü¸Á-µ¼º¸.PDF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untitled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중소기업 원부자재 구매패턴 조사를 통한 구매방식 개선 방안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단 장 최 정 훈 연구책임자 : 이재광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부교수) 공동연구자 : 노성호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13Åë°è¹é¼Ł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목차

<5BC6EDC1FD5DBEEEBEF7C0CCC1D6B3EBB5BFC0DAC0CEB1C7BBF3C8B2BDC7C5C2C1B6BBE7C3D6C1BEBAB8B0EDBCAD28BAB8C0CCBDBABEC6C0CC292E687770>

- 2 -

< BACFC7D1B1B3C0B0C1A4C3A5B5BFC7E228B1E2BCFABAB8B0ED D D20C6EDC1FD2035B1B32E687770>

....-1

Ⅰ. 조사목적 본조사는전국민을대상으로대통령국정수행지지도, 정당지지도등을 파악하여, 국민여론을파악하는기초자료수집에그목적을둠. Ⅱ. 조사설계 조사대상 전국거주만 19세이상성인남녀 표본수 총 1,035 명조사후, 지역, 성, 연령별사후보정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최대허용

나하나로 5호

<C1A4C3A5BFACB1B 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분석 123 다.세부 분석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남성과 여성 모두 대면채널을 통한 가입이 90% 이상으로 월등히 높음. <표 Ⅱ-2>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구 분 남성 여성 대면 직판 은행 0.2 1

성인지통계

2005 중소기업 컨설팅 산업 백서

<BBE7B8B3B4EBC7D0B0A8BBE7B9E9BCAD28C1F8C2A5C3D6C1BE E687770>

<5B33B9F8B0FAC1A65D20B9E6BCDBBDC9C0C7BDC3BDBAC5DB20B0B3BCB1B9E6BEC8BFACB1B82DC3D6C3D6C1BE2E687770>


CONTENTS.HWP

INDUS-8.HWP

내지1-41

CR hwp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_1.hwp

[ 조사개요 ] 구분 내용 모집단 전국에거주하는만 19 세이상성인남녀 표집틀 유무선전화 RDD 표집방법 지역별, 성별, 연령별기준비례할당추출 표본크기 2,000 명 ( 유선 551 명 (27.55%), 무선 1,449 명 (72.45%)) 표본오차 무작위추출을전제할경우

2002report hwp

<5BC5EBB0E8C7A55D BFF920BFA9B7D0C1B6BBE75FC5EBB0E8C7A55FBCADBFEF2E687770>

연구요약 1. 서론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교육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고, 미래지향적인 정책과제와 전략, 그리고 비전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 난 15년간의 청소년 교육 환경 및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15년간 의 청소년 교육 환경

kor_que_ hwp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BBFDC8B0BCD3BFA120BCFBBDACB4C220B9AEC8ADB0FCB1A428C6EDC1FDBABB292E687770>

1. 조사설계 조사대상 2017 년 2 월현재, 전국만 19 세이상남녀 표본의크기 조사방법 1,021 명 ( 가중전 1,021 명, 가중후 1,000 명 ) - 가중치를 1,000 명기준으로부여했으나, 보도시표본크기는 1,021 명으로보도해야함. 구조화된설문지를이용한전


<C0FCB9AE20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BAD2B9FDBAB9C1A620BAB8B0EDBCAD5FC5EBC7D55F FB9DFB0A3BBE7C6F7C7D45F33C2F720B1B3C1A428B1D7B8B22020C3DFC3E2292E687770>

iOS ÇÁ·Î±×·¡¹Ö 1205.PDF

목차

CC hwp


세계 비지니스 정보


2003report hwp

폐기물 소각시설 에너지 회수실태 조사 및 모니터링시스템 구축방안 연구.hwp

정책연구개발사업 2010-위탁 대학 등록금의 합리적 책정을 위한 실행방안 연구 연 구 책 임 자 공 동 연 구 자 송동섭(단국대학교) 이동규(충남대학교) 이창세(재능대학) 한창근(인하공업전문대학) 연 구 협 력 관 장미란(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이 연구는 201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BEC6BFF4BCD2BDCCBAB8B0EDBCAD28C3D6C1BE E687770>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96_RE11]LMOs(......).HWP

목 차 통계표요약... 1 응답자특성표... 4 표 1 차기대통령후보지지도... 5 표 2 새누리당대통령후보지지도... 9 표 3 민주통합당대통령후보지지도 표 4 양자대결 1 : 박근혜 vs 안철수 표 5 양자대결 2 : 박근혜 vs 문재인...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 목차 ] 응답자분포표... 1 [ 표 1] 최근 3년간한국방문횟수... 2 [ 표 2] 연평균해외여행횟수... 3 [ 표 3] 이번한국방문의주된이유... 4 [ 표 4-1] 여행지선정시고려요인 (1순위)... 5 [ 표 4-2] 여행지선정시고려요인 (2순위)...

01정책백서목차(1~18)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국립중앙의료원_대국민 응급의료서비스 인지도 및 만족도_보고서(최종).hwp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 김 현 아 연구위원 허 윤 경 연구원 엄 근 용


< 표 Ⅶ-1 > 문화예술시설수, 연도박물관미술관 공공도서관 등록공연장 문예회관

ad hwp

2013년 부산지역 문화예술 커뮤니티 기반조사 보고서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 표 34] 원하는차기대통상 [ 표 35] 안철수원장의출마에견해 [ 표 36] 안철수원장과야당후보와의단일화에대한견해 [ 표 37] 단일화할경우누가로단일화되어야하는지에대한견해 [ 표 38] 공천비리사건에대한박근혜후보의책임여부.

조사설계 조사대상 전국만 19 세이상남녀 조사규모 1,008 명 ( 주의 : 통계보정으로 1,000 표본으로분석하였으며, 보도시에는조사실사례수 1,008 명으로기재해야함 )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 3.1% Point 조사방법 유선전화면접 49.7% + 무선전화

응답자분포표 Base= 전체 전체 (,000) 00.0 남자 (54) 5.4 여자 (486) 48.6 만9세 9세 (8).8 만0세 9세 (40) 4.0 만40세 49세 (76) 7.6 만50세 59세 (56) 5.6 수도권 (5) 5. 충청권 (0) 0. 전라권 (9

<52452D30342DB3F3C3CCB0E6B0FCB0A1C4A1C6F2B0A1BFCDB0FCB8AEB9E6BEC B1E8B1A4C0D32E687770>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 B3E22032BAD0B1E220C4DCC5D9C3F7BBEABEF7B5BFC7E2BAD0BCAEBAB8B0EDBCAD28C3D6C1BE292E687770>

보고서

Contents iii


직업편-1(16일)

목차 응 답 자 특 성 표... 1 표 1 차기대통령지지후보... 2 표 2 박근혜 vs 문재인... 6 표 3 박근혜 vs 안철수... 8 표 4 박근혜 vs 문재인 vs 안철수 표 5 가장경쟁력있는여권후보 표 6 가장경쟁력있는야권후보... 14

hwp

hwp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00-1표지

<B0F8BFB9B9AEC8ADBBEABEF720C0AFC5EB20C8B0BCBAC8ADB8A620C0A7C7D120BFDCB1B920BBE7B7CA20C1B6BBE720BFACB1B828C0CCBFF8C5C2292E687770>

*통신1802_01-도비라및목차1~11

목차 조사결과요약 01 한눈에보는공연예술소비동향및전망 공연예술소비동향및전망( 요약) 08 2 분기공연예술소비동향조사 01 조사개요 조사목적 조사설계 표본설계 응답자특성 분기공연예술소비동향 분

<5BB1E2BABB5D5FB0F8B0F8BACEB9AE5FBDC3B0A3C1A6B1D9B9ABBFCD5FC0B0BEC6C8DEC1F7BFA15FB5FBB8A55FB4EBC3BCC0CEB7C25FC8B0BFEBB0FAC0C75FBFACB0E8B9E6BEC85F2D5FB9AEB9CCB0E62E687770>

<BCADBFEFBDC3BFA9BCBAB0A1C1B7C0E7B4DC5FBCADBFEFBDC320B0F8B5BFC0B0BEC6C1F6BFF8BBE7BEF7C0C720C1F6BCD3B0A1B4C9BCBA20B9E6BEC8BFACB1B828BCF6C1A E687770>


Transcription:

i 문화향수실태조사 SURVEY REPORT ON CULTURAL ENJOYMENT 2008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서문 우리나라 국민들이 문화와 예술을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즐기고 있는지 를 객관적 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는 1988년부터 문 화향수실태조사 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문화향수실태조사 는 문화향유에 관해서 가장 많은 정보를 제공하였고, 문화예술정 책의 수립과 성과측정에 주요한 자료로 이용되었다고 자부합니다. 하지만 더욱 신뢰성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적지 않은 노력을 계속해 오고 있습니다. 2003년까지는 조사대상자를 2,000명으로 하였으나, 2006년에는 3,000명, 그리고 이번에는 4,000 명으로 증가시켰습니다. 그리고 조사주기를 2006년부터 2년으로 조정함으로써 변화하 는 문화환경에 조응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2006년 조사와 마찬가지로 국민들의 여가생활, 예술향유, 문화예 술교육, 문화시설 이용, 문화활동 참여, 역사유적지 방문, 지역축제 관람, 그리고 사이 버 문화활동 및 매체이용 예술감상 등을 측정하였습니다. 보고서는 선행조사와 비교 가능하도록 작성하여, 문화향유의 변화양상을 한눈에 파 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보고서가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조사문항 개발부터 보고서 발간까지 도움을 주신 관계기관 담당자, 그리고 누구보다 도 설문에 응답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 말씀드립니다. 2008년 11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원장 정갑영

요약 / i 요 약 1. 조사목적과 조사방법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1988년부터 3년 주기로 1) 국민들이 어떻 게 그리고 얼마나 문화적 삶을 누리고 있는가 를 통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조사대상 영역을 크게 여덟 개로 구분하고, 총 33개(하위문항 포함 240개)의 설문항을 구성하였다. 조사대상 영역은 1 여가생활, 2 예술향유, 3 문화예술교육, 4 문화시설 이용, 5 문화활동, 6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7 지 역축제 관람, 8 사이버 문화활동 및 매체이용 예술감상이다. 그리고 응답자 집단 별 속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성, 연령, 거주지, 학력, 직업, 월평균 가구소득도 함께 조사하였다. 조사는 15세 이상의 전국민(제주도 제외)을 모집단으로 삼고, 다단계층화무작위표 집법에 의해 추출된 4,000명을 대상으로 2008년 3월 3일부터 4월 11일까지 1:1 면 접에 의해 실시되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도 수준에서 ±1.5%다. 조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2. 조사결과 1) 여가생활 1.1) 여가활용은 여전히 텔레비전을 보거나 집에서 쉰다 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빈 도를 차지하였다. 곧, 여가활용 형태의 가시적인 변화는 드러나지 않았다. 여가시간 에 텔레비전을 보거나 쉰다 는 응답이 평일의 40.8%, 주말 휴일의 27.5%로 가장 많았다. <표 1> 여가활용 최다빈도 텔레비전 보기, 집에서 쉰다 2008년 조사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평일 40.8% 43.7% 38.9% 주말 및 휴일 27.5% 29.0% 26.4% 1) 2006년부터 2년 주기로 조사 주기를 단축하였음.

ii / 요약 평일에는 텔레비전 보기(24.5%), 집에서 쉰다/낮잠(16.3%), 인터넷/게임(10.5%), 산 책/스포츠(8.3%), 신문/잡지보기(7.1%), 친구만나기/모임참가(7.0%) 등의 순서로 여가 시간을 활용하였다. 주말과 휴일에는 텔레비전 보기(15.5%), 집에서 쉰다/낮잠(12.0%), 가족과 대화/외 식(10.6%), 친구만나기/모임참가(8.7%), 산책/스포츠(7.9%), 등산/낚시(7.6%) 등의 순 서로 여가시간을 활용하였다. 2) 예술향유 2.1) 지난 1년 동안(2007. 3. 1~2008. 2. 29) 예술행사 관람률은 67.3%로, 2006년 의 65.8%보다 높아졌다. 분야별로 보면, 문학행사, 전통예술공연, 대중가요콘서트/연 예를 제외하고는 관람경험이 늘었다. 예술분야별 연간 관람률은 문학행사 4.0%, 미술전시회 8.4%, 클래식음악회 오페 라 4.9%, 전통예술공연 4.4%, 연극 11.0%, 무용 0.9%, 영화 61.5%, 대중가요콘서트/ 연예 8.2%로 나타났다. <표 2> 예술행사 관람 예술행사 예술행사 관람률 연평균 예술행사 관람횟수 2008년 조사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2008년 조사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문학행사 4.0% 4.4% 4.0% 0.1 0.1 0.1 미술전시회 8.4% 6.8% 10.4% 0.2 0.2 0.2 클래식음악회/오페라 4.9% 3.6% 6.3% 0.1 0.1 0.1 전통예술공연 4.4% 4.4% 5.2% 0.1 0.1 0.1 연극 11.0% 8.1% 11.1% 0.2 0.2 0.2 무용 0.9% 0.7% 1.1% 0.03 0.01 0.01 영화 61.5% 58.9% 53.3% 4.0 3.9 3.5 대중가요콘서트/연 예 8.2% 10.0% 10.3% 0.1 0.2 0.2 평균 관람횟수는 문학행사 0.1회, 미술전시회 0.2회, 클래식음악회 오페라 0.1회, 전통예술공연 0.1회, 연극 0.2회, 무용 0.03회, 영화 4.0회, 대중가요콘서트/연예 0.1 회로 나타났다. 2006년 조사와 비교하여 큰 변화가 없었다. 2.2) 전체의 74.5%가 앞으로 예술행사를 관람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관

