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6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과천심상소학교 졸업증서(문헌번호 03-004) 일제강점기 과천초등학교의 유일한 한국인 교장이었던 맹준섭임을 알 수 있다. 한편, 그해에는 창씨개명이 시행되기도 하였다. 일제는 1939년 11월에 조선민사령 (朝鮮民事令) 에 창씨개명에 관한 조문(條文)을 제정하여 공포하고, 이듬해 1940년 2월 부터 시행하였다. 일제는 이후 창씨개명을 하지 않는 사람에 대해서는 자녀의 학업을 제 한하고 취직 차별, 비국민 취급 등의 압력을 자행하며 성을 바꾸기를 강요하였다. 이 증 서가 발급된 1940년 3월 20일에는 아직 창씨개명이 폭넓게 진행된 때는 아니어서 졸업 생 성명이 본래 이름 그대인 이순영(李順榮)으로 적혀 있다. 그러나 그가 1944년에 받은 일본적십자사 정사원 임명장 (문헌번호 03-005)에는 성이 마쯔야마[松山]로 바뀌어 나타난다. 이외에도 소장자는 1970~1980년대에 지역 내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인물이어서 당 시 각급 단체로부터 받은 표창장과 임명장 위촉장 등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이들 자료 는 뒤에서 살펴볼 문원동 김씨가 소장 자료와 마찬가지로 사회의 변화, 지역 내의 변화 등을 살펴보는 데 있어 유용한 자료이다. 또한 소장자가 청장년 시절에 왕성하게 활동한 삶의 궤적을 알려주는 자료이다.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70
71
제6권 자료집 제 1 장 금석문(金石文) 1. 묘비 1) 강득룡묘갈명(康得龍墓碣銘) 안정강공묘갈명병서(安靖康公墓碣銘幷序) 옛날 공부자(孔夫子)께서 백이(伯夷) 숙제(叔齊)의 어짐 을 칭찬하여 말하기를 백이 숙제는 수양산(首陽山) 아래에 1) 하였고, 당 서 굶어 죽었어도, 백성이 지금까지 칭찬한다. (唐)나라 한자(韓子 : 한퇴지)가 칭송하여 말하기를 밝은 해 와 달도 <백이에게> 밝기에 부족하고, 높은 태산(泰山)도 높 2) 하였다. 진실로 사람이 우뚝 서서 홀로 행 기에 부족하다. 동하고, 백이 숙제와 그 큰 절개를 같이 함이 있으면 이는 또한 백이 숙제일 뿐이다. 승국(勝國 : 고려) 말에 백이 숙 제의 그 마음과 백이 숙제의 그 행실을 가진 이가 있었으니, 안정(安靖) 강공(康公)이 그 사람이다. 삼가 살펴보건대, 공(公)은 이름이 득룡(得龍)이니, 신천 (信川) 사람이다. 신라(新羅) 때 성골장군(聖骨將軍) 이름 호 경(虎景)이 시조(始祖)이다. 고려(高麗) 문하시중(門下侍中) 신성공(信城公) 이름 지연(之淵)이 중조(中祖)이니, 실로 공의 7세조(世祖)이다. 증조는 이름이 숙아(淑牙)로, 첨의정승(僉 강득룡 묘표 1) 백이 숙제는 칭찬한다. : 論語 季氏에 보인다. 2) 밝은 부족하다. : 韓愈의 伯夷頌으로 宋八家文 卷2에 보인다. 원문 巍乎泰山 不足以爲高 는 백이송에 乎泰山 不足以爲 高 巍乎天地 不足以爲容也 로 되어, 巍乎 가 天地 에 쓰이고 있다. 72
73
74
