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연구 2002-5 중증장애인 직업능력개발 모형 연구(III) - 정보기술분야 사례 적용 - 책임연구자: 육주혜 (고용개발원 연구실 연구원) 공동연구자: 신인수 (고용개발원 정보기술공과 교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 용 개 발 원
머 리 말 새로운 직업능력을 습득하고 취업하는 것은 성인으로서 자립생활을 영 위하는데 중요한 과정입니다. 직업훈련은 장애인의 안정적 취업과 고용유 지를 보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것은 직업적 기초능력이 있으면서도 취업에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인에게 더욱 필요한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직업훈련과정의 체계를 정립하고 질적 향 상을 제고하는데 목적을 두었습니다. 2001년도에 이론과 현장에 대한 기 초조사를 실시하여 중증장애인 직업능력개발 기초모형을 구성하였습니다. 올해에는 정보기술분야 직업훈련과정과 훈련생들의 사례를 추적하여 장애 인 직업훈련 체계의 효율적인 요소와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였습니다. 장기간에 걸쳐 중증장애인 직업훈련의 현장과 이론을 종합한 결과 중증장 애인 직업능력개발 모형을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모형의 각 장면에서 필 요한 인력과 서비스 또는 활동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목록의 제공으로 본 모형을 활용하는데 최대한 용이하도록 하였습니다. 본 연구 결과가 장애인 직업훈련과정의 체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립하 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아울러 장애인 전용 직업훈련기관에서 훈련 을 희망하는 중증장애인이 보다 준비된 직업훈련 환경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 i -
끝으로 본 연구에 현장의 타당성이라는 부분을 전체적으로 책임졌던 공 동연구자 분과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주신 직업훈련교사, 사례관리자 분들 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본 연구에 이론적 맥락과 사업체 동향 에 대한 아낌없는 조언을 하여 주신 자문위원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2 0 0 2 년 1 2 월 한 국장 애 인 고 용촉진공 단 고 용개 발 원 장 김 선 규 - ii -
목 차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2 3. 연구의 방법 및 내용 2 II. 2 0 0 1 년 중 증 장 애 인 직 업 능 력 개 발 모 형 1 1 1. 2001년 모형 1 1 2. 모형에 대한 의견 조사 1 7 3. 2001년 모형에 대한 종합 분석 2 8 III. 정보기술분야 노동 시 장 2 9 1. 정보기술(Inf or m ati o n T ec hn ol og y )과 정보산업 2 9 2. 정보통신 산업과 정보통신 직업 3 1 IV. 정보기술분야 장 애 인 직 업 능 력 개 발 4 1 1. 공단 지원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능력개발 현황 4 1 2. 공단 산하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능력개발 50 3. 정보기술분야 구인 특성과 직업훈련 방향 64 V. 사례조 사 7 1 1. 사례조 사 7 1 2. 사례 O O 만 8 7 3. 사례 O O 수 9 4 4. 사례 O O 석 1 0 0 5. 사례 O O 숙 1 0 6 6. 사례 O O 미 1 1 2 7. 사례 O O 경 1 1 9 8. 사례 O O 철 1 2 7 9. 사례 O O 길 1 3 4 - iii -
VI. 2 0 0 2 년 중 증 장 애 인 직 업 능 력 개 발 모 형 1 4 0 1. 중 증 장 애 인 직 업 능 력 개 발 모 형 의 원 칙 1 4 0 2. 2002년 중증장애인 직업능력개발 모형 1 4 5 VII. 논의 1 6 5 1. 중 증 장 애 인 직 업 능 력 개 발 모 형 의 특 징 1 6 5 2. 장 애 인 직 업 훈 련 에 시 사점 1 6 7 3. 후 속 연 구 제 안 1 6 8 참 고 문 헌 1 7 0 부 록 1 7 3 < 부 록 1 > 중 증 장 애 인 직 업 능 력 개 발 모 형 ( I) 에 관 한 의 견 조 사지 1 7 5 < 부 록 2 > 연 구 대 상 훈 련 생 의 연 구 참 여 동 의 서 양 식 1 8 0 < 부 록 3 > 소 협 의 회 내 용 1 8 3 <부록 4> 2002 직업능력개발 Workshop: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능력 개 발 발 전 방 안 목 차 1 9 2 <부록 5> 웹 마스터 직무분석(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1 9 3 < 부 록 6 > 사회 성 / 직 업 생 활 / 체 육 프 로 그 램 내 용의 예 2 0 2 < 부 록 7 > 영 어 수 업 학 습 지 의 예 2 0 6 < 부 록 8 > 맞 춤 훈 련 협 약 서 와 훈 련 과 정의 예 2 0 9 < 부 록 9 > 정보기술공 과 공 통, 인 터 넷 프 로 그 래 밍 과 정의 예 2 1 4 < 부 록 1 0 > 훈 련 생 학 적부 양 식 의 예 2 1 7 < 부 록 1 1 > 학 습 수 행 결 과 표 의 예 2 1 9 - iv -
표 목 차 < 표 I-1 > 연 구 대 상 훈 련 생 의 사회 인 구 학 적 특 성 6 <표 II-1> 모형에 대한 의견 조사 대상 훈련교사 사례관리자 정보 18 < 표 II-2 > 모 형 의 견 조 사 요 약 2 7 < 표 II-3 > 2 0 0 2 년 장 애 인 직 업 능 력 개 발 모 형 연 구 의 틀 2 8 <표 III-1> 한 국표 준 직업 분류( 1 992 ) 상의 정보통신 직 업 재 분류 3 3 <표 III-2> 핵 심 IT 인 력 의 구분 3 4 <표 III-3> 핵 심 IT 인 력 의 규모 추 정( 200 0년 9월 기준 ) 3 5 <표 III-4> 핵 심 IT 인 력 의 부족 규모 ( 200 0년 9월 기준 ) 3 6 <표 III-5> 향 후 핵심 IT 인 력 수요 및 부 족 규모 3 7 <표 III-6> 핵 심IT 인력 에 게 필요 한 자 질 3 8 <표 III-7> 정보통 신 분야별 직 업 종사자 추 이 전망 3 9 <표 III-8> 정보통 신 인 력의 분야별 신규 수 요 전 망 3 9 <표 III-9> 정보통 신 전 공인 력 의 분야별 공 급 전망 4 0 <표 III-10> 정보통신 전 문 인력 의 분야별 수 급 차 전망 ( 공 급-수요 ) 4 0 < 표 IV-1 > 장 애 인 공 공 직 업 훈 련 현 황 ( 2 0 0 0 ~ 2 0 0 2 ) 4 2 < 표 IV-2 > 정보기술분야 장 애 인 공 공 직 업 훈 련 현 황 ( 2 0 0 0 ~ 2 0 0 2 ) 43 < 표 IV-3 > 정보기술분야 장 애 인 공 공 직 업 교 육 훈 련 내 용( 2 0 0 0 ~ 2 0 0 2 ) 4 4 < 표 IV-4 > 공 단 지 원 장 애 인 인 정직 업 훈 련 현 황 ( 2 0 0 0 ~ 2 0 0 2 ) 4 5 < 표 IV-5 > 정보기술분야 장 애 인 인 정직 업 훈 련 현 황 ( 2 0 0 0 ~ 2 0 0 2 ) 46 < 표 IV-6 > 정보기술분야 장 애 인 인 정직 업 훈 련 내 용( 2 0 0 0 ~ 2 0 0 2 ) 46 < 표 IV-7 > 보건 복 지 부 산 하 장 애 인 직 업 훈 련 현 황 ( 2 0 0 0 ~ 2 0 0 2 ) 4 7 < 표 IV-8 > 장 애 인 복 지 관 정보기술분야 장 애 인 직 업 훈 련 ( 2 0 0 0 ~ 2 0 0 2 ) 4 8 < 표 IV-9 > 보건 복 지 부 산 하 정보기술분야 장 애 인 직 업 훈 련 내 용 4 8 < 표 IV-1 0 > 공 단 지 원 정보기술분야 장 애 인 직 업 훈 련 및 취 업 현 황 4 9 <표 IV-11> 공단 지원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훈련 기관형태별 현황 비교 ( 2 0 0 1 ) 5 0 <표 IV-12> 장애인 직업훈련에 적합하다고 인정되는 직종(1989) 52 < 표 IV-1 3 > 5 순 위 내 에 추 천 직 업 훈 련 직 종 ( 1 9 8 9 ) 5 2 < 표 IV-1 4 > 선호 하 는 직 업 훈 련 직 종 ( 1 9 9 0 ) 5 3 < 표 IV-1 5 > 고 용개 발 원 명 칭 과 직 업 훈 련 직 종 변 화 과 정 5 4 < 표 IV-1 6 > 장 애 인 직 업 훈 련 직 종 선정시 고 려 사항 ( 안 ) 5 7 - v -
< 표 IV-1 7 > 일 산 직 업 전 문 학 교 정보기술공 과 취 업 6 3 < 표 IV-1 8 > 대 전 직 업 전 문 학 교 정보기술분야 취 업 률 6 4 < 표 IV-1 9 > 부 산 직 업 전 문 학 교 정보기술분야 취 업 률 6 4 < 표 IV-2 0 > IT 인 력 채 용 및 구 직 현 황 ( 2 0 0 2 년 1 ~ 6 월) 6 7 < 표 V-1 > 훈 련 교 사가 참 석 한 정보기술분야 회 의 ( 2 0 0 2 년 1 0 월 현 재 ) 7 3 < 표 V-2 > 한 국직 업 능 력 개 발 원 정보기술관 련 직 무 분석 목 차 75 < 표 VI-1 > 훈 련 과 정 평 가 내 용 1 4 2 < 표 VI-2 > 중 증 장 애 인 직 업 능 력 개 발 모 형 의 세 부 내 용 목 록 162 그 림 목 차 [ 그 림 I-1 ] 장 애 인 직 업 능 력 개 발 관 련 영 역 1 [ 그 림 II-1 ] 2 0 0 1 년 도 중 증 장 애 인 직 업 능 력 개 발 모 형 1 2 [ 그림 III-1] 정보통 신 인 력에 대 한 정의들 간 의 관 계 3 2 [그림 V-1] 훈련생, 직업훈련교사, 사례관리자 의사소통에 의한 개인별 훈련생의 훈 련 과 정 내 용 7 2 [ 그 림 V-2 ] 공 동 체 극 기훈 련 중 래 프 팅 하 는 모 습 7 7 [ 그 림 V-3 ] 직 업 훈 련 장 면 7 8 [ 그 림 VI-1 ] 중 증 장 애 인 직 업 능 력 개 발 모 형 1 4 7 - vi -
I. 서론 1. 연 구 의 필 요 성 직업능력개발은 자기의 잠재적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보다 좋은 조건에 직업 가능성을 확장한다.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은 노동시장의 수요와 장애인 의 재활 요구를 반영하여 실시된다(그림 I-1). 주요 내용은 특정 직업분야 훈련, 사회성/직업생활/체육, 직업준비훈련이다. 장 애 인 직 업 능 력 개 발 특정 직업분야 훈련 사회성/직업생활/체육 직업준비훈련 직 업 재 활 장애인 직업평가 직업재활계획 장애인 진로상담 의료, 교육, 사회재활 재활공학 서비스 구직활동 취업알선 : 노동 시 장 산업동향 구인구직동향 경제활동 고용정책제도 직업능력개발 직업 직종 직무 : [그림 I-1] 장애인 직업능력개발 관련 영역 본 연구는 장기간에 걸쳐 이러한 장애인 직업능력개발 과정을 파악하는데 초점이 있다. 또한 이론과 현장의 실태 및 사례를 근거로 장애인 직업훈련 의 내실화를 꾀하는 것이 연구의 기본 관점이다. 내실화란 효율적이고 체계 - 1 -
적인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을 통한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말한다. 또한 본 연구의 출발은 장애인 직업능력개발 현장에서 나타난 문제점의 지적, 이에 대한 대책 논의, 기존 장애인 직업훈련과 연구 결과로 제시하는 모형의 도식적인 비교를 하기보다는 바람직한 모형의 요소들을 전체적이고 구조적인 측면에서 도출하기 위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모형은 현장의 자료 들에 바탕을 두고 앞으로 중증장애인 직업능력개발의 방향 설정에 기여하고 자 한다. 2. 연 구 의 목 적 2002년도 연구의 세부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1년 중증장애인 직업능력개발 모형 적용 둘째, 장애인 직업훈련 현장과 사례의 기술 셋째, 장애인 직업훈련과정의 요소와 과정 도출 넷째,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장애인 직업능력개발 모형 제시 3. 연 구 의 방 법 및 내 용 2001년도에는 우리나라 장애인 전용 직업훈련기관 6개소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직업능력개발의 다양한 형태를 종합 정리하였다. 실태조사는 기초 통계조사, 문서 및 인터넷 조사, 면접조사, 관찰조사, 워크숍 및 자문회의 개 최로 다양한 각도에서 실시되었다. 따라서 연구대상으로 다양한 장애유형, 장애정도, 직업훈련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그 결과로 중증장애인 직업능력개 발의 기본모형을 구성하였다. - 2 -
2002년도 연구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 2002년도 연구대상은 장애인 전용기관 정보기술분야 직업훈련 현장과 훈 련생 8명이었다. 이 기관은 경인지역에 위치하고 본 모형에서 요구되는 인 력과 체제가 갖추어진 기관이다. 또한 2001년도 연구에 상당부분 참여하여 훈련교사의 연구에 대한 이해가 높다. 연구대상 직종과 훈련생 선정 기준, 훈련생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1 ) 연 구 대 상 으 로 정보기술분야 선정 배경 1 정보기술의 정의 정보기술(i nf o rm at io n t e ch no l o g y, IT )이란 많은 정보 가운데에서 기업 경 영에 도움이 되는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집, 선택하기 위한 정보의 체계화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이론과 기법 을 말한다(정보통신부 (주)두산동아, 2000). 정보기술과 관련하여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이라는 용어의 사전적 의미는 전기 통신 과 컴퓨터를 결합한 고도의 신 사회 기반을 형성하는 기술 분야 이다(정보 통신부 (주)두산동아, 2000). 그리고 정보통신기술은 통신, 소프트웨어, 전 기 전자분야로 나눌 수 있다(권남훈 외, 2001). 이 세 분야에서 연구의 초 점은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산하 직업훈련 기관에서 주로 훈련 중인 소프 트웨어분야이 고 이하 정보기술로 지칭하고자 한다. 아울러 소프트웨어분야 에는 프로그래밍, 그래픽, 정보처리 등이 포함된다. - 3 -