요약 / iii 람희망 분야는 영화(74.9%), 대중가요콘서트/연예(43.0%), 연극(37.0%), 미술전시회 (14.4%), 클래식음악회/오페라(14.1%), 전통예술공연(14.0%), 문학행사(7.3%), 무용 (2.8%)의 순서로 나타났다(의향자 2,980명 기준). 또한, 2006년 조사와 마찬가지로 예술행사의 내용과 수준 (2008년 41.6%, 2006년 42.1%)과 관람비용의 적절성 (2008년 41.2%, 2006년 39.3%)이 예술행사 관람의 주요 한 기준이었다. 2.3) 예술행사 관람의 걸림돌은 비용과다(35.1%), 시간부족(29.0%)이 큰 부분을 차 지하였다. 2006년 조사와 비교하여 비용이 많이 든다 는 응답(2006년 30.0%)이 약 간 늘어난 반면, 시간이 좀처럼 나지 않는다 는 응답(2006년 30.0%)은 큰 차이가 없었다. 3) 문화예술교육 3.1)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률은 8.6%였고, 분야별 교육경험률은 문 학 1.9%, 미술 2.9%, 서양음악1.3%, 전통예술 0.9%, 무용 1.2%, 연극 0.3%, 영화 0.5%, 가요/연예 1.6%, 역사문화유산 0.7% 등으로 나타났다. 2006년 조사와 비교해 보면, 연극, 영화, 역사문화유산을 제외하고는 교육 경험이 늘었다. <표 3>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 교육분야 2008년 조사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전체 8.6% 7.7% 11.4% 문학 1.9% 1.5% 1.5% 미술 2.9% 2.8% 4.5% 서양음악 1.3% 1.2% 1.9% 전통예술 0.9% 0.8% 2.2% 무용 1.2% 0.6% 1.4% 연극 0.3% 0.3% 0.7% 영화 0.5% 0.6% 0.7% 가요/연예 1.6% 1.5% 1.7% 역사문화유산 0.7% 1.0% 1.0%

iv / 요약 3.2) 전체의 21.5%는 앞으로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교육받기를 희망하는 분야는 미술(8.2%), 문학(3.9%), 가요/연예(3.9%), 전통예술 (3.5%), 역사문화유산(3.4%), 영화(3.3%), 서양음악(2.1%), 무용(2.0%), 연극(2.0%) 등 의 순서로 나타났다(전체 4,000명 기준). 4) 문화시설 이용 4.1) 지난 1년 동안(2007. 3. 1 ~ 2008. 2. 29) 9개 문화시설(시/군/구민회관, 문화 예술회관, 복지회관, 청소년회관, 문화원, 도서관, 박물관, 대학교부설 사회문화교실, 사설문화센터)의 이용률은 45.2%, 그리고 문화행사(공연, 전시회, 문화강좌) 참여율 은 30.0%로 나타났다. <표 4> 문화시설 이용과 문화시설 행사참여 단순이용 문화행사참여 이용률 연평균 이용횟수 참여율 연평균 참여횟수 전체 45.2% 4.26 30.0% 1.03 시/군/구민회관 12.0% 0.49 7.7% 0.16 문화예술회관 11.5% 0.29 9.7% 0.22 복지회관 7.7% 0.56 4.7% 0.13 청소년회관 4.4% 0.28 2.7% 0.06 문화원 2.1% 0.07 1.8% 0.05 도서관 16.2% 1.88 3.9% 0.11 박물관 12.1% 0.24 8.0% 0.14 대학교부설 사회문화교실 1.7% 0.11 1.2% 0.03 사설문화센터 5.5% 0.34 4.3% 0.13 문화시설 이용률(문화행사 참여율)을 시설별로 살펴보면, 시/군/구민회관 12.0%(7.7%), 문화예술회관 11.5%(9.7%), 복지회관 7.7%(4.7%), 청소년회관 4.4%(2.7%), 문화원 2.1% (1.8%), 도서관 16.2%(3.9%), 박물관 12.1%(8.0%), 대학교부설 사회문화교실 1.7%(1.2%), 사설문화센터 5.5%(4.3%)로 나타났다.

요약 / v <표 5> 문화시설 이용과 문화시설 행사참여: 2006년, 2003년과 비교 문화시설 이용률 문화행사 참여율 지역문화시설 2008년 2006년 2003년 2008년 2006년 2003년 전체 45.2% 41.9% 38.9% 30.0% 30.1% 32.2% 시/군/구민회관 12.0% 11.2% 9.6% 7.7% 7.8% 8.3% 문화예술회관 11.5% 11.3% 11.6% 9.7% 9.9% 10.6% 복지회관 7.7% 7.5% 5.5% 4.7% 5.3% 4.6% 청소년회관 4.4% 3.6% 4.4% 2.7% 2.4% 3.6% 문화원 2.1% 2.1% 2.4% 1.8% 1.7% 2.1% 도서관 16.2% 12.8% 16.0% 3.9% 5.5% 7.1% 박물관 12.1% 12.3% 11.5% 8.0% 8.8% 10.8% 대학교부설 사회문화교실 1.7% 1.4% 1.8% 1.2% 1.0% 1.7% 사설문화센터 5.5% 4.6% 4.6% 4.3% 3.3% 4.4% 4.2) 전체의 52.4%는 앞으로 문화시설의 문화행사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희망 프로그램은 공연 관람 (49.4%), 영화 관람 (24.9%), 문학 강 좌 (7.8%), 예술관련 교양강좌 (7.3%), 미술전시회 관람 (5.7%), 예술 창작 (5.0%)의 순서로 나타났다(의향자 2,096명 기준). 또한, 프로그램의 수준 (60.0%)을 문화행사 참여의 가장 중요한 조건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5) 문화활동 5.1) 문화관련 자원봉사 경험률은 6.2%, 월평균 자원봉사 횟수는 1.96회였다. 5.2)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율은 문학 0.6%, 미술 0.9%, 서양음악 0.3%, 전통예술 0.3%, 무용 0.2%, 연극 0.1%, 영화 0.5%, 가요/연예 0.5%, 역사문화유산 0.1%로 나 타났다. 2006년 조사와 비교하여 큰 차이는 없었다. 5.3) 전체의 15.7%는 앞으로 문화관련 동호회에 참여할 의향이 있었다.

vi / 요약 <표 6>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 참여 동호회 2008년 조사 2006년 조사 문학 0.6% 0.6% 미술 0.9% 0.9% 서양음악 0.3% 0.3% 전통예술 0.3% 0.4% 무용 0.2% 0.1% 연극 0.1% 0.2% 영화 0.5% 0.6% 가요/연예 0.5% 0.5% 역사문화유산 0.1% 0.2% 6) 문화관광 6.1) 지난 1년 동안(2007. 3. 1 ~ 2008. 2. 29)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율은 51.5%, 전체의 80.5%는 앞으로 역사문화유적지를 방문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볼거리의 수준/다양성(59.0%)을 가장 중요한 방문 기준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2006 년 조사(51.4%)와 비교하여 방문율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표 7>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실태 2008년 조사 2006년 조사 연간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율 51.5% 51.4% 연평균 역사문화유적지 방문횟수 전체대상 1.30회 1.46회 방문자 대상 2.52회 2.83회 6.2) 지난 1년 동안(2007. 3. 1 ~ 2008. 2. 29) 지역축제 관람률은 48.7%, 전체의 76.5%는 앞으로 지역문화축제를 관람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볼거리의 수준/다양성 (72.7%)을 가장 중요한 관람기준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2006년 조사 (43.0%)와 비교하여 지역문화축제 관람 경험이 약간 늘었다.

요약 / vii <표 8> 지역축제 관람률: 2006년과 비교 2008년 조사 2006년 조사 연간 지역축제 관람률 48.7% 43.0% 7) 사이버 문화활동 7.1) 인터넷 이용자들의 9개의 문화관련(문학, 미술, 서양음악, 전통예술, 무용, 연 극, 영화/비디오, 가요/연예, 역사문화유산)사이트 접속률은 59.1%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4,000명)를 기준으로 할 경우, 문화관련 사이트 접속률은 43.1%였다. 7.2) 사이트별 접속률을 전체 4,000명 기준(인터넷 이용자 2,916명 기준)으로 살펴 보면, 문학 6.4%(8.7%), 미술 4.1%(5.6%), 서양음악 3.7%(5.1%), 전통예술 1.4%(1.9%), 무용 1.0%(1.3%), 연극 4.2%(5.7%), 영화 35.3%(48.4%), 가요/연예 24.2%(33.2%), 역 사문화유산 4.4%(6.0%)였다. <표 9> 문화관련 인터넷 사이트 접속률 전체 인터넷 이용자 표본수 4,000명 2,916명 문화관련 사이트 접속률 43.1% 59.1%

차례 / ix 차 례 Ⅰ. 조사개요 1 1. 조사목적 1 2. 조사내용 1 3. 조사방법 3 1) 모집단 3 2) 표본크기 3 3) 표본추출방법 3 4) 조사시점 4 5) 자료분석 4 Ⅱ. 조사결과 7 1. 여가생활 7 1) 여가시간 7 (1) 평일의 여가시간 7 (2) 주말 휴일의 여가시간 10 2) 여가비 지출액 12 3) 여가활용 13 (1) 여가활용 실태 13 (2) 희망하는 여가활동 17 4) 여가활동의 걸림돌 21 (1) 여가활동 걸림돌: 평일 22 (2) 여가활동 걸림돌: 주말 휴일 24 2. 예술향유 26 1) 예술행사 관람 26 (1) 문학행사 관람 30 (2) 미술전시회 관람 32 (3) 클래식음악회 오페라 관람 34 (4) 전통예술공연 관람 36 (5) 연극 관람 38 (6) 무용 관람 40 (7) 영화 관람 42 (8) 대중가요콘서트/연예 관람 44

x / 차례 2) 예술행사 관람의향 50 (1) 관람 희망분야 52 (2) 예술행사 관람기준 56 3) 예술행사 관람의 걸림돌 및 정보출처 58 (1) 예술행사 관람의 걸림돌 58 (2) 예술행사 정보출처 62 4) 예술 창작 발표활동 65 (1) 예술 창작 발표활동 경험 65 (2) 예술창작 발표 의향 68 5) 문화예술관련 지출 71 (1) 문화예술관련 최다지출 항목 71 (2) 문화예술관련 지출희망 항목 74 3. 문화예술교육 78 1) 문화예술교육 경험 78 (1) 교육받은 분야 80 (2) 교육만족도 82 (3) 보완사항 84 (4) 교육기관 86 2) 문화예술교육 의향 88 (1) 문화예술교육 의향 88 (2) 교육 희망분야 90 (3) 교육 희망방식 94 3) 문화예술교육의 걸림돌 96 4. 문화시설 이용 98 1) 문화시설 이용(방문)실태 98 2) 문화시설의 문화행사 참여 103 (1) 시/군/구민회관 106 (2) 문화예술회관 108 (3) 복지회관 110 (4) 청소년회관 112 (5) 문화원 114 (6) 도서관 116 (7) 박물관 118

차례 / xi (8) 대학교부설 사회문화교실 120 (9) 사설문화센터 122 3) 문화시설의 문화행사 참여의향 124 (1)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 126 (2) 문화행사 참여기준 128 4) 문화행사 참여의 걸림돌 130 5. 문화활동 132 1) 문화관련 자원봉사활동 132 (1) 자원봉사 경험 132 (2) 활동횟수 132 2) 문화관련 동호회 활동 134 (1) 동호회 참여현황 134 (2) 분야별 동호회 특성 136 (3) 동호회 참여의향 139 (4) 문화관련 동호회 가입의 걸림돌 142 6. 문화관광 144 1)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144 (1)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실태 144 (2) 방문자 인식 146 (3)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의향 150 (4)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의 걸림돌 154 2) 지역축제 관람 156 (1) 지역축제 관람실태 156 (2) 지역축제 관람자 특성 158 (3) 지역축제 관람의향 166 (4) 지역축제 관람의 걸림돌 170 7. 사이버 문화활동 및 매체이용 예술감상 172 1) 인터넷 이용 172 2) 문화관련 사이트 접속 172 (1) 문학 사이트 173 (2) 미술 사이트 174 (3) 서양음악 사이트 175

xii / 차례 (4) 전통예술 사이트 176 (5) 무용 사이트 177 (6) 연극 사이트 178 (7) 영화 사이트 179 (8) 가요/연예 사이트 180 (9) 역사문화유산 사이트 181 3) 매체이용 예술감상 182 (1) 텔레비전 예술프로그램 감상 182 (2) 비디오/오디오 예술프로그램 감상 184 (3) 매체이용 예술프로그램 감상 186 abstract 189 부록 1 문화향수실태조사 설문지 191 부록 2 문화향수실태조사 결과표 205 부록 3 2003년, 2006년 결과표 재분석 323

