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토론회자료_최종[1].hwp



Similar documents
<C0CEB1C7C0A7C3D6C1BEBAB8B0EDBCAD28BCF6C1A4BABB E687770>

2006

ºñÁ¤±Ô±Ù·ÎÀÇ ½ÇÅÂ¿Í °úÁ¦.hwp


이연구내용은집필자의개인의견이며한국은행의공식견해 와는무관합니다. 따라서본논문의내용을보도하거나인용 할경우에는집필자명을반드시명시하여주시기바랍니다.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과장 ( 전화 : , *

ºñÁ¤±ÔħÇغ¸°í¼�.hwp

출산전후근로및임금동학에관한연구 첫자녀출산과연계된경력단절및복귀를중심으로 I. 서론

< B0E6C3D12D4A424620BBF3C8A3B1B3B7F9C7C1B7CEB1D7B7A520C8B8C0C720C0DAB7E12028C3BBB3E2BDC7BEF72928BCADBFB5C1F8292E687770>

발간등록번호대한민국의새로운중심 행복도시세종 2015 년기준 사업체조사보고서 Report of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_1.hwp

2-6ÀÏ-»ý»ê¼º±¹Á¦ºñ±³.PDF

2003report hwp

hwp

<33BFF9B0EDBFEBB5BFC7E22E687770>

- 2 -

MRIO (25..,..).hwp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 ii - - iii -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유형간중복을제거한비정규직규모는 < 참고 2> 를참조

¿©¼ººÎÃÖÁ¾¼öÁ¤(0108).hwp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BFA9BCBAC0C720C1F7BEF7B4C9B7C220B0B3B9DFB0FA20C3EBBEF7C1F6BFF820C1A4C3A5B0FAC1A62E687770>

hwp

Ⅰ. 조사목적 본조사는전국민을대상으로대통령국정수행지지도, 정당지지도등을 파악하여, 국민여론을파악하는기초자료수집에그목적을둠. Ⅱ. 조사설계 조사대상 전국거주만 19세이상성인남녀 표본수 총 1,035 명조사후, 지역, 성, 연령별사후보정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최대허용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전라북도 청년 일자리 창출 방안 연구

보고서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분석 123 다.세부 분석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남성과 여성 모두 대면채널을 통한 가입이 90% 이상으로 월등히 높음. <표 Ⅱ-2>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구 분 남성 여성 대면 직판 은행 0.2 1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서울 노동시장구조와 동향

<322EC6AFC1FD315F B3E220B3EBB5BFBDC3C0E5C6F2B0A1B9D B3E220C0FCB8C15FB5BFC7E2BAD0BCAEC6C02E687770>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예 ) 일정수준임금이하또는이상의근로자를기준으로저 ( 최저 ) 임금근로자규모 ( 비중 ) 또는고임금근로자규모 ( 비중 ) 등을산출하는경우

목차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나하나로 5호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조사설계 조사대상 전국만 19 세이상남녀 조사규모 1,008 명 ( 주의 : 통계보정으로 1,000 표본으로분석하였으며, 보도시에는조사실사례수 1,008 명으로기재해야함 )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 3.1% Point 조사방법 유선전화면접 49.7% + 무선전화


[ 조사개요 ] 구분 내용 모집단 전국에거주하는만 19 세이상성인남녀 표집틀 유무선전화 RDD 표집방법 지역별, 성별, 연령별기준비례할당추출 표본크기 2,000 명 ( 유선 551 명 (27.55%), 무선 1,449 명 (72.45%)) 표본오차 무작위추출을전제할경우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untitled

KEEP 패널 브리프 가하고 있음. 장기 연체로 법적 조치를 받은 학생은 2009년 649명(채무액 37억 원)에서 2012년 1,785명(110억 원)으로 3배 가량 늘어났으며, 2013년 에는 3,742명(채무액 256억 원)으로 2012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함.

목차

이슈분석 최근 고용추이와 2016년 고용전망 박진희*, 이시균** <요 약> 201년 1~6세 핵심 연령계층의 고용률은 여성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고용사정이 나아져 통계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취업자 증가는 천 명 증가하여 전년에 비해 둔화되었다. 최근 취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 김 현 아 연구위원 허 윤 경 연구원 엄 근 용

1. 조사설계 조사대상 2017 년 2 월현재, 전국만 19 세이상남녀 표본의크기 조사방법 1,021 명 ( 가중전 1,021 명, 가중후 1,000 명 ) - 가중치를 1,000 명기준으로부여했으나, 보도시표본크기는 1,021 명으로보도해야함. 구조화된설문지를이용한전

2012년1월-1.indd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성인지통계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3Â÷ ³»Áö »ý¸íº¸ÇèÇùȸ-¼ºÇâÁ¶»çº¸°í¼Ł-14Â÷ 2015³â.PDF

<355FC0CCBDB4BAD0BCAE5FBCBAC0E7B9CE E687770>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 성별로보면남성고용률은 69.9%, 여성고용률은 48.0% 로나타남 - 여성고용률은 50% 를넘었던 2014년후반기에비해서는낮아진수치임. 하지만이는시기적특성에따른결과로전년동월에비해 0.6%p 상승한것임 년에이어 2015년에도여성고용률의상승이이어지고있음. 각

년 6 월 3 일공보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

ÁÖ5Àϱٹ«Á¦Á¶»ç(03).hwp

hwp

미래성장연구1호 편집_0308.hwp


09³»Áö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3230B4EBBFA9BCBAC3EBBEF7C7F6BDC728C0CCBDB4BAD0BCAE292E687770>

목 차 Ⅰ. 조사개요 2 1. 조사목적 2 2. 조사대상 2 3. 조사방법 2 4. 조사기간 2 5. 조사사항 2 6. 조사표분류 3 7. 집계방법 3 Ⅱ 년 4/4 분기기업경기전망 4 1. 종합전망 4 2. 창원지역경기전망 5 3. 항목별전망 6 4. 업종

숙련기술인의경제적 사회적지위 분석을위한측정지표개발

<B8C5BFF9B0EDBFEBB5BFC7E2BAD0BCAE2036BFF9C8A32E687770>

hwp

결과보고서2.hwp

CC hwp

목차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목차 Ⅰ Ⅱ (2013)

hwp

현안과 과제_주택시장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_ hwp

hwp

..1,2,3,

지지정당별지방선거투표의향별국정수행평가별국무총리인선평가별정부개각범위의견별사전투표제인지별사전투표참여의향별지방선거성격공감별차기대선후보선호도별성 * 연령별 자영업 (102) 블루칼라 (96) 12.

내지2도작업

2015 년세법개정안 - 청년일자리와근로자재산을늘리겠습니다. -

' 서울여성취업자수 ' 40~50 대가 20~30 대첫추월 - 1 -

»ç¶ûÀÇ¿�¸Å7È£ÃÖÁ¾

경제지표 월간 동향 문화체육관광 산업 경기는 전년도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일시적인 수출부진이 소비자동향지수 나타났으나 소비 등 내수가 양호한 흐름을 지속하고 생산 고용도 개선되는 모습 16년 기준 / 전년동월(동기) 대비 증감 1.4% 11

ad hwp

³»Áö_10-6

<C0FCB8C1C3D6C1BE30372D303528BBF3B9DDB1E2292E687770>

지역 고용동향 브리프 대구경북의 고용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49 <그림 1> 대구경북 취업자 및 취업자 증감률 대구경북 취업자 추이 (단위: 천명) 취업자 증감률 (%) 1450 대구취업자 경북취업자 15.0 전국 대구 경북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Untitled-1

슬라이드 1

조사설계 조사대상 전국만 19 세이상남녀 조사규모 1,507 명 ( 주의 : 통계보정으로 1,500 표본으로분석하였으며, 보도시에는조사실사례수 1,507 명으로기재해야함 )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 2.5% Point 조사방법 무선전화면접 80% + 유선전화면접

<C1A4C3A5B8AEC6F7C6AE C8A3202D20BCF6C1A4322E687770>

목 차 통계표요약... 1 응답자특성표... 4 표 1 차기대통령후보지지도... 5 표 2 새누리당대통령후보지지도... 9 표 3 민주통합당대통령후보지지도 표 4 양자대결 1 : 박근혜 vs 안철수 표 5 양자대결 2 : 박근혜 vs 문재인...

<B8EA20C7E0C1A4C5EBB0E820B0B3B9DF20B0E1B0FA28BEC8295FBAB8B5B5C0DAB7E176362E322E687770>

한국정책학회학회보

2018 삶의질여론조사보고서 01 조사개요

국립중앙의료원_대국민 응급의료서비스 인지도 및 만족도_보고서(최종).hwp

개회사 축 사

Transcription: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서비스산업 발전 방향 2015. 10. 21 최 경 수

목 차 Ⅰ. 청년 일자리 문제의 심각성 1 1. 청년 실업 추이 2. 청년 실업 및 고용 국제 비교 Ⅱ. 청년 실업 상승 원인 8 1. 비취업 청년층의 구성 2. 일자리 미스매치이론의 설명 3. 직장탐색(job search) 이론 Ⅲ.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서비스산업 발전 13 1. 산업 성장과 청년 일자리 2. 지식서비스 산업과 양질의 일자리 3.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서비스산업 발전과제

I 청년 일자리 문제의 심각성 1. 청년 실업 추이 우리나라의 청년 일자리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는 것이 사실임. 이는 시계열적 추이와 지표 수준에 대한 국제비교에서 모두 확인됨. 청년 실업률 수준은 현재가 세계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보다 더욱 높은 상황 남자 25~29세 실업률은 2000년대 이후 약 8%이며 2009년에도 9%였으나 작년과 금년에는 10% 수준 여자 25~29세 실업률도 2000년대 중반 이후 약 5%에서 작년 이후 6%로 상승 - 남자와 여자 30~34세 실업률은 큰 변화 없었음. 그림1 청년(25~29세) 실업률 추이 주: 2015년은 2014, 4/4~2015, 3/4 분기 평균, 구직기간 4주 기준. - 1 -

청년층 고용률(취업자/인구 비율)은 최근 수준이 유지됨. 실업은 일자리 감소가 없더라도 경제활동참가가 증가하면 상승할 수 있으므로 청년취업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실 업률과 더불어 고용률을 살펴볼 필요 남자 25~29세 고용률은 2000년대 이후 계속 하락하였으나 최근 약 70%를 유지하고 있으며 30~34세는 약 90% 수준에 머무름. 여자는 25~29세는 정체, 30~34세는 약간 증가 ([그 림2] 참조) 청년 일자리 수는 줄어들었으나 청년인구 역시 감소하였으므 로 고용률은 하락하지 않고 있음 ([표1] 참조). - 예를 들어, 남자 25~29세에서 취업자수는 2010년 133만명에서 2015년 119만명으로 줄어들었으나 인구규모 역시 190만명에서 171만명으로 감소 그림2 청년층 (25~29, 30~34세) 고용률 추이 주: 2015년은 2014, 4/4~2015, 3/4 분기 평균. - 2 -

표1 청년층 취업자 수 및 인구 추이: 2000~2015 취업자(만명) 민간인구(만명) 성별 연령계층 2000 2005 2010 2015 2000 2005 2010 2015 남자 25-29 170 144 133 119 217 193 190 171 30-34 196 194 172 177 215 216 197 197 여자 25-29 114 119 121 107 212 188 182 157 30-34 98 101 99 111 207 208 187 187 주: 2015년은 2014 4/4~2015 3/4 분기 평균. 고용률은 변화가 없이 실업률이 상승하였음은 공급이 증가 하였음을 의미하지만 동시에 일자리 질의 하락을 시사 2. 청년 실업 및 고용 국제 비교 우리나라의 청년실업률(남자 25~29세)은 과거 1990년대에는 유럽 국가보다 낮았지만 현재는 오히려 높은 수준임. 2014년 남자 25~29세 실업률 10.1%는 OECD 국가평균 9.7% 보다 오히려 높으며, 일본(5.6%)는 물론 미국(7.4%), 영국 (7.4%)보다 높은 수준. - 한국은 2008년 경제위기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음에도 청년 노동시장이 계속 악화되었다는 점에서 예외적 여자 25~29세 실업률 6.3%는 일본(4.6%)보다는 높으나 미국 (6.8%), 영국(7.7%)이나 OECD 평균 (9.7%)보다는 낮음. - 3 -

그림3 청년 (25~29) 실업률 국제비교 자료: OECD database. http://stats.oecd.org 남자 25~29세 고용률(=취업자/인구 비율)을 OECD 국가와 비교 해보면 1995년에는 우리나라가 높은 편이었으나, 1997년 외환 위기를 겪으면서 OECD 평균은 물론 유럽국가보다 낮아졌으며, 이 순위가 지속되고 있음. 세계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그리스, 아일랜드 등이 크게 하락 하였으나 우리나라 청년 고용률도 큰 폭으로 하락 - 4 -

A. 남자 25~29세 그림4 남자 청년 고용률 국제비교 : 1995-2014 B. 남자 30~34세 - 5 -

남자 30~34세 고용률은 1995년에는 일본과 더불어 OECD 최고 수준이었음. 외환위기 이후 미국 및 유럽과 비슷한 수준 으로 하락하였으며 이 순위가 지속 여자 청년층 고용률은 25~29세에서는 1997년 경제위기로 상승세가 일시적으로 둔화되었으나 꾸준히 지속되고 있음. 2014년 한국 여자 25~29세 고용률(68.8%)은 미국(69.1%) 등 유럽과 비슷하며 일본(75.7%)보다 약간 낮은 수준 반면 여자 30~34세 고용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크게 개선 되지 못하고 있음. 이는 직장과 가정생활의 병행이 여전히 어려움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임. 추가적으로, 여자 고용률 상승과 남자 고용률 하락의 추세로부 터 여성 경제활동참가 확대가 남자 청년층의 일자리를 구축하였 다고 해석할 수는 없음. 왜냐하면 물론 공무원 등 서로 경쟁관계에 있는 일부 직업 외에는 남자와 여자는 직업구조가 서로 크게 달라 경쟁관계 가 약하기 때문임. - 남자는 제조업, 기술직 비중이 높은 반면 여자에서는 사무직, 보건사회복지, 교육직 비중이 높음. - 6 -