2 장애인이 가장 선호하는 직업훈련 직종 장애인의 정보기술분야 취업 희망 비율은 2000년 장애인근로자 실태조사 (장창엽 외, 2001, p. 160)에서 4.7%, 1997년~2001년 사이 공단 경인지역 구 직장애인의 희망직종 분석(이효성, 2002, p. 25)에서 4.3%로 낮은 편임을 보 여준다. 그러나 장애인의 정보기술분야 직업훈련 희망 비율은 2000년 장애 인근로자 실태조사(p. 169)에서 32.4%, 2000년도 장애인 실태조사(변용찬 외, 2001, p. 415)에서 5.8%, 현호석(1997, p. 56) 연구에서 35.8%로 직업분야 중에서는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이것은 장애인들이 지금 당장 취업 하는 것보다 훈련으로 취업의 기회를 갖고자 하는 직업분야가 정보기술분야 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모든 산업에서 정보기술이 차지하는 비 중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기본적인 정보기술능력을 필요로 하는 것임을 나 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 정보기술분야에 대한 이러한 쟁점은 지속적인 연구 와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취업률과 구인 기준 검토 정보기술분야의 취업과 구인 기준은 또 다른 쟁점이다. 특히 정보기술은 변화가 급박하고 특정직무의 수요주기가 짧아 구인 조건과 고용유지의 상태 가 다른 직업분야에 비해 천차만별이다. 이러한 정보기술분야의 변동성, 시 급성 등을 고려하고 현재 가장 취업의 전망이 있으면서 고용유지 전략을 함 께 제공하는 훈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 2 ) 연 구 대 상 훈 련 생 선정 기준 연구대상 정보기술분야 훈련생의 선정 기준은 첫째, 장애인고용촉진및직 업재활법상 신체적 중증장애인이다. 둘째, 법적 중증장애인이 아니라도 직업 - 4 -
훈련 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직업훈련교사, 사례관리자, 연구자가 공통적으로 판단한 장애인이다. 이 기준은 정보기술분야의 인력 수요가 많 은 핵심IT분야와 단순직무분야 중 연구대상 직업훈련과정이 주력하고 있는 핵심분야에 훈련과 취업이 가능한 장애인에 대한 것이었다. 또한 핵심IT 전 문인력 요건에 근접한 장애인이라도 장기간 취업을 못했다거나 일반직업훈 련기관에서 훈련받기 어려운 사람이 연구대상에 포함된 것이다. ( 3 ) 연 구 대 상 훈 련 과 정의 특 성 2002년도 연구대상이 된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훈련과정에는 3D분야 맞춤훈련과정, 웹 프로그래밍과 인터넷 프로그래밍분야 정규훈련과정을 진 행하고 있었다. 3D분야에는 5명, 프로그래밍분야에는 3명이 배치되어 있었 다(2002년 4월 현재). 본 기관에서는 개인능력별 훈련과 수시 입학 및 수료 제도를 채택하고 있었다. 4명의 정보기술분야 직업훈련교사가 훈련을 담당 하고 훈련생 모집, 평가, 관련 서비스 제공 및 연계, 취업알선 등 직업재활 서비스의 지원을 받고 있었다. ( 4 ) 훈 련 생 의 사회 인 구 학 적 특 성 남자 5명, 여자 3명으로 총8명의 연구대상 훈련생들 연령은 만21세~34세 사이였다(표 I-1). 학력은 검정고시 고등학교 졸업 2명, 고등학교 졸업 1명, 대학중퇴 2명, 전문대졸 2명, 대학졸업 1명이었다. 장애유형은 청각장애인 1 명을 제외한 모든 훈련생이 지체장애 또는 뇌병변장애를 가지고 있었다. 본 훈련생들은 장애가 중증이기는 하지만 연령, 학력, 훈련경험이 취업과 매우 근접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면담 기록에서 보면 이들이 직업경력이 - 5 -
나 최종학교 졸업 후의 경험에서 안정적 취업에 매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궁극적인 목적은 정보기술분야에서 장기적으로 뚜렷한 기능과 직업을 갖고 안정된 생활을 하는 것이었다. 이는 본 연구대 상기관이 이들에게 직업훈련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 이유이 다. <표 I-1> 연구대상 훈련생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훈련생 만 수 석 숙 미 경 철 길 출생연도 1973 1968 1970 1971 1977 1981 1975 1977 성별 남 남 남 여 여 여 남 남 학력 대학중퇴 고졸 고졸 고졸 대학중퇴 대졸 (검정) (검정) 전문대졸 전문대졸 가족 자, 제 장애유형 지체 부모, 형8, 자3 지체 (뇌병변) 부모, 자, 제 지체 (뇌병변) 모 모 부모, 형 부모, 자2, 형 지체 지체 청각 지체 (상지) (뇌병변) 부모, 매2 뇌병변 장애정도 1급 3급 3급 3급 3급 2급 2급 3급 장애원인 낙상 사고 출생후 사고 질병 선천 성 골형성 뇌성마비 뇌성마비 부전 보장구 휠체어 X X X 보청기 휠체어 X X 희 망직종 정보기술 정보기술 정보기술 정보기술 정보기술 정보기술 정보기술 정보기술 훈련경험 O O O O X X O O 자격증 O O O O X O X O 직업경력 X O X X O X X O 2) 연구방법 2002년도 연구방법은 좀 더 구체적이고 실무적인 장애인 직업능력개발 모 형의 요소를 제시하기 위해 사례연구를 적용하였다. 연구대상 직업훈련과정 과 훈련생 8명에 대한 사례조사 및 적용이 실시되었다. 그리고 이의 내용이 기술되었다. - 6 -
3) 연구범위 본 연구의 범위는 장애인 직업훈련 체계의 모든 요소와 과정이다. 따라서 직업훈련분야 선정, 장애인 직업훈련기관 운영, 사례관리, 전체적 직업재활 서비스는 본 연구 범위에서 제외된다. 모형에서 제외된 영역들에 대한 언급 이 있기는 하지만 이것은 직업훈련과정과 직접 관련이 있는 내용만을 다룬 것이다. 4) 연구절차 ( 1 ) 2 0 0 1 년 중 증 장 애 인 직 업 능 력 개 발 모 형 검 토 2001년에 개발한 중증장애인 직업능력개발 기초모형에 대하여 포커스 그 룹을 대상으로 2002년 1월 2일~23일 사이에 의견을 조사했다(부록 1). 조사 대상은 사례적용을 실시할 기관의 직업훈련교사 10명과 사례관리자 2명이었 다. 이들의 상당수는 2001년 연구에 참여하였고 연구자와 수시 면담을 통해 비교적 원활한 의사교류가 가능한 대상이었다. 조사내용은 2001년 모형의 각 장면에 대한 장, 단점과 보완점에 대한 의견을 작성하는 것이었다. 내용 분석은 각 장면의 모든 의견을 정리, 요약하였다. 결론적으로는 조사내용을 근거로 모형을 재조정하고 연구의 틀로 적용하였다. ( 2 ) 간 담 회, 자 문 회 의 개 최 간담회와 자문회의 개최의 목적은 본 연구에 대한 방향과 의견을 수렴하 는 것이었다. 간담회에는 사례적용을 실시할 기관의 직업훈련교사 9명이 참 - 7 -
석하였다. 자문회의는 연구 초기와 말기 2차례 실시되었다. 외부 정보기술 또는 직업능력개발 전문가와 정보기술분야 사업체 직원, 직업훈련교사들이 참석하였다. ( 3 ) 공 동 연 구 정보기술분야 사례조사 및 적용의 타당성과 적절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보 기술분야 전공자이며 장애인 직업훈련 경력 12년인 교사(공과장)를 4월 22 일~12월 22일 동안 공동연구자로 위촉하였다. 공동연구자는 연구에서 정보 기술분야의 직무훈련 사례적용과 직업동향 분석을 담당하였다. 4차에 걸친 공동연구자 협의회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이 분석되었고 모형 적용의 적절성 을 연구자와 계속 점검하였다. ( 4 ) 연 구 참 여 자 동 의 본 연구의 참여자는 2명의 정보기술분야 훈련교사, 사례관리자, 8명의 훈 련생이었다. 훈련교사와 사례관리자는 연구목적을 위해 훈련현장과 훈련생 관련 자료들을 연구자에게 제공하였다. 훈련생은 2002년 연구기간동안 본인 에 대한 각종 자료수집과 전문가간의 연구결과 정보교류를 수락하였다(부록 2). ( 5 ) 소 협 의 회 운 영 사례에 모형 적용의 적절성, 방향, 조정을 확인하고 결정하기 위해 7차(3 월 8일~9월 10일)에 걸친 소협의회 회의를 하였다(부록 3). 소협의회 위원 - 8 -
은 공동연구자, 연구참여 훈련교사 2명, 사례관리자 1명이었다. 위원들은 여 기서 기존 훈련과정의 내용들을 설명하였다. 연구자는 모형의 내용을 지속 적으로 제시하고 현재의 훈련현황과 결과들을 근거로 모형의 현실성과 타당 성을 협의하였다. 협의 결과에 따라 훈련교사, 사례관리자는 훈련생의 훈련 진행과 훈련적응에서 필요한 조정과 직업재활 서비스 지원을 하였다. ( 6 ) 훈 련 생 사례적용 연구대상 훈련생에 대한 모형 적용은 연구참여자가 동의한 4월 16일부터 종합분석이 끝난 11월 6일까지 실시되었다. 연구대상 훈련생들의 훈련진행 과 훈련적응 현황을 추적하였다. 또한 모형에서 제시하는 요소와 과정을 공 동연구자, 직업훈련교사, 사례관리자와 지속적으로 협의였다. 연구자는 연구 기간 내내 수시로 훈련장면(정보기술, 특별활동, 생활실습)을 관찰, 기록하고 훈련생과의 대화를 하였다. 또한 직업준비훈련의 영어수업을 실시하여 훈련 생들의 훈련진행과 적응현황을 직접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최대화하였다. ( 7 ) 2 0 0 2 직 업 능 력 개 발 W o r k s h o p 개 최 9 월 27 일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의 발전 방안(고용개발원 연 구실, 2002) 을 주제로 2002 직업능력개발 Workshop을 개최하였다(부록 4). 목적은 첫째, 연구의 현장성을 제고하고 실무자 및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다. 둘째, 사례조사중인 정보기술분야의 장애인 취업 및 직업 훈련 현황과 전망을 현장 data 중심으로 논의하는 것이다. 주요 결론은 첫 째, 직업능력개발 장애인의 직업 정보기술직종을 함께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었다. 둘째, 정보기술분야의 유망 직종인 핵심IT전문분야에 대한 장애 - 9 -
인 직업훈련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셋째, 공단에 서비스를 요구하는 장애 인들의 특성에 맞는 정보기술분야 훈련 또는 취업직무개발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 8 ) 2 0 0 2 년 중 증 장 애 인 직 업 능 력 개 발 모 형 장기적으로 다양한 연구요소와 방법을 통해 중증장애인 직업능력개발 모 형이 제시되었다. 모형의 기본 원칙과 세부장면의 내용 및 협의진이 구체화 되었다. 5) 연구의 신뢰성 본 연구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전문가와 훈련교사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회의와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의에는 간담회, 자문회 의, 소협의회, 공동연구자 협의회, 워크숍 등을 연구기간 내내 개최하였고 그 결과는 모두 문서화되었다. 또한 포커스 그룹 의견조사를 통해 2001년도 모형에 대한 직업훈련교사와 사례관리자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특히 다양한 의견수렴과 함께 훈련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대상 훈련생, 교사, 사례관리자와 교류하였고 이들의 훈련진행 및 결과 자료를 수집하였 다. 소협의회에서는 사례적용에 가장 밀접한 전문가간 협의를 통해 보다 구 체적으로 모형의 적용 방향과 조정이 수행되었다. - 10 -
II. 2001년 중증장애인 직업능력개발 모형 본 장에서는 2001년에 개발된 중증장애인 직업능력개발 모형(육주혜 외, 2001)을 소개한다. 그리고 포커스 그룹의 모형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분 석하였다. 그리고 이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틀을 도출하였다. 2001년도 6개 노동부 산하 장애인 직업전문학교 현황 조사를 근거로 제시 한 기본 모형과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2 0 0 1 년 모 형 모형에는 직업평가 정보 입수, 직업적 설계, 직업준비, 의료/사회/교육재활 지원 프로그램, 기술훈련, 단순직 훈련, 향상훈련, 구직활동으로 연계가 포함 되었다(그림 II-1). 1) 직업평가 정보 입수 장애인의 직업평가에는 기초평가와 확대평가로 나눌 수 있다(박석돈, 1999). 기초평가에서는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 소지 여부를 판단, 직업적 강점과 제한점의 영역을 발견하는 단계이다. 확대평가는 장애인의 직업관련 강점과 제한점에 대해 좀 더 세부적인 평 가와 훈련생 및 보호자와의 협의, 가능한 선택들에 대한 정보 제공을 통해 대상 장애인이 취업을 할지, 학업을 계속 할지, 직업훈련을 받을지, 안정적 생활환경 확보가 우선 과제인지에 대한 결정을 하게 된다(Wehman & Targett, 1999). - 11 -
직업평가 정보 입수 직업적 설계 직업준비훈련 의료, 사회, 교육재활 지원 프로그램 기술훈련 단순직 훈련 향상훈련 구직활동으로 연계 [그림 II-1] 2001년도 중증장애인 직업능력개발 모형 2) 직업적 설계 직업평가에 대한 협의 후 직업적 설계에 의뢰된 훈련 대상자는 직업적 설 계 담당자와 함께 희망직종에 대한 구체적 적성 및 훈련가능성, 취업연계의 기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계획을 세우게 된다(Test, Wood, Browder, & Algozzine, 2000). 직업적 설계 담당자는 계획의 수립 시 전공훈련분야 교사 들로부터 전공훈련 내용을 파악/협의하고 구직활동 담당자로부터 훈련 대상 의 적성 및 희망직종 관련 사업체 동향 및 정보 분석을 실시한다. 사업체 검토는 직업기술서, 직장환경의 특성, 요구되는 작업, 직업관련 작업들의 내 용이 포함된다(Wehman & Targett, 1999). 직무에 필요한 기능 및 학습능력 분석은 직종 및 직무명, 정보 입수 추천 사업체, 해당 직종 근로자의 흥미 및 선호도 요구, 기능 및 능력 요구 수준, 사업체 방문 관련 사항과 같은 내 용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 12 -