차례 / xiii 표 차 례 <표 0-1> 조사내용 2 <표 0-2> 응답자 속성별 분포 4 <표 1-1> 평일의 여가시간: 2006년과 비교 8 <표 1-2> 평일의 여가시간 9 <표 1-3> 주말 휴일의 여가시간: 2006년과 비교 10 <표 1-4> 주말 휴일의 여가시간 11 <표 1-5> 월평균 여가비 지출액: 2006년과 비교 12 <표 1-6> 월평균 여가비 지출액 12 <표 1-7> 여가활용 최다빈도: 2003년, 2006년과 비교 13 <표 1-8> 여가활용실태: 평일, 주말 휴일 14 <표 1-9> 평일의 여가활용: 2006년과 비교 15 <표 1-10> 주말 휴일의 여가활용: 2006년과 비교 16 <표 1-11> 희망하는 여가활동: 평일, 주말 휴일 18 <표 1-12> 희망하는 평일의 여가활동: 2006년과 비교 19 <표 1-13> 희망하는 주말 휴일의 여가활동: 2006년과 비교 20 <표 1-14> 여가활동 걸림돌: 2006년과 비교 22 <표 1-15> 평일의 여가활동 걸림돌 23 <표 1-16> 주말 휴일의 여가활동 걸림돌 25 <표 2-1> 예술행사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27 <표 2-2> 예술행사 관람률: 2003년, 2006년과 비교 28 <표 2-3> 예술행사 연평균 관람횟수: 2003년, 2006년과 비교 29 <표 2-4> 문학행사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30 <표 2-5> 미술전시회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32 <표 2-6> 클래식음악회 오페라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34 <표 2-7> 전통예술공연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36 <표 2-8> 연극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38 <표 2-9> 무용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40 <표 2-10> 영화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42 <표 2-11> 대중가요콘서트/연예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44

xiv / 차례 <표 2-12> 예술행사 연평균 관람횟수: 관람자 대상 46 <표 2-13> 예술행사 관람지역: 관람자 대상 46 <표 2-14> 예술행사 관람방법: 관람자 대상 46 <표 2-15> 예술행사 관람동행자: 관람자 대상 47 <표 2-16> 예술행사 관람결정자: 관람자 대상 47 <표 2-17> 예술행사 만족도: 관람자 대상 48 <표 2-18> 예술행사 보완점: 관람자 대상 48 <표 2-19> 예술행사 관람자 특성: 종합 49 <표 2-20> 예술행사 관람의향: 관람자와 비관람자 비교 50 <표 2-21> 예술행사 관람의향 51 <표 2-22> 예술행사 관람 희망분야: 2006년과 비교 52 <표 2-23> 예술행사 관람 희망분야: 전체와 관람의향자 53 <표 2-24> 예술행사 관람분야와 관람 희망분야 비교 53 <표 2-25> 관람하고 싶은 예술행사 55 <표 2-26> 예술행사 관람기준: 2006년과 비교 56 <표 2-27> 예술행사 관람기준 57 <표 2-28> 예술행사 관람 걸림돌: 2006년과 비교 59 <표 2-29> 예술행사 관람 걸림돌: 문화행사 참여 걸림돌과 비교 59 <표 2-30> 예술행사 관람 걸림돌 61 <표 2-31> 예술행사 정보출처: 2006년과 비교 63 <표 2-32> 예술행사 정보출처 64 <표 2-33> 연간 예술 창작 발표활동 경험: 2006년과 비교 66 <표 2-34> 예술창작 발표활동: 관람경험과 비교 66 <표 2-35> 예술창작 발표활동 경험률 67 <표 2-36> 예술창작 발표활동 의향: 경험자와 비경험자 비교 68 <표 2-37> 예술창작 발표활동 의향 69 <표 2-38> 예술창작 발표 경험률과 희망률 비교 70 <표 2-39> 문화예술관련 최다지출 항목: 2006년과 비교 72 <표 2-40> 문화예술관련 최다지출 항목 73 <표 2-41> 문화예술관련 지출희망 항목: 2006년과 비교 75 <표 2-42> 문화예술관련 지출희망 항목: 최다 지출항목과 비교 75 <표 2-43> 문화예술관련 지출희망 항목 77 <표 3-1> 문화예술교육 경험률 79 <표 3-2>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률: 2006년과 비교 80

차례 / xv <표 3-3>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률 81 <표 3-4>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2006년과 비교 82 <표 3-5>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83 <표 3-6>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의 보완점: 2006년과 비교 84 <표 3-7>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의 보완점 85 <표 3-8>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받은 기관: 2006년과 비교 86 <표 3-9>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받은 기관 87 <표 3-10> 문화예술교육 의향: 2006년과 비교 88 <표 3-11> 문화예술교육 의향 89 <표 3-12> 문화예술교육 희망분야: 2006년과 비교 91 <표 3-13> 문화예술교육 희망분야: 교육받은 분야와 비교 92 <표 3-14> 문화예술교육 희망분야 93 <표 3-15>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을 받고 싶은 교육방식: 교육받은 기관과 비교 94 <표 3-16>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을 받고 싶은 교육방식 95 <표 3-17> 문화예술교육의 걸림돌: 2006년과 비교 96 <표 3-18> 문화예술교육의 걸림돌 97 <표 4-1> 지역문화시설 이용: 2006년과 비교 98 <표 4-2> 지역문화시설 연평균 이용횟수 99 <표 4-3> 지역문화시설 연간 이용률 및 연평균 이용횟수 100 <표 4-4> 지역문화시설 연간 이용률 및 연평균 이용횟수: 2006년과 비교 100 <표 4-5> 지역문화시설별 연간 이용률 102 <표 4-6> 문화시설 행사 참여율: 2006년과 비교 104 <표 4-7> 문화시설 단순이용률과 행사참여율 104 <표 4-8> 문화시설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05 <표 4-9> 시/군/구민회관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06 <표 4-10> 시/군/구민회관 문화행사 참여자 특성 107 <표 4-11> 문화예술회관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08 <표 4-12> 문화예술회관 문화행사 참여자 특성 109 <표 4-13> 복지회관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10 <표 4-14> 복지회관 문화행사 참여자 특성 111 <표 4-15> 청소년회관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12 <표 4-16> 청소년회관 문화행사 참여자 특성 113 <표 4-17> 문화원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14 <표 4-18> 문화원 문화행사 참여자 특성 115

xvi / 차례 <표 4-19> 도서관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16 <표 4-20> 도서관 문화행사 참여자 특성 117 <표 4-21> 박물관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18 <표 4-22> 박물관 문화행사 참여자 특성 119 <표 4-23> 대학교부설 사회문화교실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20 <표 4-24> 대학교부설 사회문화교실 문화행사 참여자 특성 121 <표 4-25> 사설문화센터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22 <표 4-26> 사설문화센터 문화행사 참여자 특성 123 <표 4-27> 문화시설 문화행사 참여의향: 참여자와 비참여자 비교 124 <표 4-28> 지역문화시설의 문화행사 참여의향 125 <표 4-29> 참여하고 싶은 문화행사: 2006년과 비교 126 <표 4-30> 참여하고 싶은 문화행사 프로그램 127 <표 4-31> 문화행사 참여기준: 2006년과 비교 128 <표 4-32> 문화행사 참여기준 129 <표 4-33> 문화행사 참여 걸림돌: 2006년과 비교 130 <표 4-34> 문화행사 참여 걸림돌 131 <표 5-1> 문화자원봉사활동 실태 132 <표 5-2> 문화관련 자원봉사 월평균 횟수 132 <표 5-3> 문화관련 자원봉사 경험 133 <표 5-4>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율: 2006년과 비교 134 <표 5-5>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율 135 <표 5-6> 문화관련 동호회 특성: 종합 138 <표 5-7>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의향: 참여자와 비참여자 비교 139 <표 5-8> 참여 동호회와 참여희망 동호회 비교 140 <표 5-9> 참여희망 문화관련 동호회 141 <표 5-10> 문화관련 동호회 가입 걸림돌: 2006년과 비교 142 <표 5-11> 문화관련 동호회 가입 걸림돌 143 <표 6-1>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실태: 2006년과 비교 144 <표 6-2> 역사문화유적지 연평균 방문횟수 145 <표 6-3> 역사문화유적지 보존실태 평가: 2006년과 비교 146 <표 6-4> 역사문화유적지 보존실태 평가 147 <표 6-5> 역사문화유적지 편의시설 만족도: 2006년과 비교 148 <표 6-6> 역사문화유적지 편의시설 만족도 149

차례 / xvii <표 6-7>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의향: 방문자와 비방문자 비교 150 <표 6-8>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의향 151 <표 6-9> 역사문화유적지 방문기준: 2006년과 비교 152 <표 6-10> 역사문화유적지 방문기준 153 <표 6-11>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걸림돌: 2006년과 비교 154 <표 6-12>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걸림돌 155 <표 6-13> 지역축제 관람률: 2006년과 비교 156 <표 6-14> 지역축제 관람실태 157 <표 6-15> 지역축제 관람지역 159 <표 6-16> 지역축제 프로그램 만족도: 2006년과 비교 160 <표 6-17> 지역축제 프로그램 만족도 161 <표 6-18> 지역축제 시설 및 환경 만족도: 2006년과 비교 162 <표 6-19> 지역축제 시설 및 환경 만족도 163 <표 6-20> 지역축제 보완점: 2006년과 비교 164 <표 6-21> 지역축제 보완점 165 <표 6-22> 지역축제 관람의향: 관람경험자와 비경험자 비교 166 <표 6-23> 지역축제 관람의향 167 <표 6-24> 지역축제 관람기준: 2006년과 비교 168 <표 6-25> 지역축제 관람기준 169 <표 6-26> 지역축제 관람 걸림돌: 2006년과 비교 170 <표 6-27> 지역축제 관람 걸림돌 171 <표 7-1> 문화관련 인터넷 사이트 접속률 172 <표 7-2> 문학 사이트 이용자 특성 173 <표 7-3> 미술 사이트 이용자 특성 174 <표 7-4> 서양음악 사이트 이용자 특성 175 <표 7-5> 전통예술 사이트 이용자 특성 176 <표 7-6> 무용 사이트 이용자 특성 177 <표 7-7> 연극 사이트 이용자 특성 178 <표 7-8> 영화 사이트 이용자 특성 179 <표 7-9> 가요/연예 사이트 이용자 특성 180 <표 7-10> 역사문화유산 사이트 이용자 특성 181 <표 7-11> 텔레비전 예술프로그램 시청률: 2006년과 비교 182 <표 7-12> 텔레비전 예술프로그램 시청률 183 <표 7-13> 비디오/오디오 예술프로그램 감상률: 2006년과 비교 184

xviii / 차례 <표 7-14> 비디오/오디오 예술프로그램 감상률 185 <표 7-15> 매체이용 예술프로그램 감상: 2006년과 비교 186 <표 7-16> 매체이용 예술프로그램 감상: 텔레비전과 비디오/오디오 비교 187 <표 7-17> 매체이용 예술프로그램 감상: 예술행사 직접관람과 비교 187 <표 7-18> 매체이용 예술프로그램 감상률 188

차례 / xix 그 림 차 례 [그림 1-1] 평일의 여가시간 8 [그림 1-2] 주말 휴일의 여가시간 10 [그림 1-3] 여가활동 걸림돌: 평일과 주말 휴일 비교 21 [그림 1-4] 평일의 여가활동 걸림돌 22 [그림 1-5] 주말 휴일의 여가활동 걸림돌 24 [그림 2-1] 연간 예술행사 관람률: 2003년, 2006년과 비교 26 [그림 2-2] 관람자 대상 관람횟수: 2006년과 비교 29 [그림 2-3] 예술행사 관람의향 50 [그림 2-4] 관람하고 싶은 예술행사 52 [그림 2-5] 예술행사 관람기준 56 [그림 2-6] 예술행사 관람 걸림돌 58 [그림 2-7] 예술행사 정보출처 62 [그림 2-8] 연간 예술창작 발표활동 경험 65 [그림 2-9] 분야별 예술창작 발표활동 경험률 65 [그림 2-10] 예술창작 발표활동 의향 68 [그림 2-11] 예술창작 발표활동 희망분야 70 [그림 2-12] 문화예술관련 최다지출 항목 71 [그림 2-13] 문화예술관련 지출희망 항목 74 [그림 3-1] 문화예술교육 경험률 78 [그림 3-2] 분야별 문화예술교육 경험 80 [그림 3-3]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82 [그림 3-4]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보완점 84 [그림 3-5]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받은 기관 86 [그림 3-6] 문화예술교육 희망분야 90 [그림 3-7] 문화예술교육 희망분야: 2006년과 비교 91 [그림 3-8]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을 받고 싶은 교육방식 94 [그림 3-9] 문화예술교육의 걸림돌 96

xx / 차례 [그림 4-1] 지역문화시설 연간 이용 횟수 98 [그림 4-2] 문화시설 문화행사 연평균 참여횟수 103 [그림 4-3] 문화시설 문화행사 참여의향 124 [그림 4-4] 참여하고 싶은 문화행사 프로그램 126 [그림 4-5] 문화행사 참여기준 128 [그림 4-6] 문화행사 참여 걸림돌 130 [그림 5-1]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의향 139 [그림 5-2] 문화관련 동호회 가입 걸림돌 142 [그림 6-1] 역사문화유적지 보존실태 평가 146 [그림 6-2] 역사문화유적지 편의시설 만족도 148 [그림 6-3]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의향 150 [그림 6-4] 역사문화유적지 방문기준 152 [그림 6-5]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걸림돌 154 [그림 6-6] 지역축제 관람실태 156 [그림 6-7] 지역축제 관람지역 158 [그림 6-8] 지역축제 프로그램 만족도 160 [그림 6-9] 지역축제 시설 및 환경 만족도 162 [그림 6-10] 지역축제 보완점 164 [그림 6-11] 지역축제 관람의향 166 [그림 6-12] 지역축제 관람기준 168 [그림 6-13] 지역축제 관람 걸림돌 170 [그림 7-1] 텔레비전 예술프로그램 시청 182 [그림 7-2] 비디오/오디오 예술프로그램 감상 184 [그림 7-3] 매체이용 예술프로그램 감상 186

Ⅰ. 조사개요 / 1 Ⅰ. 조사개요 1. 조사목적 조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민들이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문화적 삶을 누리고 있는가 를 통계적으로 파악하는 데 있다.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문화향유 관련조 사 가운데 가장 광범위하며, 유일하게 통계청의 승인을 받아 시행되는 이 조사는 1988년부터 3년 주기로 수행되어 선행조사와 시계열 분석이 가능하다. 1) 조사결과는 문화예술인실태조사 와 함께 문화예술 관련 기초 통계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2. 조사내용 선행조사의 틀을 최대한 유지하였지만 몇 가지 문항을 보완하였다. 설문은 본 문 항 33개(하위문항 포함 240개)와 응답자 속성을 나타내는 배경문항 7개로 구성하였 다. 본 문항은 1 여가생활, 2 예술향유 3 문화예술교육, 4 문화시설 이용, 5 문 화활동, 6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7 지역축제 관람, 8 사이버 문화활동 및 매체이 용 예술감상으로 구성하였다. 2006년 조사와 비교하여 전체적인 설문항은 동일하지만 답변보기에서 두 가지를 약간 변경하였다. 첫째, 여가비 지출 항목 가운데 음반 테이프 CD 구입을 음반 테이프 CD 음악파일 구입으로 바꾸었다. 둘째, 지역축제 보완점 문항에서 주민 참여가 높아져야 한다 를 주민참여가 많아져야 한다 로 변경하였다. 구체적인 설문항은 <표 0-1>과 같다. 1) 2006년부터 2년 주기로 조사 주기를 단축하였음.