A. 여자 25~29세 그림5 여자 청년 고용률 국제비교 : 1995-2014 B. 여자 30~34세 - 7 -

II 청년 실업 상승 원인 1. 비취업 청년층의 구성 청년층 고용이 왜 하락하였는가를 밝히기 위하여 비취업청년 층의 활동 상태를 살펴볼 필요 일반적으로 노동경제학에서는 민간인구를 경제활동인구(취업 자 +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 - 비경제활동인구는 대표적으로 가사활동하는 주부, 교육 중인 학생 등임. 그러나 청년층에서는 교육훈련 등 취업준비 비중이 크므로 취업, 교육훈련, NEET (Not in Employment, Education, Training, 비취업ㆍ비교육훈련)로 흔히 분류 흔히 고학력화가 청년층 고용률을 낮추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25~29세 중 재학중 비율은 2000년대 중반 이후 증가세가 크 게 둔화되었으며 NEET 증가가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 남자 25~29세에서 2010년과 2015년을 비교하면 교육ㆍ훈련 비중은 같으나 취업 비중이 하락하면서 NEET 비중이 증가 ([표2] 참조) 여자도 교육훈련 비중은 크게 상승하지 않았으며 취업자가 늘 어나면서 NEET가 감소하였으나 2015년에는 추세가 역전 표2 청년층 경제활동상태별 구성 (%) 남자 25~29세 여자 25~29세 교육훈련 취업 NEET 교육훈련 취업 NEET 2005 23.3 63.0 13.7 9.7 57.9 32.3 2010 29.4 57.4 13.2 11.2 60.3 28.4 2015 29.5 53.9 16.7 11.9 61.4 26.7-8 -

그림6 청년층 경제활동상태별 구성: 1995~2014 A. 남자 25~29세 B. 여자 25~29세 주: 각년도 6월 기준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한국 청년층 NEET 비율은 OECD 국가 중에서도 높은 편 그림7 OECD 각국 15~29세 중 NEET 비율 비교: 2008 및 2013 자료: OECD, Skills Outlook 2015, Figure 1.3.B, p.18-9 -

2. 일자리 미스매치 이론의 설명 청년 실업증가 및 고용감소의 원인이 일자리 미스매치라는 설 명이 있지만 최근의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설득력이 약함. 일자리 미스매치(job mismatch)란 청년층은 고학력화한 데에 비하여 고학력 일자리는 부족하므로 대졸자가 고졸 일자리 를 기피하여 실업이 증가하고 고용률은 하락한다는 설명임.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대졸자가 고졸 일자리를 선택하는 과 잉학력 현상 은 매우 광범하게 발생하고 있음. 대학교육은 범세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대졸자가 증가하면 자연히 학력과잉 비율은 증가 - 대략적으로 약 20%의 대졸자가 고졸 혹은 전문대졸을 요구하 는 일자리에 취업하고 있으며 이 비율은 해외에서도 큰 차이 는 없음. 미스매치가 원인이라면 실업 증가와 고용률 하락이 대졸자에 집중되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전 학력에 걸쳐 발생 또한 미스매치 비율은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나 청년 노동시 장은 계속 악화 결과적으로 청년 취업난 악화는 그 원인이 노동의 공급보다는 수요 측면 즉 일자리 창출의 부진에 있다고 보아야 함. - 10 -

3. 직장탐색 (job search) 이론 직장탐색 이론은 경제학에서 실업 현상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으로 그 내용은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음. 청년이 실업상태에 머무르는 이유는 i) 취업기회가 부족하거나, 혹은 ii) 기대를 충족시키는 취업기회가 없었기 때문 취업기회 는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바와 같이 활발한 경제 혹은 호경기에 빈번하게 발생 청년층은 자기에게 주어진 기회를 판단하여 본인의 기대 수준을 설정 - 만약 모든 취업기회가 동일하다면 청년층은 취업기회가 생기면 저울질하지 않고 바로 취업 - 그러나 일자리의 질이 서로 크게 다르다면 청년층은 만족하지 못하는 일자리에는 취업하지 않고 더 좋은 일자리를 기대하면서 스펙 쌓기 나 직장탐색( 실업 )을 지속 결과적으로 나쁜 일자리 와 좋은 일자리 의 격차가 클 때, 청년층은 취업을 선택하지 않고 직장탐색을 계속하게 됨. 과거 한국과 일본 청년노동시장은 졸업 후 거의 같은 초임을 받으면서 학교에서 알선하는 직장에 취업하는 질서정연한 이행 이 특징이었으며, 결과적으로 청년 실업은 서구에 비하여 매우 낮은 수준이었음. - 11 -

외환위기 이후 청년 임금의 격차는 크게 확대됨. 즉 청년층 은 좋은 일자리 를 얻지 못하면 나쁜 일자리 에 취업할 수 밖에 없는데 그 차이가 크기 때문에 취업 연기를 선택 [그림8]은 남자 30~34세의 (로그) 실질시간당 임금의 분포를 1999년과 2012년을 비교한 것으로 임금의 분포는 크게 확대 되었음. 즉 고임금 일자리와 저임금 일자리의 격차가 크게 확대 - 25~29세는 미취업 인구의 비중이 커서 전체임금의 분포를 나타내지 못하므로 30~34세 임금분포를 살펴보았음. - [그림8]에서는 임금의 분포가 크게 넓어졌으며 이는 좋은 일자 리와 나쁜 일자리의 격차가 커졌음을 의미함. 그림8 로그 실질 시간당 임금의 분포: 1999 및 2012 주: 남자 30~34세 대상, 푸른색 실선은 전학력, 붉은색 점선인 대졸자 대상임. 자료: 노동부 임금구조조사 자료를 이용한 필자의 계산결과. 결과적으로 청년실업을 줄이기 위해서는 i) 청년층의 취업기회가 증가하여야 하고, ii) 그 중에서도 양질의 일자리가 많아져야 함. - 12 -

III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서비스산업 발전 1. 산업 성장과 청년 일자리 일반적으로 경제 내에서 새로운 산업이 성장할 때 신산업은 청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함. 전형적인 사례는 경제개발시대의 제조업으로 1960~70년대 제조업은 농촌지역에서 도시지역으로 이주하는 청년층에게 대량의 일자리를 제공하였음. 당시 청년층은 제조업 취업과 더불어 농촌에서 도시로 이주 하였으며 이후 도시에 정착하면서 소매, 음식업 등 전통적 서비스업으로 이행 청년층이 특정 산업에 진입하면 그 산업에 정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산업별로 성장 시기에 따라 근로자 연령구성이 서로 다르게 됨. - 전형적인 사례가 조선업으로 1970~80년대 고속성장기에 대거 입사한 청년층이 현재는 50대 고령근로자 중심의 인력구조를 보이고 있음. 따라서 신산업이 급속하게 성장하는 시대, 투자가 활발한 시대, 기업의 생성과 소멸이 활발한 시대가 청년 일자리 창출에 유리한 시대가 된다고 할 수 있음. 과다한 투자가 지속되었던 1997년 외환위기 이전까지의 한국 경제는 역설적으로 청년취업에는 매우 우호적인 경제환경을 제공하였음. - 13 -

그러나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투자가 위축됨에 따라 청년 일자리는 축소 고성장 시대에는 기업이 신기술에 대한 적응능력이 높은 청년층을 고용하지만 저성장으로 전환함에 따라 필요한 청년층만을 선별적으로 고용하였으며 결과적으로는 청년층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임금격차가 확대 - 학력 간 임금격차가 중고령층보다 청년층에서 더욱 급속하게 확대되는 현상은 범세계적 또한 경제 내에서 구조조정이 활발하게 진행되면 기업들은 신규근로자들을 충원하게 되므로 청년층 일자리 창출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됨. - 앞의 그림에서 남자 청년층(25~29세, 30~34세) 고용률은 외환 위기시 기업구조조정 이후 신규채용 증가로 상승하여 1999년을 저점으로 2004년까지는 1999년보다 높은 고용률을 유지 - 그러나 우리나라 기업들의 생성과 소멸의 추이는 2000년대 들어 계속 하락하고 있어서 기업성장의 동태성이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추세임. 미래의 청년층 일자리로 기대되는 7대 유망서비스 산업은 성장이 정체하면서 청년층 일자리 창출이 어려운 상황 유망산업으로 선정된 물류(운수), 금융보험, 교육, 보건의료, 관광, 콘텐츠, 소프트웨어 산업은 청년층이 선호하며 청년비 중도 높은 분야 - 14 -

반면 7대 유망서비스 산업 고용의 증가세는 이어지고 있으나 증가세가 미약하여 비중은 오히려 하락 - 7대 유망서비스 산업 종사자수 ( 07 13): 423.9만명 499.2만명, 취업자 비중( 09 13): 27.0% 26.0% 미래의 청년층 일자리 창출 잠재력을 감안한다면 규제개혁 으로 이러한 신산업들의 성장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 표3 7대 유망서비스 업종별 종사자수 및 비중: 2007~2013 취업자 비중 (%)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7대 유망서비스업 26.6 26.8 27.0 26.7 26.5 26.5 26.0 운수업 5.5 5.7 5.8 5.6 5.5 5.4 5.3 금융 및 보험업 4.0 4.1 4.1 4.0 4.0 3.9 3.7 교육 서비스업 8.1 8.1 8.1 8.1 7.9 7.9 7.8 보건의료업 3.6 3.7 3.8 3.9 3.9 4.0 4.1 관광 1.1 1.0 1.0 1.1 1.1 1.2 1.2 콘텐츠 3.5 3.4 3.4 3.3 3.3 3.3 3.2 소프트웨어 0.8 0.9 0.9 0.8 0.8 0.8 0.8 종사자수 (천명)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7대 유망서비스업 4,239 4,368 4,546 4,715 4,802 4,930 4,992 운수업 882 927 973 993 995 1,010 1,014 금융 및 보험업 639 666 682 707 718 716 700 교육 서비스업 1,293 1,312 1,358 1,421 1,432 1,471 1,492 보건의료업 569 607 639 686 706 745 786 관광 168 167 169 186 205 230 227 콘텐츠 564 549 571 581 605 611 619 소프트웨어 124 139 152 141 141 148 153 전산업 15,944 16,288 16,818 17,647 18,093 18,569 19,173 자료: 1) 전국사업체조사,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콘텐츠산업통계조사, ICT 인력동향실태조사. 2) 산업연구원, KIET Industry Brief, 2015.5, p.34 표의 시계열 연장으로 구성. - 15 -

2. 지식서비스 산업과 양질의 일자리 지식경제 시대에 일자리 창출은 기술ㆍ지식집약적 산업들에 의하여 주도되며 양질의 고임금 일자리도 이러한 산업들에서 창출 산업경제 시대의 일자리 창출 메커니즘이 투자 고용 소비유발 서비스업 일자리 창출인 반면 지식경제 시대의 일자리 창출 메커니즘은 지식ㆍ기술 고임금 일자리 소비유발 서비스업 일자리 창출임. 기술ㆍ지식집약적 산업은 소위 TKI (Technology-Knowledge Intensive) 산업으로 구체적으로는 기술집약적 제조업인 항공 우주, 통신ㆍ반도체, 컴퓨터, 계측제어기기, 의료의약 산업과 지식집약적 서비스업인 사업서비스, 금융, 통신, 교육, 의료 산업임. 표4 청년(25~29세) 양질의 일자리 산업별 분포 대분류 중분류 고임금 근로자 중 전체 근로자 중 비중 (%) 비중 (%) 제조업 컴퓨터영상음향장비제조업 15.5 6.8 기타운송장비제조업 4.6 2.5 도소매업 도매업 4.8 4.9 금융업 4.2 2.3 금융보험업 보험연금업 3.3 1.5 금융보험관련서비스업 3.6 1.8 사업서비스업 연구개발업 5.8 3.0 전문서비스업 5.7 3.4 보건복지 보건업 8.7 7.9 주: 1) 양질의 일자리는 월임금 300만원 이상 일자리로 정의. 2) 청년층 전체 근로자 중 18.9%가 고임금 근로자임. 자료: 노동부, 임금구조조사 (2012)로부터 필자의 계산. - 16 -

우리나라 서비스 산업은 OECD 선진국에 비하여 고용비중이 작고, 금융, 의료, 사업서비스 등 지식서비스 비중이 작은 구 조를 가지고 있음. 그러므로 서비스 산업에는 추가적인 일자리 창출 잠재력이 크다고 볼 수 있으며, 지식집약적 서비스업의 육성에 정책 적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음. 지식서비스 산업은 제조업과 같이 생산성에 의하여 일자리가 창출되는 교역재 부문으로, 외부 소비수요에 의하여 일자리가 창출되는 소매, 음식점업과 같은 전통적 서비스업과는 다른 일자리 창출 원리를 가짐. 제조업이 수출 시장에서 경쟁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켜 온 반면 지금까지 서비스업은 내수시장에 안주하였으므로 경쟁력이 미흡 소프트웨어, 광고, 회계 등 전문서비스 산업에서는 대기업의 수직계열화(vertical integration) 체제가 경쟁과 생산성 향상, 일자리 창출 증가를 저해하고 있으므로 경쟁적 생태계를 조 성할 필요가 있음. - 17 -

표5 산업별 취업자 분포: OECD 선진국과 비교 한국 일본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2006 2007 2009 2008 2008 2007 2009 농림어업 7.7 5.0 1.4 1.5 2.1 3.3 3.9 제조업 18.0 17.4 8.9 9.8 19.0 12.6 19.3 전기가스수도 0.3 0.9 0.4 0.4 0.7 0.6 0.5 건설 7.9 8.4 5.4 7.2 5.4 6.9 7.7 (서비스전체) 65.9 68.2 82.6 80.8 70.7 76.6 62.1 도소매 16.0 17.4 14.6 16.0 14.8 13.3 14.5 음식숙박 8.9 7.3 7.8 6.2 4.6 3.8 5.0 운수창고통신 6.4 5.8 4.6 5.9 5.5 6.1 4.9 금융 3.4 2.8 4.1 3.5 2.9 3.1 2.6 사업서비스 9.4 12.1 14.4 17.4 14.5 15.9 12.3 공공행정사회 3.5 3.2 9.4 5.4 6.6 9.0 5.4 교육 7.2 2.9 9.3 8.2 6.0 7.4 6.4 의료복지 3.0 9.9 11.7 11.9 10.5 12.2 6.7 개인서비스 8.3 6.9 6.7 6.3 5.4 5.8 4.5 자료: OECD STAN database. ISIC rev.3 기준. 3.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서비스산업 발전과제 우리 경제에서도 서비스산업의 비중은 높아지고 있으며 선진국처럼 서비스경제화가 진전되고 있음. 서비스산업 고용비중: ('93)62.0% ('02)71.2% ('11)73.0% 그러나 고용규모에 비해 부가가치의 비중은 낮아 서비스업의 생산성 향상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음. - 18 -

- 제조업 노동생산성은 미국의 75.5% 수준이나 서비스업 생산성은 미국의 42.4% (2011년) - G7 국가와 비교하면 제조업 노동생산성 수준은 거의 같으나 서비스업 노동생산성은 2/3 수준 그림9 서비스산업 비중 (고용) 그림10 서비스산업 비중 (부가가치) - 19 -