3) 장애인 직업훈련 ( 1 ) 직 업 준 비 훈 련 직업준비훈련의 목적은 직업훈련에 필요한 기초학습(문자이해, 수학, 영 어, 컴퓨터 기초), 의사소통, 정서 사회적 행동 등에 대한 훈련이다. 훈련생 이 직업준비훈련이 필요한지의 여부는 직업준비훈련 담당자와 직업훈련 교 사와의 협의에 의해 결정된다. 직업준비훈련의 계획은 직업훈련 교사와 협의하며 내용은 해당 훈련분야 에서 필요로 하는 준비훈련을 받게 된다. 이 때 직업평가 보고서, 직업적설 계 보고서를 근거로 하여 직업훈련 교사와 협의하여 훈련생의 직업준비훈련 장 단기 교육목적, 가능한 기간, 예정된 다음 단계의 훈련과정(전공과 또는 단순직무훈련), 기술훈련 또는 단순직무훈련으로 의뢰될 수 있는 평가 기준 을 계획한다. 또한 훈련생이 직업준비훈련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따로 집중적으로 하지 않고 직업훈련교사가 직업훈련 중에 함께 병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도 파악한다. 이런 경우에는 직업준비훈련 과정에서 사용되는 자료와 정보 를 직업훈련 교사에게 제공하고 지속적인 지원을 한다. 그리고 직업준비훈 련을 직업훈련과 병행하다가 따로 집중적인 준비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 었을 때는 다시 직업준비훈련 과정으로 의뢰할 수 있다. ( 2 ) 기술훈 련 기술훈련의 목적은 특정 직종분야에 취업하기 위해 지적/학습능력이 있는 장애인에 대한 양성훈련을 하는 것이다. 기술훈련은 크게 기초직무, 세부직 - 13 -
무, 실무훈련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직업훈련 교사는 직업평가 보고서, 직 업적설계 보고서를 근거로 하여 훈련생의 장 단기 교육목적, 가능한 기간, 직업준비훈련 필요성 여부, 세부직무훈련 단계로 진행할 수 있는 수행 결과 기준(평가) 등을 구체적으로 기록한다. 그러나 지나치게 세부적인 계획은 훈 련생의 훈련 진행에 따라 훈련 과정을 융통성 있게 구성한다는 개별화 교육 의 근본 취지와 어긋나므로 위에서 제시한 직업훈련 계획과 훈련이 진행되 면서 훈련생이 수행한 결과물들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기록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기초직무훈련 단계에서는 훈련 직종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공통의 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세부직무훈련 단계로 훈련을 진행할 수 있는 기반을 형성하고 세부직무단계에서 어느 분야에 적성이 있는지 결정할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최영미, 2001). 기초단계에서 훈련생의 수 행평가 결과들을 근거로 세부직무훈련, 단순직무훈련, 직업준비훈련, 또는 직업적 설계 단계로 의뢰할 수 있다. 세부직무훈련 단계에서는 같은 전공과에서도 세부분야로 나뉘어 진다. 기 초단계에서 세웠던 훈련생의 장 단기 교육목적, 가능한 기간, 실무단계로 진행할 수 있는 수행 결과 기준(평가) 등의 기록을 훈련생의 기초단계 수행 평가를 근거로 수정한다. 세부직무 단계에서도 훈련생의 과제 결과들에 대 한 지속적인 평가의 수집 및 분석이 필요하다. 실무훈련에서는 구직활동 담당자와 협의하여 사업체와 연계하고 사업체에 서 요구하는 내용의 교육과정을 편성하거나 경력이 되는 사업체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실무훈련에서 교사는 훈련생의 훈련성과와 가능한 직무분 야에 대한 기록을 작성하고 구직활동 담당자와의 긴밀한 협의로 가능한 사 업체에 대한 정보를 교류한다. 마지막으로 훈련생은 구직활동 프로그램으로 의뢰된다. - 14 -
( 3 ) 단순 직 무 훈 련 단순직무훈련의 목적은 기술훈련을 받기 어려운 지적/학습능력을 가진 장 애인을 대상으로 직종분야와 상관없이 훈련생이 할 수 있는 직무에 대한 양 성훈련을 하는 것이다. 단순직무훈련에서는 기초단계와 현장훈련단계로 나 누어 훈련 과정이 편성된다. 기초단계에서는 기본적인 직업생활, 단순직무 훈련을 받게 된다. 기초단계를 진행하면서 교사는 구직활동 담당자와 협의 하여 훈련생에게 적합한 현장훈련 사업체를 찾는다. 현장훈련 사업체가 정 해지면 사업체 정보와 훈련기간, 훈련시간 및 장소, 훈련직무 등을 문서로 기록한다. 현장훈련 시 훈련교사는 구직활동 담당자와 협의하여 현장훈련 장소에 교대로 방문하여 훈련생의 현장적응을 훈련하고 수행수준을 모니터 및 평가한다. 훈련생의 일상생활 및 직업생활적응훈련은 기초훈련, 현장훈련 과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훈련생의 현장훈련 결과를 문서로 작성하여 구직활동 담당자에게 제시하고 훈련생을 구직활동 프로그 램으로 의뢰한다. 신체적 장애나 문제행동이 심하여 훈련이나 취업이 어려운 경우에는 이러 한 상황을 문서로 기록하고 직업적 설계 담당자, 직업준비훈련 담당자, 의료 /사회/교육재활 지원 담당자와 협의하여 훈련생이 가장 시급하게 받아야할 서 비스를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의뢰한다. 이러한 모든 과정에 훈련생과 그 보호자와의 협의가 필요한 것은 물론이다. ( 4 ) 향 상 훈 련 향상훈련의 목적은 현재 재직하고 있는 근로자나 해당 분야 직업경력이 - 15 -
있는 사람이 특정 직무에 대해 단기간 훈련을 요구할 때 제공되는 것이다. 향상훈련은 또한 사후지도의 한 부분이 될 수 있다. 양성훈련을 받아 취업 한 훈련생 중에 향상훈련을 요청하는 경우 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 이다. 향상훈련의 경우 훈련생이 훈련 프로그램을 알고 해당 프로그램에 신 청한 것이기 때문에 따로 세부적 교육계획이 필요하지 않다. 향상훈련의 평 가는 훈련생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향상훈련 과정 수립 시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5 ) 훈 련 생 의 사회 성 및 대 인 관 계 훈 련 훈련생의 사회성 및 대인관계 훈련은 준비훈련과 양성훈련 전 영역에 걸 쳐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훈련 지도계획을 세울 때 개별적으로 하 는 과제와 그룹으로 하는 과제의 적절한 분배 또는 개별적으로 과제를 하여 도 동료와 협력학습 할 수 있는 수업구조가 필요하다. 그래서 훈련생들이 직무를 배우면서도 함께 일하는 환경에 대한 인식과 그로 인해 사회성의 향 상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4) 구직활동으로 연계 구직 활동의 목적은 훈련생의 구직기술을 신장시키고 취업과 연결하는 것 이다. 구직 활동 담당자는 훈련교사와 훈련생들과의 긴밀한 정보교류 및 의 사소통으로 가장 적합한 사업장에 훈련생들을 배치하고 그 적응을 돕는다. 사업체와의 연계, 관계의 유지, 사업체 정보 DB구축, 사업체 개발 등을 통 해 훈련생들의 취업 기회를 확보하고 확장하는데 가장 큰 역할이 있다. - 16 -
2. 모 형 에 대 한 의 견 조 사 앞에서 소개한 2001년도 중증장애인 직업능력개발 모형은 실무자와 각계 전문가의 견해를 충분히 고려하여 구성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의 타당성을 재검토하기 위해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2002년 1월 13일~23일 사 이에 포커스 그룹 의견조사를 하였다(부록 1). 의견 조사 대상의 실무자들은 중증장애인 직업능력개발 모형(I) 을 읽은 후 모형 각각의 장면 또는 총체 적으로 장점, 단점, 보완점에 대한 답변을 수집하여 연구자가 내용을 정리하 고 분석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의견 제공자 한 직업훈련기관의 교사 10명과 사례관리자 2명이 본 의견조사에 참여하 였다. 본 훈련교사들은 2001년 중증장애인 직업능력개발 모형 개발 과정에 참여하여 모형의 내용을 비교적 가깝게 접하였다. 직업훈련교사들의 훈련분 야는 정보기술, 전산응용기계설계, 전자기기, 실무작업으로 4개의 분야였다 (표 II-1). 정보기술, 전산응용기계설계, 전자기기분야의 훈련교사는 대부분 해당분야의 전공자이며 실무작업의 훈련교사와 사례관리자는 대부분 장애관 련 분야 전공자이다. 훈련교사들은 전공분야 일반직업교육과 사업체 근무경 력이 있는 인력들이었다. - 17 -
<표 II-1> 모형에 대한 의견 조사 대상 훈련교사 사례관리자 정보 훈 련 직 무 / 서 비 스 담 당 자 평 균 연 령 일 반 직 업 교 육 경 력 ( 명, 기간 ) 장 애 인 직 업 교 육 경 력 ( 명, 기간 ) 사업 체 / 장 애 인 기관 근 무 경 력 ( 명, 기간 ) 정보기술( 4 명 ) 정보기술, 웹마스터, 웹디자인, 웹프로그래밍 전 산 응 용 사례관 리 기계 설 계 ( 1 명 ) 전 자 기기( 2 명 ) 실 무 작 업 ( 4 명 ) ( 2 명 ) 기계설계 마이크로 프로세서, 컴퓨터제어, 전자캐드 환경미화, 단순조립포장 사례관 리 만 32세 만 32세 만 25세 만 32.5세 만 32세 3명, 1년 6개월 ~9년 4명, 1년 5개월~ 10년 11개월 2명, 1년 6개월 ~ 2년 1명, 2년 1명, 6년 2명, 1개월~6개월 2명, 1년 9개월 ~ 2년 1개월 1명, 4년 4명, 9개월 ~ 7년 8개월 2명, 5년 ~ 5년 3개월 2명, 4년 6개월 ~ 9년 2) 2001년 모형에 대한 의견 분석 이들 12명의 훈련교사와 사례관리자가 기술한 모형에 대한 의견을 나열하 면 다음과 같다. ( 1 ) 직 업 평 가 1 장점 잠재력 및 요구 파악을 통해 학습동기 강화 훈련 대상의 객관적 자료제공 훈련 대상에 대한 기본사항 및 수행가능 사항 파악 - 18 -
의료, 작업, 심리 등의 직업수행 외적인 사항 파악 확대평가를 통한 훈련생에 대한 이해도 향상 기능과 사회성훈련 가능성 판단용이 전문가 간 지속적인 의사소통방법 제시 2 단점 단기간 정확한 정보입수 곤란 책임 있고 주도적인 평가 부족 현장평가 결여 희망과 적성 조정 미비 평가도구, 측정 영역, 측정결과 해석에 대한 내용 미비 표준화된 평가에 의한 정확한 데이터 입수 과정 부족 3 보완점 직업평가 담당자의 사업체 혹은 산업체 요구 인식 현장평가 적정한 기간의 관찰 평가도구의 표준화로 정확한 수치 및 의미 파악 구체적이고 용이한 평가도구 개발 훈련 대상자의 배경자료 수집 및 분석 ( 2 ) 직 업 적 설 계 1 장점 가능성 탐색 및 시도를 통한 수준별 교육 가능 - 19 -
다양한 측면에서의 평가로 결과가 비교적 정확 장애정도에서 가능한 직무 파악 희망과 적성을 고려한 직종선택 및 동기유발 선택 직종 정보 입수로 직업의 확실한 이해 맞춤훈련 가능 평가에 근거한 특정분야 집중훈련 가능 장애인의 직업욕구 파악 및 대안 제시 훈련기간에 대한 개별적 설계로 안정적인 훈련 가능 2 단점 희망 직종과 적성 직종이 다를 경우 조정 과정 미비 탐색과 기본훈련 기간이 부족 정서적 문제가 훈련 중에 발견됐을 때 조정 미비 장기목표의 고정 단기적 직업적 설계 결여 학업연장, 직업훈련, 생활안정 확보/병행 결여 전문분야 간 협조 방법 결여 새로운 직업훈련 직종 개발에 대한 과정 결여 3 보완점 사업체의 직무에 대한 정보수집 및 정보제공 강화 관련 전문가, 가족/보호자, 훈련 대상자 협의체제 강화 훈련 대상자의 주체적 결정 지원 적정 기간의 관찰과 자료수집 선행 해당직무 학력, 나이, 성별 고려한 직업설계 - 20 -
다양한 직업적 설계 가능한 전문가 필요 다양한 직업군 및 직종에 대한 정리 ( 3 ) 직 업 준 비 훈 련 / 재 활 프 로 그 램 1 장점 직업훈련 장애 요인 최소화 의사소통, 정서 사회적 행동훈련 직업훈련 시간지연 방지 2 단점 영역이 방대하고 장기간 소요 교육과 재활복지의 주업무 기관의 역할 미흡 구체적인 적용 방안 결여 학습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훈련생의 직업준비훈련 장기화 우려 3 보완점 수요자의 직업적 재활을 위한 총체적 접근 필요 Pre-school 또는 입학자격 인증제도 도입검토 정서문제에 대한 심리재활 프로그램 제공 가족과 훈련생과의 이해관계형성 프로그램 제공 인성교육 다양한 사회활동에 대한 지원 - 21 -
( 4 ) 기술훈 련 1 장점 대상에 적합한 교육을 통한 직업인 양성 세부적 목표는 학습시 용이 직업생활과 기능훈련에 필요한 교양훈련은 긍정적 다양한 훈련 가능 장 단기 목표설정으로 훈련생의 수준에 맞는 훈련 2 단점 치열한 경쟁, 심리적 불안 등의 요소 발생 지나치게 개별직무중심 실무훈련, 현장훈련의 미흡 획일성 내포 다양한 훈련모형 실례 부족 사회활동, 체육 등 인성훈련 프로그램 미비 전공시수 과도 3 보완점 고용창출 혹은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 과제수행에 대한 단계별 교사-훈련생 협의 지원 단계별 훈련결과에 따른 전문기술과 단순직 교육과정 선택 체계 확보 개별직무능력의 배양보다 직업적응능력배양 업체와 현장훈련 및 현장실습 강화 - 22 -
다양한 직종에 대한 언급 ( 5 ) 단순 직 무 훈 련 1 장점 단순직무훈련의 영역 인정 현장훈련 기술훈련 어려운 훈련생 취업 연계 2 단점 직업생활적응훈련, 사회성, 교양, 체육 등 미흡 기초훈련 직후 현장훈련은 종합적 직무수행 한계 초래 정서문제 대처 절차 결여 현장훈련과 훈련장 훈련 병행 결여 지나친 단순화 단순직무훈련이 훈련생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은 아님 3 보완점 다양한 직무 및 프로그램의 개발과 유연한 실행을 위한 인력 확보 실질적 현장훈련 출퇴근 능력, 단독 취사 및 신변처리 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취업만을 위한 교육훈련에 대한 제고 체계적인 현장훈련과 훈련장 훈련 제공 교사의 현실성 있는 시간 배정 - 23 -
