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랭크 로드 라트 주택건축에 나타난 공간 연구 - 실내 공간을 중심으로 - Study on Space Expression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Frank Lloyd Wright's Domestic Architecture -Focusing on Interior Space- 라윤/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실내디자인전공 석사과정 RA Yoonji/ Master's course in Interior Design Major at Graduate School of Design, Kookmin University 조규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박사과정 Cho Kyu jin/ The doctor's course in Interior Design at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허범팔/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실내디자인학과 교수, 공학박사 Hur bumpall/ Professor of Interior Design at the College of Mould, Kookmin University 목 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Frank Lloyd Wright의 건축 2.1 건축 사상과 배경 2.2 자연의 의와 형상 그리고 건축 2.3 공간 와 3. Frank Lloyd Wright의 건축 공간 분석 3.1 제1황금시대 (1889-1910) 3.2 흉작. 잃어버린 시대 (1911-1935) 3.3 제2황금시대 (1936-1959) 4. 공간 분석 5. 결론 Keyword 프랭크 로드 라트, 주택건축, Frank Lloyd Wright, Housing, Expression characteristics Abstract Frank Lloyd Wright is a reformer of modern architecture as well as a pioneer in 20th Century architecture, established his own architectural throughts and philosophy on the basis of organic architecture thoughts unbound by the custom of the time. He emphasized, while defining his architecture, that human, time and place should be combined organically, and that nature is in the center of such idea. Eventually, nature is the core of organic architecture which was insisted by him, also he asserted that the architecture is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nature and that architecture can retain organic creativity when the material and beauty, which nature offers, harmonize with architecture. This idea of his was expressed in the integrative architectural elements of architecture form, flat surface, material and furniture. Wright's works which suggested a new way of architecture, still inspire many architects and the people who study architecture greatly up to now after the past half century since he ended his life. This study has its purpose and meaning to relook at the value of Wright's architecture through analyzing the method how his architectural idea and philosophy compose space and the way how they are expressed. 요 약 프랭크 로드 라트는 근대 건축의 개혁자자 20세기 건축의 선구자로서 당대의 관습에 얽매 않고 유기적 건축사상을 토대 로 자신만의 건축사상과 철학을 정립하였다. 그는 자신의 건축을 정 의하면서 사람과 시간 그리고 장소가 유기적인 통합을 루어져야 하며 러한 사상의 중심에는 자연 있음을 강조한다. 결국 자연은 그가 주장하는 유기적 건축의 핵심으로 건축은 자연과 상호보안의 관계며 자연 주는 재료와 아름다움 건축과 조를 룰때 유 기적 독창을 닌 건축 된다고 주장하였다. 