서비스산업은 지금까지는 내수만이 대상이었으나 글로벌 경 제에서 서비스산업의 새로운 성장 기회가 대두하고 있음. 1980~2000년간 세계상품교역의 증가율은 6.6%였으나 서비스 교역의 증가율은 7.9% 생산의 글로벌화로 사업지원 서비스업의 시장이 확대되어 선진국 서비스산업은 급성장하는 추세 - 독일 서비스산업의 GDP 비중: 1991 60.7% 1998 66.6% 2007년 68.7% - 한국도 사업지원서비스가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2004~14년간 고용이 연평균 5.7% 증가, 반면 서비스업 평균은 2.0% 개인 소비도 글로벌화 됨에 따라 의료, 교육, 관광 산업 등이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부상 - 우리나라에서도 성장동력 산업으로 추진 중이나 공공성과 결부되어 공감대 형성이 지체되어 사업추진이 부진 서비스 수출의 경제적 파급효과 - 외국 환자 1인 평균진료비와 동일한 금액 ㅇ 반도체 1,154개 수출 ㅇ LCD 9.5대 수출 - 매출액 10억원 당 고용규모 ㅇ 서울대 병원: 7.7명 ㅇ 삼성전자 0.6명, 현대차 0.7명 - 20 -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면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서비스업 발전을 위한 과제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음. 첫째, 지식서비스 산업 발전을 산업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 서비스업 수출 기회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 - 인프라, 세제ㆍ금융ㆍ재정 지원 운영상의 제조업 중심적 차별적 지원제도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시정할 필요 - 전산업 R&D 지출 비중은 높으나 서비스업 R&D 지출은 부진 * GDP 대비 서비스업 R&D 지출 비중(2011): 한국 0.27%, 미 국 0.32%, 영국 0.68%, 독일 0.27%, 일본 0.28% 둘째, 전문 서비스업 경쟁강화와 생산성 제고를 위한 생태계 조성이 필요 - 개별법 상의 진입 및 가격 규제는 산업발전을 저해하는 요인 으로 작용 - 대기업 수직계열화는 시장경쟁에 의한 생산성 향상과 일자리 창출 확대를 저해 셋째, 새로운 기업이 성장하고 쇠퇴기업이 도태하는 역동적인 기업환경을 조성하여 산업 생산성을 향상 - 금융지원, 파산과 창업 제도를 수정하여 진입과 퇴출을 활성화, 생산성 향상 촉진 - 21 -

서비스산업에 서비스산업에 서비스산업에 서비스산업에 서비스산업에 서비스산업에 서비스산업에 서비스산업에 서비스산업에 서비스산업에 서비스산업에 서비스산업에 서비스산업에 서비스산업에 서비스산업에 대한 대한 대한 대한 대한 대한 대한 대한 대한 대한 대한 대한 대한 대한 대한 서비스산업에 대한 청년 청년 청년 청년 청년 청년 청년 청년 청년 청년 청년 청년 청년 청년 청년 청년인식조사 인식조사 인식조사 인식조사 인식조사 인식조사 인식조사 인식조사 인식조사 인식조사 인식조사 인식조사 인식조사 인식조사 인식조사 인식조사 2015. 10

목 차 제 1 장 조사 개요 27 제 2 장 조사 결과 요약 30 제 3 장 조사 결과 분석 33 제 4 장 종합요약 59 부록Ⅰ: 통계표 61 부록Ⅱ: 설문지 77

제1장 조사 개요 1. 조사 목적 청년일자리와 관련한 서비스산업 인식에 대해 20~30대 청년의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서비스산업 정책 수립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2. 조사 대상 및 방법 일반국민 20~30대 전국 20대와 30대 성인남녀 1,000명(표본오차 95%신뢰수준에서 ±3.1%p) ㅇ 조사방법: 웹서베이 ㅇ 표집방법: 지역, 성별, 연령별로 층화할당 표집 <표 1-1> 응답 현황 구분 응답자수 (명) 비중(%) 성별 연령대 교육수준 남성 518 51.8 여성 482 48.2 20대 466 46.6 30대 534 53.4 고졸 이하 119 11.9 대재 이상 881 88.1-27 -

직업 근무 직종 지역 구분 응답자수 (명) 비중(%) 직장인 681 68.1 개인사업자 36 3.6 대학생 204 20.4 대학생(졸업유예자) 31 3.1 대학원생 22 2.2 졸업 후 취업준비생 26 2.6 농림어업 광업 8 0.8 제조/건축 건설, 엔지니어 252 25.2 도소매/음식 숙박/운수 112 11.2 교육/출판 방송/금융 보험 142 14.2 공공행정/보건/사회복지 129 12.9 예술 스포츠/여가 레져 22 2.2 국제 외국기관/기타 52 5.2 (직장인, 개인사업자 외) 283 28.3 서울 219 21.9 인천/경기 308 30.8 강원/대전/충청/세종 127 12.7 광주/전라/제주 102 10.2 대구/경북 93 9.3 부산/울산/경남 151 15.1 전체 1000 100.0 3. 과제 수행 일정 설문 작성 및 조사 준비: 2015. 9. 30 ~ 10. 1 설문조사 실시: 2015. 10. 2 ~ 10. 6 분석 및 보고서 작성: 2015. 10. 7 ~ 10. 8 4. 주요 조사 내용 청년일자리와 서비스산업에 대한 인식과 현황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안)에 대한 인식과 과제 - 28 -

5. 분석 방법 기본적으로 각 설문에 대한 빈도를 중심으로 분석 조사대상 집단 간 응답을 비교할 경우에는 χ 2 한 경우에만 기술 분석 등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미 - 29 -

제2장 조사 결과 요약 1. 일자리에 대한 인식 설문요지 조사항목 비중 1 일자리(취직 이직 등) 25.6% 2 경제적 문제(채무, 주거비, 생활비 등) 37.7% 3 이성문제(연애, 결혼 등) 12.7% 현재 가장 큰 고민 4 인간관계 3.2% 5 가족문제(양육, 부양, 가족 간 갈등 등) 7.2% 6 학업 및 진로(목표, 꿈) 11.6% 7 고민 없음 1.3% 8 기타 0.7% 1 매우 심각하다 53.2% 2 약간 심각하다 35.7% (1+2 심각하다) (88.9%) 현재 청년일자리 문제 심각 정도 3 보통이다 9.4% (4+5 심각하지 않다) (1.7%) 4 별로 심각하지 않다 1.6% 5 전혀 심각하지 않다 0.1% 1 농업, 임업, 어업, 광업 0.8% 2 제조업 7.6% 3 건축, 엔지니어링, 건설업 9.4% 4 도 소매(장사, 전자상거래) 3.2% 5 운수업(운전, 택배, 대리, 항공 관련) 0.6% 6 숙박(호텔, 콘도 등) 및 관광업 3.3% 7 음식점업 1.5% 8 교육서비스업(학원, 레슨 등) 7.0% 선호하는 일자리 분야 9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 콘텐츠업 9.4% 10 금융 및 보험업 5.9% 11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22.1% 12 보건업(병원, 치과, 한의원 등) 8.9% 13 사회복지서비스업 4.2% 14 예술, 스포츠 4.4% 15 여가 및 레저 관련 서비스업 4.6% 16 국제 및 외국기관 4.9% 17 기타 2.2% - 30 -

설문요지 조사항목 비중 1 매우 부족하다 18.0% 2 다소 부족하다 39.3% (1+2 부족하다) (57.3%) 선호하는 일자리 분야의 3 보통이다 31.0% 양질 일자리 정도 (4+5 충분하다) (11.7%) 4 다소 충분하다 10.8% 5 매우 충분하다 0.9% 1 매우 부족하다 17.1% 2 다소 부족하다 38.0% (1+2 부족하다) (55.1%) 서비스 분야에서 양질 일자리 정도 3 보통이다 34.0% (4+5 충분하다) (10.9%) 4 다소 충분하다 10.1% 5 매우 충분하다 0.8% 2. 서비스산업에 대한 인식 설문요지 조사항목 비중 1 매우 낮다 17.9% 2 다소 낮다 48.5% (1+2 낮다) (66.4%) 선진국과 비교 시, 3 보통이다 18.1% 서비스산업 경쟁력 정도 (4+5 높다) (15.5%) 4 다소 높다 13.4% 5 매우 높다 2.1% 서비스산업 경쟁력이 낮은 원인 (N=664명, 앞 문제의 1,2 응답자 대상) 서비스분야의 질 좋은 일자리 창출에 필요한 정부 정책 구체적인 지원 정책 (N=852명, 앞 문제의 4.5 응답자 대상) 1 R&D(연구개발) 투자 부진 7.5% 2 산업으로서 인식 부족 30.7% 3 관련 기술, 전문 인력 등 인프라 부족 30.4% 4 타 분야에 비해 낮은 정부지원 20.5% 5 제조업 대비 과도한 규제 3.5% 6 관련 입법 처리 지연 4.5% 7 기타 2.9% 1 전혀 그렇지 않다 0.8% 2 별로 그렇지 않다 3.1% (1+2 그렇지 않다) (3.9%) 3 보통이다 10.9% (4+5 그렇다) (85.2%) 4 약간 그렇다 43.1% 5 매우 그렇다 42.1% 1 전문 인력 양성 32.3% 2 법적 지원기반 마련(기본법 제정) 30.0% 3 기술지원 5.6% 4 자금지원 18.2% 5 R&D 투자 확대 7.2% 6 세금혜택 4.5% 7 기타 2.2% - 31 -

설문요지 조사항목 비중 1 구체적인 내용까지 잘 알고 있었다 0.6%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안) 인지도 2 대략적인 내용 정도 알고 있었다 8.7% 3 들어본 적은 있으나 내용은 잘 모르고 있었다 27.3% 4 전혀 모르고 있었다 63.4%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도입 필요성 1 그렇다 88.4% 2 아니다 11.6% 1 전혀 그렇지 않다 3.1% 2 별로 그렇지 않다 10.5% (1+2 그렇지 않다) (13.6%)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시행 시, 3 보통이다 35.8% 청년일자리 창출 기여 정도 (4+5 그렇다) (50.6%) 4 약간 그렇다 45.4% 5 매우 그렇다 5.2%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이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지 못하는 이유 (N=136명, 앞 문제의 1,2 응답자 대상) 1 비정규직 등 질이 낮은 일자리 양산 15.4% 2 법안의 현실성/구체성/실효성 부족 37.5% 3 경제상황 및 구조 등의 문제로 일자리 창출이 어려움 7.4% 4 기업이 법안을 적용하지 않거나 적용하더라도 일자리를 창출 하지 않을 것 16.9% 5 법안이 지속되지 않을 것 1.5% 6 정부 정책에 대해 신뢰하지 않음 16.9% 7 기타 4.4% - 32 -

제3장 조사 결과 분석 1. 일자리에 대한 인식 1) 현재 가장 큰 고민 문. 현재 귀하의 가장 큰 고민은 무엇입니까? 전체 분석 ㅇ 우리나라 청년층에게 현재 가장 큰 고민이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한 결과, 37.7% 가 경제적 문제(채무, 주거비, 생활비 등) 를 꼽음. 다음으로는 취직, 이직 등의 일자리(25.6%), 연애, 결혼 등의 이성문제(12.7%) 라고 응답 [그림 3-1] 현재 가장 큰 고민 - 33 -

특성별 분석 ㅇ 연령대 - 20대는 취직 이직과 같은 일자리(39.1%) 에 대한 고민이 가장 많은 반면, 30대는 채무, 주거비, 생활비 등과 같은 경제적 문제(51.3%) 에 대한 고민을 가장 많이 지목해 연령대별 응답차이를 보임 연령대 1 일자리 (취직 이직 등) 2 경제적 문제 (채무, 주거비, 생활비등) 3 이성 문제 (연애, 결혼 등) 현재 가장 큰 고민 4 인간 관계 5 가족 문제 (양육, 부양, 가족 간 갈등 등) 6 학업 및 진로 (목표, 꿈) 7 고민 없음 20대 39.1% 22.1% 11.2% 3.4% 1.3% 21.7% 0.9% 0.4% 30대 13.9% 51.3% 14.0% 3.0% 12.4% 2.8% 1.7% 0.9% 8 기타 (7)=240.747, p=.000 ㅇ 직업 - 직장인과 개인사업자는 현재 가장 큰 고민에 대해 경제적 문제(47.4%, 72.2%) 를 가장 많이 지목한 반면, 대학 졸업유예자를 포함한 대학생과 졸업 후 취업준비생 은 취직 이직 등의 일자리(74.2%, 80.8%) 고민을 가장 많이 꼽음. 한편, 대학원 생은 학업 및 진로(45.5%) 에 대한 고민을 응답해 직업별 응답차이를 보임 직업 1 일자리 (취직 이직 등) 2 경제적 문제 (채무, 주거비, 생활비등) 3 이성 문제 (연애, 결혼 등) 현재 가장 큰 고민 4 인간 관계 5 가족 문제 (양육, 부양, 가족 간 갈등 등) 6 학업 및 진로 (목표, 꿈) 7 고민 없음 직장인 17.2% 47.4% 15.7% 2.6% 10.0% 4.8% 1.5% 0.7% 개인사업자 2.8% 72.2% 5.6% 11.1% 8.3% 0.0% 0.0% 0.0% 대학생 43.1% 9.8% 7.4% 4.4% 0.0% 33.3% 1.0% 1.0% 대학생(졸업유예자) 74.2% 6.5% 3.2% 0.0% 0.0% 16.1% 0.0% 0.0% 대학원생 27.3% 13.6% 4.5% 4.5% 4.5% 45.5% 0.0% 0.0% 졸업 후 취업준비생 80.8% 11.5% 3.8% 0.0% 0.0% 0.0% 3.8% 0.0% 8 기타 (35)=392.920, p=.000-34 -

ㅇ 근무 직종 - 직장인과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현재 가장 큰 고민에 대해 설문한 결과, 모든 근무직종에서 경제적 문제 를 가장 많이 지목했으며, 특히 농림어업 광업 종사 자들의 응답률(62.5%)이 가장 높은 반면, 공공행정/보건/사회복지(41.1%) 와 국제 외국기관/기타(38.5%) 는 상대적으로 경제적 문제에 대한 고민이 적었음 근무 직종 1 일자리 (취직 이직 등) 2 경제적 문제 (채무, 주거비, 생활비등) 3 이성 문제 (연애, 결혼 등) 현재 가장 큰 고민 4 인간 관계 5 가족 문제 (양육, 부양, 가족 간 갈등 등) 6 학업 및 진로 (목표, 꿈) 7 고민 없음 농림어업 광업 0.0% 62.5% 12.5% 25.0% 0.0% 0.0% 0.0% 0.0% 제조/건축 건설, 엔지니어 14.7% 52.4% 14.7% 2.4% 7.9% 6.3% 1.2% 0.4% 도소매/음식 숙박/운수 19.6% 54.5% 10.7% 1.8% 8.0% 3.6% 1.8% 0.0% 교육/출판 방송/금융 보험 21.1% 47.9% 12.7% 0.7% 12.0% 4.2% 0.7% 0.7% 공공행정/보건/사회복지 14.0% 41.1% 20.2% 3.9% 16.3% 3.1% 0.8% 0.8% 예술 스포츠/여가 레져 13.6% 45.5% 13.6% 13.6% 4.5% 4.5% 0.0% 4.5% 국제 외국기관/기타 15.4% 38.5% 23.1% 5.8% 5.8% 3.8% 5.8% 1.9% 8 기타 (42)=69.755, p=.005-35 -