다양한 직종에 대한 정보 입수 ( 6 ) 향 상 훈 련 1 장점 지속적 능력개발을 통한 고용능력 향상과 근로의욕 고취 단기적, 집중적 산업현장 직무훈련 재직근로자에게 교육기회 제공 현장 근로자의 신기술 요구 충족 2 단점 다양한 훈련분야별 강사인력 및 강사비용 현실화의 어려움 현재 장애인근로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미구축 실제 수요는 소수 근무 시간 중 향상훈련에 대한 사업체의 이해도 낮음 업체의 요구내용 파악 경로 결여 사업체의 요구 시 훈련생의 능력 평가 없이 훈련 3 보완점 향상훈련에 대한 지침 작성 실적 인원수 폐지 전문적이고 정확한 수요조사를 위한 인력 확보 맞춤훈련 외부강의 활용 검토 산업현장 검토에 의한 교육과정 개설 - 24 -
업체의 적극적 참여 유도(홍보의 필요성에 대한 직원교육) ( 7 ) 구 직 활 동 1 장점 구직활동 업무영역의 심화 사업체와 유기적 관계 강화 사업체 특성 데이터베이스 확보 전문 구직프로그램 운영 가능 현재 필요 노동인력 파악 훈련생의 기능, 능력, 환경 등 고려한 취업연계 가능 2 단점 담당자의 잦은 교체로 업무의 효율성 저하 우려 수료시점에서의 단기 구직활동의 효과성 의문 수료생 본인의 주체적 구직 능력 향상 프로그램 결여 장애인근로조건과 산업체요구의 제시 결여 구인 조건 분석 미흡(예, 업체의 초대졸 이상 인력 선호 현상) 지방사무소의 취업알선과 별개로 진행 3 보완점 구직활동을 직업설계부터 진행 지사가 사업체 동향 및 요구사항의 반영 통로가 될 수 있도록 역할 강화 훈련교사, 사례관리자, 취업담당자, 훈련생간의 긴밀한 - 25 -
협조-책임의 분배 훈련생이 스스로 구직활동 할 수 있도록 지원 구직활동 담당자의 직종 분야별 이해 필요 ( 8 ) 전 체 / 기타 사항 1 장점 긴밀한 협조를 통한 업무 전문성 제고 책임 있는 재활서비스 구현 정확한 데이터를 사용한 계획과 적용 훈련 대상자에게 적합한 서비스 가능 2 단점 단기간 내 모형의 평가는 곤란 문제점 발생시 대안 제시 미흡 각 단계 기간 연장시 비용증가 단계간 훈련 중복 현장중심 훈련모형 아님 취업만을 위한 훈련의 한계(경증장애인에 대한 훈련 강조의 가능성) 단계별 구체적인 절차 결여 장애유형별 모형 아님 3 보완점 총괄운영능력 가진 전문가양성 - 26 -
직업훈련에 대한 필요성 & 인식 개선 상명하복 조직문화의 경직성 노동시장의 변화에 따라 훈련과정에 신속히 반영 훈련기관별 교육대상 조건 다양화 구직으로 연결되지 않은 훈련생에 대한 진로 방안 제시 더욱 구체적 모형 제시 직종별, 장애유형별 모형 제시 ( 9 ) 모 형 의 견 조 사 요 약 앞에서 나열한 의견들을 요약하면 <표 II-2>와 같다. <표 II-2> 모형 의견조사 요약 직업능력개발 장면 직업평가 직업적 설계 직업준비훈련/ 재활프로그램 기술훈 련 단순직훈련 향상훈련 구직활동 전체/기타 장점 단점 보완점 희망, 기능, 적성의 객 직업평가의 구체적 적정한 평가기간, 관적 자료 확보 도구와 내용 결여 표준화 도구개발 희망직종과 적성직종 담당자, 훈련 대상자, 자료를 통한 간의 의견 차이 조정 가족과 정보 교류 및 직업/직종의 이해 절차 미흡 긴밀한 협의 체제 직업훈련의 효과 강화, 총체적 서비스 방대한 영역 다양한 정서 사회적 활동 지원 훈련생 수준에 맞는 실무훈련 미흡, 실무훈련 강화 다양한 형태의 훈련 다양한 사례 부족 다양한 직무 및 프로 현장훈련과 훈련장 현장훈련 그램 개발과 실행을 훈련 병행 결여 위한 인력확보 평생직업훈련을 통한 지속고용, 근로의욕 고취 구직활동 업무의 심화 전문가간 의사소통 강조 향상훈련 여건 개선 방안 결여 수료생의 능동적인 구직활동 기회 결여, 지사와의 연계 희박 각 장면의 구체적 절 차 및 내용 결여 수요조사와 사업체의 참여 유도 실시를 위한 인력확보 직업적 설계부터 구직활동 실시 고용환경에 현실적 대처, 효율적 훈련체계와 환경 - 27 -
3. 2 0 0 1 년 모 형 에 대 한 종 합 분석 2001년의 모형에서 보완되어야 할 점은 직업훈련, 직업재활 서비스, 노동 시장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그래야만 각 역할간의 연계가 성립되기 때 문이다. 따라서 직업훈련의 요소만을 우선 구성하고 이에 직접 연계되는 노 동시장 변화의 반영과 직업재활 서비스의 지원을 구체화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하였다(표 II-3). <표 II-3> 2002년 장애인 직업능력개발 모형 연구의 틀 노동시장 동향분석, 사업체 방문, 직무분석 직업훈련 기본 직업훈련과정 직업훈련 대상 결정 개별 훈련생 능력을 고려한 직업훈련 훈련결과분석 수료이후 지도 직업재활 서비스 지원 이에 따라 사례 적용 직업분야인 정보기술분야 노동시장과 장애인 직업능 력개발의 배경 및 현황을 다음 III, IV장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 28 -
III. 정보기술분야 노동시장 정보기술 산업의 발달은 우리 사회 전반에 대해 많은 부분의 변화를 가져 오고 있을 뿐 아니라 개인의 가치관에까지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다. 언어 소통이 힘든 장애인은 e-mail, 채팅 등을 통하여 장거리에 있는 사람과 의 사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중증장애인의 경우에는 간단한 기기조작으 로 표현하고자하는 말이 화면에 나타나기도 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미 국 등 여러 국가에서는 사람 눈의 홍채와 같은 인체를 이용하여 생활기기, 컴퓨터 등을 조작하는 방법의 연구가 이미 상당히 진행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기술 산업의 발달은 조직체간의 정치, 사회 등에서 장벽이 허물어져 개 방화를 촉진하고 있으며, 세계가 하나의 망으로 연결이 되어 세계화를 촉진 시키고 있다. 1. 정보기술( In f o r m a t i o n T e c h n o l o g y ) 과 정보산 업 정보기술이란 정보화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유형 무형의 모든 기술과 수단을 아우르는 정보통신 용어이다 (empas 백과사전). 이를 설명하자면, 조선 철강 자동차 섬유 등 기존의 제조업이 직접적인 유형 가치를 창출 하는 데 중점을 두는 반면, 정보기술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인터넷 멀티 미디어 경영혁신 행정쇄신 등 정보화 수단에 필요한 유형 무형기술을 아 우르는, 즉 간접적인 가치 창출에 무게를 두는 새로운 개념의 기술이다. 따 라서 업무용 데이터, 음성 대화, 사진, 동영상, 멀티미디어는 물론, 아직 출 현하지 않은 형태의 매체까지 포함하며, 정보를 개발 저장 교환하는 데 필요한 모든 형태의 기술까지도 망라한다. 정보통신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정보혁명 을 주도하는 기술이 나타 - 29 -
났는데, 이것이 바로 정보기술이다. 이로 인해 비약적인 생산 효과를 거둠으 로써 전 세계적으로 이 정보기술 개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두산세계대백 과 EnCyber). 정보산업은 정보의 가치 가운데서 특히 정보의 상품적 가치 를 부각시켜 모든 정보유통분야에 자본과 경영, 전문인력과 연구개발 등을 투입하여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산업조직(empas 백과사전)이며, 현대사 회에 있어서 정보화 현상은 지금까지의 물질과 에너지라는 유형자원의 가치 부여가 정보라는 무형자원으로 전가되는 과정이었다. 그러한 정보의 가치는 상업적 가치와 개인적 가치 및 공공적 가치로 분류된다. 상업적 가치는 정 보의 상품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서적 신문 방송 등의 미디어산업에서 보 는 바와 같은 정보의 상품화를 말한다. 특히 오늘날 미디어기술의 발전과 함께 사회체제의 미디어 의존도가 더욱 높아지면서 정보를 팔고 사는 경제 활동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개인적 가치는 특허나 저작권과 같이 정보의 가치를 개인 자산의 성격으로 규정하여 법으로 보호하고, 기업이나 개인의 사생활에도 적용하여 사적 정보가 외부의 남용에 의해 초래될 수 있는 불이 익으로부터 보호받을 권리를 의미한다. 공공적 가치는 도서관 문화원 미 술관 박물관 등의 공공시설에서 누구나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 되며 언론의 자유, 의사 표현의 자유, 정보접촉과 이용의 자유 등 자유로운 정보유통체제가 확립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를 의미한다. 그 내용은 첫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기기 및 그 부분품을 제조하는 정보기기 제조업 이고 둘째는 정보의 처리 가공을 최종상품으로 하는 정보처리에 관 한 여러 공업 또는 정보통신 서비스업 으로 크게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정 보기기에는 컴퓨터 및 그 주변기기와 통신기기 및 그 부분품 등이 포함되므 로 광의로는 전자산업에 속한다고도 볼 수 있으므로 정보기기 제조를 중심 으로 하는 정보산업을 전자산업과 동일시하기도 한다. 한편 산업발전 초기단계에서 정보처리에 관한 여러 공업의 발달은 정보기 - 30 -
기의 여러 기술개발이 선행되어야 가능하였으나, 최근에 와서는 반대로 소 프트웨어의 혁신적인 기술개발에 따른 정보처리기술의 발전이 정보기기의 발전을 유도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정보산업은 이와 같이 정보의 수집 축적 처리 검색 전송 이용 등 정보유통의 모든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 는 반도체, 각종 컴퓨터 장비, 정보기기, 소프트웨어, 위성통신을 포함하는 전자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 등 핵심적인 첨단자동화 기기들이 포함된다. 정 보산업체는 정보를 높이고 수익을 증대시키기 위한 개인적 또는 기업적 경 제활동을 영위한다. 따라서 현대 정보화사회에 있어서 정보는 화폐가치가 매개되는 거래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 값의 결정은 수요공급의 법칙에 따 라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경제행위에 따르고 있다. 오늘날 미국 일본 유럽 공동체 등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은 정보기술의 생산 및 정보산업을 중심으 로 자국의 산업과 경제를 세계 경제시장으로 확대하는 데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유형, 무형의 정보기술은 인간의 사회생활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음은 물 론이고 모든 학문 및 기술(technology)분야에서의 첨단연구를 가능케 하면 서 새로운 지식창출과 기술혁신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정보기술은 기업의 조직경영에 있어서도 성과요인으로서 그 전략적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 다. 2. 정보통 신 산 업 과 정보통 신 직 업 여기서 서술하는 정보통신 산업과 정보통신 직업 의 내용은 본 연구와 관 련한 정보기술분야 인 력 수 급 전 망(홍정완, 200 2) 과 정보통신인력의 특성, 수급실태 및 전망(권남훈 외, 2001) 을 요약, 정리한 것이다. - 31 -
1) 정보통신 인력의 구분 정보통신 인력은 크게 산업과 직업의 두 가지 차원에서 나눌 수 있다(그 림 III-1).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 의 경우는 전체 산업의 종사자 중에서 통 상적으로 정보통신 산업으로 분류되는 산업에 종사하는 인력을 의미한다. 반면, 정보통신 직업 종사자 로 분류되는 인력은 산업이 아닌 직업에 따라 서 분류하는 방식으로 정보통신 관련 기술과 전문 지식의 보유 및 활용 여 부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이들 중 어떠한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 한 가는 인력을 정의하는 목적과 깊은 관련이 있을 것이다.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 의 경우 정보통신 산업에 대한 각종 통계적 지표에 수반하는 것으로 서 범위가 비교적 명확하다. 전산업 종사자 정보통신직업종사자 핵심IT전문인력 정보통신산업종사자 [ 그림 III-1] 정보통신 인력에 대한 정의들 간의 관계 출처: 권남훈 외(2001, p. 46). 정보통신 인력의 특성, 수급실태 및 전망. 정 보통신정책연구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들이 어떤 산업에 종사하게 되든지 정보기술 직무로 취업하는 것을 초점으로 한다. 따라서 정보통신직업 종사자 의 개념, 핵심 IT 인력 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 32 -
< 표 III-1> 한국표준직업분류(1992) 상의 정보통신 직업 재분류 직 종 직 업 재분류 2131 컴퓨터시스템 설계가 및 분석가 컴퓨터 전문직 2132 컴퓨터 프로그래머 2139 달리 분류되지 않은 컴퓨터 전문가 3121 컴퓨터 보조원 3122 컴퓨터 조작원 중저급 컴퓨터 4112 워드프로세서 및 관련 조작원 관련직 소프트웨어 4113 자료입력기 조작원 4114 계산기 조작원 1227 사업서비스업 생산 부서 관리자 1236 전산 업무 부서 관리자 기타 정보통신 1317 사업서비스업 종합관리자 관련직 2432 사서 및 관련 정보전문가 및 관리직 1226 운수, 창고 및 통신업 생산 부서 관리자 1316 운수, 창고 및 통신업 종합관리자 생산, 조작 및 정비직 전자 및 통신 기술직 7244 전신, 전화 설치원 및 서비스원 3132 방송 및 전기통신장비 조작원 7242 전자설비원 7243 전자 정비원 및 수리원 7245 전기 배선원, 수리원, 및 케이블 접속원 8283 전자 장비 조립원 2144 전자 및 통신 기술자 3114 전자 및 전기통신공학 기술공 주: 직종분류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재분류한 것임. 통신 정보통신 기기 출처: 권남훈 외(2001, p. 52, 222). 정보통신 인력의 특성, 수급실태 및 전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한국표준직업분류(1992)에 의하면 정보통신 직업을 컴퓨터 전문직, 중저급 컴퓨터 관련직, 기타 정보통신 관련직 및 관리직, 생산/조작 및 정비직, 전 자 및 통신 기술직으로 나누었다(표 III-1 ). 그러나 이 분류는 너무 세세하 고 오래된 분류 기준이므로 22개 직업을 소프트웨어, 기기, 통신의 3개의 직 업군으로 다시 분류하였다. 그리고 핵심 IT 인력 은 정보통신 보유기술이 아니라 업무의 성격에 따라 정보전략기획 및 컨설팅, 시스템 분석 및 통합, 웹 개발 및 관리, 네트워크 설계 및 관리, 데이터베이스 개발 및 관리, 프로 - 33 -