러한 그의 사상은 건축의 형태, 평면, 재료, 가구의 통합적 건축에 되었다. 새 로운 건축적 방향을 제시한 라트의 은 그가 생애를 마감한 후 반세기가 난 재까 많은 건축가와 건축을 공부하는 들 에게 커다란 영감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그의 건축적 사상과 철학 어떠한 방으로 공간을 하고 되는 분석해 봄으로써 라트 건축의 가치에 대해 재고해 보는데 목적과 의의를 둔다.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6권 4호 통권18호 177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국의 건축가 Frank Lloyd Wright(하 라 트라 칭함)는 20세기 새로운 건축의 선구자로 서 근대시기의 가장 극적인 개혁자며 공예와 예술의 모더니즘 태동기의 과기적 인물로 평가 되고 있다. 라트의 을 해석함에 자연의 유추와 그 에 따른 공간 을 논의함은 그의 건축사 상과 디자인 원리를 밝힘으로써 그가 생을 마감 한 후 반세기가 난 금까 큰 영감을 주는 라트 건축의 가치에 대해 재고해 보는데 목적 있다. 본 논문은 라트의 유기적 사상에 영향을 준 동양사상, 서양의 프뢰벨(Froebel)교 육사상 같은 건축사상과 배경을 고찰하고 더불어 의 공간에 나타난 공간 을 분석, 고찰하여 그가 주장하는 유기적 건축의 의를 좀 더 본질적으로 해하고 접근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라트의 건축을 구분하는 시기는 연구자들에 따라 차를 보나 본 연구에서는 맨슨(Grant C. Mason) 정의한 시대 구분에 따라 제1황금 시대 (1889-1910), 흉작, 잃어버린 시대 (1911-1935), 제2황금시대 (1936-1959)로 나누었다. G. Manson은 라트의 디자인을 논하 면서 프뢰벨을 언급한 최초의 사람인데, 그는 그 해에 있어 K. Nute와 R. Mccormac과 더불어 라트에게 가장 접근한 사람일 것다. 에 본 연구는 라트의 사상적 배경과 건축에 나타난 자연의 의 그리고 공간 을 고찰, 정 의해본 후 그의 시대구분에 따른 을 분석하 고자 한다. 선정은 시기별 공간 가장 두드러는 주택건축 6개를 선정하여 분석 하고자 한다. <1> 2. 2.1 건축 사상과 배경 라트는 국 남북전쟁(1861-1865) 직후 인 1867년 국 위스콘신주( 州 )의 리릴랜드 센 터에서 태어났다. 라트를 건축가로 키우고 싶 < 1> 시기별 분석 목록 분류 명 연 위치 제1황 금시대 (1889-1910 ) 흉작. 잃어버 린 시대 (1911-1935 ) 제2황 금시대 (1936-1959 ) Frank Lloyd Wright studio & house Frederick C. Robie House Arline Barnsdall House 1889-1898 1908 1920 John Storer House 1923 Edgar Kaufmann House Herbert Jacobs House 1936 1936 State of Illinois Oak Park State of Illinois Chicago State of California Los Angeles State of California Los Angeles State of Illinois Mill Run State of Wisconsin Madison 었던 어머니 안나 존스는 프뢰벨(F. Froebel)의 학습방법으로 라트를 교육했으며, 그의 교육 론 세계를 하나의 유기체로 생각하고 자연세계 에는 통일된 법칙 작용하고 있다 라는 개념을 배웠다. 프뢰벨의 선물은 1) 본질의 형태에 대한 심원한 감각을 훈련하는 건축의 구로써, 모든 자연의 실질적인 단위 시스템며, 는 라트 의 건축적 형태를 발전시킨 원천 되었다. 후 1885년 위스콘신대학에 입학하면서 알렌 D. 코 노버 교수에게 구조는 수단고 건축은 결과 다. 건축가가 계획할 때에는 재료를 질에 따라 사용해야 한다. 2) 는 가르침을 받아 건축사상 을 정립했다. 1887년 초 시카고로 떠난 라트 는 당시 시카고학파의 거장인 루스 설리반 (Louis H. Sullivan)을 만나 자연에 근거한 유기 주의론과 당시 국건축에 만연되어 있던 상업 적 복고주의에 대항하는 의 3) 로의 유기적 건 축 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라트는 개념을 1893년에 열린 시카고 만국 박람회에 전시된 일 본 예술과 건축을 접하면서 점차 구체하여갔 다. 여기에서 습득한 일본주거의 단순, 구조체 계에 의한(가구 구조), 오픈 프래닝, 외부 공 1) 프뢰벨의 선물 란 나무 블록, 나무 못, 밝은 색의 종 등으로 독일 교육가 프리드리히 프뢰벨(Friedrich Froebel)의 발전된 유아교육용 학습재료다. 2) 서수경, F.L.Wright의 주택과 실내디자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5호, 1995.07, p.12 3) 권영, 서치상. F. L. 라트의 유기적 건축에 나타난 일본문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3권 5호 통권46호, 2004.10, p.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6권 4호 통권 18호 178