2) 현재 청년일자리 문제 심각 정도 문. 귀하는 현재 청년 일자리 문제가 얼마나 심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분석 ㅇ 현재 청년 일자리 문제가 어느 정도 심각한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88.9%가 심각 한 수준이라고 응답함( 매우 심각하다 53.2% + 약간 심각하다 35.7%). 심각하지 않다는 응답은 1.7%( 전혀 심각하지 않다 0.1% + 별로 심각하지 않다 1.6%)에 그침 [그림 3-2] 현재 청년일자리 문제 심각 정도 - 36 -

특성별 분석 ㅇ 성별 - 남성(85.7%)보다 여성(92.3%)에서 현재 청년일자리 문제가 심각하다는 응답 비중 (6.6%p)이 더 높았음 성별 (1 매우 심각하다 +2 약간 심각하다) 심각하다 현재 청년일자리 문제 심각 정도 3 보통이다 (4 별로 심각하지 않다 +5 전혀 심각하지 않다) 심각하지 않다 남성 85.7% 12.2% 2.1% 여성 92.3% 6.4% 1.2% (2)=11.084, p=.004-37 -

3) 선호하는 일자리 분야 문. 귀하가 다음 중 가장 선호하는 일자리 분야는 무엇입니까? 전체 분석 ㅇ 20, 30대 청년의 22.1%는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을 가장 선호하는 일 자리로 꼽음 - 다음으로 건축, 엔지니어링, 건설업(9.4%),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 콘텐 츠업(9.4%) 의 응답률이 높았음 [그림 3-3] 선호하는 일자리 분야 - 38 -

특성별 분석 ㅇ 성별 - 가장 선호하는 일자리 분야로 남, 여 모두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을 선 택하였으나, 여성(28.4%)이 이 분야의 직업을 더 선호함. 다음 순위로 남성은 건축, 엔지니어링, 건설업(15.3%),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 콘텐츠업(11.0%) 을 여성 은 보건업(12.7%), 교육서비스업(8.3%) 을 꼽음으로써 차이를 보임 성별 선호하는 일자리 분야 남성 여성 1 농업, 임업, 어업, 광업 1.5% 0.0% 2 제조업 9.7% 5.4% 3 건축, 엔지니어링, 건설업 15.3% 3.1% 4 도 소매 3.7% 2.7% 5 운수업 0.6% 0.6% 6 숙박 및 관광업 2.9% 3.7% 7 음식점업 2.1%.8% 8 교육서비스업 5.8% 8.3% 9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 콘텐츠업 11.0% 7.7% 10 금융 및 보험업 7.7% 3.9% 11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16.2% 28.4% 12 보건업 5.4% 12.7% 13 사회복지서비스업 2.7% 5.8% 14 예술, 스포츠 3.7% 5.2% 15 여가 및 레저 관련 서비스업 5.0% 4.1% 16 국제 및 외국기관 5.4% 4.4% 17 기타 1.4% 3.1% (16)=110.947, p=.000-39 -

ㅇ 연령대 - 20, 30대 모두 일자리 분야 중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을 가장 선호하 였으나, 30대(24.2%)가 20대(19.7%)보다 이 분야의 직업을 더 선호함. 차순위로 20대는 건축, 엔지니어링, 건설업 (13.7%),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 콘텐츠 업(10.3%) 을 30대는 제조업(9.2%), 보건업(9.0%) 을 선택함으로써 차이를 보임 연령대 선호하는 일자리 분야 20대 30대 1 농업, 임업, 어업, 광업 0.4% 1.1% 2 제조업 5.8% 9.2% 3 건축, 엔지니어링, 건설업 13.7% 5.6% 4 도 소매 1.9% 4.3% 5 운수업 0.4% 0.7% 6 숙박 및 관광업 2.8% 3.7% 7 음식점업 1.7% 1.3% 8 교육서비스업 6.9% 7.1% 9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 콘텐츠업 10.3% 8.6% 10 금융 및 보험업 5.8% 6.0% 11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19.7% 24.2% 12 보건업 8.8% 9.0% 13 사회복지서비스업 3.2% 5.1% 14 예술, 스포츠 5.8% 3.2% 15 여가 및 레저 관련 서비스업 4.9% 4.3% 16 국제 및 외국기관 4.9% 4.9% 17 기타 2.8% 1.7% (16)=38.903, p=.001-40 -

현재 직종 분야와 선호 분야 일치 여부 N=717명(경제활동인구: 직장인, 개인사업자 대상) 구분 일치 불일치 불일치 시 선호 분야 1 농업, 임업, 어업, 광업 37.5% 62.5% 숙박 및 관광업(40.0%)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40.0%) 금융 및 보험업(20.0%) 2 제조업 33.1% 66.9%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26.2%) 금융 및 보험업(9.7%)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 콘텐츠업(7.8%)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24.3%) 3 건축, 엔지니어링, 28.6% 71.4% 국제 및 외국기관(12.9%) 건설업 금융 및 보험업(11.4%)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26.8%) 4 도 소매 17.6% 82.4%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 콘텐츠업(12.5%) 보건업(10.7%) 사회복지서비스업(10.7%) 5 운수업 4.5% 95.5%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23.8%) 금융 및 보험업(14.3%) 국제 및 외국기관(14.3%) 6 숙박 및 관광업 50.0% 50.0%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 콘텐츠업(25.0%) 금융 및 보험업(25.0%) 여가 및 레저 관련 서비스업(25.0%) 국제 및 외국기관(25.0%) 7 음식점업 21.4% 78.6% 숙박 및 관광업(18.2%) 교육서비스업(18.2%) 8 교육서비스업 45.5% 54.5%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38.9%) 보건업(16.7%) 예술, 스포츠(8.3%) 여가 및 레저 관련 서비스업(8.3%) 9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 콘텐츠업 29.8% 70.2% 10 금융 및 보험업 26.3% 73.7% 11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63.5% 36.5% 12 보건업 64.3% 35.7% 13 사회복지서비스업 25.7% 74.3% 14 예술, 스포츠 16.7% 83.3% 15 여가 및 레저 관련 서비스업 37.5% 62.5% 16 국제 및 외국기관 0.0% 100.0% 17 기타 12.0% 88.0% 전체 32.9% 67.1%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32.5%) 금융 및 보험업(10.0%) 보건업(10.0%) 여가 및 레저 관련 서비스업(10.0%)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28.6%) 여가 및 레저 관련 서비스업(14.3%) 국제 및 외국기관(14.3%)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 콘텐츠업(21.1%) 교육서비스업(15.8%) 여가 및 레저 관련 서비스업(15.8%)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26.7%) 여가 및 레저 관련 서비스업(20.0%) 예술, 스포츠(13.3%)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38.5%)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 콘텐츠업(11.5%) 보건업(11.5%)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40.0%) 교육서비스업(20.0%)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 콘텐츠업(20.0%) 보건업(20.0%) 교육서비스업(20.0%)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 콘텐츠업(20.0%) 예술, 스포츠(20.0%)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50.0%) 예술, 스포츠(50.0%)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34.1%)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 콘텐츠업(13.6%) 사회복지서비스업(9.1%)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27.2%)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콘텐츠업(8.9%) - 41 -

ㅇ 직장인과 개인사업자(N=717)를 대상으로 현 직종과 선호 직종을 조사한 결과, 현 재 종사하고 있는 일자리와 선호하는 일자리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67.1%로 대 다수가 희망하는 일자리에 종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 실제 종사 분야와 선호 분야가 다른 경우(N=481),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27.2%),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 콘텐츠업(8.9%) 을 가장 종사하고 싶 은 일자리로 선택 ㅇ 대부분의 직종에서 현재 직종 분야와 선호하는 일자리 분야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중이 높았으나, 보건업(64.3%) 과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63.5%) 종사자는 일치한다는 의견이 과반을 차치 - 42 -

3-1) 선호하는 일자리 분야의 양질 일자리 정도 문. 귀하가 선택한 선호 일자리 분야에서 양질의 일자리는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분석 ㅇ 위에서 선택한 선호 일자리 분야에서 양질의 일자리가 어느 정도 충분한지에 대 해 조사한 결과, 청년층의 과반이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다고 응답함(57.3%: 매 우 부족하다 18.0% + 다소 부족하다 39.3%) - 보통 수준은 31.0%, 충분하다고 느끼는 응답은 11.7%( 매우 충분하다 0.9% + 다 소 충분하다 10.8%)에 그쳐, 선호하는 일자리의 양질 일자리 풀(pool)에 대해 다 소 부정적으로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3-3-1] 선호하는 일자리 분야의 양질 일자리 정도 - 43 -

4) 서비스분야에서의 양질 일자리 정도 문. 서비스분야에서 양질의 일자리는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분석 ㅇ 서비스분야에서 양질의 일자리 정도에 대해 청년층의 55.1%가 부족하다( 매우 부족 하다 17.1% + 다소 부족하다 38.0%)고 응답한 반면, 보통 수준은 34.0%로 나타나 서비스산업에서 양질의 일자리 정도에 대해서도 다소 부정적으로 체감하고 있었음 [그림 3-4] 서비스분야에서의 양질 일자리 정도 - 44 -

특성별 분석 ㅇ 연령대 - 30대(61.2%)가 20대보다 서비스 분야의 양질 일자리 정도가 부족하다는 응답이 더 많아, 연령대별 응답차이를 보임 연령대 (1 매우 부족하다 +2 다소 부족하다) 부족하다 서비스 분야에서 양질 일자리 정도 3 보통이다 (4 다소 충분하다 +5 매우 충분하다) 충분하다 20대 48.1% 39.5% 12.4% 30대 61.2% 29.2% 9.6% (2)=17.466, p=.000-45 -

2. 서비스산업에 대한 인식 1) 선진국과 비교 시, 서비스산업 경쟁력 정도 문. 주요 선진국(미국, 유럽 등)과 비교할 때 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분석 ㅇ 청년층의 66.4%( 매우 낮다 17.9% + 다소 낮다 48.5%)가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이 미국, 유럽 등 주요 선진국과 비교해 낮은 수준이라고 평가. 높은 수준 이라는 평가는 15.5%( 매우 높다 2.1% + 다소 높다 13.4%)에 그침 [그림 3-5] 선진국과 비교 시, 서비스산업 경쟁력 정도 - 46 -

특성별 분석 ㅇ 연령대 - 30대(71.5%)가 20대에 비해 우리나라 서비스산업 경쟁력을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 는 것으로 나타났음 연령대 1+2 낮다 선진국과 비교 시, 서비스산업 경쟁력 정도 3 비슷하다 4+5 높다 20대 60.5% 20.4% 19.1% 30대 71.5% 16.1% 12.4% (2)=14.363, p=.001 ㅇ 직업 - 대학원생(72.7%)이 다른 직업군에 비해 우리나라 서비스산업 경쟁력을 더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직업군 1+2 낮다 선진국과 비교 시, 서비스산업 경쟁력 정도 3 비슷하다 4+5 높다 직장인 69.9% 16.4% 13.7% 개인사업자 63.9% 27.8% 8.3% 대학생 58.3% 20.6% 21.1% 대학생(졸업유예자) 54.8% 25.8% 19.4% 대학원생 72.7% 4.5% 22.7% 졸업 후 취업준비생 50.0% 30.8% 19.2% (10)=22.297, p=.014-47 -

1-1) 서비스산업 경쟁력이 낮은 원인 문. 서비스 산업 경쟁력이 낮은 원인은 무엇 때문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분석 ㅇ 우리나라 서비스산업 경쟁력을 낮게 평가한 청년들(N=664)은 경쟁력 저하의 주 원인으로 산업으로서 인식 부족(30.7%) 과 관련 기술, 전문 인력 등 인프라 부족 (30.4%) 을 지목. 다음으로 타 분야에 비해 낮은 정부지원(20.5%) 도 경쟁력 저하 에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 [그림 3-5-1] 서비스산업 경쟁력이 낮은 원인 N=664명(서비스산업 경쟁력이 '낮다'고 평가한 응답자 대상) - 48 -

특성별 분석 ㅇ 성별 - 서비스산업 경쟁력이 낮은 원인에 대해 남성은 산업으로서 인식 부족(29.2%) 이 라고 응답한 반면, 여성은 관련 기술, 전문 인력 등 인프라 부족(34.9%) 이라고 인식하여 응답에 차이를 보임 성별 1 R&D (연구개발) 투자부진 N=664명(서비스산업 경쟁력이 '낮다'고 평가한 응답자 대상) 2 산업으로서 인식 부족 서비스 산업 경쟁력이 낮은 원인 3 관련 기술, 전문 인력 등 인프라 부족 4 타 분야에 비해 낮은 정부지원 5 제조업 대비 과도한 규제 6 관련 입법처리 지연 7 기타 남성 9.7% 29.2% 26.4% 19.5% 4.9% 6.9% 3.4% 여성 5.1% 32.4% 34.9% 21.6% 1.9% 1.9% 2.2% (6)=23.782, p=.001 ㅇ 직업 - 직장인(33.6%), 대학생(26.1%)은 관련 기술, 전문 인력 등 인프라 부족 을 우리나 라 서비스산업 경쟁력이 낮은 주 원인으로 꼽은 데 반해, 졸업 후 취업준비생 (61.5%)은 산업으로서 인식 부족 에 더 큰 원인이 있다고 지적. 한편, 대학생(졸 업유예자)(35.3%)은 타 분야에 비해 낮은 정부지원 도 서비스산업 경쟁력을 저하 시켰다고 강조 직업군 1 R&D (연구개발) 투자부진 N=664명 (서비스산업 경쟁력이 '낮다'고 평가한 응답자 대상) 2 산업으로서 인식 부족 서비스 산업 경쟁력이 낮은 원인 3 관련 기술, 전문 인력 등 인프라 부족 4 타 분야에 비해 낮은 정부지원 5 제조업 대비 과도한 규제 6 관련 입법처리 지연 7 기타 직장인 5.9% 31.5% 33.6% 19.3% 3.4% 3.8% 2.5% 개인사업자 17.4% 34.8% 13.0% 21.7% 4.3% 8.7% 0.0% 대학생 13.4% 24.4% 26.1% 20.2% 3.4% 7.6% 5.0% 대학생(졸업유예자) 0.0% 35.3% 17.6% 35.3% 5.9% 5.9% 0.0% 대학원생 12.5% 18.8% 31.3% 31.3% 0.0% 0.0% 6.3% 졸업 후 취업준비생 0.0% 61.5% 0.0% 30.8% 7.7% 0.0% 0.0% (30)=44.084, p=.047-49 -