그래밍 및 SW 엔지니어링, 기술 지원, 디지털 미디어 제작자로 분류하였다 (표 III-2). < 표 III-2> 핵심 IT 인력의 구분 직무유형 주요 업무 또는 직책 -기업의 CIO (Chief Information Officer) 및 경영정보 정보전략기획 및 컨설팅 관련 책임자 (IT Strategy & -기업 환경의 분석 평가, 정보화 비전 및 전략 수립 Consulting) -프로세스 진단 및 설계 -정보시스템 감사, 감리 시스템 분석 및 통합 (Systems Analysis and In t eg ra t ion ) 웹 개발 및 관리 (인트라넷용 포함) (Web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네트워크 설계 및 관리 (Network Design & Administration) 데이터베이스 개발 및 관리 (Database Development and Adminstration) 프로그래밍 및 SW 엔지니어링 (Programming/SW Engineering) 기술 지원 (Technical Support) (음향, 그래픽, 비디오 등의) 디지털 미디어 제작자 (Digital Media) -고객 요구 사항 정의 -시스템 솔루션 결정 -시스템 구성 및 상호 연동을 위한 지침 제공 -시스템 실행 -웹 컨텐트 및 기술 분석 -웹 어플리케이션 및 사이트 개발 -시행 및 유지, 보수 -웹 환경의 관리 (웹 HW 및 SW 관리, 서버 관리 등) -네트워크 분석 및 설계 -네트워크 구성, 실행 및 테스트 -네트워크 모니터링, 관리 및 유지 보수 -데이터베이스 분석, 설계, 개발 및 실행 -관리, 유지 및 보안업무 수행 -DB관련 고객서비스 (지원/사용자 훈련 기획 및 제공 등) -요구 분석 및 Structure 개발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프로그램 실행 테스트 인증 및 출시 -문제해결 -설치 및 고객서비스 -HW 및 SW 설치, 구성 및 업그레이드 수행 -시스템 운영, 모니터링 및 유지 보수 -고객요구, 작업 컨셉트, 소요경비 등 분석 -미디어 종류 및 전달 플랫폼결정, 기초설계 및 스토리 보드 완성, Tool 결정 등 -미디어 제작, 테스트 및 실행 출처: 권남훈 외(2001, pp. 160-161). 정보통신 인력의 특성, 수급실태 및 전 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34 -
2) 기업의 핵심 IT 인력 수급 실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핵심 IT 분야의 전문 인력은 2000년 9월 현재 538,241명으로 추정된다(표 III-4). 직종별로는 프로그래밍 및 소프트웨어엔지니어링이 27.3%, 데이터베이스 개발 및 관리가 16.1%, 기 술 지원이 13.5%, 웹개발관리가 13.4%, 시스템 분석 및 통합이 10.8%, 네트 워크 설계 및 관리가 8.9%, 디지털 미디어 제작이 0.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표 III-3> 핵심 IT 인력의 규모 추정(2000년 9월 기준) (단위 : 명) 전체(비중) IT 관련 산업 비IT 전체 정보전략기획 및 컨설팅 51,080(9.5%) 25,793 25,291 시스템 분석 및 통합 58,132(10.8%) 28,284 29,848 웹개발 및 관리 72,331(13.4%) 34,781 37,550 네트워크 설계 및 관리 47,684(8.9%) 28,138 19,546 데이터베이스 개발 및 관리 86,590(16.1%) 42,842 43,749 프로그래밍 및 SW엔지니어링 146,794(27.3%) 67,511 79,283 기술지원 72,484(13.5%) 52,270 20,215 디지털미디어 제작 3,141(0.6%) 1,807 1,334 총원 538,241(100%) 281,425 256,815 주: 핵심 IT 인력의 규모는 본 서베이 결과를 노동부의 자료(1998년 사업체 노동 실태 조사 보고서)를 자료를 바탕으로 추정한 모수에 대입하여 추 정한 결과임 출처: 권남훈 외(2001, pp. 160-161). 정보통신 인력의 특성, 수급실태 및 전 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35 -
<표 III-4> 핵 심 IT 인 력 의 부족 규모 ( 200 0년 9월 기준 ) ( 단위 : 개, 명 ) 전체 IT 관련산업 비IT 전체 제조업 건설업 도소매 금융 및 보험업 사업 서비스 기타 업체수 23,987 4,885 19,102 7,272 1,794 1,430 868 6,388 1,351 총원 42,919 10,747 32,172 10,617 3,481 1,258 4,477 8,623 3,716 정보전략기획 및 컨설팅 3,037 391 2,646 1,163 54-321 703 405 시스템 분석 및 통합 4,943 1,661 3,282 1,018 108 157 416 1,150 432 웹개발 및 관리 10,591 3,420 7,171 1,963 789 415 599 2,108 1,297 네트워크 설계 및 관리 3,858 586 3,271 945 287 229 356 1,022 432 DB개발 및 관리 6,961 1,319 5,642 1,745 951 157 191 2,044 554 프로그래밍 및 SW엔지니어링 10,588 2,736 7,852 3,054 789 186 2,455 894 473 기술지 원 2,413 391 2,022 509 502 114 113 703 81 디지털미디어 제작자 529 244 285 218 - - 26-41 출처: 권남훈 외(2001, pp. 163). 정보통신 인력의 특성, 수급실태 및 전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0년 9월 현재 부족한 인력규모는 42,919명으로 추정된다. 조사된 전체 핵심 IT인력의 8%에 해당하는 수치이다(표 III-4 ). 분야별로는 웹개발 및 관리분야와 프로그래밍 및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분야가 전체 부족분의 각 각 약 24.7%를 차지하면서 가장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웹개발 및 관리인력의 부족은 인터넷 확산에 따른 인력수요의 급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2000년 9월 이후 1년간 실제로 수요될 인력은 36,309명인 것으로 파악되었다(6.7%). 이처럼 부족인력에 비해 실제 고용하고자 하는 인력의 수가 적은 것은 하강기로 접어들고 있던 경기상황, 아웃소싱이나 기존인력 - 36 -
의 분담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업들은 자신들이 채용하 고자 하는 인력 중 74.6% 정도인 27,071여명 정도가 실제로 채용 가능한 인 력일 것으로 보고 있었다. 이것은 기업이 비록 의사가 있다 하더라도 인력 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채용으로 이어지는 인력은 보다 줄게 됨을 의미한다. 직종별로는 인력수요가 높았던 데이터베이스 분야와 프로그 래밍 및 소프트웨어분야가 채용불가능 예상 규모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표 III-5). < 표 III-5> 향후 핵심 IT 인력 수요 및 부족 규모 (단위 : 명) 인력수요 비중 채용불가능 예상규모 (비중) 정보전략기획 및 컨설팅 2,163 (6.0%) 707(7.6%) 시스템 분석 및 통합 3,829(10.5%) 958(10.4%) 웹개발 및 관리 6,922(19.1%) 892(9.7%) 네트워크 설계 및 관리 2,103(5.8%) 144(1.6%) 데이터베이스 개발 및 관리 8,857(24.4%) 2,852(30.9%) 프로그래밍 및 SW엔지니어링 8,948(24.6%) 1,542(16.7%) 기술지원 3,047(8.4%) 2,022(21.9%) 디지털미디어 제작자 439(1.2%) 122(1.3%) 총 원 36,309(100%) 9,293(100%) 출처: 권남훈 외(2001, pp. 164). 정보통신 인력의 특성, 수급실태 및 전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기업에서는 핵심 IT 인력의 주요 자질로 전문 지식(31.6%), 현장에서의 실무 경험(24.5%)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III-6). 반 면, 학위 및 수료증 보유 여부(0.5%)에 대해선 중요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핵심 IT 인력에게 필요한 자질 1순위에 대해 응답 기업의 31.6%가 관련 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을 꼽았으며, 현장에서의 실무 경험을 - 37 -
지적한 기업도 24.5% 이른다. 그러나, 학위 및 수료증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기업은 0.5%로 IT분야 인력 자질에서 가장 중요하지 않은 요건으로 나타났 다. < 표 III-6> 핵심IT 인력에게 필요한 자질 핵심IT인력에게 필요한 자질 1순위 지적율 관련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 31.6% 현장에서의 실무 경험 24.5% 조직이나 업무 적응 능력 13.2% 문제해결능력 12.9% 프로젝트 기획 및 관리 능력 12.4% 의사소통 능력 4.3% 기타 0.5% 학위 및 수료증 0.5% 출처: 권남훈 외(2001, pp. 168). 정보통신 인력의 특성, 수급실태 및 전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3) 정보기술분야의 수요전망 정보통신 직업종사자의 취업자 현황 및 전망을 3개 분야로 구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III-7). 2 001 년 기준으로 정보통신 기기 분야에 종사하는 인 력이 약 53만 명, 소프트웨어 분야의 직업에 약 46만 명, 통신분야에 약 9만 6천 명으로 집계되었다. 하지만 오는 2006년에는 소프트웨어 분야와 기기 분야의 종사자수 간의 격차가 훨씬 좁아져서 엇비슷한 비중을 차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는 기기 분야의 종사자 증가분이 약 9만 7천 명 정도 인데 반해 소프트웨어 분야 종사자의 경우 약 12만 7천명이 새롭게 늘어날 - 38 -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한편, 통신 분야의 경우에는 5년 간 약 2만 명 정도 늘어나서 누적 성장률이 20%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 표 III-7> 정보통신 분야별 직업종사자 추이 전망 (단위 : 명) 구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소프트웨어 460,846 484,044 508,434 534,089 561,071 588,081 기기 530,771 549,642 568,804 588,240 607,916 628,259 통신 95,529 99,245 103,080 107,035 111,112 115,336 출처: 권남훈 외(2001, pp. 223). 정보통신 인력의 특성, 수급실태 및 전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1년부터의 정보통신 전문인력의 부문별 신규 수요 전망치를 종합한 결 과에 따르면 향후 5년간 정보통신과 관련된 신규 인력 수요는 약 45만 2천 명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표 III-8). 이 중 소프트웨어 분야의 인력 수요가 약 24만 8천 명으로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기기 분야의 인력 수요는 16만 7천여 명, 통신분야의 인력 수요는 3만 6천 명 정도로 예상된다. < 표 III-8> 정보통신 인력의 분야별 신규 수요 전망 (단위 : 명) 분야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1~2005 통신 8,655 8,075 7,340 6,509 5,635 36,214 소프트웨어 45,553 47,831 49,903 51,767 53,427 248,480 전기 전자 42,945 38,791 33,867 28,525 23,087 167,214 총계 97,153 94,697 91,110 86,801 82,148 451,909 출처: 권남훈 외(2001, pp. 231). 정보통신 인력의 특성, 수급실태 및 전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보통신 전공 인력은 향후 5년 동안 약 45만 5천 명이 공급될 것으로 예 - 39 -
측되고 있다(표 III-9). 이를 전공 분야별로 나누어보면, 통신 분야를 전공한 인력은 약 3만 1천명, 기기 분야를 전공한 인력은 16만 6천 여명이 공급되 는데 반해 소프트웨어를 전공한 인력은 24만 8천 여명이 공급됨으로써 가장 많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표 III-9> 정보통신 전공인력의 분야별 공급 전망 (단위 : 명) 분야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1~2005 통신 5,797 5,983 6,335 6,549 6,726 31,390 소프트웨어 52,797 50,622 49,788 51,711 52,736 257,655 전기 전자 33,090 31,993 33,089 33,771 34,225 166,169 총계 91,684 88,597 89,213 92,031 93,688 455,214 출처: 권남훈 외(2001, pp. 245). 정보통신 인력의 특성, 수급실태 및 전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표 III-10> 정보통신 전문인력의 분야별 수급차 전망(공급-수요)(단위:명) 분야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2~2005 통신 -2,859-2,092-1,005 40 1,092-4,825 소프트웨어 7,245 2,791-114 -56-690 9,175 기기 -9,854-6,798-778 5,247 11,138-1,046 총계 -5,469-6,100-1,897 5,231 11,539 3,304 출처: 권남훈 외(2001). 정보통신 인력의 특성, 수급실태 및 전망. 정보통신 정책연구원. 공급에서 수요를 차감하여 수급차를 보면 소프트웨어 분야는 다른 분야에 비해 특히 수준에 따른 공급 과잉 및 수요 초과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 났다(표 III-10 ). 이는 시장에서 소프트웨어 분야에 대한 활용도가 커지고 지식 집약적 분야로서 고급 전문 인력의 수요가 특히 높아지고 있으나 우리 의 소프트웨어 교육 체계는 여전히 중저급 인력이 중심이 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 40 -