2 / Ⅰ. 조사개요 <표 0-1> 조사내용 조사 영역 조사 내용 1 여가생활 여가시간 여가비 지출 여가활용(실태, 희망사항) 여가활동 걸림돌 2 예술향유 3 문화예술교육 관람 창작 소비 예술행사 관람실태 - 관람률, 관람지역, 관람방법, 관람동행자, 관람결정자, 만족도, 예술행사 보완점 예술행사 관람의향(관람 희망분야, 관람기준) 예술행사 관람 걸림돌 및 정보출처 예술창작 발표 문화예술관련 지출(최다지출 항목, 지출희망 항목) 문화예술교육 경험(만족도, 보완점, 교육기관) 문화예술교육 의향(교육희망 분야) 문화예술교육 걸림돌 4 문화시설 이용 문화시설 이용실태(이용률, 만족도) 문화시설의 문화행사 참여(참여율, 만족도) 문화시설의 문화행사 참여의향(프로그램, 참여기준) 문화시설의 문화행사 참여 걸림돌 5 문화활동 문화자원봉사활동(경험률, 활동빈도)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동호회 성격, 참여빈도, 만족도)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의향(참여희망 분야)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 걸림돌 6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7 지역축제 관람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실태(방문율, 만족도) 역사문화유적지 방문의향(방문기준)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걸림돌 지역축제 관람실태(관람률, 만족도, 보완점) 지역축제 관람의향(참여기준) 지역축제 관람 걸림돌 8 사이버 문화활동 및 매체이용 예술감상 사이버 문화활동 매체이용 예술감상 인터넷 이용 문화관련 사이트 이용경험(이용률, 만족도, 유료이용경험) 예술감상(TV, 오디오/비디오)

Ⅰ. 조사개요 / 3 3. 조사방법 조사는 통계청의 승인(승인번호 11301호)을 받아 시행되었다. 모집단은 15세 이상의 전국민(제주도 제외), 표본크기는 4,000명, 표본추출방법은 다단계층화무작위표집법을 이용하였다. 조사는 2008년 3월 3일부터 4월 11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면접원이 대상자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읽어주고 답을 받아 적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도 수준에서 ±1.5%다. 1) 모집단 모집단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15개 시 도에 거주하는 15세 이상의 전국민이 다. 모집단 기준은 2006 전국주민등록인구통계 (통계청)를 이용하였다. 2) 표본크기 표본크기는 4,000명이다. 2003년 조사까지는 2,000명, 2006년 조사에서는 3,000명 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보다 신뢰할 만한 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표본크기를 확대 하였다. 3) 표본추출방법 표본은 다단계층화무작위표집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첫째, 15개 시 도별로 인구크기에 비례하여 표집인원을 할당하였다. 지역별 할 당 표본 수는 2006 주민등록인구통계 에 따랐다. 이때, 7개 시(특별시, 광역시)를 제외한 8개 도는 시부( 市 部 )와 군부( 郡 部 )로 나누어 할당하였다. 둘째, 조사대상 시 군 구를 선정하였다. 셋째, 각 시 군 구에서 무작위로 통 리를 선정하였다. 넷째, 추출된 통 리에서 통장 이장집을 기점으로 K번째 가구를 조사대상 가구로 선정하였다. 다섯째, 조사가구의 15세 이상 가구원 가운데 생일(월[ 月 ]이 아니라 일 [ 日 ]기준)이 가장 빠른 사람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4 / Ⅰ. 조사개요 4) 조사시점 설문조사는 2008년 3월 3일부터 4월 11일까지 시행하였다. 2006년 조사에서는 연 간 기준일을 5월 31일로 설정하여 6월 이후 실제 조사를 수행하였지만, 이번 조사 에서는 기준일을 2월 29일로 변경하여 조사시점을 앞당겼다. 면접원이 응답자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읽어주고 답을 받아 적는 면접방법으로 진행된 이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도수준에서 ±1.5%다. 실제 조사는 (주)월드 리서치에서 대행하였다. 5) 자료분석 응답된 설문지 검토, 데이터코딩, 편집과정을 거쳐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분 석하였다.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성, 연령, 도시규 모 2), 시 도, 학력, 직업, 월평균 가구소득 3) 을 독립변인으로 이용하였다. 응답자 속 성별 분포는 <표 0-2>와 같다. <표 0-2> 응답자 속성별 분포 응답자 속성 구분 빈도 백분율 전 체 4,000 100.0% 성별 남 여 1,981 2,019 49.5% 50.5% 연령 10대(15세 이상) 20대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 321 754 888 856 523 658 8.0% 18.9% 22.2% 21.4% 13.1% 16.5% 도시규모 대도시 중소도시 1,930 1,700 48.3% 42.5% 2) 대도시, 중소도시, 군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교차분석표에서 대도시는 서울과 6개 광역시, 중소도시는 기초 지자체 시( 市 )지역을 의미한다. 3) 2006년 조사까지 300만원 이상으로 표기한 월평균 가구소득을 2008년 조사에서는 300~399만원, 400만원 이 상으로 구분하였다.

Ⅰ. 조사개요 / 5 군 지역 370 9.3% 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고등학교 졸업 대학 재학 이상 885 1,570 1,545 22.1% 39.3% 38.6% 직업 전문/관리직 사무직 서비스/판매직 생산직 자영업 주부 학생 기타/무직 124 701 647 525 163 1,019 613 208 3.1% 17.5% 16.2% 13.1% 4.1% 25.5% 15.3% 5.2%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 100-199만원 200-299만원 300-399만원 400만원 이상 269 704 1,248 1,104 675 6.7% 17.6% 31.2% 27.6% 16.9% 지역(시 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872 310 209 217 113 121 88 846 126 124 163 156 163 229 263 21.8% 7.8% 5.2% 5.4% 2.8% 3.0% 2.2% 21.2% 3.2% 3.1% 4.1% 3.9% 4.1% 5.7% 6.6%

6 / Ⅰ. 조사개요 평균점수를 계산해야 할 경우에는 5점 만점으로 하였다. 따라서 3점을 초과하면 만족도가 높고, 3점 미만이면 만족도가 낮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보고서는 2006년 조사결과와 비교하여 기술함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사례 수가 없는 경우에는 표시(본문의 교차분석표 및 부록 통계표에서는.0으로 표시), 범주에 맞지 않아서 비교할 수 없을 경우에는 표시, 그리고 알 수 없는 경우에는 표시를 사용하였다.

1. 여가생활 / 7 Ⅱ. 조사결과 1. 여가생활 넓은 의미의 문화생활 실태 파악을 위해 여가시간, 여가비 지출, 여가활용, 희망 하는 여가활동, 그리고 여가활동의 걸림돌 등을 조사하였다. 1) 여가시간 여가시간을 근로, 수면, 식사, 출퇴근, 학교생활, 가사를 제외한 시간으로 규정한 다음 측정하였다. 평일(주말과 휴일이 아닌)의 여가시간은 2시간~3시간 미만, 1시간~2시간 미만 이라고 답한 의견이 각각 31.8%, 29.9%로 많았다. 주말과 휴일의 여가시간은 5시 간~7시간 미만 이라고 답한 의견이 33.8%로 가장 많았다. (1) 평일의 여가시간 평일의 여가시간을 살펴보면, 2시간~3시간 미만 이라고 응답한 의견이 31.8%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1시간~2시간 미만 (29.9%), 3시간~4시간 미만 (16.3%), 5시간 이상 (8.0%), 4시간~5시간 미만 (7.7%), 1시간 미만 (6.4%)의 순서로 나타났 다. 평일의 여가시간이 5시간 이상 이란 응답은 60세 이상, 중졸 이하, 주부,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 소득층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60세 이상 24.3%, 중졸 이하 16.4%, 주부 16.5%, 100만원 미만 소득층 28.3%). 반면에 1시간 미만 이란 응답은 10대(12.1%), 자영업 종사자(11.7%)에게서 비교적 많았다.

8 / Ⅱ. 조사결과 4~5시간 미만 7.7% 5시간 이상 8.0% 1시간 미만 6.4% 3~4시간 미만 16.3% 1~2시간 미만 29.9% 2~3시간 미만 31.8% [그림 1-1] 평일의 여가시간 2006년 조사와 비교하여 큰 차이는 없었다. <표 1-1> 평일의 여가시간: 2006년과 비교 평일의 여가시간 2008년 조사 2006년 조사 1시간 미만 6.4% 6.3% 1~2시간 미만 29.9% 31.5% 2~3시간 미만 31.8% 33.8% 3~4시간 미만 16.3% 14.7% 4~5시간 미만 7.7% 6.2% 5시간 이상 8.0% 7.6%

1. 여가생활 / 9 <표 1-2> 평일의 여가시간 단위: % ---------------------------------------------------------------------------------------- 응 답 내 용 사례수 1시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계 미만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이상 미만 미만 미만 미만 ---------------------------------------------------------------------------------------- [전 체] (4000) 6.4 29.9 31.8 16.3 7.7 8.0 100.0 남 성 (1981) 6.8 32.2 33.0 15.8 6.6 5.7 100.0 여 성 (2019) 6.0 27.7 30.6 16.8 8.7 10.2 100.0 10 대 (321) 12.1 35.8 28.3 12.5 6.2 5.0 100.0 20 대 (754) 5.0 29.2 34.2 18.8 8.5 4.2 100.0 30 대 (888) 7.2 36.9 32.4 15.2 5.0 3.3 100.0 40 대 (856) 7.1 30.6 35.7 15.2 6.3 5.0 100.0 50 대 (523) 6.5 28.1 34.6 15.1 8.4 7.3 100.0 60 세 이 상 (658) 3.0 19.0 22.3 19.1 12.2 24.3 100.0 대 도 시 (1930) 5.8 29.8 32.4 17.1 7.6 7.3 100.0 중 소 도 시 (1700) 7.2 30.4 30.4 15.4 7.7 8.9 100.0 군 지 역 (370) 6.2 28.1 34.9 16.2 7.8 6.8 100.0 중 졸 이 하 (885) 7.8 25.1 26.1 15.6 9.0 16.4 100.0 고 졸 (1570) 5.9 30.1 34.6 16.0 7.1 6.2 100.0 대 재 이 상 (1545) 6.1 32.5 32.2 17.0 7.4 4.9 100.0 전 문/ 관리직 (124) 5.6 37.1 31.5 16.9 5.6 3.2 100.0 사 무 직 (701) 7.4 37.1 34.8 16.0 4.0.7 100.0 서비스/ 판매직 (647) 9.4 36.6 33.8 13.9 4.8 1.4 100.0 생 산 직 (525) 6.7 31.4 35.4 17.7 5.7 3.0 100.0 자 영 업 (163) 11.7 38.7 30.1 11.7 4.9 3.1 100.0 주 부 (1019) 2.6 21.0 29.8 18.2 11.9 16.5 100.0 학 생 (613) 8.5 31.0 30.5 16.3 8.3 5.4 100.0 기 타/ 무 직 (208) 1.4 10.6 20.7 15.4 14.4 37.5 100.0 100만원 미 만 (269) 4.5 13.4 24.9 17.8 11.2 28.3 100.0 100-199 만 원 (704) 4.8 28.6 31.5 16.5 8.2 10.4 100.0 200-299 만 원 (1248) 6.2 31.3 34.1 15.3 7.1 5.9 100.0 300-399 만 원 (1104) 7.1 34.0 30.5 15.9 7.5 5.1 100.0 400만원 이 상 (675) 8.1 28.7 32.4 18.1 6.8 5.8 100.0 ----------------------------------------------------------------------------------------

10 / Ⅱ. 조사결과 (2) 주말 휴일의 여가시간 주말과 휴일의 여가시간은 5시간~7시간 미만 이라고 답한 의견이 33.8%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3시간~5시간 미만 (28.4%), 3시간 미만 (15.6%), 7시간~9시 간 미만 (11.3%), 9시간 이상 (11.0%)의 순으로 나타났다. 7~9시간 미 만 11.3% 9시간 이상 11.0% 3시간 미만 15.6% 5~7시간 미 만 33.8% 3~5시간 미 만 28.4% [그림 1-2] 주말 휴일의 여가시간 2006년 조사와 비교하여 3시간 미만 이란 의견은 줄었고, 9시간 이상 이란 의견 은 늘었다. <표 1-3> 주말 휴일의 여가시간: 2006년과 비교 주말과 휴일의 여가시간 2008년 조사 2006년 조사 3시간 미만 15.6% 20.1% 3~5시간 미만 28.4% 29.9% 5~7시간 미만 33.8% 33.1% 7~9시간 미만 11.3% 10.3% 9시간 이상 11.0% 6.6%

1. 여가생활 / 11 <표 1-4> 주말 휴일의 여가시간 단위: % ------------------------------------------------------------------------------- 응 답 내 용 사례수 3시간 3시간- 5시간- 7시간- 9시간 계 미만 5시간 7시간 9시간 이상 미만 미만 미만 ------------------------------------------------------------------------------- [전 체] (4000) 15.6 28.4 33.8 11.3 11.0 100.0 남 성 (1981) 13.7 27.6 33.0 13.4 12.3 100.0 여 성 (2019) 17.4 29.2 34.5 9.2 9.7 100.0 10 대 (321) 12.1 31.2 31.8 10.6 14.3 100.0 20 대 (754) 11.8 26.4 33.6 14.6 13.7 100.0 30 대 (888) 17.7 30.5 34.2 10.9 6.6 100.0 40 대 (856) 17.2 28.7 34.8 9.7 9.6 100.0 50 대 (523) 17.4 29.3 34.6 10.5 8.2 100.0 60 세 이 상 (658) 15.3 25.2 32.4 10.8 16.3 100.0 대 도 시 (1930) 14.6 28.2 35.6 11.7 9.9 100.0 중 소 도 시 (1700) 14.3 27.6 33.3 12.0 12.8 100.0 군 지 역 (370) 27.0 32.7 26.2 5.7 8.4 100.0 중 졸 이 하 (885) 16.9 28.9 31.2 9.4 13.6 100.0 고 졸 (1570) 16.5 30.3 33.5 10.4 9.3 100.0 대 재 이 상 (1545) 13.9 26.1 35.5 13.1 11.3 100.0 전 문/ 관리직 (124) 16.1 21.0 35.5 16.1 11.3 100.0 사 무 직 (701) 9.8 29.4 40.1 12.3 8.4 100.0 서비스/ 판매직 (647) 20.4 30.1 30.3 9.0 10.2 100.0 생 산 직 (525) 15.8 30.1 32.2 12.4 9.5 100.0 자 영 업 (163) 31.3 28.8 25.2 11.0 3.7 100.0 주 부 (1019) 18.4 28.3 34.3 9.3 9.7 100.0 학 생 (613) 11.1 27.6 33.4 13.2 14.7 100.0 기 타/ 무 직 (208) 6.7 22.1 31.3 13.0 26.9 100.0 100만원 미 만 (269) 16.0 21.9 30.1 11.5 20.4 100.0 100-199 만 원 (704) 18.8 28.8 30.3 10.2 11.9 100.0 200-299 만 원 (1248) 17.0 28.8 33.3 11.9 9.0 100.0 300-399 만 원 (1104) 13.4 30.5 35.5 11.2 9.3 100.0 400만원 이 상 (675) 13.2 26.1 37.0 11.0 12.7 100.0 -------------------------------------------------------------------------------