2) 서비스분야의 질 좋은 일자리 창출에 필요한 정부 정책 문. 서비스 분야에서 질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정책이 필요 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분석 ㅇ 청년층의 85.2%( 매우 그렇다 42.1% + 약간 그렇다 43.1%)가 서비스 분야에서 질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 [그림 3-6] 서비스산업의 질 좋은 일자리 창출에 필요한 정부 정책 - 50 -

3) 구체적인 지원 정책 문. 구체적으로 어떤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분석 ㅇ 서비스산업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을 강조한 청년들(N=852) 은 구체적으로 전문 인력 양성(32.3%) 과 법적 지원기반 마련(30.0%) 이 가장 필 요하다고 응답 [그림 3-6-1] 구체적인 지원 정책 N=852명(서비스분야에서 정부의 지원 필요에 대해 그렇다 의 응답자 대상) - 51 -

4)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안) 인지도 문. 귀하는 본 설문 이전에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안) 에 대해 알고 계셨습니까? 전체 분석 ㅇ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안) 에 대해 평소 알고 있었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청년 층의 과반인 63.4%가 전혀 모르고 있다고 응답함. 들어본 적은 있으나 내용은 잘 모르고 있는 청년층은 27.3%, 대략적인 내용 정도 알고 있는 경우는 8.7%로 나타 났으며, 구체적인 내용까지 잘 알고 있는 경우는 0.6%에 그침 [그림 3-7]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안) 인지도 - 52 -

특성별 분석 ㅇ 연령대 - 20대(70.8%)가 30대보다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다고 응답 한 비중이 더 높았으며, 대략적인 내용이나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는 30대가 20 대보다 더 많았음 연령대 1 구체적인 내용까지 잘 알고 있었다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안) 인지도 2 대략적인 내용 정도 알고 있었다 3 들어본 적은 있으나 내용은 잘 모르고 있었다 4 전혀 모르고 있었다 20대 0.6% 6.0% 22.5% 70.8% 30대 0.6% 11.0% 31.5% 56.9% (3)=22.129, p=.000 ㅇ 직업 - 대학생(졸업유예자 포함)(71.6%, 74.2%)과 대학원생(77.3%)이 직업이 있는 직장인 (60.6%)이나 개인사업자(55.6%), 또는 졸업 후 취업준비생(57.7%)보다 서비스산업 발전기본법 을 전혀 모르고 있다고 응답한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 직업 1 구체적인 내용까지 잘 알고 있었다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안) 인지도 2 대략적인 내용 정도 알고 있었다 3 들어본 적은 있으나 내용은 잘 모르고 있었다 4 전혀 모르고 있었다 직장인 0.3% 10.6% 28.5% 60.6% 개인사업자 0.0% 11.1% 33.3% 55.6% 대학생 1.0% 3.9% 23.5% 71.6% 대학생(졸업유예자) 0.0% 6.5% 19.4% 74.2% 대학원생 9.1% 0.0% 13.6% 77.3% 졸업 후 취업준비생 0.0% 3.8% 38.5% 57.7% (15)=49.672, p=.000-53 -

5)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도입 필요성 문. 서비스산업의 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이 도입되어야 한 다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분석 ㅇ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에 대한 취지와 내용을 설명한 후, 서비스산업의 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도입이 필요한지에 대해 조사한 결 과, 청년층의 88.4%가 그렇다 고 응답 [그림 3-8]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도입 필요성 - 54 -

특성별 분석 ㅇ 성별 - 여성(91.7%)이 남성(85.3%)보다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도입 필요성을 더 강조 성별 1 그렇다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도입 필요성 2 아니다 남성 85.3% 14.7% 여성 91.7% 8.3% (1)=9.889, p=.002-55 -

6)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시행 시, 청년일자리 창출 기여 정도 문.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이 시행되면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분석 ㅇ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시행이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인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청년층의 50.6%가 기여할 것( 매우 그렇다 5.2% + 약간 그렇다 45.4%)으로 응답함 -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지 않을 것이라는 청년층은 13.6%( 전혀 그렇지 않다 3.1% + 별로 그렇지 않다 10.5%)에 그쳐, 청년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 서비스산 업발전기본법 시행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음 [그림 3-9]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시행 시, 청년일자리 창출 기여 정도 - 56 -

특성별 분석 ㅇ 지역 - 강원/대전/충청/세종 지역(56.7%)에서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을 시행하면 청년일 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서울 지역(19.2%)에서는 다 른 지역보다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비중이 다소 높게 나타남 지역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시행 시, 청년일자리 창출 기여 정도 1+2 그렇지 않다 3 보통이다 4+5 그렇다 서울 19.2% 33.3% 47.5% 인천/경기 11.0% 38.3% 50.6% 강원/대전/충청/세종 15.7% 27.6% 56.7% 광주/전라/제주 12.7% 37.3% 50.0% 대구/경북 18.3% 35.5% 46.2% 부산/울산/경남 6.6% 40.4% 53.0% (10)=20.040, p=.029-57 -

6-1) 기여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유 문. 청년일자리 창출에 기여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주관식 응답) 전체 분석 ㅇ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시행이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하 는 청년들(N=136)은 법안의 현실성, 구체성 및 실효성 부족(37.5%) 을 가장 큰 이 유로 지적. 다음으로 기업이 법안을 적용하지 않거나 적용하더라도 일자리를 창출 하지 않을 것(16.9%) 이라는 우려와 정부정책 자체를 신뢰하지 않는다(16.9%) 는 의견도 있었음 [그림 3-10]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이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지 못하는 이유 N=136명(청년일자리 창출 기여도가 '낮다'의 응답자 대상) - 58 -

제4장 종합요약 현재 우리나라 청년층(20~30대)의 가장 큰 고민은 경제적 문제 와 일자리 ㅇ 20대(39.1%), 대학생(43.1%), 대학졸업유예자(74.2%), 졸업 후 취업준비생(80.8%)은 취직, 이직 등 일자리 때문에 고민 ㅇ 30대(51.3%), 직장인(47.4%), 개인사업자(72.2%)는 채무, 주거비, 생활비 등 경제적 문제 를 고민 ㅇ 청년층의 88.9%가 현재 청년 일자리 문제가 심각하다고 평가하며, 희망하는 양질 의 일자리도 부족하다(57.3%)고 지적 청년층은 행정, 콘텐츠, 엔지니어링, 보건, 교육, 금융 등 서비스산업에서 일자리를 찾고 싶어(80.0%)하나, 실제 청년(직장인, 개인사업자)의 과반은 희망 직종에서 근 무하지 못하고 있어 ㅇ 현재 근무하는 직종 분야와 희망하는 직종 분야가 일치하는 경우는 32.9%인 반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67.1%로 희망하는 직종에 근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음 ㅇ 청년층이 가장 선호하는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분야에 근무하는 종 사자의 경우 현 직종과 희망 직종의 일치도가 63.5%나 되고, 대부분의 다른 직종 의 직장인 및 개인사업자도 이 분야에서 일하기를 원함 청년층은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은 선진국과 비교할 때 낮다(66.4%)고 평 가하고 있었으며,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서비스산업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인프라 구축이 필요해 ㅇ 서비스 산업 경쟁력이 낮은 것은 산업으로서의 인식 부족(30.7%) 과 관련 기술, - 59 -

전문 인력 등 인프라 부족(30.4%) 에서 기인 - 졸업 후 취업준비생 61.5%, 산업으로서 인식부족 으로 인해 경쟁력이 낮다고 강조 - 직장인의 33.6%, 관련 기술, 전문 인력 등 인프라 부족 때문에 경쟁력이 낮다고 응답 - 대학생(졸업유예자)의 35.3%, 타 분야에 비해 낮은 정부지원 을 경쟁력이 낮은 원인으로 지적 서비스산업에서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상태(55.1%)이며, 질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 과 법적지원 기반 마련 등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해 ㅇ 청년층의 85.2%는 양질의 서비스산업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 ㅇ 특히 전문 인력 양성(32.3%) 과 법적 지원기반 마련(30.0%) 의 지원 정책을 강조 청년층은 서비스산업 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도입이 필요(88.4%)하며, 청년일자리 창출에도 기여(50.6%)할 것으로 기대 ㅇ 그러나,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안) 에 대한 청년층의 인지도는 매우 낮아, 응답자 의 63.4%가 모르고 있었으며, 내용을 아는 경우는 9.3% 그침 ㅇ 향후 사업진출을 앞둔 20대, 대학 및 대학원생 등을 대상으로 서비스산업 육성의 중요성을 알리는 정부의 맞춤형 홍보 및 소통 활동 강화 필요 - 60 -

부 록Ⅰ 통 계 표

<통계표> 문1. 현재 귀하의 가장 큰 고민은 무엇입니까? 전체 응답자 수 1 일자리 (취직 이직 등) 2 경제적 문제 (채무, 주거비, 생활비 등) 3 이성문제 (연애, 결혼 등) 1. 현재 가장 큰 고민 4 인간관계 5 가족문제 (양육, 부양, 가족 간 갈등 등) 6 학업 및 진로 (목표, 꿈) 7 고민 없음 8 기타 1000 25.6% 37.7% 12.7% 3.2% 7.2% 11.6% 1.3% 0.7% 성 별 연 령 대 교 육 수 준 남성 518 27.6% 35.9% 12.4% 3.1% 6.2% 12.7% 1.7% 0.4% 여성 482 23.4% 39.6% 13.1% 3.3% 8.3% 10.4% 0.8% 1.0% 20대 466 39.1% 22.1% 11.2% 3.4% 1.3% 21.7% 0.9% 0.4% 30대 534 13.9% 51.3% 14.0% 3.0% 12.4% 2.8% 1.7% 0.9% 고졸 이하 119 19.3% 41.2% 11.8% 2.5% 6.7% 16.8% 0.8% 0.8% 대재 이상 881 26.4% 37.2% 12.8% 3.3% 7.3% 10.9% 1.4% 0.7% 직장인 681 17.2% 47.4% 15.7% 2.6% 10.0% 4.8% 1.5% 0.7% 개인사업자 36 2.8% 72.2% 5.6% 11.1% 8.3% 0.0% 0.0% 0.0% 직 업 대학생 204 43.1% 9.8% 7.4% 4.4% 0.0% 33.3% 1.0% 1.0% 대학생(졸업유예자) 31 74.2% 6.5% 3.2% 0.0% 0.0% 16.1% 0.0% 0.0% 대학원생 22 27.3% 13.6% 4.5% 4.5% 4.5% 45.5% 0.0% 0.0% 졸업 후 취업준비생 26 80.8% 11.5% 3.8% 0.0% 0.0% 0.0% 3.8% 0.0% 농림어업 광업 8 0.0% 62.5% 12.5% 25.0% 0.0% 0.0% 0.0% 0.0% 제조/ 건축 건설, 엔지니어 252 14.7% 52.4% 14.7% 2.4% 7.9% 6.3% 1.2% 0.4% 근 무 직 종 도소매/음식 숙박/운수 112 19.6% 54.5% 10.7% 1.8% 8.0% 3.6% 1.8% 0.0% 교육/출판 방송/금융 보험 142 21.1% 47.9% 12.7% 0.7% 12.0% 4.2% 0.7% 0.7% 공공행정/보건/사회복지 129 14.0% 41.1% 20.2% 3.9% 16.3% 3.1% 0.8% 0.8% 예술 스포츠/여가 레져 22 13.6% 45.5% 13.6% 13.6% 4.5% 4.5% 0.0% 4.5% 국제 외국기관/기타 52 15.4% 38.5% 23.1% 5.8% 5.8% 3.8% 5.8% 1.9% (직장인,개인사업자 외) 283 48.8% 9.9% 6.4% 3.5% 0.4% 29.3% 1.1% 0.7% 서울 219 26.9% 37.4% 12.3% 1.4% 6.8% 13.7% 0.9% 0.5% 인천/경기 308 23.7% 37.7% 11.7% 3.9% 9.1% 11.0% 1.3% 1.6% 지 역 강원/대전/충청/세종 127 22.8% 40.9% 17.3% 3.1% 5.5% 7.9% 2.4% 0.0% 광주/전라/제주 102 31.4% 33.3% 10.8% 4.9% 6.9% 10.8% 1.0% 1.0% 대구/경북 93 21.5% 32.3% 18.3% 4.3% 5.4% 17.2% 1.1% 0.0% 부산/울산/경남 151 28.5% 41.7% 9.3% 2.6% 6.6% 9.9% 1.3% 0.0% - 63 -

문2. 귀하는 현재 청년 일자리 문제가 얼마나 심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응답자 수 1 매우 심각하다 2 약간 심각하다 2. 현재 청년일자리 문제 심각 정도 1+2 (심각하다) 3 보통이다 4+5 (심각하지 않다) 4 별로 심각하지 않다 5 전혀 심각하지 않다 1000 53.2% 35.7% 88.9% 9.4% 1.7% 1.6% 0.1% 성 별 연 령 대 교 육 수 준 남성 518 50.6% 35.1% 85.7% 12.2% 2.1% 1.9% 0.2% 여성 482 56.0% 36.3% 92.3% 6.4% 1.2% 1.2% 0.0% 20대 466 54.7% 35.2% 89.9% 8.6% 1.5% 1.5% 0.0% 30대 534 51.9% 36.1% 88.0% 10.1% 1.9% 1.7% 0.2% 고졸 이하 119 45.4% 38.7% 84.0% 12.6% 3.4% 3.4% 0.0% 대재 이상 881 54.3% 35.3% 89.6% 9.0% 1.5% 1.4% 0.1% 직장인 681 51.0% 36.3% 87.2% 10.7% 2.1% 1.9% 0.1% 개인사업자 36 41.7% 41.7% 83.3% 16.7% 0.0% 0.0% 0.0% 직 업 대학생 204 56.9% 37.3% 94.1% 4.4% 1.5% 1.5% 0.0% 대학생(졸업유예자) 31 74.2% 16.1% 90.3% 9.7% 0.0% 0.0% 0.0% 대학원생 22 59.1% 31.8% 90.9% 9.1% 0.0% 0.0% 0.0% 졸업 후 취업준비생 26 69.2% 26.9% 96.2% 3.8% 0.0% 0.0% 0.0% 농림어업 광업 8 37.5% 62.5% 100.0% 0.0% 0.0% 0.0% 0.0% 제조/ 건축 건설, 엔지니어 252 42.9% 40.9% 83.7% 14.3% 2.0% 1.6% 0.4% 근 무 직 종 도소매/음식 숙박/운수 112 56.3% 33.9% 90.2% 8.9% 0.9% 0.9% 0.0% 교육/출판 방송/금융 보험 142 56.3% 34.5% 90.8% 7.0% 2.1% 2.1% 0.0% 공공행정/보건/사회복지 129 55.0% 33.3% 88.4% 10.1% 1.6% 1.6% 0.0% 예술 스포츠/여가 레져 22 45.5% 36.4% 81.8% 9.1% 9.1% 9.1% 0.0% 국제 외국기관/기타 52 51.9% 30.8% 82.7% 15.4% 1.9% 1.9% 0.0% (직장인,개인사업자 외) 283 60.1% 33.6% 93.6% 5.3% 1.1% 1.1% 0.0% 서울 219 56.6% 32.4% 89.0% 9.6% 1.4% 0.9% 0.5% 인천/경기 308 51.0% 37.7% 88.6% 9.7% 1.6% 1.6% 0.0% 지 역 강원/대전/충청/세종 127 58.3% 32.3% 90.6% 7.1% 2.4% 2.4% 0.0% 광주/전라/제주 102 62.7% 30.4% 93.1% 4.9% 2.0% 2.0% 0.0% 대구/경북 93 46.2% 38.7% 84.9% 12.9% 2.2% 2.2% 0.0% 부산/울산/경남 151 46.4% 41.1% 87.4% 11.3% 1.3% 1.3% 0.0% - 64 -