IV.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능력개발 본 연구와 관련하여 구분해야 할 개념은 정보화 와 정보기술 산업 또는 직업 이다. 정보화 는 정보기술을 의료, 생활, 직업, 교육의 편이 및 접근성 확보를 돕기 위해 활용한다는 개념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다루는 직업 측면에서의 정보기술은 정보기술의 개발, 축적, 거래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한다는 개념이다. 따라서 정보기술분야 직업훈련은 현재 다양한 기관에 서 실시하고 있는 정보화교육과는 구별된다. 정보기술분야의 직무는 주로 컴퓨터를 이용한다. 기업이 사무업무를 전산 화와 자동화하면서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무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초기 직업훈련은 컴퓨터를 이용한 문서작성, 계산서 작성, 고객관리 등의 기초사무업무에 필요한 교과를 구성하여 가르쳤다. 정보기술분야의 직 무는 정보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전 산업에 확대되어 있다. 현재 장애인 직 업훈련은 웹마스터, 웹프로그래밍, 시스템구축, 서버관리 등 이동이 적고 산 업 전망이 좋은 직무들로 다양하게 확대되고 있다. 본 장에서는 정보기술분 야 장애인 직업능력개발 현황을 파악하고 그 방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1. 공 단 지 원 정보기술분야 장 애 인 직 업 능 력 개 발 현 황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에서는 장애인의 직업능력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장우종, 2002). 우선 100개소 이상의 장애인을 교육하는 직업교육훈련기관에 1996년부터 지원을 해 오고 있다. 여기에는 공공직업훈련시설, 인정직업훈련시설, 특수학교 전공과, 장애인복지관 및 장 애인직업재활시설, (사)대한안마사협회 부설 안마수련원이 포함된다. 또한 장애인이 전문기능습득 또는 창업을 위하여 근로자직업훈련촉진법 제28조의 - 41 -
규정에 의한 인정 또는 지정 받은 훈련과정을 자비로 직업훈련을 받은 경우 그 훈련수강료의 전액 또는 일부를 지원한다. 이 중에서 공단 지원 정보기 술분야 장애인 직업능력개발 현황은 다음과 같다(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훈련관리부 자료 제공). 1) 공공직업훈련기관(2000년~2002년 2/4분기) ( 1 ) 장 애 인 직 업 훈 련 및 취 업 현 황 공단이 지원하는 공공직업훈련기관은 기능대학, 한국산업인력공단 산하 직업전문학교, 대한상공회의소 산하 직업훈련원이다. 장애인이 직업훈련을 이수한 공공직업훈련기관수는 2000년 50여개소에서 2002년 52개소로 늘어났 다(표 IV-1). 교육훈련 인원도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취업률은 40%에서 60% 사이를 유지하고 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 교육이 늘어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표 IV-1> 장애인 공공직업훈련 현황(2000~2002) 년도 2000년 2001년 2002년 (2/4 현재) 기관수(개소) 50 51 52 입소인원(명) 533 686 761 중도탈락(명) 41 68 63 훈련중(명) 283 369 436 수료(명) 209 249 262 취업(명, %) 110(52.6%) 100(40%) 125(47.7%) 자격취득 198 246 191-42 -
( 2 ) 정보기술분야 장 애 인 공 공 직 업 훈 련 현 황 장애인에 대한 정보기술분야 직업교육훈련을 실시한 공공직업훈련기관은 2000년도 15개 기관에서 2002년 2/4분기 현재 25개 기관으로 늘어났다(표 IV-2). 이에 따라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훈련인원과 취업률이 2000년 16%에 서 2002년 2/4분기 현재 47%로 대폭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훈련 기간은 대체로 1년에서 2년 사이가 가장 많았다. < 표 IV-2 >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공공직업훈련 현황(2000~2002) 년도 2000년 2001년 2002년 (2/4 현재) 기관수(개소) 15 22 25 훈련기간 3개월~2년 6개월~2년 입소인원(명) 60 79 86 중도탈락(명) 5 9 7 훈련중(명) 30 45 41 수료(명) 25 25 38 취업(명, %) 4(16%) 6(24%) 18(47%) 자격취득 7 19 18 주: 취업률=취업인원/수료인원 100 2000년에서 2002년 2/4분기 사이에 전체교육훈련분야 장애인 공공직업훈 련 입소인원의 11%~12%정도가 정보기술분야를 차지하였다. 또한 정보기 술분야 장애인 수료생의 취업률(16%)은 2000년도에 전체분야 장애인 수료 생의 취업률 52.6%에 크게 미치지 못하였다(표 IV-1, 2). 그러나 전체분야 장애인 수료생의 취업률이 40%~60% 사이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정보기술 분야 장애인 수료생의 취업률은 2000년 24%, 2001년 2/4분기 현재 47%로 전체훈련분야 수료생의 취업률 수준으로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다(표 IV-1, 2). - 43 -
( 3 ) 정보기술분야 장 애 인 공 공 직 업 교 육 훈 련 학 과 / 공 과 공공직업훈련기관에서 정보기술분야 장애인이 직업훈련 받는 학과/공과는 2000년에서 2002년 2/4분기 현재 멀티미디어, 정보처리, 컴퓨터산업디자인, 컴퓨터애니메이션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표 IV-3). 연도별로 공공직업훈련 기관의 정보기술분야 훈련 내용은 세분화, 다양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공 공직업훈련기관에서 장애인이 선택한 정보기술분야 훈련직종이 2000년도에 6개이며, 2001년엔 10개, 2002년도엔 12개로 다양화되고 있다. 직종별로는 멀티미디어직종이 2000년도에 4개의 기관에서 교육을 받았으나 2001년, 2002년도엔 11개의 기관에서 교육을 받았다. < 표 IV-3 >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공공직업교육훈련 내용(2000~2002) 년도 직종 수 총기 관수 2000 6 16 2001 10 30 2002 12 33 학과/공과명칭 및 기관수 학과/공과명칭 및 기관수 멀티미디어 4 정보처리 6 컴퓨터산업디자인 3 컴퓨터애니메이션 1 웹마스터 1 컴퓨터출판디자인 1 멀티미디어 11 정보처리 5 컴퓨터산업디자인 5 컴퓨터애니메이션 1 리눅스프로그래밍 1 전산정보 2 웹 디자인 1 전산계산 1 전자계산 1 정보기술 2 멀티미디어 11 정보처리 4 컴퓨터산업디자인 5 컴퓨터애니메이션 2 리눅스프로그래밍 1 비즈니스인터넷 프로그래밍 1 인터넷미디어 1 전산정보 2 전자계산 2 정보기술 2 컴퓨터출판디자인 1 컴퓨터정보 1-44 -
2) 인정직업전문학교(2000년~2002년 2/4분기) ( 1 ) 장 애 인 직 업 훈 련 및 취 업 현 황 공단 지원 장애인 인정직업훈련기관은 15여개소이다. 입소인원은 2000년 887명에서 2001년 1,087명으로 늘었다. 수료인원에 대한 취업률은 2000년, 2001년에 4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표 IV-4). <표 IV-4> 공단 지원 장애인 인정직업훈련 현황(2000~2002) 년도 2000년 2001년 2002년 (2/4 현재) 기관수(개소) 14 15 17 입소인원(명) 887 1,087 876 중도탈락(명) 174 255 169 훈련중(명) 442 448 385 수료(명) 271 384 322 취업(명, %) 113(41.7%) 174(45%) 106(32.9%) 자격취득 180 166 92 ( 2 ) 정보기술분야 장 애 인 인 정직 업 훈 련 현 황 장애인이 정보기술분야 직업교육훈련을 받는 인정직업훈련기관은 10여개 기관이었다(표 IV-5). 훈련생 입소인원은 2000년 549명에서 2001년 661명으 로 증가하였다. 2000년, 2001년 모두 정보기술분야 입소인원은 전체분야의 60%를 약간 넘게 차지하여 정보기술분야 훈련의 비중이 상당히 높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수료생 대비 취업률은 2000년 47%, 2001년 52%로 전체분야 취업률(각각 41.7%, 45%)을 상회하고 있다(표 IV-4, 5). 훈련기간은 대체로 6개월에서 2년 사이가 가장 많았다. - 45 -
< 표 IV-5 >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인정직업훈련 현황(2000~2002) 년도 2000년 2001년 2002년 (2/4 현재) 기관수(개소) 9 10 10 훈련기간 6개월~2년 입소인원(명) 549 661 537 중도탈락(명) 95 139 109 훈련중(명) 325 301 259 수료(명) 129 221 169 취업(명, %) 61(47%) 116(52%) 60(35.5%) 자격취득 117 130 48 ( 3 ) 정보기술분야 장 애 인 인 정직 업 교 육 훈 련 공 과 인정직업훈련기관 정보기술분야에서 장애인 직업훈련 받는 공과는 2000 년~2002년 2/4분기 현재 사무자동화, 웹마스터, 전자출판및웹디자인, 정보 처리, 컴퓨터산업디자인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표 IV-6). 공단이 지원하는 인정직업훈련기관들의 정보기술분야 직종수와 기관수는 2001년 이후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 표 IV-6 >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인정직업훈련 내용(2000~2002) 년도 직종 수 총기 관수 2000 6 13 2001 7 13 2002 7 13 학과/공과명칭 및 기관수 학과/공과명칭 및 기관수 사무자동화 1 웹마스터 3 전자출판 및 웹디자인 1 정보처리 5 컴퓨터산업디자인 2 컴퓨터애니메이션 1 사무자동화 2 웹마스터 2 전자출판 및 웹디자인 1 정보처리 5 컴퓨터산업디자인 1 웹디자인 1 인터넷 1 사무자동화 2 웹마스터 3 전자출판 및 웹디자인 1 정보처리 4 컴퓨터산업디자인 1 웹디자인 1 인터넷 정보검색사 1-46 -
3) 보건복지부 산하 직업훈련기관(2000년~2002년 2/4분기) ( 1 ) 장 애 인 직 업 훈 련 및 취 업 현 황 공단 지원 보건복지부 산하 직업훈련기관은 2001년과 2002년 2/4분기 현 재 7개소이며 입소 및 훈련인원은 2000년에 비해 2001년에 2배 이상 증가하 였다(표 IV-7). 그러나 수료인원에 대한 취업률은 2000년 44%에서 2001년 21%, 2002년 2/4분기 현재 22%로 나타났다. <표 IV-7> 보건복지부 산하 장애인 직업훈련 현황(2000~2002) 년도 2000년 2001년 2002년 (2/4 현재) 기관수(개소) 10 7 7 입소인원(명) 202 491 437 중도탈락(명) 14 76 51 훈련중(명) 118 230 228 수료(명) 70 185 158 취업(명, %) 31(44%) 39(21%) 35(22%) 자격취득 21 10 27 ( 2 ) 보건 복 지 부 산 하 장 애 인 정보기술분야 직 업 훈 련 현 황 공단 지원으로 정보기술분야 직업훈련을 실시하는 보건복지부 산하 기관 의 수는 2000년 이후 현재까지 4개소이다(표 IV-8). 이 기관들의 정보기술 분야 장애인 훈련인원은 2000년에서 2001년 2/4분기 현재 80~100명 사이로 유지되고 있다. 이는 전체분야 입소인원이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정보기술 분야 입소인원의 비율이 감소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즉, 2000년 전체분야에 서 정보기술분야 입소인원 비율은 49%였고 2001년에는 16.5%였다. 수료생 - 47 -
대비 취업률은 2001년~2002년 2/4분기 현재 26%에서 34%로 지속적인 상 승을 보이고 있다. 이는 전체분야의 평균 취업률이 하락하는 것과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훈련기간은 대체로 1년~2년 사이가 가장 많았다. <표 IV-8> 장애인복지관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훈련(2000~2002) 년도 2000년 2001년 2002년 (2/4 현재) 기관수(개소) 4 4 4 훈련기간 1년~2년 입소인원(명) 99 81 87 중도탈락(명) 14 17 14 훈련중(명) 47 49 41 수료(명) 38 15 32 취업(명, %) 10(26%) 4(26.7%) 11(34%) 자격취득 11 1 21 ( 3 ) 보건 복 지 부 산 하 정보기술분야 장 애 인 직 업 훈 련 내 용 공단 지원을 받는 보건복지부 산하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훈련 내용은 2000년에서 2002년 2/4분기 현재 전산, 정보처리가 공통적으로 나타났다(표 IV-9). 2002년 2/4분기 현재 지난 연도에 실시하였던 기능사자격증반이 운 영되지 않고 있었다. <표 IV-9> 보건복지부 산하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훈련 내용 년도 직종 수 총기 관수 2000 5 6 2001 4 5 2002 3 5 학과/공과명칭 및 기관수 학과/공과명칭 및 기관수 전산 1 정보처리 2 인터넷 검색사 1 정보처리기능사 1 컴퓨터속기사 1 전산 1 정보처리 2 인터넷검색사 1 정보처리기능사 1 전산 1 정보처리 3 객체지향프로그램 1-48 -