간(정원)과 주거배치와의 관계, 주택의 수직, 수 평척 등의 개념은 그의 초기주택에서 잘 나타 나고 있다. 4) 라트에게 유기적 건축은 인간과 그가 만든 세계를 자연, 인간정신, 우주 등과 결 합하기 위하여 건축 재료의 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건축하는 방었다. 5) 결국 유 기적 건축의 근원은 자연에 있고 자연에서 원리 를 배워야 한다는 것었다. 2.2 자연의 의와 형상 그리고 건축 무엇보다 자연은 라트에게 가장 많은 영 감을 주는 힘었다. 위스콘신의 가족농장에서 유년시절을 낸 경험은 자연의 리듬, 패턴, 색 에 대한 사상을 심어주었고, 는 물질적고 정 신적인 취의 원천 자연세계라는 믿음으로 정 리되어 주변 부가 가고 있는 자연재료에 대 한 상학적 해석을 근거로 색채나 재료를 적용 하였다. 집안과 밖에 동일한 재료, 패턴의 반복 을 통해서 주변 환경과 완벽히 동되는 디자인 을 구하였으며 러한 재료와 색채의 연속은 라트가 주장하는 유기적 건축의 핵심으로 공간 에 자연을 함에서 그대로의 모사보다는 내재 적 원칙을 꿰뚫어 보고 자연의 형태를 발견하기 를 바랐다. 그가 건축에서 수평적 구조를 강조함 은 건축 자연과 만나는 부위에는 벽면 면 에 정착하 못하게 하는 기법으로 건축은 자 연에의 장 으로 제시되고 자연 돋보여야 한 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다. 그러나 단 모양 만을 위해 수평을 추구하는 것은 아니다. 면에 평행한 면들은 건물을 면에 속하게 해준 다. 나는 확장된 수평면야말로 인간생활을 보 호해주고 자유롭게 해주는 진정한 세상의 선 라고 본다. 6) 라고 정의하였다. 자연에서 물 은 중력을 주축으로 자라난다. 는 자연 패턴의 필수적 부분다. 중력을 법칙에서 보듯 수평에 대한 수직의 역할 없다면 3차원 공간에 대한 4) 신승기, 김형우, 프랭크 로드 라트의 건축관에 나타난 일본풍의 영향과 수용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대회논문집 제19권제1호, 1999, p.243 5) 에다 루즈 헉스터블 음. 종인 역. Frank Lloyd Wright, 20세기 건축의 위대한 유산, (주)을유문사, 2008.02. pp.49~50 6) 황철호, 디테일&디자인, 건축세계, 2005.03, p.161 해가 어려울 것다. 라트는 초원과 야생 들, 연못에서 자라는 물 등 모든 것들 넓은 대에서 대조를 루어 형태를 나타낸다고 생각 하였으며 러한 패턴들은 러스킨 건축적 절정 과 힘을 탱하는 데서 중요을 찾은 기둥나, 복, 아케드 등 다양한 기둥들에서 구되었 다. 7) < 2> 자연 수평 연속 중력 자연과의 조 재료의 통일 수직과 수평의 조 2.3 공간 와 2.3.1 바닥 바닥은 천장과 함께 공간을 하는 수평적 로써 주택에서 거주자의 동선을 계획할 수 있는 중요한 평면공간을 제공한다. 라트의 평 면은 19C 고전주의적 영향과 유년시절 교육 받은 프뢰벨 시스템의 영향라 볼 수 있다. 국의 고전절충주의 양 절정을 루었던 때에 라트는 평면은 해결고, 입면은 다. 라고 주장하면서 평면의 기본적 사고 아래 건물 전체가 된다고 생각하였다. 러한 사 고를 중심으로 9분할 8) 원리를 발견하였으 며, 9분할 원리는 십자형, 장축형, 십자종합형 으로 세분시켜 적용하였다. 라트는 러 한 원리를 자신만의 건축체계로 적립하였다. < 3> 평면 방과 평면 방 십자형 외부공간과의 확장, 내 외부의 연속, 중심 장축형 공간의 유동, 개방 십자중합형 공간의 유동, 개방 외부공간과의 확장, 2.3.2 벽 건축에서 벽은 기후적 환경에서 거주자를 보 호하는 역할을 하며, 외부와 내부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라트는 러한 기존의 벽 7) Frank Lloyd Wright Architecture and Nature, Donald Hoffmann, Dover Publications, 1986, p.22 8) 고전주의 사상에 입각한 평면 의 원리. 4각형을 9개로 분할하였을 때 생기는 원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6권 4호 통권18호 179