문3. 귀하가 다음 중 가장 선호하는 일자리 분야는 무엇입니까? 전체 응답자 수 1 농업, 임업, 어업, 광업 2 제조업 3 건축, 엔지니어링, 건설업 3. 선호하는 일자리 분야 4 도 소매 5 운수업 6 숙박 및 관광업 7 음식점업 8 교육 서비스업 1000 0.8% 7.6% 9.4% 3.2% 0.6% 3.3% 1.5% 7.0% 성 별 연 령 대 교 육 수 준 남성 518 1.5% 9.7% 15.3% 3.7% 0.6% 2.9% 2.1% 5.8% 여성 482 0.0% 5.4% 3.1% 2.7% 0.6% 3.7% 0.8% 8.3% 20대 466 0.4% 5.8% 13.7% 1.9% 0.4% 2.8% 1.7% 6.9% 30대 534 1.1% 9.2% 5.6% 4.3% 0.7% 3.7% 1.3% 7.1% 고졸 이하 119 1.7% 12.6% 10.1% 8.4% 0.0% 3.4% 3.4% 3.4% 대재 이상 881 0.7% 6.9% 9.3% 2.5% 0.7% 3.3% 1.2% 7.5% 직장인 681 0.9% 9.7% 5.7% 3.5% 0.6% 3.8% 2.1% 6.5% 개인사업자 36 2.8% 2.8% 2.8% 19.4% 0.0% 11.1% 2.8% 8.3% 직 업 대학생 204 0.0% 2.9% 22.1% 0.0% 0.5% 1.5% 0.0% 5.9% 대학생(졸업유예자) 31 0.0% 3.2% 12.9% 3.2% 0.0% 0.0% 0.0% 9.7% 대학원생 22 4.5% 0.0% 18.2% 0.0% 0.0% 0.0% 0.0% 36.4% 졸업 후 취업준비생 26 0.0% 7.7% 3.8% 0.0% 3.8% 0.0% 0.0% 0.0% 농림어업 광업 8 37.5% 0.0% 0.0% 0.0% 0.0% 25.0% 0.0% 0.0% 제조/ 건축 건설, 엔지니어 252 1.2% 22.2% 12.7% 3.2% 0.4% 2.8% 3.6% 2.8% 근 무 직 종 도소매/음식 숙박/운수 112 0.0% 4.5% 0.0% 13.4% 0.9% 9.8% 2.7% 1.8% 교육/출판 방송/금융 보험 142 0.0% 2.1% 1.4% 2.1% 0.0% 2.8% 1.4% 22.5% 공공행정/보건/사회복지 129 0.8% 1.6% 3.1% 1.6% 0.8% 1.6% 0.0% 2.3% 예술 스포츠/여가 레져 22 0.0% 0.0% 0.0% 4.5% 0.0% 4.5% 0.0% 13.6% 국제 외국기관/기타 52 0.0% 1.9% 3.8% 3.8% 1.9% 5.8% 1.9% 0.0% (직장인,개인사업자 외) 283 0.4% 3.2% 19.1% 0.4% 0.7% 1.1% 0.0% 8.1% 서울 219 0.0% 4.6% 8.2% 2.7% 0.5% 5.0% 0.9% 6.4% 인천/경기 308 0.3% 8.8% 8.8% 5.2% 0.3% 3.9% 1.0% 9.1% 지 역 강원/대전/충청/세종 127 1.6% 9.4% 11.0% 3.1% 0.8% 3.1% 3.9% 3.9% 광주/전라/제주 102 2.0% 6.9% 9.8% 2.0% 1.0% 1.0% 2.0% 4.9% 대구/경북 93 2.2% 8.6% 9.7% 2.2% 1.1% 3.2% 0.0% 6.5% 부산/울산/경남 151 0.7% 7.9% 10.6% 1.3% 0.7% 1.3% 2.0% 7.9% - 65 -

문3. 귀하가 다음 중 가장 선호하는 일자리 분야는 무엇입니까?(계속) 전체 응답자 수 9 출판, 방송, 영상, 정보 서비스, 콘텐 츠업 10 금융 및 보험업 1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 보장 행정 3. 선호하는 일자리 분야 12 보건업 13 사회 복지 서비 스업 14 예술, 스포츠 15 여가 및 레저 관련 서비 스업 16 국제 및 외국 기관 17 기타 1000 9.4% 5.9% 22.1% 8.9% 4.2% 4.4% 4.6% 4.9% 2.2% 성 별 연 령 대 교 육 수 준 남성 518 11.0% 7.7% 16.2% 5.4% 2.7% 3.7% 5.0% 5.4% 1.4% 여성 482 7.7% 3.9% 28.4% 12.7% 5.8% 5.2% 4.1% 4.4% 3.1% 20대 466 10.3% 5.8% 19.7% 8.8% 3.2% 5.8% 4.9% 4.9% 2.8% 30대 534 8.6% 6.0% 24.2% 9.0% 5.1% 3.2% 4.3% 4.9% 1.7% 고졸 이하 119 5.9% 3.4% 18.5% 6.7% 6.7% 5.0% 7.6% 3.4% 0.0% 대재 이상 881 9.9% 6.2% 22.6% 9.2% 3.9% 4.3% 4.2% 5.1% 2.5% 직장인 681 8.4% 6.2% 23.6% 9.1% 4.7% 3.5% 5.6% 4.7% 1.5% 개인사업자 36 8.3% 5.6% 8.3% 11.1% 0.0% 5.6% 8.3% 2.8% 0.0% 직 업 대학생 204 10.8% 5.9% 18.6% 9.3% 4.4% 4.9% 2.0% 6.4% 4.9% 대학생(졸업유예자) 31 22.6% 0.0% 22.6% 9.7% 0.0% 9.7% 0.0% 3.2% 3.2% 대학원생 22 4.5% 0.0% 13.6% 4.5% 0.0% 13.6% 0.0% 0.0% 4.5% 졸업 후 취업준비생 26 15.4% 11.5% 34.6% 0.0% 3.8% 7.7% 3.8% 7.7% 0.0% 농림어업 광업 8 0.0% 12.5% 25.0% 0.0% 0.0% 0.0% 0.0% 0.0% 0.0% 제조/ 건축 건설, 엔지니어 252 5.2% 7.1% 17.5% 4.8% 3.2% 2.0% 4.4% 6.3% 0.8% 근 무 직 종 도소매/음식 숙박/운수 112 8.9% 8.0% 18.8% 7.1% 6.3% 4.5% 5.4% 7.1% 0.9% 교육/출판 방송/금융 보험 142 14.1% 7.7% 21.8% 7.7% 0.7% 4.9% 6.3% 3.5% 0.7% 공공행정/보건/사회복지 129 6.2% 2.3% 36.4% 24.8% 8.5% 3.1% 4.7% 2.3% 0.0% 예술 스포츠/여가 레져 22 13.6% 0.0% 13.6% 4.5% 4.5% 13.6% 27.3% 0.0% 0.0% 국제 외국기관/기타 52 11.5% 3.8% 30.8% 3.8% 7.7% 3.8% 5.8% 1.9% 11.5% (직장인,개인사업자 외) 283 12.0% 5.3% 20.1% 8.1% 3.5% 6.4% 1.8% 5.7% 4.2% 서울 219 10.5% 8.2% 20.5% 9.1% 2.7% 5.5% 5.0% 7.3% 2.7% 인천/경기 308 8.1% 5.8% 17.5% 8.8% 5.2% 4.9% 4.5% 5.5% 2.3% 지 역 강원/대전/충청/세종 127 8.7% 3.9% 26.8% 10.2% 3.9%.8% 4.7% 2.4% 1.6% 광주/전라/제주 102 9.8% 5.9% 30.4% 8.8% 3.9% 4.9% 3.9% 2.0% 1.0% 대구/경북 93 9.7% 3.2% 25.8% 6.5% 7.5% 2.2% 4.3% 1.1% 6.5% 부산/울산/경남 151 10.6% 6.0% 21.9% 9.3% 2.6% 6.0% 4.6% 6.6% 0.0% - 66 -

문3-1. 귀하가 선택한 선호 일자리 분야에서 양질의 일자리는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3_1. 선호하는 일자리 분야의 양질 일자리 정도 전체 응답자 수 1 매우 부족하다 2 다소 부족하다 1+2 (부족하다) 3 보통이다 4+5 (충분하다) 4 다소 충분하다 5 매우 충분하다 1000 18.0% 39.3% 57.3% 31.0% 11.7% 10.8% 0.9% 성 별 연 령 대 교 육 수 준 남성 518 19.1% 40.3% 59.5% 30.3% 10.2% 9.3% 1.0% 여성 482 16.8% 38.2% 55.0% 31.7% 13.3% 12.4% 0.8% 20대 466 15.2% 39.9% 55.2% 31.8% 13.1% 12.0% 1.1% 30대 534 20.4% 38.8% 59.2% 30.3% 10.5% 9.7% 0.7% 고졸 이하 119 10.1% 42.0% 52.1% 33.6% 14.3% 11.8% 2.5% 대재 이상 881 19.1% 38.9% 58.0% 30.6% 11.4% 10.7% 0.7% 직장인 681 18.8% 38.0% 56.8% 31.9% 11.3% 10.1% 1.2% 개인사업자 36 19.4% 36.1% 55.6% 27.8% 16.7% 16.7% 0.0% 직 업 대학생 204 11.8% 41.7% 53.4% 33.3% 13.2% 12.7% 0.5% 대학생(졸업유예자) 31 35.5% 29.0% 64.5% 29.0% 6.5% 6.5% 0.0% 대학원생 22 18.2% 54.5% 72.7% 18.2% 9.1% 9.1% 0.0% 졸업 후 취업준비생 26 23.1% 57.7% 80.8% 7.7% 11.5% 11.5% 0.0% 농림어업 광업 8 0.0% 62.5% 62.5% 37.5% 0.0% 0.0% 0.0% 제조/ 건축 건설, 엔지니어 252 19.4% 36.9% 56.3% 33.3% 10.3% 9.9% 0.4% 근 무 직 종 도소매/음식 숙박/운수 112 17.9% 45.5% 63.4% 25.9% 10.7% 8.9% 1.8% 교육/출판 방송/금융 보험 142 25.4% 34.5% 59.9% 26.1% 14.1% 14.1% 0.0% 공공행정/보건/사회복지 129 19.4% 33.3% 52.7% 34.9% 12.4% 10.9% 1.6% 예술 스포츠/여가 레져 22 13.6% 31.8% 45.5% 50.0% 4.5% 4.5% 0.0% 국제 외국기관/기타 52 3.8% 46.2% 50.0% 34.6% 15.4% 9.6% 5.8% (직장인,개인사업자 외) 283 15.9% 42.8% 58.7% 29.3% 12.0% 11.7% 0.4% 서울 219 23.3% 39.3% 62.6% 28.3% 9.1% 8.2% 0.9% 인천/경기 308 15.3% 43.2% 58.4% 30.8% 10.7% 10.4% 0.3% 지 역 강원/대전/충청/세종 127 18.9% 37.8% 56.7% 29.9% 13.4% 12.6% 0.8% 광주/전라/제주 102 23.5% 33.3% 56.9% 32.4% 10.8% 9.8% 1.0% 대구/경북 93 11.8% 34.4% 46.2% 35.5% 18.3% 17.2% 1.1% 부산/울산/경남 151 15.2% 39.7% 55.0% 32.5% 12.6% 10.6% 2.0% - 67 -

문4. 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일자리는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4. 서비스 분야에서 양질 일자리 정도 전체 응답자 수 1 매우 부족하다 2 다소 부족하다 1+2 (부족하다) 3 보통이다 4+5 (충분하다) 4 다소 충분하다 5 매우 충분하다 1000 17.1% 38.0% 55.1% 34.0% 10.9% 10.1% 0.8% 성 별 연 령 대 교 육 수 준 남성 518 18.5% 37.3% 55.8% 33.4% 10.8% 10.2% 0.6% 여성 482 15.6% 38.8% 54.4% 34.6% 11.0% 10.0% 1.0% 20대 466 14.6% 33.5% 48.1% 39.5% 12.4% 11.2% 1.3% 30대 534 19.3% 41.9% 61.2% 29.2% 9.6% 9.2% 0.4% 고졸 이하 119 5.9% 42.0% 47.9% 40.3% 11.8% 10.9% 0.8% 대재 이상 881 18.6% 37.5% 56.1% 33.1% 10.8% 10.0% 0.8% 직장인 681 16.9% 39.2% 56.1% 32.5% 11.5% 10.4% 1.0% 개인사업자 36 19.4% 33.3% 52.8% 33.3% 13.9% 13.9% 0.0% 직 업 대학생 204 14.7% 35.3% 50.0% 40.7% 9.3% 8.8% 0.5% 대학생(졸업유예자) 31 22.6% 38.7% 61.3% 38.7% 0.0% 0.0% 0.0% 대학원생 22 22.7% 40.9% 63.6% 27.3% 9.1% 9.1% 0.0% 졸업 후 취업준비생 26 26.9% 30.8% 57.7% 23.1% 19.2% 19.2% 0.0% 농림어업 광업 8 37.5% 50.0% 87.5% 12.5% 0.0% 0.0% 0.0% 제조/ 건축 건설, 엔지니어 252 15.1% 38.9% 54.0% 37.3% 8.7% 8.7% 0.0% 근 무 직 종 도소매/음식 숙박/운수 112 19.6% 36.6% 56.3% 24.1% 19.6% 17.0% 2.7% 교육/출판 방송/금융 보험 142 23.2% 33.8% 57.0% 33.1% 9.9% 8.5% 1.4% 공공행정/보건/사회복지 129 14.0% 45.0% 58.9% 27.9% 13.2% 11.6% 1.6% 예술 스포츠/여가 레져 22 22.7% 27.3% 50.0% 36.4% 13.6% 13.6% 0.0% 국제 외국기관/기타 52 5.8% 46.2% 51.9% 38.5% 9.6% 9.6% 0.0% (직장인,개인사업자 외) 283 17.3% 35.7% 53.0% 37.8% 9.2% 8.8% 0.4% 서울 219 24.2% 33.3% 57.5% 29.7% 12.8% 10.5% 2.3% 인천/경기 308 16.2% 40.6% 56.8% 33.1% 10.1% 9.4% 0.6% 지 역 강원/대전/충청/세종 127 18.9% 40.2% 59.1% 32.3% 8.7% 7.9% 0.8% 광주/전라/제주 102 13.7% 42.2% 55.9% 33.3% 10.8% 10.8% 0.0% 대구/경북 93 12.9% 39.8% 52.7% 36.6% 10.8% 10.8% 0.0% 부산/울산/경남 151 11.9% 33.8% 45.7% 42.4% 11.9% 11.9% 0.0% - 68 -