제2편 금석문과 고전문학 始 公之沒 其年月日 皆無可考 而譜牒載卒于松都沙器峴古宅 戀主菴實記云 公居此山 餓 而死 後說似爲近理 葬于果川冠岳山亥坐之原 李朝封安陵府院君 贈謚安靖 配貞敬夫人延 安李氏 延安君儼女 公卓 大節 固無遜於夷齊 而不係私親 君子 尤人所難能也 公墓 舊有短碣 歲久荒頹 後孫之散在各地者 恐其漫 而 沒也 相與盡誠鳩財 尤是平安裔孫之 力居多焉 將整修儀物 改竪豊碑 圖所以壽其傳者 公後孫斗植允福 持遺蹟來 屬余一言爲之 識 余 非其人 而感公節義 且難孤其勤求之意 不揆不文 玆述其事 而繼之以銘曰 惟公大節 百世之師 餓于西山 古有伯夷 苟微斯人 公誰與歸 戀主臺上 日月其輝 前經學院副提學 竹溪人 安寅植謹識 二十一代孫 天植 謹書 期成會任員錄 會長 明玉 財務 允福 弼奎 誠金錄 丙坤 允福(以上五萬 ) (以上各三萬 ) 弼奎 亨鎭(以上各貳萬 ) 2) 정문형묘갈명(鄭文炯墓碣銘) 공(公)은 이름이 문형(文炯)이고, 자(字)가 야수(野 )이고, 시호(諡號)가 양경(良敬)으로, 봉화(奉化) 사람이다. 증조는 이름이 도전(道傳)으로, 고려 말에 도덕(道德)과 문장(文章) 으로 이름났고, 우리 태조(太祖)를 보좌하여 대업(大業)을 이 루었으며, <저서로> 삼봉집(三峰集) 경제문감(經濟文 鑑) 이 있어 세상에 통용되고 있다. 할아버지는 이름이 진 (津)으로, 형조판서(刑曹判書)를 지냈다. 아버지는 이름이 속 (束)으로 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에 추증되었다. 어머니 는 이씨(李氏)로 정경부인(貞敬夫人)에 추증되었다. 공은 선덕(宣德) 정미(丁未 : 1427)에 출생하여 홍치(弘治) 신유(辛酉 : 1501)에 작고하였는데, 향년 75세였다. 그해 3월 경신일(庚申日)에 과천현(果川縣) 별왕리(別王里)의 언덕에 장사지냈다. 비석을 세워 묘도(墓道)를 나타내려고, 공의 아 들이 나에게 부탁을 하여 공의 일생 동안의 행실과 사업을 찬 술하여 비의 뒷면에 기록하도록 하였다. 정문형 묘표 75
76
77
제6권 자료집 顯者 觀察之子(鉉二)之長子曰奉城尉元浚 尙成宗女靜順翁主 繼之者將無窮 能無辭乎 銘 曰 三峰拔地 巍乎蒼穹 源遠流長 有孫我公 公焉際遇 累朝輸忠 六聖眷注 兩府穹崇 有年壽 考 固本繁枝 一身諸福 如公者誰 垂耀永世 又有我辭 皇明弘治十四年 月 日 正憲大夫 知中樞府事兼知春秋館事 洪貴達撰 3) 이희남묘비명(李希男墓碑銘) 유명조선국 증순충적덕병의보조공신 현록대부 극포군 묘 비명(有明朝鮮國 贈純忠積德秉義補祚功臣 顯祿大夫 極浦君 墓碑銘) 아들 추충분의병기협책평난공신 보국숭록대부 완산부원 군 이축찬(子推忠奮義炳幾協策平 難功臣 輔國崇祿大夫 完山 府院君 李軸撰) 가선대부 동지돈령부사 겸오위도총부부총관 김현성서(嘉 善大夫 同知敦寧府事 兼五衛都摠 府副摠管 金玄成書) 정헌대부 한성부판윤 김상용전(正憲大夫 漢城府判尹 金尙 容篆) 아버지는 이름이 희남(希男)이고, 자가 계숙(季叔)이고, 국 성(國姓 : 전주 이씨)으로 태종대왕(太宗大王)의 4대손이다. 양녕대군(讓寧大君)은 이름이 제( )이며 호가 강정(剛靖)이 고 아버지에게 증조가 된다. 양녕대군은 태종의 맏아들로 영 이희남 묘비 릉(英陵 : 세종)에게 성덕(聖德)이 있고 인망이 붙이는 것을 알고 거짓 미친 체하여 스스로 덕을 숨기고서 세자 자리를 양 보하여 피하니, 역사에 그 아름다움이 전한다. 할아버지는 순성군(順成君)으로 이름이 애( )이고 시호가 희안(僖安)이다. 아버지는 헌양부정( 陽副正)으로 헌양군( 陽君)에 추증되고 이름이 사조(嗣祖)이다. 진주 강씨(晉山姜氏)와 결혼하였는데, 판관(判官) 우 (遇)의 딸이다. 아버지를 낳은 것은 실로 홍치(弘治) 14년 신유(辛酉 : 1501) 5월 27일이다. 78
79
80