의 개념을 파괴하고 그 대신에 스크린과 같은 역 할을 하는 벽을 생각하고 있었다. 그렇게 한다면 벽은 새로운 공간을 열어줄 수 있을 것 9) 라 말 했다. 렇듯 벽은 불필요한 를 줄여 공간을 통합함으로써 내부에 자 유로운 공간을 만든다. 또 한 외부와의 자연스러운 소통을 위해 코너창을 배 치하였으며, 여닫창을 사용해 자유로운 개폐와 자유로운 향을 보여 주기 했다. 2.3.2 가구 1895년부터 라트는 20세기 술공예(Art & Craft)운동과 아르누보의 영향을 받아 가구 디자인을 시작했다. 총체적 건축물의 에 관한 논리는 공간과 가구디자인과의 관계에서 잘 되는데, 라트에게 있어서 가구는 실내 공간의 흐름을 배열하고 건축공간을 창조하는 중 요한 역할로서 고안됐다. 10) 초기 가구의 입체적 며 직선적인 느낌은 보다 후기로 갈수록 가볍 고 동양적인 느낌으로 바뀌었다. 는 라트의 동양사상에 관한 영향라고 볼 수 있다. 공간의 동과 을 한정, 배치하고 연출하는 새로운 방법으로써 붙박 가구와 프리스탠딩(free standing) 가구를 사용하여 개방되고, 공간의 통 일감을 더해 주고 있다. 11) 가구의 마감은 주로 며 내부와 동일한 수종을 사용했다. 나무 의 을 있는 그대로 해하며 세부장 배 제된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프뢰벨의 입방체와 9 분할 원리를 가구디자인에 적용하여 기하학 적 패턴과 수직, 수평 강조된 단순하고 엄격한 직사각형 형태로 발전시켰으며 벽나 파티션 아닌 가구에 의해 새로운 기능의 공간과 건축, 가구, 공간 하나로 통합된 디자인을 추구 하였 다. 2.3.3 재료 9) 프랭크 로드 라트 음, 종인 역, Frank Lloyd Wright 자서전, 메시스, 2006, p.237 10) Davis A. Hanks, The Decorative Designs of Frank Lloyd Wright, NY, E. P. Dutton, 1979, p.108 11) 서수경, 프랭크 로드 라트 에 나타난 토탈디자인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5호, 2000,12, p.234 자연 상태의 천연재료는 라트의 건축물에 큰 영감을 주었다. 최상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사 용되는 자재수를 제안하여야 하며 는 단순 히 말해 단순다. 또한 러한 자재가 가진 질감은 느낌 라는 정체을 제공한다. < 4> 가구 영향 형태 재료 수직과 수평의 술공예운동& 직선의 아르누보운동 기하학 자연목 기히학적 형태의 조 초기 건축가 시절부터 건축자재들을 자연스러 운 에 맞게 활용하는 것에 관심을 두었던 라 트는 각각의 자재들의 속을 해하며, 재료 의 질에 알맞은 별한 용의 장적 가치를 부여한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그의 건 축에 된 재료는 구조물의 자재가 곧 디자인 의 자재가 되는 형상을 보여준다. 는 강재가공기술 발전되기 전 라트가 유기적 건축을 실하고자 했던 중요한 구조물 로써 대적인 자연재료다. 라트는 에 대해서 모든 자재 중 가장 친근하며 또한 일 정한 징을 가고 있어 징에 맞춰 를 사 용하면 아름다운 목조 구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고 강조하기 하였다. 그 구체적인 사례로 올드 브래스를 예로 들었다. 12) 베니어판의 사용은 숲 에 대한 생태계의 영향 을 줄고 비용을 절약 하였으며, 저렴하면서 내, 유연을 갖춘 재료로 그의 의 많 은 부분에 사용되었다. 수종은 자작나무, 호두 <그림 2> 구조재로 나무, 단풍나무, 오크, 사용된 의 예. 사프러스, 필리핀 마 Auldbrass in South 오가니 등 광범위하게 Carolina State 사용되었으며, 다른 장 들어가 않은 최종 마감 되록 설계하 였다. 석재는 라트가 사용한 모든 자재 중에서 최 상의 자재라고 평가하고 있다. 는 주변 환경의 12) 브루스 브룩스 파퍼, 종인역, wright, 메시스. p.114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6권 4호 통권 18호 180
영향을 가장 많 받으며 자연과의 유 기적 연결을 가능케 하는 마감재기 때 문다. 석벽의 마 <그림 3> 암석구조물의 형상 감형태는 원시 암석 구조물의 추상적 개념에서 착안하였으며, 천연 석회석을 사용하고 탤리신을 었고, 애리조나 주 사막에서 발견되는 둥근돌을 사용하여 탤리신 웨스트를 건설하였다. 벽돌은 구조재와 마감재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자재로 라트 건축에 핵심적인 자재 중 하나다. 다양한 색과 질감, 치수로 된 벽 돌은 그의 건축에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색 되었으며 건축물의 핵심부분을 정의하는데에 사용하였다. 줄눈의 형태, 깊, 쌓는 형의 변 방에 다양을 꾀하여 건축물과 어울림을 꾀 하록 한다. 유리는 물리적으로뿐만 아니라 감각적 징을 보는 중적 재료로 유리기술의 진보는 다른 기술보다 라트의 건축에 새로운 장을 열게 한 재료다. 유리의 사용은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석재와 함께 사용하였을 때에는 석재의 강와 조직을 돋보게 하는 기 능을 한다. 창에 사용된 문양은 나비, 고사리, 잎 사귀, 야생 줄기 등 자연의 형상에 서 추상된 문양 을 형하고 내부 와 외부공간 상 호 관입한 유기적 <그림 4> 물에서 형상한 건축의 실체가 되 패턴 록 하였다. 콘크리트는 저비용 주 택을 요구하는 건축주들 에 의해 생산된 건축 재 료로 생산 면에서 보다 앞섰으며, 기후적 요건에 따른 요구를 충족 시키는 재료다. 그러나 <그림 5> 외장재, 내재된 아름다움 결여 장재로 사용된 예. Unity Temple in 된 재료로 라트는 를 State of Illinois 새로운 형의 블록으로 활용하였으며, 견고한 직물을 만들기 위해 강재 와 결합하기 하였다. 