문5. 주요 선진국(미국, 유럽 등)과 비교할 때 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응답자 수 1 2 매우 낮다 다소 낮다 5. 선진국과 비교 시, 서비스산업 경쟁력 정도 1+2 (낮다) 3 비슷하다 4+5 (높다) 4 다소 높다 5 매우 높다 1000 17.9% 48.5% 66.4% 18.1% 15.5% 13.4% 2.1% 성 별 연 령 대 교 육 수 준 남성 518 18.7% 48.6% 67.4% 18.7% 13.9% 11.8% 2.1% 여성 482 17.0% 48.3% 65.4% 17.4% 17.2% 15.1% 2.1% 20대 466 13.3% 47.2% 60.5% 20.4% 19.1% 15.9% 3.2% 30대 534 21.9% 49.6% 71.5% 16.1% 12.4% 11.2% 1.1% 고졸 이하 119 17.6% 41.2% 58.8% 25.2% 16.0% 15.1% 0.8% 대재 이상 881 17.9% 49.5% 67.4% 17.1% 15.4% 13.2% 2.3% 직장인 681 18.8% 51.1% 69.9% 16.4% 13.7% 12.3% 1.3% 개인사업자 36 22.2% 41.7% 63.9% 27.8% 8.3% 5.6% 2.8% 직 업 대학생 204 13.7% 44.6% 58.3% 20.6% 21.1% 17.2% 3.9% 대학생(졸업유예자) 31 9.7% 45.2% 54.8% 25.8% 19.4% 19.4% 0.0% 대학원생 22 31.8% 40.9% 72.7% 4.5% 22.7% 18.2% 4.5% 졸업 후 취업준비생 26 19.2% 30.8% 50.0% 30.8% 19.2% 11.5% 7.7% 농림어업 광업 8 37.5% 37.5% 75.0% 25.0% 0.0% 0.0% 0.0% 제조/ 건축 건설, 엔지니어 252 20.2% 52.4% 72.6% 13.9% 13.5% 13.1% 0.4% 근 무 직 종 도소매/음식 숙박/운수 112 19.6% 50.9% 70.5% 17.0% 12.5% 9.8% 2.7% 교육/출판 방송/금융 보험 142 18.3% 50.0% 68.3% 19.0% 12.7% 11.3% 1.4% 공공행정/보건/사회복지 129 17.8% 49.6% 67.4% 17.8% 14.7% 13.2% 1.6% 예술 스포츠/여가 레져 22 22.7% 40.9% 63.6% 27.3% 9.1% 4.5% 4.5% 국제 외국기관/기타 52 11.5% 51.9% 63.5% 19.2% 17.3% 15.4% 1.9% (직장인,개인사업자 외) 283 15.2% 43.1% 58.3% 20.8% 20.8% 17.0% 3.9% 서울 219 21.5% 45.2% 66.7% 19.2% 14.2% 12.3% 1.8% 인천/경기 308 15.9% 50.3% 66.2% 18.5% 15.3% 13.3% 1.9% 지 역 강원/대전/충청/세종 127 19.7% 50.4% 70.1% 11.8% 18.1% 16.5% 1.6% 광주/전라/제주 102 20.6% 45.1% 65.7% 17.6% 16.7% 13.7% 2.9% 대구/경북 93 11.8% 47.3% 59.1% 20.4% 20.4% 17.2% 3.2% 부산/울산/경남 151 17.2% 51.0% 68.2% 19.9% 11.9% 9.9% 2.0% - 69 -

문5-1. 서비스 산업 경쟁력이 낮은 원인은 무엇 때문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응답자 수 1 R&D(연구 개발) 투자 부진 2 산업으로 서 인식 부족 5_1. 서비스산업 경쟁력이 낮은 원인 3 관련 기술, 전문 인력 등 인프라 부족 4 타 분야에 비해 낮은 정부지원 5 제조업 대비 과도한 규제 6 관련 입법 처리 지연 7 기타 664 7.5% 30.7% 30.4% 20.5% 3.5% 4.5% 2.9% 성 별 연 령 대 교 육 수 준 남성 349 9.7% 29.2% 26.4% 19.5% 4.9% 6.9% 3.4% 여성 315 5.1% 32.4% 34.9% 21.6% 1.9% 1.9% 2.2% 20대 282 8.9% 29.4% 25.9% 21.6% 4.3% 5.7% 4.3% 30대 382 6.5% 31.7% 33.8% 19.6% 2.9% 3.7% 1.8% 고졸 이하 70 5.7% 38.6% 32.9% 15.7% 4.3% 1.4% 1.4% 대재 이상 594 7.7% 29.8% 30.1% 21.0% 3.4% 4.9% 3.0% 직장인 476 5.9% 31.5% 33.6% 19.3% 3.4% 3.8% 2.5% 개인사업자 23 17.4% 34.8% 13.0% 21.7% 4.3% 8.7% 0.0% 직 업 대학생 119 13.4% 24.4% 26.1% 20.2% 3.4% 7.6% 5.0% 대학생(졸업유예자) 17 0.0% 35.3% 17.6% 35.3% 5.9% 5.9% 0.0% 대학원생 16 12.5% 18.8% 31.3% 31.3% 0.0% 0.0% 6.3% 졸업 후 취업준비생 13 0.0% 61.5% 0.0% 30.8% 7.7% 0.0% 0.0% 농림어업 광업 6 16.7% 33.3% 33.3% 16.7% 0.0% 0.0% 0.0% 제조/ 건축 건설, 엔지니어 183 8.7% 32.8% 31.1% 15.8% 3.3% 6.0% 2.2% 근 무 직 종 도소매/음식 숙박/운수 79 3.8% 36.7% 39.2% 17.7% 0.0% 1.3% 1.3% 교육/출판 방송/금융 보험 97 5.2% 32.0% 30.9% 19.6% 6.2% 2.1% 4.1% 공공행정/보건/사회복지 87 5.7% 21.8% 36.8% 26.4% 3.4% 4.6% 1.1% 예술 스포츠/여가 레져 14 7.1% 42.9% 21.4% 21.4% 0.0% 0.0% 7.1% 국제 외국기관/기타 33 3.0% 33.3% 24.2% 24.2% 6.1% 6.1% 3.0% (직장인,개인사업자 외) 165 10.9% 27.9% 23.6% 23.6% 3.6% 6.1% 4.2% 서울 146 6.2% 29.5% 29.5% 24.0% 4.1% 2.7% 4.1% 인천/경기 204 8.3% 31.9% 29.9% 20.6% 2.0% 5.4% 2.0% 지 역 강원/대전/충청/세종 89 5.6% 30.3% 32.6% 22.5% 3.4% 4.5% 1.1% 광주/전라/제주 67 10.4% 40.3% 20.9% 14.9% 3.0% 7.5% 3.0% 대구/경북 55 7.3% 21.8% 41.8% 16.4% 1.8% 3.6% 7.3% 부산/울산/경남 103 7.8% 29.1% 31.1% 19.4% 6.8% 3.9% 1.9% - 70 -

문6. 서비스 분야에서 질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응답자 수 1 전혀 그렇지 않다 6. 서비스분야의 질 좋은 일자리 창출에 필요한 정부 정책 2 별로 그렇지 않다 1+2 (그렇지 않다) 3 보통이다 4+5 (그렇다) 4 약간 그렇다 5 매우 그렇다 1000 0.8% 3.1% 3.9% 10.9% 85.2% 43.1% 42.1% 성 별 연 령 대 교 육 수 준 남성 518 1.0% 3.3% 4.2% 12.9% 82.8% 39.8% 43.1% 여성 482 0.6% 2.9% 3.5% 8.7% 87.8% 46.7% 41.1% 20대 466 0.6% 2.6% 3.2% 11.2% 85.6% 45.9% 39.7% 30대 534 0.9% 3.6% 4.5% 10.7% 84.8% 40.6% 44.2% 고졸 이하 119 0.8% 1.7% 2.5% 14.3% 83.2% 48.7% 34.5% 대재 이상 881 0.8% 3.3% 4.1% 10.4% 85.5% 42.3% 43.1% 직장인 681 1.0% 3.2% 4.3% 12.0% 83.7% 43.8% 39.9% 개인사업자 36 0.0% 2.8% 2.8% 13.9% 83.3% 33.3% 50.0% 직 업 대학생 204 0.5% 3.4% 3.9% 7.8% 88.2% 43.6% 44.6% 대학생(졸업유예자) 31 0.0% 0.0% 0.0% 9.7% 90.3% 45.2% 45.2% 대학원생 22 0.0% 0.0% 0.0% 9.1% 90.9% 45.5% 45.5% 졸업 후 취업준비생 26 0.0% 3.8% 3.8% 3.8% 92.3% 30.8% 61.5% 농림어업 광업 8 0.0% 12.5% 12.5% 12.5% 75.0% 25.0% 50.0% 제조/ 건축 건설, 엔지니어 252 2.0% 4.0% 6.0% 13.5% 80.6% 43.3% 37.3% 근 무 직 종 도소매/음식 숙박/운수 112 0.9% 3.6% 4.5% 14.3% 81.3% 40.2% 41.1% 교육/출판 방송/금융 보험 142 0.7% 2.8% 3.5% 8.5% 88.0% 41.5% 46.5% 공공행정/보건/사회복지 129 0.0% 2.3% 2.3% 10.1% 87.6% 48.1% 39.5% 예술 스포츠/여가 레져 22 0.0% 0.0% 0.0% 9.1% 90.9% 40.9% 50.0% 국제 외국기관/기타 52 0.0% 1.9% 1.9% 17.3% 80.8% 46.2% 34.6% (직장인,개인사업자 외) 283 0.4% 2.8% 3.2% 7.8% 89.0% 42.8% 46.3% 서울 219 0.0% 4.1% 4.1% 9.1% 86.8% 42.0% 44.7% 인천/경기 308 1.0% 2.3% 3.2% 8.4% 88.3% 50.0% 38.3% 지 역 강원/대전/충청/세종 127 1.6% 1.6% 3.1% 10.2% 86.6% 38.6% 48.0% 광주/전라/제주 102 2.0% 4.9% 6.9% 16.7% 76.5% 33.3% 43.1% 대구/경북 93 0.0% 2.2% 2.2% 14.0% 83.9% 44.1% 39.8% 부산/울산/경남 151 0.7% 4.0% 4.6% 13.2% 82.1% 40.4% 41.7% - 71 -

문6-1. 구체적으로 어떤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응답자 수 1 전문 인력 양성 2 법적 지원기반 마련 (기본법 제정) 6_1. 구체적인 지원 정책 3 기술지원 4 자금지원 5 R&D 투자 확대 6 세금혜택 7 기타 852 32.3% 30.0% 5.6% 18.2% 7.2% 4.5% 2.2% 성 별 연 령 대 교 육 수 준 남성 429 28.9% 32.2% 4.9% 18.6% 9.3% 4.4% 1.6% 여성 423 35.7% 27.9% 6.4% 17.7% 5.0% 4.5% 2.8% 20대 399 32.6% 31.3% 6.0% 15.3% 7.3% 4.3% 3.3% 30대 453 32.0% 28.9% 5.3% 20.8% 7.1% 4.6% 1.3% 고졸 이하 99 38.4% 23.2% 7.1% 18.2% 6.1% 7.1% 0.0% 대재 이상 753 31.5% 30.9% 5.4% 18.2% 7.3% 4.1% 2.5% 직장인 570 33.5% 28.4% 5.8% 18.9% 6.5% 5.1% 1.8% 개인사업자 30 20.0% 26.7% 3.3% 23.3% 16.7% 10.0% 0.0% 직 업 대학생 180 33.3% 32.8% 6.7% 13.3% 7.8% 2.2% 3.9% 대학생(졸업유예자) 28 28.6% 25.0% 7.1% 32.1% 0.0% 0.0% 7.1% 대학원생 20 30.0% 40.0% 0.0% 10.0% 15.0% 5.0% 0.0% 졸업 후 취업준비생 24 16.7% 50.0% 0.0% 20.8% 8.3% 4.2% 0.0% 농림어업 광업 6 50.0% 33.3% 0.0% 16.7% 0.0% 0.0% 0.0% 제조/ 건축 건설, 엔지니어 203 28.6% 29.1% 6.9% 22.2% 7.4% 4.9% 1.0% 근 무 직 종 도소매/음식 숙박/운수 91 34.1% 24.2% 3.3% 22.0% 6.6% 6.6% 3.3% 교육/출판 방송/금융 보험 125 34.4% 30.4% 4.0% 16.0% 6.4% 6.4% 2.4% 공공행정/보건/사회복지 113 31.0% 31.0% 6.2% 19.5% 8.0% 3.5% 0.9% 예술 스포츠/여가 레져 20 45.0% 20.0% 5.0% 15.0% 5.0% 10.0% 0.0% 국제 외국기관/기타 42 42.9% 23.8% 9.5% 9.5% 7.1% 4.8% 2.4% (직장인,개인사업자 외) 252 31.0% 34.1% 5.6% 15.9% 7.5% 2.4% 3.6% 서울 190 32.6% 31.6% 6.8% 16.3% 6.8% 2.1% 3.7% 인천/경기 272 31.3% 28.7% 4.4% 19.5% 8.1% 6.3% 1.8% 지 역 강원/대전/충청/세종 110 30.0% 30.9% 4.5% 20.0% 5.5% 6.4% 2.7% 광주/전라/제주 78 37.2% 25.6% 6.4% 15.4% 10.3% 3.8% 1.3% 대구/경북 78 32.1% 35.9% 6.4% 14.1% 5.1% 3.8% 2.6% 부산/울산/경남 124 33.1% 29.0% 6.5% 21.0% 6.5% 3.2% 0.8% - 72 -