12 / Ⅱ. 조사결과 2) 여가비 지출액 가구의 한달 평균 여가생활 지출비용은 10만원 미만 이라고 답한 비율이 28.1% 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10~15만원 미만 (17.9%), 20~25만원 미만 (14.9%), 15~20만원 미만 (11.6%), 25~30만원 미만 (9.7%), 30~40만원 미만 (9.6%), 40~50만 원 미만 (4.1%), 50만원 이상 (4.0%)의 순서로 나타났다. 2006년 조사와 비교하여, 10만원 미만 을 여가비로 지출한다는 응답(2008년 28.1%, 2006년 43.1%)은 줄어든 반면 20만원 이상 지출한다는 응답은 증가하였다. <표 1-5> 월평균 여가비 지출액: 2006년과 비교 여가비 지출액 2008년 조사 2006년 조사 10만원 미만 28.1% 43.1% 10~15만원 미만 17.9% 20.2% 15~20만원 미만 11.6% 12.3% 20~25만원 미만 14.9% 10.9% 25~30만원 미만 9.7% 5.9% 30~40만원 미만 9.6% 4.2% 40~50만원 미만 4.1% 2.1% 50만원 이상 4.0% 1.3% <표 1-6> 월평균 여가비 지출액 단위: % ---------------------------------------------------------------------------------------------------------- 응 답 내 용 사례수 10만원 10-15- 20-25- 30-40- 50만원 무응답 계 미만 15만원 20만원 25만원 30만원 40만원 50만원 이상 미만 미만 미만 미만 미만 미만 ---------------------------------------------------------------------------------------------------------- [전 체] (4000) 28.1 17.9 11.6 14.9 9.7 9.6 4.1 4.0.1 100.0 대 도 시 (1930) 20.2 17.6 12.5 17.5 11.3 11.1 5.1 4.7.1 100.0 중 소 도 시 (1700) 33.4 18.4 11.1 12.9 8.8 8.4 3.2 3.8.1 100.0 군 지 역 (370) 45.4 17.6 8.9 10.3 5.9 7.0 3.0 1.9.0 100.0 100만원 미 만 (269) 72.1 12.3 7.8 3.0 2.6 1.1.4.7.0 100.0 100-199 만 원 (704) 41.6 20.7 10.7 11.4 7.2 5.7 1.1 1.3.3 100.0 200-299 만 원 (1248) 27.5 18.8 13.9 15.8 10.6 9.2 2.6 1.8.0 100.0 300-399 만 원 (1104) 18.3 18.3 11.6 19.6 11.6 11.4 5.3 3.9.1 100.0 400만원 이 상 (675) 13.8 15.1 9.8 13.9 10.5 14.5 9.8 12.6.0 100.0 ---------------------------------------------------------------------------------------------------------- 가구 지출액이므로, 성, 연령, 학력, 직업별 지출액은 의미가 없다.

1. 여가생활 / 13 3) 여가활용 (1) 여가활용 실태 여가시간 활용을 평일과 주말 휴일로 구분하여 각각 질문하였다. 여가활동은 하 나의 응답만으로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세 가지를 응답하도록 하였고, 조사결과는 응답 수를 기준으로 통계처리하여 합계 100%가 맞도록 하였다. 평일의 여가활용은 텔레비전 보기 (24.5%), 집에서 쉰다/낮잠 (16.3%), 인터넷/게 임 (10.5%), 산책/스포츠 (8.3%), 신문/잡지보기 (7.1%), 친구만나기/모임참가 (7.0%), 가족과 대화/외식 (3.8%), 독서 (3.5%), 음악감상 (3.3%), 음주 (2.7%), 라디오 듣 기 (1.9%), 쇼핑 (1.8%), 예술감상 (1.6%)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2006년 조사와 비 교하여 거의 차이가 없었다. 한편, 주말 휴일의 여가활용은 텔레비전 보기 (15.5%), 집에서 쉰다/낮 잠 (12.0%), 가족과 대화/외식 (10.6%), 친구만나기/모임참가 (8.7%), 산책/스포 츠 (7.9%), 등산/낚시 (7.6%), 인터넷/게임 (6.2%), 쇼핑 (5.7%), 종교활동 (4.7%), 여 행 (4.7%), 예술감상 (4.5%), 음주 (2.1%)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2006년 조사와 비 교하여 거의 차이가 없었다. 결국, 평일과 주말 휴일의 여가활동은 2006년 조사결과와 비교하여 차이를 찾아 보기 힘들다. 텔레비전 보기 와 집에서 쉰다/낮잠 이 여전히 최상위 빈도를 차지하 였으며, 그 비율이 약간 줄었다. 두 가지(텔레비전 보기, 집에서 쉰다/낮잠)를 합한 비율은 평일의 40.8%(2006년 43.7%), 주말 휴일의 27.5%(2006년 29.0%)였다. <표 1-7> 여가활용 최다빈도: 2003년, 2006년과 비교 텔레비전 보기 집에서 쉰다/낮잠 2008년 조사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평일 40.8% 43.7% 38.9% 주말 및 휴일 27.5% 29.0% 26.4%

14 / Ⅱ. 조사결과 <표 1-8> 여가활용실태: 평일, 주말 휴일 평일 여가활용(중복응답) 주말 휴일 여가활용(중복응답) 텔레비전 보기 24.5% 텔레비전 보기 15.5% 집에서 쉰다/낮잠 16.3% 집에서 쉰다/낮잠 12.0% 인터넷/게임 10.5% 가족과 대화/외식 10.6% 산책/스포츠 8.3% 친구만나기/모임참가 8.7% 신문/잡지 보기 7.1% 산책/스포츠 7.9% 친구만나기/모임참가 7.0% 등산/낚시 7.6% 가족과 대화/외식 3.8% 인터넷/게임 6.2% 독서 3.5% 쇼핑 5.7% 음악감상 3.3% 종교활동 4.7% 음주 2.7% 여행 4.7% 라디오 듣기 1.9% 예술감상 4.5% 쇼핑 1.8% 음주 2.1% 예술감상 1.6% 신문/잡지 보기 1.6% 종교활동 1.3% 독서 1.5% 등산/낚시 1.2% 음악감상 1.4% 학습 1.1%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1.2% 오락/잡기 1.1% 오락/잡기 0.9% 스포츠관람 0.7% 스포츠관람 0.8% 비디오/DVD 보기 0.7% 비디오/DVD 보기 0.8%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0.6% 라디오 듣기 0.6% 예술창작 0.5% 학습 0.5% 여행 0.2% 예술창작 0.4% 기타 0.2% 기타 0.2% 계 100.0% 계 100.0%

1. 여가생활 / 15 <표 1-9> 평일의 여가활용: 2006년과 비교 2008년 조사(중복응답) 2006년 조사(중복응답) 텔레비전 보기 24.5% 텔레비전 보기 25.6% 집에서 쉰다/낮잠 16.3% 집에서 쉰다/낮잠 18.1% 인터넷/게임 10.5% 인터넷/게임 8.9% 산책/스포츠 8.3% 산책/스포츠 8.8% 신문/잡지 보기 7.1% 신문/잡지 보기 6.8% 친구만나기/모임참가 7.0% 친구만나기/모임참가 5.6% 가족과 대화/외식 3.8% 가족과 대화/외식 5.0% 독서 3.5% 독서 3.5% 음악감상 3.3% 음악감상 3.0% 음주 2.7% 음주 2.9% 라디오 듣기 1.9% 라디오 듣기 1.6% 쇼핑 1.8% 등산/낚시 1.5% 예술감상 1.6% 예술감상 1.5% 종교활동 1.3% 쇼핑 1.4% 등산/낚시 1.2% 종교활동 1.0% 학습 1.1% 오락/잡기 0.9% 오락/잡기 1.1%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0.8% 스포츠관람 0.7% 비디오/DVD 보기 0.7% 비디오/DVD 보기 0.7% 스포츠관람 0.7%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0.6% 학습 0.6% 예술창작 0.5% 여행 0.5% 여행 0.2% 예술창작 0.3% 기타 0.2% 기타 0.2% 계 100.0% 계 100.0%

16 / Ⅱ. 조사결과 <표 1-10> 주말 휴일의 여가활용: 2006년과 비교 2008년 조사(중복응답) 2006년 조사(중복응답) 텔레비전 보기 15.5% 텔레비전 보기 15.9% 집에서 쉰다/낮잠 12.0% 집에서 쉰다/낮잠 13.1% 가족과 대화/외식 10.6% 가족과 대화/외식 10.0% 친구만나기/모임참가 8.7% 산책/스포츠 8.3% 산책/스포츠 7.9% 친구만나기/모임참가 7.9% 등산/낚시 7.6% 등산/낚시 6.3% 인터넷/게임 6.2% 인터넷/게임 5.6% 쇼핑 5.7% 여행 5.6% 종교활동 4.7% 쇼핑 5.4% 여행 4.7% 예술감상 4.7% 예술감상 4.5% 종교활동 4.3% 음주 2.1% 음주 2.4% 신문/잡지 보기 1.6% 신문/잡지 보기 1.9% 독서 1.5% 독서 1.6% 음악감상 1.4% 음악감상 1.4%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1.2%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1.3% 오락/잡기 0.9% 스포츠관람 1.0% 스포츠관람 0.8% 오락/잡기 0.9% 비디오/DVD 보기 0.8% 비디오/DVD 보기 0.9% 라디오 듣기 0.6% 라디오 듣기 0.7% 학습 0.5% 학습 0.4% 예술창작 0.4% 예술창작 0.2% 기타 0.2% 기타 0.2% 계 100.0% 계 100.0%

1. 여가생활 / 17 (2) 희망하는 여가활동 여가시간의 활용과 마찬가지로 희망하는 여가활동을 평일과 주말 휴일로 구분 하여 각각 질문하였다. 세 가지를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응답 수 기준으로 분석하 였다. 평일에 희망하는 여가활동은 산책/스포츠 (13.1%), 친구만나기/모임참가 (11.3%), 예술감상 (10.1%), 여행 (9.9%), 쇼핑 (7.8%), 가족과 대화/외식 (7.1%), 텔레비전 보기 (6.0%), 등산/낚시 (5.5%), 집에서 쉰다/낮잠 (5.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주말 휴일에 희망하는 여가활동은 여행 (24.1%), 쇼핑 (10.9%), 가족과 대화/외 식 (10.8%), 등산/낚시 (10.7%), 친구만나기/모임참가 (9.0%), 산책/스포츠 (8.0%) 예 술감상 (7.8%)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희망하는 여가활동은 2006년 조사와 비교하여 조금 차이를 보였다. 한편, 희망하는 여가활동과 여가활용 실태의 차이는 분명했다. 첫째, 현재 여가활용에서 1순위로 나타난 텔레비전 보기 (평일 24.5%, 주말 휴 일 15.5%)를 희망하는 비율은 평일의 7순위(6.0%), 주말 휴일의 10순위(2.4%)였다. 둘째, 현재 여가활용에서 2순위로 나타난 집에서 쉰다/낮잠 (평일 16.3%, 주말 휴일 12.0%)을 희망하는 비율은 평일의 9순위(5.4%), 주말 휴일의 8순위(2.6%)였다. 셋째, 현재 여가활용에서 평일의 22순위(0.2%), 주말 휴일의 10순위(4.7%)에 불과 한 여행 을 희망하는 비율은 평일의 4순위(9.9%), 주말 휴일의 1순위(24.1%)였다. 넷째, 현재 여가활용에서 평일의 13순위(1.6%), 주말 휴일의 11순위(4.5%)에 불과 한 예술감상 을 희망하는 비율은 평일의 3순위(10.1%), 주말 휴일의 7순위(7.8%)였 다. 다섯째, 현재 여가활용에서 평일의 12순위(1.8%), 주말 휴일의 8순위(5.7%)에 불 과한 쇼핑 을 희망하는 비율은 평일의 5순위(7.8%), 주말 휴일의 2순위(10.9%)였 다.