로써 콘크리트 블록은 견고함에 조형적 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기능 과 실용을 모두 만족하게 했다. 3. Frank Lloyd Wright의 건축 공간 분석 3.1 제1황금시대 (1889-1910) 19세기 후 국은 급속한 경제, 문적 발 전을 루었으며 국의 수공예운동과 함께 근대 적 사회시스템에 적응하는 주택개선의 시를 불 러일으켰다. 라트는 시기 주택개선운동으로 나타나는 주택의 단순, 연속, 그리고 일 시적 오픈플랜을 수용하고, 13) 프레리양 14) 에서 보듯 전통을 깨고 역사를 창조하는 주택으로 발 전시켰다. 3.1.1 Frank Lloyd Wright studio & house 주택은 라트가 루스 설리반의 건축사무 소에 근무하던 당시 었던 자신의 주택 및 스튜 디오로 20년(1889-1909)에 르는 그의 생애 와 작업을 살펴볼 수 있는 건축물다. 집의 징은 정방형 평면에 그 중심을 뚫는 수직 중심 축 있고, 공중에는 평평한 보가 우물정자 리 형으로 뻗어 나가 징두리벽나 분재를 별로 넓 않은 방에 잘 정돈하여 배치함으로써 중심적인 공 간을 포함한 9분할 형의 질서가 잘 나타나 있 다. 천장의 대들보와 보드 공간은 공간에 역동 을 부여하며, 수평과 수직 강조된 붙박장과 공간을 형하는 동가구들은 형태와 재료의 유기적 통합을 룬다. 또한 천장의 팔각형 채광 창과 리셉션 공간의 추상적 패턴의 채색유리는 내 부의 나무재질과 어울리면서 적인 와 공간 감, 실용을 동시에 만족시킨다. 벽체와 천장의 나무는 결 살아있록 가볍게 색을 넣거나 왁스 를 먹는 것으로 마감하였고, 스터코 벽과 바닥 의 나무는 자재의 본질적 드러나록 있는 그대로의 재료를 사용하였다. 13) 견진석, 양재혁, 전환기 국 주택개선운동의 수용에 따른 Frank Lloyd Wright의 초기 주택 내부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8호, 2003.6, p.108 14) 프레리 양 은 라트가 주택건축의 새로운 언어를 창조하는 과정에서 유년시절을 보냈던 중서부 프레리의 초원의 형을 포용하는 낮고 평평한 디자인 양으로 발전시켜 건축영감의 원천으로 삼아 형한 것다.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6권 4호 통권18호 181
3.1.2 Frederick C. Robie House 로비주택은 중서부 프레리의 초원의 형을 포용하는 낮고 평평한 디자인 양으로 당시 유 행하던 과거의 디자인 공에서 벗어나 주변 경 관과 거주자의 요구를 반영한 유기적 건축개념의 < 5> Frank Lloyd Wright studio & house 공간 재료, 타일 공간 어두운 색깔의 붕과 벽돌 하얀 갓돌 조합되어 한적하면서 심플한 분위기를 낸다. 선적를 활용한 카펫은 자연의 색을 하여 공간의 조를 보여준다. 벽돌,, 스터코 벽체의 띠는 가구의 마감에 동일하게 사용하여 공간의 통일을 부여한다., 유리 호박색, 녹색, 갈색의 채색유리는 짙은 와 어우러져 가을빛을 한다. 수직선 강조된 직선의 기하학적 형태로 공간을 분리하는 칸막 역할을 한다. 대적인 다. 주택의 평면은 2개의 좁 고 긴 볼륨 서로 어긋나 결합하고 있는 십자형 평면다. 십자형주택은 라트 주택의 기본적인 정방형의 변형된 형태로 질서는 유하면서 공간 의 연속을 하는 것다. 내부공간은 유니 트의 중앙에 벽난로와 계단실 위치해 있어 각 각의 공간을 분리함으로써 시각 및 동선의 흐름 을 차단하며 벽난로를 중심으로 공간의 확장 강조되고 시각적 연속을 보여준다. 프레리의 고온다습하고 변덕 심한 기후 탓에 캔틸레버로 돌출시킨 붕으로 주택을 보호함과 동시에 뚜렷 한 수평선과 굴뚝으로 인한 수직적 역동을 보 여준다. 러한 외부의 정원 벽, 테라스, 발코니, 붕 처마 등 만들어내는 수평선들은 몇 단 후 퇴된 벽체의 수직선들과 강한 대조를 루며 내 부와 외부가 주변의 환경과 자연스럽게 융되 록 한다. 3.2 흉작. 잃어버린 시대 (1911-1935) 시기 라트는 건축가로서의 삶에 회의를 느끼고 개인적으로 여러 혼란스러운 변를 겪는 다. 가정과의 불, 1925년 탤리에신의 2차 재와 더불어 국가의 경제적 위기, 그의 행동에 < 6> Frederick C. Robie House 공간 재료 공간 돌출된 붕널은 수평선을 강 조하고 수평적 통일과 비대 칭 균형을 룬다., 콘크리트 카펫으로 마 감한 바닥은 사각형의 기 하학적 패턴 은 벽체의 수 평 라인에 반하여 디자 인되었다., 유리 창살의 수직 적와 창 문의 기하학 적 패턴 조 를 루며 자연과의 유 기적 조를 보여준다. 벽체와 통일 을 보인 천 장의 띠 는 공간에 리 듬감을 부여 함과 동시에 확장을 느 끼게 한다. 수평라인에 대비되는 수 직의 나무 조 각들로 된 가 구는 벽 아 닌 벽의 개 념으로 공간 을 분리한다. 대한 평가들 그에게 타격을 주었다. 실에서 피하기 위해 일본으로 떠난 라트는 시기 일본의 데코쿠 호텔(Imperial Hotel)을 시작 으로 벽토로 루어진 홀리혹 하우스, 대량생산 가능한 다수의 텍스타일 블록 주택들을 설계 하면서 건축가로서의 새로운 전기를 시작한다. 3.2.1 Arline Barnsdall House 일명 홀리혹(Hollyhock)주택라 불리는 주택은 앨라인 반스댈(Aline Barnsdall)을 위해 올리브 힐라는 부에 세워진 주택다. 홀리 혹라는 름은 반스댈 좋아하는 꽃을 따서 어진 름다. 홀리혹 주택은 캘리포니아 남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6권 4호 통권 18호 182