문7. 귀하는 본 설문 이전에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안) 에 대해 알고 계셨습니까? 전체 응답자 수 1 구체적인 내용까지 잘 알고 있었다 7.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안) 인지도 2 대략적인 내용 정도 알고 있었다 3 들어본 적은 있으나 내용은 잘 모르고 있었다 4 전혀 모르고 있었다 1000 0.6% 8.7% 27.3% 63.4% 성 별 연 령 대 교 육 수 준 남성 518 0.8% 9.7% 26.6% 62.9% 여성 482 0.4% 7.7% 28.0% 63.9% 20대 466 0.6% 6.0% 22.5% 70.8% 30대 534 06% 11.0% 31.5% 56.9% 고졸 이하 119 0.0% 8.4% 21.8% 69.7% 대재 이상 881 07% 8.7% 28.0% 62.5% 직장인 681 0.3% 10.6% 28.5% 60.6% 개인사업자 36 0.0% 11.1% 33.3% 55.6% 직 업 대학생 204 1.0% 3.9% 23.5% 71.6% 대학생(졸업유예자) 31 0.0% 6.5% 19.4% 74.2% 대학원생 22 9.1% 0.0% 13.6% 77.3% 졸업 후 취업준비생 26 0.0% 3.8% 38.5% 57.7% 농림어업 광업 8 0.0% 0.0% 37.5% 62.5% 제조/ 건축 건설, 엔지니어 252 0.8% 11.9% 27.8% 59.5% 근 무 직 종 도소매/음식 숙박/운수 112 0.0% 13.4% 25.0% 61.6% 교육/출판 방송/금융 보험 142 0.0% 8.5% 28.2% 63.4% 공공행정/보건/사회복지 129 0.0% 9.3% 34.1% 56.6% 예술 스포츠/여가 레져 22 0.0% 4.5% 36.4% 59.1% 국제 외국기관/기타 52 0.0% 11.5% 25.0% 63.5% (직장인,개인사업자 외) 283 1.4% 3.9% 23.7% 71.0% 서울 219 0.9% 10.5% 29.7% 58.9% 인천/경기 308 0.6% 8.8% 26.9% 63.6% 지 역 강원/대전/충청/세종 127 1.6% 7.1% 26.8% 64.6% 광주/전라/제주 102 0.0% 5.9% 27.5% 66.7% 대구/경북 93 0.0% 7.5% 23.7% 68.8% 부산/울산/경남 151 0.0% 9.9% 27.2% 62.9% - 73 -

문8. 서비스산업의 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응답자 수 1 그렇다 8.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도입 필요성 2 아니다 1000 88.4% 11.6% 성 별 연 령 대 교 육 수 준 남성 518 85.3% 14.7% 여성 482 91.7% 8.3% 20대 466 88.4% 11.6% 30대 534 88.4% 11.6% 고졸 이하 119 87.4% 12.6% 대재 이상 881 88.5% 11.5% 직장인 681 88.7% 11.3% 개인사업자 36 86.1% 13.9% 직 업 대학생 204 88.2% 11.8% 대학생(졸업유예자) 31 87.1% 12.9% 대학원생 22 86.4% 13.6% 졸업 후 취업준비생 26 88.5% 11.5% 농림어업 광업 8 87.5% 12.5% 제조/ 건축 건설, 엔지니어 252 87.3% 12.7% 근 무 직 종 도소매/음식 숙박/운수 112 87.5% 12.5% 교육/출판 방송/금융 보험 142 90.8% 9.2% 공공행정/보건/사회복지 129 89.1% 10.9% 예술 스포츠/여가 레져 22 95.5% 4.5% 국제 외국기관/기타 52 86.5% 13.5% (직장인,개인사업자 외) 283 88.0% 12.0% 서울 219 87.2% 12.8% 인천/경기 308 88.3% 11.7% 지 역 강원/대전/충청/세종 127 89.0% 11.0% 광주/전라/제주 102 90.2% 9.8% 대구/경북 93 82.8% 17.2% 부산/울산/경남 151 92.1% 7.9% - 74 -

문9.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이 시행되면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응답자 수 1 전혀 그렇지 않다 9.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시행 시, 청년일자리 창출 기여 정도 2 별로 그렇지 않다 1+2 (그렇지 않다) 3 보통이다 4+5 (그렇다) 4 약간 그렇다 5 매우 그렇다 1000 3.1% 10.5% 13.6% 35.8% 50.6% 45.4% 5.2% 성 별 연 령 대 교 육 수 준 남성 518 4.6% 11.0% 15.6% 36.1% 48.3% 43.6% 4.6% 여성 482 1.5% 10.0% 11.4% 35.5% 53.1% 47.3% 5.8% 20대 466 2.1% 11.4% 13.5% 38.2% 48.3% 44.0% 4.3% 30대 534 3.9% 9.7% 13.7% 33.7% 52.6% 46.6% 6.0% 고졸 이하 119.8% 10.1% 10.9% 36.1% 52.9% 48.7% 4.2% 대재 이상 881 3.4% 10.6% 14.0% 35.8% 50.3% 44.9% 5.3% 직장인 681 3.7% 10.0% 13.7% 35.1% 51.2% 45.5% 5.7% 개인사업자 36 0.0% 11.1% 11.1% 44.4% 44.4% 38.9% 5.6% 직 업 대학생 204 1.0% 11.3% 12.3% 36.3% 51.5% 48.0% 3.4% 대학생(졸업유예자) 31 6.5% 16.1% 22.6% 45.2% 32.3% 29.0% 3.2% 대학원생 22 4.5% 9.1% 13.6% 31.8% 54.5% 40.9% 13.6% 졸업 후 취업준비생 26 3.8% 11.5% 15.4% 30.8% 53.8% 53.8% 0.0% 농림어업 광업 8 0.0% 25.0% 25.0% 12.5% 62.5% 50.0% 12.5% 제조/ 건축 건설, 엔지니어 252 4.0% 8.3% 12.3% 39.3% 48.4% 44.4% 4.0% 근 무 직 종 도소매/음식 숙박/운수 112 2.7% 17.0% 19.6% 30.4% 50.0% 44.6% 5.4% 교육/출판 방송/금융 보험 142 4.9% 7.7% 12.7% 33.8% 53.5% 47.2% 6.3% 공공행정/보건/사회복지 129 3.9% 9.3% 13.2% 34.9% 51.9% 45.0% 7.0% 예술 스포츠/여가 레져 22 0.0% 4.5% 4.5% 18.2% 77.3% 63.6% 13.6% 국제 외국기관/기타 52 0.0% 11.5% 11.5% 46.2% 42.3% 36.5% 5.8% (직장인,개인사업자 외) 283 2.1% 11.7% 13.8% 36.4% 49.8% 45.9% 3.9% 서울 219 4.1% 15.1% 19.2% 33.3% 47.5% 42.9% 4.6% 인천/경기 308 3.2% 7.8% 11.0% 38.3% 50.6% 44.2% 6.5% 지 역 강원/대전/충청/세종 127 3.1% 12.6% 15.7% 27.6% 56.7% 52.0% 4.7% 광주/전라/제주 102 2.9% 9.8% 12.7% 37.3% 50.0% 49.0% 1.0% 대구/경북 93 2.2% 16.1% 18.3% 35.5% 46.2% 39.8% 6.5% 부산/울산/경남 151 2.0% 4.6% 6.6% 40.4% 53.0% 47.0% 6.0% - 75 -

부 록Ⅱ 설 문 지

서비스산업에 대한 청년인식조사 EIEC 경제정보센터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안녕하십니까? KDI에서는 서비스 산업 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이 조사의 설문 응답에는 옳고 그른 답이 있는 것 이 아니므로, 제시된 설문에 대해 충분히 생각하시고 의견을 말씀해 주시면 됩니다. 바쁘시겠지만 시간을 할애해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의 결과는 통계처리 등 조사목적 외에는 절대 사 용되지 않음을 밝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5년 10월 조사책임: KDI 경제정보센터 여론분석팀 전 화: 04 4-55 0-4655, 4607, 4183, 4687 팩 스: 0 4 4-5 5 0-4 9 41 응답시 유의하실 사항입니다 본 설문은 20대, 30대만을 대상으로 합니다. SQ1. 성별 1 남자 2 여자 SQ2. 연령(만) 1 20대 2 30대 SQ3. 지역 1 서울 2 부산 3 대구 4 인천 5 광주 6 대전 7 울산 8 세종 9 경기 10 강원 11 충북 12 충남 13 전북 14 전남 15 경북 16 경남 17 제주 SQ4. 최종 학력 1 중졸이하 2 고졸 3 대재 이상 SQ5. 직업 1 직장인 2 개인사업자 3 대학생 4 대학생(졸업유예자) 5 대학원생 6 졸업 후 취업준비생 7 기타( ) SQ6. 1 농업, 임업, 어업, 광업 2 제조업 현재 3 건축, 엔지니어링, 건설업 4 도 소매(장사, 전자상거래) 근무하고 있는 5 운수업(운전, 택배, 대리, 항공관련) 6 숙박(호텔, 콘도 등) 및 관광업 일자리 분야 7 음식점업 8 교육서비스업(학원, 레슨 등) (SQ5에서 9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 콘텐츠업 10 금융 및 보험업 1 직장인 11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12 보건업(병원, 치과, 한의원 등) 2 개인사업자 13 사회복지서비스업 14 예술, 스포츠 만 해당) 15 여가 및 레저 관련 서비스업 16 국제 및 외국기관 17 기타( ) KDI 홈페이지 www.kdi.re.kr 서비스산업에 대한 인식조사: 1 /3

일자리에 대한 인식 문3-1. 귀하가 선택한 선호 일자리 분야에서 양질 의 일자리는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문1. 현재 귀하의 가장 큰 고민은 무엇입니까? 1 일자리(취직 이직 등) 2 경제적 문제(채무, 주거비, 생활비 등) 3 이성문제(연애, 결혼 등) 4 인간관계 5 가족문제(양육, 부양, 가족 간 갈등 등) 6 학업 및 진로(목표, 꿈) 7 고민 없음 8 기타( ) 문2. 귀하는 현재 청년 일자리 문제가 얼마나 심각하 다고 생각하십니까? 1 매우 심각하다 2 약간 심각하다 3 보통이다 4 별로 심각하지 않다 5 전혀 심각하지 않다 1 매우 부족하다 2 다소 부족하다 3 보통이다 4 다소 충분하다 5 매우 충분하다 문4. 서비스 분야에서 양질의 일자리는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1 매우 부족하다 2 다소 부족하다 3 보통이다 4 다소 충분하다 5 매우 충분하다 서비스산업에 대한 인식 문3. 귀하가 다음 중 가장 선호하는 일자리 분야는 무 엇입니까? 1 농업, 임업, 어업, 광업 2 제조업 3 건축, 엔지니어링, 건설업 4 도 소매(장사, 전자상거래) 5 운수업(운전, 택배, 대리, 항공 관련) 6 숙박(호텔, 콘도 등) 및 관광업 7 음식점업 8 교육서비스업(학원, 레슨 등) 9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 콘텐츠업 10 금융 및 보험업 11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12 보건업(병원, 치과, 한의원 등) 13 사회복지서비스업 14 예술, 스포츠 15 여가 및 레저 관련 서비스업 16 국제 및 외국기관 17 기타( ) 문5. 주요 선진국(미국, 유럽 등)과 비교할 때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1 매우 낮다 문5-1로 2 다소 낮다 문5-1로 3 비슷하다 문6으로 4 다소 높다 문6으로 5 매우 높다 문6으로 문5-1. 서비스 산업 경쟁력이 낮은 원인은 무엇 때 문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 R&D(연구개발) 투자 부진 2 산업으로서 인식 부족 3 관련 기술, 전문 인력 등 인프라 부족 4 타 분야에 비해 낮은 정부지원 5 제조업 대비 과도한 규제 6 관련 입법 처리 지연 7 기타 ( ) KDI 홈페이지 www.kdi.re.kr 서비스산업에 대한 인식조사: 2 /3

문6. 서비스 분야에서 질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정부 의 체계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문7. 귀하는 본 설문 이전에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안) 에 대해 알고 계셨습니까? 1 전혀 그렇지 않다 2 별로 그렇지 않다 3 보통이다 4 약간 그렇다 5 매우 그렇다 문 7 로 문 7 로 문 7 로 문6-1로 문6-1로 1 구체적인 내용까지 잘 알고 있었다 2 대략적인 내용 정도 알고 있었다 3 들어본 적은 있으나 내용은 잘 모르고 있었다 4 전혀 모르고 있었다 문6-1. 구체적으로 어떤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생 각하십니까? 1 전문 인력 양성 2 법적 지원기반 마련(기본법 제정) 3 기술지원 4 자금지원 5 R&D 투자 확대 6 세금혜택 7 기타 ( ) 문8. 서비스산업의 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서비 스산업발전기본법 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생각하 십니까? 1 그렇다 2 아니다 문9.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이 시행되면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안) <추진 배경> 차세대 성장동력으로써 서비스산업의 중요성은 강조되어 왔으나, 생산성 향상 및 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하는 지원체 계가 미흡한 상황 1 전혀 그렇지 않다 2 별로 그렇지 않다 3 보통이다 4 약간 그렇다 5 매우 그렇다 문9-1로 문9-1로 설문종료 설문종료 설문종료 특히,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해서는 R&D 투자 확대, 전문 인력 양성 등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나, 이에 대한 법적 근 거가 미비하여 적극적인 추진에 애로 이에 그동안 제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했던 서비스분 야의 법 제도적 인프라를 강화함으로써 서비스산업의 발전 을 촉진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국민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목적으로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제정안 발의 문9-1. 청년일자리 창출에 기여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주요 내용> 민관합동 서비스산업 선진화 위원회 구성 운영 서비스산업 R&D 투자 확대 유도 서비스산업에서 IT서비스 및 관련 기술 활용을 촉진 서비스산업 발전에 필요한 지원제도의 근거 규정 서비스산업 특성화 교육기관 지정 통계DB 구축 및 실태조사 전문 연구센터 지정 서비스산업 연합회 설립 <추진현황> 2012년 7월 발의 후 국회 계류 중 지금까지 설문에 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KDI 홈페이지 www.kdi.re.kr 서비스산업에 대한 인식조사: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