18 / Ⅱ. 조사결과 <표 1-11> 희망하는 여가활동: 평일, 주말 휴일 평 일(중복응답) 주말 휴일(중복응답) 산책/스포츠 13.1% 여행 24.1% 친구만나기/모임참가 11.3% 쇼핑 10.9% 예술감상 10.1% 가족과 대화/외식 10.8% 여행 9.9% 등산/낚시 10.7% 쇼핑 7.8% 친구만나기/모임참가 9.0% 가족과 대화/외식 7.1% 산책/스포츠 8.0% 텔레비전 보기 6.0% 예술감상 7.8% 등산/낚시 5.5% 집에서 쉰다/낮잠 2.6% 집에서 쉰다/낮잠 5.4% 스포츠관람 2.5% 인터넷/게임 3.8% 텔레비전 보기 2.4% 스포츠관람 2.8% 종교활동 2.3% 예술창작 2.8% 인터넷/게임 2.0% 독서 2.4% 예술창작 1.6% 음악감상 2.3%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0.9%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1.7% 음주 0.9% 신문/잡지 보기 1.7% 음악감상 0.8% 음주 1.6% 독서 0.7% 비디오/DVD 보기 1.1% 비디오/DVD 보기 0.5% 종교활동 1.1% 오락/잡기 0.5% 학습 1.0% 학습 0.4% 오락/잡기 0.7% 신문/잡지 보기 0.3% 라디오 듣기 0.5% 기타 0.2% 기타 0.2% 라디오 듣기 0.1% 계 100.0% 계 100.0%

1. 여가생활 / 19 <표 1-12> 희망하는 평일의 여가활동: 2006년과 비교 2008년 조사(중복응답) 2006년 조사(중복응답) 산책/스포츠 13.1% 산책/스포츠 13.4% 친구만나기/모임참가 11.3% 친구만나기/모임참가 10.5% 예술감상 10.1% 여행 9.6% 여행 9.9% 예술감상 8.8% 쇼핑 7.8% 텔레비전 보기 7.3% 가족과 대화/외식 7.1% 가족과 대화/외식 6.9% 텔레비전 보기 6.0% 집에서 쉰다/낮잠 6.7% 등산/낚시 5.5% 쇼핑 6.3% 집에서 쉰다/낮잠 5.4% 등산/낚시 6.0% 인터넷/게임 3.8% 인터넷/게임 4.2% 스포츠관람 2.8% 스포츠관람 3.0% 예술창작 2.8% 독서 2.4% 독서 2.4% 예술창작 2.2% 음악감상 2.3%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2.2%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1.7% 음악감상 2.2% 신문/잡지 보기 1.7% 신문/잡지 보기 1.7% 음주 1.6% 음주 1.7% 비디오/DVD 보기 1.1% 비디오/DVD 보기 1.4% 종교활동 1.1% 종교활동 1.2% 학습 1.0% 학습 0.9% 오락/잡기 0.7% 오락/잡기 0.7% 라디오 듣기 0.5% 라디오 듣기 0.6% 기타 0.2% 기타 0.2% 계 100.1% 계 100.1%

20 / Ⅱ. 조사결과 <표 1-13> 희망하는 주말 휴일의 여가활동: 2006년과 비교 2008년 조사(중복응답) 2006년 조사(중복응답) 여행 24.1% 여행 24.0% 쇼핑 10.9% 등산/낚시 10.3% 가족과 대화/외식 10.8% 쇼핑 10.0% 등산/낚시 10.7% 가족과 대화/외식 9.9% 친구만나기/모임참가 9.0% 친구만나기/모임참가 8.7% 산책/스포츠 8.0% 예술감상 7.6% 예술감상 7.8% 산책/스포츠 7.5% 집에서 쉰다/낮잠 2.6% 집에서 쉰다/낮잠 3.4% 스포츠관람 2.5% 텔레비전 보기 2.8% 텔레비전 보기 2.4% 스포츠관람 2.5% 종교활동 2.3% 종교활동 2.4% 인터넷/게임 2.0% 인터넷/게임 2.1% 예술창작 1.6%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1.8% 노래방/게임방/전자오락실 0.9% 예술창작 1.3% 음주 0.9% 음주 1.1% 음악감상 0.8% 독서 1.0% 독서 0.7% 음악감상 0.8% 비디오/DVD 보기 0.5% 오락/잡기 0.7% 오락/잡기 0.5% 비디오/DVD 보기 0.7% 학습 0.4% 신문/잡지 보기 0.5% 신문/잡지 보기 0.3% 학습 0.4% 기타 0.2% 기타 0.3% 라디오 듣기 0.1% 라디오 듣기 0.2% 계 100.0% 계 100.0%

1. 여가생활 / 21 4) 여가활동의 걸림돌 여가활동의 걸림돌을 조사한 결과, 평일의 경우에는 시간부족 (47.3%), 경제적 부담 (38.7%), 관련시설 부족 (3.9%), 프로그램 부족 (3.9%), 정보부족 (2.9%), 함께 할 사람 없음 (2.6%)의 순서로 나타났다. 한편, 주말 휴일의 여가활동 걸림돌은 경제적 부담 (56.5%), 시간부족 (19.7%), 관련시설 부족 (7.2%), 프로그램 부족 (6.7%), 정보 부족 (6.3%), 함께 할 사람 없 음 (2.8%)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47.3% 56.5% 평일 주말/휴일 38.7% 19.7% 시간 부족 경제적 부담 시설 부족 7.2% 6.7% 6.3% 3.9% 3.9% 2.9% 프로그램 부족 관련 정보부족 2.8% 2.6% 동행인 없음 기타 0.9% 0.7% [그림 1-3] 여가활동 걸림돌: 평일과 주말 휴일 비교 2006년 조사와 비교해보면 여전히 평일에는 시간부족, 그리고 주말 휴일에는 경제적 부담 이 여가활동의 가장 큰 걸림돌로 나타났다. 다만, 주말 휴일의 경우 시간부족 이란 응답은 비슷한 반면(2008년 19.7%, 2006년 20.2%), 경제적 부담 이 란 응답이 늘었다(2008년 56.5%, 2006년 48.7%).

22 / Ⅱ. 조사결과 <표 1-14> 여가활동 걸림돌: 2006년과 비교 여가활동 걸림돌 평일 주말 휴일 2008년 조사 2006년 조사 2008년 조사 2006년 조사 시간부족 47.3% 46.1% 19.7% 20.2% 경제적 부담 38.7% 36.2% 56.5% 48.7% 관련시설 부족 3.9% 6.6% 7.2% 11.4% 프로그램 부족 3.9% 5.2% 6.7% 8.3% 정보부족 2.9% 3.5% 6.3% 7.5% 함께 할 사람 없음 2.6% 1.9% 2.8% 3.4% 기타/없다 0.7% 0.4% 0.9% 0.5% 계 100.0% 100.0% 100.0% 100.0% (1) 여가활동 걸림돌: 평일 여가를 즐길 시간이 없다 는 응답이 거의 모든 응답자 집단에서 가장 많았다. 다 만, 여성, 50세 이상 연령층, 군지역, 중졸 이하, 주부, 월평균 가구소득 200만원 미 만 소득층에서는 경제적으로 부담된다 는 응답이 시간이 부족하다 는 응답보다 많 았다. 한편, 시간부족 이 여가활동의 걸림돌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상대적으로 남성, 40 대 이하 연령층, 자영업, 서비스/판매직, 전문/관리직, 사무직, 그리고 학력이 높을수 록,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높았다. 47.3% 38.7% 3.9% 3.9% 2.9% 2.6% 0.7% 시간 부족 경제적 부담 시설 부족 프로그램 부족 관련 정보부족 동행인 없음 기타 [그림 1-4] 평일의 여가활동 걸림돌

1. 여가생활 / 23 <표 1-15> 평일의 여가활동 걸림돌 단위: % ---------------------------------------------------------------------------------------------------------- 응 답 내 용 사례수 여가시간 경제적 관련시설 관련 관련정보 함께 할 기타 없다/ 계 없음 부담 부족 프로그램 부족 사람 무응답 부족 없음 ---------------------------------------------------------------------------------------------------------- [전 체] (4000) 47.3 38.7 3.9 3.9 2.9 2.6.5.2 100.0 남 성 (1981) 54.5 33.9 3.3 3.7 2.2 1.9.3.1 100.0 여 성 (2019) 40.3 43.3 4.5 4.0 3.5 3.3.7.3 100.0 10 대 (321) 64.5 25.2 1.9 3.7 3.1 1.6.0.0 100.0 20 대 (754) 53.7 33.6 4.2 2.9 3.4 2.1.0.0 100.0 30 대 (888) 55.7 30.4 4.4 3.5 3.5 2.1.1.2 100.0 40 대 (856) 52.9 34.8 2.9 4.3 2.6 2.0.2.2 100.0 50 대 (523) 41.7 44.0 4.4 4.2 1.5 3.3.4.6 100.0 60 세 이 상 (658) 17.5 63.1 4.7 4.7 2.7 4.7 2.3.3 100.0 대 도 시 (1930) 49.2 35.9 3.6 4.6 3.4 2.4.5.4 100.0 중 소 도 시 (1700) 48.6 38.6 4.0 2.9 2.5 2.7.5.1 100.0 군 지 역 (370) 31.9 53.5 4.9 4.3 1.6 3.2.5.0 100.0 중 졸 이 하 (885) 32.7 53.7 3.2 3.3 2.0 3.7 1.2.2 100.0 고 졸 (1570) 47.4 37.8 4.3 4.1 2.9 2.7.6.2 100.0 대 재 이 상 (1545) 55.7 30.9 3.9 4.0 3.3 1.9.0.3 100.0 전 문/ 관리직 (124) 62.1 20.2 4.8 8.1 4.0.8.0.0 100.0 사 무 직 (701) 61.1 27.5 4.1 3.7 2.4 1.0.0.1 100.0 서비스/ 판매직 (647) 64.3 27.8 2.3 1.7 2.8 1.1.0.0 100.0 생 산 직 (525) 49.7 41.5 2.5 3.0.8 2.1.2.2 100.0 자 영 업 (163) 64.4 27.6.0 6.1.0 1.8.0.0 100.0 주 부 (1019) 23.9 54.4 6.5 4.3 4.0 5.0 1.2.7 100.0 학 생 (613) 55.0 33.0 2.4 4.2 3.4 2.0.0.0 100.0 기 타/ 무 직 (208) 12.0 62.5 5.8 5.8 4.3 6.3 3.4.0 100.0 100만원 미 만 (269) 17.5 65.4 3.7 2.2 1.9 6.3 2.6.4 100.0 100-199 만 원 (704) 37.1 50.0 3.1 4.0 1.7 3.0 1.0.1 100.0 200-299 만 원 (1248) 49.4 37.4 4.4 3.7 2.5 2.4.2.0 100.0 300-399 만 원 (1104) 52.4 33.6 4.4 3.8 3.5 1.9.1.3 100.0 400만원 이 상 (675) 57.8 26.8 3.0 4.9 4.1 2.4.4.6 100.0 ----------------------------------------------------------------------------------------------------------

24 / Ⅱ. 조사결과 (2) 여가활동 걸림돌: 주말 휴일 경제적으로 부담이 된다 는 응답이 모든 응답자 집단에서 가장 많았다. 특히, 경제적으로 부담이 된다 는 응답은 60세 이상, 군지역, 생산직, 200만원 미만 소득 층에서 높았다(60세 이상 64.4%, 군지역 60.8%, 생산직 66.1%, 월평균 가구소득 100 만원 미만 72.9%, 100~199만원 62.2%). 시간이 부족하다 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자영업 종사자(31.9%)와 서비스/판매직 (29.1%), 월평균 가구소득 400만원 이상(26.8%), 10대(24.9%)에서 많았다. 관련시설 이 부족하다 는 응답은 전문/관리직(11.3%)에서, 관련정보가 부족하다 는 응답은 전 문/관리직(12.1%), 월평균 가구소득 400만원 이상(10.1%)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56.5% 19.7% 7.2% 6.7% 6.3% 2.8% 0.9% 경제적 부담 시간 부족 시설 부족 프로그램 부족 관련 정보부족 동행인 없음 기타 [그림 1-5] 주말 휴일의 여가활동 걸림돌

1. 여가생활 / 25 <표 1-16> 주말 휴일의 여가활동 걸림돌 단위: % ---------------------------------------------------------------------------------------------------------- 응 답 내 용 사례수 경제적 여가시간 관련시설 관련 관련정보 함께 할 기타 없다/ 계 부담 없음 부족 프로그램 부족 사람 무응답 부족 없음 ---------------------------------------------------------------------------------------------------------- [전 체] (4000) 56.5 19.7 7.2 6.7 6.3 2.8.5.4 100.0 남 성 (1981) 56.2 20.0 7.7 6.6 6.0 2.9.3.4 100.0 여 성 (2019) 56.8 19.5 6.7 6.7 6.5 2.7.7.4 100.0 10 대 (321) 51.1 24.9 5.9 8.4 6.2 3.4.0.0 100.0 20 대 (754) 57.3 18.4 6.9 8.4 6.5 2.3.0.3 100.0 30 대 (888) 53.2 24.4 8.1 6.2 6.1 1.6.1.3 100.0 40 대 (856) 54.8 21.4 7.4 6.8 7.0 2.1.2.4 100.0 50 대 (523) 57.2 20.3 7.5 5.0 5.7 3.3.6.6 100.0 60 세 이 상 (658) 64.4 9.7 6.5 5.6 5.6 5.3 2.1.6 100.0 대 도 시 (1930) 56.2 18.8 7.1 7.6 6.7 2.6.5.6 100.0 중 소 도 시 (1700) 55.9 21.1 7.1 6.2 6.1 2.8.5.2 100.0 군 지 역 (370) 60.8 18.4 8.1 3.8 4.6 3.8.5.0 100.0 중 졸 이 하 (885) 61.1 17.1 5.6 4.4 5.6 4.9 1.1.1 100.0 고 졸 (1570) 58.0 19.4 6.8 6.5 5.7 2.7.5.4 100.0 대 재 이 상 (1545) 52.3 21.6 8.5 8.1 7.1 1.7.1.5 100.0 전 문/ 관리직 (124) 40.3 25.0 11.3 7.3 12.1 4.0.0.0 100.0 사 무 직 (701) 55.8 18.0 8.8 8.0 8.3.7.1.3 100.0 서비스/ 판매직 (647) 50.1 29.1 7.0 6.2 4.5 2.5.3.5 100.0 생 산 직 (525) 66.1 18.7 4.0 3.8 4.6 2.5.2.2 100.0 자 영 업 (163) 50.9 31.9 6.1 4.3 2.5 3.7.0.6 100.0 주 부 (1019) 58.6 14.9 7.8 6.5 7.1 3.7.9.6 100.0 학 생 (613) 55.3 21.0 6.4 9.0 5.5 2.8.0.0 100.0 기 타/ 무 직 (208) 62.0 6.3 8.7 6.3 6.7 5.8 3.4 1.0 100.0 100만원 미 만 (269) 72.9 8.2 5.2 1.9 3.0 6.7 1.9.4 100.0 100-199 만 원 (704) 62.2 14.5 8.0 5.5 5.1 3.6 1.0.1 100.0 200-299 만 원 (1248) 57.7 19.6 7.5 7.4 5.5 1.9.2.2 100.0 300-399 만 원 (1104) 55.4 21.7 6.4 6.7 6.3 2.8.3.4 100.0 400만원 이 상 (675) 43.6 26.8 7.9 8.3 10.1 2.1.3 1.0 100.0 ----------------------------------------------------------------------------------------------------------

26 / Ⅱ. 조사결과 2. 예술향유 예술행사 관람(감상)실태, 예술창작 및 발표활동, 그리고 문화예술관련 지출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1) 예술행사 관람 지난 1년 동안(2007. 3. 1~2008. 2. 29) 1 문학행사, 2 미술전시회, 3 클래식음 악회/오페라, 4 전통예술공연, 5 연극(뮤지컬 포함), 6 무용, 7 영화, 8 대중가 요콘서트/연예의 관람횟수를 질문하였다. 연간 예술행사를 관람한 비율은 67.3%로 나타나서, 2006년 조사의 관람률(65.8%) 보다 약간 높아졌다. 분야별로 보면, 문학행사, 전통예술공연, 가요콘서트/연예를 제 외하고는 관람경험이 늘었다. 67.3% 65.8% 62.4% 2008년 2006년 2003년 [그림 2-1] 연간 예술행사 관람률: 2003년, 2006년과 비교 연간 관람횟수별로 보면, 1회 관람자가 8.2%, 2회 관람자가 11.2%, 3회 관람자가 8.4%, 그리고 4회 이상 관람자가 39.5%로 나타났다. 4) 연평균 관람횟수는 4.88회였다. 연간 예술행사 관람률을 응답자 속성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간 예술행사 관람률이 남성 66.5%, 여성 68.2%로 나타나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둘째, 20대의 예술행사 관람률이 높았다(93.0%). 대체로 나이가 어릴수록 예술행사 관람률이 높았다(10대 89.1%, 20대 93.0%, 30대 80.5%, 40대 67.1%, 50대 4) 참고로 2003년 조사와 2006년 조사에서 예술관람 횟수별 분포를 재분석하고, 예전의 표와 새로운 표를 부록 에 수록하였음을 밝힌다. 하지만 연간 관람률과 연평균 관람횟수에는 차이가 없기 때문에 보고서의 전체적 인 논리에는 문제가 없음을 부기한다.