서부역의 기후를 염두에 둬서 양로 난 창문 은 최소하였고, 개구부는 중정을 향해 오픈되 었다. 또한 중정 있는 중앙부에 널찍한 로아 를 두고 있으며 는 내부적 외부공간라 할 수 있는 중정과 내부영역의 전 공간으로서 주 택의 통합과 중심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진 잦은 캘리포니아 역의 을 고려해 목 고 위에 모르타르 뿜칠로 마감하고 홀리혹 모양 으로 조각된 콘크리트 블록으로 장하였다. 외 부에 사용된 홀리혹 꽃의 추상적인 문양은 콘크 리트 난간, 열주, 분, 가구에 새겨 내부의 장 적 로 활용되었다. 붙박 소파와 테블, 조명은 라트의 작업 중에서 독한 형태로 가구를 공간의 일부로 해석한 것다. < 7> Arline Barnsdall House 공간 재료 공간 역적 을 고려해 견고한 콘 크리트를 사용하였으며, 내.외부 동일한 마감재를 사용하여 공간 의 유기적 연계을한다. 콘크리트, 벽체와 동일 한 마감재를 사용하였으 며 기하학 패턴 반복 된 카펫은 따뜻한 실내 분위기를 느 끼게 한다. 콘크리트,, 유리 창의 기하학 적 패턴은 자연의 형태 에서 디자인 되었으며, 대초원을 연 상시키는 가 을색을 한다. 콘크리트,, 유리 콘크리트와 를 사용 한 천 장 은 일본 예술에 서 영 향 받 은 선적 요 소가 가되 어 채 광 을 조절한다. 가구를 공간 의 일부로 해석하였고 건축의 추상 적 무늬를 가구의 장 로 동일 하게 사용하 였다. 3.2.2 John Storer House 존 스토러 주택은 남부 캘리포니아의 텍스타 일블록 주택 중 두 번째로 어진 주택다. 주 택평면은 하나의 배적인 9분할 방 나타나 고, 중앙의 거실 부분에 다시 장축 된 쉐마로 분활되었고, 그 양쪽 측면에 같은 형 회전되 어 나타나는데 것은 전체의 구분할 원리 의 질서가 우세하다고 할 수 있다. 주택은 할 리우드 언덕의 남향으로 자리 잡아 전면 파사드 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빛 들어온다. 텍스타일 블록은 형태와 구조의 새로운 언어를 제시하였으 며 벽체 자체의 견고함, 깊감을 부여함과 동시 에 재료와 노동력을 절감하는 경제적 효과, 텍스 타일 블록 패턴의 장적 효과까 더불어 얻었 다. 또한 외부와 내부에 동일한 자재와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실내와 외부테라스와 공간의 흐름 을 통해 전체구조와 주변 환경의 유기적 친밀감 을 보여준다. < 8> John Storer House 공간 재료 공간 경제, 역적 을 고려해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고 구 조재, 마감재를 통일하여 유 기적 친밀감을 한다. 콘크리트, 외벽에 된 선적 요 소를 내부에 끌어들여 사 용 함으로써 외부와 내 부 공간의 연속과 통 일을 한다. 콘크리트 블록,, 유리 콘크리트 블 록의 패턴은 빛을 통해 그림자를 만 들어 공간에 입체감을 부 여하며 구조 와 적 요 소를 만족하 게 한다. 선을 강조한 는 서로 다른 크기 를 반복적으 로 사용함으 로써 공간에 깊감과 운 동감을 동시 에 보여 준 다 정형된 패 턴에서 벗어 나 선을 용해 다양한 기하학 무늬 를 가구에 적용하여 하 나의 디자인 로 된다. 3.3 제2황금시대 (1936-1959) 1914-1919년 1차 세계대전과 1929년부터 시작된 대공항을 거치면서 국은 증권시장 붕괴 와 경제적 침체를 가져왔고 로 인해 중산층 부각되고 국의 전통적인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 과 변가 일어났다. 시기에 라트의 일차적 관심은 탈 중심된 플랜었는데 15) 그 목적은 15) 브루스 브룩스 파퍼, 종인역, wright, 메시스. p.114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6권 4호 통권18호 183
국의 중산층에 합리적인 가격으로 을 수 있 는 집을 짓는 것었고 그 해결안 유소니언 16) 주택었다. 3.3.1 Edgar Kaufmann House 일명 낙수장라고 불리는 주택은 극적인 자연환경에의 동와 뛰어난 구조의 일치, 공간 과 입체조형의 명쾌한 해결책을 보여준 다. 낙수장은 부분과 전체의 원형적인 9 분할 을 나타낸다. 중앙에 벽난로와 거실의 상징적인 중심을 둠으로써 러한 부분과 전체의 질서원리를 고전적 로 통합하려고 노력했다. 외부의 자태에서 캔틸레버 보 형태를 추출하였으 며, 테라스의 수평적 는 폭포의 수직선과 대 의 수평선 조를 루고 실내의 벽체, 기둥, 벽난로의 수직적 와 함께 연결되어 자연 환 경과의 유기적인 결합을 룬다. 