제2편 금석문과 고전문학 科 錄平難勳 封府院君 推恩以是也 女長適宣傳官崔安世 次適士人金憑 軾子麟祥早死 妾 二子龍祥龜祥 女適水使邊應井 生一男女 忠範 女愼汝喆 軸無子 只有一女 取門姪應明爲 後 女適參奉柳 生三男一女 子龍子雲子羽 女生員尹泰亨 生二女 應明登武科主簿 生二 男友松友栢 安世子確 生三男 夢尹夢說夢亮 憑無後 隆慶三年八月十一日 以疾終于第 享 年六十九 先(葬於)果川縣廣明洞 以是年十月日 葬于 亥坐巳向之原 從先人遺意也 萬曆三十九年二月 日 4) 이축묘비명(李軸墓碑銘) 유명조선국 증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겸 지경연 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세자사 행추충분의병기협책평 난공신 보국숭록대부 완산부원군 겸 오위도총부 도총관 이공 묘비명(有明朝鮮國 贈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 領議政 兼 知 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 世子師 行推忠奮義炳幾協 策平難功臣 輔國崇祿大夫 完山府院君 兼 五衛都摠府 都摠管 李公墓碑銘) 평난호성 사정운 공신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중추부사 오성부원군 이항복 찬(平難扈聖 社定運 功臣 大匡輔國 崇祿大夫 領中樞府事 鰲城府院君 李恒福 撰) 알봉섭제(閼逢攝提 : 甲寅, 1614) 추월( 月 : 정월) 어느 날 저녁에 내가 죄인으로 노원(蘆原)에서 대죄(待罪)하고 있 는데,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 이공 축(軸)이 이 달 8일에 집 에서 고종(考終 : 편히 죽음)하였다고 전해 준 이가 있었다. < 공의> 나이는 77세였다. 임금께서 3일간 철조(轍朝)하고 예 이축 묘역 전경 관(禮官)에 명하여 제사를 올리게 하였으며, 영의정에 추증 (追贈)하였다. 나는 공과 같이 벼슬하면서 형제와 같은 의리가 있었으니, 슬픔이 진실로 타인과는 달랐다. 이해 3월 9일에 날을 잡아 과천현 광명동(廣明洞)에 장사지냈다. 그 족손(族孫) 81
82
83
84
제2편 금석문과 고전문학 子龍子雲子羽 女生員尹泰亨 生二女幼 公卒無男子子 取族姪應明後之 登武科 爲縣監 生 三男二女 友松友栢友梅皆幼 公姿貌不踰中人 而賦性貞素 守志不撓 見人非違 若將 焉 一生通介 不以時變遷易 於世之逐逐勢利者 輒喙唾不正視 封門據 不知有人 性喜漁釣 常以鉤緡自隨 晩好詩學 又喜圍碁 余聞不朽有三 立功居次 公猝遇亂萌 霆擊落距 階爲不 次 勳爲不名 處世無迹 制行無 爲國元老 事可傳載 是爲難能 銘曰 人有富貴 而難得壽 旣貴而壽 亦戒終咎 公焉幷取 終乃有裕 旣順旣完 淡若不有 銘以詔 之 以期悠久 萬曆四十五年丁丑六月 日立石 嘉善大夫同知敦寧府事 金玄成 書 5) 심우준묘갈명(沈友俊墓碣銘) 유명조선국 성균진사 심공묘갈명병서(有明朝鮮國 成均進 士 沈公墓碣銘幷序) 정헌대부 공조판서 겸지춘추관사 동지경연사 홍문관제학 이수광 찬(正憲大夫 工曹判書 兼知春秋館事 同知經筵事 弘文 館提學 李 光 撰) 손 유학 광수 서(孫 幼學 光洙 書) 숭록대부 행예조판서 겸동지경연사 세자좌부빈객 김상용 전(崇祿大夫 行禮曹判書 兼同知經筵事 世子左副賓客 金尙 容 篆) 과거에 수광( 光)이 나이 겨우 성동(成童 : 15세)에 공을 반궁(泮宮 : 성균관)에서 만났는데, 공은 그 당시 상사생(上舍 生 : 성균관 유생)으로 있으면서 뜻에 힘써 <나를> 모서리에 앉는 동자(童子)로5) 보지 않았다. 수광이 공의 집에 사위가 되 고 나자, 공은 또 특히 서로 친애하여 두터운 정이 매우 깊음 심우준 묘갈 5) 모서리에 앉는 동자(童子)로 : 원문 隅坐 는 예기( 禮記 檀弓 上)에 동자는 모서리에 앉아 촛불을 잡는다(童子隅坐而執燭). 