2. 예술향유 / 27 46.1%, 60세 이상 26.7%). 셋째, 도시규모가 클수록 예술행사 관람률이 높았다(대도 시 70.6%, 중소도시 67.6%, 군 지역 48.9%). 넷째, 학력이 높을수록 예술행사 관람 률이 높았다(대학 재학 이상 86.8%, 고졸 62.9%, 중졸 이하 41.2%). 다섯째, 직업별 로 예술행사 관람률의 차이가 컸다. 학생(92.2%), 사무직(85.6%), 전문/관리직(82.3%), 서비스/판매직(68.2%), 주부(58.1%), 자영업(54.6%), 생산직(43.2%)의 순서로 나타났 다. 여섯째,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예술행사 관람률이 높았다. 곧, 월평균 가구소득 400만원 이상(80.6%), 300~399만원(79.4%), 200~299만원(70.5%), 100~199만원(48.3%), 100만원 미만(19.3%)의 순서로 나타났다. <표 2-1> 예술행사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단위: %, 회 ----------------------------------------------------------------------------------------- 응 답 내 용 사례수 관람한적 1회 2회 3회 4회이상 계 평 균 없음 ----------------------------------------------------------------------------------------- [전 체] (4000) 32.7 8.2 11.2 8.4 39.5 100.0 (4.88) 남 성 (1981) 33.5 8.1 11.6 7.9 38.9 100.0 (4.81) 여 성 (2019) 31.8 8.3 10.8 8.9 40.1 100.0 (4.94) 10 대 (321) 10.9 6.2 11.2 9.0 62.6 100.0 (7.26) 20 대 (754) 7.0 3.4 6.2 8.1 75.2 100.0 (10.28) 30 대 (888) 19.5 9.3 14.4 11.6 45.2 100.0 (5.55) 40 대 (856) 32.9 10.5 13.6 10.0 32.9 100.0 (3.43) 50 대 (523) 53.9 10.5 11.9 7.5 16.3 100.0 (1.98) 60 세 이 상 (658) 73.3 8.2 9.0 2.7 6.8 100.0 (.82) 대 도 시 (1930) 29.4 7.6 11.3 9.7 42.0 100.0 (5.12) 중 소 도 시 (1700) 32.4 8.4 11.4 7.2 40.7 100.0 (5.10) 군 지 역 (370) 51.1 10.8 9.7 7.0 21.4 100.0 (2.63) 중 졸 이 하 (885) 58.8 8.9 9.7 5.1 17.5 100.0 (2.03) 고 졸 (1570) 37.1 10.1 13.4 9.4 29.9 100.0 (3.45) 대 재 이 상 (1545) 13.2 5.8 9.8 9.3 61.9 100.0 (7.96) 전 문/ 관리직 (124) 17.7 8.9 7.3 8.1 58.1 100.0 (9.53) 사 무 직 (701) 14.4 5.4 11.6 10.6 58.1 100.0 (6.46) 서비스/ 판매직 (647) 31.8 11.0 11.1 8.8 37.2 100.0 (4.88) 생 산 직 (525) 56.8 9.1 12.6 5.3 16.2 100.0 (2.00) 자 영 업 (163) 45.4 12.3 12.3 5.5 24.5 100.0 (2.61) 주 부 (1019) 41.9 9.3 12.8 9.5 26.5 100.0 (2.93) 학 생 (613) 7.8 4.2 8.5 8.5 71.0 100.0 (9.46) 기 타/ 무 직 (208) 63.0 9.1 8.7 4.3 14.9 100.0 (1.85) 100만원 미 만 (269) 80.7 6.3 5.6 2.6 4.8 100.0 (.55) 100-199 만 원 (704) 51.7 9.4 11.1 6.5 21.3 100.0 (2.74) 200-299 만 원 (1248) 29.5 9.0 13.9 9.5 38.1 100.0 (4.44) 300-399 만 원 (1104) 20.6 8.7 11.3 9.8 49.6 100.0 (6.11) 400만원 이 상 (675) 19.4 5.5 8.4 8.3 58.4 100.0 (7.64) -----------------------------------------------------------------------------------------

28 / Ⅱ. 조사결과 예술분야별 연간 관람률은 문학행사 4.0%, 미술전시회 8.4%, 클래식음악회 오페 라 4.9%, 전통예술공연 4.4%, 연극 11.0%, 무용 0.9%, 영화 61.5%, 대중가요콘서트/ 연예 8.2%로 나타났다. 2006년 조사와 비교하여 미술전시회, 클래식음악회 오페라, 연극, 무용, 영화에서 관람률이 높아졌다. <표 2-2> 예술행사 관람률: 2003년, 2006년과 비교 예술행사 2008년 조사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문학행사 4.0% 4.4% 4.0% 미술전시회 8.4% 6.8% 10.4% 클래식음악회/오페라 4.9% 3.6% 6.3% 전통예술공연 4.4% 4.4% 5.2% 연극 11.0% 8.1% 11.1% 무용 0.9% 0.7% 1.1% 영화 61.5% 58.9% 53.3% 대중가요콘서트/연예 8.2% 10.0% 10.3% 연평균 관람횟수는 문학행사 0.1회, 미술전시회 0.2회, 클래식음악회 오페라 0.1 회, 전통예술공연 0.1회, 연극 0.2회, 무용 0.03회, 영화 4.0회, 대중가요콘서트/연예 0.1회로 나타났다. 2006년 조사와 비교하여 큰 변화가 없었다. 한편, 관람경험자들의 관람횟수는 문학행사 2.07회, 미술전시회 2.30회, 클래식음 악회/오페라 2.47회, 전통예술공연 1.82회, 연극 2.09회, 무용 2.70회, 영화 6.52회, 대 중가요콘서트/연예 1.67회로 나타났다. 2006년 조사와 비교하여 미술전시회, 클래식음악회 오페라, 무용 부분의 연평균 관람횟수만 늘었고 다른 부문에서 모두 줄었다. 2006년 조사에서는 공연예술 애호 가층의 형성을 추론할 수 있었지만(물론 사례수가 적어서 일반화할 수 없지만), 이 번 조사에는 그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없었다. 2006년과 마찬가지로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할 점이라고 판단한다.

2. 예술향유 / 29 예술행사 <표 2-3> 예술행사 연평균 관람횟수: 2003년, 2006년과 비교 2008년 조사 연평균 관람횟수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2008년 조사 관람자 대상 관람횟수 2006년 조사 2003년 조사 문학행사 0.1 0.1 0.1 2.07 2.48 2.71 미술전시회 0.2 0.2 0.2 2.30 2.15 2.26 클래식음악회/오페라 0.1 0.1 0.1 2.47 2.39 2.06 전통예술공연 0.1 0.1 0.1 1.82 1.97 1.42 연극 0.2 0.2 0.2 2.09 2.10 1.88 무용 0.03 0.01 0.01 2.70 1.45 1.24 영화 4.0 3.9 3.5 6.52 6.59 6.58 대중가요콘서트/연예 0.1 0.2 0.2 1.67 1.69 1.85 2008년 2006년 6.59 6.52 2.48 2.07 2.3 2.47 2.15 2.39 1.97 1.82 2.10 2.09 2.7 1.45 1.69 1.67 문학행사 미술전시회 클래식/ 오페라 전통 예술공연 연극 무용 영화 대중가요/연예 [그림 2-2] 관람자 대상 관람횟수: 2006년과 비교

30 / Ⅱ. 조사결과 (1) 문학행사 관람 문학행사 연간 관람률은 4.0%(관람한 적 없음 96.0%), 연평균 관람횟수는 0.08회 였다. 관람횟수별로 보면, 1회 관람자가 2.1%, 2회 관람자가 1.1%, 3회 관람자가 0.3%, 4회 이상 관람자가 0.5%로 나타났다. 응답자 속성별로 보면, 20대(5.8%), 대학 재학 이상(6.5%), 전문/관리직(12.9%), 월평균 가구소득 400만 이상 소득층(7.4%)의 관람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표 2-4> 문학행사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단위: %, 회 ---------------------------------------------------------------------------------------- 응 답 내 용 사례수 관람한적 1회 2회 3회 4회이상 계 평 균 없음 ---------------------------------------------------------------------------------------- [전 체] (4000) 96.0 2.1 1.1.3.5 100.0 (.08) 남 성 (1981) 96.9 1.6.9.3.4 100.0 (.06) 여 성 (2019) 95.1 2.6 1.2.3.6 100.0 (.10) 10 대 (321) 95.6 2.8.9.6.0 100.0 (.07) 20 대 (754) 94.2 3.1 1.1.5 1.2 100.0 (.15) 30 대 (888) 95.3 2.7 1.2.5.3 100.0 (.09) 40 대 (856) 95.9 2.0 1.4.0.7 100.0 (.08) 50 대 (523) 96.7 1.5 1.3.2.2 100.0 (.06) 60 세 이 상 (658) 98.9.5.2.2.3 100.0 (.02) 대 도 시 (1930) 95.9 2.2 1.2.3.5 100.0 (.08) 중 소 도 시 (1700) 96.1 2.1.9.4.6 100.0 (.08) 군 지 역 (370) 96.5 1.9.8.3.5 100.0 (.08) 중 졸 이 하 (885) 98.5.6.6.2.1 100.0 (.03) 고 졸 (1570) 97.1 1.5.9.3.3 100.0 (.06) 대 재 이 상 (1545) 93.5 3.6 1.5.3 1.0 100.0 (.14) 전 문/ 관리직 (124) 87.1 5.6 1.6 1.6 4.0 100.0 (.41) 사 무 직 (701) 95.6 3.0 1.0.0.4 100.0 (.08) 서비스/ 판매직 (647) 96.9.8 1.7.2.5 100.0 (.07) 생 산 직 (525) 98.1 1.0.6.2.2 100.0 (.03) 자 영 업 (163) 96.3 1.8.6.6.6 100.0 (.07) 주 부 (1019) 96.1 2.1 1.2.2.5 100.0 (.08) 학 생 (613) 94.6 3.3 1.0.8.3 100.0 (.10) 기 타/ 무 직 (208) 98.6 1.0.0.0.5 100.0 (.03) 100만원 미 만 (269) 98.1 1.1.7.0.0 100.0 (.03) 100-199 만 원 (704) 98.7.6.4.0.3 100.0 (.03) 200-299 만 원 (1248) 96.4 1.8 1.1.2.4 100.0 (.08) 300-399 만 원 (1104) 95.5 2.2 1.5.4.5 100.0 (.09) 400만원 이 상 (675) 92.6 4.4.9.7 1.3 100.0 (.17) ----------------------------------------------------------------------------------------

2. 예술향유 / 31 관람자 특성 한편, 문학행사 관람자(159명)를 대상으로 관람횟수, 관람지역, 관람방법(유 무 료), 관람동행자, 관람결정자, 만족도, 예술행사 보완점을 질문하였다. 첫째, 연간 관람횟수를 살펴보면, 1회 관람자가 52.8%, 2회 관람자가 26.4%, 3회 관람자가 7.5%, 4회 이상 관람자가 13.2%로 나타났다. 관람자들의 연평균 관람횟수 는 2.07회였다. 둘째, 관람지역을 살펴보면(중복응답), 거주하는 시 도에서 관람한 경험이 74.8%, 거주하지 않는 시 도에서 관람한 경험이 32.7%, 외국에서 관람한 경험이 0.6%로 나타났다. 셋째, 관람방법(유 무료 여부)을 살펴보면(중복응답), 입장권을 구입하여 관람한 경우가 41.5%, 무료행사를 관람한 경우가 35.8%, 초대권을 가지고 관람한 경우가 30.2%, 그리고 입장권을 선물 받은 경우가 1.3%로 나타났다. 넷째, 관람동행자는 친구(49.7%), 가족(40.9%), 혼자(6.9%), 동호회원(2.5%)의 순서 로 나타났다. 다섯째, 관람을 결정한 사람은 본인(71.7%), 친구(13.8%), 배우자(6.9%), 자녀 (4.4%), 기타(3.1%)의 순서로 나타났다. 여섯째, 문학행사 관람만족도는 만족한다 는 의견 69.2%(매우 만족 14.5%, 약간 만족 54.7%), 보통이다 는 의견 29.6%, 불만이다 는 의견 1.3%(매우 불만 0.6%, 약 간 불만 0.6%)의 순서로 나타났다. 일곱째, 문학행사의 보완점은 작품의 질을 높여야 (23.3%), 더욱 자주 열려 야 (22.6%), 가까운 곳에서 열려야 (18.2%), 관람비용을 낮추어야 (13.8%), 관련 정 보가 많아져야 (12.6%), 이해하기 쉬운 행사가 많아져야 (9.4%)의 순서로 나타났다.