부유하는 듯한 수평적 매스의 겹침과 육중하게 꽂힌 수직 매스 는 대와의 일체된 경험을 위해 변로운 외 부 조망을 가능케 하고 있으며, 유기적 건축의 자유와 장의 념을 한다. 17) 계곡 기슭의 기반암을 조각한 듯한 자연석의 바닥은 내. 외부 의 동일하게 사용하여 재료와 색을 통한 공간의 연속을 보여주고 건축과 실내, 가구가 유기적 통합을 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장 없 는 프레임과 커다란 유리로 된 천장조 명은 건축 조명의 예로 보여진다. 가로로 길고 외부로 열리는 여닫창과 프레임 없는 코너창은 공간을 자연으로 확장시켜 유기적 통합을 룬다. 16) 유소니언은 United states of America를 다르게 부른 것으로 광대한 아메리카 반구에 으려는 주택을 정확하게 정의하기 위하여 용어를 사용했다. 17) 김광호, 고인석, 프랭크 로드 라트와 르 꼬르뷔제의 조망 개념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 제18권 제1호 통권 제159호,2002.1, p.94 < 9> Edgar Kaufmann House 공간 재료 공간 수평적 매스와 작은 매스 들 직각으로 중첩되어 자연과 조를 루며, 주변 환경과의 유기적 연계을 보여준다. 석재 외부의 자연 형태를 직설 적으로 입, 하 였으며 는 내부와 외부 의 유 기 적 흐름을 보여 준다. 석재,, 유리 내. 외부에 동일한 마감 재를 사용하 였으며 재료 의 원형적 을 하여 공간에 볼륨감을 부 여한다. 스터코,, 유리 조명은 공간 의 영역을 분리해주며, 벽에 사용된 를 반 복적으로 사 용하여 공간 에 통일감의 보여준다. 원형의 의자 는 팔걸, 등받, 다 리를 일체 였고, 자연 석과 조를 루는 를 사용하 였다. 3.3.2 Herbert Jacobs House 허버트 제콥스 주택은 제1호 유소니아 주택 며 그 후 20년 동안 어진 유소니아 주택의 진정한 원형다. 평면은 기존의 십자형 평면보 다 모듈되고 기후와 대, 사용자 수에 적응 가능한 L자형 형태다. 설계를 시스템하고 건 축을 단순하기 위해 평면과 벽면 모두 유니트 시스템 라 부른 그리드(0.6X1.2m) 를 적용하였고 그리드를 흙손으로 바닥 슬래 브 면에 워 않게 새겨 넣게 해서 공사를 쉽게 하였다. 18) 외부벽체의 마감은 소나무 판재 와 적목(redwood)을 조합하여 수형라인을 강조 하며 벽체를 루는 재료 자체가 노출된 상태로 최종벽면 되게 하였다. 내부벽체는 벽돌과 적 목을 사용하였으며 가구는 합판가구로 디자인되 었고 알코브를 용해 책장, 캐비넷 등을 내장시 킴으로써 공간을 합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록 디자인하였으며 는 내부 재료와의 유기을 만 든다. 18) Donald G. Kalec, The Jacobs House 1, Elvehjem Museum of Art, 1990, p.9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6권 4호 통권 18호 184
< 10> Herbert Jacobs House 공간 공간 대에 어울리는 수평선을 강 조한 붕선은 수평선의 와 수직선의 유리가 어우러져 자연과 유기적 조를 룬 다. 재료 타일 벽돌, 적갈색의 천 장과 벽체는 크로키레드 (Cherokee red)의 콘크 리트바닥과 조를 루 어 공 간 의 통일감을 한다. 외부의 수평 선을 내부로 끌어들여 공간의 유 기적 조를 보여주며, 수직선 강 조된 창과 대비를 룬 다. 4. 공간 분석 를 사용 한 천장은 수직, 수평라 인을 반복적 패턴으로 사 용하여 공간 의 확장과 리듬감을 부 여한다. 벽체의 일부 를 가구로 활용하며 동 일한 를 재료로 사용 함으로써 가 구가 하나의 공간 되게 한다. <11>은 라트의 시기별 공간 을 살펴보기 위해 3장의 내용을 토대로 정리해 보 았다. < 11> 시기별 공간 분석 시기 제 1 황금 시대 흉 작 잃어 버린 시대 제 2 황 금 시 대 분류 명 Frank Lloyd Wright studio & house/ 1889 Frederick C. Robie House/ 1907 Hollyhock house/ 1920 John Storer House/ 1923 Edgar Kaufmann House / 1936 Herbert Jacobs House/ 1936 평면 형 정방형 십자형 9분할 9분할 9분할 L자형 주재료 바닥 자연색 벽 스터코 내부와 색채 조 천장 재료의 패턴 조 가구 수직선 강조 바닥 콘크리트 패턴의 조 벽 재료의 통일 천장 재료의 패턴 조 가구 수직선 강조 바닥 콘크리트 재료의 통일 벽 콘크리트 내부와 색채 조 천장 콘크리트 재료의 패턴 조 가구 장 강조 바닥 콘크리트 선적 강조 벽 콘크리트 블럭 패턴의 조 천장 선적 강조 가구 재료의 패턴 조 바닥 석재 재료의 패턴 조 벽 석재 재료의 통일 천장 스터코 내부와 색채 조 가구 수직선 강조 바닥 콘크리트 재료의 패턴 조 벽 재료의 색채 조 천장 선적 강조 가구 재료의 통일 5. 결론 상의 연구를 통해 살펴본 라트의 주택건 축에 나타나는 공간 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 정의할 수 있다. 첫째 시기별 구분은 전체적인 그의 을 해하는 기본적인 다. 