4) 공단 지원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훈련 및 취업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훈련을 실시하는 공단 지원 직업훈련기관수는 매년 늘어나고 있다(표 IV-10). 이는 통합교육훈련이 계속 늘어나고 있음을 나타낸다. 평균 취업률도 35~50% 사이로 유지되고 있다. < 표 IV-1 0 > 공 단 지 원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훈련 및 취업 현황 년도 2000년 2001년 2002년 (2/4 현재) 기관수(개소) 28 36 39 입소인원(명) 708 821 710 수료(명) 192 261 239 취업(명, %) 75(39%) 126(48.3%) 11(37.2%) 자격취득 11 1 21 2 001 년 공단 지원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훈련 현황을 기관별로 비교하 면 <표 IV-11>과 같다. 전체분야의 입소인원, 수료인원, 취업인원, 자격취 득 인원 중 정보기술분야 차지하는 비중은 인정직업훈련기관이 공공, 보건 복지부 산하 직업훈련기관에 비해 큰 차이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훈련기간 은 모든 기관에서 2년을 최대 기간으로 정하고 있었다. 장애인에 대한 정보 기술분야 직업훈련은 공공기관이 22개소에서 10개의 직종으로 가장 다양하 였다. - 49 -
< 표 IV-11 > 공단 지원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훈련 기관형태별 현황 비 교(2001) 정보기술분야 직업훈련기관 형태 공공 인정 보건복지부 산하 전체분야 대비 입소인원 비율(%) 11.5 60.8 16.5 전체분야 대비 수료인원 비율(%) 10 57.6 8.1 전체분야 대비 취업인원 비율(%) 6 66.7 10.3 정보기술 수료생 대비 취업율(%) 24 52 21 전체분야 대비 자격취득 비율(%) 7.7 78.3 10 정보기술 훈련기간 3개월~2 년 6개월~2년 1 년~2년 정보기술 훈련 기관수 (개 ) 22 10 4 정보기술 훈련 직종수(개) 10 7 4 이러한 차이점들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유를 찾기 위해서는 공단이 지원 하는 훈련기관들의 장애인, 교육과정, 취업연계 서비스, 장애인에 대한 개별 적 직업재활 서비스 현황이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현황 파악은 장 애인들이 통합환경에서 훈련을 받을 때 필요한 지원의 요소, 내용, 과정을 결정하는 근거로 중요하다. 공단 산하 장애인 직업훈련기관의 축적된 지식 과 실무는 이렇게 통합환경에서의 직업훈련에서 필요한 정보와 모델을 제시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공단 산하 각 직업훈련기관에서 제공한 자료를 기 초로 그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 공 단 산 하 정보기술분야 장 애 인 직 업 능 력 개 발 공단 산하 직업훈련기관은 일산, 대전, 부산, 고용개발원, 대구, 전남이 있 다. 대구직업전문학교, 전남직업전문학교는 2002년 개원으로 현재 훈련 중에 있으나 수료생은 발생하지 않았다. 본 장에서는 4개의 직업훈련기관(일산, 대전, 부산, 고용개발원)에 있는 정보기술분야(정보기술, 정보처리, 컴퓨터산 - 50 -
업디자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의 도입배경 공단 산하 직업훈련기관에서 수행하는 정보기술분야 훈련은 1991년 일산 직업전문학교(정보기술공과) 에서 1 기생을 시작으로 현재 고용개발원(정보 기술공과), 대전직업전문학교(정보처리공과, 컴퓨터산업디자인공과), 부산직 업전문학교(컴퓨터산업디자인공과)에서 수료생들을 배출하고 취업에 연계 되고 있다. 특히 고용개발원에서는 2002년부터 정보기술분야 훈련직종개발 과 훈련모형개발에 주력하게 되었다. 그리고 2002년도에 대구직업전문학교 (컴퓨터그래픽디자인공과, 정보기술공과) 와 전남직업전문학교(컴퓨터그래픽 디자인공과, 컴퓨터애니메이션공과)가 개원하여 현재 교육진행 중에 있다. 직업훈련의 직종 선택은 산업사회의 구조, 지역별 분포도, 직종의 향후 발전 가능성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루어진다. 장애인의 근로 가능직무 에 대해서는 산업체 담당자와 학계 전문가 및 직업훈련교사 등으로 자문위 원회를 구성하여 장애유형 및 특성 등 심신장애에 대한 분석을 통해 훈련 직무를 선택하게 된다. 이들 기관별로 직업훈련에 정보기술직종 도입 배경 을 내부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1 ) 일 산 직 업 전 문 학 교 1986년 일산직업전문학교 건립(안)에 보면, 건립당시에는 사무자동화직종 이 없었다. 1986년 당시에는 직업훈련 직종이 대부분 기계, 전자, 인쇄, 귀금 속공예, 의상 분야 등의 직종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1989년도에 일산직업전 문학교는 장애인을 교육하는 65개 복지관, 재활협회 및 특수학교, 수용시설, - 51 -
장애인고용업체에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종에 대한 의견 파악을 위해 설문지 를 발송하여 이 중 15개 기관에서 회신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로 가장 요구되는 직종에 정보처리(66.7%), 목공예(25%), 금은세공(8%)순으로 나타 났다(표 IV-12). <표 IV-12> 장애인 직업훈련에 적합하다고 인정되는 직종(1989) 구분 1순위 직종 2순위 직종 3순위 직종 직 종 기관수 직 종 기관수 직 종 기관수 1 정보처리 8 가전품수리 3 금은세공 2 2 목공예 3 인쇄 2 정밀기계 2 3 금은세공 1 금은세공 2 의지장구 2 4 정보처리 1 목공예 1 5 목공예 1 인쇄 1 6 정밀기계 1 보석가공 1 7 의지장구 1 8 복식 1 주: 우선순위 중복응답 결과. 출처: 일산직업전문학교 내부 자료. 또한 5순위 내에 추천한 직종을 종합한 결과도 정보처리직종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표 IV-13). 참고로 당시에는 전산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정보처리, 전 자계산, 사무자동화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표 IV-13> 5순위 내에 추천 직업훈련직종(1989) 구분 정보 처리 목공예 금은 세공 인쇄 정밀 기계 가전품 수리 의지 장구 복식 보석 가공 추천 기관수 9 6 5 5 5 3 3 3 3 2 출처: 일산직업전문학교 내부 자료. 기계 제도 - 52 -
그리고 1990년 지체장애인 직업재활기관 30개 및 특수학교 6개 학교를 대 상으로 직업훈련생 모집을 위한 설문조사에서도 전자계산직종이 전자기기, 목공예에 이어 많이 선호하는 직종으로 나타났다(표 IV-14). <표 IV-14> 선호하는 직업훈련 직종(1990) 구분 추천기관수 구분 추천기관수 금은세공 1 화실 1 보석가공 1 낚시대제작 1 도자기 1 인쇄 3 전자계산 4 양재 2 전자기기 5 건축제도 1 시계수리 2 특수용접 1 목공예 5 금속공예 2 제화 1 목공 1 편물 2 도장 2 수예 3 출처: 일산직업전문학교 내부 자료. ( 2 ) 고 용개 발 원 1 훈련직종 선정 과정 현재 고용개발원 직업훈련부는 이전에 여러 명칭으로 바뀌었으며 그 과정 에서 직업훈련 직종도 변경이 있었다(표 IV-15). 고용개발원은 설립계획 당 시 기능대학이었다. 공과는 1995년 1월과 95년 6월은 장애인 기능대학 설립 추진과정에서 살펴보면 정보기술, 전산응용가공, 전자 분야였던 것이 1996년 3월은 직업재활센터 산하 직업전문학교 설립으로 변경한 후 전산응용기계제 도, 전자기기, 제과, 단순조립으로 변경되었다. 1998년 5월에는 직업재활센터 연수훈련실 직업훈련부로 변경한 후 양성과정과 향상과정으로 나뉘어졌다. - 53 -
양성과정에는 전산응용기계제도, 전자기기공과가 있고 향상과정에는 사무자 동화, 정보처리(사무계열), 모의작업(생산계열)이 있었다. 훈련직종 심의 중 노동부 장애인 고용과에서 재검토 할 것을 요구하여 1998년 5월 양성 향상 과정엔 전산응용 기계제도, 전자기기, 정보기술공과와 직업 적응력 향상과 정, 모의과정이 자문회의를 통해 선정되었다. <표 IV-15> 고용개발원 명칭과 직업훈련 직종 변화 과정 일 자 명 칭 직 종 199 5. 1 기능대학 정보기술분야, 전산응용가공분야, 전자분야 199 5. 6 기능대학 정보기술분야, 전산응용가공분야, 전자분야 1996.3 직업전문학교 전산응용기계제도, 전자기기, 제과, 단순조립 1998.5 양성과정: 전산응용기계제도, 전자기기 직업재활종합센터 향상과정: 사무계열(사무자동화, 정보처리), 연수훈련실 생산계열(모의작업) 직업훈련부 노동부 장애인고용과 심의 중 훈련직종 재검토 요구 직업재활종합센터 양성 향상과정: 전산응용 기계제도, 전자기기, 1998.5 연수훈련실 정보기술 직업훈련부 직업 적응력 향상과정: 모의과정 출처: 고용개발원 내부자료 2 정보기술직종 훈련 도입 근거 o 중증장애인의 경우 신체적 한계성을 극복하기가 유리한 직종이 고, 최근 컴퓨터를 이용한 산업이 발전하는 추세이므로 재택 근무가 가능한 정보관련 직종을 운영하는 것이 타당함. o 프로그램 및 정보 기술관련 부분의 발전 속도가 빠른 편이므로 사무직 계열의 향상과정 운영이 용이함. o 중도장애인의 경우 사무직 계열로 전직을 위한 향상과정 운영 - 54 -
이 용이함. o 시설 및 장비가 정보기술분야의 범용성이 높아 향 후 정보산 업 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직종(프로그램 개발분야, 사무 프로그 램분야, 정보검색, 정보통신분야 등)으로 양성과정 및 향상과정 운영이 가능함. o 출처: 고용개발원 내부자료. ( 3 ) 대 전 직 업 전 문 학 교 자문회의 결과 정보기술분야(정보처리, 산업디자인)는 장애인의 선호도가 높으며, 향후 산업체의 전망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부권역에서 취업 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어 적합한 직종으로 선정되었다. 1998년 2월 훈련직종 선정 자문회의 결과 자료에 따라 훈련직종 선정 기준 및 선정 사유는 다음 과 같다. 1 훈련직종 선정 기준 o 훈련대상의 특성을 고려. o 산업여건을 고려. o 수료 후 취업 및 자영이 용이한 직종으로 구성. 2 정보처리 직업훈련 직종 선정 근거 o 장애인의 직종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한 결과 정보처리분야 (11%)는 매우 높은 선호도가 나타났음. - 55 -
o 행동반경이 좁고 앉아서 장시간 작업이 가능한 직종임. o 산업체의 구인요청이 많고 첨단산업으로 향후 전망이 매우 높 은 편이며, 사업체가 전국적으로 지역별 분포도가 매우 높음. o 취업대상 사업체의 분포도가 높아 취업이 용이하며, 정보검색, 전산처리 등의 벤처기업식 창업이 용이하고 재택근무 가능 등. 3 컴퓨터산업디자인 직업훈련 직종 선정 근거 o 장애인의 직종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한 결과 디자인분야(14%) 로 가장 높음. o 디자인의 중요성을 강조로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져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므로 산업현황 및 전망이 좋음. o 사업체의 제품개발실, 기획실, 홍보실 등의 취업기반이 넓음. o 출처: 대전직업전문학교 내부자료. ( 4 ) 부 산 직 업 전 문 학 교 자문회의 결과 컴퓨터산업디자인공과는 장애인의 선호도가 높으며, 향후 산업체의 전망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산지역 및 인근지역에 취업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어 적합한 직종으로 선정되었다. 2) 장애인 직업훈련의 정보기술직종 선정 근거 장애인 직업훈련직종 선정시 고려사항(안)을 보면, 장애인의 직종 선호 도, 장애인의 특성 및, 교육훈련 여건, 산업동향 및 분포도, 미래지향적인 직 - 56 -
종인지 등을 분석하여 직종을 선택한다. 공단 내부자료를 보면, 학교 신설계 획 시에는 산업체의 동향 및 분포도, 교육훈련 여건을 조사 분석하여 직종 을 선정한다. 이를 노동부에 승인을 받은 후 학교 신설 업무의 하나로 지역 장애인 관련 단체 및 장애인 교육기관에 있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선호도를 조사하여 공과를 확정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표 IV-16> 장애인 직업훈련직종 선정시 고려사항(안) 장애인 직업훈련직종 선정시 고려사항(안) ( 1 ) 훈 련 대 상 - 장애인이 선호하는 직종인가? - 다양한 장애인이 기능 습득 용이한가? - 시각, 정신, 지체 등의 특성을 고려하였는가? - 보편적 장애인의 능력을 고려했는가? - 경제적 자립은 용이한가? ( 2 ) 교 육 훈 련 여 건 - 당해 지역의 장애인훈련 현황은 어떠한가? - 교육훈련분야와 중복되지 않는가? - 어떤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및 그 대책을 고려했는가? ( 3 ) 산 업 여 건 - 전국적인 산업동향에 부합하는가? - 전국적 산업분포를 고려했는가? - 산업분포도는 높은가? - 지역적 산업 특성은 고려했는가? ( 4 ) 미 래 지 향 적 직 종 인 가? - 장기적인 미래지향적 직업의 범주에 해당하는가? - 미래의 산업수요에 적응 가능한가? ( 5 ) 직 원 운 영 - 교사(지도원) 수급 측면 - 강사의 활용 측면 출처: 공단 내부자료. - 57 -