32 / Ⅱ. 조사결과 (2) 미술전시회 관람 미술전시회 연간 관람률은 8.4%(관람한 적 없음 91.6%), 연평균 관람횟수는 0.19 회였다. 관람횟수별로 보면, 1회 관람자가 4.3%, 2회 관람자가 2.1%, 3회 관람자가 0.9%, 4회 이상 관람자가 1.2%로 나타났다. 응답자 속성별로 보면, 10대(10.9%), 20대(10.3%), 30대(11.3%), 대학 재학 이상 (14.4%), 전문/관리직(29.8%), 학생(13.1%), 월평균 가구소득 400만원 이상 소득층 (16.3%)에서 관람률이 높았다. 또한, 비교적 나이가 적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그 리고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관람률이 높은 특성을 보였다. <표 2-5> 미술전시회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단위: %, 회 ---------------------------------------------------------------------------------------- 응 답 내 용 사례수 관람한적 1회 2회 3회 4회이상 계 평 균 없음 ---------------------------------------------------------------------------------------- [전 체] (4000) 91.6 4.3 2.1.9 1.2 100.0 (.19) 남 성 (1981) 92.5 4.2 1.9.5 1.0 100.0 (.15) 여 성 (2019) 90.7 4.3 2.3 1.4 1.3 100.0 (.24) 10 대 (321) 89.1 7.8 2.5.0.6 100.0 (.19) 20 대 (754) 89.7 4.6 3.2.5 2.0 100.0 (.29) 30 대 (888) 88.7 6.0 2.3 1.8 1.2 100.0 (.26) 40 대 (856) 91.1 3.9 2.5 1.3 1.3 100.0 (.19) 50 대 (523) 95.0 2.7 1.1.6.6 100.0 (.09) 60 세 이 상 (658) 96.8 1.5.6.5.6 100.0 (.07) 대 도 시 (1930) 91.2 4.2 2.5 1.1.9 100.0 (.20) 중 소 도 시 (1700) 91.4 4.5 1.8.7 1.5 100.0 (.20) 군 지 역 (370) 94.6 3.0 1.1.8.5 100.0 (.11) 중 졸 이 하 (885) 96.0 2.6.9.1.3 100.0 (.07) 고 졸 (1570) 95.0 2.7 1.3.8.3 100.0 (.09) 대 재 이 상 (1545) 85.6 6.8 3.6 1.6 2.5 100.0 (.36) 전 문/ 관리직 (124) 70.2 8.9 6.5 4.0 10.5 100.0 (1.14) 사 무 직 (701) 91.3 5.4 2.1.4.7 100.0 (.16) 서비스/ 판매직 (647) 93.5 2.8 2.0 1.2.5 100.0 (.13) 생 산 직 (525) 97.9 1.7.2.0.2 100.0 (.03) 자 영 업 (163) 91.4 4.3.6 1.2 2.5 100.0 (.21) 주 부 (1019) 92.2 3.6 1.8 1.7.7 100.0 (.16) 학 생 (613) 86.9 7.3 3.9.2 1.6 100.0 (.30) 기 타/ 무 직 (208) 94.2 2.4 1.4.5 1.4 100.0 (.16) 100만원 미 만 (269) 98.5.7.4.0.4 100.0 (.03) 100-199 만 원 (704) 96.4 2.0.3.9.4 100.0 (.07) 200-299 만 원 (1248) 93.0 3.9 1.8.7.6 100.0 (.14) 300-399 만 원 (1104) 90.0 4.8 2.8.8 1.5 100.0 (.25) 400만원 이 상 (675) 83.7 7.7 4.0 1.9 2.7 100.0 (.39) ----------------------------------------------------------------------------------------

2. 예술향유 / 33 관람자 특성 한편, 미술전시회 관람자(336명)를 대상으로 관람횟수, 관람지역, 관람방법(유 무 료), 관람동행자, 관람결정자, 만족도, 예술행사 보완점을 질문하였다. 첫째, 연간 관람횟수를 살펴보면, 1회 관람자가 50.6%, 2회 관람자가 24.7%, 3회 관람자가 11.0%, 4회 이상 관람자가 13.7%로 나타났다. 관람자들의 연평균 관람횟 수는 2.30회였다. 둘째, 관람지역을 살펴보면(중복응답), 거주하는 시 도에서 관람한 경험이 72.0%, 거주하지 않는 시 도에서 관람한 경험이 34.2%, 그리고 외국에서 관람한 경험이 0.6%로 나타났다. 셋째, 관람방법(유 무료 여부)을 살펴보면(중복응답), 입장권을 구입하여 관람한 경우가 50.0%, 무료행사를 관람한 경우가 34.2%, 초대권을 가지고 관람한 경우가 27.1%, 그리고 입장권을 선물 받은 경우가 1.8%로 나타났다. 넷째, 관람동행자는 친구(49.7%), 가족(42.6%), 혼자(5.4%), 동호회원(2.4%)의 순서 로 나타났다. 다섯째, 관람을 결정한 사람은 본인(68.5%), 친구(13.1%), 배우자(12.5%), 자녀 (4.2%), 기타(1.8%)의 순서로 나타났다. 여섯째, 미술전시회 관람만족도는 만족한다 는 의견 76.2%(매우 만족 17.9%, 약 간 만족 58.3%), 보통이다 는 의견 21.1%, 불만이다 는 의견 2.7%(매우 불만, 약 간 불만 2.7%)의 순서로 나타났다. 일곱째, 미술전시회의 보완점은 작품의 질을 높여야 (21.7%), 가까운 곳에서 열 려야 (21.1%), 더욱 자주 열려야 (20.5%), 관람비용을 낮추어야 (17.6%), 관련 정보 가 많아져야 (11.6%), 이해하기 쉬운 행사가 많아져야 (6.8%), 없다 무응답 (0.6%) 의 순서로 나타났다.

34 / Ⅱ. 조사결과 (3) 클래식음악회 오페라 관람 클래식음악회 오페라 연간 관람률은 4.9%(관람한 적 없음 95.1%), 연평균 관람 횟수는 0.12회였다. 관람횟수별로 보면, 1회 관람자가 2.7%, 2회 관람자가 1.1%, 3회 관람자가 0.5%, 4회 이상 관람자가 0.6%로 나타났다. 응답자 속성별로 보면, 대학 재학 이상(7.4%), 전문/관리직(18.5%), 월평균 가구소 득 400만원 이상 소득층(9.5%)에서 관람률이 높았다. 또한, 학력이 높을수록, 가구 소득이 많을수록 관람률이 높은 특성을 보였다. <표 2-6> 클래식음악회 오페라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단위: %, 회 ---------------------------------------------------------------------------------------- 응 답 내 용 사례수 관람한적 1회 2회 3회 4회이상 계 평 균 없음 ---------------------------------------------------------------------------------------- [전 체] (4000) 95.1 2.7 1.1.5.6 100.0 (.12) 남 성 (1981) 96.3 2.0 1.0.2.5 100.0 (.08) 여 성 (2019) 93.9 3.4 1.2.8.7 100.0 (.16) 10 대 (321) 95.3 2.8 1.2.0.6 100.0 (.12) 20 대 (754) 94.2 2.9 1.1.9.9 100.0 (.15) 30 대 (888) 94.1 3.4 1.1.7.7 100.0 (.20) 40 대 (856) 94.4 2.8 1.8.5.6 100.0 (.10) 50 대 (523) 95.4 2.7 1.0.6.4 100.0 (.10) 60 세 이 상 (658) 97.9 1.5.5.0.2 100.0 (.03) 대 도 시 (1930) 94.8 3.0 1.1.5.6 100.0 (.11) 중 소 도 시 (1700) 94.8 2.7 1.4.5.6 100.0 (.16) 군 지 역 (370) 97.8 1.6.3.3.0 100.0 (.03) 중 졸 이 하 (885) 97.5 1.2 1.0.0.2 100.0 (.06) 고 졸 (1570) 96.1 2.4.8.5.3 100.0 (.07) 대 재 이 상 (1545) 92.6 3.9 1.6.8 1.1 100.0 (.21) 전 문/ 관리직 (124) 81.5 7.3 4.8 1.6 4.8 100.0 (1.18) 사 무 직 (701) 93.4 3.9 1.4.9.4 100.0 (.11) 서비스/ 판매직 (647) 95.4 2.8 1.1.6.2 100.0 (.08) 생 산 직 (525) 98.5 1.0.2.2.2 100.0 (.03) 자 영 업 (163) 93.9 2.5 1.8.6 1.2 100.0 (.15) 주 부 (1019) 96.2 2.2.9.4.4 100.0 (.07) 학 생 (613) 94.3 3.1 1.3.3 1.0 100.0 (.15) 기 타/ 무 직 (208) 97.1 2.4.5.0.0 100.0 (.03) 100만원 미 만 (269) 99.3.7.0.0.0 100.0 (.01) 100-199 만 원 (704) 97.9 1.0.7.1.3 100.0 (.05) 200-299 만 원 (1248) 95.8 2.5.8.4.6 100.0 (.10) 300-399 만 원 (1104) 94.3 3.2 1.5.3.7 100.0 (.11) 400만원 이 상 (675) 90.5 5.0 1.9 1.6.9 100.0 (.31) ----------------------------------------------------------------------------------------

2. 예술향유 / 35 관람자 특성 한편, 클래식음악회 오페라 관람자(197명)를 대상으로 관람횟수, 관람지역, 관람 방법(유 무료), 관람동행자, 관람결정자, 만족도, 예술행사 보완점을 질문하였다. 첫째, 연간 관람횟수를 살펴보면, 1회 관람자가 55.3%, 2회 관람자가 22.8%, 3회 관람자가 10.2%, 4회 이상 관람자가 11.7%로 나타났다. 관람자들의 연평균 관람횟 수는 2.47회였다. 둘째, 관람지역을 살펴보면(중복응답), 거주하는 시 도에서 관람한 경험이 74.6%, 거주하지 않는 시 도에서 관람한 경험이 30.5%로 나타났다. 셋째, 관람방법(유 무료 여부)을 살펴보면(중복응답), 입장권을 구입하여 관람한 경우가 57.4%, 초대권을 가지고 관람한 경우가 33.0%, 무료행사를 관람한 경우가 14.2%, 그리고 입장권을 선물 받은 경우가 2.0%로 나타났다. 넷째, 관람동행자는 가족(48.7%), 친구(46.7%), 혼자(2.5%), 동호회원(1.0%), 기타 (1.0%)의 순서로 나타났다. 다섯째, 관람을 결정한 사람은 본인(61.9%), 친구(15.2%), 배우자(13.7%), 자녀 (6.6%), 기타(2.5%)의 순서로 나타났다. 여섯째, 클래식음악 오페라공연 관람만족도는 만족한다 는 의견 76.6%(매우 만 족 19.8%, 약간 만족 56.9%), 보통이다 는 의견 22.3%, 불만이다 는 의견 1.0%(매 우 불만, 약간 불만 1.0%)의 순서로 나타났다. 일곱째, 클래식음악 오페라공연의 보완점은 관람비용을 낮추어야 (39.6%), 작품 의 질을 높여야 (17.3%), 더욱 자주 열려야 (14.7%), 가까운 곳에서 열려야 (10.2%), 관련 정보가 많아져야 (8.6%), 이해하기 쉬운 행사가 많아져야 (8.1%), 없다/무응 답 (1.0%), 기타 (0.5%)의 순서로 나타났다.

36 / Ⅱ. 조사결과 (4) 전통예술공연 관람 전통예술공연 연간 관람률은 4.4%(관람한 적 없음 95.7%), 연평균 관람횟수는 0.08회였다. 관람횟수별로 보면, 1회 관람자가 3.1%, 2회 관람자가 0.9%, 3회 관람자 가 0.1%, 4회 이상 관람자가 0.3%로 나타났다. 응답자 속성별로 보면, 60세 이상 (9.0%), 중졸 이하(6.3%), 전문/관리직(6.5%), 자영업(8.6%), 월평균 가구소득 400만원 이상 소득층(7.3%)에서 관람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표 2-7> 전통예술공연 연간 관람률 및 연평균 관람횟수 단위: %, 회 --------------------------------------------------------------------------------------- 응 답 내 용 사례수 관람한적 1회 2회 3회 4회이상 계 평 균 없음 ---------------------------------------------------------------------------------------- [전 체] (4000) 95.7 3.1.9.1.3 100.0 (.08) 남 성 (1981) 95.9 2.9.8.1.4 100.0 (.07) 여 성 (2019) 95.4 3.2.9.1.3 100.0 (.09) 10 대 (321) 97.5 1.6.0.3.6 100.0 (.06) 20 대 (754) 97.1 2.1.5.0.3 100.0 (.05) 30 대 (888) 96.4 2.9.3.1.2 100.0 (.05) 40 대 (856) 96.1 2.6.5.2.6 100.0 (.13) 50 대 (523) 96.2 3.3.2.0.4 100.0 (.06) 60 세 이 상 (658) 91.0 5.6 3.3.0.0 100.0 (.12) 대 도 시 (1930) 96.1 2.8.7.1.4 100.0 (.08) 중 소 도 시 (1700) 95.2 3.3 1.1.2.3 100.0 (.08) 군 지 역 (370) 95.4 3.5.8.0.3 100.0 (.06) 중 졸 이 하 (885) 93.7 4.2 1.9.1.1 100.0 (.09) 고 졸 (1570) 96.9 2.2.4.1.4 100.0 (.08) 대 재 이 상 (1545) 95.5 3.3.6.1.4 100.0 (.07) 전 문/ 관리직 (124) 93.5 4.0.8.8.8 100.0 (.13) 사 무 직 (701) 96.3 2.6.6.1.4 100.0 (.06) 서비스/ 판매직 (647) 97.8 1.2.6.0.3 100.0 (.07) 생 산 직 (525) 95.2 3.0 1.5.0.2 100.0 (.08) 자 영 업 (163) 91.4 7.4 1.2.0.0 100.0 (.10) 주 부 (1019) 94.3 4.1 1.3.1.2 100.0 (.10) 학 생 (613) 97.2 2.0.0.2.7 100.0 (.06) 기 타/ 무 직 (208) 94.2 4.8 1.0.0.0 100.0 (.07) 100만원 미 만 (269) 94.8 3.3 1.9.0.0 100.0 (.07) 100-199 만 원 (704) 94.3 4.1 1.6.0.0 100.0 (.07) 200-299 만 원 (1248) 97.0 2.1.4.0.6 100.0 (.06) 300-399 만 원 (1104) 97.0 2.3.5.1.2 100.0 (.06) 400만원 이 상 (675) 92.7 5.0 1.2.4.6 100.0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