제1황금시대는 라 트가 설리반의 건축사무소를 나와 독자적으로 작 품을 시작한 시기다. 중서부 초원의 기후적 영 향과 자연과의 융에 대한 으로 낮고 수평 으로 긴 붕선을 강조하였으며 혹독한 기후를 위한 해결책으로 벽난로 중심의 평면을 하였 다. 는 후 국 중서부역의 전통주거형 되었다. 흉작. 잃어버린 시대는 라트가 여 러 가 혼란스러운 상황을 겪던 시기다. 시기 라트는 견고하고 경제적인 주택을 짓고자 콘크리트 블록을 용한 새로운 건축 시스템을 개발함과 동시에 공사비 절감, 시공의 용을 가능케 하여 재약의 발판을 삼은 시기다. 제 2황금시대에는 국의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과 변가 일어난 시기로 에 라트는 중산층을 위한 합리적 주택을 개발하여 역적 재료의 활 용과 전 시기와는 다른 실용적인 평면방 을 건축에 입하였다. 둘째 평면에서부터 건물 전체가 된다고 생각한 라트의 사고는 그의 에서 보여는 구분할 으로 되며 는 어린 시절 교육 받은 프뢰벨 시스템을 자신만의 건축언어로 해석 하고 변시켜 정립시킨 결과물라고 할 수 있 다. 러한 구분할 원리는 평면과 입면, 가 구, 장 등 그의 에 전반적으로 적용되었다. 평면과 공간에 있어 외부와 내부, 그리 고 각 부분과 전체와의 조를 강조하여 건축에 입함으로써 건축과 자연과의 관계가 상호보안 의 관계임을 정의한다. 셋째 공간을 하는 를 바닥 벽 천장 가구로 분리해보아 의 을 정리해 본 결과 라트는 선과 색 그리고 기하학적 패턴을 반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공간에 통일과 연속 을 부여하였고 자연과 외부, 외부와 내부의 조 를 루어 그가 주장하는 유기적 건축사상을 한다. 넷째 라트는 건축을 하는데 있어 재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6권 4호 통권18호 185
에 대한 을 중시하였다. 그는 건축의 주재료 로, 석재, 벽돌, 콘크리트, 유리를 사용하였 으며 주로 재료가 가진 자연질을 하려 하 였고 재료와 구조의 본을 정직하게 하고자 하였다. 또한 외부의 재료를 내부로 끌어들임으 로써 자연과 건축의 유기적 조를 뤘다. 라트는 건축 념인 자연관에서 보여듯 자연 모든 사물의 형태와 징을 규정하며 그 러한 자연의 규칙을 따라 건축에 적용하였 다. 그가 건축을 설계함에 있어 러한 자연에서 유추한 형태와 재료, 건축과의 조를 강조함은 그의 유기적 건축의 며 는 그의 건축 작 품에 일관되게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투고(접수)일 : 2011. 10. 31 심사(수정)일 : 2011. 11. 28 게재확정일 : 2011. 12. 20 참고문헌 1. 에다 루즈 헉스터블 음. 종인 역. Frank Lloyd Wright, 20세기 건축의 위대한 유산, (주)을유문사, 2008.02 2. 프랭크 로드 라트 음, 종인 역, Frank Lloyd Wright 자서전, 메시스, 2006 3. 브루스 브룩스 파퍼, 종인역, wright, 메시스, 2010 4. Frank Lloyd Wright Architecture and Nature, Donald Hoffmann, Dover Publications, 1986 5. Davis A. Hanks, The Decorative Designs of Frank Lloyd Wright, NY, E. P. Dutton, 1979 6. Donald G. Kalec, The Jacobs House 1, Elvehjem Museum of Art, 1990 7. 서수경, F.L.Wright의 주택과 실내디자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5호, 1995 8. 권영, 서치상. F. L. 라트의 유기적 건축에 나타난 일본문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3권5호 통권46호, 2004 9. 신승기, 김형우, 프랭크 로드 라트의 건축관에 나타난 일본풍의 영향과 수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대회논문집 제19권 제1호, 1999 10. 서수경, 프랭크 로드 라트 에 나타난 토탈 디자인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5호, 2000 11. 견진석, 양재혁, 전환기 국 주택개선운동의 수용에 따른 Frank Lloyd Wright의 초기주택 내부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8호, 2003 12. 김광호, 고인석, 프랭크 로드 라트와 르 꼬르뷔제의 조망 개념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 제18권 제1호 통권 제159호, 2002 13. 황철호, 디테일&디자인, 건축세계, 2005.03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6권 4호 통권 18호 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