라 하고, 그 주(注)에 우좌(隅坐)는 성인과 나란히 하지 않음이다(不與成人竝). 하였다.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제6권 자료집 직 현감)이 되고, 문필로 유명하고,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르고,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증직되었으니, 아 들의 귀함 때문이었다. 할아버지는 이름이 원(金遠)으로, 젊어서 학문을 하 였으나 일찍 죽었고, 이조참의(吏曹 參議)에 증직되었다. 아버지는 이름 이 징만(澄萬)으로 무방어사(武防禦 使 : 무관 방어사)였고, 병조참판(兵 曹參判)에 증직되었으니, 부군이 곤 수( 帥 : 절도사)를 맡은 것에 대한 <임금의> 은혜로운 전례에 의하여, 2 대(代)가 증직된 것이다. 어머니는 증 정부인(贈貞夫人) 기계 유씨(杞溪兪 氏)로 한종(漢宗)의 딸이다. 세 아들 을 두었는데, 맏아들은 이름이 억(檍) 으로 방어사(防禦使)이고, 둘째는 이 이식 묘역 전경 름이 익(木益)으로 수사(水使)이고, 부 군이 막내이다. <부군은> 영묘(英廟 : 영조) 정해(丁亥 : 1767) 11월 28일에 태어났는데, 용모가 빼어 나고 재주가 일찍 빛났다. 정묘(正廟 : 정조) 신해(辛亥 : 1791)에 백의(白衣)로 임금의 부 름을 받아, 은혜와 포상이 전례에 없었고, 특별히 정원 이외의 장용위(壯勇衛)에 부쳐 임 금의 가까이에 두니, 밤낮으로 친하게 모셨다. 임자(壬子 : 1792)에 이르러 내시사(內試 射)29)에서 특별히 과거 합격을 내렸다. 갑인(甲寅 : 1794)에 이르러 과거 합격을 발표하 는 날에 정승까지 올라간 이존수(李存秀)를 대교(待敎)에 임명하고, 부군을 장용위 초관 (哨官 : 하급 무관직)으로 삼으니, 문관과 무관이 쌍으로 사은숙배(謝恩肅拜)하여 온 시 대 사람들이 영광으로 여겼다. 훈련주부(訓鍊主簿) 비변랑(備邊郞) 선전관(宣傳官) 29) 내시사(內試射) : 일내 금군(一內禁軍)에게 행하던 서격술의 하나. 一內 는 금군 칠번(七番) 중의 하나인 내금위(內禁衛) 일번(一 番)을 말한다. 禁軍 七番 은 궁궐 숙위군의 일곱 번(番 : 당번)을 이른다. 114
115
116
117
118
119
제6권 자료집 書其實 以示後人於前有偉人成業孝婦善行之如斯云爾 檀紀四二九四年 歲辛丑 七月 日 姨姪 綾城人 具寬會 謹撰 現任始興郡守 全州人 李載德 書 2. 묘지 1) 최세진묘지(崔世珍墓誌)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겸 오위장 최세진 공의 무덤이다. 동쪽은 정부인 영천 이씨의 무덤이다. 부인은 가정 신축(1541) 9월에 장사지냈다(부인은 나이 47세에 죽었다). 나이 가 75세에 이르러 가정 임인(1542)에 병으로 죽었다. 같은 해 4월 20일에 과천현 오좌자 향(午坐子向 : 뒤가 남쪽 앞이 북쪽)의 언덕에 장사지냈다. 부인은 공보다 1년 앞선 7월 29일에 죽었다. 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兼五衛將 崔公世珍之墓 東爲貞夫人永川李氏之墓 夫人嘉靖辛 丑九月葬(夫人年四十七終) 年至七十五 嘉靖壬寅以疾終 同年四月二十日 葬于果川縣午坐 子向之原 夫人先公一年七月二十九日終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