정보기술분야는 정보화 사회에 힘을 입어 다른 직종에 비해 선호도가 높 다. 최근 들어서는 프로그래밍 직종보다는 산업디자인직종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IV-16>은 장애인 직업훈련기관에서 훈련 직종을 선정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이다. 고려사항의 항목에는 크 게 훈련대상, 교육훈련 여건, 산업여건, 전망, 운영능력이 포함된다. 이러한 항목들을 기준으로 외부 전문가, 사업체 직원, 특정 직종 전공의 훈련교사, 교육행정가 등의 회의들을 통하여 타당성을 협의한다. 3) 공단 산하 정보기술분야 직업훈련과정 변화 공단 정보기술분야 직업훈련과정은 매년 사업체 조사를 통해 내용이 수정 되었다(고용개발원 연구실, 2002, pp. 100-118). 그 구체적인 과정을 보면 다 음과 같다. ( 1 ) 일 산 직 업 전 문 학 교 정보기술공 과 일산직업전문학교에서는 1991년 사무자동화공과라는 명칭으로 공과를 개 설하였다. 당시 사무자동화라는 전산관련 교육기관은 전산학원과 2년제 대 학이 있었다. 전산교육 전문가 및 산업인력관리공단의 직종 개발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기업체의 일반사무업무에 필요한 컴퓨터(워드,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베이스)와 무역영어, 무역실무 등 무역업체 사무실이나 일반사무실 등에서 필요한 일반 전산사무업무가 교과과정으로 편성되었다. 1991년도에 서부터 1994년도까지는 사무자동화업무와 정보처리기능사에 필요한 과목으 로 주로 구성되어 OA와 BASIC, COBOL, FORTRAN 등으로 교과목이 구 성되었다. - 58 -
1992년 교과과정은 1991년의 교과과정에서 장애인 직무에 부적합한 무역 관련 교과부분은 삭제하였다. 그리고 사무업무에 필요한 교과목과 수료검정 대비를 위하여 정보처리 교과 중심 교과과정으로 수정되었다. 1995년부터는 1999년도까지는 한 개로 운영되던 공과를 3개반으로 편성하 였다. 사무자동화반에서는 전산사무업무에 필요한 교육, 프로그래밍반에서는 정보처리기능사대비에 필요한 이론중심 교육에서 탈피하여 당시 업체에서 많이 사용하는 C, C++언어를 교육하였다. 한편, 멀티미디어반에서는 그래픽 과 멀티미디어툴 중심의 교육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료검정을 정보처리기능 사에서 정보통신운용기능사로 바꾸어 시행하였다. 1996년도에는 사무자동화 직종 개선 토론회를 거쳐 공과명칭을 멀티미디 어공과로 변경하였다. 1998년도에는 UNIX, SQL*PLUS, Power Builder등이 도입되었다. 1998년, 1999년도 멀티미디어반에서는 그래픽 위주로 교과가 축 소되어 구성되었다. 2000년도에는 사무자동화반을 삭제하고 멀티미디어반과 프로그래밍반으로 교과과정을 편성하였다. 2001년도에는 정보기술공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그리고 인터넷의 보급 으로 발달된 웹기반의 교육을 도입하여 웹반과 컴퓨터시스템반으로 나누어 2반에 8개의 그룹으로 교과내용이 세분화되면서 다시 사무자동화 교육과정 이 생겼다. 교사의 인원수 보다 많은 직종을 개설하여 운영한다는 것은 교 사 1인당 가르쳐야하는 교과가 많아지는 것이기 때문에 교육의 질을 떨어뜨 린다는 현실적인 어려움에 부딪치기도 하였다. 2002년에는 웹 시스템반과 사무정보시스템반과 컴퓨터응용디자인반으로 교과과정이 축소되었다. ( 2 ) 고 용개 발 원 의 정보기술공 과 2 000 년도 정보기술공과는 단기과정으로 개설되어 과정별 교육기간이 다르 - 59 -
게 운영되도록 편성되었다. 교과과정에 1사무행정과정, 2워드프로세서과 정, 3컴퓨터활용과정, 4가상교육운영자 그래픽과정, 5가상교육운영자 프 로그래밍과정, 6전자출판과정, 7컴퓨터게임그래픽과정, 8컴퓨터게임프로 그래밍과정, 9홈페이지 제작과정, 103차원 그래픽과정, 11Visual Basic과정, 12JAVA과정으로 총12개 과정이 개설되었다. 과정에 따라 전문가를 강사로 초빙하여 교육을 실시하였으나, 단기과정임에도 불구하고 직업전문학교의 학사행정체제를 똑같이 적용하였다. 고급과정의 경우는 입학조건에 맞는 학 생 수급에 어려움이 있어 선행학습이 부족한 장애인이 입학하여 단기간에 교육목표에 도달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교육기간에 맞게 교과목의 수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2001년도에 단기과정은 별도로 수립하여 시행되었다. 양성과정은 1컴퓨 터 실무과정, 2웹 마스터과정, 3웹 디자인과정, 4웹 프로그래밍과정, 53 차원 그래픽 과정, 6인터넷 프로그래밍 과정 총6개의 과정을 11개월 교과 과정으로 편성하였다. 2002년도에도 단기과정은 별도로 수립하여 시행되었다. 양성과정은 1웹 프로그래밍과정, 2인터넷 프로그래밍과정, 3웹 디자인과정, 4웹 컨텐츠과 정, 5컴퓨터 그래픽과정 총 5개의 과정을 최대 교육기간을 2년으로 하여 교육하였다. 수시 모집의 개별화 교육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2002년도에는 선 교육 후 취업이 아닌 선 구인업체 확보 후 교육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는 협약한 업체에서 요구하는 직무의 수준까지 집중 교육을 실시하는 산학협력체제에 한 형태인 맞춤훈련을 말한다. 현재는 3D Animation의 Cloth Simulation을 교육 중에 있다. 맞춤훈련은 이론적으로 업체에 맞는 인력을 양성하여 취업시킨다는 이상 적인 직업훈련 방법이지만 업체를 선택할 때 여러 측면에 대한 검토가 필요 하다. 첫째, 업체에서 요구하는 직무의 범용성 여부이다. 즉, 맞춤훈련 협약 - 60 -
업체가 파산이 되더라도 다른 업체에 취업이 가능한 직무의 훈련이 필요한 지 점검해야 한다. 둘째, 직무의 장래성에 대한 판단이다. 훈련받은 직무로 장기 근로가 가능한지가 분석되어야 한다. 셋째, 맞춤훈련 요구 업체의 장래 성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맞춤훈련 협약 이행이 가능한지, 장 기적으로는 취업 장애인이 지속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 할 수 있도록 업체조사가 같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는 공공기 관 또는 대기업에 맞춤훈련을 할 수 있는 직무가 있는지 보다 구체적인 연 구가 필요하다. ( 3 ) 대 전 직 업 전 문 학 교 대전직업전문학교에는 정보기술분야 직종으로 정보처리공과와 컴퓨터산업 디자인공과가 있다. 교육기간은 1년에서 2년 사이로 학생 개인의 특성에 따 라 결정된다. 수시 입학과 개별화 수업을 도입하였으며 2000년도에는 최대 교육기간이 2년을 목표로 교과과정을 편성하였다. 2001년도에는 1년 과정을 목표로 편성하였으며 2002년도에는 1년에서 2년 사이를 융통성 있게 교과과 정을 편성하였다. 1 정보처리공과 정보처리공과에서는 사무자동화분야와 시스템구축분야 2분야로 교과 편성 되었다. 매년 학계, 업계 전문가와 공과 교사들이 참여하여 교과과정 편성에 대한 간담회를 실시하고 교과과정의 내용이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시간 수 만 조정이 되었으며 2002년도 들어 MS-OFFICE가 기본단계로 편성되고 유 틸리티 프로그램이 기본단계에 도입되었다. - 61 -
2 컴퓨터산업디자인공과 2000년도에는 디자인의 기초부분에 해당하는 타이포그래피와 표현기법, 컴퓨터 사진 등에 대한 기초교과 시간이 많았으며, 애니메이션관련 분야도 원 동화, 스캐닝, 채색 등 세분화되어있었다. 2001년도부터는 컴퓨터 그래 픽 관련된 교과에 중점을 두어 교과과정을 편성하였다. 애니메이션관련분야 는 컴퓨터 애니메이션이라는 교과로 묶어놓았다. ( 4 ) 부 산 직 업 전 문 학 교 의 컴 퓨 터 산 업 디 자 인 공 과 최대 2년과정을 목표로 교육하고 있으며 교과과정도 2년을 대비하여 작성 하고 있다. 2000년도에는 개별교과I, II로 나누었으나 2001년도엔 부산학교 정책적으로 개별교과로 묶었다. 2000년도에 실무교과가 직종으로 교과가 편 성되었으나 2001년부터는 직무단위로 교과가 편성되었다. 매년 각계 전문가 (산업체, 학계 등)를 초청하여 간담회를 실시, 교과를 재편성하고 있다. 4) 공단 산하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훈련과정 1 990 년대 초에 대표적인 정보기술분야를 꼽는다면 우리는 사무자동화직종 과 프로그래밍 직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처음 사무자동화직종이 도입된 배경은 앞서 말했듯이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주로 앉아서 할 수 있는 직 무 그리고 장애인이 선호하는 직무라서 도입이 되었다. 1991년 당시에는 수 료검정을 사무자동화가 없어 정보처리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이를 취득하기 위해 교과과정이 정보처리중심으로 편성되기도 하였다. 정보처리 는 주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만드는 작업으로 업체에서 요구하는 프로그래밍언어로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변화되어가고 있다. 1990-62 -
년대 초에 직업훈련은 취업과 수료검정 자격 취득에 목표가 있었으나 2002 년 현재에 이르러서는 취득가능한 자격증이 다양화되었다. 또한 자격취득보 다는 현 산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과목으로 교과내용을 편성하여 산업체 와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프로젝 트 실습, 현장실습 등이 산업체와의 밀접한 관계를 갖고자하는 대표적 교과 과정이다. 앞으로도 더욱 산업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 있는 방안을 연 구하여 취업 후 산업체의 재교육 없이 바로 근무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맞춤훈련의 도입은 산학연계 교육방식으로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 다. 5) 공단 산하 직업전문학교 정보기술분야 취업 현황 ( 1 ) 일 산 직 업 전 문 학 교 정보기술공 과 일산직업전문학교는 매년 3월에 입학하여 익년 2월에 수료하는 체제로 운 영되었다. 그리고 연말에 현장실습을 나갔다가 2월말에 수료하였다. 2002년 부터는 일산직업전문학교에서도 수시 입학, 수료체제로 전환하여 실시하고 있다. 정보기술공과 취업률은 40%~97%이며 평균 74.6%로 나타났다(표 IV-17). <표 IV-17> 일산직업전문학교 정보기술공과 취업 수료 년도 총 92 93 94 95 95 (6월) 96 97 98 99 2000 2001 2002 수료생(명) 323 28 26 19 33 10 30 29 27 29 32 28 32 취업생(명) 246 19 23 18 27 4 23 21 17 28 30 16 20 취업률 (%) 74.6 67.9 88.5 94.7 81.8 40.0 76.7 72.4 63.0 96.6 93.8 57.1 62.5-63 -
( 2 ) 대 전 직 업 전 문 학 교 정보기술분야 수시 입학 수료제로 교육기간은 최대 2년으로 운영되고 있다. 취업률은 50%~90.9%이고 평균 75.2%로 나타났다(표 IV-18). <표 IV-18> 대전직업전문학교 정보기술분야 취업률 구 분 계 정보처리 공 과 2001년 컴퓨터산업 디자인공과 정보처리 공 과 2002년 컴퓨터산업 디자인공과 수료생(명) 32 6 11 10 5 취업생(명) 25 3 10 8 4 취업률(%) 75.2 50 90.9 80 80 ( 3 ) 부 산 직 업 전 문 학 교 정보기술분야 부산직업전문학교의 취업률은 100%로 나타났다. <표 IV-19> 부산직업전문학교 정보기술분야 취업률 구 분 계 2001년 2002년 컴퓨터산업디자인공과 컴퓨터산업디자인공과 수료생(명) 14 1 13 취업생(명) 14 1 13 취업률(%) 100 100 100 3. 정보기술분야 구 인 특 성 과 직 업 훈 련 방 향 1) 핵심 IT 인력의 노동시장 특징 - 64 -
Meares 외 연구자들(1999)은 정보기술 제품의 생산과 서비스 시장에서의 특성과 이것이 핵심 IT인력의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권남훈 외, 2001). 첫 째 는 치 열 한 시 간 경 쟁 이 다. IT를 주 사업으로 하는 기업에게는 가장 중요한 경쟁요소가 시간이다. 특히 제품과 기술의 수명주기가 급속히 단축 됨에 따라 시간 경쟁이 더욱 중요하게되었다. 둘 째 소 프 트 웨 어 분야의 낮 은 진입 장 벽 이 다. 첨단 하드웨어의 개발은 매우 자본집약적인 것이어서 값비싼 제조 공장과 설비들이 필요하다. 이처 럼 진입장벽이 매우 높기 때문에 경쟁자의 숫자 역시 많지 않은 반면, 소프 트웨어의 개발은 상당히 노동집약적인 분야이다.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응용 은 컴퓨터 몇 대와 책상만 있으면 집 지하실에서도 할 수 있는 작업이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분야는 매우 다양한 소비자와 생산자가 존재하는 시장이 며 경쟁자 역시 많이 존재한다. 셋 째 틈새 노동 시 장 이 다. IT분야의 노동시장은 마치 수많은 새 일자리의 연속처럼 보인다. 제품의 다양화, 라이프사이클이 짧아지고 경쟁압력이 심해 지기 때문에 기업체에서는 추가적인 훈련 없이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 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기술을 보유하여 바로 생산현장에서 일할 수 있는 사 람이 필요하다. 넷 째 사내 훈 련 저 조 및 외 부 인 력 활 용 활 성 화 이 다. IT분야 인력 채용 담당자들에 대한 Computerworld잡지의 조사에 의하면 실제로 내부승진 내 지는 사내훈련을 통하여 필요한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 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15%에 불과 하였고 나머지 모두 외부채용이 가장 효 과적이라고 응답하였다. 다 섯 번째 중 년 층 기술인 력 의 채 용기피 현 상 이 다. 이유는 1 IT분야의 - 65 -